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한국환경기술학회지(논문), 제11권 제4호, pp. 207~215(2010)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11(4), 207~215(2010)

Envi-met에 의한 바람길 해석 및 건물배치 계획


유병로†·고은아

한밭대학교 환경공학과

Wind Simulation and Optimal Building Allocation


using Envi-met 3-D Model

Byong-Ro Ryu ·Eun-Ah Ko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bstract

Recent development projects, unfortunately, only focuses on maximizing efficiency and


coefficient of utilization of sites impede the wind flow due to indiscreet development
without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wind passage. Not only that but it also results in
inability for thermal energy absorbed through pavement materials such as concrete to
quickly diffuse.
Today's development projects that only maximize efficiency rate and coefficient of
utilization of sites impede the wind flow due to indiscreet developments without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wind passage and also remain within a housing complex
unable to quickly diffuse thermal energy absorbed through pavement materials such as
concrete used in developments of a housing complex.
Besides, due to obstruction of the wind passage, atmospheric pollutants come to
stagnate, as this causes to hamper comforts of residence and is closely related with
health of residents, when developing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it should be
developed with considering microclimate environmen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features of thermal energy by types of layout of an apartment housing and by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by simulation using Envi-met, a program for microclimate,
with relocation of a housing complex considering the wind passage in a plate-type block,
which is the current apartment layout by selecting Kangbyun apartment located in
Mannyundong, Seogu, Daejeon city as a subject of the study. Apartment used as example
is known to impede a wind flow with its high-floor apartment blocking winds generated
from nearby river among urban areas populated with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The
validity of Envi-met was inquired into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value of
measurement of actual temperature and the value of temperature obtained by simulation
using Envi-met. The changes in temperature and in the wind flow by types of layout of
an apartment housing were looked into on the basis of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nd optimal layout of an apartment housing was suggested for reduction of thermal
environment. Considering topography of areas of subjects of actual study,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calculated value of numerically simulated Envi-met and the
actually measured values, it could be judged that the value of result of simulation with

- 207 -
유병로 · 고은아

0.71% of relative error could be reliable data. The plate-type block(A), the current
layout of apartments that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shows that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is populated and a complex with high floors is obstructing the wind from nearby
river, causing impeding the wind flow within the complex. In addition, since tower-type
block(B) that was relocated considering the passage of wind showed the smoother
distribution of the flow of wind by blocks than (A), it showed that the temperature of
inside and outside of the site as a subject of this study was lowered average 0.44K,
0.18K respectively. In other words, in change of forms of buildings, it showed that the
effect of reduction of temperature was higher in tower-type block layout than in
plate-type block layout with the improvement of air flow, which reduces the amount of
power necessary for cooling. Thus, it's not only efficient in economical expenses but also
can obtain the effect of reduction of greenhouse gas with the reduction of emissions of
CO2.3)
Key words : Envi-met model, Wind simulation, Diffusion, Greenhouse ga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요지

부지의 효율성과 이용율 극대화에 치중하는 오늘날의 개발사업은 바람길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는 바람의 유동을 저해하고, 단지개발에 사용되어진 콘크리트 등과 같은 포장재료를 통해 흡
수한 열에너지를 신속히 확산시키지 못하고 단지내에 그대로 머무르게 한다. 이러한 현상은 아파트
단지 내 기류의 온도를 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되어 에어컨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이는 많은 전력사
용을 의미하는 바, 결국 온실가스 사용량 또한 증가 시키는 원인이 될 것이다. 또한 바람길이 막혀
있어 대기오염 물질 또한 정체시키게 되어 주거지 쾌적성을 저해하고 이는 주민 건강에 밀접한 연
관성이 있으므로, 공동주택단지 개발시 미기후환경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바람길을 고려한 공동주택 단지를 재배치시켜 Envi-met을 이용해 미기상 모의실험을 통해
바람대기의 온도변화와 바람의 흐름변화를 살펴보고 최적의 공동주택 단지배치의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단지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 중 인근 하천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높은
층의 아파트가 막고 있어 바람의 유동을 저해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대전광역시 서구 만년동에 위치
한 강변아파트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고, 현재 아파트 배치 형태인 판상형 형태에서 바람길을 고
려하여 단지를 재배치하여, 미기상 프로그램인 Envi-met을 이용하여 모의실험하여 공동주택의 배
치유형별 공동주택 단지별 열환경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실제 기온 측정값과 Envi-met을 이용
한 모의실험에 의해 얻어진 기온 값과의 비교를 통해 Envi-met 모델의 타당성을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근거로 공동주택 배치유형별 온도변화 및 바람의 흐름변화를 살펴보
고, 열환경 저감을 위한 최적의 공동주택 단지배치를 제안하였다. 실제 연구 대상영역의 지형을
고려해 수치 모의한 Envi-met 모델의 계산 값과 실제 측정한 값과의 비교한 결과 상대오차 범위
가 0.71% 이내로 모의실험 결과 값이 신뢰성이 있는 자료일 것이라는 판단을 할 수 있다.
현 연구대상지 아파트 배치형태인 판상형(A)는 아파트 단지가 밀집되어 있고 높은 층의 단지가
인근 하천에서 발생하는 바람통로를 차단하고 있어 단지내 바람의 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볼 수 있
으며, 바람길을 고려하여 단지를 재배치한 탑상형(B)는 (A)보다 아파트 단지별 바람의 유동이 원
활하게 분포하고 있어 연구대상지 내․외부적으로 평균 0.44K, 0.18K 온도가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

