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6

∙응축기

수냉식 – 내부 : 냉각수, 외부 : 냉매
- 물과 공기의 직접 접촉에 의한 열교환 -> 응축온도 더욱 떨어짐
- 공기 습구온도에 접근
공랭식 – 열을 자연대류, 강제대류 방법으로 대기 중에 방출
- 프레온 응축기로 사용
- 자연대류 : 소형, 강제대류 : 송풍기 사용
- 공기의 건구온도에 접근
증발식 – 응축기 표면에 물을 살포하여 증발, 기화시키고 공기에 의해 제거
- 공랭식 응축기 + 냉각탑
- 습구온도가 낮을수록 냉각효율 증대

∙응축 형태
막상응축 : 응축액체는 골고루 분산
적상응축 : 깨끗한 표면에서 물방울 형태로 낙하

∙오염 계수
수냉식 응축기의 U를 떨어뜨리는 요인, 불순물에 의해 표면이 더럽혀짐

∙불응축가스
공기와 같은 불응축가스가 시스템에 포함되면 응축기에 모임
응축기 내의 압력 상승으로 압축기의 압력비가 상승하고 소요동력이 증가
응축기 표면적이 감소 -> 전열량의 감소, 응축 압력의 상승
purging : 응축기로부터 냉매 증기와 불응축가스를 흡입하여 분리 후 배출

∙모세관
- 10kW 이하의 냉동능력에서 사용
- 고압과 저압의 압력차가 크지 않을 때 적합
- 부하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응X, 이물질에 민감
- 모세관에 대한 질량유량은 모세관 양단에 걸리는 ∆에 따름
- 표준조건보다 과부하로 흡입압력이 높아지면 모세관에서 나오는 질량유량이
압축기 증발유량 보다 적어짐 -> 증발기의 건조발생 -> 응축기에 고임
-> 응축기 압력(온도) 상승 -> 압축기 능력 감소 -> 응축온도 상승
-> 모세관 공급 질량 유량 증가 -> 균형점
Cf) _톤 보일러
(1시간 동안 만들어내는 수증기 양)

∙쵸크 유동(Choked flow)


- 냉매액이 일부가 증기화(flash gas)
- 모세관이 길어지면 증기 발생량 증가 -> 유속 증가 -> 음속에 도달
-> 유량 증가없이 일정
- 유량이 증가하다 쵸크 유동에 도달하면 유량 일정

∙유분리기
- 압축기 출구의 냉매 가스에 윤활유가 포함되어 나감
- 압축기에 윤활유 부족
- 응축기, 증발기의 표면에 유막 형성 -> 열전달 방해
-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

∙제상장치
- 제상 : 냉동기의 증발기 혹은 냉매가 증발하면 주변 환경보다 온도가 낮아짐
-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 동결되어 냉각관 표면에 서리
- 증발기의 전열 효과가 저하되어 효율 하자
Hot gas 제상 : 뜨거운 가스를 증발기로 보내서 제거
전열제상 : 증발기에 가열 코일 설치
살수제상 : 증발기 냉각관에 직접적으로 적당한 온도 물 살수

∙증발압력 저하시
- 증발온도 저하
- 압축비 증가
- 압축기 소요동력 증가
- 냉동능력 감소

∙냉매
- 냉매 구비 조건 :
증발 잠열이 클 것(냉매 순환량 감소), 액화와 증발이 용이한 것, 임계점이 높
은 것, 부식성이 없는 것, 인체에 무해한 것, 화학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
- 1차 냉매
1) Freon 냉매(Halocarbon compounds)
할로겐족의 원소 1개 이상을 포함하는 냉매
메탄(CH4), 에탄(C2H6)계
냉매 번호 C-1 / H+1 / F
2) 무기 냉매
암모니아, 물, 공기 등
냉매 번호 7로 시작, 분자량을 정수로
3) 탄화수소
폭발성, 연소성 등의 안전에 문제
4) 혼합 냉매
두 종류 이상의 단일 성분 매체를 혼합하여 사용
냉매 번호 5로 시작, 개발된 순서
- 2차 냉매(brine)
0도 이하의 빙점을 갖는 용액, 냉매의 증발보다 동결점이 5도 낮아야함

