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건축, 엔지니어링 및 건설 산업

토목 설계 혁신

혁신적인 산업화 전략으로 토목 설계의 혁신 실현


이 백서에서는 토목 설계 및 건축 분야의 최근 혁신 및 새로운 지평과 더불어 품질을 향상하고
효율성을 개선하도록 설계된 솔루션과 이 분야의 당면 과제에 포괄적으로 살펴봅니다.
이 백서는 다쏘시스템과 상하이시정공정설계연구총원(Shanghai Municipal Engineering
Design Institute (Group) Co., Ltd: SMEDI)이 공동으로 제작했습니다.
글로벌 인프라 전망
세계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 급격한 생활 수준 상승,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인프라 발전에 힘입어 전 세계 토목 공학 프로젝트의 건수와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PricewaterhouseCoopers (PwC)가 발간한 “자본 프로젝트 및 인프라 지출: 2025년까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무렵 전 세계의 연간 인프라 지출은 2012년 4조 달러의 2배가 넘는 9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런 현상은 중국, 중동 및 라틴 아메리카(경이로운 속도로 경제가
성장하고 있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인도 등의 국가)에서 특히 두드러집니다. Global Construction
Perspectives에 따르면 2025년 무렵 전 세계 시공 프로젝트 중 63%가 중국과 인도를 위주로 한 신흥
시장에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PwC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인도에서만 180개의
공항이 추가로 건설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에 전례 없이 많은 자본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민간 기업의 투자와 민관


합작(PPP)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스탠포드 대학교의 라이언 J 오르(Ryan J. Orr)와 Akin
Gump Strauss Hauer & Feld, LLP의 제레미 R 케네디(Jeremy R. Kennedy)는 말합니다. 과거에는
대다수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가 정부 주도로 추진됐습니다. 그러나 정부 예산, 특히 정치적으로
불안정하고 경제 발전이 뒤쳐진 국가의 정부 예산이 빠듯해짐에 따라 민관 합작이나 민간 투자 개발
사업 형식으로 이와 같은 프로젝트에 뛰어드는 민간 기업이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민간
기업은 설계와 건축의 투자수익(ROI)과 효율성을 개선해 더 높은 수익을 더 빠르게 실현하는 방안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의 거시적 전망
최근 중국에서 일고 있는 토목 설계 및 건축 분야의 혁신과 새로운 지평은 두 가지 경향으로
요약됩니다. 중국의 토목 설계 및 건축 분야 발전 전략은 건축 정보 모델링(BIM)을 이용하여 산업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것입니다. 미국, 일본 및 유럽 국가는 이미 고도로 산업화되어 있기 때문에 IT 산업도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중국은 BIM을 활용해 건축 산업화를 촉진할 것임을 천명하고 이것을 거시적인
추진 전략으로 삼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은 계획 경제에서 시장 주도 경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과거 계획 경제 시대에는 중국


최대의 인프라 설계 부처로 손꼽히던 상하이시정공정설계연구총원(SMEDI)이라는 “토목 설계
기관”에게 절대적 권한이 주어져 건축에 사용될 공법을 일일이 결정할 정도였습니다. 지금의 시장
주도 경제에서도 SMEDI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전체 프로젝트에 SMEDI
가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은 계속 줄어들고 있는데, 이런 추세는 특히 하위 건축 공정에서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SMEDI가 전권을 행사했던 과거와 달리, 요즘에는 여러 이해관계자의
동의가 있어야 고속도로 프로젝트의 설계 지침을 최종 결정할 수 있습니다.

토목 설계 공정의 난제
최근 몇 년간 국제 협력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예를 들어, 중동의 한 정부
프로젝트에는 영국의 설계 자문 회사가 참여하여 현지인을 고용하여 작업하는 종합 건설업자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한편 이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장비나 자재는 유럽 기업이 공급합니다. 이와
같은 여건에서는 유연하게 설계를 수정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글로벌 협업 모델이 필요한데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BIM을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습니다.