†Corresponding author

Tel : 042-821-1259 Fax : 042-824-8921 E-Mail : ryub@hanbat.ac.kr

- 208 -
Envi-met에 의한 바람길 해석 및 건물배치 계획

타났다. 즉 건물의 형태변경에 있어서는 판상형의 건물 배치보다 탑상형의 건물 배치가 공기의 흐


름을 개선되어 온도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냉방에 필요한 에너지 전력량을 저감시
켜 경제적 비용에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CO2 발생량 또한 줄어 온실가스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핵심 용어 : Envi-met 모형, 바람장 모의, 확산, 온실가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서 론
부지의 효율성과 이용율을 극대화시키기만 하
는 오늘날의 개발사업은 바람길을 충분히 고려
하지 않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바람의 유동
을 저해하고, 또한 단지개발에 사용되어진 콘크
리트 등과 같은 포장재료를 통해 흡수한 열에너
지를 신속히 확산시키지 못하고 단지내에 그대
로 머무르게 한다1). 이러한 현상은 아파트 단지
내 기류의 온도를 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되어 Fig. 1. Airscape of the study area.

에어컨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이는 많은 전력사 세밀한 미기후 변화를 모의 분석할 수 있는 특


용을 의미하는 바, 결국 온실가스 사용량을 증 성을 가지고 있어 도시지역 고층건물에 의한 주
2)~4)
가 시키는 원인이 될 것이다 . 또한 바람길이 변 주거지역에의 미기후 변화를 모사할 수 있는
15),16)
막혀있어 대기오염 물질이 정체 되어 주거지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 또한, 도시지역내에서
쾌적성을 저해하므로 공동주택단지 개발시 미기 수 ㎞이내의 미세국지 기후변화를 예측하는 모
후환경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5)~7). 델로 지형, 건물, 식생 등을 고려한 비압축, 비
본 연구는 바람길을 고려한 공동주택 단지를 발산 가정하에서 Navier-Stokes 유체방정식을
재배치시켜 Envi-met를 이용해 미기상 모의실 기본으로 3차원 바람장 계산을 수행하며 가스
험을 통해 바람대기의 온도변화와 바람의 흐름 상, 입자상 오염물질의 확산과 침적량을 동시에
25),26)
변화를 살펴보고 최적의 공동주택 단지배치 방 계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2.2 적용지역의 특성

