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0

제출도서 목록

1 설계설명서

2 기본설계보고서

3 구조 및 수리계산서

4 조사보고서
조사보고서(공동제출)
조사보고서((공동제출
공동제출))

5 개별조사보고서

6 각종시험 및 실험보고서

7 기본설계도면
목 차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북측방파호안
북측방파호안(1
(1
(1・・2구간
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목 차
제1편 총 설 2.2.1 관련법규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2.2.2 국내・외 설계기준 ·
··
··
··
··
··
··
··
··
··
··
··
··
··
··
··
··
··
··
·19
제1장
제1장 총 설 2.3 설계기준 및 조건검토 ·
··
··
··
··
··
··
··
··
··
··
··
··
··
··
··
··
··
·20
1.1 기본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3.1 설계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1.2 사업의 위치 및 시설개요 ·
··
··
··
··
··
··
··
··
··
··
··
··
··
··
··
··1 2.3.2 설계고조위 ·
··
··
··
··
··
··
··
··
··
··
··
··
··
··
··
··
··
··
··
··
··
··
··
··20
1.3 분야별 착안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1 2.3.3 설계조류속 ·
··
··
··
··
··
··
··
··
··
··
··
··
··
··
··
··
··
··
··
··
··
··
··
··20
2.3.4 설계풍속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1.4 입찰안내서 설계지침 및 기본설계 반영사항 ·
··2
2.3.5 설계파랑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제2장
제2장 주요 성과요약 2.3.6 하중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2.1 항만 및 해안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3 2.3.7 고정하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2.3.8 대상선박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2.1.1 수리특성을 반영한 평면계획 ·
··
··
··
··
··
··
··
··
··
··
··3
2.3.9 안정성 검토기준 ·
··
··
··
··
··
··
··
··
··
··
··
··
··
··
··
··
··
··
··
·22
2.1.2 채택단면 제원 및 개선사항 ·
··
··
··
··
··
··
··
··
··
··
··
··4
2.3.10 침하 및 변위 기준 ·
··
··
··
··
··
··
··
··
··
··
··
··
··
··
··
··
·22
2.2 토목구조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3.11 수위조건 및 침투안정성 ·
··
··
··
··
··
··
··
··
··
··
··
··
·22
2.3 토질 및 기초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7 2.3.12 내진설계 기준 ·
··
··
··
··
··
··
··
··
··
··
··
··
··
··
··
··
··
··
··
··
·23
2.3.1 새만금지역 다층지반 특성을 반영한 2.3.13 액상화 평가기준 ·
··
··
··
··
··
··
··
··
··
··
··
··
··
··
··
··
··
··
·23
기초처리공법 ·
··
··
··
··
··
··
··
··
··
··
··
··
··
··
··
··
··
··
··
··
··
··
··
·7
2.3.14 소음 및 진동 관리기준 ·
··
··
··
··
··
··
··
··
··
··
··
··
··23
2.3.2 검토구간 특성분석 ·
··
··
··
··
··
··
··
··
··
··
··
··
··
··
··
··
··
··
··7
2.4 재료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2.3.3 기초지반 안정성 검토 및 검증 ·
··
··
··
··
··
··
··
··
··8
2.4.1 콘크리트 강도 및 마찰계수 ·
··
··
··
··
··
··
··
··
··
··
··23
2.3.4 내진 안정성 검토 ·
··
··
··
··
··
··
··
··
··
··
··
··
··
··
··
··
··
··
··
··8
2.4.2 재료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24
제3장
제3장 사용 전산 프로그램 2.4.3 철근콘크리트 허용응력 ·
··
··
··
··
··
··
··
··
··
··
··
··
··
··
·24
3.1 항만 및 해안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9 2.4.4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구조세목 ·
··
··
··
··
··
··
··
··24
2.4.5 구조용 강재의 재료 특성 ·
··
··
··
··
··
··
··
··
··
··
··
··
·25
3.2 토목 구조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9
2.4.6 구조용 강재의 허용응력도 ·
··
··
··
··
··
··
··
··
··
··
··
·25
3.3 토질 및 기초분야 ·
··
··
··
··
··
··
··
··
··
··
··
··
··
··
··
··
··
··
··
··
··
·10
2.4.7 용접부 및 접합용 강재의 허용응력 ·
··
··
··
··
·25
2.4.8 강재의 부식속도 ·
··
··
··
··
··
··
··
··
··
··
··
··
··
··
··
··
··
··
··
·25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제3장
제3장 방파호안공
3.1 기본제원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26
제1장
제1장 기초조사 3.1.1 설계고조위 결정 ·
··
··
··
··
··
··
··
··
··
··
··
··
··
··
··
··
··
··
··
·26
1.1 기상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3.1.2 마루높이 결정 ·
··
··
··
··
··
··
··
··
··
··
··
··
··
··
··
··
··
··
··
··
··
·28
1.1.1 기상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3.1.3 쇄파대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31
1.1.2 현상일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3.1.4 피복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1.1.3 기상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3.1.5 근고블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1.2 작업가능일수 ·
··
··
··
··
··
··
··
··
··
··
··
··
··
··
··
··
··
··
··
··
··
··
··
··
··14 3.1.6 유수실 및 슬릿제원 검토 ·
··
··
··
··
··
··
··
··
··
··
··
··
·35
1.2.1 대한토목학회지 ·
··
··
··
··
··
··
··
··
··
··
··
··
··
··
··
··
··
··
··
··
·14 3.1.7 세굴방지공 ·
··
··
··
··
··
··
··
··
··
··
··
··
··
··
··
··
··
··
··
··
··
··
··
··37
1.2.2 공공 건설공사의 공사기간 산정기준 ·
··
··
··
·15 3.1.8 필터매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1.2.3 작업일수 산정결과 ·
··
··
··
··
··
··
··
··
··
··
··
··
··
··
··
··
··
··17 3.1.9 제두부 규모산정 ·
··
··
··
··
··
··
··
··
··
··
··
··
··
··
··
··
··
··
··
·42
3.1.10 항내・외 수위차를 고려한 설계조건 선정 ·
·43
제2장
제2장 설계기준 3.2 단면구조형식 선정 ·
··
··
··
··
··
··
··
··
··
··
··
··
··
··
··
··
··
··
··
··
·45
2.1 입찰안내서상의 설계지침 ·
··
··
··
··
··
··
··
··
··
··
··
··
··
··
··18 3.2.1 구조형식 예비안 선정 ·
··
··
··
··
··
··
··
··
··
··
··
··
··
··
··45
2.2 설계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3.2.2 구간별 구조형식 최적안 단면선정 ·
··
··
··
··
··
·46

-ⅰ-
목 차 1
3.3 채택안 구간별 안정검토 ·
··
··
··
··
··
··
··
··
··
··
··
··
··
··
··
··48 제 3 편 토목구조
3.3.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제1장
제1장 설계기준
3.3.2 제간부(1-2)구간 안정검토 ·
··
··
··
··
··
··
··
··
··
··
·49
1.1 기본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7
3.3.3 제간부(1-2) 간이접안시설구간 안정검토 ·
·67
1.2 설계 착안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127
3.3.4 제두부(1-1)구간 안정검토 ·
··
··
··
··
··
··
··
··
··
··
·70
1.3 적용 설계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128
3.3.5 방파호안(2-1)구간 안정검토 ·
··
··
··
··
··
··
··
··
··85
1.3.1 설계기준 주요내용 ·
··
··
··
··
··
··
··
··
··
··
··
··
··
··
··
··
·128
3.3.6 방파호안(2-2)구간 안정검토 ·
··
··
··
··
··
··
··
··
··92
1.3.2 케이슨 설계흐름도 ·
··
··
··
··
··
··
··
··
··
··
··
··
··
··
··
··
·128
제4장
제4장 관리부두 1.3.3 연락도교 설계흐름도 ·
··
··
··
··
··
··
··
··
··
··
··
··
··
··
··129
4.1 관리부두 소요규모 산정 ·
··
··
··
··
··
··
··
··
··
··
··
··
··
··
··
··99 1.3.4 적용 설계법 ·
··
··
··
··
··
··
··
··
··
··
··
··
··
··
··
··
··
··
··
··
··
··129
4.1.1 관공선 및 역무선 척수 추정 ·
··
··
··
··
··
··
··
··
··
··99 1.3.5 하중조합 및 하중계수 ·
··
··
··
··
··
··
··
··
··
··
··
··
··
··130
1.3.6 구조해석 방법 ·
··
··
··
··
··
··
··
··
··
··
··
··
··
··
··
··
··
··
··
··
·131
4.1.2 관공선 및 역무선 제원 ·
··
··
··
··
··
··
··
··
··
··
··
··
··100
4.1.3 관리부두 선석연장 ·
··
··
··
··
··
··
··
··
··
··
··
··
··
··
··
··
·100 1.4 구조물 내구성 및 안전성 설계기준 ·
··
··
··
··
··
··133

4.1.4 박지면적 산정 ·
··
··
··
··
··
··
··
··
··
··
··
··
··
··
··
··
··
··
··
··
·101 1.4.1 목표내구수명 ·
··
··
··
··
··
··
··
··
··
··
··
··
··
··
··
··
··
··
··
··
··133
1.4.2 내구성 허용기준 ·
··
··
··
··
··
··
··
··
··
··
··
··
··
··
··
··
··
··
·133
4.2 부잔교 설계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1.4.3 염해 설계기준 ·
··
··
··
··
··
··
··
··
··
··
··
··
··
··
··
··
··
··
··
··
·133
4.2.1 함선에 작용하는 외력계산 ·
··
··
··
··
··
··
··
··
··
··
·101
·
1.4.4 철근 피복두께 ··
··
··
··
··
··
··
··
··
··
··
··
··
··
··
··
··
··
··
··
·134
4.2.2 계류체인 검토 ·
··
··
··
··
··
··
··
··
··
··
··
··
··
··
··
··
··
··
··
··
·106
1.4.5 균열 검토 기준 ·
··
··
··
··
··
··
··
··
··
··
··
··
··
··
··
··
··
··
··
·134
4.2.3 함선 안정성 검토 ·
··
··
··
··
··
··
··
··
··
··
··
··
··
··
··
··
··
·108
1.4.6 처짐 검토 기준 ·
··
··
··
··
··
··
··
··
··
··
··
··
··
··
··
··
··
··
··
·134
4.2.4 오토텐션 윈치와이어 시스템 적용 검토 ·
·109 1.4.7 사용재료특성 ·
··
··
··
··
··
··
··
··
··
··
··
··
··
··
··
··
··
··
··
··
··134
4.2.5 고정시설 비교 검토 ·
··
··
··
··
··
··
··
··
··
··
··
··
··
··
··
··111 1.4.8 철근의 정착 및 겹이음길이 ·
··
··
··
··
··
··
··
··
··
·135
4.3 교대 안정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112 1.4.9 온도균열지수 평가기준 ·
··
··
··
··
··
··
··
··
··
··
··
··
··135
4.3.1 표준단면도 ·
··
··
··
··
··
··
··
··
··
··
··
··
··
··
··
··
··
··
··
··
··
··
··112 1.4.10 내진설계기준 ·
··
··
··
··
··
··
··
··
··
··
··
··
··
··
··
··
··
··
··
··135
4.3.2 안정검토 결과 요약 ·
··
··
··
··
··
··
··
··
··
··
··
··
··
··
··
··112
제2장
제2장 구조물 단면 설계
4.3.3 설계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112
2.1 제간부 케이슨 ·
··
··
··
··
··
··
··
··
··
··
··
··
··
··
··
··
··
··
··
··
··
··
··136
4.3.4 자중에 의한 연직력 및 저항모멘트 ·
··
··
··
·113
2.1.1 단면제원 및 주요부재 명칭 ·
··
··
··
··
··
··
··
··
··
·136
4.3.5 상재하중 ·
··
··
··
··
··
··
··
··
··
··
··
··
··
··
··
··
··
··
··
··
··
··
··
··
·113
2.1.2 구조물 유한요소 해석방법 ·
··
··
··
··
··
··
··
··
··
··
·136
4.3.6 도교에 의한 수평력 ·
··
··
··
··
··
··
··
··
··
··
··
··
··
··
··
··114
2.1.3 단계별 하중조건 및 지반반력계수 ·
··
··
··
··
·137
4.3.7 파압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114 ·
2.1.4 제간부 케이슨 단면설계 ··
··
··
··
··
··
··
··
··
··
··
··
·138
4.3.8 토압 및 모멘트 ·
··
··
··
··
··
··
··
··
··
··
··
··
··
··
··
··
··
··
··
·116 2.1.5 제간부 케이슨 주철근 조립도 ·
··
··
··
··
··
··
··
··159
4.3.9 안정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118 2.2 제두부 케이슨 ·
··
··
··
··
··
··
··
··
··
··
··
··
··
··
··
··
··
··
··
··
··
··
··160

제5장
제5장 부대시설 2.2.1 단면제원 및 주요부재 명칭 ·
··
··
··
··
··
··
··
··
··
·160
2.2.2 제두부 케이슨 단면설계 ·
··
··
··
··
··
··
··
··
··
··
··
··
·160
5.1 제작장 및 적출장 ·
··
··
··
··
··
··
··
··
··
··
··
··
··
··
··
··
··
··
··
··122
2.3 연락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3
5.1.1 제작장 및 적출장 ·
··
··
··
··
··
··
··
··
··
··
··
··
··
··
··
··
··
·122
2.3.1 구조물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173
5.1.2 케이슨 제작배치 및 인양계획 ·
··
··
··
··
··
··
··
··122
2.3.2 경계조건 설정 ·
··
··
··
··
··
··
··
··
··
··
··
··
··
··
··
··
··
··
··
··
·173
5.1.3 적출장 운영계획 ·
··
··
··
··
··
··
··
··
··
··
··
··
··
··
··
··
··
··
·122
2.3.3 설계하중 ·
··
··
··
··
··
··
··
··
··
··
··
··
··
··
··
··
··
··
··
··
··
··
··
··
·174
5.1.4 케이슨 제작장 안정검토 ·
··
··
··
··
··
··
··
··
··
··
··
··
·123
2.3.4 연락도교 단면력 ·
··
··
··
··
··
··
··
··
··
··
··
··
··
··
··
··
··
··
·175
5.2 공사용 등부표 ·
··
··
··
··
··
··
··
··
··
··
··
··
··
··
··
··
··
··
··
··
··
··
··124 2.3.5 연락도교 단면설계 ·
··
··
··
··
··
··
··
··
··
··
··
··
··
··
··
··
·179
5.3 등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4 2.4 상치콘크리트 ·
··
··
··
··
··
··
··
··
··
··
··
··
··
··
··
··
··
··
··
··
··
··
··
·180
5.3.1 설계 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124
2.4.1 구조물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180
5.3.2 등고 결정 ·
··
··
··
··
··
··
··
··
··
··
··
··
··
··
··
··
··
··
··
··
··
··
··
··124 2.4.2 파라펫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180
5.4 전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5 2.4.3 유수실 상치 검토 ·
··
··
··
··
··
··
··
··
··
··
··
··
··
··
··
··
··
·180

-ⅱ-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
북측방파호안(1・2구간)
북측방파호안(1
(1
(1・・2구간
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2.5 유수실 덮개블록 ·


··
··
··
··
··
··
··
··
··
··
··
··
··
··
··
··
··
··
··
··
··181 3.15 받침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204
2.6 등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1 3.16 근고블록 안전성 검토 ·
··
··
··
··
··
··
··
··
··
··
··
··
··
··
··
·204

제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제3장 제4장 가설 구조물 설계
제4장
3.1 케이슨 부재 단면 최적화 ·
··
··
··
··
··
··
··
··
··
··
··
··
··
··182 4.1 상치콘크리트 가시설 ·
··
··
··
··
··
··
··
··
··
··
··
··
··
··
··
··
··
·205
3.2 케이슨 부재 안전성 검토 ·
··
··
··
··
··
··
··
··
··
··
··
··
··
··182
4.2 연락도교 인양용 Lug ·
··
··
··
··
··
··
··
··
··
··
··
··
··
··
··
··
··205
3.2.1 계산수표 불균형 모멘트 보정 ·
··
··
··
··
··
··
··
··182
4.3 차수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6
3.2.2 격벽 발출 검토 ·
··
··
··
··
··
··
··
··
··
··
··
··
··
··
··
··
··
··
··183
·
3.2.3 지반지지력 불균형에 따른 안전성 검토 ·
·183 4.4 케이슨 예인고리 설치부 응력검토 ·
··
··
··
··
··
··
··207

3.3 케이슨 시공단계별 구조 검토 ·


··
··
··
··
··
··
··
··
··
··
·184 4.5 근고블록 들고리 검토 ·
··
··
··
··
··
··
··
··
··
··
··
··
··
··
··
··
·207
3.3.1 거치시 벽체 안전성 검토 ·
··
··
··
··
··
··
··
··
··
··
··
·184 4.6 T.T.P 소파블록 인양시 검토 ·
··
··
··
··
··
··
··
··
··
··
·207
3.3.2 속채움시 벽체 안전성 검토 ·
··
··
··
··
··
··
··
··
··
·184
4.7 조금구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208
3.3.3 완성시 축력에 의한 벽체 안전성 검토 ·
··184
4.8 케이슨 인양시 들고리 검토 ·
··
··
··
··
··
··
··
··
··
··
··
··208
3.4 편파압에 따른 벽체 안전성 검토 ·
··
··
··
··
··
··
··
··185
3.5 표류물 충돌시 케이슨 안전성 검토 ·
··
··
··
··
··
··185
3.6 케이슨 저판 2방향 전단검토 ·
··
··
··
··
··
··
··
··
··
··
··185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7 콘크리트 재령강도를 고려한 부재검토 ·
··
··
··
·186 제
제1장
1장 설계개요
3.8 정적 내진해석 ·
··
··
··
··
··
··
··
··
··
··
··
··
··
··
··
··
··
··
··
··
··
··
··186 1.1 기본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9
3.9 내구성 설계 ·
··
··
··
··
··
··
··
··
··
··
··
··
··
··
··
··
··
··
··
··
··
··
··
··187
· 1.2 설계 중점고려사항 ·
··
··
··
··
··
··
··
··
··
··
··
··
··
··
··
··
··
··
··
·209
3.9.1 정량적 내구성 설계 ·
··
··
··
··
··
··
··
··
··
··
··
··
··
··
··
··187 1.3 설계지반정수 ·
··
··
··
··
··
··
··
··
··
··
··
··
··
··
··
··
··
··
··
··
··
··
··
·210
3.9.2 염분침투해석 ·
··
··
··
··
··
··
··
··
··
··
··
··
··
··
··
··
··
··
··
··
··188
1.3.1 설계지반정수 산정 방법 ·
··
··
··
··
··
··
··
··
··
··
··
··
·210
3.9.3 탄산화 및 동해 내구성 평가 ·
··
··
··
··
··
··
··
··
··189
1.3.2 적용 설계지반정수 ·
··
··
··
··
··
··
··
··
··
··
··
··
··
··
··
··
·210
3.9.4 수화열 해석 ·
··
··
··
··
··
··
··
··
··
··
··
··
··
··
··
··
··
··
··
··
··
··190
1.4 준설모래 특성 및 오염도 분석 ·
··
··
··
··
··
··
··
··
··
·211
3.10 안전성 설계 ·
··
··
··
··
··
··
··
··
··
··
··
··
··
··
··
··
··
··
··
··
··
··
··192
·
3.10.1 응력집중부 검토 ·
··
··
··
··
··
··
··
··
··
··
··
··
··
··
··
··
··
·192 제
제2장
2장 설계기준의 적정성
3.10.2 동적파압에 의한 케이슨 구조 및
2.1 설계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2
피로안전성 검토 ·
··
··
··
··
··
··
··
··
··
··
··
··
··
··
··
··
··193
·
3.10.3 비선형 균열해석 ·
··
··
··
··
··
··
··
··
··
··
··
··
··
··
··
··
··
·195 2.2 안정성 검토 기준 ·
··
··
··
··
··
··
··
··
··
··
··
··
··
··
··
··
··
··
··
··213
3.10.4 소파블록 충돌에 의한 케이슨 안전성 2.2.1 활동 및 지지력 안전율 ·
··
··
··
··
··
··
··
··
··
··
··
··
··213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7
2.2.2 침하 및 변위 기준 ·
··
··
··
··
··
··
··
··
··
··
··
··
··
··
··
··
·213
3.11 FSSI(유체-구조물-지반 상호작용)
2.3 안정성 검토 조건 ·
··
··
··
··
··
··
··
··
··
··
··
··
··
··
··
··
··
··
··
··214
내진해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198
·
2.3.1 하중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214
3.12 역량스펙트럼을 고려한 내진성능평가 ·
··
··
··200
2.3.2 수위조건 및 침투안정성 ·
··
··
··
··
··
··
··
··
··
··
··
··
·214
3.13 상치 구조물 ·
··
··
··
··
··
··
··
··
··
··
··
··
··
··
··
··
··
··
··
··
··
··
··
·201
2.3.3 재료의 단위중량 및 강도정수 ·
··
··
··
··
··
··
··
··214
3.13.1 상치설계 ·
··
··
··
··
··
··
··
··
··
··
··
··
··
··
··
··
··
··
··
··
··
··
··
·201
2.4 내진설계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215
3.13.2 상치콘크리트 신축량 해석 ·
··
··
··
··
··
··
··
··
··
·201
2.4.1 내진등급 및 성능기준 ·
··
··
··
··
··
··
··
··
··
··
··
··
··
··215
3.13.3 부등건조수축해석 ·
··
··
··
··
··
··
··
··
··
··
··
··
··
··
··
··202
·
2.4.2 액상화 평가기준 ·
··
··
··
··
··
··
··
··
··
··
··
··
··
··
··
··
··
··
·215
3.14 연락도교 부재 설계 ·
··
··
··
··
··
··
··
··
··
··
··
··
··
··
··
··
··
·203
2.5 소음 및 진동 관리기준 ·
··
··
··
··
··
··
··
··
··
··
··
··
··
··
··
·215
3.14.1 연락도교 힌지부 국부해석 ·
··
··
··
··
··
··
··
··
··
·203
3.14.2 솟음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203
· 2.6 내구성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216
3.14.3 처짐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203 2.6.1 DCM 개량체 내구성 ·
··
··
··
··
··
··
··
··
··
··
··
··
··
··
··216
3.14.4 용접부 검토 ·
··
··
··
··
··
··
··
··
··
··
··
··
··
··
··
··
··
··
··
··
··204

-ⅲ-
목 차 1
2.6.2 사석재 유용성 품질기준 및 품질시험 ·
··
·216
제4장 내진 안정성 검토
제4장
제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제3장 4.1 설계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0
3.1 설계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7 4.2 내진설계 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271
3.2 기초처리 필요성 검토 ·
··
··
··
··
··
··
··
··
··
··
··
··
··
··
··
··
·218 4.2.1 개정된 내진설계기준 분석 ·
··
··
··
··
··
··
··
··
··
··
·271
3.2.1 구간별 지반특성 및 검토단면 선정 ·
··
··
··
·218 4.2.2 내진등급 및 성능수준 ·
··
··
··
··
··
··
··
··
··
··
··
··
··
··271
3.2.2 무처리시 원호활동 검토 ·
··
··
··
··
··
··
··
··
··
··
··
··220
· 4.2.3 설계지반운동 ·
··
··
··
··
··
··
··
··
··
··
··
··
··
··
··
··
··
··
··
··
··272
3.2.3 무처리시 지지력 검토 ·
··
··
··
··
··
··
··
··
··
··
··
··
··
··221 4.3 설계지진파 생성 및 보정 ·
··
··
··
··
··
··
··
··
··
··
··
··
··
··273
3.2.4 무처리시 침하안정성 검토 ·
··
··
··
··
··
··
··
··
··
··
·222 4.3.1 인공지진파 생성 ·
··
··
··
··
··
··
··
··
··
··
··
··
··
··
··
··
··
··
·273
3.2.5 무처리시 액상화 안정성 검토 ·
··
··
··
··
··
··
··
··223 4.3.2 실지진기록을 활용한 지진파 보정 ·
··
··
··
··
·274
3.2.6 기초지반처리 필요구간 결정 ·
··
··
··
··
··
··
··
··
··223 4.3.3 지진응답해석 ·
··
··
··
··
··
··
··
··
··
··
··
··
··
··
··
··
··
··
··
··
··275
3.3 기초지반 처리공법 선정 ·
··
··
··
··
··
··
··
··
··
··
··
··
··
··
··224 4.4 내진 안정성 검토 ·
··
··
··
··
··
··
··
··
··
··
··
··
··
··
··
··
··
··
··
··278
3.3.1 기초지반 처리공법 선정기준 설정 ·
··
··
··
··
·224 4.4.1 DCM 안정성 검토결과 ·
··
··
··
··
··
··
··
··
··
··
··
··
··
·278
3.3.2 기초지반 처리공법 예비검토 ·
··
··
··
··
··
··
··
··
··225 4.4.2 등가정적해석에 의한 내진 안정성 검토 ·
·278
3.3.3 기초지반 처리공법 선정 ·
··
··
··
··
··
··
··
··
··
··
··
··
·225 4.4.3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내진 안정성 검토 ·
·279
3.4 기초지반 처리공법 상세설계 ·
··
··
··
··
··
··
··
··
··
··
··226
· 4.5 액상화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280
3.4.1 개량체 설계기준강도 ·
··
··
··
··
··
··
··
··
··
··
··
··
··
··
··226 4.5.1 액상화 평가 기준 ·
··
··
··
··
··
··
··
··
··
··
··
··
··
··
··
··
··
·280
3.4.2 개량형식 선정 ·
··
··
··
··
··
··
··
··
··
··
··
··
··
··
··
··
··
··
··
··
·227 4.5.2 액상화 평가방법 ·
··
··
··
··
··
··
··
··
··
··
··
··
··
··
··
··
··
··
·280
3.4.3 개량체 허용응력 산정 ·
··
··
··
··
··
··
··
··
··
··
··
··
··
··229 4.5.3 액상화 가능성 평가 ·
··
··
··
··
··
··
··
··
··
··
··
··
··
··
··
··281
3.4.4 기초처리공법 최적 개량형태 결정 ·
··
··
··
··
·230 4.5.4 동적 유효응력해석 ·
··
··
··
··
··
··
··
··
··
··
··
··
··
··
··
··
·283
3.4.5 상부구조물 형식에 따른 지지층 결정 ·
··
·231
3.4.6 접속부 기초처리 계획 ·
··
··
··
··
··
··
··
··
··
··
··
··
··
··232 제
제5장
5장 계측계획의 적정성
3.5 기초지반 처리공법 안정성 검토 ·
··
··
··
··
··
··
··
··
·233 5.1 설계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0
3.5.1 검토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233
· 5.2 계측항목 및 계측기 배치의 적정성 ·
··
··
··
··
··
··291
3.5.2 안정성 검토 방법 ·
··
··
··
··
··
··
··
··
··
··
··
··
··
··
··
··
··
·234 5.2.1 계측항목 선정 ·
··
··
··
··
··
··
··
··
··
··
··
··
··
··
··
··
··
··
··
··
·291
3.5.3 구간별 안정성 검토 ·
··
··
··
··
··
··
··
··
··
··
··
··
··
··
··
··238 5.2.2 계측기 배치계획 ·
··
··
··
··
··
··
··
··
··
··
··
··
··
··
··
··
··
··
·292
3.5.4 수치해석에 의한 안정성 검토 ·
··
··
··
··
··
··
··
··245 5.3 계측관리계획의 적정성 ·
··
··
··
··
··
··
··
··
··
··
··
··
··
··
··
·293
3.6 DCM 처리지반 신뢰성 설계 ·
··
··
··
··
··
··
··
··
··
··
··
·249 5.3.1 계측관리기준 및 주기 설정 ·
··
··
··
··
··
··
··
··
··
·293
3.6.1 신뢰성 해석 목적 및 평가 방법 ·
··
··
··
··
··
··249 5.3.2 유지관리 계측계획 ·
··
··
··
··
··
··
··
··
··
··
··
··
··
··
··
··
·294
3.6.2 DCM 격자식 배치형태에 대한 위험도 5.3.3 시공전・후 확인조사 및 품질관리 계획 ·
··295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0
3.6.3 DCM 말뚝식 배치형태에 대한 위험도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3
3.7 DCM 처리지반의 정밀 구조체 해석 ·
··
··
··
··
··
·255
3.7.1 해석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255
·
3.7.2 해석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256
3.8 응력분담비 산정 ·
··
··
··
··
··
··
··
··
··
··
··
··
··
··
··
··
··
··
··
··
··263
3.8.1 검토 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263
3.8.2 응력분담비 산정 ·
··
··
··
··
··
··
··
··
··
··
··
··
··
··
··
··
··
··263
·
3.9 침투해석을 통한 파이핑 안정성 검토 ·
··
··
··
··
·266
3.10 부상토 처리계획 ·
··
··
··
··
··
··
··
··
··
··
··
··
··
··
··
··
··
··
··
··267
3.11 DCM 품질확보 방안 ·
··
··
··
··
··
··
··
··
··
··
··
··
··
··
··
··
·269

-ⅳ-
제 1편 총 설
제1장 총 설
제2장 주요 성과요약
제3장 사용 전산 프로그램
제1편 총 설 제
제1장
1장 총 설

제1장 총 설
1.1 기본방향
상향 설계파에 안정한 방파호안 현장조건을 고려한 고품질 지반개량
월파 적극저지를 위한 마루높이 증고 최적의 지지층 기준을 강화한 고품질 지반개량
내파 안정성을 강화한 단면계획 수립 새만금 신항만 부상토 확산방지 및 유용계획 수립
월파 적극저지 및 배후부지 이용성 강화 방파호안 재료원 및 작업장 다양화
준설토 유출 방지 대책 수립 건설 현장여건에 적합한 시공계획 수립
장래 매립에 대비한 방파호안 해상 시공성 개선 및 여유공기 확보

1.2 사업의 위치 및 시설개요

1.3 분야별 착안사항


항만 및 해안 토목구조 토질 및 기초 토목시공 / 환경
설계파 등 설계기준 상향 내구1등급 적용으로 내진등급 등 강화된 설계 재료원 다원화로 안정적인
적용으로 시설 안전성 극대화 내구수명 100년 확보 기준 적용으로 안정성 강화 석재원 수급 및 공급 확대
기존시설 안정성 개선, 내진Ⅰ등급 적용으로 DCM 시공법 개선으로 케이슨 육상 제작으로
장래 2단계 시설 이용성・ 내진안전성 확보 고품질 DCM 개량체 형성 상시작업 및 작업 효율성
안정성 제고 특화해석 수행으로 부상토 유용방안 수립 및 증대
장래 이설, 유지관리 용이한 해양환경과 재난에 대한 DCM 시공전 모래포설로 환경친화적인 생태해중림
관리부두 형식 선정 유지관리 최소화 부상토 확산 최소화 및 조류 쉼터 도입

-1 -
제1편 총 설

1.4 입찰안내서 설계지침 및 기본설계 반영사항


구분 입찰안내서 설계지침 기본설계 반영
구조형식(단면)은 안정성, 안전성 및 내구성, 경제성, 시공성 연파제어형 슬릿케이슨 내파안전성 강화
등을 고려하여 단면을 제시하고, 장래 계획과 연계하여 접속부 소파블록 피복경사제 장래계획의 연계성 우수
처리에 지장이 없도록 계획한다. 마루높이 상향(DL.(+)13.20m) 반파형
파랑 및 조류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며, 특히 상치적용으로 월파 적극저지
세굴에 대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초저면 Berm Type(피복석+저면매트)세굴방지공
세굴방지대책등을 강구한다. 설치로 파랑과 유속에 대한 제체 안정성 확보

항만 관리부두(1단계)는 새만금 신항 1단계 운영에 필요한 관공선 확장・이전이 용이하도록 함선고정시설을


및 역무선 등의 운영에 필요한 부잔교 시설로, 장래 2단계 자동위치 조절형 고정방식 적용
개발시 관리부두(2단계)로 확장․이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장래 AMP 설치 또는 조명등 시설 설치를 고려한 하중 및 배관 장래 AMP 및 부속시설 설치를 고려한 하중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반영 및 케이블 트레이 설치
관리부두를 이용하는 대상선박을 고려하여 상시, 기상악화시 상시, 태풍시에 대한 관리부두 운영기준
등에 대응하기 위한 필요한 피항대책 등 "관리부두운영기준 제안과 피항지역으로 가력도항을 제안
(예 : 파고, 바람)"을 제시한다.
당해 시설공사와 관련된 시설물은 해양환경에 노출되어 부식 및 방식에 대한 대책방안과
설치되는 시설물로 부식 및 방식에 대한 대책방안과 항만구조물로서 내구년수가 확보될 수
구조 항만구조물로서 내구년수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해당 재료별 있도록 정량적 내구성 사례 및
내구년수 기준을 제시하여야 하며 이를 설계도서에 수록하여야 염분침투해석과 방청제 적용을 통한 해당
한다. 재료별 내구년수 기준을 제시
수심측량 및 지층탐사, 지반조사 등 추가조사를 필요로 하는 공동시추조사 10공과 실내시험 수행 및
현지조사는 공동으로 시행한다. 진동대, 원심모형실험 등 특화개별실험 수행
설계기준은 최신기준 비교・검토한 후 기초의 수평변위, 침하량 입찰안내서 및 최신설계기준 분석을 통해
등에 대하여 적합한 근거 및 기준을 제시한다. 수평변위 등 강화된 설계기준 적용
시설물이 침하, 액상화 등으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기초지반처리 전・후의 간편/상세 평가 및
적정한 기초처리공법 적용한다. 액상화 발생지수(LPI) 분석 수행
기존시설물과 접속부 처리계획 수립, 장래부지이용계획을 3구간 접속부 추가개량을 통한 안정성 확보
고려하고, 후속 개발사업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는 기초처리 장래진입로 및 시설하중을 고려하여
토질
계획을 수립한다. 하중조건 상향(10kN→15kN)적용
지반개량공법으로 융기토, 부상토, 슬라임이 발생되는 공법을 부상토 발생억제(모래포설) 및 부상토유용
제안할 경우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유용토록 계획한다. (시멘트 추가 교반)계획 수립
KS 및 Q마크 GR마크(녹색제품) 표시품을 우선 사용 심층혼합처리공법의 친환경 고화재 도입
새만금 지역의 지진발생 사례, 현장여건, 구조물 형식 등을 국내지진발생 현황 및 내진설계기준을
고려하여 설계기준 이상의 적정 내진등급을 선정하여 설계한다. 분석하여 내진등급 상향(Ⅱ→Ⅰ등급)적용
시공 및 유지관리시 현장지반과 구조물의 거동특성을 파악하여 IoT 자동화 계측 시스템 도입으로 시공시
시공 전・후의 지반조사와 연계된 계측관리계획을 수립한다. 실시간 계측 및 유지관리
인접현장 공사간섭 방지 및 케이슨 제작을
본 공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공사용 작업장 및 적출장
위한 안정적 제작장 확보
시공 계획을 비롯한 공사용 가시설 필요시 이에 대한 합리적인 계획
블록, 석재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추가
및 설계를 수행한다.
적출장 2개소 확보
공사시 비산먼지, 매연 등에 의한 대기오염과 해양오염에 따른 공사시 환경영향 최소화를 위하여
생태계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세륜시설 등 방지대책을 자동세륜세차시설, 자동 소음 경보장치,
강구한다. 폐유저장고, 오수처리시설을 계획함
환경
공사시 비산먼지, 매연 등에 의한 대기오염과 해양오염에 따른 해양수질 오염방지를 위해 3중 부유사
생태계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세륜시설 등 방지대책을 확산방지공, 드론촬영을 통한 부유사 모니터링,
강구한다. 실시간 다항목 자동수질 측정기를 계획함

-2 -

제2장
2장 주요 성과요약

제 2 장 주요 성과요약
2.1 항만 및 해안분야
2.1.1 수리특성을 반영한 평면계획
구간별 특성분석

구간별 착안사항
제두부구간 내파안정성 강화구간
회절파 유입에 의한 항내 정온도 불량 최대파고 및 경사입사파 내습으로 연파발생
회절파 차단으로 항내정온도 개선 내파안정성 강화 및 저반사, 연파제어형 단면계획
새만금 신항 진입항로 간섭 우려 장래 2단계 개발시 1구간 내측 관리부두 계획
항로 간섭 최소화로 통항 안전성 강화 항내 수역 확보로 관리부두 이용성 개선

연파소산구간 관리부두
항・내외 경사입사파 내습에 의한 연파발생 장래 2단계 개발시 관리부두 이설필요
평면적 연파차단, 단면적 연파제어 대책 수립 이설・확장이 용이한 시설계획
장래 2단계 개발시 2구간 배면 매립 장래 유용을 위한 충분한 내구년수 확보 필요
월파 저지 및 준설토 유출방지 대책 수립 강재함선 적용 및 3중 부식방지대책 수립

방파호안 1구간
1구간 케이슨 혼성제 필요성
1구간 최대파고 출현 인접시설 간섭 최소화

1구간 최대파고 출현 및 인접시설 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케이슨 혼성제적용


설계적용
내파안전성 강화 및 시공성·이용성 개선

-3 -
제1편 총 설

2.1.2 채택단면 제원 및 개선사항


방파호안 1
1구간
구간

구 분 기본조사 기본설계
H1/3=2.30m, T1/3=10.96s, 50년 빈도 H1/3=3.50m, T1/3=13.20s, 비태풍파
설 계 파 랑
1.20m 상향, 설계기준 강화
사석경사제 연파제어형 요철 케이슨혼성제
구조형식 이상파랑 내습시 피복석 이탈, 월파 과다 연파 제어 및 월파 저감 효과가 우수 하며,
발생으로 제체 안정성 미확보 일체거동으로 내파안정성 강화
DL.(+)13.20m [3.0m 증고]
DL.(+)10.20m
마루높이 마루높이 증고에 따른 월파저지로 항내정온도
월파로 인한 전달파 과다로 항내 정온 불량
개선[월파량 97%저감]
단순 직립형 상치 파력 저감 복합사면 반파형 상치형상 도입
상치형상 월파 및 파압 과다로 제체 안정성 불리, 친수 파력분산, 위상차 유도로 내파안정성 확보 및
및 경관성 불리 월파 저지 우수
피복석 0.6m3급 피복 연파제어형 요철 오픈슬릿 유수실
소 항외측
중량 미확보 및 연파저감효과 미흡 경사입사파에 대한 연파 저감 우수
피복석 0.2m3급 피복 복합 요철형 슬릿 유수실
파 항내측
중량 미확보 및 반사파 저감효과 미흡 항내 다중 반사파 저감 우수
사석사용량 과다 및 파랑에 의한 사석 유실 최대파고 구간 저심도 사석 마운드 조성
기초사석
2차적 환경 피해 유발 우려 사석 유실 및 2차적 환경피해 방지
지반개량 폭 과다 및 부상토 확산방지 대책 케이슨제 적용으로 지반개량 최적화 및 부상토
지반개량 미수립 확산방지 모래포설
친환경 고품질 기초처리
임 시 미반영 항내측 임시계류시설 설치(L=18.1m)
계류시설 장거리(1.9km) 육상이동에 따른 접근 불리 유지관리시 접근 용이
미반영 제두부 3면 오픈슬릿 케이슨 및 충돌방지공
선박통항
사석경사제로 항로 간섭 우려 케이슨 혼성제로 항로 간섭 최소화
안전시설
선박운항자 심리적 불안감 해소
경 관 성 독창성을 반영한 구간별 경관계획 도입
단순 사각 상치로 경관 및 친환경시설 미흡
환 경 성 항내・외 생태해중림 조성
안 전 안전・편의시설 미흡 구간별 안전・편의시설 배치
편의시 설 이용자 안전사고 발생 우려 안전사고 방지, 편의성 극대화

-4 -

제2장
2장 주요 성과요약

방파호안 2
2구간
구간

구 분 기본조사 기본설계
H1/3=2.30m, T1/3=10.96s, 50년 빈도 H1/3=2.80~3.20m, T1/3=13.20s, 비태풍파
설계파랑
최대 0.90m 상향, 설계기준 강화
허용월파량 0.02m3/m・s(기타중요지역) 0.01m3/m・s(중대재해예상지역)
사석경사제 소파블록 피복 경사제
구조형식
경사입사파에 의한 연파제어기능 미흡 경사입사파에 의한 연파제어기능 우수
DL.(+)10.20m DL.(+)13.20m [3.0m 증고]
마루높이 월파로 배후지 피해발생 우려 마루높이 증고에 따른 월파저지로 배후지 안정성
확보 [월파량 0.008m3/m・s]
단순 직립형 상치 파력 저감 복합사면 반파형 상치형상 도입
상치형상 월파 및 파압 과다로 제체 안정성 불리, 친수 파력분산, 위상차 유도로 내파안정성 확보 및
및 경관성 불리 월파 저지 우수
피복석 0.6m3급 피복 소파블록 2층 피복(5톤급, 10톤급)
피 항외측
중량 미확보 및 연파제어기능 미흡 내파안정성 강화 및 연파제어기능 우수

재 피복석 0.2m3급 피복 피복석 0.4m3급 피복
항내측
내측파랑에 의한 피복석 및 사석유실 내측파랑에 의한 제체사석 흡출방지
피복석 0.2m3급+저면매트 피복석 1.0m3급+저면매트+DCM부상토
세굴방지공
저조위시 파랑에 의한 피복석 이탈 저조위시 파랑에 의한 세굴방지
미반영 돌출제 설치
돌 출 제 상향 설계파에 따른 기존 3구간 피복재 중량 경사입사파 에너지 제어로 3구간 월파차단
미확보로 피복재 피해 우려 피복재 피해 방지
미반영 필터사석+필터매트(100kN/m)+보호압사석
준 설 토
장래 2구간 준설토 투기시 준설토 유출방지공 국가재정절감(65억원), 수토용량 증대
유출방지공
설치 (80,000m3)
독창성을 반영한 구간별 경관계획 도입
친수/경관 단순 사각 상치로 경관 및 친환경시설 미흡
돌출광장 전망대 설치

-5 -
제1편 총 설

2.2 토목구조분야

구 분 기본조사 분석 기본설계 반영사항


강도설계법 강도설계법 한계상태설계법
구 조 물 설 계 법
허용응력설계법 허용응력설계법
케 이 슨 없음 35MPa
설계 상 치 콘 크 리 트 30MPa(무근) 35MPa(철근)
강도 강 재 SM400 HSB500
철 근 400MPa 400MPa
균열 강 도 설 계 법 미수행 주철근 간격검토, 허용 균열폭 검토
검토 한계상태설계법 미수행 사용한계상태 균열폭 검토
혼합시멘트 보통포틀랜드시멘트 3성분계시멘트+방청제
내구 피 복 두 께 80mm 100mm
성능 내 구 성 설 계 미수행 정량적 내구성설계, 염분침투해석
균 열 제 어 미수행 수화열해석, 비선형균열해석
내 진 등 급 내진Ⅱ등급 내진Ⅰ등급
내진
지 진 응 답 미수행 내진성능평가
성능
동 적 해 석 미수행 FSSI 내진해석

염분침투해석 내구성 설계 비선형균열해석 수화열해석

응력집중부해석 FSSI해석 동파력에 의한 피로해석 소파제 케이슨 충돌 해석

-6 -

제2장
2장 주요 성과요약

2.3 토질 및 기초분야
2.3.1 새만금지역 다층지반 특성을 반영한 기초처리공법
구역구분 및 인근기초처리현황

상부 구조물 형식과 지층특성을 고려하여 연파제어형 요철 케이슨 및 소파블록 피복 경사제 구간으로 구분

구 분 국내항만 기초처리 시공사례 적용성


치 환 공 법 대산항 부두공사 외 3개소 경제성, 시공성 불리
심층혼합처리공법 새만금 신항방파제 외 8개소
다층지반 및 연약층
모래다짐말뚝공법 부산신항만 방파제 외 1개소
깊은구간 적용성 우수
고압분사주입공법 포항 영일만 북방파제 외 2개소

상부 구조물 특성을 반영한 DCM 공법


Ⅰ구간(제두부) Ⅰ구간(제간부) Ⅱ구간

DCM 블록+격자식(55~43%) DCM 블록+격자식(53~43%) DCM 말뚝식(37%)

2.3.2 검토구간 특성분석

다층지반의 분포특성을 고려하여 구조물별 지지층 선정 요철 케이슨 N≥20, 피복경사제 N≥15


연약지반 분포심도, 상향 설계파 및 내진Ⅰ등급을 고려한 안정성 검토 10개 단면 선정

-7 -
제1편 총 설

2.3.3 기초지반 안정성 검토 및 검증


기초지반 안정성 검토
DCM 내적 검토 원호활동 검토 다층지반 지지력 검토

전구간 허용기준 이상으로 안정 전구간 기준 안전율 1.3이상으로 안정 전구간 기준 안전율 1.5이상으로 안정

침하 안정성 부등침하 안정성 케이슨-경사제 접속부 안정성

구간별 허용잔류침하 만족 기준 안전율 1/300 이내로 안정 완화구간적용(L=60m)으로 안정성 확보

기초안정성 검증
DCM 응력분담비 실험 원심모형실험(2단면) 지진 및 파압고려 진동대실험(2단면)

말뚝식 DCM 안정성 검증 상부형식, 시공단계별 안정성 검증 상향 설계파 및 지진시 안정성 검증

2.3.4 내진 안정성 검토
구 분 기본조사 기본설계 비 고
내 진 등 급 내진Ⅱ등급 내진Ⅰ등급 내진등급 상향조정
(내진Ⅱ등급 → 내진Ⅰ등급)
내진성능수준 붕괴방지수준 붕괴방지수준
재현주기 상향조정
재 현 주 기 500년 1,000년 (500년 → 1,000년)
지반운동수준 0.088g 0.123g 지반운동수준 향상
지표면최대가속도 0.130g 0.192g 지진파 7종, 지반응답해석 수행

강화된 내진설계기준 적용 시간이력해석 FSSI해석

설계응답스펙트럼 보정(7개 지진파) 지진 및 액상화 안정성 확보 유체-구조물-지반 상호작용 검토

-8 -

제3장
3장 사용 전산 프로그램

제 3 장 사용 전산 프로그램
3.1 항만 및 해안분야
구 분 개 요
특 징 유한차분법에 의한 3차원 유동, 퇴적 및 수질 해석 모형
EFDC
설계적용 계획안에 따른 해수유동, 침퇴적, 오염확산, 해수교환, 유류확산 영향검토
특 징 Navier-Stokes 방정식에 의한 CFD 모형으로 2차원, 3차원 유체거동 해석
FLOW-3D
설계적용 계획안 구조물의 구간별 3차원 국부세굴 검토
특 징 오픈소스기반의 CFD 모형으로 2차원, 3차원 수치파동수조 해석
OPENFOAM
설계적용 수치파동수조실험, 단면계획에 따른 월파량 및 파압 산출, 안정성 검토
특 징 파랑작용 평형방정식에 의한 다방향불규칙파 모형
SWAN
설계적용 바람장을 이용한 설계파 및 빈도별 설계파 추산, 구조물 설계파 선정
특 징 Boussinesq 방정식을 이용한 시간진행형 다방향불규칙파 모형
BOUSS-2D
설계적용 계획평면 및 단면에 따른 파랑변형 해석, 항내정온도 평가
특 징 부유체 동적 계류안정성 해석 및 유체력 계산
Ariane-3D 부잔교 및 선박의 동적 계류안정성 해석
설계적용
케이슨 예인 안정성 해석

3.2 토목 구조분야
ABAQUS
개 요 외연적 시간적분법을 통해 비선형성이 강한 동적 문제 및 준정적 비선형 해석 가능
모델링 하중 데이타 입력
해석수행
해석흐름도 (구조물, 유체, 지반 ▷ (인공지진파 생성 ▷ ▷ 결과확인
(정적해석, 동적해석)
물성치 입력) 및 입력)
입력데이타 IMP(텍스트 데이타)
입출력자료종류
출력데이타 ODB(텍스트 데이터), 응력도, 변위도, 변형률도 도출
정적 응력해석,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
특 징
다양한 경계요소(Contact, Connector, MPC)의 지원
FSSI 내진해석, 소파블록 충돌검토, 우각부 상세해석, 연락교 힌지부 상세해석,
설 계 적 용
소파블록 충돌에 의한 케이슨 안전성 검토, 동파력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피로해석

MIDAS FEA
개 요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구조해석용 프로그램
해석조건
모델링 해석수행
해석흐름도 ▷ (하중 및 경계조건 ▷ ▷ 결과확인
(절점, 요소입력) (2・3차원 해석)
부여)
입력데이타 FET(텍스트 데이터), FEB(모델링 데이터)
입출력자료종류
출력데이타 FPB(바이너리 데이터), 응력도, 변위도, 변형률도 도출
선형, 재료・기하비선형, 대변형 및 수화열 해석등 정적・동적해석 가능
특 징
Geometry 기반의 해석가능, 열응력/열전달 해석 가능
설 계 적 용 상치콘크리트 부등건조수축 해석, 비선형 균열해석

-9 -
제1편 총 설

MIDAS CIVIL
개 요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구조해석용 프로그램
해석조건
모델링 해석수행
해석흐름도 ▷ (하중 및 경계조건 ▷ ▷ 결과확인
(절점, 요소입력) (2・3차원 해석)
부여)
입력데이타 MCT(텍스트 데이터), MCB(모델링 데이타)
입출력자료종류
출력데이타 ANL(텍스트 데이터), 응력도, 변위도, 변형률도 도출
특 징 선형, 재료・기하비선형, 대변형 및 수화열 해석 등 정적・동적해석 가능
상치콘크리트 수화열 해석・케이슨2D・3D 해석, 응력 집중부 상세해석・연락도교 3D해석
설 계 적 용
역량스펙트럼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Life-365
개 요 염분침투에 의한 철근의 부식발생에 따른 내구수명 평가 프로그램

모델링 해석수행
해석흐름도 ▷ 재료정의/환경조건 ▷ ▷ 결과확인
(단면입력) (염소이온 확산해석)

입력데이타 LIFE(텍스트 데이터), 염화물 노출시기 및 내구년한 확인


입출력자료종류
출력데이타 ANL(텍스트 데이터), 응력도, 변위도, 변형률도 도출
부식 개시 시간은 콘크리트 피복두께(Cc)에서의 염소이온의 임계 부식농도로 표현되며,
특 징
Fick의 확산이론에 근거한 접근법을 사용
설 계 적 용 케이슨과 상치콘크리트의 염분침투해석

3.3 토질 및 기초분야
구 분 개 요
특 징 한계평형법을 이용한 비탈면 안정해석 프로그램(Bishop, Janbu, Spencer법 등)
SLOPE/W
설계적용 시공단계별 원호활동, 편심경사 지지력, 다층지반 지지력 검토

특 징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2차원 침투해석 프로그램


SEEP/W
설계적용 파이핑 안정성검토

특 징 1차원 압밀해석 프로그램(Boussineq법에 의한 응력증가량 계산)


K-EMBANK
설계적용 호안 제체하중에 의한 침하량/잔류침하량 검토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2D/3D 연속체 지반거동 해석 프로그램


특 징
MIDAS GTS 시공단계별 하중조건 구현, 비선형재료모델, 동적해석

설계적용 시공단계 안정성(2D/3D), 강도감소법, 동적 시간이력해석

특 징 지진하중 작용시 과잉간극수압을 고려한 동적거동 해석


FLAC
설계적용 동적 유효응력해석

Seismo 특 징 인공합성지진파 생성, 지진데이터 응답스펙트럼 Matching 및 보정


Artif/Match/Signal 설계적용 인공지진파 생성, 실지진기록 Spectral Matching, Baseline Correction

특 징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1차원 지진응답해석 프로그램(등가선형해석)


ProShake
설계적용 1차원 지진응답해석

- 10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제1장 기초조사
제2장 설계기준
제3장 방파호안공
제4장 관리부두
제5장 부대시설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제
제1장
1장 기초조사

제 1 장 기초조사
1.1 기상조건
기상자료는 군산 기상청의 최근 30년간 (1990∼2019년) 기상관측 자료 적용
연평균 기온은 13.0℃, 최고기온 37.1℃, 최저기온 –15.0℃로 그 차이는 약 52.1℃를 나타냄
평균 해면기압은 1,016.6hPa이며 최저 해면기압은 980.0hPa, 최고 해면기압은 1,042.8hPa임
강수량은 연평균 1,232.6mm이고 연중 6∼9월 동안의 강수량은 805.7mm로 전체 강수량의 65.4%를 차지함

1.1.1 기상개요
구 분 제 원 구 분 제 원 비 고
평 균 13.0℃
안 개 37.0일
기 온 최 고 37.1C
강 수 31.50일 10mm 이상
최 저 -15.0℃

기 압 평 균 1,016.6hPa
강 설 22.20일
평 균 2.9m/s 현상일수
풍 속
폭 풍 10.50일 13.9m/s 이상
순간최대 39.7m/s(ESE)

년 평 균 1,232.6mm
뇌 전 12.60일
강 수 량
일 최 대 310.0mm
기 온 2.80일 -10℃ 이하
상대습도 평 균 75.6%

1.1.2 현상일수
군산 지역의 맑음일수 72.7일/년, 흐림일수 88.2일/년, 안개 37.0일/년
풍속 13.9m/s 이상의 폭풍일수는 10.5일/년, 강수 10mm이상의 강수일수는 31.5일/년

(단위 : 일)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전년

맑음 6.3 6.4 7.5 7.5 7.1 3.6 1.6 3.7 6.1 9.8 7.2 5.9 72.7

흐림 5.6 5.0 6.3 6.1 7.6 9.5 13.2 10.1 8.0 4.3 6.0 6.5 88.2

안개 1.4 2.6 4.2 3.8 4.3 3.6 2.9 2.0 3.2 4.2 3.4 1.4 37.0

강수 0.7 1.1 1.7 2.7 2.8 3.6 5.8 5.6 3.2 1.8 1.6 1.0 31.5

강설 8.2 3.9 1.5 0.1 - - - - - - 1.3 7.2 22.2

폭풍 1.4 1.3 1.6 1.1 0.3 0.2 0.1 0.3 0.5 0.7 1.3 1.6 10.5

뇌전 - - 0.2 0.6 0.8 1.5 2.9 3.4 0.9 0.9 0.9 0.4 12.6

기온 1.9 0.5 - - - - - - - - - 0.3 2.8

- 11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1.1.3 기상현황
기온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전년

평균 -0.2 1.5 5.8 11.5 17.0 21.5 25.2 25.9 21.5 15.3 8.8 2.2 13.0

최고 18.1 20.6 26.1 29.7 31.1 32.8 36.9 37.1 33.9 29.5 25.2 18.0 37.1

최 저 -15.0 -13.6 -6.4 -1.6 4.4 10.8 16.0 14.9 8.3 0.7 -5.4 -14.5 -15.0

강수량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전년

평균 27.5 37.1 46.5 83.7 85.2 144.5 270.9 254.3 136.0 55.5 53.7 37.6 1,232.6

일최대 43.0 57.0 34.2 69.5 93.7 117.0 308.5 310.0 121.7 67.3 83.2 36.5 310.0

해면기압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전년

평 균 1,025.2 1,023.6 1,020.1 1,015.5 1,011.7 1,007.7 1,006.7 1,008.1 1,013.4 1,019.3 1,022.7 1,025.2 1,016.6

최 고 1,041.1 1,040.5 1,036.4 1,033.2 1,027.9 1,021.0 1,017.6 1,020.2 1,026.6 1,032.9 1,038.3 1,042.8 1,042.8

최 저 1,007.2 995.7 997.9 991.8 990.2 980.0 984.8 982.6 986.2 991.0 1,000.1 1,004.5 980.0

- 12 -

제1장
1장 기초조사

바람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전년

기왕
20.8 22.0 23.5 25.0 16.0 23.5 15.3 20.5 19.6 21.3 22.3 27.5 27.5
최대
(풍향) NW WNW WNW W WNW WSW W NE E WNW WNW W W
순간
32.4 31.0 30.3 31.0 21.9 30.8 32.2 39.7 28.7 26.4 31.3 35.3 39.7
최대
(풍향) W W WNW W NE SW WSW ESE NNE NW WNW WSW ESE

상대습도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전년

평균 71.3 70.0 71.1 72.0 75.5 80.4 85.5 83.2 79.4 74.3 72.3 72.2 75.6

최소 15.0 9.0 8.0 7.0 8.0 15.0 29.0 29.0 20.0 15.0 12.0 12.0 7.0

태풍
북태평양에서 연간 약 26개의 태풍이 발생하며, 그 중 년간 약4개는 우리나라에 큰 영향을 미침
지구온난화로 태풍의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으며, 한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 태풍은 아래와 같음

중심최저기압 최대풍속 중심최저기압 최대풍속


태풍명 발생일 태풍명 발생일
(hPa) (m/s) (hPa) (m/s)
FENGSHEN 2002.07.15 920 51 BOLAVEN 2012.08.20 920 53

LINFA 2003.05.25 980 50 NAKRI 2014.07.30 980 25

SOUDELOR 2003.06.13 985 13 CHAN-HOM 2015.06.30 935 49

ETAU 2003.08.02 945 85 CHABA 2016.09.26 930 50

MUIFA 2011.07.28 930 50 LEKIMA 2019.08.04 930 50

KHANUN 2012.07.16 988 25 LINGLING 2019.09.02 940 47

- 13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1.2 작업가능일수
작업가능일수는 공정 및 시공계획의 기본이 되는 요소이며, 건설기계와 시공사의 공사원가 산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과업대상지역, 공법, 기상 및 해상조건을 고려하여 산정
기본방향
대한토목학회지(1969)의 산정방법과 공공 건설공사 공사기간 산정기준(국토교통부 훈령 제1140호)의
결과를 비교하여 결정

1.2.1 대한토목학회지
작업 불가능일수 산정기준
구 분 해 상 육 상
안 개 - 일수의 30%를 취함 일수의 30%를 취함

강 수 10mm이상 일수의 30%를 취함 일수의 70%를 취함

기 상 강 설 10mm이상 일수의 30%를 취함 일수의 70%를 취함


인 자 뇌 전 - 일수의 70%를 취함 일수의 70%를 취함

폭 풍 10.0m/s이상 일수의 70%를 취함 일수의 30%를 취함

기 온 -10℃이하 일수의 50%를 취함 일수의 50%를 취함

공휴일 법 정 공 휴 일 일요일+법정 공휴일 일요일+법정 공휴일

기상장애에 의한 작업 불가능 일수
육상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전년
안 개 0.42 0.78 1.26 1.14 1.29 1.08 0.87 0.6 0.96 1.26 1.02 0.42 11.1

강 수 0.49 0.77 1.19 1.89 1.96 2.52 4.06 3.92 2.24 1.26 1.12 0.7 22.12

강 설 5.74 2.73 1.05 0.07 - - - - - - 0.91 5.04 15.54

폭풍 1.4 1.3 1.6 1.1 0.3 0.2 0.1 0.3 0.5 0.7 1.3 1.6 10.4

뇌전 - - 0.14 0.42 0.56 1.05 2.03 2.38 0.63 0.63 0.63 0.28 8.75

기 온 0.95 0.25 - - - - - - - - - 0.15 1.35

합계 9 5.83 5.24 4.62 4.11 4.85 7.06 7.2 4.33 3.85 4.98 8.19 69.26

해상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전년
안 개 0.42 0.78 1.26 1.14 1.29 1.08 0.87 0.6 0.96 1.26 1.02 0.42 11.1

강 수 0.21 0.33 0.51 0.81 0.84 1.08 1.74 1.68 0.96 0.54 0.48 0.3 9.48

강 설 2.46 1.17 0.45 0.03 - - - - - - 0.39 2.16 6.66

폭풍 1.4 1.3 1.6 1.1 0.3 0.2 0.1 0.3 0.5 0.7 1.3 1.6 10.4

뇌전 - - 0.14 0.42 0.56 1.05 2.03 2.38 0.63 0.63 0.63 0.28 8.75

기 온 0.95 0.25 - - - - - - - - - 0.15 1.35

합 계 5.44 3.83 3.96 3.5 2.99 3.41 4.74 4.96 3.05 3.13 3.82 4.91 47.74

- 14 -

제1장
1장 기초조사

기상에 의한 작업 불가능일수
육상작업 불가능일수 : 1일/년
기상에 의한 육상작업 불가능일수(%) : 69.26÷365=18.98%
해상작업 불가능일수 : 53.78일/년
기상에 의한 해상작업 불가능일수(%) : 47.74÷365=13.08%

공휴일에 의한 작업 불가능일수
「공공 건설공사의 공사기간 산정기준」에 따라 토요일을 제외한 공사기간(2021~2024년)의 연간 법정공휴일 적용
불가능일수 : 공휴일-(공휴일×불가능일수율)

구 분 불가능일수

육상작업 불가능일수 67일-(67일×18.98%)=54.28일

해상작업 불가능일수 67일-(67일×13.08%)=58.24일

작업 가능일수
이론치 작업 가능일수=365일-(기상에 의한 불가능일수+공휴일로 인한 불가능일수)

구 분 작업 가능일수

육상작업 가능일수 365-(69.26+54.28) = 241.46일/년, 20.1일/월 (66.15%)

해상작업 가능일수 365-(47.74+58.24) = 259.02일/년, 21.6일/월 (70.96%)

1.2.2 공공 건설공사의 공사기간 산정기준


일반적인 육상공사의 기상조건 이외에 해상공사인 항만건설공사에 적용되는 주요 자연 환경요소가 반영된
해상작업일수 산정

작업 불가능일수 산정기준
구 분 해 상 육 상

공 휴 일 법정공휴일

강 우 일강수량 10mm 이상

기 온
최고기온 33°C이상(폭염주의보) / 최저기온 –12°C이하(한파주위보)
(고온/저온)

강 설 신적설 5cm 이상 신적설 1cm 이상

안 개 시정거리 1km 이하 일수의 30%

풍 속 내만의 경우 최대풍속 10m/s 이상 최대풍속 10m/s

파고 1.5m 이상(주기전체)
예)DCM선
+파고1.0~1.5m(주기8초 이상)
파 랑 -
예)대선/사석공 파고 0.8m 이상 출현율

미 세 먼 지 PM10농도 150(㎍/m3) 이상

- 15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월별-파고
월별
월별-
-파고 계급별 출현횟수
출현횟수(2010년∼2019년)
출현횟수(2010
(2010
(2010년
년∼2019
2019년
년)
파랑을 고려한 해상작업일수 산정을 위해 최신의 자료와 기술이 적용된 장기파랑 및 바람 추산자료를 적용
2구간의 사석공 기준으로(유의파고 0.8m이상) 파랑에 의한 비작업일수 산정

(단위 : 회)

파고
(m) 0.0∼0.5 0.5∼0.6 0.6∼0.8 0.8∼1.0 1.0∼1.5 1.5∼2.0 2.0∼2.5 2.5∼ 합계 비율(%)

1월 4,487 652 1,045 715 491 49 - - 7,439 8.5
2월 4,368 649 840 554 343 14 - - 6,768 7.7
3월 5,420 582 720 454 252 12 - - 7,440 8.5
4월 6,037 356 459 177 134 33 4 - 7,200 8.2
5월 6,604 308 346 141 41 - - - 7,440 8.5
6월 6,719 147 185 80 60 9 - - 7,200 8.2
7월 6,984 185 159 47 53 12 - - 7,440 8.5
8월 6,873 239 166 45 56 54 7 - 7,440 8.5
9월 6,663 270 199 41 22 5 - - 7,200 8.2
10월 6,001 414 529 288 195 13 - - 7,440 8.5
11월 5,216 410 675 369 452 68 10 - 7,200 8.2
12월 4,254 605 907 760 767 135 12 - 7,440 8.5
합계 69,626 4,817 6,230 3,671 2,866 404 33 - 87,647 100.0
비율(%) 79.4 5.5 7.1 4.2 3.3 0.5 - - 100.0  

작업일수 산정
육상
비작업일수
달력 기 온 작업
구분 법정 미세 중복일 가동률
일수 강우 최고 최저 강설 안개 풍속 일수
공휴일 먼지
기온 기온
1월 31 6.5 0.5 - 1.5 2.0 0.2 1.2 1.4 1.0 19 61.3%
2월 28 6.3 1.1 - 0.2 0.6 0.6 0.7 1.1 1.0 18 64.3%
3월 31 5.3 2.0 - - 0.2 0.6 2.7 3.1 1.0 18 58.1%
4월 30 4.3 3.5 - - - 0.9 2.3 1.2 1.0 19 63.3%
5월 31 7.0 2.8 - - - 0.6 0.7 2.1 1.0 19 61.3%
6월 30 5.0 2.0 - - - 0.6 0.3 0.2 1.0 23 76.7%
7월 31 4.5 6.0 2.4 - - 0.3 0.4 - 1.0 18 58.1%
8월 31 5.0 5.0 7.0 - - 0.3 0.7 - 2.0 15 48.4%
9월 30 7.3 3.1 0.2 - - 0.3 0.4 - 1.0 20 66.7%
10월 31 6.5 1.9 - - - 0.6 0.8 0.5 1.0 22 71.0%
11월 30 4.0 2.0 - - 0.3 0.6 1.4 1.7 1.0 21 70.0%
12월 31 5.3 1.0 - - 3.8 0.3 2.8 1.5 2.0 18 58.1%
합계 365 67.0 30.9 9.6 1.7 6.9 5.9 14.4 12.8 14.0 230 63.0%

- 16 -

제1장
1장 기초조사

해상
비작업일수
달력 기온 작업
구분 법정 미세 중복일 가동률
일수 강우 최고 최저 강설 안개 파고 일수
공휴일 먼지
기온 기온
1월 31 6.5 0.5 - 1.5 0.6 0.2 5.3 1.4 2.0 17 54.8%
2월 28 6.3 1.1 - 0.2 0.1 0.6 3.8 1.1 1.6 16 57.1%
3월 31 5.3 2.0 - - 0.1 0.6 3.0 3.1 1.5 18 58.1%
4월 30 4.3 3.5 - - - 0.9 1.5 1.2 1.0 20 66.7%
5월 31 7.0 2.8 - - - 0.6 0.8 2.1 1.4 19 61.3%
6월 30 5.0 2.0 - - - 0.6 0.7 0.2 0.6 22 73.3%
7월 31 4.5 6.0 2.4 - - 0.3 0.5 - 1.3 19 61.3%
8월 31 5.0 5.0 7.0 - - 0.3 0.7 - 2.1 15 48.4%
9월 30 7.3 3.1 0.2 - - 0.3 0.3 - 0.9 20 66.7%
10월 31 6.5 1.9 - - - 0.6 2.1 0.5 1.1 21 67.7%
11월 30 4.0 2.0 - - 0.2 0.6 3.8 1.7 1.1 19 63.3%
12월 31 5.3 1.0 - - 1.1 0.3 7.0 1.5 1.9 16 51.6%
합계 365 67.0 30.9 9.6 1.7 2.1 5.9 29.5 12.8 16.5 222 60.8%

1.2.3 작업일수 산정결과


기존방식으로 산정된 작업일수는 해상공사에 대한 환경요소가 반영되어 있지 않아 작업 가능일수가 과하게 산정됨
기후변화에 대응이 가능하며 해상공사에 대한 환경요소를 반영한 「공공 건설공사의 공사기간 산정기준」을 적용

산정방법 비교
기본조사 기본설계
주요항목 비 고
(대한토목학회지, 1969년) (국토교통부 훈령 1140호)
자료기간 과거 30년 과거 10년 최근 기후변화 추세반영
산정방법 미세먼지 - PM10농도 150(ug/m2)이상 최근 기후변화 추세반영
파 랑 - 0.8m이상 출현율 장기파랑 산출시험 값 적용

산정결과
구 분 대한토목학회지 공공 건설공사의 공사기간 산정기준
육상작업 가능일수 242일/년(66.15%) 230일/년(63.0%)
해상작업 가능일수 260일/년(70.96%) 222일/년(60.8%)

- 17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제 2 장 설계기준
2.1 입찰안내서상의 설계지침
기본방향 입찰안내서 상 설계기준 및 조건을 검토 및 분석

