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삼국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나관중의 소설에 대해서는 삼국지연의 문서를, 그 밖의 뜻에 대해서는 삼국지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
십시오.
이십사사
이름 저자 권수
사기 전한·사마천 130
한서 후한·반고 100
후한서 유송·범엽 120
삼국지 서진·진수 65
진서(晉書) 당·방현령 등 130
송서 양·심약 100
남제서 양·소자현 59
양서 당·요사렴 56
진서(陳書) 당·요사렴 36
위서 북제·위수 114
북제서 당·이백약 50
주서 당·영호덕분 등 50
수서 당·위징 등 85
남사 당·이연수 80
북사 당·이연수 100
구당서 후진·유후 등 200
신당서 송·구양수 등 225
구오대사 송·설거정 등 150
신오대사 송·구양수 74
송사 원·토크토 등 496
요사 원·토크토 등 116
금사 원·토크토 등 135
원사 명·송렴 등 210
명사 청·장정옥 등 332
신원사* 중화민국·커샤오민 등 257
청사고* 중화민국·자오얼쑨 등 536
v • d • e • h
《삼국지》(三國志)는 서진의 진수가 쓰고 송나라의 배송지가 내용을 보충한 중국 삼국시대의 사찬(私撰)
역사서이다. 후한 말기부터 서진 초까지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사기》, 《한서》, 《후한서》와 함께
중국 전사사(前四史)로 불리며 이십사사(二十四史) 중의 하나이다.

목차
1 개요
2 배송지주
3 목차
3.1 위서(魏書)
3.1.1 오환선비동이전
3.1.1.1 부여전(夫餘傳)
3.2 촉서(蜀書)
3.3 오서(吳書)
4 관련 도서
4.1 참고서
4.2 한국어 번역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개요
총 65 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서(魏書) 30 권, 촉서(蜀書) 15 권, 오서(吳書) 20 권으로 구성돼 있
다. 본래의 표제는 위지(魏志), 촉지(蜀志), 오지(吳志)인데, 송나라 이후 위서, 촉서, 오서라는 표제
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삼국지는 '사기', '한서'의 체계를 따라 기전체(紀傳體)로 구성되어 있으나,
앞의 두 책과는 달리 연표를 담은 표(表)나 당시의 경제·문화를 기록한 지(志 혹은 書)가 없다.

삼국지는 위나라를 정통 왕조로 보고 쓰여진 역사서이다. 진수는 황제들의 전기인 본기를 위나라의 황제들
로 엮었으며, 촉과 오의 황제는 열전에 편입시켰다. 무제(武帝, 조조), 명제(明帝, 조예) 등의 제호를
붙인 것은 위나라뿐이며 촉의 유비와 유선은 각각 선주(先主)와 후주(後主)로 기술하였고, 오의 제왕들은
주(主)를 붙여 기술하거나 심지어 이름을 그대로 적기도 했다. 이러한 체계는 진수가 벼슬을 하던 진나라
가 위나라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워진 나라이기에 위를 정통으로 삼고 촉과 오를 비정통으로 본 데에 따른
것이다. 진수의 이러한 사관은 훗날 습착치(習鑿齒)의 《한진춘추》(漢晉春秋)나 주희의 《자치통감강
목》이 촉을 정통으로 보면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조위/촉한정통론에 대해서는 정통론을 참조하라.)

배송지주
《삼국지주》(三國志注) 또는 《배송지주》(裴松之注)는 남북조시대 송나라의 문제가 역사학자 배송지에
게 명하여 삼국지에 주를 단 것으로 “배주”(裴注)라고도 하고 원문과 함께 칭할 때는 “수지배주”(壽志
裴注)라고도 한다. 진수가 참고한 자료의 수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책을 수집하여 주를 달게 한 것이
다. 본래 주(注)는 본문의 말뜻을 주해하는 것이나 배송지는 누락된 사료를 기록하는 데 힘을 기울여 약
200 여 권이 넘는 여러 사서를 인용하여 사실을 보충하고 고증하였으며 본문의 몇 가지 오류나 모순을 지
적하고 시정하였다. 자신이 인용한 자료의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진수의 인물평과 함께 자기 자신의 평을
넣기도 하였다. 현재 전해지지 않는 많은 자료들을 인용하였기 때문에 그의 주는 사료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삼국지와 더불어 삼국지 평화, 삼국지 연의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한편 배송지주의 양과 관련하여 20 세기 양익양이 삼국지의 글자수에 대해 정문이 20 만 자, 주(註)가 54


