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23

춘천시 삼천동 공동주택 신축공사

(강원도 춘천시 삼천동 22-19번지 일원)

흙 막 이 구 조 설 계
보 고 서

2023. 02.

(주)대성이엔씨코리아
DaeSung Engineering & Consultant
提 出 文

貴中

귀 사에서 의뢰하신 강원도 춘천시 삼천동 22-19번지 일원에 위치한 “춘천시 삼천동

공동주택 신축공사”에 따른 흙막이 설계에 대한 용역을 과업지시에 의거, 완료하고


그 성과를 본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22 年 10 月

(주)대성이엔씨코리아 DaeSung Engineering & Consultant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8길59 대양빌딩304호

대 표 이 사 설 동 철

토질및기초기술사 유 동 우

TEL:02-575-3298 FAX:02-575-3297
목 차

Ⅰ. 흙막이 설계 설명서

1. 굴 착 공 사 개 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1.1 공 사 개 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1.2 토 공 계 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3 배 수 계 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4 지하 매설물 보호에 대한 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5 현 장 계 측 관 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 설 계 조 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1 토 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2 지하수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3 벽체배면의 상재하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3. 공법비교 및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3.1 흙막이 공법 선정시 고려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3.2 토류공법의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3.3 굴착 공법과 흙막이공의 적용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3.4 공 법 선 정 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3.5 공법 선정에 따른 시공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4. 굴착공사에 따른 주변시설물의 영향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4.1 일 반 사 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4.2 지반굴착에 따른 주변지반 예상 침하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4.3 진동 관리 지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4.4 소음관리 지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4.5 분진 관리 지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4.6 지하수 유출에 대한 대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4.7 인접구조물에 대한 보강 대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4.8 지하 매설물에 대한 보강 대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4.9 공사시 유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4.10 피해예방 및 안전대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4.11 굴착으로 인한 주변지반의 영향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5. 계 측 계 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5.1 계측관리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5.2 계측기기의 선택 및 위치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5.3 계측관리 항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5.4 계측관리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5.5 계측자료의 수집 및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Ⅱ. 구 조 계 산 서

1. 토류구조물 설계 일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1.1 설계 적용기준 및 제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1.2 굴착 지반의 토질 공학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1.3 토질정수의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1.4 설계 적용 토질정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2. 구 조 계 산 일 반 사 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2.1 해석 PROGRAM 설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2.2 각 구간별 발생 응력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Ⅲ. 시 방 서

1. 일 반 시 방 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1.1 적용범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1.2 일반규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1.3 예정공정표 및 예정수량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1.4 안전관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1.5 교통과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1.6 현장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1.7 지도 보고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1.8 일보 및 월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1.9 재료의 반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1.10 가공선 및 매설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1.11 공사기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1.12 시험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1.13 관계공사와의 협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1.14 비용부담에 관한 세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1.15 설계 감리와의 협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1.16 안전진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2. 특 별 시 방 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2.1 매설물 보호 및 복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2.2 굴 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2.3 연도대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2.4 각종 강재 설치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2.5 되메우기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2.6 설계 변경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2.7 감 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2.8 기 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3. 제거식 ANCHOR 공사 시방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4. 현장계측관리 시방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8

5. 피해예방 및 안전대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6. 기 타 사 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Ⅳ. 첨 부

1) SECTION "A-A"(H=2.90m) 구간 사면안정 검토


2) SECTION "B-B"(H=14.60m) 구간 부재 검토
3) SECTION "C-C"(H=14.60m) 구간 부재 검토
4) SECTION "D-D"(H=14.60m) 구간 부재 검토
Ⅰ. 흙막이 설계 설명서
1. 굴 착 공 사 개 요

1.1 공 사 개 요

(1) 설 계 명 : 춘천시 삼천동 22-19 공동주택 신축공사

(2) 위 치 : 강원도 춘천시 삼천동 22-19번지 일원

(3) 흙막이 높이 : Hmax = 14.60[M]

(4) 공 법

구 분 적용 공법

토류벽체 공법 H-PILE(H-300x300x10x15, 1.60m) + 토류판

지 지 공 법 제거식 ANCHOR 공법, STRUT 공법

(5) 대 표 사 용 재 료 :

구 분 강재 제원

SIDE PILE H-300 x 300 x 10x 15

WALE H-300 x 300 x 10 x 15

제거식 ANCHOR P.C STRAND Φ12.70mm 6가닥

STRUT H-300 x 300 x 10 x 15

(6) 적용프로그램 : MAIDAS.XD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7 -
1.2 토 공 계 획

본 현장은 춘천시 삼천동 22-19번지 일원에 위치한 춘천시 삼천동 공동주택 신축공사로, 현장의 굴

착 규모는 대략 (B)280.0mx(L)160.0m가 되며, 흙막이 높이는 최대 14.60m 정도이다.

본 현장은 굴토시 B/H를 이용한 터파기를 실시하여야 하며, 굴착으로 인한 인접도로에 변형의 영향

이 미치지 않도록 계측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1.3 배 수 계 획

본 현장은 작업중 현장내 지하수가 유출될 경우, 토공사시 DRY WORK가 되지 않아 시공에 어려움이

많게 된다.

따라서, 고이는 물은 TRENCH에 집수하여 즉시 배수시켜야 한다.

1.4 지하 매설물 보호에 대한 계획

지하에는 우리 일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구조물이 대단히 많고,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

하 매설물은 조금만 손상을 입혀도 막대한 피해가 발생되므로 예상발생 문제점에 대한 대책수립으

로 시공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본 현장에 지하층 터파기시 시공자는 시공 전 반드시 관련 기관의 담당자에 시공계획을 통보, 입회

하에 공사에 임해야 한다.

(공사 시행 전에 반드시 주변 도로의 매설물 및 현장 주변의 매설물 등을 확인하여 공사에 안전하

도록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1.5 현 장 계 측 관 리

공사시 감리자의 수시 지적 및 지시에 따라 시공 기간중에 터파기 공사가 지반에 미치는 영향과 그

에 따른 지반의 변화가 인근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설계도에 제시한 바와 같이 현장계측

을 실시하여 조기에 Data를 집적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시공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8 -
2. 설계조건

2.1 토 층
기 실시된 지반조사결과를 토대로 인접한 시추공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매립층, 붕적

토층, 풍화토층, 풍화암층, 연암층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표 2.1은 각 시추공에 대한 지층분포
및 지층특성를 요약한 것이다.

가. 지층의 특성

본 조사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지층구성 상태는 현지표면으로부터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층별 분포상태는 다음과 같다.

1) 매립층

본 지층은 모든 공에서 확인되며, 조사지역의 최상부 층으로서 주구성 성분은 실트섞인 모래이며

흙의 색깔은 암갈색 내지 황갈색이고 습한 상태를 나타낸다.

- 층후 : 0.4 ~ 2.5m

- 표준관입시험(N)치 : 7/30(회/cm) ~ 9/30(회/cm)

2) 풍화토

본 지층은 BH-2, 5, 8, 10, 11, 12호 공에서 확인되며, 모암이 오랜 기간 물리적 또는 화학적 풍

화를 받아 변질․변색되어 미세한 조각으로 분해되어 원 위치에 그대로 잔적된 지층에 해당된다. 표

준관입시험 및 시추작업 시 채취된 시료는 대체로 황갈색의 색조를 띠고 있으며, 실트섞인 모래로

분해되어 채취된다.

- 층후 : 0.4m ~ 13.2m

- 표준관입시험(N)치 : 2/30(회/cm) ~ 50/12(회/cm)

3) 풍화암

본 지층은 BH-1~12, 15~22호공에서 확인되며, 기반암인 화강암이 풍화되어 그대로 잔적된 지층

에 해당된다. 표준관입시험 및 시추작업 시 채취된 시료는 대체로 담갈색의 색조를 띠고 있다. 실트질

모래로 분해되어 채취된다.

- 층후 : 0.8m ~ 21.0m

- 표준관입시험(N)치 : 50/10(회/cm)~50/1(회/cm)

4) 연암

본 지층은 BH 1~12, 15~22공에서 확인되며, 기반암인 화강암으로 지표하 2.0~18.2m에서 심한

풍화~신선한 상태를 보이며, 약함~약함, 보통균열~심한균열 형태로 나타난다.


- 층후 : 2.0m ~ 19.5m 이상

- 코아회수율 : T.C.R 68~98%, R.Q.D 0~65%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9 -
2.2 벽체배면의 상재하중

(1) 도로교표준시방서 (1996, pp.52)

▪ 교대설계 적용 기준

▪ 교대 배면지반의 상재하중조건을 교량등급에 관계없이 q=1.0 t/m2로 적용할 것을 권고

(2) 구조물기초설계기준 (1997, pp.341)

▪ 옹벽설계 적용 기준
▪ 벽체로부터 약 6 ~ 9m내에 작업공간이 있고, 중장비는 6m밖에 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q

= 1.5 t/m2로 고려

(3) 서울지하철 5호선 설계기준 (pp.31)

▪ 가설구조물 설계 적용 기준

▪ 노면 활하중으로 1.0t/m2의 등분포하중 적용

(4) 선로 가받침 및 가설구조물 설계기준안 (1989, pp14)


▪ 가설구조물 설계 적용 기준
▪ 배면위 복토가 있는 경우 흙의 단위체적 중량 × 흙두께로 고려
▪ 노면 활하중으로 1.5t/m2의 등분포하중 적용

(5) 설계하중
본 현장 흙막이 벽체 배면의 상재하중은 작업차량의 통행이 빈번한 주변조건과각 기관별 기
준을 고려할 때 q = 1.0 ~ 1.3 t/m2 을 적용.

적 용 기 준 상재하중 (t/m2) 비 고

도로교표준시방서 (1996) 1.0 교대설계기준

구조물기초설계기준 (1997) 1.5 옹벽설계기준

서울지하철 5호선 설계기준 1.0 가설구조물 설계기준

부산지하철 설계기준 1.0 〃

선로 가받침 및 가설구조물 설계기준안 (1989) 1.5 〃

설계 적용 1.0~1.5

굴착해석에서 수위의 영향 못지않게 상재하중의 고려가 까다롭다. 실제로 흙막이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정도의 추정도 곤란하고 이동하중의 경우 하중의 크기를 선정하기도 매우 까
다롭다.
따라서 본 설계서에서는 각 구간별 배면에 위치한 주변여건을 고려하여 인접도로 및 벽체
배면의 분포하중으로 1.3 t/m2을 적용하였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0 -
3. 공법비교 및 선정

3.1 흙막이 공법 선정시 고려사항

흙막이 공법 선정에 있어 먼저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해 조사 검토를 한 후 결과를 분석하여 형식을

선정해야 한다.

(1) 설계 목적의 검토

① 토질에 알맞은 토류벽 형태 적용

② 토류벽체 시공 및 암반 굴착공사시의 진동 및 소음의 영향

③ 암반을 포함한 지층상태와 지하실 깊이와의 관계

④ 시공의 난이도와 경제성(주변의 과잉 침하에 따른 손해 배상 포함)

⑤ 굴착 깊이와 토류벽체의 근입깊이 설계 (지지층과 불투수성까지 연장 필요성 검토)

(2) 지형에 대한 검토

① 지형조건

② 인접 구조물의 유무

③ 지형의 고저차

④ 자재 운반로의 유무

(3) 지질 및 토질에 대한 검토

토류구조물의 설계를 위한 지반조사는 본체구조물과 함께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

본체 설계와는 별도 관점에서 조사한다. 엄지말뚝방식, 널말뚝방식에서는 지표면 가까운 지층의 역

학적 성질, 지하수의 높이, 지하수량 등이 중요하지만 본체 구조물에서는 지지층의 지내력이 중요하

다. 특히 연약지반에 있어서는 지반조사는 물론 유사지반의 시공 실적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4) 인접구조물에 대한 검토

① 기존구조물의 기초의 형식 및 근입깊이

② 토류 구조물과 기존 구조물의 상호관계

③ 토류구조물의 안정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범위내의 지반의 성질

④ 공사에 따라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인접지반의 침하 정도

(5) 시공 환경에 대한 검토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1 -
① 지하매설물의 위치, 규모, 구조, 노후정도 조사

② 소음, 진동 등의 규제를 주체로 한 시공조건의 조사

3.2 토류공법의 분류

(1) 굴착공법에 따른 흙막이공의 형식

- 전단면 굴착 공법
(1) 자립식 공법
① 비탈면 오픈컷 공법 - 안전한 사면구배를 이용
② 직립법면 - 주로 점성토 지반에 사용, 한계깊이에 지배
③ 널말뚝 토류벽 - 벽체의강성 및 수동토압에 의해지지,
주로 켄팉레버 형식에 적용

(2) 토류(흙막이벽)식 공법 (anchored, braced, tieback wall)


-토류벽 형식
1. 오픈컷공법 ① 앵커 로드(anchor rod) + 데드맨(deadman)공법
(open cut) : 다른 토류벽에도 가능하나 강널말뚝으로 하는 물막이 구조물에
주로 사용
② 어스 앵커(earth anchor) 지지공법
: 주로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사용
토류벽 + 띠장 + 어스 앵커
③ 버팀대(strut, bracing) 지지공법
: 토류벽 + 띠장 + 스트러트 또는 레이커(raker)로 지지
- 부분 굴착 공법
① 아일랜드 컷(island cut)공법 : Berm 설치 또는 1,2차 분리 시공시
에 적용
② 트렌치 컷(trench cut) 공법 : 양단에 트랜치(trench)를 굴착하고
여기에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한 후 이 벽체로 하여금 토압을 저항
하도록 한 후 내부를 굴착하는 공법

2. 역타(top-down)공법 : 지중연속벽 공법인 슬러리 월(slurry wall)에만 적용 가능

3. 케이슨(caisson)공법 : 오픈 케이슨(open caisson), 공기 케이슨(pneumatic caisson) 공


법이 있으며 주로 수중구조물에 사용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2 -
(2) 토류벽체 형식에 따른 공법 분류

<표 3.1> 토류벽체 형식에 따른 공법 분류


구 분
공 법 개 요 장 점 단 점
종 류

먼저 천공을 한 후 - 공사비 저렴 - 배면부 토사의 이완으로 인접


H-PILE을 근입하여 굴토 - 강재 재사용 가능 구조물의 피해 우려
중 목재토류판을 엄지말 - 굴토중 취약부는 토류판 두께 - 차수성이 없슴
H-PILE +
뚝 사이에 끼워서 토사 로 보강 가능 - 투수성이 큰 지반에서는 별도
토류판 공법
의 붕괴를 막으며 아래 - 개수성 공법으로 수압이 작용 의 차수공법이 요구됨
로 굴착해 가는 공법 하지 않음 - 보일링 및 히빙현상이 생기기
쉬움

로터리 보링기로 천공 - 지반의 종류에 무관 - 비교적 고가


하여 안정액으로 공벽 - 협소한 장소에도 장비 투입이 - 공과 공사이의 이음부 취약
을 보호하고 콘크리트를 가능 - 공내 슬라임 발생
C.I.P. 공법
타설하여 토류벽체를 형 - 강성이 커서 배면투의 수평변 - 암반 천공 난이
성한 후 굴착하는 공법 위 억제가 가능 - 차수성 시설이 요구됨
- 저진동, 저소음

삼축 오거 크레인에 의 - 대형장비로 대규모 공사시에 - 좁은 장소에서 시공이 어려움


한 천공으로 지중토에 공사비 저렴 - 실트, 점토 등 불량 지반인 경
S.C.W 공법 시멘트 밀크를 혼합 교 - 중첩 시공으로 차수성 양호 우 품질 저하
반하여 연속벽체를 형성 - 슬라임 최소화 - 경질지반에서 시공이 어려움
후, 굴착하는 공법 - 강성조절이 가능함 - 대형 장비에 따른 진동, 소음

패널 천공기로 좁고, - 강성이 커서 주변 위해 - 고가의 공법


깊게 굴착하고 슬러리 최소화 - 고난도의 기술을 요함
안정액을 투입하여 공벽 - 벽체를 본체 구조물로 사용 - 시공회사의 한정됨
SLURRY WALL 을 보호하고, 철근망 건 가능 - 철저한 품질관리가 요구됨
공법 입후 콘크리트를 타설하 - 벽의 강성을 자유롭게 조절이
여 지중에 연속 벽체를 가능
형성후, 굴착하는 공법 - 차수성이 크고 심도조절이
쉬움

SHEET PILE을 Diesel - 타입, 인발시 진동 및 소음 유


- 차수성 우수
또는 Vibro Hammer로 지 발로 도심지 굴착에 사용 곤란
-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 단축
상에서 연속적으로 타입 - 진동해머에 의한 인발시 배면
SHEET PILE 공 - 굴착깊이와 토질에 따라 자유
하여 흙막이 벽을 형성 지반의 이완으로 인접지반의
법 로운 단면 선택 가능
하는 공법 침하 발생 우려
- 연속벽형의 강성체로서 차수벽
- 재사용하지 않을 경우 공비가
과 토류벽 역할을 동시에 기대
비싸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3 -
(2) 지보 형식에 따른 공법 분류

< 표 3.2 > 지보 형식에 따른 공법 분류


구분
공 법 개 요 장 점 단 점
종류

굴착깊이가 깊지 않아 주변을 - 토류벽, 버팀구조물을 필요 - 넓은 부지가 필요로 한다.


자립식 안전한 사면처리를 해서 굴착을 로 하지 않는 시공이 간편한 - 연약지반의 깊은 굴착에는 부
Open cut 하는 공법으로 침수방지의 배 공법이다. 적합하다.
공 법 수구를 만들어 비탈면의 안정을 - 공기가 빠르다. - 되메우기 토량이 많다.
기할 수 있다.

굴착면에 흙막이 토류벽을 설 - 재질이 균질하여 신뢰성이 - 강재의 수축이나 접합부의 유


치한 후 띠장과 버팀대(strut) 크다. 동이 크다.
등으로 버팀을 하면서 굴착하는 - 시공이 간편하고 좁은 현장 - 강재의 종류 및 평면계획에
Strut 공법으로 거의 정방형이고 좁고 에는 유리하다. 한정성이 있다.
공 법 깊은 굴착에 사용한다. - 강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 지반의 종류에 거의 무관하
경제적이다. 다.
- 굴착평면이 정형이고 일변이
50m 이하에 가능하다.

굴착면에 토류벽을 설치한 후 - 굴착 및 지하구조물의 작업 - 공사비가 많이 든다.


띠장과 굴착 배면지반중에 E/A 능률이 좋다. - 연결부의 처리가 문제된다.
Earth 를 시공하여 지지시키는 공법으 - 굴착 평면 및 단면계획이 자 - 작업 환경이 취약하다.
anchor 로 지형의 고저차가 크고 평면 유롭다. - 건축물의 방수처리가 어렵다.
공 법 형상이 불규칙하며, 넓은 작업 -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 공사관리 및 품질관리가 어렵
공간이 필요한 경우에 주로 사 가하기 때문에 주변지반의 다.
용한다. 침하를 최소화한다.

굴착전에 영구구조물인 건물벽 - 응력도에 여유가 있다. - 공사비가 많이 듣다.


체, 본체의 바닥 및 보를 구축 - 지하, 지상공사의 병행으로 - 연결부의 처리가 문제된다.
한 후에 이에 의해 직접 흙막이 공기가 단축된다. - 작업 환경이 취약하다.
벽에 걸리는 토압 및 수압을 부 - 가설재료가 적게든다. - 건축물의 방수처리가 어렵다.
역타 공법
딤시키면서 굴착을 진행한다. - 인접구조물의 영향이 적고, - 공사괸리 및 품질관리가 어렵
깊은 굴착에 유리하다. 다.
- 교통, 소음 진동 등의 피해
가 적다.

오픈 컷 공법과 스트러트 공법 - 대단면, 불규칙한 평면, 얕 - 양질이어야 한다.


을 조합한 공법으로 굴착평면 은 굴착에 유리하다. - 공정이 복잡하여 공기의 여유
주변에 흙막이 벽체를 형성한 - 장변 스트러트의 단점을 보 가 있어야 한다.
Island 후 내측에 비탈면을 남기고 중 완할 수 있다. - 소규모 굴착 및 주변부를 시
공 법 앙부분을 굴착하고 구조물을 구 - 대지 경계면에 근접하여 시 공시 작업성이 나쁘다.
축, 이를 이용 흙막이벽과 버팀 공이 가능하다. - 주변부를 시공시 굴착 및 배
대를 설치한 후 나머지 부분을 수에 대하여 사전계획을 수립
굴착 구조물을 구축한다. 해 두어야 한다.

아일랜드 공법의 비탈면을 남 - 대단면 굴착 및 히빙방지에 - 공정이 복잡하다.


기는 결점을 개선 공법으로 구 유리하다. - 소규모 굴착에는 작업성이 나
조물의 외주부를 버팀대 공법으 - 장변 스트러트의 단점을 보 쁘다.
T r e n c h 로 흙막이 하여 건물의 본체를 완할 수 있다. - 주변부를 시공시 굴착 및 배
cut 공법 구축한 후 이를 흙막이로 이용 - 대지 경계변 가까이까지 지 수에 대하여 사전계획을 수립
내부를 굴착 후 지하의 본건물 하부분을 시공할 수 있다. 해 두어야 한다.
구조체를 완성하는 공법이다. - 중앙 부분을 작업공간으로 - 지하부분 및 토류벽을 2중으
활용이 가능하다. 로 작업해야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4 -
3.3 굴착 공법과 흙막이공의 적용성

(1) 지보형식에 의한 적용성

< 표 3.3 > 지보형식에 의한 적용성


대 지 형 성 굴 착 심 도
지하수의 지반의 주변의
공 법 좁 은 부정형한 얕 은 깊 은 공 기 공 비
영 향 침 하 동 의
대 지 대 지 굴 착 굴 착

비탈깎기
× ○ ◎ × × × △ ○ ○
오픈컽 공법

자립공법 ○ ○ ◎ × △ △ ○ ○ ○

수평버팀대
○ △ ○ ○ ○ ○ ○ ○ ○
공 법
아일랜드
× ○ ○ × △ ○ ○ × ○
공법
트랜치컷
× △ ○ ○ ○ ○ ○ × △
공 법
어스앵카
○ ○ ○ ○ △ ◎ × ○ ○
공 법

역타공법 ○ ○ △ ◎ ○ ◎ ○ ○ ○

(2) 지보형식에 의한 적용조건

< 표 3.4 > 지보형식에 의한 적용조건

ㆍ 굴착이 비교적 얕고, 양질 지반이어야 한다.


자 립 공 법
ㆍ 용지의 여유가 없고 수직으로 굴착할 필요가 있는 경우

ㆍ 굴착 평면적이 중규모이하 (일반적으로 일변이 50m이하)로 평면형상이 비교적


STRUT 공법 정형인 경우
ㆍ 양질 지반에서 연약지반까지 적용범위가 넓다.

ㆍ 굴착 평면적이 넓고 (일반적으로 일변이 50m이상),평면형상이 부정형인 경우


EARTH ANCHOR ㆍ 양호한 ANCHOR 정착층이 있고 지하수가 그다지 높지 않다.
공 법 ㆍ 토류벽 외주용지에 여유가 있다.
ㆍ 토류벽의 상대변에 고저차가 상당히 있다.

ㆍ 주변 지반의 변위를 극소화 하고자 할 때


역타설 공법
ㆍ 굴착 평면이 넓고 굴착깊이가 깊을 때 (20∼40m)

ㆍ 굴착 평면이 넓고, 건물형이 부정형이고, 굴착깊이가 얕을 때 유리하다.


ISLAND 공법 ㆍ 양질 지반이어야 한다.
ㆍ 공기에 여유가 있어야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5 -
(3) 차수 및 지반개량을 위한 그라우팅 공법 분류

주입공법을 적용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구조물 등의 안전성과 시공의 용이성, 안정성을 도모하는 것

으로 일반적으로 그라우팅 주입공법은 다음 사항중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이다.

- 지반강화 : 지반의 역학적 강도가 부족할 때 기초지반의 지지력 개선, 터널굴착시 붕괴 방지, 굴
착작업시 인접구조물 방호 및 굴착 저면의 융기방지, 토압의 경감 등을 도모한다. 즉,
굴착에 따라 위험이 발생할 부분을 고결시킴으로서 공사를 하며 안정성을 확보한다.
- 지반의 지수성 증대 : 터널굴착시의 용수방지, 굴착시 파이핑 현상방지와 지하수위의 저하방지,
댐에서의 지수를 위해 지수영역을 형성시킨다.
- 지반의 변형방지 : 변형방지 효과는 지반강화 혹은 지수증대에 부수적으로 얻어진다.

< 표 3.5 > 대표적인 grouting 공법의 비교


L.W 공법 S.G.R 공법 J.S.P 공법 Jet Grouting 공법

규산소다와 시멘트 현탁액을 이중관 Rod에 특수선단장치 지반중에 시멘트밀크를 200kg 초고압 펌프로 200~400kg/cm²의
공 혼합하여 지반에 주입시키는 (Rocket) 를 결합시켜 대상지 /cm²의 고압으로 그라우트 및 압력인 고압으로 그라우트 및
사 공법으로 지반중에 큰 공극을 반에 유도공간을 형성, 순결 Air 젯트회로가 있는 이중관 Air 젯트회로가 있는 이중관
먼저 시멘트입자를 채우고 적 에 가까운 Geltime을 가진 약 관로를 통하여 Air와 동시에 관로를 통하여 Air와 동시에
개 은 공극에는 Gel의 성질이 있 액 또는 약액과 초미립 시멘 그라우트를 분사시켜 토립자 그라우트를 분사시켜 토립자
요 는 규산소다가 침투하여 Gel화 트 혼합액을 사용하여 연약지 를 교란하여 밀크와 혼합 고 를 교란하여 밀크와 혼합 고
하는 성질을 이용한 공법임 반을 개량하는 공법임. 결시키는 공법임. 결시키는 공법임.
1. 케이싱에 의한 천공 : 2중 1. 2중관 ROD에 의한 시공 1. J.S.P Machine 천공 1. Jet그라우트 Machine에
시 관 (DoublePacker)주입공법 2. 특수선단장치(Rocket)작동 2. 주입장치 설치 의한 천공
공 2. 외관건입 3. 주입(상승식 Step 주입) 3. 분사작업 (자동 상승) 2. 주입장치 설치
3. Seal제 주입, 케이싱 인발 4. 주입압력 : 12kg/cm2 이하 4. 주입압력 : 200kg/cm2 3. 분사작업 (자동 상승)
방 4. DoublePacker건입,주입개시 4. 주입압력: 200~400kg/cm2

5. 주입완료후 Packer 인발
6. 주입압력: 10~20kg/cm²
1. 토량안정제로서 취급용이 1. 유도공간 형성으로 균일한 1. 확실한 시공효과를 기대할 1. 확실한 시공효과를 기대할
2. 공극이 큰 사력토에 효율 작업효과 수 있다. 수 있다.
적이며 시공 간편 2. 지반의 교란 적음 2. 적용되는 지반의 범위가 2. 적용되는 지반의 범위가 쉽다.
장 3. 주입관이 보전되어 결함발 3. 급결성, 완결성 그라우트 쉽다. 3. 주로 구조물의 기초보강에
견시 재주입이 가능 의 연속적인 복합주입 용이 3. 주로 구조물의 기초보강에 적합하다.
점 4. 그라우트와 시멘트의 혼용 4. 주입관의 회전이 없어 박 적합하다. 4. 겹침 시공시 차수효과 우
으로 호모겔 강도가 큼 킹효과가 높다. 4. 겹침 시공시 차수효과 우 수하다.
5. 불규칙적인 복합지층에서 5. Gel Time 조정으로 약액 수하다.
도 합리적 주입개량 가능 확산 범위의 조절이 가능
1. 침투성과 안전성은 시멘트 1. 점토층에서 균일하게 액상 1. 천공과 주입장치의 설치가 1. 천공과 주입장치의 설치가
의 입자가 미세할수록 크 보다는 맥상으로 주입 난이하다. 난이하다.
다. 2. 토류벽으로서 일반적인 강 2. 소음이 많다. 2. 소음이 많다.
2. 미세한 입자의 구입이 용 도는 기대하기가 곤란 3. 초고압 투입으로 인한 인 3. 초고압 투입으로 인한 인
단 이치 않다. 접가옥 및 지하매설물에 접가옥 및 지하매설물에
3. 20℃이상의 온도에서는 Ge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다.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다. 3 . 4
점 ltime을 늘리기 위해서 시
멘트량을 감소하면 고결체
의 강도가 현저하게 감소
하고 점성이 커져 Pump의
능력부족을 가져옴.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6 -
공법 선정안

춘천시 삼천동 공동주택 신축공사 사업을 시공함에 있어 지하굴토를 시행함에 따라 토압의 증대, 진

동 등으로 인해 주변 지반의 침하가 발생하여 인접 매설물의 침하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러한 인접 지반의 침하는 굴토에 따른 현상으로 그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기준치 이하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하여 굴토에 따른 침하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한된 공간, 복잡한 지하 매설물, 연약점토지반 등 여러가지 악조건 하에서 성공리에 지하

굴토 공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과 비용, 공사기간, 토질조건, 현장 시공여건

등을 감안하여 적합한 공법을 채택하고 채택된 공법의 정확한 적용 방법을 알아야 한다.

본 토류구조물 공사에 적용될 주요공법을 대지모양, 터파기 깊이, 지층 및 표토 제거 등의 관계를 고

려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흙막이 벽체 공법선정

본 구간의 흙막이 높이가 최대 14.60m이며, 굴착대상지층은 토사에서 풍화암 까지로 다양하며,굴착

배면에 특이한 시설물이 없기 때문에 H-PILE + 토류판공법을 실시토록 계획하였다.

(2) 지보공법선정

본 현장은 평면 형상이 복잡하며, 양호한 정착지반이 있다. 따라서 시공성 및 지하구조물 공사가 우

수한 OPEN CUT 공법 또는 ANCHOR 공법을 적용하도록 계획하였다.

< 표 3.6 > 공법 선정안

항 목 주 요 공 법 비 고

흙 막 이 벽 H-PILE + 토류판 토공사용 가설벽

지 지 방 법 STRUT 공법, ANCHOR 공법 공사중 지지

토 공 사 단계별 굴착 여굴 0.5M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7 -
3.5 공법 선정에 따른 시공계획

(1) 신축 건물의 공사를 위한 현황측량을 실시하고 터파기 공사구간을 확정한 후 공사에 착수 하도

록 한다.

(2) 인근의 지하 매설물 현황을 조사하고 본 공사와 직접 간섭되는 부분은 확인 굴착을 선행 한

후 본 공사에 임한다.

(3) 굴착토의 사토장 위치를 정하되 되메우기 토사의 사토장은 인근 공대지를 이용할 수 있도 록

사전 조치 후 토사 운반로를 정하여 인근 주민의 협조를 얻어 무리가 없는 공사를 할 수 있도

록 제반 조처를 한다.

(4) 굴착공사 진행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제반 위험 사항을 사전에 면밀히 검토하여 대책을 수립

후 착공한다.

(5) 굴착은 진입로의 배면부로부터 단계 굴착을 시행하되 굴착토 운반에 무리가 없는 계획을 수립

하여 수행한다.

(6) 공사중 지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주변에 Open Ditch나 뚝을 쌓고 비닐로 덮어 지표수 유입

에 의한 배면토사나 공사장내 토사의 연약화를 최소화한다.

(7) 굴착토를 인접도로를 이용하여 운반하되 낙석, 낙토에 유의하여야 한다.

(8) 기록에 없는 지중 매설물에 유의하고 시방서에 명기한 바에 의하여 조처하도록 한다.

(9) 현재 설계된 기초 형식을 변경하여 타 형식의 기초로 변경함으로 인하여 토류벽에 해로운 진동

이나 침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경우는 이를 감리자에게 통보하여 적절한 대책을 강 구 하여야

한다.

(10) 기초지반 지질조사 내용과 시공시 토층 내용이 상이한 경우 이를 감리자에게 즉시 통보 하여

이미 설계 시공한 부분을 재검토하고 다음 부분 공사에 대처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8 -
4. 굴착공사에 따른 주변시설물의 영향검토

4.1 일 반 사 항

(1) 안전 진단

① 현장 주변의 주택 및 건물, 공공 시설물에 대한 민원이 예상되는 부분은 시공자가 시공 전 에

반드시 정부가 공인하는 기관에 안전진단을 하여 착공이전의 상태를 기록 보존하여야 한다.

② 민원이 야기되면 제차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당초 시행한 안전진단과 비교하여 민원인과의 마찰

을 최소화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③ 건물주는 시공자와 계약전 반드시 사전 사후 안전 진단비에 대한 비용 일체를 계약에 기술 하

여야 한다.

(2) 굴착에 따른 인접지반의 침하

굴착공사로 인하여 인접지반의 침하가 발생될 수 있는 일반적인 요인으로는 다음 사항을 열거할 수

있다.

① 주위 매설물의 매립상태가 불완전할 경우 말뚝관입시 천공작업의 진동으로 인한 압축침하

② 토류벽의 변위에 따른 배면토의 이동으로 인한 침하

③ 지하수 유출시 토사가 함께 배수되어 발생되는 침하

④ 배수에 의한 점성토의 압밀침하

⑤ 굴착바닥의 연약한 지반인 경우 지반의 팽창(HEAVING)으로 인한 배면지반의 침하

⑥ 되메우기시 뒷채움 시공불량으로 인한 배면지반의 이동 및 침하

⑦ 엄지말뚝 인발시 진동 및 인발후의 처리불량에 따른 침하

⑧ 2차적인 원인으로서 위에 열거한 1차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된 침하로 인해 인접된 상하수 도

관거의 파손으로 인해서 일시적으로 많은 물이 유출되어 토사가 대량유출 되므로서 발 생하는

함몰침하.

이상의 원인들은 주로 일반적인 토류판 설치 공법으로 굴착하는 경우 나타나는 것으로 본 굴착공사

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시공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9 -
(3) 토류벽 변위의 발생원인

토류벽에 변위가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이 있다.

① 토류벽의 휨

토류벽의 휨(bending)은 버팀대의 변형과 일체로 나타난다. 휨량은 굴착시 최하단 버팀대 위치에

서 굴착밑면 가상 지지점까지의 거리와 (굴착깊이 및 지반조건에 좌우됨) 토류벽체의 강성

(rigidity stiffness)그리고 지반조건에 따라 다르게 된다.

② 버팀대(ANCHOR) 설치의 시간적 지체 (단계별 설치)

버팀대(ANCHOR) 가설시 시간적 지체로 일어나는 토류벽의 변형에는 지나치게 깊게 굴착하여 일어

나는 경우와 설치를 지연시켜 일어나는 두가지 경우가 있다.

전자는 지점 사이가 크게 벌어져 큰 변형이 발생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지반의 Creep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버팀대의 실측기록에 의하면 점성토 지반에서는 4 ∼ 8 일정도(단, 액상의 연약지반 제

외) 모래 지반에 있어서는 2 - 3일 정도 이후에 버팀대의 반력이 최대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버팀대는 가급적 조기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굴착규모가 큰 경우에는 공구를 분할 할

필요가 있다.

③ 토류벽 근입 깊이의 부족

토류벽의 근입 깊이가 부족하면 근입부가 이동, 변형되어 하부지반을 활동회전 시키거나 토류벽의

변형을 크게 한다. 이 영향은 비교적 광범위하고 그 양도 크다. 한편, 지하수위가 높은 모래질 지

반에서는 Boiling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여야 하는데 근입깊이의 영향이 매우 크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20 -
4.2 지반굴착에 따른 주변지반 예상 침하량

(1) 침하의 산정 방법

토류벽의 횡방향 범위는 버팀굴착 주위의 지반침하를 유발한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지반손실(Ground

Loss)이라 하는데 지반손실은 인접 구조물 기초 또는 지하 매설물에 대하여 침하를 유발시켜 피해가

발생 하므로 근접시공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토류벽의 변위에 따른 주변지반의 침하는 토

류벽 변위의 실측, 또는 계산에 의하여 구하고 그 변위로 부터 주변지반 침하를 추정하는 방법과 버

팀구조와 주변지반을 일체로 하여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

어느 경우거나 토류벽의 횡방향 변위를 해석하는 방법에 지배되는데 현재까지 제안된 예측방법을 살

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Peck(1969)의 곡선 : 계측 결과의 이용

② Caspe(1966)의 방법 : 이론적 방법

③ Clough et al.(1989)방법 : 계측결과 및 FEM해석

④ Roscoe, Wroth 및 기타 : 소성론 개념

⑤ Tomlison의 방법 : FEM 해석을 위한 Simulation

⑥ Frey et al. 의 방법

따라서, 굴착의 시공계획에 있어서는 굴착에 따른 주변지반의 변형을 추정하고 인접 건물에 대한 영

향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하는데 침하추정 방법은 상기와 같이 많으며 주장하는 학자에 따라서도 상

당한 차이가 있으나, 여기서는 Caspe의 방법 (1966)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하였다.

① 횡방향 벽의 처짐을 구한다.

② 처짐의 체적 Vs를 구한다.(평균 단면적법 또는 Simpson의 제 1공식 사용)

③ 지반침하 영향거리(균열거리) D를 계산한다.

④ 벽면에서의 지표면 침하 Settlememt를 계산한다.

⑤ D로부터 벽까지 Si의 포물선 변화를 지정하여 잔존침하를 계산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21 -
(2) 여러 가지 구조물에 대한 안정한계

여러가지 구조물에 대한 최대 허용침하량 및 각 변위에 대한 안정한계치는 <표 4.1> ∼

<표 4.3>에 나타나 있다.

<표 4.1> 여러 가지 구조물에 대한 허용각변위 한계(Bjerrum, 1963)

1 1 1 1 1 1 1 1 1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각 변 위 δ

침하에 예민한 기계기초의


작업곤란 한계

사재를 가진 뼈대의 위험한계

균열을 허용할 수 없는 빌딩에 대한 안전한계

칸막이벽에 첫 균열이 예상되는 한계


고가 크레인의 작업곤란이 예상되는 한계

강성의 고층빌딩의 전도가 눈에 띄일 수 있는 한계

칸막이 벽이나 벽돌벽의 상당한 균열


가소성 벽돌벽의 안전한계
일반적인 건물의 구조적 손상이 예상되는 한계

<표 4.2> 침하량의 허용기준 (단위 : cm)


구조종별 콘크리트블럭조 철근콘크리트조
구 분
기초형식 연 속 기 초 독 립 기 초 연 속 기 초 원 통 기 초

압 밀 침 하 의 경 우 표 준 치 2 5 10 10~(15)

허 용 최 대 침 하 량
최 대 값 4 10 20 20~(30)

압 밀 침 하 의 경 우 표 준 치 1 1.5 2 2~(3)

허 용 상 대 침 하 량
최 대 값 2 3 4 4~(6)

즉 시 침 하 의 경 우 표 준 치 1.5 2 2.5 3.5~(4)

허 용 침 하 량
최 대 값 2 3 4 6~(8)

㈜ ( )는 보의 춤이 크거나 2중슬래브 등으로 충분히 강성이 클 경우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22 -
<표 4.3> 여러가지 구조물의 최대허용침하량
침 하 형 태 구 조 물 의 종 류 최 대 침 하 량
배수시설
15.0 ~ 30.0 cm
출 입 구
30.0 ~ 60.0 cm
부등 침하의 가능성
전 체 침 하 2.5 ~ 5.0 cm
석적 및 벽돌 구조
5.0 ~ 10.0 cm
뼈대 구조
7.5 ~ 30.0 cm
굴뚝, 사이로, 매트
탑, 굴뚝 0.004 S
전 도 물품적재 0.01 S
크레인 레일 0.003 S
빌딩의 벽돌 벽체 0.0005 S ~ 0.002 S
철근 콘크리트 뼈대 구조 0.003 S
부 등 침 하
강 뼈대 구조 (연적) 0.002 S
강 뼈대 구조 (단순) 0.005 S
S : 기둥사이의 간격 또는 임의의 두점 사이의 거리

(3) 지중매설관의 허용침하량

지반 변위가 발생할때 지중매설관은 지지형태에 따라 응력 상태가 변하므로 관의 지지 형태에 의한

응력을 산정하여 매설관 재료의 허용응력과 비교해서 침하량을 구하고, 또한 기능상 매설관의 joint

형태에 따라 제한된 joint의 혀용 휨각도로 부터 침하량을 구하여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필요, 충분

조건의 침하량을 허용 침하량으로 하며, 굴착에 의한 지반 변위(횡방향 이동 및 침하)를 검토한 결

과 지중매설관이 예상 파괴면 범위 내에 있다면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 굴착깊이 (H)

- 암반의 위치

- 지하수위

- 굴착면으로 부터의 이격거리 (L)

- 매설관의 매설깊이 (D)

- 매설관 재료의 종류 및 크기

- 매설관 내용물 및 중요도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23 -
4.3 진동 관리 지침

국내에서는 이미 서울지하철과 부산지하철 건설시 진동속도의 기준이 제시된 바 있기 때문에 이를 예

를 들면 다음과 같다.

<표 4.4> 서울지하철 기준 (단위: cm/sec, Kine)

건물의 등급 Ⅰ Ⅱ Ⅲ Ⅳ

주택,아파트 상가(crack)이 없는 철근 콘크리트 빌딩


분 류 문 화 재
실금이 있는 정도 상태 및 공장

건물기초에서의
0.2 0.5 1.0 1.0~4.0
허용진동치

<표 4.5> 부산지하철 기준 (단위:cm/sec, Kine)


철근콘크리트 COMPUTER
분 류 문화재 주택,아파트 상가
빌딩 및 공장 시설물

건물기초에서의
0.2 0.5 1.0~4.0 0.2 0.2
허용진동치
(주) 위의 규준은 충격진동에 관한 규정이며, 연속진동인 경우는 충격진동 허용치의 1/3을
적용한다.

본 현장의 허용 진동 규제치는 통행인의 보호 및 민원 발생을 방지하기 타당한 진동 제한치를 규정하

여야 할 것이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24 -
4.4 소음관리 지침

소음규제법 시행규칙 제 57조에 의한 생활소음 규제기준을 준수하도록 “소음계”를 사용하여 측정하


여야 할 것이며 생활소음규제 기준은 다음 표 4.3과 같다.

생활소음ㆍ진동의 규제기준(제20조제3항 관련) <개정 2010.6.30>

1. 생활소음 규제기준
[단위 : dB(A)]
아침, 저녁
대 상 지 역 시간대별 (05:00~07:00, 주간 야간
소음원 (07:00~18:00) (22:00~05:00)
18:00~22:00)
옥외설치 60이하 65 이하 60 이하
가. 주거지역, 녹지지 확
역, 관리지역 중 취락 성 옥내에서 옥외
지구 ㆍ주거개발진흥 기 로 소음이 나오 50 이하 55 이하 45 이하
지구 및 관광ㆍ휴양 는 경우
개발진흥지구, 자연 공 장 50 이하 55 이하 45 이하
환경보전지역, 그 밖
의 지역에 있는 학 사 동일 건물 45 이하 50 이하 40 이하
교ㆍ종합병원ㆍ공공도 업
서관 장 기 타 50 이하 55 이하 45 이하
공 사 장 60 이하 65 이하 50 이하
옥외설치 65 이하 70 이하 60 이하

성 옥내에서 옥외
기 로 소음이 나오 60 이하 65 이하 55 이하
나. 그 밖의 지역 는 경우
공 장 60 이하 65 이하 55 이하
사 동일 건물 50 이하 55 이하 45 이하

장 기 타 60 이하 65 이하 55 이하
공 사 장 65 이하 70 이하 50 이하

본 현장의 허용 소음 규제치는 통행인의 보호 및 민원 발생을 방지하기 타당한 소음 제한치를 규정하


여야 할 것이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25 -
(1) 진동 및 소음에 대한 대책

① 내부굴착은 토공장비(Poclain, Backhoe)등을 최대 활용 굴착한다.

(천공 및 굴착 장비는 소음 방지기 부착을 하여야 한다.)

② 공사장 주변 울타리 보완으로 방음벽 효과

<표 4.7> 특정 건설 작업의 소음레벨


소 음 레 벨
작 업 구 분 작 업 기 계 명
1M 10M 30M
디젤파일해머 105~130 92~110 88~98
바이브로 95~105 84~91 74~80
말뚝박기 기계 스팀해머,에어해머 100~130 97~108 85~97
말뚝뽑기 기계 및
파일엑스트랙터 94~96 84~90
천공기를 사용하는
타설작업 어스드릴 83~97 77~84 67~77
어스오거 68~82 57~70 50~60
베노트 보링머신 85~97 79~82 66~70
리베팅 머신 110~127 85~98 74~86
리벳박기 작업
임펙트렌치 112 84 71
콘크리트 브레이커
착압기를 사용하는 싱커드릴,핸드해머,잭해머, 94~119 80~90 74~80
작업 크롤러 브레이커
콘크리트 커터 82~90 76~81
불도우저,타이어 도우저 83 76 64
파워 셔블,백호 80~85 72~76 63~65
굴착 정리 작업 드레그 크레인,드레그
83 77~84 72~73
스크레이퍼
크램셜 83 78~85 65~75
공기압축기를
공기 압축기 80~85 74~92 67~87
사용하는작업
로드로울러,템핑로울러,타
이어로울러,진동로울러,진 68~72 60~64
다짐작업
동컴펙터,임팩트로울러
래머,탬퍼 88 74~78 65~59
콘크리트 플랜트 100~105 83~90 74~88
콘크리트아스팔트
아스팔트 플랜트 100~107 86~90 80~81
혼합 및 주입작업
콘크리트 믹서차 83 77~86 68~75
전동공구를 그라인더 104~110 83~87 63~75
사용하여 베껴내기
및 콘크리트
피크 해머 78~90 72~82
마무리 작업
쇠공 84~86 69~72
파쇄작업 철골타격 95 90~93 82~86
화약 90~103 90~97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26 -
<표 4.8> 진 동 측 정 비 교 표

가속도 레벨(dB) 가 속 도 A(cm/sec2) 속 도 V(cm/sec) 변 위 y(mm)

66 2.00 0.06 0.017


67 2.24 0.06 0.017
68 2.51 0.07 0.020
69 2.82 0.08 0.023
70 3.16 0.09 0.026
71 3.55 0.10 0.029
72 3.98 0.11 0.032
73 4.47 0.13 0.038
74 5.01 0.14 0.041
75 5.62 0.16 0.046
76 6.31 0.18 0.052
77 7.08 0.20 0.058
78 7.94 0.22 0.064
79 8.91 0.25 0.072
80 10.00 0.28 0.081
81 11.22 0.32 0.093
82 12.59 0.35 0.101
83 14.13 0.40 0.116
84 15.85 0.45 0.130
85 17.78 0.50 0.145
86 19.95 0.56 0.162
87 22.39 0.63 0.182
88 25.12 0.71 0.200
89 28.18 0.79 0.229
90 31.62 0.89 0.258
91 35.48 1.00 0.289
92 39.81 1.12 0.324
93 44.67 1.26 0.365
94 50.12 1.41 0.408
95 56.23 1.58 0.457
96 63.10 1.78 0.515
97 70.79 2.00 0.579
98 79.43 2.24 0.648
99 89.13 2.51 0.723
100 100.00 2.82 0.816
주) 지반 진동 이론과 실제 p19, 건설연구사
∴ 진동레벨(가속도레벨)과 속도와의 관계식 - 주파수가 8Hz 이상인 경우
Y = 20․logV + 71
Y : 진동레벨(dB) , V : 진동속도(mm/sec)(peak 치)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27 -
4.5 분진 관리 지침

국내의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9조<표 4.9>에 의하며 건설공사장에서 발생되는 먼지는 120mg/S

㎥ 이하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굴착공사 진행중에 이러한 기준이 만족될 수 있는 조치를 취하여야 한

다. 이와 관련하여 동 시행규칙 제49조 제2항의 비산먼지 발생억제시설에 관한 기준 중 굴착공사와

관련된 일부분을 발췌하면 <표 4.10>과 같다.

<표 4.9> 먼지배출 허용기준

적용기간 및 배출 허용기준
오염
배출 시설
물질
1994년12월31일 1995년 1월 1일 ~ 1999년 1월 1일
까지 1998년12월31일 이후

가. 발전시설 및 일반 보일러
1) 액체연료 사용시설
100(4)㎥/S㎥ 이하 60(4)㎥/S㎥ 이하 150(4)㎥/S㎥ 이하
① 배출가스량이 200,000㎥/시간
이상의 시설
150(4)㎥/S㎥ 이하 100(4)㎥/S㎥ 이하 150(4)㎥/S㎥ 이하
② 배출가스량이 60,000㎥/시간 이상
200,000㎥/시간 미만의 시설
먼지
③ 배출가스량이 30,000㎥/시간 이상
200(4)㎥/S㎥ 이하 150(4)㎥/S㎥ 이하 150(4)㎥/S㎥ 이하
60,000㎥/시간 미만의 시설
나. 석면제품 제조가공 시설중
1) 방사․집면․탈판시설
30(4)㎥/S㎥ 이하 30(4)㎥/S㎥ 이하 30(4)㎥/S㎥ 이하
2) 기타시설
100(4)㎥/S㎥ 이하 100(4)㎥/S㎥ 이하 100(4)㎥/S㎥ 이하
다. 기타시설
120(4)㎥/S㎥ 이하 120(4)㎥/S㎥ 이하 120(4)㎥/S㎥ 이하

주) 지반공학시리즈3, 굴착 및 흙막이공법 p14


비고 : 1. 배출허용기준란의 ( )는 표준산소농도( O 2 의 %)를 말한다.
2. 보일러중 일반보일러, 소각보일러 및 소각시설에 적용되는 배출가스량 산정은 시설용 량으
로 한다. 다만, 시설의 고장 등을 대비하여 예비로 설치된 시설의 시설용량은 포함 하지 않
는다.
3. 먼지의 (다. 기타시설)중 액체 및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간접가열 시설의 경우에는 일반 보
일러의 기준을 적용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28 -
<표 4.10> 비산먼지 발생억제 시설에 관한 기준

배 출 공 정 시설에 관한 기준

가. 이동식 국소배기장치(진공흡인시설) 등을 설치할 것.


나. 작업장 주위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 살수시설(반경 5cm 이상 수압 3kg
1. 상적 및 하차 이상)을 설치 운영하여 작업중 재비산이 없도록 할 것
다. 풍속이 평균 초속 8m 이상일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할 것
라. 위의 각호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할 것

가. 적재물이 흘림, 비산되지 않도록 덮개 등을 설치할 것.


나. 적재함 상단의 수평 5cm 이하까지만 적재할 것.
다. 도로가 비포장 사설도로인 경우
(1) 비산분진 발생원으로부터 비포장시설도로 연장이 1km 미만일 때는 포
장할 것
(2) 비포장도로 연장이 1km 이상의 경우 비포장도로 반경 500m 이내에 10
가구 이상의 주거시설이 있을 경우 해당 부락으로부터 반경 1km 이상을
2. 수송(토사운송 포장할 것.
업의 경우에는 라. 다음 규격의 세륜 및 세차시설을 설치할 것.
가, 나 및 바에 - 수조의 넓이 : 수송차량의 1.5배 이상
한한다.) - 수조의 깊이 : 20cm 이상
- 청정수 순환을 위한 침전조 및 배관을 설치할 것.
마. 다음 규격의 측면 살수시설을 설치할 것.
- 살수높이 : 수송차량의 바퀴부터 적재함
- 살수길이 : 수송차량 전장의 1.5배 이상
- 살 수 압 : 3kg/㎠ 이상
바. 수송차량은 세륜 및 세차후 운행하도록 할 것
사. 위의 각호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할 것.

가. 살수시설(수압 1kg/㎠ 이상)을 설치하여 정기적인 청소를 실시할 것.


나. 발파시 발파공에 젖은 가마니 등을 덮거나 적정 방지시설 설치후 발파
를 실시할 것.
3. 채광․채취공정 다. 작업시 이동식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토록 할 것.
라. 작업후 잔여물은 재비산되지 않도록 할 것.
마. 풍속이 평균 포속 8m 이상인 경우는 작업을 중지할 것.
바. 위의 각호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할 것.

주) 지반공학시리즈3, 굴착 및 흙막이공법 p14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29 -
4.6 지하수 유출에 대한 대책

무리한 굴착으로 인한 주변 침하 발생시 지하 관거의 매몰로 인한 상․하수도 및 가스관등의 파손으로

일시적 집중하중이 토류벽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굴착시 벽체 부위의 누수 발생시 정

확한 원인 규명 및 보강 공법 대책을 강구 후 현장 책임자와 상의 후 시공에 임해야 한다.