제시항목 입찰안내서 설계기준


구 분 연장(m) 파 고(m) 주 기(sec) 파 향 빈 도
1-1구간 20 2.30 10.96 W
설 계 파 랑 방파호안 1-2구간 640 2.30 10.96 W 50년 빈도
2구간 925 2.30 10.96 W
관리부두 L40×B14 0.70(1.52) 11.60 WNW 50년 빈도
구 분 최강유속 비 고
설 계 1구간 55cm/s(35cm/sec)
방파호안
조 류 속 2구간 30cm/s(20cm/sec) ( )는 저층유속
관리부두 10cm/sec
구 분 풍 속 비 고
설계풍속 부잔교, 선박
40.0m/s 설계기준풍속(교량 설계기준)
도교
구 분 상 시 지진시
상재하중 방파호안 10.0kN/m2 5.0kN/m2(상시의 1/2)
관리부두 5.0kN/m2 2.5kN/m2(상시의 1/2)
구 분 수 상 수 중 구 분 수 상 수 중
강재 및 주강 77.0 67.0 석 재(화강암) 26.0 16.0
단위중량 철근콘크리트 24.0 14.0 모래, 건조 16.0 10.0
(kN/m3) 무근콘크리트 22.6 12.6 자갈, 습윤 18.0 10.0
목재 7.8 - 깬돌 포화 20.0 10.0
아스팔트콘크리트 22.6 12.6 해수 10.1
콘크리트 무근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설계기준
강 도 30MPa 35MPa

Con'c와 Con'c Con'c와 사석 Con'c와 암반 수중Con'c와 암반 사석과 사석


마찰계수
0.5 0.6 0.5 0.7~0.8 0.8
구 분 상 시 지진시 비 고
활동 1.2 1.1
전도 1.2 1.1
허 용
Mound 직선활동 1.2 1.0
안 전 율
원호활동 1.3 1.0
편심경사하중 1.2 1.0 Bishop법
허용지지력 500kN/m2 600kN/m2 사석층
허용잔류 소파블록 혼성제, 배후부지 사석식 경사제 비 고
침 하 량 10.0cm 30.0cm 방파호안
내진설계 내진등급 성능목표 평균재현주기 지표면 최대가속도
기 준 Ⅱ등급 붕괴방지수준(CLE) 500년 0.13g

- 18 -

제2장
2장 설계기준

2.2 설계기준
2.2.1 관련법규
구 분 관련법규 비 고
항만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해양수산부
공유수면매립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해양수산부
토 목
항로 표지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해양수산부
신항만건설촉진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해양수산부
환경영향평가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환 경 부
환경정책기본법 및 기타 관련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환 경 부
자연환경보전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환 경 부
해양오염방지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해양수산부
환 경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환 경 부
대기환경보전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환 경 부
소음, 진동규제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환 경 부
폐기물관리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환 경 부
건설기술 진흥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국토교통부
건설산업기본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국토교통부
일 반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국토교통부
해사안전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해양수산부
건설산업 기본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국토교통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국토교통부
산업 표준화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산업통상자원부
기 타
도로교통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경찰청
근로기준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 동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고용노동부

2.2.2 국내
국내・외
국내・・외 설계기준
국내시방서 및 제 기준 국외기준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KDS 64 00 00) Shore Protection Manual VOL Ⅰ,Ⅱ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DS 14 00 00)
교량 설계기준(KDS 24 00 00) Coastal Engineering Manual
콘크리트 구조설계/강도설계법(KDS 14 20 00)
British Standard Code of Practice for Maritime
콘크리트 공사(KCS 14 20 00)
Structure (BS 6349)
강구조설계/허용응력설계법(KDS 14 30 00)
강구조공사(KCS 14 31 00) 항만시설 기술상 기준 동해설(일본 항만협회)
콘크리트구조기준 해설(한국콘크리트학회)
가시설물 설계(KDS 21 00 00) Handbook of Port and Harbor Engineering (ITP)
거푸집 및 동바리(KCS 14 20 12)
Design Manual DM-7, 25, 26(U.S Navy)
가설공사표준시방서(KCS 21 00 00)
교량공사표준시방서(KCS 24 00 00) 항만구조물 설계사례집(일본 연안개발기술 연구센터)
한국산업규격(KS)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내진편(KDS 64 17 00) Manual on the use of Rock in Coastal and Shoreline
내진설계일반(KDS 17 10 00) Engineering(CIRIA/CUR)
구조물기초 설계기준 해설(2018)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KCS 64 00 00) 해상공사의 심층혼합처리공법 매뉴얼(2008)

- 19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2.3 설계기준 및 조건검토


2.3.1 설계조건
구 분 조위(m) 설계적용 조위도

설 계 고 조 위 DL.(+)8.754 마루높이 검토

약 최 고 고 조 위 DL.(+)7.246 설계조위 및 안정검토

대 조 평 균 고 조 위 DL.(+)6.640 -

평 균 고 조 위 DL.(+)5.824 -

평균해면(M.S.L) DL.(+)3.623 공사물량 구분

평 균 저 조 위 DL.(+)1.422 연락도교 기준조위

약 최 저 저 조 위 DL.(±)0.000 공사기준면, 피복재 안정검토

2.3.2 설계고조위
제4방법+해수면
산정방법 제1방법 제2방법 제3방법 제4방법
상승고(100년)

검토결과 DL.(+)8.120m DL.(+)8.396m DL.(+)8.084m DL.(+)8.506m DL.(+)8.754m

2.3.3 설계조류속
최강유속(cm/s)
구 분 설계적용 비 고
완공전 완공후

1 구 간 106(70) 114(82)
북 측
세굴방지공 ( )는 저층유속
방파호안
2 구 간 106(70) 57(42)

관 리 부 두 13 부잔교 -

2.3.4 설계풍속
구 분 풍속(m/s) 풍 향 설계적용 바람장미도
순간최대풍속 39.7 ESE 등대 70m/s

최 대 풍 속 27.5 W 오탁방지막

평 균 풍 속 2.9 - -

설 계 풍 속 55.0 전방향 부잔교, 연락도교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0 10 : p.38 (2019, 해양수산부)

- 20 -

제2장
2장 설계기준

2.3.5 설계파랑
구 분 파고(m) 주기(sec) 파향 설계적용

1 구 간 3.5 13.20 W 제체안정성 검토, 마루높이 산정




2 - 1 구 간 3.2 13.20 W

제체안정성 검토, 단면제원

2 - 2 구 간 2.8 13.20 W

계 1 0 년 빈 도 2.9 10.90 W 시공시 안정검토

2-1구간 2.9 11.60 W
20년
제체안정성 검토
빈 도
2-2구간 2.6 11.60 W

항내측(태풍파) 2.0 13.20 SW 항내측 안정성 검토, 함선 검토

항외측 1.1 9.0 WNW 구조검토

평 상 파 0.7 8.0 SW 함선 검토, 유수실 제원검토


항내측
0.3 8.0 SW 항내 반사율 검토

2.3.6 하중조건
구 분 평상시(kN/m2) 파압시(kN/m2) 지진시(kN/m2) 비 고

방 파 호 안 10(15) 10 5(7.5) ( ) : 배면상재하중

제 두 부 50 50 25

관 리 부 두 5 - 2.5
주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KDS 64 10 10 : p.281 (2019, 해양수산부)

2.3.7 고정하중
단위중량(kN/m3) 단위중량(kN/m3)
구 분 구 분
수 상 수 중 수 상 수 중

무근콘크리트 22.6 12.6 18.0 10.0


사석/모래
철근콘크리트 24.0 14.0 20.0(포화)

강재및주강 77.0 67.0 준 설 토 17.5 7.5

석재(화강암) 26.0 16.0 해 수 10.1


주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KDS 64 10 10 : p.282 (2019, 해양수산부)

2.3.8 대상선박
구 분 톤 급(G/T) 전 장(m) 형 폭(m) 만재흘수(m) 비 고

5 5 1 금 룡 316 36.54 11.5 4.80

- 21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2.3.9 안정성 검토기준


활동 안전율
구 분 평상시 파압시 지진시 시공시
활 동 1.2 1.2 1.1 1.1
전 도 1.2 1.2 1.1 1.1
직 선 활 동 1.2 1.2 1.0 1.1
1.0(경사제)
원 호 활 동 1.3 1.3 1.2
1.1(케이슨)
주 : 입찰안내서 p245,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설 KDS 64 11 00, KDS 64 45 20 방파제편(해양수산부, 2017) p20

지반 안정성 검토
구 분 평상시 파압시 지진시 비 고
편 심 경 사 하 중 1.2 1.0 1.0 Bishop법
하 중 분 산 법 2.5 2.5 2.0
다 층 지 반 1.5 - -
기 초 사 석 500kN/m2 500kN/m2 600kN/m2
주 : 입찰안내서 p245,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설 KDS 64 11 00, KDS 64 45 20 방파제편(해양수산부, 2017) p20

DCM 기준 안전율
구 분 평상시 파압시 지진시 비 고
허 용 응 력 3.0 3.0 2.0
압 출 1.2 1.2 1.0
단 지 압 3.0 3.0 2.0
주 :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설 KDS 64 11 00, KDS 64 45 20 방파제편(해양수산부, 2017) p20

2.3.10 침하 및 변위 기준
연직침하검토
구 분 허용기준 적 용 비 고
허 용 10cm 케이슨 혼성제 및 장래매립부지 적용
연직침하 잔 류 침 하 30cm 소파블록 피복 경사제 및 사석경사제 적용 입찰안내서(p.246 )준용
허용각변위 1/300 내하벽 균열발생 한계(Bjerrum, 1963)

수평변위검토
구 분 허용기준 비 고
평 상 시 10cm 항만시설 유지관리 지침 20cm → 10cm상향
수평변위 붕괴방지수준에서의 허용범위 적용(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설)
지 진 시 20cm
30cm → 20cm상향

2.3.11 수위조건 및 침투안정성


수위조건
구 분 내 측 외 측 비 고
시 공 시 M.S.L : DL.(+)3.623m M.S.L : DL.(+)3.623m
장래부지매립시 시공수위 : DL.(+)8.000m A.L.L.W DL.(±)0.000m 2구간 장래매립부지 시공중
평 상 시 잔류수위 : DL.(+)3.623m A.L.L.W DL.(±)0.000m 2구간 장래매립부지 완공후
지 진 시 A.L.L.W DL.(±)0.000m A.L.L.W DL.(±)0.000m 1구간(케이슨구간)

- 22 -

제2장
2장 설계기준

침투안정성
구 분 한계유속(Schmieder 방법) 한계동수경사 비 고
적 용 Fs=Vc/Vcr>1.0 Fs=icr/iexit>2.0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설

2.3.12 내진설계 기준
지반운동수준
지진가속도
구 분 내진등급상향 성능수준 재현주기
지반운동수준 적 용
행정구역방법 0.11g×1.4=0.154g 0.123g
Ⅱ등급 →Ⅰ등급 붕괴방지 1,000년 (행정구역 값의
지진재해도방법 0.110g 80% 적용)

지반응답해석을 통한 지진계수 산정
지반응답해석
구 분 기반암가속도
지표면 최대가속도 수평지진계수
내 진 Ⅰ 등 급 0.123g 0.192g Kh=0.192g/2=0.096g

2.3.13 액상화 평가기준


액상화 평가 지반액상화지수(LPI)법
구 분 구 분
간이평가 상세평가 과잉간극수압비 LPI=0 0<LPI≤5 5<LPI≤15 15<LPI
안 전 율 Fs≥1.0 Fs≥1.0 1.0 이하 위 험 도 없음 낮음 있음 높음
주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내진편 KDS 64 17 00 : 2019

2.3.14 소음 및 진동 관리기준
구 분 주 간 아침/저녁 야간(심야) 적용근거
소음(dB(A)) 65 이하 60 이하 50 이하 소음・진동 관리법 시행규칙(2018. 1.17)
진동( dB(V)) 65 이하 60 이하 제21조 2항[별표 8]

2.4 재료조건
2.4.1 콘크리트 강도 및 마찰계수
설계강도(MPa)
대상구조물 비 고
기초조사 기본설계
케 이 슨 - 35
상치콘크리트 30 35
유 수 실 덮 개 - 35
근 고 블 록 30 30
등 대 35 35
교 대 35 35

구 분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콘크리트와 사석 사석과 사석 비 고


마 찰 계 수 0.5 0.6 0.8

- 23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2.4.2 재료 특성
구 분 특 성 비 고
        (MPa) mc=1,450 ~ 2,500kg/m3
탄 성 계 수 여기서,       △

       (MPa) mc=2,300kg/m3
포 아 슨 비 ν=1/6
전단탄성계수 Gc=Ec/2(1+ν)

2.4.3 철근콘크리트 허용응력


허용 휨응력 및 전단응력
구 분 허용응력(MPa)
허용 휨 압축응력 fca=0.40fck
콘크리트의 허용전단응력 Vca=0.08  
보 및 1방향 전단
(1방향 슬래브 및 확대기초) 전단보강이 있는 부재의 Vca=Vca+0.32  
최대 전단응력
2방향 전단 전단보강이 있는 부재의 Vca=0.08(1+2/βc)   ≤ 0.16  
(2방향 슬래브 및 확대기초) 허용 전단응력

철근 재료의 허용응력 (단위 : MPa)

철근의 종류
SD300 SD350 SD400
응력 및 부재의 종류
하중의 조합에 일 반 적 인 부 재 150 175 180
충돌하중 혹은 바닥판, 지간 10m
150 160 160
지진의 영향을 이 하 의 슬 래 브 교
인장 포 함 하 지
응력 않 을 경 우 수중 혹은 지하수위
150 160 160
이하에 설치하는 부재
하중조합에 충돌하중 혹은 지진의 영향을
150 175 180
포함하는 경우의 허용응력의 기본값
압 축 응 력 150 175 180

2.4.4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구조세목


최소 철근비
구 분 최소철근비 비 고
사용된 철근량이 해석으로 요구되는
보 및 1방향 슬래브의 휨 방향 1.4/fy
철근량보다 최소한 1/3이상 많을 때는 제외
2방향 슬래브의 각 방향 및
0.002
1방향 슬래브의 휨 직각방향
기 둥 0.01 최대철근비 : 0.08

강도감소계수
부재 또는 하중의 종류 강도 감소계수(∅) 비 고
휨부재, 휨과 축방향 인장이 동시에 작용 0.85
무 근 콘 크 리 트 0.55 설계강도 = 부재나 단면의 공칭강도 ×
축압축력 또는 휨모멘트와 나 선 철 근 0.70 강도감소계수(∅)
축압축력이 동시에 작용 띠 철 근 0.65

- 24 -

제2장
2장 설계기준

2.4.5 구조용 강재의 재료 특성


구 분 특 성 구 분 특 성
탄 성 계 수( E ) 2.05×105MPa 선 팽 창 계 수 ( α ) 12×10-6ℓ/゚c
전단탄성계수( G) 7.9×104MPa 포 아 슨 비( ʋ ) 0.30

2.4.6 구조용 강재의 허용응력도 (단위 : MPa)

강 종 SS400, SM490,
SM570,
SM400, SM490 SM520, HSB500
SMA570
응력도의 종류 SMA400 SMA490
축방향 인장 응력도(순단면적에 대하여) 140 190 215 270 230
축방향 압축 응력도(총단면적에 대하여) 140 190 215 270 230
휨 인 장 응 력 도(순단면적에 대하여) 140 190 215 270 230
휨 압 축 응 력 도(총단면적에 대하여) 140 190 215 270 230
전 단 응 력 도(총단면적에 대하여) 80 105 120 155 135
지 압 응 력( 강 판 과 강판) 210 285 320 405 345

(단위 : MPa)

강재기호
강 도 HSB500 HSB600 HSB800
판두께
fy 100mm 이하 380 450 690
fu 100mm 이하 500 600 800

2.4.7 용접부 및 접합용 강재의 허용응력 (단위 : MPa)

SM400, SM490Y, SM570,


구 분 SM490 HSB500
SMA400 SM520 SMA570
압 축 응 력 도 140 190 210 270 230
공 그루브용접 인 장 응 력 도 140 190 215 270 230

전 단 응 력 도 80 105 120 155 135

접 압축, 인장응력도 140 190 215 270 135
필릿 용접
전 단 응 력 도 80 105 120 155 135
현 장 용 접 공장용접에 준하는 품질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의 90%로 한다.

2.4.8 강재의 부식속도


부식환경 부식속도(mm/년) 비 고
A . H . H . W 이 상 0.3
A.H.H.W ~ DL.(-)1.0m까지 0.1~0.3
해상측
D. L(-)1m~해저부까지 0.1~0.2
해저 토층 중 0.03
육상 대기 중 0.1
육상측 토중(土中)(잔류수위 이상) 0.03
토중(土中)(잔류수위 이하) 0.02

- 25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제 3 장 방파호안공
3.1 기본제원검토
3.1.1 설계고조위 결정
군산 새만금 신항만의 기왕고극조위 및 이상조위를 분석하여 설계고조위를 검토하고, 항만 및
기본방향 어항설계기준, 처오름높이, 허용 월파량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적의 마루높이를 결정해야 하고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마루높이의 적정성 검증 필요

산정방법
구 분 산정방법 비 고
제1방법 기왕고극조위 관측년도별 고극조위중 최대값 관측자료
제2방법 약최고고조위(A.H.H.W)+최대조위편차 관측년도별 조위편차중 최대조위 편차 관측자료
제3방법 확률분석에 의한 고극조위 Weibull 분포 확률분석 값 확률분석
제4방법 약최고고조위(A.H.H.W)+폭풍해일고 수치모형실험에 의해 폭풍해일고 산정 수치실험

제1방법(기왕의
제1방법
방법((기왕의 고극조위 : DL.(+)8.120) (단위 : cm)

년도 고극조위 년도 고극조위 년도 고극조위


1990 752 2000 774 2010 777
1991 775 2001 797 2011 772
1992 785 2002 790 2012 771
1993 767 2003 766 2013 784
1994 767 2004 779 2014 788
1995 757 2005 765 2015 785
1996 783 2006 778 2016 774
1997 812 2007 777 2017 756
1998 785 2008 761 2018 784
1999 775 2009 771 2019 765

제2방법(약최고고조위+최대조위편차
제2방법
방법((약최고고조위
약최고고조위+
+최대조위편차 : DL.(+)7.246+DL.(+)1.150=DL.(+)8.396) (단위 : cm)

년도 조위편차 년도 조위편차 년도 조위편차


1990 73 2000 64 2010 66
1991 62 2001 66 2011 72
1992 94 2002 61 2012 115
1993 69 2003 71 2013 64
1994 78 2004 55 2014 54
1995 90 2005 58 2015 82
1996 39 2006 36 2016 82
1997 64 2007 67 2017 72
1998 68 2008 66 2018 59
1999 62 2009 86 2019 85
자료 : 국립해양조사원

- 26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제3방법(확률분석에
제3방법
방법((확률분석에 의한 고극조위 : DL.(+)8.240) (단위 : cm)

Weibull Distribution
구 분
k=0.75 k=1.00 k=1.40 k=2.00

Return Period(Yr) 고극조위(cm) 고극조위(cm) 고극조위(cm) 고극조위(cm)

25 801.52 802.25 802.81 801.84

50 808.43 812.78 811.28 808.31

100 815.29 823.96 819.76 814.46

제4방법(약최고고조위+폭풍해일고
제4방법
방법((약최고고조위
약최고고조위+
+폭풍해일고 : DL.(+)7.246+DL.(+)1.260=DL.(+)8.506)
구 분 약최고고조위 폭풍해일고(100년빈도) 제 4방법 비고

방 파 호 안 구 간 DL.(+)7.246 DL.(+)1.260 DL.(+)8.506

해수면 상승고
최근 30년간(`89~18년) 해수면 상승률(21개소) 구 분 채 택

제주 부근 4.26mm/y

동 해 안 3.50mm/y

남 해 안 2.44mm/y

서 해 안 2.48mm/y ◉

2.48mm/y × 100y = 248mm 적용

자료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2019)

설계고조위
구 분 산정방법 산정결과(m) 해수면상승고(m) 채택

제1방법 기왕고극조위 DL.(+)8.120 DL.(+)0.248

제2방법 약최고고조위(A.H.H.W)+최대조위편차 DL.(+)8.396 DL.(+)0.248

제3방법 확률분석에 의한 고극조위 DL.(+)8.239 DL.(+)0.248

제4방법 약최고고조위(A.H.H.W)+폭풍해일고 DL.(+)8.506 DL.(+)0.248 ◉

설계고조위는 약최고고조위+폭풍해일고를 반영한 제4의 방법으로 산정함


설계적용
영구구조물임을 고려하여 100년빈도 해수면 상승고를 반영하여 DL.(+)8.754로 결정함

- 27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3.1.2 마루높이 결정
산정된 설계고조위에 항만 설계기준 및 호안배후지역 이용측면을 고려하여 산정
기본방향
설계기준에 의한 마루높이 산정결과를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적정성 검증

마루높이 산정방법
검토조건
구 분 설계고조위(m) 설계파고(m) 주기(sec) 수심(m) 비 고

1 구 간 DL.(+)8.754 3.5 13.20 DL.(+)8.70

2 구 간 DL.(+)8.754 3.2 13.20 DL.(+)6.80

마루높이 산정방법
산정방법 산정식 비 고

제 1 방 법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에 의한 방법 설계고조위+(0.6~1.25)×H1/3

제 2 방 법 허용월파량에 의한 방법 배후지 중요도를 고려한 허용월파량


항외측
제 3 방 법 파랑의 처오름 높이에 의한 방법 설계고조위+처오름높이(R)

제 4 방 법 항내 전달파고에 의한 방법 항내 전달파고 0.5m에 대한 검토

제 5 방 법 친수성방파제 설계지침에 의한 방법 단계별 한계파고 산정 항내측

마루높이 산정
제1방법(항만
제1방법
방법((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에 의한 방법)
방법)
마루높이 = 설계고조위+(0.6~1.25)×H1/3 (방파제 마루높이 산정시 적용)

구 분 설계고조위(m) 설계파고(m) (0.6~1.25)H1/3 소요마루높이(m)

1 구 간 DL.(+)8.754 3.50 2.10~4.38 DL.(+)10.85~DL.(+)13.13

2 구 간 DL.(+)8.754 3.20 1.92~4.00 DL.(+)10.67~DL.(+)12.75

제2방법(허용월파량에
제2방법
방법((허용월파량에 의한 방법)
방법)
산정기준
방파호안(2구간) 배후지역은 장래 항만배후단지 예정지역이고, 영구구조물임을 고려하여, 허용월파량은 월파시
중대한 재해가 예상되는 지역 조건을 고려하여 0.01m3/m・s 로 적용

구 분 월파량(m3/m・s) 선 정 허용월파량 산정 그래프

배후에 민가, 공공시설


밀집으로 월파, 물보라
0.01 정도 ◉
등의 유입으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

기타 중요한 지역 0.02 정도

기 타 지 역 0.02~0.06

- 28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산정결과
구 분 설계수심(m) 환산심해파고(Ho') 심해파장(Lo) Ho'/Lo 월파량(q) h/Ho'

2 구 간 15.554 3.15 271.81 0.012 0.01 4.94

구 분   ) hc/Ho' hc 설계조위(m) 소요마루높이(m)

2 구 간 4.038E-04 1.00 3.16 DL.(+)8.754 DL.(+)11.92

제3방법(파랑의
제3방법
방법((파랑의 처오름높이에 의한 방법)
방법)
2구간 T.T.P 사석경사제에 작용하는 처오름높이 기준으로 산정
소파공에 의한 파랑의 처오름 높이 감소 도표를 이용하여 산정

T.T.P 피복 투과성 경사식 구조물의 처오름높이 산정결과


구 분 H1/3 Hs,t/dt ζ γt dt A B R1/3 소요마루높이(m)

2 구 간 3.20 0.20 6.147 1.00 15.754 0.90 0.23 4.373 DL.(+)13.13

제4방법(항내
제4방법
방법((항내 전달파고에 의한 방법)
방법)
허용 전달파고는 항내 중・대형선(500~50,000GT급 이하) 하역한계파고인 0.5m로 적용하여 검토함

구 분 하역한계파고(m) 비고

소형선(500GT급이하) 0.3
GT=0.882DWT
중・대형선(500~50,000GT급 이하) 0.5 4,000TEU급 컨테이너선(50,000DWT)
44,100GT급
초대형선(50,000GT급 이상) 0.7~1.5

혼성제 방파제의 전달파고 산정 β산정도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KT : 입사파고에 의한 파고 전달율


hC : 천단고
HI : 설계 유의파고(=입사파고)
β : 계수(관련도표 사용하여 산정)
h' : 설계조위에서 방파제 하단까지의 높이
h : 방파제 전면 설치수심
HT : 항내 전달파고(=0.5m)

구 분 소요마루높이(m) hc hc/HI KT HT 허용전달파고 판 정

1 구 간 DL.(+)11.40 2.65 0.76 0.139 0.488 0.5 O.K

- 29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제5방법(친수성
제5방법
방법((친수성 방파제 설계지침에 의한 방법)
방법)
파랑에 의한 위험단계를 4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한계파고 산출
방파제 이용자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평상파랑 내습시 시설물 상단에 월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마루높이 결정

월파에 의한 이용객 위험단계 구분 파후 특성에 따른 위험도 평가

구 분 내측파고(m) 주기(sec) 조위(m) 항내수심(m) 비 고

1 구 간 0.70 8.00 A.H.H.W 7.246 15.45

구 분 산 정 식 비 고

물 보 라            ×
  
    ,    
발 생    

          
월파 발생 
  
    
 ,      ×   
한계시 파고   
h: 제체 전면수심(m)
d: 기초마운드 수심(m)
이용객 전도         × hc: 항외측 끝단에서의 이용상
 ,    
한계시 파고       마루높이(m)
단, 난간 및 파라펫의 높이는
포함하지 않음
이용객 전락         ×
 ,    
hp: 난간의 높이(m)
한계시 파고       BM: 기초마운드 폭(m)

산정결과
구 분 물보라 발생 월파 발생 이용객 전도 이용객 전락

1 구 간 DL.(+)9.20 DL.(+)7.50 DL.(+)7.10 DL.(+)6.00

마루높이 검토결과
구 분 제1방법 제2방법 제3방법 제4방법 제5방법(항내측) 마루높이 결정
DL.(+)10.85~
1 구 간 - - DL.(+)11.40 DL.(+)9.20 DL(+)13.20
DL.(+)13.13
/
DL(+)9.80
DL.(+)10.67~
2 구 간 DL.(+)11.92 DL.(+)13.13 - - 항내측
DL.(+)12.75

마루높이는 장래 매립되는 배후지 월파차단 및 항내 정온 확보를 고려하여 기본조사대비 3.0m 증고한


설계적용
DL(+)13.2m 적용함

- 30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3.1.3 쇄파대 검토
구간별 평균수심을 기준으로 쇄파수심을 산정하고 쇄파여부를 검토하여 피복재 소요중량 및 제체의
기본방향 안정검토에 적용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SPM(Shore Protection Manual)에 의거하여 검토

설계조건
구 분 설계파고(H1/3) 주기(T1/3) 심해파장(L0) 해저경사 전면수심

A.H.H.W 3.50m 14.246m


1구간 13.20s 271.81m 1/100
A.L.L.W 2.60m 7.000m

A.H.H.W 3.20m 13.446m


2-1구간 13.20s 271.81m 1/100
A.L.L.W 2.30m 6.200m

A.H.H.W 2.80m 13.046m


2-2구간 13.20s 271.81m 1/100
A.L.L.W 2.10m 5.800m

쇄파고(Hb) 산정
쇄파고(H
구 분 d/L0 H/H0' H0' H0'/gT2 Hb

A.H.H.W 0.0524 1.0148 3.45 0.0020 3.75


1구간
A.L.L.W 0.0258 1.1613 2.24 0.0013 2.69

A.H.H.W 0.0495 1.0246 3.12 0.0018 3.49


2-1구간
A.L.L.W 0.0228 1.1913 1.93 0.0011 2.47

A.H.H.W 0.0480 1.0300 2.72 0.0016 3.15


2-2구간
A.L.L.W 0.0213 1.2090 1.74 0.0010 2.27

쇄파수심(db) 산정(SPM에
쇄파수심(d 산정
산정(SPM
(SPM
(SPM에
에 의한 방법)
방법)
구 분 Hb Hb/gT2 쇄파대 범위 구조물 축조수심 비 고

A.H.H.W 3.75 0.0022 4.48m~5.60m 14.246m 비쇄파


1구간
A.L.L.W 2.69 0.0016 3.19m~3.99m 7.000m 비쇄파

A.H.H.W 3.49 0.0020 4.15m~5.20m 13.446m 비쇄파


2-1구간
A.L.L.W 2.47 0.0014 2.91m~3.66m 6.200m 비쇄파

A.H.H.W 3.15 0.0018 3.74m~4.69m 13.046m 비쇄파


2-2구간
A.L.L.W 2.27 0.0013 2.68m~3.36m 5.800m 비쇄파

- 31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쇄파고(Hb)산정 그래프 쇄파수심(db)산정 그래프

쇄파수심(db) 산정(항만
쇄파수심(d 산정
산정((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에 의한 방법)
방법)
구 분 H'0/L0 (H1/3)peak/H'0 (H1/3)peak 비 고 유의파고의 최대값이 출현하는 수심 산정도

A.H.H.W 0.0127 2.32 8.00m 비쇄파


1구간
A.L.L.W 0.0082 2.52 5.64m 비쇄파

A.H.H.W 0.0115 2.37 7.41m 비쇄파


2-1구간
A.L.L.W 0.0071 2.53 4.88m 비쇄파

A.H.H.W 0.0100 2.42 6.59m 비쇄파


2-2구간
A.L.L.W 0.0064 2.66 4.63m 비쇄파

3.1.4 피복재
피복재 소요중량은 케이슨혼성제와 사석경사제를 구분하여 약최고고조위시, 약최저저조위시 때의
기본방향
피복재 중량 산정

파랑에 의한 안정중량 산정식


여기서,  : 사석 또는 블록의 안정에 필요한 최소중량(kN)
 : 사석 또는 블록의 밀도
 ×
    : 안정계산에 사용하는 파고(m)
 ×   
 : 사석 또는 블록의 해수에 대한 비중
 : 피복재의 형상, 구배 또는 피해율 등에 의해 결정되는 계수(안정수)

케이슨 혼성제
혼성제(1구간)
혼성제(1
(1
(1구간
구간
구간))
확장된 다니모토 공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구 분 h'(m) L'(m) Κ1 (Κ2)B Κ H1/3(m) Ns M(kN)

A.H.H.W 12.45 138.84 0.8161 0.3359 0.2741 3.5 6.959 0.390

A.L.L.W 5.20 92.38 0.9212 0.3340 0.3077 2.6 2.880 5.450

Madrigal & Valdes


    
       ;       
   

구 분 hb(m) hs(m) hb/hs Nod Ns Ns3 M(kN)


A.H.H.W 11.15 15.65 0.71 0.5 3.096 29.676 4.38

A.L.L.W 3.90 8.40 0.46 0.5 적용불가 - -

Brebner & Donnelly

계획수심(ds)과 마운드수심(d1)의 비를 통한 안정수(Ns3) 산정

구 분 d1(m) ds(m) d1/ds Ns3 M(kN)

A.H.H.W 12.45 15.65 0.80 적용불가 -

A.L.L.W 5.20 8.40 0.62 20.38 6.39

케이슨혼성제 피복재 중량 산정결과


구 분 확장된 다니모토 공식 Madrigal & Valdes Brebner & Donnelly 적 용

A.H.H.W 0.39kN 4.38kN 적용불가 0.3m3급(7.80kN)


피복석 적용
A.L.L.W 5.45kN 적용불가 6.39kN 제두부 0.6m3급적용

- 33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사석경사제
사석경사제(2구간)
사석경사제(2
(2
(2구간
구간
구간))
Hudson 공식 Van der Meer

1. 소파블록 피복구간
       - 콘크리트 블록의 수리학적 안정성 도표 활용
2. 피복석 피복구간
      
KD : 피복재의 형상 피해율 등에 의해서 결정되는 정수
cotα : 사면경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피복재 질량 산정을 위한 KD값


KD
피복재 n 거치
쇄파 비쇄파 경사
2 난적 1.2 2.4 1.5~3.0
매끈하고 둥근사석
>3 〃 1.6 3.2
2 - 2.0 4.0 2.0
거칠고 모가 있는돌
>3 - 2.2 4.5

콘크리트 블록의 수리학적 안정성(Hs/△Dn)


Stability number(Hs/△Dn)
Damage
구 분 Trunk Head Reference/remarks
Level
비쇄파 쇄파 비쇄파 쇄파
0%(Nod-0) 1.7-2.0 - Van der Meer(1998a)
5%(Nod-0.5) 2.3-2.9 - slope 1:1.5
Tetrapod 2.3 2.2 2.1 1.95 slope 1:1.5
SPM
<5% 2.5 2.4 2.2 2.1 slope 1:2.0
(CERC,1984)
2.9 2.75 2.3 2.2 slope 1:3.0

Hudson 산정결과
구 분 ρr(kN/m3) H1/3 Sr KD Ns3 M(kN) 적 용
항 2-1구간 22.60 3.2 2.24 8 12.00 32.45 T.T.P 5톤급

측 2-2구간 26.00 2.8 2.58 4 6.00 24.31 1.0m3급 피복석

항 내 측 26.00 2.0 2.58 4 6.00 8.90 0.4m3급 피복석

Van der Meer 산정결과


구 분 ρr(kN/m3) H1/3 Sr Ns Ns3 M(kN) 적 용
항 2-1구간 22.60 3.2 2.24 2.3 12.17 32.00 T.T.P 5톤급

측 2-2구간 26.00 2.8 2.58 1.8 5.85 18.86 1.0m3급 피복석

항 내 측 26.00 2.0 2.58 1.8 9.95 5.34 0.4m3급 피복석

케이슨 혼성제구간(1구간)은 제두부 0.6m3급, 제간부 0.3m3급 피복석을 적용함


사석경사제구간(2구간)중 2-1구간 TTP 5톤급, 2-2구간은 1.0m3급 피복석을 적용하였으며,
설계적용
항내측은 0.4m3급 피복석을 적용함
케이슨구간과 접속하는 경사제구간에는 파랑집중을 고려하여 TTP 10톤급을 적용함

- 34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3.1.5 근고블록
기본방향 케이슨 혼성제의 기초마운드 사석의 세굴방지 및 직립부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근고블록 규격산정

근고블록 형식 비교 및 선정
구 분 무공형 유공형

개 념 도

직립부에 밀착시켜 사석부 세굴방지 효과 양호


직립부에 밀착시켜 사석부 세굴방지 효과 양호
특 징 블록에 작용하는 양압력 감소 및 내파안정성 향상
양압력에 의한 구조적 안정성 불리
식생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여 친환경적인 구조물 조성
적 용 ◉

근고블록 규격산정
여기서, t : 근고블록의 소요두께(m)
 df : 간부 0.18, 두부 0.21
  ×    
 h : 설계수심(m)
h' : 블록을 포함하지 않은 마운드 마루수심(m)

산정결과
구 분 H1/3(m) h'(m) h(m) df t(m) 설계적용

제 두 부 3.5 11.15 14.25 0.21 0.9 1.50B × 1.70H × 4.10L

제 간 부 3.5 11.15 14.25 0.18 0.8 1.50B × 1.30H × 3.00L

근고블록의 안정성 측면을 고려하여 산정 소요두께 보다 상향 적용


설계적용
블록에 작용하는 양압력 감소 및 내파안정성이 우수하고 식생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유공근고블록 적용

3.1.6 유수실 및 슬릿제원 검토


항주파 및 경사입사파에 의한 항내 정온도 및 파고증가 방지기능 고려
기본방향
입사파랑과 선박의 하역한계파고를 고려한 유공슬릿케이슨 필요성 검토 및 유수실 제원결정

대상파랑 및 목표반사율 결정
구 분 H1/3(m) T1/3(sec) Lo(m) 목표반사율 비 고

항 외 측 1.1 9.0 126.36 0.5 평상파

항 내 측 0.7 8.0 99.84 0.5 정박한계파고

- 35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수역시설 사용이 가능한 최대파고


수역시설수심
구 분
3.0m 미만 3.0m 이상
항내 묘박 및 정박가능 최대 파고 0.60m 0.70m

항로 항행가능 최대 파고 0.90m 1.20m

양육, 준비가 가능한 파고 0.30m 0.40m

휴식이 가능한 최대 파고 0.40m 0.50m

항외측은 평상파랑인 파고 0.9m, 목표반사율은 0.5으로 결정


설계적용
항내측은 관리부두 묘박 및 정박가능 최대 파고인 0.70m, 목표반사율은 0.5으로 결정

슬릿 형상 결정
구 분 종슬릿 격자형슬릿 횡슬릿

개 념 도

적 용 ◉

경사입사파가 주파향인 해역특성을 고려하여 경사입사파에 대한 반사파 저감효과가 가장 우수한


설계적용
횡슬릿 구조 결정

슬릿 상
상・하단고
・하단고 결정
구 분 H1/3(m) 조 위 산정높이 설계적용
상단고 DL.(+) 3.623 DL.(+) 4.173 ~ DL.(+) 8.342 DL.(+) 7.000
항외측 1.1m
하단고 DL.(±) 0.000 DL.(-) 2.200 ~ DL.(-) 4.400 DL.(+) 3.500

상단고 DL.(+) 3.623 DL.(+) 3.973 ~ DL.(+) 9.946 DL.(+) 6.300


항내측 0.7m
하단고 DL.(±) 0.000 DL.(-) 1.400 ~ DL.(-) 2.800 DL.(-) 1.600

케이슨 유공율
구분 케이슨 면적(m2) 케이슨 유공 면적(m2) 유공율
항외측 22.9(L) × 4.5(H) = 103.05 (0.70×3.05+0.70×2.30)×6EA = 22.47 22%

항내측 22.9(L) × 8.9(H) = 203.81 (0.70×3.05+0.70×2.90)×12EA = 49.98 24%

유수실 소요폭
구 분 목표반사율 상대유수실 폭비(l2/Lo) 유수실 순폭 설계적용 상대유수실 폭비(l2/Lo)그래프

항외측 0.5 0.065 8.21m 8.40m

항내측 0.5 0.065 6.49m 8.10m

- 36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3.1.7 세굴방지공
이동한계 수심 및 이동한계 입경 검토 후 세굴방지공 설치여부 검토
기본방향
파랑 및 흐름에 의한 세굴현상을 검토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굴방지공 계획

세굴방지공 필요성 검토
검토조건
구 분 설계파고(m) 주기(sec) 전면수심(m) 심해파장(m)
A.H.H.W 3.50 13.20 14.25 271.81
1구간
A.L.L.W 2.60 13.20 7.00 271.81
A.H.H.W 3.20 13.20 13.45 271.81
2-1구간
A.L.L.W 2.30 13.20 6.20 271.81
A.H.H.W 2.80 13.20 13.05 271.81
2-2구간
A.L.L.W 2.10 13.20 5.80 271.81

이동한계수심 검토(사또・다나까의
검토
검토((사또
사또・・다나까의 도표에 의한 방법)
방법)
표층이동한계수심 완전이동한계수심

구 분 Ho'(m) Lo(m) ds(mm) Ho'/Lo ds/Lo h/Ho' h/Lo 이동한계수심


표층이동 9.32 0.118 32.16m
A.H.H.W 3.45 271.81 0.116 0.013 4.27×10-7
완전이동 4.76 0.057 16.43m
1구간
표층이동 8.69 0.070 19.46m
A.L.L.W 2.24 271.81 0.116 0.008 4.27×10-7
완전이동 4.23 0.036 9.47m
표층이동 9.16 0.098 28.59m
A.H.H.W 3.12 271.81 0.116 0.011 4.27×10-7
완전이동 4.59 0.050 14.32m
2-1구간
표층이동 8.41 0.060 16.23m
A.L.L.W 1.93 271.81 0.116 0.007 4.27×10-7
완전이동 4.23 0.036 9.70m
표층이동 9.07 0.091 24.79m
A.H.H.W 2.72 271.81 0.116 0.010 4.27×10-7
완전이동 4.50 0.046 12.48m
2-2구간
표층이동 8.10 0.052 14.10m
A.L.L.W 1.74 271.81 0.116 0.006 4.27×10-7
완전이동 3.94 0.026 7.04m

이동한계수심 검토(사또・다나까의
검토
검토((사또
사또・・다나까의 계산식에 의한 방법)
방법)
α : 계수(표층이동 : 1.35, 완전이동 : 2.40) H : 수심 hi 에서의 파고(m)
      Lo : 심해파장(m) hi : 이동한계 수심(m)
        ×  
    L : 수심 hi 에서의 파장(m) Ho' : 환산심해파고(m)
ds : 저질의 평균 및 중앙 입경(m)

- 37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구 분 H1/3(m) Ho'(m) Lo(m) ds(mm) L(m) 이동한계수심


표층이동 24.82
A.H.H.W 3.50 3.45 271.81 0.116 147.37
완전이동 15.55
1구간
표층이동 14.21
A.L.L.W 2.60 2.24 271.81 0.116 106.37
완전이동 8.59
표층이동 22.61
A.H.H.W 3.20 3.12 271.81 0.116 143.65
완전이동 14.00
2-1구간
표층이동 12.11
A.L.L.W 2.30 1.93 271.81 0.116 100.43
완전이동 7.24
표층이동 20.09
A.H.H.W 2.80 2.72 271.81 0.116 141.72
완전이동 12.25
2-2구간
표층이동 10.86
A.L.L.W 2.10 1.74 271.81 0.116 97.29
완전이동 6.43

검토결과
이동한계수심(m) 전면수심 세굴방지공
구 분
도표에 의한 방법 계산식에 의한 방법 (m) 설치여부
표층이동 32.16m 24.82
A.H.H.W 14.25
완전이동 16.43m 15.55
1구간 설치
표층이동 19.46m 14.21
A.L.L.W 7.00
완전이동 9.47m 8.59
표층이동 28.59m 22.61
A.H.H.W 13.45
완전이동 14.32m 14.00
2-1구간 설치
표층이동 16.23m 12.11
A.L.L.W 6.20
완전이동 9.70m 7.24
표층이동 24.79m 20.09
A.H.H.W 13.05
완전이동 12.48m 12.25
2-2구간 설치
표층이동 14.10m 10.86
A.L.L.W 5.80
완전이동 7.04m 6.43

서해안 지역 특성상 큰조위차에 의한 기저부 세굴이 발생하여 세굴방지공 설치가 필요함


설계적용
전구간 영구 구조물임을 고려하여 사석의 유실방지 및 구조물전면 흡출방지를 위해 세굴방지공 설치가 필요함

세굴방지공 규모 결정
파랑에 의한 이동한계 입경 검토(사또・다나까
검토
검토((사또
사또・・다나까 공식에 의한 방법)
방법)
구 분 Ho'(m) Lo(m) h(m) Ho'/Lo h/Ho' 입경(mm)
표층이동 9.32 8.488
A.H.H.W 3.45 271.81 14.25 0.013
완전이동 4.76 1.511
1구간
표층이동 8.69 1.256
A.L.L.W 2.24 271.81 7.00 0.008
완전이동 4.23 0.224
표층이동 9.16 8.712
A.H.H.W 3.12 271.81 13.45 0.011
완전이동 4.59 1.551
2-1구간
표층이동 8.41 1.064
A.L.L.W 1.93 271.81 6.20 0.007
완전이동 4.23 0.189
표층이동 9.07 6.872
A.H.H.W 2.72 271.81 13.05 0.010
완전이동 4.50 1.223
2-2구간
표층이동 8.10 0.904
A.L.L.W 1.74 271.81 5.80 0.006
완전이동 3.94 0.161

설계적용 1구간은 0.2m3/EA급 피복석 2층적, 2구간은 1.0m3/EA급 피복석 1층적 적용

- 38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세굴방지공 형식 결정
세굴방지공 형식검토
구 분 Berm Type Buried Type

단면형상

원호활동에 대한 저항모멘트가 커져 안정성 증대 원지반에 근입되어 파랑내습시 안정성 확보


파랑 및 유속에 대한 저항성 증대 흐름차단공과 연계성 불리
특 징
흐름차단공과 연계성 양호 침하발생으로 제체사석 붕괴우려
제체축조와 동시에 설치를 수행하여 시공성 양호 제체축조전 원지반 굴착으로 시공성 불리

적 용 ◉

세굴방지공 폭 검토
구 분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Shore Protection Manual Rock Manual

형 상

산정기준 최소 3.0m B = (3.0~4.5) × H Ss = 최소 6.0m

적 용 ◉

세굴방지공 선정
구 분 1구간 2구간 수치모형실험(국부세굴)

단면형상

Berm Type+DCM 부상토 Berm Type+DCM 부상토


형 식
세굴방지 역할 세굴방지 역할
최대 세굴심 0.40m 발생
영구 구조물인 점을 고려한 세굴방지 계획으로 제체 안정성 확보
특 성
DCM 부상토를 개량하여 세굴방지 역할로 안전성 증대

세굴방지공 검토결과
사석 소요규격은 0.03m3급으로 충분하나 기초부 보호를 위해 0.3m3, 1.0m3급 피복석으로 상향 적용함
설계적용 1구간은 사석 기저부는 DCM 기초보강으로 원지반 세굴위험이 감소되어 기초사석 흡출방지를 위한
피복석을 거치하였으며,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의 최소규모인 3.0m를 적용함

- 39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3.1.8 필터매트
필터매트는 필터사석 상부에 밀착, 설치되어 물의 흐름에 따른 토사의 이동을 막으면서 물을 통과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필터매트의 기능 중 분리기능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소요규격을 결정
기본방향
필터매트의 설계에서는 필터매트의 꿰뚫림 강도(Puncturing Strength),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파열강도(Bursting Strength) 등을 고려

필터매트 소요규격 산정
유효수직응력 산정
필터매트에 가해지는 유효수직응력은 배면사석에서 작용하는 K : 토압계수
토압으로 산정 γ1,2 : 사석의 수상, 수중 단위중량(kN/m3)
   ·∑  ·     ·    ·   h1,2 : 사석층의 수상, 수중 두께(m)

     ø : 사석의 내부마찰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δ
ψ
: 벽면과의 마찰각(゚)
: 벽 배면의 수직에 대한 각(゚)

구 분 ø(゚) ψ(゚) δ(゚) β(゚) K γ1(kN/m3) γ2(kN/m3) h1(m) h2(m) P(kN/m2)


유효수직응력 40 50 20 0 1.03 18.0 10.0 1.18 9.02 86.12

소요 꿰뚫림 강도 산정
필터매트의 꿰뚫림 강도는 조립재료와 매트 사이의 접촉력에 의해 결정
Rp : 필터매트의 소요 꿰뚫림강도(kN) d : 조립재의 직경(m)
   · ·  
Fs : 안전율(2.0) P : 필터매트에 가해지는 유효수직응력(kN/m2)

구 분 FS P(kN/m2) d(m) Rp(kN)


소요꿰뚫림강도 2.0 86.12 0.1 1.72

소요 인장강도 산정
필터매트는 조립재료 사이에서 클램프(Clamp)되어 인장력을 받기 때문에 이에 저항할 수 있는 인장강도 필요

     ·  ·     ·  ·   ·   
Rg : 필터매트의 소요 인장강도(kN) b : 인근사석간의평균거리(0.40D, D=조립재의 직경)
Fs : 안전율(2.0) P : 필터매트에 가해지는 유효수직응력(kN/m2)
a : 필터매트에 작용되는 단위폭당 인장력(kN/m2) f(ε): 신도함수(인장신도(25%<ε<125%)일 때 0.58)

구 분 FS P(kN/m2) b(m) f(ε) Rg(kN)


소요인장강도 2.0 86.12 0.04 0.58 0.16

소요 파열강도 산정
조립재료에 의한 유효수직응력으로 인해 조립재료 사이의 간극에 놓여지는 부분이 파열될 우려가 있어 그에 맞는
충분한 파열강도 필요
Brst시험 (KS 0350 : 볼 버스팅법)에 의해 추정


   ·  ·

b : 인근사석간의평균거리(0.40D, D=조립재의 직경)
Rb : 필터매트의 소요 파열강도(kN/m2)
bb : 시험기 원형구멍의 직경(0.0305m)
Fs : 안전율(2.0)
P : 필터매트에 가해지는 유효수직응력(kN/m2)

구 분 FS P(kN/m2) D(m) b(m) bb(m) Rb(kN/m2)


소요파열강도 2.0 86.12 0.1 0.04 0.0305 225.89

- 40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필터매트 검토결과
구 분 꿰뚫림강도(kN) 최대인장강도(kN) 인장신도(%) 파열강도(kN/m2) 비 고
소 요 규 격 1.722 0.16 25~125 225.89

필터매트 규격은 품질기준에 맞는 50kN/m 필터매트로 충분하나 제체내・외 수위차 발생시 파이핑에
설계적용
의한 수압을 고려하여 100kN/m 필터매트를 적용함

준설토 유출방지공
호안의 경우 준설토 투기시 준설토 유출방지를 위하여 필터매트 부설이 필요하며, 제체 내・외 수위차에 의해 수압이
매트에 작용하여 떠오를 수 있으므로 수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매트정치 필요

매트정치공 형식
형 식 보호압사석 철근망

형 상

매트 정치능력 우수, 노출차단으로 장기운영 가능 철근고정시 매트손상, 매트노출로 장기운영 불가


특 징
친환경적, 내외 수위차가 큰 지역에 적합 철근부식, 내외 수위차가 큰 지역에 불리

형 식 돌망태 모래주머니

형 상

부설시 매트손상, 노출차단으로 장기운영 가능 로프고정시 매트손상, 매트노출로 장기운영 불가


특 징
친환경적, 내외 수위차가 큰 지역에 불리 친환경적, 내외 수위차가 큰 지역에 불리

설계적용 매트정치공 형식은 큰 조위차에 적합하고 장기간 유지관리에 적합한 보호압사석으로 선정함

배면보호공
필터매트에 전달되는 파압과 제체 외수위가 내수위보다 높을 때의 내수위보다 높을 때의 작용 수압 계산으로
필터매트 부상등 이상이 없도록 보호압사석 안정 검토

피해사례조사
구 분 필터사석 붕괴 및 필터매트 손상 배면토사 유실

피해형상

내외 수위차에 의한 필터사석 내・외 수위차로 인한 사석 붕괴 제체 내외 수위차로 인한 배면


피해원인
붕괴 및 매트 노출, 파이핑 발생 및 필터매트 노출 보강사석 및 토사의 유실로 붕괴
피해사례 인천 송도 공유수면매립(4공구) 군산항 준설토투기장(3공구) 군산항 준설토투기장(3공구)
조사결과 제체 내・외 수위차에 의한 매트부상 및 파이핑 발생

- 41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제채 내・외
내・외 수위차 검토
제체 내・외
내・외 수위차 적용사례조사
구 분 제체외측 제체내측 비 고
인천신항 신규 준설토투기장 호안축조공사 A.H.H.W DL.(+)9.170 M.S.L DL.(+)4.585
인천신항 진입도로 및 호안 축조공사(1, 2공구) A.H.H.W DL.(+)9.270 M.S.L DL.(+)4.635
인천항 제3준설토 투기장 축조공사 A.H.H.W DL.(+)9.270 M.S.L DL.(+)4.635
인 천 신 항 1 - 1 단 계 컨 부 두 A.H.H.W DL.(+)9.270 M.S.L DL.(+)4.635
부산신항 남컨부두 준설토 투기장 A.H.H.W DL.(+)2.040 M.S.L DL.(+)0.953

제체 내・외 수위차 검토 결과 준설토 투기장 및 호안의 제체 내・외 수위차(고조위시)를 분석한 결과


설계적용
제체 외측수위는 약최고고조위, 내측수위는 평균해면을 적용

제체 내・외
내・외 수위차 적용
구 분 제체외측 제체내측 적 용
경 사 제
A.H.H.W DL.(+)7.246 M.S.L DL.(+)3.623 ◉
구 간

필터매트 부상 검토
준설토 투기시 필터매트의 막힘 현상이 발생한다는 전제하에 조위가 약최고고조위(A.H.H.W) 일 때 수압이 매트에
작용하여 떠오를 수 있으므로 수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보호압사석 규모검토

배면보호공 내・외 수위차 원호검토 수리모형실험

Fs = 1.48>1.30 O.K

전수압과 배면사석 저항력에 의한 방법


수위차에 의한 수압
Pw = Rw × h = 10.1 × 3.62 = 36.59 kN/m2 DL.(+)4.80m = 24.70 kN/m2
수위차에 의한 전수압
Fw = 1/2 × 24.70 × 1.84 + 1/2 × 36.59 × 1.84 + 36.59 × 14.09 = 571.98 kN/m2
배면토사에 의한 저항력
W1 + W2 = 18.79m2 × 18.0 kN/m3 + 78.56m2 × 10.0 kN/m3 = 1,123.82 kN/m2
합력에 의한 저항력(W=10゚)
R = 1,123.82 / sin(180 - (ω + 40゚ + 39.81)) = 719.52 kN/m
Fs = 719.52 / 571.98 = 1.26 > 1.20

구 분 수 압 저항력 안전율 결 과
경사제구간 571.98 kN/m2 717.52kN/m2 1.26 > 1.20 O.K

3.1.9 제두부 규모산정


구 분 NAVFAC DM26.1 BS6349 SPM/CEM
L = 5 × H1/3 L = (1 ~ 2)h, h = 제체높이 구조물 끝에서
산 정 식
= 5 × 3.5m = 17.5m = 13.2 ~ 26.4m 15.0 ~ 45.0m

설계적용 케이슨 2함 기준 20.0m로 결정

- 42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3.1.10 항내
항내・외
항내・・외 수위차를 고려한 설계조건 선정

이상파랑 내습시 방파제는 항외측 주파랑(W, 경사입사파) 압파와 회절파로 인한 항내측 인파가 동시에 발생되므로
작용하는 항외측 파력과 항내측 파력을 합산하여 적용검토
해역 특성상 경사입사파랑(W파향)내습시 회절파에 의한 항내・외수위차를 고려하여 안정성을 확보 해야함.

외력산정 및 피해사례
종래의 설계기법 실제 방파제 적용 파압 활동파괴 사례

방파호안 내
내・외수위차
・외수위차 발생 검토

W 심해설계파 내습 시 북측방파호안 1구간에서의 내‧외 수위차를 항내정온도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확인하였음


방파호안 1구간을 대상으로 5개 지점을 선정하고 1초 간격으로 내측과 외측 수위자료를 추출하였으며, 수위자료를
시계열로 비교하여 내・외측 수위 중 가장 큰 값을 추출하였음
방파호안 내측수위 산정결과 P1 지점에서 가장 크게 수위가 내려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P5로 갈수록 내측
최저수위는 높아지는 경향이 발생하였음
이는 제두부측에서 발생한 회절파의 영향으로 제두부와 인접한 부분은 수위가 많이 내려가고 제간부측으로
이동할수록 그 경향이 작아지는 것은 회절파에 의한 영향이 그만큼 줄어든 경향이라 볼 수 있음
따라서, 회절파에 의한 내・외수위 변화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됨

수위(m)
구분
P1 P2 P3 P4 P5

외측최고수위 2.48 1.77 1.45 1.82 1.98


방파호안
1 구 간
내측최저수위 -0.90 -0.46 -0.36 -0.27 -0.21

방파호안 1구간의 내・외 수위차 산정 위치도 W 심해설계파 내습 시의 파랑전파도

- 43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방파호안 내・외 수위차(P1)

항내측 적용 설계파
항내외측(비태풍파) 파고분포도

항내측 설계파 1.2m는 설계파 산정실험에서 산정된 결과로 제두부측의 회절파 저감 고려시 파고는
설계적용
다소 낮아질 수 있으나 보수적 관점에서 1.2m를 적용하였음.

파압적용조건
파봉시 파곡시
구 분
항외측 압파 + 항내측 인파 항외측 인파 + 항내측 압파

파 력
분 포 도

항내・외수위차에 의한 외력 증가를 고려하여 항외측 압파 + 항내측 인파, 항내측 인파 + 항외측


설계적용 압파를 설계조건에 적용함.
외력 검토 케이스를 상향 적용 하여 기준 안전율 및 지지력 확보가 가능한 단면계획 수립

- 44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3.2 단면구조형식 선정
해역의 수심, 지반, 파랑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용 가능한 예비단면 구상
기본방향
수리특성, 안정성, 내구성, 경제성, 시공성, 환경성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 후 예비단면 선정

3.2.1 구조형식 예비안 선정


주요 평가항목
항 목 검토사항 항 목 검토사항
수리특성 월파, 반사파, 회절파 및 파압 저감 안 정 성 수리특성을 고려한 내파 안정성
내 구 성 내염해성 향상, 내구년수 증대 이 용 성 친수경관 및 공간 활용성
시 공 성 시공장비 및 현지적용 공법 유지관리 유지보수 최소화 및 내구수명 향상
경 제 성 초기투자비, 유지관리비 절감 환 경 성 해양수질 보전, 환경영향 최소화

구조형식 예비안 평가 및 선정
1안(사석경사제) 2안(소파블록피복 경사제) 3안(소파블록 혼성제)

4안(무공케이슨) 5안(소파블록피복 케이슨) 6안(오픈슬릿케이슨)

검토항목별 평가(○ : 우수, △ : 보통, × : 불량) 예비


구 분
수리특성 안정성 내구성 이용성 시공성 유지관리 경제성 환경성 선정
사 석 경 사 제 ○ ○ △ △ ○ △ ○ △ ◉
소파블록피복 경사제 ○ ○ △ △ ○ △ ○ △ ◉
소파블록 혼성제 △ △ △ ○ △ △ ○ △
무 공 케 이 슨 × ○ ○ ○ △ ○ △ △
소파블록피복 케이슨 ○ ○ ○ ○ × △ × △
오픈슬릿케이슨 ○ ○ ○ △ △ ○ ○ △ ◉

최근 방파제 피해사례조사
구 분 2020년 제9호 태풍 마이삭 내습시 울릉도 사동항 비고

피해 사례

피해 내용 사동항 2단계 방파제 200m(사석 경사제) 상치콘크리트 전도, 소파블록(100톤급) 및 제체사석 유실

- 45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3.2.2 구간별 구조형식 최적안 단면선정


방파호안 제간부
제간부(1-2구간)
제간부(1-2
(1-2
(1-2구간
구간
구간))
구 분 기본조사 : 사석경사제 제1안 : 연파제어형 요철 케이슨

단면형상

마루높이 : DL.(+)10.20m 마루높이 : DL.(+)13.20m [3.0m 증고]


단면제원
피복재 : 피복석 0.6m3급 케이슨제원 : 11.0B×22.9L×13.2H
이상파 내습시 피복석 이탈 발생 이상파 내습시 구조물 안정성 확보
제체 안정성 미확보 좌우 대칭형 요철 오픈슬릿 유수실
단면특성
월파 과다 발생 항내정온도 불량 연파 및 월파저감 우수
경사제로 제체폭 과다 항내수역 잠식 직립제로 제체폭 축소 항내수역 확보

수리특성

P 72.2 P 90.0

VE/LCC C 0.92 C 1.00

V 78.5 V 90.0

구 분 제2안 : 반원 오픈슬릿 케이슨 제3안 : 직립 오픈슬릿 케이슨

단면형상

마루높이 : DL.(+)13.20m 마루높이 : DL.(+)13.20m


단면제원
케이슨제원 : 11.0B×22.9L×13.2H 케이슨제원 : 11.0B×22.9L×13.2H

반원 오픈슬릿 유수실 월파저감 우수 직립 오픈슬릿 유수실 월파저감 보통


단면특성
원형 형상에 따른 경제성 및 시공성 불리 단순 직립형으로 연파저감효과 불리

P 83.1 P 80.4

VE/LCC C 1.03 C 1.03

V 80.7 V 78.1

- 46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방파호안 제두부
제두부(1-1구간)
제두부(1-1
(1-1
(1-1구간
구간
구간))
구 분 기본조사 : 사석경사제 기본설계 : 3면 오픈슬릿 케이슨

단면형상

단면형식 : 사석경사제 단면형식 : 3면 오픈슬릿 케이슨


마루높이 : DL.(+)10.20m 마루높이 : DL.(+)13.20m [3.0m 증고]
단면제원
피복재 : 피복석 0.8m3급 케이슨제원 : 21.1B×13.3L×13.2H
제체폭(항로측) : 31.4m 제체폭(항로측) : 18.7m
3면 피복석 피복으로 회절파 저감 보통 3면 오픈유수실로 회절파 저감 우수
단면특성 경사제 형식 적용에 따른 진입항로 간섭 직립제 형식 적용으로 진입항로 간섭 최소화
선박 통항 안전성 불리 선박 통항 안전성 강화

수리특성

P 70.2 P 92.0

VE/LCC C 0.82 C 1.00

V 85.6 V 92.0

방파호안 2
2구간
구간
구 분 기본조사 : 사석경사제 기본설계 : 소파블록 피복 경사제

단면형상

마루높이 : DL.(+)10.20m 마루높이 : DL.(+)13.20m [3.0m 증고]


단면제원
피 복 재 : 피복석 0.6m3급 피 복 재 : 소파블록 5톤급
이상파 내습시 피복석 이탈 발생 복합사면 반파형 상치 및 소파블록 5톤급 적용
단면특성 제체 안정성 미확보 이상파 내습시 제체 안정성 확보
월파 과다 발생 배후부지 피해발생 연파제어 및 월파저감 효과 우수

수리특성

P 70.2 P 92.0

VE/LCC C 0.88 C 1.00

V 79.8 V 92.0

- 47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3.3 채택안 구간별 안정검토


3.3.1 개요
방파호안 구간별 안정검토 결과 아래표와 같으며 전체적으로 모든구간에 안정성을 확보함
기본방향
구간은 케이슨구간(1-1, 1-2구간)과 경사제구간(2-1, 2-2구간)으로 구분됨

구간별 안정검토 결과
활동 전도 마운드지지력 직선활동
구 분 비 고
(Fs) (Fs) (kN/m2) (Fs)

파압시 1.24 1.52 467.29 1.33


제 간 부
지진시 1.92 3.03 253.12 1.83
케 (1-2구간)

시공시 1.45 2.34 - 1.62


파압시 2.16 4.84 257.58 2.40

간 제 두 부
지진시 2.51 6.35 239.50 2.57
(1-1구간)
시공시 2.55 6.11 - 2.85

파압시 2.36 3.98 164.29 1.31


매립전
소 파 블 록 지진시 4.71 6.92 133.01 1.48
피복 경사제
(2-1구간) 평상시 5.71 19.72 157.16 1.54

매립후

지진시 3.66 6.24 166.15 1.34


파압시 2.66 5.15 151.21 1.37

간 매립전
지진시 4.74 6.93 133.16 1.51
사석경사제
(2-2구간)
평상시 5.71 19.72 157.16 1.54
매립후
지진시 3.66 6.24 166.15 1.34

방파호안 구간별 시설구분

- 48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3.3.2 제간부
제간부(1-2)구간
제간부(1-2)
(1-2)
(1-2)구간
구간 안정검토
케이슨 단면제원
케이슨 규격 : 11.0B(m) × 12.5H(m) × 22.9L(m) 케이슨 중량 : 21,565kN/함

표준단면도

검토조건
약최고고조위 : A.H.H.W(+) 7.246m 지표면가속도 : 0.192g(1등급)
평균해면 : M.S.L(+) 3.623m 설치수심 : DL.(-) 8.40m
약최저저조위 : A.L.L.W(+) 0.000m 상재하중 : 10kN/m2

설계파제원
구 분 설계파고(H1/3) 주기(T1/3) 파 향 파향보정 비 고

파 압 시 3.50m 13.2s W 54.1゚ 비태풍파

파 압 시(후면) 1.20m 13.2s W - 비태풍파(회절파)

시 공 시 2.90m 10.9s W 54.1゚ 10년빈도

안정검토 결과요약
구 분 파봉시 파곡시 시공시 지진시 결 과

활 동 1.24>1.20 1.71>1.20 1.45>1.10 1.92>1.00 O.K

전 도 1.52>1.20 2.72>1.20 2.34>1.10 3.03>1.00 O.K

사석마운드 직선활동 1.33>1.20 1.81>1.20 1.62>1.10 1.83>1.00 O.K

사석마운드 지지력 467.29<500 289.86<500 - 253.12<600 O.K

- 49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사용하중조합
전면파압 상재하중에
구 분 자 중 상재하중 파봉시 파곡시 후면 파압 동수압 관성력 비고
(무공직립) 의한 관성력
CASE-1 ◉ ◉ ◉
◉(인파Ⅱ) 압파Ⅰ
CASE-2 ◉ ◉ ◉ ◉
CASE-3 ◉ ◉ ◉
◉(인파Ⅱ) 압파Ⅱa
CASE-4 ◉ ◉ ◉ ◉
CASE-5 ◉ ◉ ◉
파 ◉(인파Ⅱ) 압파Ⅱb
CASE-6 ◉ ◉ ◉ ◉

시 CASE-7 ◉ ◉ ◉
◉(압파Ⅰ) 인파Ⅰ
CASE-8 ◉ ◉ ◉ ◉
CASE-9 ◉ ◉ ◉
◉(압파Ⅰ) 인파Ⅱ
CASE-10 ◉ ◉ ◉ ◉
CASE-11 ◉ ◉ ◉
◉(압파Ⅰ) 인파Ⅲ
CASE-12 ◉ ◉ ◉ ◉
CASE-13 ◉ ◉ ◉ 압파Ⅰ
CASE-14 ◉ ◉ ◉ 압파Ⅱa
시 CASE-15 ◉ ◉ ◉ 압파Ⅱb

시 CASE-16 ◉ ◉ 인파Ⅰ
CASE-17 ◉ ◉ 인파Ⅱ
CASE-18 ◉ ◉ 인파Ⅲ
CASE-19 ◉ ◉ ◉ 항내측
지 CASE-20 ◉ ◉ ◉ ◉ ◉ 방향

시 CASE-21 ◉ ◉ ◉ 항외측
CASE-22 ◉ ◉ ◉ ◉ ◉ 방향

허용안전율
사석마운드 사석마운드
구 분 활 동 전 도 비 고
지지력 직선활동
파 압 시 1.20 1.20 500kN/m2 1.20
지 진 시 1.10 1.10 600kN/m2 1.00
시 공 시 1.10 1.10 - 1.10

안정검토 산출식
활 동 전 도 사석마운드 직선활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석 마운드 지지력
∑  ∑
× ∑
  
    삼각형 분포 < 500
 인경우 
  
∑    
 ≤ 인경우          ∑ × ±
   ×
   사다리꼴 분포 < 500
   

- 50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제체중량 및 상재하중에 의한 외력
제체중량 및 모멘트 합계(파봉시)
합계
합계((파봉시
파봉시))
구 분 체적(m3) 단위중량(kN/m3) 자중(kN) 중심위치x(m) 모멘트(kN・m)

케이슨 본체 898.52 24.00 21,564.62 6.73 145,198.22

속 채 움 1,063.10 - 21,262.13 6.99 148,592.29

덮개콘크리트 42.28 22.60 955.53 7.98 7,627.71

상치콘크리트 438.02 - 9,942.19 5.15 51,174.45

합계(함당) 53,724.47 6.56 352,592.67

부력 및 모멘트 합계
구 분 체적(m3) 단위중량(kN/m3) 자중(kN) 중심위치x(m) 모멘트(kN・m)

합계(함당) 1,989.08 10.1 20,089.7 6.87 137,994.97

상재하중 및 모멘트
구 분 형상치수(m) 연직력(kN) 중심위치x(m) 모멘트(kN・m)

파 봉 시 10.00 × 6.20 × 22.90 1,419.80 4.30 6,105.14

파 곡 시 10.00 × 6.20 × 22.90 1,419.80 6.70 9,512.66

파압 산정식
파압시(오픈슬릿)
파압시
파압시((오픈슬릿
오픈슬릿)) 파력 분포도
압파Ⅰ 압파Ⅱa 압파Ⅱb



인파Ⅰ 인파Ⅱ 인파Ⅲ



- 51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오픈슬릿에 작용하는 파력 산정식


     ⋅  ⋅ ⋅  ⋅⋅

        : 충격쇄파력 고려시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수면상 파압강도가 0이되는 높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압단계별 λ값
λ값
구 분 기호 압파Ⅰ시 압파Ⅱa시 압파Ⅱb시
 0.85 0.70 0.30
슬 릿 부 0.4 (α*≤0.75)
 0 0
0.3/α* (α*>0.75)

  1.00 0.75 0.65


전 면 벽 0.4 (α*≤0.50)
  0 0
0.2/α* (α*>0.50)

1.4 (HD/h≤0.10)
20ℓ/3L' (ℓ/L'≤0.15)
  0 1.6-2HD/h (0.1<HD/h<0.3)
1.0 (ℓ/L'>0.15)
1.0 (HD/h≥0.30)
후 면 벽
0.56 (α*≤25/28)
  0 0
0.5/α* (α*>25/28)

