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1

제출도서 목록

1 설계설명서

2 기본설계보고서

3 구조 및 수리계산서

4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공동제출)
조사보고서((공동제출
공동제출))

5 개별조사보고서

6 각종시험 및 실험보고서

7 기본설계도면
목 차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북측방파호안
북측방파호안(1
(1
(1・・2구간
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목 차
제 1 장 지반조사 개요 3.1.2 암반의 분류 및 기재방법 ·
··
··
··
··
··
··
··
··
··
··
··
··
·16

1.1 조사목적 및 기본방향 ·


··
··
··
··
··
··
··
··
··
··
··
··
··
··
··
··
··
··
··1 3.2 현장조사 및 시험 ·
··
··
··
··
··
··
··
··
··
··
··
··
··
··
··
··
··
··
··
··
··
·18

3.2.1 현장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1.2 조사지역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1
3.2.2 현장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1.3 조사기간 및 장비 ·
··
··
··
··
··
··
··
··
··
··
··
··
··
··
··
··
··
··
··
··
··
··
·2
3.3 실내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1.3.1 조사기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3.3.1 실내토질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25
1.3.2 조사장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3.3.2 환경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제 2 장 지반조사 계획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2.1 조사 및 분석방향 설정 ·
··
··
··
··
··
··
··
··
··
··
··
··
··
··
··
··
··
··3
4.1 지형 및 지질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
··29
2.1.1 중점 고려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3
4.1.1 지형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29
2.1.2 조사 및 분석흐름 ·
··
··
··
··
··
··
··
··
··
··
··
··
··
··
··
··
··
··
··
··3
4.1.2 선형구조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31
2.2 조사계획 수립 ·
··
··
··
··
··
··
··
··
··
··
··
··
··
··
··
··
··
··
··
··
··
··
··
··
··4
4.1.3 지질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32
2.2.1 문헌자료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4
4.1.4 불연속면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34
2.2.2 인근 및 기존자료 분석 ·
··
··
··
··
··
··
··
··
··
··
··
··
··
··
··
·5
4.2 현장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2.2.3 입찰안내서 분석 ·
··
··
··
··
··
··
··
··
··
··
··
··
··
··
··
··
··
··
··
·10
4.2.1 시추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2.2.4 조사항목 및 수량계획 ·
··
··
··
··
··
··
··
··
··
··
··
··
··
··
··10
4.2.2 불교란시료 채취 ·
··
··
··
··
··
··
··
··
··
··
··
··
··
··
··
··
··
··
··
·37
2.2.5 조사기준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10

2.2.6 조사항목 선정 및 활용 ·
··
··
··
··
··
··
··
··
··
··
··
··
··
··
·11 4.3 현장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4.3.1 표준관입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38
2.3 공동 지반조사 수행현황 ·
··
··
··
··
··
··
··
··
··
··
··
··
··
··
··
··12
4.3.2 공내재하시험(LLT) ·
··
··
··
··
··
··
··
··
··
··
··
··
··
··
··
··
··39
2.3.1 지반조사 항목 및 수량 ·
··
··
··
··
··
··
··
··
··
··
··
··
··
··
·12
·
4.3.3 공내전단시험(BST) ··
··
··
··
··
··
··
··
··
··
··
··
··
··
··
··
·39
2.3.2 지반조사 개선사항 ·
··
··
··
··
··
··
··
··
··
··
··
··
··
··
··
··
··
··12
4.3.4 현장베인시험(FVT) ·
··
··
··
··
··
··
··
··
··
··
··
··
··
··
··
··
·40

4.3.5 S-PS 검층 ·
··
··
··
··
··
··
··
··
··
··
··
··
··
··
··
··
··
··
··
··
··
··
··
·41

4.3.6 피에조콘 관입시험 ·


··
··
··
··
··
··
··
··
··
··
··
··
··
··
··
··
··
··43
제 3 장 지반조사 방법 및 일반사항
4.3.7 간극수압 소산시험 ·
··
··
··
··
··
··
··
··
··
··
··
··
··
··
··
··
··
··46
3.1 흙과 암반의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13
4.4 실내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3.1.1 흙의 분류 및 기재방법 ·
··
··
··
··
··
··
··
··
··
··
··
··
··
··
·13

-ⅰ-
목 차 1
4.4.1 토질 기본물성시험 ·
··
··
··
··
··
··
··
··
··
··
··
··
··
··
··
··
··
··48

4.4.2 토질 역학시험 ·
··
··
··
··
··
··
··
··
··
··
··
··
··
··
··
··
··
··
··
··
··
·50

4.4.3 동적특성 시험 ·
··
··
··
··
··
··
··
··
··
··
··
··
··
··
··
··
··
··
··
··
··
·53

4.4.4 환경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제5장 부 록

5.1 위치도 및 단면도 ·


··
··
··
··
··
··
··
··
··
··
··
··
··
··
··
··
··
··
··
··
··
·57

5.1.1 위치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5.1.2 지층단면도 ·
··
··
··
··
··
··
··
··
··
··
··
··
··
··
··
··
··
··
··
··
··
··
··
··58

5.2 시추주상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5.3 현장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5.3.1 공내재하시험(LLT) ·
··
··
··
··
··
··
··
··
··
··
··
··
··
··
··
··
··66

5.3.2 공내전단시험(BST) ·
··
··
··
··
··
··
··
··
··
··
··
··
··
··
··
··
·67

5.3.3 현장베인시험(FVT) ·
··
··
··
··
··
··
··
··
··
··
··
··
··
··
··
··
·68

5.3.4 피에조콘관입 및 소산시험 ·


··
··
··
··
··
··
··
··
··
··
··
·71

5.3.5 S-PS 검층 ·
··
··
··
··
··
··
··
··
··
··
··
··
··
··
··
··
··
··
··
··
··
··
··
·72

5.4 실내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5.4.1 기본물성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73

5.4.2 토질 역학시험 ·
··
··
··
··
··
··
··
··
··
··
··
··
··
··
··
··
··
··
··
··
··
·79

5.4.3 동적특성 시험 ·
··
··
··
··
··
··
··
··
··
··
··
··
··
··
··
··
··
··
··
··
··
·90

5.4.4 환경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96

-ⅱ-
제 1 장 지반조사 개요
1.1 조사목적 및 기본방향
1.2 조사지역 현황
1.3 조사기간 및 장비
제 1 장 지반조사 개요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제 1 장 지반조사 개요
1.1 조사목적 및 기본방향
과 업 명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지반조사(공동)

과업구간의 지층발달상태 및 지반특성을 고려한 합리적・경제적인 설계 및 시공의 기초자료 제공


조사목적 기본계획 및 기본조사 자료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세부 지반조사 계획 수립
연약지반, 기초지반 특성파악을 위해 다양한 현장 및 실내시험을 도입하여 신뢰성 증대

합리적인 조사계획 설계목적을 고려한 조사


입찰안내서를 준용한 조사계획 수립 연약지반 공학적 특성 : CPT, CPTu,
현장조사 및 기존자료 분석을 통한 LLT, Vane, 실내시험(일축/삼축/압밀) 등
상세지반 조사계획 수립 실내시험을 위한 교란 및 불교란시료 채취
해상조사 안전대책 수립 및 인․허가 실시 공동 동적특성 파악을 위한 조사 수행
지반조사
기존 조사자료 분석을 통한 개선사항 반영 기본방향 연약지반 특성을 고려한 최적 처리대책 수립
연약지반의 공학적 특성 평가를 위한 각종 안정성 검토를 위한 설계정수 자료 제공
다각적인 현장 및 실내시험 실시 지반특성을 고려한 최적공법선정 및 설계
동적시험 수행으로 내진 안정성 확보 지반의 동적특성 평가를 통한 내진설계
조사결과의 신뢰도 향상 조사결과의 설계활용

1.2 조사지역 현황

조사위치 전라북도 고군산군도 주변해역

북측방파호안 : 1구간(660m), 2구간(925m)


과업규모 관리부두 및 부대공 1식(부잔교 3기,
도교 1기, 항로표지시설 등)

새만금 신항만 개발을 통한 광역경제권


과업목적
지원 및 환황해권 물류・레저관광 기능 수행

위 치 도

-1 -
제 1 장 지반조사 개요

1.3 조사기간 및 장비
1.3.1 조사기간
2020년
소요
조사항목 5월 6월 7월
일수
25 30 5 10 15 20 25 30 5 10 15 20 25 30

기존자료/입찰안내서 10일
사전
조사
현장답사/인허가 10일

시추조사 30일

현장시험 30일
상세
조사
실내토질시험 20일

토양/수질분석 15일

성과분석 및 보고서 작성 30일

1.3.2 조사장비
구 분 조사장비 수량
시추조사 P500SD : NX규격, Engine(15Hp) 및 Pump 1조
현장
SEP Barge MI-85H(9×9m), Spud 24m 1조
조사
예인선 ○○호(470Hp) 1조
표준관입시험 KS F 2307 규정에 의한 Split Spoon Sampler 1조
현장베인시험 Vane시험기, Rod 1조
현장 공내재하시험 Elastmeter Type(일본), Auto-LLT(미국) 각1조
시험 공재전단시험 공내전단시험기, Rod 1조
피에조콘관입/소산시험 Probe(GEOTECH AB, 스웨덴), Microphone, Cable 1조
S-PS검층 Geologger 3(Model-3970A), Probe(Model-3614A), Geophone 1조
토질시험 실내 토질, 암석시험기 1조
실내
내진시험 공진주, 반복삼축시험기 1조
시험
토양/수질분석 토양 및 수질분석 시험기(ICP, AAS 등) 1조

시추조사 피에조콘관입시험 S-PS검층

-2 -
제 2 장 지반조사 계획
2.1 조사 및 분석방향 설정
2.2 조사계획 수립
2.3 공동 지반조사 수행현황
제 2 장 지반조사 계획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제 2 장 지반조사 계획
2.1 조사 및 분석방향 설정
2.1.1 중점 고려사항
정밀 지층분포 연약지반 특성 지반 공학적특성 성과분석

S.E.P Barge 해상시추 기존자료 분석 강도특성 파악 정밀 지층분포 특성


구간별 시추조사 현장/실내시험 - 공내전단시험 연약지반/사질토층
- 북측방파호안 : 8공 - CPT/CPTu 3회 변형/동적특성 파악 분포 및 공학적특성
- 관리부두 : 2공 - LLT/Vane 3/10회 - 공내재하시험(LLT) 지반의 동적특성
피에조콘관입시험 - 일축/삼축/압밀시험 - S-PS/공진주/진동삼축

지층단면도 작성 결과의 신뢰성 증대 공학적 특성 정밀파악 최적 지반특성 파악

2.1.2 조사 및 분석흐름
지형 및 지질분석 기존 조사자료 분석 광역 지반조사 및 기본자료 분석

지질도 분석 및 지표지질조사
1 광역 위험요소 사전 도출
사전조사 기본계획/기본조사 등 기존자료 분석
조사계획 수립 및 지층 분포특성
분석에 활용

해상 시추조사 불교란시료채취 시추조사 및 시료채취

SEP Barge를 이용한 해상시추 실시


북측방파호안 : 8공,
관리부두 : 2공
SPT시료(1.0m간격 상/하 구분)
전 시추공 불교란시료채취(10회)
2
상세조사 피에조콘관입/소산시험 S-PS검층 현장 및 실내시험

현장시험 : CPT/CPTu,
LLT, BST, 현장베인시험
실내시험 : 기본물성시험, 일축,
삼축(UU, CU), 압밀, 공진주,
진동삼축, 토양/수질 분석

지층분포분석 연약지반 성과분석 지층분포 및 연약지반특성 파악

기본계획/기본조사 종합분석
3 정밀 지층분석
성과분석 각종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
: 연약지반 및 퇴적층 공학적
특성 분석

-3 -
제 2 장 지반조사 계획

2.2 조사계획 수립
2.2.1 문헌자료 분석
설계/시공자료, 논문 등을 분석하여 지역별 연약지반 특성을 파악하고 과업구간과 비교・검토 자료로 활용
국내 연안부근의 연약지반 분포특성 비교분석을 통해 과업지역 퇴적층 분포 및 퇴적환경특성 파악

지역별 연약지반 특성
김포/ 군산/ 여수/
구 분 목포 부산 울산 분포현황
인천 장항 광양
연약지반(m) 1.0∼10.0 0.3∼22.0 1.0∼25.0 0.5∼15.0 2.5∼41.0 4.0∼17.0
CH, CL, MH, CH, CL, CH, CH, MH,
대 표 토 질 CL, ML CH, CL
ML CL ML CL
액 성 한 계 22∼42 25∼49 20∼80 36∼99 26∼70 30∼105

소 성 지 수 5∼20 3∼26 15∼40 6∼66 15∼30 7∼72

초 기 간 극 비 0.9∼1.5 0.8∼1.5 1.1∼2.1 1.1∼2.9 1.0∼2.0 1.7∼2.9


전 단 강 도
11∼45 7∼28 5∼36 11∼40 3∼50 3∼30
( k P a )
평균압축지수 0.14 0.51 0.52 0.63 0.60 1.10

국내 연약지반의 일반적인 공학적 특성 검토결과 군산지역은 점토 및 실트 성분의 연약지반이


설계반영 분포하며, 액성한계, 소성지수,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등의 물성값은 인천/김포지역을 제외한 타
지역에 비해 공학적으로 다소 유리한 조건으로 나타남

