You are on page 1of 225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에어컨디셔닝의 냉동원리

▣ 냉동원리

온도계 콕크
알코올 이
증발한다.
가스


보온상자
따뜻함
열 열(熱)

알코올에 젖은 솜 증발하기 쉬운 액체

▣ 상태변화

기체





응고
고체 액체
융해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에어컨디셔닝 시스템 작동의 세가지 자연법칙

▣ 에어컨디셔닝의 시스템의 작동의 세가지 자연법칙

저온

고온

- 고온과 저온의 관계

기체

저압(열)

액체 가열 고압(열)

- 액체의 변화 - 기체와 압축과의 관계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에어컨디셔닝의 정의

▣ 에어컨의 정의

- 일정한 공간에 알맞은 습도, 온도, 공기청정도 및 공기의 흐름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말하며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닝이란 냉방과 난방이 일체로 연동되어 온도조절 뿐만 아니라 습기,
먼지,오염된 공기를 제거 및 차단하여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 에어컨의 종류
- 쿨링 유니트와 히터의 장착위치에 따른 분류 - 제어방식에 따른 분류
· 인터그릴 방식(Intergral Type) · 수동에어컨
· 듀얼 에어컨 방식(Dual A/C Type) · 자동에어컨

(희망온도) 실
실내내온
온도도설
설정정

온 도
도 조
조 정



(실내온도) 내
내 기
기 센
센 서
서 제
제 어

(일 사 량) 일 사 센 서 퓨
퓨 장
장 치

일 사 센 서

풍 량
량 조
조 정

(외기온도) 외
외 기
기 센
센 서
서 터

(냉각수 온도) 수
수 온
온 센
센 서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에어컨디셔닝의 작동원리(기본적인 냉방사이클)

▣ 기본적인 냉방사이클

구름
응축기
차가운 공기

액체

증기

빗물
압축기

자연의 공기조화 A/C 냉방 싸이클

태양

기체 기체 기체

무상의액체
더운 공기

증발기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냉방 부하와 냉방능력

▣ 냉방 부하
(단위 : kcal/h)
복사열의 전동에 전도, 유리, 바닥
복사열 유리의 환 기 발생열 총
차 종 의한 것 천장측면에 대쉬보드에서의
투과 열량 자연환기 승 원4명 열부하
서의 침입열량 침입열량

중형차 16 0 1, 08 0 2 20 3 00 40 0 약 2, 16 0

소형차 14 0 9 70 1 90 2 30 40 0 약 1, 93 0

※ 조 건 : 외기온도(35℃), 상대습도(60%), 실온(25℃), 차속(40km/h), 햇빛있음

▣ 냉방 능력

구 분 표 준 능 력 냉 동 톤

자동차의 냉방능력 3, 6 00 ~4 ,0 00 (k ca l /h ) 1 .0 ~1 . 5냉 동 톤

가정의 냉방능력 1, 6 00 ~2 ,2 00 (k ca l /h ) 0 .5 ~0 . 7냉 동 톤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냉매의 특성

▣ R-12 프레온가스 특징
- 증발잠열이 크며 액화가 용이하다. Cl

- 연소하거나 폭발하지 않는다.


-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변질되지 않는다.
F C Cl
- 독성이 없다.
- 부식성이 없다.
- 음식물과 의복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 F
- 쉽게 구할 수 있다.

▣ R-134a 프레온가스 특징
1) 장 점
- 오존을 파괴하는 염소성분이 없는 R-12의 대체냉매 H F
- 화학적으로 안정
- R-12와 가장 유사한 열학적 성질
- 불연성 및 독성이 없다.
2) 단 점 H C C F
- R-12와 같은 응축온도에서의 냉동능력 저하
(R-12와 동일한 냉방성능을 위해서는 응축온도를 저하시켜야함)
- R-12 냉동유와의 불용성으로 냉동유 변경
- R-134a 냉동유의 흡수성 문제 및 고무류 재질변경 F F
- R-12프레온 호스 재질(NITRILE)의 수분투과성 문제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냉매의 상태변화

▣ 냉매의 포화증기압의 비교

R134a


14%大

(㎏/㎠)
9.9%大
R12

냉매온도(℃)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냉매의 상태변화

▣ 냉매의 상태변화

이것만 차게 하면 액이 된다.


기체
매 비등점

도 액체

(℃)

게이지 압력(㎏/㎠G)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냉매의 개발 배경

F(불소)
방출된
방출된 CFC는
CFC는 분해되지
분해되지 않고
않고
성층권으로 F(불소) C(탄소) Cl(염소)
성층권으로

Cl(불소)

태양으로부터
강한 자외선
태양으로부터의
태양으로부터의 강한
강한 자외선을
자외선을
받은
받은 CFC가
CFC가 광
광 분해되어
분해되어 염소
염소 Cl
(Cl)를
(Cl)를 방출
방출 Cl
오존층

ClO

이 염소가
염소가 OO33(오존)와
(오존)와 반응
반응
오존층을
오존층을 파괴
파괴 Cl
반응 파괴

태양

태양으로부터의
태양으로부터의 강한
강한 자외선이
자외선이 자외선

직접
직접 지표에
지표에 전달
전달 자외선의
자외선의 오존층

증가
증가
지표

피부암의
피부암의 요인,
요인, 생태계
생태계 파괴
파괴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냉매 오일

▣ 구·신냉매의 특성

구 분 광유(Mineral Oil) 합성유(PAG Oil)


적 용 냉 매 R-12(CFC) R-134a(HFC)

분 자 극 성 비극성 극 성

윤 활 성 우 수 양 호

▣ 차종별 냉매오일 주입량

구 분 R- 12 R -1 34 a
콤프레셔 구분
적용차종 MI NE RA L OI L PA G OI L

르망, 씨에로, 에스페로,


프린스, 브로엄, 라노스, 26 5 26 5 V -5
누비라, 레간자

티코, 다마스, 라보,


15 0± 10 15 0± 10 SP -1 0
마티즈
+15
아카디아 ­ 1 80 ND
- 0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냉방 싸이클의 개요

온도
80℃ 2℃
15㎏/㎠ 1.5㎏/㎠
57℃ -3℃
52℃ 15㎏/㎠ 1.5㎏/㎠

응축기 증발기

과 과 과 팽창밸브
포화증기 포화증기
냉 열 토출 흡입 열
각 증 증
액 가 가
포화액 포화액

열 열 열 열
압축기

※ 주:저압 고압은 열부하에 의해서 변화한다.

건조기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냉방싸이클의 종류

▣ 팽창밸브시스템

응축기

콤프레셔

팽창밸브

고압기체상태

고압액체상태
증발기
저압액체상태
저압기체상태
건조기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냉방싸이클의 종류

▣ 팽창튜브시스템



압 ② 고압액체상태




응축기


압축기






저입
액체상태

축적기
증발기 팽창튜브
에어컨디셔닝의 일반이론 냉방싸이클의 종류

▣ 냉방싸이클 내의 각 구성품에서의 냉매의 상태

각 구 성 품 냉매의 상태
압축기 고온 고압의 가스상태
입 구 부 근 -고 압 고 온 의 가 스 상 태
응축기
출 구 부 근 -액 화 된 냉 매 ( 고 압 고 온 )
건 조기(축적기 ) 깨 끗 이 정 화 된 액 체 (기 체 )상 태
팽창 밸브(팽창튜 브) 무상의 냉매
입 구 부 근 -무 화 된 상 태
증발기
출 구 부 근 -가 스 화 된 상 태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압축기

용량토출방식 고정형

가변형

압축기구 왕복식 CONNECTING ROD형


RADIAL형

AXLAL형 SWASH PLATE형 (SP-10, ND)

WOBBLE PLATE형 (V-5)

회전식 VANE형

WANKEL형

SCREW형

구 분 SP-10 V-5 ND ND10PA17C


SP-10적 용 차 량 을 제 외 한 전 차 종
적용차종 티 코 ,라 보 ,다 마 스 ,마 티 즈 (일 부 프 린스 구 모델 제외 )
아카디아 체어맨

냉매토출방식 가변토출식 일정토출량 일정토출량


일정토출식 110cc/Rev
(토 출 량 ) 9.8~151cc/Rev 207cc/Rev 170㏄ /Rev
압축 구
기 SWASH PLATE형 WOBBLE PLATE형 SWASH PLATE형 SWASH PLATE형
초기압축기냉매주입량 150cc 265cc 180cc 200㏄
마그네트클러치 간극 0.3~0.7mm 0.3~0.8mm 0.5± 0.15m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V-5 콤프레셔의 구조 및 원리

▣ 구 조
피스톤 소켓트 플레이트 립 시일
배출구 리테이너

고압차단 및 전동팬
싸이클 스위치
(입부 구모델 적용)

벨로우즈

코일스프링
압력조정밸브 마그네틱 코일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V-5 콤프레셔의 구조 및 원리

A 고압측

▣ 압력조정밸브(Control valve)구조

B 크랭크 케이스측

C 크랭크 케이스측
벨로우즈(BELLOWS)

D 저압측

냉매 R-134a R-12
차종 셋팅값 마킹 셋팅값 마킹
르망,씨에로 42 psiA S
44 psiA B
에스페로 40 psiA I
프린스,수퍼살롱 37.5 psiA Z 37.5psiA Z
라노스
누비라(1,2) 40 psiA I
레간자 ―
레조 42 psiA 청색
매그너스 44 psiA 적색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V-5 콤프레셔의 구조 및 원리

▣ 냉방부하가 클 때 (151cc/Rev)

크랭크 케이스에서 고압측 닫힘

흡입(저압)측으로

저압측 열림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V-5 콤프레셔의 구조 및 원리

▣ 냉방부하가 적을 경우 (9.8cc/Rev)

고압측에서

크랭크 케이스측으로

고압측 열림

저압측 닫힘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V-5 콤프레셔의 구조 및 원리

▣ 부가기능

구 분 부 품 번 호 (R -1 2, R -1 34 a) 적용 차량
고압차단스위치 N P1 4 30 (청 색 ) 르 망 ,에 스 페 로 , 씨 에 로
V- 96 이 전 차 량
전동팬 싸이클 스위치
N P1 4 29 (적 색 ) 르 망 ,에 스 페 로 , 씨 에 로
(F CS )
V- 96 S OH C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SP-10 콤프레셔의 구조 및 원리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응축기, 건조기, 축적기

▣ 응축기(Condensor)

▣ 건조기(Receiver Drier) ▣ 축적기(Accumulator)


고·저압차단스위치

출구 입구
입구 출구
완충장치

내부튜브
고정판
필 터

건조제

튜 브

필터
건조제 주머니
오일블리더 구멍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팽창밸브(기능)

▣ 팽창밸브의 조절작용
팽창 증발 압축

팽창밸브 증발기 압축기

(건조 포화압축)
습한증기

① 부하에 대해 밸브의 배출 가스온도가 적정
개도(開度) 적정 압축기

(습한압축)
습한증기

배출 가스온도가 낮다
② 부하에 대해 밸브의
개도(開度) 큼 압축기

(과열압축)

습한증기

배출가스온도가 높다
③ 부하에 대해 밸브의
개도(開度) 작음 압축기
과열증기
냉매량이 과소, 냉매는 증발하여
과열된 증기 가스의 온도가 올라간다.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팽창밸브(구조 및 종류)

▣ 작동방식에 따른 분류

감온통형(Angle Type) 블록형

▣ 증발기의 압력 취득방법에 따른 분류

P1 P1
다이어프래임 다이어프래임
모세관 모세관
밸브봉 증발기 밸브봉 증발기
튜브 튜브

P2 P2

볼 볼

F F
스프링 스프링

압축기 압축기

액 냉매 입구 감열통 액 냉매 입구 감열통
외부 균압식 내부 균압식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팽창밸브(작동원리)

▣ 감온통형

P1

P2

P3

P1 < P2 + P3
압축기 정지시

P1 P1
P2
P2

P3 P3

P1 > P2 + P3 P1 ≤ P2 + P3
냉방 부하가 클 때 냉방 부하가 적을 때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팽창밸브(작동원리)

▣ 블록(Block)형

증발기 압축기

증발기

리시버 드라이버

팽창밸브 외관 팽창밸브 내부구조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팽창밸브(특기사항)

▣ 차종별 팽창밸브 셋팅치

과 열 도 셋 팅 (㎏ /㎠ G )
차 종 식별번호 부품 번호
0℃ 1 0℃
라노스 611 82 4 2. 20± 0. 1 2.9 0± 0 .2 9 627 374 1
누비라, 레간자 612 60 5 2 .2 6± 0 .12 3. 02 ± 0. 24 9 619 067 0

▣ 신냉매(R-134a)와 구냉매(R-12)의 압력특성차이로 인해 팽창밸브의 셋팅치(Setting) 변경

차 종 조 건 R- 12 R -1 34 a

V -9 5 2. 1㎏ /㎠ G 1. 95 ㎏ / ㎠ G
0℃
티 코 1. 65 ㎏ /㎠ G 1. 5㎏ /㎠ G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팽창튜브, 증발기

▣ 팽창튜브 구조

출구스크린 팽창튜브 입구스크린

튜브굴곡 “O”링 출구(응축기로부터)


(팽창튜브고정부위)

▣ 증발기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냉매호스 및 파이프(Freon Hose Pipe)

▣ 신냉매와 구냉매간 냉매특성 차이로 재질변경 및 혼용방지

구 분 R -1 2 R -1 34 a 변경 이유

R- 13 4a 의 수 분
냉매호스 재질 변경 N IT RI LE NY LO N CO A TE D
투과성 개선

피팅부 나산산 변경 인치계 미터계


나사산형 퀵 커플링형

신·구냉매
챠징포트 혼용방지

▣ 차종별 압력스위치 구분 및 위치

차 종 스위치 명칭 스위치 위치
라노스, 누비라, 레간자 냉매 압력 센서 건조기출구와 팽창밸브 사이

티코, 다마스, 라보
저·고압 스위치 건조기출구와 팽창밸브 사이
(구냉 매)

트리플스위치
아카디아 건조기출구와 팽창밸브 사이
(저 ·중 · 고압 스위 치)

르망, 씨에로, 에스페로 저압차단스위치 응축기출구와 팽창튜브 사이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에어컨 냉매압력 감지 장치

▣ 저압차단스위치 : 항상 닫힘 스위치이며, 냉매압력이 2.1㎏/㎠이하일 때


OFF된다.

- 장착위치:응축기출구와 팽창튜브
입구 사이 고압라인에 장착
P
- 적용차종:르망, 씨에로, 에스페로

▣ 고압차단스위치 : 항상 닫힘 스위치이며, 냉매압력이 28.8~31.7㎏/㎠


이하일 때 OFF된다.

- 장착위치:압축기 리어헤드 고압측에


장착
P
- 적용차종:르망, 씨에로, 에스페로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에어컨 냉매압력 감지 장치

▣ 저·고압차단스위치 : 항상 닫힘 스위치이며, 저압 고압을 한 개의 스위치로 사용함

- 장착위치:건조기에 장착
* 단 티코, 다마스, 라보 구냉매 차량은 건조기 출구와
P
팽창밸브 입구에 장착됨
저압 고압
- 적용차종:티코, 다마스, 라보, 마티즈, V-96이전프린스, 수퍼살롱

구 분 R -1 2, R -1 34 a R- 13 4a
저압차단 2.1㎏ /㎠이 하 2.1㎏ /㎠이 하
고압차단 27± 2.1㎏/㎠ 이상 32± 2㎏/㎠ 이상

적용차종 티코 제외한 전차종 티코

▣ 팬사이클 스위치 : 항상 열림 스위치이며, 냉매압력이18.4~21.4㎏/㎠이상 되었을 때 ON된다

- 장착위치:압축기 리어헤드 고압측에 장착


P - 적용차종:르망, 씨에로, 에스페로 V-96이전 프린스, 수퍼살롱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에어컨 냉매압력 감지 장치

▣ 트리플 스위치 : 항상 닫힘 스위치 2개가 각각 고·저압 및 중압을 감지하며 2개의 스위치를


1개로 조합한 스위치이다.

