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63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기획보고서

2014. 06.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 요약본 -
Ⅰ. 사업 개요 2. 추진 경과

□ 사업 기획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개요
일정 추진단계 주요 내용
□ 사업의 목적

○ (국가적 차원) 전국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를 지역연구개발 혁신 거점으로 육성하여 -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기획 수요
조사 실시
2010 사전 정책용역
지역 연구개발 역량의 균형적 발전 기틀 마련 - 사업 목표 도출 및 설정
- 수행주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지역적 차원) 지방과학연구단지를 중심으로 한 산·학·연 연계 협력을 통해 지역과학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방안 수립을 위한
기술 역량강화 및 사업화·창업 활성화 수요조사 실시
2012 사전 정책용역
- 지역별 후보과제 도출 등
- 지역창조경제 기반 구축을 위한 지역과학기술 역량 강화 - 수행주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기초·원천 R&D 연구성과의 사업화·창업 촉진


2013.04 ~ -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2단계) 기획
사전 정책용역
2013.10 - 수행주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산·학·연 연계 협력 강화
-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 담당자에 대한 이메일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의 범위 및 직접 방문을 통한 조사 실시
2013.05 지자체 수요 조사
- 지방과학연구단지 내 기업에 대한 수요조사

○ (공간범위) 지방과학연구단지로 지정된 구역과 지역 내 대학, 연구기관 및 기 실시

업의 네트워크를 지향하는 광역시·도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2단계) 추진을

○ (대상 시·도)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지정된 10개 시·도를 대상으로 우선 추진하며, 2013.12 육성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추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추진
- 예비타당성조사 예비검토에서 탈락
지역 창조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나머지 시·도로 확대

○ (시간범위) 10년(‘16~’25) 동안 2단계로 추진


전국과학연구단지협의회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2단계) 기획을
2014.04.09
정기총회 위한 수요조사 방법론 검토회의

○ (사업범위)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은 ‘지역수요기반 R&D 사업'과 '지역 지자체 수요 조사를 위한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2단계) 기획을
연구개발성과 활용기반 구축사업’을 중점사업으로 추진함 2014.04.28
기획회의 위한 1차 수요조사 회의

□ 사업 규모 2014.05 ~
- 예비검토 시 미흡 지적사항 보완 기획
사전 정책용역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를 위한 세부 기획
○ 10년간 총 4,950억 원 소요 2014.08
- 수행주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사업비 4,950억 원 중 국비 3,485억 원, 지방비 715억 원, 민간 750억 원

- 연구단지 당 연간 평균 50억 원 수준

- i - - ii -
Ⅱ. 국내·외 환경분석 [그림 1] 죽음의 계곡 개념도

1. 해외 과학연구단지 사례

□ 해외 선진 과학연구단지 벤치마킹 시사점

○ 선진 과학연구단지는 우수인력과 연구역량의 결집으로 성과 창출 및 지역경제 부흥에


기여

○ 해외 선진 과학연구단지(Science Park)는 대부분 지방정부 주도형 혹은 지방정부-


민간 공동 참여형으로 지방정부가 주된 역할 수행

○ 해외 선진 과학연구단지는 대부분 대학의 연구역량 및 우수인력을 기반으로 조성 □ 후속연구·사업화 및 특허기반 기술창업 정책 사례

□ 지방과학연구단지는 단계적으로 지자제 중심 운영으로의 전환 및 그에 따 ○ 일본의 대표적인 기초연구성과 후속사업지원프로그램인 ‘연구성과 최적전개 지원사업
른 역할 확대 필요 (A-STEP)'

○ 향후 지방과학연구단지는 지방정부 재원 비중의 확대 및 민간재원을 포함한 자체수익 - 대학 및 공공연구소 등에서 창출된 기초연구성과의 폭넓은 실용화를 위해 특성화된
서로 다른 유형의 중단없는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일본 문부성이 실시
창출이 필요

- 단기적으로는 지역수요기반 R&D 수행, 기술중개 및 기술저장소 구축 등 독자 영역


○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의 Baton Zone 프로그램
강화로 지역TP와의 역할 분담 - 일본 RIKEN은 기초연구성과를 조기에 실용화하기 위해 기업의 참여하에 ‘Baton


- 중 장기적으로는 창업을 통한 사업화, 연구기관 및 기업 유치를 통해 민간재원 및 자
Zone(융합적 연계연구프로그램)’을 시행

체수익 창출 ○ 미국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의 Innovation Ecosystem Development


- 목적 : 미국 대학 및 연구소로부터 나온 에너지관련기술의 비즈니스화를 위한 프로
그램으로 창업(기업가정신)을 통한 일자리창출을 목적으로 함
2. 해외 사업화·창업 정책 사례
- 주요 프로그램 내용 : 지식재산권 관리 및 보호, VC 및 사업가와의 네트워크 구축,
□ 기술이전·사업화 측면에서 응용·개발 연구뿐만 아니라 대학 등에서 수행되는 기 이들을 통한 멘토링 서비스 등 창업 액셀러레이팅, 연구결과물인 특허를 활용하는
초연구 성과의 후속 연구 및 관리·활용·확산체계가 중요 창업경진대회(business plan competition) 추진 등

○ 기초연구성과에 대한 후속연구 지원체계의 미흡으로 성과활용이 저조하고 개발기


간이 장기화되는 등 사회 경제적인 가치창출로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 죽음의 계곡
빈발

- iii - - iv -
3. 지역과학기술 문제점 해결을 위한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역할 4.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의 성과 및 문제점

□ 지역과학기술 현황 및 문제점 □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개요

○ 지방에 대한 정부 R&D 투자 비중 정체 및 개발단계 R&D 편중으로 새로운 성장동력 ○ (사업목적) 산․학․연이 한 곳에 모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협력 하도록 과학연
창출에 한계 → 정부 주도의 지역 기초 및 응용단계 R&D에 투자 필요 구단지를 지정함으로써, 지역 연구개발의 경쟁력을 높이고 연구개발 결과의 사업화를

○ 실질적인 산학 간 지식이전은 수도권 및 대전에 비해 뒤쳐짐 → 지역에서 지식재산 촉진

이전 촉진을 통한 지역경제발전 활성화 필요 ○ (사업내용) 지역의 수요와 특성을 반영하여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위주 지원


○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담당할 벤처기업의 수도권 집중 심화 → 지역 연구개발 성과를 ※ 총사업비 : 300억 원 내외(국비 150억 이내, 지방비 총사업비의 50%이상 매칭)
활용한 지역 기업의 사업화 및 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구축 필요

○ 지역과학기술 발전 방향 설정에 있어 지역기업 등 지역수요 반영 미흡 → 지역수요에


<표 1>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추진 현황

단지명 ʼ04 ʼ05 ʼ06 ʼ07 ʼ08 ʼ09 ʼ10 ʼ11 ʼ12 ʼ13 ʼ14
기반한 연구개발 주제 발굴 체계 마련 시급 광주 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총 240억 원)
전북 전북 R&D Core 구축센터준공(총 266억 원)

□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역할 오창 유비쿼터스기반 U-플랫폼센터(총 150억 원)


강원 R&D혁신지원센터(총 291억 원)
부산 과학기술진흥교류센터(총 300억 원)
[그림 2] 지방과학기술 문제점 해결을 위한 지방과학연구단지 역할 대구 대구융합R&D센터(총 300억 원)
전남 과학기술진흥협력센터(총 300억 원)
구미 과학기술연구지원센터(310억 원)
울산 융합과학기술센터(430억 원)
경남 경남 과학연구복합파크(450억 원)
※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3조에 의거하여 지방과학연구단지에 R&D사업 지원

□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성과

○ (지역의 산·학·연 집적 seed 역할) 연구센터 구축에 따라 전체 183개 기관이 입주


함으로써 산·학·연의 집적이 시작됨

※ 입주기관 유형 : 대학(5), 기업부설연구소(92), 연구기관(20), 기업(53), 기타(13)


○ (연구개발 관련 성과창출) 지역특화산업분야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기초·원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논문, 특허, 기술이전, 장비구축 등 정량적 성과 창출

- v - - vi -
<표 2> R&D 과제 지원을 통한 성과 ○ (문제점) 지자체의 지역 R&D 기획 및 실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R&D 뒷받침할 수 있는 지역연구개발 거점역할을 수행할 능력 부재
지역 성과 내용

○ (해결방향) 1단계 사업을 통해 구축된 지방과학연구단지 인프라 및 연구성과를 활용


과제 수
논문 12편, 학술발표 15편, 지식재산권* 19건, 기술이전 1건, 시제품제작 1건, 전자형미분
전북 25
석기 등 연구장비 11종, 구조해석응용프로그램 등 S/W 3종
하여 지역기업의 수요기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예산 확보 필요
강원 40 논문 40편, 학술발표 67편, 지식재산권* 40건, 방출분광기 등 연구장비 50종

③ 제도적 측면
부산 34 논문 21편, 학술발표 61건, 지식재산권* 44건, 시제품제작 48건, 공인인증 11건

대구 131 논문 23건, 지식재산권* 29건


○ (현황) 지방과학연구단지 등의 조성 및 지원은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 및 과학기술
기본법 시행령 제43조에 근거
논문 26편, 학술발표 70건, 지식재산권* 17건, 기술이전 9건, 전계방출주자전자현미경 등
전남 16
연구장비 21종, 통합해석솔류선 등 S/W 3종
○ (문제점) 지원범위가 단지 내 입주기관을 우선 대상으로 하고 있어 지원범위 확대에
논문 50편, 학술발표 119편, 지식재산권* 142건, 기술이전 6건, 투과전자형미경 및 집적이
경북 52
온빔 등 연구장비 6종
있어서 어려움

울산 87
논문 74편, 학술발표 98편, 지식재산권* 111건, 시제품제작 52건, VOC 챔버 등 연구장비
2종
○ (해결 방향) 관련 법령 및 운영규정의 개정을 통해 지원대상 및 범위 규정에 있어
네거티브 방식으로 규정함으로써 적용 범위를 시·도 차원으로 확대 필요
경남 28 논문 13편, 학술발표 60편, 지식재산권* 3건, 기술이전 1건, 수상실적 9건

※ 지식재산권: 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등 모두 포함

○ (과학기술 교류 거점 역할 수행) 과학문화 민간활동 지원사업, 과학기술 정보


제공, 과학기술 국내·외 교류사업을 통해 과학기술 대중화 및 산·학·연·관 간 연
계활성화

□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문제점 및 해결방향

① 조직적 측면

○ (현황) 대부분의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이 독립 법인이 아닌 테크노파크 및 산업진


흥원 소속의 하부 조직

○ (문제점) 테크노파크의 직․간접적 영향으로 애초의 사업목적에 부합하는 기초·원천


연구보다는 개발단계 연구지원에 집중

○ (해결방향) 지방과학연구단지 과학기술진흥센터의 단계적 독립법인화 추진


② 투입 자원 측면

○ (현황) 과학연구센터 설립의 H/W 중심 1단계 사업 완료 후 이를 활용할 후속사업이


확정되지 못한 상태(예산 미반영)

- vii - - viii -
Ⅲ. 지역별 특화분야 지역
<표 3> 지역별 특화분야

특화분야

강원 의료기기, 바이오, 비철금속, 세라믹


□ 지역별 특화분야 도출 프로세스 메카트로닉스산업(로봇, 자동차부품, 뿌리), 의료산업, 신소재나노융합,
대구
융복합 지식서비스
경북 국방 IT, 인쇄전자, 희소금속소재, 반도체장비
[그림 3] 지역별 수요기반R&D 중점분야 선정 프로세스
부산 신재생에너지(풍력), 고효율 저공해 차량, 초정밀융합부품, 바이오헬스

울산 수송기계산업, 신소재나노융합, 생산기계, 소재성형

경남 융복합기계, 나노정밀기기, 생명건강, 소재성형

광주 광 융·복합 소재, 친환경 수송기계, 스마트가전,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재성형

전남 조선·해양, 신소재, 생물, 신재생에너지

전북 경량소재부품, 향토기능성식품, 인쇄전자, 에너지변환저장부품

충북 바이오, 태양광, 기능성화장품, 차세대반도체

□ 지역별 특화분야 선정결과 활용방안

○ 세부사업별 우선순위 도출 선정기준으로 활용


- 지역별 특화분야로 한정하여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R&D
과제를 도출함으로써 지역별 중복 최소화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및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도 지역별 특화분야에 기준


하여 지역별 차별화 추진

□ 지역별 최종 특화분야 선정

○ 참여적 의사결정 방식에 따라 지역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후보군 중 지역별로


4개 분야 선정

- 분석을 통해 도출된 지역별 특화분야 최종 후보군 제시 → 각 시·도 담당 공무원


의견 수렴 → 각 시·도 과학기술진흥센터 책임자가 4개 분야 선정

- ix - - x -
Ⅳ. 사업추진의 필요성 및 추진근거 ○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실현을 위해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추진이
필요

- 특히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에서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산·학·연


가. 필요성 및 추진근거
협력 활성화”를 위한 세부과제로서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를 강조
□ 사업추진의 시급성 ○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제12조에 의거하여 지역발전에 필요한 과학기술의 진흥
○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17) ’산 학 연 지역 연계를 통한 신산업 창출기능 강화‘를 추진을 위해 지방과학연구단지 R&D지원 가능

실현하기 위해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가 필요 -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제12조(지역 교육여건 개선과 인재 양성 및 과학기술

- 산·학·연과 지역연계를 통한 신산업 창출 촉진을 위해서는 산·학·연 집적화가 진흥)

이루어져 있는 지방과학연구단지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 최적임


□ 국고지원의 적합성
○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4. 2) 19대 부분별 추진과제 중 “새로운 지역혁신
체계 구축”과제의 종합적 수행을 위한 거점 육성 필요 ○ 지자체가 중심이 된 과학기술발전을 추구하기에는 지방정부 재원에 한계 존재
○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이 종료됨에 따라 구축된 인프라 및 성과를 - 지역의 재정 자립도가 낮아 지역 R&D 추진에 중앙정부 지원이 필요

지역경제활성화로 연결시킬 수 있는 후속사업이 시급함 ○ 지방에 대한 정부 R&D 투자 비중 정체 및 개발단계 R&D 편중으로 새로운 성
- 후속사업으로 연결이 안 될 경우, 기 투입된 3천억원이 매몰비용(Sunken 장동력 창출에 한계

Cost)로 전락 - ’11년도 기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초 및 응용단계 R&D 투자 비중은 수도

○ 지방과학연구단지 사업을 통해 ‘지방과학연구단지(시․도)-연구개발특구(광 권이 56%인데 반해 지방은 43%에 불과한 수준으로 개발단계 R&D에 편중

역)-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국가) 연계 구축’으로 기초과학에서부터 첨단 비 ○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한 지방의 R&D 투입에 대한 효율성이 결코 낮은 수준이
즈니스를 연결하는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 가능 아님

- 지방의 과학기술혁신역량 및 효율성이 낮은 것이 아니라 절대적 투입액이 적은


□ 법적 추진 근거
것이 문제로서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정부자금 투입 증대가 필요
○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 및 동법 시행령 제43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방과학연구
단지 R&D사업 지원 가능
□ 지역적 필요성

-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과학연구단지 등의 조성 및 지원) ○ 지역특화된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서는 지역 과학기술역량 강화가 우선되어야 함
① 정부는 산업계·학계·연구계가 한 곳에 모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데에 따른 효율을 높이고, - 지자체의 지역 R&D 기획 및 실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국내외 첨단 벤처기업을 유치하거나 육성하기 위하여 과학연구단지를 만들거나 그 조성을 지원할 수 뒷받침할 수 있는 역량구축에는 한계 존재
있다.
②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예산의 범위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과학연구단지 조성사업에 드는 비
○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역할이 중요
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과학기술지식(특허)과 기업가정신(창업)의 축
적이 중요하며 이를 담당할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기능적 역할 필요

- xi - - xii -
※ 독일 310개 지역 분석 결과 과학기술지식자본과 기업가정신 자본의 축적정도는 지 <표 4>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과 기존 유사사업 비교

역경제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Audretsch 등, ’08) 구분


지방과학연구단지
신특화사업
산업집적지경쟁력 지역혁신

○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지역 특화 분야별 기초·응용연구 활성화 사업

산학연 연계를 통한 지역연고산업, 뿌리


강화사업

산학연간 공동연구
센터(RIC)조성

및 창업지원 필요 생산기능 중심의 산


기초연구성과 활용도 산업, 문화융합형 생 및 사업화 촉진을 위
사업목표 업단지에 연구개발기
제고 및 지역과학기 활산업 등 일자리 창 한 장소·시설 등 집
- 최근 일자리 창출의 수도권-비수도권 격차가 심화되고 있어 좋은 일자리 창 능 보완
술역량 강화 출형 산업 육성 합체 구축·운영
출을 위한 지역산업 특화형 R&D 및 사업화·창업 지원이 필요 가교형R&D, 산학연 R&D 역량강화, 기업
산학연 네트워크, 맞
공동연구법인, 기술 지원서비스, 사업화 지역전략분야 및 대
지원분야 춤형 특성화사업,
중개, 중소기업네트 지원을 위한 거점기 학 강점분야
□ 기술적 필요성 워크, 창업기획 관 운영
R&D역량 강화사업

○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서는 지식재산의 전략적 관리를 통한 고부가가치화 및 활 연구주체


지역대학 중심
산·학·연
기업 중심 산·학·연 기업 중심 산·학·연
대학(산업대학 등),
산학협력단 등
용도 제고가 필요
사업기간 10년 3년(′13~′16) 11년(′05~′15) 10년
- 창의적 아이디어·발명의 ‘특허화 → 고부가가치화 → 수익화’의 선순환 지식재 지원규모 연간 495억 원 ′13년 총 2,635억 원 ′09년 총 688억 원 ′09년 총 430억 원

산생태계 조성을 통해 지식재산 경쟁력을 제고 지자체가 주도하여 지역연고·주력산업,


소규모 산학엽협의체
○ 지방과학연구단지 R&D 지원 등으로 창출된 기초·원천연구 성과(논문, 특허)를
R&D 사업 기획 및 뿌리산업의 단기 제 구축센터의 장비활
특징 (미니클러스터)를 중
지역특화 기초·원천 품화를 위한 기술개 용에 초점이 맞춰짐
심으로 추진
분야 장기 투자 발에 초점
사업화로 연결하기 위한 가교형 R&D 등 후속연구개발 지원 필요

- 국가 R&D 결과물의 사업화로의 연계 미흡으로 기술경쟁력이 하락하고 있어, □ 지방과학연구단지(SP)는 기초·원천 R&D의 후속연구, 기술탐색 및 중개,
해결책으로 기초·원천결과를 사업화로 연결하는 가교형 R&D 필요
창업기획에 주력함으로써 TP와 차별화 및 역할 분담
○ 일본 등 선진국은 기초원천연구의 후속연구 및 사업화 지원 강화
<표 5> 기능별 중점 영역과 이를 통한 차별화 및 기능 연계
나. 기존 사업과의 차별성 기능 SP TP 기타
기업수요 파악 연지단
□ 기존 유사 지역사업과의 차별성 지역R&D 기획 연지단
기획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은 지역 중소기업이 미래먹거리로 필요로 하는


지역산업정책 기획
기초연구 대학 및 출연(연)
연구개발 응용연구
기초·원천기술개발을 위한 가교형 R&D 지원
개발연구

- 다른 지역사업들은 대부분 단기 제품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초점 기술탐색 및 중개 특구


기술사업화
기술이전 특구, TLO 등
창업기획
창업지원
창업보육 대학 창업보육센터
기술지원
기업지원
마케팅지원
인력양성/교육 지역혁신인력양성
시험분석/장비활용 지역혁신센터
산학연 네트워크
주) 진한색이 중점기능이며, 연한색이 보조기능

- xiii - - xiv -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은 TP 등과의 역할분담(차별화) 및 효율적 연계에 [그림 4] 지방과학연구단지 가교형 R&D의 포지셔닝

초점

- TP가 사업을 백화점식으로 다양하게 추진하므로 TP와의 완벽한 차별화보다는


TP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지 못한 영역을 SP가 담당

□ 미래창조과학부 집단연구사업과의 비교

○ 미래부 사업 중 유일한 지역차원의 연구수요를 반영한 사업


○ 미다른 사업과 달리 상향식 기획방식이 도입된 사업
<표 6> 집단연구사업과의 비교

연구수요 연구주체 기획방식


개시 지원규모
사업명 지원기간 연구 국가 지역
년도 (억 원) 산 학 연 하향 상향
그룹 차원 차원
3억원~ 5년
기초연구실육성사업 2008 ○ ○ ○
5억원 (3+2년)
선도연구 이학(SRC)
센터당 7년
센터육성 2010 ○ ○ ○
공학(ERC) 13∼15억 (4+3년)
사업
단지당
지방과학연구단지 2016 10년 ○ ○* ◎* ○
48.5억

* 지방과학연구단지 연구주체는 단계별로 스윗칭(학 또는 연 → 산)


□ 지방과학연구단지 가교형 R&D 프로그램의 포지셔닝

○ 가교형 R&D는 기술개발 단계상으로는 응용단계에 치중한 사업으로 구 교과부


R&D 사업과 차이가 남

○ 가교형 R&D는 지자체 및 지역기업의 재원 비중이 높은 지자체 주도의 지역수


요기반 R&D 사업으로 유일함

- xv - - xvi -
Ⅴ. 비전 및 추진전략 2. 사업 목표

산학연 연계를 통한 지역 과학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1. 비전
“2025년 기준 국내외 특허 917건, 특허이전 건 수 3,300건”
“2025년 기준 특허이전율 5%, 특허이전 건당 기술료 평균 25백만원달성”
“2025년 기준 아이디어 창업 150개, R&D 창출 특허 기반 기술창업 123개”
“2025년 기준 신규 일자리 5,535개”

□ 세부사업별 목표

①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지역 기초·원천 R&D 성과와 지역 대학 및 출연(연) 보유 원천기술 중 지역기업이


활용 가능한 후속 R&D 기술개발

○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초·원천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출연(연)과 기술수요자인 기업이


공동연구법인을 설립을 통한 R&BD 기술개발

<표 7>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목표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지역기업이 •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활용 가능한 기획 · 지역기반 기술개발을 통한
후속 R&D • TRL 3~5 단계 가교형 특허등록: 610건
지역수요기반 기술 개발 R&D 과제 수행
R&D사업 산학연공동
연구법인을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 지역기반 기술개발을 통한
통한 R&BD 및 R&BD 과제 수행 특허등록: 307건
기술개발

②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 지역 기업의 R&BD 필요기술을 적재적소에 공급해주기 위한 기술 중개기능 역량


확보

○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의 기술·노하우·특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 xvii - - xviii -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3. 추진 방향
○ 전주기적 창업지원을 통해 지역 R&D 성과물 활용 기술창업 활성화 달성을 위한
사업화·창업 촉진 프로세스 구축 □ 지자체 중심의 사업 기획․수행

○ 지역특화 연구개발 성과물을 활용한 기술창업 성공률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 ○ 지역과학기술진흥로드맵 수립 등 지자체의 R&D 기획 체계를 마련하고, 중앙정부는
지자체의 R&D 기획, 연구과제 기획․발굴을 지원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 지자체의 기획에 따라 중앙정부가 대응 자금을 지원하고, 지자체가 사업을 수행하도록
○ 산학연 협력체제 구축 및 협력 활성화를 통한 지역 연구개발 역량제고를 위한 하여 지자체의 자율성과 책임성 제고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 지역기업 수요에 기반한 사업추진
<표 8>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목표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 지역기업의 R&D 수요 조사, 필요 기술 탐색․중개 등 기업의 수요에 기반한 지역
기술중개기능 • 기업의 필요기술 중개를 통 밀착형 사업추진
· 기술이전건수: 3,300개
역량확보 한 R&BD 역량 강화

• 기술저장소 구축을 통한 지
기술저장소 · 기술이전 수입: 78,500
역 지식재산의 고부가가치
구축 및 운영 백만원

• 멘토링 시스템 구축으로


사업화·창업
기술창업 활성화
촉진 프로세스 · 아이디어창업 150개
• 창업기획 및 창업경진대회
구축
지역연구개발 를 통한 창업촉진
성과활용 기술창업 · 창업아카데미 개최:
기반구축 • 창업아카데미를 통한 시장
성공률 제고 1단계 10회 이상, 2단계
성공가능성 제고
프로그램 지원 20회 이상

• S&T 정책교류회 운영을


· 정책교류회 개최 300회
통한 지역 R&D 정책 정
지역 연구개발 이상
합성 제고
역량제고를
위한 네트워크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 네트워크 개최 200회 이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통한 지역기업 상
R&D 역량 확대 · 기준 1년 생존율: 80%
□ ‘기술탐색‧중개 - R&D - 창업’의 일체형 사업

○ 지역기업의 필요 기술에 대해 지역대학이 보유한 기술을 우선적으로 탐색하고, 필요시


타 지역의 출연(연), 대학 등으로 탐색범위 확장

○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초․응용 연구역량 보완을 위해 기초․원천 연구결과를 활용하는


가교형 R&D(TRL 3~5단계), 지역수요기반 R&D(산학연공동연구법인 등) 수행

○ 가교형 R&D 및 지역수요기반 R&D 결과물을 활용한 창업 기획


- xix - - xx -
□ 경경쟁에 입각한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추진 ○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기획) 지역 내 기업의 수요조사를 통해 지역 특화 분야 기
○ 가교형 R&D 과제, 산학연공동연구법인 등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은 지역에서 초광역선도 가교형 R&D 과제 발굴·기획,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용 원천기술 발굴

필요한 R&D를 기획,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정하도록하여 지역의 특색을 반영


□ 가교형 R&D
하고 책임성과 자율성 제고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은 지역의 의견(우선순위)을 최대한 반영하되 철저한 ○ (가교형 R&D 과제) 지역 특화기술 분야 중 TRL 3~5단계 수준의 R&D 과제 기획·수행
수월성 측면의 평가를 통해 과제 최종선정 - (과제 규모) 경쟁방식에 의해 선정된 과제당 매년 2~3억원 이내에서 5년간 지원

- 지역별 ‘나눠먹기식’ 과제배분을 지양하여 평가결과에 따라 가교형 R&D는 [그림 5] 가교형 R&D
지역별로 매년 0~4개 과제, 산학연공동연구법인 0~2개 과제 선정

□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추진

○ 각 지역별로 지역수요를 반영하고 SWOT 분석을 통해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및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사업을 종합적으로 구성
하여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을 기획하도록 유도
- 지역에 필요한 사업의 사업비중을 확대할 수 있도록, 각각 내역사업의 사업
규모에 자율성을 부여

○ 사업계획서 평가를 통해 사업비를 차등 지원(20% 내외)하고 지역별 사업비


조정을 통해 전체사업의 성과목표 달성을 도모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 바람직한 사업추진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방과학기술진흥센터가 독립법인인
경우 가점(10% 내외)을 부여하여 독립 법인화 유도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산학연공동연구법인을 통한 지역수요기반 R&BD 수행
○ 1단계 종료 후 각 지역별로 연구개발성과 활용기반 구축사업의 세부사업내용의 -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수요를 토대로 기초·원천연구 및 시제품 제작 등을 위한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
조정을 통해 지역에 특화된 성과창출에 주력
- 과제 평가에 의해 지역별(단지별) 차별화
- 1단계(5년) 종료 평가결과에 따라 각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포기할 사업
내용은 과감히 정리하고 2단계 사업기간 동안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사업내용으로 집중하도록 유도
②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4. 세부사업전략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① 지역수요기반 R&D사업
○ (기술중개 기능 활성화) 지역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수요조사를 통해 파악
하고, 관련 기술을 국내·외 공급자로부터 확보하여 상용화 기간 단축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을 위한 과제 기획
○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의 특허 등을 기술저장소
- xxi - - xxii -
(Technology Reserve)에 저장한 후 창업기업, 벤처기업 등에게 대여 및 기술이전해 [그림 6] 지방과학연구단지 사업 간 연계

주는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

○ (지역수요기반 R&D 성과의 사업화 추진) 지역수요기반 R&D 결과물인 기술의 특성에
따라 창업 등 다양한 사업화방식 적용

○ (창업 네트워크 구축·활용) 연구성과를 활용한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창업기획


(Accelerating) 역할 수행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대학 및 연구기관으로부터 나온 기술(특허)의 비즈니스화


즉, 창업을 위한 지역 기업 내 창업경진대회 추진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사업) 지방과학연구단지 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 및 □ 타 사업과의 연계 방안

멘토링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 LINC 사업 내 기업가정신센터, 창조경제혁신센터 ○ 기초·원천 R&D(IBS) → 가교형 R&D(SP) → 광역선도·신지역특화 R&D(TP)
와의 연계 추진 ○ LINC 사업 내 기업가정신센터,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공동으로 창업아카데미
운영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 지역과학기술진흥로드맵 수립, 지역 R&D 기획 시 지역 연구개발지원단과 협력하여
기획 완성도를 높임
○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지역별로 위치한 주요 과학기술정책 및 지원기관
간 on·off line 교류협력 장 마련을 통해 지역별로 통합적인 과학·산업기술 생태계 조성 [그림 7] 지방과학연구단지 사업과 타 사업과의 연계 방안

○ (중소기업 네트워크 형성) 산학연 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5. 사업간 연계 및 타 사업과 연계 방안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간 연계

○ 가교형 R&D와 같은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을 통해 특허가 창출되며, R&D 성과


확산사업인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및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을 통해 창업 및 성장으로
이어짐

- xxiii - - xxiv -
Ⅵ. 세부 추진계획 지역
<표 9> 가교형 R&D 도출과제(1차년도 수행 예정) 분야

사업명
강원지역 천연물 활용 웰니스 눈 건강 식·의약품 소재화 기술 개발
강원
Power Device용 고열전도도 질화규소 기판 소재 개발
1.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식물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및 터페노이드 생산 연구
경남
해양플랜트 집전장치용 탄소나노튜브/그래핀 적용 이온성 전기능동소자 연구개발
□ 사업 필요성 Direct Diode Laser 시스템을 활용한 고밀도 텅스텐 코팅 기술 개발
경북
유연투명전도성필름을 위한 전극 소재 및 필름에 대한 연구
○ 후속 연구개발 단계로 이어지지 않는 기초·원천연구 성과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기 5.8GHz 대역 저전력 회로 설계 및 응용 시스템 개발
광주
위해 적절한 연구단계의 후속 연구 발굴 및 지원이 필요 전기자동차의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 개발

○ 국가 R&D 성과물의 사업화로의 연계 미흡으로 기술경쟁력이 하락하고 있어 대구


양자점 기반의 용액공정형 디스플레이 백플레인 핵심기술 개발
신경­근­골격 모델 연동형 능동보행이 가능한 이동형 경량하지 보행기기
기초·원천연구개발 결과를 사업화로 연결해주는 가교형 R&D 필요 비금속계 일체성형 가능한 친환경 도어씰 개발

○ 기술개발 및 사업화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기업의 경우 기초·응용 R&D 및


부산
미래형 고령친화 복지자동차 핵심기술 개발
저전압 전류밀도 인가를 통한 경량소재의 고급성형기술 개발
R&BD에 있어서 지역대학과의 긴밀한 협력 필요 울산
그린카 및 LED 조명용 고열전도성 방열 마그네슘 소재 개발
기능성 분말 복합화에 따른 하이브리드 소재 개발
□ 최종목표 전남 상압고주파플라즈마CVD 고속성장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이종접합 에피탁샬 박막형 태

○ 지역 수요조사를 통해 지역특화 분야 가교형(TRL 3~5 단계 수준) R&D 과제 발굴· 양전지의 핵심 원천기술 개발


연비 8% 향상을 위한 상용차용 ORC(Organic Rankine Cycle) 기술 개발
전북
기획과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용 원천기술 발굴을 통한 지역 기업지원 R&D 수행 상용차용 ESC 시스템 국산화 개발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CIGS 태양광 기술
충북
□ 사업진행 절차 인체세포재생 유전자 발굴을 통한 천연물 후보물질의 항노화, 탈모작용점 연구

○ R&D 과제의 수행주체인 주관기관(대학 또는 출연(연))이 전담기관과의 사업


협약을 통해 사업 진행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대학 또는 출연(연)과 기업이 상용화를 위한 응용연구개발을
○ 각 과학기술진흥센터에서 지역 기업 수요에 기반한 기초·원천기술을 발굴하고 공동으로 진행하기 위한 산학연공동연구법인 기획 및 설립

이를 통해 가교형 R&D, 산학연공동연구법인 후보과제를 도출


<표 10>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사업 후보과제(1차년도 수행 예정) 분야
○ 도출 후보과제의 지원 우선순위를 과학기술진흥센터가 정하고, 미래부와 전담 지역 사업명
강원 고순도 고기능성 희소금속 소재기술
기관의 신규사업 공고에 따라 선정 과제 수의 2~3배수 후보과제를 지원
경남 콤바인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 개발
○ 전담기관의 주도 하에 사업계획서 평가를 통해 신규과제를 선정 경북 3D 이미지 센서 개발
광주 사물인지 영상관제 광융합 3D 광학엔진 스마트 광원격 노드기술 개발
대구 분자진단기술 사업화
□ 사업내용
부산 해상풍력발전 실증화 기술

○ (가교형 R&D) 전국 10개 과학연구단지별 지역맞춤형 R&D 후보과제 중 가교형 울산


전남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 및 인버터 모듈화 연구
실시간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산업현장 재해경보 시스템 개발
R&D 과제 세부기획 및 TRL 3~5단계 기술개발 충북 인체세포재생조절 천연물 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바이오 제품 사업화

- xxv - - xxvi -
□ 성과목표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지역 대학 및 출연(연)의 기초·원천 R&D 성과물의
사업화 제고를 위해 지역 특화된 특허활용 창업 및 지역벤처 활성화 추진
<표 11>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사업내용 성과목표 성과지표 검증방법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산학연 협력체제 구축 및 협력 활성화를 통한
지역연구개발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연구개발 및 국가 R&D 조사 분석
가교형 R&D 특허출원·등록 610건
기술사업화 역량강화 평가방식을 적용한 조사
산학연 연구개발 및 국가 R&D 조사 분석
□ 사업내용
특허출원·등록 307건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공동연구법인 기술사업화 역량강화 평가방식을 적용한 조사
지역수요기반
신성장동력 창출 기술기반 창업 123개 목표 대비 실적
R&D 공통
- 국내·외 기술탐색 및 수요기업에 대한 매칭기술 기술이전 지원

-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우수 특허 발굴을 통한 기술저장소


□ 기대효과 DB 구축 및 특허 고부가가치화 지원

○ 지역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초·원천 기술을 니즈에 맞게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기술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경쟁력 강화 및 신제품 개발로 인한 매출 증대와 그로인한 일자리 창출 - 창업지원을 위해 벤처투자가, 엔젤투자가, 기업체 CEO, 법률 및 회계 전문가

○ R&D 성과물인 특허를 기반으로 창업기업 42개, 일자리 255개 등 경제사회적 성과 등으로 멘토단 구성 및 멘토 D/B 구축

창출 - 창업기획사 주관으로 지역 대학 및 출연(연)의 기초·원천 연구개발 성과물을


창업으로 유도하기 위한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

- 지역 내 창업 희망자에 대한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제공


2.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 사업 필요성
- 지역과학기술 기획을 위한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 위원회 운영
○ 지식재산에 기반한 기업의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기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 및 - 지역 특화분야 중 동일 산업분야 내 대학 및 연구기관, 기업 및 투자기관으로
사용 가능한 형태로 지식재산을 리모델링하는 지식재산 고부가가치화 전략이 필요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 국내 대학 및 출연(연)의 특허 보유건수 대비 활용건수는 기업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이를 높이기 위해 특허를 활용한 창업기획이 필요

○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상대적으로 뒤쳐지는 지역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위한 산학연


협력체제 구축 필요

□ 최종목표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지역 기업이 연구개발 결과물을 활용한 사업화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식재산 기반 기술지원 체계구축

- xxvii - - xxviii -
<표 12>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내용 <표 14>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사업내용 성과목표 성과지표 검증방법


사업년도
세부 1단계: 50회 이상
사업내용 최종목표 멘토링 회수
사업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단계: 100회 이상
온오프라인
멘토링 확대 목표 대비 실적
멘토링시스템 멘토링 시스템 참여
기술중개 만족도 평가
기술중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만족도: 우수
지식재산 1,000 건
활용도 아이디어 창업 150건
제고 저장특허 1단계: 1회 이상
기술저장소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창업기획 및 창업경진대회 개최
10,000개 아이디어 창업 증대 2단계: 2회 이상 목표 대비 실적
창업경진대회
On·Off Line 창업경진대회 참여
구축 구축 구축 구축 구축 구축 구축 구축 구축 구축 전국 10개 만족도 평가
멘토링 만족도: 우수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시스템 구축
시스템
창업아카데미 1단계: 1회 이상
창업경진대회 창업아카데미 창업교육 확대 개최 2단계: 2회 이상 목표 대비 실적
특허기반 창업기획 및 10회 10회 10회 10회 1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150회 이상 강의평가 강의평가: 우수
창업기획 창업경진대회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개최
지원

창업아카데미
10회 10회 10회 10회 1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표 15>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의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창업아카데미 150회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개최
사업내용 성과목표 성과지표 검증방법
지역과학기술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40회 40회 40회 40회 40회 교류회 300회 교류회 개최 300회
온오프라인 S&T 정책교류회를
기획·교류회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개최
S&T 통한 산학연 협력의 정책교류회 성과물의 목표 대비 실적
S&T 정책교류회 제고 정책기여도
10회 10회 10회 10회 1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포럼 150회 정책기여도: 우수
정책·성과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개최
지역연구 포럼 네트워크 운영 200회
개발네트 중소기업
네트워크 중소기업
워크 중소기업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네트워크 생존율 80% 이상 목표 대비 실적
10개 구축, 네트워크
활성화 네트워크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활성화
200회 운영 만족도 만족도: 우수

융합핵심기술 융합핵심기술
개발과제 0 30 30 30 30 30 30 30 30 30 개발과제
도출 270건 도출 □ 기대효과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 성과목표
- 지역기반형 기술이전·사업화 체계 구축으로 지역산업 육성을 위한 근간 마련

<표 13>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의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 지역 중소벤처기업이 필요로 하는 원천기술 확보 지원으로 지역기업의 기술

사업내용 성과목표 성과지표 검증방법


경쟁력 강화 및 그에 따른 매출 증대

기술 지식재산의 양적·질적 기술이전 3,300건 - 지식재산의 고부가가치화 및 활용도 제고를 통해 2025년 기준 특허이전율
목표 대비 실적
중개 활용도 제고 건수 (특허이전율 5%) 5%, 이전기술 건당 평균 25백만원의 기술이전수입 창출

기술 지식재산의 양적·질적 기술이전 78,500백만 원


목표 대비 실적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저장소 활용도 제고 수입 (평균기술료 25백만 원)
- 직접사업화 방식인 창업을 통해 기술 전유성이 뛰어난 기초·원천 R&D 성과의
사업화 효과성 제고
- xxix - - xxx -
- 창업기획, 멘토링시스템 등을 통해 아이디어 창업 150건 달성 등 경제사회적 □ 평가 운영원칙
성과 창출
○ 평가결과가 사업비 운영효율성과 성과창출 극대화를 위해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 지역의 기업가정신 고취를 통한 청년 창업 증대로 청년실업문제 해결 및 지역 연차 및 단계평가를 운영
벤처 활성화
○ 평가는 공개경쟁을 원칙으로 함으로써 평가의 공정성 및 결과 활용도를 높이는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방향으로 추진

- 정책 입안 및 기획 수립단계에서 교류·협력 활성화 도모를 통해 지방 과학기 ○ 사업계획서 상 연구목표 대비 달성도를 주요평가지표로 설정하여 평가를 진행
술생태계의 자생적 발전 도모
○ 1단계 최종평가에는 독립법인화 추진 여부를 추가적으로 포함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산·학·연 협력연구의 지속적 증대
□ 사업성과 관리체계
-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한 생존율 제고
○ 전국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사업을 효율적으로 관리
3. 사업관리계획 하기 위한 조직으로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을 운영

□ 진도관리 □ 사업성과 확산방안

○ 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정기적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관리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 운영을 통해 전국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시스템 운영 도출되는 연구성과물을 종합적으로 수집, 관리, 분석함으로써 사업성과의 확산

○ 사업 진도관리 : 매년 평가와 단계평가 실시 기틀 마련

- (연차평가) 중간평가, 자체평가, 최종평가를 실시

- (단계평가) 중간평가(3차년 후), 1단계 평가, 2단계 평가 실시

□ 평가계획

○ 사업 평가 : 연차별 현장실사, 서면검토, 대면발표평가 실시


○ 사업 평가의 추진 방향
- 연차평가를 기본으로 함

- 3차년 후 중간평가를 통해 1단계 사업목표 달성 가능성 여부를 평가

- 1단계 평가를 통해 사업범위 조정 등을 통한 성과목표 달성도 제고

- xxxi - - xxxii -
Ⅶ. 추진체계 및 사업비 관리하기 위한 조직으로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을 운영
- 지역사업 특성에 맞게 사업수행현장 밀착형 관리를 통해 관리효율성 향상을 도모

- 사업수행 주체와의 원활한 피드백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사업성과 극대화 달성


□ 사업 수행체계

○ 본 사업의 수행체계 및 수행절차는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름 □ 전체 사업비

○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 3자가 예산 분담


- 총 사업비 4,950억 원 중 중앙정부 70.4%, 지자체 14.4%, 민간 15.2%

<표 16> 세부사업별·연차별 사업비


(단위: 억원)

세부사업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계

R&D과제기획 10 10 10 10 10 0 0 0 0 0 50

가교형 R&D 0 80 160 240 320 400 320 240 160 80 2,000
지역수요기반
R&D 산학연 공동 0 50 75 125 150 200 150 125 75 50 1,000
연구법인

소계 10 140 245 375 480 600 470 365 235 130 3,050

기술중개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지식재산
활용도 기술저장소 50 10 20 30 40 50 50 50 50 50 400
구축
제고
소계 80 40 50 60 70 80 80 80 80 80 700

멘토링
시스템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지역
연구
개발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0
성화 창업기획
활용 지원 창업아카데미 5 5 5 5 5 5 5 5 5 5 50
기반
구축
소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S&T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정책교류회
지역
연구개발 중소기업
네트워크 네트워크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활성화
소계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0

성과관리/평가 3 3 3 3 3 3 3 3 3 3 30
○ 미래창조과학부는 본 사업의 기획, 관리, 평가를 총괄 관리함 성과확산교류 통합성과관리 7 7 7 7 7 7 7 7 7 7 70

○ 전담기관인 한국연구재단(NRF)의 사업관리 아래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활성화 사업 및 확산과제

소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사업단」을 구성하여 추진함
합 계 210 300 415 555 670 800 670 565 435 330 4,950
○ 전국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사업을 효율적으로
- xxxiii - - xxxiv -
[그림 8] 지방과학연구단지사업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Ⅷ. 기대효과 및 타당성

1. 정량적 기대효과
○ 기초연구성과의 활용도 제고 및 지역과학기술역량 강화
- 2025년 기준 국내외 우수 특허 917건, 특허이전건수 3,300건

- 2025년 기준 특허이전율 5%, 특허이전 건당 기술료 평균 25백만 원 달성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및 창업기획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 2025년 기준 신규 일자리 5,535개 창출

- 2025년 기준 아이디어 창업 150개, R&D 창출 특허 기반 기술창업 123개 달성 □ 지역수요기반 R&D 결과물을 활용한 창업으로 인한 비용편익분석 결과 충분히
경제성이 있음
1. 경제적 타당성 분석
○ 일반적인 경제성 분석 기준인 R&D 투자 비용만을 고려하였을 경우 모든 경우 B/C가
① 지역수요기반 R&D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1 이상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을 통해 R&D 성과물인 특허를 기반으로 창업기업


<표 17>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경제적 편익 분석 결과
299개, 일자리 7,000여개 등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
B/C

○ 특허의 가치는 사업화 성공에 따른 매출에 기인하므로 특허에 기반하여 창출되는 구분


비용(R&D 투자 3,050억)

창업기업의 매출 및 고용을 최종 경제적 가치로 산정 시나리오 1 1.88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을 통해 특허가 창출되며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및 특허 시나리오 2 1.32

활용 창업기획 사업을 통해 창업 및 성장으로 이어짐 시나리오 3 1.24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경제적 편익은 특허 기반 창업기업의 매출 발생과


그로 인한 편익으로 추정 ○ 민감도 분석 결과 모든 경우 B/C는 1 이상으로 경제성이 있음
○ 사업화성공율 목표 및 창업기업 생존율에 따라 세 가지 시나리오 설정 ②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 시나리오 1 : 사업화성공율 60% 달성, 창업기업 생존율은 매년 6%씩 감소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의 비용편익
- 시나리오 2 : 사업화성공율 42.1% 유지, 창업기업 생존율은 매년 6%씩 감소

- 시나리오 3 : 사업화성공률 60% 달성, 창업기업 생존율은 광공업 평균 생존율에


○ 특허이전수입 및 이전된 기술의 매출발생으로 인한 편익을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의 편익으로 계상하며, 10년간 소요예산 700억원을 비용으로 계상
따름
○ 지식재산활용도제고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결과, B/C는 2.3~2.6 수준임
- xxxv - - xxxvi -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비용편익 발생하므로 이를 감안한다면 2040년 기준 약 7천개의 신규 일자리가 추가 창출됨

○ 특허활용창업기획사업의 경제적 편익은 창업경진대회 추진을 통해 새롭게 탄생된 - 아이디어창업을 통한 신규 일자리 428개 추가 창출

아이디어 창업기업의 매출 발생으로 추정 - 기술창업을 통한 신규 일자리 6,374개 추가 창출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결과, B/C는 1.2~1.5 수준으로 경제


성은 충분함

③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전체의 경제적 파급효과

□ 편익분석 결과,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은 충분히 경제성이 있음

○ 세부사업의 B/C는 1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세부사업의 경제성은 충분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전체의 B/C는 모든 경우 1을 상회함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전체의 편익은 각 세부사업 편익의 합으로 계산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전체 비용은 전체 소요예산 4,950억원

<표 18>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전체의 경제적 편익 분석 결과

B/C
지역수요기반R&D-지식재산활용도제고-특허활용창업기
획 연계로 인한 편익 산정에 따른 구분
할인율 5.5% 할인율 3.5%

시나리오 1 적용시 1.64 2.10

시나리오 2 적용시 1.29 1.63

시나리오 3 적용시 1.24 1.55

□ 일자리 창출 효과를 고려하면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경제성은 충분함

○ 본 사업이 끝나는 2025년 기준, 약 5천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됨


- 박사 후 과정 연구인력 신규 일자리 255개

- 기술이전을 통한 매출증대로 인한 신규 일자리 4,070개

- 아이디어창업을 통한 신규 일자리 367개

- 기술창업을 통한 신규 일자리 843개

○ 아이디어 창업이나 기술창업의 경우, 기업이 성장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신규 고용이


- xxxvii - - xxxviii -
목 차 목 차
I. 사업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나. 지역혁신센터(RIC) 조성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다. 산업단지 캠퍼스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
··
··
··
··
··
··
··
··
··
··
··
··
··
··
··
··74
1. 사업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라.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LIN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가. 사업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마. 신특화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나. 사업의 범위와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바. 거점기관운영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다. 사업규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사.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라.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5.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개요 및 성과 ·
··
··
··
··
··
··
··
··
··
··
··
··
··
··
··
·84
2. 추진경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가.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가. 사업기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나. 지방과학여구단지 육성사업의 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86
나. 수요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다.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한계와 문제점 ·
··
··
··
··
··
··
··
··
··
··
··
··
··
··
··
··
··90
다. 지역별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우선순위 선정 ·
··
··
··
··
·
··
··
··
··
·
··
··
··
··
·13
라. 이전 예타사업과의 차별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Ⅲ. 지역별 특화분야 및 R&D 과제 조사 ·
··
··
··
··
··
··
··
··
··
·93
Ⅱ. 국내·외 환경분석 ·
··
··
··
··
··
··
··
··
··
··
··
··
··
··
··
··
··
··
··
··
··
··19 1. 지역별 특화분야 도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1. 해외 지역정책 및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가. 지역별 특화분야 선정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가. 해외 지역정책 및 환경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나. 지역별 유망 신성장동력분야 도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96
나. 해외 주요국 지역정책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다. 지역별 추가 R&D 필요 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5
다. 해외 선진 과학연구단지 사례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26 라. 지역별 특화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6
2. 해외 사업화 및 창업 정책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42 마. 지역별 특화분야 선정결과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137
가. 환경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나. 후속연구·사업화 및 특허기반 기술창업 정책 사례 ·
··
··
··
··
··
··
··
··
··45
Ⅳ. 사업추진의 필요성 및 추진근거 ·
··
··
··
··
··
··
··
··
··139
3. 국내 지방과학기술 현황 및 문제점 ·
··
··
··
··
··
··
··
··
··
··
··
··
··
··
··
··
··
··
··
··
··
·48
1. 사업추진의 시급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9
가. 국내 정책 및 환경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2. 법적 추진 근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3
나. 부문별 지역과학기술 혁신역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3. 국고지원의 적합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6
다. 지역과학기술 현황 및 문제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라. 지역과학기술 문제점 해결을 위한 지방과학연구단지 역할 ·
··
··
··67 4. 지역적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9

4. 지방과학연구단지와 유사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5. 기술적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2
6. 기존 사업과의 차별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4
가.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사업(구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사업) ·
··
··
··69

- xxxix - - xl -
목 차 목 차
가. 기존 지역사업과의 차별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4 가. 배경 및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9
나. 테크노파크(TP)와의 차별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6 나. 추진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1
다. 타 연구사업과의 차별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9 다.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2

라.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차별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1 라. 세부사업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5
마. 사업비 및 인력운영 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7
바.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9
Ⅴ. 비전 및 추진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162
사.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1. 사업의 비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2
2.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
··
··
··
··
··
··
··
··
··
··
··
··
··
··
··
··
··
·201
2. 사업의 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가. 배경 및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
가. 사업목표 및 단계별 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나. 추진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5
나. 세부사업별 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7
다.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6
다. 연차별 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9
라. 세부사업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9
3. 추진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0 마. 사업비 및 인력운영 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0
가. 지역 중심의 기획과 수행으로 전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0 바.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2
나. ‘기술탐색 및 중개-가교형 연구-연구성과’로 이어지는 일체형 사업 추진· 170
사.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6
다. 지역기업 수요에 기반한 지역밀착형 사업 추진 ·
··
··
··
·
··
··
··
··
··
··
·
··
··171
3. 사업관리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7
라. 경쟁에 입각한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추진 ·
··
··
··
··
··
··
··
··
··
··
··
··
··
··
··171
가. 사업 진도관리 및 평가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7
마. 지역 특장점을 반영한 지방과학연구단지 역량강화 ·
·
··
··
··
··
··
··
··
··
··
·172
나. 사업성과 관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3
4. 사업연계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3
다. 사업성과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4
가. 세부사업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3
나. 연차별 사업 로드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2
Ⅶ. 추진체계 및 사업비 ·
··
··
··
··
··
··
··
··
··
··
··
··
··
··
··
··
··
··
··
··237
다.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간의 연계 ·
·
··
··
··
·
··
··
··
·
··
··
··
··
·
··
··
··
·
··
·183
라. 타 사업과의 연계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5 1.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7
5. 중장기 발전 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7 가. 사업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7
나.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9

Ⅵ. 세부 추진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9 2. 사업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2

1.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9 가. 세부사업별·연차별 사업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2

- xli - - xlii -
표목차
목 차
<표 Ⅰ-1>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 4
<표 Ⅰ-2>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범위 ·················································· 6
나. 연차별 사업비 세부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6
<표 Ⅰ-3> 소요예산(안) ·································································································· 7
<표 Ⅰ-4> 투자 우선순위 기술기획과제 도출 과정 ·············································· 10
Ⅷ. 기대효과 및 타당성 ·
··
··
··
··
·
··
··
··
··
··
··
··
··
··
·
··
··
··
··
··
··251
<표 Ⅰ-5> 지역수요기반 R&D 과제에 대한 조사대상 및 방법 ··························· 11
1.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1 <표 Ⅰ-6> 지역 기업 선호도 조사 양식 ···································································· 14
가. 정량적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1 <표 Ⅰ-7> 전문가 평가 양식 ························································································ 14
나. 정성적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1 <표 Ⅰ-8>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도출 울산 사례 ············································· 15
2. 경제적 타당성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2 <표 Ⅱ-1> 미국 지역개발사업의 통합적 추진을 위한 시책과 정책수단 ············ 25
가.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
··
··
··
··
··
··
··
··
··
··
··
··
··
··
··252 <표 Ⅱ-2> KAST 프로젝트 연구원 초빙현황 ························································ 29
나.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
··
··257 <표 Ⅱ-3> KAST 수행 주요 최근 연구 ···································································· 30
다.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전체의 경제적 파급효과 ·
··
··
··
··261 <표 Ⅱ-4> 해외 선진 사이언스파크 비교 ·································································· 38
<표 Ⅱ-5> 주요국(미국, 중국, EU, 일본)의 자국시장 보호 정책 ······················· 44
[부록] 지방과학단지별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2단계) 기획서 ·
· 265 <표 Ⅱ-6> 지역별 인적자원 비교 ················································································ 52

강원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
··
··
·
··
··
··
··
·
··
··
··
··
·
··
··
·
··
··
·267 <표 Ⅱ-7> 지역별 연구개발 수행 조직 비교 ···························································· 53
<표 Ⅱ-8> 지역별 연구개발투자 비교 ········································································ 54
광주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
··
··
·
··
··
··
··
·
··
··
··
··
·
··
··
·
··
··
·323
<표 Ⅱ-9> 지역별 기술이전 및 사업화 성과 비교 ·················································· 55
경북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
··
··
·
··
··
··
··
·
··
··
··
··
·
··
··
·
··
··
·375
<표 Ⅱ-10> 지역별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수 ······························ 56
경남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
··
··
·
··
··
··
··
·
··
··
··
··
·
··
··
·
··
··
·447
<표 Ⅱ-11> 지역별 창업주의 이전근무지 비교 ··················································· 57
대구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
··
··
·
··
··
··
··
·
··
··
··
··
·
··
··
·
··
··
·497
<표 Ⅱ-12> 지역별 연구기반 벤처 비중 비교 ························································· 57
부산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
··
··
·
··
··
··
··
·
··
··
··
··
·
··
··
·
··
··
·563 <표 Ⅱ-13> 지역별 해외 협력연구 비중 비교 ························································· 58
울산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
··
··
·
··
··
··
··
·
··
··
··
··
·
··
··
·
··
··
·619 <표 Ⅱ-14> 지역별 재정 자주도 ················································································· 60
전북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
··
··
·
··
··
··
··
·
··
··
··
··
·
··
··
·
··
··
·679 <표 Ⅱ-15> 지역별 기술 수출액 ················································································· 61

전남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
··
··
·
··
··
··
··
·
··
··
··
··
·
··
··
·
··
··
·751 <표 Ⅱ-16> 지역별 연간 과학기술논문 및 국내 특허 등록 수 ··························· 62

충북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
··
··
·
··
··
··
··
·
··
··
··
··
·
··
··
·
··
··
·809 <표 Ⅱ-17> 지역별 논문의 질적수준 비교 ······························································· 63
<표 Ⅱ-18> 기술이전 성과 비교 ················································································· 65
<표 Ⅱ-19> 산업집적지 경쟁력강화사업 추진현황 ················································· 69
<표 Ⅱ-20> 주요 사업내용 및 지원현황 ··································································· 70
<표 Ⅱ-21> 클러스터사업 과제지원 현황(건수, ’08년) ········································ 71

- xliv -
- xliii -
<표 Ⅱ-22> 지역혁신센터 조성사업의 주요사업 ····················································· 73 <표 Ⅲ-22>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경북) ··································· 130
<표 Ⅱ-23> 지역혁신센터 사업 개요 ········································································· 74 <표 Ⅲ-23>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광주) ··································· 131
<표 Ⅱ-24> 新특화사업 지원분야 ··············································································· 79 <표 Ⅲ-24>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전남) ··································· 132
<표 Ⅱ-25> 지역별 신특화산업 분야 ········································································· 80 <표 Ⅲ-25>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전북) ··································· 133
<표 Ⅱ-26> 프로그램 운영계획(안) ··········································································· 82 <표 Ⅲ-26>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충북) ··································· 134
<표 Ⅱ-27>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추진 내용 ················································· 85 <표 Ⅲ-27> 지역별 추가 R&D가 필요한 신성장동력 분야 ································ 135
<표 Ⅱ-28>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추진 현황 ············································· 86 <표 Ⅲ-28> 지역별 특화분야 최종 후보군 ····························································· 136
<표 Ⅱ-29> 지방과학연구단지 입주기관 ··································································· 86 <표 Ⅲ-29> 지역별 특화분야 ····················································································· 137
<표 Ⅱ-30> R&D 과제 지원을 통한 성과 (연구장비 구축 성과 포함) ············· 87 <표 Ⅳ-1> 연도별 투자현황 ······················································································· 146
<표 Ⅱ-31> 센터별 산·학·연 연계 및 협력 성과 ····················································· 88 <표 Ⅳ-2> 주요 지방 R&D 거점 육성사업의 목적 및 주요특징 ······················· 154
<표 Ⅲ-1> 주요 변수표 ·································································································· 97 <표 Ⅳ-3>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과 기존 유사사업 비교 ············· 155
<표 Ⅲ-2> 결과 종합 ······································································································ 99 <표 Ⅳ-4> TP 기능분석 결과 ···················································································· 156
<표 Ⅲ-3> 지역별 유망 벤처 산업군 ······································································· 100 <표 Ⅳ-5> 기능별 중점 영역과 이를 통한 차별화 및 기능 연계 ····················· 158
<표 Ⅲ-4> 석․박사 인력 기준 지역별 유망분야 ····················································· 111 <표 Ⅳ-6> 집단연구사업과의 비교 ··········································································· 159
<표 Ⅲ-5> 지역경제 파급효과 측면에서의 지역별 유망분야 ····························· 113 <표 Ⅳ-7>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차별성 ······························································· 161
<표 Ⅲ-6> 지역별 유망 벤처 산업군과 유망 신성장동력 분야 ························· 114 <표 Ⅴ-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단계별 목표 ································· 163
<표 Ⅲ-7>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강원) ································· 116 <표 Ⅴ-2>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정량적 목표 ····································· 164
<표 Ⅲ-8>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부산) ································· 117 <표 Ⅴ-3>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목표 ······························································· 167
<표 Ⅲ-9>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울산) ································· 118 <표 Ⅴ-4> 지역연구개발성과 활용기반 구축 ························································· 168
<표 Ⅲ-10>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경남) ······························· 119 <표 Ⅴ-5> 연차별 목표 ······························································································· 169
<표 Ⅲ-11>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대구) ······························· 120 <표 Ⅴ-6> 지역별 특화 분야 ····················································································· 174
<표 Ⅲ-12>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경북) ······························· 121 <표 Ⅵ-1> 지역별 벤처기업의 기술력 수준 ··························································· 191
<표 Ⅲ-13>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광주) ······························· 122 <표 Ⅵ-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을 위한 추진주체 현황 ······························· 193
<표 Ⅲ-14>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전남) ······························· 123 <표 Ⅵ-3>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진행절차 ······················································· 194
<표 Ⅲ-15>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전북) ······························· 124 <표 VI-4> 가교형 R&D 도출과제(1차년도 수행 예정) 분야 ···························· 195
<표 Ⅲ-16>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충북) ······························· 125 <표 VI-5>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사업 후보과제(1차년도 수행 예정) 분야 ····· 196
<표 Ⅲ-17>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강원) ··································· 126 <표 VI-6>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연차별 사업내용 ········································ 196
<표 Ⅲ-18>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울산) ··································· 126 <표 VI-7> 지역수요기반 R&D 사업비(사업내용별) ············································ 197
<표 Ⅲ-19>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부산) ··································· 127 <표 Ⅵ-8> 지역수요기반 R&D 사업비(재원별) ····················································· 198
<표 Ⅲ-20>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경남) ··································· 128 <표 Ⅵ-9>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 200
<표 Ⅲ-21>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대구) ··································· 129 <표 Ⅵ-10>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연차별 성과지표 ······································ 200

- xlv - - xlvi -
<표 Ⅵ-11> 지역별 벤처기업의 기술력 수준 ······················································· 201 <표 Ⅷ-3>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경제적 편익 분석 결과 ························· 256
<표 Ⅵ-12> 지역별 벤처기업의 산업재산권 현황 ··············································· 202 <표 Ⅷ-4>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할인율 변화에 따른 편익 분석 결과 · 256
<표 Ⅵ-13> 대학별 벤처기업의 산업재산권 현황 ················································· 202 <표 Ⅷ-5>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투입(사업비) 변화에 따른 편익 분석
<표 Ⅵ-14> 지역연구개발성과 활용기반 구축사업을 위한 추진주체 현황 ····· 208 결과 ············································································································· 257
<표 Ⅵ-15> 지역연구개발성과 활용기반 구축사업 진행절차 ····························· 208 <표 Ⅷ-6>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사업의 경제적 편익 ······································· 258
<표 Ⅵ-16> 기술중개기능 역량 확보(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 209 <표 Ⅷ-7>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사업의 경제적 편익 분석 결과 ····················· 258
<표 Ⅵ-17>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 211 <표 Ⅷ-8>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사업의 투입(사업비) 변화에 따른 편익 분석
<표 Ⅵ-18>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 212 결과 ············································································································· 259
<표 Ⅵ-19> 창업기획 및 창업경진대회(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 214 <표 Ⅷ-9>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경제적 편익 ······························· 260
<표 Ⅵ-20>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 215 <표 Ⅷ-10>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경제적 편익 분석 결과 ············· 261
<표 Ⅵ-21> S&T 정책교류회 운영 (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 216 <표 Ⅷ-11>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투입(사업비) 변화에 따른 편익 분
<표 Ⅵ-22>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 218 석 결과 ····································································································· 261
<표 Ⅵ-23>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연차별 사업내용 ············· 219 <표 Ⅷ-12>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전체의 경제적 편익 분석 결과 · 261
<표 Ⅵ-24>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비(사업내용별) ················· 220
<표 Ⅵ-25>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비(재원별) ························· 221
<표 Ⅵ-26>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의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 223
<표 Ⅵ-27>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연차별 성과지표 ································· 223
<표 Ⅵ-28>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 224
<표 Ⅵ-29>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 연차별 성과지표 ····························· 224
<표 Ⅵ-30>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의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 225
<표 Ⅵ-31>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연차별 성과지표 ················· 225
<표 Ⅵ-32> 사업 연차평가 추진 방향 ····································································· 228
<표 Ⅵ-33>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연구단지별 평가(예시) ··········· 231
<표 Ⅶ-1> 세부사업별·연차별 사업비 ······································································ 242
<표 Ⅶ-2>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재원 조달계획(재원별) ················· 243
<표 Ⅶ-3> 연구단지별·연차별 재원 조달계획 ························································ 244
<표 Ⅶ-4>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연차별 사업비 산출근거 ······················· 246
<표 Ⅶ-5>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연차별 사업비 산출근거 · 247
<표 Ⅶ-6>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사업의 연차별 사업비 산출근거 ··················· 249
<표 Ⅷ-1> 원천연구분야 등록특허 활용현황(2012~2012 누적) ······················ 253
<표 Ⅷ-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경제적 편익 ··········································· 255

- xlvii - - xlviii -
<그림 Ⅲ-6> 경북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4
그림목차
<그림 Ⅲ-7> 대구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5
<그림 Ⅰ-1> 지방과학연구단지 지정현황 ···································································· 3 <그림 Ⅲ-8> 부산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6
<그림 Ⅰ-2> 지역별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우선순위 선정 Process ············ 13 <그림 Ⅲ-9> 울산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7
<그림 Ⅱ-1> 사이언스파크의 역할 변화(미국) ························································ 20 <그림 Ⅲ-10> 전남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8
<그림 Ⅱ-2> 지역경제성과의 영향요인 ······································································ 20 <그림 Ⅲ-11> 전북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9
<그림 Ⅱ-3> 일본 지역정책 관련 중앙 및 지방의 행정체계 ································ 22 <그림 Ⅲ-12> 충북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10

<그림 Ⅱ-4> 영국(잉글랜드) 지역정책의 추진체계 ················································ 23 <그림 Ⅲ-13> 2단계 광역선도사업 산업 및 프로젝트 현황 ······························· 115

<그림 Ⅱ-5> 일본 KSP 운영주체와 역할 ·································································· 28 <그림 Ⅳ-1> 지방과학연구단지 역할 ······································································· 150

<그림 Ⅳ-6> 해외 사이언스파크 유형구분 ································································ 40 <그림 Ⅳ-2> 벤처기업의 지역별 분포 ····································································· 151

<그림 Ⅱ-7> 년도별 시장 가치 구성 변화 ································································ 42 <그림 Ⅳ-3> TP 주요사업의 예산 비중 ·································································· 157

<그림 Ⅱ-8> 전세계 라이센싱 거래 추이 ·································································· 43 <그림 Ⅳ-4> 지방과학연구단지 가교형 R&D의 포지셔닝 ··································· 159
<그림 Ⅳ-5> 지방과학연구단지 가교형 R&D의 포지셔닝 ··································· 160
<그림 Ⅱ-9> 죽음의 계곡 개념도 ················································································ 45
<그림 Ⅴ-1> 가교형 R&D ··························································································· 174
<그림 Ⅱ-10> 연구성과 최적전개 지원사업(A-STEP) 개념도 ·························· 45
<그림 Ⅴ-2>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모델 ······················································· 176
<그림 Ⅱ-11> 일본 이화학연구소의 기초연구성과 실용화 사업 개요 ··············· 46
<그림 Ⅴ-3> 기술중개사업 추진방식 ······································································· 177
<그림 Ⅱ-12> Innovation Ecosystem 5개 지역 ······················································ 47
<그림 Ⅴ-4> 기술저장소사업 추진방식 ··································································· 177
<그림 Ⅱ-13>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의 주요 특징 ················································· 49
<그림 Ⅴ-5> 기술사업화 방식 결정 모형 ······························································· 178
<그림 Ⅱ-14> 지역별 연구원 1인당 해외협력 과학기술논문 수(2010년) ········ 59
<그림 Ⅴ-6> 지역기업 내에서 운영하는 3DS 프로그램 사례 ···························· 179
<그림 Ⅱ-15> 투입지수와 성과지수간의 상관관계 ················································· 64
<그림 Ⅴ-7> 교류․협력을 통한 지방 중심의 과학기술생태계 조성 ··················· 180
<그림 Ⅱ-16> 천억 벤처의 지역별 분포 ··································································· 66
<그림 Ⅴ-8> 연차별 사업 로드맵 ············································································· 182
<그림 Ⅱ-17> 지방과학기술 문제점 해결을 위한 지방과학연구단지 역할 ······· 68
<그림 Ⅴ-9>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간 연계의 논리 ··························· 183
<그림 Ⅱ-18> 지역혁신센터조성사업 추진체계 ······················································· 73
<그림 Ⅴ-10>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간 연계 ······································· 184
<그림 Ⅱ-19> 산학협력지원사업의 통합개편 방향 ················································· 76
<그림 Ⅴ-1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과 타 사업과의 연계 방안 ······· 185
<그림 Ⅱ-20> 산학협력선도대학 사업 개요 ····························································· 77
<그림 Ⅴ-12>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 ················· 188
<그림 Ⅱ-21> 6개월 챌린지 플랫폼 개념 ································································· 83
<그림 Ⅵ-1> 국가 R&D 사업화 건수 추이 ····························································· 190
<그림 Ⅱ-22> (예시) 전남 테크노파크 조직도 ······················································· 90
<그림 Ⅵ-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추진체계 ··················································· 192
<그림 Ⅲ-1> 지역별 수요기반R&D 중점분야 선정 프로세스 ······························· 95
<그림 Ⅵ-3> 특허 활용률 비교 ················································································· 203
<그림 Ⅲ-2> 지역벤처의 탄생 및 생존 분석 모형 ·················································· 96 <그림 Ⅵ-4>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추진체계 ························· 207
<그림 Ⅲ-3> 강원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1 <그림 Ⅵ-5> 평가결과 활용 체계 ············································································· 230
<그림 Ⅲ-4> 광주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2 <그림 Ⅵ-6> 사업성과 연계 활용방안 ····································································· 235
<그림 Ⅲ-5> 경남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3 <그림 Ⅷ-1> 지방과학연구단지사업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 252

- xlix - - l -
Ⅰ. 사업 개요 - 국가 R&D 결과물이 기업에게 활발히 활용될 수 있도록 수요자 지향형 R&D로
전환 추진
- R&D 성과확산을 위한 특허 고부가가치화 추진 및 기술사업화 조직 전문화
1 사업요약 - 실질적인 창업기획을 통해 지역차원의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고, 창업기업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가. 사업의 목적 ○ 산·학·연 연계협력체제 강화를 통해 지역의 혁신역량 제고


- 산·학·연 협력을 통해 지역적으로 흩어져있는 과학기술자원 및 혁신역량의 활용
(국가적 차원) 전국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를 지역연구개발 혁신 극대화 추진
거점으로 육성하여 지역연구개발 역량의 균형적 발전 기틀 마련 - 산·학·연을 바탕으로 한 지역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 R&D 정책 및 사업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지역기업 수요와의 정합성 강화
○ 지방과학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지역연구개발 역량의 국가균형 발전
기틀 마련
○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을 통해 지역과학기술 혁신역량의 근간 확립 나. 사업의 범위와 내용
및 강화
○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자립능력을 키워줌으로써 본 사업 종료 시점에 지방과학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개념

연구단지가 자체적, 주도적 지역연구개발혁신 거점역할 능력을 확보


○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 제1항) 산업계·학계·연구계·산업계가 한 곳에 모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데에 따른 효율을 높이고, 국내외 첨단 벤처기업을
(지역적 차원) 지방과학연구단지를 중심으로 한 산·학·연 연계 협력을 유치하거나 육성하기 위하여 과학연구단지를 지정

통해 지역과학기술 역량강화 및 활성화


□「지방과학연구단지」지정요건

○ 지역의 연구역량을 결집·극대화함으로써 창조경제 기반구축을 위한 지역과학 ○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은 국가과학기술혁신 및 지방의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기술 역량강화 다음 각 호의 기관 중 둘 이상의 기관이 입주한 지역을 중심으로 관계 중앙행
- 장기적 차원의 혁신역량 제고를 위해 지방과학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지역 과학 정기관의 장과의 협의를 거쳐 과학연구단지를 지정(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
기술 혁신생태계 구축 43조 제2항)

- 국가 차원의 기초·원천연구 R&D 결과를 활용하는 응용단계 중심의 가교형 「


1. 특정연구기관 육성법 」 및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
R&D 투자를 통해 내생적 지역발전 동력 확대 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는 연구기관

- 지방과학연구단지를 매개로 지역수요에 기반한 R&D 기획 및 지역산업이 필요로 2.「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산업대학․전문대학 및 기술대학
하는 기술 공급 3. 국공립 연구기관

○ 기초·원천 R&D의 사업화 성과제고와 지역적으로 특화된 R&D 성과물로서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14조에 따른 기업부설
4.
확보한 특허를 활용하여 기술사업화 및 기술창업 촉진 연구소 및 산업기술연구조합

- 1 - - 2 -
<표 Ⅰ-1>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지방과학연구단지」지정현황

○ 현재 총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지정·운영되고 있음


구분 위치 면적(㎡) 중점 연구추진분야
광주 북구 첨단 과기로
광주 11,054 광산업, 첨단부품소재산업, 금형산업
(첨단과학산업단지)
전북 완주군 봉동읍 둔산리, 용암리 부품소재개발, 태양광 모듈개발,
전북 10,258
<그림 Ⅰ-1> 지방과학연구단지 지정현황 (전주과학산업연구단지, 완주산업단지) 정밀화학

충북 충북 청원 옥산면, 오창읍 992 IT, BT, BIT 융합

강릉시 대전동
강릉 8,367 신소재/방재, 바이오
(강릉지방과학산업단지)
부산시 강성구 송정동
부산 12,618 수송기계용 부품소재, 조선기자재
(녹산국가산업단지)
대구시 달서구 호산동
대구 3,329 전자정보통신, 메카트로닉스산업
(성서3차 지방산업단지)
전남 영암군 (대불산업단지,
전남 삼호지방산업단지, 삽진지방산업단지, 11,570 조선/기자재, 신소재
산정농공단지, 화원지방산업단지)
경북 구미시 일원
경북 7,932 디스플레이, 모바일
(구미국가산업단지 1, 2, 3, 4단지)
울산시 북구, 동구, 남구 일원
울산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14,694 자동차 융합기술, 조선 융합기술
매곡지방산업단지)
경남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
경남 8,722 지식기계융합산업
(창원 국가산업단지)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범위

○ (공간범위) 지방과학연구단지로 지정된 구역과 지역 내 대학, 연구기관 및 기업의


네트워크를 지향하는 광역시·도
- 박근혜 정부가 지향하는 “산·학·연과 지역연계를 통한 창조산업 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지방과학연구단지 사업의 공간범위를 광역시·도로 확장
- 지역별 거점대학을 지역 출연(연)과 연계운영을 통해 지역 산업기술 공급처로
육성하는 등 지역별로 특성화된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광역시·도 차원의
접근이 필요
- 지방과학연구단지(시·도)-연구개발특구(광역)-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국가)
연계구축으로 기초과학에서부터 첨단비즈니스를 연결하는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

- 3 - - 4 -
- 지역산업 관련 정책 또한 시·도 자율과 협력, 융합에 기초해 지역산업을 육성 하여 중개하고, 필요 시 타 지역의 출연(연), 대학 등의 보유기술을 찾아내
하는 것으로 전환 수요기업에 중개할 수 있는 기술탐색·중개 기능 강화

※ 지역산업정책의 정책공간은 5+2 광역경제권에서 시·도 자율과 시·도 산업협력으로 - 사업을 통해 확보된 R&D 결과물은 창업 기획을 통해 사업화 성과 도모
재편
○ (대상 시·도) 현재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지정된 10개 시·도를 대상으로 우선적 <표 Ⅰ-2>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범위

항목 연구범위
으로 추진하며, 지역 창조산업 생태계 구성을 위해 향후 나머지 시·도로 확대
- 지방과학연구단지로 지정된 구역
- 지역 R&D의 조사·분석을 바탕으로 지자체 R&D 자체 기획을 추진하고자 하는 지역
공간적 영역 - 지방과학연구단지 지역 내 대학
연구개발지원단의 추가 지정과 연동하여 추진 - 연구기관 및 기업의 네트워크가 작동하는 광역시·도
※ 지역 연구개발지원단은 현재 부산, 충북, 대구, 전북, 경기, 광주, 인천, 강원, 경북, - 현재 지방과학연구단지로 지정된 10개 시·도를 대상으로 우선 추진
전남, 경남, 제주, 대전, 울산, 충남 등 15개 지역 운영 대상 시·도
- 향후 그 외 지역으로 확대

- 미 지정 지구단체의 신청 → 지방과학연구단지 지정 → S/W 중심의 지방과학 기간 - 10년 간 2단계로 추진(’16~‘25)


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지원의 절차로 진행
- 가교형 R&D 추진
- 본 사업기간 범위인 10년 이내 추가 지정하는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지원을 위해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중점 추진과제
예산 확대 추진 - 지역 기업의 필요기술 탐색 및 중개기능 강화

※ 추가 지정 지자체 수에 비례하여 예산확대(단지 당 년 49억 원 수준) - 아이디어 및 기술 중심 창업지원

○ (시간범위) 10년(‘16~’25) 동안 2단계로 추진


○ (과제범위)「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중점과제는 지역기업의 수요에 다. 사업규모

기반하여 기업의 필요기술을 개발하는 “지역수요기반 R&D 사업”과 기존 특허나 □ 10년 간 예산소요(안)
R&D 사업의 성과물로 도출된 특허를 활용한 지역기업의 사업화 및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으로
○ 10년 간 총 4,950억 원 소요
나누어 진행 - 사업비 4,950억 원 중 국비 3,485억 원, 지방비 715억 원, 민간 750억 원

- 사업전체의 유기적 흐름은 ‘기술탐색·중개-R&D 수행-창업지원’의 세 가지 - 연구단지 당 연간 평균 약 50억 원 수준


관점에서 구성하여 세부사업 간 연계성을 강화하는 사업을 수행
○ 연구단지 당 차별화 도모
- 지역기업 수요에 기반한 사업 추진 및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사업기획·수행
- 지역수요기반 R&D를 중심으로 연구단지 당 차별화 추진
강조 (지역 기반 상향식 과제기획 및 수행)
- 평균적으로는 연구단지 당 연간 50억 원 수준이나, R&D사업에 대하여는 전체
- 기존의 기초·원천 연구결과를 활용하는 가교형 R&D(TRL 3~5단계) 수행을
R&D과제 대상으로 경쟁을 통해 선정
통해 취약한 지역의 기초·응용 연구역량을 보완하고 지역기업이 활용 가능한
R&D 기술개발
※ 연간 최고 54억 원, 최소 44억 원으로 최대 10억 원 차이 발생
-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원천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출연(연)과 그 기술수요자인
기업이 공동연구법인 설립을 통한 R&BD 기술개발
- 지역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에 대해 지역이 보유한 기술을 우선적으로 탐색

- 5 - - 6 -
<표 Ⅰ-3> 소요예산(안)
(단위: 억원) ○ 기초연구성과의 활용도 제고 및 지역과학기술혁신역량 강화
추진과제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계 - 지역수요기반 R&D 기획을 바탕으로 기초연구성과의 기술적 검증과 사업화 가
능성을 탐색할 수 있는 기반으로서 지역의 역할 강화
R&D 과제
기획 10 10 10 10 10 0 0 0 0 0 50
-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초·응용 연구역량을 보완하고 지역특화 산업과의 연계를
가교형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 도모
R&D 0 80 160 240 320 400 320 240 160 80 2,000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산학연공동
0 50 75 125 150 200 150 125 75 50 1,000
○ 기술사업화·창업을 통한 지역신성장동력 창출
연구법인
- 특허이전율 5%, 특허이전 건당 기술료 평균 25백만 원, 아이디어 창업 150
소계 10 140 245 375 480 600 470 365 235 130 3,050 개 달성을 통해 지역 신성장동력 창출

지식재산 - 지역 기반형 기술이전·사업화, 지역 특화 신기술 창출, 산·학·연 네트워크 강화


80 40 50 60 70 80 80 80 80 80 700
활용도 제고
등을 통해 지역 고유의 과학기술활동 확산
특허활용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지역연구개발 창업기획 - 지역별 통합적인 과학·산업기술 생태계 조성을 통해 지역경제의 활성화 달성
성과활용
기반구축 지역연구개발
사업 네트워크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0 ○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활성화
- 가교형 R&D 등을 통한 연구인력 일자리 창출
소계 190 150 160 170 180 190 190 190 190 190 1,800
- 지역기업으로의 기술이전을 통한 매출증대로 인한 신규 일자리 창출
성과관리/
평가 3 3 3 3 3 3 3 3 3 3 30 - 아이디어창업, 기술창업을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성과교류 7 7 7 7 7 7 7 7 7 7 70
사업 확산

소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합 계 210 300 415 555 670 800 670 565 435 330 4,950

라. 기대효과

○ 지역의 과학기술 역량강화를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


- 지식기반경제 하에서 지역차원의 자원과 혁신 역량 결집을 통해 전체 국가
경쟁력 제고
- 지방과학연구단지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대학·기업체·연구소 및 지방자치단체를
과학기술을 매개로 하는 융합 공동체로 육성
-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우수인력과 연구역량을 결집시켜 지역경제
부흥은 물론 국가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근간으로 구축

- 7 - - 8 -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0)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기획
2 추진경과

가. 사업기획
○ 각 지방과학연구단지는 지자체 수요를 토대로 특화산업을 바탕으로 한 지역
수요 맞춤형 기초·원천기술 개발지원
- 각 지자체 전략산업과 과학연구단지의 기초·원천기술 기획 분야의 부합성을
일정 추진단계 주요 내용
고려하여 판단

-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기획


수요조사 실시
○ 지방과학연구단지별 투자 우선순위 기획과제 도출 과정
2010 사전 정책용역
- 사업 목표 도출 및 설정 - (1단계) 미래 지역사회의 전망을 바탕으로 지방과학연구단지별 비전 및 목표
- 수행주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설정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방안 수립을 위한
- (2단계) 지역 중점전략 분야를 고려하여 지역밀착형 R&D 사업을 추진하기
수요조사 실시
2012 사전 정책용역
- 지역별 후보과제 도출 등 위한 기초·원천 전략기술 발굴
- 수행주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3단계) 지역 전략기술 기획안 사전 평가 실시
2013.04 ~ -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2단계) 기획 - (4단계) 지자체와 협의를 통한 최종 전략기술 기획과제 우선순위 도출
사전 정책용역
2013.10 - 수행주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표 Ⅰ-4> 투자 우선순위 기술기획과제 도출 과정


-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 담당자에 대한 이
메일 및 직접 방문을 통한 조사 실시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2013.05 지자체 수요 조사
- 지방과학연구단지내 기업에 대한 수요조사
실시 지역의 미래
지역과학기술의 ⇨ 전략적 ⇨ 지역 전략기술 ⇨ 우선 추진 기술
향후 비전 기초·원천기술 기획안 평가 기획과제 도출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2단계) 추진을 조사
2013.12 육성사업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추진
예비타당성조사 추진 - 예비타당성조사 예비검토에서 탈락

○ 지방과학연구단지 기술과제 후보를 4대 기술 중점분야로 분류


전국과학연구단지협의회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2단계) 기획을
2014.04.09
정기총회 위한 수요조사 방법론 검토회의
- 4대 기술 중점분야(나노·부품소재원천/바이오·의료원천/융합원천/차세대에너지
기초기술)로 분류하여 기술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

지자체 수요 조사를 위한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2단계) 기획을


2014.04.28
기획회의 위한 1차 수요조사 회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12)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방안 수립’ 기획

- 예비검토 시 미흡 지적사항 보완 기획
○ 지역별 기초·원천 유망분야 중심으로 과제 도출
2014.05 ~
사전 정책용역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를 위한 세부 기획 - 기업의 기술도입 사례 및 개발단계 수행과제 등을 기초로 하여 필요 기초·원천
2014.08
- 수행주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R&D 과제 도출
- 지역별로 지역 내 대학, 연구소, 기업 수요조사를 통해 과제 도출

○ 지역별 기초·원천 R&D 최종 후보 과제


- 9 - - 10 -
- 지역별 우선순위 선정과 과제 중복성 검토를 거쳐 지역별로 최종 후보 과제를 - 수도권과 비교하여 재정과 R&D 환경이 열악하다는 점에서 지방과학연구단지
1~2개씩 선정 육성을 통해 기초·원천 연구분야의 지원 및 산·학·연 협력의 활성화가 바람
직함

나. 수요조사
○ 1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에 대한 성과평가
- 1단계 사업은 인프라 구축을 중심으로 R&D지원, 산학연 연계·협력, 기업지원
□ 조사의 목적 등 R&D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 마련에 기여

○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이 완료됨에 따라, 현 시점에서 본 사업에 - 당초 사업 목적 및 목표에 따라 충실히 사업이 추진되었다고 평가함
대한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향후 2단계 사업 활성화 방안 ○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추진방향
수립 시 활용
- 1단계 사업을 통하여 구축한 인프라를 활용하여 지방과학연구단지 운영 활
○ 2013년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수행한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2단계) 성화 및 지역특성에 맞는 연구개발사업 추진
기획’ 연구에서 도출된 지역별 특화분야를 바탕으로 지역수요기반 R&D 과제에 - 단순 기초·원천 R&D 지원 수준에서 벗어나,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자립화할
대한 지자체별 수요조사 실시 수 있도록 조직 확대, 전문 인력 확충, 기관 위상 및 역량 강화 등이 동시
추진되는 것을 기획
□ 조사기간
○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를 위한 지역별 R&D 과제 도출
○ 2014년 4월 ~ 5월 (2개월) -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초·원천기술 중 지역별 특화분야
관련 지역기업이 활용가능하고 후속연구가 요구되는 기초·원천기술 리스트
□ 조사대상 및 방법
도출
○ 조사대상: 10개 지역 지자체 SP사업 담당자 - 지역별 원천기술을 활용한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R&D용 과제

○ 조사방법: 이메일 및 방문 도출

<표 Ⅰ-5> 지역수요기반 R&D 과제에 대한 조사대상 및 방법

지역 전북 충북 강릉 부산 대구 전남 경북 울산 경남* 광주**

조사방법 e-mail 및 방문 통한 의견조사 (’14. 4 ~ ’14. 5)

□ 조사결과

○ 1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전반적 평가 실시


- 지역 산업발전 및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이
필요하다는 의견 개진

- 11 - - 12 -
다. 지역별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우선순위 선정 <표 Ⅰ-6> 지역 기업 선호도 조사 양식

(질문 1) : 다음의 기초원천기술이 귀사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에 얼마나 도움이 된다고
□ 지역별 지역수요기반 R&D 과제의 우선순위 선정 프로세스 생각하십니까? (1:전혀 도움 안 됨, 9:절대적으로 필요)
전혀 도움 안됨 ← (선호도 정도) → 절대적으로 필요
<그림 Ⅰ-2> 지역별 지역수요기반 R&D 1 2 3 4 5 6 7 8 9
과제 1
과제 우선순위 선정 Process 과제 2
과제 3
과제 4
과제 5
과제 …

(질문 2) : 다음의 기초원천기술이 귀사가 위치한 지역의 산업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1:전혀 도움 안 됨, 9:절대적으로 필요)
전혀 도움 안됨 ← (선호도 정도) → 절대적으로 필요
1 2 3 4 5 6 7 8 9
과제 1
과제 2
과제 3
과제 4
과제 5
과제 …

<표 Ⅰ-7> 전문가 평가 양식

○ 기업 수요조사 평점
평가항목 평가지표
- 대상 : 단지 내 기업 및 필요시 외부기업(최소 30개 기업 이상) 탁월 우수 보통 미흡 불량
- 방법 : 도출된 10개 과제에 대한 선호도 (설문)조사 (선호도 조사) 기술신규성 기술의 신규성․창의성(특허 등 권리 확보
15 12 9 6 3
○ 지역 공무원 및 전문가 협의 기술신규성 및 창의성
(30) 후속연구
가능성 등)

- 구성 : 5인 이상 전문가(지역공무원 + 지역 학계 및 연구계 전문가 + 지역 후속연구 필요성 및 성공가능성 15 12 9 6 3


필요성
산업계 전문가)로 구성 기술사업성
적용 분야 적용 가능 (산업)분야의 시장 전망 20 16 12 8 4
- 방법 : 도출된 10개 과제에 대한 전문가 서면 평가 (20)

- 평가기준 (표 I-7 참조) 지역 내 기업 참여


기업 참여 가능성 20 16 12 8 4
연계성 및 정도
○ 중복성 검토 파급
효과 지역 지역산업과의 연관정도 및 일자리 창출
30 24 18 12 6
- 지역별 우선순위 선정과 과제 중복성 검토를 거쳐 지역별 최종 후보 과제를 (50) 파급효과 정도

1~2개 씩 선정 합 계

- 13 - - 14 -
□ 지역별 지역수요기반 R&D 과제의 우선순위 선정 사례(울산) < 지역기업 수요조사 결과 >

<표 Ⅰ-8>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도출 울산 사례 질문 : 다음 기초원천기술이 귀사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 및 귀사가 위치한 지역의 산업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에 활용가능한 원천기술 List 제안 기술명 합 계


-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초원천기술 중 지역별 특화분야 관련 지역 기업이 1 고효율 저공해 수소엔진동력시스템 개발 58
활용가능하고 후속연구가 필요한 기초원천기술 List(10개 내외 도출) 2 차세대 운송용 연료를 이용한 신연료자동차기술 개발 58
3 저전압 전류밀도 인가를 통한 경량소재의 고급성형기술 개발 59
< 기초원천기술 List > 4 고용량 음극용 고성능 고분자 바인더 개발 48

구 분(보유기관) 내용 5 친환경 강유전체 및 압전체 소재 개발 54

기술명 6 그린카 및 LED 조명용 고열전도성 방열 마그네슘 소재 개발 62


고효율 저공해 수소엔진 평가 기술
1(울산대학교) 7 레이저 어닐링을 이용한 국부 연화기술 개발 48
기술명 8 고전도 고방열 대면전 그래핀 저온 형성법 개발 57
운송용 연료를 이용한 평가 및 표준화 기술
2(울산대학교)
9 잔류응력분석기술을통한부품피로내구향상 기술 개발 56
기술명
전류밀도 인가를 통한 판재소재 연신율 향상기술 접합강도 향상을 위한 초고강도강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코팅 제거기술
3(울산대학교) 10 56
개발
기술명 11 고강성 복합 소재를 이용한 자동차 플라스틱 부품 제조 기술 개발 58
전극소재 일부분인 바인더에 관한 기초 기술
4(울산대학교)
12 Nano alloy기술을 통한 열전도성 고성능 중성자 차폐체 개발 51
기술명
무연계 적층 압전 액츄에이터 소자 제작 기초 기술 13 10-24 kHz급 초음파 용탕처리를 통한 고품위 주조성형기술개발 49
5(울산대학교)
기술명 14 바이오디젤 부산물을 이용한 생분해 난연성 전기절연유 생산 기술 개발 50
마그네슘 소재 설계 및 주조성, 열전도도 평가 기술
6(UNIST)
기술명
대면적 레이저 국부 표면처리 기술 전혀도움 안됨 ← (선호도 정도) → 절대적으로 필요
7(UNIST)
제안 1 2 3 4 5
기술명 기술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기업
대면적 고온(1000℃) 그래핀 합성 기술 합계
8(UNIS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기술명 1 4 2 4 3 2 4 5 2 3 3 3 2 4 2 4 4 3 4 58
잔류응력 분석기술을 통한 부품 피로내구 특성 평가 기술
9(KATECH) 2 4 2 5 3 1 3 5 3 3 4 3 3 3 2 5 3 3 3 58
기술명 3 4 3 5 3 2 3 4 5 3 3 3 2 3 2 4 3 3 4 59
초고강도강 소재에 대한 레이저 접합 및 평가 기술
10(IAE) 4 2 2 4 1 1 3 3 2 2 3 3 2 4 5 2 3 2 4 48
기술명 5 3 2 3 1 2 3 3 4 3 4 4 2 4 5 2 3 2 4 54
고강성 복합 소재를 이용한 자동차 플라스틱 금형 표면처리 기술
11(RIST)
6 3 3 5 2 3 4 4 4 2 3 3 2 3 5 5 3 4 4 62
기술명 polymer ligand법을 이용한 나노입자 분산에 관한 기초 연구
7 2 3 4 1 1 3 3 3 2 4 3 2 4 2 2 3 2 4 48
12(RIST) 기술
8 3 2 4 1 2 3 4 4 3 4 4 2 3 5 3 3 2 5 57
기술명 초음파 인가를 통한 알루미늄 합금의 초정 Si 미세화
9 3 3 5 2 1 3 4 4 4 3 4 2 3 3 2 3 3 4 56
13(생기원) 주조성형기술
10 3 5 4 2 1 3 4 3 2 3 4 5 4 2 2 3 2 4 56
기술명 바이오디젤 부산물을 이용한 생분해 난연성 전기절연유
14(생기원) 기초연구 기술 11 4 3 4 2 1 3 3 4 4 3 3 2 4 4 3 4 3 4 58
12 3 2 5 1 2 3 3 3 4 3 3 2 3 1 3 3 3 4 51

○ 원천기술을 활용한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R&D용 과제도출 13 2 3 5 1 1 3 3 3 3 3 3 2 3 2 2 4 2 4 49


14 3 2 5 1 1 3 3 2 3 4 4 2 2 2 3 3 3 4 50
- 기초원천기술 List 대상으로 지역 기업 수요 조사 및 전문가 평가를 통해 우선순위 도출

- 15 - - 16 -
< 전문가 평가 결과 > - (수요조사에 기반한 기획) 각 지역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각 지역의 특성에
위 위 위 위 위 맞는 사업내용을 지역 중소기업 수요에 기반하여 자체적으로 기획하였으며,

순번 기술내용 원 원 원 원 원
계 이러한 각 지방과학연구단지 기획보고서에 근거를 두고 본 사업의 세부사업을
1 2 3 4 5
1 고효율 저공해 수소엔진동력시스템 개발 54 72 55 78 68 327
기획하였음 (참고: [부록] 각 지방과학연구단지별 기획보고서)
2 차세대 운송용 연료를 이용한 신연료자동차기술 개발 54 72 58 78 68 330 - (사업기획의 필요성 및 추진근거 명시) 사업추진의 시급성, 법적 추진 근거,
3 저전압 전류밀도 인가를 통한 경량소재의 고급성형기술 개발 87 83 69 82 76 397 국고지원의 적합성, 지역적 필요성, 기술적 필요성, 기존 사업과의 차별성
4 그린카 및 LED 조명용 고열전도성 방열 마그네슘 소재 개발 74 83 66 82 76 381
등에 대한 논의와 분석을 통해 지방과학연구단지 2단계 활성화사업에 관한
고강성 복합 소재를 이용한 자동차 플라스틱 부품 제조 기술
5
개발
71 79 66 78 72 366 효과적인 기획을 도모 (참고: p.139 IV. 사업추진의 필요성 및 추진근거)
-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의 제시) 전체사업 및 세부사업별 성과지표가 미흡하
○ 원천기술을 활용한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R&D용 최종 후보과제 다는 지적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체를 아우르는 성과지표 및 세부성과지표를
- 저전압 전류밀도 인가를 통한 경량소재의 고급성형기술 개발
상세히 제시하고, 이를 충분히 검증할 수 있는 과학적·체계적 방법을 제시
- 그린카 및 LED 조명용 고열전도성 방열 마그네슘 소재 개발
(참고: p. 199~)
- (사업관리 계획 수립)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사업관리조직을 사업추진체계에 새로이 포함시켰으며, 사업성과의 확산 및
교류를 통해 사업성과 극대화를 위한 추가 세부 사업내용도 구성하였음(참고:
라. 이전 예타사업과의 차별성
p. 227~)

○ 2013년에 旣추진되었던 2013년 기술성평가 대상사업 도출을 위한 예비검토


에서 경우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 탈락
- 세부사업과 관련된 충분한 기획의 미흡
- 전체 사업 및 세부사업별 성과지표의 미흡
- 사업진도관리, 성과평가, 성과활용 및 확산계획 미흡에 따른 사업관리계획의
보완 필요성 등

○ 이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세부 추진계획의 명료화·구체성·완결성” 및 “성과


지표의 구체적 제시 및 공고화”를 통해 2013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와의
차별성을 도모하였고, “사업관리 계획의 구체화”를 통해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였음
- (사업범위) “지역수요기반 R&D 사업”과 R&D 사업을 통해 도출된 연구성과를
성공적으로 사업화 및 창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역연구개발성과
활용기반 구축사업”으로 세부사업을 구성, 기획
- (사업기획 구체성 강화) 모든 세부사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에 기반
하여, 사업기획의 근거 및 관련 내용을 제시
※ 배경 및 필요성, 추진목표, 추진체계, 세부 사업내용, 사업비, 성과목표, 기대효과 등
- 17 - - 18 -
Ⅱ. 국내·외 환경분석 <그림 Ⅱ-1> 사이언스파크의 역할 변화(미국)

1 해외 지역정책 및 사례

가. 해외 지역정책 및 환경변화

(1) 지역경쟁력을 통한 국가경쟁력의 강화

□ 지역경쟁력이 국가경쟁력으로 이어지는 시대적 흐름 가속화

○ 일본, EU, 미국 등 선진국은 지역혁신을 국가발전의 핵심전략으로 채택하고


지역경쟁력 강화에 국가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
※ 일본 경제산업성은 2012년 ‘지역혁신 활성화 전략’을 발표하였으며, EU는 스마트
전문화 전략(2011)을 추진, 미국 연방정부는 지역 연구경쟁력 촉진실험 프로그램
추진 □ 대학과 벤처기업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

○ 중국 또한 지역적 불균형을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장애요인으로 인식하고 ○ 기술지식자본 및 기업가정신자본이 풍부한 지역의 노동 및 자본 생산성이 높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추진
- 독일 310개 지역의 분석 결과 지역경제 성과에 지식자본과 기업가정신자본의
※ 중국은 과학기술발전규획(’11~’15)에서 과학적 발전관에 입각한 지역별 특화발전을 축적정도가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침(Audretsch 등, 2008)
선언
<그림 Ⅱ-2> 지역경제성과의 영향요인
□ 세계 각국의 과학연구단지(Science Park)는 지역경제 활성화의 견인차
역할 수행

○ ’90년대 과학연구단지(Science Park)는 사업화 촉진에 주력하였으나, 최근에는


지역경제의 견인차 역할 수행으로 그 역할이 확대됨(Mian & Hulsink, 2009)

○ 해외 선진 과학연구단지는 대부분 지역 대학의 연구역량 및 우수인력을 기반


으로 조성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창업 촉진을 목표로 함
※ 영국 맨체스터 사이언스 파크, 일본 카나가와 사이언스 파크 등

- 19 - - 20 -
(2) 해외 지역혁신 정책 방향 나. 해외 주요국 지역정책 추진체계

□ 지역의 재정적 자율성을 확대 (1) 일본

○ 미국은 지역개발을 위한 연방정부의 핵심 정책수단으로 관련 사업을 하나로 □ 일본의 지역정책 추진체계

○ 지방의 자율성 확대를 위해 지방분권과 재정개혁 추진


통합한 ‘지역사회개발 포괄보조금(CDBG)’을 설치하여 운용
※ CDBG(Community Development Block Grant) : 개별적으로 추진되던 8개의 지역개발
사업을 통합한 예산 운영 프로그램 - 지역재생제도 등을 통해 지방의 재량권 확대와 성과주의 도입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임
○ 일본은 중앙부처 사업들을 통합보조금화 및 교부금화하여 지역의 자율성과 - 지역재생기반강화교부금 운용이나 부처 내 사업에 대한 통합보조금 제도 운용은
책임성 확대
지역개발사업의 통합 및 성과제고에 기여

□ 주요국의 경우 지방정부 역할과 책임을 강화하고 중앙과 지역 간 협력을 ※ 지역재생제도는 중앙정부가 지원대상이나 사업목적을 전국 공통의 기준으로 정하지
확대하는 지역혁신정책을 추진 않고 지방 스스로 사업을 계획하고 이를 지원하는 제도
○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와의 역할 분리를 통해 상호간에 협력 관계를 구축 ○ 각 중앙부처의 지역정책을 통합․조정하는 방향으로 추진체계 정비
- 중앙정부 부처 간 지역정책 조정 및 연계 강화를 위해 내각부 내 지역활성
- (중국) 중앙정부는 지역의 R&D 투자분야 결정에 집중하는 반면, 지방정부는
화통합본부 및 통합사무국을 설치하는 등 상설추진체계를 운용
기술사업화, 인력확보에 주력 함
- 부처 간 조정방식은 내각부에 의한 종합조정과 부처 간 특정사안에 대한 성·청 간
- (일본) 중앙정부는 내셔널 미니멈 등 기초적 사업과 광역사업만을 담당하고,
연락회의를 통해 이루어짐
지방자치단체에 재원과 권한을 큰 폭으로 이양하고 있음
- (프랑스) 계획계약제도(Contrats de plan)를 통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그림 Ⅱ-3> 일본 지역정책 관련 중앙 및 지방의 행정체계

연계·협력을 강화 함

○ 각 국의 중앙정부는 지역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조정을 강화하고자 함


- (프랑스) 범부처 성격의 지역경쟁력청(diact)을 설립하여 각 중앙부처의 지
역사업을 종합적으로 조정함
- (일본) 지역과학기술 관련 8개 부처 17개 시책을 ’과학기술연계 시책군‘으로
묶어 시책(’08)간 연계를 강화하고 다양성 확보에 주력함

자료: 국토연구원(2010)

- 21 - - 22 -
(2) 영국 (3) 프랑스

□ 영국의 지역정책 추진체계 □ 프랑스의 지역정책 추진체계

○ 중앙정부, 광역 및 기초 단위의 지역개발정책 추진체계 정비 ○ 범중앙부처 성격의 총괄 기획․집행기구인 지역경쟁력청(DIACT)을 통해 각


- 지역개발정책 추진에 있어서 파트너쉽과 협력적 거버넌스 확보를 위해 광역 중앙부처의 지역사업을 종합조정
단위에 중앙정부 지역사무소(GOR), 기초단위에 전략적 파트너쉽(LSP) - 지역경쟁력청은 전국적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조직되어 있고,
조직을 운영 지역(레지옹)에 담당관을 파견하며, 지역에 설치된 지역경제발전사업단과
- 중앙-지방정부 간 협정체결 추진 확대 연계하여 기업유치 등을 지원

○ 지역단위의 통합적 예산운영시스템 확대․운용 - 지역경쟁력청의 가장 중요한 정책은 경쟁거점(Cluster) 구축정책으로 ’05년
공모방식을 통해 총 67개를 선정
- ’94년 정부는 각 부처의 20개 보조금을 통합하여 통합재생교부금(SRB)을
※ DIACT가 정책의 목표와 전략, 사업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지역(레
창설하였고 ’02년에는 포괄적예산제도(SFF)로 개편, 운용
지옹)과 관련 부처들이 공동으로 심사하여 선정하는 방식으로 추진
※ 포괄적 예산제도: 중앙부처가 지역발전기구(RDA)에 대하여 용도를 제한하지 않는
포괄적 예산(Single Pot)을 제공하면, 지역발전기구가 이를 자체 사업선정과정을 통해 ○ 계획계약(Contracts Plan) 제도를 통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비를
결정된 사업에 대해 예산을 배분하는 제도 공동으로 부담하는 협약을 맺고 사후 성과평가를 통해 다음 계약 때 반영
- 지방에서 필요한 사업을 정해 재원분담 방안 등이 담긴 계획서를 제출하면
<그림 Ⅱ-4> 영국(잉글랜드) 지역정책의 추진체계
중앙정부가 이를 심사해 타당성이 있는 경우 협약 체결
※ DIACT가 지방에서 제출한 사업을 심사하고 사업비 분담비율도 정하는 일종의 콘
트롤타워 역할 수행
- 경쟁거점사업의 경우 계획계약방식을 적용해 지역에서 제시한 사업안을 심사해
30여 곳을 탈락시켰고, 1차 사업완료 후 사후평가를 실시해 계획을 제대로 이행
하지 못한 13곳에 대하여 추가지원을 줄이거나 중단
※ 경쟁거점 사업의 경우 국가가 67%, 지자체가 33% 재원 분담

(4) 미국

□ 미국의 지역정책 추진체계

○ 조직 및 프로그램의 통․폐합 보다는 프로그램에 대한 목표의 구체화, 타 프


로그램과의 조정과 협력 강화, 실적 중심 성과평가 등을 통해 지역개발사업
추진의 통합성 증진
자료: 국토연구원(2010) - 지역개발과 관련된 부처들은 모니터링 강화와 성과평가 기준 명확화 추진
- 지역개발포괄보조금(CDBG) 운영에 있어 통합적 지역개발계획 수립, 통합

- 23 - - 24 -
정보관리체계(IDIS) 등을 통해 연방정부사업의 중복지원 문제해소 다. 해외 선진 과학연구단지 사례 분석
※ 지역개발포괄보조금(CDBG: Community Development Block Grant) : 1974년에 도입
되었으며, 개별적으로 추진되던 8개의 지역개발사업을 통합한 예산 운영 프로그램 (1) 독일 튀틀링겐 클러스터

※ 통합정보관리시스템(IDIS: Integrated Disbursement and Information System) : 1996년에 □ 튀틀링겐 의료기기 클러스터 구축단계
도입된 정보관리체계로서 4개의 지역개발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이를
성과평가에 이용 ○ 1단계: 시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 조세, 부지제공, 철도역 신설 등
<표 Ⅱ-1> 미국 지역개발사업의 통합적 추진을 위한 시책과 정책수단
○ 2단계: 세계 최고수준의 의료기기 업체입주
구분 내용 - 초기에는 창업 중심의 지역기업 육성
정치․행정체제 연방국가체제
○ 3단계: 인근도시와 연계한 R&D 및 지원활동
중앙정부 통합조직 시도․실패(2005년, 2006년)
주요추진체계 - 튀빙겐 지역의 병원 및 대학 등과 연계협력
(조직)
범부처협의회 Interagency Team 구축 활용
○ 4단계: 아시아 지역 OEM/ODM 등을 통한 국제시장의 경쟁력 확보
중앙부처 지역개발프로그램 예산의 포괄주의화
예산운용시스템
주요정책수단 (포괄주의화) □ 주요사업은 클러스터 네트워킹 활성화
CDBG 운영

계획-예산-성과
CDBG 신청 시 통합적 지역개발계획 수립, 성과평가 연계
○ 기업지원을 위한 산-관 연계
연계 운용시스템
- 시 산하에 경제발전위원회 및 전담부서 운영을 통해 세제 등 제도적 기업지원,
기타제도 IDIS(Integrated Disburse Information System) 주택 제공 및 탁아소 운영 등 행정편의 제공

○ 대기업 주도형 산-산 연계


- 연구소 보유 기업과의 공동연구 추진

○ 협회의 구성과 기업 간 연계활동


- 중소기업들이 협력하여 설립, 경쟁을 통해 혁신능력을 보유함으로써 중소
기업이 대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토대 마련

□ 지원조직 및 주요역할

○ BBT(erufliches Bildungszentrum Tu"ttlingen)


- 지역 내 대학이 없는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튀틀링겐 직업교육센터(BBT)를 시,
지역상공회의소, 협회 등에 의해 1977년 설립
- 도제교육, 실업자 재교육, 재직자 직무향상교육, 특정 회사와의 맞춤형 교육
실시

- 25 - - 26 -
○ Forum Medizintechnik ※ 빌딩형 사이언스파크 ‘카나가와 사이언스파크’

- 의학, 의료공학, 생산기술에 관한 정보 뿐 아니라 비즈니스 경제, 법률이슈, ○ 이노베이션 빌딩(6층 2개동)과 R&D비즈니스파크빌딩(12층) 규모

비즈니스 관리 등에 대한 정보 제공 < 카나가와 사이언스파크 전경 > < KAST와 KSP의 네트워크 체계 >

- 재원의 일부는 바덴-뷔템베르크 주정부가 지원

○ MITT(Competence and Technique Centr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for Tubingen-Tuttlingen)
- 튀빙겐과 튀틀링겐 초소형 투입의료기기 센터로 독일 교육과학부(Ministry
of Science and Education)의 지원을 받아 의료공학 분야의 대학, 연구소,
협회, 병원, 진료소, 학회, 기업, 은행 등이 협력하여 만든 연구개발 산학연 ○ 지원기관 간 협력과 역할분담의 네트워크 시스템이 성공요인 중 하나임

협력센터

□ 성공요인
□ 주요 운영주체와 역할

○ 지역특성을 고려한 교육훈련․기술이전 체계를 통한 지식기반 확충 <그림 Ⅱ-5> 일본 KSP 운영주체와 역할


- 튀틀링겐직업교육센터(BBT)에서 금속 및 산업분야 훈련 및 외과용 의료기기
분야를 중심으로 전자공학, 컴퓨터시스템, 소프트웨어 기초 경영과정 제공
- 외과용 의료기기 제조업 자격 Chirurgie-Mechaniker 과정은 독일에서 유일

○ 산학연 협력 및 타 지역과의 연계강화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소재 11개 막스플랑크 연구소, 13개 프라운호퍼 연구소,
220개 스타인바이스 기술이전센터, 9개 종합대학, 39개 기술대학과 연계

○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협력 및 지원

(2) 일본 카나가와 사이언스 파크(KSP)

□ 카나가와 사이언스파크(KSP)는 일본 최초의 도시형 첨단과학기술단지 ① (재)KAST

○ 1989년 지방자치단체가 주체가 되어 중앙정부와 협력하여 첨단기술, 연구개발, ○ 재단법인 카나가와 과학기술아카데미(KAST)은 산업계, 학계, 공공기관의 협력
신산업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설립 하에 1989년 7월에 설립

○ 카나가와 사이언스 파크(KSP)의 설립배경은 1970년대 이후 카나가와 지역 - 총인원은 168명이며, 임원 4명, 행정원 39명, 연구원 125명으로 연구중심적인
조직구성의 특징을 보임
경제의 위기 극복의 대안으로부터 기인

- 소유권 구조는 (주)KSP와 같이 민 관 파트너십으로 구축되어 있지만, 소유권의
중심이 카나가와현에 있음
- 27 - - 28 -
- 자본규모는 40억 엔이며, 카나가와현이 87.5%인 35억 엔 출자, 가와사키시와 <표 Ⅱ-3> KAST 수행 주요 최근 연구

민간부문 72개 기업이 12.5%인 5억 엔을 공동출자하여 매년 20억엔 정도의 제목 연구기간 비고


규모로 운영 Environmental-friendly functional
surface Project
- (재)KAST의 주요사업은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지원, 기업과 연구소간 교류 2006-2011
-Development of new functional
확대를 통한 혁신환경 조성, 기업으로의 연구원 파견, 테크노마트 개최, 아 component coated with DLC
카데미 교육사업 등을 통한 연구성과 이전 및 사업화 촉진
지역기업 수요 Advanced power electronics Project
○ 카나가와 사이언스파크의 ‘R&D 실험실 역할’을 담당하는 (재)KAST는 첨단 반영
산학협동연구
-Development of packaging technology 2008-2011
for high integrated power devices
과학기술 분야 연구 및 인재육성 등을 통해 혁신성과 창출
- (재)KAST의 연구개발은 7개의 유동그룹을 중심으로 외부기관의 연구원, 대학 Food safety and reliability Project
교수, 기업연구원 등을 초빙하여 3~5년 단위로 공동 수행 -Assessment of food functions and 2008-2011
safety by nutrigenomics

<표 Ⅱ-2> KAST 프로젝트 연구원 초빙현황


Next-generation Bioceramics
대학교 국립연구소 민간기업 JSPS(외국인연구원 초빙) 프로그램 -Development of paste-like artificial
나노/재료 2009-2013
bone using chelate-bonding of inositol
상근 (명) 41 15 19 64 phosphate

비상근 (명) - - 113 - 첨단


과학 Semiconductor film transfer process
광학/IT 2003-2008
창의 concept of "flexible devices"
※ 프로젝트 완료 후 복귀, 타 대학 교수 및 연구소 진출(50% 이상) 또는 사이언스파크 연구
내에서 창업 On-chip molecular cell phenomics
※ 설립 10년 만에 약 4,000여 편의 논문과 500여건의 특허등록 성과 창출 생명과학
(피노믹스: 세포, 조직, 기관 등에서
나타나는 물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2008-2012

○ KAST는 지역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산학협동연구와 첨단과학분야에 대한 창의 측정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

연구를 병행
- 첨단과학분야는 주로 광학 및 IT, 나노 및 재료, 생명과학 ○ 창업보육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주)KSP와의 연계를 통해 카나가와 지역을 일
※ 기초연구로부터 시작하여 응용연구까지 포함되는 연구과제는 연간 1억 엔, 연구 본 최대의 하이테크 연구개발지구로 성장시킴
기간은 5년(총 연구비 5억 엔) ※ 146개 기업체 입주(4천 3백명 근무), 200여개 연구개발형 중소기업을 배출하여 카나
※ KAST의 ’12년 예산은 16억 5천만 엔(약 230억원) 가와 지역을 지식과 기술 집약형 산업구조로 전환시키는데 일조
② (주)KSP

○ (주)KSP는 준 공기업 성격을 가진 민관협력 제3섹터 방식의 주식회사이며, 카나


가와 사이언스 파크의 핵심 주체로서 전반적인 관리 및 지원을 총괄
- (재)KAST와 (재)KTF 사이에서 연구·기술분야 사업 진행시 코디네이터 역할
수행

- 29 - - 30 -
- 인력 조직은 상근 6명을 포함하여 위원 20명, 직원 17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② (주)맨체스터 테크노파크
점차 직원을 선발할 계획
○ 맨체스터 시청 남쪽에 위치한 맨체스터 테크노파크는 공기업인 Pochin’s PLC의
○ (주)KSP의 소유권 구조는 민·관 파트너십으로 구축되었으며, 민간부문 중심의 합작투자로 1999년에 설립된 주식회사
소유권 구조를 가지고 있음
○ 맨체스터의 기반기술기업에게 연구개발 중심의 혁신환경을 제공
- KSP의 총사업규모는 650억 엔이고, 자본금은 총45억 엔으로 공공부문의 경
우 약 15억 엔, 민간부문은 약 30억 엔 규모 ③ One Central Park
○ 주요사업은 창업보육, 인재육성, 정보교류, 부동산임대산업 등 ○ MSP의 창업교육 및 훈련 부문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단지로 맨체스터
Arts & Technology 대학과 공동 파트너 형식으로 운영
(3) 영국 맨체스터 사이언스 파크(MSP)
□ 재원조달
□ 개요

○ 낙후되고 침체된 맨체스터의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일환으로 도시재생사 ○ MSP는 맨체스터 대학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인 맨체스터시와 민간부문 사
업체가 연계하여 공동으로 출자하여 설립하였고, 공동소유권을 갖고 사이언스
업이 추진되었으며 대학주도형 사이언스 파크를 조성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파크 운영에 참여하는 합작투자(joint venture) 방식으로 추진
창출하고자함
- 맨체스터시청과 맨체스터대학이 각각 28%의 가장 많은 지분을 가지고 있고,
○ 맨체스터 시의회와 시정부는 1970년대부터 캠브리지 사이언스 파크를 벤치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 대학교(Manchester Metropolitan University)가
마킹하여 1984년 MSP를 조성 10%, 국립 웨스트민스터은행 등 4개의 공기업이 각각 6%, Pochin’s PLC가
- 중앙정부 주도 하에 공공자금이나 연관부문의 간접지원 등 재정적 지원을 10% 지분을 소유
받으며 조성됨
□ 수행사업 및 성공요인
□ 주요 운영주체와 역할
○ MSP의 주요 사업은 기술창업보육, 입주정책의 차별화,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
○ MSP의 건립주체는 지방정부, 맨체스터 지역소재의 4대학 그램 제공, 브랜드화 전략 등으로 이것들이 곧 성공요인임
○ 운영방식은 맨체스터 과학단지센터 운영위원회(시대학 3개소)가 관리 및 감독 ○ 성공요인
○ MSP는 크게 본 단지인 맨체스터 사이언스 파크, (주)맨체스터 테크노파크, One - 산학연 혁신 및 기술이전을 활성화하고 첨단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Central Park 등 3개의 단지별로 기능이 차별화 위하여 기술창업보육제도 추진
- 입주정책을 차별화하여 입주기업을 선별하고 기업 성장단계별로 차별화된 서비스
① 맨체스터 사이언스 파크(MSP)
제공
○ 주로 건물을 저렴하게 임대해주는 방식으로 기업을 유치하고 지원하고 있음 - 입주기업간의 네트워크, 글로벌 네트워크 등 다양한 네트워크 관련 지원
- 기업성장단계에 따라 건물임대료를 차등하는 등 인센티브를 탄력적으로 제공 서비스 제공
- 맨체스터를 첨단기술 관련 기업의 보육을 위한 브랜드로 부각하는 전략

- 31 - - 32 -
(4) 독일 울름 사이언스 파크(MSP) 연구원, 레이저연구소, 통합장비 공학·태양 및 수소에너지 연구센터, 디지털
의료연구소 등)
□ 개요
- 대기업의 R&D연구소 (예: 다이믈러, 지멘스, 노키아 등)

○ 독일 울름 사이언스파크는 바이에른주와 바덴-뷔템베르그주를 가르는 다뉴 - 중소기업을 위한 과학단지 Ⅰ·Ⅱ (대학과 연구개발(R&D) 협력)
브강을 사이에 둔 울름(Ulm)과 노이-울름(Neu-Ulm) 지역에 있으며, 두 도시가 - 시, 상공회의소, 은행 등이 참여하는 창업센터 (울름/노이-울름 기술지원 기업,
경제적, 구조적으로 광범위하게 연계해 개발된 첨단단지 울름 창업자 협회, 상공회의소 창업센터)
- 국가적 차원에서 추구하는 과학도시의 개념이라기보다는, 주 정부, 대학,
기업체가 필요에 따라 긴밀하게 협력하는 시스템이 울름 과학도시에 자생적 □ 울름 사이언스 파크 주요 구성주체
으로 구축되어 있음
- 울름과 노이 울름 지역은 인구 175,000명, 일자리 120,000여개, 울름 대학
○ 운영 주체
교(학생 7,622명), 울름 단과대학(학생 3,425명), 노이울름 단과대학(학생 - 사이언스 파크의 건설과 운영은 울름시에서 담당하며 기업에게 임대

2,340명), 병원 등이 있음 - 울름 사이언스 파크에는 울름시의 100% 자회사인 PEG (project


development Ulm mbH)가 존재하여 기업의 입지 및 설립과 관련한 컨설팅
□ 울름 사이언스 파크 설립 및 조성 수행

○ 사이언스 파크 설립 목적 ○ 주요 기관
- 울름 대학교(University of Ulm) : 독일 울름과학도시의 연구환경 창출의 초기
- 과학기술과 지식의 전달, 혁신창출을 위해 필요한 기술 및 구조적인 지원
기폭제 역할, 테크노폴리스의 핵심
- 창업단계의 기업지원, 자립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등 경제적이고 비즈니스
- 울름 과학기술전문대학교(Fachhochschule Ulm) : 울름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친화적인 환경 조성
교육기관 중 하나로 대학과 기업을 연결하는 역할
- 기술 및 연구개발(R&D), 노하우 이전 등 대학의 잠재된 지식을 활용하여 시너지
- An-Institute : 산학연관 간 긴밀한 네트워크를 통해 대학의 기초연구와 산업
효과 기대
R&D 사이의 가교 형성
- 신생 기술 기업의 조직화된 공동 입지 구축
- 울름 상공회의소(the Technologie fabrik Ulm) : 1985년에 설립되었으며, 과학
- 사이언스 파크 소재 기업들에게 자문 및 지원 기능 제공
기술전문대학교와 울름대학교의 졸업생에 의해 설립된 소규모 엔지니어링
○ 사이언스 파크 조성 컨셉 기업, 기술기반 창업기업에게 관련 서비스, 장비 및 시설 제공

- 울름 대학교 확장 : 기계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에너지 공학, 의료공학, 정원 - 벤츠자동차 R&D연구소 : 2개의 An-Institute 기관의 연구에 참여하고
500명) 캠퍼스 내 2개의 대규모 R&D연구소 운영

- 울름 단과대학의 확장 (에너지공학, 설비공학, 통신공학 및 의료공학, 정원 - 기타 연계 기관 : 주정부의 자금지원을 받고 지식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50명) Steinbeis Foundation, 울름 과학기술전문대가 운영하는 지역과학센터
(Regional Science Centre) 등
- 노이-울름 전문대학교 신설 (경영학, 정보경영, 경제공학, 경제정보공학, 정원
150명)
- 단과대학 부설 연구개발 연구소 (재단성격, 주와 기업이 함께 참여, 예: 경제

- 33 - - 34 -
□ 재원조달 및 수행사업 (5) 싱가포르 사이언스 파크(SSP)

○ 재원조달은 주로 시 정부가 담당 □ 개요


- 울름 사이언스 파크 내 토지는 전체 3600만평(118 ) 가운데 3분의1이 넘는
○ 싱가포르 사이언스 파크(SSP)는 정부주도로 아시아 첨단기술의 거점을 조성할
1210만평(4000 ㏊)이 시 소유로 민간에 임대하거나 분양 중 목적으로 구축된 자급자족형 타운 형태의 과학기술단지
- 정부 지원 연계기관, 기업인 상공회의소 등을 볼 때, 재원의 일정 부분은 주정
- 공동연구소, 법률회사, 비즈니스 스쿨, 회계 및 경영 컨설팅센터, 스포츠센터,
부와 민간임 담당
벤처캐피탈 회사, 빌딩리노베이션 서비스 등이 사이언스 파크 내 소재하여
○ 주요 사업 모든 활동을 단지 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자급자족형 타운

- 기술 및 지식이전을 활발히 하는 시스템 구축 ○ 싱가포르 사이언스 파크(SSP)는 1982년에 조성되었으며, 2013년까지 세계적인
- 신생기업의 자립을 도모하기 위하여 초기 설립단계부터 창업지원 과학기술 중심지로 육성해나간다는 방침 수립

- 대학교의 잠재된 역량을 활용하여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시너지 효과 창출 - 1980년 정부의 승인을 받아 조성되기 시작했으며 1982년부터 첨단기술 관련
기업들이 입주 시작하였음
- 기업 자문 및 지원서비스 제공 및 벤처캐피탈 펀드 조성
- 싱가포르 정부는 싱가포르 사이언스 파크(SSP)를 인근 싱가포르 국립대학과
□ 주요 성과 및 성공 요인 바이오폴리스 등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2013년까지 세계적인 사
이언스 파크로 육성 계획 수립
○ 주요 성과
- 1989년과 비교하여 보면, 2009년 현재 울름/노이울름 시의 인구가 약 20% □ 운영 주체 및 재원조달
증가, 학생수가 약 90%정도 증가, 새로운 일자리 15% 증가
○ SSP의 운영주체는 싱가포르의 공기업인 아센다스(Ascendas Pte Lte)
- 단과대학을 통해 약 1,200명, 울름/노이-울름 과학단지와 연구센터에서 약
- 아센다스는 사이언스 파크 구축과 관련하여 정부와 기업의 중계 역할을 하고
3,000명의 전문인력 공급
있으며, 싱가포르 정부의 지휘 및 감독을 받고 있지만 자율적인 업무수행이
○ 성공 요인 가능
- 일찍이 아인슈타인 등 과학자와 발명가가 많았던 울름시에 사이언스 파크 - 또한 아센다스는 과학기술 단지 관리 전담조직으로, 프로젝트 관리, 입주
조성 계획을 수립하고, 10억 마르크(DM) 이상의 대규모 자금이 투자되어 기업 관리 등 기능별로 체계적인 전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입주 기업들의
과학도시를 건설 요구사항에 신속히 대응하는 시스템 구축
- 베덴뷔르템베르크 주와 울름 시 지원에 의해 대학을 확장하고 이에 의해 창출된
○ 재원조달
과학자와 기업가가 협력하는 협력 모델 구축
- 단지운영관리조직인 아센다스는 싱가포르 공영 부동산 투자회사로, 싱가
- 울름 사이언스 파크의 네트워크는 다양성, 혁신과정 단계 간 개방적 네트
포르 사이언스 파크내 건물 및 토지의 임대 수익 등 부동산 개발 및 관리를
워크 구축, 기술이전과 피드백을 통한 내부·외부 연계, 높은 유연성 등 네 가지
통하여 재원을 조달
특징을 지니고 있음
- SSP는 펀드로 상장되어 민간투자방식으로 운영되며 펀드 비즈니스를 통해
- 제도화된 조직과 긴밀한 협력 네트워크는 기술개발 관련 기업이 울름 지역에
운영수익을 조달
입지하려는 높은 수요로 이어짐

- 35 - - 36 -
□ 주요 사업

○ 입주기업을 위하여 연구·창업·경영 컨설팅 관련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으며, 첨단 기자재 공동사용, 저렴한 임대료 등 다양한 인센티브 프로그램 시행

○ 아센다스는 부동산업뿐만 아니라 과학기술기반 첨단기술 관리 및 개발을 전


문적으로 하는 글로벌 기업
- 아센다스는 프로젝트 관리, 입주업체 관리 등 기능별로 특화되어 과학기술
단지를 체계적으로 관리
-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입주업체에게는 해외지사와 연계하여 정보제공 및 글
로벌 네트워크 형성 등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입주업체의 성장단계에 적합한
글로벌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 주요 시사점

○ 운영주체인 아센다스는 공기업 부동산 투자회사로서의 이점을 살려, 부동산


개발 관리, 펀드운영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재원 마련

○ 싱가포르 사이언스 파크의 성공요인은 첨단기술 R&D와 기업 활동 간의 유기


적인 연계 및 활성화, 연구자의 창업을 활성화하는 문화, 충분한 정보통신 기
반시설 등

○ 글로벌 네트워킹 서비스를 지원하여 입주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 37 -

(6) 해외 선진 사이언스파크 사례 종합

<표 Ⅱ-4> 해외 선진 사이언스파크 비교

운영주체 역할(주요사업) 재원조달 성공요인 및 시사점

-(주)KSP는 주식회사 재단법인


-(주)KSP는 유기적인 민관협력과
일본 -(주)KSP,(재)KAST의 -(주)KSP: 창업보육, 인재육성, 형태
기관별 역할분담
카나가와 기관의 분업형태로 운영 정보교류, 부동산임대 -공공(현)과 민간기업이 자본을
-세 기관이 역할을 분담하여
사이언스 -핵심주체인 (주)KSP는 -(재)KAST: 연구개발지원, 교류확대, 투자해 설립한 제 3섹터 방식
연구개발단계부터 상용화 단계까지
파크 민관협력 제3섹터 방식의 기업으로 연구원파견, 아카데미 -총 사업규모 650억엔(자본금
일괄지원 시스템 구축
(∼1987) 주식회사 교육사업 45억엔, 공공부문 15억엔,
-지방정부(현과 시)가 주도
민간부문 30억엔 규모)

-건립주체는 지방정부, -본 단지: 창업보육과 기업의 성장지원,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상향식


영국
맨체스터 지역소재의 기업유치 -맨체스터 대학, 시와 사업체가 접근방식으로 지역의 내생적인
맨체스터
4개의 대학 -(주)맨체스터 테크노파크 단지 : 공동으로 출자하여 설립 발전 추구
사이언스
-운영방식은 맨체스터 연구개발 중심의 기업 집적 -합작투자(joint venture) -기존의 대기업 중심의 유치정책이
파크
과학단지센터 -One Central Park는 창업교육 및 훈련 방식으로 추진 아닌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대상의
(∼1984)
운영위원회가 관리 감독 담당 육성 및 지원 강화

-국가차원의 정책 추진이 아닌
-울름시가 사이언스 -대학, 연구소, 기업 간 협력을 통한 시정부, 지역대학, 기업체가 긴밀히
독일 울름 -울름시가 토지를 소유하고
파크의 건설과 운영 담당 연구개발 촉진 협력하는 체계
사이언스 민간에 임대
-울름시 자회사인 PEG가 -설립초기단계부터 창업을 지원하여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여
파크 -창업 촉진을 위해
기업 입지 및 설립 신생기업의 자립 도모 기초·개발·응용연구의 혁신활동 및
(∼1987) 벤처캐피탈펀드 구축을 계획
컨설팅 -기술이전 및 기업지원서비스 시장밀착형 활동 수행
-울름대학이 초기 기폭제 역할

-아센다스는 공영 부동산
싱가포르 -정부출자 공기업인 아센다스라는
-아센다스는 정부와 기업의 중계자 역할 투자회사로 임대수익, 부동산
사이언스 -공기업인 아센다스 전담관리조직을 통하여 과학단지의
-다국적기업유치, 기자재공동사용, 개발, 관리를 통해 재원조달
파크 (Asendas Pte Lte) 체계적으로 관리
임대업 -펀드를 통한 민간투자방식으로
(∼1982) -350개 이상의 다국적 기업 유치
운영 수익 마련

- 38 -
(7) 해외 선진 사이언스파크 벤치마킹 시사점 <그림 Ⅳ-6> 해외 사이언스파크 유형구분

□ 선진 과학연구단지는 우수인력과 연구역량의 결집으로 성과 창출 및 지역


경제 부흥에 기여

○ 카나가와 사이언스파크의 ‘R&D 실험실 역할’을 담당하는 (재)KAST는 첨단


과학기술 분야 연구 및 인재육성 등을 통해 혁신성과 창출
- (재)KAST의 연구개발은 7개의 유동그룹을 중심으로 외부기관의 연구원,
대학교수, 기업연구원 등을 초빙하여 3~5년 단위로 공동 수행
※ 프로젝트 완료 후 복귀, 타 대학 교수 및 연구소 진출(50% 이상) 또는 사이언스파크
내에서 창업
○ 기존 산업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설립된 지역은 주로 민간기업 참여(재원 분
○ KAST의 ’12년 예산은 약 230억원으로 카나가와현과 우리나라 광역시·도의 담)가 높음
인구규모를 고려할 때,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지역별 예산은 연간 50억 수준이
- MSP, KSP가 이에 해당
적당
□ 해외 선진 과학연구단지는 대부분 대학의 연구역량 및 우수인력을 기반
□ 해외 선진 과학연구단지(Science Park)는 대부분 지방정부 주도형 혹은
으로 조성
지방정부-민간 공동 참여형으로 지방정부가 주된 역할 수행
○ 대학의 참여 정도에 따라 지역대학 직접참여형과 지역대학 연계형으로 구분
○ 재원에 따른 유형화 - 지역대학 직접참여형 : 지역대학이 재원을 분담하는 등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 중앙정부 주도형 : 민간 재원은 거의 없고 공공 재원 중 중앙정부 비중이
유형으로 MSP, Ulm이 이에 해당
높은 기관으로 우리나라의 TP가 여기에 해당
- 지역대학 연계형 : 지역대학이 재원을 분담하는 등의 직접 참여는 하지 않으나
- 지방정부 주도형 : 민간 재원은 거의 없고 공공 재원 중 지방정부 비중이
R&D 및 인력양성 측면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유형으로 KSP, SSP가 이에
높은 기관으로 경기과학기술진흥원(GSTEP)과 울름사이언스파크(Ulm)가
해당
여기에 해당
- 중앙정부-민간 공동 참여형 : 중앙정부와 민간 재원 위주로 구성된 기관으로 □ 지방과학연구단지는 단계적으로 중앙정부 재원의 축소가 필요하고 그에
싱가포르 사이언스파크(SSP)가 여기에 해당 따른 역할 확대가 필요함
- 지방정부-민간 공동 참여형 : 지방정부와 민간 재원 위주로 구성된 기관으로
맨체스터 사이언스파크(MSP)와 카나가와 사이언스파크(KSP)가 여기에
○ 해외 선진 사이언스파크들은 상대적으로 민간재원 비중이 높음
해당 - 울름시 기획에 의해 탄생한 울름사이언스파크는 민간재원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

○ 해외 선진 사이언스파크들은 공공재원 중 상대적으로 지방정부재원 비중이


높음
- 대부분이 지방정부(주나 시) 주도로 기획되고 조성

- 39 - - 40 -
- 도시국가인 싱가포르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구분은 의미가 없음 2 해외 사업화 및 창업 정책 사례
○ 향후 지방과학연구단지는 지방정부 재원 비중의 확대 및 민간재원을 포함한 자체
수익 창출이 필요 가. 환경변화
- 단기적으로는 지역수요기반 R&D 수행, 기술중개 및 기술저장소 구축 등 독자
(1) 지식재산의 가치가 중요해지는 창조경제의 도래
영역 강화로 지역TP와의 역할 분담
- 중·장기적으로는 창업을 통한 사업화, 연구기관 및 기업 유치를 통해 민간재원 □ 기업가치가 실물자산(Real Asset) 중심에서 IP 중심으로 변화하는 창조
및 자체수익 창출 경제의 도래
- 지방 정부의 재원 비중 확대를 위해서는 지방세 비중 확대 등이 동반되어야 함
○ 지난 40여 년 간 글로벌 시장의 자산가치 구성은 실물자산에서 IP와 같은 무
※ 독일, 미국, 일본의 국내 대비 지방세 비중은 각각 49.7%, 44.1%, 41.3%로 우리나라의 형자산 중심으로 전환되었으며, 라이센싱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23.0%에 비해 높은 수준(OECD Revenue Statistics)
- 지난 40여 년 기간 동안 시장 가치 구성에 있어서 무형자산(지식자산)과 유형
자산의 비중은 역전 양상을 보임
※ 최근 무형자산의 비중은 80% 수준까지 도달하였고 향후 9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 Ⅱ-7> 년도별 시장 가치 구성 변화

자료: Ocean Tomo, (www.oceantomo.com)

- IP의 라이센싱 거래 또한 급격히 증가하여 2010년 기준 $4천 억 수준에 도달

- 41 - - 42 -
<그림 Ⅱ-8> 전세계 라이센싱 거래 추이 <표 Ⅱ-5> 주요국(미국, 중국, EU, 일본)의 자국시장 보호 정책

구분 자국시장 보호

w 자동차, 에너지 산업 지원
미국
w 지재권 보호, 대중국 통상공세 강화

중국 w 전략산업 국가 지원

w 제조업 및 중소기업 지원
EU
w 지재권 보호, 환경규제 강화 등

일본 w 일본산업부흥계획: 부품소재 및 제조업 육성, 지재권, 표준화 선점 등

자료: 삼성경제연구소(2013), 주요국 신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 글로벌 갈등 고조에 대비하여 우리정부 또한 기술개발을 통한 새로운 성장


기반 마련과 일자리 창출 정책 강화가 필요

자료: IP Bewertungs AG(IPB), www.ipb-ag.com


□ 세계 주요 국가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생존전략으로 창업 및 기업가
IP Bewertungs AG(IPB), commercializing technology through patent value funds 정신의 부활을 강조

○ 지식재산의 경제적 가치 인식과 함께 ‘총성없는 전쟁’으로 명명되는 특허분쟁 ○ 미국은 1,600여개의 학교가 기업가정신 관련 강의를 하고 있으며, 200여개의
기업가정신 연구센터를 운영
급증
- 미국 실리콘밸리가 다시 주목 받는 것은 애플과 구글의 무선통신혁명, 페이스북
- 특허를 기반으로 제조 활동을 하는 기업들 간 뿐 아니라 분쟁 자체를 비즈니스
등의 소셜네트워크 주도와 바이오, 태양광 등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 때문임
모델로 하는 특허사냥꾼(Patent Troll)의 등장과 이들의 무차별 특허매집으로
특허분쟁의 위험요인이 더욱 증가 ○ 국민소득 2만 달러까지 성장은 생산요소의 투입으로 가능하지만 그 이상의
※ 1980년 약 800건 이던 미국특허침해소송이 2012년 5,000건을 넘어섬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가정신의 확산이 관건(막스플랑크 연구소)

※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소송을 수행하기 위해 초래되는 법정 관련 비용은 3백만~5백만


달러로 추정되며 만약 실패할 경우 야기되는 추가적 비용은 더욱 막대할 것으로 (2) 후속연구 및 사업화의 중요성
예상됨(미국 IP Law Association, ’07 기준)
□ 기술이전·사업화는 응용·개발 연구뿐만 아니라 대학 등에서 수행되는
□ 주요국 신정부는 지식재산권을 강화하는 등 자국의 기술보호 중시 기초연구 성과의 후속 연구 및 관리·활용·확산체계가 매우 중요

○ 주요국 신정부가 자국경제에 보다 유리한 정책 추진으로 기술개발 등에 있어 ○ 일반적으로 기초연구성과에 대한 후속연구 지원체계가 미흡하여 성과활용이
서도 글로벌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됨 저조하고 개발기간이 장기화되는 등 적시에 사회 경제적인 가치창출로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자국의 시장·기업·기술보호 중시
※ 미국, EU, 일본 등 대부분의 선진국이 지재권 보호를 강화

- 43 - - 44 -
<그림 Ⅱ-9> 죽음의 계곡 개념도 □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의 Baton Zone 프로그램

○ 일본 RIKEN은 기초연구성과를 조기에 실용화하기 위해 기업의 참여하에


‘Baton Zone(융합적 연계연구프로그램)’을 시행

<그림 Ⅱ-11> 일본 이화학연구소의 기초연구성과 실용화 사업 개요

※ ‘죽음의계곡’(Valley of Death): 기초연구결과가 응용연구에


이르지 못하거나 상용화에 실패하는 경우

나. 후속연구·사업화 및 특허기반 기술창업 정책 사례

□ 일본의 대표적인 기초연구성과 후속사업지원프로그램인 ‘연구성과 최적


전개 지원사업(A-STEP)'

○ 대학 및 공공연구소 등에서 창출된 기초연구성과의 폭넓은 실용화를 위해 특성 □ 일본 문부과학성의 ACCEL 프로그램


화된 서로 다른 유형의 중단없는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일본 문부성이 실시
○ 일본 문부과학성은 향후 과학기술 분야에서 발전이 기대되는 연구에 프로그램
<그림 Ⅱ-10> 연구성과 최적전개 지원사업(A-STEP) 개념도 매니저를 선발하여 연구전반을 책임지도록 하고, 연구비를 지원(2013. 8.)
- (추진 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JST)에서 동 프로그램을 운영
- (지원 대상 선정) 현재 과학기술진흥기구에서 실시하고 있는 기초연구 지원
프로그램인 「CREST(Core Research for Evolutionary Science and
Technology)」에서 연구 지원 대상을 선정
- (지원 방법) 프로그램 매니저는 이미 진행되고 있는 기초 연구 중에서 리스크
판단이 어려운 연구가 있을 경우 시장 동향을 분석해 주고, 연구 성과에 대한
기술성 분석이나 지식재산권 양도를 추진하여 연구 성과의 빠른 실용화를
도모
- (지원 규모) 5년 이내에 10건 이상의 연구를 기초연구부터 실용화 될 때까지
지원하고, 1건 당 최고 10억 엔까지 지원

- 45 - - 46 -
- (기대 효과) 대학 등에서의 연구 성과는 실용화에 대한 기대가 강하지만 기업 3 국내 지방과학기술 현황 및 문제점
입장에서는 리스크 판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 상황에서 프로그램 매니저를
통한 연구 성과의 검증이 가능 가. 국내 정책 및 환경변화

□ 미국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의 Innovation Ecosystem (1) 국내 환경 변화


Development □ 지역에 대한 환경과 인식의 변화로 인해 국민 생활공간으로서 지역의

○ 목적 : 미국 대학 및 연구소로부터 나온 에너지관련기술의 비즈니스화를 위한 중요성 증대

프로그램으로 창업(기업가정신)을 통한 일자리창출을 목적으로 함 ○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와 저성장 기조 고착에 따라 2011년을 기점으로 수도권
○ 규모 : 3년간 총 $5.25 백만 인구가 순유출로 전환되고 대도시 인구 증가율 역시 정체를 보임
※ ’10년~’18년 퇴직예상 베이비부머는 710만명으로 추산되며, 우리나라 도시화율
○ 주요 프로그램 내용: 지식재산권 관리 및 보호, VC 및 사업가와의 네트워크 구축, 81.9%로 OECD 평균인 75.5%를 초과한 상태(삼성경제연구소, ’12)
이들을 통한 멘토링 서비스 등 창업 액셀러레이팅, 연구결과물인 특허를 활용
하는 창업경진대회(business plan competition) 추진 등 ○ 수도권 및 대도시 입주 기업의 지방이전 사례가 생겨남
○ ※ 인터넷 포털 다음(Daum)은 2011년 11월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에 본사 사옥을 준공
이와는 별개로 미국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에너지관련 Business Plan
하였고, 게임업체인 넥슨 네트웍스 역시 2011년 12월 본사를 제주로 이전
Competition 프로그램 실시(3년 간 총 $2백만)
□ 지역현안 해결과 창조적 지역발전의 핵심수단으로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그림 Ⅱ-12> Innovation Ecosystem 5개 지역 전환과 함께 그 역할이 확대

○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 증가


※ 지난 10년간 건강·의학·환경 등 실생활 체감형과학분야에 대한 관심도는 70%수준
으로 향상 됨(한국과학창의재단, ’11)
○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증가함
※ 국가핵심전략기술 선정기준과 관련된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삶의 질 향상 기여도’에
60.2%, ‘투자 대비 효율’에 22.5%의 응답을 보임(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일반인
대상 설문조사결과 ’12)
□ 지역과학기술정책 추진을 통해 지역과학기술 인프라와 경험이 축적되고, 지역
자율의 과학기술 정책 추진 욕구가 확대됨

○ 제 1~2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은 지역혁신 기반 구축과 역량 강화를 통한


균형 발전에 초점을 두고 시행함
- 테크노파크, 지방과학연구단지, 지역혁신·특화센터 등 지역과학기술인프라
확충에 투자를 집중함으로써 과학기술의 지역분산을 위한 기반 마련함
-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 해소 효과는 미미함
- 47 - - 48 -
○ 제 3차 종합계획을 통해 지역 R&D의 특성화·자율화·광역화를 표명하며 과학 - 기초연구성과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위한 후속연구개발 지원* 및 지역 특화
기술의 지역화를 강조하는 쪽으로 투자방향 개선함 분야와 연계한 벨트-특구 기술사업화** 지원 강화(’14년~)

- 지역R&D의 지역 밀착성 부족 및 미흡한 거버넌스 체계를 드러냄


* 과학벨트 기초연구성과 후속R&D사업(’13년 18억원)
** 연구개발특구 기술사업화 사업(’13년 468억원)
○ 지역별 특화산업분야를 과학벨트와 연구개발특구의 정책 사업과 연계하여 지역
<그림 Ⅱ-13>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의 주요 특징

산업발전기반 구축

□ 박근혜 정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산‧학‧연‧지역 연계를 통한 창조산업


생태계 조성’을 표방

○ 지역 대학 산업 연구소와 지자체를 과학기술을 매개로 하는 융합 공동체로


육성하고, 창업과 신산업 창출의 생태계 조성

○ 산 학 연 협력 패러다임을 창업과 신산업 창출 로 전환


- 산 학 연협력 총괄기구로서 대학 산학협력단의 기능 정상화를 위해 기능재편과
전문인력(변리사 등) 충원 지원 확대
-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이 창업으로 이어지는 대학 창업생태계 조성
자료: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연구(’13)
- 교수, 출연(연) 연구원의 기술창업 기술이전 활성화 지원

○ 출연(연)은 산 학 협력 매개와 중소기업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강화


(2) 국내 지역혁신 정책 방향 - 학연 교수제 와 학연 학생 제도 활성화를 지원하고, 출연금 중 일정비율
(5~15%)은 중소기업 지원에 활용토록 의무화
□ 박근혜 정부는 ‘과학벨트와 연구개발특구 연계로 전주기 R&D 지원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산업 발전을 도모 ○ 과학기술-인재-산업을 연계하는 지역과학기술혁신 체제 정비
○ 기초과학에서 연구성과의 사업화까지 일괄 지원 - 분산 다기능화 된 지역과학기술 지원사업을 지역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배분하는 체계 구축(과학기술기본법 개정 검토)
- 그간, 분산 추진되어온 정부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기초과학에서 연구성과의
- 중앙정부 중심 지원에서 탈피, 지자체 스스로 지역내 산 학 연 자원과 기술
사업화까지 일괄 지원
혁신 수요를 발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역량 육성
- 기초과학연구원 캠퍼스가 입주하는 연구개발특구 지역(대구, 광주 등)까지 정책
연계 대상에 포함 ○ 지역별로 특성화된 창업생태계 조성
○ 연구성과 발굴․확산과 사업화를 위한 지원 강화 - 과기특성화대학은 과학벨트 연구개발특구 제도와 자원을 활용하여 기술
사업화 전진기지의 선도모델로 육성
- 현지 전담 지원조직을 일원화하고, 과학벨트․특구 내 연구기관의 성과 발굴․
- 지역별 거점대학을 지역 출연(연)과 연계운영을 통해 지역산업기술 공급처로
확산과 사업화를 위한 지원 강화
육성
※ Sci-Biz 펀드 조성을 통한 기초연구성과 사업화 지원 확대 등
- 49 - - 50 -
나. 부문별 지역과학기술 혁신역량 <표 Ⅱ-6> 지역별 인적자원 비교
(단위: 명 %)
(1) 자원부문
동일 연령대 인구 대비 이공계 박사
총 연구원 수 인구 만명 당 연구원 수
구분 졸업생 비중
□ (연구인력) 지방의 연구개발인력 절대적 규모는 작으나, 연구인력 비중
2009 2010 2011 2009 2010 2011 2009 2010 2011
등 상대적 규모는 수도권이나 대전과의 격차가 절대 규모에 비해서는
서울 86,852 91,193 96,372 86.0 90.7 96.1 0.057 0.070 0.081
적은 편임
부산 10,107 10,763 12,237 29.0 31.1 35.3 0.041 0.039 0.041
○ 연구개발활동을 직접 수행하는 인력규모인 총 연구원 수는 경기, 서울, 대전이 대구 7,592 7,740 8,801 30.7 31.3 35.5 0.030 0.031 0.028
상위를 점하고 있음
인천 11,629 12,767 13,573 43.2 47.1 49.4 0.019 0.015 0.018
- 다음으로 충남과 경북 순이나 연구원의 절대 규모 면에서 상위 2개 지역과 나머지
광주 6,651 6,788 7,072 45.1 45.6 47.0 0.048 0.052 0.068
지역 간의 편차가 큰 편
대전 25,014 25,277 27,909 166.3 167.3 182.8 0.074 0.067 0.214
- 2002년 이후 우리나라 연구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7.8%이며, 지역별로는 제주,
울산 3,678 3,982 4,919 33.6 36.4 44.5 0.011 0.015 0.020
충남, 인천, 경기의 연구원 수 연평균 증가율이 높은 수준임

○ 인구 만명 당 연구원 수는 대전과 경기지역이 100명을 상회하며, 서울, 충남이


경기 105,460 114,858 126,449 92.7 99.2 107.3 0.009 0.007 0.008

강원 4,354 4,818 5,412 29.4 32.4 36.2 0.027 0.033 0.035


상위권을 차지
충북 7,803 9,059 10,558 51.5 59.5 68.6 0.029 0.033 0.035
- 지역별 인구 만명 당 연구원 수는 증가 추세이며, 지역별로는 제주, 충남, 인천의
충남 15,878 17,612 17,994 77.9 84.9 85.5 0.013 0.019 0.019
인구 만명 당 연구원 수 연평균 증가율이 높은 수준

○ 동일 연령대 인구 대비 이공계 박사 졸업생 비중은 대전이 가장 높고 서울과 광주가 전북 6,268 6,743 7,558 35.0 37.6 41.9 0.040 0.043 0.039

전남 3,093 3,606 3,784 17.3 20.3 21.4 0.017 0.016 0.020


상위권을 차지
경북 13,302 15,265 15,236 50.3 58.1 57.8 0.044 0.057 0.060
- 경기, 인천, 경남이 하위권
경남 13,763 13,377 14,970 43.2 41.7 46.3 0.015 0.019 0.018
- 대전 지역의 비중이 가장 많이 상승
※ 동일 연령대(25∼39세) 인구 대비 이공계 박사 졸업생 비중은 인구 대비 고급 노동 제주 1,731 2,064 2,332 31.8 37.8 42.2 0.024 0.018 0.028

인력의 보유정도로 연구 활동의 잠재력을 파악 자료: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 51 - - 52 -
□ (연구조직) 지방의 연구개발 수행조직 수는 연구개발 인력과 마찬가지로 (2) 활동부문
절대적 규모는 작음
□ (연구개발 투자) 지방의 연구개발 투자의 절대적 규모는 작으나, 1인 당
○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한 조직 수는 경기와 서울이 가장 많아 다른 지역보다 투자액 등은 수도권이나 대전과의 격차가 크지 않음
4배 이상 많은 큰 격차가 존재
○ 연구개발투자액은 경기, 서울, 대전이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연평균 증
○ 국내 특허등록 기관수도 경기와 서울에 집중 가율은 충남, 부산, 인천이 가장 높은 수준임
○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의 절반 이상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 집중 ○ 경제규모를 고려한 연구개발투자 수준은 대전이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
<표 Ⅱ-7> 지역별 연구개발 수행 조직 비교 - 상위 지역 중 GRDP 대비 연구개발 투자액 비중이 3% 이상인 지역은 대전을
(단위: 개) 포함하여 경기, 충남, 서울, 인천

연구개발 수행 조직 수 국내 특허 등록 기관수
국내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 수
○ 연구원 수 대비 연구개발투자 수준은 대전, 경기, 충남이 상위권을 형성
구분
2009 2010 2011 2009 2010 2011 2009 2010 2011 ○ GRDP 대비 정부에서 투자하는 R&D 수준은 대전이 월등히 높으며 나머지 지역은
서울 4,120 4,504 5,349 2,387 2,840 3,456 315 304 286 큰 차이가 없음
부산 728 764 913 333 422 545 37 36 32 <표 Ⅱ-8> 지역별 연구개발투자 비교
대구 693 716 865 272 319 432 22 26 33
GRDP대비 연구개발 연구원 1인당 GRDP대비
연구개발투자액(억 원)
인천 927 981 1,217 534 641 733 64 64 63 구분 투자액 비중(%) 연구개발투자액(백만원) 사업비 비중(%)

광주 353 394 508 175 202 269 16 14 13 2009 2010 2011 2008 2009 2010 2009 2010 2011 2009 2010

대전 756 758 894 374 470 523 71 64 79 서울 73,042 82,430 92,313 3.07 3.07 3.07 84 90 96 1.11 1.23
부산 8,111 8,395 9,068 1.41 1.41 1.58 80 78 74 0.70 0.88
울산 210 242 272 124 144 160 38 43 34
대구 5,308 5,900 6,784 1.60 1.60 1.76 70 76 77 0.90 1.01
경기 4,957 5,486 6,975 2,973 3,697 4,564 425 426 423
인천 14,407 16,624 19,832 2.99 2.99 3.03 124 130 146 0.75 0.72
강원 233 253 311 158 184 245 8 9 11
광주 5,269 5,209 6,901 2.42 2.42 2.55 79 77 98 1.53 1.40
충북 581 619 764 294 370 468 43 51 58 대전 43,567 50,122 55,700 18.24 18.24 20.02 174 198 200 16.26 16.98
충남 732 777 938 398 466 626 98 95 94 울산 3,945 4,522 7,475 0.92 0.92 0.91 107 114 152 0.24 0.30
전북 334 362 477 207 262 324 25 22 19 경기 155,632 183,129 208,469 6.72 6.72 7.64 148 159 165 0.85 0.85

전남 247 291 355 215 252 310 13 17 15 강원 2,772 2,847 3,400 1.01 1.01 1.09 64 59 63 0.86 1.19
충북 6,256 7,829 8,813 2.15 2.15 2.01 80 86 83 0.64 0.78
경북 598 652 793 349 443 582 66 67 72
충남 21,261 26,866 29,427 2.80 2.80 3.17 134 153 164 0.41 0.49
경남 945 975 1,129 370 453 542 75 72 72
전북 4,934 5,308 6,560 1.37 1.37 1.73 79 79 87 0.85 0.82
제주 83 89 93 28 43 66 5 7 5
전남 3,898 4,826 5,329 0.69 0.69 0.81 126 134 141 0.32 0.39
자료: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경북 15,748 18,286 20,988 2.06 2.06 2.38 118 120 138 0.47 0.58
경남 14,039 15,137 16,492 2.09 2.09 2.05 102 113 110 0.98 0.96
제주 1,095 1,118 1,354 0.96 0.96 1.23 63 54 58 0.65 0.72

자료: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 53 - - 54 -
□ (사업화) 연구개발투자를 통해 창출된 기술의 활용정도는 서울과 경기를 □ (창업) 미래 잠재적 성장성을 측정할 수 있는 벤처 및 INNOBIZ(기술혁
제외하고는 지방이 대전에 비해 절대 뒤처지지 않음 신형 중소기업) 수에 있어서 수도권 집중현상이 심한 편이며, 지방이 대전에
비해서는 양호한 수준임
○ 대학의 기술이전 대상 건수는 수도권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기업이 많기 때문임 ○ 신규 INNOBIZ 수에 있어서 경기와 서울이 최상위권으로 다른 지역과의 격차가
○ 정부연구개발사업을 통한 사업화 건 수도 경기와 서울에 집중되어 있으나, 연구 큰 편임

개발투자가 많이 이루어지는 대전에 비해 사업화 성과는 지방이 우수한 편임 - 부산, 경남, 인천, 대구, 경북은 100개 이상으로 상위권을 형성

○ 정부연구개발사업의 당해 연도 기술료 징수액은 대전이 가장 많은데, 이는 대 - INNOBIZ 수의 증가율은 경북, 전북, 경기 순으로 높음

부분의 출연(연)이 대덕연구단지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


<표 Ⅱ-10> 지역별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수
- 제주, 강원, 전남, 울산의 기술료 징수액은 20억 원 미만으로 적은 수준임 (단위: 개)

구분 2009 2010 2011


<표 Ⅱ-9> 지역별 기술이전 및 사업화 성과 비교
서울 602 524 429
대학 기술이전 정부연구개발사업 정부연구개발사업 당해 연도
부산 123 131 120
구분 대상 수(건) 사업화 수(건) 기술료 징수액(억 원)
대구 121 97 109
2009 2010 2008 2009 2010 2008 2009 2010
인천 162 111 137
서울 434 515 1,198 1,142 1,271 491.3 283.0 321.1
광주 50 25 38
부산 56 69 321 448 496 75.4 58.0 37.6
대전 51 38 50
대구 55 35 317 418 437 67.5 47.9 68.6
울산 30 22 31
인천 37 29 247 286 349 61.0 57.9 77.1
경기 818 675 728
광주 44 47 196 216 216 48.8 41.6 32.3
강원 40 21 17
대전 63 53 529 512 462 673.3 628.7 806.2
충북 79 41 52
울산 14 22 74 109 113 26.0 10.5 18.9
충남 86 53 74
경기 226 263 2,133 2,120 2,645 471.0 378.2 568.1
전북 69 60 45
강원 41 28 200 221 332 16.7 23.8 10.2
전남 43 45 45
충북 47 57 193 377 453 41.1 19.4 35.7
경북 134 108 122
충남 35 44 308 432 658 67.0 64.3 95.7
경남 167 117 179
전북 33 39 273 339 355 27.2 39.5 21.3
제주 3 10 3
전남 43 63 115 175 245 25.5 20.3 11.9
자료: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경북 42 64 220 310 408 54.7 60.3 84.5

경남 48 63 456 596 526 139.2 185.0 170.6

제주 4 3 107 78 140 11.3 8.8 2.2 ○ 벤처기업의 수도권 집중은 심한 편이며 연구에 기반을 둔 창업(벤처) 비율 역시
자료: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지방이 떨어지는 수준임

- 55 - - 56 -
- 수도권에 위치한 벤처기업은 전체의 55% 수준으로 지방의 벤처 비중은 낮은 (3) 네트워크부문
수준임
□ (협력연구) 지방의 산․학․연 협력은 우수한 편이나 기초․원천 연구역량의
- 민간연구소, 교수, 공공연구소 출신 즉, 연구에 기반을 둔 벤처 비중이 수도권에 부족으로 인해 해외협력은 한두 지역을 제외하고는 저조함
비해 떨어지는 수준임
○ 정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산·학·연 협력 정도가 가장 활발한 지역은 인천이며
<표 Ⅱ-11> 지역별 창업주의 이전근무지 비교 다음으로 경북, 대전, 경기 순으로 나타남

○ 정부가 각 지역별로 지출한 연구개발사업비 중 해외 협력 사업에 투자된 연구비


(단위: %, 복수응답)

정부/
구 분 사례수
일반 민간
교수
공공
산하 학생 기타
비중은 인천이 가장 높은 수준
기업체 연구소 연구소
단체

전체 2,034 78.9 4.1 3.8 2.5 1.6 1.3 7.8 <표 Ⅱ-13> 지역별 해외 협력연구 비중 비교
(단위: %)
서울/경기/인천 1,079 81.6 3.8 4.5 2.0 1.0 1.2 5.9
전체 정부연구개발 사업비 중 산학연
대전/충청/강원 256 68.0 5.9 5.5 5.0 5.9 1.9 7.8 전체 정부연구개발사업비 중 해외협력 비중
구분  협력비중
부산/경남/울산 308 81.5 3.9 1.9 1.0 1.0 0.3 10.4 2009 2010 2011 2009 2010 2011

대구/경북 222 79.7 2.7 2.7 3.1 0.0 1.4 10.4 서울 54.4 54.4 50.9 7.3 5.8 4.3

광주/전라/제주 169 72.2 5.3 1.8 3.5 2.4 3.0 11.8 부산 51.2 52.6 44.3 4.3 4.1 4.5

자료: 2012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대구 50.5 56.3 51.2 2.4 4.9 4.9

인천 71.9 81.0 71.3 5.1 16.6 17.7

<표 Ⅱ-12> 지역별 연구기반 벤처 비중 비교 광주 59.5 55.0 47.3 14.0 7.6 8.1

대전 72.0 69.4 65.5 9.5 8.1 7.2


구 분 연구기반(민간연구소, 교수, 공공연구소 출신 창업주) 비중
울산 74.4 70.7 58.0 1.2 1.1 1.3
전체 10.4%
경기 64.1 65.6 59.7 4.3 4.9 3.9
서울/경기/인천 10.3%
강원 62.8 69.4 53.7 2.4 2.4 4.0
대전/충청/강원 16.4%
충북 55.8 57.6 49.7 3.5 2.2 2.9
부산/경남/울산 6.8%
충남 62.4 65.7 58.9 1.8 2.4 3.5
대구/경북 8.5%
전북 50.2 58.2 58.5 1.6 1.6 2.6
광주/전라/제주 10.6%
전남 49.8 51.4 56.2 0.3 0.2 2.0
자료: 2012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분석 결과
경북 70.0 72.0 66.6 10.8 8.9 2.9

경남 81.1 63.0 50.6 14.2 14.3 1.5

제주 49.3 56.9 47.1 0.2 0.0 1.5

자료: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 57 - - 58 -
○ 연구원 1인당 해외 협력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건수는 광주와 부산, 강원이 (4) 환경부문

최상위권을 형성함으로써 지방 연구인력 개개인의 기초․원천 연구역량은 □ (재정자주도) 지방의 재정자주도는 낮은 수준으로 장기적 투자를 요하는 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됨 초․원천 분야에 대한 투자 여력이 적음

- 다만, 지방의 이러한 역량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기초 원천 연구에 대한 투자
증대가 필요 ○ 재정자주도는 서울이 87.2%로 가장 높은 수준이며 다음으로 경기, 인천, 울산
순임

<그림 Ⅱ-14> 지역별 연구원 1인당 해외협력 과학기술논문 수(2010년) ○ 제주와 전남, 전북은 70% 이하 수준임
<표 Ⅱ-14> 지역별 재정 자주도
(단위: %)

구분 2008 2009 2010

서울 93.6 93.7 87.2

부산 75.4 74.0 72.5

대구 78.4 75.3 73.6

인천 80.3 82.0 80.1

광주 74.2 73.6 69.2

대전 80.1 74.5 71.9

울산 82.6 80.2 78.8

경기 85.2 84.4 81.5

강원 75.8 75.4 71.7

충북 76.1 74.6 70.9

충남 73.5 72.4 71.7


자료: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전북 70.1 71.7 68.9

전남 69.5 67.9 64.4

경북 75.1 74.6 73.0

경남 74.5 75.0 73.3

제주 67.4 65.0 62.1

자료: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 59 - - 60 -
(5) 성과부문 □ (지식창출성과) 논문 및 특허로 대변되는 지식창출성과는 지방이 절대적
인 양에서는 적으나, 질적인 면에서는 우수
□ (경제적성과) 기술개발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인 기술 수출액 측
면에서 수도권 및 대전과 지방의 격차는 매우 큼 ○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건수 및 특허등록 수는 서울, 경기, 대전이 다른 지역에
○ 기술 수출액은 경기, 대전, 서울이 상위권을 차지 비해 월등히 많음

○ 4위를 차지한 부산의 기술 수출액은 132,229 천달러로 대전의 708,448 천 - 논문 발표 건수가 3,000편 이상인 지역은 서울을 포함하여 경기, 대전 3개
지역임
달러와의 큰 차이
- 전남과 제주, 울산의 논문 발표 건수는 하위권을 형성
○ 기술 수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원천기술이 필요하고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기초․원천 연구에 대한 지방투자가 필요
- 연간 국내 특허등록 건수는 경기와 서울이 가장 많은 반면, 제주와 울산은
최하위권

<표 Ⅱ-15> 지역별 기술 수출액


(단위: 천달러) <표 Ⅱ-16> 지역별 연간 과학기술논문 및 국내 특허 등록 수
(단위: 편)
기술수출액
구분 과학기술논문 수 국내 특허 등록 수
2008 2009 2010 구분
2008 2009 2010 2009 2010 2011
서울 448,204 586,823 562,417
서울 10,864 13,297 14,930 12,958 15,671 21,980
부산 9,578 134,472 132,229
대구 2,603 3,634 3,895 부산 1,451 1,775 1,790 1,080 1,411 2,104

인천 211,477 308,944 222,059 대구 845 1,069 1,267 1,092 1,295 1,959

광주 25 4 86 인천 803 894 1,035 1,642 2,253 2,943


대전 44,383 32,917 708,448 광주 1,134 1,412 1,471 737 921 1,247
울산 24,931 20,702 16,043 대전 3,066 3,495 3,890 3,427 3,874 5,223
경기 1,729,042 2,440,662 1,677,708
울산 157 217 349 375 498 735
강원 13,551 1,861 1
경기 2,964 3,743 4,234 13,150 16,302 22,583
충북 3,504 5,574 7,059
강원 570 692 860 445 545 934
충남 19,759 5,446 6,038
충북 461 551 601 826 1,131 1,644
전북 1,500 904 261
전남 597 461 959 충남 495 639 762 1,462 1,615 2,600

경북 11,980 4,815 4,315 전북 813 977 1,043 511 615 1,041

경남 8,459 33,392 2,692 전남 176 225 232 457 610 828


제주 1 1,284 0 경북 1,290 1,458 1,573 2,484 2,746 3,557
자료: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경남 761 977 1,103 1,213 1,492 2,362

제주 172 190 248 120 136 237

자료: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 61 - - 62 -
○ 지식창출의 한 측면인 논문의 질적수준을 나타내는 연구원 1인 당 과학기술 (6) 효율성 측면에서의 지역과학기술혁신역량 종합 평가

논문(SCI) 발표 편 수 및 논문 1편 당 평균 피인용 횟수는 지방이 더 우수 □ 과학기술혁신을 위해 투입된 것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성과로 전환됐는지
- 연구원 1인 당 과학기술논문 발표 건 수는 광주가 가장 높은 수준이며, 강원, 비교하는 효율성 비교가 혁신역량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대표적
부산, 서울과 대구가 상위권을 형성 근거
- 과학기술논문 1편 당 평균 피인용 횟수는 경북이 최상위권이며 다음으로 대전,
울산, 서울, 광주 순으로 나타남
○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한 지방의 R&D 투입에 대한 효율성이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님
<표 Ⅱ-17> 지역별 논문의 질적수준 비교
(단위: 편, 회)
○ 아래 그림의 실선위에 존재하는 지역은 실선 아래에 있는 지역에 비해 투입의
성과로의 전환이 상대적으로 효율적이라 할 수 있음
연구원 1인당 과학기술논문 수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 횟수
구분
2008 2009 2010 2008 2009 2010
○ 서울, 충남, 경북 등은 투입의 성과로의 전환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것으로
파악되는 반면, 대전, 인천, 전남 등은 투입에 비해 성과가 낮음
서울 0.131 0.153 0.164 4.98 2.79 0.91

부산 0.142 0.176 0.166 3.87 2.13 0.68


○ 효율적이지 못한 지역의 비율을 기준으로 보면, 지방의 R&D 투입에 대한 효율성은
낮은 수준이 아님
대구 0.114 0.141 0.164 4.64 2.35 0.69
- 대전과 인천에 비해 비효율적인 지역은 전남이 유일함
인천 0.072 0.077 0.081 4.21 2.61 0.86

광주 0.199 0.212 0.217 5.19 2.64 0.90 <그림 Ⅱ-15> 투입지수와 성과지수간의 상관관계

대전 0.137 0.140 0.154 4.72 2.72 0.95

울산 0.045 0.059 0.088 4.13 2.21 0.92

경기 0.031 0.035 0.037 4.47 2.68 0.86

강원 0.138 0.159 0.178 3.90 2.15 0.66

충북 0.060 0.071 0.066 3.54 2.17 0.60

충남 0.036 0.040 0.043 3.71 2.41 0.87

전북 0.153 0.156 0.155 4.62 2.27 0.74

전남 0.066 0.073 0.064 2.73 1.71 0.53

경북 0.100 0.110 0.103 5.56 3.17 1.07

경남 0.060 0.071 0.082 4.52 2.39 0.76

제주 0.187 0.110 0.120 3.60 1.88 0.81


□ 따라서, 지방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낮은 것이 아니라 절대적인 투입이 적은
자료: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것이 문제임

○ 특히 서울, 경기, 대전과 다른 지역과의 투입지수에서의 격차가 너무 큼


- 63 - - 64 -
다. 지역과학기술 현황 및 문제점 □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담당할 벤처기업의 수도권 집중 심화

□ 지방에 대한 정부 R&D 투자 비중 정체 및 개발단계 R&D 편중으로 새로운 ○ 수도권에 위치한 벤처 비중은 53.0%로 지역내 총생산(GRDP)의 수도권 비중인
성장동력 창출에 한계 47.1%에 비해 벤처기업의 수도권 집중 정도는 심각한 수준

○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한 지방에 대한 정부 R&D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 매출 1천억 원 이상의 ‘천억벤처’ 역시 수도권 분포 비중이 54.4%에 달함
비중은 27%대에서 정체
<그림 Ⅱ-16> 천억 벤처의 지역별 분포
- ’11년도 기준 지방에 대한 정부 R&D 투자 비중은 27.9%로 지방의 지역총
생산(GRDP) 비중 52.9%의 절반수준임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방 투자 추이 (KISTEP, ’13) : 27,915억 원, 27.9%(’08) →
31,770억 원, 27.7%(’09)→ 38,112억 원, 29.3%(’10)→ 39,513억 원, 27.9%(’11)
○ 지방에 대한 정부 R&D 투자는 개발연구단계의 R&D에 편중되어 있음
- ’11년도 기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초 및 응용단계 R&D 투자 비중은 수도권이
56%인데 반해 지방은 43%에 불과한 수준임
※ 지방 투자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초․응용단계 비중 추이 (KISTEP, ’13) :
48.8%(’08) → 39.2%(’09) → 43.8%(’10) → 42.9%(’11)
□ 지역기업수요에 기반한 지역과학기술발전을 추구하기에는 지자체의 기
□ 실질적인 산학 간 지식이전은 수도권 및 대전에 비해 뒤쳐짐
획인력 및 역량 부족
○ 지방 대학의 기술이전 건수는 수도권 대학에 비해 낮은 수준은 아니나 기술이전 ○ 중앙부처 기본계획에 따라 과제기획․선정은 부처 소속 전담기관(산업기술진
수입은 그 격차가 심한 편임
흥원 등)이 수행함으로써 지자체의 참여기회 제약

<표 Ⅱ-18> 기술이전 성과 비교 - 중앙부처의 Top-down식 R&D 프로그램 기획 및 선정에 따라 지역기업의 수요


지역 대학 기술이전건수 기술이전수입 (백만원) 반영은 미흡
서울대학교 79 4,589 - 지역거점기관(테크노파크 등)의 기획력 역시 중앙의 공모사업에 대한 매칭
수도권 및 한국과학기술원 71 4,159 사업 제안서를 작성하는 정도의 역할에 불과함

○ 지자체 R&D 기획 인력 및 능력이 뒷받침 되지 못함


대전 연세대학교 63 2,982
한양대학교 36 2,249
- 지역별 연구개발지원단 사업 추진을 통해 지자체 R&D 기획능력제고를 꾀하고
경북대학교 45 1,149
있으나, 규모나 재원에 있어서 역부족
전북대학교 49 1,018
지방
전남대학교 42 959 ※ 연구개발 지원단 사업은 현재 부산, 충북, 대구, 전북, 경기, 광주, 인천, 강원, 경북,
강원대학교 41 921
전남, 경남, 제주, 세종, 충남, 울산 등 15개 지역 운영
※ 연구개발지원단의 예산규모(국비만)는 2억원으로 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의 예산규모
(국비만) 8∼9억원의 1/5 수준
자료: 2011대학산학협력 활동조사보고서(2013)

○ 지역기업의 수요반영 미흡
- 65 - - 66 -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연구단 선정 등 중앙정부 주도의 R&D 추진 시 지 ○ 벤처기업의 수도권 집중현상 해결을 위해 연구결과물을 활용한 기술창업 지원
역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지역별 특성화된 기초연구가 수행되지 못함
- 창업기획 지원을 통해 특허활용률 및 창업성공율 제고
- 지역특성이 반영되기 어려운 일반복지 사업의 비중이 높음
※ 국가차원의 일반복지사업(일반회계) 81%, 지역목적사업(특별회계) 19% (2011기준) ○ 지역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의 탐색 및 중개 추진
<그림 Ⅱ-17> 지방과학기술 문제점 해결을 위한 지방과학연구단지 역할

□ 지역에서 배출된 고급 연구인력에 대한 일자리 부족

○ 지방의 석박사 인력 배출은 양호한 수준이나 이들 고급인력이 그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일자리가 부족한 것이 문제
- 지방의 이공계 박사 졸업생 비중은 서울 및 대전의 1/2 수준이나, 인구 만명 당
연구원 수는 1/5~1/3 수준임
※ 지역별 인구 만명당 연구원 수(명) (KISTEP, ’12) : 서울(90.8), 대전(166.8) ↔ 대구
(31.8), 광주(46.8), 부산(31.2)
※ 동일 연령대 인구 대비 이공계 박사 졸업생 비중(%) (KISTEP, ’12) : 서울(0.068),
대전(0.064) ↔ 대구(0.031), 광주(0.052), 부산(0.039)
○ 지방은 낮은 연구개발 투자와 고학력 수준에 맞는 고급 일자리 부족으로 인한
인재 유출이 심각
※ 최근 3년간(’10~’12) 광주과기원 석․박사 졸업․취업생 750명 중 광주지역에 취업한
비율은 23%, 전남․전북 지역에 취업한 비율은 2%로 호남권 취업 비율은 25%에
불과

라. 지역과학기술 문제점 해결을 위한 지방과학연구단지 역할

○ 지방에 대한 정부 R&D 투자가 개발연구단계에 편중되는 문제해결을 위해 기초·


원천기술을 활용하는 응용연구단계 중심의 가교형 R&D 수행
- 단·중기적으로 국가R&D 사업을 통해 창출된 기초·원천 성과를 가교형 R&D
사업을 통해 지역산업에 적용
- 장기적으로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을 통해 기초·원천연구부터 가교형
연구까지 수행

○ 미흡한 산학 간 지식이전 해결을 위해 지역의 산·학·연이 동시에 참여하는 사업


추진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기술저장소 구축 사업 등
- 67 - - 68 -
□ 주요사업
4 지방과학연구단지와 유사사업
○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과 R&D 지원 위주로 사업 추진함
가.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사업 (구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사업) ※ 산단 특성에 기초한 맞춤형 특성화 사업과 중장기 R&D 역량강화사업 등
□ 추진배경 - 산단 소재 주요기업을 중심으로 관련 분야 연구소·대학·지원기관을 네트워

○ 그간 산업단지는 자동차, 기계, 전자 등 주력기간 제조업의 최대 집적지로서 우리


킹하고 협력사업을 수시 발굴·지원함
- 사업예산은 대상단지 확대 및 신규사업 추가 등으로 ’08년 이후 대폭 증액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함
- 이에 따라 국가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산업단지를 ʻ지식정보교류
※ ’05~’09 동안 총 2,718억 원 지원
→ 창조와 혁신’이 선순환되는 혁신클러스터로 전환시키고자 함 <표 Ⅱ-20> 주요 사업내용 및 지원현황

○ 산학연관 상호연계를 통해 R&D 및 기업경쟁력을 극대화하고, 생산기능 중심의 산업 주요 추진사업 ’05 ’06 ’07 ’08 ’09
(단위: 억원)


단지를 혁신에너지가 샘솟는 혁신클러스터로 탈바꿈시키는 사업
산학연 N/W 구축 245 340 273 369 437 1,664

□ 사업개요 맞춤형 특성화사업 33 31 140 240 170 614

○ 사업기간 : 2005년 ~ 2015년(11년, 132개월) R&D 역량강화사업 - - 108 108 - 216

○ 사업비 : ’09년 총 688억 원 공동사업(e-cluster 등) 19 22 21 25 25 112

○ 지원분야 : 산·학·연 네트워크, 맞춤형 특성화사업, R&D역량 강화사업 농공단지 클러스터 56 56 112

○ 주요특징 : 소규모 산·학·연 협의체(미니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추진 총계 297 393 542 798 688 2,718

□ 추진현황

○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에서 사업을 총괄하고 단지별 사업수행 주체로 ∎산학연 N/W구축

클러스터 추진단을 구축․운영함


: 소규모 산학연협의체(미니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기업 애로과제를 발굴․지원하여 자발적 네트워크
기반 형성
∎맞춤형 특성화사업 : 단지별 중장기 비전 달성을 위한 공동기술개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등
<표 Ⅱ-19> 산업집적지 경쟁력강화사업 추진현황 ∎R&D역량강화사업 : R&D역량개선이 시급한 단지의 R&D 인프라사업 보완 등
∎공동사업 : 온라인 및 글로벌 네트워킹 활성화와 사업평가․관리 지원 등
구분 선발 7개(’05.4~) 후발 5개(’08.4~) ∎농공단지 클러스터 : 전국의 농공단지를 대상으로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

지역 경남 울산 경북 경기 광주 전북 강원 충북 인천 부산 전남 대구

반월 □ 추진체계
대상단지 창원 울산 구미 광주 군산 원주 오창 남동 녹산 대불 성서
시화

업종 기계 자동차 전자
부품
광산업
자동차/ 의료 전자 기계 기계,
조선
메카트 ○ 균형위(클러스터 정책협의회)중심, 부처 간(주관부처 산자부) 정책조정
○ 한국산업단지공단을 산학협력지원 전문기관(network-broker)으로 개편, 7개
소재 기계 기기 정보 부품 조선 로닉스

단지별 ‘클러스터 추진단’ 구성함

- 69 - - 70 -
○ 지원기관협의회(지자체, 대학, 연구소, TP, 전략산업기획단, KOTRA 등 참여) 나. 지역혁신센터(RIC) 조성사업
및 전문가 pool(기술, 경영, 법률, 회계 등)구성함 □ 추진배경
○ 산학연협의체(미니클러스터)구성 ○ 지역혁신센터(RIC)는 과거 산업지원부의 지역기술혁신센터(TIC)와 과학기
- 단지별 업종, 기술 특성을 고려하여 4~10개의 소규모 산학협력협의체 구성 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RRC)가 통합된 거점센터
하여 운영함
- ’95년에 산업자원부의 지역기술혁신센터(TIC)와 과학기술부의 지역협력연구
- 다양한 미니클러스터 활동을 통하여 산학연관 긴밀한 협력적 개방형 네트워크 센터(RRC)을 각 부처별로 각각 추진되었음
구축함
- ’04년 과학기술행정체제 개편으로 인하여 RRC사업 부처가 과학기술부에서 산업
자원부로 이관
□ 추진성과
- ’05년에는 TIC와 RRC가 연계 및 통합되어 지역혁신센터(RIC) 모델 운영
○ 업종·기술별 총 54개 소규모 산학연협의체(미니클러스터) 구성, 과제발굴, 세
미나, 포럼 등 총 15,638회 네트워킹 활동 전개(’05~’08)함 □ 추진목적
- 상호협력 극대화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인증(ISO, ’07.12)을 받음
○ 지역전략육성분야 및 대학특성화분야의 장비구축·활용, 연구개발 등을 통해
※ 문제인식(기업방문, 세미나)→과제화(프로젝트 기획)→해결(R&D, 멘토링, 사업화 등) 대학-기업 간의 혁신역량을 높이고, 지역의 성장잠재력을 확충하기 위하여
○ 연중 상시 기업들이 과제를 직접 발굴하고 적기에 활용하는 수요자 맞춤형 지원
사업으로 호응과 만족도가 매우 높음 ※ 지역혁신센터(RIC : Regional Innovation Center)는 종전의 지역기술혁신센터(TIC)와
- 특히, 다른 정부사업에서 소외되기 쉬운 영세 기업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지역협력연구센터(RRC)의 통합모델임
사업 구조임(소기업 지원 비율 : 72.0%, ’08년)
□ 사업개요
<표 Ⅱ-21> 클러스터사업 과제지원 현황(건수, ’08년) ○ 사업기간 : 10년
기업 규모 30인 이하 50인 이하 소계 100인 이하 300인 이하 300인 초과 합계 ○ 사업비 : 센터 당 700백만 원 지원(’09년 총 430억 원)
3,496 867 4,363 829 827 6,060
○ 지원방식 : 국비, 지방비, 민간부담금 대응자금 방식
합계 41(0.7%)
(57.7%) (14.3%) (72.0%) (13.7%) (13.6%) (100%) - 국비는 총 사업비의 75%까지 지원함
- 총 현금사업비 중 40% 이상을 장비구축 용도로 사용함을 원칙으로 함
○ 산학연 연계·협력 증대로 사업 참여기업의 최근 3년 간(’04~’07) 기업 간 연계, ○ 지원대상 : 해당지역의 전략산업분야, 지역연고산업분야, 산업화가 가능한 해당
R&D 투자액 등이 1.2배에서 3.0배까지 대폭 증가함 대학의 강점 분야
※ 참여기업의 생산(29.8%), 수출(36.6%), 고용(2.8%)도 성장세(’04→’07) ○ 연구주체 : 대학(산업대학, 전문대학, 기술대학 등), 산학협력단 등
○ 주요특징 : 구축센터의 장비활용에 초점

- 71 - - 72 -
□ 추진체계 □ 추진성과

<그림 Ⅱ-18> 지역혁신센터조성사업 추진체계


○ 그동안 대학의 연구개발 역량을 산업체로 파급시켜 지역경제 성장을 촉진시
켰으며, 지역 내 총생산과 기업 매출액 증대, 고용 창출 등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함
- ’08년 실적을 살펴보면 특허출원 200건, 기술이전 300건, 장비활용 3,200개
기업으로 나타남

□ 예산지원

○ 지원현황을 보면, ’09년까지 5,561억 원이 투입되었고 총 127개 센터를 지원함


○ 지역혁신센터(RIC)의 사업단계별 지원규모와 지출용도는 다음과 같음
<표 Ⅱ-23> 지역혁신센터 사업 개요

구분 1단계(인프라 구축기) 2단계(인프라 완성기) 3단계(인프라 활용기)

사업기간 4년
3년 협약 3년 협약
□ 주요사업 (10년) (2년 협약+2년 협약)

○ 주요사업으로는 장비활용, 연구개발, 인력양성, 창업지원, 개발기술 사업화, 지원규모 매년 10억 원 내외 매년 7억 원 내외 매년 4억 원 내외

마케팅, 네트워크, 기술이전·지도, 기타기능을 지니고 있음


사업비 -장비+조직 : 70%내외 -장비+조직 : 40%내외 -인프라 운영비
지출용도 -R&D+교육 등 : 30%내외 -S/W(R&D등) : 60%내외 -교육+사업화+마케팅 등
<표 Ⅱ-22> 지역혁신센터 조성사업의 주요사업
-장비, 조직 등 인프라 구축 -인프라 구축과 R&D 등 -기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한
구분 내용 센터기능
중심 S/W를 병행 S/W 중심
장비활용 기업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고가 실험․측정장비의 구축․운영

연구개발 해당 분야의 연구개발 수행 및 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

인력양성 산업체 인력의 재교육 및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우수 기술인력 배출 다. 산업단지 캠퍼스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창업지원 신기술 창업자에 대한 공간, 기술․경영지도 등 지원
□ 사업목적
개발기술사업화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에 대한 사업화 지원

마케팅 기업의 신기술제품에 대한 판로개척 지원


○ 산업단지와 대학을 공간적으로 통합하고, 현장 중심의 산학융합형 교육시스템
도입으로 산업 현장에 R&D-인력양성-고용이 선순환되는 체계 구축함
네트워크 유관기관 간 인적 및 물적 협력체계 형성을 통해 사업추진 시너지 효과 창출

기술이전·지도 대학의 연구역량을 활용하여 기업에 기술이전 및 지도 지원


○ 생산중심의 산업단지를 생산, 교육, 문화가 어우러지는 복합공간으로 재창조
하여 근로자에게 평생 교육의 기회 확대 및 근로생활의 질 향상
기타 지식경제부장관이 정하는 사항

- 73 - - 74 -
□ 사업내용 라.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LINC)

○ 산업단지캠퍼스 지원사업 : 산업단지캠퍼스 운영 및 산학융합연구실 등 프로그램 □ 기존의 3개 산학협력지원사원을 통합 개편

○ 광역권 선도산업 인재양성, 산학협력중심대학, 지역거점연구단 사업을 LINC


지원함
- 산학융합연구실 : 대학과 기업이 연구실과 인력(학부3 ~ 4학년, 대학원생)을 공유해
사업으로 통합(’12년부터)
연구개발·교육을 수행하는 연구실
- 교육과정개편 : 수요기반 실용형 교육프로그램 운영(산업수요를 반영한 특성화된 <그림 Ⅱ-19> 산학협력지원사업의 통합개편 방향
교육프로그램, 현장실습, 캡스톤디자인 등 실습 교육)
- Information Center : 기업지원, 연구·교육, 고용연계 등을 위한 지원 창구
역할 수행 및 대학과 산학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기업지원, R&D 연계
- 자율프로그램 : 산업체 재직자 교육, 장비지원센터 등

○ 산학융합지구조성사업 : 산업단지와 대학을 공간적으로 통합하는 거점공간 조성,


산학융합형 대학운영체제 도입 및 인력양성-고용-R&D 선순환 체계 구축함
- 산학융합 거점공간 조성 : 산업단지캠퍼스 설치·운영, 기업연구관 조성, 근
로자/학생 복지·편의시설 마련함
- 근로자 평생학습 : 마이스터고·특성화고 졸업한 재직근로자 대학입학 시 특별
○ 사업기간은 ’12~’16년간 5년
- 1단계 : 산학협력 선도모델 기반 조성 및 내실화(2년)
전형제도 도입, 중소기업 계약학과 개설, 동업자대학 설립, 비학위과정 등을
개설함 - 2단계 : 산학협력 선도모델 성과 창출 및 확산(3년)

- R&D연계 현장맞춤형 교육 : 프로젝트 Lab을 통해 현장형 엔지니어 양성,


R&D 인턴십 도입, Business Lab 구축함 □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 추진방안

- 중소기업 R&D 역량 강화 : 기업수요 기반의 R&D 프로젝트 활성화 및 석·


○ 지역산업 수요에 부응하는 인력양성과 연구개발을 통해 지역대학과 지역산업의
박사급 연구인력 양성(산학융합 R&D), 기업연구관 입주 지원 등
동반 성장 추진
- 산학융합형 대학체제 개편 : 교원임용시 산업체경력 인정비율 100% 확대,
산업체경력 채용비율 30%이상 상향, 교원평가시 산학협력 Track 신설 및
○ 대학의 창업교육 강화를 위해 산학협력선도대학 내에 창업교육센터 50개교
설치
확대, 산학협력실적 반영비율 50%이상 상향, 현장실습 및 인턴십 정규교과
반영, 실습과정 위주의 학점으로 학·석사학위 취득, 프로젝트형 연구실 운영 - 창업강좌를 정규과정으로 설치, 창업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대학 내 창업교육
총괄