중국의 급격한 발전을 촉발한 요인 중 하나는 설계, 건설 및 설계 변경이라는 3개 공정을 동시에


진행하는 “3요소 병행법”을 채택했다는 점입니다. “3요소 병행법”에서는 설계를 완료하기 전에
이미 건설 단계가 시작됩니다. 중국에서 이와 같은 방식이 유행하는 이유는 인프라 건설을 서둘러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실정에서는 공사가 시작되어 윤곽이 드러나기 전에는 프로젝트
발주 주체조차도 최종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제대로 모를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공사가 어느 정도
진척된 이후에 기존 설계의 수정을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때로 프로젝트 발주 주체의 목표가 명확하지 않아 초기 단계에는 토목 설계 기관인 SMEDI가 기초
설계만 완료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설계 단계에서 프로젝트가 유예되기도 합니다. 프로젝트 발주
주체의 의도에 맞게 설계를 수정하는 일은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1990년대만 해도 SMEDI는 건설 프로젝트 전반의 세세한 부분까지 결정권을 행사했습니다. 반면


오늘날에는 하위 공정 착수 방안과 진행 방법에 대한 결정 권한이 전혀 없습니다. 오늘날 SMEDI의
모든 설계는 이해관계자들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건설 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설계 수정이 이뤄지는
일도 드물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작업 품질뿐 아니라 프로젝트 시행 및 완료 시기도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토목 설계 및 도시 건설 산업이 직면한 또 다른 난제는 현장 건설 공법의 유행입니다. 과거에는


도급업체들이 이 공법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는데 거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우선 건축 폐기물을 관리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건설 현장에서 상당한 양의 건축 폐기물이 발생함에도


이를 처분하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는 현장 건설 과정에서 많은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어
비용을 관리하기 어려웠습니다. 세번째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건축 공정이 현장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일정을 관리하기가 훨씬 더 어려웠습니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대부분의 건축이 현장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조립 건축 공법을 사용할 때보다 훨씬 더 많은 공간이 필요했습니다. 그로 인해 주변 도로를
장기간 폐쇄해야 해서 교통체증이 발생하곤 했습니다.

이런 문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우선 SMEDI는 EPC(설계, 조달, 시공) 시스템을


완벽하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능할 때마다 조립 건축 공법을 활용(예: 철근 콘크리트를
구성 요소를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BIM 기술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다양한 전문가들이 동일한 모델로 작업하고 다양한 단계에서 통일된 형식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효율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BIM 기술 채택에 따른 효과, 문제점, 해결책


BIM 기술을 사용할 경우 3D 협력 설계가 실현되고 데이터 형식 표준화로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진다는
장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사람들의 습관 변화가
요구되기 때문에 거부감이 상당히 클 수 있다는 점입니다. 조직 내에서 새로운 작업 방식이 제시된
경우 변화가 정착되기까지 내부 갈등을 겪거나 심지어 마비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또한 설계를 개선
및 평가하는 과정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프로젝트 주기 비용 면에서 위험 부담이 따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계획 경제 시대에는 프로젝트의


ROI가 대단히 정확하게 산정되었습니다. 당시에는 정부가 건설 중장비 구매 비용과 같은 운송비 및
인건비를 비롯한 자원을 직접 통제했습니다. 모든 것이 철저하게 계획되므로 프로젝트 발주 주체가
비용을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었습니다. 반면 시장 주도 경제 시대에는 설계가 한 단계로 줄어듭니다.
즉, 퍼즐은 한 조각인데 반해 거기에 영향을 미치는 비용 변수는 여러 가지인 셈입니다. 마찬가지로
시공 단계에도 자체적인 비용 변수가 존재합니다.

요약하자면, 프로젝트 비용, 작업 품질, 일정, 비용 관리라는 네 가지 핵심 요인이 영향을 미칩니다.

SMEDI는 다음 네 단계로 비용을 관리해야 합니다.


1. 아직 전체 프로젝트를 명확히 구상하지 않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1차적으로 비용을 산정합니다.