1.4 (HD/h≤0.10)
20ℓ/3L' (ℓ/L'≤0.15)
  0 1.6-2HD/h (0.1<HD/h<0.3)
유 수 실 1.0 (ℓ/L'>0.15)
저 판 1.0 (HD/h≥0.30)

  0 0 0
 1.00 0.75 0.65
양 압 력
 0 0 0

- 52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파곡시 수위 및 파력 산정식
파곡Ⅰ의 수위 및 파력 산정식
   : 케이슨 전면의 수위,           : 유수실내의 수위
         ×   : 후면벽 및 하상판, 슬릿부에 작용하는 작용하는 파력
파곡Ⅱ의 수위 및 파력 산정식
   : 케이슨 전면의 수위
파곡Ⅲ의 수위 및 파력 산정식
      : 유수실내의 수위

직립벽에 작용하는 파력 산정식(고다


산정식
산정식((고다 파압산정식)
파압산정식)
파봉시
         : 정수면상 파압강도가 0이되는 높이

            
 : 전면벽에 작용하는 파압

      : 저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    
파곡시

   : 정수면상 파압강도가 0이되는 높이


   
: 벽체 및 저판에 작용하는 파력

파압계수(α) 산정식
여기서, η* : 정수면상에서 파압 강도가 0이 되는 점까지의 높이(m)
p1 : 정수면에서의 파압 강도(kN/m2)
   p2 : 해저면에서의 파압 강도(kN/m2)
    p3 : 직립벽 저면에서의 파압 강도(kN/m2)
   
ρo : 해수의 밀도(t/m3)
    g : 중력가속도(m/s)
  
        λ1, λ2 : 파압의 보정계수(표준 1.0)
   
h : 직립벽 전면의 수심(m)
h' : 직립벽 저면의 수심(m)
  d : 사석부의 근고공 또는 피복공의 마루 중에서 작은 수심(m)
    
    HD : 설계계산에 쓰이는 파고(m)
L : 수심h에서의 설계계산에 쓰이는 파장(m)
min (a, b) : a 또는 b중 작은 값

파압시(직립벽)
파압시
파압시((직립벽
직립벽)) 파압 분포도
파봉시 파곡시

- 53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전면 케이슨유공율

ε' = {(0.70×3.05×6EA) + (0.70×2.90×6EA)} / (18.20×8.00) = 27.50%


∴ 1 - ε' = 72.50%

정수면상 파압강도의 0이
0이 되는 높이

η* = 0.75 (1 + cos β) HD = 0.75 × (1 + cos54.1 ) × 6.3 = 7.5m

파압계수 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압파Ⅰ
압파Ⅰ
파압계수 및 보정계수
구 분 ⍺1 ⍺* ⍺3 λS1 λS2 λL1 λL2 λU1 λU2 비고

산 정 값 0.897 0.000 0.861 0.85 0.40 1.00 0.40 1.00 0.00

전면벽(슬릿부)에
전면벽
전면벽((슬릿부
슬릿부))에 작용하는 파압


P1 = × (1+cosβ) × (⍺1 × λS1 + ⍺* × λS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7 × 0.85 + 0.00 × 0.40 × cos254.1゚) × 10.1 × 6.30 = 38.48 kN/m2
 
P2 =  = 31.75 kN/m2
   ×      ×  
P3 = ⍺3 × P1 = 33.13kN/m2

전면벽(불투과부)에
전면벽
전면벽((불투과부
불투과부))에 작용하는 파압


P1 = × (1+cosβ) × ( ⍺1 × λL1 + ⍺* × λL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7 × 1.00 + 0.00 × 0.40 × cos254.1゚) × 10.1 × 6.30 = 45.27 kN/m2
 
P2 =  = 37.35 kN/m2
   ×      ×  
P3 = ⍺3 × P1 = 38.98 kN/m2

저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Pu =  × (1+cosβ) × ⍺1 × ⍺3 × λu1 × w0 × HD = 38.98 kN/m2


- 54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압파Ⅱa
압파
압파Ⅱ
Ⅱa
파압계수 및 보정계수
구 분 ⍺1 ⍺* ⍺3 λS1 λS2 λL1 λL2 비 고

산 정 값 0.897 0.00 0.861 0.70 0.00 0.75 0.00

구 분 λU1 λU2 ℓ/L' λR1 λR2 λM1 λM2 비 고

산 정 값 0.75 0.00 0.027 0.182 0.56 0.182 0.00

전면벽(슬릿부)에
전면벽
전면벽((슬릿부
슬릿부))에 작용하는 파압

P1 =  × (1+cosβ) × (⍺1 × λS1 + ⍺* × λS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7 × 0.70 + 0.00 × 0.00 × cos254.1゚) × 10.1 × 6.3 = 31.69 kN/m2
 
P2 =  = 26.15 kN/m2, P3 = ⍺3 × P1 = 27.29 kN/m2
   ×      ×  

전면벽(불투과부)에
전면벽
전면벽((불투과부
불투과부))에 작용하는 파압

P1 =  × (1+cosβ) × ( ⍺1 × λL1 + ⍺* × λL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7 × 0.75 + 0.00 × 0.00 × cos254.1゚) × 10.1 × 6.30 = 33.95 kN/m2
 
P2 =  = 28.01 kN/m2, P3 = ⍺3 × P1 = 29.23 kN/m2
   ×      ×  

후면벽에 작용하는 파압

P1 =  × (1+cosβ) × ( ⍺1 × λR1 + ⍺* × λR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7 × 0.182 + 0.00 × 0.56 × cos254.1゚) × 10.1 × 6.3 = 8.24 kN/m2
 
P2 =  = 6.80 kN/m2, P3 = ⍺3 × P1 = 7.09 kN/m2
   ×      ×  

유수실 저면에 작용하는 연직파압

P1 =  × (1+cosβ) × ( ⍺1 × λM1 + ⍺* × λM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7 × 0.182 + 0.00 × 0.00 × cos254.1゚) × 10.1 × 6.30 = 8.24 kN/m2
 
P2 =  = 6.80 kN/m2, P3 = ⍺3 × P1 = 7.09 kN/m2
   ×      ×  
  
P' = × 8.20 + P3 = 7.85 kN/m2


저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Pu =  × (1+cosβ) × ⍺1 × ⍺3 × λu1 × w0 × HD = 29.23 kN/m2


- 55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압파Ⅱb
압파
압파Ⅱ
Ⅱb
파압계수 및 보정계수
구 분 ⍺1 ⍺* ⍺3 λS1 λS2 λL1 λL2 비 고

산 정 값 0.897 0.00 0.861 0.30 0.00 0.65 0.00


구 분 λU1 λU2 HD/h λR1 λR2 λM1 λM2 비 고

산 정 값 0.65 0.00 0.403 1.00 0.00 1.00 0.00

전면벽(슬릿부)에
전면벽
전면벽((슬릿부
슬릿부))에 작용하는 파압

P1 =  × (1+cosβ) × (⍺1 × λS1 + ⍺* × λS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7 × 0.30 + 0.00 × 0.00 × cos254.1゚) × 10.1 × 6.30 = 13.58 kN/m2
 
P2 =  = 11.20 kN/m2, P3 = ⍺3 × P1 = 11.69 kN/m2
   ×      ×  

전면벽(불투과부)에
전면벽
전면벽((불투과부
불투과부))에 작용하는 파압

P1 =  × (1+cosβ) × ( ⍺1 × λL1 + ⍺* × λL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7 × 0.65 + 0.00 × 0.00 × cos254.1) × 10.1 × 6.30 = 29.43 kN/m2
 
P2 =  = 24.28 kN/m2, P3 = ⍺3 × P1 = 25.34 kN/m2
   ×      ×  

후면벽에 작용하는 파압

P1 =  × (1+cosβ) × ( ⍺1 × λR1 + ⍺* × λR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7 × 1.00 + 0.00 × 0.00 × cos254.1゚) × 10.1 × 6.30 = 45.27 kN/m2
 
P2 =  = 37.35 kN/m2, P3 = ⍺3 × P1 = 38.98 kN/m2
   ×      ×  

유수실 저면에 작용하는 연직파압

P1 =  × (1+cosβ) × ( ⍺1 × λM1 + ⍺* × λM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7 × 1.00 + 0.00 × 0.00 × cos254.1゚) × 10.1 × 6.30 = 45.27 kN/m2
 
P2 =  = 37.35 kN/m2, P3 = ⍺3 × P1 = 38.98 kN/m2
   ×      ×  
  
P' = × 8.20 + P3 = 43.12 kN/m2


저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Pu =  × (1+cosβ) × ⍺1 × ⍺3 × λU1 × w0 × HD = 25.34 kN/m2


- 56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인파Ⅰ
인파Ⅰ
케이슨 전면 및 유수실 수위산정
구 분 산 정 식 계 산 식 적용값

케이슨 전면의 수위 -0.35 × HD -0.35 × 6.30 -2.21

Min[0.35 × 6.30,
유수실내의 수위 Min[0.35HD, (2hc1 + hc2) / 3] 2.21
(2 × 0.754 + 5.754) / 3]

파압의 산정
구 분 산 정 식 계 산 식 적용값

전면벽에 작용하는 파력 -0.35 × w0 × HD -0.35 × 10.10 × 6.30 -22.27

후면벽에 작용하는 파력 Min[0.35HD, (2hc1 + hc2) / 3] × w0 2.21 × 10.10 22.32

슬릿부에 작용하는 파력 -(2.21 + 2.21) × w0 -(2.21 + 2.21) × 10.10 -44.59

저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0.35 × w0 × HD -0.35 × 10.10 × 6.30 -22.27

인파Ⅱ
인파Ⅱ
케이슨 전면 수위산정
구 분 산 정 식 계 산 식 적용값

케이슨 전면의 수위 -0.50 × HD -0.50 × 6.30 -3.15

파압의 산정
구 분 산 정 식 계 산 식 적용값

전면벽에 작용하는 파력 -0.50 × w0 × HD -0.35 × 10.10 × 6.30 -31.82

저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0.50 × w0 × HD -0.35 × 10.10 × 6.30 -31.82

인파Ⅲ
인파Ⅲ
케이슨 전면 및 유수실 수위산정
구 분 산 정 식 계 산 식 적용값

유수실내의 수위 Min[ -0.60HD, -0.35d'] Min[-0.60 × 6.30, -0.35 × 4.246] -1.49

파압의 산정
구 분 산 정 식 계 산 식 적용값

유수실내 작용하는 파압 -0.35 × w0 × d' -0.35 × 10.10 × 4.25 -15.01

- 57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무공직립벽에 작용하는 파력산정


정수면상 파압강도의 0이
0이 되는 높이

η* = 0.75 (1 + cos β) λ1 HD = 0.75 × (1 + cos54.1 ) × 1.00 × 6.3 = 7.5m

파압계수 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봉시
파압계수 및 보정계수
구 분 ⍺1 ⍺2 ⍺3 λ1 λ3 λ3 비 고

산 정 값 0.897 0.031 0.861 1.00 1.00 1.00

전면벽에 작용하는 파압

P1 =  × (1+cosβ) × (⍺1 × λ1 + ⍺2 × λS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7 × 1.00 + 0.031 × 1.00 × cos254.1゚) × 10.1 × 6.30 = 45.83 kN/m2

P3 = ⍺3 × P1 = 39.46 kN/m2

직립벽 마루에 작용하는 파압강도

η* > hc 일 경우, P4 = P1 × (1-  ) η* > hc 일 경우, P4 = 0


η
P4 = 45.83 × ( 1 -  ) = 9.45 kN/m2


저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Pu =  × (1+cosβ) × λ3 × ⍺1 × ⍺3 × w0 × HD = 38.98 kN/m2


- 58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파력에 의한 수평력 및 모멘트


파력작용도
압파Ⅰ(kN/m2) 압파Ⅱa(kN/m2)

압파Ⅱb(kN/m2) 인파Ⅰ(kN/m2)

인파Ⅱ(kN/m2) 인파Ⅲ(kN/m2)

- 59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케이슨 후면에 작용하는 파력


해역 특성상 항내・외 수위차는 분명히 발생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케이슨 전면에 파봉(파곡)시 후면에 작용하는
파곡(파봉)시 파력을 수평력에 합산하여 적용함

오픈슬릿케이슨에 작용하는 파력산정결과


파력 및 모멘트집계(m당)
모멘트집계
모멘트집계(m
(m
(m당
당)
케이슨전면 파압적용길이(L)는 오픈슬릿부 18.20m + 무공직립부 4.70m = 22.90m(L)적용
케이슨후면 파압적용길이(L)는 후면오픈슬릿부 22.90m(L) 적용

파봉시
구 분
V(kN/m) MV(kN・m/m) H(kN/m) MH(kN・m/m) 비 고
파 압 -  - 477.46 2,911.43
압파 Ⅰ
양압력 -214.39 -1,828.75  - -
오픈 파 압 8.58 62.29 428.14 3,027.60
압파 Ⅱa
슬릿 양압력 -145.97 -1,224.41  - -
파 압 47.17 342.45 596.55 5,472.50
압파 Ⅱb
양압력 -58.06 -381.42 - -
무공 파 압 53.37 387.47 678.46 5,578.63
파 봉 시
직립 양압력 -214.39 -1,829.42 - -
후 면 파 압 파 압 - - 107.58 606.11
( 파 곡 시 ) 양압력 59.99 220.16 -  -

파곡시
구 분
V(kN/m) MV(kN・m/m) H(kN/m) MH(kN・m/m) 비 고
파 압 - - 181.39 635.41  
인파 Ⅰ
양압력 164.58 545.08 - -  
오픈 파 압 - - 321.13 1,653.65  
인파 Ⅱ
슬릿 양압력 174.98 642.18 - -  
파 압 - - 15.29 28.30  
인파 Ⅲ
양압력 -28.30 -40.75 - -  
무공 파 압 - - 345.92 1,894.21  
파 곡 시
직립 양압력 175.01 642.29 - -  
후 면 파 압 파 압 - - 217.13 1,538.55
( 파 봉 시 ) 양압력 -92.68 -370.84 - -

파압시 단면안정 검토
케이슨 본체 하중집계(함당)
하중집계
하중집계((함당
함당))
모멘트(kN·m/함)
구 분 연직력(kN/함) 비 고
파봉시 파곡시
본 체 21,564.62 145,198.22 117,893.78
덮 개 955.53 7,627.71 4,032.34
상치콘크리트 9,942.19 51,174.45 70,092.44
속 채 움 21,262.12 148,592.29 110,775.65
부 력 -20,089.74 -137,994.97 -107,078.31
상 재 하 중 1,419.80 6,105.14 9,512.66

- 60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케이슨 안정검토 결과
활 동
구 분
∑V ∑H FS 비 고
CASE-1 30,349.82 14,342.12 1.27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압파 Ⅰ
CASE-2 31,769.62 14,342.12 1.33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CASE-3 31,751.22 13,444.49 1.42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파 봉 시 압파 Ⅱa
CASE-4 33,171.02 13,444.49 1.48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CASE-5 34,053.52 16,509.55 1.24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압파 Ⅱb
CASE-6 35,473.32 16,509.55 1.29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CASE-7 35,330.25 9,899.40 2.14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인파 Ⅰ
CASE-8 36,750.05 9,899.40 2.23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CASE-9 35,519.53 12,442.67 1.71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파 곡 시 인파 Ⅱ
CASE-10 36,939.33 12,442.67 1.78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CASE-11 31,819.84 6,876.38 2.78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인파 Ⅲ
CASE-12 33,239.64 6,876.38 2.90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전 도
구 분
∑MV ∑MH FS 비 고
CASE-1 179,578.95 93,087.51 1.93 상재하중無
압파 Ⅰ
CASE-2 185,684.09 93,087.51 1.99 상재하중有
CASE-3 191,711.63 95,201.80 2.01 상재하중無
파 봉 시 압파 Ⅱa
CASE-4 197,816.77 95,201.80 2.08 상재하중有
CASE-5 212,152.95 139,698.98 1.52 상재하중無
압파 Ⅱb
CASE-6 218,258.09 139,698.98 1.56 상재하중有
CASE-7 200,162.90 55,700.04 3.59 상재하중無
인파 Ⅰ
CASE-8 209,675.56 55,700.04 3.76 상재하중有
CASE-9 201,930.12 74,232.01 2.72 상재하중無
파 곡 시 인파 Ⅱ
CASE-10 211,442.78 74,232.01 2.85 상재하중有
CASE-11 189,500.79 44,650.64 4.24 상재하중無
인파 Ⅲ
CASE-12 199,013.45 44,650.64 4.46 상재하중有

사석마운드 지지력 및 직선활동 검토결과


사석마운드 지지력(kN/m2)
구 분 지지력분포 직선활동 비 고
qmax qmin
CASE-1 삼각형분포 310.02 - 1.38 상재하중無
압파 Ⅰ
CASE-2 삼각형분포 317.83 - 1.42 상재하중有
CASE-3 삼각형분포 304.06 - 1.49 상재하중無
파 봉 시 압파 Ⅱa
CASE-4 삼각형분포 312.52 - 1.53 상재하중有
CASE-5 삼각형분포 465.43 - 1.33 상재하중無
압파 Ⅱb
CASE-6 삼각형분포 467.29 - 1.37 상재하중有
CASE-7 사다리꼴분포 251.47 1.45 2.14 상재하중無
인파 Ⅰ
CASE-8 사다리꼴분포 255.10 7.98 2.19 상재하중有
CASE-9 삼각형분포 287.24 - 1.84 상재하중無
파 곡 시 인파 Ⅱ
CASE-10 삼각형분포 289.86 - 1.88 상재하중有
CASE-11 사다리꼴분포 200.72 27.07 2.55 상재하중無
인파 Ⅲ
CASE-12 사다리꼴분포 204.41 33.55 2.60 상재하중有

- 61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상치콘크리트 안정검토 결과
구 분 ∑V ∑MV ∑H ∑MH 활 동 전 도 비 고

파봉시 7,779.59 30,688.66 2,504.49 7,442.48 1.55 4.12

시공시 안정검토
안정검토 결과
활 동
구 분
∑V ∑H FS 비 고

압파 Ⅰ CASE-13 20,207.48 8,360.34 1.45

파 봉 시 압파 Ⅱa CASE-14 21,148.96 7,583.02 1.67 항내측방향

압파 Ⅱb CASE-15 22,283.37 8,569.28 1.56

인파 Ⅰ CASE-16 26,868.58 4,409.42 3.66

파 곡 시 인파 Ⅱ CASE-17 27,026.20 6,403.96 2.53 항외측방향

인파 Ⅲ CASE-18 23,872.32 1,643.75 8.71

전 도
구 분 직선활동 비 고
∑MV ∑MH FS

압파 Ⅰ CASE-13 133,693.38 52,900.36 2.53 1.62

파봉시 압파 Ⅱa CASE-14 142,072.48 51,838.03 2.74 1.78 항내측방향

압파 Ⅱb CASE-15 152,948.98 65,319.31 2.34 1.68

인파 Ⅰ CASE-16 135,865.04 35,616.40 3.81 3.01

파곡시 인파 Ⅱ CASE-17 137,857.94 34,388.44 4.01 2.46 항외측방향

인파 Ⅲ CASE-18 127,431.89 10,236.50 12.45 4.24

- 62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지진시 안정검토
제체중량에 의한 관성력 및 모멘트
중 량 수평지진계수 관성력 팔길이 모멘트
구 분
(kN/m) (Kh)=1/2amax (kN/m) y(m) My(kN・m)
케이슨 본체 21,564.62 0.096 2,070.20 5.03 10,413.11

덮개콘크리트 955.53 0.096 91.73 10.42 955.83

상치콘크리트 9,942.19 0.096 954.45 14.08 13,438.66

속 채 움 재 21,266.16 0.096 2,041.55 5.32 10,861.05

합 계 53,728.50 0.096 5,157.93 6.92 35,668.65

단 위 m 당 2,346.22 0.096 225.24 6.92 1,557.58

하중분포도 벽체외부에 작용하는 동수압

Pdw = ± 7/12 × kh × γw × H1/2 × y3/2, hdw = 3/5 × y

여기서, Pdw : 동수압의 합력(kN)


hdw : 수면으로부터 동수압 합력 작용점까지의 거리(m)
hdw' = 2/5 × y : 계산구역하단에서 동수압 합력의 작용점까지의
거리(m)

동수압 및 모멘트
구 분 설계진도 γw y(m) Pdw(kN/m) hdw'(m) Mh(kN・m/m)
전 면 벽 체 0.096 10.10 12.45 98.23 4.98 489.19

후 면 벽 체 0.096 10.10 12.45 98.23 4.98 489.19

m 당 합 계  -  -  - 196.46 4.98 978.38

함 당  -  -  - 4,498.93 4.98 22,404.90

전면유수실내에서 작용하는 동수압


구 분 설계진도 설계수심 γw Pdw(kN/m) y(m) Mh(kN・m/m)
전면유수실 전면벽체 0.096 4.25 10.10 5.81 9.90 57.52

전면유수실 후면벽체 0.096 4.25 10.10 5.81 9.90 57.52

m 당 합 계  -  -  - 11.62 9.90 115.04

함 당  -  -  - 266.10 9.90 2,634.42

후면유수실내에서 작용하는 동수압


구 분 설계진도 설계수심 γw Pdw(kN/m) y(m) Mh(kN・m/m)
후면유수실 전면벽체 0.096 9.35 10.10 12.35 6.84 84.47

후면유수실 후면벽체 0.096 9.35 10.10 12.35 6.84 84.47

m 당 합 계  -  -  - 24.70 6.84 168.94

함 당  - -   - 565.63 6.84 3,868.73

- 63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외력 및 내력
구 분 V(kN/m) MV(kN・m/m) H(kN/m) MH(kN・m/m) 비 고

동 수 압 - - 5,330.66 28,908.04

관 성 력 - - 5,157.93 35,668.65

케이슨 본체 21,564.62 145,198.22 - -

케이슨덮개 955.53 7,627.71 - -


자  
중 항내측 방향
상치 콘크리트 9,942.19 51,174.45 - -

속 채 움 21,262.12 148,592.29 - -

부 력 -20,089.74 -137,994.97 - -  

상재하중의 1/2 709.90 3,052.57 68.24 941.65  

계 34,344.62 217,650.27 10,556.83 65,518.34  

구 분 V(kN/m) MV(kN・m/m) H(kN/m) MH(kN・m/m) 비 고

동 수 압 - - 5,330.66 28,908.04

관 성 력 - - 5,157.93 35,668.65

케이슨 본체 21,564.62 117,893.78 - -

케이슨덮개 955.53 4,032.34 - -



 

상치 콘크리트 9,942.19 70,092.44 - - 항외측 방향 
 
속 채 움 21,262.12 110,775.65 - -

부 력 -20,089.74 -107,078.31 - -

상재하중의 1/2 709.90 5,608.21 68.24 941.65  

계 34,344.62 201,324.11 10,556.83 65,518.34  

안정검토 결과
사석마운드 지지력(kN/m2)
구 분 상재하중 활동 전도 직선활동 비 고
qmax qmin

CASE-19 1.92 3.32 217.49 23.29 1.83


항내측
CASE-20 ◉ 1.95 3.32 223.90 21.97 1.85
안전율
(FS)
CASE-21 1.92 3.03 251.07 - 2.00
항외측
CASE-22 ◉ 1.95 3.07 253.12 - 2.01

- 64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부유시 안정검토
계산식

I
- CG = GM > 0
V

여기서, V : 배수용적(m2)
I : 홀수면 장축에 대한 단면2차 모멘트
C : 부심, G : 중심, M : 경심
※ 안전을 위해 GM은 홀수의 5%이상

부유시 자중 및 모멘트
구 분 형상치수(m) 체적(m3) 자중(kN) 팔길이x(m) 모멘트(kN・m)
케이슨본체 11.0B × 22.90L × 13.20H 898.52 21,564.62 5.47 117,893.78

차 수 판 함당 수량 - 492.14 7.91 3,895.10

함 당 계 - - 22,056.76 5.52 121,788.88

Ballast 투입

1격실 0.00m 층수 2격실 0.00m 층수 3격실 4.10m 층수

Ballast 투입 후 부유시 안정계산


단위중량 중 량 팔길이(m) 모멘트(kN・m)
구 분
(kN/m3) (kN/m) X y Mx My
케이슨 본체 24.00 22,056.76 5.52 5.11 121,788.88 112,713.73

Bal l ast 10.10 1,922.99 9.00 2.67 17,306.91 5,139.83

합 계 - 23,979.75 - - 139,095.79 117,853.56

케이슨의 My 117,853.56
G = = = 4.91 m
중심(G) 계산 W 23,979.75

부력의 중심계산
구 분 부력(kN) 팔길이(m) 모멘트(kN・m) 비 고
케이슨 본체 21,053.11 5.82 122,529.10

전 면 요 철 307.85 0.70 215.50

전면요철저판 188.59 1.42 267.80

후 면 요 철 151.50 9.89 1,498.34

후면요철저판 98.41 9.31 916.20

TOE(□) 222.04 11.60 2,575.66

TOE(△) 27.75 11.80 327.45

합 계 22,049.25 5.82 128,330.05

- 65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W1ℓ1 + Wℓw = Fℓf


17,300 + 121,800 – 139,100 = 0 O.K

Ballast 투입후 여기서, W1 : Ballast 중량(kN)


케이슨 평행 W : 케이슨 중량(확대기초 중량 포함)(kN)
유지 검토 F : 케이슨(확대기초 포함)에 작용하는 부력(kN)
ℓ1 : 케이슨 외벽 외측으로부터 W1의 작용점까지의 거리(m)
ℓw : 케이슨 외벽 외측으로부터 W의 작용점까지의 거리(m)
ℓf : 케이슨 외벽 외측으로부터 F의 작용점까지의 거리(m)

배수체적(V)산정
배수체적
배수체적(V)
(V)
(V)산정
산정
구 분 체적(m3) 팔길이(m) 모멘트(kN・m) 비 고

케이슨 본체 2,275.61 5.56 12,652.39

전 면 요 철 30.48 2.10 64.01

전면요철저판 18.67 0.30 5.60

후 면 요 철 15.00 2.10 31.50

후면요철저판 9.74 0.30 2.92

TOE(□) 21.98 0.40 8.79

TOE(△) 2.75 0.87 2.39

합 계 2,374.23 5.38 12,767.60

케이슨의 W - VTOE × γw 23,979.75 – 98.62 × 10.1


D = = = 11.124 m
흘수(D) 계산 B × L × γw 204.56 × 10.1

케이슨 부유시 안정검토

My 12,767.60
부심산정 : C = = = 5.38 m
V 2,374.23

단면 2차 모멘트 산정 : I = I’ - ∑i = 6,536.64m4

I 6,536.64
케이슨의 경심과 부심과의 거리 : MC = = = 2.75 m
V 2,374.23

부유시 안정성 검토 GM = MC = GC
I 6,536.64
GM = - CG = - ( 4.91 - 5.38 )
V 2,374.23
3.22m > 0.05d = 0.05 × 11.12m = 0.56m ∴ O.K

- 66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3.3.3 제간부
제간부(1-2)
(1-2) 간이접안시설구간 안정검토
케이슨 단면제원
케이슨 규격 : 11.0B(m) × 12.5H(m) × 22.9L(m) 케이슨 중량 : 21,707kN/함

표준단면도

검토조건
약최고고조위 : A.H.H.W(+) 7.246m 지표면가속도 : 0.192g(1등급)
평균해면 : M.S.L(+) 3.623m 설치수심 : DL.(-) 8.20m
약최저저조위 : A.L.L.W(+) 0.000m 상재하중 : 10kN/m2

설계파제원
구 분 설계파고(H1/3) 주기(T1/3) 파향 파향보정 비 고

파 압 시 3.50m 13.2s W 54.1° 비태풍파

파 압 시 ( 후 면 ) 1.20m 13.2s - - 비태풍파(회절파)

안정검토 결과요약
구 분 파봉시 파곡시 지진시 결 과

활 동 1.26>1.20 1.72>1.20 1.97>1.00 O.K

전 도 1.51>1.20 2.78>1.20 3.18>1.00 O.K

사석마운드 직선활동 1.34>1.20 1.84>1.20 1.87>1.00 O.K

사석마운드 지지력 492.56<500 286.12<500 247.68<600 O.K

- 67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파압시 단면안정 검토
케이슨 본체 하중집계(함당)
하중집계
하중집계((함당
함당))
모멘트(kN・m/함)
구 분 연직력(kN/함) 비 고
파봉시 파곡시

본 체 21,707.18 145,389.81 119,432.90

덮 개 955.53 7,627.71 4,032.34

상 치 콘 크 리 트 10,660.32 51,453.29 78,566.56 간이접안시설 포함

속 채 움 21,262.12 148,592.29 110,775.65

부 력 -20,149.73 -138,127.23 -107,599.56

상 재 하 중 1,419.80 6,105.14 9,512.66

케이슨 안정검토 결과
활 동
구 분
∑V ∑H FS 비 고

CASE-1 31,150.52 14,469.90 1.29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압파 Ⅰ
CASE-2 32,570.32 14,469.90 1.35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CASE-3 32,551.92 13,572.27 1.44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파 봉 시 압파 Ⅱa
CASE-4 33,971.72 13,572.27 1.50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CASE-5 34,854.22 16,637.34 1.26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압파 Ⅱb
CASE-6 36,274.02 16,637.34 1.31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CASE-7 36,130.95 10,131.83 2.14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인파 Ⅰ
CASE-8 37,550.75 10,131.83 2.22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CASE-9 36,320.23 12,675.10 1.72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파 곡 시 인파 Ⅱ
CASE-10 37,740.03 12,675.10 1.79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CASE-11 32,620.54 7,108.81 2.75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인파 Ⅲ
CASE-12 34,040.34 7,108.81 2.87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 68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전 도
구 분
∑MV ∑MH FS 비 고
CASE-1 179,917.12 94,047.47 1.91 상재하중無
압파 Ⅰ
CASE-2 186,022.26 94,047.47 1.98 상재하중有
CASE-3 192,049.80 96,161.77 2.00 상재하중無
파 봉 시 압파 Ⅱa
CASE-4 198,154.94 96,161.77 2.06 상재하중有
CASE-5 212,491.12 140,658.95 1.51 상재하중無
압파 Ⅱb
CASE-6 218,596.26 140,658.95 1.55 상재하중有
CASE-7 209,654.89 57,533.19 3.64 상재하중無
인파 Ⅰ
CASE-8 219,167.55 57,533.19 3.81 상재하중有
CASE-9 211,422.11 76,065.16 2.78 상재하중無
파 곡 시 인파 Ⅱ
CASE-10 220,934.77 76,065.16 2.90 상재하중有
CASE-11 198,992.78 46,483.79 4.28 상재하중無
인파 Ⅲ
CASE-12 208,505.44 46,483.79 4.49 상재하중有

사석마운드 지지력 및 직선활동 검토결과


사석마운드 지지력(kN/m2)
구 분 지지력분포 직선활동 비 고
qmax qmin
CASE-1 삼각형분포 328.57 - 1.39 상재하중無
압파 Ⅰ
CASE-2 삼각형분포 336.24 - 1.43 상재하중有
CASE-3 삼각형분포 321.24 - 1.50 상재하중無
파 봉 시 압파 Ⅱa
CASE-4 삼각형분포 329.66 - 1.54 상재하중有
CASE-5 삼각형분포 492.56 - 1.34 상재하중無
압파 Ⅱb
CASE-6 삼각형분포 491.17 - 1.38 상재하중有
CASE-7 사다리꼴분포 249.53 9.12 2.13 상재하중無
인파 Ⅰ
CASE-8 사다리꼴분포 253.39 15.42 2.18 상재하중有
CASE-9 삼각형분포 283.47 - 1.84 상재하중無
파 곡 시 인파 Ⅱ
CASE-10 삼각형분포 286.12 - 1.88 상재하중有
CASE-11 사다리꼴분포 198.30 35.22 2.53 상재하중無
인파 Ⅲ
CASE-12 사다리꼴분포 202.14 41.55 2.58 상재하중有

지진시 안정검토 결과
사석마운드지지력
구 분 상재하중 활동 전도 (kN/m2) 직선활동 비 고
qmax qmin
CASE-19 無 1.97 3.33 228.13 18.39 1.86
항내측
안전율 CASE-20 有 2.00 3.33 234.68 16.91 1.87
( F S ) CASE-21 無 1.97 3.18 245.70 0.81 2.03
항외측
CASE-22 有 2.00 3.22 247.68 3.92 2.04

- 69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3.3.4 제두부
제두부(1-1)구간
제두부(1-1)
(1-1)
(1-1)구간
구간 안정검토
케이슨 단면제원
케이슨 규격 : 21.1B × 13.2H × 13.3L(m) 케이슨 중량 : 22,709kN/함

표준단면도

검토조건
약최고고조위 : A.H.H.W(+) 7.246m 지표면가속도 : 0.192g(1등급)
평균해면 : M.S.L(+) 3.623m 설치수심 : DL.(-) 8.60m
2
약최저저조위 : A.L.L.W(±) 0.000m 상재하중 : 50kN/m

설계파제원
구 분 설계파고(H1/3) 주기(T1/3) 파 향 파향보정 비 고

파 압 시 3.50m 13.2s W 54.1° 비태풍파

파 압 시 ( 후 면 ) 1.20m 13.2s W - 비태풍파(회절파)

시 공 시 2.90m 10.9s W 54.1° 10년빈도

안정검토 결과요약
구 분 파봉시 파곡시 시공시 지진시 결 과

활 동 2.16>1.20 3.11>1.20 2.55>1.10 2.51>1.10 O.K

전 도 4.84>1.20 7.72>1.20 6.11>1.10 6.35>1.10 O.K

사석마운드 직선활동 2.40>1.20 3.09>1.20 2.85>1.10 2.57>1.10 O.K

사석마운드 지지력 224.34<500 257.58<500 - 239.50<600 O.K

- 70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사용하중조합
상재하중에
구분 자중 상재하중 파봉시 파곡시 후면 파압 동수압 관성력 비고
의한 관성력
CASE-1 ◉
◉(인파Ⅰ)
CASE-2 ◉ ◉
CASE-3 ◉ ◉
◉(인파Ⅱ)
CASE-4 ◉ ◉ (압파Ⅰ)
CASE-5 ◉
◉(인파Ⅲ)
CASE-6 ◉ ◉
CASE-7 ◉
◉(인파Ⅰ)
CASE-8 ◉ ◉
CASE-9 ◉ ◉
◉(인파Ⅱ)
CASE-10 ◉ ◉ (압파Ⅱa)
CASE-11 ◉
◉(인파Ⅲ)
CASE-12 ◉ ◉
CASE-13 ◉
◉(인파Ⅰ)
CASE-14 ◉ ◉
CASE-15 ◉ ◉
◉(인파Ⅱ)
CASE-16 ◉ ◉ (압파Ⅱb)
CASE-17 ◉
파 ◉(인파Ⅲ)
CASE-18 ◉ ◉

CASE-19 ◉
시 ◉(압파Ⅰ)
CASE-20 ◉ ◉
CASE-21 ◉ ◉
◉(압파Ⅱa)
CASE-22 ◉ ◉ (인파Ⅰ)
CASE-23 ◉
◉(압파Ⅱb)
CASE-24 ◉ ◉
CASE-25 ◉
◉(압파Ⅰ)
CASE-26 ◉ ◉
CASE-27 ◉ ◉
◉(압파Ⅱa)
CASE-28 ◉ ◉ (인파Ⅱ)
CASE-29 ◉
◉(압파Ⅱb)
CASE-30 ◉ ◉
CASE-31 ◉
◉(압파Ⅰ)
CASE-32 ◉ ◉
CASE-33 ◉ ◉
◉(압파Ⅱa)
CASE-34 ◉ ◉ (인파Ⅲ)
CASE-35 ◉
◉(압파Ⅱb)
CASE-36 ◉ ◉
CASE-37 ◉ ◉ 압파Ⅰ
CASE-38 ◉ ◉ 압파Ⅱa

CASE-39 ◉ ◉ 압파Ⅱb

CASE-40 ◉ ◉ 인파Ⅰ

CASE-41 ◉ ◉ 인파Ⅱ
CASE-42 ◉ ◉ 인파Ⅲ
CASE-43 ◉ ◉ ◉ 항내측
지 기준
CASE-44 ◉ ◉ ◉ ◉ ◉

CASE-45 ◉ ◉ ◉ 항외측

CASE-46 ◉ ◉ ◉ ◉ ◉ 기준

- 71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허용안전율
사석마운드 사석마운드
구 분 활 동 전 도 비 고
지지력 직선활동

파 압 시 1.20 1.20 500kN/m2 1.20

지 진 시 1.10 1.10 600kN/m2 1.00

시 공 시 1.10 1.10 - 1.10

안정검토 산출식
활 동 전 도 사석마운드 직선활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석 마운드 지지력
∑  ∑
× ∑
  
    삼각형 분포 < 500
 인경우 
  
∑    
  ×


  ≤ 인경우         ∑ × ±  사다리꼴 분포 < 500
   

제체중량 및 상재하중에 의한 외력
제체중량 및 모멘트 합계(파봉시)
합계
합계((파봉시
파봉시))
구 분 체적(m3) 단위중량(kN/m3) 자중(kN) 중심위치x(m) 모멘트(kN・m) 비 고

케이슨 본체 946.23 24.00 22,709.54 10.71 243,182.95

속 채 움 1,191.58 - 23,831.58 10.92 260,196.58

덮개콘크리트 97.43 22.60 2,201.95 10.42 22,949.47

상치콘크리트 - - 12,072.40 11.30 136,419.27 등대포함

합계(함당) - - 60,815.47 10.90 662,748.27

부력 및 모멘트 합계
구 분 체적(m3) 단위중량(kN/m3) 자중(kN) 중심위치x(m) 모멘트(kN・m)

합계(함당) 2,202.84 10.1 22,248.73 10.81 240,591.70

상재하중 및 모멘트
구 분 형상치수(m) 연직력(kN) 중심위치x(m) 모멘트(kN・m)

파 봉 시 50.00 × 12.40 × 8.20 5,084.00 11.30 57,449.20

파 곡 시 50.00 × 12.40 × 8.20 5,084.00 9.80 49,823.20

- 72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제두부 파압 산정
전면 케이슨유공율

ε' = {(0.70 × 2.30 × 12EA) + (0.70 × 3.30 × 6EA)} / (13.30 × 9.50) = 26.30%
∴ 1 - ε' = 73.70%

정수면상 파압강도의 0이
0이 되는 높이

η* = 0.75 (1 + cos β) HD = 0.75 × (1 + cos54.1 ) × 6.3 = 7.5m

파압계수 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압파Ⅰ
압파Ⅰ
파압계수 및 보정계수
구 분 ⍺1 ⍺* ⍺3 λS1 λS2 λL1 λL2 λU1 λU2 비고

산 정 값 0.895 0.038 0.861 0.85 0.40 1.00 0.40 1.00 0.00

전면벽(슬릿부)에
전면벽
전면벽((슬릿부
슬릿부))에 작용하는 파압


P1 = × (1+cosβ) × (⍺1 × λS1 + ⍺* × λS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5 × 0.85 + 0.038 × 0.40 × cos254.1゚) × 10.1 × 6.30 = 38.66 kN/m2
 
P2 =  = 31.75 kN/m2
   ×      ×  
P3 = ⍺3 × P1 = 33.29 kN/m2

전면벽(불투과부)에
전면벽
전면벽((불투과부
불투과부))에 작용하는 파압


P1 = × (1+cosβ) × ( ⍺1 × λL1 + ⍺* × λL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5 × 1.00 + 0.038 × 0.40 × cos254.1゚) × 10.1 × 6.30 = 45.43 kN/m2
 
P2 =  = 37.39 kN/m2
   ×      ×  
P3 = ⍺3 × P1 = 39.12 kN/m2

저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Pu =  × (1+cosβ) × ⍺1 × ⍺3 × λu1 × w0 × HD = 38.89 kN/m2


- 73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압파Ⅱa
압파
압파Ⅱ
Ⅱa
파압계수 및 보정계수
구 분 ⍺1 ⍺* ⍺3 λS1 λS2 λL1 λL2 비 고

산 정 값 0.895 0.057 0.861 0.70 0.00 0.75 0.00

구 분 λU1 λU2 ℓ/L' λR1 λR2 λM1 λM2 비 고

산 정 값 0.75 0.00 0.028 0.19 0.56 0.19 0.00

전면벽(슬릿부)에
전면벽
전면벽((슬릿부
슬릿부))에 작용하는 파압


P1 = × (1+cosβ) × (⍺1 × λS1 + ⍺* × λS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5 × 0.70 + 0.057 × 0.00 × cos254.1゚) × 10.1 × 6.3 = 31.62 kN/m2
 
P2 =  = 26.02 kN/m2, P3 = ⍺3 × P1 = 27.22 kN/m2
   ×      ×  

전면벽(불투과부)에
전면벽
전면벽((불투과부
불투과부))에 작용하는 파압

P1 =  × (1+cosβ) × ( ⍺1 × λL1 + ⍺* × λL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5 × 0.75 + 0.057 × 0.00 × cos254.1゚) × 10.1 × 6.30 = 33.88 kN/m2
 
P2 =  = 27.88 kN/m2, P3 = ⍺3 × P1 = 29.17 kN/m2
   ×      ×  

후면벽에 작용하는 파압

P1 =  × (1+cosβ) × ( ⍺1 × λR1 + ⍺* × λR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5 × 0.185 + 0.057 × 0.56 × cos254.1゚) × 10.1 × 6.3 = 8.91 kN/m2
 
P2 =  = 7.33 kN/m2, P3 = ⍺3 × P1 = 7.67 kN/m2
   ×      ×  

유수실 저면에 작용하는 연직파압

P1 =  × (1+cosβ) × ( ⍺1 × λM1 + ⍺* × λM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5 × 0.185 + 0.057 × 0.00 × cos254.1゚) × 10.1 × 6.30 = 8.36 kN/m2
 
P2 =  = 6.88 kN/m2, P3 = ⍺3 × P1 = 7.20 kN/m2
   ×      ×  
  
P' = × 3.70 + P3 = 7.54 kN/m2


저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Pu =  × (1+cosβ) × ⍺1 × ⍺3 × λu1 × w0 × HD = 29.17 kN/m2


- 74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압파Ⅱb
압파
압파Ⅱ
Ⅱb
파압계수 및 보정계수
구 분 ⍺1 ⍺* ⍺3 λS1 λS2 λL1 λL2 비 고

산 정 값 0.895 0.057 0.861 0.30 0.00 0.65 0.00

구 분 λU1 λU2 HD/h λR1 λR2 λM1 λM2 비 고

산 정 값 0.65 0.00 0.398 1.00 0.00 1.00 0.00

전면벽(슬릿부)에
전면벽
전면벽((슬릿부
슬릿부))에 작용하는 파압

P1 =  × (1+cosβ) × (⍺1 × λS1 + ⍺* × λS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5 × 0.30 + 0.057 × 0.00 × cos254.1゚) × 10.1 × 6.30 = 13.55 kN/m2
 
P2 =  = 11.15 kN/m2, P3 = ⍺3 × P1 = 11.67 kN/m2
   ×      ×  

전면벽(불투과부)에
전면벽
전면벽((불투과부
불투과부))에 작용하는 파압

P1 =  × (1+cosβ) × ( ⍺1 × λL1 + ⍺* × λL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5 × 0.65 + 0.057 × 0.00 × cos254.1) × 10.1 × 6.30 = 29.36 kN/m2
 
P2 =  = 24.16 kN/m2, P3 = ⍺3 × P1 = 25.28 kN/m2
   ×      ×  

후면벽에 작용하는 파압

P1 =  × (1+cosβ) × ( ⍺1 × λR1 + ⍺* × λR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5 × 1.00 + 0.057 × 0.00 × cos254.1゚) × 10.1 × 6.30 = 45.17 kN/m2
 
P2 =  = 37.17 kN/m2, P3 = ⍺3 × P1 = 38.89 kN/m2
   ×      ×  

유수실 저면에 작용하는 연직파압

P1 =  × (1+cosβ) × ( ⍺1 × λM1 + ⍺* × λM2 × cos2β) × w0 × HD



= 0.5 × (1+cos54.1゚) × (0.895 × 1.00 + 0.057 × 0.00 × cos254.1゚) × 10.1 × 6.30 = 45.17 kN/m2
 
P2 =  = 37.17 kN/m2, P3 = ⍺3 × P1 = 38.89 kN/m2
   ×      ×  
  
P' = × 3.70 + P3 = 40.76 kN/m2


저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Pu =  × (1+cosβ) × ⍺1 × ⍺3 × λu1 × w0 × HD = 25.28 kN/m2


- 75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인파Ⅰ
인파Ⅰ
케이슨 전면 및 유수실 수위산정
구 분 산 정 식 계 산 식 적용값
케이슨 전면의 수위 -0.35 ×HD -0.35 × 6.30 -2.21

Min[0.35 × 6.30,
유수실내의 수위 Min[0.35HD, (2hc1 + hc2) / 3] 2.21
(2 × 0.754 + 5.754) / 3]

파압의 산정
구 분 산 정 식 계 산 식 적용값

전면벽에 작용하는 파력 -0.35 × w0 × HD -0.35 × 10.10 × 6.30 -22.27

후면벽에 작용하는 파력 Min[0.35HD, (2hc1 + hc2) / 3] × w0 2.21 × 10.10 22.32

슬릿부에 작용하는 파력 -(2.21 + 2.21) × w0 -(2.21 + 2.21) × 10.10 -44.59

저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0.35 × w0 × HD -0.35 × 10.10 × 6.30 -22.27

인파Ⅱ
인파Ⅱ
케이슨 전면 수위산정
구 분 산 정 식 계 산 식 적용값
케이슨 전면의 수위 -0.50 ×HD -0.50 × 6.30 -3.15

파압의 산정
구 분 산 정 식 계 산 식 적용값
전면벽에 작용하는 파력 -0.50 × w0 × HD -0.35 × 10.10 × 6.30 -31.82

저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0.50 × w0 × HD -0.35 × 10.10 × 6.30 -31.82

인파Ⅲ
인파Ⅲ
케이슨 전면 및 유수실 수위산정
구 분 산 정 식 계 산 식 적용값

유수실내의 수위 Min[ -0.60HD, -0.35d'] Min[-0.60 × 6.30, -0.35 × 8.746] -3.06

파압의 산정
구 분 산 정 식 계 산 식 적용값
유수실내 작용하는 파압 -0.35 × w0 × d' -0.35 × 10.10 × 8.75 -30.92

케이슨 후면에 작용하는 파력


해역 특성상 항내・외 수위차는 분명히 발생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케이슨 전면에 파봉(파곡)시 후면에 작용하는
파곡(파봉)시 파력을 합산하여 적용함

오픈슬릿케이슨에 작용하는 파력산정결과


파력 및 모멘트집계(m당)
모멘트집계
모멘트집계(m
(m
(m당
당)
케이슨전면 파압적용길이(L)는 상치有 8.20m + 상치無 5.10m = 13.30m(L)적용
케이슨후면 파압적용길이(L)는 후면오픈슬릿부 13.30m(L) 적용

- 76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파봉시
구 분
V(kN/m) MV(kN・m/m) H(kN/m) MH(kN・m/m) 비 고
파 압 - - 405.67 2,469.73
압 파 Ⅰ
양압력 -410.29 -5,772.78 - -
파 압 - - 359.42 2,498.16
상치有
양압력 -288.49 -3,964.15 - -
압파 Ⅱa
오 픈 파 압 - - 333.83 2,107.76
상치無
슬 릿 양압력 -288.49 -3,964.15 - -
파 압 - - 723.98 6,405.29
상치有
양압력 -162.62 -1,774.95 - -
압파 Ⅱb
파 압 - - 594.14 4,424.45
상치無
양압력 -162.62 -1,774.95 - -
파 압 - - 56.85 271.18
인 파 Ⅰ
양압력 99.99 607.34 - -
항내측 파 압 - - 106.33 589.65
인 파 Ⅱ
(파곡시) 양압력 115.08 809.01 - -
파 압 - - 65.84 510.54
인 파 Ⅲ
양압력 -78.07 -163.95 - -

파곡시
구 분
V(kN/m) MV(kN・m/m) H(kN/m) MH(kN・m/m) 비 고
파 압 - - 126.11 296.35
인 파 Ⅰ
양압력 291.94 1,771.38 - -
오 픈 파 압 - - 285.86 1,452.88
인 파 Ⅱ
슬 릿 양압력 335.65 2,359.62 - -
파 압 - - 58.68 431.91
인 파 Ⅲ
양압력 -78.95 -165.80 - -
파 압 - - 174.05 1,055.23
압 파 Ⅰ
양압력 -177.35 -2,495.31 - -
파 압 - - 150.95 992.75
상치有
양압력 -121.38 -1,650.33 - -
압파 Ⅱa
항내측 파 압 - - 145.76 919.93
상치無
(파봉시) 양압력 -121.38 -1,650.33 - -
파 압 - - 337.87 2,733.27
상치有
양압력 -56.28 -500.84 - -
압파 Ⅱb
파 압 - - 313.02 2,384.62
상치無
양압력 -56.28 -500.84 - -

파압시 단면안정 검토
케이슨 본체 하중집계(함당)
하중집계
하중집계((함당
함당))
모멘트(kN・m/함)
구 분 연직력(kN/함) 비 고
파봉시 파곡시
본 체 22,709.54 243,182.95 235,952.12
덮 개 2,201.95 22,949.47 23,516.83
상치콘크리트 12,072.40 136,419.27 118,309.52
속 채 움 23,831.58 260,196.58 242,605.48
부 력 -22,248.73 -240,591.70 -228,939.43
상 재 하 중 5,084.00 57,449.20 49,823.20

- 77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안정검토 결과
활동
구 분
∑V ∑H FS 비 고
CASE-1 34,439.750 6,151.516 3.36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인파Ⅰ
CASE-2 39,523.750 6,151.516 3.86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인파Ⅰ
CASE-3 34,640.447 6,809.600 3.05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인파Ⅱ
압파 Ⅰ
CASE-4 39,724.447 6,809.600 3.50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인파Ⅱ
CASE-5 32,071.552 6,271.083 3.07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인파Ⅲ
CASE-6 37,155.552 6,271.083 3.55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인파Ⅲ
CASE-7 36,059.690 5,405.882 4.00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인파Ⅰ
CASE-8 41,143.690 5,405.882 4.57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인파Ⅰ
CASE-9 36,260.387 6,063.966 3.59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인파Ⅱ
파 봉 시 압파 Ⅱa
CASE-10 41,344.387 6,063.966 4.09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인파Ⅱ
CASE-11 33,691.492 5,525.449 3.66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인파Ⅲ
CASE-12 38,775.492 5,525.449 4.21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인파Ⅲ
CASE-13 37,733.761 9,722.855 2.33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인파Ⅰ
CASE-14 42,817.761 9,722.855 2.64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인파Ⅰ
CASE-15 37,934.458 10,380.939 2.19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인파Ⅱ
압파 Ⅱb
CASE-16 43,018.458 10,380.939 2.49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인파Ⅱ
CASE-17 35,365.563 9,842.422 2.16 상재하중無, 항내측방향 인파Ⅲ
CASE-18 40,449.563 9,842.422 2.47 상재하중有, 항내측방향 인파Ⅲ
CASE-19 40,090.787 3,992.128 6.03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압파 Ⅰ
CASE-20 45,174.787 3,992.128 6.79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압파 Ⅰ
CASE-21 40,835.188 3,658.429 6.70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압파Ⅱa
인파 Ⅰ
CASE-22 45,919.188 3,658.429 7.53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압파Ⅱa
CASE-23 41,701.018 6,044.199 4.14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압파Ⅱb
CASE-24 46,785.018 6,044.199 4.64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압파Ⅱb
CASE-25 40,672.130 6,116.803 3.99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압파 Ⅰ
CASE-26 45,756.130 6,116.803 4.49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압파 Ⅰ
CASE-27 41,416.531 5,783.104 4.30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압파Ⅱa
파 곡 시 인파 Ⅱ
CASE-28 46,500.531 5,783.104 4.82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압파Ⅱa
CASE-29 42,282.361 8,168.874 3.11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압파Ⅱb
CASE-30 47,366.361 8,168.874 3.48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압파Ⅱb
CASE-31 35,157.950 3,095.309 6.82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압파 Ⅰ
CASE-32 40,241.950 3,095.309 7.80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압파 Ⅰ
CASE-33 35,902.351 2,761.610 7.80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압파Ⅱa
인파 Ⅲ
CASE-34 40,986.351 2,761.610 8.90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압파Ⅱa
CASE-35 36,768.181 5,147.380 4.29 상재하중無, 항외측방향 압파Ⅱb
CASE-36 41,852.181 5,147.380 4.88 상재하중有, 항외측방향 압파Ⅱb

- 78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전 도
구 분
∑V ∑H FS 비 고
CASE-1 353,456.218 36,454.103 9.70 상재하중無 인파Ⅰ
CASE-2 410,905.418 36,454.103 11.27 상재하중有 인파Ⅰ
CASE-3 356,138.429 40,689.754 8.75 상재하중無 인파Ⅱ
압파 Ⅰ
CASE-4 413,587.629 40,689.754 10.16 상재하중有 인파Ⅱ
CASE-5 343,198.061 39,637.591 8.66 상재하중無 인파Ⅲ
CASE-6 400,647.261 39,637.591 10.11 상재하중有 인파Ⅲ
CASE-7 377,510.997 34,841.182 10.84 상재하중無 인파Ⅰ
CASE-8 434,960.197 34,841.182 12.48 상재하중有 인파Ⅰ
CASE-9 380,193.208 39,076.833 9.73 상재하중無 인파Ⅱ
파 봉 시 압파 Ⅱa
CASE-10 437,642.408 39,076.833 11.20 상재하중有 인파Ⅱ
CASE-11 367,252.840 38,024.670 9.66 상재하중無 인파Ⅲ
CASE-12 424,702.040 38,024.670 11.17 상재하중有 인파Ⅲ
CASE-13 406,627.357 78,694.767 5.17 상재하중無 인파Ⅰ
CASE-14 464,076.557 78,694.767 5.90 상재하중有 인파Ⅰ
CASE-15 409,309.568 82,930.418 4.94 상재하중無 인파Ⅱ
압파 Ⅱb
CASE-16 466,758.768 82,930.418 5.63 상재하중有 인파Ⅱ
CASE-17 396,369.200 81,878.255 4.84 상재하중無 인파Ⅲ
CASE-18 453,818.400 81,878.255 5.54 상재하중有 인파Ⅲ
CASE-19 381,816.251 17,976.014 21.24 상재하중無 압파 Ⅰ
CASE-20 431,639.451 17,976.014 24.01 상재하중有 압파 Ⅰ
CASE-21 393,054.485 16,773.648 23.43 상재하중無 압파Ⅱa
인파 Ⅰ
CASE-22 442,877.685 16,773.648 26.40 상재하중有 압파Ⅱa
CASE-23 408,342.702 38,515.831 10.60 상재하중無 압파Ⅱb
CASE-24 458,165.902 38,515.831 11.90 상재하중有 압파Ⅱb
CASE-25 389,639.843 33,357.863 11.68 상재하중無 압파 Ⅰ
CASE-26 439,463.043 33,357.863 13.17 상재하중有 압파 Ⅰ
CASE-27 400,878.077 32,155.497 12.47 상재하중無 압파Ⅱa
파 곡 시 인파 Ⅱ
CASE-28 450,701.277 32,155.497 14.02 상재하중有 압파Ⅱa
CASE-29 416,166.294 53,897.680 7.72 상재하중無 압파Ⅱb
CASE-30 465,989.494 53,897.680 8.65 상재하중有 압파Ⅱb
CASE-31 356,051.757 19,778.962 18.00 상재하중無 압파 Ⅰ
CASE-32 405,874.957 19,778.962 20.52 상재하중有 압파 Ⅰ
CASE-33 367,289.991 18,576.596 19.77 상재하중無 압파Ⅱa
인파 Ⅲ
CASE-34 417,113.191 18,576.596 22.45 상재하중有 압파Ⅱa
CASE-35 382,578.208 40,318.779 9.49 상재하중無 압파Ⅱb
CASE-36 432,401.408 40,318.779 10.72 상재하중有 압파Ⅱb

- 79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사석마운드 지지력 및 직선활동 검토결과


사석마운드 지지력(kN/m2)
구 분 지지력분포 직선활동 비 고
qmax qmin
CASE-1 사다리꼴분포 169.83 75.61 3.24 상재하중無 인파Ⅰ
CASE-2 사다리꼴분포 184.09 97.59 3.46 상재하중有 인파Ⅰ
CASE-3 사다리꼴분포 173.98 72.89 3.05 상재하중無 인파Ⅱ
압파 Ⅰ
CASE-4 사다리꼴분포 188.25 94.86 3.26 상재하중有 인파Ⅱ
CASE-5 사다리꼴분포 149.38 79.19 3.09 상재하중無 인파Ⅲ
CASE-6 사다리꼴분포 163.65 101.15 3.32 상재하중有 인파Ⅲ
CASE-7 사다리꼴분포 166.86 90.13 3.57 상재하중無 인파Ⅰ
CASE-8 사다리꼴분포 181.22 112.01 3.78 상재하중有 인파Ⅰ
파 CASE-9 사다리꼴분포 171.10 87.32 3.35 상재하중無 인파Ⅱ
봉 압파 Ⅱa
시 CASE-10 사다리꼴분포 185.45 109.20 3.56 상재하중有 인파Ⅱ
CASE-11 사다리꼴분포 146.69 93.43 3.41 상재하중無 인파Ⅲ
CASE-12 사다리꼴분포 160.96 115.38 3.64 상재하중有 인파Ⅲ
CASE-13 사다리꼴분포 205.58 63.34 2.52 상재하중無 인파Ⅰ
CASE-14 사다리꼴분포 219.83 85.33 2.71 상재하중有 인파Ⅰ
CASE-15 사다리꼴분포 210.13 60.22 2.41 상재하중無 인파Ⅱ
압파 Ⅱb
CASE-16 사다리꼴분포 224.34 82.24 2.59 상재하중有 인파Ⅱ
CASE-17 사다리꼴분포 185.51 66.53 2.40 상재하중無 인파Ⅲ
CASE-18 사다리꼴분포 199.47 88.81 2.60 상재하중有 인파Ⅲ
CASE-19 사다리꼴분포 202.58 83.14 4.35 상재하중無 압파 Ⅰ
CASE-20 사다리꼴분포 224.60 97.35 4.55 상재하중有 압파 Ⅰ
CASE-21 사다리꼴분포 200.96 90.07 4.56 상재하중無 압파Ⅱa
인파 Ⅰ
CASE-22 사다리꼴분포 222.72 104.54 4.75 상재하중有 압파Ⅱa
CASE-23 사다리꼴분포 219.59 77.61 3.58 상재하중無 압파Ⅱb
CASE-24 사다리꼴분포 241.62 91.81 3.78 상재하중有 압파Ⅱb
CASE-25 사다리꼴분포 218.70 71.16 3.52 상재하중無 압파 Ⅰ
CASE-26 사다리꼴분포 240.48 85.62 3.72 상재하중有 압파 Ⅰ
파 CASE-27 사다리꼴분포 216.83 78.34 3.66 상재하중無 압파Ⅱa
곡 인파 Ⅱ
시 CASE-28 사다리꼴분포 238.73 92.67 3.86 상재하중有 압파Ⅱa
CASE-29 사다리꼴분포 235.50 65.84 3.01 상재하중無 압파Ⅱb
CASE-30 사다리꼴분포 257.58 79.99 3.20 상재하중有 압파Ⅱb
CASE-31 사다리꼴분포 160.55 90.01 4.65 상재하중無 압파 Ⅰ
CASE-32 사다리꼴분포 182.54 104.25 4.86 상재하중有 압파 Ⅰ
CASE-33 사다리꼴분포 158.49 97.38 4.90 상재하중無 압파Ⅱa
인파 Ⅲ
CASE-34 사다리꼴분포 180.52 111.58 5.11 상재하중有 압파Ⅱa
CASE-35 사다리꼴분포 177.22 84.82 3.70 상재하중無 압파Ⅱb
CASE-36 사다리꼴분포 199.18 99.09 3.91 상재하중有 압파Ⅱb

- 80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상치콘크리트
구 분 ∑V ∑MV ∑H ∑MH 활 동 전 도 비 고
파봉시 10,006.74 57,766.97 1,064.69 2,188.99 4.70 26.39 등대포함

시공시 안정검토
안정검토 결과
활 동
구 분
∑V ∑H FS 비    고
압파 Ⅰ CASE-13 22,621.646 3,968.321 3.42
파 봉 시 압파 Ⅱa CASE-14 23,819.710 4,075.120 3.51 항내측방향
압파 Ⅱb CASE-15 24,983.992 5,868.758 2.55
인파 Ⅰ CASE-16 29,710.812 1,505.959 11.84
파 곡 시 인파 Ⅱ CASE-17 30,193.203 2,878.652 6.29 항외측방향
인파 Ⅲ CASE-18 25,444.305 780.444 19.56

전 도
구 분 직선활동 비    고
∑MV ∑MH FS
압파 Ⅰ CASE-13 231,248.530 24,497.004 9.44 3.46
파 봉 시 압파 Ⅱa CASE-14 249,238.908 27,804.714 8.96 3.48 항내측방향
압파 Ⅱb CASE-15 269,450.918 44,094.687 6.11 2.85
인파 Ⅰ CASE-16 292,652.617 4,696.629 62.31 5.72
파 곡 시 인파 Ⅱ CASE-17 299,137.963 4,696.629 63.69 4.55 항외측방향
인파 Ⅲ CASE-18 270,929.860 5,744.403 47.16 6.50

지진시 안정검토
제체중량에 의한 관성력 및 모멘트
중 량 수평지진계수 관성력 팔길이 모  멘  트
구 분
(kN/m) (Kh)=1/2amax (kN/m) y(m) My(kN・m)
케이슨 본체 22,709.54 0.096 2,180.12 5.66 12,339.48
덮개콘크리트 2,201.95 0.096 211.39 6.19 1,308.50
상치콘크리트 12,072.40 0.096 1,158.95 15.45 17,905.78
속 채 움 재 23,831.58 0.096 2,287.83 5.03 11,507.78
합        계 60,815.47 0.096 5,838.29 7.38 43,061.54

동수압 및 모멘트
구 분 설계진도 γw y(m) Pdw(kN/m) hdw'(m) Mh(kN・m/m)
전 면 벽 체 0.096 10.10 12.45 98.86 4.98 492.32
후 면 벽 체 0.096 10.10 12.45 98.86 4.98 492.32
m 당 합계 - - - 197.72 4.98 984.64
함 당 - - - 2,629.68 4.98 13,095.71

- 81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전면유수실내에서 작용하는 동수압


구 분 설계진도 설계수심 γw Pdw(kN/m) y(m) Mh(kN・m/m)
전면유수실 전면벽체 0.096 8.75 10.10 11.68 7.20 84.10
전면유수실 후면벽체 0.096 8.75 10.10 11.68 7.20 84.10
m 당 합 계 - - - 23.36 7.20 168.20
함 당 - - - 310.69 7.20 2,237.06

후면유수실내에서 작용하는 동수압


구 분 설계진도 설계수심 γw Pdw(kN/m) y(m) Mh(kN・m/m)
후면유수실 전면벽체 0.096 8.75 10.10 16.87 7.20 121.46
후면유수실 후면벽체 0.096 8.75 10.10 16.87 7.20 121.46
m 당 합 계 - - - 33.74 7.20 242.92
함 당 - - - 448.74 7.20 3,230.84

외력 및 내력
구 분 V(kN/m) MV(kN・m/m) H(kN/m) MH(kN・m/m) 비 고
동 수 압 - - 3,389.11 18,563.61
관 성 력 - - 5,838.29 43,061.54
케이슨 본체 22,709.54 243,182.95 - -
자 케이슨덮개 2,201.95 22,949.47 - -
중 상치 Con'c 12,072.40 136,419.27 - - 항내측방향
속 채 움 23,831.58 260,196.58 - -
부 력 -22,248.73 -240,591.70 - -
상재하중의 1/2 4,123.00 46,589.90 395.81 6,214.16  
합 계 ( 함 당 ) 42,689.74 468,746.47 9,623.20 67,839.31  

구 분 V(kN/m) MV(kN・m/m) H(kN/m) MH(kN・m/m) 비 고


동 수 압 - - 3,389.11 18,563.61
관 성 력 - - 5,838.29 43,061.54
케이슨 본체 22,709.54 235,952.12 - -
자 케이슨덮개 2,201.95 23,516.83 - -
중 상치 Con'c 12,072.40 118,309.52 - - 항외측방향
속 채 움 23,831.58 242,605.48 - -
부 력 -22,248.73 -228,939.43 - -
상재하중의 1/2 4,123.00 40,405.40 395.81 6,214.16  
합 계 ( 함 당 ) 42,689.74 431,849.92 9,623.20 67,839.31  

안정검토 결과
사석마운드 지지력(kN/m2)
구 분 상재하중 활동 전도 직선활동 비 고
qmax qmin
CASE-19 無 2.51 6.85 184.32 90.53 2.57
항내측방향
안전율 CASE-20 有 2.66 6.91 202.30 101.94 2.80
(FS) CASE-21 無 2.51 6.35 215.59 59.27 2.57
항외측방향
CASE-22 有 2.66 6.37 239.50 64.70 2.80

- 82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부유시 안정검토
계산식

I
- CG = GM > 0
V

여기서, V : 배수용적(m2)
I : 홀수면 장축에 대한 단면2차 모멘트
C : 부심, G : 중심, M : 경심
※ 안전을 위해 GM은 홀수의 5%이상

부유시 자중 및 모멘트
구 분 형상치수(m) 체적(m3) 자중(kN) 팔길이x(m) 모멘트(kN・m)

케이슨본체 11.0B × 22.90L × 13.20H 946.23 22,709.54 10.71 243,182.95

차 수 판 함당 수량 - 635.57 10.38 6,596.78

함 당 계 - - 23,345.11 10.70 249,779.73

Ballast 투입 후 부유시 안정계산


단위중량 중 량 팔길이(m) 모멘트(kN・m)
구 분 체적(m3)
(kN/m3) (kN/m) X y Mx My

케이슨 본체 - - 23,345.11 10.70 5.53 249,779.73 131,192.06

Bal l ast 122.77 10.10 1,240.03 7.78 1.47 9,649.69 1,821.40

합 계 - - 24,585.14 - - 259,429.42 131,192.06

케이슨의 My 131,192.06
G = = = 5.34 m
중심(G) 계산 W 24,585.14

케이슨의 W - VTOE × γw 24,585.14 – 0.00 × 10.1


D = = = 8.67 m
흘수(D) 계산 B × L × γw 280.63 × 10.1

법선직각방향(장방향): B / 2 - 10.55 = 21.1 / 2 - 10.55 = 10.55 - 10.55 = 0.00


편심거리 계산
법선평행방향(단방향): L / 2 - 6.65 = 13.3 / 2 - 6.65 = 6.65 - 6.65 = 0.00

부력의 중심계산
구 분 부력(kN) 팔길이(m) 모멘트(kN・m) 비 고

케이슨 본체 24,585.14 10.55 259,373.23

배수체적(V)산정
배수체적
배수체적(V)
(V)
(V)산정
산정
구 분 체적(m3) 팔길이(m) 모멘트(kN・m) 비 고

케이슨 본체 2,434.17 4.34 10,564.30

- 83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케이슨 부유시 안정검토

My 10,564.30
부심산정 : C = = = 4.34 m
V 2,434.17

단면 2차 모멘트 산정 : I = I’ - ∑i = 3,871.30m4

I 3,871.30
케이슨의 경심과 부심과의 거리 : MC = = = 1.59m
V 2,434.17

부유시 안정성 검토 GM = MC = GC
I 3,817.30
GM = - CG = - ( 5.34 - 4.34 )
V 2,434.17
0.597m > 0.05d = 0.05 × 8.64m = 0.43m ∴ O.K

제두부 시공시
시공시(거치시)
시공시((거치시
거치시)) 추가 안정검토
시공 순서상 먼저 거치되는 제두부2함은 전면 파력 이외 측면파력 조건에 노출되므로 안정검토조건을 일반적인
케이슨 시공시 검토보다 현실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음
파력이 경사지게 입사할 경우를 고려하여 파력이 작용하는 투영면적을 모두 적용하여 검토
일본 니가타항(서항지구) 방파제(제두부) 설계사례(2008년)를 참고하여 제두부 파력작용조건을 시공시 적용검토