- 장착위치:건조기 출구와 팽창밸브 입구사이


- 적용차종:아카디아
P
저 압 중 압 고 압
저·고압 중압
스위치 2.0㎏/㎠ 이하 15.5㎏ /㎠ 이상 32㎏ /㎠이 상

▣ 트리너리 스위치 : 고·저압감지스위치와 중압감지 스위치 2개를 1개로 조합한 스위치이다

- 장착위치:건조기
P
- 적용차종:V-96이후 프린스, 수퍼살롱
저·고압 중압

저 압 중 압 고 압
2.0± 0.2㎏ /㎠ 18± 1.5㎏ /㎠ 이 상 27± 2㎏ /㎠ 이 상
이 하 OFF 스 위 치 ON OFF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에어컨 냉매압력 감지 장치

▣ 냉매압력 센서 : 냉매압력에 따른 센서 내부저항 변화를 이용하여 냉매 압력감지

- 장착위치:건조기 출구와 팽창밸브 입구사이


- 적용차종:라노스, 누비라, 레간자

5V REF 냉매압력과 신호전압(Signal Voltage)관계

VS = VR× (0.0020836 ×P+ 0.039491)


신호전압

VS = 신호전압 VR = Ref전압
P = 냉매압력(PsiG) : 게이지 압력

냉매입력센서

압력 신호전압 압력 신호전압 압력 신호전압


(㎏/㎠) ( V) (㎏ /㎠ ) (V ) (㎏/㎠) ( V)
1 0. 34 12 1. 98 20 3 .1 6
3 0 .6 4 13 2. 12 25 3 .8 9
5 0 .9 4 15 2. 42 30 4 .6 3
8 1 .3 8 17 2. 72
10 1 .6 8 18 2. 86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에어컨 냉매압력 감지 장치

▣ 냉매압력에 따른 압축기 엔진ECM제어 압력표

구 분 압 력 (㎏/㎠ ) 신 호 전 압 (V )
O FF 3. 2 0.67
저 압 차 단
ON
중 압 감 지 ON 19. 0 3.0 1
(전동팬 고속동작 ) O FF 14 .8 2.3 8
ON 23 .9 3.3 6
고 압 차 단
O FF 29 .9 4.5 6

▣ 냉매압력센서 형상

B (5V REF)

A(Ground)

C(Signal)
센서형상 단자기능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차종별 냉매 및 냉매오일 주입량

냉 매 주 입 량 (g)
냉매오일 주입량
차 종
(㎖ )
구 냉 매 (R-12) 신 냉 매 (R-134a)
▣ 냉매주입량
체 어 맨 750±50 200

+ 0 + 15
아카디아 700 - 50 180 - 0

매그너스 780±20

레 간 자

레 조 ― 750±20 265 / 220

누비라(1,2)

라 노 스 730±20

마 티 즈 ― 550 / 500

티 코 550 500
150±10
다 마 스
600 ―
라 보

르 망 790±20
730±20
씨 에 로 ―

에스페로 790±20 730±20 265

프린스·수퍼살롱 950±20 900±20

임페리얼 1100±50 ―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차종별 냉매 및 냉매오일 주입량

▣ 냉방싸이클 내 냉매오일량 (단위 : ㎖,cc)

구 분 라 노 스 , 누 비 라 1, 2 레간자 마티즈 / 티코

압축기 140 배출 160 배출 70 배출

증발기 80 90 50

응축기 30
50 60
건조기 30

배 관 15 20 15

총오일량 220 265 150

▣ 압축기 냉매오일 배출량과 오일주입량

냉방싸이클내
차 종 압축기 종류 배 출 오 일 량 (cc) 오 일 주 입 량 (cc)
총오일량
르 망 ,씨 에 로 ,에 스 페 로 ,프 린 스 100cc 이 하 이 면 110cc
V-5 265cc
수 퍼 사 롱 ,라 노 스 ,레 간 자 100cc 이 상 이 면 배출오일량

티 코 ,다 마 스 ,라 보 80cc 이 하 이 면 80cc
SP-10 150cc
마티즈 80cc 이 상 이 면 배출오일량
압축기에서 오일을 빼낸 후 측정

아카디아 ND 하여 배출된 오일량 만큼 새 압축기 180cc

에서 빼주어야 한다.
에어컨 구성부품의 기능 및 구조 V-5 압축기 차종별 종류

모델 라벨 컨트롤 팬사이클 고압차단


NO 품 번 냉매 차 종 장착상태
번호 번호 밸브 스위치 스위치

1 1131581 1131527 527 B 구 르망,에스페로 적색 파랑

2 96132719 5110270 270 B 구 르망,에스페로 적색 파랑

3 90264620 5110276 276 B 구 르망,에스페로 적색 파랑

4 96189267 5110394 394 B 구 르망,에스페로 적색 파랑

5 96191809 5110393 393 B 구 르망,에스페로 Side M/T 적색 파랑

6 96164820 5110507 507 S 신 씨에로 적색 파랑

7 96189268 5110576 576 S 신 씨에로 적색 파랑

8 96191807 5110547 547 S 신 씨에로 Side M/T 적색 파랑

9 96164821 5110506 506 I 신 에스페로 적색 파랑

10 96191808 5110549 549 I 신 에스페로 Side M/T 적색 파랑

11 96131272 8501003 003 B 구 로얄1.9 적색

12 96125022 5110266 266 Z 구 프린스 적색

13 96164822 5110505 505 Z 신 프린스 적색

14 96189270 5110550 550 Z 신 프린스 적색

15 96222458 700612 612 Z 신 V-96(SOHC) 적색

16 96212269 700613 613 Z 신 V-96(SOHC)

17 96303205 700603 603 I 신 라노스 Side M/T

18 96245943 700653 653 I 신 라노스 Side M/T

19 96240693 700667 667 Z/I 신 누비라1.5 BKT(황색)

20 96240700 700669 669 Z/I 신 누비라1.8 BKT(흑색)

21 96271358 727 황색 신 누비라2

22 96341792 737 청색 신 레 조

23 96190642 700651 651 Z/I 신 레간자

24 96292113 725 적색 신 매그너스


에어컨 시스템 고장진단 냉매 충진 및 누기 시험절차

고장진단 개요

자동차 에어컨디셔너는 난방시스템과 냉방싸이클,제어회로등이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에어컨디셔너의 고장을 크게 나누면 냉방싸이클 순환장애 및 가스누설,구성부품의 기능
저하 제어회로의 고장,차량단열,차열 등에 관한 고장으로 나눌수 있다.

즉, 에어컨디셔너의 일반적인 점검사항은

1) 에어컨 관련 퓨즈의 단선 및 헐거움 여부

2) 에어컨 관련 배선 커넥터의 헐거움 및 이탈여부

3) 송풍기 팬의 작동여부

4) 에어컨 작동시 엔진라디에이터 전동팬 작동 및 회전방향정상여부

5) 냉매 충전상태 점검 등이 있다.
에어컨 시스템 고장진단 냉매 충진 및 누기 시험절차

메니폴드 게이지(Manifold Gauge)를 이용한 고장진단

점검 조건

1) 직사광선을 피할것,모든 창문을 열어 놓는다.

2) 온도조절레버를 최대 냉방위치,토출방향 모드는(VENT)위치로 내,외기 설정은 내기로 선텍한다.

3) 송풍기스위치를 최대 송풍위치로 놓는다.

4) 엔진RPM을 1500 - 2000rppm으로 놓는다.

5) 차내에 아무도 승차하지 않는다.

6) 점검 조건하에서 10분간 에어컨을 작동시킨후 인스트루먼트 패널 토출구벤트의 온도와 메니폴드


게이지에서 저압,고압의 압력을 측정한다.

7) 에어컨 성능점검표와 비교하여 고장부위를 점검수리한다.


에어컨 시스템 고장진단 냉매 충진 및 누기 시험절차

고압측 파이프
저압측 파이프

고압 저압

적색 청색

황색

콤프레셔

진공펌프
에어컨 시스템 고장진단 냉매 충진 및 누기 시험절차


기 냉
냉 냉


진 진
진 가


공 10분 공
공 스

5분간 밀
밀 매
매 냉매회수 매


흡 흡
흡 누


입 750mmHg 입
입 방치 유


점 충
충 충

개 이상
개 정
정 점


시 지
지 검


검 진
진 진

게이지
지시이상

연결부
연결부 점검수정
점검수정 냉매
냉매 380ml
380ml 주입
주입 규정냉매
규정냉매 주입
주입
에어컨 시스템 고장진단 에어컨 성능점검표

◑ 차종 : 라노스,누비라,레간자
상대습도 대기온도 저압측 압력 엔진회전수 센터덕트 공기온도 고압측 압력
(%) ℃ ℉ ㎪ psi (RPM) ℃ ℉ ㎪ psi
21 70 200 29 4 40 1034 150
27 80 200 29 7 45 1310 190
20 2,000
32 90 207 30 9 48 1689 245
38 100 214 31 14 57 2103 305
21 70 200 29 6 42 1034 150
27 80 207 30 8 47 1413 205
30 2,000
32 90 214 31 11 51 1827 265
38 100 221 32 16 61 2241 325
21 70 200 29 7 45 1138 165
27 80 207 30 9 48 1482 215
40 2,000
32 90 221 32 13 55 1931 280
38 100 269 39 18 65 2379 345
21 70 207 30 8 47 1241 180
27 80 221 32 12 53 1620 235
50 2,000
32 90 234 34 15 59 2034 295
38 100 276 40 21 69 2413 350
21 70 207 30 9 48 1241 180
27 80 228 33 13 56 1655 240
60 2,000
32 90 248 36 17 63 2068 300
38 100 296 43 23 73 2482 360
21 70 207 30 10 50 1276 185
27 80 234 34 14 58 1689 245
70 2,000
32 90 262 38 18 65 2103 305
38 100 303 44 24 75 2517 365
21 70 207 30 10 50 1310 190
80 27 80 234 34 2,000 15 59 1724 250
32 90 269 39 19 67 2137 310
21 70 207 30 10 50 1379 200
90 27 80 248 36 2,000 17 62 1827 265
32 90 290 42 22 71 2275 330
에어컨 시스템 고장진단 에어컨 성능점검표

◑ 차종 : 르망,씨에로 (R-134a)
대기온도(℃) 고압측(㎏/㎠) 저압측(㎏/㎠) 환기구 유출공기온도(℃)
20∼23 11.4∼11.7 1.79∼1.89 3.16∼4.02
25∼27 13.4∼14.3 1.93∼2.22 5.22∼8.68
30∼33 15.7∼17.8 2.39∼2.90 9.38∼13.43
35∼37 18.3∼18.8 2.88∼3.32 12.77∼17.17
40∼45 19.0∼24.6 3.02∼4.50 14.6∼23.6

◑ 차종 : 에스페로 (R-134a)
대기온도(℃) 고압측(㎏/㎠) 저압측(㎏/㎠) 환기구 유출공기온도(℃)
20∼22 11.6∼12.0 1.81∼1.85 4.25∼5.01
25∼27 13.3∼14.5 2.00∼2.3 6.3∼9.4
30∼32 15.5∼17.7 2.36∼2.97 11.5∼14.5
35∼37 17.8∼19.5 2.67∼3.45 12.7∼18.3
40∼45 19.3∼25.9 3.02∼4.50 15.4∼24.7

◑ 차종 : 프린스,수퍼살롱 (R-134a)
대기온도(℃) 고압측(㎏/㎠) 저압측(㎏/㎠) 환기구 유출공기온도(℃)
20∼22 10∼11 1.62∼1.63 3.3∼3.5
25∼27 13.2∼15.5 1.65∼1.90 3.9∼6.1
30∼32 14.7∼16.3 1.82∼2.12 5.4∼9.2
35∼37 15.7∼17.9 1.97∼2.59 7.8∼13.3
40∼45 18.2∼24.5 2.12∼3.25 9.2∼18.6
(주의) 상기기준치는 습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므로 정비시 습도의 변화에 유의할 것
에어컨 시스템 고장진단 결함원인별 고장진단

1) 정상시

저압측 고압측
2㎏/㎠ 15㎏/㎠ 보통 냉동싸이클이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경우의
매니홀드 게이지의 지시는 증발기 흡입구 온도가
30℃~35℃ 엔진회전수 2,000rpm 최강냉, 블로워 최고속도의
조건에 놓고 저압측 약 1.5~2.0㎏/㎝, 고압측
약14.5~15㎏/㎠이다.

2) 냉매 충진량의 부족

현상상 원
원인인 처
처치치

저압측 고압측
0.8㎏/㎠ 8~9㎏/㎠ (1)
(1) 저압,
저압, 고압
고압 모두
모두 •• 냉동싸이클에
냉동싸이클에 •• 누유
누유 점검
점검
압력이
압력이 낮다.
낮다. 가스
가스 누유가
누유가 수정
수정
(2)
(2) 사이드
사이드 글라스에
글라스에 있다
있다 •• 냉매의
냉매의 보충진을
보충진을
기포가
기포가 확인된다.
확인된다. 한다.
한다.
(3)
(3) 쿨러
쿨러 토출구
토출구 공기가
공기가
약간
약간 차다.
차다.
에어컨 시스템 고장진단 결함원인별 고장진단

3) 냉매충진량과다, 콘데서냉각 부족

현상상 원
원인인 처
처치치

저압측 고압측
2.5㎏/㎠ 20㎏/㎠ (1)
(1) 저압,
저압, 고압
고압 모두
모두 •• 과충진
과충진 때문에
때문에 •• 냉매량을
냉매량을 적정
적정
압력이
압력이 높다.
높다. 냉각불량
냉각불량 으로
으로 한다.
한다.
•• 콘덴서
콘덴서 냉각
냉각 •• 콘덴서를
콘덴서를
불량
불량 청소
청소
•• 벨트의
벨트의 미끄럼짐
미끄럼짐 •• 벨트의
벨트의 수리
수리

4) 싸이클내에 공기가 혼입되어 있다.


현상상 원
원인인 처
처치치
저압측 고압측
2.5㎏/㎠ 23㎏/㎠
(1)
(1) 저압,
저압, 고압
고압 모두
모두 •• 냉동싸이클내에
냉동싸이클내에 •• 리시버드라이
리시버드라이
압력이
압력이 높다.
높다. 공기가
공기가 혼입
혼입 어를
어를 교환한다.
교환한다.
(2)
(2) 저압
저압 배관에
배관에 닿아도
닿아도 되어있다.
되어있다. •• 오일오염
오일오염 등의
등의
차가운
차가운 느낌이
느낌이 없다.
없다. 점검을
점검을 한다.
한다.
에어컨 시스템 고장진단 결함원인별 고장진단

5) 냉매가 순환하지 않는다.



현상상 원
원인인 처
처치치

저압측 고압측
76cmHg 6㎏/㎠ (1)
(1) 저압측은
저압측은 부압을
부압을 •• 먼지,수분등이
먼지,수분등이 •• 리스버드라이어
리스버드라이어
고압측은
고압측은 낮은
낮은 익스팬션
익스팬션 소공
소공 익스팬션을
익스팬션을
압력을
압력을 지시한다.
지시한다. 부에
부에 부착하거나
부착하거나 교환한다.
교환한다.
(2)
(2) 리시버
리시버 또는
또는 익스
익스 동결하거나
동결하거나 해서
해서
팬션
팬션 전후의
전후의 배관에
배관에 냉매의
냉매의 흐름을
흐름을 •• 감열통
감열통 불량의
불량의
서리나
서리나 이슬이
이슬이 방해하고
방해하고 있다.
있다. 경우는
경우는 익스팬션
익스팬션
부착
부착 된다.
된다. •• 감열통의
감열통의 가스
가스 교환
교환
누유
누유

6) 냉동싸이클내에 수분이 흡입됨


현상상 원
원인인 처
처치치

(1)
(1) 운전중
운전중 저압측
저압측 •• 혼입된
혼입된 수분이
수분이 •• 리시버드라이
리시버드라이
압력이
압력이 때때로
때때로 부압
부압 익스팬션의
익스팬션의 소공
소공 어를
어를 교환하고
교환하고
으로
으로 되기도
되기도 하고
하고 에서
에서 동결하여
동결하여 진공빼기를
진공빼기를
정상으로
정상으로 되기도
되기도 일시적으로
일시적으로 확실히
확실히 한다.
한다.
한다.
한다. 싸이클
싸이클 폐쇄가
폐쇄가
된다.
된다.
에어컨 시스템 고장진단 결함원인별 고장진단

7) 익스팬션 고장(너무열림) 감열통의 취부불량



현상상 원
원인인 처
처치치

저압측 고압측
2.5㎏/㎠ 19~20㎏/㎠ (1)
(1) 저압,
저압, 고압측
고압측 모두
모두 •• 익스팬션
익스팬션 고장
고장 •• 감열통의
감열통의 취부
취부
압력이
압력이 높다.
높다. 또는
또는 감열통의
감열통의 상태를
상태를 확인
확인
취부
취부 불량
불량
(2)
(2) 저압측
저압측 배관에
배관에 서리
서리 •• 유량
유량 조절이
조절이 •• 익스팬션
익스팬션 자체
자체

나 이슬이
이슬이 다량으로
다량으로 확실하게
확실하게 행해
행해 테스트
테스트 조정
조정
부착된다.
부착된다. 지지
지지 않는다.
않는다. 또는
또는 교환
교환

8) 콤퓨레셔 압축불량


현상상 원
원인인 처
처치치
저압측 고압측
4~6㎏/㎠ 7~10㎏/㎠
(1)
(1) 저압
저압 압력이
압력이 높고
높고 •• 콤프레셔
콤프레셔 내부에
내부에 •• 콤프레셔를
콤프레셔를 분해
분해
고압
고압 압력이
압력이 낮다.
낮다. 누유가
누유가 있다.
있다. 수리한다.
수리한다.
(밸브의
(밸브의 파손등)
파손등)
티코 에어컨 제어장치 에어컨 콘트롤 스위치

▣ 에어컨 컨트롤 스위치

송풍기 스위치 모드 전환 레버

ECO A/C

내·외기 전환레버 에어컨 스위치 온도조절 레버

08D-PNB-199901-K00048
티코 에어컨 제어장치 에어컨 콤프레셔 작동조건 및 냉매 주입량

▣ 에어컨 콤프레셔 작동조건

구 분 작 동 조 건
송풍기 스위치 OFF가 아 닌 1, 2, 3단 위 치
에어컨 스위치 ECO 또 는 A/C 버 튼 이 ON상 태
OFF 110± 1℃ (저 항 값 18.1± 0.5Ω )
냉각수 온도
ON 107± 0.4℃ (저 항 값 20.1± 0.2Ω )
OFF 1.0℃ (6.31㏀ )
A/C
ON 2.5℃ (5.85㏀ )
증발기 온도
OFF 10℃ (4.03㏀ )
ECO
ON 11.5℃ (3.75㏀ )
OFF 650± 50, 6900± 200
엔 진 RPM
ON 1000± 100+ 3초 , 5400± 200
저압차단 2.1㎏ /㎠ 이 하
냉매 압력 스위치
고압차단 27㎏ /㎠ 이 상 (신 냉 매 :32㎏ /㎠ 이 상 )

▣ 냉매 주입량

냉매 주입량 냉매 오일량

신냉매 : 500g , 구냉매 : 550g 150cc

08D-PNB-199901-K00049
다마스·라보 에어컨 제어장치 에어컨 컨트롤 스위치

▣ 에어컨 컨트롤 스위치

모드절환레버

송풍기스위치 및
내·외기절환레버
에어컨스위치

온도조절레버
(볼륨스위치)

08D-PNB-199901-K00050
다마스·라보 에어컨 제어장치 에어컨 콤프레셔 작동조건 및 냉매주입량

▣ 에어컨 콤프레셔 작동조건


구 분 작 동 조 건
송풍기 스위치 OFF가 아 닌 1, 2, 3단 위 치
에어컨 스위치 스 위 치 ON상 태
볼룸 스위치 최대 냉방 위치, 내기상태
OFF 105℃ (저 항 값 20.5Ω )
냉각수 온도
ON 102℃ (저 항 값 22.4Ω )
OFF 1.7℃ (저 항 값 6.09㏀ )
증발기 온도
ON 3.2℃ (신 냉 매 4.7℃ , 저 항 값 5.23㏀ )
RPM 신 호 는 A/C 관 계 없 고 , V.S.V 작 동 에 관 계 됨
엔 진 RPM
단 , 시 동 중 에 는 에 어 컨 OFF됨
저압차단 2.1㎏ /㎠ 이 하
냉매 압력 스위치
고압차단 27㎏ /㎠ 이 상

▣ 냉매 주입량
냉 매 주 입 량 냉 매 오 일 량

600g 150cc

▣ FEED BACK
Ⓐ A/C “ON”상태 시동시 500RPM이상 시점 부터 10초 동안 차단.
Ⓑ TPS 70%이상 & 7초 이상 지속시 : 7초 동안 A/C차단.
Ⓒ TPS 70%이상 & 7초 미만 지속시 : 7초 미만 시간+2초동안 A/C 차단.