2. 설계에 착수하기에 앞서 프로젝트 계획서를 작성 또는 합의합니다. 계획서에는 후속 비용 산정에


참고할 수 있도록 최종 결과물의 크기, 형태 및 외형을 명시합니다.

3. 시공에 앞서 예산을 더 정확히 산정합니다.

4. 프로젝트 완료 시점에 최종 비용을 산정합니다.


BIM 기술의 장점 중 하나는 자재 및 건설 비용을 정확히 계산함으로써 예산을 최대한 정확하게 편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에는 운영비 외에 설계비와 건설비가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설계비 및 건설비가 전체 비용의 20%를 차지하고 운영비가 80%를 차지합니다. 설계비 및 건설비의
1/4(프로젝트 총비용의 5%)은 설계에 할당됩니다. 따라서 SMEDI는 강력하면서도 경제적인 설계
기술을 갖출 필요가 있고, BIM은 이와 같은 요건에 부합합니다.

3D 소프트웨어와 BIM 도입
2005년부터 중국의 토목 공학 산업은 CAD(Computer Aided Design)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첨단
프로젝트에 필요한 3D 설계도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2005년 이전에는 SMEDI가 2D 설계도만
사용했는데 2D 설계도는 동기화할 수 없다는 맹점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도면을
수정했을 때 나머지 관련 도면에는 수정된 내용이 자동으로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3D 설계에서는 설계사가 모든 수정 사항을 전체 건축 계획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프로젝트 전반의
정확도가 향상됩니다.

기존의 BIM 소프트웨어는 도로, 교량 및 터널과 같은 토목 공사가 아니라 건물용으로 개발된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의 BIM 소프트웨어는 SMEDI와 다쏘시스템이 공동으로 개발한 토목 공사 시각화용 토목
공학 설계 모듈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다쏘시스템의 3DEXPERIENCE® 플랫폼은 설계 개념을
증명할 수 있을뿐더러 더욱 우수한 수준의 세밀함을 통해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를 개선합니다. 대용량
BIM 소프트웨어는 이 분야를 선도하는 소프트웨어인 3DEXPERIENCE 플랫폼이 제공하는 사전
조립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정확한 수준의 세밀함을 유지하면서 전체 프로젝트를 시각화할 수
있어야 합니다.

사례 연구
간강 제2대교

SMEDI는 특히 교량 설계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SMEDI는 상하이의 대형 교량을 거의


모두 설계했습니다. 물론, SMEDI의 역량이 상하이 시에만 국한되어 빛을 발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상하이 외 지역 설계의 대표적인 예로는 주변 경관과 잘 어우러지는 “물고기 모양” 설계가 적용된
장시성의 간강 제2대교(Ganjiang River Second Bridge)를 들 수 있습니다. 복합 구조의 이 교량은
강철 상부, 콘크리트 하부 구조물, 콘크리트 및 강철이 혼합된 중간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BIM
덕분에 다양한 엔지니어가 담당할 작업과 교량 구성 요소를 명확히 나눌 수 있었습니다.
교량 설계 작업은 SMEDI의 지휘로 진행됐으며 다양한 분야의 엔지니어가 협업을 수행했습니다. 선임
토목 설계사가 프로젝트 관리를 담당했고 한 명의 전담 엔지니어가 교량 전체의 골조를 결정하고
뼈대를 설계했습니다. 또 다른 전문 엔지니어는 철골 구조물을 전담했고, 또 다른 설계사에게는 교량의
여러 부분에 배치할 구성요소 라이브러리를 작성하는 작업이 일임됐습니다.

협업 설계 공정을 도입한 덕분에 SMEDI는 필요한 작업을 명확히 정의해 분담했으며 역할과 임무를
조율하고 전체 프로젝트를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었습니다.