4.7 인접구조물에 대한 보강 대책

굴착시 과다한 지반 변위 및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벽체 조성시 충분한 품질관리 및 단계별 굴착시

지보공 조기 설치로 주변 침하를 극소화하여야 한다.

4.8 지하 매설물에 대한 보강 대책

지하 공간 활용을 위한 지하 굴착 작업으로 인해 주변 지반의 평형성 상실로 인해 지반의 침하로 인

한 지하 매설물의 파손으로 생각치 않은 큰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현장 주변에 매설되어 있는

지장물(하수도,가스관 등)을 면밀히 파악, 안전 상태를 관찰하여 굴착시 변위 발생 억제를 위해 지보

재를 신속히 버팀하므로서 지하 매설물의 손괴를 방지할 수 있다.

현장 주변 지장물의 보호를 위한 수칙으로는

(1) 사전 통보의 실행

공사 착공전에 지장물의 관리및 보존하는 기관에 사전통보를 확실하게 하여야한다.

(2) 관로를 눈으로서 확인

관로는 반드시 정열상태로 매설된다고는 할 수 없으며 관로의 시굴에 있어서는 전체 줄수를 노출시

켜 줄수, 매설 깊이, 위치를 확인한다. 사전 조사를 할 때는 반드시 관련기관의 직원 입회하에서 한

다. 입회없이 맨홀, 핸드홀의 뚜껑을 열고 내부를 조사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특히 통신맨홀의 뚜껑

은 벗겨져서 속으로 떨어지기 쉽고 잘못해서 떨어뜨려 내부의 케이블 및 관거를 손상시킬 수도 있

다.

(3) 공사 시공중의 연락 체제의 충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30 -
지중 매설물의 매설위치에 관한 정보나 사전 협의에서 필요한 사항은 해당 작업 현장의 전원에게 알

게 하도록 힘쓴다. 특히 공사 진행 중에 교대가 많은 건설 기계의 오퍼레이터 혹은 해당 공사의 도

중에 참가하는 신규 작업반, 교체반, 신규 종사자에 대해서도 철저하게 알려준다.

또한 입회 요청일자의 변경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연락하고 입회에 빠지는 것을 막는다.

(4) 매설물 근접 작업시의 안전 배려

- 굴착 시공시 지중 매설물 위를 굴착할 때는 매설 위치에서 원칙적으로 1.5m이내는 인력굴 착을

실시한다.

상황에 따라 표면층 이외를 인력굴착을 실시할 때도 있다.

인력으로 굴착시 매설물은 다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요해야 한다.

심침봉의 사용은 극력피한다.

부득이 사용할 때는 매설물을 다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또한 기계 터파기의 경우

에도 버킷 날의 길이에 주의한다.

- 말뚝 박기, 뽑기 시공시 지중 매설 상황을 시굴로서 확인하고 시공한다. 말뚝 박기 위치는 지중

매설물에서 50Cm이상 떨어진다.

50Cm이상 잡을 수 없는 상황일 때는 말뚝 박기의 진동,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관로로 노출시

킨 후에 신중하게 안전을 확인하면서 시공한다.

말뚝 빼기시에도 진동,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 약액 주입 시공시 약액 주입 천공을 하기전에 지중 매설물 상황을 시굴로서 확인하고 안전 거리

를 확보하면서 시공한다. 또한 약액이 관로안에 들어갈 때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사 전, 사후

의 관로 통과시험을 하기로 되어 있으므로 사전의 통지를 부탁한다.

- 가설 공사, 부대 공사시 지하 시설에 근접할 때는 본공사와 같이 배려한다.

- 맨홀에 근접하는 작업시 맨홀, 핸드홀 주변을 기계로 깍아낼 때 목부분, 몸체에 충격을 주 지 않

도록 시공에 주의를 요한다.

- 가공 선로 시설에 접근하는 작업시 지하 매설물뿐만 아니라 가공 선로 시설에 대해서도 거 리를

유지하도록 배려한다.

덤프가 적재함을 올렸을 때에도 주의를 요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31 -
- 화기에 대한 안전 배려 : 노출 통신시설및 전기 시설에 근접해서 화기를 사용할 때에는 열 차폐

물을 설치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피한다.

- 압력, 충격, 진동에 대한 안전 배려 : 굴착시 지중 매설물 주변에서 부적절한 하중, 충격, 진동

을 주지 않도록 배려한다.

- 지중 매설물에 대한 안전 의식의 고양 : 지중 매설물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

을 깊게 함과 동시에 지중 매설물에 대한 안전 의식을 고양을 도모하는 시공 자세가 필요하다.

- 굴착 공사에 따르는 가스관의 보호

노출된 주변 가스관의 보호 대책으로는

① 고정 조치

② 옆흔들리기 방지 장치의 설치

봉강 및 형강, 와이어 로프, 철선을 이용하여 좌우 이동 유격을 방지한다.

③ 매달기 조치

굴착으로 인한 가스관이 노출되었을 때 또는 물뜨기 장치, 가스차단장치, 정압기, 불순물을 제거

하는 장치 또는 용접이외의 방법으로 접합부가 2개 이상 있을 때에는 봉강 및 형강, 와이어 로

프, 철선을 이용하여 매달기 간격을 2.5M 내외로하여 실시한다.

④ 받침 조치

가스관의 침하에 의한 파손 방지를 위하여 콘크리트, 철재 또는 목재를 이용하여 받침 지지 방식

을 적용하며 지지시 지지대의 간격은 2.5M 이내로 한다.

⑤ 배면 방호

2단 엄지 말뚝 천공에 의한 가스관을 노출시켜 수시로 점검하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구조

물의 발파진동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여야 한다.

- 전력 공급관의 보호

① 매달기 방호

강재, 와이어로프, 목재, 콘크리트재를 사용하여 전용보에서 기설 구조물을 매단다.

② 받침 방호

매달기 방호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가설물, 기설 구조물, 원지반에 받친다.

③ BOX 방호

케이블이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각종 케이블 방호재를 사용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감싸기 방

호를 한다.

④ 지반 개량

매설물 주변의 원지반, 영향 범위의 원지반을 약액 주입, 특수 재료(생석회등), 양질의 토사로 부

분 또는 전면적으로 바꾸는 등 지반을 개량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32 -
상기의 사항은 단독으로 실시되는 것이 아니라 두가지 이상의 방법이 병용되어 현장 실정에 맞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 통신관의 보호

통신 공사 시설의 방호 공사 및 지장물 이전 공사는 전용회선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원칙으

로는 통신 공사가 하기로 되어있으며 통신관 방호 방법은 통신 공사 지하 시설이 굴착 갱 안에 노

출할 때에는 굴착 규모에 따라 개개의 임시 방호를 하고 공사 복구의 단계에서 각각 본 방호를 한

다.

대규모 굴착에서 맨홀이 굴착 갱 안에 노출되고 매달기 방호를 필요로 할 때에는 몸체를 파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몸체의 가설 맨홀을 만들어 케이블을 보호한다. 관로 및 직매케이블의 경우는

매달기 보호를 표준으로 한다. 진동의 영향이 큰 장소의 매달기 방호는 전용 매달기보를 만들어

서 한다.

특히 진동이 심한 교차점에서는 받침 방호가 바람직하다.

또 되메우기 전에는 본 방호공사 및 해당 지하시설을 재검토한다.

- 상수도관의 보호

지하 굴착에 따른 수도관의 손상은 엄지 말뚝 천공에 의한 파손, 흙막이 시공 불량, 굴착 기계에

의한 관체 파손, 매달기 지보공의 방호불량, 교차부 간격의 부족에 따른 침하 접촉, 지하수 저하

에 의한 고르지 않는 침하, 되메우기 불량에 의한 고르지 않는 침하에 의한 것이 대부분으로 공사

착수 전에 관할의 수도 사업소와 공사의 종별, 규모, 시공 방법을 사전 협의함과 동시에 매설관의

구경, 점용 위치, 흙덮기를 조사한다. 또한 현장의 지상 조사(제수 밸브, 소화전. 공기 밸브에

의함), 줄파기에 의해 관의 위치를 충분히 확인하고 공사중에는 작업원에게 관의 위치를 확실하게

알도록 한다.

또한 수도관은 하수 관거와는 달리 국부적으로 굴곡하고 있는 장소가 있으므로 작업장소에서 관을

확인한 후 굴착 작업을 하여야 한다.

흙막이 공사시 배면의 관의 파손원인으로는

① 토류벽체 근입 깊이 부족으로 인한 배면측 침하

② 띠장 및 버팀대가 토압에 견디지 못하여 과다한 변위 발생

③ 지하수 배수에 의한 고르지 못한 침하

④ 토류판 사용시 배면 뒷채움 불량으로 인한 침하

⑤ 관과 토류벽체가 교차하고 있는 장소에서 충분한 흙막이가 되지 않을 때

⑥ 빗물, 배수, 용수, 누수로 인한 주변 지반의 침하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33 -
이상의 사항을 생각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원인을 제거함과 동시에 사전에 방호조치를 실시하여야

하겠다.

- 하수관의 보호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거의 파손은 직접적인 피해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경시하기 쉬운

면이 있으나 장기적인 면에서 파악될 때는 주변 지반의 이완 및 호우시 흐름의 저해때문에 내수범

람을 일으키거나 토사 유출에 의한 주변 지반 함몰에 의한 중대한 사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손상, 사고를 최소한으로 막기 위해 굴착 공사를 할때는 공사 구역내의 하수도

시설의 조사, 입회, 점검을 하게끔 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하수도 관리자에게 시공통지 혹은 입회

의뢰서의 수속을 하여야 한다.

굴착 공사시 발생되는 하수관거 파손 원인

① 흙막이 공사시 배면측 변위 발생에 따른 주변 침하에 의한 토사 붕괴 및 노면 침하

② 매달기 방호 및 받침 방호의 불비

③ 지하수 배수에 의한 압밀 침하

④ 지하수 배수시 침전조의 불비에 따른 관거내 토사 퇴적시 불균등하중 증대

⑤ 믹서.콘크리트펌프카의 기구 세정, 청소에 의한 콘크리트, 몰탈의 관거 유입

⑥ 주입 공사에 따른 약액, 모르타르의 관거내 유입

⑦ 되메우기 방법의 불량 및 받침 방호의 불비에 따른 관거의 이동 및 파손과 되메우기 후의

침하에 의한 손상

⑧ 시공업자 및 작업원의 무지, 부주의에 의한 손상

4.9 공사시 유의사항

굴착공사와 관련된 인근지반의 침하를 극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에 대해 유의 하여야 한다.

(1) 현장 책임자는 본 토류벽설계도와 인접대지경계선 및 본 건물의 지하 외벽선, 지반고 등을 검

측하여 토류벽의 중심선 및 천공 깊이를 확인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2) 토류벽은 설계심도까지 관입되도록 시공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3) 굴착공사 기간중에 장마 또는 호우를 만날것에 대비하여 (지표수가 침투하여 토류벽 사이 로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류벽 배면은 시멘트 또는 아스팔트로 포장 하거나

배수로를 개설하여 굴착장내로 우수의 유입을 막아야 한다.

(4) 지보재 설치 이전에 다음 단계의 굴착을 무리하게 진행하는 것은 인접지반의 침하는 물론 토류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34 -
구조물의 안전에도 문제가 생기므로 적기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보재 설 치지점보

다 0.5m 이상 굴착 주의 요)

(5) 토류벽 시공 및 굴토공사는 자격있는 전문업체에서 책임 시공하여야 한다.

(6) 토류벽 가설을 위한 중장비 가동시 인접건물 또는 주변지반에 중장비 자중, 또는 진동, 충 격

에 의해 악영향이 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하며 특히 보도(매설관)상에서 작업시는 조강 콘크리

트포장 (t=20cm)등을 하여 하중을 최대한 분산시켜 매설물이 손상이 없도록 하여 야 한다.

(7) H-PILE 시공시 또는 굴착공사시 중장비의 암반 굴착 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에 대해

수시로 체크하여 조치하는등 철저한 시공 관리를 하여야 한다.

4.10 피해예방 및 안전대책

흙막이 구조물 설계도는 토층의 성질을 근거로 작성되었으므로 실제 시공 중 토층 구성이 가정한 토

층의 내용과 다르거나 지반침하 등에 관한 실측 결과에 따라서는 피해예방을 위하여 설계변경이 이루

어져야 한다. 또한 시공중에 나타난 자료로 판단할 때 피해방지를 위하여 설계 변경이 필요한 경우

감리자는 시공자에게 설계변경, 피해예방 및 각종 피해복구에 대한 건의를 할 수 있으며, 이때 시공

자는 이 문제를 감독(발주자)과 협의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상의 피해예방을 위하여 시

방서에 명시된 사항은 피해를 최대한 예방하기 위한 기술적인 원칙에 불과하므로 시공자는 이 조항에

대한 충실한 이행은 물론이고 현장에서의 안전사고, 피해의 예방과 이를 위한 실측(토류 구조물의 변

형, 지반침하등의 주기적인 측정)에 최선을 다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감독(발주자)의 협조와 감리자의

자문을 요청하여 안전한 공사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감독(발주자)은 민원이 예상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착공 전에 공인 기관에 의한 안전 진단을 실

시하여 민원의 소지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35 -
4.11 굴착으로 인한 주변지반의 영향검토
본 현장의 굴토공사로 인해서 발생되는 주변지반의 침하가 인접해 있는 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
과 같이 검토하였다.
여기서, 시공 잘못으로 인한 주변지반 침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므로 설계시 고려
해야 할 원인에 의한 주변지반 침하에 대해서 고려하는데 압밀침하는 전체적인 주변지반이 점성토가
아니므로 침하량이 무시할 정도이기 때문에 따로 검토하지 않으며 토류벽 변위에 의해 발생하는 배
면토의 이동으로 인한 주변 지반의 침하만을 고려하여 산정한 “인접구조물의 침하량 산정방법‘의
분석결과에 의해 검토하고자 한다.

가. 허용침하량
검토에 저용할 허용 총 침하량 및 허용 각변위값은 “인접구조물의 침하량 산정방법” 의
내용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허용 총 침하량 : 48.66mm

나. 침하안정 검토

Project : : 삼천동 아이파크 공동주택 신축공사 B-B ANCHOR (BH-8) Time : 06:55:29
--------------------------------------------------------------------------------
Step No. 7 << EXCAVATION TO 14.6 AND ANCHOR 6 >>

Ground Settlement by Caspe(1966) method


(see FOUNDATION ANALYSIS AND DESIGN 4th ed. p659)

Excavation Depth (HW) = 14.60 m


Average Phi to ex. depth = 30.26 Deg
Width of Excavation (B) = 10.00 m
Hp = (0.5 B tan(45+PHI/2) = 17.412 m
Ht = (Hw+Hp) = 32.012 m
Distance of Influnce D=Ht*tan(45-PHI/2)) = 18.385 m
Volume of deflection (Vs) = 0.060 m3
Settlement at wall Sw = 4 Vs/D = 0.013 m = -12.990 mm

Distance 0.0*D 0.1*D 0.2*D 0.3*D 0.5*D 1.0*D


( m ) 0.0 1.4 2.8 4.2 7.0 18.39
Settlement(mm) -12.99 -10.95 -9.09 -7.95 -4.98 0.00
Note. The results shown are approximation recommended by Caspe.

굴착에 따른 흙막이배면의 최대 침하량은 12.990mm 이므로 최대 허용변위량 {굴착깊이의


1/300=48.66 mm)에 만족한다

다. 검토 결과
본 현장굴착으로 인한 주변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MAIDAS.XD program 해석결과에 의한 침하 및 각
변위 판정 등을 통하여 안정성을 검토하였으며 1/300 이내로 안정한 것으로 판단되나 추후 시공도
중 흙막이 계측 또는 관찰을 철저히 하여 배면지반의 거동 및 부재의 하중을 면밀히 측정검토하여
이상징후 발생시 감리자와 협의하여 보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36 -
5. 계 측 계 획

5.1 계측관리 목적

본 계측의 목적은 굴토공사중 토류벽 및 인접 지반의 거동을 측정하여 현재 상태의 안정을 판단하고,

토류벽의 향후 거동을 미리 예측하여 다음 단계의 시공에 반영할 수 있는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며,

안전하고 경제적인 공사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즉, 토류벽이 적절한 Data와 Software로 설계되어 있어도 몇 개의 지점에서 파악된 토질조건이 현장

지반 전체를 대표하지 않을 확율이 있으며 지반 토류벽의 Interaction은 공사 방법, 공사 기간, 순서

등 시공 조건에 따라 크게 다르다.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지하수위의 변화, 토류벽의 변위, 지점반력, 토압 및 수압의 변화, 인접

대지의 침하 등이 지하부 시공 중 계속적으로 추적되도록 하여 설계치와 비교, 검토되도록 하는 것이

다.

따라서, 토류벽 지반의 전반적인 거동 경향을 알 수 있으며 이것으로 안전도를 사전에 진단할 수 있

게된다.

5.2 계측기기의 선택 및 위치선정

(1) 계측기기의 선택

계측자료의 정확성, 이용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계측기기를 선택하

는 것이 일반적이다.

① 계측기기의 정도, 반복 정밀도, 강도, 계측 범위 및 신뢰도가 계측목적에 적합할 것

②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할 것

③ 온도, 습도에 대해 영향을 적게 받고 보정이 간단할 것

④ 예상 변위나 응력보다 계측기의 측정 가능범위가 클 것

⑤ 계기오차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계측기의 고장 발견이 용이할 것

⑥ 가격이 경제적일 것

(2) 계측위치 선정

현장 계측은 다양한 거동을 밝힐 수 있도록 많은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토류구조물

공사가 본체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가설구조물이므로 합리적, 경제적 측면에서 토류구조물 및 배

면 지반의 거동을 대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측점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37 -
계측 지점을 선택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원위치 시험 등에 의해서 지반조건이 충분히 파악되고 있는 곳

② 토류구조물을 대표할 수 있는 장소

③ 중요구조물이 인접하여 있는 곳

④ 토류구조물이나 지반에 특수한 조건이 있어, 공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

⑤ 교통량이 많은 곳

⑥ 하천주위 등 지하수의 분포가 다량이고 수위의 상승, 하강이 빈번한 곳

⑦ 가능한 한 공사에 의해 계측기기의 훼손이 적은 곳

위와 같은 관점에서 계측지점을 선정한 후 가능한 한 각종 계측기기가 동일단면에 설치 되게 배치하

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수평범위, 지보재의 변형, 주변지반의 침하, 지하수위 등이 서로 연관성을

유지하면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계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기 때

문이다.

5.3 계측관리 항목

계측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현장상황을 대표할 수 있는 Data를 얻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설치 목

적 및 방법을 숙지하고, 계측기기의 사전점검을 통해 공사 진행중 파손으로 인한 자료의 손실이 없도

록 유의하여야한다. 또한, 중요 지점에는 예기치 않은 계측기기의 이상 및 고장, 설치 오류 등에 대

비하여 이를 대신할 수 있는 여유분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현장에서는 상기와 같이 현장여건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계측기를 선정하여 공사기간동안

공사시 거동을 측정하도록 하였다.

명 칭 비 고

1) 경 사 계 (Inclinometer) 토류벽 후면에 설치

2) 수 위 계 (Water Level Meter) 토류벽 후면에 설치

3) 하 중 계 (Load Cell) 버팀보(Anhcor)에 설치

4) 지 표 침 하 핀 (Settlement Pin) 토류벽 후면 지표에 설치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38 -
< 표 5.1 > 계측기 항목 선정 판단 (흙막이 가설 구조물)

선 정 요 인 판 단 자 료 계 측 항 목


(직 접) (간 접)
착   
건물침하 지반침하
영 구조물의 영향을 장애의
계 건물수평 지반수평
향 현상파악  주는요인  추정 
기 변위 변위
a. 중요구조물   
계 건물경사 
범 b. 노후화구조물 지반침하→압밀
측 건물Crack 
위 부등침하
의 폭 토류벽의
구 건축년수 지반수평 토류벽의 수평변위
육안Crack의 발생 변형
조 경사 등 변위 ← 변 형 경 사
관찰외벽의 절리

설 설계계산토류벽계산 가상지지점,
(예산)  연속보법,

 탄소성법등

의 지하수거동 정호이론,
 침토류
 FEM등

확 주변지반거동경험적방법
일차원압밀

 침하

탄소성법FEM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39 -
선 정 요 인 판 단 자 료 계 측 항 목

벽체의 계산 → 측압 토압(수압)
외 적 조 건 지하수 거동 → 양수량  양수량
주변지반 거동 → 토류벽 변위 토류벽변위

제원파악 요인추정 장해추정


외적조건의 변동
하중의 크기 토류벽에 토류벽응력,
1)외력변화 위치시기, 공 하중증가 변형(국부)
토압, 토류벽의 응력
사와의 관계 의 증가
a.상재하중
상승속도 토류벽으로의 토류벽의 응력 변형 지보공의 응력
설 광 역 조 사 자 료 하 중 증 가 ( 지 이부분적인 증
b.지하수위변동
주 변 우 물 의 하수위가 깊 가(지하수위가
계 존재 을때) 깊을때)
2)근접공사의
실시 시공기간 편하중지반침 토류구조물 토류벽응력,지보공응력
시 기초도등 하수위변화등 의응력증가 토압, 토류벽변형

의 건물의부등 토압, 토류벽변형,지반


침하등에   구조물의 침하 수평
의한장애  변위, 경사 Graph

계측항목마다 비교


설계치,예측치 (허용치)
설계계산치와 허용치를

안 정 성 평 가 안정성의 평가설계 비교한 안전성이 낮은
예측 수법 및 조건을 항목을 계측한다.

가미한 평가
신뢰성의 평가
해석위치와 실제위치
해석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해석방법을
예측계산의 기준 충분히 이해하고, 기준 Parameter를
Parameter 결정한다. 토류벽의 변형 또는 응력
(예) *탄소성 토류계산 토류벽의 변형
*탄성 FEM에 의한 배면지반 지하수의 측정
침하계산
*양수에 의한 지하수의 저하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40 -
<표 5-2> 현장 계측항목 사용계기 및 목적

측정위치 측정항목 사용계기 육 안 관 찰 측 정 항 목

1.측압의 실측치와 설계와의



토 압 토압계 * 벽체의 휨 비교 검토
수 압 수압계 2.주변 수위 간극수압 벽면
압 * 토류벽 연결부의
수압의 관련성 파악
연속성 확인
* 누 수 1.변형이 허용치이내에 있는가
변 TRANSIT INVERTED * 주변 지반의 의 여부 확인
두부 변위
PENDULUM CRACK 2.토압.수압과 벽체변형과의
토류벽 수평 변위
형 INCLINOMETER 관계 파악

1.벽내응력분포를 구해 설계측
압에서 계산된 벽내응력과의
변형계
벽체내의 변형 비교
철근계
2.실측된 응력과 허용응력과의
비교에 의한 벽의안정성확인

1.STRUT 또는 E/ANCHOR의
STRUT 하중계
토압분담 역할을 분명히 한다
또는 축력, 신축량, 신축계 * STRUT의 평탄성
EARTH 온도 상대변위계 * 볼트의 조임상태
2.허용축력과의 비교에 의한
ANCHOR 온도계
안정성 확인

굴착저면의 변위 1.응력개방에 의한 굴착측 지반


지중고정 * 내부지반의 용수
및 어떤 깊이의 의 변형 및 주변지반의 거동을
굴착지반 ROD, 간극수압계,
변위, 간극수압, 안다.
INCLINOMETER * BOILING
지중 수평변위 2.배면지반의 변위 토류벽의
변위 및 굴착저면의 변위의
관계 파악
3.허용변위량과 실측변위량과
* 배면지반의
지표연직변위, 지 변의말뚝, 의 비교에 의한 안정성의
CRACK
중연직변위, 간극 지중고정 확인 계산된 벽내응력과의
주변지반 * 도로의 연석,
수압, 지중수평변 ROD, 간극수압계, 비교
BLOCK등의 벌
위 INCLINOMETER 4.굴착 및 배수에 따른 주변지
어짐 확인
반의 침하량 및 침하범위의
파악

1.벽내 응력분포를 구해 설계
연통관식 측압서 계산된 벽내응력과
인 접 침하계, * 구조물의 의 비교
연직 변위, 경사량
구조물 고정식 CRACK 2.실측된 응력과 허용응력과
경사계 비교에 의한 벽의 안정성 확

1.굴착 및 배수에 수반하는


탄산 GAS GAS검지기 가설 구조물의 변위량 파악
유독GAS수
메탄 GAS 우물의
질오염
수질오염 수질시험 2.지반개량 등에의한 주변지역에
수질 오염 확인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41 -
(1) 지중 경사계 (inclinometer)

① 목 적

지중에 소요 깊이까지 케이싱을 설치하고 측정 소자를 집어넣어 일정 간격으로 케이싱의 경사를 읽

어 중심도에 따른 수평 변위량을 측정하여 흙막이 구조물의 연속적인 횡방향 변위를 측정한다.

② 설 치

현장의 특성과 주어진 상황에 따라서 보오링, Casing의 처리, Grout의 방법은 현장마다 차이가 있

을 수 있으나 일반적인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를 한다.

a. 설치 심도까지 보오링을 한다.

b. Hole의 지름은 100-200mm 정도이되 100mm 정도로 하는 것이 설치에 편리하다.


c. 경사계 케이싱의 한쪽 끝을 End Cap으로 씌우고 Rivet Kit를 사용하여 Riveting을 한다.

d. 미리 Casing과 Coupling을 Rivet로 조합시켜 놓고 Sealing처리를 한다.

e. 측정 방향을 설정하여 홀에 A와 B의 방향을 표시한다.

f. 조립된 Casing를 차례로 Hole내에 넣어 측정방향과 Keyway의 방향을 맞추어 설치한 다.

g. Steel Casing을 제거하여 Grouting을 한다.

h. Grout재로 완전히 채운 후 경사계 케이싱의 끝부분을 Protective cover로 덮고 보호 막을

만들어 잘 보호 되도록 한다.

I. Grout재가 양생된 후 침하된 부위에 다시 Grout재를 채운다.

j. Grout를 하는 과정에서 측정방향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k. 만약 설치도중에 공내의 물에 의한 부력에 영향을 받는다면, 케이싱내에 맑은 물을 부어 넣어

부력을 제거하도록 해야 한다.

③ 측 정

경사계관의 Protective cover를 열고 Pully Assembly을 설치한다.

Probe의 Position을 측정 방향에 맞추어 경사계관 내부의 Keyway를 따라 밀어 넣는다.

계획 심도까지 Probe를 내린 후 지시계의 스위치를 켠다.

50cm씩 표시된 케이블을 Assembly에 맞추어 올리며 계측을 하고 계측된 값은 자동적으로 지시계에

수록되며 필요한 자료를 원하는 때에 즉시 뽑아 내어 사용한다.

(2) 하중계 (Load Cell)

① 목 적
Ground Anchor의 하중 및 인장력을 측정하여 공사 시 지반상황을 예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42 -
② 적용 및 활용

- Ground Anchor의 하중 및 인장력 측정

- Pile의 하중측정

- Strut 축력 측정 및 굴착시의 하중측정

③ 설치 방법

- Load Cell 설치 3~4 시간전에 현장 그늘에 놓아둔다.

- Cable을 연결한 후 영점값을 읽고 Sheet에 기록한다.

- Ground Anchor 스트랜드를 Center hole 내부로 넣어 Lower plate를 거치시킨다.

- Load Cell을 거치시킨다.

- Upper Plate를 거치시킨 후 지압판을 거치하고 유압잭을 이용하여 Ground Anchor를 인장시킨

다.

- Ground Anchor를 인장시킨 후 지시계를 이용하여 초기치를 읽는다.과 비교 안정성을 검토한

다.

④ 측정 방법

- Load Cell에서 연결되어진 케이블을 Readout과 연결하여 초기치, 계측치 및 계기 상수를 환산

공식에 적용하여 인장력 및 하중을 산정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43 -
(3) 지 하 수 위 계 (Water Level Meter)

① 목 적
공사전 정상 상태의 수위와 굴착 GROUTING 등으로 인한 수위, 수압의 변동을 측정하여 주변 지반의
특수성, 거동 등을 예측.
a. 배수의 조절 및 관리
b. 지하수의 활동에 대한 건축 구조물의 관리
c. 수위의 증가, 감소 조정
d. 투수의 특성

② 설 치
a. 원하는 위치에 계획 심도까지 굴착
b. 굴착후 카사그란드 팁과 PVC Stand Pipe를 커플링으로 연결한 후 굴착 공내에 차례로 설치
한다.
c. 모래를 이용하여 투수층을 형성
d. 차수층 형성(벤토나이트 등)
e. 지표면까지 Grouting을 하고 보호 Cap을 형성

③ 측 정
Probe를 Stand Pipe안으로 삽입하여 내린다.
Probe가 파이프 내의 수면에 닿을 때 빨간불이 켜지고 부저가 울리는 깊이를 측정한다.

(4) 지 표 침 하 핀 (Settlement Pin)

① 목 적
토류벽 배면, 굴착현장과 인접한 구조물 주변의 수직 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② 설 치
a. 원지반에서부터 30㎝ 정도의 깊이로 Pit를 판다.
b. Pit 내부에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침하핀을 설치한다.
c. 시멘트 경화후 보호덮개를 씌운다.

③ 측 정
a. 현장 부근에 굴착의 영향이 미치지 않을 부동점을 설치하고 그 점을 기준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침하핀 위에 수준측량을 하여 침하량을 측정한다.
b. 각 침하핀에 발생하는 현재의 전침하량을 알 수 있도록 누적된 침하량을 기록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44 -
5.4 계측관리 기준

계측관리는 각종 계측을 조직적으로 실시하고 계측결과를 바로 시공에 반영하여 필요시 공법을 현장

에 맞게 변경시켜 안전하고 경제적인 시공관리를 위하여 각 계측 단계별로 관리지침이 필요하다.

계측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현장상황을 대표할 수 있는 보다 정확한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작

업자가 설치 목적 및 방법을 정확히 숙지하고, 또한 계측기의 사전점검 및 공사 진행중에 파손으로

인한 자료의 손실이 없도록 특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으로 매우 중요한 지점의 계측에는 예기치

못한 계측기의 이상 및 고장과 설치 오류 등에 대비하여 여유분을 준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계측관리 기준의 설정

계측에 의한 변위 및 응력의 관리기준은 지질조건, 구조체 단면의 크기와 형상, 굴착공법, 주변구

조물의 환경조건 등에 따라 각각 달라지므로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설계시에 해석

결과라든지 유사한 지질 및 단면에서의 계측 결과를 토대로 계측전문 기술자에 의해 관리기준 허용

량 및 허용속도 등을 기준치로 정해야만 한다.

현장계측에 따르는 데이터 관리방법으로는 시공전에 설정된 관리기준치화 실측치를 비교, 검토하여

그 시점에서 공사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절대치 기준관리와 시공 다음단계 이후의 예측치와 관리기준

치를 비교 검토하는 예측관리가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사용하는 기준의 한예는 아래 표와 같

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내 현장의 지반 구조가 다양하고 여러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토류벽체의 지지구조가 아주 다양하기 때문에 아래표는 단순한 참고자료이며, 대부분은 이와 같은

현장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표 5.3> 계측관리의 일반적인 기준치


판 정 법
측정항목 판정기준치
지표기준 위 험 주 의 안 정
측 압 설계시 사용하는 설계시의 측압
F= F < 0.8 0.8≤F≤1.2 F > 1.2
(토압,수압) 측 압 분 포 실측에 의한 측압
벽 체 설계시의 추정치
설계시 추정치 F= F < 0.8 0.8≤F≤1.2 F > 1.2
변 형 실측 변형량
strut 부재의 허용응력
부재의 허용응력 F= F < 0.7 0.7≤F≤1.2 F > 1.2
측 력 실측에 의한 축령
건 물 의 기중간격에 의한 1/200 1/500
부등침하량 1/300~1/500
허용부등침하량 부등침하량 비 이 상 이 하
구조물에 따른 철근 및 철골 100 25mm
허용침하량 25 mm
허용침하량 콘크리트 구조 mm 이하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45 -
5.5 계측자료의 수집 및 분석

계측기기의 초기 측정은 신뢰성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공전에 얻어져야 한다. 자료

수집 빈도는 공사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하며 급격한 구조물의 응력 변화나 주변 구조물

에 공사에 인한 문제점이 발견되면 그 빈도를 증가 시켜야 할 것이다.

측정일시 사이의 공백 기간중에 발생되는 변화도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하며 자료 수집시 공사 내용

및 주변상황, 기상조건 등을 면밀히 기록하여 성과 분석시 유효적절히 이용가능할 수 있도록 조치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장에서 얻어진 자료는 즉시 공사현황 및 기상상태 등을 고려한 분석을 통하여 성과를 도표 등으로

가시화 함으로써 토류구조물 및 주변건물등의 현재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예측치와 비교하여 그 차이

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제원인을 규명하여 공사의 안전성 및 적합성을 판단해야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46 -
Ⅱ. 구 조 계 산 서
1. 토류구조물 설계 일반사항

1.1 설계 적용기준 및 제원

(1) 토류벽용 가설구조 강재의 적용허용 응력

토류벽에 사용하는 강재는 가설재임을 고려하여 장기 허용응력의 1.5배를 취한다.

도로교시방서의 강교편에 수록된 설계계산에 사용되는 허용응력을 표로서 나타낸 것이다.

<표 1.1> 가시설물에 사용되는 강재의 허용응력 (MPa)

종류 SS275, SM275, SHP275(W) SM355, SHP355W 비고

축방향인장
240 315
(순단면)

l l
 ≦  일 경우  ≦  일 경우
 
240 315

l l
 <  ≦  일 경우  <  ≦  일 경우
 
축방향압축
(총단면) l
     
   l
     
  l(㎝):유효좌굴장
 (㎝):단면2차반경
l l
 >  일 경우  >  일 경우
 
     



l
 +    
l
 +  
    
인장연
240 315
(순단면)

l l
휨  ≦     ≦   
 
응 l:플랜지의 고정점
력 압축연 l l 간 거리
(총단면)  <  ≦   <  ≦ 
   :압축플랜지 폭

 l
     
   
     
 
전단응력
135 180
(총단면)

지압응력 360 465 강관과 강판

용접 공장 모재의 100% 모재의 100%


강도 현장 모재의 90% 모재의 90%

※ 가설재로 사용하므로 50% 할증한 값임.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48 -
<표 1.2> 목재의 허용응력 ( 단위 : MPa)

목재의 종류 허용응력(MPa)
휨 압축 전단
침엽수 소나무,해송,낙엽송,노송나무,솔송나무,미송 9 8 0.7
삼나무,가문비나무,미삼나무,전나무 7 6 0.5

활엽수 참나무 13 9 1.4


밤나무, 느티나무, 졸참나무, 너도밤나무 10 7 1.0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49 -
1.2 굴착 지반의 토질 공학적 특성

(1) 토질공학적인 지반 해석 조건

본 현장에 적용된 토질정수는 경험식의 근거로 산정하여 흙막이 벽체를 설계하였다.

(2) 조사자료의 제한성

굴토의 대상이 되는 주된층은 토사층이다. 흙이 다른 구축자재, 예컨대 강철이나 콘크리트와 근본

적으로 구별되는 것은 이것이 불연속체(Discrete Meterial)라는 사실이다. 즉, 흙 입자 그 자체는

고체이지만 강철과 같은 결정체와는 달리 이들이 강하게 부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흙 입자는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외력을 받았을 때에는 입자 상호간의 변위가 쉽게 일어난
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흙은 암반과 구별된다. 전자는 광물입자들이 자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나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반면, 후자는 이들이 거의 영속적인 결합력에 의하여 강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흙과 암반은 구별이 분명하지 못할 때가 많다. 예를 들면 풍화과정 중에 있

는 암반은 광물입자의 결합력이 대단히 약화되어 있으며, 어떤 흙은 거의 암반에 비견할 수 있을 정

도로 고결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흙이 불연속체라는 사실은 토질역학이 고체역학이나 유체역학과

근본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중요한 특징이다. 불연속체인 흙입자 사이에는 공기와 물이 있을 수 있기

떄문에 흙은 본질적으로 삼상이다. 흙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는 이러한 물질의 상호작용때문에 하

나의 균질한 물질로 되어 있는 경우와는 달리, 힘의 전달이나 변위가 단순하지 않다. 대단히 가는

입자를 가진 흙은 입자 상호간에 전기력이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흙을 평가하는데는 하기

와 같은 제한성이 따를 수밖에 없다.

① 흙은 탄성을 보이지 않는다.

② 흙의 거동은 압력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시간과 환경(Environment)에도 의존한다.

③ 흙은 본질적으로 위치마다 그 성질을 달리한다.

④ 땅속에 있는 흙은 직접 볼 수가 없으므로 한정된 위치에서 채취한 흙 시료를 조사하고 시험하여

전체 지반의 특성을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⑤ 땅속에서 시료를 채취할 때,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흙은 교란(Disturbance)되며 대부분의

흙의 거동은 이러한 교란에 민감하다. 따라서 시험실에서 얻은 흙시료의 측정값과 현장에서의 측정

값은 다를 수 있다. (정인준, 김상규 저 토질역학 참조)

건설 기술자들이 접하게 되는 지반은 토질과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실은 이 중


간단계에서의 구분이 명확치 않다. 즉 암반이 풍화과정에 있을때와 토질이 경화 되어 가는 도중에

는 구별이 어렵다. 지각에서 암석은 풍화되어 토질로 되고 이것이 다시 경화되어 암석이 되는 윤회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어떤 지질학자는 지질학적인 관점에서 이 두 물질을 구태여 구분하지 않는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50 -
경우도 있다.

물론 건설 기술자의 입장에서 볼 때는 토질과 암반의 중간단계에 있으므로 구분은 매우 어렵다.

현장 암석을 구태여 “암반”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은 자연상태의 암층에서는 불연속면이 많이

발달되어 있으므로 불연속면이 전혀 없는 온전한 암석(Intact Rock)과는 구분되어야 하고 이것이

암석 역학 분야에서 다루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51 -
1.3 토질 정수의 평가

(1) 지반정수 추정을 위한 기본자료

전단강도외 여러정수들은 토질실험을 통해서 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본 설계에서는 기 입수된 지반

조사 자료와 각 참고 문헌을 발췌하여 해석에 필요한 강도정수를 산정하였다.

① 흙의 단위체적 중량 - 일반토성(1)

<표 1.6> 흙의 단위체적 중량


단 위 체 적 중 량 ( tonf/m )
종 류 분류기호
( 지 하 수 위 이 상 )
자갈섞인 모래 다진것 2.0 GW,GP
성 입도가 좋은 것 2.0
모 래 다진것 GW,SP
입도가 나쁜 것 1.9
토 사 질 토 다 진 것 1.9 SM,SC
점 성 토 다 진 것 1.8 ML,CL,MH,CH
치밀한 것 또는 입도가 좋은 것 2.0
자 갈 GW,GP
치밀하지 않은 것 또는 입도가 나쁜 것 1.8
치밀한 것 2.1
자갈섞인 모래 GW,GP
치밀하지 않은 것 1.9
치밀한 것 또는 입도가 나쁜 것 2.0
모 래 SW,SP
자 치밀하지 않은 것 또는 입도가 나쁜 것 1.8
치밀한 것 1.9
연 사 질 토 SM,SC
치밀하지 않은 것 1.7
굳은것(손가락으로 강하게 눌러 조금 들어감) 1.8
지 약간 무른것(손가락 중간정도의 힘으로
점 성 토 1.7 ML,CL
들어감)

무른것(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1.6
굳은것(손가락으로 강하게 눌러 조금 들어감) 1.7
약간 무른것(손가락 중간정도의 힘으로
점토 및 실트 1.6 CH,MH,ML
들어감)
무른것(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1.4
1) 지하수위 이하에 있는 흙의 단위체적중량은 각각의 표의 값에서 1.0을 뺀 값으로
한다.
2) 쇄석은 자갈과 같은 값으로 한다.
비 도로설
3) Tunnel 버럭이나 암괴등은 입경이나 간극에 비해 다르기 떄문에 과거의 실적이나
현장실험에 의해서 결정한다.
4) 입도가 나쁜 모래란 입경이 가지런한 모래를 말한다. 자갈의 경우도 같다.

5) 점성토 점토 및 Silt의 구분에서 N치의 추정은 대체로 다음의 범위이다.
사질의 (N=8-15) , 약간 연질의 것(N=4-8) , 연질의 것(N=2-4)
6) 적요에 표시한 통일분류기호는 거의 추정한 것이다.
계 요령 (신판) 제 1 집, P.28,1991.1)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52 -
② 단위중량, 내부마찰각 - 일반토성(2)

<표 1.7> 단위중량, 내부마찰각


단위중량 수중단위중량 내부마찰각 수중내부마찰각
종 별 상 태
(tf/㎥) (tf/㎥) (ψ) (ψ)

쇄 석 1.6(1)-1.9 1.0-1.3 35-45° 35°

자 갈 1.9-2.0(2) 1.0-1.2 30-40° 30°

단단한것 1.7-2.0 1.0 35-40° 30-35°


모 래(3) 약간무른 것 1.6-1.9 0.9 30-35° 25-30°
무른것 1.5-1.8 0.8 25-30° 20-25°
굳은것 1.7-1.9 1.0 25-35° 20-30°
보통흙(4) 약간굳은것 1.6-1.8 0.8-1.0 30-35° 15-25°
부드러운것 1.5(5)-1.7 0.6-0.9 15-25° 10-20°
굳은것 1.6-1.9 0.6-0.9 20-30° 10-20°
점 토(6) 약간굳은 것 1.5-1.8 0.5-0.8 10-20° 0-10°
부드러운것 1.4-1.7 0.4-0.7 0-10° 0°

딱딱한 것 1.6-1.8 1.0 10-20° 5-15°


실 트(7)
부드러운것 1.4(8)-1.7 0.5-0.7 0° 0°

(참고문헌 : ‘도해 토목견축 가설구조물의 해석’ P.231


[주] (1),(5)는 석회암 또는 사암계의 단위중량이 적은 것
(2)의 2.0은 깬 자갈이고 밀실한 것
(3)의 모래는 부드러운 세사 silt 질 세사등 불안정한것 외의 것을 말함
(4)의 보통흙에는 사질 loam, loam, 사질점토 loam을 포함함.
(5)의 1.5는 관동 loam 기타의 중량이 적은 것.
(6)의 점토에는 점토, loam, silt 질 점토를 포함함.
(7)의 silt에는 silt loam, silt를 함유함
(8)의 1.4는 silt의 진흙모양의 것

③ 일본 도로 토공지침

점성토에는 점착력과 N치의 관계에 대해 일본 도로 토공지침 가설구조물의 조항에서 다음과 같이 표

시하고 있다.

<표 1.8> 점성토의 N치와 점착력과의 관계

구 분 Very soft soft Medium Stiff Very stiff Hard

N 2 이상 2-4 4-8 8-15 15-30 30 이상

C (t/㎡) 1.2 이하 1.2-2.5 2.5-5.0 5.0-10 10-20 820 이상

참고문헌 : N치를 이용한 기초, 토류의 설계 계산법과 실례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53 -
④ 일반토사의 단위중량 - 일반토성-(3)

다음의 Table은 여러 가지 흙의 간극비, 간극률 및 단위중량의 대표치는 나타낸다.

<표 1.9> 간극비, 간극률, 단위중량


간극률 간극비 단 위 중 량 γ (t/㎥)
흙의 종류 흙의 상태
n (%) e 건 조 ( γd ) 전 체 ( γ t ) 포 화 ( γ sat )

모래질 느 슨 38-42 0.61-0.72 1.4-1.7 1.8-2.0 1.9-2.1


자 갈 총 총 18-25 0.22-0.33 1.9-2.1 2.0-2.3 2.1-2.4

거친모래 느 슨 40-45 0.67-0.82 1.3-1.5 1.6-1.9 1.8-1.9


중간모래 총 총 25-32 0.33-0.47 1.7-1.8 1.8-2.1 2.0-2.1

균등한 느 슨 45-48 0.82-0.92 1.4-1.5 1.5-1.9 1.8-1.9


가는모래 총 총 33-36 0.49-0.56 1.7-1.8 1.8-2.1 2.0-2.1
느 슨 45-55 0.82-1.22 1.3-1.5 1.5-1.9 1.8-1.9
거친실트
총 총 35-40 0.54-0.67 1.6-1.7 1.7-2.1 2.0-2.1
연 약 45-50 0.82-1.00 1.3-1.5 1.6-2.0 1.8-2.0

실 트 중 간 35-40 0.54-0.67 1.6-1.7 1.7-2.1 2.0-2.1

견 고 30-35 0.43-0.49 1.8-1.9 1.8-1.9 1.8-2.2

연 약 50-55 1.00-1.22 1.3-1.4 1.5-1.8 1.8-2.0


소성이
중 간 35-45 0.54-0.82 1.5-1.8 1.7-2.1 1.9-2.1
작은점토
견 고 30-35 0.43-0.54 1.8-1.9 1.8-2.2 2.1-2.2
연 약 60-70 1.50-2.30 0.9-1.5 1.2-1.8 1.4-1.8
소성이
중 간 40-55 0.67-1.22 1.5-1.8 1.5-2.0 1.7-2.1
큰 점토
견 고 30-40 0.43-0.67 1.8-2.0 1.7-2.2 1.9-2.3
참고문헌 : ‘토질역학’ 1999. P16

⑤ Peck-Meyerhof (1956)의 제안

<표 1.10> 상대밀도, 내부마찰각


상대밀도 (Dr) 내부마찰각 (ψ)
N - 값
Relative Density Peck Meyerhof

0 - 4 Very Loose 0.0 - 0.2 < 28.5 < 30

4 - 10 Loose 0.2 - 0.4 28.5 - 30 30 - 35

10 - 30 Medium 0.4 - 0.6 30 - 36 35 - 40

30 - 50 Dense 0.6 - 0.8 36 - 41 40 - 45

50 < Very Dense 0.8 - 1.0 41 < 45 <

Peck φ = 0.3 N + 27
Meyerhof φ = 0.25 N + 32.5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54 -
⑥ 모래의 내부마찰각과 N 치와의 관계

<표 1.11> 모래의 내부마찰각과 N 치l와의 관계


구 분 Dunham Peck O.Saki HUKUOKA
N 12 N + 15 12 N + 20 12 N + 25 0.3 N + 27 20 N + 15 Kh
1 18.46 23.46 28.46 27.30 19.47 691
2 19.90 24.90 29.90 27.60 21.32 916
3 21.00 26.00 31.00 27.90 22.75 1079
4 21.93 26.93 31.93 28.20 23.94 1213
5 22.75 27.75 32.75 28.50 25.00 1328
6 23.49 28.49 33.49 28.80 25.95 1430
7 24.17 29.17 34.17 29.10 26.83 1523
8 24.80 29.80 34.80 29.40 27.65 1607
9 25.39 30.39 35.59 29.70 28.42 1686
10 25.95 30.95 35.95 30.00 29.14 1760
11 26.49 31.49 36.49 30.30 29.83 1829
12 27.00 32.00 37.00 30.60 30.49 1895
13 27.49 32.49 37.49 30.90 31.12 1958
14 27.96 32.96 37.96 31.20 31.73 2017
15 28.42 33.42 38.42 31.50 32.32 2075
16 28.86 33.86 38.86 31.80 32.89 2130
17 29.28 34.28 39.28 32.10 33.44 2183
18 29.70 34.70 39.70 32.40 33.97 2234
19 30.10 35.10 40.10 32.70 34.49 2284
20 30.49 35.49 40.49 33.00 35.00 2332
21 30.87 35.87 40.87 33.30 35.49 2378
22 31.25 36.25 41.25 33.60 35.98 2424
23 31.61 36.61 41.61 33.90 36.45 2468
24 31.97 36.97 41.97 34.20 36.91 2511
25 32.32 37.32 42.32 34.50 37.36 2553
26 32.66 37.66 42.66 34.80 37.80 2594
27 33.00 38.00 43.00 35.10 38.24 2634
28 33.33 38.33 43.33 35.40 38.66 2673
29 33.65 38.65 43.65 35.70 39.08 2712
30 33.97 38.97 43.97 36.00 39.49 2749
31 34.29 39.29 44.29 36.30 39.90 2786
32 34.60 39.60 44.60 36.60 40.30 2822
33 34.90 39.90 44.90 36.90 40.69 2858
34 35.20 40.20 45.20 37.20 41.08 2892
35 35.49 40.49 45.49 37.50 41.46 2927
36 35.78 40.78 45.78 37.80 41.83 2960
37 36.07 41.07 46.07 38.10 42.20 2993
38 36.35 41.35 46.35 38.40 42.57 3026
39 36.63 41.63 46.63 38.70 42.93 3058
40 36.91 41.91 46.91 39.00 43.28 3090
41 37.18 42.18 47.18 39.30 43.64 3121
42 37.45 42.45 47.45 39.60 43.98 3151
43 37.72 42.72 47.72 39.90 44.33 3182
44 37.98 42.98 47.98 40.20 44.66 3212
45 38.24 43.24 48.24 40.50 45.00 3241
46 38.49 43.49 48.49 40.80 45.33 3270
47 38.75 43.75 48.75 41.10 45.66 3299
48 39.00 44.00 49.00 41.40 45.98 3327
49 39.25 44.25 49.25 41.70 46.30 3355
50 39.49 44.49 49.49 42.00 46.62 3383

⑦ Dunham (1954)의 제안

Dunham은 Terzaghi-Peck의 연구결과를 정리하여 다음과 같은 근이식을 유도하였다.

입도 분포가 균일하고 입자가 둥글 때 φ= 12 N + 15


입도 분포가 양호하고 입자가 둥글 때 φ= 12 N + 20
입도 분포가 균일하고 입자가 모가졌을 때 φ= 12 N + 20
입도 분포가 양호하고 입자가 모가졌을 때 φ= 12 N + 25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55 -
⑧ O,saki 제안

N-값을 이용하여 내부마찰각을 산출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φ= 20 N + 15
⑨ Hook & Bray(Rock Slope Engineerings)

<표 1.12> Typical Soil and Rock Properties


Unit Weight Friction
Description Cohesion
(Saturated/Dry) angle
Type Material lb/ft³ kn/㎥ Degrees lb/ft² kPa
Loose sand, uniform grain size 118/90 19/14 28-34 200 10 kPa
Loose sand, uniform grain size 130/109 21/17 32-40 lb/ft² ≒ 1 t/㎡
Sand
Loose sand, mixed grain size 124/99 20/16 34-40 ≒ 1 t/㎡
Dense sand, mixed grain size 135/116 21/18 38-46
Gravel, uniform grain size 140/130 22/20 34-37
Gravel
Cohes Sand and gravel, mixed grain size 120/110 19/17 48-45
ionle
ss Basalt 140/110 22/17 40-50
Chalk 80/62 13/10 30-40
Blased Granite 125/110 20/17 45-50
/broke
nrock Limestone 120/100 19/16 35-40
Sandstone 110/80 17/13 35-45
Shale 125/100 20/16 30-35
Soft Bentonite 80/30 13/6 7-3 200-400 10-20
Very soft organic clay 90/40 14/6 12-16 200-600 10-30
Soft, slightly organic clay 100/60 16/10 22-27 400-1000 20-50
Clay Soft glacial clay 110/76 17/12 27-32 600-1500 30-70

Stiff glacial clay 130/105 20/17 30-32 1500-3000 70-150

Cohes Glacial till, mixed grain size 145/130 23/20 32-35 3000-5000 150-250
ive
Hard igneous rocks - ** 720000- 35000-
25-30 35-45
granite, basalt, porphyry 160-190 1150000 55000
Metamorphic rocks - 400000- 20000-
160-180 25-28 30-40
quartzite, gneiss, slate 800000 40000
Rock
Hard sedimentary rocks - 200000- 10000-
150-180 23-28 35-45
limestone, dolomite, sandstone 600000 30000
Soft sedimentary rock - 20000- 1000-
110-150 17-23 25-35
sandstone, coal, chalk, shale 400000 20000
* Higher friction angles in cohesionless materials occur at low confining or normal
stresses
** For intact rock, the unit weight of the material does not vary significantly between
saturated and dry states with the exception of materials such as porous sandstones.
1 MPa = 1 MN/㎡ = 10.2 kg/㎠ = 145 lb/in² "Rock Slope Engineering (1981)"
1 kN/㎥ = 102 kg/㎥ = 6.37 lb/in³
(REF : E.Hook and J.W. Bray 'Rock Slope Engineering' (1981))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56 -
⑩ BOWLES의 제안

<표 1.13> 각 토층에 대한 내부마찰각(ψ)의 대표치

TYPE OF TEST

Soil Unconsolidated- Consolidated- Consolidated-


Undrained Undrained Drained
(UU) (CU) (CD)

Gravel

Medium Size 40-55° 40-55°

Sandy 35-50° 35-50°

Sand

Loose Dry 28-34°

Loose Saturated 28-34°

Dense Dry 35-46° 43-50°

1-2°Less than
Dense Saturated 43-50°
Dense sand

Silt or Silty sand

Loose 20-22° 27-30°

Dense 25-30° 30-35°

Clay 0°If Saturated 3-20° 20-42°

* See a laboratory manual on soil testing for a complete description of these. E.G, BOWLES
(1986B)
NOTES :
1. Use larger values as γ increases
2. Use larger values for more angular particles
3. Use larger for well-graded snad and gravel mixtures (EGW, SW)
4. Average values for
Gravels : 35-38°
Sands : 32-34°
(REF : J.E BOWLES, 'Foundation Analysis and Design', 4th ed., 1988. P84)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57 -
⑪ 통일분류법에 의한 사질토의 지반특성치

통일분류법으로 분류한 각 사질토의 N치와 상대밀도값에 따른 강도정수는 다음과 같다.