소금 덩어리 + 약한 농도 소금물

If) 흡수식 냉동기라면


소금 석출되어 배관이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 증기압축 시스템
- 각각의 구성요소는 독립적인 거동을 보이는 것이 아니고 시스템으로 결합
-> 전체시스템의 예측 및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른 성능변화 예측
- 균형점의 결정 : 도식적 방법
- 냉매 가스를 압축 후 냉매의 증발잠열을 이용
- 압축기 -> 응축기 -> 팽창밸브 -> 증발기

∙다단압축냉동사이클
- 다단압축 : 2개 이상의 저압부(팽창밸브와 압축기 입구 사이)를 갖는
냉동방식, 압축기 개수X
- 플래시 가스(flash gas, 냉매의 일부가 증기화)의 제거와 중간 냉각
- 팽창 과정에서 플래시 가스의 증가, 발생된 증기는 증발잠열을 통한 냉동효
과가 없기 때문에 직접 압축기로 보냄 : 압축일 감소
- 플래시 탱크 : 플래시 가스의 제거

3 = 4 + 6

- 압축 과정에서 중간 냉각을 통하여 단위 질량당 압축일 감소

- 2개의 증발기와 1개의 압축기

공조기용 증발기와 저온
증발기의 온도가 같음, 불필
요한 저온에서 작용, 성에가

- 1 = 6 + 8 (등압으로)
과열 영역으로 들어가면서
kg 당 더 많은 일이 필요하
지만 성에 등 문제 해결으로
고온 증발기에서 유리

∙흡수식 냉동기
- 저압의 증기 -> 고압으로 변환, 증기압축 : 압축기 사용
- 흡수식 : 저압의 흡수용액으로 흡수하고 -> 흡수하면서 외부로 열 방출
-> 펌프로 액체의 압력 상승 -> 열을 가하여 흡수용액에서 고압의
증기 배출

- 흡수사이클 : 4개의 열교환기로 구성(응축기, 증발기 + 흡수기, 발생기)


- COP = 냉각 / 발생기에 유입되는 열
- 주로 물을 냉매로 사용, Li 섞인 일종의 소금물(리튬브로마이드)
- 흡수기 -> 발생기 -> 응축기 -> 증발기
- 압축기를 이용하지 않고 수증기 등의 열원일 이용
- 압축기 대신 흡수기 사용, 열교환기 흡수기와 발생기 사이 설치 효율증대
- 효율은 낮지만 사용하는 에너지 종류가 다름(낮은 퀄리티 뜨거운 물)
- 열교환기 사용 : 발생기에 가열하는 열은 비용이므로 절감하려는 노력
흡수기부터의 용액을 가열, 발생기로부터의 용액을 냉각
- 용량제어
부분부하 운전 : 만약 용량제어가 안되면 증발기 온도가 떨어지고 냉각수가 결
빙되는 상황에 처함 -> 증발기에서 냉각된 물의 온도 조절
최대 냉방부하보다 적으면 냉동능력이 감소해야한다
방법1) 펌프의 질량유량 감소 -> 냉동유량의 감소 -> 응축온도 감소, 가열량
이 동일하면 발생기 온도 상승의 가능성(결정화 위험)
방법 2) 발생기 온도의 감소
방법 3) 응축온도의 상승, 응축기에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를 높임(by-pass)
if) 농도가 묽어지면 흡수기에서 냉매(물)을 흡수하기 어려워져 냉매 유량 감소

∙열펌프(냉동사이클에서 어느 부분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냉동기 / 열펌프 구


분, 열펌프 : 외부로부터 열량을 흡수하고 나머지 열량을 방출, 냉동기 : 낮은
온도의 물체로부터 높은 온도의 물체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
1) 냉매전환방식
실내외에 있는 열교환기가 필요에 따라 증발기와 응축기의 역할 교대로 수행
4 way valve
열원 : 공기, 물, 지열
도면 암기라 되어있긴함