구분 0㏀ 1㏀ 2㏀ 3㏀ 4㏀ 5㏀
0FF 1.7℃ 4.38℃ 7.06℃ 9.43℃ 12.47℃ 15.10℃
ON 4.7℃ 7.44℃ 10.18℃ 12.92℃ 15.66℃ 18.40℃

08D-PNB-199901-K00051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마티즈, 에어컨 컨트롤 스위치

온도조절 스위치 송풍방향조절 스위치 풍량조절 스위치

에어컨 스위치 내·외기 선택레버 뒷 유리열선 스위치

08D-PNB-199901-K00052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마티즈, 에어컨 콤프레셔/전동팬 작동조건 및 냉매주입량

▣ 에어컨 콤프레셔 작동조건

구 분 작 동 조 건
송풍기 스위치 OFF가 아닌 1, 2, 3, 4단 위치
에어컨 스위치 스위치 ON 상태
냉각수 온도 115℃이상 OFF, 112℃이하 ON
증발기 온도 1℃이하 OFF, 2.5℃이상 ON
OFF 640 이하, 6600 이상
엔진 RPM
ON 990 이상, 5400 이하
저압차단 2.1㎏/㎠ 이하
냉매 압력 감지
고압차단 32㎏/㎠ 이상

※ TPS개도(%)에 따른 엔진의 부하가 클때에는 엔진 ECM이 에어컨 콤프레셔를 차단한다.

▣ 전동팬 작동조건

구 분 냉 각 수 온 도 (℃ ) 기 타 조 건
ON 93
저 속 ① 냉각수 온도 센서 결함 입력 되었을 때
OFF 90
ON 100
고 속 ① 에어컨 작동시
OFF 97

▣ 냉매주입량 : 500g (99.1.18이후 생산차량), 550g ( SOP ∼ 99.1.17까지)

08D-PNB-199901-K00053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르망·씨에로·에스페로 에어컨 컨트롤 스위치

▣ 르망·에스페로 구형

▣ 씨에로

▣ 에스페로 신형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르망·씨에로·에스페로 에어컨 콤프레셔 작동조건 및 냉매 주입량

▣ 에어컨 콤프레셔 작동조건

- 르망/에스페로 구형

구 분 작 동 조 건
모드 스위치 OFF 최 대 냉 방 , 보 통 냉 방 , BI-LEV, 앞 유 리 서 리 방 식
(로 터 리 스 위 치 ) ON OFF, 실 내 환 기 (VENT) 난 방 (HEAT)
저압차단 2.1㎏ /㎠ 이 하
냉매 압력 스위치
고압차단 28.8㎏ /㎠ ~31.7㎏ /㎠ 이 상
※ 엔 진 RPM, TPS 개 도 , 냉 각 수 온 도 에 따 른 콤 프 레 셔 제 어 는 엔 진 ECM에 서 함

- 씨에로/에스페로 신형

구 분 작 동 조 건
송풍기 스위치 OFF가 아 닌 1, 2, 3, 4단 위 치
에어컨 스위치 스 위 치 ON
저압차단 2.1㎏ /㎠ 이 하
냉매 압력 스위치
고압차단 28.8㎏ /㎠ ~31.7㎏ /㎠ 이 상
※ 엔 진 RPM, TPS 개 도 , 냉 각 수 온 도 에 따 른 콤 프 레 셔 제 어 는 엔 진 ECM에 서 함

▣ 냉매 주입량

차 종 구 냉 매 신 냉 매 냉매 오일량
르 망 7 90 ± 20 g 7 30 ± 2 0 g
씨 에 로 ­ 7 30 ± 2 0 g 26 5c c
에스페로 7 90 ± 20 g 7 30 ± 2 0 g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프린스·수퍼살롱 에어컨컨트롤 스위치

▣ 프린스 구형 ▣ 91년형 자동온도 조절장치(ATC)

▣ 프린스 신형 ▣ 96년형 전자동온도 조절장치(FATC)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프린스·수퍼살롱 에어컨컨트롤 스위치

▣ 에어컨 콤프레셔 작동조건

- 프린스 구형

구 분 작 동 조 건
OFF 최 대 냉 방 , 보 통 냉 방 , BI-LEV, 앞 유 리 서 리 방 식
모드 스위치
ON OFF, 실 내 환 기 (VENT) 난 방 (HEAT)
저압차단 2.1㎏ /㎠ 이 하
냉매 압력 스위치
고압차단 27 ± 2㎏ /㎠ 이 상
※ 엔 진 RPM, TPS 개 도 , 냉 각 수 온 도 에 따 른 콤 프 레 셔 제 어 는 엔 진 ECM에 서 함

- 프린스 신형

구 분 작 동 조 건
송풍기 스위치 OFF가 아 닌 1, 2, 3, 4단 위 치
에어컨 스위치 스 위 치 ON
저압차단 2.1㎏ /㎠ 이 하
냉매 압력 스위치
고압차단 27 ± 2㎏ /㎠ 이 상
※ 엔 진 RPM, TPS 개 도 , 냉 각 수 온 도 에 따 른 콤 프 레 셔 제 어 는 엔 진 ECM에 서 함

▣ 냉매 주입량
냉매 주입량 냉매 오일량

신 냉 매 900 ± 20g
265cc
구 냉 매 950 ± 20g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시스템 구성

시 스 템 모 드 제 어 대 상
자 동(AUTO) ·실내온도 및 풍량
반자동식
·배출구 및 흡입구의 작동
(SEMI-AUTO) 수 동 (MANUAL)
·콤프레셔의 단속


내기기온
온도도센
센서서 PBR을
PBR을 가진
가진
AIR
AIR MIX
MIX DOOR
DOOR MOTOR
MOTOR



외기기온
온도도센
센서서

트 릴레이와
릴레이와 저항코일
저항코일 송
송풍풍기
기모모터


수 온
온 센
센 서
서 롤


릴 레
레 이
이 콤
콤 프
프 레
레 셔




일 사
사 센
센 서

PANEL
PANEL CONTROL
CONTROL 조
조작작스
스위위치

VACUUM
VACUUM
환기구/흡입구
환기구/흡입구 SOLENOID
SOLENOID 동
동작작상
상태태표
표시시
모드전환
모드전환 VALVE
VALVE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시스템 개요도

온도설정스위치
내기센서 전기
에어컨 스위치
컨트롤러 기계
외기센서
송풍기 OFF (CONTROLLER)
진공
스위치 1,2,3,4단 일사센서 공기
배출구모드스위치
냉매
흡입구선택스위치 PBR 냉각수
1단 2단 3단 1단
AUTO 스위치 R/Y
에어믹스도어 모터
R/Y R/Y R/Y

컨트롤러 PANEL부
스위치 선택

저 항 솔레노이드밸브

FACE
외기
B/L
외/내기 송풍기 모터 에어믹스 도어
에바포레이터 히터코어
도어 FOOT
내기
FOOT/DEF
A/C릴레이 컨덴서 수온센서
DEF

컴프레서 엔 진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외기온도센서

▣ 외기온도센서(AMBIENT SENSOR)

-- 위치
위치 :: 앞범버
앞범버 후면
후면 중앙
중앙
-- 기능
기능 :: 더미스터로
더미스터로 되어
되어 있으며
있으며 외기온도를
외기온도를 감지하여
감지하여 변화된
변화된 저항값에
저항값에
따른
따른 전압치가
전압치가 콘트롤러에
콘트롤러에 입력된다.
입력된다.

저항(㏀)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내기온도센서

▣ 내기온도센서(INCAR SENSOR)

-- 위치
위치 :: 오디오
오디오 리모콘
리모콘 센서
센서 내측
내측
-- 기능
기능 :: 더미스터로
더미스터로 되어
되어 있으며
있으며 센서
센서 흡입구를
흡입구를 통해서
통해서 흡입된
흡입된 차
차 실내
실내 공기의
공기의 온도를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하여 변화된
변화된 저항값에
저항값에 따른
따른 전압치가
전압치가 콘트롤러에
콘트롤러에 입력된다.
입력된다.

저항(㏀)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수온센서

▣ 수온센서(WATER SENSOR)

저항(㏀)

-- 위치
위치 :: 히터
히터 호스
호스 입구측
입구측
-- 기능
기능 :: 더미스터로
더미스터로 되어
되어 있으며
있으며 엔진
엔진 냉각수
냉각수 온도를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하여 변화된
변화된 저항값에
저항값에 따른
따른 전압치가
전압치가
콘트롤러에
콘트롤러에 입력된다.엔진냉각수
입력된다.엔진냉각수 온도가
온도가 50℃
50℃
이하이고
이하이고 난방모드를
난방모드를 선택하였을
선택하였을 때
때 발쪽으로
발쪽으로
대량의
대량의 찬
찬 바람이
바람이 가지않도록
가지않도록 송풍기를
송풍기를 “LO”
“LO”

로 제어
제어 한다.
한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일사센서

▣ 일사센서(SUN SENSOR)

-- 위치
위치 :: DEFROSTER
DEFROSTER GRILLE부
GRILLE부
-- 기능
기능 :: 포토
포토 다이오드에
다이오드에 의해
의해 전면
전면 유리를
유리를 통해서
통해서 실내로
실내로 들어오는
들어오는 일사량(조도)을
일사량(조도)을
전류로
전류로 변환하여
변환하여 콘트롤러에
콘트롤러에 입력된다.
입력된다.

광전류(mA)

일사량
(㎉/㎡H)

※ 포토다이오드 : 광전 감 광면에 입사되는 빛의 양에 의해서 전도율이 바뀌는 성질을


이용하여 빛의 변화를 전기적인 변화로 변환하는 회로에 이용된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에어믹스 도어모터

▣ 에어믹스 도어모터(AIR MIX DOOR MOTOR)

-- 위치
위치 :: 히터
히터 리어
리어 케이스
케이스 우측
우측

B9 B10 회전방향
+ ­ H O T방 향
­ + C O LD 방 향

(㏀)
에어믹스 도어모터 8.52㏀

A5-A11간의 저항값
5.48㏀

(℃)

AIR MIX 개도
히터 탭 버큠밸브
PBR의 특성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솔레노이드 밸브

▣ 솔레노이드 밸브(VACCUM SOLENOID VALVE:V.S.V)

MODE VSV DEF VENT1 FLOOR VENT2

ON ON ON ON

ON ON OFF OFF

ON OFF
OFF OFF OFF

OFF
OFF OFF
OFF OFF OFF

OFF
OFF OFF
OFF ON OFF
OFF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솔레노이드 밸브

DEF.MODE
DEF.MODE
(Full
(Full Hot
Hot Position)
Position)

에어믹스도어

A
히터코어

증발기코어

SECTION A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솔레노이드 밸브

FACE
FACE MODE
MODE
(Full
(Full Cold
Cold Position)
Position)
FRE/REC
FRE/REC S/W
S/W :: OFF
OFF

SECTION A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솔레노이드 밸브

FACE
FACE MODE
MODE
(Full
(Full Cold
Cold Position)
Position)
FRE/REC
FRE/REC S/W
S/W :: ON
ON

SECTION A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솔레노이드 밸브

FLOOR
FLOOR MODE
MODE
(Full
(Full Hot
Hot Position)
Position)
FRE/REC
FRE/REC S/W
S/W :: OFF
OFF

SECTION A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솔레노이드 밸브

BI-LEVEL
BI-LEVEL
(Hot/Cold
(Hot/Cold Mix)
Mix)
FRE/REC
FRE/REC S/W
S/W :: OFF
OFF

SECTION A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솔레노이드 밸브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송풍기 릴레이

위치 : 엔진룸 릴레이 박스

릴레이속도 1단릴레이 2단릴레이 3단릴레이 4단릴레이


1단(LO) ON OFF OFF OFF
2단(ML) OFF ON OFF OFF
3단(MH) OFF OFF ON OFF
4단(HI) OFF OFF OFF ON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각종 스위치 및 콘트롤러

▣ 각종 스위치

위치 : 컨트롤러의 판넬 앞면

X0 X1 X2
에어컨 스위치 온도스위치 흡입구선택스위치
·콤프레셔ON/OFF ·자동온도 및 ·REC
Y0 ·에어믹스도어의 풍량조절 ·FRE
개도보정
온도하강 설정 송풍속도 송풍속도
Y1
스위치 상승설정스위치 하강설정스위치
온도상승 설정 송풍기 환기구모드
Y2 스위치 멈춤스위치 선택스위치
(FACE)
환기구모드 환기구모드 환기구모드
Y3 선택스위치 선택스위치 선택스위치
(BI LEVEL) (FOOT) (FOOT/DEF)
환기구모드
Y4 선택스위치 ― ―
(DEF)

▣ 콘트롤러

- 위치 : 차 실내 운전석 우측
- 기능 : 각 센서의 신호와 각종 스위치 및 설정 온도상태, PBR등의 신호를 입력요소로
받아들여 그 입력 신호를 연산하여 에어믹스도어, 송풍기 릴레이를 작동시켜
실내온도 및 풍량을 자동제어하며, 배출구 및 흡입구의 작동, 콤프레셔의
단속은 스위치의 설정 신호를 받아 수동 제어하게 된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2단계 진공 다이어프램, 진공지연밸브

▣ 2단계 진공 다이어프램 : 히터 덕트 부위 2개 장착

1단 : 25mm 이동
2단 : 15mm 이동

1단 진공포트 2단 진공포트 계 : 40mm 이동

▣ 진공지연 밸브 : 2단계 진공 다이어프램에 엔진 진공 작용시 내부의 다이어프램의 손상을


막기 위해 2단계 작동 다이어프램에 엔진진공이 4±2초간 지연시킨다.

※ 주의 : 진공 지연밸브의 몸체에 흑색과 백색의 띠가 있다. 백색이 진공솔레노이드 쪽으로 향하도록 할 것

다이어프램쪽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쪽

백색 컬러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온도조절장치(ATC:V-91), 히터 진공 밸브, 아스피레이터와 호스

▣ 히터 진공 밸브
기능 : 에어믹스 도어가 최대 냉방위치로 작동시 히터밸브에 엔진의
진공을 보내 엔진냉각수가 히터코어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위치 : 에어 믹스 도어 모터옆

에어믹스도어모터

히터 탭 버큠 밸브

▣ 아스피레이터와 호스

- 위치 : 내기온도센서와 함께 장착
- 기능 : 차 실내공기온도를 감지하여 위하여 내기온도센서가 내장된 곳까지 차 실내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호스 끝을 송풍기와 연결하여 송풍기 발생하는 음압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차 실내공기를 흡입한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제어 시스템, 일사보정

▣ 일사보정

실내온도설정

AIR MIX DOOR AIR MIX


INCAR SENSOR 일사보정 열림 각 연산회로 DOOR MOTOR
AMB. SENSOR

풍량연산회로 FAN RELAY

SUN SENSOR
AIR MIX DOOR 보정량

일사량(㎉/㎡h)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제어 시스템, AIR CON S/W보정

▣ AIR CON S/W보정

온도설정

INCAR SENSOR AIR MIX DOOR


AMB. SENSOR 열림각연산회로

AIR MIX DOOR


SUN SENSOR 출력결정
MOTOR

PBR AIR-CON S/W


보 정

AIR-CON S/W

AIR MIX DOOR 연산치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제어 시스템, 자동온도제어

▣ 자동온도제어

정전압 변환

AIR MIX DOOR


열림각연산회로

일사보정

AIR MIX DOOR


열림각 검출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제어 시스템, 자동온도제어

▣ 자동온도제어(AIR MIX DOOR 열림각)

설정온도 : 25℃
FAN S/W : AUTO
일 사 량 : 없음

)
도 (℃
외 기온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제어 시스템, 자동온도제어(센서의 입력)

▣ 센서의 입력

콘트롤러

정전압변환

각 SENSOR
및 PBR
SENSOR
전압검출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제어 시스템, 자동온도제어

▣ 설정온도에 비하여 차 실내온도가 낮은 경우

비교기(1)

AIR MIX DOOR


열림각연산회로

비교기(2)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제어 시스템, 자동온도제어

▣ 설정온도에 비하여 차 실내온도가 높은 경우

콘트롤러

비교기(1)

AIR MIX DOOR


열림각연산회로

PBR
비교기(2)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제어 시스템, 자동풍량 제어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제어 시스템, 자동풍량 제어

▣ 1단 (LO)으로 결정한 경우 : 송풍기 구동회로에서 1단(LO)릴레이를 작동시켜서


송풍기 모터는 1단(LO)로 회전하게됨

▣ 4단 (HI)으로 결정한 경우 : 송풍기 구동회로에서 4단(HI)릴레이를 작동시켜서


송풍기 모터는 4단(HI)로 회전하게됨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제어 시스템, 기동 풍량 조절

▣ 기동 풍량 조절

환기구중
환기구중 기동풍량제어
기동풍량제어 송풍기
송풍기 스위치
스위치
콘트롤러
콘트롤러 작
작 동동 1단(LO)
1단(LO) 고정
고정


중 하나선택
하나선택

냉각수
냉각수 온도가
온도가

약 50℃이하
50℃이하
(수온센서
(수온센서 감지)
감지)

콘트롤러에서
결정된 풍량

송풍기
속도LO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제어 시스템, 각 센서의 점검

▣ AUTO MODE 상태

▣ 온도설정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면 ERROR CODE가 표시된다.


(ERROR CODE가 표시되지 않으면 콘트롤러의 고장임)

▣ ERROR CODE

ER RO R CO DE 내 용
▣ SENSOR 가 2개 이상
0 01 IN C AR S EN SO R ER RO R( 내 기 온 도 센 서 ) 동시에 이상이 생긴 경우
0 02 AM B IE NT S EN SO R ER RO R( 외 기 온 도 센 서 ) 1초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ERROR CODE가 표시된다.
0 03 WA T ER S EN SO R ER RO R( 수 온 센 서 )
0 04 AM D P OT EN TI OM ER ER E RR OR (에 어 막 스 도 어 )
0 05 SU N S EN SO R ER RO R( 일 사 센 서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자동제어 시스템, 고장진단 관련표

▣ 고장진단 관련표

내 외 일 수 A 송 E H C V 송 A
부 품 콘 트 롤 러
M V O
온 A O 송 송 흡 환 A 콘 A E M 풍 /
D 풍 ·
트 P P
도 풍 풍 입 기 U 기 기 사 온
/ F 롤 M A 기 C
구 구 O R
항목 설 증 하 T 러 기 S
O R E
C F 선 모 M T 릴 릴
정 가 강 O 센 센 센 센 A S
택 드 I T
저 T S ·
S S C E 레 레
부적합사 S S S S S S O
O O O
항 서 서 서 서 R 항 R R R V 이 이
W W W W W W W W M
1 송풍기 회전 불량 ○ ○ ○ ○ ○

2 송풍기 변속 불량 ○ ○ ○ ○ ○ ○ ○ ○ ○ ○ ○

3 냉방 온도조절 불량 ○ ○ ○ ○ ○ ○ ○ ○ ○ ○ ○ ○ ○ ○

4 난방 온도조절 불량 ○ ○ ○ ○ ○ ○ ○ ○ ○ ○ ○

5 자동 온도저절이 안됨 ○ ○ ○ ○ ○ ○ ○ ○ ○ ○ ○ ○ ○ ○ ○

6 에어컨이 작동되지 않음 ○ ○ ○ ○ ○ ○

기동풍량 제어가 작동
7 ○ ○ ○ ○ ○ ○
되지않음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전자동동온도조절장치(FATC:V-96), 시스템 개요

디프로스터 버튼
콘트롤러

온도설정
다이얼

내외기전환버튼

휀스피드버튼
오토버튼 OFF버튼 토출구전환버튼 에어컨버튼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전자동동온도조절장치(FATC:V-96), 시스템의 기본기능

▣ 온도제어 : 에어컨모드 도어, 에어믹스 도어, 인테이크 도어, 블로워 모터등을 제어

▣ 풍량제어
▶ 메뉴일시

단 수 블로워 전압
1 4. 5
2 6. 5
3 9. 5
4 10 .5
5 12 .5
(M AX H I)

▶ 오토제어시
블로워전압(V)

맥스하이(12)
오토하이(10.5)

오토로우(4.5)

※ 냉방시 블러워 모터 최소전압을 다음식에 의해 결정한다.