지역별 지층구조 비교

대단히 연약한 점토층 하부로 모래 및 모래섞인 자갈층 존재


동 해 안 함수비와 액성한계가 높으며, 개략 10∼16.5m 두께로 분포
연 안 모래자갈은 해수면 상승기 동안의 급격한 수류작용으로 운반
형성됨

조수간만이 큰 서해안 북부는 실트질 모래 및 모래질 실트가


서 해 안 풍화암 위에 바로 퇴적된 후 실트질 점토층이 놓임
연 안 서해안 남부는 조수간만의 차이가 적어 더욱 연약한 실트질
점토로 구성 두께 약 20m

중력에 의한 퇴적자갈 및 전석층이 풍화암 위에 분포하고 그


남 해 안
상부에 실트질 점토층 퇴적 두께 약 10∼15m
연 안
자갈 및 전석층 : 2∼3m 두께

하천 하류부의 연약지반은 제4기 홍수의 범람으로 형성


남 해 안 낙동강 및 섬진강 하구는 약 10m 두께의 실트질 점토층 위에
하 구 10∼20m 두께의 느슨한 모래층 퇴적
점토층이 모래층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끼워 형성됨

과업지역이 속한 서해안 연안지역은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점성토와 사질토의 교호가 심하게


설계반영
나타나는 지역임

-4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2.2.2 인근 및 기존자료 분석
인근 및 기존자료 현황
구 분 과업명 조사수량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1단계) 축조(1공구) 공사(2011) 20공
인근자료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1단계) 축조(2공구) 공사(2012) 28공

새만금 신항 기본계획 재검토용역(2010) 3공


기존자료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기본조사(2019) 6공

인근자료 분석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1단계)
방파제
방파제(1
(1
(1단계
단계
단계)) 축조(1공구)
축조
축조(1
(1
(1공구
공구
공구))
지반조사 위치도

방파제 구간 지층단면도(A-A')
지층단면도(A-A')

퇴적층은 점토, 모래, 자갈이 교호하며, 약 20~38m 두께로 분포


설계반영
풍화대는 0.2~4.6m 두께로 분포하여, 기반암은 DL.-35~-55m에서 출현

-5 -
제 2 장 지반조사 계획

공학적 특성
함수비(%) 퇴적층 N값 분포 심도별 변형계수

평균 함수비 : 점성토 32.4%, 사질토 23.1%


설계반영
지층별 평균 변형계수는 점토 2.6MPa, 모래 14.6MPa, 풍화암 80.0MPa임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1단계)


방파제
방파제(1
(1
(1단계
단계
단계)) 축조(2공구)
축조
축조(2
(2
(2공구
공구
공구))
지반조사 위치도

방파제 구간 지층단면도

상/하부 모래층 사이에 점토층이 약 7.9~24.1m 두께로 분포


설계반영
상부퇴적층은 연약, 하부모래는 조밀한 상태로 분포, 기반암 출현심도는 DL.-31.4~-43.1m

-6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물리적 특성
비중, Gs 함수비(%) 액성한계, LL(%)

소성지수, PI No.200체 통과량(%) 0.002mm 통과량(%)

지층별 함수비는 퇴적점토 32.6%, 퇴적모래 24.5%의 평균을 보임


설계반영
퇴적점토 평균 액성한계는 36.4%, 평균 소성지수는 13.0임

강도 및 변형특성
지층별 N값 분포 지층별 변형계수(MPa)

현장베인시험(Su, kPa) 예민비

퇴적점토층의 표준관입시험 결과 N값은 0/30~36/30의 범위를 보이며, 평균 4/30임


설계반영
변형계수는 퇴적점토 6.29MPa, 퇴적모래 8.37MPa의 평균을 보임

-7 -
제 2 장 지반조사 계획

기본계획 및 기본조사 분석
지반조사 위치도

북측 방파호안(1・2구간)
방파호안
방파호안(1
(1
(1・・2구간
구간)) 지층단면도

관리부두 지층단면도

해성퇴적층은 점토, 실트, 모래가 교호하며, 해저면 하 최대 45.3m 심도까지 분포함


설계반영
점성토층는 8.5~23.7m의 두께로 분포하며, N값은 0/30~25/30의 범위를 보임

-8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현장시험 결과
표준관입시험
구 분 N값 범위(회/cm) N값 평균(회/cm) 통일분류
퇴 적 점 성 토 0/30~25/30 3/30 CL, ML
퇴 적 모 래 0/30~50/8 22/30 SM, SC, SP
풍 화 토 50/21~50/13 50/14 ML, SM, SC
풍 화 암 50/7 50/7 -

현장베인시험
비배수전단강도(kPa)
심 도 소성지수
공 번 보정전 보정후 예민비
(GL.-m) (PI)
불교란 교 란 불교란 교 량
BH-1 15.0 22.1 77.56 34.98 75.55 34.07 2.2
BH-2 17.0 17.3 96.02 42.82 96.02 42.82 2.2
BH-3 14.0 21.2 78.92 37.16 77.64 36.56 2.1
BH-4 16.0 16.3 111.78 43.00 111.78 43.00 2.6
BH-5 11.0 20.5 80.14 36.54 79.47 36.23 2.2
BH-6 12.0 19.7 123.48 51.82 123.48 51.82 2.4

현장베인시험 결과 비배수전단강도(Su)는 75.55~123.48kPa(평균:94.0kPa)의 범위를


설계반영
보이며, 예민비는 2.1~2.6으로 저예민한 점성토로 분류됨

실내토질시험 결과
퇴적점성토 퇴적사질토
구 분
범 위 평 균 범 위 평 균
함 수 비 ( % ) 25.0~56.2 34.1 18.4~30.3 24.7
비 중(Gs) 2.677~2.701 2.688 2.642~2.678 2.651
#200체 통과량 53.0~98.1 79.4 19.8~47.4 30.6

공동 지반조사 개선사항
기본계획 및 기본조사 자료분석을 통해 공동 지반조사 상세계획 수립시 반영
기존 조사자료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수립하여 공동 지반조사의 신뢰도 향상

구 분 기본조사 자료 분석 공동조사 착안사항

구간별 추가 시추조사 실시
시 추 조 사 상세지층분포 파악을 위한 시추공 수량 부족
지층급변구간 조사밀도 증대

연약지반 및 원지반 사질토층을 대상으로


현 장 및 지반의 특성별 물성값 산정을 위한 현장 및
다양한 현장 및 실내시험 실시
실 내 시 험 실내시험 부족
교란 및 불교란시료 채취를 통한 지반특성 파악

연약지반 특성분석 신뢰도 부족 시료교란 영향 분석 실시


성 과 분 석
지반의 동적특성 파악 미실시 동적특성 평가를 위한 현장 및 실내시험 실시

-9 -
제 2 장 지반조사 계획

2.2.3 입찰안내서 분석
구 분 주요내용 조사 및 설계반영사항 비고

발주기관 제공자료 사용하여 설계 입찰자간 공동으로 추가 지반조사 계획을


추가조사 필요시 발주기관과 협의하여 수립하고 발주처 승인을 득한 후 관련기관과 4.1
공 동
입찰참가사가 공동으로 수행 협의하여 지반조사 실시 설계
조 사
관련법 및 조사서식을 작성하여 현지조사시 방파호안 8공, 관리부두 2공, 총 10공의 공동 지침
문제가 없도록 조치하여야 함 지반조사 수행

2.2.4 조사항목 및 수량계획


구 분 세부 수량계획
조사계획 수립 단계별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조사단계별 설계목표에 부합되는 조사수량 계획

입찰안내서,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양수산부, 2017), 구조물기초설계기준(국토교통부, 2016)


조사기준 설정
및 기존 설계사례 분석을 통하여 조사기준 선정

조사지침의 구간별 조사항목 및 지질․지반 특성 파악에 필요한 조사항목 추가 보완


조사항목 계획 연약지반 특성, 강도 및 변형 특성, 동적 특성 파악을 위한 현장/실내시험 계획
지층별 지반특성, 구조물 특성 및 설계목적을 고려한 구간별 조사항목 선정

조사지침에 제시된 최소 조사수량 기준 이상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충분한 조사수량 계획


조사수량 계획
지층급변 및 연약지반 분포구간 등 문제 예상 구간에 조사밀도 증대

2.2.5 조사기준 선정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
어항설계기준(해양수산부,
어항설계기준((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 2017), 구조물 기초설계기준(국토교통부,
기초설계기준
기초설계기준((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2016)
대상구조물에 따른 조사항목
구 분 조사착안사항 조사항목
강제치환 깊이 산정, 지반개량 검토
호안, 방파제
압밀침하 및 침하시간, 사면안정, 전단강도 특성
시추조사, 표준관입시험
물성/일축/삼축/압밀시험
연약층 두께, 범위, 연약정도, 압밀침하 및 침하소요시간
해상조사시 SEP Barge 사용
연 약 지 반 단계성토고, 사면안정, 지반처리계획
장비진입성, 압밀이력상태, 강도증가율

시추조사 배치 및 심도기준
구 분 배치간격 심도기준 비고

서 울 시 단지조성,매립지 연약지반 쌓기 200~300m 간격 연약지반 확인 후 견고한 지반 3~5m


지반조사 등 광 역 부 지
호안, 방파제 등 100m 간격 풍화암 3~5m
편 람
(2006) 고속전철, 도로 연약지반 쌓기 100~200m 간격 연약지반 확인 후 견고한 지반 3~5m -

개략 넓은지역 기준선방향 300~500m, 기준선의 직각방향 50m 간격


조사 좁은지역
항만 및 지 층 균 일 기준선방향 50~100m, 기준선의 직각방향 50m 간격
기준선에서
어 항
정 밀 조 사 기준선방향 50~100m, 기준선의 직각방향 20~30m 간격 거리(최대)
설계기준
(2017) 50~100m
개 략 조 사 기준선방향 50m 이하, 기준선의 직각방향 20~30m 간격
지 층 복 잡
정 밀 조 사 기준선방향 10~30m, 기준선의 직각방향 10~20m 간격

- 10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조사수행 기준 선정 및 적정성 평가(기본계획


평가
평가((기본계획 및 기본조사 포함
포함))
구 분 조사기준 공동 지반조사 적용 적정성 평가
빈 도 300~500m 간격 40~140m 간격 기준이상
시추
조사
심 도 풍화암 3~5m 전 조사공 기반암 1.0m 이상 확인 기준이상

표준관입시험 1.5m 간격, 연속적 1.0m 간격(상/하 시료), 연속적 수행 기준이상


현장
시험
현 장 시 험 피에조콘관입시험 등 CPT/CPTu, LLT, S-PS검층 기준이상

기 타 문제발생 조치여부 입찰자 해결 인허가 및 민원협의 후 실시, 안전관리 기준이상

2.2.6 조사항목 선정 및 활용
과업구간 특성을 고려한 조사내용을 명확히 인지하고 연관성 있는 조사항목 선정 및 활용계획 수립
선정된 조사항목간 상호 분석결과를 합리적으로 도출하고 설계 및 시공에 적극적으로 활용

적용
구 분 기본계획/ 공동 조사활용
기본조사 조사
시추조사 ○ ○ 지층분포 현황 및 토질종류 파악
시추
시료채취 ○ ○ 연약지반의 물리적, 강도 및 압밀특성 규명
조사
교란시료채취 ○ ○ 지반의 물리적 특성 및 동적특성 규명

표준관입시험 ○ ○ N값으로부터 지반의 강도 및 변형특성 파악

공내재하시험(LLT) - ○ 토사 및 풍화대의 변형특성 파악

공내전단시험(BST) - ○ 풍화대의 강도특성 파악


현장
현장베인시험 ○ ○ 원위치 지반의 동적특성 파악
시험
피에조콘관입시험 - ○ 퇴적층 전구간 시료채취

간극수압소산시험 - ○ 수평방향 압밀특성 파악

S-PS검층 - ○ 원위치 지반의 동적특성 파악

기본물성시험 ○ ○ 토질의 기본 물리적 특성 파악

일축압축시험 ○ ○
연약점토층의 강도특성 파악
삼축압축(UU/CU) ○ ○

실내 표준압밀시험 ○ ○ 압밀특성 파악, 연약지반 침하량/압밀소요기간 산정


토질
시험 토사공진주시험 - ○ 토사층의 동적특성 파악

진동삼축시험 - ○ 액상화 저항능력 산정

수질분석 - ○ 해역환경 기준 적정성 파악

토양분석 - ○ 준설토의 유용성 및 폐기물 처리대책 검토


광역 선구조 및
○ 지질위험요소 파악 및 퇴적층의 지질학적 특성 분석
조사 지표지질조사

- 11 -
제 2 장 지반조사 계획

2.3 공동 지반조사 수행현황


2.3.1 지반조사 항목 및 수량

기본 공동 기본 공동
조사항목 단위 합계 조사항목 단위 합계
조사 조사 조사 조사

현장 시 추 조 사 공 3/6 10 19 기본물성시험 회 16 20 36
조사 불교란시료채취 회 6 10 16 일축압축시험 회 6 10 16

표준관입시험 회 222 398 620 실 내 삼축압축(UU/CU) 회 6/6 10/5 16/11


토질
공내재하( L L T ) 회 - 3 3 시험 표 준 압 밀 시 험 회 6 10 16

공내전단시험 회 - 3 3 토사공진주시험 회 - 3 3
현장 현 장 베 인 시 험 회 6 10 16 진동삼축시험 회 - 3 3
시험
피에조콘관입시험 회 - 3 3 환경 수 질 분 석 회 - 2 2