Ⅱ. 모형 및 적용지역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대상지는 대전광역시


서구 만년동에 위치한 강변 아파트로서, 연구대
2.1 Envi-met 모델
상지 대기의 온도변화와 바람의 흐름변화 등 미
본 연구에 사용된 Envi-met 모델은 독일 기후 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연구대상지
Bochum 대학의 Michael Bruse(1998)에 의해 및 주변의 지형정보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
개발되었고11)~13), 2004년 Update 된 모델이다. 1)
를 조사하였다 . 연구대상지와 인접해 있는 국
Envi-met 모델의 장점은 도시지역에 있어서의 가하천인 갑천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높은 층의
지면, 건물, 식생 그리고 대기의 상호작용에 관 공동주택 단지가 바람의 유동을 가로 막고 있
한 미세규모 모델로서 뚜렷한 미세규모 기상의 다. Fig. 1은 연구대상 아파트의 위성사진으로서
패턴을 만들어낸다는 점과 딱딱한 건물의 벽면 전체 아파트 단지는 12개동과 관리동으로 구성
체 뿐만 아니라 숲과 같은 부드러운 모형도 모 되어 있으며, 아파트 남․북간 동 사이는 40m
13),14)
사할 수 있다는 점이다 . Envi-met 모델의 ~46m이고 동․서간 동 사이 거리는 9~30m이고
구성은 대기모델, 식생모델, 토양모델 그리고 아파트 높이는 15층으로 42m이며, 모델영역은
지면과 건축물에 관한 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파트 주위에 위치한 도로를 포함하여 가로
Envi-met모델은 격자 1m × 1m정도의 매우 670m, 세로 387m로 선정하였다.
- 209 -
유병로 · 고은아

Table 1. Input conditions of wind speed, direction


and temperature

Case 1(8. 16.) Case 2(8. 24.)


Simulation
3hr 3hr
Time
Start Time 14:00 14:00

Wind Speed 1.8㎧ 3.1㎧


Direction of
327.3(NNW) 324.0(NW)
the wind
Fig. 3. Position of meteorological measurement
The initial Air sites.
303.7K(30.7℃) 303.4K(30.4℃)
Temperature
Relative 3.2 모의영역 설정
54.8% 36.8%
Humidity
모의영역 설정을 위한 입력자료는 미기상 영
향을 모사하기 위해 주변지역을 포함한 670m
× 387m 분석영역에, 격자 규모 4m 단위로 설
정하여 167cell × 97cell로 구성하였으며, 각
각 격자의 크기는 horizontal gridsize 4.0m 및
vertical gridsize 4.0m, number of nesting
grids는 3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지역의 건물에
관한 입력 자료는 Table. 1과 같이 입력하였으
며, 대상지 및 주변지역의 피복 상태를 조사한
A (The plate-type block) 후 토양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였다. Fig. 2는
모의실험의 input data로서, (A)는 현 아파트
단지의 배치된 모습이고, (B)은 아파트 단지 내
의 바람길 확보를 위해 건물을 재배치하고, 주
변지역의 피복 상태와 토양에 대한 정보는 (A)
와 동일한 정보를 입력하였다.

3.3 기상자료
사업지구의 기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
B (tower-type block)
전기상관측소에서 관측한 최근 10년간(1999
Fig. 2. Input data about buildings.
~2008년)의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II. 모형의 적용 (Table 2).

3.1 모의시기 3.4 모형의 적용성 검토


모의 대상일은 쾌청한 날인 8월 16일과 8월 Envi-met 모델의 계산 값과 실제 측정한 값
24일을 선정하여, 연구대상지와 직선 이격거리 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모델 계산결과에 대한
가 약 450m정도(북서측) 떨어져 있는 대전기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Fig. 3에 나타
상관측소에 설치되어 있는 AWS(자동기상관측 낸 것과 같이 모의실험 대상지와 그 외 주변지
장비)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기온이 가장 높은 역의 10개의 측점지점을 선정하여, 쾌청한 날인
시간대인 14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3시간동 2009년 8월 16일 각 지점별로 한명씩, 하루
안 모의실험을 하였다1). 모델 초기 입력자료는 중 온도가 가장 높은 오후 2시에 동일한 조건
Table 1과 같으며, 기상자료별 case 1과 case 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Envi-met 모델 모의실
2로 구분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험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 210 -
Envi-met에 의한 바람길 해석 및 건물배치 계획

Table 2. Daejeon meteorological observatory atmospheric general situation


Division Temp. (℃) Precipitation Wind Speed Humidity Sunshine
Year Average Max Min (mm) (m/s) (%) (hr) (%)
1999 13.0 29.9 -5.2 1,455.2 1.6 70.0 186.9 51.0
2000 12.4 30.8 -6.0 1,707.5 2.7 67.0 177.9 48.6
2001 13.1 31.0 -6.6 828.7 2.1 65.2 186.1 50.8
2002 13.3 29.6 -2.7 1,378.7 2.2 66.6 171.5 47.1
2003 13.2 27.9 -6.2 1,748.9 2.1 69.0 153.2 42.2
2004 13.9 30.0 -4.8 1,496.5 1.7 63.4 183.2 50.3
2005 12.4 29.1 -7.6 1,656.1 2.0 63.3 178.7 49.3
2006 13.1 31.5 -3.9 1,195.2 1.8 66.9 165.9 45.6
2007 13.3 30.1 -3.9 1,750.9 1.8 67.5 159.6 43.9
2008 13.0 30.0 -5.9 1,037.6 1.8 63.4 176.5 48.3
평균 13.1 30.0 -5.3 1,425.5 2.0 66.2 174.0 47.7