<표 1.14> Common Properties of Cohesionless Soils

Dr γd
Material Compactness N* e ψ
(%) (gf/㎤)

Dense 75 90 2.21 0.22 40


well-graded
GW gravels, gravels- Medium dense 50 55 2.08 0.28 36
sand mixtures
Loose 25 <28 1.97 0.36 32

Dense 75 70 2.04 0.33 38


poorly graded
GP gravels, gravel- Medium dense 50 50 1.92 0.39 35
sand mixtures
Loose 25 <20 1.83 0.47 32

Dense 75 65 1.89 0.43 37


well-graded
SW sands, gravelly- Medium dense 50 35 1.79 0.49 34
sands
Loose 25 <15 1.70 0.57 30

Dense 75 50 1.76 0.52 36


poorly sands
SP sands, gravelly- Medium dense 50 30 1.67 0.60 33
sands
Loose 25 <10 1.59 0.65 29

Dense 75 45 1.65 0.62 35

SM silty sands Medium dense 50 25 1.55 0.74 32

Loose 25 <8 1.49 0.80 29

Dense 75 35 1.49 0.80 33


inorganic silts,
ML Medium dense 50 20 1.41 0.90 31
very fine sands
Loose 25 <4 1.35 1.00 27
* N is blows per foot of penetraion in the SPT. Adjustments for gradation are after
Burmister(1962)
Density given is for G s = 2.65 (quartz grains)
* Friction angle ψ depends on mineral type, normal stress, and grain anfularity as well as
Dr and gradation
Roy.E.Hunt : Geotechniacl Engineering Analysis and Evaluation (Mc.Graw - Hill, 1986, P80)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58 -
⑫ 암층분류표 (서울지하철공사)

<표 1.15> 서울지하철공사 암층분류표


암반
경 암 보 통 암 연 암 풍 화 암 잔 류 토
구분

4.5 4.0-4.5 3.5-4.0 3.5 2.0


탄성파 속도
km/sec 이상 km/sec km/sec km/sec 이상 km/sec 이하

물리 화학적
교대 작용으로
풍 화작 용 으 로
경도가 아주 균열 및 절리 파쇄대가 매우 완전풍화되고
암상에 층리
좋고 균열이 가 다소 발달 발달되어 있는 암의 조직이
및 절리가 발
암 질 상 태 적고 풍화 되어 있으며 상태로 다소의 보존되어 있
달되어 있는
변질이 안된 풍화가 안된 단층이 포함 으나 토사화
암체로서 파쇄
상태 상태 되어 점토질이 됨

많이 발달되어
있는 암상

망치가 튕겨 강하게 치면
망치로 쉽게 망치로 쉽게
나옴 균열면이나 손으로 문지
관찰에 의한 갈라지며 쉽게 부서지며 망치
강하게 치면 결리면을 따 르면 쉽게 부
판 정 균열면으로 갈 가 아니더라도
신선한 면으 라 크게 갈라 서짐
라짐 쉽게 부서짐
로 갈라짐 짐

채취율 90 % 이상 70 % 이상 40 - 70 % 40 % 이하

코아
균 열 다소의 세편 다량의 세편 세편을 이루고
주상코아
상 태 포함 포함 있음
상태

암 괴 20 cm 이상 5 cm 이상 5 cm 이하,세편

점착력(tonf/m2 ) (2.5 - 200) (2 - 50)


(10 - 500) (5 - 300) (0.5 - 20)
설 계 치 5.0 0.0

내부마찰각( °) (25 - 50) (20 - 45)


(35 - 50) (35 - 50) (20 - 45)
설 계 치 40 37

단 위 중 량
(2.6 - 2.7) (2.6) (2.5 - 2.56) (2.0 - 2.4) (1.8 - 2.2)
(tonf/m3)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59 -
⑭ SOLETANCHE에 의한 Kh

⑮ 지반공학에서의 수치해석 실무(일본 토질공학회 p.198)

<표 1.16> 지반의 횡방향 지반반력 계수(토류벽 해석용)

사질토 지반 점성토 지반

N 치 Kh (kg/cm³) N 치 Kh (kg/cm³)

N≤10 0.1 ~ 0.5 N≤2 0.1 ~ 0.5

10<N≤20 0.5 ~ 1.5 2<N≤5 0.5 ~ 1.0

20<N≤30 1.5 ~ 2.5 5<N≤10 1.0 ~ 2.0

30<N≤40 2.5 ~ 3.0 10<N≤15 2.0 ~ 3.0

40<N≤50 3.0 ~ 3.5 15<N≤30 3.0 ~ 4.0

50<N≤100 3.5 ~ 5.0 30<N≤50 4.0 ~ 5.0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60 -
N값에 의한 경험식 산정
∙ 시추조사와 병행하여 1.0m 간격으로 시행한 SPT(표준관입시험) N값의 지층별 범위 및 대푯값은 다음과
같다.
∙ 9개소의 시추공에서 총 90회 실시한 N값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 변형계수 수평지반 투수계수


지 층 N값 포아송비
(kN/m3) (kPa) 마찰각(°) (MPa) 반력계수 (cm/sec)

매 립 층 7 18.0 0 28 20 0.40 15,200 1.00E-03

붕 점토 9 17.0 35 0 7 0.35 16,800 5.42E-04



층 모래 5 18.0 0 28 20 0.35 13,200 3.56E-03

풍화토 40 18.0 26.3 29.1 30 0.32 30,800 4.00E-04

풍화암 50 20.0 31.5 32.5 253 0.30 44,000 2.20E-04

적용 시추공 해석단면
단면 적용수위
시추공표고 공내수위 지반표고
공번
EL+m GL-m EL+m GL-m EL+m

B-B BH-2 92.2 5.1 102.0 13.45 88.55

C-C BH-3 95.8 8.5 102.0 13.25 88.75

D-D BH-5 96.5 13.1 96.6 11.75 84.85

경험식에 의한 내부마찰각 적용값은 최대 40 로 제한한다. °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61 -
1.4 설계 적용 토질 정수

(1) 토질정수 산정

본 현장의 검토구간에 대한 가설 구조물 설계에 적용된 설계 지반정수는 지질주상도의 토층을 참


조하여 선정하였다. 토사층의 경우 N-Value를 이용한 각종 추정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본 현장
의 흙막이 구조물 설계시 사용된 토질정수는 다음과 같다.

- 토질정수 요약

단위중량 내부마찰각 점착력 지반반력계수


구분 비 고
γt(t/m2) φ(。) c(t/m2) KS(t/m3)

매립토 1.80 28 0 1520

붕적토-점토 1.70 0 2.0 1070

붕적토-모래 1.80 25 0.5 2420

풍화토 1.90 31 2.0 3210

풍화암 2.10 33 3.1 4500

연암 2.20 38 5 5000

1) 설계용 N치의 채용
설계용 N치는 최소치를 이용하되 N치 보정이 필요한 지층은 보정치로 설계에 적용하였다.

2) 흙의 단위체적중량(γt, γsat) 추정
흙의 단위체적중량은 굴토현장에서 들밀도시험 등을 실시해서 결정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전구간 시험을 하여 구하기가 어려우므로 일반적인 값을 사용하였다.(한국도로공사 발행 도로
설계 요령 참조)

3) 내부 마찰각(φ) 추정
내부마찰각은 시료의 특성상 전구간의 실내시험 측정이 불가능하여 시험 결과 및 기존의 자
료(제안된 경험치)를 이용하여 추정하되 각 제안된 식(Dunham, O′saki,
Peck-Hansen-Thornburn, Peck, Meyerhof 등)에 의한 값의 편차가 10°정도이므로 불리한 조건
으로 최소값을 사용하였다.

4) 점착력(C) 추정
당 부지의 토층은 도로설계실무편람(한국도로공사, 1996)을 근거로 추정하였다.

5) 지반반력계수(ks) 추정
지반반력계수는 흙의 응력-변형율(σ-ε)관계에서 ks = ∆σ/∆ε로 표시되며 지반의 고유특
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흙의 단위중량, 응력이력(Stress history), 층형성(Stratification),
응력수준(Stress level) 및 교란도 등에 따라 변하므로 정확히 산출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N치
로부터 구할 수 있는 Schmertmann식을 이용하거나 표(Bowles, 1988)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62 -
2. 구 조 계 산 일 반 사 항

2.1 Midas GXD PROGRAM 설명

1) 지반공학에서의 수치해석

지하공동 또는 터널과 같은 지반공학에 대한 문제는 그 구성 재료의 다양한 성질과 재료 내에 존


재하는 간극, 불연속면 등의 불균일성 때문에 타 분야에서 볼 수 없는 복잡성을 가지고 있다. 이
러한 복잡한 요인을 모두 고려한 지하공동 구조해석용 Program의 개발은 현 단계로서는 극히 어려
운 실정이다. 그러나, 과거에는 지반 재료의 구성법칙과 항복조건, 구조물의 기하학적인 형상과
경계조건 등을 단순히 모형화한 경우에도 지반의 역학적 특성에 대응한 탄성, 점탄성 및 소성의
이론식을 푸는 것이 어려웠던 것에 비하면 근래의 지하공동 구조해석은 컴퓨터의 발달과 수치해석
법의 개발로 과거 수년동안 괄목한 정도로 발전하였다. 즉, 수치해석법이 지반공학에 도입되어 지
반의 응력 변형관계의 비선형성, 소성(항복) 조건, Creep 특성 등을 해석하는데 이바지 하고 있
다. 이로 인하여 지금까지 단순히 해석적으로 취급하던 것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문제가 해석되
어 가고 있으며, 점차 보다 합리적인 설계 및 시공관리 자료가 얻어지고 있다.

2) 수치해석의 목적
지하공동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함으로써 지하공동 주변의 예상된 변형 및 침하의 예측, 타
구조체의 영향을 고려하여 공동 지보재의 설계자료로 활용하고, 역해석을 통하여 계측에서 얻어지
는 실제적인 Parameter를 획득, 계측된 해석단면과 유사한 단면에서의 거동예측과 지반 Parameter를 결
정하여야 한다. 또한 근접구조물의 영향범위에 대한 해석을 실시하여 굴착순서에 따른 응력, 변형
율, 변위의 영향이 지하조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조사하고, 주어진 주변조건에 적합
한 토목구조물로 최적화시켜 근접지반의 각 조건에 따른 응력 흐름의 이해와 해석을 통하여 지하
공동 구조의 설계요소 결정에 그 목적이 있다.

3) 해석 프로그램의 특징
지하공동에 대한 수치해석에서는 다양한 지반조건 상태를 모두 고려할 수 없으며, 특히 암반층에
대해서는 암반 자체의 기본적인 성질을 해석에 필요한 Parameter를 이용하여 근사적으로 이상화시
키고 있다. 이렇게 근사적으로 이상화시킨 Parameter를 가지고 다양한 조건을 부여하여 여러 가지
지반거동에 대한 해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지하공동 단면을 다
양하게 해석함으로써 굴착시 발생되는 주변지반의 거동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지반의 다양한
조건, 절리, 파쇄대, 단층대 등과 같은 불연속면에 대하여서는 해석시 충분히 고려할 수 없어 정
밀한 해석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MIDAS는 시공단계를 고려한 응력해석과 침투류해석 등 지반 및 터널분야 구조해석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집적하여 개발된 수치해석 프로그램이다. 시공단계를 고려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모델과 응
력-변형 모델을 탑재하고 있으며, 해석성능 속도 향상을 위한 Multi-Frontal Sparse Gaussian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63 -
Solver 알고리즘이 내장되어 있다. MIDAS Solver는 고성능 다중프론트 기법과 해석 횟수를 최소화
하기 위한 최적의 프론트 분할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었으며, 요소당 자유도수가 많고 절점이 많은 지
반해석모델의 수치해석 및 상세해석에 적합한 해석기법이다. 이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전체 Mesh에 대한 정확한 결과(FEM 방법)
- FEM은 가진점 주위부터 점진적인 수렴
- FEM은 비가진점의 결과오차 크므로 지표처짐 등의 계산에 불리
② 정확한 소성응력상태 추정 및 빠른 수렴성
- Fully Implicit Backward Euler 응력적분 사용
- Unconditionally Stable한 결과도출
- Line-Search 기법을 이용한 Full Newton-Raphson 방법
③ 향상된 내적변수 정확도
- 해석중의 모든 변수에 대해 Double Precision 사용
④ 빠른 방정식 풀이 속도
- Multi-Frontal Sparse Gaussian Solver
- 진보된 Skyline Solver
Midas는 [그림 1-1]과 같은 유한요소를 고려할 수 있으며, 모델링 및 해석시 적용이 가능한 유한
요소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그림1-1] Midas에서 지원하는 유한요소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64 -
[표1-1] Midas에서 사용되는 유한요소의 특징

구 분 특 징

․3차원 공간상에 4개~6개 면으로 정의되는 요소로써 솔리드 구조물 또


고체요소 는 쉘모델링에 적용 가능
(Solid Element) ․삼각뿔, 삼각기둥 또는 육면체 등 입체형상 모델링 가능
․절점당 3방향의 이동변위 자유도가 있음

․일정한 단면을 유지하면서 길이가 긴 구조물 해석에 적용


평면변형요소
․삼각형 또는 사각형 모양을 가지며, 인장, 압축 및 전단 강성과 두께
(Plane Strain
방향의 인장 및 압축강성이 있음
Element)
․두께, 방향, 응력성분은 포아송비에 의해 존재

축대칭 요소 ․형상, 재질 및 하중조건 등이 임의 축에 대하여 회전대칭 조건을 만


(Axisymmetric 족하는 지반 구조물 해석에 활용
Element) ․선형 및 비선형 정적해석에 적용

․다른 재료와 큰 강성차를 가지는 재료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


인터페이스 요소
짐을 허용할 수 있음
(Interface
․8절점 및 16절점 3차원 요소로 모델링 되며 매개변수 형상함수가 적
Element)

Midas는 다음 [표 5.2]와 같은 재료모델 및 응력-변형률 구성모델에 의한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표1-2] Midas에서 지원하는 구성방정식

재료 모델 응력-변형률 구성 모델

Linear Elastic ․Most Simple

Mohr-Coulomb ․Elasto-Plastic, Softening

Drucker-Prager ․Elasto-Plastic

Duncan-Chang ․Hyperbolic, Nonlinear Elastic

Hoek-Brown ․Elasto-Plastic

Jointed Rock ․Anisotropic Elasto-Anisotropic Plastic

Cam Clay ․Elasto-Plastic

Modify Cam Clay ․Elasto-Plastic

Strain Softening ․Strain Softening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65 -
2.2 각 구간별 발생응력 요약

각 구간별 발생응력 요약

구 분 최대모멘트 최대전단력 최대반력


비 고
구 간 (KN) (KN/m) (KN/EA)

SECTION "B-B" H-PILE


설계적용값 63.9 82.3 122.6 지층
(H=14.60m) + BH-3
Anchor TYPE 토류판 최대응력발생구간 STEP 4 STEP 4 STEP 4 적용

SECTION "C-C" H-PILE


설계적용값 35.4 81.5 159.4 지층
(H=14.60m) + BH-3
Anchor TYPE 토류판 최대응력발생구간 STEP 4 STEP 4 STEP 4 적용

SECTION "D-D" H-PILE


설계적용값 60.9 80.4 114.4 지층
(H=14.60m) + BH-7
Anchor TYPE 토류판 최대응력발생구간 STEP 4 STEP 4 STEP 4 적용

※ 굴토깊이를 고려하여 구조적으로 불리한 구간을 선정하여 부재검토를 시행하였으며, 상세 검토결


과는 Ⅳ.첨부 참조.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66 -
Ⅲ. 시 방 서
1. 일 반 시 방 서

1.1 적 용 범 위

(1) 신축 토목공사 및 이에 관계되는 시행에 있어 법령 또는 별도의 정한 규정에 의하는 것 이외

는 본 시방서에 따른다.

(2) 법령 또는 별도의 정한 규정 중 적용한 것은 다음과 같다.

- 도 로 법(도로점용규칙)

- 건 설 업 법

- 노동기준법(근로안전 관리규칙, 근로보건 관리규칙)

- 총포화약류 단속법

- 직 업 안 정 법

- 대기환경보전법

- 공 해 방 지 법

- 도 로 교 통 법(교통취재규칙)

- 토목공사 일반시방서 - 건설부 제정

-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 건설부 제정

-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 건설부 제정

-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 건설부 제정

- 도로교 표준시방서 - 건설부 제정

- 강철도교 표준시방서 - 건설부 제정

- 해당 시․도 지침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68 -
(3) 이 시방서는 다음과 같은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F 2311 현장에서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단위중량 시험방법

KSF 2312 흙의 다짐시험 방법

KSF 2314 흙의 일축압축실험 방법

KSF 2316 흙의 압밀시험 방법

KSF 2322 흙의 투수시험 방법

KSF 2324 흙의 공학적 분류방법

KSF 2342 점성토의 베인전단시험 방법

KSF 2343 압밀배수 조건아래서 흙의 직접전단시험 방법

KSF 2404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압축 및 휨강도시험용 공시체를 제작하고 양생하는 방법

KSF 2405 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 방법

KSF 2422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아 및 보의 강도시험 방법

KSF 2433 주입 모르터의 블리이딩 및 팽창율 시험방법

KSF 2445 축하중에 의한 말뚝 침하시험 방법

KSF 3505 P.C 봉 강

KSF 420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KSF 4301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말뚝

KSF 4303 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

KSF 4305 포스트텐션 방식 원심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

KSF 4602 강 관 말 뚝

KSF 4603 H 형 강 말 뚝

KSF 4604 강 널 말 뚝

(4) 상기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는 감독원 및 감리자의 해석에 따라 시행토록 한

다.

(5) 본 공사는 위에 열거한 모든 법령기준에 준하되 본공사 착공에서 준공까지 해당관서에 제 출하

여야 하는 소정의 구비서류(착공계, 준공계 및 공정보고 등)를 해당관서와 협의하여 승인을 득

한 후 공사를 시행하도록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69 -
1.2 일 반 규 정

(1) 계 약 당 사 자

본 시방서에 감리자라 함은 발주자와 발주자에 속한 감리대행자를 칭하고 시공자라 함은 공사도

급자로 한다.

① 감리자라 함은 발주자로부터 공사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관한 권한을 위임받아 부당하거나 부적

합한 공사의 중지, 정당하지 못한 공사에 대한 시정명령, 설계변경 등의 모든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자로서 공사 현장에 상주하는 자를 의미하며, 현장에서 상주하지 아니하는 자문이나

관리자도 포함한다.

② 또한, 감리자는 과학기술처 및 건설부 제정 해당 건설부분 감리의 산출항의 업무 행위에 규정

된 시공계획 및 공정표검토, 시공자가 작성한 시공도 검토, 시공자가 제시하는 시험성 과표 검

토 등의 업무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발주자 또는 발주자로부터 공사의 위임을 받은 자의

서면요청이 있을 때마다 현장에 출두하거나 사무실에서 자문에 응하는 자도 의미한다.

(2) 도 면

시공은 대 관청에 허가된 설계도서에 준하여 시공하되 이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이라도 공사 시공상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는 감리자 및 감독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3) 공 사 중 단

① 부득이한 사유로 공사를 중지하게 되는 경우는 중단상태에서 안전 여부를 검토하여 감리자 의

승인을 득해야 한다.

② 또한 시공자는 공사 재개시까지의 제반 안전조치를 강구한 후 공사를 중지해야 하며 필요 시는

현장에 안전관리자를 상주시켜 예기치 못하는 위해 사항을 미연에 방지토록 해야 한 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70 -
(4) 이 의

① 설계시방서 도면 등에 대하여 불명확하거나 지질변동 등 기존 지반지질의 추정치에 의한 설계

등에 이의가 있을 때에는 정확한 시험치에 의하여 감독원에게 신청하여 감독원의 지 시를 받아

야 한다. 또, 그보다 우수한 공법 또는 방법이 있을 때에는 감독원의 승인을 받 아야 한다.

② 부득이한 사유로 공사를 중지하게 되는 경우는 감독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하며, 위의 모든 사항

은 감독원과 충분히 협의를 한 후 서면 승인을 얻어 시행하며 상세 제반사항을 제출하 여야 한

다. 단, 설계도서에 명기하지 않은 경미한 제반 사항에 대하여는 공사감독원의 지 시에 따르고

이를 감리자에게 서면 통보하도록 한다.

1.3 예정 공정표 및 예정 수량표

도급자는 공사착공전에 전공사에 대한 시공의 순서, 방법을 기입한 예정공정표 및 지급품, 대여품의

월별사용 예정표, 동원인원 및 장비사용 계획표를 제출하여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4 안 전 관 리

시공자는 시공에 앞서 노동안전 위생규칙 등에 관한 법규에 충실하여야 한다. 또한 안전관리자 및

안전관리조직을 감독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는다.

(1) 가설구조물 등의 정기점검

현장대리인은 감독원의 입회하에 공사구역내의 노면, 가설구조물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안전의 확

보에 노력해야 한다.

(2) 가공선, 매설물, 도로부속물

공사시공에 지장이 있는 가공선, 매설물 등의 지장물 처리에 있어 공정에 지장이 없도록 굴토공사전

그의 처리, 방법 등에 대하여 감독관과 협의하여 그의 지시를 받고, 보강 및 이설하여 안전한 시공

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시공중 가공선, 매설물, 도로부속물 등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

하여야 한다.

1.5 교 통 과 안 전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71 -
(1) 공사현장에서 가시설물 등은 교통 및 공정에 영향을 주지 말아야 하며, 또한 그의 안전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2) 공사구역내에 출입하는 공사용 차량은 일반교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운행의 지휘유도를 전담

하는 보안요원을 배치하여 사고방지에 노력해야 한다.

(3) 공사구역내에 안전관리자 및 순시원을 두고 주야 상시 순회하며 주변의 구조물, 목공, 흙 막이

공, 매설물 등의 이상 유무를 조사할 것이며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에는 즉시 그의 대 책을 강

구함과 동시에 감리자와 관계자에게 통보하여 그의 지시에 따라 처리해야 한다.

(4) 현장관리자는 감리자와 같이 공사구역내의 노면, 가설구조물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안 전

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5) 공사착수전에 본 공사시행으로 인한 인접 제반시설물의 피해가 없도록 안전대책을 수립함 은

물론 이에 대한 현황을 면밀히 조사, 기록, 표시하여야 하며 인접 제반시설물의 소유주 에게

확인, 주지시켜야 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 천연색 사진, 도면, 스케치, Video Tape 및 계측자

료 등을 보관하여 유사시에 대비하도록 한다.

(6) 시공 안전대책을 수립하여 관할 관청에 이를 통보하여 안전시공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7) 정기적으로 본 공사에 임하는 모든 작업원에 대하여 안전교육 및 안전의식을 고취시켜 안 전사

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여야 한다.

(8) 노면을 점유하는 공사의 시공시간 및 시공구간은 관리자 및 경찰서의 허가조건에 따를 것 이며

구획범위를 한정시켜 시공해야 한다.

(9) 작업중 공중에 지장을 줄일 수 있는 곳에는 작업구역 주위에 이동책 및 보안책을 설치해 야

한다.

(10) 화기 사용할 때에는 특별히 화기 단속에 유의하여야 한다.

(11) 시공중의 구역 및 시공완성 구역 등에 작업원이 상시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 및

계단을 정비하고 충분한 조명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72 -
(12) 공사용 가설전기설비에 사용하는 전선, 기구류는 KS 규격품을 사용할 것이며 전담 전기 기술

자는 설비를 점검하며 누전 기타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

(13) 공사용 재료는 노상에 방치하지 못한다. 단, 부득이 노상에 적치할 때에는 사전에 도로 관계

자 관할 경찰서 및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또한 교통에 지장이 없도록 정리 정 돈해야

한다.

(14) 공사중 발생하는 풍수해 및 공사중 돌발사고 등의 응급조치에 필요한 기계 기구, 재료는 상시

일정한 장소에 상당수 비치해야 하며 그의 소재를 작업원에게 상시 주지시켜야 한다.

(15) 공사시공중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적절한 응급조치를 해야 하며 동시에 감독원 또는 관계

자에 통보해야 한다. 또는 사고의 원인, 결과, 피해의 내용에 대하여는 감독원에게 보고하여

그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1.6 현 장 조 사

(1) 실시설계의 제반 지반조건은 지반조사보고서를 근거로 한 것이므로 공사감독원 및 감리자 는

그 정확도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 따라서, 시공자는 이로 인하여 발생될지도 모르 는 오

차나 추가공사에 대한 위험부담을 감수하며, 실제굴착전 시험보링을 실시하여 시험치 를 확인

한 후에 시공하여야 한다. 또한 지층이 상이할 경우 추가 지반조사 및 시험에 의한 정밀자료를

공사감독원 및 감리자에게 제출하여 검토를 받아야 한다.

(2) 설계도서 내용과 상이한 지층으로 인한 설계변경 또는 설계도서의 내용과 상이한 공법으 로

본 공사를 시행코져 할 경우는 감리자 및 감독원과 충분한 협의를 한 후 승인을 얻어 시행하

고 공법의 상세 제반사항을 제출하여야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73 -
1.7 지 도 보 고 서

(1) 본 공사의 기록에 필요한 제반서류를 작성하고, 그 공정마다의 공사시행 현황을 사진 촬영 하

여 감독원에게 제출한다.

(2) 감독원의 지시에 따라 정기적으로 공사의 진도, 공사예정 공정표, 동원인원 및 장비사용 계획

표, 자재사용 계획표를 제출하여 사전승인을 받는다.

1.8 일 보 및 월 보

(1) 일월의 상세 예정공정표를 매월 25일 까지 제출하며 향후 3개월간의 제출서류도 동일하

다.

(2) 전항의 예정 공정표에 대한 실시표 작업 종사자의 직종별 취업일보 및 월보를 익월 5월까

지 제출하여야 한다.

(3) 별도로 정하는 작업예정표, 작업일보는 매일 제출해야 한다.

(4) 본 공사의 기록에 필요한 제반 서류를 구비하여 작성하고, 매 공정마다의 공사진행 현황사

진을 촬영하여 감독원에게 제출한다.

1.9 재 료 의 반 입

감독관의 지시에 따른 장소에 재료의 적하 또는 현장반입은 반드시 하역기계를 사용하여야 하며 직접

투하해서는 안된다.

1.10 가 공 선 및 매 설 물

공사시공에 지장이 있는 가공선, 매설물 등의 지장물 처리에 있어 공정에 지장이 없도록 굴토공사전

그의 처리, 방법 등에 대하여 감독관과 협의하여 그의 지시를 받고, 보강 및 이설하여 안전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74 -
1.11 공 사 기 록

공사준공후의 검사가 곤란한 부분에 대하여는 감독원의 지시에 따라 그의 형상 및 치수, 강도, 품질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 및 기타 필요한 자료(검사보고서, 사진, 품질, 시험성적표 등)를 제출하여

야 한다.

1.12 시 험 기 구

감독원이 지시하는 시험기구에 대하여는 그의 품명, 성능, 수량 등을 기재한 조서를 제출하여 감독

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13 관 계 공 사 와 의 협 조

도급자는 본 공사와 직접 관계가 있는 제공사(건축, 전기, 기계, 전자통신)에 대하여 상호 협의하여

공사가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1.14 비 용 부 담 에 관 한 세 칙

(1) 측 량

본 공사 시행에 앞서 필요한 모든 측량을 실시하여야 하며 도로중심 측점 및 수준점은 감독관청이

설치하나 수준점은 감독원의 승인을 얻어 이설 설치하여야 하며 도급자 부담으로 한다.

(2) 각종 표준과 다른 공사의 보강

표준도에 따라 시공되는 공사에 있어 현장의 사정에 따라 감독원이 지시하는 보강공 또는 필요한 시

설중 국부적인 부분에 대하여는 도급자 부담으로 한다.

(3) 공사에 관련된 사항

공사시행에 있어 다음 각 항에 필요한 비용은 도급자의 부담으로 한다.

① 공사시방서, 도급금액, 내역서, 도면 등에 명기되지 않은 사항이라도 공사의 성질상 당연

히 필요한 사항, 단, 시공방법을 현저히 변경하였을 때에는 이에 따르지 않는다.

② 기성부분 및 준공부분 등의 보완공사에 필요한 협력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75 -
③ 도급자가 부담하는 재료, 기계기구 등의 시험 및 검사

④ 대관청 수속 및 잔토처리장의 운반시 대관수속 및 민원관계로 인한 비용 및 처리는 도급자

부담으로 한다.

⑤ 공사 시행상 필요한 시굴 간단한 시추

⑥ 교통 및 공사현장의 보안상 필요한 제시설

⑦ 도로배수로, 하수도시설의 처리

⑧ 공사중 공사 구역내의 도로구조물, 도로부속물

⑨ 소구경의 수도관(75mm이하)의 처리

⑩ 공사용 전력의 가설비 및 사용료

⑪ 시방서 도면에 명시되지 않은 공사에 있어 시공상 필요로 하는 설계 및 계산, 기타 자료

작성

⑫ 공사착수전 시공도중의 인접건물 기타 현장사진 등의 자료작성

⑬ 도급자의 책임으로 인한 제삼자에게의 손해배상

(4) 사 고 발 생

공사시행중 도급자의 과실로 민가 또는 공공시설, 차량 및 인명에 손상을 주었을 때에는 도급자 부

담으로 배상한다.

1.15 설 계 감 리 와 의 협 의

공사 착수시에는 감리에 대한 업무범위, 시기 및 감리방법등에 대하여 협의하고 이를 감리자에게 통

보하여 감리자가 정상적인 감리업무에 착수하도록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1.16 안 전 진 단

현장 주변의 주택 및 건물, 공공 시설물에 대한 민원이 예상될 경우, 시공자가 착공전에 반드시 공인

안전진단 전문기관에 확인을 위한 안전진단을 해 두어야 하며, 만약 시공중에 민원이 야기되면 다시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당초 시행한 안전진단과 비교 검토 후 조치한다. 한편, 발주자와 시공자는 반드

시 사전 사후 안전 진단비용 일체를 계약상에 기술하여야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76 -
2. 특 별 시 방 서

2.1 매 설 물 보 호 및 복 구

(1) 일 반 사 항

① 매설물 보호 및 복구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시공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 관리자의 입회를 받

아야 한다.

② 현장에는 전담직원을 두고 지시사항을 준수할 것이며 상시점검, 보수를 해야 한다. 특히,

관류의 이음, 곡관, 분기관, 단관부 및 맨홀의 부속품, 밸브, 이동부 등의 약점 개소는 중 점적으

로 점검하고 보호공의 보수, 보강에 유의해야 한다.

③ 만일 매설물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즉시 관리자에게 연락하고 조속히 보수하거나 관

리자가 시공하는 수리에 협력해야 한다.

④ 특히, 가스관, 수도관, 하수도관 등의 사고에서 2차 재해의 상처가 있을 때에는 시공자는

조속히 필요한 조치를 강구함과 동시에 감리자와 관리자, 경찰서, 소방서등의 관계자에게 연락해야

한다.

(2) 매 설 물 의 보 호

① 시 공 일 반

a. 매설물 보호는 굴삭에 선행해서 시행해야 한다.

b. 각종 보호재는 균등히 하중이 걸리도록 설치해야 한다.

c. 관리자가 특별히 지시한 직관부의 이음은 이동 또는 탈락방지공 등의 보강으로 시공해야

하며, 특별한 것에 대하여는 감리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② 하 수 도

관로 및 맨홀의 누수될 상처가 있는 부분은 굴착에 선행하여 사전에 보강 설치해야 한다.

③ 전 신, 전 화 관 로

맨홀의 처리는 원칙적으로 관리자의 지시에 따르고 관로 및 맨홀의 보호는 시공자가 시공해야 한

다.

④ 전 력 선 의 관 로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77 -
a. 콘크리트 관로는 하자가 생기지 않도록 보호하며 손상이 생긴 장소는 관리자의 지시를 받아 수

리해야 한다.

b. 맨홀의 처리는 관리자의 지시를 받을 것이며 맨홀내 및 관구의 케이블을 보호해야 하며

케이블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시공해야 한다.

(3) 매 설 물 복 구

a. 되메우기 전에 감리자 및 관리자의 입회로 매설물 보호공에 대한 검사를 받아야 한다.

b. 잡철물 등은 매설물 저부까지 되메우기를 완료한 다음 감독자, 관리자의 입회를 받아 매

설물 및 지지공의 안전을 확인한 다음 철거해야 한다.

c. 전신전화의 관리 - 맨홀의 복구는 원칙적으로 관리자가 시공하나 관로 및 특히 감리자

또는 관리자가 지시하는 맨홀의 복구는 시공자가 시행해야 한다. 또한, 관리자가 지시 하는 맨홀

의 지지공은 시공자가 시공한다.

d. 전력선의 관로 및 기타 - 전력선, 교통신호, 화재경보기 등의 지중선의 지지공은 감리자

또는 관리자의 지시를 받아 시공자가 복구해야 한다.

(4) 복 구 후 의 관 리 검 사

노면 복구후 상수도, 하수도, 전신, 전화, 전력 등의 검사는 관리자 및 감리자에게 보고하여 관리자

의 지시에 따라 도통시험을 하여 그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2.2 굴 토

(1) 일 반

① 굴착중 항시 굴착장 내외를 순시하며 흙막이공, 비계 및 동바리공, 굴삭면 노면등에 이상

이 발견되었을 때에는 조속히 보강을 해야하며 감리자 및 감독원에게 보고해야 한다.

② 비탈 굴삭의 높이, 구배는 필요에 따라 비탈면 보호, 흙막이공 등을 해야한다.

③ 특히 흙막이공의 배면으로부터의 농수, 항외의 하수도 상수관으로 부터의 누수, 노면으로

부터의 침투를 발견하였을 때에는 조속히 방호 조치를 해야한다.

④ 매설물의 부근은 그 매설물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굴삭할 것이며 매설물의 보호가 완료될

때까지 그의 하부는 굴삭해서는 안된다.

⑤ 매설물의 위치는 굴삭이 시작되기 전에 확인하고 또한 굴삭 도중에도 특별히 유의하며 그

의 위치를 재확인 해야한다. 굴삭 도중의 사고에 대하여는 시공자의 부담으로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78 -
(2) 시 공 계 획

① 시공자는 앞서 ‘설계도’ 시공방법 및 현장의 각종상황(흙막이 말뚝, 지반, 노면교통, 매

설물, 구조물등)을 고려하여 시공계획서를 작성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② 시공계획서는 굴삭방법, 지반의 변동위치, 용수처리 방법, 사용기계(굴삭용 기구, 토사용

홉바 등의 기구, 수량 등) 비계, 동바리, 쐐기의 배치, 격부부의 보강, 공정, 대여품 예정사용 수

량 등을 기재해야 한다.

③ 시공에 있어 지반, 매설물, 연도 건조물, 기타의 사유로 흙막이공, 비계 동바리공 등에 많

은 변경이 필요할 때에는 감리자 및 감독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④ 시공자는 시공에 앞서 철거해야할 구조물의 정확한 평면도를 작성하여 감리자에게 제출해

야 한다.

⑤ 시공자는 매설물 및 가공물을 확인하여 그의 방호이설, 맨홀 두부의 계획서를 세워 감리자

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3) 잔 토 처 리

① 토사장의 위치 또는 잔토의 사토는 해당관서와 협의하고 승인을 득한 후 시행토록 한다.

② 잔토 운반중 낙토, 낙석으로 인한 공도상의 피해가 없도록 하며 도시 교통 피해를 극소화

하도록 제한 조치를 강구하도록 한다.

③ 잔토 운반로를 현장조건에 맞추어 계획하되 잔토 운반 차량의 하중이나 진동에 직접 영향

을 받는 지하 매설물의 유무를 확인하고 이를 보호 조치 하여야 한다.

④ 굴착토의 운반차량의 진동, 소음의 공해를 극소화 하도록 조치하고 인근 주민의 협조와 동

의를 득하도록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79 -
2.3 연 도 대 책

(1) 공사현장에서 기존 시설물, 지하매설물 교통공중 및 기타에 영향을 주지 말아야 하며 또한

그의 안전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2) 노면을 전용하거나 시공기간과 시공구간을 관리자 및 경찰서의 허가조건을 따라 구획범위

를 한정시켜 시공하여야 한다.

(3) 시공 구역내에 출입하는 공사용 차량은 일반 교통에 방해되지 않도록 운행의 지휘 유도를

전담하는 보안요원을 배치하여 사고방지에 노력하여야 한다.

(4) 공사구역내 순시원을 두고 주, 야, 상시 순회하여 주변의 건조물, 노면, 흙막이공, 매설물

등의 이상을 조사할 것이며, 이상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즉시 그 대책을 강구함과 동시에 감리

자 및 감독원에게 통보하여 그 지시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

(5) 공사용 가설물 전기설비에 사용하는 전선 기구류는 K.S 규격품을 사용할 것이며 전기 기

술자는 설비를 점검하여 누전, 기타의 위험을 방지하여야 한다.

(6) 공사용 재료는 노상에 방치하지 못한다.

단, 부득이 노상에 적치할 대에는 사전에 도로관리자, 소관경찰서, 감리자 및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또한 교통에 지장이 없도록 정리 정돈하여야 한다.

(7) 공사중에 발생하는 풍수해 및 공사중의 폭발사고 등의 응급조치에 필요한 기계기구재료는

상시 일정한 장소에 상당수 비치하여 그 소재를 종업원에게 주지 시켜야 한다.

(8) 공사 시공 중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적절한 응급조치를 해야 하며 동시에 감리자 및

감독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또한 사고의 원인, 경과, 피해의 내용을 감리자 및 감독원에 게

보고하여 그 지시를 받아야 한다.

(9) 인근 주민에게 본 공사 내용을 주지시키고 협조를 얻은 후에 착공에 임하여야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80 -
2.4 각종 강재 설치공

(1) 각종 강재는 설계도서에 명시한 규격과 재질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는 이와 동등이상의 것

을 사용하여야 한다.

(2) 각종 강재는 신재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고재사용시 감리자는 사전에 검사하여 사용여부

를 결정한다.

(3) 가공 마무리된 부재는 비틀림이나 구부림이 없어야 하고, 모든 연결부는 틈이 없도록 조치

하여야 한다.

(4) 설치부재의 운반이나 설치중에는 부재의 변형이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만곡 변형의 허용치는 건설부 제정 도로교 시방서의 해당 조항의 규정치 이내라야 한다.

(5) 기타 도면에 명시되지 않은 경미한 사항은 건설부 제정 도로교 시방서의 해당 조항에 따

르고 감리자 및 감독원의 승인을 얻어 시행하도록 한다.

(6) 강재에 고장력볼트를 사용할 때 적당한 인장을 주기 위하여 Torque Wrench를 사용토록 한다.

2.5 되메우기공

(1) 시공 일반

1) 도로의 되메우기 시공은 필요에 따라 (갑) 및 도로 관리자의 입회하에 시공해야 하며, 도로 복구

에 관한 재시험”의 성과서를 (갑)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구축 외면과 흙막이 판간의 간격이 30 Cm 이하인 때에는 그 측부에는 MORTAR 를 충진하되, 30Cm

이상일 때에는 모래 또는 양질의 토사로 되메우기를 해야 한다.

(2) 시 공

1) 구축 측부의 되메우기는 방수층은 손상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양질의 토사로 되메우기 해야하며,

층상마다 다지도록 하며, 만약 다지기가 곤란할 때에는 모래를 충진하고 물다지기를 해야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81 -
2) 구축 상부의 되메우기는 측부의 되메우기가 완료하고,(갑)의 검사를 받은 다음 균등하게 펴서 고

르고 전압기로 다져야 한다.

3) 구축 상부의 비계, 동바리의 해체는 주위의 흙이 이동되지 않도록 하며 되메우기, 전압, 해체 등

의 시간방법에 대하여는 사전에 (갑)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4) 매설물, 비계, 동바리 부근의 그것에 편압, 충격등을 주지 않도록 운반차로부터 직접 투입해서는

안된다.

5) 매설물 상부의 되메우기는 매설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운반차로부터 직접 투입해서는 안된다.

6) 구축 상부 되매우기에서 방수층에 토사가 유출되거나 ,또한 손상이 되지 않도록 보호 조치해야

한다.

7) 되메우기 할때는 전압에 있어 구조물의 응력원에 안전한 시공방법을 택하여야 한다. 이때 전압기

의 종류와 자중은 (갑)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3) 축부 충진 MORTAR

1) MORTAR 의 충진은 중간 SLAB ,윗 SLAB 의 축조가 시행된 후 항상 시작해야 한다.

2) MORTAR 의 표준배합은 다음표와 같다.

* * MORTAR 1M3 * * ( 단위 ; KG )
BENTONITE
CEMENT FLY ASH 모 래 물
(200메쉬)

45 45 40 1,570 350

3) MORTAR는 지하수로 인하여 유실되지 않도록 구축 배면에 완전히 충진하여야 한다.

4) MORTAR충진은 1 작업 구획 완료때마다 (갑)이 입회하여 확인을 받는다.

5) 매일 작업 종료후 재료의 사용량, 충진량을 확인한 일보를 작성, 익일까지 (갑)에게 제출해야 한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82 -
다. 또한 공사 완료후 재료의 전 사용량, 충진 실적서를 (갑)에게 제출해야 한다.

2.6 설 계 변 경 사 항

(1) 공사시행 중 기본계획이 변경되거나 관련공사에 의거 계획변경이 필요한 경우

(2) 사토장 및 골재원의 변경등 기타 현장 여건에 의한 운반거리가 변경될 경우

(3) 토질 구분이 실제와 상이할 경우

(4) 본 설계에 적용된 계수, 수량, 경비율 및 단가적용이 기준보다 과다, 과소하게 계산되었을

경우

(5) 기타 수량변동 시공변경 및 공법변경 사항

(6) 지하 구조물 파쇄는 실적 정산한다.

(7) 기타 감독원이 인정하는 경우

(8) 흙막이공사 및 차수공사 시공물량은 기초굴착 중 지질 및 자연수 상태를 고려하여 공사

감독원이 결정한다.

2.7 감 리

(1) 기초 터파기 공사 착수전에 시공자는 감리자의 감리 책임한계, 업무범위 등에 관한 사항을

협의하여야 한다.

(2) 시공자는 감리자에게 감리에 필요한 사무실 및 편의 시설을 제공하여야 한다.

(3) 시공자는 감리자가 지적한 사항에 대하여는 즉시 보완 조치하고, 서면으로 통보하여야 한

다.

(4) 시공자는 현장에서 설계와 상이한, 또는 예견되는 이상상태는 즉시 감리자에게 통보하여

자문을 구하여야 한다.

(5) 공사중 감리자의 지시를 위반할 경우 감리자는 시공자 변경요청 또는 감리포기를 할 수

있다.

(6) 감리자가 요청시 주요공정을 감리자 입회하에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7) 감리자는 계측관리자와 협조하여 계측 Data에 의한 설계 예상치 및 추정치를 비교 확인하

여 토공사 전반에 대한 안전등 감리업무에 충실히 하여야 한다

2.8 기 타

(1) 작업중 가공 또는 지하 매설된 제반 시설물의 유무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

여 시행하도록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83 -
(2) 굴착진행중 가시설물 변형유무를 수시 또는 정기적으로 측량하고, 그 성과등을 공사 완료

시까지 보관하도록 한다.

(3) 기타 설계 도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이나 경미한 사항은 책임기술자의 지시에 의하고, 감

리자에게 이를 통보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도록 한다.

(4) 건물 및 기타시설물의 근접으로 인하여 부득이 공사에 사용된 강재 및 토류판 등의 회수

가 불가능한 자재에 대하여는 공사완료 후 Pile 등이 토출되거나 미관상 문제가 되지 안 도록

지상부위는 절단 처리하도록 한다.

(5) 먼지 및 소음 발생 규제 조치 사항에 위배되지 않도록 시행되어야 한다.

①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에 대한 조치는 대기 환경 보전법 및 대기환경 보전법 시행

규칙에 준해서 시행하여야 한다.

② 소음 규제기준은 감리, 감독관과 협의하여 적정한 규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③ 비산먼지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방진막을 설치해야 한다.

(6) 본 부지 지질조사시의 공내수위를 통해 측정된 지하수위를 확인한 결과 굴착바닥면 아래 지표하

(-)5.10 ~ (-)13.100m에 위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제 굴착시 강우 등으로 인하여 지하수위가

상승하여 흙막이 벽체에 위해 요소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즉시 공사를 중단하고, 감리자와 협의하

여 보강 방안을 수립 및 조치하고 공사를 진행 하여야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84 -
3. 제거식 ANCHOR 공사시방서

제거식 Anchor체를 본 시방과 다른 제품을 사용할 경우는 감독관 또는 감리자의 승인을 득한후 사용

하여도 무방하다. 단, 사용실적이 많은 제품이면서 K.S 규격품 또는 그이상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

다.

1. 재 료

1) 재료 범위 및 선정

① 본 항은 앵커의 기본이 되는 그라우트, 인장재 및 앵커 두부에 사용하는 재료를 말한다.

② 재료는 설계상 필요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을 선정하고 필요에 따라서, 시공자는

현장 반입시 검사하여 감독원 및 감리자에게 서면 보고를 하여야 한다.

2) 시멘트, 물, 골재 및 혼화제

① 시멘트는 일반적으로 KSL 5210에 적합한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다.

② 그라우트에 사용되는 물은 기름, 산, 염류, 유기물 등 그라우트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 물질을 포함해서는 안된다.

③ 그라우트의 혼화제 및 조강시멘트는 충분히 조사, 현장 적용 시험(인장시험 및 인발시험)

을 실시 한 후에 사용한다.

3) 그라우트의 배합 및 품질

① 그라우트의 배합은 그라우트의 품질을 만족시키고 또 시공 상 무리가 생기지 않는 성질로

한다.

② 물-시멘트비(W/C)는 기본적으로 40%를 기준으로 하며 현장배합에 무리가 따를 경우 설계서

에서 제시하는 그라우트 압축기준강도 이상을 만족하여야 하며, 감리자의 승인을 득해야 한

다.

재료(W/C) Cement(kg) Cement(포) 감 수 재 팽 창 재 물

40 1,390 35 2.91kg 0.13 kg 556 kg

③ 그라우트 배합시 두 개 이상의 플랜트를 1개조로 편성하여야 하며, 이는 그라우트 주입시

W/C의 변화가 없어야 함이다.

④ 저압(10㎏g/㎠이하) 그라우트를 사용하며 천공홀 내부까지 충분한 압력으로 전달될 수 있

도록, 펌프의 능력과 송수관의 길이를 조정하여야 한다.

⑤ 그라우트 배합 후 30분이내에 전량 소비하여야 하며, 잔량은 폐기 처분을 원칙으로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85 -
단, 시멘트제조사별의 특별시방이 있는 경우, 이를 참조하여 시간조정을 가능하다.

4) 인장재의 종류 및 가공 후의 품질

① 인장재는 KSD 7002에 적합한 P.C Strand를 사용하여야 한다.

② 앵커체 가공은 시공 적용 실적과 기술력이 인증된 업체를 선정하여야 한다.

③ 인증된 설비를 갖춘 공장제작을 원칙으로 한다.(현장제작 불가)

5) 앵커 두부의 재료

① 앵커 두부에 사용되는 대좌, 지압판 및 조임 철물은 소정의 기능과 충분한 강도가 있고 소

요 앵커력에 유해한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한다.

② 앵커 헤드 및 웨찌는 소요하중을 충분히 발휘하는 제품을 사용하며, 지압판 및 브라켓 제

작시 강선 절단이 가능하도록 여유공간을 두어야 한다.

2. 시공 및 시공관리

1) 앵커시공

① 앵커는 본 시공전 인장시험 및 인발시험을 원위치에 실시하며, 현장 여건상 원위치시험이

불가할 경우 현장내 지반 중 정착지반과 동일한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한다. 이때, 시험방법 및

조건은 관계자의 협의를 거쳐야 한다.

② 앵커 시공시 Prestress는 설계서에 명시한 설계축력을 만족하고, 하중 손실을 고려한

Jacking Force 까지를 가하고 앵커의 여유장은 두부에서 최소 1.5m 이상이어야 한다. 천공부에서

Grouting할 때 압력은 5~10kg/㎠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③ 앵커는 지질조사 결과를 근거로 설계하므로 실제 시공 중에 나타난 지반조건 등이 설계 조

건과 상이할 때에는 설계서 및 계산서에 명시된 설계 하중과 인장 하중에 대한 안전이 확 보될

수 있도록 설계자 및 시공자, 감리자 및 기술 자문자의 협의를 실시한 후 시공한다.

④ 앵커 제작은 인증된 업체의 공장제작을 하여야 한다.

2) 천공과 앵커체의 삽입

① 앵커의 천공에 있어서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위치, 천공 지름길이, 방향을 만족시키며, 또

한, 주위의 지반을 흩트리는 일이 없도록 충분히 주의한다.

② 앵커체는 재료에 상처를 내던가, 파손하던가 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여 취급하고 앵커체

에 유해한 흙, 기름 등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특히, 앵커체 이동시 내하체부에 토사가 붙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③ 토사 천공시 설계서에 명기한 천공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의 케이싱 및 비트,

햄머를 사용하며, 천공시 유리한 천공방법이나 장비사용에 대한 협의를 실시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86 -
④ 연약지반 천공시 인접공과의 간섭현상으로 앵커체 구근의 형성이 불리할 경우, 일정간격

및 시차를 두고 천공하여야 한다.

3) 그라우트의 배합 및 품질

① 그라우트의 품질은 설계도에 명시된 값 이상의 품질을 사용하며, 상시 품질관리를 실시한

다.

② 압축형 제거앵커의 경우 그라우트의 강도에 따른 안전성이 우선이므로, 소요강도에 따른

그라우트 압축강도 검토를 설계도서에 필히, 포함하여 명기하여야 한다.

③ 앵커체 삽입 즉시 그라우팅을 실시하며, 그라우트를 충분히 Over Flow를 시킨다.

④ 그라우팅은 천공홀 전체 채움을 원칙으로 한다. 자유부라도 그라우팅이 충진되지 않을 경

우, 침하의 영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필히 그라우트로 충진한다.

⑤ 2차 그라우팅은 정착부에 케이싱이 설치된 경우, 천공부 케이싱 1 lot 인발 후 즉시 실시

한다. 또한, 케이싱 인발 완료 후, 그라우트의 손실이 발생한 경우, 재차 그라우팅을 실시 한다.

⑥ 비트나 햄머로만 천공을 실시한 경우는 그라우트 손실이 발생된 경우 2차 그라우팅을 실시

한다.

4) 인장 및 정착공

① 앵커의 설계하중(잔류 앵커력) 및 Jacking Force를 확인하고 유압Jack을 사용하여 인장을

실시한다.

② 인장기와 유압게이지는 실제 단면적과 유압과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하여야 하며, 정기적으

로 공인 검사기관에서 검교정을 받아 기계의 성능을 인지하여야 한다.

③ 제거앵커의 인장은 단독콘 사용시 모노인장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하중을 소요강선 본수로

나누어,해당 하중을 가한다. 이때, 인장가능한 사용 본수는 4본 이내이다.