2) 수전환방식
열펌프내의 증발기, 응축기
는 수냉식으로 여할이 고정
생산된 냉수, 온수 배관계통
을 전환시켜 적절한 목적지
로 보냄

3) 이중다발응축기
냉방과 난방부하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최적
급탕, 난방부하 발생시 응축기에서 온수 공급
필요 없을 때 냉각탑에서 열 배출

4) 엔진구동식 열펌프 : 배기가스, 엔진냉각수로부터 열회수


5) 흡수식 열펌프 – 제 1종 : 시스템은 동일하나 응축기를 이용(고급열 사용)
제 2종 : 발생기의 열을 이용, 많은 저급열로부터 고급열

∙냉각탑
- 물과 공기의 직접 접촉에 의한 냉각, 물의 증발에 의한 잠열 냉각
- 표면적의 증대(물의 분사)
- 열전달의 구동력 : 건구온도차, 수면과 공기 사이의 증기압차

- NTU(number of transfer unit) = 

- NTU 올라가면, approach 하락
- 냉각수의 온도는 외기 습구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 냉각탑 출구 수온은 외기의 습구 온도보다 높다
- 쿨링렌지 : 냉각수 입구수온 – 출구수온
- 쿨링 어프로치 : 냉각수 출구수온 – 입구공기 습구온도
- 쿨링 렌지는 클수록, 어프로치는 작을수록 좋다
- 엘리미네이터 : 냉각탑 출구에서 물방울이 기류에 함께 비산되는 것 방지

Cf) 냉수 : 냉방, 냉각수 : 응축기 냉각

∙냉방부하
1) 태양복사 2) 온도차에 의한 전도열 3) 실내 4) 외기부하(환기, 침입공기)
인체, 설비기구열 / 틈새바람, 외기 -> 현열 + 잠열
- 계산
1) 최대부하계산 : 설계단계에서의 정확한 설비용량 산정을 위해 실내외 조건
을 준정상상태로 가정하여 열의 이동 계산(SAREK)
2) 동적열부하계산 : 에너지 소비량 파악 및 최적 공조운영 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시간의 함수로 처리해서 열의 이동을 동적으로 계산(TRNSYS,
Energyplus, DOE-2)
축열효과의 고려 : 열용량이 큰 벽체일수록 열을 전달하는 시간이 지체되어 정
상상태로 파악하는 최대부하계산시에도 이 효과를 고려하지 않으면 정확한 열
부하를 파악할 수 없음
잠열부하 : 난방부하는 현열성분만 고려해도 무난하나 냉방부하는 잠열성분을
고려해야함

∙로이유리(Low –E Glass)
- Low Emissivity : 낮은 방사율
- 특수 투명 금속필름을 코팅한 유리
가시광선 : 투과, 실내에 채광성 높여짐, 적외선 : 반사, 열 이동 최소화
- 방사율이 낮아서 단열성능이 높음 -> 에너지 절약형 유리
- 판유리 반사 16, 흡수투과 84 / 로이유리 반사 96, 흡수투과 4
- 소프트 로이 유리
진공증착법(와제품 상태 원판유리 위에 자기방전으로 금속물질을 다층 박막으
로 코팅), 투명도 높음, 코팅 면 균일(색상, 두께), 여러 가지 금속 사용 가능,
금속이 산회되므로 반드시 복층 유리 사용, 코팅경도/내구성 약함, 원판 코팅
완료 후 강화 및 가공 불가, 대량생산 불가
- 하드 로이 유리
열분해법(고온 유리 기판 위에 원료물질을 분사, 고온에서 산화반응)
코팅경도/내구성 강함, 원판 상태에서 가공/처리 가능, 절단/수송 용이, 대량
생산 가능, 금속 사용제한, 단열성능 떨어짐
- 싱글로이 vs 더블로이 vs 트리플로이(은코팅 횟수)

