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2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개 별 조 사 보 고 서

동부건설주식회사
(주)세일종합기술공사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제출도서 목록

1 설계설명서

2 기본설계보고서

3 구조 및 수리계산서

4 조사보고서(공동제출)

5 개별조사보고서

6 각종시험 및 실험보고서

7 기본설계도면
Contents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목 차
3.3.5 S-PS 검층 ·
··
··
··
··
··
··
··
··
··
··
··
··
··
··
··
··
··
··
··
··
··
·30
제1편 지반조사 3.3.6 피에죠콘 관입시험 · ··
··
··
··
··
··
··
··
··
··
··
··
··
··
··
·31
3.3.7 간극수압 소산시험 · ··
··
··
··
··
··
··
··
··
··
··
··
··
··
··
·32
제1장 지반조사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1 3.4 실내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1.1 조사목적 및 기본방향 ·
··
··
··
··
··
··
··
··
··
··
··
··
··
··
··
··
·1 3.4.1 토질 기본물성시험 · ·
··
··
··
··
··
··
··
··
··
···
··
··
··
··
·33
3.4.2 토질 역학시험 · ··
··
··
··
··
··
··
··
··
··
··
··
···
··
··
··
··
··
·33
1.2 조사범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3.4.3 동적 특성시험 · ··
··
··
··
··
··
··
··
··
··
··
··
···
··
··
··
··
··
·34
1.3 조사기간 및 장비 ·
··
··
··
··
··
··
··
··
··
··
··
··
··
··
··
··
··
··
··
··
·2 3.4.4 환경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34
제2장 지반조사 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3 제4장 조사 결과 성과분석 ·
··
··
··
··
··
··
··
··
··
··
··
··
··
··
··
··
··35
2.1 조사 및 분석방향 설정 · ··
··
··
··
··
··
··
··
··
··
··
··
··
··
··
··3 4.1 퇴적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35
2.1.1 중점 고려사항 ·
··
··
··
··
··
··
··
··
··
··
··
··
··
··
··
··
··
··
··
··3 4.1.1 사전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35
2.1.2 조사 및 분석흐름 ··
··
··
··
··
··
··
··
··
··
··
··
··
··
··
··
··
··3 4.1.2 선행퇴적이력자료 연구 · ··
··
··
··
··
···
··
··
··
··
··
·35
2.2 조사 계획 수행기준 선정을 위한 검토 · ··
···
··4 4.1.3 퇴적물 공급경로 · ··
··
··
··
··
··
··
··
··
··
··
··
··
··
··
··
··
·41
2.2.1 지반조사 개선사항 ··
··
··
··
··
··
··
··
··
··
··
··
··
··
··
··
··4 4.1.4 미고결 퇴적층의 특성 · ·
··
··
··
··
··
··
··
··
··
··
··
··
·48
2.2.2 입찰안내서 분석 ·
··
··
··
··
··
··
··
··
··
··
··
··
··
··
··
··
··
··4 4.1.5 퇴적단위 및 환경의 구분 · ··
··
··
··
··
··
··
··
··
··
·56
2.2.3 지반조사항목 및 수량계획 · ·
··
··
··
··
··
··
··
··
··
··4 4.2 지층분포 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
··
··59
2.2.4 지반조사 수행기준 선정 · ··
··
··
··
··
··
··
··
··
··
··
··4 4.2.1 평면적 지층특성 분석 ···
··
··
··
··
··
··
··
··
··
··
··
··59
2.2.5 조사항목 선정 및 활용 ···
··
··
··
··
··
··
··
··
··
··
··
··5 4.2.2 심도별 지층특성 분석 ···
··
··
··
··
··
··
··
··
··
··
··
··59
2.3 공동 지반조사 수행현황 · ··
··
··
··
··
··
··
··
··
··
··
··
··
··
··6 4.3 연약지반 판정기준 검토 및 선정 · ··
··
··
··
··
··
··60
2.3.1 지반조사 항목 및 수량 ···
··
··
··
··
··
··
··
··
··
··
··
··6 4.3.1 기관별 판정기준 ·
··
··
··
··
··
··
··
··
··
··
··
··
··
··
··
··
··
·60
2.3.2 지반조사 개선사항 ··
··
··
··
··
··
··
··
··
··
··
··
··
··
··
··
··6 4.3.2 인근지역 적용사례 분석 · ··
··
··
··
··
··
··
··
··
···
·61
2.4 기존 자료 분석 ···
··
··
··
··
··
··
··
··
··
··
··
··
··
··
··
··
··
··
··
··
··6 4.3.3 사업대상위치 연약지반 판정기준 선정 · ·61
2.4.1 기본조사 분석 ·
··
··
··
··
··
··
··
··
··
··
··
··
··
··
··
··
··
··
··
··6 4.4 연약점성토 특성 분석을 위한 신뢰도 확보방안 62
2.4.2 인근지역 조사자료 검토 · ·
··
··
··
··
··
···
··
··
··
··
··9 4.4.1 현장 베인시험 보정 ·
··
··
··
··
··
··
··
··
··
··
··
··
··
··
·62
2.5 광역자료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25 4.4.2 연약점성토 교란도 분석 · ·
··
··
··
··
··
··
··
··
··
··
·62
2.5.1 지진이력 분석 ·
··
··
··
··
··
··
···
··
··
··
··
··
··
··
··
··
··
··
·25 4.5 연약점성토 정적특성 분석 · ·
··
··
··
··
··
··
··
··
··
··
··
··64
2.5.2 기상현황 분석 ·
··
··
··
··
··
··
··
···
··
··
··
··
··
··
··
··
··
··
·26 4.5.1 물리적 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64
2.6 관련 논문자료 검토 ·
··
··
··
··
··
··
··
··
··
··
··
··
··
··
··
··
··
·26 4.5.2 강도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
··
··
··65
4.5.3 변형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
··
··
··66
제3장 공동조사 결과분석 ·
··
··
··
··
··
··
··
··
··
··
··
··
··
··
··
··
··
··27 4.5.4 압밀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
··
··
··67
3.1 지형 및 지질 특성 분석 · ·
··
··
··
··
···
··
··
··
··
··
··
··
··27 4.5.5 압밀이방성 평가 ··
··
··
··
··
··
··
··
··
··
··
··
··
··
··
··
··
··68
3.1.1 지형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
··
··
··27 4.6 사질토 정적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69
3.1.2 선형구조 분석 ·
··
··
··
··
··
··
··
··
··
··
··
··
··
··
··
··
··
··
··27
4.7 토양 및 수질 분석 · ·
··
··
··
··
··
··
··
··
··
··
··
··
··
··
··
··
··
··69
3.1.3 지질특성분석 ·
··
··
··
··
··
··
··
··
··
··
··
··
··
··
··
··
··
··
··
··28
4.7.1 토양환경 시험 ·
··
··
··
··
··
··
··
··
··
··
··
··
··
··
··
··
··
··
··69
3.1.4 불연속면 특성 ·
··
··
··
··
··
··
··
··
··
··
··
··
··
··
··
··
··
··
··28
4.8 동적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70
3.2 현장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3.2.1 시추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28 제5장 설계지반정수 산정 ·
··
··
··
··
··
··
··
··
··
··
··
··
··
··
··
··
··
··71
3.3 현장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5.1 산정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3.3.1 표준관입시험 · ·
··
··
··
··
··
··
···
··
··
··
··
··
··
··
··
··
··
··
··29 5.1.1 산정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71
3.3.2 공내재하시험(LLT) · ·
··
··
··
···
··
··
··
··
··
··
··
··
··
··29 5.1.2 산정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71
3.3.3 공내전단시험(BST) · ··
··
··
··
··
··
··
··
··
··
··
··
··
··
··30 5.1.3 설계지반정수 산정을 위한 개선사항 · ···71
3.3.4 현장베인시험(FVT) · ··
··
··
··
··
··
··
··
··
··
···
··
··
··30

-ⅰ-
Contents
5.2 연약점성토 설계지반정수 산정 · ·
··
··
··
··
··
··
··
··
·72 제2장 해상교통조사 분석 ·
··
··
··
··
··
··
··
··
··
··
··
··
··
··
··
··
··123
5.2.1 연약지반 분포 특성 ···
··
··
··
··
··
··
··
··
··
··
··
··
··
·72 2.1 해상교통흐름조사 현황 · ··
··
··
··
··
··
··
··
··
··
··
··
···
·123
5.2.2 연약지반 설계지반정수 산정 흐름 · ··
···
·76 2.1.1 조사 지역 범위 ·
··
··
··
··
··
··
··
··
··
··
··
··
··
··
··
··
··
·123
5.2.3 인근지역 시험 자료 분석 · ··
··
··
··
··
··
··
··
··
··
·77 2.1.2 조사위치 및 조사기간 · ··
··
··
··
··
··
··
··
··
···
··
·123
5.2.4 인근지역 기존자료 유사성평가 · ·
··
··
··
··
··
·77
5.2.5 MCS/BA 통계분석 및 산정 ···
··
··
···
··
··
··
·82 2.2 항적 조사 분석 ···
··
··
··
··
··
··
··
··
··
··
··
··
··
··
··
··
··
··
··
·124
2.2.1 선박크기별 항적도 · ·
··
··
··
··
··
··
··
··
··
··
··
··
···
·124
5.3 토사 및 풍화대 설계지반정수 산정 · ··
··
··
··
··
··99 2.2.2 선종별 항적도 ·
··
··
··
··
··
··
··
··
··
··
··
··
··
··
··
··
···
·124
5.3.1 지층별 대표 N값 산정 ·
··
··
··
··
··
··
··
··
··
··
··
··
·99 2.2.3 경로별 항적도 ·
··
··
··
··
··
··
··
··
··
··
··
··
··
··
··
··
···
·125
5.3.2 단위중량 및 강도정수 산정 · ·
··
··
··
···
··
··
··
·99
5.3.3 변형계수 및 포아송비 산정 · ·
··
···
··
··
··
··
·102 2.3 통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126
5.3.4 토사 및 풍화대 설계지반정수 산정결과 103 2.3.1 선종별 통계 (72시간 조사) · ·
··
··
···
··
··
··
··126
2.3.2 선박크기별 통계 (72시간 조사) · ··
···
··127
5.4 기반암 설계지반정수 산정 · ·
··
··
··
··
··
··
··
··
··
··
··104 2.3.3 요일별 통계 (72시간 조사) · ·
··
··
··
···
··
··127
5.4.1 문헌자료 검토 ·
··
··
··
··
··
··
··
··
··
··
··
··
··
··
··
··
··
··104 2.3.4 시간대별 통계 (72시간 조사) · ·
··
··
··
··
··128
5.4.2 인근 적용사례 검토 ···
··
··
··
··
··
··
··
··
··
··
··
··
··104 2.3.5 경로대별 통계 (72시간 조사) · ·
··
··
··
··
··129
5.4.3 기반암 설계지반정수 산정결과 · ·
···
··
··
··105
5.5 동적 설계지반정수 산정 · ··
··
··
··
··
··
··
··
··
··
··
···
·106 제3장 해양사고 분석 ·
··
··
··
··
··
··
··
··
··
··
··
··
··
··
··
··
··
··
··
··
·130
5.5.1 경험식에 의한 전단파속도 · ·
··
··
··
··
··
··
···
·106 3.1 해양사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130
5.5.2 인근 적용사례 검토 ··
··
··
··
··
··
··
··
··
··
··
··
··
··
·106 3.1.1 인근 해양사고 개황 · ·
··
··
··
··
··
··
··
··
··
··
··
··
··
·130
5.5.3 현장시험에 의한 전단파속도 분석 · ·
···
·107 3.1.2 항로 해양사고 사례 · ·
··
··
··
··
··
··
··
··
··
··
··
··
··
·130
5.5.4 통계분석에 의한 동적물성값 산정 · ·
···
·107 3.1.3 해양사고 분석결과 요약 · ··
··
··
··
··
··
··
··
··
··
·132
5.5.5 압축파 및 전단파속도 산정결과 · ··
··
··
··114
5.5.6 동적 설계지반정수 산정결과 · ·
··
··
··
··
··
··
·115 제4장 해상교통혼잡도 분석 ·
··
··
··
··
··
··
··
··
··
··
··
··
··
··
··
·133
5.5.7 비선형 동적특성 및 액상화 저항응력 분석 115 4.1 사업대상지 해상교통혼잡도 분석 · ··
··
··
···
··
·133
5.6 수리특성 설계지반정수 산정 · ··
··
··
··
···
··
··
··
··116 4.1.1 현재 해상교통혼잡도 분석 ·
··
··
··
··
··
··
··
··
·133
5.6.1 문헌자료 검토 ·
··
··
··
··
··
··
··
··
··
··
··
··
··
··
··
··
··
··116 4.1.2 해상작업시 해상교통혼잡도 분석 · ··
···
·134
5.6.2 인근 적용사례 검토 ···
··
··
··
··
··
··
··
··
··
··
··
··
··116
제5장 충돌위험도 분석 ·
··
··
··
··
··
··
··
··
··
··
··
··
··
··
··
··
··
··
··136
5.6.3 인근자료 시험결과 분석 · ·
··
··
··
··
··
··
··
··
··
··117
5.6.4 수리특성 설계지반정수 산정결과 · ·
··
···117 5.1 사업대상지 충돌위험도 분석 · ··
··
··
··
··
···
··
··
··136
5.1.1 현재 충돌위험도 분석 ·
··
··
··
··
··
··
··
··
··
··
··
··136
5.7 재료원 설계지반정수 산정 · ·
··
··
··
··
··
··
··
··
··
··
··118
5.7.1 준설매립토 및 사석재 설계지반정수 산정 118 5.2 해상교통위험성 평가 방법에 의한 분석 · ·
·137
5.2.1 항해위험평가시스템에 의한 결과 · ··
···
·137
5.8 설계지반정수 요약 · ·
··
··
··
··
··
··
··
··
··
··
··
··
··
··
··
··
··120
5.2.2 해안선 안전격자에 의한 결과 ··
··
··
··
··
··
·139
5.8.1 연약지반 설계지반정수 · ·
··
··
··
··
··
··
···
··
··
··120
5.2.3 항로 안전격자에 의한 결과 ·
··
··
··
··
··
··
··
·140
5.8.2 연속체 설계지반정수 ···
··
··
··
··
··
··
··
··
··
··
··
··120
5.8.3 내진해석을 위한 설계지반정수 · ·
··
···
··
··120 제6장 안전 대책 ·
··
··
··
··
··
··
··
··
··
··
··
··
··
··
··
··
··
··
··
··
··
··
··
··142
6.1 현행통항선박에 대한 교통흐름조사 결과 ·
· 142
6.2 AR기반 해상교통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구축활용 143
제2편 해상교통조사 및
6.3 해상공사시 안전대책 ·
··
··
··
··
··
··
··
··
··
··
··
··
··
··
··
··146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제1장 사업의 목적 및 개요 ·
··
··
··
··
··
··
··
··
··
··
··
··
··
··
··
·121
1.1 사업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121
1.2 사업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121
1.2.1 주요 사업 내용 ···
··
··
··
··
··
··
··
··
··
··
··
··
··
··
··
··
·121
1.2.2 결과물의 활용 방안 · ·
··
··
··
··
··
··
··
··
··
··
··
··
··
·122

-ⅱ-
제1편 지반조사
제1장 지반조사 개요
제2장 지반조사 계획
제3장 공동조사 결과
제4장 조사 결과 성과분석
제5장 설계지반정수 산정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제1장 지반조사 개요
1.1 조사목적 및 기본방향
사 업 명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사업구간의 지층발달상태와 지반특성을 고려한 합리적・경제적인 설계 및 시공의 기초자료 제공


조사목적 기본조사용역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세부 지반조사 계획 수립
연약지반, 기초지반 특성파악을 위해 다양한 현장 및 실내시험을 도입하여 신뢰성 증대

합리적인 조사계획 수립 설계목적을 고려한 조사


입찰안내서를 준용한 조사계획 수립 연약지반 특성을 고려한 조사항목 선정
현황조사 및 기본조사를 토대로 계획 수립 구조물 안정성 검증을 위한 특수실험 실시
주변현황, 인접자료 분석으로 중점사항 도출 지반조사 지진 위험성 증가에 따른 내진관련 조사 수행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각종 결과보정 수행 기본방향 연약지반 특성을 고려한 처리대책 수립
유사성 분석으로 조사결과의 신뢰도 확보 지반특성을 고려한 최적공법선정 및 설계
확률통계분석으로 설계지반정수 신뢰성 향상 다양한 분석을 통한 합리적 설계지반정수 산정
조사결과의 신뢰도 향상 성과분석 및 설계활용의 극대화

1.2 조사범위
사업개요
사업위치 전라북도 고군산군도 주변해역

새만금 광역 경제권 지원 및 황해권 물류‧레저관광 기능 수행을


사업목적
위한 신항만 방파호안 축조

시설개요 방파호안 : 1,585m, 관리부두 1식

사업대상위치 현황

- 1 -
제 1 편 지반조사

1.3 조사기간 및 장비
조사기간
2020년
소요
조사항목 5월 6월 7월 8월 9월
일수
20 30 10 20 30 10 20 30 10 20 30 10 20
입찰안내서검토 10일
사전조사
현장답사/인허가 10일

시 추 조 사 30일

시 료 채 취 30일

공동조사 현 장 시 험 30일

실내토질시험 20일

토양/ 수질분석 10일

성 과 분 석 80일

보 고 서 작 성 95일

조사장비
구분 조사장비 수량 비고
시 추 기 P500SD : NX규격, Engine(15Hp) 및 Pump 2대 공동
현장조사 S. E. P Barge MI-85H(9×9m), Spud 24m 1대 공동
예 인 선 ○○호(470Hp) 1대 공동
표준관입시험 KS F 2307 규정에 의한 Split Spoon Sampler 1조 공동
현장베인시험 Vane시험기, Rod 1조 공동
공내재하시험 Elastmeter Type(일본), Auto-LLT(미국) 각1조 공동
현장시험 공 내 전 단 시 험 공내전단시험기, Rod 1조 공동

피에조콘관입/
Probe(GEOTECH AB, Sweden), Microphone, Cable 1조 공동
소 산 시 험

S - P S 검층 Geologger 3(Model-3970A), Probe(Model-3614A), Geophone 1조 공동


토질/암석시험 실내 토질, 암석시험기 1조 공동
실내시험
내 진 시 험 공진주, 반복삼축시험기 1조 공동

SEP Barge(시추조사) S-PS 검층 피에조콘관입시험 대형삼축압축시험

- 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제2장 지반조사 계획
2.1 조사 및 분석방향 설정
2.1.1 중점 고려사항
정밀 지층분포 파악 연약지반 특성파악 퇴적 사질토층 특성파악 성과분석

S.E.P Barge 해상시추 현장시험 및 실내시험 동적특성 파악 정밀 지층분포 파악


방파호안 시추조사 - 현장베인 10회 -S-PS 검층 연약지반 분포 및
공학적특성 파악
: 10공 - CPT/CPTu 3공 -공진주시험
퇴적 사질토층 분포
피에조콘관입시험 - LLT 3회 -반복삼축시험
및 공학적특성 파악
자연시료 채취 시료교란 평가 및 보정 사질토 입도분석 내진특성 평가
지층단면도 작성 결과의 신뢰성 증대 공학적특성 정밀파악 최적 지반특성 파악

2.1.2 조사 및 분석흐름
퇴적환경분석 인근 조사자료 분석 광역 지반조사 및 기본자료 분석

선구조 및 퇴적환경 분석
→ 광역 위험요소 사전 도출
1 기본조사 용역 등 다수의
사전조사
기존자료 분석
→ 조사계획 수립 및 연약지반
분석에 활용

해상 시추조사 자연시료채취 광역 지반조사 및 기본자료 분석

SEP Barge 이용 해상 시추조사


방파호안구간 : 시추조사 10공
자연시료채취 : 10회
벌크시료 채취 : 진동대 시험

2 피에조콘관입시험 S-PS검층 현장 및 실내시험


상세조사
현장시험 : CPT/CPTu, LLT,
BST, S-PS검층 등
실내시험 : 기본물성, 일축/삼축,
압밀시험 등
동적특성 : 공진주, 반복삼축시험

지층분포분석 연약지반 성과분석 지층분포 및 연약지반특성 파악


기본조사, 인근조사자료,
공동조사 종합분석
3 → 정밀지층분석
성과분석 각종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활용
→ 연약지반 공학적 특성 분석
SUFER
→ 퇴적 사질토층 특성 분석

- 3 -
제 1 편 지반조사

2.2 조사 계획 수행기준 선정을 위한 검토


2.2.1 지반조사 개선사항
기본조사용역 분석을 통해 공동 지반조사 상세계획 수립시 반영
기존 조사자료 문제점 분석 후 개선방안 수립으로 조사 신뢰도 향상

구분 기본조사 자료분석 공동조사 착안사항


방파호안 및 관리부두 추가 시추조사 실시
시 추 조 사 상세지층분포 파악을 위한 시추공 수량 부족
지층급변구간 조사밀도 증대
현장 및 실내 지반의 특성별 물성치 산정을 위한 현장시험 연약지반 및 원지반 사질토층을 대상으로
시 험 부족 다양한 현장 및 실내시험 실시
시료교란 영향 분석 실시
연약지반특성 분석 신뢰도 부족
성 과 분 석 동적특성 평가를 위한 현장 및 실내시험
퇴적 사질토층 및 동적특성 파악 부족
추가실시

2.2.2 입찰안내서 분석
구분 주요내용 조사 및 설계반영사항 비고

지반조사는 필요시 입찰자 공동으로 수행 입찰자간 공동으로 추가 지반조사 계획을


조사계획서를 발주기관에 제출 승인 후 수립하고 발주처 승인을 득한 후
기 본 설 계 시행하며, 추가조사 필요시 승인 필요 관련기관과 협의하여 지반조사 실시 반영
관련법 및 조사서식을 작성하여 현지조사시 방파호안 및 관리부두 대상 10공의
문제가 없도록 조치하여야 함 공동지반조사 실시

2.2.3 지반조사항목 및 수량계획


구분 세부 수량계획
조사계획 수립 단계별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조사단계별 설계목표에 부합되는 조사수량 계획
입찰안내서,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양수산부, 2019), 구조물기초설계기준(건설교통부, 2018) 및
조사기준 설정
기존 설계사례 분석을 통하여 조사기준 선정
조사지침의 구간별 조사항목 및 정밀 지질・지반 특성 파악에 필요한 조사항목 추가 보완
조사항목 계획 연약지반 특성, 강도 및 변형 특성, 동적 특성 파악을 위한 최신 조사기법 적극 도입
지층별 지반특성, 구조물 특성 및 설계목적을 고려한 구간별 조사항목 선정

조사지침에 제시된 최소 조사수량 기준 이상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충분한 조사수량 계획


조사수량 계획
지층급변 및 연약지반 분포지역 등 문제 예상 구간에 조사밀도 증대

2.2.4 지반조사 수행기준 선정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2019, 해양수산부), 구조물기초설계기준(2018, 건설교통부)
대상구조물에 따른 조사항목
구분 조사착안사항 조사항목
강제치환 깊이 산정, 지반개량 검토
호안, 방파제 시추조사, 표준관입시험
압밀침하 및 침하시간, 사면안정, 전단강도 특성
피에조콘관입 및 소산시험
연약층 두께, 범위, 연약정도, 압밀침하 및 침하소요시간 물성/일축/삼축/압밀시험
연 약 지 반 단계성토고, 사면안정, 지반처리계획
해상조사시 SEP Barge 사용
장비진입성, 압밀이력상태, 강도증가율

- 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시추조사 배치 및 심도기준
조사대상 배치간격 심도기준 비고
단지조성, 연약지반 쌓기 200∼300m 간격 연약지반 확인 후 견고한 지반 3∼5m 필요시
구조물
매립지 등 횡방향
기 초
광 역 부 지 호안, 방파제 등 100m 간격 풍화암 3∼5m 보링
설 계
기 준 고속전철, 연약지반 쌓기 100∼200m 간격 연약지반 확인 후 견고한 지반 3∼5m
도 로
개 략 조 사 법선방향 300∼500m 간격, 법선직각방향 50m 간격
항만 및 지 층 균 일 정 밀 조 사 법선방향 50∼100m 간격, 법선직각방향 20∼30m 간격
어 항
사운딩
설 계 개 략 조 사 법선방향 50m이하 간격, 법선직각방향 20∼30m 간격
지 층 복 잡 추가 실시
기 준
정 밀 조 사 법선방향 10∼30m 간격, 법선직각방향 10∼20m 간격

조사수행 기준 선정 및 적정성 평가(기본조사용역 포함)


구분 조사기준 기본설계 적용 적정성 평가
시추 빈 도 50∼100m 간격 법선방향 약 70m, 횡방향 추가조사 기준이상
조사 심 도 기반암 2m 기반암 2m 이상 기준 기준이상
현 장 표준관입시험 1.5m 간격, 연속적 1.0m간격, 연속적 수행, SPT효율측정 기준이상
시험 현 장 시 험 피에조콘관입시험 등 CPT/CPTu, 공내재하, S-PS검층 기준이상
기 타 문제발생 조치여부 입찰자 해결 조사시 안전관리 및 민원협의 후 실시 기준이상

2.2.5 조사항목 선정 및 활용
사업구간 특성을 고려한 조사내용을 명확히 인지하고 연관성 있는 조사항목 선정 및 활용계획 수립
선정된 조사항목간 상호 분석결과를 합리적으로 도출하고 설계 및 시공에 적극적으로 활용

적용
구분 조사항목 조사활용
기본계획/기본조사 공동조사
광역조사 선구조 및 지표지질 - ○ 지질위험요소 및 광역적인 지질특성 파악
현장조사 시추조사 ○ ○ 지층분포 현황 및 토질종류 파악
표준관입시험 ○ ○ N-값으로부터 지반의 강도 및 변형특성 파악
공내재하시험(LLT) - ○ 토사, 풍화대 및 기반암의 변형특성 파악
공내전단시험(BST) - ○ 풍화대의 강도특성 파악
토질분류, 점성토층의 강도특성 및 압밀특성
현장시험 피에조콘관입시험 - ○
파악, 과압밀비 파악
간극수압소산시험 - ○ 수평방향 압밀특성, 수평방향 투수특성 파악
현장베인시험 ○ ○ 연약점성토층의 비배수전단강도 파악
S-PS검층 - ○ 원위치 지반의 동적특성 파악
기본물성시험 ○ ○ 토질의 기본 물리적 특성 파악
일축압축시험 ○ ○
삼축압축시험(UU) ○ ○ 연약점성토층의 강도특성 파악
실내토질 삼축압축시험(CU) ○ ○
시험 표준압밀시험 ○ ○ 압밀특성 파악, 연약지반 침하량/압밀소요기간 산정
공진주시험 - ○ 토사층의 동적특성 파악
반복삼축시험 - ○ 액상화 저항능력 산정
수질/토양 분석 - ○ 해수 및 퇴적층의 환경관리를 위한 분석

- 5 -
제 1 편 지반조사

2.3 공동 지반조사 수행현황


2.3.1 지반조사 항목 및 수량
시추조사 위치도 구분 조사항목 단위 기본 금회 합계
광역조사 선구조/지표지질 식 - 1 1
시추조사 공 3/6 10 19
현장조사 시료채취
회 2/6 10 18
(불교란/교란)
표준관입시험 회 66/222 398 686
공내재하시험(LLT) - 3 3
공내전단시험 회 - 3 3
현장시험
CPT/CPTu 회 - 3 3
공번 X Y 심도(m) 현장베인시험 회 6 10 16
TBH-01 354,241.34 150,522.68 48.0 S-PS검층 회 - 3 3
TBH-02 354,243.35 150,808.25 52.0 기본물성시험 회 5/16 20 41
TBH-03 354,435.39 151,030.81 47.0 일축압축시험 회 2/6 10 18
TBH-04 354,425.32 151,144.57 46.0 삼축압축시험(UU) 회 6 10 16
TBH-05 354,435.04 151,310.17 43.0 삼축압축시험(CU) 회 6 10 16
TBH-06 354,617.75 151,508.30 44.5 실내시험 표준압밀시험 회 2/6 10 18
TBH-07 354,622.47 151,800.97 39.5 토사공진주시험 회 - 3 3
TBH-08 354,745.15 151,841.90 43.0 진동삼축시험 회 - 3 3
TBH-09 354,575.50 152,098.41 41.5 수질분석 회 - 2 2
TBH-10 354,595.12 152,149.79 38.0 토양분석 회 - 2 2

2.3.2 지반조사 개선사항


최적설계를 위한 조사 내진설계를 위한 동적특성 파악
해상시추조사 피에조콘관입시험 S-PS검층 토사공진주시험

SEP Barge 적용 점성토 강도 및 압밀파악 원지반 동적특성 정밀파악 퇴적층 동적특성 파악

2.4 기존 자료 분석
2.4.1 기본조사 분석
원안 지반조사 현황
시추조사 위치도 구분 단위 수량
현장조사 시 추 조 사 공 6
표 준 관 입 시 험 회 222
현장시험
현 장 베 인 시 험 회 6
물성시험/일축압축시험 회 16/6
실내시험 삼축압축시험(UU/CU) 회 6/6
표 준 압 밀 시 험 회 6

- 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지층분포 분석
북측방파호안(1,2구간) 관리부두

- 북측방파호안
해성퇴적층은 해저면 퇴적된 층으로 최상부는 모래, 상부는 연약실트와 연약점토, 하부는 모래층으로 구성
점성토층은 상부실트와 하부점토로 분포하며, 부분적으로 교호, 대부분 매우 연약한 상태로 구성
BH-2호공을 중심으로 굳은점토 발달 및 풍화대의 심도가 증가함
하부모래층은 대부분 조밀한 상대밀도를 보이지만, BH-3호공과 BH-4호공 주변으로는 연약모래층 발달
기반암은 전 조사지점에서 DL(m) 기준 –39.5m∼-55.54m 깊이로부터 1.0m 이상 두께 분포를 확인함
- 관리부두
해저면으로부터 점토, 모래, 연약점성토(실트,점토), 보통조밀한 모래층으로 구성

사업대상위치는 CL 및 ML의 저소성점성토가 혼재되어 분포 복잡, 다양한 지층분포 확인함


검토결과
공동지반조사 및 개별조사로 상세한 지층상태 파악 지반특성에 부합하는 최적 설계

연약지반 공학적특성 분석
물리적특성 분석
함수비(%) 액성한계(%) 소성지수(%) 소성도

범위 : 24.9∼56.2% 범위 : 31.2∼47.4% 범위 : 7.6∼22.1% 점토(CL)가 우세함


평균 : 33.2% 평균 : 39.4% 평균 : 14.2% 실트(ML) 소규모 분포

비중(Gs) 단위중량(γt , kN/m3) 2㎛ 점토함유량(%) 활성도

범위 : 2.670∼2.701 범위 : 16.7∼19.8 범위 : 3.0∼55.5% 보통활성∼비활성


평균 : 2.684 평균 : 18.6 평균 : 29.0% 주성분: Kaolinite

- 7 -
제 1 편 지반조사

포화단위중량 액성지수 연경지수 #200체 통과량

범위 : 16.7∼19.7 범위 : 0.07∼1.52 범위 : -0.56∼0.93 범위 : 53.0∼98.1%


평균 : 18.5 평균 : 0.59 평균 : 0.41 평균 : 76.1%

검토결과 사업대상위치는 CL 및 ML 점성토가 혼재된 특성을 보이며 활성도는 보통활성∼비활성을 보임

강도 특성 분석
일축압축(qu/2, kPa) 삼축압축(Cuu, kPa) 강도시험(m) 강도증가율(m)

범위 : 20.7∼59.7kPa 범위 : 23.9∼70.0kPa 일축압축 m 평균 : 0.543 Skempton : 평균 0.182


평균 : 47.3kPa 평균 : 53.4kPa 삼축압축 m 평균 : 0.476 Hansbo : 평균 0.202

검토결과 강도증가율은 0.170∼0.543의 범위를 보이며, 비배수전단강도는 20.7∼70.0kPa 범위를 보임

압밀 특성 분석
초기간극비(eo) 선행압밀하중(Pc, kPa) Po-Pc 상관도 과압밀비(OCR)

범위 : 0.741∼1.518 범위 : 97.3∼217.7 Pc는 Po보다 모두 큰 범위 : 1.089∼2.846


평균 : 0.979 평균 : 172.6 범위로 분포 평균 : 1.70

수정압축지수(Ccʼ) 재압축지수(Cr) 연직압밀계수(Cv, cm2/s) 연직투수계수(Kv, cm/s)

범위 : 0.268∼0.622 범위 : 0.033∼0.084 범위 : 7.10∼8.70×10-3 범위 : 2.46∼4.78×10-7


평균 : 0.403 평균 : 0.052 평균 : 7.84×10-3 평균 : 3.45×10-7

검토결과 수정압축지수는 분산폭이 크지만 압밀계수와 투수계수는 변동폭이 작아 각각 유사한 경향성을 보임

- 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연약점성토 설계적용 지반정수(원안)


단위중량 비배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압축지수 압밀계수
구 분
(γt , kN/m3) (Su, kPa) (m) (Cc) (Cv, cm/s)
원안 설계지반정수 18.4 2.553×Z(m)+3.021 0.225 0.270 6.98×10-3

2.4.2 인근지역 조사자료 검토


국내 지역별 연약지반 유사성 분석
구 분 특 징
중국 양자강과 한반도 하천에서 퇴적물 이동
서 해
서해 남부는 조수간만의 차가 커 점토와 실트 혼재
신생대 제4기 초에 발생한 단층운동으로 바다분지 형성
동 해
해안선 급경사지 발달, 상대적으로 연약층 발달이 적음
해수면 하강시 퇴적된 잔류 사질 퇴적물 발달
남 해
육성과 해성기원의 고소성 점토 발달이 특징

구 분 군산, 장항 김포, 인천 아산만 목포 여천, 광양 김해, 부산


연 약 지 반 두 께(m) 0.3∼22.0 1.0∼10.0 0.0∼35.0 1.0∼25.0 0.5∼5.0 2.5∼41.0
대 표 토 질 CH, CL, ML CL, ML CL, ML CH, CL CH, CL, MH CH, CL, ML
소 성 지 수(%) 3∼26 5∼20 8∼32 15∼40 6∼66 15∼30
초기간극비 0.8∼1.5 0.9∼1.5 0.9∼1.6 1.1∼2.1 1.1∼2.9 1.0∼2.0
비 배 수 전 단 강 도(kPa) 7∼28 11∼45 11∼26 5∼36 11∼40 3∼50
범위 0.37∼0.73 0.05∼0.65 0.15∼0.65 0.28∼0.82 0.30∼1.28 0.15∼1.29
압축지수
평균 0.51 0.14 0.34 0.52 0.63 0.60

인근지역 조사자료 현황
인근 조사자료 위치도 구분 인근 조사자료 사업명 시추조사
1 새만금 남북2축도로 (기본, 2∼4공구) 799
2 새만금 산업단지 개발계획 및 기본조사 252
3 군산항 제2준설토 투기장 축조공사 17
4 군산항 다목적 관리부두 건설공사 27
5 군산항 남측안벽 축조공사 74
6 군산 비응도항 건설 민간 제안 실시설계 44
7 새만금 동서2축도로 (1∼4공구) 711
8 새만금 방수제 만경 건설공사 (3∼5공구) 258
9 새만금 방수제 동진 건설공사 (1∼5공구) 314
10 새만금 관광단지 개발사업 87
11 새만금 신항만 기본계획 재검토 용역 30
12 새만금 신항 진입도로 및 북측방파호 41
13 새만금 신항 가호안 및 매립호안 축조공사 25
14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 축조공사 (1∼2공구) 72
15 새만금 내부개발 기본계획 102
16 새만금 농생명용지 2공구 18
17 군장항 잡화부두 민간투자사업 20
18 군장 신항만 남방파제 축조공사 28
19 군산조선소 도크 및 안벽축조공사 49
20 군장국가산단(장항지구) 호안도로 80
21 군장항 잡화부두 민간투자사업 20
22 부산신항, 인천투기장, 동해항외 20개 사업 744
23 영일만항, 감천항, 제주외항 외 8개사업 429

검토결과 새만금 인근지역 21개 사업에서 총 3,068공 자료 분석, 유사설계자료 34개 사업 총 1,173공 분석

- 9 -
제 1 편 지반조사

인근지역 연약지반 특성 분석
새만금 방수제 동진1공구 건설공사
방수제 1구간 조사현황 및 지층 분포

방수제 1구간 지층분석결과, 퇴적층내 사질토층이 1.2 ∼ 17.6m의 층후로 우세하며 기반암은 퇴적암으로 셰일
및 사암이 GL.(-) 26.0 ∼ 37.5m에서 확인됨, 사업지역과 동일 분포암종으로 기반암설계정수 산정시 활용

함수비(Wn, %) 액성한계(LL, %) 소성지수(PI, %) 소성도표

범위 : 23.2∼45.1% 범위 : 30.4∼48.6% 범위 : 6.2∼24.2% CL(ML)이 우세함


CL : 26.7%, ML : 31.4% CL : 46.3%, ML : 34.8% CL : 23.0%, ML : 9.5% CL과 ML 경계 다수분포

비중(Gs) 액성지수 2㎛ 점토함유량(%) 활성도

범위 : 2.688∼2.740 범위 : -0.09∼1.44 범위 : 2.2∼26.2% 보통활성도를 보임


CL : 2.723, ML : 2.702 CL : 0.14, ML : 0.68 CL : 23.4%, ML : 8.4% 주성분 : Illite

새만금 방수제 동진3공구 건설공사


동진 2호 방수제 조사현황 및 지층분포

동진 2호 방수제 지층분석결과, 퇴적층 최상부에 모래가 15.0 ∼ 32.0m의 층후로 우세하며, 그 하부에 점성토가
3.0∼18.0m 층후로 분포하고 퇴적모래가 분포하는 다층구조이며 풍화대는 지표 하 36.0m 내외에서 출현

- 1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함수비(Wn, %) 액성한계(LL, %) 소성지수(PI, %) 소성도표

범위 : 25.5∼79.7% 범위 : 27.8∼85.5% 범위 : 5.1∼53.10% 고소성점토(CH)와


CL : 33.9%, CH : 44.4% CL : 39.0%, CH : 69.4% CL : 17.9%, CH : 42.4% 저소성점토 및 실트 분포