제두부 파력 작용 조건
新潟技調 Report No.9(新潟港湾空港
技術調査事務所, 平成21年9月)p.61

설계파제원
구 분 설계파고(H1/3) 주기(T1/3) 파향 파향보정(15゚) 파랑입사 적용길이 비 고

69.1゚(54.1゚) 21.3m(정면)
시공시 2.90m 10.9s W 10년빈도
20.9゚(5.9゚) 21.1m(측면)

안정검토 결과
활 동
구 분
∑V ∑H FS 비 고

압파 Ⅰ 57,226.622 10,211.443 3.36

파 봉 시 압파 Ⅱa 61,333.177 11,042.589 3.33

압파 Ⅱb 65,723.400 14,988.480 2.63

- 84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3.3.5 방파호안
방파호안(2-1)구간
방파호안(2-1)
(2-1)
(2-1)구간
구간 안정검토
표준단면도

안정검토 결과 요약
매립전 매립후
구 분 결 과
파압시 지진시 평상시 지진시
활 동 2.36>1.20 4.71>1.10 5.71>1.20 3.66>1.10 O.K
전 도 3.98>1.20 6.92>1.10 19.72>1.20 6.24>1.10 O.K
직선활동 1.31>1.20 1.48>1.00 1.54>1.20 1.34>1.00 O.K
지 지 력 164.29<500.00 133.16<600.00 157.16<500.00 166.15<600.00 O.K

하중조합
자 중 토 압 잔류
구 분 동수압 관성력 파 압
상재無 상재有 상재無 상재有 수압

파압시 CASE- 1 ◉ ◉
(매립전) CASE- 2 ◉ ◉

지진시 CASE- 3 ◉ ◉ ◉
(매립전) CASE- 4 ◉ ◉ ◉
CASE- 5 ◉ ◉ ◉ ◉
평상시
CASE- 6 ◉ ◉ ◉ ◉
(매립후)
CASE- 7 ◉ ◉ ◉ ◉
CASE- 8 ◉ ◉ ◉ ◉
지진시
CASE- 9 ◉ ◉ ◉ ◉
(매립후)
CASE- 10 ◉ ◉ ◉ ◉

- 85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파압시
파압시(매립전)
파압시((매립전
매립전)) 안정검토
검토조건
구 분 설계파고(m) 주기(sec) 파장(L) 평균수심(m) 파향보정 비 고

설 계 파 랑 2.90 11.60 126.97 DL.(-)6.90 54.1゚ 20년빈도

제체 중량 및 모멘트 산정(RWL
산정(RWL = DL.(+)2.415)
구 분 연직력(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572.56 2.66 1,520.44 활동


DL.(+)4.80
522.86 - 1,520.44 전도, 지지력

상 재 하 중 62.00 2.30 142.60

수평파압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연직파압(kN) 연직모멘트(kN・m) 수평파압(kN) 수평모멘트(kN・m) 비 고

상 치 부 39.42 189.61 181.65 336.51

양압력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양압력(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DL.(+)4.80 -95.88 3.83 -367.51

활동저항력 산정

사석의 활동 저항력은 R의 최소값 이다.(KDS 64 45 20, 21쪽)


활동저항력         
Ws : 최상단 피복층을 제외한 활동면 상부 사석의 중량(kN)
θ : 활동면 경사각(゚) ∅ : ∅=tan-1μ2 (μ2는 사석층 내부의 사석과 사석간의 마찰계수, μ2=0.8)

구 분 θ=0゚ θ=5゚ θ=10゚ θ=20゚ θ=30゚ θ=40゚

P(kN) 5.37 4.67 4.11 3.24 2.57 2.01

Ws(kN) 53.70 46.70 41.10 32.40 25.70 20.10

μ2 0.80 0.80 0.80 0.80 0.80 0.80

∅ 38.66 38.66 38.66 38.66 38.66 38.66

R(kN) 42.96 44.57 46.72 53.20 65.78 100.23

파압시(매립전)
파압시
파압시((매립전
매립전)) 안정검토 결과

활동 검토
H : 직립부에 작용하는 수평력(kN) μ1 : 직립부와 사석기초부의 마찰계수
  
≥ W1 : 직립부의 정수중의 중량 - 양압력(kN) R : 보강재 사석의 활동저항력(kN)

전도 검토
Mv = 연직모멘트(kN・m) 자중에 의한 모멘트

≥ MH = 수평모멘트(kN・m) 파압 및 수동토압에 의한 모멘트


- 86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활 동 전 도
구 분 연직력V 수평력H 활동 연직모멘트 수평모멘트 전도 결 과
(kN) (kN) 안전율 Mv(kN・m) MH(kN・m) 안전율

CASE-1 516.10 181.65 2.36 1,342.54 336.51 3.98 O.K


파봉시
CASE-2 578.10 181.65 2.62 1,457.24 336.51 4.33 O.K

CASE-1 593.87 30.21 11.79 1,622.14 24.77 65.48 O.K


파곡시
CASE-2 655.87 30.21 13.02 1,764.74 24.77 71.24 O.K

파압시
파압시(지진시)
파압시((지진시
지진시)) 안정검토
제체 중량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연직력(kN) 거리(x, m) 모멘트(kN・m)

상 재 하 중 無 522.86 2.84 1,486.01

상 재 하 중 有 553.86 2.90 1,606.91

동수압 및 모멘트 산정

지진시 동수압은 유체의 동적작용에 의해 구조물에 작용하는 동적 압력으로 산정한다.(KDS 64 17 00, 39쪽)

 Pdw : 동수합의 합력(kN)


  ± ×  ×  ×  
 H : 수심(m)
 

× kh : 설계수평지진계수
 hdw : 하단에서 합력의 작용점까지 거리(m)

구 분 동수압(kN) 거리(y, m) 모멘트(kN・m)

상 치 콘 크 리 트 16.28 0.98 15.96

관성력 및 모멘트 산정
설계수평
구 분 중량 V(m3) 관성력(kN) 거리(y, m) 모멘트(kN・m)
지진계수(kh)

상 치 콘 크 리 트 522.86 0.096 50.19 3.96 198.75

지진시 안정검토 결과
활동 전도
구 분 연직력V 수평력H 활동 연직모멘트 수평모멘트 전도 결 과
(kN) (kN) 안전율 Mv(kN・m) MH(kN・m) 안전율

CASE-3 522.86 66.47 4.71 1,486.01 214.71 6.92 O.K


지진시
CASE-4 553.86 66.47 4.99 1,606.91 214.71 7.48 O.K

- 87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평상시
평상시(매립후)
평상시((매립후
매립후)) 안정검토
검토조건
구 분 설계파고(m) 주기(sec) 파장(L) 평균수심(m) 파향보정 비 고
설 계 파 랑 3.20 13.20 147.00 DL.(-)6.90 54.1゚ 매립후

제체 중량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연직력(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614.04 2.79 1,713.17 활동
DL.(+)4.80
703.50 - 2,043.49 전도, 지지력
상 재 하 중 62.00 3.90 241.80

토압 및 모멘트 산정
토압계수 산정
Coulomb식에 의하여 산정한다.(KDS 64 11 00, 42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 분 øi δ ψ β Kai Kaicos(δ+ψ)
배 면 사 석 40゚ 15゚ 0゚ 0゚ 0.201 0.194

수평토압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토압(kN) 거리(y, m) 모멘트(kN・m) 비고 수평토압 분포도

DL.(+)6.70 9.95 0.60 5.97


상재하중 배면
無 사석
DL.(+)4.80 27.88 1.43 39.90

DL.(+)6.70 19.41 0.75 14.49


상재하중 배면
有 사석
DL.(+)4.80 42.89 1.67 71.73

수직토압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토압(kN) 거리(x, m) 모멘트(kN・m) 비고
상재하중 DL.(+)6.70 9.95 × tan15゚ = 2.67 7.00 18.69
無 DL.(+)4.80 17.93 × tan15゚ = 4.80 2.88 13.82 배면사석
합 계 7.47 4.35 32.51
상재하중 DL.(+)6.70 19.41 × tan15゚ = 5.20 7.00 36.40
有 DL.(+)4.80 23.48 × tan15゚ = 6.29 2.88 18.12 배면사석
합 계 11.49 4.74 54.52

파압 및 모멘트
구 분 연직력(kN) 연직모멘트(kN・m) 수평력(kN・m) 수평모멘트(kN・m) 비 고
파 압 30.21 24.77
파 곡 시
양 압 력 71.01 136.13

- 88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평상시(매립후)
평상시
평상시((매립후
매립후)) 안정검토 결과
구 분 CASE-5 CASE-6 CASE-7
연직력 V( k N) 692.52 696.54 758.54
수평력 H( kN) 58.09 73.10 73.10
연직모멘트 Mv(kN・m) 1,881.81 1,903.82 2,145.62
수평모멘트 MH(kN・m) 64.67 96.50 96.50
활 동 안 전 율 7.15 5.71 6.22
전 도 안 전 율 29.09 19.72 22.23
결 과 O.K O.K O.K

지진시
지진시(매립후)
지진시((매립후
매립후)) 안정검토
제체 중량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연직력(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DL.(+)4.80 614.04 2.79 1,713.17
상 재 하 중 31.00 3.90 120.90

토압 및 모멘트 산정
토압계수 산정
최대지반 가속도 : 0.192(재현주기별 지진재해도 : 평균재현주기 1,000년)
설계수평지진계수 : kh = 1/2 amax = 0.096

겉보기 진도(KDS 64 17 00, 36쪽) 모노노베・오까베식으로 산정한다.(KDS 64 17 00, 37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진합성각        수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중 

구 분 øi δ ψ β θ 상재하중 無 상재하중 有 비고
DL.(+)8.50 25゚ 15゚ 0゚ 0゚ 5.484 0.421 0.421
준설토
DL.(+)6.70 25゚ 15゚ 0゚ 0゚ 5.484 0.421 0.421
DL.(+)6.70 40゚ 15゚ 0゚ 0゚ 5.484 0.242 0.242
배면사석
DL.(+)4.80 40゚ 15゚ 0゚ 0゚ 5.484 0.242 0.242

수평토압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토압(kN) 거리(y, m) 모멘트(kN・m) 비고 수평토압 분포도

DL.(+)6.70 11.93 0.60 7.16 준설토


상재하중

DL.(+)4.80 34.28 1.25 48.54 사석

DL.(+)6.70 17.62 0.70 12.28 준설토


상재하중

DL.(+)4.80 43.41 1.38 67.80 사석

- 89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수직토압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토압(kN) 거리(x, m) 모멘트(kN・m) 비고
상재하중 DL.(+)6.70 11.93 × tan15゚ = 3.20 7.00 22.40
無 DL.(+)4.80 22.35 × tan15゚ = 5.99 2.88 17.25 배면사석
합 계 9.19 4.31 39.65
상재하중 DL.(+)6.70 17.62 × tan15゚ = 4.72 7.00 33.04
有 DL.(+)4.80 25.79 × tan15゚ = 6.91 2.88 17.25 배면사석
합 계 11.63 4.55 52.94

관성력 및 모멘트 산정
설계수평
구 분 중량 V(m3) 관성력(kN) 거리(y, m) 모멘트(kN・m)
지진계수(kh)
상 치 콘 크 리 트 614.04 0.096 58.95 3.65 215.17

지진시 안정검토 결과
활동 전도
구 분 연직력V 수평력H 활동 연직모멘트 수평모멘트 전도 결 과
(kN) (kN) 안전율 Mv(kN・m) MH(kN・m) 안전율
CASE-8 623.23 93.23 4.01 1,752.82 263.71 6.64 O.K
지 진 시 CASE-9 625.67 102.36 3.66 1,766.11 282.97 6.24 O.K
CASE-10 656.67 102.36 3.84 1,887.01 282.97 6.66 O.K

사석마운드 지지력 및 직선활동 검토


연직모멘트수평모멘트
연직력V qmax qmin 직선활동
구 분 Mv MH 하중분포 비 고
(kN) (kN/m) (kN/m) 안전율
(kN・m) (kN・m)
466.40 1,342.54 336.51  141.63 20.60 사다리꼴 1.31 항내측기준
CASE-1
파압시 593.87 1,622.14 24.77  123.22 83.34 사다리꼴 1.59 항외측기준
(매립전) 528.40 1,457.24 336.51  164.29 19.50 사다리꼴 1.33 항내측기준
CASE-2
655.87 1,764.74 24.77  140.84 87.28 사다리꼴 1.60 항외측기준
522.86 1,486.01 214.71 133.16 48.71 사다리꼴 1.48 항내측기준
CASE-3
지진시 - - - - - - 1.68 항외측기준
(매립전) 553.86 1,606.91 214.71 133.01 59.64 사다리꼴 1.49 항내측기준
CASE-4
- - - - - - 1.69 항외측기준
692.52 1,881.81 64.67 152.49 88.39 사다리꼴 - 항내측기준
CASE-5
- - - - - - 1.58 항외측기준
평상시 696.54 1,903.82 96.50 157.16 85.11 사다리꼴 - 항내측기준
CASE-6
(매립후) - - - - - - 1.54 항외측기준
758.54 2,145.62 96.50 156.01 107.83 사다리꼴 - 항내측기준
CASE-7
- - - - - - 1.55 항외측기준
623.23 1,752.82 263.71 163.24 53.53 사다리꼴 - 항내측기준
CASE-8
- - - - - - 1.37 항외측기준
지진시 625.67 1,766.11 282.97 166.15 51.47 사다리꼴 - 항내측기준
CASE-9
(매립후) - - - - - - 1.34 항외측기준
656.67 1,887.01 282.97 166.04 62.37 사다리꼴 - 항내측기준
CASE-10
- - - - - - 1.35 항외측기준

- 90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100년빈도급
100년빈도급 이상 비태풍파 내습시 안정검토
검토조건
구 분 설계파고(m) 주기(sec) 파장(L) 평균수심(m) 파향보정 비 고

설 계 파 랑 3.20 13.20 147.00 DL.(-)6.90 54.1゚ 매립전

안정검토 결과
사석마운드 지지력
구 분 활 동 전 도 직선활동 결 과
(kN/m)

안 정 검 토 1.93>1.20 2.96>1.20 1.21>1.20 182.93<500 O.K

케이슨 접속부 소파공 참고논문


60도
60도 이상의 경사입사파에 대한 소파공 불연속부 안정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항만에서 방파제 건설시 소파블록 경사제에서 직립소파제공(케이슨)으로 연장시키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경우 소파공 불연속부(접속부)가 만들어지며 소파블록의 안정성 저하 및 파력 증대가 우려되는
곳이다. 이런 가운데 본 연구는 소파공 불연속부(접속부)에 파도가 60도 이상의 각도로 입사 한 경우 소파블록의
안정특성 및 케이슨에 작용하는 파력특성을 평면수리모형실험에 의해 밝혀 향후 방파제 설계의 기초 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함

소파공 불연속부에 60도 이상의 각도로 입사파가 내습시 다음과 같은 특성이 확인


연파와 경사입사파의 합성으로 인한 파고증대로 당초계획보다 큰 고밀도 소파블록이 필요
파력 전면수위 피크시간은 법선 방향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파력의 피크시간이 분산 감소

주)○○ ○○학회 논문집 B2(○○공학) Vol. 69. No. 2,2013, I_936-I_940 참조

- 91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3.3.6 방파호안
방파호안(2-2)구간
방파호안(2-2)
(2-2)
(2-2)구간
구간 안정검토
표준단면도

안정검토 결과 요약
매립전 매립후
구 분 결 과
파압시 지진시 평상시 지진시
활 동 2.66>1.20 4.74>1.10 5.71>1.20 3.66>1.10 O.K
전 도 5.15>1.20 6.93>1.10 19.72>1.20 6.24>1.10 O.K
직선활동 1.37>1.20 1.51>1.00 1.54>1.20 1.34>1.00 O.K
지 지 력 151.21<500.00 133.16<600.00 157.16<500.00 166.15<600.00 O.K

하중조합
자중 토압 잔류
구 분 동수압 관성력 파압
상재無 상재有 상재無 상재有 수압

파압시 CASE- 1 ◉ ◉
(매립전) CASE- 2 ◉ ◉

지진시 CASE- 3 ◉ ◉ ◉
(매립전) CASE- 4 ◉ ◉ ◉
CASE- 5 ◉ ◉ ◉ ◉
평상시
CASE- 6 ◉ ◉ ◉ ◉
(매립후)
CASE- 7 ◉ ◉ ◉ ◉
CASE- 8 ◉ ◉ ◉ ◉
지진시
CASE- 9 ◉ ◉ ◉ ◉
(매립후)
CASE- 10 ◉ ◉ ◉ ◉

- 92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파압시
파압시(매립전)
파압시((매립전
매립전)) 안정검토
검토조건
구 분 설계파고(m) 주기(sec) 파장(L) 평균수심(m) 파향보정 비 고

설 계 파 랑 2.60 11.60 124.65 DL.(-)6.30 54.1゚ 20년빈도

제체 중량 및 모멘트 산정(RWL
산정(RWL = DL.(+)2.415)
구 분 연직력(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572.56 2.66 1,520.44 활동


DL.(+)4.80
522.86 - 1,520.44 전도, 지지력

상 재 하 중 62.00 2.30 142.60

수평파압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연직파압(kN) 연직모멘트(kN・m) 수평파압(kN) 수평모멘트(kN・m) 비 고

상 치 부 36.08 174.27 161.76 260.60

양압력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양압력(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DL.(+)4.80 -91.34 3.83 -350.11
상치사면부 36.08 4.83 174.27

활동저항력 산정
사석의 활동 저항력은 R의 최소값 이다.(KDS 64 45 20, 21쪽)
활동저항력         
Ws : 최상단 피복층을 제외한 활동면 상부 사석의 중량(kN)
θ : 활동면 경사각(゚) ∅ : ∅=tan-1μ2 (μ2는 사석층 내부의 사석과 사석간의 마찰계수, μ2=0.8)

구 분 θ=0゚ θ=5゚ θ=10゚ θ=20゚ θ=30゚ θ=40゚

P(kN) 5.37 4.67 4.11 3.24 2.57 2.01

Ws(kN) 53.70 46.70 41.10 32.40 25.70 20.10

μ2 0.80 0.80 0.80 0.80 0.80 0.80

∅ 38.66 38.66 38.66 38.66 38.66 38.66

R(kN) 42.96 44.57 46.72 53.20 65.78 100.23

파압시(매립전)
파압시
파압시((매립전
매립전)) 안정검토 결과

활동 검토
H : 직립부에 작용하는 수평력(kN) μ1 : 직립부와 사석기초부의 마찰계수
  
≥ W1 : 직립부의 정수중의 중량 - 양압력(kN) R : 보강재 사석의 활동저항력(kN)

전도 검토
Mv = 연직모멘트(kN・m) 자중에 의한 모멘트


 ≥ MH = 수평모멘트(kN・m) 파압 및 수동토압에 의한 모멘트

- 93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활 동 전 도
구 분 연직력V 수평력H 활동 연직모멘트 수평모멘트 전도 결 과
(kN) (kN) 안전율 Mv(kN・m) MH(kN・m) 안전율

CASE-1 517.30 161.76 2.66 1,344.60 260.60 5.15 O.K


파봉시
CASE-2 579.30 161.76 2.95 1,459.30 260.60 5.59 O.K

CASE-1 593.87 30.21 11.79 1,622.14 24.77 65.48 O.K


파곡시
CASE-2 655.87 30.21 13.02 1,764.74 24.77 71.24 O.K

파압시
파압시(지진시)
파압시((지진시
지진시)) 안정검토
제체 중량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연직력(kN) 거리(x, m) 모멘트(kN・m)

상 재 하 중 無 522.86 2.84 1,486.01

상 재 하 중 有 553.86 2.90 1,606.91

동수압 및 모멘트 산정

지진시 동수압은 유체의 동적작용에 의해 구조물에 작용하는 동적 압력으로 산정한다.(KDS 64 17 00, 39쪽)

 Pdw : 동수합의 합력(kN)


  ± ×  ×  ×  
 H : 수심(m)
 

× kh : 설계수평지진계수
 hdw : 하단에서 합력의 작용점까지 거리(m)

구 분 동수압(kN) 거리(y, m) 모멘트(kN・m)

상 치 콘 크 리 트 15.92 0.98 15.60

관성력 및 모멘트 산정
설계수평
구 분 중량 V(m3) 관성력(kN) 거리(y, m) 모멘트(kN・m)
지진계수(kh)

상 치 콘 크 리 트 522.86 0.096 50.19 3.96 198.75

지진시 안정검토 결과
활동 전도
구 분 연직력V 수평력H 활동 연직모멘트 수평모멘트 전도 결 과
(kN) (kN) 안전율 Mv(kN・m) MH(kN・m) 안전율

CASE-3 522.86 66.11 4.74 1,486.01 214.35 6.93 O.K


지진시
CASE-4 553.86 66.11 5.02 1,606.91 214.35 7.49 O.K

- 94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평상시
평상시(매립후)
평상시((매립후
매립후)) 안정검토
검토조건
구 분 설계파고(m) 주기(sec) 파장(L) 평균수심(m) 파향보정 비 고
설 계 파 랑 2.80 13.20 144.20 DL.(-)6.30 54.1゚ 매립후

제체 중량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연직력(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614.04 2.79 1,713.17 활동
DL.(+)4.80
703.50 2.90 2,041.49 전도, 지지력

상 재 하 중 62.00 3.90 241.80

토압 및 모멘트 산정
토압계수 산정
Coulomb식에 의하여 산정한다.(KDS 64 11 00, 42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 분 øi δ ψ β Kai Kaicos(δ+ψ)
배 면 사 석 40゚ 15゚ 0゚ 0゚ 0.201 0.194

수평토압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토압(kN) 거리(y, m) 모멘트(kN・m) 비고 수평토압 분포도

DL.(+)6.70 9.95 0.60 5.97


상재하중 배면
無 사석
DL.(+)4.80 27.88 1.43 39.90

DL.(+)6.70 19.41 0.75 14.49


상재하중 배면
有 사석
DL.(+)4.80 42.89 1.67 71.73

수직토압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토압(kN) 거리(x, m) 모멘트(kN・m) 비고
DL.(+)6.70 9.95 × tan15゚ = 2.67 7.00 18.69
상재하중

DL.(+)4.80 17.93 × tan15゚ = 4.80 2.88 13.82 배면사석

합 계 7.47 4.35 32.51

DL.(+)6.70 19.41 × tan15゚ = 5.20 7.00 36.40


상재하중

DL.(+)4.80 23.48 × tan15゚ = 6.29 2.88 18.12 배면사석

합 계 11.49 4.74 54.52

- 95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파압 및 모멘트
구 분 연직력(kN) 연직모멘트(kN・m) 수평력(kN・m) 수평모멘트(kN・m) 비 고
파 압 30.21 24.77
파 곡 시
양 압 력 71.01 136.13

평상시(매립후)
평상시
평상시((매립후
매립후)) 안정검토 결과
구 분 CASE-5 CASE-6 CASE-7
연직력 V( k N) 692.52 696.54 758.54

수평력 H( kN) 58.09 73.10 73.10

연직모멘트 Mv(kN・m) 1,881.81 1,903.82 2,145.62

수평모멘트 MH(kN・m) 64.67 96.50 96.50

활 동 안 전 율 7.15 5.71 6.22

전 도 안 전 율 29.09 19.72 22.23

결 과 O.K O.K O.K

지진시
지진시(매립후)
지진시((매립후
매립후)) 안정검토
제체 중량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연직력(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DL.(+)4.80 614.04 2.79 1,713.17

상 재 하 중 31.00 3.90 120.90

토압 및 모멘트 산정
토압계수 산정

최대지반 가속도 : 0.192(재현주기별 지진재해도 : 재현주기 1,000년)


설계수평지진계수 : kh = 1/2 amax = 0.096

겉보기 진도(KDS 64 17 00, 36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진합성각        수상 


     수중 

모노노베・오까베식으로 산정한다.(KDS 64 17 00, 37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6 -

제3장
3장 방파호안공

구 분 øi δ ψ β θ 상재하중 無 상재하중 有 비고
DL.(+)8.00 25゚ 15゚ 0゚ 0゚ 5.484 0.421 0.421
준설토
DL.(+)6.70 25゚ 15゚ 0゚ 0゚ 5.484 0.421 0.421

DL.(+)6.70 40゚ 15゚ 0゚ 0゚ 5.484 0.242 0.242


배면사석
DL.(+)4.80 40゚ 15゚ 0゚ 0゚ 5.484 0.242 0.242

수평토압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토압(kN) 거리(y, m) 모멘트(kN・m) 비고 수평토압 분포도

DL.(+)6.70 11.93 0.60 7.16 준설토


상재하중

DL.(+)4.80 34.28 1.25 48.54 사석

DL.(+)6.70 17.62 0.70 12.28 준설토


상재하중

DL.(+)4.80 43.41 1.38 67.80 사석

수직토압 및 모멘트 산정
구 분 토압(kN) 거리(x, m) 모멘트(kN・m) 비고

DL.(+)6.70 11.93 × tan15゚ = 3.20 7.00 22.40


상재하중

DL.(+)4.80 22.35 × tan15゚ = 5.99 2.88 17.25 배면사석

합 계 9.19 4.31 39.65

DL.(+)6.70 17.62 × tan15゚ = 4.72 7.00 33.04


상재하중

DL.(+)4.80 25.79 × tan15゚ = 6.91 2.88 17.25 배면사석

합 계 11.63 4.55 52.94

관성력 및 모멘트 산정
설계수평
구 분 중량 V(m3) 관성력(kN) 거리(y, m) 모멘트(kN・m)
지진계수(kh)

상 치 콘 크 리 트 614.04 0.096 58.95 3.65 215.17

지진시 안정검토 결과
활동 전도
구 분 연직력V 수평력H 활동 연직모멘트 수평모멘트 전도 결 과
(kN) (kN) 안전율 Mv(kN・m) MH(kN・m) 안전율

CASE-8 623.23 93.23 4.01 1,752.82 263.71 6.64 O.K

지 진 시 CASE-9 625.67 102.36 3.66 1,766.11 282.97 6.24 O.K

CASE-10 656.67 102.36 3.84 1,887.01 282.97 6.66 O.K

- 97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사석마운드 지지력 및 직선활동 검토


연직모멘트수평모멘트
연직력V qmax qmin 직선활동
구 분 Mv MH 하중분포 비 고
(kN) (kN/m) (kN/m) 안전율
(kN・m) (kN・m)

467.60 1,344.60 260.60  128.42 34.23 사다리꼴 1.37 항내측기준


CASE-1
593.87 1,622.14 24.77  123.22 83.34 사다리꼴 1.67 항외측기준
파압시
(매립전)
529.60 1,459.30 260.60  151.21 33.00 사다리꼴 1.40 항내측기준
CASE-2
655.87 1,764.74 24.77  140.84 87.28 사다리꼴 1.62 항외측기준

522.86 1,486.01 214.35  133.16 48.71 사다리꼴 1.71 항내측기준


CASE-3
- - - - - - 1.51 항외측기준
지진시
(매립전)
553.86 1,606.91 214.35  133.01 59.64 사다리꼴 1.72 항내측기준
CASE-4
- - - - - - 1.51 항외측기준

692.52 1,881.81 64.67 152.49 88.39 사다리꼴 - 항내측기준


CASE-5
- - - - - - 1.58 항외측기준

696.54 1,903.82 96.50 157.16 85.11 사다리꼴 - 항내측기준


평상시
CASE-6
(매립후)
- - - - - - 1.54 항외측기준

758.54 2,145.62 96.50 156.01 107.83 사다리꼴 - 항내측기준


CASE-7
- - - - - - 1.55 항외측기준

623.23 1,752.82 263.71 163.24 53.53 사다리꼴 - 항내측기준


CASE-8
- - - - - - 1.37 항외측기준

625.67 1,766.11 282.97 166.15 51.47 사다리꼴 - 항내측기준


지진시
CASE-9
(매립후)
- - - - - - 1.34 항외측기준

656.67 1,887.01 282.97 166.04 62.37 사다리꼴 - 항내측기준


CASE-10
- - - - - - 1.35 항외측기준

100년빈도급
100년빈도급 이상 비태풍파 내습시 안정검토
검토조건
구 분 설계파고(m) 주기(sec) 파장(L) 평균수심(m) 파향보정 비 고

설 계 파 랑 2.80 13.20 144.20 DL.(-)6.30 54.1゚ 매립전

안정검토 결과
사석마운드 지지력
구 분 활 동 전 도 직선활동 결 과
(kN/m)

안 정 검 토 2.22>1.20 3.93>1.20 1.29>1.20 164.03<500 O.K

- 98 -

제4장
4장 관리부두

제 4 장 관리부두
4.1 관리부두 소요규모 산정
4.1.1 관공선 및 역무선 척수 추정
관리부두 소요규모 산정을 위하여 새만금 신항 1단계 완공시 필요한 관공선 및 역무선 추정
기본방향
선석규모에 대비한 척수 산정 단위(원단위)에 의한 추정방법 적용

새만금 신항 단계별 개발계획


구 분 자동차 일반잡화 컨테이너 크루즈 총선석수
2030년 - 5 1 - 6

2040년 1 6 1 1 9

원단위에 의한 새만금 신항 관공선 및 역무선 척수 추정


관공선 및 역무선 척수
구 분 총선석수 비 고
관공선 × 1.0 역무선 × 1.5 합 계
2030년 6 6 9 15

2040년 9 9 14 23

관공선 세부 선종 추정
구 분 1단계(2030년) 2단계(2040년) 비 고
순 찰 선 1 1

표 지 선 1 1

청 항 선 1 1

측 량 선 1 1

기타관공선 2 5

합 계 6 9

역무선 세부 선종 추정
구 분 1단계(2030년) 2단계(2040년) 비 고
예 선 2 4

통 선 1 2

급 수 선 1 1

급 유 선 1 4

기 타 선 4 3

합 계 9 14

관공선 및 역무선은 1단계(2030년)개발 시 각각 6척, 9척이 필요함


설계적용
세부선종은 관계기관협의 내용 등을 반영하여 결정

- 99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4.1.2 관공선 및 역무선 제원


관공성 제원은 해양수산부 관공선 현황(2019.10말 기준)을 참고함
기본방향
역무선 제원은 관계기관 협의 및 기본조사 내용을 참고함

관공선
구 분 척 수 톤 급 전장(m) 전폭(m) 흘수(m) 비 고
순 찰 선 1 30~40톤 22.57 4.56 2.21
표 지 선 1 70~80톤 29.64 6.23 2.80
청 항 선 1 80~90톤 26.21 9.40 2.83
측 량 선 1 29톤 19.75 4.60 2.10
기타관공선 2 50톤 32.70 7.60 3.00
합 계 6

역무선
구 분 척 수 톤 급 전장(m) 전폭(m) 흘수(m) 비 고
예 선 2 316톤 36.54 11.50 4.80
통 선 1 19톤 23.78 5.80 1.70
급 수 선 1 36톤 26.50 5.30 2.30
급 유 선 1 212톤 42.80 8.40 3.60
기 타 선 4 20~50톤 26.80 5.60 3.00
합 계 9

4.1.3 관리부두 선석연장


3겹 횡접안 : 시설 소요연장 = 선박척수 × 1.2 × L ÷ 3

구 분 척 수 전장(m) 3겹횡접안 소요연장(m) 비 고


순 찰 선 1 22.57 9.03
표 지 선 1 29.64 11.86
청 항 선 1 26.21 10.48
관공선
측 량 선 1 19.75 7.90
기타관공선 2 32.70 26.16
소 계 6 65.43
예 선 2 36.54 29.23
통 선 1 23.78 9.51
급 수 선 1 26.50 10.60
역무선
급 유 선 1 42.80 17.12
기 타 선 4 26.80 42.88
소 계 9 109.34
합 계 174.77
적 용 240.00

설계적용 선박 및 관리부두 함선의 특성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240.0m로 계획

- 100 -

제4장
4장 관리부두

4.1.4 박지면적 산정
3겹 횡접안 : 시설연장 × ((B + 1) × 3 + 0.75(항로))
여기서 B : 선박폭, L : 전장

구 분 전장(m) 전폭(m) 소요폭(m) 소요접안 시설연장(m) 소요박지 면적(m2)


순 찰 선 22.57 4.56 33.61 9.03 303.50
표 지 선 29.64 6.23 43.92 11.86 520.89
청 항 선 26.21 9.40 50.86 10.48 533.00
관공선
측 량 선 19.75 4.60 31.61 7.90 249.72
기타관공선 32.70 7.60 50.33 26.16 1,316.60
소 계 2,923.75
예 선 36.54 11.50 64.91 29.23 1,897.32
통 선 23.78 5.80 38.24 9.51 363.66
급 수 선 26.50 5.30 38.78 10.60 411.07
역무선
급 유 선 42.80 8.40 60.30 17.12 1,032.34
기 타 선 26.80 5.60 39.90 42.88 1,710.91
소 계 5,415.30
합 계 8,339.05
적 용 57,240.00

관리부두 소요수면적만으로는 원활한 입・출항이 불가능 하여 선박 통항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설계적용
여유수면적을 두어 57,240m2로 계획

4.2 부잔교 설계
4.2.1 함선에 작용하는 외력계산
기본방향 최대파고(2.0m) 시 피항하는 경우와 정박한계파고(0.7m) 시 선박이 계류한 경우로 나누어 외력산정

최대파고
최대파고(2.0m)
(2.0m) 시
설계조건
구 분 조류속(m/sec) 설계파고(m) 최대파고(H, m) 최대풍속(m/sec) 보정풍속(m/sec) 비 고
설 계 정 수 0.13 2.00 3.60 55.00 40.00

함선의 제원
구 분 함선 총길이(m) 전폭(B, m) 흘수(d, m) 깊이(m) 비 고
함선 × 3척 123.0 15.00 0.75 2.15

함선에 작용하는 파력

수면 부근에 떠있는 물체에 작용하는 파력



          ≒

여기서 , P : 폰툰형 선박에 작용하는 파력(kN),  : 해수의 밀도(보통 1.03t/m3)
H : 파고(m), B : 폰툰형 선박위 폭(m), d : 폰툰형 선박의 흘수(m)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0 10 : p.149 (2019, 해양수산부)

- 101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측면파력(P)
측면파력(P)
해수의 밀도 최대파고 수선하부
구 분 파력(P, kN) 비 고
(t/m3) (H, m) 투영면적(m2)

함 선 1.03 3.60 92.25 3,355.64

전면파력(P)
전면파력(P)
해수의 밀도 최대파고 수선하부
구 분 파력(P, kN) 비 고
(t/m3) (H, m) 투영면적(m2)

함 선 1.03 3.60 11.25 409.22

함선에 작용하는 풍항력


풍항력

     
    
여기서,  : 풍항력(N),  : 공기의 밀도(kg/m3)
 :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부터 부체 해상부의 투영면적(m2)
 : 풍속(m/s),  : 풍항력 계수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0 10 : p.156 (2019, 해양수산부)

풍항력 계수
단면형상 길이 비 계 수 적 용
2.3
2.3
장방형단면 변 길이비 (1:2) [1.6]
(측면)
(0.6)

1.5 1.5
장방형단면 변 길이비 (1:2)
(0.6) (정면)

측면 풍항력(FWK)
풍항력(FWK)
공기의 밀도 측면 수면상부
구 분 풍항력 계수 풍속(m/s) 풍항력(kN) 비 고
(kg/m3) 투영면적(m2)

함 선 1.23 2.30 172.20 40.00 389.72

전면 풍항력(FWK)
풍항력(FWK)
공기의 밀도 측면 수면상부
구 분 풍항력 계수 풍속(m/s) 풍항력(kN) 비 고
(kg/m3) 투영면적(m2)

함 선 1.23 1.50 21.00 40.00 31.00

함선에 작용하는 항력(조류)


항력
항력((조류
조류))
흐름항력

        

여기서, Fc : 흐름항력(kN),  : 해수의 밀도(보통 1.03t/m3)
H : 파고(m), B : 폰툰형 선박위 폭(m), d : 폰툰형 선박의 흘수(m)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0 10 : p.158 (2019, 해양수산부)

- 102 -

제4장
4장 관리부두

항력 계수
단면형상 기준면적 계 수 적 용

D2 1.3 ~ 1.6 1.6

측면 항력(FCK)
항력(FCK)
해수의 밀도 측면 수선하부
구 분 항력 계수 조류속(m/s) 조류력(kN) 비 고
(t/m3) 투영면적(m2)
함 선 1.03 1.60 92.25 0.13 1.28

전면 항력(FCK)
항력(FCK)
해수의 밀도 측면 수선하부
구 분 항력 계수 풍속(m/s) 조류력(kN) 비 고
(t/m3) 투영면적(m2)
함 선 1.03 1.60 11.25 0.13 0.16

함선에 작용하는 외력 조합
Case 01 : 조류력 + 풍항력
에서 큰 값을 적용
Case 02 : 파력 + 조류력 + 풍항력

측면에 작용하는 외력
구 분 파 력 조류력 풍항력 외력합계 적 용
Case 01 1.28 389.72 391.00

Case 02 3,355.64 1.28 389.72 3,746.64 ◎

전면에 작용하는 외력
구 분 파 력 조류력 풍항력 외력합계 적 용
Case 01 0.16 31.00 31.16

Case 02 409.22 0.16 31.00 440.38 ◎

정박한계파고(0.7m)
정박한계파고(0.7m) 및 선박 15
15척
척 계류 시
설계조건
최대파고(H, m)
구 분 조류속(m/sec) 설계파고(m) 설계풍속(m/sec) 보정풍속(m/sec) 비 고
(1.8×설계파고)
설계정수 0.13 0.70 1.26 55.00 40.00

함선의 제원
함선 조합의
구 분 전폭(B, m) 흘수(d, m) 깊이(m) 비 고
총길이(m)
함선 × 3척 123.0 15.00 0.75 2.15

대상선박
구 분 전장(m) 수선간장(m) 전폭(m) 흘수(m) 비 고
551금륭호 36.54m 32.85m 11.50m 4.80m

- 103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선박의 충격력
방충재의 반력을 선박접안시 충격력으로 계산

구 분 규 격 흡수에너지(kN) 반력(kN) 비 고
BP-Fender 250H × 2,000L 40.0kN/m 429.68

함선에 작용하는 파력
수면 부근에 떠있는 물체에 작용하는 파력

          ≒

여기서, P : 폰툰형 선박에 작용하는 파력(kN),  : 해수의 밀도(보통 1.03t/m3)
H : 파고(m), B : 폰툰형 선박위 폭(m), d : 폰툰형 선박의 흘수(m)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0 10 : p.149 (2017, 해양수산부)

측면파력(P)
측면파력(P)
해수의 밀도 최대파고 수선하부
구 분 파력(P, kN) 비 고
(t/m3) (H, m) 투영면적(m2)
선 박 1.03 1.26 272.62 3,470.84
함 선 1.03 1.26 14.03 178.62

전면파력(P)
전면파력(P)
해수의 밀도 최대파고 수선하부
구 분 파력(P, kN) 비 고
(t/m3) (H, m) 투영면적(m2)
선 박 1.03 1.26 106.43 1,354.99
함 선 1.03 1.26 11.25 143.23

함선에 작용하는 풍항력


풍항력(KDS 64 10 10, 156쪽)
 
    

여기서,  : 풍항력(N),  : 공기의 밀도(kg/m3)
 :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부터 부체 해상부의 투영면적(m2)
 : 풍속(m/s),  : 풍항력 계수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0 10 : p.156 (2017, 해양수산부)

풍항력 계수
단면형상 길이 비 계수 적용
2.3
2.3
장방형단면 변 길이비 (1:2) [1.6]
(측면)
(0.6)

1.5 1.5
장방형단면 변 길이비 (1:2)
(0.6) (정면)

측면 풍항력(FWK)
풍항력(FWK)
공기의 밀도 측면 수면상부
구 분 풍항력 계수 풍속(m/s) 풍항력(kN) 비 고
(kg/m3) 투영면적(m2)
선 박 1.23 2.30 347.64 40.00 786.78
함 선 1.23 2.30 26.19 40.00 59.27

- 104 -

제4장
4장 관리부두

전면 풍항력(FWK)
풍항력(FWK)
공기의 밀도 측면 수면상부
구 분 풍항력 계수 풍속(m/s) 풍항력(kN) 비 고
(kg/m3) 투영면적(m2)
선 박 1.23 1.50 142.61 40.00 210.49
함 선 1.23 1.50 21.00 40.00 31.00

함선에 작용하는 항력(조류)


항력
항력((조류
조류))
흐름항력(KDS 64 10 10, 158쪽)

        

여기서, Fc : 흐름항력(kN),  : 해수의 밀도(보통 1.03t/m3)
H : 파고(m), B : 폰툰형 선박위 폭(m), d : 폰툰형 선박의 흘수(m)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0 10 : p.158 (2017, 해양수산부)

항력 계수
단면형상 기준면적 계 수 적 용

D2 1.3 ~ 1.6 1.6

측면 항력(FCK)
항력(FCK)
해수의 밀도 측면 수선하부
구 분 항력 계수 조류속(m/s) 조류력(kN) 비 고
(t/㎥) 투영면적(㎡)
선 박 1.03 1.60 272.62 0.13 3.80
함 선 1.03 1.60 14.03 0.13 0.20

전면 항력(FCK)
항력(FCK)
해수의 밀도 측면 수선하부
구 분 항력 계수 풍속(m/s) 조류력(kN) 비 고
(t/㎥) 투영면적(㎡)
선 박 1.03 1.60 106.43 0.13 1.48
함 선 1.03 1.60 11.25 0.13 0.16

선박의 견인력
관공선 및 역무선중 가장 큰 선박 9척이 한쪽 면에 계류된 경우

구 분 예선 급유선 청항선 표지선 기타관공선 기타선 합 계


톤 급 316톤×2척 212톤 80~90톤 70~80톤 50톤 50톤×3척
견인력(kN) 300 150 50 50 50 150 750

함선에 작용하는 외력 조합
Case 01 : 선박의 충격력 + 조류력 + 풍항력
Case 02 : 선박의 견인력 + 조류력 + 풍항력 에서 큰 값을 적용
Case 02 : 파력 + 조류력 + 풍항력

측면에 작용하는 외력
선박의 선박의견 파 력 조류력 풍항력
구 분 외력합계 적용
충격력 인력 선박 함선 선박 함선 선박 함선
Case 01 429.68 3.80 0.20 786.78 59.27 1,279.73
Case 02 750.00 3.80 0.20 786.78 59.27 1.600.05
Case 03 3,470.84 178.62 3.80 0.20 786.78 59.27 4,499.51 ◎

- 105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전면에 작용하는 외력
선박의 선박의견 파 력 조류력 풍항력
구 분 외력합계 적용
충격력 인력 선박 함선 선박 함선 선박 함선

Case 01 429.68 1.48 0.16 210.49 31.00 672.81

Case 02 375.00 1.48 0.16 210.49 31.00 618.13

Case 03 1,354.99 143.23 1.48 0.16 210.49 31.00 1,741.35 ◎

함선에 작용하는 외력 결정
구 분 측면에 작용하는 외력(kN) 전면에 작용하는 외력(kN) 적 용

최대파고(2. 0m) 시 3,746.64 440.38

정박한계파고(0.7m) 시 4,500.00 1,741.35 ◎

설계적용 함선 측면에 작용하는 외력은 4,499kN, 전면에 작용하는 외력은 1,741kN으로 검토됨

4.2.2 계류체인 검토
설계조건
구 분 약최고고조위(m) 설계수심(m) 묘박수 함선최대외력(kN) 수평외력(kN)

12묘박
설계정수 DL.(+)7.246 DL.(-)8.700 4,499.51 749.92
(4앵커수×3함선수)

계류체인 길이 검토

▽ DL.(+) 7.246 접안함선

h =15.20m선수부
15.20m선미부

DL(-) 8.700 선수부


    Kh DL(-) 8.700 선미부

구 분 선수부 선미부

체인 길이=수심×5배+고저차 8.7 × 5 + 7.246 = 50.746m 8.7 × 5 + 7.246 = 50.746m

설계 Chain 길이 선장(ℓ) 51.0m 51.0m

θ1=θ2=sin-1(h/L) 17.34゚ 17.34゚

Kh=√ℓ2-h2 48.68 48.68

- 106 -

제4장
4장 관리부두

계류체인에 작용하는 인장력


구 분 선수부 선미부

T' = P × sec(17.34゚) T' = P × sec(17.34゚)


= 749.92 × 1.05 = 785.62kN = 749.92 × 1.05 = 785.62kN

T = T' × sec(45.00゚) T = T' × sec(45.00゚)


= 785.62 × 1.41 = 1,111.03kN = 785.62× 1.41 = 1,111.03kN

계류체인 규격 검토
앵커체인에 걸리는 인장력 1,110.03kN
인장력을 감당하는 내력하중을 가진 체인의 규격 : ∅60mm 제3종체인(절단하중: 2,767kN)
앵커체인의 부식 및 충분한 안전율을 고려한 체인선정 : 0.20mm × 2 × 20년 = 8.00mm

<앵커체인의 규격 선정>
앵커체인의 규격선정 : ∅68mm
안전율(Fs) : 3.15 > 3.0(O.K)

싱커블록 설계
분력 산정
Pa = T × cosθ = 1,110.03kN × cos(17.34゚) = 1,060.54kN
Va = T × Tanθ = 1,110.03kN × tan(17.34゚) = 346.90kN

싱커블록의 외력산정 토질조건

흙의 내부마찰각(φ) : 30.00゚
L × B × D = 4×4×4
벽면마찰각(δ) : 15.00゚
V = 4×4×4 = 64m3
수중 사질토의 단위중량(γ) : 8.5kN/m3
W = 64×22.6 =1,446.40kN
주동토압계수(Ka) : 0.301(coulomb method)
W' = 64×12.6 =806.40kN(수중에서의 싱커 무게)
수동토압계수(Kp) : 4.977(coulomb method)

토압(P1)
토압(P1)

Pa(주동토압) = Ka × γ × h(매입길이= 4.0m) = 0.3014 × 8.50 × 4.0 = 10.25kN/m3


Pp(수동토압) = Ka × γ × h(매입길이= 4.0m) = 4.977 × 8.50 × 4.0 = 169.20kN/m3
토압(P1) =(Pa - Pp) × 0.5 × h × B = (169.20 - 10.25) × 0.5 × 4.0 × 4.0 = 1,271.63kN

싱커블록 저면마찰력(P2)
저면마찰력(P2)

P2 = W × f = (W'-Va) × f(마찰계수) = (806.40 – 346.90) × 0.6 = 275.70kN

수평저항력에 대한 안정검토

안전율(Fs) = (P1 + P2) / Pa = (1,271.63 – 275.70) / 1,060.54 = 1.46 > 1.2(O.K)

연직저항력에 대한 안정검토

안전율(Fs) = W' / Va = 806.40 / 346.90 = 2.32 > 1.2(O.K)

설계적용 앵커체인은 ∅68mm 및 싱커블록(4×4×4)은 150ton으로 결정

- 107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4.2.3 함선 안정성 검토
기본방향 등분포하중을 받는 경우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

함선의 하중
자중(W1) = 2,263.80 +1,627.20 = 3,891.0kN
군중하중(W2) = 40.0m × 1.50 × 5.0 = 3,000.0kN
차량하중(W3) = 234.14kN(차량하중 DB 13.5)
AMP 하중(W4) = 24.34kN
연락도교 하중(W5) = 1,292.20kN
함선 총하중 = W1 + W2 + W3 + W4 + W5 = 8,445.65kN

함선의 안정검토
함선이 등분포하중을 받는 경우
등분포하중을 받는 경우 안정검토(KDS 64 55 30, 10쪽)

   

여기서,  : 흘수면의 장축에 대한 단면 2차모멘트(m4),   : 폰툰과 등분포하중의 중량(kN)
 : 해수의 단위체적중량(kN/㎥), C : 부심, G : 중심

 
구 분 W(총하중) 부심(C) 중심(G)   결과


안 정 검 토 8,455.65kN 0.70m 1.59m 12.6 > 0 O.K

- 108 -

제4장
4장 관리부두

함선이 편심하중을 받는 경우
편심하중을 받는 경우 안정검토(KDS 64 55 30, 11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폰툰의 중량(kN),  : 편심하중의 합력(kN)
 : 폰툰의 폭(m),  : 폰툰의 높이(m)
 : P를 푼톤의 중심에 재하하였을 때의 폰툰의 흘수(m)
 : 폰툰의 중심에서 저면까지의 높이(m)
 : 폰툰의 중심에서 저면까지의 높이(m)
 : 폰툰의 중심에서 저면까지의 높이(m)

    
구 분 편심하중(kN) 흘수(d) 부심(C)  tanα 결과

안정검토 1,762.45kN 0.93m 1.77m 0.18>0.0624 0.0624<0.10 O.K

설계적용 등분포하중을 받는 경우와, 편심하중을 받는 경우 모두 만족함으로 함선은 안정함

함선의 복원성검토
강선의 선체구조기준(해양수산부 고시 제 2013-67), 부선의 구조 및 설비 등에 관한 기준(해양수산부 고시
제2013-82), 강재 부선 규칙/적용지침(한국선급)에 따라 검토

구 분 경하상태 만재상태 비 고

GoM GoM≥0.164B GoM≥0.095B B : 부선의 형너비(M)

검토결과 22.31>2.46(O.K) 19.76>1.425(O.K)

4.2.4 오토텐션 윈치와이어 시스템 적용 검토


오토텐션 윈치와이어 방식은 윈치를 이용하여 조위 변화에도 체인이 일정 장력 이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수평
변위를 제어할 수 있는 계류방식임.
체인 계류방식과 자동위치 조절형 고정방식(계류체인+오토텐션 윈치와이어)의 수평 이동량을 비교 검토하여
자동위치 조절형 고정방식의 변위 제어 효과를 검증함.

- 109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분석 결과 요약
부잔교 최대 수평변위
계류방식 분석 결과
저조위시 고조위시 최 대
조위차에 따른 수평변위의 변동량이 큼
계 류 체 인 2.22m 0.13m 2.22m
저조위시 큰 수평변위 발생으로 선박 접안에 불리
계 류 체 인 +
조위차에 따른 수평변위 및 변동량이 미미함
오 토 텐 션 0.11m 0.05m 0.11m
계류체인에 비해 접안 선박의 안전성이 향상됨
윈 치 와 이 어

계류방식별 계류배치
계류체인 방식 자동위치 조절형 고정방식

계류방식별 부잔교 수평변위 계산 결과


계류체인 방식 적용시 최대 수평변위 계류체인 방식 적용시 수평변위 시간이력

자동위치 조절형 고정방식 적용시 최대 수평변위 자동위치 조절형 고정방식 적용시 수평변위 시간이력

계류체인 방식이 파일 계류방식보다 수평변위가 크게 발생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동위치


조절형 고정방식을 적용하여 부잔교 수평변위 발생을 최소화 하도록 계획하였음.
부잔교 동요 시뮬레이션 결과 자동위치 조절형 고정방식을 적용하지 않은 계류체인 적용시 최대
설계적용 2.22m의 수평변위가 발생하지만 자동위치 조절형 고정방식을 적용할 경우 0.11m 이내로 크게
감소하여 파일계류방식과 유사한 동요제어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검토됨.
따라서 저조위시 수평변위가 크게 발생하는 계류체인 방식이나 부잔교 철거시 원상복구가 어려운 파일
계류방식이 아닌 수평변위가 거의 없고 원상복구가 용이한 자동위치 조절형 고정방식을 적용함.

- 110 -

제4장
4장 관리부두

4.2.5 고정시설 비교 검토
자동위치 조절형 고정방식
형 식 강관파일 석션파일 계류체인
(계류체인+오토텐션 원치와이어)
석션버켓 + 강관파일 + 콘크리트 싱커 + 계류체인
형 식 강관파일 + 파일가이드 콘크리트 싱커 + 계류체인
파일가이드 + 오토텐션 윈치와이어

지지층까지 파일 고정 석션버켓으로 지지층 형성 체인의 중량, 싱커와 오토텐션 윈치와이어를


고 정 파일가이드를 통해 버켓상부에 강관파일을 수평길이를 이용하여 적용하여 항시 팽팽하게
방 법 함선과 연결 고정한후 파일가이드를 고정 고정
통해 함선과 연결

수평방향 : 구속 수평방향 : 구속 수평방향 : 허용 수평방향 : 구속


동 요
수직방향 : 허용 수직방향 : 허용 수직방향 : 허용 수직방향 : 허용

변 위 허용변위 고조위시 허용변위 고조위시 금회 해석결과 고조위시 금회 해석결과 고조위시


해 석 30cm 30cm 222cm 11cm

수평방향 동요 구속으로 수평방향 동요 구속으로 수평방향 동요 허용으로 수평방향 동요 구속으로


안정성
안정성 우수 안정성 우수 안정성 불리 안정성 우수

부식에 취약 /정기적 부식에 취약 /정기적 저조위시 점검, 저조위시 점검,


유 지
유지보수 필요 유지보수 필요 부식발생시 체인교체 부식발생시 체인교체
관 리
이상기후 시 유압체크필요

시공성 대형장비 시공 필요 대형장비 시공 필요 제작 및 설치 용이 제작 및 설치 용이

해체용이/지층 상이시
이 설 해체어려움 및 비용 고가 해체용이 및 비용 저렴 해체용이 및 비용 저렴
추가공사비

유 용 유용불가 유용불가 유용가능 유용가능

경관성 파일노출로 경관장애발생 파일노출로 경관장애발생 경관성 우수 경관성 우수

선 정 ◎

자동위치 조절형 고정방식

- 111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4.3 교대 안정검토
4.3.1 표준단면도

4.3.2 안정검토 결과 요약
파봉시
구 분 상 시 지진시 결 과
활 동 1.34 > 1.20 6.94 > 1.10 O.K
전 도 1.37 > 1.20 7.27 > 1.10 O.K
직선활동 1.58 > 1.20 2.11 > 1.00 O.K
지 지 력 296.58 < 500 95.89 < 600 O.K
원호활동

파곡시
구 분 상 시 지진시 결 과
활 동 1.82 > 1.20 3.48 > 1.10 O.K
전 도 1.80 > 1.20 5.19 > 1.10 O.K
직선활동 1.36 > 1.20 1.62 > 1.00 O.K
지 지 력 435 < 500 223 < 600 O.K
원호활동

4.3.3 설계조건
설계진도
최대 지반가속도(Amax) = 0.192g
설계진도 = 0.096g

상재하중
구 분 상시(kN/m2) 지진시(kN/m2) 비 고
상재하중 15.00 7.50

- 112 -

제4장
4장 관리부두

단위중량
습윤단위중량 수중단위중량 포화단위중량 내부마찰각 벽면마찰각
구 분
(kN/m3) (kN/m3) (kN/m3) (゚) (゚)
무 근 콘 크 리 트 22.60 12.60
철 근 콘 크 리 트 24.00 14.00
기 초 사 석 18.00 10.00 20.00 40 15
뒤 채 움 사 석 18.00 10.00 20.00 40 15
해 수 10.10

하중조합
파봉시
구 분 자 중 상재하중 도교자중 파압(파봉시) 동수압 관성력
CASE-1 ◉ ◉ ◉
운영시
CASE-2 ◉ ◉ ◉ ◉
CASE-3 ◉ ◉ ◉ ◉
지진시
CASE-4 ◉ ◉ ◉ ◉ ◉

파곡시
파압 토 압
구 분 자 중 상재하중 도교자중 동수압 관성력
(파곡시) 상재無 상재有
CASE-1 ◉ ◉ ◉ ◉
운영시 CASE-2 ◉ ◉ ◉ ◉
CASE-3 ◉ ◉ ◉ ◉ ◉
CASE-4 ◉ ◉ ◉ ◉ ◉
지진시 CASE-5 ◉ ◉ ◉ ◉ ◉
CASE-6 ◉ ◉ ◉ ◉ ◉ ◉

4.3.4 자중에 의한 연직력 및 저항모멘트


파봉시_구조물
파봉시
파봉시__구조물 중량 및 모멘트(부력
모멘트
모멘트((부력 고려)
고려)
구 분 연직력(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DL.(+)5.10m 365.81 2.53 925.99 도교 자중포함

파곡시_구조물
파곡시
파곡시__구조물 중량 및 모멘트(부력
모멘트
모멘트((부력 고려)
고려)
구 분 연직력(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DL.(+)5.10m 449.23 1.70 763.97 도교 자중포함

파곡시 관성력
관성력(지진시)_(부력
관성력((지진시
지진시)_(
)_(
)_(부력
부력 미고려)
미고려)
구 분 수평력(kN) 거리(y, m) 모멘트(kN・m) 비 고
DL.(+)5.10m 52.29 2.39 125.05 도교 자중포함

4.3.5 상재하중
상시
구 분 상재하중(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DL.(+)5.10m 67.50 2.25 151.88

- 113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지진시
구 분 상재하중(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DL.(+)5.10m 33.75 2.25 75.94

4.3.6 도교에 의한 수평력


구 분 수평력(kN) 거리(y, m) 모멘트(kN・m) 비 고

DL.(+)5.10m 117.76 3.66 430.65

4.3.7 파압산정
파봉시

.7-

직립벽에 작용하는 중복파 파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정수면상에서 파압 강도가 영(零)이 되는 점까지의 높이(m)


 : 정수면에서의 파압 강도(kN/m2),  : 해저면에서의 파압 강도(kN/m2)
 : 직립벽 저면에서의 파압 강도(kN/m2),ρo : 해수의 밀도(t/m3)
λ1, λ2 : 파압의 보정계수(표준 1.0),  : 직립벽 전면의 수심(m)
  : 직립벽 전면에서 외해(심해측)로 유의파고의 5배만큼 떨어진 지점의 수심(m)
 : 직립벽 저면의 수심(m)
 : 사석부의 근고공 또는 피복공의 마루 중에서 작은 수심(m)
  : 설계계산에 쓰이는 파고(m),  : 수심 에서의 설계계산에 쓰이는 파장(m)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0 10 : p.119 (2019, 해양수산부)

- 114 -

제4장
4장 관리부두

구 분 Data 비 고
해수단위체적중량(kN/m3) 10.10
설계파고(Hs(m)) 2.00
최대파고(HD) 3.60 쇄파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
전면수심(h) 14.69
파장(L, 수심 h에서의 파장) 178.39
직립벽 전면에서 외해로 유의파고 5배지점수심(hb) 15.02
입사각(β, 파의 주방향에서 직립벽엑 직각인선과 이루는각도) 0゚
직립벽 저면의 수심(h') 2.25
근고공 또는 피복공의 마루중에 작은 수심(d) 1.45
α1 0.954
α2 0.803
α3 0.982
파압보정계수(λ1, λ2, λ3) 1.0
정수면상에서 파압강도가 영이 되는 지점(η*) 5.40
p1 63.885kN/m2
p2 56.198kN/m2
p3 62.735kN/m2
pu 34.063kN/m2

파력 및 모멘트
구 분 파압(kN) 거리(y, m) 모멘트(kN・m) 비 고
41.946 3.65 153.047
DL.(+)7.246m
71.998 2.90 208.602
68.549 1.43 98.071
DL.(+)5.100m
67.315 0.72 48.153
합 계 249.81 507.873

양압력 및 모멘트
구 분 파압(kN) 거리(y, m) 모멘트(kN・m) 비고
DL.(+)5.10m 76.642 3.00 229.926

파곡시

벽면에 파곡이 있을 때 파력
   

여기서,  : 균일파압 부분에 있어서 파압강도(kN/m2)


  : 설계계산에 쓰이는 파고(m)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0 10 : p.125 (2019, 해양수산부)

구 분 최대파고(HD) 해수단위체적중량 0.5HD Pn(kN/m2) 비 고


DL.(+)5.10m 3.60m 10.10kN/m3 DL.(+)5.446m 18.180

- 115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파압강도
구 분 파압(kN) 거리(y, m) 모멘트(kN・m) 비 고
16.362 0.95 15.478
DL.(+)5.100m
6.290 0.17 1.088
합 계 22.652 16.567

양압력 및 모멘트
구 분 파압(kN) 거리(y, m) 모멘트(kN・m) 비 고
DL.(+)5.100m 40.905 1.50 61.358

지진시(동수압)
지진시
지진시((동수압
동수압))
지진 시 동수압
  
  ± ㆍ ,   ±   ,    
  

여기서,  : 동수압의 합력(kN/m2),  : 진도,  : 해수의 단위체적중량(kN/m2)


 : 수심(m),  : 수면으로부터 동수압을 산정하는 점까지의 깊이(m)
  : 수면에서 동수압 합력의 작용점까지 거리(m)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7 00 : p.39 (2019, 해양수산부)

구 분 k H(m) Pdw hdw Mo(kN・m)


DL.(+)7.246m 0.096 - - -
DL.(+)5.100m 0.096 2.146 2.605 0.858 2.236

4.3.8 토압 및 모멘트
토압계수 산정
평상시
Coulomb식에 의하여 산정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1 00 : p.42 (2019, 해양수산부)

구 분 øi δ ψ β Kai Kaicos(δ+ψ)
DL.(+)5.100m 40.0゚ 15゚ 0゚ 0゚ 0.201 0.194

지진시
최대지반 가속도 : 0.192, 설계수평지진 : kh = 1/2 amax = 0.096
겉보기 진도 모노노베・오까베식으로 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7 00 : p.36 (2017, 해양수산부)

구 분 øi δ ψ β θ Kai Kaicos(δ+ψ)
상재하중無 DL.(+)5.100m 40゚ 15゚ 0゚ 0゚ 5.484゚ 0.251 0.242
상재하중有 DL.(+)5.100m 40゚ 15゚ 0゚ 0゚ 5.484゚ 0.251 0.242

- 116 -

제4장
4장 관리부두

토층별 토압강도
평상시
상재하중 무재하시
h γ γ×h ∑γh+w Pa
구 분 Ka'
(m) (kN/m3) (kN/m2) (kN/m2) (kN/m2)
DL.(+)8.00m - 0.194 -
2.90 18.00 52.20
DL.(+)5.10m 52.20 0.194 10.137

상재하중 재하시
h γ γ×h ∑γh+w Pa
구 분 Ka'
(m) (kN/m3) (kN/m2) (kN/m2) (kN/m2)
DL.(+)8.00m 15.00 0.194 2.913
2.90 18.00 52.20
DL.(+)5.10m 67.20 0.194 13.050

지진시
상재하중 무재하시
h γ γ×h ∑γh+w Pa
구 분 Ka'
(m) (kN/m3) (kN/m2) (kN/m2) (kN/m2)
DL.(+)8.00m - 0.242 -
2.90 18.00 52.20
DL.(+)5.10m 52.20 0.242 12.648

상재하중 재하시
h γ γ×h ∑γh+w Pa
구 분 Ka'
(m) (kN/m3) (kN/m2) (kN/m2) (kN/m2)
DL.(+)8.00m 7.50 0.242 1.817
2.90 18.00 52.20
DL.(+)5.10m 59.70 0.242 14.465

수평토압 및 모멘트
평상시
상재하중 무재하시
구 분 수평토압(kN) 거리(y, m) 모멘트(kN・m) 비 고
DL.(+)5.10m 14.699 0.967 14.209

상재하중 무재하시
구 분 수평토압(kN) 거리(y, m) 모멘트(kN・m) 비 고
4.224 1.933 8.166
DL.(+)5.10m
18.923 0.967 18.292

합 계 23.147 26.458

지진시
상재하중 무재하시
구 분 수평토압(kN) 거리(y, m) 모멘트(kN・m) 비 고
DL.(+)5.10m 18.340 0.967 17.728

- 117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상재하중 무재하시
구 분 수평토압(kN) 거리(y, m) 모멘트(kN・m) 비 고
2.635 1.933 5.094
DL.(+)5.100m
20.978 0.967 20.276

합 계 23.610 25.370

연직토압 및 저항 모멘트
평상시
상재하중 무재하시
구 분 연직토압(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DL.(+)5.100m 3.939 4.50 17.72

상재하중 무재하시
구 분 연직토압(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DL.(+)5.100m 6.202 4.50 27.91

지진시
상재하중 무재하시
구 분 연직토압(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DL.(+)5.100m 4.914 4.50 22.11

상재하중 무재하시
구 분 연직토압(kN) 거리(x, m) 모멘트(kN・m) 비 고
DL.(+)5.100m 6.326 4.50 28.47

4.3.9 안정검토
파봉시
활동에 대한 안정검토
   P : 직립부에 작용하는 수평력(kN), W1 : 직립부의 정수중의 중량 - 양압력
≥
 μ1 : 직립부와 사석기초부의 마찰계수, R : 사석의 활동저항력(kN)

마찰계수
구 분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콘크리트와 사석 사석과 사석 비 고
마 찰 계 수 0.50 0.60 0.80

활동저항력 산정
활동저항력 구 분 θ=21゚ θ=22゚ θ=23゚ θ=24゚ θ=25゚
P(kN) 9.57 9.13 8.73 8.36 8.03
Ws(kN) 95.70 91.30 87.30 83.60 80.30
μ2 0.80 0.80 0.080 0.80 0.80
∅ 38.66 38.66 38.66 38.66 38.66
R(kN) 163.51 162.43 161.86 161.69 162.19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45 20 : p.21 (2019, 해양수산부)

- 118 -

제4장
4장 관리부두

구 분 W1 R P μ1 Fs 판 정
CASE-1 289.17 161.69 249.81 0.60 1.34>1.20 O.K
상 시
CASE-2 356.67 161.69 249.81 0.60 1.50>1.20 O.K
CASE-3 365.81 161.69 54.89 0.60 6.94>1.20 O.K
지 진 시
CASE-4 399.56 161.69 54.89 0.60 7.31>1.20 O.K

전도에 대한 안정검토
 ΣMV : 연직방향 작용모멘트의 합

 ≥ ΣMH : 수평방향 작용모멘트의 합

구 분 ΣMV ΣMH Fs 판 정
CASE-1 696.06 507.87 1.37>1.20 O.K
상 시
CASE-2 847.94 507.87 1.67>1.20 O.K
CASE-3 925.99 127.29 7.27>1.10 O.K
지 진 시
CASE-4 1,001.93 127.29 7.87>1.10 O.K

마운드 지반반력에 대한 안정검토


   
합력의 작용점 위치   , 삼각형 분포시    ,     ,    
       
 
사다리꼴 분포시 ≤  ,    ±   ,   
    

구 분 ΣPV ΣMV ΣMH e(m) qmax(kN/m) qmin(kN/m) 결 과


CASE-1 289.17 696.06 507.87 1.60 296.58 - O.K
상 시
CASE-2 356.67 847.94 507.87 1.30 250.29 - O.K
CASE-3 365.81 925.99 127.29 0.07 88.88 73.70 O.K
지 진 시
CASE-4 399.56 1,001.93 127.29 0.06 95.89 81.69 O.K

직선활동에 대한 안정검토
          

    

여기서, F : 활동에 대한 안전율, c : 흙의 점착력(kN/m2)


 : 흙의 내부마찰각(゚), ℓ : 분할편의 저변장(m)
W' : 단위길이당의 분할편의 유효중량(수중부분에 대하여는 수중단위체적중량)(kN/m)
 : 분할편 저변의 기울기[참고 그림 (4.7-4)에 나타나는 경우는 정으로 한다](゚).
H : 사면에 가해지는 단위길이당의 수평외력(수압, 지진력, 파압 등)(kN/m)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1 00 : p.65 (2019, 해양수산부)

구 분 W(kN/m) ∑PH(kN/m) θ(゚) FS 결 과


CASE-1 1,759.87 249.81 19.95゚ 1.58>1.20 O.K
상 시
CASE-2 1,827.37 249.81 19.95゚ 1.60>1.20 O.K
CASE-3 1,836.51 54.89 19.95゚ 2.11>1.00 O.K
지 진 시
CASE-4 1,870.26 54.89 19.95゚ 2.12>1.00 O.K

- 119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파곡시(토압
파곡시
파곡시((토압 및 도교 수평력에 대한 안정검토)
안정검토)
활동에 대한 안정검토
PV : 연직방향 작용력의 합(kN)


 ≥ PH : 직립부에 작용하는 수평력의 합
μ : 직립부와 사석기초부의 마찰계수

구 분 ∑PV ∑PH μ Fs 판 정
CASE-1 494.07 155.11 0.60 1.91>1.20 O.K

상 시 CASE-2 496.33 163.56 0.60 1.82>1.20 O.K

CASE-3 563.84 163.56 0.60 2.07>1.20 O.K

CASE-4 454.14 72.23 0.60 3.72>1.10 O.K

지 진 시 CASE-5 455.56 78.50 0.60 3.48>1.10 O.K

CASE-6 489.31 78.50 0.60 3.74>1.10 O.K

전도에 대한 안정검토
 ΣMV : 연직방향 작용모멘트의 합

 ≥ ΣMH : 수평방향 작용모멘트의 합

구 분 ΣMV ΣMH Fs 판 정
CASE-1 843.05 461.42 1.83>1.20 O.K

상 시 CASE-2 853.24 473.67 1.80>1.20 O.K

CASE-3 1,005.11 473.67 2.12>1.20 O.K

CASE-4 786.08 145.01 5.42>1.10 O.K

지 진 시 CASE-5 792.44 152.66 5.19>1.10 O.K

CASE-6 868.38 152.66 5.69>1.10 O.K

마운드 지반반력에 대한 안정검토


   
합력의 작용점 위치   , 삼각형 분포시    ,     ,    
       
 
사다리꼴 분포시 ≤  ,    ±   ,   
    

구 분 ΣPV ΣMV ΣMH e(m) qmax(kN/m) qmin(kN/m) 결 과


CASE-1 494.07 843.05 461.42 1.48 427.77 - O.K

상 시 CASE-2 496.34 853.24 473.67 1.49 435.38 - O.K

CASE-3 563.84 1,005.11 473.67 1.31 399.88 - O.K

CASE-4 454.14 786.08 145.01 0.84 214.73 - O.K

지 진 시 CASE-5 455.56 792.44 152.66 0.85 216.93 - O.K

CASE-6 489.31 868.38 152.66 0.79 223.42 - O.K

- 120 -

제4장
4장 관리부두

직선활동에 대한 안정검토
          

    

여기서, F : 활동에 대한 안전율, c : 흙의 점착력(kN/m2)


 : 흙의 내부마찰각(゚), ℓ : 분할편의 저변장(m)
W' : 단위길이당의 분할편의 유효중량(수중부분에 대하여는 수중단위체적중량)(kN/m)
 : 분할편 저변의 기울기[참고 그림 (4.7-4)에 나타나는 경우는 정으로 한다](゚).
H : 사면에 가해지는 단위길이당의 수평외력(수압, 지진력, 파압 등)(kN/m)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1 00 : p.65 (2019, 해양수산부)

구 분 W(kN/m) ∑PH(kN/m) θ(゚) FS 결 과


CASE-1 1,101.65 155.11 23.20゚ 1.38>1.20 O.K

상 시 CASE-2 1,103.92 163.56 23.20゚ 1.36>1.20 O.K

CASE-3 1,171.42 163.56 23.20゚ 1.39>1.20 O.K

CASE-4 1,061.72 72.23 23.20゚ 1.64>1.00 O.K

지 진 시 CASE-5 1,063.14 78.50 23.20゚ 1.62>1.00 O.K

CASE-6 1,096.89 78.50 23.20゚ 1.63>1.00 O.K

원호활동에 대한 안정검토
구 분 안전검토결과

평 상 시

Fs = 1.477 > 1.3 ∴O.K


1/2Amax = 0.096g Amean = 0.105g

지 진 시

Fs = 1.207 > 1.0 ∴O.K Fs = 1.143 > 1.0 ∴O.K

- 121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제 5 장 부대시설
5.1 제작장 및 적출장
기본방향 이용성 및 안전성이 확보되는 제작장 및 적출장 계획

5.1.1 제작장 및 적출장


군산항 제4부두를 케이슨 제작장 및 각종 블록제작장으로 이용 6부두 제작장 부지를 블록제작장으로 이용

구 분 케이슨 제작장(A=21,000m2) 블록제작장(A=6,400m2)

제 작 장

부지확보 CJ대한통운 부지 육상제작 6부두제작장 부지 육상제작


운반거리 50.0km(해상) 46.0km(해상)
제 작 케이슨 최대 16함/회, 2항차 덮개블록 및 각종 콘크리트블록
인양장비 해상기중기선 3,000톤 크레인 50~200톤
케이슨 16함 동시제작 공기단축 가능
각종 블록제작
운영계획 대형 해상기중기선(3,000톤) 이용한 케이슨 인양
블록 해상반출을 위한 적출장 확보
및 진수시 안전성 확보

5.1.2 케이슨 제작배치 및 인양계획


작업부두 케이슨 2항차 배치 3,000톤급 해상기중기선 이용한 인양

5.1.3 적출장 운영계획

석재, 블록 및 각종 자재의 해상적출을 위한 다수 적출장 확보


각종 자재의 해상반출을 위한 적출장 확보

- 122 -

제5장
5장 부대시설

5.1.4 케이슨 제작장 안정검토


지반정수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구 분 비 고
γt(kN/m3) γsat(kN/m3) Cu(kPa) ∅(゚)

사 질 토 18.9 19.0 0 30

상 부 17.36 17.5 39.7 0


점 성 토
하 부 17.36 17.5 45.7 0

풍 화 토 20.0 20.0 15.0 30

풍 화 암 23.0 23.0 30.0 34

케 이 슨 23.0 23.0 1000.0 45

기초사석, 피복석 18.0 20.0 0 40

뒤 채 움 사 석 18.0 20.0 0 35

매 립 재 18.0 19.0 15.0 25

원호활동 검토 결과
구 분 상 시 지진시

제 두 부
제 작 시

Fs = 1.467 > 1.3 ∴O.K Fs = 1.118 > 1.1 ∴O.K

제 간 부
제 작 시

Fs = 1.437 > 1.3 ∴O.K Fs = 1.114 > 1.1 ∴O.K

- 123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5.2 공사용 등부표


수심 및 조류속을 검토하여 등부표 선정
기본방향
주변해역을 왕래하는 선박안전 및 시설물의 보호를 위해 공사용 등부표 설치

구 분 LS-24 LL-24 LL-26 LL-28


설치해역 천수해역, 내해역 내해역 전해역 전해역
조 류 속 3knot이하 3knot이하 5knot이하 7knot이하
설치조건
수 심 2~20m 10~20m 10~30m 10~40m
등 명 기 LED-200mm LED-200mm LED-200mm LED-200mm
선 정 ◉

공사용 등부표는 수심여건 및 조류속을 고려하여 LS-24 적용함


설계적용
공사중 선박 통항 안전성 확보를 위해 공사용 등부표를 2기 배치함

5.3 등대
5.3.1 설계 조건
구 분 설계파고 설계조위 등대기초 관측자의 안고 광달거리
조 건 3.50m DL.(+)11.800 10.500 5.0m 10해리

5.3.2 등고 결정
설계파를 기준으로 한 등고 결정
설계파고 최소 탑 높이(기초 상) 결 과
3 ~ 4m 8m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90 30 : p.12 (2019, 해양수산부)

산정결과
설계파고 계산내용 검토결과
등 고 DL.(+)11.800 + 8.00 = DL.(+)19.800 DL.(+)20.00

관측자의 눈높이 기준으로 한 등고 결정


관측자의 등고(m) Elevation of Sea Mark in Meters
비고
안고(m) 0 1 2 3 4 5 10 50 100 200 300
5 4.5 6.6 7.4 8.1 8.6 9.1 11.0 19.9 26.9 3.3 39.7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90 30 : p.13 (2019, 해양수산부)

설계파고 안 고 계산내용 검토결과


등 고 5.0m 적용 DL.(+)8.708 + 11.00 = DL.(+)19.708 DL.(+)20.00

실험식에 의한 산정
         

여기서,  = 지리학적 거리 (Nautical miles),   = 관측자의 눈의 높이 (Meters)


  = 표시물의 높이 (Meters)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90 30 : p.13 (2019, 해양수산부)

- 124 -

제5장
5장 부대시설

설계파고 안 고 평균적 시정 계산내용 검토결과


등 고 5.0m 적용 10해리 DL.(+)8.708 + 6.58 = DL.(+)15.286 DL.(+)16.00

등명고 결정
구분 등 고 비 고
설 계 파 기 준 DL.(+)20.00

관측자의 눈높이 기준 DL.(+)20.00

실험식에 의한 기준 DL.(+)16.00

설계적용 등고 DL.(+)20.00 이상으로 결정함

5.4 전기
관련법규 및 기준
구 분 관련법규
전기사업법 에너지이용합리화법

법 률 및 규 격 전력기술관리법 전기통신사업법

전기용품안전관리법

한국산업규격(KS)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코 드 및 표 준 내선규정 및 배선규정 한국전력공사 전력공급약관

ANSI, IEEE, NEC, ISA, JIS , JEC 등의 국외 코드 및 표준

변압기 용량
여기서, P : 변압기용량[kVA]
A A : 동력, 조명부하 합계용량[kVA]. 수용율 적용한 값
P= × C [kVA]
β C : 여유율 [1.1]
β : 변압기효율 [0.97]

구 분 전압방식 부하용량[kVA] 수용율[%] 적용부하[kVA]


TR-1 육상전원공급함 3∅ 3W 440V 20kVA×12면 (4면×3함선) 80 192

TR-2 부두내 조명, 전열 3∅ 4W 380-220V 10 100 10

합 계 202

주변압기 콘덴서 용량 계산
목적
부하에 대한 적정한 콘덴서 용량을 선정하여 부하역률의 저하로 인한 전력손실을 방지

변압기 용량 용량[kVA] 계산 과정 선정 용량[kVA]

500kVA 까지 300 300[kVA]×5% = 15[kVA] 15

- 125 -
제 2 편 항만 및 해안

주변압기 무효전력 보상용 콘덴서 용량


변압기의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한 콘덴서의 부설용량은 다음과 같다.