Table. 3. Input conditions of wind speed, direction 기온 값과 AWS(자동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하


and temperature
여 모의실험한 결과값과 비교를 한 것이다. 표
Division Wind Speed Wind Dir. Temp. (℃)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측값과 모의실험 결과값
AWS 1.0㎧ 340.3(NNW) 25.9℃ 의 상대오차 범위가 0.71% 이내로 잘 일치하
Table 4. Comparision of the observed tempera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결과를 통해서
-ture and simulation calculated tempera 연구대상지를 포함한 주변지역의 온도 예측에
-ture
있어 AWS(기상관측자료)의 기상정보를 이용하
Actural
measurment 여 본 연구에서 모의실험 결과값이 신뢰성이 있
Envi- Relative
Absolute An 1)
Station met -error 는 자료일 것이라는 판단을 할 수 있다 .
Centigrade tempera -error
(K) (%)
(℃) -ture
(K)
T 1 26.7 299.70 299.19 0.51 0.17
IV. 연구 결과
T 2 27.2 300.20 298.98 1.22 0.41 4.1. 빌딩배치 유형에 따른 변화
T 3 26.4 299.40 298.26 1.14 0.38
Table 1에 나타난 기상자료 조건을 바탕으로
T 4 26.5 299.50 298.53 0.97 0.32
구분한 case1과 case2의 공동주택 단지 배치
T 5 25.9 298.90 298.2 0.70 0.23
형태별 풍속 및 온도변화의 수평변화를 비교․분
T 6 25.8 298.80 298.19 0.61 0.20
T 7 28.0 301.00 298.85 2.15 0.71
석하고자 Fig. 3의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연구대
T 8 26.0 299.00 298.84 0.16 0.05 상 아파트단지의 내부(A1~A5)․외부(B1~B3)
T 9 25.6 298.60 298.61 -0.01 0.003 의 8곳의 측정지점을 비교분석하였다. 아파트
T 10 25.2 298.20 298.68 -0.48 0.16 건물의 배치형태에 따른 바람길 및 풍속을 살펴
본 결과를 A(현 아파트 단지의 배치, 판상형)
본 연구에서는 모델 입력조건은 Table 3에
와 B(탑상형)으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나타난 것과 같으며, 모의실험 적용온도는 연구
대상지와 직선 이격거리로 약 450m 정도 떨어
4.2. 풍속의 변화 비교
진 곳에 설치되어 있는 AWS(자동기상관측장
비)의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측정일과 동일한 조 4.2.1 case 1 풍속변화

건의 자료 기온 값인 25.9℃과 풍속은 1.0㎧일 Table 5는 case 1의 기상자료를 입력 자료


때 풍향은 북북서풍(NNW)에 대한 모의실험 로 이용하여 공동단지 내․외부의 지점별 풍속과
수행하여 온도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풍향에 대한 모의결과 값을 나타내고 있다. 공
Table 4는 2009년 8월 16일 지점별 실측한 동주택 단지의 배치유형에 따라 풍속의 변화가
- 211 -
유병로 · 고은아

Table 5. Difference of wind-speed A and B (case 1)


In-side Out-side
Station
A1 A2 A3 A4 A5 B1 B2 B3
A 0.65 0.73 0.48 1.33 1.75 1.18 1.02 0.93
Wind-speed B 0.96 1.96 0.78 2.54 1.66 1.12 1.06 1.08
(m/s) Variation 0.31 1.23 0.30 1.21 -0.09 -0.06 0.04 0.15
Average 0.59 0.04
A 153.92 158.96 259.7 283.85 328.53 343.24 283.13 317.36
Wind-Direction
B 84.01 282.60 302.83 301.23 302.86 306.90 317.40 304.56

Table 6. Difference of wind-speed A and B (case 2)