만 자로 주가 세 배에 가깝다고 하여 삼국지의 주가 정문을 그 양에 있어 압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왕정흡과 오금화가 정확히 글자를 세어 본 결과 정문(본문)의 글자수가 약 36 만 8 천 자 주의 글자
수가 약 32 만 2 천 자로 본문의 글자가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위서는 본문이 약 20 만 7 천 자 주
가 약 21 만 5 천자, 촉서는 본문이 약 5 만 7 천 자 주가 약 4 만 2 천 자, 오서는 본문이 약 10 만 3 천
자 주가 약 6 만 5 천 자이다.

목차
위서(魏書)
# 표제 비고
권 1 위서 1 무제기(武帝紀) 조조(曹操)
권 2 위서 2 문제기(文帝紀) 조비(曹丕)
권 3 위서 3 명제기(明帝紀) 조예(曹叡)
권 4 위서 4 삼소제기(三少帝紀) 조방(曹芳), 조모(曹髦), 조환(曹奐)
권 5 위서 5 후비전(后妃傳) 무선변황후(武宣卞皇后), 문소견황후(文昭甄皇后), 문덕곽황후(文
德郭皇后), 명도모황후(明悼毛皇后), 명원곽황후(明元郭皇后)
권 6 위서 6 동이원유전(董二袁劉傳) 동탁(董卓), 이각(李傕), 곽사(郭汜), 장제(張濟), 양봉
(楊奉), 원소(袁紹), 원담(袁譚), 원상(袁尙), 원술(袁術), 유표(劉表)
권 7 위서 7 여포장홍전(呂布臧洪傳) 여포(呂布), 장막(張邈), 장홍(臧洪), 진등(陳登)
권 8 위서 8 이공손도사장전(二公孫陶四張傳) 공손찬(公孫瓚), 도겸(陶謙), 장양(張楊), 공손탁
(公孫度), 공손강(公孫康), 공손공(公孫恭), 공손연(公孫淵), 장연(張燕), 장수(張繡), 장로(張魯)
권 9 위서 9 제하후조전(諸夏侯曹傳) 하후돈(夏侯惇), 하후연(夏侯淵), 조인(曹仁), 조홍(曹洪),
조휴(曹休), 조진(曹眞), 조상(曹爽), 하후상(夏侯尙), 하후현(夏侯玄)
권 10 위서 10 순욱순유가후전(荀彧荀攸賈詡傳) 순욱(荀彧), 순유(荀攸), 가후(賈詡)
권 11 위서 11 원장양국전왕병관전(袁張凉國田王邴管傳) 원환(袁渙), 장범(張範), 양무(凉茂), 국연
(國淵), 전주(田疇), 왕수(王脩), 병원(邴原), 관녕(管寧)
권 12 위서 12 최모서하형사마전(崔毛徐何邢鮑司馬傳) 최염(崔琰), 모개(毛玠), 서혁(徐奕), 하기
(何夔), 형옹(邢顒), 포훈(鮑勛), 사마지(司馬芝)
권 13 위서 13 종요화흠왕랑전(鍾繇華歆王朗傳) 종요(鍾繇), 종육(鍾毓), 화흠(華歆), 왕랑(王朗),
왕숙(王肅)
권 14 위서 14 정곽동유장유전(程郭董劉蒋劉傳) 정욱(程昱), 곽가(郭嘉), 동소(董昭), 유엽(劉曄),
장제(蔣濟), 유방(劉放), 손자(孫資)
권 15 위서 15 유사마양장온가전(劉司馬梁張溫賈傳) 유복(劉馥), 사마랑(司馬朗), 양습(梁習), 장기(張
旣), 온회(溫恢), 가규(賈逵)
권 16 위서 16 임소두정창전(任蘇杜鄭倉傳) 임준(任峻), 소칙(蘇則), 두기(杜畿), 두서(杜恕), 정혼
(鄭渾), 창자(倉慈)
권 17 위서 17 장악우장서전(張樂于張徐傳) 장료(張遼), 악진(樂進), 우금(于禁), 장합(張郃), 서황
(徐晃), 주령(朱靈)
권 18 위서 18 이이장문여허전이방염전(二李臧文呂許典二龐閻傳) 이전(李典), 이통(李通), 장패(臧
覇), 손관(孫觀), 문빙(文聘), 여건(呂虔), 허저(許褚), 전위(典韋), 방덕(龐德), 방육(龐淯), 염온
(閻溫)
권 19 위서 19 임성진소왕전(任城陳蕭王傳) 조창(曹彰), 조식(曹植), 조웅(曹熊)
권 20 위서 20 무문세왕공전(武文世王公傳) 조앙(曹昂), 조삭(曹鑠), 조충(曹沖), 조거(曹據), 조우
(曹宇), 조림(曹林), 조곤(曹袞), 조현(曹玹), 조준(曹峻), 조구(曹矩), 조간(曹幹), 조상(曹上),
조표(曹彪), 조근(曹勤), 조승(曹乘), 조정(曹整), 조경(曹京), 조균(曹均), 조극(曹棘), 조휘(曹
徽), 조무(曹茂), 조협(曹協), 조유(曹蕤), 조감(曹鑑), 조림(曹霖), 조례(曹禮), 조옹(曹邕), 조공
(曹貢), 조엄(曹儼)
권 21 위서 21 왕위이유부전(王衛二劉傅傳) 왕찬(王粲), 위기(衛覬), 유이(劉廙), 유소(劉劭), 부하
(傅嘏)
권 22 위서 22 환이진서위노전(桓二陳徐衛盧傳) 환계(桓階), 진군(陳羣), 진태(陳泰), 진교(陳矯),
서선(徐宣), 위진(衛臻), 노육(盧毓)
권 23 위서 23 화상양두조배전(和常楊杜趙裴傳) 화흡(和洽), 상림(常林), 양준(楊俊), 두습(杜襲),
조엄(趙儼), 배잠(裴潛)
권 24 위서 24 한최고손왕전(韓崔高孫王傳) 한기(韓曁), 최림(崔林), 고유(高柔), 손례(孫禮), 왕관
(王觀)
권 25 위서 25 신비양부고당융전(辛毗楊阜高堂隆傳) 신비(辛毗), 양부(楊阜), 고당융(高堂隆)
권 26 위서 26 만전견곽전(滿田牽郭傳) 만총(滿寵), 전예(田豫), 견초(牽招), 곽회(郭淮)
권 27 위서 27 서호이왕전(徐胡二王傳) 서막(徐邈), 호질(胡質), 왕창(王昶), 왕기(王基)
권 28 위서 28 왕관구제갈등종전(王毌丘諸葛鄧鍾傳) 왕릉(王淩), 관구검(毌丘儉), 제갈탄(諸葛誕), 문
흠(文欽), 당자(唐咨), 등애(鄧艾), 종회(鍾會)
권 29 위서 29 방기전(方技傳) 화타(華佗), 두기(杜夔), 주건평(朱建平), 주선(周宣), 관로(管
輅)
권 30 위서 30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 오환(烏丸), 선비(鮮卑), 부여(夫餘), 고구려(高句
麗), 동옥저(東沃沮), 읍루(挹婁), 맥(濊), 한(韓), 왜(倭)
오환선비동이전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위서삼십 오환선비동이전
서술이 간결하고 분명하여 명저라 일컬어져 왔다. 또한 위서의 마지막 30 권인 위서 동이전(위서 오환선비
동이전)에는 순서별로 부여, 고구려, 옥저, 읍루(揖婁), 예(濊), 한(韓), 왜인 등의 동양 민족 고대사
에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어 중요한 연구 자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인 혼란 때문에 사료의
수집이 어려워 많은 사료를 참고하지 못하였다. 진수가 주로 참고한 사료는 왕침(王沈)의 《위서(魏書)》,
위소(韋昭)의 《오서(吳書)》, 어환(魚豢)의 《위략(魏略)》으로 알려져 있다.