비중(Gs) 액성지수 2㎛ 점토함유량(%) 활성도

범위 : 2.551∼2.782 범위 : 0.05∼2.41 범위 : 2.00∼58.0% 보통활성∼비활성 해당


CL : 2.694, CH : 2.707 ML : 0.82, CH : 0.40 CL : 20.7%, CH : 40.0% 주성분 : Illite

새만금 방수제 동진4공구 건설공사


동진1호 방수제 조사현황 및 지층분포

동진 1호 방수제 지층분석결과, 최상부에 퇴적사질토가 22.0 ∼ 38.0m의 층후로 우세하며, 퇴적점성토는


퇴적사질토 사이에 2∼8m 층후로 분포, 풍화대는 지표 하 18.0∼34.5m부터 최대 29m 층후로 두껍게 출현

소성한계(PL, %) 액성한계(LL, %) 소성지수(PI, %) 소성도표

범위 : 17.0∼34.9% 범위 : 24.1∼52.4% 범위 : 5.3∼19.3% 점토(CL)가 우세함


CL : 22.4%, ML : 24.2% CL : 35.5%, ML : 29.9% CL : 13.1%, ML : 5.8% 실트(ML)가 소규모 분포

- 11 -
제 1 편 지반조사

일축압축강도(qu/2) 초기간극비 2㎛ 점토함유량(%) 활성도

범위 : 13.6∼17.3 범위 : 0.78∼1.24 범위 : 7.0∼60.0% 보통활성∼비활성


CL : 15.2 CL : 0.93 CL : 37.9%, ML :7.0% 주성분 : Kaolinite∼Illite

새만금 방수제 동진5공구 건설공사


운산승수로 조사현황 및 지층분포

운산승수로 지층분석결과, 사질토층이 23.0 ∼ 28.5m의 층후로 우세하며, 상부에 연약사질토층이 4.0∼13.0m
층후로 분포, 풍화대가 3.5∼7.0m 층후로 상대적으로 얇게 분포하고 기반암은 지표 하 23.5∼32.0m부터 출현

함수비(Wn, %) 액성한계(LL, %) 소성지수(PI, %) 소성도표

범위 : 26.8∼49.9% 범위 : 26.8∼72.5% 범위 : 4.0∼49.0% 점토(CL)가 우세함


ML : 31.1%, CH : 38.8% ML : 31.0%, CH :66.2% ML : 31.0, CH : 44.4% CH와 ML 소규모 분포

비중(Gs) 액성지수 2㎛ 점토함유량(%) 활성도

범위 : 2.646∼2.707 범위 : -0.63∼2.72 범위 : 2.0∼34.0% 보통활성∼비활성


ML : 2.673, CH: 2.684 ML : 0.72, CH : 0.39 ML : 12.3%, CH : 29.3% 2개시료 활성에 해당
새만금 방수제 만경4공구 건설공사
조사현황 및 지층분포

상부퇴적층 평균 N치는 7/30, 하부퇴적층 평균 N치는 26/30, 풍화대 평균 N치는 50/11로 분포

- 1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함수비(Wn, %) 액성한계(LL, %) 소성지수(PI, %) 소성도표

범위 : 21.6∼79.3% 범위 : 28.9∼58.8% 범위 : 5.5∼38.8% 점토(CL)가 우세함


ML : 31.1%, CH : 43.2% ML : 32.4%, CH : 56.0% ML : 8.3%, CH : 33.6% CH와 ML 소규모 분포

비중(Gs) 액성지수 2㎛ 점토함유량(%) 활성도

범위 : 2.667∼2.693 범위 : -0.15∼2.07 범위 : 12.0∼98.8% 보통활성∼비활성


ML : 2.670, CH : 2.693 ML : 1.31, CH : 0.64 ML : 16.5%, CH : 57.5% 주성분 : Illite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 축조공사(1공구)


조사현황 및 지층분포

해성퇴적층은 해저면하 상부부터 퇴적된 층으로 상부 및 하부 점토와 실트, 상부 및 하부 모래층으로 구성


점성토층은 점토와 실트가 부분적으로 교호하며, 대부분 매우 연약한 상태로 구성

함수비(Wn, %) 액성한계(LL, %) 소성지수(PI, %) 소성도표

범위 : 23.2∼54.1% 범위 : 23.1∼48.1% 범위 : 3.6∼21.9% 점토(CL)가 우세함


ML : 30.6%, CL : 33.5 ML : 36.6%, CL :34.3% ML : 10.1%, CL : 14.0% 실트(ML) 소규모 분포

비중(Gs) 액성지수 2㎛ 점토함유량(%) 활성도

범위 : 2.487∼2.695 범위 : 018∼4.08 범위 : 5.8∼26.5% 주로 보통활성∼비활성


ML : 2.665, CL : 2.676 ML : 0.89, CL : 0.98 ML : 12.5%, CL : 18.2% 주성분 : Illite

- 13 -
제 1 편 지반조사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 축조공사(2공구)


조사현황 및 지층분포

해성퇴적층은 해저면하 상부부터 퇴적된 층으로 상부 실트질모래, 모래질실트, 하부 실트질모래순으로 구성


점성토층은 실트와 점토가 교호하며, 11.0∼19.0m의 층후를 보임

함수비(Wn, %) 액성한계(LL, %) 소성지수(PI, %) 소성도표

범위 : 21.1∼44.6% 범위 : 27.5∼60.4% 범위 : 3.5∼32.0% 점토(CL)가 우세함


ML : 31.6%, CH : 37.0% ML : 33.9%, CH : 58.4% ML : 9.3%, CH : 30.0 점토(CH), 실트(ML)분포

비중(Gs) 액성지수 2㎛ 점토함유량(%) 활성도

범위 : 2.664∼2.701 범위 : -1.40∼2.78 범위 : 7.8∼21.5% 보통활성∼비활성


ML : 2.678, CL : 2.687 ML : 0.86, CH : 0.28 ML : 11.3%, CH :21.4 주성분 : Illite

새만금 신항 가호안 및 매립호안 축조공사


조사현황 및 지층분포

해성퇴적층은 상부 사질토층과 하부 사질토층 사이에 9.0∼15.5m 층후의 점성토층 발달


하부 사질토층 내에 부분적으로 박층의 점성토층 확인, 풍화대는 얇게 분포함

함수비(Wn, %) 액성한계(LL, %) 소성지수(PI, %) 소성도표

범위 : 22.3∼45.1% 범위 : 31.8∼40.052% 범위 : 17.2∼23.0%


점토(CL)가 우세함
ML : 30.2%, CL : 32.1% CL: 36.2% 평균 : 20.0%

- 1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비중(Gs) 액성지수 2㎛ 점토함유량(%) 활성도

범위 : 2.680∼2.710 범위 : 0.42∼1.41 범위 : 6.40∼19.0% 보통활성∼활성


ML : 2.690, CL : 2.700 CL : 0.79 CL : 15.9% 주성분 : Illite

새만금 기본계획 재검토 용역


함수비(Wn, %) 액성한계(LL, %) 소성지수(PI, %) 소성도표

범위 : 24.9∼80.7% 범위 : 32.8∼60.5% 범위 : 6.7∼37.8% ML, CL 우세함


ML : 30.6%, CH :62.7 ML : 39.4, CH : 61.0% ML : 10.5%, CH :34.9% CH 소규모 분포

비중(Gs) 액성지수 2㎛ 점토함유량(%) 활성도

범위 : 2.660∼2.720 범위 : -0.58∼1.43 범위 : 2.0∼36.0% 보통활성∼비활성


ML : 2.678, CH : 2.715 ML : 0.24, CH : 1.01 ML : 12.3%, CH : 35.5% 주성분 : Illite

새만금 신항 진입도로(2,3구간) 및 북측방파호안(3구간) 축조공사


함수비(Wn, %) 액성한계(LL, %) 소성지수(PI, %) 소성도표

범위 : 19.2∼42.3% 범위 : 29.4∼68.5% 범위 : 5.9∼30.5% 점토(CL)가 우세함


CL : 32.2%, CH : 38.5% ML : 32.4%, CH : 60.2% ML : 8.4%, CH : 30.5% 실트(ML) 소규모 분포

- 15 -
제 1 편 지반조사

비중(Gs) 액성지수 2㎛ 점토함유량(%) 활성도

범위 : 2.643∼2.713 범위 : 0.03∼1.80 범위 : 8.3∼34.7% 보통활성 우세함


ML : 2.686, CH : 2.690 ML : 1.03, CH : 0.51 ML : 10.6%, CH : 28.6% 부분적 비활성

인근지역 연약지반 설계지반정수 분석


새만금 남북2축 도로건설 (2공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ML 0.96 0.31 1.65E-02 4.23E-07 29 0.19
CL 1.08 0.44 4.79E-03 1.89E-07 35 0.24

새만금 산업단지 개발계획 및 기본조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ML(N≤6) 0.966 0.388 1.62E-03 5.19E-07 45.0 0.27
ML(N>6) 0.878 0.352 3.24E-03 8.99E-07 60.0 0.22
CL(N≤6) 1.025 0.413 1.36E-02 4.97E-07 42.0 0.29

새만금 동서2축 도로건설 (1공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CL(N≤6) 0.94 0.34 4.80E-03 2.64E-07 40.0 0.189

군산항 제2준설토 투기장 축조공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ML 0.88 2.1E-01 3.98E-03 2.3E-06 32.1 0.18
CL 0.82 2.2E-01 1.87E-03 5.8E-07 95.3 0.19

군산항 남측안벽 축조공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ML 0.843 0.191 9.5E-03 5.8E-07 20 0.24

새만금 신항 진입도로(2,3구간) 및 북측방파호안(3구간)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CL 0.91 0.3 8.33E-03 1.44E-07 11.4+1.8D, N≤8 0.19

- 1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새만금 신항 가호안 및 매립호안 축조공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CL 0.92 0.23 8.00E-03 2.00E-07 2.9z(m)+5.5(40) 0.18

새만금 신항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2공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CL 0.87 0.238 1.23E-02 1.96E-07 1.68D(m)+11.4 0.15

새만금 신항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1공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ML 0.8 0.204 1.50E-02 5.14×10-7 39 0.21
CL 0.924 0.285 7.66E-03 3.29×10 -7
50 0.22

새만금 방수제 동진1공구 건설공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점성토 0.92 0.31 3.43-03 4.05E-07 25 0.17

새만금 방수제 동진3공구 건설공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CH 1.24 0.53 2.93E10-3 5.89E10-8 31.3 0.29
CL, ML 0.889 0.2 9.18E10-3 2.17E10-7 33 0.17

새만금 방수제 동진4공구 건설공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CH 0.95 0.19 4.00E-03 1.50E-07 30 0.19

새만금 방수제 동진5공구 건설공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상부점토 0.973∼1.289 0.223∼0.540 (0.97∼2.16)E-3 (0.45∼1.60)E-7 11.6∼53.4 0.2
하부점토 0.935∼1.206 0.290∼0.640 (1.80∼9.00)E-3 (1.09∼1.42)E-7 16.8∼72.7 0.2
상부실트 17.2∼24.3 0.2
0.945∼1.045 0.140∼0.350 (7.66∼8.20)E-3 (1.32∼2.00)E-7
하부실트 29.7∼38.4 0.2

새만금 산업단지 개발계획 및 기본조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구 분 구 분
(γt, kN/㎥) (c, kPa) (゚) (γt, kN/㎥) (c, kPa) (゚)
모래(N≤10) 18.0 5 30 풍화암 20.0 50 33
퇴적층
모래(N>10) 18.0 5 32
풍화토 19.0 30 32 연 암 23.0 100 35

- 17 -
제 1 편 지반조사

새만금 남북도로 건설공사 (2공구)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eo) (Cc) (Cv, cm2/s) (kv, cm/s) (Su, kPa) (m)
점토(N≤6) 1.00 0.32 5.30E-03 4.00E-07 40 0.24
점토(6<N≤10) 0.90 0.28 6.80E-03 4.40E-07 50 0.22
점토(10<N≤20) 0.80 0.23 8.40E-03 6.80E-07 60 0.2
실트(N≤6) 0.95 0.27 9.40E-03 8.20E-07 40 0.22
실트(6<N≤10) 0.90 0.2 3.40E-02 9.20E-07 50 0.2
실트(10<N≤20) 0.85 0.16 4.70E-02 1.00E-06 70 0.18

인접구간 연속체 설계지반정수 분석


새만금 남북2축 도로건설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투수계수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kv, cm/s)
점토(N≤6) 18.2 20 - 7.4 0.42 2.0E-07
점토(N>6) 18.5 35 - 12.1 0.40 4.6E-07
실트(N≤6) 18.6 25 - 9 0.42 3.6E-07
퇴적층
실트(N>6) 18.8 40 - 14 0.40 4.6E-07
모래(N≤10) 18.7 - 25 10 0.39 7.1E-03
모래(N>10) 19.0 - 29 18 0.38 3.2E-04
자 갈 20.0 - 33 45 0.34 2.7E-03
풍 화 토 19.5 20 30 40 0.33 3.6E-04
풍 화 암 21.0 30 32 257 0.30 6.4E-05
연 암 23.0 130 35 600 0.26 1.6E-06
경 암 26.0 200 38 2,000 0.24 1.6E-06

새만금 동서2축 도로건설 (1공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투수계수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kv, cm/s)
모래(N≤10) 18.5 - 28 10 0.40 8.0E-04
모래(N>10) 19.0 - 29 20 0.38 8.0E-04
점토(N≤6) 17.5 38 - 5 0.42 5.0E-07
퇴적층
점토(N>6) 18.0 50 - 12 0.40 4.3E-07
실트(N≤6) 17.5 38 - 7 0.42 5.2E-07
실트(N>6) 18.0 60 - 12 0.40 9.0E-07
자 갈 18.5 - 33 20 0.35 1.7E-03
하 부 자 갈 19.0 - 35 50 0.33 6.5E-03
풍 화 토 18.5 20 30 40 0.32 3.6E-04
풍 화 암 21.0 30 32 230 0.30 6.4E-05
연 암 24.0 130 35 600 0.26 4.7E-05
경 암 26.0 300 38 3,000 0.24 1.7E-05

- 1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새만금 동서2축 도로건설 (2공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투수계수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kv, cm/s)
상부모래(N≤10) 18.5 - 28 10 0.38 6.9E-04
상부모래(N>10) 19.0 - 29 15 0.38 1.2E-03
퇴적층
하부모래(N≤10) 18.5 - 28 12 0.38 4.9E-03
하부모래(N>10) 19.0 - 29 25 0.38 3.7E-03
자 갈 20.0 - 31 60 0.35 1.0E-02
풍 화 토 19.5 20 30 70 0.32 3.0E-04
풍 화 암 21.0 30 32 150 0.30 5.0E-05
기 반 암 23.0 150 35 1,000 0.27 1.0E-06

새만금 방수제 만경3공구 건설공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투수계수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kv, cm/s)
점토(N≤8) 18.0 30 - 3 0.40 8.0E-07
점토(N>8) 18.3 40 - 6 0.38 4.0E-07
퇴적층
하부모래(N≤10) 18.0 - 25 10 0.36 2.8E-03
하부모래(N>10) 18.5 - 30 20 0.35 9.0E-04
자 갈 20.0 - 35 50 0.30 6.0E-03
풍 화 토 19.0 20 32 40 0.33 2.0E-04
풍 화 암 21.0 30 33 150 0.30 1.0E-04
연 암 23.0 180 36 1,500 0.27 2.0E-05

새만금 방수제 만경4공구 건설공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투수계수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kv, cm/s)
점토(N≤8) 17.9 34.0 - 4 0.40 5.6E-5
점토(N>8) 18.0 50.0 - 10 0.40 1.0E-5
퇴적층
하부모래(N≤10) 17.7 - 27 9 0.37 6.0E-4
하부모래(N>10) 18.5 - 32 20 0.35 5.4E-4
자 갈 19.2 5 38 45 0.33 5.0E-3
풍 화 토 19.5 20 33 52 0.33 5.0E-5
풍 화 암 21.0 30 34 336 0.30 1.0E-5
연 암 23.1 100 42 1,313 0.25 1.0E-6

새만금 방수제 만경5공구 건설공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투수계수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kv, cm/s)
점토(N>6) 18.0 50 - 8 0.35 1.9E-07
퇴적층 하부모래(N≤10) 18.0 5 25 7 0.40 6.5E-04
하부모래(N>10) 18.5 - 30 20 0.38 4.8E-05
자 갈 19.0 - 33 50 0.33 8.8E-04
풍 화 토 20.0 25 30 50 0.33 4.0E-04
풍 화 암 21.0 30 32 240 0.30 4.4E-05
연 암 23.0 130 33 1,000 0.28 1.4E-05
경 암 25.0 200 40 6,000 0.26 5.2E-06

- 19 -
제 1 편 지반조사

군산항 제2준설토 투기장 축조공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투수계수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kv, cm/s)
점 토 19.1 95.3 - 8 0.4 5.8E-07
실 트 18.9 32.1 - 8 0.4 2.3E-06
퇴적층 하부모래( N≤10) 18.4 - 31 11.8 0.36 8.8E-03
하부모래(10<N≤30) 18.8 - 32 22.8 0.35 1.0E-03
하부모래( N > 3 0 ) 19.2 - 33 36.5 0.34 9.0E-04
풍 화 토 19.2 15 33 45 0.33 8.5E-04
풍 화 암 21 30 34 150 0.3 1.0E-04

새만금 신항 진입도로(2.3구간) 및 북측방파호안(3구간) 건설공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구 분 구 분
(γt, kN/㎥) (c, kPa) (゚) (γt, kN/㎥) (c, kPa) (゚)
퇴 준설매립토 17.5 7 32 풍화토 20 15 30
모래(N≤10) 19 - 25
적 풍화암 21 20 33
모래(N>10) 20 - 30
층 자 갈 20 - 30 연 암 23 100 40

군산항 남측안벽 축조공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투수계수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kv, cm/s)
상 부 모 래 17.8 0 29 15 0.35 6.4E-03
실 트 17.5 20 15 2 0.35 2.8E-06
퇴적층 하부모래(6<N≤20) 17.8 - 15 15 0.37 7.0E-04
하부모래( N > 2 0 ) 18 - 30 30 0.33 9.0E-04
점 토 17.2 70 - 7 0.4 5.8E-07
풍화토(N≤10) 18.1 15 25 13 0.35 8.5E-04
풍화토(N>10) 18.3 17 30 69 0.33 8.5E-04
풍 화 암 20 30 32 150 0.3 1.0E-04

새만금 신항 가호안 매립호안 축조공사 실시설계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점성토(N≤8) 18.0 Su=2.9z(m)+5.5(40) - 3 0.43
점성토(N>8) 18.0 N/0.16 - 5 0.40
퇴적층
상부모래(N≤10) 18.0 - 25 8 0.38
상부모래(N>10) 18.5 - 30 30 0.35
풍 화 토 19 15 30 50 0.35
풍 화 암 20 33 30 150 0.33
연 암 23 150 35 600 0.29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1공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느 슨 모 래 1 16.1 - 27 8 0.38
느 슨 모 래 2 17 - 29 12 0.36
퇴 적 층 조 밀 모 래 17.8 - 32 22 0.35
실 트 17.5 39 - 5 0.40
점 토 17 50 - 6 0.45
풍 화 토 19 20 30 70 0.33
연 암 23 250 35 1000 0.28

- 2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새만금 방수제 동진1공구 건설공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투수계수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kv, cm/s)
실트질 모래(N≤10) 17.5 5 25 6 0.40 1.0×10-3
퇴 실트질 모래(N>10) 18 10 28 20 0.35 5.0×10-4
적 모 래 18 - 35 30 0.35 1.0×10-3
층 자 갈 19 - 38 35 0.35 3.0×10-3
점 성 토 18 30 10 15 0.38 5.0×10-5
풍 화 토 19 22 30 60 0.32 4.0×10-4
풍 화 암 20 35 32 360 0.30 5.0×10-5
퇴적암/ 연암 21 150 28 840 0.28 2.0×10-5
퇴적암/ 경암 25 350 32 3,000 0.25 2.0×10-5

새만금 방수제 동진3공구 건설공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점 성 토 18 38 5 8 0.38
퇴적층 모래( N≤1 0 ) 18 5 28 10 0.35
모래( N>1 0 ) 18.5 10 32 20 0.34
자 갈 19 5 33 35 0.33
풍 화 토 19 25 30 50 0.32
풍 화 암 20 30 33 265 0.30
기 반 암 23 200 35 1,800 0.24

새만금 방수제 동진4공구 건설공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점토(N≤6) 17 30 - 3 0.40
점토(N>6) 17.5 50 - 10 0.38
퇴적층 실 트 18 - 25 15 0.36
모래( N≤1 0 ) 18.5 - 28 10 0.35
모래( N>1 0 ) 18.5 - 30 35 0.35
풍 화 토 19 15 25 50 0.33
풍 화 암 21 30 33 300 0.30
기 반 암 23 200 38 3,000 0.25

새만금 방수제 동진5공구 건설공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투수계수
구 분
(γt, kN/㎥) (c, kPa) (゚) (E, MPa) (ν) (kv, cm/s)
점 토 상 부 17 21 - 2.5 0.35 8.30E-06
점 토 하 부 17 34 - 2.5 0.35 8.30E-06
실 트 상 부 17.5 19.7 - 5.3 0.35 3.96E-05
퇴적층 실 트 하 부 17.5 30 - 5.3 0.35 3.96E-05
모래( N≤4 ) 17 - 23 6 0.35 2.94E-03
모래(4<N≤6) 17.9 - 25 6 0.35 2.94E-03
모래( N > 1 0 ) 18.1 - 28 14 0.33 1.79E-03
풍 화 토 19.0 29.0 30 50 0.32 4.12E-02
풍 화 암 21.0 32.0 33 200 0.30 3.03E-04
기 반 암 23.5 150.0 35 2,000 0.27 5.12E-05

대표 N값 산정 후 경험식에 적용, 지층별 연속체 지반정수를 도출한 후 인근 조사자료와 비교・분석


검토결과
원안 조사자료, 공동조사 결과를 추가 분석하여 연속체 설계지반정수의 신뢰도 향상

- 21 -
제 1 편 지반조사

인접구간 동적 설계지반정수 분석
새만금 남북2축 도로공사
구 분 Vs, m/sec Gd, MPa Ed, MPa Kd, MPa υd
점성토(N≤6) 1,500 200 73 217 3,998
점성토(N<6≤10) 1,530 230 97 290 4,177
퇴적층 점성토( 1 0 <N) 1,560 270 139 411 4,439
사질토( N≤1 0 ) 1,490 230 97 290 3,955
사질토( N>1 0 ) 1,730 390 292 860 5,360
풍 화 토 1,800 460 423 1,240 5,916
풍 화 암 1,960 590 679 1,969 6,586
연 암 2,200 770 1,245 3,561 8,504
경 암 2,800 1,100 2,783 7,841 14,321
새만금 방수제 만경3공구 건설공사
구 분 Vs, m/sec Gd, MPa Ed, MPa Kd, MPa υd
점성토(N≦8) 220 90 263 1,056 0.459
점성토(N>8) 260 132 384 1,436 0.455
퇴적층
사질토( N≦1 0 ) 306 172 501 1,822 0.454
사질토( N>1 0 ) 360 255 743 2,644 0.453
자 갈 410 350 1,014 3,179 0.447
풍 화 토 550 594 1,719 5,525 0.448
풍 화 암 760 1,260 3,580 7,534 0.421
기 반 암 1,220 3,543 9,810 14,140 0.384
새만금 방수제 만경4공구 건설공사
구 분 Vs, m/sec Gd, MPa Ed, MPa Kd, MPa υd
매 립 층 200 70 200 900 0.46
점 토 200 70 210 1,000 0.47
퇴적층 실 트 250 110 330 1,300 0.46
모 래 300 170 500 2,000 0.45
풍 화 토 350 240 700 3,000 0.43
풍 화 암 600 750 2,000 4,400 0.41
기 반 암 900 1,900 5,000 7,000 0.37
새만금 방수제 만경5공구 건설공사
구 분 Vs, m/sec Gd, MPa Ed, MPa Kd, MPa υd
사질토( N≤1 0 ) 250 110 330 2,350 0.48
퇴적층
사질토( N>1 0 ) 300 160 490 3,400 0.48
풍 화 암 770 1,240 3,560 8,500 0.43
연 암 1,350 4,190 11,130 10,800 0.33
경 암 1,530 5,850 15,110 12,070 0.29
군산항 제2준설토 투기장 축조공사
구 분 Vs, m/sec Gd, MPa Ed, MPa Kd, MPa υd
모래층( N<1 0 ) 180 55 164 1,611 0.483
모래층(10<N<30) 240 104 308 2,137 0.476
퇴적층 모래층( N>3 0 ) 340 212 619 2,713 0.462
점 토 층 260 116 344 2,604 0.478
실 트 층 290 145 427 3,096 0.477
풍 화 암 490 456 1,314 3,650 0.44
연 암 730 1,119 3,178 6,621 0.42
경 암 942 2,041 5,755 10,658 0.41

- 2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새만금 신항 진입도로(2.3구간) 및 북측방파호안(3구간) 건설공사


구 분 Vs, m/sec Gd, MPa Ed, MPa Kd, MPa υd
상부점성토(N≤8) 269 132.4 393 4470 0.49
하부점성토(N>8) 327 196.8 583 5350 0.48
퇴적층
상부모래(N≤10) 213 75.5 225 3783 0.49
하부모래(N>10) 305 167.4 496 4706 0.48
자 갈 833 1,434 4,034 7790 0.42
풍 화 토 829 1,403 4,066 13357 0.45
풍 화 암 1196 3,145 8,922 19158 0.42
연 암 1798 7,923 21,845 30225 0.38

새만금 신항 가호안 매립공사 축조공사


구 분 Vs, m/sec Gd, MPa Ed, MPa Kd, MPa υd
점 성 토 N ≤ 8 170 50 150 1,000 0.48
점 성 토 N > 8 220 82 250 1,300 0.46
퇴적층
사질토N≤1 0 180 51 150 750 0.46
사질토N>1 0 270 135 400 2,000 0.45
풍 화 토 400 350 800 2,500 0.43
풍 화 암 520 560 1,650 6,000 0.40
연 암 1,050 2,350 6,500 9,500 0.38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1공구)


구 분 Vs, m/sec Gd, MPa Ed, MPa Kd, MPa υd
점성토( N≤8 ) 790 200 66 195 0.47
점성토( N>8 ) 880 210 72 212 0.46
퇴적층
점 토 800 210 71 208 0.46
실 트 850 300 158 450 0.43
풍 화 토 1,040 400 304 859 0.41
풍 화 암 2,400 1,000 1,930 5,385 0.39
기 반 압 1,900 4,000 8,195 22,196 0.35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2공구)


구 분 Vs, m/sec Gd, MPa υd 구 분 Vs, m/sec Gd, MPa υd
실트( N≤6 ) 250 100 0.491 풍 화 토 370 250 0.482
퇴 실트( N > 6 ) 270 130 0.489
적 모 래( N≤1 0 ) 260 120 0.490 풍 화 암 1,000 380 0.417
층 모래(10<N≤30) 300 150 0.488
모래(N>30) 320 190 0.487 기 반 암 2,400 1,050 0.356

새만금 방수제 동진1공구 건설공사


구 분 Vs, m/sec Gd, MPa Ed, MPa Kd, MPa υd
실트질 모래 170 150 200 500 0.43
모 래 250 200 300 600 0.47
퇴적층
자 갈 352 250 400 700 0.43
점 토 / 실 트 220 170 210 550 0.42
풍 화 토 400 500 740 1,000 0.39
풍 화 암 640 1,500 1,720 2,390 0.37
연 암 800 1,800 2,500 5,000 0.35
경 암 1,200 4,000 8,000 9,000 0.30

- 23 -
제 1 편 지반조사

새만금 방수제 동진3공구 건설공사


구 분 Vs, m/sec Gd, MPa Ed, MPa Kd, MPa υd
점 성 토 301.2 166.7 492.7 3,729.8 0.478
모래층(N≤10) 199.1 72.8 216.7 3,019.0 0.488
퇴적층
모래층(N>10) 317.4 190.2 561.4 3,846.6 0.476
자 갈 층 507.5 499.3 1,456.9 5,923.2 0.459
풍 화 토 475.7 438.7 1,278.0 4,905.4 0.457
풍 화 암 598.4 730.7 2,110.9 6,325.2 0.444
연 암 744.6 1,301.2 3,725.4 9,070.8 0.432

새만금 방수제 동진4공구 건설공사


구 분 Vs, m/sec Gd, MPa Ed, MPa Kd, MPa υd
매 립 층 200 70 200 900 0.46
점 토 200 70 210 1,000 0.47
퇴적층 실 트 250 110 330 1,300 0.46
모 래 300 170 500 2,000 0.45
풍 화 토 350 240 700 3,000 0.43
풍 화 암 600 750 2,000 4,400 0.41
기 반 암 900 1,900 5,000 7,000 0.37

새만금 방수제 동진5공구 건설공사


구 분 Vs, m/sec Gd, MPa Ed, MPa Kd, MPa υd
사질토(N≤10) 230 105 313 4,600 0.484
퇴적층
사질토(N>10) 335 237 696 5,396 0.484
풍 화 암 693 671 1,960 8,221 0.461
연 암 1,050 2,636 7,512 16,789 0.443
경 암 1,106 2,896 8,233 17,488 0.422

설계반영 인근 유사한 지층별 동적특성 파악하여 금회 조사결과와 비교・분석, 합리적인 설계입력자료 도출

인근자료 종합
함수비(Wn, %) 액성한계(LL, %) 소성지수(PI, %) 소성도

범위 : 14.5∼80.7 범위 : 23.1∼85.5% 범위 : 3.5∼62.5% 고소성 점토(CH)와


CL : 33.2%, CH : 42.6% CL : 37.2%, CH : 63.7% CL : 16.7%, CH :39.4% 저소성 점토(CL) 우세

비중(Gs) 액성지수 2㎛ 점토함유량(%) 활성도

범위 : 2.487∼2.782 범위 : -1.40∼8.61 범위 : 1.0∼99.9% 주로 보통의 활성도


CL : 2.689, CH : 2.702 CL : 0.78, ML : 0.82 CL : 21.5%, CH : 32.1% 부분적 비활성∼활성 분포

- 2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2.5 광역자료 분석
2.5.1 지진이력 분석

기본방향 한반도 전체 및 사업구간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의 규모 및 발생이력 분석

한반도 지진이력 현황
진앙분포도 연도별 발생 현황 규모별 발생 현황

지진규모별 발생횟수
규 모(M) 2.0≤M<3.0 3.0≤M<4.0 4.0≤M<5.0 5.0≤M 비 고
총 횟수 1508 367 40 10 1978∼2019
년 평균 35.90 8.74 0.95 0.24 42년

문헌자료(노00,2003)에서는 역사지진 분석결과 활발한 지진활동은 약 1,500년 이상의 주기로 반복되며 이 시기가
100∼200년간 지속된다고 저술
1990년대 들어 일본고베지진(1995, M7.2), 경주지진(2016, M5.8) 등 중규모의 지진 발생

사업구간 반경 100km 이내 지역 최근 발생한 지진 현황


구분 발생위치 시기 규 모(M)
1 충남 태안군 서격렬비도 서북서쪽 109km 해역 2017-05-25 3.0
2 충남 보령시 북북동쪽 4km 지역 2016-11-13 3.5
3 전북 익산시 북쪽 8km 지역 2015-12-22 3.9
4 충남 태안군 서격렬비도 서북서쪽 100km 해역 2014-04-01 5.1
5 충남 보령시 서남서쪽 43km 해역 2013-08-01 3.1
6 충남 보령시 서남서쪽 41km 해역 2013-07-31 3.2
7 충남 보령시 서남서쪽 42km 해역 2013-07-13 3.5
8 광주 동구 동쪽 3km 지역 2013-06-08 3.2
9 충남 공주시 동남동쪽 12km 지역 2012-09-07 3.1
10 전북 무주군 동북동쪽 5km 지역 2012-05-11 3.9
11 충남 태안군 서격렬비열도 남동쪽 28km 해역 2010-03-09 3.2

최근 10년간 사업구간 충남 보령 부근에서 규모 3.0 이상 지진 다수 발생


사업구간 주요 구조물 내진 안정성 검토를 위해 다양한 동적시험 계획 수립

한반도의 지진발생 경향은 지진관측망의 발달과 더불어 1990년대 중반부터 증가


검토결과
1978년 이후 총 2019년까지 지진은 1,925회 관측되었으며 규모 3 이상은 417회로 확인

- 25 -
제 1 편 지반조사

2.5.2 기상현황 분석
기상현황 분석
기온 강수량 풍속 습도

연평균 기온 : 13.5℃ 연간 강수량 : 1,008mm 연평균 풍속 : 6.5m/s 범위 : 68.7∼83.0%


최고기온 30.9℃(8월) 7월에 가장 높음 3월 가장 높음 여름철에 높음

사업구간인 군산 기상대(2019년)의 기상현황 분석 결과 연평균 강수량의 19.6%가 7월에 집중


7, 9월에 집중되는 강수량은 장마, 태풍, 국지성 호우로 인하여 다수 발생

2.6 관련 논문자료 검토
기본방향 사업구간과 연관된 연약점성토, 연약사질토의 공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및 논문자료 활용

제목 저자 내용
소성지수에 따른 점성토의
김찬기 외 2명 새만금 지역 점성토의 소성지수에 따른 압밀특성 규명
압밀특성에 관한 연구(2008)
새만금지역 사질토의
최종표 해상 사질토의 상대밀도에 따른 강도특성 연구
압축 및 강도특성(2011)
새만금 준설사질토의 준설사질토의 함수비에 변화에 따른 침강압밀특성 변화
박선희
침강 거동 특성(2012) 연구
새만금지역 해상에 퇴적된 사질토의
이강일 외 2명 새만금 지역의 세립질 모래지반의 공학적인 특성 평가
변형 및 전단강도 특성(2010)
모래지반의 Quiksand현상에 모래지반에 발생하는 분사현상을 모형실험을 통해 재현
박중영
관한 모형연구(2002) 하여 조건에 따른 연구
새만금 준설토 지반에서 물리검층에 공내 탄성파 탐사외 표면파 탐사등을 실시하여 상호검층
채휘영 외 2명
의한 전단파속도 평가 시험을 통하여 탐사 방법별 신뢰도 향상
우리나라 해안점토의 토질특성 및 제 점토의 지역별 토질특성을 연구하여 토질정수와의 상관
한국토지공사
토질정수 상관관계(2004) 관계를 규명하여 토질정수 산정시 신뢰도 향상 방안
상재하중과 비배수 현장 베인시험과 실내삼축시험을 비교 분석하여 실내
최태영
전단강도에 관한 경함식(2005) 시험을 이용한 비배수전단강도에 관한 경험식 제안

연약점성토 지반의 압밀도


압밀촉진공법을 적용할 때 압밀과정 중에 비배수전단
증가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 엄익주
강도의 변화특성을 경험식으로 제안
변화에 관한 연구(2017)

물리탐사 및 현장 지반조사 자료의


연약지반 평가를 위한 지구통계학적 복합 분석방법으로
지구통계학적 복합기술을 활용한 3차 지윤수
3차원적이고, 정량적인 분석 방법제안
원 연약지반의 정량적분석(2017)

- 2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제3장 공동조사 결과분석


3.1 지형 및 지질 특성 분석
3.1.1 지형특성 분석
산계 및 수계 분석

본 조사지역은 행정구역상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인근 새만금 방조제 앞바다의 해상에 위치


북측에 무녀도, 남측에 비안도, 동측에는 변산반도-신시도-군산을 연결하는 새만금방조제가 축조되어 있음

DEM 산계 수계

사업구간 북서측 무녀도, 육지에서 소지류의


남동측에 비안도 위치 하천들이 만경강과
남측 변산반도 국립공원 동진강에 합류하여
등 기상봉, 쌍선봉 높은 사업구간으로 흘러옴
산악지역 발달 새만금방조제 축조 후
북측에 영명산, 청암산 사업구간으로 유입되던
등 구릉을 이룸 퇴적물에 변화가 발생함

고지형분석
1918년 1987년 2003년 2011년

군산 인근 해안에 간척사업 시작, 계화도- 새만금 방조제 공사중, 새만금방조제 공사


방파제 축조됨 육지연결 방조제 축조 간척사업 진행 완료됨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에 간척으로 퇴적물 및 갯벌 퇴적물 및 갯벌은 공사로 적물 및 갯벌은 방조제
넓게 갯벌이 형성됨 바다쪽으로 확장됨 인해 변화를 보임 안쪽 해안에 소규모 존재

3.1.2 선형구조 분석
선형구조도 선형구조 방향성 연장가중 방향성 길이별 분포도

DEM
DIPS DIPS

사업구간 선형구조 관찰되지 않음 N40∼50゚E 방향우세 N10∼20゚E 방향우세 1∼33km의 연장성

- 27 -
제 1 편 지반조사

3.1.3 지질특성분석
광역지질 분석
광역지질 상세지질
사업구간 옥천변성 사업구간
대 화성암류 분포 시추조사
백악기 퇴적암류가 결과
주를 이룸 퇴적암류의
퇴적암류는 사암과 사암 및 셰일
셰일등으로 구성 확인

암종특성
사암 노두사진 역암 노두사진 셰일 노두사진 조사결과
비안도에 층리가 발달
하는 퇴적암류 분포
퇴적암류가 주로
사암으로 구성
층리의 배향은 N50゚W,
30゚NE 방향

3.1.4 불연속면 특성
지표지질조사 위치 Site-3 퇴적암 Site-4 퇴적암

DIPS DIPS

절리군 연장(m) 간격(m) JRC


구분 암종
J1 J2 J3 J1 J2 J3 J1 J2 J3 J1 J2 J3
Site-3 84/277 74/187 29/043 6.0 7.5 10.0 1.0 0.8 0.4 8 6 7 퇴적암
Site-4 83/307 87/066 32/051 8.0 7.0 10.0 1.5 2.5 1.0 12 10 10 퇴적암