개념 설계 단계에서 설계사는 디지털 스케치 태블릿에 설치된 3DEXPERIENCE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뼈대선과 심지어 지지대로 사용되는 복합 곡선을 단시간에 작성할 수 있습니다. 작성된 뼈대선을
토대로 도출된 구성 요소 라이브러리는 프로젝트 성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잔교, 빔, 교각
등의) 구성 요소는 지능적인 규칙 기반의 파라미터 객체로서 라이브러리에 체계적으로 분류됩니다.
설계사가 원하는 구성 요소를 라이브러리에서 선택한 후 이를 뼈대선에 연결하면 구성 요소의 크기가
뼈대선에 맞게 자동으로 조정되고 체계적인 BIM 모델이 생성됩니다. 설계사가 뼈대선을 수정할 경우
수정된 내용이 모든 구성 요소에 적용되므로 수정 시간이 크게 절약됩니다.

SMEDI 솔루션은 설계 개념을 애니메이션으로 시각화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소개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전에 작성했던 정적인 3D 도면보다 훨씬 더 기능적입니다.

한편 건설 도면 설계 단계에서는 3DEXPERIENCE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설계 오류뿐 아니라 상충하는


작업 지침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3DEXPERIENCE 소프트웨어에 측정치를 입력해서 분석을
실시하고 건축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부가적인 안전 검사는 교량 설계 및 건설에
특히 중요합니다.
실제로 SMEDI는 이 3DEXPERIENCE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덕분에 마지막 순간까지 대단히 빈번하게
이뤄지는 설계 수정 작업을 훨씬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과거에는 원래의 설계 단계보다
설계 수정에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일쑤였습니다.

양가오 남부도로 터널
또 다른 주목할만한 사례는 상하이의 양가오 남부도로 터널(Yanggao South Road Tunnel)입니다.

센트리 고속도로(Century Highway)와 푸장 도로(Pujian Road)를 연결하는 양가오 남부도로는 기존의


센트리 고속도로와 푸장 도로 교차로 교량 사이의 지역에 건설됐으며 총 길이는 1.95Km입니다.
양가오 남부도로 재건설에는 총 24억 7,000만 위안이 투자됐는데 초기 녹지화와 배수관 재배치
외에도 도로, 터널, 구조물, 교량(장가빈교: Zhangjiabin Bridge), 배수로, 교통 표지 및 차선, 신호등,
환기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송전 및 배전, 건축 양식, 녹지화 및 관련 장비 건설 및 설치에 14억 5,500
만 위안이 소요됐습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전체 공정에 다쏘시스템 3DEXPERIENCE 플랫폼 버전 R2015x를 BIM 프러덕션


플랫폼으로 사용했습니다. 다른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비해 3DEXPERIENCE 플랫폼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발휘했습니다.

1. 3DEXPERIENCE 플랫폼은 클라우드 플랫폼과 중앙 서버의 구조 모델을 채용해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했습니다. 덕분에 엔터프라이즈 프로젝트의 데이터 보안이 안정적으로
유지됐습니다.

2. BIM 모델의 유형 확장을 지원하는 3DEXPERIENCE 플랫폼은 양가오 남부도로 프로젝트에 유형


단일화 자체 정의 방식을 채택해 터널 구조물에 연석, 난간 및 아스팔트를 일괄 설치했습니다. 이와
같은 공법 덕분에 후속 단계의 양적 조사와 구현 시뮬레이션을 훨씬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3. 여러 분야 전문가의 실시간 협업을 지원하는 BIM 플랫폼 덕분에 구조물, 교량 및 배수관 분야의
설계 전문가들이 동일한 플랫폼에서 실시간으로 설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동기화 위주의 동시 모델링 방식은 설계 공정의 오류뿐 아니라 각 모델 간의 상호간섭을 즉시
찾아내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4. 3DS 플랫폼 기반의 BIM 모델링 워크플로우 방식을 초기 단계에 구현했습니다. 현재의 소프트웨어
형식은 100Km 거리의 도로 건설에 필요한 대규모 데이터 모델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한편 BIM
은 초기 단계의 솔루션 설계, 중간 단계의 세부적인 구조물 설계, 후기 단계의 구현 시뮬레이션,
프로젝트 보고, Microsoft® Explorer 기반의 온라인 탐색에 이르는 모든 분야를 아우릅니다.