□ 지원규모

○ 과제당 평균 지원규모
- 산업단지캠퍼스지원사업 : 평균 1,000백만 원 내외
- 산학융합지구조성사업 : 평균 7,000백만 원 내외
- 75 - - 76 -
<그림 Ⅱ-20> 산학협력선도대학 사업 개요
- 기술지원 : 품질향상 및 공정개선, 시험검사 및 분석지원, 특허, 장비구입·업
그레이드 등 지원
※ 기존 구축 센터의 노후화 시설 교체(장비구입, 업그레이드 등), 지원분야 변경에
따른 시설 개편 비용(총 사업비의 15% 이내)
- 사업화지원 : 제품의 사업화, 마케팅 등을 위한 기업지원
- 인력양성 : 재직자, 예비인력 대상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운영 ㆍ
○ 거점기관운영 : TP에서 수행하는 거점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지원
- 기획ㆍ평가 : 시도별 지역특화사업의 기획ㆍ선정ㆍ평가ㆍ관리
- 플랫폼 : 수요자(기업지원서비스 주관기관)와 공급자 간 중개목적

□ 지원방식

○ 지원방법
마. 신특화사업 - R&D와 기업지원서비스 패키지 지원이 가능토록 RIS(S/W), RIC,
RRI(H/W) 등 사업구분을 없애고 단일 사업으로 통합
□ 사업목적 및 대상
- 지방비 매칭은 시도별 사업비 전체에 대해 국비 : 지방비 매칭 비율을 ’70
○ 목적 : 지역 주력·연고산업(생물 등), 뿌리산업(주·단조 등), 문화융합형 생활 : 30’으로 설정
산업(섬유 등), 지식기반서비스산업(디자인 등) 등 일자리 창출형 산업육성을 - 프로그램 단위에서는 지역 자율적으로 매칭 비율 적용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촉진 - 수요조사와 함께 시도(TP)는 지역혁신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 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기업지원이 가능한 기관 등 3개년 계획과 연차별 실행계획 수립
※ 산업여건 분석, 특화산업별ㆍ프로그램별 재원 배분계획, 성과관리방안 등 포함
□ 지원내용 - 시도(TP)는 연차별 실행계획에 따라 제안요청서(RFP)를 기획하고, 공모를

○ R&D : 지정공모형 R&D와 자유공모형 R&D로 구분하되, 과제선정·평가 시 통해 수행기관(주관기관, 참여기관 등)을 선정
※ RFP는 주관기관에서 자율적으로 설계가 가능한 형태로도 기획 가능
고용, 매출 관련 비중 확대
- 주관기관에게 연차별 고용창출 계획서를 제출토록 하고, 고용창출 성과에

- 과제 선정 시 과제 간 유사 중복, 상호 연계방안 등을 검토하고, 기업지원
서비스 수행기관(공급자)과 기업(수요자) 간 중개 지원
따라 사업비 조정, 과제 중단 등 실시
- ‘강제탈락제’*는 과제 선정 후 2년이 경과한 시점부터 적용 ○ 지원기간 : ’13년도부터 추진, 3년 단위
※ 계속과제 연차평가결과 하위 10% 과제에 대해서는 지원 중단 ○ 지원규모 : ’13년 기준, 2,635억 원 이상
○ 기업지원서비스 : 기술지원, 사업화지원, 인력양성으로 구분하고, H/W 관련
비용은 기술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

- 77 - - 78 -
<표 Ⅱ-25> 지역별 신특화산업 분야
□ 사업내용

○ 지역고용 창출형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R&D + 기업지원서비스 패키지 형태로 강원

경남
 웰니스식품, 생활의료기기, 구조용신소재,  스포츠지식서비스산업

생산기계, 수송기계전장, 나노광학, 소재성형, 생명건강


지원
경북  디지털기기부품, 에너지부품소재, 성형가공,  기능성바이오소재, 생활섬유
○ 시도(TP)는 산업유형을 참고하여 산업의 집적도, 특화도, 성장성을 토대로 광주  스마트가전산업, 복합금형산업, ICT콘텐츠산업, 디자인융합산업, 생체용 소재부품 산업
고용창출효과가 큰 산업을 자율 선정 대구  소재기반 바이오헬스, 데이터기반 지식서비스, 정밀성형, 생산공정기계, 패션웨어

대전 광학기기소재, 바이오소재, 금형정밀가공, 지식융합, 연구개발서비스


<표 Ⅱ-24> 新특화사업 지원분야
부산  초정밀 융합부품, 산업섬유소재, 바이오헬스, 금형열처리, 영상콘텐츠
구 분 지원 산업 지원 분야 울산 수송기계융합부품, 정밀화학, 에너지소재, 환경, 엔지니어링플랜트

유형 1 지역연고ㆍ주력산업 실크, 진주, 정보가전, 생물 등  기능성 세라믹스, 석유화학기반 고분자소재,  해양기자재 및 부품, 고기능 생물소재,
전남
금속소재 가공
유형 2 뿌리산업 금형, 주조, 단조 등
 자동차·기계 생산기반산업, 경량소재부품산업,  향토기능성식품산업, 인쇄전자산업,
유형 3 문화융합 생활산업 섬유․패션, 인쇄, 안경 등 전북
에너지변환저장부품산업
유형 4 지식기반서비스산업 디자인, S/W, MICE 등 제주 생명융합지식, 해양바이오, 건강뷰티소재, 문화관광콘텐츠

충남 자동차부품 소재, 조명부품 소재, 그린바이오, 금속소재 부품가공, 지식 영상서비스

충북  전력에너지부품산업, 금속가공산업, 기능성화장품산업,  바이오〮 한방식품산업


□ 지역특화산업기술개발(R&D 사업)

○ 지역별(시·도)로 선정된 특화산업 분야의 기술개발을 집중 지원하여 지역 일 바. 거점기관운영사업


자리 창출 확대 및 지역 내 기업의 매출 신장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지원대상 □ 추진 배경 및 사업 개요
- 시·도별 특화산업분야(수도권 제외) 세세분류업종에 해당하고, 고용창출 조
건을 충족하는 기술개발과제(수행기간 내 사업화가 가능한 과제 우대 지원)
○ (추진 배경) 기존 지역혁신거점육성사업(2단계 테크노파크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신특화사업을 통해 R&D와 기업지원서비스를 지원함에 따라 이의 운영을
- 지역별 산업여건 및 혁신자원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특화산업분야 범위 내 위한 지원사업 추진
에서 지원
○ (사업 개요) 기업지원 플랫폼기능 및 지역산업기획 지원을 위한 ‘테크노파크
○ 지원내용 운영지원’과 특화사업 평가관리를 위한 ‘지역사업평가지원’
- 지원규모 및 기간 : 연간 3억 원 이내, 총 2년 이내
□ 지원 대상
- 지원조건 : 연평균 지원금액 대비 2억 원 당 1명 이상(전문학사 이상) 신규
채용 계획 제출 의무화(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 (테크노파크운영지원) (재)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과 기업지원단을 지원
- 지원방식 : 자유공모형, 사전기획형 과제 - (정책기획단) 시도 지역산업 기획업무를 지원(기존 업무영역과 동일)
- (기업지원단) 비즈니스 중개기능, 비R&D 지원 종합 관리, 네트워킹 등의
업무지원

○ (지역사업평가지원) 지역사업평가원의 특화사업 세부과제 평가관리 지원


- 79 - - 80 -
□ 지원 내용 - 대학생 및 예비창업자 대상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 연구개발자 대상 기

○ (지원규모) 테크노파크운영지원은 평균 국비 9.5억 원(정책기획단 4.5억 원 술사업화 교육프로그램, 일반인(직장인) 대상 창업지원 교육프로그램

+기업지원단 5억 원), 지역사업평가지원은 평균 국비 5.7억 원 ○ (아이디어 사업화 촉진 협력 네트워크 확충) 지역 인재의 아이디어가 사업화·
○ 지원예산은 평가결과에 따라 차등 지원하고, 축소되는 예산은 동일 시·도의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교류·협업 공간을 조성하고 전문가 창업지원 멘토링·컨
설팅, 기업·투자자와의 상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기업지원서비스 예산으로 활용 가능

○ 테크노파크 및 지역사업평가원에 지정 지원 ○ (지역 내 창업 엑셀러레이팅 강화) 지역 엑셀러레이터 발굴·육성 및 스타트업


보육·성장 지원을 통해 지역 창업 생태계 활성화 도모

○ (사업화 지원 플랫폼 구축) 아이디어가 사업화까지 최소의 시간·비용으로 원


사.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 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6개월 챌린지 플랫폼」구축·운영

□ 추진 배경 - 지역에서 발굴된 우수 아이디어가 대기업 및 소비자의 사전검증을 거쳐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
○ 창의적 아이디어에 새로운 기술을 융합해서 신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
역경제 혁신을 이끌어 가기 위한 지역단위 창조경제 전진기지로서 창조경제
<표 Ⅱ-26> 프로그램 운영계획(안)
혁신센터 구축 필요

○ 이를 통해 ①창의적 지역 인재의 활발한 창업 도전, ②중소·벤처에서 중견기 구분 프로그램

업을 거쳐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 ③제품과 서비스의 경쟁력 제고와 세계 (멘토링) 기술분야 및 투자에 대한 멘토링 실시
멘토링 및
시장 개척을 지원 컨설팅
(컨설팅) 법률, 회계, 세무, 특허, 마케팅 등 전문 컨설팅 제공

(교육) 기업가정신, 예비 엑셀러레이터 역량강화 등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 방안 교육 및 워크숍
(워크숍) 글로벌 트렌드, 투자 전문가 세미나 개최

○ 2015년 초까지 순차적으로 17개 광역시 도에 구축 완료 (창업캠프) 예비창업자와 일반인 대상의 창업캠프 개최

○ (공간) 지역상공회의소, 테크노파크 등 지역 내 유사·유휴 공간을 활용 네트워킹


프로그램
(교류행사) ‘엑셀러레이터 데이’, ‘데모데이’ 등 개최

○ (운영비) 센터설립과 일반운영, 프로그램, 정책지원 등에 관한 예산은 지자체와 (IR) 예비창업자와 투자자간 네트워크 형성 및 투자기회 획득

경제단체, 중앙정부가 매칭펀드 방식으로 운영 (영상회의) 영상회의 시스템을 통한 글로벌 교류 및 협력

○ (역할) 창의적 아이디어 구체화, 멘토링, 시제품 제작 지원 등 창업 촉진 (Lunch 데이트) 성공신화를 만든 선배 기업인들과 런치 토크 운영
기타
(Dinner-Party) 선배창업자, 투자자, 멘토 등과의 만남 행사 개최
□ 주요 프로그램
(경진대회) 지역별 창조경진대회 및 컨퍼런스 개최
○ (기업가정신 및 기술사업화 교육) 실전 중심의 교육 대상별 맞춤형 교육프로
그램을 개발·도입하여 창의적·기업가적 문화 형성
- 기업가정신, 기술사업화 일반, 창업 실무 및 성공·실패 사례 등 교육

- 81 - - 82 -
<그림 Ⅱ-21> 6개월 챌린지 플랫폼 개념
5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개요 및 성과

가.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개요

□ 사업목적

○ 학계·연구계·산업계가 한 곳에 모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협력 하도록 과학


연구단지를 지정함으로써, 지역 연구개발경쟁력을 높이고 연구개발 결과의
사업화를 촉진

○ 지역의 연구개발거점으로서 지역의 과학기술혁신 및 지역발전 선도


□ 사업내역

○ (총 사업기간) 5년(3+2)이내, 단계별 3년 지원 및 최종단계 2년 지원


- 3년 후 중간평가를 통해 사업비 감액 등 계속지원 결정

○ (지원 대상) 전국 국가 및 지방 산업단지 중 연구개발거점으로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
- 강릉 등 10개 과학연구단지에 대해 지역의 수요와 특성을 반영하여 R&D
센터 및 연구장비 구축, R&D과제 등 지원
※ 단지별 5년 간 300억 원(중앙정부 출연 150억 원 내외) 지원
- 지방(지자체 및 기업 등)이 총사업비의 50%이상 매칭 펀드 부담

○ 현재 총 10개 과학연구단지 지정·운영 중


- 당초에는 ʼ10년까지 10개 지정을 목표로 하였으나, ʼ09년에 목표 달성

- 83 - - 84 -
<표 Ⅱ-27>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추진 내용 나.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의 성과
단지명
사업내용 추진현황 사업주관 □ 과학기술진흥센터 설립의 H/W 중심 추진으로 산․학․연의 물리적 집적 초석
(협약기간)

○ 과학기술진흥교류협력센터 건립 (재)광주 마련
광주
- 총 240억원(국비 120, 지자체 90, 민자 30) -’08.4월 준공 과학기술
(’04.10~ <표 Ⅱ-28>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추진 현황
- 센터 건립(부지 10,000평, 건평 3,344평) -’09.7.7 개원 교류
’08.10)
- 공동이용교류시설, 회의실, 게스트 룸 등 협력센터
단지명 ʼ04 ʼ05 ʼ06 ʼ07 ʼ08 ʼ09 ʼ10 ʼ11 ʼ12 ʼ13 ʼ14
○ 전북 R&D Core 구축․연구인력 지원
전북 광주 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총 240억 원)
- 총 266억원(국비 132.4, 지자체 107.6, 민자 26) -’09.9월 준공 (재)전북
(’04.10~
- 연구동 건립(189.5억원, 부지 20,000평) -’09.10.1 개원 테크노파크 전북 전북 R&D Core 구축센터준공(총 266억 원)
’09.9)
- 연구장비 구축 및 R&D지원사업 등(76.5억원)
오창 유비쿼터스기반 U-플랫폼센터(총 150억 원)
○ 유비쿼터스기반 U-플랫폼센터 건립․장비 구축
충북 (재)충북
- 총 150억원(국비 75, 지자체 15, 민자 60) -’07.10월 준공 강원 R&D혁신지원센터(총 291억 원)
(’05.3~ 지식
- 운영센터 건립(55억원, 부지 1,010평) -’07.12.10 개원
’09.12) 산업진흥원 부산 과학기술진흥교류센터(총 300억 원)
- U-BIT R&D지원시스템 구축 등(95억원)
대구 대구융합R&D센터(총 300억 원)
○ 강원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강원 (재)강릉 전남 과학기술진흥협력센터(총 300억 원)
- 총 291억원(국비 141, 지자체 150) -’10.1월 준공
(’06.11~ 과학
- 센터 건립(145.4억원, 부지 3,000평) -’10.7.21 개원 구미 과학기술연구지원센터(310억 원)
’12.12) 산업진흥원
- 장비구축, 국제공동연구, R&D지원 등(145.6억원)
울산 융합과학기술센터(430억 원)
○ 부산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부산 경남 경남 과학연구복합파크(450억 원)
- 총 300억원(국비 150, 지자체 120, 민자 30) -’11.1월 준공 (재)부산
(’07.12~
- 센터 건립(250억원, 부지 5,000평) -’11.4.4 개원 테크노파크 ※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3조에 의거하여 지방과학연구단지에 R&D사업 지원
’12.12)
- R&D지원 등(50억원)

대구
○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 총 300억원(국비 150, 지자체 100, 민자 50) -’09.11월 준공 (재)대구
○ 전체 183개 기관이 입주함으로써 산·학·연 집적이 이루어짐
(’07.4~
- 센터 건립(250억원, 부지 800평) -’10.4.16 개원 테크노파크
’12.12) <표 Ⅱ-29> 지방과학연구단지 입주기관
- R&D 및 기술사업화 지원 등(50억원)
입주유형
○ 전남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전남 지역 입주율
- 총 300억원(국비 150, 지자체 150) -’12.8월 준공 (재)전남 기업부설연 전문대이상
(’08.5~ 기업 연구기관 기타 합계
- 센터 건립(218.2억원, 부지 6,000평) -’12.11.22 개원 테크노파크 구소 교육기관
’13.12)
- 장비구축 및 R&D지원 등(81.8억원) 광주 해당사항 없음 -
○ 경북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전북 14 4 3 0 0 21 82.0%
경북 (재)구미
- 총 310억원(국비 150, 지자체 150, 민자 10) -’09.8월 착공
(’08.6~ 전자 충북 3 0 0 0 0 3 100%
- 센터 건립(126.4억원, 부지 1,665평) -’11.4.22 개원
’13.12) 정보기술원
- 장비구축 및 R&D지원 등(183.6억원) 강원 0 0 6 0 1 7 100%

○ 울산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09.9월 준공 부산 10 0 0 0 0 10 90.2%


울산
- 총 430억원(국비 150, 지자체 280) -’09.10.19 개원 (재)울산 대구 4 17 1 1 1 24 75.5%
(’09.2~
- 센터 건립(190.3억원, 부지 1,985평) -’14.1 융복합 센터 테크노파크
’14.1) 전남 4 2 3 0 3 12 96.6%
- 장비구축 및 R&D지원 등(239.7억원) 준공 예정
경북 7 10 0 0 0 17 87.0%
○ 경남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경남
- 총 450억원(국비150, 지자체300) -’13.1월 준공 (재)경남 울산 10 20 4 0 0 34 95.0%
(’09.2~
- 센터 건립(414억원, 부지 2,620평) -’13.5.30 개원 테크노파크 경남 1 39 3 4 8 55 83.9%
’14.1)
- 장비구축 및 R&D지원 등(36억원)

- 85 - - 86 -
□ 지역특화산업 및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기초·원천 □ 과학문화 민간활동 지원사업, 과학기술 정보제공, 과학기술 국내·외 교류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논문, 특허, 기술이전 등 정량적성과 창출 사업을 통해 과학기술 대중화 및 산·학·연·관 간 연계활성화

○ 광주*, 충북*, 경남**을 제외한 나머지 7개 지역 센터는 R&D과제 지원사업을 ○ 광주, 전북, 충북, 강릉, 울산은 과학기술의 대중화를 위해 과학문화 활동을
통해 논문, 지식재산권 중심으로 성과를 창출함 일반 대중에게 전파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생활 속의 과학마인드
* 광주, 충북은 당초 사업계획 시 R&D 사업을 제외한 인프라 구축만 추진하였기 때문에 확산에 기여
R&D 관련 실적이 없음 - 과학문화체험운영사업, 꿈나무과학교실, 과학축전 등
** 경남은 인프라 구축이 최근 완료되어(’13년 5월 개원) R&D 사업의 실적이 없음 ○ 지역 R&D 뉴스레터 발행을 통한 국가·지방 과학R&D기술 관련 정책과 과학
○ 특히 강릉, 부산은 논문, 지식재산권 외에도 제품인증, 기업인증, 시제품 제작 연구단지 육성사업 등의 적극적 홍보활동이 이루어짐
등의 기업지원 성과를 창출함 - 또한, NDSL 연계 원문서비스 등 과학기술정보 제공을 통한 도내 중소벤처
기업 R&D 지원
<표 Ⅱ-30> R&D 과제 지원을 통한 성과 (연구장비 구축 성과 포함)

R&D
○ 전반적으로 센터들은 산·학·연·관 간의 과학기술의 국내·외 교류사업을 통해
지역
과제 수
성과 내용 산업체의 기술경쟁력 강화에 기여함
- 교류사업으로 상호간의 기술정보교류, 정보공유를 위한 지식 세미나, 교류회,
논문 12편, 학술발표 15편, 지식재산권* 19건, 기술이전 1건, 시제품제작 1건,
전북 25 간담회, MOU 체결, 리더스 협의회 등의 활동을 이루어짐
전자형미분석기 등 연구장비 11종, 구조해석응용프로그램 등 S/W 3종

논문 40편, 학술발표 67편, 지식재산권* 40건, <표 Ⅱ-31> 센터별 산·학·연 연계 및 협력 성과


강원 40
방출분광기 등 연구장비 50종
과학문화 민간활동
구분 과학기술정보 제공 과학기술 국내·외 교류사업
부산 34 논문 21편, 학술발표 61건, 지식재산권* 44건, 시제품제작 48건, 공인인증 11건 지원사업

대구 131 논문 23건, 지식재산권* 29건 · 호남광역권 산학연계망구축사업


· 첨단산업단지 광산업
(협의회/워크숍/애로기술논의)
기술 과학 캠프
논문 26편, 학술발표 70건, 지식재산권* 17건, 기술이전 9건, · MOU 체결(조선대 산학협력단)
전남 16 광주 · 명사 초정강연 · 센터 홍보자료 제작
전계방출주자전자현미경 등 연구장비 21종, 통합해석솔류선 등 S/W 3종 · 세계사이언스파크(IASP) 총회
· 방과 후 찾아가는
참석
논문 50편, 학술발표 119편, 지식재산권* 142건, 기술이전 6건, 과학교실
경북 52 · EXPO 참가 등
투과전자형미경 및 집적이온빔 등 연구장비 6종
· 꿈나무 과학교실 · 전북지역 연구소장 교류회
전북 -
논문 74편, 학술발표 98편, 지식재산권* 111건, 시제품제작 52건, · 과학특강 프로그램 · 호남광역권 산학연계망구축사업
울산 87
VOC 챔버 등 연구장비 2종
· 지식셀 모임, 워크숍
경남 28 논문 13편, 학술발표 60편, 지식재산권* 3건, 기술이전 1건, 수상실적 9건 · 도내 중소벤처기업 R&D · 세계사이언스파크(IASP) 총회
· 과학문화체험
*지식재산권: 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등 모두 포함
지원(논문, 실용신안 참석
충북 · 과학문화창의체험단
정보) · EXPO 참가, 충북테크노페어 개최
· 과학문화확산 봉사단
· 지역 R&D 뉴스레터 발행 등
· MOU 체결

- 87 - - 88 -
과학문화 민간활동 다.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한계와 문제점
구분 과학기술정보 제공 과학기술 국내·외 교류사업
지원사업
□ 조직적 측면
· 체험·전시·홍보관 운영
강원 · 2012 강원과학축전 · 지역 R&D 뉴스레터 발행 · 포럼 개최
· 연구회, 세미나 등
○ (현황) 대부분의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이 독립 법인이 아닌 테크노파크 및
산업진흥원 소속의 하부 조직
·기업부설연구소협의회
· 운영위원회 · MOU 체결
※ 독립법인 : 광주(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전남 -
· 자체평가 위원회 (순천대 산학협력단) ※ 테크노파크 소속 : 전북, 부산, 대구, 전남, 울산, 경남
· R&D 통합지원시스템
※ 산업진흥원 성격의 기관 소속 : 충북, 강릉, 구미
· 리더스협의회 개최
· NDSL 연계 원문서비스 (포럼, 세미나, 워크숍)
<그림 Ⅱ-22> (예시) 전남 테크노파크 조직도
경북 - 제공 · MOU 체결 16건
· 온라인 뉴스레터 발행 · 벤치마킹 및 교류회 10건
· 연구간담회 및 세미나 19건

· 울산과학연구단지와
· 연구회 개최
울산 함께하는 STEAM · 과학단지 홍보 및 전시 과학연구단지
· 세미나, 운영위원회
원정대

경남 - - · 간담회, 토론회, 워크샵 개최

자료: 각 센터별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연차실적·계획서, 더비엔아이 재구성

○ (문제점) 테크노파크의 직·간접적 영향으로 개발단계 연구지원에 집중하여


애초 사업목적에 부합하는 기초·원천연구에 역량집중이 어려움
※ 과제비중 : 기초(15.6%), 원천기술개발(23.1%), 응용(30.6%), 개발(30.6%)
- 원천기술개발 연구 또한 대부분(50~60%)이 연구기간·연구내용 측면에서
원천연구에 부합되지 않음
※ (사례 1) ‘표면처리 디지털 제조혁신기술 개발’ 과제의 과제기간은 7개월(’08. 6 ~
’08. 12)이며 논문이나 특허 성과가 없음
※ (사례 2) ‘크레인 와이어로프 결함 예측 방호장치 탐지 시스템’ 과제의 과제기간은
8개월(’10. 7 ~ ’11. 2)이며 주요성과가 시제품 제작임
○ (해결방향) 지방과학연구단지 과학기술진흥센터의 부설기관화 추진
- 89 - - 90 -
-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과학기술진흥센터를 단계적으로 부설기관화 추진 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3조에 근거

- 사업시작 시점에 부설기관화를 위한 양해각서(MOU) 추진하고 이의 실현 -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 : 산학연집적 및 첨단벤처 육성을 위한 과학연구단지
여부를 평가에 반영 → 독립법인화 추진 조성 및 지원

※ 1단계 내에 부설기관화 추진을 유도하며, 부설기관화 여부를 1단계 평가에 반영 -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3조 : 미래부 장관은 국가과학기술혁신 및 지방의

- 장기적으로는 독립법인화 추진
과학기술진흥을 위해 과학연구단지 지정 →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과학
연구단지에 입주한 대학, 연구기관 및 기업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지원
※ 부설기관 ※ 우선지원 사항 : 국가연구개발사업, 민간기술개발 지원, 과학기술인 상호교류, 과
부설기관이란 그 명칭 및 임무를 해당 기관의 정관에 명시하여 설치하는 조직으로 직제, 인사, 예 학기술 국제화 촉진, 기금 지원, 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 연구개발 시설 및
산 및 회계를 기관 본원과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조직임 장비의 고도화 등
○ (문제점) 지원범위가 단지 내 입주기관을 우선 대상으로 하고 있어 지원범위
□ 투입 자원 측면 확대에 있어서 어려움

○ (현황) 과학기술진흥센터 설립의 H/W 중심 1단계 사업 완료 후 이를 활용할 - 지방과학연구단지 내 센터들의 효율적인 운영에 필요한 운영지침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지역별로 사업 추진방향이 혼재되어 있음
후속사업이 확정되지 못한 상태(예산 미반영)
※ 8년간(’04 ~’11) 총 사업비 239,800 백만 원 투입, 이중 R&D 과제 비중은 14%에 불과 ※ 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운영·관리 규정 제6장 과학연구단지의 운영 및 관리에는
과학연구단지 운영위원회, 전국과학연구단지협의회 등에 대한 규정만 명시
※ R&D 투자도 계획에 의한 것이 아닌, 센터 건립의 잉여예산 활용차원에서 수행됨
○ (해결 방향) 관련 법령 및 운영규정의 개정 필요
○ (문제점) 지자체의 지역 R&D 기획 및 실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 - 지원대상 및 범위 규정에 있어 네거티브 방식으로 규정함으로써 적용 범위를
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역량구축에 필요한 후속사업이 부재
시·도 차원으로 확대 필요
- 지역 기업들은 미래성장을 위해 조세지원 등 직접적 지원 보다는 지역 R&D
및 사업기획, 산학연 공동연구, 연구자 창업 지원 등을 요구
※ 지원 제외대상: 참여 대학, 연구기관, 기업 모두 해당 시・도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 지역기업수요조사결과(STEPI, ’11) : 지역 R&D 및 사업기획강화(3.2), 산학연공동 -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방과학연구단지를 독립법인화할 경우, 대덕특구 및 지방

연구 지원(3.5), 학연연구자 창업지원(3.3) ↔ 연구개발비 조세지원(2.7) TP의 경우와 같이 단지의 운영・유지 및 관리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 등을
정한 운영지침 수립 필요
-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지역수요 기반 R&D 기획 및 실행을 담당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인력, 시스템 등 혁신자원의 한계로 역할이 미흡
※ 산업기술단지 지원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
○ (해결방향) 1단계 사업을 통해 구축된 지방과학연구단지 인프라를 활용하여 제4조(운영지침의 내용) 법 제7조에 따른 산업기술단지의 운영지침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
되어야 한다.
지역기업의 수요에 기반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예산 확보
1. 입주기준
- 지역의 기초원천기술을 발전시키는 R&D 지원과 R&D 결과물인 특허의 고 2. 정보교류에 관한 사항
부가가치화 및 창업지원, 지역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 필요 3. 기술이전에 관한 사항
4. 산업기술단지의 관리방안
5. 산업기술단지에 대한 투자촉진에 관한 사항
□ 제도적 측면 6. 그 밖에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현황) 지방과학연구단지 등의 조성 및 지원은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 및 과


- 91 - - 92 -
Ⅲ. 지역별 특화분야 및 R&D 과제 조사 기준하여 선별
- 신성장동력 사업 및 예전 교과부/지경부 주요 사업의 연구단계별 투자현황
분석을 통해 응용연구에 대한 투자 비중이 낮은 분야를 지역별 수요기반
R&D(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가능 유망분야로 최종 선정
1 지역별 특화분야 도출
□ 선정 프로세스
가. 지역별 특화분야 선정기준
① 지역역량 분석을 통해 지역별 유망 신성장동력분야 도출
□ 단계별 선정기준 - 벤처탄생 및 생존분석에는 특허 및 산업요인들을 고려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 (1차 선정기준) 가장 최근에 국가 차원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선정한 신성장 벤처탄생이 많고 오래 생존하는 유망벤처산업군을 우선적으로 고려
※ 1998년-2001년 사이에 설립된 16개 시·도의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지역벤처의 탄생
동력 분야를 기준으로 하여 지역별 특화분야 후보군 선정
및 생존에 대한 계량분석을 통해 지역별 유망 벤처 사업군 도출
※ 신성장동력사업 등 신규 대형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 시 원천기술 지원강화
- 지역별 특허분석, 인력분석, 생산유발 및 고용유발 효과 분석은 유망 벤처
○ (2차 선정기준) 지역별 특화분야 후보군 중 지역역량을 기준하여 지역별 특 산업군을 뒷받침하느냐의 여부만 결정
화분야 최종 후보군 도출 ※ 2005년-2009년 사이에 출원된 내국인 특허를 대상으로 32개 기술분야별로 분류 및
- (지역역량 1) 벤처가 많이 탄생하고 오랫동안 생존하는 유망벤처산업군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유망 기술분야 도출
※ 특허출원이 활발하고 출원된 특허가 사업화될 수 있는 산업기반이 양호하며 중견· ※ 지역별 석·박사 인력 비교를 통한 유망분야 도출
대기업이 존재하여 양호한 가치사슬 형성이 용이한 산업분야 ※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기준으로 지역별 유망분야 도출
- (지역역량 2) 지역별 특허활동지수(RPA)와 연평균증가율이 높은 분야 - 인력, 특허, 지역경제 파급 및 벤처 탄생 및 생존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각
- (지역역량 3) 인력 측면에서 관련 학과의 석·박사 졸업생이 많이 배출되는 지역의 신성장동력분야 선정
분야 ② 2단계 광역선도산업과의 비교 및 신성장동력 분야별 연구단계 투자 분석을
- (지역역량 4) 지역적으로 생산유발 및 고용유발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분야 통해 지역별로 응용연구 투자 비중이 낮은 신성장동력 분야 도출

○ (3차 선정기준) 지역별 특화분야 최종 후보군 중 2단계 광역선도산업 및 신 ③ ①, ② 단계를 거쳐 도출된 지역별 유망 신성장동력분야와 지역별 신특화산업군,
특화사업과의 연계성에 기준하여 선별 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상 지역별 중점전략분야를 최종 후보군으로
선정
- 지역산업정책이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현 정부
출범 이후 시·도 자율 및 산업협력권 강화로 전환되어 그 일환으로 신특화사업 ④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지자체) 의견수렴을 통해 지역별 중점분야 최종 선정
추진함으로써 기초·원천연구 또한 지역선도산업과의 연계가 필요
※ 지식경제부는 5+2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2단계(’12~’13) 사업의 22개 선도산업과
40개 프로젝트를 최종 확정(’12년 1월)
※ 산업통상자원부는 2012년 종료된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일부와 지역특화사업을
통합해 지역 먹거리를 창출할 신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 하에 신특화산업 추진
○ (4차 선정기준) 지역별 특화분야 최종 후보군 중 응용연구에 대한 투자비중을
- 93 - - 94 -
<그림 Ⅲ-1> 지역별 수요기반R&D 중점분야 선정 프로세스 나. 지역별 유망 신성장동력분야 도출

(1) 벤처기업의 탄생 및 생존분석을 통한 유망 벤처산업군 도출

□ 벤처기업의 탄생 및 생존분석 방법론 개요

○ 분석대상 벤처기업은 1998-2001년 사이에 설립된 벤처기업임


- 이는 설립 이후 5년이 지난 시점에서 폐업과 생존 여부 확인이 가능해야 5년
생존율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임

○ 대상 지역은 16개 시․도로 함


○ 대상 산업은 표준산업분류 중분류 기준 제조업 분야
○ 지역벤처의 탄생 및 생존에 대한 영향요인을 지역적 요인과 산업적 요인 두
가지로 분류하여 계량분석을 실시
- 지역적 요인: 산학협력 정도, 주된 특허출원 주체, 지역 내 산업의 다양성 등
- 산업적 요인: 특허 출원 정도, 산업화 역량, 대기업 존재 여부 등

<그림 Ⅲ-2> 지역벤처의 탄생 및 생존 분석 모형

- 95 - - 96 -
□ 주요 고려 변수 □ 벤처기업의 탄생 및 생존분석을 위한 가설 설정

<표 Ⅲ-1> 주요 변수표


○ 지역적, 산업적 특성 요인들에 대한 가설 설정
- 가설 1 : 클러스터가 발달한 지역․산업일수록 보다 많은 벤처기업이 탄생
관련
변수명 정의 의미
가설 하고 오랫동안 생존
설명 변수 ․
- 가설 2 : 대기업을 포함하는 가치사슬 형성이 양호한 지역 산업일수록 보다
많은 벤처기업이 탄생하고 오랫동안 생존

2000-2008 동안 출원된 지역별․산업별 지역별․산업별
특허수 가설3-1 - 가설 3-1 : 기술이 많이 창출되는 지역 산업일수록 보다 많은 벤처기업이
특허 수 혁신성과 절대치
탄생하고 오랫동안 생존

특허
특정지역이 해당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특허점유율을 국가전체에서 해당 산업분야가
특정지역
해당산업분야 가설3-1

- 가설 3-2 : 산업화 기반이 양호한 지역 산업일수록 보다 많은 벤처기업이
활동지수 탄생하고 오랫동안 생존
차지하는 특허점유율로 나눈 값 기술 집중도
- 가설 4 : 분야의 특화보다는 다양성이 발현되는 지역일수록 보다 많은 벤처
지역
특정지역이 해당 산업분야에서 차지하는 특정 지역 해당
산업 산업 기업이 탄생하고 오랫동안 생존
기업체점유율을 국가전체에서 해당 산업분야 기업체 가설1
○ 토빗모형, 반복다항로짓모형 등을 이용하여 분석
특성 전문화도
산업분야가 차지하는 기업체점유율로 나눈 값 집중도

특정지역의 특허활동지수 상위 3개 기술개발활동과


산업화
산업분야의 특허활동지수 평균을 해당 산업활동의 가설3-2 □ 계량분석의 주요 결과
역량
산업분야 산업전문화도 평균으로 나눈 값 연계성

특정 지역 해당 산업 분야의 종업원 1,000인


○ 대기업을 포함하고 있고 가치사슬 형성이 양호한 지역·산업일수록 벤처기업이
대기업수 - 가설2 많이 탄생하고 오랫동안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상 기업 수

특허 - 특허활동과 같은 혁신 성과가 활발한 대기업이 존재


특정 지역의 10년간 특허 증가율 - 가설3-1
증가율
○ 많은 기술이 창출되고, 창출된 기술이 산업화로 잘 연결되는 지역·산업일수록
산업 특정 지역에서 산업전문화도가 높은 상위 특정 지역의
가설4 많은 벤처기업이 탄생하고 오랫동안 생존하였음
집중도 4개 분야 산업전문화도 평균 산업집중도
- 관련 분야의 특허가 많이 출원되고 특허증가율이 높은 지역
지역 산학협력 특정 지역에서 기업체와의 협력 연구비중 - 가설3-2
특성 - 산학연 협력연구가 활발한 지역, 산업화역량이 우수한 지역 내 산업분야
대기업 특정 지역에서 대기업이 차지하는 특허 출원

○ 분야의 특화보다는 다양성이 발현되는 지역일수록 벤처기업이 많이 탄생하고


- -
특허점유율 비중

대학 특정 지역에서 대학이 차지하는 특허 출원 오랫동안 생존하였음


- -
특허점유율 비중

- 1 2개 산업분야에 특화된 지역보다는 좀 더 다양한 산업이 분포하는 지역
벤처투자액 특정 지역 벤처투자금액 - -
- 전혀 관계없는 비관련 다양성이 아닌 관련 다양성이 중요
종속 변수

종속 창업기업수 특정 지역 해당 산업분야에서 창업된 기업 수 ○ 계량분석 결과를 통한 지역별 유망벤처산업군 선정 기준


변수 5년 생존율 특정 지역 해당 산업분야에서 창업된 기업의 평균 5년 생존율 - 산업화역량, 특허수가 지역 평균 이상

- 97 - - 98 -
- 종업원 300인 이상 기업이 존재 □ 지역별 유망 벤처 산업군

- 벤처기업 설립 수 및 5년 생존율이 지역 평균 이상
<표 Ⅲ-3> 지역별 유망 벤처 산업군

<표 Ⅲ-2> 결과 종합 지역 유망 벤처 산업군

벤처기업 수에 대한 5년 생존율에 대한 강원도 의료용기기제조업, 기타화학제품제조업


가설 변수
영향 영향
광주광역시 통신기기 및 방송장비 제조업, 반도체 및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가설 1 지역내 산업특성 산업전문화도 약한 양(+) 약한 음(-)
경상남도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반도체 및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가설 2 지역내 산업특성 대기업수 약한 양(+)
경상북도 반도체 및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식료품 제조업
지역내 산업특성 특허수 강한 양(+)
특수목적용 기계 제조업, 측정/시험/항해 및 기타 정밀기기 제조업
대구광역시
가설 3-1 지역내 산업특성 특허활동지수 기타 조립금속 제조업

지역특성 특허증가율 약한 양(+) 부산광역시 일반목적용 기계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지역내 산업특성 산업화역량 강한 양(+) 울산광역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기초화합물질 제조업
가설 3-2
지역특성 산학협력 양(+) 구조용 금속제품, 탱크 및 증기발생기 제조업
전라남도
기초화합물질 제조업
가설 4 지역특성 산업집중도 강한 음(-)
전라북도 반도체 및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식료품 제조업
지역특성 대기업특허점유율 양(+)
충청북도 반도체 및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
기타 지역특성 대학특허점유율 양한 음(-)

지역특성 벤처투자액 강한 양(+)

* 주) 약한 양(+) 또는 약한 음(-):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 (2) 특허분석을 통한 유망 기술분야 도출


양(+) 또는 음(-): 5% 유의수준에서 유의미
강한 양(+) 또는 강한 음(-): 1% 유의수준에서 유의미
□ 특허분석 개요

○ 분석 대상 : 2005년∼2009년 동안 출원된 내국인 특허를 대상으로 WIPO 기준


32개 기술분야별로 분류 및 분석

○ 분석 기준 : 기술분야별 RPA(Revealed Patent Advantage, 현시특허 우위지


수)와 상대적 연평균 증가율
※ RPA는 특허활동지수인 AI 지수와 동일한 의미이나, AI 지수의 비대칭성을 극복하고 지수의
정규성을 확보하는 지수로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음
RPA=100×ln(AI), AI=(특정 기술분야의 특정 출원인 특허수/특정 출원인 특허수)/(특정
기술분야의 전체 특허수/전체 특허수)

- 99 - - 100 -
□ 지역별 유망 기술분야 ② 광주
① 강원 ○ 특허출원활동이 상대적으로 활발하고 지역 평균보다 높은 연평균 증가율을
○ 강원도 전략산업은 바이오, 의료기기 및 신소재 기록한 전략산업 관련 기술분야는 측정/광학
- 광주광역시의 전략산업과 관련 있는 기술분야는 엔진/펌프, 운송/포장, 전
- 이들과 관련이 있는 기술분야는 바이오와 전자통신, 무기화학/수처리
기/반도체, 전자/통신, 조명/가열, 측정/광학
○ 전자/통신과 무기화학/수처리는 연평균증가율이 평균 이상이나 현재의 특허
출원 활동이 낮음
○ 전략산업 관련 기술 분야 이외에도 의료/레저, 의약, 무기화학/수처리, 바이오 등도
지역 특화기술로 가능
○ 바이오는 특허출원 활동이 활발하고 평균 이상의 연평균증가율을 나타냄
- 의약 및 의료/레저 또한 지역특화기술분야로 나타남
○ 광주의 유망 기술분야 : 측정/광학, 무기화학/수처리, 의약/바이오
○ 강원의 유망 기술분야 : 의료기기, 의료/레저 <그림 Ⅲ-4> 광주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그림 Ⅲ-3> 강원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1 - - 102 -
③ 경남 ④ 경북
○ 경상남도 전략산업은 지식기반기계, 로봇, 지능형 홈, 바이오 ○ 경상북도 전략산업은 전자정보기기, 신소재부품, 생물한방 및 문화관광
- 이들과 관련이 있는 기술분야는 바이오, 컴퓨터, 기계부품, 정보매체 - 이들과 관련이 있는 기술분야는 전기/반도체, 전자/통신, 정보매체, 바이오, 무

○ 이 중 기계부품만이 특허출원 활동이 활발하고 평균 이상의 연평균증가율을 기화학/수처리 등

나타냄 ○ 이 중 바이오와 무기화학/수처리만이 특허출원 활동이 활발하고 평균 이상의 연


○ 전략산업 관련 기술 분야 이외에도 야금/도금, 운송/포장, 무기화학/수처리, 금 평균증가율을 나타냄

속가공, 석유/정밀화학 등도 지역 특화기술로 가능 ○ 전략산업 관련 기술 분야 이외에도 조명/가열, 엔진/펌프, 비금속가공, 섬유, 컴


○ 경남의 유망 기술분야 : 기계부품, 자동차, 신소재 퓨터 등도 지역 특화기술로 가능

○ 경북의 유망 기술분야 : 엔진/펌프, 조명/가열, 바이오, 신소재, 컴퓨터


<그림 Ⅲ-5> 경남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그림 Ⅲ-6> 경북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3 - - 104 -
⑤ 대구 ⑥ 부산
○ 대구광역시 전략산업은 전기․전자 및 기계산업이 종합된 메카트로닉스, ○ 부산광역시 전략산업은 기계부품, 해양산업, 영상IT, 관광 콘텐츠
전자정보기기, 섬유와 생물 - 기계부품은 특허출원 활동이 활발하며, 평균보다 높은 연평균 증가율을 기록
- 이들과 관련이 있는 기술분야는 전기/반도체, 전자/통신, 정보매체, 측정/광학, - 영상IT와 관련된 측정/광학, 전기/반도체는 모두 특허출원활동이 상대적으로 부진
엔진/펌프, 기계부품, 섬유 등
○ 기계부품만이 특허출원 활동이 활발하고 평균 이상의 연평균증가율을 나타냄
○ 이 중 섬유만이 특허출원 활동이 활발하고 평균 이상의 연평균증가율을 나타냄
○ 전략산업 관련 기술 분야 이외에도 엔진/펌프, 야금/도금, 의약, 금속가공, 운송/
○ 전략산업 관련 기술 분야 이외에도 조명/가열, 금속가공, 비금속가공 등도 지 포장 등도 지역특화기술로 가능
역특화기술로 가능
○ 부산의 유망 기술분야 : 기계부품, 자동차․조선, 신소재
○ 대구의 유망 기술분야 : 섬유, 신소재
<그림 Ⅲ-8> 부산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그림 Ⅲ-7> 대구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5 - - 106 -
⑦ 울산 ⑧ 전남
○ 울산광역시 전략산업은 자동차, 조선해양, 정밀화학 및 환경 ○ 전남의 전략산업은 생물, 신소재조선, 물류 및 문화관광
○ 자동차와 관련된 기계부품, 엔진/펌프만이 특허출원 활동이 활발하고 평균 이 - 전략산업과 관련한 기술분야는 고분자, 농수산, 무기화학/수처리, 운송/포장
상의 연평균증가율을 나타냄 ○ 이중 특허출원활동과 연평균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기술분야는 없음
○ 전략산업 관련 기술 분야 이외에도 비금속가공 분야도 지역특화기술로 가능 ○ 전략산업과는 별개로 분리/혼합, 비금속가공, 금속가공 등이 지역특화기술로
○ 울산의 유망 기술분야 : 자동차 관련 기계부품 및 엔진/펌프, 비금속가공 등의 나타남
신소재 ○ 전남의 유망 기술분야 : 금속가공 및 비금속가공 등의 신소재
<그림 Ⅲ-9> 울산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그림 Ⅲ-10> 전남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7 - - 108 -
⑨ 전북 ⑩ 충북
○ 전북의 전략산업은 자동차기계, 생물, 대체에너지 및 문화관광 ○ 충북의 전략산업은 바이오, 반도체, 이동통신 및 차세대 전지
- 전략산업과 관련한 기술분야는 기계부품, 농수산, 석유/정밀화학, 엔진펌프 - 전략산업과 관련한 기술분야는 바이오, 의약, 전기/반도체, 전자/통신
및 운송/포장
○ 이 중 특허출원활동과 연평균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기술분야는 바이
○ 이 중 특허출원활동과 연평균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기술분야는 석유/ 오가 유일
정밀화학이 유일
○ 전략산업과는 별개로 석유/정밀화학, 의료/레저, 조명/가열 등이 지역특화기
○ 전략산업과는 별개로 의약, 바이오, 조명/가열 등이 지역특화기술로 나타남 술로 나타남

○ 전북 유망 기술분야 : 석유/정밀화학, 의약/바이오, LED 관련 조명/가열 ○ 충북의 유망 기술분야 : 바이오, 의료/레저, 조명/가열

<그림 Ⅲ-11> 전북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그림 Ⅲ-12> 충북의 기술분야별 RPA와 연평균증가율

- 109 - - 110 -
(3) 지역별 석․박사 인력 비교를 통한 유망분야 도출
지역별 우위 학과 지역별 유망분야
구분
□ 인력 비교․분석 개요
소계열 기준 산업 분야 신성장동력 분야

○ 석·박사 인력 비교는 2010년 대학원 시․도별 공학계열 학과별 석사과정 및 토목공학, 도시공학,
건축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하폐수 처리수 재이용,
박사과정 졸업생 수를 기준으로 수행 강원 자동차공학, 제어계측공학,
기타 기계 및 장비 수생태계 복원, 그린카
기전공학, 응용공학
- 공학계열은 중계열, 소계열로 구분되는데 본 비교는 소계열을 기준으로 수행

○ 각 학과 졸업생의 주 진출 산업분야와 관련 신성장동력 분야는 지역대학 설문을 토목공학, 도시공학,


건축업, 전기장비,
전자부품․컴퓨터․영상 및
하폐수 처리수 재이용,
통해 도출 충북
제어계측공학, 광학공학,
통신장비, 의료․정밀․광학기기
수생태계 복원, 태양전지,
반도체ㆍ세라믹공학, 라이프케어 로봇, 차세대
및 시계, 화학물질 및
화학공학 반도체, 연료전지
화학제품
□ 석․박사 인력 기준 지역별 유망분야
조경학, 금속공학,
섬유제품, 고무제품 및 태양전지, 나노탄소 융합
<표 Ⅲ-4> 석․박사 인력 기준 지역별 유망분야 반도체ㆍ세라믹공학,
전북 플라스틱 제품, 화학물질 및 소재, 기능성 나노 필름,
광학공학, 섬유공학,
화학제품 연료전지
지역별 우위 학과 지역별 유망분야 화학공학, 기전공학
구분
소계열 기준 산업 분야 신성장동력 분야 기타운송장비,
조경학, 해양공학, 재료공학, 선박해양시스템, 그린카,
전남 전자부품․컴퓨터․영상 및
응용공학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
기타 운송장비, 자동차 및 통신장비
해양공학, 기계공학, 트레일러, 선박해양시스템, 그린카,
부산 재료공학, 기전공학, 전자부품․컴퓨터․영상 및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 하페수
차세대 무선통신, 차세대
응용공학, 환경학 통신장비, 화학물질 및 처리수 재이용 도시공학, 금속공학, 전자부품․컴퓨터․영상 및
반도체, IT융합, 나노탄소
화학제품 전자공학, 제어계측공학, 통신장비, 섬유제품, 고무제품
경북 융합소재, 기능성 나노 필름,
광학공학, 섬유공학, 및 플라스틱 제품, 화학물질
연료전지, 하폐수 처리수
산업공학, 화학공학, 환경학 및 화학제품
건축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재이용
건축ㆍ설비공학, 자동차공학,
기타기계 및 장비,
대구 섬유공학, 그린홈, 그린카, 소프트웨어
전자부품․컴퓨터․영상 및
전산학ㆍ컴퓨터공학 조경학, 항공학, 기계공학, 기타기계 및 장비, 자동차 및
통신장비, 섬유제품
경남 제어계측공학, 산업공학, 트레일러, 의료용 물질 및 그린카, 바이오 의약품
생명과학 의약품
건축ㆍ설비공학, 조경학, 건축업, 기타운송장비, 그린홈, 선박해양시스템,
광주 해양공학, 광학공학, 1차금속, 전자부품․컴퓨터․영상 태양전지, 초경량 마그네슘
신소재공학 및 통신장비 소재

(4) 지역경제 파급효과 비교를 통한 유망분야 도출


건축업, 기타 운송장비, 수생태계 복원, 하폐수 처리수
건축학, 토목공학, 해양공학, 자동차 및 트레일러, 1차 금속, 재이용, 선박해양시스템,
울산 자동차공학, 신소재공학, 전자부품․컴퓨터․영상 및 그린카, 태양전지, 초경량
□ 지역경제 파급효과 비교․분석 개요
정보ㆍ통신공학, 생명과학 통신장비, 의료용 물질 및 마그네슘 소재, 차세대
의약품 무선통신, 바이오 의약품 ○ 각 지역의 산업별 생산유발계수와 취업유발계수를 통한 비교
- 특정산업에서 생산유발 및 취업유발 효과가 다른 지역에 비해 큰 지역을 2 3개 ∼
도출

- 111 - - 112 -
○ 지역별·산업별 생산유발계수 및 취업유발계수 비교는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 □ 지역별 유망 신성장동력 분야
- 한국은행 발간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 이용 <표 Ⅲ-6> 지역별 유망 벤처 산업군과 유망 신성장동력 분야

관련 우위 관련 특화 파급효과가
지역 유망 벤처 산업군 유망 신성장동력 분야
학과 기술 큰 분야
□ 지역경제 파급효과 기준 지역별 유망분야
메디·바이오진단시스
○ 각 지역에서 생산유발 효과와 취업유발 효과가 동시에 높은 분야를 지역경제 강원도
의료용기기제조업,
기타화학제품제조업
제어계측
공학과
의료/레저,
바이오
전자기기부품 템,고령친화의료기기
및 제품
파급효과 기준 지역별 유망분야로 선정
통신기기 및 방송장비
광주 가정용 LED 응용,
- 동시에 일치하는 분야가 없을 경우 가장 유사한 산업분야를 선정 제조업, 반도체 및 기타 광학공학 측정/광학
광역시 전기기기 방송통신융합
전자부품 제조업
<표 Ⅲ-5> 지역경제 파급효과 측면에서의 지역별 유망분야
일반목적용
자동차 및 트레일러 기계공학, 그린카,
구분 지역별 유망분야 경상 기계부품, 기계 및 장비,
제조업, 반도체 및 기타 제어계측공학, 지능형교통시스템,
남도 운송/포장 컴퓨터 및
부산 (기초화학제품) 전자부품제조업 항공학 RFID/USN
사무기기
대구 (플라스틱제품)
전자공학,
반도체 및 기타 바이오,
광주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시멘트 및 콘크리트제품, 가정용 전기기기 경상 제어계측공학, 전자기기부품, 차세대 디스플레이,
전자부품 제조업, 식료품,
북도 광학공학, 음료품 고부가식품
울산 섬유사 및 직물, 고무제품, 선철 및 조강, 가정용 전기기기 식료품 제조업 컴퓨터
화학공학
강원 펄프 및 종이제품,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금속제품
특수목적용
충북 (선철 및 조강) 전기기계 및
기계제조업,
대구 자동차공학, 금속가공, 장치, 로봇응용, LED,
전북 (기타 비금속광물제품) 측정/시험/항해 및
광역시 컴퓨터공학 비금속가공 전자기기부품, 선박·해양시스템
기타 정밀기기 제조업,
전남 음료품 기타 수송장비
기타 조립금속 제조업
경북 (일반목적용 기계 및 장비)
일반목적용 기계 엔진/펌프, 일반목적용
부산 그린카, 선박·해양
경남 (컴퓨터 및 사무기기) 제조업, 자동차 및 기계공학 기계부품, 기계 및 장비,
광역시 시스템, 해양에너지
트레일러 제조업 운송/포장 전자기기 부품

자동차 및 트레일러 자동차공학,


(5) 분석 종합 지역별 최종 유망 신성장동력분야 도출 울산 기계부품, 기초화학제품, 해양바이오,
제조업, 기초화합물질 신소재공학,
광역시 엔진/펌프 자동차 신소재·나노융합
제조업 생명과학
□ 분석 종합 개요
구조용 금속제품/탱크 기초화학제품,
○ 인력, 특허, 지역경제 파급 및 벤처의 탄생 및 생존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각 전라
남도
및 증기발생기 제조업,
기초화합물질 제조업
해양공학,
재료공학
분리/혼합 특수목적용
기계 및 장비
해양에너지,
해양바이오
지역의 신성장동력 분야 선정
반도체 및 기타 반도체·세라믹 기타식료품,
- 각 지역의 미래 먹거리 분야로 특화해야 하는 이유로 우선은 신정장동력분야를 전라 전기/반도체, 태양전지, LED응용,
전자부품 제조업, 공학, 광학, 영상·음향 및
북도 바이오 고부가식품
도출 식료품 제조업 화학공학 통신기기

○ 지역 벤처기업의 탄생과 생존분석에는 지역별 특허, 기업 및 산업 특성 요인 충청


반도체 및 기타 제어계측공학,
조명,
바이오,
태양전지, 차세대
반도체,
들을 영향요인으로 감안하였기 때문에 지역별 최종 유망 신성장동력 분야 도 전자부품 제조업, 기타 반도체·세라믹 비료 및 농약
북도 석유/정밀화 바이오매스유래
화학제품 제조업 공학, 화학공학
출은 벤처의 탄생 및 생존 분석 결과를 우선적으로 감안 학 바이오화학

- 113 - - 114 -
다. 지역별 추가 R&D 필요 분야 (1)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 분석

□ 지역선도산업과 연계성이 높고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 도출 □ 신성장동력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 분석1)

○ 2단계 광역선도사업과 관련이 있는 신성장동력 분야 도출 ① 강원


○ 도출된 신성장동력 분야의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 분석을 통해 기초·응용연구 ○ 강원권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신성장동력 분야는 신소재․나노융합, 바이오
비중이 낮은 분야 도출 제약․의료기기 분야이며, 이 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는 신소
재나노융합분야임
<그림 Ⅲ-13> 2단계 광역선도사업 산업 및 프로젝트 현황
○ 바이오제약․의료기기 분야는 강원 원주, 강원 강릉은 신소재․나노융합 분야
<표 Ⅲ-7>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강원)

신재생 신소재나노융 바이오제약 계비중


  고도물처리 로봇응용 계
에너지 합 /의료기기 (%)

기초
595 15.3% 925 42.0%   0.0%   0.0% 9,887 19.1% 11,407 19.2%
연구

응용
  0.0%   0.0% 650 57.9%   0.0% 13,461 26.0% 14,111 23.7%
연구


개발
도 3,285 84.7% 1,279 58.0% 473 42.1% 487 100.0% 10,337 19.9% 15,861 26.6%
연구

기타   0.0%   0.0%   0.0%   0.0% 18,150 35.0% 18,150 30.5%

계 3,880 100.0% 2,204 100.0% 1,123 100.0% 487 100.0% 51,835 100.0% 59,529 100.0%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신성장동력 분야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1) ’09 조분평 자료 기준 분석

- 115 - - 116 -
② 부산 ③ 울산
○ 강동남권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신성장동력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그린수송 ○ 울산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신성장동력 분야는 그린수송시스템, 신소재·나노
시스템, 신소재․나노융합 분야로 이 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 융합 분야로 이 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는 그린수송시스템 분야임
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이며,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는 그린수송시스템과 - 신소재·나노융합 분야는 기초연구 비중이 낮음
신소재나노융합분야임
<표 Ⅲ-9>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울산)
<표 Ⅲ-8>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부산)
바이오제약/ 계
  그린수송시스템 IT융합 신소재나노융합 계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에너지 고도물처리 LED응용 그린수송시스템 의료기기 비중(%)

기초
기초   0.0% 300 100.0%   0.0% 913 17.9% 1,213 8.6%
387 12.3% 140 73.3% 1,775 67.1%   0.0% 1,420 38.9% 연구
연구
응용
응용   0.0%   0.0% 3,254 40.5% 1,108 21.7% 4,362 31.0%
250 8.0%   0.0% 260 9.8%   0.0%   0.0% 연구
울산
부산 연구 광역 개발
광역 시 연구 650 100.0%   0.0% 4,782 59.5% 1,479 29.0% 6,911 49.1%
개발
시 2,506 79.7% 51 26.7% 610 23.1% 828 100.0% 2,232 61.1%
연구
기타   0.0%   0.0%   0.0% 1,600 31.4% 1,600 11.4%
기타   0.0%   0.0%   0.0%   0.0%   0.0%
계 650 100.0% 300 100.0% 8,036 100.0% 5,100 100.0% 14,086 100.0%
계 3,143 100.0% 191 100.0% 2,645 100.0% 828 100.0% 3,652 100.0%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신성장동력 분야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바이오제약/ 계
  방송통신융합 IT융합 신소재나노융합 계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의료기기 비중(%)

기초
500 50.0%   0.0% 2,481 34.0% 4,798 27.7% 11,501 30.2%
연구

응용
  0.0%   0.0%   0.0% 3,259 18.8% 3,769 9.9%
부산 연구
광역
개발
시 500 50.0%   0.0% 4,810 66.0% 8,311 47.9% 19,848 52.2%
연구

기타   0.0% 1,920 100.0%   0.0% 983 5.7% 2,903 7.6%

계 1,000 100.0% 1,920 100.0% 7,291 100.0% 17,351 100.0% 38,021 100.0%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신성장동력 분야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 117 - - 118 -
④ 경남 ⑤ 대구
○ 경남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신성장동력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그린수송시스템, ○ 대구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신성장동력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IT융합, 로봇응용,
신소재·나노융합 분야로 이 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신소재·나노융합 분야, 콘텐츠 S/W로 이 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는
그린수송시스템, 신소재·나노융합 분야임 ․
신재생에너지, 로봇응용, 신소재 나노융합 분야, 콘텐츠 S/W 분야임

<표 Ⅲ-10>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경남) <표 Ⅲ-11>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대구)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에너지 고도물처리 방송통신융합 IT융합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에너지 고도물처리 그린수송시스템 첨단그린도시
기초
기초   0.0%   0.0% 522 100.0%   0.0%   0.0%
  0.0%   0.0% 285 100.0%   0.0%   0.0% 연구
연구
응용
응용   0.0% 237 100.0%   0.0%   0.0% 850 38.8%
650 9.0%   0.0%   0.0%   0.0%   0.0% 대구 연구
경상 연구
남도 광역
개발
개발 시 3,555 100.0%   0.0%   0.0% 1,000 100.0%   0.0%
6,550 91.0% 3,354 100.0%   0.0% 4,142 100.0% 55 100.0% 연구
연구
기타   0.0%   0.0%   0.0%   0.0% 1,341 61.2%
계 7,200 100.0% 3,354 100.0% 285 100.0% 4,142 100.0% 55 100.0%
계 3,555 100.0% 237 100.0% 522 100.0% 1,000 100.0% 2,191 100.0%
신소재나노 바이오제약/의료 계
  방송통신융합 IT융합 계
융합 기기 비중(%) 바이오제약 계
  로봇응용 신소재나노융합 콘텐츠 S/W 계
/의료기기 비중(%)
기초
  0.0%   0.0% 875 9.4% 2,127 52.4% 3,287 10.4%
연구 기초
  0.0% 1,000 12.2% 1,328 29.7%   0.0% 2,850 13.7%
연구
응용
  0.0%   0.0% 970 10.4% 225 5.5% 1,845 5.9%
경상 연구 응용
남도   0.0% 380 4.6% 702 15.7%   0.0% 2,169 10.5%
대구 연구
개발
924 100.0% 2,100 100.0% 7,503 80.3% 1,706 42.0% 26,334 83.7% 광역
연구 개발
시 360 100.0% 6,845 83.2% 2,136 47.8% 189 100.0% 14,085 67.9%
연구
계 924 100.0% 2,100 100.0% 9,348 100.0% 4,058 100.0% 31,466 100.0%
기타   0.0%   0.0% 300 6.7%   0.0% 1,641 7.9%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신성장동력 분야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계 360 100.0% 8,225 100.0% 4,466 100.0% 189 100.0% 20,745 100.0%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신성장동력 분야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 119 - - 120 -
⑥ 경북 ⑦ 광주
○ 경북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신성장동력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LED응용, 그린 ○ 광주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신성장동력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LED응용, 그린
수송시스템, IT융합, 로봇응용, 신소재․나노융합 분야로 이 중 기초 및 응용 수송시스템, 신소재․나노융합 분야로 이 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는
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는 그린수송시스템, IT융합, 신소재․나노융합 분야임 그린수송시스템, 신소재․나노융합 분야이며, 신재생에너지와 LED응용 분야는
- 신재생에너지, LED응용, 로봇응용 분야는 기초연구 비중이 낮음 응용연구 비중이 낮음

<표 Ⅲ-12>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경북) <표 Ⅲ-13>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광주)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에너지 고도물처리 LED응용 그린수송시스템   신재생에너지 고도물처리 LED응용 그린수송시스템 IT융합

기초 기초
  0.0% 100 4.9%   0.0%   0.0% 200 7.8% 494 100.0% 708 62.8% 1,500 100.0%   0.0% 10,705 61.9%
연구 연구

응용 응용
605 54.8%   0.0% 200 21.5% 3,400 100.0%   0.0%   0.0% 180 16.0%   0.0%   0.0% 4,200 24.3%
연구 연구
경상 광주
북도 개발 광역시 개발
500 45.2% 1,930 95.1% 732 78.5%   0.0% 1,835 71.3%   0.0% 240 21.3%   0.0% 300 100.0% 879 5.1%
연구 연구

기타   0.0%   0.0%   0.0%   0.0% 540 21.0% 기타   0.0%   0.0%   0.0%   0.0% 1,500 8.7%

계 1,105 100.0% 2,030 100.0% 932 100.0% 3,400 100.0% 2,575 100.0% 계 494 100.0% 1,128 100.0% 1,500 100.0% 300 100.0% 17,284 100.0%

바이오제약 계 바이오제약 계
  IT융합 로봇응용 신소재나노융합 계   로봇응용 신소재나노융합 콘텐츠 S/W 계
/의료기기 비중(%) /의료기기 비중(%)

기초 기초
  0.0%   0.0% 180 1.4% 740 15.8% 1,220 4.2% 360 42.9% 160 4.9% 1,809 42.6% 200 43.2% 15,936 53.9%
연구 연구

응용 응용
  0.0% 200 36.7% 275 2.2% 491 10.5% 5,171 17.6% 480 57.1%   0.0% 2,285 53.9% 263 56.8% 7,408 25.1%
연구 연구
경상 광주
북도 개발 광역시 개발
1,670 100.0% 345 63.3% 11,960 96.3% 1,921 41.1% 20,893 71.2%   0.0% 3,131 95.1% 149 3.5%   0.0% 4,699 15.9%
연구 연구

기타   0.0%   0.0%   0.0% 1,518 32.5% 2,058 7.0% 기타   0.0%   0.0%   0.0%   0.0% 1,500 5.1%

계 1,670 100.0% 545 100.0% 12,415 100.0% 4,670 100.0% 29,342 100.0% 계 840 100.0% 3,291 100.0% 4,243 100.0% 463 100.0% 29,543 100.0%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신성장동력 분야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신성장동력 분야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 121 - - 122 -
⑧ 전남 ⑨ 전북
○ 전라남도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신성장동력 분야는 그린수송시스템, 신소재· ○ 전라북도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신성장동력 분야는 LED응용, 그린수송시스템,
나노융합 분야로 이 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는 그린수송시스템 신소재·나노융합 분야로 이 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는 LED응용과
분야임 그린수송시스템분야이며, 신소재나노융합분야는 응용연구 비중이 낮음

- 신소재 나노융합 분야는 기초연구 비중이 낮음
<표 Ⅲ-15>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전북)
<표 Ⅲ-14>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전남)
  고도물처리 LED응용 그린수송시스템 IT융합
그린수송 신소재 바이오제약 콘텐츠 계
  고도물처리 IT융합 계 기초
시스템 나노융합 /의료기기 S/W 비중(%) 411 34.2%   0.0%   0.0% 1,300 100.0%
연구
기초
273 100%   0.0%   0.0%   0.0% 762 53.1%   0.0% 1,035 18.4% 응용
연구   0.0%   0.0%   0.0%   0.0%
연구
응용 전라
전 연구   0.0%   0.0%   0.0% 280 21.4% 158 11.0%   0.0% 438 7.8% 북도 개발
790 65.8% 2,988 100.0% 1,148 100.0%   0.0%
라 연구
남 개발
  0.0% 310 100% 700 33.4% 1,026 78.6%   0.0%   0.0% 2,036 36.1% 기타   0.0%   0.0%   0.0%   0.0%
도 연구

기타   0.0%   0.0% 1,395 66.6%   0.0% 515 35.9% 220 100% 2,130 37.8% 계 1,201 100.0% 2,988 100.0% 1,148 100.0% 1,300 100.0%

계 273 100% 310 100% 2,095 100% 1,306 100% 1,435 100% 220 100% 5,639 100%
바이오제약/ 계
  신소재나노융합 콘텐츠 S/W 계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신성장동력 분야 의료기기 비중(%)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기초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555 45.6% 1,998 58.9%   0.0% 4,264 37.3%
연구

응용
  0.0% 179 5.3%   0.0% 179 1.6%
연구
전라
북도 개발
662 54.4% 1,218 35.9%   0.0% 6,806 59.6%
연구

기타   0.0%   0.0% 180 100.0% 180 1.6%

계 1,217 100.0% 3,395 100.0% 180 100.0% 11,429 100.0%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신성장동력 분야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 123 - - 124 -
⑩ 충북 □ 녹색성장기술분야 연구단계별 투자비중 분석2)

○ 충북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신성장동력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그린수송시스템, ① 강원


IT융합, 신소재․나노융합, 바이오 제약/의료기기 분야로 이 중 기초 및 응용
○ 강원권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녹색기술 분야는 없음
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그린수송시스템 분야이며, IT융합과
바이오제약/의료기기 분야는 응용연구 비중이 낮음 <표 Ⅲ-17>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강원)

- 신소재 나노융합 분야는 기초연구 비중이 낮음
비실리콘계 고효율 저공해 계
  바이오에너지 풍력 총합계
태양전지 차량 비중(%)
<표 Ⅲ-16>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충북)
기초
0.0% 209 55.1% 0.0% 110 100.0% 319 49.7%
연구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에너지 고도물처리 그린수송시스템
강원 응용
기초연 48 100.0% 170 44.9% 0.0% 0.0% 218 34.0%
  0.0%   0.0% 151 100.0%   0.0% 도 연구

개발
응용연 0.0% 0.0% 105 100.0% 0.0% 105 16.4%
  0.0%   0.0%   0.0%   0.0% 연구

충청
강원도
북도 개발연 48 100.0% 379 100.0% 105 100.0% 110 100.0% 642 100.0%
930 100.0% 252 100.0%   0.0% 4,080 91.1% 요약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녹색기술 분야
기타   0.0%   0.0%   0.0% 400 8.9%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계 930 100.0% 252 100.0% 151 100.0% 4,480 100.0%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IT융합 신소재나노융합 바이오제약/의료기기 계



비중(%)
② 울산
기초
○ 울산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녹색기술 분야는 고효율 저공해 차량으로 기초
757 100.0% 195 3.0% 900 26.2% 2,003 12.1%
연구 연구 비중이 낮은 수준임
응용
  0.0% 2,590 39.8% 469 13.7% 3,059 18.5% <표 Ⅲ-18>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울산)
연구
충청
북도 개발   고효율 계
  0.0% 3,723 57.2% 116 3.4% 9,101 55.1% 바이오에너지 수소제조/저장 연료전지 CCS 총합계
연구   저공해 차량 비중(%)

기타   0.0%   0.0% 1,948 56.7% 2,348 14.2% 기초


0.0% 0.0% 0.0% 0.0% 70 100.0% 70 5.3%
연구
계 757 100.0% 6,508 100.0% 3,433 100.0% 16,511 100.0%
울산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신성장동력 분야 응용
광역 0.0% 0.0% 77 100.0% 300 57.8% 0.0% 377 28.6%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평균 연구

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개발
280 100.0% 371 100.0% 0.0% 219 42.2% 0.0% 870 66.1%
연구

울산광역시
280 100.0% 371 100.0% 77 100.0% 519 100.0% 70 100.0% 1,317 100.0%
요약

2) ’09 조분평 자료 기준 분석

- 125 - - 126 -
③ 부산 ④ 경남
○ 동남권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신성장동력 분야는 풍력 분야로 기초 및 응용연구 ○ 경남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녹색기술 분야는 고효율 저공해 차량, 풍력이며 이중
비중이 낮은 영역임 고효율 저공해 차량 분야는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수준임
- 풍력분야는 기초연구 비중이 낮음
<표 Ⅲ-19>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부산)

  실리콘계 비실리콘계 <표 Ⅲ-20>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경남)


바이오에너지 수소제조/저장 연료전지
  태양전지 태양전지
  실리콘계 비실리콘계
바이오에너지 수소제조/저장 연료전지
기초   태양전지 태양전지
246 32.5% 248 48.8% 236 92.9% 0.0% 105 34.9%
연구
기초
26 4.0% 0 0.0% 0.0% 410 10.1% 0.0%
응용 연구
부산 0.0% 260 51.2% 18 7.1% 250 100.0% 130 43.2%
연구
광역 응용
시 개발 0.0% 66 29.2% 260 100.0% 0.0% 175 1.4%
경상 연구
512 67.5% 0.0% 0.0% 0.0% 66 21.9%
연구 남도
개발
622 96.0% 160 70.8% 0.0% 3,639 89.9% 12,380 98.6%
기타 0.0% 0.0% 0.0% 0.0% 0.0% 연구

부산광역시 기타 0.0% 0 0.0% 0.0% 0.0% 0.0%


758 100.0% 508 100.0% 254 100.0% 250 100.0% 301 100.0%
요약
경상남도 요약 648 100.0% 226 100.0% 260 100.0% 4,049 100.0% 12,555 100.0%

  고효율 저공해 계
조명용 LED CCS 풍력 총합계
  차량 비중(%)   계
고효율 저공해 차량 조명용 LED 풍력 총합계
  비중(%)
기초
90 5.2% 241 23.0% 202 10.9% 48 2.7% 1,416 16.7%
연구 기초
0.0% 49 36.6% 0.0% 485 2.0%
연구
응용
부산 180 10.3% 0.0% 1,650 89.1% 81 4.5% 2,569 30.2%
연구 응용
광역 68 1.4% 0.0% 650 36.1% 1,219 5.0%
경상 연구
시 개발
남도
781 44.9% 806 77.0% 0.0% 1,662 92.8% 3,827 45.0%
연구 개발
2,935 61.8% 85 63.4% 1,150 63.9% 20,971 85.9%
연구
기타 690 39.6% 0.0% 0.0% 0.0% 690 8.1%
기타 1,748 36.8% 0.0% 0.0% 1,748 7.2%
부산광역시
1,741 100.0% 1,047 100.0% 1,852 100.0% 1,791 100.0% 8,502 100.0%
요약 경상남도 요약 4,751 100.0% 134 100.0% 1,800 100.0% 24,423 100.0%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녹색기술 분야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녹색기술 분야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 127 - - 128 -
⑤ 대구 ⑥ 경북
○ 대구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녹색기술 분야는 실리콘계 태양전지, 비실리콘계 ○ 경북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녹색기술 분야는 실리콘계 태양전지,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연료전지로 실리콘계 태양전지, 연료전지 분야는 응용연구 비중이 태양전지, 연료전지로 이 중 실리콘계 태양전지 분야는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임 낮음
-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분야는 기초연구 비중이 낮음 - 연료전지 분야는 기초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임

<표 Ⅲ-21>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대구) <표 Ⅲ-22>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경북)

  실리콘계 비실리콘계   실리콘계 비실리콘계


바이오에너지 수소제조/저장 연료전지 바이오에너지 수소제조/저장 연료전지
  태양전지 태양전지   태양전지 태양전지

기초 기초
500 51.0% 26 2.5% 44 100.0% 48 100.0% 100 25.0% 30 3.4% 135 31.2% 215 100.0% 761 73.2% 130 14.6%
연구 연구

응용
대구 응용 경상 0.0% 100 23.1% 0.0% 225 21.7% 722 81.3%
0.0% 730 69.9% 0.0% 0.0% 0.0% 연구
광역시 연구 북도
개발
개발 847 96.6% 198 45.7% 0.0% 0.0% 36 4.1%
480 49.0% 288 27.6% 0.0% 0.0% 300 75.0% 연구
연구
기타 0.0% 0.0% 0.0% 53 5.1% 0.0%

대구광역시 요약 980 100.0% 1,044 100.0% 44 100.0% 48 100.0% 400 100.0% 경상북도
877 100.0% 433 100.0% 215 100.0% 1,039 100.0% 888 100.0%
요약

계   고효율 저공해 총
  고효율 저공해 차량 조명용 LED CCS 총합계 조명용 LED CCS 풍력 계 비중(%)
비중(%)   차량 합계
기초 기초
0.0% 86 9.5% 55 100.0% 859 13.4% 0.0% 0.0% 285 82.8% 0.0% 1,556 23.0%
연구 연구

대구 응용 응용
957 32.6% 0.0% 0.0% 1,687 26.3% 경상 831 48.6% 0.0% 0.0% 0.0% 1,878 27.8%
광역시 연구 연구
북도
개발
개발 78 4.6% 428 100.0% 59 17.2% 328 39.6% 1,974 29.2%
1,977 67.4% 816 90.5% 0.0% 3,861 60.3% 연구
연구
기타 800 46.8% 0.0% 0.0% 500 60.4% 1,353 20.0%
대구광역시
2,934 100.0% 902 100.0% 55 100.0% 6,407 100.0% 경상북도
요약 1,709 100.0% 428 100.0% 344 100.0% 828 100.0% 6,761 100.0%
요약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녹색기술 분야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녹색기술 분야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 129 - - 130 -
⑦ 광주 ⑧ 전남
○ 광주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녹색기술 분야는 실리콘계 태양전지, 비실리콘계 ○ 전남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녹색기술 분야는 고효율 저공해 차량으로 기초 및
태양전지, 고효율 저공해 차량, 조명용 LED로 이 중 고효율 저공해 차량, 응용연구 비중이 또한 낮은 분야로 나타남
조명용 LED분야가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은 분야이며, 실리콘계 및 비
실리콘계 태양전지와 풍력분야는 응용연구 비중이 낮음 <표 Ⅲ-24>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전남)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고효율 저공해 차량 총합계
<표 Ⅲ-23>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광주) 비중(%)

  실리콘계 비실리콘계 기초
바이오에너지 수소제조/저장 연료전지 80 94.1% 38 100.0% 0.0% 118 42.3%
  태양전지 태양전지 연구

기초 전라 응용
240 100.0% 721 42.7% 506 43.8% 434 100.0% 351 59.3% 5 5.9% 0.0% 0.0% 5 1.8%
연구 남도 연구
응용
광주 연구 0.0% 206 12.2% 530 45.8% 0.0% 0.0% 개발
0.0% 0.0% 156 100.0% 156 55.9%
광역시 연구
개발
0.0% 763 45.1% 120 10.4% 0.0% 197 33.3% 전라남도
연구 85 100.0% 38 100.0% 156 100.0% 279 100.0%
요약
기타 0.0% 0.0% 0.0% 0.0% 44 7.4%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녹색기술 분야
광주광역시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240 100.0% 1,690 100.0% 1,156 100.0% 434 100.0% 592 100.0%
요약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고효율 저공해 총 계
조명용 LED CCS 풍력
  차량 합계 비중(%)

기초
0.0% 153 3.2% 0.0% 26 100.0% 2,431 25.5%
연구

응용
광주 연구 0.0% 235 5.0% 80 100.0% 0.0% 1,051 11.0%
광역시
개발
327 56.5% 4,274 90.2% 0.0% 0.0% 5,681 59.6%
연구

기타 252 43.5% 75 1.6% 0.0% 0.0% 371 3.9%

광주광역시
579 100.0% 4,737 100.0% 80 100.0% 26 100.0% 9,534 100.0%
요약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녹색기술 분야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 131 - - 132 -
⑨ 전북 ⑩ 충북
○ 전북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녹색기술 분야는 실리콘계 태양전지, 비실리콘계 ○ 충북 선도산업과 관련 있는 녹색기술 분야는 실리콘계 태양전지,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고효율 저공해 차량, 조명용 LED, 풍력 분야로 이들 중 풍력분야는 태양전지, 바이오에너지, 고효율 저공해 차량분야로 이들 중 실리콘계 태양전지와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으며, 실리콘계 및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조명용 고효율 저공해 차량의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낮으며, 비실리콘계 태양전지와
LED 분야는 응용연구 비중이 낮음 바이오에너지 분야는 응용연구 비중이 낮음
- 고효율 저공해 차량 분야는 기초연구 비중이 낮음
<표 Ⅲ-26>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충북)

<표 Ⅲ-25> 녹색기술 분야 연구단계별 투자 비중(전북)   비실리콘계


실리콘계 태양전지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실리콘계 비실리콘계
바이오에너지 수소제조/저장 연료전지
  태양전지 태양전지 기초
0.0% 103 52.6% 360 79.8% 0.0%
연구
기초
199 100.0% 28 26.4% 100 21.6% 107 25.7% 58 1.6%
연구 충청 응용
160 14.8% 0.0% 0.0% 0.0%
응용 북도 연구
전라 0.0% 0.0% 199 43.0% 0.0% 91 2.5%
연구 개발
북도 920 85.2% 93 47.4% 91 20.2% 179 100.0%
개발 연구
0.0% 78 73.6% 164 35.4% 310 74.3% 2,531 70.7%
연구
충청북도
1,080 100.0% 196 100.0% 451 100.0% 179 100.0%
기타 0.0% 0.0% 0.0% 0.0% 900 25.1% 요약
전라북도
199 100.0% 106 100.0% 463 100.0% 417 100.0% 3,580 100.0%   계
요약 고효율 저공해 차량 조명용 LED CCS 총합계
  비중(%)
  계
고효율 저공해 차량 조명용 LED 풍력 총합계 기초
  비중(%) 0.0% 0.0% 0.0% 463 15.1%
연구
기초
0.0% 213 51.0% 35 11.3% 740 12.7% 충청 응용
연구 0.0% 0.0% 0.0% 160 5.2%
북도 연구
응용
전라 96 29.3% 0.0% 0.0% 386 6.6%
연구 개발
북도 650 100.0% 285 100.0% 225 100.0% 2,443 79.7%
연구
개발
232 70.7% 205 49.0% 275 88.7% 3,795 65.2%
연구 충청북도
650 100.0% 285 100.0% 225 100.0% 3,066 100.0%
기타 0.0% 0.0% 0.0% 900 15.5% 요약

전라북도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녹색기술 분야


328 100.0% 418 100.0% 310 100.0% 5,821 100.0%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요약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주) 연한 파란색: 2단계 광역선도산업 관련 녹색기술 분야
진한 빨간색: 광역선도산업관련 신성장동력 분야중 기초 및 응용연구 비중이 각각 201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평균인 33.8%(기초연구)와 22.4%(응용연구) 보다 월등히 낮은 분야

- 133 - - 134 -
(2) 지역별 추가 R&D가 필요한 신성장동력 분야 라. 지역별 특화분야

□ 응용 및 기초연구단계 비중이 낮아 추가 R&D가 필요한 지역별 신성장 □ 지역별 최종 중점 연구분야 및 특화분야 선정


동력 분야
○ 지역별 역량 분석에 따라 도출한 유망 신성장동력 분야, 응용 및 기초연구 투자
<표 Ⅲ-27> 지역별 추가 R&D가 필요한 신성장동력 분야 비중이 낮은 분야와 각 시·도가 전략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분야를 최종

2단계 광역선도
후보군으로 선정
선도산업관련 분야 중 응용
지역 및 기초연구비중이
산업 프로젝트 낮은 분야
<표 Ⅲ-28> 지역별 특화분야 최종 후보군
그린에너지 태양광(장비) 연료전지 신재생에너지(태양전지,연료전지)
로봇응용
대구 역량 분석에 기준한 유망 시·도 전략
의료기기(치료/헬스케어기기) 신소재나노융합 지역 응용 및 기초연구 투자 비중이 낮은 분야
IT 융복합 콘텐츠/SW 신성장동력 분야 추진 분야
실용로봇
대경권 의료기기(진단시스템,
스마트자동차부품 신재생에너지(태양전지)
스마트기기부품 강원 신소재나노융합 바이오
스마트모바일 그린수송시스템 고령친화의료기기 등)
경북
첨단융합 첨단금속세라믹소재 IT융합
소재 하이테크섬유소재 신소재나노융합 로봇, LED, 신재생에너지(태양전지, 연료전지), 로봇응 의료,
대구
기능성신소재 세라믹/비철소재부품 선박해양시스템 용, 신소재나노융합, 콘텐츠/SW 지식서비스

바이오 차세대 디스플레이, 신재생에너지(태양전지), 그린수송시스템,


강원 강원권 의생명바이오, 전자의료기기 신소재나노융합 경북 인쇄전자
메디컬 고부가식품 IT융합, 신소재나노융합
헬스케어 헬스테인먼크
그린카, 해양에너지, 신재생에너지(풍력), 고효율저공해 차량,
에너지 부산 바이오헬스
풍력부품, 원전설비 신재생에너지(풍력) 선박해양시스템 신소재나노융합
부산 플랜트 고효율 저공해 차량
신소재나노융합 해양바이오,
그린 화학소재 화학융합소재 울산 그린수송시스템, 신소재나노융합 생산기계
그린수송시스템 신소재나노융합
울산 동남권 수송기계
지능형기계부품,
친환경차량부품,항공 (신소재나노융합) 그린카, 지능형교통시스 신재생에너지(풍력), 그린수송시스템, 신소
경남 생명건강
신재생에너지(풍력) 템, RFID/USN 재나노융합
해양플랜트기자자재
경남 조선해양 그린수송시스템
그린선박조선기자재
신소재나노융합 신재생에너지(태양광), 고효율저공해차량, 디자인·문화콘
광주 LED, 방송통신융합
태양광(소재), 신재생에너지(태양광) LED 텐츠
신재생에너지
광주 풍력시스템/모듈 고효율저공해 차량
조명용 LED 해양에너지,
라이프케어 바이오식품, 바이오활성소재 전남 그린수송시스템 신소재
해양바이오
전남 호남권 그린수송시스템
광융복합 광부품 및 시스템, 신광원조명 태양전지, LED, 신재생에너지(풍력), LED, 그린수송시스템,
신재생에너지(풍력) 전북 인쇄전자
LED 응용 고부가식품 신소재나노융합
전북 친환경 차량 및 부품
친환경 수송기계 그린수송시스템
그린레저선박 신소재나노융합 태양전지, 차세대반도체, 신재생에너지(태양전지), 그린수송시스템,
충북 -
의약바이오 차세대의약 바이오화학 IT융합, 바이오제약

태양광(부품), 이차전지, 신재생에너지(태양전지)


차세대 에너지
나노융합소재(화학소재) 그린수송시스템
○ 참여적 의사결정 방식에 따라 지역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후보군 중 지역별로 4개
충북 충청권
무선통신융합, 반도체, IT융합
New IT 바이오제약/의료기기
디스플레이
분야 선정
융합 기계부품 동력기반기계부품

- 135 - - 136 -
- 지역별 특화분야 최종 후보군 제시 → 각 시·도 담당 공무원 의견 수렴 → - 가교형 R&D의 경우, 타 지역과 중복되거나(신소재나노융합분야, 신재생에너
각 시·도 과학기술진흥센터 책임자가 4개 분야 선정 지분야 등) 공동개발을 통해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융복합
※ 예) 강원의 경우 역량분석을 통해 도출된 의료기기, 응용 및 기초연구 투자 비중 과제’로 수행함으로써 지역 간 연계·협력 도모
이 낮은 신소재나노융합 중 비철금속과 세라믹, 지역 전략 추진분야인 바이오를
강원지역 특화분야로 선정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및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도 지역별 특화분야에 기
준하여 지역별 차별화 추진

지역
<표 Ⅲ-29> 지역별 특화분야

특화분야
○ 지역별 특화분야 중심으로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강원 의료기기, 바이오, 비철금속, 세라믹 ○ 지역별 특화분야 관련 기술(특허)를 활용한 창업 기획 및 교육
메카트로닉스산업(로봇, 자동차부품, 뿌리), 의료산업, 신소재나노융합, - 지역별 특화분야 R&D를 통해 창출된 특허 등을 활용한 창업경진대회 추진
대구
융복합 지식서비스 - 지역별 특화분야 관련 기업 내에서 창업경진대회를 추진함으로써 지역기업과의
경북 국방 IT, 인쇄전자, 희소금속소재, 반도체장비 연계 강화
부산 신재생에너지(풍력), 고효율 저공해 차량, 초정밀융합부품, 바이오헬스
- 단지 및 지역 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도 지역별 특화분야를 중심으로
울산 수송기계산업, 신소재나노융합, 생산기계, 소재성형
수행함으로써 지역적으로 차별화된 창업교육 수행
경남 융복합기계, 나노정밀기기, 생명건강, 소재성형

광주 광 융·복합 소재, 친환경 수송기계, 스마트가전,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재성형

전남 조선·해양, 신소재, 생물, 신재생에너지

전북 경량소재부품, 향토기능성식품, 인쇄전자, 에너지변환저장부품

충북 바이오, 태양광, 기능성화장품, 차세대반도체

마. 지역별 특화분야 선정결과 활용 방안

“세부사업별 우선순위 도출 선정기준으로 활용”

□ 선정된 지역특화분야를 바탕으로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R&D 과제


도출

○ 지역별 특화분야로 한정하여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R&D


과제를 도출함으로써 지역별 중복 최소화
- 가교형 R&D의 경우, 다른 지역과 중복되지 않는 분야는 지역별 단독수행의 ‘지
역특화과제’로 수행

- 137 - - 138 -
Ⅳ. 사업추진의 필요성 및 추진근거 - 지방과학연구단지를 거점으로 지자체 중심의 사업 기획 및 수행이 필요하며,
지역기업 수요에 기반한 사업추진이 필요
- 지역기업의 R&D 수요를 기반으로 필요한 기술을 탐색 중개하는 등 기업의
수요에 기반한 지역밀착형 사업 추진
1 사업추진의 시급성
- 지역별로 특성화된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술탐색 중개-가교형
R&D-창업’의 일체형 사업 추진이 필요
□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 (국정과제 17) ’산‧학‧연‧지역 연계를 통한 신산업
창출기능 강화‘를 실현하기 위해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가 필요
□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을 통해 구축한 인프라 및 성과를
※ 산‧학‧연‧지역 연계를 통한 신산업 창출기능 강화 (국정과제 17) 지역경제활성화로 연결시킬 수 있는 후속사업이 필요
(과제개요)
지역 대학‧산업‧연구소와 지자체를 과학기술을 매개로 하는 융합 공동체로 육성하고, 창업과 신 ○ 정부는 지난 2004년부터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을 통해 지역
산업 창출의 생태계 조성 과학기술혁신 및 지역발전 선도를 위해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를 지정하고
(주요 추진계획)
인프라 구축(하드웨어 중심)을 완료 (86페이지 표 참고)
① 산‧학‧연 협력 패러다임을 「창업과 신산업 창출」로 전환
- 산‧학‧연협력 총괄기구로서 대학 산학협력단의 기능 정상화를 위해 기능재편과 전문인력(변 - 전국 지방과학연구단지를 지역별 연구개발거점으로 육성함으로써 지역산업의
리사 등) 충원 지원 확대
과학기술혁신을 도모하고 장기적 성장을 지원
-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이 창업으로 이어지는 대학 창업생태계 조성
- 교수, 출연(연) 연구원의 기술창업‧기술이전 활성화 지원
② 출연(연)은 산‧학 협력 매개와 중소기업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강화
○ S/W 중심의 사업지원을 통해 지역 연구개발 거점으로서의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역할확립을 위한 기획수행
- 「학연 교수제」와 학연 학생 제도 활성화를 지원하고, 출연금 중 일정비율(5~15%)은 중소
기업 지원에 활용토록 의무화 - 지방과학연구단지의 발전방안에 대한 충분한 사전연구 수행
※ 한국과학기술정보원(’07) 「지방과학연구단지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경북테
③ 과학기술-인재-산업을 연계하는 지역과학기술혁신 체제 정비
- 분산‧다기능화 된 지역 과학기술 지원사업을 지역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배분하는 체계
구축(과학기술기본법 개정 검토) 크노파크(’09) 「과학연구단지 중심의 R&D 허브화 전략과 과제」, 한국과학기술
- 중앙정부 중심 지원에서 탈피, 지자체 스스로 지역 내 산‧학‧연 자원과 기술혁신 수요를 발굴 기획평가원(’10)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 사업」, 과학기술정책연구원(’12)
하고 지원할 수 있는 역량 육성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방안 수립」, 미래창조과학부(’13) 「지역 과학기술 역
량 강화를 위한 우수인재 유치활용 및 선진 연구지원체계 마련에 관한 연구」등
④ 지역별로 특성화된 창업생태계 조성
- 과기특성화대학은 과학벨트‧연구개발특구 제도와 자원을 활용하여 기술사업화 전진기지의
선도모델로 육성
- 1단계 사업을 통해 구축된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용도 제고와 지역과학기술
- 지역별 거점대학을 지역 출연(연)과 연계 운영을 통해 지역산업 기술 공급처로 육성
혁신을 담당할 거점기관으로 육성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 마련 완료

○ 산·학·연과 지역연계를 통한 신산업 창출 촉진을 위해서는 산·학·연 집적화가 ○ 창조경제의 핵심수단으로 지역의 수요를 반영한 특성화된 지역 과학기술발전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이를 위한 지방과학연구단지의 활성화를 대한 조속한
이루어져 있는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최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지원 필요
○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기능적 활성화 지원을 통해 국정과제 수행 거점 및 동력 - 지역주도 R&D 전략수립 및 추진체계 확립을 위한 지자체의 수요 증가
확보가 가능
※ 2014년 제주특별자치도가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연구개발지원단 사업에
- 지역별 거점대학을 지역 출연(연)과 연계 운영을 통해 지역 산업기술 공급처로 선정되는 등 지역주도 R&D 사업의 발굴·기획·수행·관리에 수요 증가
육성하는 등 지역별로 특성화된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광역시
○ 국고지원을 통해 10개 지역에 구축한 인프라 활용을 위한 소프트머니 즉,
도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며
R&D와 기술중개 및 창업기획, 산학연네트워크 활성화 추진 필요

- 139 - - 140 -
- 구축된 H/W가 연구개발활성화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 필요 ○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5대 전략 중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중 “새로운 지역
※ 시설 장비 구축사업 완료 후, 운영방안 및 재원부족 등으로 인해 구축된 시설· 혁신체계구축”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6개) 추진을 위해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장비가 R&D 가 아닌 타 용도로 전용하는 사례 발생(감사연구원, ’11) 역할이 필요

□ 박근혜 정부가 국정과제 및 미래부 중점과제에서 제시한 ‘연구개발특구와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은 크게 지역수요에 기반한 R&D 기획 및 연구
과학벨트의 연계 강화’를 통한 신성장 거점 육성을 시‧도 차원으로 확대하기 개발사업과 지역 혁신 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조성사업으로 이루어져 있음

위해서는 지방과학연구단지 사업이 필요 - 연구개발사업의 경우, 지역수요에 기반한 TRL 3~5 단계 기술개발 지원, 지
역수요기반 R&D 기획 등의 세부 사업내용을 담고 있음
○ 박근혜 정부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국가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이라는 - 기반조성사업의 경우,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연구개발과제 도출 및 추진
국정과제 제시
체계, 기술기반 사업화·창업기획 지원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의 세부사업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연구개발특구를 연계하여 기초과학부터 첨단 비즈 내용을 담고 있음
니스를 연결하는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육성

○ ‘기초과학 → 개발(응용)연구 → 사업화’가 연계되는 창의적 연구개발혁신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별 전략분야 집중 육성(미래부 중점과제)
※ 창의적 연구개발 혁신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 창조적 아이디어가 개방형 혁신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창조적 생태계 조성이 필요
○ 지역산업정책이 광역경제권에서 시·도 자율과 시·도 산업협력으로 재편된 바,
연구개발특구와 과학벨트와의 연계 강화 뿐 아니라 지방과학연구단지와의
연계도 필요한 시점임

○ 지방과학연구단지 사업을 통해 ‘지방과학연구단지(시·도)-연구개발특구(광역)-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국가) 연계 구축’으로 기초과학에서부터 첨단 비즈니스를
연결하는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 가능
-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시 도 차원의 응용연구 및 창업기획을 담당

□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4. 2) 19대 부분별 추진과제 중 “새로운


지역혁신 체계 구축”과제 수행을 담당

※ 5대 전략, 19대 부문별 추진과제(78개)


(전략) (High 3)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19개 부문) 11. 새로운 지역혁신 체계 구축의 세부추진과제
(추진과제)  지역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 지역수요에 기반한 기술개발 지원
 지역맞춤형 인재양성과 일자리 창출
 지역 연구개발투자 확대 및 자율성 강화
수 지역 연구개발 기획관리 역량강화
 지역 연구개발 추진체계 정비

- 141 - - 142 -
2 법적 추진 근거 -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지정된 과학연구
단지에 입주한 대학, 연구기관 및 기업 등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 및 동법 시행령 제43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방 우선적으로 지원

과학연구단지 R&D 사업 지원 가능 -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제3항의 규정에 따른 지원을 함에 있어서 과학연

○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과학연구단지 등의 조성 및 지원) 구단지의 조성정도, 입주기관의 수, 입주기관의 성격, 과학기술혁신활동의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각 과학연구단지별 여건에 맞는 지원
① 정부는 산업계·학계·연구계가 한 곳에 모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데에 따른 효율을 높이고,
-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법 제29조 제2항의 규정에 따른 지원금을 교부받고자
국내외 첨단 벤처기업을 유치하거나 육성하기 위하여 과학연구단지를 만들거나 그 조성을 지원할
하는 때에는 매년 4월 30일까지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관계 중앙행정
수 있다.
기관의 장에게 지원금 지급신청
②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예산의 범위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과학연구단지 조성사업에 드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실현을 위해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추진이 필요
○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3조(과학연구단지의 조성 및 지원 등)
○ 과학기술기본법 제8조(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에 의거 지방의 과학기술
※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3조(과학연구단지의 조성 및 지원 등)
진흥을 촉진하기 위해 5년마다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을 수립
① 법 제29조에 따른 과학연구단지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또는 도시첨단산업단지의 지정·개발 절차에 따라 조성한다. - 향후 5년간 지방과학기술 육성의 목표와 발전방향을 제시
②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은 국가과학기술혁신 및 지방의 과학기술진흥의 위하여 다음 각 호의 기관 - 지역의 적극적인 참여 하에 수립되는 중앙과 지역의 협력계획
중 둘 이상의 기관이 입주한 지역을 중심으로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의 협의를 거쳐 과학연구단
- 제4차 계획에서는 지역의 자율과 책임성 강화, 지역 특성화 과학기술 역량
지를 지정할 수 있다.
제고를 위한 8대 중점 추진과제 제시
1. 「특정연구기관 육성법」 및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는 연구기관
지역의 자율과 책임성 강화 지역 특성화 과학기술 역량 제고
2.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산업대학·전문대학 및 기술대학
- 지역주도형 R&D 사업기반 확충 - 지역 R&D 투자 특성화·내실화
3. 국공립 연구기관
- 지역의 R&D 기획·관리 역량 및 기반 강화 - 지역밀착형 과학기술인력 양성과 일자리창출
4.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14조에 따른 기업부설연구소 및 산업기술연
- 중앙·지역의 역할분담 및 국제협력 강화 - 인프라 운영 효율화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구조합
- 지역R&D 추진체계 개선 및 재정비 -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산·학·연 협력 활성화
③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지정된 과학연구단지에 입주한 대학, 연구기관
및 기업 등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 특히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에서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산·학·연
1. 법 제11조에 따른 국가연구개발사업
협력 활성화”를 위한 세부과제로서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를 강조
2. 법 제16조에 따른 민간기술개발의 지원
3. 법 제17조제3항에 따른 과학기술인 상호교류 - 우수기술의 탐색·이전 및 R&D 지원으로 지역기초연구 및 연구성과 사업화를
4. 법 제18조에 따른 국제공동연구의 추진 등 과학기술 국제화의 촉진 위한 지방과학연구단지 2단계 사업 추진
5. 법 제22조에 따른 기금의 지원 - 지역주도형 R&D 사업기반 확충 및 지역의 R&D 기획·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6. 법 제23조에 따른 과학기술인력의 양성·활용
지방과학연구단지의 핵심적 역할이 요구됨
7. 법 제26조에 따른 과학기술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지식·정보의 관리·유통체계 구축
8. 법 제28조에 따른 연구개발 시설·장비의 고도화
9. 그 밖에 입주기관 간의 교류와 협력 증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 143 - - 144 -
□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제12조에 의거하여 지역발전에 필요한 과학기술의
3 국고지원의 적합성
진흥 추진을 위해 지방과학연구단지 R&D지원 가능

○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제12조(지역 교육여건 개선과 인재 양성 및 과학기술 진흥) □ 국고지원의 근거

②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발전에 필요한 과학기술의 진흥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에 ○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과학연구단지 등의 조성 및 지원)에 따라 국고지원의
관한 시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법적근거는 충분함
1. 지역의 과학기술연구·교육기관의 육성에 관한 사항
2. 지역발전을 위한 연구개발의 촉진에 관한 사항
○ 균형발전특별회계에 따라 수도권(대전 포함)을 제외한 지방자치단체가 조성한
3. 지역의 연구개발인력의 확충 등 과학기술역량의 향상에 관한 사항
과학연구단지를 선정·지원
4. 그 밖에 지역의 과학기술 진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 출연금의 형태로 지원하며, 총 사업비는 Matching Fund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사업비 부담

□ 지자체가 중심이 된 과학기술발전을 추구하기에는 지방정부 재원에 한계


존재

○ 지역의 재정 자립도가 낮아 지역 R&D 추진에 중앙정부 지원이 필요


- 서울, 경기, 인천 등의 재정 자립도는 80%를 상회하는데 반해, 대부분 지역의
재정 자립도는 70% 초반 대이며 특히 전북과 전남은 70%에도 이르지 못하는
수준임
- 지역 R&D 투자 중 중앙정부 대비 지자체 재원비중(C:D)은 97.8 : 2.2의 비율

<표 Ⅳ-1> 연도별 투자현황


(단위: 억 원, %)

연도별 투자현황 연평균


구분
2006 2007 2008 2009 증가율

정부 R&D 예산(A) 89,096 97,629 110,784 123,437 11.5%

지역 R&D 투자(B=C+D) 66,493 71,248 85,990 100,619 14.8%

소계(C) 64,738 69,068 83,781 98,451 15.0%


중앙부처
일반회계 58,889 61,609 66,959 79,689 10.6%
투자
특별회계 5,849 7,458 16,822 18,762 47.5%

지자체 투자(D) 1,755 2,181 2,209 2,168 7.3%

자료: 기획재정부(’11)

- 145 - - 146 -
○ 지방자치가 정착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자체의 권한과 재원 부족 때문인 ○ 지방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낮은 것이 아니라 절대적 투입액이 적은 것이 문제
것으로 분석 로서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정부자금 투입 증대가 필요
※ 한국지방자치학회 및 한국정치학회 회원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지방분권추진
전략’ 설문 전문가 조사 결과 (’09. 7) □ 일본 등 선진국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기초원천연구의 후속연구 및 사업화
○ 우리나라의 국세 대비 지방세의 비중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원 강화
수준임
○ 미국은 SBIR(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STTR(Small Business
※ 독일, 미국, 일본의 국세 대비 지방세 비중은 각각 49.7, 44.1%, 41.3%로 우리나라 Technology Transfer),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등 연구개발
23.0%에 비해 높은 수준(OECD Revenue Statistics) 투자 위험이 크지만 성공 시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원천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 프로그램을 연방정부 차원에서 운영
□ 지방에 대한 정부 R&D 투자비중 정체 및 개발단계 R&D 편중으로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에 한계 ○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은 기업 참여 하에 ‘Baton Zone(융합적 연계프로
○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한 지방에 대한 정부 R&D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그램)’을 시행

있으나 비중은 27%대에서 정체


※ 일본 이화학연구소 ‘Baton Zone' 프로그램
- ’11년도 기준 지방에 대한 정부 R&D 투자 비중은 27.9%로 지방의 지역총 ○ ‘Baton Zone'은 문부과학성의 연구기관인 이화학연구소(RIKEN)의 프로그램으로 기초연구를
생산(GRDP) 비중 52.9%의 절반수준임 중심으로 한 RIKEN의 최첨단 연구성과를 기업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조기 사업화하는 것을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방 투자 추이 (KISTEP, ’13) : 27,915억 원, 27.9%(’08) → 목적으로 함

31,770억 원, 27.7%(’09) → 38,112억 원, 29.3%(’10) → 39,513억 원, 27.9%(’11) ○ 프로그램 개요


- 프로젝트 주제 : 기업으로부터 제안을 받아 RIKEN과 공동입안
○ 지방에 대한 정부 R&D 투자는 개발연구단계의 R&D에 편중되어 있음 - 연구예산 : 팀 당 연간 5천만엔 수준 지원
- 지원기간 : 3~5년 이내
- ’11년도 기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초 및 응용단계 R&D 투자 비중은 수도권이
- 연구수행방식 : 연구 리더는 기업측 연구자에서 선정하고 RIKEN 신분 부여
56%인데 반해 지방은 43%에 불과한 수준임
- 원칙적으로 RIKEN의 관련 연구센터에 소속되어 연구수행
※ 지방 투자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초․응용단계 비중 추이 (KISTEP, ’13) :
48.8%(’08) → 39.2%(’09) → 43.8%(’10) → 42.9%(’11)
○ 개발연구단계 R&D 편중 해결을 위해 기초·원천기술을 활용하는 응용연구단계
중심의 가교형 R&D 추진을 위한 지원이 필요

□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정부자금 투입 증대가 필요

○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한 지방의 R&D 투입에 대한 효율성이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님
- 서울, 충남, 경북 등은 투입의 성과로의 전환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것으로
파악되는 반면, 대전, 인천, 전남 등은 투입에 비해 성과가 낮게 나타남
- 효율적이지 못한 지역의 비율을 기준으로 보면, 지방 R&D 투입에 대한 효율성은
낮은 수준이 아님
- 147 - - 148 -
<그림 Ⅳ-1> 지방과학연구단지 역할
4 지역적 필요성

□ 지역에 특화된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서는 지역 과학기술역량 강화가


우선되어야 함

○ 과학기술 및 혁신에 있어 지역적 특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지역 과학기술정책의


방향이 변화하고 있음
- 각 지역의 기술혁신 잠재력을 발굴·개발·활용케 하여 지역 경제가 자생적인
성장 도모
○ 지자체의 지역 R&D 기획 및 실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역량 확보에는 한계 존재
- 지역 기업들은 미래성장을 위해 조세지원 등 직접적인 지원보다 지역 R&D
및 사업기획, 산학연 공동연구, 연구자 창업 지원 등을 요구
○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서는 과학기술지식(특허)과 기업가정신(창업)의 축적이
중요하며 이를 담당할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기능적 역할 필요
※ 지역기업수요조사결과(STEPI, ’11) : 지역 R&D 및 사업기획강화(3.2), 산학연공동 ※ 독일 310개 지역 분석 결과 과학기술지식자본과 기업가정신 자본의 축적정도는
연구 지원(3.5), 학연연구자 창업지원(3.3) ↔ 연구개발비 조세지원(2.7) 지역경제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Audretsch 등, ’08)
-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지역수요 기반 R&D 기획 및 실행을 담당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인력, 시스템 등 혁신자원의 한계로 현재 역할이 미흡 □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지역 특화 분야별 기초․응용
○ 지역적 특성화 및 내실화에 기초한 지역 R&D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지방과학 연구 및 창업 지원 필요
연구단지의 활성화가 필요
○ 최근 일자리 창출의 수도권-비수도권 격차가 심화되고 있어 지역의 좋은 일
- 과학기술에 대한 지역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려는 정책 전환 필요 자리 창출을 위한 지역산업 특화형 R&D 지원이 필요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정책의 정착을 위한 핵심적 추진체계로서 지방과학 ※ 최근 7년간(’05~’11) 취업자 증가의 77%, R&D 등 지식기반서비스업 취업자 증가의
연구단지의 역할 확립 88%가 수도권에 집중된 반면, 부산(-5만여명), 대구(-1천2천여명), 전남(-4만5천여
명), 경북(-6천여명) 등 4개 시·도는 같은 기간 취업자 수가 감소(산업연구원, ’13)
□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역할이 중요 ○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한 지방은 개발연구 비중이 60%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기초
○ 지방과학연구단지는 테크노파크 등과의 역할분담을 통해 지역경제활성화 유도의 및 응용연구단계 R&D 확대 필요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세부목표에
거점역할을 담당 해당)

- (지방과학연구단지) 지역수요에 기반한 지역 R&D 기획을 바탕으로 필요기술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단계별(기초, 응용, 개발) 비중(KISTEP, ’13) : 수도권
탐색 및 중개, 가교형 연구, 창업 기획 등을 수행
(35.8%, 20.2%, 44.0%), 대전(25.1%, 29.9%, 45.0%), 지방(27.2%, 15.7%, 57.1%)
- (테크노파크) 지역 R&D 성과의 사업화 및 기술기업육성을 수행 ○ 벤처기업의 수도권 집중 역시 심각한 수준으로 지역차원의 기술창업활성화
필요
※ 수도권에 위치한 벤처 비중은 53.0%로 지역내 총생산(GRDP)의 수도권 비중인
47.1%에 비해 벤처기업의 수도권 집중 정도는 심각한 수준임
- 149 - - 150 -
<그림 Ⅳ-2> 벤처기업의 지역별 분포
5 기술적 필요성
(단위:%)

□ 지방과학연구단지 R&D 지원 등으로 창출된 기초·원천연구 성과(논문,


특허)를 사업화로 연결하기 위한 후속연구개발 지원 필요

○ 국가 R&D 결과물의 사업화로의 연계 미흡으로 기술경쟁력이 하락하고 있어,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기초·원천결과를 사업화로 연결하는 가교형 R&D 필요
- 국가 R&D 사업화 건수가 2011년 7,253건으로 2010년(9,521건), 2009년
(8,262건)에 비해 감소
※ 2008년부터 4년 간 정부 R&D 성과인 특허가 기업으로 이전된 비율은 5.7%, 이 중
실제 수익으로 연결된 사례는 23.6%에 불과(미래창조과학부, 2013)
○ (구)교과부의 성과활용 지원사업은 ‘커넥트코리아’와 ‘프론티어 연구성과관리’
뿐으로 기초연구 대비 기초연구성과의 활용·확산 지원체계 및 사업 부재
- 연구재단 2010년 기초연구사업비(개인연구지원사업+집단연구육성사업+
원천기술개발지원사업) 예산은 1조 1201억원인데 반해, 커넥트코리아사업의
연간지원예산은 60억원에 불과
자료: 벤처기업협회(2012), 2012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 프론티어연구성과관리사업의 2008년 지원예산은 40억원이며, 사업비 또한
성과확산 컨설팅, 해외특허출원, 성과관리 등으로 후속 R&D 지원은 전무한
실정
- 과학적 지식(Science)에서 기술적 지식(Technology)으로 전환하는 단계에
필요한 지원 사업은 부재
※ 대학에서 창출된 연구성과의 77%는 추가개발 필요(Jensen & Thursby)
□ 창조경제구현을 위해 지식재산의 전략적 관리를 통한 고부가가치화할 수
있는 역량 개발 및 이를 통한 지식재산의 활용도 제고가 필요

○ 꾸준한 연구개발투자로 특허출원 등은 OECD 국가 중 상위권으로 진입하였으나,


지식재산의 활용이나 보호수준 등에 있어서 경쟁 국가들에 비해 미흡한 수준
이며 지방은 더욱 취약
- 2013 대학 지식재산 경쟁력 평가 부문별 등급에서 한국과기원, 광주과기원,
포스텍 등 특성화대학을 제외하면 지역대학은 대부분 하위권

○ 기술개발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인 기술 수출액 측면에서 수도권 및 대


- 151 - - 152 -
전과 지방의 격차는 매우 큼
6 기존 사업과의 차별성
- 지역별 기술수출액은 경기, 대전, 서울이 상위권을 차지(한국과학기술기획
평가원, 2013)

○ 창의적 아이디어·발명의 ‘특허화 → 고부가가치화 → 수익화’의 선순환 지식 가. 기존 지역사업과의 차별성

재산생태계 조성을 통해 지식재산 경쟁력을 제고 □ 타 지역사업과의 사업목적 및 특징 비교


- 이를 통해 지속되는 기술무역적자를 점차 해소
※ 우리나라의 기술무역수지비는 2011년 기준 0.41로 OECD 평균인 0.96의 절반 이하 ○ 국가 R&D 사업은 기초연구와 국가주도 기술연구에 집중하는 반면, 지방

수준임(우리금융경제연구소, 2013) R&D에서는 지역별 특화산업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원천연구 추진

○ 기존의 지방 R&D 사업들은 대다수 단기간에 제품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 기업가치가 실물자산 중심에서 지식재산 중심으로 변화하는 창조경제의 추진(TRL 7단계 이상)하나,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은 기초연구와
도래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과학기술지식(특허)과 기업가정신 사업화의 연결고리를 강화하기 위한 R&D 사업(TRL 3~5단계)을 중점적으로
(창업) 지원이 필요 수행하여 차별화함

○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서는 과학기술지식(특허)과 기업가정신(창업)의 축적이 <표 Ⅳ-2> 주요 지방 R&D 거점 육성사업의 목적 및 주요특징
중요
※ 독일 310개 지역 분석결과 과학기술지식자본과 기업가정신자본의 축적정도는 지 구분 주요내용 비고

역경제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Audretsch 등, ’08) - 대학․연구소의 기초·원천기술을 활용, 후속연구를 지원하는 가교형

○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담당할 벤처기업의 수도권 집중 현상 해결을 위해 연구 R&D 사업 (대부분의 R&BD 사업은 시제품제작 지원 등에 초점)
- 지역주도로 지역특화 분야의 R&D 사업 기획을 통해 Bottom-Up 방식
결과물을 활용한 기술창업 지원이 필요 으로 추진 (국가 R&D 사업과 구분) 미래부
지방과학연구단
- 지역의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Knowledge-Hub구축 (지역특화발전을 사업
지 (2단계)
- 이를 통해 특허활용률 및 창업성공율 제고 위한 다목적사업)
- TRL 3~5단계 R&D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기초연구결과물의 실질적 사
업화를 강화하는 연결고리 역할 수행

- 지역 주력·연구산업, 뿌리산업 등 일자리 창출형 산업 육성


- TRL 7단계 이상(시제품 신뢰성 평가, 시제품 인증) R&D 과제를 중심
산업부
신특화사업 으로 지원
사업
- 지역기업을 중심으로 단기간 내 제품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 및 사업화
에 초점

- 지역 R&D 거점은 지방과학연구단지와 유사하나, 기업을 중심으로 응


TP, RIC, 용․개발연구를 추진 산업부
산단클러스터 등 - 단기간에 제품화할 수 있는 산업기술개발을 주요 목표로 추진 사업
- 산업클러스터 구축 등에 초점

대학중점연구소,
- 정부주도의 R&D 사업기획을 통해 Top-Down방식으로 추진 미래부
우수연구센터,
- 국가 주력기간산업, 국가주도기술 연구 사업
MRC, NCRC 등

- 153 - - 154 -
□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과 기존 유사 지역사업 비교 나. 테크노파크(TP)와의 차별성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은 지역 중소기업이 미래먹거리로 필요로 하는 기초· □ TP의 중점기능과 역할

○ TP 현재 중점기능과 향후 기능
원천기술개발을 위한 가교형 R&D 지원
- 다른 지역사업들은 대부분 단기 제품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초점
- 테크노파크 기능에 대한 연구보고서(안성조, 이성근, ’12)에 의하면 현재 TP가
- 지역혁신 센터(RIC) 사업은 장비활용에 초점이 맞춰진 사업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기능은 기업 및 기관 인큐베이팅이며,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은 R&D 결과물을 활용한 새로운 창업기업 탄생 - 향후 TP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기능으로 산·학·연·관 네트워크, 지역산업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R&D-창업기획의 일체형 사업 정책 기획 및 평가로 분석되었음
- 타 지역사업 특히 신특화사업은 기존 기업의 사업화지원과 기업지원 서비스에
<표 Ⅳ-4> TP 기능분석 결과
주력하는 사업임
구분 현재 중점기능 향후 중점기능
<표 Ⅳ-3>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과 기존 유사사업 비교
지역산업정책 기획 및 평가 14 16
2단계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
지역혁신
구분 지방과학연구단지 신특화사업 사업 (구 산업단지 기업 및 기관 인큐베이팅 20 3
센터(RIC)조성
활성화 사업 혁신클러스터조성)
비즈니스서비스 제공 12 10
지역연고산업, 뿌리 산학연간 공동연구
산학연 연계를 통한 생산기능 중심의 산 재직자 및 미취업자 교육 2 5
사업 산업, 문화융합형생 및 사업화 촉진을 위
지역 과학 기 술혁 신 업단지에 연구개발
목적 활 산업 등 일자리 한 장소·시설 등 집
생태계 조성 기능 보완 정부사업의 유치 10 5
창출형 산업 육성 합체 구축·운영
산·학·연·관 네트워크 12 17
가교형 R&D, 산학연 R&D 역량강화, 기업
산학연 네트워크, 맞
지원 공동연구법인, 기술 지원서비스, 사업화 지역전략분야 및 대 기술사업화 7 14
춤형 특성화사업,
대상 중개, 중소기업네트 지원을 위한 거점기 학 강점분야
R&D역량 강화사업 기술 연구개발 및 지재권보호 3 10
워크, 창업기획 관 운영
시험분석 및 장비활용 2 3
대학(산업대학, 전문
연구 지역대학 중심 기업 중심 기업 중심
대학, 기술대학 등), 국내외 마케팅 지원 8 7
주체 산·학·연 산·학·연 산·학·연
산학협력단 등
합계 90 90
사업
10년 3년(′13~′16) 11년(′05~′15) 10년 자료: 안성조, 이성근(2012),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테크노파크의 기능분석, 지방행정연구 제26권 제3
기간
호 테크노파트 기능을 재정립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기 위해 기업인과 전문가 15인을
지원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분석한 연구내용임
연간 495억 원 ′13년 총 2,635억 원 ′09년 총 688억 원 ′09년 총 430억 원
규모

지역 중소기업의 수요를
지역연고·주력산업,
○ 예산 비중으로 살펴 본 TP 주요사업
기반으로 지자체 주도 소규모 산학연협의
특성
지역 R&D 기획 및 기초·
뿌리산업의 단기 제
체(미니클러스터)를
구축센터의 장비활 - 기업지원 및 기술지원의 예산 비중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네트워크, 기술개발
(차별성) 품화를 위한 기술개 용에 초점이 맞춰짐
원천연구와 사업화의 중 중심으로 추진 순으로 예산 비중이 높아 이들이 중점 사업이라 할 수 있음
발에 초점
간단계 기술개발에 초점
- 기술이전 및 창업지원에 대한 예산 비중은 매우 작아 중점사업이라 보기 힘듦

- 155 - - 156 -
<그림 Ⅳ-3> TP 주요사업의 예산 비중 <표 Ⅳ-5> 기능별 중점 영역과 이를 통한 차별화 및 기능 연계

기능 지방과학연구단지 테크노파크 기타

기업수요 파악 연지단

지역 R&D 기획 연지단
기획
지역산업정책 기획

기초연구 대학 및 출연(연)

연구개발 응용연구

개발연구

기술탐색 및 중개 특구
기술사업화
기술이전 특구, TLO 등

창업기획
창업지원
창업보육 대학 창업보육센터

자료: 4개 지역 TP(충남, 전북, 대구, 경남) 2012년 사업계획서 참고 기술지원


기업지원

○ 종합하면, TP의 주된 기능은 기업 및 기관 유치, 기술 및 마케팅 지원 등의 마케팅지원

기업 지원, 산학연관 네트워크 구축, 지역산업정책 기획 및 평가임 인력양성/교육 지역혁신인력양성

시험분석/장비활용 지역혁신센터
□ 지방과학연구단지는 기초·원천 R&D의 후속연구, 기술탐색 및 중개, 창
산학연 네트워크
업기획 지원에 주력함으로써 TP와 차별화 및 역할 분담
주) 진한색이 중점기능이며, 연한색이 보조기능

○ 지방과학연구단지와 가장 유사한 성격과 구조를 가진 TP사업과의 역할 중복을


피하면서 TP의 약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기획함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은 원천기술연구와 개발연구를 이어주는 가교형
- TP의 백화점식 사업추진으로 인해 완벽한 차별화를 추구하기 보다 TP가 R&D (응용연구)와 연구성과를 이용한 창업기획에 주력함으로써 TP 사업과
중점적으로 추진하지 못하는 영역을 담당하도록 사업을 기획 차별화됨
※ TP 백화점식 사업추진으로 유사기관과의 유사중복문제가 지속적 제기
- 지역기업의 수요를 바탕으로 추진하는 지역수요기반 사업을 지향
※ TP사업의 문제점 중 하나로 지적된 사항은 수요자인 기업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임

- 157 - - 158 -
<그림 Ⅳ-4> 지방과학연구단지 가교형 R&D의 포지셔닝
□ 지방과학연구단지 가교형 R&D 프로그램의 포지셔닝

○ 가교형 R&D 사업은 기술개발 단계상으로는 응용단계에 치중한 사업으로 구


교과부 R&D 사업과 차이가 있음

○ 지자체의 재원분담 비율 측면에서 구 지경부의 지역전략산업, 지역특화산업 사업


등과 비슷하나, 이들 구 지경부 사업은 개발 단계에 집중된 사업으로 응용연구
비중이 거의 없음

○ 가교형 R&D는 지자체 및 지역기업의 재원 비중이 높은 지자체 주도의 지역


수요기반 R&D 사업으로 유일함

<그림 Ⅳ-5> 지방과학연구단지 가교형 R&D의 포지셔닝

다. 타 연구사업과의 차별성

□ 미래창조과학부 집단연구사업과의 비교

<표 Ⅳ-6> 집단연구사업과의 비교

연구수요 연구주체 기획방식


개시 지원규모
사업명 지원기간 연구 국가 지역
년도 (억 원) 산 학 연 하향 상향
그룹 차원 차원
3억원
(이론중심) 5년
기초연구실육성사업 2008 ○ ○ ○
5억원 (3+2년)
(실험중심)
이학분야
선도연구
(SRC) 센터당 7년
센터육성 2010 ○ ○ ○
공학분야 13∼15억원 (4+3년)
사업
(ERC)
단지당
지방과학연구단지 2016 10년 ○ ○* ◎* ○
48.5억
* 지방과학연구단지 연구주체는 단계별로 스윗칭(학 또는 연 → 산)
○ 미래부 사업 중 유일한 지역차원의 연구수요를 반영한 사업
○ 연구책임자가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중소기업으로 단계별로 전환되는 사업
○ 다른 사업과 달리 상향식 기획방식이 도입된 사업
- 159 - - 160 -
라.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차별성

□ 지역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교육 대상 및


Ⅴ. 비전 및 추진전략
지원 창업분야 등에서 차별화
1 사업의 비전
○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창업교육은 주로 일반인(직장인) 대상인데 반해, 지방과학
연구단지의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에서는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으로 기술
창업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것임

○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추진하는 경진대회는 주로 아이디어 창업에 초점이 맞


추어져 있으나, 지방과학연구단지의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에서는 R&D
성과인 특허에 기반한 기술창업에 주력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또한 관련 지역기업에서 개최함으로써 개최 기업의 자원과
인력을 활용

<표 Ⅳ-7>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차별성

지방과학연구단지 특허활용
구분 창조경제혁신센터
창업기획 지원 사업

창업교육 대상 일반인(직장인) 연구인력

멘토링 멘토링 및 컨설팅 제공에 주력 지역별 멘토단 구성에 주력

지역기업 내에서 개최하는 등


창업경진대회 지역기업과의 연계성 약함
연계성 강함

주된 창업 지원 분야 아이디어 창업 특허기반 기술 창업

□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 방안

○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방과학연구단지 내(과학기술진흥센터)에 설치함으로써


시너지 창출

○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대학생 및 일반인 대상의 아이디어창업, 지방과학연구단지는


연구개발자 대상의 특허기반 기술창업으로 역할 분담
- 창업교육, 멘토단 구성 및 멘토링, 창업경진대회 개최 등에 있어 아이디어창업과
기술창업은 차별화가 반드시 필요

- 161 - - 162 -
□ 사업의 정량적 목표
2 사업의 목표

<표 Ⅴ-2>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정량적 목표


가. 사업목표 및 단계별 목표
구분 내용
<표 Ⅴ-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단계별 목표
R&D 성과 - 국내외 우수 특허 917건
산학연 연계를 통한 지역 과학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특허활용 - 특허 이전율 5%
“2025년 기준 국내외 특허 917건, 특허이전 건 수 3,300건” 사업화 - 특허 이전 건당 기술료 25백만원
“2025년 기준 특허이전율 5%, 특허이전 건당 기술료 평균 25백만 원 달성”
“2025년 기준 아이디어 창업 150개, R&D 창출 특허 기반 기술창업 123개” - 아이디어 창업 150개
창업 성과
“2025년 기준 신규 일자리 5,535개” - 특허 기반 기술창업 123개

     - 지역수요기반 R&D 수행을 위한 박사후 연구인력 신규 일자리 255개


신규 일자리 - 기술이전을 통한 기업의 매출증대를 바탕으로 신규 일자리 4,070개
1단계 2단계 3단계
창출 - 아이디어창업을 통해 발생하는 신규 일자리 367개
(기반구축/생태계조성 단계) (성과창출/생태계활성화 단계) (자립화단계)
- 기술창업기업 123개의 성장에 따른 추가적인 신규 일자리 843개
구분 ~2025년
~2020년 (1단계 지원사업 평가를 통해 2025년 이후
지역별 사업분야 및 예산 조정) ○ (R&D 성과 정량적 목표 설정근거) 국내외 특허 917 건
·지역수요기반 R&D 과제기획 - 연구개발비 10억 원 당 국내외 특허등록 3.0건 목표
을 통한 기업 성장동력 확보 ·기초 R&D 성과 중 지역기업이
※ 기존 R&D 사업은 전문학술지 논문과 특허 등록을 목표로 하는 반면, 본 사업은 특허
등록 만을 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평균보다 높은 성과목표 설정
지역수요기반 ·기초 R&D 성과 중 지역기업이 활용가능한 R&D기술개발
R&D 활용가능한 R&D 기술개발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을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을 통한 R&BD 기술개발
통한 R&BD 기술개발
·지역 중소기 ※ 논문의 특허 전환율 37.02%(KDI, ’10)를 감안하면 응용연구단계 R&D 및 21세기 프론티
·기술탐색·중개‐R&D 일체화를 ·지역 기업의 기술이전 활성화
업생태계 활 어 연구개발사업은 R&D 10억 원 당 4.2~4.4개의 등록특허 창출이 가능
지식재산 통한 기업 R&D 역량 강화 ·특허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기
성화를 통한
활용도 ·지역 기업의 기술이전 활성화 술이전의 질적 성과 제고 과학기술 지
제고 ·특허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기 ·지식재산의 활용도 제고를 통
술이전의 질적 성과 제고 한 기술 창업 활성화
역 거점화 추
※ 미래부(구 교과부) 주요 R&D 사업 중 응용연구단계 R&D의 10억 원 당 성과 →
SCI논문 12편, 특허등록 건수 2.1 건(한국연구재단, ’13)

·기술이전 및
·창업성공율 제고
※ 미래부(구 교과부) 주요 R&D 사업 중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의 10억 원
지역 특허활용 ·창업성공율 제고 창업기 획의
연구개발 창업기획 ·아이디어 창업의 성공가능성 ·특허기반 기술창업의 성공가능 성과 확대로
성과활용 지원 제고
성 제고
자립화 기반 당 성과 → SCI논문 11.3편, 특허등록 건 수 3.8건(국내특허 3.07, 국외특허 0.74)
기반구축 ·지역의 벤처 활성화 도모
마련 (한국연구재단, ’13)
·S&T 정책교류회를 통한 산학 ·S&T 정책교류회를 통한 산학
지역연구

○ (특허활용 사업화 성과 정량적 목표 설정근거) 특허 이전율 5%, 특허이전 건


연 협력 체제 구축 연 협력 제고
개발네트
·중소기업 네트워크 활성화를 ·중소기업 네트워크 활성화를
워크
통한 지역중소기업의 혁신역 통한 지방 과학기술생태계의
활성화 당 기술료 25백만 원
량 강화 자생적 발전
- 기술저장소 구축과 기술중개사업을 통해 2025년 기준 특허 이전율 5% 달
성(‘16~’20 기간은 4%, ‘21~’25 기간은 5%)

- 163 - - 164 -
※ ‘08∼’12년 대학 출원 특허 중 기술이전 된 특허 비율은 4.2%(한국연구재단, ’13) ○ (신규 일자리 창출 정량적 목표 산출근거) 신규일자리 5,535 여개
- 2025년 기준 특허이전 건당 기술료는 평균 25백만 원 달성(‘16~’20 기간은 - 지역수요기반 R&D 수행을 위한 박사후 연구인력 채용을 통한 신규 일자리
20백만 원, ‘21~’25 기간은 25백만 원) 255개 창출
※ ‘08~’12년 대학 특허 중 기술이전 된 특허의 건당 기술료는 평균 19.7백만 원(한 ※ 연구과제당 박사후 연구원 1명을 연구인력으로 채용
국연구재단, ’13)
- 기술이전을 통한 기업의 매출증대로 인한 신규 일자리 4,070개 창출
- 총 기술이전 건 수는 3,300건, 총 기술이전수입은 78,500백만 원
※ 선급금으로 받는 기술료가 10년간 매출액의 2%를 로열티로 받는 것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기술이전으로 인한 매출증대에 비례하여 기업은 신규인력을 고용
○ (창업성과 정량적 목표 설정근거) 아이디어 창업 150개, 특허 기반 기술창업 - 창업경진대회를 통한 아이디어창업으로 발생하는 신규 일자리 367개
123개
※ 창업경진대회를 통한 아이디어 창업은 사업 시작 2년 후인 2018년부터 이루어지며,
- 창업경진대회 추진을 통해 연구단지 당 아이디어창업 15개 목표
평균적으로 1인이 창업하고 우리나라 광공업 평균 생존율에 따라 생존하고 생존한
※ ‘18~’20 기간은 1개, ‘21~’23 기간은 2개, ‘24~’25 기간은 3개 아이디어창업 아이디어 창업기업은 매년 1명을 신규 채용
- 사업 결과물인 특허를 기반으로 5년의 회임기간을 거쳐 매출이 발생하는 기 ※ 우리나라 1인창조기업의 기업당 평균인력은 1.68명(중소기업청, ‘12)
술창업 123개 창출
- 창출된 123개의 기술창업기업이 성장함에 따라 843개의 일자리 창출
※ 기술이전을 통해 기업 내에 새로운 사업부가 신설되는 것과 창업은 그 형태가 ※ 창업 시 평균 종업원 수는 4명이고, 창업기업의 생존율은 매년 6%씩 감소하며,
다를 뿐, 새로운 사업을 시작한다는 측면에서 그 효과는 동일 생존하는 기업은 매년 3명을 신규 채용
= ‘16~’20 기간 창출 특허 수 × 등록특허 활용률 × 사업화 성공률
특허 기반 창업기업 수
÷ 창업 필요 특허 수 * 창업기 벤처기업의 평균 인력은 정규직이 7.6명, 비정규직이 0.7명으로 전체 인력은 8.3명
(’12, 벤처기업협회)
- 등록특허 활용률은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사업 모두 기업이
* 영국 대학의 경우 졸업생 창업기업(start-up)의 평균 종업원 수는 4명 수준
참여하므로 특허활용률은 100%에 근접할 것이며, 적어도 기존 대학 등록특
* 2012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에 따르면, 2013년에는 벤처기업의 75%가 평균 3.2명을 신규
허활용률의 2배 정도인 60%는 달성할 것임
채용 예정임(’12, 벤처기업협회)
※ 대학 및 공공(연)이 보유한 특허권 중 외부 타 기관으로 이전되거나 실험실 창업,
연구원 창업 등에 활용된 비율인 등록특허활용률은 29.4%(’09), 30.3%(’10),
29.4%(’11), 15.4%(’12)으로 급격한 수치변화가 일어난 2012년도를 제외한 최근년
도인 2011년 기준 29.4%사용(’12,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등록특허 활용으로 창출되는 창조기업이 매출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사업화에
성공해야 하는데,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이 지역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것
으로 사업화성공율은 기존 사업보다 높은 60%로 설정
※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사업의 사업화성공률은 42.1% (’11, 기술과 가치)
※ 창업 필요 특허 수는 창업기 벤처기업의 평균 보유 특허권인 1.1개 활용(’12, 벤처
기업협회)

- 165 - - 166 -
나. 세부사업별 목표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①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산학연 협력체제 구축 및 협력 활성화를 통한 지역 연구개발 역량제고를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 지역 기초·원천 R&D 성과와 지역 대학 및 출연(연)의 보유 원천기술 중 지역 <표 Ⅴ-4> 지역연구개발성과 활용기반 구축
기업이 활용 가능한 후속 R&D 기술개발

○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초·원천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출연(연)과 기술수요자인 기업이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공동연구법인을 설립을 통한 R&BD 기술개발


기술중개기능 • 기업의 필요기술 중개를 통한
· 기술이전건수: 3,300개
<표 Ⅴ-3>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목표 역량확보 기업 R&BD 역량 강화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기술저장소 • 기술저장소 구축을 통한 지역 · 기술이전 수입: 78,500
•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구축 및 운영 지식재산의 고부가가치화 백만원
지역기업이 활용 지역수요기반
기획
가능한 후속 연구개발성과로
• TRL 3~5 단계 가교형
R&D 기술 개발 특허등록:610건 기술기반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수행 •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창업: 사업화·창업
R&D 사업 구축으로 기술창업 활성화
123건 지역 촉진 프로세스 · 아이디어창업 150개
공동연구법인을 지역수요기반 • 창업기획 및 창업경진대회통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연구개발 구축
통한 R&BD 연구개발성과로 한 창업촉진
및 R&BD 과제 수행 성과활용
기술개발 특허등록:307건
기반구축
기술창업 · 창업아카데미 개최: 1단계
• 창업아카데미를 통한 시장
성공률 제고 10회 이상, 2단계 20회
성공가능성 제고
프로그램 지원 이상
②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 S&T 정책교류회 운영을 통
· 정책교류회 개최 300회
한 지역 R&D 정책 정합성
지역 연구개발 이상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제고
역량제고를

○ 지역 기업의 R&BD 필요기술을 적재적소에 공급해주기 위한 기술 중개기능


위한 네트워크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및 운
인프라 구축 · 네트워크 개최 200회 이상
영을 통한 지역기업 R&D 역량
· 기준 1년 생존율: 80%
역량 확보 확대

○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의 기술·노하우·특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 전주기적 창업지원을 통해 지역 R&D 성과물 활용 기술창업 활성화 달성을 위한


사업화·창업 촉진 프로세스 구축

○ 지역특화 연구개발 성과물을 활용한 기술창업 성공률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
- 167 - - 168 -
다. 연차별 목표
3 추진방향
<표 Ⅴ-5> 연차별 목표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가. 지역 중심의 기획과 수행으로 전환


지역수요기반
구 분
R&D 사업
지식재산 특허기반 지역연구개발 ○ 지역과학기술진흥로드맵 수립 등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R&D 기획과 수행 체계
활용도제고 창업기획 지원 네트워크 활성화
마련
­아이디어창업기반
­기술중개 100건
-창업경진대회 10회 -S&T정책교류회 10회 - 중앙정부는 지자체의 R&D 기획, 연구과제 기획·발굴을 지원함으로써 중앙
‘16년 ­지역수요기반 R&D기획 100건 ­기술이전 0건
-창업아카데미 10회 -중소기업 네트워크 20회 정부 R&D 사업에 대한 지자체의 참여를 확대하고 지자체가 기획하는 자체
­기술이전수입 1600백만원
-창업멘토링 50회
R&D 사업 강화
­지역수요기반 R&D기획 100건 ­기술중개 100건 ­아이디어창업기반

○ 국가R&D와의 차별성 확보
-S&T정책교류회 10회
-가교형 R&D 개발 28건 -기술저장소 DB 2000건 -창업경진대회 10회
‘17년 -중소기업 네트워크 20회
­산학연공동연구법인 17건 ­기술이전건수 80 -창업아카데미 10회
-융합핵심기술도출 30건
-특허출원·등록 45건 ­기술이전수입 1600백만원 -창업멘토링 50회
- 지역 특성에 부합하고 지자체가 추진할 필요성이 있는 사업을 중점 추진
1 -지역수요기반 R&D기획 100건 ­기술중개 100건 ­아이디어창업 10
-S&T정책교류회 10회
단 ‘18년
-가교형 R&D 개발 50건 -기술저장소 DB 4000건 -창업경진대회 10회
-중소기업 네트워크 20회 - 지역R&D는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사업화·시장화에 역점을 두어 전략적
­산학연공동연구법인 24건 ­기술이전건수 160 -창업아카데미 10회
-융합핵심기술도출 30건
계 -특허출원·등록 74건 ­기술이전수입 3200백만원 -창업멘토링 50회 R&D 역할분담 추진

‘19년
-지역수요기반 R&D기획 100건
-가교형 R&D 개발 74건
­기술중개 100건
-기술저장소 DB 6000건
­아이디어창업 10
-창업경진대회 10회
-S&T정책교류회 10회
-중소기업 네트워크 20회
○ 지자체가 기획하여 중앙정부가 대응 자금을 지원하고, 지자체가 사업을 수행
­산학연공동연구법인 39건 ­기술이전건수 240 -창업아카데미 10회
-융합핵심기술도출 30건 하도록 하여 지자체의 자율성과 책임성 제고
-특허출원·등록 111건 ­기술이전수입 4800백만원 -창업멘토링 50회

-지역수요기반 R&D기획 100건 ­기술중개 100건 ­아이디어창업 10 ※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에서는 R&D 포괄보조금(사업)의 단계적 도입을
‘20년
-가교형 R&D 개발 98건
­산학연공동연구법인 46건
-기술저장소 DB 8000건
­기술이전건수 320
-창업경진대회 10회
-창업아카데미 10회
-S&T정책교류회 10회
-중소기업 네트워크 20회 제안
-융합핵심기술도출 30건
-특허출원·등록 144건 ­기술이전수입 6400백만원 -창업멘토링 50회

­기술중개 100건 ­아이디어창업 20


-가교형 R&D 개발 120건
-기술저장소 DB 10000건 -창업경진대회 20회
-S&T정책교류회 20회 나. ‘기술탐색 및 중개-가교형 연구-연구성과’로 이어지는 일체형 사업
‘21년 ­산학연공동연구법인 60건 -중소기업 네트워크 20회
­기술이전건수 500 -창업아카데미 20회
-특허출원·등록 180건
­기술이전수입 12500백만원 -창업멘토링 50회
-융합핵심기술도출 30건 추진

‘22년
-가교형 R&D 개발 96건
­산학연공동연구법인 45건
­기술중개 100건
-기술저장소 DB 10000건
­아이디어창업 20
-창업경진대회 20회
-S&T정책교류회 20회
-중소기업 네트워크 20회
○ 지역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탐색하고 중개
-특허출원·등록 141건 ­기술이전건수 500 -창업아카데미 20회
-융합핵심기술도출 30건 - 지역 내 대학 또는 출연(연) 기술을 우선적으로 탐색하고 중개하며, 필요 시
-기술기반창업 15건 ­기술이전수입 12500백만원 -창업멘토링 50회

2 -가교형 R&D 개발 72건 ­기술중개 100건 ­아이디어창업 20 타 지역 및 해외로도 영역 확장


-S&T정책교류회 20회

○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초·응용 연구역량 보완을 위해 기초·원천 연구결과를


­산학연공동연구법인 38건 -기술저장소 DB 10000건 -창업경진대회 20회
단 ‘23년 -중소기업 네트워크 20회
-특허출원·등록 110건 ­기술이전건수 500 -창업아카데미 20회
-융합핵심기술도출 30건
계 -기술기반창업 24건 ­기술이전수입 12500백만원 -창업멘토링 50회
활용하는 가교형 R&D1)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사업2) 수행
-가교형 R&D 개발 48건 ­기술중개 100건 ­아이디어창업 30

‘24년
­산학연공동연구법인 23건 -기술저장소 DB 10000건 -창업경진대회 20회
-S&T정책교류회 20회
-중소기업 네트워크 20회 1) 가교형 R&D : 기초․원천연구와 산업부(구 지식경제부) 광역선도 및 신지역특화산업
-특허출원·등록 71건
-기술기반창업 37건
­기술이전건수 500
­기술이전수입 12500백만원
-창업아카데미 20회
-창업멘토링 50회
-융합핵심기술도출 30건 간에 연결고리 역할을 할 연구로 기술성숙도(총 9단계, TRL)로 볼 때 3~5단계임
-가교형 R&D 개발 24건 ­기술중개 100건 ­아이디어창업 30 2)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사업 :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수요를 토대로 TRL 2~7
단계(기초연구에서 제품화까지)를 포괄하는 사업으로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S&T정책교류회 20회
­산학연공동연구법인 15건 -기술저장소 DB 10000건 -창업경진대회 20회
‘25년 -중소기업 네트워크 20회
-특허출원·등록 39건 ­기술이전건수 500 -창업아카데미 20회
-기술기반창업 47건 ­기술이전수입 12500백만원 -창업멘토링 50회
-융합핵심기술도출 30건
등을 통해 수행
- 169 - - 170 -
※ TRL 2~7단계 사업으로는 산업부 등의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소재․부품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및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사업을 종합적으로 구성
기술개발사업, 미래산업선도기술개발사업 등이 존재하나 이들 사업은 지역이 아닌 하여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을 기획하도록 유도
국가의 핵심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 지역에 필요한 사업의 사업비중을 확대할 수 있도록, 각각 내역사업의 사업
※ TRL(기술성숙도; Technology Readiness Level) : 특정기술의 기술성숙도를 나타내는 규모에 자율성을 부여
지표로 총 9단계로 구성
○ 사업계획서 평가를 통해 사업비를 차등 지원(20% 내외)하고 지역별 사업비
○ 가교형 R&D 및 지역수요기반 R&D 결과물을 활용한 창업 기획 조정을 통해 전체사업의 성과목표 달성을 도모
- 지역 차원의 멘토단 구성, 연구성과 기반의 창업경진대회 추진 등 창업기획 - 바람직한 사업추진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방과학기술진흥센터가 독립법인인
수행 경우 가점(10% 내외)을 부여하여 독립 법인화 유도
- 창업기획에 의해 탄생된 창업기업의 보육은 TP가 수행 ○ 1단계 종료 후 각 지역별로 연구개발성과 활용기반 구축사업의 세부사업내용의
조정을 통해 지역에 특화된 성과창출에 주력
다. 지역기업 수요에 기반한 지역밀착형 사업 추진 - 1단계(5년) 종료 평가결과에 따라 각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포기할 사업
내용은 과감히 정리하고 2단계 사업기간 동안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 지역 연구개발지원단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기업의 수요를 정기적으로 사업내용으로 집중하도록 유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R&D사업 및 과제 기획
- 사업 종료 시점에 각 지역의 특장점이 반영되어 지역별로 특화된 연구기획·
- 중소기업은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상용화 기술을 선호하므로 대학·출연(연)의 개발·성과창출 역량을 갖춘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 완료
기초·원천 기술을 활용하는 응용단계 R&D에 치중

○ 지역기업의 R&D 수요 조사, 필요기술 탐색․중개 등 기업수요에 기반한 지역


밀착형 사업추진

라. 경쟁에 입각한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추진

○ 가교형 R&D 과제, 산학연공동연구법인 등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은 지역에서


필요한 R&D를 기획,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정하도록하여 지역의 특색을 반영
하고 책임성과 자율성 제고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은 지역의 의견(우선순위)을 최대한 반영하되 철저한


수월성 측면의 평가를 통해 과제 최종선정
- 지역별 ‘나눠먹기식’ 과제배분을 지양하여 평가결과에 따라 가교형 R&D는
지역별로 매년 0~4개 과제, 산학연공동연구법인 0~2개 과제 선정

마.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추진

○ 각 지역별로 지역수요를 반영하고 SWOT 분석을 통해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 171 - - 172 -
4 사업연계전략 - (지역별 분야 특화) 지역별 석박사인력, 특허, 벤처기업 분석을 통해 지역별
특화분야를 우선적으로 선정하며, 2단계 광역선도산업 및 신지역특화산업과
의 연계성을 고려
가. 세부사업전략

①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그림 Ⅴ-1> 가교형 R&D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은 지역 내 기업, 대학, 연구소를 대상으로 수행한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TRL 단계에 따라 가교형 R&D 과제와 산학연공동연구
법인 사업으로 이원화된 형태로 추진함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에 대한 지역 기업수요기반 과제기획

○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기획) 지역 내 기업의 수요조사를 통해 지역 특화


분야 기초광역선도 가교형 R&D 과제 발굴·기획,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용
원천기술 발굴
- (가교형 R&D 및 R&BD 과제 발굴)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을 통해 완료된 기초 <표 Ⅴ-6> 지역별 특화 분야
R&D 과제 혹은 지역대학 및 출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 중 지역
지역 특화분야
기업이 활용 가능한 가교형 R&D 과제 및 R&BD 과제 발굴
강원 의료기기, 바이오, 비철금속, 세라믹
- (지역수요반영 R&D 기획) 지역 내 기업, 연구소, 이공계 대학 등의 수요조사를
메카트로닉스산업(로봇, 자동차부품, 뿌리), 의료산업, 신소재나노융합,
통해 핵심 R&D 및 R&BD 과제 선정·기획 대구
융복합 지식서비스

□ 가교형 R&D 과제 경북 국방 IT, 인쇄전자, 희소금속소재, 반도체장비

○ (가교형 R&D 과제) 지역 특화기술 분야 중 TRL 3~5단계 수준의 R&D 과제를 부산 신재생에너지(풍력), 고효율 저공해 차량, 초정밀융합부품, 바이오헬스

기획·수행함 울산 수송기계산업, 신소재나노융합, 생산기계, 소재성형

- (연구팀 선정) 과제공모에 의해 박사급 연구인력 3~4명으로 구성된 연구팀을 경남 융복합기계, 나노정밀기기, 생명건강, 소재성형

2~3개 선정 광주 광융·복합 소재, 친환경 수송기계, 스마트가전,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재성형

※ 산학연 협력 활성화를 위해 지역대학과 중소기업이 중소기업네트워크 혹은 연구 전남 조선·해양, 신소재, 생물, 신재생에너지


개발협동조합을 구성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선정 전북 경량소재부품, 향토기능성식품, 인쇄전자, 에너지변환저장부품
※ 가교형 연구의 특성상 관련 기초연구 과제에 참여했던 연구진을 참여시킴으로써
연구효율성 제고 충북 바이오, 태양광, 기능성화장품, 차세대반도체

※ 해당 과제 관련 학위논문을 준비하는 박사과정생을 프로젝트 연구원으로 선발하여


과제 참여 및 논문지도라는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졸업 후 유치 및 정주인력으로 - (과제 유형) 지역별 단독수행의 ‘지역특화과제’와 공동수행의 ‘융복합과제’

참여 유인 수행
※ 지역특화과제는 시・도 내로 한정
- 173 - - 174 -
※ 융복합 연구가 필요한 융복합과제는 지역 간 공동수행하게 함으로써 지역간 경쟁 - 공동연구법인 설립을 통해 신기술개발 및 사업화에 있어서 기업과 대학 간
및 인력교류 활성화 유도(주로 신소재나노융합 분야 과제) 지역차원의 긴밀한 협력체제 구축
- (과제 규모) 과제당 매년 2~3억 원 이내에서 5년 간 지원 - 대기업보다는 연구여건이 열악한 중소·중견기업 참여를 통해 지역산업 발전
※ 지역특화과제는 지역별 2개 과제(과제당 2.5억 원)는 매년 기본적으로 수행 기반 구축

※ 융복합과제는 연구팀 구성과 과제 평가에 의해 지역별 차별화 - 원천기술 중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출연(연)과 그
기술의 수요자인 지역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과 자본을 출자하여 법인 설립
※ 과제 규모 및 기간 선정 근거
○ 구 교과부 및 구 지경부 주요 응용단계 연구의 평균과제 기간은 4.3년, 평균과제금액은
※ 5년 간 매년 5억 원씩 지원
3.7억원(NTIS 분석 결과)
<교과부, 지경부 사업 NTIS 분석 결과> ※ 과제 규모 및 기간 선정 근거
NTIS 분석 결과 기초 응용 개발 ○ 현재 설립된 4개의 산학연공동연구법인에 대한 2단계 R&BD 지원 사업비는 연구법인당
평균과제기간(년) 3.4 4.3 2.1 최대 5년까지 25억원(매년 5억원) 내외로 이와 동일한 수준의 지원
평균과제금액(백만원) 158.6 374.4 309.2

* 우수 기초연구성과가 특허성과 등 실용화로 이어지는 데에는 후속연구의 기간이 가장


중요(KISTEP, ’10) - 과제 평가에 의해 지역별(단지별) 차별화
*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 후 또 다른 결과물 산출까지 소요시간은 2~5년 사이가 53%로 ※ 우수지역은 매년 1개의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 그렇지 않은 지역은 2년에
가장 많음(KISTEP, ’06)
* 중소기업의 평균 제품수명주기는 4.8년(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 분석 결과)
1개씩 설립 지원
○ 비목별 예산: 인건비 0.77억, 직접비 1.5억, 간접비 0.23억 수준
* 인건비: 박사후 연구원 1명(참여율 80%)×400만원×12개월=0.384억
<그림 Ⅴ-2>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모델
석박사 연구원 4명(참여율 40%)×200만원×12개월=0.384억
* 직접비: 1.5억원(연구장비 및 재료비, 여비, 연구활동비 등)
* 간접비; 0.23억원(인건비와 직접비의 10% 범위 안)

- (수행 방식) 중소기업네트워크나 연구개발협동조합이 아닌 연구팀인 경우


스위칭 방식을 도입하여 연구성과 제고
※ 1∼3차 년도(대학․출연연 주관), 4∼5차 년도(기업 주관)
- 가교형 R&D 성과는 테크노파크와 연계하여 광역경제권선도사업 및 신지
역특화사업(산업부)으로 선정 추진하여 산업화 추진 ②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사업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 (기술중개 기능 활성화) 지역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수요조사를 통해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산학연공동연구법인을 통한 지역수요기반 R&BD 파악하고, 관련 기술을 국내·외 공급자로부터 확보하여 상용화 기간 단축
수행
- (단기 전략) 기술중개 바우처 제공을 통해 기술과 기술수요자를 중개하는
- 지역 중소·중견기업 기술수요를 토대로 기초·원천연구 및 시제품 제작 등을 국내·외 기술중개 서비스 기업을 적극 활용
위한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

- 175 - - 176 -
※ 글로벌 기술중개 서비스 기업 나인시그마(NineSigma) : 고객기업이 당면한 문제의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해결방안이나 필요 기술의 탐색을 요청하면, 전 세계 100만 명 이상의 기술자 네트
워크를 활용하여 가장 적합한 대안 제공 ○ (지역수요기반 R&D 성과물의 사업화 추진) 지역수요기반 R&D 결과물인 기술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사업화방식 적용
- (장기 전략) 장기적으로는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기술중개서비스 역할 강화를
통해 중개서비스 주도 - 기술이 새롭고 전유성이 뛰어나면 생산시설 등 보완자산의 중요성이 적어지기

※ 지방과학연구단지 과학기술진흥센터와 기술중개 서비스 기업이 공동(주관)으로 공공 때문에 새로운 기업설립을 통한 직접사업화 전략 활용

TLO(지역 대학 등)와 컨소시움을 구성하여 사업 추진 ※ 창업 및 합작벤처 설립 지원


- 기업의 기술흡수력이 뛰어나고 보완자산의 중요성이 높은 기술은 기존기업
<그림 Ⅴ-3> 기술중개사업 추진방식 으로 기술이전 추진
※ 테크노파크나 대학 산학협력단을 활용하여 기술이전 지원
<그림 Ⅴ-5> 기술사업화 방식 결정 모형

○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의 특허 등을 기술저장소


(Technology Reserve)에 저장한 후 창업기업, 벤처기업 등에게 대여 및 기술
이전해주는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IP사업화 전문기업과 컨소시엄 구성) 과학기술진흥센터는 기술저장소 구축
및 관리역할 수행하고 기술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특허 등을 필요로 하는
수요기업에게 융합 패키지 형태로 기술이전 및 대여해주는 거래 중개역할은
IP사업화 전문기업이 전담 ○ (창업 네트워크 구축·활용) 연구성과를 활용한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 IP사업화 전문기업인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Intellectual Discovery)는 이미 25개의 창업기획(Accelerating) 역할 수행
IP Pool을 구축하고 있어 이들과 연계 ※ 핀란드 이노폴리는 창업기업 당 7명의 전문가 그룹이 완벽한 보육 및 멘토링을 제공
함으로써 벤처기업의 생존율이 90%에 달함
<그림 Ⅴ-4> 기술저장소사업 추진방식 - On-line 창업내비게이션 구축, One-stop 창업지원센터 등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
- 창업기획사 설립 및 지원을 통한 창업성공률 제고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대학 및 연구기관으로부터 나온 기술(특허)의 비즈


니스화 즉, 창업을 위한 경진대회 추진
- 지역 기업 내에서 진행함으로써 개최 기업의 자원과 인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사업파트너 기회도 제공할 수 있음

- 177 - - 178 -
※ 미국 텍사스 오스틴 대학의 대학생 조직으로 설립된 비영리조직인 3DS는 북미를 비롯 <그림 Ⅴ-7> 교류․협력을 통한 지방 중심의 과학기술생태계 조성

하여 유럽, 아시아, 남미 등의 대학에서 55개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기업 내에서 프로그램을 개최함
<그림 Ⅴ-6> 지역기업 내에서 운영하는 3DS 프로그램 사례

- 광역자치단체별 과학기술진흥조례 마련(개정)을 통해 지역과학기술 기획·


- R&D 결과물인 특허의 기술이전은 테크노파크, 지역 산학협력단 등과의 연계를
교류위원회를 상설 위원회로 구성할 수 있는 기틀 마련
통해 창업기업으로 기술이전 추진
※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사무국 기능 수행
- 우수 사업아이템은 R&BD 자금 제공, 지역 내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
※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기능(예시) : 지방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 부문별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사업) 지방과학연구단지 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 로드맵(기초원천로드맵, 산업기술로드맵 등) 승인, 지역별 기술사업화 촉진계획
교육 및 멘토링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 LINC사업 내 기업가정신센터, 수립, 지역 과학기술교육 정책 수립, 과학문화 확산 정책 수립, 지역별 전문인력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 추진 수급계획 수립 등
※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구성(안) : 광역자치단체 과학기술 관련 국장, 지방
과학연구단지 원장, 테크노파크 원장, 지방 중기청장, 지역 기술신용보증기금장, 과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학기술정책 전문가 등
○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지역별로 위치한 주요 과학기술정책 및 지원 - 지역 내 연구성과 및 정책에 대한 성과를 발표하는 포럼 개최를 통해 지식 및
기관 간 on·off line 교류협력 장 마련을 통해 지역별로 통합적인 과학·산업기술 인적교류 활성화
생태계 조성 ※ (발표 대상) 지역 정책과 지방과학연구단지 사업의 성과 발표에서부터 지역 내
※ 지방과학기술정책 및 기획 활동을 연계하고, 사업추진 중 생성된 정보를 상호 교류 대학 및 연구기관, 기업체 연구성과 발표로 확대
함으로써 과학․산업이 융합된 혁신 생태계 조성 ※ (코디네이터 도입) 지방과학연구단지 과학기술진흥센터에서 포럼의 코디네이터 역할 수행
※ 상설조직구성을 통해 과학기술정책 및 지원기관의 협력채널을 구축하고(off-line), - 과학기술진흥센터에서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을 통해 원활한 쌍방향 소통이
지원기관 간 정보 공유 플랫폼을 개발하여 지자체 운영(on-line) 가능하도록 온라인 플랫폼 구축
※ (정보제공) 지방과학기술진흥로드맵, S&T 정책교류회 회의․토론 내용, 주요 지역
R&D 과제 (과제개요, 주요 연구내용, 기술개발로드맵, 기대성과), 지역 내 과학기
술인력 채용정보 등
※ (토론방) 지방과학기술진흥로드맵 실행 계획, 가교형 R&D 과제 기획, 연구과제 수행 시
문제점 등에 대한 토론 및 해결책을 논의하는 장
- 179 - - 180 -
○ (중소기업 네트워크 형성) 산학연 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나. 연차별 사업 로드맵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그림 Ⅴ-8> 연차별 사업 로드맵
- 동일 산업분야 내에서 대학 및 연구기관, 중소기업, 대기업 및 투자기관으로 구
성된 네트워크 구축
※ 독일 브란덴부르크주는 GA-Network라 하는 중소기업네트워크 운영에 필요한 재정의
70%(최대 5십만 유로)까지 지원
- 지방과학연구단지는 네트워크 성과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 간 정보교환 등 네트
워크 감독매니저 역할 수행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와 연계를 통해 협력체계
구축함
※ 중소기업 네트워크 차원에서 지역별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에 참여

- 181 - - 182 -
다.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간 연계
○ 개별 세부사업들은 지역중소기업·창업기업의 매출증대 및 고용증가를 중심으로 연계
□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 지역수요기반 R&D 기획을 바탕으로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을
통해 특허창출을 도모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근간은 기초연구성과와 지역수요기반의 후속 -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은 경쟁형 R&D지원사업으로 지방과학
개발연구의 지속적인 연결고리를 마련하여 세부사업 간 효과적 연계를 도모하는
연구단지별 상호 경쟁을 통해 성과물의 수준향상 추진
것이 핵심
- 창출된 특허를 기술저장소를 통해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하고, 기술중개에의 전략적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은 크게 R&D 지원사업과 R&D 성과물 기반 창업 접근을 통해 지역특화 맞춤형 창업 강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사업으로 구분
- 실질적인 성과로서 지역 창업기업의 매출증대와 고용증가를 중심으로 한 단계적·
- 전체 사업의 추진은 ‘지역수요기반 R&D기획 → 기초·원천 R&D성과 → 기술 유기적 연계 추진
저장·특허활용 창업·산학연네트워크 → 지역과학기술생태계 활성화’라는 논리모형에
따라 진행 ○ 가교형 R&D와 같은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을 통해 특허가 창출되며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및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을 통해 창업 및 성장으로 이어짐
- 기본적으로 先 지자체 중심의 사업 기획을 바탕으로 後 지역 수요에 기반한 사업
추진이라는 전략 추진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기술중개 및 기술저장소 구축) 추진과 특허활용 창업
기획(멘토링시스템 구축 및 창업기획)을 통해 특허활용률 및 사업화성공률과
- 이를 통해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기초·원천 성과를 지역에 밀착시켜, 상대적
창업기업생존율이 향상
으로 지역의 기초·응용 연구역량을 보완하고 실질적 성과 도출

<그림 Ⅴ-9>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간 연계의 논리 <그림 Ⅴ-10>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간 연계

□ 지방과학연구단지 간 연계방안

○ 지역 간 연구개발 및 산업발전 분야가 이타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호 연관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 간 연계방안이 필요

- 183 - - 184 -
○ 각 지방과학연구단지 성과물의 타 지역으로 원활한 유입을 위한 성과물 공통 □ 연구개발특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연계

활용 시스템 구축
○ 필요기술 국내 탐색 및 중개(SP) - 필요기술 해외 탐색 및 중개(특구)
- 10개 시도의 성과를 공통으로 관리하기 위한 성과공통관리체계 구축
○ 기술창업 지원을 위해 특구펀드, Sci-Biz 펀드 공동 활용
- 공통 DB 구축을 통한 각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도출한 성과물 관리 시스템 구축
○ 연구성과(특허) 기반 창업경진대회 : 지역단위 대회(SP) → 광역 및 전국단위
대회(특구) → 글로벌 경진대회(비즈벨트)
- 경쟁 및 협력 유도 정책을 도입하여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경쟁력 강화 유도

라. 타 사업과의 연계방안 □ LINC, 인력양성사업과 연계

<그림 Ⅴ-1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과 타 사업과의 연계 방안


○ LINC 사업 내 기업가정신센터와 공동으로 창업아카데미 운영
- 기간별, 주제별, 수준별 특화 프로그램 개발 등의 분야에서 정보 및 프로그램
교환 등을 통해 창업예정자에 제공프로그램 수준 향상

○ 단지 내 창업기업으로의 현장실습(인턴십 프로그램) 프로그램 개설 및 공동


운용

○ 단지 내 기업체의 참여로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 공동 추진


□ 지역 연구개발지원단 사업과 연계

○ 지역과학기술진흥로드맵 수립, 지역 R&D 기획 시 지역 연구개발지원단과의


협력을 통해 기획 완성도를 높임
- 미래부에서 전국 15개 시·도에 지역 R&D의 조사, 분석, 기획을 담당하기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테크노파크와 연계
위한 연구개발지원단 사업을 수행 중
○ 지역수요기반 R&D 체계 구축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IBS 연구단 등 국가R&D를
통해 창출된 기초원천 아이디어를 보다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를 지방과학 □ 기타 유사사업과의 연계
연구단지 사업으로 수행
○ 산업단지캠퍼스조성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산업단지 캠퍼스를 지방과학연구
단지에 우선 조성함으로써 지역 산․학․연 연구허브로 발전
- 장기적으로는 지방과학연구단지사업에 지역수요기반 기초·원천 R&D를 포함

○ 기초·원천 R&D(IBS)→가교형 R&D(SP)→광역선도·신지역특화 R&D(TP) - 해외 선도 사이언스파크와 같은 진정한 의미의 과학연구단지는 대학중심으로


○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방과학연구단지 내 설치함으로써 R&D 기반 창업기획 조성되는 것으로 지방과학연구단지 내 캠퍼스 유치는 필수적
시너지 창출 - 지역의 산학협력중심대학과의 연계 강화를 위해서는 산업단지 캠퍼스를 지방
- 창업을 위한 시제품 제작지원 등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공동으로 활용 과학연구단지 내에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이 필요

- 185 - - 186 -
<그림 Ⅴ-12>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
5 중장기 발전 전략

□ 1단계(‘16~’20)

○ S/W 중심의 지역 R&D 기반구축 및 생태계 조성 단계


- 지역수요기반 R&D 기획, 지식재산 활용, 창업기획,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등의
정책수단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 창조생태계의 기반 조성을 추진
- 지역수요에 기반한 R&D 과제의 발굴 및 기술개발을 통해 지역 기업의 성장
동력 확보 추진

□ 2단계(‘21~’25)

○ 1단계 사업을 바탕으로 한 성과창출 및 생태계 활성화 단계


- 1단계에서 구축된 성과물 및 인프라를 활용, 창조생태계의 선순환구조 정착
- 지역수요기반 R&D 기획,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등을 통해 도출된 연구성과물이
기술창업, 아이디어창업 등을 통해 실제 성과로 연결
- 지방 과학기술생태계의 자생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단계로 진입
- 2단계 사업에서는 1단계 지원사업 평가를 통해 지역별 예산 조정을 추진
함으로써 지역별 차별화를 도모하고 경쟁에 입각한 성과 창출 도모

□ 3단계(‘26~)

○ 지역중소기업 생태계 선순환구조가 확립된 상태로서 효과적인 역량강화를 통해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지역거점화가 완성된 단계
- 과학기술역량의 강화를 바탕으로 신성장동력을 구축할 수 있는 연구개발의 지역
거점으로서의 자리매김
- 지역 특성을 감안한 H/W, S/W 인프라의 완성을 통해 지방과학기술의 구심적
역할수행을 견인
- 지역의 연구개발거점으로서 지역의 성장을 선도

- 187 - - 188 -
Ⅵ. 세부 추진계획 - 기초․원천연구 성과의 활용도 제고 차원에서 타 연구자의 기초연구 결과물에
기반한 후속연구도 효과적임
※ 타 연구자의 기초연구 결과물에 대한 활용여부4)는 자신의 기초연구 결과물에 대한
1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활용여부와 차이가 없음(KISTEP, ’06)
가. 배경 및 필요성
○ 국가 R&D 성과물의 사업화로의 연계 미흡으로 기술경쟁력이 하락하고 있어
기초·원천연구개발 결과를 사업화로 연결해주는 가교형 R&D 필요
○ 지역에서 수행한 기초·원천연구와 지역특화분야 간 불일치에 의해 발생하는 - 국가 R&D 사업화 건수가 2011년 7,253건으로 2010년(9,521건), 2009년
국가연구개발비 투자 효율성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수요에 기반한 R&D (8,262건)에 비해 감소
과제의 발굴 및 기술개발이 필요 ※ 2008년부터 4년 간 정부 R&D에서 나온 특허가 기업으로 이전된 비율은 5.7%,
- 충북의 전략산업과 관련된 분야는 바이오, 의약, 전기/반도체, 전자/통신이며 이 중 이전된 기술 중에서도 실제 수익으로 연결된 사례는 23.6%에 불과
바이오 분야만 높은 특허출원활동 및 연평균 증가율을 보임 ※ 한국의 기술경쟁력은 2013년 11위로 2005년 세계 2위 이후 계속 하락
- 전기/반도체 등 다른 분야에 대한 기초·원천연구 필요
※ 특허청 자료 분석결과 <그림 Ⅵ-1> 국가 R&D 사업화 건수 추이

○ 지역선도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통한 지역연구개발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지역수요에 기반한 기초·원천연구 파악과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
- 미래부(구 교과부) 주요사업3)에서 대부분의 정부출연금은 서울과 대전에 집중된
반면, 그 외 지역에의 투자는 저조한 수준임
※ 서울과 대전의 점유율은 각각 34.4%와 31.6%로 두 지역에 집중 투자
○ 후속 연구개발 단계로 이어지지 않는 기초·원천연구 성과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적절한 연구단계의 후속 연구 발굴 및 지원이 필요
- 대학 및 출연(연)이 연구개발을 통해 산출한 연구성과는 제품․서비스로 사업화 자료: 미래창조과학부(’13) / 자료2: 한국경제(’13)

하기에는 매우 불안정한 상태가 대부분


※ 대학에서 창출된 연구개발 결과물 중 71%는 추가 연구개발 필요(Jensen & ○ 기술개발 및 사업화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기업의 경우 기초·응용
Thursby, 2001) R&D 및 R&BD에 있어서 지역대학과의 긴밀한 협력 필요

-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후속연구 연계 및 성과는 만족할 만한 수준이 되고 - 비 수도권에 위치한 혁신형 중소기업이 신기술개발 및 기술사업화에 있어
있지 못함 수도권에 위치한 기업에 비해 어려움을 호소

※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140개 논문성과 이후 후속연구가 진행된 것은 ※ 벤처기업의 애로사항 중 신기술개발에 대한 응답비율은 비 수도권이 48.1%로
52.9%, 논문성과가 특허성과로 이어진 경우는 18.6%에 불과하며 후속 연구비가 수도권의 44.5%에 비해 높고, 기술사업화에 대한 응답비율 또한 비수도권이
부족하다는 의견 비율도 84.6%에 달함(KISTEP, ’10) 43.8%로 수도권의 41.0%에 비해 높음(벤처기업협회, ’12)

3) 기초연구사업, 원천기술개발사업,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우주기술개발사업, 가속기 등 거대장비구축, 핵융합연구개발 4) 활용여부는 ①결과물을 바탕으로 응용이나 개발연구 수행, ②결과물로부터 착상을 얻어 새로운 연구 수행, ③결과물
사업, 기후변화 대응 기초원천기술개발, 해양바이오 기초원천 기술개발, 과학기술국제화사업, 학술연구지원사업 이 연구개발이 아닌 다른 사회적 목적으로 활용(과학교육, 정책결정 등)

- 189 - - 190 -
○ 중소기업과 대학․출연(연) 간 R&D 미스매칭(Mismatching) 해결 필요 다. 추진체계
- 중소기업은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상용화 기술을 원하지만 출연(연)은 ○ 지방과학연구단지 과학기술진흥센터가 지역 내 기업, 대학, 연구소 등에 대한
주로 5~10년을 내다보는 기초·원천 연구에 주력 수요조사를 통해 지역에 특화된 필요기술 도출을 주도
-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대학과의 협력 비중이 가장 높은데 반해 도움 정도는
○ 과학기술진흥센터가 수요조사에 기반하여 지역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음
R&D 및 R&BD 과제의 기획을 주도

<표 Ⅵ-1> 지역별 벤처기업의 기술력 수준 ○ 지역별 과학기술진흥센터에서 지역 현실에 맞는 우선순위 선정기준, 선정
(단위: %) 위원회 구성 등을 통해 도출된 과제 중 지원 우선순위를 정해 지역 연구개발
활성화 분위기 주도
구분 대학 중소벤처기업 대기업 민간연구기관 해외기업

협력활동 경험률 43.7 26.8 24.5 13.6 10.7 <그림 Ⅵ-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추진체계

협력활동 도움 정도
20.1 21.1 24.5 22.0 32.6
(매우 도움 응답비율) 미래창조과학부

자료: 벤처기업협회(’12) 전담기관: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진흥센터
나. 추진목표
지역 R&D 수요기반 산학연공동연구
가교형 R&D
□ 최종목표 수요조사 R&D 기획 법인설립

○ 지역의 수요조사를 통해 지역특화 분야 가교형(TRL 3~5 단계 수준) R&D 대학, 연구소, 기업


대상 기초·원천기술
지역수요 맞춤형
R&D 발굴·기획
TRL 3~5단계
기술 개발 주제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후보 과제 도출
과제 발굴․기획과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용 원천기술 발굴을 통한 지역 기업 수요조사 도출 & 설립지원

지원 R&D 수행
기초·원천기술 보유 선정평가를 통한
□ 세부목표 지역 내 기업 기업 및 기술개발 지역 대학, 기업,
대학, 연구소,
기업의 공동연구법인
연구소, 등
○ 지역의 기초·원천 R&D 기획·개발역량 확보 및 지역 기업의 신성장동력 확보
가능 기관

○ 국가 R&D 사업을 통해 확보한 지역특화 산업분야의 기초 R&D 성과와 지역 ○ 수요조사로 파악된 기초·원천기술을 TRL 3~5 단계 수준의 추가 R&D가 필요한
대학 및 출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 중 지역기업이 활용 가능한 기술과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로 분류하여 각각 가교형 R&D와 산학연공동
TRL 3~5 단계 수준의 R&D 기술개발 연구법인 사업으로 이원화하여 추진

○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원천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출연(연)과 그 기술수요자인


기업이 공동연구법인을 설립을 통한 R&BD 기술개발

- 191 - - 192 -
<표 Ⅵ-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을 위한 추진주체 현황 <표 Ⅵ-3>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진행절차

추진조직 기능 및 역할 프로세스 수행주체 내용

• 사업 총괄 추진 - 예비타당성 보고서
기술기획 (Top-Down)
미래창조과학부 기본방안 수립 정부정책 및 발전전략
미래창조과학부 - 기술로드맵
• 사업추진에 따른 예산지원 - 성과활용계획 작성


한국연구재단 • 사업기획, 평가 및 사후관리
미래창조과학부 - 시행계획(안) 수립
신규사업 공고
전담기관 - 신규과제 공고
• 지역 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R&D 수요조사
• 기초·원천기술 탐색 및 분석 ↓

과학기술진흥센터 • 지역수요맞춤형 R&D사업 발굴·기획


(Bottom-up) 기술수요조사 과학기술진흥센터 ­ 지역 내 기업 기술수요 분석/검토
• 가교형 R&D 사업 도출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주제 발굴·기획 ↓

­ 기술수요조사를 바탕으로 한 필요
지역 내 기초·원천기술 조사 과학기술진흥센터
기초·원천기술 탐색
□ 사업진행 절차 ↓

○ R&D과제의 수행주체인 주관기관(대학 또는 출연(연))이 전담기관과의 사업 지역수요기술에 대한 우선순위 평가


과학기술진흥센터
­ 지역특화산업 및 시급성 등을 고려
한 우선순위 선정
협약을 통해 사업을 진행 /전문가평가위원회 ­ 지역 산학연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 구성을 통한 평가

○ 각 지역의 과학기술진흥센터에서 지역 기업 수요에 기반한 기초·원천기술을 ↓ ↓

발굴하고 이를 통해 지역 기업지원을 위한 가교형 R&D, 산학연공동연구법인 ­ 기술수준분석을 통한 two-track 진


후보과제를 도출 가교형 R&D 기획대상 산학연공동연구법인 과학기술진흥센터 행
과제 선정 기획대상과제 선정 /전문가위원회 ­ 선정과제 수의 2~3배수로 기획 대

○ 도출된 후보과제의 지원 우선순위를 과학기술진흥센터가 정하고, 미래부와 ↓ ↓


상과제 선정

전담기관의 신규사업 공고에 따라 지역별 평균 선정 과제 수의 2~3배수 후보


과제를 사업에 지원시킴 가교형 R&D
산학연공동연구법
과학기술진흥센터/
­ 대상기술분석 및 동향파악
인 설립기획서 ­ TRL 수준분석 및 개발기술 정의

○ 전담기관의 주도 하에 사업계획서 평가를 통해 신규과제를 선정


과제기획서 작성 주관기관
작성 ­ 과제계획서 작성


- 가교형 R&D의 경우, 지역별로 평균 2개 과제 선정
전담기관 - 과제계획서 발표평가 진행
- 산학연공동연구법인의 경우, 지역별로 평균 1개 과제 선정 과제계획서 평가
(과제선정위원회) - 중복성 검토 및 확정

- 경쟁논리와 수월성 추구에 입각하여 과제선정 평가결과에 따라 지역별 선정



과제 수 및 연구비 차등지원
- 평가결과에 따라 지역별 지원과제
- 지역별 선정과제 수 안배 또는 일정 과제 수 배분은 고려하지 않음(‘나눠먹 미래부창조과학부 수 및 연구비 차등 지원 (지역별 과
신규 지원과제 확정 (1배수)
전담기관 제 수 안배 및 배분 고려하지 않음)
기식’ 사업진행 철저히 배제) - 연구비 지급 및 연구개발 시작

- 193 - - 194 -
라. 세부사업내용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사업

□ 지역수요기반 가교형 R&D ○ 대학 또는 출연(연)과 기업이 상용화를 위한 응용연구개발을 공동으로 진행하기


○ 지역 내 기업, 대학 및 출연(연)을 대상으로 한 기초·원천기술에 대한 수요조사를 위한 산학연공동연구법인 기획 및 설립

통해 지역맞춤형 R&D 후보과제 도출 ○ 전국 10개 과학연구단지별로 산학연공동연구법인을 통한 공동연구로 기초·원천


○ 전국 10개 과학연구단지별 지역맞춤형 R&D 후보과제 중 가교형 R&D 과제 기술 중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개발

세부기획 및 TRL 3~5단계 기술개발


<표 VI-5>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사업 후보과제(1차년도 수행 예정) 분야

<표 VI-4> 가교형 R&D 도출과제(1차년도 수행 예정) 분야 지역 사업명

지역 사업명 강원 고순도 고기능성 희소금속 소재기술

강원지역 천연물 활용 웰니스 눈 건강 식·의약품 소재화 기술 개발 경남 콤바인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 개발


강원
Power Device용 고열전도도 질화규소 기판 소재 개발 경북 3D 이미지 센서 개발
식물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및 터페노이드 생산 연구 광주 사물인지 영상관제 광융합 3D 광학엔진 스마트 광원격 노드기술 개발
경남 해양플랜트 집전장치용 탄소나노튜브/그래핀 적용 이온성 전기능동소자 연구
대구 분자진단기술 사업화
개발

Direct Diode Laser 시스템을 활용한 고밀도 텅스텐 코팅 기술 개발 부산 해상풍력발전 실증화 기술


경북
유연투명전도성필름을 위한 전극 소재 및 필름에 대한 연구 울산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 및 인버터 모듈화 연구

5.8GHz 대역 저전력 회로 설계 및 응용 시스템 개발 전남 실시간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산업현장 재해경보 시스템 개발


광주
전기자동차의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 개발
충북 인체세포재생조절 천연물 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바이오 제품 사업화
양자점 기반의 용액공정형 디스플레이 백플레인 핵심기술 개발
대구
신경­근­골격 모델 연동형 능동보행이 가능한 이동형 경량하지 보행기기
□ 연차별 사업내용
비금속계 일체성형 가능한 친환경 도어씰 개발
부산
미래형 고령친화 복지자동차 핵심기술 개발
<표 VI-6>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연차별 사업내용
저전압 전류밀도 인가를 통한 경량소재의 고급성형기술 개발
울산 사업년도
그린카 및 LED 조명용 고열전도성 방열 마그네슘 소재 개발 사업내용 최종목표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기능성 분말 복합화에 따른 하이브리드 소재 개발
전남 상압고주파플라즈마CVD 고속성장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이종접합 에피탁샬 박막 지역수요기반 R&D 과제기획
100 100 100 100 100 0 0 0 0 0
형 태양전지의 핵심 원천기술 개발 과제기획 500 건

연비 8% 향상을 위한 상용차용 ORC(Organic Rankine Cycle) 기술 개발 기술개발


전북 가교형 R&D 0 28 50 74 98 120 96 72 48 24
상용차용 ESC 시스템 국산화 개발 610 건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CIGS 태양광 기술 산학연공동연구법인 기술개발


0 17 24 39 46 60 45 38 23 15
충북 설립 307 건
인체세포재생 유전자 발굴을 통한 천연물 후보물질의 항노화, 탈모작용점 연구

- 195 - - 196 -
마. 사업비 및 인력운영 계획 <표 Ⅵ-8> 지역수요기반 R&D 사업비(재원별)
(단위: 억원)

□ 사업비
구 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계

<표 VI-7> 지역수요기반 R&D 사업비(사업내용별) 국 비 5 5 5 5 5 0 0 0 0 0 25


지역수요기반
사업비 R&D 지방비 5 5 5 5 5 0 0 0 0 0 25
세부사업 사업내용 세부내역
(억원) 과제기획
소 계 10 10 10 10 10 0 0 0 0 0 50
• 기획과제비용 50억원
국 비 0 60 120 180 240 300 240 180 120 60 1,500
지역수요기 ․ 1,000만원 × 10개 과제 × 10개 단지 × 5년 = 50억원
반 R&D 50 ※ 소요예산 근거 가교형 R&D 민 자 0 20 40 60 80 100 80 60 40 20 500
과제기획 ․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 R&D 과제기획
지원에 준하는 수준(융합 R&D 기획에 소요되는 비용(1,800 소 계 0 80 160 240 320 400 320 240 160 80 2,000
원 이내) 지원)

국 비 0 37.5 56.2 93.8 112.5 150 112.5 93.8 56.2 37.5 750
• 매년 평균 200억 투자 (단지당 최소 17.5억원, 최대 22.5 산학연
억원) 민 자 0 12.5 18.8 31.2 37.5 50 37.5 31.2 18.8 12.5 250
공동연구법인
• 과제당 매년 2~3억원 이내에서 5년 간 지원
소 계 0 50 75 125 150 200 150 125 75 50 1,000
• 지역특화과제는 지역별 2개과제(과제당 2.5억원)는 매년
기본적으로 수행
지역수요기 가교형 국 비 5 102.5 181.2 278.8 357.5 450 352.5 273.8 176.2 97.5 2,275
2,000 ※ 소요예산 근거
반 R&D R&D
․ 인건비: 박사후 연구원 1명(참여율 80%)×400만원×12개월 합계 지방비 5 5 5 5 5 0 0 0 0 0 25
=0.384억
석박사 연구원 4명(참여율 40%)×200만원×12개월
민 자 0 32.5 58.8 91.2 117.5 150 117.5 91.2 58.8 32.5 750
=0.384억
․ 직접비: 1.5억원(연구장비, 재료비, 여비, 연구활동비 등)
․ 간접비: 0.23억원(인건비와 직접비의 10% 범위 안)

• 매년 평균 100억 투자
□ 재원조달 방안
산학연
공동연구법 1,000
․ 단지당 최소 7.5억원, 최대 12.5억원
○ (지방비 조달계획) 사업추진에 필요한 재원 중 지방비 25억원은 지자체로부터
※ 소요예산 근거
확보가능하며,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있는 시·도와 사전 협의를 했으며,
인 ․ 현재 설립된 4개의 산학연공동연구법인에 대한 2단계 R&BD
지원 사업비는 연구법인당 최대 5년까지 25억원(매년 5억 사업추진 시 지자체로부터 지방비 예산을 확보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원) 내외로 이와 동일한 수준의 지원
것으로 판단됨
합 계 3,050 ○ (민자 조달계획) 가교형 R&D 과제와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사업은 지역 중소
기업이 사업화 및 창업을 위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수요조사를 통해 도출하고
이를 해결해 주기 위한 연구개발 과제로서 수요조사 과정에서 연구개발비에
대한 민자 매칭에 대한 합의를 거쳐 기획을 하였기 때문에 사업 추진 시 민자
예산확보는 문제없을 것으로 판단됨

- 197 - - 198 -
<표 Ⅵ-9>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 인력확보 및 운영계획

○ 지역수요기반 R&D 과제기획을 위해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과학기술진흥센터 사업내용 성과목표 성과지표 검증방법

내 전담인력 2명을 배치하여 운영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 국가 R&D 조사 분석


가교형 R&D 특허출원·등록 610건
역량강화 평가방식을 적용한 조사
○ 가교형 R&D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연구팀 구성 시 박사급 연구원 1인 산학연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
특허출원·등록 307건
국가 R&D 조사 분석
이상과 석박사과정 연구원 4인 이상을 확보하도록 유도 공동연구법인 역량강화 평가방식을 적용한 조사

○ 산학연공동연구법인을 통한 기술개발을 위해 기업의 연구전담인력 확보를 유 지역수요기반


R&D 공통
신성장동력 창출 기술기반 창업 123건 목표 대비 실적

도하고 사업비 내 외부인건비 활용을 권장


- 사업기간 내에 기업에 연구전담 신규인력을 채용하고, 나머지 연구개발 인력은 <표 Ⅵ-10>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연차별 성과지표
공동연구기관의 연구인력 인프라를 활용 1단계 2단계
사업내용 성과지표 합계
○ 사업의 지속적인 운영 및 성공적인 수행을 위하여 관련 인력의 적기 수급과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지속적인 근무를 위한 환경을 조성 가교형 R&D 특허 출원·등록 0 28 50 74 98 120 96 72 48 24 610건

- 인력수급방안: 상시 공모체계를 운영하고, 관련 인력 pool을 구축하여 필요 산학연


특허 출원·등록 0 17 24 39 46 60 45 38 23 15 307건
인력을 조기에 수급할 수 있도록 제도 마련 공동연구법인

지역수요기반
- 근무지속성 확보: 우수인력 유치 및 인력성과를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 제도와 R&D 공통
기술기반 창업 0 0 0 0 0 0 15 24 37 47 123개
정기적인 면담, 워크숍을 통해 의견 수렴 및 애로사항 개선
- 인력운용 유용성 확보: 산학연공동연구법인의 경우 연구참여 기관 간 연구
인력 교류를 활성화하여 외부 수급에 차질 발생 시 유연하게 대응
사. 기대효과

바.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 지역 혁신주체(대학, 연구소, 기업)의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발굴과 산학연
공동연구과제 기획 및 기술개발로 지역기반 우수연구성과물 창출

○ 기초·원천 연구성과를 지역수요와 연계하기 위한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지역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초·원천 기술을 니즈에 맞게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수행을 통해 국가 차원의 R&D 성과물이 지역 R&D 역량강화 및 기술사업화 기술경쟁력 강화 및 신제품 개발로 인한 매출 증대
Seeds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지역의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 역량강화를
성과목표로 정함
○ R&D 성과물인 특허를 기반으로 창업기업 123개, 일자리 255개 등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
○ 가교형 R&D와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을 통한 핵심 성과목표 설정
- 두 사업 공히 지역 특화된 고부가가치 특허 창출을 주요성과지표로 제시
○ 지역별 특화분야의 R&D 강화를 통해 지역특화산업 육성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
- R&D 성과물로서 특허 기반 기술창업은 공통적으로 창출된다는 점에서 이를
지역수요기반 R&D 활성화 사업의 공통 성과지표로 설정

- 199 - - 200 -
2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표 Ⅵ-12> 지역별 벤처기업의 산업재산권 현황
(단위: 건)

구분 사례수 특허권 실용 디자인권 상표권 해외산업 합계


가. 배경 및 필요성 신안권 재산권

수도권 1,079 3.2 0.8 1.2 1.1 0.5 6.8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비수도권 955 2.7 0.8 1.0 0.6 0.4 5.3

○ 상대적으로 기초·원천기술개발 능력이 떨어지는 지역 중소 벤처기업의 자료: 벤처기업협회(’12)

R&BD 활성화를 위해 지역에서 도출되는 연구성과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 <표 Ⅵ-13> 대학별 벤처기업의 산업재산권 현황

- 기초·원천 R&D 역량이 부족한 지역의 중소 벤처기업은 기술력 수준이 수도권에 구분 IP문화 IP역량 글로벌 경쟁력 산업기여도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짐 고려대, 광주과기원,


- 지역 중소 벤처기업은 기초․원천 R&D 역량이 부족하여 지역대학 및 출연(연)의 유망 고려대, 성균관대, 서울대, 성균관대,
최상 광주과기원, 한양대
한양대 연세대, 포스텍,
기술을 탐색․확보할 필요가 있음
한국과기원, 한양대

<표 Ⅵ-11> 지역별 벤처기업의 기술력 수준 경희대, 서강대,


(단위: %) 강원대, 경희대, 고려대, 성균관대,
상 영남대, 이화여대, 한양대
서강대, 이화여대 세종대, 포스텍
구분 사례수 세계 세계최고 약간 미흡 미흡 경쟁열세 포스텍
유일기술 수준동일