- 일사획득계수(SHGC, Solar heat gain coefficient)는 태양에너지 투과량에


비례함

∙응축 압력 상승 원인
- 수냉식 : 냉각수량 부족, 냉각수온 상승
- 공랭식 : 송풍량 부족, 외기온도 상승
- 냉매의 과충전, 응축부하 과대
- 불응축 가스 존재

∙응축 압력 상승시 영향
- 압축비 증대
- 압축기 소요 동력 증대
- 피스톤 마모
- 성적계수 및 냉동능력 감소
∙칠드빔(Chilled Beam)
- 물공기 방식을 기본
- 신선한 외기와 냉온수를 건물의 실내 천장에 위치한 칠드빔 유닛에 공급
- 환기를 위해 필요한 외기 OA 덕트를 통해서 칠드빔의 압력챔버에 유입
- 냉난방 부하의 처리를 위해 소요되는 냉온수 칠드빔 유닛의 코일로 공급
- 대류열교환에 의존, TABS(Thermally Activate Building System, 구체축열
시스템, 콘크리트에 매설된 파이프를 통해 냉난방을 하는 수방식 시스템) X
- 설비형 칠드빔(냉난방 용량 큼, 급기 풍량이 적음, 저온의 냉수공급시 결로
발생, 1차 공기 공급원이 필요함)
천장면을 따라 기류가 확산되어 기류 덤핑 위험 낮음
공간내 온도차가 적고 드래프트 위험이 낮아 열쾌적성 우수
실내공기를 유인하여 재순환시키고 환기를 위한 최소외기만 도입하여 환기
에너지 절감
최소환기량 1 + 실내공기 2~4 -> 3~5의 환기 효과
- 자연형 칠드빔(초기투자비 저렴, 소음 감쇠 우수, 저온의 냉수 공급시 결로
발생, 냉난방용량 작음, 별도의 신선외기 공급 덕트 필요, 1차 공기 공급원
이 없으므로 초기 작동시간이 필요)

∙보일러
– 자연순환보일러, 강제순환보일러, 관류보일러
- 능력표시 : kJ/h, kcal/h : 시간당 발생하는 열량, t/h : 증기보일러에서 증
기 발생 능력, 539000kcal/h = 1t/h = 617kW

∙냉동기
- 왕복냉동기(왕복식 압축기), 원심(터보)냉동기(원심식 압축기), 흡수냉동기(압
축기 없이 화학적 기능에 의해 냉각)
- 능력표시 kJ/hr, 냉동톤 : 0도의 물 1톤을 24시간동안 0도의 얼음으로 만드
는 능력, RT = 1 ton, USRT = 2000파운드

∙송풍기
- 축류송풍기 : 프로펠러 날개 회전시켜 축방향으로 송풍
축류 송풍기는 풍량이 증가함에 따라 압력저하
- 원심송풍기 : 원심력을 이용하여 날개바퀴 회전방향으로 송풍
일반적인 공조에서 많이 사용
- 능력표시 : CMH(cubic meter per hour)
- 크기표시 : 축류식(날개의 직경), 원심식(직경 15cm 기준 배수)

∙펌프
- 능력표시 : Lpm, 양정(m)

∙열교환기
– 단위시간당의 교환 열량 뿐만 아니라 공기의 양, 코일의 열수 표시
- 방열기 : 운송되어진 온수와 공기와의 열교환
- 전열교환기 : 열의 경제적인 이용
- 팬코일유닛 : 코일과 송풍기의 일체형 구조로 냉온수로 공기와 열교환

∙취출루버
- 실내의 기류분포와 온도를 균일하게 조정
- 송풍기(공기를 공조장치내에서 이동, 취출 공기에 가압)
- 음압 생성

∙열의 운반
1) 전공기 방식 : 단거리 운반에 유리, 송풍량 많아서 실내공기 오염 적다, 외
기 냉방 가능, 누수 없음, 소요동력 크다, 개별제어 어려움
2) 전수 방식 : 많은 열을 멀리 보내는 경우 공기보다 유리, 열운반 동력 작
음, 개별 제어 용이, 신선한 외기 도입 어려움
3) 냉매 방식 : 가장 간단한 설비 형태
4) 공기-수 방식 : 다량의 열을 운반함과 동시에 환기도 병행할 수 있다는 장
점, 송풍동력 감소, 개별제어 가능, 실내공기 오염 가능
Cf) AHU – Air Handling unit,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공조방식
단일덕트 – 조화된 냉온풍의 공기를 1개의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
1) 단일덕트 – 정풍량
- 공조계통 하나, 대표실의 온도만 제어(설비비 하락), 재열 X(운전비 상승)
- 최적화는 아니지만 저렴