블로워 전압=4.5(일사열량/1,000)×2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전자동동온도조절장치(FATC:V-96), 시스템의 기본기능

▶ 일사량 보정

▶ 난방 기동풍량 제어

블로워전압(V)

수온LOW 수온HIGH 냉각수 온도

※ 단 수온LOW은 30℃, 수온HIGH는 45℃를 의미함

▶ 냉방 기동풍량 제어

블로워전압(V)

시간(초)
이그니션 ON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전자동동온도조절장치(FATC:V-96), 시스템의 기본기능

▣ 흡입구 제어
▶ 매뉴얼 제어
흡입

※ 초기 시동에는 FRESH가 우선권을 가진다.

▣ 배출구 제어

▶ 매뉴얼 제어

▶ 자동 제어
모드

※ 초기 시동에는 VENT와 FOOT가 우선권을 가진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전자동동온도조절장치(FATC:V-96), 시스템의 기본기능

▣ 에어컨 제어
▶ 매뉴얼 제어 : 에어컨 스위치 ON 또는 DEF 스위치 ON으로 에어컨모드가 된다.

▶ 자동 제어

1) 기본제어

에어컨

※ 초기 가동시에는 A/C ON이 우선권을 가진다.

2) 외기온도에 따른 제어

에어컨

※ DEF 보장에 의한 A/C ON의 경우에만 실시함


※ 초기가동시에는 A.C ON이 우선함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전자동동온도조절장치(FATC:V-96), 시스템의 기본기능

▣ 공기량 혼합제어
▶ 기본제어
믹스도어개도
100%(88。)
70%

▶ 믹스도어 개도제어 : 난방시 모드도어가 VENT 또는 BI-LEVEL일 때 믹스도어의 개도는


일정이하로 제어한다

▶ 믹스도어 지연제어

에어컨

시간

▣ MAX CONTROL(최대 냉/난방)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전자동동온도조절장치(FATC:V-96), 자기진단 기능

▣ 센서계통 결함표기 온도조절레버 ①

①온도
①온도 표시부(결함
표시부(결함 점멸)
점멸)

▣ 결함코드 지시 ② ①
온도조절레버

①온도
①온도 표시부(결함코드지시)
표시부(결함코드지시)
②자기진단
②자기진단 스위치(AUTO+OFF)
스위치(AUTO+OFF)

결함코드 결함내용
0 정 상
1 내기온도센서
2 외기온도센서
3 수 온 센 서
4 에어믹스 도어
5 일 사 센 서
6 파워트랜지스터
7 맥스하이릴레이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전자동동온도조절장치(FATC:V-96), 구성품의 기능

▣ 내기온도 센서

-- 위치
위치 :: 온도조절장치
온도조절장치 좌측
좌측 하단에
하단에 위치
위치
-- 기능
기능 :: 더미스터로
더미스터로 되어
되어 있으며
있으며 센서
센서 흡입구를
흡입구를 통해서
통해서 흡입된
흡입된 차

실내공기의
실내공기의 온도를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하여 변화된
변화된 저항값에
저항값에 따른
따른 전압치가
전압치가
컨트롤러에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입력된다.

▣ 외기온도 센서

-- 위치
위치 :: 프론트
프론트 범퍼
범퍼 중앙
중앙 뒷부분
뒷부분
-- 기능
기능 :: 더미스터로
더미스터로 되어
되어 있으며
있으며 외기온도를
외기온도를 감지하여
감지하여 변화된
변화된 저항값에
저항값에
따라
따라 전압값이
전압값이 컨트롤러에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입력된다.

▣ 수온 센서

-- 위치
위치 :: 히터코어
히터코어 인렛
인렛 파이프
파이프
-- 기능
기능 :: 더미스터로
더미스터로 되어
되어 있으며
있으며 엔진냉각수
엔진냉각수 온도를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하여 변화된
변화된
저항값에
저항값에 따라
따라 전압값이
전압값이 컨트롤러에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입력된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전자동동온도조절장치(FATC:V-96), 구성품의 기능

▣ 일사 센서

-- 위치
위치 :: 대쉬보드(I/P
대쉬보드(I/P 판넬)중앙부분
판넬)중앙부분
-- 기능
기능 :: 포토
포토 다이오드에
다이오드에 의해
의해 전면유리를
전면유리를 통해서
통해서 실내로
실내로 들어오는
들어오는
일사량(조도)를
일사량(조도)를 전류로
전류로 변환하여
변환하여 컨트롤러에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입력된다.

▣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

-- 위치
위치 :: 대쉬보드(I/P
대쉬보드(I/P 판넬)
판넬) 우측
우측 글로브
글로브 박스
박스 안쪽에
안쪽에 장착
장착
-- 기능
기능 :: 진공을
진공을 이용하여
이용하여 자동온도
자동온도 조절장치의
조절장치의 명령에
명령에 따라
따라 각종
각종
댐퍼를
댐퍼를 개폐함으로서
개폐함으로서 내외기의
내외기의 전환
전환 및
및 배출
배출 모드를
모드를 설정한다.
설정한다.

▣ 에어믹스 컨트롤 모터

-- 위치
위치 :: I/P판넬
I/P판넬 내부
내부 히터유니트에
히터유니트에 부착
부착
-- 기능
기능 :: 에어믹스
에어믹스 댐퍼를
댐퍼를 개폐하여
개폐하여 에바포레이터를
에바포레이터를 통과한
통과한 공기를
공기를
히터코어쪽으로
히터코어쪽으로 어느정도
어느정도 통과
통과 시킬지를
시킬지를 조정하여
조정하여 배출공기의
배출공기의
온도를
온도를 조정한다.
조정한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라노스, 에어컨 컨트롤 스위치

▣ 에어컨 압력 스위치 제어

온도조절 스위치 풍량조절 스위치 송풍방향조절 스위치

에어컨 스위치 내외기 전환 레버 뒷유리열선 스위치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라노스, 에어컨 콤프레셔/전동팬 작동조건 및 냉매주입량

▣ 에어컨 콤프레셔 작동조건

구 분 작 동 조 건

송풍기 스위치 OFF가 아닌 1, 2, 3, 4단 위치


에어컨 스위치 스위치 ON 상태
냉각수 온도 115℃이상 OFF, 112℃이하 ON
엔진 RPM 5500RPM이상 OFF, 4800RPM이하 ON
저압차단 2.1㎏/㎠ 이하
냉매 압력 감지
고압차단 29.93㎏/㎠ 이상

※ TPS개도(%)에 따른 엔진의 부하가 클때에는 엔진 ECM이 에어컨 콤프레셔를 차단한다.

▣ 전동팬 작동조건

구 분 냉 각 수 온 도 (℃ ) 기 타 조 건
ON 93
저 속 ① 에어컨 작동시
OFF 90

고 속 ON 97 ① 냉매 압력센서의 중압감지(19㎏/㎠이하)
② 고장진단 컨넥터의 A+B 단자연결
OFF 94 ③ 냉각수 온도센서의 결함 입력

▣ 냉매주입량 : 730 ± 20g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 에어컨 컨트롤 스위치

온도조절 스위치 송풍방향조절 스위치 풍량조절 스위치

에어컨 스위치
내외기 전환 레버 뒷유리열선 스위치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 에어컨 콤프레셔/전동팬 작동조건 및 냉매주입량

▣ 에어컨 콤프레셔 작동조건

구 분 작 동 조 건

송풍기 스위치 OFF가 아닌 1, 2, 3, 4단 위치


에어컨 스위치 스위치 ON 상태
냉각수 온도 115℃이상 OFF, 112℃이하 ON
엔진 RPM 5500RPM이상 OFF, 4800RPM이하 ON
저압차단 2.1㎏/㎠ 이하(0.52V)
냉매 압력 감지
고압차단 29.88㎏/㎠ 이상(4.62V)

※ TPS개도(%)에 따른 엔진의 부하가 클때에는 엔진 ECM이 에어컨 콤프레셔를 차단한다.

▣ 전동팬 작동조건

구 분 냉 각 수 온 도 (℃ ) 기 타 조 건
ON 93 ① 에어컨 작동시
저 속
OFF 90 냉매압력이 2.2㎏/㎠이상, 19㎏/㎠이하 일때

고 속 ON 97 ① 냉매 압력센서의 중압감지(19㎏/㎠이하)
② 고장진단 컨넥터의 AB 단자연결
OFF 94 ③ 냉각수 온도센서의 결함 입력

▣ 냉매주입량 : 750 ± 20g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 송풍방향 제어

내외기A/C VENT ON FOOT


EVA코어 윈도우
HTR코어

외기

FOOT

FACE

VENT OFF DEF ACT

내기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시스템 개요

▣ 시스템 개요

전자동 온도 조절장치(FATC)는 각종 센서(내기 온도센서, 수온센서, 일사량 센서) 및


스위치의 입력 신호를 컨트롤러에서 받아 마이콤(MICOM) 내부에서 논리적 연산을 통해
모든 모터를 조작함으로써 차실 내 온도를 운전자의 설정온도 상태로 자동제어 유지시켜
주는 온도제어 장치이다.

진공형광
온도조절 버튼 표시기(VFD) 풍량조절 버튼

오토버튼 OFF버튼 모드버튼 에어컨버튼 내외기 서리제거


버튼 버튼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제원/콘덴서 팬 모터 작동조건

▣ 에어컨 제원

구 분 내 용
형식 가변토출형 (9.8 ~ 151cc)
콤프레셔
모델 V-5 콤프레셔
리시버 드라이어 재질 알루미늄
형식 R134a
냉매
용량 750g
형식 Synthetic PAG OIL
냉매 오일
용량 220cc

▣ 전동 팬 작동조건

냉각수 온도
구분 기타 작동 조건
조건 1.5DOHC 2.0SOHC
ON 97℃ 96℃
저속 ① 에어컨 작동시(냉매압력이 2~19㎏/㎠사이)
OFF 94℃ 93℃

ON 101℃ 100℃
고속 ① 냉매압력이 19㎏/㎠ 이상시
OFF 98℃ 97℃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콤프레셔 작동조건

▣ 콤프레셔 작동조건

구 분 작 동 조 건

에어컨스위치 ON 또는 컨트롤러 내부의 로직회로에 의해


에어컨 스위치
ECM으로 에어컨작동신호 출력시

저압차단 2.0kg/cm2 이하
냉매압력센서
2
고압차단 32.0k 이상
2.0SOHC 118℃ OFF, 115℃ ON
냉각수온도센서
1.5DOHC 115℃ OFF, 112℃ ON
ON 4,700 RPM
엔진 회전수
OFF 5,500 RPM
ON 30km/h이하에서 TPS 개도가 25% 미만
차량속도
OFF 15km/h이하에서 TPS 개도가 55% 이상

TPS 개도 97% 이상일때 10초간 차단


OFF
차량속도가 15km/h 이하에서 55% 이상시
무부하시
TPS 개도 90% 이하일때
ON
TPS 차량속도가 30km/h 이하에서 25% 이상시

TPS 개도 70% 이상에서 개도 변화량이


주행시 OFF
15% 이상 차이가 날 경우 5초간 차단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내기온도센서(INCAR SENSOR)

▣ 내기온도센서(INCAR SENSOR)

▶ 위치 : 컨트롤러 내부 좌측 하단에 위치

▶ 기능 : 써미스터(NTC)로 차실내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FATC)에


입력된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외기온도센서(AMBIENT SENSOR)

▣ 외기온도센서(AMBIENT SENSOR)

▶ 위치 : 앞 범퍼 중앙 뒷부분

▶ 기능 : 써미스터(NTC)로 외기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FATC)에 입력된다.

R(0) = 6.0㏀±3%
R(25) = 2.180㏀±3%
R(50) = 0.910㏀±3%

온도(℃)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수온센서(WATER TEMP SENSOR)

▣ 수온센서(WATER TEMP SENSOR)

▶ 위치 : 히터코어 중앙부

▶ 기능 : 엔진냉각수 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FATC)에 입력

B9 R(0) = 6.0㏀±3%
R(25) = 2.180㏀±3%
R(50) = 0.910㏀±3%
R(80) = 0.367㏀±3%

온도(℃)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일사 센서(SUN SENSOR)

▣ 일사 센서(SUN SENSOR)

▶ 위치 : 인스트루먼트 중앙 상단

▶ 기능 :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일사량을 전류로 변환 시켜


컨트롤러(FATC)에 입력





(V)

일사량(㎉/㎡h)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히터/서리제거제어 모터

▣ 히터/서리제거(HTR/DEF) 모터

▶ 위치 : 공조모듈하우징 우측상단

▶ 기능 : 모드(MODE)모터와 함께 배출구제어

히터/서리제거
히터/서리제거
모터
모터

황청

백흑

DEF
HTR/DEF
HTR

HTR/DEF DEF HTR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모드 모터

▣ 모드(MODE)모터

▶ 위치 : 공조모듈하우징 우측하단

▶ 기능 : 히터/서리제거(HTR/DEF)모터와 함께 배출구제어

모드모터
모드모터

녹흑

VENT
VENT/HTR
HTR

VENT HTR
VENT/HTR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내외기제어 모터

▣ 내외기제어 모터

▶ 위치 : 블로워하우징 상단

▶ 기능 : 컨트롤러에 의해 내외기도어 제어

내외기모터
내외기모터

분백 내기
분흑
녹흑
1/3외기

외기

외기 1/3외기 내기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에어믹스제어 모터

▣ 에어믹스제어 모터

▶ 위치 : 히터하우징 외부좌측

▶ 기능 : 컨트롤러에 의해 배출구 공기온도조절도어(Air Mixer Door)제어

시그널

흑 황흑 갈 연청 황

(접지)

에어
에어 믹스도어
믹스도어 모터
모터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파워트랜지스터

▣ 파워트랜지스터

▶ 위치 : 블로워모터 하우징 하단에 장착

▶ 기능 : 컨트롤러에 의해 블로워모터 속도를 무단계로 변속

▶ 파워트랜지스터 1번단자와 2번단자 사이의 전압값(규정값±0.5)

블로워 모터 2번(-)단자

파워
파워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블로워모터 연청흑 단수 전압값


속도감지

1단 8.8

2단 6.8
회흑
속도제어
3단 4.4

4단 2.7
5단 0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설정온도 제어/풍량제어

▣ 설정온도제어

FATC는 AUTO스위치 작동시 온도조절 스위치로 설정온도를 설정하면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고 이를 이용 적정한 제어를 통하여 연산제어
함으로써 실내환경이 최적의 쾌적한 상태가 되도록 콤프레셔, 모드도어, 내외기도어,
에어믹스도어, 블로워모터 등을 자동 조절한다 .

▣ 풍량제어
▶ 수동제어 : 블로워스위치 상하 조작시 블로워모터가 1단씩 증감.
▶ 오토제어 : “AUTO”스위치 작동시 Td값에 의해 컨트롤러는 목표전압으로 변속.
▶ 저수온 난방제어 : 겨울철에 냉각수온도가 낮을때 블로워모터를 일정온도가 될 때까지 1단으로
고정되고 수온의 상승과 더불어 단수가 점차 상승되도록 제어.
▶ 고온 냉방 기동풍량제어 : 여름철 공조덕트 내부의 공기가 뜨거워져 있을경우 약한 풍량을
일정시간동안 전면유리쪽으로 공기를 내보내는 제어
▶ 서리제거(DEF)보정 : 서리제거(DEF)설정시 일정시간동안 오토작동전압 대비 블로워모터 전압을
2V 상승시킨다.
▶ 차속 보정 : 내외기도어가 외기로 된 경우에 차속이 100 km/h기준으로 블로워모터 전압을 2V
낮추는 보정

☞ “Td값”이란? 자동온도조절장치의 자동제어를 위한 기본값으로 내기온도 및 외기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량을 연산하여 설정온도로 조절함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흡입구제어/배출구제어/와이퍼보정제어

▣ 흡입구 제어

▶ 수동제어 : 내외기스위치에 의해 내기, 외기 작동

▶ 자동제어 : “AUTO”스위치 작동시 Td값에 의해 컨트롤러는 외기,1/3외기, 내기 제어

▶ 차속에 따른 제어 : 흡입구가 오토이고 “AUTO”스위치작동시 작동


- 차속이 10km/h이하로 10초 동안 유지되면 내기로 전환됨.
- 내기로 전환후 10분 후에는 자동 해제됨.

▣ 배출구 제어

▶ 수동제어 : 모드스위치를 누르면 배출구를 순차적 작동


- 서리제거스위치를 누르면, 순서에 관계없이 서리제거 상태가 된다.

▶ 자동제어 : “AUTO”스위치 작동시 Td값에 의해 컨트롤러는 배출구를 제어함

▣ 와이퍼 보정 제어

▶ 와이퍼스위치 작동시 컨트롤러에 의해 1분후 콤프레셔는 작동되고 내외기모터는 외기로


제어된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최대냉난방제어/결함보정제어

▣ 최대냉난방제어
▶ 컨트롤러에 의해 온도설정이 최저(LO)설정시 최대냉방상태로 최고(HI)설정시
최대난방 상태로 제어

상 태 최대냉방 최대난방
온도설정 LO HI
모드도어 VENT FOOT
내외기도어 내기 외기
에어믹스도어 최대냉방(COOL) 최대난방(HOT)
콤프레셔 작동 미작동
블로어 모터 5단 5단

▣ 결함보정제어
▶ 센서의 결함이 입력 되었을 경우 컨트롤러내에 마이콤이 아래 표와 같이
보정하여 제어한다.