3.2 현장조사
3.2.1 시추조사
시추조사 위치도 불교란시료채취
채취심도 통일분류
공번 (GL.-m)
TBH-01 14.0∼14.8 CL
TBH-02 19.0∼19.8 CH
TBH-03 15.0∼15.8 CL
TBH-04 16.0∼16.8 CL
TBH-05 20.0∼20.8 CL
TBH-06 15.0∼15.8 CL
TBH-07 17.0∼17.8 CH
TBH-08 15.0∼15.8 CL
TBH-09 16.0∼16.8 CL
TBH-10 13.0∼13.8 CL

- 2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북측방파호안(1・2구간) 관리부두

지층명 두께(m) 구성성분 지층명 두께(m) 구성성분


퇴 점 토 2.7∼23.6 실트질 점토 퇴 점 토 12.4∼22.4 실트질 점토
적 실 트 1.5∼21.0 모래섞인 실트 적 실 트 5.0∼15.0 모래섞인 실트
층 모 래 8.1∼30.5 실트질 모래 층 모 래 6.3∼6.9 실트질 모래
풍 화 토 0.6∼2.5 실트질 모래 풍 화 토 0.7∼3.0 실트질 모래
풍 화 암 1.0∼4.0 암편 및 모래 풍 화 암 1.0∼1.5 암편 및 모래
연 암 1.0m 이상 사암, 셰일 연 암 1.2m 이상 사암, 셰일

3.3 현장시험
3.3.1 표준관입시험
구분 대표 N값(회/cm) 심도별 N값 분포 지층별 N값 분포
점 토 7/30
퇴적층 실 트 3/30
모 래 25/30
풍 화 토 50/27

풍 화 암 50/5

3.3.2 공내재하시험(LLT)
구분 심 도(GL.-m) 지층 N값 변형계수(kPa) 구성성분
TBH-02 16.00 퇴적층 2/30 1.90 실트섞인 점토
TBH-05 18.00 퇴적층 4/30 4.06 실트섞인 점토
TBH-10 11.00 퇴적층 3/30 2.39 실트질 점토

TBH-02 TBH-05 TBH-10

- 29 -
제 1 편 지반조사

3.3.3 공내전단시험(BST)
구분 심 도(GL.-m) 지 층 N값 점착력 내부마찰각
TBH-02 47.0 풍화토 50/21 19.6 29.6
TBH-05 41.0 풍화암 50/5 25.0 31.3
TBH-10 34.0 풍화토 50/18 18.0 28.0

3.3.4 현장베인시험(FVT)
비배수전단강도-원지반 비배수전단강도-교란 예민비

3.3.5 S-PS 검층
TBH-01
탄성파속도(m/sec) 동적 물성값(MPa)
심도 (m) 지층
Vp Vs 동탄성계수 동전단계수 동체적계수 동포아송비
1.0∼5.0 퇴 적 층(CL) 1,343 157 1.20E+02 4.03E+01 2.89E+03 0.493
5.0∼6.0 퇴 적 층(SM) 1,377 162 1.32E+02 4.42E+01 3.13E+03 0.493
6.0∼9.0 퇴 적 층(ML) 1,380 166 1.39E+02 4.64E+01 3.15E+03 0.493
9.0∼23.6 퇴 적 층(CL) 1,408 169 1.44E+02 4.83E+01 3.28E+03 0.493
23.6∼27.0 퇴 적 층(SP) 1,672 275 4.01E+02 1.35E+02 4.81E+03 0.486
27.0∼30.0 퇴 적 층(SM) 1,691 290 4.59E+02 1.54E+02 5.04E+03 0.485
30.0∼34.0 퇴 적 층(CL) 1,685 279 4.24E+02 1.43E+02 5.03E+03 0.486
34.0∼36.0 퇴 적 층(SM) 1,765 316 5.60E+02 1.89E+02 5.63E+03 0.483
36.0∼38.5 풍화토층(SC) 1,844 379 8.29E+02 2.81E+02 6.22E+03 0.478
38.5∼42.0 풍화암층(WR) 1,948 498 1.56E+03 5.34E+02 7.42E+03 0.465
42.0∼44.0 연 암 층(SR) 2,065 857 4.81E+03 1.72E+03 7.71E+03 0.396

TBH-06
탄성파속도(m/sec) 동적 물성값(MPa)
심도 (m) 지층
Vp Vs 동탄성계수 동전단계수 동체적계수 동포아송비
1.0∼5.0 퇴 적 층(SM) 1,521 189 1.85E+02 6.19E+01 3.94E+03 0.492
5.0∼24.5 퇴 적 층(CL) 1,422 170 1.47E+02 4.92E+01 3.35E+03 0.493
24.5∼34.5 퇴 적 층(SP) 1,672 269 4.01E+02 1.35E+02 4.96E+03 0.487
34.5∼36.0 풍화토층(SM) 1,770 336 6.48E+02 2.19E+02 5.78E+03 0.481
36.0∼38.5 풍화암층(WR) 1,963 505 1.58E+03 5.38E+02 7.34E+03 0.464
38.5∼41.0 연 암 층(SR) 2,095 875 4.79E+03 1.72E+03 7.56E+03 0.394

- 3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TBH-09
탄성파속도(m/sec) 동적 물성값(MPa)
심도 (m) 지층
Vp Vs 동탄성계수 동전단계수 동체적계수 동포아송비
1.0∼2.5 퇴 적 층(CL) 1,333 156 1.19E+02 3.97E+01 2.85E+03 0.493
2.5∼13.5 퇴 적 층(ML) 1,382 165 1.38E+02 4.63E+01 3.16E+03 0.493
13.5∼23.5 퇴 적 층(CL) 1,515 194 1.96E+02 6.57E+01 3.90E+03 0.492
23.5∼26.0 퇴 적 층(SP) 1,589 211 2.30E+02 7.72E+01 4.27E+03 0.491
26.0∼30.0 퇴 적 층(ML) 1,558 204 2.17E+02 7.26E+01 4.12E+03 0.491
30.0∼33.8 퇴 적 층(SP) 1,648 260 3.58E+02 1.20E+02 4.69E+03 0.487
33.8∼34.5 풍화토층(SM) 1,717 308 5.46E+02 1.84E+02 5.47E+03 0.483
34.5∼35.5 풍화암층(WR) 1,954 493 1.49E+03 5.08E+02 7.31E+03 0.466
35.5∼38.0 연 암 층(SR) 2,121 892 4.98E+03 1.79E+03 7.72E+03 0.393

3.3.6 피에죠콘 관입시험


TBH-01
공번 선단저항력(kPa) 주면마찰력(kPa) 간극수압(kPa) 비배수전단강도(kPa) 과압밀비(OCR)
범위 432.0∼13,465.7 5.4∼127.0 94.1∼1,041 13.8∼863.1 0.5∼9.2
평균 1,583.8 17.7 553.2 86.1 1.6

선단저항력(kPa) 비배수전단강도(kPa) 과압밀비 흙분류(Qt-Fr(%))

TBH-01
공번 선단저항력(kPa) 주면마찰력(kPa) 간극수압(kPa) 비배수전단강도(kPa) 과압밀비(OCR)
범위 624.4∼5,803.1 6.6∼62.0 159.1∼794.4 29.7∼365.6 1.0∼25.9
평균 1,130.4 19.2 439.3 60.9 3.1

선단저항력(kPa) 비배수전단강도(kPa) 과압밀비 흙분류(Qt-Fr(%))

- 31 -
제 1 편 지반조사

TBH-09
공번 선단저항력(kPa) 주면마찰력(kPa) 간극수압(kPa) 비배수전단강도(kPa) 과압밀비(OCR)
범위 876.7∼5,857.1 6.2∼52.3 11.5∼818.4 43.8∼356.9 0.7∼5.1

평균 1,365.1 15.2 459.1 72.5 1.5

선단저항력(kPa) 비배수전단강도(kPa) 과압밀비 흙분류(Qt-Fr(%))

결과 종합분석
공번 선단저항력(kPa) 주면마찰력(kPa) 간극수압(kPa) 비배수전단강도(kPa) 과압밀비(OCR)

범위 432.0∼13,465.7 5.4∼127.0 11.5∼1,041.4 13.8∼863.1 0.5∼25.9

평균 1,359.8 17.5 483.9 73.2 2.1

흙분류 대부분이 점토, 실트질 점토, 모래섞인 점토질 실트로 분류됨

3.3.7 간극수압 소산시험


시험결과 및 분석

심도 t50 수평압밀계수(cm2/sec)
공번
(GL.-m) (sec) Torsten-sson Levadoux & Baligh Houlsby & Teh

TBH-01 15.00 207 4.46E-02 8.62E-02 2.67E-02

TBH-06 14.00 264 3.50E-02 6.76E-02 2.09E-02

TBH-07 14.04 392 2.36E-02 4.55E-02 1.41E-02

평균 - 287 3.44E-02 6.64E-02 2.06E-02

TBH-01 간극수압 소산 TBH-06 간극수압 소산 TBH-07 간극수압 소산

- 3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3.4 실내시험
3.4.1 토질 기본물성시험
함수비(%) 비중 액성한계 200번체 통과량(%)

점성토 평균 33.6% 점성토 평균 2.68 20%이하, 산발적분포 공동조사 8.7∼99.0%

3.4.2 토질 역학시험
일축압축강도(qu) 비배수전단강도(qu/2)

일축압축강도 범위 26.0∼122.2kPa 평균 88.49kPa 비배수전단강도(qu/2) 범위 13.0∼61.1 평균 11.24

비배수전단강도(cuu) 점착력(c)-내부마찰각(ϕ)

비압밀비배수시험(UU) 압밀비배수시험(  CU )
: 비배수전단강도 suu 범위 3.5∼70.0 평균 48.0 : C’=20.8∼28.6kpa, ϕ’ =20.2∼25.8

선행압밀하중(Pc, kPa) 압축지수(Cc) 초기간극비(e0)

Pc : 46.5∼409.1kPa Cc : 0.19∼0.62 (0.37) e0 : 0.741∼0.518 (1.016)

- 33 -
제 1 편 지반조사

3.4.3 동적 특성시험
TBH-2 G/Gmax TBH-2 감쇠비(%) TBH-5 G/Gmax TBH-5 감쇠비(%)

TBH-9 G/Gmax TBH-9 감쇠비(%) 액상화 가능곡선(DA=5%) 액상화 가능곡선(DA=10%)

3.4.4 환경시험
수질분석
시험항목 (mg/L) pH 염소이온 황산이온 비소 카드뮴 구리
TBH-3 7.8 20,154.2 2,285.3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시험결과
TBH-10 7.7 19,694.6 2,215.4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시험항목 (mg/L) 니켈 납 아연 수은 6가크롬 시안


TBH-3 불검출 불검출 0.002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시험결과
TBH-10 불검출 불검출 0.011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토양분석
우려기준 시험결과
시험항목 단위
1지역 2지역 3지역 TBH-3(1.0∼6.0m) TBH-10(1.0∼6.0m)
비소 mg/kg 25 50 200 3.14 3.09
카드뮴 mg/kg 4 10 60 불검출 불검출
구리 mg/kg 150 500 2,000 1.10 불검출
니켈 mg/kg 100 200 500 9.60 8.90
납 mg/kg 200 400 700 5.80 5.40
아연 mg/kg 300 600 2,000 33.00 31.90
수은 mg/kg 4 10 20 불검출 불검출
6가크롬 mg/kg 5 15 40 불검출 불검출
시안 mg/kg 2 2 120 불검출 불검출
염소이온 mg/kg - - - 5,448.00 4,577.90
황산이온 mg/kg - - - 1,006.10 1,035.20
마그네슘 mg/kg - - - 4,529.00 4,186.60
염농도 % - - - 1.32 1.11
pH - - - - 8.00 8.10

- 3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제4장 조사 결과 성과분석
4.1 퇴적특성 분석
4.1.1 사전조사
조사배경 및 목적

퇴적작용에 관련되는 다양한 요인 중 지각의 융기, 침강과 같은 지구조 운동과 빙하의 성장, 쇠퇴
등의 기후 변화는 해수면 변동을 수반하며, 반복적인 해수면 승강운동으로 해침과 해퇴가 발생.
이로 인해 퇴적물의 이동거리가 달라지며 동일한 위치에서 퇴적 환경이 변화됨
기본방향 퇴적 당시의 환경 변화는 퇴적지층의 층서와 구성광물, 지화학적 특성에 변화를 주며 이러한 변화는
지층의 공학적 강도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퇴적이력에 따른 연약지반의 구분과 지층의 수직 및 측방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설계와
시공 시 적용되는 설계정수의 적용 범위를 제시

조사방법

지층을 구성하는 퇴적층의 층서와 층위별 퇴적상, 지층 구성 요소의 지화학적인 특성 등을 파악하여


기본방향
퇴적환경을 유추하고 퇴적단위를 구분

분석 흐름도
선행연구자료분석 지형분석 퇴적물의 특성분석 퇴적단위 및 환경구분
서해안 조간대의 수심자료와 주상도 퇴적상, 퇴적구조, 퇴적층의 동질성을
퇴적환경 분석 자료를 병합하여 입도변화, 지층의 이용 퇴적단위설정
신생대 제4기의 기반암 심도분석 광물조성, 물리적, 퇴적단위에 적합한
고해수면 변동고찰 퇴적물 유입경로 분석 화학적 특성 분석 형성 환경을 제시

참고자료
참고 자료명 출처 내용
제 4기의 해수면 변동, 대표적 조간대의
한국의 제 4기 환경 조화룡 교수논문집
퇴적특성 분석
한국의 지형발달과 제 4기 환경 변화 박용안 외 1인 제 4기의 퇴적환경 및 각 퇴적 단위의 특성 분석
천수만, 해남만, 광양만, 낙동강, 영일만 등
대표 조간대의 퇴적이력 분석 보고서 -
퇴적이력 분석
김제시 부량면 제 4기 퇴적물에서 코어퇴적물의 시료에서 추출한 규조를 이용한
박영숙 외 4인
산출된 규조 및 고환경연구 고환경 및 퇴적시기 분석
사업인근 지역인 곰소만의 퇴적상 및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장기적 변화 장진호 외 2인
퇴적환경 분석
새만금간척 전・후의 퇴적과정에 관한 연구 신문섭 외 3인 방조제 건설 전후의 퇴적환경 변화 모의 실험

4.1.2 선행퇴적이력자료 연구
해수면 변동

해수면 변동은 퇴적물의 광물조성과 물리적, 화학적인 변화를 수반하는 요인에 해당


기본방향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해역의 해수면 승강운동의 자료를 분석하여, 실험
결과의 기본적인 해석 자료로 활용

- 35 -
제 1 편 지반조사

해수면 승강 모식도 제4기 해수면 변동 분석결과

전 지구적 해수면 변동은 Glacio-eustacy에 의한 것으로


극지방의 빙하가 저위도까지 확장・증대하는 경우(해수면
하강)와, 극지방으로 다시 쇠퇴・감소하는 경우(해수면
상승)에 따른 것으로 빙하기와 간빙하기의 지구적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의 변동현상을 의미함
10만년 시간단위 동안에 100m 이상의 해수면 변화폭을
의미하는 Glacio-eustacy 해수면 승강 모식도와
탄소연령측정에 의한 해수면 변동곡선임

서해, 남해 및 동해의 서해안 일원(곰소만)


분석결과
해수면 변동 해역 해수면 변동
한반도의 해역에서 조사된 해수면은 16,000년 이전에는
현재에 비해 약 -150m 정도에 위치하였으며, 대륙 빙하의
소멸로 지속적으로 해수면이 상승하여 4000년 전, 후시기에
현해수면과 유사한 위치까지 상승
서해안 일원(곰소만)해역의 탄소연령 측정에 의한
평균해수면(A, B)은 7,000년 전 현해수면보다 -6.5m 정도에
위치하였으며, 4,000년 전에는 -3.0m, 2,000년 전에는 약
-2.5m 정도에 위치
조사지역은 홀로세 해침동안 퇴적되었으며, 홀로세 이후
해수면 상승에 따라 조석이 우세한 퇴적환경으로 변화

서해안 조간대
형성기구에 따른 분류
형성기구에 따른 한반도 연안 분류표 퇴적물 공급기구에 따른 구분
하천의 하구와 조간대는 퇴적물을 공급(분급)하는 기구(파랑, 조류,
하천)에 따라 해안선의 형태가 상이함
서해안 지역은 조석이 우세한 환경에 해당(조수우세 염하구)
하천에너지가 우세한 퇴적환경은 수계를 중심으로 삼각주가 넓게 발달
조류가 우세한 퇴적환경은 사질 또는 미사질(실트)의 사구와 갯벌이
발달하며, 복잡한 해안의 형태를 보임
파랑이 우세한 퇴적환경은 파식작용으로 사구의 발달이 없고 해안선이
호(arc)의 형태를 발달

하천(River) 조류(Tide) 파랑(Wave) 단 방향성 양극성 다 방향성


에너지 우세 에너지 우세 에너지 우세 흐름(하천) 흐름(조류) 흐름(파랑)

조사지역은 방조제 건설 이전 하천에너지가 주도하는 하천에너지 우세형의 퇴적환경에 속함


결과분석 이후 외해까지 연장되는 하천의 흐름이 차단되어 방조제를 중심으로 내륙 방향은 하천 흐름이
우세하며, 외해는 양극성 흐름을 보이는 조류에너지가 우세한 퇴적층이 형성

- 3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서해안 조간대의 퇴적단위 퇴적단계별 형성이력


서해안 조간대의 위치 조간대 위치별 퇴적단위 퇴적단계별 형성이력

김포조간대 Unit 해수면 최저


A
UnitⅠ, Unit Ⅱ, Unit Ⅲ, Unit Ⅳ Ⅰ 퇴적진행 하상 퇴적

남양만조간대 Unit 해수면상승


B
UnitⅠ, Unit Ⅱ, Unit Ⅲ Ⅱ 조간대∼조하대퇴적

천수만조간대 Unit 해수면 부근


C
UnitⅠ, Unit Ⅲ, Unit Ⅳ Ⅲ 노출 환경

해남만조간대 Unit
D 해수면 이하 퇴적진행
UnitⅠ, Unit Ⅲ, Unit Ⅳ Ⅳ

해성환경 사질/실트질 점토 혼합조간대, 상향 조립화의 후퇴 퇴적층서


Unit Ⅰ
초기 현세부터 시작되는 점진적인 해수면 상승에 의해 조절되는 전형적인 해침 층서의 퇴적층

초기 현세 이전의 해수면과 일정 거리가 이격된 해안선 부근의 육지에 국부적으로 발달한 습지 퇴적물
Unit Ⅱ
비해성 퇴적물인 능철석이 산출되며, 육성환경임

해성환경 생교란된 잔류엽층리 구조가 우세


Unit Ⅲ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유수의 운동에 따른 퇴적입자의 차별적 침강과 퇴적에 의해 교호층리 구조형성

Unit Ⅳ 조립한 역사질의 퇴적물 육성기원의 소규모 하천 퇴적물

서해안 조간대는 신생대 제4기 홍적세와 충적세 기간 동안 형성된 내만환경의 퇴적층으로


결과분석 형성환경에 따라 하부로부터 Unit Ⅳ, Unit Ⅲ, Unit Ⅱ, UnitⅠ의 4개의 퇴적단위로 구분
Unit I과 Unit III은 해성환경 퇴적층에 해당하며, Unit II 와 Unit IV는 육성 환경에 해당

주변 해역의 퇴적환경

기본방향 서해안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 단위와 환경을 고찰하여, 조사 지역 퇴적층의 형성 이력을 해석하는 자료로 활용

천수만 조간대

천수만 조간대의 퇴적층은 기반암 상위로 Unit Ⅳ, Unit Ⅲ, UnitⅠ의 순서로 발달, 능철석을 포함하는 Unit Ⅱ는 결층

퇴적단위 특성
회색 또는 암회색으로 40∼60%의 실트와 40∼50%의 점토로 혼합된 니질 또는 사니질 퇴적물로 구성
Unit Ⅰ 수직적으로 니질 조간대에서 사질 또는 니사질의 혼합조간대로 구성되는 상향 조립화 층서를 보임
해성환경을 지시하는 와편모류 군집상이 풍부하게 관찰됨
Unit I과 뚜렷한 침식 경계면을 이루며, 하부 기반암과는 부정합적 층서관계를 보임
퇴적물 색상과 지반공학적 인자의 특성에 따라 상부(Unit Ⅲa, 산화대층)와 하부퇴적층(Unit Ⅲb)으로 구분
Unit Ⅲ
상부퇴적층은 황색으로 동토구조가 나타나며, 하부퇴적층은 녹회색 또는 암회색으로 니질과 실트질의
교호층리 발달

육성기원의 조립한 사질 퇴적물과 사질역 또는 역 퇴적물로 구성


부분적으로 산화철에 의하여 피복되어 엷은 황색 또는 짙은 황색을 보이는 모래입자와 아각상의 역이
Unit Ⅳ
부분적으로 산재
Unit Ⅲ 퇴적층 아래에 지역적으로 협재

- 37 -
제 1 편 지반조사

새만금 가호안 및 매립호안


퇴적단위설정

퇴적단위 지층 구성 특성 환경
암회색 세립질 모래 염기성, 양이온, EC, TDS, Salinity가 높은 함량비 조간대
Unit 1 해성환경
암회색 모래 섞인 실트 실트함량 우세, 양이온 중 Na 함량 증가 퇴적층

중립질 모래 낮은 염도, 양이온 함량이 낮게 분포 연근해 조간대


Unit 3 암회색 해성환경
암녹색 생교란구조, 굴착구조 관찰 퇴적층

자갈이 포함된
조립질 모래 육성 퇴적층으로 황색을 띄며, 자갈 모래로
하천
Unit 4 암황색 실트질 모래 구성되며, 조립질의 역사질 퇴적물이 협재 육성환경
퇴적물
양이온 중 낮은 Na 함량, 높은 Ca 함량
중・조립질 모래

최하부층(Unit 4)은 육성기원의 하천퇴적물로 하부로부터 중・세립질 모래층, 실트질 모래층, 자갈이
포함된 조립질 모래층으로 구성됨
결과분석 그 위에 해성환경의 연근해 조간대 퇴적층(Unit 3)은 하부로부터 점토 및 실트층이 교호하며 상부에
중립질 모래층으로 구성됨
상부 Unit 1층은 하부로부터 모래섞인 실트층과 상부에 세립질 모래층으로 구성됨

새만금 방파제

새만금 방파제는 3개의 퇴적단위(Unit 1, Unit 2, Unit 3)로 구분되어 있음

새만금 방파제의 퇴적단위

- 3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퇴적단위 지층 구성 특성 환경
세립 내지 강 기원 모래 퇴적물이 현세 해수면 상승기에서
녹황색 해수면 조간대퇴적층/
Unit 1 중립질모래 하강기로 변화되면서 퇴적물을 이동 시켜
하강기 해성환경
녹회색 실트 내지 세립모래 현재의 위치에서 조간대 퇴적층과 함께 재퇴적
해수면 연근해 조간대
Unit 3 암회색 실트질점토 생물교란구조, 조수 리듬층
상승기 퇴적층/해성환경
세립질모래
해수면 하천퇴적물/
Unit 4 녹황색 자갈이 포함된 육성기원의 하천퇴적물
하강기 육성환경
조립질모래

서해안 조간대는 신생대 제4기 홍적세와 충적세 기간 동안 형성된 내만환경의 퇴적층으로


결과분석 형성환경에 따라 하부로부터 Unit 4, Unit 3, Unit 2, Unit1의 4개의 퇴적단위로 구분
조사지역의 퇴적층은 Unit 2가 결층이며, 하부로부터 Unit 4, Unit 3, Unit 1이 나타남

군산항 준설토 투기장

군산2국가산업단지 서측호안 전면해상의 준설토투기장에서 조사된 퇴적층 시료를 분석한 결과 퇴적단위는


크게 3개 층으로 구분되며, 최상부는 매립층으로 구성됨

군산항 준설토투기장 퇴적단위

군장산업단지 호안도로

군장산업단지 호안도로 퇴적층의 층서단위는 하부로부터 산화대가 발달하는 혼성환경의 퇴적층(Unit Ⅳ),
해성환경의 삼각주 퇴적층(Unit Ⅲ), 해성 환원환경의 조간대 퇴적층(UnitⅠ)으로 구분
서해안 조간대의 퇴적단위 중 육성환경의 능철석을 포함하는 Unit Ⅱ는 결층

군장산업단지 호안도로 퇴적층의 퇴적 단위

퇴적단위 퇴적환경 퇴적층 형성


Unit 1 환원환경 조간대 퇴적층
해성환경
Unit 2 삼각주 퇴적층
산화환경
Unit 3 혼성환경 담수가 유입되는 환경에서 퇴적

- 39 -
제 1 편 지반조사

군장국가산업단지 남측 안벽 3공구
군장국가산업단지 남측 안벽 퇴적토는 하부로부터 육성환경의 점성토를 혼재한 사질토층, 해성환경의 조간대
퇴적층인 점성토층, 혼성환경으로 현생조간대 환경의 사질토층의 총3개 층 단위로 나뉘며, 최상부는 준설로
인한 매립지층이 나타남

군장국가산업단지 남측 안벽 3공구의 퇴적 단위

군장산업단지 남측 안벽 퇴적토는 육성환경의 하천퇴적물인 Unit Ⅳ, 해성환경의 조간대 퇴적층인


결과분석
Unit Ⅲ, 담수의 영향을 받아 혼성환경을 보이는 UnitⅠ으로 구분되며 Unit Ⅱ는 결층

새만금 방수제 동진4공구


지층명 및 설명 생성시기 퇴적이력 분석
조상대퇴적층 상부 느슨한 모래층 후기현세
조간대퇴적층 하부 해성점성토층 후기현세
풍 화 대 층 황갈색 육성 퇴적자갈층 선현세
셰일, 역암, 화강암 군산, 장항지구 일대 중생대

새만금 방수제 동진3공구


동진 3공구 퇴적환경 동진강 하구퇴적물의 이동과 퇴적

퇴적 Layer 구분 검 토 결과

Layer 1 모래, 실트, 현조간대


Layer 2 모래, 실트, 저해수기(조간대)
Layer 3-1 모래, 실트, 점토, 빠른해침(조간대)
Layer 3-2 점토, 실트, 고해수준기(조하대)
Layer 4 자갈, 모래, 실트, 점토, 중・상류층

지형특성과 퇴적학적인 특성으로 4개층(Layer) 구분 Layer 3은 물리ㆍ화학적 특성 상이로 3-1과 3-2로 구분

- 4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새만금 방수제 동진5공구


새만금 방수제 동진5공구 퇴적토는 하부로부터 육원성 함력 모래층인 Unit 4-b, 담수환경 점토층인 Unit 4-a,
해수 영향이 적은 사질층 Unit 1-b, 해수 영향이 큰 사질층 Unit 1-a의 4개 퇴적단위로 세분
서해안 조간대의 퇴적단위 중 Unit Ⅱ와 Unit Ⅲ은 결층임

군장국가산업단지 남측 안벽 3공구의 퇴적 단위

Unit 1은 현세 조수퇴적층에 해당, Unit 1-a는 해수 영향을 큰 반면 Unit 1-b는 해수 영향이 감소하는
지층으로 구분됨
결과분석
Unit 4는 플라이스토세 육성퇴적층에 대비되며, Unit 4-a(A-3 시추공에 포함)는 담수환경의
점토층을 포함하며, Unit 4-b는 육원성 함력 모래층으로 구분

4.1.3 퇴적물 공급경로


개요

조사지역의 지형적인 위치를 통해 퇴적물의 공급경로를 파악


기본방향
선행자료분석을 통한 조사지역의 지형 특이성 판단

새만금 해역의 변화
간척과 방조제로 인한 퇴적환경변화
지난 1세기 동안 상당한 부분의 하구 지역이 간척되었고, 다시 하구를 폐쇄하는 대규모 방조제가 건설된 새만금
지역은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직접 유입되는 퇴적물에 의해 모래갯벌이 매우 넓게 발달하고 있음
새만금 갯벌은 새만금 갯벌과 조하대의 대부분에 모래가 90%이상인 모래(sand), 또는 50%이상인 펄모래(muddy
sand)가 분포하며, 세립질이 우세한 모래펄(sandy mud)은 방조제 후면과 두 강 하구의 갯벌에 분포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2.6-6.3(ø)로 방조제 건설이전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세립해졌고, 두 군데 미체절
부분사이의 방조제 후면에는 조립질 퇴적물이 분포하는 등 방조제 건설로 퇴적작용의 변화가 뚜렷이 나타남
방조제 공사로 퇴적물의 침식/운반/퇴적을 지배하는 조류특성(유향과 유속)이 바뀌어 세립질 퇴적물은 1994년도
보다 넓게 분포하고, 일부 지역에는 유속이 강해져 오히려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하게 분포

간척사업
새만금 해역은 옥구(1919년 완공), 광활면(1930년 완공), 계화도(1979년 완공)의 간척사업으로 지형 변화가 생김
일반적인 서・남해안 갯벌에서의 퇴적률은 0.5∼1 mm/년(Chun, 1992, 1998; Yang and Chun, 2000, 2001)이나
금강이나 남양만에서 방조제 축조 직후에 관찰된 퇴적률은 300 mm/년 이상으로 관측되고 있음
이러한 현상은 단기적인 것으로 20∼30년 정도 지나 원래의 연안퇴적환경으로 돌아간 후에는 거의 주변의 갯벌과
같은 정도의 퇴적률을 보일것이며, 2001년 조사에서는 금강이나 아산만의 경우에 이미 평형을 유지하고 있음
만형이 아닌 계화도 간척지의 경우도 이와 같은 연안퇴적환경의 복원현상으로서 특히 계화도 해역이 만경강,
동진강으로부터 퇴적물을 직접 공급받는 곳이므로 빠른 퇴적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지금 계화도 앞에서 퇴적률을
측정한다면 아직 하구갯벌 환경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거의 1∼2 mm/년 내외일 것으로 판단됨

- 41 -
제 1 편 지반조사

새만금 해역 갯벌의 면적 변화(조와 조, 1997)


1916년 1977년 1996년

1919년부터 1996년까지 새만금 해역의 간척지 개발과 갯벌의 면적변화에서 신규갯벌의 생성은
대부분 방조제 인근의 갯골(tidal creek)이 메워지면서 기존의 조석사주와 갯벌이 연결된 부분에
결과분석 국한되고, 갯벌이 바다쪽으로 전진 퇴적하면서 확장된 면적은 지극히 미미함
1916년∼1977년까지는 연 0.9 km2씩 갯벌의 면적이 증가, 간척지 개발 완료 이후∼1996년까지는
연 0.09 km2의 낮은 증가율을 보임 퇴적환경이 이미 평형상태에 도달하였음을 지시함

방조제사업

기본방향 1991년부터 시작된 방조제사업으로 새만금해역의 환경이 변화

1918년 1987년 2003년 2011년

1987년 간척사업(계화도-육지) 시작
1호방조제(4,300m)가 1993년 완공, 3호방조제(2,693m)가 1994년 완공
4호방조제(11,436m)의 개방구간 (1,800m)이 2003년 6월 9일 체절완공
2호방조제(9,930m)의 개방구간(2,700m) 끝막이 공사가 2006년 4월 21일 완공되며, 16년간 걸친 방조제 사업 완료

퇴적물 공급경로

서해안의 광역적인 퇴적물의 공급방향을 통해 서해안지역의 퇴적물의 이동 방향을 판단


기본방향
방조제 건설 이후 퇴적물의 공급방향의 변화를 파악

서해안지역의 퇴적물 이동모식

새로운 갯벌을 형성하는 퇴적물의 근원은 근본적으로 강을 통해 운반 공급되는 퇴적물에 의해 형성


금강, 만경강, 동진강 그리고 영산강은 우리나라 서남해의 퇴적물의 주요 공급원이며, 조사지역인 새만금지역은
만경강과 동진강으로부터 퇴적물을 공급받던 지역에 해당됨

- 4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서남해안 퇴적모델(Lee and Chu, 2001) 퇴적물의 이동

강으로부터 유출되는 부유 세립질 퇴적물은 주로 겨울철에


해안선으로부터 20∼50km내의 연안을 따라 연안류에 의해 서남하
섬들 사이와 변산반도∼흑산도∼제주도 북서부를 연결하는 흑산
혹은 남동황해 니질대(Southeastern Yellow Sea Mud Belt)에
퇴적되거나 혹은 남해로 유출되며, 반대로 겨울에는 북쪽으로 운반
퇴적됨

퇴적물의 공급

새만금지역은 육지의 퇴적물이 만경강과 동진강을 타고 계속해서 공급되는 형태로 조수우세 염하구형 (estuarine
type)에 해당됨
지난 1세기 동안 하구 지역이 간척되었고, 이후 다시 하구를 폐쇄하는 대규모 방조제가 건설 중인 새만금 지역에는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직접 유입되는 퇴적물에 의해 모래갯벌이 매우 넓게 발달함
갯벌에서는 해안에서 바다쪽 조하대로 갈수록 모래의 양이 90%이상으로 증가하며, 반면에 세립질 퇴적물은
조류에 의해 이동되어 해안 근처 상부갯벌에 우세하게 퇴적 및 분포하게 됨
방조제 내 갯벌에서는 관측기간동안 세립질 퇴적물이 점차 우세해졌고, 최대 85mm가 퇴적되었지만, 방조제
외측 남쪽의 갯벌에서는 중립질 모래(평균입도, 2.62(ø))가 관측기간 중 분포하며 12mm가 침식됨
이와 같이 방조제를 경계로 퇴적현상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나는 것은 방조제에 의해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공급되는
퇴적물의 운반경로가 차단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평균 서해안의 갯벌의 퇴적율은 0.5∼1.0mm/년이지만 방조제 축조직후에는 300 mm/년 이상으로 관측되므로
조사지역의 상부 퇴적층 중 최상부층의 약 1.5m 내외의 퇴적층은 방조제 축조 이후 빠른 퇴적기간동안 퇴적된
것으로 판단됨
노선구간에 인접한 1,2호 방조제 외해역의 퇴적물의 이동경로에서 노선구간은 2방조제에서 북동 → 남서방향의
흐름에서 남동 → 북서방향으로, 북 → 남방향으로 전이되는 구간에 해당됨
방파제 구간의 경우 비안도를 중심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퇴적물이 이동되는 양상으로 보이며, 전반적인
이동방향은 북 → 남방향에 해당됨

관측자료를 통한 퇴적물 이동벡터(2003년)


방조제 외해역 방조제 내해역

해저지형도에 표시된 1,2호 방조재 내∼외해역의 퇴적물 이동벡터


결과분석
방파제 예정구간은 남동∼북서방향, 북∼남방향으로 퇴적물이 이동하는 양상을 보임

- 43 -
제 1 편 지반조사

방조제 전후의 퇴적물의 이동


퇴적물 이동벡터 분포도 퇴적물의 이동

1, 2호 방조제 전면해역에서 끝막이 공사 전후의 퇴적물 이동량에 대한 모식도


자동관측시스템 (TISDOS: Tidal Sediment Dynamics Operational
System) 관측자료에 근거함
2006년 3월 부유퇴적물 이동은 모든 정점에서 남쪽 남남서쪽으로 향함
2006년10월부유퇴적물이동은모든정점에서남동쪽또는남서쪽으로향하였으며
10월에는 방조제 쪽으로 바뀌었지만 3월에 비해 이동량이 매우 작아졌음
1, 2호 방조제 전면해역에서는 끝막이 공사 전후의 조류 관측 결과, 공사
이후에 조류의 회전현상이 두드러지고 유속의 감소 또한 두드러짐.
유속감소로 이후 퇴적물의 이동률이 현저하게 감소
퇴적물이동은 끝막이공사에 관계없이 조류와 파랑 모두에 영향을 받으나,
파랑의 영향이 단연 우세함
퇴적물이동 모델링을 통한 퇴적물이동수치모델 결과 조석이 강한
고군산군도 주변에서 침식이 발생하고 1・2호 방조제 전면에서 퇴적이
발생한다고 예측하였으며, 파랑은 침식・퇴적 패턴에 변화를 가져오지
않지만, 침식・퇴적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였음

조사지역의 지형변화

기본방향 1982∼2006년 동안의 지형변화와 2003∼2006년 동안의 지형변화도를 통해 대상지역의 지형변화 분석

장기 해저지형 변화(1982-2006년)
1982년 해저지형 2006년 해저지형

방조제가 건설되기 전인 1982년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발간된 해도(상왕등도에서 어청도)에 나타난 해저지형과


2006년 3월 관측된 해저지형을 비교하여 20여년 간의 장기 지형변화를 분석
2003년∼2006년의 단기 해저지형 변화를 통해 방조제가 건설된 이후의 단기적인 지형변화를 분석
약최저저조면하의 수심을 m 단위로 표시하였음
1982년의 해저지형과 2006년에 관측된 해저지형은 방조제와 수직인 북동∼남서 방향으로 골짜기가 발달해 있고,
그 사이가 얕은 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전반적으로 비슷함
두 지형을 비교한 지형변화 분포도를 통해 침식과 퇴적의 양상을 관찰

- 4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1982년-2006년 동안의 장기 지형변화 분포도


±0.5m 지형변화 ±2.0m 지형변화

두 지형을 비교한 지형변화 분포도에서 골짜기를 중심으로 침식이 일어나고 외해역의 일부와 골짜기
주변부에서는 퇴적이 일어남
지형변화 분포도는 조석보정과 수심측정에 수반되는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약 50 cm의 오차를 설정하고, 이
값보다 큰 변화만을 도시
지형의 변화 정도가 두드러진 곳을 보다 효과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지형변화가 2m 이상 일어난 곳을 추출하면
1, 2호 방조제 외해역은 신시도 남측 개방부(신시배수갑문)와 방조제 중앙 개방부(가력배수갑문), 그리고 1호
방조제 전면에 존재하는 골짜기에서 크게 침식되었음을 알 수 있음
이들 골짜기는 방조제 개방부와 연결되어 있는데, 방조제 공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개방부를 중심으로 해수의
유출입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유속이 강해져 침식이 일어난 것으로 해석되며, 그 외에 방조제 공사를 위해
모래를 채취해온 효과도 상당히 적용했을 것으로 추측됨

1982년-2006년 동안의 등수심선 변화

방조제가 건설되기 전인 1982년에도 현재의 신시배수갑문과 가력배수갑문의 개방구간에는 작은 골짜기가


존재했지만, 건설된 이후 조사된 2006년 지형자료에서 폭이 더 넓어지고 수심이 깊어진 골짜기가 관측됨
2006년 가력배수갑문 개방부의 골짜기가 북동∼남서 방향으로 길게 확장되고 수심이 깊어 졌고, 신시도 남측
개방부와 1호 방조제 전면에 존재하는 골짜기에서도 수심이 증가하여 더 깊고 넓은 골짜기가 발달