수도권 1,079 4.6 28.5 47.6 15.5 3.7 광운대, 군산대,


강원대, 광운대,
동아대, 부경대,
비수도권 955 3.7 25.1 48.0 17.5 5.8 부경대, 서울과기대, 서울대, 연세대,
서울시립대, 세종대,
자료: 벤처기업협회(’12) 중상 서울대, 서울시립대, 차의과학대, 강원대, 서강대, 연세대
영남대, 인하대,
연세대, 차의과학대, 한국과기원
○ 적재적소에 지역 내 중소·중견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제공을 위해 지역별 수요에 호서대 한국기술교육대
한국기술교육대,
호서대
기반한 기술저장소(Technology Reserve) 구축 필요
자료: 전자신문 미래기술연구센터(’13)
- 국내 중소기업의 IP경쟁력은 취약한 실정으로 외부기술 활용 및 이를 통한
IP패키지화 지원 필요 ○ 지식재산에 기반한 기업의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기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
※ 국내 중소·중견기업은 기업당 8.9건의 국내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나, 해외 및 사용 가능한 형태로 지식재산을 리모델링하는 지식재산 고부가가치화
지식재산권은 평균 0.3건에 불과 전략이 필요

○ 지역대학의 취약한 지식재산 경쟁력 특히, 산업기여도 측면에서의 취약성 보완을


위해 보유 특허의 지역 내 기술이전 활성화 대책 마련 필요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 2013 대학 지식재산 경쟁력평가 부문별 등급에서 KAIST, DGIST, 포스텍
등 특성화대학을 제외하면 지역대학은 상위권에 거의 없음
○ 기술 전유성이 뛰어난 기초·원천 기술의 사업화에는 직접사업화 방식인 창업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를 통해 기초·원천 R&D 성과물을 활용한 사업화 성과 제고
- 국내 대학들은 글로벌 경쟁력, 특히 산업기여도에서 취약한 수준이며, 지역
필요
대학은 더욱 취약함
- 대학 및 출연(연)의 등록특허 활용률은 기업에 비해 저조한 수준임
- 201 - - 202 -
※ 대학 및 공공(연)이 보유한 특허권 중 외부 타 기관으로 이전되거나 실험실 창업,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연구원 창업 등에 활용된 비율인 활용률은 평균 17.1% (특허청, ’12)
※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 중 방어적 목적으로 활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품 ○ 지방과학연구단지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지 내 정·관·학·연·기업
이나 서비스의 생산, 공정개선에 활용하고 있거나 수익 창출 등을 목적으로 타 기관에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는 노력과 시스템이 필요

이전한 특허의 비율인 사업화율은 평균 76.4% (특허청, ’12) - 지방과학연구단지 지정 목적은 학계·연구계·산업계가 한 곳에 모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협력하고,
○ 국내 대학 및 출연(연)의 특허 보유건수 대비 활용건수는 기업에 비해 낮은 - 지역 연구개발 경쟁력을 높이고 연구개발 결과의 사업화를 촉진하며,
수준으로 이를 높이기 위해 특허를 활용한 창업기획이 필요
※ 응답기업의 총 특허 보유건수 대비 총 활용건수 및 총 사업화건수의 비율은 각각 - 지역의 연구개발거점으로서 지역의 과학기술혁신 및 지역발전 선도임
79.4%, 56.5%, 대학 및 공공(연)의 총 보유건수 대비 총 활용건수는 15.4%로 전년 ○ 한정된 예산 범위 내에서 국가 연구개발비 운영 효율성 확보와 지방 과학기술
대비 감소(특허청, ’12) 생태계를 최적화를 위해 정책 입안 및 기획 수립단계부터 교류․협력 활성화
필요
<그림 Ⅵ-3> 특허 활용률 비교
※ R&D 활동의 전주기적 측면에서 교류․협력이 필요하나, 그동안 R&D 수행 단계의
혁신주체 간 협력만 강조
※ 지역에 산포되어 있는 정책 및 기획 기관 간 연계협력을 통해 자원의 중복투자
방지 뿐 만 아니라 중․장기적 관점에서 연계․시스템화를 통한 과학기술생태계
완성 필요
○ 기술개발 혁신역량이 상대적으로 뒤쳐지는 지역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위한
산학연 협력체제 구축 필요
- 중소·벤처기업은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상용화 기술을 원하나 대학 및
출연(연)은 기초·원천 연구에 치중함으로써 서로 간 미스매칭
(Mismatching) 발생
- 기술제공자와 수요자 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간극을 좁히고, 기초·원천기술
개발로부터 상용화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음

○ 지역의 기업가정신 의욕을 고취하고 실제적인 창업으로 이끌어 청년 실업 문제 ※ 생산기술연구원은 연간 3천 건 정도의 애로기술을 해결하고 있으나 이는 신청
해결과 나아가 지역벤처 활성화 필요
건수의 20%에 불과한 수준임
-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탄생 및 성장에 있어서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열세임 ○ 지방과학기술 생태계 조성과 사업의 효율적인 운영 및 산업성장을 주도하고,
※ 벤처기업의 지역별 분포 (벤처기업협회, ’12) : 부산(6.5%), 울산(2.0%), 대구(5.6%), 제품상용화 및 성과확산을 책임질 수 있는 핵심 거점기관 설립 및 운영이 필요
광주(3.3%) ↔ 서울(18.2%), 경기(29.8%), 인천(5.0%) - 지역별로 특화된 산업 분야의 기술공급자와 수요자를 연계할 수 있는 지식
※ 매출액 천억 이상의 벤처의 지역별 분포 (벤처기업협회, ’12) : 부산(4.8%), 울산 공유망 구축을 통해 기술·지식의 유통 high-way 마련
(3.4%), 대구(3.1%), 광주(1.6%) ↔ 서울(16.8%), 경기(30.7%), 인천(6.8%)

- 203 - - 204 -
나. 추진목표 다. 추진체계

□ 최종목표 ○ 지역연구개발성과 활용기반 구축사업의 수행주체는 지방과학연구단지 과학


기술진흥센터가 담당함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지역 기업이 연구개발 결과물을 활용한 사업화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식재산 기반 기술지원 체계구축 ○ 과학기술진흥센터가 작성한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 관리는 전담기관(한국연구
재단)에서 수행함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지역 대학 및 출연(연)의 기초·원천 R&D 성과물의 사업화
제고를 위해 지역 특화된 특허활용 창업 및 지역벤처 활성화 기반 구축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산학연 협력체제 구축 및 협력 활성화를 통한 ○ 지방과학연구단지 과학기술진흥센터가 기술중개기능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연구개발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지역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 조사 및 분석

□ 세부목표 ○ 과학기술진흥센터가 기업의 기술 수요 해결을 위해 국내·외 적합기술 탐색과 중개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의 세부목표 기능을 확보

- 지역 기업의 R&BD 필요기술을 적재적소에 공급해주기 위한 각 지방과학연구단지별


○ 과학기술진흥센터가 기술저장소에 저장되는 기술·노하우·특허 등을 분석하고 연관
지식재산의 패키징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담당
기술중개기능 역량 확보

-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의 기술·노하우·특허의 패키징 기술을 통한 고부가가치화를


○ 패키징화를 통해 고부가가치화된 지식재산을 지역 내 수요기업에 이전하는
TLO 역할을 과학기술진흥센터가 담당
위한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의 세부목표 ○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도출한 지역 기업 사업화 필요기술과 지역 내 대학,
출연(연),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 및 기술 등을 저장하기 위해 10개 지방과학
- 전주기적 창업지원(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 창업기획사 설립, 특허활용 연구단지가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기술저장 통합시스템을 지방과학연구단지
창업경진대회)을 통해 지역수요기반 R&D 성과물을 활용한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활성화 사업단에서 구축, 운영함
사업화·창업 촉진 프로세스 구축

- 지역특화 연구개발 성과물을 활용한 기술창업 성공률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 지역적으로 특화된 특허활용 창업 및 지역벤처 활성화를 위해 지역특화 맞춤형 창업 ○ 지방과학연구단지 과학기술진흥센터가 주도적으로 창업멘토링 시스템, 창업
기획 활성화 교육, 창업경진대회, 창업기획사 설립 등 창업과 관련된 종합적 지원을 추진하는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의 세부목표 One­stop 서비스 구축

- 지역과학기술 관련 정책, 성과 등을 공유·교류하기 위한 온·오프라인 플랫폼 구축


○ 과학기술진흥센터가 창업 멘토단 구성 및 DB 구축을 통한 창업을 위한 멘토링
지원
- 지역 중소기업 중심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역 R&D 정책 및 사업 기획 단계에서
부터 지역 기업수요와의 정합성 강화
○ 과학기술진흥센터가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연결을 담당할 창업기획사를 직접
설립하거나 외부 전문업체에 아웃소싱 후 관리, 감독하는 방향으로 추진
- 지방과학연구단지 내 네트워크 기반 성과교류를 통해 R&D 성과 활용성 강화

- 205 - - 206 -
○ 창업기획사가 주관하여 지역의 연구개발 성과물을 활용하는 창업경진대회를 <표 Ⅵ-14>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을 위한 추진주체 현황

추진하되, 외부 전문 창업기획사를 운용하는 경우에는 과학기술진흥센터와 추진조직 기능 및 역할

공동으로 창업경진대회를 기획 및 진행 • 사업 총괄 추진
미래창조과학부 • 사업추진에 따른 예산지원
○ 과학기술진흥센터가 연구단지 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한국연구재단 • 사업기획, 평가 및 사후관리
지원을 담당함
• 기술중개기능 확보 및 기술저장소 DB 구축
• On·off line 창업지원 시스템 구축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과학기술진흥센터 • 기술 및 정책교류회 구성 및 운영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및 융합핵심기술 도출
○ 네트워크의 구심체로서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과학기술진흥센터가 자리매김하여
• 과학기술교류 및 성과활용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R&D 정책 기획 단계에서부터 산학연 협력 및 지역수요와 정책 간 정합성 제고


□ 사업진행 절차
○ 과학기술진흥센터가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회를 조직, 운영함으로써 지역연구 ○ 지방과학연구단지 사업수행 주체인 과학기술진흥센터(주관기관)와 전담기관과의
개발 기획, 수행 등에 주도적 역할을 함
사업협약을 통해 사업을 진행
○ 중소기업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위해 과학기술진흥센터가 네트워크 감독매니저로서 ○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지역특성과 지역기업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상향식
네트워크 내 정보교환을 주도함
사업계획서를 도출하고, 사업계획서 평가를 통해 각 지방과학연구단지별 사
업비 지원을 차등함으로써 사업계획과 기반구축 완성도를 제고
<그림 Ⅵ-4>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추진체계
<표 Ⅵ-15>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진행절차
미래창조과학부 프로세스 수행주체 내용
기술기획 (Top-Down) - 사업기획
미래창조과학부
기본방안 수립 정부정책 및 발전전략 - 기본계획 수립
전담기관: 한국연구재단 ↓

신규사업 공고 미래창조과학부 - 시행계획(안) 수립


전담기관 - 신규과제 공고
과학기술진흥센터 ↓
- 지역 내 기업 기술수요 분석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창업기획 지원,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방안
지식재산 특허활용 지역연구개발 과학기술진흥센터
계획서 작성 등을 포함하여 사업계획서 작성
활용도 제고 창업기획 지원 네트워크 활성화 - 지역 특성 및 수요를 반영하여 지
역별 특화된 사업계획서 도출

기업필요기술 파악· 확보·지원 On·off line 멘토링시스템 개발 S&T 정책교류회 운영
- 사업 관리지침에 따른 평가
특허DB구축 및 유사특허 창업기획사 설립 중소기업네트워크 구축 사업계획서 평가 및 연구비 조정 전담기관 - 평가결과에 따른 연구범위 및 연구비
패키지화 (과제선정위원회) 조정
창업경진대회 및 창업교육 융합핵심기술 도출
기술저장소 구축 및 DB개발 ↓
- 과제지원 범위 결정
미래창조과학부 - 1단계 사업기간 동안은 지방과학연
신규(계속) 지원과제 확정 전담기관 구단지별로 사업비 조정만 시행
VC,엔젤투자가 - 2단계에는 단계평가 결과에 따라
지역대학, 출연(연), 사업내용 및 사업비 조정
기업체CEO, 법률전문가, 지역 내 대학, 연구소,
기업, 지방과학 ↓
창업기획사, 예비창업자 기업, 지자체 등
연구단지 등

사업수행 과학기술진흥센터 - 사업계획서에 따른 수행

- 207 - - 208 -
라. 세부사업내용 지역 사업내용
· 광/수송기계/스마트가전/문화콘텐츠 중심 기술이전 수요기술 20건 발굴
①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 광주지역 특화분야 별 우수기술 홍보 동영상 제작 10건
광주
· 기술이전 계약체결 지원 10건
□ 기술중개기능 역량 확보 · 기술(가치)평가사 등 기술이전 전문 인력양성 10명 배출

○ 지역 내 기업의 R&BD 사업 수요조사를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필요기술 도출 ·


·
대구지역 중소기업 R&BD 사업 수요조사(1회) 및 수요DB구축(1건)
사업별 중요도 및 사업성 평가, 필요기술 탐색 및 국내·외 확보
대구
- 지역 내 중소기업이 사업화·창업을 위해 필요로 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조사 · 기술 가치평가 및 기술이전 컨설팅(기술이전 10건, 설명회 1회)
· 기술중개 바우처 제공 및 국내외 기술중개서비스 기업 활용
- 사업화 추진에서의 지역 및 성공 가능성 등 중요도에 따른 우선 지원 기술
· 기술이전 수요기술 발굴을 위한 네트웍 구축(조선기자재협회 등 10개 단체
선정 업무협약)

○ 국내·외 기술탐색을 통해 지역 기업 수요조사로 도출된 필요기술을 해결해줄


부산 · 부산지역 TLO 및 거래기관 네트웍 구축(10개 기관)
· 부품소재, 조선기자재 분야 집중 수요 및 공급기술 발굴
수 있는 매칭기술 발굴 · 기술중개 활성화를 위한 중개자 지원 프로그램 개발

· 지역 특화산업(자동차, 조선, 정밀화학, 환경)분야 네트워킹 협력기관 구성


- 우선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필요기술에 대해 국내·외에서 매칭기술 발굴
50개 기관

○ 수요기업에 대한 매칭기술 기술이전 지원 울산 · 지역 특화산업 분야 기술판매서(SMK)작성 및 기술이전 10건


· 지식재산 권리화 지원 5건
- 지방과학연구단지별 평균 100개 (연평균 10개) 기업 기술이전 지원 · 기술이전 계약 금액 15억

· 지역 특화산업분야(조선·해양, 신소재, 생물, 신재생에너지) 기업 수요조사 100건


- 국내외 기술중개서비스 기업을 활용해 매칭기술을 기술수요기업에 중개해 주기
· 지역 특화산업분야 관련 기업 DB 구축 100개사
위한 기술중개 바우처 제공 전남 · 지역 특화산업분야 우수기술 발굴 100건
· 지역 특화산업분야 우수기술이전 10건
- 기술중개서비스 기업, 지역대학 공공 TLO 등과 컨소시엄 형태로 과학기술진흥
· 지역 공개 특허 전수조사 1건
센터 역할에 특화된 기술중개서비스 시스템 구축
․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 50건
․ 도내 특허보유 전수조사 실시 : 1회
전북
․ 기술이전계약지원 : 20건
<표 Ⅵ-16> 기술중개기능 역량 확보(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 기술이전 및 거래 역량강화(SMK작성 등) 지원 : 40개사
지역 사업내용 ․ 컨설팅 보고서 발간 5건
· 기술이전 설명회 등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5회) 충북 ․ 기업 필요 애로기술 상담 20건
· 강원도 및 타 지역 간 보유기술, 수요기업 매칭연계(1건) ․ 공동 IP 이전 활용 산학협력 R&BD 지원 2건
강원 · 대학 및 출연(연) 유망기술 지역특화산업 기술이전 (20건)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이전 계약 금액(2억)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사업화(2건) □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
· 지역 기술수요분석 1건 및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100명
경북 ·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기획
· 지역기술이전 중개컨설팅 30건, 지식재산활용 교육 2회
○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우수 특허 발굴을 통한 기술저장소
DB 구축
· 대학, 연구소 및 기업연구소 현황파악 및 기술공급자 협의회 구축
경남 · 기업단체(기술수요자)와 지역기업 기술수요조사 실시 - 지방과학연구단지별 평균 1000개의 우수기술 DB 구축 및 관리

○ 기술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특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지식재산 패키지화


· 수요조사내용을 근거로 도내 및 국내외 매칭기술 서칭

및 포트폴리오 개발

- 209 - - 210 -
- 기술저장소 내 유사특허의 패키지화 지역 사업내용
- 기술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특허를 지역 내 관련 유사 기술, 노하우 등과의
· 지역 지재권 보유기관 기술저장 희망 특허 발굴 100건
융합 패키지화를 통해 사업화 가능성 높은 지식재산화 전남
· Online 기술저장소 기획 및 구축

○ 고부가가치화 특허의 지역 내 기업으로의 기술이전 지원 전북


․ 국내/외 우수기술 DB 1식(발굴기술 및 특허보유 내용 등)
․ 기술저장소 구축기반 확보 : 1식
- 패키지화 및 융합 패키지화를 통해 확보된 고부가가치화 특허를 지역 내
․ 충북기술 저장소 구축
수요기업에 기술이전 및 대여
충북 ․ 기술저장소를 활용한 기술저장 100 건
- 고부가가치화 특허 활용 창업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진흥센터 내 창업 공간 ․ 기술이전 10건과 기술이전수입 4억원 달성
제공(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율 제고)

<표 Ⅵ-17>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②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지역 사업내용
□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
· 지역특화산업(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관련 유망기술 및 수요 기업

강원
발굴 수요조사(1건)
· 지역특화분야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 우수기술 발굴(50건)
○ 지역 대학 및 출연(연)의 기초·원천 연구개발 성과를 활용한 창업지원을 위해
벤처투자가, 엔젤투자가, 기업체 CEO, 법률 및 회계 전문가 등으로 창업지원
· 강원도 특허탐색 및 기술저장소 구축/운영(1회)
멘토단 구성 및 멘토 D/B 구축
· 초기기술이전비용지원 2건

경북
· 우수기술특허유지비지원 2건
· 상용화인증비용지원 1건
○ 창업 프로세스 로드맵을 입체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창업내비게이션
구축·운영
· IP제품 혁신기술개발 1건

· 기술저장소 하드웨어시스템 구축 - 창업 프로세스 표준화, 창업 프로세스별 예상 애로사항 해결책, 창업 멘토링


경남
· 도내 기술공급기관 우수기술SMK작성 방안, 창업 관련 세제 및 법규, 지원사업 정보, 관련 전문가 list 제공 등

광주
· 특화 가능한 광주 대학 및 연구소 기술수집 및 관리 100건
· 광주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 중심 지식저장소 구축협의회 5건 운영
○ 과학기술진흥센터에 예비창업자에 대한 종합적 one-stop 서비스 제공을 위한
· 기술탐색 및 거래 기반 기술DB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 1건 창업지원 조직 운영
· 기술저장소 (대구특화산업)DB System 구축(1건)
· 기술신탁기관 등록 관련 요건 확보 <표 Ⅵ-18>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대구 · 기술신탁 관련 약관, 계약서, 계약절차 및 조건 등 법률 검토
지역 사업내용
· 대구지역내 등록특허조사(1회)
· 기술발굴(200건): 발굴기술은 2차년도부터 저장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전문가 풀 구축(1건)
강원 · 특화산업분야 예비창업자 1:1 맨토링 지원(30건)
· 대학 보유 우수기술발굴 네트웍 구축(지역 산학협력단협의회 업무협약)
· 과학기술 창업 지원을 위한 창업지원센터 구축 운영(1건)
부산 · 부산지역 출연연 등과의 기술이전 세미나 개최(10회)
· 특허 기술 고부가치화를 위한 프로그램 기획(지역 기관 공동 기획) · 경영지원분야 컨설팅 지원: 10건
경북 · 경영지원분야 자문단 운영: 5회
· 지역 특화산업(자동차, 조선, 정밀화학, 환경) 기업 DB 구축 500개 사
· 경영진단 지원: 3건
· 지역 특화산업 분야 기술수요기업 발굴 100건
울산
· 지역 특화산업 분야 이전희망기술 발굴 50건
· 기술저장소 구축 기획 및 기술이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구성 1식

- 211 - - 212 -
지역 사업내용 - 우수 사업아이템은 후속 R&BD 자금 지원 및 과학기술진흥센터 내 창업공간

· 멘토링지원단 구축을 위한 인력Pool구축


지원
· 창업지원전문엑셀러레이터 발굴, 회계사,변호사, 벤처캐피탈, 엔투클럽 등이
경남
참여하는 인력풀 구축
· 자금지원을 위한 금융지원협의회 구축 <표 Ⅵ-19> 창업기획 및 창업경진대회(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 창업 사업계획 1:1 맞춤형 창업플래너 연계 기획지원 : 60건 지역 사업내용


광주
· 창업 아이템 제공 및 창업분석 등 분야별 컨설턴트 연계 : 30건

· 가칭‘창업’멘토단 구성 완료(1건) · 창업지원센터 및 멘토링 사업 연계 창업아이템 발굴 (10건)


강원
·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 및 이를 통한 기술창업(2개사)
대구 · On-line 창업내비게이션 구축 완료(1건)
· One-stop 창업지원센터 지정 완료(1건), 창업 1:1 맨토링(30회)
· 창업펀드 200억원 조성을 위한 위원회 구성
· 멘토링 3S 시스템 구축(Start-up, Set-up, Step-up) · 기술가치 평가지원: 10건
· 초기 창업기획 및 창업 단계별 구분을 통한 맞춤형 창업멘토링 시스템(1건) 경북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10건
· 단계별 멘토링 시스템 운영(10회) · 기술창업 컨설팅 지원: 10건
부산 · 창투 융자연계지원: 5건
· Big 창업보육실 구축 및 운영(1건, 2명)
· 창업준비 단계 예비창업자의 창업경쟁력 강화(공동사무실, 사무집기 등 지
· 우수한 트렉레코드 보유 창업기획사 지정, 업무협약 체결
원)
· 멘토단과 엑셀레레이터 간 업무협조 방안 마련
경남
· 지역 특화산업분야 산·학·연·관 멘토링 전문가 모집 100명 · 청년창업펀드 운영 벤처캐피탈과 업무협약 체결
울산 · 과학기술진흥센터에 벤처투자가, 엔젤투자가, 법률 및 회계사 등 유치 · 우수창업아이템 보유기업 10개사 선정
· 창업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창업 내비게이션 구축 기획 1식
· 창업활성화 유도 및 창업아카데미 수강생 대상 창업설명회 개최 : 2건
· On-line 멘토링 시스템 기획 및 구축 광주
· 우수 사업모델 발굴을 위한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1회
전남 · 특허활용 창업기업 기술, 경영, 기술사업화 멘토링 및 컨설팅 4건
· 특허 출원 및 등록지원 5건 · 대구지역수요기반 R&D 연구결과물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1회)
· 전문 투자사에게 평가 받는 ‘데모데이’ 개최(창업경진대회 연계)
․ R&D성과 상용화 기획/확산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4회 대구
· 비즈니스 모델화 지원,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창업1건, 일자리 10개)
전북 ․ 특허를 활용한 창업지원 시스템 기반구축 : 1식(창업지원센터)
· 우수 사업아이템 발굴(10건)을 통한 R&BD연계
․ 특허활용 창업기업지원 : 3개사
· 특허사무소 활용 창업기획사 및 기술고부가가치 전문회사 설립 추진(1건)
․ 온오프라인 활용 창업상담 컨설팅 30회 부산
충북 · 부산시 추진 “신기술아이디어발명박람회”와 병행하여 창업경진대회 추진(1건)
․ 특허활용 기술창업 2건

· 성공적 창업지원을 위한 분야별(산업, 투자, 법률, 회계, 마케팅 등) 구성·운영 10회


· 투자연결을 위한 창업기획사 지정 및 과학기술진흥센터 유치 1개사
울산
· 창업 활성화를 위한 아이템 발굴 및 맨토링 10건
□ 창업기획 및 창업경진대회 · 특허활용 창업 제고를 위한 창업경진대회 개최 1회

○ 지역 대학 및 출연(연)의 기초·원천 연구개발 성과물에 기반한 창업을 위한 전남


· 창업기획 전문가 DB 구축 및 창업 지원 체계구축
· 특허활용 창업 기획 지원 5건(창업 2개사, 고용지원 2명)
멘토링 및 투자연결을 담당하는 창업기획사(accelerator) 설립 또는 지정 · 전남지역 창업경진대회 개최 1건

○ 창업기획사 주관으로 지역 대학 및 출연(연)의 기초·원천 연구개발 성과물을 창 전북


․ 도내 창업경진대회(대학생, 일반인, 연구성과물 활용 대상 등) 개최 : 1회/년
업으로 유도하기 위한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 ․ 우수한 창업아이템 컨설팅 지원 : 5건

- 일정기간 집중 1:1 멘토링 및 교육을 통해 특허 기반 창업아이템을 개발하고 창업 충북 ․ 충북 도내 창업경진대회를 통한 우수 idea 5건 발굴 지원


경진대회를 통한 투자사 대상 설명 기회 제공

- 213 - - 214 -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지역 사업내용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교육 2회 제공
○ 지역 내 창업 희망자에 대한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제공 충북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프로그램개발 운영을 통한 30명 창업지원자 교육
․ 창업지원자 교육 만족도 90% 이상 획득
- R&D 과제수행 연구인력, 지방과학연구단지 내 연구인력, 지역 내 청년 창업
희망자 등을 위한 특화된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 단·장기 코스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이수 지원 ③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 On․off line S&T 정책교류회 운영


<표 Ⅵ-20>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지역 사업내용 ○ 지역과학기술 기획을 위한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 위원회 운영


· 창업단계별 교육을 위한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발(5건) - 지방과학기술 진흥로드맵 개발, 부문별 로드맵 수립, 지역별 기술사업화 촉진
강원
· 예비창업자 기업가 정신 및 창업 교육(교육인원 100명)
계획 수립, 지역 과학기술 교육정책 수립 등 지역과학기술 현안관련 기획 및
· GBSUP 운영(8주과정): 2회
정책 수립
경북 · 창업매뉴얼 제작: 1건
· Post-GBSUP 정기 커뮤니티 운영(5회) 및 멘토링 지원(5회)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중 타 세부사업 실행에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해
· 경남청년창업아케데미 구축계획 수립 줄 수 있는 주제 등에 대한 기획 활동 및 보고서 발간
· 경남도내 창업보육기관협의회 구축
경남
· 창업아카데미 커리큘럼 작성 및 교수진 구성 ○ 지역 내 연구성과 및 정책에 대한 성과를 발표하고 공유하기 위한 S&T 정책·
· 창업아카데미 홍보 및 참가자 10사 이상 모집
성과 포럼 운영
· 일반인 전문창업 및 대학생 대상 창업아카데미 개설 : 2회
광주 · 창업아카데미 연계 특허 등 지적재산권 활용 예비창업자 배출 : 명
30 ○ 지역과학기술진흥 정책 수립·실행에 대한 정보제공, 지방과학연구단지 내 대학,
· 광주지역 예비창업자 및 일반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16명
출연(연), 기업 측의 의견개진 등이 가능한 온라인 정책교류의 장 구축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커리큘럼, 교제(5건), 강사진, 교육환경 등 확보
대구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개최(대상: R&D과제수행 연구인력) <표 Ⅵ-21> S&T 정책교류회 운영 (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 기업가정신교육 50명, 신규법인 1개 지원, 일자리 10개 창출

· 소규모 그룹형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1건) 지역 사업내용


부산 · 그룹형 창업교육 수행(10그룹, 50명) · 강원지역 과학기술 로드맵 구축을 위한 과학기술 정책교류회 운영(3건)
: 기술분야별 5명 내외 그룹화를 통한 맞춤형 교육 시행 · 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산업 지역 연구성과 활성화를 위한 연구성과 포럼 개
강원
최(4회 : 4개 분야별 1회)
· 기업가(창업)정신 교육 희망자 모집 100명 (대상 : R&D 연구인력, 지역내
· 과학기술 정책 교류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1건)
기업 연구인력, 청년창업 희망자 등)
울산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10개
·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연계 컨설팅 지원 : 5개사
· 창업협력교류(과학기술진흥센터, 과총지역연합회, 기업가정신센터 등) 5회 · 글로벌협력 세미나, 공동연구 지원: 2건
경북 · 경북과학기술 정책브리핑 이슈보고서 발간: 4회
· 창업 아카데미 커리큘럼 개발 ·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운영(1건) 및 기술사업화 협의회 구축 운영(3건)
전남 · 기업가 정신 등 창업 아카데미 10개 과정 운영 · 기술사업화 협의회 (3회) 및 기술이전 교류회(3회), 포럼(4회) 운영
· 창업 희망자 창업동아리 운영 5개
· S&T정책교류회 구축
전북 ․ 도내 대학생 및 미취업자 대상 창업아카데미 개최 : 1회/년 · 경남특화산업별 분과위 구성
경남
· 융합기계 및 소재성형 과학기술발전로드맵 구축
· 과학기술발전 정책포럼 운영

- 215 - - 216 -
<표 Ⅵ-22>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1차년도 수행 예정) 내용
지역 사업내용
지역 사업내용
· 광주특화산업 과학기술로드맵 도출을 위한 S&T 정책교류회 운영 : 2회 · 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산업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R&D 기획연구회 구성
광주
· 광/수송기계/스마트가전/문화콘텐츠 분야별 전문가 소그룹 운영 : 3회
및 운영(16회 : 분야별 4회)
강원
· 중소기업 애로기술 자문위원회(8회 : 분야별 2회)
· 대구과학기술진흥협의회 사무국 기능 수행(1건) 및 S&T 정책·성과 포럼 개최
· 중소기업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위한 과학기술 세미나, 워크숍, 포럼 개최(4회, 분야별 1회)
· 대구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1건), 부문별 로드맵 승인, 촉진계획 수립
대구
· 대구과학기술진흥 조례 개정: 기획·교류위원회를 상설 위원회로 명문화 · 기술창업 CEO 교류회: 4회
· 대구S&T 정책·성과 교류회 구성(1건) · Open Innovation 교류회: 상시
경북
· 기술창업 동향 및 정보제고, 만족도 조사: 1회
· 부산 R&D전략위원회 등 정책개발 위원회 구성 및 운영(3회)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1회) 및 뉴스레터(2회) 제작
부산 · 분야별 부산 과학기술 로드맵 수립을 위한 위원회 구성 및 운영(5회)
· 부산지역 정책교류를 위한 온라이 홈페이지 구축 · 전략분야별 미래기획위원회 구축
- 구축된 로드맵 기반 기술개발RFP도출
· 지역 내 과학기술 로드맵 작성을 위한 기획·교류 위원회 구성·운영 3회 경남
- 참여기업간 컨소시업 구성 지원
울산 · 과학기술(S&T)연구성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성과 포럼 개최 2회
- 2015 수요기반 R&D참여 기획서 작성 지원
· 지역 내 과학기술 정책 온라인 홈페이지 구축 1식
· 중소기업 비즈니스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 운영 : 5회
·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운영 4개 분야(지방과학기술정책, 중소기업 R&D 정 광주
· 지적재산권 활용을 통한 후속연구 지원 산학연관협의회 운영 : 2회
책, 과학기술인프라정책, 미래산업정책)
전남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기획 및 구축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 지역과학기술정책기획보고서 5건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설계(1건)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Book cafe 설치/운영(1건)
․ 전북과학기술위원회 구축 및 운영기반 확보 : 4회
· 중소기업 기술 네트워크 구축지원
전북 ․ S&T 정책 및 성과포럼 개최 : 2회 대구
: 네크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역할 수행
․ 산학연 네트워크 구성 및 운영 활성화 : 4회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 연계협력
․ 지역수요기반 과학기술진흥정책 포럼 4개 운영 : 지역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 참여
충북 ․ 포럼회원수 100 명 확보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1건)
․ 포럼 운영을 통한 R&D 사업 기획 8건
· 기초, 원천기술 공유 및 정보확산을 위한 “부산 신기술 포럼” 개최(5회)
부산 · R&D 기획을 위한 소규모 포럼 구성 및 운영(해양 방제 포럼 등 30회)
· 기획과제의 정부자금 확보를 위한 전문위원회 구성 및 포럼 지원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 산업별 산·학·연·투자기관 등으로 구성된 연구회 구성·운영 10회


(기업 구성(예) : 완성차-1차기업-2~4차기업 연관분야 각 1명이상 구성)
울산
○ 지역 특화분야 중 동일 산업분야 내 대학 및 연구기관, 기업 및 투자기관으로 · 지역 내 중소기업 애로기술 자문위원회 운영 2회
· 지역 내 중소기업 애로기술 조사 및 지원 : 10건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 기업주관 R&D 기획 연구회운영 10개(기획보고서 10건)

○ 지역 특화 산업분야의 대외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종 산업 분야 복수 기업들이 · 기업 R&D 사업 발굴 컨설팅 10건


·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 4개 운영(R&D 전문가 협의회, 연구장비 전문가협의회,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핵심기술개발 과제 도출 전남
기업부설연구소협의회, 기업지원기관협의회)
· 중소기업 R&D 기획 및 전문인력 양성 교육 20개과정
- 도출된 핵심기술개발과제를 기획결과에 따라 가교형 R&D 과제 또는 산학연
· 기업부설연구소설립 및 연구조직 활성화 컨설팅 20건, 교육 3건
공동연구법인 형태로 기획 후속 R&D 지원
․ 산학연 협력사업 수요조사 실시 : 1회
전북 ․ 산학연 네트워크 구성 및 운영 활성화 : 4회
․ 산학연 전문가 코디네이팅 구축 및 애로기술지원 : 60개사

․ 충북도 내 대학, 출연(연), 지역기업 협력네트워크 구축 2건


충북
․ 우수기술씨앗 및 우수휴면특허 발굴 및 SMK 작성 10건

- 217 - - 218 -
□ 연차별 사업내용 마. 사업비 및 인력운영 계획

<표 Ⅵ-23>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연차별 사업내용


□ 사업비

사업년도 <표 Ⅵ-24>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비(사업내용별)


세부
사업내용 최종목표 사업비
사업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세부사업 사업내용 세부내역
(억원)

기술중개 • 매년 평균 30억원 투자 (단지 당 3억원)


기술중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단지당 3억원 = 3천만원×10개 기술중개
지식재산 1,000 건
활용도 ※ 소요예산 근거
제고 저장특허
기술중개 300 ․ 특허청의 유망기술발굴 및 사업화지원 사업에 준하는 수준
기술저장소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 지원대상 : 공공연구기관
10,000개
지식재산 ․ 지원내용 : (컨설팅) 과제별 2천만원
(사업화) 과제별 1천만원
On·Off Line 구축 구축 구축 구축 구축 구축 구축 구축 구축 구축 전국 10개
활용도 (가치평가) 과제별 1천만원
멘토링 시스템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시스템 구축 제고
• 매년 평균 40억원 투자 (단지 당 4억원)
특허활용 창업기획 및 10회 10회 10회 10회 1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창업경진대회 기술 ※ 소요예산 근거
150회 이상 400 ․ 특허 저장은 2017년부터 시작
창업기획 창업경진대회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저장소
개최 ․ 국내 특허의 건당 유지비용은 평균 100만원으로, 이 수준의
지원 50%를 지원하며 매년 200개의 특허 저장
창업아카데미
10회 10회 10회 10회 1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 매년 평균 10억원 투자 (단지 당 1억원)
창업아카데미 150회 이상 On·Off Line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각각 50% 부담
개최
멘토링 100 ※ 소요예산 근거
시스템 ․ 멘토단 구성 및 관리 + Online 창업내비게이션 구축 및 관리
지역과학기술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40회 40회 40회 40회 40회 교류회 300회 = 1억원
기획·교류회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개최
특허활용 • 매년 평균 35억원 투자 (단지당 3.5억원)
S&T 정책·성과 10회 10회 10회 10회 1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포럼 150회 창업기획 창업기획 및 ․ 미국 에너지부의 Innovation Ecosystem
포럼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개최
Development 프로그램에 준하는 수준
지원 창업 350
지역연구 ․ 지역 당 연간 지원예산 4억원 규모
개발 경진대회
네트워크 10개 ※ 소요예산 근거
네트워크 중소기업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구축, 200회 ․ 창업기획 지원 및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 = 3.5억원
활성화 네트워크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운영 창업 • 매년 평균 5억원 투자 (단지 당 0.5억원)
50
아카데미 ․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각각 50% 부담
융합핵심기술
융합핵심기술 • 매년 평균 30억원 투자 (단지 당 3억원)
0 30 30 30 30 30 30 30 30 30 개발과제 온오프라인
개발과제 도출
270건 도출 ․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각각 50% 부담
S&T 300 ※ 소요예산 근거
정책교류회 ․ S&T 정책성과 포럼 2.5억원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지역연구 구축 0.5억원 = 3억원
개발
• 매년 평균 30억원 투자 (단지 당 3억원)
네트워크
․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각각 50% 부담
활성화 중소기업 ※ 소요예산 근거
300 ․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의 GA-Network에 준하는 수준 지원
네트워크 ․ GA-Network 운영에 필요한 재정의 70%까지 지원, 네트워
크당 7~8억원 수준

합계 1,800

- 219 - - 220 -
<표 Ⅵ-25>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비(재원별)
□ 인력확보 및 운영계획
(단위: 억원)

구 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계 ○ 국내·외 기술중개 서비스 기업의 활용 및 장기적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기술중개
국 비 24 24 24 24 24 24 24 24 24 24 240 서비스 역할 강화를 위하여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과학기술진흥센터 내 전담인력
1명을 배치하여 운영
기술중개 지방비 6 6 6 6 6 6 6 6 6 6 60
- 초기 기술중개의 경우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하여 기술중개 바우처 제공을
지식
소 계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재산 통해 국내·외 기술중개서비스 기업 활용을 적극 도모하고, 중·장기적으로
활용도
제고
국 비 40 8 16 24 32 40 40 40 40 40 320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기술중개기능을 강화
기술저
장소
지방비 10 2 4 6 8 10 10 10 10 10 80 ○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의 경우 지역별 DB구축 및 IP사업화 전문기업과의
소 계 50 10 20 30 40 50 50 50 50 50 400 협업을 위하여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과학기술진흥센터 내 전담인력 1명을
배치하여 운영
국 비 5 5 5 5 5 5 5 5 5 5 50
On·off
Line
지방비 5 5 5 5 5 5 5 5 5 5 50
○ 과학기술진흥센터 내 전담인력 1명을 배치하여 On·Off Line 멘토링시스템 관리
멘토링
운영 및 창업아카데미 운영을 담당
시스템

○ 창업아카데미 교육 제공을 위한 전문가 pool을 구축하여 관련 국내·외 전문가를


소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특허 국 비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교육강사로 활용
활용 창업기획
창업
기획
및 창업 지방비 17.5
경진대회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 창업기획사 지정 및 창업경진대회 개최, 창업기획 과정 역시 과학기술진흥센터
지원 소계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0 내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관리

국 비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창업
지방비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바.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아카데미

소계 5 5 5 5 5 5 5 5 5 5 50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의 경우 기술탐색·중개-R&D 일체화를 통해 기초·원천


국 비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0
온오프
라인 S&T
지방비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0
정책 R&D 역량이 부족한 지역 중소기업의 개발역량 강화 및 연구개발성과의 양적·
지역연 교류회
구개발 소계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질적 수준 제고를 주요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실제 연구개발결과물의 질적 성장과
네트
이를 통한 성과 창출을 주요 성과목표로 설정
워크 국 비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0
활성화
중소기업 - 기술중개는 지역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중개 및 이전을 핵심 목표로 설정
지방비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0
네트워크 한다는 점에서 기술이전의 양적 성과인 기술이전건수를 핵심 성과지표로 설정
소계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 기술저장소 구축의 핵심은 특허의 고부가가치화라는 점에서 기술이전의 질적
국비 119 87 95 103 111 119 119 119 119 119 1,110 성과로서 기술이전수입을 핵심 성과지표로 설정
합 계
지방비 71 63 65 67 69 71 71 71 71 71 690

- 221 - - 222 -
<표 Ⅵ-26>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의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표 Ⅵ-28>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사업내용 성과목표 성과지표 검증방법 사업내용 성과목표 성과지표 검증방법

기술 지식재산의 양적·질적 기술이전 3,300건 1단계: 50회 이상


목표 대비 실적 멘토링 회수
중개 활용도 제고 건수 (특허이전율 5%) 온오프라인 2단계: 100회 이상
멘토링 확대 목표 대비 실적
멘토링시스템 멘토링 시스템 참여
만족도 평가
만족도: 우수
기술 지식재산의 양적·질적 기술이전 78,500백만 원
목표 대비 실적
저장소 활용도 제고 수입 (평균기술료 25백만 원) 아이디어 창업 150건

창업기획 및 1단계: 1회 이상
아이디어 창업 증대 창업경진대회 개최 목표 대비 실적
창업경진대회 2단계: 2회 이상
<표 Ⅵ-27>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연차별 성과지표 창업경진대회 참여
만족도 평가
만족도: 우수
1단계 2단계
사업 창업아카데미 1단계: 1회 이상
성과지표 합계
내용 개최 2단계: 2회 이상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창업아카데미 창업교육 확대 목표 대비 실적
강의평가 강의평가: 우수
기술 기술이전
0 80 160 240 320 500 500 500 500 500 3,300건
중개 건수

기술이전 <표 Ⅵ-29>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 연차별 성과지표


기술 78,500
수입 0 1600 3200 4800 6400 12500 12500 12500 12500 12500
저장소 백만원
(백만원) 1단계 2단계
사업내용 성과지표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멘토링
0 50 50 50 50 100 100 100 100 100
온오프라인 회수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멘토링 멘토링
시스템 예비 창업자의 멘토링 시스템 참여 만족도
○ 특허기반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최종성과는 창업이므로 아이디어창업 건수를
시스템
(창업 애로요인 개선효과, 멘토 개입의 적절성 여부)
만족도
핵심 성과지표로 설정 창업
10회 10회 10회 1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경진대회 0
- 온·오프라인 멘토링 시스템의 성과지표는 창업성공율 제고를 위한 멘토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개최
창업기획 및
회수와 멘토링에 대한 만족도 창업
창업 창업경진대회 참여자의 만족도
경진대회
- 창업기획 및 창업경진대회의 성과지표는 아이디어창업 건수 및 창업경진대회 경진대회 (심사 공정성, 사후 관리 및 지원 수준 등)
만족도
개최 수와 만족도 아이디어
0 0 10 10 10 20 20 20 30 30
창업
- 창업아카데미사업은 창업교육 강화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창업아카데미 개최
창업
건수와 만족도를 성과지표로 설정 10회 10회 10회 10회 1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회
아카데미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개최 수
창업
아카데미 창업
아카데미 강의 평가
수강생 (교수법, 강의진도, 강의자료, 창업으로의 실질적 연결 여부 등)
강의평가

- 223 - - 224 -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사. 기대효과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은 지방 과학기술생태계 발전을 위해 정책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입안 및 기획 수립단계에서부터 교류·협력을 활성화시키는 것임

○ 정책교류회 및 중소기업 네트워크의 핵심 성과지표는 실질적인 협력의 횟수와 ○ 지역기반형 기술이전·사업화 체계 구축으로 지역산업 육성을 위한 근간 마련
정책교류회를 통해 도출된 결과물의 질적 수준에 대한 평가임
○ 지역 중소벤처기업이 필요로 하는 원천기술 확보 지원으로 지역기업의 기술
- S&T 정책교류회의 경우 정책교류회의 실제 운영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정책 경쟁력 강화 및 그에 따른 매출 증대

○ 지식재산의 고부가가치화 및 활용도 제고를 통해 2025년 기준 특허이전율


교류회 운영을 통한 결과의 정책기여도를 평가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의 경우 네트워크 운영 횟수, 중소기업의 생존율 제고
5%, 이전기술 건당 평균 25백만 원의 기술이전수입 창출
및 네트워크에 대한 만족도를 주요 성과지표로 제시

<표 Ⅵ-30>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의 성과목표 및 검증방법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내용 성과목표 성과지표 검증방법 ○ 직접사업화 방식인 창업을 통해 기술 전유성이 뛰어난 기초·원천 R&D 성과의
온오프라인 S&T 정책교류회를 교류회 개최 300회 사업화 효과성 제고
S&T
정책교류회
통한 산학연 협력의
제고 정책기여도
정책교류회 성과물의
실제 정책기여도:우수
목표 대비 실적
○ 창업기획, 멘토링시스템 등을 통해 아이디어 창업 150건 달성 등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
네트워크 운영 200회
중소기업
네트워크
중소기업
네트워크 생존율 80% 이상 목표 대비 실적 ○ 지역의 기업가정신 고취를 통한 청년 창업 증대로 청년실업문제 해결 및 지역
활성화 벤처 활성화
만족도 만족도: 우수

<표 Ⅵ-31>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연차별 성과지표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내용 성과지표
1단계 2단계 ○ 정책 입안 및 기획 수립단계에서 교류·협력 활성화 도모를 통해 지방 과학기술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생태계의 자생적 발전 도모
기획교류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40회 40회 40회 40회 40회 - 지방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 지역별 기술사업화 촉진계획 수립, 지역과학
지역과학 위원회 개최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기술 기술교육 정책 수립 등에 있어 지역 기업 및 다양한 행위자들의 목소리 반영
기획교류 정책교류회
정책교류회를 통한 성과물의 실제 정책기여도
위원회 정책기여도
평가
(정책 수립, 정책 개선에의 기여도, 실행계획 수립 등)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산·학·연 협력연구의 지속적 증대
중소기업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20회 - 지역 내 정부연구개발사업 추진에 있어 산·학·연 협력의 비중 강화
네트워크 개최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중소기업
네트워크
1년 생존율(%) 69.9 71 72 73 74 75 76 77 78 80 ○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한 생존율 제고
지역기업
중소기업네트워크 참여 기업 만족도 결과에 따른 평가
만족도

- 225 - - 226 -
3 사업관리계획 <표 Ⅵ-32> 사업 연차평가 추진 방향

프로세스 수행주체 내용

가. 사업 진도관리 및 평가계획 - 전년도 평가결과를 반영한 사업계획서를


사업계획서 제출 주관기관
제출

□ 진도관리

○ 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정기적 진도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사업수행


주관기관 - 사업계획서 평가내용을 반영한 사업수행

운영하는 관리시스템을 운영

○ 사업 진도관리 : 연차평가와 단계평가 실시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이 구성한
한국연구재단/
평가위원회가 평가실시
중간평가 (현장실사, 서면검토) 지방과학연구단지
- 사업 성격에 따라 현장실사 또는 서면검토 형
활성화 사업단
태로 실시
- (연차평가) 중간평가, 자체평가, 최종평가를 실시

- (단계평가) 중간평가(3차년 후), 1단계 평가, 2단계 평가 실시
­ 평가로 인한 사업내용 변경 시 사업내용
사업보완 및 수행 주관기관
변경 승인을 한국연구재단의 승인을 받음
□ 평가계획 ↓

○ 사업평가 : 연차별 현장실사, 서면검토, 대면발표평가 실시 자체평가(대면 발표평가)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
­ 과제 종료 1.5개월 전에 실시
- 최종보고서 완성도 제고
주관기관
- 현장실사 : 가교형 R&D, 산학연공동연구법인, 기술중개 등 기술개발 관련

세부사업을 대상으로 예산, 기자재, 성과물, 연구노트 등 실질적인 성과물과
­ 자체평가 시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최종보
연구의 실제 대상 검토를 위한 것으로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에서 최종보고서 제출 주관기관
고서 제출
구성한 평가위원회에서 수행 ↓

- 서면검토 : 산학연네트워크, 정책교류회 사업 등과 같이 유형의 연구개발 성 한국연구재단/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이 구성한
최종평가(대면 발표평가) 지방과학연구단지 평가위원회가 평가실시
과물이 없는 사업 대상으로 실제 사업의 진행상황을 보고서 형식으로 제출 활성화 사업단 - 사업계획서 상 로드맵에 따른 달성도 평가
받으며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에서 구성한 평가위원회에서 수행 ↓

- 대면평가 : 정량목표 및 정성목표를 비교하여, 실제 사업의 성과에 대한 경쟁을


평가결과 보고 한국연구재단 - 최종평가결과 미래부창조과학부에 보고
유도

○ 사업 평가의 추진 방향 평가결과 검토 및 확정 미래창조과학부
- 최종평가결과 검토 후 확정통보를 한국연
구재단에 함
- 연차평가를 기본으로 함

- 3차년 후 중간평가를 통해 1단계 사업목표 달성 가능성 여부를 평가
- 확정된 평가결과를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
평가결과 통보 한국연구재단 화 사업단을 통해 각 지방과학연구단지에
- 1단계 평가를 통해 사업범위 조정 등을 통한 성과목표 달성도 제고 통보

- 227 - - 228 -
□ 평가 운영원칙 - 1단계 평가결과를 반영한 각 지방과학연구단지별 2단계 기획을 통해 강점

○ 평가결과가 사업비 운영효율성과 성과창출 극대화를 위해 적극 활용될 수 사업내용을 좀 더 강화하여 사업성과를 낼 수 있도록 사업방향을 유도

있도록 연차 및 단계평가를 운영
- 연차평가를 기본으로 하며 평가방향은 계획대비 달성도 평가를 통한 사업수행 <그림 Ⅵ-5> 평가결과 활용 체계
완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
- 3차년 수행 후 중간평가는 전체 사업의 목표 대비 달성도 제고를 위해 각
지방과학연구단지 별 사업수행 내용에 대한 중간 멘토링을 위해 진행
- 1단계 평가결과에 따라 지방과학연구단지별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
구축 사업”의 연구개발 및 사업수행 분야 조정

○ 평가는 공개경쟁을 원칙으로 함으로써 평가의 공정성 및 결과 활용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추진

○ 사업계획서 상 연구목표 대비 달성도를 주요평가지표로 설정하여 평가를 진행


- 정성적, 정량적 연구목표 대비 달성도를 평가지표로 반영함
- 각 세부사업 성과지표와 세부사업 간 연계효과로 발생하는 성과지표 등을
모두 고려하여 평가지표로 활용

○ 1단계 평가 시 과학기술진흥센터의 법인화 추진여부를 추가 평가항목으로 설정

□ 평가결과 활용 방안

○ (연차평가 결과) 연차평가 결과에 따라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수행하는 차년도


사업비를 차등 지원함

○ (중간평가 결과) 3차년 수행 후 중간평가결과에 따라 각 지방과학연구단지별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의 세부연구 목표치 조정 등을 통한
전체사업 성과목표 달성도 제고

○ (1단계 평가 결과) 평가결과에 따라 각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수행주체가 되어


추진하는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내용을 강제적으로 조정
- 각 지역별로 강점을 보이면서 많은 성과를 내는 사업분야 및 내용에 2단계
사업에서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
- 1단계 사업진행을 통해 성과가 없는 사업내용 부분은 과감히 정리하여 선택과
집중을 함

- 229 - - 230 -
<표 Ⅵ-33>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연구단지별 평가(예시)

1단계 2단계 반영률


세부사업 세세부 사업 평가지표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지역 가교형 R&D 특허건수 0 3 5 7 10 12 10 7 5 2 10


수요기반 R&D 산학연공동연구법인 특허건수 0 2 2 4 5 6 5 5 2 2 10
기술중개건수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2.5
기술중개 지역기업 지역기업에의 기술중개 만족도(기술적 애로 지역기업에의 기술중개 만족도(기술적 애로
지식재산 2.5
만족도 해결정도) 해결정도)
활용도
제고 저장특허 수 0 200 400 600 800 1,000 1,000 1,000 1,000 1,000 2.5
기술저장소
지역기업 지역기업의 IP관리에 대한 만족도(IP관리 지역기업의 IP관리에 대한 만족도(IP관리
구축 2.5
IP관리 만족도 애로요인 절감효과) 애로요인 절감효과)

온오프라인 멘토링 회수 0 5 5 5 5 10 10 10 10 10 2
멘토링
멘토링 시스템 예비 창업자의 멘토링 시스템 참여 만족도 예비 창업자의 멘토링 시스템 참여 만족도
지역연구개발 시스템 1
만족도 평가 평가
성과활용
기반구축 창업경진대회 1회 1회 1회 1회 1회 2회 2회 2회 2회 2회
2
개최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특허활용 창업기획 및
창업경진대회
창업기획 창업경진대 창업경진대회의 참여자의 만족도 창업경진대회의 참여자의 만족도 1
구성 만족도
지원 회
아이디어창업 0 0 1 1 1 2 2 2 3 3 5

창업아카데미 1회 1회 1회 1회 1회 2회 2회 2회 2회 2회
1
창업 개최수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아카데미 창업아카데미
강의평가 강의평가 1
강의평가

- 231 -

1단계 2단계 반영률


세부사업 세세부 사업 평가지표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기획교류 2회 2회 2회 2회 2회 4회 4회 4회 4회 4회
지역과학기 1
위원회 개최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술 기획교류
위원회 정책기여도 정책교류회 성과물의 정책기여도 평가 정책교류회 성과물의 정책기여도 평가 2
지역연구
지역연구개발
개발 중소기업네트 2회 2회 2회 2회 2회 2회 2회 2회 2회 2회
성과활용 1
네트워크 워크 개최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기반구축
활성화 중소기업
1년 생존율 69.9% 71% 72% 73% 74% 75% 76% 77% 78% 80% 2
네트워크
지역기업 중소기업네트워크 참여 기업 만족도 결과에 중소기업네트워크 참여 기업 만족도 결과에
1
만족도 따른 평가 따른 평가
특허이전
0 8 16 24 32 50 50 50 50 50 10
건수
특허이전수입
0 160 320 480 640 1250 1250 1250 1250 1250 10
(백만원)
사업 연계 성과
기술창업
0 0 0 0 0 1 1 2 4 4 15
기업 수
신규
0 14 22 32 40 74 76 85 98 113 15
일자리 수
10
법인화
기타 사항 평가 시 반영 평가 시 반영 (추가
추진여부
반영)

- 232 -
나. 사업성과 관리방안
□ 사업성과 관리방안

□ 사업성과 관리체계 ○ (사업성과 통합관리 시스템 운영)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이 각 지방


과학연구단지에서 도출하는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통합 관리함
○ 전국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수행하는 전체 사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은 각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도출한 연구
위한 조직으로「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을 운영
성과를 모을 통합 DB를 구축, 운영
- 지역사업의 특성에 맞게 사업수행 현장 밀착형 관리를 통해 사업관리 효율성
- 타 지역의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도출한 연구성과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향상을 도모
시스템을 구축
- 사업수행 주체와의 원활한 피드백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사업성과의 극대화
달성 ○ (사업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관리방안)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이
사업 최종목표 달성을 위하여 단계별, 연차별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각 지방과
학연구단지의 목표치를 조정 및 관리
- 지방과학연구단지사업의 정량적 목표인 R&D 성과목표, 특허활용 성과목표,
사업화연계 성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연차별 성과지표 설정

○ (지방과학연구단지 특성화 방안) 중간평가 및 1단계평가를 통해 각 지방과학


연구단지의 사업수행내용을 지역 특성에 맞게 특화하여 각 지방과학연구단지가
특성화된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이 역할을
담당함

○ (사업종료 후 성과관리) 사업성과의 구체적 실현은 사업 후에도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사업 종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성과관리를 함
- 사업 종료 후에도 계속적으로 창출될 성과를 관리하고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후속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함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에서 기획 및 정책연구를 통해 구체적 방안
마련

다. 사업성과 활용방안

□ 사업성과 확산방안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 운영을 통해 전국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도출되는 연구성과물을 종합적으로 수집, 관리, 분석함으로써 사업성과물의
확산 기틀 마련

- 233 - - 234 -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을 통해 성과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통합 - 지역수요기반 R&D 수행을 통해 2017년부터 국내외 특허창출 성과를 만들어 냄
DB 구축 및 운영 등의 사업을 수행 ※ 연구개발비 10억 원 당 국내외 특허등록 3.0건 목표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의 성과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전체 - 창출된 특허를 기반으로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사업을 통해 2017년부터 기술
성과를 각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도록 함 이전 성과를 창출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을 통해 성과관리와 성과확산을 동시에 담당 ※ ‘08∼’12년 국내 대학 출원특허 중 이전 특허 비율 4.2%와 건당 기술료 19.7백
함으로써 성과확산 효과 극대화를 유도
만 원(연구재단, ‘13)을 기준으로 연도별 목표 설정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사업을 통해 활성화된 특허활용 창업기획사업의 창업
- 사업진도관리, 성과관리, 성과교류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등을 통해 성과관리와
경진대회 추진을 통해 아이디어창업 성과를 2018년부터 이루어냄
확산의 연계성 확보
※ 사업초기인 1단계(‘16∼’20)는 단지 당 1개의 아이디어창업을 목표로 하며, 2단
○ 시장수요와 기술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미래예측을 통한 수요예측 기반 성과 계(‘21∼’25)에는 단지 당 2개, 3개로 증대 목표
관리를 통해 성과확산 활성화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성과인 특허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기술창업이
이루어지고 사업화 성공에 따라 매출이 발생하는 창업기업을 5년 후인
□ 사업성과 활용방안 2022년부터 발생시킴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세부사업들은 지역중소기업·창업기업의 - 세부사업의 성과를 신규 일자리 창출 성과 달성에 활용


매출증대 및 고용증가를 위한 연계에 초점 ※ R&D 사업의 경우, 연구과제당 박사후 연구원 1명을 연구인력으로 채용함으로
- ‘지역과학기술기획교류를 통한 지역수요기반 R&D 기획 → 가교형 R&D 및 이에 따른 신규 일자리 창출
산학연공동연구법인 → 특허창출 → 기술저장소를 통한 특허 고부가가치화 ※ 국내 기술이전수입은 대부분 선급금으로 이를 10년 간 매출액의 2%를 기술료로
→ 기술중개를 통한 기술이전과 창업기획을 통한 창업기업 탄생 → 중소기 받는 것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특허이전으로 인한 매출증대와 그에 따른 신규
업네트워크 지원을 통한 성장지원’의 단계적·유기적 연계 고용이 발생
※ 특허이전을 통한 매출증대로 인한 신규 일자리 계산(예)
<그림 Ⅵ-6> 사업성과 연계 활용방안
○ 특허이전수입은 대부분이 선급금으로 이를 10년 간 매출액의 2%를 로열티로 받는
것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연간 매출증대분을 계산
- 2016년의 기술이전 수입은 1,600백만 원
- 1,600백만 원을 10년 간 로열티로 받게되면 160백만원이 연간 로열티수입
- 연간 로열티수입이 160백만 원이면, 매출액은 이의 50배인 8,000백만 원
- 종업원 1인당 매출액은 96.5백만 원이므로 8,000백만 원의 매출증대를 위해서는
83명 신규 채용
* 창업기 벤처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80,083만 원이며, 평균 인력은 8.3명으로 종업
원 1인당 매출액은 9,649만 원임(벤처기업협회, ‘13)

- 235 - - 236 -
Ⅶ. 추진체계 및 사업비 ○ 미래창조과학부는 본 사업의 기획, 관리, 평가를 총괄 관리함
○ 전담기관인 한국연구재단(NRF)의 사업관리 아래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1 추진체계 사업단」을 구성하여 추진함

○ 각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과학기술진흥센터는 4개 세부사업을 주도적으로 수


행하며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에 대한 과제기획, 우선 지원과제 선정, 성과
가. 사업 수행체계
관리 등을 담당
○ 본 사업의 수행체계 및 수행절차는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름
□ 추진주체별 역할분담

구 분 세부업무

Ÿ 사업 총괄 추진 및 관리 감독
미래창조과학부 Ÿ 사업추진에 따른 예산지원
Ÿ 사업심의위원회/조정위원회 운영

Ÿ 지역과학연구단지 활성화를 위한 지역과학정책수립


지자체
Ÿ 과학기술진흥센터 운영 관리

Ÿ 과제공고, 과제선정, 과제협약, 결과평가, 정산 등 행정중심


한국연구재단
및 객관성의 확보가 필요한 부분 담당

Ÿ 사업 진도관리 및 평가 일정 수립 및 수행
Ÿ 사업 진도관리 및 평가를 위한 위원회 구성 및 운영
지방과학연구단지 Ÿ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수행 자문위원회 운영
활성화 사업단 Ÿ 지방과학연구단지 발전을 위한 기획·정책연구 수행
Ÿ 지방과학연구단지 성과 관리
Ÿ 지방과학연구단지 성과교류 및 확산을 위한 사업

Ÿ 지역수요기반 R&D 기획, 과제 우선순위 도출, RFP 도출


Ÿ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지역연구개발
과학기술진흥센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추진
Ÿ 추진사업의 신청, 수행, 결과보고

Ÿ 기술개발 과제의 신청, 수행, 결과보고


주관기관
Ÿ 가교형 R&D 기술개발 과제 수행
(지역수요기반 R&D)
Ÿ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및 기술개발 과제 수행

- 237 - - 238 -
나.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 학기술진흥센터에서 수행하는 사업에 대한 진도관리, 성과평가 등의 계획수
립 및 수행
□ 필요성
- (성과확산교류팀) 팀장(책임연구원 급) 1인과 연구원 2인으로 구성하며 전국
○ 지역연구개발은 지역연구현장의 다양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도출되는 성과를 모으고 타 지역으로 확산 및 교류
지역연구개발 현장 근접형 사업관리체계를 통해 사업수행 및 사업 성과관리 활성화를 위한 연구과제 수행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 - (운영비 확보) 과제형태의 공모를 통해 사업단 수행 주체를 선정하고 연구
-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수행하는 방대한 양의 사업을 전담기관(한국연구 개발과제 형태의 사업비 지원을 통한 안정적 운영비 확보
재단)에서 일괄적으로 관리, 감독하기가 쉽지 않음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 사업명 : 지방과학연구단지 성과확산교류 활
- 한국연구재단의 관리, 감독 하에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성과관 성화 사업
리를 위해 지역 현장형 조직 운영이 필요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10개 지방과학연구 □ 사업단의 역할

단지에서 도출된 성과를 공유하고 타 지방과학연구단지로 확산하기 위한 체계를 ○ (사업단 역할)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단의 주요역할은 크게 사업관리
갖출 필요가 있음 지원 및 성과확산교류임
- (성과공유) 각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구축하는 기술저장소의 종합관리를 - (사업관리지원) 사업의 진도관리, 평가관리, 성과관리를 위한 일정 및 계획
위해 통합 DB 구축이 필요 수립, 위원회 구성·운영 등 사업관리에 대한 전반 업무 수행(234 페이지 사
- 기술저장소로 사용하기 위해 모든 지방과학연구단지가 각각 DB를 구축하는 업성과 관리방안 참조)
것은 중복투자와 함께 운영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음 - (성과확산교류) 전국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도출된 연구성과물의 통
- 각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구축한 특허 DB를 타 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 쉽게 합관리, 타 지방과학연구단지 간 성과교류 및 확산, 중장기 발전 전략 및 로
검색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통합 DB 구축·운용이 유리함 드맵 수립 등

○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중장기 발전전략 및 운영방안 등의 도출을 통한 활성화


전략을 끊임없이 고민할 필요가 있음
- 단발성 사업지원 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발전방향과 지역 연구개발혁신
거점으로 지방과학연구단지를 활용할 수 있는 계획이 필요

□ 구성 및 운영계획

○ (사업단 구성) 사업단장, 사업지원팀, 성과교류확산팀으로 구성


○ (운영계획)
- (사업단장) 본부장급으로 과학기술진흥센터에서 수행하는 사업에 대한 평
가, 관리 책임
- (사업지원팀) 팀장 1인과 팀원 3인(전담인력)으로 구성하며 전국 10개 과

- 239 - - 240 -
□ 지방과학연구단지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사업
2 사업비

지방과학연구단지 성과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및


최종목표 가. 세부사업별·연차별 사업비
성과교류·확산 활성화
<표 Ⅶ-1> 세부사업별·연차별 사업비
(단위: 억원)
사업비
세부목표 사업내용 세부사업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계
(억원)
R&D과제기획 10 10 10 10 10 0 0 0 0 0 50
- 자문위원회 및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
가교형 R&D 0 80 160 240 320 400 320 240 160 80 2,000
- 진도관리와 평가관리 계획 수립 및 수행
지역수요기반
- 평가위원회 구성 및 운영 R&D 산학연 공동 0 50 75 125 150 200 150 125 75 50 1,000
연구법인
지방과학연구단지
- 각 지방과학연구단지별 성과분석, 관리를 통
활성화 사업 해 전체 사업 성과목표 달성 계획 작성 3 소계 10 140 245 375 480 600 470 365 235 130 3,050
성과관리 지원
- 정책연구과제 수행을 통한 지방과학연구단지 기술중개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발전방안 수립
지식재산
활용도 기술저장소 50 10 20 30 40 50 50 50 50 50 400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를 위한 자문위원회 제고
구축
구성 및 운영
소계 80 40 50 60 70 80 80 80 80 80 700

- 10개 지방과학연구단지 공동 활용을 위한 통합 멘토링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시스템
DB 구축 및 운영 지역
연구 특허활용
- 타 연구단지에서 도출된 성과 공유를 위한 SP 개발 창업기획 창업경진대회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0
성화 지원
지방과학연구단지 간 종합 워크샵, 연구성과 전시회 개최 활용
7 창업아카데미 5 5 5 5 5 5 5 5 5 5 50
기반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 지방과학연구단지 협의회 구성 및 운영 구축
소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
S&T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 성과교류 네트워크 구축 운영 (지방과학연구단 정책교류회
지 간 융복합기술 개발 기획 및 사업지원) 지역
연구개발
네트워크 중소기업
네트워크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활성화

소계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0

성과관리/평가 3 3 3 3 3 3 3 3 3 3 30

성과확산교류 통합성과관리
활성화 사업 및 확산과제 7 7 7 7 7 7 7 7 7 7 70

소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합 계 210 300 415 555 670 800 670 565 435 330 4,950

- 241 - - 242 -
<표 Ⅶ-2>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재원 조달계획(재원별)
- 지역연구개발 네트워크 강화 사업의 경우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 분담 비율은 각각
(단위: 억원)
50%, 50%, 0%

○ 각 지방과학연구단지별 계획에 따라 사업 차별화 및 그에 따른 재원규모 및


구 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계

국 비 5 102.5 181.2 278.8 357.5 450 352.5 273.8 176.2 97.5 2,275 조달 차별화
지역수요기반
지방비 5 5 5 5 5 0 0 0 0 0 25 - 사업별 성격에 따른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의 분담 비율은 유지
R&D 사업

민 자 0 32.5 58.8 91.2 117.5 150 117.5 91.2 58.8 32.5 750

국 비 119 87 95 103 111 119 119 119 119 119 1,110 [참고] 연구단지별·연차별 재원 조달계획 : 각 지방과학연구단지 기획보
지역연구
개발성과
지방비 71 63 65 67 69 71 71 71 71 71 690 고서 상 요구사업비
활용기반
구축사업
민자 0 0 0 0 0 0 0 0 0 0 0 <표 Ⅶ-3> 연구단지별·연차별 재원 조달계획
(단위: 백만원)
국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계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사업 지방비 0 0 0 0 0 0 0 0 0 0 0 국 비 1,865 2,220 3,350 4,105 5,235 5,265 4,590 3,540 2,865 1,815 34,850

지방비 560 480 500 520 540 510 510 510 510 510 5,150
민자 0 0 0 0 0 0 0 0 0 0 0 강원 SP
민 자 275 500 850 1,075 1,425 1,425 1,200 850 625 275 8,500
국비 134 199.5 286.2 391.8 478.5 579 481.5 402.8 305.2 226.5 3,485 합 계 2,700 3,200 4,700 5,700 7,200 7,200 6,300 4,900 4,000 2,600 48,500

합계 지방비 76 68 70 72 74 71 71 71 71 71 715 국 비 2,075 2,615 3,530 4,070 5,165 5,295 4,755 3,840 3,300 2,205 36,850

지방비 740 740 740 740 740 690 690 690 690 690 7,150
민자 0 32.5 58.8 91.2 117.5 150 117.5 91.2 58.8 32.5 750 광주 SP
민 자 305 485 790 970 1,335 1,395 1,215 910 730 365 8,500

합 계 3,120 3,840 5,060 5,780 7,240 7,380 6,660 5,440 4,720 3,260 52,500

○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 3자가 예산 분담 국 비 1,910 2,660 3,785 4,910 4,910 5,235 4,860 3,735 2,610 1,860 36,475

지방비 740 740 740 740 740 690 690 690 690 690 7,150
- 총 사업비 4,950억원 중 중앙정부 70.4%, 지자체 14.4%, 민간 15.2% 경남 SP
민 자 250 500 875 1,250 1,250 1,375 1,250 875 500 250 8,375

○ 사업별 성격에 따라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의 분담 비율 차등화 합 계 2,900 3,900 5,400 6,900 7,900 7,800 6,800 5,300 3,800 2,800 52,000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사업의 경우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 분담 비율은 각각 80%, 국 비 3,770 3,770 3,770 3,770 3,770 3,770 3,770 3,770 3,770 3,770 37,700

20%, 0% 지방비 755 755 755 755 755 755 755 755 755 755 7,550
경북 SP
민 자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0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중 R&D 과제 기획의 경우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 분담
합 계 5,325 5,325 5,325 5,325 5,325 5,325 5,325 5,325 5,325 5,325 53,250
비율은 각각 50%, 50%, 0%
국 비 2,121 2,683 3,269 4,230 5,360 5,559 4,678 4,171 3,290 2,240 37,600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중 가교형 R&D와 산학연공동연구법인의 경우 중앙정부, 지자체,
지방비 610 530 550 570 590 560 560 560 560 560 5,650
민간(참여기업) 분담 비율은 각각 75%, 0%, 25% 대구 SP
민 자 294 588 756 1,050 1,400 1,456 1,163 994 700 350 8,750
- 지역특화 맞춤형 창업기획 사업의 경우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 분담 비율은 각각 합 계 3,025 3,800 4,575 5,850 7,350 7,575 6,400 5,725 4,550 3,150 52,000
50%, 50%, 0%
- 243 - - 244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계
나. 연차별 사업비 세부내역
국 비 1,815 1,890 2,737 3,813 4,660 5,360 5,350 4,563 4,187 2,790 37,165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지방비 735 655 675 695 715 735 735 735 735 735 7,150
부산 SP
민 자 200 325 588 912 975 1,375 1,375 1,112 988 525 8,375 <표 Ⅶ-4>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연차별 사업비 산출 근거
합 계 2,750 2,870 4,000 5,420 6,350 7,470 7,460 6,410 5,910 4,050 52,690
구분 산출근거 사업비
국 비 1,030 1,830 3,110 4,390 5,630 6,150 5,360 4,160 2,960 1,680 36,300
2016년 • 기획과제비용 10억원 = 1,000만원 × 10개 과제 × 10개 단지 10억원
지방비 370 420 440 460 440 450 410 410 410 390 4,200
울산 SP • 기획과제비용 10억원 = 1,000만원 × 10개 과제 × 10개 단지
민 자 150 400 800 1,200 1,600 1,750 1,500 1,100 700 300 9,500
2017년 • 가교형R&D 80억원 = 2.5억원 × 지역특화과제 2개 × 10개 단지, 2억원 × 융복합과제 2개 140억원
또는 1개(단지당 차별화)
합 계 1,550 2,650 4,350 6,050 7,670 8,350 7,270 5,670 4,070 2,370 50,000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50억원 = 공동연구법인설립 R&D 지원 5억원 × 10개 단지
국 비 1,780 2,515 3,660 4,805 5,140 5,140 4,465 3,370 2,275 1,555 34,705
• 기획과제비용 10억원 = 1,000만원 × 10개 과제 × 10개 단지
지방비 1,045 865 915 965 1,015 1,015 1,015 1,015 1,015 1,035 9,900 • 가교형R&D 160억원 = 2.5억원 × 지역특화과제 4개 × 10개 단지, 2억원 × 융복합과제 4개
전남 SP 2018년 또는 2개(단지당 차별화) 245억원
민 자 245 550 915 1,280 1,375 1,375 1,150 785 420 180 8,275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75억원 = 공동연구법인설립 R&D 지원 5억원 × 15개 단지(우수지역 한
정 법인 추가 선정)
합 계 3,070 3,930 5,490 7,050 7,530 7,530 6,630 5,170 3,710 2,770 52,880
• 기획과제비용 10억원 = 1,000만원 × 10개 과제 × 10개 단지
국 비 2,225 3,200 4,175 5,150 5,750 4,775 3,800 2,825 1,850 1,250 35,000 • 가교형R&D 240억원 = 2.5억원 × 지역특화과제 6개 × 10개 단지, 2억원 × 융복합과제 6개
2019년 또는 3개(단지당 차별화) 375억원
지방비 650 650 650 650 650 650 650 650 650 650 6,500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125억원 = 공동연구법인설립 R&D 지원 5억원 × 25개 단지(전체 단지
전북 SP 별 추가 법인 선정)
민 자 325 650 975 1,300 1,500 1,175 850 525 200 0 7,500
• 기획과제비용 10억원 = 1,000만원 × 10개 과제 × 10개 단지
합 계 3,200 4,500 5,800 7,100 7,900 6,600 5,300 4,000 2,700 1,900 49,000
• 가교형R&D 320억원 = 2.5억원 × 지역특화과제 8개 × 10개 단지, 2억원 × 융복합과제 8개
2020년 또는 4개(단지당 차별화) 480억원
국 비 3,656 3,551 3,551 3,576 3,551 3,551 3,576 3,551 3,551 3,576 35,690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150억원 = 공동연구법인설립 R&D 지원 5억원 × 30개 단지(우수지역
지방비 764 719 719 744 719 719 744 719 719 744 7,310 한정 법인 추가 선정)
충북 SP
민 자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0 • 가교형R&D 400억원 = 2.5억원 × 지역특화과제 10개 × 10개 단지, 2억원 × 융복합과제
10개 또는 5개(단지당 차별화)
2021년 600억원
합 계 5,220 5,070 5,070 5,120 5,070 5,070 5,120 5,070 5,070 5,120 51,000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200억원 = 공동연구법인설립 R&D 지원 5억원 × 40개 단지(전체 단지
별 추가 법인 선정)
국 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 가교형R&D 320억원 = 2.5억원 × 지역특화과제 8개 × 10개 단지, 2억원 × 융복합과제 8개
지방비 0 0 0 0 0 0 0 0 0 0 0 또는 4개(단지당 차별화, 평가결과에 의거한 기존 사업종료)
사업단 2022년 470억원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150억원 = 공동연구법인설립 R&D 지원 5억원 × 30개 단지(평가결과에
민 자 0 0 0 0 0 0 0 0 0 0 0 의거한 공동연구법인 사업종료)

합 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 가교형R&D 240억원 = 2.5억원 × 지역특화과제 6개 × 10개 단지, 2억원 × 융복합과제 6개
또는 3개(단지당 차별화, 평가결과에 의거한 기존 사업종료)
국 비 22,257 26,944 34,947 42,829 49,181 50,110 45,214 37,535 30,668 22,751 362,435 2023년 365억원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125억원 = 공동연구법인설립 R&D 지원 5억원 × 25개 단지(평가결과에
의거한 공동연구법인 사업종료)
지방비 6,969 6,554 6,684 6,839 6,904 6774 6,759 6,734 6,734 6,759 67,710
합 계
민 자 3,664 5,598 8,149 10,637 12,460 12,926 11,303 8,751 6,463 3,845 83,775 • 가교형R&D 160억원 = 2.5억원 × 지역특화과제 4개 × 10개 단지, 2억원 × 융복합과제 4개
또는 2개(단지당 차별화, 평가결과에 의거한 기존 사업종료)
2024년 235억원
합 계 32,860 39,085 49,770 60,295 68,535 69,800 63,265 53,010 43,855 33,345 513,820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75억원 = 공동연구법인설립 R&D 지원 5억원 × 15개 단지(평가결과에
의거한 공동연구법인 사업종료)

• 가교형R&D 80억원 = 2.5억원 × 지역특화과제 2개 × 10개 단지, 2억원 × 융복합과제 2개


또는 1개(단지당 차별화, 평가결과에 의거한 기존 사업종료)
2025년 130억원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50억원 = 공동연구법인설립 R&D 지원 5억원 × 10개 단지(평가결과에
의거한 공동연구법인 사업종료)

합 계 3,050억원

- 245 - - 246 -
□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구분 산출근거 사업비

• 기술중개 30억원 = 3,000만원 × 10개 기술중개 × 10개 단지


<표 Ⅶ-5>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 연차별 사업비 산출 근거 • 기술저장소 50억원 = 1,000개 특허 저장 × 특허 유지 비용 50만원 × 10개 단지
• 멘토링시스템 10억원 = 멘토단 구성 및 관리·Online시스템 구축 1억원 × 10개 단지
구분 산출근거 사업비 2021년 • 창업경진대회 35억원 = 창업기획 지원 및 경진대회 추진 3.5억원 × 10개 단지 190억원
• 창업아카데미 5억원 = 창업교육 커리큘럼 구성 및 교육지원 0.5억원 × 10개 단지
• 기술중개 30억원 = 3,000만원 × 10개 기술중개 × 10개 단지 • 정책교류회 30억원= (정책성과 포럼 2.5억원 + 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0.5억원) × 10개
• 기술저장소 50억원 = 2단계 활성화사업 기간내 DB구축 및 관리비용 계상 × 10개 단지 단지
• 멘토링시스템 10억원 = 멘토단 구성 및 관리·Online시스템 구축 1억원 × 10개 단지 • 중소기업 네트워크 30억원= 중소기업 네트워크 운영 1.5억원 × 2개 × 10개 단지

2016년 • 창업경진대회 35억원 = 창업기획 지원 및 경진대회 추진 3.5억원 × 10개 단지 190억원


• 기술중개 30억원 = 3,000만원 × 10개 기술중개 × 10개 단지
• 창업아카데미 5억원 = 창업교육 커리큘럼 구성 및 교육지원 0.5억원 × 10개 단지
• 기술저장소 50억원 = 1,000개 특허 저장 × 특허 유지 비용 50만원 × 10개 단지
• 정책교류회 30억원= (정책성과 포럼 2.5억원 + 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0.5억원) × 10개
단지 • 멘토링시스템 10억원 = 멘토단 구성 및 관리·Online시스템 구축 1억원 × 10개 단지
• 중소기업 네트워크 30억원= 중소기업 네트워크 운영 1.5억원 × 2개 × 10개 단지 2022년 • 창업경진대회 35억원 = 창업기획 지원 및 경진대회 추진 3.5억원 × 10개 단지 190억원
• 창업아카데미 5억원 = 창업교육 커리큘럼 구성 및 교육지원 0.5억원 × 10개 단지
• 기술중개 30억원 = 3,000만원 × 10개 기술중개 × 10개 단지 • 정책교류회 30억원= (정책성과 포럼 2.5억원 + 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0.5억원) × 10개
• 기술저장소 10억원 = 200개 특허 저장 × 특허 유지 비용 50만원 × 10개 단지 단지
• 멘토링시스템 10억원 = 멘토단 구성 및 관리·Online시스템 구축 1억원 × 10개 단지 • 중소기업 네트워크 30억원= 중소기업 네트워크 운영 1.5억원 × 2개 × 10개 단지

2017년 • 창업경진대회 35억원 = 창업기획 지원 및 경진대회 추진 3.5억원 × 10개 단지 150억원


• 기술중개 30억원 = 3,000만원 × 10개 기술중개 × 10개 단지
• 창업아카데미 5억원 = 창업교육 커리큘럼 구성 및 교육지원 0.5억원 × 10개 단지
• 기술저장소 50억원 = 1,000개 특허 저장 × 특허 유지 비용 50만원 × 10개 단지
• 정책교류회 30억원= (정책성과 포럼 2.5억원 + 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0.5억원) × 10개
단지 • 멘토링시스템 10억원 = 멘토단 구성 및 관리·Online시스템 구축 1억원 × 10개 단지
• 중소기업 네트워크 30억원= 중소기업 네트워크 운영 1.5억원 × 2개 × 10개 단지 2023년 • 창업경진대회 35억원 = 창업기획 지원 및 경진대회 추진 3.5억원 × 10개 단지 190억원
• 창업아카데미 5억원 = 창업교육 커리큘럼 구성 및 교육지원 0.5억원 × 10개 단지
• 기술중개 30억원 = 3,000만원 × 10개 기술중개 × 10개 단지 • 정책교류회 30억원= (정책성과 포럼 2.5억원 + 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0.5억원) × 10개
• 기술저장소 20억원 = 400개 특허 저장 × 특허 유지 비용 50만원 × 10개 단지 단지
• 멘토링시스템 10억원 = 멘토단 구성 및 관리·Online시스템 구축 1억원 × 10개 단지 • 중소기업 네트워크 30억원= 중소기업 네트워크 운영 1.5억원 × 2개 × 10개 단지

2018년 • 창업경진대회 35억원 = 창업기획 지원 및 경진대회 추진 3.5억원 × 10개 단지 160억원


• 기술중개 30억원 = 3,000만원 × 10개 기술중개 × 10개 단지
• 창업아카데미 5억원 = 창업교육 커리큘럼 구성 및 교육지원 0.5억원 × 10개 단지
• 기술저장소 50억원 = 1,000개 특허 저장 × 특허 유지 비용 50만원 × 10개 단지
• 정책교류회 30억원= (정책성과 포럼 2.5억원 + 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0.5억원) × 10개
단지 • 멘토링시스템 10억원 = 멘토단 구성 및 관리·Online시스템 구축 1억원 × 10개 단지
• 중소기업 네트워크 30억원= 중소기업 네트워크 운영 1.5억원 × 2개 × 10개 단지 2024년 • 창업경진대회 35억원 = 창업기획 지원 및 경진대회 추진 3.5억원 × 10개 단지 190억원
• 창업아카데미 5억원 = 창업교육 커리큘럼 구성 및 교육지원 0.5억원 × 10개 단지
• 기술중개 30억원 = 3,000만원 × 10개 기술중개 × 10개 단지 • 정책교류회 30억원= (정책성과 포럼 2.5억원 + 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0.5억원) × 10개
• 기술저장소 30억원 = 600개 특허 저장 × 특허 유지 비용 50만원 × 10개 단지 단지
• 멘토링시스템 10억원 = 멘토단 구성 및 관리·Online시스템 구축 1억원 × 10개 단지 • 중소기업 네트워크 30억원= 중소기업 네트워크 운영 1.5억원 × 2개 × 10개 단지

2019년 • 창업경진대회 35억원 = 창업기획 지원 및 경진대회 추진 3.5억원 × 10개 단지 170억원


• 기술중개 30억원 = 3,000만원 × 10개 기술중개 × 10개 단지
• 창업아카데미 5억원 = 창업교육 커리큘럼 구성 및 교육지원 0.5억원 × 10개 단지
• 기술저장소 50억원 = 1,000개 특허 저장 × 특허 유지 비용 50만원 × 10개 단지
• 정책교류회 30억원= (정책성과 포럼 2.5억원 + 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0.5억원) × 10개
단지 • 멘토링시스템 10억원 = 멘토단 구성 및 관리·Online시스템 구축 1억원 × 10개 단지
• 중소기업 네트워크 30억원= 중소기업 네트워크 운영 1.5억원 × 2개 × 10개 단지 2025년 • 창업경진대회 35억원 = 창업기획 지원 및 경진대회 추진 3.5억원 × 10개 단지 190억원
• 창업아카데미 5억원 = 창업교육 커리큘럼 구성 및 교육지원 0.5억원 × 10개 단지
• 기술중개 30억원 = 3,000만원 × 10개 기술중개 × 10개 단지 • 정책교류회 30억원= (정책성과 포럼 2.5억원 + 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0.5억원) × 10개
• 기술저장소 40억원 = 800개 특허 저장 × 특허 유지 비용 50만원 × 10개 단지 단지
• 멘토링시스템 10억원 = 멘토단 구성 및 관리·Online시스템 구축 1억원 × 10개 단지 • 중소기업 네트워크 30억원= 중소기업 네트워크 운영 1.5억원 × 2개 × 10개 단지

2020년 • 창업경진대회 35억원 = 창업기획 지원 및 경진대회 추진 3.5억원 × 10개 단지 180억원


• 창업아카데미 5억원 = 창업교육 커리큘럼 구성 및 교육지원 0.5억원 × 10개 단지 합 계 1,800억원
• 정책교류회 30억원= (정책성과 포럼 2.5억원 + 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0.5억원) × 10개
단지
• 중소기업 네트워크 30억원= 중소기업 네트워크 운영 1.5억원 × 2개 × 10개 단지

- 247 - - 248 -
□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사업 구분 산출근거 사업비

• 성과관리지원 3억원 = (진도관리 및 평가 계획 1.5억원(인건비 포함) + 평가위원회 운영 0.5


<표 Ⅶ-6> 지방과학연구단지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사업의 연차별 사업비 산출 근거 억원(연 인원 100명) + 정책연구 0.7억원 + 자문위원회 0.3억원)
2024년 •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7억원 = (통합 DB 구축·운영 1.5억원 + 홈페이지 구축·운영 1.5억원 + 10억원
구분 산출근거 사업비 협의회 운영 0.5억원 + SP 종합워크숍 0.3억원 + 성과전시회 0.7억원 + 성과교류 네트워크
구축 2.5억원(2건 기획, 1개 과제 지원))
• 성과관리지원 3억원 = (진도관리 및 평가 계획 1.5억원(인건비 포함) + 평가위원회 운영 0.5
억원(연 인원 100명) + 정책연구 0.7억원 + 자문위원회 0.3억원)
2016년 10억원 • 성과관리지원 3억원 = (진도관리 및 평가 계획 1.5억원(인건비 포함) + 평가위원회 운영 0.5
•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7억원 = (통합 DB 구축·운영 2.5억원 + 홈페이지 구축·운영 1.5억원 +
억원(연 인원 100명) + 정책연구 0.7억원 + 자문위원회 0.3억원)
협의회 운영 0.5억원 + SP 종합워크숍 0.3억원 + 성과전시회 0.7억원 + 성과교류 네트워크
2025년 •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7억원 = (통합 DB 구축·운영 1.5억원 + 홈페이지 구축·운영 1.5억원 + 10억원
구축 1.5억원(2건 기획))
협의회 운영 0.5억원 + SP 종합워크숍 0.3억원 + 성과전시회 0.7억원 + 성과교류 네트워크
• 성과관리지원 3억원 = (진도관리 및 평가 계획 1.5억원(인건비 포함) + 평가위원회 운영 0.5 구축 2.5억원(2건 기획, 1개 과제 지원))
억원(연 인원 100명) + 정책연구 0.7억원 + 자문위원회 0.3억원)
2017년 •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7억원 = (통합 DB 구축·운영 1.5억원 + 홈페이지 구축·운영 1.5억원 + 10억원 합 계 100억원
협의회 운영 0.5억원 + SP 종합워크숍 0.3억원 + 성과전시회 0.7억원 + 성과교류 네트워크
구축 2.5억원(2건 기획, 1개 과제 지원))

• 성과관리지원 3억원 = (진도관리 및 평가 계획 1.5억원(인건비 포함) + 평가위원회 운영 0.5


억원(연 인원 100명) + 정책연구 0.7억원 + 자문위원회 0.3억원)
2018년 •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7억원 = (통합 DB 구축·운영 1.5억원 + 홈페이지 구축·운영 1.5억원 + 10억원
협의회 운영 0.5억원 + SP 종합워크숍 0.3억원 + 성과전시회 0.7억원 + 성과교류 네트워크
구축 2.5억원(2건 기획, 1개 과제 지원))

• 성과관리지원 3억원 = (진도관리 및 평가 계획 1.5억원(인건비 포함) + 평가위원회 운영 0.5


억원(연 인원 100명) + 정책연구 0.7억원 + 자문위원회 0.3억원)
2019년 •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7억원 = (통합 DB 구축·운영 1.5억원 + 홈페이지 구축·운영 1.5억원 + 10억원
협의회 운영 0.5억원 + SP 종합워크숍 0.3억원 + 성과전시회 0.7억원 + 성과교류 네트워크
구축 2.5억원(2건 기획, 1개 과제 지원))

• 성과관리지원 3억원 = (진도관리 및 평가 계획 1.5억원(인건비 포함) + 평가위원회 운영 0.5


억원(연 인원 100명) + 정책연구 0.7억원 + 자문위원회 0.3억원)
2020년 •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7억원 = (통합 DB 구축·운영 1.5억원 + 홈페이지 구축·운영 1.5억원 + 10억원
협의회 운영 0.5억원 + SP 종합워크숍 0.3억원 + 성과전시회 0.7억원 + 성과교류 네트워크
구축 2.5억원(2건 기획, 1개 과제 지원))

• 성과관리지원 3억원 = (진도관리 및 평가 계획 1.5억원(인건비 포함) + 평가위원회 운영 0.5


억원(연 인원 100명) + 정책연구 0.7억원 + 자문위원회 0.3억원)
2021년 •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7억원 = (통합 DB 구축·운영 1.5억원 + 홈페이지 구축·운영 1.5억원 + 10억원
협의회 운영 0.5억원 + SP 종합워크숍 0.3억원 + 성과전시회 0.7억원 + 성과교류 네트워크
구축 2.5억원(2건 기획, 1개 과제 지원))

• 성과관리지원 3억원 = (진도관리 및 평가 계획 1.5억원(인건비 포함) + 평가위원회 운영 0.5


억원(연 인원 100명) + 정책연구 0.7억원 + 자문위원회 0.3억원)
2022년 •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7억원 = (통합 DB 구축·운영 1.5억원 + 홈페이지 구축·운영 1.5억원 + 10억원
협의회 운영 0.5억원 + SP 종합워크숍 0.3억원 + 성과전시회 0.7억원 + 성과교류 네트워크
구축 2.5억원(2건 기획, 1개 과제 지원))

• 성과관리지원 3억원 = (진도관리 및 평가 계획 1.5억원(인건비 포함) + 평가위원회 운영 0.5


억원(연 인원 100명) + 정책연구 0.7억원 + 자문위원회 0.3억원)
2023년 • 성과확산교류 활성화 7억원 = (통합 DB 구축·운영 1.5억원 + 홈페이지 구축·운영 1.5억원 + 10억원
협의회 운영 0.5억원 + SP 종합워크숍 0.3억원 + 성과전시회 0.7억원 + 성과교류 네트워크
구축 2.5억원(2건 기획, 1개 과제 지원))

- 249 - - 250 -
Ⅷ. 기대효과 및 타당성 2 경제적 타당성 분석

가.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 지역수요기반 R&D-


1 기대효과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특허활용 창업기획 연계 경제적 파급효과

가. 정량적 기대효과 ① 경제적 파급효과

○ 기초연구성과의 활용도 제고 및 지역과학기술역량 강화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의 R&D 성과물인 특허를 기반으로 창업기업
- 2025년 기준 국내외 우수 특허 917건, 특허이전건수 3,300건 299개, 일자리 7,000여개 등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
- 2025년 기준 특허이전율 5%, 특허이전 건당 기술료 평균 25백만 원 달성
○ 특허의 가치는 사업화 성공에 따른 매출에 기인하므로 특허에 기반하여 창출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및 창업기획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되는 창업기업의 매출 및 고용을 최종 경제적 가치로 산정
- 2025년 기준 신규 일자리 5,535개 창출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을 통해 특허가 창출되며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및
- 2025년 기준 아이디어 창업 150개, R&D 창출 특허 기반 기술창업 123개 달성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을 통해 창업 및 성장으로 이어짐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추진과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을 통해 특허활용률
나. 정성적 기대효과
및 사업화성공률과 창업기업생존율이 향상

○ 기초연구성과의 활용도 제고 및 지역과학기술혁신역량 강화


<그림 Ⅷ-1> 지방과학연구단지사업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 지역 R&D 기획을 바탕으로 기초연구성과의 기술적 검증과 사업화 가능
성을 탐색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초·응용 연구역량을 보완함으로써, 지역 특화 분야 관련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도모

○ 기술사업화 강화를 통해 지역신성장동력산업 육성


- 지역기반형 기술이전·사업화, 지역 특화 신기술 창출, 산·학·연 네트워크 강화
등을 통해 지역 고유의 과학기술활동 확산
- 산·학·연 협력체제 구축을 통해 지역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 지역별 통합적인 과학·산업기술 생태계 조성을 통해 지역경제의 활성화 달성 ○ 지방과학연구단지 사업의 경제적 편익은 특허 기반 창업기업의 매출 발생과
○ ‘기술중개-가교형 연구-창업기획’의 일체형 지원으로 지역창조경제생태계 조성 그로 인한 편익으로 추정

- 지역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중개·이전함으로써 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 R&D 투입 5년 후 창업기업의 매출이 발생하고 그 후 10년 간 지속적으로
매출이 발생한다고 가정
- 가교형 연구를 통해 기초·원천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지역기업의 새로운 먹거리
창출 ※ 특허권리 유지기간이 20년임을 감안하여 5년의 회임기간과 이후 10년 간 가치를
창출한다고 가정
- 기술기반의 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

- 251 - - 252 -
※ 대학 및 공공(연)이 보유한 특허권 중 외부 타 기관으로 이전되거나 실험실 창업, 연구
지방과학연구단지 = 특허 기반 창업기업 수 × 생존율 × 기업당 연간 매출액 × 원 창업 등에 활용된 비율인 등록특허활용률은 29.4%(’09), 30.3%(’10), 29.4%(’11),
사업성과의 경제적 편익 매출증가율 × 부가가치율 15.4%(’12) (’12,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등록특허 활용으로 창출되는 창조기업이 매출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사업화
= 전체 특허 수 × 등록특허 활용률 × 사업화성공률 에 성공해야 하는데,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이 지역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특허 기반 창업기업 수
÷ 창업 필요 특허 수 것으로 사업화성공율은 기존 사업보다 높은 60%로 설정
※‘중소기업 기술혁신 5개년계획(2009∼2013)’에서 R&D 성과 사업화성공율 60% 목표 제
- 등록특허 활용률은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사업 모두 기업이
시(중소기업청, ‘09)
참여하므로 특허활용률은 100%에 근접할것이며, 적어도 기존 대학 등록특
※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사업의 사업화성공률은 42.1% (’11, 기술과 가치)
허활용률의 2배 정도인 60%는 달성할 것임 - 창업에 필요한 특허 수는 창업기 벤처기업의 평균 보유 특허 수를 활용

※ 미래부 원천연구분야 사업 등록특허(2010~2012)의 미활용율은 18.7%로 81.3%는 활용됨 ※ 창업기 벤처기업의 평균 보유 특허권은 1.1개(’12, 벤처기업협회)
- 기업당 연간 매출액은 창업기 벤처기업의 평균 매출액을 활용
<표 Ⅷ-1> 원천연구분야 등록특허 활용현황(2012~2012 누적)
(단위: 개) ※ 창업기 벤처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80,083 만 원 (’12, 벤처기업협회)
세부사업명 제품화 유상실시
기술이전 보유기관
미활용 총합계
※ 창업기 벤처기업의 평균 매출액증가율은 14% (’12, 벤처기업협회)
준비 자체활용
- R&D 성과인 특허에 기반한 창업으로 기술력이 뛰어난 만큼 기업 생존율도
21세기프론티어우수·유망기술도약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생존율이 매년 6%씩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
0 0 9 2 1 12
지원사업
※ 2005년 교수․연구원이 창업한 162개 기업 중 평균 생존율은 3년차 84.6%, 5년차
77.2%로 나타남(창업진흥원조사결과, 전자신문, ’11)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0 21 231 142 89 483
KOREA CCS2020사업 0 2 1 0 0 3
공공복지안전기술개발사업 0 0 10 13 1 24 - 부가가치율 반영
글로벌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1 1 8 13 12 35 ※ 부가가치율은 36.9% (한국은행 ‘2010 산업연관표 작성결과’)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2 2 10 4 3 21
- 편익 현가는 2016년 기준으로 할인율 5.5%를 적용하여 계산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0 3 7 2 1 13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1 0 9 15 6 31 ○ 사업화성공율 목표 및 창업기업 생존율에 따라 세가지 시나리오 설정
미래기반기술개발(나노분야) 0 2 23 64 28 117 - 시나리오 1 : 사업화성공율 60% 달성, 창업기업 생존율은 매년 6%씩 감소
미래기반기술개발(차세대바이오원 - 시나리오 2 : 사업화성공율 42.1% 유지, 창업기업 생존율은 매년 6%씩 감소
0 3 46 101 24 74
천분야)
미래유망파이오니어사업 11 7 38 105 19 180
- 시나리오 3 : 사업화성공률 60% 달성, 창업기업 생존율은 광공업 평균 생존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1 9 71 162 54 297


율에 따름

바이오신약장기사업 0 0 0 0 0 0 ※ 통계청 기업생멸통계 기준 : 1년 생존율(69.9%), 2년 생존율(57.9%), 3년 생존율


차세대정보컴퓨팅기술개발사업 3 0 0 7 17 27 (50.2%), 4년 생존율(45.3%), 5년 생존율(41.9%), 이후는 3%씩 감소
첨단사이언스교육허브개발사업 3 0 0 1 0 4
23 63 477 653 279 1495
총합계
(1.5%) (4.2%) (31.9%) (43.7%) (18.7%)

- 253 - - 254 -
<표 Ⅷ-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경제적 편익 ② 비용편익분석
(단위: 개, 억원)

시나리오 1 시나리오 2 시나리오 3


□ 지역수요기반 R&D 결과물을 활용한 창업으로 인한 비용편익분석 결과 충
연도 특허성과 분히 경제성이 있음
편익
편익현가 편익 산정액 편익현가 편익 산정액 편익현가
산정액
○ 창업기업의 고용으로 인한 일자리창출 효과를 고려한다면 본 사업의 경제성은
2016 0
충분
2017 45
※ 창업기업 생존율은 매년 6%씩 감소하며, 생존 기업은 매년 3명을 신규 채용
○ 일반적인 경제성 분석 기준인 R&D 투자 비용만을 고려하였을 경우 모든 경우
2018 74

2019 113
B/C가 1 이상
2020 144

2021 180 0 0 0 0 0 0 <표 Ⅷ-3>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경제적 편익 분석 결과


2022 141 43 32 31 22 43 32 B/C
구분
2023 110 118 81 83 57 106 73 비용(R&D 투자 3,050억)
2024 71 235 153 165 107 198 129 시나리오 1 1.88

2025 39 390 241 273 169 312 192 시나리오 2 1.32


시나리오 3 1.24
2026 589 345 414 242 452 265

○ 민감도 분석 결과 모든 경우 B/C는 1 이상으로 경제성이 있음


2027 763 424 536 297 549 305

2028 916 482 643 338 626 329

2029 1036 517 727 363 678 338 - 저금리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할인율은 5.5% 보다 낮을 것으로 판단

2030 1128 533 792 374 715 338


되며, 이 경우 B/C는 모든 경우 2에 근접

2031 1180 528 828 371 730 327


<표 Ⅷ-4>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할인율 변화에 따른 편익 분석 결과
2032 1228 521 862 366 750 318

2033 1201 483 843 339 732 295 B/C


구분
비용(R&D 투자 3,050억)
2034 1125 429 790 301 683 261
할인율 5.5% 1.88
2035 983 356 690 249 593 214 시나리오 1
할인율 3.5% 2.49
2036 789 270 553 190 465 159
할인율 5.5% 1.32
시나리오 2
2037 530 172 372 121 310 101 할인율 3.5% 1.75
2038 326 100 229 70 186 57 할인율 5.5% 1.24
시나리오 3
2039 165 48 115 34 91 27 할인율 3.5% 1.63

2040 60 17 42 12 30 8

합계 917 12,806 5,732 8,985 4,022 8251 3,768 - 투입이 증가함에도 목표 성과가 동일한 경우를 제외하면 경제성은 양호

- 255 - - 256 -
<표 Ⅷ-5>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투입(사업비) 변화에 따른 편익 분석 결과
- 부가가치율 반영

구분
B/C
※부가가치율은 36.9% (한국은행 ‘2010 산업연관표 작성결과’)
투입 -20%
비용(R&D 투자 3,050억)

2.35
○ 편익 현가는 2016년 기준으로 할인율 5.5%를 적용하여 계상
시나리오 1 투입 0% 1.88
<표 Ⅷ-6>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사업의 경제적 편익
투입 +20% 1.57 (단위: 백만원)

투입 -20% 1.65 이전된 기술의 할인율 5.5% 할인율 3.5%


시나리오 2 투입 0% 1.32 연도 기술이전 수입 매출발생으로 총 편익
인한 편익 편익현가 편익현가
투입 +20% 1.10
2016 0 0 0 0 0
투입 -20% 1.54
2017 1600 2952 4552 4315 4398
시나리오 3 투입 0% 1.24
2018 3200 5904 9104 8180 8499
투입 +20% 1.03
2019 4800 8856 13656 11630 12317

2020 6400 11808 18208 14698 15867

나. 지역연구개발 성과활용 기반구축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2021 12500 23063 35563 27210 29943

2022 12500 23063 35563 25792 28930


①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2023 12500 23063 35563 24447 27952

2024 12500 23063 35563 23172 27007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방법
2025 12500 23063 35563 21964 26093

○ 특허이전수입 및 이전된 기술의 매출발생으로 인한 편익을 지식재산 활용도 합계 78,500 144,833 223,333 161,407 181,005

제고 사업의 편익으로 계상하며, 10년 간 소요예산 700억 원을 비용으로 계상

□ 지식재산활용도제고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결과, B/C는 2.3~2.6 수준임


지식재산
활용도제고 사업의 = 기술이전 수입 + 이전된 기술의 매출 발생으로 인한 편익
경제적 편익 ○ 할인율 5.5% 적용 시 B/C는 2.31이며, 할인율 3.5% 적용 시 B/C는 2.59
이전된 기술의 - 저금리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할인율은 5.5% 보다 낮을 것으로 판단
매출발생으로 인한 = 기술이전 기업의 매출 증대분 × 부가가치율
되며, 이 경우 B/C는 2.6 정도 수준임
편익

- 특허이전수입은 대부분 선급금으로 이를 10년간 매출액의 2%를 로열티로 <표 Ⅷ-7>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사업의 경제적 편익 분석 결과

받는 것과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매출증대분 계산 구분 B/C

※국내대학의 기술료수입중 경상기술료(로열티) 수입은 5.32%(한국연구재단, ‘12) 할인율 5.5% 2.31

※국가연구개발사업 기술료 제도 설문조사 결과(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14) : 경상기술 할인율 3.5% 2.59


료율(매출액)의 적정수준으로 대기업은 매출액의 4.5%, 중견기업은 2.74%, 중소기업은
1.03% 수준이라고 응답
○ 민감도 분석 결과 거의 모든 경우 B/C는 2를 상회함
- 257 - - 258 -
<표 Ⅷ-8>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사업의 투입(사업비) 변화에 따른 편익 분석 결과 <표 Ⅷ-9>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경제적 편익
(단위: 개, 억원)
구분 B/C

투입 -20% 2.88 할인율 5.5% 할인율 3.5%


연도 아이디어창업 편익 산정액
할인율 5.5% 투입 0% 2.31 편익현가 편익 현가
2016 0 0 0 0
투입 +20% 1.92
2017 0 0 0 0
투입 -20% 3.23
2018 10 8 7 7
할인율 3.5% 투입 0% 2.59
2019 10 14 12 13
투입 +20% 2.15 2020 10 20 16 18
2021 20 34 26 29
2022 20 47 34 38
2023 20 59 41 47
②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2024 30 80 52 61
2025 30 100 62 73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방법 2026 96 56 68
2027 97 54 67
○ 특허활용창업기획사업의 경제적 편익은 창업경진대회 추진을 통해 새롭게 탄 2028 99 52 65
생된 아이디어 창업기업의 매출 발생으로 추정 2029 95 47 61

- 창업경진대회 추진 1년 후 아이디어창업기업의 매출이 발생하고 그 후 10년 2030 91 43 56

간 지속적으로 매출이 발생한다고 가정 2031 86 38 51


2032 73 31 42

특허활용창업기획 = 아이디어 창업기업 수 × 생존율 × 기업당 연간 매출액 × 2033 59 24 33


사업성과의 경제적 편익 매출증가율 2034 43 16 23
2035 19 7 10
- 기업 당 연간 매출액은 1인 창조기업 평균매출액 활용, 창업기업임을 감안하여 합계 150 1120 619 762

8천만원으로 추정하고 매출액증가율은 벤처기업 증가율을 활용


※ 1인창조기업의 ‘12년 기준 평균 매출액은 1억 55백만 원 (’12, 중소기업청)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결과, B/C는 1.2~1.5 수준으로
※ 창업기 벤처기업의 평균 매출액증가율은 14% (’12, 벤처기업협회) 경제성은 충분함

○ 할인율 5.5% 적용 시 B/C는 1.24이며, 할인율 3.5% 적용 시 B/C는 1.52


- 아이디어창업인 만큼 생존율은 광공업 평균 생존율 적용
※ 통계청 기업생멸통계 기준 : 1년 생존율(69.9%), 2년 생존율(57.9%), 3년 생존율(50.2%),
4년 생존율(45.3%), 5년 생존율(41.9%), 이후는 3%씩 감소 - 저금리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할인율은 5.5% 보다 낮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

○ 편익 현가는 2016년 기준으로 할인율 5.5%를 적용하여 계산 경우 B/C는 1.5 수준까지 증가

○ 10년 간 소요예산 500억 원을 비용으로 계상

- 259 - - 260 -
<표 Ⅷ-10>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경제적 편익 분석 결과 □ 일자리 창출 효과를 고려하면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의 경제성은 충분
구분 B/C

할인율 5.5% 1.24


○ 본 사업이 끝나는 2025년 기준, 약 5천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됨
할인율 3.5% 1.52 - 박사 후 과정 연구인력 신규 일자리 255개
- 기술이전을 통한 매출증대로 인한 신규 일자리 4,070개

○ 민감도 분석 결과 동일 목표 대비 비용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B/C는 1을 상회하여 - 아이디어창업을 통한 신규 일자리 367개


경제성은 충분함 - 기술창업을 통한 신규 일자리 843개

<표 Ⅷ-11>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사업의 투입(사업비) 변화에 따른 편익 분석 결과 ○ 아이디어 창업이나 기술창업의 경우, 기업이 성장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신규
구분 B/C 고용이 발생하므로 이를 감안한다면 2040년 기준 약 7천개의 신규 일자리가

투입 -20% 1.55
추가 창출됨

할인율 5.5% 투입 0% 1.24 - 아이디어창업을 통한 신규 일자리 428개 추가 창출


투입 +20% 1.03 - 기술창업을 통한 신규 일자리 6,374개 추가 창출

다.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전체의 경제적 파급효과

□ 편익분석 결과,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은 충분히 경제성이 있음

○ 세부사업의 B/C는 1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세부사업의 경제성은 충분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전체의 B/C는 모든 경우 1을 상회함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전체의 편익은 각 세부사업 편익의 합으로 계산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전체의 비용은 전체 소요예산 4,950억 원

<표 Ⅷ-12>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전체의 경제적 편익 분석 결과

B/C
지역수요기반R&D-지식재산활용도제고-특허활용창업기
획 연계로 인한 편익 산정에 따른 구분 할인율 5.5% 할인율 3.5%

시나리오 1 적용 시 1.64 2.10

시나리오 2 적용 시 1.29 1.63

시나리오 3 적용 시 1.24 1.55

- 261 - - 262 -
24. 통계청(http://www.kostat.go.kr), 기업생별통계
참고문헌
25. 한국경제 (2013), ‘한국, 기술경쟁력 2위에서 11위로 추락’
2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
1. 감사연구원 (2011), 『지방 R&D 사업 추진실태 분석』 2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201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2.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 제 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연구』 미래창조과학부
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 제 3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1년도 추진실전 28.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 2011년도 연구개발활동 조사보고서, 국가과학
(안)』 기술위원회
4.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과학연구단지 중심의 R&D 허브화 전략과 과제, 경북테 29.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2010년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이해도 조사 결과 보
크노파크 전략사업기획단 고서』
5. 국토연구원 (2010), 해외의 통합적 지역개발 추진시책과 시사점, 국토정책브리프 30. 한국개발연구원 (2010),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2단계) 예비타당성조사
제 295호 31. 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7), 2단계 테크노파크 조성사업 기획
6. 기술과가치 (2011), 2011년도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성과분석보고서, 중소 32. 한국산업단지공단 (2011), 국가산업단지 산업동향
기업청 33.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2), 2012년도 지식재산활동 실태조사, 특허청
7. 기획재정부 (2011), 『 지역 R&D 현황 및 개선방향』 34.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3),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유출방치를 위한 소고
8. 김성진 (2010),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기획 보고서, KISTEP 35. 한국연구재단 (2013), 2011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9. 더비엔아이 (2013), 지역과학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우수인재 유치활용 및 선진 연구지 36. 한국연구재단 (2013), 2012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보고서,
원체계 마련에 관한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교육과학기술부
10. 배성오 등 (2012), 과학기술 핵심인재 10만 양병을 위한 제언, 삼성경제연구소 37.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ecos.bok.or.kr
11. 벤처기업협회 (2012), 2012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중소기업청 38. IMD(2012), 2012세계경쟁력 보고서
12. 산업연구원 (2013), 지역산업 고용구조 변화와 일자리 창출 전략 39. David B. Audretsch, Max Keilbach (2008), Resolving the knowledge paradox:
13. 삼성경제연구소 (2013), 주요국 신정부의 경제정책방향 Knowledge-spillover entrepreneurship and economic growth, Reserch Policy
14. 삼성경제연구소 (2012), 탈도시화는 시작되는가? 40. IP Bewertungs AG(IPB), www.ipb-ag.com
15. 안성조, 이성근 (2012),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테크노파크 기능분석’, 지방 41. IP Bewertungs AG(IPB), commercializing technology through patent value funds
행정연구, 제 26권 제3호 42. Ocean Tomo, www.ceantomo.com
16. 양혜영 (2006),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 한국과 43. OECD (2008), Open Innovation in Global Networks, Paris: OECD
학기술기획평가원 44. OECD, Revenue Statistics
17. 유승준,김성진 (2010), 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 강화방안, 한국과학기술기획 45. Jensen R. and Thursby. M (2001), "Proofs and Prototypes for Sale: The
평가원 Licensing of University Inventions, American Economic Review, vol.91.no.1
18. 이상필 (2007), 지방과학연구단지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KISTI 46. Mian, S. A. and Willem Hulsink. (2009), Building Knowledge Ecosystems
19. 이윤준 외 (2011), 신성장동력 사업가 지역혁신 사업의 연계 전략, 과학기술정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26th IASP World Conference on Science
책연구원 and Technology Parks, Research Triangle Park, NC
20. 이윤준 외 (2012),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방안 수립,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1. 전자신문 (2013), 2013 대학 지식재산 경쟁력 평가
22. 전자신문 (2011), 기술창업, 국가의 미래 성장엔진이다
23.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13),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 263 - - 264 -
[부록]

지방과학연구단지별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2단계)
기획서
강원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The Second Stag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Gangwon Science Park)

연구기관: 강원과학기술진흥센터

연구책임자: 최용석
< 목 차>

Ⅰ.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271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271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및 입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273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
··
··
··
··
··
··
··
··
··
··
··
··
··
··
·274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4
2. 1단계 사업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7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
··
··
··
··
·280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280
2. 최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2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3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1
5.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3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4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6
8. 연구원 편성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7
9.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7

[첨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8

- 269 -
3) 과학기술진흥센터 인원 현황
I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소 속 직위 성명 참여율(%) 비 고
과학기술진흥센터 센터장 조현능 30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팀장 조이현 30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인원 과장 조은정 50


과학기술진흥팀 대리 박영훈 50
1) 주관기관 조직도
연구원 김소영 30
□ 주관기관 : 강릉과학산업진흥원 연구원 진정은 30
□ 조직구성 : 2단, 1센터, 1실, 7팀 팀장 최용석 50
□ 근무인원 : 총 43명(‘14. 4 기준, 정규직 : 29, 위촉직 및 기타 : 14)
과장 이윤식 50
비철금속
대리 신범식 50
소재지원팀
주임 홍동표 50
연구원 김기백 20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예산

년도
2013 결산 2014예산(안) 증 감
구분

정부출연금 3,104,000 799,993 △2,304,007

지자체출연금 300,000 359,080 59,080

2)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도 기타 671,060 646,361 △24,699

수 입(A) 4,075,060 1,805,434 △2,269,626

사업비 3,404,600 1,159,326 △2,245,274

운영비 670,460 646,108 △24,352

지 출(B) 3,544,626 383,125 △3,161,501

A-B 530,434 1,422,309 891,895

- 271 - - 272 -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입주 현황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현황
□ 목적 : 환동해권 과학기술 R&D허브 구축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기간 : 2007. 9 ~ 2010. 1
□ 총사업비 : 14,536백만원(국비 2,036, 도비 5,000, 시비 7,500)
가. 최종 연구목표

□ 위치 : 강릉시 과학단지로 106-11(대전동 897-2) □ 강릉과학산업단지를 환동해권 과학기술 R&D 거전 지역으로 육성

□ 규모 : 지하 1층, 지상 5층 □ 결과의 산업화 촉진을 위한 기업지원시설 구축, 연구개발 및 기술·


R&D

ㅇ 대지면적 : 약 9,919m² 정보 교류 지원 인프라 구축


ㅇ 연 면 적 : 약 8,367m² □ 기업지원 서비스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산업 클러스터 경쟁력 강화
□ 주요시설 : 비즈니스센터, 연구분석실, R&D지원실, 게스트하우스 등 □ 국내외 전문연구 및 기술인력 양성지원을 통한 연구기관, 산업체, 대학
등 연구단지 활성화 및 연구역량 강화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 현황

1) 강원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기업 및 기관 현황 나. 연차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 입주기업 및 기관 : 7개
달성도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
분야 연구기관 기업부설연구소 일반 및 벤처기업
∘강릉R&D혁신지원센터 건립
메디컬 한국식품연구원 타당성 조사
바이오 독일프라운호퍼 공정공학·포장연구소 센터건축 기본계획 수립 100%
∘조달청 전부대행 서비스 약정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지역본부, (설계, 공사, 감리 일괄 관리)
융복합 ’06
RIST 강원산업 기술연구소,
신소재
한국세라믹기술원, 고등기술원 ∘연구개발과제 추진계획 수립
연구개발지원 R&D역량 강화 (‘07.10.31) 100%
기타 특허 법률사무소
∘연구과제 1개 과제 선정 지원

합 계 6개 연구기관 - 1개 기관 산·학·연·관 협력 ∘세미나 1회, 박람회 1회


기술/정보교류 100%
네트워크 구축 ∘해양바이오 기업네트워크 구축

∘기업 및 제품 인증확보/컨설팅
2) 강원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율 ’06 기업지원 기업경쟁력 강화 100
지원(11개 기업 13건 지원)
□ 2010년 3월부터 연구기관의 입주가 시작되었으며, 1단계 종료 시점 ∘R&D인력양성 및 재직자 교육
인력양성 지역 R&D 인력양성 100
100% 입주율을 보임 시행(132명 교육)

□ 센터 입주기관은 주로 국·공립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입주가 되었으며, 향 센터 기본 및 실시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센터건축 100
설계 (07.12 ~ ‘08.06)
후 일부 연구기관의 기능을 확대하여 자체 건물을 확보하여 퇴거 하게
’07
되면 기업 부설 연구소 중심으로 센터에 신규 입주 시킬 예정임 ∘ 연구개발과제 추진
연구개발지원 R&D역량 강화 100
(1개 기관 과제선정 지원)

- 273 - - 274 -
달성도 달성도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 (%)

∘심포지엄 3회, 워크숍 2회, 포럼 ∘세미나 9회, 심포지엄 3회,


산·학·연·관 협력
1회 개최 기술/정보 교류 연구회 5회 100
산·학·연·관 협력 네트 워크 구축
’07 기술/정보교류 ∘세라믹분야 해외 전문가 초청· 100% ∘2010 강원과학축전 개최
네트 워크 구축
활용사업
∘지역특화산업 연구개발 수요조사 ’10 ∘ 인증 및 지식재산권 확보 지원
기업지원 기업경쟁력 강화 100
(11개 기업 13건 지원)
센터건축 센터착공 ∘센터 건축 착공(‘07.09.17) 100%
∘R&D역량 강화 및 인력양성
인력양성 지역 R&D 인력양성 100%
(40명 교육)
연구개발지원 R&D역량 강화 ∘연구개발 과제 관리(2개 과제) 100%
∘ 2차 수요조사
’08 ∘세미나 3회, 심포지엄 2회, (71개 기업 및 연구소)
산·학·연·관 협력 장비 수요조사 100%
기술/정보교류 박 람회 2회, 엑스포 1회 등 100% ∘ 2차 장비도입심의위원회 개최
네트워크 구축 장비구축
네트워킹 사업 추진 (‘11.07.27)
∘2차 구축
∘기업 및 제품 인증확보지원 공용장비 구축 100%
기업지원 기업경쟁력 강화 100% (1,596백만원, 27종 29대)
(1개 기업 1건 지원)
∘계속과제 관리
∘센터건립 공정율 98% 진행
(10개 과제 중간 평가)
센터건축 센터건립 - 규모 : 지하1층 지상5층 100%
∘지역 산·학·연 공동기술개발과제
- 연면적 : 8367.84m² 연구개발지원 R&D역량 강화 100%
선정 및 관리(17개 과제)
∘ 상용화 연구개발과제 추진 ’11~ ∘국공립연구소 유치 연계 연구
( 9개 선정 지원) ‘12 개발과제(2개 과제)
연구개발지원 R&D역량 강화 100%
∘국공립연구소 유치 연계 R&D
지원 ( 한식연 과제 선정 지원) ∘심포지엄 1회, 포럼 1회, 연구회
’09 산·학·연·관 협력
기술/정보교류 2회 100%
∘세미나 6회, 심포지엄 1회, 네트 워크 구축
기술 및 정보교 산·학·연·관 협력 ∘한·러 바이오 협력센터 운영
연구회 8회 100%
류 네트워크 구축
∘강릉과학산업 뉴스레터 제작
∘ 인증, 시제품 등 기업지원
기업지원 기업경쟁력 강화 100%
∘기업지원프로그램 시행 (18개 기업 24건 지원)
기업지원 기업경쟁력 강화 (17개 기업 인증, 시제품, 100%
홍보물, 특허 등 19건 지원)
∘R&D역량 강화 교육
∘센터준공/개원 인력양성 지역 R&D 인력양성 100%
센터건축 센터 준공 및 개원 100% (33명 교육, 8개 기업9명 취업)
(준공 ‘10.01.26, 개원: ’10.07.21)

∘1차 수요조사 및 장비심의위원회


수요조사 100%
( ‘10.09.17)
’10 장비구축
∘1차 장비 구축
공용장비 구축 100%
(25종 26대, 704백만원)

∘산학공동연구개발과제 선정 지원
연구개발지원 R&D역량 강화 100%
(9개 과제 선정 지원)

- 275 - - 276 -
2.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 성과 □ 센터 연구장비 운영개요
ㅇ 운영인력 : 총 2명
가. 센터건립 성과 ㅇ 운영현황 및 성과
□ 강원지역 산·학·연 교류 협력을 위한 과학기술 R&D 허브 구축
  년도
ㅇ 첨단 기술정보 교류를 위한 국내외 기술혁신 네트워크 구축 2010 2011 2012 2013
구분  

□ 강원 과학단지 및 R&D 센터 내 국내외 연구소 및 기업 유치 총 장비활용률(%) - 24.6 28.1 30.4


구입비가중 활용률
ㅇ 연구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으로 연구단지 연구개발 역량 강화 - 4.55 33.21 41.21
(%)
총 지원 건수 - 53 564 839
□ 강원 영동권 특화산업인 해양바이오, 세라믹신소재 산업 집적화
ㅇ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로 성장동력 산업 육성 활용 기업/기관수 - 5 18 21

수익금(백만원) - 5.2 37.5 52.6

나. 연구장비 구축성과
다. R&D 지원성과
□ 연구장비 구축개요
□ 사업개요
ㅇ 구축목적 : 지역특화분야 연구·분석장비 확충을 통한 연구역량 강화 및
ㅇ 사 업 명 : R&D과제 지원사업
효율적인 장비활용을 위한 운영시스템 구축
ㅇ 목 적 : R&D 지원으로 확보된 원천 및 응용기술로 R&D 역량 강화
ㅇ 구축장비 : 방출분광기 등 50종 53대
ㅇ 지원분야 : 바이오, 신소재(세라믹, 비철), 의료기기, IT
ㅇ 구축장소 : 강원과학기술진흥센터 4층 2개실, 5층 4개실
ㅇ 지원내용 : 산학 공동연구과제, 기업주관 과제, 연구기관주관 과제 등
ㅇ 도입기간 : ‘10. 1 ∼ ’12. 10
ㅇ 도입예산 : 23억원 □ 지원현황
ㅇ 지원기간 : ‘06. 12. ~ ’12. 12
□ 구축 추진경과
ㅇ 지원금액 : 40건, 7,216백만원(현금 7,216)
ㅇ 센터 연구장비 1차 구축(‘10. 8 ∼ ’11. 5)
ㅇ 선정년도 : ‘07년 2건, ’09년 10건, ‘10년 9건, ’11년 19건
­ ‘10. 8 : 연구장비구축 수요조사
­ ‘10. 9 : 심의위원회 개최 및 기술 검토, 연구장비 조달청 구매의뢰 □ 주요성과
­ ‘11. 5 : 1차 장비 구축 완료 실적(건)
구 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합 계
­ ‘11. 6 : 장비운영인력 교육 및 활용
SCI 급 1 8 11 3 23

등재지 3 6 7 1 17

ㅇ 센터 연구장비 2차 구축(‘11. 1 ∼ ’12. 10) 학술발표 1 10 37 19 67
­ ‘11. 1 : 연구장비구축 2차 수요조사 지 특허출원 3 7 9 11 2 32
재 특허등록 1 1 4 6
­ ‘11. 7 : 심의위원회 개최 및 기술 검토, 연구장비 조달청 구매의뢰 권 상표등록 0
­ ‘12. 10 : 2차 장비 구축 완료 기술이전 0
시제품 2 3 1 6
­ ‘12. 11 : 장비운영인력 교육 및 활용
합 계 1 5 25 61 49 10 151

- 277 - - 278 -
라. 기타성과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기술 및 정보교류 네트워크 운영
ㅇ 목 적 : 산학연관 연계 교류행사를 통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
ㅇ 기 간 : ‘06. 11 ~ ’12. 12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ㅇ 사 업 비 : 10.27억원
ㅇ 운영내용 : 세미나, 포럼, 워크숍, 연구회 등 정보 교류 네트워크 91회 운영 □ 지역의견 수렴

­ 세미나, 포럼, 심포지엄, 워크숍, 연구회 등 개최 ㅇ 1단계 SP 사업에 대하여 강원도, 강릉시, 기업, 연구소 관계자로 구성된
­ 첨단과학체험관, 과학축, 뉴스레터 발간 등 과학문화 확산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자체 평가를 실시하고 의견을 수렴한 결과 후속적인
­ 과학기술 및 연구자 교류를 위한 유관기관간 MOU 체결 사업 발굴로 강원과학기술진흥센터 도약의 계기 마련이 필요하며, 1단계에
인프라 구축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향후 실질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운영

□ 지역 기업 지원 방안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함

ㅇ 목 적 : 지역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R&D역량 강화 실현


□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의 성과 활용
ㅇ 기 간 : ‘07. 11 ~ ’11. 12
ㅇ 사 업 비 : 4.66억원 ㅇ 강원과학기술진흥센터는 2010년 1월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8,368㎡
규모의 센터를 건립하여 센터 내 국내·외 국공립 연구소 및 기업부설
ㅇ 운영내용 : 인증, 지식재산권, 시제품 제작 등 59개기업 70건 지원
연구소를 유치하여 현재 총 6개의 연구소가 집적화되어 운영되고 있음
­ 기업 유망제품의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한 인증확보 지원
­ 지식재산권 확보를 통한 기업 R&D역량 강화 ㅇ 지역특화분야 연구·분석장비 총 50종 53대를 구축하고, 장비활용을 위한
­ 기업 기술완성도 향상과 시장진입을 위한 시제품제작 지원 운영시스템을 마련하여 현재 높은 장비활용률을 보이고 있음
­ 컨설팅 지원을 통한 제품의 신뢰도 확보 및 사업화와 기업위상 제고
ㅇ 지역 산·학·연을 대상으로 R&D과제 총 40건을 지원하여 논문 40건, 지식재산권
출원 및 등록 38건, 사업화 6건 등 산·학·연 역량 강화의 발판이 마련됨
□ 지역 R&D 전문 인력양성
ㅇ 그 외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술정보교류사업 및 기업 경쟁력
ㅇ 목 적 : 교육을 통한 기업 재직자 및 연구소 R&D인력의 역량 강화
강화를 위한 기업지원, R&D인력양성 사업을 수행하며, 다양한 지원 프로
와 인식개선 및 업무 효율성 증대
그램을 운영하여 실질적 기업지원을 이루어냄
ㅇ 기 간 : ‘07. 11 ~ ’11. 12
ㅇ 사 업 비 : 158억원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추진의 시급성
ㅇ 운영내용 : 국내외 연수, 재직자교육, 미취업자 교육 등 205명 교육 지원
ㅇ 따라서 1단계에 구축된 H/W를 활용하여 산·학·연의 연계가 강화될 수 있
­ 국외 연수를 통한 국제공동 R&D교류 토대마련 도록 후속조치로 S/W 구축사업을 추진함으로서 지역 과학기술 발전을
­ 재직자의 R&D역량 강화 교육을 통한 업무 효율성 강화 선도하는 R&D 거점기관으로서 역할 수행의 필요성이 대두됨
­ 입주기업의 R&D 역량 강화 교육을 통한 업무 효율성 강화
­ 지역 대학생 취업유발 프로그램 교육 ㅇ 지역 R&D역량이 부족한 지역의 기술수요를 반영하여 지역수요기반 R&D
­ 과제 수행을 통한 지역 R&D인력의 경쟁력 확보 (가교형 R&D,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창업

­ 인턴쉽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 내 미취업자의 취업유도 지원,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등의 후속사업을 통하여 강원지역 과학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이 시급함

- 279 - - 280 -
□ 국고지원의 적합성 2. 사업의 최종목표 및 내용
ㅇ 강원도 GRDP는 31조 3,600억원으로 전국대비 2.5%에 불과하고, 낮은 재
정자립도를 보이는데 반해 2012년 강원도 국가연구개발비는 전국 대비 가. 사업비전
1.3% 수준인 약 1,910억원의 투자 대비 연구개발성과는 지속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음
강원 과학기술 역량강화로 가치 창출형
ㅇ 따라서 강원도의 열악한 여건을 반영하여 국고의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 비전
R&D 생태계 조성
지면 국가와 지역의 R&D 역할을 분담하고, 상호 보완성을 강화하여 효율적
성과 창출이 이루어지면 이룰 통해 강원도 성장체계 구축의 구심점 역할이
가능할 수 있음 • 지역 과학기술 역량강화
※ 특허(90건), SCI 논문(92편)
□ 산업부 등 타부처 사업과의 연계․협력 필요성
목표
• 지역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 촉진
ㅇ 산업통상자원부의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육성사업의 산업생태계 지원사업과 ※ 창업(20개사), 기술이전금액(3,500백만원), 일자리창출(257개)
연계하여, 지원 분야의 세분화를 통해 효율적인 지역 R&D 생태계 조성
ㅇ 중소기업청 1인 창조기업/컨설팅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창업기획 지원사업
추진

추진 산․학․연 공동연구 기술이전 및 산․학․연

전략 활성화 창업 지원 강화 연계․협력 강화

• 지역수요기반 R&D
추진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 281 - - 282 -
나. 사업 최종목표 다. 최종목표달성을 위한 세부사업

□ 강원지역 기초연구성과의 활용도 제고 및 지역 과학기술 역량강화 1)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ㅇ 지역 맞춤형 R&D 기획, 가교형 R&D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을 통한 지역 □ 사업필요성


R&D 역량강화 ㅇ 지역대학의 취약한 지식재산 경쟁력 특히, 산업기여도 측면에서의 취약성을
ㅇ (정량적 목표) 국내외 특허 80 건, 논문(SCI 포함) 80 편 보완 하고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지식재산(IP) 경쟁력 강화 및 산학연 협력
- 특허성과 산출 : 90건 촉진을 위해 기술중개 및 기술저장소(Technology Reserve) 구축 필요

․ 가교형 R&D(200억) : 연구개발비 10억당 특허 2.5건 목표 □ 사업개요


⇒ 240억÷10억×2.5건 = 60건 ㅇ (기술중개기능 활성화) 지역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국내․외 공
․ 산학연공동연구법인(100억) : 연구개발비 10억당 특허 3건 목표 급자로부터 확보하여 상용화 기간 단축
⇒ 100억÷10억×3건 = 30건 ­ 과학기술진흥센터가 민간TLO 및 공공TLO와 연계하여 지역기업의 기술
- 논문성과 산출 : 80건 수요를 반영한 유망기술을 중개 및 기술이전
․ 가교형 R&D(200억) : 연구개발비 10억당 논문 3건 목표 ㅇ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지역대학, 출연(연), 기업의 기술․노하우․특

⇒ 240억÷10억×3건 = 72건 허를 기술저장소에 저장 후 창업기업, 벤처기업 등에 기술이전 해주는


플랫폼 구축․운영
․ 산학연공동연구법인(100억) : 연구개발비 10억당 논문 2건 목표
­ 지역별 DB 구축, 특허 유지비 50% 지원을 통해 기술저장소로 유인하
⇒ 100억÷10억×2건 = 20건
며, 향후 라이센싱 등을 통한 수익 발생 시 일정액 환수
※ 산출근거 : 지역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KISTEP, 2012) 지역별 연간 R&D 투자 대비
과학기술논문 수(강원 3건/10억) 및 국내특허 등록 수(3.02건/10억) 기준 작성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지역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 촉진 □ 사업필요성
ㅇ 기술이전, 창업기획 등을 활용한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 촉진 ㅇ 지역특화산업의 지속적 발전과 지역 내 기초․원천 연구성과(논문 및 특
ㅇ (정량적 목표) 창업(20사), 기술이전금액(4,000백만원), 일자리창출(250개) 허 등)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후속 연구지원이 필요
- 창업 : 20개사 ㅇ 중소기업과 대학․출연(연) 간 R&D 미스매칭(Mismatching) 해결 필요
․ 창업기획, 지식재산 활용사업 : 기술이전 및 창업아이템발굴 활용 □ 사업개요
⇒ 창업아이템 발굴 100건 × 창업율(20%) = 20개사 ㅇ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을 통해 완료된 기초 R&D 과제 혹은 지역대학 및
※ 창업아이템은 기술이전 370건, 기술사업화 45건의 성과와 연계하여 발굴 출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 중 지역특화 분야 기업이 활용 가
- 기술이전금액 : 3,500백만원 능한 가교형 R&D 과제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용 원천기술 발굴
⇒ 기술이전건수(350건) × 평균기술료(10백만원)=3,500백만원 ­ (가교형 R&D) 강원지역 수요기반의 가교형 R&D 수행 : 지역 내 석․박
- 일자리창출 : 250건 사인력, 특허, 벤처기업 분석을 통해 지역 특화분야를 우선적으로 선정,
․ 가교형 및 산학공동연구법인(340억) : 1.5억당 1명 일자리 창출 TRL 3~5단계 연구개발 과제 수행

․ 특허 기술창업 : 기술창업 기업당 1.5명 일자리 창출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역원천기술 중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
술을 보유한 대학 및 출연(연)과 그 기술의 수요자인 지역기업이 공동
⇒ (340억/1.5) + (20개사 × 1.5명) = 257개
으로 기술과 자본을 출자하여 법인 설립하여 기술사업화 성공률 제고

- 283 - - 284 -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라. 세부사업별 목표 및 연구내용
□ 사업필요성
1)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ㅇ 기술 전유성이 뛰어난 기초․원천기술사업화는 직접사업화 방식인 창업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를 통해 기초․원천 R&D의 사업화성과 제고 □ 사업목표
ㅇ 지역의 기업가정신 의욕을 고취하고 실제적인 창업으로 이끌어 청년 실업
문제 해결과 나아가 지역벤처 활성화 필요 ㅇ 기술저장소를 통한 도내 대학 및 출연(연)의 유망기술 활용 극대화
ㅇ 수요자 기반 기술중개를 통한 강원도 내 기업의 기술이전 활성화
□ 사업개요
ㅇ (멘토링 시스템 구축) 창업지원을 위해 벤처(엔젤)투자가, 기업체 CEO, <표>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목표
법률 및 회계 전문가 등으로 멘토단 구성 및 멘토 D/B 구축 등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ㅇ (창업경진대회 추진) 지역수요기반 R&D 등의 연구결과물 활용 창업경
진대회를 개최하여, 투자사 등에게 평가받는 기회 제공 · 대학 및 연구소 우수기술발굴: 800건
기술저장소를
강원도 내 보유 · 강원도 등록특허 전수조사: 10회
­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한 권리화(로펌 활용 등) 지원하고, 우수 사업 통한 유망기술
우수기술 발굴 · 산학연관 간 네트워킹활동: 50회
아이템은 R&D지원, 지역 내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 활용 극대화
· 기술저장소 DB 구축 운영 : 10건
ㅇ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R&D 과제수행 연구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시
지역 내 기업의 · 기술수요조사: 10회
작하여 단지 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으로 확대
지식재산 수요기술 발굴 · 기술수요조사 기반 DB구축/운영: 10건

활용도
4)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수요자 기반 · 기술이전 설명회: 10회
제고 기술마케팅을 통한 · 기술이전계약금액: 35억원
기술 중개를
□ 사업필요성 기술이전활성화 · 기술이전건수: 350건
통한 기술이전
ㅇ 한정된 예산으로 지방 과학기술생태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정책입안 · 기술사업화: 35건
활성화
및 기획수립 단계에서 교류·협력 활성화 필요
· 기술니즈 매칭 협의회 : 30회
ㅇ 혁신역량이 떨어지는 지역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위한 산학연 협력체제 기술이전 네트워크
· IP 전략 연구회 : 30회
활성화
구축 필요 · 기술이전 포럼 및 세미나 : 30회

□ 사업개요
ㅇ (S&T 정책교류회 구성․운영) 지역과학기술 정책․지원기관 간 교류, 협 □ 세부사업내용
력을 통한 과학기술생태계 조성
­ 지자체, SP/TP 등 R&D지원 유관기관, 대학․출연(연) 등 연구기관, 지역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기업 등 과학기술정책 전문가 등으로 구성(간사 : SP) ㅇ 강원도 대학 및 출연(연)의 우수기술 발굴


­ 지역 내 연구성과 및 R&D 정책, 연구개발성과 등을 공유하는 포럼 개 · 신규 우수기술 발굴을 위한 발명 평가
최를 통해 지식 및 인적교류 활성화(월 1회) 지식재산 기술저장소를 · 기술이전 니즈 파악을 위한 연구실 방문 컨설팅
ㅇ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동일 산업분야 내의 중소기업, 대기업, 활용도 통한 유망기술 · 보유기술의 기술성, 권리성, 사업성 평가를 위한 특
대학, 연구기관, 투자기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제고 활용 극대화 허자산실사 등 우수기술 탐색
· 강원도 내 대학의 LINC사업단과의 연계협력을 통한
우수 유망기술 발굴

- 285 - - 286 -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방과학연구단지협의회 및 전국 연구개발지원단과의 연계를 □ 사업목표


통하여 타 지역의 R&D성과 기술에 대한 정보 공유와 이를

기술저장소를 활용한 기술 및 기업발굴 ㅇ 강원도 기업역량강화를 통한 기업육성 기반확보


통한 유망기술 ㅇ 기술 수요자와 공급자 간 기술거래를 위한 기술저장소
활용 극대화 DB망 구축/운영
· 우수기술 이전희망 기업과 우수기술 간 거래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DB구축/운영

ㅇ 강원도 기업현황 조사 및 분석
· 도내 소재 기업별 현황조사 실시를 통한 DB구축/운영
·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기술에 대한 분석실시
· 기업 기술수요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강원도 및 타 지역
간 보유기술, 수요기업 매칭연계
· 기술이전 설명회를 통한 기술니즈 매칭 성공률 제고

ㅇ 기술 마케팅 실시
지식재산 · 기술수요조사 기반의 공급과 수요와의 매칭을 통한 기술

활용도 거래 활성화

제고 · 발굴된 유망기술에 대한 SMK(Sales Material Kit)


작성 및 이전 희망기업과의 매칭을 통하여 기술이전
수요자 기반
중개
기술 중개를
· 발굴된 유망기술에 대한 SMK(Sales Material Kits)작성 <표> 지역수요기반 R&D 사업목표
통한 기술이전
· 수요기업과의 매칭을 통하여 기술이전 중개
활성화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ㅇ 대학, 출연(연)등 공공TLO 보유기술의 적극 활용을
통한 기술이전거래 성과창출 기반확보 ․ 가교형R&D 과제수 : 14개
R&D사업기획을 통한
· 기술이전 애로요인 해소방안과 이전기술의 사업화 전략 수립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 4개
가교형 R&D, 산학연
· 특허등록: 90건
· 수요기업의 직접적인 참여유도를 통한 성공률 제고 공동연구법인 운영
강원도 R&D · 논문(SCI 포함): 92건
지역수요
역량강화를
ㅇ 기술이전 네트워크 활성화 기반 R&D
통한 기업육성
· 기술 니즈 매칭 협의회 구성 운영을 통한 수요자 및 사업
기반확보 · 기술이전 : 20건
공급자간 미스매칭 해소 R&D성과물 활용 극대화
· 기술 사업화 : 10개
· IP 전략 연구회를 통해 기술이전 사업화를 위한 이전 실현
· 일자리창출: 227개
기술의 개량 및 성공률 제고
· 타지역 및 기관과의 기술정보교류회, 정기협의회개최 등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확대

- 287 - - 288 -
□ 세부사업내용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목표

ㅇ 지역기업 수요중심의 현장밀착형 사업추진 ㅇ 창업역량강화를 통한 지역수요기반 R&D 성과의 사업화 활성화
· 지역 R&D수요조사․분석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강원도기업의
수요파악과 이를 기반으로 R&D사업 및 기획과제 도출
· 지역기업의 R&D 수요 조사, 필요 기술 탐색․중개 등
기업수요 중심의 현장밀착형 사업추진

ㅇ 기술탐색 및 중개-가교형 연구-연구성과를 활용한


창업의 일체형사업
강원도 R&D · 도내 기업 Needs형 기술을 탐색 및 이전 거래활성화
지역수요 ·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초․응용 연구역량 보완을 위해
역량강화를
기반 R&D 기초․원천 연구결과를 활용하는 가교형 R&D 및 지역
통한 기업육성
사업 수요기반 R&D 수행
기반확보 <표>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목표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창업 멘토링 시스템 · 맨토단 구성 : 전문가 DB 구축


구축/운영 · 창업 1:1 맨토링 : 300회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 교육과정 개발 : 50건


특허활용 창업역량강화와 · 기업가정신 교육 : 1000명
활성화
창업기획 R&D 성과의
‣가교형 R&D: 기초․원천연구와 산업부 광역선도 및 신지
사업 사업화 활성화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 창업아이템 발굴 : 100건
역특화산업 간에 연결고리 역할을 할 연구로 TRL 3~
운영 · 창업경진대회 개최 : 10회
5단계임
‣지역수요기반 R&D: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수요를 · 기술 창업 : 20개사
토대로 TRL 2∼7단계(기초연구에서 제품화까지)를 포 일자리 창출 지원
· 일자리창출 : 30개
괄하는 사업으로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등을 통해 수행
· 가교형 R&D 및 지역수요기반 R&D 결과물을 활용한
창업 기획

- 289 - - 290 -
□ 세부사업내용 4)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목표


ㅇ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운영
ㅇ 강원도 주요 과학기술정책 및 기획을 위한 의견 공유 및 정보 공유의
· (멘토단 구성 및 관리) 창업지원을 위한 벤처투자가,
자리 마련
엔젤투자가, 기업체 CEO, 법률 및 회계 전문가로
ㅇ 강원지역 과학기술과 연계한 창업생태계 조성 및 유관기관 간 협력시
구성한 멘토단 및 DB 구축 → 1:1 창업멘토링 → 창업
스템 구축
· (On-line 창업 네비게이션 구축) 창업프로세스 로드맵을
제공하는 시스템구축을 통한 One-Stop 창업지원 제공 ㅇ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산학연 주체 간
자유로운 소통과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창조적 공간 형성
ㅇ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활성화
ㅇ 교류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중소기업 역량 강화
· 지역대학 및 산업현장 간 연계협력을 통한 창업교육
* 지역대학 : 창업 친화적 교육체계 구축 (기술, 디자
<표>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목표
인, 인문, 경영 등 다양한 콘텐츠 개발)
* 산업현장 및 유관기관 : 창업을 지원 체계 구축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 비즈니스 모델 구축 등 전문가 컨설팅을 통한 실전 교육 Off Line ·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 30건


과학·산업 S&T 정책교류회 운영 · 분야별 연구성과 포럼 : 40건
특허활용 창업역량강화와
기술 생태계 · 강원지역 과학기술 정책, 연구성과 등
창업기획 R&D 성과의 산학연 조성 On Line 플랫폼 구축 DB구축 및 정보제공 온라인 시스템 구축
사업 사업화 활성화 네트워크
운영 : 10건
사업
산학연 교류협력 · 지역특화별 산학연 협력 연구회 운영
중소기업 네트워크
네트워크 : 160회
구축 지원
구축 · 애로 기술 자문위원회 : 80회
ㅇ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운영
· 1:1 맨토링 및 교육을 통한 사업아이템 발굴 → 창업 □ 세부사업내용
경진대회(가칭 “데모데이”)를 통해 투자자 평가 →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우수아이템 R&BD 자금 지원 → 지역 창업보육센터
입주 ○ Off Line S&T 정책교류회 운영
· 강원과학기술진흥센터, 테크노파크, 대학 등 연계 기술 ·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를 통하여 강원과학기술
진흥 로드맵 마련
이전 → 우수기술발굴 이전을 통한 창업 활성화 과학·산업 ○ S&T 정책·성과 포럼 개최
기술 생태계 · 지역 내 정책 및 연구 성과에 대한 포럼개최를 통해 지식
ㅇ 일자리 창출 지원 조성 및 인적교류 활성화
· 기술 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지원 산학연 ○ On Line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지역대학 취업중심교육 → 창업중심교육으로 전환 네트워크 · 지역과학기술진흥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 자유로운 의견
사업 교환이 가능한 정책교류 등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 세라믹,비철,바이오,의료기기 산업관련 프로젝트 발굴


산학연 · 산업별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회를 통한 지역기업
교류협력 니즈에 부응하는 프로젝트 발굴
네트워크 · 중소기업 상용화 기술 발굴을 위한 기술 전문가 연결
구축 · 기업 애로 기술 해결을 위한 국내·외 전문가 매칭 및
자문을 실시함으로서 기업 현안 해결

- 291 - - 292 -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나.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가. 세부사업 연차별 로드맵
· 지역특화산업(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관련 유망기술
사업년도 최종목표 유망기술 활용을 및 수요 기업 발굴 수요조사(1건)
세부사업 위한 체계 구축 · 지역특화분야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 우수기술 발굴(50건)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사업비(억원) · 강원도 특허탐색 및 기술저장소 구축/운영(1회)
기술이전 ‘16
20 25 30 35 40 40 40 40 40 40 · 기술이전 설명회 등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5회)
350건
우수기술발굴 · 강원도 및 타지역 간 보유기술, 수요기업 매칭연계(1건)
50 60 70 80 80 80 80 100 100 100 수요기반 기술거래
지식재산 800건 · 대학 및 출연(연) 유망기술 지역특화산업 기술이전 (20건)
기반 마련
기술이전액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이전 계약 금액(2억)
활용도 2 2.5 3 3.5 4 4 4 4 4 4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사업화(2건)
35억
제고 기술저장소
40 · 지역특화산업(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관련 유망기술
구축 운영 유망기술 활용을 및 수요 기업 발굴 수요조사(1건)
수요 위한 체계 구축 · 지역특화분야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 우수기술 발굴(60건)
기술
조사 · 강원도 특허탐색 및 기술저장소 구축/운영(1회)
이전 30
활성화 마케팅 ‘17 · 기술이전 설명회 등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5회)
· 강원도 및 타지역 간 보유기술, 수요기업 매칭연계(1건)
논문 수요기반 기술거래
3 6 9 12 15 15 13 9 7 3 · 대학 및 출연(연) 유망기술 지역특화산업 기술이전 (25건)
92건 기반 마련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이전 계약 금액(2.5억)
특허
지역수요 2 5 9 11 16 16 13 9 7 2
90건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사업화(2.5건)

기반 R&D 과제수 · 지역특화산업(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관련 유망기술


2 5(3) 8(3) 11(3) 14(3) 14(2) 11(0) 8(0) 5(0) 2(0)
14
R&D 유망기술 활용을 및 수요 기업 발굴 수요조사(1건)
지역수요기반 위한 체계 구축 · 지역특화분야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 우수기술 발굴(70건)
6
R&D과제기획 · 강원도 특허탐색 및 기술저장소 구축/운영(1회)
가교형 R&D 240 ‘18 · 기술이전 설명회 등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5회)
· 강원도 및 타지역 간 보유기술, 수요기업 매칭연계(1건)
산학연공동연 수요기반 기술거래
100 · 대학 및 출연(연) 유망기술 지역특화산업 기술이전 (30건)
구법인 설립 기반 마련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이전 계약 금액(3억)
창업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사업화(3건)
1 1 1 2 2 2 2 3 3 3
20개
창업아이템 · 지역특화산업(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관련 유망기술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유망기술 활용을
과학기술 발굴 100건 및 수요 기업 발굴 수요조사(1건)
위한 기술저장소
활용창업 멘토링시스템 · 지역특화분야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 우수기술 발굴(80건)
10 활성화
구축 · 강원도 특허탐색 및 기술저장소 구축/운영(1회)
지원
창업경진대회 ‘19 · 기술이전 설명회 등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5회)
35
추진 · 강원도 및 타지역 간 보유기술, 수요기업 매칭연계(1건)
과학기술창업
수요기반 기술거래
· 대학 및 출연(연) 유망기술 지역특화산업 기술이전 (35건)
5 활성화
아카데미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이전 계약 금액(3.5억)
연구성과포럼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사업화(3.5건)
4 4 4 4 4 4 4 4 4 4
40회
기획연구회 · 지역특화산업(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관련 유망기술
산학연기술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60회
유망기술 활용을
및 수요 기업 발굴 수요조사(1건)
네트워크 위한 기술저장소
S&T정책 · 지역특화분야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 우수기술 발굴(80건)
10 활성화
구축 교류회 운영 · 강원도 특허탐색 및 기술저장소 구축/운영(1회)
중소기업 네트 ‘20
10 · 기술이전 설명회 등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5회)
워크 구축지원
· 강원도 및 타지역 간 보유기술, 수요기업 매칭연계(1건)
수요기반 기술거래
합계 27 32 47 57 72 73 63 49 40 26 486 활성화
· 대학 및 출연(연) 유망기술 지역특화산업 기술이전 (40건)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이전 계약 금액(4억)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사업화(4건)

- 293 - - 294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다.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지역특화산업(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관련 유망기술
유망기술 활용을
및 수요 기업 발굴 수요조사(1건)
위한 기술저장소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특화분야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 우수기술 발굴(80건)
활성화
· 강원도 특허탐색 및 기술저장소 구축/운영(1회)
R&D 역량강화를 · 지역 수요 기반 가교형 R&D 및 공동연구법인 기획(3건)
‘21 · 기술이전 설명회 등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5회) ‘16 통한 기업육성 · 가교형 R&D 대상 선정 및 지원(신규 2개)
· 강원도 및 타지역 간 보유기술, 수요기업 매칭연계(1건)
수요기반 기술거래 기반확보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선정 및 지원(신규 1개 과제)
· 대학 및 출연(연) 유망기술 지역특화산업 기술이전 (40건)
활성화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이전 계약 금액(4억)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사업화(4건) ·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수요조사 (1건)
R&D 역량강화를
· 지역 수요 기반 가교형 R&D 기획(3건)
· 지역특화산업(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관련 유망기술 ‘17 통한 기업육성
유망기술 활용을 · 가교형 R&D 대상 선정 및 지원(계속 2개, 신규 3개)
및 수요 기업 발굴 수요조사(1건)
위한 기술저장소 기반확보
· 지역특화분야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 우수기술 발굴(80건)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지원(계속 1개)
활성화
· 강원도 특허탐색 및 기술저장소 구축/운영(1회)
·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수요조사 (1건)
‘22 · 기술이전 설명회 등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5회) R&D 역량강화를
· 지역 수요 기반 가교형 R&D 및 공동연구법인 기획(4건)
· 강원도 및 타지역 간 보유기술, 수요기업 매칭연계(1건) ‘18 통한 기업육성
수요기반 기술거래 · 가교형 R&D 대상 선정 및 지원(계속 5개, 신규 3개)
· 대학 및 출연(연) 유망기술 지역특화산업 기술이전 (40건) 기반확보
활성화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이전 계약 금액(4억)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선정 및 지원(계속 1개, 신규 1개)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사업화(4건)
·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수요조사 (1건)
· 지역특화산업(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관련 유망기술 R&D 역량강화를
· 지역 수요 기반 가교형 R&D 기획(3건)
기술저장소 성과 및 수요 기업 발굴 수요조사(1건) ‘19 통한 기업육성
확산 · 지역특화분야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 우수기술 발굴(100건) · 가교형 R&D 대상 선정 및 지원(계속 8개, 신규 3개)
활성화
· 강원도 특허탐색 및 기술저장소 구축/운영(1회)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지원(계속 2개)
‘23 · 기술이전 설명회 등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5회) ·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수요조사 (1건)
R&D 역량강화를
· 강원도 및 타지역 간 보유기술, 수요기업 매칭연계(1건) · 지역 수요 기반 가교형 R&D 및 공동연구법인 기획(4건)
기술이전 성과확산 · 대학 및 출연(연) 유망기술 지역특화산업 기술이전 (40건) ‘20 통한 기업육성
· 가교형 R&D 대상 선정 및 지원(계속 11개, 신규 3개)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이전 계약 금액(4억) 활성화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사업화(4건)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지원(계속 2개, 신규 1개)

· 지역특화산업(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관련 유망기술 ·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수요조사 (1건)
강원도 R&D
기술저장소 성과 및 수요 기업 발굴 수요조사(1건) · 지역 수요 기반 가교형 R&D 및 공동연구법인 기획(4건)
확산 · 지역특화분야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 우수기술 발굴(100건) ‘21 역량강화를 통한
· 가교형 R&D 대상 선정 및 지원(계속 12개, 신규 2개)
· 강원도 특허탐색 및 기술저장소 구축/운영(1회) 기업육성 활성화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지원(계속 2개, 신규 1개)
‘24 · 기술이전 설명회 등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5회)
· 강원도 및 타지역 간 보유기술, 수요기업 매칭연계(1건) R&D 역량강화를 · 가교형 R&D 지원(계속 11개)
기술이전 성과확산 · 대학 및 출연(연) 유망기술 지역특화산업 기술이전 (40건) ‘22 통한 기업육성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지원(계속 3개)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이전 계약 금액(4억)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사업화(4건) 활성화 · 가교형 R&D 결과 기술 창업연계 지원(1건)

· 지역특화산업(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관련 유망기술 R&D 역량강화를 · 가교형 R&D 지원(계속 8개)
기술저장소 성과 및 수요 기업 발굴 수요조사(1건) ‘23 통한 기업육성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지원(계속 2개)
확산 · 지역특화분야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 우수기술 발굴(100건) · 가교형 R&D 결과 기술 창업연계 지원(1건)
성과 창출
· 강원도 특허탐색 및 기술저장소 구축/운영(1회)
‘25 R&D 역량강화를 · 가교형 R&D 지원(계속 5개)
· 기술이전 설명회 등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5회)
· 강원도 및 타지역 간 보유기술, 수요기업 매칭연계(1건) ‘24 통한 기업육성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지원(계속 2개)
기술이전 성과확산 · 대학 및 출연(연) 유망기술 지역특화산업 기술이전 (40건) 성과 창출 · 가교형 및 지역수요 기반 R&D 결과 창업연계 활성화(1건)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이전 계약 금액(4억)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사업화(4건) R&D 역량강화를 · 가교형 R&D 지원(계속 2개)
‘25 통한 기업육성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지원(계속 1개)
성과 창출 · 가교형 및 지역수요 기반 R&D 결과 창업연계 활성화(1건)

- 295 - - 296 -
라.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전문가 풀 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예비창업자 1:1 맨토링 지원(30건)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전문가 풀 구축(1건) 창업역량강화와 · 창업지원센터 구축 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예비창업자 1:1 맨토링 지원(30건) ‘22 R&D 성과의 · 창업단계별 교육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발(5건)
창업역량강화와 · 창업지원센터 구축 운영(1건) 사업화 활성화 · 예비창업자 기업가 정신 및 창업 교육(교육인원 100명)
‘16 R&D 성과의 · 창업단계별 교육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발(5건) · 창업지원센터 및 멘토링 사업 연계 창업아이템 발굴 (10건)
사업화 기반마련 · 예비창업자 기업가 정신 및 창업 교육(교육인원 100명) · 기술 창업 경진대회 개최 및 이를 통한 기술창업(2개사)
· 창업지원센터 및 멘토링 사업 연계 창업아이템 발굴 (10건)
· 기술 창업 경진대회 개최 및 이를 통한 기술창업(2개사)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전문가 풀 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예비창업자 1:1 맨토링 지원(30건)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전문가 풀 운영(1건) 창업역량강화와 · 창업지원센터 구축 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예비창업자 1:1 맨토링 지원(30건) ‘23 R&D 성과의 · 창업단계별 교육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발(5건)
창업역량강화와 · 창업지원센터 구축 운영(1건) 사업화 성과창출 · 예비창업자 기업가 정신 및 창업 교육(교육인원 100명)
‘17 R&D 성과의 · 창업단계별 교육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발(5건) · 창업지원센터 및 멘토링 사업 연계 창업아이템 발굴 (10건)
사업화 기반마련 · 예비창업자 기업가 정신 및 창업 교육(교육인원 100명) · 기술 창업 경진대회 개최 및 이를 통한 기술창업(2개사)
· 창업지원센터 및 멘토링 사업 연계 창업아이템 발굴 (10건)
· 기술 창업 경진대회 개최 및 이를 통한 기술창업(2개사)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전문가 풀 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예비창업자 1:1 맨토링 지원(30건)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전문가 풀 운영(1건) 창업역량강화와 · 창업지원센터 구축 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예비창업자 1:1 맨토링 지원(30건) ‘24 R&D 성과의 · 창업단계별 교육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발(5건)
창업역량강화와 · 창업지원센터 구축 운영(1건) 사업화 성과창출 · 예비창업자 기업가 정신 및 창업 교육(교육인원 100명)
‘18 R&D 성과의 · 창업단계별 교육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발(5건) · 창업지원센터 및 멘토링 사업 연계 창업아이템 발굴 (10건)
사업화 기반마련 · 예비창업자 기업가 정신 및 창업 교육(교육인원 100명) · 기술 창업 경진대회 개최 및 이를 통한 기술창업(2개사)
· 창업지원센터 및 멘토링 사업 연계 창업아이템 발굴 (10건)
· 기술 창업 경진대회 개최 및 이를 통한 기술창업(2개사)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전문가 풀 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예비창업자 1:1 맨토링 지원(30건)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전문가 풀 운영(1건) 창업역량강화와 · 창업지원센터 구축 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예비창업자 1:1 맨토링 지원(30건) ‘25 R&D 성과의 · 창업단계별 교육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발(5건)
창업역량강화와 · 창업지원센터 구축 운영(1건) 사업화 성과창출 · 예비창업자 기업가 정신 및 창업 교육(교육인원 100명)
‘19 R&D 성과의 · 창업단계별 교육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발(5건) · 창업지원센터 및 멘토링 사업 연계 창업아이템 발굴 (10건)
사업화 활성화 · 예비창업자 기업가 정신 및 창업 교육(교육인원 100명) · 기술 창업 경진대회 개최 및 이를 통한 기술창업(2개사)
· 창업지원센터 및 멘토링 사업 연계 창업아이템 발굴 (10건)
· 기술 창업 경진대회 개최 및 이를 통한 기술창업(2개사)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전문가 풀 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예비창업자 1:1 맨토링 지원(30건)
창업역량강화와 · 창업지원센터 구축 운영(1건)
‘20 R&D 성과의 · 창업단계별 교육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발(5건)
사업화 활성화 · 예비창업자 기업가 정신 및 창업 교육(교육인원 100명)
· 창업지원센터 및 멘토링 사업 연계 창업아이템 발굴 (10건)
· 기술 창업 경진대회 개최 및 이를 통한 기술창업(2개사)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전문가 풀 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예비창업자 1:1 맨토링 지원(30건)
창업역량강화와 · 창업지원센터 구축 운영(1건)
‘21 R&D 성과의 · 창업단계별 교육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발(5건)
사업화 활성화 · 예비창업자 기업가 정신 및 창업 교육(교육인원 100명)
· 창업지원센터 및 멘토링 사업 연계 창업아이템 발굴 (10건)
· 기술 창업 경진대회 개최 및 이를 통한 기술창업(2개사)

- 297 - - 298 -
마.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과학기술 정책교류회 운영(3건)


과학·산업기술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특화 분야 연구성과 포럼 개최(4회: 4개 분야별1회)
생태계 조성 강화
· 과학기술 정책 교류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1건)
· 강원지역 과학기술 정책 로드맵 구축을 위한 과학기술
‘21 · 특화분야 R&D 기획연구회 운영(16회 : 4개 분야별 4회)
정책교류회 운영(3건)
과학·산업기술 산학연 교류협력 · 중소기업 애로기술 자문위원회(8회 : 분야별 2회)
· 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산업 지역 연구성과 활
생태계 기반 조성 네트워크 활성화 · 중소기업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위한 과학기술 세미나,
성화를 위한 연구성과 포럼 개최(4회 : 4개 분야별 1회)
· 과학기술 정책 교류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1건) 워크숍, 포럼 개최(4회, 분야별 1회)
‘16
· 세라믹, 비철, 바이오, 의료기기 산업 연구개발 활성화를 · 과학기술 정책교류회 운영(3건)
과학·산업기술
위한 R&D 기획연구회 구성 및 운영(16회 : 분야별 4회) · 지역특화 분야 연구성과 포럼 개최(4회: 4개 분야별1회)
산학연 교류협력 생태계 조성 안정화
· 중소기업 애로기술 자문위원회(8회 : 분야별 2회) · 과학기술 정책 교류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1건)
네트워크 구축
· 중소기업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위한 과학기술 세미나, ‘22 · 특화분야 R&D 기획연구회 운영(16회 : 4개 분야별 4회)
워크숍, 포럼 개최(4회, 분야별 1회) 산학연 교류협력 · 중소기업 애로기술 자문위원회(8회 : 분야별 2회)
· 과학기술 정책교류회 운영(3건) 네트워크 극대화 · 중소기업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위한 과학기술 세미나,
과학·산업기술 워크숍, 포럼 개최(4회, 분야별 1회)
· 지역특화 분야 연구성과 포럼 개최(4회: 4개 분야별1회)
생태계 기반 조성
· 과학기술 정책 교류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1건) · 과학기술 정책교류회 운영(3건)
과학·산업기술
‘17 · 특화분야 R&D 기획연구회 운영(16회 : 4개 분야별 4회) · 지역특화 분야 연구성과 포럼 개최(4회: 4개 분야별1회)
생태계 조성 안정화
산학연 교류협력 · 중소기업 애로기술 자문위원회(8회 : 분야별 2회) · 과학기술 정책 교류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1건)
네트워크 구축 · 중소기업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위한 과학기술 세미나, ‘23 · 특화분야 R&D 기획연구회 운영(16회 : 4개 분야별 4회)
워크숍, 포럼 개최(4회, 분야별 1회) 산학연 교류협력 · 중소기업 애로기술 자문위원회(8회 : 분야별 2회)
· 과학기술 정책교류회 운영(3건) 네트워크 극대화 · 중소기업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위한 과학기술 세미나,
과학·산업기술 워크숍, 포럼 개최(4회, 분야별 1회)
· 지역특화 분야 연구성과 포럼 개최(4회: 4개 분야별1회)
생태계 기반 조성
· 과학기술 정책 교류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1건) · 과학기술 정책교류회 운영(3건)
과학·산업기술
‘18 · 특화분야 R&D 기획연구회 운영(16회 : 4개 분야별 4회) · 지역특화 분야 연구성과 포럼 개최(4회: 4개 분야별1회)
생태계 조성 안정화
산학연 교류협력 · 중소기업 애로기술 자문위원회(8회 : 분야별 2회) · 과학기술 정책 교류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1건)
네트워크 구축 · 중소기업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위한 과학기술 세미나, ‘24 · 특화분야 R&D 기획연구회 운영(16회 : 4개 분야별 4회)
워크숍, 포럼 개최(4회, 분야별 1회) 산학연 교류협력 · 중소기업 애로기술 자문위원회(8회 : 분야별 2회)
· 과학기술 정책교류회 운영(3건) 네트워크 극대화 · 중소기업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위한 과학기술 세미나,
과학·산업기술 워크숍, 포럼 개최(4회, 분야별 1회)
· 지역특화 분야 연구성과 포럼 개최(4회: 4개 분야별1회)
생태계 조성 강화
· 과학기술 정책 교류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1건) · 과학기술 정책교류회 운영(3건)
과학·산업기술
‘19 · 특화분야 R&D 기획연구회 운영(16회 : 4개 분야별 4회) · 지역특화 분야 연구성과 포럼 개최(4회: 4개 분야별1회)
생태계 조성 안정화
산학연 교류협력 · 중소기업 애로기술 자문위원회(8회 : 분야별 2회) · 과학기술 정책 교류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1건)
네트워크 활성화 · 중소기업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위한 과학기술 세미나, ‘25 · 특화분야 R&D 기획연구회 운영(16회 : 4개 분야별 4회)
워크숍, 포럼 개최(4회, 분야별 1회) 산학연 교류협력 · 중소기업 애로기술 자문위원회(8회 : 분야별 2회)
· 과학기술 정책교류회 운영(3건) 네트워크 극대화 · 중소기업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위한 과학기술 세미나,
과학·산업기술 워크숍, 포럼 개최(4회, 분야별 1회)
· 지역특화 분야 연구성과 포럼 개최(4회: 4개 분야별1회)
생태계 조성 강화
· 과학기술 정책 교류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1건)
‘20 · 특화분야 R&D 기획연구회 운영(16회 : 4개 분야별 4회)
산학연 교류협력 · 중소기업 애로기술 자문위원회(8회 : 분야별 2회)
네트워크 활성화 · 중소기업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위한 과학기술 세미나,
워크숍, 포럼 개최(4회, 분야별 1회)

- 299 - - 300 -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추진체계

가. 강원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추진전략 및 체계

□ 추진전략

• 기초연구성과의 활용도 제고 및 지역과학기술역량 강화


사업목표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및 창업기획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전략

추진조직 기능 및 역할

• 사업 총괄 추진
미래창조과학부
• 사업추진에 따른 예산지원
• 지역 R&D 역량강화와 인프라 확충
강원도
• 지역 특성화 연구개발 활성화 한국연구재단 • 지방과학진흥센터 사업 평가 및 사후관리
과학기술
• 산·학·연 협력체계 고도화
진흥계획 • 지자체 예산 지원
• 맞춤형 인력양성과 일자리 창출
강원도, 강릉시 • 정책자문 및 주요사항 심의
• 연구개발지원단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 추진방법
• 사업계획 수립 등의 운영사업 수행
ㅇ 지역 대학, 연구소, 기업, 혁신기관의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기술저장소
• 지역 내 연구기관, 기업체, 대학과의 협력체계 구축
운영 활용을 극대화하며, 산학연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사업 수행 강원과학기술진흥센터 • 지역수요맞춤형 R&D사업 발굴·기획 및 정책수립 지원
ㅇ 지역 유관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을 통해 지역 수요를 상시적 (사업주체) • 지역 R&D 사업에 대한 평가·관리 및 성과관리
사업 반영 방안 마련 • 자체평가위원회 운영(사업추진 평가 및 방향 제시)
ㅇ 중앙 및 지역의 창업 및 일자리 창출 관련 사업을 연계하여 창업활성화 사업 • 기술 협의회 운영(R&D 사업에 대한 기술 자문 등)

의 시너지 효과 극대화

- 301 - - 302 -
나. 세부사업별 추진전략, 방법 및 추진체계 ㅇ 도내 연구성과물 선행조사 및 우수기술 및 수요기술 발굴 조사
ㅇ 발굴한 우수기술의 기술이전 및 거래지원을 위한 기술거래장터 개최,
1)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SMK 작성지원, 전문가 컨설팅 지원 수행
ㅇ 이전기술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지원, 시제품제작 지원 등
□ 추진전략 수행
ㅇ 도내 연구개발성과물인 지식재산권을 활용한 사업화 및 상용화 활성화 ㅇ 기술이전을 통한 창업 및 사업화 활성화
지원 기반 구축
ㅇ 도내 연구개발성과물인 지식재산권의 전수조사를 통한 우수기술 및 수 □ 추진체계
요기술 발굴
ㅇ 기술이전 및 거래지원을 사업화 연계 지원으로 기업 경쟁력 제고

□ 추진방법

- 303 - - 304 -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그 기술의 수요자인 지역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과 자본을 출자하여 법인
설립
□ 추진전략
- 공동연구법인의 후속연구개발비 지원
ㅇ 강원도 특화분야 가교형 R&D과제발굴․기획,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용 원천 ※ 5년간 매년 5억원씩 지원
기술 발굴
○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R&D과제 도출) 강릉지방과학연구단
-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을 통해 완료된 기초 R&D과제 또는 도내 대학 및
지 활성화 사업(2단계) 추진을 위한 기술수요조사 실시를 통한 과제 도출
출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 중 도내 기업이 활용 가능한 가교
형 R&D과제 및 R&BD과제 발굴 ㅇ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R&D 과제 도출 추진 경과

- 지역 내 대기업, 중소기업, 연구소, 이공계 대학 등의 수요조사를 통하 일 정 주 요 내 용

여 핵심 R&D 및 R&BD과제 선정․기획 ‘13. 9. 23 ~ ‘13. 10. 4 ¡ 기술수요조사 공고


ㅇ 기술이전 및 거래지원을 사업화 연계 지원으로 기업 경쟁력 제고 ¡ 기술수요조사 접수
‘13. 9. 30 ~ ‘13. 10. 04
- 우편 또는 이메일 접수(마감일 까지)
18:00

‘13. 10. 07 ~ ‘13. 10. 9 ¡ 기술수요조사 분석

‘13. 10. 10 ¡ 기술수요조사 선정 평가위원회 개최 및 R.F.P 도출

‘13. 10. 11 ¡ 기술수요조사 선정 평가위원회 결과 보고


[그림] 기업수요기반 가교형 R&D 기획 프로세스
‘13. 10. 14 ¡ 선정 기술에 대한 요약기술계획서 제출
¡ 선정 기술에 대한 세부 기획보고서 작성
□ 추진방법 ‘14. 2. 10 ~ ‘14. 5. 30
-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ㅇ 강원지역 수요기반의 가교형 R&D수행


- (연구팀 선정) 과제 공모에 의해 박사급(기업의 경우 부장 이상급) 연 □ 추진체계
구인력 3~4명으로 구성된 연구팀을 매년 2~3개 선정

- (지역별 분야 특화) 지역내 석·박사인력, 특허, 벤처기업 분석을 통해


지역 특화분야를 우선적으로 선정하며, 2단계 광역선도산업 및 신지역
특화산업과의 연계성을 고려

※ 강원도 특화분야 : 바이오, 의료기기, 세라믹, 비철금속, 방재, 플라즈마 등


- (과제 규모) 과제당 매년 3억원 이내에서 5년간 지원

- (수행 방식) 주관기관 스위칭 방식을 도입하여 연구성과 제고

※ 1~3차년도(대학․출연연 주관), 4~5차년도(기업 주관)


ㅇ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산학연 공동연구법인을 통한 지역수요기반
R&BD 수행
- 원천기술 중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출연(연)과

- 305 - - 306 -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ㅇ 창업경진 대회
­ 창업기획사 주관으로 지역수요기반 R&D 등의 연구결과물을 활용하는
□ 추진전략 창업경진대회 추진
­ 일정기간 집중적 1:1 멘토링 및 교육을 통해 사업아이템을 개발하고
ㅇ 창업프로세스 표준화 및 창업지원센터 지정, 창업기획사 설립 지원
‘데모데이’를 통해 투자사 등에게 평가 받는 기회 제공
등을 통한 창업기업 성장 기반 마련
­ R&D 결과물인 특허의 기술이전은 테크노파크, 지역 산학협력단 등과의
ㅇ 기술저장소 등을 활용한 지역 원천․기초 특허에 대한 사업성, 시장성 평가를
연계를 통해 창업기업으로 기술이전 추진
통한 우수 창업 아이템 및 창업자 발굴
­ 우수 사업아이템은 R&BD 자금 제공, 지역 내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
ㅇ 개별 추진사업을 통한 창업 진행 프로세스별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ㅇ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 R&D 과제 수행 연구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시작하여 강원과학단지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으로 확대
­ (참여 기관) 과학연구단지협의회, 과총지역연합회, 산학협력선도대학
내 기업가정신센터
­ (참여 대상) R&D 과제수행 연구인력→단지내 연구인력→청년 창업 희
망자로 확대

□ 추진체계
□ 추진방법

ㅇ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


­ (멘토단 구성 및 관리) 창업지원을 위해 벤처투자가, 엔젤투자가, 기업
체CEO, 법률 및 회계 전문가 등으로 멘토단 구성 및 멘토 D/B 구축
­ (On-line 창업내비게이션 구축) 창업 프로세스 로드맵을 입체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 (One-stop 창업지원센터 지정) 지방과학연구단지 내에 엔젤, 멘토 및
지원기관(정부 및 공공기관) 등을 입주시켜 예비창업자에 대한 종합적
one-stop 서비스 제공
­ (창업 기획사 설립․지원) 연구성과물에 기반한 성공적 창업을 위한 멘토링
및 투자연결을 담당하는 창업 기획사(Accelerator) 설립 또는 지정

- 307 - - 308 -
4) 산학연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개최
※ (코디네이터 도입) 지방과학연구단지 연구개발기획팀이 포럼의 코디네이터
□ 추진전략 역할 수행
ㅇ On․Off Line S&T 정책교류회 운영 및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운영을 ­ (지역별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지역과학기술진흥 정책 수
통해 지역 과학기술정보의 제공 및 유통 립․실행에 대한 정보제공, 의견교환이 가능한 온라인 정책교류 장 구축
ㅇ 지역 산학연 유기적 협력 시스템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 유도 ※ 지자체가 운영(실무는 과학기술진흥센터가 담당)하고 지역 주요기관이 참
여하는 쌍방향 소통
※ (D/B 구축) 과학기술인력의 소속기관, 주요연구분야, 연구성과 등을 D/B화
※ (정보제공) 지방과학기술진흥로드맵, S&T정책교류회 내용, 주요 지역R&D 과
제(연구내용, 기술개발로드맵, 기대성과), 지역 내 과학기술인력 채용정보 등
※ (토론방) 지방과학기술진흥로드맵 실행 계획, 가교형 R&D 과제 기획, 연구
과제 수행 시 문제점 등에 대한 토론 및 해결책을 논의하는 장
ㅇ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 동일 산업분야 내에서 대학 및 연구기관, 중소기업, 대기업 및 투자기
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과 연구개발프로그램 참여시 우대
※ 기술개발, 전문인력 육성, 중소기업 컨설팅, 판로개척 및 마케팅 등 중소
기업 애로 해결에 지원금 활용
­ 지방과학연구단지는 네트워크 성과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 간 정보교환 등
네트워크 감독매니저 역할 수행
□ 추진방법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KIST 강릉분원) 및 지역네트워크와 연계 협력

ㅇ On․Off Line S&T 정책교류회 운영


※ 중소기업 네트워크 차원에서 지역별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에 참여
­ (지역별 과학기술진흥 조례(가칭) 마련) 광역자치단체별 과학기술진흥
□ 추진체계
조례 마련(개정)을 통해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를 상설위원회로
구성
※ 지역과학기술진흥협의회의 하부 운영조직으로 상설위원회 설치를 명문화
※ 지방과학연구단지 또는 테크노파크가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사
무국 기능 수행
※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기능 : 지방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 부
문별 로드맵(기초원천로드맵, 산업기술로드맵 등) 승인, 지역별 기술사업화
촉진계획 수립, 지역 과학기술교육 정책 수립, 과학문화 확산 정책수립,
지역 내 전문인력 수급계획 수립 등
­ (S&T 정책․성과 포럼) 지역 내 연구성과 및 정책에 대한 성과를 발표
하는 포럼 개최를 통해 지식 및 인적교류 활성화
※ (방식) 오픈된 개인 참가형으로 관련 분야에 대한 자율적 논의를 년 2회
- 309 - - 310 -
나.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ㅇ 정부의 중점추진 방향(지역발전+지방대학육성+산학협력 등 지방대 지원
및 산학협력 등)에 대한 다수의 사업 존재함에 따라 지역대학 발전방안
1)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수립을 통하여 대학수요기반 R&D사업 및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 LINC 사업 내 기업가정신센터와 공동으로 창업아카데미 운영
­ 단지 내 창업기업으로의 현장실습(인턴쉽 프로그램) 프로그램 개설 및 공동운용

□ 산업부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 연계
ㅇ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추진 중인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을 통해 기
구성되어 있는 기술이전 실무자협의회를 중심으로 강원지역의 기술협력
네트워크 활용하여 애로기술수요조사에 대한 결과물 공유 및 관련 연구
자 또는 기술동향 파악
ㅇ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사업에 참여하는 강원권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 분야
기술․기업 정보제공 및 공동 기술마케팅 실시

□ 지역밀착형 가교형 R&D 사업은 지역 기업수요 파악 후 필요 기초·원천


R&D 탐색을 통해 가교형 R&D 과제로 발굴·기획
□ 지역 기업수요에 기반한 기초·원천기술 및 특허를 활용하여 기술이전 또는
공동연구법인을 통하여 후속 기술이전 완성형 R&D를 지원
□ 가교형 R&D 과제 발굴·기획은 산학연 네트워크사업을 활용하여 산·학·연
협의회를 통해 R&D 기획을 함
□ 특허활용 창업기획은 가교형 R&D 성과를 통해 창업기획을 지원하고,
창업기업은 테크노파크의 창업보육 시스템을 통해 육성 발전시킴

2) 타 사업과의 연계방안
□ 테크노파크와 연계
ㅇ 지역수요기반 R&D와 연계성강화를 위해 TP가 추진하는 광역선도 R&D
등 다양한 상용화사업과 연계를 통해 지역 내 사업화 단계별 프로세스 정립
ㅇ 강원 TP가 수행하는 사업과 공유 가능할 경우, 사업 프레임을 공유(예,
지식발명박람회 vs 창업경진대회, 기술거래소 DB 공유 등)

□ 미래부 내 사업과 연계
ㅇ 지역과학기술진흥로드맵 수립, 지역R&D 기획 시 연지단과 협력

- 311 - - 312 -
5. 기대효과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세부사업 기대효과 □ 사업비 총괄표


(단위 : 백만원)
ㅇ지역 특화산업분야 관련 기업의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우수기술을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합 계
발굴·이전하고 기술사업화를 지원함으로써 지역 특화산업분야 중소
기업의 성장확충 기반 마련 및 일자리 창출 국비 1,865 2,220 3,350 4,105 5,235 5,265 4,590 3,540 2,865 1,815 34,850

지식재산활용 ㅇ지역대학, 연구기관 등의 우수 연구결과물을 체계적으로 발굴, 관 지방비 560 480 500 520 540 510 510 510 510 510 5,150

도 제고사업 리하여 지역 내 중소기업에 이전활용토록 함으로써 우수기술의 휴 민 간 275 500 850 1,075 1,425 1,425 1,200 850 625 275 8,500
면 및 사장 방지 합계 2,700 3,200 4,700 5,700 7,200 7,200 6,300 4,900 4,000 2,600 48,500
ㅇ전국 10개 과학센터와 연계하여 지역 외 우수기술을 지역 내 중소
기업에게 이전·공급함으로써 지역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
□ 세부사업별 사업비
ㅇ지역 혁신주체(대학, 연구소, 기업)의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발굴
및 산학연 공동연구과제 기획으로 지역기반 우수연구성과물 창출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지역수요기반 ㅇR&D 성과물인 특허를 기반으로 창업기업 20개, 일자리 257개 등 (단위 : 백만원)
R&D 지원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ㅇ지역 수요 기반 R&D 발굴을 통해 지역 기초연구 및 지역 중소기업 국비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0
기술
R&D 지원정책 자료로 활용 지방비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0
중개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ㅇ지역 내 창업희망자에게 우수특허 기술이전 및 특허출원 등을 지원 기술 국비 400 80 160 240 320 400 400 400 400 400 3,200
함으로써 기술기반 창업분위기 조성 및 일자리 창출 저장소 지방비 100 20 40 60 80 100 100 100 100 100 800
특허활용창업 ㅇ특허활용 창업자에게 창업아카데미와 기술, 경영, 사업화 등 컨설팅 구축 계 500 100 200 300 400 500 500 500 500 500 4,000

기획 사업 지원을 통한 창업기업의 지속적 성장으로 지역산업 및 경제활성화 기여 합 계 800 400 500 600 700 800 800 800 800 800 7,000

ㅇ지역의 기업가정신 의욕을 고취하고 실제적인 창업으로 이끌어


청년 실업문제 해결과 나아가 지역벤처 활성화제고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ㅇR&D 수행단계의 혁신주체 간 협력과 R&D 활동의 전주기적 교류· (단위 : 백만원)
협력으로 R&D 성과율 제고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ㅇ정책 입안 및 기획 수립단계에서 교류·협력을 통해 지방 과학기술
지역 국비 50 50 50 50 50 250
생태계를 최적화할 수 있음 수요
산학연 네트 R&D 지방비 50 50 50 50 50 250
ㅇ산·학·연 협력체제 구축으로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여 기업 혁신역 과제
워크 활성화 기획 계 100 100 100 100 100 500
량 강화
국비 450 1,125 1,800 2,475 3,150 3,150 2,475 1,800 1,125 450 18,000
ㅇ산·학·연 협력체제를 활용하여 가교형 R&D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은 가교형
민 간 150 375 600 825 1,050 1,050 825 600 375 150 6,000
R&D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상용화 기술과 대학 및 출연(연)에서 계 600 1,500 2,400 3,300 4,200 4,200 3,300 2,400 1,500 600 24,000
기초·원천 연구와 미스매칭 비율 최소화 산학연 국비 375 375 750 750 1,125 1,125 1,125 750 750 375 7,500
공동
민 간 125 125 250 250 375 375 375 250 250 125 2,500
연구
법인 계 500 500 1,000 1,000 1,500 1,500 1,500 1,000 1,000 500 10,000
합 계 1,200 2,100 3,500 4,400 5,800 5,800 4,800 3,400 2,500 1,100 34,500

- 313 - - 314 -
○ 특허활용 창업 기획 사업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단위 : 백만원)
구분 연구결과 활용방안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온오프 국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ㅇ정보탐색을 통한 기술거래/중개 및 우수기술 홍보


라인
멘토링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기술저장소 공간으로 활용
시스템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구축운영 ㅇ지역 기술의 전국적인 기술마케팅 및 기술수요 발굴
창업 국비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0 공간으로 활용
기획 지식재산 활용도
및 지방비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0
창업 제고 사업
경진 계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0 ㅇ우수기술의 중개 및 이전 활성화를 통한 지역 기업
대회 기술중개 및
국비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0
경쟁력 강화
창업 이전 활성화
ㅇ기술 사업화, 창업 연계를 통한 가교형 R&D 활성화
아카 지방비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0
데미
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신규기획과제 ㅇ지역 수요에 부합하는 신규과제 발굴을 통해 지역
합 계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0
발굴 특성을 반영한 지역주도형 R&D 사업 확보

가교형 R&D를 ㅇ타부처 사업화 사업과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 창출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단위 : 백만원) 지역수요기반
통한 사업화 ㅇ보유된 기술을 근간으로 연관기술을 개발/응용하여
결과물 다양한 사업화 기회로 활용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R&D 지원사업

온오프 국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ㅇ기술중심의 산학연 공동연구법인의 연구결과의 사업


라인
S&T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산학연 화로 기술 사업화 성공률 제고
정책
교류회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연구법인 설립 ㅇ산학연 공동연구법인의 성공모델 제시로 기술이전을
중소 국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통한 사업화 활성화
기업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네트
워크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창업아이템 ㅇ1:1 멘토링 및 기술저장소 연계 창업 아이템을 발굴
합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발굴 하고 이를 통한 기술 창업 유도
특허활용
창업기획사업
창업지원 ㅇ체계적인 창업 지원시스템 구축으로 기술 창업 활성
시스템 구축 화 및 창업 기업의 성공률 제고

ㅇ지역 과학기술 기획 및 교류 위원회 운영을 통한 지


지역과학기술 역 주도의 R&D 및 정책 발굴
정책 발굴 ㅇ지역과학기술 지원 역량 강화로 지자체 R&D 전담
산학연 네트워크
조직으로 역할 수행
사업

산학연 협력 ㅇ지역 산학연 연계 협력 네트워크 구축으로 각 지역


네트워크 구축 혁신기관 간 업무의 효율성 증대

- 315 - - 316 -
첨부 I 가교형 R&D 후보과제 리스트
8. 연구원 편성표

기술 TRL 산업 중점
과제명 직급별 참여연구원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연구제목 기술명
과제 보유기관 분류 분야 분야
구분 출연 국공 산업
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수석 책임 선임 원급 기타 계 대학 기타 계
(연) 립(연) 계
한국과학기술연
강원지역 천연물 활용 웰니스 눈 눈 건강 생체 내·외 바이오
강원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2단계) 1 구원(KIST) 4 바이오
총괄 1 2 2 3 6 14 건강 식·의약품 소재화 기술 개발 활성검색 기술 메디컬
강원과학기술진흥센터 최용석 강릉분원

합 계 1 2 2 3 6 14
Power Device용 고열전도도
질화규소 기판 소재 기능성
2 (<70W/m..k)질화규소 기판 소재 강릉원주대학교 3 신소재
제조기술 신소재
개발
9. 참고문헌
톳 추출물을
한국연구재단(2013),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2단계) 기획 해양 갈조류 톳(Sargassum
유효성분으로 하는 바이오
3 fusiforme)을 복합 기능성 코스메슈 강릉원주대학교 3 바이오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메디컬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12), 연구소중심의 대학연구 시스템 활성화 방안 티컬 개발
또는 치료용 조성물

미래창조과학부(2013),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초임계 발전용 세라믹스 소재 고감도 세라믹스 부품 기능성


4 강원테크노파크 3 신소재
부품 개발 제조 기술 신소재
강원도(2014), 제4차 강원도 과학기술진흥 5개년 계획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년도 지역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이차전지용 다공성 금속산화 다공성 박막 소재 제조 한국기초과학지 기능성


5 1 신소재
물 박막 소재 개발 기술 원연구원 신소재
창업진흥원(2013), 유망창업자 발굴을 위한 선정평가 모델개발
액상 및 계면상 분자인식 연구를 광식각방법에 의한
한국연구재단(2013), 2011 대학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 6 통한 바이오칩 제조 원천기술 개 유전자 칩 제조기술, 어피메트릭스 3
바이오
바이오
메디컬
발 알데히드 칩
전자신문(2011), 기술창업 국가의 미래 성장엔진이다(2011.11.0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0), 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 강화 방안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운동 중 운동 바이오피드백 맞춤형 바이오


7 연세대학교 1 의료기기
평가 시스템 개발 운동관리 시스템 메디컬

산업연구원(2011), 민간부문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식품의 스포츠 기능성
스포츠 기능성 음료의 성능검 바이오
산업연구원(2013), 지역산업 고용구조 변화와 일자리 창출전략 8
증 및 개발
검증, 유효성분 규명 관동대학교 3
메디컬
바이오
및 제품화
미래창조과학부(2013),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를 위한 우수인재 유치활용 및 선진
에로졸 증착법을 이용한 저가격 대 CIGS 박막 태양전지
한국세라믹기술 기능성
연구지원체제 마련에 관한 연구 9 면적 CIGS 태양전지 소재 및 공정 소재 및 광흡수층 형성 3 신소재
원 강릉센터 신소재
개발 공정 기술

중소기업청(2013), 2013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신공법을 적용한 공정
Co-Cr Wire 연속 제조공정 상용화 한국생산기술연 기능성
10 단축형 고기능 비철금속 3 신소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11), 신성장동력 사업가 지역혁신 사업의 연계 전략 기술 개발 구원 신소재
와이어 제조공정기술

- 317 - - 318 -
첨부 II 가교형 R&D 후보과제(1, 2 순위) 요약문 〈 요 약 문 〉
Power Device용 고열전도도 질화규소 기판 소재 개발
① 연구사업명
〈 요 약 문 〉 (영문명)
(Development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Silicon Nitride Substrate Materials for
Power Device)
① 연구사업명
강원지역 천연물 활용 웰니스 눈 건강 식·의약품 소재화 기술 개발 이트리아 질산염을 소결조제로 사용한 질화알루미늄 소결체 및 그
(영문사업명) ○ 기 술 명:
선행 제조 방법
○ 기 술 명: 생각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압하강용 조성물 기초·원천기술
선행
○ 기술내용: 질화 규소 기판 소재 제조 기술
기초·원천기술 ○ 기술내용: 눈 건강 생체 내·외 활성 검색 시스템
○ 고열전도도를 가지는 질화규소 세라믹 기판 조성개발
○ 웰니스 눈 건강 기능성 식·의약품 개발 ② 연구개발
○ 질화규소 기판의 Tape Casting 공정 기술개발
② 연구개발 ○ 눈 관련 질환 발생기전 규명 및 질환 타겟 발굴의 기초·원천기술개발 목표
○ 질화규소 기판의 파워디바이스용 파워모듈 설계 및 상용화 기술확보
목표 ○ 눈 건강 기능성 평가법 확립 및 구축
○ 질화규소 반응소결 분말제조기술 (산소함량 0.3wt% 이하)
○ 산업화 기반연구를 통한 실용화 기술개발 및 관련 기업으로의 기술이전
○ 고강도 질화규소 치밀화(650 MPa 이상) 및 입자성장 제어 기술개발
○ 강원지역 천연물로부터 눈 건강 생체 내·외 활성검색 ③ 연구개발 ○ 질화규소 열전도도 향상 (100W/m․k 이상)
○ 눈 관련 질환 타겟 신규 발굴 및 효능검증 시스템 구축 내용 ○ Tape Casting에 의한 질화규소 기판 공정기술개발 (기판편평도<0.3%)
○ 기능성분의 눈 관련 효능 작용기전 구명
○ 질화규소기판 DBC 접합 기술개발
③ 연구개발 ○ 안과질환 관련 특정단백질 발현 및 특징구명,임상연계 전임상 실험동물모델 개발
○ 식품 지표/활성성분 효율적 분리 및 정제시스템 개발 ○ 파워디바이스 모듈 및 패키지 제작 및 필드테스트
내용
○ 활성식물의 기준시험법 설정 및 지표성분 표준화 ○ 1차년도
○ 활성식물의 산업화 및 효율적 생산을 위한 식물공장 시스템 도입
- 원료 질화규소 분말 선정 및 소결성 비교
○ 원료 최적화 추출 및 가공 산업화 기반기술 구축
- 조성, 미세구조 변경에 의한 열전도도 제어기술
○ 1차년도 - 첨가제의 균일혼합 및 나노화 기술, 소결체 물성평가 기술 개발
- 눈 관련 질환 타겟 신규 발굴 및 효능검증 시스템 구축 ○ 2차년도
- 강원지역 천연물 확보 및 눈 건강 생체 내·외 활성검색
- Tape Casting 슬러리 제조를 기본 바인더 조성 확보 기술
○ 2차년도
- 바인더조성 및 공정변수에 따른 Tape Casting 기초실험
- 원료 최적화 추출 및 가공 산업화 기반기술 구축/ 원재료의 표준화
- 식품 지표/활성성분 효율적 분리 및 정제시스템 개발 - 그린시트의 탈바인딩 거동 분석, 그린시트 적층, 압착 조건선정,
○ 3차년도 ○ 3차년도
④ 연차별 ④ 연차별
- 기능성분의 눈 관련 효능 작용기전 구명 - 질화규소 분말의 미립화 기술을 통한 기판 소결밀도 및 열전도도 향상 실험
연구내용 연구내용
- 임상연계 전임상 실험동물모델 개발 - 입자 제어를 통한 기판의 기계적 물성 향상기술
○ 4차년도 - 탈바인딩 된 적층기판의 소결기술 개발, DBC 접합공정 기초 실험
- 안과질환 관련 특정단백질 발현 및 특징구명
○ 4차년도
- 시각전달경로의 대사체 분석 및 활성 연구
○ 5차년도 - 양산화 질화규소 기판 특성 분석
- 활성식물의 산업화 및 효율적 생산을 위한 식물공장 시스템 도입 - DBC 기술 최적화 및 특성분석
- 생이용성 및 대사체 분석기술 개발 - 신규 모듈 패키지 기술개발
○ 5차년도
- 효능검증 시스템 구축을 통한, 눈 건강 식품소재 R&D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음.
- 질화규소 회로기판 및 파월모듈 특성 평가
-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웰니스 눈 건강 식·의약품 소재개발 - 질화규소 기판 응용성 및 특성 평가 확보
- 전임상 동물실험모델 개발로 기능성 평가법이 확립될 수 있음.
⑤ 기대효과 - 식품소재 표준화를 위한 지표/활성성분 효율적 분리 및 정제 원천기술 확보. ○ 파워디바이스용 질화규소 기판 소재 기술 상용화를 통한 전․후방 관련 산업 활성화
- 식물공장을 통해 활성식물 원료의 효율적, 안정적 공급 시스템 개발. ○ 파워디바이스용 비산화물 기판 기술개발에 따른 대일무역역조 감소 및 글로벌 기술
- 눈 건강관련 중점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예가 없으므로, 강원전략산업과 연계 ⑤ 기대효과 경쟁력 확보 – 수입대체 효과와 수출 증대 기여
한, 고령사회대비 웰니스 눈 건강 식품소재 개발은 지역 내 고부가가치 산업 창출 및
○ 파워디바이스용 소재 기술 상용화 기반조성을 통한 지역산업 활성화와 고용창출 및
관련 산업 증가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가능함.
관련 업체 매출의 극대화

천연물 눈건강 건강기능식품 질화규소 열전도도 방열기판


⑥ 중심어 ⑥ 중심어
웰니스 초고령화 R&D 플랫폼 파워 디바이스 DBC 접합 테입 캐스팅
Si3N4 Thermal Conductivity Heat-Sink Substrate
Natural Products Eye Health Functional Food ⑦ Keywords
⑦ Keywords Power Device DBC Bonding Tape Casting
Wellness Super-aged society R&D platform

- 319 - - 320 -
첨부 III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계획서 요약문
〈 요 약 문 〉

연구사업명 해양 갈조류 톳(Sargassum fusiforme) 을 이용한 복합기능성 코스메슈티컬 개발


연구개발과제계획서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 기 술 명:
선행 조성물
① 부처사업명(대) ④ 보안등급(보안, 일반) 일반
기초·원천기술
② 사업명(중) ⑤ 공개가능여부(공개, 비공개) 공개 ○ 기술내용: 톳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

③ 세부사업명(소) ○ 톳 추출물을 용매 재분획 후 기능성 후보소재를 탐색하는 동시에 미백, 주름개


연구목표 선, 자외선차단 및 피부트러블 개선(피부진정) 및 복합 기능성 효능을 검증함으로
과제성격 개발 실용화 대상여부 실용화
(기초, 응용, 개발) (실용화, 비실용화) 서 지역 산업 활성화를 위한 코스메슈티컬 개발 및 실용화를 이루고자 함.