고 장 센 서 보정값

실내온도센서 단선 또는 단락 25℃
외기온도센서 단선 또는 단락 25℃
냉각수온도센서 단선 또는 단락 50℃ 이상
일사량센서 단락 일사량 0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누비라Ⅱ, 자기진단기능

▣ 자기진단기능
▶ 고장 시 초기표시
- 센서고장 및 에어믹스 도어 고장 시에는 초기 시동 시 또는 자기진단 실시 후
설정온도를 5회 점멸한다.

▶ 자기진단기능 설정
- 온도설정을 26 ℃에서 AUTO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3초 이내에 OFF스위치를 3회
이상 누른다.
고장번호 고장부분

OO 정상
O1 실내온도센서
O2 외기온도센서
O3 냉각수온도센서
O4 에어믹스도어
O5 일사량센서
O6 파워트랜지스터
O7 송풍기고속릴레이

▶ 자기진단 종료 조건
- 재시동시, 고장표시 후 OFF스위치 누를 때, 고장표시 후 32초 이내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간자, 전자동온도조절장치(FATC)

내외기 전환버틈
온도상승조절키

디프로스터
버튼

온도하강 사이드미러
오토버튼 오프버튼 배출구 에어컨 풍량조절
조절키 열선 및 뒷유리
전환버튼 버튼 버튼
열선 동작버튼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간자, FATC 온도제어/풍량제어

▣ 온도제어

▣ 풍량제어

▶ 수동시

단 수 블로워 전압
1 4.5
2 6.5
3 8.5
4 10.5
5 12.5(MAX HI)

▶ 자동 제어시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간자, FATC 풍량제어

▣ 풍량제어

▶ 일사량 보정

▶ 난방 기동풍량 제어

▶ 냉방 기동풍량 제어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간자, FATC 풍량제어

▣ 풍량제어

▶ 디프로스터(DEFROST) 보정

▶ 차속 보정

차속(km/h)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간자, FATC 흡입구 제어

▶ 수동 제어

▶ 자동 기본 제어

Td

▶ 차속에 따른 제어

차속(km/h)

▶ 난방시 1/3 FRESH 제어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간자, FATC 배출구 제어

▶ 수동 제어

(DEF스위치를 눌렀을때)

▶ 자동 기본 제어

※ 초기 기동시에는 VENT와 FOOT가 우선권을 가진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간자, FATC 에어컨 제어

▶ 수동 제어

▶ 자동 기본 제어

1) 기본제어

※ 초기 기동시에는 A/C ON이 우선권을 가진다


※ 절환 POINT의 Td값은 외기온에 따라 가변값을 가진다.

2) 외기온에 따른 제한

외기온

※ DEF 보정에 의한 A/C ON의 경우에만 실시함


※ 초기 기동시에는 A/C ON이 우선임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간자, FATC 공기량 혼합제어

▶ 기본 제어

▶ MAX DOOR 개도 제한

▶ MAX DOOR 지연 제어

▶ 차속에 따른 MAX DOOR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간자, FATC MAX CONTROL/와이퍼 보정제어

▣ MAX CONTROL

▣ 와이퍼(WIPER) 보정제어

에어컨

와이퍼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간자, FATC 자기진단기능

1) 자동온도 조절장치에 결함 발생시 : 초기 시동시 설정온도를


점멸함으로써 고장발생을 알림

2) 온도 상승/하강 조절키를 사용하여 설정온도를 26℃에 셋팅한 후 3초


이내에 AUTO+OFF 스위치를 동시에 3회 이상 누른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간자, FATC 자기진단기능

3) 결함코드

결함코드 결함내용
0 정 상
1 내기온도센서

2 외기온도센서
3 수 온 센 서
4 에어믹스 도어
5 일 사 센 서
6 파워트랜지스터

7 맥스하이릴레이

※ 결함코드 종료조건
- 차량 재동시
- 고장진단코드 지시후 OFF스위치를 눌렀을 때
- 고장진단코드 지시후 16초 경과시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제 원

■ FATC 시스템 관련 제 원
항 목 단 위 내 용 비 고
형 식 - 가변 토출형
모 델 - V-5 콤프레셔
콤프레셔
오일량 cc 220
토출량 cc / rev 9.8-151
형 식 - ETC 2
콘덴셔
최대 냉각용량 kcal / h 11,400
형식 - AL R/DRIER
리시버 드라이어
용량 cc 310
팽 메이커 & 용량 - EATIO N 2.0RT
형 식 - O ne Tank Laminated
에바포레이터
발열량 kcal / h 6,500
형 식 - Fin & Tube Ty pe (AL)
히터코어
발열량 kcal / h 8,500
최대 난방용량 kcal / h 7,110 - 8,690
블로워 모터
사이즈 mm 84.2
고압측 kg / ㎠ 29.36 이상
에어컨 Cut - off 압력
저압측 kg / ㎠ 2.11 이하
형식 - R-134a
냉매
용량 g 780± 20
형식 - Sy nthetic PGA O il
냉매오일
용량 cc 220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개 요

2. FATC 시스템 개요

■ 개 요
전자동 온도 조절장치(FATC : 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는 각종 센서(내기 온도 센서,
외기 온도 센서, 수온 센서, 선 센서) 및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컨트롤 스위치
등에서의 입력 신호를 FATC컨트롤러에서 받아 마이컴(Micom) 내부에서 논리적 연산을 통해 각종
모듈 모터(모드 제어 모터, 에어믹스 제어 모터, 내/외기 전환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차 실내의
온도를 운전자의 설정온도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온도 제어 장치이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다이야그램

■ 다이야그램

사용자조정 설정온도값 파워TR/


블로워 모터
블로워H릴레이

외기온도
에어믹스모터 에어믹스 도어
냉각수온도
주위환경
조건
내기온도 모드 모터 모드 도어
FATC

일사량

내외기 모터 내외기 도어

차속
차량
정보
와이퍼작동 ECM 콤프레셔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자기진단기능

3-3. 자기진단 기능

가. 결함발생시 나타나는 현상
초기 시동시 설정온도 표시창를 5초 동안 점멸

나. 결함코드 확인 요령
설정온도를 26℃에 맞춘후 3초 이내에
결함코드 결함내용 비 고 (결함보정)
AUTO 스위치와 모드스위치를 동시에 3회 누름
OO 정상
O1 내기온도 센서 결함 25℃
다. 결함코드 종료 조건 O2 외기온도 센서 결함 25℃
① 차량 재시동시 O3 수온 센서 결함 ON (50℃ 이상)
② 고장진단 코드 지시후 OFF 스위치를 눌렸을 때 O4 에어 믹스 도어 결함
③ 고장진단 코드 지시후 32초 경과시 O5 선 센서 결함 일사량 0
O6 파워 트랜지스터 결함
O7 고속 블로워 릴레이 결함
O8 마이컴 결함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풍량 제어

4-2. 풍량제어(Blower Motor Speed Control)


Full Auto시 설정온도에 맞는 풍량이 형성되도록
블로워 단수 블로워 모터 전압
블로워 모터의 동작을 자동제어 하는 동시에
1 3.9 V
수동제어도 가능하다.
2 4.9 V
가. 수동시 3 6.0 V
블로워 스위치를 누르면 송풍기는 수동제어 되며, 4 8.0 V
스위치의 업/다운 조작시 마다 상하 1단씩 증감한다. 5 10.0 v
(점화스위치 “ON”상태) 6 Max Hi

나. Auto 제어시
블로워 전
설정 온도값에 따라 Td값이 결정되고, 자동적으로 블로워 최

블로워 모터 목표전압으로 설정되며 블로워 모터는 AUTO Hi 대
무단변속된다.
▶ Td (Thermal Demand) : Td 값 은
자동온도조절장치의 자동제어를 위한 기본값으로
AUTO
내기온도 및 외기온도변화에 따라 변화량을 Lo
연산하여 설정온도를 조절한다. Td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풍량 제어

라. 난방 기동풍량 제어

▶ 작동조건 : 수온 30℃ 이하이고 AUTO 선택

DEF
모드 F/D
FOOT

FRESH
흡입구
AUTO
블로워 Max Hi
모터전압

3.5V

0V 시간
ING ON 수온 Low 수온 High
30℃ 50℃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풍량 제어

마. 냉방 기동풍량 제어

▶ 작동조건 : 외기온도 30℃ 이상이고 AUTO를 선택

DEF
MODE VENT

FRESH
흡입구
AUTO
Max Hi

10.5V
블로워
모터전압
5.2V

0V
시간(초)
ING ON 5 13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풍량 제어

아. 블로워 마일드(Blower Mild) 제어

FATC 컨트롤러는 블로워 모터 속도 증감을 약 8초 지연 제어하는 기능.

Max Hi

10.5 V

5.2 V

시간(초)
0
8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흡입구 제어

4-3. 흡입구 제어

나. 자동기본 제어

Mode

내기

외기

Td

초기 작동시 외기가 우선권을 가짐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흡입구 제어

다. 차속에 따른 제어
① 흡입구가 AUTO 이고, 에어컨 “ON”시만 제어
② 차속이 10km/h이하로 10초 동안 유지되거나, 정지시에는 내기로 전환됨.
③ 내기로 전환 후 10분 후에는 오토가 자동 해제됨.
④ 블로워 전압이 4.9 - 7.5V에서만 작동함.

흡입구

AUTO

내기

차속
10km/h 20km/h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배출구 제어

4-4.배출구 제어

가. 수동제어
자동온도조절장치의 모드 스위치를 누르면 아래의 4가지 배출구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디프로스터
스위치를
눌렀을 때

나. 자동제어

Mode

Td
초기 작동시에는 정면과 발밑이 우선권을 가짐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배출구 제어

4-5. 에어컨 제어

가.수동제어
에어컨 스위치 “ON”하거나 또는 디프로스터 스위치를 “ON”하면 에어컨이 작동된다.

나. 자동제어
- 기본제어: 초기 작동시에는 에어컨 “ON”이 우선권을 가진다.
- 외기온도에 따른 제어 : 서리제거보정에 의한 에어컨 “ON”의 경우에만 실시하며
초기 작동시에는 에어컨”ON”이 우선권을 가짐.

ON

OFF

외기온도
-2℃ 0℃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배출구 제어

4-7. 와이퍼 보정 제어
비가 오는 경우 앞 유리창에 안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경우 FATC 컨트롤러는
자동안개 제거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작동조건/작동방법 : Auto 상태에서 와이퍼를 작동 할 경우 와이퍼 시그널(Wiper


Signal)이 입력된 후, 1분간 지연제어 후에 에어컨 “ON” 및 외기
공기유입 상태로 제어한다.

ON

에어컨 OFF
작동상태

ON
와이퍼
시그널 OFF

60초 20초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내기온도센서

5-1. 내기온도 센서(Incar Sensor)

가. 장착위치
운전자 우측 센터 인스트루먼트 판넬 측면부에 부착

나. 기능
부특성 써미스터(NTC저항)로 되어 있으며 센서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차실 내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변화된 저항값에 따른 전압치가 FATC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다. 점검
- 센서 단품 저항값 - 정상 : 25℃에서 2.2㏀ 내외
- 센서 장착 전압값 - 정상 : 25℃에서 약2.2V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센서회로도

▶ 센서 회로도

BAT IGN 1
F21 F12
10A 10A

A14 A5 FATC 컨트롤러

5V Ref 5V Ref 5V Ref 5V Ref

Signal Signal Signal Signal


B8 B10 B9 A16 A13

외기온도센서 일사센서 수온센서 내기온도센서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외기온도센서

5-2. 외기온도 센서(Ambient Sensor)

가. 장착위치
방열기 전면 중앙부

나. 기능
부 특 성 써 미 스 터 (NTC 저 항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로 되 어 있 으 며
외기온도를 감지하여 변화된 저항값에 따라 전압값이 FATC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다. 점검
- 센서 단품 저항값 - 정상 : 25℃에서 2.2㏀ 내외
- 센서 장착 전압값 - 정상 : 25℃에서 약2.2V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수온센서

5-3. 수온 센서 (Water Temperature Sensor)

가. 장착위치
히터코어 하우징 측면 조수석 사물함 좌측 하단부

나. 기능
부특성 써미스터(NTC저항)로 되어 있으며 냉각수온도를 감지하여 변화된 저항값에 따라
전압값이 FATC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다. 점검
- 센서 단품 저항값 - 정상 : 25℃에서 2.2㏀ 내외
- 센서 장착 전압값 - 정상 : 25℃에서 약2.2V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일사센서

5-4. 일사센서(Sun Sensor)

가. 장착위치
대쉬 보드 중앙부분

나. 기 능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에 의해 전면유리를 통해서 실내로 입사되는 일사량을 검출한다.
일사량을 전류로 변환하여 FATC 콘트롤러에 입력된다.

다. 점검
센서 장착 정상 전압값
- 직사광 아래 측정값 : 약 2.5V
- 그늘에서 측정값 : 약 4.8V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파워트랜지스터

5-5. 파워 트랜지스터(Power Transistor)

가. 장착위치
블로워 모터 케이스에 장착

나. 기 능
풍 량 을 제 어 하 는 기 능 을 한 다 . 자 동 온 도 조 절 장 치 로 부 터 풍 량 조 절 신 호 를 입력 받아 파워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전류를 가변하여 블로워모터 회전속도를 무단계로 제어 한다.

다. 점검
장착 상태 전압값

블로워 단수 블로워 모터 전압
1 3.9 V
2 4.9 V
3 6.0 V
4 8.0 V
5 10.0 v
6 Max Hi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블로워모터회로

■ 블로워모터 회로

BAT IGN 1 BAT IGN 2


F21 F12 Ef6 F6
10A 10A 30A 10A

A14 A5 FATC 컨트롤러


30 86
블로워
릴레이
87 85
A1 B11 B1 B12 A10

1 6
30 85 1

4 M
파워
트랜지스 87 86 2

3 블로워 블로워
HI 릴레이 모터

G202 G202
접지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모드도어모터

5-6. 모드 도어 모터

가. 장착위치
히터 케이스 우측에 장착

나. 기 능
자동온도 조절장치의 제어명령에 따라 Vent, Foot,
혹은 Def쪽 배출구를 개폐함으로써 Vent, Bi-level,
Foot, Foot/Def 혹은 Def 배출구 모드를 설정한다.
4 (+)

VENT

30。
(-) 5
BI-
LEVEL
30。

FOOT
6 (B20) Vent
30。
7 (B19) Bi-Level
1 (B18) Foot
DEF/FOOT 30。
2 (B17) Def/Foot

DEF 3 (B16) Def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내외기 도어 모터

5-7. 내외기도어 모터

가. 장착위치
에바포레이터 케이스 외부에 장착

나. 기 능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 명령에 따라 내기/외기
도어 모터를 작동시켜 내기/외기 흡입구 모드를
설정한다.

REC
4 (+)

7 (B14) REC

6 (A15) 1/3 FRESH


FRES 5 (B13) FRESH
H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에어믹스 도어 모터

5-8. 에어믹스도어모터

가. 장착위치
에바포레이터 케이스 외부에 장착

나. 기 능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 명령에 따라 댐퍼를
개폐함으로써 배출공기온도를 적절히 조정한다.
AMD 모드 저항 3(B4)와 6(B5)
Cool A2(-), A8(+) 300 Ω 이하
Hot A2(+), A8(-) 2.4 ㏀ 이상
(A2) 7

(A8) 5

COOL
Ground (B6) 2
Hot

HOT Singal (B5) 6


Cool

REF (B4) 3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FATC 컨트롤러 커넥터

6. FATC 컨트롤러 커넥터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콤프레셔 작동조건

구 분 2.0 SOHC 2.0 DOHC


OFF 95%
TPS 시간 5 초
ON 90%
OFF 118 ℃ 이상 115 ℃ 이상
냉각수온도
ON 115 ℃ 이하 112 ℃ 이하
OFF 580 RPM이하 5,200 RPM이상
엔진회전수
ON 4,600 RPM이하
OFF 2,936 KPA(29.9Kg/㎠) 이상
HIGH
A/C ON 2,346 KPA(23.9Kg/㎠) 이하
냉매압력 ON 230 KPA(2.9Kg/㎠) 이상
LOW
OFF 205 KPA(2.1Kg/㎠) 이하
M/T 차속 15KPH미만, TPS 55%이상
OFF
A/T 차속23KPH이하,TPS65%이상 차속15KPH이하,TPS65%이상
출발시
M/T 차속40KPH이상,TPS45%이하 차속30KPH이상,TPS45%이하
ON
A/T 차속30KPH이상,TPS45%이하 차속30KPH이상,TPS45%이하
M/T 차속15KPH이상, TPS 65%이상(A/T75%이상)에서
OFF
A/T TPS순간변화량이 5%이상일때 5초간
주행시
M/T
ON TPS가 50% 이하일때
A/T

A/C A/C 스위치 ON 또는 FATC 컨트롤러 내부로직회로에 의해서


스위치 컨트롤러에서 ECM으로 에어컨 작동신호 출력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전동팬 작동조건

냉각수 온도
구 분 기 타 조 건
SOHC DO H C
ON 91℃ 88℃
저 속 에어컨 작동시
OFF 88℃ 85℃

ON 95℃ 92℃ ① 냉매압력센서의 중압감지(16.2㎏/㎠이상)


고 속 ② 고장진단 컨넥터 6+5번단자 연결시
OFF 92℃ 89℃ ③ 냉각수 온도센서 결함 입력시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제 원

■ FATC 시스템 관련 제 원

항목 단위 내용 비고
형식 - 가변 토출형
모델 - V-5 콤프레셔
콤프레셔
오일량 cc 220
토출량 cc / rev 151
형식 - ETC 1
콘덴셔
최대 냉각용량 kcal / h 12,000
재질 - 알루미늄
리시버 드라이어
용량 cc 210
팽창밸브 메이커 & 용량 - Fujikoki(대한 Koki) 1.5RT
형식 - One Tank Laminated
에바포레이터
발열량 kcal / h 6,300
형식 - Fin & Tube Type (AL)
히터코어
발열량 kcal / h 8,250
출력 w 240
블로워 모터
사이즈(직경) mm 84.2
고압 kpa OFF : 2936이상/ON:2115미만 Hys : 821
에어컨 Cut - off 압력
저압 kpa OFF : 205미만/ON:269이상 Hys : 64
형식 - R-134a
냉매
용량 g 750± 20
형식 - Synthetic PAG Oil
냉매오일
용량 cc 220

- 269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다이야그램

■ 다이야그램

설정온도값 파워TR 블로워모터 제어


사용자조정
블로워고속
릴레이
외기온도

냉각수온도
주위환경 에어믹스모터 에어믹스제어
조건
내기온도
모드 모터 모드 제어
일사량 FATC
내외기모터 내외기제어

차속

차량 와이퍼작동 ECM 콤프레셔 제어


정보
조명작동 열선제어

- 269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개 요

2. FATC 시스템 개요

■ 개 요
전자동 온도 조절장치(FATC : 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는 각종 센서(내기 온도 센서,
외기 온도 센서, 수온 센서, 선 센서) 및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컨트롤 스위치
등에서의 입력 신호를 FATC컨트롤러에서 받아 마이컴(Micom) 내부에서 논리적 연산을 통해 각종
모듈 모터(모드 제어 모터, 에어믹스 제어 모터, 내/외기 전환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차 실내의
온도를 운전자의 설정온도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온도 제어 장치이다.