변압기 용량 콘덴서 용량 비 고

500kVA 까지 5%

500kVA 초과~2,000kVA 까지 4%

2,000kVA 초과 3%

주변압기 콘덴서 용량 계산
변압기 용량 용량[kVA] 계산 과정 선정 용량[kVA]

500kVA 까지 300 300[kVA]×5% = 15[kVA] 15

전압강하계산
케이블 선정기준
케이블의 선정기준 (IEC PUB. NO. 287, KS-3131 규격적용) 케이블의 규격결정은 전부하 전류에 의한 허용전류
및 선로의 전압강하, 단락전류, 기계적 강도 등을 고려하여 다음 기준에 적합토록 선정한다.

구 분 고려사항

케이블의 포설조건 적용
정격전류의 125% 부담이 가능
허용전류
인입용 케이블은 인입선의 정격전류 기준적용
조명용 전선의 허용전류는 사용전선의 KS 동등이상 기준적용

구내변압기와 말단부하간은 전부하 전류기준으로 5~7%이내 적용


전압강하
케이블의 굵기가 35mm2 이하는 다심케이블을 사용하고, 35mm2 초과인 경우 단심케이블을 적용

기계적강도 케이블 접속시 약간의 여유를 두어 무리한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

전압강하에 의한 케이블 규격 선정

배선은 전압강하, 허용전류 및 단락 시 단시간 정격에 견딜 수 있는 용량의 것을 선정하였으며, 전압강하는 간선


및 분기회로에서 각각 표준전력의 2%이하를 원칙으로 하나, 긍장이 60m를 초과하는 경우의 전압강하는
내선규정(제14장 제1415절)에 따라 결정하였다.

전 압 강 하 (%)
인입선 접속점에서 말단부하에
이르는 사이의 전원 긍장 (m) 사용 장소 안에 시설한 전용 전기 사용자로부터
변압기에서 공급하는 경우 저압수전하는 경우

120 이하 5 이하 4 이하

200 이하 6 이하 5 이하

200 초과 7 이하 6 이하

- 126 -
제 3 편 토목구조
제1장 설계기준
제2장 구조물 단면 설계
제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제4장 가설 구조물 설계
제 3 편 토목구조 제
제1장
1장 설계기준

제 1 장 설계기준
1.1 기본방향
최신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구조 설계기준 및 교량 설계기준을 적용하고 한계상태설계법과 강도설계법을 병행 설계
계산수표, 2차원 및 3차원 유한요소해석 등 다각도의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구조해석의 정밀도를 향상
고부식성 해양 환경에 의한 유지보수 최소화를 위해 목표내구수명을 100년으로,내구성 및 내진안전성 검토

1.2 설계 착안사항
구 분 착안사항 설계적용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케이슨, 상치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 35MPa 적용

구조용 강재 설계기준강도 연락도교 강종 HSB500 항복강도 380MPa 적용

목표내구수명 100년이상 확보 및 철근 순피복 100mm 이상


설계기준 해양콘크리트 내구성 확보
적용

내진등급 내진Ⅰ등급 적용한 붕괴방지 수준의 내진성 확보

내구등급 내구 1등급 적용하여 유지관리 최소화

구조해석 및 설계방법 강도/한계상태설계법 병행 및 계산수표, 2D, 3D해석 수행


구 조 물
정확한 설계 저항모멘트 내외측 철근의 고려한 설계유효깊이(d)의 반영
단면설계
구조물별 특성을 반영한 단면설계 케이슨, 연락도교, 상치콘크리트, 유수실덮개블록, 등대

접합부 불균형모멘트 외벽간에 생긴 불균형모멘트의 분배 및 반영

시공단계별 설계하중 부유시, 거치시, 완성시, 지진시로 구분

동적파력에 대한 부재 안전성 동적파력에 의한 구조 안전성 및 피로해석 수행

지진에 대한 구조 안전성 FSSI(유체-구조물-지반 상호작용) 동적해석 수행

케이슨 부재 두께별 콘크리트량과 철근량을 비교・분석하여


부재 두께의 최적단면 선정
경제적인 단면 적용

재료・설계・시공 분야별 내구성 확보방안 수립과 염분침투해석,


구조물 부재 내구성 확보방안 및 균열저감 대책 정량적 내구성 설계, 수화열 해석 및 비선형 균열진전해석 등을
및 통한 염해 및 균열 안전성 확보
재료설계
우각부, 슬릿부, 교대 힌지부 등에 대한 3차원 정밀유한요소해석
응력집중부 안전성 확보
수행으로 부재의 안전성 확보

지반지지력 불균등 검토 지반의 불균등 침하에 대한 케이슨의 안전성 확보

케이슨 격벽 검토시 상치콘크리트 상치콘크리트 하중에 의한 케이슨 격벽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중 검토 기둥검토를 수행

상치콘크리트 설계 신뢰성 3차원 Solid 모델을 이용한 정밀해석 수행

수화열 해석을 통한 적정 타설길이 및 타설높이 산정


상치콘크리트 균열 제어
온도균열지수 1.5 이상 확보로 균열발생 방지

가설구조물
가설구조물 안전성 확보 차수판, 가시설, 조금구 및 근고블록 들고리 등의 안전성 확보
설 계

- 127 -
제 3 편 토목구조

1.3 적용 설계기준
1.3.1 설계기준 주요내용
항 목 기본조사 기본설계 비 고
파고 주기 파고 주기
구 분 파향 파향
(m) (sec) (m) (sec)
설계파랑
방 파 호 안 3.90 12.61 SSW 3.5 13.2 W
관 리 부 두 1.52 11.60 WNW 2.0 13.2 SW
차 량 하 중 10ton 차량 DB 13.5
구조용 강재 설계기준 강도(MPa) 235 380 HSB500
케 이 슨 - 35

철 상치콘크리트 30 35
콘크리트
근 등 대 35 35
설계기준
강 도 케이슨 소파실 덮개 - 35
(MPa)
무 근 고 블 록 30 30
근 소 파 블 록 - 30
강 도 설 계 법 -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 등대
구 조 물
적 용 한 계 상 태 설 계 법 - 케이슨, 연락도교
설 계 법
허 용 응 력 설 계 법 - 연락도교, 가시설, 조금구
부 재 력 산 정 - 계산수표, 2D, 3D, 병행해석

1.3.2 케이슨 설계흐름도

- 128 -

제1장
1장 설계기준

1.3.3 연락도교 설계흐름도


허용응력 설계법 한계상태 설계법

1.3.4 적용 설계법
구 분 한계상태설계법(LSD) 강도설계법(USD) 허용응력설계법(ASD)
하중과 재료상태에 따른 성능을 극한 강도 상태를 기초로 한 선형 탄성이론을 근거로 한
개 요
기초로 한 설계법 설계법 설계법

확률론적 하중 및 재료 특성을 파괴에 대한 안전도 확보 허용응력 안전율 사용


특 징 반영 하중계수로 하중 특성 반영 실하중에 의한 부재설계
안전성, 사용성 구분 검토 사용성 검토 별도 수행

응 력
변형률도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구조 설계기준 교량 설계기준


(KDS 64 00 00) (KDS 14 00 00) (KDS 24 00 00)
적용기준
교량 설계기준
(KDS 24 00 00)

케이슨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 차수판, 가시설, 조금구


설계적용
연락도교 등대, 덮개판 연락도교

- 129 -
제 3 편 토목구조

1.3.5 하중조합 및 하중계수


강도설계법
내부수압
구 분 고정하중 정수압 파력 활화중 양압력 내부토압 내부수압 지진력
변동분
부 유 시 1.2 1.6 - - - - 1.6 - -
평 상 시 1.2 1.6 - 1.6 - 1.6 1.6 - -
파 봉 시 1.2 - 1.6 - 1.6 1.6 - - -
파 곡 시 1.2 - 1.6 - 1.6 1.6 1.6 1.6 -
지 진 시 0.9 1.6 - - - - - - 1.0

한계상태설계법(케이슨
한계상태설계법
한계상태설계법((케이슨 검토시 적용)
적용)
평상시의 상시의 저판반력 내부수압 격실간
구 분 자중 정수압 내부토압 양압력 파력 비고
저판반력 내부수압 변동분 변동분 정수압차
0.9 1.1 1.1
저판
(1.0) (1.0) (1.0)
평 상 시
1.1 1.1
측벽
(1.0) (1.0)
1.1[0.9] 1.1[0.9] 1.1[0.9] 1.3[0.7] 1.2[0.8]
저판
(1.0) (1.0) (1.0) (1.0) (1.0)
파 력 0.9 1.3
측벽
작 용 시 (1.0) (1.0)
1.1 1.1 1.2
(1.0) (1.0) (1.0)
0.9 1.1 저판
(0.5) (0.5) (부유시)
1.1 측벽
시 공 시
(0.5) (부유시)
1.1 격벽
(0.5) (거치시)
주) 표의 값은 극한한계상태의 계수이며, []는 하중이 작은 때 설계하중이 큰 경우의 계수이고, ()는 사용한계상태의 균열폭 영향도 정수임.

한계상태설계법
한계상태설계법(연락도교
한계상태설계법((연락도교 검토시 적용
적용))
구 분 자중(DC) 활하중(LL) 풍하중(WS) 온도하중(TU) 설하중(IC)
극한-Ⅰ 1.25(0.9) 1.8 - 0.5(1.2) -
극한-Ⅲ 1.25(0.9) - 1.4 0.5(1.2) -
극한-Ⅴ 1.25(0.9) 1.4 0.4 0.5(1.2) -
극단-Ⅱ 1.25(0.9) 0.5 - 1.0
사용-Ⅱ 1.00 1.3 - 1.0(1.20) -

허용응력설계법
허용응력설계법(연락도교
허용응력설계법((연락도교 검토시 적용
적용))
구 분 자중(DC) 활하중(LL) 풍하중(WS) 온도하중(TU) 설하중(IC)
CASE1 1.0 1.0 - 1.0 1.0
CASE2 1.0 1.0 1.0 - 1.0
CASE3 1.0 1.0 1.0 1.0 1.0
CASE4 1.0 - 1.0 - 1.0
CASE5 1.0 1.0 - - 1.0

- 130 -

제1장
1장 설계기준

허용응력설계법(할증계수)
허용응력설계법
허용응력설계법((할증계수
할증계수))
종 류 외력 및 하중의 조합 할증계수

부 유 시 지진의 영향을 고려하는 경우 1.50 (1.33)

평 상 시 온도변화 및 건조수축의 영향을 고려하는 경우 1.15

파 봉 시 지진의 영향을 고려하는 경우 1.50 (1.33)

자료 : ( ) 는 항만 및 어항시설의 내진설계 표준서, p.39 (해양수산부, 1999)

강도감소계수
구 분 감소계수 구 분 감소계수

인 장 지 배 단 면 0.85 콘크리트 지압력 0.65

나선철근 0.70 전단과 비틀림 0.75


압축지배
단 면 무근 콘크리트
이외의 부재 0.65 0.55
(휨, 압축, 전단, 지압)

안전계수
한계상태의 종류
구 분
극한한계 사용한계 피로한계

콘크리트 1.3 1.0 1.3


재료계수
( ) 철 근 및
1.0 1.0 1.05
P C 강 재

구 조 해 석 계 수( ) 1.0 1.0 1.0

부 재 계 수 (  ) 1.0∼1.3 1.0 1.0

구 조 물 계 수(   ) 1.0∼1.2 1.0 1.0

1.3.6 구조해석 방법
케이슨
구 분 계산수표 2D 해 석 3D 해 석

모 델

계산이 간편하여 설계오류가 적음 실하중 적용으로 해석 신뢰성 증대 모델링이 복잡


단면 변화부 해석 곤란 비교적 계산이 간편 응력집중부 및 접합부 불균형
특 징
보수적인 환산하중 적용으로 명확한 경계조건에서 정확한 모멘트 분배 등으로 정밀 해석 가능
안전측 설계 결과도출 가능 주요부재의 국부해석 가능

- 131 -
제 3 편 토목구조

연락도교
연락도교(허용응력설계법)
연락도교((허용응력설계법
허용응력설계법))
축방향력이 인장인 경우 축방향력이 압축인 경우

  
    ≤인장응력검토    횡좌굴검토
  ≤
       
    
횡좌굴검토
 ≤
  
   
 


 ≤국부좌굴검토
     ≤국부좌굴검토
       
 

휨모멘트를 동시에 받는 부재는 다음의 각 항에 의해 검사하여야한다

,  : 각각 단면에 작용하는 축방향력에 의한 인장 및 압축응력 (MPa)

 ,  : 각각 강축(y축) 및 약축(z축)에 대한 휨모멘트에 의한 휨압축응력 (MPa)

 : 허용축방향 인장응력 (MPa)

 : 약축(Z축)방향+의 허용축방향 압축응력 (MPa)

 : 국부좌굴을 고려하지 않은 강축(y축)에 대한 휨모멘트에 의한 허용휨압축응력 (MPa)

 : 국부좌굴을 고려하지 않은 허용휨압축응력의 상한값 (MPa)

 : 양연지지판, 자유돌출판 및 보강판에 대해서 규정된 국부좌굴에 대한 허용응력 (MPa)

 ,  : 각각 강축(y축) 및 약축(z축)에 대한 허용 Euler 좌굴응력

     
 = 1,200,000 /   ,  = 1,200,000 /  
 γ   γ 

ℓ : 각 장에 규정되어 있는 유효 좌굴길이 (mm)

γy, γz : 각각 강축(y축) 및 약축(z축) 둘레의 단면 2차 반지름 (mm)

연락도교
연락도교(한계상태설계법)
연락도교((한계상태설계법
한계상태설계법))
축방향력이 인장인 경우 축방향력이 압축인 경우

       
   인경우        ≤     인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경우    ≤ 
 ≥ 인경우
     
              

축방향력과 휨모멘트를 동시에 받는 부재는 다음의 각 항에 의해 검사하여야 한다

 : 설계인장 또는 압축강도(N)

  : 강축과 약축에 관한 설계휨강도(N・mm)

  : 설계하중에 의한 강축과 약축에 관한 휨모멘트(N・mm)

 : 설계하중에 의한 축방향력(N)

- 132 -

제1장
1장 설계기준

1.4 구조물 내구성 및 안전성 설계기준


1.4.1 목표내구수명
내구등급 대상구조물 목표내구수명 적용 비 고

1 등 급 특별히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는 구조물 100년 ◉


콘크리트
2 등 급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는 구조물 65년 표준시방서
(2009년)
3 등 급 비교적 낮은 내구성이 요구되는 구조물 30년

1.4.2 내구성 허용기준


노출 범주 및 등급
구 분 등 급 조 건

무시 F0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지 않는 콘크리트

보통 F1 간혹 수분과 접촉하고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F
(동결 융해) 심함 F2 지속적으로 수분과 접촉하고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제빙화학제에 노출되며 지속적으로 수분과 접촉하고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매우심한 F3
노출되는 콘크리트

무시 C0 건조하거나 또는 수분으로부터 보호되는 콘크리트

C 보통 C1 수분에 노출되지만 외부의 염화물에 노출되지 않는 콘크리트


(철근 방식)
제빙화학제, 소금, 염수, 해수 또는 해수 물보라 등과 같은 염화물에
심함 C2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콘크리트

내구성 허용기준
노출범주 최대 물결합재비 설계기준 강도 혼화재 비율 최소 순피복두께

동결융해( F3) 45% 이하 30MPa 50% 이하 -

철근방식( C2) 40% 이하 35MPa - 80.0mm

설 계 적 용 35.6% 35MPa 50% 100.0mm 이상

1.4.3 염해 설계기준
표면염화물이온 농도
임계염화물 이온 농도 염해내구 안전율 비 고
해수접촉부위 이온농도(kg/m3)

간 만 대 18.0
콘크리트
1.2kg/m3 또는
물보라 지역 7.5 1.3 표준시방서
시멘트 중량의 0.4%
(2009년)
해 상 대 기 중 5.0

- 133 -
제 3 편 토목구조

1.4.4 철근 피복두께
구 분 환경조건 철근피복 적 용 개요도

항만 및 어항 현장치기 80mm 케이슨 : 100mm 이상


설 계 기 준 슬릿부 : 100mm 이상
공장제작 프리캐스트 50mm
상 치 : 100mm 이상
구 조 염해를 받는 현장치기 80mm
교 대 : 100mm 이상
설 계 기 준 염해를 받는 프리캐스트 50mm 등 대 : 100mm 이상

1.4.5 균열 검토 기준
최대 균열폭 기준
구조 설계기준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설계적용
0.3mm와 0.0035cc 중 큰 값 0.0035c 0.3mm, 0.0035cc,
cc = 콘크리트 최소 피복 두께 c = 피복두께 0.0035c 동시 만족

균열제어 평가 방법
구 분 균열 제한 방법 적용규정
항만 및 어항  
발생 균열폭 제한             
설 계 기 준   

⌈210 ⌉ ⌈210 ⌉
구 조 s = 375 ⌊ ⌋ - 2.5cc와 s = 300 ⌊ 중 작은 철근 간격 미만
인장철근 간격 제한 fs fs ⌋
설 계 기 준
특별히 수밀성을 요구하는 경우 : 균열폭 0.3mm 이하

1.4.6 처짐 검토 기준
구 분 한계상태설계법 허용응력설계법
연 락 도 교 최대처짐 = L / 1,000 (mm) 최대처짐 = L / 600 (mm)

1.4.7 사용재료특성
재료의 허용응력
강 재
구 분 콘크리트 구 분 철근 허용응력
SM400 HSB500
허용휨압축응력 0.4 ・ fck 140 230 SD300 150
무근 0.13・ fc
허용휨인장응력 140 230 SD350 175
철근 0.63・ fc
허용전단응력 0.08 ・ fc 80 135 SD400 180

재료의 단위체적중량
구 분 수 상 수 중 구 분 수 상 수 중
무근콘크리트 22.6kN/m3 12.6kN/m3 사 석 18.0kN/m3 10.0kN/m3

철근콘크리트 24.0kN/m3 14.0kN/m3 모 래 18.0kN/m3 10.0kN/m3

강 재 77.0kN/m3 67.0kN/m3 해 수 10.1kN/m3 10.1kN/m3

- 134 -

제1장
1장 설계기준

1.4.8 철근의 정착 및 겹이음길이


정착길이 산정기준
구 분 기본 겹이음 길이 보정계수 비 고
  상부철근 : 1.3
인장을 받는  
  에폭시 도막계수 :  = 1.2~1.5
이 형 철 근
300mm 이상 경량콘크리트 계수 :  = 1.3
   소요   상부철근은 철근 밑에
압축을 받는   소요철근이상 배근  30cm 넘게 굳지 않은
   배근  
이 형 철 근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   200mm 이상 띠철근으로 폐합 : 0.75
수평철근
   소요  
인장을 받는   소요철근이상 배근 
   배근  
표준갈고리
 이상 150mm 이상 띠철근으로 폐합 : 0.8

겹이음길이 산정기준
구 분 기본 겹이음 길이 비 고
A급 이음 : 1.0ℓd 이상
인장을 받는  사용   
B급 이음 : 1.3ℓd 이상(ℓd : 정착길이) A급 이음 :   >2 이고 겹이음 길이내
이 형 철 근  소요   
300mm 이상
겹이음 철근량이 총 철근량의 50% 이내
 ≤400MPa : 0.072fy・ db 이상
압축을 받는
 >400MPa : (0.13fy-24)db 이상  <21MPa 이면 1/3 증가
이 형 철 근
300mm 이상

1.4.9 온도균열지수 평가기준


구 분 평가기준 적 용
균열발생을 방지하여야 할 경우 1.5 이상 ◉

균열발생을 제한할 경우 1.2 이상 ~ 1.5 미만

유해한 균열발생을 제한할 경우 0.7 이상 ~ 1.2 미만

1.4.10 내진설계기준
내진등급
구 분 시설물 종류 적 용
지진피해 시 많은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줄 염려가 있는 시설물
지진피해 시 심각한 환경오염을 줄 염려가 있는 시설물
지진재해 복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시설물(지진재해 복구용 시설물)
내진Ⅰ등급 ◉
국방상 또는 국가경제 차원에서 항만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시설물
지진피해 시 구조물의 복구가 곤란한 시설물
내진Ⅱ등급 내진Ⅰ등급으로 분류되지 않은 항만시설물

내진설계기준
구 분 성능수준 재현주기 기반암가속도 설계지반최대가속도
내진Ⅰ등급 붕괴방지수준(CLE) 1,000년 0.123g 0.192g

- 135 -
제 3 편 토목구조

제 2 장 구조물 단면 설계
2.1 제간부 케이슨
2.1.1 단면제원 및 주요부재 명칭
평면도 정면도

단면도 주요부재 명칭

2.1.2 구조물 유한요소 해석방법


2차원 3차원(부유시) 3차원(완성시)

각 부재조건별 설계하중의 부유시 케이슨 전체 모델구현으로 완성시 케이슨 전체 모델구현으로


직접적인 재하가능 부재별 하중효과 반영 부재별 하중효과 반영
인접부재 효과 반영곤란 부유시 흘수 +1.0m에 대한 하중적용 파압에 대한 전체적인 거동파악 가능

- 136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2.1.3 단계별 하중조건 및 지반반력계수


부유시 / 거치시 / 평상시
부유시 거치시 평상시

압파시
압파Ⅰ 압파Ⅱa 압파Ⅱb

인파시
압파Ⅰ 압파Ⅱa 압파Ⅱb

지진시
지진시 지반반력계수
 
   ·    

여기서, kv : 연직방향 지반반력계수(N/cm3)


kvo : 지름 30cm의 강체원판에 의한 평판재하시험의 값에
상당하는 연직방향 지반반력계수
kvo = α×E0 / 30
E0 : 지반의 변형계수(MPa)
α : 지반반력계수의 추정에 쓰이는 보정계수
BV : 기초의 환산재하폭(cm), AV : 기초의 면적(cm2)

- 137 -
제 3 편 토목구조

2.1.4 제간부 케이슨 단면설계


전면벽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인파시(kN/m2) 지진시(kN/m2) 수평방향

부유시(kN/m2) 압파시(kN/m2) 수직방향

단면력 집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평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수표 166.73 61.98 164.05 61.98 126.89 79.70 126.89 79.70
계수 2D 187.89 99.95 187.89 108.48 208.25 90.00 223.51 89.54
하중 3D 149.30 148.21 150.98 138.31 235.60 115.00 158.63 114.96
강도 적용 187.89 148.21 187.89 138.31 235.60 115.00 223.51 114.96
설계 수표 104.21 19.82 102.53 19.82 40.63 49.81 40.63 49.81
사용 2D 134.21 40.16 134.21 42.60 84.08 64.29 88.19 63.95
하중 3D 107.84 57.52 106.65 61.16 107.88 82.14 67.99 82.11
적용 134.21 57.52 134.21 61.16 107.88 82.14 88.19 82.11
수표 114.62 45.15 112.79 45.15 92.44 54.79 92.44 54.79
극한 2D 147.63 74.92 147.63 81.21 156.14 70.72 167.36 70.35
한계 3D 119.89 103.44 118.35 110.57 169.23 90.60 118.58 90.58
한계 적용 147.63 103.44 147.63 110.57 169.23 90.60 167.36 90.58
상태
설계 수표 52.10 19.82 51.27 19.82 40.63 24.91 40.63 24.91
사용 2D 67.11 34.74 67.11 36.61 72.86 32.14 75.97 31.98
한계 3D 53.92 48.97 53.32 51.12 94.53 41.07 59.63 41.06
적용 67.11 48.97 67.11 51.12 94.53 41.07 75.97 41.06

- 138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직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수표 87.64 141.87 62.84 52.41 56.31 92.47 21.11 33.49
계수 2D 134.06 170.90 33.82 46.71 124.07 160.79 40.23 44.88
하중 3D 165.31 186.69 62.84 70.62 333.08 302.47 41.40 52.00
강도 적용 165.31 186.69 62.84 70.62 333.08 302.47 41.40 52.00
설계 수표 54.77 88.67 17.37 7.33 19.09 31.20 9.84 20.93
사용 2D 95.76 122.07 24.16 20.19 50.87 65.86 23.21 32.06
하중 3D 118.08 133.35 31.07 33.19 172.14 157.97 29.57 37.14
적용 118.08 133.35 27.79 21.66 172.14 157.97 29.57 37.14
수표 60.25 97.53 19.10 15.73 40.88 67.15 15.38 23.03
극한 2D 105.33 134.28 26.57 35.14 93.10 107.70 30.13 35.27
한계 3D 125.48 142.45 46.28 52.41 236.48 217.94 32.11 40.39
한계
적용 125.48 142.45 46.28 52.41 236.48 217.94 32.11 40.39
상태
수표 27.39 44.33 8.68 7.33 19.09 31.20 6.76 10.47
설계
사용 2D 47.88 61.04 13.29 18.39 44.31 57.34 13.68 16.03
한계 3D 59.04 66.67 28.78 30.73 159.77 145.45 25.41 18.57
적용 59.04 66.67 28.78 30.73 159.77 145.45 25.41 18.57

단면 설계
외 측 내 측
구분 / 수평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사 용 철 근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187.89 148.21 187.89 138.31 235.60 115.00 223.51 114.96
하중 설계강도 ∅Mn(kN・m) 325.23 325.23 325.23 325.23 325.23 325.23 325.23 325.23
강도
사용 설계 균열폭 Wd(mm) 0.25 0.11 0.25 0.11 0.20 0.15 0.16 0.15
설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147.63 103.44 147.63 110.57 169.23 90.60 167.36 90.58
한계 한계 Mud(kN・m) 344.95 344.95 344.95 344.95 344.95 344.95 344.95 344.95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18 0.13 0.18 0.13 0.25 0.11 0.20 0.11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외 측 내 측
구분 / 수직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9@200 H19@200 H19@200 H19@200
사 용 철 근
H16@200 H16@200 - - H22@200 H22@200 - -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165.31 186.69 62.84 70.62 333.08 302.47 41.40 52.00
하중 설계강도 ∅Mn(kN・m) 314.42 314.42 159.47 159.47 519.15 519.15 227.88 227.88
강도
사용 설계 균열폭 Wd(mm) 0.25 0.28 0.16 0.12 0.19 0.18 0.11 0.13
설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125.48 142.45 46.28 52.41 236.48 217.94 32.11 40.39
한계 한계 Mud(kN・m) 333.38 333.38 169.83 169.83 546.90 546.90 242.21 242.21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18 0.21 0.20 0.21 0.30 0.27 0.12 0.09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 139 -
제 3 편 토목구조

후면벽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인파시(kN/m2) 지진시(kN/m2) 수평방향

부유시(kN/m2) 압파시(kN/m2) 수직방향

단면력 집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평방향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수표 137.46 102.22 215.00 55.43

계수 2D 83.27 22.35 32.72 55.62


하중 3D 105.89 24.04 68.01 69.64

강도 적용 137.46 102.22 215.00 69.64


설계 수표 72.90 28.66 60.28 39.01

사용 2D 59.48 13.87 20.02 39.73


하중 3D 75.64 17.17 43.53 49.74
적용 75.64 28.66 60.28 49.74
수표 112.47 73.93 155.50 53.47

극한 2D 65.43 15.71 31.20 43.70


한계 3D 83.24 18.26 48.77 55.13
한계 적용 112.47 73.93 155.50 55.13
상태
설계 수표 54.80 28.66 60.28 17.32

사용 2D 29.74 8.92 12.81 19.86


한계 3D 37.82 8.59 38.59 27.52
적용 54.80 28.66 60.28 27.52

- 140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직방향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수표 57.45 92.70 105.95 170.96
계수 2D 84.68 107.85 40.55 50.78
하중 3D 53.16 141.07 22.06 28.56
강도 적용 84.68 141.07 105.95 170.96
설계 수표 35.93 57.97 29.71 47.93
사용 2D 60.48 77.04 20.77 25.77
하중 3D 85.82 100.77 15.76 20.40
적용 85.82 100.77 29.71 47.93
수표 55.43 89.43 76.63 123.65
극한 2D 66.53 84.74 48.77 55.13
한계 3D 91.68 108.43 17.68 22.84
한계
적용 91.68 108.43 76.63 123.65
상태
수표 27.01 43.58 29.71 47.93
설계
사용 2D 30.24 38.52 18.74 23.17
한계 3D 42.91 50.38 11.53 10.20
적용 42.91 50.38 29.71 47.93

단면 설계
외 측 내 측
구분 / 수평방향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6@200 H16@200 H16@200 H16@200
사 용 철 근
H16@200 H16@200 H16@200 H16@200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137.46 102.22 215.00 69.64
하중 설계강도 ∅Mn(kN・m) 257.70 257.70 257.70 257.70
강도
사용 설계 균열폭 Wd(mm) 0.16 0.06 0.13 0.11
설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112.47 73.93 155.50 55.13
한계 한계 Mud(kN・m) 272.72 272.72 272.72 272.72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18 0.10 0.20 0.09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외 측 내 측
구분 / 수직방향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6@200 H16@200 H19@200 H19@200
사 용 철 근
H16@200 H16@200 - -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84.68 141.07 105.95 170.96
하중 설계강도 ∅Mn(kN・m) 246.90 246.90 179.17 179.17
강도
사용 설계 균열폭 Wd(mm) 0.21 0.25 0.13 0.20
설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91.68 108.43 76.63 123.65
한계 한계 Mud(kN・m) 261.17 261.17 190.13 190.13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17 0.20 0.18 0.30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 141 -
제 3 편 토목구조

측벽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인파시(kN/m2) 지진시(kN/m2) 수평방향

부유시(kN/m2) 수직방향

단면력 집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평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수표 126.42 65.03 76.93 54.74 137.86 57.38 112.08 37.35
계수 2D 149.16 18.20 103.37 0.11 25.74 73.60 33.42 51.92
하중 3D 120.37 17.81 76.67 0.77 51.74 93.13 41.94 68.52
강도 적용 149.16 65.03 103.37 54.74 137.86 93.13 112.08 68.52
설계 수표 79.01 38.17 48.08 32.76 79.78 35.86 67.02 23.34
사용 2D 96.14 11.72 67.65 0.08 16.56 47.45 23.87 33.96
하중 3D 74.94 10.96 48.69 0.34 32.82 60.20 26.46 44.59
적용 96.14 38.17 67.65 32.76 79.78 60.20 67.02 44.59
수표 86.91 49.28 52.89 43.58 102.59 39.45 89.04 25.68
극한 2D 106.67 13.02 74.56 0.09 18.41 52.64 26.26 37.44
한계 3D 85.87 12.60 55.27 1.98 37.01 66.69 30.17 49.46
한계 적용 106.67 49.28 74.56 43.58 102.59 66.69 89.04 49.46
상태
설계 수표 39.51 38.17 24.04 32.76 79.78 17.93 67.02 11.67
사용 2D 87.62 10.40 66.19 0.04 14.57 43.37 11.93 33.13
한계 3D 69.06 9.84 47.57 0.37 30.74 54.98 25.96 43.26
적용 87.62 38.17 66.19 32.76 79.78 54.98 67.02 43.26

- 142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직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수표 90.01 24.22 106.03 23.00
계수 2D 101.13 18.61 31.65 14.87
하중 3D 102.84 15.90 35.43 20.59
강도 적용 102.84 24.22 106.03 23.00
설계 수표 56.26 13.95 61.10 13.31
사용 2D 65.11 12.18 20.33 9.57
하중 3D 63.92 10.15 22.94 13.31
적용 65.11 13.95 61.10 13.31
수표 61.89 17.48 76.60 17.11
극한 2D 72.36 13.42 22.64 10.53
한계 3D 72.64 11.38 25.44 14.69
한계
적용 72.64 17.48 76.60 17.11
상태
수표 28.13 13.95 61.10 13.31
설계
사용 2D 57.79 11.92 17.55 9.57
한계 3D 57.45 9.57 20.10 13.26
적용 57.79 13.95 61.10 13.31

단면 설계
외 측 내 측
구분 / 수평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9@200 H19@200 H16@200 H16@200 H19@200 H19@200 H19@200 H19@200
사 용 철 근
H19@200 - H16@200 H16@200 H19@200 H19@200 H19@200 H19@200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149.16 65.03 103.37 54.74 137.86 93.13 112.08 68.52
하중 설계강도 ∅Mn(kN・m) 268.60 138.99 190.18 190.18 268.60 268.60 268.60 268.60
강도
사용 설계 균열폭 Wd(mm) 0.17 0.17 0.18 0.09 0.14 0.11 0.12 0.08
설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106.67 49.28 74.56 43.58 102.59 66.69 89.04 49.46
한계 한계 Mud(kN・m) 281.28 147.09 200.57 200.57 281.28 281.28 281.28 281.28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27 0.27 0.30 0.15 0.25 0.17 0.21 0.13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외 측 내 측
구분 / 수직방향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H16@200 H16@200 H16@200 H16@200
사 용 철 근
- H19@200 - H19@200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24.22 102.84 23.00 106.03
하중 설계강도 ∅Mn(kN・m) 91.44 214.16 91.44 214.16
강도
사용 설계 균열폭 Wd(mm) 0.11 0.17 0.11 0.16
설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17.48 72.64 17.11 76.60
한계 한계 Mud(kN・m) 97.05 224.71 97.05 224.71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17 0.26 0.16 0.28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 143 -
제 3 편 토목구조

전면횡격벽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지진시(kN/m2) 수평방향

압파시(kN/m2) 수직방향

단면력 집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평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수표 141.52 122.19 276.87 140.02 249.47 70.33 275.32 132.11
계수 2D 0.00 73.84 107.57 54.61 154.08 22.65 108.14 53.05
하중 3D 71.08 91.73 82.89 67.11 129.34 26.28 93.77 57.75
강도 적용 141.52 122.19 276.87 140.02 249.47 70.33 275.32 132.11
설계 수표 20.28 76.22 21.33 87.43 155.61 16.94 171.94 6.56
사용 2D 0.00 46.50 16.16 35.13 96.73 14.36 69.59 12.64
하중 3D 42.38 56.52 30.46 41.40 80.00 15.75 58.27 0.00
적용 42.38 76.22 30.46 87.43 155.61 16.94 171.94 12.64
수표 120.05 87.33 226.94 98.69 178.36 59.59 193.60 108.61
극한 2D 0.00 51.85 87.50 38.96 108.16 15.99 77.08 43.21
한계 3D 50.43 64.78 67.45 48.08 91.28 18.28 67.12 47.03
한계 적용 120.05 87.33 226.94 98.69 178.36 59.59 193.60 108.61
상태
설계 수표 20.28 76.22 21.33 87.43 155.61 16.94 171.94 6.56
사용 2D 0.00 39.95 16.21 37.82 82.70 12.52 78.30 11.81
한계 3D 35.58 47.76 27.72 39.53 67.02 12.96 56.36 0.00
적용 35.58 76.22 27.72 87.43 155.61 16.94 171.94 11.81

- 144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직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수표 40.13 39.42 162.54 44.49
계수 2D 39.88 21.26 119.48 19.47
하중 3D 45.22 27.06 151.88 20.34
강도 적용 45.22 39.42 162.54 44.49
설계 수표 14.64 23.65 101.30 27.77
사용 2D 24.84 13.99 74.91 12.53
하중 3D 27.74 14.28 88.97 12.68
적용 27.74 23.65 101.30 27.77
수표 37.46 32.51 117.61 31.43
극한 2D 28.02 16.34 84.00 13.87
한계 3D 31.87 22.10 105.98 14.37
한계
적용 37.46 32.51 117.61 31.43
상태
수표 14.64 23.65 101.30 27.77
설계
사용 2D 39.95 37.82 82.70 78.30
한계 3D 21.07 15.63 72.89 11.22
적용 39.95 37.82 101.30 78.30

단면 설계
외 측 내 측
구분 / 수평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9@200 H19@200 H22@200 H22@200 H25@200 H25@200 H25@200 H25@200
사 용 철 근
H19@200 H19@200 H22@200 H22@200 H25@200 H25@200 H25@200 H25@200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141.52 122.19 276.87 140.02 249.47 70.33 275.32 132.11
하중 설계강도 ∅Mn(kN・m) 268.60 268.60 354.01 354.01 449.54 449.54 449.54 449.54
강도
사용 설계 균열폭 Wd(mm) 0.07 0.13 0.04 0.11 0.17 0.02 0.20 0.01
설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120.05 87.33 226.94 98.69 178.36 59.59 193.60 108.61
한계 한계 Mud(kN・m) 281.28 281.28 367.71 367.71 461.85 461.85 461.85 461.85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11 0.24 0.06 0.20 0.27 0.03 0.30 0.02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외 측 내 측
구분 / 수직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H16@200 H16@200 H25@200 H25@200
사 용 철 근
H16@200 H16@200 H25@200 H25@200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45.22 39.42 162.54 44.49
하중 설계강도 ∅Mn(kN・m) 177.35 177.35 406.47 406.47
강도
사용 설계 균열폭 Wd(mm) 0.09 0.08 0.12 0.03
설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37.46 32.51 117.61 31.43
한계 한계 Mud(kN・m) 186.78 186.78 415.75 415.75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22 0.21 0.24 0.18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 145 -
제 3 편 토목구조

후면횡격벽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지진시(kN/m2) 수평방향

압파시(kN/m2) 수직방향

단면력 집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평방향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수표 41.92 166.88 34.24 126.93 333.40 0.00 260.07 25.88
계수 2D 128.77 30.29 177.06 34.39 38.50 82.18 0.00 103.24
하중 3D 125.00 7.34 164.75 29.37 60.83 89.16 83.01 115.26
강도 적용 128.77 166.88 177.06 126.93 333.40 89.16 260.07 115.26
설계 수표 26.17 104.19 21.35 79.17 208.18 0.00 162.21 16.12
사용 2D 108.55 19.82 139.41 22.25 0.00 53.75 0.00 66.63
하중 3D 80.77 0.40 105.79 18.48 39.01 57.74 52.65 73.69
적용 108.55 104.19 139.41 79.17 208.18 57.74 162.21 73.69
수표 28.46 113.91 24.02 88.83 226.59 0.00 182.16 18.61
극한 2D 221.25 54.04 224.51 54.40 0.00 144.32 0.00 150.34
한계 3D 90.33 6.12 117.58 20.62 43.77 64.34 59.20 82.37
한계 적용 221.25 113.91 224.51 88.83 226.59 144.32 182.16 150.34
상태
설계 수표 26.17 104.19 21.35 79.17 208.18 0.00 162.21 16.12
사용 2D 77.21 18.66 92.18 20.35 0.00 51.60 0.00 60.67
한계 3D 77.55 0.41 95.12 15.75 37.98 55.31 47.58 66.40
적용 77.55 104.19 95.12 79.17 208.18 55.31 162.21 66.40

- 146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직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수표 13.40 36.05 154.75 52.10
계수 2D 140.85 29.87 52.77 27.09
하중 3D 160.46 28.12 51.81 30.31
강도 적용 160.46 36.05 154.75 52.10
설계 수표 8.33 22.46 96.42 32.52
사용 2D 89.41 19.54 33.76 17.51
하중 3D 100.86 17.21 32.84 18.85
적용 100.86 22.46 96.42 32.52
수표 10.25 26.08 111.29 35.69
극한 2D 193.74 52.59 60.17 36.72
한계 3D 112.61 20.37 37.07 21.72
한계
적용 193.74 52.59 111.29 36.72
상태
수표 8.33 22.46 96.42 32.52
설계
사용 2D 73.57 18.87 28.36 17.51
한계 3D 85.75 15.19 28.22 18.80
적용 85.75 22.46 96.42 32.52

단면 설계
외 측 내 측
구분 / 수평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9@200 H19@200 H22@200 H22@200 H25@200 H25@200 H29@200 H29@200
사 용 철 근
H19@200 H19@200 H22@200 H22@200 H25@200 H25@200 H29@200 H29@200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177.06 126.93 128.77 166.88 260.07 115.26 333.40 89.16
하중 설계강도 ∅Mn(kN・m) 273.47 273.47 360.59 360.59 458.15 458.15 560.92 560.92
강도
사용 설계 균열폭 Wd(mm) 0.27 0.13 0.13 0.12 0.17 0.06 0.19 0.04
설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224.51 88.83 221.25 113.91 182.16 150.34 226.59 144.32
한계 한계 Mud(kN・m) 286.32 286.32 374.68 374.68 471.12 471.12 569.73 569.73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28 0.23 0.17 0.22 0.26 0.11 0.26 0.07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외 측 내 측
구분 / 수직방향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H22@200 H22@200 H22@200 H22@200
사 용 철 근
- H22@200 - H22@200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36.05 160.46 52.10 154.75
하중 설계강도 ∅Mn(kN・m) 174.38 331.64 172.08 327.03
강도
사용 설계 균열폭 Wd(mm) 0.08 0.15 0.12 0.15
설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52.59 193.74 36.72 111.29
한계 한계 Mud(kN・m) 183.69 343.79 181.21 338.78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14 0.24 0.21 0.28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 147 -
제 3 편 토목구조

종격벽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거치시(kN/m2) 지진시(kN/m2)

단면력 집계
수평방향 / 내외측(kN・m) 수직방향 / 내외측(kN・m)
구 분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계수 수표 21.77 10.79 18.60 9.17 14.49 12.09
하중 적용 21.77 10.79 18.60 9.17 14.49 12.09
강도
설계
사용 수표 13.60 6.74 10.40 5.13 9.06 2.56
하중 적용 13.60 6.74 10.40 5.13 9.06 2.56
극한 수표 18.13 8.85 18.60 9.17 11.97 9.20
한계 한계 적용 18.13 8.85 18.60 9.17 11.97 9.20
상태
설계 사용 수표 13.60 6.74 7.04 3.57 9.06 2.95
한계 적용 13.60 6.74 7.04 3.57 9.06 2.95

단면 설계
수평방향 / 내외측 수직방향 / 내외측
구 분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9@200 H19@200
사 용 철 근
- - - - - -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21.77 10.79 18.60 9.17 14.49 12.09
하중 설계강도 ∅Mn(kN・m) 65.27 65.27 65.27 65.27 84.20 84.20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12 0.06 0.09 0.05 0.25 0.18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18.13 8.850 18.60 9.17 11.97 9.20
한계 Mud(kN・m) 69.06 69.06 69.06 69.06 88.59 88.59
한계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20 0.10 0.10 0.05 0.11 0.04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 148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부벽
전면부벽
부재력 계산
해석결과
수평방향(kN/m2) 수직방향(kN/m2)

단면력 집계
수평방향(kN・m) 수직방향(kN・m)
구 분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계수 수표 75.43 29.41 218.02 41.79 40.49 13.80 361.84 208.49
강도 하중 적용 75.43 29.41 218.02 41.79 40.49 13.80 361.84 208.49
설계 사용 수표 27.96 11.34 80.36 17.81 11.74 9.85 141.48 84.61
하중 적용 27.96 11.34 80.36 17.81 11.74 9.85 141.48 84.61
극한 수표 62.25 22.74 173.90 34.85 31.59 6.81 298.08 173.95
한계 한계 적용 62.25 22.74 173.90 34.85 31.59 6.81 298.08 173.95
상태
설계 사용 수표 17.36 6.98 54.61 12.74 8.92 4.93 93.73 58.00
한계 적용 17.36 6.98 54.61 12.74 8.92 4.93 93.73 58.00

단면 설계
수평방향 수직방향
구 분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25@200 H25@200
사 용 철 근
- - H16@200 - - - - -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75.43 29.41 218.02 41.79 40.49 13.80 361.84 208.49
하중 설계강도 ∅Mn(kN・m) 164.87 164.87 325.23 164.87 159.47 159.47 394.06 394.06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15 0.06 0.15 0.09 0.07 0.06 0.25 0.15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62.25 22.74 173.90 34.85 31.59 6.81 298.08 173.95
한계 Mud(kN・m) 175.60 175.60 344.95 175.60 169.83 169.83 416.74 416.74
한계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10 0.04 0.14 0.08 0.06 0.03 0.26 0.16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 149 -
제 3 편 토목구조

후면부벽
부재력 계산
해석결과
수평방향(kN/m2) 수직방향(kN/m2)

단면력 집계
수평방향(kN・m) 수직방향(kN・m)
구 분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계수 수표 75.43 29.41 218.02 41.79 40.49 13.80 215.54 208.49
하중 적용 75.43 29.41 218.02 41.79 40.49 13.80 215.54 208.49
강도
설계
사용 수표 27.96 11.34 80.36 17.81 11.74 9.85 99.74 84.61
하중 적용 27.96 11.34 80.36 17.81 11.74 9.85 99.74 84.61
극한 수표 62.25 22.74 173.90 34.85 31.59 6.81 178.20 173.95
한계 한계 적용 62.25 22.74 173.90 34.85 31.59 6.81 178.20 173.95
상태
설계 사용 수표 17.36 6.98 54.61 12.74 8.92 4.93 56.40 58.00
한계 적용 17.36 6.98 54.61 12.74 8.92 4.93 56.40 58.00

단면 설계
수평방향 수직방향
구 분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6@200 H16@200 H22@200 H16@200 H16@200 H16@200 H22@200 H22@200
사 용 철 근
- - - - - - - -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75.43 29.41 218.02 41.79 40.49 13.80 215.54 208.49
하중 설계강도 ∅Mn(kN・m) 131.11 131.11 251.38 131.11 125.70 125.70 236.90 236.90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16 0.07 0.20 0.11 0.08 0.07 0.30 0.25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62.25 22.74 173.90 34.85 31.59 6.81 178.20 173.95
한계 Mud(kN・m) 139.50 139.50 266.10 139.50 133.72 133.72 250.62 250.62
한계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13 0.05 0.21 0.10 0.08 0.04 0.27 0.28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 150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저판

부재의 작용모멘트를 구할 경우 케이슨 전체를 모델화하여 유한요소법 등에 의한 구조해석 수법을 적용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KDS 64 14 20 : 2017, 4.1.5.1 부재의 설계일반)
저판의 계산수표는 부모멘트 과다, 정모멘트 과소 평가하여 실제 거동과 상이하므로, 실제거동과 유사하며
설계기준에 부합하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으로 작용 모멘트를 산정

부재력도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단면력 집계
전면저판
수평방향(kN・m) 수직방향(kN・m)
구 분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수표 190.91 187.29 266.27 99.74 119.89 142.79 132.42 135.33


계수
하중
적용 190.91 187.29 266.27 99.74 119.89 142.79 132.42 135.33
강도
설계
수표 107.31 112.14 158.43 56.81 70.60 86.16 72.22 75.69
사용
하중
적용 107.31 112.14 158.43 56.81 70.60 86.16 72.22 75.69

수표 135.88 133.05 189.72 71.56 85.15 101.46 95.53 97.64


극한
한계
한계 적용 135.88 133.05 189.72 71.56 85.15 101.46 95.53 97.64
상태
설계 수표 104.17 111.03 154.70 54.18 69.61 85.42 69.42 72.37
사용
한계
적용 104.17 111.03 154.70 54.18 69.61 85.42 69.42 72.37

- 151 -
제 3 편 토목구조

중앙저판
수평방향(kN・m) 수직방향(kN・m)
구 분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계수 수표 38.51 53.76 68.89 79.77 40.52 51.68 48.15 58.55
강도 하중 적용 38.51 53.76 68.89 79.77 40.52 51.68 48.15 58.55
설계 사용 수표 17.86 38.40 54.04 24.98 30.25 39.76 34.39 41.82
하중 적용 17.86 38.40 54.04 24.98 30.25 39.76 34.39 41.82
극한 수표 31.02 42.13 58.18 68.30 33.93 43.98 37.95 46.08
한계 한계 적용 31.02 42.13 58.18 68.30 33.93 43.98 37.95 46.08
상태
설계 사용 수표 8.93 19.20 55.88 24.84 26.91 35.29 17.20 20.91
한계 적용 8.93 19.20 55.88 24.84 26.91 35.29 17.20 20.91

후면저판
수평방향(kN・m) 수직방향(kN・m)
구 분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계수 수표 43.83 88.49 169.48 36.52 42.06 64.19 81.27 89.98
강도 하중 적용 43.83 88.49 169.48 36.52 42.06 64.19 81.27 89.98
설계 사용 수표 25.90 53.98 79.89 13.77 25.28 38.02 46.16 53.48
하중 적용 25.90 53.98 79.89 13.77 25.28 38.02 46.16 53.48
극한 수표 30.28 62.92 137.22 32.14 30.41 46.72 60.92 66.29
한계 한계 적용 30.28 62.92 137.22 32.14 30.41 46.72 60.92 66.29
상태
설계 사용 수표 24.25 48.76 60.22 8.49 22.38 33.24 39.42 46.58
한계 적용 24.25 48.76 60.22 8.49 22.38 33.24 39.42 46.58

단면 설계
전벽저판
수평방향 수직방향
구 분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6@200 H16@200 H19@200 H19@200 H25@200 H25@200 H22@200 H22@200
사 용 철 근
H16@200 H16@200 H19@200 H19@200 - - - -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190.91 187.29 266.27 99.74 119.89 142.79 132.42 135.33
하중 설계강도 ∅Mn(kN・m) 325.23 325.23 463.42 463.42 394.06 394.06 303.69 303.69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20 0.21 0.18 0.07 0.13 0.15 0.18 0.19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135.88 133.05 189.72 71.56 85.15 101.46 95.53 97.64
한계 Mud(kN・m) 344.95 344.95 489.61 489.61 416.74 416.74 322.05 322.05
한계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27 0.29 0.28 0.10 0.19 0.24 0.25 0.26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 152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중앙저판
수평방향 수직방향
구 분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6@200 H16@200 H19@200 H19@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사 용 철 근
- - - - - - - -

계수모멘트 Mu(kN・m) 38.51 53.76 68.89 79.77 40.52 51.68 48.15 58.55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164.87 164.87 236.40 236.40 159.47 159.47 158.96 158.96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09 0.20 0.17 0.08 0.17 0.23 0.20 0.24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31.02 42.13 58.18 68.30 33.93 43.98 37.95 46.08
극한
한계
Mud(kN・m) 175.60 175.60 251.34 251.34 169.83 169.83 169.29 169.29
한계
상태 휨균열폭 W(mm) 0.05 0.11 0.23 0.10 0.19 0.24 0.12 0.15
사용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후면저판
수평방향 수직방향
구 분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6@200 H16@200 H19@200 H19@200 H16@200 H16@200 H19@200 H19@200
사 용 철 근
- - - - - - - -

계수모멘트 Mu(kN・m) 43.83 88.49 169.48 36.52 42.06 64.19 81.27 89.98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164.87 164.87 236.40 236.40 159.47 159.47 227.15 227.15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13 0.28 0.26 0.04 0.15 0.22 0.17 0.20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30.28 62.92 137.22 32.14 30.41 46.72 60.92 66.29
극한
한계
Mud(kN・m) 175.60 175.60 251.34 251.34 169.83 169.83 241.43 241.43
한계
상태 휨균열폭 W(mm) 0.14 0.29 0.25 0.04 0.15 0.23 0.19 0.23
사용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 153 -
제 3 편 토목구조

전면벽 슬릿부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단면 설계
수평방향
구 분 상부보 중앙보 하부보
격벽기둥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휨 철 근 H16-6ea H16-6ea H16-5ea H16-5ea H16-5ea H16-5ea H16-10ea


사용철근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전 단 철 근
-2ea -2ea -2ea -2ea -2ea -2ea -2ea

계수모멘트 Mu(kN・m) 40.36 92.14 116.10 74.29 143.23 61.56 186.98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234.57 194.06 194.96 161.20 194.96 161.20 322.40

설계 균열폭 Wd(mm) 0.05 0.04 0.12 0.08 0.17 0.07 0.13


사용
강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설계

계수전단력(kN) 127.21 127.21 136.08 136.08 164.78 164.78 242.51


전단력
검토
∅Vn(kN) 783.83 650.30 653.60 542.25 653.60 542.25 794.35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32.78 75.00 86.40 60.45 106.55 45.79 139.06


극한
한계
Mud(kN・m) 238.98 197.53 198.46 163.93 198.46 163.93 327.86

휨균열폭 W(mm) 0.05 0.04 0.11 0.14 0.16 0.07 0.12


사용
한계 한계
상태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설계
최대전단력(kN) 103.46 103.46 101.40 101.40 122.81 122.81 180.19
전단력
검토
Vyd=Vcd+Vsd(kN) 480.39 404.41 444.81 373.35 444.81 373.35 454.17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 154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후면벽 슬릿부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단면 설계
수평방향
구 분 상부보 중앙보 하부보
격벽기둥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휨 철 근 H16-6ea H16-6ea H16-5ea H16-5ea H16-5ea H16-5ea H16-8ea


사용철근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전 단 철 근
-2ea -2ea -2ea -2ea -2ea -2ea -2ea

계수모멘트 Mu(kN・m) 17.71 8.29 38.36 62.88 37.94 68.22 69.48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194.06 153.55 161.20 127.44 161.20 127.44 203.29

설계 균열폭 Wd(mm) 0.02 0.02 0.08 0.21 0.08 0.22 0.14


사용
강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설계

계수전단력(kN) 29.22 29.22 82.27 82.27 69.61 69.61 58.86


전단력
검토
∅Vn(kN) 650.30 516.76 542.25 430.91 542.25 430.91 516.76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14.44 6.74 28.18 45.19 27.92 49.00 49.83


극한
한계
Mud(kN・m) 197.53 156.08 163.93 129.38 163.93 129.38 206.18

휨균열폭 W(mm) 0.02 0.02 0.08 0.24 0.08 0.25 0.17


사용
한계 한계
상태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설계
최대전단력(kN) 23.83 23.83 59.00 59.00 50.64 50.64 43.43
전단력
검토
Vyd=Vcd+Vsd(kN) 404.41 327.94 373.35 301.30 373.35 301.30 332.5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 155 -
제 3 편 토목구조

전면 종격벽 슬릿부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단면 설계
상부보 하부보
구 분 격벽기둥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휨 철 근 H16-6ea H16-6ea H16-4ea H16-4ea H16-3ea


사용철근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400
전 단 철 근
-2ea -2ea -2ea -2ea -2ea

계수모멘트 Mu(kN・m) 14.08 6.57 10.35 18.66 16.98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155.57 115.06 103.82 76.81 57.12

설계 균열폭 Wd(mm) 0.01 0.02 0.02 0.05 0.06


사용
강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설계

계수전단력(kN) 25.71 25.71 26.62 26.62 33.51


전단력
검토
∅Vn(kN) 523.44 389.91 436.48 325.13 173.36

판 정 O.K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11.58 5.51 7.68 13.87 12.61


극한
한계
Mud(kN・m) 158.16 116.71 105.57 77.94 57.82

휨균열폭 W(mm) 0.01 0.02 0.02 0.05 0.06


사용
한계 한계
상태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설계
최대전단력(kN) 21.20 21.20 19.80 19.80 24.58
전단력
검토
Vyd=Vcd+Vsd(kN) 331.50 253.58 302.31 229.67 120.13

판 정 O.K O.K O.K O.K O.K

- 156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후면 종격벽 슬릿부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단면 설계
수평방향
구 분 상부보 중앙보 하부보
격벽기둥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휨 철 근 H16-6ea H16-6ea H16-4ea H16-4ea H16-4ea H16-4ea H16-3ea


사용철근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전 단 철 근
-2ea -2ea -2ea -2ea -2ea -2ea -2ea

계수모멘트 Mu(kN・m) 4.36 2.47 4.27 4.65 4.20 5.17 5.85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153.55 113.03 103.09 76.08 103.09 76.08 57.33

설계 균열폭 Wd(mm) 0.01 0.01 0.01 0.01 0.01 0.01 0.02


사용
강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설계

계수전단력(kN) 7.88 7.88 11.16 11.16 8.75 8.75 12.89


전단력
검토
∅Vn(kN) 516.76 383.23 516.76 383.23 516.76 383.23 383.23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3.50 1.99 3.46 3.93 3.38 4.40 4.97


극한
한계
Mud(kN・m) 156.08 114.64 105.02 77.38 105.02 77.38 58.40

휨균열폭 W(mm) 0.01 0.01 0.01 0.01 0.01 0.01 0.03


사용
한계 한계
상태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설계
최대전단력(kN) 6.32 6.32 9.35 9.35 7.24 7.24 10.16
전단력
검토
Vyd=Vcd+Vsd(kN) 327.94 249.72 321.94 244.66 321.94 244.66 241.28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 157 -
제 3 편 토목구조

후면 TOE
부재력도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단면 설계
상 부 하 부
구 분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휨 철 근 H16@200 H16@200 H16@200 H16@200


사용철근
전 단 철 근 H16@200 - - -

계수모멘트 Mu(kN・m) 380.56 136.30 9.31 37.06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598.70 301.60 301.60 301.60

설계 균열폭 Wd(mm) 0.21 0.21 0.02 0.05


사용
강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설계

계수전단력(kN) 495.550 495.550 495.550 495.550


전단력
검토
∅Vn(kN) 933.67 933.67 933.67 933.67

판 정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313.27 110.16 7.25 30.84


극한
한계
Mud(kN・m) 637.47 321.86 321.86 321.86

휨균열폭 W(mm) 0.15 0.14 0.01 0.03


사용
한계 한계
상태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설계
최대전단력(kN) 406.26 406.26 406.26 406.26
전단력
검토
Vyd=Vcd+Vsd(kN) 474.31 474.31 474.31 474.31

판 정 O.K O.K O.K O.K

- 158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2.1.5 제간부 케이슨 주철근 조립도


저 판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전・후면벽
전・후면벽
전면벽 후면벽

측 벽
벽・부
・부 벽
외 측 내 측

- 159 -
제 3 편 토목구조

2.2 제두부 케이슨


2.2.1 단면제원 및 주요부재 명칭
평면도 정면도

단면도 주요부재 명칭

2.2.2 제두부 케이슨 단면설계


전면벽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인파시(kN/m2) 지진시(kN/m2) 수평방향

부유시(kN/m2) 압파시(kN/m2) 수직방향

- 160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단면력 집계
수 평(kN・m) 수 직(kN・m)
구 분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수표 163.93 91.55 25.56 31.63

계수 2D 132.18 93.43 72.93 60.48


하중 3D 113.68 100.94 245.33 41.25

강도 적용 163.93 100.94 245.33 60.48


설계 수표 64.05 57.22 10.11 19.77

사용 2D 17.46 25.94 17.85 19.47


하중 3D 29.11 32.01 79.39 10.37

적용 64.05 57.22 79.39 19.77

수표 131.41 62.94 19.54 21.75

극한 2D 103.94 73.42 57.33 44.33


한계 3D 88.26 79.28 214.37 32.36
한계 적용 131.41 79.28 214.37 44.33
상태
설계 수표 64.05 28.61 9.88 9.89

사용 2D 14.50 21.56 13.84 15.67


한계 3D 20.70 24.39 50.87 9.21

적용 64.05 28.61 50.87 15.67

단면 설계
수 평 수 직
구 분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6@200 H16@200 H16@200 H16@200
사 용 철 근
H16@200 H16@200 H16@200 H16@200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163.93 100.94 245.33 60.48