-10m -15m

- 45 -
제 1 편 지반조사

2003년-2006년 동안의 단기 지형변화 분포도

신시도 남측, 비안도 북측과 남측, 그리고 변산반도 근처에 북동∼남서 방향의 골짜기가 발달해 있고 골짜기
사이에 얕은 지형이 분포하여 전체적으로 방조제에 수직으로 등수심이 놓인 지형을 보인다는 점에서 유사함
3년 동안에 대부분의 지역에서 침식이 이루어졌으며, 기존의 골짜기를 중심으로 더욱 깊어짐

±0.5m 지형변화 ±2.0m 지형변화

1,2호 방조제 외측 해역의 표층 퇴적상 분포

퇴적물 유형을 보다 단순화하기 위하여 사질퇴적상(sand facies: S, (g)S, gS, sG), 니사질퇴적상(muddy sand
facies: zS, mS, gmS), 사질니퇴적상(sandy mud facies: M, sZ, (g)sM)의 3가지 퇴적상으로 대분
1, 2호 방조제 외해역에서 표층퇴적물은 조사지역 중앙부에 사질퇴적상(sand facies)이 우세하게 분포하며,
변산반도와 방조제를 따라 니사질(muddy sand facies) 내지 사질니퇴적상(sandy mud facies)이 나타남

1,2호 방조제 외해역 표층 퇴적상 1,2호 방조제 외해역 표층 퇴적상 모래함량 90% 이상인
(2003년 5월) (2006년 3월) 모래퇴적물분포

2003년 5월과 2006년 3월 표층퇴적물 변화


역함량 (%) 모래함량 (%)

- 4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표층퇴적상은 2003년에는 니사질퇴적상이었던 지역이 2006년에 사질퇴적상으로 바뀌면서, 전체적으로


사질퇴적상이 나타나는 지역이 확장되며, 역이 5% 이상 포함된 역질퇴적물은 2003년은 신시도 남측
신시배수갑문에서만 나타난 반면, 2006년에는 신시배수갑문과 가력배수갑문 개방부에서도 관찰됨
2호 방조제 외해역은 2003년에 비해 2006년에 보다 조립한 사질퇴적상으로 바뀌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가력배수갑문과 신시배수갑문을 따라 분포하는 골짜기를 중심으로 뚜렷하게 나타남

방조제와 수직인 북동∼남서 방향으로 골짜기와 얕은 지형이 발달하고, 신시배수갑문과


가력배수갑문에 발달된 골짜기에서 가장 깊은 수심을 보임
지난 20년 동안, 방조제 인접지역과 개방부 전면의 골짜기, 특히 신시배수갑문과 가력배수갑문의
개방부에 인접한 골짜기를 중심으로 침식(최대 25m)이 우세하게 진행된 것으로 나타남
2003년 5월∼2006년 3월 대부분의 지역에서 침식이 이루졌으며, 기존의 골짜기를 중심으로
결과분석
침식(최대 20m)이 가속화 되며, 이러한 변화는 2호 방조제 외해역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남
표층퇴적물은 사질퇴적상이 우세하게 분포, 방조제를 따라 보다 세립한 니사질, 사질니 퇴적상이
나타남
1호 방조제 외해역에서는 2003년 5월의 표층퇴적물에 비해 세립해지고, 2호 방조제 외해역에서는
조립해지는 경향을 보이며, 지난 3년간 전반적으로 모래퇴적상의 분포면적이 증가함

한반도 연안의 점토광물분포

우리나라 해안의 기반암의 깊이는 지역에 따라 매우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평균적으로
서해안은 최대 27m, 남해안 34m, 동해안 20m 정도로 알려져 있음
기본방향 기반암 상부에 분포하는 연약지반을 포함한 퇴적층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어려움
수년간 수행된 국내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연약지반의 점토함유율(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4)과
연안지역의 퇴적물의 점토광물함량비(최진용, 김석윤, 1998)를 종합

국내 해안 연약지반의 점토함유율(단위 %)
영역 지역 점토함유율 영역 지역 점토함유율
김포 <15 서해안 군산 <15
반월 10∼20 여수 15∼30
한강하구 <25 광양 5∼39
인천항 <15 섬진강하구 20∼50
영종도 12∼33 남해안 낙동강하구 25∼35

서해안 남양지구 5.7∼62.5 마산항 <15


계화도 <34 마산귀고리 12∼45
송산지구 24∼59 부산항 <45
아산만 12∼13 속초 <37
동해안
금강하구 12∼35 삼척 8.9∼59.7
영산강하구 25∼50

점토의 특성은 입경 2㎛이하의 점토함유율에 영향을 받음


표와 같이 점토함유율은 0.0∼62.6%의 다양한 범위 내에 있으며, 서해안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점토함유율은 소성지수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며, 서해안은 소성지수가 낮고, 남해안은 소성지수가 높게 나타남

- 47 -
제 1 편 지반조사

한국 연안지역의 퇴적물의 점토광물 함량비(단위 %)


조사지역 스멕타이트 일라이트 녹니석 카올린 출처
한강 0.4 57.1 22.9 19.6 박과 오(1991)
한강하구 0.77 67.17 15.53 16.5 박과 오(1991)
금강 0.1 63.7 17 19.3 Choi, J. H(1981)
금강하구 <1 53∼76 11∼28 12∼19 Choi, J. H(1981)
영산강 0.1 63.9 19.2 16.8 Kim, D.C(1980)
섬진강 0.1 45.7 30 26.5 Park and Khim(1990)
낙동강 0.1 58.6 22.5 18.8 Park and Khim(1990)
낙동강하구 <5 19∼54 19∼33 M : 12∼30 Park and Khim(1990)
중국(황하강) 19-24 59∼61 8∼11 8∼9 Xu (1983)
경기만 미약 52∼64 17∼26 18∼26 KORDI(1981)
아산만 <1 65∼78 10∼18 11∼21 KORDI(1982)
인천조간대 <1 57∼69 11∼19 16∼24 KORDI(1989)
광양만 <1 57 21 21 Park et al. (1984)
진해만 1∼28 9∼71 11∼33 2∼24 Park et al. (1976)
양산물금 1.8∼10 45.8∼56.1 17.9∼29.6 16.0∼24.7 KICT(1999)

한국의 연약지반에 나타나는 대표적 점토광물인 스멕타이트, 카올린, 일라이트, 녹니석에 대한 자료를 정리
스멕타이트는 대체로 10% 미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일라이트가 전체의 약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카올린은 지역마다 범위의 분포차가 크며, 녹니석은 20∼30% 범위를 나타냄

4.1.4 미고결 퇴적층의 특성


개요

기반암 상부의 퇴적층은 신생대 제4기의 홀로세(충적세) 동안 하천과 조류로부터 유입된 입자들이
퇴적된 것으로 지층은 수계, 이동거리와 같은 지형적 요인과 해수면의 변화와 같은 기후 환경 변화에
기본방향
따라 광물학적, 지화학적 층서구조가 달라지며 이로부터 형성 환경을 유추
지층의 특성 차이를 반영한 퇴적단위를 구분하고 형성 환경을 제시

조사위치
사업지역 좌측 방파제 시추공 위치도 조사위치

원지반 퇴적층의 형성 이력을 파악하기


위해 2개 시추공(NB-12, NB-18)을 선정하여
지층의 측방변화를 관찰
NB-18 시료의 육안관찰에 의해
구분되는 입도, 토색, 화석, 퇴적구조를
기재하고 주상도를 작성

시추공 위치도 사업지역 우측 가호안 및 매립호안 조사위치

원지반 퇴적층의 형성 이력을 파악하기 위해 2개 시추공의 불교란 시료 NNB-8,


NNB-9을 선정하여 지층의 측방변화를 관찰
NNB-9 시료의 육안관찰에 의해 구분되는 입도, 토색, 화석, 퇴적구조를 기재하고
주상도를 작성

- 4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퇴적구조
육안관찰

암회색 및 올리브회색을 띄는 퇴적층은 해성환경(환원환경)에서 퇴적되었음을 지시하며, 황색 또는


기본방향
황갈색을 띄는 퇴적물은 육성환경에 노출되었음을 지시함(산화환경)

색도(NB-12) 색도(NB-18)

심도(GL.-m) 색도 토색기호 심도(GL.-m) 색도 토색기호 NNB-9


11.0∼11.8 암회색 Gley15/10Y 14.4∼14.8 암녹색(황색협재) 5Y 3/2
12.0∼12.8 암회색 Gley13/10Y 15.0∼15.4 암녹색 5Y 5/2
14.0∼14.4 암회색 Gley1 3/N 15.4∼15.8 암녹색 5Y 5/3

방파제지역 색도는 전구간에 걸쳐 암회색을 보이며, 하부 모래층에서 부분적으로 회갈색이 관찰됨


결과분석 가호안지역 NNB-9의 시료는 대부분 실트와 점토가 혼합된 점성토층으로 구성되어 있음
11.0∼12.8m에서 환원환경을 지시하는 암회색, 14.4∼15.8m에서 암녹색과 황색이 협재해서 나타남

실체현미경관찰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한 분급, 원마도, 입자 배열 등의 퇴적구조와 역의 종류 기질부의


기본방향 부착상태를 관찰
실체현미경을 통한 모래, 실트, 점토의 분포범위 조직 파악

입자의 원마도 입자의 분급

NB-18 시추공의 실체현미경 사진 사업지역 좌측 방파제 시추공 분석 분석결과

시추공 NB-18의 불교란 시료는 대체로 암회색이 관찰됨


DL. (-)5.7m에서 대략 DL. (-)14.7m 까지는 세립질 모래가 주를
이루는 실트질 모래가 관찰되며, 모래 알갱이는 주로 아각상의
형태를 보임 사업구간과
DL. (-)14.7m에서 DL. (-)17.7m까지는 세립질의 모래가 함유된 퇴적층서
실트가 주를 이룸 양상이
DL. (-)17.7m에서 DL. (-)24.7m까지는 점토가 주를 이룸 유사함
DL. (-)24.7m에서 DL. (-)30.7m까지는 세립질에서 조립의
모래가 주로 관찰되며, 세립질 모래 알갱이는 아원상의 원마도를
보이며, 중립내지 조립질 모래 알갱이는 아각상 형태를 보임

- 49 -
제 1 편 지반조사

사업지역 우측 NNB-9 실체현미경 영상

지 층 입도의 구성 원마도 사업구간 비교


상부모래 세립질의 모래 및실트 아형-아원형으로 분급은 양호 상부모래 분포, 유사
점토질 실트층으로 생물활동에 의해 각형 내지 아각형, 점토질실트,
상부점성토
모래가 부분적으로 협재 분급은 보통에서 불량 모래 부분적 협재, 유사
중부모래 세립질 모래층 아원형이며 분급은 보통 분포하지 않음
아각형-아원형으로
중부점성토 점토질 실트층으로 점토층이 교호 실트질점토, 유사
분급은 불량
하부모래 모래, 점성토 교호로 유사함
중조립질 모래층 아원형이며, 분급 양호
∼기저자갈 기저자갈은 분포하지 않음

모래층에서 주로 모래 및 실트로 구성, 원마도는 아형 내지 아원형, 분급은 보통에서 양호정도임


점성토에서는 아각형 내지 아원형을 나타내며 분급은 불량함
결과분석
방파재의 퇴적층 층서는 사업구간과 일치함
가호안 및 매립호안은 사업구간과 대부분 유사하지만 중부모래와 기저자갈은 분포하지 않음

연 X-선 영상분석

불교란 시료의 연 X-선 투과영상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관찰하기 힘든 층리의 발달과


기본방향
화석군집 및 생흔화석 등의 퇴적구조를 관찰

사업지역 좌측 방파제 시추공(NB-18) 연 X-선 영상


grab 시료 DL.(-) DL.(-) DL.(-) DL.(-) DL.(-)
상부모래층 7.7∼8.7 15.7∼16.5 23.7∼24.5 27.7∼28.7 29.7∼30.7

상부모래(grab 시료) : 대부분 모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별한 구조가 관찰되지 않음


DL.(-) 7.7-8.7m: 층리발달 DL.(-) 15.7-16.5m: 부분적으로 점토노듈이 관찰됨
DL.(-) 23.7-24.5m: 세립모래가 부분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하부에서 미약한 층리발달
DL.(-) 27.7-28.7: 생교란구조가 발달하고 있으며, 하부에서 패각의 조각이 관찰됨
DL.(-) 29.7-30.7: sand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약한 층리가 발달

- 5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사업지역 우측 연 X-선 영상의 퇴적구조(11.0∼12.8m, 14.0∼15.8m)

대부분 지층이 균질한 점성토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층리구조는 거의 발달하지 않음


생물의 활동에 의한 관형태의 굴착구조(burrow)가 많이 관찰됨
14.0-14.2m 구간 상부에서 점토 노듈 관찰됨

대부분 구간이 점성토층으로 층리의 발달이 없고, 균질함


결과분석 생물의 활동에 의해 발생된 굴착구조와 생교란된 흔적이 다수 관찰되고 있으나 이매패와 복족류
등의 패각은 거의 발견되지 않음

사업구간 좌측 방파제 퇴적주상도


방파제 퇴적주상도 기재내용
-5.7∼-7.9 녹황색, 세립질모래층
실트질모래 녹황색, 세립∼중립질모래
-7.9∼-14.3
패각의 함량 증가
실트/세립모래 -14.3∼-17.0 암회색의 실트층
암회색 실트질 점토층
실트질점토 -17.0∼-24.2
부분적 세립질 모래 포함
녹황색, 세립∼중립질 모래에 부분적으로
실트질모래 -24.2∼-29.3
실트층이 포함됨
녹황색의 조립질 모래층으로 하부에 소량의
조립질모래 -29.3∼-34.1
자갈 함유
기반암 -34.1∼ 응회암 내지 유문암

불교란 시료 NB-18의 육안관찰과 입도, 토색 및 일차 퇴적구조를 바탕으로 퇴적주상도를 작성


지층의 색도는 녹황색-암회색-녹황색으로 암회색의 지층 내부에도 황색계열의 노듈들이 나타나고
결과분석
있으며, 녹황색의 실트질 모래내에도 부분적으로 암회색-담회색의 실트층이 관찰됨
퇴적층은 하부부터 조립질모래-실트질모래-실트질점토-실트 내지 세립모래-실트질모래로 구성

퇴적토의 물리적 특성
입도분포

시료의 심도별 시료를 채취하여 최대 입경 0.074㎜를 경계로 하여 체분석과 자동입도분석을


기본방향
병행 실시하여 입도를 측정하고 누적분포도를 작성

수계를 따라 분포하는 퇴적층은 내륙의 퇴적상에 해당하는 선상지(alluvial fan)에서 조간대(tidal plat)까지 하천,
범람원 평탄지, 배후습지, 삼각주 등의 다양한 퇴적지를 형성하며, 천해(neritic)에서 심해(abyssal)환경까지
구성하는 입자의 입경, 분급, 원마도 등은 퇴적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줌
체분석과 레이져자동입도분석을 병행하여 심도별 입도를 측정하고 누적분포도를 작성하고, 자갈, 모래, 실트,
점토 함량비를 이용하여 미농무성(USDA)과 Folk (1980)가 제안한 입경에 따른 토성분류법에 따라 구분

- 51 -
제 1 편 지반조사

퇴적위치에 따른 입도의 분포 (가호안, NNB-9) 분석결과

대부분 지층이 균질한 점성토층 으로


구성되어 있고, 층리구조는 거의 발달
하지 않음
생물의 활동에 의한 관형태의 굴착구조
(burrow)가 많이 관찰됨
14.0-14.2m 구간 상부에서 점토 노듈
관찰됨

입도에 따른 퇴적지의 구분

퇴적위치에 따른 환경에서 기반암 상위의 하부 사질층은 하천퇴적층으로 하천에서 공급되는 퇴적물의 주로


퇴적된 지층으로 판단되며, 이후 해수면의 상승으로 인해 퇴적지의 환경이 연안(Neritic)으로 변화되어 조간대
퇴적물인 점성토층이 퇴적되었음. 이후 해수면의 하강하여 현재와 같은 해수면에 도달하여 퇴적된 지층이 상부의
사질층에 해당됨

토성

기본방향 미농무성(USDA)과 Gorsline(1960)이 제안한 입경에 따른 토성분류법에 따라 구분

사업지역 좌측 방파제 입도분석자료 사업지역 우측 가호안 입도분석자료


표고 모래 실트 점토 심도 자갈 모래 실트 점토
USDA분류 USDA분류
(DL.-m) (%) (%) (%) (GL.-m) (%) (%) (%) (%)
6.7 71.20 25.69 3.11 Sandy loam 2.8 0.00 50.73 36.70 12.57 Sandy Loam
9.7 70.40 26.86 2.74 Sandy loam 6.5 0.00 42.22 43.89 13.88 Loam
11.7 55.40 40.52 4.08 Sandy loam 10.0 0.00 2.38 67.10 30.52 Silty Loam
15.7 59.60 33.87 6.53 Sandy loam 14.0 0.00 46.07 39.01 14.91 Silty Loam
17.7 9.00 79.42 11.58 Silty loam 24.5 0.00 2.54 83.05 14.41 Silt
22.7 27.00 64.05 8.95 Silty loam 26.0 0.00 1.26 59.32 39.42 Silty Clayey Loam
24.7 47.60 43.78 8.62 Loam 28.5 4.20 88.69 6.25 0.86 Sand
25.7 76.50 20.59 2.91 Loamy sand 29.0 0.00 97.50 2.10 0.40 Sand
26.7 1.60 79.77 18.63 Silty loam 30.0 5.78 81.83 10.26 2.13 Sand
28.7 68.80 26.54 4.66 Sandy loam 33.5 0.00 83.95 13.81 2.23 Loamy Sand

사업지역내의 상부모래층, 상부점토층, 중부모래층, 중부 점토층, 하부모래층의 입도 함양과 분류표 제시


결과분석 모래는 평균 29.03%, 실트는 평균 53.47%, 점토는 평균 17.36%를 나타냄
자갈은 대부분 나타나지 않으며 GL.(-)34.7m 이후 풍화암 및 기반암임

- 5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토양분류에 의한 구분
USDA 토양분류법 Gorsline 토양분류법 범례 분석결과

S : sand, Si : silt C : clay, 퇴적토는 USDA분류 기준에


SiS : Silty sand, SSi : Sandy 의해 Silty loam, Loam,
silt, CS : Clayey sand, Sandy loam, Loamy
SC : sandy clay, SiC : Silty
sand로 구분되며,
clay, SSIC : Sandy silty clay,
CSi : Clayey silt, Gorsline의 분류는 Clayey
SiCS : Silty clayey sand, silt, Sandy silt, Silty
SCSi : Sandy clayey silt sand로 구분됨

입도누적분포곡선

체분석과 레이져입도 분석결과를 취합하여 입도누적분포곡선 작성


대표지층 (Sandy Loam-Loam-Silty Loam-Silty Clayey Loam-Sand-Loamy Sand)에 대한 누적분포곡선과
함량비 파악

2.8 / Sandy Loam(가호안) 6.5 / Loam (가호안) 14.0 / Silty Loam (가호안)

26.0 / Silty Clayey Loam (가호안) 29.0 / Sand (가호안) 33.5 / Loamy Sand (가호안)

Silty Clayey Loam (원안) Silty loam(원안) Loamy Sand (원안)

Silty Clayey Loam (금회) Silty loam(금회) Loamy Sand (금회)

- 53 -
제 1 편 지반조사

Silty Clayey Loam (원안+금회) Silty loam(원안+금회) Loamy Sand (원안+금회)

방파제 : 퇴적토의 하부는 Sandy loam이 우세하며, 중부는 Silty loam 내지 Loam, 상부는 다시 Sandy loam이 우세함
가호안 : 상부 모래층 Loam, Sand-loamy에 해당, 중부모래는 Sandy Loam에서 Silty-loam까지 넓은 범위의
토성을 보임, 하부 모래는 Sand에 해당하여 실트, 점토에 비해 모래의 함량이 높음. 상부 및 중부 점성토는
Loam에서 Silty-Clayey loam까지 해당
상부 점성토층은 저에너지 환경의 퇴적을 지시하며, 하부는 상부에 비해 높은 에너지 환경에서 형성됨

대자율

광물과 암석은 매질을 구성하는 물질의 자화강도에 따라 강자성(ferromagnetic),


기본방향 상자성(paramagnetic), 반자성(diamagnetic)으로 구분되며, 물질의 고유 특성으로 분류됨
원지반 퇴적토의 대자율을 측정하여 지층 단위를 구분, N-치와도 높은 상관성을 보임

NB-12(방파제) NB-18(방파제) 방파제 구간 분석결과

각각의 시추공 대자율을 최대값으로 정규화


(normalize)하여 획득한 증감 정도에 의해 5개의
지층으로 구분
하부로부터 최소치의 대자율 측정값을
보이는 E구간, 하부로 갈수록 측정값이
증가하는 D구간, 대체로 일정한 값 변동을
보이는 C구간, 하부로 갈수록 측정값이 점차
감소하는 B구간, 측정값이 타구간에 비해
높고 일부에서 증감의 폭이 크게 나타나는
A구간으로 나뉨

NNB-8 NNB-9 매립호안 구간 분석결과

시추공 대자율을 최대값으로 정규화 하여 지층구분의 파악


NNB-8는 주로 모래질 퇴적지층과 높은 대자율 값을 보이며
역질 모래층에서 제일 높게 나타냄
NNB-9에서 사질토는 점성토에 비해 높은 대자율을 보이며,
상부점성토는 거의 일정한 크기를 보이는 반면
하부점성토층은 증감이 반복되고 있어 개방된 환경을
지시함
시추공에서는 일정한 범위의 증감을 나타내는 구간과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구간으로 구분되며, 대자율의 증감은
퇴적지의 이동과 공급물질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해석

- 5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퇴적토의 광물학적 특성

기본방향 퇴적물 시료를 건조 후 분말 시편으로 제작, X-선 회절분석(XRD) 실험을 실시하고 구성광물 종류 판별

매립호안 구간 NB-18 심도별 X-선 회절분석


모래가 우세한 구간(5.7-14.7m, 24.7-34.3m)은
장석류의 함량이 높은 반면, 실트 내지 점토가 우세한
14.7m-24.7m는 운모와 일라이트, 녹니석, 카올린 등의
점토광물이 높은 함량을 보임
모래가 우세한 구간이라도 상부 (5.7m-14.7m)와
하부(24.7m - 34.3m)는 광물의 함량 변화가 부의
관계로 서로 상이한 양상을 보임

방파제 구간 NNB-9 심도별 X-선 회절분석

조사지역의 색도는 전구간에 걸쳐 암회색의 색도를 보이며,


하부 모래층에서 부분적으로 회갈색이 관찰됨
조암광물은 석영(37.4%) 〉사장석(25.1%) 〉K-장석 (22.2%)
〉운모(6.12%) 순의 함량을 보이며, 점토광물은 함량 범위는
3.3-19.5%로 나타남
점토광물 함량은 일라이트, 녹니석, 카올린이 나타나며, 팽윤성
점토광물인 스멕타이트는 관찰되지 않음

퇴적토의 지화학적 특성
지화학분석

기본방향 퇴적물 시료를 증류수에 현탁한 후 수소이온농도(pH), 전기전도도(EC), 총용존고용물(TDS), 염도(Salinity) 측정

NB-18 심도별 지화학분석 방파제 구간 지화학분석


세립질의 모래가 우세한 A구간은 pH가 8이상의 높은 값을
보이며, 실트와 점토가 우세한 B, C구간은 pH가 8에서 6의
범위로 점차 감소하고 실트를 함유한 세립질 모래 구간 D에서
pH가 8부근으로 측정되었다가 중립질 모래가 나타나는 구간에서
급격히 감소 후 다시 증가
pH는 EC, TDS 및 염도 측정값과 비교 시 대체로 부의 관계를
보임

NNB-9 심도별 지화학분석 매립호안 구간 지화학분석

NNB-9의 퇴적물의 수소이온농도 (pH)는 전체적으로 약산성에서


염기성(pH 6.0∼9.0이내) 으로 관찰됨
전기전도도(EC)값은 –11.0에서 –13.0m 구간에서 큰 폭의 변화가
관찰되며 하부의 전기전도도가 상부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냄.
총고용물질(TDS)와 염도변화 (Salinity)는 –14.0m를 기점으로 염도,
TDS값이 약간 감소함
상부 퇴적물은 해수환경에서 퇴적되었고, -28.0m 이후 지층으로 갈수록
육성환경에서 형성되었음을 의미함

- 55 -
제 1 편 지반조사

용출이온분석

공급되는 퇴적물의 차이는 퇴적물의 이온 변화를 수반하므로 용출되는 이온함량을 측정함으로써 지층을
기본방향
구분하고, 환경을 평가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며, Na+와 Cl-, SO42-는 해성환경을 지시하는 지시자로 이용

심도별 양이온 분석결과(방파제) 심도별 음이온 분석결과(방파제)

해성환경을 지시하는 양이온인 Na+와 음이온인 Cl-, SO42-는 상부에서 높은 함량비를 보이며, 하부
결과분석 퇴적층에서는 감소함. Ca의 함량은 -25.0m 전후에서 높은 함량비를 보이고 있으며, NO3의 함량은
전 구간에 걸쳐 유사한 값의 범위를 보임

유기물분석
퇴적물 속에 포함된 유기물의 함량을 확인하여 환경변화 인지에 이용
기본방향 건조된 퇴적물 시료를 섭씨 1150℃ 정도의 고온에서 연소하여 각종 원소를 함유한 가스로 분해,
이들 가스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여 원소의 종류와 함량분석

심도별 유기물 분석결과 분석결과


유기물의 총함량은 모래질 실트와 실트질 점토가 우세하게 발달하는
-15.0∼-25.0m 범위에서 높게 측정되었음
질소(N)의 함량은 심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으며, 가장 많이 검출됨
상부의 실트질 모래층이 하부의 실트질 모래층에 비해 유기물 함량이
높게 나타남

4.1.5 퇴적단위 및 환경의 구분


퇴적층은 신생대 제4기의 홀로세 동안 하천과 해류에서 유입된 퇴적입자들이 퇴적된 것으로 수계,
이동거리와 같은 지형적 요인과 해수면의 변화와 같은 기후 환경 변화에 따라 광물학적, 지화학적
기본방향 층서구조가 달라짐
퇴적층의 퇴적구조와 광물 조성, 물리・화학적 특성의 상이성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퇴적단위를
설정하고 형성 환경과 퇴적지의 상대적 위치를 유추함

서해안의 퇴적층의 퇴적단위


단위 색 구성 평균입도 퇴적구조 환경 시기
생교란, 국부적 잔류엽리층, 폭풍퇴적층, 해성 후기 현세
암회색 실트질 5∼7phi
Unit 조수기원 리듬층 환경 조수 퇴적층
Ⅰ 암록 생교란으로 파괴, 괴상, 탄화된 식물파편
세립퇴적물 7∼9phi
회색 관찰됨
Unit 실트질점토 육성 초기 현세
황갈색 8.5phi 흙색 토탄파편, 식물줄기 다량 산재, 괴상
Ⅱ 퇴적물(이토90%) 환경 육성 퇴적층
파형의 검은 동토구조 → 노출, 풍화의
황갈색 고화된 실트질 점토 7phi
Unit 증거 해성 후기 플라이스토세
Ⅲ 올리브 교호구조, 생물교란구조, 사층리구조, 환경 조수 퇴적층
모래 및 점토 5∼9phi
회색 조수 리듬층
Unit 올리브 자갈모래 육성 플라이스토세
5phi
Ⅳ 회색 (모래자갈) 환경 육성 퇴적층

- 5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수직적으로는 니질 조간대에서 사질 또는 니사질의 혼합조간대로 구성되는 상향 조립화의 후퇴 퇴적층서


Unit Ⅰ
초기 현세부터 시작되는 점진적인 해수면 상승에 의해 조절되는 전형적인 해침층서

초기 현세 이전의 해수면과 해안선 부근의 육지에 국부적으로 발달한 습지 퇴적물로 해석


Unit Ⅱ
능철석은 일반적으로 습지와 소택지에서 자생적으로 형성되는 비해성 퇴적물의 좋은 지시자로 해석
생물교란된 잔류엽층리 구조가 우세, 교호층리의 두께 변화는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유수의 운동에
따른 퇴적물 입자의 차별적 침강과 퇴적에 기인한 것
Unit Ⅲ
해록석은 수심 100m 내외의 대륙붕 환경에서 생성되는 자생해양광물로 최대 5%의 높은 함량으로
발견됨 (해침에 의해 외해로부터 쇄설성 물질의 공급을 설명)

Unit Ⅳ 조립한 역사질의 퇴적물, 육성기원의 소규모 하천 퇴적물

퇴적 위치
입도에 따른 퇴적지의 분포
하천환경 연근해환경 분석결과
퇴적위치에 따른 환경에서 기반암 상위의 하부
사질층은 하천퇴적층으로 하천에서 공급되는
퇴적물의 주로 퇴적된 지층으로 판단되며, 이후
해수면의 상승으로 인해 퇴적지의 환경이
연안(Neritic)으로 변화되어 조간대 퇴적물인
점성토층이 퇴적되었음
이후 해수면의 하강으로 강기원의 모래 퇴적물이
이동되어 조간대 퇴적층과 함께 재퇴적됨

연안퇴적환경 분류 위치에 따른 퇴적환경

Unit Ⅳ는 저해수면기의 강기원퇴적물이 퇴적


Unit Ⅲ은 고해수면 시기에 퇴적된 지층으로 조수평원에 해당되며,
해양기원의 퇴적물이 퇴적
Unit Ⅰ은 조수우세 염하구 환경 내지 개방형갯벌에 해당됨

조사지역의 퇴적단위
퇴적단위 설정

퇴적단위는 저해수면 시기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퇴적지의 위치가 하천의 중・상류에서 하구와
기본방향 삼각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수반된 환경변화를 반영하며 이에 따른 지층 구성물질의 변화를 지시
광학적인 관찰기록과 광물조성,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하부로부터 퇴적단위 구분

사업구간 좌측 방파제 구간 퇴적단위

- 57 -
제 1 편 지반조사

퇴적단위 지층 구성 특성 환경
세립질모래 강 기원 모래 퇴적물이 현세 해수면 상승기에서
녹황색 해수면 조간대퇴적층/
Unit Ⅰ 점토질실트 하강기로 변화되면서 퇴적물을 이동 시켜
하강기 해성환경
녹회색 모래질실트 현재의 위치에서 조간대 퇴적층과 함께 재퇴적
해수면 연근해 조간대
Unit Ⅲ 암회색 실트질점토 생물교란구조, 조수 리듬층
상승기 퇴적층/해성환경
실트질점토 해수면 하천퇴적물/
Unit Ⅳ 녹황색 육성기원의 하천퇴적물
중・조립질모래 하강기 육성환경

사업구간 우측 매립호안 구간 퇴적단위

사업구간 퇴적단위

퇴적단위 지층 구성 특성 환경
염기성, 양이온, EC, TDS, Salinity가 높은 함량비
녹황색 실트질점토 실트함량 우세, 양이온 중 Na 함량 증가
해수면 조간대퇴적층/
Unit Ⅰ 강 기원 모래 퇴적물이 현세 해수면 상승기에서
하강기 해성환경
녹회색 모래질실트 하강기로 변화되면서 퇴적물을 이동 시켜 현재의
위치에서 조간대 퇴적층과 함께 재퇴적
암회색/ 낮은 염도, 양이온 함량이 낮게 분포 해수면 연근해 조간대
Unit Ⅲ 실트질점토
암녹색 생물교란구조, 조수 리듬층 상승기 퇴적층/해성환경
육성 퇴적층으로 황색을 띄며, 모래로 구성되며,
녹황색/ 실트질모래 해수면 하천퇴적물/
Unit Ⅳ 조립질의 역사질 퇴적물이 협재
암황색 모래질실트 하강기 육성환경
양이온 중 낮은 Na 함량, 높은 Ca 함량

서해안 조간대는 신생대 제4기 홍적세와 충적세 기간 동안 형성된 내만환경의 퇴적층으로


형성환경에 따라 하부로부터 Unit Ⅳ, Unit Ⅲ, Unit Ⅱ, UnitⅠ의 4개의 퇴적단위로 구분
조사지역의 퇴적층은 Unit Ⅱ가 결층이며, 하부로부터 Unit Ⅳ, Unit Ⅲ, UnitⅠ이 나타남
검토결과 최하부층(Unit Ⅳ)은 육성기원의 하천퇴적물로 하부로부터 중・세립질 모래층, 실트질 모래층,
조립질 모래층으로 구성됨
그 위에 해성환경의 연근해 조간대 퇴적층(Unit Ⅲ)은 하부로부터 점토 및 실트층이 교호함
상부 Unit 1층은 하부로부터 모래섞인 실트층과 상부에 세립질 모래층으로 구성됨

- 5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4.2 지층분포 특성 분석
4.2.1 평면적 지층특성 분석

기본방향 크리깅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세부 지층별 평면적 분포를 파악하여 사업대상위치의 지층 경향 분석

지층별 평면적 분포 특성
상부 연약실트 분포도 하부 연약점토 분포도

A구간에서 5.0∼9.0m 층후로 분포 전구간에서 12.0∼16.0m의 층후로 분포

N≤10/30 사질토 층후 분포도 풍화대 출현심도

B구간 점토층 하부에 6.0∼14m 층후로 분포 A구간에서 풍화대는 –42.0∼-54.0m 심도에서 출현

결과분석 설계 주요 대상층인 연약점성토 및 사질토층이 복잡하게 혼재, 하부 연약사질토층이 일부 존재함

4.2.2 심도별 지층특성 분석

원안 및 공동조사에서 수행된 지반조사 자료를 토대로 심도별 불규칙한 지층 분포특성을 파악함


기본방향
복잡, 다양한 점토, 실트, 모래의 지층특성을 분석함 불규칙한 다층토의 지반 신뢰성 확보함

지층분포 특성

상부 연약사질토는 퇴적층 최상부와 점성토층과 B구간의 점성토는 하부에서 출현, 0.0∼17.5m 층후로 분포
연약 실트층은 A구간에서 모래층 하부에서 출현, 1.5∼12.5m 층후로 분포, 매우연약∼연약한 연경도를 보임
상부 연약점토층 6.0∼19.8m의 층후로 분포, 하부 굳은 점토층의 N치는 10/30∼40/30, 보통견고∼매우견고함

호안은 상부 연약한 점토, 실트, 모래와 하부 견고 점토, 조밀한 모래층이 복잡하게 교호함
결과분석
일부 구간에서 하부 점성토층이 견고/조밀층 하부에 존재하는 다층토 형태의 복잡한 지층구조임

- 59 -
제 1 편 지반조사

4.3 연약지반 판정기준 검토 및 선정


4.3.1 기관별 판정기준

기관별 판정기준 검토 후 사업대상위치의 연약지반 특성 등을 고려한 기준 선정


기본방향
지형, 연약지반 두께, 물리적 특성 및 공학적 특성 등 종합적 검토를 수행하여 연약지반 기준 선정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및 도로설계편람(국토교통부)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2016년) 도로설계편람(2018년)
구분
점성토, 유기질토 사질토 점성토, 유기질토 사질토
연약층 두께 10m 미만 10m 이상 - 10m 미만 10m 이상 -

N값 4 이하 6 이하 10 이하 4 이하 6 이하 10 이하

qc(kPa) 800 이하 1,200 이하 4,000 이하 784 이하 1,176 이하 3,922 이하

qu(kPa) 60 이하 100 이하 - 58 이하 98 이하 -

토목설계 지침(한국토지주택공사, 2018년)


구분 층깊이 일축압축강도  (kPa) 콘관입저항치  (kPa) N값

점 토 및 10m 미만 60 이하 800 이하 3 이하
점 성 토 10m 이상 100 이하 1,200 이하 5 이하

사 질 토 - - 4,000 이하 10 이하

토질특성에 따른 연약지반 판정기준(도로설계편람, 2018년)


주요항목
구분 토질구분
Wn(%)   (kPa) N값

이탄토 섬유질 고압축토 300 이상 7.5 이상


이탄질
고유기질토 39 이하 1 이하
지 반
흑니 분해가 진척된 고 유기질토 300∼200 7.5∼5.0

유기질토 소성선 A선 이하 유기질토

200∼100 5.0∼2.5
화산화질 소성도 A선 이상
점토질 점토 화산회질 2차 퇴적 점성토
세립토 98 이하 4 이하
지 반
실트 소성도 A선 이하 팽창성대
100∼50 2.5∼1.25
점토 소성도 A선 위 팽창성대

SM, SC No. 200체 통과 15∼20% 50∼30 1.25∼0.8


사 질
사질토 ≒0 10 이하
지 반 SP-SC,
No. 200체 통과 15% 이하 30 이하 0.8 이하
SW-SM

- 6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구조물 종류에 따른 연약지반 판정기준(도로설계편람, 2018 )


지반상태
구분 판정
토질 N값  (kPa) (kPa)
2 이하 25 이하 123 이하 연약지반(초연약)

도 로 - 2∼4 24.5∼49 123∼245 연약지반(연 약)

4∼8 49∼98 245∼490 연약지반(보 통)

이탄층, 점성토 4 이하 49 이하 -
고속도로 연약지반
사질토 10 이하 - -

4.3.2 인근지역 적용사례 분석


사업명 점성토 사질토 사업명 점성토 사질토
새만금 남북도로 기본설계 N≤6 N≤10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 1공구 N≤8 N≤10

산업단지 기본설계 N≤6 N≤10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 2공구 N≤8 N≤10