5. 획기적인 지식 템플릿 라이브러리 재사용 기능은 CATIA®가 지원하는 템플릿 기능과 함께 터널


구조물의 여러 구성요소를 단시간에 시뮬레이션할 수 있어 모델링 중복 작업을 피하고 작업
효율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었습니다.

프로젝트 솔루션 검증 및 보강 단계에 BIM 기술을 도입해 3차원 설계를 시각화하고 다양한 솔루션을
비교한 후 이를 최적화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정부 지도자와 프로젝트 발주 주체를 대상으로 한
설명회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습니다. 설계 단계에서는 BIM과 일반 설계 방식을 사용했고 설계
결과를 점검해 설계도의 완성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건설 입찰 단계에서는 공동 설계팀이 BIM
을 토대로 한 획기적인 건축 자재 수량 산정 방법을 마련한 덕분에 핵심 구조물에 필요한 콘크리트
및 강철의 수량과 구조물을 보호하는 데 사용될 자재 정보를 BIM 정보에서 성공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예상 수량 중 65%를 전통적인 방식으로 산출한 결과와 대조하고 프로젝트 정식
입찰용 검사 항목 명세표에 기재했습니다.
토목 공학 및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발휘되는 CIVIL DESIGN FOR FABRICATION
솔루션의 진가
통합 BIM 설계 플랫폼
협업 방식 3DEXPERIENCE 플랫폼이 지원되는 다쏘시스템의 산업 솔루션인 Civil Design for Fabrication
을 이용하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설계 모델과 프로젝트 데이터에 동시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프로젝트 발주 주체, 엔지니어, 토목기사가 동시에 작업하고 데이터를
공유하며 모든 프로젝트의 품질과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소통 문화가 조성됩니다. Civil Design for
Fabrication 솔루션은 IFC 및 OmniClass 형식과의 호환성을 지원하는 한편, 다양한 BIM 환경에서
생성되는 대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함으로써 정보 단일화를 실현합니다. 사용자는 카탈로그를
이용하여 설계를 시작하고 설계를 수정한 경우 이를 모든 설계 모델에 즉시 반영할 수 있습니다.

협력 설계
3DEXPERIENCE 플랫폼을 이용하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설계 모델과
프로젝트 데이터에 동시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그 어떤 사용자도 단절되지 않습니다. 사용자는
모든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단일화된 모형을 제작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프로젝트 발주 주체,
엔지니어, 조립업체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통합 설계 커뮤니티의 일원으로서 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유연한 설계 변경
정교한 맞춤 설정과 손쉬운 재활용이 보장되는 Civil Design for Fabrication에서는 토목 공학 카탈로그에
수록된 기존의 3D 템플릿을 이용하여 작업하거나 미래에 활용할 목적으로 자신만의 고유한 템플릿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용 구성 요소 목록에서 프로토타입을 가져와서 기존의 파라미터를 적용한
후 손쉽게 수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간이 절약됩니다. 설계 과정에서 템플릿을 부분적으로
수정한 경우 모델 전체에 즉시 적용되므로 오류가 줄어들고 일관성이 유지됩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사용자가 3D 모델을 업데이트하고 수정하는데 들여야 할 시간과 공을 줄이는 데 유용합니다.