In-side Out-side
Station
A1 A2 A3 A4 A5 B1 B2 B3
A 1.12 0.67 0.65 1.99 3.25 2.01 1.51 1.55
Wind-speed B 1.47 2.55 1.25 3.74 2.88 1.76 1.64 1.86
(m/s) Variation 0.35 1.88 0.60 1.75 -0.37 -0.25 0.13 0.31
Average 0.84 0.06
A 181.63 173.53 262.2 270.12 319.36 341.74 277.20 303.07
Wind-Direction
B 93.39 286.53 304.99 301.64 305.88 328.88 310.81 285.58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링 결과, 현 아 형태에서 건물사이의 일정한 이격 거리가 생기


파트 단지의 배치 (A)는 북측에 있는 갑천 구 게 됨에 따라 부지 내에서 바람의 순환이 이루
간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고 있는 형태로 배치 어져, 공기가 정체되는 구역을 줄어 바람의 유
하고 있어 사업부지내 바람의 풍속이 낮은 것을 동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볼 수 있다. 반대로 바람길을 고려하여 아파트
를 재배치한 (B)에서 건물사이의 일정한 이격 4.3 온도의 변화 비교
거리가 생기게 됨에 따라 부지 내에서 바람의 Table 1의 기상자료 조건을 바탕으로 Envi-
순환이 이루어져, 원활한 진행을 보이고 있다. met 모델을 활용하여 아파트 건물의 배치형태
Table 5를 살펴보면 바람길을 고려한 (B)형태 에 따른 기온 분포를 모의실험 한 결과를 (A :
가 그러지 않은 (A)보다 연구대상지 내․외부적 현 아파트 단지의 배치)와 (B : 바람길을 고려
으로 평균 0.59m/s, 0.04m/s가 더 빠른 것으 한 배치)를 비교하여 case1과 case2의 온도
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지 외부 지점 B1에서는 수평변화를 모의하였다.
풍속값이 (B)형태보다 (A)가 더 높게 나왔으
나, 그 이유는 (A)형태에서의 건물과 건물의 4.3.1 case 1 온도변화
사이의 골바람이 크게 형성됨에 따른 것으로 판 Table 7은 case 1의 초기 입력자료를 이용
단된다. 하여 지점별 수평적인 온도변화분포를 살펴본
모의결과 값을 나타내고 있다. 공동주택 단지의
4.2.2 case 2 풍속변화 배치유형에 따라 온도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Table 6은 case 2의 초기 입력자료를 이용 나타났다. 현 아파트 단지의 배치 형태의 판상
하여 지점별 풍속과 풍향에 관한 모의결과 값을 형 구조의 높은 층의 건축물에 의해 바람의 흐
나타내고 있다. case 1과 비슷한 패턴을 보이 름이 막혀 바람이 불어 들어오는 방향의 반대측
고 있으며, 바람길을 고려한 (B)형태가 그러지 면 즉 연구대상의 아파트 내부의 온도가 높은
않은 (A)보다 연구대상지 내·외부적으로 평균 것으로 나타났다. 왼쪽의 학교 운동장은 모래재
0.84m/s, 0.06m/s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질로 인하여 온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
이는 바람길을 고려하여 아파트를 재배치한 (B) 며, 도로 등의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토지는 다른
- 212 -
Envi-met에 의한 바람길 해석 및 건물배치 계획

Table 7. Difference of temperature A and B (case 1)


In-side Out-side
Station
A1 A2 A3 A4 A5 B1 B2 B3
A 303.47 303.46 303.42 303.76 303.21 303.39 303.02 303.35
Temperature B 303.00 302.88 302.98 303.12 303.28 303.26 303.01 303.11
(K) Variation -0.47 -0.58 -0.44 -0.64 0.07 -0.13 -0.01 -0.24
Average -0.42 -0.13
Table 8. Difference of temperature A and B (case 2)
In-side Out-side
Station
A1 A2 A3 A4 A5 B1 B2 B3
A 301.80 301.73 301.72 301.88 301.49 301.48 301.13 301.85
Temperature B 301.22 301.08 301.20 301.25 301.58 301.09 301.07 301.64
(K) Variation -0.58 -0.65 -0.52 -0.63 0.09 -0.39 -0.06 -0.21
Average -0.46 -0.22

토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Table 7에서 바람 트 단지의 내부 기온은 약 0.44K, 외부 기온