간극수압소산시험 회 - 3 3 시험 토 양 분 석 회 - 2 2
광역
S - P S 검 층 회 - 3 3 선구조/ 지표지질 식 - 1 1
조사

2.3.2 지반조사 개선사항


최적설계를 위한 조사 내진설계를 위한 동적 특성 파악
해상시추조사 피에조콘관입시험 S-PS검층 토사공진주시험

- 12 -
제 3 장 지반조사 방법 및 일반사항
3.1 흙과 암반의 분류
3.2 현장조사 및 시험
3.3 실내시험
제 3 장 지반조사 방법 및 일반사항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제 3 장 지반조사 방법 및 일반사항
3.1 흙과 암반의 분류
3.1.1 흙의 분류 및 기재방법
흙의 공학적 분류는 육안관찰에 의한 분류 수행 후, 최종적으로 통일분류법(KS F 2324, USCS)을
기준으로 분류
개 요
흙의 상태에 대한 기재 내용은 연경도, 함수상태 및 색깔 등이며,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그 결과를
시추주상도에 기록함

육안분류법
손으로 쥐었다 놓음 습윤상태에서
토립자의 육안적 판별과
구 분 손가락으로
일반적인 상태 건조상태 습윤상태 끈 모양으로 꼴 때

개개의 입자크기가 덩어리지지 않고 덩어리지나 가볍게 끈 모양으로 꼬아지지


모 래 판별되며 입상을 보임 흐트러짐 건드리면 흩어짐 않음
( S a n d ) 건조상태에서 흩어져
내림

실 트 질 입상이나 실트나 점토가 덩어리가 지나 가볍게 덩어리지며 끈 모양으로 꼬아지지


모 래 섞여서 약간 점성이 있음 건드리면 흐트러짐 조심스럽게 다루면 않음
(Silty Sand) 모래질의 특성이 우세함 부서지지 않음

적당량의 세립사와 덩어리지며 자유롭게 덩어리지며 자유롭게 끈 모양으로 꼬아


모 래 질 소량의 점토를 함유하고 만져도 부서지지 않음 다루어도 부서지지 지나 작게 끊어지고
실 트 실트입자가 반 이상임 부서지면 밀가루와 않음 부드러우며 약간의
(Sandy Silt) 건조되면 덩어리가 쉽게 같은 감촉 물을 부으면 서로 엉킴 점성이 있음
부서져서 가루가 됨

세립사와 점토는
극소량을 함유하고
덩어리지며 자유롭게 덩어리지며 자유롭게 완전히 작아지지
실트입자의 함량이
실 트 만져도 부서지지 않음 만져도 부서 지지 않고 는 않으나 작게
80%이상
( S i l t ) 물에 젖으면 서로 엉킴 끊어지는 상태로
건조되면 덩어리지나
꼬아지고 부드러움
쉽게 부서져서 밀가루
감촉의 가루가 됨

건조되면 아주 딱딱한 덩어리지며 자유롭게 덩어리지며 자유롭게 길고 얇게 꼬아짐


점 토 덩어리가 됨 만져도 부서지지 않음 만져도 부서지지 점성이 큼
( C l a y ) 건조상태에서 잘 않으며 찰흙 상태로 됨
부서지지 않음

- 13 -
제 3 장 지반조사 방법 및 일반사항

흙의 통일분류법
구 분 기호 대표적인 흙 분류기준
입도분포가 좋은 자갈 또는
Cu=D60/D10 : 4이상
세립분이 GW 자갈과 모래의 혼합토,
Cc=(D30)2/(D10×D60) : 1∼3
약간 세립분이 약간 또는 없음
세립분의
또는거의 입도분포가 나쁜 자갈 또는
자갈 함유율에 GW의 조건이 만족되지
없는자갈 GP 자갈과 모래의 혼합토, 의한 분류 : 않을때
4번체 세립분이 약간 또는 없음 200번체
(4mm) 통과율이 Atterberg 한계가 소성지수가
에 50% 실트질의 자갈, 5%이하인
이상 GM A선 아래 또는 4∼7이면서
자갈・모래・실트의 혼합토 경우
남음 세립분을 PI < 4 Atterberg
조립토 GW, GP,
함유한 한계가 A선
(Coarse- SW, SP Atterberg 한계가
자갈 점토질의 자갈, 위에
Grained GC A선 위 또는
Soils) 자갈・모래・점토의 혼합토 존재할때는
200번체 PI > 7 2중문자 표시
통과율이
200번체 입도분포가 좋은 모래 또는
(0.075mm) 12%이상인 Cu : 6이상
세립분이 SW 자갈질의 모래, 세립분은 경우
에 50% 이상 약간 Cz : 1∼3
약간 또는 없음 GM, GC,
남음 모 래 또는거의
입도분포가 불량한 모래 SM, SC
(Sand) 없는모래 SP SW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때
또는 자갈질 모래
4번체 200번체
(4mm) 실트질의 모래, 모래와 통과율이 Atterberg 한계가 소성지수가
에 50% SM 5∼12%인 A선 아래 있거나 4∼7이면서
실트의 혼합토
이상 세립분을 경우 2중 PI < 4 Atterberg
통과 함유한 문자로 표시 한계가 A선
모래 Atterberg 한계가 위에
점토질의 모래, 모래와
SC A선 위에 있거나 존재 할 때는
점토의 혼합토
PI > 7 2중문자 표시
무기질의 실트, 매우 가는
모래, 암분, 소성이 작은
ML
실트질의 세사나 점토질의
소성도(Plasticity chart)는 세립토에 함유된
세립사
액성한계 50% 세립분과 세립토를 분류하기 위해 사용됨.
이하인 실트나 소성이 중간치 이하인 소성도의 빗금친 곳은 2중 표기해야 하는
세립토 점토 CL 유기질 점토, 자갈질점토, 부분임
(Fine-
모래질점토, 실트질점토
Grained
Soil) 소성이 작은 유기질 실트 및
OL
점토
200번체
(0.075mm) 무기질 실트, 운모질 또는
에 50% 이상 MH 규소의 세사 또는 실트질 흙,
통과 탄성이 큰 실트
액성한계 50%
이상인 실트나 소성이 큰 무기질 점토,
CH
점토 탄성이 큰 점토
탄성이 중간치 이상인
OH
유기질 점토 세립토의 분류를 위한 소성도
이탄 및 그 밖의 유기질을
고유기성 흙 Pt
많이 함유한 흙

- 14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함수상태
함 수 비 (%) 상 태
0 ~ 10 건 조 (Dry)

10 ~ 30 습 윤 (Moist)

30 ~ 70 젖 음 (Wet)

70이상 포 화 (Saturated)

점토의 연경도
점토의 연경도 일축압축강도
N값 현 장 관 찰 (Peck - Hansen)
(Consistency) qu (kPa)
매우 연약
< 2 주먹이 쉽게 10cm 들어감 < 25
(Very Soft)

연 약
2 ~4 엄지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25 ~ 50
(Soft)

보통 견고
4 ~8 노력하면 엄지손가락이 들어감 50 ~ 100
(Medium)

견 고 엄지손가락으로 흙을 움푹 들어가게 할 수 있지만 흙속에


8 ~ 15 100 ~ 200
(Stiff) 엄지손가락을 넣기는 힘듬

매우 견고
15 ~ 30 손톱으로 흙에 자국을 낼 수 있음 200 ~ 400
(Very Stiff)

모래의 상대밀도
조밀상태 상대밀도 현장관찰
N값
(Gibbs-Holtz) Gibbs-Holtz Bowles (Bowles)

매우 느슨 엄지손가락 또는 주먹으로 쉽게 자국을


0 ~4 < 0.15 0.0 ~ 0.2
(Very Loose) 낼 수 있음

느 슨 쉽게 삽질할 수 있음
4 ~ 10 0.15 ~ 0.35 0.2 ~ 0.4
(Loose) 손가락으로 자국을 낼 수 있음

보통 조밀
10 ~ 30 0.35 ~ 0.65 0.4 ~ 0.7 힘을 주어서 삽질할 수 있음
(Medium Dense)

조 밀 손으로 삽질이 가능하거나 손의 힘으로


30 ~ 50 0.65 ~ 0.85 0.7 ~ 0.9
(Dense) 삽을 이용하여 자국을 낼 수 있음

매우 조밀 발파 또는 중장비에 의해서만 자국을 낼


50 이상 0.85 ~ 1.00 0.9 ~ 1.0
(Very Dense) 수 있음

색깔
색 깔
1 담 암

2 분홍 홍 황 갈 감람 녹 회

3 분홍 적 황 갈 감람 녹 청 백 회 흑

- 15 -
제 3 장 지반조사 방법 및 일반사항

3.1.2 암반의 분류 및 기재방법


암석의 상태에 대한 기재 내용은 풍화정도, 강도, 파쇄정도 등을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그 결과를
개 요
시추주상도에 기록함

불연속면의 간격
기재방법 Joint(cm) 상 태
5 이하 매우 심한균열 (Highly Fractured)

5 ∼ 10 심한균열 (Fractured)
불연속면 간격의 최대값, 최소값,
10 ∼ 20 보통균열 (Moderately Fractured)
평균값을 주상도에 수록
20 ∼ 100 약간균열 (Slightly Fractured)

100 ∼ 이상 괴상 (Massive)

풍화상태
분류기호 용어 서술

Fresh 모암의 색이 변하지 않고 결정이 광택을 보임


D-1
(신선한 암반) Joint 면이 부분적으로 얼룩이 져있고 타격을 가했을 때 맑은 소리가 남

Slightly Weathered 일반적으로 Fresh한 상태를 보이나, 구조면의 주변부가 다소 변색 모암의


D-2
(약한 풍화) 강도는 Fresh한 경우와 별 차이가 없음.

Moderately Weathered 상당히 많은 부분이 변색되어 있으며 구조선은 Open Joint로서 구조선
D-3
(중간 풍화) 안쪽까지 변질되어 있음, 대부분의 장석이 변질됨

Highly Weathered 석영을 제외한 대부분의 입자들이 변색되어 있으며, 구조선은 거의 Open
D-4
(심한 풍화) Joint로서 절리면으로 부터 상당히 깊은 곳까지 변질 되어 있음

Completely Weathered 입자들이 부분적으로 존재하기는 하나, 완전히 변질을 받은 상태임 이


D-5
(완전 풍화) 단계에서 부터는 토질로 분류함.

강도
분류기호 용어 서술 일축압축강도(MPa)

매우강함 Hammer로 여러번 강하게 타격하여 부서지고,


S-1 > 250
(Very Hard) 모서리가 매우 날카로우며 조각진 모양으로 깨짐

강함 Hammer로 한두 번 정도 강하게 타격할 때부서지며,


S-2 100 ∼ 250
(Hard) 모서리가 날카로움

보통강함
S-3 Hammer로 한번 타격하여 쉽게 모서리가 부서짐 50 ∼ 100
(Moderate)

연함
S-4 Hammer로 눌러 부서짐 5 ∼ 50
(Soft)

매우연함
S-5 손가락으로 눌러 부서짐 <5
(Very Soft)

- 16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절리조건
기호 설 명

J-1 표면이 매우 거칠고 불연속적이고 절리의 이격이 없고, 모양이 견고

J-2 표면이 다소 거칠고 절리의 이격이 1mm 이하이며, 모양이 견고

J-3 표면이 다소 거칠고 절리의 이격이 1mm 이하이며, 모양이 연약

J-4 표면이 매끄럽고 절리의 홈이 5mm 이하이고, 1∼5mm의 연속된 절리

J-5 연약한 홈이 5mm 이상의 두께이고, 5mm 이상 연속된 절리

절리간격
분류기호 용어 Joint 간격 Joint 상태

괴 상
F-1 200cm 이상 Very Wide
(Solid)

약간 균열
F-2 60 ∼ 200cm Wide
(Slightly Fractured)

보통 균열
F-3 20 ∼ 60cm Moderately Close
(Moderately Fractured)

심한 균열
F-4 6 ∼ 20cm Close
(Fractured)

매우 심한 균열
F-5 6cm 이하 Very Close
(Highly Fractured)

절리 거칠기
계단형 파동형 평면형
기호
(Stepped) (Undulating) (Planar)

거칠음
(Rough)

완만
(Smooth)

경면
(Slikensided)

- 17 -
제 3 장 지반조사 방법 및 일반사항

3.2 현장조사 및 시험
3.2.1 현장조사
시추조사 방법 및 안전대책
정확도 높은 DGPS를 활용한 위치 측량 및 현장여건을 고려한 Barge 선정
목 적
안전관리 로드맵에 의한 안전교육 및 피항대책 수립

조사위치측량 및 해상시추방법 선정
시추위치 측량 해상시추조사용 바지 선정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조류, 수심, 파고 등을 고려하여 SEP Barge 이용