대용량 모델 처리
3DEXPERIENCE 플랫폼은 “실제 지형” 정보와 같은 대용량 BIM 데이터를 비롯한 모든 설계 데이터를
통합합니다. 사용자는 새로운 지리 위치 도구를 이용해 정확한 현장 데이터를 모델에 반영하거나 현장
굴착에 필요한 준비를 완벽하게 마칠 수 있습니다. 3DEXPERIENCE 플랫폼 기반의 CATIA 애플리케이션은
최대 200Km에 달하는 광범위한 데이터 처리 능력을 지원합니다. 가상으로 지형을 수정하면 적절한 굴착
범위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한편 모델에 사용할 좌표와 지형 정보를 도출 하거나 실제 지도에 설계
정보를 적용해서 모든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확한 현장 정보와 그래픽 컨텐츠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설계에 조립 데이터 반영
Civil Design for Fabrication 솔루션은 개념 설계 모델을 조립 데이터뿐 아니라 건설 비용, 수량, 시방서
및 일정과 결부시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통합 BIM 마스터 데이터를 토대로 한 조립 모델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통합 설계 공정은 재작업과 폐기물을 줄이고 설계 공정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결론 - 3DEXPERIENCE 플랫폼의 효과

©2014 Dassault Systèmes. All rights reserved. 3DEXPERIENCE®, 나침반 아이콘과 3DS 로고, CATIA, SOLIDWORKS, ENOVIA, DELMIA, SIMULIA, GEOVIA, EXALEAD, 3D VIA, 3DSWYM, BIOVIA, NETVIBES 및 3DEXCITE는
협업 방식 3DEXPERIENCE 플랫폼이 지원되는 다쏘시스템의 산업 솔루션인 Civil Design for Fabrication
을 이용하면 대단히 빈번하게 이뤄지는 설계 수정 내용을 훨씬 수월하게 설계 모델 전체에 적용할 수

미국 또는 기타 국가에서 다쏘시스템 및 그 자회사의 상표 또는 등록상표입니다. 다른 모든 상표의 소유권은 각 해당 회사에 있습니다. 다쏘시스템 또는 그 자회사 상표를 사용하려면 명시적인 서면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있습니다. 시공 과정에서는 예기치 않은 변수가 발생하는 일이 흔하기 때문에 설계 수정은 불가피합니다.
원래의 설계 단계보다 설계 수정에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일도 빈번한데 과거에는 이 작업이
대단히 번거로웠습니다.

SMEDI는 다쏘시스템 3DEXPERIENCE 플랫폼을 십분 활용하고 있습니다. 제조 분야에서 오랫동안


선두를 유지해온 다쏘시스템은 “현재의 제조가 토목 공학의 미래”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한 Civil Design for Fabrication 덕분에 토목 공학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시공 시간을 크게 줄이는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설계사는 전체 작업 시간 중 설계 작업에 1/3을, 설계 내용을
논의하는 데 2/3의 시간을 소요합니다. BIM을 이용하면 설계 작업이 간소화될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과
협업 과정도 훨씬 쉽고 빨라집니다. 덕분에 상당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SMEDI는 다쏘시스템과 손잡고 맞춤형 BIM 플랫폼을 구축하여 토목 설계 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했습니다. 간단히 말해 다쏘시스템의 3DEXPERIENCE 플랫폼은 안정적이고
혁신적이며 대규모 산업화를 효과적으로 촉진합니다.

12개 산업을 지원하는 3DEXPERIENCE® 플랫폼은 브랜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풍부한 산업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DEXPERIENCE®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 다쏘시스템은 기업과 개인 고객에게 지속 가능한 혁신에 필요한 가상 세계를 제공합니다.
세계를 선도하는 다쏘시스템의 솔루션은 제품 설계, 생산 및 지원 방식에 변혁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다쏘시스템의 협업 솔루션은
가상 세계가 현실 세계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 소셜 이노베이션을 촉진합니다. 다쏘시스템은 전 세계 140여 국가의 모든
산업 부문에서 19만 곳 이상의 고객들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www.3ds.com을 참조하십시오.

미주 유럽 / 중동 /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Dassault Systèmes Dassault Systèmes Dassault Systèmes K.K.
175 Wyman Street 10, rue Marcel Dassault ThinkPark Tower
Waltham, Massachusetts CS 40501 2-1-1 Osaki, Shinagawa-ku,
02451-1223 78946 Vélizy-Villacoublay Cedex Tokyo 141-6020
USA France Japan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