하중 설계강도 ∅Mn(kN・m) 325.23 325.23 314.42 314.42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12 0.11 0.17 0.04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131.41 79.28 214.37 44.33


한계 Mud(kN・m) 344.95 344.95 333.38 333.38
한계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17 0.08 0.16 0.05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 161 -
제 3 편 토목구조

후면벽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인파시(kN/m2) 지진시(kN/m2) 수평방향

부유시(kN/m2) 압파시(kN/m2) 수직방향

단면력 집계
수 평(kN・m) 수 직(kN・m)
구 분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수표 181.98 129.42 29.85 37.29

계수 2D 120.82 89.01 65.14 39.32


하중 3D 128.40 116.31 298.33 41.54

강도 적용 181.98 129.42 298.33 41.54


설계 수표 50.74 57.22 18.66 14.36

사용 2D 9.72 14.73 12.52 10.55


하중 3D 29.11 33.72 93.17 7.54
적용 50.74 57.22 93.17 14.36
수표 125.11 94.86 20.52 27.40

극한 2D 94.93 69.93 51.18 30.90


한계 3D 100.78 109.01 262.89 32.66
한계 적용 125.11 109.01 262.89 32.66
상태
설계 수표 56.87 24.22 9.33 7.18

사용 2D 7.19 11.02 9.28 7.68


한계 3D 19.37 23.64 60.95 6.49
적용 56.87 24.22 60.95 7.68

- 162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단면 설계
수 평 수 직
구 분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16@200 H16@200 H16@200 H16@200
사 용 철 근
H16@200 H16@200 H16@200 H16@200

계수모멘트 Mu(kN・m) 181.98 129.42 298.33 41.54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325.23 325.23 314.42 314.42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09 0.11 0.19 0.03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125.11 109.01 262.89 32.66


극한
한계
Mud(kN・m) 344.95 344.95 333.38 333.38
한계
상태 휨균열폭 W(mm) 0.15 0.06 0.19 0.02
사용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측벽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인파시(kN/m2) 지진시(kN/m2) 수평방향

부유시(kN/m2) 압파시(kN/m2) 수직방향

- 163 -
제 3 편 토목구조

단면력 집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평방향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수표 97.84 73.23 135.03 86.07 149.17 47.78 179.37 83.35

계수 2D 201.66 81.64 204.19 83.25 182.32 259.29 186.36 262.97


하중 3D 206.42 86.85 202.69 87.94 195.41 273.28 157.61 251.60

강도 적용 206.42 86.85 204.19 87.94 195.41 273.28 186.36 262.97


설계 수표 61.15 43.88 84.39 50.60 89.31 29.86 105.28 42.52

사용 2D 110.52 0.21 112.24 0.75 58.31 82.91 59.75 84.21


하중 3D 118.24 9.84 117.44 8.76 63.95 87.91 67.30 89.76
적용 118.24 43.88 117.44 50.60 89.31 87.91 105.28 89.76
수표 67.26 56.65 92.83 63.56 115.18 32.85 131.91 62.11

극한 2D 201.66 64.14 204.09 65.41 182.32 259.29 137.55 252.97


한계 3D 206.34 68.21 202.72 69.05 198.06 272.85 156.96 259.64
한계 적용 206.34 68.21 204.09 69.05 198.06 272.85 156.96 259.64
상태
설계 수표 30.57 43.88 42.20 50.60 89.31 14.93 105.28 50.59

사용 2D 76.71 0.16 77.10 0.57 40.41 57.51 40.94 57.82


한계 3D 88.11 8.13 86.11 6.84 43.44 60.40 44.41 50.90
적용 88.11 43.88 86.11 50.60 89.31 60.40 105.28 57.82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직방향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수표 34.53 113.29 29.88 140.20

계수 2D 52.39 140.39 40.86 114.66


하중 3D 55.82 90.53 47.55 130.28

강도 적용 55.82 140.39 47.55 140.20


설계 수표 19.92 70.81 17.62 81.03

사용 2D 16.61 45.11 12.98 36.97


하중 3D 19.77 21.36 15.36 48.49
적용 19.92 70.81 17.62 81.03
수표 24.30 77.89 21.98 99.17

극한 2D 52.39 140.39 40.86 114.66


한계 3D 55.86 62.08 47.55 127.67
한계 적용 55.86 140.39 47.55 127.67
상태
설계 수표 19.92 35.40 17.54 81.03

사용 2D 12.20 30.23 9.73 24.19


한계 3D 15.22 18.62 11.84 30.41
적용 19.92 35.40 17.54 81.03

- 164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단면 설계
외 측 내 측
구분 / 수평방향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22@200 H22@200 H19@200 H19@200 H22@200 H22@200 H22@200 H22@200
사 용 철 근
H22@200 H22@200 H19@200 H19@200 H22@200 H22@200 H22@200 H22@200

계수모멘트 Mu(kN・m) 206.42 86.85 204.19 87.94 195.41 273.28 186.36 262.97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354.01 354.01 268.60 268.60 354.01 354.01 354.01 354.01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15 0.05 0.20 0.09 0.11 0.11 0.13 0.11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206.34 68.21 204.09 69.05 198.06 272.85 156.96 259.64
극한
한계
Mud(kN・m) 367.71 367.71 281.28 281.28 367.71 367.71 367.71 367.71
한계
상태 휨균열폭 W(mm) 0.20 0.10 0.27 0.16 0.20 0.14 0.24 0.13
사용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외 측 내 측
구분 / 수직방향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H16@200 H16@200 H16@200 H16@200
사 용 철 근
- H19@200 - H25@200

계수모멘트 Mu(kN・m) 55.82 140.39 47.55 140.20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90.93 212.93 90.93 297.11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17 0.19 0.15 0.14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55.86 140.39 47.55 127.67


극한
한계
Mud(kN・m) 96.53 223.49 96.53 308.61
한계
상태 휨균열폭 W(mm) 0.25 0.16 0.22 0.26
사용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 165 -
제 3 편 토목구조

횡격벽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인파시(kN/m2) 지진시(kN/m2) 수평방향

부유시(kN/m2) 압파시(kN/m2) 수직방향

단면력 집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평방향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수표 176.37 76.54 83.42 87.59 155.71 82.80 182.21 41.83
계수 2D 56.91 188.73 15.11 179.93 271.24 39.42 256.88 6.58
하중 3D 77.56 214.74 77.56 203.25 342.38 36.77 335.19 57.11
강도 적용 176.37 214.74 83.42 203.25 342.38 82.80 335.19 57.11
설계 수표 12.87 51.03 15.41 56.77 103.68 3.89 117.80 14.85
사용 2D 6.10 79.57 6.10 72.74 114.76 3.74 103.66 2.55
하중 3D 25.96 90.63 25.96 81.93 125.42 13.60 119.04 18.33
적용 25.96 90.63 25.96 81.93 125.42 13.60 119.04 18.33
수표 141.33 54.73 71.18 63.22 111.38 66.60 131.61 35.64
극한 2D 46.81 188.73 15.11 179.93 271.24 32.51 256.88 6.58
한계 3D 77.39 214.74 77.49 203.33 341.93 36.45 334.82 56.82
한계 적용 141.33 214.74 77.49 203.33 341.93 66.60 334.82 56.82
상태
설계 수표 12.87 51.03 15.41 56.77 103.68 3.89 117.80 14.85
사용 2D 4.12 62.36 4.12 56.06 90.03 3.55 80.10 7.73
한계 3D 22.46 73.55 21.86 65.66 103.62 11.00 94.34 10.40
적용 22.46 73.55 21.86 65.66 103.68 11.00 117.80 14.85

- 166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외 측(kN・m) 내 측(kN・m)
구분 / 수직방향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수표 35.50 35.50 141.31 30.37
계수 2D 28.48 17.16 48.22 45.85
하중 3D 32.28 24.00 57.61 54.82
강도 적용 35.50 35.50 141.31 54.82
설계 수표 22.28 22.28 89.19 19.64
사용 2D 48.22 45.85 20.57 20.05
하중 3D 57.61 54.82 31.86 20.85
적용 57.61 54.82 89.19 20.85
수표 25.89 25.89 102.86 21.94
극한 2D 69.76 38.16 48.22 45.85
한계 3D 80.86 52.85 57.54 54.71
한계
적용 80.86 52.85 102.86 54.71
상태
수표 22.28 22.28 89.19 19.64
설계
사용 2D 20.16 13.46 16.14 16.00
한계 3D 23.87 19.55 27.38 18.79
적용 23.87 22.28 89.19 19.64

단면 설계
외 측 내 측
구분 / 수평방향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단 부 중앙부
H22@200 H22@200 H22@200 H22@200 H25@200 H25@200 H22@200 H22@200
사 용 철 근
H22@200 H22@200 H22@200 H22@200 H25@200 H25@200 H22@200 H22@200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176.37 214.74 83.42 203.25 342.38 82.80 335.19 57.11
하중 설계강도 ∅Mn(kN・m) 360.59 360.59 360.59 360.59 458.15 458.15 360.59 360.59
강도
사용 설계 균열폭 Wd(mm) 0.03 0.11 0.03 0.10 0.11 0.01 0.14 0.02
설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141.33 214.74 77.49 203.33 341.93 66.60 334.82 56.82
한계 한계 Mud(kN・m) 374.68 374.68 374.68 374.68 471.12 471.12 374.68 374.68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05 0.16 0.05 0.14 0.17 0.02 0.25 0.03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O.K

외 측 내 측
구분 / 수직방향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H16@200 H16@200 H22@200 H22@200
사 용 철 근
H16@200 H16@200 H22@200 H22@200
계수 계수모멘트 Mu(kN・m) 35.50 35.50 54.82 141.31
하중 설계강도 ∅Mn(kN・m) 180.73 180.73 329.66 329.66
강도
사용 설계 균열폭 Wd(mm) 0.17 0.18 0.03 0.14
설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극한 최대모멘트 Md(kN・m) 52.85 80.86 54.71 102.86
한계 한계 Mud(kN・m) 190.34 190.34 341.59 341.59
상태 사용 휨균열폭 W(mm) 0.12 0.13 0.06 0.26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 167 -
제 3 편 토목구조

저판

부재의 작용모멘트를 구할 경우 케이슨 전체를 모델화하여 유한요소법 등에 의한 구조해석 수법을 적용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KDS 64 14 20 : 2017, 4.1.5.1 부재의 설계일반)
저판의 계산수표는 부모멘트 과다, 정모멘트 과소 평가하여 실제 거동과 상히하므로 실제거동과 유사하며
설계기준에 부합하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으로 작용 모멘트를 산정

부재력도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단면 설계
1격실
1격실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구 분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H19@200 H19@200 H25@200 H22@200


사 용 철 근
H19@200 H19@200 - -

계수모멘트 Mu(kN・m) 414.28 374.92 386.18 278.16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463.42 463.42 392.77 303.69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16 0.11 0.23 0.25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360.56 337.52 338.75 238.03


극한
한계
Mud(kN・m) 489.61 489.61 415.35 322.05
한계
상태 휨균열폭 W(mm) 0.16 0.11 0.23 0.22
설계 사용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 168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2격실
2격실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구 분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H19@200 H19@200 H19@200 H22@200
사 용 철 근
H19@200 H19@200 H19@200 -

계수모멘트 Mu(kN・m) 322.60 358.20 416.69 271.23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463.42 463.42 444.91 303.69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06 0.10 0.13 0.17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299.39 319.56 394.85 250.06


극한
한계
Mud(kN・m) 489.61 489.61 469.82 322.05
한계
상태 휨균열폭 W(mm) 0.04 0.08 0.14 0.11
사용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3격실
3격실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구 분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H19@200 H19@200 H19@200 H22@200
사 용 철 근
H19@200 H19@200 H19@200 -

계수모멘트 Mu(kN・m) 304.70 316.98 418.69 273.05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463.42 463.42 444.91 303.69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05 0.06 0.17 0.25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282.14 291.03 397.21 251.28


극한
한계
Mud(kN・m) 489.61 489.61 469.82 322.05
한계
상태 휨균열폭 W(mm) 0.04 0.04 0.15 0.09
사용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 169 -
제 3 편 토목구조

4격실
4격실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구 분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H19@200 H19@200 H19@200 H22@200
사 용 철 근
H19@200 H19@200 H19@200 -

계수모멘트 Mu(kN・m) 291.94 399.14 396.06 241.76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463.42 463.42 444.91 303.69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02 0.06 0.13 0.14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273.10 356.86 338.75 238.03


극한
한계
Mud(kN・m) 489.61 489.61 469.82 322.05
한계
상태 휨균열폭 W(mm) 0.04 0.10 0.14 0.09
사용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5격실
5격실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구 분
상 부 하 부 상 부 하 부
H19@200 H19@200 H22@200 H19@200
사 용 철 근
H19@200 H19@200 H22@200 H19@200

계수모멘트 Mu(kN・m) 405.38 460.57 570.09 394.16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463.42 463.42 590.26 444.91
강도
설계 균열폭 Wd(mm) 0.15 0.14 0.18 0.18
설계 사용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356.13 414.26 502.55 338.31


극한
한계
Mud(kN・m) 489.61 489.61 620.29 469.82
한계
상태 휨균열폭 W(mm) 0.15 0.14 0.20 0.18
사용
설계
한계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판 정 O.K O.K O.K O.K

- 170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전면벽 슬릿부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단면 설계
수평방향
구 분 상부보 중앙보 하부보
격벽기둥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휨 철 근 H16-6ea H16-6ea H16-5ea H16-5ea H16-5ea H16-5ea H16-7ea


사용철근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전 단 철 근
-2ea -2ea -2ea -2ea -2ea -2ea -2ea

계수모멘트 Mu(kN・m) 87.81 86.86 104.88 88.28 86.23 110.05 123.01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234.57 194.06 194.96 161.20 194.96 161.20 227.43

설계 균열폭 Wd(mm) 0.08 0.09 0.15 0.21 0.09 0.12 0.11


사용
강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설계

계수전단력(kN) 128.49 128.49 142.28 142.28 160.71 160.71 245.12


전단력
검토
∅Vn(kN) 783.83 650.30 653.60 542.25 653.60 542.25 866.38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59.15 70.40 77.68 71.75 63.95 86.49 113.53


극한
한계
Mud(kN・m) 238.98 197.53 198.46 163.93 198.46 163.93 231.82

휨균열폭 W(mm) 0.08 0.10 0.17 0.24 0.08 0.13 0.11


사용
한계 한계
상태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설계
최대전단력(kN) 105.27 105.27 104.94 104.94 123.78 123.78 182.20
전단력
검토
Vyd=Vcd+Vsd(kN) 480.39 404.41 444.81 373.35 444.81 373.35 463.15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 171 -
제 3 편 토목구조

전면 격벽 슬릿부
부재력 계산
설계하중 부재력도(휨모멘트)

단면 설계
수평방향
구 분 상부보 중앙보 하부보
격벽기둥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외 측 내 측

휨 철 근 H16-6ea H16-6ea H16-6ea H16-6ea H16-4ea H16-4ea H16-7ea


사용철근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200 H16@400
전 단 철 근
-2ea -2ea -2ea -2ea -2ea -2ea -2ea

계수모멘트 Mu(kN・m) 39.21 30.61 35.55 27.75 38.70 27.00 11.58


계수
하중
설계강도 ∅Mn(kN・m) 155.57 115.06 154.18 113.67 103.82 76.81 229.79

설계 균열폭 Wd(mm) 0.04 0.05 0.04 0.05 0.10 0.11 0.02


사용
강도 하중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설계

계수전단력(kN) 45.89 45.89 31.12 31.12 28.34 28.34 43.32


전단력
검토
∅Vn(kN) 523.44 389.91 436.48 325.13 436.48 325.13 728.71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최대모멘트 Md(kN・m) 34.01 26.77 29.73 22.98 39.16 27.11 11.77


극한
한계
Mud(kN・m) 158.16 116.71 156.31 114.86 105.57 77.94 234.23

휨균열폭 W(mm) 0.04 0.06 0.06 0.07 0.13 0.12 0.02


사용
한계 한계
상태 허용균열폭 Wa(mm) 0.30 0.30 0.30 0.30 0.30 0.30 0.30
설계
최대전단력(kN) 42.56 42.56 25.47 25.47 20.12 20.12 38.24
전단력
검토
Vyd=Vcd+Vsd(kN) 331.50 253.58 306.85 233.39 302.31 229.67 319.92

판 정 O.K O.K O.K O.K O.K O.K O.K

- 172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2.3 연락도교
2.3.1 구조물 개요
설계계요
함선의 연락도교는 기본조사의 트러스교에서 미관과 조형미를 고려한 아치교로 기본설계
허용응력설계법 및 한계상태설계법에 따른 구조 안전성 검토 및 사용성 검토 수행

연락교 개요
교량현황
위 치 교량형식 연장(m) 형고(m) 최대 폭원(m) 비 고

함 선 아치교 46.0 4.8 4.5

교량 일반도

2.3.2 경계조건 설정
지점
1 2 3 4
방향

X Fix Fix Free Free

Y Fix Free Free Fix

Z Fix Fix Fix Fix

- 173 -
제 3 편 토목구조

2.3.3 설계하중
고정하중(D)
고정하중(D)
스틸그레이팅(1.20kN/m2) 체크플레이트(0.42kN/m2) 난 간(2.16kN)

활하중(L)
활하중(L)
차량하중(243.0kN/m2) 보도하중(5.0kN/m2) 제동하중(12.7kN)

온도하중(TU)
온도하중(TU)
-30゚C ~ +50゚C를 적용함

풍하중(W)
풍하중(W)
설계풍속(m/s) 적용기준 설계법에 따른 풍하중(kN/m2)
구 분 
55.00   [Pa] 3.40

부 재 적용하중(kN/m) 적용 풍하중

아치리브 1.63

하 현 재 1.63

수 직 재 1.21

비 고 활하중 재하시 풍하중 50%감소

- 174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설하중(IC)
설하중(IC)
1.5kN/m2을 적용함

함선 롤링 하중(G)
하중(G)
함선 롤링 각도 롤링에 의한 처짐량 적용 처짐량(mm)

4.5m(교량폭) × tan(2゚)
≒ 157mm

2.3.4 연락도교 단면력


단면력도
단면력도(허용응력설계법)
단면력도((허용응력설계법
허용응력설계법))
구 분 축력(kN) 모멘트(kN・m)

하 현 재

Max=832.14 Min=-39.98 Max=87.27 Min=-60.25

중 간
가 로 보

Max=141.01 Min=-202.87 Max=50.79 Min=-46.88

단 부
가 로 보

Max=89.06 Min=-290.12 Max=119.42 Min=-14.51

세 로 보

Max=145.25 Min=-68.64 Max=15.55 Min=-14.43

- 175 -
제 3 편 토목구조

구 분 축력(kN) 모멘트(kN・m)

아치리브

Max=-397.81 Min=-1215.48 Max=91.72 Min=-51.49

수 직 재

Max=118.24 Min=21.32 Max=94.23 Min=-94.23

하부사재

Max=172.83 Min=-96.68 Max=7.89 Min=-4.99

상 부
가 로 보

Max=98.53 Min=8.87 Max=3.93 Min=-5.01

상부사재

Max=-14.83 Min=-73.23 Max=1.56 Min=-3.11

- 176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단면력도
단면력도(한계상태설계법)
단면력도((한계상태설계법
한계상태설계법))
구 분 축력(kN) 모멘트(kN・m)

하 현 재

Max=1108.31 Min=-321.28 Max=141.74 Min=-104.10

중 간
가 로 보

Max=197.35 Min=-284.03 Max=75.87 Min=-73.46

단 부
가 로 보

Max=225.28 Min=-414.74 Max=185.20 Min=-36.00

세 로 보

Max=208.61 Min=-96.53 Max=26.92 Min=-24.45

아치리브

Max=-218.52 Min=-1530.42 Max=152.44 Min=-96.92

- 177 -
제 3 편 토목구조

구 분 축력(kN) 모멘트(kN・m)

수 직 재

Max=164.52 Min=7.15 Max=176.17 Min=-176.21

하부사재

Max=260.83 Min=-174.86 Max=12.54 Min=-8.12

상 부
가 로 보

Max=142.27 Min=16.26 Max=7.50 Min=-8.79

상부사재

Max=-2.51 Min=-108.78 Max=3.34 Min=-5.40

- 178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2.3.5 연락도교 단면설계


허용응력설계법
합성응력(MPa) 전단응력(MPa)
부 재 횡좌굴비 휨+전단비 검토
발생압축 발생인장 허 용 발생전단 허 용
하현재
32.70 80.41 230.00 0.15 12.37 135.00 0.05 O.K
(B-400×400×12)
중간가로보
67.66 66.07 230.00 0.45 18.80 135.00 0.06 O.K
(B-250×250×12)
단부가로보
56.09 52.69 230.00 0.27 19.61 135.00 0.07 O.K
(B-400×400×12)
세로보
65.11 81.63 230.00 0.40 19.91 135.00 0.09 O.K
(B-150×150×9)
아치리브
96.67 - 230.00 0.48 5.73 135.00 0.03 O.K
(B-400×400×12)
수직재
85.50 96.15 230.00 0.37 10.20 135.00 0.37 O.K
(O.D-355.6×12)
하부사재
31.96 62.49 230.00 0.24 4.14 135.00 0.02 O.K
(B-150×150×9)
상부가로보
26.83 43.72 230.00 0.36 1.97 135.00 0.02 O.K
(B-150×150×6)
상부사재
52.69 - 230.00 0.34 2.87 135.00 0.02 O.K
(B-150×150×6)

한계상태설계법
극한한계상태 사용한계상태
축강도(kN) 휨강도(kN・m) 조합 전단강도(kN) 합성응력 항복응력
부 재 검토
발 생 설 계 발 생 설 계 강도비 발 생 설 계 (MPa) (MPa)
하현재
1108.31 6723.26 141.74 888.70 0.28 66.43 1028.74 86.15 304.00 O.K
(B-400×400×12)
중간가로보
284.03 3189.77 75.87 313.12 0.28 42.29 618.34 78.87 304.00 O.K
(B-250×250×12)
단부가로보
414.74 5980.97 185.20 888.70 0.27 124.87 1028.74 63.80 304.00 O.K
(B-400×400×12)
세로보
208.61 1756.99 26.92 80.05 0.38 30.86 270.86 114.27 304.00 O.K
(B-150×150×9)
아치리브
1530.42 5964.08 152.44 876.42 0.34 26.27 1028.74 69.96 304.00 O.K
(B-400×400×12)
수직재
164.52 4676.18 176.17 440.33 0.48 85.14 1329.02 134.50 304.00 O.K
(O.D-355.6×12)
하부사재
260.83 1756.99 12.54 80.05 0.22 2.56 270.86 61.20 304.00 O.K
(B-150×150×9)
상부가로보
142.27 1214.04 8.79 58.27 0.16 2.16 188.78 22.28 304.00 O.K
(B-150×150×6)
상부사재
108.78 908.06 5.40 58.27 0.20 1.43 188.78 23.15 304.00 O.K
(B-150×150×6)

- 179 -
제 3 편 토목구조

2.4 상치콘크리트
2.4.1 구조물 개요
상치구조물의 취약단면을 선정하여 설계파고에 따른 부재의 안전성 검토
기본방향 상치콘크리트의 형상과 거동 특성을 반영하여 2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단면 검토
강도 설계법에 의한 단면설계 및 사용성 검토

설계조건
콘크리트 철 근 단위중량
설계기준강도(fck) : 35MPa 항복강도(fy) : 400.0MPa 철근 콘크리트 : 24.0kN/m3
탄성 계수(Ec) : 2.86 × 104MPa 탄성계수(Es) : 2.0 × 105MPa 무근 콘크리트 : 22.6kN/m3

2.4.2 파라펫 검토
설계하중
작용하중 개요도 설계하중
구 분 Level(m) 파압강도(kN/m2)

상단 DL.(+) 9.80 4.16


파라펫
하단 DL.(+) 7.30 19.30

단면검토
휨 검 토 사용성 검토
구 분 판정
Mu(kN・m) ∅Mn(kN・m) 사용철근 사용간격(mm) 허용간격(mm)

파 라 펫 8.91 318.11 H16@200 200 10,263 O.K

2.4.3 유수실 상치 검토
작용하중개요도 휨모멘트도(Mxx) 휨모멘트도(Myy)

단면검토
휨 검 토 사용성 검토
구 분 판정
Mu(kN・m) ∅Mn(kN・m) 사용철근 사용간격(mm) 허용간격(mm)

유수실상치 124.94 401.20 H16@200 200 1,105 O.K

- 180 -

제2장
2장 구조물 단면 설계

2.5 유수실 덮개블록


케이슨 덮개블록 단면 안전성을 검토
기본방향
인양시 및 상치 타설시 하중조건과 경계조건에 따라서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

부재형상 인양시(휨모멘트도) 상치타설시(휨모멘트도)

휨강도 사용성검토 전단검토


구 분 Mu ∅Mn 철근간격 허용간격 계수전단력 ∅Vn 판정
사용철근 사용철근
(kN・m) (kN・m) (mm) (mm) (kN) (kN)

상 면 23.42 132.79 H16@200 200 1410


119.84 375.25 H16@600 O.K
하 면 62.85 132.79 H16@200 200 887

설계적용 덮개블록의 유한요소 해석결과, 인양시 및 상치타설시 부재단면의 안전성을 확보

2.6 등대
등대 설계는 외력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3D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검토 수행
기본방향 작용하중은 상시하중 및 지진시 하중을 적용하여 부재에 대한 단면 검토
설계 파고(7.60m), 순간최대풍속(55.00m/s)을 적용하여 하중 재하

하중재하도 해석결과(수평방향) 해석결과(수직방향)

Mu ∅Mn 필요철근량 사용철근량 철근간격 허용간격


구 분 사용철근 판정
(kN・m) (kN・m) (mm2) (mm2) (mm) (mm)

연 직 21.43 65.27 424.74 H16@200 993.00 200 769 O.K


하 부
수 평 7.92 65.27 155.91 H16@200 993.00 200 2314 O.K

연 직 6.51 65.27 128.06 H16@200 993.00 200 3927 O.K


상 부
수 평 4.84 65.27 95.13 H16@200 993.00 200 3849 O.K

설계적용 등대에 대한 단면 검토 결과 최대파력, 풍압 및 지진시 하중에 대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음

- 181 -
제 3 편 토목구조

제 3 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3.1 케이슨 부재 단면 최적화
기본방향 철근 및 콘크리트의 응력 부담을 고려한 케이슨의 벽체 및 저판 단면두께 최적화

개요도 두께별 경제성 분석

2차원 유한요소 해석 결과에 따른 비교 검토


케이슨 전면벽 600mm, 후면벽 500mm, 측벽 400mm, 저판 600mm로 부재별 단면두께 최적화

설계적용 부재 단면 최적화 결과 최대 10% 경제성 효과를 확보

3.2 케이슨 부재 안전성 검토


3.2.1 계산수표 불균형 모멘트 보정
기본방향 계산수표와 2차원 해석에 의한 외벽간의 불균형모멘트를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에 따라 분배

불균형 모멘트 보정식


M'BA = MBA - ( MBA - MBC )・Ka / ( Ka + Kb)
M'BC = MBC + ( MBA - MBC )・Kb / ( Ka + Kb)
M'a = Ma - 1/2・( MBA - MBC )・Ka / ( Ka + Kb)
M'b = Mb + 1/2・( MBA - MBC )・Kb / ( Ka + Kb)
M'AB = MAB
M'CB = MCB

여기서, M'AB, M'BA, M'BC, M'CB, M'a, M'b는 불균형


moment 분배후의 bending moment MAB, MBA, MBC,
MCB, Ma, Mb는 불균형 moment 분배전의 bending
moment Ka, Kb는 외벽의 강도(Ka = E・Ia / La, Kb =
E・Ib / Lb)

MBA M'BA MBC M'BC Ma M'a Mb M'b


구 분
(kN・m) (kN・m) (kN・m) (kN・m) (kN・m) (kN・m) (kN・m) (kN・m)

전면벽-측벽 166.73 126.42 114.48 126.42 79.70 59.55 51.41 57.38

후면벽-측벽 215.00 137.46 114.48 137.46 55.43 16.66 51.41 62.90

- 182 -

제3장
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3.2.2 격벽 발출 검토
외벽 및 저판에 작용하는 속채움 중량, 내부수압, 저판중량, 저판반력 등을 고려하여 검토
기본방향
외벽과 저판이 격벽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발출에 대한 안전성 확보

하중재하도
측벽과 격벽 저판과 격벽

검토결과
구 분 P (kN) 소요철근량 (mm2) 사용철근량 (mm2) 판정
측벽과 격벽 721.56 2,122.22 5,730.00 O.K
저판과 격벽 257.37 756.96 4,851.00 O.K

3.2.3 지반지지력 불균형에 따른 안전성 검토


기본방향 항외 및 종방향 지반의 1/3이 유실되었을 경우 케이슨의 침하량 및 변형에 대한 안전성 검토

해석결과
항외측 유실 주인장 응력도 주압축 응력도

종방향 유실 주인장 응력도 주압축 응력도

검토결과
구 분 응력구분 발생응력 (MPa) 허용응력 (MPa) 판정
압축응력 3.51 fca = 0.4 fck = 14.00 O.K
항외측 유실
인장응력 3.14 fta = 0.63 √fck = 3.73 O.K
압축응력 3.97 fca = 0.4 fck = 14.00 O.K
종방향 유실
인장응력 2.91 fta = 0.63 √fck = 3.73 O.K

- 183 -
제 3 편 토목구조

3.3 케이슨 시공단계별 구조 검토


3.3.1 거치시 벽체 안전성 검토
기본방향 거치시의 하중작용을 고려한 벽체 검토를 통하여 구조적 안전성 확인

하중 재하도 수평방향 부재력 연직방향 부재력

구 분 Mu(kN・m) ∅Mn(kN・m) Vu(kN) ∅Vn(kN) 판정


수평방향 92.20 325.23 99.92 573.99 O.K

연직방향 46.13 314.42 60.11 573.99 O.K

3.3.2 속채움시 벽체 안전성 검토


기본방향 속채움시의 하중작용을 고려한 벽체 검토를 통하여 구조적 안전성 확인

하중 재하도 수평방향 부재력 연직방향 부재력

구 분 Mu(kN・m) ∅Mn(kN・m) Vu(kN) ∅Vn(kN) 판정


수평방향 57.98 449.54 78.59 378.42 O.K

연직방향 10.44 406.47 7.40 378.42 O.K

3.3.3 완성시 축력에 의한 벽체 안전성 검토


격벽을 벽체부재로 검토하여 구조적 안전성 확인
기본방향
상치콘크리트 구체 영향도 고려하여 안전측으로 설계되도록 유도

하중 재하도 해석 결과 검토결과

격벽 단면 검토(두께 400mm)
Pu 455.59kN<∅Pn 3624.33kN
Mu 160.46kN<∅Mn 1276.50kN
∴ O.K

설계적용 상치콘크리트 구체를 고려한 케이슨 격벽의 구조적 안전성 확보

- 184 -

제3장
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3.4 편파압에 따른 벽체 안전성 검토


기본방향 케이슨 전면벽 측부에 국소적인 설계파압(전체파압의 1/2 가정) 적용

개요도 수평방향 부재력 연직방향 부재력

구 분 Mu(kN・m) ∅Mn(kN・m) 필요철근량(mm2) 사용철근량(mm2) 안전율


수평방향 178.82 325.23 1,831.50 1,986.00 1.82

수직방향 148.14 314.42 1,374.24 1,986.00 2.12

설계적용 주파향에 의한 국부적인 편파압으로 인한 최대모멘트가 저항모멘트 이하로 구조 안전성 확보

3.5 표류물 충돌시 케이슨 안전성 검토


기본방향 시공시/완성시의 하중 및 부유물 충돌하중 (78.4kN)을 적용하여 부재 단면검토 수행

하중재하도 부재력도 검토결과

슬릿단면검토(두께 600mm)
Mu 63.86kN・m
<∅Mn 325.23kN・m ∴O.K

설계적용 시공시 / 완성시 하중 및 부유물 충돌하중 고려하여 수행한 결과 부재안전성 확보

3.6 케이슨 저판 2방향


2방향 전단검토
케이슨 저판구조는 종격벽 및 횡격벽으로 4변지지된 2방향 슬래브 구조로 휨모멘트와 함께 전단력도
기본방향
2방향 거동을 하므로 이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여 부재의 2방향 전단에 대한 안전성 확인

검토위치(제간부) 부재력도 전단검토

Vu(kN) 2,888.00

∅Vc(kN) 9,146.82

검토 결과 Vu<∅Vc ∴O.K

설계적용 2방향 전단검토를 수행하여 전단철근 보강 없이도 안전성 확보

- 185 -
제 3 편 토목구조

3.7 콘크리트 재령강도를 고려한 부재검토


기본방향 케이슨 부유시 발현되는 콘크리트 강도를 고려한 안전성 검토

재령일수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fck)


구 분 7일강도(MPa) 14일강도(MPa) 21일강도(MPa) 28일강도(MPa)

콘크리트
21.72 28.73 32.19 35.00
강 도

28일 재령강도에 대한 상대강도


28일
구 분 7일 14일 21일 28일

강 도 비 0.62 0.82 0.92 1.00

단면검토
해석결과(휨모멘트) 측벽 연직방향 측벽 수평방향
구 분
하 부 상 부 하 부 상 부

재 령 21일 7일 21일 7일

M u ( k N ・ m) 69.59 15.34 162.65 85.74

∅Mn(kN・m) 448.70 97.65 489.22 339.65

판 정 O.K O.K O.K O.K

설계적용 재령일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를 고려한 단면검토를 수행한 결과 시공단계별 부재 안전성을 확보

3.8 정적 내진해석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력에 의한 영향을 해석하기 위하여 자중의 일부분을 수평 또는 수직력으로
기본방향
재하한 정적해석을 수행하여 안전성 검토

해석조건 해석결과 검토결과

내진1등급, 구역계수Ⅰ
변위 검토(붕괴방지)
가속도 계수 : A=0.192g 25.05mm < 200.00mm
재현주기 : 1,000년(붕괴방지)
단면력 검토
등가정적해석법에 의한 평가 124.58kN・m <653.00kN・m
지진시 유체압은 부가질량으로
내진1등급 관련기준 만족
고려

설계적용 케이슨 정적 내진해석결과 내진 1등급 관련기준을 만족

- 186 -

제3장
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3.9 내구성 설계
3.9.1 정량적 내구성 설계
기본방향 환경조건을 고려한 내구성 평가를 통해 구조물의 내구수명 예측 및 내구성 향상 방안 수립

평가방법
평가내용 평가 절차
설계단계에서 구조물의 규모, 종류, 중요도에 따라 목표
내구수명을 정하고, 주변 환경에 따른 내구안전율 결정
목표내구수명에 따라 환경요인에 의한 환경지수를 산정
구조물의 내구지수는 재료, 설계 및 시공분야로
구분하여 내구성 정도를 내구지수로 산정

해석조건 및 환경지수 산정
환경지수 증분치
구 분 표준환경지수 환경지수 합계
염해 탄산화 동해 황산염 증분치합
케이슨, 상치 128 91 8 0 0 99 227
환 경 조 건 연평균 기온 13.0℃, 연평균 상대습도 78.0%, -5℃ 이하인 연평균 일수 약 6.2일(군산 기상대, 10년 자료)

내구지수 산정
재료분야
시멘트 골재 골재 혼화재료 유동성 및 물- 염화물 레미콘
구 분 단위수량
종류 흡수율 입도 종류 분리저항성 결합재비 함유량 생산체계
케 이 슨 10.0 2.0 0.0 10.0 1.9 19.4 0.0 0.5 18.0
상치콘크리트 10.0 2.0 0.0 10.0 7.1 19.4 0.0 0.5 18.0

설계분야
설계 주임 철근 배근 세부 가외 시공 설계도면 온도균열 허용 거푸집 표면
구 분
기술자 수준 덮개 사항 철근비 이음 명시여부 지수 균열폭 종류 보호재 종류
케 이 슨 6.0 30.0 7.5 10.0 -3.0 0.0 6.7 6.0 5.0 5.0
상치콘크리트 6.0 30.0 8.7 8.4 -3.0 0.0 6.7 0.0 5.0 5.0

시공분야
주임기술자 콘크리트 운반, 타설,표면 마무리와 철근 그라우트
구 분 철근 가공 거푸집공 동바리공
수준 정도 반입과정 다짐 과정 양생 조립 공
케 이 슨 20.0 5.0 20.0 0.0 5.0 10.0 10.0 0.0 0.0
상치콘크리트 20.0 5.0 20.0 -4.0 5.0 10.0 10.0 0.0 0.0

평가 결과
구 분 케이슨 상치콘크리트 내구수명
기본내구지수 30.0 30.0
재료분야 61.8 67.0
내구지수 설계분야 73.2 66.8
시공분야 70.0 66.0
계(DT) 235.0 229.8
환경지수(ET) 227.0 227.0
내구성 평가(DT≥ET) 235.0 ≥ 227.0 O.K 229.8 ≥ 227.0 O.K 최소 내구수명 : 105년

설계적용 내구지수가 환경지수를 상회하고, 예측 내구수명이 목표내구수명(100년) 이상으로 내구성능 확보

- 187 -
제 3 편 토목구조

3.9.2 염분침투해석
염해환경에 노출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염해 내구성 평가 및 저감대책 수립
다양한 평가방법(ACI : LIFE-365, 콘크리트 표준시방서(2016), 도로교설계기준(2016))에 근거한
기본방향
검토를 통해 결과의 신뢰성 확보 및 안전측 설계 반영
노출환경: 케이슨 간만대(표면염소이온농도: 18.0kg/m3), 상치콘크리트 물보라지역(표면염소이온농도: 7.5kg/m3)

해석조건
설계 임계염화물이온농도
구 분 방청제 순피복
기준강도 LIFE-365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도로교설계기준
O P C 35MPa - 100mm 1.20kg/m3 1.80kg/m3 0.7%
3 성 분 계 35MPa - 100mm 1.80kg/m3 1.80kg/m3 0.7%
3성분계+방청제 35MPa 10kg/m3 100mm 3.62kg/m3 3.62kg/m3 0.7%

염소이온 침투해석(ACI
침투해석(ACI : LIFE-365,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표준시방서)
내구수명 평가
구 분 침투분포
ACI : LIFE-365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OPC

3성분계
(5:4:1)

3성분계
(5:3:2)

3성분계
(5:3:2)+
방청제

ACI : LIFE-365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구 분  ≤ lim
내구수명 목표내구수명 평가 내구수명 목표내구수명 판정
OPC 12년 100년 N.G 8년 100년 10.65 > 1.55kg/m N.G
3

3성분계(5:4:1) 96년 100년 N.G 47년 100년 3.24 > 1.55kg/m3 N.G


케 이 슨
3성분계(5:3:2) 108년 100년 O.K 56년 100년 2.82 > 1.55kg/m3 N.G
3성분계(5:3:2)+방청제 170년 100년 O.K 110년 100년 2.82 < 3.11kg/m3 O.K
OPC 20년 100년 N.G 14년 100년 4.53 > 1.55kg/m3 N.G
상 치
3성분계(5:4:1) 171년 100년 O.K 102년 100년 1.52 < 1.55kg/m3 O.K
콘크리트
3성분계(5:3:2) 195년 100년 O.K 119년 100년 1.34 < 1.55kg/m3 O.K

- 188 -

제3장
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신뢰도 기반의 염해 내구성 평가(도로교


평가
평가((도로교 설계기준,
설계기준, 2016)
목표신뢰도 지수 목표 부식확률
구 분 신뢰도 지수 부식확률 판정
(Ⅰ등급) (Ⅰ등급)
OPC 0.90 1.96 이상 1.85×101% 2.5% 이하 N.G
케 이 슨 3성분계(5:4:1) 3.29 1.96 이상 5.10×10-2% 2.5% 이하 O.K
3성분계(5:3:2) 3.92 1.96 이상 4.40×10-3% 2.5% 이하 O.K
OPC 4.11 1.96 이상 1.94×10-3% 2.5% 이하 O.K
상 치 3성분계(5:4:1) 6.64 1.96 이상 1.00×10-8% 2.5% 이하 O.K
3성분계(5:3:2) 6.65 1.96 이상 1.00×10-8% 2.5% 이하 O.K

염해 내구성 대책으로 모든 평가방법에 대해 목표내구수명을 만족하는 케이슨 : 3성분계


설계적용
혼합시멘트(5:3:2)+방청제10kg/m3, 상치콘크리트 : 3성분계 혼합시멘트(5:3:2) 설계적용

3.9.3 탄산화 및 동해 내구성 평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평가를 통해 설계피복의 적정성 및 탄산화에 대한 내구성능 확보
기본방향
대상지역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대상 구조물의 목표내구수명 내에서 동결융해에 대한 요구내구성능 확보

평가 방법
탄산화 평가방법 동결융해 평가방법
평가식 :   ≤ ø   평가식 :  ≤  
 : 탄산화에 대한 환경계수(1.1)  : 동해에 대한 환경계수(1.0)
 : 탄산화 깊이 예측값(mm)   : 상대동탄성계수( )의 예측값의 역수
ø  : 탄산화에 대한 내구성 감소계수(0.92)   : 동해에 대한 내구성 감소계수
  : 탄산화 임계깊이(mm)   : 상대동탄성계수 최소값(  )의 역수

탄산화 내구성 평가
주요 설계값 및 환경인자
단위 재료량(kg/m3) 순피복 안전계수 건조계수 재료계수
구 분
W C SLAG FA (mm) (  ) (  ) (  )
케 이 슨 160 225 135 90 100.0 1.15 1.6 1
상치콘크리트 160 225 135 90 100.0 1.15 1.6 1

평가 결과
구 분 케이슨 상치콘크리트 탄산화 침투 그래프
순 피 복 100.0mm 100.0mm
탄산화 침투깊이(  ) 17.2mm 17.2mm
탄산화 임계깊이(   ) 75.0mm 75.0mm
(  ×  )≤(  ×   ) 18.9mm≤69.0mm 18.9mm≤69.0mm
평 가 O.K O.K

동결융해 내구성 평가
환경계수(  )  예측값( ) 감소계수(  ) 최소값(  ) 동해 내구성 평가
1.0 80% 1/  = 0.0125 0.9 1/  = 0.0143 0.0125 ≤ 0.0129 O.K

설계적용 대상 구조물의 목표 내구수명 내에서 탄산화 및 동결융해에 대한 내구성능 확보

- 189 -
제 3 편 토목구조

3.9.4 수화열 해석
매스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수화열 해석을 통해 온도응력 산정 및 온도균열 발생여부 검토
기본방향
온도균열 저감 대책(재료, 타설단계, 외기온도) 검토를 통해 수화열에 의한 균열 발생 최소화

해석조건
설계기준강도 W/C 단위 재료량(kg/m3) 목표
구 분
(MPa) (%) W C SLAG FA 온도균열지수
OPC 35 35.6% 160 450 - -
1.50
3성분계(5:4:1) 35 35.6% 160 225 180 45
(균열방지)
3성분계(5:3:2) 35 35.6% 160 225 135 90

외기온도 5℃, 20℃, 30℃에 대해 각각 타설온도 10℃, 20℃, 20℃를 적용하여 수화열 검토를 수행

해석모델 및 타설단계
제간부 케이슨 제간부 상치콘크리트 제두부 상치콘크리트

시멘트 재료에 따른 수화열 영향검토


온도균열 저감에 효과적인 재료선정을 위해 가장 매시브한 단면 제두부 상치를 대상으로 시멘트 재료에 대한 온도균열 영향 검토

OPC 3성분계(5:4:1) 3성분계(5:3:2) 재료별 균열지수

구 분 최대 발생온도 발생응력 인장강도 균열지수 판정 적용


OPC 73.99℃ 2.22MPa 1.55MPa 0.70 0.70<1.5 N.G
3성분계(5:4:1) 55.66℃ 1.82MPa 2.51MPa 1.38 1.38<1.5 N.G
3성분계(5:3:2) 52.55℃ 1.65MPa 2.50MPa 1.52 1.52>1.5 O.K ◉

외기온도,
외기온도, 타설온도별 해석 결과
외기온도 5℃(타설온도
5℃(타설온도 10℃)
10
10℃
℃)
구 분 제간부 케이슨 제간부 상치콘크리트 제두부 상치콘크리트

온도
분포

최대 발생온도 : 26.94℃ 최대 발생온도 : 32.45℃ 최대 발생온도 : 37.97℃

- 190 -

제3장
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구 분 제간부 케이슨 제간부 상치콘크리트 제두부 상치콘크리트

응력
이력

외기온도 20℃(타설온도
20
20℃
℃(타설온도 20℃)
20
20℃
℃)
구 분 제간부 케이슨 제간부 상치콘크리트 제두부 상치콘크리트

온도
분포

최대 발생온도 : 44.37℃ 최대 발생온도 : 49.27℃ 최대 발생온도 : 52.55℃

응력
이력

외기온도 30℃(타설온도
30
30℃
℃(타설온도 20℃)
20
20℃
℃)
구 분 제간부 케이슨 제간부 상치콘크리트 제두부 상치콘크리트

온도
분포

최대 발생온도 : 49.93℃ 최대 발생온도 : 55.62℃ 최대 발생온도 : 58.18℃

응력
이력

결과 요약
목표 최소온도균열지수
구 분 타설단수 판정
균열지수 외기온도 5℃ 외기온도 20℃ 외기온도 30℃
케 이 슨 제간부 5단 1.52 1.56 1.60 O.K
상 치 제간부 7단 1.50 1.54 1.58 1.59 O.K
콘크리트 제두부 8단 1.52 1.52 1.57 O.K

온도균열 저감대책(3성분계 혼합시멘트, 적정 타설높이) 수립을 통해 온도균열지수 1.5 이상 확보


설계적용
및 균열 방지

- 191 -
제 3 편 토목구조

3.10 안전성 설계
3.10.1 응력집중부 검토
케이슨 우각부 검토
기본방향 케이슨 후면벽 우각부의 외측 및 내측인장 모멘트에 대해 FEM 및 STM 해석을 통한 보강철근량 검토

허용기준
콘크리트 압축강도 허용 압축응력 허용 인장응력
35MPa  =14.00MPa    =3.73MPa

보강철근량 산정 기준
구 분 산 식
보강철근량 
  (  : 필요철근량,   : Tie 최대 인장력,  : Tie 강도감소계수,   : 철근의 항복강도)
산 정  
해석결과
구 분 FEM 해석결과 인장응력분포 그래프 Strut-Tie Model 해석결과

외측인장

0.42MPa<3.73MPa O.K 0.14MPa<3.73MPa O.K 필요: 334<사용: 496mm2 O.K

내측인장

0.53MPa<3.73MPa O.K 0.29MPa<3.73MPa O.K 필요: 189<사용: 316mm2 O.K

설계적용 케이슨 우각부의 발생응력이 허용응력 이내로 구조적 안전성 확보

케이슨 슬릿부 검토
기본방향 자중, 수압 및 토압 재하시 케이슨 전면벽 슬릿부에 대한 응력검토를 통한 케이슨 구조안전성 검토

하중재하도 인장응력 분포도 압축응력 분포도

자중, 수압(수평, 연직), 파압, 토압 적용 2.32MPa<3.73MPa O.K 4.09MPa<14.00MPa O.K

설계적용 케이슨 슬릿부의 발생응력이 허용응력 이내로 구조적 안전성 확보

- 192 -

제3장
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3.10.2 동적파압에 의한 케이슨 구조 및 피로안전성 검토


3차원 케이슨 해석모델의 파압에 대한 정 ․ 동적 해석을 통해 구조 및 피로안전성 검토
기본방향
수치파랑수조 시뮬레이션을 통한 동적파압 산정 및 Rain Flow Counting을 통한 피로 평가

해석절차
자료수집 및 검토 하중 산정 구조해석 안전성 검토
자료(물성, 제원, 파고, CADMAS-SURF를 3차원 FEM모델 작성 파압에 의한 최대/최소
주기 등) 수집 이용한 동파력 산정 경계조건 및 하중 입력 응력 산정
해석범위 및 기준검토 조위별 최대・최소 파압 산정 유한요소 해석 S-N Curve 작성

입력파 제원 및 검토기준
입력파 제원 검토기준
구 분 주기 파고 비고 콘크리트 허용응력 피로검토기준
항외측 13.2초 3.5m 누적손상비 0.5 이하
설계파 구조안전성 압축 :  =14.00MPa 
항내측 13.2초 2.0m 
항외측 9.0초 1.1m
D=
 
< 0.5 (DNV-OS-C502)
평상파 피로안전성 인장 :    =3.73MPa
항내측 8.0초 0.3m 피로수명 100년 이상

동파압 시간이력 산정
동파압 시간이력
유속벡터(설계파, 항외측)
설계파 평상파

구조 안전성 검토
구 분 압축응력 인장응력

전면벽

후면벽

1.42MPa<14.00MPa O.K 0.40MPa<3.73MPa O.K

횡격벽

종격벽

2.12MPa<14.00MPa O.K 0.82MPa<3.73MPa O.K

설계적용 동적파압에 의한 발생응력 모두 허용응력 이내로 안전 설계파에 대한 케이슨 구조 안전성 확보

- 193 -
제 3 편 토목구조

피로 안전성 검토
기본방향 DNV-Code에 따른 누적손상비 0.5 이하 콘크리트 피로수명 100년 이상 검토

응력분포도
구 분 압축응력 인장응력 전단응력

응 력
분 포 도

응 력
시 간 이 력
( 전 면 벽 )

누적손상비 및 피로수명 평가
응력범위 전체발생횟수 피로파괴횟수 누적손상비 피로수명(년)
구 분 판정
(MPa) (회) (회) 결과 허용 결과 내구수명
0.00001 1.752E+08 1.000E+10
전면벽 0.160 0.5 313.0 100 OK
0.18219 1.752E+08 8.953E+09
0.00014 3.504E+08 9.999E+09
압축 후면벽 0.158 0.5 316.3 100 OK
0.03448 1.752E+08 9.793E+09
0.00021 3.504E+08 9.999E+09
종격벽 0.107 0.5 467.7 100 OK
0.15743 1.752E+08 9.088E+09
0.00013 1.051E+09 8.248E+42
전면벽 5.466E-17 0.5 무한피로 100 OK
0.15218 1.752E+08 3.205E+24
0.00020 7.008E+08 6.811E+41
인장 후면벽 5.257E-19 0.5 무한피로 100 OK
0.07018 1.752E+08 3.333E+26
0.00001 1.051E+09 1.519E+50
종격벽 7.576E-21 0.5 무한피로 100 OK
0.03462 1.752E+08 2.313E+28
0.00006 5.26E+08 9.999E+09
전면벽 0.142 0.5 351.8 100 OK
0.04793 1.75E+08 9.075E+09
0.00005 3.50E+08 9.999E+09
전단 후면벽 0.175 0.5 285.2 100 OK
0.00250 1.75E+08 9.949E+09
0.00003 1.75E+08 9.999E+09
종격벽 0.158 0.5 316.4 100 OK
0.00871 1.75E+08 9.825E+09

S-N 선도
압축 S-N 선도 인장 S-N 선도 전단 S-N 선도

누적손상비는 허용 손상비 이내, 최소 피로수명은 285.2년으로 산정


설계적용
설계수명(100년)이상의 피로 안전성 확보

- 194 -

제3장
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3.10.3 비선형 균열해석


콘크리트 재료비선형, 균열 모델을 적용한 비선형 균열해석 및 균열진전해석
기본방향
각 하중조합에 대한 케이슨의 균열 안전성 평가, 균열 발생시점 및 균열진전 검토

개요 및 해석조건
적용모델 및 허용기준 콘크리트 인장-압축모델 해석모델(제간부 케이슨)
비선형 균열 모델 : Total Strain Crack 모델
허용응력 :  ×     
허용균열폭 : 0.300mm(콘크리트 구조기준, 2012)
하중조건 : 압파(Ⅰ,Ⅱa,Ⅱb), 인파(Ⅰ,Ⅱ,Ⅲ)
해석프로그램 : MIDAS FEA

해석결과
응력 및 균열폭 분포도
케이슨 상치콘크리트
구 분
응력 분포도 균열폭 분포도 응력 분포도 균열폭 분포도

CASE 1
압파Ⅰ

발생응력 : 2.45MPa 발생균열폭 : 0.002mm 발생응력 : 0.53MPa 균열미발생

CASE 2
압파Ⅱa

발생응력 : 2.48MPa 발생균열폭 : 0.002mm 발생응력 : 0.46MPa 균열미발생

CASE 3
압파Ⅱb

발생응력 : 2.48MPa 발생균열폭 : 0.012mm 발생응력 : 0.52MPa 균열미발생

CASE 4
인파Ⅰ

발생응력 : 2.79MPa 발생균열폭 : 0.005mm 발생응력 : 0.48MPa 균열미발생

CASE 5
인파Ⅱ

발생응력 : 2.87MPa 발생균열폭 : 0.009mm 발생응력 : 0.43MPa 균열미발생

- 195 -
제 3 편 토목구조

케이슨 상치콘크리트
구 분
응력 분포도 균열폭 분포도 응력 분포도 균열폭 분포도

CASE 6
인파Ⅲ

발생응력 : 2.03MPa 균열미발생 발생응력 : 0.22MPa 균열미발생

균열 해석결과
구분 발생응력 허용응력 발생균열폭 허용균열폭 평가
CASE 1 2.45MPa 3.73MPa 0.002mm 0.300mm O.K
압 파 시 CASE 2 2.48MPa 3.73MPa 0.002mm 0.300mm O.K
CASE 3 2.48MPa 3.73MPa 0.012mm 0.300mm O.K
CASE 4 2.79MPa 3.73MPa 0.005mm 0.300mm O.K
인 파 시 CASE 5 2.87MPa 3.73MPa 0.009mm 0.300mm O.K
CASE 6 2.03MPa 3.73MPa 균열 미발생 0.300mm O.K

균열진전 해석
균열폭이 가장 크게 발생한 하중조합(파압)을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균열진전 해석 수행

CASE 3(압파Ⅱb) CASE 5(인파Ⅱ)


구분
압파Ⅱb × 3.7 압파Ⅱb × 3.8. 인파Ⅱ × 5.0 인파Ⅱ × 5.1

응력
분포

3.38 < 3.73MPa O.K 3.71 < 3.73MPa O.K 3.69 < 3.73MPa O.K 3.71 < 3.73MPa O.K

균열
분포

0.294 < 0.300mm O.K 0.307 > 0.300mm N.G 0.295 < 0.300mm O.K 0.303 > 0.300mm N.G

결과 요약
구분 하중조건 발생응력 허용응력 발생균열폭 허용균열폭 평가
× 3.7 3.38MPa 3.73MPa 0.294mm 0.300mm O.K
CASE 3
× 3.8 3.71MPa 3.73MPa 0.307mm 0.300mm N.G
× 5.0 3.69MPa 3.73MPa 0.295mm 0.300mm O.K
CASE 5
× 5.1 3.71MPa 3.73MPa 0.303mm 0.300mm N.G

적용 하중조합에 대해 모두 허용기준을 만족함 → 균열에 대한 안전성 확보


설계적용
균열진전 해석 결과 하중조합의 3.7배까지 허용응력 및 허용균열폭 기준을 만족

- 196 -

제3장
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3.10.4 소파블록 충돌에 의한 케이슨 안전성 검토


기본방향 파압(설계파)에 의해 소파블록과 케이슨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충돌하중에 대한 케이슨 구조안전성 검토

검토방법
대상 케이슨 및 소파블록 제원 : 접속부 케이슨, 10톤급 TTP
소파블록에 작용하는 동파압이 소파블록을 통해 케이슨에 충돌하중으로 작용하는 조건
파랑(설계파)에 의해 발생하는 동파압이 최대가 되는 위치의 파압시간이력을 소파블록에 작용하는 파압으로 선정

입력 파제원 및 허용응력 해석모델


구 분 파 제원
파 고 3.5m
주 기 13.2초
구 분 허용응력
인장응력 3.73MPa
압축응력 14.00MPa

동적파압 및 소파블록 충돌하중 산정


동적파압 산정 소파블록 충돌하중 산정
유속벡터 최대파압 시간이력 충돌하중 산정개요 충돌하중 시간이력

케이슨 구조안전성 검토
구 분 인장응력 압축응력

응 력
분 포 도

최대 인장응력 : 0.27MPa<3.73MPa O.K 최대 압축응력 : 2.33MPa<14.00MPa O.K

응 력
시간이력

설계적용 설계파에 의한 소파블록 충돌시 케이슨의 발생응력은 허용응력 이내 케이슨 구조안전성 확보

- 197 -
제 3 편 토목구조

3.11 FSSI(
FSSI(유체-구조물-지반
FSSI(유체
유체
유체-
-구조물
구조물-
-지반 상호작용)
상호작용) 내진해석
유체-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시간이력해석을 통해 구조물의 내진안전성 검토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내진편(KDS 64 17 00 : 2019)에 의거한 설계지반운동수준 검토 및
기본방향
입력지진파 작성
내진1등급 붕괴방지수준의 지진발생시 구조물에 발생하는 응력 및 변위 검토

해석절차
내진설계기준 검토 입력지진파 작성 지진응답해석 내진안전성 검토
설계 및 검토기준 검토 설계지반운동수준 결정 지반-구조물을 고려한 지진시 응력(압축,
해석대상 구간 선정 설계응답스펙트럼 작성 3차원 수치모델 작성 인장) 검토
내진등급, 지진구역, 입력지진파(장,단주기, 입력지진파에 대한 구조물 거동(변위) 검토
지반계수, 위험도계수, 인공, 경주, 포항, 익산, 지진응답해석(시간이력 필요시 보강방안 제안
최대지반가속도 선정 고베)7개 적용 해석)수행 내진안전성 평가

설계기준 및 검토기준
설계기준 검토기준
성능수준 내진등급 재현주기 최대지반가속도 콘크리트(fck) 압축응력 인장응력 변위
붕괴방지 1등급 1,000년 0.123g 35MPa 18.2MPa 4.85MPa 200mm
압축응력기준 : 허용응력 증가계수(1.3) × 0.4 × , 인장응력기준 : 허용응력 증가계수(1.3)×0.63 
절대변위 : 300mm「항만 및 어항설계기준(KDS 64 17 00)」

입력지진파

유체-지반-구조물 상호작용(FSSI)을 고려한 3차원 시간이력해석을 통한 구조물의 내진안전성 검토


해석모델은 구조물과 지반을 함께 모델링하였으며, 지진시 유체 동수압은 부가질량으로 적용하여 FSSI 해석모델을
구성, 또한 지진파의 소산 및 지반의 반무한성을 고려하기 위해 지반경계조건으로 무한요소 적용
구조물과 지반의 경계면과 구조물간 경계면에 Contact 조건을 설정하여 마찰면효과를 고려하였음
해석에 사용된 입력지진파는 계기지진인 Hachinohe(장주기)지진파 및 Ofunato(단주기)지진파, 생성된
인공지진파와 함께 국내 지진파인 경주, 포항, 새만금(익산) 및 Kobe지진파를 추가하여 적용하였음
암반상 유효수평지반가속도(설계 진도)는 행정구역에 의한 방법으로 산정한여야 하나, 국가지진 위험지도상의
값을 사용가능하며, 그 값이 행정구역에 의한 방법으로 결정된 값의 80% 보다 작지 않아야 함(0.123g 적용)
입력지진파는 시간이력해석시 3축방향(수평2축, 수직1축) 동시 재하로 지진하중조합을 고려 하였으며, 수직방향의
입력지진은 수평방향의 0.77배를 사용

응답스펙트럼 장주기파(Hachinohe) 단주기파(Ofunato) 인공지진파

경주지진파 포항지진파 익산지진파 고베지진파

- 198 -

제3장
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해석모델
전체모델 평면 전체모델 측면 Contact 경계조건 동수압 부가질량

해석결과
변위검토결과
변위분포도(고베지진파) 최대변위(고베지진파) 변위시간이력

압축응력 검토결과
장주기파 단주기파 고베지진파

인장응력 검토결과
장주기파 경주지진파 고베지진파

구 분 장주기 단주기 인공지진 경주지진 포항지진 익산 고베 허용기준 판정


압축응력(MPa) 7.48 5.80 4.25 4.69 4.10 3.68 7.77 18.2 O.K

인장응력(MPa) 4.39 3.73 3.36 3.79 3.03 3.58 4.27 4.85 O.K

변위(mm) 95.27 124.6 84.79 25.39 31.08 173.0 185.9 200 O.K

입력한 모든 지진파에 대하여 구조물에 발생하는 압축, 인장응력 및 변위가 허용기준 이내


설계적용
내진 1등급 붕괴방지수준의 지진에 대한 내진안전성 확보

- 199 -
제 3 편 토목구조

3.12 역량스펙트럼을 고려한 내진성능평가


지진력에 대한 구조물의 Push­Over해석을 수행 하중­변위 관계를 구하여 연성도 평가
기본방향
Capacity­Spectrum Method로부터 내진성능을 검토 지진시 구조적 안전성 평가

해석모델 및 개요
해석모델 콘크리트 응력­변형률 철근의 응력­변형률

소요스펙트럼 산정
설계기준 소요응답스펙트럼

지진구역 : I구역
가속도 계수 : A=0.11g
재현주기 : 1,000년(내진1등급)
위험도 계수 : 0.57(기능수행), 1.40(붕괴방지)
지반종류 : S5

고유치해석 결과
전면방향 1차모드 측면방향 1차모드 모드해석 결과
구 분 전면방향 측면방향
주기(sec) 0.707 0.437

진동수(rad/sec) 8.882 14.380

질량참여율(%) 58.624 44.442

연성도 및 내진성능평가
하중­변위 곡선 ADRS 곡선

구 분 항복변위(m) 극한변위(m) 변위연성도 소요응답수정계수 판정


전면방향 0.081 0.436 5.383 1.000 O.K
측면방향 0.058 0.264 4.552 1.000 O.K

설계적용 소요의 연성도 확보, 설계지진력 작용시 탄성거동 붕괴방지수준 이상의 내진성능 보유

- 200 -

제3장
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3.13 상치 구조물
3.13.1 상치설계
설계파고에 따른 상치 구조물 부재의 안전성 검토
기본방향
상치콘크리트의 형상과 거동 특성을 반영하여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검토

하중재하도 및 설계하중
제간부 작용하중 제두부 작용하중 설계하중
자 중 : 프로그램 자동 고려
적재하중 : 10 kN/㎡
연직파압 : 월류시 연직파압 적용
허용압축응력 : 0.4 fck
허용인장응력 : 0.63 fck

해석결과
제간부 제두부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법선직각방향 법선방향

부재검토
법선 직각 방향 법선 방향
구 분 작용응력 허용응력 작용응력 허용응력
판정 판정
(MPa) (MPa) (MPa) (MPa)
압축검토 0.25 14.00 O.K 0.17 14.00 O.K
제간부
인장검토 0.40 3.73 O.K 0.20 3.73 O.K
압축검토 1.00 14.00 O.K 0.80 14.00 O.K
제두부
인장검토 0.68 3.73 O.K 0.48 3.73 O.K

상치콘크리트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검토 결과 제간부, 제두부 상치콘크리트는


설계적용
법선직각방향과 법선방향에 대해 압축 및 인장 응력이 허용응력 이내로 부재 안전성을 확보

3.13.2 상치콘크리트 신축량 해석


상치콘크리트는 케이슨 구체의 외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매스콘크리트로서 건조수축에 의한 신축이
기본방향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신축량 검토를 수행하여 온도에 따른 거동 안정성 확보

경계조건 및 해석결과
신축이음 신축량 해석 신축이음 결정
건조수축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15.0℃를 하중재하
(KDS 24 12 20 : 2018 )
신축이음간격 11.50m 적용
신축량 2.74mm<12.00mm

설계적용 상치콘크리트 신축이음을 11.50m마다 설치하여 신축균열 억제

- 201 -
제 3 편 토목구조

3.13.3 부등건조수축해석
부등건조수축에 의한 수축균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분확산 특성 고려
기본방향
시공단계를 고려한 부등건조수축해석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균열에 대한 안전성 확보

해석조건
적용모델 및 허용기준 외기조건(상대습도) 해석모델 및 검토위치
적용 모델 : 콘크리트 구조기준
해석대상 : 제간부 상치콘크리트
외기조건 : 상대습도(군산기상대)
인장강도 :         
시멘트 종류 : 3성분계 혼합(5:3:2)

해석결과
수분확산 및 응력분포도
구 분 7단 타설시 타설후 100년 경과시 타설후 200년 경과시

수분확산
분 포 도

응 력
분 포 도

시간이력그래프
수분확산 시간이력 응력 시간이력

검토결과
구 분 1년 10년 50년 100년 150년 200년 판정
발생응력(MPa) 1.56 2.10 2.44 2.47 2.48 2.48 O.K

허용응력(MPa) 3.01 3.04 3.04 3.04 3.04 3.04 O.K

설계적용 발생응력은 사용기간내 허용응력을 모두 만족 장기균열에 대한 안전성 확보

- 202 -

제3장
3장 구조물 부재 및 재료 설계

3.14 연락도교 부재 설계
3.14.1 연락도교 힌지부 국부해석
기본방향 연락교 힌지부에 발생하는 최대 반력을 재하하여 힌지부의 구조적 안전성 검토

콘크리트 힌지부 강재
인장응력 분포도 압축응력 분포도 응력 분포도

발생 1.23MPa<허용 3.73MPa∴O.K 발생1.20MPa<허용14.00MPa∴O.K 발생70.92MPa<허용140.00MPa∴O.K

설계적용 연락도교 힌지부의 발생응력이 허용응력 이내로 구조적 안전성 확보

3.14.2 솟음 검토
일반적으로 고정하중(강재장중, 스틸그레이팅, 체크플레이트, 난간)을 재하시켰을 때 발생하는
기본방향
처짐만큼 미리 솟음을 두어 차후 조정하중이 실제로 재하되었을 때 처짐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

연락도교(mm) 검토 결과

3.14.3 처짐 검토
충격하중을 포함한 활하중에 의한 강교의 주거더 및 가로보의 처짐검토
기본방향
기타형식의 교량으로 분류하여 허용처짐량 산정

처짐(한계상태설계법) 처짐(허용응력설계법)

최대변위(mm)
구 분 허용변위(mm) 판정
X Y Z
한계상태설계법 35.71 -7.53 -42.81 L / 1000 = 46.00 O.K

허용응력설계법 6.73 -4.35 -30.62 L / 600 = 76.67 O.K

설계적용 기타 형식의 강교의 주거더 및 가로보의 처짐 검토 결과 허용범위 이내로 부재의 외적 안정성 확보

- 203 -
제 3 편 토목구조

3.14.4 용접부 검토
기본방향 부재의 연결은 용접이음으로 제작되므로 주부재의 용접부를 검토

부재 형상 및 용접 상태 목두께 용접치수
용접부 용접종류 합성응력 허용응력비 판정
(mm) (mm)

필렛 8.49 12.00 0.64 1.00 OK

전단면 그루브 12.00 12.00 0.13 1.20 OK

3.15 받침 검토
기본방향 교량의 최대반력 이상의 용량을 갖는 교량 받침을 결정

받침위치 힌지부 받침 롤러 받침

검토결과
지점 반력(kN) 적용 받침(kN)
받침위치 판정
연 직 교 축 교 직 연 직 교 축 교 직
교 대 부 499 561 208 1750 700 700 O.K
함 선 부 499 - 98 1750 700 700 O.K

3.16 근고블록 안전성 검토


기본방향 근고블록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부재에 대한 안전성 검토

부재형상 및 부재력도
부재형상 주응력(P3) 최대 주응력(Pmax)

응력 검토
인장응력(MPa) 압축응력(MPa)
구 분 판정
최대응력 허용응력 최대응력 허용응력
근고블록 0.23 0.71 0.11 12.00 OK

설계적용 근고블록 해석결과 발생응력이 허용응력 이내로 단면안전성을 확보함

- 204 -

제4장
4장 가설 구조물 설계

제 4 장 가설 구조물 설계
4.1 상치콘크리트 가시설
기본방향 상치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전도 및 작업공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시설 설계

설계조건
재료특성 하중산정
항복강도(fy) : 240 MPa 자중 :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고려
허용 휨 응력(fb) : 140 MPa 상치콘크리트 타설하중(WC) : 56.67 kN/m2
허용처짐 : L/600mm 작업하중(WL) : 5.00 kN/m2