동서 2축 실시설계 N≤6 N≤10 방수제 동진4 공구 N≤6 N≤10

만경3공구 실시설계 N≤8 N≤10 방수제 동진1 공구 N≤4 N≤10

만경5공구 실시설계 N≤6 N≤10 부산북항재개발사업 N≤6 N≤10

새만금 가호안 및 매립호안 N≤8 N≤10 기 본 조 사 N≤8 N≤10

4.3.3 사업대상위치 연약지반 판정기준 선정


판정기준을 위한 연약지반 특성분석
심도별 N값 분포도 심도별 qu값 분포도 심도별 qc값 분포도

연약점토 : N≤8 연약점토 qu=100kPa 이하 연약점토 qu=1,200kPa 이하

연약지반 판정기준
구분 N값 일축압축강도 qu(kPa) 콘관입저항치 qu(kPa)
점 성 토 N≤8 100 이하 1,200 이하

사 질 토 N≤10 - -

일반적인 연약지반 판정기준은 N값 8이하, 일축압축강도 100kPa, 콘관입저항치 1,200kPa을 적용함


결과분석 구조물 안정성이 확보되는 연약지반 개량심도는 N≥20을 기준으로 하며, 상부구조물 형식 및
지층조건에 따라 적정 심도를 적용함

- 61 -
제 1 편 지반조사

4.4 연약점성토 특성 분석을 위한 신뢰도 확보방안


현장 지반특성을 고려한 현장베인시험 결과 보정으로 시험결과의 신뢰성 증대
기본방향
교란도 평가를 수행하여 교란의 정도에 따라 시험결과의 신뢰성 및 적용성에 반영함

4.4.1 현장 베인시험 보정
구분 내용 시험결과

흙의 소성에 따른 보정 필요(Bjerrum)
     ×   
현장베인시
험 - 여기서   : 수정 값,    : 현장 측정값
보 정
소성지수에 따른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비배수전단강도(Su)
보정하여 적용함

4.4.2 연약점성토 교란도 분석


교란의 원인 및 교란의 영향성
교란의 원인(Jamiolkowski et al., 1985)
구분 내 용 시료채취에 의한 응력 변화

천공에 의한 응력변화
응 력 해 방 원위치 전단응력의 제거
구속응력의 제거

샘플러의 기하형태 : 길이비, 면적비, 여유비


시 료 채 취
샘플러 추진방법 튜브 관입정수의 변형
과 정
시료회수 방법

운반에 의한 추가변형
운 반 과 정 저장시 간극수의 이동
시료추출과 성형시 시료의 변형

교란의 영향성
구분 내 용 시료채취에 의한 응력 변화

강도 특성에 배수 및 비배수 상태에서의 압축강도(qu) 감소


미치는 영향 압축시험으로부터 얻어지는 탄성계수(E)의 감소
(Mori, 1979) 극한 강도일 때의 변형률(ε) 증가

압밀곡선 완화로 선행압밀응력이 왜곡됨


압밀 특성에 원위치 유효응력까지 압밀시 체적 변형률이 커짐
미치는 영향
선행압밀응력 이전의 압축지수는 커지고 그 이후는 작아짐
(Dazawa,
1976) 선행압밀응력 전후의 압밀계수・투수계수 왜곡
압밀응력 이하의 응력에서 2차 압밀계수 왜곡

- 6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교란도 분석 방법 및 결과
체적변형률에 의한 방법(Andersen & Kolsted, 1979)
구 분 체적변형률   (%) 시료품질(NGI) 시료품질(NGI)
A <1 매우 양호          ×   
B 1∼2 양호  : 체적변형률(%)
C 2∼4 보통  : 초기간극비
D 4∼8 불량  : 유효상재응력( )에서의
E >8 매우 불량 간극비

등급 시료수 비율(%) 교란도 분포 분석결과


A - -
B - -
C 4 25.0%
D 10 62.5%
E 2 12.5%

간극비 변화량( )과 초기간극비( )에 의한 방법(Lunne 등, 1997)


구분   시료품질(NGI) 분석방법
1 0.0 ∼ 0.04 매우 양호 
 =   
2 0.04 ∼ 0.07 양호
 : 초기간극비
3 0.07 ∼ 0.14 보통
 : 유효상재응력( )에서의
4 > 0.14 매우 불량 간극비

등급 시료수 비율(%) 교란도 분포 분석결과


1 - -

2 3 19%

3 10 62%

4 3 19%

일축압축시험의 파괴변형률에 의한 방법
구분 파괴변형률   (%) 시료품질(NGI) 시료수 비율(%) 교란도 분포도
1 <2 매우 양호 0 0.0
2 2∼4 양호 6 37.5
3 4∼6 보통 5 31.3
4 6 ∼ 15 불량 3 18.8
5 > 15 매우 불량 2 12.5

일축압축시험의 경우 불량∼매우불량 영역에 해당하는 결과는 성과분석에서 제외


설계반영 압밀시험의 경우 매우불량 영역에 해당하는 결과는 성과분석에서 제외
Schmertmann이론을 적용한 압축지수 보정 및 소성지수를 이용한 현장베인 전단강도 보정하여 사용

- 63 -
제 1 편 지반조사

4.5 연약점성토 정적특성 분석


4.5.1 물리적 특성 분석

불교란 시료에 대한 실내토질시험 결과를 종합하여 사업대상위치 연약지반 물리적 특성 분석


기본방향
연약지반 물리적 특성값은 강도특성 및 압밀 특성 분석 시 기초자료료 활용

분석결과
통일 함수비 Atterberg Limits(%) 단위중량 No.200체
구분 비중
분류 (%) LL PI (kN/m3) 통과량(%)
41.4∼43.2 2.705∼2.708 59.4∼65.9 32.6∼38.6 17.6∼17.8 97.4∼99.0
고소성점토 CH
(42.3) (2.707) (62.6) (35.6) (17.7) (98.2)
24.9∼35.8 2.649∼2.680 27.9∼42.4 4.8∼11.2 18.3∼19.5 53.0∼81.6
저소성실트 ML
(29.0) (2.665) (32.4) (7.5) (18.9) (64.9)
25.0∼56.2 2.679∼2.701 31.2∼47.9 9.5∼22.8 16.7∼19.7 55.9∼98.1
저소성점토 CL
(34.8) (2.691) (40.9) (17.0) (18.5) (86.4)

함수비(Wn, %) 비중(Gs) 단위중량(γsat, kN/m3)

CH 41.4∼43.2% (평균 42.3%) CH 2.705∼2.708 (평균 2.707) CH 17.6∼17.8 (평균 17.7)


ML 24.9∼35.8% (평균 29.0%) ML 2.649∼2.680 (평균 2.665) ML 18.3∼19.5 (평균 18.9)
CL 25.0∼56.2% (평균 34.8%) CL 2.679∼2.701 (평균 2.691) CL 16.7∼19.7 (평균 18.5)

액성한계(%) 소성지수(%) 액성지수

CH 59.4∼65.9% (평균 62.6%) CH 32.6∼38.6% (평균 35.6) CH 0.412∼0.449 (평균 0.431)


ML 27.9∼42.4% (평균 32.4%) ML 4.8∼11.2% (평균 7.5) ML 0.068∼1.951 (평균 0.748)
CL 31.2∼47.9% (평균 40.9%) CL 9.5∼22.8% (평균 17.0) CL 0.160∼1.558 (평균 0.653)

#200체 통과율(%) 소성도 활성도

CH 97.4∼99.0% (평균 98.2%) 사업구간의 점성토는 대부분 보통활성~비활성에 해당


ML 53.0∼81.6% (평균 64.9%) 저소성의 CL, ML로 구성되며 Illite와 Kaolinite 영역에
CL 55.9∼98.1% (평균 86.4%) 고소성의 CH가 부분적으로 분포 분포함

- 6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4.5.2 강도특성 분석

점성토의 비배수전단강도는 경계조건, 하중재하속도와 방향, 구속응력 등의 변수에 영향을 받음


기본방향
다양한 현장 및 실내 시험결과의 상관성 검토 및 비교・분석을 통해 신뢰성 있는 역학적 특성 규명함

비배수전단강도(Su, kPa)
현장시험에 의한 비배수전단강도(Su, kPa)
현장베인시험 결과 현장베인(원안+금회) 이상치제거 비배수전단강도 종합분석

원안조사 94.0, 금회조사 44.8 Box Plot에 의한 이상치 제거 이상치 제거전 63.3, 제거후 52.4
원안과 금회 시험값의 차이가 큼 원안 시험값 중 큰값 제거후 분석 심도에 따라 증감 경향 없음

실내시험에 의한 비배수전단강도(Su, kPa)


비배수전단강도(, kPa) 삼축압축강도(Cuu, kPa) 일축()+삼축(UU) 강도

qu/2는 13.0∼61.1 평균 43.2kPa Cuu는 13.5∼65.1 평균 39.0kPa 심도에 따라 증가, Su=2.42D+17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에 의한 강도특성 분석


일축,삼축+베인 이상치제거 일축+삼축+베인 현장+실내시험 종합분석

제거전 평균 49.5 표준편차 22.7 FVT, 삼축(UU), 일축결과로 산정 안전설계위해 CPT고려하여 산정


제거후 평균 46.3 표준편차 10.5 Su=3.09D 심도에 따라 증가 종합분석결과 Su=2.48D+20

- 65 -
제 1 편 지반조사

강도증가율(m)
강도증가율(Su/P'0)
강도증가율(경험식) 강도증가율(일축, 삼축압축강도) 경험식-실내시험 비교

ML/CL : 0.149∼0.187 ML : 0.267 경험식으로 얻은 m값 보다


CH : 0.282 CL/CH : 0.403∼0.447 실내시험 m값이 크고 변동폭이 큼

산정결과
구분 저소성실트(ML) 저소성점토(CL) 고소성점토(CH)
Skempton 0.129∼0.151 (0.143) 0.150∼0.194 (0.178) 0.231∼0.253 (0.242)
경험식
Hansbo 0.191 (0.191) 0.185∼0.216 (0.200) 0.267∼0.296 (0.282)
일축압축 - 0.148∼0.778 (0.406) 0.434∼0.439 (0.437)
실내시험
삼축압축 0.246∼0.288 (0.267) 0.159∼0.686 (0.397) 0.446∼0.468 (0.457)

경험식의 m은 저소성점토 0.150∼0.216, 저소성실트 0.129∼0.191, 고소성점토 0.231∼0.296


검토결과 실내시험의 m은 저소성점토 0.148∼0.778, 저소성실트 0.246∼0.288, 고소성점토 0.434∼0.468
실내시험 m은 분산 범위가 넓고 저소성점토 조건에서 적용성이 떨어져 배제함

4.5.3 변형특성 분석

지반의 응력-변형 거동에 관한 수치해석시 사용될 변형계수 제공


기본방향
경험식, 실내시험 및 현장 시험결과를 토대로 변형 특성 파악

현장시험을 이용한 변형계수 산정


심도 변형계수
구분 토성 N값 금회 현장시험 새만금 인근 현장시험 자료 분석
(GL.-m) (MPa)

TBH-2 16.0 CL 2/30 1.898

NBH-5 18.0 CL 4/30 4.064

NBH-10 11.0 CL 3/30 2.385

설계반영 CL의 변형계수는 1.9∼4.1MPa(평균 2.8MPa), Em(CL)=1.07×N, Em(ML)=1.36×N로 분석됨

- 6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4.5.4 압밀특성 분석

점성토의 비배수전단강도는 경계조건, 하중재하속도와 방향, 구속응력 등의 변수에 영향을 받음


기본방향
다양한 현장 및 실내 시험결과의 상관성 검토 및 비교・분석을 통해 신뢰성 있는 역학적 특성 규명함

분석결과
초기간극비 선행압밀하중 압축지수 재압축지수 평균 Cv 평균 Kv
구분
( ) Pc(kPa) (Cc) (Cr) (cm2/sec) (cm/sec)
저소성실트 0.749∼0.985 92.3∼180.3 0.148∼0.341
- - -
(ML) (평균:0.867) (평균:138.8) (평균:0.245)
저소성점토 0.741∼1.518 46.5∼409.1 0.217∼0.622 0.033∼0.084
9.53×10-3 4.29×10-7
(CL) (평균:0.994) (평균:173.1) (평균:0.385) (평균:0.057)
고소성점토 1.150∼1.201 223.8∼256.8 0.672∼0.694 0.047∼0.066
1.72×10-3 6.04×10-7
(CH) (평균:1.176) (평균:240.3) (평균:0.683) (평균:0.057)

초기간극비 선행압밀하중(Pc, kPa) 압축지수

과압밀비(OCR) 재압축지수(Cr) 검토결과

초기간극비(eo)
고소성점토: 1.150∼1.201(1.176)
저소성점성토: 0.741∼1.518(0.978)
압축지수(Cc)
고소성점토: 0.672∼0.694(0.683)
저소성점성토: 0.148∼0.622(0.367)
재압축지수(Cr)
고소성점토: 0.068∼0.075(0.072)
저소성점토: 0.028∼0.084(0.047)

연직압밀계수(CL) 연직압밀계수(CH) 연직투수계수(CL)

- 67 -
제 1 편 지반조사

연직투수계수(CH) 수평방향 압밀계수(Ch) 수평방향 투수계수(kh)

CL : Cv 2.16×10-3∼2.46×10-2(평균1.30×10-2)cm2/sec, kv 1.14×10-7∼1.08×10-6(평균5.26×10-7)cm/sec
CH : Cv 1.65 ×10-2∼1.79×10-2(평균1.72×10-2)cm2/sec, kv 5.85×10-7∼6.23×10-7(평균5.26×10-7)cm/sec
CPTu 시험결과 수평압밀계수는 1.41×10-2∼8.62cm-2/sec의 범위를 보이며 평균은 4.05×10-2cm2/sec임
CPTu 시험결과 수평투수계수는 1.31×10-7∼2.32×10-7cm/sec의 범위를 보이며 평균은 1.86×10-7cm/sec임

2차 압축지수
Cα / Cc 상관관계 Load P(kPa)
구분
10 20 40 80 160 320 640 1,280
Ca 0.0010 0.0008 0.0012 0.0015 0.0019 0.0027 0.0043 0.0053
범위 ∼0.0048∼0.0040∼0.0075∼0.0067∼0.0082∼0.0154∼0.0214 ∼0.0155

평균 0.0019 0.0019 0.0031 0.0035 0.0047 0.0088 0.0124 0.0108

비고 관계식은 Cα=0.0127Cc 인근지역의 값과 유사하게 나타남

결과분석 압밀시험에 의한 2차 압축지수는 전체적으로 0.0008∼0.0214범위로 Cα / Cc 값은 0.0127로 산정

4.5.5 압밀이방성 평가

일반적 점토의 경우, 판상의 입자형상과 층상구조 형태로 퇴적되어 이방성을 갖는 압밀 특성을 보임
기본방향 표준압밀시험과 CPTu 결과 및 새만금 인근 시험자료를 비교・검토하여 사업대상위치 연약지반에
대하여 압밀 이방성 분석

압밀 이방성(Ch/Cv) 투수 이방성(kh/kv) 종합 분석

압밀계수 이방성
: Ch/Cv = 2.55
투수계수 이방성
: kh/kv = 1.55
기존 문헌자료 및 연구자료를
분석한 후 기본설계
시험결과와 비교・분석 수행
안전설계를 고려하여 압밀 및
투수계수 이방성을 1.5로 적용
Ch/Cv = 2.55 kh/kv = 1.55

- 6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4.6 사질토 정적특성 분석


공학적특성
함수비 비중 상부모래 세립분함량 하부모래 세립분함량

상부 26.8%, 하부 19.6% 상부 2.661, 하부 2.652 2.3∼49.5(평균 30.8)% 2.5∼37.6(평균 11.8)%

상대밀도(Dr) 분석 세립함량-상대밀도 SPT N 분포 상대밀도별 내부마찰각

심도에 따라 Dr 증가 동일Dr➜세립분분산 N≤10 상・중부 모래 Ø=0.114×Dr+25.8

결과분석 일부 사질토는 세립분 함량이 다량 포함됨 상대밀도별 구분, 전단강도를 안전측으로 적용함

4.7 토양 및 수질 분석
4.7.1 토양환경 시험
기본방향 환경정책 환경기준(2018)적용, 수질의 오염, 콘크리트 부식 및 배합수 활용여부, 배수구 막힘 파악

토양오염분석 결과
주의기준 TBH-3 TBH-10 주의기준 TBH-3 TBH-10
시험항목 시험항목
(㎎/kg) 결과 판정 결과 판정 (㎎/kg) 결과 판정 결과 판정
비소 14.5 3.14 OK 3.09 OK 아연 68.4 33.0 OK 31.9 OK
카드뮴 0.75 불검출 OK 불검출 OK 수은 0.11 불검출 OK 불검출 OK
구리 20.6 1.1 OK 불검출 OK 크롬 116 불검출 OK 불검출 OK
니켈 47.2 9.6 OK 8.9 OK 시안 - 불검출 OK 불검출 OK
납 44.0 5.8 OK 5.4 OK pH - 8.0 OK 8.1 OK

수질분석 결과
해양생태계 TBH-3 TBH-10 해양생태계 TBH-3 TBH-10
항목 시험항목
(㎍/ℓ) 결과 판정 결과 판정 (㎍/ℓ) 결과 판정 결과 판정
비소 3.4 불검출 OK 불검출 OK 시안 10.0 불검출 OK 불검출 OK
카드뮴 2.2 불검출 OK 불검출 OK 수은 0.5 불검출 OK 불검출 OK
납 1.6 불검출 OK 불검출 OK 6가크롬 2.8 불검출 OK 불검출 OK
아연 11.0 2.0 OK 11.0 OK 총대장균 1,000이하 0 OK 0 OK
구리 1.2 불검출 OK 불검출 OK pH 6.5~8.5 7.8 OK 7.7 OK
구 분 TBH-3 TBH-10 콘크리트부식검토 콘크리트 배합수 적합성 배수구막힘 유발 가능성
pH(20゚C) 7.8 7.7 약한부식 적합 XA1(영향없음)
Cl - (mg/L) 20,154 19,664 매우강한부식 부적합 XA3(심각)
SO4 2- (mg/L) 2,285 2,215 강한부식 부적합 XA2(보통영향)

결과분석 해저퇴적물은 해양환경관리기준을 만족, 해수수질은 중금속류는 충족, 배합수, 배수구막힘 부적합

- 69 -
제 1 편 지반조사

4.8 동적특성 분석
국지적인 토질 및 지질조건과 지표 및 지하 지형이 지반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기본방향
상부 30m 지반에 대한 평균 전단파속도를 산정하여 내진설계 지반등급 분류 대상위치 내진설계해석

내진설계 지반등급 산정
지반의 분류(KDS 17 10 00 : 2019. 3)
분류기준
지반종류 지반종류의 호칭
기반암 깊이, H (m)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 VS,Soil (m/s)
 암반 지반 3 미만 -
 얕고 단단한 지반 3∼20 이하 260 이상
 얕고 연약한 지반 3∼20 이하 120 초과 260 미만
 깊고 단단한 지반 20 초과 50 미만 180 이상
깊고 연약한 지반 20 초과 50 미만 120 초과 180 미만

매우 연약한 지반 3 이상 120 이하
 부지 고유의 특성 평가 및 지반응답해석이 요구되는 지반

관입저항(N값)에 의한 전단파속도 경험적 추정법


今井, Imai 岡本 大場, 鳥海
제안자 今井(1997)
吉村(1970) (1982) (1989) (1990)
  ・  
점성토
토 질  : 102∼114  : 0.29
  ・     ・     ・     ・  
종 류   ・  
사질토
 : 81∼97  : 0.32∼0.33

내진 지반등급 산정
구분 GL.-30m지층 N값 분포 시험방법 평균 Vs(m/s) 지반등급
1/30∼32/30 표준관입시험 184 S4
TBH-1 퇴적층
북측방파 (7/30) S-PS 검층 182 S4
호 안 1/30∼20/30 표준관입시험 161 S5
TBH-6 퇴적층
(5/30) S-PS 검층 184 S4
1/30∼17/30 표준관입시험 163 S5
관리부두 NBH-9 퇴적층
(5/30) S-PS 검층 182 S4

설계반영 N값을 이용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분석 결과 S4∼S5로 산정되며, S-PS 검층결과 모두 S4로 산정됨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 산정결과 진동저항응력비 산정결과


구 분 점토 실트 모래 상부사질토 하부사질토
구 분
N값 2/30 2/30 30/30 시험값 보정값 시험값 보정값

G/Gmax 0.247∼1.000 0.659∼1.000 0.456∼1.000 CSR(DA=5%) 0.302 0.259 0.295 0.252

D(%) 3.58∼14.65 2.65∼5.96 2.80∼7.37 CSR(DA=10%) 0.305 0.261 0.303 0.260

- 7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제5장 설계지반정수 산정
5.1 산정개요
기존문헌 분석과 실내 및 현장시험 자료를 종합・분석하여 설계지반정수 산정 결과의 신뢰성 향상
기본방향
통계적 접근법에 의해 분석자의 주관적 결정 및 오차를 최소화한 정량적 설계지반정수 산정

5.1.1 산정방향
지질 및 지층특성 분석 원지반 정적・동적특성 분석 지질 및 지층특성 분석
문헌자료 및 적용사례 검토 지층별 대표값 선정 관련 경험식에 의한 분석
원안자료 및 인근자료 분석 교란도 평가, 시험결과 보정 현장 및 실내시험 우선 적용
현장 및 실내시험 수행 복잡, 다양한 다층토 특성 분석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신뢰성 향상

5.1.2 산정방법
구분 분석내용 설계활용
현장 및 실내시험 종합분석으로 상관성 있는 설계지반정수 도출 압밀침하량 및 침하
연 약
인근지역 조사자료와 연계분석을 통한 유사성 분석 속도 해석시 입력자료
점성토
확률통계기법(Monte Carlo Simulation, Bayesian)을 적용하여 신뢰성 향상 지반개량 안정성 해석
통일분류법(USCS)으로 토층분류 후 경향을 분석하여 산정 구조물 해석 및 기초
토사 및
각종 문헌자료, 경험식과 인근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산정 안정성 검증을 위한
기반암
시험성과를 종합 분석하여 지층별 물리적, 역학적특성 분석 수치해석에 활용
경험식, 인근사례 및 시험결과, S-PS 검층결과 비교・분석 후 산정
동적특성 내진 안정성 검토 자료
토사 공진주, 진동반복삼축시험에 의한 감쇠비 및 반복전단응력비 산정

구 분 분석방법 비 고
분산분석은 각 독립변수간의 상호 연관성을 정량화하기 위함
분산분석
모든 모평균이 같다는 귀무가설(Null Hypothesis) 수립
다양한 (ANOVA)
Ho : μ1 = μ2 = ・・・・ = μj하여 귀무가설 검정
통 계
분 석 확률밀도 Kolmogorov-Smirnov Test 적용. 검증누적분포함수, SN(x)정의
수 행 분포함수 DNα가 P [DN ≦ DNα] = 1-α를 만족하는 값이라고 할 때, 조건
유효성검증 Dmax ≦ DNα이 만족되면 가정된 확률분포는 유의수준 α에서
(K-S Test) 유용한 확률분포라고 할 수 있음

5.1.3 설계지반정수 산정을 위한 개선사항


지질 및 지층특성 분석 원지반 정적・동적특성 분석 설계지반정수 산정
현장 및 실내시험값 위주로 산정
지질특성 및 퇴적이력분석 수행 기본계획 및 인근 조사자료 분석
조사결과값 단순 산술평균 지양
물리적, 역학적, 공학적 특성 분석 분산분석을 통한 신뢰도 향상
산정된 초기 추정값과 최대
후 상세 지층 구분 초기 추정값 산정
우도값을 확률론적 통계기법
지층별 현장 및 실내시험 수행 공동조사 및 개별조사 성과분석
설계목적별 성과분석 수행 최대 우도값 산정 CS,Bayesian)에 적용하여
합리적인 설계지반정수 산정

구분 원안조사 개선사항
획득자료 부족으로 인해 지층별 특성값 대표성 결여
MCS 및 인근지역 조사자료와 연계분석 수행, 원안 조사자료 분석을 통해
BA 사업대상위치 지층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선별 및 설계 적용
통계기법 MCS기법 등으로 초기추정값 및 최대우도값을 결정하여 최종대표값 산정
단순 산술평균을 지양하고, 상관성 검토를 이용한 설계지반정수 산정

- 71 -
제 1 편 지반조사

5.2 연약점성토 설계지반정수 산정


기존문헌 분석과 실내 및 현장시험 자료를 종합・분석하여 설계지반정수 산정 결과의 신뢰성 향상
기본방향
통계적 접근법에 의해 분석자의 주관적 결정 및 오차를 최소화한 정량적 설계지반정수 산정

5.2.1 연약지반 분포 특성

N≤8(연약점성토) 8<N(굳은점성토)
구 분
A구간 B구간 C구간 A구간
구성성분 ML CL CH ML CL CH ML CL ML/CL/CH
점성토 1.5 6.0 0.0 11.5 4.2 12.0
두께(m) 8.0 8.0 2.0∼8.5
(ML/CL/CH) ∼11.5 ∼19.6 ∼3.5 ∼19.0 ∼12.5 ∼18.8
함 수 비(%) 24.9 31.9 41.4 33.2 27.4 43.2 25.0 31.1 25.0
∼35.8 ∼37.3 ∼35.4 ∼39.2 ∼26.4 ∼56.2
액성한계(%) 28.0 37.1 59.4 28.4 32.8 65.9 27.9 33.9 35.5
∼42.4 ∼47.9 ∼37.2 ∼47.4 ∼33.2 ∼45.2
공학적 0.868 1.15 0.985 0.741 1.201 0.871
초기 간극비 0.749 - -
특 성 ∼1.050 ∼1.058 ∼1.066
비배수전단강도 40.8 61.1 51.86 18.0 56.4 16.7
23.9 - -
(kPa) ∼59.7 ∼65.1 ∼48.4 ∼57.9 ∼59.6
수정 압축지수 0.148 0.284 0.672 0.341 0.268 0.694 - 0.217 -
∼0.514 ∼0.401 ∼0.475
각 구역간의 상세 지층분석결과 A구간은 상부느슨모래, 연약점성토(실트,점토), 중간모래(보통모래,
조밀모래, 굳은점토)순 B구간은 상부연약모래, 연약점토, 중간모래(느슨모래, 보통모래), 하부
조밀모래순 C구간 상부느슨모래 및연약점토 교호, 연약점성토(점토, 실트), 중간모래(보통모래),
분 석
하부조밀모래)순으로 퇴적되어 지층만으로는 A, B, C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음
결 과
각 구역간의 공학적 특성분석 결과를 구성성분별로 유사성분석을 수행
연약점성토(N≤8) 설계지반정수는 저소성실트(ML), 저소성점토, 고소성점토로 유사성분석 수행
A구간 하부에 분포하는 굳은점성토(8<N)는 점성토로 분석

고 지 형 도 간척사업과 새만금 방조제 건설후 상부 모래 퇴적하여 현지형 형성


Unit Ⅳ층은 육성기원의 하천퇴적물로 하부로부터 조립질모래, 실트질점토, 중・세립질모래로 구성
퇴 적 이 력 Unit Ⅲ층은 해성환경의 연근해 조간대 퇴적층으로 점토 및 실트층 교호
UnitⅠ층은 하부로부터 모래섞인 실트층과 상부에 세립질 모래층으로 구성됨
지 층 분 류 연약모래 / 연약실트 / 연약점토 / 모래 / 점성토 / 풍화대/ 연암으로 구분
연약점성토의 지층분석결과 수평적으로 두께의 큰차이가 없고 표준관입시험결과 N값이 수평 및
연경도 및
수직적으로 대부분 1∼3의 값으로 균일성을 보이므로 수직 및 수평으로 구역구분 불필요
Zone구분
점성토는 A,B,C 구역으로 구분하지않고 단일구역으로 설계지반정수를 산정필요
설계지반정 퇴적이력 분석결과 단일구간 형성, 구성성분으로 유사성분석을 수행하여 연약모래, 연약실트,
수산정방향 연약점토, 굳은점성토, 모래로 구분하여 설계지반정수를 산정함이 바람직함

- 7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연약지반 조사현황(새만금 기본계획+기본조사+금회조사)


점성토전체 수평적 두께 분포 연약실트 수평적 두께 분포
SUFER SUFER

점성토 전체 두께는 A구간 19∼20m, B구간 15∼21m, 연약실트의 두께는 A구간 5∼9m, B구간은 분포하지
C구간 18∼21m로 분포함 않으며 C구간에 1∼6m로 분포함

연약점토 수평적 두께 분포 굳은점성토(하부점토) 수평적 두께 분포


SUFER SUFER

연약점토의 두께는 A,B구간은 2∼18m C구간은 굳은점성토는 A구간 하부에만 출현하며 A구간 시점
13∼16m로 분포함 1m, A구간 중앙 7m, A구간 종점 1m 두께로 분포

상부모래 수평적 두께 분포 중간모래, 느슨모래층 수평적 두께 분포


SUFER
SUFER

상부모래의 두께는 A구간 시점 구간에 1∼4m로 중간모래 상부에 느슨모래층은 B구간에만 출현하며
분포하고 A구간 시점이후 ∼ B구간 4∼9m로 분포 B구간 시점 1m, 중앙 6m, B구간 종점 1m 두께로 분포

모래층전체 수평적 두께 분포 풍화대 출현 심도 수평적 분포


SUFER SUFER

모래층 전체의 두께는 A구간 17∼19m, B구간 풍화대는 A, B구간 DL-40∼DL-50m에서 출현하며
15∼21m, C구간 13∼15m 분포함 C구간은 DL-42∼DL-46m에서 출현, 두께는 얇게분포

- 73 -
제 1 편 지반조사

연약점성토 함수비 수직적 분포 연약점성토 초기간극비 수직적 분포

SUFER SUFER

함수비는 33∼39%이며 C구역 21∼27% 초기간극비는 전체적으로 0.90∼1.06의 분포를 보임

연약점성토 비중 수직적 분포 선행압밀하중 수직적 분포

SUFER SUFER

비중은 2.675∼2.695의 분포를 보임 초기간극비는 전체적으로 0.82∼1.1의 분포를 보임

연약점성토 수정압축지수 수직적 분포 점성토 액성한계 수직적 분포

SUFER SUFER

수정압축지수는 0.32∼0.60의 분포를 보임 액성한계는 27∼58의 분포를 보임

연약점성토 베인시험 수직적 분포 OCR 수직적 분포

SUFER SUFER

비배수전단강도는 40∼100의 분포를 보임 OCR은 0.8∼2.6의 분포를 보이며 대부분 1.8 이하임

연약점성토 #200번체 통과중량백분률 수직적 분포 연약점성토 2μm 통과중량백분률 수직적 분포

SUFER SUFER

#200번체 통과중량백분률 50∼90의 분포를 보임 연약점성토 2μm 통과중량백분률은 5∼45로 분포

- 7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구간별 유사성 평가

지층분석시 구분된 A, B, C구간에 대한 구간별 유사성 평가 실시


기본방향
구간별 유사성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설계정수 산정 방향을 설정함

구간별 유사성평가
물리특성(평균/편차) 압밀특성(평균/편차) 강도(평균/편차)
구 분
함수비(%) 단위중량(kN/㎥)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압밀계수(㎠/s) 전단강도(kPa)
A 구 간 점토 33.8/4.23 18.5/0.4 0.97/0.09 0.43/0.13 0.01105/0.00696 50.9/18.1
B 구 간 점토 34.9/6.46 18.5/0.9 0.99/0.19 0.43/0.19 0.01041/0.00424 49.5/26.7
C 구 간 점토 39.8/10.4 18.0/0.5 1.15/0.27 0.41/0.18 0.00948/0.00439 55.83/30.85

ANOVA 분석을 이용한 유사성 평가


함수비(%) 단위중량(kN/㎥)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점토(CL) 표본그룹간 3.9 0.00015


0.15<4.67 채택 0.000417<4.96 채택
A-B 구간 표본그룹내 327.6 3.596

점토(CL) 표본그룹내 120.0 1.075


2.61<4.67 채택 3.08<4.96 채택
A-C 구간 표본그룹내 596.6 3.489

점토(CL) 표본그룹간 60.5 0.79


0.80<5.32 채택 1.0061<5.99 채택
B-C 구간 표본그룹내 602.6 4.70

초기 간극비 압축지수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점토(CL) 표본그룹간 0.00163 0.0000375


0.094<4.96 채택 0.0017<4.96 채택
A-B 구간 표본그룹내 0.175 0.221

점토(CL) 표본그룹내 0.096 0.000748


3.15<5.32 채택 0.035<4.96 채택
A-C 구간 표본그룹내 0.243 0.213

점토(CL) 표본그룹간 0.050 0.000840


0.90<5.99 채택 0.026<5.99 채택
B-C 구간 표본그룹내 0.333 0.197

연직 압밀계수(㎠/s) 비배수 전단강도(kPa)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점토(CL) 표본그룹간 0.00000111 12.201


0.0282<4.96 채택 0.0279<4.16 채택
A-B 구간 표본그룹내 0.000393 13,566.162

점토(CL) 표본그룹내 0.0000193 170.864


0.379<4.96 채택 0.333<4.15 채택
A-C 구간 표본그룹내 0.000507 1,644.35

점토(CL) 표본그룹간 0.0000222 187.124


0.601<5.99 채택 0.223<4.45 채택
B-C 구간 표본그룹내 0.000222 14,254.49

- 75 -
제 1 편 지반조사

함수비(%) 단위중량(kN/㎥) 초기 간극비

압축지수 연직 압밀계수(㎠/s) 전단강도(kPa)

개별자료(함수비, 단위중량,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압밀계수, 전단강도 )에 대한 ANOVA 분석결과


상호 연관성을 분석한결과 A,B,C구간 모두 채택되어 유사한 동질성을 확인
검토결과
각 지층으로 구분한 A, B, C 구간에 대해서 하나의 구간으로 판단하고, 구성성분(ML, CL, CH)별로
구분하여 통계분석을 수행 후 설계지반정수 산정에 활용

비배수 전단강도 유사성 평가


구성성분별 및 ANOVA 유사성평가
구성성분(평균/표준편차) CH CL 전단강도(kPa)
전 단 강 도 43.5/13.98 50.90/12.48
함수비(%)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점토 표본그룹간 15.12
0.0296<4.07 채택
(CH-CL) 표본그룹내 21,995.04

배수전단강도에 대한 ANOVA 분석결과 구성성분별 상호 유사성이 있는것으로 평가되었음


구성성분간 비배수전단강도의 상호 연관성이 확인되어 점성토의 비배수전단강도는 전체를 하나의
검토결과
층으로 분석하여 초기추정값으로 산정하고 원안+금회자료와 비교 분석하여 통계분석을 수행 후
설계지반정수 산정에 활용

5.2.2 연약지반 설계지반정수 산정 흐름


연약지반 분석결과 시험결과 분석 최종 설계지반정수 산정

ㆍAnova 유용성 검증 ㆍBox Plot 이상치 제거 ㆍ현장 및 실내시험 값 적용 베이시안 통계 이용

- 7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5.2.3 인근지역 시험 자료 분석
연약점성토(N≤8) 굳은점성토 (8<N)
구 분
실트(ML) 점토(CL) 점토(CH) 점성토(ML/CL/CH)
함 수 비 (%) 14.5∼78.7 21.6∼79.3 35.9∼80.7 21.6∼69.9
비 중(Gs) 2.645∼2.713 2.658∼2.721 2.641∼2.795 2.641∼2.727
액성한계 (%) 23.1∼65.8 24.1∼58.8 51.9∼85.5 27.8∼49.1
소성지수(%) N.P, 3.5∼41.1 7.1∼48.3 28.0∼53.1 6.5∼49.7
공학적 강도증가율(m) 0.129∼0.296 0.136∼0.289 0.214∼0.385 0.134∼0.348
특 성 단위중량(γsat, kN/㎥) 17.5∼20.5 17.4∼20.1 17.1∼18.4 17.5∼20.0
초기간극비 0.590∼1.235 0.652∼1.289 0.998∼1.417 0.701∼1.116
수정압축지수 0.125∼0.477 0.145∼0.671 0.390∼0.640 0.232∼0.299
재압축지수(Cr) 0.029∼0.083 0.020∼0.046 0.065∼0.105 0.035∼0.097
비배수 전단강도(kPa) 12.2∼87.4 13.1∼123.2 36.8∼56.2 17.3∼48.9

5.2.4 인근지역 기존자료 유사성평가

기본조사, 금회의 시험결과와 인근 설계자료를 비교・분석하여 ANOVA 분석을 통한 기존자료 적용성 검토


실트의 시험값이 없는 관계로 실트의 압밀특성평가시 새만금 신항 가호안 및 매립호안 자료를 이용함
기존자료 적용성 검토 후 Box Plot에 의한 이상치 제거 후 초기 추정값 산정

물리특성(평균/편차) 압밀특성(평균/편차) 강도(평균/편차)


구 분
함수비(%) 단위중량(kN/㎥) 초기간극비 압축지수 압밀계수(㎠/s) 전단강도(kPa)
실트 29.0/4.1 18.9/0.8 0.87/0.17 0.24/0.14 1.04×10-2/0.005 37.9/19.8
원 안 + 금 회
점토 35.7/6.9 18.4/0.7 0.98/0.13 0.41/0.15 1.25×10-2/0.007 46.0/13.9
실트 35.4/7.2 18.4/0.6 0.95/0.07 0.17/0.03 1.27×10-2/0.003 32.0/13.9
새만금남북도로
점토 37.1/6.1 18.4/0.7 1.05/0.16 0.48/0.14 1.09×10-2/0.003 34.5/13.6
실트 32.0/4.9 19.1/0.6 0.89/0.12 0.24/0.08 1.41×10-2/0.001 35.2/23.1
새만금산업단지
점토 37.8/6.5 18.1/0.5 1.06/0.18 0.44/0.14 3.33×10-2/0.002 38.0/14.4
실트 31.3/4.1 18.3/1.1 0.90/0.12 0.31/0.05 2.50×10-2/0.003 30.0/14.3
동서2축 1공구
점토 33.8/5.3 18.4/0.8 0.97/0.14 0.35/0.05 4.51×10-2/0.004 35.2/16.5
실트 31.6/3.6 18.7/0.6 0.87/0.06 0.22/0.06 3.55×10-2/0.004 24.4/12.1
동서2축 2공구
점토 34.0/5.3 18.8/0.7 0.96/0.15 0.39/0.10 1.37×10-2/0.003 40.6/17.8
실트 33.6/3.3 18.5/0.4 0.93/0.07 0.23/0.05 2.63×10-2/0.003 43.8/15.1
만경 3공구
점토 38.9/6.6 18.1/0.7 1.10/0.17 0.38/0.10 4.33×10-3/0.004 29.0/13.9
물리특성(평균/편차) 압밀특성(평균/편차) 강도(평균/편차)
구 분
함수비(%) 단위중량(kN/㎥) 초기 간극비 압축지수 전단강도(kPa)
실트 34.5/10.95 18.3/0.52 1.02/0.13 0.23/0.07 22.5/10.6
만경 4공구
점토 34.2/12.08 18.0/0.62 1.13/0.17 0.38/0.09 22.1/7.2
실트 30.6/3.56 19.1/0.52 0.85/0.11 0.27/0.08 34.3/16.2
방파제 1 공구
점토 33.3/4.85 18.8/0.41 0.93/0.09 0.35/0.12 45.6/28.1
실트 31.6/4.12 19.0/0.55 0.86/0.12 0.25/0.06 29.5/14.2
방파제 2 공구
점토 33.3/4.57 18.9/0.57 0.91/0.13 0.29/0.06 29.5/11.4
실트 32.8/3.27 18.9/0.28 0.89/0.05 0.35/0.03 38.5/23.2
신항 진입도로
점토 32.3/5.73 18.6/0.28 0.98/0.07 0.48/0.09 55.4/17.6
실트 33.5/8.48 18.9/0.40 0.92/0.10 0.25/0.11 35.6/6.5
동진 3공구
점토 39.3/10.31 18.3/0.82 1.10/0.21 0.42/0.14 42.3/12.3
실트 31.0/3.92 18.2/0.48 0.99/0.05 0.25/0.11 17.3/4.9
동진 5공구
점토 35.6/6.53 18.2/0.48 1.08/0.13 0.51/0.13 35.5/22.8