설정온도버튼 VFD 풍량조절버튼

내기온도센서 OFF버튼 내외기버튼 열선버튼


AUTO버튼 MODE버튼 A/C버튼 디프로스터버튼

- 270-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매그너스, 자기진단기능

3-3. 자기진단 기능

가. 결함발생시 나타나는 현상
초기 시동시 설정온도 표시창를 5초 동안 점멸

나. 결함코드 확인 요령
설정온도를 26℃에 맞춘후 3초 이내에 결함코드 결함내용
AUTO 스위치와 OFF스위치를 동시에 3회 누름 OO 정상
O1 내기온도 센서 결함
다. 결함코드 종료 조건 O2 외기온도 센서 결함
① 차량 재시동시 O3 수온 센서 결함
② 고장진단 코드 지시후 OFF 스위치를 눌렸을 때 O4 에어 믹스 도어 결함
③ 고장진단 코드 지시후 32초 경과시 O5 선 센서 결함
O6 파워 트랜지스터 결함
O7 블로워 HI 릴레이 결함

- 271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풍량 제어

4-2. 풍량제어(Blower Motor Speed Control)


블로워 단수 블로워 모터 전압
Full Auto시 설정온도에 맞는 풍량이 형성되도록
1 4.3V
블로워 모터의 동작을 자동제어 하는 동시에
수동제어도 가능하다.
2 6.1V
가. 수동시
3 8.5V
블로워 스위치를 누르면 송풍기는 수동제어 되며, 4 10.5V
스위치의 업/다운 조작시 마다 상하 1단씩 증감한다. 5 MAX HI
(점화스위치 “ON”상태)

나. Auto 제어시
블로워 전
설정 온도값에 따라 Td값이 결정되고, 자동적으로 블로워 최

블로워 모터 목표전압으로 설정되며 블로워 모터는 AUTO Hi 대
무단변속된다.
▶ Td (Thermal Demand) : Td 값 은
자동온도조절장치의 자동제어를 위한 기본값으로
AUTO
내기온도 및 외기온도변화에 따라 변화량을 Lo
연산하여 설정온도를 조절한다. Td

- 272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풍량 제어

라. 차량속도에 따른 풍량제어

Blower가 Auto이고 Fresh & 1/3 Fresh의 경우에 차속에 따라 다음과 같이 Blower 전압을 보정한다.
단, 최대 냉방 또는 최대 난방 위치(Max Hi)에서는 차량속도에 따른 풍량제어을 하지 않는다.

블로워 모터
전압(V)변화량

1/3 Fresh
Fresh
-1.0
-1.5
차속(km/h)
50 100

- 273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풍량 제어

라. 난방 기동풍량 제어

▶ 작동조건 : 외기온 15℃ 이하이고 해당제어기가 AUTO 상태인 경우

DEF
MODE
F/D
Auto

FRESH
흡입구
AUTO
Auto

블로워
모터전압

4.5V

0V 시간
ING ON 수온 Low 수온 High
(35℃) (50℃)

- 273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풍량 제어

바. 냉방 기동풍량 제어

여름철 공조덕트 내부의 공기가 뜨거워져 있을 경우 약한 풍량을 저단으로 고정하여


일정시간(5초)동안 전면유리창(DEF Mode)으로 더운 공기를 배출한 후 정상제어를 시작 함으로써
사용자가 시동후 갑자기 더운 공기를 직접 접촉하여 발생하는 불쾌감을 없애도록 한 제어 시스템이다.
(작동조건 : 외기온도 30℃ 이상이고 해당제어기가 AUTO 상태인 경우)

사. 서리제거(Defrost)보정 제어

블로워 모터가 Auto의 경우 탑승자가 서기제거 모드(DEF)로 설정시 블로워 모터의 전압을 일정
시간에 걸쳐 Auto작동시 전압 대비 2V 상승시킨다. 단, 블로워 모터전압이 10.5V이상일 경우는
제외되며 서리제거보정제어에 의한 전압의 상승은 10.5V로 제한한다.

- 274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흡입구 제어

다. 차속에 따른 제어
① 흡입구가 AUTO 이고, 에어컨 “ON”시만 제어
② 차속이 10km/h이하로 10초 동안 유지되거나, 정지시에는 내기로 전환됨.
③ 내기로 전환 후 10분 후에는 오토가 자동 해제됨.

흡입구

AUTO

내기

차속
0km/h 20km/h

- 274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배출구 제어

4-4.배출구 제어

가. 수동제어
자동온도조절장치의 모드 스위치를 누르면 아래의 4가지 배출구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디프로스터
스위치를
눌렀을 때

나. 자동제어

Mode

Td
초기 작동시에는 정면과 발밑이 우선권을 가짐

- 275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배출구 제어

4-5. 에어컨 제어

가.수동제어
에어컨 스위치 “ON”하거나 또는 디프로스터 스위치를 “ON”하면 에어컨이 작동된다.

나. 자동제어
- 기본제어: 초기 작동시에는 에어컨 “ON”이 우선권을 가진다.
- 외기온도에 따른 제어 : 서리제거보정에 의한 에어컨 “ON”의 경우에만 실시하며
초기 작동시에는 에어컨”ON”이 우선권을 가짐.

ON

OFF

외기온도
0℃ 2℃

- 275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배출구 제어

4-7. 와이퍼 보정 제어
비가 오는 경우 앞 유리창에 안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경우 FATC 컨트롤러는
자동안개 제거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작동조건/작동방법 : Auto 상태에서 와이퍼를 작동 할 경우 와이퍼 시그널(Wiper


Signal)이 입력된 후, 1분간 지연제어 후에 에어컨 “ON” 및 외기
공기유입 상태로 제어한다.

ON

에어컨 OFF
작동상태

ON
와이퍼
시그널 OFF

60초 20초

- 276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Dimming 제어

4-8. 열선제어

열선스위치를 누르면 콘트롤러 내부에 있는 타이머에 의해 10±2분 동안 열선작동

4-9. Dimming 제어(조명등 제어)

미등스위치(Illumination Sw) On 시 일사량(Sun Load 값)에 따라 조명등(Dimming)을


On/Off 제어를 수행한다.

ON

OFF

Sun Load
0 50

- 276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내기온도센서

5-1. 내기온도 센서(Incar Sensor)

가. 장착위치
컨트롤러 좌측하단 내부에 위치

나. 기능
부특성 써미스터(NTC저항)로 되어 있으며 센서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차실 내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변화된 저항값에 따른 전압치가 FATC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다. 점검
- 센서 단품 저항값 - 정상 : 25℃에서 2.2㏀ 내외
- 센서 장착 전압값 - 정상 : 25℃에서 약2.2V

G108D002

- 277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센서회로도

▶ 센서 회로도
30(B+) IGN2

F10 F18
10A 20A

A3 A12 FATC 컨트롤러


5V Ref
5V Ref 5V Ref 5V Ref

내기온도센서
Signal Signal Signal

B13 B11 B12 A4

외기온도센서 선센서 수온센서

- 277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외기온도센서

5-2. 외기온도 센서(Ambient Sensor)

가. 장착위치
방열기 그릴 좌측 뒷부분
나. 기능
부 특 성 써 미 스 터 (NTC 저 항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로 되 어 있 으 며
외기온도를 감지하여 변화된 저항값에 따라 전압값이 FATC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다. 점검
- 센서 단품 저항값 - 정상 : 25℃에서 2.2㏀ 내외
- 센서 장착 전압값 - 정상 : 25℃에서 약2.2V

G108D509

- 278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수온센서

5-3. 수온 센서 (Water Temperature Sensor)

가. 장착위치
히터코어 하우징 하단 중앙부

나. 기능
부특성 써미스터(NTC저항)로 되어 있으며 냉각수온도를 감지하여 변화된 저항값에 따라
전압값이 FATC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다. 점검
- 센서 단품 저항값 - 정상 : 25℃에서 2.2㏀ 내외
1
- 센서 장착 전압값 - 정상 : 25℃에서 약2.2V
2

G108D508

- 279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일사센서

5-4. 선 센서(Sun Sensor)

가. 장착위치
인스트루먼트 판넬 중앙부분

나. 기 능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에 의해 전면유리를 통해서 실내로 입사되는 일사량을 검출한다.
일사량을 전류로 변환하여 FATC 콘트롤러에 입력된다.

다. 점검
센서 장착 정상 전압값
- 직사광 아래 측정값 : 약 2.5V
- 그늘에서 측정값 : 약 4.8V

G108D003

- 280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파워트랜지스터

5-5. 파워 트랜지스터(Power Transistor)

가. 장착위치
블로워 모터 케이스에 장착

나. 기 능
풍 량 을 제 어 하 는 기 능 을 한 다 . 자 동 온 도 조 절 장 치 로 부 터 풍 량 조 절 신 호 를 입력 받아 파워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전류를 가변하여 블로워모터 회전속도를 무단계로 제어 한다.

다. 점검
장착 상태 전압값

블로워 단수 블로워 모터 전압
1 4.3V
2 6.1V
3 8.5V
4 10.5V
5 MAX HI G108D512

- 281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블로워모터회로

■ 블로워모터 회로

30(B+) IGN2
30(B+) IGN2 Ef5 F17
F10 F18 10A 20A
10A 20A
A3 A12 FATC 컨트롤러
30 86
블로워
릴레이

87 85
A16 B10 B20 B9 A10

1 6
30 85 1

4 M
파워
트랜지스터 87 86 2

3 블로워 블로워
HI 릴레이 모터

G203 G102
접지

- 281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모드도어모터

5-6. 모드 도어 모터

가. 장착위치
히터 케이스 우측에 장착

나. 기 능 G108D505

자동온도 조절장치의 제어명령에 따라 Vent, Foot,


혹은 Def쪽 배출구를 개폐함으로써 Vent, Bi-level,
Foot, Foot/Def 혹은 Def 배출구 모드를 설정한다.
VENT(6)

B/L(7) + (4)

- (5)

FOOT(1)
VENT(6)
B/L(7)
FOOT(1)
FOOT/DEF(2)
FOOT/DEF(2) DEF(3)
3 2 1
7 6 5 4

DEF(3)

- 282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내외기 도어 모터

5-7. 내외기도어 모터

가. 장착위치
에바포레이터 케이스 외부에 장착

나. 기 능 G108D506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 명령에 따라 내기/외기


도어 모터를 작동시켜 내기/외기 흡입구 모드를
설정한다.

외기(5) +(4)

내기(7)

1/3외기(6)
외기(5)
내기(7)

3 2 1
1/3외기(6) 7 6 5 4

- 283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에어믹스 도어 모터

5-8. 에어믹스도어모터

가. 장착위치
에바포레이터 케이스 외부에 장착

나. 기 능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 명령에 따라 댐퍼를
개폐함으로써 배출공기온도를 적절히 조정한다.

AMD 모드 저항 3(B17)와 6(B16)


Cool A15(-), A9(+) 약 300 Ω
Hot A15(+), A8(-) 약 2.4 ㏀

5
7

5
3
3 2 1
7 6 5 4 6 3㏀

7 2

- 284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FATC 컨트롤러 커넥터

6. FATC 컨트롤러 커넥터 2


1

A1. 내기온도센서(모니터) B1. 정면(VENT)모드


A2. 1/3 외기 B2. 정면 및 발밑(BI-LEVEL)모드
A3. B+ B3. 발밑(FOOT)모드 3
A4. 센서 접지 B4. 디프로스터 및 발밑(DEF/FOOT)모드
A5. 열선릴레이 B5. 디프로스터(DEF) 모드
A6. ECM(콤프레셔 작동신호) B6. -
A7. 블로워 HI 릴레이 B7. 외기모드
G108D502
A8. TXD B8. 내기모드
A9. 에어믹스도어 (-) B9. 블로워모터 센싱
A10. - B10. 접지
A11. - B11. 선 센서
A12. IGN 2 B12. 수온 센서
A13. 컨트롤러 조명등 (+) B13. 외기 온도 센서
A14. 컨트롤러 조명등 (-) B14. 와이퍼 신호
A15. 에어믹스 도어모터 (+) B15. 에어믹스도어센서 접지
A16. 접지 B16. 에어믹스도어센서 시그널
B17. 에어믹스도어센서 전원
B18. RXD
B19. 차량속도 센서
B20. 블로워 컨트롤

- 285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레조, 블로워모터 탈거방법

■ 블로워모터 탈거방법
.

- 286 -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개요

◈ AUTO CLIMATE CONTROL

작동 및 고장진단 표시

흡입구

온도조절장치 팬버턴
모드버턴 에어컨스위치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시스템구성


입 력
력 컴
컴 퓨
퓨 터
터 출
출 력

필요흡출온도
필요흡출온도
설정온도
설정온도 다이얼(희망온도)
다이얼(희망온도) (TAO)의
(TAO)의 결정
결정

내기온도센서
내기온도센서
온도조절
온도조절 도어의
도어의 개폐
개폐
외기온도센서
외기온도센서

일사사 샌
샌서서

최대
최대 냉방
냉방 도어의
도어의 개폐
개폐

수온온 센
센서서
증발기
증발기 뒤
뒤 온도센서
온도센서 센서입력
센서입력 모드
모드 컨트롤
컨트롤 모터의
모터의 회전
회전

차속속 센
센서서

온도조절
온도조절 포텐쇼미터
포텐쇼미터 각
각 출력
출력
포텐쇼
포텐쇼 입력
입력 내·외기
모드 연
연 산산 내·외기 절환
절환 모터의
모터의 회전
회전
모드 포텐쇼미터
포텐쇼미터

AUTO
AUTO Switch
Switch 송풍기
송풍기 모터의
모터의 속도
속도
OFF
OFF Switch
Switch
내·외기
내·외기 절환 절환 Switch
Switch
DEF Switch
Switch 입력
입력 콤프레셔
콤프레셔 ON,
ON, OFF
OFF
DEF Switch
Switch
FAN
FAN Switch
Switch
A/C
A/C Switch
Switch
흡·출구
흡·출구 절환 절환 Switch
Switch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구성부품 위치도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구성 부품 위치도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기능과 부가기능

▣ 필요 흡출 온도

실내온도(내기센서)
실내온도(내기센서)
실외온도(외기센서)
실외온도(외기센서)

일사사 량(일사센서)
량(일사센서)
(계산)
(현재 환경 상황을 조사함)
필요
필요 흡출온도(설정온도
흡출온도(설정온도 및
및 풍량)
풍량)

설정온도(18℃~32℃)
설정온도(18℃~32℃)

(희망온도)

▣ 풍량 제어
▶ 매뉴얼 제어

모 드 블 로 워 전 압 (V ) E X- HI 릴 레 이
L O 5.0V OFF
M E 1 6.3V OFF
M E 2 8.5V OFF
M E 3 10.7V OFF
H I 13.0V ON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기능과 부가기능

▣ 풍량 제어

▶ AUTO 제어
1) 필요 흡출 온도 제어



필요흡출온도

2) 일 사 보 정

3) 차 속 보 정

※ 단:송풍기 오토 외기 도입시만

(-)보정전압
(V)
※ 이그니션 ON시 히스텔리스 내에
있을 때는 “0”로한 상태가 된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기능과 부가기능

▣ A/C 기동시의 팬 제어

목표전압

※ 단:송풍기 오토
블로워 전압
(V) 토출구 오토 VENT
오토 B/L
에어컨 ON 모드시만

시간(Sec)

▣ 온도제어(기동풍량제어)
보정없음
송풍기 기동시는
송풍기 전압 2초간 5V로 기동 보정있음
(V)

※ 단:송풍기 오토(DEF 모드를 제거)시만


※ 이그니션 ON시 히스테리스내에 있는 경우
”0”의 상태로 된다.
냉각수 온도
※ 송풍기 OFF시 토출구는 DEF가 된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기능과 부가기능

▣ EX-HI 금지제어(리어 쿨러 부착 차만)

※ 리어 쿨러 팬이 HI, 차속이 낮을때


EX-HI 릴레이 ON되지 않는다.
장치제어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기능과 부가기능

▣ 흡출구 제어

▶ 수동 제어

DEF
DEF
VENT
VENT B/L
B/L HEAT
HEAT H/D
H/D
(DEF스위치를 눌렀을 때)

▶ 수동 제어

※ 이그니션 ON시 히스테리시스 내에 있는


경우 “0”의 상태로 된다.