가시설 제원 및 단면력도
하중재하도 부재검토 처짐검토

부재검토
부재검토 처짐검토
구 분 부재제원 판정
작용응력(Mpa) 허용응력(Mpa) 작용응력(mm) 허용응력(mm)
종 축 H-200×200×8×12 64.74 133.81 4.61 5.00 (L/600) O.K

횡 축 H-200×200×8×12 50.96 133.81 2.29 5.00 (L/600) O.K

설계적용 부재 해석결과 작용응력 및 발생처짐량이 허용치 이내로 부재 안전성 확보

4.2 연락도교 인양용 Lug


연락도교 인양시 4개 지점을 들음지점으로 가정하고 인양용 Lug에 대한 전반적인 응력검토 및 인양시
기본방향
발생되는 각 교량 부재 응력비를 검토

하중재하도 부재검토 처짐검토

강종 HSB500
지압 응력(MPa)
발생 188.45 < 허용 230.00 ∴O.K
전단 응력(MPa)
발생 58.92 < 허용 135.00 ∴O.K

설계적용 부재 해석결과 지압응력 및 전단응력이 허용치 이내로 부재 안전성 확보

- 205 -
제 3 편 토목구조

4.3 차수판
케이슨의 부유시, 거치시 전・후면벽 슬릿부, 격벽 및 해수소통구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
기본방향
차수판에 작용하는 하중은 부유시 수압을 적용하여 부재의 응력을 검토

설계조건
설계조건 설계 단면
강 종 SM490 SM400
항 복 강 도 320MPa 240MPa
허용휨인장응력 185MPa 140MPa
허용전단응력 105MPa 80MPa
가시설할증 1.25
노후화계수 0.9

차수판 제원 및 단면력도
전면벽 차수판
강 판 강 재
휨응력 전단응력 휨응력 전단응력

후면벽 차수판
강 판 강 재
휨응력 전단응력 휨응력 전단응력

부재검토
휨응력(MPa) 전단응력(MPa)
구 분 사용강종 제 원
발생응력 허용응력 검토 발생응력 허용응력 판정

강판 SM400 T=10mm 55.91 157.50 O.K 27.95 90.00 O.K


전면벽
차수판 ㄷ-200×80×7.5×11
강재 SM490 4.00 208.13 O.K 0.08 118.13 O.K
ㄷ-150×75×6.5×10
상부T=10mm
강판 SM400 103.30 157.50 O.K 51.65 90.00 O.K
후면벽 하부T=20mm
차수판 ㄷ-200×80×7.5×11
강재 SM490 9.75 208.13 O.K 0.08 118.13 O.K
ㄷ-150×75×6.5×10

설계적용 부유시 차수판을 유한요소 해석결과 허용응력 이내로 부재 안전성을 확보

- 206 -

제4장
4장 가설 구조물 설계

4.4 케이슨 예인고리 설치부 응력검토


기본방향 예인시 케이슨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예인고리 설치부의 안전성 검토

하중재하 및 단면력도
하중재하도 해석결과 설계전단내력
설계전단내력 (Vcd)
    ∙ 
여기서,
fcvd=   
      인경우
     인경우
         

           

검토결과
구 분 인장력 최대응력 허용응력 판정 예인고리
인장력 검토 65.46kN 1.79MPa 3.75MPa O.K 예인속도 : 3.00 knots
한계파고 : 1.5m
구 분 보강철근량 작용하중 설계전단내력 판정 예인고리 : 강봉 ∅50mm
인장력 65.46kN<파단력 120.00kN ∴O.K
전단력 검토 불필요 235.62kN 739.89kN O.K 예인시 예인고리의 안전성 확보

4.5 근고블록 들고리 검토


기본방향 거치시 근고블록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근고블록 들고리 검토

근고블록 들고리 상세 검토 결과
근고블록 규격
B(1.5m)×L(4.1m)×H(1.5m)
근고블록 규격 : 중량 163.60kN
들고리 개수 : 4개소
들고리 1개소 연직하중P 109.7kN
<Wire Rope 절단하중Pa 164.0kN
매입길이 L=45.00cm ∴O.K

4.6 T.T.P 소파블록 인양시 검토


설계개요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통한 인양시 T.T.P 소파블록의 안전성 검토

T.T.P 소파블록 인양시 들고리 상세 검토 결과


콘크리트 강도 : fck 30MPa
허용휨압축응력 : 0.4 ・ fck=12MPa
허용휨인장응력:0.13
・ fck =0.71MPa
휨압축응력
발생 0.36MPa<허용 12MPa∴O.K
휨인장응력
발생 0.14MPa<허용 0.71MPa∴O.K

- 207 -
제 3 편 토목구조

4.7 조금구 검토
MIDAS CIVIL을 이용하여 케이슨 인양시를 모델링하여 조금구 부재에 대한 응력검토 수행
기본방향
조금구의 부재는 들고리의 위치를 고려하여 배치,

설계조건
규격 : 25.30m × 12.30m
작용하중 : 조금구의 ROPE GUIDE와 인양 크레인의 HOOK위치를 고려하여 산정
설계방법 : 허용응력 설계법

조금구 배치 평면도 및 해석결과


평면도 해석결과

제원 최대작용응력(MPa) 허용응력(MPa) 응력비 판정


H-482×300×11×15 109.81 140 0.78 O.K
L-150×150×15 46.26 140 0.33 O.K

설계적용 유한요소해석 수행결과, 케이슨 인양시 최대응력비는 0.78로 안전함

4.8 케이슨 인양시 들고리 검토


기본방향 케이슨 인양시와 운송시를 고려한 들고리의 적정 개수 및 규격 산정

평면도 및 상세도
평면도 상세도

사용규격 및 매입길이 산정
구 분 케이슨 자중 부가중량 불균등계수 들고리 규격 들고리 수
E200L,
검토조건 2,1564.72kN 1,078.30kN 1.8 50EA
D=4.75 cm
P = 845.3 kN/EA < Pa = 1,870 kN ∴ O.K
검토결과
L = 6,620mm ∴ 6.62 m (돌출길이 0.3 m , 고무완충재 길이 0.3 m 포함)

- 208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제1장 설계개요
제2장 설계기준의 적정성
제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제4장 내진 안정성 검토
제5장 계측계획의 적정성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제
제1장
1장 설계개요

제 1 장 설계개요
1.1 기본방향
최신 설계기준 및 입찰안내서 요구사항 등을 반영한 기초처리계획 수립
기본방향
구조안정검토, 수치해석 및 각종 특화시험을 통한 신뢰도 높은 기초처리계획 수립

구 분 입찰안내서 분석 설계 반영사항
지반조사 등 추가조사를 필요로 하는 현지조사는 공동조사 10공, S-PS검층 내진특성 파악시험
지 반 조 사 공동으로 수행 및 진동대, 원심모형실험 등 특화개별시험 수행

설계기준의 설계기준은 최신기준 비교・검토한 후 기초의 입찰안내서 및 최신 설계기준 비교검토를 통하여
적 정 성 수평변위, 침하량에 대하여 적합한 근거 또는 내진등급 및 기능성 확보를 위한 수평변위 등
기준을 제시 강화된 설계기준 적용
시설물이 침하, 액상화 등으로 인하여 피해가 기초지반처리 전・후의 간편/상세 평가 및 액상화
발생되지 않도록 적정한 기초처리공법 적용 발생지수(LPI)를 통한 전구간 평가 수행
지반개량공법 적용시 준설토가 발생하지 않는 기초처리공법 적용에 따른 과업구간 미 준설계획
기초지반처리 공법 제안 및 준설토를 유용토록 계획 적용 및 DCM 부상토 유용계획수립
적 정 성
장래 부지이용계획을 고려하고, 후속 개발사업에 장래진입로 및 시설하중을 반영한 강화된 하중
지장이 발생되지 않는 기초처리계획 수립 조건 반영으로 호안안정성 증대와 부지이용성 확보
기존시설물과의 접속부 처리계획을 수립 3구간 접속부 추가보강을 통한 안정성 확보
새만금 지역의 지진발생 사례, 구조물 형식 등을 새만금 지역 지진발생 현황, 인접 구조물
내진 안정성
고려하여 설계기준 이상의 적정 설계등급 적용 설계기준 분석을 통한 강화된 설계기준 적용

1.2 설계 중점고려사항
DCM 지지층 심도 확대 적용 강화된 설계기준을 반영한 내진설계
연약층 완전개량으로 장래 안정성 향상 내진등급 상향(Ⅱ등급→Ⅰ등급) 및 액상화 평가

하중상향 및 개량심도 연장 호안 안정성 증대 상향된 내진기준 적용 지진시 방파호안 안정성 확보

기초처리공법의 적정성 및 신뢰성 확보 DCM 부상토 유용 및 품질확보 계획 수립


각종 특화실험 및 신뢰성 해석 수행 구조물 형식에 따른 부상토 유용 및 계측계획

강화기준 적용시 실험 및 해석 기초처리 적정성 검증 부상토 유용 및 계측계획 수립 장기 안정성 확보

- 209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1.3 설계지반정수
기본방향 현장 및 실내시험 성과를 우선으로 확률론적 통계분석을 통하여 신뢰성 높은 설계지반정수 산정

1.3.1 설계지반정수 산정 방법

단계별
설계지반정수
산정

1.3.2 적용 설계지반정수
연약지반 설계지반정수
단위중량 초기간극비 비배수전단강도 강도증가율 변형계수
구 분
(γt, kN/m3) (e0) (Su, KPa) (m) (Em, MPa)
점 토 18.5 1.000 2.15D+17.6 0.210 4.0
실 트 18.5 0.870 30.0 0.200 6.0
수정 압축지수 재압축지수 압밀계수 투수계수 포아송비
구 분
(CC) (Cr) (Cv, cm2/sec) (kv, cm/sec) (ν)
점 토 0.420 0.050 6.1×10-3 2.2×10-7 0.40
실 트 0.270 0.018 8.0×10-3 3.0×10-7 0.40

토사 및 풍화암,
풍화암, 기반암 설계지반정수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투수계수
구 분
(γt, kN/m3) (c, kPa) (゚) (MPa) (ν) (cm/sec)
N≤6 18.5 40.0 0 4.0 0.40
점토 2.2×10-7
N>6 18.5 50.0 0 8.0 0.38
N≤6 18.5 30.0 0 6.0 0.40
퇴적층 실트 3.0×10-7
N>6 18.5 40.0 0 10.0 0.38
N≤10 18.5 0 29 15.0 0.35 1.5×10-3
모래
N>10 19.0 0 30 25.0 0.34 2.5×10-3
풍화토 19.5 25.0 31 100.0 0.32 4.0×10-4
풍화대
풍화암 20.5 30.0 33 200.0 0.30 8.0×10-5
기반암(연암) 23.0 160 34 500 0.26 3.0×10-5

동적특성 설계지반정수
전단파속도(m/sec) 밀도 동적계수(MPa) 동포아송비
구 분
VP Vs (kN/m3) Gd Ed Kd (νd)
N≤6 1,420 170 18.5 55 163 3,734 0.493
점토
N>6 1,670 265 18.5 133 394 5,088 0.487
N≤6 1,385 165 18.5 51 153 3,553 0.493
퇴적층 실트
N>6 1,600 210 18.5 83 248 4,722 0.491
N≤10 1,570 210 18.5 83 248 4,542 0.491
모래
N>10 1,680 280 19.0 152 452 5,269 0.486
풍화토 1,800 355 19.5 251 742 6,113 0.480
풍화대
풍화암 1,955 500 20.5 523 1,532 7,298 0.465
기반암(연암) 2,090 870 23.0 1,776 4,957 7,883 0.395

- 210 -

제1장
1장 설계개요

1.4 준설모래 특성 및 오염도 분석


지층현황 분석
지층현황 파악

해양환경 오염도 기준[수저준설토


기준
기준[[수저준설토 유효활용기준
유효활용기준(제2018-175,
유효활용기준((제2018-175,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
)] 및 시험결과
시험결과
구 분 기준(mg/kg) 판정
C-1 C-2 TBH-1 TBH-3 TBH-10
크롬 또는 그 화합물 80 54.8~71.2 55.7~75.0 19.1~75.5 불검출 불검출 만족
아연 또는 그 화합물 180 43.4~59.3 52.6~79.0 20.9~82.2 33.0 31.9 만족
구리 또는 그 화합물 60 5.3~9.5 6.9~15.1 3.1~15.6 1.1 불검출 만족
카드뮴 또는 그 화합물 1.5 0.01~0.17 0.12~0.2 0.04~0.20 불검출 불검출 만족
납 또는 그 화합물 45 17.3~22.1 18.2~23.3 16.5~24.4 5.8 5.4 만족
니켈 또는 그 화합물 35 14.7~20.8 18.3~26.3 6.9~27.0 9.6 8.9 만족
총 폴리염화비페닐 0.023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 - 만족
총 다환방향족탄화수고 2.64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 - 만족
수은 또는 그 화합물 0.25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 - 만족
비소 또는 그 화합물 18 5.3~10.1 5.4~9.8 3.1~9.9 3.1 3.1 만족
총 질 소 1,500 5.3~11.1 10.4~25.8 2.6~29.6 - - 만족
총 인 500 3.1~5.0 4.2~8.2 0.8~9.7 - - 만족

품질시험 적정성 평가

설계적용 상부 모래층 두께 약 3.0m 분포, 오염도 시험결과 기준치 만족 준설재료로 사용 가능

- 211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제 2 장 설계기준의 적정성
2.1 설계개요
기본방향
최신 설계기준 분석 활동 및 지지력
최신 정부제정 각종 시방서 기준 적용 기초조사, 인접지역 및 유사현장 기준 분석
국내・외 관련기준 및 적용사례 분석 최신설계 다층지반을 고려한 지지력 검토방법 적용
기준 적용으로
호안별 특성을 고려한 설계기준 설정 안정성 증대 내진등급 상향적용(내진Ⅱ등급 → Ⅰ등급)
상부 구조물 형식별 잔류침하기준 적용 내구성 및 환경영향관리 기준 제시
침하 및 변위 기준 내진 및 내구성 기준

설계기준 강화
구 분 기본조사 기본설계 비 고
내 진 등 급 Ⅱ등급 Ⅰ등급
개정된 기준 및 내진안정성
기 반 암 가 속 도 0.088g 0.123g
강화
지표면최대가속도 Amax = 0.130g Amax = 0.192g

연파제어형 요철 케이슨 : N≥20


기 초 착 저 층 N ≥ 10 지지력 및 침하 안정성 향상
소파블록 피복 경사제 : N≥15

장래 진입도로 및 시설하중을
장래부지하중조건 10.0kPa 15.0kPa
고려한 하중조건 상향

설계반영 주요사항
구 분 항목 관련기준 설계반영
축조완료 및 장래부지매립 구분하여 설계기준
일괄입찰 안내서 반영
원호활동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2017) 시공시, 상시(파압시), 지진시로 구분하여 검토
활동 및 지지력
지지력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해설(2018) 편심경사하중, 하중분산법, 다층지반을 고려한
각종 설계기준 및 적용 사례 지지력 검토
각종 경험식을 이용한 안정성 평가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2017)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해설서 등 준용


침하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해설(2018) 이론식 및 각종 경험식을 고려한 기준 선정
침하 및 변위
구조물 안정성이 확보되는 허용변위 선정
변위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2017)
안정성 및 기능성을 고려한 기준 선정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내진편 최근 지진발생 빈도 및 규모 고려


KDS 64 17 00 : 2019 적용사례를 고려한 기준 선정
내진 내진설계일반 내진등급 상향 적용으로 안정성 증대
내진 및 내구성 KDS 17 10 00 : 2018 최신 설계기준 반영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해설(2018) 내진안정성 극대화로 기능성 확보

재료의 장기적 안정성 분석


내구성 항만 및 어항공사 시공기준(2018)
DCM 내구성 검증

설계적용 최신 설계기준 분석 및 사업구간 지층과 상부 구조물 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설계기준 적용

- 212 -

제2장
2장 설계기준의 적정성

2.2 안정성 검토 기준
2.2.1 활동 및 지지력 안전율
활동 안전율
구 분 평상시 파압시 지진시 시공시
활 동 1.2 1.2 1.1 1.1

전 도 1.2 1.2 1.1 1.1

원 호 활 동 1.3 1.3 1.0(경사제)/1.1(케이슨) 1.2


주 : 입찰안내서 p245~246,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설 KDS 64 11 00 p.50~66

지지력 검토
구 분 평상시 파압시 지진시 비 고
편 심 경 사 하 중 1.2 1.0 1.0 Bishop법

하 중 분 산 법 2.5 2.5 2.0

다 층 지 반 1.5 - -

기 초 사 석 500kN/m2 500kN/m2 600kN/m2


주 : 입찰안내서 p245~246,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설 KDS 64 11 00 p.50~66

DCM 기준 안전율
구 분 평상시 파압시 지진시 비 고
허 용 응 력 3.0 3.0 2.0

압 출 1.2 1.2 1.0

단 지 압 3.0 3.0 2.0


주 : 입찰안내서 p245~246

설계적용 새만금 지역의 조위차 및 지반특성 등을 고려하여, 하중조건 및 단계별 안전율 적용

2.2.2 침하 및 변위 기준
연직침하검토
구 분 허용기준 적 용 비 고
10cm 연파제어형 요철 케이슨 및 장래매립부지
허용잔류침하
연직침하 30cm 소파블록 피복 경사제 입찰안내서(p.246)준용

허용각변위 1/300 내하벽 균열발생 한계(Bjerrum, 1963)

수평변위검토
구 분 허용기준 비 고
평상시 10cm 항만시설 유지관리 지침 : 20cm 기능수행 확보 : 10cm상향
수평변위
지진시 20cm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 30cm 지진시 안정성 확보 : 10cm상향

설계적용 방파호안의 과도한 침하 및 변위 발생시 호안의 기능성 저하를 고려하여 설계기준 상향

- 213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2.3 안정성 검토 조건
2.3.1 하중조건
구 분 평상시(kN/m2) 지진시(kN/m2) 비 고

북측방파 제 간 부 10.0 5.0


호 안 제두부 50.0 25.0 등대 및 조형물 하중 고려
장 래 매 립 부 지 15.0 7.5 매립부지 진입도로 및 시설하중 고려
관 리 부 두 5.0 2.5
주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0 10(해양수산부, 2019) p.280, 입찰안내서 : p.243

설계적용 장기안정성 및 장래매립부지 이용성을 고려하여 상재하중 10kN/m2 15kN/m2 상향 적용

2.3.2 수위조건 및 침투안정성


수위조건
구 분 내 측 외 측 비 고
시 공 시 M.S.L : DL.(+)3.623m M.S.L : DL.(+)3.623m
장래부지매립시 시공수위 : DL.(+)8.000m A.L.L.W DL.(+)0.000m 2구간 장래매립부지 시공중

평 상 시 잔류수위 : DL.(+)3.623m A.L.L.W DL.(+)0.000m 2구간 장래매립부지 완공후


지 진 시 A.L.L.W DL.(+)0.000m A.L.L.W DL.(+)0.000m 1구간(케이슨구간)

침투안정성
구 분 한계유속(Schmieder 방법) 한계동수경사 비 고
적 용 Fs = Vc / Vcr > 1.0 Fs = icr / iexit > 2.0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설

설계적용 새만금지역의 고위차 특수성 및 장래부지매립을 고려하여, 단계별 수위조건 적용

2.3.3 재료의 단위중량 및 강도정수


단위중량(kN/m3) 점착력 내부마찰각
구 분 비 고
수 상 수 중 (kN/m2) (゚)
해 수 10.1 - -
석 재 26.0 16.0 0 - 피복석
철 근 24.0 14.0 0 -
콘크리트
무 근 22.6 12.6 0 - 상치콘크리트
제 체 18.0 10.0 0 40
사 석 18.0 10.0 0 40
기 초
18.0 10.0 20.0 35 편심경사하중
모 래 18.5 8.7 0 30
준 설 매 립 토 17.5 7.5 7.0 22
주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KDS 64 10 10(해양수산부, 2019) : p.281, 입찰안내서 : p.244

설계적용 입찰안내서, 적용사례, 각종 문헌, 품질시험 등 종합분석 합리적인 단위중량 및 강도정수 결정

- 214 -

제2장
2장 설계기준의 적정성

2.4 내진설계 기준
2.4.1 내진등급 및 성능기준
지진발생 사례 및 설계적용 지진파
최근 국내 지진발생 현황 강진 발생 현황(해외) 지진 피해 사례

연평균 70회 지진 발생 일본 규모 9.0 지진발생 강진에 대비하여 내진등급 상향

지반운동수준
지진가속도
구 분 내진등급상향 성능수준 재현주기
지반운동수준 적 용
행정구역방법 500년 0.11g×1.4=0.154g 0.123g
Ⅱ등급 Ⅰ등급 붕괴방지
지진재해도방법 1,000년 0.110g (행정구역방법의 80%)

지반응답해석을 통한 지진계수 산정
지반응답해석
구 분 기반암가속도
지표면 최대가속도 수평지진계수
내 진 Ⅰ 등 급 0.123g 0.192g Kh = 0.192g/2 = 0.096g

본사업의 목적, 상부구조물 형식 및 최근 지진발생 현황 등을 고려하여 내진등급 1등급 상향 적용


설계적용 최신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내진편(2019)의 판내부(intra-plate)에서 발생된 실지진파 적용기준
국내 최대(경주, 포항), 새만금 지역(익산), 판경계(Hachinohe, ofunato, Kobe), 인공지진파 적용

2.4.2 액상화 평가기준


액상화 평가 지반액상화지수(LPI)법
구 분 구 분
간이평가 상세평가 과잉간극수압비 LPI=0 0<LPI≤5 5<LPI≤15 15<LPI
안전율 Fs≥1.0 Fs≥1.0 1.0 이하 위험도 없음 낮음 있음 높음
주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내진편 KDS 64 17 00 : 2019

설계적용 간이평가 Fs<1.0일 경우 LPI평가를 수행, LPI>5.0일 때 상세평가로 액상화 평가

2.5 소음 및 진동 관리기준
구 분 주 간 아침/저녁 야간(심야) 적용근거
소음(dB(A)) 65 이하 60 이하 50 이하 소음・진동 관리법 시행규칙(2018. 1.17)
진동(dB(V)) 65 이하 65 이하 60 이하 제21조 2항[별표 8]

설계적용 최신 소음 및 진동 관리기준을 적용한 공법 선정 및 시공계획 수립

- 215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2.6 내구성 기준
2.6.1 DCM 개량체 내구성
구조물기초 내구성 기준
구 분 내구등급 내구수명 비 고
상부 방파호안 구조물과 동일한 내구등급 적용
호 안 1등급 100년
염해침투성을 고려한 DCM 기초지반과 사용재료의 내구성 검증

DCM 실내배합강도 및 내구성 평가(Gamble,


평가(Gamble, 1971)
구 분 매우높은 높 은 중간~높은 중 간 낮 은 매우 낮은
내구성 Id1 > 99 98 ~ 99 95 ~ 98 85 ~ 95 60~85 < 60
( % ) Id2 > 98 95 ~ 98 85 ~ 95 60 ~ 85 30 ~ 60 < 30

DCM 배합강도실험 1등급 내구성 평가 DCM 내해수성 시험

시멘트230kg/m3 적용시 설계강도만족 침식 고려시 설계강도 만족 해수침수시 설계강도 만족

내해수성시험결과 해수노출에 의한 강도저하는 3.0%미만 설계기준강도 영향 미미


설계적용
100년 후 재령강도는 28일 기준강도 대비 3배 증가

2.6.2 사석재 유용성 품질기준 및 품질시험


사석재 품질기준
비 중 흡수율 압축강도(MPa)
구 분
피복석 내부사석 피복석 내부사석 피복석 내부사석
화강암류 2.6 이상 2.5 이상 5% 미만 5% 미만 100 이상 50 이상
안산암류 2.4 이상 2.3 이상 5% 미만 5% 미만 100 이상 50 이상
현무암류 2.6 이상 2.5 이상 5% 미만 5% 미만 100 이상 50 이상
사 암 류 2.5 이상 2.4 이상 5% 미만 5% 미만 100 이상 50 이상
주 : 항만 및 어항 공사 전문시방서 : 2016

사석재 품질 및 내구성 평가
사석재료의 적합성 평가 대형삼축실험 내구성 평가

선정 후보지 골재 사용 가능 사석강도 : 풍화를 고려 40゚ 고려 풍화후 중간~높음 내구성을 보임

설계적용 재료원 품질의 적합성 평가결과 강도 및 강도정수, 내구성 평가 모두 만족

- 216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제 3 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1 설계개요
기본방향
기초지반 처리공법의 필요성 기초처리공법 선정의 적정성
활동, 지지력, 침하, 액상화 만족여부 평가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을 고려한 처리공법 선정
기초처리구간 분할 4개 구간, 10개 단면 시공품질 전구간 DCM공법 적용 확실한 안정성 확보

배합시험을 통한 시멘트량, 강도, 개량율 결정 안정성 확보 강화된 내진등급 및 다층지반을 고려
기초지반 개량심도 증대(N≥15, 20) 실내모형실험, 신뢰성 해석을 통한 안정성 검증
지반 안정성 분석 및 범위 결정 안정성, 환경성, 시공성, 경제성

기본설계 개선사항 및 중점검토사항


구 분 기본조사 개선사항
연약지반 푼포 현황 파악 미흡 추가현장조사를 통한 지층현황 재분석
기초개량심도
지층 미확인 구간 지지력 확보 곤란 연약층 완전 개량 및 착저층 지지력 확보
설계기준강도 결정시 인근과업 사례를 참고하여 실내배합시험 수행
실내배합시험
적용 개량체 설계기준강도 산정 및 개량공법 신뢰성 향상
부상토 전량 제거 및 반출 구조물 특성을 고려한 부상토 유용
부상토처리 제거시 개량체 두부 손상 우려 모래포설 : 부상토 확산 최소화
부상토 추가교반 : 기초사석 일부 대용
장래 매립부지의 하중조건 10kN/m2 적용 장래 매립부지의 하중조건 10kN/m2 적용
장래부지하중
진입도로 및 시설계획 미반영 진입도로 계획 반영 15kN/m2 적용
3구간 접속부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보강계획 3구간 접속부 보강계획 수립
접속부안정성 누락 기시공 부상토 제거시 개량체 두부손상 방지
활동안정성 확보를 위한 기시공 외측 추가보강

설계적용 최신 설계기준서 분석 및 과업구간 특성을 고려한 설계기준 적용

- 217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2 기초처리 필요성 검토


3.2.1 구간별 지반특성 및 검토단면 선정
상부 구조형식, 지층분포특성 및 하중조건 등을 고려하여 검토구간 선정
기본방향
케이슨혼성제 및 사석경사제 구간으로 대분류, 연약층 분포특성에 따라 소분류로 구분

구간별 기초지반 특성파악

검토단면 선정
지층분포(m)
구 분 대표시추공 검토구간 특성
모 래 실 트 점 토
NBH-18 - 7.5 17.0 제두부
1 케이슨
TBH-1 - 4.0 19.6 1구간 점토층 최대(간이접안시설)
구간 혼성제
BH-2 7.5 8.8 14.0 1구간 모래층 최대(제간부)
TBH-3 2.5 9.3 12.8 케이슨-경사제 접속부
TTP
피복 TBH-4 3.5 8.5 12.5 수심변화구간
경사제
TBH-5 2.5 11.5 14.5 점토층 두께 최대
2
BH-3 11.5 - 7.0 모래층 두께 최대
구간
사석식 TBH-6 5.0 - 19.5 점토층 두께 최대
경사제 TBH-8 2.5 3.5 14.0 돌출광장
NBH-20 8.0 - 14.0 3구간 접속부

상부구조물 및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대표단면에 대한 기초지반처리 적용성 검토


설계적용
무처리시 기초지반 안정성 검토 수행으로 기초지반처리 필요구간 선정

- 218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구간별 검토단면
1구간-단면 1구간-단면

1구간-단면 1-2구간접속부-단면 2구간-단면

2구간-단면 2구간-단면 2구간-단면

2구간-단면 2구간-단면

- 219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2.2 무처리시 원호활동 검토


기본방향 Bishop 간편법을 통한 시공 단계별 안정성 검토를 통한 기초지반안정성 검토

1구간
1구간 -
시공시 파압시 지진시

Fs = 0.883 < 1.2 ∴N.G Fs = 0.780 < 1.3 ∴N.G Fs = 0.619 < 1.1 ∴N.G

2구간
2구간 -
축조완료시 재하성토시 지진시

Fs = 0.801 < 1.3 ∴N.G Fs = 0.661 < 1.3 ∴N.G Fs = 0.491 < 1.0 ∴N.G

2구간
2구간 -
축조완료시 재하성토시 지진시

Fs = 1.248 < 1.3 ∴N.G Fs = 0.901 < 1.3 ∴N.G Fs = 0.683 < 1.0 ∴N.G

시공시/축조완료시 파압시/재하성토시 지진시


구 분
안전율 기 준 판 정 안전율 기 준 판 정 안전율 기 준 판 정
0.690 1.2 N.G 0.538 1.3 N.G 0.419 1.1 N.G
1
케이슨 0.883 1.2 N.G 0.780 1.3 N.G 0.619 1.1 N.G
구간
1.236 1.2 O.K 1.072 1.3 N.G 0.808 1.1 N.G
0.801 1.3 N.G 0.661 1.3 N.G 0.491 1.0 N.G
2 0.775 1.3 N.G 0.646 1.3 N.G 0.476 1.0 N.G
경사제
구간 1.248 1.3 N.G 0.901 1.3 N.G 0.683 1.0 N.G
0.902 1.3 N.G 0.732 1.3 N.G 0.581 1.0 N.G

설계적용 무처리시 원호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결과 전구간에서 불안정 기초처리공법 필요

- 220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2.3 무처리시 지지력 검토


기본방향 상부 구조물 반력 분포조건을 고려한 편심경사하중 및 하중분산법에 의한 기초지반안정성 검토

1구간
1구간 -
파봉시 파곡시 지진시

Fs = 0.738 < 1.0 ∴N.G Fs = 0.702 < 1.0 ∴N.G Fs = 0.592 < 1.0 ∴N.G

1구간
1구간 -
파봉시 파곡시 지진시

Fs = 0.687 < 1.0 ∴N.G Fs = 1.253 > 1.0 ∴O.K Fs = 1.149 > 1.0 ∴O.K

파봉시 파곡시 지진시


구 분
안전율 기 준 판 정 안전율 기 준 판 정 안전율 기 준 판 정
0.738 1.0 N.G 0.702 1.0 N.G 0.592 1.0 N.G
1
케이슨 0.755 1.0 N.G 0.944 1.0 N.G 0.867 1.0 N.G
구간
0.687 1.0 N.G 1.253 1.0 O.K 1.149 1.0 O.K

케이슨구간 원지반 지지력


하중분산법에 의한 지지력
구 분 평상시(kN/m2) 지진시(kN/m2)
판 정
시공시 파봉시 파곡시 허 용 지진시 허 용
150.42 218.79 246.47 61.68 232.70 77.10 N.G
1
188.26 299.33 240.18 137.08 217.67 238.34 N.G
구간
188.26 299.33 240.18 137.08 217.67 238.34 N.G

경사제구간 원지반 지지력


하중분산법에 의한 지지력
구 분 평상시(kN/m2) 지진시(kN/m2)
판 정
축조완료 평상시 허 용 지진시 허 용
194.42 245.65 105.74 238.15 120.02 N.G
2 194.42 245.65 105.74 238.15 120.02 N.G
구간 211.29 262.09 105.74 254.59 120.02 N.G
211.29 262.09 105.74 254.59 120.02 N.G

설계적용 무처리시 케이슨혼성제 및 사석경사제 지지력 검토결과 전구간 불안정 기초처리공법 필요

- 221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2.4 무처리시 침하안정성 검토


기본방향 점성토층 Terzaghi 1차원 압밀침하량 및 모래지반 즉시침하량 산정

1구간
1구간

잔류침하 123.8cm > 허용 10cm ∴N.G 잔류침하 117.1cm > 허용 10cm ∴N.G

2구간
2구간

잔류침하 133.8cm > 허용30cm ∴N.G 잔류침하 170.4cm > 허용 30cm ∴N.G

잔류침하 14.9cm < 허용 30cm ∴O.K 잔류침하 133.4cm > 허용 30cm ∴N.G

침하량(cm) 시공중 잔 류 허용잔류


구 분 판 정
즉시침하 압밀침하 총침하량 침하량(cm) 침하량(cm) 침하량(cm)
3.2 205.5 208.7 84.9 123.8 10 N.G
1
케이슨 2.1 176.2 178.3 61.2 117.1 10 N.G
구간
15.5 95.9 111.4 91.3 20.1 10 N.G
3.1 186.8 189.9 56.1 133.8 30 N.G
2 1.4 200.8 222.2 51.8 170.4 30 N.G
경사제
구간 18.0 81.8 99.8 84.9 14.9 30 O.K
5.5 186.4 191.9 58.5 133.4 30 N.G

설계적용 과업구간 내 동측 및 서측호안 잔류침하기준 10cm, 분리호안 30cm 이상 발생 기초처리공법 필요함

- 222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2.5 무처리시 액상화 안정성 검토


기본방향 과업구간 액상화 대상층에 대한여 액상화 간이평가, 상세평가, LPI분석 수행

액상화 간이평가 상세평가

액상화 간이평가 결과 6개의 단면에서 LPI지수 5이하 4개의 단면에서 LPI지수 5이하

설계적용 액상화 간이평가 및 상세평가 결과를 통한 LPI분석 결과 2구간 4개의 단면 액상화 대책공법 필요함

3.2.6 기초지반처리 필요구간 결정

구 분 대표시추공 원호활동 지지력 침하 액상화 판정


NBH-18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 기초처리필요
1
케이슨 TBH-1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안정 기초처리필요
구간
BH-2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기초처리필요
TBH-3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안정 기초처리필요
TBH-4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안정 기초처리필요
TBH-5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안정 기초처리필요
2
경사제 BH-3 불안정 불안정 안정 불안정 기초처리필요
구간
TBH-6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안정 기초처리필요
TBH-8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기초처리필요
NBH-20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 기초처리필요

설계적용 방파호안 전구간 원호활동, 지지력, 침하 및 액상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처리공법 필요

- 223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3 기초지반 처리공법 선정


기본방향 국내 기초처리공법 적용사례 분석 및 본과업의 특성 분석 적정 기초처리공법 선정

기초처리공법 선정기준 설정 기초처리공법 예비검토 기초처리공법 선정


입찰안내서 요구사항 반영 기초처리공법 사례 분석 각 예비공법에 대한 안정성 및
구간별 기초처리 목적 반영 기초처리 목적에 부합되고 경제성 분석
해역 및 지층특성 등 기초 시공성이 확보되는 공법 공법별 VE/LCC를 평가하여
처리 시공조건 조사 예비선정 공법 선정

3.3.1 기초지반 처리공법 선정기준 설정


국내 기초지반 처리공법 적용사례 분석

기초지반 처리공법 적용사례 분석


구 분 국내항만 기초처리 시공사례 적용성
치 환 공 법 대산항 부두공사 외 3개소 경제성, 시공성 불리
심층혼합처리공법 새만금 신항방파제 외 8개소
다층지반 및 연약층
모래다짐말뚝공법 부산신항만 방파제 외 1개소
깊은구간 적용성 우수
고압분사주입공법 포항 영일만 북방파제 외 1개소

인근지역 DCM 처리공법 사례분석


새만금 신항방파제 1단계 1공구 새만금 신항방파제 1단계 2공구 새만금 북측 방파호안 3구간

케이슨 구간 : 블록식+벽식 케이슨 구간 : 블록식+격자식 경사제 형식 : 말뚝식

새만금 지역은 사질토와 점성토가 혼재된 다층지반으로 개량시 강도발현이 우수한 DCM공법 적용
설계적용
상부구조에 따라 케이슨구간 벽식+격자식, 경사제구간 말뚝식 DCM공법 적용

- 224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3.2 기초지반 처리공법 예비검토


구 분 심층혼합처리(DCM) 모래다짐말뚝(SCP) 고압분사주입(FJS)

공법개요

지반-시멘트밀크 혼합・교반 모래 진동・압입 절삭후 시멘트몰탈 충진


고강도 개량체 형성 다짐 모래 말뚝체 형성 고강도 개량체 형성

안 정 성

고강도 개량체 형성으로 활동 및 전단저항력 부족, 활동 안정성 고강도 개량체 형성으로 활동 및


침하에 대한 안정성 확보 저하 및 침하량 과다발생 침하에 대한 안정성 확보

시 공 성
(관입성)

N≥20 지반 특수교반날개 적용 N≥15 지반 관입 불가 N값에 관계없이 시공 가능


전용선 시공 조위보정 유리 전용선 시공 조위보정 양호 조합선 시공 조위보정 불리
부상토 처리 필요 융기토 처리대책 필요 부상토 처리 필요
환 경 성
부상토 환경유해성 검토 필요 해사 다량 준설 필요 부상토 환경유해성 검토 필요

설계적용 통계사례, 조위차, 관입성을 고려하여 기초처리공법 예비선정 DCM, SCP, 고압분사주입공법

3.3.3 기초지반 처리공법 선정


구 분 심층혼합처리(DCM) 모래다짐말뚝(SCP) 고압분사주입(FJS)

적용단면

강성 기초공법으로 상부 구조물 연성 기초공법으로 상부 구조물 강성 기초공법으로 상부 구조물


과업구간 안정성 유리 안정성 확보 곤란 안정성 확보 가능
적 용 성 케이슨 하부 블록식 적용, 방치기간중 태풍내습시 사석 케이슨 하부 말뚝식 적용,
부등침하 안정성 유리 유실 및 피복석, TTP 손상우려 부등침하 안정성 불리
P 86.9 P 73.5 P 82.6
V E /
C 1.00 C 1.20 C 3.60
L C C
V 86.9 V 61.3 V 22.8

설계적용 지층특성, 구조물하중을 고려한 공법을 평가한 결과, 안정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DCM공법을 선정

- 225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4 기초지반 처리공법 상세설계


3.4.1 개량체 설계기준강도
국내외 DCM기초처리 시공사례 및 DCM설계기준 분석을 통한 고품질 DCM 기초처리 계획수립
기본방향
DCM실내배합시험을 수행하여 DCM공법 배합비 결정 및 개량체 설계기준강도 선정

DCM특성 평가 실내배합시험 배합비 및 설계기준강도 산정


국내외 및 인근지역 DCM공법 토질별 실내배합시험 수행 요구 실내배합강도 결정
적용사례분석 (일축압축강도시험 216회) 시멘트 주입량 결정
적용사례분석을 통해 적정 부상토 실내배합시험 수행 설계기준 강도 산정
설계강도 분석 (일축압축강도시험 36회)

DCM 설계기준강도 사례분석


국내 적용사례 새만금지역 적용사례
시멘트 주입량 설계기준강도 시멘트량 설계기준강도
사 업 명
(kg/m3) quck(MPa)
새만금신항 방파제
230 격자식 : 2.25
1단계 1공구
새만금신항 방파제 격자식 : 240 격자식 : 2.33
1단계 2공구 말뚝식 : 260 말뚝식 : 1.90
새만금신항
230 말뚝식 : 1.67
가호안 및 매립호안
새만금신항
230 말뚝식 : 1.70
북측방파호안 3구간
시멘트주입량 200~230kg/m3 최다 적용 시멘트주입량 230kg/m3 다수 적용
설계기준강도 2.1~2.3MPa 최다 적용 설계기준강도 말뚝식 1.7MPa, 격자식 2.3MPa 적용

DCM 실내배합시험 결과
모래층 배합시험결과 실트층 배합시험결과 점토층 배합시험결과

일축압축강도 평균 4.3MPa 일축압축강도 평균 4.3MPa 일축압축강도 평균 3.8MPa

배합조건 실내배합강도 설계기준강도


구 분
사용고화재 시멘트량 물-시멘트비 (qul, MPa) (quck, MPa)
모 래 4.26~4.33 배합강도 3.2MPa
고화재A 설계기준강도
실 트 230kg/m3 70% 3.86~3.93
고화재B 말뚝식 : 1.60MPa 적용
점 토 3.83~3.86 블록식 : 2.13MPa 적용

사례분석결과 시멘트주입량 230∼250kg/m3, 설계기준강도 2.1∼2.3MPa 다수 적용


설계적용
실내배합시험결과 압축강도 3.8~4.3MPa을 고려하여 배합강도 3.2MPa 적용

- 226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4.2 개량형식 선정
최근 국내 항만시설의 개량형식 적용사례
최근 국내 주요항만시설 및 인근지역의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기본설계 반영 사항 결정함

새만금・서해안 지역 DCM 개량형식 동해・남해안 지역 DCM 개량형식


새만금신항 방파제 1단계 1공구 격자식, 말뚝식 부산신항 서컨2-6 벽식, 말뚝식
새만금신항 방파제 1단계 2공구 격자식, 말뚝식 울산북방파제 2공구 벽식, 격자식(얕은구간)
새만금신항 가호안 및 매립호안 말뚝식 울산북방파제 3공구 벽식
새만금신항 북측방파호안 3구간 말뚝식 울산남방파제 2-1공구 격자식
인천항 국제여객부두 1단계 벽식 부산감천항 정온도 향상시설 벽식
인천항 국제여객부두 2단계 벽식, 격자식 부산 송도 준설토 투기장 격자식

말뚝식을 제외하고 단주는 블록식을 적용하였으며, 안벽 및 투기장과 같이 편토압이 발생하는 경우


설계적용
주로 격자식을 적용함

상부구조형식별 개량형식 결정
상부구조물의 특성 및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 VE/LCC 평가를 수행하여 개량형식 결정

구 분 블록식+격자식 블록식+벽식 말뚝식

개 념 도

공법개요 장주를 격자형상으로 시공 장주를 법선 직각방향으로 시공 장주를 바둑판 형상으로 시공


개량체 폐합형 일체구조로 장주와 단주는 일체 구조지만 수평력에 취약한 구조로 특히
특 성 구조적 안정성 우수 수평력이 큰 경우 다소 불리 지진시 전단파괴에 취약할 수
전구간 장주의 일체화 가능 전구간 장주의 일체화 불가 있으므로, 별도 변위해석 필요
안 정 성 응력분산 및 변위 저감 효과 우수 응력분산 및 변위 저감 효과 보통 연직하중에 대한 안정성 우수
편심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편심하중이 작은 연약지반 말뚝식으로 시공공정이 비교적
시 공 성
구간에 적용성 우수 개량에 적용성 우수 간단하여 적용성 우수
경 제 성 개량본수 증가로 경제성 보통 격자식 대비 경제성 우수 격자식 대비 경제성 우수
P 91.2 P 83.2 P 82.0
VE/LCC
C 1.00 C 0.80 C 1.10
평 가
V 91.2 V 104.0 V 74.5
선 정 ◉(케이슨) ◉(경사제)

케이슨혼성제 구간은 편심하중 및 지지력 확보를 위해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블록식+격자식 적용


설계적용
사석식경사제 구간은 변위 순응형 구조물 특성을 고려한 안정성검토를 수행하여 말뚝식 적용

- 227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DCM 개량체 직경 및 중첩폭 결정


DCM 개량체 직경 선정
구 분 직경 1,200mm(기본조사) 직경 1,300mm(기본설계) 직경 1,350mm

개 념 도

다수의 설계 및 시공실적 보유 다층지반 특성 고려시 최적 직경 상대적으로 교반능력 저하


특 성
직경대비 상대적 고가 및 중첩 배치가능 시공실적 적으며, 장비개조 필요
P 80.4 P 90.0 P 84.4
VE/LCC
C 1.10 C 1.00 C 1.20
평 가
V 73.1 V 90.0 V 70.3
선 정 ◉

DCM 개량체 중첩폭 선정


구 분 시공중첩 300mm/200mm 시공중첩 300mm/100mm 시공중첩 200mm/200mm

개 념 도

개량체 중첩효과 양호 시공오차 발생시 중첩 곤란 시공오차 발생시 중첩 곤란


특 성
개량체 연속성 확보 가능 전단거동시 안정성 확보 곤란 전단거동시 안정성 확보 곤란

중 첩 도
검 토

P 88.0 P 78.2 P 75.8


VE/LCC
C 1.00 C 0.95 C 0.96
평 가
V 88.0 V 82.3 V 79.0
선 정 ◉

시공성 및 경제성, 개량체 강도 등을 고려한 DCM직경 선정


설계적용
연직도 오차 및 주하중방향을 고려한 중첩폭 선정 장비중첩 30cm, 시공중첩30cm×20cm 적용

- 228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4.3 개량체 허용응력 산정


블록식+격자식
블록식
블록식+
+격자식
구 분 개량체 허용응력 산정

quck = γ × λ × qul 여기서, qul : 실내배합강도


= 2/3 × 1.0 × 3,200 γ : 2/3 (해상공사)
설계기준강도
λ : 1.0 (해상공사)
(quck) = 2,133.33 kPa
안전율, Fs : 3.0 (평상시)
2.0 (지진시)

중첩계수산정

α1= 0.630, α2= 0.966, β = 0.850


σca = α2 × β × quck / Fs
압축 = 0.966 × 0.85 × 2,133 / 3.0 = 583.9 kPa 상시

= 0.966 × 0.85 × 2,133 / 2.0 = 875.7 kPa 지진시

응 β
τa = 0.5 × α1 × × quck / Fs

전단 = 0.5 × 0.630 × 0.85 × 2,133 / 3.0 = 190.4 kPa 상시
= 0.5 × 0.630 × 0.85 × 2,133 / 2.0 = 285.6 kPa 지진시

말뚝식
구 분 개량체 허용응력 산정

quck = 1/2 × qul 여기서, qul : 실내배합강도


설계기준강도 = 1/2 × 3,200
(quck) = 1,600.00 kPa
안전율, Fs : 3.0 (평상시)
2.0 (지진시)

σca = quck / Fs
압축 = 1,600 / 3.0 = 533.33 kPa 상시

= 1,600 / 2.0 = 800.00 kPa 지진시


τa = 0.5 × quck / Fs

전단 = 0.5 × 1,600 / 3.0 = 266.67 kPa 상시
= 0.5 × 1,600 / 2.0 = 400.00 kPa 지진시

친환경 고화재의 지층별 배합시험을 통해 실내배합강도 3,200kPa 적용


설계적용
허용응력 산정시 단면유효계수는 블록식+격자식과 말뚝식으로 구분하여 허용응력 산정

- 229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4.4 기초처리공법 최적 개량형태 결정


최적 개량율 및 개량폭 산정
구조물 형식별 작용 하중 특성을 고려한 수치해석 및 안정검토 수행
DCM안정성, 원호활동 및 침하량 검토결과를 반영한 최소 개량율 및 개량폭 결정

구 분 1구간(연파제어형 요철 케이슨) 2구간(소파블록 피복경사제)

최소개량율

최소개량율 53% 최소개량율 37%

최소개량폭

최소개량폭 32m 최소개량폭 48m

개 량 체
배 치

블록식 98%, 격자식 43~53% 말뚝식 37%


개량폭 32.3m 개량폭 53.3m

케이슨구간 블록식 98%, 단주 상부 구조물 종류에 따른 지중응력 및 활동안정성 검토를 통한 최적


설계적용
개량율 및 개량폭 산정

블록식 단주길이 산정
단주길이 시공사례 단주 전단응력 검토 단주길이 결정

단주길이 2.0∼3.0m 적용 케이슨 자중 및 제반 하중 적용 최소 단주길이 2.8m 필요


3.0m 최다 적용 단주 전단 응력 검토 단주길이 3.0m 적용

설계적용 개량체 품질을 확보하고 응력이 허용응력 이내로 발생하도록 단주길이 3.0m 적용

- 230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4.5 상부구조물 형식에 따른 지지층 결정


연파제어형 요철 케이슨
지층현황 개량체 기초지지 개념

격자식 DCM 기초지지층 모래 분포(평균N=37) 개량지반의 반력분포를 고려한 지지층 선정

지지력 검토 침하량 검토

착저층 최소N>16 N≥20적용 발생침하 11.27cm 6.71cm<허용침하 10cm ∴안정성 확보

소파블록 피복경사제 구간
지층현황 개량체 기초지지 개념

말뚝식 DCM 기초지지층 모래 분포(평균N=27) 말뚝식 개량체의 하중지지 특성을 고려한 지지층 선정

지지력 검토 원호활동 검토

착저층 최소 N≥15 적용 원호활동 안전율 1.097 1.447>기준안전율 1.3 ∴안정성 확보

설계적용 구조물 형식을 고려한 안정성 검토에 따라 케이슨 구간 N≥20, 경사제 구간 N≥15까지 개량

- 231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4.6 접속부 기초처리 계획


케이슨-경사제
케이슨
케이슨-
-경사제 접속부
구조물 변화구간 침하허용기준 부등침하 완화구간 계획

케이슨10cm, 경사제30cm으로 허용침하기준 상이 부등침하 완화구간 적용(L=60m)으로 안정성 확보

접속부 3차원 안정성 검토 부등침하 검토결과

부등침하 완화구간 계획에 따른 안정성 검토 부등각변위 1/749<허용기준 1/300 ∴안정

3구간
3구간 접속부
접속부 추가보강계획 3구간 부상토제거시 보강계획

내진등급상향에 따른 안정성 확보 DCM 추가보강 3구간 부상토 제거구간 DCM손상 저유동몰탈주입

DCM 추가보강에 따른 원호활동 검토 경계부 및 돌출제 3차원 안정성 검토

안전율(Fs)=1.058>1.0(지진시) ∴안정 연직변위(δv) = 6.12cm<허용 30cm ∴안정

상부형식별 허용침하 기준 및 침하량 상이 부등침하 완화구간 계획으로 단차 방지


설계적용
내진등급 상향시 안정성 및 3구간 부상토 제거시 DCM 손상 고려 DCM 추가보강+저유동몰탈주입

- 232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5 기초지반 처리공법 안정성 검토


상부 구조형식 및 연약층 심도, 외력조건 등의 구역특성을 고려한 구간별 검토 대표단면 선정
기본방향
대표단면의 특성에 따라 각종 안정성 검토기법에 의한 안정성 검토 수행

3.5.1 검토개요
기초처리공법 적용현황

1구간(제두부) 1구간(제간부) 2구간

DCM 블록+격자식(55~43%) DCM 블록+격자식(53~43%) DCM 말뚝식(37%)

안정성 검토 항목
1구간 2구간
구 분
제두부 제간부 접속부 TTP경사제 사석경사제 돌출광장 접속부
DCM 안정성 ○ ○ ○ ○ ○ ○ ○
원 호 활 동 ○ ○ ○ ○ ○ ○ ○ ○ ○ ○
기 초 지 지 력 ○ ○ ○ ○ ○ ○ ○
편심경사지지력 ○ ○ ○
다층지반지지력 ○ ○ ○ ○ ○ ○ ○
침하 및 부등침하 ○ ○ ○ ○ ○ ○ ○ ○ ○ ○
유 한요소 ( 2 D ) ○ ○ ○ ○ ○ ○ ○
유 한요소 ( 3 D ) ○ ○ ○

설계적용 상부구조형식, 기초지반의 특성, 기초처리계획에 따라 안정성 검토 수행

- 233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5.2 안정성 검토 방법
블록식+격자식
블록식
블록식+
+격자식 안정성 검토방법
외적안정검토
  
활동 :  
  
∑
전도 :  
∑
∑   
지지력 :       
⋅   
여기서,  : 전단저항력(    )
∑ : 미개량토를 제외한 연직하중
 : 장벽비

장주 전단응력
    
 

여기서,  : 장주의 최대전단응력
 : 측면 점착력
 : 개량지반 전면에서  점까지의
장벽에 작용하는 지반반력의 합력
 :  간의 전중량(무개량토 중량 제외)
 : 개량지반 단면적 =    

단주 전단응력

  ⋅  ⋅ ⋅


 

여기서,  : 단벽의 최대전단응력
  : 마운드에 의한 분포후의 단지압
 : 마운드 폭
 : 개량지반의 단위체적중량
 : 마운드에 의한 하중분산각

단지압 및 압출

압출
      
 
      
단지압
   ≤ 
여기서,  : 전도 기준점의 단지압(지반반력)
 : 측방구속압 =  ×  × 

- 234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편심경사하중에 의한 지지력검토

    
지반반력이 사다리꼴 분포 :      
 
 × 
지반반력이 삼각형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W : 각 절편의 전체 중량(kN/m)  : 절편 밑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R : 활동원의 반지름(m) H : 활동원 내의 토괴에 작용하는 수평외력(kN/m)
b : 절편의 폭(m) W' : 분할 절편의 유효중량(kN/m)
 : 배수조건에서의 내부마찰각(゚) a : 수평외력의 작용점에서 원호활동의 중심까지의 거리(m)
c : 점성토 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 혹은 사질토 지반에서의 겉보기 점착력(kN/m2)

하중분산법에 의한 지지력검토
      ,      
 
여기서, R :
하중의 합력(kN/m) e : R의 편심량(m)
 :
R의 경사각(゚)  : 사석의 수중단위중량(kN/m3)
D :
사석 마운드의 두께(m)
B :
사석 마운드 윗면의 제체폭(m)
b :
사석 마운드 윗면에서의 저면반력 분포폭(m)
삼각형분포 : b=3(B/2-e)
사다리꼴 분포 : b=B
L : 기초지반 하중분포폭(m)
L=b+D[tan(30゚+α)+tan(30゚-α)]

기초지지력검토(Terzaghi 제안식)


       

여기서, β : 기초의 형상계수  ,  : 흙의 단위중량
B : 기초폭 D : 기초의 근입깊이
 ,  : 지지력 계수 Fs : 안전율
지반반력(max[P1', P2'])과 허용지지력(qa)를 비교
안정 조건 qa ≥ max[P1', P2']

다층지반 지지력검토

다층지반의 지지력은 원호활동해석을 통하여 산정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해석시 기초상부의 토피압을 상재하중으로 하고 기초의


단부를 통과하는 원호에 대해 간이 비숍법 (Bishop)에
의한 원호활동해석으로 안전율을 산정한다.

- 235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말뚝식 안정성 검토방법


외적안정(활동)검토
         
착저층 모래 :    ⋅     ⋅ 
착저층 점토 :    ⋅ ⋅ 
여기서,  : 주동토압  : 주동토압
B : 개량폭  : 착저층점착력
 : 상부공 및 개량지반의 중량
τ : 개량지반의 평균전단강도
 : 마찰계수 모래   
점토   

내적안정검토

 
말뚝체 내부응력 검토   
 

  
  여기서, : 경사제 기초지반에 최대작용응력
 
   : 부주면 마찰력
 : 주면장×개량체 길이

원호활동 검토방법
한계평형법(Bishop)

절편 양측에 작용하는 힘의 합력은 '0'으로 가정


즉,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강도감소법

원지반 전단강도
     
   파괴시 전단강도

안정 해석시 강도정수 감소기법을 적용하여 동일한


전단응력하에서 지반의 전단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사면의 안정성을 평가(안전율 개념 도입)

- 236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침하량 산정방법
기초사석 침하량(변형Terzaghi 제안식)
일본의 시공실적을 감안한 경험식
- 일본 오사카 토질시험소 여기서,
: Lawton & Lester(1964), Sower(1965) S : 침하량(m) H : 사석층의 두께(m)
  
사석층 침하계수(   ) : 다짐시 0.03, P0 : 사석층 중앙부 유효응력(kN/m2)
  
비다짐시 0.05 적용 ΔP : 응력 증가량(kN/m2)
 q : 케이슨 저면 반력(kN/m2)
  ⋅⋅   


원지반 점토층 침하량

Terzaghi 1차원 압밀이론의 원지반 점토 침하량 산정 여기서,


압축지수 Cc법 적용 Hc : 점토층 두께 eo : 초기간극비
 ⋅    Cc : 압축지수 σo : 원지반 유효응력
  ⋅  Δσ : 응력증가분
   

원지반 모래층 침하량

원지반 및 지지층 하부 침하량(Buisman & DeBeer) 여기서, N : 사질토층의 평균 N값


P0 : 사질토층 중앙부 유효응력(kN/m2)
     H : 사질토층의 두께(m)
   × ×× 
 
ΔP : 사질토층 상부 상재하중(kN/m2)

DCM개량체 침하량(블록식+격자식)

여기서, A : 개량체 단면적(m2)


DCM개량체의 탄성침하량 산정 Eeq : 개량체 탄성계수(kN/m2)
×  as : 개량률(%)
   ×
    P : 개량체 작용하중(kN)
L : 개량체 길이(m)

DCM복합지반 침하량(말뚝식)

개량체에 작용하는 응력분담비에 따라 침하저감계수를 여기서,  : 복합지반 침하량


적용하여 침하량 산정  : 무처리시 침하량
   ∙   : 침하저감계수
  : 응력분담비

       : 개량율

- 237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5.3 구간별 안정성 검토


케이슨 구간 안정성 검토
외적 안정성 검토결과
활동검토(Fs)
구 분 평상시 지진시
판 정
시공시 파봉시 파곡시 허 용 지진시 허 용
6.31 5.15 6.55 1.2 2.45 1.1 O.K
1
5.08 4.40 4.54 1.2 2.70 1.1 O.K
구간
4.46 4.09 6.39 1.2 2.88 1.1 O.K

전도검토(Fs)
구 분 평상시 지진시
판 정
시공시 파봉시 파곡시 허 용 지진시 허 용
9.56 11.25 14.90 1.2 4.84 1.1 O.K
1
5.17 4.49 4.42 1.2 3.66 1.1 O.K
구간
5.27 4.68 6.25 1.2 4.55 1.1 O.K

내적 안정성 검토결과
단지압(kN/m2)
구 분 평상시 지진시
판 정
시공시 파봉시 파곡시 허 용 지진시 허 용
391.07 447.80 441.33 584.1 541.65 876.17 O.K
1
303.87 394.56 387.08 584.1 462.51 876.17 O.K
구간
322.08 375.90 268.72 584.1 402.57 876.17 O.K

장주전단응력(kN/m2)
구 분 평상시 지진시
판 정
시공시 파봉시 파곡시 허 용 지진시 허 용
47.02 140.35 143.20 190.35 270.28 285.53 O.K
1
9.80 25.20 28.52 190.35 109.37 285.53 O.K
구간
13.54 23.39 8.11 190.35 100.68 285.53 O.K

단주전단응력(kN/m2)
구 분 평상시 지진시
판 정
시공시 파봉시 파곡시 허 용 지진시 허 용
110.64 162.86 150.66 190.35 172.13 285.53 O.K
1
118.17 182.48 141.10 190.35 162.13 285.53 O.K
구간
118.17 182.48 141.10 190.35 162.13 285.53 O.K

압출검토
압출검토(Fs)
구 분 평상시 지진시
판 정
시공시 파봉시 파곡시 허 용 지진시 허 용
4.08 4.08 4.08 1.2 4.08 1.0 O.K
1
2.95 2.94 2.94 1.2 2.94 1.0 O.K
구간
2.09 2.11 2.12 1.2 2.10 1.0 O.K

설계적용 케이슨혼성제구간 기초지반 처리공법 적용시 외적 및 내적 안정검토결과 허용기준 만족

- 238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원호활동 검토
한계평형법
구 분 시공시 파봉시 파곡시

Fs = 1.726 > 1.2 ∴O.K Fs = 1.426 > 1.3 ∴O.K Fs = 1.406 > 1.3 ∴O.K

1
구간

Fs = 1.871 > 1.2 ∴O.K Fs = 1.703 > 1.3 ∴O.K Fs = 1.586 > 1.3 ∴O.K

Fs = 1.933 > 1.2 ∴O.K Fs = 1.750 > 1.3 ∴O.K Fs = 1.625 > 1.3 ∴O.K

강도감소법
구 분 시공시 파봉시 파곡시

Fs = 3.809>1.1 ∴OK Fs = 2.772>1.3 ∴OK Fs = 3.363>1.3 ∴OK

1
구간

Fs = 1.854>1.1 ∴OK Fs = 1.325>1.3 ∴OK Fs = 1.991>1.3 ∴OK

Fs = 2.673>1.1 ∴OK Fs = 1.872>1.3 ∴OK Fs = 2.356>1.3 ∴OK

설계적용 케이슨혼성제구간 기초지반 처리공법 적용시 원호활동 안정검토결과 허용기준 만족

- 239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지지력 검토
편심경사하중에 의한 지지력 검토결과
구 분 시공시 파봉시 파곡시

Fs = 2.938 > 1.0 ∴O.K Fs = 1.898 > 1.0 ∴O.K Fs = 1.668 > 1.0 ∴O.K

1
구간

Fs = 2.992 > 1.0 ∴O.K Fs = 1.114 > 1.0 ∴O.K Fs = 1.767 > 1.0 ∴O.K

Fs = 2.932 > 1.0 ∴O.K Fs = 1.145 > 1.0 ∴O.K Fs = 1.750 > 1.0 ∴O.K

다층지반 지지력 검토결과


구 분 시공시 파봉시 파곡시

Fs = 9.337 > 1.5 ∴O.K Fs = 7.967 > 1.5 ∴O.K Fs = 10.791 > 1.5 ∴O.K

1
구간

Fs = 3.728 > 1.5 ∴O.K Fs = 3.305 > 1.5 ∴O.K Fs = 3.418 > 1.5 ∴O.K

Fs = 5.165 > 1.5 ∴O.K Fs = 4.910 > 1.5 ∴O.K Fs = 4.609 > 1.5 ∴O.K

개량체 지지력 검토결과


평상시(kN/m2) 지진시(kN/m2)
구 분 판 정
파봉시 파곡시 허 용 지진시 허 용
741.30 734.83 1,079.10 835.15 1,302.10 O.K
1
501.20 493.71 1,196.70 569.14 1,442.60 O.K
구간
479.77 510.58 1,167.80 506.44 1,407.80 O.K

설계적용 케이슨구간 기초지반 처리공법 적용시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결과 허용기준 만족

- 240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침하량 검토
검토조건
케이슨 자중 및 제반하중 작용에 의한 기초사석, DCM개량체 및 하부지반의 침하량 산정
잔류침하량 = 총침하량 – 시공중침하량
※시공중 : 케이슨거치 및 속채움시공시(상치콘크리트 시공전)

침하량 산정결과
총침하량(cm) 시공중 잔류
구 분 판 정
기초사석 DCM개량체 기초하부 합 계 침하량 침하량
19.45 0.60 13.95 34.00 26.70 7.30 O.K
1
22.68 0.90 6.38 29.95 23.91 6.04 O.K
구간
22.68 0.90 9.83 33.51 27.21 6.20 O.K

케이슨혼성제구간 기초지반 처리공법 적용시 침하에 대한 안정성 검토결과 허용기준 만족


설계적용
지지층 하부 국부적인 느슨한 사질토는 시공중 즉시침하로 선행하중재하 적용

경사제 구간 안정성 검토
외적안정 검토결과
활동검토(Fs)
구 분 평상시 지진시 판 정
제체 축조 완료시 상 시 허 용 지진시 허 용
6.84 1.53 1.2 1.26 1.0 O.K
2 6.16 1.36 1.2 1.14 1.0 O.K
구간 9.77 2.42 1.2 1.63 1.0 O.K
7.32 1.58 1.2 1.28 1.0 O.K

내적안정 검토결과
개량체 압축응력(kN/m2)
구 분 평상시 지진시 판 정
제체 축조 완료시 상 시 허 용 지진시 허 용
2.80 2.29 1.2 2.35 1.0 O.K
2 2.79 2.28 1.2 2.35 1.0 O.K
구간 2.65 2.19 1.2 2.26 1.0 O.K
2.57 2.14 1.2 2.20 1.0 O.K

개량체 지지력 검토결과


지지력(kN/m2)
구 분 평상시 지진시 판 정
제체 축조 완료시 상 시 허 용 지진시 허 용
2,252.28 2,845.77 6,360.79 2,758.88 9,541.19 O.K
2 2,252.00 2,845.77 7,433.08 2,758.88 11,149.63 O.K
구간 2,447.78 3,036.29 11,645.29 2,949.40 17,467.94 O.K
2,447.78 3,036.29 5,165.35 2,949.40 7,748.03 O.K

설계적용 사석식경사제 기초지반 처리공법 적용시 외적, 내적 및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결과 허용기준 만족

- 241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원호활동 검토
한계평형법
구 분 축조완료시 재하성토시 평상시

Fs = 1.457 > 1.3 ∴O.K Fs = 1.304 > 1.3 ∴O.K Fs = 1.345 > 1.3 ∴O.K

Fs = 1.577 > 1.3 ∴O.K Fs = 1.368 > 1.3 ∴O.K Fs = 1.447 > 1.3 ∴O.K

Fs = 1.586 > 1.3 ∴O.K Fs = 1.346 > 1.3 ∴O.K Fs = 1.447 > 1.3 ∴O.K

2
구간

Fs = 1.717 > 1.3 ∴O.K Fs = 1.567 > 1.3 ∴O.K Fs = 1.568 > 1.3 ∴O.K

Fs = 1.634 > 1.3 ∴O.K Fs = 1.496 > 1.3 ∴O.K Fs = 1.542 > 1.3 ∴O.K

Fs = 1.718 > 1.3 ∴O.K Fs = 1.610 > 1.3 ∴O.K Fs = 1.651 > 1.3 ∴O.K

Fs = 1.624 > 1.3 ∴O.K Fs = 1.631 > 1.3 ∴O.K Fs = 1.706 > 1.3 ∴O.K

- 242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강도감소법
구 분 축조완료시 재하성토시 평상시

Fs = 1.713>1.3 ∴OK Fs = 2.191>1.3 ∴OK Fs = 2.219>1.3 ∴OK

2 Fs = 1.645>1.3 ∴OK Fs = 2.186>1.3 ∴OK Fs = 2.225>1.3 ∴OK


구간

Fs = 1.816>1.3 ∴OK Fs = 2.219>1.3 ∴OK Fs = 2.200>1.3 ∴OK

Fs = 1.759>1.3 ∴OK Fs = 2.209>1.3 ∴OK Fs = 2.219>1.3 ∴OK

다층지반 지지력 검토
구 분 축조완료시 재하성토시 평상시

Fs = 7.794 > 1.5 ∴O.K Fs = 9.684 > 1.5 ∴O.K Fs = 8.956 > 1.5 ∴O.K

2 Fs = 10.195 > 1.5 ∴O.K Fs = 14.057 > 1.5 ∴O.K Fs = 12.738 > 1.5 ∴O.K
구간

Fs = 19.755 > 1.5 ∴O.K Fs = 21.623 > 1.5 ∴O.K Fs = 21.500 > 1.5 ∴O.K

Fs = 24.191 > 1.5 ∴O.K Fs = 26.768 > 1.5 ∴O.K Fs = 26.257 > 1.5 ∴O.K

설계적용 사석식경사제 기초지반 처리공법 적용시 안정성 검토결과 허용기준 만족

- 243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침하량 검토
사석경사제 자중 및 제반하중에 의한 모래층 및 점성토층의 압밀침하량 산정(개량율에 따른 침하저감계수 적용)
잔류침하량 = 개량지반 총 침하량 – 시공중 침하량
※시공중 : 경사제 축조시(상치콘크리트 시공전)

시공계획
구 분 DCM 시공 및 대기 사석제 축조 및 피복 상치타설완료 총 소요공기 비 고
DCM 강도발현을
기 간 3개월 4.5개월 9개월 16.5개월
위해 3개월 방치

침하량 검토결과
2구간- 2구간-

사석축조후 잔류침하량 Sr=16.8cm<30cm ∴O.K 사석축조후 잔류침하량 Sr=21.3cm<30cm ∴O.K

2구간- 2구간-

사석축조후 잔류침하량 Sr=1.9cm<30cm ∴O.K 사석축조후 잔류침하량 Sr=16.7cm<30cm ∴O.K

침하량(cm)
구 분 개량지반 시공중 잔 류 판 정
허 용
모래층 점토층 합 계 침하량 침하량
0.4 23.4 23.8 7.0 16.8 30 O.K

2 0.2 27.6 27.8 6.5 21.3 30 O.K


구간 2.3 10.2 12.5 10.6 1.9 30 O.K

0.7 23.3 24.0 7.3 16.7 30 O.K

사석식경사제 기초지반 처리공법 적용시 외적, 내적 및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결과 허용기준 만족