- 77 -
제 1 편 지반조사

ANOVA 분석을 이용한 인접 자료 유사성 평가


실트(ML) 점토(CL/CH)
구 분 유사성 검증
F비 F기각치 판정결과 F비 F기각치 판정결과

단위중량(kN/㎥) 2.48 2.41 부분 적합 9.02 2.24 부분 적합

초기 간극비 0.81 2.40 부분 적합 3.09 2.24 부분 적합

수정 압축지수 5.22 2.40 부분 적합 4.59 2.24 부분 적합

금회 조사자료와 인근 설계자료 전체에 대한 유사성 검증결과 연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


검토결과 방파제 1공구, 방파제 2공구, 진입도로 방파호안, 가호안 및 매립공사, 동서2축 1공구(실트),
새만금 산업단지(점토) 자료는 유사성이 크게 나타나 이들 자료에 대한 ANOVA 분석 수행

개별자료 유사성 평가(동서2축 1공구, 새만금산업단지 등)


실트(ML) - 동서2축 1공구 점토(CL/CH) - 새만금 산업단지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함수비 표본그룹간 21.5 126.4
1.5<4.2 채택 2.77<3.87 채택
(%) 표본그룹내 369.1 11,561.6
단위중량 표본그룹간 0.00428 0.919
0.006<4.4 채택 2.75<3.89 채택
(kN/㎥) 표본그룹내 11.9845 70.594
표본그룹간 0.0136 0.087
초기 간극비 1.317<4.4 채택 2.55<3.87 채택
표본그룹내 0.1875 8.772
표본그룹간 0.00017 0.073
수정 압축지수 0.05<4.4 채택 3.69<3.88 채택
표본그룹내 0.05983 4.956
연직 압밀계수 표본그룹간 0.00058 6.43×10-6
2.42<4.4 채택 1.45<3.87 채택
(㎠/s) 표본그룹내 0.00012 0.001107
비배수 전단강도 표본그룹간 243.5 479.6
1.15<4.2 채택 1.99<3.87 채택
(kPa) 표본그룹내 6,157.5 93,725

실트(ML) - 만경 4공구 점토(CL/CH) - 만경 4공구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함수비 표본그룹간 214.9214 21.99709
2.49<4.16 채택 0.22<4.07 채택
(%) 표본그룹내 2679.76 4241.422
단위중량 표본그룹간 0.752772 0.654086
2.31<5.99 채택 1.44<4.45 채택
(kN/㎥) 표본그룹내 1.952023 7.741606
표본그룹간 0.035497 0.031855
초기 간극비 1.91<5.99 채택 0.99<4.45 채택
표본그룹내 0.111647 0.54522
표본그룹간 0.00057 0.005192
수정 압축지수 0.075<5.99 채택 0.26<4.45 채택
표본그룹내 0.045575 0.334237
비배수 전단강도 표본그룹간 366.2824 1584.003
1.35<10.13 채택 6.23>4.14 기각
(kPa) 표본그룹내 812.2407 8384.219

- 7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실트(ML) - 방파제 1공구 점토(CL/CH) - 방파제 1공구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함수비 표본그룹간 18.9366 70.0532


1.38<4.14 채택 2.28<4.00 채택
(%) 표본그룹내 454.4450 1873.62

단위중량 표본그룹간 0.00374 0.62193


0.012<4.84 채택 1.87<4.21 채택
(kN/㎥) 표본그룹내 3.34141 9.00384
표본그룹간 0.00025 0.05858
초기 간극비 0.019<4.84 채택 2.67<4.21 채택
표본그룹내 0.14495 0.59278
표본그룹간 0.00153 0.03422
수정 압축지수 0.209<4.84 채택 1.89<4.21 채택
표본그룹내 0.08027 0.49018

비배수 전단강도 표본그룹간 16.7794 5.23328


0.064<4.05 채택 0.0085<3.94 채택
(kPa) 표본그룹내 12102.5 56470.7

실트(ML) - 방파제 2공구 점토(CL/CH) - 방파제 2공구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함수비 표본그룹간 56.2181 74.9445


3.35<4.03 채택 2.77<3.96 채택
(%) 표본그룹내 873.796 2138.19

단위중량 표본그룹간 1.19382 2.09016


0.099<4.11 채택 5.79>4.00 기각
(kN/㎥) 표본그룹내 432.865 21.6614
표본그룹간 0.000035 0.1436
초기 간극비 0.0026<4.13 채택 7.07>4.00 기각
표본그룹내 0.46649 1.21915
표본그룹간 0.00018 0.22055
수정 압축지수 0.043<4.13 채택 26.61>4.00 기각
표본그룹내 0.13888 0.49724

비배수 전단강도 표본그룹간 101.425 5040.15


0.406<3.94 채택 26.21>3.92 기각
(kPa) 표본그룹내 23719.6 24426

실트(ML) - 신항 진입도로 점토(CL/CH) - 신항 진입도로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함수비 표본그룹간 108.665 153.124


8.82>4.13 기각 4.19>3.98 기각
(%) 표본그룹내 419.044 2595.49

단위중량 표본그룹간 0.0169 0.10544


0.126<5.12 채택 0.47<4.09 채택
(kN/㎥) 표본그룹내 1.20041 8.78978
표본그룹간 0.00103 0.01089
초기 간극비 0.184<5.12 채택 0.72<4.09 채택
표본그룹내 0.05036 0.59142
표본그룹간 0.01723 0.03042
수정 압축지수 5.95>5.12 기각 2.25<4.09 채택
표본그룹내 0.02604 0.52646

비배수 전단강도 표본그룹간 11.7927 1222.14


0.025<4.84 채택 4.28>4.02 기각
(kPa) 표본그룹내 5112.33 15695.8

- 79 -
제 1 편 지반조사

실트(ML) - 동진 3공구 점토(CL/CH) - 동진 3공구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함수비 표본그룹간 149.416 165.598


2.74<4.15 채택 2.01<4.05 채택
(%) 표본그룹내 1742.74 3865.07

단위중량 표본그룹간 0.00652 0.311


0.026<6.61 채택 0.55<4.18 채택
(kN/㎥) 표본그룹내 1.24107 16.2701
표본그룹간 0.00389 0.04835
초기 간극비 0.281<6.61 채택 1.24<4.18 채택
표본그룹내 0.06928 1.12726
표본그룹간 0.000068 0.0001
수정 압축지수 0.0050<6.61 채택 0.0049<4.18 채택
표본그룹내 0.06819 0.59935

비배수 전단강도 표본그룹간 2.04416 222.362


0.0195<4.84 채택 1.048<4.00 채택
(kPa) 표본그룹내 1150.85 12517.9

실트(ML) - 동진 5공구 점토(CL/CH) - 동진 5공구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함수비 표본그룹간 34.1102 0.01603


2.19<4.03 채택 0.00036<4.07 채택
(%) 표본그룹내 777.21 1866.08

단위중량 표본그룹간 1.13793 0.48405


4.07<5.32 채택 1.24<4.30 채택
(kN/㎥) 표본그룹내 2.23459 8.60741
표본그룹간 0.02042 0.02034
초기 간극비 2.26<7.71 채택 0.74<4.30 채택
표본그룹내 0.0362 0.6077
표본그룹간 0.0000056E 0.03508
수정 압축지수 0.0004<10.13 채택 1.76<4.35 채택
표본그룹내 0.04069 0.39765

비배수전단강도 표본그룹간 818.134 984.841


6.31>5.59 기각 2.96<4.07 채택
(kPa) 표본그룹내 906.623 13980.5

실트(ML) - 가호안 매립 점토(CL/CH) - 가호안 매립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함수비 표본그룹간 8.44661 124.4


0.50<4.49 채택 3.37<4.09 채택
(%) 표본그룹내 272.073 1439.12

단위중량 표본그룹간 0.01979 2.22918


0.094<7.71 채택 5.24>4.13 기각
(kN/㎥) 표본그룹내 0.84029 14.4461
표본그룹간 0.00208 0.1113
초기 간극비 0.22<7.71 채택 4.40>4.13 기각
표본그룹내 0.03783 0.86029
표본그룹간 0.00496 0.08209
수정 압축지수 1.02<7.71 채택 6.55>4.13 기각
표본그룹내 0.01939 0.4258

비배수전단강도 표본그룹간 756.677 53.546


5.32>4.96 기각 0.19<3.98 채택
(kPa) 표본그룹내 1419.87 19977.8

- 8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실트(ML) - 신항 재검토 점토(CL/CH) - 신항 재검토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함수비 표본그룹간 20.48485 31.51387
1.76<4.07 채택 0.35<4.11 채택
(%) 표본그룹내 487.5206 3350.083
단위중량 표본그룹간 0.001749 0.072578
0.0089<10.13 채택 0.18<4.45 채택
(kN/㎥) 표본그룹내 0.589596 6.974315
표본그룹간 0.00000853 0.006582
초기 간극비 0.0009<10.13 채택 0.23<4.45 채택
표본그룹내 0.027853 0.488568
표본그룹간 0.002168 0.003762
수정 압축지수 0.24<10.13 채택 0.19<4.49 채택
표본그룹내 0.026871 0.316972
비배수전단강도 표본그룹간 92.28113 71.82842
0.41<5.12 채택 0.30<4.11 채택
(kPa) 표본그룹내 2051.646 8579.338

연직 압밀계수(㎠/s) 실트(ML) 연직 압밀계수(㎠/s) 점토(CL/CH)


구 분 변동요인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제곱합(SSB&SSE) F비:F기각치 결과
표본그룹간 0.00026 0.000021
방파제 1공구 4.60<4.67 채택 0.94<4.04 채택
표본그룹내 0.00074 0.00107
남북 2공구 / 표본그룹간 0.000334 0.000496
2.58<7.71 채택 33.56>3.98 기각
동진 1공구 표본그룹내 0.000518 0.001021

함수비(ML) 함수비(CL) 단위중량(ML) 단위중량(CL)

초기간극비(ML) 초기간극비(CL) 압축지수(ML) 압축지수(CL)

전단강도(ML) 전단강도(CL) 압밀계수(ML) 압밀계수(CL)

개별자료에 대한 ANOVA 분석결과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여 초기추정값 선정시 활용


검토결과 기각된값은 배제하고 채택된 값을 초기추정값으로 산정하여 원안+금회자료와 비교 분석하여
통계분석을 수행 후 설계지반정수 산정에 활용

- 81 -
제 1 편 지반조사

5.2.5 MCS/BA 통계분석 및 산정


물리적 특성
함수비(wn, %)
- 저소성 연약실트 (N≤8 ,M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31.68/3.83 29.23/3.99 30.5/2.7 30.5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31.68/3.83 29.23/3.99 적용 30.5%

- 저소성 연약점토 (N≤8, C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33.50/5.03 34.24/3.72 34.0/3.0 34.0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33.50/5.03 34.24/3.72 적용 34.0%

- 고소성 연약점토 (N≤8, CH)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46.68/12.95 42.25/1.22 42.5/1.24 42.5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46.68/12.95 42.25/1.22 적용 42.5%

- 8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 하부 굳은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31.98/5.25 30.10/5.76 31.0/3.8 31.0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31.98/5.25 30.10/5.76 적용 31.0%

3
비중(Gs, g/cm )
- 저소성 연약실트 (N≤8 ,M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679/0.011 2.665/0.012 2.673/0.008 2.673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679/0.011 2.665/0.012 적용 2.673 g/cm3

- 저소성 연약점토 (N≤8, C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690/0.010 2.691/0.006 2.691/0.005 2.691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690/0.010 2.691/0.006 적용 2.691 g/cm3

- 83 -
제 1 편 지반조사

- 고소성 연약점토 (N≤8, CH)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719/0.026 2.706/0.002 2.707/0.002 2.70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719/0.026 2.706/0.002 적용 2.707 g/cm3

- 하부 굳은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684/0.014 2.687/0.013 2.688/0.014 2.688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684/0.014 2.687/0.013 적용 2.688g/cm3

액성한계 (LL, %)
- 저소성 연약실트 (N≤8 ,M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34.68/4.37 32.45/4.90 33.7/3.3 33.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34.68/4.37 32.45/4.90 적용 33.7%

- 8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 저소성 연약점토 (N≤8, C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37.45/5.49 41.23/5.19 39.5/3.8 39.5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37.45/5.49 41.23/5.19 적용 39.5%

- 고소성 연약점토 (N≤8, CH)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67.03/10.36 62.67/4.53 63.4/4.2 63.4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67.03/10.36 62.67/4.53 적용 63.4%

- 하부 굳은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38.96/9.80 36.20/5.94 36.9/5.1 36.9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38.96/9.80 36.20/5.94 적용 36.9%

- 85 -
제 1 편 지반조사

3
포화단위중량(γsat, kN/m )
- 저소성 연약실트 (N≤8 ,M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8.90/0.47 19.01/0.75 18.9/0.4 18.9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8.90/0.47 kN/m3 19.01/0.75 kN/m3 적용 18.9 kN/m3

- 저소성 연약점토 (N≤8, C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8.79/0.52 18.69/0.45 18.7/0.3 18.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8.79/0.52 18.69/0.45 적용 18.7 kN/m3

- 고소성 연약점토 (N≤8, CH)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7.82/0.42 17.84/0.11 17.8/0.1 17.8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7.82/0.42 17.84/0.11 적용 17.8 kN/m3

- 8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 하부 굳은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8.78/0.9 18.47/0.5 18.5/0.4 18.5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8.78/0.92 18.47/0.47 적용 18.5 kN/m3

소성지수(PI, %)
- 저소성 연약실트 (N≤8 ,M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8.80/2.88 7.50/2.65 8.1/1.9 8.1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8.80/2.88 7.50/2.65 적용 8.1%

- 저소성 연약점토 (N≤8, C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6.68/5.07 17.20/4.05 17.0/3.16 17.0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6.68/5.07 17.20/4.05 적용 17.0%

- 87 -
제 1 편 지반조사

- 고소성 연약점토 (N≤8, CH)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40.61/8.51 35.65/4.17 36.6/3.7 36.6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40.61/8.51 35.65/4.17 적용 36.6%

- 하부 굳은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5.59/8.77 16.51/5.38 16.3/4.6 16.3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5.59/8.77 16.51/5.38 적용 16.3%

강도 및 변형특성 분석
비배수전단강도(Su, kPa)
- 조사자료 분석
인근지역 기본조사 조사 인근지역(기존 CPT) 기본조사 비배수전단강도

Su(kPa)=1.9D(m)+21 Su(kPa)=3.0D(m)+14 Su(kPa) : 3D(m)+13 Su(kPa)=3.5D(m)+15.0

- 8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현장베인시험(기본, 금회) 현장베인시험 종합분석 실내시험(일축, 삼축) 실내시험 종합분석

금회조사값 작게 나타남 제거후 Su(kPa) = 52.4 Su(kPa):일축39,삼축43.2 Su(kPa)=2.42D(m)+17

BoxPlot에 의한 이상치 제거 일축+삼축+FVT 종합분석 일축+삼축+FVT+CPT 종합분석

이상치 제거전 이상치 제거후 이상치 제거후 Su(kPa) = 46.3 Su(kPa) = 2.48D(m)+20.0

- 종합분석
이상치제거 비배수전단강도(Su, kPa) 종합분석 비배수전단강도(Su, kPa)

평균 46.3 적 용 2.48D(m) + 20.0

강도증가율 (m)
- 저소성 연약실트 (N≤8 ,M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178/0.020 0.149/0.019 0.150/0.013 0.15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178/0.020 0.149/0.019 적용 0.15

- 89 -
제 1 편 지반조사

- 저소성 연약점토 (N≤8, C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178/0.020 0.186/0.015 0.188/0.013 0.19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178/0.020 0.186/0.015 적용 0.19

- 고소성 연약점토 (N≤8, CH)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281/0.044 0.262/0.027 0.267/0.023 0.2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281/0.044 0.262/0.027 적용 0.27

- 하부 굳은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186/0.045 0.176/0.035 0.180/0.028 0.18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186/0.045 0.176/0.035 적용 0.18

- 9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변형계수(E, MPa)
구 분 연약실트(ML) 연약점토(CL,CH) 현장시험 결과
문 헌 자 료 2∼25 2∼25
경 험 식 0∼5 0∼5
인근설계자료 2.0∼15.0(8.3) 2.0∼15.0(5.5)
인근시험자료 0.8∼25.1(8.7) 0.3∼12.1(2.9)
시 험 결 과 - 1.89∼4.06
기 본 조 사 5 3
적 용 값 5 3
비 고 문헌, 경험식, 인근자료 및 시험결과를 비교・분석 후 적용

압밀특성 분석
초기간극비(eo)
- 저소성 연약실트 (N≤8 ,M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862/0.091 0.885/0.103 0.882/0.087 0.88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862/0.091 0.885/0.103 적용 0.88

- 저소성 연약점토 (N≤8, C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936/0.121 0.931/0.112 0.945/0.078 0.95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936/0.121 0.931/0.112 적용 0.95

- 91 -
제 1 편 지반조사

- 고소성 연약점토 (N≤8, CH)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119/0.100 1.186/0.133 1.179/0.034 1.18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119/0.100 1.186/0.133 적용 1.18

- 하부 굳은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996/0.121 0.931/0.135 0.985/0.103 0.99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996/0.121 0.931/0.135 적용 0.99

압축지수(Cc)
- 저소성 연약실트 (N≤8 ,M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270/0.069 0.246/0.134 0.265/0.062 0.2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270/0.069 0.246/0.134 적용 0.27

- 9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 저소성 연약점토 (N≤8, C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352/0.109 0.379/0.081 0.370/0.015 0.3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352/0.109 0.379/0.081 적용 0.37

- 고소성 연약점토 (N≤8, CH)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503/0.098 0.683/0.015 0.679/0.015 0.68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503/0.098 0.683/0.015 적용 0.68

- 하부 굳은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293/0.110 0.274/0.035 0.276/0.034 0.28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293/0.110 0.274/0.035 적용 0.28

- 93 -
제 1 편 지반조사

재압축지수
- 저소성 연약실트 (N≤8 ,M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043/0.005 0.040/0.006 0.042/0.004 0.042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043/0.005 0.040/0.006 적용 0.042

- 저소성 연약점토 (N≤8, C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033/0.006 0.043/0.010 0.037/0.006 0.03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033/0.006 0.043/0.010 적용 0.037

- 고소성 연약점토 (N≤8, CH)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084/0.012 0.071/0.004 0.073/0.005 0.073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084/0.012 0.071/0.004 적용 0.073

- 9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 하부 굳은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0.048/0.012 0.045/0.007 0.046/0.006 0.046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0.048/0.012 0.045/0.007 적용 0.046


2
연직압밀계수(Cv, cm /sec)
- 저소성 연약실트 (N≤8 ,M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10×10-2/4.94×10-3 1.24×10-3/7.71×10-3 11.47×10-3/4.16×10-3 11.47×10-3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10×10-2/4.94×10-3 1.24×10-3/7.71×10-3 적용 11.47×10-3 cm2/sec

- 저소성 연약점토 (N≤8, C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7.78×10-3/3.27×10-3 10.23×10-3/5.95×10-3 8.35×10-3/2.86×10-3 8.35×10-3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7.78×10-3/3.27×10-3 10.23×10-3/5.95×10-3 적용 8.35×10-3 cm2/sec

- 95 -
제 1 편 지반조사

- 고소성 연약점토 (N≤8, CH)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90×10-3/2.33×10-3 13.29×10-3/8.02×10-3 3.71×3-3/2.24×10-3 3.71×3-3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90×10-3/2.33×10-3 13.29×10-3/8.02×10-3 적용 3.71×3-3 cm2/sec

- 하부 굳은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4.03×10-3/3.47×10-3 9.867×10-3/5.86×10-3 5.55×10-3/2.99×10-3 5.55×10-3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4.03×10-3/3.47×10-3 9.867×10-3/5.86×10-3 적용 5.55×10-3 cm2/sec

실트(ML) 점토(CL) 점토(CH)

구 분 10kPa 20kPa 40kPa 80kPa 160kPa 320kPa 640kPa 1,280kPa


저소성 실트 1.8×10-2 1.3×10-2 1.2×10-2 1.3×10-2 1.2×10-2 1.0×10-2 7.4×10-3 6.8×10-3
저소성 점토 1.7×10-2 1.4×10-2 1.2×10-2 1.0×10-2 9.4×10-3 8.7×10-3 7.4×10-3 6.9×10-3
고소성 점토 2.5×10-2 2.1×10-2 2.5×10-2 2.2×10-2 2.1×10-2 1.3×10-2 4.5×10-3 5.2×10-3

연직투수계수(kv, cm/sec)
- 저소성 연약실트 (N≤8 ,M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33×10-7/1.62×10-7 2.94×10-7/3.72×10-7 2.43×10-7/1.49×10-7 2.43×10-7

- 9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33×10-7/1.62×10-7 2.94×10-7/3.72×10-7 적용 2.43×10-7 cm/sec

- 저소성 연약점토 (N≤8, CL)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64×10-7/1.31×10-7 2.48×10-7/1.72×10-7 2.12×10-7/1.12×10-7 2.12×10-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64×10-7/1.31×10-7 2.48×10-7/1.72×10-7 적용 2.12×10-7 cm/sec

- 고소성 연약점토 (N≤8, CH)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10×10-7/1.10×10-7 3.07×10-7/2.13×10-7 1.52×10-7/9.82×10-7 1.52×10-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10×10-7/1.10×10-7 3.07×10-7/2.13×10-7 적용 1.52×10-7 cm/sec

- 하부 굳은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4.26×10-7/4.90×10-6 2.48×10-7/1.72×10-7 5.36×10-7/3.98×10-6 5.36×10-7

- 97 -
제 1 편 지반조사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4.26×10-7/4.90×10-6 2.48×10-7/1.72×10-7 적용 5.36×10-7 cm/sec

실트(ML) 점토(CL) 점토(CH)

구 분 10kPa 20kPa 40kPa 80kPa 160kPa 320kPa 640kPa 1,280kPa


저소성 실트 1.6×10-6 6.8×10-7 4.7×10-7 3.4×10-7 2.3×10-7 1.6×10-7 9.1×10-8 5.2×10-8
저소성 점토 1.7×10-6 7.7×10-7 5.3×10-7 3.3×10-7 2.2×10-7 1.5×10-7 9.9×10-8 5.8×10-8
고소성 점토 1.4×10-6 1.2×10-6 7.9×10-7 6.0×10-7 4.3×10-7 2.8×10-7 1.4×10-7 7.1×10-8

과압밀비(OCR)
Po-Pc 상관도 저소성 점성토(CL/ML) 고소성 점성토(CH)

Pc는 Po보다 다소 큰 범위로 분포 저소성 점성토(CL/ML) OCR=1.6 고소성 점성토(CH) OCR=1.80

설계반영 현장, 실내시험 결과를 토대로 통계분석(베이시안95% 신뢰구간)에 의한 연약점토 설계지반정수 산정

이방성 분석
압밀 이방성(Ch/Cv) 투수 이방성(kh/kv) 종합 분석

압밀계수 이방성 : Ch/Cv = 2.55


투수계수 이방성 : kh/kv = 1.55
기존 문헌자료 및 연구자료를
분석한 후 기본설계 시험결과와
비교・분석 수행
안전설계를 고려하여 압밀 및
Ch/Cv = 2.55 kh/kv = 1.55 투수계수 이방성을 1.5로 적용

- 9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5.3 토사 및 풍화대 설계지반정수 산정


대표 N값 산정 후 경험식에 적용, 지층별 설계지반정수를 도출한 후 문헌자료와 비교・분석
기본방향
원안조사 자료와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를 비교・검토하여 합리적인 설계지반정수 산정

5.3.1 지층별 대표 N값 산정
대표 N값 산정 후 경험식에 적용, 지층별 설계지반정수를 도출한 후 문헌자료와 비교・분석

하부 굳은점토층 퇴적 모래 풍화대
구분
8<N≤15 N>15 N≤10 10<N≤30 N>30 풍화토 풍화암
통일분류 CL/ML CL/ML SM/SP/SC SM/SP SM/SP/SC SM -
N값범위 9/30∼15/30 16/30∼36/30 0/30∼10/30 11/30∼30/30 21/30∼50/8 15/30∼50/12 50/10∼50/2
대표N값 12/30 23/30 4/30 22/30 41/30 50/23 50/5
굳은점토층(8<N≤15) 굳은점토층(N>15) 사질토층(N≤10) 사질토층(10<N≤30)

사질토층(N>30) 풍화토 풍화암 견고점토 N값 분포

5.3.2 단위중량 및 강도정수 산정


문헌자료 검토
토사지반의 개략적인 설계지반정수(도로설계요령, 제2권 토공 및 배수)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분류기호
구 분 재료의 상태
(kN/m3) (kPa) (゚) (통일분류)
조밀하거나 입도가 좋은 것 20 0 40
자 갈 GW, GP
조밀하지 않거나 입도가 나쁜 것 18 0 35
자갈섞인 조밀한 것 21 0 40
GW, GP
모 래 조밀하지 않은 것 19 0 35
조밀하거나 입도가 좋은 것 20 0 35
모 래 SW, SP
조밀하지 않거나 입도가 나쁜 것 18 0 30
조밀한 것 19 30이하 30
사질토 SM, SC
조밀하지 않은 것 17 0 25
굳은 것(손가락으로 강하게 눌러 조금 들어감 18 50이하 25
점성토 약간 무른것(손가락 중간정도의 힘으로 들어감) 17 30이하 20 ML, CL
무른것(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17 15이하 20
굳은 것(손가락으로 강하게 눌러 조금 들어감) 17 50이하 20
점토 및 CH, MH,
약간 무른것(손가락 중간정도의 힘으로 들어감) 16 30이하 15
실 트 ML
무른것(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14 15이하 10

- 99 -
제 1 편 지반조사

Geotechnical Engineering Investigation(Roy E. hunt, 1987)


통일분류 다짐정도 N값 γt(kN/m3) ø( ゚ ) 통일분류 다짐정도 N값 γt(kN/m3) ø( ゚ )
조밀 90 22.1 40 조밀 50 17.6 36
GW 중간 50 20.8 36 SP 중간 30 16.7 33
느슨 < 28 19.7 32 느슨 < 10 15.9 29
조밀 70 20.4 38 조밀 45 16.5 35
GP 중간 50 19.2 35 SM 중간 25 15.5 32
느슨 < 20 18.3 32 느슨 <8 14.9 29
조밀 65 18.9 37 조밀 35 14.9 33
SW 중간 35 17.9 34 ML 중간 20 14.1 31
느슨 < 15 17.0 30 느슨 <4 13.5 27
M.J.Tomlinson(Pile Design and Construction Practice, 1993)
점성토(Cohesive and Organic Soils) 사질토(Cohesionless Soils)
단위중량 점착력 단위중량 점착력
토질종류 토질종류
(kN/m )
3
(kPa) (kN/m3) (kPa)
연약한 소성 점토 16 ∼ 19 20 ∼ 40 모래섞인 느슨한 자갈 16 ∼ 19 28 ∼ 30
모래섞인 보통 조밀한 자갈 18 ∼ 20 30 ∼ 36
보통견고한 소성 점토 17.5 ∼ 20 40 ∼ 75 모래섞인 조밀한 자갈 19 ∼ 21 36 ∼ 46
느슨한 모래질 자갈 18 ∼ 20 28 ∼ 30
견고한 소성 점토 16 ∼ 19 75 ∼ 150
보통 조밀한 모래질 자갈 19 ∼ 21 30 ∼ 36
소성도가 낮은 연약 점토 16 ∼ 19 20 ∼ 40 조밀한 모래질 자갈 20 ∼ 22 36 ∼ 45
느슨한 점토질・모래질 자갈 18 ∼ 20 28 ∼ 30
소성도 낮은 보통견고 점토 16 ∼ 19 40 ∼ 75 보통 조밀한 모래질 자갈 19 ∼ 21 30 ∼ 35
조밀한 점토질・모래질 자갈 21 ∼ 22 35 ∼ 40
소성도가 낮은 견고한 점토 16 ∼ 19 75 ∼ 150
느슨한 조립 내지 세립 모래 17 ∼ 20 28 ∼ 30
매우 견고한 점토 16 ∼ 19 150 ∼ 300 보통 조밀한 조립내지세립모래 20 ∼ 21 30 ∼ 35
조밀한 조립 내지 세립 모래 21 ∼ 22 35 ∼ 40
유기질토 16 ∼ 19 - 느슨한 실트질 모래 15 ∼ 17 28 ∼ 30
보통 조밀한 실트질 모래 17 ∼ 19 30 ∼ 35
이탄 16 ∼ 19 -
조밀한 실트질 모래 19 ∼ 21 35 ∼ 40
서울시 지반조사편람(1996)
구분 단위중량(kN/m3) 점착력(kPa) 내부마찰각( ゚ )
풍 화 토 17.0 ∼ 20.0 10 25 ∼ 30
풍 화 암 20.0 ∼ 22.0 10 ∼ 30 30 ∼ 35

풍화암 기타 강도정수
구분 단위중량(kN/m3) 점착력(kPa) 내부마찰각( ゚ )
NAVFAC(1971) - - 29∼37
지반공학회 학술발표(1991∼1999) 20.0∼26.0 50∼90 30∼35
사면안정 학술발표(1996∼2003) 19.5∼21.0 10∼30 30∼36

현장시험 결과
CPT(TBH-1) CPT(TBH-6) CPT(TBH-7) 분석결과
CPT 전단강도
구분
(kPa)
TBH-1 13.8∼220.7
TBH-6 29.6∼150.1
TBH-7 43.7∼173.5

- 10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경험식 검토
점착력(kPa)
구 분 Dunham Terzaghi-Peck Ohsaki
점 착 력(kPa) N / 0.154 N / 0.164 20 + N /0. 4

구 분 대표N값 Dunham Terzaghi-Peck Ohsaki 범위


굳 은 8<N≤15 12/30 77 73 32 32∼77
점성토 15<N 23/30 149 140 60 60∼149

내부마찰각( ゚ )
제안자 내부마찰각( ゚ ) 비고 제안자 내부마찰각( ゚ ) 비고
ø=   둥근 입자로 입도분포 불량 Meyerhof ø= 0.25N+32.5 10≤N≤50
둥근 입자로 입도분포 양호 Peck ø= 0.3N+27 ø≤45゚, N>4
Dunham ø=  
모난 입자로 입도분포 불량 도로교시방서 ø=   -
ø=   모난 입자로 입도분포 양호 Ohsaki ø=   -
구분 대표 N값 Meyerhof Peck Osaki 도로교시방서 Dunham 범위
10≤N 4/30 33.5 28.2 23.9 22.7 21.9 22.7∼33.5(25)
사질토 10<N≤30 22/30 38.0 33.6 36.0 33.2 36.2 33.2∼38.0(35)
30<N 41/30 42.8 39.3 43.6 39.8 42.2 39.3∼43.6(42)
풍 화 토 50/23 46.8 44.1 48.8 44.2 46.2 44.1∼48.8(46)

인근 적용사례 검토
새만금 산업단지외 6개 사업 만경, 동진강 인근 11개 사업 새만금 신항일원 인근 5개 사업

설계적용
구분 문헌자료 경험식 인근설계사례 시험결과 설계적용
γsat(kN/m )
3
14.0∼21.0 - 17.0∼19.1 18.5
8<N≤15 c(kPa) 75∼300 32∼77 34∼95.3, N/0.16 50.0
굳 은 ø( ゚ ) - - - - -
점성토 γsat(kN/m3) 14.0∼21.0 - 17.0∼19.1 18.5
15<N c(kPa) 75∼300 69∼149 34∼95.3, N/0.16 - 2.48D(m)+20
ø( ゚ ) - - - - -
γsat(kN/m3) 17.0∼20.0 - 17.0∼19.0 18.0
10≤N c(kPa) 30 이하 - - - -
ø( ゚ ) 25∼30 22.7∼33.5 26∼29 25
γsat(kN/m3) 17.0∼20.0 - 17.8∼20.0 18.5
사질토 10<N≤30 c(kPa) 30 이하 - - - -
ø( ゚ ) 25∼30 33.2∼38.0 30 30
γsat(kN/m3) 17.0∼20.0 - 17.8∼20.0 19.0
30<N c(kPa) 30 이하 - - - -
ø( ゚ ) 25∼30 39.3∼43.6 30∼33 31.0
γsat(kN/m3) 19.0∼20.0 - 18.0∼20.0 19.5
풍 화 토 c(kPa) 30 이하 - 15.0∼30.0 18.0∼19.6 19.0
ø( ゚ ) 30∼35 44.1∼48.8 25.0∼33.0 28.0∼29.6 30.0
γsat(kN/m3) 19.5∼22.0 - 20.0∼21.0 20.5
풍 화 암 c(kPa) 10∼300 - 20.0∼50.0 25.0 25.0
ø( ゚ ) 30∼36 - 30∼34 31.3 31.0

- 101 -
제 1 편 지반조사

5.3.3 변형계수 및 포아송비 산정


문헌자료 검토
구조물기초설계기준
구분 실트, 점토 실트질 모래 중간조밀한 모래 조밀한 모래 모래 및 자갈
변 형 계 수(MPa) 5∼10 10∼17 17∼28 35∼55 69∼172
포 아 송 비 0.20∼0.50 0.2∼0.4 0.25∼0.4 0.3∼0.45 0.15∼0.35

지반조사편람 및 지반학술발표회
변형계수(MPa) 포아송비(ν)
구분 비고
풍화토 풍화암 풍화토 풍화암
지 반 조 사 편 람 20∼40 100∼200 0.50 0.30∼0.35 서울특별시, 1996
지반학술발표회 - 200 - 0.25 지반공학회, 1998

Roy E. Hunt (1984) Braja M. Das (1995)


Type of soil Em(MPa) ν Type of soil Em(MPa) ν
느 슨 한 모 래 10∼30 느 슨 한 모 래 10∼25 0.20∼0.40
중간 조밀한 모래 30∼500 0.25∼0.35 중간 조밀한 모래 18∼28 0.25∼0.40
조 밀 한 모 래 50∼80 조 밀 한 모 래 35∼55 0.30∼0.45

Joseph E. Bowels(1996)
Type of soil Em(MPa) ν Type of soil Em(MPa) ν
느 슨 한 모 래 10∼25 0.25∼0.35 중 간 점 토 15∼50 0.40∼0.50
조 밀 한 모 래 50∼81 0.30∼0.40 견 고 한 점 토 50∼100 0.40∼0.50
실 트 질 모 래 5∼20 0.20∼0.40 느슨한모래섞인자갈 50∼150 0.30∼0.40
연 약 한 점 토 2∼25 0.40∼0.50 조밀한모래섞인자갈 100∼200 0.30∼0.40

경험식 검토
제안자 지층 관계식(MPa)
실트 또는 모래질 실트 0.40N
Schmertmann 세립 또는 중립모래 /조립질 모래 0.7N/1.00N
자갈질 모래 또는 자갈 1.2∼1.5N
모래 / 점토질 모래 0.50(N + 15)/0.32(N + 15)
Bowles 실트, 모래 /점토질 실트 0.30(N + 15)
자갈질 모래 1.20(N + 15)
Hisatake 0.5N + 7

구 분 대표 N값 Schmertmann Hisatake Bowles Hisatake 범위


굳 은 8<N≤15 12/30 4.7 12.7 5.3 8.6 4.7∼12.7(8.0)
점성토 15<N 23/30 9.0 18.1 8.5 14.3 9.0∼18.1(12.0)
10≤N 6/30 4.1 9.8 6.6 5.5 4.1∼9.8(6.0)
사질토 10<N≤30 16/30 11.0 14.7 15.2 10.7 10.7∼14.7(13.0)
30<N 36/30 35.3 24.5 16.0 24.5 16.0∼35.3(26.0)
풍 화 토 50/23 63.7 38.7 83.5 69.2 38.7∼69.2(72.0)
풍 화 암 50/5 294.0 153.9 370.4 312.4 153.9∼370.4(326.0)

- 10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인근 적용사례 검토
구분 인근 조사자료 사업명
새 만 금 비응항 정온도 개선사업, 새만금 남북도로 건설공사(1단계) 4공구, 새만금 산업단지 개발계획 및
산업단지 기본설계, 군산항 다목적 관리부두 건설공사, 남측 안벽 축조공사, 군산항 제2준설토 투기장 축조공사

만 경 강 새만금 방수제 만경 3공구, 4공구, 5공구 건설공사, 새만금 동서2축 도로건설공사(1,2공구), 새만금
동 진 강 방수제 동진 1,2,3,4,5공구 건설공사, 새만금 남북2축도로 건설공사

새만금 신항만 기본계획 재검토용역, 새만금 신항 진입도로(2,3구간) 및 북측방파호안(3구간),


새 만 금
새만금 신항 가호안 및 매립호안 축조공사,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1공구, 새만금 신항만
신항일원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2공구