방식을 적용한 정확도 높은 측량 규격 : 9.0×9.0m 사용수심 : 3.5~25.0m

안전관리 로드맵 및 SEP Barge 피항 대책


안전관리 로드맵 피항대책

기상 악화 시 재난방지 대책
4단계 대응방안 구축 활동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준비/훈련 경보발효 대피/피항 복구/작업재개

경보, 대피요령 교육 기상예보 청취 작업원 대피 피해상황 점검


가상시나리오에 의한 장비, 자재정리 해상장비 피항 자체안전 점검
모의훈련 피항지 확보 작업착수

- 18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시추조사
지층 구성상태 및 제반 공학적 특성 파악을 위해 총 10공의 시추조사 실시
목 적 원위치시험 및 실내시험을 위한 시료채취를 병행
과업구간내 지층, 연약지반 등 다양한 지반특성을 파악하고 설계 기초자료 제공

원리 및 방법
코어채취 전경
회전 수세식(Rotary Wash Type) 시추기를 사용하여,
NX(∅=76mm) 규격으로 시행
공벽붕괴 방지를 위해 풍화암까지 Casing 삽입
토사 시료채취는 시추조사 중 토사 분포구간에 대하여
1.0m 간격으로 Split Spoon Sampler로 채취하고, 암반
시료 채취는 D-3 Core Barrel 및 Diamond Bit를
사용하여 전구간 시료채취
채취된 암석코아는 육안관찰에 의하여 암석 내에
분포된 불연속면과 충진물 등을 파악하고 절리의
분포상태, TCR, RQD 등의 암반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조사하여 시추주상도상에 기재
채취된 토질 및 암석시료는 시료상자에 공번, 심도,
지층명, 색상 등을 기록하여 정리보관

시추조사 전경 코어채취 전경

구 분 조사심도 기준 수량
지층 분포상태 파악
북측 방파호안 기반암 1m 이상 8공 시추공 이용한 각종 현장시험 실시
설계반영
연약지반 유무 및 분포 확인
관 리 부 두 기반암 1m 이상 2공 지층단면도 작성의 기본자료로 활용

- 19 -
제 3 장 지반조사 방법 및 일반사항

자연시료채취
목 적 연약지반(점성토층)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추조사와 병행하여 시행

원리 및 방법
자연시료채취 모식도

한국산업규격(KS F 2317)에 따라 Thin-wall


Tube가 부착된 Hydraulic Piston Sampler를
이용

채취 즉시 Tube 양단을 파라핀으로 밀봉한 후,


겉면에 조사명, 채취날짜, 시추공번, 시료채취심도 등을
기록한 Label을 붙이고 층의 상하를 구분함

충격 등에 의해 교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운반해 각종 실내시험 실시

자연시료채취 전경 자연시료 운반

적용현황 및 결과활용
구 분 시료상태 수량

북측 방파호안 불교란시료 8회
연약지반의 물리적 특성 파악
연약지반의 역학시험을 실시하여 비배수
설계반영
관 리 부 두 불교란시료 2회 전단강도 특성 및 압밀특성 등 연약지반
설계지반정수 산정시 활용

총 채취수량 10회

- 20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3.2.2 현장시험
표준관입시험
지층의 상대밀도 및 연경도와 구성성분 파악
목 적 교란시료 채취를 통한 시료 육안판별 및 실내물성시험 시료확보
N값으로부터 지반의 강도특성 및 변형특성 파악

원리 및 방법
시험 모식도
한국산업규격(KS F-2318)에 의거 토사 및
풍화대에서 1.0m마다 또는 지층변화 지점에서 시행
Spilt Spoon Sampler를 Boring Rod의 하단에
연결하여 Boring Hole밑에 내리고 Rod의 상단에
연결된 Knocking Head를 표준해머(64kg)에 의해
낙하고 76cm의 조건으로 자유낙하시켜 관입 깊이를
측정
15cm씩 3단계로 시행하며, Sampler를 30cm
관입하는데 필요한 타격회수를 N값으로 함
지층이 조밀 또는 견고하여 30cm 관입이 곤란할
경우에는 50회까지 타격하고 그 때의 관입량을 50/3
(50회 타격에 3cm 관입)과 같이 기록

표준관입시험 시료채취 전경

구 분 수 량 구 분 수 량
지반구성과 강도 분포
지반에 대한 말뚝이나 널말뚝 관입의
북측 방파호안 329회 기초의 지지층 심도
종 합 판 정 지반개량 방법과 효과의 판정
연약층 유무
내부마찰각
상대밀도
기초의 탄성침하
관 리 부 두 69회 N 값 에 사질토 지지력 계수
의 한 지 반 간극비
기초의허용지지력 지반반력계수
공학적 액상화 가능성 변형계수
특 성 컨시스턴시 토층 횡파속도
총 수 량 398회 평 가 점성토 일축압축강도
기초지반의 허용지지력
지 반 비배수점착력
파괴에 대한 지지력

- 21 -
제 3 장 지반조사 방법 및 일반사항

공내재하시험

시추공내 원위치 지반의 공벽을 재하하여 각 지층별 변형계수 및 탄성계수 파악


목 적
신뢰성 있는 변형계수 측정을 위하여 지층특성에 적합한 가압능력을 가진 공내재하시험기 적용

원리 및 방법
시험 모식도
토사층(Lateral Load Test) : Probe를 삽입하고
그것에 가압액(물 또는 기름)이나 공기를 빼내는 것에
의해 공벽에 등분포하중을 가함

풍화암 및 연암층(Elastometer-200) : 가압장치에서


Sonde 외부에 부착된 고무튜브를 팽창시켜 이때
발생하는 공벽의 변위를 측정하여
변위-응력곡선으로부터 변형계수 산출

적용현황 및 결과활용
구 분 수량 비고
지층별 변형계수를 산정하여 연속체 해석 및 수평지반
북측 방파호안 2회 LLT 설계반영 반력계수 산정시 활용
관 리 부 두 1회 LLT 기초의 허용지지력 추정 및 변형특성 분석자료로 활용

공내전단시험
공내전단시험(BST)
(BST)

수직압력의 적용과 관련하여 원위치에서 풍화토, 풍화암의 전단강도를 측정


목 적 현장에서 점착력(c)과 내부마찰각(Φ)을 각각 측정할 수 있으며, 낮은 core 회수율 및 시료의 교란에
의한 실험실에서의 오차를 피할 수 있고, 실험실에서의 삼축압축시험이나 직접전단시험과 비교분석

원리 및 방법
시험 모식도
시추공내 시험구간에 전단기(Shear Head)를 삽입
지상에서 Hand Pump를 이용, 전단기를 공벽에 부착시킨 후
연직압력(Nomal Stress)을 가함
시추공내 전단기와 연결된 Rod를 지상에서 유압잭 (Hydraulic
Jack)으로 끌어당기는 전단응력(Shear Stress)을 가하여
파괴시의 마찰력을 산정
시험구간을 변경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연직응력을 바꾸어 3회
이상 시험
측정된 각 3회의 연직응력과 전단응력을 근거로 선형 회귀
분석을 실시하고 결과의 직선적 관계로부터 C, Φ값을 산정

적용현황 및 결과활용
구 분 수 량
북측 방파호안 2회 풍화대의 원지반 강도정수 산정 및 안정성 검토를 위한 수치
설계반영
해석에 활용
관 리 부 두 1회

- 22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현장베인시험
현장베인시험(FVT)
(FVT)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연약지반의 강도특성 파악
목 적
원지반 비배수전단강도 및 예민비 측정

원리 및 방법
시험 모식도
시험기를 시추공 저면으로부터 직경의 5배 이상 또는 시추공
직경의 3배 이상 되는 깊이까지 압입하여 시추로 인한 영향을
최소로 하고, 로드의 회전각속도는 0.1゚/sec(6゚/min)로 측정
회전각 1~2゚ 마다 검력계의 읽음을 기록하며, 흙 속의 베인이
최대 회전저항을 나타내고 다시 감소하거나 일정치가 될 때까지
시험을 진행
교란된 상태에서의 비배수전단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기를 빨리 회전시켜 지반을 교란시킨 후 즉시 시험
현장Vane시험은 원위치 비배수강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흙의 소성이 클수록 실제의 비배수강도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Bjerrum의 제안식에 따라
보정하여 설계에 적용

적용현황 및 결과활용
구 분 수량
심도별 비배수전단강도 파악
방파호안 구간 8회 설계반영
연약지반의 설계지반정수 산정시 활용
관리부두 구간 1회

S-PS 검층
시추공 주변 지반의 정밀도 높은 심도별 P파, S파 산출 및 파쇄대 파악
목 적
내진설계를 위한 지반의 동적 물성치(동포아송비 υd, 동전단탄성계수 Gd, 동탄성계수 Ed) 산정

원리 및 방법
시험 모식도
음파를 진원으로 하며 수진기는 Hydrophone을 사용하므로
시험은 지하수위 하부 지반에 가능
지하수위 확인 후 시험지점 및 구간을 선정
Main Body와 Probe를 연결하고 Probe를 시험 공내에 삽입,
Probe를 상향 이동하며 일정 간격으로 발진과 수진을 실시하여
검층 수행
수진된 파의 도달 속도, 파형 등의 측정 자료들은 본체의 Data
Logger에 입력․저장되며, 필요시 모니터상에 또는 기록지로
재출력하여 검토
상기과정을 시험 종료까지 반복하여 수행

적용현황 및 결과활용
구 분 수 량 시추공 주변 지반의 정밀도 높은 심도별 P파 및 S파 속도 산출
방파호안 구간 2회 및 파쇄대 파악
설계반영
내진설계를 위한 지반의 동적물성치(동 포아송비 υ,
관리부두 구간 1회 동전단탄성계수 Gd, 동탄성계수 Ed, 동체적계수 Kd) 산정

- 23 -
제 3 장 지반조사 방법 및 일반사항

피에조콘관입 및 간극수압소산시험
점성토 지반의 연속적인 지층분포 및 압밀특성 파악
콘 관입저항값(qc), 간극수압(U), 마찰저항력(fS) 등을 측정하여 심도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 및
목 적
수평압밀계수를 파악하여 설계지반정수 산정시 활용
지층 분류표(Robertson)에 의한 연속적인 지층분포 파악

원리 및 방법
시험 모식도
콘관입시험은 일련의 연결롯드 끝에 전기식 콘을 장착하고
유압관입기에 의해서 압입하여(압입속도 ASTM 3441규정
2.0cm/sec±0.5) 소정의 심도까지 2.5cm의 간격으로 임의의
심도에서 콘 선단저항치, 슬리브의 마찰력, 간극수압을
연속적으로 측정
시험 결과에 영향을 주는 관입속도, 콘의 모양 및 크기, 지반의
응력이력, 압축성, 입자크기 등의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원추모양의 Cone Probe의 관입속도를 일정한
속도(2±0.5cm/sec)로 유지하고, 선단각을 60゚, 선단면적
10cm2, 주면면적 150cm2을 ASTM에서 통용되고 있는
표준콘을 표준화하고 있음
콘관입시험의 가장 큰 장점은 콘관입 중에 발생되는 간극수압을
연속적으로 측정 가능한 점임
간극수압 측정 기능은 연약점토 지반에 대해 지반공학적인
매개변수를 추정하는데 필요

피에조콘 관입시험 장비 모식도 시험 전경

적용현황 및 결과활용
구 분 공 번 시험심도(GL.-m) 구 분 공 번 시험심도(GL.-m)
TBH-01 4.00~24.50 TBH-01 15.00

CPT TBH-06 10.00~21.08 CPTu TBH-06 14.00

TBH-07 5.00~24.24 TBH-07 14.04

점성토층의 콘저항치, 마찰각, 비배수전단강도, 과압밀비, 압밀계수 및 압밀상태 파악


설계반영
연약지반의 설계지반정수 산정시 활용

- 24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3.3 실내시험
3.3.1 실내토질시험
물리적 특성시험
각 지층의 물리적・역학적 특성파악과 흙의 분류(통일분류법)를 위해 실시
목 적 지반의 자연 함수상태 파악 및 흙의 분류와 공학적 성질 판단
점성토 시료의 액・소성도 및 활성도 판단

시험방법 및 규격
시험명칭 표준방법 시험명칭 표준방법

함수비시험 KS F 2306
액성한계시험 KS F 2303

비중시험 KS F 2308
소성한계시험 KS F 2303
체 분 석 KS F 2309
입도분석
시 험 상대밀도시험 KS F 2345
비중계분석 KS F 2302