Cf) CAV(constant air volume)

2) 스텝방식
- 단일덕트 – 정풍량 방식의 변종(각층 유닛 방식)
- 각 층에 공조기를 분산하여 종측 덕트 면적을 줄이고 사용 시간대 조절가능
- 외기 냉방

3) 단일덕트 – 가변풍량
- 취출구에 댐퍼를 붙여 풍량을 제어하는 VAV유닛을 통해 실온 제어
- VAV(Variable air volume) 가변풍량
- 각 존의 현열비가 변하는 경우 능동적으로 대처
- 단열원으로 개별 제어 가능, 설비비 높고 운전비 하락
- 부하량이 크지 않고 변동이 작은 경우 적합(전공기 방식의 한계)

4) 단일덕트 – 터미널재열 방식
- 각 방마다 소형 재열기를 설치하여 재열 제어
- 존재열 방식 : 재열기를 존마다 모아서 제어
5) 이중덕트 방식 : 냉풍과 온풍을 각각의 덕트를 통해 공급한 후 각 실의 혼
합실에서 실내부하에 알맞게 혼합하여 송풍
- 공조기를 거친 외기와 환기를 혼합하여 냉풍과 온풍으로 경로를 나눔
- 각 실에서는 댐퍼를 사용하여 냉풍과 온풍을 혼합하여 취출
- 개별 제어를 하는 외주부에 적합 -> 혼합손실과 덕트 커지는 단점

6) Dual conduit 방식
- 일차공기와 이차공기로 나누어 각각 외주부와 내주부에 송풍
- 일차공기 : 정풍량으로 외주부의 부하변동에 대응 -> 취출구를 창밑에 설치
하면 cold draft 방지 가능
- 이차공기 : 가변풍량으로 내주부에 냉방부하 담당

7) 1차 공기 + FCU 방식
- 1차 공기는 현열과 잠열 부하를 처리하고 FCU는 현열부하만을 처리
- 필터, 냉온수코일, 송풍기가 내장된 팬코일 유닛에 냉온수를 공급하여 실내
부하 처리

8) 1차 공기 + 복사냉난방 방식
- 난방시는 패널의 변형문제, 냉방시는 결로 문제에 주의
- 중앙에서 냉온수를 바닥이나 벽 파이프로 통과시키고 천장을 통해 공기를
동시에 송풍하여 냉난방

9) 룸쿨러 방식
- 실내(팬과 코일)와 실외기(응축기와 압축기를 합친 콘덴싱 유닛) 분리하여 소
음 문제 해소

∙에너지 저장
- 에너지 공금과 수요의 시공간적 불균형 해소가 목적
- 저장시스템의 설계 및 성능인자
1) 가역성 : 마찰, 저항 등 손실을 최소화 2) 비용 3) 에너지 밀도
4) 규모성 5) 수요응답성 : 원하는 속도로 재생 가능해야함 6) 안전성
- 에너지 저장 방법
1) 연료/화학 에너지 : 화석연료, 수소, 축전지
2) 기계적에너지 : 응력(스프링), 플라이휠(운동에너지), 양수발전, 압축공기
3) 전자기에너지 : SMES(Superconduction magnetic energy storage)
4) 열에너지 :현열, 잠열, 극저온유체

∙축열식 공조시스템
- 원리는 열원기기와 공조기기의 시공간적 분리
- 운전시간의 연장으로 열원용량을 감소함으로써 설비비 절감
- 정격운전으로 효율 향상
- 대체열원, 폐열회수가 용이
- 열원기기 고장시에도 공조 가능 -> 신뢰성 향상
- 저가의 심야전력 이용으로 운전비 절감
- 수요자측에서 전력의 공급 – 수요 불균형 해소에 기여