④ 제거앵커 인장시 멀티(중공형)인장기을 사용할 시에는 내하체의 순서별로 필히 Marking을

하여야 한다. 인장방법은 설계서에 표기한 내하체간의 늘음량 차이를 인지하고, 가장 연장이 긴 내

하체 강선부터 가장 짧은 연장의 내하체 강선까지 같은 늘음량의 차이를 두고, 웨찌를 정착 후 소요

하중까지 인장한다.

⑤ 예) 6본 강연선 및 내하체 3개 사용시, 내하체 간의 늘음량 차이가 설계서에 1.5cm로 표현

된 경우(1번 내하체 강연선 2본 L=24m, 2번 내하체 강연선 2본 L=22m, 3번 내하체 강연선 2본

L=20m)

⒜ 중공형 인장기에 강선6본을 끼우고,인장판에 웨찌를 인장판에서 약 5cm 이후에 거치한다.

⒝1번 내하체 강연선에 2개의 웨찌를 끼우고 인장기가 자립할 정도만 미소 압력을 유지한다.

⒞인장기 자립 후, 1.5cm의 늘음량이 발생되도록 하중을 주고, 2번 내하체 강연선 2개에 웨찌

를 결속한 후, 다시 1.5cm를 인장늘을량이 되도록 하중을 준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87 -
⒟3번 내하체 강연선 2개에 웨찌를 결속한 후, 소요하중에 해당하는 압력까지 동시인장을 실

시한다. (참조 : 그라운드앵커 설계 시공지침 p327, 1997, 日그라운드앵커기술협회, 과학 기술)

⑥ 멀티(중공형)인장기를 이용하여, 전체 강연선에 동시 긴장할 경우는 내하체간에 발생하는

하중 분담을 고려하여야 한다. 가장 짧은 자유길이의 앵커체에 대한 도입력이 1가닥 당 인장강도

Pu=18.7ton의 60% 이내(11.22ton)인 경우는 동시인장이 가능하다. 이 경우는, 인장이 편리한 장 점

은 있으나 긴장축력과 분담율의 관계를 확인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아래의 표에 12.7mm 강연선 6

본, 내하체간격 2m의 경우에 대한 하중분담율을 예로 보였다. 이 경우, 20m이상의 앵커체에 한해 서

동시긴장이 가능하다.

하중분담율(%)

앵커자유길이(m) 1번 내하체 2번 내하체 3번 내하체


12 43.4 52.0 65.0
14 45.0 52.5 63.0
16 46.1 52.7 61.5
18 47.0 52.9 60.5
20 47.7 53.0 59.7
22 48.3 53.1 59.0
24 48.8 53.2 58.5
26 49.1 53.2 58.1
28 49.5 53.3 57.7
30 49.7 53.3 57.4

⑦ 인장시 소요 인장력을 얻을 수 없을 경우 설계자 와 시공자, 감리자 및 자문 기술자와 협

의하여 보강대책을 충분히 세운 후 시공하여야 한다.

5) 인장재의 제거

① 앵커의 사용성이 완료된 후 띠장이나 지압판 해체 작업시 강선을 절단하면 반발력으로 인

하여ANCHOR BODY에서 강선이 이탈되므로 인력으로 손쉽게 인발하면 된다.

6) 제거앵커의 시험 및 시험 장치

① 시험 일반

⒜ 인발 시험은 시공된 앵커와 지반과의 극한 인발력을 확인하여, 허용앵커력을 판정하기 위

하여 실시된다. 본 시험의 기본 목적은 대상지반의 주변 마찰 저항값을 찾는 것 또한 목적이나, 압

축형 앵커의 기본개념상 이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설계에 필요한 주변 마찰 저항값 등을 알아야

하거나, 선정된 마찰 저항값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장형 시험앵커(공장제작, 현장제작 금

지)를 사용한다.

⒝ 인발 시험의 최대하중은 사용된 강선본수 x 항복강도 x 90%를 최대계획하중으로 한다.

⒞ 인장 시험은 원칙적으로 실제로 사용되는 앵커에 있어서 설계 앵커력을 확보하기 위한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88 -
Jacking Force 또는 설계앵커력의 1.2 배 이상의 하중을 계획 최대 시험 하중으로 하고, 그 설계에

따라 시공된 앵커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앵커공사 전 실시한다. 시험천공․시험앵커 수(1~3%)

는 현장관계자와 사전협의를 통하여 필히 실시한다.

인장시험 앵커 개수(그라운드 앵커 공법의 조사, 설계 및 시공)

지 반 타 입
동일지반,
배치형상에서의
약간 점성을 가진 지반 정규압밀 상태의 점토 및
시공앵커의 수량 암반 및 비점성토
및 과압밀 지반 점토질실트

가설 1개 1개 2개
20개
이하
영구 1개 1개 3개

앵커 총 수의 0.05% 또한 앵커 총 수의 1% 또한 앵커 총 수의 1.5% 또한
가설
2개 이상 3개 이상 3개 이상
21개
이상
앵커 총 수의 1% 또한 앵커 총 수의 1.5% 또한 앵커 총 수의 2% 또한
영구
2개 이상 3개 이상 3개 이상

(Petros P. Xanthakos)

시험 앵커 개수 시공 앵커 개수

2 1~200

3 201~500

4 501~1000

5 1001~2000

6 2001~4000

⒟ 확인 시험은 특별한 경우에 시행한다. 기 시공된 앵커의 잔류앵커력에 대한 확인이 필요

한 경우 실시한다. 시험방법은 하중-변위 그래프에서 두 개의 직선을 찾아 교차된 점에 해당되는 하

중을 잔류하중으로 산정한다.

② 시험 장치

⒜ 가압장치 : 인장기 및 유압펌프로 소요하중의 1.5배이상의 능력을 사용

⒝ 계측장치 : 하중계(Load Cell)와 변위계(LVDT's, Dial Gage)를 사용하며, 하중계의 경우 정격

중의 1%미만의 허용오차를 갖어야 하며, 변위계는 0.1% 미만의 허용오차를 갖어야 한다. 또한, 하중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89 -
증감에 따른 해당변위가 Check 될 수 있도록 별도의 자동기록장치가 있는 장비를 사용한다.

⒞ 반력장치 : 인장시험시 변형이 없도록 보강을 실시

③ 시 험

⒜ 인발시험 및 인장시험은 측정 항목, 재하 하중, 앵커 두부 변위량, 반력장치의 변위량, 실시간

의 변화에 따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 인발시험의 최대 시험 하중은 안전 대책 상의 이유에서 인장재의 항복강도(Py)의 90% 혹은 인장

강도(Pu)의 80%중 작은 쪽의 값을 한도로 한다.

⒞ 인발시험은 주입재의 압축강도가 설계서에 명기한 기준강도를 상회 하고, 통상의 인장시점과 동

일한 시점에서 실시한다. 또한, 그라우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혼화제 및 첨가제의 사용

은 지양하는 것이 시험결과의 신뢰도를 인정할 수 있다.

⒟ 시험의 단계는 시험계획최대하중(Pmax)의 10~20%를 초기값(Pi)으로 산정한다. 이때, Pi의 값이

5ton 미만인 경우는 초기변형의 영향이 누적되어 시험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정한 수준의

하중을 정한다.

⒠ 하중의 증가는 0.1~0.2Pmax를 단계하중으로 하며, Pmax가 너무 작을때는 시험결과에 큰 영향이

없는 단계로 나누어 시행한다.

⒡ 반력장치의 변형이나 침하등이 예상될 때는 발생변위를 Check할 수 있는 변위계를 설치하여, 시

험결과에 반영하여야 한다.

⒢ 시험시 하중의 증감은 단계별 증가 및 증감을 실시하며, 하중 감소시 Pi이하로 하중이 저감되는

것을 주의한다.

⒣ 시험순서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Fraction of Ultimate Strength

Fraction of Design Load

1.0
1.0
0.8
0.8
0.6 0.6

0.4 0.4

0.2 0.2
0.0 0.0
20 40 60 20 40 60
Time (min) Time (min)

a) 인발 및 인장 시험 절차 b)확인시험 절차

⒤ 시험결과는 하중-변위 그래프와 탄소성 변위 및 한계곡선으로 Plot 할 수 있다.

⒥ 한계곡선은 상한한계선과 하한한계선으로 구별되며, 이에 대한 산정 근거는 `이상덕(1997),

“토질시험-원리와 방법-”, 새론'을 참조하거나, 국내외 자료를 참조한다.

예) 한계곡선의 산정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90 -
① 상한한계곡선(압축앵커)
Δℓa = 1.1 x (ε x ℓf )

= 1.1 x ( (Px - Pi) x ℓf) / ( Ep x Ap )

② 하한한계곡선

구 분 x(하중축) y(변위축)

R점 0.15 n P + Pi 0

S점 0.75 n P + Pi 0.6 n P ℓf / E A

여기서,

Px = 단계별 시험하중(kg)

Pi = 초기하중(kg)

ℓf = 전체장(인장여유장 포함)

Ep = P.C Strand의 탄성계수, 2.0 x 106 kg/cm²

Ap = P.C Strand의 단면적, 0.987cm²x 사용본수

③ 시험 결과의 분석

⒜ 인발시험 결과는 극한인발력에 따른 허용앵커력을 산정할 수 있다. 허용앵커력의 산정은 아래의

표에 해당사항에 맞는 근거로 산출한다.

Pa
설 정 법
가설 영구
1. 인장재의 인장강도(Pu)를 기준으로 하여 0.65Pu 0.60Pu

2. 앵커의 인발하중(Flim)을 기준으로 하여 0.77Flim 0.67Flim

3. 크리프(ΔK)에서 구한 한계하중(Flim)을 기준으로하여 0.90Flim 0.80Flim

4. 유효앵커자유길이의 상한하중(Flim)을 기준으로 하여 0.95Flim 0.90Flim

⒝ 인장형 시험앵커를 사용하여 극한마찰저항도를 산정하는 경우엔 아래의 식을 이용한다.

Tp = Pm / (π x D x Lb)

여기서, Tp = 극한 마찰 저항도(kg/cm2)

Pm = 최대인장력(극한인발력)(kg)

D = 천공지름(cm)

Lb = 유효정착장(cm)

⒞ 인장시험 결과는 상한계선과 하한계선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변위의 형상으로 안정성 여부를 판

단 할 수 있다.

⒟ 인장시험 결과에 따른 인발여부는 아래의 공식에 준하여 산정할 수 있다.

L = ΔSe․Ap․Ep / Px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91 -
여기서, L=유효자유장

ΔSe=최대하중에 대한 탄성늘음량

Ap=강선단면적, Ep=탄성계수, Px=최종하중-초기하중

상기 공식을 근거로 하여, 정착부의 파괴나 자유장의 구속여부를 수치화 할 수 있다.

⑤ 시험 결과 활용

⒜ 인발시험 및 인장시험의 결과는 설계조건과 시공조건을 만족하는 앵커력을 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변경 및 시공방법 변경 등에 활용할 수 있다.

7) 품질관리

①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에 관련된 품질관리는 시공자가 확인 작성한 보고서로 작성하여야 하며,

감리자 및 감독자는 이를 확인 승인 할 의무가 있다.

⒜ 천공보고서

⒝ 그라우트 시험보고서

⒞ 인장보고서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92 -
4. 현장 계측관리시방서

4-1. 일반 사항

지하 굴착시 각 토층은 다양한 토질 공학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설계 및 시공중에 기술적인 문제

점에 대하여 계측관리는 시공중에 발생하는 오차를 측정하여 공사의 안정성과 경제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 계측시방 일반사항

가) 계측관리는 감리자가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만약 감리자가 이를 수행치 못하는 경우

감독원 및 감리자가 인정하는 용역업체로 하여금 대행토록 한다.

나) 계측기기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동일하게 설치하되 현장 여건상 설치가 곤란할 경우 감리자의

지시에 따라 위치를 선정하여야 한다.

다) 계약자는 계측기간 동안의 계측기 및 측정장비의 점검 및 유지관리를 철저히 수행 하여야 한

다.

라) 계측된 결과가 설계시 예측한 것과 상이한 결과 또는 이상변위를 나타낼 경우, 이를 감독관

또는 감리자에게 즉시 보고하고 다음 단계의 공사진행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마) 계측관리 시행전 계측기 및 측정기의 상태를 점검하고 초기치를 정확히 기록 관리해야 한다.

사) 계측 측정기기 또는 계측자재는 KS규격 또는 KS규격 이상의 것을 사용 하여야 한다.

아) 계측기의 파손 또는 손,망실시 계약자가 신속히 재설치 등의 보완조치를 해야 한다.

4-2. 계측기기별 구성 및 설치

1) 지중 경사계 (Inclinometer)

가. 목 적

토류벽 및 배면 지반의 굴착에 따른 주변 수평변위량과 변위 속도를 측정하여 지반이완범위,

사면 활동 유․무등 현재의 지반상태 판단 및 향후 거동을 사전에 예측하여 안전한 시공을 하는데

있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93 -
나. 설 치 (굴착 배면에 설치하는 경우)

①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시추기(NX Size)로 계획 굴착 깊이보다 2~3m하단까지 시공한 후

Access Tube(알루미늄관 혹은 수지관)를 매설한다.

② Access Tube를 지반에 삽입한 후 천공 구멍과 Access Tube사이의 공간은 Cement Bentonite

Grout재로 충진시켜 주위 지반과 같이 거동토록 한다.

③ 이때 Access Tube의 unit(2~4m)간의 연결부위는 이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기밀한 방수처리를

실시한다.

④ 그라우트재 등이 침입하면 Access Tube가 막혀 경사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그라우트 재료가 충

분히 경과한 후(1~2일후) 경사계의 감지기(Sensor)를 Access Tube내에Setting시킨 다음,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올리면서 지중수평변위의 초기치를 읽는다.

⑤ 그 이후의 주기별 측정은 굴착공정을 고려하여 실시하며, 이때의 정밀도는 0.01mm이다.

⑥ 측정이 없을 때는 Access Tube 상단부에 덮개를 씌우고 공사중에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피해

를 막기 위하여 반드시 보호대와 주의 표지를 설치한다.

⑦ 경사계의 설치방법과 Tube의 연결 방법은 다음의 그림과 같다.

《 지중경사계 구성 및 설치 표준단면도 》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94 -
2) 하중계 (Load Cell)
가. 목 적
Pile, Strut 또는 Ground Anchor의 하중 및 인장력을 측정하여 공사 시 지반상황을 예측하기 위
하여 사용된다.

나. 적용 및 활용
① Ground Anchor의 하중 및 인장력 측정
② Pile의 하중측정
③ Strut 축력 측정 및 굴착시의 하중측정

다. 설치방법
① Load Cell 설치 3~4 시간전에 현장 그늘에 놓아둔다.
② Cable을 연결한 후 영점값을 읽고 Sheet에 기록한다.
③ Ground Anchor 스트랜드를 Center hole 내부로 넣어 Lower plate를 거치시킨다.
④ Load Cell을 거치시킨다.
⑤ Upper Plate를 거치시킨 후 지압판을 거치하고 유압잭을 이용하여 Ground Anchor
를 인장시킨다.
⑥ Ground Anchor를 인장시킨 후 지시계를 이용하여 초기치를 읽는다.

라. 측정방법
Load Cell에서 연결되어진 케이블을 Readout과 연결하여 초기치, 계측치 및 계기 상수를 환산공
식에 적용하여 인장력 및 하중을 산정한다.

마. 평가방법
T. Liu나 Larson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Load Cell을 통해 얻어지는 Ground Anchor의 반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진적인 감소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반력감소 원인으로 다음사항을 제시하였으며, 이
러한 원인은 복합적으로 작용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① Ground Anchor 정착부의 Creep 현상
② Anchor strand의 응력이완(Stress Relaxation)
③ 정착부와 인접지반의 미끄러짐(Slip)
④ 흙막이벽체와 Ground Anchor 정착부 사이에 놓인 원지반의 압축
⑤ 배면지반의 이완에 따른 마찰저항 감소
⑥ 시간경과에 따른 응력재배치로 인한 평형상태 회복
⑦ 원 지반의 수동파괴 현상

반면에 반력이 증가하는 경우는 굴착시 토류구조물 배면에 주동토압이 증가되어 흙막이벽체에 의해
변형이 억제되면서 앵커구조체에는 이에 저항하려는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95 -
이와같이 Load Cell을 통하여 얻어지는 앵커반력은 지반과 상호작용에의해 평형을 찾으면서 감소
추세에 들어가게 되는데,급격한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일 경우 굴착속도를 완만히 하고, 앵커 구조체의
상태를 확인하는 등 시공에 따른 하자를 다시 살펴보아야 한다.

3) 지하수위계 (Water Level meter)


가. 목 적
차수벽의 효과와 굴착 상태에 따른 지하 수위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차수벽 근처의 수위를
측정한다.
각 공구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한 피해 및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질조건에 적합한
차수공법을 적용한다.

나. 설치 및 측정방법
측정방법에는 지반내에 유공관을 매설하는 Open Casagrande 방식과 Pore Pressure-meter에 의
한 간극수압계 방식이 있다.
① 간극수압계 방식을 피압수의 영향을 받는 경우에 적용하며, 통상 유공관을 매설하는 방식을 적용
한다. 설치는 차수벽 후면에 시추기(NX Size)로 천공한 후 유공관을 매설하며, 측정은 유공관을 이
용하여 지하수위계 Sensor 및 Steel Tube로서 실시한다.
② 수위계의 원리는 다음의 그림과 같으며, Probe가 수위면에 닿게되면 지표면에 Earth 된 Pin과
의 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Sensor가 작동되어 현재의 수위를 알게 된다. 정밀도는 1mm정도이
다.

다. 지하수위계의 구성

《 지하수위계 구성 및 설치 표준단면도 》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96 -
4) 지 표 침 하 핀 (Settlement Pin)

가. 목 적

토류벽 배면, 굴착현장과 인접한 구조물 주변의 수직 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나. 설치 방법

a. 원지반에서부터 30㎝ 정도의 깊이로 Pit를 판다.


b. Pit 내부에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침하핀을 설치한다.
c. 시멘트 경화후 보호덮개를 씌운다.

다. 측정 방법

a. 현장 부근에 굴착의 영향이 미치지 않을 부동점을 설치하고 그 점을 기준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침하핀 위에 수준측량을 하여 침하량을 측정한다.
b. 각 침하핀에 발생하는 현재의 전침하량을 알 수 있도록 누적된 침하량을 기록한다.

《 지표침하핀 구성 및 설치 표준단면도 》

4-3. 계측기기별 설치위치 관리기준

계측기기별 설치위치및 수량은 설계도서를 원칙으로 하나 현장여건 및 시공시 감독관 및 감리자가

요구하는 종류, 위치 및 수량에 맞추어 설치하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97 -
4-4. 계측관리 빈도기준

가) 계측수행 빈도는 현장여건과 시공상황에 따라 감독원 및 감리자의 승인을 득한 후 빈도

를 증.가감 할 수 있다.

나) 계측수행은 굴토공사중 주2회, 굴토공사 완료후 주2회 측정함을 원칙으로 하며 현장여건에 따

라 감리자와 협의후 증.가감 할 수 있다.

특히, 우천시 (장마철 또는 집중호우시)의 계측관리는 빈도와는 상관없이 감독원 또는 감리자

와 협의하여 측정한다.

다) 계측결과는 주 1회 계측보고서를 작성하고 감독원 및 감리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단, 현장여건에 따라 감리자와 협의 후 증.가감 할 수 있다.

4-5. 계측수행 관리기준

계측관리는 각종 계측을 조직적으로 행하면서 계측결과를 바로 설계 및 시공에 반영하고 계획시의

설계시공을 현장에 적절한 것으로 변경시키면서 공사를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시공관리 해야 하므로

계측 각 단계별로 관리 지침이 필요하다.

1) 계측관리 기준치 설정

계측에 의한 변위 및 응력의 관리기준은 지질조건 및 단면의 크기 및 형상, 굴착공법, 주변구조물

의 환경조건 등에 따라 각각 달라지므로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곤란한일이지만 설계시 해석

결과 또는 유사지질 및 단면에서의 계측결과를 토대로 계측전문 기술자에 의해 관리기준 허용량 및

허용속도 등을 기준치로 정해야 한다.

2) 측정

가) 기본 순서를 지켜 시행하여야 하며 목적에 맞는 정밀도로 측정한다.

나) 전회의 DATA를 참고하여 이상치가 아닌가를 즉시 파악한다.

다) 측정은 동일인이 실시하여 오차를 최소화 시킨다.

라) 관리기준치에 근접하거나 급작스러운 변화를 나타낼 때는 측정빈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감독

원 및 감리자에게 보고하고 대응책을 강구한다.

3) 계측결과의 집적

가) 측정이 종료되면 계측 DATA를 정리하여 즉시 해석하고 측정치가 이상을 보일때는 재측정후 원

인을 파악하여야 한다.

나) DATA의 정리는 굴착 진행상태 및 지보의 설치시기를 명기하여야 한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98 -
다) 각종 계측결과는 일상의 시공관리에 이용 및 장래공사 계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정리

하고 그 기록은 보존하여야 한다.

4) 계측결과의 보고

가) 계측결과는 주1회 보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현저한 큰 변위 및 응력이 발생할 경우는 즉

각 감독원에게 보고하고 지시를 받아야 한다.

나) 계측관리 최종 보고서는 굴착공사 완료후 지하구조물 되메우기 시점에서 최종 보고서를 제출하

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현장여건에 따라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

4-6. 계측관리 기준치 관리기준

1) 데이터의 관리기준

시공관리나 안전관리를 위한 데이터 관리 방법으로는 절대치 관리와 예측관리로 나눌 수 있다.

절대치 관리란 시공 전에 설정된 관리기준치와 실측치를 비교 검토하여 그 시점에서 공사의 안전

성을 확인하는 방법이며, 예측관리는 다음 단계 이후의 예측치와 관리기준치를 비교 검토하고

사전에 공사의 안전성을 확인하거나 시공 방법을 검토하는 것이다.여기서 예측치란 현 단계까지

굴착 상태의 실측치를 기준으로 설계시 가정된 토질정수(Soil Parameter)와 실제 지반 조건과 비

교하여 차후 단계별 굴착의 가시설 구조물 거동을 추정한 값이다.

절대치 관리는 계측결과에 대해서 즉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안전관리에 많이 이

용되고 있다. 반면에 예측 관리는 조기에 가설구조물 거동을 추정할 수 있고 대응책도 충분히 검

토할 수 있지만 계측 체계가 대규모화됨에 따라 경제적인면에서 부담이 크므로 일반적으로 대규

모 굴착 공사의 중요한 계측의 경우에 이용된다.

2) 절대치 관리기준

절대치 관리기법을 채택한 경우에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설계치에 대한 관리 기준치의 결정 방

법과 계측 결과치가 관리 기준치를 초과했을 때의 대처 방안이다. 그러나, 굴착공사에서 관리 기

준치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사항이다. 아래〈표2-1〉는 관리 기준치를 예로 든 것으로 이

표에 기초한 관리기준치와 계측 관리치를 비교하여 시공관리 와 안전관리에 참고 할 수 있다.

《 표 2-1) 계측 데이터 관리 기준 예 》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99 -
대 상 물 기 준 의 범 위
토류벽의 응력 ( 장 + 단 ) / 2 ~ 단
토류벽의 변형 1/200 또는 설계 여유 이하
토류벽
Strut의 축력 ( 장 + 단 ) / 2 ~ 단
구조물
Strut의 평면 1/100
띠장 ( 장 + 단 ) / 2 ~ 단
주변지반의 침하
경사 : 1 / 500 ~ 1 / 200
주변현황 주변 매설물
관리 담당자와 협의
시 설 물 (상수, 하수, 가스, 지하철)
경사 : 1 / 300 ~ 1 / 1000
주변건물

주) 장 : 장기 허용 응력도, 단: 단기 허용 응력도

굴토공사에서 이 기법을 이용하여 계측 항목별 구체적 관리 기준치를 설정한 예를 아래〈표 2-2〉


에 나타내었다. 관리 기준치는 1차와 2차로 나누어 생각하고, 1차관리 기준치는 부재 허용 응력의
80%, 2차 관리기준치는 100%로 했다. 설계자 측정치의 판단에의한 사항이나 변형에 관한 것에 대
해서는 100%를 1차 관리기준치로 했다. 측정치와 관리기 준치의 비교 결과 각 상황에 따른 대응
방법의 기본적 개념은 다음과 같다.
◎ 측정치 ≤ 1차 관리기준치 : 이 경우 토류 구조물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다.
◎ 1차 관리기준치 < 측정치 ≤ 2차 관리기준치 : 허용 응력을 2차 관리기준치로 정하고 있으므로
측정치가 이 범위에 있을 때는 특별한 문제는 없지만 다음 굴착 단계에서 2차 관리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가의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 2차 관리기준치 ≤ 측정치 :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면 공사를 일시 중단하고, 토류구조물 전
체에 대해서 재검토하고 굴착 깊이의 변경이나 새로운 지보공의 검토등 적절한 대책을 강구
해야 한다.
《 표 2-2〉 관 리 기 준 치 기준 》

관 리 기 준 치
계 측 항 목 비 교 의 대 상
제 1차 기준치 제 2차 기준치

설계측압분포
측압 , 수압 100% -
(지표면 ~ 각 단계 굴착깊이)

콘크리트 허용 압축응력도 80%


벽 체 응 력 철근의 허용인장 응력도 80% 100%
허용 휨모멘트 80%

벽 체 변 형 계획시의 계산치 100% -

또 하나의 절대치 관리 방법은 안전율의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사전에 각 항목별로 안전율을 설

정하고 설계시에 사용한 추정치 및 계측 결과치의 비와 안전율을 비교하여 공사의 안전성을 예측

하는 방법이다. 다음〈표 2-3〉는 안전율을 이용한 절대치 관리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00 -


《 표 2-3) 토류 공사의 안전시공 관리를 위한 기준 》

안전, 위험의 판 정 법
측정 방법
판정 기준치 지표(관리 기준) 위험 주의 안전
설계시 이용
한 토압분포
설계시에 이용 토압
토압,수압 (지표면)에서 F1=---------------------- F1〈 0.8 0.8≤F1≤1.2 F1 〉1.2
각 단계 근입 실측(예측)에의한토압
깊이
설계시의 설계시의 추정치
벽체 변형 F2=------------------------ F2〈 0.8 0.8≤F2≤1.2 F2 〉1.2
추정치 실측(예측)에의한수평변위

철근의허용 철근의 허용인장응력


F3=------------------------ F3〈 0.8 0.8≤F3≤1.2 F3〉1.0
토류벽내 인장응력 실측(예측)에의한인장응력
응력 토류벽 허용 휨모멘트
F4=------------------------ F4〈 0.8 0.8≤F4≥1.0 F4 〉1.0
허용응력 실측(예측)에의한축력
Strut 부재의 부재의 허용축력
F5=------------------------ F5〈 0.8 0.8≤F5≤1.2 F5 〉1.2
응력 허용축력 실측(예측)에의한축력
굴착저면의
T.W.LAMBE 에 의한 허용 지반 융기량
지반융기량

각 현장마다 각현장 상황에 맞는 허용침하량을 지정하고 그 허용 침하량을


침 하 량
허용치를결정 넘으면 위험 또는 주의 신호로 판단한다.

건물의 허용 기둥간격에 대한 부등 침하량


부등침하량 1/300이상 1/300~1/500 1/500이하
부등침하량 비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절대관리를 설정한 후 측정을 계속하여 측정 결과치가 관리치에 접근

하면 계측빈도를 높이는 등의 감시체제를 강화하고, 측정치가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면 시공

을 중단해서라도 그 발생 원인을 찾아내 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 기법은 경험이 적은 기술자라도 안전성의 판단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상의

발견시 대응이 늦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굴착 심도가 얕은 토류공에 적합한 기법이다.

3) 예측치 관리기준

예측 관리 기법이라는 것은 선행 굴착에 대한 측정 결과에서 토질정수, 벽체 및 지보공의 특성치

를 구해 그 값을 이용하여 다음 단계굴착 이후의 벽체와 지보공의 거동을 수치해석기법

(Simulation)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굴착공사를 진행하고 문제가 있으면 대

책을 강구하며, 그 대책에 대해서 다시 수치예측을 행해 안전을 확인한 후 공사를 진행하는 방법

이다.

이와 같이 계측자료와 예측자료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계측자료가 충분히 허용 범위내에 유지되어

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설계된 단면을 재가정하여 안전측에 도달되도록 반복 설계를 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01 -


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반복설계의 절차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① 벽체의 횡 방향 변위 , 지표침하, 지보재 작용 하중 등의 설계 허용치 지정.

② 충분한 안전성과 경제성을 감안한 수치예측자료 계산.

③ 계측치와 수치 예측치 값의 비교.

④ 계측치와 예측치가 차이가 있을 경우, 오차의 가능성을 확인한 후 필요에 따라 물성치 등의

입력 자료를 현장조건에 맞도록 재결정하여 역해석(Back Analysis)을 실시한다.

⑤ 계측치가 허용범위 내에 들지 못하면 설계조건을 재 가정하여 허용범위를 만족할 때까지 위의

세 단계를 반복한다. 여기에서 설계조건의 재 가정에서는 벽체의 강성변화 지보공의 설치간격

변경, 시공법의 변경, 굴착 깊이의 감소, 인접 구조물과의 벽체 거리 변경등의 대안을 고려할

수 있다.

⑥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도 개선의 여지가 없을 경우에는 주변 구조물에 새로운 보강공법을

적용하거나 인접 구조물을 구입하여 제거하거나 혹은 현장 위치를 변경하는 기타의 방안을 강

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기법은 현장의 이상 조건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비교

적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하며, 비용도 절대치 관리기법보다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4) 인접 구조물의 허용치 평가기준

인접구조물의 침하 허용치는 구조상의 안전성과 사용기능 유지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구조상의

안전성은 직접기초의 경우에는 건물의 침하나 경사(Tilt)로부터 판단되는 것이 많고 허용치는 균

열상황과 침하 및 경사량의 조사결과를 참고하여 결정하기도 한다.

구조물의 허용 수평 변위 기준, 침하 및 경사(각 변위)등에 관한 허용치는 학자들에 의해서 많이

제안되었으나,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방법을 다음〈표2-4〉,〈표2-5〉에 수록하였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02 -


《 표 2-4) 여러 가지 구조물에 대한 각 변위 한계 (Bjerrum, 1963) 》

(각변위 : δ/L)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1/900 1/1000

     
      침하에 예민한 기계
     기초의 작업 곤란 한계
    
     사재를 가진 뼈대의 위험 한계
   
   균열을 허용할 수 없는 빌딩에 대한 안정 한계
  
   칸막이 벽에 균열이 예상되는 한계
   고가 크레인의 작업곤란이 예상되는 한계
 
  강성의 고층빌딩의 전도가 눈에 띄일 수 있는 한계

 칸막이 벽이나 벽돌의 상당한 균열이 있는 한계
일반적인 건물의 구조적 손상이 예상되는 한계

《 표 2-5) 여러 가지 구조물의 최대 허용 침하량(Sowers, 1962) 》

침 하 형 태 구조물의 종류 최대침하량

배수시설 15.0 ~ 30.0cm


출입구 30.0 ~ 60.0cm
부등침하 가능성
전 체 침 하
석축 및 벽돌 구조 2.5 ~ 10.0cm
뼈대구조 5.0 ~ 10.0cm
굴뚝, 사이로, MAT 7.5 ~ 30.0cm

탑, 굴뚝 0.004 s
경 사 (Tilt) 물품적재 0.010 s
크레인레일 0.003 s

빌딩의 벽돌 벽체 0.005 ~ 0.002 s


철근 콘크리트 뼈대구조 0.003 s
부 등 침 하
강 뼈대구조 (연속) 0.002 s
강 뼈대구조 (단순) 0.005 s

주) s = 기둥사이의 간격 또는 임의의 두점 사이의 간격.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03 -


5) 구조물 균열 허용치 평가기준

1) 적용범위

①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이 구조물의 기능, 내구성 및 미관 등 사용목적에 손상을 주는가에

대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② 내구성에 대한 균열의 검토는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폭을 환경조건, 피복두께, 공용기간 등으

로부터 정해지는 허용균열폭 이하로 제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공용기간이 극히 짧

은구조, 콘크리트 내에 강재가 부식하지 않도록 표면이 잘 보호되어 있는 구조, 가설 구조물

에 대한 균열의 검토는 하지 않을 수 있다.

③ 수밀성이 요구되는 구조는 적절한 방법으로 균열에 대한 검토를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소요

수밀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허용균열폭을 기준으로 검토할 수 있다.

④ 미관이 중요한 구조는 미관상의 허용균열폭을 설정하여 균열을 검토할 수 있다.

2) 환경조건의 구분

① 내구성에 관한 균열폭을 검토할 경우 구조물이 놓이는 환경조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② 강재의 부식에 대한 환경조건으로서〈표 2-6〉과 같이 건조환경, 습윤환경, 부식성 환경 및

고부식성 환경 등으로 4종류로 구분한다.

3) 허용균열폭

① 허용균열폭은 구조물의 사용목적, 소용 내구성, 환경조건, 부재의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정하야

한다.

② 강재의 부식에 대한 콘크리트의 허용균열폭은 일반적으로 피복두께 및 강재의 종류에 따라서

〈표 2-7〉에 따라야 한다. 단,〈표 2-7〉에 적용될 수 있는 피복두께는10cm 이하를 표준으로

하여야 한다.

③ 물을 저장하는 수조 등과 같은 구조의 허용균열폭은 0.1mm로 하여야 한다.

《 표 2-6) 강재의 부식에 대한 환경조건의 구분 》

일반 옥내 부재. 부식의 우려가 없을 정도로 보호한 경우의 보통


건 조 환 경
주거 및 사무실 건물 내부.

습 윤 환 경 일반 옥외의 경우. 흙속의 경우.


습환경과 비교하여 건습의 반복작용이 많은 경우. 특히 유해한 물
부식성 환 경 질을 함유한 지하수위 이하의 흙 속에 있어서 강재의 부식에 해
로운 영향을 주는 경우. 동상방지제를 사용하는 경우.
고부식성환경 강재의 부식에 현저하게 해로운 영향을 주는 경우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04 -


《 표 2-7) 허 용 균 열 폭 (mm) 》

강재의 부식에 대한 환경조건


강재의 종류
건조 환경 습윤 환경 부식성 환경 고부식성 환경
건 물 0.4mm 0.3mm
철 근 0.004tc 0.0035tc
기타구조물 0.006tc 0.005tc

프리스트레싱 긴장재 0.005tc 0.004tc - -

※여기서:tc는 최외단 철근의 표면과 콘크리트 표면 사이의 콘크리트 최소 피복두께(mm)

6) 구조물 진동 허용치 평가기준

진동의 크기를 표시하거나 허용기준을 결정하려면 진동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3가지 척도인

변위, 속도, 가속도가 필요하다. 진동에 의한 구조물의 피해정도는 진동속도에 비례한다고 보고

있어 진동의 규제기준을 진동속도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서울 지하철공사에서는 이 기준을 적

용하고 있다.

진동에 있어서 인체가 감응하는 정도는 가속도 성분에 따라 변하고, 지상이나 구조물이 받는 피

해 정도는 진동속도 성분에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진동의 허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는 속도 성

분을 측정하여 이를 바로 구조물에 미치는 피해의 척도로 삼는 것이 가장 손쉽고 편리한 방법이

다. 그러나, 건물의 피해정도는 기초가 점토층에 있는가 또는 기반암층 위에 있는가 등 지반 여건

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진동의 규제기준치는 다음의〈표 2-8〉및〈표 2-9〉에서와 같이 최대입자 속도(Peak

Particle Velocity : PPV)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지반의 진동치가 최대 입자 속도로

0.5cm/sec이하 진동인 경우에는 인접구조물에 손상이 생기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 표 2-8) 진동 규제치 (노동부 고시) 》

건물기초에서의 허용진동치
구분 건 물 구 분
(cm/sec, kine)
Ⅰ 문화재 0.2이하

Ⅱ 주택, 아파트 0.5이하

Ⅲ 상가 1.0이하

Ⅳ 철근 CONCRETE 빌딩 및 공장 1.0~4.0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05 -


그러나 이 기준치는 튼튼한 뼈대구조물인 경우에는 안전측이 되지만 벽돌구조물과 같이 약한 구

조물에 대하여는 위험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규제기준치는 각 국가별로 약간의 차이

가 있으며, 대상 구조물등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난다. 그러나 발파진동의 피해여부를 검토하는 대

상이 건물등의 시설물인 경우 국내외의 여러 연구결과 및 측정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최대입자속

도가 0.2cm/sec이하이면 상당히 안전한 발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표 2-9〉 국내․외의 발파진동 규제 기준(단위 : cm/sec, kine)

보 안 물 건
구 분 비고
Ⅰ급 Ⅱ급 Ⅲ급 Ⅳ급

지 하 철 0.2 0.5 1.0 1.0~4.0

0.2 0.4 0.8 0.8~2.0 30Hz 이상


국내 토 개 공
0.2 0.5 1.0 1.0~4.0 30Hz 이상

주 공 0.2 0.5 1.0 4.00

독 일 0.2 0.4 0.8 1.0~4.0 DIN4150

인구밀집지역 인구드문곳 12Hz 이하


기 타
영 국 (터널) (터널) 노천광,채탄

1.9 2.5 1.2 0.5


국외
15Hz 이하 15Hz 이상
오스트리아
변위로 0.2cm 속도로 1.9cm/sec

40Hz 이상 15Hz 이상 1Hz 이상


미 국
5.0 1.9 0.5

※ 여기서 ⇒ Ⅰ급 : 문화재, 컴퓨터등 정밀기기 설치장소

Ⅱ 급 : 주택, 상가, 아파트 등 결함이 있는 건물이나 주택

Ⅲ급 : 건물로서 균열이나 결함이 없는 건물

Ⅳ급 : 회벽이 없는 COSCRETE 구조물, RC 구조물, 철골조 구조물

또한 도심지 건설공사에 따른 우리나라 건설 및 생활 소음ㆍ진동 규제기준(제32조, 제57조, 소음

ㆍ진동 규제법 시행규칙 별표15)과 관련된 건설 및 생활 규제기준은 다음의 〈표2-10〉과 같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06 -


〈표2-10〉생활소음 규제기준의 범위 단위 : dB (a)
아침, 저녁
시 간 별 낮 밤
대 상 지 역 (05:00~08:00,
소 음 원 (08:00~18:00) (22:00~05:00)
18:00~22:00)

옥 외 설 치 70 이하 80 이하 60 이하

주거지역, 녹지지역, 관 성 옥내에서 옥
리지역 중 취락지구 및 기 외로 소음이 50 이하 55 이하 45 이하
관광·휴양개발진흥지구, 나오는 경우
자연환경보전지역, 그 밖
의 지역안에 소재한 학 공장·사업장 50 이하 55 이하 45 이하
교·병원·공공도서관
공 사 장 60 이하 65 이하 50 이하

그 밖의 지역 옥 외 설 치 70 이하 80 이하 60 이하

성 옥내에서 옥
기 외로 소음이 60 이하 65 이하 55 이하
나오는 경우

공장·사업장 60 이하 65 이하 55 이하

공 사 장 65 이하 70이하 50 이하
본 현장의 허용 소음 규제치는 통행인의 보호 및 민원 발생을 방지하기 타당한 소음 제한치를 규정하
여야 할 것이다.

5. 피해예방 및 안전대책
본 가시설 흙막이 설계도는 기 조사된 토층을 근거로 하여 작성하였으므로 실제 굴착전 시험보링을
실시하여 토층구성이 상이하면 피해예방을 위하여 설계변경 또는 보강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당 현
장은 시공전에 반드시 추가조사를 실시한 후 작성된 설계도서에 대해 안전 검토를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시공중에 나타난 자료로 판단할 때 피해방지를 위하여 설계변경이 필요한 경우 감리자는 시공자
에게 설계변경, 피해예방 및 각종 피해복구에 대한 건의를 할 수 있으며, 이때 시공자는 이 문제를 감
독관(발주자)과 협의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상의 피해 예방을 위하여 시방서에 명시된 사항은 피해를 최대한 예방하기 위한 기술적인 원칙에
불과 하므로 시공자는 이 조항에 대한 충실한 이행은 물론이고 현장에서의 안전사고, 피해의 예방과
이를 위한 실측 (토류구조물의 변형, 지반침하 등의 주기적인 측정)에 최선을 다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감독(발주자)의 협조와 감리자의 자문을 요청하여 안전한 공사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6. 기 타 사 항
설계도서, 구조계산서에 명시된 사항은 토류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하고 주변지반과 인접건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중 시공 본래의 목적에 부합되는 경제성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최선의 방법이나
본 공법이 기술적으로 일체의 하자도 예상되지 않는 완벽한 공법이 아니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인근 배
면지반 및 기초가 확실하지 않은 인접 건물에는 약간의 피해를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주식회사 대성이엔씨코리아 - 107 -


Ⅳ. 첨 부
A-A 단면 터파기 비탈면 안정성 검토

1. 개요 및 현황
∙ 터파기 비탈면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통하여 굴착 계획의 적정성을 검토함

검토단면

BH-9

Z= 8.50 (G.L 93.00)

매립층
0.50

14/30

20/30

39/30

S=
2,907

45/30

1:
1.
0
50/27

50/22

50/22
풍화토
50/17 Z=8.5

50/21

50/20
구분 비탈면 높이(m) 기울기 지층 비고
50/18
OPEN CUT 2.907 1 : 1.0 풍화토 BH-9
50/16

50/11
2. 기준안전율
50/13
∙ 국토교통부 “KDS 11 70 05 : 2016, 쌓기‧깎기 설계기준”의 비탈면 안전율 기준을 준용하여 적용함
50/13

기준안전율
16.00
적용 비고
50/9
∙1년 미만의 단기적인 비탈면의 안정성(시공중 포함)
Fs > 1.1 활하중 적용(q=13kPa)
∙지하수위는 실제 측정 또는 평상시의 지하수위 적용

*집중호우시 지하수위 상승 고려 지표포화 조건 적용

3. 적용 지반강도 정수
∙ 비탈면 검토시 지반강도정수는 지하안전영향평가 의 지반 특성치를 고려하여 적용함

지층 단위중량(kN/m3) 점 착 력 (kN/m2) 내부마찰각 (˚) 비고

풍화토 19 20 31

4. 비탈면 안정성 검토 방법

안정성 검토방법 해석방법(이론) 해석프로그램 비고

한계평형해석 Bishop법 Geostudio 2012(Slope/w)


5. 비탈면 안정검토결과(한계평형 해석)
해석결과(SLOPE/W)

Fs=2.878 ≥ 1.1 (O.K)

∙ 터파기 비탈면 안정검토결과 검토 안전율이 기준 안전율 이상을 확보하여 안정한 것으로 판단됨
■ INPUT/OUTPUT
터파기 비탈면(지안평)
Report generated using GeoStudio 2012. Copyright © 1991-2013 GEO-SLOPE International Ltd.
File Information
Created By: dwyoo
Revision Number: 18
File Version: 8.1
Tool Version: 8.11.1.7283
Date: 2022-01-10
Time: 오후 2:41:21
File Name: H=2.907.gsz
Directory:
Last Solved Date: 2022-01-10
Last Solved Time: 오후 2:41:23
Project Settings
Length(L) Units: meters
Time(t) Units: Seconds
Force(F) Units: kN
Pressure(p) Units: kPa
Strength Units: kPa
Unit Weight of Water: 9.807 kN/m³
View: 2D
Element Thickness: 1
Analysis Settings
터파기 비탈면(지안평)
Kind: SLOPE/W
Method: Bishop
Settings
PWP Conditions Source: Piezometric Line
Apply Phreatic Correction: No
Use Staged Rapid Drawdown: No
Slip Surface
Direction of movement: Left to Right
Use Passive Mode: No
Slip Surface Option: Grid and Radius
Critical slip surfaces saved: 1
Optimize Critical Slip Surface Location: No
Tension Crack
Tension Crack Option: (none)
F of S Distribution
F of S Calculation Option: Constant
Advanced
Number of Slices: 30
F of S Tolerance: 0.001
Minimum Slip Surface Depth: 0.1 m
Optimization Maximum Iterations: 2,000
Optimization Convergence Tolerance: 1e-007
Starting Optimization Points: 8
Ending Optimization Points: 16
Complete Passes per Insertion: 1
Driving Side Maximum Convex Angle: 5 °
Resisting Side Maximum Convex Angle: 1 °
Materials
W-soil
Model: Mohr-Coulomb
Unit Weight: 18 kN/m³
Cohesion': 26 kPa
Phi': 29 °
Phi-B: 0 °
Pore Water Pressure
Piezometric Line: 1
Slip Surface Grid
Upper Left: (5.782977, 10.5942) m
Lower Left: (5.782977, 7.846374) m
Lower Right: (8.739499, 7.846374) m
Grid Horizontal Increment: 6
Grid Vertical Increment: 6
Left Projection Angle: 0 °
Right Projection Angle: 0 °
Slip Surface Radius
Upper Left Coordinate: (4, 7) m
Upper Right Coordinate: (8, 3) m
Lower Left Coordinate: (2, 6) m
Lower Right Coordinate: (6, 2) m
Number of Increments: 5
Left Projection: No
Left Projection Angle: 135 °
Right Projection: No
Right Projection Angle: 45 °
Slip Surface Limits
Left Coordinate: (0, 7.748123) m
Right Coordinate: (15, 5) m
Piezometric Lines
Piezometric Line 1
Coordinates

X (m) Y (m)
Coordinate 1 0 7.748123
Coordinate 2 5 7.907276
Coordinate 3 7.907276 5
Coordinate 4 15 5

Surcharge Loads
Surcharge Load 1
Surcharge (Unit Weight): 13 kN/m³
Direction: Vertical
Coordinates
X (m) Y (m)
0 8.75
4 8.85
Points
X (m) Y (m)
Point 1 5 7.907276
Point 2 0 7.748123
Point 3 0 0
Point 4 15 0
Point 5 15 5
Point 6 7.907276 5
Point 7 0 8.75
Point 8 4 8.85
Regions
Material Points Area (m²)
Region 1 W-soil 1,2,3,4,5,6 93.365
Current Slip Surface
Slip Surface: 141
F of S: 2.878
Volume: 8.4882084 m³
Weight: 152.78775 kN
Resisting Moment: 910.13078 kN-m
Activating Moment: 316.25481 kN-m
F of S Rank: 1
Exit: (7.9259052, 5) m
Entry: (2.6185874, 7.8314742) m
Radius: 4.3761222 m
Center: (6.7684843, 9.220287) m
Slip Slices
Base Normal Frictional Cohesive
X (m) Y (m) PWP (kPa)
Stress (kPa) Strength (kPa) Strength (kPa)
Slice 1 2.7049257 7.6131698 2.1678625 -3.3770639 -3.0736029 26
Slice 2 2.8776023 7.2263857 6.0149579 6.1360209 0.067106315 26
Slice 3 3.0502789 6.9184423 9.0888617 13.478423 2.4331737 26
Slice 4 3.2229554 6.6594421 11.68278 19.571111 4.3725732 26
Slice 5 3.395632 6.435341 13.934443 24.819507 6.0336894 26
Slice 6 3.5683086 6.2381264 15.92243 29.443934 7.4950921 26
Slice 7 3.7409851 6.062695 17.696788 33.579513 8.8039383 26
Slice 8 3.9136617 5.9055548 19.291766 37.315983 9.9909864 26
Slice 9 4.0833333 5.7664098 20.709326 29.649193 4.955449 26
Slice 10 4.25 5.6429562 21.972062 32.536234 5.8558163 26
Slice 11 4.4166667 5.5311635 23.12044 35.194727 6.6928866 26
Slice 12 4.5833333 5.4299957 24.16462 37.64757 7.4737215 26
Slice 13 4.75 5.3386193 25.112775 39.913092 8.2039494 26
Slice 14 4.9166667 5.256355 25.971568 42.006188 8.888135 26
Slice 15 5.0908524 5.179703 25.858319 42.38865 9.1629119 26
Slice 16 5.2725571 5.1089247 24.770464 41.037661 9.0170545 26
Slice 17 5.4542619 5.0472555 23.593275 39.494382 8.8141275 26
Slice 18 5.6359666 4.9942958 22.330673 37.768681 8.5574278 26
Slice 19 5.8176714 4.9497207 20.985842 35.868587 8.2496405 26
Slice 20 5.9993761 4.9132694 19.561341 33.800589 7.8929443 26
Slice 21 6.1810809 4.8847367 18.059183 31.569857 7.4890891 26
Slice 22 6.3627856 4.8639665 16.480897 29.180408 7.0394541 26
Slice 23 6.5444904 4.8508481 14.827571 26.635225 6.5450897 26
Slice 24 6.7261951 4.8453125 13.099881 23.936342 6.0067485 26
Slice 25 6.9078999 4.8473308 11.298109 21.084897 5.424905 26
Slice 26 7.0896046 4.8569135 9.4221524 18.081163 4.7997678 26
Slice 27 7.2713094 4.8741108 7.4715202 14.924551 4.1312826 26
Slice 28 7.4530141 4.8990137 5.4453189 11.61359 3.4191286 26
Slice 29 7.6347189 4.9317567 3.3422297 8.1458777 2.6627056 26
Slice 30 7.8164236 4.9725215 1.1604712 4.5180064 1.8611122 26
0.0248358
Slice 31 7.9165906 4.9974675 2.6383965 1.4487203 26
35
B-B 단면
목 차
1.표준단면
2.설계요약
3.설계조건
3.1 가시설 구조물 공법 및 사용강재
3.2 재료의 허용응력
3.3 적용 프로그램
4.지보재 설계
4.1 Strut 설계 (strut-1)
4.2 Strut 설계 (strut-2)
4.3 Strut 설계 (strut-3)
4.4 Strut 설계 (strut-4)
4.5 Strut 설계 (strut-5)
5.사보강 Strut 설계
5.1 strut-1
5.2 strut-2
5.3 strut-3
5.4 strut-4
5.5 strut-5
6.띠장 설계
6.1 strut-1 띠장 설계
6.2 strut-2 띠장 설계
6.3 strut-3 띠장 설계
6.4 strut-4 띠장 설계
6.5 strut-5 띠장 설계
7.측면말뚝 설계
7.1 흙막이벽(우)
8.중간말뚝 설계
9. 흙막이 벽체 설계
9.1 흙막이벽(우) 설계 (0.00m ~ 14.60m)
10.전산 입력 정보
11.해석결과
12. 단계별 변위
13. 단계별 부재력
14. 단계별 부재력(검토항목별)
1.표준단면

1.1 표준단면도

1.2 지층조건
지반탄성계 수평지반 반력
번 깊이 γt γsat C φ
이름 N값 수 계수
호 (m) (kN/m³) (kN/m³) (kN/m²) ([deg])
(kN/m²) (kN/m³)
1 붕적층 5.00 18.00 19.00 5.00 25.00 22 - 24200.00
2 풍화토 8.00 18.00 19.00 20.00 31.00 44 - 32100.00
3 풍화암 20.00 20.00 21.00 31.00 33.00 50 - 45000.00
4 되메우기 - 20.00 21.00 0.00 22.00 4 15000.00 15000.00

1.3 사용부재
가. 흙막이벽
번 하단깊이 수평간격
이름 형상 단면 재질
호 (m) (m)
1 흙막이벽(우) H-Pile H 300x300x10/15 SS275 17.6 1.6

나. 지보재
번 설치깊이 수평간격 대칭점 길이
이름 단면 재질 초기작용력 개수
호 (m) (m) (m)
1 strut-1 H 300x300x10/15 SS275 1.5 3 6 0 2
2 strut-2 H 300x300x10/15 SS275 4.1 3 6 0 2
3 strut-3 H 300x300x10/15 SS275 6.7 3 6 0 2
4 strut-4 H 300x300x10/15 SS275 9.3 3 6 0 2
5 strut-5 H 300x300x10/15 SS275 11.9 3 6 0 2

다. 벽체와 슬래브
설치위치 상단깊이 하단깊이
번 두께
이름 (설치깊이) (시작위치) (끝위치) 재질 뒤채움
호 (m)
(m) (m) (m)
설치위치 상단깊이 하단깊이
번 두께
이름 (설치깊이) (시작위치) (끝위치) 재질 뒤채움
호 (m)
(m) (m) (m)

1 슬래브-1 0 0 9.15 C27 0.3 -


2 슬래브-2 5 0 9.15 C27 0.3 -
3 슬래브-3 10 0 9.15 C27 0.3 -
4 MAT 14.6 0 9.15 C27 1.2 -
5 WALL 9 0 14.6 C27 0.3 뒤채움

라. 상재하중

이름 작용유형 작용위치 작용형식 작용하중 (kN)

1 차량하중 과재하중 배면(우측) 상시하중 w = 13

1.4 시공단계
단계별 해석방법 : 탄소성법
토압종류 : Rankine (벽 마찰각은 내부마찰각의 30 %)
지하수위 : 고려
지하수 단위중량 = 10 kN/m³, 초기 지하수위 = 8.5 m, 수위차 = 1 m
지보재 벽체 & 슬래브 임의하중
단 굴착깊이
설치깊이 토압변경 수압변경 토층변경
계 (m) 생성 해체 작용 해체
(m)
1 2.00 - - - - - - X X
2 - strut-1 - - - - X X
3 4.60 - - - - - - X X
4 - strut-2 - - - - X X
5 7.20 - - - - - - X X
6 - strut-3 - - - - X X
7 9.80 - - - - - - X X
8 - strut-4 - - - - X X
9 12.40 - - - - - - X X
10 - strut-5 - - - - X X
11 14.60 - - - - - - X X
12 14.60 - - 13.6 - - - X X
13 14.60 strut-5 12.4 - - - X X
14 14.60 strut-4 9.8 - - - X X
15 14.60 strut-3 7.2 - - - X X
16 14.60 strut-2 4.6 - - - X X
17 14.60 strut-1 2 - - - X X
18 14.60 - - 0 - - - X X

1.5 지하수위 조건
지하수 단위중량 = 10 kN/m³, 초기 지하수위 = 8.5 m, 수위차 = 1 m
번 굴착깊이 수압변경 (깊이(h), 수압(p))
수압종류 굴착수위 배면수위
호 (m) (kN, m)
1 2.00 정수압 8.5 8.5 -
2 - 정수압 8.5 8.5 -
3 4.60 정수압 8.5 8.5 -
4 - 정수압 8.5 8.5 -
5 7.20 정수압 8.5 8.5 -
6 - 정수압 8.5 8.5 -
7 9.80 정수압 9.8 8.8 -
8 - 정수압 9.8 8.8 -
9 12.40 정수압 12.4 11.4 -
10 - 정수압 12.4 11.4 -
11 14.60 정수압 14.6 13.6 -
12 14.60 정수압 14.6 13.6 -
13 14.60 정수압 14.6 13.6 -
14 14.60 정수압 14.6 13.6 -
15 14.60 정수압 14.6 13.6 -
16 14.60 정수압 14.6 13.6 -
17 14.60 정수압 14.6 13.6 -
18 14.60 정수압 14.6 13.6 -
2.설계요약
2.2 사보강 Strut
위치 단면검토
부재 구분 단위 판정
(m)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strut-1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2%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9.568 135.144 7.08% O.K
1.50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86% O.K
합성응력 안전율 0.119 1.000 11.851% O.K
볼트수량 개 1.053 8 13.162% O.K
strut-2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2%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15.531 135.144 11.492% O.K
4.10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86% O.K
합성응력 안전율 0.163 1.000 16.301% O.K
볼트수량 개 1.709 8 21.364% O.K
strut-3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2%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14.862 135.144 10.997% O.K
6.70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86% O.K
합성응력 안전율 0.158 1.000 15.802% O.K
볼트수량 개 1.635 8 20.444% O.K
strut-4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2%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26.731 135.144 19.78% O.K
9.30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86% O.K
합성응력 안전율 0.247 1.000 24.661% O.K
볼트수량 개 2.942 8 36.771% O.K
strut-5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2%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25.753 135.144 19.056% O.K
11.90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86% O.K
합성응력 안전율 0.239 1.000 23.931% O.K
볼트수량 개 2.834 8 35.426% O.K

2.3 띠장
위치 단면검토
부재 구분 단위 판정
(m)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strut-1 휨응력 MPa 15.493 201.645 7.683% O.K
H 300x300x10/15 1.50 전단응력 MPa 15.608 121.500 12.846% O.K
스티프너 웹보강 안함
strut-2 휨응력 MPa 35.749 201.645 17.729% O.K
H 300x300x10/15 4.10 전단응력 MPa 36.014 121.500 29.641% O.K
스티프너 웹보강 안함
strut-3 휨응력 MPa 33.477 201.645 16.602% O.K
H 300x300x10/15 6.70 전단응력 MPa 33.725 121.500 27.757% O.K
스티프너 웹보강 안함
strut-4 휨응력 MPa 73.804 201.645 36.601% O.K
H 300x300x10/15 9.30 전단응력 MPa 74.351 121.500 61.194% O.K
스티프너 웹보강 안함
strut-5 휨응력 MPa 70.480 201.645 34.952% O.K
H 300x300x10/15 11.90 전단응력 MPa 71.002 121.500 58.438% O.K
스티프너 웹보강 안함
2.4 측면말뚝
단면검토
부재 위치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휨응력 MPa 75.235 205.125 36.677% O.K
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5% O.K
전단응력 MPa 48.779 121.500 40.148% O.K
-
합성응력 안전율 0.393 1.000 39.332% O.K
수평변위 mm 12.499 43.800 28.537% O.K
지지력 kN 67.400 1426.868 4.724% O.K

2.5 중간말뚝
단면검토
부재 위치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중간말뚝 압축응력 MPa 6.808 172.245 3.952% O.K
-
H 298x201x9/14 지지력 kN 56.750 734.224 7.729% O.K

2.6 흙막이벽체설계
구간 단면검토
부재 구분 단위 판정
(m)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0.00 ~ 휨응력 MPa 8.290 18.000 46.056% O.K
14.60 전단응력 MPa 0.402 1.600 25.122% O.K
두께검토 mm 67.865 100.000 67.865% O.K

2.7 흙막이벽체 수평변위


수평변위
부재 위치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0.0~17.6 최대변위 mm 12.499 43.800 28.537% O.K
전체 구간 0.0~17.6 최대변위 mm 12.499 43.800 28.537% O.K
* 최대 굴착깊이 14.6 m, 허용수평변위 0.003 H

2.8 굴착저면의 안전성


단면검토
부재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최종굴착단계 안전율 2.423 1.200 201.923% O.K
근입장
최종굴착전단계 안전율 3.767 1.200 313.951% O.K
-
보일링 안전율 6.600 2.000 330% O.K
히빙 안전율 - - - -
3.설계조건

3.1 가시설 구조물 공법 및 사용강재

가. 굴착공법
H Pile로 구성된 가시설 구조물을 Strut (H형강)로 지지하면서 굴착함.