적용현황 및 결과활용
시험명칭 수 량 시험결과 시험결과의 이용

함수비시험 20회 함수비 지반의 자연함수상태 파악

비중시험 20회 비중 지반의 단위중량 추정

체분석시험 20회 지반의 입도 조성 파악


입도분석시험 입도분포분석
비중계분석시험 20회 세립토 지반의 입도 조성 파악

액성한계시험 20회 액성한계 흙의 분류와 공학적 성질 추정

소성한계시험 20회 소성한계 흙의 분류와 공학적 성질 추정

함수비시험 전경 입도분석시험 전경 액성한계시험 전경

- 25 -
제 3 장 지반조사 방법 및 일반사항

강도 및 변형특성시험

과업구간의 점성토 및 퇴적 사질토 지반에 대하여 점착력 및 내부마찰각 특성 파악


목 적 일축압축강도를 이용, 비배수전단강도 산정 및 예민비 산정
삼축압축시험에서 변형-응력곡선으로부터 흙의 강도정수인 내부마찰각, 점착력 산정

시험방법 및 규격
시험명칭 표준방법 시험명칭 표준방법

UU KS F 2346
일 축 압 축 시 험 KS F 2314 삼축압축시험
 KS F 2346

적용현황 및 결과활용
시험명칭 수 량 시험결과 시험결과의 이용

일 축 압 축 시 험 10회 일축압축강도 비배수 전단강도 추정

UU 10회 점착력, 내부마찰각 시공중의 단기 안정성 검토에 이용


삼축압축시험
 5회 비배수전단강도 유효응력 강도정수파악

일축압축시험 전경 삼축압축시험 전경

압밀특성시험

목 적 연약지반의 압축지수, 팽창지수, 선행압밀응력, 압밀계수 측정하여 침하특성 검토에 활용

구 분 표준압밀시험 표준압밀시험 전경

수 량 10회

시 험 결 과 KS F 2316

압밀계수 및 압축지수 등
시험결과의 이용
압밀특성 파악

- 26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지반의 동적특성시험
토사공진주시험

과업지역 지반의 동적특성(전단탄성계수와 재료감쇠비) 파악을 위하여 과업부지 퇴적층에서 채취한


목 적
시료에 대하여 공진주시험을 실시

시험 전경

기본원리는 원통형의 공시체에 진동수를 바꿔가면서


비틂자극을 가하여 1차 모드의 공진주파수(fr)와 진동의
크기(Ar)를 구한 후, 실험기의 특성 및 공시체의 크기,
공시체의 무게를 이용하여 동적지반계수 산출

흙의 비선형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전단변형률 크기를


0.001%이하의 저변형률에서 0.1%의 고변형률까지
변화시켜가면서 전단탄성계수와 재료 감쇠비를 평가

전단변형률의 크기에 따른 지반의 동적 물성치인 전단파속도(Vs), 전단탄성계수(G),


설계반영
전단변형률(γ), 감쇠비(D)의 변화를 측정하여 지진에 대한 지반 및 구조물의 지반 안정성을 평가

반복삼축압축시험
진동삼축시험 - 반복재하 횟수에 따른 지반의 액상화 저항전단응력의 변화곡선을 구하기 위하여 최소
목 적
2점 이상의 응력비(τ/σ0')를 변화시켜 시험을 실시

시험 전경
액상화 저항능력은 반복하중에 의해 시료의
유효구속압이 0으로 될 때 발생하는 초기 액상화를
기준으로 산정
등방구속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축응력을 1Hz의
주파수로 진동하중을 재하하여 간극수압, 축하중,
축변형율을 측정
액상화 저항능력은 구조물의 안정성에 맞는 축변형률
양진폭 3%, 5%, 10%로 결정하여
반복전단응력비(CSR)을 산정

 
 
(여기서,  : 반복축차응력,  : 압밀응력)
지반의 지진파를 등가반복전단응력으로 전환한 후
지반의 전단응력과 진동삼축시험을 통한 CSR을
비교함으로써 액상화의 안전율을 구함

진동삼축시험에서 진동재하횟수에 따른 액상화 저항 전단응력비(CSR)를 구함


설계반영
반복적인 진동을 받고 있는 지반요소 내의 전단강도 특성 파악

- 27 -
제 3 장 지반조사 방법 및 일반사항

3.3.2 환경시험
수질분석
목 적 과업지역 해수를 채취하여 해역환경에 따른 수질분석 자료 획득

등급판정 기준
수소이온농도 화학적 총대장균군 총질소 총인
등 급
(pH) 산소요구량(mg/L) (총대장균군수/100mL) (mg/L) (mg/L)
Ⅰ 7.8∼8.3 1 이하 200 이하 0.3 이하 0.03 이하

Ⅱ 6.5∼8.5 2 이하 1,000 이하 0.6 이하 0.05 이하

Ⅲ 6.5∼8.5 4 이하 - 1.0 이하 0.09 이하

구 분 6가 크롬 비소 카드뮴 납 아연 구리 시안 수은
기준값
50 50 10 50 100 20 0.01 0.5
(mg/L)

설계반영 현장시공시 발생할 수질오염에 대한 검토자료 제공

토양분석
목 적 해저퇴적물의 성분 분석시험을 실시하여 유해성분 정도를 판단

해양배출처리기준 및 준설토사 활용기준


해양배출처리기준 준설토사 활용기준
등 급
제1기준 (mg/kg) 제2기준 (mg/kg) (mg/kg)

크롬 또는 그 화합물 1,850 370 80

아연 또는 그 화합물 9,000 1,800 180

구리 또는 그 화합물 2,000 400 60

카드뮴 또는 그 화합물 20 4 1.5

수은 또는 그 화합물 5 1 0.25

비소 또는 그 화합물 145 29 18

납 또는 그 화합물 1,100 220 45

총인 - - 500

총 질소 - - 1,500

해저퇴적물 해양환경기준
구 분 비소 카드뮴 크롬 구리 수은 니켈 납 아연
주의기준(mg/kg) 14.5 0.75 116 20.6 0.11 47.2 44.0 68.4

관리기준(mg/kg) 75.5 2.72 181 64.4 0.62 80.5 119 157

설계반영 시공시 준설토사의 활용여부 및 처리방안 검토

- 28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4.1 지형 및 지질특성 분석
4.2 현장조사
4.3 현장시험
4.4 실내시험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4.1 지형 및 지질특성 분석
4.1.1 지형특성 분석
지리적 특성

본 조사지역은 행정구역상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인근 새만금 방조제 앞바다의 해상에 위치하여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 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를 위한 지역으로 북측에 무녀도, 남측에 비안도가 있음
동측에는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을 가로막아 변산반도-신시도-군산을 연결하는 새만금방조제가 축조되어 있음

산계 및 수계 분석
과업지역의 현재 상태를 지형정보로 분석하여 지질학적 예상 문제점 및 검토사항 파악
기본방향
과업지역의 산계 및 수계를 파악하여 지표지질조사, 시추조사 등 상세조사 계획 수립에 활용

산계도 수계도

산계도

과업구간은 서해안 도서지역으로 북서측에 무녀도, 남동측에 비안도가 위치하고 있음


육지에는 남측에 변산반도국립공원을 중심으로 기상봉(△508.6m), 쌍선봉(△459.1m)등의 비교적 높은
산악지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북측에는 영병산(△117.0m), 청암산(△116.8m)등의 구릉을 이룸

수계도

과업구간은 만경강과 동진강이 합류하여 서해로 유입되는 앞바다의 도서지역에 위치함


새만금방조제가 축조되어 육지의 만경강 및 동진강에서 과업구간으로 유입되던 퇴적물에 변화가 예상됨

동측의 육지에는 노년기 지형으로 평야가 넓게 분포하며, 변산반도 국립공원 등의 일부 화산암류


설계적용 지역에 산악지역이 발달
수계는 육지에서는 소지류의 하천들이 만경강과 동진강에 합류하여 과업구간으로 흘러옴

- 29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고지형도 분석
1918년 1987년

군산 인근 해안에 방파제 축조됨 간척사업이 시작됨, 계화도-육지 연결 방조제 축조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에 넓게 갯벌이 형성됨 간척사업으로 퇴적물 및 갯벌이 바다쪽으로 확장됨

2003년 2011년

새만금방조제가 공사중에 있으며, 간척사업 진행 새만금방조제가 공사 완료됨


퇴적물 및 갯벌은 공사로 인해 변화를 보임 퇴적물 및 갯벌은 방조제 안쪽 해안에 소규모 존재

간척사업으로 얕은 바다 및 가까운 섬을 연결하는 방조제 및 방파제가 순차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이에 따라 육지에는 매립지가 늘어나고 해안선은 바다쪽으로 밀려나며 직선화됨
설계적용 간척사업의 영향으로 퇴적물 및 갯벌이 바다쪽으로 확장되다가 새만금 방조제의 영향으로 방조제
안쪽 해안을 따라 소규모로 형성되는 변화를 보임
과업구간은 새만금 방조제 외곽의 도서지역으로 간척사업의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

- 30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4.1.2 선형구조 분석
지형정보를 포함하는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태양의 방향을 달리하는 음영기복도 제작
기본방향
조광의 고도각을 45゚로 고정시키고, 방위각을 변화시키면서 음영기복 특성을 분석

선형구조도

선형구조 방향성 연장가중 방향성 길이별 분포도

추출된 선형구조는 N40~50゚E 방향의 선형구조가 우세하게 나타나며, 연장성을 고려하면


N10~20゚E 방향 및 N40~50゚E의 선구조가 우세하게 나타남
설계적용
선형구조 연장은 대체로 1.0~33.0km 내외의 연장성을 보이며 10.0km 이상의 선구조도 관찰되나,
과업구간을 통과하는 선형구조는 관찰되지 않음

- 31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4.1.3 지질특성 분석
광역지질 분석을 통해 과업구간의 지질구조를 이해하고 상세지질분석의 기본자료로 활용
기본방향
과업구간에 분포하는 암종, 암종경계, 불연속면을 지표지질조사를 통해 확인

광역지질 분석
광역지질도(광주도폭, 1/25만) 분석결과

과업지역은 옥천변성대의 남서단의


도서지역으로 대부분 관입 및 분출한
화성암류가 분포함

과업지역 주변 도서지역은 백악기의


산성화산암류 및 퇴적암류가 주를
이루며, 화강암이 소규모 분포함

산성화산암류는 응회암, 용결응회암,


유문암 등으로 구성되며, 퇴적암류는
주로 사암 및 셰일 등으로 구성되고
대체로 화산쇄설물이 풍부함

상세지질 분석
광역지질도(광주도폭, 1/25만) 분석결과

과업구간은 백악기 퇴적암류와 이를


관입한 산성화산암류 및 화강암류로
구성된 퇴적암류는 사암 및 셰일로
구성되며, 산성화산암류는 응회암,
유문암으로 구성됨

과업구간의 시추조사결과
퇴적암류의 사암 및 셰일이 확인됨

추출된 선구조는 N40~50゚E 방향의 선구조가 우세하게 나타나며, 연장성을 고려하면 N10~20゚E
방향 및 N40~50゚E의 선구조가 우세하게 나타남
설계적용
선구조 연장은 대체로 1.0~33.0km 내외의 연장성을 보이며 10.0km 이상의 선구조도 관찰됨
과업구간을 통과하는 선구조는 관찰되지 않음

- 32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암종특성
퇴적암류
사암 노두사진 역암 노두사진 셰일 노두사진

비안도에는 주로 층리가 발달하는 퇴적암류가 분포하고 있으며, 층리의 배향은 N50゚W/30゚NE 방향임
퇴적암류는 주로 사암으로 구성되며, 역암 및 셰일, 응회암 등이 소규모로 협재함

유문암류
유문암 노두사진 유문암 노두사진 유문암 근접사진

무녀도에는 주로 산성화산암류인 유문암이 분포하고 있으며, 응회암이 소규모로 협재함


유문암은 행인상구조가 관찰되고, 유상구조가 발달하고 있으며, 응회암은 절리발달이 불규칙함

화강암류
부안군 장신리 화강암 부안군 장신리 화강암 비안도 화강암

비안도에는 소규모의 백악기 화강암이 퇴적암을 관입하고 있으며, 인접 육지지역에는 쥬라기의 흑운모화강암,
백악기의 퇴적암, 화산암 등이 분포하고 있음

남측의 비안도는 퇴적암류, 북측의 무녀도는 산성 화산암류로 구성됨


설계적용 퇴적암류는 30゚ 내외의 층리가 잘 발달하며, 화산암류는 행인상구조가 관찰되는 유문암과
응회암으로 구성됨, 특히 응회암은 퇴적암류 및 화산암류 지역에 모두 협재되어 있음

- 33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4.1.4 불연속면 특성
기본방향 과업구간의 불연속면 특성을 지표지질조사를 통해 확인

조사위치도

조사결과
Site-1 Site-2

Site-3 Site-4

절리군 연장(m) 간격(m) JRC


구 분 암 종
J1 J2 J3 J1 J2 J3 J1 J2 J3 J1 J2 J3
Si t e -1 81/295 86/025 34/067 10.0 8.0 8.5 0.3 0.7 1.5 6 7 8 유문암

Si t e -2 83/216 84/105 15/098 10.0 7.5 8.0 1.5 1.5 0.4 7 6 9 유문암

Si t e -3 84/277 74/187 29/043 6.0 7.5 10.0 1.0 0.8 0.4 8 6 7 퇴적암

Si t e -4 83/307 87/066 32/051 8.0 7.0 10.0 1.5 2.5 1.0 12 10 10 퇴적암

무녀도는 유문암지역으로 저각의 수평적인 절리와 북북동방향 및 북서 방향의 수직적인 절리가 발달


설계적용 비안도에는 퇴적암지역으로 30도 내외의 층리가 발달하고 있으며, 방향성은 상이하게 나타남
절리의 연장성은 6.0~10.0m, 간격은 0.3~2.5m, 거칠기는 6~12 사이의 거칠기를 보임