길을 고려한 (B)형태가 그러지 않은 (A)보다 약 0.18K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연구대상지 내․외부적으로 평균 0.42K, 0.13K 판단된다. 즉 건물의 형태변경에 있어서는 판상
온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건물의 배치 변화로 형의 건물 배치보다 탑상형의 건물 배치가 공기
판상형보다 탑상형의 배치형태 공기의 흐름을 의 흐름을 개선되어 온도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개선하여 온도 저감에 효과적일 것이다. 나타났으며, 이는 냉방에 필요한 에너지 전력량
을 저감시켜 경제적 비용에 효율적일 뿐만 아니
4.3.2 case 2 공동주택 배치유형별 온도변화 라 CO2 발생량 또한 줄어 온실가스저감 효과를
Table 8은 case 2의 초기 입력자료를 이용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여 지점별 수평적인 온도변화분포를 살펴본
모의결과 값을 나타내고 있다. 공동주택 단지의 Ⅴ. 결 론
배치유형에 따라 온도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서구 만년동에 위
나타났다. (A)와 (B)의 기온을 살펴보면, (A) 치한 강변아파트를 대상으로, 단지 배치별 바람
는 바람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열기가 단지 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건물의 배
내에 정체되어 열확산의 속도 저하로 바람의 유 치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 내의 바람 특성을 정
동이 원활한 (B)보다 온도가 더 높게 나타나고 확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기상
있다. 왼쪽의 학교 운동장은 모래재질로 인하여 수치모형인 Envi-met을 이용하여 배치유형별
온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도로 등 로 공동주택 단지 내에서 형성되는 바람장과 온
의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토지는 다른 토지에 비 도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
해 높게 나타났다. Table 8애서 바람길을 고려 면 다음과 같다.
한 (B)형태가 그러지 않은 (A)보다 연구대상지 1) 실제 연구 대상영역의 지형을 고려해 수
내․외부적으로 평균 0.46K, 0.22K 온도가 떨어 치 모의한 Envi-met 모델의 계산 값과 실제
지고 있으며, 건물의 배치 변화로 판상형보다 측정한 값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모델 계산결과
탑상형의 배치형태 공기의 흐름을 개선하여 온 에 대한 타당성을 살펴본 결과 본 연구에서 사
도 저감에 효과적일 것이다. 용한 모의실험 결과 값이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건축물 배치상태인 판상 평가되었다.
형과 바람길을 고려하여 재배치한 탑상형을 미 2) Envi-met 모델을 활용하여 아파트 건물
기상 모델인 Envi-met을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의 배치형태에 따른 바람길을 살펴본 결과 (A)
한 결과 탑상형이 원활한 기류의 유입으로 아파 는 현 연구대상지 아파트 배치형태인 판상형으
- 213 -
유병로 · 고은아

로 아파트 단지가 밀집되어 있고 높은 층의 아 (2002).