필요흡출온도

▶ 기동풍량제어(위엄-업 제어)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기능과 부가기능

▣ 흡입구 제어

▶ 수동 제어

▶ 자동 제어

STEP ① STEP ②

FRS FRS

※ 단, 다시 TAOF 판정으로
FRS가 되면 이후 IG
REC OFF까지 FRS REC

필요흡출온도
TAN Tr(℃)

※ IG, ON시 히스테리시스 내에 있을때는 “0”의 상태로 된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기능과 부가기능

▣ 콤프레셔 제어

▶ 수동 제어

▶ 온도 제어

ON ON

※ IG, ON시 히스테리시스 내에


있을때 “0”의 상태로 된다.
OFF OFF

외기온도(℃) 증발기 출구온도(℃)

▣ DEF 제어 : DEF스위치 ON시는 DEF흡출, 외기온도(AUTO), 에어컨 ON모드, 송풍기는 온도스위치


위치에 따라 제어

▣ MAX 제어
- 설정온도 18℃:에어컨 ON(증발기 온도제어) VENT흡출, 내기순환, 최대 송풍기 속도,
에어믹스 댐퍼 닫힘.
- 설정온도 32℃:에어컨 OFF, 히터 흡출, 외기도입, 에어믹스 댐퍼 열림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기능과 부가기능

▣ 모터 제어

▶ 모드 모터

4±0.07V ※위치 특성
총저항 약 k6Ω
5V인가시 1.0V:VENT
1.4V:DEF

리보모터 1±0.07V
VENT DEF
※모터 구동전류
※⑤을 5V ③을 접지로 했을때 ④~③사이 단자 전압
정격 0.15A
구속 0.75A
▶ 에어믹스 모터

4±0.07V ※위치 특성
총저항 약 k6Ω
5V인가시 1.0V:HOT
1.4V:COOL

1±0.07V
HOT COOL
※모터 구동전류
※③을 5V ⑤을 접지로 했을때 ④~ ⑤사이 단자 전압
정격 0.15A
구속 0.75A이하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기능과 부가기능

▶ 최대난방

※모터 구동전류
정격 100mA
구속 0.7A 이하
SHUT

0.01μF

OPEN

서어보 모터

▶ 내, 외기 절환 모터

※모터 구동전류
정격 100mA
구속 0.7A 이하
FRS

0.01μF

REC

CW

서어보 모터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기능과 부가기능

▣ 에어컨 압력 스위치 제어

▶ 고, 저압 스위치 30kpa 600kpa


(0.3㎏/㎠, 4.3psi) (6㎏/㎠, 85psi)

200kpa,
200kpa, 2.0㎏/㎠,
2.0㎏/㎠, 28psi에서
28psi에서 OFF
OFF ON

저압압 230kpa 2600kpa
230kpa, 2.3㎏/㎠, 33psi에서
230kpa, 2.3㎏/㎠, 33psi에서 ON
ON (2.3㎏/㎠, 33psi) (26㎏/㎠, 370psi)
OFF
3200kpa
(32㎏/㎠, 455psi)
3200kpa,
3200kpa, 32㎏/㎠,
32㎏/㎠, 455psi에서
455psi에서 OFF
OFF

고압압 300kpa
2600kpa,
2600kpa, 26㎏/㎠,
26㎏/㎠, 370psi에서
370psi에서 ON
ON (3.0㎏/㎠, 43psi)

ON
1550kpa
(15.5㎏/㎠, 220psi)
OFF
1250kpa
(12.5㎏/㎠, 178psi)

고압/저압
▶ 중압 스위치 압력스위치

1550kpa,
1550kpa, 15.5㎏/㎠,
15.5㎏/㎠, 220psi에서
220psi에서 OFF
OFF
1250kpa, 12.5㎏/㎠, 178psi에서
1250kpa, 12.5㎏/㎠, 178psi에서 ON
ON 에어 컨트리플
압력스위치
중압스위치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제어기능과 부가기능

▣ 에어컨 압력 스위치 제어
78℃
ON 엔진냉각수
엔진냉각수 온도가
온도가 약
약 84℃에
84℃에 도달하면
도달하면 팬
팬 컨트롤
컨트롤 유니트가
유니트가 Tr1을
Tr1을
TEMP
TEMP 11 접속시켜
접속시켜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 팬과
팬과 콘덴서
콘덴서 팬을
팬을 저속으로
저속으로 돌린다.
돌린다.
OFF 84℃

84℃
ON
엔진냉각수
엔진냉각수 온도가
온도가 약
약 90℃에
90℃에 도달하면
도달하면 팬
팬 컨트롤
컨트롤 유니트가
유니트가 Tr2을
Tr2을
TEMP
TEMP 22
OFF 90℃ 접속시켜
접속시켜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 팬과
팬과 콘덴서
콘덴서 팬을
팬을 고속으로
고속으로 돌린다.
돌린다.

107℃
ON
엔진냉각수
엔진냉각수 온도가
온도가 약
약 109℃에
109℃에 도달하면
도달하면 팬
팬 컨트롤
컨트롤 유니트가
유니트가 Tr3을
Tr3을
TEMP
TEMP 33
OFF 109℃ OFF시켜
OFF시켜 에어컨
에어컨 콤프레셔를
콤프레셔를 정지시킨다.
정지시킨다.

콘덴서 팬
휴즈 3(15A)
모터
IG2
황/흑
라디에이터
팬모터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 팬 메인릴레이
컨트롤 센서 Tr1 청
청/백 TEMP1 황 라디에이터
팬 릴레이
Tr2
청/녹 TEMP2 청

고압/저압스위치 TEMP3 ECM


또는
Tr3 PCM
청/흑

연청


적/청

중압스위치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자기 진단기능

D F C A B

AUTO OFF

콤프레셔
모드 보턴 G 팬 보턴
E ON, OFF 보턴

표 시 부 결 함 부 위 결 함 원 인 대 체 값

A 내기온도센서 단선 또는 단락 25℃

B 외기온도센서 ↑ 10℃

C 일 사 센 서 ↑ 0kcal/㎡h

D 히터코어온도센서 ↑ 80℃

E 증발기 뒤 온도센서 ↑ -1℃

A/M 포텐쇼메터 GND 단락, 5V단락


F A/C ON
A/M 모터 잠김
모드 포텐쇼 메터 GND 단락, 5V단락
G A/C OFF
모드 모터 잠김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아카디아(ACC, 자동온도조절장치), 액츄레이터 점검

88 1 2 3 4 5 6 7 8 9 88
연속점검
고속

팬 연속점검

저속
OFF 저속
OFF
최대난방
75%
에어믹스 50% 50% 50%
기능선택 도어 25%
최대난방

내기
내 기 외기 외기
외 기 ON
OFF OFF
에어컨
닫힘
닫힘 닫힘
최대냉방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개 요

▶ 에어컨 판넬 스위치
1. AUTO(오토) 스위치 ▶ 에어컨 화면 표시
2. ECON(이코노믹) 스위치 1. 풍량 표시
3. 설정온도 조정 다이얼 에어컨판넬 2. 온도 표시
4. AMB(외기온도표시) 스위치 스위치 3. 토출구 표시
5. 팬 스위치 (멀티비젼) 4. 흡입구 표시
6. 모드 스위치 5. 자기진단 표시
7. 내외기전환스위치 6. 수동/자동 표시
8. 디프로스터 스위치 기준 수신 송신 7. 열선 표시
9. 열선 스위치 8. A/C(에어컨) 작동 표시
10. OFF스위치 9. 매연감지센서 작동 표시

통신선
▶ 매연감지센서(멀티비젼 사양)

▶ 각종 센서류
1. 실내 온도 센서 기준 수신 송신
2. 외기 온도 센서 ▶ 제어 기능
3. 일사량 센서 1.풍량제어
4. 수온센서 2.온도제어
5. 믹스 도어 위치 신호 오토앰프 3.토출구제어
6. 모드 도어 위치 신호 4.흡입구제어
7. 내외기 도어 위치 5.콤프레셔 제어
8. 블로워 모터 피이드 백
9. 열선 피이드 백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주요제원

순 항 목 제 원
1 냉방성능 형식 재열 공기 혼합방식
표준냉방능력 4,700Kcal/h
최대풍량 7.0m3/min
사용냉매 R134a
냉매용량 700~800g
2 난방성능 표준난방능력 5,100Kcal/h
최대풍량 6.0m3/min
3 콤프레셔 모델 ND10PA17C
형식 SWASH PLATE
토출량 170cc/rev
냉동유 ND-OIL8(200g)
마그네트 소비전력 26.4W
온도 차단 휴즈 171~191℃
3 콘덴서 형식 Parallel Floe Type
방열량 13000Kcal/h
모터 출력 290W(145x2)
4 리시이버 드라이어 형식 알루미늄 플랫 헤드
용량 250c
건조제 XH-9상당품(70g)
5 트리플 스위치 OFF : 32± 2Kg/cm2이상
고압 (콤프레셔 차단)
ON : 26Kg/cm2 이하
OFF : 2± 0.25Kg/cm2이하
저압 (콤프레셔 차단)
ON : 4.1± 0.3Kg/cm2 이상
OFF : 18Kg/cm2이하
중압 (전동팬고속작동)
ON : 18.1Kg/cm2 이상
6 에바퍼레이터 형식 편탱크 라미네이터
(증발기) 팽창밸브 외부균압식(1.5냉동톤)
7 파워트랜지스터 자동제어 무단제어(16단)
수동제어 4단
8 써모 앰프 형식 에바 핀 감열식
OFF :0.5± 0.5℃이하
콤프레셔 차단 온도
ON :2.5± 0.5℃이하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제어특성

▣ 풍량제어
▶ 오토풍량제어 : 무단계(16단계)로 제어

▶ 에어컨 판넬 스위치
1. AUTO(오토) 스위치
2. 설정온도 조정 다이얼 에어컨판넬 ▶ 에어컨 화면 표시
3. 팬 스위치 스위치 1. 풍량표시
4. 모드 스위치 (멀티비젼)
5. 디프로스터 스위치
6. OFF스위치
기준 수신 송신

통신선

▶ 각종 센서류 기준 수신 송신
1. 실내 온도 센서 ▶ 제어 기능
2. 외기 온도 센서 1.풍량제어
3. 일사량 센서 오토앰프 -파워트랜지스터
4. 수온센서 -블로워 모터
5. 믹스 도어 위치 신호
6. 블로워 모터 피이드 백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제어특성

▶ 냉간시의 풍량제어
냉간 시동에서 토출구가 FOOT( 발 쪽 ) 또 는
냉간시의 풍량제어
DEF/FOOT(발쪽/서리제거쪽)이고,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50℃ 보 다 낮 은 경 우 는 일 정 시 간 AUTO(12V)
동 안 ( 약 150 초 까 지 ) 블 로 워 모 터 가 회 전 하 지 않 는 다 .
블로워모터
정확한 작동지연 시간은 엔진의 냉각수온도와 외기온도에 전압
따라 변한다. 가장 최악의 경우(주위 온도가 아주
낮을때)의 블로워 모터 작동 지연 시간은 약 150초이다. LOW(5V)

이 구동 지연후에 블로워 모터는 엔진냉각수온이 T


OFF(0V)
50℃ 이 상 이 올 라 갈 때 까 지 저 속 으 로 회 전 한 다 . 그 수온 50℃

이후에는 블로워모터는 오토앰프에서 설정된 목표 속도로


T:BLOWER MOTOR OFF시간
증속된다. (T:약20~180초)

▶ 열간시의 풍량제어(정상상태) 열간시의 풍량제어


AUTO 상 태 에 서 토 출 구 위 치 가 VENT, 실 내 온도 센서
검출온도가 약30℃이상에서 콤프레서가 ON되었을 경우 AUTO(12V)

블 로 워 모 터 는 강 제 적 으 로 5 초 간 OFF 한 다 . 풍 량 이
블로워모터
LO(약5.0V)부터 HI(약12V)로 되는데 전압 목표인가전압

까지의 시간은 약 7.0초가 된다.


LOW(5V)
약7초간

OFF(0V)
시간
▶ 블로워모터의 속도보상(일사량 보정) T:BLOWER MOTOR OFF시간
일사량이 많을 때의 블로워모터는 보통의
저 속 ( 약 5.5V) 이 다 . 일 사 량 이 적을 때는 낮은
저속(약4.5V)으로 떨어진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제어특성

▣ 온도제어
▶ 일반온도제어 : 에어컨판넬스위치의 온도조정다이얼을 목표 온도에 설정하면 통신선을 통해
오토앰프내에 온도보정회로가 있어서 각각의 조건(설정온도, 일사량, 내기온도, 외기온도)과
에 어 믹 스 도 어 위 치 및 콤 프 레 셔 작 동 여 부 에 따 라 에 어 믹 스 도 어 모 터 를 작 동 시 켜 목 표 온 도로
설정되도록 제어한다.일사량이 없는 상태에서 온도설정을 25℃로 하였을때 외기와 내기온도가
30℃이면 에어믹스도어위치는 초기에는 최고 냉방 상태로 제어된다. 일정 기간이 지나 내기온도가
내려가면 에어믹스 도어의 위치는 난방쪽으로 바뀔 것이고 결국은 목표위치로 고정된다.에어믹스의
도어위치는 항상 에어믹스도어모터에 내장된 가변 저항값으로 오토앰프에 피이드백 된다. 단,
설정온도가 18℃로 설정시는 최대냉방위치에 32℃로 설정시는 최대난방위치로 고정시킨다.

▶ 에어컨 판넬 스위치
1. AUTO(오토) 스위치
에어컨판넬 ▶ 에어컨 화면 표시
2. ECON(이코노믹) 스위치
스위치 1. 온도표시
3. 설정온도 조정 다이얼
4. OFF스위치 (멀티비젼)
기준 수신 송신

통신선

기준 수신 송신
▶ 각종 센서류
▶ 제어 기능
1. 실내온도센서
1.온도제어
2. 외기온도센서 오토앰프
- 에어믹스모터
3. 일사량센서
- 에어믹스모터위치
4. 믹스도어 위치신호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제어특성

▶ 외기 온도 보정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고속주행 후 정차시
라디에이터의 열을 받아서 외기센서의
검출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오토앰프에 외기온도 외기온도

입 력 된 다 .그 러 나 오 토 앰 프 에 서 는 오 토 앰 프 의
인식온도가 천천히 상승하는것 처럼 보정한다.

외기온도 보정

입력 DATA처리

▶ 일사량 보정
AIR MIX PBR
터널 출입시 일사량이 급격히 변하는 경우
(㎉/㎡h)
오토앰프의 인식 일사량이 천천히 상승하는
보정 27.9
것처럼 보정한다. 일사
20.9

13.9
7.0
2.5

0

0.50 0.5 0.5 1.2 1.5
시간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제어특성

▣ 토출구 제어 토출구 제어 특성

▶ 오토제어 FOOT

• 모드스위치 및 디프로스터스위치를 작동 할
B/L
때는 수동이 우선한다.
• 일 사 량 이 없 는 상 태 에 서 온 도 설 정 을 25℃ 로
VENT
하였을때 외기와 내기온도가 30℃이면 모드도어는
자동적으로 벤트위치로 맞추어 진다. 일정시간이
COLD HOT
지나 온도가 내려가 25℃에 도달하면 모드도어는 토출풍 온도 검출
벤트에서 바이레벨로 바뀔 것이다.

▶ 에어컨 화면 표시
▶ 에어컨 판넬 스위치 1. 토출구표시
1. AUTO(오토)스위치 에어컨판넬 - VENT(벤트:얼굴쪽)
2. 설정온도 조정다이얼 스위치 - B/L(바이레벨:얼굴/발쪽)
3. 모드스위치 (멀티비젼) - FOOT(풋:발쪽)
4. 디프로스터스위치 - DEF/FOOT(디프로스터/풋)
5. OFF스위치 - DEF(디프로스터:서리제거)
기준 수신 송신

통신선

▶ 각종 센서류 기준 수신 송신
1. 실내 온도 센서 ▶ 제어 기능
2. 외기 온도 센서 1.토출구제어
3. 일사량 센서 오토앰프 - 모드도어모터
4. 모드도어 위치 신호
5. 믹스도어 위치 신호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제어특성

▣ 흡입구 제어 흡입구 제어 특성

▶ 일반제어 외기
• ECON( 이 코 노 믹 ) 스 위 치 , 디 프 로 스 터 스 위 치 , OFF스 위치
작동시 오토앰프는 내외기모터를 외기도입위치로 작동한다. 반외기

• 일사량이 없는 상태에서 온도설정을 25℃로 하였을때


내기온도가 35℃이면 내외기 모터는 자동적으로 내기위치로 내기
맞추어져 차량의 실내온도를 효율적으로 낮춘다.
• 일정시간이 지나 내기온도가 내려가 30℃에 도달했다면
COLD HOT
내외기모터는 20%외기로 바뀌고 여기서 다시 내기온도가
토출 온도 산출치
25℃로 내려가면 내외기모터는 외기로 전환된다.

▶ 에어컨 판넬 스위치
▶ 에어컨 화면 표시
1. AUTO(오토) 스위치 에어컨판넬 1. 흡입구표시
2. ECON(이코노믹) 스위치
스위치 - 내기(REC)
3. 설정온도 조정 다이얼
(멀티비젼) - 외기(FRE)
4. 내외기전환스위치
- 1/3외기(FRE)
5. 디프로스터 스위치
6. OFF스위치 기준 수신 송신

▶ 매연감지센서(멀티비젼 사양) 통신선

▶ 각종 센서류
1. 실내 온도 센서 기준 수신 송신
2. 외기 온도 센서 ▶ 제어 기능
3. 일사량 센서 1.흡입구제어
오토앰프
4. 믹스 도어 위치 신호 - 내외기모터
5. 내외기 도어 위치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제어특성

▣ 콤프레셔 제어
▶ 일반제어
• 에어컨판넬스위치의 AUTO(오토)스위치 및 디프로스터스위치 작동시
• 외기온도에 따라 오토앰프의 신호에 의해 ECM에서 콤프레셔을 ON-OFF제어를 보정
• ECON스위치를 한번 누르면 콤프레셔가 차단되고 두번 누르면 작동
• 에바퍼레이터에 설치된 써모앰프에 의해 냉각핀의 온도을 감지하여 에바퍼레이터가 동파되는것을
방지하여 콤프레셔를 차단시킨다.

▶ 에어컨 판넬 스위치
1. AUTO(오토) 스위치
에어컨판넬
2. ECON(이코노믹) 스위치 ▶ 에어컨 화면 표시
스위치
3. 설정온도 조정 다이얼 1. A/C(에어컨)작동 표시
4. 디프로스터 스위치
(멀티비젼)
5. OFF스위치
기준 수신 송신

통신선

기준 수신 송신 ▶ 제어 기능
▶ 각종 센서류 1.콤프레셔 제어
1. 실내 온도 센서 - 트리플스위치
2. 외기 온도 센서 - 써모앰프
오토앰프
3. 수온센서 - ECM
- 콤프레셔 릴레이
- 콤프레셔 마그네트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제어특성

▶ 저온시 콤프레셔 보정제어


외기온도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외기온도가
저온시 콤프레셔 보정제어
특별히 낮은경우(-1℃이하)에서는 오토앰프가
에 어 컨 OFF 신 호 를 트 리 플 스 위 치 를 통 하 여
1.7℃이상
서 모 앰 프 에 인 가 하 여 ECM 에 서 콤 프 레 셔 를
정지시켜 보정한다. (콤프레셔 ON)

-1℃이하

(콤프레셔 OFF)

▶ 고온시 콤프레셔 보정제어


엔 진 냉 각 수 온 도 센 서 (CTS) 에 의 하 여 검 출 된 고온시 콤프레셔 보정제어
냉 각 수 온 도 가 122℃ 이 상 시 ECM 에 서 감 지 하 여
콤 프 레 셔 에 OFF 신 호 를 인 가 하 여 콤 프 레 셔 에 122℃이상
부하를 줄여 준다. 냉각수온도가 약 109℃이하시
다시 콤프레셔가 작동된다. (콤프레셔 OFF)

109℃이하

(콤프레셔 ON)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구성 부품

▣ 에어컨판넬스위치
▶ 멀티비젼 일반사양
멀티비젼은 5.6인치 컬러 LCD에 TV수신, 오디오, 항법장치(네비게이션),전자수첩기능과
함께 에어컨 제어기능이 있다.