부여전(夫餘傳)
부여전(夫餘傳)은 총 930 자(字)이며, 중국 정사(正史) 중 부여에 관한 최초의 열전(列傳)으로 그 사료
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 내용은 부여의 위치와 강역을 비롯하여 관제·의식(衣食)·의례(儀禮)·
풍속·산물(産物) 등 부여의 생활습속에 관한 상세한 상태기술과 현도군·후한(後漢)·공손씨(公孫氏) 등
중국의 제(諸) 세력과의 관계기사로 구성되어 있다. 문헌학적 연구에 의하면 기사의 1/3 정도가 《위략
(魏略)》기사와 관련된 것인데, 진수가 참고한《위략(魏略)》은 배송지 주(注)에 인용된《위략(魏略)》
과는 다른 이본(異本)이나, 원위략(原魏略)에 의존하였을 가능성이 크며, 《위략(魏略)》의 부여와 고구
려 공통의 습속 기사는 생략된 것이라고 한다.[1] 이러한 점에서 부여전은 종래의 과대한 평가와는 달리
전체적으로는 두찬(杜撰)이라고 할 수 있으나, 《위략(魏略)》이 멸실된 현재 부여전은 배송지 주(注)에
인용된《위략(魏略)》 기사와 함께 사료적 가치에 있어서는 다른 어떠한 사서(史書)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2]

촉서(蜀書)
# 표제 비고
권 31 촉서 1 유이목전(劉二牧傳) 유언(劉焉), 유장(劉璋)
권 32 촉서 2 선주전(先主傳) 유비(劉備)
권 33 촉서 3 후주전(後主傳) 유선(劉禪)
권 34 촉서 4 이주비자전(二主妃子傳) 선주감황후(先主甘皇后), 선주목황후(先主穆皇后), 후주경
애황후(後主敬哀皇后), 후주장황후(後主張皇后), 유영(先主子永), 유리(先主子理), 유선(後主太子璿)
권 35 촉서 5 제갈량전(諸葛亮傳) 제갈량(諸葛亮)
권 36 촉서 6 관장마황조전(關張馬黃趙傳) 관우(關羽), 장비(張飛), 마초(馬超), 황충(黃忠), 조운
(趙雲)
권 37 촉서 7 방통법정전(龐統法正傳) 방통(龐統), 법정(法正)
권 38 촉서 8 허미손간이진전(許麋孫簡伊秦傳) 허정(許靖), 미축(糜竺), 손건(孫乾), 간옹(簡雍),
이적(伊籍), 진밀(秦宓)
권 39 촉서 9 동유마진동여전(董劉馬陳董呂傳) 동화(董和), 유파(劉巴), 마량(馬良), 진진(陳震),
동윤(董允), 여예(呂乂)
권 40 촉서 10 유팽요이유위양전(劉彭廖李劉魏楊傳) 유봉(劉封), 팽양(彭羕), 요립(廖立), 이엄(李嚴),
유염(劉琰), 위연(魏延), 양의(楊儀)
권 41 촉서 11 곽왕상장양비전(霍王向張楊費傳) 곽준(霍峻), 왕련(王連), 상랑(向朗), 장예(張裔),
양홍(楊洪), 비시(費詩)
권 42 촉서 12 두주두허맹내윤이초극전(杜周杜許孟来尹李譙郤傳) 두미(杜微), 주군(周羣), 두경(杜
瓊), 허자(許慈), 맹광(孟光), 내민(來敏), 윤묵(尹黙), 이선(李譔), 초주(譙周), 극정(郤正)
권 43 촉서 13 황이여마왕장전(黃李呂馬王張傳) 황권(黃權), 이회(李恢), 여개(呂凱), 마충(馬忠),
왕평(王平), 장억(張嶷)
권 44 촉서 14 장완비의강유전(蒋琬費禕姜維傳) 장완(蔣琬), 비의(費禕), 강유(姜維)