- 34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4.2 현장조사
4.2.1 시추조사
지층의 분포상태, 기반암의 분포심도 등의 전반적인 지층분포 특성 조사
개 요
시추조사와 병행하여 공내 원위치시험을 수행하여 지층별 물성값 산정

조사현황
시추조사 위치도

구 분 시추위치 표 고 구 분 시추위치 표 고
구간 공 번 X Y (DL.-m) 구간 공 번 X Y (DL.-m)

NBH-18 354,141.90 150,403.20 8.50 TBH-01 354,241.34 150,522.68 8.79

기본 TBH-02 354,243.35 150,808.25 7.29


NBH-19 354,438.90 151,182.20 5.70
계획
TBH-03 354,435.39 151,030.81 7.66
NBH-20 354,716.40 151,906.40 5.60
TBH-04 354,425.32 151,144.57 6.78
BH-01 354,242.34 150,665.47 8.34
TBH-05 354,435.04 151,310.17 6.06
공동
BH-02 354,337.78 150,915.36 7.04
조사
TBH-06 354,617.75 151,508.30 6.25
BH-03 354,523.91 151,402.73 6.27
기본 TBH-07 354,622.47 151,800.97 6.07
조사
BH-04 354,618.16 151,649.54 6.10
TBH-08 354,745.15 151,841.90 5.60

BH-05 354,556.16 152,047.77 8.78 TBH-09 354,575.50 152,098.41 8.93

BH-06 354,614.74 152,201.17 8.93 TBH-10 354,595.12 152,149.79 8.87

- 35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조사결과
북측방파호안(1․2구간)
북측방파호안
북측방파호안(1
(1
(1․․2구간
구간))
퇴적층(m) 풍화토 풍화암 연암 시추심도
구 분
점토 실트 모래 (m) (m) (m) (m)
NBH-18 - 20.5 9.5 1.0 - 1.0 32.0
기본
NBH-19 2.7 21.0 15.5 - - 1.0 40.2
계획
NBH-20 - 14.0 21.2 - - 1.0 36.2
BH-01 10.2 8.8 19.0 0.6 - 1.0 39.6
기본 BH-02 17.1 5.1 23.1 - 3.2 1.5 50.0
조사 BH-03 7.0 1.5 30.5 - 4.0 1.5 44.5
BH-04 11.5 - 25.5 - - 1.5 38.5
TBH-01 23.6 3.0 9.4 2.5 3.5 6.0 48.0
TBH-02 21.7 8.8 16.3 2.2 2.0 1.0 52.0
TBH-03 14.8 9.3 19.4 1.5 1.0 1.0 47.0
TBH-04 21.0 8.5 13.0 - 2.5 1.0 46.0
공동 TBH-05 19.4 11.5 8.1 1.0 2.0 1.0 43.0
조사 TBH-06 19.5 - 15.0 1.5 2.5 1.0 44.5
TBH-07 19.5 - 15.1 2.4 1.5 1.0 39.5
TBH-08 16.2 3.5 16.8 2.5 3.0 1.0 43.0
TBH-09 12.5 15.0 6.3 0.7 1.0 6.0 41.5
TBH-10 22.4 4.2 6.9 2.0 1.3 1.2 38.0

북측방파호안(1・2구간) 지층단면도

지 층 명 두께(m) 구성성분 N값(TCR/RQD)


점 토 2.7~23.6 실트질 점토, 실트섞인 점토, 모래섞인 점토 0/30~40/30
퇴적층 실 트 1.5~21.0 점토섞인 실트, 모래섞인 실트 0/30~10/30
모 래 8.1~30.5 점토질 모래, 실트섞인 모래, 실트질 모래, 자갈섞인 모래 0/30~50/19
풍 화 토 0.6~2.5 실트질 모래, 실트섞인 모래, 점토섞인 모래 33/30~50/12
풍 화 암 1.0~4.0 굴진시 암편 및 실트질 모래로 분해 50/8~50/1
연 암 1.0m 이상 심한풍화~보통풍화된 사암, 셰일 (40~100/15~60)

- 36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관리부두
퇴적층(m) 풍화토 풍화암 연 암 시추심도
구 분
점 토 실 트 모 래 (m) (m) (m) (m)

기본 BH-05 12.4 5.0 14.1 3.0 1.5 2.0 38.0


조사 BH-06 17.2 - 15.8 - 1.0 1.5 35.5

공동 TBH-09 12.5 15.0 6.3 0.7 1.0 6.0 41.5


조사 TBH-10 22.4 4.2 6.9 2.0 1.3 1.2 38.0

관리부두 지층단면도

지 층 명 두께(m) 구성성분 N값(TCR/RQD)


점 토 12.4~22.4 실트질 점토, 실트섞인 점토 0/30~20/30

퇴적층 실 트 5.0~15.0 모래섞인 실트 0/30~10/30

모 래 6.3~6.9 실트섞인 모래, 실트질 모래 1/30~50/25

풍 화 토 0.7~3.0 실트질 모래, 실트섞인 모래, 점토섞인 모래 33/30~50/13

풍 화 암 1.0~1.5 굴진시 암편 및 실트질 모래로 분해 50/7~50/4

연 암 1.2m 이상 심한풍화~보통풍화된 사암, 셰일 (70~90/0~43)

4.2.2 불교란시료 채취
개 요 점성토층의 물리․역학적 특성파악을 위해 자연시료 채취

채취심도 채취심도
공 번 통일분류 공 번 통일분류
(GL.-m) (GL.-m)
TBH-01 14.0~14.8 CL TBH-06 15.0~15.8 CL

TBH-02 19.0~19.8 CH TBH-07 17.0~17.8 CH

TBH-03 15.0~15.8 CL TBH-08 15.0~15.8 CL

TBH-04 16.0~16.8 CL TBH-09 16.0~16.8 CL

TBH-05 20.0~20.8 CL TBH-10 13.0~13.8 CL

- 37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4.3 현장시험
4.3.1 표준관입시험
지층의 상대밀도 및 연경도를 판단하고, 교란시료를 채취하여 지층 분류
개 요
과업구간에 분포하는 퇴적층내의 연약지반 분포 및 두께 분석에 지배적인 인자로 활용

SPT N
N값
값 시험결과
구 분 퇴적층
풍화토 풍화암
구간 공 번 점 토 실 트 모 래

TBH-01 1/30~31/30 1/30~2/30 1/30~50/30 50/29~50/14 50/8~50/2

TBH-02 1/30~34/30 1/30~3/30 1/30~50/27 - 50/8~50/4

TBH-03 1/30~40/30 1/30~3/30 1/30~50/19 50/15 50/7

북측 TBH-04 1/30~36/30 1/30~3/30 1/30~50/27 - 50/8


방파
호안 TBH-05 1/30~21/30 1/30~6/30 7/30~50/29 50/19 50/7~50/5

TBH-06 1/30~8/30 - 4/30~40/30 47/30 50/4~50/1

TBH-07 1/30~4/30 - 1/30~32/30 50/27~50/13 50/4~50/2

TBH-08 1/30~22/30 2/30~3/30 1/30~33/30 34/30~50/15 50/4~50/3

TBH-09 1/30~10/30 1/30~10/30 8/30~23/30 33/30 50/4


관리
부두
TBH-10 1/30~20/30 3/30~8/30 27/30~50/28 50/22~50/18 50/5

결과분석
구 분 대표 N값(회/cm) 심도별 N값 분포 지층별 N값 분포

점 토 7/30


적 실 트 3/30

모 래 25/30

풍 화 토 50/27

풍 화 암 50/5

퇴적 점토층은 연약∼고결, 퇴적 실트층은 매우 연약∼견고, 퇴적 모래층은 매우느슨~매우


설계적용
조밀한 상대밀도를 보임

- 38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4.3.2 공내재하시험
공내재하시험(LLT)
(LLT)
개 요 지반의 변형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내재하시험 실시

구 분 심도(GL.-m) 지층 N값 변형계수(MPa) 구성성분

TBH-02 16.00 퇴적층 2/30 1.90 실트섞인 점토

TBH-05 18.00 퇴적층 4/30 4.06 실트섞인 점토

TBH-10 11.00 퇴적층 3/30 2.39 실트질 점토

TBH-02 TBH-05 TBH-10

설계적용 퇴적층 점토층의 변형계수는 1.90~4.06MPa의 분포범위를 보임

4.3.3 공내전단시험
공내전단시험(BST)
(BST)
개 요 풍화대의 점착력 및 내부마찰각 등 전단강도를 산정하기 위해 구간 및 지층별로 총 3회 수행

구 분 심도(GL.-m) 지층 N값 점착력(kPa) 내부마찰각(゚)

TBH-02 47.0 풍화토 50/21 19.6 29.6

TBH-05 41.0 풍화암 50/5 25.0 31.3

TBH-10 34.0 풍화토 50/18 18.0 28.0

심도에 따른 점착력(kPa) 심도에 따른 내부마찰각(゚)

설계적용 풍화토의 점착력은 18.0~19.6kPa, 내부마찰각은 28.0~29.6゚의 분포범위를 보임

- 39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4.3.4 현장베인시험
현장베인시험(FVT)
(FVT)
개 요 연약점성토층을 대상으로 원지반 및 교란된 지반의 전단강도 및 예민비 산정

심 도 비배수전단간도(Su, kPa)
구 분 N값 예민비
(GL.-m) 불교란 교 란

BH-01 15 4/30 75.6 34.1 2.2

BH-02 17 4/30 96.0 42.8 2.2

BH-03 14 1/30 77.6 36.6 2.1


기본
조사
BH-04 16 1/30 111.8 43.0 2.6

BH-05 11 1/30 79.5 36.2 2.2

BH-06 12 2/30 123.5 51.8 2.4

TBH-01 15.5 2/30 48.8 23.2 2.1

TBH-02 20.5 1/30 31.8 12.9 2.5

TBH-03 16.5 2/30 46.9 17.2 2.7

TBH-04 17.5 3/30 43.0 15.5 2.8

TBH-05 21.5 1/30 42.0 16.4 2.6


공동
조사
TBH-06 16.5 1/30 36.6 14.9 2.5

TBH-07 18.5 2/30 37.2 18.2 2.0

TBH-08 16.5 3/30 54.7 21.6 2.5

TBH-09 15.5 4/30 53.8 22.5 2.4

TBH-10 14.5 3/30 53.4 18.0 3.0

비배수전단강도-원지반 비배수전단강도-교란 예민비

설계적용 비배수전단강도 평균은 불교란 63.3kPa, 교란 26.6kPa의 값을 보임

- 40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4.3.5 S-PS 검층
내진 설계에 있어서 지반의 동적거동 해석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동전단계수(Gd), 동탄성계수(Ed),
게 요
동체적계수(Kd),동포아송비(υd) 등과 같은 지반의 동적 특성치 획득 필요

TBH-01
심 도 탄성파속도(m/sec) 동적 물성값(MPa)
지 층 동포아송비
(m) Vp Vs 동탄성계수 동전단계수 동체적계수
1.0~5.0 퇴 적 층(CL) 1,343 157 1.20E+02 4.03E+01 2.89E+03 0.493
5.0~6.0 퇴 적 층(SM) 1,377 162 1.32E+02 4.42E+01 3.13E+03 0.493
6.0~9.0 퇴 적 층(ML) 1,380 166 1.39E+02 4.64E+01 3.15E+03 0.493
9.0~23.6 퇴 적 층(CL) 1,408 169 1.44E+02 4.83E+01 3.28E+03 0.493
23.6~27.0 퇴 적 층(SP) 1,672 275 4.01E+02 1.35E+02 4.81E+03 0.486
27.0~30.0 퇴 적 층(SM) 1,691 290 4.59E+02 1.54E+02 5.04E+03 0.485
30.0~34.0 퇴 적 층(CL) 1,685 279 4.24E+02 1.43E+02 5.03E+03 0.486
34.0~36.0 퇴 적 층(SM) 1,765 316 5.60E+02 1.89E+02 5.63E+03 0.483
36.0~38.5 풍화토층(SC) 1,844 379 8.29E+02 2.81E+02 6.22E+03 0.478
38.5~42.0 풍화암층(WR) 1,948 498 1.56E+03 5.34E+02 7.42E+03 0.465
42.0~44.0 연 암 층(SR) 2,065 857 4.81E+03 1.72E+03 7.71E+03 0.396

탄성파속도 동적 물성값 동포아송비

TBH-06
심 도 탄성파속도(m/sec) 동적 물성값(MPa)
지 층 동포아송비
(m) Vp Vs 동탄성계수 동전단계수 동체적계수
1.0~5.0 퇴 적 층(SM) 1,521 189 1.85E+02 6.19E+01 3.94E+03 0.492
5.0~24.5 퇴 적 층(CL) 1,422 170 1.47E+02 4.92E+01 3.35E+03 0.493
24.5~34.5 퇴 적 층(SP) 1,672 269 4.01E+02 1.35E+02 4.96E+03 0.487
34.5~36.0 풍화토층(SM) 1,770 336 6.48E+02 2.19E+02 5.78E+03 0.481
36.0~38.5 풍화암층(WR) 1,963 505 1.58E+03 5.38E+02 7.34E+03 0.464
38.5~41.0 연 암 층(SR) 2,095 875 4.79E+03 1.72E+03 7.56E+03 0.394