국 문 해양갈조류 톳을 이용한 복합 기능성 코스메슈티컬 개발 ○ 바이오신소재 후보물질 탐색 및 in vitro, ex vivo, in vivo study를 통한 검증
후속연구개발과제명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cosmeceutical using marine ○ 여러 제형에 대한 단계적 formulation을 통해 다양한 high stability & safety
영 문 연구내용
brown algae, Sargassum fussiforme product 개발
⑥ (총괄)주관연구기관 강릉원주대학교 ○ 시제품 제작, 제품의 실용화 및 상품화

⑦ 협동(공동)연구기관 ㈜하나코스
○ 1차년도
성 명 주성수 직급(직위) 교수 - 톳 추출 및 분획물 획득 공정 개발
(총괄)주관연구책임자
소속부서 강릉원주대학교 전공 약학 - 후보소재에 대한 성분 분석
- 최적 제형 선정을 위한 pre-formulation 탐색
연구개발비 및 참여연구원수 (단위: 천원, 명)
○ 2차년도
기업체부담금 - In vitro study를 통한 후보소재 1차적 효능 및 기능성 검증
정부출연금 정부외 상대국 합계 참여
년 도 출연금 부담금 - 다양한 제형에 대한 pilot test 실시
(A) 현금 현물 소계 (B) (F) G=(A+B+E) 연구원수
(C) (D) E=(C+D) ○ 3차년도
연차별 연구내용
1차년도 375,000 12,500 112,500 125,000 500,000 10 - In vitro, ex vivo를 통한 후보소재 기능성 및 독성 검증
- 후보소재의 작용 기전 연구를 통한 제품의 예상 mode of action 제시
2차년도 375,000 12,500 112,500 125,000 500,000 10 ○ 4차년도
3차년도 375,000 12,500 112,500 125,000 500,000 10 - 후보소재 및 최종 제형에 대한 기능성 검증 및 in vivo 독성 시험 실시
- 최종 제형 개발 및 Lab-scale 시제품 test / 안정성 평가 실시
4차년도 375,000 12,500 112,500 125,000 500,000 10
○ 5차년도
5차년도 375,000 12,500 112,500 125,000 500,000 10 - 생산 공정기술 확립에 따른 scale-up 및 안전성 평가 실시
- 제품 실용화 및 상품화
합계 1,875,000 62,500 562,500 625,000 2,500,000 50

총연구기간 2016. 01. 01 ~ 2020. 12. 31


○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의 개최와 발맞춰 강원도 및 동해안 지역의 이미지에
다년도협약연구기간 부합하는 특성화 상품으로서 고효능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는데 시발점이 될
당해연도연구기간 2016. 01. 01 ~ 2016. 12. 31 것으로 판단됨.
기대효과 ○ 톳을 이용한 복합 기능성 신소재 개발은 이전에 시도되지 않은 독창성을 가짐에
중소기업수 대기업수 기타 계
⑧ 참여기업 따라 지역 내 특화 상품의 개발이 가능함.
1 1 ○ 본 과제의 단계적인 연계 연구수행을 통해 지역 내 지속적인 산학 공동 연구
상대국연구기관수 상대국연구개발비 상대국연구책임자수 개발을 도모하고, 전문 인력을 배출하여 지역 활성화를 이룰 것으로 기대됨.
국제공동연구
핵심단어
톳, 피부진정, 복합기능성, 코스메슈티컬, 바이오신소재
(5개 이내)

- 321 - - 322 -
광주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The Second Stag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Gwangju Science Park)

연구기관: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연구책임자: 이학재
< 목 차>

Ⅰ.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327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327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및 입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329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
··
··
··
··
··
··
··
··
··
··
··
··
··
··
·330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0
2.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 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332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
··
··
··
··
·334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2단계)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334
2.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6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5
4. 사업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4
5.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4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6
7.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8
8. 연구원 편성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9
9.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9

[첨부1] 가교형 R&D 후보과제 리스트 ·


··
··
··
··
··
··
··
··
··
··
··370
[첨부2] 가교형 R&D 후보과제(1, 2 순위) 요약문 ·
··
··371
[첨부3]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계획서 요약문 ·
··
· 373

- 325 -
I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소 속 직위 성명 참여율 비 고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팀 장 손 세 창 100%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과 장 박 기 환 100%

가.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조직‧인원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과 장 강 기 웅 100%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선임연구원 나 숙 현 100%


1)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조직도
□ 주관기관 :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선임연구원 조 을 수 100%
□ 조직구성 : 2단, 4팀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대 리 이 주 영 100%
□ 근무인원 : 총 17명(‘14. 4 기준, 정규직 : 6, 위촉직 및 기타 : 11)
※ 운영사 및 용역사 관리직원 : 25명 (별도 아웃소싱으로 운용)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연구원 조 혜 미 100%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연구원 김 정 관 100%


이 사 장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연구원 조 스 도 100%
이 사 회 비상근 감사
(이사 11인 이하) ( 2인 )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연구원 전 병 수 100%

원 장

나.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예산
경 영 본 부 장 사 업 단 장 년 도
2013 결산 2014예산(안) 차액
구 분

정부 보조금 3,428,599 3,395,000 -33,599


연구개발
지원팀 시설팀 법인사업팀 지자체 출연 및 보조금 872,326 1,050,000 177,674
지원단
민간보조금 70,011 0 -70,011

기타사업수입 1,418,314 1,472,143 53,829


2)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인원 현황 이월금 등 110,992 264,390 153,398

수 입(A) 5,900,242 6,181,533 281,291


소 속 직위 성명 참여율 비 고
목적사업비 3,717,554 3,831,936 114,382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원 장 김 권 필 100%
센터운영비 1,918,298 2,349,597 431,299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본부장 김 흥 태 100% 지 출(B) 5,635,852 6,181,533 545,681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사업단장 이 학 재 100% (A-B) 264,390 0 -264,390

- 327 - - 328 -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2.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건립․입주 현황

가.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건립 현황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센터 건립 일정 가. 최종 연구목표
ㅇ 2004. 8 :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선정(과학기술부)
□ 서남권의 중추적인 연구개발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과학 관련 인프라 구축
ㅇ 2006. 7 : 센터 건립공사 착공
□ 지역전략산업과 관련 연구 활동의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한 산·학·연 상호
ㅇ 2008. 4 : 센터 건립공사 준공
교류 공간 확충 및 운영
ㅇ 2008.11 : 재단법인 설립허가(교육과학기술부)
□ 지역의 지식기반산업을 견인할 과학기술인 육성 및 유치를 위한 기반 시설 건립
ㅇ 2009. 3 : 센터 운영 개시

□ 센터 건립 현황 나. 연차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ㅇ 위 치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 과기로 339(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 내)
ㅇ 부지면적 : 33,058㎡ 달성도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비고
ㅇ 공사기간 : 2006. 7 ~ 2008. 4 (%)
ㅇ 건축면적 : 11,054.67㎡(3,344.04평)
∘광주테크노파크 단지
ㅇ 지하 1층, 지상 12층 /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조
전면에 상징적으로 건립
ㅇ 용 도 : 교육연구시설(숙소) 부지확보 ∘단지 내 잔여부지 활용 100%
∘TP와 센터건물 물리적
2005 연결을 통한 상호 기능보완

나.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시설 현황
공사수행 ∘공사 기본계획수립
∘기타수행방식 결정 100%
□ 주요시설 방식결정 ∘설계자문위원회 자문
ㅇ 공동이용시설 : 국제회의실, 대·중·소 회의실 7개
ㅇ 게 스 트 룸 : 31실 ∘공모방식:일반공개경기
ㅇ 숙 소 : 40실 ∘설계자문위원회 자문 (국제입찰)
2005 기본 및
ㅇ 편 의 시 설 : 레스토랑, 헬스, 사우나, 은행, 편의점 등 ∘당선작 설계권 부여 ∘기본 및 실시설계 100%
~2006 실시설계
∘기본 및 실시설계 ·발해건축사사무소

다. 기대효과 ·설계자문위원회 개최(3회)

□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으로 특화산업인 광산업


∘공종별 발주방법
집적화 기대
∘발주방법 검토 및 시행 ·건축,토목,기계설비:
□ 국내·외 우수 연구인력의 유치를 통한 과학기술 혁신역량 제고 2006 공사발주 ·조달청 의뢰 및 자제 조달청 의뢰 100%
□ 연구개발 성과물 홍보 등을 통한 과학문화 대중화에 기여 발주(전자입찰) ·전기,정보통신,소방,조경:
자체발주(전사/경쟁입찰)

- 329 - - 330 -
2.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 성과
∘건축 : 대보건설,
. 대진종합건설
가.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건립 성과
∘전기 : 동명정기,첨단전기
∘정보통신 : 주광파워텔, □ 정주여건 및 정보교류, 편익시설 지원
시공사 ∘전자입찰 결과 및 적격
2006 대진종합건설 100% ㅇ 임대 숙소 및 게스트룸 운영으로 과학기술인들의 장·단기 체류 시 정주
선정 심사 결과로 선정
∘소방 : 진화이엔씨, 용광 환경 조성, 지원
∘조경 : 남해종합개발 ㅇ 과학기술 정보 교류 및 편익시설을 지원 각종 회의, 세미나, 워크숍 등의
∘감리 : 유탑엔지니어링, 개최를 지원
건원엔지니어링
□ 과학기술 정보교류 및 편익시설 지원 사업 (2013년 기준)
ㅇ 시설운영
∘기공식 개최
∘건축공사 - 기 간 : 2013. 1. 1 ∼ 2013. 12. 31
2006 ∘공정(실정)보고회 30회
건립공사 ∘기타 시설물 설치계획 100% - 경영방법 : 전문위탁업체 위탁경영(라마다프라자 광주호텔)
~2008 가구 및 인테리어소품등
수립 및 설치 - 센터 시설 이용
기타 시설물 설치 완료
- R&D를 통한 기술혁신 및 고용창출로 차세대 성장기반 구축
∘효율적 센터 운영 위한 구 분 `12년 이용인원 `13년 이용인원
운영기획 수립
∘외부 전문기관 연구 계 79,048명 86,894명
2007 운영기획 ∘연구내용 100%
용역을 통한 기획추진 회 의 실 24,123명 26,014명
·사업성 검토
·관리운영방안 수립 레스토랑 25,274명 30,102명
게스트룸 8,012명 8,466명
∘회의실 등 방송장비 및 헬스, 사우나 21,639명 22,312명
기타
∘방송장비, 비품 및 각종 음향설비 설치 완료
2008 시설물 100%
인테리어소품 등 설치 ∘가구 및 인테리어소품 - 시설 운영 매출
설치
등 기타 시설물 설치완료
구 분 `12년 매출액 `13년 매출액
계 995,532천원 1,087,000천원
∘CIP 제작 ∘동 센터의 별도법인 설
∘사전 홍보 립추진 등 당초계획 변 레스토랑 418,874천원 430,000천원

∘센터홍보 및 마켓팅활동 경으로 인하여 사업기 게스트룸 263,728천원 300,000천원


∘개관준비 간내 추진하지 못함 숙소 및 임대료 179,162천원 185,000천원
센터홍보 ·운영방법 결정 ∘센터 설립 부대시설 133,768천원 172,000천원
2008 100%
및 개관 ·인허가 획득 ∘사업종료 후 추진
비 고
·개관전 시험운영 ·각종 인허가 획득 구 분 2012년 2013년
(2012년 대비)
·개관전 서비스 교육 ·수탁운영사 선정 등
이용인원 79,048명 86,894명 7,846명 (9% 증가)
·전산시스템 구축 개관준비
∘개관식 개최 ·센터 개관 매 출 액 995,532천원 1,087,000천원 91,468천원(8.4% 증가)

- 331 - - 332 -
나. 기타 성과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센터 경영관리 실적 향상
ㅇ 운영실적 지속적 향상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필요성
구 분 2012년 2013년 증가(비율)

이용인원 79,048명 86,894명 7,846명 (9% 증가) □ 정부차원의 창조경제 활성화 기반 마련 필요


매 출 액 995,532천원 1,087,000천원 91,468천원(8.4% 증가) ㅇ 21세기 선진일류국가 도약을 위해 지금까지의 모방(Catch-up)전략에서
벗어나 기초 연구역량에 기반한 창조형 국가발전전략 필요
ㅇ 전문업체 위탁운영으로 이용인원 및 매출액 향상
ㅇ 적극적인 홍보(일간지 광고, 잡지광고)를 통하여 이용률 제고
ㅇ 효율적인 경영관리를 통한 시설물 관리/개선

□ 기타 운영실적 (2013년 기준)


ㅇ 과학기술인 게스트룸 운영 지원
구분 주요내용 객실 수
3월 전남대 BIT사업단 연구개발 워크숍 외 173
4월 전남 나노 바이오연구센터 성과 개발 워크숍 외 154
5월 전자통신연구원 호남권연구센터 KICK-OFF 미팅 외 154
6월 기술이전센터 기술이전 세미나 외 273 <그림 1-1> 과학기술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7월 (주)피피아이 모노리틱 파장선택 스위치 개발 사업 외 260
8월 녹색기술이전 설명회 외 154 ㅇ 우리나라 R&D의 인적․물적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신속한 기초역량 제고
9월 산학협동연구원영호남교류행사 외 269
를 위해서는 세계적 고급두뇌를 활용하는 국제화 전략 필요
10월 타이타늄센터 성과활용 기술세미나 외 341
11월 엘디스 부품소재 워크숍 외 309 - 우리나라 R&D투자는 세계 R&D투자 총액의 2.9%에 불과
12월 과학기술응용연구소 2010바이오 기술개발 아이템 발굴 세미나 외 279 ※ 미국 27.9%(356 B$), EU 19.7%(243 B$), 일본 11.3%(139 B$)
합계 2366건 지원
ㅇ 세계적 두뇌가 집적화된 국제적인 기초과학 연구 환경의 구축 필요
ㅇ 기업 및 유관기관 회의실 운영 지원
- 국제적 수준의 기초과학연구원 설립 및 국내외 우수연구자 유치
구분 주요내용 합계 - 고급두뇌가 정주하고 싶은 매력적인 생활환경 조성
3월 전국과학연구단지실무자협의회 외 22건 23
- 지속적인 성장과 자족환경을 위한 비즈니스 기반구축
4월 산업단지공단 광응용산업발전 전략세미나 외 19건 20
5월 전남대학교 제20차 첨단융합기술 워크숍 외 23건 24
6월 한국광산업진흥회 2009광산업 기술동향 분석세미나 외 19건 20 ㅇ 수도권과 대전에 집중되어 있는 지식기반경제의 견인차를 국가균형발전차
7월 그린 IT광주포럼창립준비위원회 워크숍 외 16건 17 원에서 지방의 대도시 중심으로 내륙삼각벨트로 확장해야 함
8월 녹색기술이전설명회 외 19건 20 - 임해거점도시에 경제자유구역을 설치하여 외국의 선진기술과 자본이 진출할
9월 광주전남 과학기술정보협의회 외 30건 31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에 대응하는 내륙거점도시의 경제 환경 조성이 필요
10월 광주테크노파크 타이타늄센터 성과활용 기술세미나 외 33건 34
11월 엘디스 부품소재 워크숍 외 34건 35 - 요소투입형의 제조업 집적지인 지역거점도시를 지역특화 산업기술과 연
12월 한국광산업진흥회 2009광융복합 기술시장 동향 워크숍 외 23건 23 계된 혁신클러스터로 전환하는 것이 투자의 효율성과 투자효과의 파급성
합계 247건 지원 면에서 효과적임

- 333 - - 334 -
□ 지역차원의 중장기R&D 경제·사회적 기술파급 고려 2.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및 내용
ㅇ 지역차원의 중장기 거시적 관점에서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큰 지역 R&D 기초 원천기술 확보가 절실히 필요 가. 사업비전
- 1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구축만으로는 중장기 관점에서 자립적 R&D 수
행을 위한 기반이 미약하므로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발전 계획 필요
- 정부는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에 대한 현황 및 실태 분석을
통해 향후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를 위한 후속사업 확대 추진 및 로드맵
도출이 필요
- 1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사업은 H/W 구축 사업을 토대로 R&D 기초원천
사업 추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사업에 국한하여 진행함으로써 투자대비 효율이 저하

ㅇ 지역의 R&D기획 및 수행능력 배양을 위한 사업계획 설정


- 단계별 발전경로에 대한 목표 및 체계 확립을 통해 사업 성공가능성 제고
- 2단계 사업은 구축된 H/W를 바탕으로 과학연구단지 내 기초원천기술 개발
거점 및 과학기술의 정보교류의 허브 구축 필요
- S/W 중심의 2단계 사업계획의 사업기획 기술적․경제적․정책적 타당성 확
보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ㅇ 광주과학연구단지는 지역 R&D의 중심허브로서 기 구축된 인프라의 활용


및 연계 용이
- 수도권, 대전권을 제외하고 가장 우수한 연구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나
낮은 재정 자립도로 인한 기초원천기술분야의 지원은 미비함
- 기초원천기술 개발을 통하여 지역 벤처 기업의 생존률을 높이고 영세한
중소기업 위주의 산업 구조의 극복
※ 벤처기업 5년 평균 생존률(과학기술정책연구원, 09) : 68.7%(전국)↔66.9%(광주)
- 2004년부터 추진된 지방과학 연구단지 지정 및 센터 구축이 단계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기초·원천연구 수요를 반영한 S/W 중심의 사업연계 등 2 나. 사업 최종목표
단계 사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임
□ 기초 연구성과 활용도 제고 및 지역과학기술 역량강화
ㅇ 위와 같이 정부차원의 창조경제 활성화 기반 마련과 지역차원의 중장기 ㅇ (정량적 목표) 국내외 특허출원 90건, 기술이전 및 중개 200건, 논문 108편
R&D 경제·사회적 기술파급 고려하여 대·내외 환경변화로 지역과학연구단지
역할 재정립이 요구 · 목표 설정 : 연구개발비 10억원 당 국내외 특허등록 3건 내외, 논문 3건 내외 목표
· 세부사업1 : 지식재산 활용사업(지식저장소 구축,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중개)
· 세부사업2 : 지역수요기반 R&D지원사업(지역 R&D과제 기획, 가교형 R&D 지원,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 335 - - 336 -
□ 산학연 네트워크 및 창업기획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라. 세부사업별 목표 및 연구내용
ㅇ (정량적 목표) 예비창업자배출 300명, 생산증대 1,584억원, 총 일자리창출 586명
· 목표 설정 : 창업성공률 10%, 벤처 창업율 30%, 총 일자리창출 586명 1) 지식재산 활용사업
· 세부사업1 : 기술창업 커넥터 사업(기술창업 아카데미 개설, 창업플래너 연계
창업컨설팅,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사업목표
· 세부사업2 : 산학연 네트워크 사업(S&T 정책교류회 운영, 중소기업 네트워크)
ㅇ 지식저장소 구축을 통한 지역 과학기술의 종합관리 체계 구축
ㅇ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 중개를 통한 과학기술 이전활성화 유도
다. 최종목표달성을 위한 세부사업

1) 지식재산 활용사업
□ 지역대학, 출연연, 기업의 기술 특허 중 우수기술을 기술저장소에 저장한 후
관련 기업에 기술이전 형태로 연계/지원 해주는 플랫폼 구축 및 운영
ㅇ 지역대학의 취약한 지식재산 경쟁력 특히, 산업기여도 측면에서의 취약
성을 보완하기 위해 기술 중개 및 기술저장소 구축이 필요
□ 기술수명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기업 외부기술(대학 및 연구소 특허 등)을
활용하는 전략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며, 기업이 관련기술 확보가 어려울 경우
R&D 지원
ㅇ 광주 지역 내 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이전 및 특허 기반 기술지원

2) 지역 수요기반 R&D지원사업
□ 지역내 대학·출연연·기업의 기술을 원천적으로 탐색하여 지역 특화 분야
기초­ 광역선도 가교형 R&D 과제 발굴·기획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
립용 원천 기술 발굴
□ 지역내 대학·연구소·기업의 수요조사를 통해 핵심 R&D 및 R&BD 과제 □ 지식재산 활용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선정 및 기획
ㅇ 지역수요기반 기술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사업화 방식 적용을 고려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 광주 대학 및 연구소 기술수집 : 1,000건
3) 기술창업 커넥터 사업 광주지역 지식저장소
· 우수기술 선별 및 발굴 : 400건
광주 구축을 위한 네트워
□ 예비기술창업 희망자를 모집하여 기술창업 아카데미를 개설, 창업 의욕을 · 발명자 Lab미팅 및 컨설팅 : 200건
과학기술의 크 확보
· 지식저장소 구축협의회 운영 : 50회
고취하고 전문적인 창업플래너를 연계하여 창업컨설팅을 지원하여 창업성 종합관리
· 기술DB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 10건
공률을 제고 체계 구축 지식재산 활용 관리
· 광주지역 공공TLO과 시스템 연동 : 10건
□ 지역차원의 멘토단 구성, 연구 성과 기반의 창업경진대회 추진 등 창업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지식재산 · 기술이전 합동설명회 개최 : 10건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커리큐럼에 따른 창업절차별 교육에서 사업화까 활용사업 · 기술이전 수요 발굴 : 200건
수요기업 발굴 및
지 일괄 지원 · 수요기술 진단 및 자문 : 300건
이전 기반확보
우수기술 · 우수기술 홍보동영상 제작 : 100건
4) 산학연 네트워크 사업 발굴 및 · 기술이전 계약체결 지원 : 200건
기술 중개 기술이전 및 중계를 · 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 : 50건
□ 지역별로 위치한 주요 과학기술정책 및 지원기관간 on·off line교류 협력
통한 사업화 촉진 ·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 : 50건
장 마련을 통해 지역별로 통합적인 과학 산업 기술 생태계 조성 · 기술이전 전문 인력양성 : 100명
□ 산학연 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중소기업네트워크 구축 지원

- 337 - - 338 -
□ 세부사업내용 2) 지역수요기반 R&D 지원 사업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목표
○ 광주지역 기술 및 특허 수집 네트워크 구축 ㅇ 기초·원천 R&D 활용도 제고와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지원을 통한 지역 우
· 과학기술 종합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지역 내 대학 및 수기술 발굴
연구기관과의 정보교류 협력 네트워크 확보
· 확보된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대학 및 연구기관의 보유기
술을 수집·선별하여 이전 가능 기술 집중 관리
· 지식저장소 구축 협의회 운영을 통해 지속적인 양질의
광주
기술 발굴 및 이전 활성화 기반 마련
과학기술의
· 광주지역 과학기술 및 보유특허에 대해 종합적인 관리체계
종합관리 체계 유지, 타 지역 연계협력을 통해 서너지 극대화
구축
○ 지식재산활용시스템 구축
· 기술 및 특허 DB 정보시스템 구축하여 광주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 기술이전 홈페이지를 상호 연동하여 지식
저장소로써의 역할을 실현
· 지역 기술이전 중심기관으로써의 역할 수행을 위해 기
지식재산 술이전 합동설명회를 지역 대학과 연구기관과 협력개최
활용사업
○ 기술이전을 위한 기반강화
· 지역의 애로기술 및 기술이전 수요를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술이전 가능성이 높은 의향기업을 발굴하
여 최적화된 기술이전 여건을 조성
· 이전 가능성이 높은 기술 및 특허에 대한 진단 및 자 □ 지역수요기반 R&D 지원 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문과 더불어 홍보 동영상을 제작하여 기술에 대한 이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해를 높이고, 이전 성공률 제고를 지원
우수기술 발굴 지역R&D과제
○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 지원
및 기술 중개 광주지역에 기획을 통한 · 지역맞춤형 R&D기획과제 발굴 : 50건
· 기술수요조사 및 우수기술 발굴, 사업설명회, 홍보동영
특화된 R&D 장기발전 방향 확보
상 등 기술이전을 위한 제반 활동을 통해 기술이전 계
약체결을 지원 발굴로 성과 · 가교형 R&D지원 : 100건(20개)
지역수요 가교형 R&D지원을
· 기술이전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위해 기술 사업화를 위 극대화 · 특허 출원 및 등록 : 90건
기반 통한 기초성과 확보
한 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를 병행 실시 · 연구논문(SCI포함) : 108편
R&D지원
· 기술이전 기업의 기술 사업화를 위해 제품홍보 지원 등
사업 기술 중심
제반 지원을 추가하여 사업화 가능성을 제고 산학연
산학연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 20건(4개)
공동연구법인
공동연구법인 · 법인설립 지원 일자리 창출 : 90개
육성을 통한 지역
사업화 역량 · 성과발표회 개최 : 9건
기술의 사업화 촉진
강화 지원

- 339 - - 340 -
□ 세부사업내용 3) 기술창업 커넥터 사업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목표
○ 특화된 R&D 과제 기획·발굴
ㅇ 기초·원천기술의 사업화 제고를 위한 창업기반 제공
· 광주지역의 특화분야인 광 융·복합 소재, 친환경 수
송기계, 스마트가전,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재성형
분야에 특화된 R&D기획과제 발굴
· 지역수요조사와 전문가회의를 병행하여 과제를 도출
하여 자체 지원 또는 연계지원을 시행
· 지역 수요기반 R&D과제 기획은 지자체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매칭비율을 50%로 산정
○ 가교형 R&D 지원
광주지역에 · 과제당 5년간 지원 예정이고, TRL 기준 3~5단계
특화된 R&D 기준으로 지원 예정
발굴로 성과 · 1차년도 2개과제는 지정과제로 지원, 1개과제는 자유
극대화 과제로 평가 후 선정하여 지원, 총 20개과제 100건 지원
· 가교형 R&D는 사업화를 주도 할 참여기업이 25%
매칭을 조건으로 지원 예정
· 가교형 R&D지원을 포함해 전체적인 R&D지원을 통
지역수요 해 SCI급을 포함한 논문 108편, 해외특허를 포함한
기반 R&D 특허출원 90건을 배출 예정
지원사업 · 지역산업과의 연계성 확보를 위해 가교형 R&D의 □ 기술창업 커넥터 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후기(4~5년차)에는 시장동향을 분석을 겸하고, 이를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기반으로 연구의 마무리 단계를 확정하는 중간점검
과정을 포함하여 관리 예정 · 창업설명회 개최 : 20건
대상자 모집/교육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 창업아카데미 개설 : 20회
개설 · 예비창업자 배출 : 300명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화 역량강화 지원
기초·원천기술의
·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의 기술과 지역 기업의 사업 · 창업플래너 1:1상담 : 600건
기술창업 사업화 제고를 성공적인 창업 지원을
기술 중심 화 능력을 활용한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을 지원 · 분야별 창업 컨설턴트 연계
커넥터 사업 위한 창업기반 위한 창업 전문가 연계
하고, 기술의 제품화와 매출확보 지원을 위한 후속 : 300건
산학연
R&D를 지원할 예정 제공
공동연구법인 기술창업 경진대회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후속 R&D 지원은 사업화를 주 ·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10회
사업화 역량 개최를 통한 창업
도 할 참여기업이 25% 매칭을 조건으로 지원 예정 ·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160명
강화 지원 의욕 고취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은 총4개 법인의 설립을 지원할
예정이고, 이들 기업을 지역 과학기술 상용화 우수기
업으로 육성 예정, 1개 법인당 5년 총 20건 지원

- 341 - - 342 -
□ 세부사업내용 4) 산학연 네트워크 사업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목표

ㅇ 산학연 네트워크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광주지역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


○ 창업 아카데미 개설
· 대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창업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창업 아카데미 개설
· 창업 아카데미는 회차 별 20명을 정원으로 총교
육시간은 40시간 내외로 개설 예정하고, 총 교육
이수자 300명 배출 예정
· 교육내용은 창업절차 및 성공/실패 사례, 시장조
사, 창업투자, 국비지원 등 커리큘럼으로 운영
· 대학생의 경우 학점인정 방식으로 운영도 검토하
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아카데미의 경우 맞춤형
창업교육으로 운영 예정

○ 창업전문가 연계 지원
· 개인별 창업 희망자(수강생)의 사업계획을 1:1 □ 산학연 네트워크 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기초·원천기술의 맞춤형으로 검토하여 자문해주고, 시장상황에 적
기술창업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사업화 제고를 합한 방향으로 기술창업플랜을 수정/보완해주는
커넥터 협력체계 과학·산업 생태계 · S&T 정책교류회 운영 : 20회
위한 창업기반 역할을 수행 산학연 조성을 위한 기반 조성 · 분야별 전문가그룹 운영 : 30회
사업 구축을 통한
제공 · 창업컨설턴트는 창업을 시행하고자하는 예비창업 네트워크
과학기술 산학연관 네트워크 · 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 : 50회
사업
자를 대상으로 연계 예정이고, 주 내용은 구체적 경쟁력 강화 구축을 통한 교류협력 · 산학연관협의회 운영 : 20회
인 창업상담, 창업가이드, 창업적성검사, 창업자
문, 창업정보제공, 창업 아이템 제공, 창업분석 등
□ 세부사업내용
실무적인 분야의 1:1상담 및 지원을 지원 할 예정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창업경진대회 개최 ○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조성
· 일반인 및 대학(원)생의 창업에 대한 관심과 분위 · S&T 정책교류회 운영 및 특화 분야별 전문가 그룹
기 조성과 더불어 참신한 아이디어와 우수한 사업 운영을 통한 지역 과학기술 정책 및 방향 수립
· S&T 정책교류회에서는 2단계 SP사업 전반적인 지
모델을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경진대회 개최 협력체계
산학연 원로드맵을 구축하고, 분야별 전문가 그룹은 결과에
·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의 특허기술을 활용한 기 구축을 통한 대한 자문 및 지원 역할 수행
술창업 활용지원 네트워크
과학기술
· 상상력과 모험심이 풍부한 젊은 예비창업자를 창 사업 ○ 산학연관 네트워크 구축
경쟁력 강화
조경제형 창업가로 육성하고, 기술창업 지원인프 · 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을 통한 기업의 자발
라 구축을 통한 창업국가 코리아 구현에 기여 적인 신산업 아이디어 도출 및 협력 유도
· 산학연관협의회 운영을 통하여 S&T 정책교류회에서
제시한 로드맵에 대한 구체화 및 대안/해결 지원

- 343 - - 344 -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나. 지식재산 활용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가. 세부사업 연차별 로드맵
· 특화 가능한 광주 대학 및 연구소 기술수집 및
관리 : 100건
· 우수기술 선별 및 발굴 : 40건
사업년도 최종목표 · 발명자 Lab미팅 및 컨설팅 : 20건
광주 과학기술의
세부사업 · 대학 및 연구기관 중심 지식저장소 구축협의회 운영 : 5회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사업비(억원) 종합관리 체계 구축 · 기술탐색 및 거래 기반 기술DB 정보시스템
기술이전
구축 및 운영 : 1건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 광주지역 공공TLO과 시스템 연동 : 1건
200건
‘16 · 기술이전 합동설명회 개최 : 1건
일자리창출
지식재산 10 12 22 22 22 22 22 22 22 · 광/수송기계/스마트가전/문화콘텐츠 중심 기술
176명
활용도 이전 수요 발굴 : 20건
지식저장소 · 수요기술 진단 및 자문 : 30건
제고 30
구축 · 광주지역 특화분야 별 우수기술 홍보 동영상 제작 : 10건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 중개
· 기술이전 계약체결 지원 : 20건
우수기술 · 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 : 5건
40
발굴 및 중개 ·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 : 5건
· 기술(가치)평가사 등 기술이전 전문 인력양성 : 10명
과제기획
10 10 10 10 10 · 광주 대학 및 연구소 기술수집 : 100건
50건
· 우수기술 선별 및 발굴 : 40건
논문 · 발명자 Lab미팅 및 컨설팅 : 20건
지역수요 12 12 12 12 12 12 12 12 12 광주 과학기술의
108건 · 지식저장소 구축협의회 운영 : 5회
기반 종합관리 체계 안정화 · 기술DB 정보시스템 운영 : 1건
지역수요기반
R&D 5 · 광주지역 공공TLO과 시스템 연동 관리 : 1건
R&D과제기획
· 기술이전 합동설명회 개최 : 1건
‘17
가교형 R&D 240 · 기술이전 수요 발굴 : 20건
· 수요기술 진단 및 자문 : 30건
산학연공동 · 우수기술 홍보동영상 제작 : 10건
100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 중개 · 기술이전 계약체결 지원 : 20건
연구법인 설립
· 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 : 5건
창업 ·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 : 5건
1 1 1 1 1 1 1 1 1
9개 · 기술이전 전문 인력양성 : 10명
과학기술 일자리 · 광주 대학 및 연구소 기술수집 : 100건
24 24 24 24 24 24 24 24 32
224개 · 우수기술 선별 및 발굴 : 40건
활용창업 · 발명자 Lab미팅 및 컨설팅 : 20건
멘토링시스템 광주 과학기술의
지원 10 · 지식저장소 구축협의회 운영 : 5회
구축 종합관리 체계 안정화 · 기술DB 정보시스템 운영 : 1건
창업경진대회 · 광주지역 공공TLO과 시스템 연동 관리 : 1건
35 · 기술이전 합동설명회 개최 : 1건
추진
‘18
· 기술이전 수요 발굴 : 20건
과학기술창업 · 수요기술 진단 및 자문 : 30건
5
아카데미 · 우수기술 홍보동영상 제작 : 10건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 중개 · 기술이전 계약체결 지원 : 20건
· 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 : 5건
산학연기술 ·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 : 5건
S&T정책
네트워크 30 · 기술이전 전문 인력양성 : 10명
교류회 운영
구축 · 광주 대학 및 연구소 기술수집 : 100건
중소기업 네트 · 우수기술 선별 및 발굴 : 40건
30
워크 구축지원 · 발명자 Lab미팅 및 컨설팅 : 20건
광주 과학기술의
‘19 · 지식저장소 구축협의회 운영 : 5회
합계 525 종합관리 체계 안정화 · 기술DB 정보시스템 운영 : 1건
· 광주지역 공공TLO과 시스템 연동 관리 : 1건
· 기술이전 합동설명회 개최 : 1건

- 345 - - 346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기술이전 수요 발굴 : 20건 · 광주 대학 및 연구소 기술수집 : 100건


· 수요기술 진단 및 자문 : 30건 · 우수기술 선별 및 발굴 : 40건
· 우수기술 홍보동영상 제작 : 10건 광주 과학기술의 · 발명자 Lab미팅 및 컨설팅 : 20건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 중개 · 기술이전 계약체결 지원 : 20건 · 지식저장소 구축협의회 운영 : 5회
· 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 : 5건 종합관리 체계 정착 · 기술DB 정보시스템 운영 : 1건
·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 : 5건 · 광주지역 공공TLO과 시스템 연동 관리 : 1건
· 기술이전 전문 인력양성 : 10명 · 기술이전 합동설명회 개최 : 1건
‘23
· 광주 대학 및 연구소 기술수집 : 100건 · 기술이전 수요 발굴 : 20건
· 우수기술 선별 및 발굴 : 40건 · 수요기술 진단 및 자문 : 30건
· 발명자 Lab미팅 및 컨설팅 : 20건 · 우수기술 홍보동영상 제작 : 10건
광주 과학기술의
· 지식저장소 구축협의회 운영 : 5회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 중개 · 기술이전 계약체결 지원 : 20건
종합관리 체계 활성화 · 기술DB 정보시스템 운영 : 1건 · 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 : 5건
· 광주지역 공공TLO과 시스템 연동 관리 : 1건 ·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 : 5건
· 기술이전 합동설명회 개최 : 1건 · 기술이전 전문 인력양성 : 10명
‘20 · 광주 대학 및 연구소 기술수집 : 100건
· 기술이전 수요 발굴 : 20건
· 수요기술 진단 및 자문 : 30건 · 우수기술 선별 및 발굴 : 40건
· 우수기술 홍보동영상 제작 : 10건 광주 과학기술의 · 발명자 Lab미팅 및 컨설팅 : 20건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 중개 · 기술이전 계약체결 지원 : 20건 · 지식저장소 구축협의회 운영 : 5회
종합관리 체계 정착 · 기술DB 정보시스템 운영 : 1건
· 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 : 5건
·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 : 5건 · 광주지역 공공TLO과 시스템 연동 관리 : 1건
· 기술이전 전문 인력양성 : 10명 · 기술이전 합동설명회 개최 : 1건
‘24
· 기술이전 수요 발굴 : 20건
· 광주 대학 및 연구소 기술수집 : 100건
· 수요기술 진단 및 자문 : 30건
· 우수기술 선별 및 발굴 : 40건
· 우수기술 홍보동영상 제작 : 10건
광주 과학기술의 · 발명자 Lab미팅 및 컨설팅 : 20건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 중개 · 기술이전 계약체결 지원 : 20건
· 지식저장소 구축협의회 운영 : 5회
종합관리 체계 활성화 · 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 : 5건
· 기술DB 정보시스템 운영 : 1건 ·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 : 5건
· 광주지역 공공TLO과 시스템 연동 관리 : 1건
· 기술이전 전문 인력양성 : 10명
· 기술이전 합동설명회 개최 : 1건
‘21 · 광주 대학 및 연구소 기술수집 : 100건
· 기술이전 수요 발굴 : 20건 · 우수기술 선별 및 발굴 : 40건
· 수요기술 진단 및 자문 : 30건 · 발명자 Lab미팅 및 컨설팅 : 20건
광주 과학기술의
· 우수기술 홍보동영상 제작 : 10건 · 지식저장소 구축협의회 운영 : 5회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 중개 · 기술이전 계약체결 지원 : 20건 종합관리 체계 정착 · 기술DB 정보시스템 운영 : 1건
· 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 : 5건 · 광주지역 공공TLO과 시스템 연동 관리 : 1건
·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 : 5건 · 기술이전 합동설명회 개최 : 1건
· 기술이전 전문 인력양성 : 10명 ‘25
· 기술이전 수요 발굴 : 20건
· 광주 대학 및 연구소 기술수집 : 100건 · 수요기술 진단 및 자문 : 30건
· 우수기술 선별 및 발굴 : 40건 · 우수기술 홍보동영상 제작 : 10건
광주 과학기술의 · 발명자 Lab미팅 및 컨설팅 : 20건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 중개 · 기술이전 계약체결 지원 : 20건
· 지식저장소 구축협의회 운영 : 5회 · 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 : 5건
종합관리 체계 활성화 · 기술DB 정보시스템 운영 : 1건 ·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 : 5건
· 광주지역 공공TLO과 시스템 연동 관리 : 1건 · 기술이전 전문 인력양성 : 10명
· 기술이전 합동설명회 개최 : 1건
‘22
· 기술이전 수요 발굴 : 20건
· 수요기술 진단 및 자문 : 30건
· 우수기술 홍보동영상 제작 : 10건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 중개 · 기술이전 계약체결 지원 : 20건
· 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 : 5건
·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 : 5건
· 기술이전 전문 인력양성 : 10명

- 347 - - 348 -
다. 지역수요기반 R&D지원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가교형 R&D지원 : 17개 과제 (신규 4개)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광주지역에 특화된 R&D 발굴 · 특허 출원 및 등록 : 9건
· 지역맞춤형 R&D기획과제 발굴 : 10건 · 연구논문(SCI포함) : 12편
광주지역에 특화된 R&D 발굴
· 가교형 R&D지원 : 3개 과제 (신규 3개) ‘21
‘16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 3건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화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 1건 (신규 1개)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화 · 법인설립 지원 일자리 창출 : 9개
역량 강화
역량 강화 · 연구법인 후속R&D지원 : 2건
· 지역맞춤형 R&D기획과제 발굴 : 10건 · 성과발표회 개최 : 1건
· 가교형 R&D지원 : 6개 과제 (신규 3개)
광주지역에 특화된 R&D 발굴
· 특허 출원 및 등록 : 9건 · 가교형 R&D지원 : 14개 과제
· 연구논문(SCI포함) : 12편 광주지역에 특화된 R&D 발굴 · 특허 출원 및 등록 : 9건
‘17 · 연구논문(SCI포함) : 12편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 1건 ‘22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화 · 법인설립 지원 일자리 창출 : 9개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 3건 (신규 1개)
역량 강화 · 연구법인 후속R&D지원 : 2건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화 · 법인설립 지원 일자리 창출 : 9개
· 성과발표회 개최 : 1건 역량 강화 · 연구법인 후속R&D지원 : 2건
· 성과발표회 개최 : 1건
· 지역맞춤형 R&D기획과제 발굴 : 10건
· 가교형 R&D지원 : 9개 과제 (신규 3개) · 가교형 R&D지원 : 11개 과제
광주지역에 특화된 R&D 발굴
· 특허 출원 및 등록 : 9건 광주지역에 특화된 R&D 발굴 · 특허 출원 및 등록 : 9건
· 연구논문(SCI포함) : 12편 · 연구논문(SCI포함) : 12편
‘18
‘23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 2건 (신규 1개)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 2건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화 · 법인설립 지원 일자리 창출 : 9개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화 · 법인설립 지원 일자리 창출 : 9개
역량 강화 · 연구법인 후속R&D지원 : 2건 역량 강화 · 연구법인 후속R&D지원 : 2건
· 성과발표회 개최 : 1건 · 성과발표회 개최 : 1건

· 지역맞춤형 R&D기획과제 발굴 : 10건


· 가교형 R&D지원 : 8개 과제
· 가교형 R&D지원 : 12개 과제 (신규 3개)
광주지역에 특화된 R&D 발굴 광주지역에 특화된 R&D 발굴 · 특허 출원 및 등록 : 9건
· 특허 출원 및 등록 : 9건
· 연구논문(SCI포함) : 12편
· 연구논문(SCI포함) : 12편
‘19 ‘24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 2건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 2건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화 · 법인설립 지원 일자리 창출 : 9개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화 · 법인설립 지원 일자리 창출 : 9개
역량 강화 · 연구법인 후속R&D지원 : 2건
역량 강화 · 연구법인 후속R&D지원 : 2건
· 성과발표회 개최 : 1건
· 성과발표회 개최 : 1건

· 지역맞춤형 R&D기획과제 발굴 : 10건 · 가교형 R&D지원 : 4개 과제


· 가교형 R&D지원 : 16개 과제 (신규 4개) 광주지역에 특화된 R&D 발굴 · 특허 출원 및 등록 : 9건
광주지역에 특화된 R&D 발굴 · 연구논문(SCI포함) : 12편
· 특허 출원 및 등록 : 9건
· 연구논문(SCI포함) : 12편 ‘25
‘20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 1건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 3건 (신규 1개)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화 · 법인설립 지원 일자리 창출 : 9개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화 · 법인설립 지원 일자리 창출 : 9개 역량 강화 · 연구법인 후속R&D지원 : 2건
역량 강화 · 연구법인 후속R&D지원 : 2건 · 성과발표회 개최 : 1건
· 성과발표회 개최 : 1건

- 349 - - 350 -
라. 기술창업 커넥터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창업설명회 개최 : 2건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창업아카데미 개설 : 2회
· 창업설명회 개최 : 2건 · 예비창업자 배출 : 30명
· 창업아카데미 개설 : 2회 ‘21 특허·원천 활용 창업 활성화 · 창업플래너 1:1상담 : 60건
· 예비창업자 배출 : 30명 · 분야별 창업 컨설턴트 연계 : 30건
‘16 특허·원천 활용 창업기반 제공 · 창업플래너 1:1상담 : 60건 ·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1회
· 분야별 창업 컨설턴트 연계 : 30건 ·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16명
·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1회
· 창업설명회 개최 : 2건
·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16명
· 창업아카데미 개설 : 2회
· 창업설명회 개최 : 2건 · 예비창업자 배출 : 30명
· 창업아카데미 개설 : 2회 ‘22 특허·원천 활용 창업 확산 · 창업플래너 1:1상담 : 60건
· 예비창업자 배출 : 30명 · 분야별 창업 컨설턴트 연계 : 30건
‘17 특허·원천 활용 창업기반 제공 · 창업플래너 1:1상담 : 60건 ·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1회
· 분야별 창업 컨설턴트 연계 : 30건 ·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16명
·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1회
·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16명 · 창업설명회 개최 : 2건
· 창업아카데미 개설 : 2회
· 창업설명회 개최 : 2건
· 예비창업자 배출 : 30명
· 창업아카데미 개설 : 2회
‘23 특허·원천 활용 창업 확산 · 창업플래너 1:1상담 : 60건
· 예비창업자 배출 : 30명
· 분야별 창업 컨설턴트 연계 : 30건
‘18 특허·원천 활용 창업기반 제공 · 창업플래너 1:1상담 : 60건
·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1회
· 분야별 창업 컨설턴트 연계 : 30건
·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16명
·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1회
·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16명 · 창업설명회 개최 : 2건
· 창업설명회 개최 : 2건 · 창업아카데미 개설 : 2회
· 창업아카데미 개설 : 2회 · 예비창업자 배출 : 30명
· 예비창업자 배출 : 30명 ‘24 특허·원천 활용 창업 확산 · 창업플래너 1:1상담 : 60건
‘19 특허·원천 활용 창업 활성화 · 창업플래너 1:1상담 : 60건 · 분야별 창업 컨설턴트 연계 : 30건
· 분야별 창업 컨설턴트 연계 : 30건 ·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1회
·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1회 ·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16명
·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16명
· 창업설명회 개최 : 2건
· 창업설명회 개최 : 2건 · 창업아카데미 개설 : 2회
· 창업아카데미 개설 : 2회 · 예비창업자 배출 : 30명
· 예비창업자 배출 : 30명 ‘25 특허·원천 활용 창업 확산 · 창업플래너 1:1상담 : 60건
‘20 특허·원천 활용 창업 활성화 · 창업플래너 1:1상담 : 60건 · 분야별 창업 컨설턴트 연계 : 30건
· 분야별 창업 컨설턴트 연계 : 30건 ·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1회
·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 : 1회 ·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16명
·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16명

- 351 - - 352 -
마.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가. 세부사업별 추진전략, 방법 및 추진체계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S&T 정책교류회 운영 : 2회
1) 지식재산 활용사업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 · 분야별 전문가그룹 운영 : 3회
‘16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 : 5회
· 산학연관협의회 운영 : 2회 □ 추진전략 및 방법
· S&T 정책교류회 운영 : 2회 ㅇ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이 필요 하는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대학 및 출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 · 분야별 전문가그룹 운영 : 3회
‘17 연연 이 보유하고 있는 기초 원천기술의 탐색하여 기술중개 및 기술저장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 : 5회
· 산학연관협의회 운영 : 2회 소 구축
· S&T 정책교류회 운영 : 2회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 · 분야별 전문가그룹 운영 : 3회
‘18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 : 5회
· 산학연관협의회 운영 : 2회
· S&T 정책교류회 운영 : 2회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 · 분야별 전문가그룹 운영 : 3회
‘19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 : 5회
· 산학연관협의회 운영 : 2회
· S&T 정책교류회 운영 : 2회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 · 분야별 전문가그룹 운영 : 3회
‘20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 : 5회
· 산학연관협의회 운영 : 2회
· S&T 정책교류회 운영 : 2회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 · 분야별 전문가그룹 운영 : 3회
‘21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 : 5회 [그림 3-2] 지식재산 활용사업 추진전략
· 산학연관협의회 운영 : 2회
· S&T 정책교류회 운영 : 2회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 · 분야별 전문가그룹 운영 : 3회 ㅇ 지역중소기업의 수요조사를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국내·외 기술 확보
‘22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 : 5회
지원
· 산학연관협의회 운영 : 2회
- 전국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타지역으로부터 매칭기술에 대한 기술이전 지원
· S&T 정책교류회 운영 : 2회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 · 분야별 전문가그룹 운영 : 3회 - 기술과 기술수요자를 중개해주는 국내외 기술중개 전문기업을 적극 활
‘23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 : 5회 용하여 중개
· 산학연관협의회 운영 : 2회
ㅇ 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와 기술중개서비스 기업이 공동으로 공공TLO(지
· S&T 정책교류회 운영 : 2회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 · 분야별 전문가그룹 운영 : 3회 역대학 등)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사업추진
‘24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 : 5회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과제발굴 지원 및 중대형 R&D 사업 기획
· 산학연관협의회 운영 : 2회
연계지원
· S&T 정책교류회 운영 : 2회
ㅇ 기술저장소 사업추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 · 분야별 전문가그룹 운영 : 3회
‘25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 : 5회 - 지역의 특허등을 기술저장소에 저장하고 특허 고부가가치화를 추진
· 산학연관협의회 운영 : 2회
- 창업기업과 벤처기업에 대여해주고 중개역할 (IP사업화 전문기업)

- 353 - - 354 -
ㅇ 광주지역의 경우 5대 특화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을 하고 있으며 많은 ㅇ 등급평가는 선정된 특허기술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며, 평가결과는 기
기업들이 이 분야에 집중 술명, 출원(등록)번호, 평가항목 점수, 산출 등급의 필드를 생성하여 평
ㅇ 따라서 본 사업의 성공을 위하여 지역의 실정에 맞은 우수한 기술을 발 가결과 리스트 제작
굴이 중요하며 빠른 사업화가 가능한 아이템 위주의 기술선정이 매우 ㅇ 보유한 평가시스템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이전대상 우선기술로 최종적
중요하므로 이 부분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추진될 계획 으로 기술을 발굴
ㅇ 이를 위해 단계별 기술이전 주요 내용별 역할 분담을 시행하여 상호협력 ㅇ 본 사업의 성공을 위하여 지역의 유관기관과의 지속적이고 긴밀한 협조
을 통한 성공적인 기술이전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가 필요하며 연구회의나 전문가 회의 시에 본 사업의 추진현황 및
방법에 대해서 공유하고 문제점을 수정

□ 추진체계
ㅇ 체계적인 기술이전 수행을 위해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를 중심으로
공공TLO는 자체 우수기술의 발굴과 홍보에 주력하고, 민간TLO는 수요
기업과의 1:1맞춤형 상담을 통해 기술이전의 성공률을 제고할 예정
ㅇ 과거의 단순 특허기술 이전에서 현장지향 기술전수형 대학보유기술이전
시행
ㅇ 기술이전의 마케팅 관점 접목으로 산업체가 대학보유기술을 재(再)구매
는 기술이전의 선순환 고리 제공
ㅇ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대학의 기술개발 계기 마련

[그림3-3] 기술이전 과정별 프로세서

ㅇ 이외에도 광주지역에 산재해 있는 다양한 유관기관(광주연구개발특구본


부, 발명진흥회, 산업단지공단, 한국광기술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과
긴밀한 관계가 있는 지역기업의 기술 수요정보를 공유
ㅇ 그로인해 본 사업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기술이전 사업의 성공 및 기술사
업화 프레임을 빠른 시일 안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
ㅇ 공공기관 TLO의 IP Pool에 있는 해당 기술을 선별 평가한 후 선별된 기
술에 대해 상세한 기술성⋅권리성 분석을 실시
ㅇ 수집된 특허기술 리스트 작성 후, 등록, 공개, 출원특허를 분리하고, 해
외출원, 패밀리 특허 여부를 확인하고 우선순위를 부여함
ㅇ 특허기술이 속한 기술군을 세부기술로 분류하여 기술트리를 작성하고,
제품 또는 서비스 중 어느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인지 분석
ㅇ 기술군별 표준성/기술성/시장성/권리성으로 평가하여 A~D 등급으로 등
급 산출, 상위 15% 범위 내에서 우수특허 선정
- 355 - - 356 -
2) 지역수요기반 R&D지원사업 ㅇ 가교형 R&D 과제선정 및 지원방법
- (지원규모) 5억원/년 이내, 총 20개 과제 100건 지원
□ 추진전략 및 방법 - (지원기간) 5년 이내
ㅇ 광주지역의 특화산업분야(유망 신성장동력 분야, 광역선도 연계 유망분 - (지원기술) TRL 3~5단계 수준에서 파급효과가 큰 기술
야, 신특화산업군)를 중점으로 대학 및 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기초·원 - (지원방식) 지정 및 자유 공모 혼용
천 R&D기술 중 가교형 R&D로 발전할 수 있는 핵심기술의 수요를 발 - (추진체계) 1~3년차 주관기관은 기관, 4~5년차 주관기관은 기업
굴하고, 핵심 기술을 선정 - (특이사항) 신규채용 필수, 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할 경우에만 인정
ㅇ 기술 중심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과제선정 및 지원방법
- (지원규모) 5억원/년 이내, 총 4개 법인 20건 지원
- (지원기간) 5년 이내
- (지원기술) TRL 2~7단계 수준에서 사업화 및 고용효과가 큰 기술
- (지원방식) 자유 공모
- (추진체계) 주관기관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 (특이사항) 연차별 평가를 통해 우수, 보통, 중단으로 구분하여 관리
ㅇ 가교형 R&D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R&D 과제 도출 결과
- 광주지방과학연구단지에서는 2단계 사업추진을 위해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가교형 R&D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R&D 과제를 도출 (부록참조)
[그림 3-3] 기업수요기반 R&D기획 프로세서

□ 추진체계
ㅇ 지역선도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하여 지역수요에 기반한 기초원천 연구지원 ㅇ 지역 내 특화산업 관련 분야 관련 기관 및 대학의 장비 등 인프라는 물
ㅇ 기초원천연구 성과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후속연구에 지원 론, 인적자원을 활용한 협력체계를 기반한 사업 추진 시행
ㅇ 국가 R&D 결과물을 사업화로 연결하는 가교형 R&D 기획
ㅇ 기술개발과 사업화 역량이 부족한 지역기업의 경우 기초·응용 R&D 및
R&BD에 있어서 지역대학과의 긴밀한 협력필요
ㅇ 특화된 R&D 과제 기획·발굴 절차
- 지역기업 수요 : 지역 내 기업을 대상으로 개발 희망 분야에 대한 수요를
파악
- 우선대상과제 선정 : 관련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우선 과제를 선정
- 과제/연구자 매칭 : 기업 수요에 근거하여 기업의 희망과제와 관련 연구
자를 연계
- 특화된 R&D 선정 : 도출된 특화과제에 대해 자체 및 연계지원 시행
* 광주지역 특화분야 : 광 융·복합 소재, 친환경 수송기계, 스마트가전, 디
자인·문화콘텐츠산업재성형 분야

- 357 - - 358 -
※ 지역수요를 반영한 가교형 R&D 도출 과정 3) 기술창업 커넥터 사업

ㅇ 지역 대학 및 기업 R&D 수요조사 □ 추진전략 및 방법


- 조사기간 : 2013년 8월 1일 ~ 9월 30일 ㅇ 등록특허(기초원천기술) 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직접사업화 방식인 창업
- 과제평가 : 2013년 11월 12일, 14:00 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를 통해 기초원천 R&D 사업화 성과제고
- 평가장소 :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회의실
- 참석대상 : 동신대학교 안성수 교수, 한국발명진흥회 김현덕 박사, 연구
개발특구 배준성 박사 등 각 분야별 전문가 11인
- 도출과제 :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조사된 수요를 기반으로 10개과제 선별
ㅇ 세부자료 작성 및 보완 회의
- 회의일자 : 2013년 11월 18일, 12월 3일, 12월 20일 (3회)
- 참석대상 : 10개 기관 및 기업 실무자
- 회의결과 : R&D기획보고서 보완을 통해 가교형 R&D 제안자료로 사용
- 도출과제

NO 기관(기업)명 발굴과제 비고

5.8GHz 대역 저전력 전자회로 설계 및 응용 [그림 3-4] 추진전략 (특허활용창업기획)


1 전남대학교 가교형
시스템 개발
R&D
초전도 송신코일을 적용한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기술
2 조선대학교 도출 ㅇ 지역수요기반 R&D의 결과물인 기술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사업화방식 적용
제안서
홈케어를 위한 전자식 전방위 스마트 네트워크 ㅇ 창업 및 합착벤처 설립지원, 테크노파크나 대학 산학협력단을 활용하여
3 (주)디지털테크
카메라 개발 기술이전 지원
3D AR, 햅틱을 이용한 스마트 메디컬 교육 시스템
4 나눔테크 ㅇ 창업지원을 위해 멘토단 구성 및 멘토 D/B 구축
개발 및 차세대 스마트 AED 상용화
ㅇ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는 엔젤, 멘토 및 지원기관등을 연계시켜 예비
응급사항 대처가능한 6M급 비접촉 생체정보검출
5 전자부품연구원 창업자에 대한 종합적 서비스 제공
기술 개발
색상선호도 통계적 모델을 통한 지능형 감성최적화 ㅇ 연구성과물에 기반한 성공적 창업을 위한 멘토링 및 창업기획사 설립 또는 지정
6 동원안전시스템
LED 조명제어 시스템 개발 ㅇ 창업기획사 주관으로 지역수요기반 R&D 등의 연구결과물을 활용하는 창
7 마이크로테크 고출력용 방열판 제조 및 표면개질 기술 개발 업경진대회 추진
ㅇ 대상자 모집/교육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개설
최적 생장 환경 관리를 위한 BESS를 겸비한 에너지
8 리눅스아이티 - (주요대상) 대학(원)생 및 일반인
관리시스템
단위 광원모듈 연결형 Full-HD급 초다시점 대형 - (강좌개설) 대학(원)생 창업 아카데미와 일반인 창업 아카데미로 구분하여 개설
9 한국광기술원
입체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 - (모집기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창업아카데미는 방학기간을 활용

10 코셋 XMD형 고성능 10G DML 모듈 개발


하고, 주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강좌는 야간 및 주말을 활용하여 개설
- (교육시간) 40시간 기준
- (수강인원) 20명 내외
- (특이사항) 대학생은 학점이 인정되는 실전 창업강좌 개설
- 359 - - 360 -
4) 산학연 네트워크 사업
ㅇ 성공적인 창업 지원을 위한 창업 전문가 연계
- 창업의욕은 있으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 □ 추진전략 및 방법
가 1:1로 멘토가 되어 창업 플랜을 정비해주고 구체적인 창업 실무를 ㅇ 지역 R&D 허브기능을 통해 정책 입안 및 기획수립단계에서 교류협력
컨설팅 해주도록 지원 활성화 필요
- 창업플래너와 창업컨설턴트를 통해 성공적인 창업을 지원하도록 시행예정 ㅇ 과학·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 조성
ㅇ 기술창업 경진대회 개최를 통한 창업 의욕 고취 - 광주시와 협력하여 지역과학기술 기획 및 교류 위원회를 상설 위원회로
- 일반인 뿐만 아니라 대학(원)생의 창업에 대한 관심과 분위기 조성하 구성
고, 참신한 아이디어와 우수한 사업모델을 발굴·지원 - 지역내 연구성과 및 정책에 대한 성과를 발표하는 포럼 개최를 통해 지
- 1차심사 : 창업팀 역량(창업가 자질, 창업팀 구성, 창업의지, 시장이해 식 및 인적 교류활성화
도), 창업아이템의 사업성(시장성, 수익성), 기술성(우수성, 차별성, 모 - 지역과학기술진흥 정책 수립 및 실행에 대한 정보제공, 의견교환 등이
방성)에 중점을 두어 평가 가능한 온라인 정책교류 장 구축
- 2차심사 : 창업팀 역량, 창업아이템의 사업성, 기술성, 전달력(프리젠테 ㅇ 산학연관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교류협력
이션 능력)에 중점을 두어 평가 - 동일 산업분야 내에서 대학 및 연구기관, 중소기업, 대기업 및 투자기관
- 3차심사 : 창업팀 역량, 창업아이템의 사업성, 기술성, 전달력, 전담멘토 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지원
평가(사업계획의 구체성)에 중점을 두어 평가 -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과 연구개발프로그램 참여시 우대
-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는 네트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 간
□ 추진체계 정보교환 등 네트워크 감독매니저 역할 수행
ㅇ 지역 대학 및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창업 희망자를 모집, 전문가 연계 창
업 프로그램 구성으로 성공창업을 지원 □ 추진체계
ㅇ 지역 산학연관 협력네트워크 구축으로 특화분야 전문가 및 정책입안자,
연구자, 기업이 함께 R&D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

- 361 - - 362 -
나.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 관련 사업과의 연계
ㅇ 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연계
□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지원하는 광주 연구개발지원단 사업과 연계하여 지
ㅇ 지역수요기반 R&D지원사업은 산학연 네트워크 사업으로 갖춰진 산학연관 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형과제발굴을 위한 수요조사 및 기술수요
협력 체계를 활용하여 기업 R&D 수요를 발굴하고, 가교형 R&D 발굴을 맞춤형 R&D 과제 발굴을 위한 기획연계 추진 가능
위한 연구소재를 발굴하는 한편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으로 연계되도록 - R&D 관리 DB시스템의 연계 활용을 통한 정보관리 효율성 확보
지원하여 지역 R&D 인프라를 확보하도록 연계 - 지역수요기반 R&D과제 발굴을 위한 광주연구개발지원단 기획보고서 활용
ㅇ 창업커넥터 사업은 산학연 네트워크 사업과 연계하여 지역 대학 및 연구 ㅇ 지역혁신창의인력양성사업 연계
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활용한 창업 기술소재(아이디어) 발굴하고, 창업 - 교육부에서 지원하는 지역혁신창의인력양성사업과 연계하여 지역특성을
아카데미 수강생 발굴 등 창업 관련 전문인력 Pool을 확보하여 기술창업 반영한 R&D사업 및 현장 인력양성을 통한 고용창출 및 연구역량을 강화
인프라 조성에 협력 - 산학공동사업의 수행에 따라 기술성과의 기업이전 확대를 통한 광주지역
ㅇ 지식재산 활용을 위하여 산학연 네트워크 협력사업에서 확보한 지역 기 내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업의 수요발굴과 대학 및 유관기관 기초·원천 보유기술을 활용하는 사업 - 기술결과물 활용을 위한 지역차원의 멘토단 구성, 연구성과 기반의 창
으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연계체계를 지원 업경진대회 추진 등 창업기획수행
ㅇ 각 세부사업별 연계는 세부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하고, 각 사업 결과물의 ㅇ 지역중소기업수요조사지원사업 연계
활용하도록 하여 유기적이고 연속적인 사업관리 및 연계를 지원하도록 구성 - 지자체 및 중앙정부와의 R&D 사업 연계를 통한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R&D 사업 기획 등 참여기획 마련
- 중소기업 기술수요조사를 통한 지역 수요기반 R&D사업 발굴 및 기업
R&D 역량강화
- 광주지역 내 혁신기관 간 통합 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 협력의 중심역할 담당
ㅇ 지역 대학 LINC 사업 연계
- 광주지역 내 대학과 유관기관과 중소기업간의 협력 네트워크를 통하여
(재)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중심의 협의회 및 기술교류회 운영
- 광주지역 중소기업과 대학 및 출연연간의 연계를 통하여 기업의 필요기
술이전 확대

5. 기대효과

□ 정성적 기대효과
ㅇ 지식저장소의 구축으로 정부차원의 지역 기초·원천 기술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가능
- 지식저장소를 통해 광주지역 보유 기술에 대한 중개 및 이전의 원천을
확보하고, 지식재산의 활용 제고를 통해 지역 과학기술 사업화 효율을 제고
ㅇ 지역수요 지향적 R&D지원으로 지역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 지원
- 가교형 R&D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화 역량강화 지원 등을 통한

- 363 - - 364 -
지역에 특화된 과제 기획·발굴을 통해 연구와 기업하기 좋은 환경 구축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ㅇ 지존 지역산업 및 기업의 고도화 및 지속적 성장 환경 조성
- 광주과학연구단지 특화분야 광 융·복합 소재, 친환경 수송기계, 스마트 □ 사업비 총괄표
가전,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재성형 분야를 직·간접적인 지원을 통해 안 (단위 : 백만원)

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 지원 가능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합 계

국비 2,075 2,615 3,530 4,070 5,165 5,295 4,755 3,840 3,300 2,205 36,850
ㅇ 정량적 기대효과 지방비 740 740 740 740 740 690 690 690 690 690 7,150

- 지식재산 활용사업 기대효과 (기술이전 중심) 민 간 305 485 790 970 1,335 1,395 1,215 910 730 365 8,500

· (생산증대효과) 이전목표 × 사업화성공률 27% × 미래부 신규과제당 합계 3,120 3,840 5,060 5,780 7,240 7,380 6,660 5,440 4,720 3,260 52,500

평균 매출 8.8억원
→ 200건 × 27% × 8.8억원 = 475.2억원
□ 세부사업별 사업비
· (고용유발효과) 매출 증가액 ÷ 2.7억당 1명 일자리 창출
ㅇ 지식재산 활용사업
→ 475.2억원 ÷ 2.7억원 = 176명
(단위 : 백만원)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 지역수요기반 R&D지원사업 기대효과 (가교형 R&D,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중심)
지식저 국비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0
[가교형 R&D 지원 20개과제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4개 = 25개 기준]
장소구 지방비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0
· (생산증대효과) 목표건수 × 벤처기업 평균매출 대비 30% 축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 25건 × 67.2억원 × 30% = 504억원 우수기 국비 320 320 320 320 320 320 320 320 320 320 3,200
술발굴 지방비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0
· (고용유발효과) 매출 증가액 ÷ 2.7억당 1명 일자리 창출
및중개 계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0
→ 504억원 ÷ 2.7억원 = 186.6명
합계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0

- 기술창업 커넥터 사업 기대효과 (창업기업 배출 중심) ㅇ 지역수요기반 R&D지원사업


· (생산증대효과) 배출인원 × 창업성공률 10% × 생존율 30% × 벤처기업 평균 매출 (단위 : 백만원)
→ 300명 × 10% × 30% × 67.2억원 = 604.8억원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 (고용유발효과) 매출 증가액 ÷ 2.7억당 1명 일자리 창출 지역 국비 50 50 50 50 50 - - - - - 250
→ 604.8억원 ÷ 2.7억원 = 224명 R&D
지방비 50 50 50 50 50 - - - - - 250
과제
기획 계 100 100 100 100 100 - - - - - 500

※ 기대효과 종합 가교형 국비 540 1,080 1,620 2,160 2,880 3,060 2,520 1,980 1,440 720 18,000
R&D 민간 180 360 540 720 960 1,020 840 660 480 240 6,000
구분 생산증대효과 (억원) 고용유발효과 (명) 비고 지원 계 720 1,440 2,160 2,880 3,840 4,080 3,360 2,640 1,920 960 24,000
지식재산 활용사업 475.2 176 산학연 국비 375 375 750 750 1,125 1,125 1,125 750 750 375 7,500
공동연
지역수요기반 R&D지원사업 504 186.6 민간 125 125 250 250 375 375 375 250 250 125 2,500
구법인
기술창업 커넥터 사업 604.8 224 설립 계 500 500 1,000 1,000 1,500 1,500 1,500 1,000 1,000 500 10,000

합 계 1,584 586.6 합계 1,320 2,040 3,260 3,980 5,440 5,580 4,860 3,640 2,920 1,460 34,500

- 365 - - 366 -
ㅇ 기술창업 커넥터 사업 7.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
(단위 : 백만원)
구분 연구결과 활용방안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 광주지역 기술 및 특허 등 기술DB를 누적하여
광주지역 특허 및 특화산업 발굴과 지속적인 기술사업화에 활용
기술창 국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업아카 기술DB · 타 지방 연구단지와의 정보공유를 통해 전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데미개 지식재산 국적인 기술이전 체계를 마련에 활용
설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 정보탐색을 통한 기술거래/중개 및 우수기
활용사업
창업플 국비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0 술 홍보공간으로 활용
지식저장소 Web Site
래너연
지방비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0
· 지역 기술의 전국적인 기술마케팅 및 기술
계창업 수요 발굴 공간으로 활용
컨설팅 계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0
· 지역 특화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아이
기술창 국비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0 신규기획과제 발굴 템을 제공하고, 이를 통한 국비 및 협업 사
업경진 업의 기초자료로 활용
지방비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0
대회개
최 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 가교형 R&D에 참여하는 기업의 신규사업
가교형 R&D를 통한 발굴 아이템으로 활용
합계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0
사업화 결과물 · 보유된 기술을 근간으로 연관기술을 개발/
지역수요기반
응용하여 다양한 사업화 기회로 활용
R&D지원사업
ㅇ 산학연 네트워크 사업 · 기술 중심 산학연 연구법인의 성공 모델을
(단위 : 백만원) 통한 기술이전 및 신규창업지원의 성공모델
을 구축하고 보급하여 서너지 창출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 설립된 기술 중심 산학연 연구법인을 통해
S&T정국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추가적인 기술이전을 시행하여 다양한 기술
책교류 지방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의 사업화 접목에 활용
회운영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 창업아카데미를 통해 배출된 예비창업자와
중소기 국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기술이전 DB를 연계하여 창업에 활용
업네트 지방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예비창업자 발굴 · 배출된 예비창업자는 기존 광주과학연구단
워크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기술창업 지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다양한 사업화 기
합계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0 커넥터 사업 회를 제공
· 본 사업으로 구성된 창업 플래너 및 컨설턴
창업전문가 Pool 트는 광주과학연구단지의 지속적인 사업 자
문조직으로 활용
· 광주과학연구단지의 성공적인 2단계 사업수
행을 위해 지역 정책 및 사업 방향 수립의
정책기획전문가
지원 조직으로 활용
네트워크 · 지역 과학·산업의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아이디어 제공조직으로 활용
산학연 · 각 특화산업별 과학기술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전문가 네트워크 수립과 이를 연계한 세부기술의 기획 및 평
네트워크 사업 가조직으로 활용
· 기업 기술이전 및 과제발굴을 위한 수요와
산학연관 협력 협력을 위한 지원조직으로 활용
· 지역 기업의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이를 정
네트워크 책 및 R&D에 반영하도록 자문하는 조직으
로 활용

- 367 - - 368 -
8. 연구원 편성표 첨부 I 가교형 R&D 후보과제 리스트

과제명 직급별 참여연구원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기관 TRL 산업 중점


과제 국공 NO 발굴과제 기술명
수 책 선 원 기 출연 산업 (기업)명 분류 분야 분야
구분 연구기관 연구책임자 계 립 대학 기타 계
석 임 임 급 타 (연) 계
(연) 5.8GHz 대역 저전력 홈네트워크
광주지방과학연구단지
지방과학 스마트
1 전자회로 설계 및 응용 능동형 RFID 전남대학교 4,5
육성사업(2단계) 기술진흥 가전
총괄 3 1 4 5 - 13 - - 10 10 - 20 시스템 개발 기술
광주과학기술교
이학재
류협력센터
초전도 송신코일을 적용한 친환경
합 계 3 1 4 5 0 13 0 0 10 10 0 20 초전도 및 지방과학
2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기술 조선대학교 4 수송
무선전력 전송기술 기술진흥
제안서 기계
9. 참고문헌
전자식 팬틸드
홈케어를 위한 전자식
ㅇ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13), 『제 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연구』 카메라 및 ㈜디지털 지방과학 스마트
3 전방위 스마트 네트워크 5
영상처리 테크 기술진흥 가전
ㅇ 교육과학기술부(2009), 과학연구단지 중심의 R&D 허브화 전략과 과제, 경북 카메라 개발
알고리즘 기술
테크노파크 전략사업기획단
3D AR, 햅틱을 이용한 메디컬
ㅇ 기술과가치(2011), 2011년도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성과분석보고서, 중소기업청 스마트 메디컬 교육 시스템 시뮬레이션 지방과학 의료
4 나눔테크 4
ㅇ 김성진(2010),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기획 보고서, KISTEP 개발 및 차세대 스마트 인터페이스 개발 기술진흥 산업
AED 상용화 기술
ㅇ 산업연구원(2013), 지역산업 고용구조 변화와 일자리 창출 전략
ㅇ 삼성경제연구소(2013), 주요국 신정부의 경제정책방향 응급사항 대처가능한 6M급
비접촉 생체신호 전자부품 지방과학 의료
5 비접촉 생체정보검출 기술 3
ㅇ 이상필(2007), 지방과학연구단지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KISTI 개발
측정기술 연구원 기술진흥 산업
ㅇ 이윤준 외(2011), 신성장동력 사업가 지역혁신 사업의 연계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ㅇ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3), 『2012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 색상선호도 통계적 모델을 LED 조명제어
동원안전 지방과학 광융
6 통한 지능형 감성최적화 시스템 설계 5
ㅇ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3), 201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 LED 조명제어 시스템 개발 기술
시스템 기술진흥 복합
서, 미래창조과학부
ㅇ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2), 2011년도 연구개발활동 조사보고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고출력용 방열판 제조 및
방열재료 제조
지방과학 광융
7 및 표면처리 마이크로테크 4
ㅇ 한국개발연구원(2010),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2단계) 예비타당성조사 표면개질 기술 개발
기술
기술진흥 복합
ㅇ 한국산업기술평가원(2007),2단계 테크노파크 조성사업 기획
최적 생장 환경 관리를 위한
ㅇ 한국산업단지공단(2011), 국가산업단지 산업동향 UPS용 BESS개발 지방과학 친환경
8 BESS를 겸비한 에너지 리눅스아이티 4
기술 기술진흥 에너지
ㅇ 한국지식재산연구원(2013),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유출방치를 위한 소고 관리시스템

ㅇ 한국연구재단(2013), 2011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단위 광원모듈 연결형


영상구현 및
ㅇ 한국연구재단(2013), 2012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보고서 Full-HD급 초다시점 대형 지방과학 스마트
9 디스플레이 한국광기술원 3
입체 디스플레이 시스템 기술진흥 가전
구동기술
개발

[첨부1] 가교형 R&D 후보과제 리스트 XMD형 고성능 10G DML XMD TOSA 개발 지방과학 광융
10 코셋 5
모듈 개발 기술 기술진흥 복합
[첨부2] 가교형 R&D 후보과제(1, 2 순위) 요약문
[첨부3]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계획서 요약문

- 369 - - 370 -
□ 가교형 R&D 세부과제 - 2
첨부 II 가교형 R&D 후보과제(1, 2 순위) 요약문

□ 가교형 R&D 세부과제 - 1 연구사업명 전기자동차의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 개발

연구사업명 5.8GHz 대역 저전력 회로 설계 및 응용 시스템 개발 ○ 기 술 명: 전기자동차용 초전도 무선충전기

선행 본 기술은 극저온 냉각용기와 초전도 송신 코일을 결합하여 자기공


○ 기 술 명: 소형 초광대역 안테나
기초·원천기술 명방식의 효율을 올리는 것에 특징을 둔 것으로서, 극저온 냉각용
○ 기술내용:
선행 UWB 통신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화되면서 광대 기와 초전도 송신코일을 사용하여 전기자동차용으로 특화
기초·원천기술 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특성이 좋은 초광대역 특성을 갖도록 형
○ 기술내용:
상을 조절하여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안테나 ○ 전기자동차용 고효율 무선전력충전 시스템 개발
연구목표
- 자기공진방식과 초전도 기술을 융합한 무선전력 충전 시스템 개발
○ 5.8GHz 저전력 무선통신 프로토콜 및 알고리즘 개발
연구목표 ○ 2m 이내에서 효율 80%이상의 무선전력 송수신부 개발
○ RFID/USN/RLTS/홈네트워크를 위한 5.8GHz RF 모듈 개발
○ 고효율, 고밀도 인버터 및 컨버터 모듈 개발
○ 5.8GHz RF Transceiver 모듈 설계 및 구현 ○ 차량 탑재형 고효율, 경량의 수신 모듈 개발
연구내용
연구내용 ○ 5.8GHz 저전력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알고리즘 및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 무선충전 모니터링 및 제어 기술 개발
○ 5.8GHz 다채널 멀티링크 네트워크 구조의 응용 시스템 개발 ○ 차량 식별 및 과금을 위한 가이드라인 구축(핵심 기술 표준화)

○ 1차년도 ○ 대용량, 경량의 배터리 기술 개발

- 5.8GHz 저전력 네트워크 개념 설계(RFID/USN/RLTS) ○ 1차년도


- 5.8GHz RF Analog 회로/Antenna Spec 설계(PLL/LNA/PA, 다중안테나) - 자기공진기술 개발을 위한 최적 회로 설계
- 1:N Single 네트워크 구조 설계 - 리튬이온 2차 전지 셀 개발
○ 2차년도 - 충전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5.8GHz 저전력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알고리즘 설계(RFID/USN/RLTS) ○ 2차년도
- 5.8GHz RF Analog 회로/Antenna 설계(PLL/LNA/PA, 다중안테나) - 초전도 송수신 코일 권선방안 및 설계
- 5.8GHz RF Transceiver 모듈 설계 및 구현(슬레이브/센서 노드) - 리튬 이온 배터리 모듈화 방안 모색
○ 3차년도 - 사용자 인식 장비 개발
- 5.8GHz 저전력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알고리즘 설계(RFID/USN/RLTS) 연차별 ○ 3차년도
연차별
- 5.8GHz RF Analog 회로/Antenna 설계(PLL/LNA/PA, 다중안테나) 연구내용 - 초전도 냉각 설비 설계 및 구축
연구내용
- 5.8GHz RF Transceiver 모듈 설계 및 구현(마스터/링크 노드) - 초전도 송수신 코일과 배터리 융합 기술 개발
○ 4차년도 - 충전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5.8GHz 저전력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알고리즘 설계(RFID/USN/RLTS) ○ 4차년도
- 5.8GHz RF Analog 회로/Antenna 설계(PLL/LNA/PA, 다중안테나) - 무선 충전 모형 설계 및 테스트 배드 구축
- 5.8GHz RF Transceiver Range Extender 모듈 설계 및 구현 - 충전 정보 시스템 테스트
○ 5차년도 ○ 5차년도
- 5.8GHz 저전력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알고리즘 설계(RFID/USN/RLTS) - 전기자동차용 무선 충전 스테이션 구성
- 5.8GHz RF Analog 회로/Antenna 설계(PLL/LNA/PA, 다중안테나) - 송 수신 효율 및 안정성 평가
- 5.8GHz RF Transceiver Range Extender 모듈 설계 및 구현
○ 기존의 전기차는 플러그인이 설치된 장소에서만 충전이 가능, 하지만 기술 개발
- 5.8GHz 다채널 멀티링크 네트워크 구조의 응용시스템 개발
시 주차장, 가정집은 물론 주행 중인 차량에도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 5.8GHz 대역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기술 선점 및 기술경쟁력 확보 ○ 감전 위험이 없고 눈, 비 등의 날씨와 상관없이 충전이 가능함.
○ 5.8GHz 대역의 RFID/USN/홈네트워크 기반 구축을 통해 IT 신성장 동력 등 국가 전 기대효과 ○ 기술 개발 시, 인프라 형성을 위한 일자리 창출.
기대효과
략산업 발전의 기본 인프라를 제공하고 NT, BT 등과 연계발전 도모 ○ 화석연료 사용 저감에 따른 이산화탄소 (CO2) 감축 효과.
○ 주력 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IT 융합 핵심기술 확보 ○ 모바일 기기나 가전기기 등의 전력을 사용하는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여 기기
핵심단어 들의 무선화를 선도하고, 이를 통해 생활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가능하게 함.
5.8GHz,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RFID, 홈네트워크, USN
(5개 이내) 핵심단어
자기공진, 무선전력전송, 초전도 코일, 전력변환기기, 사용자 인식 장치
(5개 이내)

- 371 - - 372 -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세부과제
첨부 III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계획서 요약문
연구사업명 사물인지 영상관제 광융합 3D 광학엔진 스마트 광원격 노드 기술 개발
연구개발과제계획서
○ 기 술 명: 출력 및 파장 안정화용 신호추출 장치를 가지는 접지분리형 레이저장치
① 부처사업명(대) 2단계 광주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④ 보안등급(보안, 일반) 일반
선행 레이저 출력장치의 출력 및 파장안정화를 위하여 접지를 분리하는
② 사업명(중)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지원사업 ⑤ 공개가능여부(공개, 비공개) 공개 기초·원천기술 방식을 제안한 기술로서 기존의 전자 회로에서 Analog GND와
○ 기술내용:
③ 세부사업명(소)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지원사업 Digital GND를 분리하는 방식

과제성격 실용화 대상여부


(기초, 응용, 개발) 개발 (실용화, 비실용화) 실용화
○ 사물인지 영상관제를 위한 광융합 3D 광학엔진 기술과 광분배망 관리를 위한
사물인지 영상관제 광융합 3D 광학엔진 스마트 광원격 노드 기술 연구목표 스마트 광원격 노드 기술을 개발하고, 테스트베드 실증 적용으로 광부품 산업체
국 문
개발 기술 고도화
후속연구개발과제명
3D object recognition image fusion optical engine control light
영 문
smart light technology remote node ○ 광융합 3D 광학엔진 및 광신호처리 기술 개발
⑥ (총괄)주관연구기관 ㈜디지탈테크 ○ 스마트 광원격 노드 및 관리 플랫폼 개발
연구내용
○ 사물인지 영상관제를 위한 광융합 3D 광학엔진 기술과 광분배망 관리를 위한
⑦ 협동(공동)연구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한네트웍스(주)
스마트 광원격노드 기술 개발
성 명 박윤옥 직급(직위) 대표
(총괄)주관연구책임자
소속부서 ㈜디지탈테크 전공 전자 ○ 1차년도
연구개발비 및 참여연구원수 (단위: 천원, 명) - 객체 물질 종류를 판별하는 광융합 3D 광학엔진 개발
- 스펙트럼-웨이브 광신호처리 및 광이미징 분석기술 개발
기업체부담금
정부외 상대국 - 광융합 영상관제 플랫폼 개발 및 시범서비스 적용
년 도 정부출연금 출연금 부담금 합계 참여
(A) 현금 현물 소계 (B) (F) G=(A+B+E) 연구원수 ○ 2차년도
(C) (D) E=(C+D)
- 실시간으로 광계층을 감시하는 스마트 광원격노드 개발
1차년도 300,00 15,000 60,000 75,000 375,000 10 - 국제 표준 기반 광분배 네트워크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
- 스마트 광분배 네트워크 지원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2차년도 300,00 15,000 60,000 75,000 375,000 10
연차별 ○ 3차년도
3차년도 300,00 15,000 60,000 75,000 375,000 10 연구내용 - CCTV 영상기반 원격 수위센서 구조 설계
4차년도 300,00 15,000 60,000 75,000 375,000 10 - CCTV 영상기반 원격 수위센서 알고리즘 개발 및 시제품 제작
○ 4차년도
5차년도 300,00 15,000 60,000 75,000 375,000 10
- UWB-RF 이동체 인식 센서 모듈 구조 설계
합계 150,000 75,000 300,000 375,000 1,875,000 50 - UWB-RF 이동체 인식용 안테나 시스템 설계

총연구기간 2016. 01. 01 ~ 2020. 12. 31 - UWB-RF 이동체 인식 센서 모듈 시제품 제작


○ 5차년도
다년도협약연구기간
- 스마트 광원격노드용 광분배 및 감시광 수신 스플리터 구조 설계
당해연도연구기간 2016. 01. 01 ~ 2016. 12. 31 - 스마트 광원격노드용 광계층 감시 시스템 제작 및 시험

중소기업수 대기업수 기타 계
⑧ 참여기업 ○ 융합기술기반 IT기술을 활용한 3D 영상관제 및 스마트 분배망 운용 및 관리 기술
2 2
개발을 통해 지역 전략산업으로서의 신규 먹거리 창출
상대국연구기관수 상대국연구개발비 상대국연구책임자수 기대효과 ○ 광융합 신규 어플리케이션 발굴로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신규 일자리 창출
국제공동연구 ○ 광융합기술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개발 및 적용을 통해 광산업 관련 전후방 연계
산업 활성화

핵심단어
광융합, 3D 영상관제, 광학엔진, 광원격노드, UWB-RF
(5개 이내)

- 373 - - 374 -
경북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The Second Stage Plan for Gyeongbuk Regional
Science Park)

연구기관: 경북과학기술진흥센터

연구책임자: 이상훈
< 목 차>

Ⅰ.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379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379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및 입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380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
··
··
··
··
··
··
··
··
··
··
··
··
··
··
·382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2
2. 1단계 사업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4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
··
··
··
··
·388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388
2. 최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0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6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2
5.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6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7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9
8. 연구원 편성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0

[첨부Ⅰ]가교형 R&D 후보과제 리스트 ·


··
··
··
··
··
··
··
··
··
·· 441
[첨부Ⅱ]가교형 R&D 후보과제(1,2순위) 요약문 ·
··
··
··442
[첨부Ⅲ]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계획서 요약문 ·
··
·
·444

- 377 -
3) 과학기술진흥센터 인원 현황
I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소 속 직위 성명 참여율(%) 비 고
과학기술진흥센터 센터장 이상훈 100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선임 최은빈 100
연구원 박성원 100
사업기획팀
선임 신규1 100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인원
선임 신규2 100
연구지원팀 연구원 신규3 100
1) 주관기관 조직도
대외협력팀 실장 정치영 50
□ 주관기관 : (재)구미전자정보기술원 선임 박주철 100
분석지원팀 연구원 김지수 100
□ 조직구성 : 2실, 1소, 2단, 9팀, 2센터
연구원 신규 100
□ 근무인원 : 총 91명(‘14. 4 기준, 정규직 : 82, 위촉직 및 기타 : 9) 시설관리팀 연구원 정이창 50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예산

년도
2013 결산 2014예산(안) 증 감
구분
정부출연금 267,000,000 612,000,000 △345,000,000
지자체출연금 458,000,000 315,000,000 143,000,000
기타 1,399,000,000 500,000,000 899,000,000
수 입(A) 2,124,000,000 1,427,000,000 697,000,000
사업비 1,720,000,000 824,000,000 896,000,000
운영비 404,000,000 603,000,000 △199,000,000
지 출(B) 2,124,000,000 1,427,000,000 697,000,000
A-B 0 0 0

2)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도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입주 현황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현황
□ 목적 : R&DB 기반 확충을 통한 지역산업 구조고동화 달성
□ 기간 : 2009. 8 ~ 2011. 3(1년 8개월)
□ 총사업비 : 12,100백만원(국비 6,800, 도비 2,900, 시비 2,400)
□ 위치 : 경북 구미시 산동면 첨단기업1로 17
□ 규모 : 지하 1층, 지상 5층(부지 5,496.74㎡, 연면적 7,914.54㎡)
□ 주요시설 : 정보센터, 공용장비실, 연구시설, 교육실, 세미나실, 사이언스카페 등

- 379 - - 380 -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 현황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1) 경북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기업 및 기관 현황

규 모 비 고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연번 입주일 명 칭
(형태)
매출규모 (연구)인력

1 ‘13.12 지엘레페(주) 1,844 8 연구소


2 ‘11.08 NK SYSTEM 1,000 5 공장
가. 최종 연구목표
주)이큐이엔지 사무실
□ 연구개발기반이 취약한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연구개발역량을 강화하여
3 ‘13.12 ( 4,343 2

4 ‘12.01 윈 텍 8,000 8 연구소


5 ‘12.09 주)지엠지
( 2,714 15 연구소 중소기업에게 R&BD기반제공 및 과학기술정보교류 거점 조성을 통한
주)모립스 공장
6 ‘14.02 ( 7,000 8
구미국가산업단지의 과학기술혁신 기반 조성
7 ‘13.05 주)라이즈
( 3,050 5 연구소
8 ‘11.12 ( 주)씽크루트 1,500 4 연구소 □ 지역대학․연구소와 기업들의 산․학․연 연계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효
9 ‘11.12 유니에버(주) 3,500 10 연구소
과적인 공동연구개발,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R&BD) 시스템구축
10 ‘13.10 주)티씨엠
( 950 4 연구소
11 ‘12.06 현 송 250 2 공 장
12 ‘13.02 뉴 인텍(주) 4,000 3 공 장
13 ‘14.03 세바시스템즈 2,050 2 연구소
나. 연차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14 ‘13.06 TG KOREA 155 2 사무실
달성도
15 ‘13.09 ( 주)지디일렉스 1,000 2 연구소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비고
(%)
16 ‘13.01 한국매크로 200 2 사무실
∘사전준비 ∘토지사용 승인 100
17 13.01 주)리지스
( 3,644 3 연구소 센터건립
∘기본/실시설계 ∘기본설계 완료 100
∘상용화기술개발 4건
연구개발지원 ∘R&D지원 5건 ∘혁신자원기술개발 4건 100
2) 경북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율 ∘중장기기술개발 5건
2008 ∘사업 홍보물 발간
□ 2013년 12월 입주기업 경영악화로 센터내 연구소 조직이 본사로 이전함 ∘사업 홍보
∘사업홍보 DB 구축
100

에 따라 입주율이 소폭 감소함 ∘협의회 운영


∘협의회 구성 및 운영
100
산․학․연협력 ∘자문단 구성 및 운영
□ 2014년 1월부터 센터 사업 및 입주지원정책 홍보 강화를 통해 경북도내 ∘벤치마킹 1회 ∘해외 벤치마킹 2회 100
∘운영협의회 1회 ∘운영협의회 1회 100
연구소, 기업부설연구소 유치하여 입주율이 증가세에 있음
∘실시설계 ∘인허가․실시설계 완료 100
센터건립 ∘감리 및 시공사 선정 ∘시공사 선정 완료 100
∘기공식 및 착공 ∘기공식(2009. 8) 100
∘상용화기술개발 3건
∘중장기기술개발 1건
연구개발지원 ∘R&D지원 12건 100
∘산학/산연 공동기술개발
2009 8건
∘운영협의회 1회 ∘운영협의회 1회 100
∘과학기술정보교류 3건 ∘설명회, 세미나 6건 100
산․학․연협력 ∘국내외 업무협력 3건
큐슈기술연구소,
∘연계거점 구축 1건 100
한국기계연구원,
동아대
∘기본/실시설계 ∘기본/실시설계 완료 100
2010 센터건립
∘착공식 ∘착공식 완료 100

- 381 - - 382 -
∘공정율 70% ∘공정율 75% 100 ∘분석 지원(TEM, FIB
100
등)
∘차세대에너지자원원천기
100 ∘차세대에너지원천기술 ∘천기술개발 4건
술개발 4건 100
연구개발지원 ∘R&D지원 8건(신규) 개발 4건(계속) (평가 및 과제관리)
∘기업주도형원천기술개발
100 ∘기초원천연구 7건(계 ∘기초원천연구 7건
4건 100
속) (평가 및 과제관리)
∘과학기술정보제공 60건 ∘NDSL 정보제공 132건 100 연구개발지원 ∘기업연구소역량강화 11
∘뉴스레터발송 2회 ∘뉴스레터 제공 3회 100 ∘기업연구소역량강화 11
건 100
건(계속)
∘리더스협의회 3회 ∘분과위원회 개최 4회 100 (평가 및 과제관리)
∘연구소설립 교육 2회 ∘국제공동연구 1건
∘국제공동연구 1건 100
산․학․연협력 ∘설명회 및 교육 4회 100 (평가 및 과제관리)
∘전문기술교육 2회
∘리더스협의회 2회 ∘리더스협의회 2회 100
∘ISIT 공동 세미나 1회
∘국제세미나 100 ∘과학기술정보제공 120
∘ISTC 국제세미나 1회 ∘NDSL 정보제공 142건 100

∘운영협의회 1회 ∘운영협의회 1회 100 ∘과학기술세미나 5회
산․학․연협력
∘공사업무 ∘공사업무 완료 100 ∘교육 및 세미나 8회 ∘기술전문교육 2회 100
센터건립 ∘감리업무 ∘감리업무 완료 100 ∘장비활용 연구회 3회
∘공정율 100% ∘공정율 100% 100 ∘운영협의회 1회 ∘운영협의회 1회 100
∘기초원천연구 3건 ∘기초원천연구 4건 100
연구개발지원 ∘기업연구소역량강화 2 ∘기업연구소역량강화 7
100
건 건 2.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 성과
∘MOU체결 2건 ∘KOITA 등 5건 100
∘뉴스레터발송 3회 ∘뉴스레터 제공 3회 100
∘리더스협의회 2회 ∘리더스협의회 6회 100 가. 센터건립 성과
2011
∘과학기술정보제공 120 □ 경북지역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정보․인적․물적 자원을 집적화하여 거점센
∘NDSL 정보제공 126건 100

∘해외석학 세미나 1회 터를 구축함으로써 시너지효과 거양
산․학․연협력
∘과학기술세미나 2회 ㅇ 첨단기술정보 인프라 구축을 통한 기술정보 공유 확산을 통한 기술혁신
∘교육 및 세미나 8회 100
∘사업설명회 1회
체제 구축
∘기술전문교육 5회
∘운영협의회 1회 ㅇ 전문연구소 및 우수 인력의 집적화와 기반 인프라의 구축을 통해 첨단
∘운영협의회 1회 100
∘자문단 운영 2회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사업 확대 및 다각화 촉진
∘벤치마킹 ∘해외 벤치마킹(1회) 100
∘장비수요 조사(2회)
∘사전준비/장비심의 100
장비구축 ∘장비심의 완료
□ 과학기술 유통체계를 개선하여 실용적이고 창의적 연구개발 시스템 구축
∘장비발주 ∘장비발주 완료(조달) 100
∘기초원천연구 4건 ∘기초원천연구 3건 ㅇ 기술정보 유통 및 기술사업화를 위한 지역형R&BD 지원시스템 구축으
연구개발지원 ∘기업연구소역량강화 4건 ∘기업연구소역량강화 4건 100 로 연구개발의 효율성 및 성과 극대화
∘ ∘국제공동연구 1건
ㅇ 기술혁신체계구축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국내․외기업의 투
∘MOU체결 3건 ∘경운대학교 등 6건 100
∘뉴스레터발송 4회 ∘뉴스레터 제공 4회 자유인과 창업을 촉진하고 일자리창출을 통한 고용증대 및 지역 경제 활성화
2012
∘리더스협의회 3회 ∘리더스협의회 4회 100
∘과학기술정보제공 120

∘NDSL 정보제공 137건 100 나. 연구장비 구축성과
산․학․연협력
∘과학기술세미나 5회
∘교육 및 세미나 8회 100
∘기술전문교육 3회 □ 연구장비 구축개요
∘운영협의회 1회 ∘운영협의회 1회 100
ㅇ 구축목적 : 지역 기초 연구개발 인프라(R&D장비) 구축을 통해 학·연·산
∘벤치마킹 1회 ∘장비 벤치마킹 1회 100
∘국제교류 1회 ∘ASPA 리더스미팅 1회 100 의 공동 연구개발 촉진
2013 장비구축 ∘장비구축 및 운영 ∘장비구축 6종 6대 100 ㅇ 구축장비 : 투과전자현미경 및 집적이온빔 등 6종 6대
- 383 - - 384 -
ㅇ 구축장소 : 경북과학기술진흥센터 1층 구조분석실 ㅇ 지원내용 : 기초원천(대학,연구소 주관), 기업연구소역량강화(기업주관)
ㅇ 도입기간 : 2012. 1. ~ 2014. 2.
□ 지원현황
ㅇ 도입예산 : 55억원
ㅇ 지원기간 : ‘08. 11. ~ ’13. 12
□ 구축 추진경과 ㅇ 지원금액 : 10,287백만원(현금 7,316, 현물 2,971)
ㅇ 센터 연구장비 1차 구축(‘12. 1 ∼ ’13. 5) ㅇ 선정년도 : ‘08년 13건, ’09년 12건, ‘10년 8건, ’11년 11건, ’12년 8건
­ ‘12. 1 : 유관기관 의견수렴 사업명 ‘08 ‘09 ‘10 ‘11 ‘12 ‘13 비고
­ ‘12. 3 : 장비도입 TFT 운영 혁신자원 연계 디스플레이(PDP,
기술지원과제 LCD), 태양광,
­ ‘12. 3 : 기업 및 유관기관 장비수요조사 탄소소재, LED
­ ‘12. 5 : 심의위원회(자체/중앙) 개최 및 장비 구축 승인(전문기관) 상용화 기술개발과제 지역주력산업 분야
지원
­ ‘12. 6 : 연구장비 조달청 구매의뢰 IT융합, 태양광 ,

중장기 전략과제 연료전지 등


­ ‘13. 3 : 1차 구축 장비 입고 및 검수 광역사업 연계
­ ‘13. 8 : 연구장비 설명회 및 외부지원 서비스 개시 연료전지
원천기술개발과제
원천기술개발
ㅇ 센터 연구장비 2차 구축(‘13. 10 ∼ ’14. 2) 디스플레이
­ ‘13. 9 : 장비수요 및 장비 구축(안) 수립 제조/장비, 반도체
산학/산연
금형기술, 태양전지
공동기술개발사업
­ ‘13. 10 : 심의위원회 개최 및 기술 검토, 연구장비 조달청 구매의뢰 소재 개발 등
광역사업 연계
­ ‘14. 1 : 2차 구축 장비 입고 및 검수장비운영인력 교육
­ ‘14. 2 : 워크숍 개최 및 장비분석 지원 신재생에너지(광역사
차세대 에너지자원
업) 분야
원천기술개발 과제
원천핵심기술 개발
□ 센터 연구장비 운영개요
기업주도형 IT,전기전자분야
ㅇ 운영인력 : 총 3명 원천기술개발 과제 핵심기술개발
창의적 기초원천연구
ㅇ 운영현황 및 성과 지원
과학기술분야
가교형R&D기본
기업연구소
모델
  년도 연구역량강화 지원
구분   2013(8월~12월) 2014(1월~5월)

총 장비활용률(%) 48 65 □ 주요성과
총 지원 건수(건) 113 92
○ 학술적 성과 : 논문게재 건,
12 SCI(SCIE) 38 건, 학술발표 119 건
활용 기업/기관수(개)
수익금(백만원) 57
32

59
45

○ 특허 및 지재권 : 국내외 특허출원 85 건, 특허 등록 57 건


실적(건)
구 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1년 합 계
다. R&D 지원성과 급
SCI 1 1 6 15 15 38

등재지 1 0 4 5 2 12

□ 사업개요 학술발표 11 7 23 48 30 119

특허출원 18 16 18 25 8 85
ㅇ 사 업 명 : 과학기술연구개발지원사업 지재
특허등록 3 16 8 5 4 36

ㅇ 목 적 : 전략산업 및 선도산업의 기초원천기술 확보가 가능한 과학기 상표등록 0 20 0 1 0 21

술분야를 지원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연구생태 기반 구축 기술이전 0 0 3 0 0 3

시제품 0 0 0 0 0 0
및 산업 활성화 촉진 합 계 34 60 62 99 59 314

ㅇ 지원분야 :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신재생에너지 분야 등

- 385 - - 386 -
라. 기타성과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기술 및 정보교류 네트워크 운영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ㅇ 국·내외 우수연구기관 업무협력
­ 목 적 □ 중앙정부 및 지자체는 경북의 과학기술진흥을 목적으로 ‘08년도 경
․ 우수연구기관 연계 및 과학기술 교류를 통한 과학기술진흥 촉진 북과학기술진흥센터를 설립하여 지역기반 과학기술 거점역할을 수
­ 내 용 행하고 있으며 후속사업을 통한 역할과 기능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우수연구기관 업무협력 및 선진기관 벤치마킹
­ 추진실적
ㅇ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은 국가과학기술혁신 및 지방의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 업무협력(MOU) 16건, 벤치마킹 및 교류회 10건
과학연구단지 지정(과학기술기본법시행령 제43조 제2항)하고 10개 시도에
과학기술진흥센터(SP) 건립하여 R&D 유관기관 및 기업(부설연구소)등이
ㅇ 과학기술정보교류 및 연계거점 구축
입주함으로써 산․학․연의 집적이 시작됨.
­ 목 적
* ‘04년 광주, 전북을 시작으로 충북(‘05년), 강원(’06년), 부산, 대구(‘07년),
․ 기업부설연구소 및 연구기관 등의 거점화 지역 및 입주기업, 연구소
경북, 전남(’08년), 울산, 경남(‘09년) 등 전국 10개 시․도에 지방과학연구단
와의 과학기술 정보교류의 장 마련
지를 지정
­ 사업기간 : 2008. 6 ~ 2013. 12
­ 사업내용
ㅇ 경북과학기술진흥센터는 1단계 사업을 통해 약 110억원, 52개과제 지원을
․ 지역내 과학기술정보교류 및 정보제공(세미나, 설명회, 교육 등)
통해 지역 원천핵심기술확보에 기여하였으며, 첨단 표면구조분석장비 2종을
․ 센터 운영 및 과학연구단지활성화 추진(운영협의회, 자문위원회) 센
도입하여 지역주력산업인 반도체, 태양광산업분야의 원천기술지원 및 과학
터 운영 및 과학연구단지활성화 추진(운영협의회, 자문위원회)
기술분야 산학연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경북지역 과학기술 거점역할을 수행
­ 추진실적
하고 있음.
․ R&D역량강화교육 14건, 세미나 및 간담회 19건, 설명회 3건, 과학기술
리더스협의회 16회, 뉴스레터 10회, 과학기술정보제공 508건, 운영협의
ㅇ 따라서 기 구축된 지역R&D 연구장비 및 인프라를 활용하여 산․학․연이 한
회 6건, 센터자문위원회 2건
곳에 모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협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지역 연구개발의
경쟁력을 높이고 연구개발 결과의 사업화 촉진 필요

□ 지역주도 원천핵심기술 투자 청사진 부재에 따른 지역특성을 반영 특


화된 R&D투자 소극적

ㅇ 정부는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을 통해 지방과학기술활성화를 지역


R&D의 정책방향 제시 및 효율적 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나, 지역주도
의 상세추진내용에 따른 특화된 R&D투자에는 소극적임

- 387 - - 388 -
ㅇ 경상북도는 ‘12년 약 1조원에 달하는 지역 R&D투자하였으나, 약 90%인 2. 사업의 최종목표 및 내용
9,000억원은 국가 대형사업에 매칭하는 사업이었으며, 약 10%인 1,000억
원정도만 지역자체 R&D로 투자하였음. 가. 사업비전

ㅇ 그러나 이또한 지역 특화센터의 운영사업비로 지원하여 중앙정부의 과학 □ 비전 및 중점사업


○ 경북지역 과학기술혁신
기술 청사진을 토대로 지역차원의 R&D 지원 로드맵의 구축과 함께 지역
인프라를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후방핵심기술
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원천핵심기술 R&D지원이 필요함.
발굴육성(Development)하고 이를 위한 지식기반 지초연구활성화 생태
계조성(Networking) 및 기술기반 가치창출형 기술이전확대 강화
□ 경북지역기반 산업화중심의 R&D지원으로 양적 성장은 이루었으나,
(Activation) 를 통한 경북형 창조 DNA 구축함으로써 지식창조형 지방
장기적 과학기술 로드맵을 토대로한 핵심원천기술의 부재로 고부가
과학기술육성을 통해 지역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함.
가치 산업성장에는 한계

ㅇ 경북지역 과학기술 관련기업․기관은 주로 구미-칠곡-경산-영천-경주-포


항에 집적
- 기존주력산업의 지속적인 재정투입 결과 기업․종사자 수가 증가하고 있
는 바, 중장기 지역육성을 위한 정책목표 및 방향성 확립 필요
- 제조생산중심의 산업집적구조에서 벗어난 입지 자유형산업에 대한 검토
필요

ㅇ 경북지역은 2차 산업 비중이 50.4%로 제조업 의존도가 매우 높은 산업구조


를 가지고 있으며, ‘12년 기준 경북지역 GRDP 전국 대비 6.5% 수준(전국
5위)에 달하고 있으나, 소재 및 장비의존도가 높아 핵심원천기술 확보를 통
한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필요

ㅇ 경북지역 최근 5년간 특허출원건수의 증가세 지속되며 2008년부터 2011년


까지 경북은 44% 출원증가율을 나타내었고, 구미는 33%의 출원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어 이를 기반을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유리한 기반을 갖
고 있음.
- 경북도내 시군별 특허출원 점유율 포항시(37%), 구미시(30%), 경산시
(9%), 경주시(7%)
- 중소기업 위주의 특허출원이 많은 전기기기, 자동차, 정밀기기 등에 대한
M&A, 기술거래시스템구축을 통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 및 재투자 지원 필
요한 실정임.
- 389 - - 390 -
나. 사업 최종목표
1. 경북벤처기업수 비중(전국대비) : 4.7% ➡ 기술 벤처기업수 전국대비 7% 달성
2. 국가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율(기술이전건수/기술보유건수) : 24.6% ➡ 기술이전률 30% 달성
□ 최종목표 : 경북지역 산업기반 과학기술혁신 인프라를 통한 창조DNA 구축 추진
향후 10년간 개 기업창업, 일자리
105 2,500개 창출
□ 경북지역 과학기술기반 고부가가치 후방핵심 R&D 발굴육성 다. 최종목표달성을 위한 세부사업

○ 지역대표산업의 핵심기술이 되는 후방핵심 R&D 의 발굴 육성함으로써 상용  고부가가치 후방핵심 R&D 발굴 육성


화 중심의 R&D 의 맹점인 핵심기술 부재를 보완하여 지역기반 기업을 최종 1)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발굴
수혜자로 한 고부가가치 기술을 발굴 육성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발굴 및 장단기 발후방향 제시
정량적 성과목표) 경북연구개발투자비 증가율
( 13%, 지역R&D 예산중 기
- 경북지역 과학기술인프라를 중심으로 지역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R&D사업
초․원천연구 비중 60%, 경북지역특허 비중 6%, R&D 논문 피인용지수 3.0
을 기획하고 지자체 주도의 사업추진이 가능한 장단기 과학기술 발후방향
1. 최근10년간 경북연구개발투자비 증가율 : 11.75% ➡ 경북 고부가가치 핵심기술분야 연 수립 및 지원
구개발투자비 증가율 15% 달성
2. 2012년 경북지역 특허, 논문 비중(전국대비) : 5.5%, ➡ 6% 달성
3. 국가 R&D 논문 피인용지수(impact factor, IF) : 2.85 ➡ 지원과제 논문 IF 3.0 달성 2) 가교형 R&D 사업

□ 사업필요성
□ 기술 및 연구협력 등 지식기반 기초연구활성화를 위한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 융합기술기반 가교형 발굴 육성
○ 단계 성과를 기반으로 과학기술성과확산기반 산학연간 기술 연구협력
R&D

1 SP ․
- ‘07년부터 지역주력대표산업 선정 지원 중이나 매출, 수출 중심의 상용화 사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기초연구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특화된 분석서비스 및 업 추진으로 부품소재, 장비국산화 등 원천핵심기술 미흡으로 고부가가치
인력양성을 지원하여 지역 R&D 인력의 지역 정주화를 추진코자 함. 산업의 한계점 도출

○ ( 정량적 성과목표) 경북연구개발인력수 증가율 7%, 산학연협력 공동특 - 경북지역 기술 및 연구협력 연계분석을 통해 구미-경산-영천지역 IT융복합분
야, 포항-경주지역의 신소재융합부품분야 연구인력 및 장비 인프라를 통해
허출원비율 16% 달성, 과학연구단지 장비활용율 60%
광역선도산업 및 지역특화산업의 핵심이 되며 기술적인 연계가 가능한 후방
기술분야 발굴
1. 최근10년간 경북연구개발인력수 증가율 : 5.24% ➡ 연구개발인력수 증가율 7% 달성
2. 경북산학연협력 공동특허출원비율 : 14.9% ➡ 산학연협력 공동특허출원비율 16% 달성
3. 1단계 과학연구단지 장비활용율 : 50% ➡ 과학연구단지 장비활용률 60% 달성 □ 사업개요
○ 융합산업과 연계성 높은 인쇄전자 기반 소자 및 소재
IT , 공정장비 개발 분야

□ 과학기술 활성화의 밑거름이 되는 가치창출형 기술이전확대 강화 집중 / 융합신소재기반 희소금속소재 공정개선 기술 개발 집중 육성

○ 경북지역의 우수한 특허자원을 기반으로 새로운 가치가 창출될 수 있도 3)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R&D 사업
록 기술이전을 확대하고 자원을 직접 관리함으로써 지역 과학기술 활
IP

성화의 밑거름을 다지고자 함. □ 사업필요성


○ 정량적 성과목표) 기술벤처기업수 전국대비
( 7% 달성, 기술이전률 30%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공동연구법인 R&D 발굴 육성
달성
- 391 - - 392 -
- 원천핵심기술기반 사업화를 목적으로 구성된 산학연 클러스터의 기술사업  지식기반 기초연구활성 생태계 조성
화가 가능하며, 향후, 기업이 주도적으로 사업화가 가능한 R&D 발굴
1) 지역과학기술 성과확산 네트워킹 사업
구미를 중심으로 기술발굴 및 산업육성을 위해 산학연 중심의 미니클러스가
□ 사업필요성
-

활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모바일, 전자부품금형, E&H, IT장비, 에너

○ 지역과학기술기반 혁신연구주체간 교류활동 부족으로 연구현장의 다양


지디스플레이, 경북농공기술 등 6개의 미니클러스터와 경산진량중심의 자동
차부품 미니클러스터가 운영되고 있음
한 아이디어 및 의견을 융합할 수 있는 매개체 필요

□ 사업개요 ○ 창업의도 인구의 실질적 창업단계 진입을 위한 문화 조성 필요


○ 융합 및 융합신소재의 융합기술기반
IT 3D 프린팅분야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 산재되어 있는 기술창업관련 기관의 네트워크 거점 필요
구성 및 사업화 R&D 추진
□ 사업개요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운영 , 경북과학기술 정책브리핑 및 통계동향
리포트발간, GB Cyber Community 운영, 경북과학기술인 선정 등 지역
과학기술역량강화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 기술사업화 협의회 및 포럼운영 첨단기술사업화대전 운영 등 기술교류


,

협력을 위한 소통과 창조적 기술협력체계 구축

○ 기술창업자 교류회 및 Open Innovation 교류회, 기술창업 우수사


CEO

례발굴, 기술창업 동향 및 뉴스레터 발간 등 산학연 관계자 및 창업자


들의 지속적 참여유도

2) 분석장비지원 및 인력양성 사업

□ 사업개요
○ 분석장비지원 활성화
- 유관기관간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지역별 분석장비의 공동활용 활성화
- 분석장비 활용을 통해 기초.원천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한 지역 과학기술
연구의 고부가가치 창출
○ R&D 분석 인력양성
-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을 통한 지역의 우수 전문분석인력 양성
- 경북지역 학·연 연계형 프로그램 구축을 통한 지역 R&D 인력양성

- 393 - - 394 -
 가치창출형 기술이전 확대 지원 ○ 경북도 과학기술현안사업 추진에 위한 연구 인프라 및 보유기
R&D

술을 조사․활용․연계하여 지역 R&D지원에 따른 성과활용을 제고


1)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할 수 있는 기술이전 및 사업화 추진 가속화 필요

□ 사업필요성
○ 국내 창업활동의 활성화측면에서 지역차원의 창업관련 전주기적 지원 □ 사업개요
시스템 필요
* 한국의 초기창업비율(TEA, Total early-stage Entrepreneurial Activity) 은 년
2012

기준 평균 8.8%보다 낮은 6.6%로 저조한 상황


○ 특허활용 창업기획기반 기회형 창업을 위한 지원 시스템 구축 필요
* 한국의 기회형 창업률(Improvement-Driven Opportunity Entrepreneurial Activity) 5)

은 2012년 기준 46%로 나타남에 따라 OECD 평균 53.6%에 비해 상당히 저


조한 상황에 머물고 있음
○ 창업활성화를 위해 창업의 준비→실행→성장에 이르는 전체적인 cycle [ 그림]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단계별 전략
을 인지하고 각각의 단계에서 주로 발생하는 애로사항 해소노력 필요

□ 사업개요

그림]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단계별 전략


[

2)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 사업필요성
○ 정부의 R&D투자액 증가에 따라 R&D투자의 절대규모와 이로 인한

IP등록건수 등 양적성과는 세계적 수준을 달성하였지만, 질적 성과


는 그렇지 못함
* R&D투자의 양적성과인 논문, 특허의 수(R&D특허생산성: 투입비용 10억
원당 특허출원건수)는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논문의 피인용건수, 우수특
허의 수, 기술당 기술료 수준 등 R&D투자 생산성에 있어서는 선진국과
비교하여 낮은 편임

5) 초기창업활동(TEA) 중 생계를 위한 다른 대안이 없어서가 아닌 기회를 포착하여 창업을


하였거나, 독립적인 활동으로 수입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행한 창업 비율
- 395 - - 396 -
라. 세부사업별 목표 및 연구내용  지식기반 기초연구활성 생태계 조성

1) 지역과학기술 성과확산 네트워킹사업


 고부가가치 후방핵심 R&D 발굴 육성

□ 사업목표 □ 사업목표
○ 지역수요기반 사업 발굴 및 장단기 발전방향 제시
R&D
○ 경북지역 중장기 과학기술 정책기획에 대한 의견수렴 및 지역내외 유관기관과
○ 융합기술기반 가교형 발굴 육성 R&D
의 기술협력 정보공유의 장 마련
○ 지역과학기술분야 산학연 주체간 자유로운 소통과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는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공동연구법인 발굴 육성 R&D 창조적 공간 형성

<표 > R & D 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 경북지역 과학기술 창업생태계 조성 및 기술창업 활성화 제고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 지역수요기반 지역기업 수요기반


발굴기획 50개
R&D
<표 > 지역과학기술 성과확산 네트워킹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사업 발굴
R&D R&D사업기획 및 경북
과학기술 RoadMap 1건
및 장단기 과학기술 발후방향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고부가 (1년단위 수정보완 )
발후방향 제시 수립지원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
가치
후방핵심 ○ 융합기술기반 융합기술기반 2개
국내외 특허 300건, 논문 75 건 지역과학기술 정책 수립과 지
100개(연 10개)

가교형 R&D 후방핵심R&D · 글로벌협력 세미나, 공동연구 지원 :


R&D 일자리창출 300명 역과학기술 글로벌 역량 강화
발굴 육성 중점 지원 20건(연 2건)
발굴
육성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 과학기술연수 프로그램 운영
기술협력기반 국내외 특허 150건, 논문 20 건 지역과학기술 · 경북과학기술 정책 브리핑 이슈보
융복합기술 지역과학기술
공동연구법인 일자리창출 300명 역량강화 및 경북 과학기술 동향분석 및 고서 발간 : 40(연4회)
R&D 중점 지원
R&D 발굴 육성
연구네트워크 지역과학기술분야 통계 및 동향 리
과학기술문화 기초분석역량 강화 ·
구축사업 포트 발간 : 40(연4회)
확산
□ 세부사업내용 GB Cyber Community 를 활용 ·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운영 : 1건
한 소통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 블로그 기자단 운영 : 100명(연10명)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경북과학기술인 대상 선정․지원
○ 지방과학기술 정책방향 수립 우수과학기술인 지원체계 도입
상시(연 1회)
○ 지역수요기반
:

· 국내외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방향 수립 기술사업화 협의회 : 30회(연 3회)


교류협력을 ·
사업 발굴
R&D

및 장단기
○ 지역수요기반 유망핵심 R&D 사업 발굴
기술이전협력 위한 소통과
기술사업화 협의회 구성 및
포럼 운영
· 기술이전 교류회 : 30회(연 3회)
· 전후방 기술연계 및 지역대표산업 연계가 우수한 과제 · 포럼 운영 : 40회(연 4회)
발후방향 제시 네트워크 창조적
고부가가 발굴 및 타당성 분석
구축사업 기술협력체계 · GB 첨단기술사업화대전 개최
치 첨단기술사업화대전 운영
○ 융합기술기반 ○ 구축 : 10 회(연 1회)
후방핵심 IT 융합 및 융합신소재 분야 핵심과제 발굴 및 추진
가교형 R&D · 인쇄전자 및 희소금속소재 분야 핵심과제 추진 · 기술창업 CEO교류회 : 40회(연4회)
R&D 기술창업 활성화 및 기반조성
· Open Innovation 교류회 : 상시
발굴 육성 발굴 육성 · 전방연계 융합기술 분야 핵심과제 발굴 추진 산학연 관계자
기술창업자
○ 산학연
특허활용 기술창업자의 성공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
○ 융합기술기반 기술협력중심의 핵심과제 발굴 및 추진 네트워크
및 창업자들의
지속적인 참여 사례 발굴 및 성과홍보 10회(연 1회)
기술협력기반 구축사업
· 3D 프린팅 기술안정화 및 공정개선 핵심과제 추진
공동연구법인 유도 지역내 과학기술 및 창업관련 · 기술창업 동향 및 정보제공 : 상시
· 고부가가치 응용제품화 과제 발굴 및 추진
R&D 발굴 육성 뉴스레터 제작 : 20회(연 2회)
정보공유 시스템 구축 ·

- 397 - - 398 -
□ 세부사업내용 2) 분석장비지원 및 인력양성 사업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목표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 지역과학기술역강 강화를 위한 정책제언 및 R&D과제 ○ 경북지역 기업 개발 및 공정개발시 필요한 분석기술 역량 강화지원
R&D

발굴 등 공모를 통한 지역내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최 ○ 경북지역 학 연 연계형 프로그램 구축을 통한 지역


· 인력양성 R&D
신트렌드 연구 네트워크 구축(10개 내외 지원/1년)
○ 양성된 인력의 지역 기업에의 정착을 위한 가교 역할 구축
R&D

지역과학기술
○ 경북과학기술 정책브리핑 및 통계동향 리포트 발간
지역과학기술 · 경북지역내 산학연 구성원의 과학기술분야 혁신 마인드 <표 > 분석장비지원 및 인력양성 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역량강화 및 함양을 위한 정책이슈 의견수렴 및 정기간행물 발간
연구네트워크
구축사업
과학기술문화
확산
○ GB Cyber 운영사업
Community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 경북내 과학기술 전문가, 대학생, 창업예비자 등을 중심
· 분석서비스 건수 (2,500 건)
으로 물리적 접근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사이버 커 · 고품질 분석서비스 운영을 통
· 장비활용률 (60%)
뮤니티 구축 및 운영하여 지역내 과학기술정보 공유 한 고가분석장비 활용증진
○ 경북과학기술인 대상 선정 ㆍ지원
· 장비사용료 (30 억원)

· 지역내 과학기술발전을 선도한 기관, 단체, 개인에게 경 분석장비 · 기업연계 분석 프로세스 개


상북도지사 상을 수여하고 과학기술문화확산 기여 · 지역기업 연계형 R&D 개발
지원활성화 발 (30 건)
○ 기술사업화 협의회 및 포럼 운영사업 및 구조분석 프로세스 개발
· 분석 레시피 개발 (30 건)
· 융합 및 융합신소재분야 전후방기술의 기술사업화를
IT

위한 정책수립 및 로드맵 마련 · 개발된 분석 프로세스 교육 · 프로세스 / 레시피 교육(60회)


교류협력을 · 지역내 산학연 주체간 정보교류를 위한 교류회 운영 및 기술이전 · 기술이전 (60 건)
분석장비
기술이전협력 위한 소통과 · 지역내외 외부 전문가 초청 강연 등 포럼운영
지원 및
네트워크
구축사업
창조적
기술협력체계
○ 첨단기술사업화대전 운영사업 인력양성
· 분석장비 이론 및 실습교육
( 세미나, 워크숍)
· 장비교육 워크숍 (120 회)
· 구미-경산-포항지역 연구기관․대학 등이 보유한 우수 사업
구축 기술의 수요 발굴 및 전시를 통한 민간 기업으로의 이
전과 특허 및 기술동향 파악을 위한 기술사업화 촉진
· 지역대학 공동학위 과정 진행 · 석박사 배출 (80 명)
· 경북지역 내 산․학․연 혁신주체들의 국내외 기술전시회
R&D 분석
참여를 지원함으로써 개발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
인력양성
○ 기술창업자 교류회 및 Open Innovation 교류회
CEO
· 지역대학 공동연구 진행
·

·
공동연구 진행
연구성과
(9 건)

· 기술이전교육, 창업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창업멘


토와 창업자를 대상으로 기술창업을 지원하고 만족도 (SCI 40편, 발표 40회)
조사 수행을 통해 장기적 관점의 협력시스템 구축
· 구조분석장비 활용 연구회 진 · 연구회 진행 회)
산학연 관계자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발간
(40
기술창업자
및 창업자들의 행 · 공동연구 RFP 작성 (10 건)
네트워크 · 특허활용 기술창업의 성공사례를 발굴하고 사업홍보 및
지속적인 참여
구축사업 지역내 과학기술창업 분위기 조성 및 확산

○ 기술창업 동향 및 뉴스레터 제작
유도
ㆍ배포
· 지역내 산학연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사업홍보, 과학기
술 및 창업정보전달을 위한 정례적인 뉴스레터 발간
및 배포

- 399 - - 400 -
 가치창출형 기술이전 확대 지원
□ 세부사업내용 1) 특허활용 창업기획사업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목표
○ 고품질 분석서비스 운영을 통한 고가분석장비 활용증진 ○ 지역내 창업역량 강화를 통한 성과의 사업화 유도 R&D

· 일반 분석서비스 활성화를 통해서 고가분석장비의 활용률


증진과 더불어 장비수익금 향상
○ 단계별 맞춤형 창업지원사업 운영을 통하여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기반
조성
○ 특허진단을 비롯한 창업준비단계에서부터 창업
· 분석서비스 2,500 건, 장비활용률 60%, 장비사용료 억원
30

○ 지역기업 연계형 R&D 개발 및 구조분석 프로세스 개발 , 창업 후 기업성장에 이르는 전


· 인쇄전자, IT, Display, 태양광 등 지역 특화산업에 대한 구 사적 지원체계 구축
분석장비
조분석 프로세스 및 분석 레시피 개발
지원활성화
· 분석프로세스 30 건, 분석 레시피 30 건 개발 <표 > 특허활용 창업기획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 현장적용 목적 기업 밀착형 교육 및 기술이전
· 개발된 분석 프로세스 및 레시피에 대해서 세미나 또는 워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크숍 개최를 통하여 실제 공정 및 개발에 적용할 수 있게
지역내 · 기술가치 평가지원
교육과 기술이전 실시 기술가치 평가체계 구축
건(연 10건)
: 100
· 프로세스/레시피 교육 60 회, 기술이전 건
60 단계)
(1 창업역량강화
분석장비
창업준비단계 및 사업타당성 평가지원체계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지원 및
인력양성
○ 구조분석 장비에 대한 기초이론 및 실습위주 교육 지원시스템 창업준비단계 구축 건(연 10건)
: 100

· 분석장비 기초 이론 및 실습교육을 진행하여, 구조분석과 구축사업 지원시스템


사업 창업매뉴얼 제작을 통한 간 · 창업매뉴얼 제작 1건
장비에 대한 이해도 향상과 실습위주의 교육으로 현장적용 구축 접경험 제공체계 도입 (매년 업그레이드 버전 제작)
표면구조분
(

실무교육 진행 (세미나, 워크숍)


석 특화) 창업투자회사 연계를 통한 · 창투 MOU체결 및 설명회(수시)
· 장비교육 워크숍 120 회
○ 학 연 연계 학위과정으로 인력배출
· 단계)
(2 성공적
창업자금 해소 · 창투 융자연계지원 : 50건(연 5건)

· 금오공대, 영남대, 포스텍, DGIST 등 지역대학 공동학위 과 창업단계 창업을 위한 을 통한 실질적 창


GBSUP · 교육과정 개발 : 8주 과정
정 진행으로 석/박사 학생 연구 및 학위지도 실시 지원시스템 지원시스템 업지원 및 교육 제공 · 교육과정 운영 : 20회(연 2회)
R&D 분석
· 석박사 배출 80명 구축사업 구축
인력양성
○ 지역대학 공동연구 진행 기술창업중심 컨설팅 지원
· 기술창업 컨설팅 지원
건(연 10건)
: 100
· 금오공대, 포항공대, 영남대 등 지역대학과 공동연구 네트
워크를 구축하여 공동연구 과제 발굴 및 연구성과 창출
창업이후 지속적 관리를 위 · 정기커뮤니티운영 : 50회(연 5회)
· 공동연구 9건, 편 창업이후
SCI 40
한 Post-GBSUP 운영 · 멘토링 지원 : 50건(연 5회)
○ 구조분석장비 활용 연구회 진행 단계)
(3 기업성장을
· 지역 분석장비의 활용증진을 위하여 분석그룹 네트워크 구 창업성장단계 견인할 수 경영지원분야중심 컨설팅 · 컨설팅 지원 : 건(연 10건)
100

축 및 장비 및 인력의 상호교류, 협력방안 모색 지원시스템 있는 지원 · 자문단 운영 : 회(연 5회)


50

· 연구회 40회, 공동연구 10 건 발굴 구축사업 차별화된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 경영진단 지원 : 30회(연 3건)
서비스 구축
위한 경영진단 지원 · 창업기업 : 105개(연 10개이상)

- 401 - - 402 -
□ 세부사업내용 2)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사업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목표
○ 기술가치 평가지원사업 ○ 지역 산업 특성에 부합하는 맞춤형 기술 수요발굴
○ 지역 대학 출연연의 유망기술 탐색 및 기술마케팅
·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마련
· 기술가치평가비용 및 평가전문기관 연계 지원 ,

단계)
지역내 · 기술가치 평가지원 100건(연 10건) ○ 지역내외 수요 공급자 기술 매칭 및 기술이전 사업지원
-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사업 ○ 지역내 지식재산기반의 중소기업 육성지원


(1
창업역량강화
창업준비단
및 · 기술이전 및 창업을 위한 사업화 타당성 평가 지원

창업준비단계 · 사업타당성 결과 우수 아이템에 대한 체계적 지원 체계
지원시스템 <표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지원시스템 수립
구축사업
구축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100건(연 10건)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 창업매뉴얼 제작사업 유망분야별 기술수요조사 160 건
· 창업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중소기업형
매뉴얼 제작을 통해 유형별 간접경험 제공 기반 조성 유망기술수요분석 기업 애로기술수요조사 100 건

○ 창업투자회사 연계지원사업 수요자중심의


기술인력 Pool 1,000 명
· 기술사업화 자금에 대한 상담 및 창업투자회사와의 우수기술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MOU체결을 통한 실질적인 창업자금 연계사업 지역 수요분석 네트워킹활동 500 건
발굴사업
· 창투융자연계지원 50건(연 5건) 기술수요분석 온라인 기술저장소 구축
(2 단계) 성공적 ○ 경북 Start-Up Program) 운영사업
GBSUP(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운영 기술이전 희망기업DB 2,000 건
창업단계 창업을 위한 · 첨단기술기반 창업 잠재력이 높은 지역내 예비창업자
지원시스템 지원시스템 및 창업초기자들에게 기업가적 경영마인드 및 창업경 상용화 가능 기술DB 500 건

구축사업 구축 영 실전지식, 전문가 네트워크 제공(교육 연계)


우수기술탐색지원 1,000 건
· 교육과정 운영 20회(연 2회, 회당 8주)

○ 기술창업경영 컨설팅 지원사업 기술창업분야 중심


( )
기술이전 중개 컨설팅 제공
기술가치평가지원 100 건

· 기술창업과 관련한 가능성 진단 및 컨설팅을 지원 기술이전 설명회 100 건


· 기술창업 컨설팅 100건(연 10건)
활용전략수 기술마케팅지원 건

100
IP

운영사업
Post-GBSUP
기술이전
립을 통한 선행기술탐색지원교육 회
· 창업이후 매출 10~20억 상황에서의 의사결정부문에 대 중개지원 지식재산 활용 20

공공연구성과
한 시뮬레이션 지원 사업 교육과정운영 R&D 연계전략수립교육 20 회
사업화 촉진
· GBSUP 수료 후 창업자를 대상으로 한 커뮤니티 조성

· 정기커뮤니티 50회(연 5회), 멘토링 50건(연 5회) 기술이전건수 50 건


창업이후
단계) 기술이전 활성화 제고
○ 컨설팅 및 자문단 운영사업 경영지원분야 중심
(3
기업성장을 ( )
기술이전금액 200 억
창업성장단
견인할 수 · 창업이후 성장단계에서 필요한 재무, 회계, 법률 등 경
계 글로벌 기술협력 강화 국제공동기술사업화 5건
있는 영지원 분야에 대한 컨설팅 제공
지원시스템 · 경영지원분야 자문단 조성을 통한 멘토링 시스템 도입
차별화된 초기기술이전비용지원 20 개
구축사업 · 컨설팅 지원 100건(연 10건), 자문단 운영 50회(연 5회)
서비스 구축 이전기술 사업화 촉진
○ 경영진단 지원사업 이전기술
활용지원
지역내 창조적
기술기업육성
우수특허유지비지원 20 개
· 창업기업의 장기적 발전가능성을 비롯한 진단 지원
사업 지원 상용화인증비용지원 10 개
· IPO 및 M&A등의 EXIT 전략관련 컨설팅 지원
이전기술 R&BD 구축
· 경영진단 지원 30회(연 3회) IP 제품혁신기술개발 10 개

- 403 - - 404 -
□ 세부사업내용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가. 세부사업 연차별 로드맵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사업년도 최종목표
○ 중소기업형 유망기술수요분석 세부사업
· 우수 Lab 인큐베이팅 및 우수 기업연구소 상담․방문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사업비(억원)
· 지역내 분야별 기술수요조사, 애로기술현황조사 등 기술이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유망기술 160 건, 애로기술 100 건 발굴 고부 1,000건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기술저장
가가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10,000건
○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치 기술인출
- - - - - 200 200 200 200 200
우수기술 수요자중심의 지역 · 기술보유자, 기술수요자 상생협력 네트워크 구축 1,000건
후방
발굴사업 기술수요분석 · 기술분야별 교류회, 우수기술연구회 운영 지역수요기반R& 20
핵심 D발굴
· 기술인력POOL 1,000명, 수요분석 네트워킹 500 건
R&D
가교형R&D 159
○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운영 발굴
· 온라인 기술저장소 구축 육성 산학연공동 120
· 기술이전 희망기업DB 2,000건 연구법인
· 상용화 가능기술DB구축 500 건 과제기획
10 10 10 10 10 - - - - -
50건
○ 기술이전 중개 컨설팅 제공 논문
지식 5 10 10 10 10 10 10 10 10 10
· 선행기술조사, 특허검색지원, R&D 기획, 금융지원연계 95건
· 기술가치평가보고서 및 기술판매서(SMK) 작성 기반 지역 지역과학기술
과학 25
· 수요-공급 설명회 100건, 우수기술홍보, 교류회 개최 기초 연구네트워크
기술
· 우수기술탐색지원 1,000건, 기술가치평가지원 100건, 기술마 연구 성과 기술이전협 25
케팅지원 100 건 확산 력 네트워크
활성 네트
생태 워킹 기술창업자 15
○ 지식재산 활용 교육과정운영 사업 네트워크
기술이전 활용전략수립을
IP

· 선행기술탐색지원교육 20회, 보유특허 활용 R&D 연계전략수
중개지원 통한 공공연구성과 분석장비지원활성화 25
립교육 20 회 조성
사업 사업화 촉진
R&D분석인력양성 15
○ 기술이전 활성화 제고
· 기술이전 50건 계약 및 사후관리 지원 창업
10 10 10 10 10 10 10 10 10 15
· 기술매칭활동을 통한 기술이전금액 200 억 달성 105개
일자리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0개
○ 글로벌 기술협력 강화 가치 (1단계)

· 선진기술 이전, 해외기술이전 상담회, 고급 연구인력양성 지 30


창출 창업준비단계
원 등 국제공동기술사업화 5 건
특허
활용 (2단계)
형 30
창업 창업단계
○ 이전기술 사업화 촉진 기술 기획
(3단계)
· 권리성, 시장성이 우수한 기술 건에 대한 초기 이전비용지원 이전 30
20
창업성장단계
기술이전 · 이전기술 20 건에 대한 특허유지비용을 지원하여 사업화 성 확대 우수기술
지식 25
공률 제고 지원 발굴
제품화 지역내 창조적 재산 기술이전
지원 기술기업육성지원 활용 25
○ 이전기술 R&BD 구축 도 중개지원
사업 · 상품화 기술개발, 디자인, 설계 등 상용화인증 건 발굴지원 제고 이전기술
10 15
활용지원
· Mock-up 이나 금형의 마스터 패턴 제작, 이전기술마케팅활동
에 소요되는 제반 비용 지원 등 IP 제품혁신기술 10 건 지원
합계 559

- 405 - - 406 -
나. 고부가가치 후방핵심 R&D 발굴 육성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방과학기술 정책방향 수립


○ 지방과학기술 정책방향 수립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 국내외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보고서 등 정책연
구보고서 4종 발간
○ 지역수요기반
발굴 및 장단기
R&D사업 · 국내외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보고서 등 정책연
구보고서 4종 발간
발굴 및 장단기
○ 지역수요기반 유망핵심 사업발굴
R&D

발후방향 제시
발후방향 제시 ○ 지역수요기반 유망핵심 사업발굴
R&D
· 10 개 과제발굴 및 타당성 분석
○ 지역 과학기술장단기 발후방향 수립 RoadMap
· 10 개 과제발굴 및 타당성 분석
‘19
‘16
○ 융합기술기반 가교형 ○ IT융합 및 융합신소재 분야 핵심과제 발굴 및 추진
○ 융합기술기반 가교형 ○ 융합 및 융합신소재 분야 핵심과제 발굴 및 추진
IT

R&D 발굴 육성 · 13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R&D 발굴 육성 · 10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 융합기술기반 기술협력중심의 핵심과제 발굴 및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 융합기술기반 기술협력중심의 핵심과제 발굴 및
공동연구법인 R&D 발굴 추진
공동연구법인 R&D 발굴 추진
육성 · 7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육성 · 5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 지방과학기술 정책방향 수립 ○ 지방과학기술 정책방향 수립


· 국내외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보고서 등 정책연
· 국내외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보고서 등 정책연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구보고서 4 종 발간
발굴 및 장단기
구보고서 4종 발간
○ 지역수요기반 유망핵심 사업발굴
발굴 및 장단기
○ 지역수요기반 유망핵심 사업발굴 R&D
R&D
발후방향 제시 · 개 과제발굴 및 타당성 분석
발후방향 제시 10
· 10 개 과제발굴 및 타당성 분석
○ 지역 과학기술장단기 발후방향 수립 RoadMap
○ 지역 과학기술장단기 발후방향 수립 RoadMap

‘20
‘17
○ 융합기술기반 가교형 ○ 융합 및 융합신소재 분야 핵심과제 발굴 및 추진
IT
○ 융합기술기반 가교형 ○ 융합 및 융합신소재 분야 핵심과제 발굴 및 추진
IT

R&D 발굴 육성 · 13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R&D 발굴 육성 · 12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 융합기술기반 기술협력중심의 핵심과제 발굴 및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 융합기술기반 기술협력중심의 핵심과제 발굴 및
공동연구법인 R&D 발굴 추진
공동연구법인 R&D 발굴 추진
육성 ·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7
육성 · 7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 지방과학기술 정책방향 수립 ○ 지방과학기술 정책방향 수립


· 국내외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보고서 등 정책연
· 국내외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보고서 등 정책연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구보고서 4 종 발간
발굴 및 장단기
구보고서 4

○ 지역수요기반 유망핵심 사업발굴


종 발간 발굴 및 장단기
○ 지역수요기반 유망핵심 사업발굴(단기과제)
R&D
R&D
발후방향 제시 · 개 과제발굴 및 타당성 분석
발후방향 제시 10
· 개 과제발굴 및 타당성 분석
10

○ 지역 과학기술장단기 발후방향 수립 RoadMap


○ 지역 과학기술장단기 발후방향 수립 RoadMap

‘21
‘18
○ 융합기술기반 가교형 ○ 융합 및 융합신소재 분야 핵심과제 발굴 및 추진
IT
○ 융합기술기반 가교형 ○ 융합 및 융합신소재 분야 핵심과제 발굴 및 추진
IT

R&D 발굴 육성 · 8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R&D 발굴 육성 · 13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 융합기술기반 기술협력중심의 핵심과제 발굴 및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 융합기술기반 기술협력중심의 핵심과제 발굴 및
공동연구법인 R&D 발굴 추진
공동연구법인 R&D 발굴 추진
육성 · 8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육성 · 7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 407 - - 408 -
[ 참고] 연차별 고부가가치 후방핵심 R&D 지원과제수 및 예산배정
○ 가교형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방과학기술 정책방향 수립 인쇄전자
R&D : , 희소금속소재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 국내외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보고서 등 정책연
구보고서 4 종 발간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R&D : 3D 프린팅
발굴 및 장단기
○ 지역수요기반 유망핵심 사업발굴 단기과제 R&D ( )

발후방향 제시 · 개 과제발굴 및 타당성 분석


10 ( 단위 : 과제수 *개, 예산 *억원)
‘22 ○ 지역 과학기술장단기 발후방향 수립 RoadMap

○ 융합기술기반 가교형 ○ 융합 및 융합신소재 분야 핵심과제 발굴 및 추진


IT


분야 세부분야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합계

R&D 발굴 육성 · 8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소재/소자 2 2 2 2 2 - - - - - 10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융합기술기반 기술협력중심의 핵심과제 발굴 및 인쇄
공정장비 2 2 2 2 2 2 2 2 - - 16
추진 전자
공동연구법인 R&D 발굴
융합제품화   2 2 2 2 2 2 2 4 4 22
육성 · 8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 지방과학기술 정책방향 수립 희소
소재 2 2 3 3 3 - - - - - 13

· 국내외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보고서 등 정책연 금속 소재적용장비 2 2 2 2 2 2 2 2 - - 16


발굴 및 장단기 소재
구보고서 4종 발간 융합제품화 2 2 2 2 2 2 2 2 4 4 24
○ 지역 과학기술장단기 발후방향

발후방향 제시 수립 RoadMap 제 소계 10 12 13 13 13 8 8 8 8 8 101  
‘23 ○ 융합기술기반 가교형 ○ 융합 및 융합신소재 분야 핵심과제 발굴 및 추진
IT 수
소재 2 2 2 2 2 2 2 2 - - 16
R&D 발굴 육성 · 8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 3D프 제조장비 2 2 2 2 2 2 2 2     16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융합기술기반 기술협력중심의 핵심과제 발굴 및 린팅 융합제품화   2 2 2 2 2 2 2 4 4 22
공동연구법인 R&D 발굴 추진
3D스캐닝 1 1 1 1 1 2 2 2 - - 11
육성 · 8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 지방과학기술 정책방향 수립 소계 5 7 7 7 7 8 8 8 4 4 65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합계 15 19 20 20 20 16 16 16 12 12 166
· 국내외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보고서 등 정책연
발굴 및 장단기
구보고서 4종 발간 소재/소자 5 3 3 3 3  - - - - -  17
발후방향 제시 ○ 지역 과학기술장단기 발후방향 수립 RoadMap
인쇄
공정장비 5 3 3 3 3 5 5 5 - - 32
‘24 ○ 융합기술기반 가교형 ○ 융합 및 융합신소재 분야 핵심과제 발굴 및 추진
IT
전자
융합제품화 -  4 4 4 4 5 5 5 10 10 51
R&D 발굴 육성 · 8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소재 5 3 3 3 3 - - - - - 17
희소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융합기술기반 기술협력중심의 핵심과제 발굴 및
금속 소재적용장비 5 3 3 3 3 5 5 5 - - 32
공동연구법인 R&D 발굴 추진 소재
융합제품화   4 4 4 4 5 5 5 10 10 51
육성 · 4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 지방과학기술 정책방향 수립

산*
소계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0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소재 4 3 3 3 3 - - - - - 16
· 국내외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보고서 등 정책연
발굴 및 장단기
구보고서 4 종 발간 3D프 제조장비 3 2 2 2 2 2 2 2 - - 17
발후방향 제시 ○ 지역 과학기술장단기 발후방향 수립 RoadMap 린팅 융합제품화 3 3 3 3 5 5 5 10 10 47
○ 융합 및 융합신소재 분야 핵심과제 추진
 

IT
3D스캐닝 3 2 2 2 2 3 3 3 - - 20
○ 융합기술기반 가교형
‘25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R&D 발굴 육성
· 8

○ 융합 및 융합신소재 분야 성과연계방안 수립
IT
소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 융합기술기반 기술협력중심의 핵심과제 추진 합계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 개 과제 추진 및 과제 컨소시움 협의회 운영
4
공동연구법인 R&D 발굴
○ 융합기술기반 기술협력중심의 핵심과제 성과연계 * 예산 국비기준
육성 방안 수립

- 409 - - 410 -
다. 지식기반 기초연구활성 생태계 조성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 10개
1) 지역과학기술 성과확산 네트워킹사업 · 글로벌협력 세미나, 공동연구 지원 : 2건
· 경북과학기술 정책 브리핑 이슈보고서 발간 : 4회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및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과학기술분야 통계 및 동향 리포트 발간 : 4회
과학기술문화 확산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 10개 ·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 : 1건
· 글로벌협력 세미나, 공동연구 지원 : 2건 · 블로그 기자단 운영 : 10명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및 · 경북과학기술 정책 브리핑 이슈보고서 발간 : 4회 · 경북과학기술인 대상 선정․지원 : 1건
과학기술문화 확산 · 지역과학기술분야 통계 및 동향 리포트 발간 : 4회 ‘19 · 기술사업화 협의회 : 3회
·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운영 기획 : 1건 교류협력을 위한 소통과
· 기술이전 교류회 : 3회, 포럼 운영 : 4회
· 경북과학기술인 대상 선정․지원 : 1건 창조적 기술협력체계 구축
· GB 첨단기술사업화대전 개최 : 1회

교류협력을 위한 소통과 · 기술사업화 협의회 : 3회


‘16 · 기술창업 CEO교류회 : 4회
· 기술이전 교류회 : 3회, 포럼 운영 : 4회
창조적 기술협력체계 구축 · GB 첨단기술사업화대전 개최 : 1회
산학연 관계자 및 · Open Innovation 교류회 : 상시

· 기술창업 CEO교류회 : 4회 창업자들의 지속적인 참여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 1회


산학연 관계자 및 · Open Innovation 교류회 : 상시 · 기술창업 동향 및 정보제고 및 만족도 조사 : 1회
유도
창업자들의 지속적인 참여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 1회 · 뉴스레터 제작 : 2회
유도 · 기술창업 동향 및 정보제고 및 만족도 조사 : 1회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 10개
· 뉴스레터 제작 : 2회 · 글로벌협력 세미나, 공동연구 지원 : 2건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 10개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및 · 경북과학기술 정책 브리핑 이슈보고서 발간 : 4회
· 글로벌협력 세미나, 공동연구 지원 : 2건 과학기술문화 확산 · 지역과학기술분야 통계 및 동향 리포트 발간 : 4회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및 · 경북과학기술 정책 브리핑 이슈보고서 발간 : 4회
·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및 블로그기자단 운영 : 1건, 명
10
과학기술문화 확산 · 지역과학기술분야 통계 및 동향 리포트 발간 : 4회
·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운영효율화를 위한 시스템설계) 건
: 1
· 경북과학기술인 대상 선정․지원 : 1건
· 경북과학기술인 대상 선정․지원 : 1건 · 기술사업화 협의회 : 3회
‘20 교류협력을 위한 소통과
· 기술사업화 협의회 : 3회 · 기술이전 교류회 : 3회, 포럼 운영 : 4회
‘17 교류협력을 위한 소통과 창조적 기술협력체계 구축
· 기술이전 교류회 : 3회, 포럼 운영 : 4회 · GB 첨단기술사업화대전 개최 : 1회
창조적 기술협력체계 구축 · GB 첨단기술사업화대전 개최 : 1회
· 기술창업 CEO교류회 : 4회
· 기술창업 CEO교류회 : 4회 산학연 관계자 및 · Open Innovation 교류회 : 상시
산학연 관계자 및 · Open Innovation 교류회 : 상시
창업자들의 지속적인 참여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 1회
창업자들의 지속적인 참여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 1회
· 기술창업 동향 및 정보제고 및 만족도 조사 : 1회 유도 · 기술창업 동향 및 정보제고 및 만족도 조사 : 1회
유도
· 뉴스레터 제작 : 2회 · 뉴스레터 제작 : 2회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 10개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 10개
· 글로벌협력 세미나, 공동연구 지원 : 2건 · 글로벌협력 세미나, 공동연구 지원 : 2건
· 경북과학기술 정책 브리핑 이슈보고서 발간 : 4회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및 · 경북과학기술 정책 브리핑 이슈보고서 발간 : 4회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및 지역과학기술분야 통계 및 동향 리포트 발간 : 4회
· 지역과학기술분야 통계 및 동향 리포트 발간 : 4회 과학기술문화 확산 ·
과학기술문화 확산 ·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및 블로그기자단 운영 : 1건, 명
· 온라인 커뮤니티 시범운영 : 1건 10

· 블로그 기자단 운영 : 20명 · 경북과학기술인 대상 선정․지원 : 1건


· 경북과학기술인 대상 선정․지원 : 1건 · 기술사업화 협의회 : 3회
‘21 교류협력을 위한 소통과
‘18 · 기술사업화 협의회 : 3회 · 기술이전 교류회 : 3회, 포럼 운영 : 4회
교류협력을 위한 소통과 창조적 기술협력체계 구축
· 기술이전 교류회 : 3회, 포럼 운영 : 4회 · GB 첨단기술사업화대전 개최 : 1회
창조적 기술협력체계 구축
· GB 첨단기술사업화대전 개최 : 1회
· 기술창업 CEO교류회 : 4회
· 기술창업 CEO교류회 : 4회 산학연 관계자 및 · Open Innovation 교류회 : 상시
산학연 관계자 및 · Open Innovation 교류회 : 상시
창업자들의 지속적인 참여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 1회
창업자들의 지속적인 참여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 1회
유도 · 기술창업 동향 및 정보제고 및 만족도 조사 : 1회
유도 · 기술창업 동향 및 정보제고 및 만족도 조사 : 1회
· 뉴스레터 제작 : 2회
· 뉴스레터 제작 : 2회

- 411 - - 412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2) 분석장비지원 및 인력양성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 10개
· 글로벌협력 세미나, 공동연구 지원 : 2건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및 · 경북과학기술 정책 브리핑 이슈보고서 발간 : 4회 · 고가분석장비활용 일반분석 서비스 지원 (200건)
과학기술문화 확산 · 지역과학기술분야 통계 및 동향 리포트 발간 : 4회 분석장비
·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및 블로그기자단 운영 : 1건, 명
10 · 기업지원형 애로기술 해결용 구조분석법 수요조사
지원활성화
· 경북과학기술인 대상 선정․지원 : 1건 실시 (1건)
‘22 교류협력을 위한 소통과 · 기술사업화 협의회 : 3회 `16 · 연구기반 구조분석 기초이론 및 실습 워크숍 개최
· 기술이전 교류회 : 3회, 포럼 운영 : 4회 R&D 분석 (12건)
창조적 기술협력체계 구축 · GB 첨단기술사업화대전 개최 : 1회

인력양성 · 도내 대학 학·연과정 구축 및 학위과정 접수 (1건)


산학연 관계자 및 · 기술창업 CEO교류회 : 4회
· Open Innovation 교류회 : 상시 · 지역과학기술진흥 워크숍 운영회 추진 (4회)
창업자들의 지속적인 참여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 1회 · 고가분석장비활용 일반분석 서비스 지원 (220건)
유도 · 기술창업 동향 및 정보제고 및 만족도 조사 : 1회 분석장비
· 기업지원형 애로기술 해결 구조분석법 개발 (3건)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 10개 지원활성화
· 글로벌협력 세미나, 공동연구 지원 : 2건 · 기업대상 구조분석법 교육프로그램 진행 (3건)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및 · 경북과학기술 정책 브리핑 이슈보고서 발간 : 4회 · 연구기반 구조분석 기초이론 및 실습 워크숍 개최
· 지역과학기술분야 통계 및 동향 리포트 발간 : 4회 `17
과학기술문화 확산 (12건)
·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및 블로그기자단 운영 : 1건, 명
10 R&D 분석
· 경북과학기술인 대상 선정․지원 : 1건 · 도내 대학 학·연과정 구축 및 학위과정 지도 (1건)
인력양성
‘23 · 기술사업화 협의회 : 3회 · 지역과학기술진흥 워크숍 운영 (4회)
교류협력을 위한 소통과
· 기술이전 교류회 : 3회, 포럼 운영 : 4회 · R&D 분석기술 전문인력 취업연계 (5건)
창조적 기술협력체계 구축 · GB 첨단기술사업화대전 개최 : 1회
· 고가분석장비활용 일반분석 서비스 지원 (240건)
산학연 관계자 및 · 기술창업 CEO교류회 : 4회 분석장비
· 기업지원형 애로기술 해결 구조분석법 개발 (3건)
· Open Innovation 교류회 : 상시 지원활성화
창업자들의 지속적인 참여 · 기업대상 구조분석법 교육프로그램 진행 (3건)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 1회
유도 · 기술창업 동향 및 정보제고 및 만족도 조사 : 1회 · 연구기반 구조분석 기초이론 및 실습 워크숍 개최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 10개 `18
(12건)
· 글로벌협력 세미나, 공동연구 지원 : 2건 R&D 분석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및 · 경북과학기술 정책 브리핑 이슈보고서 발간 : 4회 · 도내 대학 학·연과정 구축 및 학위과정 지도 (1건)
인력양성
과학기술문화 확산 · 지역과학기술분야 통계 및 동향 리포트 발간 : 4회 · 지역과학기술진흥 워크숍 운영 (4회)
·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및 블로그기자단 운영 : 1건, 명
10
· R&D 분석기술 전문인력 취업연계 (5건)
· 경북과학기술인 대상 선정․지원 : 1건
· 고가분석장비활용 일반분석 서비스 지원 (250건)
‘24 교류협력을 위한 소통과 · 기술사업화 협의회 : 3회 분석장비
· 기술이전 교류회 : 3회, 포럼 운영 : 4회 · 기업지원형 애로기술 해결 구조분석법 개발 (3건)
창조적 기술협력체계 구축 지원활성화
· GB 첨단기술사업화대전 개최 : 1회 · 기업대상 구조분석법 교육프로그램 진행 (3건)
산학연 관계자 및 · 기술창업 CEO교류회 : 4회 · 연구기반 구조분석 기초이론 및 실습 워크숍 개최
· Open Innovation 교류회 : 상시 `19
창업자들의 지속적인 참여 (12건)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 1회 R&D 분석
유도 · 기술창업 동향 및 정보제고 및 만족도 조사 : 1회 · 도내 대학 학·연과정 구축 및 학위과정 지도 (1건)
인력양성
· 지역과학기술 연구교류회 운영 : 10개 · 지역과학기술진흥 워크숍 운영 (4회)
· 글로벌협력 세미나, 공동연구 지원 : 2건 · R&D 분석기술 전문인력 취업연계 (5건)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및 · 경북과학기술 정책 브리핑 이슈보고서 발간 : 4회
· 고가분석장비활용 일반분석 서비스 지원 (300건)
과학기술문화 확산 · 지역과학기술분야 통계 및 동향 리포트 발간 : 4회 분석장비
·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및 블로그기자단 운영 : 1건, 명
10 · 기업지원형 애로기술 해결 구조분석법 개발 (3건)
· 경북과학기술인 대상 선정․지원 : 1건 지원활성화
· 기업대상 구조분석법 교육프로그램 진행 (3건)
‘25 교류협력을 위한 소통과 · 기술사업화 협의회 : 3회 · 연구기반 구조분석 기초이론 및 실습 워크숍 개최
· 기술이전 교류회 : 3회, 포럼 운영 : 4회 `20
창조적 기술협력체계 구축 · GB 첨단기술사업화대전 개최 : 1회
(12건)
R&D 분석
산학연 관계자 및 · 기술창업 CEO교류회 : 4회 · 도내 대학 학·연과정 구축 및 학위과정 지도 (1건)
인력양성
· Open Innovation 교류회 : 상시 · 지역과학기술진흥 워크숍 운영 (4회)
창업자들의 지속적인 참여
·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 1회
유도 · 기술창업 동향 및 정보제고 및 만족도 조사 : 1회 · R&D 분석기술 전문인력 취업연계 (5건)

- 413 - - 414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라. 가치창출형 기술이전 확대 지원
· 고가분석장비활용 일반분석 서비스 지원 (300건)
분석장비 1)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 기업지원형 애로기술 해결 구조분석법 개발 (3건)
지원활성화
· 기업대상 구조분석법 교육프로그램 진행 (3건)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연구기반 구조분석 기초이론 및 실습 워크숍 개최
`21 · 창업펀드 200억원 조성 준비단계 : 위원회 구성
(12건) 지역내 창업역량강화
R&D 분석 · 기술가치 평가지원 : 10건
· 도내 대학 학·연과정 구축 및 학위과정 지도 (1건) 및 창업준비단계
인력양성 지원시스템 구축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 10건
· 지역과학기술진흥 워크숍 운영 (4회) · 창업매뉴얼 제작 : 1건
· R&D 분석기술 전문인력 취업연계 (5건)
· 고가분석장비활용 일반분석 서비스 지원 (300건) · 창투 융자연계지원 : 5건
분석장비 성공적 창업을 위한
· GBSUP 운영(8주 과정) : 2회
· 기업지원형 애로기술 해결 구조분석법 개발 (3건) ‘16 지원시스템 구축
지원활성화 · 기술창업 컨설팅 지원 : 10건
· 기업대상 구조분석법 교육프로그램 진행 (3건)
· 연구기반 구조분석 기초이론 및 실습 워크숍 개최 · Post- GBSUP 정기커뮤니티운영 : 5회
`22 · Post- GBSUP 멘토링 지원 : 5회
(12건) 창업이후 기업성장을
R&D 분석 견인할 수 있는 · 경영지원분야 컨설팅 지원 : 10건
· 도내 대학 학·연과정 구축 및 학위과정 지도 (1건)
인력양성 차별화된 서비스 구축 · 경영지원분야 자문단 운영 : 5회
· 지역과학기술진흥 워크숍 운영 (4회)
· 경영진단 지원 : 3건
· R&D 분석기술 전문인력 취업연계 (5건)
· 고가분석장비활용 일반분석 서비스 지원 (300건) · 창업펀드 200억원 조성 준비단계 : 구체적 운영계획 수립
분석장비 지역내 창업역량강화
· 기업지원형 애로기술 해결 구조분석법 개발 (3건) · 기술가치 평가지원 : 10건
지원활성화 및 창업준비단계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 10건
· 기업대상 구조분석법 교육프로그램 진행 (3건) 지원시스템 구축
· 연구기반 구조분석 기초이론 및 실습 워크숍 개최 · 창업매뉴얼 제작 : 업데이트작업 수행
`23
(12건) · 창투 융자연계지원 : 5건
R&D 분석 성공적 창업을 위한
· 도내 대학 학·연과정 구축 및 학위과정 지도 (1건) · GBSUP 운영(8주 과정) : 2회
인력양성 ‘17 지원시스템 구축
· 지역과학기술진흥 워크숍 운영 (4회) · 기술창업 컨설팅 지원 : 10건
· R&D 분석기술 전문인력 취업연계 (5건) · Post- GBSUP 정기커뮤니티운영 : 5회
· 고가분석장비활용 일반분석 서비스 지원 (300건) 창업이후 기업성장을 · Post- GBSUP 멘토링 지원 : 5회
분석장비
· 기업지원형 애로기술 해결 구조분석법 개발 (3건) 견인할 수 있는 · 경영지원분야 컨설팅 지원 : 10건
지원활성화 차별화된 서비스 구축
· 기업대상 구조분석법 교육프로그램 진행 (3건) · 경영지원분야 자문단 운영 : 5회
· 연구기반 구조분석 기초이론 및 실습 워크숍 개최 · 경영진단 지원 : 3건
`24
(12건) · 창업펀드 200억원 조성 준비단계 : 연간 자금 조달계획 수립
R&D 분석
· 도내 대학 학·연과정 구축 및 학위과정 지도 (1건) 지역내 창업역량강화
· 기술가치 평가지원 : 10건
인력양성 및 창업준비단계
· 지역과학기술진흥 워크숍 운영 (4회)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 10건
지원시스템 구축
· R&D 분석기술 전문인력 취업연계 (5건) · 창업매뉴얼 제작 : 업데이트작업 수행
· 고가분석장비활용 일반분석 서비스 지원 (300건)
분석장비 · 창투 융자연계지원 : 5건
· 기업지원형 애로기술 해결 구조분석법 개발 (3건) 성공적 창업을 위한
지원활성화 · GBSUP 운영(8주 과정) : 2회
‘18 지원시스템 구축
· 기업대상 구조분석법 교육프로그램 진행 (3건) · 기술창업 컨설팅 지원 : 10건
· 연구기반 구조분석 기초이론 및 실습 워크숍 개최
`25 · Post- GBSUP 정기커뮤니티운영 : 5회
(12건)
R&D 분석 창업이후 기업성장을 · Post- GBSUP 멘토링 지원 : 5회
· 도내 대학 학·연과정 구축 및 학위과정 지도 (1건)
인력양성 견인할 수 있는 · 경영지원분야 컨설팅 지원 : 10건
· 지역과학기술진흥 워크숍 운영 (4회) 차별화된 서비스 구축 · 경영지원분야 자문단 운영 : 5회
· R&D 분석기술 전문인력 취업연계 (5건) · 경영진단 지원 : 3건

- 415 - - 416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창업펀드 200억원 조성 : 목표액 100억원 · 창업펀드 200억원 조성 : 목표액 180억원
지역내 창업역량강화 · 기술가치 평가지원 : 10건 지역내 창업역량강화
및 창업준비단계 · 기술가치 평가지원 : 10건
지원시스템 구축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 10건 및 창업준비단계
· 창업매뉴얼 제작 : 업데이트작업 수행 지원시스템 구축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 10건
· 창업매뉴얼 제작 : 업데이트작업 수행
· 창투 융자연계지원 : 5건
성공적 창업을 위한 · GBSUP 운영(8주 과정) : 2회
‘19 지원시스템 구축 · 창투 융자연계지원 : 5건
· 기술창업 컨설팅 지원 : 10건 성공적 창업을 위한
· GBSUP 운영(8주 과정) : 2회
· Post- GBSUP 정기커뮤니티운영 : 5회 ‘23 지원시스템 구축
· 기술창업 컨설팅 지원 : 10건
창업이후 기업성장을 · Post- GBSUP 멘토링 지원 : 5회
견인할 수 있는 · 경영지원분야 컨설팅 지원 : 10건 · Post- GBSUP 정기커뮤니티운영 : 5회
차별화된 서비스 구축 · 경영지원분야 자문단 운영 : 5회
· 경영진단 지원 : 3건 창업이후 기업성장을 · Post- GBSUP 멘토링 지원 : 5회
견인할 수 있는 · 경영지원분야 컨설팅 지원 : 10건
· 창업펀드 200억원 조성 : 목표액 120억원 차별화된 서비스 구축 · 경영지원분야 자문단 운영 : 5회
지역내 창업역량강화 · 기술가치 평가지원 : 10건
및 창업준비단계 · 경영진단 지원 : 3건
지원시스템 구축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 10건
· 창업매뉴얼 제작 : 업데이트작업 수행
· 창업펀드 200억원 조성 : 목표액 200억원
· 창투 융자연계지원 : 5건 지역내 창업역량강화
성공적 창업을 위한 · 기술가치 평가지원 : 10건
지원시스템 구축 · GBSUP 운영(8주 과정) : 2회 및 창업준비단계
‘20 · 기술창업 컨설팅 지원 : 10건 지원시스템 구축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 10건
· 창업매뉴얼 제작 : 업데이트작업 수행
· Post- GBSUP 정기커뮤니티운영 : 5회
창업이후 기업성장을 · Post- GBSUP 멘토링 지원 : 5회 · 창투 융자연계지원 : 5건
견인할 수 있는 · 경영지원분야 컨설팅 지원 : 10건 성공적 창업을 위한
차별화된 서비스 구축 · GBSUP 운영(8주 과정) : 2회
· 경영지원분야 자문단 운영 : 5회 ‘24 지원시스템 구축
· 경영진단 지원 : 3건 · 기술창업 컨설팅 지원 : 10건

· 창업펀드 200억원 조성 : 목표액 140억원 · Post- GBSUP 정기커뮤니티운영 : 5회


지역내 창업역량강화 · 기술가치 평가지원 : 10건
및 창업준비단계 창업이후 기업성장을 · Post- GBSUP 멘토링 지원 : 5회
지원시스템 구축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 10건
· 창업매뉴얼 제작 : 업데이트작업 수행 견인할 수 있는 · 경영지원분야 컨설팅 지원 : 10건
차별화된 서비스 구축 · 경영지원분야 자문단 운영 : 5회
· 창투 융자연계지원 : 5건
성공적 창업을 위한 · 경영진단 지원 : 3건
지원시스템 구축 · GBSUP 운영(8주 과정) : 2회
‘21 · 기술창업 컨설팅 지원 : 10건
· 창업펀드 200억원 조성 활성화 단계
· Post- GBSUP 정기커뮤니티운영 : 5회 지역내 창업역량강화 · 기술가치 평가지원 : 10건
창업이후 기업성장을 · Post- GBSUP 멘토링 지원 : 5회 및 창업준비단계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 10건
견인할 수 있는 · 경영지원분야 컨설팅 지원 : 10건 지원시스템 구축
차별화된 서비스 구축 · 경영지원분야 자문단 운영 : 5회 · 창업매뉴얼 제작 : 업데이트작업 수행
· 경영진단 지원 : 3건
· 창투 융자연계지원 : 5건
· 창업펀드 200억원 조성 : 목표액 160억원 성공적 창업을 위한
· GBSUP 운영(8주 과정) : 2회
지역내 창업역량강화 · 기술가치 평가지원 : 10건 ‘25 지원시스템 구축
및 창업준비단계 · 기술창업 컨설팅 지원 : 10건
지원시스템 구축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 : 10건
· 창업매뉴얼 제작 : 업데이트작업 수행
· Post- GBSUP 정기커뮤니티운영 : 5회
· 창투 융자연계지원 : 5건 창업이후 기업성장을 · Post- GBSUP 멘토링 지원 : 5회
성공적 창업을 위한 · GBSUP 운영(8주 과정) : 2회
‘22 지원시스템 구축 견인할 수 있는 · 경영지원분야 컨설팅 지원 : 10건
· 기술창업 컨설팅 지원 : 10건
차별화된 서비스 구축 · 경영지원분야 자문단 운영 : 5회
· Post- GBSUP 정기커뮤니티운영 : 5회 · 경영진단 지원 : 3건
창업이후 기업성장을 · Post- GBSUP 멘토링 지원 : 5회
견인할 수 있는 · 경영지원분야 컨설팅 지원 : 10건
차별화된 서비스 구축 · 경영지원분야 자문단 운영 : 5회
· 경영진단 지원 : 3건

- 417 - - 418 -
2)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 기술수요분석 1건


수요자중심의 지역 기술수요분석 ·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100명
· 지역 기술수요분석 1건 ·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기획
수요자중심의 지역기술수요분석 ·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100명
· 지역기술이전 중개컨설팅 30건
·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기획 활용전략수립을 통한
IP
· 지식재산활용 교육 2회
‘19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촉진
· 기술이전 건수 5건, 기술이전금액 10억
· 지역기술이전 중개컨설팅 30건
IP활용전략수립을 통한
· 지식재산활용 교육 2회 · 초기기술이전비용지원 2건
‘16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촉진 · 우수기술특허유지비지원 2건
· 기술이전 건수 5건, 기술이전금액 10억 지역내 창조적 기술기업육성지원
· 상용화인증비용지원 1건
· IP제품혁신기술개발 1건
· 초기기술이전비용지원 2건
· 우수기술특허유지비지원 2건 · 지역 기술수요분석 1건
지역내 창조적 기술기업육성지원
· 상용화인증비용지원 1건 수요자중심의 지역 기술수요분석 ·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100명
· IP제품혁신기술개발 1건 ·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기획

· 지역기술이전 중개컨설팅 30건


· 지역 기술수요분석 1건 활용전략수립을 통한
IP
· 지식재산활용 교육 2회
수요자중심의 지역 기술수요분석 ·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100명 ‘20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촉진
· 기술이전 건수 5건, 기술이전금액 10억
·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기획
· 초기기술이전비용지원 2건
· 우수기술특허유지비지원 2건
· 지역기술이전 중개컨설팅 30건 지역내 창조적 기술기업육성지원
활용전략수립을 통한
IP · 상용화인증비용지원 1건
· 지식재산활용 교육 2회
‘17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촉진 · IP제품혁신기술개발 1건
· 기술이전 건수 5건, 기술이전금액 10억
· 지역 기술수요분석 1건
· 초기기술이전비용지원 2건 수요자중심의 지역 기술수요분석 ·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100명
· 우수기술특허유지비지원 2건 ·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기획
지역내 창조적 기술기업육성지원
· 상용화인증비용지원 1건 · 지역기술이전 중개컨설팅 30건
· IP제품혁신기술개발 1건 활용전략수립을 통한
IP
· 지식재산활용 교육 2회
‘21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촉진
· 기술이전 건수 5건, 기술이전금액 10억
· 지역 기술수요분석 1건
· 초기기술이전비용지원 2건
수요자중심의 지역 기술수요분석 ·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100명
· 우수기술특허유지비지원 2건
·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기획 지역내 창조적 기술기업육성지원
· 상용화인증비용지원 1건
· IP제품혁신기술개발 1건
· 지역기술이전 중개컨설팅 30건
활용전략수립을 통한
IP
· 지역 기술수요분석 1건
· 지식재산활용 교육 2회
‘18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촉진 수요자중심의 지역 기술수요분석 ·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100명
· 기술이전 건수 5건, 기술이전금액 10억
·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기획
· 초기기술이전비용지원 2건 · 지역기술이전 중개컨설팅 30건
활용전략수립을 통한
IP
· 우수기술특허유지비지원 2건 · 지식재산활용 교육 2회
지역내 창조적 기술기업육성지원 ‘22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촉진
· 상용화인증비용지원 1건 · 기술이전 건수 5건, 기술이전금액 10억
· IP제품혁신기술개발 1건
· 초기기술이전비용지원 2건
· 우수기술특허유지비지원 2건
지역내 창조적 기술기업육성지원
· 상용화인증비용지원 1건
· IP제품혁신기술개발 1건

- 419 - - 420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지역 기술수요분석 1건
수요자중심의 지역 기술수요분석 ·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100명 가. 경북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추진전략 및 체계
·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기획
□ 추진전략
· 지역기술이전 중개컨설팅 30건

‘23
IP활용전략수립을 통한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촉진
· 지식재산활용 교육 2회
· 기술이전 건수 5건, 기술이전금액 10억
사업목표 • 경북지역 산업기반 과학기술혁신 인프라를 통한 창조 DNA 구축

· 초기기술이전비용지원 2건
· 우수기술특허유지비지원 2건
지역내 창조적 기술기업육성지원
· 상용화인증비용지원 1건
· IP제품혁신기술개발 1건

· 지역 기술수요분석 1건
수요자중심의 지역 기술수요분석 ·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100명
·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기획

· 지역기술이전 중개컨설팅 30건


추진전략
활용전략수립을 통한
IP · 지식재산활용 교육 2회
‘24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촉진 · 기술이전 건수 5건, 기술이전금액 10억
· 국제공동기술사업화 1건

· 초기기술이전비용지원 2건
· 우수기술특허유지비지원 2건
지역내 창조적 기술기업육성지원
· 상용화인증비용지원 1건
· IP제품혁신기술개발 1건

· 지역 기술수요분석 1건
수요자중심의 지역 기술수요분석 · 기술인력 휴먼네트워크 구축 100명
·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기획
• 과학기술혁신거점 육성 및 집적화
· 지역기술이전 중개컨설팅 30건 과학기술
경북
• 경북지역 후방핵심기술중심의 기술협력생태계 조성 및 기술기반
IP활용전략수립을 통한 · 지식재산활용 교육 2회 가치창출
‘25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촉진 · 기술이전 건수 5건, 기술이전금액 10억
진흥계획
주요시책)
(
• 산학연 네트워크 강점기반 지역 과학기술생태계 조성 및 과학기
· 국제공동기술사업화 1건 술 가치창출 확대

· 초기기술이전비용지원 2건
· 우수기술특허유지비지원 2건 □ 추진방법
지역내 창조적 기술기업육성지원
· 상용화인증비용지원 1건
· IP제품혁신기술개발 1건 ㅇ 지역내 우수 R&D 인력, Lab, 기업부설연구소 DB를 기반으로 경북지역 정책
연구회, 기술분과연구회, 분석장비교육연구회를 운영
ㅇ 과학기술 유관기관 및 실무자 기술․정보교류 협의회를 구축하여 과제중복성,
기술이전확대, 기업DB공유, 성과확산방안 등 협의
- 421 - - 422 -
□ 추진체계
나. 세부사업별 추진전략, 방법 및 추진체계

 고부가가치 후방핵심 R&D 발굴 육성

1) 지역수요기반 R&D 발굴

□ 추진전략/방법

ㅇ 기술분과연구회를 중심으로 매년 기술수요 및 요구기술을 조사 및 분석하고


정책연구회의 기술예측, 정책방향분석, 특허/시장분석, 과학기술 생태계연구
를 기반으로 추진중인 가교형 R&D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R&D의 컨설팅
을 지원하고 신기술을 발굴하여 신규 R&D로 연계 추진함.

추진조직 기능 및 역할

• 사업 총괄 추진
미래창조과학부
• 사업추진에 따른 예산지원 □ 추진체계
ㅇ 정책연구회는 기술예측, 지역정책, 생태계연구, 특허시장분석 등 4개 분과를

한국연구재단 • 지방과학진흥센터 사업 평가 및 사후관리 운영하며, 기술분과연구회는 IT융복합, 융합신소재, 산학연공동연구법인 등


분과 3개 분과를 운영하며 각각 소재, 장비, 제품화 연계 등의 세부 영역별

• 지자체 예산 지원 전문가로 편성 운영함.