권 45 촉서 15 등장종양전(鄧張宗楊傳) 등지(鄧芝), 장익(張翼), 종예(宗預), 양희(楊戯)
오서(吳書)
# 표제 비고
권 46 오서 1 손파로토역전(孫破虜討逆傳) 손견(孫堅), 손책(孫策)
권 47 오서 2 오주전(吳主傳) 손권(孫権)
권 48 오서 3 삼사주전(三嗣主傳) 손량(孫亮), 손휴(孫休), 손호(孫皓)
권 49 오서 4 유요태사자사섭전(劉繇太史慈士燮傳) 유요(劉繇), 태사자(太史慈), 사섭(士燮)
권 50 오서 5 비빈전(妃嬪傳) 오부인(吳夫人), 사부인(謝夫人), 서부인(徐夫人), 보부인(步夫人
(練師步皇后)), 대의왕황후(王夫人(大懿王皇后)), 경회왕황후(王夫人(敬懷王皇后)), 반부인(潘夫人(潘
皇后)), 전황후(全夫人(全皇后)), 주황후(朱夫人(朱皇后)), 소헌하황후(何姬(昭憲何皇后)), 등황후(滕
夫人(滕皇后))
권 51 오서 6 종실전(宗室傳) 손정(孫靜), 손분(孫賁), 손익(孫翊), 손보(孫輔), 손광(孫匡),
손소(孫韶), 손환(孫桓)
권 52 오서 7 장고제갈보전(張顧諸葛步傳) 장소(張昭), 장승(張承), 장휴(張休), 고옹(顧雍), 고담
(顧譚), 제갈근(諸葛瑾), 보즐(步騭)
권 53 오서 8 장엄정감설전(張嚴程闞薛傳) 장굉(張紘), 장현(張玄), 엄준(嚴畯), 정병(程秉), 감택
(闞澤), 설종(薛綜)
권 54 오서 9 주유노숙여몽전(周瑜魯肅呂蒙傳) 주유(周瑜), 노숙(魯肅), 여몽(呂蒙)
권 55 오서 10 정황한장주진동감능서반정전(程黃韓蔣周陳董甘凌徐潘丁傳) 정보(程普), 황개(黃蓋), 한
당(韓當), 장흠(蔣欽), 주태(周泰), 진무(陳武), 동습(董襲), 감녕(甘寧), 능통(凌統), 서성(徐盛),
반장(潘璋), 정봉(丁奉)
권 56 오서 11 주치주연여범주환전(朱治朱然呂範朱桓傳) 주치(朱治), 주연(朱然), 주적(朱績), 여범
(呂範), 여거(呂據), 주환(朱桓), 주이(朱異)
권 57 오서 12 우육장낙육오주전(虞陸張駱陸吾朱傳) 우번(虞翻), 육적(陸績), 장온(張溫), 낙통(駱統),
육모(陸瑁), 오찬(吾粲), 주거(朱據)
권 58 오서 13 육손전(陸遜傳) 육손(陸遜), 육항(陸抗)
권 59 오서 14 오주오자전(吳主五子傳) 손등(孫登), 손려(孫慮), 손화(孫和), 손패(孫覇), 손분
(孫奮)
권 60 오서 15 하전여주종리전(賀全呂周鍾離傳) 하제(賀齊), 전종(全琮), 여대(呂岱), 주방(周魴),
종리목(鍾離牧)
권 61 오서 16 반준육개전(潘濬陸凱傳) 반준(潘濬), 육개(陸凱)
권 62 오서 17 시의호종전(是儀胡綜傳) 시의(是儀), 호종(胡綜)
권 63 오서 18 오범유돈조달전(吳範劉惇趙達傳) 오범(吳範), 유돈(劉惇), 조달(趙達)
권 64 오서 19 제갈등이손복양전(諸葛滕二孫濮陽傳) 제갈각(諸葛恪), 등윤(滕胤), 손준(孫峻), 유찬(留
贊), 손침(孫綝), 복양흥(濮陽興)
권 65 오서 20 왕누하위화전(王樓賀韋華傳) 왕번(王蕃), 누현(樓玄), 하소(賀邵), 위요(韋曜), 화핵
(華覈)
위의 목차는 송나라 이후에 보편화된 삼국지 목록 체계에 따른 것이다.