나. 흙막이벽(측벽)
H Pile
엄지말뚝간격 : 1.60m

다. 지보재
Strut - H 300x300x10/15 수평간격 : 3.00 m
H 300x300x10/15 수평간격 : 3.00 m
H 300x300x10/15 수평간격 : 3.00 m
H 300x300x10/15 수평간격 : 3.00 m
H 300x300x10/15 수평간격 : 3.00 m

라. 사용강재
구 분 규 격 간 격 (m) 비 고
H-PILE (측벽) H 300x300x10/15(SS275) 1.60m
중간말뚝 H 298x201x9/14(SS275) 5.00m
버팀보 (Strut) H 300x300x10/15(SS275) 3.00m
사보강 버팀보 H 300x300x10/15(SS275) 3.00m
띠장 H 300x300x10/15(SS275) -

3.2 재료의 허용응력

가. 허용응력 할증 계수(보정계수)
1) 가설구조물의 경우 1.50 (철도하중 지지 시 1.3)
2) 영구구조물로 사용되는 경우
① 시공도중 1.25
② 완료 후 1.00
3) 공사기간이 2년 미만인 경우에는 가설구조물로 2년 이상인 경우에는 영구구조물로 간주하여 설계한다.
4) 중고 강재 사용 시 0.90 (신강재의 0.9 이하,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보정계수)

나. 철근 및 콘크리트
1)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① 허용휨응력 fck = 0.40 x fck
② 허용전단응력 Va = 0.08 x fck
2) 철근의 허용(압축 및 인장) 응력
① 허용휨인장응력 fsa = 0.40 x fy
② 허용압축응력 fsa = 0.50 x fy

다. 강재의 허용응력
[강재의 허용응력(가설 구조물 기준)] (MPa)
SS275, SM275,
종 류 SM355, SHP355W 비고
SHP275(W)
축방향 인장 160x1.5=240
240 315
(순단면) 210x1.5=315

0 < ℓ/r ≤ 20 0 < ℓ/r ≤ 16


240 315
20 < ℓ/r ≤ 90 16 < ℓ/r ≤ 80 ℓ(mm) :
축방향 압축 유효좌굴장
240 - 1.5(ℓ/r -20) 315 - 2.2(ℓ/r -16)
(총단면) r(mm):
90 < ℓ/r 80 < ℓ/r 단면회전 반지름
1,875,000 1,900,000
6,000+(ℓ/r)2 4,500+(ℓ/r)2
인장연
(순 240 315
휨 단면)
압 ℓ/b ≤ 4.5 ℓ/b ≤ 4.0
축 압축연
응 240 315 ℓ : 플랜지의 고정점간 거리
(총
력 4.5 < ℓ/b ≤ 30 4.0 < ℓ/b ≤ 27 b : 압축플랜지의 폭
단면)
240 - 2.9(ℓ/b-4.5) 315 - 4.3(ℓ/b-4.0)
전단응력
135 180
(총단면)
지압응력 360 465 강관과 강판
용접 공 장 모재의 100% 모재의 100%
강도 현 장 모재의 90% 모재의 90%
*가설구조물의 보정계수(1.5)를 곱한 값임.
라. 강널말뚝
[강널말뚝 허용응력(가설 구조물 기준)] (MPa)
종 류 SY300, SY300W SY400, SY400W 비 고
휨 인장응력 270 360

력 압축응력 270 360 ※Type-W는 용접용
전단응력 150 203
*가설구조물의 보정계수(1.5)를 곱한 값임.

마. 볼트
[볼트 허용응력] (MPa)
볼트종류 응력의 종류 허용응력 비 고
전 단 150 SS275 기준
보통볼트
지 압 330
전 단 225 F8T 기준
고장력 볼트
지 압 405 SS275 기준
*가설구조물의 보정계수(1.5)를 곱한 값임.

3.3 안전성 검토

가. 가설흙막이의 안전율
[가설흙막이의 안전율 (KDS 21 30 00 : 2020 가설흙막이 설계기준)]
안전율
조 건 비 고
기준치 적용치
지반의 지지력 2.0 2.0 극한지지력에 대하여
활 동 1.5 - 활동력(슬라이딩)에 대하여
전 도 2.0 - 저항모멘트와 전도모멘트의 비
사면안정 1.1 - 1년 미만 단기안정성
근입깊이 1.2 1.2 수동 및 주동토압에 의한 모멘트 비
가설(단기) 1.5 사질토 대상
굴착저부 보일링 2.0
단기는 굴착시점을 기준으로 2년 미만임
영구(장기) 2.0
안정
히빙 1.5 1.5 점성토
사용기간 2년미만 1.5
지반앵커 1.5 인발저항에 대한 안전율
사용기간 2년이상 2.5

나.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최대수평변위는 최종 굴착깊이, 지층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며, 이를 초과할 때는 주변시설물에 대한
별도의 안정성 검토가 필요하다. 최대변위량은 흙막이벽의 강성 및 굴착심도(H)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며, 일반적으로 최대 허용변위량은 아래와 같이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측관리 기준 (KCS 11 10 15 : 2018 시공중 지반계측)]
구 분 최대 허용변위량 비 고
강성 흙막이벽 0.0020 H t ≥ 60 cm인 콘크리트 연속벽
보통 흙막이벽 0.0025 H t ≒ 40 cm정도인 콘크리트 연속벽
연성 흙막이벽 0.0030 H H-Pile과 흙막이판 설치하는 흙막이벽
적용값 0.0030 H = 43.8 mm (굴착깊이 = 14.6 m)

3.4 적용 프로그램

가. midas GeoX V 5.1.0


나. 탄소성법
다. Rankine 토압
5.사보강 Strut 설계
5.1 strut-1
가. 설계제원
(1) 설계지간 : 6.0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000

300
4
Ix (mm ) 204000000.000
10
Zx (mm3) 1360000.000
Rx (mm) 131.0
Ry (mm) 75.1
300

(3) 버팀보 개수 : 2 단
(4)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3.000 m
(5) 각도 (θ) : 45 도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축력 , Rmax = 25.752 kN/m ---> strut-1 (CS16 : 해체-5)
= 25.752 x 3.0 = 77.257 kN
= ( Rmax x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 지보재 수평간격 / 단수
= ( 77.257 x 3.000 )/ 3.000 / 2 단
= 38.629 kN
(2) 온도차에 의한 축력 , T = 120.0 kN / 2 단 `
= 60.0 kN
(3) 설계축력 , Pmax = Rmax / cos θ˚ + T
= 38.6 / cos 45 ˚ + 60.0
= 114.6 kN
Mmax 2
(4) 설계휨모멘트 , = W x L / 8 / 2 단
= 5.0 x 6.0 x 6.0 / 8 / 2 단
= 11.250 kN·m
(5) 설계전단력 , Smax = W x L / 2 / 2 단
= 5.0 x 6.0 / 2 / 2 단
= 7.500 kN
(여기서, W : Strut와 간격재등의 자중 및 작업하중으로 5 kN/m 로 가정)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1.250 x 1000000 / 1360000.0 = 8.272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114.629 x 1000 / 11980 = 9.568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7.500 x 1000 / 2700 = 2.778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x / Rx = 6000 / 131
45.802 '---> 20 < Lx/Rx ≤ 90 이므로
fcax = 1.50 x 0.9 x ( 160 - 1 x ( 45.802 - 20 ) )
= 181.168 MPa

Ly / Ry = 6000 / 75.1
79.893 '---> 20 < Ly/Ry ≤ 90 이므로
fcay = 1.50 x 0.9 x ( 160 - 1 x ( 79.893 - 20 ) )
= 135.144 MPa

∴ fca = Min.( fcax , fcay ) = 135.144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6000 / 300
= 2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20.000 - 4.5 ) )
= 175.54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45.802 )2


= 772.245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135.144 MPa > fc = 9.568 MPa ---> O.K
▶ 휨응력 , fba = 175.545 MPa > fb = 8.272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778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9.568 8.272
= +
135.144 175.545 x ( 1 - ( 9.568 / 772.245 ))

= 0.119 < 1.0 ---> O.K

바. 볼트갯수 산정 띠장

▶ 작용전단력 : Smax = Pmax x sin θ˚

θ
띠장

= 114.629 x sin 45 ˚
= 81.1 kN τ

사보강 Strut

N
τ = N*sinθ
▶ 사용볼트 : F8T , M 22
▶ 허용전단응력 : τ a = 1.50 x 0.9 x 150 = 202.5 MPa
▶ 필요 볼트갯수 : nreq = Smax / ( τ a x π x d 2
/ 4 )
= 81055 / ( 202.5 x π x 22.0 x 22.0 / 4 )
= 1.05 ea
▶ 사용 볼트갯수 : nused = 8 ea > nreq = 1.05 ea ---> O.K

5.2 strut-2
가. 설계제원
(1) 설계지간 : 6.0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000
300

4
Ix (mm ) 204000000.000
10
Zx (mm3) 1360000.000
Rx (mm) 131.0
Ry (mm) 75.1
300

(3) 버팀보 개수 : 2 단
(4)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3.000 m
(5) 각도 (θ) : 45 도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축력 , Rmax = 59.423 kN/m ---> strut-2 (CS15 : 해체-4)
= 59.423 x 3.0 = 178.269 kN
= ( Rmax x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 지보재 수평간격 / 단수
= ( 178.269 x 3.000 )/ 3.000 / 2 단
= 89.135 kN
(2) 온도차에 의한 축력 , T = 120.0 kN / 2 단 `
= 60.0 kN
(3) 설계축력 , Pmax = Rmax / cos θ˚ + T
= 89.1 / cos 45 ˚ + 60.0
= 186.1 kN
Mmax 2
(4) 설계휨모멘트 , = W x L / 8 / 2 단
= 5.0 x 6.0 x 6.0 / 8 / 2 단
= 11.250 kN·m
(5) 설계전단력 , Smax = W x L / 2 / 2 단
= 5.0 x 6.0 / 2 / 2 단
= 7.500 kN
(여기서, W : Strut와 간격재등의 자중 및 작업하중으로 5 kN/m 로 가정)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1.250 x 1000000 / 1360000.0 = 8.272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186.055 x 1000 / 11980 = 15.531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7.500 x 1000 / 2700 = 2.778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x / Rx = 6000 / 131
45.802 '---> 20 < Lx/Rx ≤ 90 이므로
fcax = 1.50 x 0.9 x ( 160 - 1 x ( 45.802 - 20 ) )
= 181.168 MPa

Ly / Ry = 6000 / 75.1
79.893 '---> 20 < Ly/Ry ≤ 90 이므로
fcay = 1.50 x 0.9 x ( 160 - 1 x ( 79.893 - 20 ) )
= 135.144 MPa

∴ fca = Min.( fcax , fcay ) = 135.144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6000 / 300
= 2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20.000 - 4.5 ) )
= 175.54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45.802 )2


= 772.245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135.144 MPa > fc = 15.531 MPa ---> O.K
▶ 휨응력 , fba = 175.545 MPa > fb = 8.272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778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15.531 8.272
= +
135.144 175.545 x ( 1 - ( 15.531 / 772.245 ))

= 0.163 < 1.0 ---> O.K

바. 볼트갯수 산정 띠장

▶ 작용전단력 : Smax = Pmax x sin θ˚


= 186.055 x sin 45 ˚
= 131.6 kN τ

사보강 Strut

N
τ = N*sinθ
▶ 사용볼트 : F8T , M 22
▶ 허용전단응력 : τ a = 1.50 x 0.9 x 150 = 202.5 MPa
▶ 필요 볼트갯수 : nreq = Smax / ( τ a x π x d2 / 4 )
= 131561 / ( 202.5 x π x 22.0 x 22.0 / 4 )
= 1.71 ea
▶ 사용 볼트갯수 : nused = 8 ea > nreq = 1.71 ea ---> O.K

5.3 strut-3
가. 설계제원
(1) 설계지간 : 6.0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000
300

4
Ix (mm ) 204000000.000
10
3
Zx (mm ) 1360000.000
Rx (mm) 131.0
Ry (mm) 75.1
300
(3) 버팀보 개수 : 2 단
(4)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3.000 m
(5) 각도 (θ) : 45 도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축력 , Rmax = 55.646 kN/m ---> strut-3 (CS7 : 굴착 9.8 m)
= 55.646 x 3.0 = 166.938 kN
= ( Rmax x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 지보재 수평간격 / 단수
= ( 166.938 x 3.000 )/ 3.000 / 2 단
= 83.469 kN
(2) 온도차에 의한 축력 , T = 120.0 kN / 2 단 `
= 60.0 kN
(3) 설계축력 , Pmax = Rmax / cos θ˚ + T
= 83.5 / cos 45 ˚ + 60.0
= 178.0 kN
Mmax 2
(4) 설계휨모멘트 , = W x L / 8 / 2 단
= 5.0 x 6.0 x 6.0 / 8 / 2 단
= 11.250 kN·m
(5) 설계전단력 , Smax = W x L / 2 / 2 단
= 5.0 x 6.0 / 2 / 2 단
= 7.500 kN
(여기서, W : Strut와 간격재등의 자중 및 작업하중으로 5 kN/m 로 가정)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1.250 x 1000000 / 1360000.0 = 8.272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178.043 x 1000 / 11980 = 14.862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7.500 x 1000 / 2700 = 2.778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x / Rx = 6000 / 131
45.802 '---> 20 < Lx/Rx ≤ 90 이므로
fcax = 1.50 x 0.9 x ( 160 - 1 x ( 45.802 - 20 ) )
= 181.168 MPa

Ly / Ry = 6000 / 75.1
79.893 '---> 20 < Ly/Ry ≤ 90 이므로
fcay = 1.50 x 0.9 x ( 160 - 1 x ( 79.893 - 20 ) )
= 135.144 MPa

∴ fca = Min.( fcax , fcay ) = 135.144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6000 / 300
= 2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20.000 - 4.5 ) )
= 175.54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45.802 )2


= 772.245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135.144 MPa > fc = 14.862 MPa ---> O.K
▶ 휨응력 , fba = 175.545 MPa > fb = 8.272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778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14.862 8.272
= +
135.144 175.545 x ( 1 - ( 14.862 / 772.245 ))

= 0.158 < 1.0 ---> O.K

바. 볼트갯수 산정 띠장

▶ 작용전단력 : Smax = Pmax x sin θ˚


= 178.043 x sin 45 ˚
= 125.9 kN τ

사보강 Strut
N

τ = N*sinθ
▶ 사용볼트 : F8T , M 22
▶ 허용전단응력 : τ a = 1.50 x 0.9 x 150 = 202.5 MPa
▶ 필요 볼트갯수 : nreq = Smax / ( τ a x π x d2 / 4 )
= 125895 / ( 202.5 x π x 22.0 x 22.0 / 4 )
= 1.64 ea
▶ 사용 볼트갯수 : nused = 8 ea > nreq = 1.64 ea ---> O.K
5.4 strut-4
가. 설계제원
(1) 설계지간 : 6.0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000

300
Ix (mm4) 204000000.000
10
Zx (mm3) 1360000.000
Rx (mm) 131.0
Ry (mm) 75.1
300

(3) 버팀보 개수 : 2 단
(4)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3.000 m
(5) 각도 (θ) : 45 도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축력 , Rmax = 122.678 kN/m ---> strut-4 (CS13 : 해체-2)
= 122.678 x 3.0 = 368.035 kN
= ( Rmax x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 지보재 수평간격 / 단수
= ( 368.035 x 3.000 )/ 3.000 / 2 단
= 184.018 kN
(2) 온도차에 의한 축력 , T = 120.0 kN / 2 단 `
= 60.0 kN
(3) 설계축력 , Pmax = Rmax / cos θ˚ + T
= 184.0 / cos 45 ˚ + 60.0
= 320.2 kN
(4) 설계휨모멘트 , Mmax = W x L2 / 8 / 2 단
= 5.0 x 6.0 x 6.0 / 8 / 2 단
= 11.250 kN·m
(5) 설계전단력 , Smax = W x L / 2 / 2 단
= 5.0 x 6.0 / 2 / 2 단
= 7.500 kN
(여기서, W : Strut와 간격재등의 자중 및 작업하중으로 5 kN/m 로 가정)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1.250 x 1000000 / 1360000.0 = 8.272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320.240 x 1000 / 11980 = 26.731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7.500 x 1000 / 2700 = 2.778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x / Rx = 6000 / 131
45.802 '---> 20 < Lx/Rx ≤ 90 이므로
fcax = 1.50 x 0.9 x ( 160 - 1 x ( 45.802 - 20 ) )
= 181.168 MPa

Ly / Ry = 6000 / 75.1
79.893 '---> 20 < Ly/Ry ≤ 90 이므로
fcay = 1.50 x 0.9 x ( 160 - 1 x ( 79.893 - 20 ) )
= 135.144 MPa

∴ fca = Min.( fcax , fcay ) = 135.144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6000 / 300
= 2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20.000 - 4.5 ) )
= 175.54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45.802 )2


= 772.245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135.144 MPa > fc = 26.731 MPa ---> O.K
▶ 휨응력 , fba = 175.545 MPa > fb = 8.272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778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26.731 8.272
= +
135.144 175.545 x ( 1 - ( 26.731 / 772.245 ))

= 0.247 < 1.0 ---> O.K

띠장

τ
바. 볼트갯수 산정 띠장

▶ 작용전단력 : Smax = Pmax x sin θ˚


= 320.240 x sin 45 ˚
= 226.4 kN τ

사보강 Strut

N
τ = N*sinθ
▶ 사용볼트 : F8T , M 22
▶ 허용전단응력 : τ a = 1.50 x 0.9 x 150 = 202.5 MPa
▶ 필요 볼트갯수 : nreq = Smax / ( τ a x π x d 2
/ 4 )
= 226444 / ( 202.5 x π x 22.0 x 22.0 / 4 )
= 2.94 ea
▶ 사용 볼트갯수 : nused = 8 ea > nreq = 2.94 ea ---> O.K

5.5 strut-5
가. 설계제원
(1) 설계지간 : 6.0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000
300

4
Ix (mm ) 204000000.000
10
3
Zx (mm ) 1360000.000
Rx (mm) 131.0
Ry (mm) 75.1
300

(3) 버팀보 개수 : 2 단
(4)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3.000 m
(5) 각도 (θ) : 45 도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축력 , Rmax = 117.153 kN/m ---> strut-5 (CS12 : 해체-1)
= 117.153 x 3.0 = 351.459 kN
= ( Rmax x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 지보재 수평간격 / 단수
= ( 351.459 x 3.000 )/ 3.000 / 2 단
= 175.729 kN
(2) 온도차에 의한 축력 , T = 120.0 kN / 2 단 `
= 60.0 kN
(3) 설계축력 , Pmax = Rmax / cos θ˚ + T
= 175.7 / cos 45 ˚ + 60.0
= 308.5 kN
Mmax 2
(4) 설계휨모멘트 , = W x L / 8 / 2 단
= 5.0 x 6.0 x 6.0 / 8 / 2 단
= 11.250 kN·m
(5) 설계전단력 , Smax = W x L / 2 / 2 단
= 5.0 x 6.0 / 2 / 2 단
= 7.500 kN
(여기서, W : Strut와 간격재등의 자중 및 작업하중으로 5 kN/m 로 가정)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1.250 x 1000000 / 1360000.0 = 8.272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308.519 x 1000 / 11980 = 25.753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7.500 x 1000 / 2700 = 2.778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x / Rx = 6000 / 131
45.802 '---> 20 < Lx/Rx ≤ 90 이므로
fcax = 1.50 x 0.9 x ( 160 - 1 x ( 45.802 - 20 ) )
= 181.168 MPa

Ly / Ry = 6000 / 75.1
79.893 '---> 20 < Ly/Ry ≤ 90 이므로
fcay = 1.50 x 0.9 x ( 160 - 1 x ( 79.893 - 20 ) )
= 135.144 MPa

∴ fca = Min.( fcax , fcay ) = 135.144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6000 / 300
= 2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20.000 - 4.5 ) )
= 175.54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45.802 )2


= 772.245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135.144 MPa > fc = 25.753 MPa ---> O.K
▶ 휨응력 , fba = 175.545 MPa > fb = 8.272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778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25.753 8.272
= +
135.144 175.545 x ( 1 - ( 25.753 / 772.245 ))

= 0.239 < 1.0 ---> O.K

바. 볼트갯수 산정 띠장

▶ 작용전단력 : Smax = Pmax x sin θ˚


= 308.519 x sin 45 ˚
= 218.2 kN τ

사보강 Strut

N
τ = N*sinθ
▶ 사용볼트 : F8T , M 22
▶ 허용전단응력 : τ a = 1.50 x 0.9 x 150 = 202.5 MPa
▶ 필요 볼트갯수 : nreq = Smax / ( τ a x π x d 2
/ 4 )
= 218156 / ( 202.5 x π x 22.0 x 22.0 / 4 )
= 2.83 ea
▶ 사용 볼트갯수 : nused = 8 ea > nreq = 2.83 ea ---> O.K
6.띠장 설계
6.1 strut-1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
A (mm2) 11980.0

300
4
Ix (mm ) 204000000.0
10
3
Zx (mm ) 1360000.0
Aw (mm2) 2700.0
Rx (mm) 131.0
300

(2) 띠장 계산지간 : 3.0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연속보 설계

3.000 3.000 3.000

Rmax = 25.752 kN/m ---> strut-1 (CS16 : 해체-5)

P = 25.752 × 3.00 m / 1 ea = 77.257 kN

Rmax = 11 × Wmax × L / 10

∴ Wmax = 10 × Rmax / ( 11 × L )
= 10 × 77.257 / ( 11 × 3.000 )
= 23.411 kN/m

Mmax = Wmax × L2 / 10
2
= 23.411 × 3.000 / 10
= 21.070 kN·m

Smax = 6 × Wmax × L / 10
= 6 × 23.411 × 3.000 / 10
= 42.140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21.070 x 1000000 / 1360000.0 = 15.493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42.140 x 1000 / 2700 = 15.608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3000 / 300


= 1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10.000 - 4.5 ) )
= 201.645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1.645 MPa > fb = 15.493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15.608 MPa ---> O.K

6.2 strut-2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
A (mm2) 11980.0 300
4
Ix (mm ) 204000000.0
10
Zx (mm3) 1360000.0
Aw (mm2) 2700.0
Rx (mm) 131.0
300

(2) 띠장 계산지간 : 3.0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연속보 설계

3.000 3.000 3.000

Rmax = 59.423 kN/m ---> strut-2 (CS15 : 해체-4)

P = 59.423 × 3.00 m / 1 ea = 178.269 kN

Rmax = 11 × Wmax × L / 10

∴ Wmax = 10 × Rmax / ( 11 × L )
= 10 × 178.269 / ( 11 × 3.000 )
= 54.021 kN/m

Mmax = Wmax × L2 / 10
2
= 54.021 × 3.000 / 10
= 48.619 kN·m
Smax = 6 × Wmax × L / 10
= 6 × 54.021 × 3.000 / 10
= 97.238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48.619 x 1000000 / 1360000.0 = 35.749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97.238 x 1000 / 2700 = 36.014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3000 / 300


= 1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10.000 - 4.5 ) )
= 201.645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1.645 MPa > fb = 35.749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36.014 MPa ---> O.K

6.3 strut-3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
A (mm2) 11980.0
300

4
Ix (mm ) 204000000.0
10
3
Zx (mm ) 1360000.0
Aw (mm2) 2700.0
Rx (mm) 131.0
300

(2) 띠장 계산지간 : 3.0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연속보 설계

3.000 3.000 3.000


Rmax = 55.646 kN/m ---> strut-3 (CS7 : 굴착 9.8 m)

P = 55.646 × 3.00 m / 1 ea = 166.938 kN

Rmax = 11 × Wmax × L / 10

∴ Wmax = 10 × Rmax / ( 11 × L )
= 10 × 166.938 / ( 11 × 3.000 )
= 50.587 kN/m

Mmax = Wmax × L2 / 10
2
= 50.587 × 3.000 / 10
= 45.528 kN·m

Smax = 6 × Wmax × L / 10
= 6 × 50.587 × 3.000 / 10
= 91.057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45.528 x 1000000 / 1360000.0 = 33.477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91.057 x 1000 / 2700 = 33.725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3000 / 300


= 1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10.000 - 4.5 ) )
= 201.645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1.645 MPa > fb = 33.477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33.725 MPa ---> O.K

6.4 strut-4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
A (mm2) 11980.0
300

4
Ix (mm ) 204000000.0
10
3
Zx (mm ) 1360000.0
Aw (mm2) 2700.0

300
300
10

Rx (mm) 131.0
300

(2) 띠장 계산지간 : 3.0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연속보 설계

3.000 3.000 3.000

Rmax = 122.678 kN/m ---> strut-4 (CS13 : 해체-2)

P = 122.678 × 3.00 m / 1 ea = 368.035 kN

Rmax = 11 × Wmax × L / 10

∴ Wmax = 10 × Rmax / ( 11 × L )
= 10 × 368.035 / ( 11 × 3.000 )
= 111.526 kN/m

Mmax = Wmax × L2 / 10
2
= 111.526 × 3.000 / 10
= 100.373 kN·m

Smax = 6 × Wmax × L / 10
= 6 × 111.526 × 3.000 / 10
= 200.747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00.373 x 1000000 / 1360000.0 = 73.804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200.747 x 1000 / 2700 = 74.351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3000 / 300


= 1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10.000 - 4.5 ) )
= 201.645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1.645 MPa > fb = 73.804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74.351 MPa ---> O.K

6.5 strut-5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
A (mm2) 11980.0

300
4
Ix (mm ) 204000000.0
10
3
Zx (mm ) 1360000.0
Aw (mm2) 2700.0
Rx (mm) 131.0
300

(2) 띠장 계산지간 : 3.0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연속보 설계

3.000 3.000 3.000

Rmax = 117.153 kN/m ---> strut-5 (CS12 : 해체-1)

P = 117.153 × 3.00 m / 1 ea = 351.459 kN

Rmax = 11 × Wmax × L / 10

∴ Wmax = 10 × Rmax / ( 11 × L )
= 10 × 351.459 / ( 11 × 3.000 )
= 106.503 kN/m

Mmax = Wmax × L2 / 10
2
= 106.503 × 3.000 / 10
= 95.852 kN·m

Smax = 6 × Wmax × L / 10
= 6 × 106.503 × 3.000 / 10
= 191.705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95.852 x 1000000 / 1360000.0 = 70.480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191.705 x 1000 / 2700 = 71.002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3000 / 300


= 1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10.000 - 4.5 ) )
= 201.645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1.645 MPa > fb = 70.480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71.002 MPa ---> O.K
7.측면말뚝 설계
7.1 흙막이벽(우)
가. 설계제원
(1) 측면말뚝의 설치간격 : 1.6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

300
Ix (mm4) 204000000
10
Zx (mm3) 1360000
Aw (mm2) 2700
Rx (mm) 131
300

나. 단면력 산정
가. 주형보 반력 = 0.000 kN
나. 주형 지지보의 자중 = 0.000 kN
다. 측면말뚝 자중 = 7.100 kN
라. 버팀보 자중 = 6.500 kN
마. 띠장 자중 = 3.800 kN
바. 지보재 수직분력 = 0.000 × 1.600 = 0.000 kN
사. 지장물 자중 = 50.000 kN
∑ Ps = 67.400 kN

최대모멘트, Mmax = 63.949 kN·m/m ---> 흙막이벽(우) (CS13 : 해체-2)


최대전단력, Smax = 82.315 kN/m ---> 흙막이벽(우) (CS12 : 해체-1)

▶ Pmax = 67.400 kN
▶ Mmax = 63.949 × 1.600 = 102.319 kN·m
▶ Smax = 82.315 × 1.600 = 131.704 kN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02.319 x 1000000 / 1360000.0 = 75.235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67.400 x 1000 / 11980 = 5.626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131.704 x 1000 / 2700 = 48.779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R = 2600 / 131
19.847 '---> Lx/Rx ≤ 20 이므로
fca = 1.50 x 0.9 x 160
= 216.000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2600 / 300
= 8.667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8.667 - 4.5 ) )
= 205.12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19.847 )2


= 4112.547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216.000 MPa > fc = 5.626 MPa ---> O.K
▶ 휨응력 , fba = 205.125 MPa > fb = 75.235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48.779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5.626 75.235
= +
216.000 205.125 x ( 1 - ( 5.626 / 4112.547 ))

= 0.393 < 1.0 ---> O.K

바. 수평변위 검토
▶ 최대수평변위 = 12.5 mm ---> 흙막이벽(우) (CS17 : 해체-6)
▶ 허용수평변위 = 최종 굴착깊이의 0.3 %
= 14.600 x 1000 x 0.003 = 43.800 mm

∴ 최대 수평변위 < 허용 수평변위 ---> O.K

사. 허용지지력 검토
▶ 최대축방향력 , Pmax = 67.40 kN
▶ 안전율 , Fs = 2.0
▶ 극한지지력 , Qu = 40·N·Ap + 0.2·Ns·U·Ls + 0.5·Nc·U·Lc
여기서, N(선단의 N치) = 50
Ns(선단까지의 모래층 N치 평균값) = 50
Nc(선단까지의 점토층 N치 평균값) = 0
Ls(모래층 중의 길이) = 9.250 m
Lc(점토층 중의 길이) = 0.000 m
Ap(H-Pile 단면적) = 0.0900 m2
U(파일의 둘레길이) = 1.200 m

= 40 x 50 x 0.0900 + 0.2 x 50 x 1.200 x 9.250


+ 0.5 x 0 x 1.200 x 0.000
= 291.000 tonf
= 2853.74 kN

▶ 허용지지력 , Qua = 2853.74 / 2.0


= 1426.868 kN

∴ 최대축방향력 (Pmax) < 허용 지지력 (Qua) ---> O.K


8.중간말뚝 설계

8.1 설계제원
가. PILE 설치간격 : 5.00 m

측면말뚝 중간말뚝 측면말뚝

말뚝 비지지길이
(통상적으로 Strut의 최대 수직간격을 사용)

Strut

나. 사용강재 : H 298x201x9/14(SS275)

14
w (N/m) 641.7
A (mm2) 8336.0
298

4
Ix (mm ) 133000000.0
9
3
Zx (mm ) 893000.0
Rx (mm) 126.0
Ry (mm) 47.7
201

8.2 단면력 산정
가. 강재자중 및 축하중 산정
(1) 중간말뚝 자중 = 16.500 kN
(2) 버팀보 자중 = 47.000 kN
(3) ㄷ형강 자중 = 50.000 kN
∑ Ps = 113.500 kN

나. 단면력 산정
(1) 중간말뚝에 작용하는 총 반력
∑P = Ps = 113.500 kN

8.3 작용응력 및 허용응력 검토

가. 작용응력 산정
▶ 압축응력 , fc = ∑P / A = 56.750 x 1000 / 8336 = 6.808 MPa

나.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Lx / Rx = 2500 / 126
19.841 '---> Lx/Rx ≤ 20 이므로
fcax = 1.50 x 0.9 x 160
= 216.000 MPa

Ly / Ry = 2500 / 47.7
52.411 '---> 20 < Ly/Ry ≤ 90 이므로
fcay = 1.50 x 0.9 x ( 160 - 1 x ( 52.411 - 20 ) )
= 172.245 MPa

∴ fca = Min.( fcax , fcay ) = 172.245 MPa

다. 응력검토
▶ 압축응력 , fca = 172.245 MPa > fc = 6.808 MPa ---> O.K

8.4 허용지지력 검토
▶ 최대축방향력 , Pmax = 56.75 kN (중간말뚝 간격 4.0M 이상시 반력의 1/2 적용)
▶ 안전율 , Fs = 2.0
▶ 극한지지력 , Qu = 40·N·Ap + 0.2·Ns·U·Ls + 0.5·Nc·U·Lc
여기서, N(선단의 N치) = 50
Ns(선단까지의 모래층 N치 평균값) = 50
Nc(선단까지의 점토층 N치 평균값) = 0
Ls(모래층 중의 길이) = 3.000 m
Lc(점토층 중의 길이) = 0.000 m
Ap(H-Pile 단면적) = 0.0599 m2
U(파일의 둘레길이) = 0.998 m

= 40 x 50 x 0.0599 + 0.2 x 50 x 0.998 x 3.000


+ 0.5 x 0 x 0.998 x 0.000
= 149.740 tonf
= 1468.45 kN

▶ 허용지지력 , Qua = 1468.45 / 2.0


= 734.224 kN

∴ 최대축방향력 (Pmax) < 허용 지지력 (Qua) ---> O.K


9. 흙막이 벽체 설계
9.1 흙막이벽(우) 설계 (0.00m ~ 14.60m)
가. 목재의 허용응력 구조물기초설계기준
허용응력(MPa)
목재의 종류
휨 전단
침엽수 18.000 1.600
활엽수 22.000 2.400

나. 설계제원
높이 (H, mm) 150.0
두께 (t, mm) 100.0
H-Pile 100.0
1600.0
수평간격(mm)

H-Pile

150.0
300.0
폭(mm) 1375.0
목재의 종류 침엽수
목재의 허용
18.000
휨응력(MPa) 1600
목재의 허용
1.6
전단응력(MPa)

다. 설계지간
설계지간 (L) = 1600.0 - 3 x 300.0 / 4 = 1375.0 mm

라. 단면력 산정
pmax = 0.0585 MPa ---> (CS11 : 굴착 14.6 m:최대토압)
Wmax = 토류판에 작용하는 등분포하중(토압) x 토류판 높이(H)
= 58.5 kN/m2 x 0.1500 m = 8.8 kN/m
W

1375.0

Mmax = Wmax x L2 / 8 = 8.8 x 1.375 2


/ 8 = 2.1 kN·m
Smax = Wmax x L / 2 = 8.8 x 1.375 / 2 = 6.0 kN

마. 토류판에 작용하는 응력 산정
Z = H x t2 / 6
2
= 150.0 x 100.0 / 6
3
= 250000 mm

▶ 휨응력 , fb = Mmax / Z
= 2.1 x 1000000 / 250000
= 8.29 MPa < fba = 18.0 MPa ---> O.K
▶ 전단응력 , τ = Smax / ( H x t )
= 6.0 x 1000 / ( 150.0 x 100.0 )
= 0.40 MPa < τa = 1.6 MPa ---> O.K

바. 토류판 두께 산정
Treq = ( 6 x Mmax ) / ( H x fba )
= ( 6 x 2.1 x 1000000 )/( 150.0 x 18.0 )
= 67.86 mm < Tuse = 100.00 mm 사용 ---> O.K
10. 탄소성 입력 데이터

10.1 해석종류 : 탄소성보법

10.2 사용 단위계 : 힘 [F] = kN, 길이 [L] = m

10.3 모델형상 : 반단면 모델


배면폭 = 30 m, 굴착폭 = 10 m, 최대굴착깊이 = 14.6 m, 전모델높이 = 23 m

10.4 지층조건
지반탄성계 수평지반 반력
번 깊이 γt γsat C φ
이름 N값 수 계수
호 (m) (kN/m³) (kN/m³) (kN/m²) ([deg])
(kN/m²) (kN/m³)
1 붕적층 5.00 18.00 19.00 5.00 25.00 22 - 13200.00
2 풍화토 8.00 18.00 19.00 20.00 31.00 44 - 30800.00
3 풍화암 20.00 20.00 21.00 31.00 33.00 50 - 44000.00
4 되메우기 - 20.00 21.00 0.00 22.00 4 15000.00 15000.00

10.5 흙막이벽
번 하단깊이 수평간격
이름 형상 단면 재질
호 (m) (m)
1 흙막이벽(우) H-Pile H 300x300x10/15 SS275 17.6 1.6

10.6 지보재
번 설치깊이 수평간격 대칭점 길이
이름 단면 재질 초기작용력 개수
호 (m) (m) (m)
1 strut-1 H 300x300x10/15 SS275 1.5 3 6 0 2
2 strut-2 H 300x300x10/15 SS275 4.1 3 6 0 2
3 strut-3 H 300x300x10/15 SS275 6.7 3 6 0 2
4 strut-4 H 300x300x10/15 SS275 9.3 3 6 0 2
5 strut-5 H 300x300x10/15 SS275 11.9 3 6 0 2

10.7 띠장
번 설치깊이
이름 형상 단면 재질 설치개수
호 (m)
1 strut-1 H 형강 H 300x300x10/15 SS275 1.5 1
2 strut-2 H 형강 H 300x300x10/15 SS275 4.1 1
3 strut-3 H 형강 H 300x300x10/15 SS275 6.7 1
4 strut-4 H 형강 H 300x300x10/15 SS275 9.3 1
5 strut-5 H 형강 H 300x300x10/15 SS275 11.9 1

10.8 중간말뚝
번 비지지길이 중간말뚝 간격
이름 형상 단면 재질
호 (m) (m)
1 중간말뚝 H-Pile H 298x201x9/14 SS275 2.5 5

10.9 흙막이벽체
번 단면 설치깊이
이름 형식 재질 비고
호 높이(폭) 두께 (m)
1 흙막이벽(우) 토류판 0.15 0.1 목재 0 ~ 15

10.10 벽체와 슬래브


설치위치 상단깊이 하단깊이
번 두께
이름 (설치깊이) (시작위치) (끝위치) 재질 뒤채움
호 (m)
(m) (m) (m)
설치위치 상단깊이 하단깊이
번 두께
이름 (설치깊이) (시작위치) (끝위치) 재질 뒤채움
호 (m)
(m) (m) (m)

1 슬래브-1 0 0 9.15 C27 0.3 -


2 슬래브-2 5 0 9.15 C27 0.3 -
3 슬래브-3 10 0 9.15 C27 0.3 -
4 MAT 14.6 0 9.15 C27 1.2 -
5 WALL 9 0 14.6 C27 0.3 뒤채움

10.12 상재하중

이름 작용유형 작용위치 작용형식 작용하중 (kN)

1 차량하중 과재하중 배면(우측) 상시하중 w = 13

10.13 시공단계
단계별 해석방법 : 탄소성법
토압종류 : Rankine (벽 마찰각은 내부마찰각의 30 %)
지하수위 : 고려
지하수 단위중량 = 10 kN/m³, 초기 지하수위 = 8.5 m, 수위차 = 1 m
지보재 벽체 & 슬래브 임의하중
단 굴착깊이
설치깊이 토압변경 수압변경 토층변경
계 (m) 생성 해체 작용 해체
(m)
1 2.00 - - - - - - X X
2 - strut-1 - - - - X X
3 4.60 - - - - - - X X
4 - strut-2 - - - - X X
5 7.20 - - - - - - X X
6 - strut-3 - - - - X X
7 9.80 - - - - - - X X
8 - strut-4 - - - - X X
9 12.40 - - - - - - X X
10 - strut-5 - - - - X X
11 14.60 - - - - - - X X
12 14.60 - - 13.6 - - - X X
13 14.60 strut-5 12.4 - - - X X
14 14.60 strut-4 9.8 - - - X X
15 14.60 strut-3 7.2 - - - X X
16 14.60 strut-2 4.6 - - - X X
17 14.60 strut-1 2 - - - X X
18 14.60 - - 0 - - - X X

10.15 지하수위 조건
지하수 단위중량 = 10 kN/m³, 초기 지하수위 = 8.5 m, 수위차 = 1 m
번 굴착깊이 수압변경 (깊이(h), 수압(p))
수압종류 굴착수위 배면수위
호 (m) (kN, m)
1 2.00 정수압 8.5 8.5 -
2 - 정수압 8.5 8.5 -
3 4.60 정수압 8.5 8.5 -
4 - 정수압 8.5 8.5 -
5 7.20 정수압 8.5 8.5 -
6 - 정수압 8.5 8.5 -
7 9.80 정수압 9.8 8.8 -
8 - 정수압 9.8 8.8 -
9 12.40 정수압 12.4 11.4 -
10 - 정수압 12.4 11.4 -
11 14.60 정수압 14.6 13.6 -
12 14.60 정수압 14.6 13.6 -
13 14.60 정수압 14.6 13.6 -
14 14.60 정수압 14.6 13.6 -
15 14.60 정수압 14.6 13.6 -
16 14.60 정수압 14.6 13.6 -
17 14.60 정수압 14.6 13.6 -
18 14.60 정수압 14.6 13.6 -
11. 해석 결과
11.1 전산 해석결과 집계

11.1.1 흙막이벽체 부재력 집계

* 지보재 반력 및 부재력은 단위폭(m)에 대한 값임.


굴착 전단력 (kN) 모멘트 (kN·m)
시공단계 깊이 Max 깊이 Min 깊이 Max 깊이 Min 깊이
(m) (kN) (m) (kN) (m) (kN) (m) (kN) (m)
CS1 : 굴착 2 m 2.00 7.47 2.0 -3.93 4.1 1.02 0.0 -11.99 2.8
CS2 : 생성 strut-1 2.00 7.47 2.0 -3.93 4.1 1.02 0.0 -11.99 2.8
CS3 : 굴착 4.6 m 4.60 20.06 5.0 -18.30 1.5 15.67 3.7 -11.18 5.9
CS4 : 생성 strut-2 4.60 20.06 5.0 -18.30 1.5 15.67 3.7 -11.18 5.9
CS5 : 굴착 7.2 m 7.20 14.71 4.1 -30.17 4.1 11.01 5.9 -10.39 8.5
CS6 : 생성 strut-3 7.20 14.71 4.1 -30.17 4.1 11.01 5.9 -10.39 8.5
CS7 : 굴착 9.8 m 9.80 19.86 10.2 -37.50 6.7 15.98 8.8 -17.89 6.7
CS8 : 생성 strut-4 9.80 19.86 10.2 -37.50 6.7 15.98 8.8 -17.89 6.7
CS9 : 굴착 12.4 m 12.40 33.13 12.8 -57.19 9.3 31.32 11.4 -25.98 9.3
CS10 : 생성 strut-5 12.40 33.13 12.8 -57.19 9.3 31.32 11.4 -25.98 9.3
CS11 : 굴착 14.6 m 14.60 39.06 15.1 -79.11 11.9 40.37 13.6 -23.96 11.9
CS12 : 해체-1 14.60 46.76 15.1 -82.32 11.9 42.39 13.6 -27.40 11.9
CS13 : 해체-2 14.60 44.05 15.1 -81.24 9.3 51.28 11.9 -63.95 9.3
CS14 : 해체-3 14.60 44.83 15.1 -72.06 10.6 46.90 12.4 -39.55 10.2
CS15 : 해체-4 14.60 45.10 15.1 -79.60 10.6 46.00 12.4 -52.04 10.2
CS16 : 해체-5 14.60 45.08 15.1 -79.21 10.6 46.06 12.4 -51.32 10.2
CS17 : 해체-6 14.60 45.06 15.1 -78.63 10.6 46.13 12.4 -50.38 10.2
CS18 : 해체-7 14.60 45.06 15.1 -78.62 10.6 46.13 12.4 -50.37 10.2
TOTAL 46.76 15.1 -82.32 11.9 51.28 11.9 -63.95 9.3

11.1.2 지보재 반력 집계

* 지보재 반력 및 부재력은 단위폭(m)에 대한 값임.