경상북도/구미시 • 정책자문 및 주요사항 심의


• 연구개발지원단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 사업계획 수립 등의 운영사업 수행
• 지역 내 연구기관 기업체 대학과의 협력체계 구축
, ,
경북과학기술진흥
• 지역수요맞춤형 사업 발굴 기획 및 정책수립 지원
R&D ·
센터
• 지역R&D 사업에 대한 기술기반 성과확산
(사업주체)
• 기술 연구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고품질 표면구조분석
/

서비스와 R&D 인력교육프로그램 운영

- 423 - - 424 -
2) IT융합 및 융합신소재분야 가교형/산학연 공동연구법인 R&D ㅇ 추진경과
발굴 육성 ­‘14.2.04∼2.18 :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제안서 공모 공고 (지역 대학
(8개), 연구기관(16개), 센터홈페이지 공고)
□ 추진전략 ­‘14.2.23∼2.28 : 지역 특화사업 관련기업 제안과제 수요조사 (수요조사결과 첨
부)
ㅇ IT융복합분야 인쇄전자 핵심후방기술 3개 컨소시움 과제 및 융합신소재분야
­‘14.2.30 : 산학연관 자문/기술위원회 개최(특화분야선정 및 RFP선정)
희소금속소재 핵심후방기술 3개 컨소시움 과제 발굴 및 기획 ­‘14.5.02∼5.09 : R&D 기획과제 계획서 작성 (우선지원과제 요약서 첨부)
ㅇ IT융복합 및 융합신소재기반 3D 프린팅 핵심후방기술 3개 공동연구법인 과 ­‘14.5. : 미래창조과학부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반영
제 발굴 및 기획
ㅇ 과학기술생태계지원 및 기술기반 사업화 지원을 통해 응용제품화기술 사업화 □ 추진체계
연계를 위해 지역 신특화산업과 연계 추진

□ 추진방법  지식기반 기초연구활성 생태계 조성

ㅇ 지역수요기반 특화분야 선정 및 RFP 발굴 1) 지역과학기술 성과확산 네트워킹사업

수요조사 ◦ 지역내 기업 수요조사


◦ 전문가 협의 기술의 신규성 시장성 및 지역내 연관성 등
( , )
□ 추진전략
⇩ ○
RFP 도출 ◦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가능한 후방핵심기술분야 선정 지역 주도로 과학기술분야의 사업성과를 확산 유도하여 사업계획
◦ 지역내 필요 도출 RFP 수립, 사업추진, 성과확산의 전과정을 자율적으로 추진하되, 지역 스
⇩ 스로의 책임성 강화
RFP 선정 ◦ 전문가 평가 기술검토 위원회 ○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역과학기술 육성의 효율적 추진 및 효과성 제
◦ 지역별 우선순위 선정
RFP ( )

⇩ 고를 위한 재정투자계획수립을 목적으로 경북과학기술동향 및 과학


지역별 과제선정 ◦ 연구진 검토를 통한 지역별 개 과제 선정 2 기술 기초분석연구, 지역맞춤형 과제발굴 등 전문가 연구네트

R&D

상세 기획 ◦ 선정된 개과제에 대한 상세기획 추진체계 주요내용 보강


2 ( , )
워크를 구축하고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 425 - - 426 -
○ 기존사업과 연계하여 지식재산 제고사업 및 특허창업의 성과홍보를 ○ 기술창업자 네트워크 구축사업
위한 첨단기술사업화대전, 기술창업 성공스토리북 등을 발간하고 산 - 고용창출을 목적으로 사업화기술을 통한 기술창업을 전주기별로 지원함
학연관 교류협력과 소통, 지속적 참여 유도 으로써 지역내 일자리창출 및 우수인력 창조적 사업화 도모
- 지역내 우수 중소·벤처기업은 물론 예비창업자 등을 대상으로 국내외
□ 추진방법 기술창업 CEO 교류회 및 Open Innovation 교류회를 운영하고 기술창업

○ 지역과학기술 연구네트워크 구축사업 -


성공스토리북을 발간하여 사업성과 확산
지원사업의 성과제고를 위한 참여기업 및 창업자 대상 만족도 조사
- 지역과학기술분야 정책연구, 기술동향연구, 기획연구 등 상시 정책
R&D
- 경북과학기술진흥 뉴스레터 제작 및 배포사업
자문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교류회 운영
- 기술분야 지역기업의 요구사항, 지역의 산업 및 혁신여건 등 수요자 관
□ 추진체계

-
점의 실질적 사업기획을 위해 의견수렴의 장 마련
경북과학기술분야 기본 통계데이터(지역R&D투자, R&D 과제, 연구개발인
○ 지역과학기술 성과확산 네트워킹사업의 경우 중앙과 지역의 긴밀한
력, 기관, 특허, 장비 등)를 정기적으로 제공하고 지역과학기술의 정책동 연계를 통해 전국적으로 일원화된 사업추진으로 성과를 배가시킬수
향 리포트를 통해 과학기술정보 거점구축 있음.
- 지역우수인재 양성 및 정주를 위한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고 과학기술연 - 연구자네트워크 구축, 기술협력 네트워크 구축사업을 통한 실질적인 제
수프로그램 및 공동연구지원, 지역 과학기술인 대상 선정ㆍ지원하여 지 도도입과 역량강화에 기여 측면과 기술창업자 네트워크 구축사업을 통
역내 과학기술혁신역량 강화 한 창조문화 및 창조적 지역역량 강화를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창조경제
- 지역내외 과학기술인을 비롯하여 산학연 주체들이 자유롭게 공유할 수 시대에 요구되는 지역내 과학기술혁신역량 강화
있는 GB Cyber Community운영사업을 통해 교류협력에 있어 공간적 제
약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Cyber Community 를 통해
센터에서 추진 중인 다양한 사업을 홍보함으로써 사업추진 효율화 도모
미래창조과학부
(총괄)
○ 기술이전협력 네트워크 구축사업 경북과학기술진흥
중앙 한국연구재단 협의회
- 기술이전 정보 발굴·분석, 기술평가 지원을 통해 유망상품의 사업화 촉
진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사업화 협의회 및 포럼 운영사업
(전담기관) (심의·의결)
- 국내․외 첨단기술동향 및 업계정보,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다양한 지역과학기술육성
정책자문단
네트워킹 활성화를 위한 포럼, 세미나, 발표회, 토론회, 심포지움 등을
지원
- 지역내외 산학연 주체들이 기술검색 및 특허검색, 필요기술영역에 대한 경상북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타 기관 및 지역 연계 기술이전 DB
지역 연구자네트워크
구축 경북과학기술진흥센터
(연구개발지원단) 기술이전협력
- 기술 및 상품전시회, 기술이전 설명회, 수출상담회, 금융․특허세미나 등 기술창업자협력
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GB 첨단기술사업화대전 운영사업
- 지역내 주요 업종과 관련성이 높은
적자원을 양성할 수 있는
SC 와 연계를 통해 지역에 필요한 인
SC(Sector Council) 연계협력 사업 추진
▲ 지역과학기술 성과확산 네트워킹사업 추진체계

- 427 - - 428 -
2) 분석장비지원 및 인력양성 □ 추진체계

□ 추진전략

□ 추진방법
○ 분석장비 기업지원 활성화
- 구축된 연구장비 공동활용 활성화
· 지역내 표면구조 분석장비 담당자 네트워킹 구축 (허브 역할)
· 산학연 기관 방문, 학회, 워크숍 발표 (분기 1회)
· 기업중심 장비 사용자 교육 실시(월 1회)
· 중소기업청 바우처 제도 활용으로 분석장비 활용 활성화
- 기초연구 분석지원을 통하여 지역 학교 및 중소기업의 연구기반 지원
· 지역 기업 및 학교와 네트워크를 통한 적극적인 분석지원
· 지역 학교 및 기업과의 공동 연구 추진
- 응용분석지원을 통하여 지역중소기업의 애로기술을 해결
·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한 전문공정기술 및 분석기술 정보공유
· 지역 기업 및 학교와 네트워크를 통한 애로기술 파악
· 응용분석기술 워크숍 및 연구회을 마련하여 기업과 공정 및 분석 전
문가간의 매칭을 통한 기업 애로기술 해결

○ 분석장비 인력양성을 통한 기초연구역량강화 및 지역내 정주화 유도


- 학연과정 구축 및 운영
· 지역대학과 연계하여 분석기반 기술 워크숍을 통한 지속적 교육기회 제공
· 연구장비 엔지니어양성사업 참여를 통한 연구인력 양성
· 지역대학과 체결을 통한 석박사 학연과정 구축 및 운영
MOU

- 지역중소기업 연구역량강화
· 지속적 전문교육 기회 제공으로 고급 분석 기술 습득 및 응용
· 지역 대학과 기업간 공동연구 활성화로 연구역량 강화
- 연구인력 지역정착화
· 기업에 적합한 연구장비운영 특화 교육을 통한 연구인력 전문성 강화
· 산학연 네크워크를 통하여 배출된 연구인력의 지역내 취업 확대

- 429 - - 430 -
 가치창출형 기술이전 확대 지원

1)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 단계) 창업단계 지원시스템 구축사업
(2

- 창업투자회사 연계지원사업
· 창업단계에 돌입한 창업자를 대상으로 자금난 해소를 위한 측면에서
□ 추진전략 창업투자회사 연계지원사업 수행
- GBSUP(경북 Start-Up Program) 운영사업(1단계 관리 프로그램)
· 벤처열풍 이후 창업실패 사례들로 인해 기술창업의 기피현상이 심화
되는 현실을 감안하여 체계적인 창업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
· 기술기반 창업의 잠재성이 높은 예비창업자 혹은 창업 초기자들을 대
상으로 기업가적 경영 마인드와 창업경영 실전지식, 기업경영을 위한
전문가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창업지향적 기업가로 육성할 수 있
는 프로그램 제공
- 기술창업경영 컨설팅 지원사업(기술창업분야 중심)
[그림]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단계별 전략 · 예비창업에서 창업초기의 과정에 대한 컨설팅 제공
· 기술창업시 자금부족으로 인해 생산기반시설 구축이 어려운 경우 생
□ 추진방법 산기반시설과 연계를 지원함으로써 창업시 발생하는 초기 생산영역

○ (1 단계) 창업준비단계 지원시스템 구축사업


투자의 부담 감소를 위한 노력 병행


- GB 창업펀드 조성사업
· 지역내 중소·벤처기업의 초기 자금난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단계) 창업성장단계 지원시스템 구축사업
(3

자체 펀드를 조성함으로써 장기적 발전을 위한 토대 구축 - Post-GBSUP 운영사업(창업이후 2단계 관리 프로그램)

· 해당 펀드를 통해 수혜를 받는 벤처 혹은 창업자의 경우 일정수준의 · 개월의 정규 프로그램(GBSUP)을 수료한 이후 지속적인


3-4 Tracking &

경영수준에 도달할 경우, 펀드에 수익금의 일부를 출자하는 방식으 Monitoring 을 위한 Post-GBSUP 운영
- 컨설팅 및 자문단 운영사업(회계, 법률 등 경영지원분야 중심)
로 자금흐름의 선순환 구조 형성 노력 추진
· 기술기반 창업의 경우 사업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무, 회계, 법률
- 기술가치 평가지원사업
등 경영지원요소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유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지
많이 발생하는 관계로 이를 제도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
역내 대학, 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연구성과의 사업화 견인
- 경영진단 지원사업
· 기술가치 평가지원을 원하는 대상을 선정하여 기술가치평가와 관련한
· 창업기업이 일정규모 이상으로 성장할 때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진
비용을 지원함으로써 보유기술의 실질적 시장가치 확인
단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 사업타당성 평가지원사업
창업기업의 장기적 발전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문적인 진단 지원
· 기술이전 및 보유기술과 관련한 사업화 타당성 평가비용을 지원함으
로써 기술창업자의 사업화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체계 수립
□ 추진체계
· 지역내 대학, 연구기관에서 보유 중인 기술의 사업화를 촉진함으로써
‘ →
기술개발 사업화(창업) →재투자 에 ’ 이르는 선순환 구조 확립 노력
○ 특허활용 창업기획사업의 경우 창업의 단계적 과정에서 필요한 요
소들을 중심으로 사업을 구성하여 추진함으로써 창업기업의 준비,
추진
창업, 창업 후 성장에 이르는 요소를 모두 경험하여 우수 벤처기업
- 창업매뉴얼 제작사업(유형별 창업관련 간접경험 제공)
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종합적 시스템 구현
·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지역내 창업유도를 위한 측면에서 창업과 관
련한 매뉴얼(지역내 창업시 협조를 얻을 수 있는 기관, 전문가 등의
내용 수록) 제작

- 431 - - 432 -
○ (기술활용․확산) 장기적․다각적 기술이전중개 지원체계 구축
- 매년 주기적 지역산업현황, 국내외 기술동향 분석을 실시하고 기술융합/기
술주기별/전주기지원 등 장기적이고 다각적인 기술정보제공
- 국가 R&D과제, 특허DB 검색지원을 통한 후방위 우수기술탐색 지원
- 특허법인의 기술가치평가를 통한 우수특허의 사업화/기술이전율 제고
- 기술이전 희망기업, R&D 연구인력대상 기술이전 및 지식재산 교육실시
- 기술이전․사업화 전주기별 컨설팅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 기술이전 활성화
촉진
- 기술교류 및 네트워킹을 활용한 국책과제 연계, 금융 및 민자투자기관 연
계, 창의적 아이디어의 IP화 컨설팅 추진
- 기술이전 전시회 개최․참가를 통한 연구원내 우수기술 홍보 및 수요기업
[그림] 특허활용 창업기획사업 추진체계 발굴하여 기술마케팅 실시

2)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 (기술상용화) 이전기술활용지원을 통한 지역 기술기업 육성


- 기술수요자의 기술수요를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사업성이 우수한 기술에
대해서 초기 기술이전비용 및 우수특허유지비 지원
□ 추진전략
○ 민간TLO 및 공공TLO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 - 국가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기술개발되었으나 사업화되지 않은 기술에 대

○ Super IP 발굴 및 사업화기술 창출 하여 추가기술개발을 통한 사업화 도모


- 기술을 이전받을 기업 또는 기업군을 먼저 뽑아 사전 협약한 이후 사업화
R&D를 수행하는 방식도 고려
- 우수 IP를 기술이전 받아 보유 IP를 활용한 제품을 개발 또는 계획 중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자사제품진단, 경쟁사 제품 및 제품 트렌드 분석, 디
자인 개발(아이디어 스케치, 렌더링), 3D 기구설계, Working Mock-up 지

[그림] Super IP 및 사업화기술 창출 체계도

□ 추진방법

○ (기술창출․발굴)R&BD중심의 수요조사 및 우수기술발굴


- 중소기업 현장 애로기술,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기술수요조사 실시
- 우수 사업화 유망IP보유자, 상용화 전 우수기술 보유기업, 기술이전 희망기업 등
기술관련 인력DB Pool을 구축하여 장단기 경북지역 기술이전 Raod Map 수립 및
경북형 기술이전 정책연구회 운영시 활용
- 경북지역 기술저장소를 구축하여 판매기술, 이전희망기술 등 DB화하여 제공하고 유
관기관 IP지원사업 및 기술이전 후 연계사업 등 안내 지역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운

- 433 - - 434 -
□ 추진체계 5. 기대효과

세부사업 기대효과

ㅇ지역수요기반 R&D사업 지원 및 산학연 공동연구과제 기획으로 지역


중장기 과학기술발전로드맵 수립
ㅇ융합기술기반 가교형 R&D 발굴을 통해 지역 기초연구 및 원천기술
고부가가치 확보를 통한 수입대체효과 거양
후방핵심 ㅇ지역기초연구 활성화를 통한 지역과학기술 연구역량강화
R&D 발굴 ㅇ정량적 효과
육성 · (비용절감효과) (연구개발 이후 생산비-연구개발 이전 생산비) / 매
출액 = 비용절감효과
· (수입대체효과) (수입제품가격-개발제품가격) × 판매량 = 수입대체효과
· (연구능력향상) R&D과제수주건수 및 금액 증가율
ㅇ산학연 기술네트워크를 구축을 통한 지역과학기술 공동R&D추진 및
과학기술분야 산학연관 협력강화
ㅇ경북지역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및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ㅇ경북지역 학·연 연계형 프로그램 구축을 통한 지역 기초연구 분석지
원 R&D 인력양성
지식기반
ㅇ유관기관간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지역별 분석장비의 공동활용을 유
기초연구활성
도하고 기초연구의 고부가가치 창출
생태계 조성
ㅇ정량적 효과
· (기술협력효과) 참여공동연구기관수, 공동연구개발과제 건수 등
· (장비활용효과) 장비활용율, 장비구입금액 대비 분석서비스 수익금,
장비교육참여인력수 등
· (연구인력양성) 참여연구인력 사업전후 증가율, 석박사인력 증가율

ㅇ기초․원천연구 R&D성과물의 기술창업지원을 통한 창조적 지역산업육


성 및 신산업 창출
ㅇ지역 맞춤형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우수기술을 발굴·이전하고 기술사
업화를 지원함으로써 지역주력산업분야 중소기업의 R&D역량 강화
가치창출형 및 연구인력 일자리 창출
기술이전 ㅇ공공보유기술(지역대학, 연구기관 등)의 연구성과물 활용차원에서 과
확대 지원 학기술 중심 사업화 촉진하고 기술기반 중소기업 육성
ㅇ정량적 효과
· (기술창업효과) 기술기반 창업기업수 증가율
· (고용유발효과) 신규고용인력수(연구인력, 생산인력)
· (기술이전효과) 기술사업화비율(기술계약성사율)

- 435 - - 436 -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 분석장비지원 및 인력양성사업
□ 사업비 총괄표 (단위 : 백만원)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합 계
국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국비 3,770 3,770 3,770 3,770 3,770 3,770 3,770 3,770 3,770 3,770 37,700 분석장
비지원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지방비 755 755 755 755 755 755 755 755 755 755 7,550 활성화
민 간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0 계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0
합계 5,325 5,325 5,325 5,325 5,325 5,325 5,325 5,325 5,325 5,325 53,250 R&D분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석인력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양성
□ 세부사업별 사업비
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합 계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0

 고부가가치 후방핵심 R&D 발굴 육성  가치창출형 기술이전 확대 지원


○ 가교형 R&D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R&D
○ 특허활용 창업기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단위 : 백만원)
지역수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요기반R 민 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창업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D발굴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준비 지방비 75 75 75 75 75 75 75 75 75 75 750
국비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0 지원 계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0
가교형
민간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0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R&D 창업
계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0 단계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지원
산학연 국비 900 900 900 900 900 900 900 900 900 900 9,000 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공동연 민 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창업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구법인 계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0 성장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750
합 계 3,400 3,400 3,400 3,400 3,400 3,400 3,400 3,400 3,400 3,400 34,000 지원 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750
합 계 475 475 475 475 475 475 475 475 475 475 4,750
 지식기반 기초연구활성 생태계 조성
○ 지역과학기술 성과확산 네트워킹사업 ○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단위 : 백만원)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지역과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학기술 국비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0
지방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우수기
연구네 지방비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0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술발굴
트워크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기술이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국비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0
기술이
전협력 지방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전중개 지방비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0
네트워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지원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기술창 국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이전기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업자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술활용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네트워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지원 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합 계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0 합 계 550 550 550 550 550 550 550 550 550 550 5,500

- 437 - - 438 -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8. 연구원 편성표

구분 연구결과 활용방안 과제명 직급별 참여연구원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과제
구분 출연 국공 산업
ㅇ경북 국비건의사업에 대한 연구과제 제공하고, 이를 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수석 책임 선임 원급 기타 계
(연) 립(연)
대학

기타 계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통해 경북 지방과학기술시행계획, 경북과학기술종합발 경북
발굴 및 전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총괄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2단계) 1 5 4 1 11
장단기 경북과학기술진흥센터 이상훈
ㅇ경북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과학기술위원회)의 경북
발후방향 제시 합 계 1 5 4 1 11
도 국비건의 R&D사업 선정에 대한 상정안건 제시

고부가가치 ㅇ가교형 R&D에 참여하는 기업의 신규사업 발굴 아


후방핵심 R&D ○ 융합기술기반 이템으로 활용
발굴 육성 가교형 R&D
ㅇ보유된 기술을 근간으로 연관기술을 개발/응용하여
발굴 육성
다양한 사업화 기회로 활용

○ 산학연 ㅇ산학연 공동연구법인의 성공사레 도출을 통한 기


기술협력기반 술협력 성공모델 창출 기여
공동연구법인
ㅇ이전기술의 사업화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 및 가
R&D 발굴
육성 상조직을 통한 공동사업화

ㅇ과학기술분야 정보공유를 통해 최신의 과학기술


지역과학기술
분야 신규과제 발굴 및 기술창업 아이디어 발굴
성과확산
ㅇ지역 기업의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이를 정책 및
네트워킹사업
지식기반 R&D에 반영하도록 자문 조직으로 활용
기초연구활성
생태계 조성 ㅇ보유한 고가장비 및 분석서비스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장비지원 및 연관기술간 융합공동R&D 추진 기회로 활용
인력양성 사업 ㅇ사업결과를 바탕으로 장비엔지니어 인력양성과제
수주 및 지역내 고가장비 우수인력 양성

ㅇ창업기업의 준비, 개시, 창업 후 성장에 이르는


특허활용 요소 단계별 지원 통해 지역 기술벤처기업 육성
창업기획사업 ㅇ창업기업에 대한 후속 지원사업 연계를 통한 기
술창업의 부가가치 창출
ㅇ지역 중소기업의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애로기술
가치창출형 에 대한 사업화 초기장벽 극복을 위한 지원프로
기술이전 확대 그램을 강화하여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활성화함
지원 으로써 신시장 창출을 통한 지역발전 견인
지식재산 활용도 ㅇ기술공급-수요 연계형 사업 추진을 통해 유망 연
제고사업 구성과의 사업화 지원을 강화하고 지역내 기술이
전 성공률 제고
ㅇ우수 기술의 상용화․사업화를 위한 전문적이고 체
계적인 지원을 통한 지역기업 R&D역량 강화 및
혁신적 기술, 제품의 개발 촉진

- 439 - - 440 -
첨부 I 가교형 R&D 후보과제 리스트 첨부 II 가교형 R&D 후보과제(1, 2 순위) 요약문

기술 TRL 산업 중점 〈 요 약 문 〉
연구제목 기술명
보유기관 분류 분야 분야
기후환경(강우, 농무 연구사업명 유연투명전도성필름을 위한 전극 소재 및 필름에 대한 연구
등)에 대한 운전자 자동차
LED 전조등 설계기술 디스플 ○ 기 술 명: 유연투명전극용 핵심 소재 기술
1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남대 4 조명산
개발 레이 선행
색온도 가변형 매트릭스 업 - 나노 와이어 형상을 가진 은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
전조등 개발 기초·원천기술 ○ 기술내용: - PEDOT/PSS 및 불소화된 고분자 함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 투명전극 필름
수송기기 조명용
2
수송기기 조명용 색온도
색온도 가변형 LED 영남대 4
반도체 디스플
○ 면저항 이하
○ 투과도 이상
50ohm
가변형 LED 개발 (LED), 레이
개발 연구목표
조명

90%

전시조명을 위한 최적의 이하
Haze 1.1

광원 개발과 IT융합
LED 전시조명 기술, 전 전시조 디스플 ○ 투명전극을 위한 핵심 소재에 대한 연구
3 통합제어시스템 및
시 공간 감성평가 기술
영남대 4
명산업 레이 ○ 용액 기반 잉크화 기술 개발
전시공간 감성평가
기술개발
연구내용
○ 코팅 기술 개발
금속나노선을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차세대
○ 소자 적용을 위한 후처리 기술 개발
4
패턴 형상을 포함한
이용한 금속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영남대 3
디스플 디스플 ○ 차년도1

유연투명전극필름을 위한 레이 레이, 투명전극을 위한 핵심 소재 대량화 기술 개발


및 그로부터 제조된 -
기초 원천 연구 IT융합
금속 나노와이어 - 잉크화 기술 개발
1400도 이상의 고온 - sheet 코팅 기술 개발

5
대면적 SiC CVD설비 및 공정 대응을 위한
대구가톨릭대 3
신소재
부품사
반도체,
LED,
○ 2차년도

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 induction방식의 고온 - 투명전극을 위한 핵심 소재 성능 향상 기술 개발


업 Display
heater 개발 - 잉크 성능 기술 개발

- 대면적 코팅 기술 개발

6
친환경 고분자소재를
사용한 액정용 박판유리
친환경 고분자소재를
사용한 액정용 경운대 3
유기전
자 소자
디스플
레이재 ○ 3차년도

보호액 개발 박판유리 보호액 개발 및 소재 료 연차별 - 투명전극을 위한 차세대 핵심 소재 성능 향상 기술 개발

연구내용 - 잉크 성능 기술 개발
국방 전투 - 다층 전극 기술 개발
국방
국방전투시스템 내부의 전투 시스템 무선 시스템(함
-국방 - 대면적 코팅 uniformity 기술 개발
7 무선망 구축 및 모바일
단말 연동 기술
제어망 구축 기술 및
모바일 단말 연동 기술
금오공대 3 정, 잠수함,
항공기, 탱
IT융복

○ 4차년도

크) 등 - Roll to Sheet 코팅 기술 개발

- 잉크 성능 기술 개발
탄소계 원료 및 바인더
인조흑연 연료전지 - 소자 적용 후처리 기술 개발
제조기술 개발을 통한 태양/연 연료전
8 분리판 원천소재
기술개발 및 국산화
연료전지 흑연분리판
금오공대 3
료전지 지 ○ 5차년도

개발 - Roll to Roll 코팅 기술 개발

고용량 나트륨 - 소자 적용 기술 개발

고용량 나트륨 이차전지 이차전지용 고용량


전자기 이차전
9 음극용 화합물계 화합물계 음극소재를 금오공대 3 ¡ 투명전극 기술은 인쇄전자 기술과 접목되어 있으며, 다양한 제품에 적용 가능함
기 지
전극소재 개발 확보하여 고용량
이차전지 시스템 확보 ¡ 제품에 따른 공정 적용을 위하여, 상온 및 인쇄기술이 가능한 투명전극 기술은
OLED, 태양전지, LED, 터치스크린패널 등에 적용 가능
Low Cost Pb-free 기대효과
고온 back side metal 전자정 반도체
10 반도체용 Back metal 금오공대 3 ¡ 평판형이 아닌 curvature를 가지는 e-paper, 디스플레이 등이 급격한 기술 발전에서
(Pb-free) 보기기 재료
재료 개발 시장에 진입하고 있는 상황으로 투명전극 기술의 빠른 기술적 발전이 필요
Kinetic Spray 공정을 ¡ 이를 통한 유연 디스플레이 및 스마트 전자기기에 적용가능
Kinetic Spray 공정을 희소금
이용한 티타늄 및 신소재
11 티타늄 및 지르코늄 소재 안동대 3 속 소재
지르코늄 소재 성형 부품 핵심단어 투명전극, 유연, 용액 공정, 롤투롤, 프린팅, 인쇄전자,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
부품 제조기술 개발 부품
제조공정 기술 (5개 이내) flexible, solution process, Roll to Roll, printing, printed electronics

- 441 - - 442 -
〈 요 약 문 〉 첨부 III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계획서 요약문
Direct Diode Laser 시스템 이용 고밀도 고융점/고융착 금속 코팅 기술 개발
연구사업명
Development of high functional metal coating with direct diode Laser system

○기술명 : 고용점 금속 분말의 고출력 레이저 용사코팅 기술 연구개발과제계획서


선행
기초·원천기술
○ 기술내용 :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를 활용하여 고융점의 희소금속에 속하는
① 부처사업명(대) 경북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2단계) ④ 보안등급(보안, 일반) 일반
텅스텐, 타이타늄 등의 금속 코팅층을 특성이 요구되는 부품의 표
면에 1~3mm내외로 형성시키는 기술 ② 사업명(중) 고부가가치 후방핵심기술 발굴 육성사업 ⑤ 공개가능여부(공개, 비공개) 공개
○ 상용가능하며 레이저 용사코팅에 적합한 고융점 금속 텅스텐 분말 제조 기술 ③ 세부사업명(소) 산학연공동연구법인 기술개발사업
연구목표 ○ 레이저 용사코팅 기술 활용 대면적 복잡형상 고융점 금속 코팅 기술 확보
○ 레이저 용사코팅된 고융점 금속의 물성 평가 및 신뢰성 확보 과제성격
(기초, 응용, 개발)
개발 실용화 대상여부
(실용화, 비실용화)
실용화

○ 상용 분말의 분석 레이저 기반 기술 융합화한 고융점 금속 분말 제조


○ 레이저 기반의 대면적 복잡형상의 모재에 고융점 금속의 코팅 기술 구현
,
국 문 3D 프린팅 기능성 복합소재 및 장비 개발
연구내용
○ 코팅층의 물성 파악 상업화를 위한 기반 신뢰성 확보 후속연구개발과제명 Development of 3D printing composite materials and the
, 영 문
machine
○ 차년도
1
⑥ (총괄)주관연구기관 포항공과대학교 나노융합기술원
- 상용 고융점 금속 분말의 형태 분석, 조성 분석 및 분말 제조 공정 검토
- 고융점 금속인 텅스텐 소재 코팅을 위한 기본 공정 확보 ⑦ 협동(공동)연구기관 월드정복통신㈜, ㈜라온솔루션, 한성수지,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Direct Diode 레이저 기반 시스템 안정화
-
성 명 신훈규 직급(직위) 책임
분석 로드맵 작성 및 레이저 용사코팅 공정에 적합한 분석 방법 도출 (총괄)주관연구책임자

-

소속부서 포스텍 전공 나노소재


2차년도 나노융합기술원
- 구형 분말 제조 기술 확보 (고융점 금속 분말의 입도 제어, 형상제어) 연구개발비 및 참여연구원수 (단위: 천원, 명)
- 레이저 공정 기술 확보 (고융점 금속 코팅용 레이저 코팅 헤드, 시스템 등)
분석 기술 데이터 베이스 구축 기업체부담금
정부외 상대국

-
연차별 정부출연금 합계 참여
3차년도 년 도 출연금 부담금
연구내용 (A) 현금 현물 소계 (B) (F) G=(A+B+E) 연구원수
- 텅스텐 분말 제조 기술 확보 (구형, 각형 분말의 제어 기술 확보) (C) (D) E=(C+D)
- 레이저 공정 기술 안정화
1차년도 1,000,000 20,000 180,000 200,000 1,200,000 10
다양한 형태의 코팅층 및 부품의 물성 평가

-

4차년도 2차년도 1,000,000 20,000 180,000 200,000 1,200,000 10


- 분말 제조 기술 최적화 (레이저 용사코팅에 적합한 분말 제조 기술)
3차년도 1,000,000 20,000 180,000 200,000 1,200,000 10
레이저 공정 기술 안정화 및 최적화

-

5차년도 4차년도 1,000,000 20,000 180,000 200,000 1,200,000 10


- 상용화 기술 개발
5차년도 1,000,000 20,000 180,000 200,000 1,200,000 10
- 신뢰성 표준화 작업
1. 기술적 효과 : 합계 5,000,000 100,002 900,000 1,000,002 6,000,000 50
고융점 분말 제조 및 코팅 기술은 에너지 (원자력, 화력), 중공업 (제철, 조선, 총연구기간 2016. 01. 01 ~ 2020. 12. 31
항공), 반도체 산업등에 기술적 안정성을 제공함.
기대효과 고융점 소재의 코팅기술은 재사용 기술의 발전과 동반성장함. 다년도협약연구기간 2016. 01. 01 ~ 2016. 12. 31
2. 사회적 효과
당해연도연구기간 2016. 01. 01 ~ 2016. 12. 31
고융점 분말의 수입대체효과 발생
고융점 텅스텐 기반의 금속 부품의 대체에 대한 기술 개발, 시너지 효과 중소기업수 대기업수 기타 계
⑧ 참여기업
텅스텐 코팅, 다이오드 레이저, 레이저시스템, 3D manufacturing, 3차원 복잡형상, 레 3 2 1
핵심단어
이저 가공, 레이저 표면처리, Tungsten Coating, Diode laser, Laser system, 3D
(5개 이내) 상대국연구기관수 상대국연구개발비 상대국연구책임자수
manufactruing, Laser machining, Laser surface, treatment
국제공동연구

- 443 - - 444 -
〈 요 약 문 〉
연구사업명 3D 프린팅 기능성 복합소재 및 장비 개발

○기술명 : 나노분말/박막제조 및 특성분석기술


선행 ○ 기술내용 : 나노크기의 분말을 제조하고 분말의 산업적 응용을 위하여 박막기
기초·원천기술 술을 보유. 3D프린팅, 에너지,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전자 등 다
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분말 및 박막 제조기술 보유

○ 3D 프린팅 기능성 복합소재 및 장비 개발


1) 3D 프린팅용 분말 소재 및 잉크 개발
연구목표
2) 복합소재 프린팅 공정 개발
3) 3D 프린팅용 복합소재 및 장비 시제품 개발

○ Development of 3D printing composite materials and the machine

1) Developing powder materials and inks

연구내용 2) Developing printing process for composite materials

3) Developing prototype models of 3D printing composite materials and the

machine

○ 차년도
1

- 3D 프린팅용 기능성 복합소재 설계


- 3 차원 잉크젯 복합소재 잉크 개발
○ 차년도
2

- 복합소재 3차원 잉크젯 프린팅 공정 설계


- 3 차원 잉크젯 프린팅 공정 개발
연차별 연구내용 ○ 차년도
3

- 3D 프린팅 기능성 복합소재 제품 설계


- 3D 프린팅 복합소재 시제품 제작
○ 4차년도

- 기능성 복합소재 3D 프린팅 장비 개발


○ 차년도
5

- 기능성 복합소재 3D 프린팅 장비의 상품화

○ 현재 3D 프린팅 기술은 소재에 있어서 단일 물성의 재료를 사용하고 있음. 즉,


ABS, PLA, Nylon 등의 플라스틱류, Ti Co-Cr 합금 등 일부 고가 금속류,
AL2O3, 등의 내열성 세라믹 등을 적용하여 부품 디자인을 위한 각종 모
ZrO2

형(Mock-up)의 Rapid Prototyping과 일부 의료용, 산업용 부품에 활용되고 있으


나, 향후에는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창출하기 위하여 기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
기대효과 록 복합소재를 이용하는 기술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함.
○ 3D프린팅 기능성 복합소재 기술은 복합소재 분말 및 프린팅 공정기술의 개발
이 필수적이며 이 기술을 경사 기능 재료(Functionally Gradient Materials), 임
베디드 부품(Embedded Parts) 등의 고기능성 고부가가치 부품 제작에 적용할
수 있게 되면 신소재 산업 분야의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음. 이와 함께, 기능성 복
합소재 프린팅을 위한 특화 장비를 창출함으로써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음.

3차원 기능성 복합소재, 분말, 잉크, 프린팅 공정, 경사 기능 재료, 임베디드 부품, 3D
핵심단어
Functional Composite Material, Powder, Ink, Printing Process, Functionally Gradient
(5개 이내)
Materials, Embedded Parts

- 445 -
경남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The Second Stag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GyeongNam Science Park)

연구기관: 경남과학기술진흥센터

연구책임자: 강동문
< 목 차>

Ⅰ.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451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451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및 입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452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
··
··
··
··
··
··
··
··
··
··
··
··
··
··
·454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4
2. 1단계 사업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6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
··
··
··
··
·460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460
2. 최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1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1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9
5.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6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7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8

[첨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0

- 449 -
3) 과학기술진흥센터 인원 현황
I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소 속 직위 성명 참여율(%) 비 고
센터장 강동문 20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팀장 정용선 30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인원 전임연구원 이재욱 30
과학기술진흥센터
연구원 황철준 30
1) 주관기관 조직도
연구원 이태화 20
□ 주관기관 : 경남테크노파크
연구원 성향숙 20
□ 조직구성 : 2단, 6센터, 1부속센터(과학기슬진흥센터)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예산
년 도
2013 결산 2014예산(안) 증 감
구 분
수 입(A) 19,127,636 4,222,544
사업수입 17,288,000 1,090,000 △16,198,000
임대수입 800,000
이월금 1,839,636 2,332,544
지 출(B) 19,127,636 3,786,128
사업비 17,288,000 653,600 △16,634,400
적립금 1,829,636 3,130,528 1,300,892
예비비및기타 10,000 2,000 △8,000
A-B 0 436,416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입주 현황
2)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도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현황
□ 사업시행 : 미래부 지방과학연구단지조성 1단계 사업으로 추진
과학기술진흥센터
□ 사업기간 : 2009. 2 ~ 2014. 1
과학기술진흥팀 □ 건립목적 : 교육연구시설
□ 규 모 : 부지 8,663㎡, 건축 연면적 31,362㎡(지하 2층, 지상 15층)
․지역R&D 기획․조정․평가 등 종합관리
□ 주요시설 : 산학연 R&D 센터, 근린생활시설(식당 등)
․경남과학기술 중장기발전 계획 수립
□ 사 업 비 : 450억원(국비 150, 도비 150, 시비 150)
․신사업 기획, 발굴 및 수탁사업 수행 □ 건축비(375), 감리비(15), 부대비용(24) R&D 지원비 등(36)

- 451 - - 452 -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 현황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1) 경남창원과학기술진흥원 입주기업 및 기관 현황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입주기업 및 기관 : 53개(근린시설 2개 제외)

기관, 층별 비고 가. 최종 연구목표
구 분 기관 및 업체명
기업 수 (사용실 수) (기숙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0층(1)
출연(연) 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 3 12층(3)
한국생산성본부 14층(4)
기업 대기업 캐터필라(주) 1 11층(1)
․ 3, 4, 7, 8,
지원기관 마그네슘연구조합 등 6
기관 12층(9)
대학 경상대학교 등 4 6, 7층(13)
4층,
기업연구소 OTIS엘리베이터 등 39
8~12층(55)
구내식당 1 1층
근린생활시설
편의점(GS25) 1 1층
합 계 55 88/111 21/28

□ 국가 기계산업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창원국가산업단지를 국제적


2) 경남창원과학기술진흥원 입주율
경쟁력을 갖춘 첨단 신기술 산업기지화
□ 2013년 3월부터 기업 및 기관의 입주가 시작됐으며, 2014. 3현재 □ 기계 및 기계관련산업 등 전통주력산업의 지식기반화
83.9% 입주율을 보임 □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중소․벤처기업 기술연구소 집적 시설 구축과 산․
학․연 공동연구개발 지원으로 연계 활성화 및 사업화 지원
□ 국제 과학영재 교육의 허브 국내 구축으로 첨단과학 기반 구축에 대한
관심과 이공계 우수인력 육성에 대한 투자 및 관심 증대
□ 그린에너지 산업화 등의 경상남도의 연구 역량을 활용 고부가가치 신산업
창출
□ 지역 거점기관인 테크노파크 추진 지역사업과의 연계 강화로 기 구축 인프라
활용도 제고 및 시너지 효과 극대화
□ 경남테크파크를 중심으로 한 창원국가산업 단지의 연구개발 거점 기능 확충
□ 지역 전략․특화 산업과 연계하여 지식기반형 기업 육성
[과학기술진흥센터 1년간 입주율변동(사무공간)] □ 지역사업과 연계된 과학 기술 R&D 과제를 발굴․지원하고 지자체의
과학기술 역량 강화

- 453 - - 454 -
∘기초터파기 및 토사반출
□ 산․학․연․관의 협력적 네트워킹 거점을 구축하여 개방형 공동 연구개발 ∘건축,토목공사 ∘토목 가시설 설치공사
∘지하2층~5층철근공사
지원 및 연구 기능의 집적화 등으로 연구 활동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과학연구단 ∘전기,통신,소방 배관작업
∘전기,기계,통신,소방 100
지건립 및 BOX매립공사
□ ASEAN+3 과학영재센터 및 APEC 과학영재 멘토링센터 등의 국제기구
∘각 공정별 기술검토서
의 국내 유치로 우리나라 위상이 과학영재 교육의 선두 축으로 부상 ∘전면책임감리 용역
검토 및 승인
□ 경상남도의 연구 역량을 활용한 지역 신성장 고부가가치 산업의 육성 2011 ∘산단단장협의회
및 산업화 지원 ∘기술정보교류사업 ∘과학기술인초청간담회
연 구 개 발 ∘국제과학영재센터 운영
□ 기 구축 인프라를 활용한 종합 기업지원서비스 체제 구축 및 활용도 제고 80
(R&D)지원 ∘R&D지원 ∘그린에너지분야 지원
∘한-인니 과학영재 및
∘인력양성사업
녹색성장 교육포럼 등
나. 연차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예산관리 ∘사업비 확보 및 효율적
∘재원 조달 실적 48
합리성 관리
달성도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
2.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 성과
∘반계지구 도시개발 계획
∘부지 조성사업 가. 센터 건립 성과
변경 건의 및 수립
과학연구단 ∘일괄입찰 방식에 따른
∘기본계획안 수립 95 □ 산학연 R&D 센터조성
지건립 기본계획안 용역 발주
ㅇ 유망 중소벤처기업 부설연구소를 집적, 기업연구소 신설을 촉진
∘대형공사 입찰 심의 ∘입찰방식 기술심의 요청
∘그린에너지 산업교류회 ㅇ 집적화를 통한 공동 연구 분위기 조성, 미래 전략육성 업종 발굴
2009 ∘기술정보교류사업 ∘풍력 산업교류회
연 구 개 발 ∘ASEAN+3 포럼 개최
80 □ 산학연관 네트워크 구축 및 연계 강화
(R&D)지원 ∘기업지원사업 ∘해당사항 없음
∘인력양성사업 ∘사이버멘토링 교육사업 ㅇ 정부정책 및 지역산업동향 분석 및 정보시스템 구축
예산관리 ∘사업비 확보 및 효율적 ㅇ 지역 내 우수 연구성과물 홍보 및 기술교류 지원확대
∘재원 조달 실적 55
합리성 관리 ㅇ 산학협력 책임자 및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개발
∘일괄입찰 기술심의
∘일괄입찰에따른 기본
∘일괄입찰 공사 공고
과 학 연 구 단 및 실시설계 ∘실시설계 완료 □ 지역특화 기초원천 R&D 역량강화
100
지건립 ∘전면책임감리용역 발주 ∘감리용역 사업자 선정 ㅇ 중점분야별 연구회 구성 및 운영
∘공사 착공 ∘공사허가 신청 등
ㅇ 지역수요 맞춤형 R&D기획 지원 및 과제도출
∘그린에너지 산업교류회
2010 ∘기술정보교류사업 ∘풍력 산업교류회 ㅇ 산업체 기술이전 및 후속연계 연구과제 발굴 지원
연 구 개 발 ∘국제과학영재센터 운영
80
(R&D)지원 ∘기업지원사업 ∘해당사항 없음
□ 지역수요 맞춤형 R&D기획
∘사이버멘토링 교육사업
∘인력양성사업 ㅇ 우수 응용연구 인프라 활용 극대화
∘도비사업 2건 수행
예산관리 ∘사업비 확보 및 효율적 ㅇ 지역 과학기술 역량 지표별 조사 NTIS 연계 시스템 구축 활용 기반 조성
∘재원 조달 실적 50
합리성 관리

□ 지역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조직 운영
ㅇ 우수 응용연구 인프라 활용 극대화

- 455 - - 456 -
ㅇ 전 주기적 R&D 기획 시스템 구축
ㅇ 지속가능한 지역특화 R&D 사업 기획

나. 연구장비구축 성과

(해당없음)

다. R&D지원 성과
1)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 기초원천 R&D과제 지원 : 28개과제/총 1,480백만원
□ 과학기술진흥센터-철도연 MOU협약식 및
□ 기초원천 R&D과제 우수사례 : 경남대학교(정태욱 교수) 연구팀 ㅇ 미래녹색교통기술 구현을 위한 협약체결
ㅇ 기 술 명 : 풍력발전용 발전기 설계기술
ㅇ 지재권종류 : 노하우 기술이전
ㅇ 실 시 대 가 : 선급 기술료 30백만원, 경상기술료 매출액 3%

□ 2011년 선정과제 실적

총괄 특허출원 기타실적
순 SCI 학술논문 학회발표
기관명 책임 (등록) 수상

자 ‘11 ‘12 ‘11 ‘12 ‘11 ‘12 ‘11 ‘12 ‘11 ‘12
경남대학교 정태
1 1 1 1 0 8 12 1 5(1) 5 1
(주)씨엔앰 욱
창원대학교 박태
2 1 5 3 0 18 17 2 2(2) 2 1
(주)매트론 곤 □ 과학기술진흥센터-경남과총 연계 협력 네트워크 구축
창원대학교
박민
3 한명전기( 0  0 1 0 1 4 1 0  0 0

주)
계 2 6 5 0 27 33 4 7(3) 7 2

라. 기타성과
□ 경남창원과학기술진흥원 개원식 개최 : 2013.05.30.
ㅇ 미래부 이상목차관, 경상남도 홍준표지사, 창원시 박완수시장 참석
ㅇ 지역주민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 457 - - 458 -
□ 과학기술진흥센터-창원대 LINC사업 MOU협약식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 지역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을 선도하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세계는 지역발전을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채택
ㅇ 주요국은 지역혁신을 국가발전의 핵심전략으로 채택하고, 지역경쟁력
강화에 국가 역량을 집중
※ EU는 스마트 전문화 전략, 일본(경제산업성)은 “지역혁신활성화
전략(2012)”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정부는 과학기술발전규획
(‘11)에서 지역별 특화발전을 선언
□ 경남지역 산학협력단 협의회 협력 네트워크 구축 □ 지역적 현안들을 해결하여 지역발전을 선도하는데 있어 지방과학 기술의
역할 증대
ㅇ 지역산업의 고도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초원R&D
역량제고와 이를 활용한 사업화 촉진으로 지역산업 육성과 지역인재
의 취업률 제고를 위해 지방과학기술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 경남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능동적 경남 과학기술진흥계획을 통해
다른 지역과 국가의 동행 발전을 지향
ㅇ 정부는 지방과학기술진흥 위한 기본적 방향과 틀을 제시하고, 지역은
지역특성에 부합하는 실효성 있는 추진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핵심
□ [지역 자율성 및 책임성 강조] 지역 주도 지역과학기술정책의 정착
을 위한 지역 자율성 확대와 책임성 제고에 역점
ㅇ 지역 기반의 R&D 자원을 활용한 지역 R&D 자율성 확대
□ ASEN+3 국제과학영재센터 협력 네트워크 구축
ㅇ 지역 주도의 R&D 전략 수립 및 추진 체계 확림
□ [지역과학기술역량 강화] 행복한 지역사회 구현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 확대와 내실화 지향
ㅇ 지역과학기술의 역할을 지식·기술 창출에서 더 나아가 창조경제 생태계
구현에 초점
ㅇ 지역의 수요와 비교 우위에 기반한 R&D 투자 내실화, 지역밀착형
인재 양성 등 지역에 특성화된 과학기술 역량 제고
□ [지역 맞춤형 기초·원천 R&D] 지역의 전략산업과 연계한 기초·원천
R&D 지원사업 수행
ㅇ 지역 맞춤형, 지역 주도형 R&D 사업 수행을 통한 지역 중심의 기술
개발과제 수행

- 459 - - 460 -
□ [수요 중심의 연구회 운영]산·학·연 중심의 연구회 운영을 통한 신기 이상
술, 신사업 발굴 수행 ㅇ 산학연공동연구법인설립
□ 1단계 사업이 인프라 중심의 기반구축 사업을 수행하였음. 기반 구 - 공동연구법인 5개 이상 설립
축이 종료됨에 따라 경남 지역의 가교형 R&D, 산학연 공동연구법 - 박사후과정 인력 5명 이상 고용 및 특허등록 15건 이상
인 등 지역전략산업에 기반한 R&D 과제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을 위
한 사업수행 필요 □ 산·학·연 협력 활성화
□ 또한, 경남 SP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발전을 위한 중추적인 기 ㅇ 경남과학기술정책교류회 운영
관으로서의 발돋움을 위한 조사·분석·평가 기능을 확립하기 위한 노 - 경남4대특화분야 발전로드맵 작성 1건 이상
력 정주 ㅇ 지역 맞춤형 기술연구회 운영, 경남 지역 기초 및 과학 분야 신사업
발굴 기획위원회 운영 등 50건 이상의 연구회, 기획위원회 운영
2. 사업의 최종목표 및 내용 - 신사업 발굴 및 사업제안 : 4건 이상/년

가. 사업비전 □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및 창업활성화


ㅇ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비 전 - 지역 내 연구기관(대학, 출연(연), 기업 등)의 우수기술 DB구축
과학기술 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경남과학기술 역량 강화 및 수요기업 발굴
- 특화분야별 수요기업과 공급기관 간 기술이전 지원
- 기술저장소 시스템 구축 및 우수기술 1,000건 이상 보유로 지역기
업 기술 이전 활용
ㅇ 특허기술창업 활성화
중점 추진과제 - 창업 멘토링 제공 : 창업지원을 위한 전문가 그룹으로 멘토단 구축
지역수요기반
R&D역량강화
· ·
산 학 연 협력 활성화
지식재산활용도제고
및 창업 활성화
⋅멘토단 구성 : 법률 회계 전문가, 투자자그룹(엔젤 및 VC), 기
업CEO
①지역수요 맞춤형 R&D ③산학연 협력 제고 ⑤지역기업의 기술이전 활 ⋅ 멘토단 운영 : 멘토 풀 구축(DB 구축) 후 창업아이템에 따른
기획 지원 및 과제도출 ④중소기업 네트워크 활 성화 멘토 지원
②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 성화로 과학기술 생태 ⑥창업성공률 및 아이디어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운영 : 지역, 권역 및 전국단위로 벤처캐피
립을 통한 R&BD 지원 계 활성화 유도 창업 가능성 제고 탈과 연계한 창업경진대회 개최를 통해 특허창업기업 육성
- 창업아카데미 운영 : 청년창업희망자 대상 아이디어창업 아카데미
운영으로 창업 활성화 유도
나. 사업 최종목표
□ 경남 지역특화 기초·원천 R&D 역량강화
ㅇ 지역수요 기반의 가교형R&D 사업 지원
- 경남의 특화분야(융복합 기계, 나노정밀기기, 생명건강, 소재성형
분야)에 부합하는 가교형 R&D 과제 발굴 50건
- 특화분야 20과제 이상 발굴 및 지원, 특허등록 및 출원 등 75개

- 461 - - 462 -
다. 최종목표달성을 위한 세부사업 - 과제기획 50건/5년, 5억/5년
- 20과제 × 12.5억원/5년 = 250억원
1) 지역 수요 맞춤 가교형 R&D 사업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 : 4건×25억/5년 = 100억원

□ 사업개요
ㅇ 지역의 기초 연구개발 실적이 기업의 수요와 매칭되어 사업화까지 2)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및 창업활성화

가능한 후속 응용연구개발 지원 사업 수행 □ 사업개요


- 후속연계 가능한 컨소시엄 형태의 연구개발 지원을 통하여 기술이
전 및 신기술개발을 통한 지역 연구개발 역량 강화 추진
- 경남 특화분야와 부합되며, 가교형 R&D 형태의 사업추진
- 중소기업의 역량강화 및 중견기업으로의 도약이 가능한 사업 지원

[그림1. 가교형 기초원천 R&D] [기술이전 사업화 주요 프로세스]

ㅇ 기술도입 희망 기업 사전분석, 기업의 애로기술 및 중장기 R&D 수


□ 사업목표
요발굴
ㅇ 경남지역 산업과 연계된 기초·원천기술 R&D 과제 지원
도입희망기술
ㅇ 기초·응용기술을 활용한 가교형 기술개발과제 지원을 통해 산학협력 기술도입상담 → → 기술도입컨설팅 → 기술평가
등록
문화 정착 및 기술사업화 체계 마련
ㅇ 기초·원천 R&D 연구개발 지적재산권의 사업화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기술도입 기술이전협상 및
→ → → 기술사업화컨설팅 → 각종 지원사업 연계
마케팅 실시 계약체결
의 고용 및 매출 증대
ㅇ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을 통한 사업화 지원
- 우수기술에 대한 공동 지주법인 설립, 이를 통한 사업화 확대 지원 등 □ 사업목표
□ 사업내용 ㅇ 기술이전율 향상
ㅇ 산·학·연 수요발굴, 경남 특화분야 과제 발굴 및 사업화 지원 ㅇ 경상남도 중소기업의 기술수요 조사 분석을 통한 맞춤형 기술이전 기
ㅇ 분야 : ①융복합기계, ②나노정밀기기, ③생명건강, ④소재성형 획 제공
ㅇ 지원과제 : 총 20과제 지원, 과제당 기술개발 기간 5년, 3억원/년 ㅇ 기술저장소 구축 : 경상남도 연구기관 보유 우수기술 1,000건 이상

- 463 - - 464 -
확보 ㅇ 경남 미래기획위원회 운영
- 산학연이 공동 참여하는 특화분야별 협력위원회
ㅇ 기술거래 교류 협력사업 추진으로 경상남도 기술이전 활성화 - 지역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술개발 RFP도출
ㅇ 특허활용 창업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으로 지역 내 창업분위기 확산과 - 기존 Top-Down 방식에서 Bottom-Up 방식의 사업제안 유도
고용증대 A분과 · A테마 관련 미래사업
□ 사업내용 미래 기획
ㅇ 이전 희망기술 및 기관별 우수기술 발굴 기획위원 · 사업 중복성 검토
S&T정책교류회
- 출연(연), 대학, 민간 TLO 등의 지적 재산권 조사 및 DB 구축 회 · RFP보고서 도출
- 발굴된 보유 기술을 전략산업군별 분류 및 우수기술에 대한 SMK
· 특화분야 로드맵
작성 구축
- 이전 기술의 적합성 및 파급효과 등 분석 · 분야별 전문위원 추천
ㅇ 도입 희망기술 발굴 및 수요조사 · 기획위원회 자문 B분과 · B테마 관련 미래사업
- 지역내 기술이전 가능기관과의 연계 협력을 통한 기술수요처(관련 · 정책대안 모색 미래 기획
업체) 발굴 기획위원 · 사업 중복성 검토
- 이전 희망 기술에 대한 컨설팅 회 · RFP보고서 도출
ㅇ 특허기술 기반 창업지원
- 보유특허의 사업성분석, 창업준비를 위한 창업아카데미, 행정 및
□ 사업목표
자금 조달을 위한 법률, 회계, 투자 등의 멘토링 제공, 아이디어창
ㅇ 지역의 특화분야에 부합하는 S&T 정책교류위원회 운영을 통한 기
업 활성화를 위한 창업경진대회 주최
술개발로드맵 구축
ㅇ 구축된 로드맵을 근거로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분야별 RFP도출
ㅇ 총사업비 : 130억원
ㅇ 지역 발전방향 및 정책 대안 마련
- 기술이전 : 10건 이상/10년 × 3억원 = 30억원
□ 사업내용
- 기술저장소 구축 : 시스템 구축 및 저장기술의 특허 유지비 지원
ㅇ S&T정책교류회 운영 : 3억/년 × 10년 = 30억원
40억원/10년
ㅇ 미래기획위원회
- 창업 멘토단 운영 : 1억⨯ 10년 = 10억
- 4개 연구회 × 10년 × 0.5억원 = 20억원
- 창업경진대회 운영 : 4억 ⨯ 10년 = 40억
- 창업아카데미 운영 : 1억 ⨯ 10년 = 10억

3) 산·학·연·관 네트워킹 사업

□ 사업개요
ㅇ 지역의 R&D 혁신역량 결집을 위한 대학, 공공연구기관, 기업 등이
참여하는 S&T정책교류회 구성과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경남과학기
술 발전을 위한 로드맵 구축 및 정책 대안 발굴

- 465 - - 466 -
라. 세부사업별 목표 및 연구내용 □ 세부사업내용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1) 지역 수요 맞춤 가교형 R&D 사업

1 2 3 4 5 6 7 8 9 10 11 12
□ 사업목표 연도

ㅇ 경남지역 산업과 연계된 기초·원천기술 R&D 과제 지원


□ 경남 전략산업 5+1 연계 □ 과제평가 □ 과제 지원 : 1차년도는 2개과제 선정
1차년도
ㅇ 기초·응용기술이 연계된 기술개발과제 지원을 통해 산학협력 문화 과제 발굴 수요조사 및 지원
□ 지원범위 : 3년간, 6억원(2억원/년)

정착 및 기술사업화 체계 마련 □ 차년도 지원과제 수요조사 병행

ㅇ 기초·원천 R&D 연구개발 지적재산권의 사업화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2~10차년도


□ 과제평가 □ 년차별 6개과제 선정, 지원범위 : 3년간, 6억원(2억원/년)
의 고용 및 매출 증대
경남특화분야에 □ ‘13년 중앙정부는 광역경제권 위주의 사업에서 행복생활권
적합한 기초·원천 (시도 및 시군구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사업으로 지역
<표> 지역 수요 맞춤형 기초·원천 R&D 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기술의 산업 지원체계 개편 단행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지역 수요 응용연구과제 ○ 변화된 신지역정책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균형발전 특
맞춤 발굴 별법 개정을 통해 지역산업 전반을 포괄하는 지역경
경남의
○ 1차년도 2개 과제 가교형 제 활성화 및 창출형 산업 육성
특화분야 ○ 우수 R&D 발굴 및 사업 R&D사업
○ 2~10차년도 18개 과제 ○ 이에 경남은 4대특화분야 선정 및 가교형 R&D 사업
지역 수요 과제 발굴 화지원
- 20과제/5년 수행 추진
맞춤 지원 - ① 융복합기계, ② 나노정밀기기, ③ 생명공학, ④ 소
가교형
재성형
R&D사업 산학연 ○ 상기 특화분야의 추진을 위한 가교형 R&D 과제 수행
수행 ○ 기초원천기술의 응용연 ○ 4개 공동연구법인 설립
공동연구법인 ○ 사업비 : 20개 과제 × 12.5억원 = 250억원
구를 통한 상용화 지원 - 4과제/5년
설립 □ 경남지역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초원천
기술 중 지역기업수요에 부응하며 상용화 가능성이 높
산학연 은 기술의 사업화를 추진할 수 있는 연구법인을 섭립,
공동연구법인 응용연구 및 상용화 지원
설립 ○ 4대 특화 분야 중 상용화 가능성을 기반으로 과제도출
○ 10년간 4개 연구법인 설립 지원
○ 4개 법인 × 25억원(법인당 5억원, 5년간) = 100억원

2)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및 창업활성화


□ 사업목표
ㅇ 기술이전율 및 R&D 투자 생산성 향상
ㅇ 경상남도 중소기업의 기술수요 조사 분석을 통한 맞춤형 기술이전 기획
제공
ㅇ 경상남도 기관별 보유 기술 통합 DB 구축
ㅇ 기술거래 교류 협력사업 추진으로 경상남도 기술이전 활성화

- 467 - - 468 -
<표> 산·학·연·관 네트워킹 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표>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기술저장소 ○ 2회/년 이상 회의 개최
우수 기술 발굴 및 DB화 ○ 1,000건/10년 S&T정책 경남 4대 특화분야
지식재산 구축 ○ 분야별 과학기술로드맵 격
교류회 과학기술 로드맵 구축
활용도 제고 년단위로 발간(2권/년)
기술중개 관련 기업체 매칭 ○ 기술이전 100건/10년
산·학·연·관
창업활성화를 위한
멘토링지원 ○ 멘토링 풀 DB 구축 네트워킹
특허기술 전문가 지원 특화분야별 위원회 구성 ○ 경남과학기술로드맵에 근
창업경진대회 미래기획
기반 아이디어 창업 활성화 ○ 매년 1회 이상 개최 (4개) 거한 R&BD RFP 도출(분야
개최 위원회
창업활성화 창업아카데미 위원회별 RFP 도출 별 1건)
우수한 창업 교육 제공 ○ 년 1회 이상 아카데미 개설
개설

□ 세부사업내용 □ 세부사업내용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의 우수기술 저장 ○ 경남과학기술진흥 정책수립에 대한 정보 제공, 의견수


기술저장소 구축 ○ 저장기술의 유지관리 지원 렴 등 정책교류
S&T정책
지식재산 ○ 과학기술전문가 및 정책수립 담당자, 기업CEO 등을 중
○ IP패키지화를 통한 지식재산의 고부가가치화 산·학·연· 교류회
활용도 심으로 국가과학기술로드맵과 연계한 지역수요 중심의 경
○ 중소기업의 기술수요조사로 필요기술 탐색 관
제고 남과학기술발전로드맵 구축
기술중개 ○ 필요기술을 국내외 공급자로부터 확보 네트워킹
○ 지역과학연구단지 간 상호 기술 이전 협력 ○ 산학연관 전문가를 중심으로 경남과학기술로드맵에 근
미래기획 거한 가교형R&D RFP도출
○ 창업지원을 위한 전문가그룹 멘토단 DB 구축 위원회 ○ RFP도출 참여자간 공동컨소시업 구축 후 가교형R&D사
멘토링지원 업 참여시 우대
○ 예비창업자에 대한 입체적 종합적 One-stop서비스 제공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 벤처투자회사(VC)와 공동으로 창업경진대회 유치
기반 창업
개최 ○ 우수 창업기업의 BI센터 입주 지원
활성화
○ 연구인력의 창업교육 실시
창업아카데미
○ 도내 관련기관과 기업가 정신 교육 실시
개설
○ 청년창업가의 창업활성화 지원

3) 산·학·연·관 네트워킹 사업
□ 사업목표
ㅇ 지역의 특화분야에 부합하는 연구회 운영을 통한 우수 RFP 도출
ㅇ 신규사업 발굴 및 제안을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
ㅇ 지역 발전방향 및 정책 마련

- 469 - - 470 -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나. 지역 수요 맞춤 가교형 R&D 사업
<표>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가. 세부사업 연차별 로드맵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사업년도 최종목표
세부사업 ○ 기초·원천분야 수요조사 및 사업 발굴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사업비(억원) 가교형 R&D
○ 사업화 지원 2개 과제 선정
기술이전
‘16
0 5 5 10 10 10 10 15 15 20 산학연공동연구 ○ 지역기술수요조사 및 참여기관 모집
100건
법인설립 ○ 공동연구법인설립 1개
기술저장
지식재산 50 100 150 200 400 600 800 1,000 1,000 ○ 기초·원천분야 수요조사 및 사업 발굴
1,000건
활용도 가교형 R&D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신규과제 선정 등
지식저장소
제고 40
구축 ○ 사업화 지원 2개 과제 선정
‘17
우수기술
○ 지역기술수요조사 및 참여기관 모집
30 산학연공동연구
발굴 및 중개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신규과제 선정 등
법인설립
과제지원 ○ 공동연구법인 설립 1개
2 4 8 12 16 18 16 12 8 4
20건 ○ 기초·원천분야 수요조사 및 사업 발굴
특허출원등
지역수요 1 3 6 9 12 14 12 9 6 3
록 75건 가교형 R&D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신규과제 선정 등
기반 연구법인 ○ 사업화 지원 4개과제
1 2 3 4 4 3 2 1 ‘18
4개사 설립 ○ 지역기술수요조사 및 참여기관 모집
R&D
지역수요기반 산학연공동연구
R&D과제기획
5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신규과제 선정 등
법인설립
○ 공동연구법인 설립 1개
가교형 R&D 250 ○ 기초·원천분야 수요조사 및 사업 발굴
가교형 R&D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신규과제 선정 등
산학연공동
100
연구법인 설립 ○ 사업화 지원 4개과제 선정
‘19
창업경진대 ○ 지역기술수요조사 및 참여기관 모집
1 1 1 1 1 2 2 2 2 2
회개최 15회
산학연공동연구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신규과제 선정 등
창업아카데
법인설립
과학기술 1 1 1 1 1 2 2 2 2 2 ○ 공동연구법인 설립 1개
미개설 15회
활용창업 ○ 기초·원천분야 수요조사 및 사업 발굴
멘토링시스템
지원 10 가교형 R&D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신규과제 선정 등
구축
‘20 ○ 사업화 지원 4개과제
창업경진대회
40 산학연공동연구 ○ 지역기술수요조사 및 참여기관 모집
추진

과학기술창업
법인설립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및 사업화 과제 연계
10
아카데미 ○ 기초·원천분야 수요조사 및 사업 발굴
가교형 R&D
2 2 2 2 2 2 2 2 2 2 과학기술로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종료평가 및 사업화 모니터링
드맵 20건 ‘21
RFP도출 산학연공동연구 ○ 지역기술수요조사 및 참여기관 모집
산학연기술 4 4 4 4 4 4 4 4 4 4 40건 법인설립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및 사업화 과제 연계
네트워크 S&T정책 ○ 기초·원천분야 수요조사 및 사업 발굴
30
구축
교류회 운영 가교형 R&D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종료평가 및 사업화 모니터링
‘22
미래기획위원회 20 산학연공동연구 ○ 지역기술수요조사 및 참여기관 모집
법인설립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및 사업화 과제 연계
합계 535

- 471 - - 472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기초·원천분야 수요조사 및 사업 발굴 ○ 경남지역 우수기술 50건 SMK 작성 및 저장
가교형 R&D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종료평가 및 사업화 모니터링 기술저장소 구축 ○ 우수기술 특허유지비용 지원
‘23
산학연공동연구 ○ 지역기술수요조사 및 참여기관 모집 ○ 기술저장소 시스템 유지보수 및 보완
법인설립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및 사업화 과제 연계 ○ 지역 기술수요조사 및 기술이전 5건 실시
기술중개
○ 기초·원천분야 수요조사 및 사업 발굴 ○ 국내외 기술공급기관 네트워크 구축
가교형 R&D ‘18 ○ 창업지원전문가그룹 분석, DB구축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종료평가 및 사업화 모니터링 창업멘토링지원
‘24 ○ 원스톱 지원시스템 보완
산학연공동연구
○ 연구법인 사업화 추진 현황 모니터링 ○ 창업지원 투자자그룹(VC) 네트워킹 구축
법인설립 창업경진대회
○ 기초·원천분야 수요조사 및 사업 발굴 ○ 창업경진대회 1회 개최 및 창업지원
가교형 R&D ○ 창업 아카데미 프로그램 구축 및 교수진 구성
○ 전년도 지원과제 중간평가, 종료평가 및 사업화 모니터링 창업아카데미
○ 창업아카데미 운영
산학연공동연구
‘25 ○ 연구법인 사업화 추진 현황 모니터링 ○ 경남지역 우수기술 50건 SMK 작성 및 저장
법인설립
기술저장소 구축 ○ 우수기술 특허유지비용 지원
평가 및 성과분
○ 분야별 추진 사업에 대한 성과분석 등 수행 ○ 기술저장소 시스템 유지보수 및 보완

○ 지역 기술수요조사 및 기술이전 10건 실시
기술중개
○ 국내외 기술공급기관 네트워크 구축
다. 기술이전 및 특허활용 기반 창업활성화 사업 ‘19 ○ 창업지원전문가그룹 분석, DB구축
창업멘토링지원
○ 원스톱 지원시스템 보완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창업지원 투자자그룹(VC) 네트워킹 구축
창업경진대회
○ 경남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 네트워크 구축 ○ 창업경진대회 1회 개최 및 창업지원
기술저장소 구축
○ 기술저장소 시스템 구축 ○ 창업 아카데미 프로그램 구축 및 교수진 구성
○ 지역 기술수요조사 창업아카데미
○ 창업아카데미 운영
기술중개
○ 국내외 기술공급기관 네트워크 구축 ○ 경남지역 우수기술 50건 SMK 작성 및 저장
○ 창업지원전문가그룹 분석, DB구축 기술저장소 구축 ○ 우수기술 특허유지비용 지원
‘16 창업멘토링지원
○ 원스톱 지원시스템 구축 ○ 기술저장소 시스템 유지보수 및 보완
○ 창업지원 투자자그룹(VC) 네트워킹 구축 ○ 지역 기술수요조사 및 기술이전 10건 실시
창업경진대회 기술중개
○ 창업경진대회 1회 개최 및 창업지원 ○ 국내외 기술공급기관 네트워크 구축
○ 창업 아카데미 프로그램 구축 및 교수진 구성 ‘20 ○ 창업지원전문가그룹 분석, DB구축
창업아카데미 창업멘토링지원
○ 창업아카데미 운영 ○ 원스톱 지원시스템 보완
○ 경남지역 우수기술 50건 SMK 작성 및 저장 ○ 창업지원 투자자그룹(VC) 네트워킹 구축
창업경진대회
기술저장소 구축 ○ 우수기술 특허유지비용 지원 ○ 창업경진대회 1회 개최 및 창업지원
○ 기술저장소 시스템 유지보수 및 보완 ○ 창업 아카데미 프로그램 구축 및 교수진 구성
○ 지역 기술수요조사 및 기술이전 5건 실시 창업아카데미
○ 창업아카데미 운영
기술중개
○ 국내외 기술공급기관 네트워크 구축
‘17 ○ 창업지원전문가그룹 분석, DB구축
창업멘토링지원
○ 원스톱 지원시스템 보완
○ 창업지원 투자자그룹(VC) 네트워킹 구축
창업경진대회
○ 창업경진대회 1회 개최 및 창업지원
○ 창업 아카데미 프로그램 구축 및 교수진 구성
창업아카데미
○ 창업아카데미 운영

- 473 - - 474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경남지역 우수기술 200건 SMK 작성 및 저장 ○ 경남지역 우수기술 200건 SMK 작성 및 저장
기술저장소 구축 ○ 우수기술 특허유지비용 지원 기술저장소 구축 ○ 우수기술 특허유지비용 지원
○ 기술저장소 시스템 유지보수 및 보완 ○ 기술저장소 시스템 유지보수 및 보완
○ 지역 기술수요조사 및 기술이전 10건 실시 ○ 지역 기술수요조사 및 기술이전 15건 실시
기술중개 기술중개
○ 국내외 기술공급기관 네트워크 구축 ○ 국내외 기술공급기관 네트워크 구축
‘21 ○ 창업지원전문가그룹 분석, DB구축 ‘24 ○ 창업지원전문가그룹 분석, DB구축
창업멘토링지원 창업멘토링지원
○ 원스톱 지원시스템 보완 ○ 원스톱 지원시스템 보완
○ 창업지원 투자자그룹(VC) 네트워킹 구축 ○ 창업지원 투자자그룹(VC) 네트워킹 구축
창업경진대회 창업경진대회
○ 창업경진대회 2회 개최 및 창업지원 ○ 창업경진대회 2회 개최 및 창업지원
○ 창업 아카데미 프로그램 구축 및 교수진 구성 ○ 창업 아카데미 프로그램 구축 및 교수진 구성
창업아카데미 창업아카데미
○ 창업아카데미 2회 운영 ○ 창업아카데미 2회 운영
○ 경남지역 우수기술 200건 SMK 작성 및 저장 ○ 경남지역 우수기술 활용 지역과학단지 연계 지원
기술저장소 구축 ○ 우수기술 특허유지비용 지원 기술저장소 구축 ○ 우수기술 특허유지비용 지원
○ 기술저장소 시스템 유지보수 및 보완 ○ 기술저장소 시스템 유지보수 및 보완
○ 지역 기술수요조사 및 기술이전 10건 실시 ○ 지역 기술수요조사 및 기술이전 20건 실시
기술중개 기술중개
○ 국내외 기술공급기관 네트워크 구축 ○ 국내외 기술공급기관 네트워크 구축
‘22 ○ 창업지원전문가그룹 분석, DB구축 ‘25 ○ 창업지원전문가그룹 분석, DB구축
창업멘토링지원 창업멘토링지원
○ 원스톱 지원시스템 보완 ○ 원스톱 지원시스템 보완
○ 창업지원 투자자그룹(VC) 네트워킹 구축 ○ 창업지원 투자자그룹(VC) 네트워킹 구축
창업경진대회 창업경진대회
○ 창업경진대회 2회 개최 및 창업지원 ○ 창업경진대회 2회 개최 및 창업지원
○ 창업 아카데미 프로그램 구축 및 교수진 구성 ○ 창업 아카데미 프로그램 구축 및 교수진 구성
창업아카데미 창업아카데미
○ 창업아카데미 2회 운영 ○ 창업아카데미 2회 운영
○ 경남지역 우수기술 200건 SMK 작성 및 저장
기술저장소 구축 ○ 우수기술 특허유지비용 지원
○ 기술저장소 시스템 유지보수 및 보완
○ 지역 기술수요조사 및 기술이전 15건 실시
라. 산·학·연·관 네트워킹 사업
기술중개
○ 국내외 기술공급기관 네트워크 구축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23 ○ 창업지원전문가그룹 분석, DB구축
창업멘토링지원 ○ 산학연관 과학기술전문가그룹 중심으로 교류회 구성
○ 원스톱 지원시스템 보완 S&T정책
○ 창업지원 투자자그룹(VC) 네트워킹 구축 ○ 경남과학기술발전로맵구축(2개분야)
창업경진대회 교류회 운영
○ 창업경진대회 2회 개최 및 창업지원 ○ 과학기술정책 대안 모색
‘16
○ 창업 아카데미 프로그램 구축 및 교수진 구성 ○ 경남 4대 특화분야별 미래기획위원회 구성
창업아카데미 미래기획위원회
○ 창업아카데미 2회 운영 ○ 구축된 경남과학기술로드맵 기반 RFP도출 각 1건
운영
○ 참여기업 중심 컨소시엄 구성, 지역수요 맞춤 가교형R&D사업 참여
○ 산학연관 과학기술전문가그룹 중심으로 교류회 구성
S&T정책
○ 경남과학기술발전로맵구축(2개분야)
교류회 운영
○ 과학기술정책 대안 모색
‘17
○ 경남 4대 특화분야별 미래기획위원회 구성
미래기획위원회
○ 구축된 경남과학기술로드맵 기반 RFP도출 각 1건
운영
○ 참여기업 중심 컨소시엄 구성, 지역수요 맞춤 가교형R&D사업 참여

- 475 - - 476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산학연관 과학기술전문가그룹 중심으로 교류회 구성 ○ 산학연관 과학기술전문가그룹 중심으로 교류회 구성
S&T정책 S&T정책
○ 경남과학기술발전로맵구축(2개분야) ○ 경남과학기술발전로맵구축(2개분야)
교류회 운영 교류회 운영
○ 과학기술정책 대안 모색 ○ 과학기술정책 대안 모색
‘18 ‘24
○ 경남 4대 특화분야별 미래기획위원회 구성 ○ 경남 4대 특화분야별 미래기획위원회 구성
미래기획위원회 미래기획위원회
○ 구축된 경남과학기술로드맵 기반 RFP도출 각 1건 ○ 구축된 경남과학기술로드맵 기반 RFP도출 각 1건
운영 운영
○ 참여기업 중심 컨소시엄 구성, 지역수요 맞춤 가교형R&D사업 참여 ○ 참여기업 중심 컨소시엄 구성, 지역수요 맞춤 가교형R&D사업 참여
○ 산학연관 과학기술전문가그룹 중심으로 교류회 구성 ○ 산학연관 과학기술전문가그룹 중심으로 교류회 구성
S&T정책 S&T정책
○ 경남과학기술발전로맵구축(2개분야) ○ 경남과학기술발전로맵구축(2개분야)
교류회 운영 교류회 운영
○ 과학기술정책 대안 모색 ○ 과학기술정책 대안 모색
‘19 ‘25
○ 경남 4대 특화분야별 미래기획위원회 구성 ○ 경남 4대 특화분야별 미래기획위원회 구성
미래기획위원회 미래기획위원회
○ 구축된 경남과학기술로드맵 기반 RFP도출 각 1건 ○ 구축된 경남과학기술로드맵 기반 RFP도출 각 1건
운영 운영
○ 참여기업 중심 컨소시엄 구성, 지역수요 맞춤 가교형R&D사업 참여 ○ 참여기업 중심 컨소시엄 구성, 지역수요 맞춤 가교형R&D사업 참여
○ 산학연관 과학기술전문가그룹 중심으로 교류회 구성
S&T정책
○ 경남과학기술발전로맵구축(2개분야)
교류회 운영
○ 과학기술정책 대안 모색
‘20
○ 경남 4대 특화분야별 미래기획위원회 구성
미래기획위원회
○ 구축된 경남과학기술로드맵 기반 RFP도출 각 1건
운영
○ 참여기업 중심 컨소시엄 구성, 지역수요 맞춤 가교형R&D사업 참여
○ 산학연관 과학기술전문가그룹 중심으로 교류회 구성
S&T정책
○ 경남과학기술발전로맵구축(2개분야)
교류회 운영
○ 과학기술정책 대안 모색
‘21
○ 경남 4대 특화분야별 미래기획위원회 구성
미래기획위원회
○ 구축된 경남과학기술로드맵 기반 RFP도출 각 1건
운영
○ 참여기업 중심 컨소시엄 구성, 지역수요 맞춤 가교형R&D사업 참여
○ 산학연관 과학기술전문가그룹 중심으로 교류회 구성
S&T정책
○ 경남과학기술발전로맵구축(2개분야)
교류회 운영
○ 과학기술정책 대안 모색
‘22
○ 경남 4대 특화분야별 미래기획위원회 구성
미래기획위원회
○ 구축된 경남과학기술로드맵 기반 RFP도출 각 1건
운영
○ 참여기업 중심 컨소시엄 구성, 지역수요 맞춤 가교형R&D사업 참여
○ 산학연관 과학기술전문가그룹 중심으로 교류회 구성
S&T정책
○ 경남과학기술발전로맵구축(2개분야)
교류회 운영
○ 과학기술정책 대안 모색
‘23
○ 경남 4대 특화분야별 미래기획위원회 구성
미래기획위원회
○ 구축된 경남과학기술로드맵 기반 RFP도출 각 1건
운영
○ 참여기업 중심 컨소시엄 구성, 지역수요 맞춤 가교형R&D사업 참여

- 477 - - 478 -
□ 추진체계
4. 사업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추진조직 기능 및 역할
가. 경남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추진전략 및 체계
□ 추진전략 • 사업 총괄 추진
미래창조과학부
• 사업추진에 따른 예산지원
협회 등 경남창원과학기술진흥원 관련 연구소 및 대학
한국연구재단 • 지방과학진흥센터 사업 평가 및 사후관리
□총괄 기획, 운영 등
□한국전기연구원
□(사)중소기업 □지역 맞춤형 기초·원천 R&D 사업, 기술이전
□재료연구소 • 지자체 예산 지원
융합경남연합회 연계 및 특허 활요 기반 창업활성화 사업 등 연계
기획, 사업 수행 등 □한국철도연구원 경상남도 • 정책자문 및 주요사항 심의
□경남U-IT협회 협력 협력
□연구개발 결과물의 성과활용 제고를 위한 □경남테크노파크
□이노비즈 경남지회 ↔ ↔ • 연구개발지원단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분석, 수정 보안 등 □경남대학교, 창원대학교
□민간TLO 등 □타 기업지원기관과 연계를 통한 상용화
등 경남 도내 관련 대학 • 사업계획 수립 등의 운영사업 수행
및 마케팅 지원, 창업활성화 지원 등
• 지역 내 연구기관, 기업체, 대학과의 협력체계 구축
기관별 연계 협력체계 구축 및 공동
경남과학기술진흥센터 • 지역수요맞춤형 R&D사업 발굴·기획 및 정책수립 지원
사업수행

• 지역 R&D 사업에 대한 평가·관리 및 성과관리
• 자체평가위원회 운영(사업추진 평가 및 방향 제시)
지역 수요 기반 기초·원천 기술이전 및 특허활용 기반 산·학·연·관
• 기술 협의회 운영(R&D 사업에 대한 기술 자문 등)
R&D 사업 창업활성화 네트워킹 구축

□ 경남의 5+1 핵심전략산업에 □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 □ 지역 특화분야 과학기술로드


적합한 기초·원천 과제 발굴 이전 매칭 지원 맵 구축
및 지원 □ 기술저장소 구축, 관리 운 □ 지역수요 맟춤 가교형 R&D
□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영 RFP도출
설립 및 사업화 지원 □ 지역 발전방향 및 정책마련

□ 기업체 성장 : 창업촉진, 상용화지원(매출 및


고용 증대)
□ 환류체계 구축 : 성과분석을 통한 사업수행
시스템 조정, 기업체 필요정보 제공 등
□ 기술력 확보 : 지역 중심·맞춤형 가교형 기
술개발을 통한 지역의 신시장 및 성장동력
기반 확보

- 479 - - 480 -
가. 세부사업별 추진전략, 방법 및 추진체계

1) 지역 수요 맞춤 가교형R&D 사업 추진체계
□ 추진전략 및 방법
ㅇ 경남의 특화분야에 맞는 가교형 R&D 사업발굴
ㅇ 지역내 대기업, 중소기업, 연구소, 이공계 대학 등의 수요조사를 통해
핵심 R&D 과제 발굴 및 지원
□ 추진체계

2) 기술이전 및 특허활용 기반 창업활성화 사업


□ 경남의 신 지역특화분야 선정기준
○ 정량지표 : 산업 중복성, 입지우위성(특화도), 성장성, 시장규모 □ 추진전략 및 방법
○ 정성지표 : 산업발전트랜드, 제3차 경상남도 종합발전계획, 10대 전 ㅇ 공공 TLO, 민간 TLO 등과 연계한 이전가능 기술 발굴
략산업 ㅇ 사장된 특허, 우수 특허 등 발굴을 통한 사업화 연계 지원
□ 경남의 신 지역특화분야 도축과정(10대 전략산업기준)
○ 경남 신 지역특화산업 실무위원회 운영
○ 도출 프로세스

- 481 - - 482 -
□ 추진체계 - 가족기업 수요조사 : LINC사업 및 산학협력단에 등록된 가족회사는
기업부설연구소(전담기관)이 설치된 R&D역량을 보유한 기업이 다
수이며 잠정적인 기술이전 수요자이므로 이에 대한 수요조사 실시
- 기술평가 : TLO내의 전담 인력을 활용하여 1단계 기술평가를 실
시하고 이전 가능 우수기술을 우선 선별 하며 선별 시에는 최대한
발명자(개발자)의 기술이전에 대한 의지 등의 의견을 반영한 의견
서를 첨부
- 장비 및 시험분석 지원 : 출연(연)TLO 및 대학TLO의 공동장비를
활용한 장비 지원 및 시험분석을 통하여 이전된 기술에 대한 후속
연구개발 및 상품화를 위한 연계 지원
- 애로기술 컨설팅 : 출연(연)연구인력 및 대학교수 전문가 풀을 활
용한 자문위원단 구성으로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컨설팅에 적극 활용
- 지원사업 연계 : 기관별 지원사업 중 기술이전 파급효과를 낼 수 있는
지원사업(애로기술지원, 장비지원 등)의 이전기업에 연계 가능토록
지원 일정 등 안내
ㅇ 민간TLO(특허 법인)
ㅇ 경남SP - SMK작성 : 기술보유 기관에서 1단계 평가완료된 기술 대상으로
- 사업계획 수립 및 공모사업 지원, 지방비 확보와 유관기관 네트워크 시장성 및 제품화 가능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SMK를
협의체 구축 운영 작성
- 기업수요조사 : 기업 DB 분석을 통한 특화 분야별 수요조사 실시 - 기업수요조사 : 특허법인에 수요자 기업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
- 기업 역량 분석 : 기술이전 가능 기업의 재무구조, 사업분야, 기술성 하고 기술이전 및 사업화 관련 홍보
등의 기업정보에 대한 분석을 정보를 기초로 이전 가능 기술과의 - 지재권관리 컨설팅 : 특허법인의 전담인력(변리사, 변호사, 기술거
매칭에 활용 래사 등)의 인력을 활용하여 이전 기술에 대한 컨설팅 및 수요기업
- 특화분야 선정 : 기술이전수요조사사업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보유 기술과의 연계를 위한 기술 자문 컨설팅 실시
기술이전 실적이 창출 가능한 특화분야와 미래 성장동력 분야로 - 기술성, 시장성 분석 : 특허기술의 사업화 가능성, 제품경쟁력에
분류 후 전문가의 기술자문을 통하여 기술이전 대상 산업군 선정 대한 공헌성, 제품의 시장성 등에 대한 이전 기술의 이전 후 파급
- 결과자료 DB구축 : 수요조사 및 발굴 우수 기술에 대한 DB구축 효과 및 예측성과를 약식으로 분석하여 기술 이전 수요자에 제공
및 분석자료를 활용한 기술이전 마케팅 실시 · 사업화 가능성 : 해당 특허기술 자체가 단순히 이론적이고 실험실
- 이전기술 사후관리 : 타지원사업과의 연계 및 지속적인 사후관리 적인 것이 아니라 실제적 생산 활동에 활용 가능성, 실시 용이성,
모니터링을 통하여 이전 기술의 상용화 및 제품화를 통한 수익 창 사회적 법률적 실시 가능성, 생산 가능 핵심 기술 여부 판별,
출에 기여 · 제품 경쟁력에 대한 공헌성 : 기술이 경쟁력의 원천(대체 불가능성)
ㅇ 참여기관(대학TLO, 출연(연)TLO) 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 판별
- 특화분야 기술발굴 : 경남전략 산업과 특허 이전율이 높은 특화 산 · 제품의 시장성 : 특허기술을 활용하여 만든 제품이 시장에서 수용
업별로 세분화하여 이전 가능한 기술성 시장성이 우수한 기술의 되어 장래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 여부의(수입예측-> 비용예
발굴을 통하여 기술이전 수요자에 공급 측 -> 장래수익예측)분석

- 483 - - 484 -
상용화 지원, 창업지원 등 연계 수행
3) 산·학·연·관 네트워킹 활성화 사업

□ 추진전략 및 방법
ㅇ 경남의 5+1 전략산업에 부응하는 연구회 공고 및 운영
ㅇ 연구회 운영을 통해 우수 RFP 발굴
ㅇ 산학연관으로 구성된 총괄 기획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추진체계

5. 기대효과
□ 지역 수요 기반 기초·원천 R&D 사업
ㅇ 지역의 기초연구개발 및 가교형 R&D 결과물이 기업의 수요와 매칭
되어 사업화까지 연계 가능
· A특화분야 RFP도출
A미래 ㅇ 컨소시엄 형태의 사업화 지원을 통해 기술이전 및 애로기술 해결을
· 사업 중복성 검토
기획위원회 통한 지역 연구개발 역량강화
S&T정책교류회 · 기획보고서 작성
ㅇ 중소기업의 역량강화 및 중견기업으로의 도약이 가능한 핵심 전략산
· 과학기술전문위원
업의 육성
· 특화분야별 분과구성
ㅇ 컨소시엄을 통해 양성된 연구인력이 지역의 중소·중견기업에 취업이
· 과학기술로드맵구축
· B특화분야 RFP도출 가능토록 유도하여 지역의 우수한 연구인력의 정주 및 중소기업의
· 과학기술정책대안 B미래
· 사업 중복성 검토 구직난 해소에 기여
기획위원회
· 기획보고서 도출 □ 지역산업전반의 기술경쟁력 강화 및 창조경제 실현에 기여하고 경상
남도 기술사업화 역량제고
나. 세부사업간 연계 방안
□ 공공연구기관 및 기술보유 기관의 우수기술의 탐색 발굴 및 이전 사
□ 우수기술 및 사장된 특허에 대한 DB 구축 및 이를 통한 지역 수요
업화를 통하여 R&D 생산성 제고와 중소기업의 연구역량 강화
맞춤형 R&D 과제 지원
□ 기 개발된 기술의 이전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R&D 초기투입 비용감소,
□ 발굴된 과제에 대한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및 사업화 지원
기술개발기간 단축 및 시장 선점효과
□ 연구회를 통해 발굴된 우수 RFP에 대한 R&D 후속 지원, 사업화 및
- 485 - - 486 -
□ 기술이전 및 신기술 R&D 활성화로 외부 투자 유치 확대 ㅇ 기술이전 및 특허활용 기반 창업활성화 사업
□ 기술이전협의체 구성을 통한 중소기업에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기술이전 (단위 : 백만원)
및 IP관리 운영체계 컨설팅 기능 강화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 우수기술 발굴 500건 이상, 지역 맞춤형 R&D 사업화 지원 50건 이상 국비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0
기술 지방비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0
□ 산학연 연계를 통한 경남 과학기술 혁신 및 지역 수요기반 R&D, 기 중개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술중개 및 고부가가치화, 특허활용을 통한 창업기획 및 네트워크 활
기술 국비 320 320 320 320 320 320 320 320 320 320 3,200
성화 저장소 지방비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0
구축 계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0
국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6. 사업별 소요 예산 및 조달 방안 창업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멘토링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 사업비 총괄표 창업 국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단위 : 백만원) 경진 지방비


대회 계
200
400
200
400
200
400
200
400
200
400
200
400
200
400
200
400
200
400
200
400
2,000
4,000
창업 국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합 계
아카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국비 1,910 2,660 3,785 4,910 4,910 5,235 4,860 3,735 2,610 1,860 36,475 데미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합 계 1,300 1,300 1,300 1,300 1,300 1,300 1,300 1,300 1,300 1,300 13,000
지방비 740 740 740 740 740 690 690 690 690 690 7,150

민 간 250 500 875 1,250 1,250 1,375 1,250 875 500 250 8,375

합계 2,900 3,900 5,400 6,900 6,900 7,300 6,800 5,300 3,800 2,800 52,000 ㅇ 산학연관 네트워크 활성화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 세부사업별 사업비
국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S&T
ㅇ 지역 수요 맞춤 가교형 R&D 사업 정책 지방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단위 : 백만원) 교류회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미래
기획 지방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국비 50 50 50 50 50 250
위원회
과제 지방비 50 50 50 50 50 250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기획 합 계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0
계 100 100 100 100 100 500

지역수 국비 375 750 1,500 2,250 2,250 3,000 3,000 2,250 1,500 750 17,625
요맞춤 지방비
민간 125 250 500 750 750 1,000 1,000 750 500 250 5,875
가교형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R&D 계 500 1,000 2,000 3,000 3,000 4,000 4,000 3,000 2,000 1,000 23,500
□ 지역수요 맞춤 가교형 R&D 사업
산학연 국비 375 750 1,125 1,500 1,500 1,125 750 375 7,500
ㅇ 기 개발된 기술에 대해 특허출원, 관련 기업체 기술이전을 통한 상
공동 지방비
연구 민간 125 250 375 500 500 375 250 125 2,500 용화 및 창업 지원
법인 계 500 1,000 1,500 2,000 2,000 1,500 1,000 500 10,000 - 중앙정부 및 지역에서 수행중인 상용화 기술개발사업, 창업 자금
합 계 1,100 2,100 3,600 5,100 5,100 5,500 5,000 3,500 2,000 1,000 34,000 지원사업 등과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
ㅇ 가교형 R&D사업, 산학연공동연구법인의 우수 성과물을 활용, 기업

- 487 - - 488 -
의 고부가가치 창출 및 특허활용 창업 활성화 가능
첨부 I 가교형 R&D 후보과제 리스트

□ 기술이전 및 특허활용 기반 창업활성화 제안기관 제안기술 소요


연번 제안기술명 비고
ㅇ 기술이전에 따른 상용화 기술개발에 필요한 자금지원(이차보전사업, (제안자) 규모 기간

금융지원사업 등), 관련 기관 등에서 수행중인 각종 기업지원 사업 2,100백만원


(1차:600백만원)
연계를 통한 마케팅 지원 등 수행
식물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및 터페노이드 경상대 (2차:600백만원) 경남
ㅇ 전국 과학진흥센터와 연계, 지역외 우수기술을 경남 지역 내 중소기 1 5년
생산 연구 (이균오) (3차:300백만원) 진주
업에게 이전, 공급함으로 지역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지원 및 고용 (4차:300백만원)

증대 (5차:300백만원)

ㅇ 지역내 창업 희망자에게 우수특허의 이전 및 특허출원을 지원함으로 1,400백만원


(1차:200백만원)
써 기술기반 창업 분위기 조성 및 일자리 창출
해양플랜트 집전장치용 탄소나노튜브/그래핀 적용 인제대 (2차:400백만원) 경남
2 5년
ㅇ 창업투자회상하 연계 창업경진대회 개최를 통해 창업유도 및 자금공 이온성 전기능동소자 연구개발 (김형만) (3차:400백만원) 김해
급으로 창업생태계 조성 (4차:200백만원)
(5차:200백만원)

재료연구 1,500백만원
□ 산·학·연·관 네트위킹 경남
3 환경유해인자 검출용 스마트 감지소재․소자 기술 개발 소 (매년 5년
ㅇ 경남과학기술발전로드맵 구축과 이를 활용한 가교형R&D ㄲ례도출 창원
(조병진) 300백만원)
을 통하여 상향식 기술개발 분위기 조성 1,500백만원
ㅇ 지역과학기술전문가, 과학정책입안자, 산업계 및 지원기관 간 네트워 (1차:230백만원)
경상대 (2차:200백만원) 경남
크를 통한 공조분위기 조성으로 과학정책의 대안 모색 4 콤바인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 개발 5년
(김현태) (3차:300백만원) 진주
(4차:550백만원)
(5차:220백만원)
2,000백만원
Development of Eco-friendly material for 인제대 경남
5 (매년 5년
Digital x-ray Detector (남상희) 김해
400백만원)
500백만원
미세조직 제어를 통한 주조/가공 범용 Mg 경상대 경남
6 (매년 5년
제조 기술 개발 (임수근) 진주
100백만원)

- 489 - - 490 -
○ 4차년도
첨부 II 가교형 R&D 후보과제(1, 2 순위) 요약문
Ÿ 단백질 당질 리모델링 기술 개발: N-glycosylation 변형 기술
Ÿ 세포내막 구조 및 형성기작을 규명하고 세포내막 확장 유전자 동정
1-1. 식물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및 터페노이드 생산 연구 Ÿ 돌연변이 유발기작을 규명하고 변이방지 장치를 개발
○ 5차년도
Ÿ 단백질 효능 검증 시스템 구축
① 연구사업명 Ÿ 생합성 경로들을 합성생물학 기술(substrate channeling, multi-gene metabolic
식물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및 터페노이드 생산 연구
(영문사업명) eng.)을 이용해서 최적의 module로 구성
○ 식물 이용 바이오의약품 생산 원천기술 개발 Ÿ 세계 제약시장은 합성의약품에서 바이오의약품으로 빠르게 전환되는 추세로, 분
Ÿ 분자농업용 유용 최적 식물 host 개발을 위한 기초기술 개발과 유용물질의 자농업 기술을 활용한 바이오의약품 개발로 세계의약품 시장에서의 원천기술 확
대량생산용 시스템 구축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 립에 대한 비중을 높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② 연구개발
Ÿ 분자농업을 통한 고부가가치 단백질 및 유용물질 대량생산과 유용 소재의 산업화 Ÿ 단백질 당사슬 제어기술 개발로 최적의 당사슬이 부착되는 맞춤형 의약품 개발을
목표
○ 고부가가치 터페노이드 생산 미생물 세포공장 개발의 원천기술 확립 위한 원천기술 확보
Ÿ 합성생물학기술 이용 5만종 이상의 다양한 고부가 가치의 터페노이드 대량생산에 Ÿ 선천적 대사 질환에 관련된 희귀 난치병의 치료제 생산을 위한 기초기술 개발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미생물 세포공장 개발 Ÿ 고부가가치 분자 농업 형질전환 식물체를 이용한 의료·산업용 생물소재 생산을
○ 식물 이용 바이오의약품 생산 원천기술 개발 통한 내수 확보 및 수출 시장 개척
Ÿ 고부가가치 단백질 및 유용물질 대량생산을 위하여 유용물질 대량생산용 식물
Ÿ 고도의 균주개발 기술이 필요한 고부가 가치의 터페노이드(carotenoids, retinal,
host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원천기술 확립
coenzyme Q10 등) 제품 개발은 국내 발효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것으로 기
Ÿ 유용물질 대량생산용 발현시스템 및 발현벡터, 프로모터 구축 등의 식물분자생물
대됨
학적 기초 기반기술
⑤ 기대효과 Ÿ 다수의 유전자들을 도입하고 그 발현을 정교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고안된 합성
Ÿ 유전체학, 유전자 재조합기술, 세포배양 기술, 시스템 바이오로지 기술, 식물배양
생물학 기반기술들을 통해서 터페노이드 생산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기술, 단백질 분리기술, 유용물질 효능검증기술, 제품화 기초기술
이 기술들을 이용해서 개발될 미생물은 그 자체가 일종의 화학공장으로, 천연자
○ 고부가가치 터페노이드 생산 미생물 세포공장 개발의 원천기술 확립
원으로부터 추출을 통하여 아주 극소량 밖에 얻을 수 없는 터페노이드와 같은 천
③ 연구개발 Ÿ 터페노이드 생합성 경로 네트워크 규명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
연물들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세포공장(Cell Factory)이 될 것임
내용 Ÿ 터페노이드 저장공간 연구
Ÿ 터페노이드 생합성경로 조절 network의 규명을 통해서 고부가 터페노이드 생산
Ÿ 터페노이드 고생산성 균주 안정화 연구
기반 기초기술 제공하고 병충해 및 재해 저항성 식물과 터페노이드 고 함유 재조
Ÿ 생합성경로 module화
합 식물 개발에 활용되어 국내 농업의 원천기술 확보에 의한 국제적 경쟁력을 높
Ÿ 전사체, 단백체, 대사체분석을 통한 터페노이드 생합성 네트워크 규명 및 대사 경
일 수 있음
로의 중심요소 동정
Ÿ IPP (Isopentenyl pyrophosphate, C5) 생합성 경로 차이를 이용한 신규 고지혈
Ÿ 세포내막 구조 및 형성기작을 규명하고 세포내막 확장 유전자 동정
증 치료제 및 항생제 후보물질 탐색 시스템의 개발로 국내 제약 산업 발전에 기
Ÿ 돌연변이 유발기작을 규명하고 변이방지 장치를 개발
여할 수 있음
Ÿ 생합성 경로들을 합성생물학 기술(substrate channeling, multi-gene metabolic
분자농업 바이오의약품 터페노이드
eng.)을 이용해서 최적의 module로 구성
⑥ 중심어 당질 리모델링 합성생물학 대량생산
○ 1차년도 분리 정제 발현 증진 생합성 경로
Ÿ 단백질 대량 생산 시스템 개발: secretion, targeting 기술 개발
molecular farming biopharmaceutics terpenoid
⑦ Keywords glycan remodelling synthetic biology mass production
Ÿ 터페노이드 생합성 경로 네트워크 규명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 터페노이드 저장
purification expression biosynthetic pathway
공간 연구
○ 2차년도
④ 연차별 Ÿ 단백질 대량 생산용 식물 세포 및 식물 개발
연구내용
Ÿ 터페노이드 고생산성 균주 안정화 연구, 생합성경로 module화
○ 3차년도
Ÿ 단백질 발현 증진 기술 개발: promoter, 번역 증진, 단백질 분해 방지 기술
Ÿ 단백질 분리 정제 기술 개발: affinity tag 개발, affinity용 resin 개발
Ÿ 전사체, 단백체, 대사체분석을 통한 터페노이드 생합성 네트워크 규명 및 대사 경
로의 중심요소 동정

- 491 - - 492 -
1-2. 해양플랜트 집전장치용 탄소나노튜브/그래핀 적용 이온성 전기능동소자 연구개발

① 연구사업명 해양플랜트 집전장치용 탄소나노튜브/그래핀 적용 이온성 전기능동소자 연구개발


(Develpoment of Ionic Polymer Metal Composite Device using CNT/Garphene for 첨부 III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계획서 요약문
(영문사업명) Pantograph of Marine Plant)
Ÿ 이온성 고분자-전극 복합재의 내구성 향상 및 단가를 낮추기 위해 탄소나노튜브
② 연구개발 /그래핀 적용 전기능동소자의 효율적 제조 공정 방법 연구 개발
목표
Ÿ IPMC 해양발전 모듈의 설계 및 성능 시험환경 구축 연구개발과제계획서
Ÿ 해양플랜트 발전성능 실험을 통한 실제적인 발전량 예측 모델 개발 및 발생 전력
의 전송 및 축전 통합모듈 설계 및 제작 원천기술 개발
Ÿ Metal ink printing and plating 공정 환경 구축 및 기술 개발 ① 부처사업명(대) ④ 보안등급(보안, 일반) 일반
③ 연구개발 Ÿ 고효율성 및 내구성이 강한 전극 소재 물질 연구
② 사업명(중) ⑤ 공개가능여부(공개, 비공개) 공개
내용 Ÿ 공기 중에서도 이온성 고분자-전극 복합재 내부의 용액과 이온량 보존을 위한
코팅 기술 개발 ③ 세부사업명(소)
Ÿ 1차년도 과제성격 실용화 대상여부
- IPMC 성능 시험 및 분석 기법 시험환경 구축 개발 실용화
(기초, 응용, 개발) (실용화, 비실용화)
- Metal ink printing and plating 공정 환경 구축
- 발전량 예측모델 개발 및 통합 모듈 설계 국 문 콤바인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 개발
후속연구개발과제명
- 1차 Metal ink 소재 3종 선정
영 문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energy saving in the combine
- 선정된 소재 특성 및 성능 분석
Ÿ 2차년도 ⑥ (총괄)주관연구기관 경상대학교
- 1차 시제품 제작 (3종)
- 1차 시제품 적용 및 시험 분석 ⑦ 협동(공동)연구기관 대동공업(주), 우성정공(주)
- 공정 문제점 파악 및 수정
성 명 김현태 직급(직위) 부교수
- 2차 Metal ink 소재 5종 선정 (총괄)주관연구책임자
④ 연차별
- 발전량 예측모델 분석 및 검증 소속부서 경상대학교 전공 농업기계
연구내용
Ÿ 3차년도
- 2차 시제품 제작 (5종) 연구개발비 및 참여연구원수 (단위: 천원, 명)
- 2차 시제품 적용 및 시험 분석 기업체부담금
- 3차 Metal ink 소재 5종 선정 정부외 상대국
년 도 정부출연금 출연금 부담금 합계 참여
Ÿ 4차년도 (A) 현금 현물 소계 (B) (F) G=(A+B+E) 연구원수
- 3차 시제품 제작 (5종) (C) (D) E=(C+D)
- 3차 시제품 적용 및 시험 분석
1차년도 500,000 50,000 150,000 200,000 700,000 10
- 공정 방법 최적화 및 대량생산 방법 검토
Ÿ 5차년도 2차년도 500,000 50,000 150,000 200,000 700,000 10
- Metal ink printing and plating 대량생산 가능한 공정 계획
- 사업화 및 기술 이전 방법 검토 3차년도 500,000 50,000 150,000 200,000 700,000 10

4차년도 500,000 50,000 150,000 200,000 700,000 10


- 본 연구는 이온성 고분자 복합재를 사용하여 해양의 움직임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전
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IPMC를 이용한 에너지 5차년도 500,000 50,000 150,000 200,000 700,000 10
획득 기술의 발전이 선진국에서 조차 태동기에 있어 현재 기술격차가 크지 않은 분
야임. 합계 2,500,000 250,000 750,000 1,000,000 3,500,000 50
⑤ 기대효과
- 이에 따라 제안된 연구가 완료될 시에는 해류의 움직임이나 신체의 움직임 등에 의 총연구기간 2016. 01. 01 ~ 2020. 12. 31
해서 발생되는 작은 진동들 및 차량의 움직임이나 공기의 흐름으로부터 발생하는 고
주파수 진동 에너지를 획득하는 원천기술 및 고유특허의 확보가 예상되며, 이는 우 다년도협약연구기간 2016. 01. 01 ~ 2020. 12. 31
리나라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 과학기술적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됨.
당해연도연구기간 2016. 01. 01 ~ 2016. 12. 31
해양에너지 이온성 고분자 복합재 해류 중소기업수 대기업수 기타 계
⑥ 중심어
에너지획득모듈 집전장치 와류발생장치 ⑧ 참여기업
2 2
Marin Energy Ionic Polymer Metal Composite Ocean Current
⑦ Keywords 상대국연구기관수 상대국연구개발비 상대국연구책임자수
Energy Harvesting Module Electricity Collector Vortex Generator
국제공동연구

- 493 - - 494 -
〈 요 약 문 〉
콤바인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 개발
연구사업명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energy saving in the combine)

특허 콤바인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선행
특허 예취칼날 검사장치
기초·원천기술
특허 곡물 수확량 검사 장치 및 방법

○ 필드내 콤바인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연구목표
○ 콤바인 예취부 최적의 시스템 개발

○ 이송부, 선별부, 곡물탱크등에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연구내용 ○ 콤바인 예취부의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 개발
○ 콤바인 예취부의 성능향상을 위한

○ 1차년도
- 선진기술 동향 및 특허 조사
- 기초실험을 위한 장치 설계 및 제작
○ 2차년도
- 예취부 최적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실험 Ⅰ
- 콤바인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기초실험 Ⅰ
○ 3차년도
- 예취부 최적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실험 Ⅱ
- 콤바인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기초실험 Ⅱ
연차별 연구내용
- 기초실험을 통한 주요 부품 설계 및 개선
○ 4차년도
- 주요부품 시제품 제작
-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현장 실험 및 검증
- 예취부 시스템 적용 및 개선방향 도출
- 시제품 조립 및 시험
○ 5차년도
- 필드 실증 시험
- 결과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건조를 통하여 잉여에너지 감소


○ 필드내 곡물건조를 통한 곡물 건조 비용 및 온실가스 감소
기대효과 ○ 콤바인 예취부 최적의 시스템 개발을 통해 작물수확 시 불필요한 에너지 감소
○ 에너지 절감을 통한 농가의 경제적부담 완화
○ 선진국(일본)과의 원천기술차이 극복

핵심단어 콤바인, 배기열, 에너지효율, 곡물건조, 예취칼날,


(5개 이내) (Combine, Exhaust heat, Energy efficiency, Grain drying, Cutting knife)

- 495 -
대구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The Second Stag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Deagu Science Park)

연구기관: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

연구책임자: 황우익
< 목 차>

Ⅰ.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501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501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및 입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502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
··
··
··
··
··
··
··
··
··
··
··
··
··
··
·504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4
2. 1단계 사업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6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
··
··
··
··
·508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508
2. 최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0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3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6
5.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0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2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4
8. 연구원 편성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5

[첨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6

- 499 -
3) 과학기술진흥센터 인원 현황
I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소 속 직위 성명 참여율(%) 비 고
과학기술진흥센터 센터장 황우익 100 정책팀장 겸임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선임연구원 홍은성 100 진흥팀장 직대
선임연구원 조명재 100
선임연구원 임종희 100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인원 기술이전사업화
연구원 이현주 100
지원팀
연구원 김경하 100
1) 주관기관 조직도
연구원 전세익 100
□ 주관기관 : 대구테크노파크 연구원 배진수 100

□ 조직구성 : 2단, 8센터, 2실


□ 근무인원 : 총 184명(‘14. 4 기준, 정규직 : 83, 계약직 : 101)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예산

년 도
2013 결산 2014예산(안) 증 감
구 분
정부출연금 2,413,400 2,602,800 189,400
지자체출연금 420,694 537,500 116,806
계속사업이월금 2,550,044 1,810,168 △739,876
임대보증금 249,420 241,260 △8,160
기타수입 940,304 995,126 54,822
수 입(A) 6,573,862 6,186,854 △387,008
인건비 553,453 572,250 18,797
사업비(직접비) 4,056,249 2,918,133 △1,138,116
간접비 111,013 130,680 19,667
수익사업비용 55,202 727,252 672,050
임대보증금 반환충당금 249,420 241,260 △8,160
차년도이월금 1,548,525 1,474,199 △74,326
지 출(B) 6,573,862 6,063,774
2)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도 A-B 0 123,080 123,080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입주 현황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현황
□ 목적 : 대구 과학연구단지 융합R&D거점 구축
□ 기간 : 2008. 1 ~ 2009. 11
□ 총사업비 : 30,000백만원(국비 15,000, 시비 9,900, 민자 5,100)
□ 위치 :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 711번지
□ 규모 : 지하 1층, 지상 13층

- 501 - - 502 -
ㅇ 대지면적 : 13,990m²
ㅇ 연 면 적 : 15,037m²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 주요시설 : 회의실, 세미나실, 정보실, 체력단련실, 연구실(입주공간) 등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 현황
가. 최종 연구목표
1)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기업 및 기관 현황
□ 성서지방산업단지를 신기술산업기지화 함으로써 추진 중인 대구테크노폴
□ 입주기업 및 기관 : 24개(기업: 21개, 관련기관 3개) 리스 및 구미와 연계한 IT 첨단산업벨트의 허브 단지로 육성
□ 기계금속 및 자동차부품 등 전통주력산업의 신기술접목을 통한 산업구
분야 관련기관 기업부설연구소 벤처기업
조고도화
㈜메디센서김해, ㈜메디센서,
BT -
㈜코비, ㈜이숲
파인메딕스㈜, ㈜세창 □ 지역 대학․연구소와 성서지방산업단지 내 기업들의 네트워크 강화로 효
㈜성원정보기술, ㈜포디컬쳐, 과적인 공동연구개발,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R&BD) 시스템 구축
IT - 제뉴버㈜, ㈜에스엠이씨, ㈜로그, ㈜엔아이텍
㈜지식톡, ㈜제윤 □ 연구개발 환경개선과 기술혁신 의욕 고취를 통한 우수 연구인력의 역외
㈜씨엔티, ㈜에이씨에스, 유출 방지와 국내외 우수 연구소의 유치 및 집적
MT 자동차부품연구원 -
㈜세올디자인컨설팅, ㈜화신

대구연구개발특구본부
기타 ㈜레몬옐로우, ㈜투래빗 ㈜세명아이엔씨
계명대 산업협력선도사업단 나. 연차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합 계 3개 관련기관 17개 기업부설연구소 4개 기업
달성도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
2)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율 대구융합R&D ∘건립계획 수립 및 공사계약 체결
설계/시공업체 선정
센터건립 (‘07. 12. 14)
□ 2009년 12월부터 기업 및 기관의 입주가 시작됐으며, 1단계 종료 시점
100% 입주율을 보임 ∘정보화전략계획(ISP)수립
‘07 지식정보서비스망 설계 100
연구개발 및 ∘제안요청서(RFP) 작성
□ 2013년 12월경 평화발레오, 한국기계연구원 등 기업 및 기관의 공장, 분원 기술사업화 지적재산권 관련 서비스 ∘지적재산권 서비스 지원(10건,
등의 완공으로 퇴거하여 입주율이 일시적으로 낮아짐 기반조성 14백만원)
대구융합R&D 설계·시공 일괄입찰 ∘우선시공((Fast-Track) 완료
센터건립 공사 ∘2차 건축공사

지식정보서비스망 구축 ∘지식정보 서비스망 구축 완료

‘08 ∘R&D를 위한 과학기술 정보지원 100


연구개발 및 과학기술정보 및 지적 (20건, 30백만원)
기술사업화 재산권 서비스 제공 ∘지적재산권 서비스 지원
(19건, 136백만원)
유망 R&BD 프로젝트 ∘유망 R&BD 프로젝트 지원
발굴지원 (8개 과제, 330백만원)

- 503 - - 504 -
달성도 2.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 성과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
대구융합R&D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 ∘골조 공사완료('09.6.30) 가. 센터건립 성과
센터건립 준공 ∘건축공사완료(‘09.11.13) □ 대구지역 과학기술을 선도할 거점 확보
∘R&D를 위한 과학기술 정보지원 ㅇ 대구지역 특화분야 기초ㆍ원천 연구 활성화와 산ㆍ학ㆍ연이 집적된
‘09 과학기술정보 제공 및 지적재산권 관련 서비스제공 100 R&D 클러스터 육성하고, 대구과학연구단지 내 중소기업을 위한 R&D
연구개발 및 (20건, 30백만원)
기술사업화 환경과 과학기술 정보교류를 위한 거점 인프라 조성
유망 R&BD 프로젝트 ∘산업별 유망 R&BD 프로젝트
발굴지원 발굴지원 (13개 과제, 570백만원) □ 대구지역 R&D 집적화 단지 구축

대구융합R&D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 ∘기업부설연구소, 벤처기업, 지원기관


ㅇ 성서지방산업단지를 국제경쟁력을 갖춘 신기술산업기지화
센터건립 입주 및 개원 입주(19개 기업, 2개 기관) ㅇ 기계금속 및 자동차부품 등 전통주력산업의 신기술접목을 통한 구조고
‘10 100
연구개발 및 유망 R&BD 프로젝트 ∘기초원천 R&D과제 발굴지원 도화
기술사업화 발굴지원 (3개 과제, 150백만원) ㅇ 단지 내 연구개발 환경개선과 기술혁신 의욕 고취를 통한 우수 연구인
대구융합R&D ∘입주율 확대 100% 달성 력의 역외유출 방지와 국내외 우수 연구소의 유치 및 집적
입주기업 확대
센터건립 (2011.10.)
□ 대구 R&D기관 네트워크 구축 운영
∘지역 산학연 컨소시엄을 통한
융합기술기초 R&D 지원 공동연구개발지원 (18개 기업 ㅇ 대구지역 R&D 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을 위한 기반 마련
지원, 1,900백만원) ㅇ R&D 종합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산학연 연계 시스템 기반 조성
ㅇ 단지 내 기 구축된 연구 인프라간의 연계와 정보 및 인적 교류의 활성
R&D 성과확산을 위한 ∘’10, ‘11년 R&D사업화 지원
연구개발과제 후속지원 (5건 완료, 52백만원) 화를 위한 과학기술교류 거점 구축

과학기술정보 및 지식 ∘논문: SCI 4건, 비SCI 18건


‘11 재산권 지원 ∘지적재산권: 출원 26건, 등록 3건 100
연구개발 및
나. R&D 지원성과
기술사업화 지역기초융합기술연구 ∘원천융합기술 확보 컨설팅 지원
개발 컨설팅 지원 (15건, 176.8백만원)
□ 사업개요
∘SP 육성발전을 위한 기술교류 ㅇ 사 업 명 : R&D과제 지원사업
산ㆍ학ㆍ연네트워크 구축
포럼(2회) ㅇ 목 적 : 대구과학연구단지 내 중소․벤처기업의 경쟁력강화 및 대구과학연
및 활성화
∘입주기업ㆍ기관 기술교류회(4회)
구단지 연구개발 분위기 확산 제고
연구개발 서비스업 ∘연구개발 서비스업 신규사업 ㅇ 지원분야 : 의료기기, 메카트로닉스, 신소재, IT 등
신규사업 추진계획서 추진계획서 발간 1건
ㅇ 지원내용 : 기업주관(기업 단독 및 대학/연구소와 컨소시엄 가능)

□ 지원현황
ㅇ 지원기간 : ‘07. 04. ~ ’12. 12
ㅇ 지원금액 : 131건, 3,451백만원(현금 3,451)
ㅇ 선정년도 : ‘07년 10건, ’08년 47건, ‘09년 33건, ’10년 3건, ’11년 38건

- 505 - - 506 -
□ 주요성과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실적(건)
구 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합 계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SCI 급 - - - 4 4

등재지 - - - 19 19
문 □ 지역의견 수렴
학술발표 - - - - -
특허출원 - - - 26 26 본 조사는 2014년 1월 24일부터 3월 21일까지 대구에 소재한 중소기업 692개사의

재 특허등록 - - - 3 3 응답을 받아 분석한 ‘2013년도 기업 R&D활동 현황 조사 분석’ 결과임.
권 상표등록 - - - - - 대구지역 부설연구소 등록기업 805개(2012년 말 기준) 기업 가운데 390개 기업이
합 계 - - - 52 52 유효한 응답을 하였으며, 종업원수 10인 이상되는 주요 업종의 부설연구소 미등록 기
업 2,350개 기업 가운데 302개 기업이 유효한 응답을 하여 전체 회수율은 21.9%이
며,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2.9%. 주요 조사내용은 연구개발 활동 현황 및 성
다. 기타성과 과, 기술이전 현황 및 지원수요, R&D 수주 현황 등.
□ R&D 성과확산 지원
ㅇ 입주기업 교류회 ㅇ 최근 3년간 기술이전을 받은 기업은 11.8%로 집계된 반면, 향후 1-2년 이

­ 목 적 :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소장간의 유대강화, 기술개발관련 정보 내 생산할 제품이나 필요로 하는 개발기술을 타 연구기관이 보유하고 있을

교환, 연구 생산성 제고 및 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공통관심 경우 기술이전을 받을 의향이 있다는 기업은 52.1%로 높게 나타남.

사항 토론 등을 통한 기업 경쟁력 제고 ㅇ 기술이전에 대한 수요 대비 실제 기술이전을 받은 기업은 낮게 나타나, 활발

­ 대 상 : 입주기업 및 기관 23개 한 기술이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임.

­ 운영기간 : 2012. 11 ~ 현재 ㅇ 특히, 기술이전 촉진을 위한 정부의 지원 역할로 64.8%가 자금지원을 꼽고

­ 운영내용 : ․ 기술교류회를 통한 고급정복 습득 및 연구역량 강화 있어, 이에 대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며, 그 외 기술사업화 지원(22.5%), 인


․ 기업 간 연계 협력 강화 력지원(10.3%), 기술사업화 협력네트워크 지원(8.3%) 등도 함께 이루어져
․ 입주기업 및 대학/기관 간 워크숍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강화 야 할 것으로 사료됨.
(단위 : 기업 수, %)
․ 연구역량 및 기술력향상을 위한 교육, 최신정보제공 등
․ 국내외 전문가 초청강연 및 우수기업/연구기관 벤치마킹 지원 기술이전 의향
구 분
기술이전 의향 있음 없음
ㅇ 기술교류 세미나
­ 목 적 : 대구과학기술발전을 위한 지역 과학기술인 포럼개최를 통한
전 체 239개사, 52.1% 219개사, 47.9%
대구과학연구단지 활성화 및 발전전략 마련
ㅇ 기술이전을 희망하는 기업들은 기술이전 형태로 공동연구나 기술지도를 가
­ 대 상 : 입주기업 및 지역 과학기술인(대구경북과총 공동개최)
장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정부산하의 공공연구기관이나 지자체 산
­ 운영기간 : 2012. 11 ~ 현재
하의 기업지원기관에 대한 수요가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내 용 : ․ 지역 주력산업 특화발전을 위한 과학기술 연계방안
․ 지역내외 과학기술전문가 초청강연
□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의 성과 활용
․ 산학연 연계협력을 통한 지역 과학기술발전전략 도출
ㅇ 대구과학연구단지의 기술정보 유통 및 융합기술개발을 위한 R&D네트워크가

- 507 - - 508 -
활성화 되었지만, 기업의 실직적인 이윤 증대를 위해서는 결과물에 대한 시 ㅇ 국가규모의 기술저장소를 구축하여 현재 연구개발특구등에서 운영하고 있
제품제작, 디자인, 마케팅 지원 등의 후속사업(사업화사업)이 필요 는 개별기술저장소 시스템을 통합함.
ㅇ R&D지원사업의 성과물에 대한 사업화 지원을 통한 사업 성공률 제고와 성 ㅇ 대구SP에서는 대구지역의 기술에 대한 SMK작성 및 DB입력을 수행함.
공모델 정착 및 확산 필요 ㅇ 입력된 지역별 기술을 바탕으로 스크린평가를 실시하여 즉시 사업화가능
ㅇ 사업종료(~’12.12.31) 후 구축된 대구과학연구단지의 산ㆍ학ㆍ연 협력 네트 기술, 추가R&D필요기술, 폐기기술로 구분하여 본 사업에 활용함.
워크에 대한 지속적인 교류 활성화가 필요 ㅇ 저장된 기술들을 바탕으로 TP, TLO, 특구 등에서 수행중인 관련사업에서
ㅇ 대구과학연구단지 및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기업ㆍ기관의 연계 ㆍ협력 기술저장소 DATA 공동 활용가능함.
네트워크의 확대를 통한 기초원천 R&D연구 활성화를 위해 필요
2. 사업의 최종목표 및 내용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추진의 시급성

ㅇ 최근 3년간 기술이전을 받은 기업은 11.8%로 집계된 반면, 향후 1-2년 이 가. 사업비전


내 생산할 제품이나 필요로 하는 개발기술을 타 연구기관이 보유하고 있을
경우 기술이전을 받을 의향이 있다는 기업은 52.1%로 높게 나타남. □ 산 학 연 연계를 통한 지역 과학기술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역수
· ·

ㅇ 기술이전에 대한 수요 대비 실제 기술이전을 받은 기업은 낮게 나타나, 활발 요기반 R&D, 기술중개 및 고부가가치화, 특허활용 창업기획 및 산·
한 기술이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임. 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등 추진
ㅇ 특히, 기술이전 촉진을 위한 정부의 지원 역할로 64.8%가 자금지원을 꼽고
있어, 이에 대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며, 그 외 기술사업화 지원(22.5%), 인 대구지역 산학연 연계를 통한 지역과학기술혁신
력지원(10.3%), 기술사업화 협력네트워크 지원(8.3%) 등도 함께 이루어져 비전
생태계 조성
야 할 것으로 사료됨.
• 지역 과학기술 역량강화
□ 산업부 등 타부처 사업과의 연계․협력 필요성 ※ 특허(100건), SCI·비SCI 논문(100편)
ㅇ 국가규모의 기술저장소 구축사업 등은 산업부 등 타부처 사업으로 지원되 목표
• 지역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 촉진
고 있지 않으나 기초연구성과 활용도 제고를 통한 지역 R&D 생태계 조성을
※ 창업(11사), 기술이전(100건), 일자리창출(250개)
위해서는 지식저작권에 대한 기술중개기능의 활성화가 필요함.

지역 R&D,
지역특화분야의
추진 기술이전 활성화 및 사업화의 효율적
산․학․연 공동연구
전략 창업 지원 강화 추진을 위한
활성화
연계․협력 강화

• 지역수요기반 기초R&D지원 사업
추진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사업 • 과학기술활용 창업 지원사업
• 산·학·연 기술 네트워크 활성화사업

- 509 - - 510 -
나. 사업 최종목표 다. 최종목표달성을 위한 세부사업

□ 대구지역의 기초연구성과에 대한 추가적인 R&D 지원 및 사업화지원을 1)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통해 과학기술혁신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함.
□ 사업필요성
ㅇ 대구지역 중소․중견기업의 지식재산(IP) 경쟁력 강화 및 산학연협력 촉진을
□ 기초연구성과 활용도 제고
위해 지역별 기술저장소(Technology Reserve) 구축 필요
ㅇ (정성적 목표)  대구지역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를 통한 기초연구성과의
ㅇ 대구지역대학의 취약한 지식재산경쟁력 특히, 산업기여도 측면에서의 취약
활용도 제고
성을 보완하기 위해 기술중개 및 기술저장소 구축 필요
ㅇ (정량적 목표) 기술저장소 1,000 건, 기술이전 100 건
- 정량적 목표설정 근거 : □ 사업개요
기술저장 연200건 × 10 년 = 2,000 건, 인출 연200건 × 년
5 = 건
1,000 ㅇ (기술중개기능 활성화) 대구지역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국내․
기술이전 연 10 건 × 10 년 = 100건 외 공급자로부터 확보하여 상용화 기간 단축
­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가 기술중개서비스기업과 공동으로 지역대학 등
□ 대구연구개발 역량 강화 공공 TLO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지역기업의 기술수요를 반영하여 지
ㅇ (정성적 목표) 지역수요기반 기초R&D지원을 통한 대구 연구개발 역량 강화 역대학 등의 유망기술을 중개 및 기술이전
ㅇ (정량적 목표) 국내·외 특허 100 건, 논문 100 편 ㅇ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지역대학, 출연(연), 기업의 기술․노하우․특
- 정량적 목표설정 근거 : 허를 기술저장소에 저장 후 창업기업, 벤처기업 등에 기술이전 해주는
가교형R&D 지원 : 20개 과제 × 5년 = 특허 100건 및 논문 100편 플랫폼 구축․운영
­ 대구지역 DB 구축, 특허 유지비 50% 지원을 통해 기술저장소로 유인
□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창업 및 일자리 창출 하며, 향후 라이센싱 등을 통한 수익 발생 시 일정액 환수
ㅇ (정성적 목표)  과학기술 창업지원을 통한 창업 및 일자리 창출로 지역
경제 활성화 2) 지역수요기반 기초 R&D 지원사업
ㅇ (정량적 목표) 개 기업창업, 일자리
11 개 창출
250
□ 사업필요성
- 정량적 목표설정 근거 :
ㅇ 지역선도산업의 지속적 발전과 지역 내 기초․원천연구성과(논문 및 특허
기업창업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 5개 과제 = 5개 창업기업
등)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후속연구지원이 필요
창업경진대회 추진 연1회 × 10년 = 10개 창업기업
ㅇ 기술개발 및 사업화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기업의 경우 기초․응
일자리창출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25개 × 10년 = 100개 일자리
용 R&D 및 R&BD에 있어서 지역대학과의 긴밀한 협력 필요
ㅇ 중소기업과 대학․출연(연) 간 R&D 미스매칭(Mismatching) 해결 필요
□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ㅇ (정성적 목표) 산학연 기술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사업개요
ㅇ (정량적 목표) 과학기술위원회(대구시), S&T 교류회(오프라인), 과학기술 교 ㅇ 지역특화 분야 가교형 R&D 과제 발굴․기획,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용
류시스템(온라인) 등 3개의 온-오프라인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원천기술 발굴
­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을 통해 완료된 기초 R&D 과제 혹은 지역대학 및
출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 중 지역기업이 활용 가능한 가교형
R&D 과제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용 원천기술 발굴

- 511 - - 512 -
­ (가교형 R&D) 대구지역 수요기반의 가교형 R&D 수행 : 지역 내 석․박 기업 등 과학기술정책 전문가 등으로 구성(간사 : SP)
사인력, 특허, 벤처기업 분석을 통해 지역 특화분야를 우선적으로 선정, ­ 지역 내 연구성과 및 R&D 정책, 연구개발성과 등을 공유하는 포럼 개
TRL 3~5단계 연구개발 과제 수행 최를 통해 지식 및 인적교류 활성화(월 1회)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역수요기반 R&BD 수행하기 위해 원천기 ㅇ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동일 산업분야 내의 중소기업, 대기업,
술 중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출연(연)과 그 기 대학, 연구기관, 투자기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술의 수요자인 지역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과 자본을 출자하여 법인설립

3) 과학기술 활용 창업지원 사업

□ 사업필요성
ㅇ 기술 전유성이 뛰어난 기초․원천기술사업화는 직접사업화 방식인 창업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를 통해 기초․원천 R&D의 사업화성과 제고
ㅇ 지역의 기업가정신 의욕을 고취하고 실제적인 창업으로 이끌어 청년 실업
문제 해결과 나아가 지역벤처 활성화 필요

□ 사업개요
ㅇ (멘토링 시스템 구축) 창업지원을 위해 벤처(엔젤)투자가, 기업체 CEO,
법률 및 회계 전문가 등으로 멘토단 구성 및 멘토 D/B 구축 등
ㅇ (창업경진대회 추진) 대구지역수요기반 R&D 등의 연구결과물 활용 창
업경진대회를 개최하여, 투자사 등에게 평가받는 기회 제공
­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한 권리화(로펌 활용 등) 지원하고, 우수 사업아
이템은 R&D지원, 지역 내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
ㅇ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R&D 과제수행 연구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시
작하여 단지 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으로 확대

4) 산학연 기술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 사업필요성
ㅇ 한정된 예산으로 지방 과학기술생태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정책입안
및 기획수립 단계에서 교류·협력 활성화 필요
ㅇ 혁신역량이 떨어지는 지역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위한 산학연 협력체제
구축 필요

□ 사업개요
ㅇ (S&T 정책교류회 구성․운영) 대구지역과학기술 정책․지원기관 간 교류,
협력을 통한 과학기술생태계 조성
­ 지자체, SP/TP 등 R&D지원 유관기관, 대학․출연(연) 등 연구기관, 지역

- 513 - - 514 -
라. 세부사업별 목표 및 연구내용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1)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는 양만큼 인출하여 1,000개 특허를 저장

□ 사업목표

ㅇ 기술저장소 구축/운영으로 대구지역 내 기술중개기능 활성화를 통한


기초연구성과의 활용도 제고

<표>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목표 지식재산


기초연구성과 ○기술중개기능 활성화 사업
활용도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활용도 제고 · 즉시 사업화 가능 기술에 대한 SMK작성
제고 사업
· 저장된 기술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유사특허간 패키
· 우수기술 DB 2,000건 발굴 지화 수행
기술저장소 구축 및 · 폐기기술 DB 1,000건 인출 · 기술이전 전문기관을 활용하여 저장된 기술에 대한
운영 · 지역내 등록특허 조사: 10회
기술이전 및 임대 수행
지식재산 기초연구성과 · 기술저장소 DB 구축 운영 : 10건
활용도
제고 사업 활용도 제고
· 기술수요조사: 10회
대구지역 내 기술중개 · 기술수요조사 기반 DB구축/운영: 10건
기능의 활성화 · 기술이전 설명회: 10회
· 기술이전 100건

□ 세부사업내용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사업
· 지역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탐색하고 추가
적으로 국내·외 공급자로부터 확보
· 특허 유지비 50% 지원을 통해 기술저장소로 유인하
며, 향후 라이센싱 등을 통한 수익 발생시 일정액 환
지식재산 수
기초연구성과
활용도 · 지역내 지식재산 공급자가 보유한 지식재산에 대한
활용도 제고
제고 사업 스크린 평가를 통해 즉시 사업화 가능기술, ‚추가
R&D 필요기술, ƒ시장가치 및 기술수명 만료 기술로
분류
· 상기 분류한 기술(즉시 사업화 가능기술, ‚추가
R&D 필요기술)에 대해 기술저장소에 저장
· 매년 200개의 특허를 저장하고, 5년 후부터는 저장하

- 515 - - 516 -
2) 지역수요기반 기초R&D지원사업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목표
○ 지역수요 기반 가교형 R&D 수행
ㅇ 지역수요기반 기초R&D 지원을 통한 대구 연구개발 역량강화 · (과제 규모) 과제당 매년 2~3억원 이내에서 5년간 지원
· (수행 방식) 중소기업네트워크나 연구개발협동조합이 아닌
연구팀인 경우 스위칭 방식을 도입하여 연구성과 제고
<표> 지역수요기반 기초R&D지원사업목표
· 1~3차년도(대학·출연연 주관), 4~5차년도(기업 주관)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 가교형 R&D 성과는 테크노파크와 연계하여 광역경제권선도
사업 및 신지역특화사업(산업부)으로 선정 추진하여 산업화
지역수요기반 R&D과제 발굴 · R&D 과제기획 50건 추진

지역수요 대구
기반 기초 · 국내외 논문 100건
연구개발 기초기술의 응용기술화
R&D · R&D과제 지원 20건
지원사업 역량 강화
· 신규법인 5개 지원
기초/응용기술의 사업화
· 일자리 50개 창출

지역수요기반 대구
기초 R&D 연구개발
□ 세부사업내용 지원사업 역량 강화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기획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을 통한 지역수요기반 R&BD 수행

· 지역 특화 분야 기초-광역선도 가교형 R&D 과제 발굴·기 · 원천기술 중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획,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용 원천기술 발굴 출연(연)과 그 기술의 수요자인 지역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과

· 가교형 R&D 및 R&BD 과제 발굴 : 국가연구개발사업 등 자본을 출자하여 법인 설립


을 통해 완료된 기초 R&D 과제 혹은 지역대학 및 출연 · 공동연구법인의 후속연구개발비를 지원* 5~10년간 매년 5억
(연)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 중 지역기업이 활용 가능 원씩 지원
지역수요 대구 · 매년 1개의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
한 가교형 R&D 과제 및 R&BD 과제 발굴
기반 기초
연구개발 · 지역 수요 반영 R&D 기획 : 지역 대기업, 중소기업, 연구
R&D
지원사업 역량 강화 소, 이공계 대학 등의 수요조사를 통해 핵심 R&D 및
R&BD 과제 선정·기획

지역 수요 기반 가교형 R&D 기획 프로세스

- 517 - - 518 -
3) 과학기술 활용 창업지원 사업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창업 기획사 설립·지원(창업 기획 운영비 및 시설 제공)


□ 사업목표
· 예비창업자를 모집하여 투자와 지분취득, 멘토링 및 교육,

ㅇ 과학기술 창업지원으로 창업 및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최종적으로 엔젤과 투자자들에게 창업가들의 결과물을 선
보이고 투자를 유치하도록 돕는 역할 수행
○ 특허 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 창업기획사 주관으로 지역
<표>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목표
수요기반 R&D 등의 연구결과물을 활용하는 창업경진대회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추진 → 지역예선(지역방송국 연계) → 전국본선(전국방송
중계) 등으로 확대
· 멘토단 구성/관리 10건
· 일정기간 집중적 1:1 멘토링 및 교육을 통해 사업아이템을
· On­line 창업네비게이션 구축/운영 10건
특허활용 창업지원 개발하고 ‘데모데이’를 통해 투자사 등에게 평가 받는 기
· One­stop 창업지원센터 지정/관리 9건
멘토링 시스템 구축 회 제공
· 창업기획사 설립·지원 1건
·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한 권리화(로펌 활용 등) 지원
· 창업 1:1 맨토링 : 300회
· 우수 사업아이템은 R&BD 자금 제공, 지역 내 창업보육센
과학기술 · 창업아이템 발굴 : 100건
창업/일자리 터 입주 지원
활용
창업경진대회를 통한 · 창업경진대회 개최 : 10회
창업지원 경제 활성화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R&D 과제 수행 연구인력에 대
창업활성화 · 창업 10건
사업 한 교육으로 시작하여 단지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으
· 일자리 100개
로 확대
· 교육과정 개발 : 50건 · (참여 기관) 과학연구단지협의회, 과총지역연합회, 대학·산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를 · 기업가정신 교육 : 500명 과학기술
학협력선도대학 내 기업가정신센터
활용 창업/일자리
통한 창업지원 · 신규법인(사업부) 11개 지원 · (참여 대상) R&D 과제수행 연구인력→단지내 연구인력→
창업지원 경제 활성화
· 일자리 100개 청년 창업 희망자로 확대
사업
· (추진 전략) 속성코스 또는 12~16주 코스로 진행

□ 세부사업내용
[1단계] 문제해결 능력 배양
· 최첨단 과학기술 분야의 트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렌드 강의
· 융ㆍ복합적인 문제해결 사고
○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
방식 개선
· 멘토단 구성 및 관리: 창업지원을 위해 투자가, 기업체
· 기업가 정신 교육 및 새로운
CEO, 법률 및 회계 전문가 등으로 멘토단 구성
비즈니스 모델 탐색 능력 배양
· On-line 창업내비게이션 구축: 창업 프로세스 로드맵을 입
과학기술 체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2단계] 팀별 맞춤형 강의
활용
창업/일자리 · One-stop 창업지원센터 지정: 지방과학연구단지 센터 내에 ·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팀 결성
창업지원
경제 활성화 엔젤, 멘토 및 지원기관(정부 및 공공기관) 등을 입주시켜 · 맞춤형 강사와 벤처캐피탈을
사업
예비창업자에 대한 종합적 서비스 제공 초청, 팀별 교육/멘토링/컨설
팅 제공

[3단계] 인큐베이팅
· 팀 단위 비즈니스 모델 완성
및 발표
· 투자 연계 지원

- 519 - - 520 -
4) 산학연 기술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과제 기획, 연구과제 수행 시 문제점 등에 대한 토론 및 해


□ 사업목표
결책을 논의하는 장

ㅇ 산학연 기술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산학연간의 공동연구 활성화에 기여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Book cafe 설치운영
· 지역과학기술진흥 정책 수립·실행에 대한 정보제공, 의견교
환 등이 가능한 오프라인 정책교류 장 구축
<표>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목표
· 지역 R&D 전담기관인 대구SP 내에 구축하여 관련 기업 및 기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관에서 R&D관련 자료를 열람할 수 있도록 운영함

· S&T 정책교류회 구성·운영 10건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대구SP의 지역 R&D 전담 · 과학기술진흥협의회 개최 10건 · 동일 산업분야 내에서 대학 및 연구기관, 중소기업, 대기업
산학연 기술 산학연
기관 위상 확립 · 특화산업 관련 과학기술 로드맵 및 투자기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작성 10건 네트워크 공동연구
활성화 사업 ·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과 연구개발프로그램 참여
산학연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설 활성화
산학연 기술 시 우대
네트워크 공동연구 기관 및 연구자간의 과 계/시스템,DB구축/운영 10건 · 기술개발, 전문인력 육성, 중소기업 컨설팅, 판로개척 및 마
활성화 사업 활성화 학기술교류 활성화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케팅 등 중소기업 애로 해결에 지원금 활용
Book cafe 설치운영 10건 · 네트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등 네트

· 특화산업별(기존네트워크 연계) 워크 감독매니저 역할 수행


특화산업별 네트워크 구축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와 연계 협
네트워크 구축운영지원(10건)

· 중소기업 네트워크 차원에서 지역별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
에 참여
□ 세부사업내용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On·Off Line S&T 정책교류회/포럼 운영


· (대구과학기술진흥 조례 개정) 대구과학기술진흥 조례 개정을
통해 대구SP가 지역 R&D 전담기관으로써 과학기술 기획·교
류위원회 사무국 기능 수행
· 대구과학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기능 : 지방과학기술 진
흥로드맵 마련, 지역 과학기술교육 정책 수립, 과학문화 확
산 정책 수립, 과학기술인력 수급계획 수립 등
산학연 기술 산학연
네트워크 공동연구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활성화 사업 활성화 · 지역과학기술진흥 정책 수립·실행에 대한 정보제공, 의견교
환 등이 가능한 온라인 정책교류 장 구축
· 지역 R&D 전담기관인 대구SP에서 운영하고 지역 주요 기관이
참여하는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 (정보제공) 지방과학기술진흥로드맵, S&T 정책교류회 회의·
토론 내용, 지역 내 과학기술 인력 채용정보 등
· (토론방) 지방과학기술진흥로드맵 실행 계획, 가교형 R&D

- 521 - - 522 -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나.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가. 세부사업 연차별 로드맵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 중소기업 R&BD 사업 수요조사(1회) 및 수요DB구축(1
사업년도 최종목표
세부사업 건)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사업비(억원) · 사업별 중요도 및 사업성 평가
기술중개기능
· 필요기술 탐색 및 국내·외 확보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기술이전 100건 활성화
· 기술 가치평가 및 기술이전 컨설팅(기술이전 10건, 설명회 1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기술저장 2,000건 회)
지식재산 ‘16 · 기술중개 바우처 제공 및 국내외 기술중개서비스 기업 활용
활용도 - - - - - 200 200 200 200 200 기술인출 1,000건
· 기술저장소 DB System 구축(1건)
제고사업 기술중개기능
· 기술신탁기관 등록 관련 요건 확보
30
활성화 기술저장소
· 기술신탁 관련 약관, 계약서, 계약절차 및 조건 등 법률 검토
구축 및 운영
기술저장 저장 · 지역내 등록특허조사(1회), 기술발굴(200건): 발굴기술은 2차년도
소 구축 40 부터 저장
및 운영 인출
· 지역 중소기업 R&BD 사업 수요조사(1회) 및 수요DB구축(1
10 10 10 10 10 - - - - - 과제기획 50건 건)
· 사업별 중요도 및 사업성 평가
기술중개기능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논문 100건 · 필요기술 탐색 및 국내·외 확보
지역수요 활성화
· 기술 가치평가 및 기술이전 컨설팅(기술이전 10건, 설명회 1
기반 기초 3(3) 6(3) 9(3) 12(3)16(4)17(4) 14 11 8 4 R&D지원 100건(신규20)
회)
‘17
R&D지원 · 기술중개 바우처 제공 및 국내외 기술중개서비스 기업 활용
1(1) 2(1) 2 3(1) 4(1) 4(1) 3 3 2 1 연구법인지원 25건(신규5)
사업
지역수요기반 · 지역내 등록특허조사(1회), 기술발굴 및 저장(연간 200건)
5
R&D과제기획 기술저장소 · 기술저장소 운영(IP 패키지 및 포트폴리오 구축) 1건
가교형 R&D 225
구축 및 운영 · 기술이전·대여 → 로열티 수익 확보 →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확립
산학연공동연
125
구법인 설립 · 지역 중소기업 R&BD 사업 수요조사(1회) 및 수요DB구축(1
1 1 1 1 1 1 1 1 1 1 창업11개 건)
· 사업별 중요도 및 사업성 평가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일자리250개 기술중개기능
· 필요기술 탐색 및 국내·외 확보
과학기술 활성화
멘토링시스템 · 기술 가치평가 및 기술이전 컨설팅(기술이전 10건, 설명회 1
활용창업 10
구축 ‘18 회)
지원사업 창업경진대회 · 기술중개 바우처 제공 및 국내외 기술중개서비스 기업 활용
35
추진
· 지역내 등록특허조사(1회), 기술발굴 및 저장(연간 200건)
과학기술창업
5 기술저장소 · 기술저장소 운영(IP 패키지 및 포트폴리오 구축) 1건
아카데미
구축 및 운영 · 기술이전·대여 → 로열티 수익 확보 →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산학연기술 확립
네트워크 S&T정책
30
교류회 운영
활성화
중소기업 네트
사업 30
워크 구축지원

합계 535

- 523 - - 524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 중소기업 R&BD 사업 수요조사(1회) 및 수요DB구축(1 · 지역 중소기업 R&BD 사업 수요조사(1회) 및 수요DB구축(1
건) 건)
기술중개기능 · 사업별 중요도 및 사업성 평가 기술중개기능 · 사업별 중요도 및 사업성 평가
활성화 · 필요기술 탐색 및 국내·외 확보 활성화 · 필요기술 탐색 및 국내·외 확보
· 기술 가치평가 및 기술이전 컨설팅(기술이전 10건, 설명회 1 · 기술 가치평가 및 기술이전 컨설팅(기술이전 10건, 설명회 1
‘19 회) 회)
‘23
· 지역내 등록특허조사(1회), 기술발굴 및 저장(연간 200건) · 지역내 등록특허조사(1회), 기술발굴 및 저장(연간 200건)
기술저장소 구축 · 기술저장소 운영(IP 패키지 및 포트폴리오 구축) 1건 · 저장기술 평가에 따른 기술인출(연간 200건)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 기술이전·대여 → 로열티 수익 확보 →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 기술저장소 운영(IP 패키지 및 포트폴리오 구축) 1건
및 운영
확립 · 기술이전·대여 → 로열티 수익 확보 →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정착
· 지역 중소기업 R&BD 사업 수요조사(1회) 및 수요DB구축(1
건) · 지역 중소기업 R&BD 사업 수요조사(1회) 및 수요DB구축(1
기술중개기능 · 사업별 중요도 및 사업성 평가 건)
활성화 · 필요기술 탐색 및 국내·외 확보 기술중개기능 · 사업별 중요도 및 사업성 평가
· 기술 가치평가 및 기술이전 컨설팅(기술이전 10건, 설명회 1 활성화 · 필요기술 탐색 및 국내·외 확보
‘20 회) · 기술 가치평가 및 기술이전 컨설팅(기술이전 10건, 설명회 1
‘24 회)
· 지역내 등록특허조사(1회), 기술발굴 및 저장(연간 200건)
기술저장소 · 기술저장소 운영(IP 패키지 및 포트폴리오 구축) 1건 · 지역내 등록특허조사(1회), 기술발굴 및 저장(연간 200건)
구축 및 운영 · 기술이전·대여 → 로열티 수익 확보 →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 저장기술 평가에 따른 기술인출(연간 200건)
기술저장소 구축
확립 · 기술저장소 운영(IP 패키지 및 포트폴리오 구축) 1건
및 운영
· 기술이전·대여 → 로열티 수익 확보 →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 지역 중소기업 R&BD 사업 수요조사(1회) 및 수요DB구축(1
정착
건)
기술중개기능 · 사업별 중요도 및 사업성 평가 · 지역 중소기업 R&BD 사업 수요조사(1회) 및 수요DB구축(1
활성화 · 필요기술 탐색 및 국내·외 확보 건)
· 기술 가치평가 및 기술이전 컨설팅(기술이전 10건, 설명회 1 기술중개기능 · 사업별 중요도 및 사업성 평가
‘21 회) 활성화 · 필요기술 탐색 및 국내·외 확보
· 기술 가치평가 및 기술이전 컨설팅(기술이전 10건, 설명회 1
· 지역내 등록특허조사(1회), 기술발굴 및 저장(연간 200건)
‘25 회)
· 저장기술 평가에 따른 기술인출(연간 200건)
기술저장소 구축
· 기술저장소 운영(IP 패키지 및 포트폴리오 구축) 1건 · 지역내 등록특허조사(1회), 기술발굴 및 저장(연간 200건)
및 운영
· 기술이전·대여 → 로열티 수익 확보 →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 저장기술 평가에 따른 기술인출(연간 200건)
기술저장소
정착 · 기술저장소 운영(IP 패키지 및 포트폴리오 구축) 1건
구축 및 운영
· 기술이전·대여 → 로열티 수익 확보 →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 지역 중소기업 R&BD 사업 수요조사(1회) 및 수요DB구축(1
정착
건)
기술중개기능 · 사업별 중요도 및 사업성 평가
활성화 · 필요기술 탐색 및 국내·외 확보
· 기술 가치평가 및 기술이전 컨설팅(기술이전 10건, 설명회 1
‘22 회)

· 지역내 등록특허조사(1회), 기술발굴 및 저장(연간 200건)


· 저장기술 평가에 따른 기술인출(연간 200건)
기술저장소 구축
· 기술저장소 운영(IP 패키지 및 포트폴리오 구축) 1건
및 운영
· 기술이전·대여 → 로열티 수익 확보 →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정착

- 525 - - 526 -
다. 지역수요기반 기초R&D 지원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가교형 R&D 및 R&BD 과제 발굴(10건)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지역수요기반 · 지역(기업 및 기업지원기관) 융합 R&D 기획 수요 조사
R&D 과제기획 · 기초원천 중심의 지역수요 반영 R&D 기획 지원 대상 과제 선정
· 가교형 R&D 및 R&BD 과제 발굴(10건)
· 지역(기업 및 기업지원기관) 융합 R&D 기획 수요 조사 · 지역 수요 반영 융합 R&D 과제 기획 지원
지역수요기반
R&D 과제기획 · 기초원천 중심의 지역수요 반영 R&D 기획 지원 대상 과제 선정 · 4년차 과제 주관변경(대학·출연연 → 기업) 3건
· 지역 수요 반영 융합 R&D 과제 기획 지원 ‘20 가교형 R&D · 4개 신규과제(1년차) 및 12개 계속과제 지원(국내외 논문: 16
‘16 지원 건)
가교형 R&D
· 3개 신규과제(1년차) 지원(국내외 논문: 3건)
지원 · 5년차 과제 3개 종료

· 공동연구법인설립 대상 기술군 선정 및 기획 · 공동연구법인설립(창업 1건)


산학연 공동 산학연 공동
· 공동연구법인설립(창업 1건) · 1개 신규법인(1년차) 및 3개 계속 지원, 일자리 8개 창출
연구법인 설립 연구법인 설립
· 1개 신규법인(1년차) 설립지원, 일자리 2개 창출 · 5년차 과제 1개 종료

· 가교형 R&D 및 R&BD 과제 발굴(10건) · 4년차 과제 주관변경(대학·출연연 → 기업) 3건


지역수요기반 · 지역(기업 및 기업지원기관) 융합 R&D 기획 수요 조사 가교형 R&D · 5년차 과제 3개 종료
R&D 과제기획 · 기초원천 중심의 지역수요 반영 R&D 기획 지원 대상 과제 선정 지원 · 4개 신규과제(1년차) 및 13개 계속과제 지원(국내외 논문: 17
· 지역 수요 반영 융합 R&D 과제 기획 지원 ‘21 건)
‘17
가교형 R&D
· 3개 신규과제(1년차) 및 3개 계속과제 지원(국내외 논문: 6건) 산학연 공동 · 공동연구법인설립(창업 1건)
지원
연구법인 설립 · 1개 신규법인(1년차) 및 3개 계속 지원, 일자리 8개 창출
산학연 공동 · 공동연구법인사업 계속지원 1건, 일자리 2개 창출
연구법인 설립 · 차년도 공동연구법인설립 대상 기술군 선정 및 기획 · 4년차 과제 주관변경(대학·출연연 → 기업) 3건
가교형 R&D
· 5년차 과제 3개 종료
· 가교형 R&D 및 R&BD 과제 발굴(10건) 지원
‘22 · 14개 계속과제 지원(국내외 논문: 14건)
지역수요기반 · 지역(기업 및 기업지원기관) 융합 R&D 기획 수요 조사
R&D 과제기획 · 기초원천 중심의 지역수요 반영 R&D 기획 지원 대상 과제 선정 산학연 공동 · 5년차 과제 1개 종료
· 지역 수요 반영 융합 R&D 과제 기획 지원 연구법인 설립 · 4개(2,3,4,5년차) 계속 지원, 일자리 8개 창출
‘18
가교형 R&D · 4년차 과제 주관변경(대학·출연연 → 기업) 4건
· 3개 신규과제(1년차) 및 6개 계속과제 지원(국내외 논문: 9건)
지원 가교형 R&D
· 5년차 과제 3개 종료
지원
산학연 공동 · 공동연구법인설립(창업 1건) · 11개 계속과제 지원(국내외 논문: 11건)
‘23
연구법인 설립 · 1개 신규법인(1년차) 및 1개 계속 지원, 일자리 4개 창출
산학연 공동 · 5년차 과제 1개 종료
· 가교형 R&D 및 R&BD 과제 발굴(10건) 연구법인 설립 · 3개(3,4,5년차) 계속 지원, 일자리 6개 창출
지역수요기반 · 지역(기업 및 기업지원기관) 융합 R&D 기획 수요 조사 · 4년차 과제 주관변경(대학·출연연 → 기업) 4건
R&D 과제기획 가교형 R&D
· 기초원천 중심의 지역수요 반영 R&D 기획 지원 대상 과제 선정 · 5년차 과제 4개 종료
지원
· 지역 수요 반영 융합 R&D 과제 기획 지원 ‘24 · 8개(4,5년차) 계속과제 지원(국내외 논문: 8건)

‘19 · 3개 신규과제(1년차) 및 9개 계속과제 지원(국내외 논문: 12 산학연 공동 · 5년차 과제 1개 종료


가교형 R&D 연구법인 설립 · 2개(4,5년차) 계속 지원, 일자리 4개 창출
건)
지원
· 4년차 과제 주관변경(대학·출연연 → 기업) 3건

산학연 공동 · 공동연구법인설립(창업 1건)


연구법인 설립 · 1개 신규법인(1년차) 및 2개 계속 지원, 일자리 6개 창출

- 527 - - 528 -
라. 과학기술 활용 창업지원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4년차 과제 주관변경(대학·출연연 → 기업)


가교형 R&D
· 5년차 과제 4개 종료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지원
‘25 · 4개(5년차) 계속과제 지원 (국내외 논문: 4건)
· 멘토단 구성 완료(1건), On-line 창업내비게이션 구축 완료(1
멘토링시스템구 건)
산학연 공동 · 5년차 과제 1개 종료 축 · One-stop 창업지원센터 지정 완료(1건), 창업 1:1 맨토링(30
연구법인 설립 · 1개(5년차) 계속 지원, 일자리 2개 창출 회)
· 지역수요기반 R&D 연구결과물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1회)
· 전문 투자사에게 평가 받는 ‘데모데이’ 개최(창업경진대회 연
‘16 창업경진대회 계)
추진 · 비즈니스 모델화 지원,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창업1건, 일자리 10
개)
· 우수 사업아이템 발굴(10건)을 통한 R&BD연계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커리큘럼, 교제(5건), 강사진, 교육환경 등 확
과학기술 창업 보
아카데미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개최(대상: R&D과제수행 연구인력)
· 기업가정신교육 50명, 신규법인 1개 지원, 일자리 10개 창출
· 멘토단 관리(1건), 창업내비게이션 관리/운영(1건), 창업지원센터 관리(1
멘토링시스템구 건) 등

· 창업 1:1 맨토링(30회), 창업기획사 설립 or 지정(1건)
· 지역수요기반 R&D 연구결과물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1회)
· 전문 투자사에게 평가 받는 ‘데모데이’ 개최(창업경진대회 연
창업경진대회 계)
‘17 추진 · 비즈니스 모델화 지원,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창업1건, 일자리 10
개)
· 우수 사업아이템 발굴(10건)을 통한 R&BD연계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커리큘럼, 교제(5건), 강사진, 교육환경 등 확
과학기술 창업 보
아카데미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개최(대상: R&D과제수행 연구인력)
· 기업가정신교육 50명, 신규법인 1개 지원, 일자리 10개 창출
· 멘토단 관리(1건), 창업내비게이션 관리/운영(1건), 창업지원센터 관리(1
멘토링시스템구 건) 등

· 창업 1:1 맨토링(30회), 창업기획사 관리(1건)
· 지역수요기반 R&D 연구결과물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1회)
· 전문 투자사에게 평가 받는 ‘데모데이’ 개최(창업경진대회 연
창업경진대회 계)
‘18 추진 · 비즈니스 모델화 지원,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창업1건, 일자리 10
개)
· 우수 사업아이템 발굴(10건)을 통한 R&BD연계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커리큘럼, 교제(5건), 강사진, 교육환경 등 확
과학기술 창업 보
아카데미 · 기업가정신교육 50명, 신규법인 1개 지원, 일자리 10개 창출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개최(대상: 단지내 연구인력으로 확대)
· 멘토단 관리(1건), 창업내비게이션 관리/운영(1건), 창업지원센터 관리(1
멘토링시스템구축 건) 등
· 창업 1:1 맨토링(30회), 창업기획사 관리(1건)
· 지역수요기반 R&D 연구결과물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1회)
· 전문 투자사에게 평가 받는 ‘데모데이’ 개최(창업경진대회 연
창업경진대회 계)
‘19 추진 · 비즈니스 모델화 지원,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창업1건, 일자리 10
개)
· 우수 사업아이템 발굴(10건)을 통한 R&BD연계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커리큘럼, 교제(5건), 강사진, 교육환경 등 확
과학기술 창업 보
아카데미 · 기업가정신교육 50명, 신규법인 1개 지원, 일자리 10개 창출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개최(대상: 단지내 연구인력으로 확대)

- 529 - - 530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멘토단 관리(1건), 창업내비게이션 관리/운영(1건), 창업지원센터 관리(1 · 멘토단 관리(1건), 창업내비게이션 관리/운영(1건), 창업지원센터 관리(1
멘토링시스템구 건) 등 멘토링시스템구 건) 등
축 축
· 창업 1:1 맨토링(30회), 창업기획사 관리(1건) · 창업 1:1 맨토링(30회), 창업기획사 관리(1건)
· 지역수요기반 R&D 연구결과물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1회) · 지역수요기반 R&D 연구결과물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1회)
· 전문 투자사에게 평가 받는 ‘데모데이’ 개최(창업경진대회 연 · 전문 투자사에게 평가 받는 ‘데모데이’ 개최(창업경진대회 연
창업경진대회 계) 창업경진대회 계)
‘20 추진 ‘24 추진
· 비즈니스 모델화 지원,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창업1건, 일자리 10 · 비즈니스 모델화 지원,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창업1건, 일자리 10
개) 개)
· 우수 사업아이템 발굴(10건)을 통한 R&BD연계 · 우수 사업아이템 발굴(10건)을 통한 R&BD연계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커리큘럼, 교제(5건), 강사진, 교육환경 등 확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커리큘럼, 교제(5건), 강사진, 교육환경 등 확
과학기술 창업 보 과학기술 창업 보
아카데미 · 기업가정신교육 50명, 신규법인 1개 지원, 일자리 10개 창출 아카데미 · 기업가정신교육 50명, 신규법인 1개 지원, 일자리 10개 창출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개최(대상: 단지내 연구인력으로 확대)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개최(대상: 단지내 연구인력으로 확대)
· 멘토단 관리(1건), 창업내비게이션 관리/운영(1건), 창업지원센터 관리(1 · 멘토단 관리(1건), 창업내비게이션 관리/운영(1건), 창업지원센터 관리(1
멘토링시스템구 건) 등 멘토링시스템구 건) 등
축 축
· 창업 1:1 맨토링(30회), 창업기획사 관리(1건) · 창업 1:1 맨토링(30회), 창업기획사 관리(1건)
· 지역수요기반 R&D 연구결과물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1회) · 지역수요기반 R&D 연구결과물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1회)
· 전문 투자사에게 평가 받는 ‘데모데이’ 개최(창업경진대회 연 · 전문 투자사에게 평가 받는 ‘데모데이’ 개최(창업경진대회 연
창업경진대회 계) 창업경진대회 계)
‘21 추진 추진
· 비즈니스 모델화 지원,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창업1건, 일자리 10 ‘25 · 비즈니스 모델화 지원,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창업1건, 일자리 10
개) 개)
· 우수 사업아이템 발굴(10건)을 통한 R&BD연계 · 우수 사업아이템 발굴(10건)을 통한 R&BD연계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커리큘럼, 교제(5건), 강사진, 교육환경 등 확
과학기술 창업 보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커리큘럼, 교제(5건), 강사진, 교육환경 등 확
아카데미 · 기업가정신교육 50명, 신규법인 1개 지원, 일자리 10개 창출 과학기술창업 보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개최(대상: 단지내 연구인력으로 확대) 아카데미 · 기업가정신교육 50명, 신규법인 2개 지원, 일자리 10개 창출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개최(대상: 단지내 연구인력으로 확대)
· 멘토단 관리(1건), 창업내비게이션 관리/운영(1건), 창업지원센터 관리(1
멘토링시스템구 건) 등

· 창업 1:1 맨토링(30회), 창업기획사 관리(1건)
· 지역수요기반 R&D 연구결과물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1회)
· 전문 투자사에게 평가 받는 ‘데모데이’ 개최(창업경진대회 연
창업경진대회 계)
‘22 추진 · 비즈니스 모델화 지원,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창업1건, 일자리 10
개)
· 우수 사업아이템 발굴(10건)을 통한 R&BD연계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커리큘럼, 교제(5건), 강사진, 교육환경 등 확
과학기술 창업 보
아카데미 · 기업가정신교육 50명, 신규법인 1개 지원, 일자리 10개 창출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개최(대상: 단지내 연구인력으로 확대)
· 멘토단 관리(1건), 창업내비게이션 관리/운영(1건), 창업지원센터 관리(1
멘토링시스템구 건) 등

· 창업 1:1 맨토링(30회), 창업기획사 관리(1건)
· 지역수요기반 R&D 연구결과물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1회)
· 전문 투자사에게 평가 받는 ‘데모데이’ 개최(창업경진대회 연
창업경진대회 계)
‘23 추진 · 비즈니스 모델화 지원,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창업1건, 일자리 10
개)
· 우수 사업아이템 발굴(10건)을 통한 R&BD연계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커리큘럼, 교제(5건), 강사진, 교육환경 등 확
과학기술 창업 보
아카데미 · 기업가정신교육 50명, 신규법인 1개 지원, 일자리 10개 창출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개최(대상: 단지내 연구인력으로 확대)

- 531 - - 532 -
마. 산학연 기술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1건)
·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사무국 기능 수행(1건) 및 S&T 정책·성과 포럼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S&T 개최
·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사무국 기능 수행(1건) 및 S&T 정책·성과 포럼 정책교류회 · 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1건), 부문별 로드맵 승인, 촉진계획
개최 구성·운영 수립
S&T · 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1건), 부문별 로드맵 승인, 촉진계획 · S&T 정책·성과 교류회 운영(1건)
정책교류회 수립 과학기술교류
구성·운영 · 과학기술진흥 조례 개정: 기획·교류위원회를 상설 위원회로 명 ‘20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운영(1건)
문화 온라인 플랫폼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Book cafe 설치/운영(1건)
· S&T 정책·성과 교류회 구성(1건) 구축
‘16 과학기술교류 · 네크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역할 수행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설계(1건) 중소기업 기술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 연계협력
온라인 플랫폼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Book cafe 설치/운영(1건)
구축 네트워크 구축지원 · 지역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 참여
· 네크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역할 수행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1건)
중소기업 기술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 연계협력 ·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사무국 기능 수행(1건) 및 S&T 정책·성과 포럼
네트워크 구축지원 · 지역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 참여 S&T 개최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1건) 정책교류회 · 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1건), 부문별 로드맵 승인, 촉진계획
구성·운영 수립
·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사무국 기능 수행(1건) 및 S&T 정책·성과 포럼
개최 · S&T 정책·성과 교류회 운영(1건)
S&T · 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1건), 부문별 로드맵 승인, 촉진계획 과학기술교류
수립 ‘21 온라인 플랫폼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운영(1건)
정책교류회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Book cafe 설치/운영(1건)
구성·운영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 구축
(사업분야: 기술개발, 전문인력 육성, 중소기업 컨설팅, 마케팅 등)
· 네크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역할 수행
· S&T 정책·성과 교류회 운영(1건) 중소기업 기술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 연계협력
‘17 과학기술교류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구축(1건) 네트워크 구축지원 · 지역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 참여
온라인 플랫폼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Book cafe 설치/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1건)
구축 ·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사무국 기능 수행(1건) 및 S&T 정책·성과 포럼
· 네크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역할 수행 S&T 개최
중소기업 기술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 연계협력 정책교류회 · 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1건), 부문별 로드맵 승인, 촉진계획
네트워크 구축지원 · 지역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 참여 구성·운영 수립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1건) · S&T 정책·성과 교류회 운영(1건)
·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사무국 기능 수행(1건) 및 S&T 정책·성과 포럼 과학기술교류
S&T 개최 ‘22 온라인 플랫폼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운영(1건)
· 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1건), 부문별 로드맵 승인, 촉진계획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Book cafe 설치/운영(1건)
정책교류회 구축
구성·운영 수립
· 네크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역할 수행
· S&T 정책·성과 교류회 운영(1건)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 연계협력
중소기업 기술
과학기술교류
‘18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DB 구축(1건) 네트워크 구축지원 · 지역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 참여
온라인 플랫폼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Book cafe 설치/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1건)
구축 ·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사무국 기능 수행(1건) 및 S&T 정책·성과 포럼
· 네크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역할 수행 S&T 개최
중소기업 기술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 연계협력 정책교류회 · 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1건), 부문별 로드맵 승인, 촉진계획
네트워크 구축지원 · 지역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 참여 구성·운영 수립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1건) · S&T 정책·성과 교류회 운영(1건)
·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사무국 기능 수행(1건) 및 S&T 정책·성과 포럼 과학기술교류
개최 ‘23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운영(1건)
S&T 온라인 플랫폼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Book cafe 설치/운영(1건)
· 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1건), 부문별 로드맵 승인, 촉진계획
정책교류회 수립 구축
구성·운영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 · 네크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역할 수행
중소기업 기술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 연계협력
· S&T 정책·성과 교류회 운영(1건)
‘19 과학기술교류 네트워크 구축지원 · 지역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 참여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운영(1건)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1건)
온라인 플랫폼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Book cafe 설치/운영(1건)
구축 S&T ·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사무국 기능 수행(1건) 및 S&T 정책·성과 포럼
· 네크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역할 수행 ‘24 정책교류회 개최
중소기업 기술 · 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1건), 부문별 로드맵 승인, 촉진계획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 연계협력 구성·운영
네트워크 구축지원 · 지역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 참여 수립

- 533 - - 534 -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S&T 정책·성과 교류회 운영(1건)
과학기술교류 가. 대구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추진전략 및 체계
온라인 플랫폼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운영(1건)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Book cafe 설치/운영(1건)
구축
□ 추진전략
· 네크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역할 수행
중소기업 기술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 연계협력
네트워크 구축지원 · 지역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 참여 • 기초연구성과의 활용도 제고 및 대구과학기술역량 강화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1건) 사업목표
·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사무국 기능 수행(1건) 및 S&T 정책·성과 포럼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및 창업기획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S&T 개최
정책교류회 · 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1건), 부문별 로드맵 승인, 촉진계획
구성·운영 수립
· S&T 정책·성과 교류회 운영(1건)
과학기술교류
‘25 온라인 플랫폼 ·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운영(1건)
· 과학기술교류 오프라인 상설 Book cafe 설치/운영(1건)
구축
· 네크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역할 수행
중소기업 기술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 연계협력
네트워크 구축지원 · 지역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 참여
· 특화산업분야 별 산·학·연·금융 네트워크 활용 사업 수행(1건)
추진전략

대구광역시 • 영남권 R&D허브 구축 • 산학협력 기술지원 체계구축


과학기술 • 섬유산업 고부가가치화 • 미래형 자동차부품산업 연구기반 확충
진흥계획 • ICT융합 신산업 창출 • 기계금속·로봇·소재부품 등 기반산업 육성
(주요시책) • 그린에너지산업 기반조성 •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및 건강의료산업 육성

□ 추진방법

ㅇ 수요조사 방법 : 구조화된 질문지(Structured Questionnaire)를 활용한 직접면접조


사(face- to-face interview), E-mail, Fax 등을 이용한 정보통신조사를 병행 실시
ㅇ 수요조사대상 : 조사시점 기준 현재 대구 광역시에 소재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부설연구소 등록기업과 미등록 기업(일반기업)으로 구분하여 조사
ㅇ 조사내용 : 재무 및 종사자 현황, 연구개발 활동 현황 및 성과, 기술혁신 및
기술이전 지원방안, R&D수주 현황 등으로 크게 구분
ㅇ 조사기간: 2014년 1월 24일부터 3월 21일까지 실시됨.
- 535 - - 536 -
□ 추진체계 나. 세부사업별 추진전략, 방법 및 추진체계

1)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 추진전략

ㅇ 대구지역의 연구개발성과물인 지식재산권을 활용한 사업화 및 상용화 활


성화지원 기반 구축
ㅇ 대구지역의 연구개발성과물인 지식재산권의 조사를 통한 우수기술 및 수
요기술 발굴
ㅇ 기술이전 및 기술거래활성화 지원을 가교형R&D지원 및 산학연 공동연
구법인 지원과 연계하여 지역의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추진조직 기능 및 역할

• 사업 총괄 추진
미래창조과학부
• 사업추진에 따른 예산지원

한국연구재단 • 지방과학진흥센터 사업 평가 및 사후관리

• 지자체 예산 지원 □ 추진방법
대구광역시 • 정책자문 및 주요사항 심의
• 연구개발지원단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ㅇ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사업
­ 지역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탐색하고 추가적으로 국내·외 공
• 사업계획 수립 등의 운영사업 수행
급자로부터 확보
• 지역 내 연구기관, 기업체, 대학과의 협력체계 구축
• 지역수요맞춤형 R&D사업 발굴·기획 및 정책수립 지원 ­ 특허 유지비 50% 지원을 통해 기술저장소로 유인하며, 향후 라이센싱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
(사업주체) • 지역 R&D 사업에 대한 평가·관리 및 성과관리 등을 통한 수익 발생시 일정액 환수
• 자체평가위원회 운영(사업추진 평가 및 방향 제시) ­ 지역내 지식재산 공급자가 보유한 지식재산에 대한 스크린 평가를 통해
• 기술 협의회 운영(R&D 사업에 대한 기술 자문 등) 즉시 사업화 가능기술, ‚추가 R&D 필요기술, ƒ시장가치 및 기술수명
만료 기술로 분류
­ 상기 분류한 기술(즉시 사업화 가능기술, ‚추가 R&D 필요기술)에
- 537 - - 538 -
대해 기술저장소에 저장 2) 지역수요기반 기초R&D지원 사업
­ 매년 200개의 특허를 저장하고, 5년 후부터는 저장하는 양만큼 인출하
여 1,000개 특허를 저장 □ 추진전략

ㅇ 대구광역시 미래신성장동력분야의 가교형 R&D과제 발굴 및 기획


ㅇ 발굴한 가교형 R&D과제의 평가 및 선정 후 수행기관 모집
ㅇ 기술이전 및 거래지원을 사업화 연계 지원으로 기업 경쟁력 제고

ㅇ 기술중개기능 활성화 사업
­ 즉시 사업화 가능기술에 대한 SMK작성
­ 저장된 기술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유사특허간 패키지화 수행
­ 기술이전 전문기관을 활용하여 저장된 기술에 대한 기술이전 및 임대
수행

□ 추진방법
□ 추진체계
ㅇ 지역수요기반 R&D사업 기획과제 도출 프로세스

- 539 - - 540 -
ㅇ 추진경과 □ 추진체계
­ ‘13.10.08∼10.24 :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수요조사 제안서 공모 공고
­ ‘14.1.24∼3.21 : (수요조사)지역기업 R&D활동현황 조사분석
­ ‘14.4. : 내부 전문가 제안서 평가
­ ‘14.4.∼’14.6. : R&D 기획과제 계획서 작성 (우선지원과제 요약서 첨부)
­ ‘14.7. : 미래창조과학부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반영

ㅇ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기획
­ 지역 특화 분야 기초-광역선도 가교형 R&D 과제 발굴·기획,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용 원천기술 발굴
­ 가교형 R&D 및 R&BD 과제 발굴 :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을 통해 완료
된 기초 R&D 과제 혹은 지역대학 및 출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
술 중 지역기업이 활용 가능한 가교형 R&D 과제 및 R&BD 과제 발굴
­ 지역 수요 반영 R&D 기획 : 지역 대기업, 중소기업, 연구소, 이공계 대
학 등의 수요조사를 통해 핵심 R&D 및 R&BD 과제 선정·기획
3) 과학기술 활용 창업지원 사업
지역 수요 기반 가교형 R&D 기획 프로세스
□ 추진전략

ㅇ 창업프로세스 표준화 및 창업지원센터 지정, 창업기획사 설립 지원


등을 통한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의 창업 거점기능 확보
ㅇ 기술저장소 등을 활용한 지역 원천․기초 특허에 대한 사업성, 시장성 평가를
ㅇ 지역수요 기반 가교형 R&D 수행
통한 우수 창업 아이템 및 창업자 발굴
­ (과제 규모) 과제당 매년 2~3억원 이내에서 5년간 지원
ㅇ 개별 추진사업을 통한 창업 진행 프로세스별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 (수행 방식) 중소기업네트워크나 연구개발협동조합이 아닌 연구팀인 경
우 스위칭 방식을 도입하여 연구성과 제고
­ 1~3차년도(대학·출연연 주관), 4~5차년도(기업 주관)
­ 가교형 R&D 성과는 테크노파크와 연계하여 광역경제권선도사업 및 신
지역특화사업(산업부)으로 선정 추진하여 산업화 추진

ㅇ 산학연 공동연구법인을 통한 지역수요기반 R&BD 수행


­ 원천기술 중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출연(연)과
그 기술의 수요자인 지역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과 자본을 출자하여 법인
설립
­ 공동연구법인의 후속연구개발비를 지원, 5~10년간 매년 5억원씩 지원
­ 매년 1개의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

- 541 - - 542 -
□ 추진방법
<교육 프로세스>
ㅇ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 [1단계] 문제해결 능력 배양
­ 멘토단 구성 및 관리: 창업지원을 위해 투자가, 기업체 CEO, 법률 및 ㆍ최첨단 과학기술 분야의 트렌드 강의
회계 전문가 등으로 멘토단 구성 ㆍ융ㆍ복합적인 문제해결 사고방식 개선
­ On-line 창업내비게이션 구축: 창업 프로세스 로드맵을 입체적으로 제 ㆍ기업가 정신교육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공하는 시스템 탐색 능력 배양

­ One-stop 창업지원센터 지정: 지방과학연구단지 센터 내에 엔젤, 멘토


[2단계] 팀별 맞춤형 강의
및 지원기관(정부 및 공공기관) 등을 입주시켜 예비창업자에 대한 종합
ㆍ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팀 결성
적 서비스 제공
ㆍ맞춤형 강사와 벤처캐피탈을 초청, 팀별
교육/멘토링/컨설팅 제공

[3단계] 인큐베이팅
ㆍ팀 단위 비즈니스 모델 완성 및 발표

ㅇ 창업 기획사 설립·지원(창업 기획 운영비 및 시설 제공)


­ 예비창업자를 모집하여 투자와 지분취득, 멘토링 및 교육, 최종적으로 □ 추진체계
엔젤과 투자자들에게 창업가들의 결과물을 선보이고 투자를 유치하도록
돕는 역할 수행
ㅇ 특허 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 창업기획사 주관으로 지역수요기반 R&D
등의 연구결과물을 활용하는 창업경진대회 추진
­ 일정기간 집중적 1:1 멘토링 및 교육을 통해 사업아이템을 개발하고
‘데모데이’를 통해 투자사 등에게 평가 받는 기회 제공
­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한 권리화(로펌 활용 등) 지원
­ 우수 사업아이템은 R&BD 자금 제공, 지역 내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
ㅇ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R&D 과제 수행 연구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시
작하여 단지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으로 확대
­ (참여 기관) 과학연구단지협의회, 과총지역연합회, 대학이나 산학협력선
도대학 내 기업가정신센터
­ (참여 대상) R&D 과제수행 연구인력→단지내 연구인력→청년 창업 희
망자로 확대
­ (추진 전략) 속성코스 또는 12~16주 코스로 진행

- 543 - - 544 -
4) 산학연 기술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ㅇ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 동일 산업분야 내에서 대학 및 연구기관, 중소기업, 대기업 및 투자기관
□ 추진전략 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과 연구개발프로그램 참여시 우대
­ 기술개발, 전문인력 육성, 중소기업 컨설팅, 판로개척 및 마케팅 등 중
소기업 애로 해결에 지원금 활용
­ 네트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등 네트워크 감독
매니저 역할 수행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와 연계 협력
­ 중소기업 네트워크 차원에서 지역별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에 참여

□ 추진체계

□ 추진방법

ㅇ On·Off Line S&T 정책교류회/포럼 운영


­ (대구과학기술진흥 조례 개정) 대구과학기술진흥 조례 개정을 통해 대구
SP가 지역 R&D 전담기관으로써 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사무국 기
능 수행
­ 대구과학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기능 : 지방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
련, 지역 과학기술교육 정책 수립, 과학문화 확산 정책 수립, 과학기술
인력 수급계획 수립 등

ㅇ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 지역과학기술진흥 정책 수립·실행에 대한 정보제공, 의견교환 등이 가능
한 온라인 정책교류 장 구축
­ 지역 R&D 전담기관인 대구SP에서 운영하고 지역 주요 기관이 참여하는 쌍
방향 소통이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 (정보제공) 지방과학기술진흥로드맵, S&T 정책교류회 회의·토론 내용,
지역 내 과학기술 인력 채용정보 등
­ (토론방) 지방과학기술진흥로드맵 실행 계획, 가교형 R&D 과제 기획,
연구과제 수행 시 문제점 등에 대한 토론 및 해결책을 논의하는 장
- 545 - - 546 -
나.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2) 타 사업과의 연계방안

1)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 테크노파크사업 등 타 R&D사업과의 연계

ㅇ 지역수요기반 R&D와 연계성강화를 위해 TP가 추진하는 광역선도 R&D


등 다양한 상용화사업과 연계를 통해 지역 내 사업화 단계별 프로세스 정립
ㅇ 대구TP가 수행하는 사업과 공유 가능할 경우, 사업 프레임을 공유(예,
□ 1단계: 국가규모의 기술저장소 구축 및 대구지역 지식재산권 입력 수행 지식발명박람회 vs 창업경진대회, 기술거래소 DB 공유 등)

□ 2단계: 스크린 평가를 통해 추가 R&D필요기술, 즉시 사업화 가능기술,


폐기 기술로 구분
□ 3단계: 추가 R&D필요기술은 가교형 R&D지원사업 및 공동연구법인으로 연계수행 □ 연구개발특구, 과학비즈니스벨트 등 타지식재산권사업과의 연계

□ 4단계: 즉시 사업화 가능기술은 창업기획사업과 연계하여 수행


□ 5단계: 유사기술패키지화 및 SMK 작성을 통해 기술이전사업 수행
□ 6단계: 매년 추가적인 지역 지식재산권 발굴/입력 및 스크린평가를 통해
폐기 기술로 판단이 되면 기술저장소에서 퇴출함.
□ 7단계: 가교형 R&D지원사업의 결과물을 기술저장소에 등록하여 스크린평가

ㅇ 국가규모의 기술저장소를 구축하여 현재 연구개발특구등에서 운영하고 있


는 개별기술저장소 시스템을 통합함.
ㅇ 대구SP에서는 대구지역의 기술에 대한 SMK작성 및 DB입력을 수행함.
ㅇ 입력된 지역별 기술을 바탕으로 스크린평가를 실시하여 즉시 사업화가능
기술, 추가R&D필요기술, 폐기기술로 구분하여 본 사업에 활용함.
ㅇ 저장된 기술들을 바탕으로 TP, TLO, 특구 등에서 수행중인 관련사업에서
기술저장소 DATA 공동 활용가능함.