TEMP
ZOOM
SCREEN AIRCON

AUTO OFF MANU

NABI

I NFO

PUSH
POWER . VOL

DOLBY. MR RDS DSP/ EQ

RAND TYPE CD. C TV AUX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구성 부품
FRONT DEFROSTER 표시 VENT BLOWER 방향표시

열선작동표시
외기온도
내기순환표시

외기유입
AUTO / MANUAL표시

블로워모터
단수표시

현재설정온도

FOOT BLOWER 방향표시


AIR COMPRESSOR ON 표시

표시 스위치명 작 동 내 역
송풍량을 조절하는 스위치이다.
팬스위치 한번 누를때마다 화면에 팬날개의 색이 바뀌면서 1단계씩 송풍량조절
계속누르면 1단계~4단계까지 반복된다.
MODE 모드 송풍방향을 조절하는 스위치입니다.
ECON 이코노믹 화면상에 A/C문자로 표시되며 에어컨콤프레셔가 OFF/ON 됩니다.
외부에 유해가스가 들어올때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장치이다.
AQS 매연감지 또한 외부의 깨끗한 공기가 감지되면 즉시 외기유입으로 전환시킨다
AQS가 녹색으로 표시될 경우만 작동된다.(미작동시 적색으로 표시)
AMB 외기온도 화면상에 약 5초간 외부온도를 표시하고 다시누르면 즉시 사라진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구성 부품

▶ 에어컨판넬스위치 일반사양

ECON AUTO A/ C MANUAL

AMB
OFF AMB

TEMP MODE
PUSH AUTO

순 스위치 명칭 동 작 설 명
①화면에 설정온도, AUTO,ECON,팬 속도, 모드를 표시한다.
1 AUTO 스위치 ②흡입구 및 토출구와 팬속도을 자동제어한다.
③콤프레셔를 구동시킨다.(단, 외기온도가 -1℃이하시는 정지)
①표시부의 설정온도를 18~32℃범위에서 선택이 가능하다.
설정온도
2 ②설정온도다이얼을 좌로 회전시키면 설정온도가 0.5℃씩 하강한다
다이얼
③설정온도다이얼을 우로 회전시키면 설정온도가 0.5℃씩 상승한다.
①표시부의 전체가 소등되며 에어컨과 관련하여 모두 정지한다.
3 OFF스위치 ②내외기도어를 외기로 모드도어를 FOOT(풋: 발쪽)으로 고정시킨다.
③에어믹스도어는 자동제어한다.
①현재의 외기온도센서에 감지된 외기온도를 약5초간 표시한다.
AMB(앰비엔트)
4 ②외기온도표시후 이전의 표시로 되돌아간다.
스위치
③온도표시중 다시 누르면 소등된다.
①콤프레셔를 수동으로 조작한다.
ECON(이코노믹)
5 ②1회 누름:콤프레셔가 차단, 2회누름:콤프레셔가 작동
스위치
③흡입구 및 토출구와 팬속도을 자동제어한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구성 부품

순 스위치 명칭 동 작 설 명
6 팬스위치 ①AUTO스위치가 ON시 팬스위치를 누르면 AUTO가 소등되고 MANUAL이
점등되며 팬속도가 수동으로 조작된다.
②에어컨이 OFF상태에서 팬스위치를 누르면 표시부에 설정온도,
토출구 팬속도와 MANUAL이 점등된다.
③팬속도는 1,2,3,4단의 속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7 모드스위치 ①AUTO스위치가 ON시 모드스위치를 누르면 AUTO가 소등되고 MANUAL
이 점등되며 모드위치가 수동으로 조작된다.
②VENT(벤트:얼굴쪽), B/L(바이레벨:얼굴과 발쪽), FOOT(풋:얼굴쪽)
DEF(디프로스터:서리제거쪽)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다.
8 외기스위치 ①외기스위치 1회 작동시 외기 표시등이 점등되고 외기를 도입한다.
②외기스위치 2회 작동시 흡입구를 자동제어한다.(내외기 자동전환)
9 내기스위치 ①내기스위치 1회 작동시 내기표시등이 점등되고,흡입구를 내기로
고정한다
②내기스위치 2회 ON시 흡입구를 자동제어 한다. (내외기 자동전환)
③OFF상태에서 내기스위치를 작동할때 흡입구를 내기로 고정한다.
④스티어링 핸들에 장착된 내기스위치의 작동도 동일하게 작동한다.
10 디스로스터 ①AUTO스위치가 ON시 디프로스터스위치를 누르면 AUTO가 소등되고
스위치 화면상에 디프로스터 심볼이 표시되고 디프로스터 작동 표시등이
점등된다.
②OFF 상태에서 디프로스터스위치를 누르면 표시부에 설정온도,A/C,
토출구 팬속도와 디프로스터 표시등이 점등된다.
③토출구를 디프로스터,흡입구를 외기에 고정한다.
④콤프레셔를 자동으로 작동된다.
11 디스로스터 ①열선스위치를 누르면 12분간 작동되고 열선 표시등이 점등된다.
스위치 ②작동 중 스위치를 누르면 작동이 중지되고 표시등이 소등된다.
12 자기진단 ①자기진단 기능으로 각 구성부품을 점검 진단 할 수 있다.
②정상 또는 이상 부품의 표시 번호를 화면상에 나타낸다.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구성 부품

▣ 오토앰프(Auto Amp)
히터유니트의 우측에 위치하여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에서 각 센서, 에어믹스도어 위치와
설정온도다이얼의 위치신호 등을 입력하고 이러한 것을 연산하여 각 각의 모터와 팬속도를 제어하여
모드위치, 블로워모터의 속도, 토출풍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또한 자기진단 기능으로 각 센서 및
모터의 양부판단이 용이하다. 오토앰프와 에어컨판넬스위치 사이에는 다중통신으로 송수신하고 있다.

▣ 써모앰프(Thermo Amp)
쿨링유니트 사이에 장착되어 있고 에바퍼레이터
THERMO AMP 특성
핀의 온도를 검출하여 컴프레셔를 ON/OFF하여
에바퍼레이터의 동결을 방지한다. 에어컨판넬
스위치내 에어컨작동신호는 통신선을 통하여 3.0℃
ON
오토앰프에 전달되어 트리플 스위치를 통하여
써모앰프를 거쳐 ECM에 작동상태를 알리는
신호(에어컨 ON시:약11V)를 공급한다.
OFF
0.5℃

EVA. 토출온도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구성 부품

▣ 파워트랜지스터(Power Tr)
블로워모터 속도 조절용 파워트랜지스터는 블로워유니트 하단에 설치되어 있고 오토앰프로 부터
신호를 받아서 블로워모터의 인가전압을 무단계(16단계)로 변환시켜 제어한다.

I GN2 BAT+ 블로워모터


릴레이 블로워모터
C1 0 9
3 4 흑황 흑황 청흑 B6
2 M
1 2
녹황 오토앰프

2
파워트랜지스터
G2 0 1 1 B1 7
청녹

4

G201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구성 부품

▣ 애스퍼레이터(Aspirator)
애스퍼레이터 애스퍼레이터
: 히터 유니트의 중앙 전면에 설치 덕트

▣ 내기온도센서(InCar Sensor)
내기온도센서는 계기판 우측 하단에 설치되어
애스퍼레이터에 의해 빨아 들여지는 차실내의
히터유니트
공기의 온도에 저항이 변화되며 오토앰프는
전압의 변화로 실내온도를 감지한다. 애스퍼레이터 작동원리

▣ 외기온도센서(Ambient Sensor)
차량의 라디에이터 아래 크로스멤버 하단에 온도(℃) 저항(Ω) 온도(℃) 저항(Ω)
설치되어 있으며 외기온도에 의해 저항이 변화되어
0 6218.0 50 930.0
오토앰프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외기온도를
감지한다. 또한 라디에이터의 열영향을 받아서 5 4936.8 55 793.0
외기온도센서의 검출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10 4004.5 60 679.2
오토앰프는 인식 온도가 천천히 상승하는 것처럼
외기온도를 보정한다. 15 3269.9 65 584.2

20 2686.8 70 504.6
25 2221.0 75 437.5

30 1846.5 80 380.8

35 1543.6 85 332.7
40 1297.2 90 291.8

45 1095.7 95 258.5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구성 부품

▣ 일사량센서(Sun Sensor)
조수석 측의 인스트루먼트 판넬 상단 디프로스터 그릴 (mA)
0.32
우측에 장착 되어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일사량에 따라
전류치
전류값을 변화시킨다. 오토앰프는 이 전류값을 전압치로
입력한다. 또한 터널 출입시 일사량이 급격히 변하는
경우 오토앰프의 인식 일사량이 서서히 상승하는 것처럼
(㎉/H.㎡)
보정한다. 200 400 600 660 800
→ 일사량

▣ 수온센서
엔진 수온조절기 옆에 장착되어 냉각수 온도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로 감지하며 오토앰프는 전압값의 변화로
인식하여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한다.

온도(℃) 저항(Ω) 온도(℃) 저항(Ω)


25 4986.0 65 1138.7

30 4066.1 70 968.2
35 3335.9 75 826.7
40 2752.6 80 708.9
45 2283.8 85 610.3
50 1905.0 90 527.4

55 1597.0 95 457.5
60 1345.4 100 398.2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구성 부품

▣ 에어믹스모터 : 히터유니트 상단에 설치 오토앰프

에어믹스모터

2 MIX(+) 0.3흑황 B9 (8)

6 MIX(-) 0.3청흑 B19(18)

마이크로프로세서
4 MIX SW 0.3녹갈 A5 (5)
M
1 MIX IN 0.3갈황 C4 (31)

3 CLUTCH

0.3황녹 C11(40)

▣ 모드모터 : 히터유니트 좌측에 설치


오토앰프

모드모터
(7)B10 MODE(+) 녹흑

(7)B20 MODE(-) 적홛
M
마이크로프로세서

(35)C16 MODE1 흑녹

(27)C8 MODE2 청황

(36)C15 MODE3 황흑

AIR OUTLET
ENCODER
(28)C7 MODE4 백녹

청황
황측


접지(4)A6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구성 부품

▣ 내외기 모터 : 블로워유닛 좌측 상단에 설치

오토앰프

내외기모터

(26)B11 INT1 황회 8(26)

(25)B12 INT2 백황 6(25)

포지션 스위치
(15)B2 INT2 황갈 7(15)

마이크로프로세서
황회 5(26)

(3)A1 INT(+) 적녹 2(3)


M
모터구동 (6)A4 INT(-) 청황 1(6)

10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자기진단

▣ 자기진단방법
순 서 멀티비젼 사양 에어컨판넬스위치 사양
1 ①점화스위치 ON(30초이내에) ①시동 ON(10초이내에)
2 ②SCREEN과 INFO버튼을 동시에 누름 ②OFF버튼 누름(5초이상 계속)
3 ③셀프테스터 항목 중 AIRCON COMM ③설정온도다이얼을 좌측으로 최대회전
을 선택(화면터치) (1단계 표시)
4 ④점화스위치 ACC위치로 한뒤 다시 ④설정온도다이얼을 우측으로 회전
ON위치 2~5단계
5 ⑤화면 하단에 1~6단계 화면표시 ⑤5단계에서 팬속도버튼 작동 6단계
터치스위치 누름 표시

▣ 자기진단 해제
▶ 방법1. 점화스위치를 LOCK 위치로 한다
▶ 방법2. AUTO스위치 작동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자기진단

▣ 자기진단 범위

단 계 진 단 내 용 진 단 부 위
1단계 화면상의 표시상태점검 ①에어컨화면 전체표시부 점등 여부
②LED 점등여부(에어컨판넬스위치)
2단계 센서의 단선 또는 단락 점검 ①외기온도센서
②내기온도센서
③수온센서
⑤일사량 센서
⑥에어믹스도어위치
3단계 도어 위치 점검 ①모드도어위치점검
②내외기도어위치점검
4단계 각 상태별 출력부품 점검 ①모드모터 위치
②내외기모터 위치
③에어믹스모터 위치
④블로워모터 속도
⑤콤프레셔 작동상태
5단계 내외기 센서의 인식온도 표시 ①외기온도센서의 인식온도
②내기온도센서의 인식온도
6단계 표시온도와 인식온도차 설정 ①운전자가 느끼는 온도를 보상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자기진단

ECON AUTO A/ C MANUAL

AMB
OFF AMB
AUTO
스위치

TEMP MODE
PUSH AUTO

2단계
1단계 팬스위치 디프로스터
3단계 스위치

4단계

5단계

▶ 1단계 : 에어컨 화면 점검 및 LED 점검(에어컨판넬스위치사양)


자기진단상태에서 설정온도다이얼을 좌측으로 최대로 회전시키면 1단계로 돌입한다.
① 정상 : 각 스위치의 표시등과 화면상의 에어컨 관련 표시부의 전세그먼트 점등
② 이상 : 이상 부위가 점등하지 않음

• AQS(매연감지센서)점검 : 화면 좌측 하단 AQS색상으로 확인
① 정상 : 5초간 적색으로 표시후 녹색으로 전환
② 이상 : 적색으로만 표시(AQS센서 이상 및 배선 단선)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자기진단

▶ 2단계
화면상 설정온도 표시부의 첫째 숫자 자리에 2가 표시되며 각센서를 점검한다.
① 정상 : “20”
② 이상 : 이상있는 센서의 표시부의 자리가 점멸
가) 센서 회로의 단락(쇼트)시 표시 : 해당 숫자의 번호 앞에 “-” 표시
나) 센서 회로 단선시 표시 : 표시번호의 뒷자리만 점멸
다) 2개 이상의 센서가 고장시 표시 : 순차적으로 2회씩 점멸 표시

표시 센 서 단 선 단 락
▶정상시 표시 20
21 외기온도센서 ㅡ30℃이하 50℃이상

-21 22 내기온도센서 ㅡ30℃이하 50℃이상

23 냉각수온도센서 ㅡ30℃이하 150℃이상


센서 단락 표시
25 일사량센서 0.015mA이상 0.545mA이하
▶2개 이상 고장시
(내외기온도센서 단선) 21 26 믹스모터 위치 50%이상 30%이하
2회 점멸 후

22 ※ 주의
1. 일사센서의 경우 실내, 저녁 나절 등
조도 부족(5000Lux)시 이상으로 판정
2. 수온센서는 엔진이 웜업되지 않을 경우
이상으로 판정.
3. 믹스도어위치(최대난방시 100%기준)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자기진단

▶ 3단계 : 모드도어 및 내외기도어의 위치점검


① 정상 : “30” 점등
② 이상 : 해당 도어위치번호 표시/ 2개 이상 도어위치 고장시는 순차적으로 2회씩
점멸된다.

약 20초 후 정상
3 30
이상

▶ VENT도어 및 B/L도어 2회 점멸
위치 불량시 표시 31 32
표시번호 31 32 33 34 35 36 38 39
도어위치 VENT B/L FOOT DEF/FOOT DEF FRE 20%FRE REC
(얼굴) (얼굴/발) (발) (발/서리제거) (서리제거) (외기) (20%외기) (내기)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자기진단

▶ 4단계 : 상태별 작동점검


작동에 이상이 있을 때는 반드시 육안으로 혹은 소리를 들어 보거나 공기배출구에 손을 대어
보아 점검한다. 단 모터의 작동상태는 화면으로 점검할 수 없다.

41 42 43 44 45 46
디프로스터 스위치 작동시 전환

표시번호 41 42 43 44 45 46

VENT B/L FOOT DEF/FOOT DEF FRE


모드도어
(얼굴) (얼굴/발) (발) (발/서리제거) (서리제거) (외기)

내외기 도어 내기 내기 20% 외기 외기 외기 외기

에어믹스도어 완전냉방 완전냉방 완전난방 완전난방 완전난방 완전난방

4~5V 9~11V 7~9V 7~9V 7~9V 10~12V


블로워모터
(1단) (3단) (2단) (2단) (2단) (4단)

콤프레셔 작동 작동 미작동 미작동 작동 작동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자기진단

▶ 5단계 :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점검


① 디프로스터 스위치를 1회 누르면 외기온도센서가 검출하고 있는 외기온도를 표시한다.
② 디프로스터 스위치를 1회 누르면 내기온도센서가 검출하고 있는 내기온도를 표시한다.
③ 디프로스터 스위치를 다시 누르면 최초의 상태 51이 표시된다.

외기온도센서 내기온도센서
검출온도표시 검출온도표시
5단계 표시

51 33℃ 18℃

디프로스터스위치 작동시 화면전환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자기진단

▶ 6단계 : 설정온도와 인식온도차의 보상


5단계에서 팬스위치를 누르면(멀티비젼사양:화면상의 6번 스위치를 누른다.) 표시부에 약
3초간 61이 표시되고 보상온도가 표시된다.설정온도다이얼을 회전시켜 설정온도와 인식온도의
차를 보상하여 작동한다.이 기능은 설정온도(화면표시온도)와 운전자가 느끼는 온도의 차이를
±3℃의 범위에서 보상해 주는 기능이다.
단,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하면 보상온도가 소거되고 온도설정도 초기조건 즉,0℃로 된다.

51
팬스위치 작동 팬스위치 작동 팬스위치 작동

설정온도다이얼 설정온도다이얼
좌측으로 회전 -0.5℃ 0℃ 0.5℃ 우측으로 회전

초기 화면 표시

-2.5℃ 2.5℃

-3℃ 3℃
차종별 에어컨 제어장치 및 전기배선도 체어맨, 주요제원

▣ 에어컨 콤프레셔 작동조건


구 분 작 동 조 건 제 어 부 품
AUTO 스위치 AUTO스위치 작동 또는 오토앰프 내부 오토앰프
프로그램에 의해 에어컨작동신호를 써모앰프
써모앰프를 통해 ECM에 출력 ECM
2
냉매압력 저압차단 2±0.5Kg/cm 이하 트리플압력스위치
2
고압차단 32±2Kg/cm 이상
냉각수온도 OFF 122℃이상 ECM
ON 109℃이하
증발기온도 OFF 0.5±0.5℃이하 써모앰프
(에바퍼레이터) ON 3±0.5℃이상

▣ 전동팬 작동조건
구 분 냉각수온도 기타 조건
100℃이상 감지 ①에어컨콤프레셔작동시
저속
(라지에이터 좌측 상단 수온스위치)
고속 105℃이상 감지 ①ECM 감지 수온센서 결함 입력시
2
(냉각수온도센서1,4번단자) ②냉매 가스압력이 18Kg/cm 이상시

▣ 냉매주입량 : 750±50g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