인근자료 현장시험 결과
굳은점성토 사질토
구분 풍화토 풍화암
8<N≤15 15<N N≤10 10<N≤30 30<N
5∼14.2 12.9∼36.2 0.8∼16.4 5.0∼25.1 24.6∼39.1 29.0∼96.7 71.0∼595.0
변형계수(E, MPa)
(9.4) (23.8) (7.2) (14.9) (31.4) (59.0) (275.2)

설계적용
구분 문헌자료 경험식 인근 적용사례 인근지역시험결과 설계적용
Em(MPa) 8∼100 4.7∼12.7(8.0) 2.5∼12.1(8.5) 5∼14.2(9.4) 6.0
8<N≤15
굳 은 ν 0.40∼0.50 - 0.35∼0.40 - 0.40
점성토 Em(MPa) 8∼100 9.0∼18.1(12) 2.5∼12.1 2.9∼36.2(23.8) 12.0
15<N
ν 0.40∼0.50 - 0.35∼0.40 - 0.38
Em(MPa) 17∼50 4.1∼9.8(6.0) 2.0∼35.0(10.2) 0.8∼16.4(7.2) 7.2
10≤N
ν 0.20∼0.40 - 0.35∼0.40 - 0.37
Em(MPa) 17∼50 10.7∼14.7(13) 10.0∼35.0 5.0∼25.1 20.0
사질토 10<N≤30
ν 0.20∼0.40 - 0.33∼0.38 - 0.36
Em(MPa) 17∼50 16.0∼35.3(26) 30.0∼36.5 24.6∼39.1 33
30<N
ν 0.20∼0.40 - 0.33∼0.34 - 0.34
Em(MPa) 50∼80 38.7∼69.2(72) 13.0∼70.0 29.0∼96.7 45
풍 화 토
ν 0.20∼0.50 - 0.32∼0.35 - 0.33
Em(MPa) 100∼200 153.9∼370.4 150∼360 71.0∼595.0 250
풍 화 암
ν 0.30∼0.40 - 0.30∼0.33 - 0.30

5.3.4 토사 및 풍화대 설계지반정수 산정결과


굳은 점성토 사질토
구분 풍 화 토풍 화 암
8<N≤15 15<N 10≤N 10<N≤30 30<N
단위중량(γsat,kN/m3) 18.0 18.5 18.0 18.5 19.0 19.5 20.5
점착력(c, kPa) 2.48D+20 - - - 19.0 25.0
내부마찰각(ø,゚) - - 25 30 31.0 30.0 31.0
변형계수(E, MPa) 6.0 12.0 7.2 20.0 33 45 250
포아송비(ν) 0.40 0.38 0.37 0.36 0.34 0.33 0.30

단위중량, 강도정수, 변형계수는 현장시험 결과를 토대로 경험식, 설계사례와 비교・검토 후


설계반영
산정하고 포아송비는 관련 문헌 및 기존 설계적용사례 자료를 분석하여 안전측으로 산정

- 103 -
제 1 편 지반조사

5.4 기반암 설계지반정수 산정


기본방향 현장시험결과를 토대로 문헌조사, 인근설계사례를 종합・분석하여 기반암 연속체 물성값 산정

5.4.1 문헌자료 검토
기반암의 강도정수(도로설계실무편람, 2019)
암반파쇄상태 전단강도
구분
TCR(%) RQD(%) 점착력(c, kPa) 내부마찰각(ø, ゚)
강한 풍화암으로써 연 암 20∼30 10∼25 130 33
파쇄가 거의 없는
보 통 암 40∼50 25∼35 150 35
경우와
대부분의 연, 경암 경 암 70 이상 40∼50 200 40

서울시 지반조사편람(2006)
구분 단위중량(kN/m3) 점착력(kPa) 내부마찰각( ゚ ) 변형계수(MPa) 포아송비(ν)
연 암 23∼25 300∼600 30∼40 2,000∼4,000 0.25∼0.30

보 통 암 24∼26 400∼1,500 35∼40 4,000∼10,000 0.25

경 암 25∼27 1,500∼2,000 35∼40 10,000∼40,000 0.20

학술자료
구분 단위중량(kN/m3) 점착력(kPa) 내부마찰각( ゚ ) 변형계수(MPa)

연 지반공학회 학술자료(2001) - 100∼200 35.0∼45.0 500∼6,000


암 사면안정 학술발표(1996) 20 50 40 -

Hoek & Brown(2002)


구분 점착력(kPa) 내부마찰각( ゚ ) 구분 점착력(kPa) 내부마찰각( ゚ )

연 암 130∼200 35∼40 경 암 500∼1,500 30∼50

5.4.2 인근 적용사례 검토
구분 인근 조사자료 사업명
새만금 비응항 정온도 개선사업, 새만금 남북도로 건설공사(1단계) 4공구, 새만금 산업단지 개발계획 및
산업단지 기본설계, 군산항 다목적 관리부두 건설공사, 남측 안벽 축조공사, 군산항 제2준설토 투기장 축조공사

만경강 새만금 방수제 만경 3공구, 4공구, 5공구 건설공사, 새만금 동서2축 도로건설공사(1,2공구),새만금
동진강 방수제 동진 1,2,3,4,5공구 건설공사, 새만금 남북2축도로 건설공사

새만금 신항만 기본계획 재검토용역, 새만금 신항 진입도로(2,3구간) 및 북측방파호안(3구간),


새만금
새만금 신항 가호안 및 매립호안 축조공사,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1공구, 새만금 신항만
신항일원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2공구

구분 단위중량(kN/m3) 점착력(kPa) 내부마찰각( ゚ ) 변형계수(MPa) 포아송비(ν)


연 암 23.0∼25.0(23.2) 100∼400(178.6) 33.0∼42.0(35.8) 600∼3,000(1,354) 0.24∼0.29(0.265)

- 10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구 분
(kN/m3) (kN/m2) (゚) (MPa) ( )
비응항 정온도 개선사업 기본 및 실시 25.0 300 30.0 200 0.25

새만금 남북도로 기본설계 23.0 130 35.0 600 0.26

새만금산업단지 기본설계 23.0 100 35.0 - -

새만금 동서 2축 1공구 24.0 130 35.0 600 0.26

새만금 동서 2축 2공구 23.0 150 35.0 1,000 0.27

새만금 방수제 만경3공구 건설공사(A사) 23.0 180 36.0 1,500 0.27

새만금 방수제 만경3공구 건설공사(B사) 23.0 400 34.0 2,300 0.28

새만금 방수제 만경 4공구 건설공사 23.1 100 42.0 1,313 0.25

새만금 방수제 만경 5공구 건설공사 23.0 130 33.0 1,000 0.28

신항 진입도로(2.3) 및 북측방파호안(3구간) 23.0 100 40.0 - -

새만금 신항 가호안 및 매립호안 축조공사 23.0 150 35.0 600 0.29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 축조공사(2공구) 23.0 200 35.0 1,500 0.25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 축조공사(1공구) 23.0 250 35.0 1,000 0.28

새만금 방수제 동진 3공구 건설공사 23.0 200 35.0 1,800 0.24

새만금 방수제 동진 4공구 건설공사 23.0 200 38.0 3,000 0.25

새만금 방수제 동진 5공구 건설공사 23.5 150 35.0 2,000 0.27

고군산군도 연결도로 2공구(A사) 22.0 350 33.0 1,500 0.27

고군산군도 연결도로 2공구(B사) 25.0 200 35.0 2,000 0.27

새만금 방수제 만경3공구 건설공사(A사) 23.0 180 36.0 1,500 0.27

새만금 방수제 만경3공구 건설공사(B사) 23.0 400 34.0 2,300 0.28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 및 관리부두 기본조사 23.0 100 40.0 - -

5.4.3 기반암 설계지반정수 산정결과


구분 단위중량(kN/m3) 점착력(kPa) 내부마찰각( ゚ ) 변형계수(MPa) 포아송비(ν)
문 헌 자 료 23.0∼25.0 300∼600 30.0∼40.0 500∼6,000 0.25∼0.30

인근설계사례 23.0∼24.0 100∼400 33.0∼42.0 600∼3,000 0.24∼0.29

시 혐 결 과 - - - - -

설 계 적 용 23.0 170 35 1,300 0.27

검토결과 시험결과, 문헌자료 및 동일암종 인근설계사례 자료를 분석하여 연암 설계지반정수 산정

- 105 -
제 1 편 지반조사

5.5 동적 설계지반정수 산정
기본방향 경험식, S-PS검층, 다양한 실내시험 결과를 분석하여 합리적인 동적 설계지반정수 산정

5.5.1 경험식에 의한 전단파속도


N값에 의한 지반 전단파속도(Vs)의 경험적 추정식
구분 제안자 제안식
今井, 吉村(1970) Vs = 76.0×N0.33
Imai(1982) Vs = 97.0×N0.314
Okamoto(1989) Vs = 125.0×N0.3
전단파속도(VS)
경 험 식 Vs = a×Nb
Imai(1997) 여기서, a=102, b=0.29 (충적점토), a=114, b=0.29 (홍적점토)
a=81, b=0.33 (충적사질토), a=97, b=0.32 (홍적사질토)

Oba(1990) Vs = 84.0×N0.31

전단파속도(Vs) 산정결과(m/sec)
실트 점토 점성토 사질토
구분 풍화토 풍화암
N≤8 N≤8 8<N N≤10 10<N≤30 30<N
대표 N값 2/30 3/30 18/30 4/30 22/30 41/30 50/23 50/5
今井,吉村(1970) 96 109 197 120 211 259 301 499
Imai(1982) 121 137 240 150 256 311 360 582
Okamoto(1989) 154 174 298 189 316 381 437 692
Oba(1990) 104 118 206 129 219 266 306 492
Imai(1997) 125 140 236 152 250 299 342 533

5.5.2 인근 적용사례 검토
구분 인근 조사자료 사업명
새 만 금 비응항 정온도 개선사업, 새만금 남북도로 건설공사(1단계) 4공구, 새만금 산업단지 개발계획 및
산업단지 기본설계, 군산항 다목적 관리부두 건설공사, 남측 안벽 축조공사, 군산항 제2준설토 투기장 축조공사
만 경 강 새만금 방수제 만경 3공구, 4공구, 5공구 건설공사, 새만금 동서2축 도로건설공사(1,2공구),새만금
동 진 강 방수제 동진 1,2,3,4,5공구 건설공사, 새만금 남북2축도로 건설공사
새만금 신항만 기본계획 재검토용역, 새만금 신항 진입도로(2,3구간) 및 북측방파호안(3구간),
새 만 금
새만금 신항 가호안 및 매립호안 축조공사,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1공구, 새만금 신항만
신항일원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2공구

실트 점토 점성토 모래 모래 모래
구분 풍화토풍 화 암 연암
(N≤8) (N≤8) (8<N) (N≤10) (10<N≤30) (30<N)
880∼ 500∼ 900∼ 430∼ 850∼ 1,556∼ 850∼ 1,280∼ 1,500∼
Vp
1,725 1,840 1,756 1,779 1,474 1,859 2,731 3,293 4,081
(m/sec)
(1,168) (1,010) (1,287) (1,184) (1,225) (1,704) (1,602) (2,147) (2,553)
Vs 210∼290 150∼269 190∼327 170∼306 240∼360 226∼340 272∼829 520∼1,196 745∼4,000
(m/sec) (250) (202) (250) (218) (291) (292) (444) (724) (1,266)

- 10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5.5.3 현장시험에 의한 전단파속도 분석


금회 현장시험 분석
압축파속도, Vp(m/sec) 전단파속도, Vs(m/sec) 지층별 전단파 속도
구분
범위 평균 범위 평균
실 트 N≤8 1,293∼1,525 1,385 152∼198 166
점 토 N≤8 1,328∼1,562 1,418 154∼208 171
점성토 8<N 1,553∼1,700 1,644 202∼288 246
N≤10 1,377∼1,693 1,567 162∼290 212
사질토 10<N≤30 1,628∼1,693 1,664 232∼294 269
30<N 1,710∼1,785 1,741 294∼324 310
풍 화 토 1,717∼1,880 1,804 308∼412 356
풍 화 암 1,922∼1,990 1,955 444∼564 500
연 암 2,048∼2152 2,094 837∼919 875 Vs(점토, N≤8) : 171m/s

인근 현장시험 결과 종합분석(금회+인근자료)
압축파속도, Vp(m/sec) 전단파속도, Vs(m/sec) 지층별 전단파 속도
구분
범위 평균 범위 평균
실 트 N≤8 1,293∼1,845 1,460 152∼251 186
점 토 N≤8 1,328∼2,020 1,585 154∼250 178
점성토 8<N 1,553∼2,122 1,889 170∼365 234
N≤10 1,377∼1,852 1,632 160∼290 201
사질토 10<N≤30 1,628∼2,174 1,839 190∼302 257
30<N 1,710∼2,273 2,086 218∼398 304
풍 화 토 1,717∼2,198 1,870 308∼412 361
풍 화 암 1,922∼3,559 2,502 444∼1,456 808
연 암 2,048∼4,292 2,614 837∼2,198 1,175 Vs(점토, N≤8) : 178m/s

5.5.4 통계분석에 의한 동적물성값 산정


MCS 통계분석 자료선정 및 결과
압축파속도, Vp(m/sec) 전단파속도, Vs(m/sec)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실 트 N≤8 1,174 475 1,462 154 250 28 187 34
점 토 N≤8 932 481 1,785 147 203 39 177 22
점성토 8<N 1,291 334 1,890 153 251 45 234 47
N≤10 1,190 448 1,633 128 219 42 201 31
사 질 토 10<N≤30 1,228 256 1,841 157 292 41 252 33
30<N 1,706 126 2,087 164 293 44 305 44
풍 화 토 1,608 536 1,872 169 445 135 361 42
풍 화 암 2,153 523 2,510 675 726 186 813 404
연 암 2,562 715 2,622 722 1,074 282 1,180 446

- 107 -
제 1 편 지반조사

Vp 연약실트 (N≤8)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178.7/472.3 1,453.8/155.9 1,434/146 1,434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178.7/472.3 1,453.8/155.9 적용 1,434 m/sec

VS 연약실트 (N≤8)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51.9/27.8 186.5/34.3 225/22 225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51.9/27.8 186.5/34.3 적용 225 m/sec

Vp 연약점토 (N≤8)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949.3/491.9 1,785.5/152.0 1,711/141 1,711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949.3/491.9 1,785.5/152.0 적용 1,711 m/sec

- 10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VS 연약점토 (N≤8)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02.9/38.3 177.1/21.6 183/19 183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02.9/38.3 177.1/21.6 적용 183 m/sec

Vp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295.7/334.8 1,888.6/147.8 1,786/139 1,786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295.7/334.8 1,888.6/147.8 적용 1,786 m/sec

VS 점성토 (8<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52.4/44.6 234.8/46.4 243/33 243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52.4/44.6 234.8/46.4 적용 243 m/sec

- 109 -
제 1 편 지반조사

Vp 사질토(N≤10)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187.7/453.3 1,628.7/124.4 1,600/123 1,600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187.7/453.3 1,628.7/124.4 적용 1,600 m/sec

VS 사질토(N≤10)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18.3/42.7 200.7/31.1 207/25 20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18.3/42.7 200.7/31.1 적용 207 m/sec

Vp 사질토(10<N≤30)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236.2/256.8 1,843.7/154.4 1,673/134 1,673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236.2/256.8 1,843.7/154.4 적용 1,673 m/sec

- 11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VS 사질토(10<N≤30)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91.7/40.9 251.3/33.6 267/26 26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91.7/40.9 251.3/33.6 적용 267 m/sec

Vp 사질토(30<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705.4/128.1 2,090.9/161.6 1,847/100 1,84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705.4/128.1 2,090.9/161.6 적용 1,847 m/sec

VS 사질토(30<N)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96.2/44.3 304.3/44.5 299/31 299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96.2/44.3 304.3/44.5 적용 299 m/sec

- 111 -
제 1 편 지반조사

Vp 풍화토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592.3/534.1 1,868.4/166.5 1,848/161 1,848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592.3/534.1 1,868.4/166.5 적용 1,848 m/sec

VS 풍화토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449.7/136.3 360.1/41.6 368/40 368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449.7/136.3 360.1/41.6 적용 368 m/sec

Vp 풍화암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124.0/530.5 2,495.8/687.4 2,287/414 2,287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124.0/530.5 2,495.8/687.4 적용 2,287 m/sec

- 11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VS 풍화암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725.2/185.4 801.9/408.7 742/169 742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725.2/185.4 801.9/408.7 적용 742 m/sec

Vp 연암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2,563.5/708.1 2,614.0/746.1 2,592/508 2,592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2,563.7/708.1 2,614.0/746.1 적용 2,592 m/sec

VS 연암
구분 초기추정값 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적용
평균/표준편차 1,075.8/276.7 1,197.4/454.3 1,104/238 1,104

1단계(초기추정값) 2단계(최대우도값) Bayesian Approach

1,075.8/276.7 1,197.4/454.3 적용 1,104 m/sec

- 113 -
제 1 편 지반조사

Bayesian Approach 결과
Vp 최후도값 Vs 최후도값
구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실 트 N≤8 1,434 146 225 22
점 토 N≤8 1,711 141 183 19
점성토 8<N 1,786 139 243 33
N≤10 1,600 123 207 25
사질토 10<N≤30 1,673 134 267 26
30<N 1,847 100 299 31
풍 화 토 1,848 161 368 40
풍 화 암 2,287 414 742 169
연 암 2,592 508 1,104 238

5.5.5 압축파 및 전단파속도 산정결과


압축파속도(Vp) 산정 결과
적용사례 분석 현장시험 종합분석 통계분석 신뢰구간 산정결과
구분
Vp(m/sec) Vp(m/sec) 95%하한 최후도값 95%상한 Vp(m/sec)
실 트 N≤8 880∼1,840 1,293∼1,845 1,147 1,434 1,721 1,430
점 토 N≤8 500∼1,840 1,328∼2,020 1,435 1,711 1,987 1,710
점성토 8<N 900∼1,756 1,553∼2,122 1,514 1,786 2,059 1,790
N≤10 430∼1,779 1,377∼1,852 1,359 1,600 1,841 1,600
사질토 10<N≤30 850∼1,474 1,628∼2,174 1,410 1,673 1,935 1,670
30<N 1,559∼1,859 1,710∼2,273 1,651 1,847 2,043 1,840
풍 화 토 850∼2,731 1,717∼2,198 1,531 1,848 2,164 1,850
풍 화 암 1,280∼3,293 1,922∼3,559 1,476 2,287 3,097 2,290
연 암 1,500∼4,081 2,048∼4,292 1,596 2,592 3,588 2,590

압축파속도(Vs) 산정 결과
경험식 인근적용사례 현장시험분석 통계분석 신뢰구간 산정결과
구분
Vs(m/sec) Vs(m/sec) Vs(m/sec) 95%하한 최후도값 95%상한 Vs(m/sec)
실 트 N≤8 96∼154 210∼290 152∼251 182 225 268 230
점 토 N≤8 109∼174 150∼269 154∼250 146 183 221 190
점성토 8<N 197∼298 190∼327 170∼365 178 243 308 250
N≤10 120∼189 170∼306 160∼290 158 207 257 210
사질토 10<N≤30 211∼316 240∼360 190∼302 217 267 318 270
30<N 259∼381 226∼340 218∼398 237 299 360 300
풍 화 토 301∼437 272∼829 308∼412 290 368 447 370
풍 화 암 492∼692 520∼1,196 444∼1,456 406 742 1077 750
연 암 - 745∼4,000 837∼2,198 632 1,104 1576 1,100

- 11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5.5.6 동적 설계지반정수 산정결과


탄성파속도 동적물성값
구분
Vp(m/sec) Vs(m/sec) Ed(m/sec) Gd(m/sec) Kd(m/sec) υd
실 트 N≤8 1,430 230 303 102 3,808 0.487
점 토 N≤8 1,710 190 206 69 5,488 0.494
점성토 8<N 1,790 250 352 118 5,891 0.490
N≤10 1,600 210 242 81 4,594 0.491
사질토 10<N≤30 1,670 270 409 138 5,081 0.487
30<N 1,840 300 519 174 6,331 0.486
풍 화 토 1,850 370 806 272 6,447 0.479
풍 화 암 2,290 750 3,389 1,177 9,401 0.440
연 암 2,590 1,100 7,894 2,840 11,957 0.390

5.5.7 비선형 동적특성 및 액상화 저항응력 분석


점토 비선형 동적특성 실트 비선형 동적특성 모래 비선형 동적특성

감쇠비 : 4.9∼28.66% 감쇠비 : 2.93∼26.54% 감쇠비 : 3.1∼27.24%

액상화저항응력(연약점토) 액상화저항응력(연약모래) 액상화저항응력(모래)

5% CSR : 0.245, 10% CSR : 0.271 5% CSR : 0.302, 10% CSR : 0.305 5% CSR : 0.295, 10% CSR : 0.303

액상화저항응력(연약점토) 보정 액상화저항응력(연약모래) 보정 액상화저항응력(모래) 보정

5% CRR : 0.210, 10% CRR : 0.233 5% CRR : 0.259, 10% CRR : 0.261 5% CSR : 0.252, 10% CRR : 0.260

검토결과 점토층(N≤8) 전단파 속도(Vs)는 190m/sec 적용, 점토층 감쇠비는 4.9∼28.66%, 10% CRR 0.233

- 115 -
제 1 편 지반조사

5.6 수리특성 설계지반정수 산정


5.6.1 문헌자료 검토
Principles of Foundation Engineering 균열빈도에 따른 투수계수
흙의 종류 투수계수, k(cm/s) 흙의 종류 특징 투수계수, k(cm/s)
세립 내지 조립 모래 1.0×10-3∼1.0×10-1 매우넓은 균열 높은투수성 암반 1.0×10-2∼1.0×10-1

세립 모래, 실트질 모래 1.0×10-5∼1.0×10-3 보 통 균 열 보통투수성 암반 1.0×10-5∼1.0×10-2

점토질 실트, 실트질 점토 1.0×10-7∼1.0×10-5 매우좁은 균열 약간투수성 암반 1.0×10-9∼1.0×10-5

점 토 1.0×10-7 이하 균 열 없 음 불투수성 암반 1.0×10-9 이하

통일분류(USCS)에 의한 투수계수

통일분류 투수계수, k(cm/s) 통일분류 투수계수, k(cm/s) 통일분류 투수계수, k(cm/s)


GW 1.0×10-2 이상 SW 1.0×10-3이상 ML 1.0×10-6 ∼ 1.0×10-3
GP 1.0×10-2 이상 SP 1.0×10-3이상 MH 1.0×10-8 ∼ 1.0×10-4
GM 1.0×10-5 ∼ 1.0×10-2 SM 1.0×10-6 ∼ 1.0×10-3 CL 1.0×10-8 ∼ 1.0×10-6
GC 1.0×10-8 ∼ 1.0×10-6 SC 1.0×10-8 ∼ 1.0×10-6 CH 1.0×10-8 ∼ 1.0×10-6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구분 느슨한 모래 중간 모래 가는 모래 모래질 실트 실트 점토질 실트실트질 점토 점토
투수계수 3.0×10-1 5.0×10-3 1.0×10-4 1.0×10-5 1.0×10-6 1.0×10-7 1.0×10-9
1.0×10-1
(cm/s) ∼5.0×10-1 ∼1.5×10 ∼2.0×10 ∼1.0×10 ∼1.0×10 ∼1.0×10 ∼1.0×10-8
-2 -3 -4 -5 -6

흙의 투수계수(BS 8004 : 1986)


건조 또는 풍화작용으로 생긴 점토
균열이 없는 순수한 점토,
구 분 깨끗한 자갈 깨끗한 모래, 세립 모래, 실트,
실트질 점토(점토 > 20%)
모래-자갈 혼합물 층상의 점토-실트
투 수 계 수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0-10
(k, cm/s)
배 수 성 양호 보통 불량
투 수 성 높음 보통 낮음 매우 낮음 실질적으로 불투수성

5.6.2 인근 적용사례 검토
구분 인근 조사자료 사업명
새 만 금 비응항 정온도 개선사업, 새만금 남북도로 건설공사(1단계) 4공구, 새만금 산업단지 개발계획 및
산업단지 기본설계, 군산항 다목적 관리부두 건설공사, 남측 안벽 축조공사, 군산항 제2준설토 투기장 축조공사

만 경 강 새만금 방수제 만경 3공구, 4공구, 5공구 건설공사, 새만금 동서2축 도로건설공사(1,2공구), 새만금
동 진 강 방수제 동진 1,2,3,4,5공구 건설공사, 새만금 남북2축도로 건설공사

새만금 신항만 기본계획 재검토용역, 새만금 신항 진입도로(2,3구간) 및 북측방파호안(3구간), 새만금


새 만 금
신항 가호안 및 매립호안 축조공사,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1공구, 새만금 신항만
신항일원
방파제(1단계) 축조공사 2공구

- 11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실트 점토 점성토 사질토
구분 풍화토 풍화암 연 암
N≤8 N≤8 8<N N≤10 10<N≤30 30<N

투수 3.60×10-7 2.00×10-7 4.00×10-7 2.80×10-6 4.80×10-5 5.00×10-5 1.00×10-5 1.00×10-6


계수 ∼ ∼ ∼ ∼ ∼ ∼ ∼ ∼
(cm/s) 3.96×10 5.60×10 1.00×10 8.84×10-3
-5 -5 -5
1.03×10-3 9.00×10 1.00×10 4.70×10-5
-4 -4

5.6.3 인근자료 시험결과 분석


현장시험(금회+기본조사+인근자료)
실트 점토 점성토 사질토
구분 풍화토 풍화암 연 암
N≤8 N≤8 8<N N≤10 10<N≤30 30<N
3.60×10-7 5.00×10-7 4.00×10-7 6.00×10-6 4.80×10-5 5.00×10-5 1.00×10-5 1.00×10-6 1.36×10-6
투수계수
∼ ∼ ∼ ∼ ∼ ∼ ∼ ∼ ∼
(cm/s)
3.96×10 5.60×10 1.00×10 8.84×10 3.70×10 9.00×10 1.00×10 4.70×10 6.97×10-5
-5 -5 -5 -3 -3 -4 -4 -5

실내시험(금회+기본조사+인근자료)
구분 점성토(CH) 점성토(CL) 점성토(ML) 사질토 풍 화 토 풍 화 암

투수계수 5.43×10-8 1.29×10-8 2.25×10-8


- - -
(cm/s) ∼1.65×10-6 ∼4.31×10-6 ∼5.72×10-6

5.6.4 수리특성 설계지반정수 산정결과


구분 문헌 자료 인근 적용사례 인근 현장 및 실내시험 설계 적용

ML 3.60×10-7∼3.96×10-5 2.25×10-8∼5.72×10-6 2.44×10-7

CL N≤8 1.0×10-9 1.29×10-8∼4.31×10-6 2.12×10-7


∼ 5.0×10-7∼5.6×10-5
CH 1.0×10-4 5.43×10-8∼1.65×10-6 1.52×10-7

점성토 8<N 4.0×10-7∼1.0×10-5 4.11×10-6 5.36×10-7

N≤10 6.00×10-4∼8.84×10-3 1.44×10-4∼1.03×10-2 2.5×10-3


투수계수 5.0×10 -3

(cm/s) 사질토 10<N≤30 ∼ 1.27×10-4∼1.02×10-2


3.0×10-1 4.8×10-5∼3.7×10-3 9.0×10-4
30<N 2.34×10 ∼1.02×10
-5 -5

풍 화 토 - 5.0×10-5∼9.0×10-4 5.00×10-5∼9.00×10-4 4.5×10-4

풍 화 암 - 1.0×10-5∼1.0×10-4 2.34×10-5∼8.81×10-5 6.0×10-5


1.0×10-5
연 암 ∼ 1.0×10-6∼4.7×10-5 1.36×10-6∼6.97×10-5 1.5×10-5
1.0×10-2

설계반영 점토층 투수계수는(kv)는 CH는 1.52×10-7cm/s, CL은 2.12×10-7cm/s 구분하여 적용

- 117 -
제 1 편 지반조사

5.7 재료원 설계지반정수 산정


5.7.1 준설매립토 및 사석재 설계지반정수 산정

기본방향 기존 적용사례, 각종 기관의 문헌자료 및 실내시험 등을 비교분석하여 합리적인 지반정수 산정

문헌자료 검토
쌓기재료의 강도정수 기준(도로설계요령, 2016)
최대건조단위중량 내부마찰각( ゚ )
구 분 점착력(kPa)
(kN/m3) 다짐상태 포화상태
GW, GP 18.0∼20.0 42 38 -
GM, GC 18.0∼21.0 40 40 0∼5

NAVFAC(DM 7.2, 39쪽) 다짐토의 특성


최대건조단위중량 최적함수비 점착력(MPa) 내부마찰각
구 분
(kN/m3) (%) 다짐상태 포화상태 (゚)
GM 19 ∼ 22 8 ∼ 12 - - > 34
GC 18 ∼ 21 9 ∼ 14 - - > 31
SM 18 ∼ 20 11 ∼ 16 51 21 34
SM-SC 18 ∼ 21 11 ∼ 15 51 15 33
SC 17 ∼ 20 11 ∼ 19 76 11 31
ML 15 ∼ 19 12 ∼ 24 68 9 32
ML-CL 16 ∼ 19 12 ∼ 22 66 22 32

석재 최소요구조건(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


비중(겉보기) 흡수율 압축강도(MPa)
암석의 종류
피복석용 기초사석용 피복석용 기초사석용 피복석용 기초사석용
화강암류 2.6이상 2.5이상 5%미만 5%미만 100이상 50이상
안산암류 2.4이상 2.3이상 5%미만 5%미만 100이상 50이상
현무암류 2.6이상 2.5이상 5%미만 5%미만 100이상 50이상
사암류 2.5이상 2.4이상 5%미만 5%미만 100이상 50이상

기존 설계자료 검토
준설매립토 인근사례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구 분
(kN/m3) (kN/m2) (゚) (MPa) ( )
새만금방수제 동진4공구 건설공사 17.5 - 25.0 20.0 0.35
새만금동서2축 도로건설공사 기본계획 18.5 5.0 25.0 12.0 0.37
새만금방수제 동진1공구 건설공사 17.5 5.0 30.0 18.0 0.40
새만금 산업단지 기본설계 17.0 5.0 27.0 - -
새만금 동서2축도로 2공구 실시설계 18.0 5.0 27.0 - -
새만금 신항 가호안 및 매립호안 축조공사 17.5 - 23.0 5.0 0.40
북측방파호안 (1・2 구간) 및 관리부두 기본조사 17.5 7.0 22.0 - -

- 11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사석재 인근 및 유사설계 사례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구 분
(kN/m3) (kN/m2) (゚) (MPa) ( )
새만금 동서 2축 1공구 실시설계 20.0 0.0 40 - -
새만금 동서 2축 2공구 실시설계 20.0 0.0 40 -
새만금 만경 3공구 실시설계 21.0 0.0 45 70 0.30
새만금 신항 가호안 및 매립호안 축조공사 18.0 0.0 40 50 0.30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 1단계 축조 2공구 18.0 0.0 40
방수제 동진1공구 20.0 0.0 45 80 0.25
포항영일만항 남방파제 (1단계 1공구) 축조공사 20.0 0.0 40 50 0.30
포항영일만항 외곽시설 (2-1단계) 축조공사 18.0 0.0 40 50 0.30

대형삼축압축실험을 통한 사석재 강도특성 검증


대형삼축시험 해수반응 풍화실험 전 해수반응 풍화실험 후 해수반응 해수반응
구분
풍화전 풍화후

내부마찰각
40.2 39.84
(゚)

점착력
37.76 29.33
(kPa)

건조밀도
18.0
(kN/m3)

준설매립토 설계지반정수 산정결과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구 분
(kN/m3) (kN/m2) (゚) (MPa) ( )
문 헌 자 료 17.0∼20.0 30이하 31.0∼34.0 - -
방파제시험결과 14.4∼17.8 - 13.7∼16.3 - -
기 존 자 료 17.5∼18.5 0∼7.0 22.0∼30.0 5.0∼20.0 0.35∼0.40
설 계 적 용 17.5 - 23.0 5.0 0.40

사석재 설계지반정수 산정결과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
구 분
(kN/m3) (kN/m2) (゚) (MPa) ( )
문 헌 자 료 18.0∼21.0 - >31.0 - -
방파제시험결과 18.0 26.07 40.83 - -
금회시험결과 18.0 29.3∼37.7 39.84∼40.20 - -
기 존 자 료 18.0∼21.0 - 40.0∼45.0 50.0∼80.0 0.30
설 계 적 용 18.0 - 40.0 50.0 0.30

문헌자료 및 인근 유사설계 자료를 근거하여 설계조건에 부합하는 준설매립토의 설계지반정수를


설계반영
산정하였고, 금회 대형삼축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사석재 설계지반정수 산정하였음

- 119 -
제 1 편 지반조사

5.8 설계지반정수 요약
5.8.1 연약지반 설계지반정수
물리 및 강도특성값 산정결과
자연함수비 포화체단위중량 초기간극비 비배수전단강도 강도증가율
구 분
Wn(%) γsat(kN/m3) e0 Su(kPa) m
연약실트(ML) 30.5 18.9 0.88 0.15
연약점토(CL 34.0 18.7 0.95 Su=2.48z(m)+20.0 0.19
연약점토(CH) 42.5 17.8 1.18 (46.3) 0.27
하부점성토 31.0 18.5 0.98 0.18

압밀특성값 산정결과
압축지수 재압축지수 연직압밀계수 연직투수계수
구 분 구 분
Cc Cr Cv(㎝2/s) kv(㎝/s)
연약실트(ML) 0.27 0.042 실 트(ML) 11.47×10-3 2.43×10-7
연약점토(CL 0.37 0.037 점 토(CL) 8.35×10-3 2.12×10-7
연약점토(CH) 0.68 0.073 점 토(CH) 3.71×10-3 1.52×10-7
하부점성토 0.28 0.046 하부점성토 5.54×10-3 5.36×10-7

5.8.2 연속체 설계지반정수


굳은 점성토 사질토 준설
구분 풍화토 풍 화 암 연 암 사석재
8<N≤15 15<N 10≤N 10<N≤30 30<N 매립토
단위중량(γsat,kN/m )
3
18.5 18.5 18.0 18.5 19.0 19.5 20.5 23.0 18.0 17.5
점착력(c, kPa) 2.48D+20, N/0.16 - - - 19.0 25.0 170.0 - -
내부마찰각(ø, ゚) - - 25 30 31.0 30.0 31.0 35 40 23
변형계수(E, MPa) 6.0 12.0 7.2 20.0 33 45 250 1,300 50 5
포아송비(ν) 0.40 0.38 0.37 0.36 0.34 0.33 0.30 0.27 0.3 0.40

5.8.3 내진해석을 위한 설계지반정수


탄성파속도 및 동적물성값 산정결과
탄성파속도 동적물성값
구분
Vp(m/sec) Vs(m/sec) Ed(m/sec) Gd(m/sec) Kd(m/sec) υd
실 트 N≤8 1,430 230 303 102 3,808 0.487
점 토 N≤8 1,710 190 206 69 5,488 0.494
점성토 8<N 1,790 250 352 118 5,891 0.490
N≤10 1,600 210 242 81 4,594 0.491
사질토 10<N≤30 1,670 270 409 138 5,081 0.487
30<N 1,840 300 519 174 6,331 0.486
풍 화 토 1,850 370 806 272 6,447 0.479
풍 화 암 2,290 750 3,389 1,177 9,401 0.440
연 암 2,590 1,100 7,894 2,840 11,957 0.390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 산정결과 진동저항응력비 산정결과


구 분 점토 실트 모래 상부사질토 하부사질토
구 분
N값 2/30 2/30 30/30 시험값 보정값 시험값 보정값
G/Gmax 0.247∼1.000 0.659∼1.000 0.456∼1.000 CSR(DA=5%) 0.302 0.259 0.295 0.252
D(%) 3.58∼14.65 2.65∼5.96 2.80∼7.37 CSR(DA=10%) 0.305 0.261 0.303 0.260

- 120 -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제2편
혼잡도분석
제1장 사업의 목적 및 개요
제2장 해상교통조사 분석
제3장 해양사고 분석
제4장 해상교통혼잡도 분석
제5장 충돌위험도 분석
제6장 안전 대책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제1장 사업의 목적 및 개요
1.1 사업의 목적
해상교통량 조사 및 분석은 일정 해역의 선박 교통상황을 조사, 자료 수집, 분석하여 예측하는 과정
선박이 이용하는 항로와 해상교통량 조사 및 분석에서 해상교통시스템과 사고예방시스템의 설계와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어 추가 혹은 신규 건설될 부두가 선박 통항에 미칠 영향에 대한 가능성 예측
현행 교통량에 대한 정량적 평가는 물론 통항 선박의 행동을 예측하고 장래의 교통량을 추정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에 대한 타당성, 교통 흐름 및 특성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대책 등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
본격적인 개발 계획에 의거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가 진행될 예정. 현행
특정 항로를 따라 통항하는 선박들에 대한 지장이 우려되며 작업 공사 기간 중 작업선의 빈번한 투입으로 인한
통항 선박의 안전 대책이 절실히 요구됨. 현재 통항선박의 교통 흐름을 분석하여 공사 중 작업선 및 소형 선박의
예상 통항로를 예측, 교통 흐름을 고려한 작업선 및 소형 선박의 공사 중 통항 방법을 제시

사업 위치도

1.2 사업의 개요
1.2.1 주요 사업 내용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예정지 인근의 선박 통항량 통계 분석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개발에 따른 미래 해상 교통량 추정
기본방향
환산 교통량 산출
해상교통혼잡도 평가 및 안전대책 마련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예정지 인근 주요 항로의 선박 통항량 통계 분석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예정지 인근 항로의 장래 선박 통항량을 추정
2011년부터 2019년까지 9년간의 선박 크기별 교통량 실적을 PORT-MIS 자료로 통계 처리
대상지 인근 부두 개발에 따른 공사 시 선박 통항량 분석
- 대상지 인근 부두 공사에 따른 공정 및 투입 선박량 분석에 따른 작업 시 교통량에 반영