∙빙축열 시스템의 개요
- 물의 융해(응고) 잠열을 이용
- 주간 냉방부하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심야에 얼음의 형태로 저장
- 장점
1) 열원기기 및 부속설비 용량 감소
2) 저가의 심야전력 이용에 따른 운전비 절감
3) 연속적인 고효율 정격운전 가능
4) 부하의 평준화에 따른 국가 전력 공급의 효율화
5) 간편한 시공 및 우수한 내구성
- 단점
1) 단열공사로 인한 추가비용
2) 추가적인 배관설비 및 반송동력
3) 제빙용으로 증발기를 사용할 때 배관이 복잡
- 관외착빙형
축냉시 코일 내부에 냉매 또는 브라인 순환
방냉시 물을 순환시켜 얼음과 열교환
부하측이 물이므로 기존 시스템과 조화
얼음 두께의 균일화를 위한 물의 순환 필요
- 완전동결형
냉동기/부하 측 브라인 회로 완전 밀폐
물은 축열 매질의 역할
빙충전률이 높으므로 축열조 크기가 감소
펌프동력 감소
브라인 소요량 증가
해빙시 열전달 촉진을 위한 방법 필요(압축공기 등)
- 관내착빙형
관 밖으로 브라인 순환
제빙의 진행에 따라 얼음의 표면적과 수량이 감소하지만 관내 단위수량당 전
열면적은 증가, 브라인 소요량 증가
해빙시 물과 얼음의 직접접촉으로 열교환은 양호, 빙충전률 제한

- 캡슐형
물 또는 상변화물질이 충전된 캡슐을 축열조 내부에 적층
캡슐의 형상은 다양
캡슐의 수로 용량 변화에 쉽게 대응
별도의 열교환기 불필요

- 빙박리형
제빙부와 축빙부 분리
주기적인 제빙 및 빙박리
대용량 축빙 가능
부하대응 용이
물분사 펌프 필요

- 유동빙형
유동성이 있는 아이스슬러리 생성
연속적 제빙 가능
고밀도 냉열이송 가능
직접 접촉과 전열면적 증가로 해빙효율 상승

∙빙축열 시스템의 축냉방식


1) 전부하 시스템
- 냉동기는 심야시간에만 운전, 주간에는 정지
- 냉동기 COP 최고, 전력요금 최저
- 초기비용 상승으로 긴 투자비 회수기간
2) 부분부하 시스템
- 냉동기는 야간 제빙, 주간 냉방으로 계속 운전
- 축열조 용량 전부하 시스템의 절반 정도
- 시스템이 단순
- 주간 운전시 냉동기 COP 저하 및 열교환이 필요
1.냉동기 우선
냉동기는 정격출력으로 계속 운전
나머지 변동부하는 축열조로 처리
가장 보편적
2. 축열조 우선 or 부하평준
일정한 냉방부하를 축열조로 처리
나머지 변동부하는 냉동기가 담당
축열조 해방량 최대로 유지
제어가 복잡, 주간 냉동기 부하변동으로 COP 저하
3. 수요제한
냉동기우선 방식과 유사
주간 피크시간에 냉동기를 정지, 축열조만으로 냉방부하를 처리
고도의 운전기술 및 제어가 요구
문제
증기압축시스템?
다단압축냉동사이클 16
흡수식냉동기 17
냉각탑 19
2021
1. 증기압축식이나 흡수식냉동사이클 외에 다양한 냉동방식
다단압축냉동사이클 : 2개 이상의 저압부를 갖는 냉동방식, 플래시 가스의 제거와 중
간냉각, 발생된 증기는 증발잠열을 통한 냉동효과가 없기 때문에 압축기로 보내서 압
축일 감소