- 547 - - 548 -
□ 미래부 내 사업과 연계 5. 기대효과
ㅇ 지역과학기술진흥로드맵 수립, 지역R&D 기획 시 연지단사업과 연계
세부사업 기대효과

ㅇ대구지역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를 통한 기초연구성과의 활용도 제고


ㅇ과거의 단순 특허기술 이전에서 대학 및 공공기관의 기초원천기술
과 지역 유망산업 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현장지향형 기술이전 시행
ㅇ대학 및 공공기관의 보유기술을 산업체가 구매하는 기술이전의 선
순환 고리를 제공
ㅇ대구과학연구단지(Science Park)의 TLO 역할의 계기 마련
ㅇ대구지역 지식재산권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한 지역 R&D의 역량
분석 및 소요기술분야 발굴을 통해 R&D정책수립 및 신규 R&D사
지식재산
업 기획을 위한 원천자료로 활용
활용도
ㅇ대구지역 내 기업에서 수행하는 R&D 활동 결과물인 지식재산권에
제고사업
대한 현황의 정확한 파악으로 대구지역 수요 맞춤형 R&D정책 및
과제 기획 지원
ㅇ기술저장소 기술저장 1,000건, 10년간 기술이전 실적 100건 예상
ㅇ정량적 효과 (기술이전 중심)
· (생산증대효과)이전목표 × 사업화성공률 27% × 미래부 신규과
□ 산업부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 연계 제당 평균매출 8.8억원 → 100건 × 27% × 8.8억원 = 237.6억원
ㅇ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추진 중인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 등 이미 · (고용유발효과) 매출증가액 ÷ 2.7억당 1명 일자리 창출 → 237.6
구성되어 있는 지역 기술협력네트워크 활용하여 수요조사 결과물 공유, 억원 ÷ 2.7억원 = 88명
관련 연구자정보, 기술동향 정보제공 및 공동 기술마케팅 실시 ㅇ지역 혁신주체(대학, 연구소, 기업)의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발굴
ㅇ 기존 산업부 사업(TP 수행)의 사업화를 위한 기술개발 요구에 따라 R&D를 수 및 산학연 공동연구과제 기획으로 지역기반 우수연구성과물 창출
행하는 Market pull 방식의 R&D와 함께 미래부 사업(SP수행)에서는 기존의 ㅇR&D 성과물인 특허를 기반으로 창업기업 10개, 일자리 250개 등
기술을 사업화 할 수 있도록 Technology Push하는 방식의 R&D를 사용함을 통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
해서 정부는 2 Track방식(Market pull, Technology Push)에 의한 R&D지원이 ㅇ지역 수요 기반 R&D 발굴을 통해 지역 기초연구 및 지역 중소기업
가능함. 지역수요기반 R&D 지원정책 자료로 활용
기초R&D ㅇ국내·외 특허 100건, 논문 100편
지원사업 ㅇ정량적 효과 (가교형 R&D,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중심)
[가교형 R&D 지원 20건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5건 = 25건 기준]
· (생산증대효과) 목표건 수 × 대구지역 부설연구소 등록기업 평균매출
대비 10% → 25건 × 268.9억원 × 10% = 672억원
· (고용유발효과) 매출 증가액 ÷ 2.7억당 1명 일자리창출 → 672억원
÷ 2.7억원 = 249명
ㅇ과학기술 창업지원을 통한 창업 및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
ㅇ정부지원 창업활성화사업 전반에 대한 효율적 사업수행 및 성과제고

- 549 - - 550 -
ㅇ창업컨설팅 지원등을 통해 우수연구개발 결과의 산업적 성과 확산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에 기여
ㅇ지역의 기업가정신 의욕을 고취하고 실제적인 창업으로 이끌어 □ 사업비 총괄표
청년 실업문제 해결과 나아가 지역벤처 활성화제고 (단위 : 백만원)
과학기술
ㅇ11개 기업창업, 일자리 250개 창출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합 계
활용
ㅇ정량적 효과
창업지원 국비 2,121 2,683 3,269 4,230 5,360 5,559 4,678 4,171 3,290 2,240 37,600
· (생산증대효과) 배출인원 × 창업성공률 10% × 생존율 30% × 대구지
사업 지방비 610 530 550 570 590 560 560 560 560 560 5,650
역 부설연구소 미등록기업 평균매출 → 500명 × 10% × 30% ×
민 간 294 588 756 1,050 1,400 1,456 1,163 994 700 350 8,750
54.9억원 = 823.5억원
· (고용유발효과) 매출 증가액 ÷ 2.7억당 1명 일자리 창출 → 823.5 합계 3,025 3,800 4,575 5,850 7,350 7,575 6,400 5,725 4,550 3,150 52,000

억원 ÷ 2.7억원 = 305명
ㅇ산학연 기술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세부사업별 사업비
ㅇ과학기술위원회(대구시), S&T 교류회(오프라인), 과학기술 교류시
스템(온라인) 등 3개의 온-오프라인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ㅇ대구시 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 수립 및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사무국 (단위 : 백만원)
운영으로 지역 R&D 총괄관리체계 구축과 운영체계 마련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ㅇ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의 대구지역 R&D 전담조직으로서의 위상강화 국비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0
기술
ㅇ지역내/외 신사업 공동기획 등 연계 네트워크 구축 지방비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0
중개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ㅇ연구개발 지원기관으로서 지역 내 유관기관과의 연계 협력을 통해
기술 국비 400 80 160 240 320 400 400 400 400 400 3,200
R&D 기획 협력 체제 구축
저장소 지방비 100 20 40 60 80 100 100 100 100 100 800
ㅇ지역내 연구관련 정보제공으로 지역기업의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유도 구축 계 500 100 200 300 400 500 500 500 500 500 4,000
ㅇ지역외 연구기관 및 기업의 지역내 R&D 정보습득 용이성 확보 및 합 계 800 400 500 600 700 800 800 800 800 800 7,000
산학연 기술 연계협력 강화
네트워크 ㅇ현장맞춤형 문제해결 및 지역 내 연구개발사업 수행자 중심의 연구
활성화 사업 환경 조성을 위한 애로요인 및 수요의 지속적 발굴 및 해결 ○ 지역수요 기반 기초R&D 지원사업
ㅇ주기적인 정책동향 등의 정보제공으로 지역 내 기업들의 중요정보 (단위 : 백만원)
접근성 향상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ㅇR&D 수행단계의 혁신주체 간 협력과 R&D 활동의 전주기적 교류·
국비 50 50 50 50 50 0 0 0 0 0 250
협력으로 R&D 성과율 제고 R&D
과제 지방비 50 50 50 50 50 0 0 0 0 0 250
ㅇ정책 입안 및 기획 수립단계에서 교류·협력을 통해 지방 과학기술 기획
계 100 100 100 100 100 0 0 0 0 0 500
생태계를 최적화할 수 있음
국비 506 1013 1519 2025 2700 2869 2363 1856 1350 675 16,875
ㅇ산·학·연 협력체제 구축으로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여 기업 혁신역 가교형
민 간 169 338 506 675 900 956 788 619 450 225 5,625
량 강화 R&D
계 675 1,351 2,025 2,700 3,600 3,825 3,151 2,475 1,800 900 22,500
ㅇ산·학·연 협력체제를 활용하여 가교형 R&D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은 산학연 국비 375 750 750 1125 1500 1500 1125 1125 750 375 9,375
공동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상용화 기술과 대학 및 출연(연)에서 민 간 125 250 250 375 500 500 375 375 250 125 3,125
연구
기초·원천 연구와 미스매칭 비율 최소화 법인 계 500 1,000 1,000 1,500 2,000 2,000 1,500 1,500 1,000 500 12,500
합 계 1,275 2,450 3,125 4,300 5,700 5,825 4,650 3,975 2,800 1,400 35,500

- 551 - - 552 -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 과학기술 창업지원 사업
(단위 : 백만원) 구분 사업결과 활용방안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ㅇ대구지역 특허 등 기술DB를 누적하여 특화산업 발
국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굴과 지속적인 기술사업화에 활용
멘토링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ㅇ타 지방 연구단지와의 정보공유를 통해 전국적인
시스템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기술저장소 기술이전 체계를 마련에 활용
지식재산 활용도
국비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0 /기술SMK ㅇ정보탐색을 통한 기술거래/중개 및 우수기술 홍보
창업 제고 사업
경진 지방비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0 공간으로 활용
대회
계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0 ㅇ지역 기술의 전국적인 기술마케팅 및 기술수요 발굴
국비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0 공간으로 활용
창업
아카 지방비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0 신규기획과제 ㅇ지역특화산업에 대한 지속적 연구아이템을 제공하고,
데미
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발굴 이를 통한 국비 및 협업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

합 계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0 ㅇ가교형 R&D에 참여하는 기업의 신규사업 발굴 아
가교형 R&D를
이템으로 활용
통한 사업화
지역수요기반 ㅇ보유된 기술을 근간으로 연관기술을 개발/응용하여
결과물
기초R&D 다양한 사업화 기회로 활용
○ 산학연 기술 네트워크 구축 사업
(단위 : 백만원) 지원사업 ㅇ기술중심 산학연연구법인의 성공모델을 통한 기술
이전 및 신규창업지원 성공모델을 구축하고 보급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산학연
하여 서너지 창출
국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연구법인 설립
S&T ㅇ설립된 기술중심 산학연연구법인을 통해 추가적인 기술
정책 지방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이전을 시행하여 다양한 기술의 사업화 접목에 활용
교류회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ㅇ창업아카데미를 통해 배출된 예비창업자와 기술이
중소 국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예비창업자 전 DB를 연계하여 창업에 활용
기업
지방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과학기술 활용 발굴 ㅇ배출된 예비창업자는 기존 대구과학연구단지 네
네트
워크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창업지원 사업 트워크와 연계하여 다양한 사업화 기회를 제공
합 계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0 창업전문가 ㅇ본 사업으로 구성된 창업플래너 및 컨설턴트는 대구
Pool 과학연구단지의 지속적 사업 자문조직으로 활용
정책기획
ㅇ대구과학연구단지의 성공적인 2단계 사업수행을 위
전문가
해 지역정책 및 사업방향수립의 지원조직으로 활용
네트워크
산학연 기술 ㅇ기업 기술이전 및 과제발굴을 위한 수요와 협력을
네트워크 활성화 과학기술교류 위한 지원조직으로 활용
사업 온라인 플랫폼 ㅇ지역 과학·산업의 생태계조성을 위한 정책 아이디어
제공조직으로 활용
특화산업별 ㅇ각 특화산업별 과학기술 발전방향에 대한 수립과 이
네트워크 를 연계한 세부기술의 기획 및 평가조직으로 활용

- 553 - - 554 -
8. 연구원 편성표 첨부 I 가교형 R&D 및 산학공동연구법인 후보과제 리스트

과제명 직급별 참여연구원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과제
출연 국공 산업 기술 TRL 산업 중점
구분 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수석 책임 선임 원급 기타 계 대학 기타 계 연구제목 기술명
(연) 립(연) 계 보유기관 분류 분야 분야
대구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2단계)
총괄 대구테크노파크 1 - 3 4 2 10 - - - - 10 10 양자점 기반의
황우익 용액공정형 OLED 광역선도 신소재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 1 용액공정형 디스플레이 경북대학교 3
소자 기술 개발 연계 나노융합
백플레인 핵심기술 개발
위탁
폐암 조기 진단을 위한 초소형 광학식 화학
경북대학교,
합 계 1 0 3 4 2 10 0 0 0 0 10 10 초소형 광학식 물질 검출 기술, 센서 지방과학
2 반도체 3 의료산업
바이오마커 센싱 시스템 공정 기술, 바이오 기술진흥
융합연구원
개발 모니터링 기술

고속회전체의 기구학적
외과 수술용 Saw
설계기술 및 Saw 지방과학
3 Handpiece 시스템의 경북대학교 2,3 의료산업
Handpiece의 성능 기술진흥
원천 최적설계기술 개발
최적화 기술

초경량 능동 보행이 능동 보행이 가능한


지방과학
4 가능한 이동형 하지 보행 초경량 이동형 하지 한국기계연구원 4 의료산업
기술진흥
기기 보행 기기 외

모바일 공개 헬스 데이터 Mobile Open Health 미국 지방과학


5 3 의료산업
분석 Data Analytics OSehra.org 기술진흥

수술용 현미경 부착형


지방과학
6 100 mm 간격 광단층 광간섭 단층촬영기술 경북대학교 3 의료산업
기술진흥
현미경개발

U-Healthcare를 위한
flexible한 인체 부착형 다종 유연전자소자 및 나노 경북대학교,반도 지방과학
7 3 의료산업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기초 기반 분자처리 기술 외 체 융합연구원 기술진흥
원천 기술 개발

친환경 고효율 GaN 기반 GaN 에피 성장 기술, 메카트로


지방과학
8 전력소자 및 전력변환 IC 고전력 동작용 GaN 경북대학교 3 기술진흥 닉스산업
기술 개발 소자 제조 기술

차세대 컴프레셔
핵심부품 가공을 위한 고속 고밸런싱 지능형 대구기계부품연 생산공정
9 3 신특화
스크롤전용 절삭가공기계 스핀들 유니트 외 구원 기계
핵심 유니트 연구 개발

도로정보 기반 센티언스 도로 환경 모델링 및


지방과학 메카트로
10 하이브리드 에너지 관리 도로 정보 수집을 위한 계명대학교 3
기술진흥 닉스산업
기술 개발 기술 개발

지방과학
11 분자진단기술 사업화 분자진단 원천기 경북대학교 3 의료산업
기술진흥

- 555 - - 556 -
첨부 II 가교형 R&D 후보과제(1, 2, 3 순위) 요약문 〈 요 약 문 〉

연구사업명 신경-근-골격 모델 연동형 능동 보행이 가능한 이동형 경량 하지 보행 기기

〈 요 약 문 〉
○ 기 술 명: 외골격형 다축 상지 재활 로봇
선행
연구사업명 양자점 기반의 용액공정형 디스플레이 백플레인 핵심기술 개발 기초·원천기술 ○ 기술내용: 4축 직렬 기구부와 3축 병렬 기구부의 결합된 상완 재활부 및
4축 수지부의 총 11축 재활 로봇의 기구부 설계
○ 기 술 명: 용액공정형 OLED 소자 기술 개발
선행 ○ 11 Kg 이하의 경량으로서, 고관절, 무릅 관절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형 하지 보
기초·원천기술 나노결정 양자점 기반의 Active-Matrix형 QLET 원천기술 행 기기 개발
○ 기술내용:
○ 자중과 보행패턴의 관성을 사용한 구동 메카니즘과 액추에이터가 혼재하되, 관성
○ 차세대 무기형 발광 나노소재 기술, 정공 및 전자의 이동도 특성이 우수한 전하전달 구동 메카니즘이 액추에이터의 30% 이상의 비율로 구동됨.
연구목표 층용 나노소재 합성기술 기반으로 QLET (quantum dots based light-emitting ○ 선형 종속 기구에 의한 하나의 액추에이터로 두 개의 관절을 동시에 구동할 수
transistor)원천기술을 확보 연구목표 있는 동역학 전달 매카니즘 및 두께 4cm 이하, 감소비 1:40 이하, nominal
○ 높은 양자효율을 갖는 발광 및 전하공통층 나노소재 합성 기술 개발 torque 25[Nm] 이상의 박막형 통합구동기 개발.
○ 잉크젯 프린팅 등의 기술을 활용한 용액공정 기반의 고휘도 면발광소자 기술 확보 ○ 환자의 신경-근-골격 모델를 기반으로 보행자의 의지를 반영하여 보행 패턴의
연구내용 변화를 지원하는 제어 유닛의 개발
○ 발광소자의 구동특성 최적화를 위한 transistor 디자인 설계 및 공정기술 개발
○ 장기안정도 특성이 우수한 active-matrix형 QLET 기술개발을 위한 융합기술 확보 ○ 운동계/신경계 하지 재활, 보행 지원, 보행자 의도 파악, 면하장치 및 트레드밀
연동형 구동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 개술의 개발
○ 1차년도 ○ 경량 하지 보행기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새로운 액추에이터 하나로 4개의 관절(고
- QLED, OTFT 소자 제작을 위한 나노소재 기반 공통층 및 발광 양자점 합성 기술 개발 관절, 발목관절)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구동 메카니즘(“선형 종속 기구“)임.
- 나노소재 기반 QLED 제작을 위한 용액공정 최적화 및 단일 픽셀 고효율화 기술 확보 ○ 환자의 신경-근-골격 모델을 개발하여 환자 맞춤형 보행 패턴 생성 및 보행 지
- 나노소재 기반의 OTFT 디자인 설계 및 소자 제작 기술 개발 연구내용
원 기술을 개발함.
○ 2차년도 ○ 기구학적으로 환자의 자중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기계적 구동 메카니즘
- 나노소재 기반 소재 합성 최적화 및 양자점 효율 극대화 기술 개발 기술의 개발
- R/G/B 마이크로픽셀 어레이 공정 기술 개발을 통한 QLED 소자 제작
- 채널 length 최적화를 통한 고성능 OTFT 소자 제작 기술 개발 ○ 1차년도
연차별 - 환자 맞춤형 근-골격 모델 개발
○ 3차년도
연구내용 - 하지 보행 기기 프로토타입 개발 (4개의 액추에이터 사용)
- 잉크젯용 발광소재 합성 및 성막 기술개발
○ 2차년도
- 게이트 전압에 따른 발광 특성 제어 기술 개발 및 면발광 특성 최적화
- 근-골격 모델 기반 환자 맞춤형 하지 보행 패턴 자동 생성 기술 개발
○ 4차년도
- 하지 보행 기기 프로토타입 개발 (2개의 액추에이터 사용)
- 나노소재 대량 합성법 기반 기술 확보 및 QLET 동작 특성 최적화 ○ 3차년도
- QLET의 멀티픽셀 면발광 특성 확보 및 신뢰성 연구 연차별
- 면하 장치 및 트레드밀 연동형 하지 보행 재활 시스템 개발
연구내용
○ 5차년도 - 신경-근-골격 모델 연동형 하지 보행기기의 제어 유닛 개발
- 멀티픽셀 QLET의 소재 적합성 및 R/G/B 개별소자 패키징 기술 개발 ○ 4차년도
- 멀티픽셀 어레이형 QLET 시제품화 - “선형 종속 기구”사용 하지 보행 기기 프로토타입 개발 (1개의 액추에이터 사용)
- 환자 보행 패턴 정량화 평가 및 기록 시스템 개발
○ 능동형 대형 디스플레이 제작 기술 향상 ○ 5차년도
○ 평판형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 새로운 제품군 창출 - 보행 보조 장치 연동형 하지 보행 지원 시스템 개발
○ 시장 정체기인 LCD 사업, 양산수율 저하에 따른 OLED 판매량 극복이 가능한 디 - 사용자 편의성 향상 기술 개발
기대효과 스플레이 시장 확보 ○ 국내 연간 9만명의 뇌졸중 환자발생 및 2007년 지체 장애인 110만명 등록, 2008년
○ 고해상도 정보디스플레이 제조 기술 확보를 통한 완제품 장비, 소재 관련 기업 노인인구 500만명, 2026년 65세 이상 노인인구 20%라는 현실을 감안할 때 앞으로
활성화 기대효과 재활치료로봇의 국내 시장규모는 급격한 확대가 예상되며, 나아가 미국 일본 등 선진
○ 소재 및 소자 전문인력 인프라 구축 가능 국의 경우 국내 대비 20배 이상의 시장규모임을 고려할 때 직접적 (로봇시스템 설치
및 관리, 소모품) 또는 간접적 (의료비 및 인건비 경감) 경제기대효과는 막대함
핵심단어
양자점, 나노소재, 전계발광소자, 유기전계발광트랜지스터, 잉크젯 프린팅 핵심단어 경량 하지 보행 기기, 신경-근-골격 모델 연동, 환자 맞춤형 보행 패턴 지원
(5개 이내)
(5개 이내) 이동형 보행 지원 기기, 통합 재활 로봇 플랫폼

- 557 - - 558 -
〈 요 약 문 〉 첨부 III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계획서 요약문
연구사업명 미래형 고령친화 복지자동차 핵심기술 개발

○ 기 술 명: 센티언스 기술 연구개발과제계획서
선행
기초·원천기술 ○ 기술내용: 도로 및 교통정보를 이용한 반(semi)자율주행 기술
① 부처사업명(대) 미래창조과학부 ④ 보안등급(보안, 일반) 일반

○ 도로주행 정보 기반의 센티언스 디젤 하이브리드 에너지 관리 기술 확보 ② 사업명(중) ⑤ 공개가능여부(공개, 비공개) 공개


연구목표
○ 디젤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파워구동부품 사이징 최적화 기술 확보 ③ 세부사업명(소)

○ 도로 환경 모델링 및 도로 정보 수집을 위한 기술 개발 과제성격 개발 실용화 대상여부 실용화


(기초, 응용, 개발) (실용화, 비실용화)
○ 도로 정보를 활용한 디젤엔진 제어 전략 개발
○ 연비, 배기성능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 국 문 분자진단기술 사업화
연구내용
○ 실시간 주행패턴 예측 기술 개발/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전략 검증 후속연구개발과제명
영 문 Commercialization of molecular diagnostic technologies
○ 도로정보기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전략 실도로 검증/디젤 하이브리드차량
파워구동부품 사이즈 최적화 ⑥ (총괄)주관연구기관 (주)Molecular monitoring (경북대학교 지주회사 자회사)

○ 1차년도 ⑦ 협동(공동)연구기관 ㈜엠텍비즈, ㈜디앤피바이오텍, ㈜휴레이포지티브, ㈜티플러스


- 도로 환경 모델링을 위한 map 구축 성 명 한형수 직급(직위) 교수
- 실시간 도로 정보 제공을 위한 electronic horizon 시스템 개발 (총괄)주관연구책임자
소속부서 의학과 전공 의학
○ 2차년도
- 적응순항제어 전략 개발 연구개발비 및 참여연구원수 (단위: 천원, 명)
-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모델 개발 (정적모델)
기업체부담금
○ 3차년도 정부외 상대국
정부출연금 합계 참여
- 도로 환경 모델 개발 (도로, 신호 등) 년 도 (A) 출연금 부담금 G=(A+B+E) 연구원수
현금 현물 소계 (B) (F)
연차별 (C) (D) E=(C+D)
-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모델 개발 (과도구간 배기 성능 고려한 동적 모델)
연구내용
○ 4차년도 1차년도 600,000 20,000 180,000 200,000 800,000 8
- 실시간 주행패턴 예측 기술 개발
- 배기 예측 모델을 이용한 토크 분배 알고리즘 개발 2차년도 600,000 20,000 180,000 200,000 2,000,000 2,800,000 8
- 샤시동력계를 이용한 디젤 하이브리드차량 제어 전략 검증 3차년도 1,200,000 40,000 360,000 400,000 1,600,000 8
○ 5차년도
4차년도 1,200,000 40,000 360,000 400,000 1,600,000 8
- 실시간 도로정보를 활용한 에너지관리 알고리즘 개발
- 대구 주행시험장에서 실시간 에너지관리 알고리즘 검증 5차년도 1,200,000 40,000 360,000 400,000 8,000,000 9,600,000 8
- 디젤 하이브리드차량 파워구동부품 사이즈 최적화
10,000,00
합계 4,800,000 160,000 1,440,000 1,600,000 0 16,400,000 40
○ 대구지역업체의 스마트자동차 개발 관련 업체에 요소 기술 이전하여 업체 경쟁력
제고하여 대구시 일자리 창출 가능 총연구기간
○ 도로정보 기반 디젤하이브리드 차량 제어를 통하여 에너지 절감, 저이산화탄소 배
다년도협약연구기간
출, 환경부하 저감, 교통 안전성 향상 가능
○ 도로정보기반 기술 확보 및 디젤하이브리드 차량의 고효율, 저배기 에너지관리 제 당해연도연구기간
기대효과
어 기술 확보
중소기업수 대기업수 기타 계
○ 대구시의 주력 기술 사업 중의 하나인 스마트자동차 관련 해당 기술력 비교 우위
점유 가능 ⑧ 참여기업
4 0 0 4
○ 2단계 연구를 진행하여 실증 사업으로 연계하여 상용화 추진할 경우 지역업체 경
쟁력 제고 및 대구시의 스마트자동차 거점 지역으로의 이미지 향상 가능 상대국연구기관수 상대국연구개발비 상대국연구책임자수
국제공동연구
핵심단어
도로정보, 자율주행자동차, 디젤하이브리드차량, 에너지관리, 적응순항제어
(5개 이내)

- 559 - - 560 -
〈 요 약 문 〉

연구사업명 분자진단기술 사업화

○ 기 술 명: 분자진단 기술
선행
기초·원천기술 ○ 기술내용: 인체 상태의 변화를 분자수준에서 측정하여 질병우뮤 등을 진단

○ 대학이 보유한 분자진단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제품화 및 상용화를 담당할 수


있는 앵커기업(anchor company)을 설립하고, 분자진단 total solution을 확보한
경쟁력 있는 분자진단 전문기업으로 육성하여 장기적으로 분자진단 그룹으로 성
연구목표
장하는 기반을 조성함
- 제품화에 필요한 요소기술 확보,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및 생산 라인 구축
- 상용화에 필요한 인허가 역량 확보, 비즈니스 모델 적용 및 투자 유치

○ 분자진단 관련 원천기술 고도화


연구내용 ○ 분자진단 기술의 제품화 요소 기술 및 생산 기술 개발
○ 분자진단 제품의 임상시험, 인허가, 테스트베드 확보 등

I 단계: 제품화
○ 1차년도: 제품화 기술 개발
- 원천기술 고도화, 제품화 요소 기술 개발
○ 2차년도: 생산 기술 개발 (1차 투자 유치)
- 부품 생산 기술 및 공정 개발
○ 3차년도: 대량 생산 시스템 구축
- 생산 시스템 설계 및 설치, 시제품 생산
II 단계: 상용화
○ 4차년도: 사업화 준비 단계
- 임상시험 및 인허가 수행, 제품 생산 본격화 준비
연차별 연구내용
○ 5차년도: 사업화 개시 (2차 투자 유치)
- 임상시험 및 인허가 완료, 제품 생산, 시장 진출 및 판매
III 단계: 성과 확산기 (6차년도 이후)
○ 기업 성장 및 시장 주도
- 시장 점유확대를 위한 제품 다변화 기술 개발
- 다변화 제품의 통합 관리 시스템 개발
- 분자진단 토탈 서비스 개발
○ 산업 생태계 조성
- 테스트베드 구축 및 인허가 전문 역량 확보
- 전문인력양성 및 후발 기업 인큐베이팅

○ 분자진단 및 POCT 분야의 해외 신시장 개척 및 시장 확산


○ 수입대체를 통해 다국적 기업이 차지한 국내 분자진단시장 점유율 회복
기대효과 ○ 국내 대학의 원천기술 상용화 패스트 트랙 구축을 통한 창조경제 구현
○ 진단분야 anchor 기업으로 국내 중소기업 생태계 조성 및 후발 기업 육성
○ 지역 의료산업 활성화와 첨단복합의료단지와의 시너지 효과

핵심단어
분자진단, 인테그로믹스, 대량생산, 의학적 검증, 테스트베드
(5개 이내)

- 561 -
부산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The Second Stag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Busan Science Park)

연구기관: 부산과학기술진흥센터

연구책임자: 전은갑
< 목 차>

Ⅰ.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567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567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및 입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568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
··
··
··
··
··
··
··
··
··
··
··
··
··
··
·570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0
2. 1단계 사업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2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
··
··
··
··
·576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576
2. 최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9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9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7
5.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9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0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2
8. 연구원 편성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3

[첨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4

- 565 -
3) 과학기술진흥센터 인원 현황
I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소 속 직위 성명 참여율(%) 비 고
부산과학기술진흥센터 센터장 전은갑 10 센터총괄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연구개발지원팀 팀장 구우회 30 실무책임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인원 연구개발지원팀 팀원 최준명 30 실무담당
연구개발지원팀 팀원 정애란 10
1) 주관기관 조직도 연구개발지원팀 팀원 박소민 10
연구개발기획팀 팀장 이남규 10
□ 주관기관 : (재)부산테크노파크
연구개발기획팀 팀원 천상철 10
□ 조직구성 : 2단 1본부 2실, 부속 2센터
연구개발기획팀 팀원 김상희 10
□ 근무인원 : 총 159명(‘14. 4 기준, 정규직 : 128, 위촉직 및 기타 : 31) 연구개발기획팀 팀원 김정호 10
품질경영팀 팀장 이의충 10
이사회 품질경영팀 팀원 김민정 10

감 사

원 장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예산

부속센터 년 도
2013 결산 2014예산(안) 증 감
구 분
정부출연금 - - -
특화산업 사업화 지자체출연금 144 150 6
정책기획단 기업지원단 행정지원실
기술본부 지원실(TF) 사업비 4,405 6,146 1,741
운영비(임대수입) 385 365 -20
수 입(A) 4,934 6,661 1,727
2)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도 정부출연금 - - -
지자체출연금 138 150 12
사업비 4,383 6,000 1,617
부산과학기술진흥센터 운영비(임대수입) 220 300 80
지 출(B) 4,741 6,450 1,709
A-B 193 211 18

연구개발지원팀 연구개발기획팀 품질경영팀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입주 현황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 ▹부산R&D전략센터 운영지원사업 ▹센터별 주요업무 통합기획 관리
▹연구개발지원단지원사업 ▹미래전략산업기술개발사업 ▹센터별 공인시험인증 확대·지원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현황
▹부산IT융합포럼 등 ▹대형 국책사업 연구․기획 ▹센터 장비활용 등 주요실적관리
□ 목적 : 서부산권 연구개발 거점 기능 확충
▹지역특화맞춤형 기술이전사업
□ 기간 : 2007.12. ~ 2012.12.
□ 총사업비 : 25,000백만원(국비 14,658 시비 10,342)

- 567 - - 568 -
□ 위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1,277 일원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 규모 : 지하 1층, 지상 5층
ㅇ 대지면적 : 약 16,529m²
ㅇ 연 면 적 : 약 12,633m²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주요시설 : 사업화지원센터, 교육장, R&D지원실, 게스트하우스 등


가. 최종 연구목표
□ 서부산권에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더불어 서부산권 연구개발 거점 기능 확충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 현황
□ 동남권 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하여 부품소재 클러스터의 핵심연구센터로 육
□ 입주기업 현황
성하여 첨단산업 기술집약형 기업 육성

호 입주 대표자
사용
면적
임대료
(3,327원
관리비
(1,512 입주일 계약기간 주생산품
□ 지방의 과학기술 연구역량 제고 및 연구 활동의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
실 기업명 (m2) /㎡) 원 / ㎡)
한 네트워킹 거점 구축

1 702 (주)제스코 이금옥 178.18 592,800 269,400 ‘11.3.10


‘11. 3.10
~
보일러용 □ 동남권클러스터의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R&D 기관 유치
난방수
‘14.3.9
□ 단지내 입주기관과 유기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호 교류를 통한
주니퍼엔진 이완 ‘11. 7.5 자동차용
시너지 효과를 창출함으로써 동남권 클러스터 구심 역할 수행
2 708 코리아 130.64 434,630 197,520 ‘11.7.5 ~
유한회사 스캇 ‘14.7.4 엔진

‘11. 10.1 나. 연차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주)캐니콤 이와하라 농작용
3 602 코리아 마코토 166.64 554,410 251,950 ‘11.10.1 ~ 기계
‘14.9.30
달성도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
‘12. 3.12
4 706 (주)동춘 차영진 110.41 367,330 166,930 ‘12.3.12 ~ 차량용
범퍼
‘15.3.11
- 건립부지 매입
- 건립부지 매입 100
․ 건립부지 16,529㎡ 매입
(주)마크로 ‘12. 3.21 접착제
5 705 이상진 110.41 367,330 166,930 ‘12.3.21 ~
켐텍 ‘15.3.20 복합소재

- 건립 협약 체결 - 공사추진방식 결정 및 건립 협약 체결
100
기술경영 센터건립 및 건립방안 결정 ․ 부산도시공사 협약 체결
‘13.2.4
6 707 (주)르호봇 이준재 110.41 367,330 166,930 ‘13.2.4 ~16.2.3 지원S/W
개발

‘07 - 센터 운영기획 용역, 유사시설물 조사 등


‘13.6.12 가스
7 709 성화전자 오희범 145.23 367,330 166,930 ‘13.6.12
~16.6.11 분석기 - 기본 및 실시설계착수 ․ 일괄입찰(턴키) 공고 100
- 서울, 광주, 대구 등 유사시설 벤치 마킹

‘13.11.11
8 608 ㈜피앤엘 김종서 130.64 434,630 197,520 ‘13.11.1 ~16.11.1 배관제작
1 0 -5건(342,000천원)
- 연구개발지원 및
R&D지원 ․기업간 공동연구 지원 100
‘13.11.21 역량강화사업
‘13.11.2 자동차 ․연구개발 경쟁력 강화 지원
9 701 ㈜화영글로벌 김영재 94.51 314,430 142,890 1 ~16.11.2 부품
0

‘14.3.28 자동차
10 703 엔케이에스(주) 정병훈 158.37 526,890 239,450 ‘14.3.28 ~17.3.27 부품

- 569 - - 570 -
- 기본 설계 완료 2.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 성과
- 선공사분 실시 설계 완료
- 기본 설계 완료 100
․PQ사전심사 및 기본 설계 완료
․설계심의위원회를 통한 실시설계 가. 센터건립 성과
- 건축 착공(‘08.12)
‘08 센터건립 □ 부산과학연구단지 입지조건 활용을 위한 과학기술진흥센터 구축
- 건축 도급자 선정
- 건축 착공 100
- 건축 허가 완료 ㅇ 녹산산업단지 내에 과학기술진흥센터 구축을 통한 투자유치 및 연구기관 유치
- 건축 공사 착공 ㅇ 동북아비즈니스 중심지 구축을 위한 각종 인프라 구축

- R&D지원 - 연구개발지원 및 역량강화사업 100


ㅇ 지사, 사상 등의 인근 공단지역 및 창원, 마산, 양산 등의 산업지역과의
근접성을 활용하여 네트워킹 거점 역할 수행
- 실시설계 완료
- 기초공사 완료 □ 부산과학연구단지의 과학기술 R&D 클러스터 구축
센터건립 - 센터 건축 공사 추진 - 터파기 및 기초공사 100 ㅇ 서부산권에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더불어 서부산권 연구개발 거점 기능 확충
- 골조공사 지하 1층~지상 5층 완료
‘09 - 공정율 40% ㅇ 지방의 과학기술 연구역량 제고 및 연구 활동의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한
네트워킹 거점 구축
- 8건(400,000천원)
- 연구개발지원 및 역
R&D지원 ․ 3차년도 지원과제 성과관리 및 지원 100 ㅇ 동남권클러스터의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R&D 기관 유치
량강화사업
- 테크노마트 개최(40,000천원)

- 골조공사 완료 나. R&D 지원성과


센터건립 - 센터 건축 공사 추진 - 마감공사 진행 100
- 공정율 89%
□ 지원현황
‘10
- 7건(350,000천원) 지원 연구
- 연구개발지원 및 역
기간 과제명 주관기관 책임자 성과
R&D지원 ․ 4차년도 지원과제 성과관리 및 지원 100
량강화사업
- 테크노마트 개최(40,000천원) 시제품 1건,
표면처리 디지털 제조혁신기술 개발 대영특수고무 변청호
세미나 워크숍 3회
- 센터준공 및 입주기업 유치
- 센터준공(2011. 1. 23) 학회발표1, 특허출원1
센터건립 - 센터준공 100 IT/BT 부품 생산용 수직/수평 이체형
- 센터 개관식 개최(2011. 4. 4) 테크노라이즈 이종렬 시제품1건
복합 데스크 탑 머신 시스템 개발
- 입주기업 유치(10개 기업) 세미나 워크숍 3회
‘11
‘08
- 14건(800,000천원) CAN통신용 자동 용접시스템 컨트롤러 개발 금문산업 김문식 세미나 워크숍 3회
- 연구개발지원 및 역
R&D지원 ․ 5차년도 지원과제 성과관리 및 지원 100
량강화사업 컨트롤 밸브용 실링재 내구성 및 학회발표1, 특허출원1
- 테크노마트 개최(58,000천원) 티엔에스테크 황윤길
내압성 향상 기술 개발 세미나 워크숍 3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한 솔레노이드 특허출원1, 시제품1건


- 국내외 기업부설연구 하이코 피종태
센터건립 - 입주기업 유치(10개 기업 입주) 100 밸브 세미나 워크숍 3회
소 R&D 활성화
바이오가스 내 함유된 황화수소 세미나 워크숍 3회
아쿠아셀 김경희
‘12 제거용 가스하이드레이트 연구 특허출원 1건, 학회발표 1건
-센터운영관리비 확보 120,000천원 (부산시)
-R&D 전략센터 유치 세미나 워크숍 2회
기타 - 센터운영관리 100 음식물처리기 탈취필터 크린월드 이한호
500,000천원(부산시) ‘09 특허출원 2건, 시제품 1건
-입주기업 유치(10개 기업 입주)
세미나 워크숍 4회
건식 프레스용 탄성형 합성수지 몰드 개발 티유폴리탄 오현성 특허등록 1건
시제품 2건, 학회발표 1건

- 571 - - 572 -
콘 디스크타입 컨트롤 밸브용 실링재의 내구성 세미나 워크숍 4회 논문게재2,학회발표4
대영특수고무 변청호 그래핀의 제작 및 분산성 향상에 한국생산기
및 내압성 향상 기술 개발 학회발표 3건 남대근 특허출원1
따른 금속표면 코팅기술 개발 술연구원
세미나워크숍6회
세미나 워크숍 3회 논문게재1,학회발표3
고효율 변속제어용 유압밸브 태일산업 이경우 특허출원 1건, 특허등록 1건 주행인식기능을 갖춘
인우테크 이일영 세미나워크숍3회,
시제품 1건, 학회발표 1건 진공식 연마머신 개발 시제품제작1

세미나 워크숍 5회 (사)부산경


유연성 생산시스템 기반을 위한 남
테크노라이즈 이종렬 상표출원 4건, 시제품 3건 특허출원3,세미나1
모듈형 슬림 스핀들 개발 수송차량용 MR Damper 개발 김철윤
학회발표2건, 전시회참가2회 자동차테크 공인인증3,시제품제작2
노센터
세미나 워크숍 3회
IFRS(지능형장애자동탐지/통보시스템) 엑솔아이티 성명원 홍보책자 발간 2회, 논문게재1,
전시회 참가 2회시제품 2건 Plastic type PCV밸브 설계 및 특허출원2
부경대학교 이연원
유량검증프로그램 개발 세미나워크숍5회,
시제품제작1
세미나 워크숍 5회
태양력을 이용한 내파성 물 순환시스템 솔라비 윤선애 특허출원 1건, 시제품 1건 논문게재1,학회발표1
Rayleigh 산란광을 이용한
학회발표1건, 전시회참가2회 동의대학교 유일 ,세미나워크숍4회,
광선로 delay계측장치
시제품제작1
학회발표8,특허출원1 논문게재1,학회발표2
선박압축이용 저어널(Journal)베어링 동서기연 최광용 세미나3,공인시험평가4 무기흡착제가 적용된
특허출원1
시제품제작3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진광산업 이만한
세미나워크숍3
수성코팅제 및 TVOC 저감 기술연구 공인인증1
크레인 와이어로프 결함 세미나3,공인시험평가1
하나닉스 유치국 논문게재1,학회발표2
예측 방호장치 탐지 시스템 시제품제작4
PLC광소자 플랫폼 특허출원2
부산외국어
논문게재1 기반 저가형 김응수 세미나워크숍4회,
대학교 시제품제작1
학회발표3, 시제품제작1 광소자 패키징 기술개발
복지시트 장착형 고령친화 NEV기술개발 경성대학교 안진우 공인인증4
특허출원4, 세미나5,
공인시험평가4 특허출원1
상업용 대규모 완전제어형
동명대학교 신동석 세미나워크숍6회
‘10 식물공장 공장자동화 기술
초소형 고효율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 학회발표3 ,특허출원3 시제품제작2
부산대학교 김수형
및 마이크로 센서시스템 기술연구 세미나4,공인시험평가4
논문게재2,학회발표1,
고령친화형 전동바이크
논문게재2,학회발표4,
경성대학교 안진우 특허출원2,세미나
한국신발피혁 및 충전스테이션 기술개발 워크숍5회,시제품제작1
단축공정 고착제 표면처리제 기술 개발 천제환 시제품제작4,특허출원1, 등록1
연구소
세미나3, 공인시험평가3 논문게재4,학회발표2
특허출원2
해양레저용 통신자동화기술 개발 (주)지엑스 정재민
수용성 접착제로 처리된 polyester 섬유를 (주)대영특수 학회발표4 ,세미나3 세미나워크숍7회
변영후
이용한 환경친화형 실링재개발 고무 공인시험평가3 시제품제작2
논문게재1,특허출원1
주상변압기 내구수명 예측을 위한 학회발표1 시제품제작1 무체인 동력전달장치를 갖는
(주)엘라켐 백광세 (주)비에프 서식원 세미나워크숍3,
고무가스켓 재질별 노화연구 특허출원1 세미나2 PAS 전기자전거 개발
공인인증1,시제품제작2
학회발표6,특허출원1
Direct molding 가능한 고경도 한국신발피
천제환 세미나워크숍3
사출부품용프라이머 개발 혁연구소
공인인증2,시제품제작2 □ 지원내용
논문게재2,학회발표3 ㅇ 원천기술 해결을 위한 공동연구 지원
천연물 유래 항산화 화장품 소재 개발 부경대학교 전병수 세미나워크숍5회, ­ 산학연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지역 기업의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함
‘11
시제품제작3
으로써 지역 과학기술 연구개발 역량 강화
논문게재2,학회발표3
특허출원3 ­ 대학, 연구소 등의 분야별 관련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기술연구회
수중형 자율운항 해양로봇기기 개발 동명대학교 김현식
,세미나워크숍5회,
시제품제작4 운영을 통한 원천기술 개발

- 573 - - 574 -
라. 기타성과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해외테크노마트 성과
ㅇ 개최년도 : 2009~2011(부산벡스코)
ㅇ 주 최 : 교육과학기술부, 부산광역시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ㅇ 주 관 : (재)부산테크노파크
ㅇ 내 용 : 일본, 중국 기술집약형 중소기업 전시관 운영 및 교류회 개최 □ 지역의견 수렴
ㅇ 성 과 ㅇ 지역 R&D 유관기관 간담회, 단지 내 기업 대상 설문조사 등을 통해 파악
­ 국내외 관련 분야 기술동향파악 및 협력파트너 발굴을 위한 교류협력 된 지역 내 기초원천R&D 후속지원 필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기업의 R&D 활동을 해외 지역으로 확대하여 지역 ㅇ 1단계 사업의 R&D와는 차별된 실질적인 기초․원천기술의 발굴과 이를 통
R&D 역량 강화 한 지역 기업과의 연계 및 사업화로 연결되는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
­ 기술전시관 운영을 통해 해외 R&D 사업화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공동
사업화 및 기술이전 등의 계기 마련 □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의 성과 활용
ㅇ 1단계 사업을 통한 기반을 활용하여 부산지역 전체를 포괄하는 과학기술 정
책의 수립 및 기초ㆍ원천 연구의 활성화 및 사업화를 위한 후속 프로그램
개발과 예산의 투입을 통한 활성화가 요구됨
ㅇ 1단계에서 수행된 R&D 프로그램 및 네트웍 활성화 사업은 실질적으로 인력
및 R&D 투자로 연계되지 않아 유기적 산․학․연 협력이 이루어지지 못한점이 있음
­ 따라서, 전략적인 지역의 특화산업 및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기초·원천연구개발사업을 통해 논문, 특허, 기술이전 등 정량적 성
과창출이 요구되며, 지역 특성에 맞는 기초․원천기술과 산업과의 연계프로그
램이 필요함
ㅇ 지방 연구단지 2단계 사업은 국내 및 해외 기초․원천기술의 교류, 협력개발,
사업화를 위한 추진 동력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추진의 시급성

ㅇ 지자체의 R&D 의지를 반영할 수 있는 R&D전략 수립 및 기획을 위한 전


문 기관 필요
­ 부산광역시에서는 자체 기획을 통해 연구개발사업에 지원하는 예산을 꾸준
히 확대하고 있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지자체 대응자금도 활발히 지원하
여 부산시의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의지가 강하게 증폭되고 있음
­ 2011년, 2012년의 연구개발관련 예산은 각각 401, 462억원으로 60억원
이상 증가되어 투자가 증가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이 기간 국
가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지자체 대응자금은 각각 299, 224억원으로 부산시
자체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액은 2011년 102억원, 2012년 238억원으로 추정됨

- 575 - - 576 -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사업 관련 예산 현황(2003~2012)> ­ 따라서 신청한 기술을 대상으로 하는 수동적인 형태보다는 대학과 출연
(단위 : 억원) 연이 보유하고 있는 전체 기술을 대상으로 사업화 유망기술을 발굴하고
해당 지역의 수요와 매칭 시켜 성과를 확산시키는 능동적인 방식이 필요함
연도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ㅇ 기업만족도 제고
일반회계
(A) 26,535 29,102 32,496 34,499 38,098 44,699 47,814 55,019 55,555 57,263 ­ 부처간 연계ㆍ조정이나 정보 공유 없이 산발적으로 사업이 확충될경우 정
R&D
418 463 729 687 453 493 397 438 401 462
책효율성이 떨어지고 R&D중복지원으로 기업만족도 저해
예산 (B)
­ 기업의 수요에 맞춰 현장 애로기술지원 서비스를 확대하고 애로기술지원
비율 1.6% 1.6% 2.2% 2.0% 1.2% 1.1% 0.8% 0.8% 0.7% 0.8%
(A/B) 과, 타사업 연계 등 활동영역을 넓혀 중소기업들의 만족도를 제고
* 출처 : 부산광역시 내부 자료
­ 부산과학기술진흥센터는 지역 중소기업의 R&D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
으로 기술연구회 운영과 R&D 멘토링제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우수 혁신능
력을 가진 중소기업 육성을 통해 신성장동력 창출을 하고자 체계적이고 실
효성 있는 지원을 지속적으로 구상하고 있음

□ 국고지원의 적합성
ㅇ 개발단계의 R&D 편중으로 새로운 국가적, 지방 정부적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기초 ․ 원천 기술 연구에 대한 지원 필요
­ 대부분의 정부 및 지역 R&D 개발 예산이 기술의 사업화 및 상용화에 집중
되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 할 수 있는 기초 연구에 대한 지원이 미흡한
실정임
­ 지방 투자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초․응용단계 비중 추이 (KISTEP, '13) :
48.8%(‘08) → 39.2%(’09) → 43.8%(‘10) → 42.9%(’11)
­ 개발연구단계 R&D 편중 해결을 위해 기초원천기술을 활용하는 응용연구단
계 중심의 가교형 R&D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및 재원 마련이 요구됨

□ 산업부 등 타부처 사업과의 연계․협력 필요성


ㅇ 현재 정부부처에서는 다양한 기초원천 분야의 R&D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
며 또한 지역의 연구역량 강화 및 산업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과 지역기초연구활성화 차원에서의 “연구개발지원단지
원사업”,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 등을 추진
하고 있음
­ 중앙정부에서 추진하는 R&D 사업과 지역을 대상으로 추진되는 사업 간
에 성과 연계가 부족한 실정이며 R&D 연구성과의 확산 측면에서 수동적
인 형태로 사업이 추진되는 한계점이 있음

- 577 - - 578 -
2. 사업의 최종목표 및 내용 나. 사업 최종목표

가. 사업비전 □ 부산지역 기초연구성과의 활용도 제고 및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ㅇ 정량적 목표
목 표
비 전 산학연 연계를 통한 지역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 구 분
연간 평균 목표 최종목표(2024년)
기술 중개기능 활성화 ▪기술이전 10건 ▪기술이전 100건

❍ 지역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조직 전문성 확보 ▪플랫폼 구축 1건 ▪플랫폼 구축 1건


- 지역 과학기술정책 로드맵 수립(10건), 기획 전문인력 확보(10명), 교육(1,000시간) 기술저장소 구축 운영 ▪기술DB 확보 55건 ▪기술DB 확보 1,100건
지식재산 ▪라이센싱 수익 2억원 ▪라이센싱 수익 20억원
❍ 기초 연구성과의 활용도 제고 및 지역과학기술 역량 강화 활용도 재고
▪지역 과학기술 ▪지역 과학기술
지역 과학기술 기획
목 표 - 기술거래 인프라 구축 및 기술발굴(1,100건), 기술이전(100건) 로드맵 수립 1건 로드맵 수립 10건
기초기술 기반 R&D(21건) 과학기술 기획 ▪전문인력 확보 0.7명 ▪전문인력 확보 7명
전문성 강화 ▪전문가 교육 100시간 ▪전문가 교육 1,000시간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및 창업기획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 특허기반 창업(20건), 일자리 창출(250개), 연구회 운영 등(15개) 가교형 R&D ▪과제발굴 및 지원 1.6건 ▪과제발굴 및 지원 16건

지역수요 기반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 0.2건 ▪연구법인 설립 5건


R&D 공동연구법인 설립 ▪연구법인 R&D 0.2건 ▪연구법인 R&D 5건
기초․원천기술
▪기술조사 분석 1회 ▪기술조사 분석 10회
조사․분석

1. 지식재산 DB구축 및 활용도 제고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및 창업기획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 기술중개 전문성 확보 및 기술이전 네트웍 구축 ㅇ 정량적 목표
□ 기술이전 플랫폼 구축
□ 기술이전 수익확보 및 재투자 구 분
연간 평균 목표
목 표
최종목표(2024년)
4대 ▪시스템 구축 0.1회 ▪시스템 구축 1회
멘토링 시스템 구축 ▪전문가 DB 구축 20명 ▪전문가 DB 구축 200명
2. 지역 수요기반 기초 ․ 원천 R&D 활성화 ▪멘토지원 10회 ▪멘토지원 100회
핵심
□ 지역 기초․원천 기술 DB 구축 ▪경진대회 개최 1건 ▪경진대회 개최 10건
□ 가교형 R&D를 통한 기술 사업화 창업경진대회 추진 ▪R&D 지원 3건 ▪R&D지원 30건
전략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을 통한 후속 R&D 지원 특허활용
▪입주지원 2건 ▪입주 지원 20건
▪교육 5회(50시간) ▪교육 50회(500시간)
/ 창업기획 과학기술 창업
▪교육생 150명 수료 ▪교육생 1,500명 수료
아카데미
▪교육 전문가 풀 20명 ▪교육 전문가 풀 200명
3. 기초․원천 특허의 사업화(창업 활용)
12대
□ 창업지원 멘토링 시스템 구축 특허 활용 창업 촉진
▪창업 2건 ▪창업 20건

□ 창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창업 성과물 홍보 및 진단 ▪매출 발생 5억원 ▪매출 발생 50억원

추진 □ 단지내 연구인력의 창업교육 실시 창업기업의 성장촉진


▪타 사업 연계 2건
▪정부사업 수주 3억원
▪타 사업 연계 20건
▪정부사업 수주 30억원

과제 S&T 정책교류회 ▪교류회 구성 0.5건 ▪교류회 구성 5건


구성․운영 ▪교류회 개최 5건 ▪교류회 개최 50건
산학연
4. 산 ․ 학 ․ 연 연계 네트웍크 활성화
□ 지방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문성 강화
중소기업 네트워크 ▪네트워크 구축 1건 ▪네트워크 구축 10건
네트워크
구축지원 ▪네트워크 추진 30건 ▪네트워크 개최 300건
□ S&T 정책교류회 구성․운영 활성화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해외 네트웍 형성을 ▪해외 거점 구축 0.3건 ▪해외 거점 구축 3건
통한 국제 연구 활성화 ▪국제공동연구 0.5건 ▪국제공동연구 5건

- 579 - - 580 -
다. 최종목표달성을 위한 세부사업 ­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을 통해 완료된 기초 R&D 과제 혹은 지역대학 및
출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 중 지역기업이 활용 가능한 가교형
1)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R&D 과제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용 원천기술 발굴
­ (가교형 R&D) 부산지역 수요기반의 가교형 R&D 수행 : 지역내 석․박
□ 사업필요성
사인력, 특허, 벤처기업 분석을 통해 지역 특화분야를 우선적으로 선정,
ㅇ 지역 중소(벤처)기업은 기초․원천 R&D 역량이 부족하여 지역대학 및
TRL 3~5단계 연구개발 과제 수행
출연(연)의 유망기술을 탐색․확보할 필요가 있음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산학연 공동연구법인을 통한 지역수요기반
ㅇ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지식재산(IP) 경쟁력 강화 및 산학연협력 촉진을
R&BD 수행, 원천기술 중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위해 지역별 기술저장소(Technology Reserve) 구축 필요
출연연과 그 기수의 수요자인 지역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과 자본을 출자
ㅇ 지역대학의 취약한 지식재산 경쟁력 특히, 산업기여도 측면에서의 취약
하여 법인설립
성을 보완하기 위해 기술 중개 및 기술저장소 구축이 필요

□ 사업내용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ㅇ (기술중개 기능 활성화) 지역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국내․외
□ 사업필요성
공급자로부터 확보하여 상용화 기간 단축
ㅇ 기술 전유성이 뛰어난 기초․원천기술사업화는 직접사업화 방식인 창업이
­ 과학기술진흥센터가 기술중개서비스기업과 공동으로 지역대학 등 공공
가장 효과적으로 이를 통해 기초․원천 R&D의 사업화성과 제고
TLO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지역기업의 기술수요를 반영하여 지역대
ㅇ 지역의 기업가정신 의욕을 고취하고 실제적인 창업으로 이끌어 청년 실업
학 등의 유망기술을 중개 및 기술이전
문제 해결과 나아가 지역벤처 활성화 필요
ㅇ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의 기술․노하우․특
허를 기술저장소(Technology Reserve)에 저장한 후 창업기업, 벤처기 □ 사업내용
업 등에게 기술이전 해주는 플랫폼 구축․운영 ㅇ (멘토링 시스템 구축) 창업지원을 위해 벤처(엔젤)투자가, 기업체 CEO,
­ 지역별 DB 구축, 특허 유지비 50% 지원을 통해 기술저장소로 유인하 법률 및 회계 전문가 등으로 멘토단 구성 및 멘토 D/B 구축 등
며, 향후 라이센싱 등을 통한 수익 발생시 일정액 환수 ㅇ (창업경진대회 추진) 지역수요기반 R&D 등의 연구결과물을 활용 창업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투자사 등에게 평가 받는 기회 제공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한 권리화(로펌 활용 등) 지원하고, 우수 사업아
이템은 R&D지원, 지역 내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
□ 사업필요성
ㅇ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R&D 과제 수행 연구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ㅇ 지역 선도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수요에 기반한 기초ㆍ
시작하여 단지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으로 확대
원천연구에 대한 지원 필요
ㅇ 논문이나 학회 발표 등의 기초.원천연구 성과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서는
4)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후속연구에 대한 지원이 필요
ㅇ 기술개발 및 사업화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기업의 경우 기초ㆍ □ 사업필요성
응용 R&D 및 R&BD에 있어서 지역대학과의 긴밀한 협력 필요 ㅇ 한정된 예산으로 지방 과학기술생태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정책입안
및 기획수립 단계에서 교류·협력 활성화 필요
□ 사업내용
ㅇ 혁신역량이 떨어지는 지역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위한 산학연 협력체제
ㅇ 지역특화 분야 가교형 R&D 과제 발굴․기획,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용
구축 필요
원천기술 발굴

- 581 - - 582 -
□ 사업개요 □ 세부사업내용
ㅇ (S&T 정책교류회 구성․운영) 지역 과학기술 정책․지원기관 간 교류, 협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력을 통한 과학기술생태계 조성
­ 지자체, SP․TP 등 R&D지원 유관기관, 대학․출연(연) 등 연구기관, 지역
○ 부산지역 기업현황 조사 및 분석
기업 등 과학기술정책 전문가 등으로 구성(간사 : SP)
· 지역내 기업별 현황조사 실시를 통한 DB 구축/운영
­ 지역내 연구성과 및 R&D 정책, 연구개발성과 등을 공유하는 포럼 개최 · 대학 및 연구소 등의 보유기술에 대한 조사/분석
를 통해 지식 및 인적교류 활성화(월 1회) · 보유기술 및 기술수요기업 간 매칭
ㅇ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동일 산업분야 내의 중소기업, 대기업, 지식재산 · 기술이전 설명회, 기술정보교류회, 정기협의회 개최 등
활용도 기술이전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정보 교류
대학, 연구기관, 투자기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제고 활성화 ○ 기술 수요자와 공급자 간 기술거래를 위한 DB망 구축/운영
· 우수기술 이전 희망 기업과 우수기술 간 거래 활성화를
라. 세부사업별 목표 및 연구내용 위한 온라인 DB구축/운영
○ 유망기술 및 수요기업 발굴
· 부산지역 내 대학의 LINC 사업단과의 연계협력을 통한
1) 지식재산 활용도제고 사업 유망기술 발굴
□ 사업목표
ㅇ 기술중개를 통한 부산지역 내 기업의 기술이전 활성화 ○ 지역 과학기술 로드맵 수립
ㅇ 기술저장소를 통한 지역내 대학 및 출연연의 유망기술 발굴 및 이전거 · 지역 과학기술의 추진 방향 설정을 통한 수요기반형
래 활성화
기술로드맵 수립
· 로드맵을 기반으로 한 특허기반 기술 기획
지식재산 지역기획과학기술
및 · 지역 특화분야 특허기반 기술 세미나 및 교류회 개최
<지식재산활용도 제고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활용도 전문성
제고 ○ 사업수행 주체의 기술기반 기획력 강화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강화 · 기술이전, 특허 관련 전문가 확보
▪기술이전 플랫품 구축 1건 · 사업 수행주체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수료
부산지역 내 기업의 ▪기술수요조사 기반DB구축/운영 10건 · 기술이전 전문가 및 기획 전문가 풀 확보
사업화 기반마련 ▪기술 DB 확보 500건 · 지역 기술이전 중심기관 지위 확보를 위한 시스템 구축
기술이전 ▪라이센싱 수익 20억원
활성화
연구개발 성과 활용을 ▪기술이전 100건
지식재산 통한 사업화 촉진 ▪산학연관 설명회
▪기술이전
기술네트워킹
20회
50회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활용도
제고 지역 지역 과학기술 기획 ▪지역과학기술 로드맵 수립 10건
과학기술 주체성 확보 ▪특허기반 기술기획 20건 □ 사업목표
▪특허 기반 세미나 개최 30회
기획 및 ㅇ 부산지역 기업역량 강화를 통한 특허기반 기업육성 기반확보
전문성 사업수행 주체의 기술 ▪전문인력
▪전문가 교육
확보 7명
1,000시간
ㅇ 기초/원천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중간 단계형 R&D 지원시스템 구축
강화 사업화 지원역량 강화 ▪기술이전 전문가 풀 및 시스템 구축

- 583 - - 584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부산지역 가교형 R&D, 산학연 ▪가교형 R&D 지원 16건 □ 사업목표
R&D
지식재산 역량강화를 공동연구법인 ▪연구법인 설립 5건 ㅇ 특허를 활용한 R&D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창업확대 및 창업 경쟁력 강화

활용도 설립 운영 ▪연구법인 R&D 5건 ㅇ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전단계적 지원체계 확보


통한
제고 기업육성 R&D 성과물 활용 ▪일자리 창출 250개
극대화 실현 ▪연관 매출 2,000억원
기반확보 ▪연관 특허 등 100건, 논문 80건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 세부사업내용 멘토링 시스템 구축 ▪전문가 DB 구축1회200명
▪시스템 구축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및 운영 ▪멘토지원 100회
○ 지역 기업 수요중심의 현장밀착형 사업 추진 특허활용 ▪경진대회 개최 10건
· 부산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의 지역 R&D 수요조사분 R&D사업 창업경진대회 추진 ▪R&D지원 30건
석사업과의 교차 연계를 통하여 부산지역 기업의 수요 특허활용 생태계조성 ▪입주 지원 20건
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R&D사업 창업기획 및 과학기술 창업 ▪교육 50회(500시간)
기획 과제 도출 사업 창업역량 아카데미 ▪교육생 1,500명 수료
· 지역기업의 R&D 수요조사, 필요기술 탐색/중개 등 기업 ▪교육 전문가 풀 200명
수요 중심의 현장밀착형 사업추진 강화 ▪창업 20건
○ 기술탐색 및 중개-가교형 연구-연구성과를 활용한 창업의 창업기업의 ▪매출 발생 50억원
일체형 사업 추진 성장촉진 ▪타 사업 연계 20건
· 지역내 기업 니즈형 기술을 탐색 및 이전 거래활성화 ▪신규 일자리 250개
·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초/응용 연구역량 보완을 위해 기
초/원천 연구결과를 활요하는 가교형 R&D 및 지역수요
기반 R&D 수행 □ 세부사업내용
지역 부산지역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수요 R&D 역량강화를
기반 통한 ○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운영
R&D 기업육성 · (멘토단 구성 및 관리) 창업지원을 위해 벤처투자가, 엔
사업 기반확보 젤투자가, 기업체 CEO, 법률 및 회계 전문가 등으로
멘토단 구성 및 멘토 D/B 구축
○ 지역 연구단체 인프라기반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운영 특허활용 · (On-line 창업내비게이션 구축) 창업 프로세스 로드맵을
· 부산지역 내 연구조합, 기업협회 등을 활용한 조직화된 R&D사업 입체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기업수요 발굴 및 대학, 연구소와의 연계를 통한 공동 특허활용
연구법인 운영 창업기획 생태계조성 · 창업 프로세스 표준화 → 프로세스별 예상되는 문제점
· 기초원천 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엔젤펀드 활성화 및 개 사업 및 및 애로사항 제시 → 애로사항 관련 세제 및 법규, 지
발 기술의 사업화를 통한 첨단 기술기반형 기업 창출 창업역량 원사업 제공 → 관련 전문가(멘토) list제공
강화 ○ 특허 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
· 지역수요기반 R&D 등의 연구결과물을 활용하는 창업경진대회 추진
· 일정기간 집중적 1:1 멘토링 및 교육을 통해 사업아이
템을 개발하고 ‘데모데이’를 통해 투자사 등에게 평가
받는 기회 제공
- 585 - - 586 -
□ 세부사업내용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한 권리화(로펌 활용 등) 지원
· R&D 결과물인 특허의 기술이전은 테크노파크, 지역 산 ○ S&T 정책교류회 구성․운영
학협력단 등과의 연계를 통해 창업기업으로 기술이전 추진 · 지역에 위치한 주요 과학기술정책 및 지원기관 간 on․
· 우수 사업아이템은 R&BD 자금 제공, 지역 내 창업보육 off line 교류․협력 장 마련을 통해 통합적인 과학․산
센터 입주 지원 업기술 생태계 조성
특허활용 ○· R&D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 지방 과학기술정책 및 기획 활동을 연계하고, 사업추진
R&D사업 과제 수행 연구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시작하여 단 중 생성된 정보를 상호 교류함으로써 과학․산업이 융
특허활용 생태계조성 · (참여 연구인력에
지내 대한 창업교육으로 확대 합된 혁신 생태계 조성
창업기획 및 기관) 과학연구단지협의회, 과총지역연합회, 산학 · 상설 조직 구성을 통해 과학기술 정책 및 지원기관의 협
사업 협력선도대학 내 기업가정신센터 과학·산업
창업역량 · (참여 대상) R&D 과제수행 연구인력→단지내 연구인력 기술 력 채널을 구축하고(off-line), 지원기관간 정보를 공유할
강화 →청년 창업 희망자로 확대 생태계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
○ 창업기업 성장촉진 조성
· 창업기업의 우수기술을 정부사업과 연계하여 연구개발
을 통한 사업화 기회 확대
· 지역 내 기획사업 등의 활용을 통해 산, 학, 연 연계를
통한 초기 사업기획 능력 제고 특허활용
창업기획
4)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사업

□ 사업목표
ㅇ 부산지역 주요 과학기술정책 및 기획을 통한 과학·산업 기술 생태계 조성
ㅇ 산학연 교류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중소기업 역량 강화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지원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 동일 산업분야 내에서 대학 및 연구기관, 중소기업, 대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산학연 기업 및 투자기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교류협력 ·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과 연구개발프로그램
과학·산업 ▪산업분야별 교류회 구성 5건 참여시 우대
기술 S&T 정책교류회 ▪교류회 개최 50건 네트워크
생태계조성 구성․운영 ▪과학기술 정책 기획 10건 구축 · 기술개발, 전문인력 육성, 중소기업 컨설팅, 판로개척
특허활용 ▪과학기술 로드맵 기획 10건 및 마케팅 등 중소기업 애로 해결에 지원금 활용
창업기획 산학연 ▪분야별, 목적별 네트워크 구축 10건 · 지방과학연구단지는 네트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
사업 교류협력 중소기업 네트워크 ▪네트워크 개최 300건 워크간 정보 교환 등 네트워크 감독매니저 역할 수행
네트워크 구축지원 ▪R&D 과제기획 50건
▪해외 거점 구축 3건
구축 ▪국제공동연구 5건

- 587 - - 588 -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나.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가. 세부사업 연차별 로드맵
년도 연구목표 세부연구내용
사업년도 최종목표 • 이전희망기술 발굴․분석 및 도입희망기술 수요조사(50건)
세부사업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사업비(억원) • 이전희망기술 및 기술수요기업 DB확보(50건)
기술이전 기술 중개기능 활성화 • 기술이전 설명회, SP간 기술정보교류회 개최(1건)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건 • 기술공급자, 수요자간 기술이전(10건)
기술저장 2016 • 기술저장소 구축 및 기술저장(200건)
지식재산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건 • 과학기술로드맵 발굴을 위한 전문가 회의 개최(10회)
활용도 - - - - - 200 200 200 200 200 전문인력 7명 지역 과학기술 기획 역량강화 • 지역과학기술로드맵 수립 1건
제고 기술중개기능 교육 1,000시간 • 과학기술전문가 교육(100시간)
활성화 30 • 과학기술전문가 확보(0.7명)
기술저장소 • 이전희망기술 발굴․분석 및 도입희망기술 수요조사(50건)
구축 및 운영 40 기술 중개기능 활성화 • 이전희망기술 및 기술수요기업 DB확보(50건)
과학기술기획 • 기술이전 설명회, SP간 기술정보교류회 개최(1건)
전문성 강화 3 2017 • 기술저장(200건), 기술공급자, 수요자간 기술이전(10건)
0 5 10 10 10 10 10 15 15 15 특허 100건 • 과학기술로드맵 발굴을 위한 전문가 회의 개최(10회)
지역 과학기술 기획 역량강화 • 지역과학기술로드맵 수립 1건
지역수요 0 5 5 10 10 10 10 10 10 10 논문 80건 • 과학기술전문가 교육(100시간)
• 과학기술전문가 확보(0.7명)
1

기반 지역기초원천 4 • 이전희망기술 발굴․분석 및 도입희망기술 수요조사(50건)


R&D 기술조사분석 • 이전희망기술 및 기술수요기업 DB확보(50건)
가교형 R&D 248 기술 중개기능 활성화 • 기술이전 설명회, SP간 기술정보교류회 개최(1건)
산학연공동연 100 • 기술저장(200건), 기술공급자, 수요자간 기술이전(10건)
구법인 설립 2018 • 사업화 연계 프로그램 개발(1건)
2 2 2 2 2 2 2 2 2 2 창업 • 과학기술로드맵 발굴을 위한 전문가 회의 개최(10회)
20개 지역 과학기술 기획 역량강화 • 지역과학기술로드맵 수립 1건
과학기술 3 7 10 20 25 30 35 40 40 40 일자리 • 과학기술전문가 교육(100시간)
250개 • 과학기술전문가 확보(0.7명)
활용창업 멘토링시스템 10 • 이전희망기술 발굴․분석 및 도입희망기술 수요조사(50건)
지원 운영
창업경진대회 • 이전희망기술 및 기술수요기업 DB확보(50건)
추진 30 기술 중개기능 활성화 • 기술이전 설명회, SP간 기술정보교류회 개최(1건)
과학기술창업 • 기술저장(200건), 기술공급자, 수요자간 기술이전(10건)
아카데미 4 2019 • 사업화 연계 지원(1건)
창업기업 4 • 과학기술로드맵 발굴을 위한 전문가 회의 개최(10회)
성장촉진 지역 과학기술 기획 역량강화 • 지역과학기술로드맵 수립 1건
정책기획
산학연기
2 2 2 2 2 2 2 2 2 2 로드맵 20및 • 과학기술전문가 교육(100시간)
• 과학기술전문가 확보(0.7명)
술 5 5 5 5 5 5 5 5 5 5 과제기획 50 • 이전희망기술 발굴․분석 및 도입희망기술 수요조사(50건)
네트워크 S&T정책 • 이전희망기술 및 기술수요기업 DB확보(50건)
30 기술 이전 활성화 • 기술이전 설명회, SP간 기술정보교류회 개최(1건)
구축 교류회 운영
중소기업 네트 30.9 • 기술저장(200건), 기술공급자, 수요자간 기술이전(10건)
워크 구축지원 2020 • 사업화 연계 지원(1건)
합계 533.9 • 과학기술로드맵 발굴을 위한 전문가 회의 개최(10회)
지역 과학기술 기획 역량강화 • 지역과학기술로드맵 수립 1건
• 과학기술전문가 교육(100시간)
• 과학기술전문가 확보(0.7명)
- 589 - - 590 -
다.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이전희망기술 발굴․분석 및 도입희망기술 수요조사(50건)
기술 이전 활성화 • 이전희망기술 및 기술수요기업 DB확보(50건) 년도 연구목표 세부연구내용
• 기술이전 설명회, SP간 기술정보교류회 개최(1건)
• 기술저장(200건), 기술공급자, 수요자간 기술이전(10건) • 가교형R&D 수요조사 및 지원(신규 2건)
2021 2016 지역R&D 조사분석 • 지역수요기반 기술조사 분석(1건)
• 과학기술로드맵 발굴을 위한 전문가 회의 개최(10회)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추진을 위한 기술 및 대상탐색(1건)
지역 과학기술 기획 역량강화 • 지역과학기술로드맵 수립 1건 • 가교형R&D 수요조사(1건)
• 과학기술전문가 교육(100시간)
• 과학기술전문가 확보(0.7명) 2017 지역R&D 역량강화 • 가교형R&D 대상 선정 및 지원(계속 2건)
• 이전희망기술 발굴․분석 및 도입희망기술 수요조사(50건) • 지역수요기반 기술조사 분석(1건)
기술 이전 활성화 • 이전희망기술 및 기술수요기업 DB확보(50건)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및 R&D 추진(1건)
• 기술이전 설명회, SP간 기술정보교류회 개최(1건) • 가교형R&D 수요조사(1건)
2022 • 기술저장(200건), 기술공급자, 수요자간 기술이전(10건) • 가교형R&D 대상 선정 및 지원(신규 2건, 계속 2건)
• 과학기술로드맵 발굴을 위한 전문가 회의 개최(10회) 2018 지역R&D 역량강화 • 지역수요기반 기술조사 분석(1건)
지역 과학기술 기획 역량강화 • 지역과학기술로드맵 수립 1건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및 R&D 추진(1건)
• 과학기술전문가 교육(100시간)
• 과학기술전문가 확보(0.7명) • 가교형R&D 수요조사(1건)
• 이전희망기술 발굴․분석 및 도입희망기술 수요조사(50건) 2019 지역R&D 역량강화 • 가교형R&D 대상 선정 및 지원(신규 2건, 계속 4건)
• 이전희망기술 및 기술수요기업 DB확보(50건) • 지역수요기반 기술조사 분석(1건)
기술 이전 활성화 • 기술이전 설명회, SP간 기술정보교류회 개최(1건)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및 R&D 추진(1건)
2023 • 기술저장(200건), 기술공급자, 수요자간 기술이전(10건) • 가교형R&D 수요조사(1건)
• 과학기술로드맵 발굴을 위한 전문가 회의 개최(10회)
2020 지역R&D 역량강화 • 가교형R&D 대상 선정 및 지원(신규 2건, 계속 6건))
지역 과학기술 기획 역량강화 • 지역과학기술로드맵 수립 1건 • 지역수요기반 기술조사 분석(1건)
• 과학기술전문가 교육(100시간)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및 R&D 추진(1건)
• 과학기술전문가 확보(0.7명)
• 이전희망기술 발굴․분석 및 도입희망기술 수요조사(50건) • 가교형R&D 수요조사(1건)
• 이전희망기술 및 기술수요기업 DB확보(50건) 2021 지역R&D 역량강화 • 가교형R&D 대상 계속과제 지원(신규 2건, 계속 8건)
기술 이전 기반 구축 • 기술이전 설명회, SP간 기술정보교류회 개최(1건) • 지역수요기반 기술조사 분석(1건)
• 기술저장(200건), 기술공급자, 수요자간 기술이전(10건)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및 R&D 추진(1건)
2024 • 지역내 우수기술과 수요기업을 발굴하여 기술거래 및 M&A 시장 활성화 • 가교형R&D 수요조사(1건)
• 과학기술로드맵 발굴을 위한 전문가 회의 개최(10회) 2022 지역R&D 역량강화 • 가교형R&D 대상 선정 및 지원(신규 2건, 계속 8건)
• 지역과학기술로드맵 수립 1건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R&D 계속 지원(4건)
지역 과학기술 기획 역량강화 • 과학기술전문가 교육(100시간) • 가교형R&D 대상 선정 및 지원(계속 8건)
• 과학기술전문가 확보(0.7명) 2023 지역R&D
기업육성
활성화를 통한 • 지역수요기반 기술조사 분석(1건)
• 이전희망기술 발굴․분석 및 도입희망기술 수요조사(50건)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R&D 계속 지원(3건)
• 이전희망기술 및 기술수요기업 DB확보(50건) • 가교형R&D 대상 선정 및 지원(계속 8건)
기술 이전 기반 구축 • 기술이전 설명회, SP간 기술정보교류회 개최(1건) 2024 지역R&D
기업육성
활성화를 통한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R&D 계속 지원(3건)
• 기술저장(200건), 기술공급자, 수요자간 기술이전(10건) • 가교형 및 지역수요기반 R&D결과 창업연계 지원(1건)
2025 •지역내 우수기술과 수요기업을 발굴하여 기술거래 및 M&A 시장 활성화 • 가교형R&D 대상 선정 및 지원(계속 4건)
• 과학기술로드맵 발굴을 위한 전문가 회의 개최(10회)
• 지역과학기술로드맵 수립 1건 2025 지역R&D
기업육성
활성화를 통한 • 산학연공동연구법인 R&D 계속 지원(3건)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연계 활성화 방안 마련
지역 과학기술 기획 역량강화 • 과학기술전문가 교육(100시간)
• 과학기술전문가 확보(0.7명)
• 가교형 및 지역수요기반 R&D결과 창업연계 지원(1건)
- 591 - - 592 -
• 멘토전문가 DB구축(신규 20명)
라.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 지역내 기업 멘티/멘토 연계 지원(10회)
년도 연구목표 세부연구내용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1회)
특허활용을 통한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교육(5회 50시간)
• 멘토전문가 DB구축(신규 20명) 2020 창업기업의 • 교육전문가 풀구성(20명)
• 지역내 기업 멘티/멘토 연계 지원(10회) 역량강화 • 창업을 통한 매출액 제고(2건 5억)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1회) • 정부사업 기획지원을 통한 사업비 확보
특허활용을 통한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교육(5회 50시간) (R&D 3건지원 타사업연계 2건 3억 수주)
2016 창업기업의 • 교육전문가 풀구성(20명) • SP 및 지역내 유관기관 입주지원 연계(2건)
역량강화 • 창업을 통한 매출액 제고(2건 5억)
• 정부사업 기획지원을 통한 사업비 확보 • 지역유관기관 연계를 통한 멘토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1회)
(R&D 3건지원 타사업연계 2건 3억 수주) • 멘토전문가 DB구축(신규 20명)
• SP 및 지역내 유관기관 입주지원 연계(2건) • 지역내 기업 멘티/멘토 연계 지원(10회)
• 멘토전문가 DB구축(신규 20명)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1회)
• 지역내 기업 멘티/멘토 연계 지원(10회) 특허활용을 통한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교육(5회 50시간)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1회) 2021 창업기업의 • 교육전문가 풀구성(20명)
특허활용을 통한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교육(5회 50시간) 역량강화 • 창업을 통한 매출액 제고(2건 5억)
2017 창업기업의 • 교육전문가 풀구성(20명) • 정부사업 기획지원을 통한 사업비 확보
역량강화 • 창업을 통한 매출액 제고(2건 5억) (R&D 3건지원 타사업연계 2건 3억 수주)
• 정부사업 기획지원을 통한 사업비 확보 • SP 및 지역내 유관기관 입주지원 연계(2건)
(R&D 3건지원 타사업연계 2건 3억 수주)
• SP 및 지역내 유관기관 입주지원 연계(2건) • 멘토전문가 DB구축(신규 20명)
• 지역유관기관 연계를 통한 멘토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1회) • 지역내 기업 멘티/멘토 연계 지원(10회)
• 멘토전문가 DB구축(신규 20명)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1회)
• 지역내 기업 멘티/멘토 연계 지원(10회) 특허활용을 통한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교육(5회 50시간)
특허활용을 통한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1회) 2022 창업기업의 • 교육전문가 풀구성(20명)
2018 창업기업의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교육(5회 50시간) 역량강화 • 창업을 통한 매출액 제고(2건 5억)
역량강화 • 교육전문가 풀구성(20명) • 정부사업 기획지원을 통한 사업비 확보
• 창업을 통한 매출액 제고(2건 5억) (R&D 3건지원 타사업연계 2건 3억 수주)
• 정부사업 기획지원을 통한 사업비 확보 • SP 및 지역내 유관기관 입주지원 연계(2건)
(R&D 3건지원 타사업연계 2건 3억 수주) • 멘토전문가 DB구축(신규 20명)
• SP 및 지역내 유관기관 입주지원 연계(2건) • 지역내 기업 멘티/멘토 연계 지원(10회)
• 멘토전문가 DB구축(신규 20명)
• 지역내 기업 멘티/멘토 연계 지원(10회)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1회)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1회) 특허활용을 통한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교육(5회 50시간)
특허활용을 통한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교육(5회 50시간) 2023 창업기업의 • 교육전문가 풀구성(20명)
2019 창업기업의 • 교육전문가 풀구성(20명) 역량강화 • 창업을 통한 매출액 제고(2건 5억)
역량강화 • 창업을 통한 매출액 제고(2건 5억) • 정부사업 기획지원을 통한 사업비 확보
• 정부사업 기획지원을 통한 사업비 확보 (R&D 3건지원 타사업연계 2건 3억 수주)
(R&D 3건지원 타사업연계 2건 3억 수주) • SP 및 지역내 유관기관 입주지원 연계(2건)
• SP 및 지역내 유관기관 입주지원 연계(2건)
- 593 - - 594 -
마.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 지역유관기관 연계를 통한 멘토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1회)
• 멘토전문가 DB구축(신규 20명) 년도 연구목표 세부연구내용
• 지역내 기업 멘티/멘토 연계 지원(10회)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1회) 2016 산학연 교류협력 네크워크 •• S&T정책
S&T정책
교류회 구성(2건)
교류회 개최(5건)
특허활용을 통한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교육(5회 50시간) 구축 및 지원
2024 창업기업의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및 추진(구축 및 3건 추진 30건)
역량강화 • 교육전문가 풀구성(20명) • S&T정책 교류회 구성(신규 2건)
• 창업을 통한 매출액 제고(2건 5억)
• 정부사업 기획지원을 통한 사업비 확보 2017 산학연 교류협력 네크워크 • S&T정책 교류회 개최(5건)
구축 및 지원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및 추진(구축 및 3건 추진 30건)
(R&D 3건지원 타사업연계 2건 3억 수주) • 국제공동연구를 해외진출 교두보 마련(국제공동연구 1건)
• SP 및 지역내 유관기관 입주지원 연계(2건) • S&T정책 교류회 구성(신규 1건)
산학연 교류협력
2018 구축 및 지원 네크워크 • S&T정책 교류회 개최(5건)
• 지역유관기관 연계를 통한 멘토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1회)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및 추진(구축 및 3건 추진 30건)
• 멘토전문가 DB구축(신규 20명) • 해외 네트웍 형성을 통한 거점구축(1건)
• 지역내 기업 멘티/멘토 연계 지원(10회) • S&T정책 교류회 구성(1건)
특허활용을 통한 •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1회) 산학연 교류협력
2019 구축 및 지원 네크워크 • S&T정책 교류회 개최(5건)
2025 창업기업의 • 과학기술 창업아카데미 교육(5회 50시간)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및 추진(구축 및 1건 추진 30건)
역량강화 • 교육전문가 풀구성(20명) • 국제공동연구를 해외진출 교두보 마련(국제공동연구 1건)
• 창업을 통한 매출액 제고(2건 5억)
• 정부사업 기획지원을 통한 사업비 확보 2020 산학연 교류협력 네크워크 • S&T정책 교류회 개최(5건)
구축 및 활성화 • 중소기업 네트워크 추진( 30건)
(R&D 3건지원 타사업연계 2건 3억 수주) • S&T정책 교류회 개최(5건)
• SP 및 지역내 유관기관 입주지원 연계(2건) 산학연 교류협력 네크워크 • 중소기업 네트워크 추진( 30건)
2021 구축 및 활성화 • 해외 네트웍 형성을 통한 거점구축(1건)
• 국제공동연구를 해외진출 교두보 마련(국제공동연구 1건)
2022 산학연 교류협력 네크워크 •• S&T정책
중소기업
교류회 개최(5건)
네트워크 추진( 30건)
구축 및 활성화 • 해외 네트웍 형성을 통한 거점구축(1건)

2023 산학연 교류협력 네크워크 •• S&T정책


중소기업
교류회 개최(5건)
네트워크 추진( 30건)
구축 및 활성화 • 국제공동연구를 해외진출 교두보 마련(국제공동연구 1건)
산학연 교류협력 지원을 • S&T정책 교류회 개최(5건)
2024 통한 • 중소기업 네트워크 추진( 30건)
성과 극대화
산학연 교류협력 지원을 • S&T정책 교류회 개최(5건)
2025 통한 • 중소기업 네트워크 추진( 30건)
성과 극대화 • 국제공동연구를 해외진출 교두보 마련(국제공동연구 1건)

- 595 - - 596 -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나. 세부사업별 추진전략, 방법 및 추진체계

가. 부산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추진전략 및 체계 1)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 추진체계 □ 기술중개 기능 활성화


ㅇ 지역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탐색하고 국내․외 공급자로부터 확보
­ 지역 중소기업의 R&BD 사업 수요조사를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
확보 지원
­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 조사 실시 → 사업화 추진 중요도
에 따른 우선순위 → 필요 기술 탐색 → 필요한 기술을 국내․외로부터 확보
­ (단기 전략) 기술중개 바우처 제공을 통해 기술과 기술수요자를 중개해
주는 국내외 기술중개서비스 기업을 적극 활용
­ (장기 전략) 장기적으로는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기술중개서비스 역할 강
화를 통해 중개서비스 주도
<추진 체계>

□ 추진방법
ㅇ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 연구재단은 사업의 평가 및 관리지원
ㅇ 부산광역시는 사업비 매칭 및 지바와학연구단지 사업관리/지원
ㅇ 부산과학기술진흥센터는 기술저장소 운영, 과제기획, 관리, 평가 및 산
학연 네트워크 구축, 창업기획 수행 ㅇ 이전희망기술 발굴․분석 및 도입희망기술 수요조사
ㅇ 부산지역 기업, 대학, 연구소, 테크노파크, 협의회/협회 등과의 긴밀한 ­ 지역내 대학 및 연구소를 중심으로 유용한 특허기술 발굴
연계협력을 통해 사업의 효율화 달성 ­ 지역내 기술거래사, 민간거래기관을 활용하여 유용한 기술 발굴․분석 및
ㅇ 기술저장소에 구축된 기술인프라를 기초로하여 가교형R&D, 산학연 공 방문상담 실시
동연구법인, 특허기반 창업에 대한 기술 도출 ­ 공공TLO와 보유하고 있는 연구소 및 전문연구기관을 통하여 우수기술
ㅇ 운영체계의 원활한 시스템화를 통해 지역 기초/원천 과학기술의 허브 모니터링 및 기업 애로기술 발굴
구축 ­ 수요자 탐방형 기술과제 도출 프로그램 운영(참여기관과 공동으로 지역기
업을 방문하여 지역기업이 인지하지 못하는 애로기술 발굴 및 발굴기술
과제제안)
­ 수요조사를 통해 발굴된 기술과제는 참여기관을 활용하여 기술성․사업성

- 597 - - 598 -
을 분석하고 이를 보고서로 작성․제공하여 기술수요기업 및 대학TLO에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기술도입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자료 및 마케팅 활용자료로 제공 □ 추진 방향
ㅇ 이전희망기술 및 기술수요기업 DB구축․유통 ㅇ 지역 특화 분야 가교형R&D 과제 발굴․기획,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 기술공급기관에 애로기술․기술도입희망기업 상담정보 제공 용 원천기술 발굴
­ 기술이전설명회 개최, 이전기술홍보책자 제작 및 발송
<지역수요 기반 R&D 기획 프로세스>
□ 기술 저장소 구축 운영
ㅇ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의 특허 등을기술저장소(Technology Reserve)
에 저장하고 유사 특허의 패키지화 등 특허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한 후
창업기업, 벤처기업 등에게 대여해 주고 그에 따른 대가를 로열티 형식
으로 제공하는 플랫폼 구축 □ R&D 과제 선정 방향
­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 등이 공동 참여하여 지역별 DB 구축
­ IP 패키지 및 포트폴리오 구축을 통해 강한 고부가가치 특허 만들기
지역특화분야를 선도할 ✙ 기존 지역 R&D와의 타 사업과의 부합성
ㅇ 기술이전 및 사업화연계 혁신체계 구축 수 있는 기초․원천 기술 차별적 사업화 수행 ✙
및 연계 활용 가능성
­ 대학ㆍ공공(연) 우수한 기술과 기업이 보유한 사업화 유망기술을 체계
적으로 발굴․관리하며 기술수요자를 매칭 할 수 있는 거점기관 역할 수행
□ R&D 과제 선정 절차
­ 지역의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기술거래 시스템 구축과 지역 및 권역간
ㅇ STEP 1 : 기초원천 후보 기술 LIST-UP
의 정보공유 프로그램 운영을 활성화하여 A부터 Z까지의 기술이전과
ㅇ STEP 2 : 후보기술 중 R&D 과제 도출(10개 과제)
사업화에 이르는 전주기적인 혁신체계 구축
ㅇ STEP 3 : 도출된 R&D 기술 우선순위 선정
ㅇ STEP 4 : 중복성 검토 및 최종 후보과제 선정
□ 추진 체계
STEP 1 STEP 2 STEP 3 STEP 4

R&D대상 후보 우선순위 선정
후보기술 LIST-UP 중복성검토 및 선정

(기업, 연구소, 대학
기술 도출 (기업수요조사 50%, (가교형 R&D 3개
등 → 194개 도출) (전문가 조사 및 전문가 협의체 공동연구법인 2개)
자문검토) 평가 50%)

[STEP 1] 후보기술 LIST-UP


□ 기초원천 기술 List 도출 근거
ㅇ 국가 R&D사업 등을 통해 완료된 지역 특화분야의 기초 R&D과제 도출
­ 최근 3년 내 완료된 지역 기업 R&D 사업 내에서 우수 기술 도출
ㅇ 지역대학 및 출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 중 지역기업이 활용 가
능한 R&D 과제
­ 지역 대학별 TLO 및 연구기관 보유 기술을 근거로 기술 도출

- 599 - - 600 -
<기초원천 기술 도출 모식도> □ 후보기술 명단

지역기업 R&D 완료 사업 지역대학 TLO 보유기술 지역 연구기관 보유기술 특화분야 제안 과제명 주관기관

▪광역선도산업 ▪부산TP 특화센터 신재생에지


해상풍력발전 실증화 단지 조성기술
녹색산업기술

▪대학 TLO 보유기술 ▪한국신발피혁연구소


(풍력) 연구조합

▪지역특화사업 ▪생기원 부산분원 비금속계 일체성형가능한 친환경 도어씰 소재 개발


한국신발

▪기타 R&D사업
▪KIM 부산분원 고효율
에너지 하베스팅 및 스마트 그리드를 활용한 무선전력전송 이용
피혁연구소

에너지 저장소 저장성능 활용 전기 구동자동차 충전 및 방전을 동아대

특화분야별 기술 후보 도출 저공해 차량 위한 기술 개발 및 시험분석 기반 구축 기술


배터리 성능 극대화 및 최적 열관리 기술과 수명연장 기술 동아대
신재생에너지, 고효율 저공해 차량,
미래형 고령친화 복지자동차 핵심기술 개발 경성대
초정밀융합부품, 바이오헬스
초소형 해양 로봇용 소나 장치 동명대
주행조건에 따른 자동차 LED 헤드램프 출력 및 조사각 제어 기술 동아대
[STEP 2] R&D 후보기술 도출 전자기성형, 초고속 성형, 초정밀 융합부품 성형 부산대
알루미늄-고분자수지, 구리-고분자 한국기초과학
□ 도출 기준 수지 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지원연구원
ㅇ 각 기술도출 근거별로 제시된 후보 기술을 대상으로 관련분야 전문가 초정밀융합부품 수술용 로봇 인스트루먼트의 섭동관측기 기반
sensroless 힘 추정 기술 부산대
그룹 회의를 통해 특화분야별 과제 도출 햅틱 원격조작을 위한 양방향 제어기술
복강경 수술용 로봇 인스트루먼트의 간접적
ㅇ 기술적 파급효과와 사업화를 통한 성공가능성을 기준으로 하여, 우선순 부산대
작동력 측정법에 관한 연구
위 기술 후보 도출 전기화학발광 경성대
고 효율 열펌프(히터펌프) 건조기 엠엠씨
[STEP 3] 도출 R&D 후보기술 우선순위 선정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분리기술 부경대
웰니스용 센서모니터링 및 energy harvesting 기능
부산외대
□ 우선순위 선정 프로세스 가진 smart shoes 개발
바이오헬스 Assistance wire system에 의한 하지마비환자,노약자의
ㅇ 기업 수요조사 정상보행기능회복과 하지근력강화를 위한 재활훈련장치
광원메디텍

­ 대상 : 단지내 기업 및 필요시 외부기업(기업 설문조사) 한국바이오


효모를 이용한 글루타치온 대량생산
솔루션
­ 방법 : 도출된 과제에 대한 선호도 (설문)조사
ㅇ 지역 공무원 및 전문가 협의
□ 추진 체계
­ 구성 : 5인 이상 전문가(지역공무원 + 지역 학계 및 연구계 전문가 +
지역 산업계 전문가)로 구성
­ 방법 : 도출된 과제에 대한 전문가 서면 평가

[STEP 4] 중복성 검토 및 최종과제 선정


□ 중복성 검토
ㅇ 최종 선정된 개 기술에 대한 NTIS 중복성 검토를 실시하여, 중복성이
없다고 판단된 개 기술에 대한 최종 과제 확정

- 601 - - 602 -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 예비창업자를 모집하고 프로그램 참여시 소규모 투자와 지분취득, 일정
기간 멘토링 및 교육, 최종적으로 엔젤과 투자자들에게 창업가들의 결과
□ 추진 전략 물을 선보이고 투자를 유치하도록 돕는 역할 수행

□ 창업경진 대회
ㅇ 부산TP가 매년 추진하는“신기술아이디어발명박람회”와 병행하여 지역
수요기반R&D 등의 연구결과물을 활용하는 창업경진대회 추진
­ 일정기간 집중적 1:1 멘토링 및 교육을 통해 사업아이템을 개발하고 ‘데
모데이’를 통해 투자사 등에게 평가 받는 기회 제공
­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한 권리화(로펌 활용 등) 지원
­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IP는 일시적으로 창업기획사가 소유하고 창업이
이루어질 경우 IP권리는 창업기업으로 이전
­ 우수 사업아이템은 R&BD 자금 제공, 지역 내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ㅇ 창업프로세스 표준화 및 창업지원센터 지정, 창업기획사 설립 지원 등을 ㅇ R&D 과제 수행 연구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시작하여 부산과학산업단지
통한 부산과학기술진흥센터의 창업 거점기능 확보 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으로 확대
ㅇ 기술저장소 등을 활용한 지역 원천․기초 특허에 대한 사업성, 시장성 평 (참여 기관) 과학연구단지협의회, 과총지 <교육 프로세스>
가를 통한 우수 창업 아이템 및 창업자 발굴 역연합회, 산학협력선도대학 내기업가정
ㅇ 개별 추진사업을 통한 창업 진행 프로세스별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신센터
(참여 대상) R&추진 전략) 속성코스 또
□ 멘토링 시스템 구축 는 12~16주 코스로 진행
ㅇ Onㆍ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 - [1단계] : 문제해결 능력 배양
­ (멘토단 구성 및 관리) 창업지원을 위해 벤처투자가, 엔젤투자가, 기업 ㆍ최첨단 과학기술 분야의 트렌드 강의
체CEO, 법률 및 회계 전문가 등으로 멘토단 구성 및 멘토 D/B 구축 ㆍ융ㆍ복합적인 문제해결 사고방식 개선
­ (On-line 창업내비게이션 구축) 창업 프로세스 로드맵을 입체적으로 제 ㆍ기업가 정신 교육 및 새로운 비즈니
공하는 시스템 스 모델 탐색 능력 배양
­ 창업 프로세스 표준화 → 프로세스별 예상되는 문제점 및 애로사항 제시
- [2단계] : 팀별 맞춤형 강의
ㆍ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팀 결성
→ 애로사항 관련 세제 및 법규, 지원사업 제공 → 관련 전문가(멘토) list
ㆍ맞춤형 강사와 벤처캐피탈을 초청,
제공
팀별 교육/멘토링/컨설팅 제공
­ (One-stop 창업지원센터 지정) 지방과학연구단지 센터 내에 엔젤, 멘토
- [3단계] : 인큐베이팅
및 지원기관(정부 및 공공기관) 등을 입주시켜 예비창업자에 대한 종합 ㆍ팀 단위 비즈니스 모델 완성 및 발표
적One-stop 서비스 제공
­ (창업 기획사 설립․지원) 연구성과물에 기반한 성공적 창업을 위한멘토
링 및 투자연결을 담당하는 창업 기획사(Accelerator) 설립 또는 지정
- 603 - - 604 -
4) 산학연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 (토론방) 지방과학기술진흥로드맵 실행 계획, 가교형 R&D 과제 기획,
□ 추진방향 연구 과제 수행 시 문제점 등에 대한 토론 및 해결책을 논의하는 장
ㅇ 지역 주요 과학기술정책 및 지원기관 간 on․off line 교류․협력 장 마련
을 통해 지역별로 통합적인 과학․산업기술 생태계 조성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 지방 과학기술정책 및 기획 활동을 연계하고, 사업추진 중 생성된 정보 ㅇ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를상호 교류함으로써 과학․산업이 융합된 혁신 생태계 조성 ­ 동일 산업분야 내에서 대학 및 연구기관, 중소기업, 대기업 및 투자기관
­ 상설 조직 구성을 통해 과학기술 정책 및 지원기관의 협력 채널을 구축 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하고(off-line), 지원기관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여 ­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과 연구개발프로그램 참여시 우대
지자체운영(on-line) ­ 기술개발, 전문인력 육성, 중소기업 컨설팅, 판로개척 및 마케팅 등 중소
기업 애로 해결에 지원금 활용
□ S&T 정책교류회 구성․운영 ­ 지방과학연구단지는 네트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ㅇ 부산지역 과학기술진흥조례 마련(개정)을 통해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 등 네트워크 감독매니저 역할 수행
위원회를 상설 위원회로 구성 ­ 지역네트워크와 연계 협력 : 중소기업 네트워크 차원에서 지역별 중소기
­ 부산 지역 과학기술진흥협의회의 하부 운영조직으로 상설위원회 설치를 업 지원 협의체에 참여
명문화
­ 지방과학연구단지 가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사무국 기능 수행 □ 추진체계
­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기능 : 지방과학기술 진흥로드맵 마련, 부
문별 로드맵(기초원천로드맵, 산업기술로드맵 등) 승인, 지역별 기술사
업화 촉진계획 수립, 지역 과학기술교육 정책 수립, 과학문화 확산 정책
수립, 지역별 전문인력 수급계획 수립 등
­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구성 : 부산시 과학기술 관련 국장, 지방
과학연구단지 센터장, 테크노파크 원장, 지방 중기청장, 지역 기술신용
보증기금장, 과학기술정책 전문가 등
­ (S&T 정책․성과 포럼) 지역내 연구성과 및 정책에 대한 성과를 발표하
는 포럼 개최를 통해 지식 및 인적교류 활성화
­ 오픈된 개인참가형으로 관련 분야에 대한 자율적 논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월 1회 개최
­ (지역별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지역과학기술진흥 정책 수
립․실행에 대한 정보제공, 의견교환 등이 가능한 온라인 정책교류 장 구축
­ 지자체가 운영(실무는 연구개발기획팀이 담당)하고 지역 주요 기관이
참여하는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블로그, Facebook 등의 형태로 온라인
플랫폼 구축
­ (정보제공) 지방과학기술진흥로드맵, S&T 정책교류회 회의․토론 내용,
주요 지역R&D 과제 (과제개요, 주요 연구내용, 기술개발로드맵, 기대성
과), 지역 내 과학기술인력 채용정보 등

- 605 - - 606 -
나.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 연구개발특구, 과학비즈니스벨트와 연계
ㅇ 필요기술 국내탐색 및 중개(SP) ↔ 필요기술 해외탐색 및 중개(특구)
1)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ㅇ 연구성과(특허)기반 창업경진대회: 지역단위(SP) → 광역 및 전국단위
□ 사업내 세부사업간 연계 방안 (특구) → 글로벌 경진대회(비즈벨트)
ㅇ 기술 발전 단계별 연계
□ 미래부 내 사업과 연계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및 대학간 연계 시스템을 통해 지역 내 기초원
ㅇ 지역과학기술진흥로드맵 수립, 지역R&D 기획 시 연지단과 협력
천 기술에 대한 지역기업의 수요조사 실시
ㅇ 정부의 중점추진 방향(지역발전+지방대학육성+산학협력 등 지방대 지원
­ 사업성이 우수하고, 시장성이 높은 원천기술에 대한 가교형 R&D 및 산
및 산학협력 등)에 대한 다수의 사업 존재함에 따라 지역대학 발전방안
학연 공동연구 법인으로의 전개
수립을 통하여 대학수요기반 R&D사업 및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 LINC 사업 내 기업가정신센터와 공동으로 창업아카데미 운영
< 기술 발전 단계별 세부사업 연계 프로세스>
­ 단지 내 창업기업으로의 현장실습(인턴쉽 프로그램) 프로그램 개설 및 공동운용

□ 산업부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 연계
ㅇ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추진 중인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을 통해 기
구성되어 있는 기술이전 실무자협의회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지역의 기술
협력네트워크 활용하여 애로기술수요조사에 대한 결과물 공유 및 관련
연구자 또는 기술동향 파악
ㅇ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사업에 참여하는 영남권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 분야
기술․기업 정보제공 및 공동 기술마케팅 실시

ㅇ 세부사업 기능간 연계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대학, 연구소, 기업의 DB
를 활용하여 기술 분야별 유망기술 도출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을 통해 도출된 유망기술 목록에서 가교형
R&D사업과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의 원천기술 도출 및 연계
­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의 창업아이템 제공

2) 타 사업과의 연계방안
□ 테크노파크와 연계
ㅇ 지역수요기반 R&D와 연계성강화를 위해 TP가 추진하는 광역선도 R&D
등 다양한 상용화사업과 연계를 통해 지역 내 사업화 단계별 프로세스 정립
ㅇ 부산 TP가 수행하는 사업과 공유 가능할 경우, 사업 프레임을 공유(예,
지식발명박람회 vs 창업경진대회, 기술거래소 DB 공유 등)

- 607 - - 608 -
5. 기대효과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가. 정량적 기대효과 □ 사업비 총괄표


(단위 : 백만원)
ㅇ (사업화 효과) 2단계 SP사업의 추진을 통한 R&BD, 창업 및 첨단기술기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합계
업육성, 일자리창출 등과 관련한 기대효과 국비 1,815 1,890 2,737 3,813 4,660 5,360 5,350 4,563 4,187 2,790 37,165
지방비 735 655 675 695 715 735 735 735 735 735 7,150
구 분 기대효과 목표(‘15년→’24년)
민간 200 325 588 912 975 1375 1375 1112 988 525 8,375
지식재산
▪지식재산경쟁력강화 → 국내기술상용화 기간 단축
▪지역기업의 기술수요를 반영하여 지역대학
기술이전 합계 2,750 2,870 4,000 5,420 6,350 7,470 7,460 6,410 5,910 4,050 52,690
수수료
활용도제고 등의 유망기술을 중개 및 기술이전 □ 세부사업별 총괄표
10억원
▪기술저장 300건, 기술이전 50건
ㅇ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R&D 관련 매출
지역수요기반 ▪기초․원천 R&D 성과의 활용도 제고 (단위 : 백만원)
500억원
R&D ▪기초 원천기술 후속R&D지원
직접고용 50명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기술 국비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0
▪R&D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창업확대 창업기업 매출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화를 통한 성과확산 지원 100억원
중개기 지방비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0
▪창업 20개 기업 직접고용 60명 능활성화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기술저 국비 400 80 160 240 320 400 400 400 400 400 3,200
▪특화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권역간 연계협력 보고서 등
산학연네트워크
→ 전문인력 공급거점 역할 40건
장소 지방비 100 20 40 60 80 100 100 100 100 100 800
구축 계 500 100 200 300 400 500 500 500 500 500 4,000
나. 정성적 기대효과
지역과 국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학기술 지방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기획 계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0
국가과학기술의 국가산업기술
지역 과학기술 과학기 국비 5 5 5 5 5 5 5 5 5 5 50
✙ ✙ R&D거점 ✙ 지역경제 활성화 술기획 지방비 5 5 5 5 5 5 5 5 5 5 50
균형발전 경쟁력강화 전문성
기관 구축 강화 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ㅇ (국가과학기술의 균형) 지역별 R&D 생태계 조성 등 글로벌 경쟁력을 합계 830 430 530 630 730 830 830 830 830 830 7,300
갖춘 혁신클러스터 간 연계를 통해 국가R&D 효율성을 제고
ㅇ 부산의 R&D기획 지원 및 기술사업화 연계 전문기관으로 지역내 확고한 ㅇ 지역수요기반 R&D
위상과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경제적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기틀 마련 (단위 : 백만원)
­ 기술수요자에게 사업화가 유용한 우수기술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유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통체계 구축 기초원 국비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0
천기술 지방비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0
­ 지역내 개발 기술을 체계적으로 관리․발굴하고, 발굴기술을 원활히 공급 조사분석 계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0
할 수 있는 기술중개․사업화 기능을 가진 지역기술 거래기관을 조직하
가교형 민간
국비 600 600 1,200 1,800 2,400 3,000 3,000 2,400 2,400 1,200 18,600
고 전국으로 확대될 수 있는 운영체계 구성 R&D 200 200 400 600 600 1,000 1,000 800 800 400 6,000
계 800 800 1,600 2,400 3,000 4,000 4,000 3,200 3,200 1,600 24,600
­ 지역내 과학기술 정책교류․사업화 관련 기관․단체․기업 등의 종합적인 의
산학연 국비 - 375 562 938 1,125 1,125 1,125 938 562 375 7,125
견 수렴 및 사업추진을 한곳으로집중할 수 있는 조직체계 마련 공동연 민간 - 125 188 312 375 375 375 312 188 125 2,375
ㅇ 우수기술 확보를 위하여 기술저장소 및 각 지역과학기술진흥센터가 발굴 구법인 계 - 500 750 1,250 1,500 1,500 1,500 1,250 750 500 9,500
한 사업화가 가능한 기술정보를 공유하여 전국단위의 기술유통시장 형성 합계 840 1,340 2,390 3,690 4,540 5,540 5,540 4,490 3,990 2,140 34,500
- 609 - - 610 -
ㅇ 특허활용창업기획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단위 : 백만원)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 지적재산권 등 R&D 성과물의 관리체계 개선
국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ㅇ 창의적인 연구개발 활동과 개방형 혁신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적재산권의
멘토링시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보호제도 확립 필요
스템구축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ㅇ 기업 간 기술협력의 촉진을 위하여 지적재산권 보호 수준을 실효성 있게
국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방안마련
창업 경진 지방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대회 추진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 정부출연연구원 이주
과학기술 국비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0
창업아카 지방비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0 ㅇ 우수한 연구개발역량을 보유한 정부출연연구원(또는 분원)을 이주시켜
데미 계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0 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하여 지역수요기반 R&D 활성화
국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ㅇ 산업단지공단과의 기능적 제휴 및 연계
특허활용 지방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ㅇ 산업단지공단, 혁신클러스터추진단 등과의 연계전략을 통해 연구개발의 역
창업촉진
계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0 량 제고
국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ㅇ 과학연구단지사업으로는 기초연구를 수행하며, 혁신클러스터사업으로는
창업기업의 지방비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성장촉진 이를 사업화하여 기업에 이전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등의 연계전략의 도
계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0 입이 필요
합계 480 480 480 480 480 480 480 480 480 480 4,800
□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강화
ㅇ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ㅇ 미설립 기업에 대하여 연구소 설립을 유도․장려하기 위해 연구소 설립에 대
(단위 : 백만원)
한 지원혜택을 부여 및 중앙정부차원의 지원제도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ㅇ 기업연구소 설립 및 지원제도를 전문적으로 상담하는 ‘기업연구소 지원센
S&T정책
국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터’를 과학연구단지에 설치
교류회 지방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구성․운영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 산업화 연계
중소기업
국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ㅇ 가교형 R&D 성과는 테크노파크와 연계하여 광역경제권선도사업(산업부)으
네트워크 지방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구축지원 로 선정 추진하여 산업화할 수 있도록 활용 지원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ㅇ 기업정보를 D/B화하고, 연구개발서비스업의 특성에 부합하는 컨설팅 지원
해외네트 국비 - 20 - 20 - 20 10 10 10 - 90 사업 신설을 통해 사업화 연계 체계 정립
웍형성을
통한국제 지방비 - - - - - - - - - - -
공동연구
활성화 계 - 20 0 20 0 20 10 10 10 0 90 □ 지역R&D 거점기관 구축
합계 600 620 600 620 600 620 610 610 610 600 6,090 ㅇ 지자체 내에서 추진되는 지방R&D사업에 대한 모니터링 및 조사·분석 실시,
지자체 과학기술전담부서에 대한 지원 업무를 수행
ㅇ 지자체 R&D사업의 중점추진방향에 대한 기획과 지자체 R&D사업에 대한
분석 시스템을 바탕으로 사업간 연계 및 중복 조정
- 611 - - 612 -
8. 연구원 편성표 첨부 I 가교형 R&D 후보과제(1, 2 순위) 요약문

과제명 직급별 참여연구원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과제 〈 요 약 문 〉
구분 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수 책 선 원 기 계 출연 국공 대학 산업 기타 계
석 임 임 급 타 (연) 립(연) 계 연구사업명 비금속계 일체성형 가능한 친환경 도어씰 개발
부산연구개발지원단운영지원사업
총괄 부산과학기술 전은갑 1 1 1 2 5 5 5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진흥센터 선행
○ 기 술 명: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제조 방법
지역혁신창의인력양성사업 기초·원천기술
총괄 부산과학기술 전은갑 1 1 1 2 5 5 5 ○ 기술내용: 초분자 열가역성 탄성체를 이용한 발포 컴파운드 개발
진흥센터
지역특화맞춤형기술이전사업 ○ 초분자 열가역성 탄성체를 이용한 발포 컴파운드 개발

총괄 부산과학기술 전은갑 1 1 1 2 5 5 5 - 초분자 열가역성 탄성체 파일롯 스케일 제조 기술 개발


진흥센터 - 물리발포, 화학발포 컴파운드 가공 기술 개발
지역중소기업기술수요조사지원사업 ○ 복합PP 인성(靭性) 향상 및 아미드계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를 이용한
총괄 부산과학기술 전은갑 1 1 1 2 5 5 5 연구개발내용 고인성 플라스틱 심재 소재 및 가공기술 개발
진흥센터 - 복합 PP 고인성화 기술 개발
합계 4 4 4 8 0 20 20 0 0 0 0 20 - 아미드계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제조 기술 개발
- 플라스틱 심재 형상 설계 및 성형/가공 기술 개발
○ 비금속 심재 및 발포 탄성체 일체 성형 기술 개발
○ 1차년도
- 초분자 열가역성 탄성체 파일롯 스케일 제조 기술 개발
- 초분자 열가역성 발포 탄성체 기초 기술 연구
- 이온계 클러스터 조절 기술 연구
○ 2차년도
- 초분자 열가역성 탄성체를 이용한 발포 컴파운드 개발
- 고발포 저비중 컴파운드 가공 기술 연구
- 저비중 컴파운드의 초분자 네크워크 구조 및 물성 향상 기술 연구
○ 3차년도
연차별연구내용
- 고인성 심재 소재 및 가공 기술 연구
- 복합PP toughness 향상 기술 연구
-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복합화 기술 연구
○ 4차년도
- 아미드계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제조 기술 개발
- 플라스틱 심재 형상 설계 및 성형/가공 기술 개발
○ 5차년도
- 초분자 열가역성 발포 탄성체 복합화 및 최적 배합 연구
- 비금속계 일체형 도어씰 제품화 기술 개발

○ 자동차용 도어씰은 전국대비 지역내 비중(약30%)이 높은 분야로 기술개발 성


공시 지역 일자리 창출 기여 가능
기대효과
○ 고무산업은 대표적인 고용창출형 산업(0.8명/억원)으로 신규소재 개발 성공시
지역 업체 매출 및 고용증대 효과 극대화 기대

핵심단어
도어씰, 가역성가교 고무, 발포, 자동차 리싸이클링
(5개 이내)

- 613 - - 614 -
〈 요 약 문 〉 첨부 II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계획서 요약문
연구사업명 미래형 고령친화 복지자동차 핵심기술 개발

선행
○ 기 술 명: 고속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전류 제어방법 연구개발과제계획서
기초·원천기술 ○ 기술내용: NEV복지자동차 Main Frame & Chassis 설계 최적화
① 부처사업명(대) 미래창조과학부 ④ 보안등급(보안, 일반) 일반
○ 고령친화 이동기기 및 운영시스템 개발을 통한 신성장동력 산업화 (경제성)
② 사업명(중)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⑤ 공개가능여부(공개, 비공개) 공개
○ 첨단이동시스템기반 교통약자자립능력 향상의 생산적복지체계구축(생산적복지)
연구목표
○ ICT기술 기반 친환경 전기자동차 보급활성화 (ICT융합 및 친환경) ③ 세부사업명(소)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 모두가 편리한 인간중심 사회 구현 (삶의 질 향상/따뜻한 기술/유니버셜디자인)
과제성격 개발 실용화 대상여부 실용화
(기초, 응용, 개발) (실용화, 비실용화)
○ 고령친화 및 복지형 저속 전기자동차 핵심기술 개발
연구내용 ○ 주차/탑승/안전/적재편의 핵심기술 개발 국 문 동남권 풍력부품 기업 육성을 위한 해상풍력발전실증화 단지 기술개발
○ Mobile 대응 connected vehicle 핵심기술 개발 후속연구개발과제명 southeast area wind powercomponent foster enterprise
영 문
○ 1차년도 offshore wind development proof park technical development
- 고효율 고성능 릴럭턴스 모터 제어 및 구동기술 개발 ⑥ (총괄)주관연구기관 한국녹색산업기술연구조합
- 고령자 인지장애 개선한 사용자 맞춤형 주행상태표시 인지모듈 개발
⑦ 협동(공동)연구기관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원
-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GPS와 연동한 교통약자용 위치기반 정보서비스 기술 개발
○ 2차년도 성 명 정성학 직급(직위) 국장
(총괄)주관연구책임자
- 고효율 고성능 릴럭턴스 모터 구동기술 및 제품 개발 소속부서 사무국 전공 기계공학
- 햅틱기술 등을 이용한 시력/청력 보조인지력 향상기술 및 정보처리 기술 개발
- 스마트 모바일기기용 영상장치 및 센싱 기술을 이용한 주변 환경(실내 및 실 연구개발비 및 참여연구원수 (단위: 천원, 명)
외) 인식기술 개발 기업체부담금
정부외 상대국
년 도 정부출연금 출연금 부담금 합계 참여
○ 3차년도 (A) G=(A+B+E) 연구원수
현금 현물 소계 (B) (F)
- 무접점 충전/ BMS 기술 개발 (C) (D) E=(C+D)
- 중량화물(이동보조기) 적재 및 차량 승·하차시 교통약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토
1차년도 500,000 500,000 500,000 1,000,000 19
연차별 록 보완 설계된 교통약자 맞춤형 탑승편의 장치 개발
연구내용 - 교통약자와 스마트 모바일기기 간의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음성, 제스츄어 인 2차년도 500,000 500,000 500,000 1,000,000 19
식 기술 개발)
3차년도 500,000 500,000 500,000 1,000,000 19
○ 4차년도
- 무접점 충전, 인터페이스 및 BMS 기술 개발 4차년도 500,000 500,000 500,000 1,000,000 19
- 고령자 인지장애 개선한 사용자 맞춤형 주행상태표시 인지모듈 개발
5차년도 500,000 500,000 500,000 1,000,000 19
- ICT 및 Sensor Network을 이용한 운전자 상태, 위치정보검출 기술 개발
- 사고회피 / 사고규모경감 2차 확산 방지를 위한 사고방지 알고리즘 개발 합계 2,500,000 2,500,000 2,500,000 5,000,000 95
- 교통약자와 스마트 모바일기기 간의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총연구기간 2015년~2019년
- TTS(text to speech), 컴퓨터그래픽(3D 포함) 기술기반 교통약자용 UX/UI 및
정보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다년도협약연구기간
○ 5차년도
당해연도연구기간 2015. 9
- 주차/탑승/안전/적재편의 핵심기술이 적용된 Mobile 대응 유니버셜디자인 기반
교통약자형 Connected Vehicle 기술 및 시제품 개발 중소기업수 대기업수 기타 계
⑧ 참여기업
9 1 10
○ 국외논문게재 30편 ○ 국내논문게재 24편 ○ 특허출원/등록 64건
기대효과 상대국연구기관수 상대국연구개발비 상대국연구책임자수
○ 인력양성 23명 ○ 기술료 85,000천원 ○ 고용창출 90명 국제공동연구

핵심단어
고령친화, 전기자동차, ICT융합, 스마트카, 유니버셜 디자인
(5개 이내)

- 615 - - 616 -
〈 요 약 문 〉

연구사업명 ○ 동남권 풍력부품 기업 육성을 위한 해상풍력발전실증화 단지 기술개발

○ 기 술 명: 5MW급 모노파일 해상풍력 Leveling 시스템 개발


선행
기초·원천기술 ○ 기술내용: 단지개발, 발전단지에 적합한 풍력발전기 선정 및 발전 단지 운용

○ 풍력 개발을 위한 풍력부품에 대한 실증 Track-Record 확보


연구목표 ○ 실증풍력발전기 모델 개발
○ 실증화단지 조성 및 운영기술 확보

○ 동남권 풍력부품 기업육성을 위한 해상풍력발전 실증화 단지 기술개발 필요


연구내용 ○ 해상풍력발전기 실증 데이터 처리기술 확보 및 운용 기술 확보
○ 해상풍력발전 실증화 단지 기술개발을 위한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림

○ 1차년도
- 공동 연구법인설립 및 고리원자력 해상풍력발전 실증화 단지 기초기술
- 해상기본데이터(풍향, 풍속 등)조사를 위한 해상기상탑 운용기술 확보
- 해상풍력발전단지 설계기술확보
○ 2차년도
- 공동 연구법인설립 및 고리원자력 해상풍력발전 실증화 단지 기초기술
- 해상기본데이터(풍향, 풍속 등)조사를 위한 해상기상탑 운용기술 확보
- 해상풍력발전단지 설계기술확보
○ 3차년도
연차별 연구내용
- 공동 연구법인설립 및 고리원자력 해상풍력발전 실증화 단지 기초기술
- 해상기본데이터(풍향, 풍속 등)조사를 위한 해상기상탑 운용기술 확보
- 해상풍력발전단지 설계기술확보
○ 4차년도
- 사업화(수출, 내수시장)를 위한 Track-Record 확보 기술
- 기술 Tree를 통해 개발된 해상풍력발전기 실증 데이터 처리기술 확보
○ 5차년도
- 사업화(수출, 내수시장)를 위한 Track-Record 확보 기술
- 기술 Tree를 통해 개발된 해상풍력발전기 실증 데이터 처리기술 확보
○ 극한 환경 조건의 풍력발전부품소재의 성능평가기술을 확보함으로 소재에 국
산화 및 세계시장 선점화가 가능하며 성능시험, 신뢰성 검증을 통해 해외 주요
선진사에 독점공급이 가능함
기대효과
○ 풍력발전기, 해상플랜트 및 각종 해상에 사용되어지는 구조물의 소재에 대한
평가를 이룰 수 있으며, 부품의 신뢰성 확보를 통한 국가 수출경쟁력확보에 많
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

핵심단어
해상풍력, 단지조성기술, 풍력부품, 풍력설계, 전력망
(5개 이내)

- 617 -
울산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The Second Stag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Ulsan
Science Park)

연구기관: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

연구책임자 : 한경식
< 목 차>

Ⅰ.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623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623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및 입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625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
··
··
··
··
··
··
··
··
··
··
··
··
··
··
·627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7
2. 1단계 사업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9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
··
··
··
··
·633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633
2. 최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5
3. 연차별 사업의 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5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5
5.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8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0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2
8. 연구원 편성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3
9.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3

[첨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4

- 621 -
3) 과학기술진흥센터 인원 현황
I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소 속 직위 성명 참여율(%) 비 고
과학기술진흥센터 센터장 한경식 50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실장 박정환 30

기술이전사업화 팀장 엄성숙 30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인원
지원팀 연구원 이동엽 25
1) 주관기관 조직도 연구원 김나리 23

□ 주관기관 : 울산테크노파크 팀장 황현태 65

□ 조직구성 : 2단, 1본부, 2연구소, 1센터 과학단지사업팀 선임 소상우 40


□ 근무인원 : 총 173명(‘14. 4 기준, 정규직 81, 위촉직 92) 연구개발사업팀 주임 안성규 70
인력양성사업팀 연구원 이익건 100
연구원 고수영 100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예산
(단위 : 백만원)
년 도
2013 결산 2014예산(안) 증 감
구 분
임대수입 500 500

장비수입 40 40

인건비 수입 300 500

간접비 수입 10 50 △40

수 입(A) 850 1,090 △40

인건비 300 500 △200


2)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도
일반관리비 30 50 △20

시설관리비 490 490

장비관리비 40 40

지 출(B) 860 1,080 △40

A-B 10 10

- 623 - - 624 -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입주 현황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 현황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현황 1)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기업 및 기관 현황


□ 입주기업 및 기관 : 34개, 입주율 95%
1)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 리모델링(공장형에서 연구공간으로 구조 변경)
□ 목적 : 기초·원천 R&D 통한 주력산업 구조 고도화 분야 연구기관 기업부설연구소 일반 및 벤처기업
ㅇ 지원분야 : 자동차IT, 조선IT, 표면처리(접합), 그린에너지(신소재) 등 ㈜로파, 동아전장㈜, 신영㈜,
성현사업(주), ㈜오토산업, ㈜에이치디테크닉,
□ 기간 : 2009. 2 자동차 IT 자동차부품연구원
㈜이지트로닉스, ㈜세원물산, 디지털매니저먼트
□ 총사업비 : 10,700백만원(시비 10,700, 지자체 현물출자) 정일ENG, ㈜유시스
RIST
□ 위치 : 울산 북구 매곡동 342-2 조선 IT 대광기업㈜, ㈜한국코벨코과연 ㈜힘스, ㈜힘스B&S
울산산업기술연구소
□ 규모 : 지하 1층, 지상 3층 ㈜신기인터모빌, 택트,
표면처리
ㅇ 대지면적 : 약 6,561m² 고등기술연구원 엠에스오토텍㈜, 엔케이에스㈜, ㈜앤트
(접합)
㈜메탈텍, KCW(주)
ㅇ 연 면 적 : 약 10,735m²
케이스메탈, 수통상
그린에너지 지에프㈜, 신일공업사,
□ 주요시설 : 세미나실, 회의실, 과학체험실, R&D 성과물 전시장, 벤치마킹실 등 (신소재)
그린전기차 연구단
일신하이텍
TNE, ㈜아이록스,
유나이티드파트너스
2) 안전장비 연구동
합 계 4개 연구기관 20개 기업부설연구소 10개 기업
□ 목적 : 기초·원천 R&D를 위한 안전장비 구축 및 연구
ㅇ 연구분야 : 진자시험 및 보행자 보호시험 등
□ 기간 : 2011. 7 ~ 2012. 12 2)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율
□ 총사업비 : 1,300백만원(시비 1,300) □ 2009년 2월에 울산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으로 지정 받아 지자체로 부터
□ 위치 : 울산 북구 매곡동 342-2 현물 출자 받은 센터로 사업특성에 맞는 기관을 유치하여 첫해 19개 기
□ 규모 : 지상 2층 관, 82%의 입주율을 보임
ㅇ 연 면 적 : 약 1,135m²
□ 2013년 12월 연구기관, 기업부설연구소, 일반 벤처기업 등 균형있게 입주
□ 주요시설 : 자동차 범퍼 연구실, 보행자 보호 연구실, 회의실 등
시켜 95%의 입주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전략적 유치기업을 위해 상시
3) 융복합 첨단과학기술센터 (건립 중) 5% 내외 입주공간을 비어두고 있음

□ 목적 : 주력산업 구조고도화를 위한 기초·원천 R&D 컨트롤타워


ㅇ 지원분야 : (IT, NT, ET)융합기술 분야
□ 기간 : 2013. 10 ~ 2015. 10
□ 총사업비 : 15,300백만원(국비 8,480, 시비 6,820)
□ 위치 : 울산 중구 혁신도시 클러스터5부지
□ 규모 : 지하 1층, 지상 3층
ㅇ 대지면적 : 약 5,517m²
ㅇ 연 면 적 : 약 9,276m²
□ 주요시설 : 세미나실, 회의실, R&D 성과물 전시장 등

- 625 - - 626 -
달성도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시설 ∘시설보완
센터 건립 100
보완 - 과학체험관 구축 외 1건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R&D 지원(4건)
가. 최종 연구목표 R&D 지원 ∘기초·원천 R&D 지원 ∘기업부설연구소 육성지원(3건) 100
□ 지속가능한 울산 주력산업 구조 고도화 ∘연구기관 지원(1건)
2011
□ 융합과학 기초연구개발을 통한 울산 신성장동력사업 창출 ∘기업부설연구소 4개 입주
R&D 집적화 ∘기업부설연구소 유치 100
□ 미래지식기반 산업 창출을 위한 융합과학 기술연구 거점 구축 ·일신하이텍 외 3개 기업

□ 기초·원천분야 지원을 통한 과학기술 R&D 컨트롤타워 구축 ∘분과구성 및 운영


산·학·연 ∘산·학·연 연계협력 연구회
·조선(IT) 외 3개 분과 100
연계 협력 운영
∘그린카 모니터링 실증 연구
나. 연차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달성도 ∘안전장비연구동 건립 ∘안전장비연구동 완공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센터 건립 100
(%) ∘융복합첨단과학기술센터 건립 ∘융복합첨단과학기술센터 설계 완료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
센터 건립 ∘공장형 사무공간→연구공간 100 ∘VOC 챔버
리모델링 장비 구축 ∘2종 장비 구축 완료 100
∘진자장비
∘기초·원천 R&D 지역 맞춤형
∘수요조사(38개) 2012
R&D 지원 수요조사 100 ∘R&D 지원(5건)
∘R&D 지원(12건)
∘기초·원천 R&D 지원 R&D 지원 ∘기초·원천 R&D 지원 ∘기업부설연구소 육성지원(2건) 100
2009 ∘연구기관 입주 MOU체결 ∘벤처창조기업 지원(2건)
∘우수연구기관 유치 ·자동차부품연구원 외 2건
R&D 집적화 100 ∘기업부설연구소 6개 입주
∘기업부설연구소 유치 ∘기업부설연구소 유치 R&D 집적화 ∘기업부설연구소 유치 100
·성현산업 외 7개 기업 ·엠에스오토텍 외 5개 기업

산·학·연 ∘산·학·연 연계협력 연구회 ∘분과구성 및 운영


100 ∘융 복합 첨 단과 학 기 술센 터 ∘2013.10 착공
연계 협력 운영 ·전기차 외 4개 분과 운영 센터 건립 100
건립 (2015. 10 완공 예정)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시설 ∘시설보완
센터 건립 100
보완 - 주차장 확대 외 2건 ∘R&D 지원(13건)
∘수요조사(32개) R&D 지원 ∘기초·원천 R&D 지원 ∘기업부설연구소 육성지원(7건) 100
∘기초·원천 R&D 지역 맞춤 ∘벤처창조기업 지원(11건)
∘R&D 지원(22건) 2013
R&D 지원 형 수요조사 100
∘기업부설연구소 육성지원(2건)
2010 ∘기초·원천 R&D 지원
∘연구기관 지원(3건) ∘기업부설연구소 7개 입주
R&D 집적화 ∘기업부설연구소 유치 100
·덕양산업 외 6개 기업
∘기업부설연구소 5개 입주
R&D 집적화 ∘기업부설연구소 유치 100
·신기인터모빌 외 4개 기업
산·학·연 ∘산학·연 연계협력 연구회 ∘분과구성 및 운영
100
산·학·연 ∘산·학·연 연계협력 연구회 ∘분과구성 및 운영 연계 협력 운영 ·그린에너지(신소재) 외 3개 분과
100
연계 협력 운영 ·자동차(IT) 외 3개 분과

- 627 - - 628 -
2.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 성과 ­ 2012. 09 : 조달청 장비 구축업체 선정
­ 2013. 01 : 장비 입고 및 설치
가. 센터건립 성과 ­ 2013. 03 : 구축장비 자체 운영 교육 및 Calibration
□ 울산 과학기술 역량확보 ㅇ 센터 진자시험 장비 구축 : 지역 기업 보유 무상 위탁운영 장비 구축
ㅇ 울산산업의 역량과 역할에 맞는 기초연구개발 지원 ­ 2012. 12 : 장비 보유기업과 무상 운영 협약(10년)
ㅇ 전국 최대의 산업클러스터 집적화 수준에 맞는 연구개발 지원 ­ 2013. 01 : 장비 입고 및 설치
­ 2013. 01 : 구축장비 Calibration
□ 산업구조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주력산업 구조고도화 기반조성
ㅇ 생산 중심의 산업에서 지역산업 수요에 기반한 연구기관을 유치하여 생 □ 센터 연구장비 운영개요
산, 연구, 환경이 조화된 R&D 산업단지의 기반 마련 ㅇ 운영인력 : 총 3명
ㅇ 연구소 및 기업(연구소) 집적화 구축으로 울산 과학기술 선도 ㅇ 운영현황 및 성과

□ 신기술 융복합산업 육성을 통해 미래 신산업 창출 교두보 확보   장비


VOC 쳄버 진자시험장비
ㅇ 울산 주력산업(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에 신소재 및 에너지 분야 융 구분  
합을 통해 미래신산업으로의 기반 마련 구축 투자비 173백만원 -
□ 울산 R&D기관 네트워크 구축 운영
장비활용률(%) 100 100
ㅇ 산·학·연 연계협력 연구회 운영을 통해 지역 과학기술 역량 확보
ㅇ R&D 종합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산·학·연 연계 시스템 기반 조성 지원 건수 93 27

활용 기업 12 8

수익금(백만원) 8.4백만원 34백만원


나. 연구장비 구축성과

□ 연구장비 구축개요
ㅇ 구축목적 : 지역내·외 산·학·연 등의 기초·원천 R&D 수행에 따라 활용
다. R&D 지원성과
지원
ㅇ 구축장비 : VOC 챔버, 진자시험장비 □ 사업개요
ㅇ 구축장소 : 안정장비 연구동 내 ㅇ 사 업 명 : R&D과제 지원사업
ㅇ 도입기간 : 2011. 11 ∼ 2013. 1 ㅇ 목 적
ㅇ 도입예산 : 173백만원 ­ 기초·원천 연구 활성화를 통한 지역 특화분야 과학기술역량강화
□ 구축 추진경과 ­ 산·학·연이 집적된 지차제 주도 R&D 클러스터 및 벤처·창조기업 육성
ㅇ 센터 연구장비 구축심의(‘11. 11 ∼ ’12. 3) ㅇ 지원분야 : 자동차(IT), 조선(IT), 표면처리(접합기술), 그린에너지(신소재)등
­ 2011. 11 : 연구장비구축 수요조사 ㅇ 지원내용 : 기업주관(기업 단독 및 대학/연구소와 컨소시엄 가능)
­ 2011. 11 : 자체장비도입 심의위원회 개최 ­ 산·학 또는 산·연 공동기술개발과 벤처·창조기업 육성을 위한 기술개발
­ 2012. 03 : 중앙장비도입 심의위원회 개최 ­ 기술개발 계획 정량적 목표로 논문 및 특허 제출
ㅇ 센터 VOC 챔버 장비 구축 ­ 기술개발 과제 완료 후 사업체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화 방향 제시
­ 2012. 08 : 조달청 장비 구매 요청 ­ 과제 완료 후 제출된 성과물을 이용하여 국내/외 박람회 및 전시회 홍보
- 629 - - 630 -
□ 전국과학연구단지협의회
ㅇ 목 적 : 전국과학연구단지협의회 구축을 통한 SP 상생발전 방안
마련 및 상호벤치마킹을 통한 운영활성화방안 수립
ㅇ 기 간 : 2009. 02 ~ 2013. 12
□ 지원현황
ㅇ 구 성 : 전국 10개 과학연구단지
ㅇ 지원기간 : 2009. 02. ~ 2013. 12
ㅇ 운영내용 : 실무자협의회 6회 / 전국과학연구단지협의회 2회 / 전국
ㅇ 지원금액 : 87건, 7,267백만원
과학연구단지협의회 워크숍 2회
ㅇ 선정년도 : ‘09년 12건, ’10년 27건, ‘11년 8건, ’12년 9건, ’13년 31건
□ 센터 시설 활용 지원
□ 주요성과
ㅇ 대기업 주관 입주기업을 포함한 협력사 업무 개선 세미나 실시 : 9회
실적(건) ㅇ 입주기업 자체 교육 및 세미나 실시 : 26회
구 분 ㅇ 자동차관련 현장 공정 개선 교육 실시 : 36회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합 계
ㅇ R&D 성과물을 활용한 중고등학생 대상 과학기술 교육 실시 : 20회
SCI 급 5 26 6 4 3 41
논 □ R&D 성과물을 활용한 마케팅 지원
등재지 8 17 6 2 1 33
문 ㅇ 목 적 : 울산과학연구단지 R&D 성과물을 활용한 전시 홍보를 통해
학술발표 9 59 17 13 12 98 마케팅 지원으로 사업화 단계 진입 극대화
특허출원 17 47 14 19 7 97 ㅇ 기 간 : 2010. 01 ~ 2013. 12

재 특허등록 9 5 14 ㅇ 지원내용 : 산·학·연 협력 EXPO 외 10개 전시회 참가
권 ㅇ 전시품목 : 지능형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의 무접점 브레이크 스위치 외 15건
상표등록 0

기술이전 0

시제품 12 22 9 9 52

합 계 60 176 52 47 23 335

라. 기타성과
□ 산·학·연 연구회 운영을 통한 신규사업 기획·발굴 지원
ㅇ 목 적 : 울산지역 전략산업과 연계된 과학기술 R&D 기획·도출
ㅇ 분 야 : 자동차IT, 조선IT, 표면처리(접합), 그린에너지(신소재) 등
ㅇ 추진내용 : Open innovation 개념을 통한 지역 중소기업의 신규사업
기획·발굴 지원
ㅇ 구 성 : 63개 산·학·연 기관, 109명 전문가로 구성
ㅇ 운영실적 : 59회 운영(2009~2013)
ㅇ 운영결과 : 32건, 2,339억 규모 기획·발굴

- 631 - - 632 -
□ 국고지원의 적합성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ㅇ 2009년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 제1항]의해 산업계·학계·연구계가 한 곳
에 모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데에 따른 효율을 높이고, 국내외 첨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단벤처기업을 유치하거나 육성하기 위하여 지정됨
ㅇ 따라서 과학기술기본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역발전 동력 확대를 위해서
□ 지역의견 수렴 는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역량을 육성하는 것이 필요
ㅇ 울산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자체평가 위원회 의견 ㅇ 현 정부 국정과제(‘13. 2)에 표방한 “산·학·연 지역 연계를 통한 창조산업
­ 2011~2013년 동안 연속하여 지역의 기초·원천 R&D 지원 필요 지적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울산과학연구단지의 역할이 필요
­ 지역의 아이디어를 발굴로 창업을 유도하는 벤처·창조기업 지원 필요 지적 ­ 지역내 거점대학을 지역 출연연과 연계 운영을 통해 지역산업 기술 공급

ㅇ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에 대한 울산광역시의 의견 처로 육성하여 특성화된 창업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음

­ 지역 산업발전 및 지역 연구역량 강화 측면에서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 ­ 울산과학연구단지를 매개로 지자체 중심의 사업 기획 및 수행이 가능하

사업의 지속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 며, 지역 기업 수요에 기반한 사업추진이 가능함

­ 1단계 사업을 통해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하여 2단계 사업 추진 및 후속 ㅇ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실현을 위해 울산과학연구단지가 필요

사업을 발굴하여 점증적인 안정화 필요를 인식하고 있음 ­ 지자체와 중앙정부는 ‘파트너십’ 기반의 지방과학기술진흥이 강조되고 있
어 울산과학연구단지가 매개 역할로 추진될 필요가 있음
ㅇ 지역 주도 기초·원천 R&D에 대한 산·학·연의 수요
ㅇ 지자체가 중심이 된 과학기술발전을 추구하기에는 지방정부 재원에 한계가
­ 산·학·연에 대한 R&D 수요는 활발하며 기업의 경우 향후 5년후 사업화
있고 개발단계 R&D 편중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에 한계가 있음
목적과 대학·연구소의 경우 기업이 연계한 기초연구 목적의 수요가 있음
□ 산업부 등 타부처 사업과의 연계․협력 필요성
□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의 성과 활용
ㅇ 미래부의 연구개발지원단사업과 산업부의 정책기획단사업을 연계하여 지
ㅇ 1단계 사업은 H/W(센터, 장비 등) 구축사업이 주가 되어 네트워킹(산·학·연 연
역과학기술 및 산업기술 기획을 완성함
구회)을 통한 R&D 기획·발굴 지원, 기초·원천 R&D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함
ㅇ 또한 지역수요기반 R&D와의 연계성 강화를 위해 IBS 캠퍼스 연구단이
ㅇ 이에 따라 1단계사업에서 구축된 H/W 및 인력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 지역수요 기반 기초․원천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
하기 위해 후속조치로 S/W 구축사업 추진이 필수적임 도록 연계 운영
ㅇ 지역의 장기적인 차원의 혁신능력 제고를 위해서는 과학연구단지를 중심 ­ 지역수요 기반 기초․원천 R&D(IBS) ⇒ 가교형 R&D(SP) ⇒ 광역선도 R&D(TP)
으로하는 지역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구축이 필수적임 ㅇ 가교형 R&D 및 창업기획 성과를 산업부 창업보육과 광역선도 R&D와 연
계하고 인력양성 및 마케팅사업을 보완하여 연계 추진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추진의 시급성
ㅇ 지역의 혁신역량에 기초한 지역 특성화 및 지역 고유 성장동력 확보를 위
해 지역의 여건과 특성에 기초한 특성화된 중점추진과제 도출 필요
ㅇ 지자체의 수요와 특성을 반영한 지자체 R&D 계획 반영 필요
­ 중앙정부의 일방적 수립에서 탈피하여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로 지자체
의 특성을 고려한 현장 지향적 계획 수립 필요
­ 지자체주도의 지역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지자체 주도의 지역 밀착형 매
칭사업 추진 필요

- 633 - - 634 -
2. 사업의 최종목표 및 내용 나. 사업 최종목표

가. 사업비전 □ 지역 과학기술 역량강화


ㅇ (정량적 목표) 국내외 특허 90건, 논문(SCI 포함) 90건
­ 정량적 목표설정 근거 : 본 사업의 기획보고서(과학기술정책연구원

비전
· ·
울산지역 산 학 연 연계를 통한 (’13)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2단계) 기획)에는 연구개발비 10억
원당 국내외 특허등록 3건만으로 목표 설정을 하였으나, 본 R&D 사업
지역과학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의 경우 1~3차년도까지 대학 및 연구소가 주관이 되는 사업을 가만하
여 논문 3건을 추가로 목표설정 하였음

• 지역 과학기술 역량강화
□ 지역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 촉진
※ 특허(90건), SCI 논문(90편)
목표 ㅇ (정량적 목표) 창업(10사), 기술이전금액(15,000백만원), 일자리창출(250개)
• 지역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 촉진
­ 정량적 목표설정 근거 : 기술이전을 통해 기업 내에 새로운 사업부가
※ 창업(10사), 기술이전금액(15,000백만원), 일자리창출(250개)
신설되는 것과 창업은 그 형태가 다를 뿐, 새로운 사업을 시작한다는
측면에서 그 효과는 동일한 것으로 봄

­ 특허기반 창업기업 수 : 10개 기업 및 사업부


= 전체 특허 수 × 등록특허 활용률 × 사업화성공률 ÷ 창업 필요 특허 수
= 10
※ 1. 등록특허 활용률 : 30%
2. 사업화성공률 : 42.1%
추진 3. 창업 필요 특허 수 : 1.1
(창업기 벤처기업의 평균 보유 특허권 활용)
전략
­ 기술이전금액 : 15,000백만원
※ 기술이전금액은 기술이전계약금액이며, 년간 1,500백만원 10년
기준으로 가정하여 적용

­ 일자리 창출 : 250개
• 지역수요기반 R&D ※ 일자리 창출 기간은 원천연구개발의 경제적 가치 회임기간과 동
추진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일하게 5년 경과 후, 10년 간의 가치창출 기간을 가정하여 적용

사업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 635 - - 636 -
다. 최종목표달성을 위한 세부사업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 사업필요성
1)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ㅇ 기술 전유성이 뛰어난 기초․원천기술사업화는 직접사업화 방식인 창업이
□ 사업필요성 가장 효과적으로 이를 통해 기초․원천 R&D의 사업화성과 제고
ㅇ 지역 중소벤처기업이 필요로 하는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 대학 및 출 ㅇ 지역의 기업가정신 의욕을 고취하고 실제적인 창업으로 이끌어 청년 실업
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기초·원천기술의 탐색 및 중개 필요 문제 해결과 나아가 지역벤처 활성화 필요
ㅇ 산업기여도 측면에서의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기술중개 및 기술저장소 구축 필요
□ 사업개요
□ 사업개요 ㅇ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
ㅇ 기술중개 기능 활성화 ­ 멘토단 구성 및 관리로 창업지원을 위해 벤처투자가, 엔젤투자가, 기업
­ 전국과학기술진흥센터의 전국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기술수요 및 발굴기 체 CEO, 법률 및 회계 전문가 등으로 멘토단 구성 및 멘토 D/B 구축
술에 대한 정보 공동 활용으로 타지역기업으로의 기술이전 활성화 ㅇ 창업기획사 주관으로 지역수요기반 R&D 등의 연구결과물을 활용하는
­ 단기적으로 기술중개 바우처 제공을 통해 기술과 기술수요자를 중개 창업경진대회 추진
­ 장기적으로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기술중개서비스 역할 강화를 통해 중개 ㅇ R&D 과제 수행 연구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시작하여 단지내 연구인력에
ㅇ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대한 창업교육으로 확대
­ 지역 산·학·연의 보유특허 등을 기술이전 DB 구축과 기술저장소에 저장
4)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사업필요성
□ 사업필요성 ㅇ 한정된 예산으로 지방 과학기술생태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정책입안
ㅇ 지역선도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수요에 기반한 기초·원천 및 기획수립 단계에서 교류·협력 활성화 필요
연구에 대한 지원 필요 ㅇ 혁신역량이 떨어지는 지역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위한 산학연 협력체제
ㅇ 기술개발 및 사업화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기업의 경우 기초․응용 구축 필요
R&D 및 R&BD에 있어서 지역대학과의 긴밀한 협력 필요
□ 사업개요
□ 사업개요 ㅇ On․Off Line S&T 정책교류회 운영
ㅇ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기획) 지역 특화 분야 가교형 R&D 과제 발 ­ S&T 정책․성과과 협의회를 통해 지역내 연구성과 및 정책에 대한 성과
굴․기획,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용 원천기술 발굴 를 발표하는 교류회 개최를 통해 지식 및 인적교류 활성화
ㅇ (가교형 R&D) 수송기계산업, 신소재나노융합, 뿌리산업 및 IT 융합산 ­ 지역별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으로 지역과학기술진흥 정책
업, 수소 및 에너지산업 등의 분야를 지역수요 기반 가교형 R&D 수행 수립․실행에 대한 정보제공, 의견교환 등이 가능한 온라인 정책교류
­ 기초·원천연구와 광역선도 및 신지역특화산업 간에 연결고리 역할을 할 ㅇ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연구로 기술성숙도(TRL 9단계)로 볼 때 3~5단계 ­ 동일 산업분야 내에서 대학 및 연구기관, 중소기업, 대기업 및 투자기관
­ 과제 규모는 과제당 매년 2~3억원 이내에서 5년간 지원 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ㅇ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원천기술을 보유한 대학· ­ 지방과학연구단지는 네트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
출연(연)과 기술 수요자인 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과 자본을 출자하여 법인 설립 환 등 네트워크 감독매니저 역할 수행
­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수요를 토대로 TRL 2~7단계 기술 지원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와 연계 협력

- 637 - - 638 -
라. 세부사업별 목표 및 연구내용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매칭 기술에 대한 기술이전 지원 : 전국과학기술진흥센터의
1)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전국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기술수요 및 발굴기술에 대한 정보
공동 활용으로 타지역기업으로의 기술이전 활성화
□ 사업목표 ­ (단기 전략) 기술중개 바우처 제공을 통해 기술과 기술수요자
를 중개해주는 국내외 기술중개서비스 기업을 적극 활용
ㅇ 기술저장소를 통한 도내 대학 및 출연(연)의 유망기술 활용 극대화
※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과학 기술진흥센터와 기술중개서비스기
ㅇ 수요자 기반 기술중개를 통한 강원도 내 기업의 기술이전 활성화 업이 공동(주관)으로 공공 TLO(지역 대학 등)와 컨소시움을
구성하여 사업 추진
<표>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목표 ­ (장기 전략) 장기적으로는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기술중개서비
스 역할 강화를 통해 중개서비스 주도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민간 지역 대학 등 (공공 TLO)
· 지역 기업 현황조사 : 500개 기업 유지 TLO (지역 대학 TLO 등)
기술이전 지역 내 기업의 사업화 · 기술수요기업 발굴 : 1,000건 - 이술이전 요약서 작성
기반구축 기반 마련 · 이전희망기술발굴 : 500건 - 기술이전 계약 및 특허권 등 분
- 기술이전 수요 발굴
· 기술저장소 구축 운영 : 1식 석
- 기술분석 및 이전
기술이전 - 기술소개 자료집 업데이
· 네트워크 협력 기업 : 매년 50개 유지 - 기술이전 DB 및 네트워크 구축
기술이전 활성화를 네트워킹을 통한 기술 기반구축을 통한 트
· 기술이전 교육/세미나 : 100회 지식재산 - 특허컨설팅 및 사후관리
위한 네트워킹 이전 기반 마련 네트워킹 강화 - 기술사업화 특화 Lab 발
지식재산 · 타지역 기관과 정보교류 : 20회 활용도
및 굴
활용도 제고
기술이전 활성화 ○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제고 · SMK 작성 : 190건
­ 지역 산·학·연의 보유특허 등을 기술이전 DB 구축과 기술저
· 기술이전계약금액 : 150억
장소에 저장
· 이술이전 건수 : 190건
­ 특허 유지비 50% 지원을 통해 기술저장소로 유인하여, 향후
기술이전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 지식재산 권리화 지원 : 50건
라이센싱 등을 통한 수익 발생시 일정액 환수
활성화 사업화 역량 강화 · 기술이전 성공사례 : 35건
※ 매년 200개의 특허를 저장하고, 5년 후부터는 저장하는 양만
· 기술이전 매출증감율 : 3%
큼 인출하여 1,000개 특허를 저장하는 규모로 관리
· 기술이전 수출증감율 : 2%
※ 특허 유지비는 년차 및 청구항 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통
· 시제품/상용화 지원 : 35건
10개 정도의 특허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1천만원 이상의 특허
유지비가 발생
○ 세부 사업내용 ­ (운영전략) 지식재단(IP) 전문기업과 컨소시엄 구성·운영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 IP사업화 전문기업

○ 기술중개 기능 활성화 - 패키지화 등 IP 고부가가치


기술이전 - 기술저장소 구축 및 관리 화
­ 지역 중소기업의 R&BD 사업 수요조사를 통해 기업이 필요로
기반구축을 통한 - IP 고부가가치화 지원 전략 수립
지식재산 하는 기술확보 지원
네트워킹 강화 - 기술이전 및 대여
활용도 ※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 조사 실시 → 사업

제고 화 추진에서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 → 필요 기술 탐색 →
기술이전 활성화
필요한 기술을 국내․외로부터 확보

- 639 - - 640 -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세부사업내용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목표
○ (지역수요기반 R&D 과제 기획)
ㅇ 지역수요기반 R&D를 통한 지역 과학기술 역량 강화 ­ (가교형 R&D 및 R&BD 과제 기획)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을
통해 완료된 기초 R&D 과제 혹은 지역대학 및 출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 중 지역기업이 활용 가능한 가교형
R&D 과제 및 R&BD 과제 발굴·기획
­ (지역 수요 반영 R&D 기획) 지역내 대기업, 중소기업, 연구
소, 이공계 대학 등의 수요조사를 통해 핵심 R&D 및 R&BD
과제 선정․기획

기업 수요 반영 가교형 R&D 기획 프로세스

○ (가교형 R&D) 지역수요 기반 가교형 R&D 수행


­ (가교형 R&D) 기초·원천연구와 광역선도 및 신지역특화산업
간에 연결고리 역할을 할 연구로 기술성숙도(TRL 9단계)로
볼 때 3~5단계
­ (지역별 분야 특화) 지역내 석·박사인력, 특허, 벤처기업 분석
가교형 R&D를 을 통해 지역 특화분야를 우선적으로 선정하며, 2단계 광역선
지역수요
통한 도산업 및 신지역특화산업과의 연계성을 고려
기반
지역 과학기술 ※ 특화 분야 : 수송기계산업, 신소재나노융합, 뿌리산업 및 IT
<표> 지역수요기반 R&D 사업목표 R&D 기업
역량 강화 융합산업, 수소 및 에너지산업 등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 (과제 규모) 과제당 매년 2~3억원 이내에서 5년간 지원
­ (수행 방식) 중소기업네트워크나 연구개발협동조합 등 또는

· 특허 등록 : 90건 산·학·연으로 구성된 연구팀에 지원하며, 연구팀의 경우 스위


지역 R&D 지원 기반 칭 방식으로 운영
· 논문(국내외 등재지) : 90건
구축 및 R&D를 통한 ※ 스위칭 방식 : 1~3차년도(대학․출연(연) 주관), 4~5차년도(기업 주관)
· 기업수요 R&D 발굴 : 500건
가교형 R&D를 지역 과학기술 역량 ­ 가교형 R&D 성과는 산업부 과제로 연계 추진하여 산업화 추
지역수요 · 가교형 R&D 기획/지원 : 20건
통한 강화 진
기반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 : 4건
지역 과학기술
R&D 기업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산·학·연 공동연구법인을 통한 지
역량 강화
역수요기반 R&BD 수행
R&D 성과물을 활용한 · 창업기업 : 4개 기업 ­ 원천기술 중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출
일자리 창출 · 일자리 창출 : 80개 연(연)과 그 기술의 수요자인 지역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과 자
본을 출자하여 법인 설립
※ 기술이전을 통해 기업 내에 새로운 사업부가 신설되는 것과
창업은 그 형태가 다를 뿐, 새로운 사업을 시작한다는 측면에
서 그 효과는 동일함으로 공동연구법인으로 볼 수 있음
­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수요를 토대로 TRL 2~7단계 기술
지원

- 641 - - 642 -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4)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 사업목표 □ 사업목표

ㅇ 창업역량강화를 통한 지역수요기반 R&D 성과 활용으로 사업화 기반마련 ㅇ 지역 내 과학기술과 연계한 창업생태계 조성 및 산·학·연 교류협력 네
트워크 구축
<표>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목표
<표>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목표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on·off line 멘토링 시 · 맨토단 구성 : 전문가 DB 구축 (100명)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스템 구축/운영 · 창업 1:1 맨토링 : 100건
· 기업가정신 교육 : 1,000명 Off Line S&T 정책 ·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위원회 : 30회
특허활용 창업역량 강화와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 기술이전 연계 컨설팅: 50개사 교류회 운영 · S&T 정책 교류 : 20회
창업기획 R&D 성과의 과학·산업 기술
활성화 · 특허기반 기술창업 : 6개사
사업 사업화 기반마련 산학연 생태계 조성 · 지역 과학기술 정책, 연구성과 등
· 기술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 170명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 창업아이템 발굴 : 100건 네트워크 On Line 플랫폼 구축 DB구축 및 정보제공 온라인 시스템
운영 · 창업경진대회 개최 : 10회 활성화 구축 운영 : 10건

산·학·연 교류협력 중소기업 네트워크 · 산·학·연 협력 연구회 운영 : 100회


○ 세부 사업내용
네트워크 구축 구축 지원 · 애로 기술 자문 : 20건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 ○ 세부 사업내용


­ (멘토단 구성 및 관리) 창업지원을 위해 벤처투자가, 엔젤투
자가, 기업체 CEO, 법률 및 회계 전문가 등으로 멘토단 구성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및 멘토 D/B 구축
○ On․Off Line S&T 정책교류회 운영
­ (On-line 창업내비게이션 구축) 창업 프로세스 로드맵을 입체
­ (S&T 정책․성과 교류회) 지역내 연구성과 및 정책에 대한 성
적으로 제공
과를 발표하는 교류회 개최를 통해 지식 및 인적교류 활성화
­ (One-stop 창업지원센터 지정) 지방과학연구단지 센터 내에
­ (지역별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지역과학기술진흥
엔젤, 멘토 및 지원기관 등을 입주시켜 예비창업자에 대한 종합
적 One-stop 서비스 제공 정책 수립․실행에 대한 정보제공, 의견교환 등이 가능한 온라
인 정책교류 장 구축
특허활용 창업역량 강화와 ○ (특허 활용 창업경진대회 추진) 창업기획사 주관으로 지역수요
기반 R&D 등의 연구결과물을 활용하는 창업경진대회 추진 과학·산업 기술 ○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창업기획 R&D 성과의
­ 일정기간 집중적 1:1 멘토링 및 교육을 통해 사업아이템을 개 산학연 생태계 조성 ­ 동일 산업분야 내에서 대학 및 연구기관, 중소기업, 대기업 및
사업 사업화 기반마련
발하고 ‘데모데이’를 통해 투자사 등에게 평가 받는 기회 제공 네트워크 및 투자기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한 권리화 지원 활성화 산·학·연 교류협력 ­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과 연구개발프로그램 참여시
­ 우수 사업아이템은 R&BD 자금 제공, 지역 내 창업보육센터 네트워크 구축 우대
입주 지원 ※ 기술개발, 전문인력 육성, 중소기업 컨설팅, 판로개척 및 마케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R&D 과제 수행 연구인력에 대한 교 팅 등 중소기업 애로 해결에 지원금 활용
육으로 시작하여 단지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으로 확대 ­ 지방과학연구단지는 네트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 (참여 기관) 과학연구단지협의회, 과총지역연합회, 산학협력선
정보 교환 등 네트워크 감독매니저 역할 수행
도대학 내 기업가정신센터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와 연계 협력
­ (참여 대상) R&D 과제수행 연구인력→단지내 연구인력→청년
※ 중소기업 네트워크 차원에서 지역별 중소기업 지원 협의체에 참여
창업 희망자로 확대

- 643 - - 644 -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나.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가. 세부사업 연차별 로드맵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 기업 현황조사 및 DB구축(500개 기업)


(단위: 백만원)
· 지역 기업 기술수요기업 발굴(100건)
사업년도 기술 이전 기반
세부사업 최종목표 · 지역 기업 이전희망기술 발굴(50건)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구축
· 기술저장소 구축 기획(1건)
기술이전 10 20 20 20 20 20 20 20 20 20 190건 · 기술이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구성·발굴(1건)

기술이전금액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0 ‘16 · 네트워킹 협력 기업 및 기관 구성(50개사)
지식재산 기술이전 활성화를
· 기술이전 교육 및 세미나 개최(10회)
활용도 제고 기술수요기업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건 위한 네트워킹
발굴 · 타지역 기관과의 기술정보교류 및 정기 협의회 개최(2회)
사업 기술기반 구축
2,500 · SMK 작성 및 기술이전 지원(10건)
및 네크워킹
기술이전 기술이전 활성화 · 기술이전 성과로 지식재산(특허출원) 권리화 지원(5건)
3,500
활성화 · 기술이전계약금액(15억)
논 문 2 4 7 11 14 16 14 11 7 4 90건
· 지역내 기업 현황조사에 따른 DB 운영(500개 기업)
특 허 2 4 7 11 14 16 14 11 7 4 90건 · 지역 기업 기술수요기업 발굴(100건)
지역수요 기술 이전 기반
가교형 2 2(2) 4(4) 4(8) 4(10)4(12) (12) (8) (4) 20건 · 지역 기업 이전희망기술 발굴(50건)
기반 R&D R&D(계속) 구축
산·학·연공동 · 기술저장소 구축 및 시범 운영(1건)
지원 사업 1 1(1) 1(2) 1(3) 2(4) 2(3) 2(2) 2(1) 4건
연구법(계속) · 기술이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1건)
지역 R&D
1,000 ‘17 · 네트워킹 협력 기업 및 기관 구성(50개사)
지원기반 구축
기술이전 활성화를
· 기술이전 교육 및 세미나 개최(10회)
가교형 R&D 30,000 위한 네트워킹
· 타지역 기관과의 기술정보교류 및 정기 협의회 개최(2회)
산·학·연공동 · SMK 작성 및 기술이전 지원(20건)
8,000
연구법인
기술이전 활성화 · 기술이전 성과로 지식재산(특허출원) 권리화 지원(5건)
창업기업 1 1 1 1 1 1 2 2 10개 기업 · 기술이전계약금액(15억)
일자리 창출 25 25 25 25 25 25 25 25 50 250건 · 지역내 기업 현황조사에 따른 DB 운영(500개 기업)
특허활용 멘토링시스템 · 지역 기업 기술수요기업 발굴(100건)
창업기획 800 기술 이전 기반
구축 · 지역 기업 이전희망기술 발굴(50건)
사업 구축
창업경진대회 · 기술저장소 운영 활성화(1건)
1,600
추진
· 산업군별 기술이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1건)
과학기술창업
600
아카데미 · 네트워킹 협력 기업 및 기관 구성(50개사)
기술이전 활성화를
산학연 연구회 ‘18 · 기술이전 교육 및 세미나 개최(10회)
운영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회 위한 네트워킹
과학기술교류 · 타지역 기관과의 기술정보교류 및 정기 협의회 개최(2회)
산·학·연 위원회 3 3 3 3 3 3 3 3 3 3 30회
· SMK 작성 및 기술이전 지원(20건)
네트워크 S&T정책
1,000 · 기술이전 성과로 지식재산(특허출원) 권리화 지원(5건)
활성화 사업 교류회 운영
중소기업 네트워 기술이전 활성화 · 기술이전계약금액(15억)
1,000
크 구축지원 · 기술이전 성공사례 도출(2건)
합계 50,000 · ‘16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매출 증감율(3%)

- 645 - - 646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 기업 기술수요기업 발굴(100건) · 지역내 기업 현황조사 업데이트(500개 기업)
기술 이전 기반 · 지역 기업 이전희망기술 발굴(50건) · 지역 기업 기술수요기업 발굴(100건)
기술 이전 기반
구축 · 기술저장소 운영 활성화(1건) · 지역 기업 이전희망기술 발굴(50건)
구축
· 산업군별 기술이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1건) · 기술저장소 운영 활성화(1건)
· 네트워킹 협력 기업 및 기관 구성(50개사) · 산업군별 기술이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1건)
기술이전 활성화를
· 기술이전 교육 및 세미나 개최(10회) · 네트워킹 협력 기업 및 기관 구성(50개사)
위한 네트워킹 기술이전 활성화를
· 타지역 기관과의 기술정보교류 및 정기 협의회 개최(2회) · 기술이전 교육 및 세미나 개최(10회)
‘19 위한 네트워킹
· SMK 작성 및 기술이전 지원(20건) ‘22 · 타지역 기관과의 기술정보교류 및 정기 협의회 개최(2회)
· 기술이전 성과로 지식재산(특허출원) 권리화 지원(5건) · SMK 작성 및 기술이전 지원(20건)
· 기술이전계약금액(15억) · 기술이전 성과로 지식재산(특허출원) 권리화 지원(5건)
· 기술이전계약금액(15억)
기술이전 활성화 · 기술이전 성공사례 도출(3건)
기술이전 활성화 · 기술이전 성공사례 도출(5건)
· ‘17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매출 증감율(3%)
· ‘20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매출 증감율(3%)
· ‘16~‘17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수출 증감율(2%)
· ‘20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수출 증감율(2%)
·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 시제품, 상용화 지원 등(5건)
·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 시제품, 상용화 지원 등(5건)
· 지역 기업 기술수요기업 발굴(100건)
· 지역 기업 기술수요기업 발굴(100건)
기술 이전 기반 · 지역 기업 이전희망기술 발굴(50건)
기술 이전 기반 · 지역 기업 이전희망기술 발굴(50건)
구축 · 기술저장소 운영 활성화(1건)
구축 · 기술저장소 운영 활성화(1건)
· 산업군별 기술이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1건)
· 산업군별 기술이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1건)
· 네트워킹 협력 기업 및 기관 구성(50개사)
기술이전 활성화를 · 네트워킹 협력 기업 및 기관 구성(50개사)
· 기술이전 교육 및 세미나 개최(10회)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킹 · 기술이전 교육 및 세미나 개최(10회)
· 타지역 기관과의 기술정보교류 및 정기 협의회 개최(2회) 위한 네트워킹
‘20 · 타지역 기관과의 기술정보교류 및 정기 협의회 개최(2회)
· SMK 작성 및 기술이전 지원(20건) ‘23
· SMK 작성 및 기술이전 지원(20건)
· 기술이전 성과로 지식재산(특허출원) 권리화 지원(5건)
· 기술이전 성과로 지식재산(특허출원) 권리화 지원(5건)
· 기술이전계약금액(15억)
· 기술이전계약금액(15억)
기술이전 활성화 · 기술이전 성공사례 도출(5건)
기술이전 활성화 · 기술이전 성공사례 도출(5건)
· ‘18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매출 증감율(3%)
· ‘20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매출 증감율(3%)
· ‘18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수출 증감율(2%)
· ‘20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수출 증감율(2%)
·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 시제품, 상용화 지원 등(5건)
·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 시제품, 상용화 지원 등(5건)
· 지역 기업 기술수요기업 발굴(100건)
· 지역 기업 기술수요기업 발굴(100건)
기술 이전 기반 · 지역 기업 이전희망기술 발굴(50건)
기술 이전 기반 · 지역 기업 이전희망기술 발굴(50건)
구축 · 기술저장소 운영 활성화(1건)
구축 · 기술저장소 운영 활성화(1건)
· 산업군별 기술이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1건)
· 산업군별 기술이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1건)
· 네트워킹 협력 기업 및 기관 구성(50개사)
기술이전 활성화를 · 네트워킹 협력 기업 및 기관 구성(50개사)
· 기술이전 교육 및 세미나 개최(10회)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킹 · 기술이전 교육 및 세미나 개최(10회)
· 타지역 기관과의 기술정보교류 및 정기 협의회 개최(2회) 위한 네트워킹
‘21 · 타지역 기관과의 기술정보교류 및 정기 협의회 개최(2회)
· SMK 작성 및 기술이전 지원(20건) ‘24
· SMK 작성 및 기술이전 지원(20건)
· 기술이전 성과로 지식재산(특허출원) 권리화 지원(5건)
· 기술이전 성과로 지식재산(특허출원) 권리화 지원(5건)
· 기술이전계약금액(15억)
· 기술이전계약금액(15억)
기술이전 활성화 · 기술이전 성공사례 도출(5건)
기술이전 활성화 · 기술이전 성공사례 도출(5건)
· ‘19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매출 증감율(3%)
· ‘19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수출 증감율(2%) · ‘22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매출 증감율(3%)
·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 시제품, 상용화 지원 등(5건) · ‘22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수출 증감율(2%)
·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 시제품, 상용화 지원 등(5건)

- 647 - - 648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다.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지역 기업 기술수요기업 발굴(100건)
기술 이전 기반 · 지역 기업 이전희망기술 발굴(50건)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구축 · 기술저장소 운영 활성화(1건) · 대학, 출연(연), 기업 대상 가교형 R&D 수요조사(50건)
· 산업군별 기술이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1건) · 지역 기업 대상 수요기반 R&D 기획 지원(3건)
· 네트워킹 협력 기업 및 기관 구성(50개사) 지역 R&D 지원
기술이전 활성화를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을 위한 수요조사(10건)
· 기술이전 교육 및 세미나 개최(10회) 기반 구축
위한 네트워킹 ‘16 · 수요 가교형 R&D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에 대
· 타지역 기관과의 기술정보교류 및 정기 협의회 개최(2회)
‘25 한 우선지원 순위 선정 및 사업 기획(1건)
· SMK 작성 및 기술이전 지원(20건)
R&D를 통한 지역
· 기술이전 성과로 지식재산(특허출원) 권리화 지원(5건) · 우선지원 순위 선정 기준 가교형 R&D 지원(2건)
과학기술 역량 강화
· 기술이전계약금액(15억) · 대학, 출연(연), 기업 대상 가교형 R&D 수요조사(50건)
기술이전 활성화 · 기술이전 성공사례 도출(5건) · 지역 기업 대상 수요기반 R&D 기획 지원(3건)
지역 R&D 지원
· ‘23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매출 증감율(3%)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을 위한 수요조사(10건)
기반 구축
· ‘23년 기술이전 지원에 대한 전년도 수출 증감율(2%) · 수요 가교형 R&D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에 대
‘17
·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 시제품, 상용화 지원 등(5건) 한 우선지원 순위 선정 및 사업 기획(1건)
· ‘16년 우선지원 순위 선정 기준 가교형 R&D 지원(2건)
R&D를 통한 지역
· ‘16년 우선지원 순위 선정 기준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1건)
과학기술 역량 강화
· 선정사업에 대한 연차 성과 관리(2건)
· 대학, 출연(연), 기업 대상 가교형 R&D 수요조사(50건)
· 지역 기업 대상 수요기반 R&D 기획 지원(3건)
지역 R&D 지원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을 위한 수요조사(10건)
기반 구축
· 수요 가교형 R&D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에 대
‘18
한 우선지원 순위 선정 및 사업 기획(1건)
· ‘17년 우선지원 순위 선정 기준 가교형 R&D 지원(4건)
R&D를 통한 지역
· ‘17년 우선지원 순위 선정 기준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1건)
과학기술 역량 강화
· 선정사업에 대한 연차 성과 관리(4건)
· 대학, 출연(연), 기업 대상 가교형 R&D 수요조사(50건)
· 지역 기업 대상 수요기반 R&D 기획 지원(3건)
지역 R&D 지원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을 위한 수요조사(10건)
기반 구축
· 수요 가교형 R&D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에 대
‘19
한 우선지원 순위 선정 및 사업 기획(1건)
· ‘18년 우선지원 순위 선정 기준 가교형 R&D 지원(4건)
R&D를 통한 지역
· ‘18년 우선지원 순위 선정 기준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1건)
과학기술 역량 강화
· 선정사업에 대한 연차 성과 관리(8건)
· 대학, 출연(연), 기업 대상 가교형 R&D 수요조사(50건)
· 지역 기업 대상 수요기반 R&D 기획 지원(3건)
지역 R&D 지원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을 위한 수요조사(10건)
기반 구축
· 수요 가교형 R&D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에 대
‘20 한 우선지원 순위 선정 및 사업 기획(1건)
· ‘19년 우선지원 순위 선정 기준 가교형 R&D 지원(4건)
R&D를 통한 지역 · ‘19년 우선지원 순위 선정 기준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1건)
과학기술 역량 강화 · 선정사업에 대한 연차 성과 관리(10건)
· 완료사업에 대한 완료 평가 및 성과 활용 방안 마련(2건)

- 649 - - 650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라.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 대학, 출연(연), 기업 대상 가교형 R&D 수요조사(50건)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 기업 대상 수요기반 R&D 기획 지원(3건)
지역 R&D 지원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운영(1건)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을 위한 수요조사(10건) 창업역량강화와
기반 구축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활성화 기업가 정신 교육(100명)
· 수요 가교형 R&D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에 대 ‘16 R&D 성과의
‘21 한 우선지원 순위 선정 및 사업 기획(1건) ·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1회)
사업화 기반마련
· 창업아이템 발굴 및 1:1 창업 맨토링(10건)
· ‘20년 우선지원 순위 선정 기준 가교형 R&D 지원(4건)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운영(1건)
창업역량강화와
R&D를 통한 지역 · 선정사업에 대한 연차 성과 관리(12건)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활성화 기업가 정신 교육(100명)
‘17 R&D 성과의
과학기술 역량 강화 · 완료사업에 대한 완료 평가 및 성과 활용 방안 마련(3건) ·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1회)
사업화 기반마련
· 완료사업에 대한 완료 평가 및 성과 활용 방안 마련(2건) · 창업아이템 발굴 및 1:1 창업 맨토링(10건)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운영(1건)
· 대학, 출연(연), 기업 대상 가교형 R&D 수요조사(50건) 창업역량강화와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활성화 기업가 정신 교육(100명)
· 지역 기업 대상 수요기반 R&D 기획 지원(1건) ‘18 R&D 성과의
지역 R&D 지원 ·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1회)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을 위한 수요조사(10건) 사업화 기반마련
기반 구축 · 창업아이템 발굴 및 1:1 창업 맨토링(10건)
· 수요 가교형 R&D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에 대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운영(1건)
창업역량강화와
‘22 한 우선지원 순위 선정 및 사업 기획(1건)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활성화 기업가 정신 교육(100명)
‘19 R&D 성과의
·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1회)
사업화 활성화
· 선정사업에 대한 연차 성과 관리(12건) · 창업아이템 발굴 및 1:1 창업 맨토링(10건)
R&D를 통한 지역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운영(1건)
· 완료사업에 대한 완료 평가 및 성과 활용 방안 마련(4건) 창업역량강화와
과학기술 역량 강화
※ 신규지원 R&D 없음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활성화 기업가 정신 교육(100명)
‘20 R&D 성과의
·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1회)
사업화 활성화
지역 R&D 지원 · 대학, 출연(연), 기업 대상 가교형 R&D 수요조사(20건) · 창업아이템 발굴 및 1:1 창업 맨토링(10건)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운영(1건)
기반 구축 · 타 지역사업 연계를 위한 수요기반 R&D 기획 지원(1건) 창업역량강화와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활성화 기업가 정신 교육(100명)
‘21 R&D 성과의
‘23 ·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1회)
· 선정사업에 대한 연차 성과 관리(8건) 사업화 활성화
R&D를 통한 지역 · 창업아이템 발굴 및 1:1 창업 맨토링(10건)
· 완료사업에 대한 완료 평가 및 성과 활용 방안 마련(4건)
과학기술 역량 강화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운영(1건)
※ 신규지원 R&D 없음 창업역량강화와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활성화 기업가 정신 교육(100명)
‘22 R&D 성과의
·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1회)
지역 R&D 지원 · 대학, 출연(연), 기업 대상 가교형 R&D 수요조사(20건) 사업화 활성화
· 창업아이템 발굴 및 1:1 창업 맨토링 (10건)
기반 구축 · 타 지역사업 연계를 위한 수요기반 R&D 기획 지원(1건)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운영(1건)
창업역량강화와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활성화 기업가 정신 교육(100명)
‘24 ‘23 R&D 성과의
· 선정사업에 대한 연차 성과 관리(4건) ·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1회)
R&D를 통한 지역 사업화 성과창출
· 완료사업에 대한 완료 평가 및 성과 활용 방안 마련(4건) · 창업아이템 발굴 및 1:1 창업 맨토링(10건)
과학기술 역량 강화
※ 신규지원 R&D 없음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운영(1건)
창업역량강화와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활성화 기업가 정신 교육(100명)
‘24 R&D 성과의
지역 R&D 지원 · 대학, 출연(연), 기업 대상 가교형 R&D 수요조사(20건) ·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1회)
사업화 성과창출
기반 구축 · 타 지역사업 연계를 위한 수요기반 R&D 기획 지원(1건) · 창업아이템 발굴 및 1:1 창업 맨토링(10건)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운영(1건)
창업역량강화와
‘25 ·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 활성화 기업가 정신 교육(100명)
‘25 R&D 성과의
R&D를 통한 지역 · 완료사업에 대한 완료 평가 및 성과 활용 방안 마련(4건) ·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1회)
과학기술 역량 강화 ※ 신규지원 R&D 없음 사업화 성과창출
· 창업아이템 발굴 및 1:1 창업 맨토링(10건)

- 651 - - 652 -
마.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내 과학기술 로드맵 작성을 위한 S&T 정책교류회 운영(3회)


과학·산업 기술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과학기술 활성화를 위한 S&T 정책·성과회 개최(2건)
생태계 조성
· 지역내 과학기술 로드맵 작성을 위한 S&T 정책교류회 운영(3회) · 지역내 과학기술 공유를 위한 On Line 플랫폼 구축 및 운영(1건)
‘23
과학·산업 기술
· 과학기술 활성화를 위한 S&T 정책·성과회 개최(2건)
생태계 조성 산·학·연 교류협력 · 산업별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연구회 구성 및 운영(10회)
‘16 · 지역내 과학기술 공유를 위한 On Line 플랫폼 구축 및 운영(1건) 네트워크 구축 · 연구회를 통한 애로기술 자문(2회)
산·학·연 교류협력 · 산업별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연구회 구성 및 운영(10회) · 지역내 과학기술 로드맵 작성을 위한 S&T 정책교류회 운영(3회)
네트워크 구축 · 연구회를 통한 애로기술 자문(2회) 과학·산업 기술
· 과학기술 활성화를 위한 S&T 정책·성과회 개최(2건)
생태계 조성
· 지역내 과학기술 로드맵 작성을 위한 S&T 정책교류회 운영(3회) · 지역내 과학기술 공유를 위한 On Line 플랫폼 구축 및 운영(1건)
과학·산업 기술 ‘24
· 과학기술 활성화를 위한 S&T 정책·성과회 개최(2건)
생태계 조성 산·학·연 교류협력 · 산업별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연구회 구성 및 운영(10회)
‘17 · 지역내 과학기술 공유를 위한 On Line 플랫폼 구축 및 운영(1건) 네트워크 구축 · 연구회를 통한 애로기술 자문(2회)
산·학·연 교류협력 · 산업별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연구회 구성 및 운영(10회)
· 지역내 과학기술 로드맵 작성을 위한 S&T 정책교류회 운영(3회)
네트워크 구축 · 연구회를 통한 애로기술 자문(2회) 과학·산업 기술
· 과학기술 활성화를 위한 S&T 정책·성과회 개최(2건)
· 지역내 과학기술 로드맵 작성을 위한 S&T 정책교류회 운영(3회) 생태계 조성
과학·산업 기술 ‘25 · 지역내 과학기술 공유를 위한 On Line 플랫폼 구축 및 운영(1건)
· 과학기술 활성화를 위한 S&T 정책·성과회 개최(2건)
생태계 조성
· 지역내 과학기술 공유를 위한 On Line 플랫폼 구축 및 운영(1건) 산·학·연 교류협력 · 산업별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연구회 구성 및 운영(4건)
‘18
네트워크 극대화 · 연구회를 통한 애로기술 자문(2회)
산·학·연 교류협력 · 산업별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연구회 구성 및 운영(10회)
네트워크 구축 · 연구회를 통한 애로기술 자문(2회)
· 지역내 과학기술 로드맵 작성을 위한 S&T 정책교류회 운영(3회)
과학·산업 기술
· 과학기술 활성화를 위한 S&T 정책·성과회 개최(2건)
생태계 조성
‘19 · 지역내 과학기술 공유를 위한 On Line 플랫폼 구축 및 운영(1건)
산·학·연 교류협력 · 산업별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연구회 구성 및 운영(10회)
네트워크 구축 · 연구회를 통한 애로기술 자문(2회)
· 지역내 과학기술 로드맵 작성을 위한 S&T 정책교류회 운영(3회)
과학·산업 기술
· 과학기술 활성화를 위한 S&T 정책·성과회 개최(2건)
생태계 조성
‘20 · 지역내 과학기술 공유를 위한 On Line 플랫폼 구축 및 운영(1건)
산·학·연 교류협력 · 산업별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연구회 구성 및 운영(10회)
네트워크 구축 · 연구회를 통한 애로기술 자문(2회)
· 지역내 과학기술 로드맵 작성을 위한 S&T 정책교류회 운영(3회)
과학·산업 기술
· 과학기술 활성화를 위한 S&T 정책·성과회 개최(2건)
생태계 조성
‘21 · 지역내 과학기술 공유를 위한 On Line 플랫폼 구축 및 운영(1건)
산·학·연 교류협력 · 산업별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연구회 구성 및 운영(10회)
네트워크 구축 · 연구회를 통한 애로기술 자문(2회)
· 지역내 과학기술 로드맵 작성을 위한 S&T 정책교류회 운영(3회)
과학·산업 기술
· 과학기술 활성화를 위한 S&T 정책·성과회 개최(2건)
생태계 조성
‘22 · 지역내 과학기술 공유를 위한 On Line 플랫폼 구축 및 운영(1건)
산·학·연 교류협력 · 산업별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연구회 구성 및 운영(4건)
네트워크 극대화 · 연구회를 통한 애로기술 자문(2회)

- 653 - - 654 -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추진체계

가. 울산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추진전략 및 체계

□ 추진전략

• 기초연구성과의 활용도 제고 및 지역과학기술역량 강화


사업목표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및 창업기획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전략

추진조직 기능 및 역할

• 사업 총괄 추진
• 과학기술혁신거점 육성 및 집적화 미래창조과학부
울산광역시 • 사업추진에 따른 예산지원
• 산·학·연 지역특화 핵심기술 개발체계 강화
과학기술
• 지역 전략·특화 과학기술인력양성
진흥계획 한국연구재단 • 지방과학진흥센터 사업 평가 및 사후관리
• 과학기술 정보체제 구축
(주요시책)
• 과학문화 확산 • 지자체 예산 지원
울산광역시 • 정책자문 및 주요사항 심의
□ 추진방법 • 연구개발지원단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ㅇ 지역 지식재산(특허) 스크린 평가를 통해 즉시 사업화 가능 기술, 추가 R&D • 사업계획 수립 등의 운영사업 수행


필요 기술, 시장 가치 만료기술 등으로 분류하여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 • 지역 내 연구기관, 기업체, 대학과의 협력체계 구축
업, 과학기술 창업지원사업, 지역 수요기반 기초 R&D 지원 사업으로 지원함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 • 지역수요맞춤형 R&D사업 발굴·기획 및 정책수립 지원
(사업주체) • 지역 R&D 사업에 대한 평가·관리 및 성과관리
ㅇ 지원성과를 활용하여 기술이전, 창업 및 일자리 창출, 연구개발 역량강화, 기
• 자체평가위원회 운영(사업추진 평가 및 방향 제시)
초연구성과 활용도 제고 등의 효과로 지역 과학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 기술 협의회 운영(R&D 사업에 대한 기술 자문 등)

- 655 - - 656 -
나. 세부사업별 추진전략, 방법 및 추진체계 □ 추진방법

ㅇ (수요/공급 네트워크 운영) 개방형과 타겟형 기술수요조사를 병행하여 추진


1)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하며, 전자는 대상산업분야 및 지역에 해당하는 전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이
전 또는 공급희망 수요를 발굴하는 방법이고, 후자는 산업군별 기술이전에
□ 추진전략
대한 적극적 관심과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에 대한 맞춤형 조사방식임
ㅇ (공급기술 발굴 및 기술 수요기업 관리 방안) 수요기술 발굴을 위해 대학 및 ㅇ (기술이전사업화 네트워크 연계) 기술이전 중개․알선을 통한 기술이전과 온․
출연(연)을 대상으로 공급기술 정보와 기업을 대상으로 도입하고자 하는 기 오프라인 신기술 홍보 및 기술마케팅(설명회, 상담회 등) 수행과 전문가 네
술정보를 수집하여 온라인 DB로 구축 트워크 구성 및 참여와 울산지식기술자문단을 운영함
ㅇ (유관사업과의 연계방안) 울산TP에서 수행중인 창업보육사업, 연구개발 지 ㅇ (기술분석 및 가치평가) 사업화하고자 하는 기술의 기술성, 시장성, 경제성,
원사업, 기술사업화 연구회 지원사업 추진 시 기업지원 이력을 모니터링하여 기술개발전략, 사업화전략 등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사업화의
애로기술 또는 융합신기술 가능성들에 대한 기술이전 연계 강화 성공가능성을 제고함. 또한 지역 내 우수기술 보유기업에 대한 사업타당성평

ㅇ (통합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활용 및 협력방안) 연구지원기관과의 협업 체제 가 지원으로 기술의 객관적인 평가를 통한 기술거래, 투자유치, 기술금융조

를 구축하여 기술수요 기업을 발굴하고, 대학과 업무협약을 통해 우수 공급 달 등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성공률 제고와 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
기술을 발굴하여 기술이전 사업화가 적극적으로 매칭 될 수 있도록 추진 판매희망기술 기술이전컨설팅
기술이전상담 → → → 기술평가
등록 계약체결
ㅇ (기술 마케팅 및 중개알선 전략) 인터넷, e-mail 등의 온라인 홍보를 병행하며,
기술이전 기술이전협상 및 기술사업화컨설팅 각종 지원사업
시장능력을 보유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타 기술이전기관 등과 연대하여 →
마케팅 실시

계약체결

계약체결

연계
기술마케팅을 추진
ㅇ (전담인력의 전문성 강화) 국내ㆍ외에서 실시하는 기술이전 및 사업화 관련
ㅇ (해외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방안) 중소기업의 국제산업기술협력은 이제 교육프로그램을 정기적인 참여하여 울산지역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중소ㆍ
시작하는 기초단계라 할 수 있으며, 본 사업을 통해 국제적 기술협력 기능을 마련 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하는 전문가 양성

□ 추진체계

- 657 - - 658 -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추진전략

ㅇ ‘기술탐색 및 중개-가교형 연구-연구성과를 활용한 창업’의 일체형사업으로 추진


­ 지역 내 대학 또는 출연(연) 기술을 우선적으로 탐색하고 중개하며, 필요시
타 지역 및 해외로도 영역 확장
­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초․응용 연구역량 보완을 위해 기초․원천 연구결과를
활용하는 가교형 R&D① 및 지역수요기반 R&D② 수행
① 가교형 R&D : 기초․원천연구와 산업부(구 지식경제부) 광역선도 및 신지
역특화산업 간에 연결고리 역할을 할 연구로 기술성숙도(총 9단계, TRL)
로 볼 때 3~5단계임
② 지역수요기반 R&D :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수요를 토대로 TRL
2~7단계(기초연구에서 제품화까지)를 포괄하는 사업으로 산·학·연 공동연
□ 추진방법
구법인 설립 등을 통해 수행
ㅇ 지역수요기반 R&D 기획과제 도출 프로세스
※ TRL 2~7단계 사업으로는 산업부 등의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소재․부품기
술개발사업, 미래산업선도기술개발사업 등이 존재하나 이들 사업은 지역이 아
기본방향 설정
닌 국가의 핵심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과제 제안서 공모/접수
※ TRL(기술성숙도 Technology Readiness Level) : 특정기술의 기술적 성숙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총 9단계로 구성 필요 기술도출

도출 RFP에 대한 RFP에 대한
지역필요기술
우선순위선정 전문가 평가

도출 RFP 우선순위 결정

상위 2개 RFP에 대한
요약 기술 계획서 작성

2단계 사업 기획과제 반영
­ 가교형 R&D 및 지역수요기반 R&D 결과물을 활용한 창업 기획은 지역 차
원의 멘토단 구성, 연구성과 기반의 창업경진대회 추진 등 창업기획 수행하 ­ 지역의 수요기술에 맞는 기초·원천 R&D 연구과제를 지역 업체, 대학, 연구
고 창업기획에 의해 탄생된 창업기업의 보육은 울산테크노파크가 수행 기관 중심으로 기술수요조사를 한 후 필요 기술개발 RFP를 작성하는 것으로
ㅇ 지역기업 수요에 기반한 지역밀착형 사업 추진 진행 함
­ 연구개발지원팀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기업의 수요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 지역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아 본 지방과학연구단지사업(2단계)은 기획 보고
이를 기반으로 한 R&D사업 및 과제 기획 서에서도 제시 된 것과 같이 “지역대학 및 출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
­ 지역기업의 R&D 수요 조사, 필요 기술 탐색․중개 등 기업의 수요에 기반한 기술 중 지역기업이 활용 가능한 가교형 R&D 과제 발굴“에 기인하여 대학
지역밀착형 사업추진 및 출연(연)이 제시한 RFP 대상으로 지역 필요기술 우선순위를 도출함
- 659 - - 660 -
­ 또한 기업의 RFP의 경우 기존 특허를 활용하고 사업화 가능성이 높으며, 원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천기술이기 보다 응용기술에 더 가까워 지역수요기반 R&D(산·학·연 공동연
구법인 설립) 과제 발굴로 활용함 □ 추진전략

ㅇ 가교형 R&D 우선지원 순위 도출 ㅇ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창업 기획 및 전문가 그룹 운영), 지역대학(LINC사업


­ 기술 수요 List에 대해 울산지역에 위치하고 지방과학연구단사육성사업 연계를 통한 기업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출연(연) 기업 고급인력 퇴
관련 1번 이상 사업 참여한 10개 이상 기업 대상으로 “지역의 성장동 직자(창업 멘토링 지원), 테크노파크(창업기업 맞춤형 마케팅 및 창업보육
력 창출과 산업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되십니까?”로 질의 하여 제출한 지원) 등의 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성하여 지원
점수 상위 5개 우선순위 결정 ㅇ 개별 추진사업을 통한 창업 진행 프로세스별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을
구분 도움안됨← →도움됨 위해 전문가 5~7명으로 구성하여 창업기업 전담 멘토링 지원
지역의 성장동력 창출과 산업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1 2 3 4 5
되십니까?