* 경사 지보재의 반력은 경사를 고려한 값임.
* Final Pressure는 주동측 및 수동측 양측의 토압, 수압 기타 압력을 모두 고려한 합력이다.
* 흙막이 벽의 변위는 굴착측으로 작용할때 (-) 이다.
* 지보공의 반력은 배면측으로 밀때 (+) 이다.
굴착 strut-1 strut-2 strut-3 strut-4 strut-5
시공단계
깊이 1.5 (m) 4.1 (m) 6.7 (m) 9.3 (m) 11.9 (m)
CS1 : 굴착 2 m 2.00 - - - - -
CS2 : 생성 strut-1 2.00 0.00 - - - -
CS3 : 굴착 4.6 m 4.60 23.73 - - - -
CS4 : 생성 strut-2 4.60 23.73 0.00 - - -
CS5 : 굴착 7.2 m 7.20 15.75 44.88 - - -
CS6 : 생성 strut-3 7.20 15.75 44.87 0.02 - -
CS7 : 굴착 9.8 m 9.80 17.52 31.53 55.65 - -
CS8 : 생성 strut-4 9.80 17.52 31.53 55.65 0.00 -
CS9 : 굴착 12.4 m 12.40 17.05 35.29 34.55 80.93 -
CS10 : 생성 strut-5 12.40 17.05 35.29 34.55 80.93 0.00
CS11 : 굴착 14.6 m 14.60 17.15 34.49 39.42 53.96 112.36
CS12 : 해체-1 14.60 17.16 34.43 39.79 52.05 117.15
CS13 : 해체-2 14.60 16.53 39.38 13.35 122.68 -
CS14 : 해체-3 14.60 17.86 29.66 47.96 - -
CS15 : 해체-4 14.60 9.69 59.42 - - -
CS16 : 해체-5 14.60 25.75 - - - -
CS17 : 해체-6 14.60 - - - - -
CS18 : 해체-7 14.60 - - - - -
TOTAL 25.75 59.42 55.65 122.68 117.15
11.2 시공단계별 단면력도
1) 시공 1 단계 [CS1 : 굴착 2 m]

2) 시공 2 단계 [CS2 : 생성 strut-1]
3) 시공 3 단계 [CS3 : 굴착 4.6 m]

4) 시공 4 단계 [CS4 : 생성 strut-2]
5) 시공 5 단계 [CS5 : 굴착 7.2 m]

6) 시공 6 단계 [CS6 : 생성 strut-3]
7) 시공 7 단계 [CS7 : 굴착 9.8 m]

8) 시공 8 단계 [CS8 : 생성 strut-4]
9) 시공 9 단계 [CS9 : 굴착 12.4 m]

10) 시공 10 단계 [CS10 : 생성 strut-5]


11) 시공 11 단계 [CS11 : 굴착 14.6 m]

12) 시공 12 단계 [CS12 : 해체-1]


13) 시공 13 단계 [CS13 : 해체-2]

14) 시공 14 단계 [CS14 : 해체-3]


15) 시공 15 단계 [CS15 : 해체-4]

16) 시공 16 단계 [CS16 : 해체-5]


17) 시공 17 단계 [CS17 : 해체-6]

18) 시공 18 단계 [CS18 : 해체-7]


11.3 근입장 검토

적용 주동토압 수동토압
균형깊이 근입부 적용
구분 근입깊이 모멘트 모멘트 판정
(m) 안전율 안전율
(m) (kN·m) (kN·m)

최종 굴착 단계 1.025 3.000 895.253 2169.268 2.423 1.200 OK


최종 굴착 전단계 0.833 5.200 1783.452 6718.999 3.767 1.200 OK

11.3.1 최종 굴착 단계의 경우
1) 토압의 작용폭
- 주동측 : 굴착면 상부 = 1.6 m, 굴착면 하부 = 0.6 m
- 수동측 : 굴착면 하부 = 0.9 m
2) 최하단 버팀대에서 휨모멘트 계산 (EL -11.9 m)
- 주동토압에 의한 활동모멘트
굴착면 상부토압 (Pa1) = 193.378 kN 굴착면 상부토압 작용깊이 (Ya1) = 1.462 m
굴착면 하부토압 (Pa2) = 141.552 kN 굴착면 하부토압 작용깊이 (Ya2) = 4.327 m
Ma = (Pa1 x Ya1) + (Pa2 x Ya2)
Ma = (193.378 x 1.462) + (141.552 x 4.327) = 895.253 kN×m
- 수동토압에 의한 저항모멘트
굴착면 하부토압 (Pp) = 494.181 kN 굴착면 하부토압 작용깊이 (Yp) = 4.39 m
Mp = (Pp x Yp) = (494.181 x 4.39) = 2169.268 kN×m
* 계산된 토압 (Pa1, Pa2, Pp) 는 작용폭을 고려한 값임.
-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의한 저항모멘트
수평하중 (P) = 0 kN 수평하중 작용깊이 (Y) =0 m
Mpl = P x Y = 0 x 0 = 0 kN×m
모멘트하중(Mpm) = 0 kN×m
3) 근입부의 안전율
S.F. = (Mp + Mpl + Mpm) / Ma = 2169.268 / 895.253 = 2.423
S.F. = 2.423 > 1.2 ... OK

11.3.2 최종 굴착 전단계의 경우
1) 토압의 작용폭
- 주동측 : 굴착면 상부 = 1.6 m, 굴착면 하부 = 0.6 m
- 수동측 : 굴착면 하부 = 0.9 m
2) 최하단 버팀대에서 휨모멘트 계산 (EL -9.3 m)
- 주동토압에 의한 활동모멘트
굴착면 상부토압 (Pa1) = 150.535 kN 굴착면 상부토압 작용깊이 (Ya1) = 1.755 m
굴착면 하부토압 (Pa2) = 250.153 kN 굴착면 하부토압 작용깊이 (Ya2) = 6.073 m
Ma = (Pa1 x Ya1) + (Pa2 x Ya2)
Ma = (150.535 x 1.755) + (250.153 x 6.073) = 1783.452 kN×m
- 수동토압에 의한 저항모멘트
굴착면 하부토압 (Pp) = 1093.487 kN 굴착면 하부토압 작용깊이 (Yp) = 6.145 m
Mp = (Pp x Yp) = (1093.487 x 6.145) = 6718.999 kN×m
* 계산된 토압 (Pa1, Pa2, Pp) 는 작용폭을 고려한 값임.
-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의한 저항모멘트
수평하중 (P) = 0 kN 수평하중 작용깊이 (Y) =0 m
Mpl = P x Y = 0 x 0 = 0 kN×m
모멘트하중(Mpm) = 0 kN×m
3) 근입부의 안전율
S.F. = (Mp + Mpl + Mpm) / Ma = 6718.999 / 1783.452 = 3.767
S.F. = 3.767 > 1.2 ... OK
11.4 굴착주변 침하량 검토 (최종 굴착단계)

-0.002

-0.004
지반침하

-0.006
기준선
-0.008 Caspe(1966)

-0.01

-0.012

-0.014
0 1 2 3 4 5 6 7 8 9 10 12 14 16 18 20
흙막이벽체로부터의거리

11.4.1 Caspe(1966)방법에 의한 침하량 검토


1) 전체 수평변위로 인한 체적변화 (Vs)
Vs = -0.060 m³/m
2) 굴착폭(B) 및 굴착심도 (Hw)
B = 20 m, Hw = 14.6 m
3) 굴착영향 거리 (Ht)
평균 내부 마찰각 (φ) = 30.26 [deg]
Hp = 0.5 x B x tan(45 + φ/2)
Hp = 0.5 x 20 x tan(45 + 30.26/2) = 17.412 m
Ht = Hp + Hw = 17.412 + 14.6 = 32.012 m
4) 침하영향 거리 (D)
D = Ht x tan(45-φ/2)
D = 32.012 x tan(45-30.26/2) = 18.385 m
5) 흙막이벽 주변 최대 침하량 (Sw)
Sw = 4 x Vs / D = 4 x -0.060 / 18.385 = -0.013 m
6) 거리별 침하량 (Si)
Si = Sw x ((D - Xi) / D)^2 = -0.013 x ((18.385 - Xi) / 18.385)^2

거리 (벽면기준) 지반 침하량 절점간 침하량 각변위


(m) (mm) (mm) (x0.001)
0.00 -12.990 -0.697 -1.394
0.50 -12.293 -0.678 -1.355
1.00 -11.615 -0.659 -1.317
1.50 -10.957 -0.639 -1.279
2.00 -10.317 -0.620 -1.240
2.50 -9.697 -0.601 -1.202
3.00 -9.097 -0.582 -1.163
3.50 -8.515 -0.562 -1.125
4.00 -7.952 -0.543 -1.086
4.50 -7.409 -0.524 -1.048
5.00 -6.885 -0.505 -1.010
5.50 -6.380 -0.486 -0.971
6.00 -5.895 -0.466 -0.933
6.50 -5.429 -0.447 -0.894
7.00 -4.981 -0.428 -0.856
7.50 -4.553 -0.409 -0.817
8.00 -4.145 -0.389 -0.779
8.50 -3.755 -0.370 -0.741
9.00 -3.385 -0.351 -0.702
9.50 -3.034 -0.332 -0.664
10.00 -2.702 -0.313 -0.625
10.50 -2.389 -0.293 -0.587
11.00 -2.096 -0.274 -0.548
11.50 -1.822 -0.255 -0.510
12.00 -1.567 -0.236 -0.472
12.50 -1.331 -0.217 -0.433
13.00 -1.114 -0.197 -0.395
13.50 -0.917 -0.178 -0.356
14.00 -0.739 -0.159 -0.318
14.50 -0.580 -0.140 -0.279
15.00 -0.440 -0.120 -0.241
15.50 -0.320 -0.101 -0.203
16.00 -0.219 -0.082 -0.164
16.50 -0.137 -0.063 -0.126
17.00 -0.074 -0.044 -0.087
17.50 -0.030 -0.024 -0.049
18.00 -0.006 -0.006 -0.015
18.39 0.000 0.000 0.000
Max -12.990 -0.697 -1.394
11.5 보일링 검토 (최종 굴착단계)

Terzaghi 해석법 한계동수구배 검토법 적용안전


구분 과잉수압 흙의중량 판정
안전율 동수 구배 한계 구배 안전율 율
(kN/m) (kN/m)
최종 굴착 단계 7.500 49.500 6.600 0.143 1.100 7.700 2.000 OK

11.5.1 Terzaghi에 의한 보일링 검토


보일링(파이핑)을 일으키려 하는 힘은 과잉수압 U 이며, 저항하는 힘은 흙의 중량 W 이다,
안전율을 Fs 로 하면 균형식은 W = Fs U 가 된다.
Terzaghi에 의하면 보일링이 일어나는 폭은 d2 /2 이다.

1) 검토조건
d2 (굴착저면에서 흙막이벽 근입길이) : 3 m
γw (물의 단위중량) : 10 kN/m3
γ' (수중 단위중량) (풍화암) : 11 kN/m3
Ha (평균 과잉수두) : 0.5 m
Fs (적용 허용안전율) : 2

2) 보일링을 일으키려고 하는 힘 과잉간극수압 U (kN)


d2 3
U = γw x Ha x = 10 x 0.5 x = 7.5 kN
2 2
3) 보일링에 저항하려는 흙의 중량 W (kN)
d22 3 2
W = γ' x = 11 x = 49.5 kN
2 2
4) 근입부의 안전율
W 49.5
Fs = = = 6.6
U 7.5
안전율 Fs = 6.6 > 허용안전율 2 ---> O.K

11.5.2 한계동수구배를 생각한 보일링의 검토


보일링이 발생되는 조건은 흙의 유효응력이 없어진 상태이므로 이때의 동수구배보다
작은 동수구배를 유지하면 보일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p̅ = z • γ' - i • z • γw
i = H/L
여기서, p̅ : ab 면 상의 유효응력
z : 모래의 표면에서 ab 면 까지의 깊이
유효응력 p̅ = 0 인 때의 동수구배를 한계동수구배 ic 로 하면, ic = γ' / γw 가 된다.
i = ic 에서 보일링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i < ic 가 되어야 한다.

1) 검토조건
H (수위차) : 1 m
L (모래층의 두께) : 7 kN/m3
γw (물의 단위중량) : 10 kN/m3
γ' (수중 단위중량) : 11 kN/m3
Fs (적용 허용안전율) : 2
2) 동수구배 ( i )
H 1
i = = = 0.143
L 7
3) 한계동수구배 ( ic )
γ' 11
ic = = = 1.100
γw 10
4) 근입부의 안전율
ic 1.100
Fs = = = 7.700
i 0.143
안전율 Fs = 7.7 > 허용안전율 2 ---> O.K
[3] 침투류 해석과 유선망에 대한 파이핑 검토
굴착깊이 = 14.6 지하수위 = 13.6
파이핑상세도
GWL 13.6

Fs =40.16

H= 0.0 굴착깊이=14.6
0
W
벽체깊이=17.6
H1=0.4 H2=0.4

i=0.13

(1) 계산방법
유한요소법에 의하여 침투류를 해석하면 지반내 지점들에 대한 전수두, 간극수압,
동수구배, 유속, 유출량 등을 계산할 수 있으며, 흙막이벽 근입장 D 인 지점과
그 지점으로 부터 D/2 떨어진 지점에 대한 전 수두로 부터 상향력을 계산하여
토괴의 하향력과 비교하여 안전을 판단한다.

(2) 계산조건
수위차 Hw = 1.0 m (주동측 수동측 지하수위 차이)
근입깊이 D = 3.0 m
근입하단의 토층명 = 풍화암층
수중단위중량 rsub = 10.0 kN/㎥ (검토하는 토괴의 평군)
점착력 c = 31.5 kN/㎡ (검토하는 토괴의 평군)

(3) 하향력 W, Fc의 계산


W = rsub x D x D/2
= 10.0 x 3.0 x 1.5
= 45.0 kN
Fc = 2 x c x D (검토하는 토괴의 양측면에 작용하는 점착저항)
= 2 x 31.5 x 3.0
= 189.0 kN

(4) 상향력 U의 계산
상향 수두 H1 = 0.42 m
H2 = 0.35 m
평균 Have = 0.39 m
U = rw x Have x D/2
= 10.0 x 0.39 x 1.50
= 5.8 kN
(참고 평균동수구배 i = Have / D = 0.39 / 3.0 = 0.13)

(5) 안전율의 계산
점착력 고려여부 : 고려함
안전율 Fs = (하향력 W + 점착저항 Fc) / (상향력 U)
= (45.0 + 189.0) / 5.8
= 40.2 > 허용안전율 1.50 따라서 O.K

세가지 방법의 비교
본 현장조건은 근입부분에 점착력이 있으므로 제1방법과 제3방법중에서 작은 안전율로 판단한다.
제1방법일 때 최소 안전율이다.
Fsmin = 31.20 > 허용안전율 1.5 따라서 O.K

▶ 보일링 계산상의 일반적인 주의사항


(1) 점착력을 고려 할 때는 제1방법과 제3방법을 적용한다.
(2) 연속벽 형의 흙막이 벽이 아닌 H-파일과 같이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에서 보일링계산은 의미가 없다.
흙막이 벽면과 굴착면하부에서 물과 토립자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유한요소 해석 모델 및 등유선망도 ]

GWL 13.6
1 kx = 2.5E-06 m/sec 매립층

2 kx = 1.4E-05 m/sec 풍화토층 14.6


3 kx = 3.0E-07 m/sec 풍화암층
q = 3.47E-06
전수두=0.0
전수두=0.0

21.4

53.0 6.0

GWL 13.6
14.6

0
12. 단계별 변위 결과
12.1 시공단계별 변위 결과
최종 굴착 시공단계 : CS11 : 굴착 14.6 m
최종 굴착깊이 : 14.6 m
최대 허용변위량 : 굴착깊이의 0.0030 H (굴착깊이) = 43.8 mm

발생/허용
번 굴착깊이 발생 변위량 허용 변위량
시공단계 변위량 안정성 평가
호 (m) (mm) (mm)
(%)

1 CS1 : 굴착 2 m 2.00 5.84 43.80 13.33 O.K


2 CS2 : 생성 strut-1 0.00 5.84 43.80 13.33 O.K
3 CS3 : 굴착 4.6 m 4.60 3.73 43.80 8.51 O.K
4 CS4 : 생성 strut-2 0.00 3.73 43.80 8.51 O.K
5 CS5 : 굴착 7.2 m 7.20 3.94 43.80 8.99 O.K
6 CS6 : 생성 strut-3 0.00 3.94 43.80 8.99 O.K
7 CS7 : 굴착 9.8 m 9.80 3.87 43.80 8.83 O.K
8 CS8 : 생성 strut-4 0.00 3.87 43.80 8.83 O.K
9 CS9 : 굴착 12.4 m 12.40 4.21 43.80 9.62 O.K
10 CS10 : 생성 strut-5 0.00 4.21 43.80 9.62 O.K
11 CS11 : 굴착 14.6 m 14.60 5.52 43.80 12.61 O.K
12 CS12 : 해체-1 14.60 5.82 43.80 13.28 O.K
13 CS13 : 해체-2 14.60 9.63 43.80 21.99 O.K
14 CS14 : 해체-3 14.60 9.09 43.80 20.75 O.K
15 CS15 : 해체-4 14.60 8.93 43.80 20.38 O.K
16 CS16 : 해체-5 14.60 8.94 43.80 20.40 O.K
17 CS17 : 해체-6 14.60 12.50 43.80 28.54 O.K
18 CS18 : 해체-7 14.60 12.50 43.80 28.54 O.K
19 Total 12.50 43.80 28.54 O.K
12.2 시공단계별 깊이-변위 그래프
13. 단계별 결과
13.1 지보재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strut-1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CS2 : 생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성 strut-1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4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3 : 굴 압축응력 MPa 7.980 135.144 5.90% O.K
착 4.6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7 1.000 10.66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4 : 생 압축응력 MPa 7.980 135.144 5.90% O.K
성 strut-2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7 1.000 10.66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5 : 굴 압축응력 MPa 6.981 135.144 5.17% O.K
착 7.2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9 1.000 9.92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6 : 생 압축응력 MPa 6.981 135.144 5.17% O.K
성 strut-3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9 1.000 9.92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7 : 굴 압축응력 MPa 7.202 135.144 5.33% O.K
착 9.8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1 1.000 10.08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8 : 생 압축응력 MPa 7.202 135.144 5.33%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1 1.000 10.08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9 : 굴 압축응력 MPa 7.144 135.144 5.29%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0 1.000 10.04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0 : 생 압축응력 MPa 7.144 135.144 5.29%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0 1.000 10.04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1 : 굴 압축응력 MPa 7.156 135.144 5.30%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1 1.000 10.05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2 : 해 압축응력 MPa 7.157 135.144 5.30% O.K
체-1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1 1.000 10.05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3 : 해
체-2
CS13 : 해 압축응력 MPa 7.079 135.144 5.24% O.K
체-2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0 1.000 9.994%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4 : 해 압축응력 MPa 7.244 135.144 5.36% O.K
체-3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1 1.000 10.11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5 : 해 압축응력 MPa 6.222 135.144 4.60% O.K
체-4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4 1.000 9.35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6 : 해 압축응력 MPa 8.233 135.144 6.09% O.K
체-5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9 1.000 10.855% O.K
strut-2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CS4 : 생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성 strut-2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4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5 : 굴 압축응력 MPa 10.628 135.144 7.86% O.K
착 7.2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26 1.000 12.64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6 : 생 압축응력 MPa 10.627 135.144 7.86% O.K
성 strut-3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26 1.000 12.64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7 : 굴 압축응력 MPa 8.957 135.144 6.63% O.K
착 9.8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14 1.000 11.39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8 : 생 압축응력 MPa 8.957 135.144 6.63%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14 1.000 11.39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9 : 굴 압축응력 MPa 9.427 135.144 6.98%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17 1.000 11.74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0 : 생 압축응력 MPa 9.427 135.144 6.98%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17 1.000 11.74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1 : 굴 압축응력 MPa 9.327 135.144 6.90%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17 1.000 11.67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2 : 해 압축응력 MPa 9.319 135.144 6.90% O.K
체-1
CS12 : 해
체-1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17 1.000 11.66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3 : 해 압축응력 MPa 9.939 135.144 7.35% O.K
체-2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21 1.000 12.12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4 : 해 압축응력 MPa 8.723 135.144 6.45% O.K
체-3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12 1.000 11.2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5 : 해 압축응력 MPa 12.449 135.144 9.21% O.K
체-4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40 1.000 14.001% O.K
strut-3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CS6 : 생 압축응력 MPa 5.011 135.144 3.71% O.K
성 strut-3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5 1.000 8.45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7 : 굴 압축응력 MPa 11.976 135.144 8.86% O.K
착 9.8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36 1.000 13.64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8 : 생 압축응력 MPa 11.976 135.144 8.86%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36 1.000 13.64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9 : 굴 압축응력 MPa 9.334 135.144 6.91%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17 1.000 11.67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0 : 생 압축응력 MPa 9.334 135.144 6.91%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17 1.000 11.67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1 : 굴 압축응력 MPa 9.944 135.144 7.36%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21 1.000 12.13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2 : 해 압축응력 MPa 9.990 135.144 7.39% O.K
체-1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22 1.000 12.16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3 : 해 압축응력 MPa 6.679 135.144 4.94% O.K
체-2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7 1.000 9.69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4 : 해 압축응력 MPa 11.013 135.144 8.15% O.K
체-3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CS14 : 해
체-3
합성응력 안전율 0.129 1.000 12.929% O.K
strut-4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CS8 : 생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4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9 : 굴 압축응력 MPa 15.141 135.144 11.20%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60 1.000 16.0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0 : 생 압축응력 MPa 15.141 135.144 11.20%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60 1.000 16.0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1 : 굴 압축응력 MPa 11.765 135.144 8.71%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35 1.000 13.4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2 : 해 압축응력 MPa 11.526 135.144 8.53% O.K
체-1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33 1.000 13.31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3 : 해 압축응력 MPa 20.369 135.144 15.07% O.K
체-2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99 1.000 19.912% O.K
strut-5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CS10 : 생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4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1 : 굴 압축응력 MPa 19.076 135.144 14.12%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89 1.000 18.94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2 : 해 압축응력 MPa 19.677 135.144 14.56% O.K
체-1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94 1.000 19.395% O.K

13.2 사보강 Strut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strut-1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CS2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1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49% O.K
볼트수량 개 0.551 8 6.88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9.211 135.144 6.82% O.K
CS3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4.6 m
CS3 : 굴
착 4.6 m
합성응력 안전율 0.116 1.000 11.585% O.K
볼트수량 개 1.014 8 12.6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9.211 135.144 6.82% O.K
CS4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2
합성응력 안전율 0.116 1.000 11.585% O.K
볼트수량 개 1.014 8 12.6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7.798 135.144 5.77% O.K
CS5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7.2 m
합성응력 안전율 0.105 1.000 10.53% O.K
볼트수량 개 0.858 8 10.72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7.798 135.144 5.77% O.K
CS6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3
합성응력 안전율 0.105 1.000 10.53% O.K
볼트수량 개 0.858 8 10.72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8.111 135.144 6.00% O.K
CS7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9.8 m
합성응력 안전율 0.108 1.000 10.764% O.K
볼트수량 개 0.893 8 11.15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8.111 135.144 6.00% O.K
CS8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4
합성응력 안전율 0.108 1.000 10.764% O.K
볼트수량 개 0.893 8 11.15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8.028 135.144 5.94% O.K
CS9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12.4 m
합성응력 안전율 0.107 1.000 10.702% O.K
볼트수량 개 0.883 8 11.044%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8.028 135.144 5.94% O.K
CS10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5
합성응력 안전율 0.107 1.000 10.702% O.K
볼트수량 개 0.883 8 11.044%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8.046 135.144 5.95% O.K
CS11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14.6 m
합성응력 안전율 0.107 1.000 10.715% O.K
볼트수량 개 0.885 8 11.06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8.047 135.144 5.95% O.K
CS12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1
합성응력 안전율 0.107 1.000 10.716% O.K
볼트수량 개 0.886 8 11.06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7.936 135.144 5.87% O.K
CS13 : 해
체-2
CS13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2
합성응력 안전율 0.106 1.000 10.634% O.K
볼트수량 개 0.873 8 10.91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8.170 135.144 6.05% O.K
CS14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3
합성응력 안전율 0.108 1.000 10.808% O.K
볼트수량 개 0.899 8 11.23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6.725 135.144 4.98% O.K
CS15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4
합성응력 안전율 0.097 1.000 9.73% O.K
볼트수량 개 0.740 8 9.25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9.568 135.144 7.08% O.K
CS16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5
합성응력 안전율 0.119 1.000 11.851% O.K
볼트수량 개 1.053 8 13.162% O.K
strut-2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CS4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2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49% O.K
볼트수량 개 0.551 8 6.88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2.955 135.144 9.59% O.K
CS5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7.2 m
합성응력 안전율 0.144 1.000 14.379% O.K
볼트수량 개 1.426 8 17.82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2.954 135.144 9.59% O.K
CS6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3
합성응력 안전율 0.144 1.000 14.378% O.K
볼트수량 개 1.426 8 17.8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0.592 135.144 7.84% O.K
CS7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9.8 m
합성응력 안전율 0.126 1.000 12.615% O.K
볼트수량 개 1.166 8 14.5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0.592 135.144 7.84% O.K
CS8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4
합성응력 안전율 0.126 1.000 12.615% O.K
볼트수량 개 1.166 8 14.5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1.258 135.144 8.33% O.K
CS9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12.4 m
합성응력 안전율 0.131 1.000 13.112% O.K
볼트수량 개 1.239 8 15.48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0 : 생
성 strut-5
압축응력 MPa 11.258 135.144 8.33% O.K
CS10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5
합성응력 안전율 0.131 1.000 13.112% O.K
볼트수량 개 1.239 8 15.48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1.115 135.144 8.22% O.K
CS11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14.6 m
합성응력 안전율 0.130 1.000 13.006% O.K
볼트수량 개 1.223 8 15.2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1.104 135.144 8.22% O.K
CS12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1
합성응력 안전율 0.130 1.000 12.998% O.K
볼트수량 개 1.222 8 15.27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1.982 135.144 8.87% O.K
CS13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2
합성응력 안전율 0.137 1.000 13.652% O.K
볼트수량 개 1.319 8 16.48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0.261 135.144 7.59% O.K
CS14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3
합성응력 안전율 0.124 1.000 12.368% O.K
볼트수량 개 1.129 8 14.11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5.531 135.144 11.49% O.K
CS15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4
합성응력 안전율 0.163 1.000 16.301% O.K
볼트수량 개 1.709 8 21.364% O.K
strut-3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5.012 135.144 3.71% O.K
CS6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3
합성응력 안전율 0.085 1.000 8.452% O.K
볼트수량 개 0.552 8 6.89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4.862 135.144 11.00% O.K
CS7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9.8 m
합성응력 안전율 0.158 1.000 15.802% O.K
볼트수량 개 1.635 8 20.444%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4.862 135.144 11.00% O.K
CS8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4
합성응력 안전율 0.158 1.000 15.802% O.K
볼트수량 개 1.635 8 20.444%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1.125 135.144 8.23% O.K
CS9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12.4 m
합성응력 안전율 0.130 1.000 13.013% O.K
볼트수량 개 1.224 8 15.304%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1.125 135.144 8.23% O.K
CS10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5
합성응력 안전율 0.130 1.000 13.013% O.K
볼트수량 개 1.224 8 15.304%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1.988 135.144 8.87% O.K
CS11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14.6 m
합성응력 안전율 0.137 1.000 13.657% O.K
볼트수량 개 1.319 8 16.49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2.054 135.144 8.92% O.K
CS12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1
합성응력 안전율 0.137 1.000 13.706% O.K
볼트수량 개 1.326 8 16.58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7.372 135.144 5.45% O.K
CS13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2
합성응력 안전율 0.102 1.000 10.212% O.K
볼트수량 개 0.811 8 10.14%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3.500 135.144 9.99% O.K
CS14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3
합성응력 안전율 0.148 1.000 14.785% O.K
볼트수량 개 1.486 8 18.571% O.K
strut-4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CS8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4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49% O.K
볼트수량 개 0.551 8 6.88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9.338 135.144 14.31% O.K
CS9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12.4 m
합성응력 안전율 0.191 1.000 19.142% O.K
볼트수량 개 2.128 8 26.60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9.338 135.144 14.31% O.K
CS10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5
합성응력 안전율 0.191 1.000 19.142% O.K
볼트수량 개 2.128 8 26.60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4.563 135.144 10.78% O.K
CS11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14.6 m
합성응력 안전율 0.156 1.000 15.579% O.K
볼트수량 개 1.603 8 20.033%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14.226 135.144 10.53% O.K
CS12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1
합성응력 안전율 0.153 1.000 15.327% O.K
CS12 : 해
체-1

볼트수량 개 1.566 8 19.56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26.731 135.144 19.78% O.K
CS13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2
합성응력 안전율 0.247 1.000 24.661% O.K
볼트수량 개 2.942 8 36.771% O.K
strut-5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CS10 : 생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성 strut-5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49% O.K
볼트수량 개 0.551 8 6.88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24.903 135.144 18.43% O.K
CS11 : 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착 14.6 m
합성응력 안전율 0.233 1.000 23.297% O.K
볼트수량 개 2.741 8 34.25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압축응력 MPa 25.753 135.144 19.06% O.K
CS12 : 해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체-1
합성응력 안전율 0.239 1.000 23.931% O.K
볼트수량 개 2.834 8 35.426% O.K

13.3 띠장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strut-1 CS2 : 생 휨응력 MPa 0.000 201.645 0.00% O.K
H 300x300x10/15 성 strut-1 전단응력 MPa 0.000 121.500 0.00% O.K
CS3 : 굴 휨응력 MPa 14.278 201.645 7.08% O.K
착 4.6 m 전단응력 MPa 14.384 121.500 11.84% O.K
CS4 : 생 휨응력 MPa 14.278 201.645 7.08% O.K
성 strut-2 전단응력 MPa 14.384 121.500 11.84% O.K
CS5 : 굴 휨응력 MPa 9.477 201.645 4.70% O.K
착 7.2 m 전단응력 MPa 9.548 121.500 7.86% O.K
CS6 : 생 휨응력 MPa 9.478 201.645 4.70% O.K
성 strut-3 전단응력 MPa 9.548 121.500 7.86% O.K
CS7 : 굴 휨응력 MPa 10.542 201.645 5.23% O.K
착 9.8 m 전단응력 MPa 10.620 121.500 8.74% O.K
CS8 : 생 휨응력 MPa 10.542 201.645 5.23%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10.620 121.500 8.74% O.K
CS9 : 굴 휨응력 MPa 10.260 201.645 5.09%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10.336 121.500 8.51% O.K
CS10 : 생 휨응력 MPa 10.260 201.645 5.09%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10.336 121.500 8.51% O.K
CS11 : 굴 휨응력 MPa 10.319 201.645 5.12%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10.396 121.500 8.56% O.K
CS12 : 해 휨응력 MPa 10.324 201.645 5.12% O.K
체-1 전단응력 MPa 10.400 121.500 8.56% O.K
CS13 : 해 휨응력 MPa 9.947 201.645 4.93% O.K
체-2 전단응력 MPa 10.021 121.500 8.25% O.K
CS14 : 해 휨응력 MPa 10.742 201.645 5.33% O.K
체-3 전단응력 MPa 10.822 121.500 8.91% O.K
CS15 : 해 휨응력 MPa 5.832 201.645 2.89% O.K
체-4 전단응력 MPa 5.875 121.500 4.84% O.K
CS16 : 해 휨응력 MPa 15.493 201.645 7.68% O.K
체-5 전단응력 MPa 15.608 121.500 12.85% O.K
strut-2 CS4 : 생 휨응력 MPa 0.000 201.645 0.00% O.K
H 300x300x10/15 성 strut-2 전단응력 MPa 0.000 121.500 0.00% O.K
CS5 : 굴 휨응력 MPa 26.999 201.645 13.39% O.K
착 7.2 m 전단응력 MPa 27.199 121.500 22.39% O.K
CS6 : 생 휨응력 MPa 26.997 201.645 13.39% O.K
성 strut-3 전단응력 MPa 27.197 121.500 22.38% O.K
CS7 : 굴 휨응력 MPa 18.970 201.645 9.41% O.K
착 9.8 m 전단응력 MPa 19.111 121.500 15.73% O.K
CS8 : 생 휨응력 MPa 18.970 201.645 9.41%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19.111 121.500 15.73% O.K
CS9 : 굴 휨응력 MPa 21.232 201.645 10.53%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21.390 121.500 17.60% O.K
CS10 : 생 휨응력 MPa 21.232 201.645 10.53%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21.390 121.500 17.60% O.K
CS11 : 굴 휨응력 MPa 20.749 201.645 10.29%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0.903 121.500 17.20% O.K
CS12 : 해 휨응력 MPa 20.712 201.645 10.27% O.K
체-1 전단응력 MPa 20.865 121.500 17.17% O.K
CS13 : 해 휨응력 MPa 23.692 201.645 11.75% O.K
체-2 전단응력 MPa 23.867 121.500 19.64% O.K
CS14 : 해 휨응력 MPa 17.846 201.645 8.85% O.K
체-3 전단응력 MPa 17.979 121.500 14.80% O.K
CS15 : 해 휨응력 MPa 35.749 201.645 17.73% O.K
체-4 전단응력 MPa 36.014 121.500 29.64% O.K
strut-3 CS6 : 생 휨응력 MPa 0.012 201.645 0.01% O.K
H 300x300x10/15 성 strut-3 전단응력 MPa 0.013 121.500 0.01% O.K
CS7 : 굴 휨응력 MPa 33.477 201.645 16.60% O.K
착 9.8 m 전단응력 MPa 33.725 121.500 27.76% O.K
CS8 : 생 휨응력 MPa 33.477 201.645 16.60%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33.725 121.500 27.76% O.K
CS9 : 굴 휨응력 MPa 20.783 201.645 10.31%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20.937 121.500 17.23% O.K
CS10 : 생 휨응력 MPa 20.783 201.645 10.31%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20.937 121.500 17.23% O.K
CS11 : 굴 휨응력 MPa 23.714 201.645 11.76%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3.890 121.500 19.66% O.K
CS12 : 해 휨응력 MPa 23.937 201.645 11.87% O.K
체-1 전단응력 MPa 24.114 121.500 19.85% O.K
CS13 : 해 휨응력 MPa 8.029 201.645 3.98% O.K
체-2 전단응력 MPa 8.088 121.500 6.66% O.K
CS14 : 해 휨응력 MPa 28.851 201.645 14.31% O.K
체-3 전단응력 MPa 29.064 121.500 23.92% O.K
strut-4 CS8 : 생 휨응력 MPa 0.000 201.645 0.00% O.K
성 strut-4
CS8 : 생
H 300x300x10/15 성 strut-4 전단응력 MPa 0.000 121.500 0.00% O.K
CS9 : 굴 휨응력 MPa 48.685 201.645 24.14%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49.046 121.500 40.37% O.K
CS10 : 생 휨응력 MPa 48.685 201.645 24.14%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49.046 121.500 40.37% O.K
CS11 : 굴 휨응력 MPa 32.463 201.645 16.10%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32.703 121.500 26.92% O.K
CS12 : 해 휨응력 MPa 31.316 201.645 15.53% O.K
체-1 전단응력 MPa 31.548 121.500 25.97% O.K
CS13 : 해 휨응력 MPa 73.804 201.645 36.60% O.K
체-2 전단응력 MPa 74.351 121.500 61.19% O.K
strut-5 CS10 : 생 휨응력 MPa 0.000 201.645 0.00% O.K
H 300x300x10/15 성 strut-5 전단응력 MPa 0.000 121.500 0.00% O.K
CS11 : 굴 휨응력 MPa 67.594 201.645 33.52%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68.095 121.500 56.05% O.K
CS12 : 해 휨응력 MPa 70.480 201.645 34.95% O.K
체-1 전단응력 MPa 71.002 121.500 58.44% O.K

13.4 측면말뚝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휨응력 MPa 14.104 205.125 6.88% O.K
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 : 굴
전단응력 MPa 4.428 121.500 3.64% O.K
착2m
합성응력 안전율 0.095 1.000 9.49% O.K
수평변위 mm 5.840 43.800 13.333% O.K
휨응력 MPa 14.104 205.125 6.88%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2 : 생
전단응력 MPa 4.428 121.500 3.64% O.K
성 strut-1
합성응력 안전율 0.095 1.000 9.49% O.K
수평변위 mm 5.840 43.800 13.333% O.K
휨응력 MPa 18.438 205.125 8.99%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3 : 굴
전단응력 MPa 11.889 121.500 9.79% O.K
착 4.6 m
합성응력 안전율 0.116 1.000 11.606% O.K
수평변위 mm 3.727 43.800 8.509% O.K
휨응력 MPa 18.438 205.125 8.99%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4 : 생
전단응력 MPa 11.889 121.500 9.79% O.K
성 strut-2
합성응력 안전율 0.116 1.000 11.606% O.K
수평변위 mm 3.727 43.800 8.509% O.K
휨응력 MPa 12.954 205.125 6.32%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5 : 굴
전단응력 MPa 17.878 121.500 14.71% O.K
착 7.2 m
합성응력 안전율 0.089 1.000 8.929% O.K
수평변위 mm 3.939 43.800 8.993% O.K
휨응력 MPa 12.949 205.125 6.31%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6 : 생
전단응력 MPa 17.877 121.500 14.71% O.K
성 strut-3
CS6 : 생
성 strut-3
합성응력 안전율 0.089 1.000 8.926% O.K
수평변위 mm 3.939 43.800 8.993% O.K
휨응력 MPa 21.051 205.125 10.26%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7 : 굴
전단응력 MPa 22.222 121.500 18.29% O.K
착 9.8 m
합성응력 안전율 0.129 1.000 12.881% O.K
수평변위 mm 3.866 43.800 8.825% O.K
휨응력 MPa 21.051 205.125 10.26%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8 : 생
전단응력 MPa 22.222 121.500 18.29% O.K
성 strut-4
합성응력 안전율 0.129 1.000 12.881% O.K
수평변위 mm 3.866 43.800 8.825% O.K
휨응력 MPa 36.850 205.125 17.96%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9 : 굴
전단응력 MPa 33.888 121.500 27.89% O.K
착 12.4 m
합성응력 안전율 0.206 1.000 20.594% O.K
수평변위 mm 4.212 43.800 9.616% O.K
휨응력 MPa 36.850 205.125 17.96%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0 : 생
전단응력 MPa 33.888 121.500 27.89% O.K
성 strut-5
합성응력 안전율 0.206 1.000 20.594% O.K
수평변위 mm 4.212 43.800 9.616% O.K
휨응력 MPa 47.498 205.125 23.16%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1 : 굴
전단응력 MPa 46.883 121.500 38.59% O.K
착 14.6 m
합성응력 안전율 0.258 1.000 25.792% O.K
수평변위 mm 5.524 43.800 12.613% O.K
휨응력 MPa 49.866 205.125 24.31%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2 : 해
전단응력 MPa 48.779 121.500 40.15% O.K
체-1
합성응력 안전율 0.269 1.000 26.948% O.K
수평변위 mm 5.815 43.800 13.276% O.K
휨응력 MPa 75.235 205.125 36.68%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3 : 해
전단응력 MPa 48.143 121.500 39.62% O.K
체-2
합성응력 안전율 0.393 1.000 39.332% O.K
수평변위 mm 9.631 43.800 21.989% O.K
휨응력 MPa 55.178 205.125 26.90%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4 : 해
전단응력 MPa 42.703 121.500 35.15% O.K
체-3
합성응력 안전율 0.295 1.000 29.541% O.K
수평변위 mm 9.088 43.800 20.749% O.K
휨응력 MPa 61.219 205.125 29.84%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5 : 해
전단응력 MPa 47.171 121.500 38.82% O.K
체-4
합성응력 안전율 0.325 1.000 32.49% O.K
수평변위 mm 8.927 43.800 20.381% O.K
휨응력 MPa 60.382 205.125 29.44%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6 : 해
체-5
CS16 : 해
전단응력 MPa 46.939 121.500 38.63% O.K
체-5
합성응력 안전율 0.321 1.000 32.081% O.K
수평변위 mm 8.937 43.800 20.403% O.K
휨응력 MPa 59.271 205.125 28.89%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7 : 해
전단응력 MPa 46.594 121.500 38.35% O.K
체-6
합성응력 안전율 0.315 1.000 31.539% O.K
수평변위 mm 12.499 43.800 28.537% O.K
휨응력 MPa 59.263 205.125 28.89%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8 : 해
전단응력 MPa 46.592 121.500 38.35% O.K
체-7
합성응력 안전율 0.315 1.000 31.535% O.K
수평변위 mm 12.499 43.800 28.537% O.K

13.5 흙막이벽체설계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휨응력 MPa 0.768 18.000 4.27% O.K
CS1 : 굴
0.0~14.6 전단응력 MPa 0.037 1.600 2.33% O.K
착2m
두께검토 mm 20.661 100.000 20.66% O.K
휨응력 MPa 0.768 18.000 4.27% O.K
CS2 : 생
전단응력 MPa 0.037 1.600 2.33% O.K
성 strut-1
두께검토 mm 20.661 100.000 20.66% O.K
휨응력 MPa 3.151 18.000 17.50% O.K
CS3 : 굴
전단응력 MPa 0.153 1.600 9.55% O.K
착 4.6 m
두께검토 mm 41.837 100.000 41.84% O.K
휨응력 MPa 3.151 18.000 17.50% O.K
CS4 : 생
전단응력 MPa 0.153 1.600 9.55% O.K
성 strut-2
두께검토 mm 41.837 100.000 41.84% O.K
휨응력 MPa 3.508 18.000 19.49% O.K
CS5 : 굴
전단응력 MPa 0.170 1.600 10.63% O.K
착 7.2 m
두께검토 mm 44.149 100.000 44.15% O.K
휨응력 MPa 3.508 18.000 19.49% O.K
CS6 : 생
전단응력 MPa 0.170 1.600 10.63% O.K
성 strut-3
두께검토 mm 44.149 100.000 44.15% O.K
휨응력 MPa 4.280 18.000 23.78% O.K
CS7 : 굴
전단응력 MPa 0.208 1.600 12.97% O.K
착 9.8 m
두께검토 mm 48.764 100.000 48.76% O.K
휨응력 MPa 4.280 18.000 23.78% O.K
CS8 : 생
전단응력 MPa 0.208 1.600 12.97% O.K
성 strut-4
두께검토 mm 48.764 100.000 48.76% O.K
휨응력 MPa 6.454 18.000 35.85% O.K
CS9 : 굴
전단응력 MPa 0.313 1.600 19.56% O.K
착 12.4 m
두께검토 mm 59.878 100.000 59.88% O.K
휨응력 MPa 6.454 18.000 35.85% O.K
CS10 : 생
전단응력 MPa 0.313 1.600 19.56% O.K
성 strut-5
두께검토 mm 59.878 100.000 59.88% O.K
휨응력 MPa 8.290 18.000 46.06% O.K
CS11 : 굴
전단응력 MPa 0.402 1.600 25.12% O.K
착 14.6 m
CS11 : 굴
착 14.6 m
두께검토 mm 67.865 100.000 67.86% O.K
휨응력 MPa 8.285 18.000 46.03% O.K
CS12 : 해
전단응력 MPa 0.402 1.600 25.11% O.K
체-1
두께검토 mm 67.843 100.000 67.84% O.K
휨응력 MPa 8.267 18.000 45.93% O.K
CS13 : 해
전단응력 MPa 0.401 1.600 25.05% O.K
체-2
두께검토 mm 67.770 100.000 67.77% O.K
휨응력 MPa 8.269 18.000 45.94% O.K
CS14 : 해
전단응력 MPa 0.401 1.600 25.06% O.K
체-3
두께검토 mm 67.777 100.000 67.78% O.K
휨응력 MPa 8.269 18.000 45.94% O.K
CS15 : 해
전단응력 MPa 0.401 1.600 25.06% O.K
체-4
두께검토 mm 67.779 100.000 67.78% O.K
휨응력 MPa 8.269 18.000 45.94% O.K
CS16 : 해
전단응력 MPa 0.401 1.600 25.06% O.K
체-5
두께검토 mm 67.779 100.000 67.78% O.K
휨응력 MPa 8.269 18.000 45.94% O.K
CS17 : 해
전단응력 MPa 0.401 1.600 25.06% O.K
체-6
두께검토 mm 67.778 100.000 67.78% O.K
휨응력 MPa 8.269 18.000 45.94% O.K
CS18 : 해
전단응력 MPa 0.401 1.600 25.06% O.K
체-7
두께검토 mm 67.778 100.000 67.78% O.K
C-C 단면
목 차
1.표준단면
2.설계요약
3.설계조건
3.1 가시설 구조물 공법 및 사용강재
3.2 재료의 허용응력
3.3 적용 프로그램
4.지보재 설계
4.1 Earth Anchor 설계 (Anchor-1, Anchor-2, Anchor-3, Anchor-4, Anchor-5)
5.띠장 설계
5.1 Anchor-1 띠장 설계
5.2 Anchor-2 띠장 설계
5.3 Anchor-3 띠장 설계
5.4 Anchor-4 띠장 설계
5.5 Anchor-5 띠장 설계
6.측면말뚝 설계
6.1 흙막이벽(우)
7. 흙막이 벽체 설계
7.1 흙막이벽(우) 설계 (0.00m ~ 14.60m)
8.전산 입력 정보
9.해석결과
10. 단계별 변위
11. 단계별 부재력
12. 단계별 부재력(검토항목별)
1.표준단면

1.1 표준단면도

1.2 지층조건
지반탄성계 수평지반 반력계
번 깊이 γt γsat C φ
이름 N값 수 수
호 (m) (kN/m³) (kN/m³) (kN/m²) ([deg])
(kN/m²) (kN/m³)
1 매립층 3.00 18.00 19.00 0.00 28.00 7 - 15200.00
2 풍화토 6.00 18.00 19.00 21.00 31.00 44 - 32100.00
3 풍화암 20.00 20.00 21.00 31.00 33.00 50 - 45000.00
4 되메우기 - 20.00 21.00 0.00 22.00 4 15000.00 15000.00

1.3 사용부재
가. 흙막이벽
번 하단깊이 수평간격
이름 형상 단면 재질
호 (m) (m)

1 흙막이벽(우) H-Pile H 300x300x10/15 SS275 17.6 1.6

나. 지보재

자유장
번 설치깊이 수평간격 설치각도 초기작용력
이름 단면 재질 (강축길이)
호 (m) (m) [(deg)] (kN)
(m)

1 Anchor-1 Strand12.7x4EA SWPC7B 1.5 1.6 30 11 120


2 Anchor-2 Strand12.7x4EA SWPC7B 4.1 1.6 30 9 150
3 Anchor-3 Strand12.7x4EA SWPC7B 6.7 1.6 30 8 180
4 Anchor-4 Strand12.7x4EA SWPC7B 9.3 1.6 30 7 180
5 Anchor-5 Strand12.7x4EA SWPC7B 11.9 1.6 30 5 250

다. 벽체와 슬래브

설치위치 상단깊이 하단깊이


번 두께
이름 (설치깊이) (시작위치) (끝위치) 재질 뒤채움
호 (m)
(m) (m) (m)

1 슬래브-1 0 0 9.15 C27 0.3 -


2 슬래브-2 5 0 9.15 C27 0.3 -
3 슬래브-3 10 0 9.15 C27 0.3 -
4 MAT 14.6 0 9.15 C27 1.2 -
5 WALL 9 0 14.6 C27 0.3 뒤채움

라. 상재하중

이름 작용유형 작용위치 작용형식 작용하중 (kN)

1 차량하중 과재하중 배면(우측) 상시하중 w = 13

1.4 시공단계
단계별 해석방법 : 탄소성법
토압종류 : Rankine (벽 마찰각은 내부마찰각의 30 %)
지하수위 : 고려
지하수 단위중량 = 10 kN/m³, 초기 지하수위 = 8.5 m, 수위차 = 1 m
지보재 벽체 & 슬래브 임의하중
단 굴착깊이
설치깊이 토압변경 수압변경 토층변경
계 (m) 생성 해체 작용 해체
(m)
1 2.00 - - - - - - X X
2 - Anchor-1 - - - - X X
3 4.60 - - - - - - X X
4 - Anchor-2 - - - - X X
5 7.20 - - - - - - X X
6 - Anchor-3 - - - - X X
7 9.80 - - - - - - X X
8 - Anchor-4 - - - - X X
9 12.40 - - - - - - X X
10 - Anchor-5 - - - - X X
11 14.60 - - - - - 경험토압 X X
12 14.60 - - 13.6 - - - X X
13 14.60 Anchor-5 12.4 - - - X X
14 14.60 Anchor-4 9.8 - - - X X
15 14.60 Anchor-3 7.2 - - - X X
16 14.60 Anchor-2 4.6 - - - X X
17 14.60 Anchor-1 2 - - - X X
18 14.60 - - 0 - - - X X

*11단계에서 경험토압의 종류는 Peck 토압을 적용함.


Peck 토압 적용시 토질정수는 평균치, 토압계수 고려, 토압높이는 직접지정를 사용함.
토압분포는 H = 1m, a = 0.65, a1 = 0, a2 = 0 로 적용됨.

1.5 지하수위 조건
지하수 단위중량 = 10 kN/m³, 초기 지하수위 = 8.5 m, 수위차 = 1 m
번 굴착깊이 수압변경 (깊이(h), 수압(p))
수압종류 굴착수위 배면수위
호 (m) (kN, m)

1 2.00 정수압 8.5 8.5 -


2 - 정수압 8.5 8.5 -
3 4.60 정수압 8.5 8.5 -
4 - 정수압 8.5 8.5 -
5 7.20 정수압 8.5 8.5 -
6 - 정수압 8.5 8.5 -
7 9.80 정수압 9.8 8.8 -
8 - 정수압 9.8 8.8 -
9 12.40 정수압 12.4 11.4 -
10 - 정수압 12.4 11.4 -
11 14.60 정수압 14.6 13.6 -
12 14.60 정수압 14.6 13.6 -
13 14.60 정수압 14.6 13.6 -
14 14.60 정수압 14.6 13.6 -
15 14.60 정수압 14.6 13.6 -
16 14.60 정수압 14.6 13.6 -
17 14.60 정수압 14.6 13.6 -
18 14.60 정수압 14.6 13.6 -
2.설계요약
2.1 지보재
위치 단면검토
부재 구분 단위 판정
(m)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Anchor-1 소요개수 개 1.399 4 34.97% O.K
Strand12.7x4EA 1.50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정착장 m 0.967 4.000 24.18% O.K
Anchor-2 소요개수 개 1.701 4 42.53% O.K
Strand12.7x4EA 4.10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정착장 m 1.220 5.000 24.40% O.K
Anchor-3 소요개수 개 1.971 4 49.28% O.K
Strand12.7x4EA 6.70 자유장 m 6.648 8.000 83.10% O.K
정착장 m 1.453 5.000 29.06% O.K
Anchor-4 소요개수 개 2.015 4 50.38% O.K
Strand12.7x4EA 9.30 자유장 m 5.585 7.000 79.78% O.K
정착장 m 1.465 5.000 29.30% O.K
Anchor-5 소요개수 개 2.706 4 67.65% O.K
Strand12.7x4EA 11.90 자유장 m 4.521 5.000 90.42% O.K
정착장 m 2.030 5.000 40.59% O.K

2.2 띠장
위치 단면검토
부재 구분 단위 판정
(m)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Anchor-1 휨응력 MPa 21.356 206.969 10.32% O.K
1.50
2H 298x201x9/14 전단응력 MPa 19.621 121.500 16.15% O.K
Anchor-2 휨응력 MPa 25.973 206.969 12.55% O.K
4.10
2H 298x201x9/14 전단응력 MPa 23.862 121.500 19.64% O.K
Anchor-3 휨응력 MPa 30.092 206.969 14.54% O.K
6.70
2H 298x201x9/14 전단응력 MPa 27.647 121.500 22.75% O.K
Anchor-4 휨응력 MPa 30.767 206.969 14.87% O.K
9.30
2H 298x201x9/14 전단응력 MPa 28.266 121.500 23.26% O.K
Anchor-5 휨응력 MPa 41.311 206.969 19.96% O.K
11.90
2H 298x201x9/14 전단응력 MPa 37.954 121.500 31.24% O.K

2.3 측면말뚝
단면검토
부재 위치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휨응력 MPa 41.672 205.125 20.32% O.K
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전단응력 MPa 48.290 121.500 39.75% O.K
-
합성응력 안전율 0.411 1.000 41.14% O.K
수평변위 mm 13.107 43.800 29.93% O.K
지지력 kN 533.005 1426.868 37.36% O.K

2.4 흙막이벽체설계
구간 단면검토
부재 구분 단위 판정
(m)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0.00 ~ 휨응력 MPa 11.635 18.000 64.64% O.K
14.60 전단응력 MPa 0.564 1.600 35.26% O.K
두께검토 mm 80.399 100.000 80.40% O.K

2.5 흙막이벽체 수평변위


수평변위
부재 위치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0.0~17.6 최대변위 mm 13.107 43.800 29.93% O.K
전체 구간 0.0~17.6 최대변위 mm 13.107 43.800 29.93% O.K
* 최대 굴착깊이 14.6 m, 허용수평변위 0.003 H

2.6 굴착저면의 안전성


단면검토
부재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최종굴착단계 안전율 21.027 1.200 1752.29% O.K
근입장
최종굴착전단계 안전율 12.242 1.200 1020.17% O.K
-
보일링 안전율 6.600 2.000 330.00% O.K
히빙 안전율 - - - -
3.설계조건

3.1 가시설 구조물 공법 및 사용강재

가. 굴착공법
H Pile로 구성된 가시설 구조물을 Earth Anchor로 지지하면서 굴착함.