2. 흡수식 냉동기와 흡수식 냉온수기 차이점, 열원


흡수식 냉동기 : 냉매 –물과 암모니아, 열원 – 가스 전기 태양열 등, 대형에는 부적합
흡수식 냉온수기(Heat pump) : 냉난방을 위해 냉매를 사용, 공기 지열 물 등 다양한
열원, 대형시스템에도 적합

3. 단층유리가 널리 사용되었으나 다양한 진화

or 로이유리

4. 일정 규모 이상 건물에는 흡수식 냉동기나 축열식 시스템을 이용해야 한다. 발전시


스템 관점에서 시스템의 장점과 단점
흡수식 냉동기 장점 : 전력 소비 감소(전기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열을 활용하기 때문
에), 소음이 적음, 열원 다양성(재생에너지나 폐열까지도)
단점 : 용량 제한(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냉동시스템에 적합), 효율성 문제(압축식 냉
동기에 비해 효율 떨어짐)
축열식 시스템 장점 : 저전력소비(열을 저장하는 시스템), 저비용 운용(전력을 싼 시간
에 충전), 환경친화적(재생에너지를 통한 축열 및 방출)
단점 : 대형 시스템 설치 어려움, 유지 보수 복잡

5. 프로판의 냉매번호와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


R290, 친환경적인 냉매로 분류, 오존 파괴는 X, but 높은 인화성 때문에 안전에 위
험. 특별한 안전 조치 필요

6. 시스템에어컨과 설비형 칠드빔은 코로나19에 불리한 방식일 수 있다. 이에 대해


고찰하라. 그렇다면 상대적으로 유리한 물-공기 방식은 어떤 것이고 그 이유를 설명
하라.
코로나로 인해 위생과 보건 요건 고려 필요
시스템 에어컨 : 실내 공기를 재순환하기에 외부 공기의 부족, 환기문제, 실내 공기가
계속 순환하면서 접촉 및 전파 위험성 증가
설비형 칠드빔 : 실내공기를 유인하여 재순환시키고 환기를 위한 최소외기만 도입
물공기방식 : 다량의 열을 운반함과 동시에 환기도 병형핼 수 있다는 장점, 송풍동력
감소, 개별제어 가능

7. 흡수식 냉동
8. 다단압축 사이클

2022
1. 상용화된 대규모 에너지 저장방식

2. 1차 공기 복사냉난방 시스템 개략도, 1차공기 FCUdp 비교하여 장점, 주의할점


1차 공기 + FCU 방식
- 1차 공기는 현열과 잠열 부하를 처리하고 FCU는 현열부하만을 처리
- 필터, 냉온수코일, 송풍기가 내장된 팬코일 유닛에 냉온수를 공급하여 실내부하 처

1차 공기 + 복사냉난방 방식
- 난방시는 패널의 변형문제, 냉방시는 결로 문제에 주의
- 중앙에서 냉온수를 바닥이나 벽 파이프로 통과시키고 천장을 통해 공기를 동시에
송풍하여 냉난방

3. 유리창 손실 열량 줄이는 방법, 냉방부하 관점에서(로이 유리, 이중창 ...)

4. 공조기, 음압병동, 화장실에는 음압이 적용되고 있다. 음압은 어떻게 구현되는지


설명하고, 이 방식이 적용되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라

음압 구현 방법:
공조기 및 환기 시스템:

공조기 및 환기 시스템에서 음압은 공기 순환 및 이송을 통해 조절됩니다. 외부에서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양보다 많을 때 음압이 형성
됩니다.
이를 위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양을 늘리거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 양을 감소시키
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음압병동:

음압병동에서는 특수한 공기처리 시스템이 사용됩니다. 공기처리 시스템은 외부로 배


출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음압을 유지합니다.
특히 전염성 질병이나 바이러스 전파 방지를 위해 환자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도
록 설계됩니다.
화장실:

화장실에서는 환기 시스템이 사용되어 내부의 냄새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합니다. 이


로써 화장실 내부가 음압이 형성되어 다른 구역으로 냄새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합니다.
음압의 적용 이유:
감염 전파 방지:

음압은 감염성 질병이나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 중 하나입니


다. 음압을 적용한 공간에서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공기 중의 병원체가 외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환자 안전 보장:

음압병동에서는 음압이 적용되어, 환자의 감염성을 가진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합니다. 이는 다른 환자나 의료진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험실 및 화학 공장:

연구실이나 화학 공장 등에서는 음압을 사용하여 유해한 물질이나 가스가 외부로 빠


져나가도록 하여 연구자나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합니다.
환기 및 냄새 관리:

화장실과 같은 지역에서 음압은 내부의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공기의 신선도를 유지합니다.
음압은 위험한 물질이나 병원체의 전파를 최소화하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며, 각종 시설에서 적절한 구현이 필요합니다.

5. 열전달을 촉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가능하다. 이에 대해 식을 이용하여 간


단히 설명하고, 라디에이터, 컨벡터, FCU에는 이를 구현하기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설
명하라.

열전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여러 시도 중 주요한 방법은 열전달율을 증가시키는 것입


니다. 열전달율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
습니다.

1. 라디에이터 (Radiator):
라디에이터는 열을 방사하여 공간을 데우는
데 사용되며, 열전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주
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면적 증가: 라디에이터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면 열전달면이 늘어나기 때문에 열전달


이 촉진됩니다.
열전도율 향상: 사용되는 라디에이터 재료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키면 열전달이 효과적
으로 이루어집니다.
2. 컨벡터 (Convector):
컨벡터는 공기를 흐르게 하여 열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며, 열전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팬 사용: 공기의 흐름을 촉진시켜 열전달을 증가시킵니다.


표면적 확대: 표면적을 크게 가져가면 더 많은 공기가 흐르게 되어 열전달이 증가합
니다.
3. FCU (Fan Coil Unit):
FCU는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치로, 열전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
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팬 및 냉각 팬 챔버 사용: FCU는 팬을 사용하여 공기의 순환을 촉진시키고, 냉각 팬


챔버를 통해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열전도율 향상: 열 교환 표면에 사용되는 소재의 열전도율을 최적화하여 열전달을 향
상시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난방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에너지 이용을 가능케
합니다. 따라서 각 시스템에서 열전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고 구
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최대열부하계산, 동적열부하계산
1) 최대부하계산 : 설계단계에서의 정확한 설비용량 산정을 위해 실내외 조건을 준
정상상태로 가정하여 열의 이동 계산(SAREK)
2) 동적열부하계산 : 에너지 소비량 파악 및 최적 공조운영 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시
간의 함수로 처리해서 열의 이동을 동적으로 계산(TRNSYS, Energyplus, DOE-2)

7. 냉각탑의 냉각수는 이론적으로 어느 온도까지 떨어뜨릴 수 있는가? 성능과 관련


되는 어프로치와 레인지를 설명하라.
- 냉각수의 온도는 외기 습구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 냉각탑 출구 수온은 외기의 습구 온도보다 높다
- 쿨링렌지 : 냉각수 입구수온 – 출구수온
- 쿨링 어프로치 : 냉각수 출구수온 – 입구공기 습구온도

8. 증발기에 성에가 끼는 이유와 이로 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이에 대한 대


책(제상)에 대해 논하라.

성에가 끼면서 발생하는 문제:


열전달 효율 감소: 성에로 인해 증발 표면이 저해되면 열전달 효율이 감소하게 됩니
다.

유체 유동 저해: 성에가 유동을 방해하여 유체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냉각효과가 감소


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부식과 산화: 성에는 부식 및 산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스템의 수명


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제상장치
- 제상 : 냉동기의 증발기 혹은 냉매가 증발하면 주변 환경보다 온도가 낮아짐
-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 동결되어 냉각관 표면에 서리
- 증발기의 전열 효과가 저하되어 효율 하자
Hot gas 제상 : 뜨거운 가스를 증발기로 보내서 제거
전열제상 : 증발기에 가열 코일 설치
살수제상 : 증발기 냉각관에 직접적으로 적당한 온도 물 살수

9. 흡수식 냉동시스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