- 41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탄성파속도 동적 물성값 동포아송비

TBH-09
심 도 탄성파속도(m/sec) 동적 물성값(MPa)
지 층 동포아송비
(m) Vp Vs 동탄성계수 동전단계수 동체적계수
1.0~2.5 퇴 적 층(CL) 1,333 156 1.19E+02 3.97E+01 2.85E+03 0.493
2.5~13.5 퇴 적 층(ML) 1,382 165 1.38E+02 4.63E+01 3.16E+03 0.493
13.5~23.5 퇴 적 층(CL) 1,515 194 1.96E+02 6.57E+01 3.90E+03 0.492
23.5~26.0 퇴 적 층(SP) 1,589 211 2.30E+02 7.72E+01 4.27E+03 0.491
26.0~30.0 퇴 적 층(ML) 1,558 204 2.17E+02 7.26E+01 4.12E+03 0.491
30.0~33.8 퇴 적 층(SP) 1,648 260 3.58E+02 1.20E+02 4.69E+03 0.487
33.8~34.5 풍화토층(SM) 1,717 308 5.46E+02 1.84E+02 5.47E+03 0.483
34.5~35.5 풍화암층(WR) 1,954 493 1.49E+03 5.08E+02 7.31E+03 0.466
35.5~38.0 연 암 층(SR) 2,121 892 4.98E+03 1.79E+03 7.72E+03 0.393

탄성파속도 동적 물성값 동포아송비

토층의 평균 전단파속도가 184m/sec로 내진해석의 지반분류는 S4(깊고 단단한 지반)에 해당하지만


설계적용
분류기준이 전단파속도 180m/sec에 근접하여 설계적용시 추가적 판단이 필요함

- 42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4.3.6 피에조콘 관입시험


ASTM D 3441에 의거하여 심도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를 파악하여 설계정수 산정시 활용
게 요
지층 분류표(Robertson)에 의한 연속적인 지층분포 파악

시험현황
공 번 수 량 시험심도(GL.-m) 지 층
TBH-01 1 4.00~24.50 퇴적층

TBH-06 1 10.00~21.08 퇴적층

TBH-07 1 5.00~24.24 퇴적층

시험결과 및 분석
TBH-01
선단저항력 주면마찰력 간극수압 비배수전단강도 과압밀비
공 번
(kPa) (kPa) (kPa) (kPa) (OCR)
범 위 432.0~13,465.7 5.4~127.0 94.1~1,041 13.8~863.1 0.5~9.2

평 균 1,583.8 17.7 553.2 86.1 1.6

선단저항력(kPa) 주면마찰력(kPa) 간극수압(kPa)

비배수전단강도(kPa) 과압밀비 흙분류(Qt-Fr(%))

- 43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TBH-06
선단저항력 주면마찰력 간극수압 비배수전단강도 과압밀비
공 번
(kPa) (kPa) (kPa) (kPa) (OCR)

범 위 624.4~5,803.1 6.6~62.0 159.1~794.4 29.7~365.6 1.0~25.9

평 균 1,130.4 19.2 439.3 60.9 3.1

선단저항력(kPa) 주면마찰력(kPa) 간극수압(kPa)

비배수전단강도(kPa) 과압밀비 흙분류(Qt-Fr(%))

- 44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TBH-07
선단저항력 주면마찰력 간극수압 비배수전단강도 과압밀비
공 번
(kPa) (kPa) (kPa) (kPa) (OCR)
범 위 876.7~5,857.1 6.2~52.3 11.5~818.4 43.8~356.9 0.7~5.1
평 균 1,365.1 15.2 459.1 72.5 1.5

선단저항력(kPa) 주면마찰력(kPa) 간극수압(kPa)

비배수전단강도(kPa) 과압밀비 흙분류(Qt-Fr(%))

결과분석
선단저항력 주면마찰력 간극수압 비배수전단강도 과압밀비
공 번
(kPa) (kPa) (kPa) (kPa) (OCR)
범 위 432.0~13,465.7 5.4~127.0 11.5~1,041.4 13.8~863.1 0.5~25.9
평 균 1,359.8 17.5 483.9 73.2 2.1

퇴적층(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는 13.8~863.1kPa의 분포범위와 73.2kPa의 전체 평균값을 나타냄


간극수압은 11.5~1,041.4kPa의 분포범위와 483.9kPa의 전체 평균값을 보임
설계적용
과압밀비는 0.5∼25.9의 분포범위와 2.1의 전체 평균값을 나타냄
흙분류결과 대부분이 점토, 실트질 점토, 모래섞인 점토질 실트로 분류됨

- 45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4.3.7 간극수압 소산시험


ASTM D 3441에 의거하여 심도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를 파악하여 설계정수 산정시 활용
개 요
지층 분류표(Robertson)에 의한 연속적인 지층분포 파악

시험현황
공 번 수 량 시험심도(GL.-m) 지 층

TBH-01 1 15.00 퇴적층

TBH-06 1 14.00 퇴적층

TBH-07 1 14.04 퇴적층

시험결과 및 분석
수평압밀계수 산정
공 번 Torstensson Levadoux & Baligh Houlsby & Teh

수평압밀계수      ⋅    ⋅ 
       
산 정 방 법   

T50 : 압밀도 50% 일때의 시간계수, t50 : 압밀도 50% 까지의 소요시간, R : 공동의 등가반경, ro : 콘의 반경, IR :
강성지수

수평압밀계수 산정결과
TBH-01
심 도 t50 수평압밀계수(cm2/sec)
공 번
(GL.-m) (sec) Torstensson Levadoux & Baligh Houlsby & Teh

TBH-01 15.00 207 4.46E-02 8.62E-02 2.67E-02

간극수압 소산도

- 46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TBH-06
심 도 t50 수평압밀계수(cm2/sec)
공 번
(GL.-m) (sec) Torsten-sson Levadoux & Baligh Houlsby & Teh

TBH-06 14.00 264 3.50E-02 6.76E-02 2.09E-02

간극수압 소산도

TBH-07
심 도 t50 수평압밀계수(cm2/sec)
공 번
(GL.-m) (sec) Torsten-sson Levadoux & Baligh Houlsby & Teh

TBH-07 14.04 392 2.36E-02 4.55E-02 1.41E-02

간극수압 소산도

수평압밀계수 산정결과
심 도 t50 수평압밀계수(cm2/sec)
구 분
(GL.-m) (sec) Torsten-sson Levadoux & Baligh Houlsby & Teh

TBH-01 15.00 207 4.46E-02 8.62E-02 2.67E-02

TBH-06 14.00 264 3.50E-02 6.76E-02 2.09E-02

TBH-07 14.04 392 2.36E-02 4.55E-02 1.41E-02

평 균 - 287 3.44E-02 6.64E-02 2.06E-02

수평압밀계수는 8.62×10-2∼1.41×10-2 cm2/sec의 범위와 4.05×10-1 cm2/sec의 전체


설계반영
평균값을 보임

- 47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4.4 실내시험
4.4.1 토질 기본물성시험
과업구간에 분포되어 있는 지층의 토질분류, 물리적 및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설계에
개 요
필요한 자료 제공

시험내용 및 수량
수량(회)
시험명칭 및 표준방법 시험결과의 이용
기본조사 공동조사
자연함수비 KS F 2306 지반의 자연함수상태 파악 16 20

비 중 KS F 2308 지반의 단위중량 추정 16 20

입 도 분 석 KS F 2309 지반의 입도 조성 파악 16 20

액 성 한 계 KS F 2303 흙의 분류와 공학적 성질 추정 16 20

소 성 한 계 KS F 2304 흙의 분류와 공학적 성질 추정 16 20

시험결과
심 도 함수비 비중 Atterberg Limit 체 분 석(%)
공 번 USCS
(GL.-m) (wn, %) (Gs) LL(%) PI No.40 No.200 2μm
14.0~14.8 CL 32.7 2.688 45.8 22.1 100.0 97.4 45.8

1.0 SM 18.4 2.642 N.P. N.P. 42.6 21.8 6.6

3.0 SM 28.7 2.648 N.P. N.P. 95.1 29.6 8.5


BH-01
10.0 ML 30.1 2.677 33.5 9.4 96.1 54.1 12.2

22.0 SM 18.8 2.646 N.P. N.P. 55.5 28.2 9.5

27.0 SM 30.3 2.642 N.P. N.P. 95.8 19.8 -

16.0~16.8 CL 32.1 2.691 42.2 17.3 99.4 92.5 48.1


BH-02
6.0 SM 21.8 2.649 N.P. N.P. 73.2 36.7 9.2
기본
조사
13.0~13.8 CL 35.1 2.695 47.4 21.2 98.3 94.6 52.9
BH-03
8.0 SC 30.1 2.678 34.2 11.9 97.7 47.4 12.6

15.0~15.8 CL 27.4 2.693 41.1 16.3 98.2 94.3 50.6


BH-04
6.0 CL 30.1 2.681 32.8 10.7 99.1 55.9 16.6

10.0~10.8 CL 41.9 2.701 47.0 20.5 99.8 98.1 55.5


BH-05
7.0 ML 25.0 2.677 33.2 8.8 87.0 53.0 11.7

11.0~11.8 CL 56.2 2.698 45.2 19.7 98.9 97.7 50.5


BH-06
7.0 CL 30.5 2.679 31.2 9.5 98.5 56.4 16.6

- 48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심 도 함수비 비중 Atterberg Limit 체 분 석(%)


공 번 USCS
(GL.-m) (wn, %) (Gs) LL(%) PI No.40 No.200 2μm
2.0 CL 32.7 2.689 37.6 15.2 100.0 75.2 18.6
TBH-01
14.0~14.8 CL 37.3 2.699 47.9 22.8 99.9 97.7 27.5

5.0 ML 27.3 2.656 28.1 4.9 100.0 61.6 10.0


TBH-02
19.0~19.8 CH 41.4 2.705 59.4 32.6 99.7 97.4 34.3

4.0 ML 28.1 2.651 28.0 4.8 100.0 62.7 9.4


TBH-03
15.0~15.8 CL 35.3 2.697 45.6 21.0 99.3 98.1 25.2

30.0 CL 25.0 2.682 35.5 13.6 91.8 72.7 16.4


TBH-04
16.0~16.8 CL 31.9 2.695 42.7 18.6 98.6 85.8 21.9

29.0 SW-SM 20.9 2.647 N.P. N.P. 20.7 8.7 -


TBH-05
공동 20.0~20.8 CL 34.5 2.689 37.1 14.7 97.1 83.3 17.9
조사 3.0 SM 23.0 2.658 28.5 5.2 90.6 49.5 6.6
TBH-06
15.0~15.8 CL 39.2 2.696 43.1 19.4 100.0 95.9 23.8

27.0 SM 15.5 2.655 N.P. N.P. 31.5 15.2 -


TBH-07
17.0~17.8 CH 43.2 2.708 65.9 38.6 100.0 99.0 37.8

8.0 ML 33.2 2.653 28.4 5.0 100.0 81.0 11.4


TBH-08
15.0~15.8 CL 34.5 2.691 38.1 14.4 98.8 89.5 18.8

4.0 ML 26.4 2.654 27.9 4.8 100.0 66.2 8.5


TBH-09
16.0~16.8 CL 39.3 2.694 41.1 17.4 100.0 94.6 21.6

5.0 ML 25.7 2.649 N.P. N.P. 100.0 63.4 4.1


TBH-10
13.0~13.8 CL 31.1 2.683 33.9 10.8 100.0 75.4 16.9

함수비(%) 비 중 액성한계 200번체 통과량(%)

점성토의 함수비는 25.0~56.2(평균:33.6%)의 분포범위를 나타내며, 사질토의 함수비는


15.3~30.3(평균:23.1%)의 분포범위를 나타냄
설계반영
점성토의 비중은 2.65~2.71(평균:2.68)의 분포범위를 나타내며, 사질토의 비중은
2.64~2.68(평균:2.65)의 분포범위를 나타냄

- 49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4.4.2 토질 역학시험

개 요 일축압축, 삼축압축(UU, CU), 표준압밀을 통한 연약 점성토층의 강도정수 및 압밀특성을 파악

일축압축강도시험
심도 함수비 비중 qu su
구 분 USCS
(GL.-m) (wn, %) (Gs) (kPa) (kPa)
BH-01 14.0~14.8 32.7 2.688 92.8 46.4 CL

BH-02 16.0~16.8 32.1 2.691 119.4 59.7 CL

BH-03 13.0~13.8 35.1 2.695 88.6 44.3 CL


기 본
조 사
BH-04 15.0~15.8 27.4 2.693 96.8 48.4 CL

BH-05 10.0~10.8 41.9 2.701 99.5 49.75 CL

BH-06 11.0~11.8 56.2 2.698 119.1 59.55 CL

TBH-01 14.0~14.8 37.3 2.699 81.6 40.8 CL

TBH-02 19.0~19.8 41.4 2.705 122.2 61.1 CH

TBH-03 15.0~15.8 35.3 2.697 89.0 44.5 CL

TBH-04 16.0~16.8 31.9 2.695 112.1 56.05 CL

TBH-05 20.0~20.8 34.5 2.689 26.0 13 CL


공 동
조 사
TBH-06 15.0~15.8 39.2 2.696 35.9 17.95 CL

TBH-07 17.0~17.8 43.2 2.708 112.8 56.4 CH

TBH-08 15.0~15.8 34.5 2.691 86.5 43.25 CL

TBH-09 16.0~16.8 39.3 2.694 100.1 50.05 CL

TBH-10 13.0~13.8 31.1 2.683 33.4 16.7 CL

일축압축강도(qu) 비배수전단강도(qu/2)