나. 흙막이벽(측벽)
H Pile
엄지말뚝간격 : 1.60m

다. 지보재
Earth Anchor - Strand12.7x4EA 수평간격 : 1.60 m
Strand12.7x4EA 수평간격 : 1.60 m
Strand12.7x4EA 수평간격 : 1.60 m
Strand12.7x4EA 수평간격 : 1.60 m
Strand12.7x4EA 수평간격 : 1.60 m

라. 사용강재
구 분 규 격 간 격 (m) 비 고
H-PILE (측벽) H 300x300x10/15(SS275) 1.60m
띠장 H 298x201x9/14(SS275) -

3.2 재료의 허용응력

가. 허용응력 할증 계수(보정계수)
1) 가설구조물의 경우 1.50 (철도하중 지지 시 1.3)
2) 영구구조물로 사용되는 경우
① 시공도중 1.25
② 완료 후 1.00
3) 공사기간이 2년 미만인 경우에는 가설구조물로 2년 이상인 경우에는 영구구조물로 간주하여 설계한다.
4) 중고 강재 사용 시 0.90 (신강재의 0.9 이하,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보정계수)

나. 철근 및 콘크리트
1)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① 허용휨응력 fck = 0.40 x fck
② 허용전단응력 Va = 0.08 x fck
2) 철근의 허용(압축 및 인장) 응력
① 허용휨인장응력 fsa = 0.40 x fy
② 허용압축응력 fsa = 0.50 x fy

다. 강재의 허용응력
[강재의 허용응력(가설 구조물 기준)] (MPa)
SS275, SM275,
종 류 SM355, SHP355W 비고
SHP275(W)

축방향 인장 160x1.5=240
240 315
(순단면) 210x1.5=315
160x1.5=240
240 315
(순단면) 210x1.5=315

0 < ℓ/r ≤ 20 0 < ℓ/r ≤ 16


240 315
20 < ℓ/r ≤ 90 16 < ℓ/r ≤ 80 ℓ(mm) :
축방향 압축 유효좌굴장
240 - 1.5(ℓ/r -20) 315 - 2.2(ℓ/r -16)
(총단면) r(mm):
90 < ℓ/r 80 < ℓ/r 단면회전 반지름
1,875,000 1,900,000
2
6,000+(ℓ/r) 4,500+(ℓ/r)2
인장연
(순 240 315
휨 단면)
압 ℓ/b ≤ 4.5 ℓ/b ≤ 4.0
축 압축연
응 240 315 ℓ : 플랜지의 고정점간 거리
(총
력 4.5 < ℓ/b ≤ 30 4.0 < ℓ/b ≤ 27 b : 압축플랜지의 폭
단면)
240 - 2.9(ℓ/b-4.5) 315 - 4.3(ℓ/b-4.0)
전단응력
135 180
(총단면)
지압응력 360 465 강관과 강판
용접 공 장 모재의 100% 모재의 100%
강도 현 장 모재의 90% 모재의 90%
*가설구조물의 보정계수(1.5)를 곱한 값임.
라. 강널말뚝
[강널말뚝 허용응력(가설 구조물 기준)] (MPa)
종 류 SY300, SY300W SY400, SY400W 비 고
휨 인장응력 270 360

력 압축응력 270 360 ※Type-W는 용접용
전단응력 150 203
*가설구조물의 보정계수(1.5)를 곱한 값임.

마. 볼트
[볼트 허용응력] (MPa)
볼트종류 응력의 종류 허용응력 비 고
전 단 150 SS275 기준
보통볼트
지 압 330
전 단 225 F8T 기준
고장력 볼트
지 압 405 SS275 기준
*가설구조물의 보정계수(1.5)를 곱한 값임.

3.3 안전성 검토

가. 가설흙막이의 안전율
[가설흙막이의 안전율 (KDS 21 30 00 : 2020 가설흙막이 설계기준)]
안전율
조 건 비 고
기준치 적용치
지반의 지지력 2.0 2.0 극한지지력에 대하여
활 동 1.5 - 활동력(슬라이딩)에 대하여
전 도 2.0 - 저항모멘트와 전도모멘트의 비
사면안정 1.1 - 1년 미만 단기안정성
근입깊이 1.2 1.2 수동 및 주동토압에 의한 모멘트 비
가설(단기) 1.5 사질토 대상
굴착저부 보일링 2.0
단기는 굴착시점을 기준으로 2년 미만임
안정
사질토 대상
굴착저부 보일링 2.0
단기는 굴착시점을 기준으로 2년 미만임
영구(장기) 2.0
안정
히빙 1.5 1.5 점성토
사용기간 2년미만 1.5
지반앵커 1.5 인발저항에 대한 안전율
사용기간 2년이상 2.5

나.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최대수평변위는 최종 굴착깊이, 지층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며, 이를 초과할 때는 주변시설물에 대한
별도의 안정성 검토가 필요하다. 최대변위량은 흙막이벽의 강성 및 굴착심도(H)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며, 일반적으로 최대 허용변위량은 아래와 같이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측관리 기준 (KCS 11 10 15 : 2018 시공중 지반계측)]
구 분 최대 허용변위량 비 고
강성 흙막이벽 0.0020 H t ≥ 60 cm인 콘크리트 연속벽
보통 흙막이벽 0.0025 H t ≒ 40 cm정도인 콘크리트 연속벽
연성 흙막이벽 0.0030 H H-Pile과 흙막이판 설치하는 흙막이벽
적용값 0.0030 H = 43.8 mm (굴착깊이 = 14.6 m)

3.4 적용 프로그램

가. midas GeoX V 5.1.0


나. 탄소성법
다. Rankine 토압
4.지보재 설계
4.1 Earth Anchor 설계 (Anchor-1, Anchor-2, Anchor-3, Anchor-4, Anchor-5)
가. 설계제원
(1) 사용앵커 : P.C strand φ12.7mm 4-wire (SWPC7B) : 4 ea
2 2
Ap (mm ) 394.84 fpy (N/mm ) 1570.0
2
Ds (mm) 12.70 fpu (N/mm ) 1860.0
2
천공경, D (mm) 100.0 Ep (N/mm ) 200000

(2) ANCHOR의 허용인장력


인장재 극한하중 인장재 항복하중
구 분 사용기간 적용
(fpu)에 대하여 (fpy)에 대하여
일시앵커 2년 미만 0.65 fpu 0.80 fpy O
영구 상시 2년 이상 0.60 fpu 0.75 fpy ×
앵커 지진시 2년 이상 0.75 fpu 0.90 fpy ×

(3) 허용인장강도 : Pa = Min. ( 0.65 x fpu x Ap , 0.80 x fpy x Ap )


= Min. ( 0.65 x 1860.0 x 394.84 ,
0.80 x 1570.0 x 394.84 )
= Min. ( 477361.6 , 495919.0 ) N
= 477.362 kN

나. EARTH ANCHOR 자유장 산정

3.000
6.7 매립층
3 3 59.0
가상파괴면

3.000
5.5
21 An 풍화토
ch59.6
or-
4.4 1 4.0
5 8 00
An
ch
or- 5.0
3.3 2 00
9 5 An
ch
or- 5.0
2.3 3 00
11.600

31
An
ch 5.0
or- 00 풍화암
4
An 5.0
ch 00
or-
5

66.0
EL (17.6)

▶ 적용자유장(Lf) 산정
설치위치 필요 자유장 안전거리 적용 자유장
구분 판 정
(GL.-m) Lfreq (m) Lu (m) Lf (m)
Anchor-1 1.500 6.733 2.190 11.000 O.K
Anchor-2 4.100 5.521 2.190 9.000 O.K
Anchor-3 6.700 4.458 2.190 8.000 O.K
Anchor-4 9.300 3.395 2.190 7.000 O.K
Anchor-5 11.900 2.331 2.190 5.000 O.K

다. 강선의 초기 긴장력 산정
(1) 소요설계축력 (Treq = Rmax x Anchor 수평간격)
설치위치 최대축력 Anchor 소요설계축력
구 분 설치각 ( o )
(GL.-m) Rmax (kN/m,ea) 수평간격(m) Treq (kN/ea)
Anchor-1 1.500 75.962 1.600 30 121.539
Anchor-2 4.100 95.806 1.600 30 153.289
Anchor-3 6.700 114.097 1.600 30 182.556
Anchor-4 9.300 115.070 1.600 30 184.112
Anchor-5 11.900 159.404 1.600 30 255.047

(2) 긴장력의 감소량 산정


① 정착장치 활동에 의한 PRE-STRESS 감소량
Δ Pp = Δ fps x Ap x N = Ep x ΔL x Ap x N / L
여기서, Δ Pp = 정착장치 활동에 의한 PRE-STRESS 감소량 (N)
Δ fps = P.C 강선의 인장응력의 감소량 (N/mm2)
L = 자유장 + 0.5 m
ΔL = 정착장치의 P.C 강선의 활동량 (mm)
Ep = P.C 강선의 탄성계수 (N/mm2)
N = strand 사용갯수 (ea)

설치위치 Ep ΔL Ap N L Δ Pp
2 2
(GL.-m) (N/mm ) (mm) (mm ) (ea) (m) (N)
1.500 200000 3.0 98.71 4 11.5 20600.348
4.100 200000 3.0 98.71 4 9.5 24937.263
6.700 200000 3.0 98.71 4 8.5 27871.059
9.300 200000 3.0 98.71 4 7.5 31587.200
11.900 200000 3.0 98.71 4 5.5 43073.455

② RELAXATION에 의한 PRE-STRESS 감소량


Δ Ppr = Δ fpr x Ap x N = r x fpt x Ap x N
여기서, Δ Ppr = RELAXATION에 의한 PRE-STRESS 감소량 (N)
Δ fpr = P.C 강선의 RELAXATION에 의한 인장응력의 감소량 (N/mm2)
fpt = 손실이 일어난 후의 사용하중 상태에서의 응력 (N/mm2)
= 0.80 x fpy
= 0.80 x 1570.0
= 1256.0 N/mm2
r = P.C 강선의 겉보기 RELAXATION 값 (%)

설치위치 r fpt Ap N Δ Ppr


2 2
(GL.-m) (%) (N/mm ) (mm ) (ea) (N)
1.500 5.0 1256.0 98.71 4 24795.952
4.100 5.0 1256.0 98.71 4 24795.952
6.700 5.0 1256.0 98.71 4 24795.952
9.300 5.0 1256.0 98.71 4 24795.952
11.900 5.0 1256.0 98.71 4 24795.952

③ 손실을 감안한 초기긴장력(JACKING FORCE)


JFreq = Treq + Δ Pp + Δ Ppr
설치위치 (GL.-m) Treq (kN) Δ Pp (kN) Δ Ppr (kN) JFreq (kN)
1.500 121.539 20.600 24.796 166.936
4.100 153.289 24.937 24.796 203.022
6.700 182.556 27.871 24.796 235.223
9.300 184.112 31.587 24.796 240.495
11.900 255.047 43.073 24.796 322.916

④ strand 소요갯수 산정
nreq = JFreq / Pa
설치위치 손실을 감안한 초기 허용인장강도 N Nreq
비 고
(GL.-m) 긴장력(JFreq,kN/ea) Pa (kN) (ea) (ea)
1.500 166.936 119.340 4 1.399 O.K
4.100 203.022 119.340 4 1.701 O.K
6.700 235.223 119.340 4 1.971 O.K
9.300 240.495 119.340 4 2.015 O.K
11.900 322.916 119.340 4 2.706 O.K

라. EARTH ANCHOR 정착장 산정


▶ 앵커 내력의 안전률 (Fs)
구 분 사용기간 극한 인발력(fug)에 대한 안전률
일시앵커 2년 미만 1.5
영구 상시 2년 이상 2.5
앵커 지진시 2년 이상 1.5 ~ 2.0

▶ 지반의 종류에 따른 주변마찰저항 (τu)


지반의종류 주면마찰저항 (kN/m2)
경 암 1000 ~ 2500
암반 연 암 600 ~ 1500
풍 화 암 400 ~ 1000
10 100 ~ 200
20 170 ~ 250
자갈 N값 30 250 ~ 350
40 350 ~ 450
50 450 ~ 700
10 100 ~ 140
20 180 ~ 220
모래 N값 30 230 ~ 270
40 290 ~ 350
50 300 ~ 400

▶ 주입재와 인장재의 허용부착응력 (τa)


장기허용부착응력 단기허용부착응력
지반종류 2
(kN/m ) (kN/m2)
토 사 400 700
암 반 700 1000

▶ 마찰저항장(La1)과 부착저항장(La2) 중 큰 값 적용하며, 진행파괴성을 고려하여


3~10m 범위에서 사용

▶ 마찰저항장(La1) 산정식 ▶ 부착저항장(La2) 산정식


T x Fs T
La1 = La2 =
π x D x τu π x N x Ds x τa

여기서, T = 설계축력 (kN) N = strand 사용갯수 (ea)


Fs = 안전률 Ds = strand 지름 (mm)
D = 앵커체 지름 (mm) τa = 인장재의 허용부착응력 (kN/m2)
τu = 앵커체와 지반의 주면마찰저항 (kN/m2)

▶ 마찰저항장(La1) 산정
앵커이름 설치위치 Treq (kN) 지반이름 Fs D (mm) τu (kN/m2) La1 (m) T1 (kN)
Anchor-1 1.500 121.539 풍화암 1.50 100.000 600.000 0.967 121.539
합계 - - - - - 0.967 -
Anchor-2 4.100 153.289 풍화암 1.50 100.000 600.000 1.220 153.289
합계 - - - - - 1.220 -
Anchor-3 6.700 182.556 풍화암 1.50 100.000 600.000 1.453 182.556
합계 - - - - - 1.453 -
Anchor-4 9.300 184.112 풍화암 1.50 100.000 600.000 1.465 184.112
합계 - - - - - 1.465 -
Anchor-5 11.900 255.047 풍화암 1.50 100.000 600.000 2.030 255.047
합계 - - - - - 2.030 -
여기서, Treq는 해당 지반에서의 필요 축력,
T1은 해당 지반이 부담하는 축력이다.

▶ 부착저항장(La2)
설치위치 (GL.-m) Treq (kN) N (ea) Ds (mm) τa (kN/m2) La2 (m)
1.500 121.539 4.0 12.70 1000.0 0.762
4.100 153.289 4.0 12.70 1000.0 0.961
6.700 182.556 4.0 12.70 1000.0 1.144
9.300 184.112 4.0 12.70 1000.0 1.154
11.900 255.047 4.0 12.70 1000.0 1.598

▶ 적용정착장(La) 산정
설치위치 (GL.-m) 마찰저항장(La1) 부착저항장(La2) 적용정착장(La) 판 정
1.500 0.967 0.762 4.0 O.K
4.100 1.220 0.961 5.0 O.K
6.700 1.453 1.144 5.0 O.K
9.300 1.465 1.154 5.0 O.K
11.900 2.030 1.598 5.0 O.K

▶ 총 소요장 산정 (L)
적용자유장 여유장 적용정착장 총 소요장
설치위치 (GL.-m)
Lf (m) Le (m) La (m) L (m)
1.500 11.000 1.500 4.000 16.500
4.100 9.000 1.500 5.000 15.500
6.700 8.000 1.500 5.000 14.500
9.300 7.000 1.500 5.000 13.500
11.900 5.000 1.500 5.000 11.500

마. ELONGATION 산정
Lel = JFreq x L / Ep x Ap x N
여기서, Lel = 신장량 (mm)
JFreq = JACKING FORCE (kN)
L = 자유장 + 0.5 m
Ep = P.C 강선의 탄성계수 (N/mm2)
N = strand 사용갯수 (ea)
설치위치 JFreq L Ep Ap N Lel
2 2
(GL.-m) (kN) (m) (N/mm ) (mm ) (ea) (mm)
1.500 166.936 11.5 200000 98.71 4 24.311
4.100 203.022 9.5 200000 98.71 4 24.424
6.700 235.223 8.5 200000 98.71 4 25.319
9.300 240.495 7.5 200000 98.71 4 22.841
11.900 322.916 5.5 200000 98.71 4 22.491

바. EARTH ANCHOR 제원표


설치위치 수평간격 설치각 적용자유장 여유장 적용정착장 JFreq
o
(GL.-m) (m) () (m) (m) (m) (kN)
1.500 1.60 30.0 11.000 1.500 4.000 166.936
4.100 1.60 30.0 9.000 1.500 5.000 203.022
6.700 1.60 30.0 8.000 1.500 5.000 235.223
9.300 1.60 30.0 7.000 1.500 5.000 240.495
11.900 1.60 30.0 5.000 1.500 5.000 322.916
5.띠장 설계
5.1 Anchor-1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298x201x9/14(SS275)

14
w (N/m) 641.7
A (mm2) 8336.0

298
4
Ix (mm ) 133000000.0
3
9
Zx (mm ) 893000.0
Aw (mm2) 2430.0
Rx (mm) 126.0
201

(2) 띠장 계산지간 : 1.6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단순보 설계

1.600

a = 0.550 m
b = 0.157 m θ
c = 0.393 m b
θ = 30.0 도
a
c
Jfused = 166.936 kN ---> 지보재설계의 JFreq

Rmax = Jfused × cosθ × ( c / a )

P = 166.936 × cos 30 ° × ( 0.393 / 0.550 )


= 103.302 kN

Rmax = 13 × Wmax × L / 12

∴ Wmax = 12 × Rmax / ( 13 × L )
= 12 × 103.302 / ( 13 × 1.600 )
= 59.597 kN/m

Mmax = Wmax × L2 / 8
2
= 59.597 × 1.600 / 8
= 19.071 kN·m

Smax = 1 × Wmax × L / 2
= 1 × 59.597 × 1.600 / 2
= 47.678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9.071 x 1000000 / 893000.0 = 21.356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47.678 x 1000 / 2430 = 19.621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1600 / 201


= 7.96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7.960 - 4.5 ) )
= 206.969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6.969 MPa > fb = 21.356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19.621 MPa ---> O.K

5.2 Anchor-2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298x201x9/14(SS275)

14
w (N/m) 641.7
A (mm2) 8336.0
298

4
Ix (mm ) 133000000.0
3
9
Zx (mm ) 893000.0
Aw (mm2) 2430.0
Rx (mm) 126.0
201

(2) 띠장 계산지간 : 1.6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단순보 설계

1.600

a = 0.550 m
b = 0.157 m θ
c = 0.393 m b
θ = 30.0 도
a
c
θ
b
a
c
Jfused = 203.022 kN ---> 지보재설계의 JFreq

Rmax = Jfused × cosθ × ( c / a )

P = 203.022 × cos 30 ° × ( 0.393 / 0.550 )


= 125.633 kN

Rmax = 13 × Wmax × L / 12

∴ Wmax = 12 × Rmax / ( 13 × L )
= 12 × 125.633 / ( 13 × 1.600 )
= 72.481 kN/m

Mmax = Wmax × L2 / 8
2
= 72.481 × 1.600 / 8
= 23.194 kN·m

Smax = 1 × Wmax × L / 2
= 1 × 72.481 × 1.600 / 2
= 57.985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23.194 x 1000000 / 893000.0 = 25.973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57.985 x 1000 / 2430 = 23.862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1600 / 201


= 7.96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7.960 - 4.5 ) )
= 206.969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6.969 MPa > fb = 25.973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3.862 MPa ---> O.K

5.3 Anchor-3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298x201x9/14(SS275)

14
w (N/m) 641.7
A (mm2) 8336.0
298

9
14

298
Ix (mm4) 133000000.0
3
9
Zx (mm ) 893000.0
Aw (mm2) 2430.0
Rx (mm) 126.0
201

(2) 띠장 계산지간 : 1.6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단순보 설계

1.600

a = 0.550 m
b = 0.157 m θ
c = 0.393 m b
θ = 30.0 도
a
c
Jfused = 235.223 kN ---> 지보재설계의 JFreq

Rmax = Jfused × cosθ × ( c / a )

P = 235.223 × cos 30 ° × ( 0.393 / 0.550 )


= 145.559 kN

Rmax = 13 × Wmax × L / 12

∴ Wmax = 12 × Rmax / ( 13 × L )
= 12 × 145.559 / ( 13 × 1.600 )
= 83.977 kN/m

Mmax = Wmax × L2 / 8
2
= 83.977 × 1.600 / 8
= 26.872 kN·m

Smax = 1 × Wmax × L / 2
= 1 × 83.977 × 1.600 / 2
= 67.181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26.872 x 1000000 / 893000.0 = 30.092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67.181 x 1000 / 2430 = 27.647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1600 / 201


= 7.96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7.960 - 4.5 ) )
= 206.969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6.969 MPa > fb = 30.092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7.647 MPa ---> O.K

5.4 Anchor-4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298x201x9/14(SS275)

14
w (N/m) 641.7
A (mm2) 8336.0
Ix (mm ) 4
133000000.0 298
3
9
Zx (mm ) 893000.0
Aw (mm2) 2430.0
Rx (mm) 126.0
201

(2) 띠장 계산지간 : 1.6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단순보 설계

1.600

a = 0.550 m
b = 0.157 m θ
c = 0.393 m b
θ = 30.0 도
a
c
Jfused = 240.495 kN ---> 지보재설계의 JFreq

Rmax = Jfused × cosθ × ( c / a )

P = 240.495 × cos 30 ° × ( 0.393 / 0.550 )


= 148.822 kN
Rmax = 13 × Wmax × L / 12

∴ Wmax = 12 × Rmax / ( 13 × L )
= 12 × 148.822 / ( 13 × 1.600 )
= 85.859 kN/m

Mmax = Wmax × L2 / 8
2
= 85.859 × 1.600 / 8
= 27.475 kN·m

Smax = 1 × Wmax × L / 2
= 1 × 85.859 × 1.600 / 2
= 68.687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27.475 x 1000000 / 893000.0 = 30.767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68.687 x 1000 / 2430 = 28.266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1600 / 201


= 7.96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7.960 - 4.5 ) )
= 206.969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6.969 MPa > fb = 30.767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8.266 MPa ---> O.K

5.5 Anchor-5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298x201x9/14(SS275)

14
w (N/m) 641.7
A (mm2) 8336.0
298

4
Ix (mm ) 133000000.0
3
9
Zx (mm ) 893000.0
Aw (mm2) 2430.0
Rx (mm) 126.0
201

(2) 띠장 계산지간 : 1.6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단순보 설계

1.600

a = 0.550 m
b = 0.157 m θ
c = 0.393 m b
θ = 30.0 도
a
c
Jfused = 322.916 kN ---> 지보재설계의 JFreq

Rmax = Jfused × cosθ × ( c / a )

P = 322.916 × cos 30 ° × ( 0.393 / 0.550 )


= 199.825 kN

Rmax = 13 × Wmax × L / 12

∴ Wmax = 12 × Rmax / ( 13 × L )
= 12 × 199.825 / ( 13 × 1.600 )
= 115.284 kN/m

Mmax = Wmax × L2 / 8
2
= 115.284 × 1.600 / 8
= 36.891 kN·m

Smax = 1 × Wmax × L / 2
= 1 × 115.284 × 1.600 / 2
= 92.227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36.891 x 1000000 / 893000.0 = 41.311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92.227 x 1000 / 2430 = 37.954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1600 / 201


= 7.96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7.960 - 4.5 ) )
= 206.969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6.969 MPa > fb = 41.311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37.954 MPa ---> O.K
6.측면말뚝 설계
6.1 흙막이벽(우)
가. 설계제원
(1) 측면말뚝의 설치간격 : 1.6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

300
Ix (mm4) 204000000
10
Zx (mm3) 1360000
Aw (mm2) 2700
Rx (mm) 131
300

나. 단면력 산정
가. 주형보 반력 = 0.000 kN
나. 주형 지지보의 자중 = 0.000 kN
다. 측면말뚝 자중 = 7.100 kN
라. 버팀보 자중 = 6.500 kN
마. 띠장 자중 = 3.800 kN
바. 지보재 수직분력 = 291.003 × 1.600 = 465.605 kN
사. 지장물 자중 = 50.000 kN
∑ Ps = 533.005 kN

최대모멘트, Mmax = 35.421 kN·m/m ---> 흙막이벽(우) (CS12 : 해체-1)


최대전단력, Smax = 81.489 kN/m ---> 흙막이벽(우) (CS12 : 해체-1)

▶ Pmax = 533.005 kN
▶ Mmax = 35.421 × 1.600 = 56.674 kN·m
▶ Smax = 81.489 × 1.600 = 130.382 kN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56.674 x 1000000 / 1360000.0 = 41.672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533.005 x 1000 / 11980 = 44.491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130.382 x 1000 / 2700 = 48.290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R = 2600 / 131
19.847 ---> Lx/Rx ≤ 20 이므로
fca = 1.50 x 0.9 x 160
= 216.000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2600 / 300
= 8.667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8.667 - 4.5 ) )
= 205.12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19.847 )2


= 4112.547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216.000 MPa > fc = 44.491 MPa ---> O.K
▶ 휨응력 , fba = 205.125 MPa > fb = 41.672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48.290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44.491 41.672
= +
216.000 205.125 x ( 1 - ( 44.491 / 4112.547 ))

= 0.411 < 1.0 ---> O.K

바. 수평변위 검토
▶ 최대수평변위 = 13.1 mm ---> 흙막이벽(우) (CS17 : 해체-6)
▶ 허용수평변위 = 최종 굴착깊이의 0.3 %
= 14.600 x 1000 x 0.003 = 43.800 mm

∴ 최대 수평변위 < 허용 수평변위 ---> O.K

사. 허용지지력 검토
▶ 최대축방향력 , Pmax = 533.00 kN
▶ 안전율 , Fs = 2.0
▶ 극한지지력 , Qu = 40·N·Ap + 0.2·Ns·U·Ls + 0.5·Nc·U·Lc
여기서, N(선단의 N치) = 50
Ns(선단까지의 모래층 N치 평균값) = 50
Nc(선단까지의 점토층 N치 평균값) = 0
Ls(모래층 중의 길이) = 9.250 m
Lc(점토층 중의 길이) = 0.000 m
Ap(H-Pile 단면적) = 0.0900 m2
U(파일의 둘레길이) = 1.200 m

= 40 x 50 x 0.0900 + 0.2 x 50 x 1.200 x 9.250


+ 0.5 x 0 x 1.200 x 0.000
= 291.000 tonf
= 2853.74 kN

▶ 허용지지력 , Qua = 2853.74 / 2.0


= 1426.868 kN

∴ 최대축방향력 (Pmax) < 허용 지지력 (Qua) ---> O.K


7. 흙막이 벽체 설계
7.1 흙막이벽(우) 설계 (0.00m ~ 14.60m)
가. 목재의 허용응력 구조물기초설계기준
허용응력(MPa)
목재의 종류
휨 전단
침엽수 18.000 1.600
활엽수 22.000 2.400

나. 설계제원
높이 (H, mm) 150.0
두께 (t, mm) 100.0
H-Pile 100.0
1600.0
수평간격(mm)

H-Pile

150.0
300.0
폭(mm) 1375.0
목재의 종류 침엽수
목재의 허용
18.000
휨응력(MPa) 1600
목재의 허용
1.6
전단응력(MPa)

다. 설계지간
설계지간 (L) = 1600.0 - 3 x 300.0 / 4 = 1375.0 mm

라. 단면력 산정
pmax = 0.0821 MPa ---> (CS10 : 생성 Anchor-5:최대토압)
Wmax = 토류판에 작용하는 등분포하중(토압) x 토류판 높이(H)
= 82.1 kN/m2 x 0.1500 m = 12.3 kN/m
W

1375.0

Mmax = Wmax x L2 / 8 = 12.3 x 1.375 2


/ 8 = 2.9 kN·m
Smax = Wmax x L / 2 = 12.3 x 1.375 / 2 = 8.5 kN

마. 토류판에 작용하는 응력 산정
Z = H x t2 / 6
2
= 150.0 x 100.0 / 6
3
= 250000 mm

▶ 휨응력 , fb = Mmax / Z
= 2.9 x 1000000 / 250000
= 11.64 MPa < fba = 18.0 MPa ---> O.K
▶ 전단응력 , τ = Smax / ( H x t )
= 8.5 x 1000 / ( 150.0 x 100.0 )
= 0.56 MPa < τa = 1.6 MPa ---> O.K

바. 토류판 두께 산정
Treq = ( 6 x Mmax ) / ( H x fba )
= ( 6 x 2.9 x 1000000 )/( 150.0 x 18.0 )
= 80.40 mm < Tuse = 100.00 mm 사용 ---> O.K
8. 탄소성 입력 데이터

8.1 해석종류 : 탄소성보법

8.2 사용 단위계 : 힘 [F] = kN, 길이 [L] = m

8.3 모델형상 : 반단면 모델


배면폭 = 30 m, 굴착폭 = 10 m, 최대굴착깊이 = 14.6 m, 전모델높이 = 23 m

8.4 지층조건
지반탄성계 수평지반 반력계
번 깊이 γt γsat C φ
이름 N값 수 수
호 (m) (kN/m³) (kN/m³) (kN/m²) ([deg])
(kN/m²) (kN/m³)
1 매립층 3.00 18.00 19.00 0.00 28.00 7 - 15200.00
2 풍화토 6.00 18.00 19.00 21.00 31.00 44 - 32100.00
3 풍화암 20.00 20.00 21.00 31.00 33.00 50 - 45000.00
4 되메우기 - 20.00 21.00 0.00 22.00 4 15000.00 15000.00

8.5 흙막이벽
번 하단깊이 수평간격
이름 형상 단면 재질
호 (m) (m)

1 흙막이벽(우) H-Pile H 300x300x10/15 SS275 17.6 1.6

8.6 지보재

자유장
번 설치깊이 수평간격 설치각도 초기작용력
이름 단면 재질 (강축길이)
호 (m) (m) [(deg)] (kN)
(m)

1 Anchor-1 Strand12.7x4EA SWPC7B 1.5 1.6 30 11 120


2 Anchor-2 Strand12.7x4EA SWPC7B 4.1 1.6 30 9 150
3 Anchor-3 Strand12.7x4EA SWPC7B 6.7 1.6 30 8 180
4 Anchor-4 Strand12.7x4EA SWPC7B 9.3 1.6 30 7 180
5 Anchor-5 Strand12.7x4EA SWPC7B 11.9 1.6 30 5 250

8.7 띠장
번 설치깊이
이름 형상 단면 재질 설치개수
호 (m)

1 Anchor-1 H 형강 H 298x201x9/14 SS275 1.5 2


2 Anchor-2 H 형강 H 298x201x9/14 SS275 4.1 2
3 Anchor-3 H 형강 H 298x201x9/14 SS275 6.7 2
4 Anchor-4 H 형강 H 298x201x9/14 SS275 9.3 2
5 Anchor-5 H 형강 H 298x201x9/14 SS275 11.9 2

8.8 중간말뚝
번 비지지길이 중간말뚝 간격
이름 형상 단면 재질
호 (m) (m)

1 중간말뚝 H-Pile H 300x305x15/15 SS275 2.5 3

8.9 흙막이벽체
번 단면 설치깊이
이름 형식 재질 비고
호 높이(폭) 두께 (m)
1 흙막이벽(우) 토류판 0.15 0.1 목재 0 ~ 15

8.10 벽체와 슬래브

설치위치 상단깊이 하단깊이


번 두께
이름 (설치깊이) (시작위치) (끝위치) 재질 뒤채움
호 (m)
(m) (m) (m)

1 슬래브-1 0 0 9.15 C27 0.3 -


2 슬래브-2 5 0 9.15 C27 0.3 -
3 슬래브-3 10 0 9.15 C27 0.3 -
4 MAT 14.6 0 9.15 C27 1.2 -
5 WALL 9 0 14.6 C27 0.3 뒤채움

8.11 상재하중

이름 작용유형 작용위치 작용형식 작용하중 (kN)

1 차량하중 과재하중 배면(우측) 상시하중 w = 13

8.12 시공단계
단계별 해석방법 : 탄소성법
토압종류 : Rankine (벽 마찰각은 내부마찰각의 30 %)
지하수위 : 고려
지하수 단위중량 = 10 kN/m³, 초기 지하수위 = 8.5 m, 수위차 = 1 m
지보재 벽체 & 슬래브 임의하중
단 굴착깊이
설치깊이 토압변경 수압변경 토층변경
계 (m) 생성 해체 작용 해체
(m)
1 2.00 - - - - - - X X
2 - Anchor-1 - - - - X X
3 4.60 - - - - - - X X
4 - Anchor-2 - - - - X X
5 7.20 - - - - - - X X
6 - Anchor-3 - - - - X X
7 9.80 - - - - - - X X
8 - Anchor-4 - - - - X X
9 12.40 - - - - - - X X
10 - Anchor-5 - - - - X X
11 14.60 - - - - - 경험토압 X X
12 14.60 - - 13.6 - - - X X
13 14.60 Anchor-5 12.4 - - - X X
14 14.60 Anchor-4 9.8 - - - X X
15 14.60 Anchor-3 7.2 - - - X X
16 14.60 Anchor-2 4.6 - - - X X
17 14.60 Anchor-1 2 - - - X X
18 14.60 - - 0 - - - X X

*11단계에서 경험토압의 종류는 Peck 토압을 적용함.


Peck 토압 적용시 토질정수는 평균치, 토압계수 고려, 토압높이는 직접지정를 사용함.
토압분포는 H = 1m, a = 0.65, a1 = 0, a2 = 0 로 적용됨.

8.13 지하수위 조건
지하수 단위중량 = 10 kN/m³, 초기 지하수위 = 8.5 m, 수위차 = 1 m
번 굴착깊이 수압변경 (깊이(h), 수압(p))
수압종류 굴착수위 배면수위
호 (m) (kN, m)

1 2.00 정수압 8.5 8.5 -


2 - 정수압 8.5 8.5 -
3 4.60 정수압 8.5 8.5 -
4 - 정수압 8.5 8.5 -
5 7.20 정수압 8.5 8.5 -
6 - 정수압 8.5 8.5 -
7 9.80 정수압 9.8 8.8 -
8 - 정수압 9.8 8.8 -
9 12.40 정수압 12.4 11.4 -
10 - 정수압 12.4 11.4 -
11 14.60 정수압 14.6 13.6 -
12 14.60 정수압 14.6 13.6 -
13 14.60 정수압 14.6 13.6 -
14 14.60 정수압 14.6 13.6 -
15 14.60 정수압 14.6 13.6 -
16 14.60 정수압 14.6 13.6 -
17 14.60 정수압 14.6 13.6 -
18 14.60 정수압 14.6 13.6 -
9. 해석 결과
9.1 전산 해석결과 집계

9.1.1 흙막이벽체 부재력 집계

* 지보재 반력 및 부재력은 단위폭(m)에 대한 값임.


굴착 전단력 (kN) 모멘트 (kN·m)
시공단계 깊이 Max 깊이 Min 깊이 Max 깊이 Min 깊이
(m) (kN) (m) (kN) (m) (kN) (m) (kN) (m)
CS1 : 굴착 2 m 2.00 17.27 2.5 -10.50 5.1 0.91 9.3 -28.00 3.7
CS2 : 생성 Anchor-1 2.00 25.36 1.5 -38.43 1.5 4.85 4.1 -20.26 1.5
CS3 : 굴착 4.6 m 4.60 22.73 1.5 -43.06 1.5 11.67 3.4 -19.24 1.5
CS4 : 생성 Anchor-2 4.60 38.69 4.1 -45.18 1.5 11.38 3.0 -16.21 1.5
CS5 : 굴착 7.2 m 7.20 34.48 4.1 -48.49 4.1 12.92 5.5 -18.93 4.1
CS6 : 생성 Anchor-3 7.20 50.27 6.7 -51.49 4.1 15.77 5.5 -23.63 6.7
CS7 : 굴착 9.8 m 9.80 47.88 6.7 -50.93 6.7 12.07 5.1 -28.22 6.7
CS8 : 생성 Anchor-4 9.80 43.92 6.7 -55.69 9.3 13.34 5.5 -22.44 6.7
CS9 : 굴착 12.4 m 12.40 45.35 6.7 -56.81 9.3 17.15 11.9 -28.32 9.3
CS10 : 생성 Anchor-5 12.40 58.74 11.9 -76.58 11.9 16.22 10.6 -29.76 11.9
CS11 : 굴착 14.6 m 14.60 53.82 11.9 -72.62 11.9 11.31 8.1 -34.79 11.9
CS12 : 해체-1 14.60 56.56 11.9 -81.49 11.9 13.20 5.5 -35.42 11.9
CS13 : 해체-2 14.60 45.69 6.7 -54.28 9.3 20.48 11.9 -33.80 9.3
CS14 : 해체-3 14.60 47.45 6.7 -51.22 6.7 17.29 12.4 -26.89 6.7
CS15 : 해체-4 14.60 35.27 4.1 -47.67 4.1 17.18 12.4 -22.59 10.2
CS16 : 해체-5 14.60 22.63 5.1 -43.43 1.5 17.23 12.4 -21.84 10.2
CS17 : 해체-6 14.60 18.52 10.2 -36.79 5.5 17.23 12.4 -30.11 5.1
CS18 : 해체-7 14.60 47.75 10.2 -47.30 10.6 10.19 8.1 -35.31 10.2
TOTAL 58.74 11.9 -81.49 11.9 20.48 11.9 -35.42 11.9

9.1.2 지보재 반력 집계

* 지보재 반력 및 부재력은 단위폭(m)에 대한 값임.


* 경사 지보재의 반력은 경사를 고려한 값임.
* Final Pressure는 주동측 및 수동측 양측의 토압, 수압 기타 압력을 모두 고려한 합력이다.
* 흙막이 벽의 변위는 굴착측으로 작용할때 (-) 이다.
* 지보공의 반력은 배면측으로 밀때 (+) 이다.
굴착 Anchor-1 Anchor-2 Anchor-3 Anchor-4 Anchor-5
시공단계
깊이 1.5 (m) 4.1 (m) 6.7 (m) 9.3 (m) 11.9 (m)
CS1 : 굴착 2 m 2.00 - - - - -
CS2 : 생성 Anchor-1 2.00 73.65 - - - -
CS3 : 굴착 4.6 m 4.60 75.96 - - - -
CS4 : 생성 Anchor-2 4.60 75.45 93.75 - - -
CS5 : 굴착 7.2 m 7.20 75.21 95.81 - - -
CS6 : 생성 Anchor-3 7.20 75.44 95.43 112.50 - -
CS7 : 굴착 9.8 m 9.80 75.43 95.25 114.10 - -
CS8 : 생성 Anchor-4 9.80 75.41 95.37 113.97 112.50 -
CS9 : 굴착 12.4 m 12.40 75.42 95.37 113.72 114.60 -
CS10 : 생성 Anchor-5 12.40 75.42 95.36 113.93 114.05 156.25
CS11 : 굴착 14.6 m 14.60 72.65 89.62 108.42 106.49 146.00
CS12 : 해체-1 14.60 75.42 95.36 113.92 113.82 159.40
CS13 : 해체-2 14.60 75.42 95.38 113.61 115.07 -
CS14 : 해체-3 14.60 75.43 95.28 113.94 - -
CS15 : 해체-4 14.60 75.19 95.77 - - -
CS16 : 해체-5 14.60 75.88 - - - -
CS17 : 해체-6 14.60 - - - - -
CS18 : 해체-7 14.60 - - - - -
TOTAL 75.96 95.81 114.10 115.07 159.40
9.2 시공단계별 단면력도
1) 시공 1 단계 [CS1 : 굴착 2 m]

2) 시공 2 단계 [CS2 : 생성 Anchor-1]
3) 시공 3 단계 [CS3 : 굴착 4.6 m]

4) 시공 4 단계 [CS4 : 생성 Anchor-2]
5) 시공 5 단계 [CS5 : 굴착 7.2 m]

6) 시공 6 단계 [CS6 : 생성 Anchor-3]
7) 시공 7 단계 [CS7 : 굴착 9.8 m]

8) 시공 8 단계 [CS8 : 생성 Anchor-4]
9) 시공 9 단계 [CS9 : 굴착 12.4 m]

10) 시공 10 단계 [CS10 : 생성 Anchor-5]


11) 시공 11 단계 [CS11 : 굴착 14.6 m]

12) 시공 12 단계 [CS12 : 해체-1]


13) 시공 13 단계 [CS13 : 해체-2]

14) 시공 14 단계 [CS14 : 해체-3]


15) 시공 15 단계 [CS15 : 해체-4]

16) 시공 16 단계 [CS16 : 해체-5]


17) 시공 17 단계 [CS17 : 해체-6]

18) 시공 18 단계 [CS18 : 해체-7]


9.3 근입장 검토

적용 주동토압 수동토압
균형깊이 근입부 적용
구분 근입깊이 모멘트 모멘트 판정
(m) 안전율 안전율
(m) (kN·m) (kN·m)

최종 굴착 단계 0.069 3.000 135.631 2851.981 21.027 1.200 OK


최종 굴착 전단계 0.342 5.200 723.432 8856.275 12.242 1.200 OK

9.3.1 최종 굴착 단계의 경우
1) 토압의 작용폭
- 주동측 : 굴착면 상부 = 1.6 m, 굴착면 하부 = 0.3 m
- 수동측 : 굴착면 하부 = 0.9 m
2) 최하단 버팀대에서 휨모멘트 계산 (EL -11.9 m)
- 주동토압에 의한 활동모멘트
굴착면 상부토압 (Pa1) = 14.896 kN 굴착면 상부토압 작용깊이 (Ya1) = 1.9 m
굴착면 하부토압 (Pa2) = 23.937 kN 굴착면 하부토압 작용깊이 (Ya2) = 4.484 m
Ma = (Pa1 x Ya1) + (Pa2 x Ya2)
Ma = (14.896 x 1.9) + (23.937 x 4.484) = 135.631 kN×m
- 수동토압에 의한 저항모멘트
굴착면 하부토압 (Pp) = 647.291 kN 굴착면 하부토압 작용깊이 (Yp) = 4.406 m
Mp = (Pp x Yp) = (647.291 x 4.406) = 2851.981 kN×m
* 계산된 토압 (Pa1, Pa2, Pp) 는 작용폭을 고려한 값임.
-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의한 저항모멘트
수평하중 (P) = 0 kN 수평하중 작용깊이 (Y) =0 m
Mpl = P x Y = 0 x 0 = 0 kN×m
모멘트하중(Mpm) = 0 kN×m
3) 근입부의 안전율
S.F. = (Mp + Mpl + Mpm) / Ma = 2851.981 / 135.631 = 21.027
S.F. = 21.027 > 1.2 ... OK

9.3.2. 최종 굴착 전단계의 경우
1) 토압의 작용폭
- 주동측 : 굴착면 상부 = 1.6 m, 굴착면 하부 = 0.3 m
- 수동측 : 굴착면 하부 = 0.9 m
2) 최하단 버팀대에서 휨모멘트 계산 (EL -9.3 m)
- 주동토압에 의한 활동모멘트
굴착면 상부토압 (Pa1) = 78.346 kN 굴착면 상부토압 작용깊이 (Ya1) = 1.85 m
굴착면 하부토압 (Pa2) = 93.994 kN 굴착면 하부토압 작용깊이 (Ya2) = 6.154 m
Ma = (Pa1 x Ya1) + (Pa2 x Ya2)
Ma = (78.346 x 1.85) + (93.994 x 6.154) = 723.432 kN×m
- 수동토압에 의한 저항모멘트
굴착면 하부토압 (Pp) = 1434.838 kN 굴착면 하부토압 작용깊이 (Yp) = 6.172 m
Mp = (Pp x Yp) = (1434.838 x 6.172) = 8856.275 kN×m
* 계산된 토압 (Pa1, Pa2, Pp) 는 작용폭을 고려한 값임.
-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의한 저항모멘트
수평하중 (P) = 0 kN 수평하중 작용깊이 (Y) =0 m
Mpl = P x Y = 0 x 0 = 0 kN×m
모멘트하중(Mpm) = 0 kN×m
3) 근입부의 안전율
S.F. = (Mp + Mpl + Mpm) / Ma = 8856.275 / 723.432 = 12.242
S.F. = 12.242 > 1.2 ... OK
9.4 굴착주변 침하량 검토 (최종 굴착단계)

0.002

0.0015
지반침하

기준선
0.001 Caspe(1966)

0.0005

0
0 1 2 3 4 5 6 7 8 9 10 12 14 16 18
흙막이벽체로부터의 거리

9.4.1 Caspe(1966)방법에 의한 침하량 검토


1) 전체 수평변위로 인한 체적변화 (Vs)
Vs = 0.010 m³/m
2) 굴착폭(B) 및 굴착심도 (Hw)
B = 20 m, Hw = 14.6 m
3) 굴착영향 거리 (Ht)
평균 내부 마찰각 (φ) = 36.473 [deg]
Hp = 0.5 x B x tan(45 + φ/2)
Hp = 0.5 x 20 x tan(45 + 36.473/2) = 19.828 m
Ht = Hp + Hw = 19.828 + 14.6 = 34.428 m
4) 침하영향 거리 (D)
D = Ht x tan(45-φ/2)
D = 34.428 x tan(45-36.473/2) = 17.363 m
5) 흙막이벽 주변 최대 침하량 (Sw)
Sw = 4 x Vs / D = 4 x 0.010 / 17.363 = 0.002 m
6) 거리별 침하량 (Si)
Si = Sw x ((D - Xi) / D)^2 = 0.002 x ((17.363 - Xi) / 17.363)^2

거리 (벽면기준) 지반 침하량 절점간 침하량 각변위


(m) (mm) (mm) (x0.001)

0.00 2.195 0.125 0.249


0.50 2.071 0.121 0.242
1.00 1.950 0.117 0.235
1.50 1.832 0.114 0.227
2.00 1.719 0.110 0.220
2.50 1.609 0.106 0.213
3.00 1.502 0.103 0.206
3.50 1.399 0.099 0.198
4.00 1.300 0.095 0.191
4.50 1.205 0.092 0.184
5.00 1.113 0.088 0.176
5.50 1.025 0.085 0.169
6.00 0.940 0.081 0.162
6.50 0.859 0.077 0.155
7.00 0.782 0.074 0.147
7.50 0.708 0.070 0.140
8.00 0.638 0.066 0.133
8.50 0.572 0.063 0.125
9.00 0.509 0.059 0.118
9.50 0.450 0.055 0.111
10.00 0.395 0.052 0.104
10.50 0.343 0.048 0.096
11.00 0.295 0.045 0.089
11.50 0.250 0.041 0.082
12.00 0.209 0.037 0.074
12.50 0.172 0.034 0.067
13.00 0.139 0.030 0.060
13.50 0.109 0.026 0.053
14.00 0.082 0.023 0.045
14.50 0.060 0.019 0.038
15.00 0.041 0.015 0.031
15.50 0.025 0.012 0.023
16.00 0.014 0.008 0.016
16.50 0.005 0.004 0.009
17.00 0.001 0.001 0.003
17.36 0.000 0.000 0.000
Max 2.195 0.125 0.249
9.5 보일링 검토 (최종 굴착단계)

Terzaghi 해석법 한계동수구배 검토법 적용


구분 과잉수압 흙의중량 판정
안전율 동수 구배 한계 구배 안전율 안전율
(kN/m) (kN/m)
최종 굴착 단계 7.500 49.500 6.600 0.143 1.100 7.700 2.000 OK

9.5.1 Terzaghi에 의한 보일링 검토


보일링(파이핑)을 일으키려 하는 힘은 과잉수압 U 이며, 저항하는 힘은 흙의 중량 W 이다,
안전율을 Fs 로 하면 균형식은 W = Fs U 가 된다.
Terzaghi에 의하면 보일링이 일어나는 폭은 d2 /2 이다.

1) 검토조건
d2 (굴착저면에서 흙막이벽 근입길이) : 3 m
γw (물의 단위중량) : 10 kN/m3
γ' (수중 단위중량) (풍화암) : 11 kN/m3
Ha (평균 과잉수두) : 0.5 m
Fs (적용 허용안전율) : 2

2) 보일링을 일으키려고 하는 힘 과잉간극수압 U (kN)


d2 3
U = γw x Ha x = 10 x 0.5 x = 7.5 kN
2 2
3) 보일링에 저항하려는 흙의 중량 W (kN)
d22 4 2
W = γ' x = 12 x = 96 kN
2 2
4) 근입부의 안전율
W 96
Fs = = = 12.8
U 7.5
안전율 Fs = 12.8 > 허용안전율 2 ---> O.K

9.5.2 한계동수구배를 생각한 보일링의 검토


보일링이 발생되는 조건은 흙의 유효응력이 없어진 상태이므로 이때의 동수구배보다
작은 동수구배를 유지하면 보일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p̅ = z • γ' - i • z • γw
i = H/L
여기서, p̅ : ab 면 상의 유효응력
z : 모래의 표면에서 ab 면 까지의 깊이
유효응력 p̅ = 0 인 때의 동수구배를 한계동수구배 ic 로 하면, ic = γ' / γw 가 된다.
i = ic 에서 보일링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i < ic 가 되어야 한다.

1) 검토조건
H (수위차) : 1 m
L (모래층의 두께) : 7 kN/m3
γw (물의 단위중량) : 10 kN/m3
γ' (수중 단위중량) : 11 kN/m3
Fs (적용 허용안전율) : 2
2) 동수구배 ( i )
H 1
i = = = 0.143
L 7
3) 한계동수구배 ( ic )
γ' 11
ic = = = 1.100
γw 10
4) 근입부의 안전율
i 1.100
Fs = = = 7.700
ic 0.143
안전율 Fs = 7.7 > 허용안전율 2 ---> O.K
[3] 침투류 해석과 유선망에 대한 파이핑 검토

굴착깊이 = 14.6 지하수위 = 13.6


파이핑상세도
GWL 13.6

Fs =43.90

H= 0.0 굴착깊이=14.6
0
W
벽체깊이=17.6
H1=0.4 H2=0.3

i=0.12

(1) 계산방법
유한요소법에 의하여 침투류를 해석하면 지반내 지점들에 대한 전수두, 간극수압,
동수구배, 유속, 유출량 등을 계산할 수 있으며, 흙막이벽 근입장 D 인 지점과
그 지점으로 부터 D/2 떨어진 지점에 대한 전 수두로 부터 상향력을 계산하여
토괴의 하향력과 비교하여 안전을 판단한다.