- 121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미래 해상 교통량 추정
- 과거 선박 통항량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를 기초로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완공 시기 전후에 대한 미래 해상교통량을 산출
환산 교통량 산출
- 추정된 미래 해상교통량을 기초로 선박 종류별, 선박 길이별 함수를 이용하여 선박의 점유해역에 따른 환산 교통량 계산
해상교통혼잡도 평가
- 미래 해상교통량 대비 실용교통용량과의 관계 함수를 도출.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예정지 인근 항로에서의 해상교통량 혼잡도를 산출한 후 평가 지수를 활용하여 분석.
- 관측 조사는 사업지인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인근으로 전라북도 고군산도
주변 해역(새만금2호방조제 전면 해역)에서 시행
공사 중 통항 안전대책 마련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중 발생할 공사 선박 및 인근 지역의 입출항 선박의
통항을 감안하는 통항 안전대책 마련

통항 조사 분석 대상 해역

1.2.2 결과물의 활용 방안
설계된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위치에 대한 타당성 제기
- 파랑에 따른 정온도 확보를 위해 설계된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가 선박 통항
흐름에 미치는 영향 검토
- 선종별, 시간대별, 크기별 선박들의 교통 흐름을 제시.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에
따른 선박 통항 흐름 분석
해상 교통 흐름의 정류 효과 및 통항 특성 제시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로 인해 선박의 통항로가 제한되지만, 반면 선박이
안전하게 통항할 수 있는 가항수역이 지정되어 선박의 관제 및 교통 특성을 일원화하는 교통 정류 효과를 유발
- 안벽시설 설계로 인해 선박 통항이 편중되는 측면에 대한 대안 또는 문제점이 없음(통항량 및 통항로 측면)을 분석
공사 중 통항 안전 대책 제시
- 해상교통조사 결과를 기초로 해상교통시설(항로표지)의 설치 위치 및 작업선들의 주요 통항로 등을 제시
- 주요 통항 선박들의 통항로를 제시하여 교통 흐름을 유도하고, 필요에 따라 통항 제한, 통항량이 많은 피크 타임
시간대에 대한 효율적인 작업 대책(특정 시간 작업선의 운항 중지)을 제시
- 공사 중 통항 선박별, 크기별 안전 통항로를 제시하고, 해상교통 질서 확립을 위해 필요한 경계선의 운용 및 현장
통제소 등의 설치 방안에 대한 제시

- 12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제2장 해상교통조사 분석
2.1 해상교통흐름조사 현황
2.1.1 조사 지역 범위
본 관측 조사는 사업지인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예정지 인근으로 전북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2길 144-8에서 시행
사업지 인근의 교통 흐름을 파악하고 원활한 Data 수집을 위해 조사대상 해역을 다음과 같이 설정

조사 지역 범위도

2.1.2 조사위치 및 조사기간

본 조사는 목시관측과 레이더 관측을 이용한 실측 조사와 AIS탑제 선박을 대상으로 한 AIS DATA 수집 조사로
실시되었음. 실측 조사는 2020년 08월 03일 13시∼08월 06일 13시까지 72시간동안 전북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2길 144-8에서 조사 관측
조사지점은 조사 대상 지점을 육안으로 목시관측이 가능한 곳이었고 조사 대상 해역 전체의 Data를 수집하기에
가장 적합한 곳으로 사전조사 결과 결정되었음. 아래 그림은 조사지점에서 바라본 조사대상 해역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예정지 인근의 전경

조사 현장 전경사진

- 123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2.2 항적 조사 분석
2.2.1 선박크기별 항적도
AIS 및 RADAR 조사 선박의 선박크기별 항적도 (72시간 조사)

2.2.2 선종별 항적도


기타선박(ET) 항적도 예부선(TS) 항적도

어선(FS) 항적도 작업선(WS) 항적도

몇 개의 항로 패턴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가장 중요한 고군산대교를 기점으로 다양한 통항로를


이용하여 통항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고군산대교를 기점으로 방파제 북측 끝단을 근접해서 통항하는 통항로가 주를 이루며 해당 통항은
분석결과 새만금 신항 사업지 출입항 항로를 가로질러 통항하는 패턴으로 이후 선박 통항시 주의가 요망된다.
고군산대교 인근 무녀도쪽 어항을 기점으로 무녀도 남측을 통항하는 통항로가 있으며 해당 통항의
경우 새만금 신항 사업지 출입항 항로의 북측해역을 통항하고 있으므로 항로를 침범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12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2.2.3 경로별 항적도


OD 라인 이동방면
A 항로 예정지

B 고군산 대교 방면

C 무녀도 동측 방면

D 비안도 방면

E 장구도 방면

F 위도 방면

B↔F 항적도 B↔D 항적도

B↔E 항적도 C↔D 항적도

C↔F 항적도 C↔E 항적도

- 125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2.3 통계 분석
AIS 및 RADAR 조사 선박의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예정지 인근 통항
통계 분석 영역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A지점을 기점으로 해당 라인을 통과하는 선박을 축출. 따라서 해당
필터라인 A를 지나지 않는 인근의 다른 선박들에 대한 통계는 축출되지 않도록 필터링
해당 A라인을 통과하는 선박의 합을 기준으로 다음 항목에서 선종별, 선박크기별, 요일별, 시간대별 통항척수
분석하여 분석 등 해상교통 특성을 진단하고자 함. 통계 분석은 각 표와 그래프로 구성되어 분석

AIS 및 RADAR 필터링 라인 A (72시간 조사)

2.3.1 선종별 통계 (72시간 조사)


선종별 통항척수표 ET(기타선박) FS(어선) TS(예부선) WS(작업선) 총합계

통 항 척 수 4 26 3 1 34

선종별 통항척수 선종별 통항비율

선박의 선종별 통항 척수표를 보면 조사해역에서 어선이 26척으로 가장 많이 통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 다음으로는 기타선박이 4척, 예부선이 3척
분석결과
특히 어선과 기타선박은 전체의 76%, 12%를 차지하고 있어 건설 예정지 인근의 주요 통항 선박이
어선과 기타선박 임을 알 수 있음

- 12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2.3.2 선박크기별 통계 (72시간 조사)


S1 S2 S3 S4 S5 S6 S7 S8
선박크기별 분류 100∼ 150∼ 200∼ 250∼ 300∼ 합계
1∼50 50∼100 350∼
150 200 250 300 350
척 수 34 0 0 0 0 0 0 0 34

크기별 통항척수 크기별 통항비율

선박크기별 통항 척수표를 통해 조사해역에서 길이 1미터∼50미터 미만 선박의 통항 척수가


분석결과 34척으로 가장 많이 통항
그 다음으로는 길이 50미터 이상 선박의 통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3.3 요일별 통계 (72시간 조사)


요일별 통항척수표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총합계

총 통 항 척 수 3 14 16 1 34

시 간 11시간 24시간 24시간 13시간 72시간

시간당평균통항척수 0.27 0.58 0.67 0.08 0.47

요일별 통항척수 크기별 통항비율

선박의 요일별 통항 분석을 보면 총 72시간 동안 34척이 통항하였으며, 하루 평균 9.75척이


통항하였고 시간당 평균 0.47척의 선박이 통항
분석결과
선박의 요일별 통항 분석에 따르면 수요일이 시간당 평균 통항척수가 0.67척으로 가장 많은 통항량을
보이고 있음

- 127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2.3.4 시간대별 통계 (72시간 조사)


시간대별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통항척수
03일
1 1 1
(13시-00시)

04일 6 1 1 1 1 1 1 1 1

05일 1 3 1 1 1 1 4 2 1 1

06일
1
(00시-13시)

총척수 1 9 2 1 2 1 2 5 3 1 1 3 1 1 1

시간당
평균 0.0 0.0 0.0 0.0 0.3 3.0 0.7 0.0 0.0 0.0 0.3 0.7 0.3 0.7 1.7 1.0 0.3 0.3 0.0 1.0 0.3 0.3 0.0 0.3
통항척수

시간대별 통항척수 시간대별 평균 통항척수

전체 통항 시간당 평균 0.5척/Hour

Peak Time 5시 3.0척/Hour

기타선박 어선 예부선
선종별 Peak Time
6, 11, 15, 19시 각 1척 5시 9척 11, 19, 21시 각 1척

조사기간 전체 시간당 평균통항척수는 0.5척으로 약 34척의 선박이 조사해역에 통항 하고 있음


혼잡시간 분석결과 5시에 시간당 3척이 통항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전체 통항 시간당 평균 0.5척의
6배 가량이 통항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통항척수는 타 지역 항구의 피크타임 통항
척수에 비하면 많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혼잡한 해역이 아님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 혼잡시간의 시간당 평균 통항척수가 전체 통항 평균 척수에 비해 6배 정도 증가하므로 피크타임시
작업선의 통항 시간 조절 및 통항 안전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주요 선종별 피크타임을 보면 어선이 5시경 9척으로 나왔고 기타선박과 예부선이 11시와 19시경
각 1척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각 선종별로 주요 작업시간이 차이가 나서 해당 작업시간에 해당
선종의 통항이 집중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12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2.3.5 경로대별 통계 (72시간 조사)


경로별 통항척수표 총 통항척수
B↔F 고군산대교 방면 ↔ 위도 방면 11
B↔D 고군산대교 방면 ↔ 비안도 방면 1
B ↔E 고군산대교 방면 ↔ 장구도 방면 6
C ↔E 무녀도 동측 방면 ↔ 장구도 방면 9
C↔F 무녀도 동측 방면 ↔ 위도 방면 5
합 계 32

경로별 통항 척수 통계그래프 경로별 통항 비율 통계그래프

사업대상지 경로별 통항 빈도 인포그라피

해당 경로별 통항척수를 항적도 위에 인포그래픽 형태로 표시하였음. 통항이 빈번한 통항로의 경우


해당 통항 표시 화살표의 색을 진하게 하였고 통항이 빈번하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연하게 표시함
분석결과 경로별 그래프와 통항 빈도 인포그래픽과 같이 사업지 인근 해역에서는 무녀도 방면에서 출입항
방면 서해쪽으로 통항하는 선박들의 통항이 제일 빈번한 것을 알 수 있음
사업대상지 작업선의 입출항 항로에 영향을 주는 통항 패턴인 C↔E 통항은 전체중 28%에 해당됨

- 129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제3장 해양사고 분석
3.1 해양사고
최근 9년간(2011년∼2019년) 고군산군도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해양사고 153건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해당
자료는 해양안전심판원의 자료(해양안전심판사례집, 해양사고 분석보고서)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였음
이러한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장차 대상 해역에서 해양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원인요소를 조사하고, 이를
본 진단의 기초자료로 활용함

3.1.1 인근 해양사고 개황

최근 9년간(2011년∼2019년) 새만금 신항 인근 해역에서는 총 153건의 해양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충돌사고가


28건(18.3%), 접촉 4건(2.6%), 인명사상 17건(11.1%), 안전저해32건(20.9%) 기관손상72건(47%) 등으로 나타남
대상해역에서의 충돌 해양사고 개황을 연도별로 분석하면 2019년에 8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2018년,
2016년에 각각 5건, 2017년, 2014년에 각각 3건, 2015,년, 2013년, 2012년, 2011년에 각1건 발생하였음
해양사고를 발생 월별로 분석한 결과, 봄철(3월∼5월) 7건, 여름철 (6월∼8월) 9건, 가을철(9월∼11월) 11건,
겨울철(12월∼2월) 1건으로 조사되었으며, 가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남

사고종류별 위치도(중앙해양안전심판원 자료)

3.1.2 항로 해양사고 사례
최근 9년간(2011년∼2019년) 새만금 신항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총 153건의 해양사고 중 새만금 신항에
근접하거나 진입항로에서 발생한 해양사고 2건에 대하여 상세 자료를 조사하였음
사고선박의 종류는 대개 어선이었으며, 대부분 주위경계 및 선박관리 소홀이 주된 원인으로 나타남
아래 해당 해양사고에 대해 유형별로 나열하여 설명하였음

- 13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전복 A(어선 태양호 전복사고)


구 분 태양호
선 적 항 충남 서천군 서면

총 톤 수 3.41톤

사 고 일 시 2014년 8월 22일 19시 05분경

북위 35도 04분 54초 동경 126도 28분 51초


사 고 장 소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 신시배수갑문 담수측 교각)

이 전복 사건은 새만금호의 신시배수갑문 부근에서 불법어로 작업을 하던 태양호가


갑문개방으로 어망과 함께 급류에 휩쓸리다가 신시배수갑문 교각에 부딪혀 발생한 것이나,
사 고 원 인
사건관련자 이*무가 배수갑문 부근 위험구역에 어선이 접근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등
공작물소유자로서 안전관리 업무를 소홀히 한 것도 일인이 된다.

CCTV에 찍힌 사고 당시 영상 장면

B가 설치한 CCTV에 찍힌 사고 당시 영상 장면

충돌 B(양식장관리선 수협8호, 어선 포세이돈호 충돌사건)


구 분 수협 8호 포세이돈호
선 적 항 전북 군산시 옥도면 전북 부안군 변산면

총 톤 수 5톤 1.04톤

사 고 일 시 2016년 7월 8일 10시 25분경

북위 35도 47분 58초 동경 126도 22분 46초


사 고 장 소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신관리도 남방 인근 해상)

이 충돌사건은 시계가 양호한 주간에 항해 중이던 수협8호가 경계를 소홀히 하여 조업 중인


사 고 원 인 포세이돈호를 피하지 아니하여 발생한 것이나, 포세이돈호가 조업 중 경계를 소홀히 하여
조기에 주의 환기 신호를 울리는 등의 피항 협력 동작을 취하지 아니한 것도 일인이 된다.

- 131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수협 8호의 김 양식장 위치와 사고 당시까지 항적, 충돌 위치

인명사상 C(어선 영창호 선원 사망 사건)


구 분 영창호
선 적 항 전북 군산시 옥도면

총 톤 수 9.77톤

사 고 일 시 2017년 6월 4일 08시 20분경

북위 35도 48분 00초 동경 126도 12분 00초


사 고 장 소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말도등대로부터 진방위 237도 방향 약 6.7마일 해상)

이 선원사망사건은 선원이 양망기 작업을 하던 중 부주의로 맞물려 회전하는 양망기 롤러


사 고 원 인 사이에 선원의 왼팔과 가슴 부위가 닻줄과 같이 딸려 들어가면서 발생한 것이나, 선장이 선내
작업 안전 관리, 감독을 소홀히 한 것도 원인이 된다.

상갑판에 설치된 양망기 구조 사진

3.1.3 해양사고 분석결과 요약

최근 9년간(2011년∼2019년) 새만금 신항 인근 해역에서는 총 153건의 해양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충돌사고가


28건(18.3%), 접촉 4건(2.6%), 인명사상 17건(11.1%), 안전저해32건(20.9%) 기관손상72건(47%) 등으로 나타남.
충돌 해양사고를 발생 월별로 분석한 결과, 봄철(3월∼5월) 7건, 여름철 (6월∼8월) 9건, 가을철(9월∼11월) 11건,
겨울철(12월∼2월) 1건으로 조사되었으며, 가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남
사고선박의 종류는 어선이었으며, 대부분 주위경계 및 선박관리 소홀이 주된 원인으로 나타남
새만금 신항에서의 사고는 대부분 안전관리의 소홀이 대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경각심, 주의가 요망됨.
인명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교육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봄

- 13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제4장 해상교통혼잡도 분석
4.1 사업대상지 해상교통혼잡도 분석
통상 대상 항만에 대한 기존 통항자료를 활용한 과거 혼잡도를 분석작업은 진행하지만 본 대상 항만은 기존
항만이 없는 상태에서 신항을 건설하는 항만으로 과거 혼잡도를 분석할 수 없으므로 해당 분석 내용은 제외하였다.

4.1.1 현재 해상교통혼잡도 분석
사업대상지 현재(2020년 08월) 해상교통혼잡도 분석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2020년 08월 03일∼06일까지 총
72시간 해상교통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새만금 사업대상지 부근 A Gate 라인을 통과하는 선박에 대해서 항로폭
600m에 대한 해상교통혼잡도를 평가하여 분석

현재 사업대상지(2020년) 해상교통혼잡도 분석 지점 (A Gate 라인 통과 선박)

혼잡도 발생시간(72시간 평균) 발생비율(72시간 평균)


20% 미만 71시간 98.6%
20% ∼ 40% 1시간 1.4%
40% ∼ 50% 0시간 0.0%
합 계 72시간 100%

구분 혼잡도 비고
주간 평균 혼잡도 5.1% 오전 06시∼오후 06시
야간 평균 혼잡도 7.1% 오후 06시∼오전 06시
평 균 혼 잡 도 5.9% 72시간 평균 혼잡도

72시간 해상교통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20년 현재 해상교통혼잡도를 분석한 결과, 주간


시간대(오전 06시∼오후 06시)보다 야간 시간대(오후 06시∼오전 06시)에서 교통 흐름이 2.0%
증가하였다. 전체 시간 혼잡도 평균값 5.9%로 해당 해역에서의 혼잡도는 혼잡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왔다.
72시간 해상교통조사 분석 기간 중 혼잡도가 20% 미만의 비율은 약 98.6%(71시간),
20%이상∼40%미만은 약 1.4%(1시간)의 비율을 나타냄

- 133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4.1.2 해상작업시 해상교통혼잡도 분석


혼잡도 분석 지점 위치도

공사중 혼잡기간 일간 공사구역별 해상장비 투입계획 분석(추정)


구분 구분 적용장비 G/T(추정) 일투입대수 월투입대수 총투입대수
DCM전용선 4축3련 2,100 1 20.3 51
기초처리공 1·2 구간 Silo운반선(2000P) 443 1 20.3 51
예인선(2000P) 66 1 20.3 51
3,000톤 대선 570 1 15.4 31
기초사석
사 석 공 예인선 66 1 15.4 31
(1구간) 기초사석고르기 500톤 대선 95 3 15.4 54
케이슨 속채움 조합기중기선10톤 10 1 15.4 24
5,000톤 대선 950 2 30.8 185
제체사석
예인선 66 2 30.8 185
1,500톤 대선 293 2 30.8 185
필터사석
예인선 66 1 15.4 93
조합기중기선 10톤 10 2 30.8 185
필터매트
예인선 40 1 15.4 93
사 석 공 보호압사석 3,000톤 대선 10 2 30.8 77
(2구간) 조합기중기선 10톤 10 2 30.8 77
피복석
예인선 40 1 15.4 39
피복석 고르기(수중) 조합기중기선 10톤 10 2 30.8 124
조합기중기선10톤 10 2 30.8 124
피복석 고르기(수상)
예인선 40 2 30.8 124
조합기중기선 50톤 50 1 15.4 47
친수블록 거치
예인선 66 1 15.4 47

- 13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새만금 신항 사업대상지 공사중 해상작업시의 해상교통혼잡도 분석을 위해 공사기간 전기간의 혼잡도를


분석하는 것보다 공사 혼잡기간을 산정하여 해당 기간중 해상교통혼잡도를 분석하였다. 이는 해당 기간 외의
비혼잡기간중의 해상교통혼잡도는 혼잡기간보다 높을 수가 없기 때문에 혼잡도가 높은 기간의
분석결과만으로도 해당 공사구역에서의 공사선박으로 인한 혼잡도를 식별하기에 충분할 것으로 본다.
사업대상지 공사시기의 예정 공정을 반영한 혼잡(peak time) 예상기간 : 2022년 3월 ∼ 2022년 8월 (6개월)
혼잡(peak time)시기에 해상작업 시 공정에 따른 일간 공사구역별 해상장비 투입계획 분석(추정)은 아래와 같다.
단, 해상교통혼잡도 분석을 위한 대략적인 수치로 실제 공정투입계획은 변경될 수 있다. 본 투입계획은 년간
작업선 투입에 대한 추세를 참고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투입계획은 공사혼잡기간 동안 공사해역에서의
해상교통혼잡도 분석에 활용하기 위하여 산정한 것이다.
혼잡도 분석지점은 방파제 북쪽 끝단과 무녀도 사이 통항 항로 예정지 구역으로 위 그림과 같이 설정하였다.
이 해역은 공사시 해상 공사 관련 선박들이 통항하는 해역으로 기존 통항 선박과 공사선박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해역으로 혼잡도가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휴지일수 반영되지 않은 순수공기

해상공사에 투입되는 작업 선박량을 선박크기별로 구분하여 작업 투입 기간을 고려한 시간당 L2 왕복 환산


교통량을 산출하면 아래 표와 같음. 다만, 작업선의 선박크기별 구분은 해상 공사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선박의
적정 규모를 기초로 반영하여 산출함.
연간교통량은 작업 소요 일수를 모두 반영하여 발생 가능한 최대 해상교통량을 추정함.

공사중 혼잡기간 L²환산교통량


선박크기별(G/T)
공사기간 통항 척수 분류 연간교통량 L²환산계수 L²환산 교통량
연간 입항 척수
예인선, 대선
100 미만 1375 0.48 0.23 316.25
기중기선
100-500 236 운반선, 대선 0.64 0.41 96.76

500-1,000 216 대선 0.71 0.5 108

1,000-3,000 51 DCM전용선 0.93 0.86 43.86

합계 1878 - - - 564.87

새만금 신항 사업대상지의 통항 선박에 대한 시간당 L2 왕복 환산 교통량과 작업선 투입에 따른 시간당 L2


왕복 환산 교통량을 산출하면 아래 표와 같음.
2020년 기준으로 공사시간 공사선박 투입시 해상교통혼잡도의 증감을 계산하였다.

2020년 기준 통항 선박의 공사용 선박 투입시 증감 공사선박포함


공사중 혼잡기간 1년간 평균 해상교통혼잡도(%) 해상교통혼잡도(%) 해상교통혼잡도(%)
해상교통혼잡도
5.9 1.0 6.9

새만금 신항 사업대상지 공사중 혼잡기간 투입 공사선박으로 발생되는 해상교통혼잡도는 1.0%로


산출되었다.
새만금 신항 사업대상지 공사에 투입 예정인 공사 선박을 고려한 새만금 신항 사업대상지 전체
분석결과 해상교통량에 대한 해상교통혼잡도는 6.9%로 분석되어 공사선박 투입에 따른 사업대상지에서의
해상교통혼잡도 증가는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사선박으로 인한 해상교통혼잡도가 약 1%정도 증가하므로 공사안전관리방안에 대한
철저한 대처가 요구된다.

- 135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제5장 충돌위험도 분석
5.1 사업대상지 충돌위험도 분석
5.1.1 현재 충돌위험도 분석
이 보고서에서는 선박의 항적을 구하기 위하여 72시간 동안 대상해역에서 실측하여 이 자료를 바탕으로 선박과
사업대상지의 근접도 기준점과의 최단 이격거리를 구함. 단, 전장 50m이하 선박은 분석에서 제외함.
그 이유는 이러한 소형선은 조종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어 일반적으로 충돌위험 계산에 활용하지 않음.
분석결과 대상 해역에서의 충돌 위험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됨.

아래의 그림과 같이 운항 중 가장 위험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대상지 인근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 끝단을
기준점(A)으로 하였음. 입출항 선박의 항적을 분석하여 사업대상지 건설 후를 예상하고 근접거리를 구한 뒤
충돌확률을 구한 결과, 충돌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이미 검토된 교통량 예측을 통해 공사기간 동안 기존 항로는 혼잡도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통흐름도 대부분의 선박이 사업대상지와 어느 정도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통항하고 있어 침범 및 충돌확률은
낮은 것으로 분석됨.

입출항 선박의 항적 및 충돌 확률을 구하기 위한 기준점

근접거리
기준점 평가기준
평균 표준편차 충돌확률
방파제끝단(A) 0 0 0.0000 0.0001

사업대상지 인근 기존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 끝단(A)을 기준으로 근접도 계측을 수행한 결과 최소


근접거리는 120m로 나타났음. 현장조사 결과 현재 통항중인 선박은 대부분 전장 50m이하 선박들로
식별되어 사업대상지 끝단과 주변 항행 선박과의 충돌 확률은 없는 것으로 확인 됨.
분석결과 TNO의 보고(항만 내 또는 방파제 입구에서는 충돌확률이 0.0001보다 작을 때 안전하다고 평가)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충돌확률은 나타나지 않았음.
이때 이미 밝힌 바와 같이 조종성능이 우수한 소형선으로 판단되는 통상 50m이하 선박은 충돌위험
계산에 활용하지 않음. 즉, 대상 해역에 존재하는 충돌 위험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됨.

- 136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5.2 해상교통위험성 평가 방법에 의한 분석


5.2.1 항해위험평가시스템에 의한 결과

해상교통위험성평가시스템은 항해 정보를 수집한 후 해상교통 위험성 평가를 이용하여 항해 위험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이며, 이때 녹색은 [주의], 노란색은 [위험], 붉은색은 [매우 위험]으로 표현됨.

전장 100m – 선속 5kts (입항) 전장 100m – 선속 10kts (입항)

전장 200m – 선속 5kts (입항) 전장 200m – 선속 10kts (입항)

전장 100m – 선속 5kts (출항) 전장 100m – 선속 10kts (출항)

전장 200m – 선속 5kts (출항) 전장 200m – 선속 10kts (출항)

- 137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합성 그래프 (입항)

여기서 ID 1 (100m-5kts), ID 2 (100m-10kts), ID 3 (200m-5kts), ID 4 (200m-10kts)

합성 그래프 (출항)

여기서 ID 1 (100m-5kts), ID 2 (100m-10kts), ID 3 (200m-5kts), ID 4 (200m-10kts)

새만금 신항 입항 예정 선박을 최대 전장 200m정도로 가정한 후 대상선박을 200m로 하고 전장이


100m인 선박을 추가로 분석하였음.
단, 통항선 대부분인 50m이하의 선박은 조종성능이 우수한 소형선으로 위험성 평가에서 제외함.
입출항의 경우 일반적으로 저속으로 운항하기 때문에 5kts로 설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추가로
10kts에 대해서도 수행함.
입항의 경우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음.
분석결과 - 전장 200m의 선박이 10kts로 운항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위험상태는 낮은 것으로 분석됨.
출항의 경우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음.
- 전장 100m이하의 선박과 전장 200m이하의 선박이 5kts로 운항할 경우 위험상태는 낮은 것으로
분석됨.
결론적으로 항만에 입항 및 출항을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약 5kts 정도를 유지하면서 운항하기
때문에 최대급 선박인 전장 200m 이하의 선박이 새만금 신항을 통항하는 경우 운항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됨.

- 138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5.2.2 해안선 안전격자에 의한 결과


결론을 바탕으로 새만금 신항 실측 결과 최대급인 전장 200m선박이 5kts를 유지하면서 입출항할 경우 조종에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보이므로 그에 대한 결과를 해안선 안전격자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조종에 어려움이
없음을 알 수 있음.

전장 200m-5kts (입항)

전장 200m-5kts (출항)

- 139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5.2.3 항로 안전격자에 의한 결과

입항의 경우는 조종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출항에 대해서만 항로에 대해 격자형식으로 표현함.
결론을 바탕으로 새만금신항만 실측 결과 최대급인 전장 200m선박이 5kts를 유지하면서 출항할 경우 조종에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보이므로 그에 대한 결과를 항로 안전격자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방파제와 섬 부근에서
조종에 어려운 부분이 일부 있으나 전반적으로 조종에 어려움이 없음을 알 수 있음.

전장 200m-5kts (출항)

참고로 전장이 100m인 경우 항로 안전 격자를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전장 200m인 선박이 출항하는 경우보다
전반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좀 더 안전함을 알 수 있음.

전장 100m-5kts (출항)

- 140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아래 항로 안전 격자를 보면 특히, 전장 200m, 10kts로 출항하는 경우 항로가 아주 위험함을 알 수 있음.


전장 100m인 경우에도 항로 전반적으로 위험해지는 것을 알 수 있음.

전장 100m-10kts (출항)

전장 200m-10kts (출항)

- 141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제6장 안전 대책
6.1 현행통항선박에 대한 교통흐름조사 결과
첫 번째 주통항로 패턴은 사업대상지 새만금 신항을 오가게 될 선박들이 출입항을 위해 방파제 북단의 항로를
이용해 통항하는 통항로임.
두 번째 통항로 패턴은 고군산대교를 기점으로 비안도와 두리도 방면으로 통항하는 선박들의 통항로 새만금
신항 출입항 항로의 선회장과 방파제 사이 해역을 가로지르는 횡단항로로 작업선박 및 이후 출입항 선박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세 번째 통항로 패턴은 고군산대교를 기점으로 방파제북단의 새만금 신항 출입항 항로를 가로지르는 횡단 항로로
작업선박 및 이후 출입항 선박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방파제로 인한 음영구역 발생으로 방파제 반대편에서
출입항하는 선박이 가려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해당 영역에서의 통항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네 번째 간섭항로 패턴은 고군산대교를 기점으로 무녀도 남단 해역을 통항하는 해역으로 새만금 신항 출입항
항로 외각 북측 영역을 통항하는 패턴으로 출입항 항로 영역으로는 진입하지 않고 외각을 통항하는 통항 패턴이
보여지므로 큰 위험요소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출입항 항로와 이격거리를 두고 있어 큰 위험성은
보이지 않으나 사업대상지를 오가는 작업선과 마주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함
따라서 작업선들의 통항시 새만금 신항 입출항선박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한 후 안전대책을 마련하여 통항할
필요가 있음

사업대상지 인근 통항 선박의 통항 패턴 분석 및 주의 요망 구역

주요 통항로와 관련하여 적출장, 제작장 등을 오가는 작업선들이 주의해야 할 통항 포인트가 존재함


주의가 필요한 포인트는 총 1곳으로 방파제 동북향 영역에 위치하는 해역으로 주통항로 및 횡단
항로 등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해역이다.
분석결과 해당 주의 요망 해역은 사업대상지를 오가게 될 작업선 및 화물선들의 주통항로가 위치하는
해역으로 선회장 방면으로 들어서기 위해 주통항로 통항 선박들이 선회하는 지점이다.
여기에 신시교 방면에서 방파제 남서 방면 또는 비안도 및 두리도 사이 해역으로 통항하는 선박들이
주통항로를 횡단하는 횡단항로가 2개가 존재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해역이라 할 수 있다.

- 142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6.2 AR기반 해상교통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구축활용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상공사 대상지의 공사선박 및 대상지 해역을 통과하는 선박들간의
안전사고(충돌사고)등을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솔루션으로써 공사선박, 통항선박에 대한 위치정보기반
모니터링 솔루션이다.
해상교통량이 폭주하고 시간대, 항행환경 조건이 복잡하며, 해양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해역을 집중적으로
관제할 필요성이 있음
선박위치 추적 및 모니터링 기술, 통신기술 등의 발달에 따라 선박 식별 신뢰성과 관제기능이 증진되어 과거
정보제공서비스 위주의 수동적 관제에서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능동적 관제로의 변화가 필요함

일반 CCTV 시설은 위험요소를 감시하거나 안전사고 및 위험 요소에 대비한 모니터링 정도의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CCTV를 이용한 관제요원의 육안에 의한 24시간 감시 모니터링에는 한계와 허점 요인이 발생함
따라서 CCTV 영상내의 선박에 수신(AIS)정보를 매칭하여 보여 줌으로써 방파제 너머의 통항 선박에 대한
실물 관제가 가능하며, 또한 충돌 및 위험 사항 발생 시 CCTV가 대상 선박을 자동추적(Auto Targeting)은
물론 대상 선박에 위험정보를 알려 줄 수 있는 지능형 CCTV 시스템구축이 필요함. 새만금 신항을 출입하는
선박들이 기존 방파제를 끼고 새만금 신항 방면으로 입항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새만금 신항에서 출항하는 선박과
신시교 방면에서 비안도 및 두리도 방면으로 통항하는 선박과의 충돌 위험성이 높음
이렇게 새만금 신항을 입출항하는 선박이 신시교 방면에서 비안도 및 두리도 방면 또는 방파제 남서해역으로
통항하기 위해 출입항 항로를 횡단하는 선박을 방파제로 인해 상대선을 보지 못할 경우가 있음.
사업대상지를 기점으로 방파제 북동측 영역에서 각종 통항 선박들이 몰리는 경향이 있어 해당 영역 인근에서 작업하는
작업선들이 입출항하는 선박들과 마주치는 상황들이 자주 발생하므로 충돌사고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됨

해상 공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개요

해상 공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이란
해상 공사시에 공사에 투입되는 작업선박과
기존 항만을 이용하는 선박들이 같은 해역에서
통항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이때 기존 통항 선박들은 추가적으로 늘어난
교통량 및 혼잡한 해역상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작업선박들이 작업에 집중하다가 통항
선박을 인지하지 못해 사고가 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위험성을 낮추는 방안으로 기존 통항
선박과 작업선박을 위치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으로 통합 관리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위험상황에 대한 자동 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관리자에게 적절한 위험 방지 능력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시스템 구성
증강현실 기반 CCTV 영상 모니터링 모듈
- CCTV 영상 객체 검출(Object Detection) 및 수신(AIS)정보 매칭 시스템구축
선박 위치정보를 활용한 충돌 위험 감지 및 경고 모듈
- 선박 위치정보 기반 선박 충돌 위험 감지 알고리즘(CJ모델) 적용
위치기반 통항선박/작업선박 정보 모듈
- 전자해도 기반의 해상관제 운영 관리 시스템

- 143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해상 공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개요

해상 공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예상도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

- 144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1・2구간) 및 관리부두 축조공사

▪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
- 작업선 및 통항선박을 AIS 시스템 정보를 활용하여 전자해도상에 해당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이 주요하며
해당 선박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충돌감지 알고리즘을 활용한 선박 충돌위험감지 및 경보 모듈을 제공한다.
즉 통항선박과 작업선간 충돌위험성이 높은 경우 전자해도상에 해당 선박들 아이콘에 위험 아이콘이 표시되고
충돌 위험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표출해주게 되어 관리자는 사전에 해당선박과의 교신을 통해 위험상황을
인지시키거나 회피시킬수 있다. 또한 일반통항선박이 공사중 위험구역을 진입하게 되면 해당 위험구역에
설정되어 있는 필터라인 감지기능을 통해 해당 선박의 침입여부를 관리자에게 알람경보를 하게 된다.
- 주요기능 : 통항선박정보표시, 작업선박 상세정보 표시, 작업구역 도면 정보 표시, 해도정보(수심, 부이등)
표시, 충돌감지정보표시, 위험구역 침입감지 정보 표시
증강현실기반 CCTV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 해당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작업현장 감시 목적으로 설치되는 CCTV에 증강현실(AR) 기술이 부가된
시스템이다. 즉 해상 작업현장을 감시하는 CCTV 영상위에 선박정보, 공사구간정보, 해도정보 등이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시스템으로 해당 CCTV영상 화면 하나만으로 공사현장 상황을 빨리 인지할 수 있고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시스템의 충돌감지정보 및 위험구역진입정보등이 연계되어
CCTV 화면상에 해당 위치에 표시되어 나타난다.
- 주요기능 : CCTV상에 통항선박정보 표시(해상선박위치에 실시간 오버랩), CCTV 화면위에 공사도면상
작업구역 라인 표시, CCTV 화면위에 항로, 위험구역, 부이정보 표시, 충돌감지정보 표시, 위험구역 침입감지
정보 표시

해상 공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념도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 해상공사안전모니터링 시스템

- 145 -
제 2 편 해상교통조사 및 해상교통 혼잡도분석

6.3 해상공사시 안전대책


안전관리계획
기본방향 : 건설공사 현장의 안전에 대한 관리와 대책을 보다 완벽을 기하기 위해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운용하고, 공정별 안전관리 조직 운영 및 교육 시행, 안전관리 사전조치사항 점검 및 대책 강구, 부실공사 방지를
위한 정기 및 정밀안전점검 실시함

공사중 협조체계 구축
해상 공사의 경우 일반 육상 건설 또는 도로 공사와는 달리 특정 선박에 대한 일방적인 규제 또는 통행금지와
같은 극단적인 조치를 이행할 수 없는 특수한 환경임
따라서 공사를 담당하는 시행사와 시행처가 통항하는 모든 선박과 작업 선박에 대한 안전 통항 대책을 적극적으로
수립 이행 할 의무가 있으며, 해상이용자는 자체적인 통항 안전 방안을 수립하여 준수하여야 하며, 해상
교통질서를 담당하는 해양수산부 및 해양경찰청은 안전과 관련된 제반 상황을 점검 및 관리할 책임이 있음

안전교육 실시
VTS 센터, 선원해사안전과에서 공사관계자 등에 대한 안전교육을 분기별 1회 정도 실시할 필요가 있음
월 1회 자체안전교육 실시하고 결과보고서 제출

안전관리 체계 수립
안전관리 감독자를 선임하여 안전관리 세부대책을 사전에 수립

공사 홍보물 제작
육상 도로 공사와 달리 해상의 경우 이용 대상자가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선박 이외에 대다수의 선박들은 본
공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임
또한, 직접적으로 공사에 대한 사항을 알지 못하는 이용자를 위해 간접적인 홍보 방법인 공사 전반에 대한 설명 및
통항상의 주의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홍보물을 제작하여 작업선 회사, 어촌계 및 기타 안전 관리 부서에 전달
홍보물 및 작업 안내서에는 공사 전반에 대한 공사 개요, 공사 시기, 공사 방법, 주요 통항로 및 통항 방법,
통항상의 주의사항들을 상세하게 기록할 필요가 있고, 특히 소형 어선들이 공사 작업 구간을 임의로 침범으로
인해 통항 위험 등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홍보

방제자재 및 약제 비치
「해양환경관리법 제26조 및 제66조」에 의하면 선박의 소유자는 선박 안에서 발생되는 기름 및 선박의 충돌・좌초
또는 그 밖의 해양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오염물질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름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하거나,
오염물질방제 자재 및 약제를 비치・보관토록 규정하고 있어, 공사시 공사 장비 및 공사선박의 불의의 사고로
인한 유류유출시 조속한 방제를 위하여 유류오염방제 자재 및 약제를 구비 할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 함

해양오염 방제 조치 흐름도
오염발생 상황파악 초동조치 방제조치 지원조치
신고 보고전파 응급처치 대책본부 대책협의회
침몰 비상소집
방제명령 인력지원
좌초 긴급출동 확산방지
응급봉쇄 장비지원
충돌 오염상태 유출유회수
긴급수리 회수유처리
파손 해상상태 유출유제거
기름이적 폐기물처리
기타 현황파악

- 14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