설계적용
지지층 하부 국부적인 느슨한 사질토는 시공중 즉시침하로 선행하중재하 적용

- 244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5.4 수치해석에 의한 안정성 검토


2차원
2차원 안정성 검토
시공단계
시공단계
구 분
1구간 2구간
1단계 모래포설 및 DCM 시공 모래포설 및 DCM 시공

2단계 기초사석 마운드 시공 사석제체 및 피복석(소파블록) 시공

3단계 케이슨거치 및 속채움 상치 콘크리트 시공

4단계 상치 콘트리트 시공 공용하중 작용

5단계 공용하중 작용 운영중 파력 작용

6단계 운영중 파력 작용 장래부지 매립 및 공용하중

▸1구간
▸1구간 검토결과
구 분 연직변위 수평변위 부등침하

δv = 3.50cm<10cm ∴O.K δh = 0.54cm<10cm ∴O.K 각변위 = 1/1,413<1/300 ∴O.K

1
구간

δv = 6.71cm<10cm ∴O.K δh = 0.52cm<10cm ∴O.K 각변위 = 1/1,365<1/300 ∴O.K

δv = 5.70cm<10cm ∴O.K δh = 0.39cm<10cm ∴O.K 각변위 = 1/1,542<1/300 ∴O.K

1구간 최대 침하량 3.50cm~6.71cm 발생 허용침하량 10cm 만족


설계적용 1구간 최대 수평변위 0.39cm~0.54cm 발생 허용수평변위 10cm 만족
1구간 횡방향 최대 각변위 1/1,542~1/1,365 발생 각변위기준 1/300 만족

- 245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2구간
2구간 검토결과
구 분 연직변위 수평변위 부등침하

δv = 9.30cm<30cm ∴O.K δh = 2.97cm<10cm ∴O.K 각변위 = 1/395<1/300 ∴O.K

2 δv = 7.95cm<30cm ∴O.K δh = 3.65cm<10cm ∴O.K 각변위 = 1/416<1/300 ∴O.K


구간

δv = 8.80cm<30cm ∴O.K δh = 2.35cm<10cm ∴O.K 각변위 = 1/395<1/300 ∴O.K

δv = 7.80cm<30cm ∴O.K δh = 3.58cm<10cm ∴O.K 각변위 = 1/401<1/300 ∴O.K

2
구간 δv = 10.75cm<30cm ∴O.K δh = 9.61cm<10cm ∴O.K 각변위 = 1/314<1/300 ∴O.K
장래
부지
매립

δv = 9.03cm<30cm ∴O.K δh = 8.93cm<10cm ∴O.K 각변위 = 1/372<1/300 ∴O.K

- 246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구 분 연직변위 수평변위 부등침하

2
구간 δv = 9.87cm<30cm ∴O.K δh = 7.81cm<10cm ∴O.K 각변위 = 1/334<1/300 ∴O.K
장래
부지
매립

δv = 7.94cm<30cm ∴O.K δh = 7.31cm<10cm ∴O.K 각변위 = 1/422<1/300 ∴O.K

2구간 최대 침하량 7.80cm~10.75cm 발생 허용침하량 30cm 만족


설계적용 2구간 최대 수평변위 2.35cm~9.61cm 발생 허용수평변위 10cm 만족
2구간 횡방행 최대 각변위 1/422~1/314 발생 각변위기준 1/300 만족

종방향 부등침하 검토
구 분 종방향 부등침하 안정성

검 토
결 과

각변위

각변위 = 1/2,148<1/300 ∴ O.K

설계적용 종방향 부등침하 검토결과 최대 각변위 1/2,148 발생 각변위기준 1/300 만족

- 247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차원
3차원 안정성 검토
케이슨-경사제
케이슨
케이슨-
-경사제 접속부
Step 1 Step 2 Step 3

DCM시공 및 부상토 교반 제체사석 시공 및 케이슨 거치 상치타설 및 상재하중

연직변위 수평변위

연직변위δv = 8.36cm < 10cm ∴O.K 수평변위δh = 0.31cm < 10cm ∴O.K

3구간
3구간 접속부
Step 1 Step 2 Step 3

저유동몰탈그라우팅, DCM 및 부상토 교반 2구간 방파호안 시공 돌출광장 시공

연직변위 수평변위

연직변위δv = 6.12cm < 10cm ∴O.K 수평변위δh = 0.37cm < 10cm ∴O.K

저유동 몰탈 그라우팅 설계기준강도 fuck=6.0MPa 적용

설계적용 시공단계를 고려항 3차원 안정성 검토결과 수평 및 연직 변위는 허용기준을 만족

- 248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6 DCM 처리지반 신뢰성 설계


3.6.1 신뢰성 해석 목적 및 평가 방법
신뢰성 해석 목적
시공단계 및 공용 간 발생될 수 있는 위험요소 및 위험경로를 분석
설계의 적정성 및 안정성, 개량공법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 및 확인

신뢰성 평가 방법

목표 신뢰도 선정

Whitmann(1984)와 Becker(1996)는 목표 신뢰도 지수를 결정하는 두 가지의 일반적인 접근법을 제안함


현행 설계법이 내포한 신뢰도 수준 분석
비용-이익 해석
의 접근법은 기존의 설계법과 새로운 설계법의 일관성을 확보하여 새로운 설계법의 적용시 초기 혼란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며, 의 접근법은 향후 예상되는 구조물 파괴로 인한 경제적 손실효과를 고려하기 위함임
국내 항만시설물에 대하여 상시와 지진시 제시된 목표 신뢰도 지수는 아래의 표와 같음(국토해양부, 2011)

안 벽 상 시 지진시 적 용
목표신뢰도 지수 2.7 2.4
중력식 ◉
목표파괴확률 3.47×10-3 8.20×10-3

목표신뢰도 지수 3.8 3.0


잔교식
목표파괴확률 7.23×10-5 1.35×10-3

- 249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6.2 DCM 격자식 배치형태에 대한 위험도 평가


파봉시 안정성
활 동 전 도 지지력

Mean : 4.340 Standard Dev. : 0.145 Mean : 4.253 Standard Dev. : 0.075 Mean : 2.098 Standard Dev. : 0.107

원호활동 단지압 장벽전단

Mean : 1.967 Standard Dev. : 0.155 Mean : 1.272 Standard Dev. : 0.095 Mean : 6.016 Standard Dev. : 0.666

단벽전단 압 출

Mean : 1.172 Standard Dev. : 0.048 Mean : 2.915 Standard Dev. : 0.323

안전율 분포
활 동 전 도 지지력 원호활동

파괴확률 : 2.245×10-118 파괴확률 : 2.257×10-308 파괴확률 : 7.053×10-25 파괴확률 : 2.270×10-10

단지압 장벽전단 단벽전단 압 출

파괴확률 : 2.189×10-3 파괴확률 : 2.532×10-14 파괴확률 : 1.778×10-4 파괴확률 : 1.516×10-9

- 250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파괴확률 신뢰지수

파괴확률
구 분 검토항목 평균(Fs) 표준편차
정규분포 대수정규분포
활동 4.340 0.145 2.245×10-118 0.000
전도 4.253 0.075 2.257×10-308 2.257×10-308
외 적 안 정
지지력 2.098 0.107 7.053×10-25 1.317×10-47
원호활동 1.967 0.155 2.270×10-10 8.435×10-18
단지압 1.272 0.095 2.189×10-3 8.575×10-4
내 적 안 정 장벽전단 6.016 0.666 2.532×10-14 6.108×10-59
단벽전단 1.172 0.048 1.778×10-4 6.609×10-5
기 타 압출 2.915 0.323 1.516×10-9 5.039×10-22
개량지반의파괴확률, Pr(f) 2.367×10-3 9.235×10-4
신뢰지수,  2.825 3.114
안정성[(1-Pr(f))☓100] 99.763 99.908

지진시 안정성
활 동 전 도 지지력

Mean : 2.594 Standard Dev. : 0.081 Mean : 3.622 Standard Dev. : 0.064 Mean : 2.300 Standard Dev. : 0.106

원호활동 단지압 장벽전단

Mean : 1.741 Standard Dev. : 0.129 Mean : 1.700 Standard Dev. : 0.230 Mean : 2.586 Standard Dev. : 0.154

단벽전단 압 출

Mean : 2.262 Standard Dev. : 0.094 Mean : 2.920 Standard Dev. : 0.328

- 251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안전율 분포
활 동 전 도 지지력 원호활동

파괴확률 : 1.096×10-85 파괴확률 : 2.257×10-308 파괴확률 : 1.154×10-34 파괴확률 : 4.211×10-9

단지압 장벽전단 단벽전단 압 출

파괴확률 : 1.184×10-3 파괴확률 : 3.950×10-25 파괴확률 : 8.701×10-42 파괴확률 : 2.295×10-9

파괴확률 신뢰지수

파괴확률
구 분 검토항목 평균(Fs) 표준편차
정규분포 대수정규분포
활동 2.594 0.081 1.096×10-85 1.183×10-202
전도 3.622 0.064 2.257×10-308 2.257×10-308
외적안정
지지력 2.300 0.106 1.154×10-34 1.471×10-72
원호활동 1.741 0.129 4.211×10-9 5.042×10-14
단지압 1.700 0.230 1.184×10-3 7.224×10-05
내적안정 장벽전단 2.586 0.154 3.950×10-25 3.484×10-57
단벽전단 2.262 0.094 8.701×10-42 9.462×10-87
기타 압출 2.920 0.328 2.295×10-9 1.393×10-21
개량지반의파괴확률, Pr(f) 1.184×10-3 7.224×10-5
신뢰지수,  3.040 3.800
안정성[(1-Pr(f))☓100] 99.882 99.993

격자식 개량지반에 대한 시스템의 위험요소 중 단지압과 단벽전단이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설계적용 개량지반 전체 시스템에 대한 검토를 실시한 결과 지진시
목표파괴확률(1.184×10-3<8.200×10-3)과 목표신뢰도 지수(3.040>2.400)를 만족함

- 252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6.3 DCM 말뚝식 배치형태에 대한 위험도 평가


상시 안정성
활 동 전 도 지지력

Mean : 1.480 Standard Dev. : 0.102 Mean : 6.229 Standard Dev. : 0.337 Mean : 3.897 Standard Dev. : 0.046

원호활동 말뚝체 내부응력

Mean : 1.496 Standard Dev. : 0.075 Mean : 3.310 Standard Dev. : 0.141

안전율 분포
활 동 전 도 지지력 원호활동 말뚝체 내부응력

파괴확률:1.294×10-6 파괴확률:1.043×10-54 파괴확률:2.257×10-308 파괴확률:1.670×10-11 파괴확률:7.255×10-61

파괴확률 신뢰지수

파괴확률
구 분 검토항목 평균(Fs) 표준편차
정규분포 대수정규분포
활동 1.480 0.102 1.294×10-6 9.524×10-9
전도 6.229 0.337 1.043×10-54 5.562×10-251
외적안정
지지력 3.897 0.046 2.257×10-308 0.000
원호활동 1.496 0.075 1.670×10-11 5.706×10-16
내적안정 말뚝체 내부응력 3.310 0.141 7.255×10-61 2.307×10-174
개량지반의 파괴확률, Pr(f) 1.294×10-6 9.524×10-9
신뢰도 지수,  4.701 5.620
안정성[(1-Pr(f))×100](%) 100.000 100.000

- 253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지진시 안정성
활 동 전 도 지지력

Mean : 1.549 Standard Dev. : 0.080 Mean : 6.483 Standard Dev. : 0.350 Mean : 6.132 Standard Dev. : 0.072

원호활동 말뚝체 내부응력

Mean : 1.139 Standard Dev. : 0.056 Mean : 3.456 Standard Dev. : 0.147

안전율 분포
활 동 전 도 지지력 원호활동 말뚝체 내부응력

파괴확률:4.027×10-12 파괴확률:1.262×10-55 파괴확률:2.257×10-308 파괴확률:6.615×10-3 파괴확률:5.400×10-63

파괴확률 신뢰지수

파괴확률
구 분 검토항목 평균(Fs) 표준편차
정규분포 대수정규분포
활동 1.549 0.080 4.027×10-12 2.304×10-17
전도 6.483 0.350 1.262×10-55 1.367×10-262
외적안정
지지력 6.132 0.072 2.257×10-308 0.000
원호활동 1.139 0.056 6.615×10-3 4.735×10-3
내적안정 말뚝체 내부응력 3.456 0.147 5.400×10-63 6.851×10-187
개량지반의 파괴확률, Pr(f) 6.615×10-3 4.735×10-3
신뢰도 지수,  2.478 2.595
안정성[(1-Pr(f))×100](%) 99.338 99.526

- 254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7 DCM 처리지반의 정밀 구조체 해석


3.7.1 해석방법
Frame 해석법
지반은 Spring, 단주블록은 Beam으로 간주하고, 장주와 단주
블록은 회전강성과 축강성을 가지고 Frame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함.(Macaulay, 1919)
장주와 단주블록 연결은 회전강성에 의해 자유 또는 구속될
수 있음. 연속보법에 비해 장주 전단력과 휨응력 등을 계산할
수 있고, 단주블록 하부지반의 저항을 고려할 수 있음.
본 해석과 유사한 접근법으로 Poulos(1991)의 Strip on Spring
Model, Kitiyodom et al.(2011)의 Hybrid Model이 있음.
휨모멘트, 처짐 계산이 가능하지만, 장주를 지점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장주의 축강성, 휨강성이 무한대이며, 장주주면
지반저항은 고려할 수 없음.

지반아칭 해석법
일본 ALiCC공법(일본토목연구회, 2007) 설계시 채택된 방법으로, 3차원 지반아칭효과를 고려한 해석법임
휨응력 계산시 탄성지반상의 단순보(Winkler Foundation) 모델로 간주하고 지반반력을 고려하여 계산함.

  ×   


전단응력  
 ×  × 

 ×  ⋅×  ⋅


휨모멘트 휨응력      
   ⋅  ⋅

여기서,  =무처리부분에 작용하는 하중  =무처리지반의 허용지지력


 =장주 간격  =개량체 직경
 =천층블록의 두께 =연직지반반력계수

 =블록의 단면계수    




수치해석법
본 방법은 유한요소해석법으로 근래 적용 사례가 증가하는 해석법임.
블록을 지반내에 설치하고, 장주를 Plate로 간주하였음.
천층블록 하부 지반 및 장주와 지반간의 상호작용 등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Free head Fixed head

A A A A A A A A A A A A

Free Head Fixed Head

- 255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7.2 해석결과
해석조건
종방향 횡방향 허용압축응력,   허용전단응력,   허용 휨응력,  
구 분 비 고
중첩폭(cm) 중첩폭(cm) (kN/m2) (kN/m2) (kN/m2)
Case 1 20 30 583.9 190.4 444.38 설계 배치 안
Case 2 20 20 583.9 190.4 444.38 -
Case 3 10 30 583.9 151.1 444.38 -
Case 4 10 20 583.9 151.1 444.38 -

Frame 해석법
Frame 해석 방법에서는 두부 자유조건과 구속조건에 대하여 모두 계산하였음. 일반적인 말뚝지지전면기초의 경우
강성이 큰 콘크리트 또는 강말뚝을 래프트(Raft)에 강결하는 형태를 취하지만, 시멘트혼합처리공법의 경우 주변
지반에 비해서 강성은 크지만 장주와 단주개량체를 접원 또는 중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일반 말뚝에 비해 완전
강결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두부 자유 조건과 구속 조건에 대하여 모두 검토하였음.
그림에 제시된 바와 같이 말뚝 두부구속과 자유조건에서 전단력은 큰 차이가 없으며, 휨응력은 하중재하 위치에서
차이를 보임. 두 조건 모두 최외곽부 장주개량체 외측은 재하하중이 없으므로 휨응력이 거의 Zero로 작용하였음.

Case 1(시공중첩
1(시공중첩 종방향 20cm, 횡방향 30cm) 전단력 및 모멘트 분포
단주 개량체의 전단력 단주 개량체의 휨응력

단주 개량체의 지반반력 단주 개량체의 연직변위

Case 2(시공중첩
2(시공중첩 종방향 20cm, 횡방향 20cm) 전단력 및 모멘트 분포
단주 개량체의 전단력 단주 개량체의 휨응력

- 256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단주 개량체의 지반반력 단주 개량체의 연직변위

Case 3(시공중첩
3(시공중첩 종방향 10cm, 횡방향 30cm) 전단력 및 모멘트 분포
단주 개량체의 전단력 단주 개량체의 휨응력

단주 개량체의 지반반력 단주 개량체의 연직변위

Case 4(시공중첩
4(시공중첩 종방향 10cm, 횡방향 20cm) 전단력 및 모멘트 분포
단주 개량체의 전단력 단주 개량체의 휨응력

단주 개량체의 지반반력 단주 개량체의 연직변위

- 257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지반아칭법

단주 개량체에 작용하는 전단력은 45.1~49.4kN으로 Frame 해석법 보다는 작은 값이 산정되었는데, 이유는


장주로의 응력이 전이되고 무처리 지반에 작용하는 하중이 지반의 지지력에 의해 감소하였기 때문임.
장주개량체에 작용하는 축력은 2,475.3~2596.8kN으로 나타남. 이는 본 방법에서 고려한 아칭효과로 인해
장주개량체로 응력이 집중되었기 때문임.

단주 개량체 장주 개량체
구 분
전단력(kN) 전단응력(kPa) 휨응력(kPa) 축하중(kN) 압축응력(kPa)
Case 1 45.1 15.0   (O.K) 100.7   (O.K) 2,475.3 547.2  (O.K)

Case 2 47.0 15.7   (O.K) 102.1   (O.K) 2,530.5 559.4  (O.K)

Case 3 47.5 15.8   (O.K) 102.4   (O.K) 2,542.5 562.0  (O.K)

Case 4 49.4 16.5   (O.K) 103.8   (O.K) 2,596.8 574.0  (O.K)

수치해석적 방법
해석 조건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Plaxis 8.2 사용


장주 개량체는 Plate로 모델링하고, 지지층은 모래층
(N>30)으로 장주의 침하가 가능하도록 함.
단주 하부에 Plate를 삽입하여 전단력, 휨모멘트 등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고, 하중은 상부구조물에 의해
개량체 상부에 작용하는 지반 반력으로 재하함.
파봉시 하중조건을 적용하고, 상부하중이 개량체에
작용시 하중 분산이 고려된 값을 적용하였음.

Case 1(시공중첩
1(시공중첩 종방향 20cm 횡방향 30cm)
단주 개량체의 전단력 단주 개량체의 휨응력

단주 개량체의 연직변위 연직변위 분포도

- 258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장주 개량체에 발생하는 축력 장주 개량체에 발생하는 휨응력

지지층 지반반력 분포 연직응력 분포도

Case 2(시공중첩
2(시공중첩 종방향 20cm 횡방향 20cm)
단주 개량체의 전단력 단주 개량체의 휨응력

단주 개량체의 연직변위 연직변위 분포도

- 259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장주 개량체에 발생하는 축력 장주 개량체에 발생하는 휨응력

지지층 지반반력 분포 연직응력 분포도

Case 3(시공중첩
3(시공중첩 종방향 10cm 횡방향 30cm)
단주 개량체의 전단력 단주 개량체의 휨응력

단주 개량체의 연직변위 연직변위 분포도

장주 개량체에 발생하는 축력 장주 개량체에 발생하는 휨응력

- 260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지지층 지반반력 분포 연직응력 분포도

Case 4(시공중첩
4(시공중첩 종방향 10cm 횡방향 20cm)
단주 개량체의 전단력 단주 개량체의 휨응력

단주 개량체의 연직변위 연직변위 분포도

장주 개량체에 발생하는 축력 장주 개량체에 발생하는 휨응력

지지층 지반반력 분포 연직응력 분포도

- 261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결과분석
본 절에서는 지금까지 계산되었던 각 방법별 부재력을 함께 도시하여 분석하였음.
이론적 방법 및 수치해석법 모두 단주 및 장주의 부재력은 허용응력 이내인 것으로 검토됨.
장주개량체의 하중 분담을 살펴보면 지반아칭법이 크게 산정되었음.
단주블록과 지반간의 상호작용과 장주와 지반간의 상호작용을 모두 고려한 수치해석법의 축력이 값을 보였는데
장주의 하중분담이 작다는 것은 하중이 단주블록과 장주 및 지반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분배되었다는 것을 의미함.
즉, 수치해석의 경우 주면저항을 초과하는 변위와 과잉간극수압이 소산되면서 선단으로의 전이가 발생되었으며
이는 변위 및 응력 분포도에서 장주 선단부의 변위가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확인됨.

Frame 해석법 지반아칭법


구 분
Case 1 Case 2 Case 3 Case 4 Case 1 Case 2 Case 3 Case 4
전단응력(kPa) 194.1 186.3 183.0 186.3 15.0 15.7 15.8 16.5
단주
휨응력(kPa) 435.5 422.9 438.1 425.1 100.7 102.1 102.4 103.8

장주 압축응력(kPa) 182.5 196.3 194.0 196.8 547.2 559.4 562.0 574.0

수치해석법
구 분
Case 1 Case 2 Case 3 Case 4
단주 전단응력(kPa) 139.2 136.2 140.2 137.5

휨응력(kPa) 341.2 345.9 340.7 345.9


장주
압축응력(kPa) 195.4 203.8 187.2 196.2

단주 개량체의 최대 전단력(Case 1, Case 2) 단주 개량체의 최대 전단력(Case 3, Case 4)

단주 개량체의 최대 휨응력 장주 개량체의 최대축력

- 262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8 응력분담비 산정
3.8.1 검토 조건
본 절에서는 기본설계 대표 단면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응력분담비를 산정
개량체 환산 직경은 2.4m, 배치형태는 사각형, DCM 간격은 3.4m× 3.7m(As= 37.0%)를 적용

구 분 개량체 직경(m) 등가직경(m) 설치간격(m) 배치형태 개량율(%) 비고


1.3(4축) 2.4 3.4× 3.7 사각형 배치 37.0
실내배합강도 설계기준강도 허용압축응력( , MPa) 허용전단응력( , MPa)
(qul, MPa) (quck, MPa) 상시 지진시 상시 지진시
3.20 1.60 0.53 0.80 0.27 0.40

말 뚝 식

3.8.2 응력분담비 산정
이론적 응력분담비 산정
이론적 방법은 신뢰성이 검증된 복합지반법, 홍원표(2000)방법, 3차원 소성각법을 적용

구 분 복합지반법 홍원표 방법 3차원 소성각법

산 정
개 요

다층지반 위에 하중이 재하된 말뚝캡보에 대한 지반아칭 일본 ALiCC공법의 설계시


경우 DCM으로 개량된 개량체 해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제시 채택된 방법
쪽으로 응력이 전이되는 특성을 본 해석은 성토지지말뚝을 성토재의 아칭효과를 고려,
고려, 지반에 작용하는 응력이 1열의 캡보로 연결시킨 형태로 30%이하 개량율로 침하를
감소되는 효과를 고려 2차원해석이 가능 경감시키는 방법
산 정
36.7~41.4 65~71 60~65
응력분담비

- 263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수치해석적 응력분담비 산정
설계 개량율과 설계 지반 정수를 적용하여 3차원 수치해석 수행, 프로그램은 GTS-NX(Midas)를 적용함.
DCM 개량체는 연직도 관리기준(0.20゚)만큼 경사 시공된 것으로 가정하고 해석하여 응력분담비를 산정함.

구분
제체 시공 상치 설치 공용하중 재하
시공단계

연직변위

 =63.7mm  =107.6mm  =112.0mm

응 력
분 담 비

n=22.1 n=22.6 n=22.7

실험적 응력분담비 산정
본 과업구간 내 현장에서 채취된 불교란 시료를 대상으로 시료를 강제 교반 후 함수비 평형을 유도한 후 사용함.

DCM 개량체 제작
시료 배합 몰드 충진 개량체 제작 양 생

실험방법 및 순서
복합지반 조성 계측기 설치 모래포설 및 재하판 설치 하중 재하

- 264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실험결과 및 분석
실험결과
침하-시공 단계해석 변위-토압 곡선(원지반)

변위-토압 곡선(개량체 1) 변위-토압 곡선(개량체 2)

결과분석
응력분담비(개량체 1) 응력분담비(개량체 2)

제체 시공 상치 설치 운영하중
구 분
개량체 1 개량체 2 평균 개량체 1 개량체 2 평균 개량체 1 개량체 2 평균

응력분담비 27.9 26.7 27.3 29.5 28.5 29.0 29.6 28.7 29.1

설계적용 하중단계별 응력분담비 평균 27.3~29.1로 나타남.

응력분담비 평가 결과
이론적 방법 3차원
구 분 수치해석법
복합지반법 지반아칭이론 3D 소성각법 모형실험법

기 본 조 사 41.4 71 65 20.3~21.0 22.2~24.1

기 본 설 계 36.7 65 60 22.1~22.7 27.3~29.1

적 용 20.0

지반 공학적 이론, 3차원 수치해서 및 3차원 모형실험을 통해 산정된 응력분담비 범위를 고려하여
설계적용
본 과업에서는 응력분담비로 20.0을 적용하였음.

- 265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3.9 침투해석을 통한 파이핑 안정성 검토


파이핑에 대한 검토방법은 Schmieder, Justin, Sughi, Richardson, Stokes 등의 한계유속과 Terzaghi의
한계동수경사법, Bligh와 Lane의 크리프해석이 있음.
한계유속은 실제 토립자의 입경 기준을 정하기가 어려우므로 한계유속이 작게 산정되어(산출식에 안전율 4.0포함)
안정측 설계를 유도하는 Schmieder 실용식을 적용함.
한계동수경사법은 흙입자의 비중 및 간극비에 의한 한계동수경사를 산정하고, 상방향으로 침투가 발생하여
동수경사가 한계동수경사와 같아지면 파이핑이나 융기가 발생한다고 판단하는 방법

검토방법
구 분 검토방법

Vcr = 5.0 × 10-2 × K1/4 (Schmieder 실용식), 여기서, K : 투수계수(m/sec)


한 계 유 속
Vcr > Vs(Vmax/n), 실침투유속(Vs)은 침투해석상 유출속도(Vmax)를 공극률로 나눈값

icr = h/d = Gs-1 / (1+e) = (1-n) × (Gs-1), Fs = icr / iexit > 2


한계동수경사 여기서, icr : 한계동수경사 h : 전수두(m) d : 분사지점 수두(m)
Gs : 토립자의 비중 e : 흙의 간극비 n : 흙의 간극률 iexit : 유출부 최대동수경사

수 위 조 건 내측 : 장래매립조건을 고려 DL.(+)8.0m, 해측 : 약최저저조위(A.L.L.W) DL(±)0.0m

파이핑 검토결과
구 분 필터사석 미 설치시 필터사석 설치시

한계유속

VS=6.4×10-8m/s < VC=0.003m/s ∴O.K VS=5.9×10-8m/s < VC=0.003m/s ∴O.K

한계동수
경 사

icr / iexit = 64.38 > Fsmin=2.0 ∴O.K icr / iexit = 68.67 > Fsmin=2.0 ∴O.K

세굴 안정성 검토결과
1구간(유속+파랑) 2구간(유속+파랑)

1구간 전면 30m 이내에 39.7cm 세굴 발생 2구간 전면 30m 이내에 30.4cm 세굴 발생

설계적용 파이핑에 대한 검토결과 발생유속 및 동수경사는 한계유속 및 한계동수경사 만족

- 266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10 부상토 처리계획


실제 시공현장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검토하여 친환경적 부상토 처리계획 수립
기본방향
상부 구조물 형식에 따른 부상토 처리계획을 수립하여 효율적인 시공 및 경제성 확보

기본조사 및 입찰안내서 분석
구 분 주요내용 기본설계 개선사항
부상토 전량 준설 후 사업구간에서 약60km 이격된
기본조사 부상토 발생 최소화 및 유용방안 수립필요
금란도 투기장에 매립계획
DCM 개량체 손상 배제 및 외해투기 등에 의한
새만금 신항의 준설토 투기여건, 환경영향을 환경 저해가 발생되지 않는 공법 중점고려
입찰안내서
고려하여 가능한 준설토가 발생하지 않는 공법 적용

부상토 처리사례 분석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 1단계 1공구 여수신북항 외곽시설 축조공사 울산신항 남방파제 2-1공구

오픈슬릿케이슨 : 모래매트 유용 오픈슬릿케이슨 : Dike+모래매트 유용 2중 곡면 광폭케이슨 : 모래매트 유용

북측방파호안 3구간
3구간 부상토 발생현황 분석
수심측량 및 지층탐사 분석 3구간 DCM부상토 확산범위

부상토 발생범위 최대95m~최소64m 분포 3구간 부상토 확산폭 73m, 부상각도 35゚

부상토 유용시 고려사항


시공사례 및 부상토 유용시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발주처 요구에 부합하는 부상토 처리계획 수립

부상토 교반시 문제점 Dike설치시 문제점 쇄석매트 포설시 문제점

표층부 미개량 연약 부상토 발생 Over-Flow로 인해 확산방지 불가 시공효율저하 및 개량품질저하

- 267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부상토 처리방안 선정
구 분 준설 및 전량 제거 모래포설+부상토 유용 Dike설치+부상토유용

개 념 도

개량 후 부상토를 그래브 모래포설 후 부상토를 추가교반 내외측에 Dike 설치 후 부상토를


공법개요
준설하여 일괄 제거처리 하여 유용 추가교반 하여 유용
부상토 확산범위가 넓어 준설 구속압 증가로부상토 확산방지 부상토 확산범위 감소
제거시 시공성 저하 부상토 교반에 따른 DCM 두부 부상토 교반에 따른 DCM 두부
준설시 두부손상 및 단주인발로 고정 효과로 수평저항력 향상 고정 효과로 수평저항력 향상
특 징
개량체 훼손 모래매트 내 부상토 유용으로 추가 교반시 발생하는 추가
그래브 준설시 추가 부유사 발생 환경성 및 경제성 우수 부상토의 2차 확산 발생가능
장래 부지 PBD 타설 가능 장래 부지 PBD 타설 가능 장래 부지 PBD 타설 불가
P 74.8 P 86.2 P 81.4
VE/LCC
C 1.10 C 1.00 C 1.20
평 가
V 68.0 V 86.2 V 67.8
선 정 ◉

부상토 배합강도 특성
부상토 실내배합강도 부상토 강도 확보 방안 부상토 안정성 확보

150kg/cm3 주입 1.9MPa확보 DCM시공과 연계한 부상토 교반 작용 255kPa<허용 389kPa ∴O.K

부상토 확산 및 오염방지계획
모래 포설 부유사 확산방지 수상드론 모니터링

구속압 작용으로 부상토 발생 억제 다중 오탁방지막 설치로 부유사 드론을 이용하여 수상공사 등 안전


및 시멘트 슬러리 유출방지 확산 차단 취약구간 실시간 관제

부상토 실내배합시험 및 부상토 시공방안 수립 부상토 유용시 안정성 확보


설계적용
모래 포설 후 부상토 추가교반 부상토 발생 최소화 및 개량지반 안정성 향상

- 268 -

제3장
3장 기초지반처리의 적정성

3.11 DCM 품질확보 방안


기본방향 사업구간 지층분포 특성을 고려한 DCM 품질관리방안 개선을 통한 고품질 DCM 개량체 형성

친환경 DCM 고화제 도입


입찰안내서 분석 및 친화경 고화제 적용
특수공법 및 신공법의 시행과 관련하여 자재는 KS 및 Q마크, GR마크(녹색제품) 우선 사용
친환경 DCM 고화재 적용

DCM 개량체 품질확보 방안


천공 및 교반방식 개선 고화재 토출식 개선 선단 및 표충부 품질확보

천공, 교반날개 회전방향 개선 관입시 천공, 인발시 토출 및 교반 선단부 관입・인발토출(W형)


개량체 수직도 향상 전심도 품질향상 천단부 저회전 인발(N형)

DCM 시공성확보 방안
착저층 관리기준 선정 최적의 BRN 적용 교반날개 개선

지층-SPT N값-전류치 관계 분석 관입속도 감소와 RPM 상향 경질지반 비트 적용


착저층 관리기준 수립 단주 품질확보 N>30 지반 시공성 확보

DCM 두부손상 방지 및 시공조인트 처리계획


DCM 손상 방지 방안 수립 시공조인트 처리방안

정・역회전 교반방식, 상・하부 토출방식 및 W-N형 고화방식 도입 DCM 품질확보


설계적용
시험시공과 연계한 착저층 및 BRN 관리기준 도입 DCM 시공성 확보

- 269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제 4 장 내진 안정성 검토
4.1 설계개요
기본방향
내진 설계기준 강화 내진안정성 검토
강화된 최신 내진설계기준 적용 7개의 설계지진파를 적용한 내진검토
지진시 성능확보를 위한 설계기준 상향 기초지반 등가정정해석, 동해석에 의한 안정성 검토
지진 안정성
액상화 간편법(SPT, CPT, Vs), 상세법 지진-파압고려 진동대시험 수행으로 안정성 검증
액상화 가능성지수(LPI)에 의한 액상화 평가 확보
파랑에 의한 액상화 검토 FSSI 해석을 통한 내진 안정성 검토
과업구간 지진을 고려한 액상화 평가 진동대 시험을 통한 안정성 검증

입찰안내서 분석
입찰안내서 요구사항 기본설계 개선사항
새만금 지역의 지진발생 사례, 현장여건, 구조물 형식 최신설계기준, 지진발생추이, 상부구조물 형식 등을
등을 고려하여 설계기준 이상의 적정 내진등급을 고려하여 내진Ⅰ등급으로 상향
선정하여 설계할 수 있다.
내진Ⅱ등급, 재현주기 500년, 지반운동수준 0.130g 내진Ⅰ등급, 재현주기1,000년, 지반운동수준 0.192g

설계기준 강화
구 분 기본조사 기본설계 비 고
내 진 등 급 Ⅱ등급 Ⅰ등급
최근 지진 발생빈도 및 설계기준강화
내 진 성 능 수 준 붕괴방지수준 붕괴방지수준
등을 고려한 내진등급 상향 적용
재 현 주 기 500년 1,000년
지 반 운 동 수 준 0.11g 0.123g
지반운동수준 및 설계지진가속도 상향
설계지진가속도 Amax = 0.130g Amax = 0.192g
지반응답해석시 설계기준 및 최근발생
입 력 지 진 파 3개 7개
지진을 고려한 지진파 적용
상치콘크리트 : 5.0kN/m2 상치콘크리트 : 5.0kN/m2 장래매립부지의 진입도로 사용을
상 재 하 중
장래매립부지 : 5.0kN/m2 장래매립부지 : 7.5kN/m2 고려하여 상재하중 상향 적용
수 평 변 위 미수행 20cm 수평변위 기준 강화

주요검토항목
구 분 검토내용 비 고
내 진 등 급 최근지진발생 현황 및 내진등급 적용사례분석 내진Ⅰ등급 적용
동 적 지 반 특 성 현장 및 실내시험을 통한 동적특성 분석
설계응답스펙트럼에 부합한 인공지진파 생성 및 실지진파 보정 인공지진파생성 : 1개
설계지반가속도
지반응답 해석을 통한 설계지반가속도 산정 실지진파보정 : 6개
등 가 정 적 해 석 수평지진계수를 적용하여 내적・외적안정검토, 원호활동검토
동 적 해 석 설계응답 스펙트럼에 부합하는 지진파(7개)입력을 통한 수치해석
진 동 대 실 험 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한 내진안정성 검증
간이평가, LPI분석 및 상세평가 수행
액 상 화 평 가
유효응력해석을 통한 액상화 평가 수행

- 270 -

제4장
4장 내진 안정성 검토

4.2 내진설계 조건
4.2.1 개정된 내진설계기준 분석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설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내진편
구 분
(2014) (KDS 64 17 00 : 2019)
1개 (암반, 토사 구분없음) 2개 (암반, 토사 구분)
표준설계스펙트럼
단주기 증폭계수 : 2.5 단주기 증폭계수 : 2.8 (암반), 2.5‧Fa (토사)

표준설계스펙트럼 적용 개정된 표준설계스펙트럼 적용


인 공 지 진 파
지반분류 SA~SF (지표면아래 30m) 지반분류 S1~S6 (지표면아래 20m)

표준설계스펙트럼에 부합하는 Spectral


실지진파 보정 최대가속도(PGA)를 Scaling하여 적용
Matching 수행

Fs≥1.5 : 안전 Fs≥1.0 : 안전
액상화 평가방법 1.0≤Fs<1.5 : 상세예측 필요 Fs<1.0 : LPI를 통한 종합분석
Fs>1.0 : 대책공법 수행 후 재평가 LPI>5 : 액상화 대책 수립

4.2.2 내진등급 및 성능수준


국내 지진발생 사례
국내지진 규모별 순위 국내지진 발생추이
순위규모 발생일 발생지역
5.8 2016. 09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5.4 2017. 11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5.3 1980. 01 북한 평안북도 삭주 남남서쪽
5.2 2004. 05 경북 울진군 동남동쪽
5.2 1978. 09 경북 상주시 북서쪽
5.1 2016. 09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5.1 2014. 04 충남 태안군 서격렬비도

최근 국내 지진규모 5.0 이상 지진발생 빈도 증가


설계적용
국내 지진발생 추이는 2000년대 이후로부터 평균 3배이상 대폭 증가

내진등급 및 성능수준 선정
항만 및 어항 시설물의 내진등급은 내진Ⅰ등급 및 내진Ⅱ등급으로 구분한다.
항만 및 어항 항만 및 어항 시설물의 요구 내진 성능수준은 기능수행수준과 붕괴방지수준으로 분류한다.
설계기준 내진편 설계기준에서 규정한 평균재현주기를 갖는 설계지진수준에 대하여 기능수행수준과 붕괴방지
(KDS 64 17 00 수준에서 요구성능 목표를 만족하여야 한다.
:2019) 잔교를 제외한 시설은 기능수행수준을 생략하고 붕괴방지수준에 대한 설계만을 하여도 내진
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본다.

내진성능수준 내진Ⅰ등급 내진Ⅱ등급

기능수행수준 평균재현주기 100년 평균재현주기 50년

붕괴방지수준 평균재현주기 1,000년 평균재현주기 500년

장래 계획에 따라 향후 매립되어 항만 부지로 사용될 구간과 방파제 구간으로 구분 가능


설계적용
새만금 신항만의 국가물류기능 유지역할 등, 시설물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전구간 내진Ⅰ등급 적용

- 271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4.2.3 설계지반운동

설계지반운동은 구조물이 건설되기 전에 부지 정지작업이 완료된 지면에서의 지반운동으로


항만 및 어항
정의한다.
설계기준 내진편
암반상 유효수평지반가속도(설계 진도)는 행정구역에 의한 방법으로 산정한다.단, 국가지진
(KDS 64 17 00
:2019) 위험지도 상의 값을 사용가능하며, 그 값이 행정구역에 의한 방법으로 결정된 값의 80%
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지진구역 및 구역계수
지진구역 행정구역 구역계수 적용
시 서울, 인천, 대전, 부산, 대구, 울산, 광주, 세종
Ⅰ구역 0.11g ◉
도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강원 남부
Ⅱ구역 도 강원 북부, 제주 0.07g

재현주기별 위험도 계수
재현주기 50 100 200 500 1,000 2,400 4,800
위험도계수(  ) 0.40 0.57 0.73 1.0 1.4 2.0 2.6
적 용 ◉

재현주기별 지진위험지도
구 분 평균재현주기 500년 평균재현주기 1,000년

지 진
위 험
지 도

새만금지역 : 0.080g 새만금지역 : 0.110g

설계지반운동수준 산정
구 분 내진등급 평균재현주기 설계지반운동수준 적 용
행정구역에 의한 방법 1등급 1,000년 0.11g × 1.4 × 0.8 = 0.123g
0.123g
지진재해도에 의한 방법 1등급 1,000년 0.110g

설계적용 행정구역에 의한 방법으로 설계지반운동수준 산정 기반암 가속도 0.123g 적용

- 272 -

제4장
4장 내진 안정성 검토

4.3 설계지진파 생성 및 보정
4.3.1 인공지진파 생성
기반암 설계지반운동의 가속도 표준응답스펙트럼
암반지반(S1)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전이주기
 전이주기(sec)
(단주기스펙트럼 증폭계수) TO TS TL
2.8 0.06 0.3 3

주기영역별 설계스펙트럼 가속도(Sa)


주기
0≤T≤TO TO≤T≤TS TO≤T≤TL TL≤T
(T, sec)
 
(Sa, g) (1+30T)×S 2.8×S ×S ×S
 

가속도 시간이력
인공합성 가속도 시간이력의 구간선형 포락함수

지진규모별 지속시간
지진규모 상승시간(tr) 강진지속시간(tm) 하강시간(td)
6.0-6.5 1 7 9

국내 지진규모가 규모 6.5 미만임을 감안하여, 강진동


지속시간(tm)이 7초인 경우를 채택하여 과도한 에너지
삽입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KDS 64 17 00:2019)

인공지진파 생성
인공합성 가속도 시간이력 작성 설계응답스펙트럼 부합성 검토

인공지진 응답스펙트럼 생성오차 10% 이내 부합

설계적용 암반지반(S1)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에 부합하는 인공지진파 적용

- 273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4.3.2 실지진기록을 활용한 지진파 보정

실지진 기록은 국내여건과 유사한 판 내부(intra-plate) 지역에서 계측된 기록을 선정


항만 및 어항 관측소 하부지반이 S1 지반 혹은 이에 준하는 보통암 지반에서 계측된, 고려하는 설계지진과
설계기준 내진편 유사규모의 기록 선정
(KDS 64 17 00 선정된 지진기록은 S1 지반의 가속도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에 맞추어 수정 적용
:2019) 수정 시, 원본파형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파형을 설계응답스펙트럼에 맞추어
보정(Spectral Matching)

실지진기록 선정
구 분 판 위치 발생위치 발생일시 지진규모
새만금(익산) 유라시아판 판내부(intra-plate) 2015년 전북 익산시 M=3.9

경주 유라시아판 판내부(intra-plate) 2016년 경북 경주시 M=5.8

포항 유라시아판 판내부(intra-plate) 2017년 경북 포항시 북구 M=5.4

Kobe 유라시아판 불의 고리(Ring of fire) 1995년 일본 효고현 아와지섬 M=6.9

Hachinohe(장주기) 북미판 불의 고리(Ring of fire) 1968년 일본 도카치현 M=7.9

Ofunato(단주기) 북미판 불의 고리(Ring of fire) 1978년 일본 미야기현 M=7.4

설계응답스펙트럼 보정(Spectral
보정(Spectral Matching)
보정 전 보정 후

기준선 보정(Baseline
보정(Baseline Correction)
정확한 동적변형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입력 지진파의 시간-가속도 이력곡선의 변위 및 속도, 가속도가
지진종료시점에 '0'에 수렴하도록 미소 진폭의 Sine파형으로 보정(Baseline Correction) 필수
Baseline Correction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응답 가속도와 속도를 적분하는 과정에서 적분상수 발생으로
최종변위를 과대・과소 평가하게 되므로 반드시 수행하여야 함

가속도(Acceleration) 속도(Velocity) 변위(Displacement)

- 274 -

제4장
4장 내진 안정성 검토

설계적용 실지진파
새만금(익산) 지진파 경주 지진파 포항 지진파

고베 지진파 장주기파(Hachinohe) 단주기파(Ofunato)

설계적용 설계응답스펙트럼 보정 및 기준선보정을 적용한 6개의 실지진파 적용

4.3.3 지진응답해석
지반의 동적특성
전단파속도 분석 비선형 동적특성 전단저항 응력비 DCM 전단파 속도

Vs(점토N≤6) : 170m/sec 감쇠비 : 점토4.91~28.66 CRRN=10 : 0.295~0.305 Vs : 855~868m/sec

정규화 전단탄성계수(G/Gmax) 감쇠비(Damping Ratio)

- 275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지진응답해석 개요
지진응답해석의 개념도 해석개요

설계지반운동수준은 지표면 자유장인 기반암 수준의


암반노두(점 )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조건에 부합
되지 않는 조건인 경우 별도의 해석이 필요
내진해석을 수행할 위치의 지반조건이 점 과 같이
기반암이 아닌 경우 점 의 설계지반운동수준을
기반암 운동으로 1차 변화하고 부지의 동적 변형 특성에
따라 점 에서 점 으로의 운동변화 양상에 대한
해석을 수행함

지진응답해석 검토방법
지반정수입력 지진파입력 해석결과

지층의 두께와 단위중량 최근 발생한 국내 실지진파 지층심도별 지진응답해석 결과


전단파 속도 : 새만금(익산), 경주, 포항 (최대가속도, 최대변위, 전단응력,
지반의 동적특성 판 내부 실지진파 전단변위, 동적전단탄성계수,
(G/Gmax, 감쇠비) : Kobe 감쇠비)
입력지진파의 가속도 시간이력 장주기, 단주기 성분파 임의의 지접에서의 응답스펙트럼
S-PS검층 : Hachinohe, Ofunato 과 시간이력 곡선
공진주 시험결과 인공지진파 지반증폭의 전달함수

설계지진력 산정
1구간 2구간 적용

개전된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을
반영하여 설계지진력 산정
방파제에 작용하는 지진력은
Amax/2를 적용함
투기장 호안 등 매립완료시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호안은
방파제에 준하여 설계지진력 산정
기초지반 지표면 Amax/2 기초지반 지표면 Amax/2

DCM 개량지반의 검토조건


DCM 개량지반 검토조건 지표면 최대가속도(Amax) 산정

4개의 검토조건으로 지진응답해석 수행 개량전 원지반 조건이 가장 보수적

- 276 -

제4장
4장 내진 안정성 검토

지반응답해석 결과
연파제어형 요철 케이슨 소파블록 피복 경사제 사석 경사제

지표면 최대 가속도 지표면 최대 가속도 지표면 최대 가속도


: 0.149~0.190g를 보임 : 0.147~0.175g를 보임 : 0.167~0.192g를 보임

지반고 기반암 지표면 최대가속도(g) 최대값


시추공
(DL.m) 심도(m) 인공지진 장주기 단주기 경주 포항 익산 고베 (g)

TBH-1 -8.79 42.0 0.178 0.190 0.169 0.146 0.160 0.172 0.134 0.190

BH-1 -8.34 38.6 0.181 0.175 0.174 0.189 0.164 0.182 0.142 0.189
1구간
TBH-2 -7.29 51.0 0.169 0.151 0.136 0.153 0.110 0.150 0.120 0.169

BH-2 -7.04 48.5 0.149 0.123 0.129 0.117 0.114 0.140 0.096 0.149

TBH-3 -7.66 46.0 0.175 0.154 0.145 0.149 0.123 0.156 0.115 0.175

TBH-4 -6.78 45.0 0.127 0.137 0.120 0.115 0.108 0.126 0.096 0.137

TBH-5 -6.06 42.0 0.133 0.147 0.127 0.125 0.114 0.139 0.107 0.147

BH-3 -6.27 43.0 0.179 0.186 0.167 0.169 0.175 0.171 0.141 0.186
2구간
TBH-6 -6.25 38.5 0.162 0.192 0.170 0.161 0.147 0.178 0.133 0.192

BH-4 -6.10 37.0 0.173 0.191 0.189 0.168 0.163 0.169 0.132 0.191

TBH-7 -6.07 38.5 0.161 0.189 0.167 0.156 0.142 0.180 0.132 0.189

TBH-8 -5.60 42.0 0.167 0.167 0.150 0.133 0.149 0.162 0.120 0.167

BH-5 -8.78 36.0 0.176 0.173 0.186 0.153 0.147 0.184 0.124 0.186

TBH-9 -8.93 35.5 0.134 0.135 0.119 0.125 0.118 0.126 0.097 0.135
연락
도교
TBH-10 -8.87 36.8 0.174 0.188 0.169 0.149 0.157 0.181 0.153 0.188

BH-6 -8.90 34.0 0.159 0.181 0.178 0.169 0.153 0.157 0.117 0.181

설계적용 지반응답해석결과 지표면최대가속도(Amax)=0.192로 검토됨 수평지진계수는 Amax/2=0.096 적용

- 277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4.4 내진 안정성 검토
4.4.1 DCM 안정성 검토결과
내적 안정성 검토 외적 안정성 검토

내적 안정성 검토결과 압축 및 전단응력 안정성 확보 외적 안정성 검토결과 활동, 전도 및 지지력 안정성 확보

4.4.2 등가정적해석에 의한 내진 안정성 검토


1구간
1구간 검토결과
구 분 1구간 - 1구간 - 1구간 -

원호활동

Fs = 1.258 > 1.1 ∴O.K Fs = 1.326 > 1.1 ∴O.K Fs = 1.293 > 1.1 ∴O.K

편 심
경사하중
지 지 력

Fs = 1.635 > 1.1 ∴O.K Fs = 1.546 > 1.1 ∴O.K Fs = 1.486 > 1.1 ∴O.K

2구간
2구간 검토결과
구 분 2구간 - 2구간 - 2구간 -

Fs = 1.061 > 1.0 ∴O.K Fs = 1.109 > 1.0 ∴O.K Fs = 1.029 > 1.0 ∴O.K
원호활동 2구간 - 2구간 - 2구간 -

Fs = 1.370 > 1.0 ∴O.K Fs = 1.191 > 1.0 ∴O.K Fs = 1.040 > 1.0 ∴O.K

- 278 -

제4장
4장 내진 안정성 검토

4.4.3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내진 안정성 검토


2차원
2차원 시간이력해석 결과
2차원 동해석을 통해 설계적용된 7개의 지진파 작용시 제체 수평변위 검토

구 분 수평변위도 수평변위 시간이력

1-1구간
케 이 슨
제 두 부

δh(max) = 4.14 < 20.0cm ∴ O.K

1-2구간
케 이 슨
제 간 부

δh(max) = 7.40 < 20.0cm ∴ O.K

2-1구간
소파블록
피복경사제
(매립시)

δh(max) = 7.14 < 20.0cm ∴ O.K

2-2구간
사석경사제
(매립시)

δh(max) = 6.16 < 20.0cm ∴ O.K

수평변위(cm) 최대변위
구 분
인공합성 장주기 단주기 경주 포항 익산 고베 (cm)

1-1구간 3.97 3.39 3.16 4.14 2.84 3.69 2.94 4.14

1-2구간 7.33 6.06 5.57 5.20 6.25 6.86 7.40 7.40

2-1구간 7.14 6.00 5.27 5.07 5.48 5.65 6.34 7.14

2-2구간 6.16 4.81 4.24 4.59 5.22 5.52 5.65 6.16

설계적용 내진Ⅰ등급에 대한 2차원 시간이력해석결과 전구간 수평변위 허용기준(20cm) 이내로 안정성 확보

- 279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4.5 액상화 평가
4.5.1 액상화 평가 기준
액상화 평가 생략조건 액상화 평가 흐름도

지하수위 위의 지반
대상지반 심도가 20m 이상인 지반
상대밀도가 80% 이상인 지반
(N1)60 이 25 이상인 지반
qc1 이 13MPa 이상인 지반
Vs1이 200m/s 이상인 지반
세립토 함유량(#200체 통과율)이 35% 이상인 지반

4.5.2 액상화 평가방법


진동전단응력비(CSR) 액상화 판정

      액상화 간이평가 : SPT-N, CPT-qc, 전단파속도


      
      값을 이용한 방법 중 2가지 이상 수행
- Fs = CSR/CRR>1.0
여기서, Amax : 액상화 평가 지반의 최대 지반가속도 액상화 상세평가 : 진동삼축시험을 수행하여
g : 중력가속도 전단저항응력비 산정
σv’ : 액상화 평가 깊이의 총 상재압 - Fs = CSR/CRR>1.0
σv : 액상화 평가 깊이의 유효 상재압 액상화 가능성 지수(LPI)<5.0

SPT-N값 이용 CPT-qc값 이용 전단파속도 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액상화 발생 가능성 지수 (LPI) LPI 변위에 따른 액상화 피해정도


LPI 범위 액상화 위험도 등급
   
    
0 액상화 발생 가능성 없음
여기서, z : 대상지반의 심도
F(z) : 액상화에 대한 안전율(Fs)함수 0 < LPI ≤ 5 액상화 발생 가능성 낮음
F(z) 1.0 경우, F(z)=1-Fs
5 < LPI ≤ 15 액상화 발생 가능성 있음
F(z) 1.0 경우, F(z)=0
w(z) : 10-0.5z
15 < LPI 액상화 발생 가능성 높음

지진의 규모에 대한 보정값(MSF) 상세평가시 진동시험결과 보정

액상화 판정은 붕괴방지 수준에서 수행하며 리히터규모 CRR = C1・C2 (CRR)TX


M=6.5를 적용
C1(현장응력상태에 따른 보정계수) : (1+2K0)/3
보정값(MSF)는 1.5 적용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내진편(KDS 64 17 00:2019) C2(주장응력방향의 변화에 따른 보정) : 0.9

- 280 -

제4장
4장 내진 안정성 검토

4.5.3 액상화 가능성 평가


액상화 대상구간 선정
액상화 대상지층 선정 입도에 의한 액상화 예측・판정

지층상부 모래층 1.5~8.0m 두께로 분포

설계적용 입도에 의한 액상화 간이평가 결과 상부 모래층에서 발생가능성 높음

액상화 간이평가
액상화 간이평가 결과

간이평가 결과를 이용한 LPI지수


LPI지수
LPI 분석결과

액상화 간이평가에 의한 LPI 분석 결과 일부 구간에서 LPI 지수가 5이상으로 액상화 발생가능성


설계적용
높은 것으로 검토되어 상세평가를 통한 재검토 수행.

- 281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액상화 상세평가
액상화 상세평가 LPI 분석결과

액상화 안전율 Fs<1.0 LPI 종합평가 수행 LPI지수 5이상 액상화 대책공법 수립

설계적용 상세평과 결과 2구간 LPI지수 5이상으로 액상화 발생가능 심층혼합처리공법(DCM) 적용

지반개량 후 액상화 평가
개량후 액상화 검토 개량부 외측 액상화 발생시 안정성

개량전 0.67~0.86 개량후 1.63~2.09 ∴O.K 액상화 발생시 케이슨 및 경사제 안정성 확인

지진파 및 파랑을 고려한 액상화 평가


연파제어형 요철 케이슨 소파블록 피복 경사제

과잉간극수압비(ΔU/σ') : 0.083~0.118<1.0 ∴O.K 과잉간극수압비(ΔU/σ') : 0.083~0.118<1.0 ∴O.K

설계적용 액상화 대책공법(심층혼합처리공법)적용시 액상화 평가 지진시 액상화 안정성 확인

- 282 -

제4장
4장 내진 안정성 검토

4.5.4 동적 유효응력해석
해석 개요
본 해석은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설계를 위한 것으로 시간이력해석(Time
History Analysis)를 수행하여 지반 내 지진이 발생할 경우 상부 구조물의 안정성을 판단하고자 함.

해석 목적
구 분 내 용

해 석 내 용 유한차분해석 프로그램인 FLAC를 이용하여 지진발생시 구조물 안정성을 평가

수치해석을 이용한 시간이력해석(Time History Analysis)


- 현장 조건 및 실 스케일로 구성된 모델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적용
해 석 범 위
- 구조물과 지반에 가해지는 유체 하중을 부가질량법으로 모사한 유효응력해석 실시
- 지반 내 발생되는 지진에 따른 지반 및 유체, 구조물의 거동 분석

해석 조건
구 분 내 용

1단계 : 원지반 및 구조물 시공 후 해석


시 공 순 서 2단계 : 원지반 간극수압 및 유효응력 해석
3단계 : 내진해석

입력지진파 장주가파, 단주기파, 인공지진파, 인천지진파, 경주지진파, 포항지진파, 익산지진파, 고베지진파

해 석 내 용 2차원 내진해석 : Ⅰ등급 붕괴방지수준의 가속도 적용

해석 결과 요약
연파제어형 요철 케이슨 소파블록 피복 경사제
안정성 안정성
구 분 수평변위 연직변위 과잉 수평변위 침하량 과잉
판 정 판정
(mm) (mm) 간극수압비 (mm) (mm) 간극수압비

Hachinohe파 9.25 0.25 0.118 O.K 8.94 1.556 0.094 O.K

Ofunato파 -18.36 0.16 0.107 O.K -17.49 0.76 0.097 O.K

인공지진파 9.61 0.20 0.111 O.K 9.83 0.50 0.098 O.K

인천지진파 7.13 0.13 0.112 O.K 6.93 0.58 0.118 O.K

경주지진파 -2.93 0.15 0.113 O.K 2.40 0.58 0.098 O.K

포항지진파 4.28 0.10 0.090 O.K 4.44 0.49 0.114 O.K

익산지진파 -18.28 0.19 0.096 O.K 19.00 0.74 0.106 O.K

고베지진파 20.48 0.14 0.115 O.K 20.15 1.04 0.113 O.K

수평변위 : 20cm, 연직 침하량 : 10cm(케이슨), 30cm(경사제)


허 용 기 준
액상화 기준 : 과잉간극수압비(ΔU/σ') 1.0이하 ∴O.K

- 283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연파제어형 요철 케이슨 검토결과


Hachinohe파
Hachinohe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9.25mm δvmax=0.25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Ofunato파
Ofunato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18.36mm δvmax=0.16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인공지진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9.61mm δvmax=0.20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 284 -

제4장
4장 내진 안정성 검토

인천지진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7.13mm δvmax=0.13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경주지진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2.93mm δvmax=0.15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포항지진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4.28mm δvmax=0.10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 285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익산지진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18.28mm δvmax=0.19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고베지진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20.48mm δvmax=0.14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수평변위 연직변위

동적유효응력해석결과 0.3~3.4cm<20cm ∴O.K 동적유효응력해석결과 0.01~0.3cm<10cm ∴O.K

모형실험 및 동적유효응력 검토결과 최대 수평변위 3.4cm, 최대 연직변위 0.3cm 발생되는 것으로


설계적용
검토되어 지진시 허용변위량(수평 20cm, 연직 10cm) 이내로 안정함.

- 286 -

제4장
4장 내진 안정성 검토

소파블록 피복 경사제 검토결과


Hachinohe파
Hachinohe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8.94mm δvmax=1.56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Ofunato파
Ofunato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17.19mm δvmax=0.76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인공지진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9.83mm δvmax=0.50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 287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인천지진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6.93mm δvmax=0.58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경주지진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2.40mm δvmax=0.58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포항지진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4.44mm δvmax=0.49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 288 -

제4장
4장 내진 안정성 검토

익산지진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19.00mm δvmax=0.74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고베지진파
수평변위도 수직변위도 지속시간별 수평변위 지속시간별 연직변위

δhmax=20.15mm δvmax=1.04mm

수평 유효응력도 수평 전응력도 전단변형율도 과잉간극수압 분포도

수평변위 연직변위

동적유효응력해석결과 0.2~2.4cm<20cm ∴O.K 동적유효응력해석결과 0.05~0.4cm<10cm ∴O.K

모형실험 및 동적유효응력 검토결과 최대 수평변위 2.4cm, 최대 연직변위 0.4cm 발생되는 것으로


설계적용
검토되어 지진시 허용변위량(수평 20cm, 연직 10cm) 이내로 안정함.

- 289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제 5 장 계측계획의 적정성
5.1 설계개요
기본방향
유지관리까지 고려한 계측기 배치계획 집중관리 구간 상세 계측관리계획
기본조사 분석을 통한 계측관리방향 설정 시공중 및 집중관리구간을 통한 효율 및 신뢰성 향상
전단면 변위침하계를 통한 시공중 계획 수립 유지관리를 침하 및 변위 기준에 의한 관리체계 개선
계측기별 유지관리계획으로 보호대책 수립 연계한 시험시공에 의한 DCM 품질관리 기준치 선정
IoT자동화계측으로 계측값 발주처 인계 계측계획 확인조사계획 수립, 시험시공후 품질관리
IoT 자동화계측(스마트기술도입)계획 시험시공 및 확인조사

입찰안내서 요구사항
구조물의 시공 및 유지관리시 현장지반과 구조물의 거동특성 파악
시공 전・후의 지반조사와 연계한 합리적인 계측관리 수립

계측계획 개선사항
기본조사 기본설계 개선사항
제체 시공 전 계측항목 미반영으로 설계 침하량과 제체 시공 전 무선자동 전단면 변위침하계 설치로
실측침하량의 과다 오차 발생 시공중 침하량 관리 및 유지관리 계측계획 수립
지층변화구간, 접속부 등 위험 예상구간에 대한 지층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계측항목 및 배치로
고려없는 일률적인 계측기 배치계획 계측효율 및 신뢰성 향상
해상 현장조건이 미반영된 계획 수립 해상 변화조건을 반영한 계측항목 반영
3개 계측항목 총 7개 계측기 계획 8개 계측항목 총 127개 계측기 계획
수동계측으로 실시간 데이터 확인불가 자동화계측으로 실시간 계측관리계획 수립

계측대상구간 주요 특성

전단면 변위침하계 설치 및 배치기준 이상의 계측기 설치 계측효율 향상 및 신뢰성 향상


설계적용
IoT기반 자동화 계측시스템 구축 집중관리구간에 대한 시공중 및 유지관리계측 가능

- 290 -

제5장
5장 계측계획의 적정성

5.2 계측항목 및 계측기 배치의 적정성


구조물 시공단계에 따른 구조물 거동양상 파악을 위한 관리기준 선정

5.2.1 계측항목 선정
계측관리항목 및 계측기 선정
침하관리 안정관리 예방적관리

하중에 의한 지반 및 구조물 침하검층 수평변위 및 구조물 저면부 하중측정 사업구간 조위 등 해양 특성 관측

관리항목
시공단계
지반 침하 구조물 변위 지반반력 해양조건 변화
사석제체 및 마운드 포설 ◉ - - ◉

케 이 슨 설 치 ◉ ◉ ◉ ◉

상치콘크리트 타설 ◉ ◉ ◉ ◉

계측기 배치계획
1-2구간 3구간
계측항목 계측기명 관리목적 1구간 2구간 관리시기
접속부 접속부
전단면 변위침하계
- 1 - -
(자동)
구 조 물
구조물 변위 측정 및 상치 시공중 /
침 하 침하핀 35 3 44 1
타설시기 결정 유지관리
관 리
침하판 7 - 9 1

수동 7 1 9 1
구조물 시공중 /
구 조 물 구조물 횡방향 거동 측정
경사계 유지관리
안 정 자동 1 - - 1
관 리
케이슨 반력 측정 및 지반
반력계 수공 4 - - - 시공중
지지력 확인
조위변화 관측을 통한
조위계 자동 1 - - -
해 상 해상작업 효율 증진 시공중 /
조 건 파압변화 관측을 통한 유지관리
파압계 자동 1 - - -
구조물 안정성 검증

설계적용 구조물 거동 특성 파악, 해양조건 변화 관측 시공중, 유지관리를 연계한 계측계획 수립

- 291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5.2.2 계측기 배치계획

집중관리 1 : 케이슨 혼성제(제두부) 해양조건 변화 파악

자동화 구조물 경사계 배치 자동화 파압계 및 조위계 설치


해상조건에 따른 구조물 변위 실시간 계측 해상조건 변화 실시간 Feed Back

집중관리 2 : 케이슨과 경사제 접합부 집중관리 3 : 3구간 접속부

자동화 전단면 변위침하계 설치 자동화 구조물 경사계 배치


하중조건 변화, 케이슨 부등침하 사전방지 기존 호안의 영향성 실시간 모니터링

설계적용 구조물 형식, 해상조건 및 기존호안을 고려 집중관리 3개소 선정 시공중 안정성 확보

- 292 -

제5장
5장 계측계획의 적정성

5.3 계측관리계획의 적정성


4단계 관리기준 설정 및 IoT 자동화 시스템 도입 시공후 유지관리와 연계가능

5.3.1 계측관리기준 및 주기 설정
계측관리 기준
4단계 관리등급 선정으로 구조물의 거동특성 상세 파악 및 시공공정 연계성 확보

관리등급 Level 1(안정) Level 2(주의) Level 3(이상) Level 4(한계)


침하관리
- 10mm이상/10일 5~50mm/5일 10~100mm/일
(변 위)
안정관리 - 1/500<각변위<1/300 1/300<각변위 1/150<각변위
시공중 일상계측 관측, 계측빈도 강화 해당구간 계측강화 시공중지 및 점검
관리체계 허용변위상태 현장 점검, 기준제고 대책방안 수립 대책공법 실시후 확인
일반적 관리기준 이상원인 분석 검토 관리기준 조정 관리기준 조정

계측관리 주기
지동 및 수동계측 병행수행 및 계측빈도 강화조정으로 계측데이타의 신뢰성 확보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 건설공사 및 유지관리계측 표준시방서 비교 검토 수행

구 분 설치직후 제축축조 ~ 상치타설후 준공시 운영중


자동계측 무선 자동화계측시스템 실시간 계측 수행 유지관리
수동계측 3회/1일 1회/1일 1회/1주 계측이관

IoT기반 자동화 계측
IoT기반
기본조사 _수동 계측 시스템 기본설계 _ 자동화 계측시스템

실시간 데이터 확인 불가 즉각적 대처 불가 실시간 데이터 확인 즉각적 대처 가능

설계적용 IoT기반 자동화 계측시스템 구축 방파호안축조 후 및 유지관리계측으로 전환 가능

- 293 -
제 4 편 토질 및 기초

5.3.2 유지관리 계측계획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른 하자담보책임기간에 준하여 운영중 유지관리 계측관리계획 수립


현장생애주기를 고려한 시공중, 운영중 및 발주기관 이관까지 고려한 계측관리 계획 수립

시공중 계측관리 운영중 유지관리 계측관리 발주기관에 이관


계측기관리, 계측결과 분석 유지관리시스템으로 전환 기존 시스템 교육/이관
계측결과 수집/정리 계측결과 연속성 검토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현장관찰, 관리기준 준수 보고서 작성, 보완대책 건의 사용중 A/S연계 고려

계측기 보호대책
구 분 문제점 보호대책 관리방안

구조물경사계 침하핀 위치이동 보호 케이싱 설치


내부식성 자재사용, 휀스 및 주의표지판
조 위 계 작업선박 충돌위험 보호 캡 설치 설치

국가공인기관의 정기 검교정 실시
침 하 핀 침하핀 파손, 이탈 보호케이싱 및 주의 표지판 설치
계측기 주변 장비 작업시 주의 및 서행
계측케이블 시공중 케이블 단락 케이블 모래층 내 매설

운영중 관리계측계획
시공중 계측항목 유지관리용 전환 해양관측 시스템 구축

구 분 구조물 유지관리 및 해양관측 시스템

침하핀 구조물 침하 및 변위 계측 반력계 지반반력 변화 측정

유지관리
구조물경사계 케이슨 구조물 변위 계측 조위계 과업구간 조위변화 관측
활 용

매립형침하계 기초지반 침하 거동특성 관측 파압계 유수실 내부 파압측정

기대효과 안정성 실시간 모니터링 허용기준치 초과시 자동경보 시공위험 조기 해소

설계적용 시공중, 운영중 계측관리계획 수립후 정보화 시공관리 체계 구축

- 294 -

제5장
5장 계측계획의 적정성

5.3.3 시공전
시공전・후
시공전・・후 확인조사 및 품질관리 계획
시험시공 및 확인조사 규정
구 분 시험횟수 규정 적 용 관련규정
확인조사 개량체 50,000m3당
1회 DCM전문 시방서
D C M 300공당 1회
확인조사 개량체 300공당 1회 DCM 메뉴얼
고압분사 시험시공 : 설치연장 500m당 2공 1회 항만 및 어항공사
300m당 1회
공 법 품질검사 : 설치연장 300m당 2공 1회 전문시방서재개정(2016)

시험시공 및 실내배합시험 계획
구 분 항 목 고려사항 비 고
고화재량(C) 230, 250kg/cm3 개량체 강도, 재료량
개 량 체
물/시멘트 비(W/C) 0.7, 0.8 작업성
배합방법
사용고화재 종류 제조사별 2종류(A, B) 개량체 강도
시공속도 0.6, 0.67, 1.0, 1.2, 1.5, 2.0(m/min) 작업량, 공사기간
슬러리주입방식 관입토충, 인발토충, 관입인발토출 개량체 강도, 균질도
시공방법 선단부처리방식 W형, 교반회수, 교반시간 개량체 강도, 균질도
표층부처리방식 N형, 교반회수, 교반시간 개량체 강도, 균질도
착저층 판정 장비 전기부하량 관리 지지층 확인

시공후 확인조사 및 품질시험 계획

구 분 지층확인 시추조사 DCM 개량체 확인 DCM 개량체 강도 확인


조사수량 5회 28공 84회

설계적용 시험시공을 통한 배합조건 및 시공성 확인후 DCM 개량체 사후조사를 통한 품질 검증

- 29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