­ 1차 우선순위로 결정된 5개 과제에 대해 5인의 전문가로 구성하고 서


면평가를 통해 최종 우선지원순위를 결정함

평점
평가항목 평가지표
탁월 우수 보통 미흡 불량
기술신규성 및 기술의 신규성․창의성
기술 15 12 9 6 3
창의성 (특허 등 권리 확보 가능성 등)
신규성
후속연구
(30) 후속연구 필요성 및 성공가능성 15 12 9 6 3
필요성
기술사업성
적용 분야 적용 가능 (산업)분야의 시장 전망 20 16 12 8 4
(20)
지역 내
기업 참여 정도 기업 참여 가능성 20 16 12 8 4
연계성 및 □ 추진방법
파급효과 지역산업과의 연관정도 및 일자리 창출
지역 파급효과 30 24 18 12 6
(50) 정도
ㅇ 지역수요기반 R&D의 성과물인 기술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사업화 방식 적용
­ 지역수요기반 R&D의 사업화추진의 경우 기술이 새롭고 전유성이 뛰어나며,
□ 추진체계 생산시설 등 보완자산의 중요성이 적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기업 설립을 통
한 직접사업화가 쉬워짐
⇒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에서는 기술 및 특허 조사 분석을 통해 창업 및 합작
벤처 설립 지원
­ 또한 기업의 기술 흡수 능력이 뛰어나고 보완자산의 중요성이 높은 기존기
업으로 기술이전 추진
ㅇ On․Off Line 멘토링 시스템 구축으로 창업 프로세스 로드맵을 입체적으로 제
공하고, 지방과학연구단지 센터 내에 엔젤, 멘토 및 지원기관 등을 입주시켜
예비창업자에 대한 종합적 One-stop 서비스 제공
­ (멘토단 구성 및 관리) 창업지원을 위해 벤처투자가, 엔젤투자가, 기업체
CEO, 법률 및 회계 전문가 등으로 멘토단 구성 및 멘토 D/B 구축

- 661 - - 662 -
ㅇ 창업경진대회는 창업기획사 주관으로 지역수요기반 R&D 등의 연구결과물을 4) 산학연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활용하는 창업경진대회 추진하여 1:1 멘토링 및 교육을 통해 일정기간 집중
적 관리 시스템 제공 □ 추진전략

ㅇ 과학기술 창업 아카데미를 추진하여 R&D 과제 수행 연구인력에 대한 교육으 ㅇ 지자체 주도의 중소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역과학기술 정책교류회 운영
로 시작하여 단지내 연구인력에 대한 창업교육으로 확대로 확대 ­ 지방 과학기술정책 및 기획 활동을 연계하고, 사업추진 중 생성된 정보를 상
호 교류함으로써 과학·산업이 융합된 혁신 생태계 조성
­ 과학기술 정책 및 지원기관이 협력 채널을 구축하고 지원기관간 정보를 공유
­ 또한 지역 과학기술 교류 위원회는 지방과학기술 진흥로드맵을 만련하고 기
술사업화 촉진계획을 수립과 지역 과학기술교육 정책 수립을 함으로써 지역
전반적인 과학기술 제고를 하는 노력을
ㅇ 지자체 주도의 중소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 산업분야별 산·학·연으로 구성된 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함으로써 현장에서
의 지역과학기술 정책을 충언하고 지역의 과학기술 방향을 제시
­ 산·학·연 협의회는 분야별 가교형 R&D 기획 지원 및 지역 전략 전략산업과
연계된 과학기술 R&D 도출 지원을 함
­ 가교형 R&D 수요조사 및 기술이전관련 수요조사 대상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지원 대상 중소기업 맞춤형 산·학·연 협의회를 구성하여 지역 신기술정보, 테
교육 프로세스 크노파크 및 대학 등에서 지원하는 장비, 고급인력, 마케팅 등과 연계하여
사업화 가능 효율을 제고
□ 추진체계

- 663 - - 664 -
□ 추진방법 나.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ㅇ On․Off Line S&T 정책교류회 운영
1)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 (S&T 정책․성과 교류회) 지역내 연구성과 및 정책에 대한 성과를 발표하는
교류회 개최를 통해 지식 및 인적교류 활성화
□ 성공적 지역수요기반 R&D를 위해 지식재산활용도제고사업(창업지원), 특허
­ (지역별 과학기술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 지역과학기술진흥 정책 수립․실
활용창업기획사업, 산·학·연 네트워크 등의 세부사업과 전문적으로 연계되어 추진
행에 대한 정보제공, 의견교환 등이 가능한 온라인 정책교류 장 구축
□ 지역수요기반 R&D는 기술수요 또는 지식재산 활용에서 RFP가 도출 될
ㅇ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 지원
수 있으며, 개발 후 기술이전을 통한 창업 또는 특허 등의 성과물을 기술
­ 동일 산업분야 내에서 대학 및 연구기관, 중소기업, 대기업 및 투자기관으로
저장소로 이전 관리 됨
구성된 네트워크 구축 지원
­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과 연구개발프로그램 참여시 우대
­ 지방과학연구단지는 네트워크 성과 측정 및 평가, 네트워크간 정보 교환 등
네트워크 감독매니저 역할 수행
­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생기원) 및 지역네트워크와 연계 협력

□ 추진체계

2) 타 사업과의 연계방안

□ 테크노파크와 연계
ㅇ 테크노파크 사업에서 미흡한 분야를 지원 및 중점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지역
기업에 더욱 다양한 사업지원을 할 수 있음
ㅇ 지역수요기반 R&D의 포지셔닝으로 R&D 성과물은 창업기획에 주력 활용함
으로써 기업이 성장하고 지역산업이 활성화하여 일자리 창출로 이어짐
ㅇ 이술이전은 사업화 기술이전은 테크노파크 사업과 연계하여 창업보육으로 이
어지고 기초원천 기술개발의 기술이전은 창업기획을 하는데 활용함

- 665 - - 666 -
5. 기대효과

세부사업 기대효과

ㅇ지역 특화산업분야 관련 기업의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우수기술을


발굴·이전하고 기술사업화를 지원함으로써 지역 특화산업분야 중소
기업의 성장확충 기반 마련 및 일자리 창출
ㅇ지역대학, 연구기관 등의 우수 연구결과물을 체계적으로 발굴, 관
리하여 지역 내 중소기업에 이전활용토록 함으로써 우수기술의 휴
지식재산 면 및 사장 방지
□ 미래부 내 사업과 연계 활용도 제고 ㅇ전국 10개 과학센터와 연계하여 지역 외 우수기술을 지역 내 중소
ㅇ 지역과학기술진흥로드맵 수립, 지역R&D 기획 시 연지단과 협력 사업 기업에게 이전·공급함으로써 지역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

ㅇ 정부의 중점추진 방향(지역발전+지방대학육성+산학협력 등 지방대 지원 ㅇ정량적 효과 (기술이전 중심)


· (생산증대효과)이전목표 × 사업화성공률 27% × 미래부 신규과
및 산학협력 등)에 대한 다수의 사업 존재함에 따라 지역대학 발전방안
제당 평균매출 8.8억원 → 190건 × 27% × 8.8억원 = 451억원
수립을 통하여 대학수요기반 R&D사업 및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 (고용유발효과) 매출증가액 ÷ 2.7억당 1명 일자리 창출 → 451억
□ 산업부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 연계 원 ÷ 2.7억원 = 167명
ㅇ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추진 중인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을 통해 기 ㅇ지역 혁신주체(대학, 연구소, 기업)의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발굴
구성되어 있는 기술이전 실무자협의회를 중심으로 지역의 기술협력네트 및 산학연 공동연구과제 기획으로 지역기반 우수연구성과물 창출
워크 활용하여 애로기술수요조사에 대한 결과물 공유 및 관련 연구자 또 ㅇR&D 성과물인 특허를 기반으로 창업기업 10개, 일자리 250개 등
는 기술동향 파악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
ㅇ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사업에 참여하는 동남권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 분야 ㅇ지역 수요 기반 R&D 발굴을 통해 지역 기초연구 및 지역 중소기업
지역수요기반
기술․기업 정보제공 및 공동 기술마케팅 실시 R&D 지원정책 자료로 활용
R&D 지원
ㅇ정량적 효과 (가교형 R&D,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중심)
□ 교육부 LINC, 인력양성사업 연계 사업
[가교형 R&D 지원 20건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4건 = 24건 기준]
ㅇ LINC 사업 내 기업가정신센터와 공동으로 창업아카데미 운영 · (생산증대효과) 목표건 수 × 벤처기업 평균매출 대비 50% → 24건 ×
ㅇ 단지내 창업기업으로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설 및 공동 운영 67.2억원 × 50% = 806억원
ㅇ 단지내 기업체의 참여로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 공동 추진 · (고용유발효과) 매출 증가액 ÷ 2.7억당 1명 일자리창출 → 806억원
÷ 2.7억원 = 298명
ㅇ지역 내 창업희망자에게 우수특허 기술이전 및 특허출원 등을 지원
함으로써 기술기반 창업분위기 조성 및 일자리 창출
ㅇ특허활용 창업자에게 창업아카데미와 기술, 경영, 사업화 등 컨설팅
특허활용
지원을 통한 창업기업의 지속적 성장으로 지역산업 및 경제활성화 기여
창업기획
ㅇ지역의 기업가정신 의욕을 고취하고 실제적인 창업으로 이끌어
사업
청년 실업문제 해결과 나아가 지역벤처 활성화제고
· (생산증대효과) 배출인원 × 창업성공률 10% × 생존율 30% × 벤처
기업 평균매출 → 250명 × 10% × 30% × 67.2억원 = 504억원

- 667 - - 668 -
· (고용유발효과) 매출 증가액 ÷ 2.7억당 1명 일자리 창출 → 504억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원 ÷ 2.7억원 = 187명
ㅇR&D 수행단계의 혁신주체 간 협력과 R&D 활동의 전주기적 교류· □ 사업비 총괄표
협력으로 R&D 성과율 제고 (단위 : 백만원)
ㅇ정책 입안 및 기획 수립단계에서 교류·협력을 통해 지방 과학기술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합 계
산·학·연 생태계를 최적화할 수 있음
네트워크 ㅇ산·학·연 협력체제 구축으로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여 기업 혁신역 국비 1,030 1,830 3,110 4,390 5,630 6,150 5,360 4,160 2,960 1,680 36,300
활성화 사업 량 강화 지방비 370 420 440 460 440 450 410 410 410 390 4,200
ㅇ산·학·연 협력체제를 활용하여 가교형 R&D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은 민 간 150 400 800 1,200 1,600 1,750 1,500 1,100 700 300 9,500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상용화 기술과 대학 및 출연(연)에서 합계 1,550 2,650 4,350 6,050 7,670 8,350 7,270 5,670 4,070 2,370 50,000
기초·원천 연구와 미스매칭 비율 최소화
※ 총사업 50,000백만원(국비 36,300(73%) : 지방비 4,200(8%) : 민자 9,500(19%))

□ 세부사업별 사업비

ㅇ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국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기술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중개
계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0
기술 국비 80 80 160 240 320 400 400 400 400 320 2,800
저장소 지방비 20 20 40 60 80 100 100 100 100 80 700
구축 계 100 100 200 300 400 500 500 500 500 400 3,500
합 계 350 350 450 550 650 750 750 750 750 650 6,000

ㅇ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지역 국비 50 100 100 100 60 50 10 10 10 10 500
수요
기반 지방비 50 100 100 100 60 50 10 10 10 10 500
R&D
과제 계 100 200 200 200 120 100 20 20 20 20 1,000
기획
국비 450 
900 1,800 2,700 3,600 4,050 3,600 2,700 1,800 900 22,500
가교형
민 간 150  300 600 900 1,200 1,350 1,200 900 600 300 7,500
R&D
계 600 1,200 2,400 3,600 4,800 5,400 4,800 3,600 2,400 1,200 30,000
산·학·연 국비   300 600 900 1,200 1,200 900 600 300 6,000
공동
민 간   100 200 300 400 400 300 200 100 2,000
연구
법인 계 0 400 800 1,200 1,600 1,600 1,200 800 400 8,000
합 계 700 1,800 3,400 5,000 6,520 7,100 6,020 4,420 2,820 1,220 39,000

- 669 - - 670 -
ㅇ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구분 연구결과 활용방안
온오프 국비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0 ㅇ지역 특허 등 기술DB를 누적하여 특화산업 발굴과
라인
지방비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0 지역 특허 및 지속적인 기술사업화에 활용
멘토링
시스템 계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0 기술 DB ㅇ타 지방 연구단지와의 정보공유를 통해 전국적인
창업 국비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0 기술이전 체계를 마련에 활용
기획 지식재산 활용도

ㅇ정보탐색을 통한 기술거래/중개 및 우수기술 홍보
지방비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0 제고 사업
창업 지식저장소 공간으로 활용
경진 계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 1,600
대회 Web Siteㅇ지역 기술의 전국적인 기술마케팅 및 기술수요 발굴
국비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공간으로 활용
창업
아카 지방비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신규기획과제 ㅇ지역특화산업에 대한 지속적 연구아이템을 제공하고,
데미 발굴 이를 통한 국비 및 협업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
계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0
ㅇ가교형 R&D에 참여하는 기업의 신규사업 발굴 아
합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가교형 R&D를
이템으로 활용
통한 사업화
ㅇ보유된 기술을 근간으로 연관기술을 개발/응용하여
결과물
지역수요기반 다양한 사업화 기회로 활용
ㅇ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ㅇ기술중심 산학연연구법인의 성공모델을 통한 기술
R&D 지원 사업
(단위 : 백만원) 이전 및 신규창업지원 성공모델을 구축하고 보급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산학연 하여 서너지 창출
연구법인 설립 ㅇ설립된 기술중심 산학연연구법인을 통해 추가적인
온오프 국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라인 기술이전을 시행하여 다양한 기술의 사업화 접목
S&T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정책 에 활용
교류회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ㅇ창업아카데미를 통해 배출된 예비창업자와 기술이
중소 국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예비창업자 전 DB를 연계하여 창업에 활용
기업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특허활용 발굴 ㅇ배출된 예비창업자는 기존 울산과학연구단지 네
네트
워크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창업기획 사업 트워크와 연계하여 다양한 사업화 기회를 제공
합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창업전문가 ㅇ본 사업으로 구성된 창업플래너 및 컨설턴트는 울산
Pool 과학연구단지의 지속적 사업 자문조직으로 활용
ㅇ울산과학연구단지의 성공적인 2단계 사업수행을
정책기획 위해 지역정책 및 사업방향수립의 지원조직으로
전문가 활용
네트워크 ㅇ지역 과학·산업의 생태계조성을 위한 정책 아이디어
제공조직으로 활용
산학연 네트워크 ㅇ각 특화산업별 과학기술 발전방향에 대한 수립과
연구전문가
활성화 사업 이를 연계한 세부기술의 기획 및 평가조직으로
네트워크
활용
ㅇ기업 기술이전 및 과제발굴을 위한 수요와 협력을
산학연관 협력 위한 지원조직으로 활용
네트워크 ㅇ지역 기업의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이를 정책 및
R&D에 반영하도록 자문하는 조직으로 활용

- 671 - - 672 -
8. 연구원 편성표 첨부 I 가교형 R&D 후보과제 리스트

과제명 직급별 참여연구원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과제 기술 TRL 산업 중점
출연 국공 산업 연구제목 기술명
구분 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수석 책임 선임 원급 기타 계 대학 기타 계 보유기관 분류 분야 분야
(연) 립(연) 계
울산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2단계)
고효율 저공해 수소엔진동고효율 저공해 수소엔진
1 울산대학교 3 수송기계산업 자동차
총괄 1 4 3 4 12 력시스템 개발 평가 기술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 한 경 식
차세대 운송용 연료를 이
위탁
운송용 연료를 이용한
2 용한 신연료자동차기술 개 울산대학교 3 수송기계산업 자동차
평가 및 표준화 기술

합 계
전류밀도 인가를 통한
저전압 전류밀도 인가를 통한 경
3 량소재의 고급성형기술 개발
판재소재 연신율 향상기 울산대학교 3 수송기계산업 자동차

9. 참고문헌 고용량 음극용 고성능 고전극소재 일부분인 바인 신소재
4 울산대학교 4 이차전지
ㅇ 2011년 지방과학기술연감(국가과학기술위원회, KISTEP) 분자 바인더 개발 더에 관한 기초 기술 나오융합

ㅇ 2012 지방과학기술연감(국가과학기술위원회, KISTEP) 무연계 적층 압전 액츄


친환경 강유전체 및 압전체 신소재
5 에이터 소자 제작 기초 울산대학교 4 자동차
ㅇ 제3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13-2017,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소재 개발
기술
나오융합

ㅇ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안)(2013-2017,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그린카 및 LED 조명용 고마그네슘 소재 설계 및
ㅇ 일본의 과학기술지방화 현화 자동차
6 열전도성 방열 마그네슘 소주조성, 열전도도 평가 울산과학기술대학교 3 수송기계산업
조명
재 개발 기술
ㅇ 지방과학단지 활성화 방안수립(2012. 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ㅇ 지역 과학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우수인재 유치활용 및 선진 연구지원체계 7
레이저 어닐링을 이용한대면적 레이저 국부 표
울산과학기술대학교 3 소재성형 소재부품
국부 연화기술 개발 면처리 기술
마련에 관한 연구(2013. 6, ㈜더비엔아이)
고전도 고방열 대면전 그대면적 고온(1000℃) 그 신소재 이차전지
ㅇ 지방과학단지 활성화 방안수립(2013. 10,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
래핀 저온 형성법 개발 래핀 합성 기술
울산과학기술대학교 3
나오융합 방열소재

잔류응력 분석기술을 통
잔류응력분석기술을통한부
9 한 부품 피로내구 특성 자동차부품연구원 3 수송기계산업 자동차
품피로내구향상 기술 개발
평가 기술

접합강도 향상을 위한 초초고강도강 소재에 대한


10 고강도강의 레이저 어블레레이저 접합 및 평가 기 고등기술연구원 5 생산기계 자동차
이션 코팅 제거기술 개발 술

고강성 복합 소재를 이용한고강성 복합 소재를 이


신소재 자동차
11 자동차 플라스틱 부품 제조용한 자동차 플라스틱 RIST 3
나오융합 전기전자
기술 개발 금형 표면처리 기술

Nano alloy기술을 통한polymer ligand법을 이


신소재
12 열전도성 고성능 중성자 차용한 나노입자 분산에 RIST 3 원자력
나오융합
폐체 개발 관한 기초 연구 기술

10-24 kHz급 초음파 용초음파 인가를 통한 알


자동차
13 탕처리를 통한 고품위 주조루미늄 합금의 초정 Si 한국생산기술연구원 4 수송기계산업
스포츠용품
성형기술개발 미세화 주조성형기술

바이오디젤 부산물을 이용바이오디젤 부산물을 이


신소재 석유화학
14 한 생분해 난연성 전기절연용한 생분해 난연성 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4
나오융합 에너지
유 생산 기술 개발 기절연유 기초연구 기술

- 673 - - 674 -
첨부 II 가교형 R&D 후보과제(1, 2 순위) 요약문 〈 요 약 문 - 2 〉

연구사업명 그린카 및 LED 조명용 고열전도성 방열 마그네슘 소재 개발


〈 요 약 문 - 1 〉
○ 기 술 명: 마그네슘 소재 설계 및 주조성, 열전도도 평가 기술
선행
연구사업명 저전압 전류밀도 인가를 통한 경량소재의 고급성형기술 개발 기초·원천기술 ○ 기술내용: 열전도도가 높은 마그네슘 소재 개발

○ 기 술 명: 전류밀도 인가를 통한 판재소재 연신율 향상기술 ○ 고방열능 경량 마그네슘 합금 소재 개발


선행 - 비방열능 30W/kg, 열전도도: 120W/mK급
기초·원천기술 ○ 기술내용: 전류를 이용한 프레스 성형 - 주조합금: 주조성 AZ91 대비 동등 수준
연구목표 - 압출합금: 압출성 AZ31 대비 동일 수준
○ 경량 비철 소재를 대상으로하는 통전가공법(EAM: Electrically Assisted ○ 개발된 부품소재의 기술개발목표
연구목표 - 복잡형상 부품 제조: 박육두께 0.8mm 이하
Manufacturing) 개발 및 최적화
- 방열모듈 성능: 열저항 6℃/W 이하
○ 경량 비철(특히 마그네슘)소재의 EAM 단조기술 개발 ○ 고방열성 마그네슘 소재 기술 개발
연구내용 ○ EAM 전단 기술 및 기계적 접합 기술 개발 - 열전도도/방열능 향상 합금 설계 기술
○ 각종 EAM 응용 기술 개발 (electrically assisted bending 등) - 주조성/압출성 향상 합금 설계 기술
- 방열특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 기술
○ 1차년도 연구내용
○ 방열부품 정형 제조 기술 개발
- 통전 자유단조/통전전단 실험 시스템 구축 - 방열능 향상 부품형상 설계 기술
- 기초실험 및 성능 향상 검증 - 복잡형상 정형 주조 설계 기술
- 소재 특성과 통전 효과의 상관관계 분석 - 열저항 최소화 표면 정형기술
○ 2차년도
○ 1차년도
- 통전자유단조/통전전단 특성평가 및 거동 모델 개발 - 고열전도 마그네슘 3원계 합금 설계
- 통전가공기술 적용 전/후의 기초 물성 및 미세조직 분석 - 열전도도 특성평가 기술 확립
○ 3차년도 - 방열부품 부품제조 기반기술 구축
연차별
- 통전형단조 기술 개발 및 공정변수 도출 ○ 2차년도
연구내용
- 통전체결 기술 개발 및 공정변수 도출 - 고열전도 마그네슘 3원계 합금 개발 완료
- 통전가공법 및 소재 조건에 따른 주요 변형 메커니즘 분석 - 고열전도 3원계 합금 주조성 및 압출성 평가
○ 4차년도 - 방열부품 형상설계 기술 개발
- 통전형단조/통전전단 공정설계 기술 개발 및 1차 시제품 연차별 ○ 3차년도
- 통전가공 기술 확장 적용에 따른 미세조직 기반의 통전 영향 평가 연구내용 - 고열전도 마그네슘 4원계 합금 설계
○ 5차년도 - 고열전도 4원계 합금 주조성 및 압출성 평가
- 복잡형상 방열부품 정형 주조 기술 개발
- 통전형단조/통전전단 공정설계 기술 개발 및 2차 시제품
○ 4차년도
- 시제품 성능평가를 통한 공정설계 및 최적화 기법 검증
- 고열전도 마그네슘 4원계 합금 개발 완료
- 복잡형상 방열부품 열저항 최소화 기술 개발
○ 통전가공법 기술 개발은 선진국 조차 현재 기초 연구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원천
○ 5차년도
상업화 적용기술 개발 시 자동차 산업의 Global 강국 도약 및 독점적 시장 확보
- 고방열 복잡형상 부품 최적 제조기술 확립
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기대효과 - 부품 신뢰성 확보 및 양산기술 기반 확립
○ 부가가치가 높은 마그네슘 이용기술 기반이 구축되어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의 수
익성 증대와 자동차 부품 수출을 통한 대외 무역 수지 개선 기대
○ 그린카 및 LED 조명용 고출력/고효율 부품 방열기술 확보 및 표준화 선점
○ 친환경 미래 자동차의 경량화 및 경제성 향상으로 자동차 산업 경쟁력 제고 기대효과 ○ 방열부품 및 모듈의 수입 대체를 통한 무역역조 개선에 기여
○ 석박사 인력양성과 일자리 창출 및 5년내 사업화를 통한 지역 주력산업 고도화
핵심단어
통전가공법, 경량소재, 통전소성, 단조, 전단, 기계적 접합
(5개 이내)
핵심단어
열전도도, 마그네슘, 방열, 주조, 압출, 합금설계, 신뢰성
(5개 이내)

- 675 - - 676 -
첨부 III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계획서 요약문 〈 요 약 문 〉

연구사업명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 및 인버터 모듈화 연구

연구개발과제계획서 선행
○ 기 술 명: 전기자동차용 구동장치 모듈화 기술

기초·원천기술 ○ 기술내용: 전기자동차용 구동장치 제어기술 개발

① 부처사업명(대) ④ 보안등급(보안, 일반) 일반


○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 개발
② 사업명(중) ⑤ 공개가능여부(공개, 비공개) 공개 연구목표
○ 전기자동차용 인버터 시스템 개발
③ 세부사업명(소)

과제성격 실용화 대상여부 ○ 바이오신소재 후보물질 탐색 및 in vitro, ex vivo, in vivo study를 통한 검증


개발 실용화
(기초, 응용, 개발) (실용화, 비실용화) ○ 여러 제형에 대한 단계적 formulation을 통해 다양한 high stability & safety
연구내용
국 문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 및 인버터 모듈화 연구 product 개발
후속연구개발과제명 ○ 시제품 제작, 제품의 실용화 및 상품화
영 문

⑥ (총괄)주관연구기관 울산테크노파크
○ 1차년도
⑦ 협동(공동)연구기관 ㈜디아이씨 - 해석을 통한 구동모터 및 인버터 설계 품질 향상
- 구동모너 구조 설계
성 명 문진수 직급(직위) 팀장
(총괄)주관연구책임자 - 인버터 구조형상 설계
소속부서 울산테크노파크 전공 공학 ○ 2차년도
연구개발비 및 참여연구원수 (단위: 천원, 명) - 인버터 제어운전 로직 S/W 개발
- 모터, 감속기 및 인버터 모듈 설계
기업체부담금
정부외 상대국 - 구동모터 평가기술 확보
년 도 정부출연금 출연금 부담금 합계 참여
(A) 현금 현물 소계 G=(A+B+E) 연구원수 ○ 3차년도
(B) (F) 연차별 연구내용
(C) (D) E=(C+D)
- 구동모터 시제품 제작
1차년도 300,000 10,000 90,000 100,000 400,000 10 - 구동모터 제어용 인버터 시제품 제작
- 구동모터 제어기 고장진단 및 내구시험 평가
2차년도 300,000 10,000 90,000 100,000 400,000 10
○ 4차년도
3차년도 300,000 10,000 90,000 100,000 400,000 10 - 인버터 시제품 성능평가
- 구동모터 및 제어 시스템 평가
4차년도 300,000 10,000 90,000 100,000 400,000 10
○ 5차년도
5차년도 300,000 10,000 90,000 100,000 400,000 10 - 시제품 최적화 기술 개발
합계 1,500,000 50,000 450,000 500,000 2,000,000 50 - 인버터 구동관련 소프트웨어 최적화

총연구기간 2018. 01. 01 ~ 2022. 12. 31


○ EV용 모터 구동시스템의 기술 및 시장 경쟁력 확보.
다년도협약연구기간
○ 대용량 모터 구동시스템 기술 확보를 통해 미래 친환경 자동차 구동시스템에
당해연도연구기간 2018. 01. 01 ~ 2018. 12. 31 기대효과 대한 원천기술 확보
중소기업수 대기업수 기타 계 ○ 완성차업체 및 부품업체의 고용 창출 효과
⑧ 참여기업 ○ 모터 관련 산업으로의 확대 효과로 수출증대 효과
1 1

상대국연구기관수 상대국연구개발비 상대국연구책임자수 핵심단어


국제공동연구 전기자동차, 전동기, 인버터, 벡터제어, 약계자제어, 필름 배패시터
(5개 이내)

- 677 - - 678 -
전북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The Second Stag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JeonBuk Science Park)

연구기관: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연구책임자: 이송인
< 목 차>

Ⅰ.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683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683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및 입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684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
··
··
··
··
··
··
··
··
··
··
··
··
··
··
·687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7
2. 1단계 사업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9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
··
··
··
··
·692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692
2. 최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5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6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5
5.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6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7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9
8. 연구원 편성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0

[첨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1

- 681 -
3) 과학기술진흥센터 인원 현황
I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소 속 직 위 성명 참여율(%) 비 고
과학기술진흥센터 센터장 이송인 100
팀 장 김진구 100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선임연구원 박정옥 100
주임연구원 장성권 100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인원 미래기획팀
주임연구원 김태진 100
연구원 김미의 100
1) 주관기관 조직도
연구원 박 용 100
□ 주관기관 : 전북테크노파크 연구원 유명한 100
팀 장 김영권 100
□ 조직구성 : 3단, 2센터, 2실, 18팀
선임연구원 채경석 100
□ 근무인원 : 총 91명(‘14. 4 기준, 정규직 : 82, 위촉직 및 기타 : 9) 산학연지원팀
주임연구원 정주영 100
주임연구원 장한종 100
연구원 최원용 100
연구원 유철민 100
팀 장 문향란 100
시험분석팀 연구원 김민희 100
연구원 김현욱 100
연구원 임채빈 100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예산 ( 단위 : 천원)

년도
2013 결산 2014예산(안) 증 감
구분
정부출연금 - -
지자체출연금 - -
기타 - -

2)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도 수 입(A) 3,721,568 4,172,499 450,931


사업비 3,443,786 4,046,000 602,214
운영비 277,782 126,499 △151,283

지 출(B) 3,597,392 4,251,595 654,203


A-B 124,176 -79,096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입주 현황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현황
□ 목 적 : 전북과학기술진흥을 위한 R&D코어 및 산학연네트워크 구축
□ 기 간 : 2004. 9 ~ 2009. 10
□ 총사업비 : 금26,600백만원(국비 13,240 도비 6,456 군비 4,304 민간 2,600)

- 683 - - 684 -
□ 위 치 : 전북 완주군 봉동읍 둔산리 □ 도외 우수연구소 및 기업을 유치하여 꾸준하게 입주율이 상승하고 있으며
□ 연구부지 매입 : 66,170㎡ 현재는 82% 수준의 입주율 상태임.

□ 연구동 건립 □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에서는 초기에 전북과학연구단지에 도외에 있는


○ 규 2
모 : 부지면적 10,458m , 건축 연면적 6,131m2 우수연구소나 연구기업 유치 공간으로 활용하였음.
○ 건축구조 : 지하 1층, 지상 3층/철골 및 철근콘크리트조
○ 건축기간 : 2005.12 ~ 2007.07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율
□ 창조관 건립 100%
○ 규 2
모 : 4,158m 90%
80%
○ 건축구조 : 지하 3층/철골조 70%
○ 건축기간 : 2008.03 ~ 2008.09 60%
50%
□ 주요시설 : R&D 집적화 센터, 교육장, 세미나실, 회의실, 게스트 룸 등 40%
30%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 현황 20%
10%
1)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기업 및 기관 현황 0%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 입주기업 및 기관 : 21개

분야 연구 및 유관기관 기업부설연구소 일반 및 벤처기업

전북금형산업협의회,
제이엠솔루션(주), (주)아임,
자동차/기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 한국오텍공업(주),
(주)은산
합회

(주)아스텍, (유)에스엔지반도체
LED/반도체/ 한국조명연구원 (주)아스텍, (주)웰스컴, 에스이티(주),
태양광 전북분원 (유)에스엔지반도체 (주)지오,태양산업,
(주)와이즈이엔지

로봇/전자부품/
디케이오토메이션 (주)유비엠티
유무선통신

식품/의료/ (주)제너럴바이오,
농생명 (주)비에스코렘, 리온테크놀러지

합 계 3개 연구기관 4개 기업부설연구소 14개 기업

2)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율
□ 2009년 12월부터 기업 및 기관의 입주가 시작됐으며, 기업유치 1년후인
2010년도에는 85% 정도 입주율을 보임
- 685 - - 686 -
부지매입 ∘부지매입 ∘부지매입 100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연구동 건립 ∘연구동 건립 ∘연구동 건립 100

R&D과제지원 ∘수요조사 ∘기술수요조사 200개사 100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2005
∘언론홍보 3회
∘홍보 ∘도로표지판 정비 19개 100
가. 최종 연구목표 전북과학연구 ∘GPS시스템 등재 6개사
단지육성
∘기업유치 ∘단지내 39개사 유치 100
□ 과학기술중심의 생산기반형 과학연구단지 조성으로 지역경쟁력 확보
○ 전주․완주․익산의 트라이앵글 산업단지중심지에 R&D지원 거점 조성 부지매입 ∘부지매입 ∘부지매입 100
○ R&D를 통한 기술혁신 및 고용창출로 차세대 성장기반 구축 연구동 건립 ∘연구동 건립 ∘연구동 건립 100
2006
□ 과학기술혁신을 선도할 혁신거점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육성 R&D과제지원 ∘R&D과제 지원 ∘7개과제 지원 100
○ 기업연구역량강화 및 기술지원을 위한 R&D Hub 구축 전북과학연구
∘기업유치 ∘연구동내 2개사 유치 100
단지육성
○ 산업화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 지원 및 전주기적 기술개발 지원
부지매입 ∘부지매입 ∘부지매입 100
□ 연구기반구축 및 R&D사업 지원 육성
2007 연구동 건립 ∘연구동 건립 ∘완공 및 등기완료 100
○ 전략․특화산업 육성 R&D 지원기반(시험․분석장비) 구축
R&D과제지원 ∘R&D과제 지원 ∘9개 과제 지원 100
○ 과학연구단지 육성 원천기술 및 공동기술개발 R&D사업 지원
∘연구개발지원센터 설치
○ 국제공동협력사업 및 기술․인력교류 지원 전담부서 설치 ∘전담부서 설치
- 연구기획팀, 기업지원팀 운영
100

○ 국내 우수 R&D 센터 및 기업부설연구소 유치 ∘설계용역 ∘설계용역 100

□ 산․학․연 기업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창조관 건립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기보설계 및 실시설계 100


○ One-stop 기업지원을 위한 산․학․연․관 네트워크 구축
∘창조관 건립 ∘창조관 건립 완료 100
○ R&D 핵심인력에 대한 연구기획 및 수요자 맞춤형 전문 교육지원
∘1차 : 86개사
나. 연차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 소재분석/구조해석
∘수요조사 100
∘2차 : 38개사
장비구축
- 광학특성 분석
달성도 2008 ∘1차 : EPMA외 11종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비고 ∘공동활용장비구축 100
(%) ∘2차 : 적분구 외 1종
R&D과제지원 ∘R&D과제 지원 ∘9개 과제 지원 100
부지매입 ∘부지매입 ∘부지매입 100
∘기술교류회 1회
2004 ∘설계용역 ∘설계용역 100 ∘과학기술 세미나 100
∘기술세미나 1회
연구동 건립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100 ∘운영위원회 ∘운영위원회 1회 100

전북과학연구 ∘전국SP협의회 8회
∘산학연 네트워크 100
단지육성 ∘연구소장교류회 6회
∘R&D기관 및 기업 유치
- R&D기관 : 3개
∘기업유치 100
- 기업(연구소) : 18개
∘기업유치활동 46회

- 687 - - 688 -
2.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 성과 ㅇ 운영인력 : 총 3명
ㅇ 운영현황 및 성과
가. 센터건립 성과
  년도
□ 전북지역 과학기술을 선도할 거점 확보 2010 2011 2012 2013
구분  
ㅇ 기업연구역량강화 및 기술지원을 위한 R&D Hub 구축 총 장비활용률(%) 30.16 38.58 34.86 36.38
ㅇ 산업화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 지원 및 전주기적 기술개발 지원
구입비가중 활용률(%) 41.88   59.71 57.51  57.41 
□ 전북지역 R&D 집적화 단지 구축
총 지원 건수 142 923 556 622
ㅇ 연구소 및 기업(연구소) 집적화 단지 구축으로 R&D역량 집중을 통한 과학기술 선도
활용 기업/기관수 68 76 63 80
ㅇ R&D를 통한 기술혁신 및 고용창출로 차세대 성장기반 구축
수익금(백만원) 36.5 82.7 117.2 123.8
□ 전북 R&D기관 네트워크 구축 운영
ㅇ 전북지역 R&D 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을 위한 기반 마련
다. R&D 지원성과
ㅇ R&D 종합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산학연 연계 시스템 기반 조성
□ 사업개요
나. 연구장비 구축성과
ㅇ 사 업 명 : R&D과제 지원사업
□ 연구장비 구축개요 ㅇ 목 적 : 전북과학연구단지 내 중소․벤처기업의 경쟁력강화 및 전북과학연구
ㅇ 구축목적 : 자동차/기계부품 분야, 신소재 분야, LED 분야 제품개발의 활성화, 단지 연구개발 분위기 확산 제고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R&D사업지원,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분석지원 사업 ㅇ 지원분야 : 자동차․기계부품, 신재생에너지, RFT, 나노융합기술, 바이오
ㅇ 구축장비 : 전자현미분석기 등 11종 및 구조해석응용프로그램 3종 ㅇ 지원내용 : 기업주관(기업 단독 및 대학/연구소와 컨소시엄 가능)
ㅇ 구축장소 : 창조관 1층 5개실, 시료준비실 3개실, 전산실 1실 □ 지원현황
ㅇ 구축기간 : ‘08. 10 ∼ ’10. 2 ㅇ 지원기간 : ‘06. 12. ~ ’09. 10
ㅇ 구축예산 : 20억원 ㅇ 지원금액 : 25건, 4,451백만원(현금 3,017, 현물 1,434)
□ 구축 추진경과 ㅇ 선정년도 : ‘06년 7건, ’07년 9건, ‘08년 5건, ’09년 4건
ㅇ 센터 연구장비 1차 구축(‘11. 6 ∼ ’13. 3) □ 주요성과
­ ‘08. 10 : 연구장비구축 수요조사
실적(건)
­ ‘08. 11 : 심의위원회 개최 및 기술 검토, 연구장비 조달청 구매의뢰 구 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합 계
­ ‘09. 10 : 1차 구축 장비 입고 및 검수 SCI 급 2 5 7

­ ‘09. 11 : 장비운영인력 교육 등재지 5 5

­ ‘09. 12 : 연구장비 설명회 및 외부지원 서비스 개시 학술발표 10 5 15
지 특허출원 5 7 1 2 15
ㅇ 센터 연구장비 2차 구축(‘13. 5 ∼ ’14. 4) 재 특허등록 3 3
­ ‘09. 7 : 연구장비구축 2차 수요조사 권 상표등록 1 1
­ ‘09. 8 : 심의위원회 개최 및 기술 검토, 연구장비 조달청 구매의뢰 기술이전 1 1
시제품 1 1
­ ‘10. 2 : 2차 구축 장비 입고 및 검수장비운영인력 교육
합 계 15 22 6 5 48
­ ‘10. 3 : 연구장비 설명회 및 외부 지원 서비스 개시
□ 센터 연구장비 운영개요
- 689 - - 690 -
라. 기타성과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기술 및 정보교류 네트워크 운영
ㅇ 전국과학연구단지협의회
­ 목 적 : 전국과학연구단지협의회 구축을 통한 SP 상생발전 방안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마련 및 상호벤치마킹을 통한 운영활성화방안 수립 가. 정부차원의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필요성
­ 구 성 : 전국 10개 과학연구단지 □ 지역에 산재하는 다양한 연구 및 기술사업화 역량의 결집
­ 운영내용 : 실무자협의회 6회 / 전국과학연구단지협의회 2회 / 전국 ㅇ 개별 중앙부처 중심의 산발적 R&D지원으로 지역내 사업간 연계가 미흡
과학연구단지협의회 워크숍 2회 ㅇ 지역내 연구인력, 연구장비 등 연구인프라에 대한 사전조사 및 집중적 관리
미흡으로 비효율적 투자가 발생
ㅇ 전북지역 연구소장교류회 구성 및 운영 ㅇ 지역차원에서 지역에 기 투자되거나 진행중인 다양한 연구 및 기술사업화
­ 목 적 :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소장간의 유대강화, 기술개발관련 정보 를 효율적으로 집중시킴으로써 R&D의 Outcome 효과성 제고
교환, 연구 생산성 제고 및 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공통관심
□ 지방과학연구단지 사업의 창조적 활성화
사항 토론 등을 통한 기업 경쟁력 제고
ㅇ 개별 중앙부처 중심의 산발적 R&D지원으로 지역내 사업간 연계가 미흡
­ 회 원 사 : 40개사
­ 운영기간 : 2009. 2 ~ 현재 ㅇ H/W 위주의 지방과학연구단지 구축사업을 실제 과학연구단지로 제기능할

­ 운영내용 : ․ 기술교류회를 통한 고급정복 습득 및 연구역량 강화 수 있는 S/W 프로그램이 필요

․ 회원사 방문으로 기업 간 연계 협력 강화 ㅇ 대학의 연구역량과 인프라를 지역산업 및 기업과 직접적으로 연계하는

․ 회원사 및 대학/기관 간 워크숍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강화 핵심과학거점으로 창조적으로 활용

․ 연구개발 아이템 발굴/연구기획지원 및 회원사와 공동사업 수행 □ 지역의 지속가능한 신성장동력 발굴 및 강화


․ 연구역량 및 기술력향상을 위한 교육, 최신정보제공 등 ㅇ 정부의 연구개발비 투자 확대에 따라 지역 연구개발투자도 매년 확대
․ 국내외 전문가 초청강연 및 우수기업/연구기관 벤치마킹 지원 할 것으로 정책기조를 정함

ㅇ 전북과학연구단지 기술세미나 ㅇ 특히 수도권과 대전 이외 지역의 기술혁신역량 강화를 목표로 지방소재

- 목 적 : 단지내 기업을 대상으로 최신 기술 정보 및 기술동향을 대학, 연구기관, 중소기업 간의 연구협력 및 기술이전이 활성화되도록 지

파악할 수 있는 정보 교류 네트워크 구축 방R&D 투자비중을 39.8%에서 40.2%로 확대 중에 있음


- 운영내용 ㅇ 그러나, 지역 R&D 사업이 지역발전에 대한 체계적인 고려없이 개별과제
․지역 네트워크 기술교류회 및 사업 수주에 집중되어 있는 실태임
․전북과학연구단지 기술세미나 ㅇ 개별 중앙부처 중심의 산발적 R&D지원으로 지역내 사업간 연계가 미흡

나. 전북과학연구단지 활성화(2단계) 추진 필요성


□ 폐쇄형 혁신에서 개방형 혁신으로
ㅇ 지역 기업, 대학, 출연(연)의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가 자체 내부 중심으로
폐쇄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지역 전체의 연구개발 결과의 실용화와 신성장동력
창출에 한계가 노출됨
ㅇ 대학 및 일부 출연(연) 연구참여로 진행되는 지방의 연구개발성과가 기업의
가치제고를 위해 사업화와 실용화 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한 시점임

- 691 - - 692 -
ㅇ 지역 대학중심의 연구개발 투자결과가 대학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상용화할 거리를 창출할 수 있는 신성장동력산업육성을 위한 기반 마련이 시급한
수 있는 시스템을 기획하고, 또한 기업의 자체 연구개발 투자결과가 다른 시점임
기업과 협력하여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을 위한 중장기 지원 필요함 ㅇ 각 지역에 조성되어 있는 지방과학연구단지내 중소기업에게 실질적이고
실효성이 있는 지원이 전무한 상태로 지역별로 특화된 과학연구단지육성
□ 다양한 지역 밀착형 수요창출이 가능한 Bottom-up R&D 기획 강화 중심
을 위한 활성화사업 추진이 시급함.
ㅇ 기존 중앙에서 집중 기획 되거나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단기성 기술개
ㅇ 지역에 기 조성되어 있는 국가 및 지방산단을 지방과학연구단지로 지정하고
발위주의 Top-down 방식의 R&D 기획중심에서, 지역 대학 등의 R&D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였으나 인프라 구축이외의 후속사업이 없어 지역내
성과물의 활용한 Bottom-up 방식의 R&D 기획으로 전환 필요
과학기술센터의 기능과 역할이 불분명하여 지역에서 관심이 저조한 상태임.
ㅇ 대학, 출연(연) 등이 보유한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R&D 성과물을 창출함으로써 다양한 창조적 기업수요를 견인 □ 국고지원의 적합성
ㅇ 지역 기업의 현장과 산업 수요에 적합한 신개념의 현장 중심의 사업체계 ㅇ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과학연구단지 등의 육성 및 지원)와 과학기술기본법
를 기획하여 지역의 상향식 R&D 수요와 중앙 정부의 하향식 R&D 정책 시행령 제43조(과학연구단지 조성 등 지원 등)에 따라 중앙정부에서는
을 기존 지역대학 및 출연(연)의 연구성과를 활용하여 상호 일치시키고 지방정부주도의 과학연구단지 조성 및 지원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해야 함
결합시킴 ㅇ 지방정부의 열악한 재정상황에 따라 그간 지역내 중장기 연구 및 기술개발을
□ 독점적 지역역량 강화 거버넌스에서 경쟁적 지역 신성장동력 개발 거버넌스 위한 지원프로그램이 전무한 상태로 지역별 미래성장산업육성을 위한 중

지원체제 구축 장기 투자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에서 지원하는 게 적합함.


ㅇ 기존의 지역전략산업 육성 중심의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지역혁신거점육 ㅇ 기 구축한 인프라를 활용하는 다양한 사업을 재정이 열악한 지방정부
성사업, 지방기술혁신사업 등 독점적 지역역량 강화 거버넌스 중심의 공 단독으로 수행할 경우에는 지방정부에서 사업의 중도포기, 사업지연 등
급자 위주의 사업기획에서 으로 인해 큰 매몰비용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ㅇ 지역 R&D 수요자 또는 수혜자 입장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역 신성장동력 개발 거버넌스 형태의 경쟁적 사업이 필요함
ㅇ 이는 사업간 지원목적 및 수단이 다르며,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지원 및
혜택의 실질적 내용을 다양하게 공급함으로써 지역의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경쟁적 체제가 필요함

□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의 성과 활용
ㅇ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의 1단계사업으로 지역 과학기술진흥센터 건
립(기업입주공간, 장비, 인력구성)이 완료된 상태로 기 구축한 인프라를
활용하는 후속사업으로 SW사업이 필요함.
ㅇ 기 구축한 공간을 활용한 임대료와 공용장비 이용료만으로는 센터 운영
과 유지가 매우 어려운 상태로 초기 지역내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거점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후속지원사업이 시급하게 추진
되어야 할 시점임.

□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 사업 추진의 시급성

ㅇ 급변하는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재 각 지역별 전략산업이외의 미래먹


- 693 - - 694 -
2. 사업의 최종목표 및 내용 나. 사업 최종목표
□ 지역수요기반 R&D지원으로 전라북도 R&D선순환지원 체제확립
가. 사업비전
○ (정량적 목표)
․ 가교형 R&D과제 지원 : 13개 과제
․ 특허출원 100건, 논문(SCI급포함) 150
비전 전북 R&D거점 및 미래가치창출기업 육성 Hub ․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 10회
․ 산학연 공동연구법인설립 : 4개사
․ 신규일자리창출 : 20명
• 지역 과학기술 역량강화 - 정량적 목표설정 근거 : 가교형 R&D지원사업(특허10건이상/년, 논문
※ 특허(100건), SCI 논문(150편) 15편이상/연), 신규일자리창출(2명/공동연구법인, 1명/가교형 R&D과제,
목표 산학연 공동연구법인(4개사/10년)
• 지역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 촉진
※ 창업(30개 사), 기술이전금액(4,000백만원), 일자리창출(450명) □ 연구개발성과 확산 및 기술이전 생태계 구축으로 지역내 중소기업
경쟁력 및 기술가치 제고

○ (정량적 목표)

․ 기술이전 건수 : 200건 ․ 기술이전 컨설팅 : 400건


연구개발성과확산 도내 혁신자원간
추진 지역수요기반 ․ 기술이전 계약금액 : 40억원
및 기술이전 연계협력시스템
전략 R&D지원 ․ 도입 및 이전희망 기술수요발굴 지원 : 1,000건
생태계구축 운영활성화
․ R&D성과물 활용 시제품제작지원 : 200개사
․ 특허활용 창업지원 : 30개사 ․ 마케팅 컨설팅지원 : 500개사
• 지역수요기반 R&D ․ 신규일자리창출 : 250명
추진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 정량적 목표설정 근거 : 기술이전(20건이상/년), 기술이전계약금(2천만
사업 • 산·학·연 네트워크사업
원이상/건), 시제품제작지원(20개사/년), 일자리창출(시제품제작지원 및
• 전북 R&D사업화지원센터 설립운영사업
마케팅 컨설팅 지원업체 당 1명이상 채용)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도내 혁신자원간 연계협력시스템 운영활성화

○ (정량적 목표)

․ S&T 정책 및 성과포럼 : 20회 ․ 수요조사 보고서 발간 : 10회


․ 기업애로기술해결지원 : 500개사
․ 기업경영진단 및 평가지원 : 100개사
․ 산학연 협력 신규프로그램 개발 : 20건

- 정량적 목표설정 근거 : S&T 정책 및 성과포럼(2회/년), 기업애로해결


지원(50개사/년), 기업경영진단 및 평가지원(10개사/년)

- 695 - - 696 -
다. 최종목표달성을 위한 세부사업 3) 산학연 네트워크사업
□ 사업 필요성
1) 지역수요기반 R&D사업
ㅇ 기업, 대학, 지자체, 지원기관, 연구소 등 지역혁신 주체 간의 공식 및
□ 사업 필요성 비공식적인 다양한 교류와 만남을 통해 지역혁신을 촉진
ㅇ 미래산업의 출현에 따른 빠른 기술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원천기술 ㅇ 지역내 중소기업(벤처), 대학, 출연(연) 등의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및 개발(제품화)기술 보유는 미래산업의 성패 좌우와 지역R&D 제고 다양한 산학연 연계협력시스템 구축 및 운영활성화 필요
측면에서 매우 중요
□ 사업개요
ㅇ 지역 특성에 맞는 기초․원천연구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장기적으로
ㅇ 총사업비 : 금5,000백만원(국비 3,000 지방비 및 민간 대응 2,000)
지역신성장동력의 저변확대 및 기초․원천연구 성과물을 활용하는 가교형
ㅇ 주관기관 :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R&D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
ㅇ 주요내용
□ 사업개요 - (전북과학기술진흥정책 발굴 및 기획) 전북과학기술진흥 및 확산을 통해
ㅇ 총사업비 : 금30,000백만원(국비 22,500 지방비 및 민간 대응 7,500) 지역 미래 먹거리 발굴 및 기획 시스템 구축
ㅇ 주요내용 -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활성화)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 등 산학연 연계
- (가교형 R&D지원) 지역특화분야 가교형 R&D과제 발굴 및 국가연구개 협력 활성화 및 전문가 코디네이팅 지원으로 기업경쟁력 제고
발사업 등을 통해 완료된 지역혁신자원(대학, 출연(연) 등)이 보유하고 - 전북과학기술진흥정책 발굴 및 기획 시스템 구축
있는 원천기술로 지역기업이 활용 가능하도록 R&D지원 - 산학연 연계협력 수요조사
- (산학연 공동법인 설립지원) 지역 중소․중견기업 기술수요를 토대로 기 ․ 연간 수요조사 분석보고서 발간으로 지역내 수요와 관심분야의 지속적인
초․원천연구 및 시제품 제작 등을 위한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모니터링 수행

2)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4) 전북 R&D사업화지원센터 설립․운영 사업


□ 사업 필요성 □ 사업 필요성
ㅇ 지역 중소(벤처)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 정보와 지역내 대학 및 정부출연(연) ㅇ 지역 R&D사업 결과를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최종적인 시제품제작,
보유기술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연계지원 시스템 필요 인력양성, 장비활용 지원을 통해 기업 경쟁력 제고
ㅇ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지식재산(IP) 경재력 강화 및 산학연협력 촉진을 ㅇ 지역 R&D사업 성과물을 활용한 사업화 및 상용화지원이 집중적이고
위한 지역별 기술저장소(Technology Reserve) 구축 필요 One-Stop 방식으로 지원하는 기관 역할 확대가 필요함

□ 사업개요 □ 사업개요
ㅇ 총사업비 : 금5,000백만원(국비 4,000 지방비 및 민간 대응 1,000) ㅇ 총사업비 : 금9,000백만원(국비 6,000 지방비 및 민간 대응 3,000)
ㅇ 주관기관 :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ㅇ 주관기관 :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ㅇ 주요내용 ㅇ 주요내용
- (기술중개기능 강화) 도내 중소기업이 이전 및 도입을 희망하는 기술 발굴 - (연구성과활용 시제품제작지원 및 마케팅지원) R&D성과물의 사업화를
및 거래지원 활성화로 상용화기간 단축, 기업가치 및 경쟁력 제고 위한 시제품제작지원 및 마케팅지원으로 도내 중소기업의 사업화 및
-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지역 대학, 출연(연),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매출증대 확대
지식재산권(know-how 포함 등)을 기술저장소(Technology Reserve)에 - (연구성과활용 창업지원) 도내외 특허를 활용한 창업분위기 확산 및
저장하고 DB화하여 창업 및 벤처기업에게 공급하는 플랫폼 구축 등 창업희망자 발굴 및 지원 확대

- 697 - - 698 -
라. 세부사업별 목표 및 연구내용 <표> 지역수요기반 R&D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1) 지역수요기반 R&D사업

□ 사업목표 ․특허출원 및 등록 : 100 건


․논문(SCI급 포함) : 150 건
ㅇ 전라북도 수요기반 R&D 상용화 및 사업화를 위한 선순환 지원체제 구축 - 가교형 R&D 지원을 통한 ․R&D성과물활용 수요조사 : 10회
ㅇ 전라북도 내 기초원천 연구개발성과 활용 및 기술가치 투자 분위기 제고 R&D 성과의 지역내 지식재산권 확보 역량 강화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 10 회
중소기업 활용확대를 - 지역내 중소기업, 대학 등 ·도내 대학 및 출연(연) 등 연구개발 성
ㅇ 가교형 R&D지원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으로 R&D성과 확산 제고
위한 가교형 R&D 연구개발 역량 제고 과물(특허, 논문 등) 전수 조사 : 10 회
지역수요 지원 - 지역내 R&D 성과물 활용역량 ·연구개발 성과물 공급 및 매칭
기반 제고 시스템 구축 : 1 식
R&D 사업 ·연구성과물 활용 희망자 모집 및
지원 시스템 구축 : 1 식

국내/외 원천기술 - 연구법인의 기업매출 및 일


상용화를 위한 도내 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 경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 : 4개사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제 활성화 및 우수인력의
설립지원 외부유출 방지

□ 세부사업내용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수요기반 R&D 발굴
·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R&D 성과의 지역내 · 도내 대학 및 출연(연) 등 연구개발 성과물(특허, 논문 등) 전수 조사
중소기업 활용확대 · 연구개발 성과물 공급 및 매칭 시스템 구축
를 위한 가교형 · 연구성과물 활용 희망자 모집 및 지원 시스템 구축

지역수요
R&D 지원 ○ 지역수요기반 R&D 지원
·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 지원
기반
· 연구수행 기관의 성과(특허, 논문, 일자리 창출 등) 분석 등
R&D 사업

국내/외 원천기술 ○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지원


상용화를 위한 도 · 원천기술 중 상용화 및 사업화가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보유한
내 산학연 공동연 대학 및 출연(연)과 기술의 수요자인 지역기업이 공동으로 기
구법인 술과 자본을 출자하여 법인 설립
설립지원 · 기술상용화 및 사업화를 위한 후속 연구개발지원

- 699 - - 700 -
2) 지식재산활용도 제고사업 □ 세부사업내용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목표 ㅇ 기술이전 계약 지원
· 기술거래장터, 기술이전 설명회 개최
ㅇ 전북도내 기술이전 및 거래 활성화를 통한 연구성과의 사업화 활성화 기술이전 및
· 기술이전 및 거래 컨설팅 지원
기술거래
ㅇ 전북도내 대학, 정부출연(연) 등 우수기술 발굴 및 이전거래 활성화 · 기술평가 및 마케팅보고서 작성
활성화를 위한
ㅇ 기술이전 및 거래 역량 강화
기술중개기능
· 도내 중소기업 부설연구소 재직자 중심 전문교육지원
강화
지식재산 · 기술거래분야 전문인력양성
활용도 · 도내 기술거래분야 전문인력 Pool 구축

제고사업 ㅇ 우수기술 발굴
도내에서 발굴한 ·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우수기술의 · 기술이전 및 도입희망자 상시 발굴 시스템 구축
DB화를 위한 · 도내 특허보유 전수조사 실시
기술저장소 구축 ㅇ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활성화
및 운영 · 기술수요 DB구축
· 대학, 출연(연), 기업 보유 특허 DB 구축

3) 산학연네트워크 활성화사업

□ 사업목표

ㅇ 전라북도 산학연네트워크 운영활성화로 전북과학기술진흥을 위한


과학과 산업기술 생태계 조성
ㅇ 도내 혁신자원인 대학, 출연(연)등 혁신자원과 중소기업간 네트워크의
<표> 지역수요기반 R&D 사업목표 연계협력시스템 구축으로 중소기업 역량 제고
<표>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사업 사업목표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 기술이전건수 : 200건
기술이전 및 전북과학기술정
․전북과학기술위원회 구축 및 운영 : 40회
․ 기술장터 개최 : 40회
기술거래 전북도내 기술이전 역량 ․ 기술이전 설명회 개최 : 60회 전라북도 과학기술 정책 ․정책기획보고서 발간 : 10건
책 발굴 및 기획
발굴 및 기획 역량 제고 ․S&T 정책 및 성과 포럼 개최 : 20회
활성화를 위한 강화 및 활성화 기반 ․ 기술이전 컨설팅지원 : 400건 시스템 구축
․전북과학기술 동향보고서 발간 : 10건
․ 기술이전 계약금액 : 40억원
기술중개기능 구축 전북과학기술 정책 산학연 연계협력 수요조사 ․산학연 수요조사 정례화 : 10회
지식재산 ․ 기술평가 및 마케팅보고서 작성 : 400건
강화 ․ 기술거래 및 이전분야 전문인력양성 : 50명 관련 산학연 수요조사 및 분석결과 반영에 따른 ․수요조사 분석위원회 운영 : 20회(2회/년)
활용도 산학연
시스템 구축 신규프로그램 개발 정도 ․수요조사 분석보고서 발간 : 10회
제고사업 도내에서 발굴한 네트워크
도내 산학연 연계협력으 ․산학연 네트워크 구성 및 운영 :40회
우수기술의 전북도내 우수기술 발 ․ 기술수요 DB구축 : 1식(매년 Update) 활성화사업 산학연 네트워크
․ 도입희망기술발굴 : 500건 로 지역내 과학기술 역량 ․산학연 협력신규프로그램 개발 : 20건
DB화를 위한 굴 및 R&D성과활용 운영활성화
․ 이전희망기술발굴 : 500건 제고 ․협의회 및 워크숍 개최 : 40회
기술저장소 구축 사업화 분위기 확산 ․ 도내 보유특허전수조사 : 10회(1회/년) ․산학연 전문가 Pool 구축 : 1식
산학연전문가 도내 중소기업 역량제고
및 운영 ․기업 애로기술해결 지원 : 500개사
지원시스템 구축 및 를 위한 산학연전문가 코
․기업경영진단 및 평가 : 100개사
중소기업역량제고 디네이팅 활동 제고
․활용 우수사례집 발간 : 10건

- 701 - - 702 -
□ 세부사업내용 4) 전북 R&D사업화 및 상용화 지원사업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목표


ㅇ 전북과학기술위원회 구축 및 운영 활성화
ㅇ 전북 R&D사업화지원으로 지역내 중소기업 역량강화 및 지역경제
· 도내 미래신성장분야 R&D과제 발굴 및 기획
활성화
· 도내 과학기술진흥정책 발굴 및 기획
· 정책위원회 및 분과위원회 구성 및 운영 ㅇ 전북과학연구단지내 중소기업의 융복합 및 창의적 R&D사업화 역량
전북과학기술정책 · 전북과학기술정책 기획보고서 발간 강화
발굴 및 기획 · 전북과학기술정책 동향보고서 발간 ㅇ 지역내 과학기술진흥 거점기관 기능 및 역할 수행으로 지역과학기술
시스템 구축
ㅇ S&T 정책 및 성과 포럼 개최 역량 제고
· 도내/외 및 해외선진지 과학기술정책 및 성과 포럼으로
해외 사례 적용 기회 제공 <표> 전북 R&D사업화 및 상용화 지원사업 사업목표
·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전문가 인적교류 확대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전북과학기술
ㅇ 산학연 수요조사 정례화
정책 관련 산학연 ․기획위원회 구성 및 운영 : 40 회
산학연 · 도내 산학연 연계협력 희망 및 애로사항 수요조사 실시 R&D 성과 상용화 R&D 성과 상용화 기획/확산
수요조사 시스템 ․R&D상용화 기획 : 70건
기획/확산 기반 구 을 위한 전문가활용 시스템
네트워크 · 수요조사 및 분석보고서 발간 ․R&D상용화 성과조사 회
구축 축 구축 및 운영활성화
: 10

활성화 ․연간 성과보고서 발간 : 10 회


ㅇ 산학연 네트워크 구성 및 운영 활성화
사업
· 다양한 주체간 산학연 네트워크 구성 및 운영활성화 연구성과 활용
산학연 네트워크 R&D 성과 상용화제품지원을
· 대학, 정부출연(연), 중소기업의 R&D담당자, 연구소장 사업화 및 사업화를
운영활성화 통해 기업 및 도내 연구기관 ․R&D상용화 제품지원 : 개사
50
교류회 운영 활성화 위한 R&D 상용화
사업화 역량 제고
제품지원 기반구축
· 산학연 협력신규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전 북
ㅇ 산학연 전문가 코디네이팅 시스템 구축 사업화 및
R&D ․특허 활용 창업지원 : 30 개사
지역발굴 특허 및 지역내외 특허를 활용한 창업
· 산학연 전문가 인력 Pool 구축 상용화 ․창업희망자 상시 모집 시스템 구축 : 식
1
연구성과 활용 창업 분위기 확산 및 창업희망자
산학연전문가 · 기업 애로기술 해결 지원 ․마케팅 컨설팅 지원 : 500 개사
지원사업 기반 구축 확대
지원시스템 구축 ․인증지원 : 100 개사
· 기업애로해결 우수사례집 발간

중소기업역량제고 ㅇ 도내 중소기업 역량 강화 지역내 우수연구인력
도내 연구개발전문인력양성
․연구개발인력양성 : 100 명
및 공급으로 지역내 우수인
· 기업 애로기술 해결 지원 공급 시스템 구축 ․대학, 중소기업 재직자 연계 교육 : 500 명
력의 외부유출 방지
· 기업 경영 진단 및 평가 지원
도내 보유 장비 지역내 기 구축한 공용장비
․도내장비활용 On-line 시스템 구축 : 1식
On/Off-line 활용 활용도 제고 및 중소기업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 : 80%
시스템 구축 기업경쟁력 강화

- 703 - - 704 -
□ 세부사업내용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가. 세부사업 연차별 로드맵
(단위:억원)
○ R&D 성과 상용화 기획/확산위원회 구성 및 운영활성화
최종목표
· 도내/외 전문가로 구성한 위원회 구성 세부사업 ‘16 ‘17 ‘18 ‘19 ‘20 ‘21 ‘22 ‘23 ‘23 ‘25
사업비
R&D 성과 상용화 · R&D 성과 상용화 기획 및 성과확산보고서 발간
○도내
가교형
기획/확산 기반 구 R&D 상용화 기획/확산을 위한 조사/분석 R&D지원
2 5 8 11 13 13 8 5 2 2 69
축 · 전북도 상용화 성과 조사 및 분석 지역수요 산학연공동연구
R&D
법인설립지원
1 2 3 4 4 3 2 1 - - 20
· 전북도 수행 R&D 상용화 성과(지식재산권 중심)조사 실시 기반R&D
가교형
· 전북도 R&D 상용화 성과분석 보고서 발간 사업 R&D지원
30,000
산학연공동연구


법인설립지원
R&D 상용화 제품제작지원 기술중개기능
연구 성 과 활용 사
활성화
111 111 111 111 111 115 115 115 115 115
· 도내 연구지원기관 연계지원시스템 구축
업화 및 사업화를 지식재산 기술저장소
· R&D 상용화 제품제작을 위한 성과물 발굴 및 조사 구축 및 운영
1 1 1 1 1 1 1 1 1 1
위한 R&D 상용화제 활용도제
· 설계 및 금형제작 연계지원 기술중개기능
품지원 기반구축 고사업 활성화
· 프린터를 활용한 제품제작지원 등
전 북 3D
기술저장소
R&D 사업화 ○지역에서 발굴한 특허를 활용한 창업지원 시스템 구축 구축 및 운영
전북과학기술진흥
및 · 특허보유자를 대상으로 하는 창업희망자 상시 발굴 6 6 6 6 6 6 6 6 6 6 60
정책 발굴 및 기획
지역발굴 특허 및 · 창업공간, 창업자금 지원을 위한 도내 유관기관 정보 제공 산학연연계협력
상용화 수요조사
1 1 1 1 1 1 1 1 1 1 10
연구성과 활용 창 · 마케팅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가 컨설팅 지원
지원사업 산학연네트워크
업기반 구축 ○인증 및 마케팅 지원 산학연네
구성 및 운영
4 4 4 4 4 6 6 6 6 6 50

· 연구개발 성과물의 기술인증, 인증 등 지원 산학연 전문가


NET
60 60 60 60 60 80 80 80 80 80 700
트워크 활용지원
· 국내외 시장진입을 위한 마케팅 지원 등 전북과학기술진흥
활성화사
정책 발굴 및 기획

지역내 우수연구인
○연구개발인력양성 및 공급 시스템 구축 업
산학연연계협력
· 도내 중소기업 수요맞춤형 석/박사급 연구인력양성 및 공급시스템 수요조사
력공급 시스템 구 5,000
산학연네트워크
구축 구성 및 운영

· 기업부설연구소 재직자 연구역량강화 교육지원 산학연 전문가
활용지원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를 위한 On/Off-Line 시스템 구축 R&D성과상용화
기획/확산 지원
1 1 1 1 1 1 1 1 1 1 10
도내 보유장비 · 도내 보유장비 DB 및 장비연계지원시스템 구축
R&D상용화제품지원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0
On/Off-line 활용 · 신규도입장비 홍보자료 e-mail 발송 및 운용교육지원 특허활용
3 3 3 3 3 3 3 3 3 3 30
시스템 구축 · 제품 개발단계 시험 및 개발완료 후 인증을 위한 시험 등 창업지원

기업수요 맞춤형 장비활용 지원 연구인력양성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0


전북
장비활용지원 60 70 70 70 75 75 75 80 80 80 80
R&D사업
R&D성과상용화
화 및
기획/확산 지원
상용화
지원사업 R&D상용화제품지원

특허활용 9,000
창업지원

연구인력양성

장비활용지원

합 계 45,829

- 705 - - 706 -
나. 지역수요기반 R&D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 1 회
R&D성과의 지역
내 중소기업 활용 ․도내 대학 및 출연(연) 등 연구개발 성과물(특허, 논문 등) 전수조사 회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1

지원 시스템 운영 ․연구개발 성과물 공급 및 매칭 시스템 기반 구축 : 1식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 1 회 ‘23
활성화 및 산학연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 지원 : 기존 5

성과의 지역 ․도내 대학 및 출연(연) 등 연구개발 성과물(특허, 논문 등) 전수조사 회


: 1
R&D 연구법인 설립 활 ․연구수행기관의 성과분석 : 1 회
내 중소기업 활용 ․연구개발 성과물 공급 및 매칭 시스템 기반 구축 : 식
1
성화
‘16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 지원 : 1 건
지원 시스템 기반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 지원 : 2 개 과제 R&D성과의 지역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 1 회
확보 ․연구수행기관의 성과분석 회
: 1
내 중소기업 활용
․도내 대학 및 출연(연) 등 연구개발 성과물(특허, 논문 등) 전수조사 회
: 1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 지원 : 1건 지원 시스템 운영
‘24 ․연구개발 성과물 공급 및 매칭 시스템 기반 구축 : 1식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 1 회 활성화 및 산학연
R&D성과의 지역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 지원 : 기존 2
내 중소기업 활용 ․도내 대학 및 출연(연) 등 연구개발 성과물(특허, 논문 등) 전수조사 회
: 1 연구법인 설립 활
성화 ․연구수행기관의 성과분석 : 1 회
지원 시스템 운영 ․연구개발 성과물 공급 및 매칭 시스템 운영활성화
‘17
활성화 및 산학연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 지원 : 기존 2, 신규 3 R&D성과의 지역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 1 회
연구법인 설립 활 ․연구수행기관의 성과분석 회 내 중소기업 활용
: 1
․도내 대학 및 출연(연) 등 연구개발 성과물(특허, 논문 등) 전수조사 회
: 1
성화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 지원 : 2건(기존 1, 신규 지원 시스템 운영
1)
‘25 ․연구개발 성과물 공급 및 매칭 시스템 기반 구축 : 1식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 1회 활성화 및 산학연
R&D성과의 지역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 지원 : 기존 2
․도내 대학 및 출연(연) 등 연구개발 성과물(특허, 논문 등) 전수조사 회 연구법인 설립 활
내 중소기업 활용 : 1
․연구수행기관의 성과분석 회
성화 : 1

지원 시스템 운영 ․연구개발 성과물 공급 및 매칭 시스템 운영활성화


‘18
활성화 및 산학연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 지원 : 기존 5, 신규 3

연구법인 설립 활 ․연구수행기관의 성과분석 : 1 회


성화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 지원 : 3건(기존 2, 신규 1)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 1회


R&D성과의 지역
내 중소기업 활용 ․도내 대학 및 출연(연) 등 연구개발 성과물(특허, 논문 등) 전수조사 회
: 1

지원 시스템 운영 ․연구개발 성과물 공급 및 매칭 시스템 운영활성화


‘19
활성화 및 산학연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 지원 : 기존 8, 신규 3

연구법인 설립 활 ․연구수행기관의 성과분석 : 1 회


성화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 지원 : 4건(기존 3, 신규 1)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 1회


R&D성과의 지역
내 중소기업 활용 ․도내 대학 및 출연(연) 등 연구개발 성과물(특허, 논문 등) 전수조사 회
: 1

지원 시스템 운영 ․연구개발 성과물 공급 및 매칭 시스템 운영활성화


‘20
활성화 및 산학연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 지원 : 기존 11, 신규 2

연구법인 설립 활 ․연구수행기관의 성과분석 : 1 회


성화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 지원 : 4건(기존)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 1 회
R&D성과의 지역
내 중소기업 활용 ․도내 대학 및 출연(연) 등 연구개발 성과물(특허, 논문 등) 전수조사 회
: 1

지원 시스템 운영 ․연구개발 성과물 공급 및 매칭 시스템 운영활성화


‘21
활성화 및 산학연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 지원 : 기존 11, 신규 2

연구법인 설립 활 ․연구수행기관의 성과분석 : 1 회


성화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 지원 : 3건(기존)
․도내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수요조사 : 1 회
R&D성과의 지역
내 중소기업 활용 ․도내 대학 및 출연(연) 등 연구개발 성과물(특허, 논문 등) 전수조사 회
: 1

지원 시스템 운영 ․연구개발 성과물 공급 및 매칭 시스템 운영활성화


‘22
활성화 및 산학연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 지원 : 기존 8

연구법인 설립 활 ․연구수행기관의 성과분석 : 1 회


성화
․산학연 연구법인 설립 지원 : 2 건

- 707 - - 708 -
다. 지식재산활용도 제고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 50 건
․도내 특허보유 전수조사 실시 회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1

우수기술발굴 및
․기술이전계약지원 : 20 건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 50 건 ‘23 기술거래 활성화
․기술이전 및 거래 역량강화 지원 : 개사
45
․도내 특허보유 전수조사 실시 : 1 회 기반 구축
우수기술발굴 및 ․전문인력양성 : 명
5
․기술이전계약지원 : 20 건
‘16 기술거래 활성화 ․기술저장소 구축기반 확보 : Update 진행
․기술이전 및 거래 역량강화(SMK작성 등) 지원 : 개사
40
기반 구축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 50건
․전문인력양성 : 명
5
․도내 특허보유 전수조사 실시 : 1 회
․기술저장소 구축기반 확보 : 1식 우수기술발굴 및
․기술이전계약지원 : 20 건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 50건 ‘24 기술거래 활성화
․기술이전 및 거래 역량강화 지원 : 개사
45
․도내 특허보유 전수조사 실시 : 1 회 기반 구축
우수기술발굴 및 ․전문인력양성 : 명
5
․기술이전계약지원 : 20 건
‘17 기술거래 활성화 ․기술저장소 구축기반 확보 : Update 진행
․기술이전 및 거래 역량강화 지원 : 개사
40
기반 구축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 50건
․전문인력양성 : 명
5
․도내 특허보유 전수조사 실시 : 1 회
․기술저장소 구축기반 확보 : Update 진행 우수기술발굴 및
․기술이전계약지원 : 20 건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 50건 ‘25 기술거래 활성화
․기술이전 및 거래 역량강화 지원 : 개사
45
․도내 특허보유 전수조사 실시 : 1 회 기반 구축
우수기술발굴 및 ․전문인력양성 : 명
5
․기술이전계약지원 : 20 건
‘18 기술거래 활성화 ․기술저장소 구축기반 확보 : Update 진행
․기술이전 및 거래 역량강화 지원 : 개사
40
기반 구축
․전문인력양성 : 명
5

․기술저장소 구축기반 확보 : Update 진행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 50건

․도내 특허보유 전수조사 실시 : 1 회


우수기술발굴 및
․기술이전계약지원 : 20 건
‘19 기술거래 활성화
․기술이전 및 거래 역량강화 지원 : 개사
40
기반 구축
․전문인력양성 : 명
5

․기술저장소 구축기반 확보 : Update 진행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 50건
․도내 특허보유 전수조사 실시 : 1 회
우수기술발굴 및
․기술이전계약지원 : 20 건
‘20 기술거래 활성화
․기술이전 및 거래 역량강화 지원 : 개사
40
기반 구축
․전문인력양성 : 명
5

․기술저장소 구축기반 확보 : Update 진행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 50건
․도내 특허보유 전수조사 실시 : 1 회
우수기술발굴 및
․기술이전계약지원 : 20 건
‘21 기술거래 활성화
․기술이전 및 거래 역량강화 지원 : 개사
45
기반 구축
․전문인력양성 : 명
5

․기술저장소 구축기반 확보 : Update 진행


․국내/외 우수기술 발굴 : 50건
․도내 특허보유 전수조사 실시 : 1 회
우수기술발굴 및
․기술이전계약지원 : 20 건
‘22 기술거래 활성화
․기술이전 및 거래 역량강화 지원 : 개사
40
기반 구축
․전문인력양성 : 명
5

․기술저장소 구축기반 확보 : Update 진행

- 709 - - 710 -
라. 산학연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전북과학기술위원회 구축 및 운영기반 확보 : 회
4

산학연네트워크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S&T 정책 및 성과포럼 개최 : 2 회
운영활성화를 통
‘24 ․산학연 협력사업 수요조사 실시 : 1 회
․전북과학기술위원회 구축 및 운영기반 확보 : 회
4 한 지역내 중소기
산학연네트워크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활성화 : 6 회
․S&T 정책 및 성과포럼 개최 : 2 회 업 역량강화
운영활성화를 통 ․산학연 전문가 코디네이팅 구축 및 애로기술지원 : 80 개사
‘16 ․산학연 협력사업 수요조사 실시 : 1 회
한 지역내 중소기
․산학연 네트워크 구성 및 운영 활성화 : 4 회 ․전북과학기술위원회 구축 및 운영기반 확보 : 회
4
업 역량강화 산학연네트워크
․산학연 전문가 코디네이팅 구축 및 애로기술지원 : 60 개사 ․S&T 정책 및 성과포럼 개최 : 2 회
운영활성화를 통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운영 : 4회 ‘25 ․산학연 협력사업 수요조사 실시 : 1 회
산학연네트워크 한 지역내 중소기
․S&T 정책 및 성과포럼 개최 : 2 회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활성화 : 6 회
운영활성화를 통 업 역량강화
‘17 ․산학연 협력사업 수요조사 실시 : 1 회 ․산학연 전문가 코디네이팅 구축 및 애로기술지원 : 80 개사
한 지역내 중소기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활성화 : 4 회
업 역량강화
․산학연 전문가 코디네이팅 구축 및 애로기술지원 : 60 개사
․전북과학기술위원회 구축 및 운영기반 확보 : 4회
산학연네트워크 ․S&T 정책 및 성과포럼 개최 : 2 회
운영활성화를 통
‘18 ․산학연 협력사업 수요조사 실시 : 1 회
한 지역내 중소기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활성화 : 4 회
업 역량강화
․산학연 전문가 코디네이팅 구축 및 애로기술지원 : 60 개사
․전북과학기술위원회 구축 및 운영기반 확보 : 4회
산학연네트워크
․S&T 정책 및 성과포럼 개최 : 2 회
운영활성화를 통
‘19 ․산학연 협력사업 수요조사 실시 : 1 회
한 지역내 중소기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활성화 : 4 회
업 역량강화
․산학연 전문가 코디네이팅 구축 및 애로기술지원 : 60 개사
․전북과학기술위원회 구축 및 운영기반 확보 : 4회
산학연네트워크 ․S&T 정책 및 성과포럼 개최 : 2 회
운영활성화를 통
‘20 ․산학연 협력사업 수요조사 실시 : 1 회
한 지역내 중소기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활성화 : 4 회
업 역량강화
․산학연 전문가 코디네이팅 구축 및 애로기술지원 : 60 개사
․전북과학기술위원회 구축 및 운영기반 확보 : 4회
산학연네트워크
․S&T 정책 및 성과포럼 개최 : 2 회
운영활성화를 통
‘21 ․산학연 협력사업 수요조사 실시 : 1 회
한 지역내 중소기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활성화 : 6 회
업 역량강화
․산학연 전문가 코디네이팅 구축 및 애로기술지원 : 80 개사
․전북과학기술위원회 구축 및 운영기반 확보 : 4회
산학연네트워크 ․S&T 정책 및 성과포럼 개최 : 2 회
운영활성화를 통
‘22 ․산학연 협력사업 수요조사 실시 : 1 회
한 지역내 중소기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활성화 : 6 회
업 역량강화
․산학연 전문가 코디네이팅 구축 및 애로기술지원 : 80 개사
․전북과학기술위원회 구축 및 운영기반 확보 : 4회
산학연네트워크
․S&T 정책 및 성과포럼 개최 : 2 회
운영활성화를 통
‘23 ․산학연 협력사업 수요조사 실시 : 1 회
한 지역내 중소기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활성화 : 6 회
업 역량강화
․산학연 전문가 코디네이팅 구축 및 애로기술지원 : 80 개사

- 711 - - 712 -
마. 전북 R&D사업화 및 상용화지원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R&D성과 상용화 기획/확산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회
4

․도내 상용화성과 확산 지원 회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R&D : 1

전북 R&D사업화 ․도내 R&D 상용화 제품지원 : 개사


20
․R&D성과 상용화 기획/확산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회
4
‘21 지원시스템 기반 ․특허를 활용한 창업지윈 시스템 운영활성화 : 상시
․도내 R&D 상용화성과 확산 지원 : 1회
구축 ․특허활용 창업기업지원 : 개사
3
․도내 R&D 상용화 제품지원 : 개사
20

전북 R&D사업화 ․연구개발인력 양성 및 공급 기반 구축 : 명
60
․특허를 활용한 창업지윈 시스템 기반구축 : 1식
‘16 지원시스템 기반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 : 75% 달성
․특허활용 창업기업지원 : 개사
3
구축 ․R&D성과 상용화 기획/확산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회
4

․연구개발인력 양성 및 공급 기반 구축 : 60 명 ․도내 R&D 상용화성과 확산 지원 : 1회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 : 60% 달성
전북 R&D사업화 ․도내 R&D 상용화 제품지원 : 개사
20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를 위한 On/Off-Line 시스템 기반 구축 식


: 1
‘22 지원시스템 기반 ․특허를 활용한 창업지윈 시스템 운영활성화 : 상시
․R&D성과 상용화 기획/확산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4회
구축 ․특허활용 창업기업지원 : 개사
3
․도내 R&D 상용화성과 확산 지원 : 1회
․연구개발인력 양성 및 공급 기반 구축 : 명
60

전북 R&D사업화 ․도내 R&D 상용화 제품지원 : 개사


20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 : 75% 달성
‘17 지원시스템 기반 ․특허를 활용한 창업지윈 시스템 운영활성화 : 상시 ․R&D성과 상용화 기획/확산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회
4
구축 ․특허활용 창업기업지원 : 개사
3
․도내 R&D 상용화성과 확산 지원 : 1회
․연구개발인력 양성 및 공급 기반 구축 : 60 명
전북 R&D사업화 ․도내 R&D 상용화 제품지원 : 개사
20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 : 70% 달성


‘23 지원시스템 기반 ․특허를 활용한 창업지윈 시스템 운영활성화 : 상시
․R&D성과 상용화 기획/확산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회
4
구축 ․특허활용 창업기업지원 : 개사
3
․도내 R&D 상용화성과 확산 지원 : 1회
․연구개발인력 양성 및 공급 기반 구축 : 명
60

전북 R&D사업화 ․도내 R&D 상용화 제품지원 : 개사


20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 : 80% 달성
‘18 지원시스템 기반 ․특허를 활용한 창업지윈 시스템 운영활성화 : 상시 ․R&D성과 상용화 기획/확산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회
4
구축 ․특허활용 창업기업지원 : 개사
3
․도내 R&D 상용화성과 확산 지원 : 1회
․연구개발인력 양성 및 공급 기반 구축 : 60 명
전북 R&D사업화 ․도내 R&D 상용화 제품지원 : 개사
20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 : 70% 달성


‘24 지원시스템 기반 ․특허를 활용한 창업지윈 시스템 운영활성화 : 상시
․R&D성과 상용화 기획/확산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회
4
구축 ․특허활용 창업기업지원 : 개사
3
․도내 R&D 상용화성과 확산 지원 : 1회
․연구개발인력 양성 및 공급 기반 구축 : 명
60

전북 R&D사업화 ․도내 R&D 상용화 제품지원 : 개사


20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 : 80% 달성
‘19 지원시스템 기반 ․특허를 활용한 창업지윈 시스템 운영활성화 : 상시 ․R&D성과 상용화 기획/확산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회
4
구축 ․특허활용 창업기업지원 : 개사
3
․도내 R&D 상용화성과 확산 지원 : 1회
․연구개발인력 양성 및 공급 기반 구축 : 60 명
전북 R&D사업화 ․도내 R&D 상용화 제품지원 : 개사
20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 : 70% 달성


‘25 지원시스템 기반 ․특허를 활용한 창업지윈 시스템 운영활성화 : 상시
․R&D성과 상용화 기획/확산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회
4
구축 ․특허활용 창업기업지원 : 개사
3
․도내 R&D 상용화성과 확산 지원 : 1회
․연구개발인력 양성 및 공급 기반 구축 : 명
60

전북 R&D사업화 ․도내 R&D 상용화 제품지원 : 개사


20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 : 80% 달성
‘20 지원시스템 기반 ․특허를 활용한 창업지윈 시스템 운영활성화 : 상시
구축 ․특허활용 창업기업지원 : 개사
3

․연구개발인력 양성 및 공급 기반 구축 : 60 명
․도내 공용장비활용율 제고 : 75% 달성

- 713 - - 714 -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R&D사업의 가교형 R&D지원 및 사업화를 추진하고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는
과제 관리 및 사업성과 평가 및 모니터링 추진
가. 전북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추진전략 및 체계
□ 추진체계
□ 추진전략

• 전북 R&D거점 및 미래가치창출기업육성 Hub


사업목표
• 전북연구성과 기술이전 및 창업활성화로 미래산업 육성기반 기축

추진전략

추진조직 기능 및 역할

• 사업 총괄 추진
전라북도 미래창조과학부
• 전북과학기술진흥을 위한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 및 추진 • 사업추진에 따른 예산지원
과학기술
• 지역수요기반 R&D 활성화 및 성과창출 모니터링
진흥계획
• 전북지역 연구 및 기술개발인력 양성 및 공급기반 구축 한국연구재단 • 전북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평가 및 사후관리
(주요시책)
• 지자체 예산 지원
□ 추진방법 전라북도 • 정책자문 및 주요사항 심의
• 연구개발지원단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ㅇ (과제 수요발굴) 도내 중소기업과 정부출연(연), 지자체 연구소 등 다양한
기관과 산업분야에서 과제 수요조사를 매년 초에 시행 • 사업계획 수립 등의 운영사업 수행
ㅇ (수행과제 선정) 수요조사 신청과제를 대상으로 도내 기업의 수요가 충분하 • 지역 내 연구기관, 기업체, 대학과의 협력체계 구축
고 정부정책과 정합성이 높은 과제를 발굴하여 사업의 시의성과 기술의 사업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발굴·기획 및 정책수립 지원
(사업주체) • 지역 R&D 사업에 대한 평가·관리 및 성과관리
성, 사업화 추진노력 정도 등을 평가
•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운영
ㅇ (과제수행) 선정된 과제를 중심으로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R&D과제로 연계
•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사업평가 및 방향 제시)
하여 과제를 수행하고
ㅇ (기술사업화 추진) 과제결과물을 활용한 사업화추진을 위하여 지역수요기반

- 715 - - 716 -
나. 세부사업별 추진전략, 방법 및 추진체계 □ 추진체계

1)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 추진전략

ㅇ 도내 연구개발성과물인 지식재산권을 활용한 사업화 및 상용화 활성화


지원 기반 구축
ㅇ 도내 연구개발성과물인 지식재산권의 전수조사를 통한 우수기술 및 수
요기술 발굴
ㅇ 기술이전 및 거래지원을 사업화 연계 지원으로 기업 경쟁력 제고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추진전략

ㅇ 전라북도 미래신성장동력분야의 가교형 R&D과제 발굴 및 기획


ㅇ 발굴한 가교형 R&D과제의 평가 및 선정 후 수행기관 모집
ㅇ 원천기술 중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출연(연)과
도내 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과 자본을 출자하여 법인설립 지원
ㅇ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및 성과창출 지원을 위한 글로벌 우수기술 및
투자기업 발굴 병행
ㅇ 기술이전 및 거래지원을 사업화 연계 지원으로 기업 경쟁력 제고

□ 추진방법

ㅇ 도내 연구성과물 선행조사 및 우수기술 및 수요기술 발굴 조사


ㅇ 발굴한 우수기술의 기술이전 및 거래지원을 위한 기술거래장터 개최,
SMK 작성지원, 전문가 컨설팅 지원 수행
ㅇ 이전기술의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R&D지원, 시제품제작 지원 등
수행

- 717 - - 718 -
□ 추진방법 3)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사업
ㅇ 전라북도 특화분야 가교형 R&D과제 발굴 및 기획
ㅇ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을 위한 지식재산권 확보 기술 발굴 □ 추진전략
ㅇ 가교형 R&D 선정 후 지원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지원 ㅇ 도내 산학연 연계협력이 필요한 사업 발굴을 위한 수요조사 실시
ㅇ R&D과제 지원성과 모니터링(일자리창출 및 기업매출 증대 등) ㅇ 다양한 연계협력사업 발굴을 위한 상시 수요조사 실시
ㅇ 전라북도 산학연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사업기술 생태계 구축
기업기술수요조사 및 가교형 R&D과제 발굴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ㅇ 도내 대학, 정부출연(연)전북분원, 기업지원기관을 연계하여 연구

전북 가교형 R&D발굴 과제 및 도내 지식재산권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분야별로 기획과 사업추진 담당자간 산학연네트워크 구축 및 매년

지역 확보 기술 탐색 반기별 정기모임을 통해 운영활성화로 사업성과 도출

수요 ⇩ ㅇ 기업과 연구기관 참여분위기 확산을 위해 핵심관심분야 관련 정보

기반 발굴과제를 대상으로 후속 R&D과제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제공 및 공동워크숍 개최 등

R&D 기획위원회 구성 및 기획 기획위원회 ㅇ 전라북도 내 URI-G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자와 수요자간 미스매치


과제 ⇩
가교형 R&D과제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부분 해소를 위한 솔루션 제공 기반 마련

발굴 설립지원 대학, 기업 등
및 ⇩
성과 R&D과제 수행평가 및 성과분석 모니터링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
분석

R&D성과물 활용으로 연구역량 제고 등 전라북도

□ 추진체계
- 719 - - 720 -
□ 추진방법 4) 전북 R&D사업화 및 상용화지원사업

ㅇ (지역수요 R&D 네트워크) 전북도내 전략산업과 지역특화산업분야별로


□ 추진전략
거점대학과 연계한 중소기업, 연구기관, 기업지원기관인 유관기관과 연계
ㅇ 전북도내 지역수요기반 R&D 발굴 및 기획 후 정부과제 수탁수행을
협력 시스템 구성 및 운영활성화
위한 선순환 체제 구축
­ 연구 및 기술개발 최신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
ㅇ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업지원사업 수행
­ 분기별 정기모임 및 임시모임 개최
ㅇ 연구개발성과인 지식재산권(특허 등)을 활용한 창업유도 및 확산 지원
ㅇ (기업애로기술지원 네트워크) 전북도내 중소기업의 연구 및 기술개발 애
ㅇ 지역수요기반 R&D과제의 발굴 채널의 다양화 추진
로사항 해결을 위한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활성화
­ 도내외 전문가 Pool 구축 및 기술애로지원 추진
­ 중소기업이 애로해결을 위한 현장방문 지도 필수 추진
ㅇ (기술이전 및 거래활성화 네트워크) 도내 중소기업 및 대학, 연구기관의
연구성과물의 사업화와 상업화 지원을 위한 도내외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 도내 대학 기술이전센터와 공공 및 민간 TLO 전문가로 구성
­ 분기별 정기모임 및 임시모임 개최
­ 기술거래장터 개최 및 기술이전과 사업화 관련 최신 정보 공유 등
ㅇ (S&T정책포럼 네트워크) 국내외 최신 과학기술정책과 관련한 최신정보
를 제공하고 외부전문가 초청 등 다양한 과학기술 정보 제공의 장 마련

□ 추진체계
- 721 - - 722 -
□ 추진방법 ㅇ 산학연 네트워크 체제 구축으로 도내외 우수인력을 통한 최신정보 교류
확대 및 지역 미래성장동력 발굴 시스템 구축 가능
ㅇ (연구개발성과 활용기반 구축) 가교형 R&D사업 성과물을 활용하기 위한
ㅇ 세부사업간 유기적인 연동체제 구축을 위해 매월 실무담당자 회의를 정
사업화지원 기반 구축
기적으로 개최하여 추진성과 연계협력 방안 등을 협의
­R&D상용화제품지원, 연구인력양성지원, 공동장비 활용지원
ㅇ 연구개발성과물의 지식재산권 확보지원으로 지역 중소기업 기술 및 기
ㅇ (Spin-off 등 창업지원) 전북도내 연구개발 전문인력 및 연구소에서 창업
업가치 제고 유도
희망자를 대상으로 창업을 통한 지역내 연구개발역량 제고
ㅇ 세부사업간 유기적인 연동체제 구축으로 과제수행에서 사업화까지 지속
­ Spin-off 창업희망자 대상 교육 및 자금연계 지원
적인 지원 및 관리 및 성과도출을 위하여 점검 및 모니터링을 전북SP에
­ 전문기술인력 공급시스템 구축으로 초기 연구개발인력 지원
서 주도적으로 진행
□ 추진체계
ㅇ 전북SP와 지역내 혁신기관인 대학, 정부출연(연)의 우수 기술을 활용한
기업애로해결 지원을 위한 시스템 구축
ㅇ 다양한 기업지원성과 제고를 위한 기업지원 역량 집적 및 전북SP 기 구축
인프라를 활용한 연구개발성과를 활용한 사업화 및 사업화 성과 제고

나.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1)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ㅇ 전북과학기술진흥센터에서 세부사업을 총괄 주관하여 세부사업이 개별적
으로 진행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운영에 따른 타사업도 동
시에 진행되도록 운영(그림 참조)
ㅇ 전북도내 기업수요 및 가교형 R&D과제 발굴 선순환 시스템 구축으로
중소기업의 R&D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시스템 구축 및 One-Stop 지원
체제 구축
ㅇ 연구개발성과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지역수요기반 R&D과제 성과물의
R&D사업화 및 상용화 연계지원

- 723 - - 724 -
2) 타 사업과의 연계방안 5. 기대효과
□ 전북테크노파크 지원사업과 연계
ㅇ 전북TP에서 지원하고 있는 R&D지원, 애로기술지원, 시제품제작지원과 연계가 세부사업 기대효과
가능하도록 전북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을 통해 성과물을 창출하고 공급할
ㅇ지역으로의 고급연구인력의 유입 및 지역 일자리창출 확대 가능
수 있도록 연계하여 R&D선순환체제 구축 가능 ㅇ기술가치평가 및 기술거래이전 활성화 시스템구축으로 지역내 지
ㅇ 도내 대학, 정부출연(연) 분원, 지역내 연구소 및 전북과학연구단지내 기업을 중 식재산권 활용 분위기 확산 및 기업가치 제고
심으로 지원대상과 지역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전북TP사업과 중복지원이 아닌 ㅇ지역에서 보유하고 있는 특허, 논문 등 지식재산권 DB를 구축하고
지식재산활용
상호 시너지가 발생하도록 사업별 연계 및 단계적 지원 역할분담 가능 매년 업데이트함으로써 지역내 연구개발 분위기 및 기술사업화 확대
도 제고사업
가능
□ 미래부 내 사업과 연계
ㅇ기술유통 활성화 지역내 기업의 수요에 적합한 기술공급체계 구축
ㅇ 지역과학기술진흥로드맵 수립, 지역R&D 기획 시 연지단과 협력
가능
ㅇ 정부의 중점추진 방향(지역발전+지방대학육성+산학협력 등 지방대 지원
ㅇ지역내 지식재산활용 전문인력 양성 및 거래활성화 유도
및 산학협력 등)에 대한 다수의 사업 존재함에 따라 지역대학 발전방안
ㅇ가교형 R&D지원 성과물의 기술이전 및 거래 활성화로 기업 경쟁력
수립을 통하여 대학수요기반 R&D사업 및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및 가치 제고
­ LINC 사업 내 기업가정신센터와 공동으로 창업아카데미 운영 지역수요기반
ㅇ산학연 공동연구법인설립으로 지역내 우수연구인력의 외부 유출
­ 단지 내 창업기업으로의 현장실습(인턴쉽 프로그램) 프로그램 개설 및 공동운용 R&D 지원
방지

□ 산업부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 연계 ㅇ우수기술을 활용한 기업투자 분위기확산 및 스타기업 육성 가능

ㅇ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추진 중인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을 통해 기 ㅇ산학연네트워크 연계체제구축으로 지역내 다양한 산업분야별 기술


구성되어 있는 기술이전 실무자협의회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지역의 기술 융합 및 창의기술의 발굴 및 기획 가능
ㅇ도내외 전문가를 활용한 사업발굴로 지역내 신성장동력분야 사업발굴
협력네트워크 활용하여 애로기술수요조사에 대한 결과물 공유 및 관련
산학연네트워 가능
연구자 또는 기술동향 파악
크활성화사업 ㅇ지역내 전문컨설턴트 육성이 가능한 기반이 구축되어 신규일자리창출
ㅇ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사업에 참여하는 영남권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 분야
가능
기술․기업 정보제공 및 공동 기술마케팅 실시
ㅇ최신정보교류 및 기업수요를 적극 반영할 수 있는 연계 통로 구축
가능
ㅇR&D성과물을 활용한 사업화 및 창업유도롤 R&D지원 선순환체제
구축 및 지역경제 활성화제고 가능
전북 R&D사
ㅇ도내 중소기업 기술역량강화로 기업경쟁력 제고 가능
업화 및 상용
ㅇ기업의 애로기술해결을 통한 도내 중소기업 기술개발 분위기 확대
화지원사업
가능
ㅇ다양한 기업지원사업 기획 및 발굴로 지역내 혁신인력의 역량 강화

- 725 - - 726 -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 산학연네트워크 활성화사업
(단위 : 백만원)
□ 사업비 총괄표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단위 : 백만원) 국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과학기술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합 계 정책발굴 지방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및기획
국비 2,225 3,200 4,175 5,150 5,750 4,775 3,800 2,825 1,850 1,250 35,000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지방비 650 650 650 650 650 650 650 650 650 650 6,500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산학연네
트워크운 지방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민 간 325 650 975 1,300 1,500 1,175 850 525 200 0 7,500 영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합계 3,200 4,500 5,800 7,100 7,900 6,600 5,300 4,000 2,700 1,900 49,000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산학연전
문가활용
지방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 세부사업별 사업비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합 계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0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 전북R&D사업화 및 상용화지원사업
가교형
국비 600 1,200 1,800 2,400 3,000 2,400 1,800 1,200 600 0 15,000 (단위 : 백만원)
민 간 200 400 600 800 1,000 800 600 400 200 0 5,000
R&D지원
계 800 1,600 2,400 3,200 4,000 3,200 2,400 1,600 800 0 20,000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산학연공 국비 375 750 1,125 1,500 1,500 1,125 750 375 0 0 7,500 R&D성과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동연구법
민 간 125 250 375 500 500 375 250 125 0 0 2,500 상용화
인설립지
기획/확
지방비 0 0 0 0 0 0 0 0 0 0 0
원 계 500 1,000 1,500 2,000 2,000 1,500 1,000 500 0 0 10,000 산지원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합 계 1,300 2,600 3,900 5,200 6,000 4,700 3,400 2,100 800 0 30,000
국비 200 200 200 200 300 300 300 300 300 300 2,600
R&D상용
화 지방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제품지원
○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단위 : 백만원) 계

국비
400

100
400

100
400

100
400

100
500

100
500

100
500

100
500

100
500

100
500 4,600

100 1,000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특허활용
창업지원
지방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국비 320 320 320 320 320 320 320 320 320 320 3,200
기술중개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지방비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0
활성화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계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0
연구인력
국비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0 양성
지방비 0 0 0 0 0 0 0 0 0 0 0
기술저장
소구축
지방비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0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국비 100 100 100 100 0 0 0 0 0 0 400
합 계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0 장비활용
지원
지방비 0 0 0 0 0 0 0 0 0 0 0

계 100 100 100 100 0 0 0 0 0 0 400

합 계 900 900 900 900 900 900 900 900 900 900 9,000

- 727 - - 728 -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8. 연구원 편성표

구분 세부사업 활용방안
과제명 직급별 참여연구원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과제
ㅇ가교형 R&D지원 성과를 활용한 기술사업화 확산 유도 구분 출연 국공 산업
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수석 책임 선임 원급 기타 계 대학 기타 계
(연) 립(연) 계
가교형 ㅇ가교형 R&D지원 성과물의 기술이전 및 거래 활성화로
전북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R&D지원 기업 경쟁력 및 가치 제고 총괄 1 1 4 11 1 18 - - - - - -
전북SP 이송인
ㅇ산학연 공동연구법인설립으로 지역내 우수연구인력의 외부
합 계 1 1 4 11 1 18 - - - - - -
유출 방지
지역수요기반
ㅇ우수기술을 활용한 기업투자 분위기확산 및 스타기업
R&D사업 산학연공동연구 육성 가능
법인설립지원 ㅇ지역으로의 고급연구인력의 유입 및 지역 일자리창출 9. 부록
확대 가능
부록1]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 R&D과제 수요조사 현황
[

ㅇ기술가치평가 및 기술거래이전 활성화 시스템구축으로 부록2]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수요조사 제안서
[
기술중개 지역내 지식재산권 활용 분위기 확산 및 기업가치 제고
활성화 ㅇ지역에서 보유하고 있는 특허, 논문 등 지식재산권 DB
지식재산활용도 를 구축하고 매년 업데이트함으로써 지역내 연구개발
제고 분위기 및 기술사업화 확대 가능
ㅇ기술유통 활성화 지역내 기업의 수요에 적합한 기술공
기술저장소 구축 급체계 구축 가능
ㅇ지역내 지식재산활용 전문인력 양성 및 거래활성화 유도

과학기술정책 ㅇ산학연네트워크 연계체제구축으로 지역내 다양한 산업


발굴 및 기획 분야별 기술융합 및 창의기술의 발굴 및 기획 가능
ㅇ도내외 전문가를 활용한 사업발굴로 지역내 신성장동력
산학연네크워크 산학연 분야 사업발굴 가능
활성화사업 네트워크 운영 ㅇ지역내 전문컨설턴트 육성이 가능한 기반이 구축되어
신규일자리창출 가능

산학연 ㅇ최신정보교류 및 기업수요를 적극 반영할 수 있는 연계

전문가 활용 통로 구축가능

R&D성과 상용화
ㅇR&D성과 상용화를 위한 도내 전문가 그룹의 기획과
기획/확산 지원
확산지원으로 통해 전라북도 연구성과물 확산 거점구축
R&D상용화
ㅇR&D성과물을 활용한 사업화 및 창업유도롤 R&D지원
제품지원
전북R&D사업화 선순환체제 구축 및 지역경제 활성화제고 가능
특허활용
및 ㅇ도내 중소기업 기술역량강화로 기업경쟁력 제고 가능
창업지원
상용화지원사업 ㅇ기업의 애로기술해결을 통한 도내 중소기업 기술개발
연구인력양성 분위기 확대 가능
ㅇ다양한 기업지원사업 기획 및 발굴로 지역내 혁신인력의
장비활용지원 역량 강화

- 729 - - 730 -
부록1]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 R&D과제 수요조사 현황
[
부록2]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수요조사 제안서
[

제안기관 제안기술 개발
연번 제안 기술명
(제안자) 규 모 기간
비고 01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1 연비 8% 향상을 위한 상용차용 ORC(Organic 자동차부품연구원 110억원 5년
Rankine Cycle) 기술 개발 (허형석) 과 제 명 연비 8% 향상을 위한 상용차용 ORC(Organic Rankine Cycle) 기술 개발

2 상용차용 ESC 시스템 국산화 개발 (재)전북자동차기술원 60억원 5년 연구기간 5년(2015년 ~ 2019년)


(고영진)
3 상용차 Hybrid 냉방시스템 개발 타타대우상용차 37.5억원 3년
연 구 비 110억원(국비 100억원, 민자 10억원)
(이명규) 상용차 엔진 보기류(냉각 팬 등)의 구동 에너지로 활용하기 위하여 배기 폐열 회수

4 수송기기 부품용 기능성 하이브리드 섬유 한국탄소융합기술원 300억원 5년


연구목표 를 통한 기계 에너지(회전 토크) 재생 시스템인 Organic Rankine Cycle(ORC)
개발 사업 (서민강) 기술 개발을 통하여 연비 8% 향상 달성

5 항공기 정비 (MRO) 부품소재 개발 사업 한국탄소융합기술원 400억원 5년


○ 시스템/사이클 설계 기술

(서민강) - Organic Rankine Cycle 시뮬레이션 및 설계


- 작동유체 선정
6 20K 미만 탱커선용 불활성가스 제조장치 개발 한국조선기자재연구 70억원 3년 - 시스템 레이아웃 설계
원 전북분원 (한상목) - 핵심부품별 설계점 및 설계 제원 설정

7 해수의 마그네슘을 이용한 태양에너지 저장과 전북대학교 200억원 5년 ○ 작동유체 Feed Pump 기술
엔진 개발 (김종일) - Feed Pump 타입 선정

8 차세대 태양전지 사업화 기술 개발 전자부품연구원 150억원 5년


- 고온/고온에 대응한 고효율/고내구의 Feed Pump 해석/설계 및 제작
전북분원 - Feed Pump 단품 성능 평가

9 터빈 운용 중 풍력블레이드 Autonomous Inspection (주)휴먼컴퍼지트 60억원 3년


○ 폐열 회수용 열교환기 기술

시스템 개발 (양승운) 연구내용 -열교환기 컨셉 설계


-고온/고압에 대응한 고효율/고내구의 폐열 회수용 열교환기 해석/설계 및 제작
10 혹한지역 조사 및 비상조난시 생명유지와 위치전송 자동차부품연구원 47.5억원 4년 -폐열 회수용 열교환기 성능 평가
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 (구영모) ○ 응축기 기술
11 보급형 16-슬라이스 CT 검출기 모듈 상용화 개발 (주)사이메딕스 60억원 3년 -대용량 응축기의 컴팩트화를 위한 해석/설계 및 제작
(장용호) -응축기 단품 성능 평가

12 3차원 엑스선 CT를 활용한 TSV 제품의 200㎚ 결함 (주)자비스 135억원 5년


○ 동력 재생용 팽창기 적용 시스템 및 제어 로직 기술
검사 시스템의 개발 (김형철) -작동유체의 유량과 압력, 시스템 안전을 위한 제어 로직 개발

13 저선량․고해상도 직접 변환 방식의 TFT기반의 (주)룩센테크놀러지 120억원 5년


-팽창기 성능 평가 및 시스템 적용 기술 개발
lycrystallineCdTe 대면적디지털 X선 검출기 개발 (소명진) ○ 시스템 엔진/차량 매칭 및 성능 평가 기술

14 대면적 수직형 LED용 불량검사 기능의 웨이퍼 본더 (주)나노솔텍(김진수) 40.2억원 3년


-시스템 적용 엔진/차량 개발 및 연비/배출가스 특성 평가
○ 단계별 목표
및 LLO 모듈 통합 시스템 개발 개발방법 -1단계 : 사이클 및 시스템 레이아웃 최적화 설계, 작동유체 및 핵심부품 설계
15 Plasma Actuator를 이용한, 항공기 및 풍력발전 한국과학기술원 200억원 5년 및 제원 설정, 핵심부품 기본 성능 확보 및 엔진 적용 기술개발
유동제어 원천 기술 개발 전북분원(이헌수) 추진체계 -2단계 : 각 핵심부품의 성능 최적화 및 내구성 확보를 통한 시스템 차량 적용

16 바이오부탄디올 이성질체 생산 기술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50억원 5년


기술 개발
(김철호) ○ 폐열 회수를 통한 연비 8% 향상으로 차량 한 대당 연간 3,200L의 연료 절약

17 바이오매스 기반 나노셀룰로스 소재 및 실용화 (주)썬페치테크노 312억원 5년


및 CO2 8% 저감에 따른 환경 개선비 절약을 기대할 수 있음
기술 개발 (허달용) ○ 현재 차량에는 미적용 되고 있는 새로운 시스템 기술로 개발 성공시 매출액 증

18 폐기물 매립지로부터 발생되는 매립가스의 플라즈마 개질 국가핵융합연구소 100억원 5년


기대성과 대, 수출 촉진, 국내 상용차 산업의 위상 제고, 고용 창출 효과 등이 기대됨
○ 열교환기 및 유체기계 등 성숙도가 높은 기술 분야와 전장, 제어 기술 등의 첨
을 이용한 수소 제조 및 이를 이용한 SOFC 발전기술 개발 (홍용철) 단 기술 분야가 유기적으로 융합된 시스템으로써 핵심부품의 기술 경쟁력 확보
와 상용차 전 분야는 물론 승용차에도 기술 확대 적용이 기대됨
○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양산 적용 사례가 없고, 각 핵심부품 또한 고온/고압에 대
응한 신뢰성 확보와 고도의 설계/제작 기술이 요구되며,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기 타
설계, 사이클 설계, 시스템 제어 기술 확보가 요구되기 때문에 수요자인 완성차
고려사항 업체, 부품업체인 중소/중견기업, 대학, 연구소의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유기적
인 협력 체계 확보 및 연구개발 전략이 필요함

기관명 자동차부품연구원 직 위 선임연구원


제 안 자
성 명 허 형 석 전 화 010-3205-0672

- 731 - - 732 -
02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03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과 제 명 상용차용 ESC 시스템 국산화 개발 상용차 hybrid 냉방 시스템 개발
제 명
연구기간 5년(2015년 ~ 20119년) 연구기간 3년 (2015년 ~2018년)

연 구 비 60억(국비 45억, 지방비 xxx, 민자 15억) 연 구 비 37.5억(국비 30억, 민자 7.5억)


상용차 에어컨 시스템에 Hybrid 시스템을 적용하여 무시동 상태에서도 일정시간
운전자 지원 및 차량 안정성 향상을 위한 신기술 제어 시스템기반 상용차 특성을 연구목표 냉방이 가능하고 주행 시에도 이를 이용하여 냉방 성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연구목표
고려한 공압 ESC 시스템 제어로직 및 구성부품 국산화 개발 차량의 연비개선을 가능한 냉방시스템 개발
○ 고효율 압축기 개발
○ 공압 ESC 제어기 기술개발 -기계식 및 전동식 압축기 일체화 설계 및 제작 기술 개발
- 제어기 SPEC 분석 -압축 효율 증대 및 소요 동력 저감 기술
- 전력전자회로 설계 및 평가 -스크롤 소형화 및 경량화 기술
-Dual 운전시 스크롤 윤활 및 신뢰성 향상 기술
○ 상용차용 공압 ESC 제어로직 기술개발 -대체 냉매 적합성 평가
- 공압 ABS 제어로직 개발 ○ 공조시스템 통합 제어 기술
- 공압 EBD 기능 개발 - 운전 모드(운전,정지) 및 냉방 부하별 압축기/공조기 제어 기술
- 공압 ASR 제어로직 개발
연구내용
- 에너비 절감을 위한 통합제어 기술
연구내용 - 공압 ESC 제어 로직 개발 (YC, RSC 기능) ○ 에너지 변환 기술
- ABS/ESC 기능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프로그램 개발 - 24V DC를 이용한 Motor Drive 구동용 최적 에너지 변환기 및 연축전지 개발
- 열교환기용 고효율 FAN Motor 개발
○ 상용차용 공압 ESC 구성 부품 기술개발 ○ 에너지 소요 평가 및 적용 기술
- 휠속 센서 개발 -실차에서의 주행 모드별 연비 측정
- 공압제어밸브 개발 (솔레노이드 밸브 및 압력조절 밸브) -주행 모드별 소요 동력 최적화 기술
- 24V용 센서 개발 -정차 중 냉방기 가동 시의 배터리 에너지 연장 기술
○ 단계별 목표
○ ESC 시스템 성능 및 신뢰성 평가기술 개발 -1단계 : 기존 공조 시스템 에너지 효율 평가, 제한 조건 검토 및 개선 방안
개발방법
-2단계 : 개선안별 Mock-up 제작 및 평가
○ 단계별 목표 및
-3단계 : 최적안 선정 및 차량 장착/확인 평가
-1차년도 : 공압 ESC 제어 컨셉 설정 및 공압 시스템 해석 및 평가 추진체계
개발방법 * 완성차, 부품사, 국책연구기관 간의 협업을 통한 기술개발, 평가 및 제품개발
-2차년도 : 제어기 시제품 설계 및 단품(센서류) 성능 평가
및 * 협업을 통한 기술 기술 평가 및 적합성 평가
-3차년도 : ESC 제어로직 개발 및 Feasibility 평가
추진체계 -4차년도 : 차량탑재적용 ESC 기능 상세 튜닝 및 실차시험 ○ 운전자 편의 증대
-5차년도 : 양산화 대비 신뢰성 평가 및 검증 -무시동 상태에서 에어컨 사용 가능하여 주정차 및 대기 시 운전자의 편의 증대
○ 연비 및 배기 오염물질 배출 개선
○ 100% 해외 도입 적용중인 상용차용 공압 ABS 및 VDC 국산화 개발로 수입 대 -무시동 시 엔진 작동 없이 에어컨 가동 가능하므로 상용차 아이들링 불필요
체 효과 -주행 상황에 따라 Hybrid 에어컨 시스템을 작동시키므로 에너지 효율 향상을
○ 해외 도입품 국산화에 따른 상용차 공압 시스템용 신규 부품 사업화로 신규 수 통한 연비 개선 및 배기 오염물질 배출 저감 가능
기대성과
기대성과 요 창출 및 고용 증대 효과 ○ 기술적 파급효과
○ 센서 및 제어기 포함한 전자제어 밸브모듈 개발 추진으로 EBS 시스템 개발에 -벨트 및 모터 구동의 기술의 융합 시스템 기술로 양 분야의 파급 효과가 큼
따른 해외 선진 메이커와의 상품 경쟁력 확보 가능 -상용차용 하이브리드 압축기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기술
○ 승용 부문의 센서 융합 및 IT 융합 신기술의 상용차 수평 전개 -국내 상용차에 우선 적용하여 수입차량에 대응한 마케팅 포인트로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해외로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기술임
기 타 ○ 산업체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 산업체와의 파트너쉽 구축이 ○ 신규 산업 발굴을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 및 고부가가치의 융합기술 확보
고려사항 매우 중요하며, 전략인 구축이 필요함 기 타 ○ 기존 운용중인 차량에도 적용 가능한 기술 개발 검토
고려사항 ○ 산업체 및 국책 연구소 간의 유기적인 협력 추구

기관명 (재)전북자동차기술원 직 위 선임연구원


제 안 자 기관명 타타대우상용차 직 위 차장
성 명 고영진 전 화 063-4752-2338 제 안 자
전 화
성 명 이명규 (e-mail)

- 733 - - 734 -
04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05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과 제 명 수송기기 부품용 기능성 하이브리드 섬유 개발 사업 과 제 명 항공기 정비 (MRO) 부품소재 개발 사업

연구기간 5년(2015년 ~ 2019년) 연구기간 5년(2015년 ~ 2019년)

연 구 비 300억(국비 150, 지방비 75, 민자 75) 연 구 비 400억(국비 200, 지방비 50, 민자 150)

첨단 수송기기 부품에 적용 가능한 고기능 무기섬유 융합제품 상용화 기술 개발과 항공기 정비 (MRO) 부품소재 원천 및 응용 기반기술 개발
연구목표 전문 인력양성을 통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산업용 섬유 제품화 및 융합제품 산업 연구목표 - MRO용 복합부품소재 원천 및 응용기술 개발
화 지원 - MRO 핵심기술 인증
○ MRO용 복합부품소재 기술개발 : 300억원
ü 항공기 기체 정비용 부품소재 기술개발 : 150억원
○ 현무암 섬유 조성 설계 및 시제품 개발 - 고인성 탄소/금속 복합소재 제조기술 : 50억원
- 방사공정 설계, 제작 및 장섬유 제품 개발 - 내열성 탄소/금속 복합소재 제조기술 : 50억원
- 사이징 고분자 및 prepreg 최적 조성 설계 - 고강도 내열 마그네슘 합금 제조기술 : 20억원
○ 초경량․고강도 특장차 적재/탑승함 개발 - 고인성 알루미늄-리튬 합금 제조기술 : 20억원
- 고강도 현무암/탄소 하이브리드 섬유복합소재 개발 - 복합소재 Recycling 기술 : 10억원
- 고소작업차용 친환경 경량 부품소재 개발 ü 항공기 성능 개량용 부품소재 기술개발 : 150억원
○ 레저용 차량의 부품/완성차 개발 연구내용
- 구조용 하이브리드 탄소/금속 복합소재 제조기술 : 50억원
연구내용 - 캠핑카라반 차체설계 및 제조공정 개발 - 구조용 알루미늄 시트/플레이트류 제조기술 : 50억원
- 캠핑카라반 제작 - 항공기 기체 보강용 kit 개발 : 30억원
○ 친환경 자동차 내장재 개발 - 항공기 구조체결용 하드웨어 기술 : 10억원
- 난연성 장섬유 내장 복합소재 개발 - 전도성 제어 복합소재 기술 : 10억원
- 단열/표면처리/기능성 단섬유 내장 복합소재 개발 ○ MRO 핵심기술 인증 관련 : 100억원
○ 자동차 하이브리드 외장재 부품 개발 ü 항공기 Repair Station 허가 획득 : 50억원
- 현무암/유리 고강도 하이브리드 복합소재 개발 ü 항공기 MRO 핵심기술 확보 및 STC 획득 : 50억원
- 자동차용 프레임 개발
○ 단계별 목표
개발방법 -1단계 인력양성 : MRO 분야별 핵심 기술인력 양성
○ 단계별 목표 및 -1단계 사업 : MRO용 복합부품소재 원천 및 응용기술 개발
개발방법 추진체계 -2단계 인력양성 : MRO 분야별 핵심 기술인력 양성
-1단계 인력양성 : 고기능 무기섬유 분야별 핵심 기술인력 양성
-2단계 사업 : MRO 핵심기술 인증
및 -1단계 사업 : 고기능 무기섬유 시스템 개발
추진체계 -2단계 인력양성 : 산업용 섬유 제품화 및 융합 기술 인력 양성 ○ R&D 역량 강화를 통한 MRO사업 국산화 증대
-2단계 사업 : 첨단 수송기기 부품 실증시스템 구현 - 민수기(대형/중형항공기, 민수헬기), 군수기(KFX, KAH, 무인기) 등 완제기 사업 MRO 기술
개발
○ MRO사업 관련 기술종속성 탈피 및 국가경쟁력 확보
○ 국산 기능성 하이브리드 섬유의 첨단화로 침체된 섬유산업의 활성화와 고용창출
- 엔진/핵심부품에 대한 기술경쟁력 확보로 항공산업 Global 7 진입 (2020년 목표)
○ 각 분야에 파급효과가 큰 섬유산업의 활성화로 기 확보된 섬유기술과의 융합을 기대성과
통한 신규산업 진출 가능성 확대 ○ 차세대 항공산업 주도 및 선점 가능성 확대
기대성과 - MRO 기술 활용을 통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선점 및 경쟁력을 크게 제고
○ 국내 부존자원을 활용한 고기능성 산업용 하이브리드 섬유 개발을 통한 국가 신
성장동력산업과 연계된 융합제품 개발 및 차별화된 기술을 통한 새로운 Blue ○ MRO사업을 통한 고용 확대 및 응용․적용 분야에서의 新시장 창출
Ocean 창출 - 매출액 19천억원 ('09) → 53천억원 ('16) 증가시 고용 77백명 ('09) → 214백명
('16) 증가 예상 (전경련 고용창출위원회)
기 타 ○ 산업체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 산업체와의 파트너쉽 구축이 기 타 ○ 산업체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 산업체와의 파트너쉽 구축이
고려사항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파트너쉽 구축 전략이 필요함 고려사항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파트너쉽 구축 전략이 필요함

기관명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직 위 극한소재 팀장 기관명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직 위 극한소재 팀장


제 안 자 제 안 자
성 명 서민강 전 화 063-219-3730 전 화
(e-mail) 성 명 서민강 (e-mail) 063-219-3730

- 735 - - 736 -
06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07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과 제 명 20K 미만 탱커선용 불활성가스 제조장치 개발 과 제 명 해수의 마그네슘을 이용한 태양에너지 저장과 엔진 개발

연구기간 5년(2015년 ~ 2019년)


연구기간 3년(2015년 ~ 2017년)
연 구 비 20,000 (백만원)
연 구 비 70억원 (국비 50, 지방비 20)

○ 현행 IMO의 국제협약(SOLAS)에서는 20K(20,000 DWT)이상의 탱커선에 대해서 ○연구목표


만 불활성가스장치의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으나, ’12년 1월 15일 발생한 두 -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해수에 포함된 마그네슘을 추출: 기술 개발, Pilot 규
라3호 폭발사고와 같이, 20K 미만 소형탱커선에서의 폭발사고가 지속적으로 발 모 시스템 구축, 공정 확립, 단위 공정 별 효율 평가.
생하고 있는 상황임 - 해수에서 추출한 Mg을 연료로 사용하는 고효율 엔진 개발
○ IMO에서는 20K 미만의 소형탱커선의 폭발사고 방지를 위하여, 20K 미만의 탱 연구목표 ○연구의 필요성
커에 대해서도 불활성가스 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는 규제를 시행할 예정임 및 - 에너지 저장, 수송, 동력 기술로서 연료 전지 또는 수소 에너지 등을 개발하고
○ 하지만, 20K 미만의 소형탱커선은 소량의 고가 화물을 주로 운송하며, 불화설가 있지만, 실용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
스 장치로 주로 사용되는 불활성가스장치(IGS) 및 불활성가스제조장치(IGG)는 필요성 - 08년 7월 지구 온난화 대책 G-8 정상회담에서, 일본 T.Yabe는 “해수에서
연구배경 추출한 마그네슘으로 가동하는 엔진”으로 선박 시운전, 기술 공개.
많은 연소생성물(soot)을 배출하기 때문에 화물이 오염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
○ 따라서, 20K 미만 탱커선의 특성을 고려하여, 불활성가스장치(IGS) 및 불활성가 - 미국, 일본, 영국, 카나다, 이스라엘 등이 마그네슘을 이용한 새로운 에너지
스제조장치(IGG)를 대체할 수 있는 질소발생기의 적용이 반드시 필요함 저장, 동력 기술을 개발하고 있지만, 특허 기술 보호, 비공개 특징.
- 본 기술의 국내외 기술 소유권을 선점, 거점화하는 것이 중요함.
○ 질소발생기는 분리막 방식이 가장 적합하지만, 분리막방식은 많은 전력을 소모한
다는 단점이 있음
○ 본 연구에서는 IGS 및 IGG를 대체할 수 있는 분리막을 적용한 선박용 질소발생
○ 주요내용
기를 개발하고, 소요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20K 미만 탱커선에 대한 질소발생 - 해수에서 마그네슘을 추출하는 공정 개발: pilot 시설, 공정 조건 구축
시스템 최적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Ÿ 마그네슘 염화 및 염욕 구성 공정 조건 확립
○ 주요내용 Ÿ 염화마그네슘을 전기분해하여 마그네슘을 추출하는 공정 확립 염소 회
- 300m3/h급 선박용 질소발생기 시제품 개발 수 및 제품 마그네슘 회수 공정 조건
- 20K 미만 탱커선에 최적화된 질소발생 및 저장 시스템 최적화 설계 기술 개발 - 상기 염화물을 태양광과 태양열을 이용해서 전기분해하는 전해조 설계/개발
○ 개발방법 및 추진방법
Ÿ 태양열 및 태양광을 이용한 가열 구조 개발 및 가열 조건 개발
- 선박용 질소발생기에 적합한 분리막 개발 및 성능검증
Ÿ 태양광을 이용한 전해조 설계 및 전기분해 조건 확립
- 50m3/h급 시작품 및 100m3/h급 시제품 개발
연구내용 - Mg을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 개발, 차량/선박에 활용 가능성 평가
- 대용량 질소발생기용 분리막 적용기술 개발
Ÿ Mg 나노 분말 atomizing, 표면 보호 가스 조성, 수송 용기
- 대용량 분리막을 활용한 질소발생기 성능 검증(최종 목표: 질소농도 99.5%이
상 구현, 300m3/h급 질소발생기) Ÿ 마그네슘 분말 연소 장치 및 엔진 개발
- 생산된 질소 선내 저장 및 공급 시스템 소형화 및 최적화 설계 기술 개발 ○ 개발방법 및 추진방법
- 최적화 기술 적용을 통해 기존 제품 대비 질소발생기 필요 용량의 30% 이상 연구내용 - 선행 연구(Kg 규모)를 통하여 최적 공정을 설계하고 각 단위 공정별로 효율
을 감축할 수 있는 기술 개발 극대화 및 효율성 평가.
○ 연구추진 체계 Ÿ 단위 공정: ①수산화 마그네슘 추출, ②마그네슘 염화, ③태양열 가열 및 태
양광 전기분해, ④마그네슘 가스 및 염소 회수, ⑤마그네슘
- 주관기관 : 전라북도 지역 내 조선기자재 업체
추진체계 atomizing 및 분말 제조, ⑥마그네슘 연소, ⑦엔진 개발
- 참여기관 : 선급, 전라북도 지역 대학 및 연구원 - (kg/batch)규모 공정 개발 결과를 pilot 규모(톤/batch)로 확대 실증
- 참여기업 : 전라북도 지역 내 조선기자재 업체 및 조선업체 Ÿ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심 공정 별 전문팀 구성, 종합 개발.
○ 사업화 방법 및 활용방안 Ÿ 동력 엔진 및 비상발전 엔진 등 도내 산업체 중심 협력 개발
- 20K 미만 탱커선에 대한 불활성가스장치 의무설치는 2015년경부터 도일될 것 ○ 사업화 방법 및 활용방안
으로 예상되며, 2015년 이후에는 질소발생기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 - Pilot 규모 기술 개발부터 동력엔진 관련 산업체 참여 협력 개발
할 것으로 예상됨 - 마그네슘 추출 및 분말은 새만금을 기지로 생산 시설을 구축
기대성과 - 금융위기 등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라북도 소재 중소형 조선소와 ※ 부록 : 제안과제에 대한 주요 그림.
공동으로 관련기술을 개발함으로서, 전라북도 소재 조선기자재업체 및 중소형
조선소의 기술 경쟁력 강화가 가능함
○ IMO의 20K 미나 탱커선 불활성가스장치 설치 의무화 요건 도입에 따른 국제
시장 선점
기관명 전북대학교 직 위 교수(센터장)
기관명 (사)한국선급 직 위 팀장 제 안 자
제 안 자 성 명 김 종 일 전 화
전 화 010-6290-9450 (e-mail)
성 명 이 경 후
(e-mail)

- 737 - - 738 -
08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09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과 제 명 차세대 태양전지 사업화 기술개발
과 제 명 터빈 운용 중 풍력블레이드 Autonomous Inspection 시스템 개발
연구기간 5년(2015년 ~ 2019년)

연 구 비 150억원(국비 150억원) 연구기간 3년 (2015년 ~ 2019년)

초고효율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및 R2RCIGS 박막태양전지 등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목표
사업화 촉진기술 개발
연 구 비 60억 (국비 60)
○ 초고효율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초박형 N-type 결정형)
연구내용 ○ R2R CIGS 박막태양전지(비진공 방식의 플렉시블 태양전지)
○ 건축 및 자동차, IT기기융합 일체형 고효율의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 ❍ 터빈운용 중 블레이드 사고의 약 절반은 운용 중 발생한 손상으로 이를 해결
연구목표
하기 위한 풍력 블레이드 Autonomous Inspection 시스템 패키지 개발
○ 고효율 태양전지 제조 기술 개발
· N-type 결정형 실리콘 태양전지 개발 ; PERL
· 초박형 고효율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개발 ❍ In-service 블레이드의 Autonomous inspection이 가능한 고경제성 시스
·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기술 개발 : 결정질 실리콘 + 박막 태양전지 템 패키지 개발
○ 대면적 고효율 CIGS 플렉시블 양산화 기술 개발 - 블레이드 실시간 처짐 감시 Tower-to-blade 레이저 변위 무선센싱 시스
· 낮은 제조 원가의 Roll-to-Roll Flexible Cell 및 모듈 양산 기술 개발 템 개발
ü Flexible 기판 소재 및 불순물 확산 방지막(Barrier film) 개발 - 블레이드 앞전, 뒷전 접착분리 탐지용 멀티콥터(Multi-copter) 시스템개발
개발방법 연구내용
ü 저가의 비진공 광흡수층 개발 - 블레이드 접착분리 검출용 내장형 무전원 무선 카메라 음향 센터 네트워크시

· 연속 양산 장비 개발 스템 개발
추진체계 ü 비진공 방식의 Roll-to-Roll 양산 장비 개발 : Printing, Electroplating - 블레이드 Autonomous inspection 시스템의 개발 및 검증용 5kw급
ü 5세대급 Se 열처리 및 Dry 장비 개발 Testbed 개발
ü Flexible 모듈 장비 개발 - In-Serveice MW급 터빈에 Autonomous Inspection 적용 연구
○ 차세대박막 태양전지 소재 및 사업화 기술 개발
· CZTS 박막태양전지 : In 대체 태양전지 광흡수층 개발
· 유기태양전지 : ITO 대체 투명전극 및 고효율 광흡수층 개발
· 실리콘 나노와이어 및 양자점(Quantum Dot) 태양전지 개발 개발방법
❍ 풍력발전시스템 및 제조사, 대학 등의 참여기관으로 사업참여

❍ R&D공모사업(광역선도,에너지기술개발사업)으로 진행할 계획
○ 수입의존도가 높은 박막 태양전지 모듈 및 장비를 국산화하여 세계시장의 추진체계
Needs인 저가화 및 고효율화에 능동적 대처와 세계시장 경쟁력 확보 가능함
기대성과 ○ 과제종료 후 국산화에 따른 수입 대체효과 및 상당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
할 것으로 기대되며, 고효율 및 생산성기술 국산화 개발로 기술의존도가 대폭 ❍ 블레이드 제작사의 In-Service blade MRO 기술확보에 따른 제품 부가가치
축소되고, 경쟁력강화 및 수출 모델 구현이 예상됨 향상
기대성과
❍ 운용 중 블레이드 검사비용의 획기적 절감 및 풍력터빈 운용 안정성 제고
○ 향후 태양광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태양전지 제품 ❍ 블레이드 검사 전문 Spin-off company 창업
및 원가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술혁신 필요
기 타 ○ 시장 주도형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고효율화 및 박막태양전지(실리콘 박막,
고려사항 CIGS) 집중 투자를 통한 GW급 태양전지 생산기술 확보를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
○ 저가화·고효율화가 가능한 차세대 태양전지(염료감응, 유기, 나노박막)의 상용화 기 타 ❍ O&M 관련한 사업으로 서남해 2.5GW 개발사업에 대비한 대형풍력발전기에
기술개발을 위한 전략적 투자를 통한 선도형 태양광 산업 육성 전략 수립 고려사항 대한 시스템 개발로 연구내용이 확대 되야함

기관명 전자부품연구원/ 직 위 선임연구원 기관명 ㈜휴먼컴포지트 직 위 대표이사


나노기술집적센터 제 안 자
제 안 자
성 명 정 학 준 전 화 010-3205-0672 성 명 양승운 전 화

- 739 - - 740 -
10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11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과 제 명 혹한지역 조사 및 비상조난시 생명유지와 위치전송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
과 제 명 보급형 16-슬라이스 CT 검출기 모듈 상용화 개발
연구회/분과명 신재생에너지연구회 / 연료전지분과
연구기간 3년(2015년 ~ 2018년)
연구기간 4년(2013 ~ 2018)
연 구 비 60억(국비 45억, 민자 15억)
연 구 비 47.5억원 (국비 35, 지방비 2.5, 기타 10)
○ 16-슬라이스 CT용 검출기 모듈 상용화로 CT시장 진입
○ -30∼50oC에서 적용가능하며 비상재난 시 생명유지 및 위치전송 등을 위해
연구목표 연구목표 ○ 기업이전 1건(2014), 기업이전 2건(2015), 기업이전 2건(2016)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DMFC 에너지저장장치 개발 ○ 2020년 매출 1,000억, 수출 800억 및 고용 200명 목표
○ 주요 사업내용
1) 착용이 가능하고 배터리 무게 1/2인 DMFC 시스템 개발 ○ 16-슬라이스 CT용 검출기 모듈 패키징 기술개발
○ CT용 세라믹 섬광체 기술개발
2) 5000m이상의 공기희박 조건에서 출력성능 구현
연구내용 ○ 16-슬라이쇼 CT용 검출기 PIN다이오드 개발
3) 수증기 배출시 얼음(Ice)형성 방지기술 개발
○ 초고속 DATA Acpuisition system 개발
사업 4) -30∼-50oC 저온운전 및 작동시간, 특성 분석
○ 16-슬라이스 CT용 ROIC 개발 및 Control board 개발
내용 5) 고산 또는 남극 등의 지역 실증시험
○ 1단계
○ 단계별 추진내용(3+2) - 센서 모듈화 패키징 공정기술 개발
- 세라믹 섬광체 모듈화 공정기술 개발
- 1 단계(2013∼2015, 3년) : 기술개발 개발방법 - CT용 고효율의 다결정 세라믹 섬광체 시제품 제작 및 특성평가
- 2 단계(2016∼2017, 2년) : 개발 제품 실증 및 - 16-slice CT 모듈용 PIN 다이오드 array 설계 및 시제품 개발
추진체계 ○ 2단계
○ 추진체계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관 및 기타 참여기업 - 센서 모듈화 패키징 공정 최적화
- 상용화 세라믹 섬광체 시제품 제작
○ 추진전략 - Dual mode 16-slice CT 모듈용 PIN 다이오드 array 설계 및 시제품 제작
-전북에 입지한 전국유일의 메탄올연료전지 전문기업을 활용한 사업추진
추진체계
-친환경 등산장비(고기능용 및 범용) 산업을 신성장산업화 ○ 도내 RFT 산업(첨단의료산업단지 등) 활성화 기폭제 역할
및 전략
-극지방 조사 및 고산지역 등반 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사진기, 무전기 등의 - 예상 매출액 : 4,000억원/2020년(전세계 저비용 CT 시장 10%)
- 직접 고용창출 : 400명, 간접고용창출 : 300명(2020년)
고가의 전자장비를 타겟팅
○ 관련기업 집중화로 전북도가 첨단 영상의료진단기기 산업분야 중핵적 역할 수
-연료전지 시장창출을 전북의 강점분야인 메탄올연료전지 분야가 선도 기대성과 행
○ 리퍼비시 CT 시장 확보
○ 전세계의 저사양 CT 업그레이드 시장 : 750억/500대(2020년)
기대효과 ○ 고부가가치 산업인 영하조건 등산장비 에너지저장장치 기술개발 ○ Mid Slice 및 High Slice CT 개발 기반 기술 확보
및 ○ 등산장비 에너지저장장치로부터 지역산업육성을 통해 향후 등산장비 관련산업 ○ 고정밀 방사선 계측기 및 컨테이너 검색기 산업 활성화
활용방안 지역 내 유치 및 산업 육성

○ 국외에서도 아직은 설치용에 많이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아직까지 혹한용, 비 기 타 ○ 산업체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 산업체와의 파트너쉽 구축과,
고려사항 이를 위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파트너쉽 구축 전략이 필요함
상재난용 개인장착 연료전지시스템은 개발된 사항 전무
기 타
고려사항 ○ 혹한지역 조사 및 비상조난시 생명유지와 위치전송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에
기관명 (주)사이메딕스 직 위 대표이사
대한 시장은 극지방탐사, 에베레스트산과 같은 고산등반에 적용되는 것으로 시 제 안 자
장은 크지 않지만 고부가가치 산업임 성 명 장용호 전 화
(e-mail)

기관명 자동차부품연구원 직 위 선임연구원


제 안 자
성 명 구영모 전 화 041-559-3160

- 741 - - 742 -
12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13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저선량․고해상도 직접 변환 방식의 TFT기반의 lycrystallineCdTe
과 제 명 3차원 엑스선 CT를 활용한 TSV 제품의 200㎚ 결함 검사 시스템의 개발 과 제 명
대면적디지털 X선 검출기 개발
연구기간 5년(2015년 ~ 2019년) 연구기간 5년(2015년 ~ 2019년)

연 구 비 135억(국비 100억, 민자 35억) 연 구 비 120억(국비 90억, 민자 30억)


200㎚ 결함의 전기 전자 제품을 3차원 엑스선 CT를 이용하여 초고속으로 검사하는 ○ 저선량·고해상도 직접 변환 방식의 디지털 X선 검출기의 영상 구현을 위한
연구목표 연구목표
검사시스템의 개발 “핵심 신호 처리 기술” 개발

○ Nano Focus 엑스선 발생장치의 개발 ○ 저선량·고해상도 직접 변환 방식의 디지털 X선 검출기의 영상 구현을 위한


○ 고감도 엑스선 검출기의 개발 “핵심 신호 처리 기술” 개발
○ 극정밀 Manipulation의 설게 및 제진 시스템 개발 ○ 저선량․고해상도의 대면적 디지털 X선 검출기의 구현을 위한 “방사선 검출 소
○ 엑스선 영상처리 기술의 확보 및 Artifacts 제거 필터 개발 자” 개발
○ 대용량 데이터의 처리방식의 개발 연구내용 ○ 신호 처리를 위한 “저잡음․ 저전력 Readout IC" 개발
- 고가의 해외 외산장비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엑스선 발생장치를 국산화 함으 ○ 영상신호 데이터획득 및 처리를 위한“Giga Bit 속도의 Data Acquisition
연구내용
로써 전북도를 중심으로 한 방사선 부품 소재 산업의 고용 및 매출 증대를 꾀 System (DAS)”개발
하며 일반 Tungsten타입이 아닌 LaB6 타입의 고분해능 엑스선 발생기를 개발 ○ 영상보정, 보간 등 영상 재구성을 위한 “영상 Software” 개발
함으로써 역수출까지 도모함 ○ Seamless Tiling을 포함한 “Packaging기술” 개발
- 엑스선 에너지로 유리된 전자/정공을 전류로 변환하는 직접방식의 엑스선 검출
기의 개발을 통해 산업용 CT뿐 아니라, 의료기기에 적용 가능한 원천기술 개발
을 전북 방사선센터의 선행개발을 통해 진행함
○ 도내 산학연 기관 연계 추진
○ 단계별 목표 - 전북지역은 신성장동력사업 및 신지역특화산업으로 방사선융합기술 산업육성을
개발방법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익산지역은 방사선영상의료산업 발전지원을 위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순번 항목 단위 목표 목표 목표 및 종합의료과학산업단지를 조성하여 운영중에 있으며, 방사선 영상기기 개발에
추진체계 있어서의 기초 연구(원광대학교)에서부터 성능 테스트(전북테크노파크)까지의
1 영상 2D/3D 분해능 um - 0.8 - 0.6 - 0.4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음
개발방법 - 이를 활용하여 본과제를 수행하고, 성공적으로 완료 할 계획임
2 대상 제품 최대 Size mm - 250X80 - 250X80 - 250X80

추진체계 3 기구 이송 정밀도 nm - 0.8 - 0.4 - 0.2
○ 특정분야에 치우친 국내 반도체 산업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새로운 분야의 시장
자동검사 정확도 % - 70 - 85 - 98
4 을 개척함으로써 수출은 물론 무역수지 개선에 이바지함.
검사시간 sec/fov -2000 -1500 -1200 ○ 방사선 환경에서의 반도체 설계 핵심기술은 전자공학, 재료공학, 원자력 및 방
5 (800㎚ 해상도)
사선학 등의 여러 분야의 학문을 필요로 하는 종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 반도체 분야 뿐 아니라 스마트폰을 비롯한 전자 부품들의 3차원 전수검사에 활용 향후 인공위성 및 우주시대를 위한 IT기술의 필수적이며 미래지향적인 기술을
기대성과
하여 국내 전자 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함 상용화함.
○ 국내 3만여 자동차 부품업체들의 다이캐스팅 및 주조 주물 제품의 기공 검사에 ○ 본 과제의 성공과 사업화로의 성공확률 제고 및 기간단축, 좀 더 넓고 장기적으
적용하여 국내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함 로는 본 과제 수행을 통한 첨단 의료기기 산업의 Bottle-neck 중 하나인 고
○ 대당 10억원이 넘는 고가의 외산장비의 국산화를 통해 국내 관련산업의 경쟁력향 속, 저잡음 ASIC 설계기술에 대한 Solution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다른 의료기
기대성과 기 산업에의 확대 및 파급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음.
상에 기여함
○ 핵심 원천 기술인 엑스선 발생기의 개발에 따라 지역 내 부품소재 산업의 활성화
에 기여함
기 타 ○ 산업체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 산업체와의 파트너쉽 구축과,
○ 본 기술은 산업용 CT뿐 아니라 기존 현미경 영역에서 관찰 할 수 없었던 생체
고려사항 이를 위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파트너쉽 구축 전략이 필요함
실험을 가능하게 하여 관련 학계의 연구를 촉진함

기 타 ○ 산업체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 산업체와의 파트너쉽 구축과


고려사항 이를 위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파트너쉽 구축 전략이 필요함 기관명 (주)룩센테크놀러지 직 위 대표이사
제 안 자
성 명 소명진 전 화
(e-mail)
기관명 (주)자비스 직 위 대표이사
제 안 자
전 화
성 명 김형철 (e-mail)

- 743 - - 744 -
14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15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과 제 명 대면적 수직형 LED용 불량검사 기능의 웨이퍼 본더 및 LLO 모듈 통합 시스템 개발 Plasma Actuator를 이용한,
과 제 명
항공기 및 풍력발전 유동제어 원천 기술 개발
연구기간 3년(2015년 ~ 2017년)
연구기간 5년(2015년 ~ 2019년)
연 구 비 53.6억원(국비 40, 민자 13.6)
연 구 비 200억
❍ 급가열/급냉각 방식을 이용하여 대면적 수직형 LED 웨이퍼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연구목표 :
연구목표 웨이퍼 본더와 비파괴 초음파 방식을 이용한 전수검사를 토대로 Laser Lifter Off
- Plasma actuator를 이용해 유동 제어가 가능한
까지 완료하는 통합 장비개발 연구목표 - 차세대 항공기 및 풍력발전기 부품 개발
❍ 급가열/급냉각 방식의 대면적 수직형 LED 제조용 wafer bonder 개발 - 신재생 에너지 (풍력발전) 및 차세대 항공 분야는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 기판 크기 : 6~8인치 유망산업 분야로, 고도로 발달된 국내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Plasma
필요성 actuator 유동 제어 원천 기술 개발을 통해, 세계를 선도하는 풍력발전기 및
- 온도 균일도 : ± 2% 이내(Max 500℃)
항공기 부품 제작이 가능함.
- 온도 Ramp Up : 50℃/min (선진사 최대 30℃/min) - 이를 통해 국내 항공기부품 및 풍력발전기 부품 산업의 비약적인 성장이 가능함.
- 온도 Cool Down : 50℃/min (선진사 최대 20℃/min to 150℃) ○ 주요내용
- Alignment accuracy after bonding : ± 2%이내 o Plasma actuator 기초 연구
❍ 초음파 방식의 비파괴검사 모듈 개발 - PA (Plasma Actuator) 설계 및 유체/플라즈마 전산모사
연구내용 - PA 메커니즘 분석 및 유체/플라즈마 거동 측정/분석
- 초음파 chamber 및 초음파 scan unit 개발 ( 초음파 분해능 : 5um )
- PA 설계 개선 및 신개념 PA 설계
- Vision system부 개발 (Camera Size : 5.2um) o Plasma actuator 적용 Lab-scale 부품 제작
❍ 대면적 수직형 LED 제조에 최적화된 Laser Lifter Off 개발 - PA를 이용한 유동 제어 기본 실험
- 항공기 기체 유동 제어를 위한 부품 설계/제작
- Beam Delivery System(BDS) 향상 : Analyzing optics align error factor
- 풍력 발전기 Blade 유동 제어를 위한 부품 설계/제작
- homogeneity : ± 3%이내 - Lab-scale 부품 상, 유체/플라즈마 거동 측정/분석 및 개선
- Beam size : 7mm X 7mm ○ 개발방법 및 추진방법
- Laser system : wavelength(248nm), pulse energy(800mJ) o KIST
❍ 개발방법 - PA 설계/제작 및 시험 구동
- PA 기초 실험 및 플라즈마 거동 분석
- PA 유체 유동 모델링, 유체 거동 분석 실험
- PA 적용 부품 대응 가능한 복합소재 성형 기술 개발
개발방법 연구내용 o 전북대
및 - PA 부품 실험을 위한 풍동 제작
추진체계 - PA에 의한 항공기/풍력 발전기 부품 유체 유동 거동 분석
- 극한 조건 (고온, 고속 등)에서의 PA 항공기 부품 거동 분석
o 군산대, 전주대
- PA 구동 시 플라즈마 모델링을 이용한 플라즈마 거동 예측
- Plasma에 의한 부품 Sputtering 효과 분석 및 방지 설계
❍ 6~8인치급의 웨이퍼를 본딩 및 LLO를 inline화 할 수 있는 양산형 통합 장비가 개 - 극한 조건에서의 PA 거동 분석을 위한 플라즈마/유체 거동
발될 경우 수직형 LED 양산에 걸림돌이었던 수율 및 공정시간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광학적/전기적 분석 방법 개발
o 데크항공
기대성과 판단되고 이에 따른 수직형 LED 양산 공정에서의 공정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발생
- PA 기술을 적용한 항공기 부품 설계, 개발 및 성능 시험
❍ 기존의 웨이퍼 본더 장비의 선진업체인 EVG, SUSS사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기술을 가질 o 에너지 기술 연구원
수 있고 또한 기술우위 확보 및 시장 점유율 확대에 의한 수입 대체 및 고용 창출 효과 - PA 기술을 적용한 풍력발전기 부품 설계, 개발 및 성능 시험

❍ 웨이퍼 본더에서 생산된 수직형 LED wafer를 전수검사 개념으로 초음파검사를 실시하고 이 ○ 사업화 방법 및 활용방안
기 타 과제 종료 후, PA 원천기술, 진단/제어 기술, 극한 조건 대응 기술 등 공동
를 Laser Lifter Off 하는 자동화 공정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장비의 개발을 통해 LED 소
고려사항 연구 결과에 대한 기술 이전 및 추가적인 Scale up 연구/적용
자를 제조/양산하는데 있어 수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소자의 신뢰성을 개선이 중요함
KIST 전북분원
기관명 직 위 연구원
제 안 자 복합소재연구소
기관명 나노솔텍(주) 직 위 차장 전 화
제 안 자 성 명 이헌수
전 화 (e-mail)
성 명 김진수 010-9439-5925
(e-mail)

- 745 - - 746 -
16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17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과 제 명 바이오부탄디올 이성질체 생산 기술 개발
과 제 명 바이오매스 기반 나노셀룰로스 소재 및 실용화 기술 개발
연구기간 5년(2015년 ~ 2019년)

연 구 비 50억(국비 35, 지방비 10, 시군비 5) 연구기간 5년(2015년 ~ 2019년)

생명공학 기술을 응용하여 바이오부탄디올 이설질체의 형태별(D, L, Meso) eofid 연 구 비 312억(국비 275, 지방비 25, 민자 12)
연구목표
생산 및 활용 기술을 개발
다양한 형태의 나노셀루로즈를 단리하는 수준 높은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연구목표
산업군의 현태에 맞춰 적합한 나노셀룰로즈를 효율적으로 적용하는 기술 확보

○ 안전한 미생물의 대사공학을 통하여 바이오부탄디올 이성질체 고수율 생산균주 ○ 바이오매스로부터 나노셀룰로스의 친환경 저비용구조의 제조기술 개발
개발 - 바이오매스로부터 셀룰로스 친환경 분리기술개발 및 나노셀룰로스 생산기술개발
- 바이오부탄디올 생성 안전한 미생물의 스크리닝 및 확보
○ 광합성 생산유래의 나노셀룰로스 생산기술 개발
- 대사공학 및 시스템생물공학 기술을 응용한 바이오부탄디올 합성대사 분석 및
재설계 - 세균유래의 셀룰로스합성 유전자 클로닝 및 고발현 유전자 특성 확인
○ 나노셀룰로스 복합재료의 특성분석 기술개발
연구내용 ○ 농공산업 유래 잉여/폐기물 유기물을 활용한 바이오부탄디올 생산 공정 기술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에 기초한 나노바이오 응용 분야의 기초자료 마련

○ 나노셀룰로스-나노황토 기반 단열 Composit 기술개발
- 바이오부탄디올 대량생산 산업 배지 및 공정 변수 최적화 연구내용
-고분자의 기계적 강도등을 크게 개선시킨 단열 코팅제 개발
○ 바이오부탄디올 및 균체의 상업적 활용 기술 개발 ○ 나노셀룰로스 기반 고분자 플라스틱 복합재료 기술개발
-바이오부탄디올의 생리활성 및 안전성 검증 -나노셀룰로스가 첨가된 수지 개발을 통해 기존의 섬유보강재 보다 강도가 크게
-바이오부탄디올 및 균체 활용 제품 개발
향상된 수지 개발
○ 나노셀룰로스 기반 의료용 고분자 기술개발
-화장품, 의료제품, 식이섬유, 인공피부, 창상피복제, 인공혈관 등에 활용되는 고
분자기술 합성 기술개발
○ 단계별 목표
-1단계(2014~2016)
개발방법
․ 다양한 바이오매스 자원에 대해 원료의 적정성을 평가 및 나노셀루로스 제조
및 개발방법 기술에 대한 연구진행(대량의 친환경 저비용 구조의 셀룰로스 나노섬유 제조
추진체계 및 기술 및 합성균주 개발)
추진체계 -2단계(2016~2018)
․ 셀루로오스 나노섬유로 강화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
고무 재료의 상품화를 위한 연구개발 추진
․ 셀룰로스 나노섬유와 혼합된 나노 황토소재 Composite의 개발 및 실용화 추진
○ 지역에서 풍부하게 발생하는 잉여/폐기성의 농업 유기물 자원과 우수한 발효미 ○ 바이오매스 유래의 바이오에탄올 및 바이오피파이너리 분야와 연계한 기술개발
생물 자원을 활용하는 지속가능 청정 바이오파이너리/바이오화학 산업 육성 필 기대성과 로 바이오화학산업의 시너지 효과
요 ○ 전주의 탄소산업, 고분자수지 및 펄프관련 산업체와 연계하여 실용화 제품개발
기대성과
○ 안전한 미생물을 활용한 바이오부탄디올 생산 기술을 확보하여 바이오화학뿐만
아니라 바이오 기반 작물보호제 등 농업분야 산업촉진(향후 16%의 바이오기반 기 타 ○ 산업체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 산업체와의 파트너쉽 구축이
작물보호제 시장의 고성장 전망) 고려사항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파트너쉽 구축 전략이 필요함

기 타 ○ 참여기업 등으로 개발 기술의 이전을 통한 사업화 추진(바이오화학원료 사업 및


고려사항 작물보고제 사업 등) 기관명 ㈜썬페치테크노 직 위
제 안 자
성 명 허달웅 전 화f 010-2166-8112
기관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직 위 센터장
제 안 자
성 명 김철호 전 화 010-9240-9668

- 747 - - 748 -
18 전북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2단계 기획과제 제안서
폐기물 매립지로부터 발생되는 매립가스의 플라즈마 개질을 이용한 수소 제조 및
과 제 명
이를 이용한 SOFC 발전기술 개발
연구기간 3년(2015년 ~ 2017년)
연 구 비 100억(3년)

√목표
- 폐기물 자원화를 통한 청정에너지의 생산과 지역발전 기여
- 순수 스팀 플라즈마 개질기 개발을 통한 H2 생산
- 스팀 플라즈마 개질기와 연계된 SOFC 발전 기술개발과 이를 이용한 전력생산
연구목표 √필요성
및 - 전북 소재의 관련업체 참여와 기술이전을 통한 상업화
- 청정에너지 확보의 필요성
필요성
- 전북 소재의 출연연 플라즈마 기술과 SOFC(Solid Oxde Fuel Cell) 연구기관 또
는 기업과의 기술 협력
- 전북의 특화된 기술확보
- 첨단기술 유치를 통한 지역사회 발전 필요성
√ 주요내용
- 전북의 폐기물 매립지역과 Field Test 공간 제공
- 매립지역의 매립가스 발생량 평가를 통한 자원화의 경제성 평가
- Hybrid 플라즈마 개질기 개발과 연계 공정개발
- 플라즈마 개질을 통한 합성가스 (CO, H2)생산 및 플라즈마 WGSR(수성가
스치환반응) 기술개발
- 플라즈마 개질기와 연계된 SOFC 발전 기술개발과 이를 이용한 전력생산
√ 개발방법 및 추진방법
- 협력체계

연구내용

√ 사업화 방법 및 활용방안
○ 산업적 측면
- 기술개발을 통한 관련 파생기술 확보
○ 지역적 측면
- 지역업체의 기술이전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
- 국내 매립지역의 최초 플라즈마 적용을 통한 지역위상 상승효과
- 청정 에너지 확보
국가핵융합연구소/플라즈마
기관명 직 위 선임연구원/팀장
기술연구센터
제 안 자
성 명 홍 용 철 전 화
(e-mail)

- 749 -
전남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The Second Stag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Jeonnam Science Park)

연구기관: 전남과학기술진흥센터

연구책임자: 윤 순 선
< 목 차>

Ⅰ.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755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755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및 입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757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
··
··
··
··
··
··
··
··
··
··
··
··
··
··
·759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9
2. 1단계 사업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1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
··
··
··
··
·766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766
2. 최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8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8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0
5.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9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0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2
8. 연구원 편성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3
9.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3

[첨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4

- 753 -
3) 과학기술진흥센터 인원 현황
I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소 속 직위 성명 참여율(%) 비 고
과학기술진흥센터 센터장 윤순선 40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팀 장 정영재 78
책임연구원 이윤정 76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인원 선임연구원 안영진 81
선임연구원 김학형 60
1) 주관기관 조직도
선임연구원 박용일 85
□ 주관기관 : 전남테크노파크 연구원 김민중 100
사업운영팀
□ 조직구성 : 2단, 5센터(부설센터 1), 3실 연구원 김상균 100
□ 근무인원 : 총 120명(‘14. 4 기준, 정규직 : 96, 위촉직 및 기타 : 24) 위촉연구원 최원일 76
연구원 신 규 - ‘14년 상반기
연구원 신 규 - ‘14년 상반기
연구원 신 규 - ‘14년 하반기
위촉연구원 신 규 - ‘14년 하반기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예산
(단위:백만원)
년 도
2013 결산 2014예산(안) 증 감
구 분
정부출연금 1,824 1,182 △642
지자체출연금 1,118 885 △233
기타 264 304 40
수 입(A) 3,206 2,371 △835
사 업 비 2,452 1,527 △925
2)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도
운 영 비 490 540 50
임대수익 232 264 32
장비수익 32 40 8
지 출(B) 2,846 2,084 △762
인건비 449 577 128
일반운영비 516 406 △110
연구개발비 1,752 933 △819
위탁관리비 129 168 39
A-B 360 287 △73

- 755 - - 756 -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입주 현황 2) 전남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율
□ 2010. 5 전남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공사를 착공하여 과학연구단지 사업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현황
수행 및 입주율 제고를 위해 1단계로 2011. 1 실험동(845㎡) 조기완공 후
□ 설립목적 : 기업 및 기관 입주 시작
□ 위 치 : 전남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703-8번지 □ 2012. 8 전남과학기술진흥센터 준공 및 2012. 11 센터 개원을 기점으로
□ 규 모 : 부지 19,835㎡, 건축 연면적 11,531㎡(지상 5층, 지하 1층) 연구기관, 기업, 지원기관 등을 적극 유치하여 2013. 10 이후 98.6 ∼
100%의 입주율을 유지하고 있음
□ 건축기간 : 2010. 5(착공) ∼ 2012. 8(완공)
□ 센터개원 : 2012. 11. 22
□ 전남과학기술진흥센터 연차별 입주현황
□ 주요시설 : 연구기관/기업 입주공간, 연구장비실, 교류시설, 교육시설 등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 현황

1) 전남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기업 및 기관 현황
□ 센터 임대시설 개요
○ 임대가능실수 : 41실(본관동 30, 실험동 11)
○ 임대가능면적 : 5,021㎡
□ 센터 연구기관/기업 입주 현황
○ 임대면적 : 4,955㎡/40실(입주율 : 98.6%)
○ 입주현황 : 12개 기관/기업 입주(연구기관 3, 기업 6, 지원기관 2, 기타 1)

연번 기관/기업명 구 분 입주면적(㎡) 비고
1 자동차부품연구원 연구기관 106 2실
2 G&C UDIN 기업 69
3 정원엔지니어링 기업연구소 171
4 중소조선연구원 연구기관 294
5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연구기관 217
6 D.M TECK 기업 150
7 신화이엔지 기업 68
8 한국종합설계 기업연구소 146
9 대한산업안전협회 지원기관 225
10 대명이엔지 기업 72
11 대불산학융합본부 기관 3,212 28실
12 정진홈푸드 구내식당 225

- 757 - - 758 -
R&D지원 ∘R&D통합지원시스템 ∘R&D통합지원시스템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체계구축 기획 기획
100

∘건축공사공정률
센터건립 ∘센터건축공사 100
85%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센터인프라 ∘센터 실험동 입주율
∘연구기관/기업집적화 100
활성화 100%
가. 최종 연구목표 ∘지역 기초원천연구
R&D지원 ∘3개 과제 지원 100
개발사업지원
□ 전남 지역 특화 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역 과학기술혁신 거점 ∘세미나, 워크숍개최 ∘4회 개최 100
2011 ∘R&D추진협의체운영 ∘회의 1회개최 100
구축 운영 ∘24개사 회원사 운영
지역연구 ∘전남기업부설연구
□ 기업 부설연구소, R&D기관, 기업지원기관 및 고가장비 집적화로 과학기술 ∘기업부설연구소설립 100
역량강화 소협의회 운영
지원 6개사
개발에 대한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한 기술교류의 장 마련 및 사업화 지원 ∘R&D사업계획서 작성 등
∘연구역량강화교육 100
□ 전남 서남권의 과학기술 발전계획의 현실화에 필요한 배후 지원 싱크탱크 11개 과정 운영
R&D지원 ∘R&D통합지원시스템 ∘R&D통합지원시스템
(think tank) 역할 100
체계구축 개발 개발
∘센터준공 (‘12.08)/
센터건립 ∘센터준공/개원 100
개원(’12.11)
나. 연차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센터인프라 ∘연구기관/기업집적화 ∘센터입주율 95% 100
활성화 ∘센터시설운영활성화 ∘센터 시설 14회 활용 100 외부활용
달성도 연구장비구 ∘연구장비 14대 조달
년도 연구목표 연구내용 달성내용 비고 ∘연구장비 14대 구축 100
(%) 축 발주 및 구축
∘센터 부지매입계약 ∘센터 부지매입계약 100 ∘지역 기초원천연구
2008 센터건립 ∘3개 과제 지원 100
∘센터 기본/실시설계 ∘기본/실시설계 방안 마련 100 개발사업지원
∘센터부지매입 ∘센터부지매입완료 100 ∘44개 회원사 운영
센터건립 ∘전남기업부설연구소
∘센터 기본/실시설계 ∘센터 기본/실시설계 80 2012 ∘기업부설연구소설립 100
협의회 운영
∘지역 기초원천연구 지원 7개사
R&D지원 ∘4개 과제 지원 100
개발사업지원 R&D지원 ∘연구장비전문가협의회
∘회의 2회 개최 100
중장기발전 ∘전남연구단지 중장기 ∘전남연구단지 중장기 운영
2009 100
계획수립 발전계획수립 발전계획수립 ∘R&D사업기획등 12개
∘연구역량강화교육 100
∘세미나, 워크숍 등 과정 운영
∘세미나, 워크숍개최 100
지역연구 4건 운영 ∘3차원설계 1개 과정
∘기술교육지원 100
역량강화 ∘R&D추진협의체 5회 운영
∘R&D추진협의체운영 100
운영 R&D지원 ∘R&D통합지원시스템 ∘R&D통합지원시스템
100
∘센터 기본/실시설계 ∘센터 기본/실시설계 100 체계구축 개발 개발
∘센터 건축공사착공 센터인프라 ∘연구기관/기업집적화 ∘센터입주율 100% 100
∘센터 건축공사착공 100
(‘10.5) 활성화 ∘센터시설운영활성화 ∘센터 시설 49회 활용 100 외부활용
센터건립
∘센터건축공사 ∘건축공사공정률 50% 100
∘‘13. 3 14대 구축 완료
∘센터실험동완공 ∘연구장비구축 100 총21대
∘센터 실험동완공 100 연구장비구 ∘‘14. 3 7대 구축 완료
(‘10.12) 2013
2010 축 및
∘지역 기초원천연구 ∼ ∘‘13. 3 14대 서비스개시
R&D지원 ∘2개 과제 지원 100 활성화
개발사업지원 2014 ∘장비운영활성화 ∘43개 기관/기업, 1955개 100 12개월
∘세미나, 워크숍 등 시료, 49백만원
∘세미나, 워크숍개최 100
지역연구 5회 개최
∘지역 기초원천연구
역량강화 ∘회의 7회개최 R&D지원 ∘4개 과제 지원 100
∘R&D추진협의체운영 100 개발사업지원
∘기획과제발굴 10건
- 759 - - 760 -
∘53개 회원사 운영 따른 지역 신성장동력산업 창출
∘전남기업부설연구소
∘기업부설연구소설립 100
협의회 운영
지원 6개사
□ 지역 인력양성 및 고용창출에 따른 지역 경제 활성화
∘회의 4회 개최
∘연구장비전문가 ㅇ 지역 내 우수 연구/기술 인력양성 및 신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인력 유출 방지
∘지역 연구장비정보망 100
협의회 운영
지역연구 구축(15개기관, 593대)
역량강화 ∘R&D사업기획등 5개
∘연구역량강화교육
과정 운영
100 나. 연구장비 구축성과
∘3차원설계, 구조해석 □ 센터 연구장비 구축 개요
등 IT교육 5개 과정 ㅇ 구축분야 : 조선/기자재, 신소재,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험분석, 해석 등
∘기술교육지원 100
∘FE-SEM등 연구장비
교육 6개 과정 ㅇ 구축장비
R&D지원 ∘R&D통합지원시스템 ∘‘13. 3 R&D사업, 교육, ­ 전계방출주자전자현미경 등 21종 21대
100
체계구축 정보제공서비스 장비 등 정보제공 ­ 통합해석솔루션 등 S/W 3종
ㅇ 구축장소 : 센터 본관동 1층 4개실(정밀분석실, R&D장비실, 정보장비실,
시료준비실)
2.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 성과
ㅇ 도입기간 : ‘12. 10 ∼ ’14. 3
ㅇ 도입예산 : 23.5억원(S/W 1.5억원 포함)
가. 센터건립 성과
□ 지역 연구개발 혁신역량 강화
□ 센터 연구장비 구축 추진경과
ㅇ 지역 내외 과학자/기술자들과 활발한 교류 및 연구여건 조성 등으로 시너지
ㅇ 센터 연구장비실 구축
효과창출
­ ‘12. 8 : 센터 연구장비실 건축 완료
ㅇ 전남 지역 특화산업(조선/기자재, 신재생에너지, 신소재) 산업의 기술
­ ‘12. 9 : 정보장비실 구축 완료
허브 역할 수행
­ ‘12. 10 ∼ : R&D장비실, 정밀분석실, 시료준비실 구축완료

□ R&D 지원체제 구축 : 전남 지역 특화산업 조기 안정화


ㅇ 센터 연구장비 1차 구축(‘11. 6 ∼ ’13. 3)
ㅇ 산·학·연·관 공동연구, 연구기관 및 고가 장비 집적 등을 통해 기업의 산업
­ ‘11. 9 : 연구장비구축 자문위원회 개최
환경 변화 대처 능력 제고
­ ‘12. 1 : 연구장비구축 수요조사 및 활용율조사
ㅇ 전남 지역 특화산업 및 전·후방 산업의 계열화/전문화로 산업구조 고도화
­ ‘12. 2 : 센터 구축예정장비 기업 설명회 개최
및 지역 과학 기술계획 현실화 지원
­ ‘12. 4 : 자체장비도입심의위원회 개최
ㅇ 지자체, R&D 전문가 등 지역 과학기술 RIS 체제 확립을 통한 실현 가능한
­ ‘12. 5 : 한국연구재단 고가연구장비 도입승인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포트폴리오 구성
­ ‘12. 6 ∼ : 연구장비 조달청 구매의뢰
­ ‘12. 10 ∼ : 센터 연구장비 입고 및 검수
□ 산업 인프라 확보를 통한 지역 산업 활성화
­ ‘13. 2 ∼ : 중기청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 선정
ㅇ 지역 R&D 환경, 정보화, 전문인력, 연구장비 등 산업 인프라 확보
­ ‘13. 3 ∼ : 센터 연구장비 설명회 및 시연회 개최
ㅇ 지역 산업 의존도 감소 및 다양화 추구(관련기업 계열화 및 연계 협력)
ㅇ 지역 특화산업 규모 확대, 지역 산업기술고도화
ㅇ 센터 연구장비 2차 구축(‘13. 5 ∼ ’14. 4)
ㅇ 대학 및 정부출연(연) 등 공동 연구를 통한 국가 선도 기술 조기 확보에
­ ‘13. 5 : 연구장비전문가협의회 구축장비 자문

- 761 - - 762 -
­ ‘13. 5 : 전남 지역 기업 간담회 개최 □ 지원현황(‘09. 12. ∼ ’14. 3 현재)
­ ‘13. 8 : 장비구축 수요조사 실시 ㅇ 지원건수 및 지원금액 : 16건, 1,461백만원(건당 88.8백만원)
­ ‘13. 9 : 자체장비도입심의위원회 개최 ㅇ 선정년도별 : ‘09년 4건, ’10년 2건, ‘11년 3건, ’12년 3건, ‘13년 4건
­ ‘13. 10 ∼ : 조달청 입찰공고 및 계약 ㅇ 지원분야별 : 조선·기자재 6, 신소재 3, 신재생에너지 4, 융복합기술 3
­ ‘13. 12 ∼ : 장비 입고 및 검수
­ ‘14. 2 ∼ : 중기청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 선정 □ 주요성과

년 도
□ 센터 연구장비 운영 개요 구 분
2010 2011 2012 2013 합 계
ㅇ 운영인력 : 총 3명(박사 1, 석사 2)
합 계(건) 25 31 39 27 122
ㅇ 운영개시
논문게재(편) 6 7 8 5 26
­ 1차 운영개시 : ‘13. 3. 25(14종 14대)
SCI/SCIE 2 3 3 - 8
­ 2차 운영개시 : ‘14. 6. 9(신규장비 6종 6대)
비SCI/SCIE 4 4 5 5 18
ㅇ 운영현황 및 계획
학술발표(편) 12 20 24 14 70
운용장비 활용기관/ 국내 4 6 9 10 29
구분 시료수(개) 가동률(%) 수익금(천원)
대수(대) 기업수(개)
국외 8 14 15 4 41
‘13년 실적 14 39 1,495 46 36,096
지식재산권(건) 6 2 5 4 17
‘14년 목표 20 60 2,500 60 70,000
특허 4 2 3 3 12
전년대비(%) 150 154 167 130 194
프로그램등록 2 - 2 1 5
기술이전(건) 1 2 2 4 9
ㅇ 센터 연구장비 활용 R&D 및 지원사업 추진 성과
이전금액(천원) 4,000 - 43,800 56,800 104,600
­ ‘13년, ’14년 중소기업청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 선정 및 시험분석지원
­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참여
· 과 제 명 : UV Prepreg를 이용한 27Feet Class 레저보트 생산기술 개발 라. 기타성과
· 사업기간 : ‘11. 12 ∼ ’13. 11(24개월) □ 산·학·연 기술교류
· 사 업 비 : 115백만원 ㅇ 산업분야별 R&D 추진협의체 운영
· 수행내용 : 센터 정보장비를 활용한 UV Prepreg 제조 시스템 3D 기반 ­ 목 적 : 전남 과학연구단지의 특화산업 기술경쟁력 강화 및 산업분야별 종합
설계, 구조해석, 센서기반 계측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발전계획 수립 및 추진
­ 운영기간 : ‘09. 7 ∼ ’11. 4
다. R&D 지원성과 ­ 구 성 : 산‧학‧연 전문가 26명

□ 연구개발사업 개요
ㅇ 사 업 명 : 기초원천연구개발지원사업 ㅇ 기업부설연구소 협의회 운영

ㅇ 목 적 : 전남특화산업 및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연구개발 지원으로 지역 ­ 목 적 : 기업연구개발 주체인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역량 및 기술경쟁력 강화

기초원천 연구 경쟁력 강화 및 과학기술혁신을 도모 ­ 운영기간 : ‘11. 5 ∼

ㅇ 지원분야 : 조선·기자재, 신재생에너지, 신소재, 융복합기술분야 ­ 회 원 사 : 전남 소재 기업부설연구소 53개사(‘14. 4 기준)

ㅇ 지원내용 : 대학 또는 연구기관과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 ※ ‘14년 80개사 규모로 확대 예정(기업연구전담부서 포함)

- 763 - - 764 -
ㅇ 연구장비전문가협의회 운영
­ 목 적 : 지역내 연구장비 전문가를 활용한 기업 R&D지원 및 연구장비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공동활용 정보망 구축
­ 구 성 : 지역내 연구장비 보유 대학 및 기관 소속 전문가 10명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필요성
가. 국가 R&D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ㅇ 기술교류 추진실적
ㅇ 추격형 R&D 전략에서 창조형 과학기술 체제로의 국가 R&D 정책 전환
기술교류명 개최건수(회) 참여인원(명) 비 고 ­ 창의성을 경제의 핵심가치로 두고 새로운 부가가치, 일자리, 성장동력을
과학연구단지 추진연구회 6 28 만들어 내는 창조 경제로 정책 전환
산업분야별 R&D 추진협의체 12 94 ­ 국가 R&D 정책 방향을 과학기술과 ICT를 他산업 분야에 융합하여
기업부설연구소협의회 10 140 부가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시장 및 수요 창출로 설정
연구장비전문가협의회 9 65 ※ 중장기적으로는 기초과학 육성 및 과학기술을 통한 미래 유망 신산업
세미나/워크숍/포럼 등 12 1,027 발굴 육성으로 R&D 정책 방향 설정
합 계 49 1,354 ­「창조경제를 통한 국민행복과 희망의 새시대 실현」을 위해 경제단체의
의견과 각 부처 계획 등을 바탕으로, 3대 목표, 6대 전략, 24개 추진 과제선정
□ 지역연구역량강화 및 전문인력양성 ㅇ 아이디어를 사업화하여 質높은 창업을 활성화하고, 끊임없이 재도전하는
ㅇ 지역연구역량강화교육 「창업-성장-회수-재도전」의 선순환 구조 정착 추진(창조경제 실현을
­ 교육목적 : 지역 연구개발인력의 연구역량과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통한 위해 벤처 생태계 조성을 핵심전략으로 선정)
지역 R&D 활성화 및 미래 산업 창출 ㅇ (개방형 혁신 확산) 폐쇄형 R&D에서 내·외부 혁신주체 간 연계에 기반을
­ 운영기간 : ‘11. 9 ∼ ’13. 12 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으로의 R&D 패러다임 변화
­ 교육과정 : 연구기획 방법론 등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전주기 과정 ­ 범부처 차원의 융복합연구 확대를 위해 기획부터 제품화까지 전주기에
걸친 범부처 R&D 협력에 대해 우선적 지원 하는 융․복합 연구 활성화
ㅇ 지역전문연구인력양성 및 사업구조 개편
­ 교육목적 : 지역 연구개발인력의 연구역량 및 기술 경쟁력 강화를 통한
지역 R&D 전문인력 양성 나. 지방과학기술정책의 환경 변화
­ 운영기간 : ‘11. 9 ∼ ’13. 12 ㅇ 최근 OECD 국가들을 중심으로 국가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
­ 교육대상 : 지역내 대학, 연구기관, 기업 소속 연구인력 단위 발전을 위한 혁신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수도권과
­ 교육과정 : 3D 기반 설계/렌더링, 구조해석, 시험분석전문가 과정 대전 중심의 R&D 및 자원 집중에 따른 불균형 심화
ㅇ 지역발전을 위한 필수 요소로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지방에서도 인식하고
ㅇ 지역연구역량강화 추진실적 있으나, 혁신 자원 및 관련 지원사업 부족으로 과학기술을 바탕으로한
교육과정 교육과정수 참여인원(명) 비 고 지역경제성장 동력 확보 한계 봉착
지역 연구역량강화 교육 29 733 ㅇ 지역 특화산업 역량강화를 통한 지역경제활성화 및 미래 산업 창출을 위해
3D 설계 및 구조해석 5 75 지역 연고자원, 연구인력, 연구인프라 등 통합 지원체계 구축 필요
시험분석전문가 과정 6 30 ㅇ 지역 발전을 위해 지역이 주도적으로 R&D 추진할 수 있도록 지역 자율의
합 계 40 838 과학기술정책 추진 요구

- 765 - - 766 -
­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에서 지역의 자율과 책임성 강화 및 2. 사업의 최종목표 및 내용
지역 특성화 과학기술 역량 제고를 목표로 8대 중점추진과제를 제시
­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 R&D 투자 특성화·내실화를 위해 지역 중소·중견 가. 사업비전
기업 R&D 지원확대 및 지역 특화 산업에 관련된 R&D 중점 추진 요구
비전
다.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를 통한 지역 과학기술 혁신 필요
ㅇ 그동안 지역차원의 기초원천연구 분야의 지원, 연구역량강화를 위한 체계
지역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미래 신산업 창출
구축, 과학기술정책기획 및 추진, 체계적인 연구자원의 관리·활용, 기업
연구조직 및 연구인력 육성 등에 대한 지원 및 투자가 미흡한 실정으로
목 표
지역 과학기술 발전계획의 현실화, 지역 산업발전 및 미래산업 창출을 위해
지역 기초연구 활성화 및 연구성과 확산을 통한 과학기술 혁신
지역 연구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을 활성화를 통한 지역특화산업 육성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의 추진이 필요
ㅇ 1단계 사업을 통해 구축된 센터 건물, 연구장비 등 인프라와 지역내 대학,
연구기관, 기업연구조직 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 산업발전을 위해 지역 과학기술 발전 및 R&D 역량강화를
위한 지역 거점기관 구축이 필요
ㅇ 지역 대학, 연구기관 등의 우수연구성과물의 사장 및 유휴 방지와 산· 추 진 전 략
학·연 공동 R&D에 중심에 기업 연구 조직이 적극 참여하여 우수연구성과물을
지역특화분야의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바탕으로 기업의 연구역량강화, 기술력 확보 등을 통해 기업 고부가가치
기술이전 활성화 및 창업 지원 강화
창출 및 고용촉진 등 유발할 수 있는 지역 사업 필요
ㅇ 지역의 열악한 연구여건, 출연연 부재 등으로 인해 지역 기업의 R&D 지원에
지역 연구역량강화를 통한 지역 특화산업 발전 및 미래산업 창출
한계 봉착으로, 지방과학연구단지 1단계 사업으로 구축한 연구장비와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고 센터 연구인력을 확충하여 지역 과학기술혁신 거점기관
및 지역연구역량강화 전문기관으로서의 지역내 역할정립 및 위상강화 필요
ㅇ 전남지역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수단으로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중 점 추 진 과 제
지역에 맞는 특성화된 지역 발전 전략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지역의 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 지역수요기반 R&D 활성화
수요와 비교우위 자원에 기반한 고유의 과학기술 혁신 역량 구축과 지역별 ○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거래 활성화 ○ 지역수요기반 R&D 발굴
특화된 R&D 사업 추진 부각
ㅇ 지역 내 연구개발 투자 ·인력 등 연구개발 역량 부족으로 국가연구개발예산
○ 이전기술 사업화 촉진 ○ 산·학·연 공동 R&D 활성화
확보가 타 지역에 비해 원활하지 않고(정부 연구비 대비 1%대) 특정 부처
○ 기술이전 네트워크활성화 ○ 우수연구성과물 활용도 제고
 특허활용 창업 활성화  산학연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에 편중되어, 원천적인 기술확보를 통한 중․장기적인 발전방안 보다는
기술사업화 중심 추진체계로 신성장 동력 발굴의 한계점 봉착
○특허활용 창업기업 발굴 및 육성 ○ 지역과학기술정책 발굴 및 기획
ㅇ 국가 R&D 예산 확보 중심의 사업기획과 즉응적(卽應的) 연구개발 추진보
다는 지방과학연구단지 2단계 사업을 통하여 지역 자율적 성장동력을 갖춘
○창업기업 역량강화 및 기술사업화 촉진 ○ 중소기업 기술경쟁력강화 및 사업다각화
특성화된 지역발전 실현을 위하여 지역 R&D 투자에 있어 중앙과 지역의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기업연구조직역량강화및R&D수행체계구축
조화, 지자체 R&D 기획·관리 능력 강화 등으로 투자 효율성 극대화

- 767 - - 768 -
나. 사업 최종목표 다. 최종목표달성을 위한 세부사업

□ 지식재산활용도제고 1)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ㅇ 전남 특화산업분야 기업의 기술수요를 반영하여 지역대학, 연구기관 등의 유망 □ 사업필요성
기술 발굴·이전하여 연구성과의 기술사업화 촉진 및 기술거래 활성화 ㅇ 지역 특화산업분야의 기술수요·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이전 활성화를 통한 지역
ㅇ 사업수행 주체의 기술사업화 지원 역량 강화하고, R&D 사업 및 지역 연고자원 특화산업 발전 및 지역 중소기업 성장확충 기반 마련 필요
등을 활용한 지역내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촉진 ㅇ 지역 대학, 연구기관 등 우수 연구 성과물 및 지역 지식재산(IP) 경쟁력강화를
ㅇ (정량적 목표) 기술저장 1,100건, 기술이전 140건, 사업화촉진 120건 통한 산·학·연 연계협력 및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해 기술저장소 구축/운영 필요
­ 정량적 목표설정 근거 : 기술저장소구축,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건수
□ 사업내용
ㅇ (기술저장소구축/운영)
□ 지역수요기반 R&D사업
­ 지역내 우수기술 사장방지 및 기술거래 활성화를 위한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ㅇ 지역수요 기반 R&D 발굴 지원체계 구축 ㅇ (기술거래활성화)
ㅇ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우수연구성과물 창출을 통한 지역 특화 산업 발전 ­ 지역내 기업/대학/연구기관 등 현황조사 및 기술이전 대상자 DB 구축
및 일자리 창출 ­ 특화산업분야 수요기업, 우수기술 발굴 및 기술이전
ㅇ (정량적 목표) R&D 기획 200건, 특허 120건, 논문 155건 ㅇ (기술사업화촉진)
­ 정량적 목표설정 근거 : 기획위원회 200개, 가교형 R&D 20개과제, 산학 ­ TRL 단계별 이전기술 및 기업 역량 등의 분석을 통한 R&D 사업기획,
연공동연구법인 4개과제 지원 이전기술의 기술사업화 자금 및 지역사업 등 연계 지원
­ 지역특화산업 관련 지자체 정책 자금 및 기술금융과 연계를 통한 기술
□ 특허활용창업기획사업 사업화 자금 연계지원
ㅇ 지역 우수특허 및 기술이전 등을 통한 특허를 활용하여 지역 내에 잠재되어 ­ 기술이전조직의 전문성 확보 및 기술사업화지원 기관간 연계 강화
있는 창업 희망자를 발굴 지원함으로써 지역 기업 및 일자리 창출
ㅇ 특허활용창업 기업 설립 기획에서 사업화에 이르는 전 단계를 체계적으로 지원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함으로써 지역내 신규 창업자 육성 및 창업 분위기 확산
□ 사업필요성
ㅇ (정량적 목표) 창업 35개사, 창업기업 일자리창출 49명
ㅇ 지역 특화산업 육성 및 미래산업 창출을 위해 지역 수요기반 R&D 사업의
­ 정량적 목표설정 근거 : 창업기획 100건, 경진대회 15건, 교육 100개 과정
지속적인 발굴 체계 구축 필요
ㅇ 지역내 우수연구성과물의 창출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해 가교형 R&D 사업
□ 산학연네트워크활성화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등 후속연구지원 필요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 및 전문가 협의회 등을 통한 지역과학기술역량강화
□ 사업내용
ㅇ 전남 지역 기업연구역량강화를 통한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력 경쟁력 제고 및
ㅇ (지역수요기반 R&D 기획)
자체 R&D 능력 강화
­ 지역 중장기 R&D 수요발굴(TRL 1∼5 단계) 및 DB 구축
ㅇ 기업 연구조직 역량 강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기업 R&D 수행체계 구축
­ 지역 수요기반 산·학·연 공동 R&D 기획위원회 운영
ㅇ (정량적 목표) 과학기술정책기획 50건, 기업 R&D발굴 100건, 연구소설립 50개사
ㅇ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지원)
­ 정량적 목표설정 근거 : 과학기술정책교류회 160회, 기업 R&D연구회
­ 가교형 R&D 사업 및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지원
100개, 연구소설립 및 연구조직컨설팅 150건 지원
- 769 - - 770 -
­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우수 연구성과 확산 및 일자리창출 ­ 지역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의 과학기술교류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ㅇ (중소기업 지원 네트워크)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 중소기업 자체 R&D 기획역량강화를 위한 R&D 기획 전문가 양성
­ R&D 사업 발굴 전문가 컨설팅 및 지역내·외 전문가 연계 R&D 기획지원
□ 사업필요성
­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문 기술 교육
ㅇ 우수특허의 기술이전 및 특허 출원 등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지역내 과학기술
­ 지역내·외 전문가 연계 기업애로기술해결 및 사업다각화 지원
기반 창업희망자를 조기 발굴·지원하여 지역 창업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필요
ㅇ (중소기업연구역량강화)
ㅇ 특허활용창업 기업 설립 기획에서 사업화에 이르는 전 단계를 체계적으로 지원
­ 기업연구소설립 설립·육성 및 연구소 맞춤형 인력양성 지원
함으로써 지역내 신규 창업자 육성 및 창업 분위기 확산 필요
­ 기업연구조직의 연구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및 컨설팅 지원
□ 사업내용
ㅇ (On/Off line 멘토링)
라. 세부사업별 목표 및 연구내용
­ 창업 희망자의 우수아이디어 특허출원 및 등록, 기술이전 등 지원
1)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 특허활용 창업 기업의 기술, 경영, 사업화 연계 컨설팅 지원
ㅇ (창업기획/창업경진대회) □ 사업목표

­ 특허활용 창업 희망자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 창업기획 지원 및 우수한 ㅇ 전남 특화산업분야 기업의 기술수요를 반영하여 지역대학, 연구기관 등의

연구인력의 고용지원을 위한 취업박람회 등 지원 유망기술 발굴·이전하여 연구성과의 기술사업화 촉진 및 기술거래 활성화

­ 지역내 우수 R&D 성과물 및 아이디어 창업을 전제로한 창업경진대회 ㅇ 사업수행 주체의 기술사업화 지원 역량 강화하고, R&D 사업 및 지역

추진을 통해 지역 창업분위기 확산 연고자원 등을 활용한 지역내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촉진

ㅇ (창업아카데미운영)
<표> 지식재산활용도제고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 창업 희망자에게 창업교육, 기업가정신교육, 기업운영관리교육, R&D 관련
교육과 창업자간 교류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창업동아리를 지원함으로써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성공적인 창업 및 창업후 창업기업성장 지원 지역 기술 ·지역 기술저장소 구축
기술저장소 구축/운영
저장소 구축 ·지역 우수특허 저장 : 1,100건

4) 산학연네트워크활성화 ·특화분야 기업DB구축 : 2,000개사


지식재산 기술거래 지역특화산업 맞춤형 ·지역특화 우수기술발굴 : 1,000건
□ 사업필요성 활용도제고 활성화 기술이전 ·지역 지재권 전수조사 : 10건
사업 ·우수기술이전 : 140건
ㅇ 지역 과학기술생태계를 최적화를 위한 지역과학기술정책 기획 및 계획
·R&D 기획지원 : 50건
수립 등 지역 수요기반 정책 발굴 필요 이전기술
이전기술 사업화 ·기술금융연계지원 : 20건
ㅇ R&D 기획 및 기술역량이 부족한 지역 중소기업 연구조직을 집중육성 사업화 촉진
·지역사업연계지원 : 50건
및 연구역량 강화 지원을 통한 지속 가능한 기업 R&D 수행체계 구축 필요
ㅇ 지역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사업 발굴·지원 및 기술경쟁력강화를 통한 □ 세부사업내용
기업 주도형 R&D 수행 및 사업 다각화를 통한 지역산업 발전모델 필요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사업내용
지식재산 ㅇ 기술저장소 구축 및 운영
ㅇ (지역과학기술 기획/교류회) 지역 우수
활용도제 · 지역 특화분야(조선·해양, 신소재, 생물, 신재생에너지) 관련
­ 지역과학기술정책 발굴 및 기획을 위한 지역과학기술 정책교류회 운영 기술 발굴
고사업 대학, 출연(연), 기업의 기술·노하우·특허 저장 및 기술이전

- 771 - - 772 -
ㅇ 전라남도 기업/대학/연구기관 등 현황조사 및 DB 구축
2) 지역수요기반 R&D사업
· 지역 기업의 현황조사(전체 기업, 특화산업 기업군) 및 □ 사업목표
DB 구축 ㅇ 지역수요 기반 R&D 발굴 지원체계 구축
· 지역 대학, 연구기관 등 보유기술/우수연구성과 현황조사 ㅇ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의 우수연구성과물 창출을 통한 지역 산업 발전 및
및 DB 구축
일자리 창출
· 지역 연고자원(지역사업, 연구자, 연구인프라 등) 현황
조사 및 DB 구축
ㅇ 특화산업분야(조선·해양, 신소재, 생물, 신재생에너지) <표> 지역수요기반 R&D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기술거래 수요기업 및 우수기술 발굴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활성화 · 지역 특화산업 산업군에 맞춘 기업 수요조사 및 DB 구축
· 기술수요 기반 지역내 및 지역외 우수기술 발굴 및 DB 구축 ·지역 중소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
지역수요기반 지역수요기반 R&D 발굴 중장기 R&D 수요발굴 : 400건
· 연구개발지원단, 지역혁신창의인력양성사업, LINC 사업단,
R&D 발굴 ·지역수요기반 R&D DB구축
전국 10개 과학센터 등과 연계한 수요기업 맞춤형 우수
지원체계 구축 산·학·연 공동 R&D 기획을 ·산학연 중장기 R&D 기획 : 200개
기술 발굴
지역수요 통한 우수 연구과제 도출 ·R&D 사업 참여건수 : 50건
ㅇ 기술마케팅 및 기술이전 기반
· 발굴된 우수기술의 SMK 작성 및 설명회, Lab 및 기업 R&D사업 지역수요기반 지역수요기반 ·가교형 R&D 사업지원 : 20건
R&D사업을 R&D 활성화 ·산학연공동연구법인사업지원 : 4건
방문 등 기술마케팅
통한 지역산업 ·특허 : 120건
· 기술가치평가 및 기술수요자와 기술공급자간 기술이전 우수연구성과물 및
발전 및 ·논문 : 155건
ㅇ 기술사업화 촉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창출
·일자리 창출 : 65명
· 지역 대학, 연구기관, 기업지원기관과 협력을 통한 TRL
단계별 이전기술 및 기업 역량 등 분석에 따른 R&D 사업,
기술사업화 등 연계 지원 □ 세부사업내용
· 지자체의 지역전략․특화산업과 연계한 정책 자금 및 투자·
기술사업화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융자를 연계하여 능동적 기술금융 지원 및 기술사업화 지원
촉진
ㅇ 기술이전조직의 전문성 확보 및 기술사업화지원 기관간 연계 강화 ㅇ 지역 중장기 R&D 수요발굴(TRL 1∼5 단계)
· 센터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전문인력 양성, 통합기술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수요 발굴 및 R&D 기획 컨설팅
이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개발 및 역량 강화 · 지역 대학, 연구기관 등 중·장기 R&D 수요 발굴
· 지역내·외 기술이전조직, 지역내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 지역수요기반
· 지역 수요기반 R&D DB 구축
지원 기관간 연계 강화를 통한 이전기술의 사업화 지원 R&D 발굴
ㅇ 지역 수요기반 산·학·연 공동 R&D 기획 연구회 운영
지원체계 구축
(가교형 R&D,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포함)
지역수요
ㅇ 중앙정부, 지자체 등 중소기업 중·장기 R&D 수요 정보
기반
공유 및 지역 중소기업 R&D 지원 정책 발굴 지원
R&D사업

지역수요기반 ㅇ 가교형 R&D 사업,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사업 평가·관리


R&D사업을 통한 ㅇ 가교형 R&D 사업 및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사업 연구성과
지역산업 발전 및 확산 및 일자리 창출 지원
일자리 창출 ㅇ 우수연구성과물 기술이전 및 기술창업 지원

- 773 - - 774 -
3) 특허활용창업기획사업 4) 산학연네트워크활성화사업
□ 사업목표 □ 사업목표
ㅇ 지역 우수특허 및 기술이전 등을 통한 특허를 활용하여 지역 내에 잠재 ㅇ 전남 지역 과학기술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 수요기반 과학기술 정책 기획
되어 있는 창업 희망자를 발굴 지원함으로써 지역 기업 및 일자리 창출 및 특화산업분야별 중장기 발전 계획수립
ㅇ 특허활용창업 기업 설립 기획에서 사업화에 이르는 전 단계를 체계적으로 지원 ㅇ 전남 지역 기업연구역량강화를 통한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력 경쟁력 제고 및
함으로써 지역내 신규 창업자 육성 및 창업 분위기 확산 자체 R&D 능력 강화
ㅇ 기술교류, 산학연 공동 R&D 사업 기획 등을 통한 기술교류를 통한 중소기업
<표> 특허활용창업기획 세부사업별 목표 연구역량강화 및 사업 다각화
ㅇ 기업 연구조직 역량 강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기업 R&D 수행체계 구축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ㅇ 중소기업 연구소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지역 우수연구인력 일자리 창출
·특허 출원 및 등록지원 : 100건
·특허활용 창업기획지원 : 100건 ㅇ 전남 지역 연구역량강화를 위한 전문교육 기관 역할 수행
·특허활용 창업 : 35개사
특허활용 특허활용 특허활용 창업기업 발굴 ·창업기업 일자리 창출 : 49명
창업기획 창업기업 및 지역 창업분위기 ·창업기업 기술 및 경영컨설팅: 50건
<표> 산학연네트워크활성화사업 세부사업별 목표
사 업 발굴·육성 활성화 ·창업 동아리 운영 : 50개
세부사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창업 아카데미 운영 : 100개 과정
·창업기업 사업화 연계지원 : 50건 ·과학기술정책교류회구성 4개 분야
지역 수요기반
·창업경진대회 : 15건 지역 과학기술 ·과학기술정책교류회운영 160회
과학기술정책기획 및
·과학기술정책교류 온라인 플랫폼
생태계 구축 산업분야별 중장기
구축/운영 1건
발전계획 수립
·지역과학기술정책보고서 50건
□ 세부사업내용
·중소기업 R&D 기획연구회 100개
중소기업지원 지역중소기업지원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R&D기획보고서 100건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산학연 네트워크 ·R&D사업 발굴컨설팅 100건
R&D기획역량강화 및
ㅇ 창업 희망자의 우수아이디어 특허출원 및 등록 지원 활성화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구성 4개 분야
네트워크 통합지원체계구축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운영 120회
ㅇ 우수특허 기술이전을 통한 창업 지원 활성화
·기업 R&D 기획 전문가 양성교육
ㅇ 특허활용 창업기획 전문가 컨설팅 및 창업 지원 100개 과정
특허활용 특허활용 ㅇ 창업자간 정보공유를 위한 창업 동아리 운영 중소기업 연구조직 및 ·기업 R&D 전문인력양성 교육
중소기업연구 연구인력 역량강화를 100개 과정
창업기획 창업기업 ㅇ 창업기업을 위한 창업 아카데미 및 기업가정신 교육 등 운영
역량강화 통한 지속가능한 기업 ·기업연구소설립 50개
사 업 발굴·육성
ㅇ 창업기업 사업화를 위한 기술 및 경영컨설팅, 기술금융 등 지원 R&D 수행체계 구축 ·기업연구조직역량강화교육 30개 과정
ㅇ 지역 창업분위기 확산을 위한 창업경진대회 개최 ·기업연구조직 진단 및 운영 컨설팅
100건
ㅇ 창업기업 취업박람회 등 창업기업 고용 지원
ㅇ 특허기반 창업 R&D사업 연계 지원
□ 세부사업내용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산학연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교류회 운영(4개 분야)


네트워크 지역 과학기술 · 지역 R&D 정책 발굴 및 기획 교류회
활성화 생태계 구축 · 지역 중소기업 R&D정책 발굴 및 기획 교류회
· 지역 과학기술인프라 구축 및 활성화 정책 기획 교류회

- 775 - - 776 -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 지역 특화 미래산업 발굴 및 기획 정책 교류회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를 통한 정책기획 및 각 분야별
중장기 발전 로드맵 수립 가. 세부사업 연차별 로드맵
ㅇ 지역 과학기술 정책 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운영 사업년도 최종목표
· 지역 과학기술, 중소기업 R&D지원, 과학기술인프라, 미래 세부사업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사업비(억원)
산업 발굴 등 정책 정보공유 및 교류 지원
기술저장
0 100 250 400 550 700 850 1,000 1,050 1,100
1,100건
ㅇ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 구축 및 지원(4개 분야) 기술이전
10 15 15 15 15 15 15 15 15 10
· 중소기업 지원 중견·신진 연구자 협의회 운영 지식재산 140건
활용도 사업화촉진
· 기업연구소협의회 운영 0 11 14 15 15 15 14 12 12 12
120건
제고 기술저장소
중소기업지원 · 연구장비전문가 협의회 운영
구축·운영 34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 기업지원기관 협의회 운영 기술거래
활성화 30
네트워크 ㅇ 산·학·연 공동 R&D 기획 연구회 운영
이전기술
활성화 ㅇ 중소기업 R&D 사업 발굴 전문가 컨설팅 지원 사업화 촉진 8
R&D기획
ㅇ 기술세미나, 포럼, 기술교류회 등 운영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0건
특허 80건
6 11 17 25 32 33 28 22 14 7
ㅇ 중소기업 R&D 기획 전문가양성 지역수요 논문 115건
기반 R&D 특허 40건
· 연구기획 및 사업계획서 작성 등 기획 교육 4 8 12 16 16 12 8 4 0 0
논문 40건
· 지재권창출 및 활용 등 연구성과확산 교육 지역수요기반
R&D 기획 15
ㅇ 중소기업 R&D 전문인력양성
가교형
중소기업 · 중소기업 맞춤형 특화 전문가 양성 교육 R&D 240
산학연
연구역량강화 · 3D 기반설계, 해석, 시험·분석, 공정개발 등 기술교육 공동연구법인 100
ㅇ 기업연구조직 육성 및 R&D 수행체계구축 지원 멘토링/컨설팅
9 18 24 24 24 24 22 22 22 11
200건
· 기업부설연구소설립 지원 특허활용
5 10 12 12 12 12 12 10 10 5 창업기획 100건
· 기업부설연구소 및 연구전담부서 역량강화 교육 창업기획 1 1 1 1 1 2 2 2 2 2 경진대회15건
· 기업연구조직 진단 및 운영 컨설팅 창업아카데미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개 과정
On/Off
멘토링line 10.6
창업기획/창업
경진대회 30.2
창업
아카데미 10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교류회 160건
5 5 5 5 5 5 5 5 5 5 기획 50건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교류회 120건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연구회 100개
산학연기술 23 23 23 23 23 23 23 23 23 23 교육 230건
네트워크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컨설팅 150건
지역과학기술
구축 기획/교류회 20
중소기업지원
네트워크 20
중소기업
연구역량강화 20