일축압축강도는 26.0~122.2kPa의 분포범위와 88.49kPa의 평균값을 나타냄


설계반영
비배수전단강도(qu/2)는 13.0~61.1의 분포범위와 11.24의 평균값을 나타냄

- 50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삼축압축강도시험
심도 UU 
구 분 USCS
(GL.-m) (Su, kPa) c'(kPa) ∅'

BH-01 14.0~14.8 59.4 - - CL

BH-02 16.0~16.8 67.8 - - CL

BH-03 13.0~13.8 43.3 27.9 23.8 CL


기 본
조 사
BH-04 15.0~15.8 54.7 - - CL

BH-05 10.0~10.8 56.5 26.2 20.2 CL

BH-06 11.0~11.8 70.0 - - CL

TBH-01 14.0~14.8 42.7 28.5 25.8 CL

TBH-02 19.0~19.8 65.1 - - CH

TBH-03 15.0~15.8 45.3 26.7 26.5 CL

TBH-04 16.0~16.8 57.6 - - CL

TBH-05 20.0~20.8 13.5 20.8 21.0 CL


공 동
조 사
TBH-06 15.0~15.8 19.3 - - CL

TBH-07 17.0~17.8 57.9 28.6 26.7 CH

TBH-08 15.0~15.8 45.1 - - CL

TBH-09 16.0~16.8 51.4 26.5 23.5 CL

TBH-10 13.0~13.8 17.6 - - CL

비배수전단강도(Su) 점착력(c)-내부마찰각(∅)

설계반영 삼축압축시험결과 비배수전단강도 Su는 13.5~70.0kPa의 분포범위와 48.0kPa의 평균값을 보임

- 51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표준압밀시험
구 분 심 도(GL.-m) Pc(kPa) Cc eo USCS

BH-01 14.0~14.8 208.0 0.461 0.885 CL

BH-02 16.0~16.8 164.9 0.313 0.868 CL

BH-03 13.0~13.8 194.7 0.274 0.949 CL


기 본
조 사
BH-04 15.0~15.8 163.5 0.214 0.741 CL

BH-05 10.0~10.8 154.1 0.288 1.134 CL

BH-06 11.0~11.8 217.7 0.569 1.518 CL

TBH-01 14.0~14.8 176.6 0.439 1.050 CL

TBH-02 19.0~19.8 256.8 0.592 1.150 CH

TBH-03 15.0~15.8 183.2 0.277 0.976 CL

TBH-04 16.0~16.8 409.1 0.356 0.902 CL

TBH-05 20.0~20.8 46.5 0.227 0.936 CL


공 동
조 사
TBH-06 15.0~15.8 71.5 0.307 1.058 CL

TBH-07 17.0~17.8 223.8 0.617 1.201 CH

TBH-08 15.0~15.8 167.5 0.347 0.957 CL

TBH-09 16.0~16.8 200.7 0.429 1.066 CL

TBH-10 13.0~13.8 65.7 0.190 0.871 CL

선행압밀하중(Pc, kPa) 압축지수(Cc) 초기간극비(e0)

선행압밀하중은 46.5~409.1kPa의 범위와 181.5kPa의 평균값을 나타냄


설계반영
압축지수는 0.19~0.62의 범위와 0.37의 평균값을 나타냄

- 52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4.4.3 동적특성 시험
토사공진주시험
지반이 선형-탄성 거동하게 되는 전단변형율에서 흙의 동적물성값을 구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개 요
실내시험으로 전단탄성계수와 재료감쇠비 측정

TBH-02
구속압 변형률 G/Gmax 감쇠비 구속압 변형률 G/Gmax 감쇠비 구속압 변형률 G/Gmax 감쇠비
0.00029 1.0000 3.2100 0.00020 1.0000 2.8800 0.00016 1.0000 2.8000
0.00053 0.9770 3.5300 0.00038 0.9967 3.0700 0.00030 0.9876 2.9100
0.00100 0.9625 3.9600 0.00071 0.9871 3.3700 0.00059 0.9835 3.1000
0.00140 0.9250 4.2437 0.00101 0.9820 3.5600 0.00085 0.9713 3.2600

100 0.00182 0.8959 4.4139 200 0.00130 0.9571 3.7200 400 0.00110 0.9609 3.4200
kPa 0.00225 0.8673 4.7264 kPa 0.00158 0.9502 3.8800 kPa 0.00134 0.9545 3.5000
0.00386 0.7749 5.3900 0.00289 0.8832 4.4602 0.00239 0.9067 4.1000
0.00673 0.6675 6.4400 0.00533 0.7851 5.2153 0.00433 0.8298 4.7400
0.01174 0.5530 8.2028 0.00947 0.6577 6.7900 0.00819 0.7278 5.8500
0.01715 0.4565 9.0134 0.01187 0.5982 7.3776 0.01067 0.6773 6.5027

전단탄성계수 G/Gmax 감쇠비(%)

TBH-05
구속압 변형률 G/Gmax 감쇠비 구속압 변형률 G/Gmax 감쇠비 구속압 변형률 G/Gmax 감쇠비
0.00052 1.0000 3.2260 0.00044 1.0000 3.2012 0.00025 1.0000 2.6589
0.00098 0.9630 3.4771 0.00084 0.9697 3.3266 0.00049 0.9977 2.9529
0.00119 0.9571 3.5743 0.00104 0.9642 3.2388 0.00060 0.9899 3.2905
0.00210 0.8864 4.5109 0.00189 0.9110 3.8098 0.00119 0.9652 3.5826

100 0.00298 0.8324 4.7803 200 0.00271 0.8594 4.3362 400 0.00178 0.9399 3.8144
kPa 0.00385 0.7909 5.2384 kPa 0.00350 0.8221 4.7868 kPa 0.00240 0.9018 4.1646
0.00471 0.7532 5.4761 0.00433 0.7829 4.9288 0.00301 0.8757 4.5252
0.00564 0.7119 6.2682 0.00519 0.7429 5.3276 0.00356 0.8636 4.8128
0.00651 0.6852 6.3609 0.00599 0.7169 5.8242 0.00416 0.8389 5.2189
0.00742 0.6591 6.6435 0.00673 0.7006 5.9600 0.00476 0.8145 5.4887

- 53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전단탄성계수 G/Gmax 감쇠비(%)

TBH-09
구속압 변형률 G/Gmax 감쇠비 구속압 변형률 G/Gmax 감쇠비 구속압 변형률 G/Gmax 감쇠비

0.00072 1.0000 3.5891 0.00062 1.0000 5.4981 0.00055 1.0000 2.4886

0.00137 0.9863 4.4222 0.00118 1.0302 3.9140 0.00106 0.9892 3.7103

0.00252 0.9281 5.9576 0.00222 0.9609 4.1926 0.00196 0.9430 5.0126

0.00364 0.8673 5.5546 0.00316 0.9331 5.7200 0.00278 0.9186 4.5154

0.00482 0.8412 7.3321 0.00421 0.8813 6.4778 0.00362 0.8814 5.6767


100 200 400
kPa kPa kPa
0.00588 0.7950 7.4280 0.00501 0.8660 6.3895 0.00442 0.8606 5.7467

0.01095 0.6523 8.0816 0.00920 0.7277 7.7547 0.00780 0.7421 7.2049

0.02246 0.4804 12.1650 0.01730 0.5930 9.6840 0.01484 0.6020 9.8312

0.05068 0.3201 14.6579 0.04102 0.3900 12.7059 0.03382 0.4093 10.5786

0.07331 0.2472 14.1035 0.05721 0.3265 13.6536 0.04449 0.3629 -

전단탄성계수 G/Gmax 감쇠비(%)

설계반영 구조물의 내진해석시 입력자료인 동적 설계지반정수 산정시 활용

- 54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진동반복삼축압축시험
개 요 지진시 발생하는 지반의 응력-변형 특성을 파악하여 지반의 액상화 저항 능력 산정

TBH-02
구 분 DA 5% DA 10%
축차응력(σd,kPa) 45 55 65 45 55 65

반복회수, N 113 13 5 118 16 7

0.23 0.28 0.33 0.23 0.28 0.33


반복전단응력비
(CSR) N=10일때 CSR= 0.295 N=10일때 CSR= 0.303
N=20일때 CSR= 0.272 N=20일때 CSR= 0.278

TBH-05
구 분 DA 5% DA 10%
축차응력(σd,kPa) 30 40 55 30 40 55

반복회수, N 56 21 6 77 30 9

0.15 0.20 0.28 0.15 0.20 0.28


반복전단응력비
(CSR) N=10일때 CSR= 0.245 N=10일때 CSR= 0.271
N=20일때 CSR= 0.201 N=20일때 CSR= 0.222

TBH-09
구 분 DA 5% DA 10%
축차응력(σd,kPa) 45 55 65 45 55 65

반복회수, N 158 22 5 162 23 6

0.23 0.28 0.33 0.23 0.28 0.33


반복전단응력비
(CSR) N=10일때 CSR= 0.302 N=10일때 CSR= 0.305
N=20일때 CSR= 0.280 N=20일때 CSR= 0.282

액상화 가능 곡선(DA=5%) 액상화 가능 곡선(DA=10%)

설계반영 진동재하횟수 10회의 액상화 저항 전단응력비(CSR)는 0.245∼0.305 범위를 보임

- 55 -
제 4 장 지반조사 결과

4.4.4 환경시험
수질분석
개 요 과업지역 해수의 해역환경기준에 따른 수질자료 획득

시험결과
시험결과
시험항목 단 위
TBH-3 TBH-10
pH - 7.8 7.7
염소이온 mg/L 20,154.2 19,694.6
황산이온 mg/L 2,285.3 2,215.4
비소 mg/L 불검출 불검출
카드뮴 mg/L 불검출 불검출
구리 mg/L 불검출 불검출
니켈 mg/L 불검출 불검출
납 mg/L 불검출 불검출
아연 mg/L 0.002 0.011
수은 mg/L 불검출 불검출
6가크롬 mg/L 불검출 불검출
시안 mg/L 불검출 불검출
총대장균군 -/mL 0 0

토양분석
목 적 해저퇴적물의 성분 분석시험을 실시하여 유해성분 정도를 판단

시험결과
우려기준 시험결과
시험항목 단 위
1지역 2지역 3지역 TBH-3(1.0~6.0m) TBH-10(1.0~6.0m)
비소 mg/kg 25 50 200 3.14 3.09
카드뮴 mg/kg 4 10 60 불검출 불검출
구리 mg/kg 150 500 2,000 1.1 불검출
니켈 mg/kg 100 200 500 9.6 8.9
납 mg/kg 200 400 700 5.8 5.4
아연 mg/kg 300 600 2,000 33.0 31.9
수은 mg/kg 4 10 20 불검출 불검출
6가크롬 mg/kg 5 15 40 불검출 불검출
시안 mg/kg 2 2 120 불검출 불검출
염소이온 mg/kg - - - 5,448.0 4,577.9
황산이온 mg/kg - - - 1,006.1 1,035.2
마그네슘 mg/kg - - - 4,529.0 4,186.6
염농도 % - - - 1.32 1.11
pH - - - - 8.0 8.1
리튬 ㎍/g - 25.305 24.704

설계반영 시험결과 해양배출처리기준, 준설토사 활용기준, 토양오염 우려기준(1지역)을 만족함

- 56 -
제 5장 부 록
5.1 위치도 및 단면도
5.2 시추주상도
5.3 현장시험
5.4 실내시험
제5장 부 록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제5장 부 록
5.1 위치도 및 단면도
5.1.1 위치도

- 57 -
제5장 부 록

5.1.2 지층단면도

- 58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5.2 시추주상도

- 59 -
제5장 부 록

- 60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61 -
제5장 부 록

- 62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63 -
제5장 부 록

- 64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65 -
제5장 부 록

5.3 현장시험
5.3.1 공내재하시험
공내재하시험(LLT)
(LLT)

- 66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5.3.2 공내전단시험
공내전단시험(BST)
(BST)

- 67 -
제5장 부 록

5.3.3 현장베인시험
현장베인시험(FVT)
(FVT)

- 68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69 -
제5장 부 록

- 70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5.3.4 피에조콘관입 및 소산시험

- 71 -
제5장 부 록

5.3.5 S-PS 검층

- 72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5.4 실내시험
5.4.1 기본물성시험

- 73 -
제5장 부 록

- 74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75 -
제5장 부 록

- 76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77 -
제5장 부 록

- 78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5.4.2 토질 역학시험

- 79 -
제5장 부 록

- 80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81 -
제5장 부 록

- 82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83 -
제5장 부 록

- 84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85 -
제5장 부 록

- 86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87 -
제5장 부 록

- 88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89 -
제5장 부 록

5.4.3 동적특성 시험

- 90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91 -
제5장 부 록

- 92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93 -
제5장 부 록

- 94 -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조사보고서((지반조사
지반조사))

- 95 -
제5장 부 록

5.4.4 환경시험

- 9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