관련 도서
참고서
청나라: 전대소(錢大昭)의 삼국지변의(三國志辨疑)(3 권), 양장거(梁章鉅)의 삼국지방증(三國志旁證)
(30 권), 항세준(杭世駿)의 삼국지보주(三國志補注)
최근: 노필(盧弼)의 삼국지집해(三國志集解)(고적출판사 간, 1957, 65 권+보권 2 권), 소연뢰(蘇淵雷)
의 삼국지 금주금역(三國志今注今譯)(호남사범대학교출판사, 1991)
한국어 번역
김원중 역, 정사 삼국지(전 4 권), 민음사, 2007
김원중 역, 정사 삼국지(전 4 권), 휴머니스트, 2018: 위 책의 개정판이다.
같이 보기
중국의 삼국 시대
삼국지 게임 시리즈
정통론
정사 및 연의 삼국지 인물 전체 목록
후한서
진서
각주
전해종(全海宗), 《東夷傳의 文獻的 硏究》(1980), 일조각(一潮閣).pp.39~64
“중국정사조선전 주석보기 > 三國志 卷 030 魏書 30 東夷傳 第 030 [註 001] 夫餘傳”. 국사편찬위원
회. 『三國志』夫餘傳은 총 930 字이며, 中國正史 중 夫餘에 관한 최초의 列傳으로 그 사료적 가치가 높
게 평가되고 있다. 그 내용은 夫餘의 位置와 강역을 비롯하여 官制·衣食·儀禮·風俗·産物 등 夫餘의 生活
習俗에 관한 상세한 상태기술과 玄菟郡·後漢·公孫氏 등 中國의 諸 勢力과의 관계기사로 구성되어 있다.
문헌학적 연구에 의하면 기사의 1/3 정도가『魏略』기사와 관련된 것인데, 撰者인 陳壽가 참고한『魏略』
은 裵松之 注에 인용된『魏略』과는 다른 異本이나, 原魏略에 의존하였을 가능성이 크며,『魏略』의 夫餘
와 高句麗 공통의 習俗기사는 생략된 것이라고 한다.(全海宗,『東夷傳의 文獻的 硏究』pp.39~64) 이러한
점에서『三國志』夫餘傳은 종래의 과대한 평가와는 달리 전체적으로는 杜撰이라고 할 수 있으나,『魏略』
이 逸失된 현재『三國志』夫餘傳은 裵松之 注에 인용된『魏略』기사와 함께 사료적 가치에 있어서는 다른
어떠한 史書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參考文獻≫ 高柄翊, 「中國正史의 外國列傳-朝鮮傳을 中心으
로-」『東亞交涉史의 硏究』1970, 서울大出版部.李丙燾, 「夫餘考」『韓國古代史硏究』1976, 博英社.
全海宗, 『東夷傳의 文獻的 硏究』1980, 一潮閣.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42) (도움말)
외부 링크
언어 오류(중국어)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삼국지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삼국지
wikisource - 후한서(後漢書)
wikisource - 삼국지(三國志)
wikisource - 자치통감(資治通鑑)
vde
삼국지와 삼국지연의의 주요 등장인물
군주