파트가 인근 하천에서 발생하는 바람통로를 차 5. 변용섭, 아파트 단지 대기 오염물질 확산규
단하고 있어 단지내 바람의 유동이 없는 것을 명을 위한 열․유체 유동해석 석사학위논문,
볼 수 있으며, (B)는 바람길을 고려하여 단지를 (1999).
재배치한 탑상형으로, (A)형태 보다 아파트 단 6. 윤정숙, 인간 중심의 주거 환경 구축을 위하
지별 바람의 유동이 원활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 여 믿음사, 324,(2000).
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전영남, 엄태인, 조선희, 빌딩주위의 자동차
3) Case별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모의실험한 배기가스 분산에 대한 수치해석 대한환경공
결과 현 아파트 단지의 배치 (A, 판상형)는 북 학회지, 19(5), 606~610 (1979).
서측에 있는 갑천 구간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연 8. 정응호 등, 친환경적 도시건설을 위한 바람
구대상지 건축물이 막고 있는 단지내에 바람의 길 도입 기초연구, 대구경북연구원 (2005).
유동이 정체되어 풍속이 낮게 분포 하는 것을 9. 정응호, 친환경적 도시계획을 위한 바람길
볼 수 있다. 반대로 바람길을 고려하여 아파트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친환경적 도시건설을
를 재배치한 (B,탑상형)에서 건물사이의 일정한 위한 바람길 도입을 위한 한․독 국제심포지
이격 거리가 생기게 됨에 따라 내·외부적으로 움, 대구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2005).
평균 0.71m/s, 0.05m/s가 더 빠른 것으로 나 10. J. Liu, E-ε modelling turbulent air
타났다. flow downwind of model forest edge,
4) 온도변화를 살펴보면 바람길을 고려한 공 Boundary Layer metorology 7721~44.
동주택 단지의 배치유형별 모의실험 한 결과 공 (1196).
동주택단지의 주거동 배치에 있어서 판상형 배 11. T. Yamada, A numerical model study
치유형보다 탑상형의 배치 유형이 대기온도 저 of turbulent airflow in and avove a forest
감의 효과를 가져왔다. 연구대상지 내·외부적 canopy. Journal of th Meleorology Society
으로 평균 0.44K, 0.18K 온도가 떨어지고 있 Japan 60, 439~54(1982).
으며, 건물의 배치 변화로 판상형보다 탑상형의 12. G.L. Mellor, T. Yamada, A simulation
배치형태 공기의 흐름을 개선하여 온도 저감시 of Wangara atmospheric boundary layer
킬 수 있을 것이다. 즉 건물의 형태변경에 있어 data,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
서는 판상형의 건물 배치보다 탑상형의 건물 배 32, 2309~29(1975).
치가 공기의 흐름을 개선되어 온도저감효과가 13. B.E. Launder, D.B. Spalding, The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냉방에 필요한 에 numerical computation of turbulent flows,
너지 전력량을 저감시켜 경제적 비용에 효율적
Comparative Methods in Applied Mechanical
일 뿐만 아니라 CO2 발생량 또한 줄어 온실가
Engineering 3, 269~289(1974).
스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4. J. Liu, E-c modelling of turbulent air
flow downwind of a model forest edge,
참고문헌 Boundary Layer Meteorology 77, 21~
1. 고은아, Envi-met에 의한 바람길 해석 및 44(1996).
건물배치 연구, 한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J.D. Wilson, A second order closure
(2010). model for flow through vegetation.
2. 김대환, CO2 저감을 위한 대기환경영향평가 Boundary Layer Meteorology 42, 371~
기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2007). 392(1988).
3. 김수봉, 대구지역 바람길조성을 위한 도시생 16. R. Taesler, C. Anderson, A method for
태환경네트워크시스템구축에 관한 연구,대구 solar radiation computings using routine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2003). meteorological observation, Energy and
4. 대한상공회의소, 기후변화협약 제대로 보기 Buildings 7, 341~352(1984).
- 214 -
Envi-met에 의한 바람길 해석 및 건물배치 계획

17. G. Gross, Anwendungsmo glichkeiten 22. R.A. Piekje, Mesoscale meteorological


mesoskahger Simulations modelle dargestelt modelling ,Orlando: Academic Press(1984).
am Beispiel Damstadt, Meteorologie 23. J.W. Deardoff, Effcient prediction of
Rundschau 43, 97~112(1991). ground surface temperature and moisture
18. M. Tjernstro'm, Some tests with a with inclusion of a layer of vegetation,
surface energy balance scheme including Journal of Geophysics Research 83, 1889
a bulk parameterization for vegetation ~1903(1978).
in a mesoscale model, Boundary Layer 24. T. Asaeda, V.T. Ca, The subsurface
Meteorology 48, 33~68(1989). transport of heat and moisture and 1ts
19. RB. Clapp, G. Homberger, Empirical effect on the environment: a numerical
equations for some soil hydraulic mode, Boundary Layer Meteorology 65,
properies, Water Resource Research 14, 159~179(1993).
601~604(1978). 25. W.-G. Panhans, R. Schrodin, A on-
20. H. Barden, Simulatinsmodell fur den dimensional circulation and climate model
Wasser. Energie und Stoffhaushalt in and 1ts application to the lower at-
Pflanzenbesta¨nden. Report(Inst. Met. mosphere, Contributions in Atmospheric
Univ. Hanover,23)(1982). Physics 53, 264~294(1980).
21. J.W. Deardorff, Efficient prediction of 26. J.W. Deardoff, Efficient predication of
groun surface temperature and moisture ground surface temperature and moisture
with inclusion of a layer of vegetatin. with inclusion of a layer of vegetation,
Journal of Geophysics Reserach 83, Journal of Geophysics Research 83, 1889
1889~1903(1978). ~1903(1978).

- 21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