합계 146 285 456 619 776 924 1062 1198 1236 1258 537.8

- 777 - - 778 -
나.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ㅇ 기술이전기관(TLO)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이전기술 R&D 기획지원 6건
지역 기술 ㅇ On-line 기술저장소 기획 및 구축
이전기술 ㅇ 이전기술 기술금융 연계지원 3건
저장소 구축 ㅇ 기술저장 희망 특허 발굴 100건
사업화 촉진 ㅇ 이전기술 지역사업 연계지원 6건
ㅇ 전라남도 기업/대학/연구기관 등 현황조사 및 DB 구축 ㅇ 기술사업화지원기관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특화산업분야 수요기업 DB구축 1,000개사
‘16 ㅇ 기술저장소 특허저장 150건
기술거래 ㅇ 기술이전 수요 및 우수기술 발굴 각 100건
ㅇ 특화산업분야 수요기업 DB구축 150개사
활성화 ㅇ 기술마케팅 및 기술이전 10건
기술거래 ㅇ 기술이전 수요 및 우수기술 발굴 각 100건
ㅇ 지역 공개 특허 전수조사 1건
활성화 ㅇ 기술마케팅 및 기술이전 15건
ㅇ 기술이전기관(TLO)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지역 공개 특허 전수조사 1건
ㅇ 특화산업분야 수요기업 DB구축 250개사 ‘21
ㅇ 기술이전기관(TLO)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기술이전 수요 및 우수기술 발굴 각 100건
기술거래 ㅇ 이전기술 R&D 기획지원 6건
ㅇ 기술마케팅 및 기술이전 10건
활성화 이전기술 ㅇ 이전기술 기술금융 연계지원 3건
ㅇ 지역 공개 특허 전수조사 1건
사업화 촉진 ㅇ 이전기술 지역사업 연계지원 6건
ㅇ 기술이전기관(TLO)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17 ㅇ 기술사업화지원기관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이전기술 R&D 기획지원 5건
ㅇ 기술저장소 특허저장 150건
ㅇ 기술금융기관 MOU체결 1건
이전기술 ㅇ 특화산업분야 수요기업 DB구축 100개사
ㅇ 이전기술 기술금융 연계지원 1건
사업화 촉진 기술거래 ㅇ 기술이전 수요 및 우수기술 발굴 각 100건
ㅇ 이전기술 지역사업 연계지원 5건
활성화 ㅇ 기술마케팅 및 기술이전 15건
ㅇ 기술사업화지원기관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지역 공개 특허 전수조사 1건
ㅇ 기술저장소 특허저장 100건 ‘22
ㅇ 기술이전기관(TLO)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특화산업분야 수요기업 DB구축 250개사
ㅇ 이전기술 R&D 기획지원 6건
기술거래 ㅇ 기술이전 수요 및 우수기술 발굴 각 100건
이전기술 ㅇ 이전기술 기술금융 연계지원 2건
활성화 ㅇ 기술마케팅 및 기술이전 15건
사업화 촉진 ㅇ 이전기술 지역사업 연계지원 6건
ㅇ 지역 공개 특허 전수조사 1건
ㅇ 기술사업화지원기관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18 ㅇ 기술이전기관(TLO)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기술저장소 특허저장 150건
ㅇ 이전기술 R&D 기획지원 6건
ㅇ 특화산업분야 수요기업 DB구축 50개사
ㅇ 기술금융기관 MOU체결 1건
이전기술 기술거래 ㅇ 기술이전 수요 및 우수기술 발굴 각 100건
ㅇ 이전기술 기술금융 연계지원 2건
사업화 촉진 활성화 ㅇ 기술마케팅 및 기술이전 15건
ㅇ 이전기술 지역사업 연계지원 6건
ㅇ 지역 공개 특허 전수조사 1건
ㅇ 기술사업화지원기관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23
ㅇ 기술이전기관(TLO)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기술저장소 특허저장 150건
ㅇ 이전기술 R&D 기획지원 5건
ㅇ 특화산업분야 수요기업 DB구축 150개사
이전기술 ㅇ 이전기술 기술금융 연계지원 2건
기술거래 ㅇ 기술이전 수요 및 우수기술 발굴 각 100건
사업화 촉진 ㅇ 이전기술 지역사업 연계지원 5건
활성화 ㅇ 기술마케팅 및 기술이전 15건
ㅇ 기술사업화지원기관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지역 공개 특허 전수조사 1건
‘19 ㅇ 기술이전기관(TLO)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기술저장소 특허저장 50건
ㅇ 특화산업분야 수요기업 DB구축 50개사
ㅇ 이전기술 R&D 기획지원 6건
기술거래 ㅇ 기술이전 수요 및 우수기술 발굴 각 100건
ㅇ 기술금융기관 MOU체결 1건
이전기술 활성화 ㅇ 기술마케팅 및 기술이전 15건
ㅇ 이전기술 기술금융 연계지원 3건
사업화 촉진 ㅇ 지역 공개 특허 전수조사 1건
ㅇ 이전기술 지역사업 연계지원 6건 ‘24
ㅇ 기술이전기관(TLO)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기술사업화지원기관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ㅇ 이전기술 R&D 기획지원 5건
ㅇ 기술저장소 특허저장 150건 이전기술 ㅇ 이전기술 기술금융 연계지원 2건
ㅇ 특화산업분야 수요기업 DB구축 150개사 사업화 촉진 ㅇ 이전기술 지역사업 연계지원 5건
기술거래
‘20 ㅇ 기술이전 수요 및 우수기술 발굴 각 100건 ㅇ 기술사업화지원기관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활성화
ㅇ 기술마케팅 및 기술이전 15건
ㅇ 지역 공개 특허 전수조사 1건 ‘25 기술거래 ㅇ 기술저장소 특허저장 50건

- 779 - - 780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ㅇ 특화산업분야 수요기업 DB구축 50개사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ㅇ 기술이전 수요 및 우수기술 발굴 각 100건
ㅇ 지역 특화분야 수요기반 R&D 과제기획
활성화 ㅇ 기술마케팅 및 기술이전 10건
지원체계 구축 · 산·학·연 공동 R&D 기획 위원회 운영 20개
ㅇ 지역 공개 특허 전수조사 1건
ㅇ 기술이전기관(TLO)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ㅇ 이전기술 R&D 기획지원 5건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이전기술 ㅇ 이전기술 기술금융 연계지원 2건
ㅇ 가교형 R&D 사업,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평가·관리
사업화 촉진 ㅇ 이전기술 지역사업 연계지원 5건
ㅇ 가교형 R&D 사업 지원 9건(신규 4건)
ㅇ 기술사업화지원기관 네트워크 구축·운영 4회 지역수요기반
· 특허 출원/등록 7건, 논문 10건
R&D사업을 통한
· 일자리 창출 4명
지역산업 발전
다. 지역수요기반 R&D사업 ㅇ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지원 3건(신규 1건)
및 일자리 창출 · 특허 출원/등록 6건, 논문 6건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일자리 창출 6명
ㅇ 지역 특화분야 중장기 R&D 수요발굴(TRL 1∼5 단계) ㅇ 지역 특화분야 중장기 R&D 수요발굴(TRL 1∼5 단계)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지역수요기반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지역수요기반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R&D 발굴 ㅇ 지역 특화분야 수요기반 R&D 과제기획 R&D 발굴 ㅇ 지역 특화분야 수요기반 R&D 과제기획
지원체계 구축 · 산·학·연 공동 R&D 기획 위원회 운영 20개 지원체계 구축 · 산·학·연 공동 R&D 기획 위원회 운영 20개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16 ‘19
ㅇ 가교형 R&D 사업,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평가·관리 ㅇ 가교형 R&D 사업,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평가·관리
ㅇ 가교형 R&D 사업 지원 2건(신규 2건) ㅇ 가교형 R&D 사업 지원 13건(신규 4건)
지역수요기반 지역수요기반
· 특허 출원/등록 3건, 논문 3건 · 특허 출원/등록 10건, 논문 15건
R&D사업을 통한 R&D사업을 통한
· 일자리 창출 2명 · 일자리 창출 4명
지역산업 발전 지역산업 발전
ㅇ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지원 1건(신규 1건) ㅇ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지원 4건(신규 1건)
및 일자리 창출 및 일자리 창출 · 특허 출원/등록 8건, 논문 8건
· 특허 출원/등록 2건, 논문 2건
· 일자리 창출 2명 · 일자리 창출 8명
ㅇ 지역 특화분야 중장기 R&D 수요발굴(TRL 1∼5 단계) ㅇ 지역 특화분야 중장기 R&D 수요발굴(TRL 1∼5 단계)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지역수요기반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지역수요기반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R&D 발굴 ㅇ 지역 특화분야 수요기반 R&D 과제기획 R&D 발굴 ㅇ 지역 특화분야 수요기반 R&D 과제기획
지원체계 구축 · 산·학·연 공동 R&D 기획 위원회 운영 20개 지원체계 구축 · 산·학·연 공동 R&D 기획 위원회 운영 20개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17 ‘20
ㅇ 가교형 R&D 사업,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평가·관리 ㅇ 가교형 R&D 사업,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평가·관리
ㅇ 가교형 R&D 사업 지원 5건(신규 3건) ㅇ 가교형 R&D 사업 지원 17건(신규 4건)
지역수요기반 지역수요기반
· 특허 출원/등록 5건, 논문 6건 · 특허 출원/등록 12건, 논문 20건
R&D사업을 통한 R&D사업을 통한
· 일자리 창출 3명 · 일자리 창출 4명
지역산업 발전 지역산업 발전
ㅇ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지원 2건(신규 1건) ㅇ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지원 4건
및 일자리 창출 및 일자리 창출 · 특허 출원/등록 8건, 논문 8건
· 특허 출원/등록 4건, 논문 4건
· 일자리 창출 4명 · 일자리 창출 8명
지역수요기반 ㅇ 지역 특화분야 중장기 R&D 수요발굴(TRL 1∼5 단계) 지역수요기반 ㅇ 지역 특화분야 중장기 R&D 수요발굴(TRL 1∼5 단계)
‘18 ‘21
R&D 발굴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R&D 발굴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 781 - - 782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ㅇ 지역 특화분야 수요기반 R&D 과제기획
ㅇ 지역 특화분야 수요기반 R&D 과제기획
지원체계 구축 · 산·학·연 공동 R&D 기획 위원회 운영 20개
지원체계 구축 · 산·학·연 공동 R&D 기획 위원회 운영 20개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지역수요기반 ㅇ 가교형 R&D 사업 평가·관리
ㅇ 가교형 R&D 사업,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평가·관리 R&D사업을 통한 ㅇ 가교형 R&D 사업 지원 7건
ㅇ 가교형 R&D 사업 지원 18건(신규 3건) · 특허 출원/등록 6건, 논문 8건
지역수요기반 지역산업 발전
· 특허 출원/등록 13건, 논문 20건
R&D사업을 통한 및 일자리 창출 · 일자리 창출 1명
· 일자리 창출 3명
지역산업 발전 ㅇ 지역 특화분야 중장기 R&D 수요발굴(TRL 1∼5 단계)
ㅇ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지원 3건
및 일자리 창출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 특허 출원/등록 6건, 논문 6건
지역수요기반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 일자리 창출 6명
R&D 발굴 ㅇ 지역 특화분야 수요기반 R&D 과제기획
ㅇ 지역 특화분야 중장기 R&D 수요발굴(TRL 1∼5 단계)
지원체계 구축 · 산·학·연 공동 R&D 기획 위원회 운영 20개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25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지역수요기반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R&D 발굴 ㅇ 지역 특화분야 수요기반 R&D 과제기획
· 산·학·연 공동 R&D 기획 위원회 운영 20개 지역수요기반 ㅇ 가교형 R&D 사업 평가·관리
지원체계 구축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R&D사업을 통한 ㅇ 가교형 R&D 사업 지원 3건
지역산업 발전 · 특허 출원/등록 4건, 논문 3건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22 · 일자리 창출 1명
ㅇ 가교형 R&D 사업,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평가·관리 및 일자리 창출
ㅇ 가교형 R&D 사업 지원 15건
지역수요기반
· 특허 출원/등록 11건, 논문 17건
R&D사업을 통한 라. 특허활용창업기획사업
· 일자리 창출 2명
지역산업 발전
ㅇ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지원 2건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및 일자리 창출 · 특허 출원/등록 4건, 논문 4건
ㅇ On-line 멘토링시스템 기획 및 구축 1건
· 일자리 창출 4명 ㅇ 창업 희망자 우수아이디어 특허출원 지원 5건
ㅇ 지역 특화분야 중장기 R&D 수요발굴(TRL 1∼5 단계) ㅇ 창업기업 기획지원 5건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 특허활용 창업기업 2개사
특허활용
지역수요기반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 창업기업 고용지원 2명
‘16 창업기업
R&D 발굴 ㅇ 지역 특화분야 수요기반 R&D 과제기획 · 창업기업 기술 및 경영컨설팅 2건
지원체계 구축 · 산·학·연 공동 R&D 기획 위원회 운영 20개 발굴·육성
·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연계지원 2건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ㅇ 전라남도 창업경진대회 개최 1건
·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사업 기획 10건 ㅇ 창업 아카데미 운영 10개 과정
‘23
ㅇ 가교형 R&D 사업,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평가·관리 ㅇ 창업동아리 운영 5개
ㅇ 가교형 R&D 사업 지원 11건 ㅇ On-line 멘토링시스템 운영
지역수요기반
· 특허 출원/등록 9건, 논문 9건 ㅇ 창업 희망자 우수아이디어 특허출원 지원 12건
R&D사업을 통한 ㅇ 창업기업 기획지원 10건
· 일자리 창출 1명
지역산업 발전 특허활용 · 특허활용 창업기업 3개사
ㅇ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 지원 1건
및 일자리 창출 ‘17 창업기업 · 창업기업 고용지원 3명
· 특허 출원/등록 2건, 논문 2건
발굴·육성 · 창업기업 기술 및 경영컨설팅 3건
· 일자리 창출 2명
지역수요기반 ㅇ 지역 특화분야 중장기 R&D 수요발굴(TRL 1∼5 단계) ·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연계지원 3건
‘24
R&D 발굴 ·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수요 발굴 20건 ㅇ 전라남도 창업경진대회 개최 1건

- 783 - - 784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ㅇ 창업 아카데미 운영 10개 과정 · 특허활용 창업기업 4개사
ㅇ 창업동아리 운영 5개 · 창업기업 고용지원 6명
ㅇ On-line 멘토링시스템 운영
· 창업기업 기술 및 경영컨설팅 6건
ㅇ 창업 희망자 우수아이디어 특허출원 지원 12건
발굴·육성 ·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연계지원 6건
ㅇ 창업기업 기획지원 12건
· 특허활용 창업기업 4개사 ㅇ 전라남도 창업경진대회 개최 1건
특허활용 ㅇ 창업 아카데미 운영 10개 과정
· 창업기업 고용지원 6명
‘18 창업기업 ㅇ 창업동아리 운영 5개
· 창업기업 기술 및 경영컨설팅 6건
발굴·육성 ㅇ On-line 멘토링시스템 운영
·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연계지원 6건 ㅇ 창업 희망자 우수아이디어 특허출원 지원 10건
ㅇ 전라남도 창업경진대회 개최 1건 ㅇ 창업기업 기획지원 10건
ㅇ 창업 아카데미 운영 10개 과정 · 특허활용 창업기업 4개사
ㅇ 창업동아리 운영 5개 특허활용
· 창업기업 고용지원 6명
ㅇ On-line 멘토링시스템 운영 ‘23 창업기업
· 창업기업 기술 및 경영컨설팅 6건
ㅇ 창업 희망자 우수아이디어 특허출원 지원 12건 발굴·육성
ㅇ 창업기업 기획지원 12건 ·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연계지원 6건
· 특허활용 창업기업 4개사 ㅇ 전라남도 창업경진대회 개최 1건
특허활용 ㅇ 창업 아카데미 운영 10개 과정
· 창업기업 고용지원 6명
‘19 창업기업 ㅇ 창업동아리 운영 5개
· 창업기업 기술 및 경영컨설팅 6건
발굴·육성 ㅇ On-line 멘토링시스템 운영
·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연계지원 6건 ㅇ 창업 희망자 우수아이디어 특허출원 지원 10건
ㅇ 전라남도 창업경진대회 개최 1건 ㅇ 창업기업 기획지원 10건
ㅇ 창업 아카데미 운영 10개 과정 · 특허활용 창업기업 4개사
ㅇ 창업동아리 운영 5개 특허활용
· 창업기업 고용지원 6명
ㅇ On-line 멘토링시스템 운영 ‘24 창업기업
· 창업기업 기술 및 경영컨설팅 6건
ㅇ 창업 희망자 우수아이디어 특허출원 지원 12건 발굴·육성
ㅇ 창업기업 기획지원 12건 ·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연계지원 6건
· 특허활용 창업기업 4개사 ㅇ 전라남도 창업경진대회 개최 1건
특허활용 ㅇ 창업 아카데미 운영 10개 과정
· 창업기업 고용지원 6명
‘20 창업기업 ㅇ 창업동아리 운영 5개
· 창업기업 기술 및 경영컨설팅 6건
발굴·육성 ㅇ On-line 멘토링시스템 운영
·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연계지원 6건 ㅇ 창업 희망자 우수아이디어 특허출원 지원 5건
ㅇ 전라남도 창업경진대회 개최 1건 ㅇ 창업기업 기획지원 5건
ㅇ 창업 아카데미 운영 10개 과정 · 특허활용 창업기업 2개사
ㅇ 창업동아리 운영 5개 특허활용
· 창업기업 고용지원 2명
ㅇ On-line 멘토링시스템 운영 ‘25 창업기업
· 창업기업 기술 및 경영컨설팅 3건
ㅇ 창업 희망자 우수아이디어 특허출원 지원 12건 발굴·육성
ㅇ 창업기업 기획지원 12건 ·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연계지원 3건
· 특허활용 창업기업 4개사 ㅇ 전라남도 창업경진대회 개최 1건
특허활용 ㅇ 창업 아카데미 운영 10개 과정
· 창업기업 고용지원 6명
‘21 창업기업 ㅇ 창업동아리 운영 5개
· 창업기업 기술 및 경영컨설팅 6건
발굴·육성
·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연계지원 6건
ㅇ 전라남도 창업경진대회 개최 1건
ㅇ 창업 아카데미 운영 10개 과정
ㅇ 창업동아리 운영 5개
ㅇ On-line 멘토링시스템 운영
특허활용
‘22 ㅇ 창업 희망자 우수아이디어 특허출원 지원 10건
창업기업
ㅇ 창업기업 기획지원 12건

- 785 - - 786 -
마.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ㅇ 중소기업 R&D 기획 전문가양성 10개 과정 교육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 구성 및 운영(4개 분야, 16회) 중소기업 ㅇ 중소기업 R&D 전문인력양성 10개 과정 교육
· 지역 R&D 정책 발굴 및 기획 교류회 운영 4회, 보고서 1건 연구역량강화 ㅇ 기업부설연구소설립 지원 5개사, 역량강화 3개 과정 교육
· 지역 중소기업 R&D정책 발굴 및 기획 교류회 운영 4회, 보고서 1건 ㅇ 우수연구소(ATC 등) 기획지원 3건, 컨설팅 10개
지역 과학기술 · 지역 과학기술인프라 구축 및 활성화 정책 기획 교류회 운영 4회, 보고서 1건
지역 과학기술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 운영(4개 분야, 16회, 보고서 5건)
생태계 구축 · 지역 특화 미래산업 발굴 및 기획 정책 교류회 운영 4회, 보고서 1건
ㅇ 온라인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 시스템 운영
· 지역과학기술정책 총괄 보고서 1건 생태계 구축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포럼 및 세미나 개최 2회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 온라인 플랫폼 기획 및 구축 ㅇ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구축 및 운영(4개 분야, 12회)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포럼 및 세미나 개최 2회 중소기업지원네 ㅇ 중소기업 기술지도 및 애로기술지원 30건
ㅇ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구축 및 운영(4개 분야, 12회) ‘19 트워크 활성화 ㅇ 산학연 공동 R&D 기획 연구회 운영 10개, 기획 보고서 10건
· 중소기업 지원 중견·신진 연구자 협의회 운영 3회 ㅇ 중소기업 R&D 사업 발굴 컨설팅 10건
· 기업연구소협의회 운영 3회 ㅇ 중소기업 R&D 기획 전문가양성 10개 과정 교육
‘16
중소기업지원네 · 연구장비전문가 협의회 운영 3회 중소기업 ㅇ 중소기업 R&D 전문인력양성 10개 과정 교육
트워크 활성화 · 기업지원기관 협의회 운영 3회 연구역량강화 ㅇ 기업부설연구소설립 지원 5개사, 역량강화 3개 과정 교육
· 기업 기술지도 및 애로기술지원 30건 ㅇ 우수연구소(ATC 등) 기획지원 3건, 컨설팅 10개
ㅇ 산학연 공동 R&D 기획 연구회 운영 10개, 기획 보고서 10건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 운영(4개 분야, 16회, 보고서 5건)
지역 과학기술
ㅇ 중소기업 R&D 사업 발굴 컨설팅 10건 ㅇ 온라인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 시스템 운영
생태계 구축
ㅇ 중소기업 R&D 기획 전문가양성 커리큘럼 개발 및 10개 과정 교육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포럼 및 세미나 개최 2회
ㅇ 중소기업 R&D 전문인력양성 커리큘럼 개발 및 10개 과정 교육 ㅇ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구축 및 운영(4개 분야, 12회)
중소기업 ㅇ 기업부설연구소설립 지원 5개사 중소기업지원네 ㅇ 중소기업 기술지도 및 애로기술지원 30건
‘20 트워크 활성화 ㅇ 산학연 공동 R&D 기획 연구회 운영 10개, 기획 보고서 10건
연구역량강화 ㅇ 기업부설연구소 및 연구전담부서 역량강화 3개 과정 교육
ㅇ 중소기업 R&D 사업 발굴 컨설팅 10건
ㅇ 기업연구조직 진단 및 운영 컨설팅 10개사
ㅇ 중소기업 R&D 기획 전문가양성 10개 과정 교육
ㅇ ATC 등 우수기술연구소 육성 기획지원 3건
중소기업 ㅇ 중소기업 R&D 전문인력양성 10개 과정 교육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 운영(4개 분야, 16회, 보고서 5건)
지역 과학기술 연구역량강화 ㅇ 기업부설연구소설립 지원 5개사, 역량강화 3개 과정 교육
ㅇ 온라인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 시스템 운영
생태계 구축 ㅇ 우수연구소(ATC 등) 기획지원 3건, 컨설팅 10개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포럼 및 세미나 개최 2회
ㅇ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구축 및 운영(4개 분야, 12회)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 운영(4개 분야, 16회, 보고서 5건)
지역 과학기술
중소기업지원네 ㅇ 중소기업 기술지도 및 애로기술지원 30건 ㅇ 온라인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 시스템 운영
생태계 구축
트워크 활성화 ㅇ 산학연 공동 R&D 기획 연구회 운영 10개, 기획 보고서 10건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포럼 및 세미나 개최 2회
‘17
ㅇ 중소기업 R&D 사업 발굴 컨설팅 10건 ㅇ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구축 및 운영(4개 분야, 12회)
ㅇ 중소기업 R&D 기획 전문가양성 10개 과정 교육 중소기업지원네 ㅇ 중소기업 기술지도 및 애로기술지원 30건
‘21 트워크 활성화 ㅇ 산학연 공동 R&D 기획 연구회 운영 10개, 기획 보고서 10건
중소기업 ㅇ 중소기업 R&D 전문인력양성 10개 과정 교육
ㅇ 중소기업 R&D 사업 발굴 컨설팅 10건
연구역량강화 ㅇ 기업부설연구소설립 지원 5개사, 역량강화 3개 과정 교육
ㅇ 중소기업 R&D 기획 전문가양성 10개 과정 교육
ㅇ 우수연구소(ATC 등) 기획지원 3건, 컨설팅 10개
중소기업 ㅇ 중소기업 R&D 전문인력양성 10개 과정 교육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 운영(4개 분야, 16회, 보고서 5건)
지역 과학기술 연구역량강화 ㅇ 기업부설연구소설립 지원 5개사, 역량강화 3개 과정 교육
ㅇ 온라인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 시스템 운영
생태계 구축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포럼 및 세미나 개최 2회 ㅇ 우수연구소(ATC 등) 기획지원 3건, 컨설팅 10개

‘18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 운영(4개 분야, 16회, 보고서 5건)


ㅇ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구축 및 운영(4개 분야, 12회) 지역 과학기술
중소기업지원네 ㅇ 온라인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 시스템 운영
ㅇ 중소기업 기술지도 및 애로기술지원 30건 ‘22 생태계 구축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포럼 및 세미나 개최 2회
트워크 활성화 ㅇ 산학연 공동 R&D 기획 연구회 운영 10개, 기획 보고서 10건
ㅇ 중소기업 R&D 사업 발굴 컨설팅 10건 중소기업지원네 ㅇ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구축 및 운영(4개 분야, 12회)

- 787 - - 788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ㅇ 중소기업 기술지도 및 애로기술지원 30건
트워크 활성화 ㅇ 산학연 공동 R&D 기획 연구회 운영 10개, 기획 보고서 10건 가. 전남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추진전략 및 체계
ㅇ 중소기업 R&D 사업 발굴 컨설팅 10건
□ 추진전략
ㅇ 중소기업 R&D 기획 전문가양성 10개 과정 교육
중소기업 ㅇ 중소기업 R&D 전문인력양성 10개 과정 교육
연구역량강화 ㅇ 기업부설연구소설립 지원 5개사, 역량강화 3개 과정 교육
ㅇ 우수연구소(ATC 등) 기획지원 3건, 컨설팅 10개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 운영(4개 분야, 16회, 보고서 5건)


지역 과학기술
ㅇ 온라인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 시스템 운영
생태계 구축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포럼 및 세미나 개최 2회
ㅇ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구축 및 운영(4개 분야, 12회)
중소기업지원네 ㅇ 중소기업 기술지도 및 애로기술지원 30건
‘23 트워크 활성화 ㅇ 산학연 공동 R&D 기획 연구회 운영 10개, 기획 보고서 10건
ㅇ 중소기업 R&D 사업 발굴 컨설팅 10건
ㅇ 중소기업 R&D 기획 전문가양성 10개 과정 교육
중소기업 ㅇ 중소기업 R&D 전문인력양성 10개 과정 교육
연구역량강화 ㅇ 기업부설연구소설립 지원 5개사, 역량강화 3개 과정 교육
ㅇ 우수연구소(ATC 등) 기획지원 3건, 컨설팅 10개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 운영(4개 분야, 16회, 보고서 5건)
지역 과학기술
ㅇ 온라인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 시스템 운영
생태계 구축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포럼 및 세미나 개최 2회
ㅇ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구축 및 운영(4개 분야, 12회)
중소기업지원네 ㅇ 중소기업 기술지도 및 애로기술지원 30건
‘24 트워크 활성화 ㅇ 산학연 공동 R&D 기획 연구회 운영 10개, 기획 보고서 10건
ㅇ 중소기업 R&D 사업 발굴 컨설팅 10건
□ 추진체계
ㅇ 중소기업 R&D 기획 전문가양성 10개 과정 교육
중소기업 ㅇ 중소기업 R&D 전문인력양성 10개 과정 교육
연구역량강화 ㅇ 기업부설연구소설립 지원 5개사, 역량강화 3개 과정 교육
ㅇ 우수연구소(ATC 등) 기획지원 3건, 컨설팅 10개
ㅇ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회 운영(4개 분야, 16회, 보고서 5건)
지역 과학기술
ㅇ 온라인 지역과학기술정책교류 시스템 운영
생태계 구축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포럼 및 세미나 개최 2회
ㅇ 중소기업지원네트워크구축 및 운영(4개 분야, 12회)
중소기업지원네 ㅇ 중소기업 기술지도 및 애로기술지원 30건
‘25 트워크 활성화 ㅇ 산학연 공동 R&D 기획 연구회 운영 10개, 기획 보고서 10건
ㅇ 중소기업 R&D 사업 발굴 컨설팅 10건
ㅇ 중소기업 R&D 기획 전문가양성 10개 과정 교육
중소기업 ㅇ 중소기업 R&D 전문인력양성 10개 과정 교육
연구역량강화 ㅇ 기업부설연구소설립 지원 5개사, 역량강화 3개 과정 교육
ㅇ 우수연구소(ATC 등) 기획지원 3건, 컨설팅 10개

- 789 - - 790 -
□ 추진조직 ㅇ 전라남도 과학기술 및 산업 발전 정책에 맞춰 특화산업 분야를 전략적

추진조직 기능 및 역할
으로 선택·집중하여 기술이전을 추진함으로써 기술이전 성과 창출

• 사업 총괄 추진 □ 추진방법
미래창조과학부
• 사업추진에 따른 예산지원 ㅇ 수요기업에 실시간 대응 및 현장 적합 맞춤형 기술이전
- 전라남도 기술사업화 추진기업(기술 수요기업)의 니스에 신속한 대응 및
한국연구재단 • 사업 평가 및 사후관리 맞춤형 제안을 통한 기술이전 사업화 성과 창출
- 전남과학기술진흥센터와 참여기관(민간 및 공공 TLO)와 연계 협력하여 현
• 지자체 예산 지원 및 정책자문 장 맞춤형 지원으로 기술이전 성과 도출
전라남도
• 지역 기관간 유기적인 협력네트워크 지원
- 수요기업 및 우수기술 상시 발굴 및 기술저장소와 연계를 통한 실시간 온·
오프라인 기술이전 지원체계 구축
• 지자체,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 의견 수렴
기획 위원회 ㅇ 공급자․수요자 양방 WIN-WIN 및 기술사업화 연계 기술이전
• 사업 성과제고를 위한 세부사업 기획 컨설팅
- 기술이전을 위한 기술거래가 아닌 기술사업화 및 추가 기술개발을 통한 고부가
가치 창출 등을 전제로 하는 WIN-WIN 제안
• 효율적인 사업운영 관리 및 지원
운영 위원회 - 사업화 추진이 가능한 우수기술을 발굴·이전하여 기술공급자 및 기술수요
• 세부사업 조정 및 변경사항 심의·의결
자간 이익공유가 가능토록 기술이전
• 사업계획 수립 및 단위 사업 수행 - 실질적 성과 창출이 가능한 기술의 기술이전 및 이전기술의 성공사례 창출
• 지역 내 산·학·연·관 연계·협력체계 구축 ㅇ 기술이전 기업의 장애요인 해결 및 정부지원제도 활용
• 과학기술정책교류회, 전문가협의회 등 네트워크 구축/운영 - 기업의 성장 단계, 기업규모, 연구개발능력 등에 적합한 기술사업화 차별화
전남과학기술진흥센터
• 지역수요맞춤형 R&D사업 발굴·기획 및 평가·관리 전략과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여 기업이 Death Valley를 극복할 수 있도록
• 지역내 우수연구성과물 성과확산
통합컨설팅 지원
• 자체평가위원회 운영(사업추진 평가 및 방향 제시)
- 기술사업화 추가기술개발, 사업화타당성분석, 상용화지원(디자인, 시제품제작,
마케팅, 브랜드개발, 해외진출, 각종인증 등) 등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나. 세부사업별 추진전략 및 방법 있는 정부 R&BD 사업 및 기술사업화 자금 등을 연계 지원
ㅇ 기술사업화 지원
1) 지식재산활용도 제고사업 - 이전기술의 정확한 기술분석 및 기업역량 진단 등을 통한 수요기업 맞춤형
기술사업화 지원
□ 추진전략 - R&D 재투자 지원 : 이전 기술 중 TRL 3~5단계 기술의 전문가 활용
ㅇ 전남지역 특화산업 관련 기업의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기술이전 및 기술 R&D 기획, 기술컨설팅 등 지원
사업화 지원을 통해 사업목표달성하고, 전남과학기술진흥센터를 미래창조 - 지역사업연계지원 : 바로 사업화가 가능한 이전기술은 지역 기업지원사업
과학부 소관 기술이전 거점기관 육성하여 자생력 확보 연계(신특화사업 등) 지원
ㅇ 지역내 대학, 연구기관 등 우수한 기술을 발굴·확보하고, 참여기관 및 - 사업화 성공률 제고 지원 : 기술사업화를 위한 시장분석, 기술사업화 컨설팅,
지역내 유관기관과 연계 협력을 통해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촉진 IP 분석 등 지원
ㅇ 체계적인 기술수요분석을 통해 기술이전 받은 기업의 R&D 사업 및 기업 - 사업화 자금 및 역량이 부족한 기업에게 기술금융 지원을 통한 기술사업화 지원
지원사업 등과 연계 지원하여 기술이전 성과 창출

- 791 - - 792 -
ㅇ 지역수요기반 R&D 활성화 전략
- 지역 수요기반 산·학·연 공동 R&D 기획연구회에서 도출된 우수 R&D
기획과제를 2단계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의 가교형 R&D사업, 산·학·연
공동연구법인사업으로 지원함으로써 지역 우수연구성과물 창출 및 연구
성과물의 사업화율 제고
- 지역 R&D 수요를 TRL 단계별로 분석하여 사업성격, 사업규모 등에 따라
기획연구회를 통해 산학연이 공동으로 기획하여 미래창조과학부, 산업
통상자원부 등 중장기 국가 R&D 사업 도전하고 수행하게 함으로써
지역 수요기반 R&D 활성화 및 지역 R&D 역량강화
- 가교형 R&D사업,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산·학·연 공동 R&D 기획과제 등을
ㅇ 사업추진절차
통해 산출된 우수 연구성과물이 상용화, 기술이전, 기술(특허)창업 등
활용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지역 산업발전 및 일자리 창출 기여

□ 추진방법
ㅇ 사업추진 방법

2) 지역수요기반 R&D사업

□ 추진전략
ㅇ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발굴 및 산·학·연 공동 R&D 기획 전략
- 지역 중장기 R&D 수요(TRL 1∼5 단계)발굴을 위해 산·학·연·관 R&D
사업발굴 상시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 지역내 중소기업의 R&D 수요와 지역 대학, 연구기관 등의 R&D 수요를
동시에 파악하여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 등의 R&D 수요를 상호 공유·
연계함으로써 현실적인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발굴
- 지역 중장기 R&D 제안과제 중 우수과제를 선별하여 산·학·연 공동 R&D
기획위원회를 운영함으로써 R&D 과제 기획의 완성도 제고 및 우수연구
성과물 창출과제 발굴
- 793 - - 794 -
ㅇ 추진경과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교류회 운영을 통해 지역 과학기술 생태계구축 및 과학기술
- ‘14. 4. 4 ∼ 4. 18 전남과학연구단지활성황사업 제안서 공모 혁신을 통한 지역 미래성장동력 창출
↳ 지역 대학(8개), 연구기관(16개), 센터홈페이지 공고 ㅇ 지역 중소기업의 R&D 기획역량 및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한 자체 R&D 추진
- ‘14. 4. 23 ∼ 4. 28 지역 특화산업 관련기업 제안과제 수요조사 역량강화 및 R&D 사업 성공률 제고
- ‘14. 4. 30 산학연관 전문가 제안서 평가 ㅇ 기업연구조직역량강화 및 육성을 통한 지속 가능한 기업 R&D 생태계 조성
- ‘14. 5. 2 ∼ 5. 9 R&D 기획과제 계획서 작성 ㅇ 지역중소기업 기술경쟁력강화를 위한 기업 맞춤형 R&D 전문인력 양성 및
- ‘14. 5. 미래창조과학부 전남과학연구단지활성황사업 반영 지역내·외 대학, 연구기관, 전문가 등을 활용하여 지역중소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 및 사업다각화 지원
3) 특허활용창업기획사업
□ 추진방법
□ 추진전략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교류회를 통한 정책 발굴 및 기획
ㅇ 특허활용창업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한 대학, 연구기관, 지자체 등 연계협력 - 전남 지역과학기술정책 발굴 및 기획을 위해 지역 R&D정책, 지역 과학기술
강화를 통한 지역 창업 분위기 확산 및 활성화 인프라, 지역 중소기업 R&D정책, 지역 특화 미래산업 정책 관련 4개 분야의
ㅇ 지역 연구인프라, 연구인력, 기술 등의 체계적인 지원체계 구축을 통한 창업 정책 교류회 구성 운영
기업의 기술사업화 및 고용 지원 - 각 분야별 정책 교류회 운영을 통해 각 분야별 정책 기획보고서를 총괄·조정
ㅇ 지자체, 대학, 연구기관, 기업지원기관 등의 기업지원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사업화 하여 지역 과학기술정책 발굴 및 기획 자료로 활용
및 기술금융 지원 - 지역과학기술정책 교류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통한 지역 대학, 연구기관,
기업, 연구자 등의 의견수렴을 통해 지역과학기술 정책 정보교환 및 의견
□ 추진방법 수렴의 장 마련
ㅇ 지역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연계 강화를 통해 사업성이 우수한 특허를 창업 ㅇ 지역중소기업 R&D 기획 역량 강화
희망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체계 구축 - 지역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R&D 추진을 위해 기업 자체 R&D 기획역량을
ㅇ 지역내 대학 BI센터, 테크노파크, 생물재단, 1시군 1벤처빌딩 등 기관간 긴밀한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기획에서 사업화까지 R&D 사업 전주기 교육 과정 지
연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특허활용창업기업 공간 확보 원함으로써 중소기업 R&D 사업 참여율 제고
ㅇ 지역 지식재산센터, 대학 TLO, 민간 TLO 등과 연계하여 우수 아이디어의 -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우수한 기술 또는 아이템을 지역내외 산·학·연 전문가를
특허출원, 기술의 권리화 등 유망기술 발굴 집중지원 활용하여 완성도 높은 R&D 사업으로 기획 지원함으로써 중소기업의 R&D
ㅇ 창업 산업분야별 지역 대학, 특화센터, 연구기관의 전문가, 연구 및 시험생산 기획역량강화 및 사업 성공률 제고
장비 등의 활용 지원을 통해 사업화 아이템 및 고부가 가치 제품 조기 개발 지원 ㅇ 지역중소기업 기술경쟁력강화 및 사업다각화
ㅇ 창업기업의 사업화 모델창출 및 기업 운영 실패요소 최소화 하기 위해 기술, - 지역 중소기업의 제품개발, R&D사업 등 추진시 가장 큰 애로사항인 전문
경영, 재무, 마케팅, 인사 등 전문가 컨설팅 지원 인력 확보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학교수, 전문연구원 수준의 기업 전문인력을
ㅇ 창업 후 후속 사업으로 중소기업청 등 국가 R&D 지원사업 및 기업지원 사업에 자체 양성토록 지원함으로써 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및 지역 대학, 연구기관과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R&D 기획 전문가 컨설팅 지원 R&D 사업 추진시 시너지 효과 극대화
- 중소기업의 사업 아이템 발굴, 애로기술, 연구장비 활용 등의 효과적인 지원
4) 산학연네트워크활성화사업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지역 연구자협의회, 기업연구소협의회, 연구장비전문가
협의회, 기업지원기관협의회, 산학연 공동 R&D연구회(지역외 연구자 포함)
□ 추진전략 등 전문분야별 R&D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현실적인 지역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 795 - - 796 -
강화 및 사업다각화 지원 2) 타 사업과의 연계방안
ㅇ 기업연구조직역량강화 및 육성을 통한 지속 가능한 기업 R&D 생태계 조성 □ 테크노파크 및 지역 기관과 연계
- 기업 R&D 수행주체인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전담부서를 집중 육성함으로써 ㅇ 지역수요기반 R&D사업을 전남테크노파크에서 추진중인 신지역특화사업, 산업
지역내 기업 주도 R&D 생태계 조성 연계협력권사업, 광역선도 R&D 사업,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 등과 연계하여
- 지역내 기업 부설연구소의 양적·질적 성장을 지원함으로써 기업의 R&D 사업 우수연구성과물의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구축 및 기업지원 강화
참여율 제고 및 자체 R&D 역량 강화 ㅇ 지역내 18개 대학(전문대 포함), 출연(연)/특화센터 25개 등과 연계하여
- 기업부설연구소의 R&D 활성화를 위해 기업연구소 맞춤형 신규 지원 교육과 특화산업, 특화 분야별 우수연구성과물의 기술사업화, 제품화 등 체계적 지원
기존 연구소 인력 업그레이드 교육지원을 통해 기업연구조직 역량강화 ㅇ 지역내 대학, 연구기관과 연계하여 지역수요 기반 R&D 기획과제, 중소기업
- 기업연구조직 활성화를 통해 지역내 대학 석·박사 인력 등 R&D인력의 기업 중장기 R&D 기획과제 등의 R&D 과제 발굴 및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지역외 전문인력 유입 환경 조성을 통한 심각한 중소기업 수요기반 산·학·연 공동 R&D 활성화
연구조직 인력난 해소
□ 미래창조과학부 등 지역 사업과 연계
나.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ㅇ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지원단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지역 주도 R&D 정책
기획,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 등 지역 R&D 정책 수립 지원
ㅇ LINC 사업, 지역창의혁신인력양성사업(교육부) 등 지역 대학 중심 R&D 사업과
1) 세부사업 간 연계방안
지역내 중소기업연구조직을 연계하여 지역 특화산업 활성화 및 지역 중소기업
ㅇ 지역 수요기반 R&D 사업을 통해 논문, 특허, 기술 등 우수한 연구성과물을
기술경쟁력 강화
창출하고 이를 지식재산활용도 제공 사업을 통해 특허활용창업 희망자
에게 기술이전 함으로써 지역 기술기반 창업 활성화
ㅇ 지역 연구역량강화를 통해 지역내 기업 연구조직이 대학, 연구기관과 공
동으로 지역수요기반 R&D 사업을 발굴·추진함으로써 시너지 효과 창출
ㅇ 지역 수요기반 R&D 사업의 우수연구성과물 창출과 지식재산활용도제고
사업, 특허활용창업기획사업, 지역 연구역량강화사업의 효율적인 사업성과
창출을 위해 지역내 대학, 연구기관, 지원기관 네트워크와 전문가 네트워크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사업 성과 극대화

- 797 - - 798 -
5. 기대효과 6.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1) 지식재산제고 활용사업 □ 사업비 총괄표
ㅇ 지역 특화산업분야 관련 기업의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우수기술을 발굴·이전 (단위 : 백만원)

하고 기술사업화를 지원함으로써 지역 특화산업분야 중소기업의 성장확충 년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합 계

기반 마련 및 일자리 창출 국 비 1,780 2,515 3,660 4,805 5,140 5,140 4,465 3,370 2,275 1,555 34,705

ㅇ 지역 대학, 연구기관 등의 우수 연구결과물을 체계적으로 발굴 및 관리하여 지방비 1,045 865 915 965 1,015 1,015 1,015 1,015 1,015 1,035 9,900

민 간 245 550 915 1,280 1,375 1,375 1,150 785 420 180 8,275
지역내 중소기업에게 이전활용토록 함으로써 우수기술의 휴면 및 사장 방지
합 계 3,070 3,930 5,490 7,050 7,530 7,530 6,630 5,170 3,710 2,770 52,880
ㅇ 특허활용 창업희망자에게 우수기술의 이전 및 기술사업화 지원을 통해 창업 촉진
ㅇ 전국 10개 과학센터와 연계하여 지역외 우수기술을 지역내 중소기업에게 이전·
공급함으로써 지역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 □ 세부사업별 사업비

2) 지역 수요기반 R&D 사업 ○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단위 : 백만원)
ㅇ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역 대학, 연구기관, 중소기업의 지역수요기반 중장기
R&D 사업을 발굴 및 산학연 공동 연구과제로 기획함으로써 현실적인 지역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국 비
기술저장소 지방비
200 50 100 150 200 200 200 200 200 200 1,700
기반 R&D 사업 및 우수연구성과물 창출
구축/운영 200 50 100 150 200 200 200 200 200 200 1,700
ㅇ 가교형 R&D 사업, 산학연 공동연구법인의 우수연구성과물을 활용하여 기업의 계 400 100 200 300 400 400 400 400 400 400 3,400

고부가가치 창출 및 특허활용 창업지원 가능 국 비


기술거래활 지방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ㅇ 지역 수요 기반 R&D 발굴을 통해 지역 기초연구 및 지역 중소기업 R&D


성화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지원정책 자료로 활용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국 비
이전기술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0
3) 특허활용창업기획 사업
ㅇ 지역내 창업희망자에게 우수특허의 기술이전 및 특허출원 등을 지원함으 사업화 촉진 지방비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0

계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0
로써 기술기반 창업 분위기 조성 및 일자리 창출
합 계 780 480 580 680 780 780 780 780 780 780 7,200
ㅇ 특허활용 창업자에게 창업아카데미와 기술, 경영, 사업화 등 컨설팅을 지원
함으로써 창업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지역 ○ 지역수요기반 R&D
산업 및 경제 활성화에 기여 (단위 : 백만원)

4) 산학연네트워크활성화 사업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ㅇ 지역과학기술정책 발굴 및 기획을 통해 지역 과학기술혁신 및 지역 특화 미래 지역수요 국 비 75 75 75 75 75 75 75 75 75 75 750

산업 창출을 창출하여 지역 산업 및 경제 발전에 기여


기반 R&D 지방비 75 75 75 75 75 75 75 75 75 75 750

기획 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ㅇ 지역 중소기업의 국가 R&D 사업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기업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통한 고부가 가치 창출 가능
국 비 360 900 1,620 2,340 3,000 3,000 2,700 1,980 1,260 540 17,700

가교형 R&D 민 간 120 300 540 780 1,000 1,000 900 660 420 180 5,900
ㅇ 지역 중소기업이 연구역량강화를 통해 해당 분야의 기술적 우위를 선점함으 계 480 1,200 2,160 3,120 4,000 4,000 3,600 2,640 1,680 720 23,600
로써 국내·외 시장 경쟁력 강화 및 지역 산업 발전 이바지
산학연 국 비 375 750 1125 1500 1125 1125 750 375 0 0 7,125
ㅇ 지역 중소기업의 연구조직과 기업 연구인력을 집중 육성함으로써 지속 성장 공동연구 민 간 125 250 375 500 375 375 250 125 0 0 2,375
가능한 기업 R&D 수행 체계구축 법인 계 500 1,000 1,500 2,000 1,500 1,500 1,000 500 0 0 9,500

합 계 1,130 2,350 3,810 5,270 5,650 5,650 4,750 3,290 1,830 870 34,600

- 799 - - 800 -
○ 특허활용 창업기획 7.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단위 : 백만원)
1) 지식재산제고 활용사업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ㅇ 지역 우수 기업 BD 구축 결과를 활용하여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지역
국 비 8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30
On/off line 지방비 네트워크활성화 사업의 참여기업 발굴
멘토링
8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30
ㅇ 지식재산제고 사업에서 발굴된 우수기술(기술저장소 포함)을 지역수요
계 16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60
기반 R&D 사업과 특허활용창업기획사업에 연계하여 우수 R&D 성과물
국 비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창업기획/창 지방비 창출 및 특허기반 창업 지원에 활용
업경진대회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70 1,520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20 3,020

국 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2) 지역 수요기반 R&D 사업


창업 지방비 ㅇ 지역 R&D 수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학연 중장기 R&D 기획하여 지역
아카데미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수요기반 R&D 사업의 성과창출 극대화 및 지역 기업연구조직이 R&D
합 계 56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20 5,080 사업에 적극 참여할 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R&D 활성화
ㅇ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우수 연구 성과물을 지식재산제고 사업과 연계
○ 산학연네트워크활성화 하여 특허활용창업 지원 및 기업연구조직에 기술이전함으로써 기업 고
(단위 : 백만원) 부가가치 창출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ㅇ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우수 연구성과물을 중소기업청, 산업통상자원부 등
지역과학 국 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중앙부처와 지역 사업과 연계하여 후속 R&D 사업 추진을 통한 우수 연구
기술 기획/ 지방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성과물 사업화 촉진
교류회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중소기업 국 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3) 특허활용창업기획 사업
지원네트 지방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ㅇ 창업 희망자의 우수아이디어를 통해 특허창출 및 기술기반 창업을 지원
워크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하여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네트워크활성화 사업과 연계하여 창업
중소기업 국 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기업을 R&D 기반 강소기업으로 육성
연구역량 지방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강화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ㅇ 지역네트워크활성화 사업과 연계하여 창업기업 및 소속 임직원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여 창업 기업의 지속 가능한 R&D 수행체계 구축 지원
합 계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0

4) 산학연네트워크활성화 사업
ㅇ 지역 과학기술정책 발굴 및 기획을 통해 지역 R&D 활성화, 지역 과학기술인
프라의 체계적인 구축 및 활용지원, 지역 중소기업 중장기 R&D 지원정책
수립, 지역 특화 미래산업 발굴 등 지역주도 정책 기획 및 사업 추진
ㅇ 지역 중소기업의 연구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지식재산제고 활용사업, 지역
수요기반 R&D 사업, 특허활용창업기획 사업의 우수 성과창출 및 지역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로 지역 기반 R&D 활성화

- 801 - - 802 -
8. 연구원 편성표 첨부 I 가교형 R&D 후보과제 리스트
과제명 직급별 참여연구원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과제 기술 TRL 산업
구분 출연 국공 산업 연구제목 기술명
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수석 책임 선임 원급 기타 계 대학 기타 계 보유기관 분류 분야
(연) 립(연) 계
전남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2단계 기능성 분말 복합화에 따른 ◦저 에너지 (無 소성) 벌크화
1 목포대학교 3 신소재
) 하이브리드 소재 개발 및 미세구조 제어 기술
총괄 2 1 3 4 2 12 12 12
전남과학기술진흥센터 윤순선 상압고주파플라즈마CVD ◦APCVD 에피탁샬 박막 성장기술
녹색에너지연구원,
고속성장기술을 이용한 ◦나노구조 광전극 성장기술
합 계 2 1 3 4 2 12 12 12 한국생산기술연 신재생
2 차세대 이종접합 에피탁샬 ◦이종접합 태양전지 공정 3
구원, 오사카 에너지
박막형 태양전지의 핵심 ◦양면 이종접합 태양전지 모듈
대학 등
원천기술 개발 공정 기술

중소선박 건조기술 정밀도


9. 참고문헌 향상을 위한 M.S.T M.S.T (Measurement Ship 한국조선해양기 조선
3 3
(Measurement Ship Transport) Frame 자재연구원 해양
1) 2012년도 국가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Transport) Frame 개발
2) 2011 과학기술통계백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 생물공학적 기법을 이용한
◦해조류 유래 탄수화물소재 전남해양바이오
4 지역 비교우위 해조류 3 생물
3) 2012 지방과학기술연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탄수화물소재 연구
추출·분리·정제 기술 연구원

4) 2014년도 중소기업지원시책, 중소기업청, 2014 고들빼기 추출물을 포함한


◦고들빼기 추출물을 포함한
유용 생리 활성을 지닌 토종
5) 정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 예산 편성 지원을 위한 기술 및 정책분야별 5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레르기 면역조성물 전남 농업기술원,
3 생물
◦고들빼기 추출물을 포함한 조선대학교
전략수립,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1 면역증강조성물 및 간독성
간독성 해독조성물
해독조성물 개발 연구
6)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전라남도, 2013
선박 및 플랜트의 한국조선해양기
7) 창조경제 실현계획(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 관계부처 합동, 2014 6
장척파이프&플랜지용접에
자동용접 시스템 기술
자재연구원,
3
조선
적용 가능한 다목적 자동용접 목포대학교, 해양
8) 2013년도 제조업체현황, 전라남도, 2014 시스템 개발 삼호용접기

9) 지역 R&D 생산성 분석 및 시사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1 나노구조 제어기술의 융합을


◦TiO2 메조포러스 나노구조
합성 및 제어기술
통한 고기능성 메조포러스
10)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발전방안 수립,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7
나노 세라믹 복합체의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다공성 녹색에너지연구원 3 신소재
나노재료(나노로드, 나노와
11) 국가 R&D 사업 특허등록 현황, 국가 R&D성과정보서비스(www.ntis.go.kr) 고부가가치화 원천기술 개발
이어) 제조기술

12) 한국의 특허동향, 특허청, 2013 고속 기능성 투명 소자 구현을


BaSnO3, (Ba,La)SnO3,
녹색에너지연구원,
위한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서울대학교 신재생
8 Ba(Sn,Sb)O3 단결정 합성 3
반도체 소자 및 단결정 기판 첨단복합물질상 에너지
방법
제조 원천 기술 개발 태연구단

무도장, 무방식 친환경 ◦쇼트리스 피닝 기술


조선
9 ◦양극산화기술 목포해양대학교 3
알루미늄선박 건조 기술 연구 해양
◦표면개질 Hybrid 융합기술

가축 질병 예찰 및 통합 가축질병 진단용 귓속 삽입형 한국전자통신 생물


10 3
관제를 위한 축산 ICT 기술 연구 RFID칩 모듈 개발 연구원(ETRI) IT

초광대역 레이더 기반
초광대역 레이더 및 신호분석 Novelda, 라이프
11 라이프케어용 비접촉 3
알고리즘 (주)라온우리 케어
생체신호 진단기 연구

지능형 조류 발전 터빈 조류 발전용 상반전 터빈 신재생


12 목포해양대학교 3
개발에 관한 연구 설계 및 성능평가 기술 에너지

- 803 - - 804 -
첨부 II 가교형 R&D 후보과제(1, 2 순위) 요약문 〈 요 약 문 〉
상압고주파플라즈마CVD 고속성장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이종접합 에피탁샬 박막형
〈 요 약 문 〉 연구사업명
태양전지의 핵심 기술 개발

연구사업명 기능성 분말 복합화에 따른 하이브리드 소재 개발 ○ 기 술 명: 상압고주파플라즈마 고속증착 기술

○ 기술내용: - 상압 플라즈마 화학기상 증착장치용 전극 어셈블리 기술


○ 기 술 명: 고기능 나노세라믹·복합분말 합성기술 선행 - 상압 플라즈마 화학기상 증착장치를 이용한 비결정질 및 결정질
○ 기술내용: - 저온에서 PVA를 이용한 나노크기의 이트리아 분말의 합성방법 기초·원천기술 실리콘게르마늄 박막의 고속증착방법
선행
- PVA를 이용한 용액합성법에 의한 나노 산화물 분산강화 합금 - 단결정 실리콘 박막 및 이의 제조 방법
기초·원천기술
분말의 제조방법 - 실리콘 에피 박막을 구비하는 이종 접합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졸-겔법 및 함침법을 이용한 미세 지립알루미나 연마재의 제조방법 ○ 차세대 태양광 산업을 선도 할 원천 및 양산 기술 확보
○ 에피탁샬 박막태양전지의 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저가(0.4$/Wp)·고효율(>20%)를
○ 신기능성 분말 및 벌크화에 의한 미래형 고부가가치 하이브리드 소재 제조 및
연구목표 달성하고 관련업체의 참여를 통해 사업화를 위한 모듈의 양산 원천기술 확보
벌크재의 제조·특성평가·설계·응용에 관한 핵심기술 연구 - 태양전지 : 저가 및 고효율화 핵심 원천기술 개발
연구목표
○ 하이브리드 소재의 표준화 선도 - 대면적 모듈 : 양면 이종접합 박막형 태양전지의 모듈 양산기술 확보
○ 하이브리드 소재의 타 산업분야로의 적용에 필요한 원천기술 확보
○ 태양전지
○ 신 기능성 분말 제조 원천 연구 - 흡수층 : 고품질 에피탁샬 박막 고속 성장기술 확보(1㎛/min@~600℃)
- 광전극 : 플라즈몬 및 광트랩핑 효과를 갖는 나노구조 TCO 개발
연구내용 ○ 저 에너지 (無 소성) 벌크화 및 미세구조 제어 연구
- 패시베이션 : F계 반응시스템을 이용한 고품질 패시베이션 박막 개발
○ 기능성 극대화 및 조절을 위한 기반 연구
- 공정기술 : Chemical free 박막 분리 기법, 양면 이종접합 박막 태양전지 공정 최적화
연구내용
○ 모듈화 공정기술
- 2W급(100cm2)→3.5W급(6″,44cm2 x 4매)→15W급(3.75W x 4매) 단계적으로
○ 1차년도
모듈화 기초기술 개발
- 습식법에 의한 고순도 분말 정제기술
- 50W급(500mmx500mm) 파일럿 장비(전극형성+반전기+분리기+접합+패터닝) 및
- 고기능 나노세라믹 및 금속 복합분말 합성기술 양산기술 개발
○ 2차년도
○ 1차년도
- 신소성 가공법에 의한 분말 벌크화 기술
- 에피탁샬 실리콘 박막 증착 기초 공정연구
- 하이브리드 소재기능향상을 위한 코팅기술
- 헤테로정션 태양전지 전산모사 확립
연차별 ○ 3차년도 ○ 2차년도
연구내용 - 세라믹 및 금속분말의 기계적 합금화기술 - SiH4+SiF4 반응계를 이용한 고품질 비정질 실리콘 도핑층 박막 기초공정 최적화
- 다기능성 하이브리드 소재 분석·평가기술 - 양면 이종접합 태양전지 기초공정 최적화 (Si 기판)
○ 4차년도 ○ 3차년도
- 하이브리드 소재의 기능적 특성 평가기술 - 파라메터 스케일업을 통한 성장속도 개선, n+, p+ 도핑후 박막 특성 최적화
연차별
- Micro –PCD 이용한 상압플라즈마 CVD로 제작된 에피탁샬 박막 특성 축출
- 하이브리드 소재의 설계기술 연구내용
○ 4차년도
○ 5차년도
- 파라메터 최적화를 통한 성장속도 및 막질 개선
- 차세대 신개념 하이브리드 복합소재 개발 및 산업 적용 기술 - 시드층의 반사방지막 및 BSF층으로써의 특성 전산모사
- 효율 극대화를 위한 태양전지 구조 최적화 및 광메니지먼트 최적화 전산모사
○ 5차년도
○ 신기능성 분말의 벌크화에 의한 하이브리드 소재에 대한 표준화 기술을 확보하여
- 파라메터 최적화를 통한 성장속도 및 막질 개선
소재 기술의 지속적인 기술 경쟁력 향상. - 제작 셀 및 전산모사 결과 비교를 통한 구조 및 물성 최적화
기대효과 ○ 세계 톱클래스 수준의 분말합성 및 벌크화 기술에 의하여 신소재 산업과 시너지를 - 양면 Multi-layer TCO (TCO/MP/TCO) 나노와이어 도입을 통한 효율 향상
창출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소재 분야 육성에 필요한 기초 원천 기술 확보 및 소재
○ 태양광 산업, 기타 적용가능 분야(반도체, LED, 디스플레이 산업 등)
관련 무역 역조 현상의 해결.
기대효과 ○ 신재생에너지원의 보고이며 산업 생태계도 존재하므로 영향도 매우 큼
핵심단어 ○ 지역내 폴리실리콘, 태양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기업 일자리 창출
나노분말, 하이브리드 소재, 습식합성, 신소성 가공, 다기능성
(5개 이내) 핵심단어 상압플라즈마CVD, 이종접합 태양전지, 에피탁샬 성장,
(5개 이내) 나노와이어TCO, 플라즈몬효과

- 805 - - 806 -
첨부 III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계획서 요약문 〈요약문〉
연구사업명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조선산업현장의 실시간 재해경보시스템개발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기획보고서 ○ 기 술 명: 산업현정의 실시간 재해경보 시스템

○ 기술내용: - 무선통신을 이용한 선박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① 부처사업명(대)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④ 보안등급(보안, 일반) 일반 - 지그비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선박엔진 관리방법
선행 - 종합관제 장치 및 그 방법
② 사업명(중)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 ⑤ 공개가능여부(공개, 비공개) 공개 기초·원천기술 -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③ 세부사업명(소)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2단계) - 경보출력을 제어하는 센서장치
- 데이터 선택 수신이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용 휴대 통신장치 및
과제성격 실용화 대상여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선택 수신 방법
(기초, 응용, 개발) 개발 (실용화, 비실용화) 실용화
○ 작업자 재해 관리 시스템 개발
국 문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조선산업현장의 실시간 재해경보시스템개발
○ 산업 현장 환경 재해 관리 시스템 개발
후속연구개발과제명 Shipbuilding industry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연구목표 ○ 산업 현장 설비 재해 관리 시스템 개발
영 문 ○ 재해 관리 통합 플랫폼 개발
technology, real-time disaster warning system development
○ KOLAS 교정시스템 구축을 통한 계측장비 신뢰성 확보
⑥ (총괄)주관연구기관 (재)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작업자 재해 관리 시스템 개발
⑦ 협동(공동)연구기관 ■ 지역내 총 1개(디지털산전) ○ 산업 현장 환경 재해 관리 시스템 개발
■ 지역외 총 2개(케이티, ㈜하이디어솔루션즈) 연구내용 ○ 산업 현장 설비 재해 관리 시스템 개발
성 명 박태건 직급(직위) 책임연구원 ○ 재해 관리 통합 플랫폼 개발
(총괄)주관연구책임자 ○ KOLAS 교정시스템 구축을 통한 계측장비 신뢰성 확보
소속부서 전남분원 전공 조선
○ 1차년도
연구개발비 및 참여연구원수 (단위: 천원, 명) - 산업현장 내 작업자의 재해 관리를 위한 시스템 설계
- 산업현장 내 발생 가능한 화재, 폭발, 가스누출 등 환경 재해 관리 시스템 설계
기업체부담금 - 설비의 위치, 운용상태 감지를 위한 시스템 설계
정부외 상대국
정부출연금 합계 참여
년 도 (A) 출연금 부담금 G=(A+B+E) 연구원수 - 산업현장에 적용 가능한 유/무선 인프라 설계
현금 현물 소계 (B) (F)
(C) (D) E=(C+D) ○ 2차년도
- 작업자 위치, 신체상태 감지를 위한 모듈 개발
1차년도 500,000 15,000 135,000 150,000 - - 650,000 40 - 화재, 폭발, 가스누출 감지를 위한 모듈개발
2차년도 500,000 15,000 135,000 150,000 - - 650,000 40 - 설비의 위치, 운용상태 감지를 위한 모듈개발
- 산업현장에 적용 가능한 유/무선 인프라 모듈 개발
3차년도 500,000 15,000 135,000 150,000 - - 650,000 40 연차별 연구내용 - 온도, 압력, 습도, 화학, 전기 분야 교정 장비 구축
○ 3차년도
4차년도 500,000 15,000 135,000 150,000 - - 650,000 40 - 작업자 재해 관리, 산업 현장 환경 및 설비 재해관리에 대한 시제품 개발
5차년도 500,000 15,000 135,000 150,000 - - 650,000 40 - 산업현장 적용 가능한 유/무선 인프라 시제품 개발
- 재해관리 요소별(작업자, 환경, 설비) 관제 시스템 개발
합계 2,500,000 75,000 675,000 750,000 - - 3,250,000 200 ○ 4차년도
- 개발된 시제품 및 관제 시스템에 대한 현장 적용 테스트
총연구기간 2015 .01 .01 ~ 2019. 12. 31 (5년)
- 현장 테스트 결과 나타난 문제점 보완 및 고도화
다년도협약연구기간 2015 .01 .01 ~ 2019. 12. 31 (5년) - 교정 기관 인가(장소, 장비, 인원 구비)
○ 5차년도
당해연도연구기간 2015. 01. 01 ~ 2015. 12. 31 - 재해관리 요소별(작업자, 환경, 설비) 관제 시스템을 통합하는 플랫폼 개발
중소기업수 대기업수 기타 계 ○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예방
⑧ 참여기업 ○ 안전사고로 인한 직․간접적 경제적 손실 감소
2 1 2
○ 안전한 작업장 구축으로 작업자 사기 및 작업 효율성 증대
기대효과
상대국연구기관수 상대국연구개발비 상대국연구책임자수 ○ 안전한 사업장 이미지 구축으로 대외 신뢰도 향상 및 영업기회 확대
국제공동연구 ○ 수많은 안전사고로 촉발된 국민적 안전 불신감 해소
○ ICT 기술을 활용한 안전솔루션 적용으로 ICT 강대국 이미지 제고
핵심단어
재해 관리, 작업자 안전, 작업환경, 시설물 관리, ICT
(5개 이내)

- 807 - - 808 -
충북 지방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 2단계 기획
(The Second Stag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Chung-Buk Science Park)

연구기관: 충북과학기술진흥센터

연구책임자: 김 동 욱
< 목 차>

Ⅰ.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813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813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및 입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814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
··
··
··
··
··
··
··
··
··
··
··
··
··
··
·816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6
2.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 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818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


··
··
··
··
··
·826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필요성 ·
··
··
··
··
··
··
··
··
··
··
··
··
··
··
··
··
··
··826
2. 사업의 최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29
3. 연차별 사업목표 및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6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0
5.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9
6.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2
7. 연구원 편성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3
8.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4

[첨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5

- 811 -
3) 과학기술진흥센터 인원 현황
I 지방과학연구단지 현황
소 속 직위 성명 참여율(%) 비 고
과학기술진흥센터 센터장 박완수 100
1.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직 및 예산 현황 팀장 신 규 100 채용진행중
과학정책팀 선임연구원 승효진 100
연구원 양보라 100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인원
팀장 김동욱 100
인력양성팀
연구원 이충우 100
1) 주관기관 조직도

□ 주관기관 : 충북지식산업진흥원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예산


□ 조직구성 : 3부, 1센터
□ 근무인원 : 총 27명(‘14. 5 기준, 정규직 : 17, 계약직 : 10) 년도
2013 결산 2014예산(안) 증 감
구분
정부출연금 6,879,000 7,327,000 448,000
지자체출연금 240,000 325,000 85,000
기타 221,803 221,803 0
수 입(A) 7,340,803 7,873,803 533,000
사업비 7,090,221 7,652,000 561,779
운영비 169,926 169,926 0
지 출(B) 7,260,147 7,821,926 561,779
A-B 80,656 51,877 28,799

2.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및 입주 현황

가. 과학기술진흥센터 건립 현황
□ 목적 : 유비쿼터스 기반 BIT 오창과학연구단지 조성
2) 과학기술진흥센터 조직도 □ 기간 : 2005. 3 ~ 2009. 12
□ 총사업비 : 15,000백만원(국비 7,500, 도비 1,500, 민간 6,000)
□ 위치 : 충북 청원군 오창읍 각리 1길 97
□ 규모 : 지하 1층, 지상 5층
ㅇ 대지면적 : 3,306m² (1,000평)
ㅇ 연 면 적 : 3,289m² (995평)
□ 주요시설 : 충북IDC센터, 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서버기기실 등

- 813 - - 814 -
나. 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 현황
Ⅱ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성과
1) 충북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기업 현황
□ 입주기업 : 3개
1. 1단계 중점 추진사업 목표 및 내용
입주기업명 주요사업분야
가. 최종 연구목표
요나스앤드레드만코리아(주) 태양광발전제품 □ 오창과학연구단지 조성사업

㈜충북아이디씨(IDC) 소프트웨어 자문, 개발 및 공급, 방송통신

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SW개발, 교육서비스 등

합 계 3개 기업

2) 충북과학기술진흥센터 입주율
□ 센터 완공 후 2008년부터 콜센터 운영을 시작으로 입주기업 모집
□ 2010년 3월부터 본격적인 기업 입주가 시작됐으며, 2014년 현재 100%의 < 그림 > 오창과학연구단지 발전모형
입주율을 달성 중
□ 오창과학연구단지 인프라를 활용한 기초원천기술개발
□ 총면적 대비 전담부서의 사용면적이 적고, 임대가능 면적을 최대화하여 입주
ㅇ 오창과학연구단지 BIT기반 앱타머(aptamer) 스마트 헬스케어팩토리개발
공간을 확보하려고 함
ㅇ EOIT(Extension, Circumstance, Open, Interoperability, Technical) 기반의
총면적 전담부서 사용면적 임대가능면적 임대면적 지능형 오픈 크로스 플랫폼(IOCP)을 개발
ㅇ U-BIT 녹색융합기술 연구 및 R&BD Collaboration Center 운영
1394.89㎡ 24.57㎡ 1370.82㎡ 1370.82㎡
ㅇ 대학 및 기업 협력체제 구축
□ 5차년도 사업을 통해 연구개발의 활성화와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로 기업,
근로자, 입주민을 위한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인프라를 구축
ㅇ 오창 IDC : 기업 자체 전산실 구축 비용 절감 효과
ㅇ 오창 콜센터 : 마케팅지원을 통한 기업 매출증대
ㅇ 오창넷 정보보안센터 : 기업의 인터넷을 통한 외부해킹 차단
ㅇ 산업기술정보제공 : 인터넷을 통한 R&D 기초데이타의 신속한 자료제공
□ 사업성과의 고도화 추진
ㅇ 유비쿼터스 오창연구단지 기반조성을 바탕으로 응용서비스 개발
ㅇ 기구축 운영중인 오창 IDC, 오창 콜센터등의 수익을 통한 재원 확보
□ 사업성과의 표준화 추진
ㅇ 오창 IDC, 콜센터, U-healthcare등 사업모델의 표준화와 각 모델간의
유기적 작용에 대한 모델의 해외수출 추진

- 815 - - 816 -
나. 연차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공고 및 사업자선정 ⋅구축계획 수립 계약체결
⋅주
, :'08. 12. 24
인터넷데이터센터
연차 사업범위 사업목표 사업추진내용 ⋅ 구축 및 운영 ⋅구축검수 및 운영 시작
( )CIDC

증설 구축 및 운영 ⋅운영 협약체결
(IDC) IDC

⋅입찰공고 차 ⋅운영협약 체결
: ’08. 3. ~

⋅입찰공고 차
(1 ) : ’05. 6. 8

⋅기본계획수립용역
: ’09. 3. ~ ’12. 3.
유비쿼터스기반
⋅수의계약 체결
(2 ) : ’05. 6. 24

⋅공고 및 사업자선정 ⋅구축계획 수립 계약체결


오창산업단지 조
⋅ 주 해리커뮤니케이션
, : '08.8.6 ~

⋅유비쿼터스 기반 오창산업단지조성 기
: ’05. 7. 14

1 성계획 수립
결정(입찰공고) 콜센터
⋅구축 및 운영 ⋅민간사업자 운영협약 체결
( )


플랫폼운영센 ⋅ 플랫폼운영센터
본계획수립 최종보고
⋅부지확보 부지 평 연면적 평
(’05. 11. 8) 구축 및 운영
⋅운영 협약체결 ⋅운영협약체결및운영
: '08.11.3

⋅지하 층 지상 층 증축을 고려한 설계


U- U- : 1,000 , 1,050 : 8.11.3~’10.12.31


터건립방안결정 건립방안 결정
⋅입찰공고 및 낙찰자결정
1 , 2 ( ) (2008.03.00
⋅공고 및 사업자선정 ⋅계약체결
⋅ 주 델타시스템
: ’08. 9. 29 ~ ’08. 11. 27
~
전문인력양성
(2005.03.00
⋅설계용역 - 낙찰자: (주)토림건축사
2009.02.00)
시스템 개발 ⋅발전계획 수립 ⋅시스템 개발 및 운영 교육컨텐츠 현물출연
( )

( )
~ 계약 : ’05. 12. 28
⋅계약체결
-
U-플랫폼운영센
- 납품 : ’06.


2006.02.00)

⋅공고 및 사업자선정 ⋅엠에이치컨설팅


4. 24 : '08. 11. 5 ~ ’09. 2. 5
터 건축설계 오창과학연구단지
설계용역기간 : ’06.1.3~4.3(90일)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중장기발전
연구과제
⋅발전계획 수립 ⋅과학연구단지 현황조사 및 중장기
- 실시설계 납품 : ’06. 4. 17

⋅조달청 위탁계약 발전계획 수립

플랫폼운영센터 체결 및시공관리요청
- 조달청시공관리 및 위탁계약체결요청 유무선포털
⋅정보보안센터 운영 ⋅ 개기업 개 방화벽 지원 년중
⋅웹메일서비스 제공 ⋅ 개기업 명 웹메일 서비스 제공
U- 34 35 ( )
- 시공관리 약정동의 : '06.6.22 (오창넷)보완
건축공사 준비 - 건축허가 (청원군) 20 874
- 청원군 건축허가 : ’06.7.4 구축 및 운영
2
- 착공허가 (청원군)

⋅계약체결 ⋅그리드컴퓨팅 응용 기반 ⋅계약기간


⋅수행사 셀런
: ‘09. 3 ~ ’09. 12

년 플랫폼운영센터 ⋅건립공사 입찰공고)
- 전기, 통신, 소방 : ’06.7.27 그리드컴퓨팅응용
클라우드컴퓨팅 환경
: SN

⋅시공관리
U- (
- 건축, 토목, 기계, 조경 : ’06.7.28 기반인프라구축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조성을 통한

-

도 건축공사 : 조달청 조성 및 EDMS 구축


공사 착공 : ’06.8.3(현공정 27%) 정보통신 환경 고도화
(2006.03.00 ※ 준공 : ’07. 8. 3
⋅계약기간
⋅기본계획수립용역결정 ⋅ ⋅수행사 중앙일보
: ‘09. 12 ~ ’10. 2
바이오자원관리시 기본계획 수립용역
⋅헬스케어 인프라 구축
~
U-Genbank
5 헬스케어포털 : 주) C&C(
2007.02.00) 스템기본계획수립 입찰공고) 최종보고(’06.12.26)
(
차 시스템 구축 - u-헬스케어 인프라 구축 및 운영
(U-Genbank)
⋅업체 협약 추진 ⋅업체협약 추진 년 - 연계비지니스모델 발굴
유무선포털(오창넷)
⋅유무선포털 웹도우미 포팅 ⋅ 상면서비스
: '06.9

활성화방안수립 ( 주)아이필넷 ; ’07.1.26 ~ 도 IDC 고객 - 상면 유치기업 : 31개사

⋅장기계속 차 계약 ⋅조달청 장기계속 차계약체결 (2009.03.00


본관IDC운영(3차)
유치 개 기업
(25 ) - 본관동 IDC 운영사 변경 : 코아ENG
⋅준공 ⋅ 상면서비스
2 :’07.6.1

⋅건립공사 준공
2 ~
플랫폼운영센터 고객 상면 유치 가능기업 302개사,
⋅개관
U- : ’07. 10. 20 2009.12.31) IDC -
별관IDC운영(1차)
건립
⋅개관 부총리겸 과학기술부 장관외 참석
: ’07. 12. 10 유치(50개 기업) 조기유치를 통한 안정화 운영

⋅계약체결 ⋅방화벽 개 기업지원 ⋅


( )

인터넷데이터센터 ⋅공고 및 사업자선정


정보보안센터운영 개기업 개 방화벽 지원(년중)
⋅민간사업자운영협약 결
: '07. 5. 9 35 34 35

3 ⋅협약체결 : '07.6.5
⋅논문 특허 등 고급 기 ⋅
구축 및 운영 ⋅
(IDC) ·
주 온세텔레콤
⋅구축 및 운영시작 산업기술정보제공 건 기술자료제공
- ( ) 1582
차 구축 및 운영 IDC
: ’07. 11~‘09.12
술정보 제공

도 체험관 및 ⋅국내외 현황조사 및 ⋅국내외현황조사 년중 및 자문협의회 ( )

전시관구축 계획 타당성 분석 운영을 통한서비스 타당성분석 2.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1단계) 성과


(2007.03.00
~ 수립 ⋅구축계획 수립 ⋅오창에 특화된 체험 전시관 구축계획 수립 ·

⋅정보보안센터 운영
2008.02.00)

유무선포털
오창넷 보완 ⋅개인별 맞춤 정보
⋅ 개기업 개 방화벽 지원 년중 가. U-BIT 오창과학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개인맞춤형개인화페이지개발
34 35 ( )
( )
:’07.8.4
구축 및 운영 제공 및 기능보강 □ 사업개요
워크플랫폼 ⋅ 워크 플랫폼 ⋅ 워크 플랫폼 민간 출현
⋅서비스 포팅
u- u- u- : ’07. 11
ㅇ 사업기간 : ’05.7.14~’05.10.28 (160백만원)
구축 및 운영 민간 출현 개발 : ’08. 2

4 인터넷데이터센터
⋅ 차년도 운영결산 ⋅ 차년도 운영결산 및 차 운영계획수립 ㅇ 사업내용 : 운영기본계획수립(기능 및 역할, 장비도입, 자립방안 등)
⋅ 차년도 운영계약 체결
1 2

⋅ 차년도 운영계약 ㅇ 추진방법 : 용역시행 (KT)


1

⋅확산운영
(IDC) 2 : '08. 12. 19

⋅사업확산 운영
2
년 구축 및 운영 ㅇ 사 업 비 : 160백만원
도 (2차년도) ( 해리슨엔지니어링코리아등 36 개랙 지원)

- 817 - - 818 -
□ 세부사업내용 □ 배치도 및 건립공사
ㅇ 현재 진행되고 있는 IT분야 기술발전의 트랜드는 칩의 소형화 기술,
BIT 과학연구단지 충북거점으로서 유비쿼터스 기반 infra 구축을 통해
BIT산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첨단관리시스템 구축 계획을 수립함
ㅇ U-BIT R&D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행계획의 수립
ㅇ 오창단지가 유비쿼터스 기반 BIT산업의 Test Bed로서 역할과 기능을
하기 위한 관련분야의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전략을 모색함
그림> 충청북도
< 플랫폼 배치 개념도
U-

ㅇ BIT 기술 및 지식컨텐츠 개발 계획의 수립 ㅇ 건립경과


ㅇ U-learning 운영을 통한 전문기술인력의 양성 계획 수립
ㅇ U-플랫폼과 R&D 지원시스템을 통해 오창단지내 입주기관/기업의 BIT
신기술 지적재산권 확보와 상품화를 지원․육성하는 계획의 수립
착공후

나. 충청북도 U-플랫폼 운영센터 건축 (’06. 10)

□ 센터구축 사업개요
ㅇ 부지 :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오창과학산업단지내

ㅇ 건축면적 : 부지 1,000평, 건축면적 998(지하1층, 지상2층)
ㅇ 사 업 비 : 5,626백만원 (부지확보, 설계용역비, 시설비)
- 용도 : 교육연구시설, 구조 : 철근콘크리트 준공후
ㅇ 추진방법 : 용역시행 (’07. 10)

ㅇ 사업기간 : 2005 ~ 2007


- 설계용역 : 2005. 12 ~ 2006. 4

- 건축공사 : 2006. 8 ~ 2007. 10 (1년 2개월)
- 준공 및 입주, 본격가동 : 2007. 12월중
※ 임시사무실 사용 : ‘05. 4 ~ 준공시까지 충북지식산업진흥원내 1실(약 40평정도) 개관식
□ 센터의 역할과 기능 (’07. 12)

ㅇ 공공기관, 기업, 개인 등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공통기반으로서 IT지원환경 구축하여 지원함.
ㅇ 오창단지 내 입주기관 및 기업들을 위한 Data center 구축 다. 인터넷데이터센터(IDC) 구축 및 운영
ㅇ 전산 자원 대여 및 유무선 통합 포탈 플랫폼 제공(제휴 또는 수익사업) □ 사업개요
ㅇ U-BIT R&D 지원시스템의 기반 플랫폼 제공 ㅇ 사 업 명 : 민간자본을 활용한 IDC 구축 및 운영
□ 오창 U-플랫폼 운영센터의 배치 개념도 ㅇ 사업기간 : 2구축 (’07. 3 ~ ’07. 11), 운영 (’07. 11 ~ ‘09. 12) /
ㅇ 센터의 공간적 배치는 향후, 오창단지에 건립 예정인 충북테크노파크, 한국 (주)온세텔레콤
생명공학연구원 등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ㅇ 추진방법 : 구축 및 운영 / (주)온세텔레콤
아니라 이들 시설과 기밀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설계함. ㅇ 사 업 비 : 3,884백만원 (현물 1,942백만원)
ㅇ 센터 건립을 위한 부지는 오창단지내 용지 1,000평 규모의 부지를 확보 ㅇ 가 동 율 : 42% / 333개 기업 전산입주

- 819 - - 820 -
□ 세부사업내용 ㅇ 바이오자원의 탐색 및 분석 등과 관련한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ㅇ 오창 U-플랫폼 운영을 위한 공간 확보 서는 대용량 컴퓨터 프로세싱을 위한 Grid 슈퍼컴 등의 장비를 장기적
ㅇ 설비 (UPS, AVR, 배선, 소화, 보안 등...) 인 차원에서 구매할 필요가 있을 것임.
ㅇ Network (KT/Dacom 등의 기간망에 접속, 무선 데이터 접속을 위한 ㅇ 광대역 유무선 통합정보망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함.
Gateway 제공) 오창 IDC 상황실
ㅇ 오창단지에 입주기관/기업들의 전산자원(서버장비)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 제공
ㅇ 오창단지 입주기관/기업들을 위한 상면 제공 서비스
ㅇ 유무선 통합 포탈 제공 및 Web Hosting
ㅇ 주요시설
구 분 면적(㎡) 용 도 비 고 회의실 서버기기실
서버기기실 403.618 ∙웹호스팅, 스토리지, 보안백업장비 등
서버 운용실 29.413 ∙서버운용을 위한 운영자 공간
상 황 실 118.75 ∙IDC 설비관련 중앙 감시제어실
오퍼레이션룸 112.79 ∙관/기업의 장기간운영시 지원사무실
계 664.571

ㅇ 주요서비스
- 주요서비스 UPS실 MDF실
․ 인터넷 비즈니스에 필요한 코로케이션, 서버호스팅 서비스 등
․ 보안, 백업, 온라인광고, 서버관리, 로드밸런싱 서비스 등
․ 웹메일서비스, 그룹웨어, 쇼핑몰, 빌링, 동영상호스팅 서비스 등 최적의
인터넷 비즈니스 환경을 위한 기반마련
□ 추진전략
ㅇ 플랫폼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기간통신 사업자 등과 제휴를 통해 구축
- 사업내용에서 ①~⑤ 까지는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IDC영역이라 할 수
라.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증설 구축 및 운영
있음. 따라서 오창단지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사업을 추진하기 보다는
□ 사업계획 변경 승인 : ’08. 7 (학술연구진흥재단)
KT/Dacom 등과의 제휴를 통해 구현하는 방안을 향후 적극 모색함.
ㅇ 변경전 : 체험관 구축 및 운영 ⇒ 변경후 : IDC 증설 구축 및 운영
ㅇ U-플랫폼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기간통신사업자
□ 사업개요
등과 컨소시엄을 형성하여 마련함.
ㅇ 사업기간 : 2008. 12 ~ 2012. 3
- 센터 건립을 위한 부지는 오창단지내 연구타운 용지 1,000평 규모의
부지를 충북도가 확보함. ㅇ 추진방식 : 용역수행((주)CIDC) 및 공동운영
- 통신사업자 : 시스템 운영을 위한 선로 확보, 건물신축, 시스템 설치 ㅇ 사 업 비 : 722백만원 (현물 202백만원, 출연금 이자액 등 포함)
장소의 제공 및 운영(장기적 Test Bed 운영) □ 세부사업내용
- 오창 U-플랫폼의 운영을 위한 공간은 진동, 항온, 항습, 방진에 ㅇ 초고속 네트워크 및 서버장비 등의 기반 인프라 구축
대비한 독립된 건물 형태로 건립하는 방안을 고려함 ㅇ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 배선, 소화, 보안장비 등 구축
ㅇ 독립된 사업자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음. 따라서 충북지역의 H/W 공급 ㅇ 기구축된 오창 IDC 상황실을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업체를 통한 대여 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ㅇ 오창 IDC의 중소기업 위주의 고객사 및 대형고객사 유치 공간 확보

- 821 - - 822 -
별관동 IDC 아이소 서버운영실 바. 오창과학연구단지 중장기 발전 연구과제
□ 사업개요
ㅇ 사업기간 : 2008. 11 ~ 2009. 2
ㅇ 추진방식 : 용역수행(엠엔에이치컨설팅)
ㅇ 사 업 비 : 49백만원
□ 세부사업내용
서버기계실 회의실
ㅇ 변화된 오창과학연구단지 u-BIT R&D 환경조사를 위한 인근지역의 특
성·기술혁신 사례 조사와 입주기업 분석
ㅇ 오창과학연구단지 자립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
ㅇ 유비쿼터스 기반을 활용한 BIT 산업 효과적 지원전략 마련 및 U-기반
핵심기술을 활용한 신규 사업모델의 발굴 및 운영방안 마련
ㅇ 오창과학연구단지의 정보화 실행 추진계획 수립 및 육성방안 마련
마. 콜센터 구축 및 운영
ㅇ 오창과학단지내 연구개발, 산업활성화 및 IT·BT R&D 우수인력 양성방안 마련
□ 사업개요
ㅇ 사업기간 : 2008. 8 ~ 2010. 12 사. 그리드기반 헬스케어포털 시스템 구축
ㅇ 추진방식 : 용역수행( (주)해리커뮤니케이션)), 공동사업추진 □ 사업개요
ㅇ 사 업 비 : 599백만원 (현물 305백만원) ㅇ 사업기간 : 2008. 12 ~ 2009. 6
□ 세부사업내용 ㅇ 추진방식 : 용역수행 ((주)에버케어)
ㅇ U-플랫폼 운영센터내 지자체, 기업 등과의 접점 확보를 위한 공간 구 ㅇ 사 업 비 : 75백만원
축(상담원 및 관리인력 70석 규모, 상담실 및 교육실, 사무실 구성) □ 세부사업내용
ㅇ 지자체 등 대민서비스 지원을 통한 공공서비스 역량 강화 ㅇ U-기반을 활용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한 u-건강 시범 모니터링 환경 구축
ㅇ 오창과학연구단지 연구개발 활성화 및 성공확률 증진을 위한 서비스 구현 ㅇ 모니터링을 위한 단말장치(혈압·맥박), 서버, 웹페이지의 개발
ㅇ 신규 일자리 창출,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및 채용을 통한 지역경제 ㅇ 만성질환자 건강모니터링 환경의 구축
활성화 기여 ㅇ 시험대상자 선정 및 모니터링 지원 등 운영메뉴얼 개발
콜센터 현관 콜센터 전경 일반회원 화면 실시간모니터링 화면

상담센터-1,2 멀티미디어 상담센터


아. 그리드컴퓨팅 응용 기반클라우드컴퓨팅 환경조성 및 EDMS 구축
□ 사업개요
ㅇ 사업기간 : 2009. 3 ~ 2009. 12
ㅇ 추진방식 : 용역수행
ㅇ 사 업 비 : 606백만원 (현물 309백만원)

- 823 - - 824 -
□ 세부사업내용 Ⅲ.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계획
ㅇ 민간 기업부설연구소 유치·연구를 통한 컴퓨팅 그리드 솔루션 확보(’08)
ㅇ 그리드 기반 응용시스템 및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1. 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2단계) 필요성
- 지역대학, 기관 등 보유 PC자원 활용 N/W 환경 구축
□ 충북 지방과학연구단지에 대한 정책수요
ㅇ R&D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활성화 지원
- 그리드 응용 인프라를 활용한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 운영 ㅇ 지역 산업계에서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구개발사업이 지역거점

- 산·학·연 보유자원(우수인력, 교육등)간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R&D사업인 점을 감안하면, 기존 연구기반으로는 지역산업이 미래 성장

ㅇ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조성을 통한 정보통신 환경 고도화 기반을 마련하고, 중장기 기술혁신의 매개를 마련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

ㅇ S/W기반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 지원환경 구축 ㅇ 충북 지역 산업체 면담조사에서 지역 기반 산업체의 연구개발 및 기업


자. u-헬스케어포털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경영 환경으로써
□ 사업개요 ①지역산업 기반의 기초·원천연구 미흡, ②미래 기업수익원 발굴을 위해
ㅇ 사업기간 : 2009. 7 ~ 2009. 12 서는 보다 장기적인 기초·원천연구 필요성 증대, ③산학연 연계 프로그램
ㅇ 추진방식 : 용역수행 (중앙일보C&C(주)) 강화 필요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음.
ㅇ 사 업 비 : 302백만원(현물 150백만원)
□ 세부사업내용 □ 지역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장기적·체계적 투자 부족
ㅇ u-헬스케어 인프라 구축 및 운영 ㅇ 5+2 광역경제권 추진으로 인해 지역사업의 축소로 지역과학기술과 산업
- 비만질환관리를 위한 만보계 제작 육성의 연속성 및 지속성 축소되고 있는 상황이며,
- 개인맞춤형 운동처방 건강관리시스템 구축 ㅇ 수도권 규제 완화정책으로 인하여 지역 내 기업들의 수도권 유출 및 투자유치
- 콜센터를 통한 개인맞춤형 u-건강트레이너 시스템운영 기업들의 투자유보 현상 등이 발생되고 있음
ㅇ 연계 비즈니스 모델 발굴
ㅇ 지역 R&D 투자 재원의 높은 중앙 의존도로 지역별 중장기 전략과 연계된
- 오창콜센터, 오창IDC와 연계한 재가긴급구호 시스템 등 복지서
사업 추진에 한계가 존재함
* 중앙정부의 충북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2,647억원 수준으로 전국 16개 시·
도 가운데 12위에 불과(‘10년)

⇨ 지역의 R&D투자 확대 및 지역 수요에 기반한 사업 추진 필요

- 825 - - 826 -
□ 지역 특화산업의 기초R&D성과의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 활성화 필요 □ 기술개발 성과의 사업화 촉진을 구심 체계 필요

ㅇ 지역 특화산업 분야의 R&D성과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사업화로의 연 ㅇ R&D성과 정보가 분산ㆍ관리됨에 따라 수요기업이 기술정보를 손쉽게 활용할
계성이 부족한 상황임 수 있는 단일창구(Single Window) 마련 필요
- 이에 따라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에 17개 시․도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충북의 중점전략분야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지역 중점전략분야
충북  바이오(의약)산업,  태양광산업

- 대학, 출연(연)의 우수 R&D성과물을 발굴하여 지역 산업단지 중심으로


사업 연계성을 높임으로서 지역 중점산업 기술사업화를 촉진할 필요성이 있음

□ 타부처 사업과의 연계․협력 필요성 - 충북은 중앙부처 시군구 사업의 관리체계가 부실하여 지역 성과관리 전담
주체나 기구에 의한 통합적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ㅇ 인력양성이나 R&D 등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기획으로부터 실행, 평가와
- 각 시군의 경우 R&D 전담기관이 없거나 추진역량이 미흡하여 충북과학기술지원
성과확산에 이르기까지 종합적 조정·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센터, TP 등 중앙정부 R&D 전담조직 등에 의존하는 상황이 발생되고 있어
효율적인 거버넌스 취약
이에 대한 거점 조직의 성과관리 기능이 필요함
- 지역 R&D사업 기획과정의 개방성이 부족하고 관련 기관 간 자료 및 정보
공유체계 미흡하고, 중앙정부 사업의 유사・중복 및 연계 등 R&D사업 □ 미래 유망과제 중심의 지방과학단지 활성화 및 고도화 필요
조정 메커니즘 부재 ㅇ 충북 미래 유망과제 선정 및 고도화를 통한 가교형R&D활성화 필요
※ 충북도내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619개로 전국의 3.47% 비중을 차지
- 대학, 출연(연)의 기초R&D성과물을 사업화로 연결시키는 가교형R&D지원
* 연구개발조직은 기업이 590개사로 가장 많고, 그 다음 대학(15개), 공공연구소가 14개 체계 확립을 통해
- R&D기획, 교육, 연구개발, 네트워킹, 창업 등의 지원으로 연구단지 활성화 및
고도화를 추진할 필요성이 있음
대학, 출연(연) 충북연구개발 지원단 충북과학연구단지
성 지역유망과제 선정/발굴 성 유망과제 활성화
R&D성과물

연 R&D기획, 연구개발 과
확 산업 고도화
(특허, 논문 등) 계
네트워킹, 멘토링운영 산 기술경쟁력강화
⇔ ⇔
기술이전, 교육, 창업지원 창업, 일자리창출
자료 : 1.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연구개발활동 조사보고서
시 사 점
2. 국가과학기술위원회·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2), 2011 지방과학기술연감.

◇ 국가/지방R&D 예산투자의 사후관리 및 조정기능을 위한 컨트롤타워 필요


⇨ 이에 따라 대학과 연구기관 및 기업간 적극적 협력 및 조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계 메커니즘이 필요 ◇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및 지역 책임성 제고를 위한 R&D거점기관 강화
* 연구개발 지원기관 간 상호 공동기능수행 등 유기적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 ◇ 지역적 특성화 및 내실화에 기초한 지역R&D 생태계 조성 필요

- 827 - - 828 -
2. 사업의 최종목표 및 내용 나. 사업 최종목표

□ 지역 과학기술 역량강화
가. 사업비전
 지식재산(IP)활용도 제고
충북지역 산학연 연계를 통한
비전 ㅇ 대학·공공(연)과 기술거래 사업화 기관 등과의 협력을 통해 공공IP 대한 이전
지역과학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촉진 및 활용으로 기술인수 기업의 성장지원 제고
ㅇ 정량적 목표
① 기초R&D성과의 사업화 연계를 위한 ‘One-Stop서비스플랫폼 구축’ 방안
• 지역 과학기술 역량강화
연구보고서 : 1건
- 기술이전 및 활용(120건), 기술이전금액(4,000백만원), 산학공동논문(20편),
② 연구개발정보 및 기술DB화(연도별 업데이트)
목표 • 지역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 촉진 - 공공R&D성과물 DB구축 1식, 홍보 책자발간 및 배포 1,000부
- 신규고용창출(162명), 산학공동논문(305편), 특허(212건),
③ IP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IP기반 사업화 컨설팅지원
- 원천기술 확보(18건), 기술창업 (20개), 산학공동연구법인설립(4개)
- IP이전활용기업컨설팅 50개사(5개/년), R&D애로상담지원 200건(20건/년)
* 기술저장소를 통해 IP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을 우선 순위로 지원
* IP기반 기업 맞춤형 미래전략 컨설팅, TRM수립, 기업 수요기술 이전 컨설팅 지원
④ 산학 협력 사업연계형 R&DB지원
추진 지역 R&D, 사업화의
지역특화분야의 산․학․연 기술이전 활성화 및 - 공공IP(기술, 특허 등) 이전활용 20건(2건/년), 산학공동논문 20건(2건/년)
전략 공동연구 활성화 창업 지원 강화
효율적 추진을 위한
* 기술을 이전받을 기업 또는 기업군을 먼저 뽑아 사전 협약 후 R&DB를 수행하는 방식
연계․협력 강화
(수요창출형, 시장지향형) ※산학콘소시엄 구성
⑤ 충북 기술저장소(Technology Reserve) 구축 운영
지식재산 지역수요기반 특허활용 산·학·연 - 기술이전 100건(10건/년), 기술이전액 40억원(4억원/년), 기술저장 500건(50건/년)
활용도 제고 R&D 창업기획 지원 네트워크 활성화 ※ 2016년 구축, 2017년 이후 Update 및 유지보수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지역특화분야 협력네트워크
One-Stop 중소기업 ㅇ 지역 대학 및 출연(연)과 협력을 통해 공공의 우수기술씨앗, 우수 휴면 특허를
멘토링시스템 구축운영
서비스 가교형R&D 탐색, 발굴, 평가하여 지역 내 기업에 이전할 수 있는 체계구축
구축운영
플랫폼구축방안 사업화지원
추진 (기반조성)
ㅇ (정량적 목표)
충북과학기술 ① 지역 대학 및 출연(연) 협력네트워크 구축
사업 국제컨퍼런스 - 기술니즈매칭협의체 구축 20개 기관(2개 기관/년)
개최
지역특화분야 - 우수기술씨앗, 우수휴면특허 발굴 및 SMK 100건(10건/년)
중견기업 연구단지 ② 충북 과학기술 국제 컨퍼런스 개최 : 10회(1회/년)
기술중개 기능
가교형R&D 기술창업
활성화지원 충북과학포럼 ③ 충북과학포럼운영
사업화지원 활성화지원
(활성화조성) 운영 - 충북과학포럼 연구회 4개, R&D사업화기획 80건(8건/연), 연계 정부사업 9건
* 충북도와 충북과학기술진흥센터는 ‘13년에 충북과학기술위원회(충북과학포럼) 발족, 4개분과
(과학정책,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ICT) 운영 중
- 829 - - 830 -
□ 지역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 촉진 다. 최종목표달성을 위한 세부사업
 지역 수요기반 R&D사업 1)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사업
ㅇ 지역의 공공R&D성과물을 활용,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가교형R&D과제 사업화 □ 사업필요성
지원을 통한 지역 전략특화산업(태양광, 바이오)의 성장, 고도화 ㅇ (문제점)수요자 요구를 반영한 R&D기획의 부족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신
ㅇ R&D기획 지원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공모․선정하여 R&D과제 기획을 뢰도 저조 및 기술사업화 저하를 유발
통한 가교형 R&D과제 선정 및 산학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 * 공공R&D 상용화율(6.1%) : R&D ⇒ 기술이전(26%) ⇒ 상용화(23.6%)(舊지경부, '11)
ㅇ (정량적 목표)
* 공공 기술공급자(대학, 공공연 등)의 25%가 이전기술의 활용처 등 조사 부족(KIAT, ‘12)
ㅇ 과학기술기반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서는, 기존 R&D 주체들의 역량을 새롭게
① 기초․특화분야 R&D현황/수요조사 분석보고서 : 10식
결합하고 성과를 효과적으로 이전, 확산시킬 수 있는 플랫폼 필요
② 지역특화 부품․소재 중소기업 가교형R&D성장지원
- 이를 위해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지식재산(IP) 경쟁력 강화 및 산학연협력
- 신규고용 50명(5명/년), 산학공동논문 100건(10건/년), 특허 100건(10건/년)
* 지역 특화분야 부품, 소재 R&D기업에 사업화지원을 통한 고부가가치 유도 촉진을 위한 연구성과 DB화 및 기술저장소(Technology Reserve) 구축을 통해
- 지역대학의 취약한 지식재산경쟁력, 특히 산업기여도 측면에서의 취약성을
③ 지역 특화분야 기술개발 로드맵 보고서 : 4회/10년
보완하고, 공공과 민간시장 간의 기술거래 중개, IP기반 사업화 컨설팅 지원
④ 지역 특화 중견기업 가교형R&D 고도화지원
등을 통한 공공의 성과 제고 및 활성화
- R&D과제 기획 50건(5명/년), 신규고용 40명(4명/년)
□ 세부 사업
- 산학공동논문 80건(10건/년), 특허 40건(4건/년)
 One-Stop서비스플랫폼 구축
⑤ 산학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
- R&D과제 기획 50건(5건/년), 신규고용 80명(8명/년) 특허 80건(8건/년) ㅇ 기초R&D성과(특허, 논문 등 지식재산) 연계를 효과적으로 사업화로 연계 할
- 산학공동논문 140건(14건/년), 원천기술확보 20건(2건/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 특허활용 창업기획 ㅇ 지역R&D성과관리-확산의 가교적 서비스체계 구축 방안 연구보고서 제작


* ‘창의․도전적 기초연구 활성화 및 지역R&D성과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산학연관
ㅇ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기초연구 성과에 대한「창업기업 발굴→교육→후속지원 전문가 TFT구성을 통해 연구보고서 제작
(사업화)지원을 통한 기술창업 생태계조성
《2단계 지방과학단지 활성화를 위한 가교형 R&D거점 플랫폼(안)》
ㅇ (정량적 목표)
① 기술창업기업 발굴 및 On-Off 멘토링시스템 운영
- 기술창업 20개(특화분야 10개, 일반 창업 10개) (2개/년, 분야별 1개/년)
② 창업아카데미 개최 운영
- 교육운영 20회(2건/년), 교육참가자 300명(30명/년), 교육만족도 90%이상
③ 창업경진대회
- 우수아이디어(아이템) 발굴, 지원 50건(5건/년)
* 우수기술 및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창업자 또는 사업자등록 1년 미만 초기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경진대회 개최 운영
※ 공공 특허 및 기술활용 예비창업자, 지역 특화분야 예비창업자 인센티브 반영
- 831 - - 832 -
 기술중개 기능 활성화 지원사업 ※4개 단위사업 라) 충북 기술저장소(Technology Reserve) 구축 운영
가) 연구개발정보 및 기술DB화 ㅇ 기술저장소 구축을 통한 IP 패키지화(특허 고부가가치화) 추진
ㅇ 지역 내 중소기업 R&DB사업의 수요 및 지역의 기초R&D성과, 참여인력, 성과 - 대학, 출연(연)의 우수 기술, 특허 등을 저장한 후 기술이 필요한 창업, 벤처
정보, 장비 기자재 등을 DB화하고 NTIS DB와 연동을 통한 활성화 기업에 기술이전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술저장소 구축
* 지자체, 대학 및 출연(연)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내 중소기업 R&DB사업의 수요 파악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및 공공의 R&D연구개발 성과물(특허, 기술 등)의 DB구축
- (연계) 지역 내 분산되어 있는 기초 R&D연구에 필요한 연구시설‧ 장비 등에 □ 사업필요성
대한 홍보 책자발간 및 배포 ㅇ (배경) 지역 특화산업의 기반이 되는 첨단 부품·소재는 사업화가 어려운
“Death Valley" 존재
- 현재 기술수준은 선진국 대비 70%에 불과하고 원천기술이 포함된 첨단
부품·소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
* 소재 부품 기술의 우리나라 기술수준은 최고 선진국 대비 71.3%이며, 부품 분야가
72.5%로 소재분야 70.3%보다 기술수준이 다소 높음
- 또한 국산화에 성공해도 신뢰성미흡 등으로 수요기업이 구매기피
ㅇ 지역 중소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대기업과 경쟁·발전하는 중견기업이 성장
해야만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불균형 해소와 안정적 성장 가능

ㅇ 이에 따라, 지역 특화분야 중소·중견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가치사슬에 기반,


나) IP기반 중소기업 사업화 컨설팅지원
기초․원천 연구성과(특허, 기술 등)의 이전촉진을 통한 고부가 가치화가 필요
① IP기반 기업 맞춤형 미래전략 컨설팅 지원
* 기업의 특허·제품·경영 관련 현안문제를 지식재산(IP) 관점에서 해결하고, 중․장기 제품 □ 세부사업
경쟁력 및 사업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 제시  (기반 조성)지역 특화 중소기업 가교형 R&D성장지원 ※2개 단위사업
② 기업 기술개발전략 TRM(Technology Road Map)수립 컨설팅 지원 가) 기초․특화분야 R&D현황/수요조사 분석
- (코어기술 고도화방안지원) 타 기업과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는 핵심(Core)
ㅇ 충청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과학기술진흥 및 특화산업에 대한 현황, 기술
기술 또는 원천기술에 대한 기술 아키텍처 설계 및 고도화방안
수요를 정확히 조사하여 객관적이고 상세한 분석자료 제공
- (요소기술지도 작성지원) 목표로 정한 제품군과 그에 필요한 요소기술을 분석
- 지역R&D사업 정책수립, 기획· 배분 및 정책연구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하여 매트릭스로 나타냄으로써 기술개발의 우선순위 등의 검토/ 사용
나) 지역 특화 부품․소재기업 가교형R&D 성장지원
- (시장지도(Market-map) 작성지원) 사업화 및 시장이 필요로 하는 제품이나
공정 중에서 해당 기업 또는 부문이 목표로 정한 것과 아닌 것을 구분하는 지도 ㅇ 지역 특화분야(태양광, 바이오) 부품, 소재 중소․벤처 R&D기업 성장지원
* 태양광 : 폴리실리콘, 모듈, 셀 등 밸류체인 내 고부가가치화 할 수 있는 R&D기업 성장지원
다) 산학 협력 사업연계형 R&DB지원
* 바이오(기능성 화장품) : 항 노화, 천연물 신소재 제품 등 중소, 벤처기업지원
- 요소기술지도(Factor Technology Map)가 작성된 산학 콘소시엄을 대상으로
- 지역 내외(수도권 포함) 소재한 우수 특허 및 기술의 사업화 지원
- 국가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기술개발 되었으나 사업화되지 않은 기술에 대
* 특구, 수도권 및 타 지역 대학, 출연(연)의 우수한 R&D성과물의 지역내 기업에 권역내로의
하여 추가기술개발을 통한 사업화 지원 이전, 촉진을 지원함으로서 기술경쟁력 강화
* 요소기술로드맵 분석을 통해 요구되는 대학, 출연(연)소유의 특허, 우수기술의 이전 비용 ※ 시험, 검증, 시제품, IP 등록 등 사업화지원(TRL 3~5단계)
및 기술컨설팅을 지원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 833 - - 834 -
 (활성화) 지역 특화 유망과제 가교형R&D 고도화지원 ※3개 단위사업 다) 산학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
가) 지역 특화분야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ㅇ 대학․출연(연)·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 기업이 참여하는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ㅇ 지역 특화분야(태양광, 바이오) 기술개발 로드맵 작성 지원을 통해 전주기적인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

나) 지역 특화분야 중견기업 가교형R&D 고도화지원


* 법정유형은 주식회사 형태를 기본으로 하되 유한회사 형태, 기술지주회사 자회사로 운영 가능
ㅇ 지역 특화분야 기술개발 로드맵을 바탕으로
ㅇ 지역의 특화산업의 고도화를 위해 집중 지원함으로써 세계 기술력과의
격차를 좁히고 외산제품의 국산화율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 사업필요성
ㅇ 기술 전유성이 뛰어난 기초․원천기술사업화는 직접사업화 방식인 창업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를 통해 기초․원천 R&D의 사업화성과 제고
추진 프로세스
□ 세부 사업
① 지역 특화 분야 유망과제 산․학 콘소시엄 기획과제 발굴 선정
 On-Off 멘토링시스템 운영
* 기술수요조사 및 기초, 원천기술 탐색조사, 유망기술 로드맵 등을 바탕으로 지역특화
산업 및 시급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 선정 ㅇ 기술이전을 통해 창업을 하고자 하는 창업자 대상으로
※ Two Track선정 : 가교형 R&D과제, 산학연공동연구법인설립 과제 ㅇ On – Off라인 멘토링시스템을 구축하여 컨설팅(상담)을 통한 솔루션 제공

② R&D기획지원 : 6개월  기술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3개 단위사업


- 수립된 기술로드맵을 바탕으로 산․학․연․관 전문가 집단을 통한 과제 기획 가) 기술창업기업 발굴 및 지원
및 사업화 타당성 검토 평가 후 최종선정
ㅇ 창업멘토단 및 전문가 자문단 운영을 통해 과제별 기술창업기획 지원
* 타 산업(NT, ICT 등)과의 융합을 통해 고부가가치 실현방안 고려 - 기술 이전에 따른 시제품 제작, 마케팅 지원 등 단계별 지원
③ 가교형R&D사업 고도화 지원 * 지역 특화산업 소재, 부품관련 기술창업기업 인센티브 제도 운영
- 연구개발비, 인건비, 시제품 제작 등 기타 사업화 비용 지원 나) 창업아카데미 개최 운영
* 논문, 특허, 지역 신규고용창출, 매출 등 성과지표 분석 및 평가 ㅇ 공공의 특허를 활용해 창업을 하고자 하는 예비창업자 또는 기술창업자를
- 전문가 자문위원회 운영 및 MP(Mission Provider)제도 운영을 통한 대상으로 집중실무교육 추진
사업 내실화 제고
* 과제관련 분야 전문가 자문위원단 운영을 통한 사업방향성을 제고하고 MP(Mission - 연구단지내 연구인력, 기술개발자, 퇴직자 등을 중심으로 운영하며, 창업
Provider), 즉 전문가 멘토 3인 이상 지정하여 사업관리 내실화 기획사(Accelerator)와의 연계를 통한 창업교육 실시

- 835 - - 836 -
다) 특허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 라. 세부사업별 목표 및 연구내용
ㅇ 우수기술 및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창업자 또는 사업자등록 1년 미만 초기 1)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며, 특별/일반부로 나눠 창업경진대회 개최 운영
□ 사업목표
*인센티브 : 창업아카데미를 수료한 자, 지역특화분야, 공공 특허 및 기술활용 예비창업자
ㅇ 지역R&D성과를 이전 확산의 효율적인 가교 서비스체계 구축
ㅇ 공공의 R&D성과(특허, 기술 등)를 지역 내 중소기업으로의 이전 촉진
- 공공 R&D성과물 DB구축 및 기술거래 중개 활성화 지원
- 충북 기술저장소 구축을 통한 IP패키지화 및 산학 R&DB지원
- IP기반 사업화 컨설팅을 통한 중소기업의 신사업창출지원
<표>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목표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One-Stop 가교형R&D - 지역R&D성과의 이전확산
1. One-Stop 서비스플랫폼
서비스플랫폼 사업화서비스 서비스체계마련
2. 구축방안 보고서 : 1식
구축 플랫폼체계 구축
4)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공공 R&D성과물 - 지역 공공의 R&D성과물 3. 연구정보DB : 1식
DB화 현황 및 성과관리 내실화 4. 홍보책자발간 : 1,000부
□ 사업필요성
- IP관점에서 기업의 특허, 제품 5. IP활용컨설팅 : 50개사
IP기반 사업화
ㅇ 한정된 예산으로 지방 과학기술생태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정책입안 컨설팅
경영 등 현안 문제 해결 6. R&D애로상담지원 : 200
(20건/년)
및 기획수립 단계에서 교류·협력 활성화 필요 - 산학, 산학연(관) 공동
기술 중개 기능 산학협력 7. 공공IP(기술,특허 등) 이전
협력연구개발 기반조성
□ 세부 사업 활성화지원 사업연계형
- 수요창출형, 시장지향형
활용 : 20건 (2건/년)
R&DB지원 8. 산학공동논문 : 20건(2건/년
연구개발 사업화성과 창출
 협력네트워크 구축 운영사업
- 지역 기업의 기술이전활성화 9. 기술저장소구축 : 1식
충북기술저장소 - IP 패키지화 10. 기술이전 : 100건(10건/년)
ㅇ 대학·공공(연)과 기술거래 사업화 기관 간 기술니즈매칭협의체 구축 운영
구축 운영 (특허고부가가치화) 11. 기술이전액 : 40억원(4억원/년)
12. 기술저장 : 500건(50건/년)
- 공공과 협력을 통해 기초연구 성과에 잠재되어 있는 우수기술 씨앗(Seeds),
우수휴먼특허 발굴 및 SMK작성, 기업이전 전략 수립
□ 세부사업내용
 충북 과학기술 국제 컨퍼런스 개최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ㅇ 석학, 전문가 초청을 통한 과학, 기술 분야 등에서 새로운 지식습득 및 문제 ○ 연구 추진 목표
해결 방안 논의 ※ 부대 행사 : 지역의 과학문화 체험, 저변확대 - 기초R&D성과를 효과적으로 사업화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
- 지역R&D성과관리, 확산의 가교적 서비스체계 마련
* 지역과학기술 저변확대에 기여한 지역과학인시상, 지역 R&D 성과전시회 등과 연계 ○ 추진방법 및 내용
One-Stop 가교형R&D
 충북과학포럼 운영 - 산․학․연․관 전문가 TFT구성을 통한 연구용역
서비스플랫폼 사업화서비스
· 가교형R&D지원서비스 개념정립, 산학 실태조사
ㅇ 충북지방과학연구단지 2단계 활성화의 싱크탱크인 충북과학포럼을 통한 구축 플랫폼체계 구축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맞춤형서비스플랫폼설계
지역과학진흥정책 및 사업전략 수립 방안 도출 ○ 기대효과
- 지역R&D성과관리-확산의 서비스플랫폼구축을 통한
- 충북과학포럼 내 4개 분과 연구회 운영을 통해 정부사업 수주 및 R&D 가교형R&D One-Stop지원서비스의 고도화
사업화를 위한 R&D사업과제 기획 추진
* ‘13년 충북과학포럼 발족, 4개분과(과학정책,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ICT)운영 중에 있음
- 837 - - 838 -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2) 지역수요기반 R&D 사업
○ 연구 추진 목표 □ 사업목표
- NTIS DB와 연계 및 연동을 통한 지역의 기초R&D성과를
파악, 관리할 수 있는 DB구축 ㅇ 지역 기초․특화R&D현황 및 수요조사 분석을 통한 사업화지원 방향성 제고
○ 추진방법 및 내용 ㅇ 지역 특화(태양광, 바이오) 부품, 소재 중소기업의 성장역량 강화
공공 R&D성과물 - 지자체, 대학 및 출연(연)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 DB구축
- 공급 밸류 체인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가교형R&D사업화 지원
DB구축 운영 - 지자체 R&D사업과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 과제를
우선적으로 구축한 후 단계적으로 구축범위 확산 ㅇ 지역 특화 유망과제 고도화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 기대효과 - 특화분야 기술개발 로드맵을 통한 지역 R&D사업의 투자방안 제고
- 지역 R&D성과현황 탐색, 기술수준 파악을 통한
특화분야의 기술로드맵 계획수립 가능 ㅇ 세계 기술력 격차 해소 및 외산제품의 국산화율 제고
- 지역 특화분야 중견R&D기업 발굴 및 사업화 집중 지원을 통한 세계 최초
○ 연구 추진 목표
- 충북기술저장소를 통해 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또는 세계 기술력 격차 해소 및 외산제품의 국산화율 제고
- IP기반 컨설팅지원을 통한 제품 및 기업 경쟁력 강화
ㅇ 산학 공동연구법인 설립
○ 추진방법 및 내용
- 지역 특화 산학연 공동연구법인을 통한 전주기적인 R&D투자의 효율성 제고
IP기반 - 신청계획서 평가 및 선정 후 민간TLO, 산학연 전문가를
사업화 컨설팅지원 통한 컨설팅지원
<표> 지역수요기반 R&D 사업목표
- 기업맞춤형 미래전략 및 TRM수립 등 컨설팅 지원
○ 기대효과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 중소기업의 IP기반 단기, 중장기 제품 및 사업경쟁력을 기초․특화분야 - 충북지방과학산업단지 13. 기초․특화R&D현황 및
기술중개 강화시킬 수 있는 전략 제시 R&D현황 및 R&D현황 및 특화기술 파악 수요
지역 특화
기능 활성화 수요조사 분석 - SP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제공 14. 조사 분석보고서 : 10식(
중소기업
지원 ○ 연구 추진 목표 15. 신규고용 : 50명(5명/년)
가교형R&D - 지역 특화분야 부품, 소재
- 공공의 IP 이전을 유도하고 IP를 이전 기업에 대한 지역 특화 16. 산학공동논문 : 20건(2건/
성장지원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
가교형R&D 17. 특허 : 100건(10건/년)
사업화지원(제품성능인증, 시제품 등)을 통해 산학공동 (기반조성) 촉진을 통한 고부가가치화
부품․소재기업성장 18. 매출액(전년대비) : 20% 증
R&D사업체계 구축 → 특화산업 기반 조성

산학협력
○ 추진방법 및 내용 - 지역 특화분야 수준 파악,
사업연계형 19. 유망기술 로드맵 수립 : 4회
특화분야 유망 기술 - 연구개발 선택적 투자를
R&DB지원
- 공공에서 발굴한 우수기술씨앗, 미활용 우수 휴면
20. * 태양광, Bio(기능성화장품) 유
특허를 이전하고자 하는 산․학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사업화지원 개발로드맵 수립 위한 기술로드맵 수립
망기술 로드맵 보고서 4건
○ 기대효과 21. R&D과제 기획 : 50건(5건/
- 공공 IP의 지역 기업 내 이전 촉진 년)
- 미활용 휴면특허율 감소 및 기술이전율 향상 - 우량 중견기업 발굴/지원을 통한 22. 신규고용창출 : 40명 (4명/
지역 특화분야 - 세계 최초 또는 세계 기술력 년)
지역 가교형R&D 격차 해소 23. 산학공동논문 : 80건(8건/
○ 연구 추진 목표
수요기반 중견기업 고도화 - 외산제품의 국산화율 제고를 년)
- 충북기술저장소센터(가칭)를 통해 대학, 출연(연)의
가교형R&D 위한 R&D경쟁력 향상 24. 특허 : 40건(4건/년)
우수 기술, 특허 등을 저장하도록 하고 기술이 필요한 25. 매출액(전년대비) : 10% 증
사업고도화
창업, 벤처기업 등에 기술이전할 수 있는 저장소구축 (활성화) 대
충북 ○ 추진방법 및 내용 26. 산학공동연구법인 : 4개
- 대학이 보유한 기술의 직접 27. R&D과제 기획 : 50건(5건/
기술저장소 구축 - 충북과학기술진흥센터 내 IDC센터를 활용,
사업화 견인 년)
- (가칭)충북기술저장센터를 설치 운영 산학공동 - 연구성과의 활용, 고용창출 28. 신규고용 : 80명 (8명/년)
○ 기대효과 연구법인설립 및 대학-기업간의 수익증대 29. 산학공동논문 : 140건(14건/
년)
- 창업,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탐색, 이전에 따른 시간/경비 절약
30. 특허 : 80건(8건/년)
- IP패키지화를 통한 고부가가치 유도
31. 원천기술확보 : 20건(2건/년)

- 839 - - 840 -
□ 세부사업내용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연구 추진 목표
- 대학, 출연(연), 기업이 참여하는 산학협력기술지주
○ 연구 추진 목표
회사설립 지원을 통한 지역 특화산업 활성화
- 지역 기초․특화R&D분야에 대한 현황조사를 통한
지역의 과학기술진흥정책, 사업 기초자료제공 ○ 추진방법 및 내용
산학공동
- 대상 : 지역 특화분야 산학/산학연 콘소시엄
○ 추진방법 및 내용(Two Track) 연구법인설립
- 수요조사 후 R&D과제기획 단계 후 평가, 선정지원
- 산․학․연․관 전문가 구성을 통한 연구용역 지원
기초․특화분야 - 유망과제에 대한 R&D기획 후 최종 과제 선정지원
① 충북도R&D지원사업 조사분석
R&D현황 및 ○ 기대효과
- 충북도 전체 예산서 분석(실/국별) → R&D사업 선별
수요조사 분석 - 산학 자립화 기반 구축과 산학 공동연구 활성화
- 분석내용(전국대비 충북) : 과제정보, 성과
② 충북도 특화분야 R&D현황 수요조사분석 - 신규고용창출 및 지적재산권 강화, 사업화를 통한 수익 창출
- 지역 특화분야 인프라, 기술수요, 기업 현황 등
지역 특화
중소기업
※ 5개 부문(자원, 활동, 네트워크, 환경, 성과)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 기대효과 : 지역R&D 기획·배분 및 정책 등의 내실화
가교형R&D
성장지원 ○ 연구 추진 목표
□ 사업목표
(기반조성) - 공공의 우수기술씨앗 또는 특허를 이전․활용하여
ㅇ 대학, 출연(연)의 연구개발 성과(특허 등 지재권) 이전을 통한 창업활성화
- 지역 특화분야 소재, 부품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 연구단지 내 기술이전을 통한 창업 및 기술창업 활성화
지역 특화분야
○ 추진방법 및 내용
유망 중소 벤처기업 <표>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목표
- 대상 : 지역 특화분야 소재, 부품 중소벤처 기업
가교형R&D사업화
- 공공의 우수기술 또는 특허를 이전했거나, 이전받을
성장지원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기업에 대해 TRL(3~5단계)지원
○ 기대효과 On-Off - 창업 애로사항, 사업화방안 등에 - 멘토D/B구축 1식
기술창업가
- 지역 특화분야 소재, 부품기업에 대한 기술이전 촉진 멘토링 대한 1:1매칭 솔루션제공 - 창업자 상담 컨설팅 :
애로사항 해결지원
- 부품, 소재 고부가가치화 유도 시스템운영 300회 (30회/년)

- 기술창업 : 20개(2개/년)
○ 연구 추진 목표 - 예비 기술창업자 및 기술
기술창업기업 발굴 - 특화분야 10개, 일반기술 10
- 지역의 특화분야 현재의 기술수준을 파악하고 창업자의 성공창업지원

- 지역 특화기술 성장 전주기의 가이드라인 제시 - 아카데미운영:20회(2회/년)
기술창업 창업아카데미 - 창업기업 CEO로서 갖추어야
○ 추진방법 및 내용
활성화지원 개최운영 할 기본지식과 실무능력 배양 - 교육참가: 300명(30명/년)
지역 특화분야 - 추진대상 : 특화분야(태양광, 바이오) - 만족도 : 90%이상
기술로드맵 수립 - 지역 산학연관 전문가로 구성된 로드맵 수립 추진단을 - 경진대회 : 1회
통한 기술로드맵 작성 특허활용 - 우수 아이디어 발굴 및 창업
※ 기술특성에 따라 기술성능(TRL), 기능, 제품·서비스 등 미래수요해결에 창업경진대회 - 사업화지원
- 우수 아이디어 발굴 지원
부응하는 단계별 목표 포함 50개사(5개사/년)
지역 ○ 기대효과
수요기반 - 지역 특화분야의 체계적인 R&D지원 및 투자의 효율성 제고 □ 세부사업내용
가교형R&D
사업고도화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연구 추진 목표
(활성화) - 기술로드맵을 바탕으로 지역 특화분야 기술 value ○ 연구 추진 목표
chain내 기술경쟁력이 높은 중견기업 발굴 육성 - 예비창업자 및 기술창업자의 애로사항 대한 솔루션 제공
○ 추진방법 및 내용 ○ 추진방법 및 내용
특화분야 중견기업
- 대상 : 지역 특화분야 산학콘소시엄 On-Off라인 멘토링 - 지역 1인 창조기업센터, VC, 대학 창업보육센터,
가교형R&D사업화
고도화지원
* 중견기업 주관으로 출연(연) 또는 대학, 기술이전 컨소시엄으로 추진 멘토링
시스템을 통한 공공/민간TLO 등과 연계 협력체계 구축
- 수요조사 후 기획과제 발굴 선정 시스템운영
서비스지원 * on-off line 멘토링시스템 구축 및 전문가 DB화
- 유망과제에 대한 R&D기획 후 최종 과제 선정지원 - 기술이전을 통해 창업을 하고자 하는 예비창업자,
*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간 융합, 융합상용화 지원 기술창업자(2년미만)을 대상으로 컨설팅(상담)지원
○ 기대효과 : 지역 특화분야 기술고도화 및 세계 경쟁력 확보
○ 기대효과 : 예비창업자 사업화 성공률 제고

- 841 - - 842 -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지역 수요에 맞는 과학기술 연구회 운영 : 4개
○ 연구 추진 목표 충북과학 정책/전략방안 도출 회원수 : 550명
지역과학기술진흥
-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기초연구 성과를 활용힌 기술창업 포럼운영 -연구회 활성화를 통한 국가/ R&D과제기획 : 80건
정책/지원방안 도출
기업 발굴/지원 및 창업활성화 (교류회) 지역R&D사업의 선제적 대응 지역 중․대형 정부과제수주
체계 마련 : 9건
○ 추진방법 및 내용
기술창업 발굴
가. 기술창업기업 발굴
- 지역 1인 창조기업 보육센터, VC, 지역대학 창업
보육센터, 공공/민간TLO 등과 연계 협력체계 구축
- 기술이전을 통해 창업하고자 하는 예비창업자 발굴 및 □ 세부사업내용
과학진흥센터 내 1인 창업보육센터 내 입주 유도
세부사업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나. 창업 아카데미 개최 운영
기술창업 창업아카데미 - 지역 과학산업단지 연구원/퇴직자 또는 청년 창업 ○ 연구 추진 목표
활성화지원 희망자 등을 대상으로 - 공공이 보유한 기초R&D성과물에 대한 평가(시장성,
개최운영
- 창업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후 창업아카데미 개최 운영 기술성, 경제성 등)를 통해 우수기술씨앗/휴면특허발굴
* 연 2회 과정, 기업가 정신 등 10개 교육과정 운영 대학,출연(연)과 및 이전촉진을 위한 SMK작성
협력네트워킹을 ○ 추진방법 및 내용
다.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협력네트워크
통한 - 대학, 출연(연), 민간TLO 등과 협력네트워크체계 구축
- 우수기술 및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창업자 또는 사업자 구축 운영
우 수 기 술 씨 앗 / - 민간TLO 및 전문가를 통해 공공이 보유한 연구
등록 2년 미만 초기 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며,
휴면특허발굴 성과물에 대한 검색/평가 ‣ 우수기술씨앗/휴면특허발굴
특허활용 - 특별부와 일반부를 나눠 창업경진대회 개최 운영
※ 인센티브 반영 : 창업아카데미를 수료한 자, 공공 특허 및 기술활용, 예비창 ○ 기대효과
창업경진대회
업자, 지역 특화분야 예비창업자 - 우수기술씨앗 및 미활용 우수 휴면특허 현황 파악
○ 기대효과 - SMK를 통한 공공/민간시장간 기술이전 촉진 유도
- 지역 특화분야 기술창업활성화를 통한 산업생태계조성
○ 연구 추진 목표
- 공공 성과물의 활용도제고를 통한 일자리 창출
- 기초과학연구 성과를 활용한 지역의 신성장동력발굴
- 지역의 과학문화 저변 확대
충북 과학기술
○ 추진방법 및 내용
과학기술 지식습득 및
- 과학기술진흥센터 내 컨퍼런스 사무국을 통한 사업 추진
국제컨퍼런스 지역과학 문화
4)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 R&D성과전시회, 과학인상 수상 등 부대행사 운영
개최 확산
○ 기대효과
□ 사업목표 - 과학기술, 산업의 지역적 위상 제고
- 미래 전망 분석을 통한 기초연구활용의 성장동력발굴
ㅇ 공공, 민간TLO와의 협력네트워킹을 통한 우수기술/휴면특허 발굴 및 이전촉진
○ 연구 추진 목표
ㅇ 과학기술 국제컨퍼런스를 통한 지역의 과학산업발전방안 논의 및 저변확대 - 지역 수요에 맞는 지역과학기술정책 수립
- 포럼 내 분과(연구회) 활성화
ㅇ 충북과학포럼 내 4개 분과(과학정책,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ICT) 운영을 통한 지역과학기술진
○ 추진방법 및 내용
충북과학 흥
지역 과학기술진흥정책 / 전략 / 지원방향 수립 - 충북과학기술진흥센터내 포럼 사무국 설치 운영
포럼운영 정책/전략/지원
- 조례제정 및 운영위원회 구성을 통한 사업추진 정례화
방향 도출
<표>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목표 - 분과별 (산학연)연구회 구성 및 연구활동지원을 통한 활성화
○ 기대효과
세부사업명 사업목표 정성적 목표 정량적 목표
- 지역 수요에 맞는 과학기술정책 및 전략, 사업 도출
대학, 출연(연)과 협력을 - 기술니즈매칭협의체구축
- 우수 기술 씨앗(Seeds) 및
협력네트워크 통한 우수기술씨앗, : 20개(2개/년)
특허발굴 및 SMK작성을
구축 운영 우수휴면특허 발굴 및 - SMK : 100건(10건/년)
통한 기술이전 제고
SMK작성
충북
과학기술 분야 -과학기술 발전전망 분석을 - 컨퍼런스개최 10회(1회/
과학기술
新지식습득 및 통한 지역 성장동력 발굴 년) (연계)지역과학인 시상
국제컨퍼런스
지역과학 문화확산 -지역R&D 우수성과발굴 및 R&D 성과전시회 운영
개최

- 843 - - 844 -
3. 연차별 사업 목표 및 내용 사업년도 최종목표
세부사업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사업비(억원)
가. 세부사업 연차별 로드맵
특 On-Off 상담컨설팅
사업년도 최종목표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세부사업 허 멘토링 시스템 운영 300회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사업비(억원) 기술창업 기술창업
One-Stop 연구보고서 활 2 2 2 2 2 2 2 2 2 2
20개
1 발굴
지 서비스플랫폼 구축 1식 용 참가자
공공R&D 구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업데이트 기술DB화 창 기술창업 창업 300명
식 성과물 DB화 축 아카데미 만족도
활성화지원 90 90 90 90 90 90 90 90 90 90
재 컨설팅보고서 업 % % % % % % % % % % 90%이상
5 5 5 5 5 5 5 5 5 5
IP기반사업화 50건 기 우수idea
산 컨설팅지원 기업애로상담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창업경진대회 5 5 5 5 5 5 5 5 5 5 발굴지원
활 200건 획 50건
용 공공IP이전활용
기술 2 2 2 2 2 2 2 2 2 2 On-Off
산학협력 20건
도 중개기능 멘토링 시스템운영
R&DB지원 공동논문
활성화 2 2 2 2 2 2 2 2 2 2 10
제 20건
기술창업
기술이전
고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발굴
100건
충북 기술 기술이전액
4 4 4 4 4 4 4 4 4 4 기술창업 창업
저장소운영 40억원
5
기술저장 활성화지원 아카데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건
One-Stop
0.5 창업경진대회 15
서비스플랫폼 구축
공공R&D - 업데이트 - 0.5 대학/출연연
성과물 DB화 2 2 2 2 2 2 2 2 2 2 MOU체결
IP기반사업화 20건
기술 6 협력네트워크
컨설팅지원 우수기술씨앗
중개기능 구축운영
산학협력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및 휴면특허
활성화 26 발굴/SMK작성
R&DB지원 산
충북 기술 100건
40 학 국제
저장소운영 충북 과학기술
1 1 1 1 1 1 1 1 1 1 컨퍼런스개최
지역특화 지역 특화 5 5 5 5 5 5 5 5 5 5 신규고용50명
연 컨퍼런스개최 (10회)
지 가교형R&D 부품소재기업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산학논문100건 기
100 50 50 50 50 50 50 50 50 50
회원수
성장지원 가교형R&D 550명
역 (기반조성) 성장지원 5 5 5 5 5 5 5 5 5 5 특허 50건 술
R&D사업
수 지역 특화분야 네 충북과학포럼운영 8 8 8 8 8 8 8 8 8 8 기획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과제기획 100건
지역특화 중견기업
요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신규고용 120명 트 - 1 1 1 1 1 1 1 1 1
지역 중․대형
유망과제 가교형R&D 정부과제 수주
24 24 24 24 24 24 24 24 24 24 산학논문240건 워
기 가교형R&D 고도화지원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특허 120건
/
반 고도화지원 크 협력네트워크
20
(활성화) 산학공동연구 2 2 2 2 2 2 2 2 2 2 원천기술 20건 구축 운영
R 법인설립지원 구
& 지역특화 기술수요조사
5 축
중소기업 분석보고서 충북 과학기술
D 30
가교형R&D 국제컨퍼런스 개최
특화중소기업
성장지원 100
가교형R&D
(기반조성)
충북과학포럼운영 20
지역 특화 기술로드맵 수립 2
유망과제 특화중소기업
85
가교형R&D 가교형R&D 합계 510
고도화지원 산학공동
145
(활성화) 연구법인지원

- 845 - - 846 -
나.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세부사업 : 기술중개기능 활성화
○ 세부사업 :One-Stop 서비스플랫폼 구축
※ (단위사업) 산학협력 사업연계형 R&DB지원
○ 총 사업비 : 0.5억원/년 *국비 0.4억원, 지방비 0.1억원
○ 총 사업비 : 26억원 *국비 20.8억원, 지방비 5.2억원
○ 연구 추진 목표 - 연구활동지원 : 6억원(0.3억원*2개사/년)
가교형
- 기초R&D성과를 효과적으로 사업화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 - 공공IP이전활용 사업화지원 : 20억(1억원*2개사/년)
R&D
- 지역R&D성과관리-확산의 가교적 서비스체계 마련
‘16 사업화 ○ 연구 추진 목표
1년 서비스 ○ 정량적 달성목표 - 사업화유망기술에 대한 사업화지원을 통해 R&D
플랫폼 - One-Stop 가교형 R&D사업화플랫폼 연구보고서 : 1식 ‘16 성과물의 사업화 지원(제품성능인증, 시제품 등)
산학협력
체계 구축 ○ 추진방법 및 내용 ~ 사업연계형 ○ 정량적 달성목표 : 산학연 사업화 및 연구활동지원
- 산․학․연․관 전문가 TFT구성을 통한 연구용역 ‘25 R&DB - 공공IP이전활용 20건, 공동논문 20건, ※기타 : 세미나개최 등 연구활동지원
· 가교형R&D지원서비스 개념정립, 산학 실태조사 및 국내외 사례분석을 지원
계속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통한 지역맞춤형서비스플랫폼설계
공공IP
○ 세부사업 : 기술중개기능 활성화 2 2 2 2 2 2 2 2 2 2
이전활용
※ (단위사업) 연구정보 및 기술 DB구축
○ 총 사업비 : 0.5억원/년 *국비 0.4억원, 지방비 0.1억원 공동논문 2 2 2 2 2 2 2 2 2 2

○ 연구 추진 목표
○ 추진방법 및 내용
‘16 - NTIS DB와 연계 및 연동을 통한 지역의 기초R&D성과를 파악, 관리
- 공공에서 발굴한 우수기술씨앗, 미활용 우수 휴면 특허를 이전하고자
공공 R&D 할 수 있는 DB구축
~ 하는 산․학 콘소시엄을 대상으로 사업화지원
성과물 ○ 정량적 달성목표 : 연구정보DB 1식, 홍보책자발간 1,000부 제작 홍보
‘25
DB화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세부사업 : 기술중개기능 활성화
계속 DB 구축 - 업데이트, 관리 운영 - ※ (단위사업) 충북 기술저장소 구축 운영
홍보책자 1천부 - 대학, 유관기관, 출연(연) 등 홍보 -
○ 추진방법 및 내용 ○ 총 사업비 : 40억원(4억원/년) *국비 32억원, 지방비 8억원
- (‘17 ~ ’20)지자체 R&D사업과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 과제를 ○ 연구 추진 목표
우선적으로 구축한 후 단계적으로 구축범위 확산 - 충북기술저장소센터(가칭)를 통해 대학, 출연(연)의 우수 기술, 특허
- (‘20 ~ ’25) 대학 및 출연(연)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 DB구축 등을 저장하도록 하고
○ 세부사업 : 기술중개기능 활성화 - 기술이 필요한 창업기업, 벤처기업 등에 기술 이전할 수 있는 저장, 인출
시스템 구축 운영
※ (단위사업) IP기반 중소기업 사업화 컨설팅지원
○ 정량적 달성목표 : 기술이전 100건, 40억원, 기술저장 1,000건
○ 총 사업비 : 6억원 *국비 4.8억원, 지방비 1.2억원 ‘‘16
IP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컨설팅 5억원(5개사*0.1/년), 상담운영 1억원(0.1/년) ~ 패키지화
○ 연구 추진 목표 ‘25 (특허고부 기술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이전
- 충북기술저장소를 통해 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계속 가가치화)
16 IP기반 컨설팅지원을 통한 제품 및 기업 경쟁력 강화 이전
IP기반 금액 4 4 4 4 4 4 4 4 4 4
~ ○ 정량적 달성목 (억원)
사업화 - IP기반 사업화 컨설팅 지원 : 50개사/연, 애로상담지원 : 200건
‘25 기술 41.1 42.1 43.1 44.1 45.1 46.1 47.1 48.1
컨설팅지원 100 100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저장 00 00 00 00 00 00 00 00
계속
컨설팅 5 5 5 5 5 5 5 5 5 5
32.2 33.2 34.2 35.2 36.2 37.2 38.2 39.2 40.2
○ 추진방법 및 내용
애로상담 20 - 충북지식산업진흥원(과학기술진흥센터) 내 IDC센터 활용, (가칭)충북
0 0 0 0 0 0 0 0 0
기술저장센터를 설치 운영
○ 추진방법 및 내용 - 민간TLO와 연계, 기술가치평가 및 우수기술 검증 후 저장
- 과학단지 중소기업의 R&D사업화 애로사항 조사분석 - 기술인출/이전에 대한 수수료 수입을 통한 센터 자립화 기반 마련
- 신청계획서 평가 및 선정 후 민간TLO, 산학연 전문가를 통한 컨설팅지원
기업맞춤형 미래전략 컨설팅, TRM수립 컨설팅 지원 등

- 847 - - 848 -
다. 지역수요기반 R&D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세부사업 : 지역 특화 유망과제 가교형R&D 고도화지원(활성화)

○ 세부사업 : 지역특화 중소기업 가교형R&D 성장지원(기반조성) ※ (단위사업)지역특화분야 기술로드맵수립

※ (단위사업)지역 기초/특화분야 R&D현황 및 수요분석 ○ 총 사업비 : 2억원(0.5억원*4년) *국비 1억원, 지방비 1억원
‘16 ○ 연구 추진 목표
○ 사업비 : 5억원(0.5억원*1식/년) *국비 2.5억원, 지방비 2.5억원
- 미래 유망기술 로드맵 작성을 통해 현재 및 미래 지역 특화분야
○ 연구 추진 목표
‘19 기술성장 전주기의 가이드라인 제시
- 지역 기초/특화 R&D분야에 대한 현황조사를 통한 지역 과학기술진흥
지역 ○ 정량적 달성목표 :
정책․사업 기초자료제공
특화분야
‘22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16 지역 ○ 정량적 달성목표 기술로드맵
로드맵
~ 기초R&D - 기초/특화분야 R&D현황 분석 보고서 : 1식/년 수립 1 - - 1 - - 1 - - 1
보고서
현황 및 ‘25
‘25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특화분야 4회 ○ 추진방법 및 내용
계속 기술수요 보고서 1 1 1 1 1 1 1 1 1 1 - 추진대상 : 특화분야(태양광, 바이오)

조사 분석 ○ 추진방법 및 내용(Two Track) - 지역 산학연관 전문가로 구성된『로드맵 수립 추진단』을 통한 기술
로드맵 작성
- 산․학․연․관 전문가 구성을 통한 연구조사 추진
※기술특성에 따라 기술성능(TRL), 기능, 제품·서비스 등 미래수요해결에
① 충북도R&D지원사업 조사분석
- 충북도 전체 예산서 분석(실/국별) → R&D사업 선별 부응하는 단계별 목표 포함
- 분석내용(전국대비 충북) : 과제정보, 성과
② 충북도 특화분야 R&D현황 수요조사분석 ○ 세부사업 : 지역 특화 유망과제 가교형R&D 고도화지원(활성화)
- 지역 특화분야 인프라, 기술수요, 기업 현황 등
※ 5개 부문(자원, 활동, 네트워크, 환경, 성과) ※ (단위사업) 지역특화 중견기업 가교형R&D 고도화지원
○ 총 사업비 : 85억원 *국비 66.25억원 지방비 2.5억원, 민간 21.25억원
- R&D기획 : 5억원(0.1*5개과제) *국비 2.5억원, 지방비 2.5억원
○ 세부사업 : 지역특화 중소기업 가교형R&D 성장지원(기반조성)
- 사업화지원 : 80억원(4억원*2개사) *국비 63.75억원, 민간 21.25억원
※ (단위사업)지역 특화 부품, 소재 중소기업 가교형R&D 성장지원
○ 연구 추진 목표
○ 사업비 : 100억원(2억원*5개 콘소시엄) *국비 75억원, 민간 25억원 - 기술로드맵을 바탕으로 지역 특화분야 기술 value chain내 기술경쟁력이
○ 연구 추진 목표 높은 중견기업 발굴 육성
- 공공의 우수기술씨앗 또는 특허를 이전․활용하여
○ 정량적 달성목표 : 우수유망 기업 발굴 지원 2개 콘소시엄/년
- 지역 특화분야 소재, 부품 중소벤처기업의 R&D사업화 경쟁력 강화
- R&D과제 기획 : 50건,
16
○ 정량적 달성목표 특화분야 - 신규고용창출 : 40명, 산학 공동논문 : 80건, 특허 : 40건
지역 - 유망 중소,벤처기업 발굴 및 사업화지원 : 50개사 ~ 중견기업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16 특화분야 - 신규고용창출 : 50명, 산학공동논문 100건, 특허 50건 ‘25 가교형R&D
R&D과제
~ 유망 중소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사업화지원 기획
5 5 5 5 5 5 5 5 5 5
계속
벤처기업
‘25 신규고용 4 4 4 4 4 4 4 4 4 4
가교형 신규고용 5 5 5 5 5 5 5 5 5 5
계속 R&D사업화 산학공동
8 8 8 8 8 8 8 8 8 8
성장지원 산학공동 논문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논문 특허 4 4 4 4 4 4 4 4 4 4
49.

특허 5 5 5 5 5 5 5 5 5 5 ○ 추진방법 및 내용
- 추진분야 : 지역 특화(태양광, 바이오)
○ 추진방법 및 내용 - 지원대상 : 지역 특화분야 중견R&D기업 주관의「산학 콘소시엄」
- 대상 : 지역 특화분야 소재, 부품 중소벤처 기업 ‣ 지역의 특화분야의 세계 경쟁력 확보 및 고도화에 요구되는 기술간
- 공공의 우수기술 또는 특허를 이전했거나, 이전받을 기업에 대해
융합, 융합상용화 연구개발 및 제품제작 지원
TRL(3~5단계)지원

- 849 - - 850 -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라.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 세부사업 : 지역 특화 유망과제 가교형R&D 고도화지원(활성화)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단위사업) 산학공동연구법인설립 지원
○ 세부사업 : 기술창업 활성화지원
○ 총 사업비 : 145억원 *국비 107.5억원 지방비 2.5억원, 민간 35억원
○ 총 사업비 : 30억원 *국비 15억원 지방비 15억원
- R&D기획 : 5억원(0.1*5개 과제/년) *국비 2.5억원, 지방비 2.5억원
- on-off 멘토링시스템운영 : 5억원(0.5억원*10년)
- 공동법인 : 140억원(7억원*2개 컨소시엄/년) *국비 105억원, 민간 35억원 - 기술창업발굴지원 : 5억원(0.5억원*10년)
○ 연구 추진 목표 - 창업아카데미 개최운영 : 5억원(0.5억원*10년)
- 대학-기업간 공동연구법인을 통한 차세대 주력 제품 개발 지원 및 - 창업경진대회 : 15억원(1.5*10년)
新산업 발굴 견인 ○ 연구 추진 목표
○ 정량적 달성목표 : 산학공동기술지주법인 설립 4개 -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기초연구 성과에 대한「창업기업 발굴→교육→후속
- R&D과제 기획 : 50건, 지원(사업화)」지원을 통한 기술창업 생태계조성
- 신규고용창출 : 80명, 산학 공동논문 :140건, 특허 : 80건, 원천기술확보 : ○ 정량적 달성목표
20건 - 기술창업기업 : 20개(특화분야 창업 : 10개, *일반기술창업 : 10개)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창업아카데미 : 운영 20회, 교육참가 300명, 교육만족도 90%이상
- 우수아이디어 발굴 및 사업화지원 : 50개사(5개사/년)
R&D과제
5 5 5 5 5 5 5 5 5 5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기획
기술창업 2 2 2 2 2 2 2 2 2 2
신규고용 8 8 8 8 8 8 8 8 8 8 교육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참가자
산학공동 교육
17 14 14 14 14 14 14 14 14 14 14 90% 90% 90% 90% 90% 90% 90% 90% 90% 90%
만족도
논문 ‘16
~ 산학공동 기초연구 우수
5 5 5 5 5 5 5 5 5 5
연구법인 ~ 성과를 아이디어
‘25 특허 8 8 8 8 8 8 8 8 8 8
설립지원 ‘25 ○ 추진방법 및 내용
계속
활용한
원천기술 계속 기술창업 예비창업자발굴지
2 2 2 2 2 2 2 2 2 2 교육 후속지원
확보 활성화 원
창업아카데미)
( ( 창업경진대회)
(on-off멘토링)

○ 추진방법 및 내용
- 지역 1인 창조기업 보육센터, VC, 지역대학 창업보육센터, 공공/민간
- 과제 또는 특화분야에 대한 산,학 공동사업계획서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TLO 등과 연계 협력체계 구축
통해 후보 과제 선정 후 기획지원 - 기술이전을 통해 창업을 하고자 하는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교육,
– 기획지원과제 중 평가 후 최종선정 및 지원 컨설팅, 사업화 지원 ※특화분야 기술창업자에 대한 인센티브제 운영
1단계 2단계 3단계 가. 기술창업기업 발굴
(공모, 평가) (R&BD 기획) 법인설립지원)
( - 지역 1인 창조기업 보육센터, VC, 지역대학 창업보육센터, 공공/민간
- 투자방식 TLO 등과 연계하여 기술이전을 통해 창업을 하고자 하는 예비창업자를
• (대학/출연(연)) 연구원 파견, 기술․연구장비․시설 등 현물 출자를 통해 발굴하고 과학기술진흥센터 내 1인 창업보육센터 내 입주 유도
참여하되, 현금 출자도 가능 나. 창업 아카데미 개최 운영
• (기업) 현금․현물(연구장비․시설 등) 출자 - 지역 과학산업단지 연구원/퇴직자 또는 청년 창업희망자 등을 대상으로
- 창업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후 창업아카데미 개최 운영
○ 지원방법
* 연 2회 과정, 기업가 정신 등 10개 교육과정 운영
-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의 출연 또는 산학연공동연구법인을 자회사
다.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형태로 직접 설립하도록 지원
- 우수기술 및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창업자 또는 사업자 등록 2년 미만
- 연구개발비 지원 : 5년, 공동연구법인당 5억원 내외/년
초기 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며,
- 출연금 지원방식을 기본으로 하되, 시제품 제작 등 사업화 연계 단계의 - 특별부와 일반부를 나눠 창업경진대회 개최 운영
경우 ‘민간 벤처캐피털’ 투자 유도 검토 ※ 창업아카데미를 수료한 자, 공공 특허 및 기술활용 예비 창업자, 지역 특화분야 예비창업자에
대한 인센티브 반영
- 851 - - 852 -
마.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년도 사업목표 세부 사업내용 ○ 세부사업 : 충북과학포럼운영


○ 총 사업비 : 20억원(2*10년) *국비 10억원 지방비 10억원
○ 세부사업 : 협력네트워크 구축 운영
○ 연구 추진 목표
○ 총 사업비 : 20억원(2억원*10년) *국비 10억원 지방비 10억원
- 지역 수요에 맞는 지역과학기술정책, 전략, 사업방안 도출
○ 연구 추진 목표 - 포럼 내 분과(연구회) 활성화
- 공공이 보유한 기초R&D성과물에 대한 평가(시장성, 기술성, 경제성
○ 정량적 달성목표 :
등)를 통해 우수기술씨앗/휴면특허발굴 및 SMK작성
- 연구회운영 : 4개(매년), 포럼회원 수 550명, R&D사업기획 80건
○ 정량적 달성목표 - 지역 중·대형 R&D정부사업 수주 : 9건
대학,
- 기술니즈매칭협의체 구축 : 20개 기관
출연(연)과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우수기술씨앗, 우수휴면특허 발굴 및 SMK작성 : 100건
‘16 협력네트워킹 지역
으로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6 과학기술
우수기술씨앗, 포럼 회원수 100 50 50 50 50 50 50 50 50 50
‘25 대학/출연(연) ~ 진흥정책
우수휴면특허 2 2 2 2 2 2 2 2 2 2
계속
MOU체결
‘25 ․
발굴 추진전략
우수기술씨앗 계속 R&D사업
․ 8 8 8 8 8 8 8 8 8 8
우수휴면특허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기획
발굴/SMK 사업방향
도출 지역 중․대형
○ 추진방법 및 내용
정부과제 - 1 1 1 1 1 1 1 1 1
- 대학, 출연(연)과 (TLO)협력네트워크 ⇒ 기술니즈매칭협의체 구축 수주
- 민간TLO 및 전문가를 통해 공공이 보유한 연구성과물에 대한 검색/
평가(우수기술씨앗/휴면특허발굴) → SMK작성 ○ 추진방법 및 내용
- 지역내 기술수요조사를 통한 우수기술 홍보/기업매칭
연구회운영(4개) R &D 기획 지역 중 ․대형
(RFP도출 ) 유망과제)
( R&D 과제 수주
○ 세부사업 : 충북 과학기술 국제 컨퍼런스 개최
- 충북과학기술진흥센터내 포럼 사무국 설치 운영
○ 총 사업비 : 30억원(3억원*10년) *국비 15억원 지방비 15억원 - 분과별 (산학연)연구회 구성 및 연구활동지원(워크숍, RFP기획 등)
○ 연구 추진 목표 - 유망과제를 선정하여 R&D기획 단계를 통해 지역 중․대형 R&D과제 수주 연계
- 기초과학연구 성과를 활용한 지역의 신성장동력발굴
- 지역의 과학문화 저변 확대
* 추격형에서 선도형 경제체계의 전환을 위한 기초연구와 기초연구의
‘16 과학기술 실용화 간극 극복방안 모색과 지역 과학산업 위상 제고
~ 지식습득 ○ 정량적 달성목표
‘25
및 - 컨퍼런스개최 20회 ※ (연계)지역과학인 시상 : 5명/년, R&D성과전시회 1회/년
지역과학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계속 문화 확산
과학기술
국제컨퍼런스 1 1 1 1 1 1 1 1 1 1
개최

○ 추진방법 및 내용
- 과학기술진흥센터 내 컨퍼런스 사무국을 통한 사업 추진
(부대행사의 경우 위탁을 통한 전문성확보)
- R&D성과전시회, 과학인상 수상 등 부대행사 운영

- 853 - - 854 -
4.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나. 세부사업별 추진전략, 방법 및 추진체계
가. 충북지방과학연구단지 활성화사업 추진 전략 및 체계
1) 지식재산활용도 제고 사업
• 충북지역의 특성화, 차별화된 과학기술기반 창조산업 생태계 조성
사업목표 □ 추진전략
• 지역의 공공 및 민간 R&D성과를 지역 기업에 이전․확산을 통한 가치창출
ㅇ 죽음의 계곡(Valley of Death)를 통과할 수 있는 서비스플랫폼 체계 마련
• 2단계 지방과학단지 활성화를 위한 가교형 R&D거점 플랫폼 체계 구축
- 충북SP 기술사업화 플랫폼을 통해 효율적으로 공공/민간 - 기존 R&D주체들의 R(Reasearch) 및 D(Development)영역 연구결과를
R&D성과를 이전/확산함으로서 I(Inovation) 영역에 있는 상업화 연구를 효과적으로 지원함으로서
- 지역의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 죽음의 계곡(Valley of Death)를 통과할 수 있는 서비스플랫폼을 구축하고
- 기술저장소를 구축하여 공공R&D 연구성과(특허, 기술 등)를 저장하고
추진전략 창업자, 기업 등에 대한 IP활용도를 지원함으로서 효과적인 시장진입 유도

 지식재산 활용도 제고  지역수요기반 R&D


추진사업
 특허활용 창업기획 지원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추진체계

□ 추진 방법
충청북도 충북과학기술위원회(충북과학포럼)
충북SP자문위원회 ㅇ (One-Stop서비스플랫폼 구축) R&D성과-확산의 가치사슬 개념을 적용하여 연구
개발 가치창출을 위한 서비스 지원 방안 연구
(충북SP기술사업화 플랫폼) 충북과학기술지원센터
* 프로세스 : 지역 기초 R&D성과물 → 사업화지원 → 수행창출 → 성과유통․확산 → 성과
지식재산활용사업 지역 수요R&D사업 창업기획사업 성과확산팀 보상(공공, 민간) → 지역경쟁력 강화
one-Stop 기초/특화R&D 기술창업발굴 ㅇ (연구정보 및 기술DB구축) 기존 R&D주체들(지자체, 대학, 출연(연) 등)과
공공/민간
서비스플랫폼구축 수요조사분석 창업기획
협력네트워크구축 협력을 통해 공공의 R&D연구성과 DB화
공공R&D DB구축 지역 특화분야 on-off
기술저장소 운영 기술로드맵 수립 멘토링시스템운영 충북
국제과학기술 - 지역의 기초R&D 연구성과정보, 장비기자재 등을 파악, 관리할 수 있는 DB구축
IP기반 사업화 가교형R&D사업화 창업아카데미
컨설팅지원 성장/고도화지원 개최/운영
컨퍼런스
* 기초R&D연구정보 및 기술DB구축/운영을 위해 민간TLO와 공동으로 지역 대학 TLO, 출연(연)
산학협력 산학공동연구법인 특허활용 충북과학포럼 등과 공동사업 추진 방식으로 데이터 공유 및 통합 DB구축 운영
R&DB지원 설립지원 창업경진대회개최 (연구회)운영 ※ 지자체 R&D사업과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 과제를 우선적으로 구축한 후 단계적 확산
ㅇ (IP기반 중소기업 사업화 컨설팅) 충북기술저장소를 통해 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IP기반 컨설팅지원을 통한 제품 및 기업 경쟁력 강화

- 855 - - 856 -
- 신청계획서 평가 선정 후 민간TLO, 산학연 전문가를 통한 컨설팅지원 2) 지역 수요기반 R&D사업
* IP기반 기업 맞춤형 미래전략 컨설팅, 기업 기술개발전략TRM수립 컨설팅지원 □ 추진전략
(세부지원프로그램 : 코어기술고도화전략, 요소기술지도, 시장지도 컨설팅)
ㅇ 지역 전략특화산업 및 지역 기초R&D현황 및 조사분석을 통해 실태와 수요를
ㅇ (충북기술저장소 구축운영) 대학, 출연(연)의 우수 기술, 특허 등을 저장하도록
파악하고 지역 차원에서 기술성장 전주기를 포괄하는 종합적인 로드맵 수립
하고 기술이 필요한 창업, 중소벤처기업 등에 이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ㅇ 이를 바탕으로 지역 과학기술진흥계획의 전략특화산업(바이오, 태양광) 중
- 충북지식산업진흥원(과학기술진흥센터) 내 IDC센터 활용
※ 1단계 (충북)지방과학산업단지육성사업 ‘유비쿼터스기반 U-플랫폼센터(150억)’내 기 구축된 경제성과 파급성, 시장성, 고용효과가 높은 R&D과제를 발굴, 사업화 지원
인프라인 IDC(Internet Data Center)를 연계 활용 - 로드맵을 기초로 산학 연계를 강화하여 지역 특화 분야에 기반이 되는 부품,
ㅇ (산학협력 사업연계형 R&DB지원) 공공에서 발굴한 우수기술씨앗, 우수 전략소재 중점 개발 지원함으로서 지역 특화산업의 선순환적 생태계를 조성하고,
휴면 특허를 이전하고자 하는 산․학 콘소시엄을 대상으로 사업화지원 - 지역 중견을 대상으로 글로벌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원천기술 확보 지원,
- (산학 공동연구개발지원)지역 산학 또는 산학연 등으로 구성된 단체에 공동 원천기술이 포함된 대형 모듈단위 과제를 중점 지원
연구개발(공동논문, 사업화보고서, 세미나(워크숍) 등) 지원 - 대학/출연(연)과 기업이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화를 촉진할 수
- (연계 사업) 국가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기술개발 되었으나 사업화되지 않은 있는 산학연공동연구법인을 설립․운영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기술에 대하여 추가기술개발을 통한 사업화 지원 □ 추진 방법
* 기술을 이전받을 기업 또는 기업군을 먼저 뽑아 사전 협약 후 사업화 R&D를 수행하는
방식(수요창출형, 시장지향형)으로 추진 ㅇ (지역 기초/특화R&D현황 및 수요분석) 기존 R&D주체들( 지자체, 대학, 출연
(연) 등)과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한 기초 R&D현황 분석으로 R&D기업 및 수요파악
□ 추진체계
ㅇ 지역 특화 부품, 소재 중소기업 가교형R&D 성장지원
지식재산활용사업
- 대학 및 연구소와 연계를 강화하여 지역 특화분야에 기반이 되는 부품,
전략소재 중점 개발지원(TRL 3 ~ 5단계)함으로서 기술, 공정혁신 유도
one-Stop 공공R&D DB구축
서비스플랫폼구축 기술저장소 운영 IP기반 사업화 산학협력
컨설팅지원 R&DB지원
산학연관 TFT 시스템구축 전문가

우수기술, 특허 검색/가치평가/이전 지원

가교형 R&D IP기반


성과-이전확산 저장 이전/출 인센 IP활용컨설팅
인센 사업화지원
지원서비스체계 구축 티브 티브 * 공공의 우수기술씨앗 또는 특허를 이전했거나, 이전받을 기업에 대해 TRL 3~5단계를
충북과학연구단지
대학,
산/학/연 지원(산·학·연 콘소시엄 형태)
출연(연 지역 내 중소벤처, 창업기업
(충북과학진흥센터) 콘소시엄 연구회
) ㅇ (기술로드맵 수립)『충북 로드맵 수립 추진단』을 통한 기술로드맵 작성

- 지역 특화분야 기술확보의 전략적 중요성·시급성, 국가전략기술 등을 고려하여


대상 기술 선정 → 미래수요에 대응해 우리 지역의 현황 및 수준 분석
- 지역에 필요한 특화분야별 미래 핵심/요소기술 지도 작성

- 857 - - 858 -
ㅇ 지역특화 중견기업 가교형R&D 고도화지원 ※【참고】충북 1차 공동연구법인설립 시범사업 운영(2개 과제) 선정결과
- 지역의 특화분야의 세계 경쟁력 확보 및 고도화에 요구되는 기술간 ①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내 충북도의 주요 추진 계획 및 국가
융복합 상용화 제품제작 지원 등을 통해 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 5대, 30개 기술과제 고려

- 글로벌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원천기술이 포함된 ② ‘13년도 연구개발지원단 지역전략과제 중 ①항에 부합되는 후보 수요 과제
대형 모듈단위 과제를 중견기업에 중점적으로 지원 도출 : 7개 과제(BT 3, ICT 2, ET 2)
 차세대 질병관리를 위한 진단키트의 핵심원천 기술개발 및 상용화(BT)
1단계 2단계 3단계
 차세대 박막형 태양전지 산업 및 기술개발(ET)
(공모, 평가) (R&BD 기획) ( 가교형R&D지원)
지역  녹색에너지 융합형 미래주택 산업육성 정책 과제(ET)
전략과제  오송 의생명산업 고도화를 위한 빅데이터 서비스센터 구축(ICT)
ㅇ (산학 연구공동법인 설립지원) 기술 보유기관인 대학․출연(연)과 기술의
(후보) 수 천연물 소재 개별연구를 통한 충북 식의약품 산업 활성화(BT)
사용자인 기업이 공동 참여하는 연구개발전문회사 설립지원 숙 글로벌 타깃 뷰티․화장품 토탈 지원센터 기반 구축(BT)
- (지원방향 및 단계) 대학․출연(연), 기업이 참여하는『산학연공동연구법인』
 ICT융합 라이프 케어 서비스 산업 육성 전략(ICT)
육성을 통해 전주기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 ③ 7개 과제 중 충북전략산업(태양광, 바이오) 중 지역 인프라를 고려해

- (대 상) 중견(핵)기업 R&D사업화 지원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산학콘소시엄 고도화 및 파급효과,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가능성이 높은 우선 순위
또는 출자대상 기술의 가치평가가 높은 산학 콘소시엄 과제에 대해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최종 2개 과제 도출

① (사전단계 : 공모 및 사전 검증)  차세대 박막형 태양전지 산업 및 기술개발


지역 - 플렉시블 CI(G)S박막태양전지 셀, 모듈 및 롤투롤 제조기술개발
- 원천기술의 상업적 활용을 위한 시장진출 가능성, 경제성, 타산성 검증
전략과제  천연물 소재 개발연구를 통한 충북 식의약품 산업 활성화
▪대학, 기술지주회사 → 미래부(충북SP) (선정) - 인체 세포재생 유전자 발굴을 통한 천연물 후보 물질의 항노화
사전검증 ※ 공동연구법인 설립․운영계획 등 제출 , 탈모 기능성 화장품 개발
▪사업계획의 타당성에 대한 심층 검증
④ 도출된 과제에 대한 세부 R&D기획 후 R&D사업화 지원
② (1단계) 사업계획서에 대한 타당성 검증 후 사업화 기획(보완기획) 추진 □ 추진체계 구성
▪전문 컨설팅기관과 연구팀이 공동으로 법인
보완 기획 지역 수요R&D사업
설립․운영계획 상세설계
기초/특화R&D 지역 특화분야
③ (2단계 : 지원대상 선정, 지원) 보완 기획과제 중 상용화 가능성 및 파급 수요조사분석 기술로드맵 수립 지역 특화 산학
가교형R&D 공동연구법인
효과 등을 고려 하여 최종 지원 대상 선정 후 후속연구개발 및 사업화 추진 산학연관 기술로드맵수립
성장/고도화지원 설립지원
TFT 추진단
후속연구개발(R&D)
▪기획보고서 및 투자약정서 등을 토대로 평가
지원대상 선정 Ä 로드맵기반평가 (기술응용가치, 사업화 등)

공동연구법인 설립 ▪법인 등기, 연구인력 및 공간 등 확보
⇩ R&D과제기획)(가교형 고도화,
연구개발비 지원 ▪5년(3+2년), 공동연구법인당 7억원 내외 공동연구법인)


공모/ 1차 평가 (기술이전 시 인센티브)
과제신청
사업성과 평가 및 ▪추진 성과에 대한 연차․중간평가 실시 지역 내 중소벤처 산/학/연 콘소시엄
지역 R&D
상용화 ▪지원 종료 후 계속기업 또는 청산관리 지역 특화분야
현황 및 수요 기초 기술 인출/이전
자료 기술로드맵 도출
분석
제공 충북 기술저장소

- 859 - - 860 -
3) 특허활용 창업기획 사업 4) 산학연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 추진전략 □ 추진전략

ㅇ 창업 활성화를 위해 연구개발 성과 중 사업화 가능기술을 능동적으로 발굴 ㅇ 지역 대학 및 출연(연)의 휴면 우수기술 탐색, 발굴 및 이전 활성화를


하여 시장창출형 창업R&D사업을 통한 보육․투자 연계 강화 위한 협력네트워크 구축

- 1인 창조기업, 기술아이템 및 인력정보 지원 등 기술창업 지원 강화 - 지역의 소프트웨어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역R&D/비R&D기관과의 협력확대

- 기업가 정신 교육 실시, 창업 거점대학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 창업기지화 ㅇ 지역내․외 인문사회 및 과학기술 전문가로 구성된 충북과학포럼을 중심으로

□ 추진방법 연구회를 운영

ㅇ (기술창업기업 발굴, 멘토링시스템운영) 지역 1인 창조기업센터, 창업기획사, - 지역R&D 사업에 대한 투자방향을 제시하여 예산 배분·조정과의 연계 강화

VC, 지역대학 창업보육센터와 연계 □ 추진방법


- 특허, 기술의 이전/활용을 통해 창업을 하고자 하는 예비창업자를 대상 ㅇ (협력네트워크 구축 운영) 대학·공공(연)과 기술거래 사업화 기관 간 기술
으로 On-Off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을 통한 컨설팅지원 니즈매칭협의체 구축 운영
* 특화분야 기술창업자에 대한 인센티브제 운영
- 민간TLO, 기술평가기관, 사업화전문기업 등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니즈
ㅇ (창업 아카데미 운영) 연구단지 연구원/퇴직자 또는 청년 창업희망자 등을
매칭협의체를 구축하고 공공이 보유한 기초R&D성과물에 대한 평가를
대상으로 창업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후 창업아카데미 개최 운영
통해 우수기술씨앗, 우수휴면특허 발굴 및 SMK작성
* 연 2회 과정, 기업가 정신 등 10개 교육과정 운영
ㅇ (충북과학기술 국제 컨퍼런스 개최 운영) 과학기술진흥센터 내 컨퍼런스
ㅇ (특허활용 창업경진대회) 예비창업자 또는 사업자 등록 2년 미만 초기 창업자를
사무국을 통한 사업추진 (부대행사의 경우 위탁을 통한 전문성확보)
대상으로 특허를 활용한 우수아이디어 사업화 아이템 경진대회 개최
ㅇ (충북과학포럼운영) 분과별 (산학연)연구회 구성 및 연구활동지원(세미나,
- 특별부와 일반부를 나눠 창업경진대회 개최 운영
※ 창업아카데미를 수료한 자, 공공 특허 및 기술활용 예비 창업자, 지역 특화분야 예비 워크숍, RFP기획 등)을 통한 융복합 정부과제 R&D기획 및 산학 협력 활성화
창업자 인센티브 반영 □ 추진체계 구성‘
□ 추진체계 구성‘ 성과확산
창업기획사업
충북과학포럼
공공/민간 충북 국제과학기술
기술창업발굴 (연구회)운영
on-off 협력네트워크구축 운영 컨퍼런스
창업기획 멘토링시스템운영 -운영위원회-
창업아카데미 특허활용
대학/창업센터 개최/운영 창업경진대회개최
창업멘토링 전문가
VC, 창업기획사
기술니즈매칭협의회 컨퍼런스 사무국 분과별 연구회

1:1 창업멘토링 맞춤형 우수idea `IP사업화 지역 과학기술 정책세미나


지역 대학/출연(연)
(컨설팅) 창업교육 시상 지원 성과/위상 제고 R&D과제기획

우수씨앗기술/휴면특허발굴 지역 수요 중대형
충북과학기술 SMK작성 정부과제 수행
(IP보유)예비기술창업자
진흥센터 내 기업 홍보
입주
창업 기술 이전 기술 인출 공공-민간시장 갭 축소
지원센터
충북 기술저장소

- 861 - - 862 -
나. 세부사업간 연계 방안 5. 사업별 소요예산 및 조달방안
1) 세부사업 간 연계 및 방안
□ 사업비 총괄표
one-Stop 서비스플랫폼 (단위 : 백만원)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합 계

지역특화 국비 3,656 3,551 3,551 3,576 3,551 3,551 3,576 3,551 3,551 3,576 35,690
기술로드맵
협력네트워크 중소/중견 가교형 지방비 764 719 719 744 719 719 744 719 719 744 7,310
수립
구축/운영 R&D지원
민 간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0

지자체 합계 5,220 5,070 5,070 5,120 5,070 5,070 5,120 5,070 5,070 5,120 51,000
국제과학기술 산학공동
기초/특화 컨퍼런스 연구법인설립
R&D현황
분석 □ 세부사업별 사업비
충북과학포럼
과학기술
(연구회)운영
진흥센터 ○ 지식재산활용도 제고사업

기초R&D
기술창업활성화 (단위 : 백만원)
연구정보 및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기술DB구축 출연(연)
멘토링 창업 창업 one 국비 40 - - - - - - - - - 40
시스템운영 아카데미 경진대회 stop
지방비 10 - - - - - - - - - 10
서비스
지역대학 플랫폼 계 50 - - - - - - - - - 50

충북기술 기술저장 국비 616 576 576 576 576 576 576 576 576 576 5,800
IP활용 기술
저장소 IP기반
중개 지방비 154 144 144 144 144 144 144 144 144 144 1,450
사업화 산학협력
산학 활성화
컨설팅지원 R&DB지원 계 770 720 720 720 720 720 720 720 720 720 7,250
콘소시엄
이전 인출 합 계 820 720 720 720 720 720 720 720 720 720 7,300
지역 내 중소벤처,기업 예비기술창업기업

ㅇ 지역대학, 지자체, 출연(연)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공공의 성과물에 대한 ○ 지역 수요기반 R&D사업


DB화 및 기술저장소에 기술 저장 (단위 : 백만원)
- 공공/민간TLO 등과 연계한 기술니즈매칭협의체를 통해 공공 성과물 중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우수기술씨앗, 휴면특허 등에 대한 검색, 가치평가 등으로 선별, 저장 지역특화 국비 775 775 775 775 775 775 775 775 775 775 7,750
중소기업 지방비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0
- 저장된 기술에 대한 이전/활용을 위한 IP 컨설팅 및 R&DB사업지원 가교형
민간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0
R&D
성장지원 계 1,050 1,050 1,050 1,050 1,050 1,050 1,050 1,050 1,050 1,050 10,500
ㅇ 기초/특화분야 R&D현황 수요조사분석을 통해 지역 수요기반 특화분야 기술
로드맵을 수립 후 이를 바탕으로 가교형R&D사업화 성장/고도화지원 지역특화 국비 1,725 1,700 1,700 1,725 1,700 1,700 1,725 1,700 1,700 1,725 17,100
유망과제 지방비 75 50 50 75 50 50 75 50 50 75 600
- R&D과제 기획 및 평가 후 가교형R&D고도화, 공동연구법인설립 지원 가교형
R&D 민간 550 550 550 550 550 550 550 550 550 550 5,500
ㅇ 특허활용 확산을 통한 창업활성화를 위해 지역 대학, VC, 창업기획사, 창업 고도화지원 계 2,350 2,300 2,300 2,350 2,300 2,300 2,350 2,300 2,300 2,350 23,200
보육센터 등과 연계 협력을 통해 우수기술창업가 발굴 후 1:1맞춤형 컨설팅, 합 계 3,400 3,350 3,350 3,400 3,350 3,350 3,400 3,350 3,350 3,400 33,700

교육, 창업 경진대회 등으로 기술창업활성화


- 863 - - 864 -
○ 특허활용 창업기획사업 6. 사업결과의 활용방안
(단위 : 백만원)
구분 연구결과 활용방안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국비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0 One-Stop ㅇ 지역R&D성과관리-확산의 서비스플랫폼구축


멘토링
서비스플랫폼 방안 보고서를 통한 가교형 R&D지원서비스체계 마련
시스템 지방비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0
운영 구축 - 기업 애로사항에서 사업화에까지 One-Stop지원
계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기술창업
국비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0 ㅇ충북지역의 공공 R&D성과물에 대한 DB화를 통해
공공R&D
활성화 지방비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0 지역산업의 기술수준 파악
지원
성과물 DB화
계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0 ㅇ특화분야의 기술로드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활용
합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ㅇ IP를 활용한 단/중기 R&D사업화에 필요한 정부
지식재산 IP기반
사업 매칭
활용도제고 사업화컨설팅
ㅇ 향후 기업에 필요한 수요기술에 대한 IP이전 및
보고서
○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사업 활용도 제고
(단위 : 백만원) 산학협력
ㅇ 공동논문을 통한 산학콘소시엄 사업화 토대 마련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계 R&DB지원
기업의 시제품, 제품성능개선 유도
결과물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협력 ㅇ 지역 특화분야의 기술수준 및 동향 등 분석
네트워크 지방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구축 충북 향후 지역 R&D기술분야 로드맵 작성 가능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기술저장소 ㅇ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검색/중개/이전을 위한
충북 국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기술저장공간으로 활용
과학기술
국제 지방비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0 기초R&D현황 ㅇ 지역 R&D 인프라 조사를 통한 지방과학산업단지
컨퍼런스 특화분야 진흥계획수립 및 특화분야 기술로드맵을 위한 통계
개최 계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0
기술수요분석 자료 제공
국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충북
ㅇ 지역 R&D투자의 우선순위 결정 자료 활용
과학포럼 지방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기술로드맵
운영 ㅇ 특화분야 가교형R&D 및 산학공동연구법인 설립 시
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0 보고서
사업자 선정을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
합 계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0
ㅇ 가교형 R&D에 참여하는 기업의 신규사업 발굴
지역수요기반 가교형 R&D를
아이템으로 활용
R&D 지원사업 통한 사업화
ㅇ 보유된 기술을 근간으로 연관기술을 개발/응용
결과물
하여 다양한 사업화 기회로 활용

ㅇ 기술중심 산학연연구법인을 통한 지역특화분야


고도화 및 원천기술확보/응용으로 세계 경쟁력 확보
산학연
ㅇ 설립된 산학연연구법인을 통한 고용창출, 기술력
연구법인 설립
향상, 기술 사업화에 따른 매출향상으로 인한
지역 과학기술산업 생태계 활성화

- 865 - - 866 -
구분 연구결과 활용방안
8. 참고문헌

창업가발굴 ㅇ 기술창업자의 애로사항부터 사업화에 이르기까지 ㅇ 김일광(2013), “중견기업 현황 및 지원정책”, KB daily 지식비타민(2013-35호)
On-Off 전주기적 코칭이 가능할 수 있는 전문가멘토링 ㅇ 김대경(2013), “R&D정책 지역이 주도할때다”, 대경CEO BRIEFING 제361호
멘토링시스템 시스템으로 운영
ㅇ 이민형, 성경모, 이혜진(2013), 창의적 성과창출을 위한 기초연구 지원관리제도
특허활용 ㅇ 만족도 조사를 통해 우수과정을 확대하고, 불만족
개선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13-22
창업기획 창업아카데미 과정의 경우, 보완 또는 개편을 통해 교육에 대한
질(質)을 향상 ㅇ 이윤준, 김선우(2013), “대학․출연(연)의 기술사업화 활성화방안”, STEPI
창업경진대회 ㅇ 창업경진대회를 통해 선정된 우수 아이디어에 대해 Insight, 2013. 8.
우수아이디어 사업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후속지원사업으로 연계 ㅇ 정삼철(2013), “충북지역 중소기업 R&D 경쟁력강화 방안”
협력네트워크 ㅇ대학, 출연(연) 및 창업기획사, 민간TLO 등과의
ㅇ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기획단(2012),「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초연구성과 후속
구축체계 협력체계 구축으로 민간과 공공시장간의 갭축소
R&D」추진계획(안), 2012. 4.」
(기술니즈매칭 - 우수기술발굴/이전을 위한 SMK작성을 통해
협의체) 기업 내 기술이전마케팅에 활용 ㅇ 미래창조과학부(2013),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13~’17)”, 보도자료
산학연 네트워크 충북 ㅇ 지역 과학기술의 미래성장동력 발굴 ㅇ 미래창조과학부(2013), “출연(연)의 중소‧중견기업 R&D 전진기지화 방안
사업 과학기술 ㅇ 지역 과학인 상, R&D성과전시회를 통한 ·지역 과학
(안)” 보도자료
국제컨퍼런스 기술의 위상 정립
ㅇ 미래창조과학부(2013).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안)(2013~2017)”
ㅇ 연구회별 산학연 RFP와 R&D과제기획을 통해 나온
충북과학포럼
보고서를 지역 중대형R&D사업 또는 정부사업으로 매칭, ㅇ 국가과학기술심의회(2013),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안) (‘13~’17)”
운영
- 지역 연구개발 향상을 위한 기본자료로 향용
ㅇ 국가과학기술심의회(2013), 기초과학연구원 5개년 계획(’13~’17)(안)“

7. 연구원 편성표 ㅇ 국가과학기술심의회(2013),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 수립계획(안)“

ㅇ 특허청(2013),“국가 R&D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부3.0기반 특허정보활용

과제
과제명 직급별 참여연구원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확대방안(안)
구분 출연 국공 산업
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수석 책임 선임 원급 기타 계 대학 기타 계
(연) 립(연) 계 ㅇ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2013), “R&D 분석·평가 역량강화 및 성과확산기반
충북지방 조성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 2013-051
과학연구단지활성화사업(2단계)
총괄 2 3 3 4 2 14 14 14
충북과학기술진흥센터 박완수 ㅇ 한국과학기술평가원(2013)「지역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합 계 2 3 3 4 2 14 14 14 ㅇ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2013), 「시장선도형 소재․부품 R&D전략 총괄보고서

ㅇ 한국연구재단(2013),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지원 사업 설명자료”

- 867 - - 868 -
첨부 I 가교형 R&D 후보과제 리스트 첨부 II 가교형 R&D 후보과제(1순위) 요약문

〈 요 약 문 〉
기술 TRL 산업 중점
연구제목 기술명
보유기관 분류 분야 분야 ① 연구사업명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CIGS 태양광 기술
(영문사업명) (CIGS photovoltaics technology for wearable smart device)
차세대 질병관리를 위한 ○ 플렉시블 CI(G)S 박막태양전지 셀, 모듈 및 롤투롤 제조기술개발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지방과학 바이오 ② 연구개발
1 진단키트의 핵심원천 청주대학교 3
기술진흥 (BIT)
- 셀/모듈 효율 = 16%(100 cm2)/14% (stainless sttel)
질병진단기술
기술개발 및 상용화 목표 - 경량성 = 40 W/kg
- bending raius < 100 mm
○ Cell 고도화 기술/고 효율의 소자 개발
③ 연구개발
○ 롤투롤 Flexible CIGS 박막태양전지 TCO/MO 제조기술
내용
차세대 박막형 태양전지
초박막형 유리를 태양광 ○ Flexible CIGS 박막태양전지 모듈 개발
지방과학
2 이용한 플렉시블 청주대학교 3 산업
산업 및 기술개발 기술진흥 ○ 1차년도
CI(G)S박막태양전지 (ET)
- Cell 고도화 기술/고 효율의 소자 개발
- 흡수층제조기술 (증발법, 열처리, 전기증착법)
- Flexible CIGS 박막태양전지 TCO/MO 제조기술
- Flexible CIGS 박막태양전지 모듈 개발
녹색에너지 융합형 에너지 ○ 2차년도
Passive 지방과학
3 미래주택 산업육성 정책 중원대학교 2,3 산업
(건물에너지최소화기술) 기술진흥
(ET)
- Cell 고도화 기술/고 효율의 소자 개발
과제
- 흡수층제조기술 (증발법, 열처리, 전기증착법)
- Flexible CIGS 박막태양전지 TCO/MO 제조기술
④ 연차별 - Flexible CIGS 박막태양전지 모듈 개발
연구내용 ○ 3차년도
오송 의생명산업 - Cell 고도화 기술/고 효율의 소자 개발
의생명 빅데이터 지방과학 ICT
4 고도화를 위한 빅데이터 충북대학교 5 - 롤투롤 Flexible CIGS 박막태양전지 TCO/MO 제조기술
플랫폼 기술 기술진흥 (BIT)
서비스센터 구축 - Flexible CIGS 박막태양전지 모듈 개발
○ 4차년도
- Cell 고도화 기술/고 효율의 소자 개발
- 롤투롤 Flexible CIGS 박막태양전지 상용화 제조기술
천연물 소재 개별연구를 천연물 소재를 활용한 ○ 5차년도
한국생명공학 지방과학 의료산업
5 통한 충북 식의약품 산업 신의약품 원료
연구원
2 기술진흥 (BT) - Cell 고도화 기술/고 효율의 소자 개발
활성화 표준화기술 - 롤투롤 Flexible CIGS 박막태양전지 모듈기술
플렉시블 CIGS 제조 기술로 저비용 태양전지 양산 핵심 요소 기술 확보하
여, R2R 신 공정에 따른 새로운 공정장비의 개발을 통한 유연성, 경량성
⑤ 기대효과
및 고효율의 박막태양전지 제조기슬 확보 및 차세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
글로벌 타깃 뷰티․화장품 화장품 기능성 지방과학 의료산업
6 서원대학교 3 이스의 전원 융합용 신기능 태양전지 기술을 확보함.
토탈 지원센터 기반 구축 소재 기술 기술진흥 (BT)
플렉시블 CIGS 흡수층 스텐레스 스틸기판

⑥ 중심어 초박형 유리기판 롤투롤 제조기술

박박태양전지 CIGS 모듈 패키징


CT융합 라이프 케어 라이프 에너지 케어 지방과학
7 한국교원대학교 3 ICT flexible CIGS absorber layer stainless steel
서비스 산업 육성 전략 장치 기술 기술진흥

⑦ Keywords ultra-thin glass substrate roll-to-roll manufacturing technology

thin film solar cell CIGS 모듈 packaging

- 869 - - 870 -
첨부 III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설립 계획서 요약문 〈 요 약 문 〉
① 연구사업명 인체세포재생 유전자발굴을 통한 천연물 후보물질의 항노화, 탈모작용점 연구
(Molecular target for health beneficial and anti-aging, hair loss
(영문사업명) of natural product and their underlying mechanism)
연구개발과제계획서
○ 세포재생 조절 신규 유전자 3종 이상 발굴
○ 인공피부 및 모근세포기반의 예측평가시스템을 통해 천연물소재 5건 이상 발굴
① 부처사업명(대) ④ 보안등급(보안, 일반) 일반
② 연구개발 ○ 천연물 후보물질(hit, lead, candidate 화합물) 작용점 규명하여 글로벌
② 사업명(중) ⑤ 공개가능여부(공개, 비공개) 공개 목표 상품개발가능성 제시.
○ 후보물질의 세포 투과성 개선을 위한 CPT 제형개발
③ 세부사업명(소)
○ 항노화, 모발적용 동물모텔에서의 효능평가로 임상진입 과학적 근거 마련
과제성격
개발
실용화 대상여부
실용화 ○ 연령별, 성별 인체 피부 및 모낭샘플을 통한 DNA, mRNA, Protein 발현
(기초, 응용, 개발) (실용화, 비실용화)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국 문 인체세포재생조절 천연물 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바이오 제품 사업화 ○ 선행된 신규유전자(YSK1, STAT3 allosteric site, HRK)에 대한 in
후속연구개발과제명 Industrialization of functional bio-product by natural components
vitro, in vivo 평가 실험계를 통한 천연물 hit 화합물 발굴
영 문 ○ 천연물 hit 화합물의 세포내 신호전달 체계 및 Target-화합물 간
having cell recovery ability ③ 연구개발
상호작용 규명하기위해 전사인자(Reporter gene), siRNA, structure
⑥ (총괄)주관연구기관 연구법인 바이오융합기술 명품화 사업단(가칭) 내용
docking 통해 표적맞춤형 작용기전 규명
⑦ 협동(공동)연구기관 서원대학교 ○ 세포투과성 개선하기위해 후보 소재 CTP 적용하여 타입에 맞는
제형설계
성 명 이 현용 직급(직위) 교수
(총괄)주관연구책임자 ○ CTP 적용 소재에 대한 in vitro(TF-1 cell) , in vivo (C57BLl6, C3H
소속부서 서원대학교 전공 생물공학 mouse) 평가를 통한 전임상 약효시험
연구개발비 및 참여연구원수 (단위: 천원, 명)
○ 1차년도 : 신규 표적 유전자 분류 및 효능평가 시스템구축
- 세포재생 표적 유전자 발굴
기업체부담금 - 세포시스템구축(천연물소재 발굴을 위한 시스템 확립)
정부외 상대국
년 도 정부출연금 출연금 부담금 합계 참여
(A) 현금 현물 소계 G=(A+B+E) 연구원수 - 후보단백질의 천연물 모발 소재 검색
(B) (F)
(C) (D) E=(C+D) ○ 2차년도 : 발굴된 표적 유전자와 천연물 hit 화합물 작용 점 규명
- STAT3-3 dimer, YSK1, HRK, 단백질-저해능 작용점규명
1차년도 1,000,000 60,000 140,000 200,000 100,000 1,300,000
- 후보 소재에 대한 기능 규명
2차년도 1,000,000 60,000 140,000 200,000 100,000 1,300,000 ○ 3차년도 : 발굴된 표적 유전자와 천연물 Lead 화합물 작용 점 규명
④ 연차별
- YSK1, HRK, 단백질-저해능 작용점규명
3차년도 1,000,000 60,000 140,000 200,000 100,000 1,300,000 연구내용
- STAT3-3 dimer 억제 천연물 hit 발굴
4차년도 1,000,000 60,000 140,000 200,000 100,000 1,300,000 - 항노화, 모발 성장 및 억제 평가를 위한 in vivo 실험법 확립
○ 4차년도 : 약용, 크림타입의 제형 연구/ 소재 적용 연구
5차년도 1,000,000 60,000 140,000 200,000 100,000 1,300,000
- CTP 소재 적용/CTP 소재 약효평가
합계 5,000,000 300,000 700,000 1,000,000 500,000 6,500,000 - 항노화, 모발조절 후보물질의 제형 개발
총연구기간
○ 5차년도 : 후보물질의 전임상 동물모텔 구축
- 항노화, 모발 조절 후보물질의 제형 개발
다년도협약연구기간 - 항노화, 모발 조절 후보물질의 전임상 실시
당해연도연구기간 ○ 항노화, 발모 주요 표적단백질에 대한 규명으로 치료제 및 화장품 개발
을 위한 기반 기술 구축에 따른 국가 경쟁력의 확보
중소기업수 대기업수 기타 계 ⑤ 기대효과 ○ 충북 유래 천연물질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개발로 부가가치 창출
⑧ 참여기업
2 1 1 4 ○ 글로벌 브랜드의 화장품 개발에 의한 세계시장 진출
○ 융복합와 기술발전으로 안티에이징, 모발 상품의 과학 및 첨단화
상대국연구기관수 상대국연구개발비 상대국연구책임자수
국제공동연구 항노화 모발/탈모 천연물소재
⑥ 중심어
신규 표적유전자 CTP 제형 식.의약품, 화장품
Anti-aging Hair loss Natural Product
⑦ Keywords Medicine, Food,
New Target gene CTP formulation
Cosmetics

- 87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