영제 소제 헌제

조조 조비 조예 조방 조모 조환

유비 유선

손견 손책 손권 손량 손휴 손호

사마염
기타
공손연 공손찬 도겸 동탁 마등 여포 원소 원술 유언 유장 유표 장각 장로 한수
참모
문관

공융 교현 양표 왕윤 채옹

가후 곽가 곽회 동소 사마사 사마소 사마의 순욱 순유 양수 왕랑 왕숙 유엽 정욱 종요 종회 진군 화흠

간옹 동윤 등지 마량 마속 미축 방통 법정 비의 손건 양의 유파 이적 장완 제갈량 진지

감택 고옹 노숙 반준 보즐 여범 우번 육손 장굉 장소 장제 제갈각 제갈근 주유

가충 순욱 장화 진수
기타
곽도 괴량 괴월 봉기 심배 이유 장송 저수 전풍 진궁 채모 허유
무장

노식 동승 주준 하진 황보숭

가규 등애 방덕 만총 서황 손례 악진 우금 이전 장합 장료 전예 전위 조인 조진 조창 조홍 조휴 하후돈 하
후연 학소 허저

강유 관우 관평 마대 마초 엄안 오의 왕평 요화 위연 이엄 장비 장익 조운 주창 진도 하후패 황권 황충

감녕 능통 미방 반장 서성 육항 여몽 장흠 전종 정보 정봉 제갈정 주치 주태 주환 진무 태사자 하제 한당
황개

두예 문앙 문호 석포 양호 왕준
기타
고순 곽사 기령 맹달 문추 안량 양봉 이각 장임 제갈탄 화웅
여인

당희 동태후 하태후 초선 헌목황후

견황후 곽귀인 양휘유 왕원희 장춘화 하후휘

감부인 미부인 목황후 황월영

대교 소교 보연사 손노반 손부인 오부인

양염 양지
기타
채부인 채염 축융부인
비한족
가비능(선비) 구력거(오환) 답돈(오환) 동천왕(고구려) 맹획(남만) 어부라(흉노) 히미코(일본)
기타
관로 남화노선 사마휘 예형 우길 좌자 화타
분류: 삼국지이십사사명수 3 기전체 3 세기 역사책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