(2) 계산조건
수위차 Hw = 1.0 m (주동측 수동측 지하수위 차이)
근입깊이 D = 3.0 m
근입하단의 토층명 = 풍화암층
수중단위중량 rsub = 10.0 kN/㎥ (검토하는 토괴의 평군)
점착력 c = 31.5 kN/㎡ (검토하는 토괴의 평군)

(3) 하향력 W, Fc의 계산


W = rsub x D x D/2
= 10.0 x 3.0 x 1.5
= 45.0 kN
Fc = 2 x c x D (검토하는 토괴의 양측면에 작용하는 점착저항)
= 2 x 31.5 x 3.0
= 189.0 kN

(4) 상향력 U의 계산
상향 수두 H1 = 0.39 m
H2 = 0.32 m
평균 Have = 0.36 m
U = rw x Have x D/2
= 10.0 x 0.36 x 1.50
= 5.3 kN
(참고 평균동수구배 i = Have / D = 0.36 / 3.0 = 0.12)

(5) 안전율의 계산
점착력 고려여부 : 고려함
안전율 Fs = (하향력 W + 점착저항 Fc) / (상향력 U)
= (45.0 + 189.0) / 5.3
= 43.9 > 허용안전율 1.50 따라서 O.K

세가지 방법의 비교
본 현장조건은 근입부분에 점착력이 있으므로 제1방법과 제3방법중에서 작은 안전율로 판단한다.
제1방법일 때 최소 안전율이다.
Fsmin = 31.20 > 허용안전율 1.5 따라서 O.K

▶ 보일링 계산상의 일반적인 주의사항


(1) 점착력을 고려 할 때는 제1방법과 제3방법을 적용한다.
(2) 연속벽 형의 흙막이 벽이 아닌 H-파일과 같이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에서 보일링계산은 의미가 없다.
흙막이 벽면과 굴착면하부에서 물과 토립자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유한요소 해석 모델 및 등유선망도 ]

GWL 13.6
1 kx = 2.5E-06 m/sec 매립

2 kx = 1.4E-05 m/sec 풍화토층

3 kx = 3.0E-07 m/sec 풍화암층 14.6

q = 3.47E-06
전수두=0.0
전수두=0.0

21.4

53.0 10.0

GWL 13.6
14.6

0
10. 단계별 변위 결과
10.1 시공단계별 변위 결과
최종 굴착 시공단계 : CS11 : 굴착 14.6 m
최종 굴착깊이 : 14.6 m
최대 허용변위량 : 굴착깊이의 0.0030 H (굴착깊이) = 43.8 mm

발생/허용
번 굴착깊이 발생 변위량 허용 변위량
시공단계 변위량 안정성 평가
호 (m) (mm) (mm)
(%)

1 CS1 : 굴착 2 m 2.00 13.02 43.80 29.72 O.K


2 CS2 : 생성 Anchor-1 0.00 0.71 43.80 1.62 O.K
3 CS3 : 굴착 4.6 m 4.60 1.16 43.80 2.64 O.K
4 CS4 : 생성 Anchor-2 0.00 0.37 43.80 0.85 O.K
5 CS5 : 굴착 7.2 m 7.20 1.21 43.80 2.76 O.K
6 CS6 : 생성 Anchor-3 0.00 0.56 43.80 1.29 O.K
7 CS7 : 굴착 9.8 m 9.80 1.25 43.80 2.85 O.K
8 CS8 : 생성 Anchor-4 0.00 0.83 43.80 1.89 O.K
9 CS9 : 굴착 12.4 m 12.40 2.06 43.80 4.70 O.K
10 CS10 : 생성 Anchor-5 0.00 1.09 43.80 2.48 O.K
11 CS11 : 굴착 14.6 m 14.60 1.06 43.80 2.42 O.K
12 CS12 : 해체-1 14.60 1.70 43.80 3.88 O.K
13 CS13 : 해체-2 14.60 3.27 43.80 7.46 O.K
14 CS14 : 해체-3 14.60 3.04 43.80 6.95 O.K
15 CS15 : 해체-4 14.60 3.02 43.80 6.91 O.K
16 CS16 : 해체-5 14.60 3.03 43.80 6.93 O.K
17 CS17 : 해체-6 14.60 13.11 43.80 29.93 O.K
18 CS18 : 해체-7 14.60 1.43 43.80 3.27 O.K
19 Total 13.11 43.80 29.93 O.K
10.2 시공단계별 깊이-변위 그래프
11. 단계별 결과
11.1 지보재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Anchor-1 소요개수 개 1.368 4.000 34.20% O.K
CS2 : 생성
Strand12.7x4EA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Anchor-1
정착장 m 0.938 4.000 23.44% O.K
소요개수 개 1.399 4.000 34.97% O.K
CS3 : 굴착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4.6 m
정착장 m 0.967 4.000 24.18% O.K
소요개수 개 1.392 4.000 34.80% O.K
CS4 : 생성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Anchor-2
정착장 m 0.961 4.000 24.02% O.K
소요개수 개 1.389 4.000 34.72% O.K
CS5 : 굴착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7.2 m
정착장 m 0.958 4.000 23.94% O.K
소요개수 개 1.392 4.000 34.80% O.K
CS6 : 생성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Anchor-3
정착장 m 0.961 4.000 24.01% O.K
소요개수 개 1.392 4.000 34.79% O.K
CS7 : 굴착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9.8 m
정착장 m 0.960 4.000 24.01% O.K
소요개수 개 1.391 4.000 34.79% O.K
CS8 : 생성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Anchor-4
정착장 m 0.960 4.000 24.00% O.K
소요개수 개 1.392 4.000 34.79% O.K
CS9 : 굴착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12.4 m
정착장 m 0.960 4.000 24.01% O.K

CS10 : 생 소요개수 개 1.392 4.000 34.79% O.K


성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Anchor-5 정착장 m 0.960 4.000 24.01% O.K
소요개수 개 1.354 4.000 33.86% O.K
CS11 : 굴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착 14.6 m
정착장 m 0.925 4.000 23.13% O.K
소요개수 개 1.392 4.000 34.79% O.K
CS12 : 해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체-1
정착장 m 0.960 4.000 24.01% O.K
소요개수 개 1.392 4.000 34.79% O.K
CS13 : 해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체-2
정착장 m 0.960 4.000 24.01% O.K
소요개수 개 1.392 4.000 34.79% O.K
CS14 : 해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체-3
정착장 m 0.960 4.000 24.01% O.K
소요개수 개 1.388 4.000 34.71% O.K
CS15 : 해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체-4
정착장 m 0.957 4.000 23.93% O.K
소요개수 개 1.398 4.000 34.94% O.K
CS16 : 해
자유장 m 8.923 11.000 81.12% O.K
체-5
정착장 m 0.966 4.000 24.15% O.K
Anchor-2 소요개수 개 1.674 4.000 41.84% O.K
CS4 : 생성
Strand12.7x4EA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Anchor-2
정착장 m 1.194 5.000 23.87% O.K
소요개수 개 1.701 4.000 42.53% O.K
CS5 : 굴착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7.2 m
정착장 m 1.220 5.000 24.40% O.K
소요개수 개 1.696 4.000 42.40% O.K
CS6 : 생성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Anchor-3
정착장 m 1.215 5.000 24.30% O.K
소요개수 개 1.694 4.000 42.34% O.K
CS7 : 굴착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9.8 m
정착장 m 1.213 5.000 24.25% O.K
소요개수 개 1.695 4.000 42.39% O.K
CS8 : 생성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Anchor-4
정착장 m 1.214 5.000 24.29% O.K
소요개수 개 1.695 4.000 42.39% O.K
CS9 : 굴착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12.4 m
정착장 m 1.214 5.000 24.29% O.K

CS10 : 생 소요개수 개 1.695 4.000 42.38% O.K


성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Anchor-5 정착장 m 1.214 5.000 24.28% O.K
소요개수 개 1.618 4.000 40.46% O.K
CS11 : 굴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착 14.6 m
정착장 m 1.141 5.000 22.82% O.K
소요개수 개 1.695 4.000 42.38% O.K
CS12 : 해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체-1
정착장 m 1.214 5.000 24.28% O.K
소요개수 개 1.696 4.000 42.39% O.K
CS13 : 해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체-2
정착장 m 1.214 5.000 24.29% O.K
소요개수 개 1.694 4.000 42.36% O.K
CS14 : 해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체-3
정착장 m 1.213 5.000 24.26% O.K
소요개수 개 1.701 4.000 42.52% O.K
CS15 : 해
자유장 m 7.711 9.000 85.68% O.K
체-4
정착장 m 1.219 5.000 24.39% O.K
Anchor-3 소요개수 개 1.950 4.000 48.74% O.K
CS6 : 생성
Strand12.7x4EA 자유장 m 6.648 8.000 83.10% O.K
Anchor-3
정착장 m 1.432 5.000 28.65% O.K
소요개수 개 1.971 4.000 49.28% O.K
CS7 : 굴착
자유장 m 6.648 8.000 83.10% O.K
9.8 m
정착장 m 1.453 5.000 29.05% O.K
소요개수 개 1.969 4.000 49.23% O.K
CS8 : 생성
자유장 m 6.648 8.000 83.10% O.K
Anchor-4
정착장 m 1.451 5.000 29.02% O.K
소요개수 개 1.966 4.000 49.15% O.K
CS9 : 굴착
자유장 m 6.648 8.000 83.10% O.K
12.4 m
정착장 m 1.448 5.000 28.96% O.K

CS10 : 생 소요개수 개 1.969 4.000 49.22% O.K



Anchor-5
CS10 : 생
성 자유장 m 6.648 8.000 83.10% O.K
Anchor-5 정착장 m 1.451 5.000 29.01% O.K
소요개수 개 1.895 4.000 47.37% O.K
CS11 : 굴
자유장 m 6.648 8.000 83.10% O.K
착 14.6 m
정착장 m 1.380 5.000 27.61% O.K
소요개수 개 1.969 4.000 49.22% O.K
CS12 : 해
자유장 m 6.648 8.000 83.10% O.K
체-1
정착장 m 1.451 5.000 29.01% O.K
소요개수 개 1.965 4.000 49.11% O.K
CS13 : 해
자유장 m 6.648 8.000 83.10% O.K
체-2
정착장 m 1.447 5.000 28.93% O.K
소요개수 개 1.969 4.000 49.22% O.K
CS14 : 해
자유장 m 6.648 8.000 83.10% O.K
체-3
정착장 m 1.451 5.000 29.01% O.K
Anchor-4 소요개수 개 1.981 4.000 49.52% O.K
CS8 : 생성
Strand12.7x4EA 자유장 m 5.585 7.000 79.78% O.K
Anchor-4
정착장 m 1.432 5.000 28.65% O.K
소요개수 개 2.009 4.000 50.22% O.K
CS9 : 굴착
자유장 m 5.585 7.000 79.78% O.K
12.4 m
정착장 m 1.459 5.000 29.18% O.K

CS10 : 생 소요개수 개 2.002 4.000 50.04% O.K


성 자유장 m 5.585 7.000 79.78% O.K
Anchor-5 정착장 m 1.452 5.000 29.04% O.K
소요개수 개 1.900 4.000 47.50% O.K
CS11 : 굴
자유장 m 5.585 7.000 79.78% O.K
착 14.6 m
정착장 m 1.356 5.000 27.12% O.K
소요개수 개 1.998 4.000 49.96% O.K
CS12 : 해
자유장 m 5.585 7.000 79.78% O.K
체-1
정착장 m 1.449 5.000 28.98% O.K
소요개수 개 2.015 4.000 50.38% O.K
CS13 : 해
자유장 m 5.585 7.000 79.78% O.K
체-2
정착장 m 1.465 5.000 29.30% O.K
Anchor-5 CS10 : 생 소요개수 개 2.664 4.000 66.59% O.K
Strand12.7x4EA 성 자유장 m 4.521 5.000 90.42% O.K
Anchor-5 정착장 m 1.989 5.000 39.79% O.K
소요개수 개 2.526 4.000 63.15% O.K
CS11 : 굴
자유장 m 4.521 5.000 90.42% O.K
착 14.6 m
정착장 m 1.859 5.000 37.18% O.K
소요개수 개 2.706 4.000 67.65% O.K
CS12 : 해
자유장 m 4.521 5.000 90.42% O.K
체-1
정착장 m 2.030 5.000 40.59% O.K

11.2 띠장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Anchor-1 CS2 : 생성 휨응력 MPa 20.884 206.969 10.09% O.K
2H 298x201x9/14 Anchor-1 전단응력 MPa 19.187 121.500 15.79% O.K
CS3 : 굴착 휨응력 MPa 21.356 206.969 10.32% O.K
4.6 m 전단응력 MPa 19.621 121.500 16.15% O.K
CS4 : 생성 휨응력 MPa 21.252 206.969 10.27% O.K
Anchor-2 전단응력 MPa 19.524 121.500 16.07% O.K
CS5 : 굴착 휨응력 MPa 21.203 206.969 10.24% O.K
7.2 m 전단응력 MPa 19.480 121.500 16.03% O.K
CS6 : 생성 휨응력 MPa 21.250 206.969 10.27% O.K
Anchor-3 전단응력 MPa 19.523 121.500 16.07% O.K
CS7 : 굴착 휨응력 MPa 21.247 206.969 10.27% O.K
9.8 m 전단응력 MPa 19.520 121.500 16.07% O.K
CS8 : 생성 휨응력 MPa 21.244 206.969 10.26% O.K
Anchor-4 전단응력 MPa 19.517 121.500 16.06% O.K
CS9 : 굴착 휨응력 MPa 21.245 206.969 10.26% O.K
12.4 m 전단응력 MPa 19.519 121.500 16.06% O.K
CS10 : 생 휨응력 MPa 21.245 206.969 10.26% O.K

Anchor-5 전단응력 MPa 19.518 121.500 16.06% O.K
CS11 : 굴 휨응력 MPa 20.679 206.969 9.99%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18.998 121.500 15.64% O.K
CS12 : 해 휨응력 MPa 21.245 206.969 10.26% O.K
체-1 전단응력 MPa 19.518 121.500 16.06% O.K
CS13 : 해 휨응력 MPa 21.246 206.969 10.27% O.K
체-2 전단응력 MPa 19.519 121.500 16.06% O.K
CS14 : 해 휨응력 MPa 21.247 206.969 10.27% O.K
체-3 전단응력 MPa 19.520 121.500 16.07% O.K
CS15 : 해 휨응력 MPa 21.197 206.969 10.24% O.K
체-4 전단응력 MPa 19.475 121.500 16.03% O.K
CS16 : 해 휨응력 MPa 21.339 206.969 10.31% O.K
체-5 전단응력 MPa 19.604 121.500 16.14% O.K
Anchor-2 CS4 : 생성 휨응력 MPa 25.552 206.969 12.35% O.K
2H 298x201x9/14 Anchor-2 전단응력 MPa 23.475 121.500 19.32% O.K
CS5 : 굴착 휨응력 MPa 25.973 206.969 12.55% O.K
7.2 m 전단응력 MPa 23.862 121.500 19.64% O.K
CS6 : 생성 휨응력 MPa 25.896 206.969 12.51% O.K
Anchor-3 전단응력 MPa 23.791 121.500 19.58% O.K
CS7 : 굴착 휨응력 MPa 25.859 206.969 12.49% O.K
9.8 m 전단응력 MPa 23.757 121.500 19.55% O.K
CS8 : 생성 휨응력 MPa 25.885 206.969 12.51% O.K
Anchor-4 전단응력 MPa 23.781 121.500 19.57% O.K
CS9 : 굴착 휨응력 MPa 25.885 206.969 12.51% O.K
12.4 m 전단응력 MPa 23.781 121.500 19.57% O.K
CS10 : 생 휨응력 MPa 25.881 206.969 12.50% O.K

Anchor-5 전단응력 MPa 23.777 121.500 19.57% O.K
CS11 : 굴 휨응력 MPa 24.707 206.969 11.94%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2.699 121.500 18.68% O.K
CS12 : 해 휨응력 MPa 25.882 206.969 12.51% O.K
체-1 전단응력 MPa 23.778 121.500 19.57% O.K
CS13 : 해 휨응력 MPa 25.886 206.969 12.51% O.K
체-2 전단응력 MPa 23.782 121.500 19.57% O.K
CS14 : 해 휨응력 MPa 25.866 206.969 12.50% O.K
체-3 전단응력 MPa 23.764 121.500 19.56% O.K
CS15 : 해 휨응력 MPa 25.965 206.969 12.55% O.K
체-4
CS15 : 해
체-4 전단응력 MPa 23.855 121.500 19.63% O.K
Anchor-3 CS6 : 생성 휨응력 MPa 29.765 206.969 14.38% O.K
2H 298x201x9/14 Anchor-3 전단응력 MPa 27.346 121.500 22.51% O.K
CS7 : 굴착 휨응력 MPa 30.092 206.969 14.54% O.K
9.8 m 전단응력 MPa 27.647 121.500 22.75% O.K
CS8 : 생성 휨응력 MPa 30.067 206.969 14.53% O.K
Anchor-4 전단응력 MPa 27.623 121.500 22.74% O.K
CS9 : 굴착 휨응력 MPa 30.016 206.969 14.50% O.K
12.4 m 전단응력 MPa 27.576 121.500 22.70% O.K
CS10 : 생 휨응력 MPa 30.058 206.969 14.52% O.K

Anchor-5 전단응력 MPa 27.615 121.500 22.73% O.K
CS11 : 굴 휨응력 MPa 28.930 206.969 13.98%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6.579 121.500 21.88% O.K
CS12 : 해 휨응력 MPa 30.057 206.969 14.52% O.K
체-1 전단응력 MPa 27.614 121.500 22.73% O.K
CS13 : 해 휨응력 MPa 29.993 206.969 14.49% O.K
체-2 전단응력 MPa 27.555 121.500 22.68% O.K
CS14 : 해 휨응력 MPa 30.060 206.969 14.52% O.K
체-3 전단응력 MPa 27.617 121.500 22.73% O.K
Anchor-4 CS8 : 생성 휨응력 MPa 30.241 206.969 14.61% O.K
2H 298x201x9/14 Anchor-4 전단응력 MPa 27.783 121.500 22.87% O.K
CS9 : 굴착 휨응력 MPa 30.671 206.969 14.82% O.K
12.4 m 전단응력 MPa 28.178 121.500 23.19% O.K
CS10 : 생 휨응력 MPa 30.558 206.969 14.76% O.K

Anchor-5 전단응력 MPa 28.074 121.500 23.11% O.K
CS11 : 굴 휨응력 MPa 29.010 206.969 14.02%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6.652 121.500 21.94% O.K
CS12 : 해 휨응력 MPa 30.511 206.969 14.74% O.K
체-1 전단응력 MPa 28.031 121.500 23.07% O.K
CS13 : 해 휨응력 MPa 30.767 206.969 14.87% O.K
체-2 전단응력 MPa 28.266 121.500 23.26% O.K
Anchor-5 CS10 : 생 휨응력 MPa 40.665 206.969 19.65% O.K

2H 298x201x9/14 Anchor-5 전단응력 MPa 37.360 121.500 30.75% O.K
CS11 : 굴 휨응력 MPa 38.566 206.969 18.63%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35.432 121.500 29.16% O.K
CS12 : 해 휨응력 MPa 41.311 206.969 19.96% O.K
체-1 전단응력 MPa 37.954 121.500 31.24% O.K

11.3 측면말뚝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휨응력 MPa 32.944 205.125 16.06% O.K
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1 : 굴착
전단응력 MPa 10.234 121.500 8.42% O.K
2m
합성응력 안전율 0.368 1.000 36.83% O.K
수평변위 mm 13.018 43.800 29.72% O.K
휨응력 MPa 23.839 205.125 11.62%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2 : 생성
전단응력 MPa 22.773 121.500 18.74% O.K
Anchor-1
CS2 : 생성
Anchor-1
합성응력 안전율 0.323 1.000 32.35% O.K
수평변위 mm 0.711 43.800 1.62% O.K
휨응력 MPa 22.632 205.125 11.03%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3 : 굴착
전단응력 MPa 25.515 121.500 21.00% O.K
4.6 m
합성응력 안전율 0.318 1.000 31.75% O.K
수평변위 mm 1.158 43.800 2.64% O.K
휨응력 MPa 19.066 205.125 9.30%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4 : 생성
전단응력 MPa 26.775 121.500 22.04% O.K
Anchor-2
합성응력 안전율 0.300 1.000 29.99% O.K
수평변위 mm 0.372 43.800 0.85% O.K
휨응력 MPa 22.268 205.125 10.86%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5 : 굴착
전단응력 MPa 28.737 121.500 23.65% O.K
7.2 m
합성응력 안전율 0.316 1.000 31.57% O.K
수평변위 mm 1.209 43.800 2.76% O.K
휨응력 MPa 27.804 205.125 13.55%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6 : 생성
전단응력 MPa 30.515 121.500 25.12% O.K
Anchor-3
합성응력 안전율 0.343 1.000 34.30% O.K
수평변위 mm 0.563 43.800 1.29% O.K
휨응력 MPa 33.198 205.125 16.18%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7 : 굴착
전단응력 MPa 30.182 121.500 24.84% O.K
9.8 m
합성응력 안전율 0.370 1.000 36.96% O.K
수평변위 mm 1.249 43.800 2.85% O.K
휨응력 MPa 26.405 205.125 12.87%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8 : 생성
전단응력 MPa 33.003 121.500 27.16% O.K
Anchor-4
합성응력 안전율 0.336 1.000 33.61% O.K
수평변위 mm 0.829 43.800 1.89% O.K
휨응력 MPa 33.319 205.125 16.24%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9 : 굴착
전단응력 MPa 33.665 121.500 27.71% O.K
12.4 m
합성응력 안전율 0.370 1.000 37.02% O.K
수평변위 mm 2.057 43.800 4.70% O.K
휨응력 MPa 35.011 205.125 17.07% O.K

CS10 : 생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성 전단응력 MPa 45.380 121.500 37.35% O.K
Anchor-5 합성응력 안전율 0.379 1.000 37.85% O.K
수평변위 mm 1.088 43.800 2.48% O.K
휨응력 MPa 40.930 205.125 19.95%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11 : 굴
전단응력 MPa 43.034 121.500 35.42% O.K
착 14.6 m
합성응력 안전율 0.408 1.000 40.77% O.K
수평변위 mm 1.060 43.800 2.42% O.K
휨응력 MPa 41.672 205.125 20.32%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12 : 해
체-1
CS12 : 해
전단응력 MPa 48.290 121.500 39.74% O.K
체-1
합성응력 안전율 0.411 1.000 41.14% O.K
수평변위 mm 1.701 43.800 3.88% O.K
휨응력 MPa 39.765 205.125 19.39%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13 : 해
전단응력 MPa 32.166 121.500 26.47% O.K
체-2
합성응력 안전율 0.402 1.000 40.20% O.K
수평변위 mm 3.268 43.800 7.46% O.K
휨응력 MPa 31.633 205.125 15.42%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14 : 해
전단응력 MPa 30.354 121.500 24.98% O.K
체-3
합성응력 안전율 0.362 1.000 36.19% O.K
수평변위 mm 3.044 43.800 6.95% O.K
휨응력 MPa 26.572 205.125 12.95%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15 : 해
전단응력 MPa 28.249 121.500 23.25% O.K
체-4
합성응력 안전율 0.337 1.000 33.69% O.K
수평변위 mm 3.025 43.800 6.91% O.K
휨응력 MPa 25.689 205.125 12.52%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16 : 해
전단응력 MPa 25.736 121.500 21.18% O.K
체-5
합성응력 안전율 0.333 1.000 33.26% O.K
수평변위 mm 3.033 43.800 6.93% O.K
휨응력 MPa 35.418 205.125 17.27%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17 : 해
전단응력 MPa 21.801 121.500 17.94% O.K
체-6
합성응력 안전율 0.381 1.000 38.05% O.K
수평변위 mm 13.107 43.800 29.93% O.K
휨응력 MPa 41.541 205.125 20.25% O.K
압축응력 MPa 44.491 216.000 20.60% O.K
CS18 : 해
전단응력 MPa 28.297 121.500 23.29% O.K
체-7
합성응력 안전율 0.411 1.000 41.07% O.K
수평변위 mm 1.432 43.800 3.27% O.K

11.4 흙막이벽체설계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휨응력 MPa 2.240 18.000 12.45% O.K
CS1 : 굴착
0.0~14.6 전단응력 MPa 0.109 1.600 6.79% O.K
2m
두께검토 mm 35.280 100.000 35.28% O.K
휨응력 MPa 5.086 18.000 28.26% O.K
CS2 : 생성
전단응력 MPa 0.247 1.600 15.41% O.K
Anchor-1
두께검토 mm 53.156 100.000 53.16% O.K
휨응력 MPa 3.389 18.000 18.83% O.K
CS3 : 굴착
전단응력 MPa 0.164 1.600 10.27% O.K
4.6 m
두께검토 mm 43.394 100.000 43.39% O.K
휨응력 MPa 6.930 18.000 38.50% O.K
CS4 : 생성
전단응력 MPa 0.336 1.600 21.00% O.K
Anchor-2
두께검토 mm 62.048 100.000 62.05% O.K
휨응력 MPa 4.650 18.000 25.83% O.K
CS5 : 굴착
전단응력 MPa 0.225 1.600 14.09% O.K
7.2 m
두께검토 mm 50.828 100.000 50.83% O.K
휨응력 MPa 7.684 18.000 42.69% O.K
CS6 : 생성
전단응력 MPa 0.373 1.600 23.29% O.K
Anchor-3
두께검토 mm 65.337 100.000 65.34% O.K
휨응력 MPa 7.204 18.000 40.02% O.K
CS7 : 굴착
전단응력 MPa 0.349 1.600 21.83% O.K
9.8 m
두께검토 mm 63.263 100.000 63.26% O.K
휨응력 MPa 8.797 18.000 48.87% O.K
CS8 : 생성
전단응력 MPa 0.427 1.600 26.66% O.K
Anchor-4
두께검토 mm 69.910 100.000 69.91% O.K
휨응력 MPa 7.136 18.000 39.65% O.K
CS9 : 굴착
전단응력 MPa 0.346 1.600 21.63% O.K
12.4 m
두께검토 mm 62.965 100.000 62.96% O.K

CS10 : 생 휨응력 MPa 11.635 18.000 64.64% O.K


성 전단응력 MPa 0.564 1.600 35.26% O.K
Anchor-5 두께검토 mm 80.399 100.000 80.40% O.K
휨응력 MPa 7.373 18.000 40.96% O.K
CS11 : 굴
전단응력 MPa 0.357 1.600 22.34% O.K
착 14.6 m
두께검토 mm 64.003 100.000 64.00% O.K
휨응력 MPa 7.968 18.000 44.27% O.K
CS12 : 해
전단응력 MPa 0.386 1.600 24.15% O.K
체-1
두께검토 mm 66.533 100.000 66.53% O.K
휨응력 MPa 7.180 18.000 39.89% O.K
CS13 : 해
전단응력 MPa 0.348 1.600 21.76% O.K
체-2
두께검토 mm 63.158 100.000 63.16% O.K
휨응력 MPa 7.213 18.000 40.07% O.K
CS14 : 해
전단응력 MPa 0.350 1.600 21.86% O.K
체-3
두께검토 mm 63.303 100.000 63.30% O.K
휨응력 MPa 5.244 18.000 29.14% O.K
CS15 : 해
전단응력 MPa 0.254 1.600 15.89% O.K
체-4
두께검토 mm 53.977 100.000 53.98% O.K
휨응력 MPa 5.244 18.000 29.13% O.K
CS16 : 해
전단응력 MPa 0.254 1.600 15.89% O.K
체-5
두께검토 mm 53.977 100.000 53.98% O.K
휨응력 MPa 5.244 18.000 29.13% O.K
CS17 : 해
전단응력 MPa 0.254 1.600 15.89% O.K
체-6
두께검토 mm 53.976 100.000 53.98% O.K
휨응력 MPa 9.618 18.000 53.43% O.K
CS18 : 해
전단응력 MPa 0.466 1.600 29.14% O.K
체-7
두께검토 mm 73.097 100.000 73.10% O.K
D-D 단면
목 차
1.표준단면
2.설계요약
3.설계조건
3.1 가시설 구조물 공법 및 사용강재
3.2 재료의 허용응력
3.3 적용 프로그램
4.지보재 설계
4.1 Strut 설계 (strut-1)
4.2 Strut 설계 (strut-2)
4.3 Strut 설계 (strut-3)
4.4 Strut 설계 (strut-4)
4.5 Strut 설계 (strut-5)
5.사보강 Strut 설계
5.1 strut-1
5.2 strut-2
5.3 strut-3
5.4 strut-4
5.5 strut-5
6.띠장 설계
6.1 strut-1 띠장 설계
6.2 strut-2 띠장 설계
6.3 strut-3 띠장 설계
6.4 strut-4 띠장 설계
6.5 strut-5 띠장 설계
7.측면말뚝 설계
7.1 흙막이벽(우)
8.중간말뚝 설계
9. 흙막이 벽체 설계
9.1 흙막이벽(우) 설계 (0.00m ~ 14.60m)
10.전산 입력 정보
11.해석결과
12. 단계별 변위
13. 단계별 부재력
14. 단계별 부재력(검토항목별)
1.표준단면

1.1 표준단면도

1.2 지층조건
지반탄성계 수평지반 반력
번 깊이 γt γsat C φ
이름 N값 수 계수
호 (m) (kN/m³) (kN/m³) (kN/m²) ([deg])
(kN/m²) (kN/m³)
1 풍화토 2.00 19.00 20.00 20.00 31.00 44 - 32100.00
2 풍화암 20.00 20.00 21.00 31.00 33.00 50 - 45000.00
3 되메우기 - 20.00 21.00 0.00 22.00 4 15000.00 15000.00

1.3 사용부재
가. 흙막이벽
번 하단깊이 수평간격
이름 형상 단면 재질
호 (m) (m)

1 흙막이벽(우) H-Pile H 300x300x10/15 SS275 17.6 1.6

나. 지보재
번 설치깊이 수평간격 대칭점 길이
이름 단면 재질 초기작용력 개수
호 (m) (m) (m)

1 strut-1 H 300x300x10/15 SS275 1.5 2.5 6 0 2


2 strut-2 H 300x300x10/15 SS275 4.1 2.5 6 0 2
3 strut-3 H 300x300x10/15 SS275 6.7 2.5 6 0 2
4 strut-4 H 300x300x10/15 SS275 9.3 2.5 6 0 2
5 strut-5 H 300x300x10/15 SS275 11.9 2.5 6 0 2

다. 벽체와 슬래브

설치위치 상단깊이 하단깊이


번 두께
이름 (설치깊이) (시작위치) (끝위치) 재질 뒤채움
호 (m)
(m) (m) (m)

1 슬래브-1 0 0 9.15 C27 0.3 -


2 슬래브-2 5 0 9.15 C27 0.3 -
3 슬래브-3 10 0 9.15 C27 0.3 -
4 MAT 14.6 0 9.15 C27 1.2 -
5 WALL 9 0 14.6 C27 0.3 뒤채움

라. 상재하중

이름 작용유형 작용위치 작용형식 작용하중 (kN)

1 차량하중 과재하중 배면(우측) 상시하중 w = 13

1.4 시공단계
단계별 해석방법 : 탄소성법
토압종류 : Rankine (벽 마찰각은 내부마찰각의 30 %)
지하수위 : 고려
지하수 단위중량 = 10 kN/m³, 초기 지하수위 = 12.5 m, 수위차 = 2 m
지보재 벽체 & 슬래브 임의하중
단 굴착깊이
설치깊이 토압변경 수압변경 토층변경
계 (m) 생성 해체 작용 해체
(m)
1 2.00 - - - - - - X X
2 - strut-1 - - - - X X
3 4.60 - - - - - - X X
4 - strut-2 - - - - X X
5 7.20 - - - - - - X X
6 - strut-3 - - - - X X
7 9.80 - - - - - - X X
8 - strut-4 - - - - X X
9 12.40 - - - - - - X X
10 - strut-5 - - - - X X
11 14.60 - - - - - 경험토압 X X
12 14.60 - - 13.6 - - - X X
13 14.60 strut-5 12.4 - - - X X
14 14.60 strut-4 9.8 - - - X X
15 14.60 strut-3 7.2 - - - X X
16 14.60 strut-2 4.6 - - - X X
17 14.60 strut-1 2 - - - X X
18 14.60 - - 0 - - - X X

*11단계에서 경험토압의 종류는 Peck 토압을 적용함.


Peck 토압 적용시 토질정수는 평균치, 토압계수 고려, 토압높이는 직접지정를 사용함.
토압분포는 H = 1m, a = 0.65, a1 = 0, a2 = 0 로 적용됨.

1.5 지하수위 조건
지하수 단위중량 = 10 kN/m³, 초기 지하수위 = 12.5 m, 수위차 = 2 m
번 굴착깊이 수압변경 (깊이(h), 수압(p))
수압종류 굴착수위 배면수위
호 (m) (kN, m)

1 2.00 정수압 12.5 12.5 -


2 - 정수압 12.5 12.5 -
3 4.60 정수압 12.5 12.5 -
4 - 정수압 12.5 12.5 -
5 7.20 정수압 12.5 12.5 -
6 - 정수압 12.5 12.5 -
7 9.80 정수압 12.5 12.5 -
8 - 정수압 12.5 12.5 -
9 12.40 정수압 12.5 12.5 -
10 - 정수압 12.5 12.5 -
11 14.60 정수압 14.6 12.6 -
12 14.60 정수압 14.6 12.6 -
13 14.60 정수압 14.6 12.6 -
14 14.60 정수압 14.6 12.6 -
15 14.60 정수압 14.6 12.6 -
16 14.60 정수압 14.6 12.6 -
17 14.60 정수압 14.6 12.6 -
18 14.60 정수압 14.6 12.6 -
2.설계요약
2.2 사보강 Strut
위치 단면검토
부재 구분 단위 판정
(m)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strut-1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6.997 135.144 5.18% O.K
1.50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9 1.000 9.93% O.K
볼트수량 개 0.770 8 9.63% O.K
strut-2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7.505 135.144 5.55% O.K
4.10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3 1.000 10.31% O.K
볼트수량 개 0.840 8 10.50% O.K
strut-3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8.278 135.144 6.13% O.K
6.70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9 1.000 10.89% O.K
볼트수량 개 0.911 8 11.39% O.K
strut-4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20.209 135.144 14.95% O.K
9.30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98 1.000 19.79% O.K
볼트수량 개 2.224 8 27.80% O.K
strut-5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19.170 135.144 14.19% O.K
11.90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90 1.000 19.02% O.K
볼트수량 개 2.110 8 26.37% O.K

2.3 띠장
위치 단면검토
부재 구분 단위 판정
(m)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strut-1 휨응력 MPa 5.631 205.995 2.73% O.K
H 300x300x10/15 1.50 전단응력 MPa 6.808 121.500 5.60% O.K
스티프너 웹보강 안함
strut-2 휨응력 MPa 6.945 205.995 3.37% O.K
H 300x300x10/15 4.10 전단응력 MPa 8.396 121.500 6.91% O.K
스티프너 웹보강 안함
strut-3 휨응력 MPa 9.257 205.995 4.49% O.K
H 300x300x10/15 6.70 전단응력 MPa 11.191 121.500 9.21% O.K
스티프너 웹보강 안함
strut-4 휨응력 MPa 43.037 205.995 20.89% O.K
H 300x300x10/15 9.30 전단응력 MPa 52.027 121.500 42.82% O.K
스티프너 웹보강 안함
strut-5 휨응력 MPa 40.095 205.995 19.46% O.K
H 300x300x10/15 11.90 전단응력 MPa 48.470 121.500 39.89% O.K
스티프너 웹보강 안함
2.4 측면말뚝
단면검토
부재 위치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휨응력 MPa 64.585 205.125 31.49% O.K
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1% O.K
전단응력 MPa 39.892 121.500 32.83% O.K
-
합성응력 안전율 0.341 1.000 34.13% O.K
수평변위 mm 8.359 43.800 19.09% O.K
지지력 kN 67.400 1426.868 4.72% O.K

2.5 중간말뚝
단면검토
부재 위치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중간말뚝 압축응력 MPa 9.629 166.585 5.78% O.K
-
H 298x201x9/14 지지력 kN 80.270 1075.299 7.47% O.K

2.6 흙막이벽체설계
구간 단면검토
부재 구분 단위 판정
(m)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0.00 ~ 휨응력 MPa 8.521 18.000 47.34% O.K
14.60 전단응력 MPa 0.413 1.600 25.82% O.K
두께검토 mm 68.801 100.000 68.80% O.K

2.7 흙막이벽체 수평변위


수평변위
부재 위치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0.0~17.6 최대변위 mm 8.359 43.800 19.09% O.K
전체 구간 0.0~17.6 최대변위 mm 8.359 43.800 19.09% O.K
* 최대 굴착깊이 14.6 m, 허용수평변위 0.003 H

2.8 굴착저면의 안전성


단면검토
부재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최종굴착단계 안전율 10.927 1.200 910.56% O.K
근입장
최종굴착전단계 안전율 9.022 1.200 751.87% O.K
-
보일링 안전율 3.300 2.000 165.00% O.K
히빙 안전율 - - - -
3.설계조건

3.1 가시설 구조물 공법 및 사용강재

가. 굴착공법
H Pile로 구성된 가시설 구조물을 Strut (H형강)로 지지하면서 굴착함.

나. 흙막이벽(측벽)
H Pile
엄지말뚝간격 : 1.60m

다. 지보재
Strut - H 300x300x10/15 수평간격 : 2.50 m
H 300x300x10/15 수평간격 : 2.50 m
H 300x300x10/15 수평간격 : 2.50 m
H 300x300x10/15 수평간격 : 2.50 m
H 300x300x10/15 수평간격 : 2.50 m

라. 사용강재
구 분 규 격 간 격 (m) 비 고
H-PILE (측벽) H 300x300x10/15(SS275) 1.60m
중간말뚝 H 298x201x9/14(SS275) 5.00m
버팀보 (Strut) H 300x300x10/15(SS275) 2.50m
사보강 버팀보 H 300x300x10/15(SS275) 2.50m
띠장 H 300x300x10/15(SS275) -

3.2 재료의 허용응력

가. 허용응력 할증 계수(보정계수)
1) 가설구조물의 경우 1.50 (철도하중 지지 시 1.3)
2) 영구구조물로 사용되는 경우
① 시공도중 1.25
② 완료 후 1.00
3) 공사기간이 2년 미만인 경우에는 가설구조물로 2년 이상인 경우에는 영구구조물로 간주하여 설계한다.
4) 중고 강재 사용 시 0.90 (신강재의 0.9 이하,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보정계수)

나. 철근 및 콘크리트
1)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① 허용휨응력 fck = 0.40 x fck
② 허용전단응력 Va = 0.08 x fck
2) 철근의 허용(압축 및 인장) 응력
① 허용휨인장응력 fsa = 0.40 x fy
② 허용압축응력 fsa = 0.50 x fy

다. 강재의 허용응력
[강재의 허용응력(가설 구조물 기준)] (MPa)
SS275, SM275,
종 류 SM355, SHP355W 비고
SHP275(W)
축방향 인장 160x1.5=240
240 315
(순단면) 210x1.5=315

0 < ℓ/r ≤ 20 0 < ℓ/r ≤ 16


240 315
20 < ℓ/r ≤ 90 16 < ℓ/r ≤ 80 ℓ(mm) :
축방향 압축 유효좌굴장
240 - 1.5(ℓ/r -20) 315 - 2.2(ℓ/r -16)
(총단면) r(mm):
90 < ℓ/r 80 < ℓ/r 단면회전 반지름
1,875,000 1,900,000
6,000+(ℓ/r)2 4,500+(ℓ/r)2
인장연
(순 240 315
휨 단면)
압 ℓ/b ≤ 4.5 ℓ/b ≤ 4.0
축 압축연
응 240 315 ℓ : 플랜지의 고정점간 거리
(총
력 4.5 < ℓ/b ≤ 30 4.0 < ℓ/b ≤ 27 b : 압축플랜지의 폭
단면)
240 - 2.9(ℓ/b-4.5) 315 - 4.3(ℓ/b-4.0)
전단응력
135 180
(총단면)
지압응력 360 465 강관과 강판
용접 공 장 모재의 100% 모재의 100%
강도 현 장 모재의 90% 모재의 90%
*가설구조물의 보정계수(1.5)를 곱한 값임.
라. 강널말뚝
[강널말뚝 허용응력(가설 구조물 기준)] (MPa)
종 류 SY300, SY300W SY400, SY400W 비 고
휨 인장응력 270 360

력 압축응력 270 360 ※Type-W는 용접용
전단응력 150 203
*가설구조물의 보정계수(1.5)를 곱한 값임.

마. 볼트
[볼트 허용응력] (MPa)
볼트종류 응력의 종류 허용응력 비 고
전 단 150 SS275 기준
보통볼트
지 압 330
전 단 225 F8T 기준
고장력 볼트
지 압 405 SS275 기준
*가설구조물의 보정계수(1.5)를 곱한 값임.

3.3 안전성 검토

가. 가설흙막이의 안전율
[가설흙막이의 안전율 (KDS 21 30 00 : 2020 가설흙막이 설계기준)]
안전율
조 건 비 고
기준치 적용치
지반의 지지력 2.0 2.0 극한지지력에 대하여
활 동 1.5 - 활동력(슬라이딩)에 대하여
전 도 2.0 - 저항모멘트와 전도모멘트의 비
사면안정 1.1 - 1년 미만 단기안정성
근입깊이 1.2 1.2 수동 및 주동토압에 의한 모멘트 비
가설(단기) 1.5 사질토 대상
굴착저부 보일링 2.0
단기는 굴착시점을 기준으로 2년 미만임
영구(장기) 2.0
안정
히빙 1.5 1.5 점성토
사용기간 2년미만 1.5
지반앵커 1.5 인발저항에 대한 안전율
사용기간 2년이상 2.5

나.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최대수평변위는 최종 굴착깊이, 지층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며, 이를 초과할 때는 주변시설물에 대한
별도의 안정성 검토가 필요하다. 최대변위량은 흙막이벽의 강성 및 굴착심도(H)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며, 일반적으로 최대 허용변위량은 아래와 같이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측관리 기준 (KCS 11 10 15 : 2018 시공중 지반계측)]
구 분 최대 허용변위량 비 고
강성 흙막이벽 0.0020 H t ≥ 60 cm인 콘크리트 연속벽
보통 흙막이벽 0.0025 H t ≒ 40 cm정도인 콘크리트 연속벽
연성 흙막이벽 0.0030 H H-Pile과 흙막이판 설치하는 흙막이벽
적용값 0.0030 H = 43.8 mm (굴착깊이 = 14.6 m)

3.4 적용 프로그램

가. midas GeoX V 5.1.0


나. 탄소성법
다. Rankine 토압
5.사보강 Strut 설계
5.1 strut-1
가. 설계제원
(1) 설계지간 : 6.0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000

300
4
Ix (mm ) 204000000.000
10
Zx (mm3) 1360000.000
Rx (mm) 131.0
Ry (mm) 75.1
300

(3) 버팀보 개수 : 2 단
(4)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2.500 m
(5) 각도 (θ) : 45 도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축력 , Rmax = 13.479 kN/m ---> strut-1 (CS11 : 굴착 14.6 m)
= 13.479 x 2.5 = 33.698 kN
= ( Rmax x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 지보재 수평간격 / 단수
= ( 33.698 x 2.500 )/ 2.500 / 2 단
= 16.849 kN
(2) 온도차에 의한 축력 , T = 120.0 kN / 2 단 `
= 60.0 kN
(3) 설계축력 , Pmax = Rmax / cos θ˚ + T
= 16.8 / cos 45 ˚ + 60.0
= 83.8 kN
Mmax 2
(4) 설계휨모멘트 , = W x L / 8 / 2 단
= 5.0 x 6.0 x 6.0 / 8 / 2 단
= 11.250 kN·m
(5) 설계전단력 , Smax = W x L / 2 / 2 단
= 5.0 x 6.0 / 2 / 2 단
= 7.500 kN
(여기서, W : Strut와 간격재등의 자중 및 작업하중으로 5 kN/m 로 가정)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1.250 x 1000000 / 1360000.0 = 8.272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83.828 x 1000 / 11980 = 6.997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7.500 x 1000 / 2700 = 2.778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x / Rx = 6000 / 131
45.802 ---> 20 < Lx/Rx ≤ 90 이므로
fcax = 1.50 x 0.9 x ( 160 - 1 x ( 45.802 - 20 ) )
= 181.168 MPa

Ly / Ry = 6000 / 75.1
79.893 ---> 20 < Ly/Ry ≤ 90 이므로
fcay = 1.50 x 0.9 x ( 160 - 1 x ( 79.893 - 20 ) )
= 135.144 MPa

∴ fca = Min.( fcax , fcay ) = 135.144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6000 / 300
= 2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20.000 - 4.5 ) )
= 175.54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45.802 )2


= 772.245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135.144 MPa > fc = 6.997 MPa ---> O.K
▶ 휨응력 , fba = 175.545 MPa > fb = 8.272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778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6.997 8.272
= +
135.144 175.545 x ( 1 - ( 6.997 / 772.245 ))

= 0.099 < 1.0 ---> O.K

바. 볼트갯수 산정 띠장

▶ 작용전단력 : Smax = Pmax x sin θ˚

θ
띠장

= 83.828 x sin 45 ˚
= 59.3 kN τ

사보강 Strut

N
τ = N*sinθ
▶ 사용볼트 : F8T , M 22
▶ 허용전단응력 : τ a = 1.50 x 0.9 x 150 = 202.5 MPa
▶ 필요 볼트갯수 : nreq = Smax / ( τ a x π x d 2
/ 4 )
= 59276 / ( 202.5 x π x 22.0 x 22.0 / 4 )
= 0.77 ea
▶ 사용 볼트갯수 : nused = 8 ea > nreq = 0.77 ea ---> O.K

5.2 strut-2
가. 설계제원
(1) 설계지간 : 6.0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000
300

4
Ix (mm ) 204000000.000
3
10
Zx (mm ) 1360000.000
Rx (mm) 131.0
Ry (mm) 75.1
300

(3) 버팀보 개수 : 2 단
(4)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2.500 m
(5) 각도 (θ) : 46 도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축력 , Rmax = 16.624 kN/m ---> strut-2 (CS5 : 굴착 7.2 m)
= 16.624 x 2.5 = 41.561 kN
= ( Rmax x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 지보재 수평간격 / 단수
= ( 41.561 x 2.500 )/ 2.500 / 2 단
= 20.780 kN
(2) 온도차에 의한 축력 , T = 120.0 kN / 2 단 `
= 60.0 kN
(3) 설계축력 , Pmax = Rmax / cos θ˚ + T
= 20.8 / cos 46 ˚ + 60.0
= 89.9 kN
Mmax 2
(4) 설계휨모멘트 , = W x L / 8 / 2 단
= 5.0 x 6.0 x 6.0 / 8 / 2 단
= 11.250 kN·m
(5) 설계전단력 , Smax = W x L / 2 / 2 단
= 5.0 x 6.0 / 2 / 2 단
= 7.500 kN
(여기서, W : Strut와 간격재등의 자중 및 작업하중으로 5 kN/m 로 가정)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1.250 x 1000000 / 1360000.0 = 8.272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89.915 x 1000 / 11980 = 7.505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7.500 x 1000 / 2700 = 2.778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x / Rx = 6000 / 131
45.802 ---> 20 < Lx/Rx ≤ 90 이므로
fcax = 1.50 x 0.9 x ( 160 - 1 x ( 45.802 - 20 ) )
= 181.168 MPa

Ly / Ry = 6000 / 75.1
79.893 ---> 20 < Ly/Ry ≤ 90 이므로
fcay = 1.50 x 0.9 x ( 160 - 1 x ( 79.893 - 20 ) )
= 135.144 MPa

∴ fca = Min.( fcax , fcay ) = 135.144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6000 / 300
= 2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20.000 - 4.5 ) )
= 175.54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45.802 )2


= 772.245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135.144 MPa > fc = 7.505 MPa ---> O.K
▶ 휨응력 , fba = 175.545 MPa > fb = 8.272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778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7.505 8.272
= +
135.144 175.545 x ( 1 - ( 7.505 / 772.245 ))

= 0.103 < 1.0 ---> O.K

바. 볼트갯수 산정 띠장

▶ 작용전단력 : Smax = Pmax x sin θ˚


= 89.915 x sin 46 ˚
= 64.7 kN τ

사보강 Strut

N
τ = N*sinθ
▶ 사용볼트 : F8T , M 22
▶ 허용전단응력 : τ a = 1.50 x 0.9 x 150 = 202.5 MPa
▶ 필요 볼트갯수 : nreq = Smax / ( τ a x π x d2 / 4 )
= 64679 / ( 202.5 x π x 22.0 x 22.0 / 4 )
= 0.84 ea
▶ 사용 볼트갯수 : nused = 8 ea > nreq = 0.84 ea ---> O.K

5.3 strut-3
가. 설계제원
(1) 설계지간 : 6.0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000
300

4
Ix (mm ) 204000000.000
3
10
Zx (mm ) 1360000.000
Rx (mm) 131.0
Ry (mm) 75.1
300
(3) 버팀보 개수 : 2 단
(4)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2.500 m
(5) 각도 (θ) : 45 도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축력 , Rmax = 22.158 kN/m ---> strut-3 (CS7 : 굴착 9.8 m)
= 22.158 x 2.5 = 55.395 kN
= ( Rmax x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 지보재 수평간격 / 단수
= ( 55.395 x 2.500 )/ 2.500 / 2 단
= 27.698 kN
(2) 온도차에 의한 축력 , T = 120.0 kN / 2 단 `
= 60.0 kN
(3) 설계축력 , Pmax = Rmax / cos θ˚ + T
= 27.7 / cos 45 ˚ + 60.0
= 99.2 kN
Mmax 2
(4) 설계휨모멘트 , = W x L / 8 / 2 단
= 5.0 x 6.0 x 6.0 / 8 / 2 단
= 11.250 kN·m
(5) 설계전단력 , Smax = W x L / 2 / 2 단
= 5.0 x 6.0 / 2 / 2 단
= 7.500 kN
(여기서, W : Strut와 간격재등의 자중 및 작업하중으로 5 kN/m 로 가정)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1.250 x 1000000 / 1360000.0 = 8.272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99.170 x 1000 / 11980 = 8.278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7.500 x 1000 / 2700 = 2.778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x / Rx = 6000 / 131
45.802 ---> 20 < Lx/Rx ≤ 90 이므로
fcax = 1.50 x 0.9 x ( 160 - 1 x ( 45.802 - 20 ) )
= 181.168 MPa

Ly / Ry = 6000 / 75.1
79.893 ---> 20 < Ly/Ry ≤ 90 이므로
fcay = 1.50 x 0.9 x ( 160 - 1 x ( 79.893 - 20 ) )
= 135.144 MPa

∴ fca = Min.( fcax , fcay ) = 135.144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6000 / 300
= 2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20.000 - 4.5 ) )
= 175.54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45.802 )2


= 772.245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135.144 MPa > fc = 8.278 MPa ---> O.K
▶ 휨응력 , fba = 175.545 MPa > fb = 8.272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778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8.278 8.272
= +
135.144 175.545 x ( 1 - ( 8.278 / 772.245 ))

= 0.109 < 1.0 ---> O.K

바. 볼트갯수 산정 띠장

▶ 작용전단력 : Smax = Pmax x sin θ˚


= 99.170 x sin 45 ˚
= 70.1 kN τ

사보강 Strut
N

τ = N*sinθ
▶ 사용볼트 : F8T , M 22
▶ 허용전단응력 : τ a = 1.50 x 0.9 x 150 = 202.5 MPa
▶ 필요 볼트갯수 : nreq = Smax / ( τ a x π x d 2
/ 4 )
= 70124 / ( 202.5 x π x 22.0 x 22.0 / 4 )
= 0.91 ea
▶ 사용 볼트갯수 : nused = 8 ea > nreq = 0.91 ea ---> O.K
5.4 strut-4
가. 설계제원
(1) 설계지간 : 6.0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000

300
4
Ix (mm ) 204000000.000
3
10
Zx (mm ) 1360000.000
Rx (mm) 131.0
Ry (mm) 75.1
300

(3) 버팀보 개수 : 2 단
(4)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2.500 m
(5) 각도 (θ) : 45 도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축력 , Rmax = 103.013 kN/m ---> strut-4 (CS13 : 해체-2)
= 103.013 x 2.5 = 257.532 kN
= ( Rmax x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 지보재 수평간격 / 단수
= ( 257.532 x 2.500 )/ 2.500 / 2 단
= 128.766 kN
(2) 온도차에 의한 축력 , T = 120.0 kN / 2 단 `
= 60.0 kN
(3) 설계축력 , Pmax = Rmax / cos θ˚ + T
= 128.8 / cos 45 ˚ + 60.0
= 242.1 kN
Mmax 2
(4) 설계휨모멘트 , = W x L / 8 / 2 단
= 5.0 x 6.0 x 6.0 / 8 / 2 단
= 11.250 kN·m
(5) 설계전단력 , Smax = W x L / 2 / 2 단
= 5.0 x 6.0 / 2 / 2 단
= 7.500 kN
(여기서, W : Strut와 간격재등의 자중 및 작업하중으로 5 kN/m 로 가정)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1.250 x 1000000 / 1360000.0 = 8.272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242.103 x 1000 / 11980 = 20.209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7.500 x 1000 / 2700 = 2.778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x / Rx = 6000 / 131
45.802 ---> 20 < Lx/Rx ≤ 90 이므로
fcax = 1.50 x 0.9 x ( 160 - 1 x ( 45.802 - 20 ) )
= 181.168 MPa

Ly / Ry = 6000 / 75.1
79.893 ---> 20 < Ly/Ry ≤ 90 이므로
fcay = 1.50 x 0.9 x ( 160 - 1 x ( 79.893 - 20 ) )
= 135.144 MPa

∴ fca = Min.( fcax , fcay ) = 135.144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6000 / 300
= 2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20.000 - 4.5 ) )
= 175.54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45.802 )2


= 772.245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135.144 MPa > fc = 20.209 MPa ---> O.K
▶ 휨응력 , fba = 175.545 MPa > fb = 8.272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778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20.209 8.272
= +
135.144 175.545 x ( 1 - ( 20.209 / 772.245 ))

= 0.198 < 1.0 ---> O.K

띠장

τ
바. 볼트갯수 산정 띠장

▶ 작용전단력 : Smax = Pmax x sin θ˚


= 242.103 x sin 45 ˚
= 171.2 kN τ

사보강 Strut

N
τ = N*sinθ
▶ 사용볼트 : F8T , M 22
▶ 허용전단응력 : τ a = 1.50 x 0.9 x 150 = 202.5 MPa
▶ 필요 볼트갯수 : nreq = Smax / ( τ a x π x d 2
/ 4 )
= 171193 / ( 202.5 x π x 22.0 x 22.0 / 4 )
= 2.22 ea
▶ 사용 볼트갯수 : nused = 8 ea > nreq = 2.22 ea ---> O.K

5.5 strut-5
가. 설계제원
(1) 설계지간 : 6.0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000
300

Ix (mm4) 204000000.000
10
Zx (mm3) 1360000.000
Rx (mm) 131.0
Ry (mm) 75.1
300

(3) 버팀보 개수 : 2 단
(4)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2.500 m
(5) 각도 (θ) : 45 도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축력 , Rmax = 95.971 kN/m ---> strut-5 (CS12 : 해체-1)
= 95.971 x 2.5 = 239.928 kN
= ( Rmax x 사보강 Strut 수평간격 ) / 지보재 수평간격 / 단수
= ( 239.928 x 2.500 )/ 2.500 / 2 단
= 119.964 kN
(2) 온도차에 의한 축력 , T = 120.0 kN / 2 단 `
= 60.0 kN
(3) 설계축력 , Pmax = Rmax / cos θ˚ + T
= 120.0 / cos 45 ˚ + 60.0
= 229.7 kN
Mmax 2
(4) 설계휨모멘트 , = W x L / 8 / 2 단
= 5.0 x 6.0 x 6.0 / 8 / 2 단
= 11.250 kN·m
(5) 설계전단력 , Smax = W x L / 2 / 2 단
= 5.0 x 6.0 / 2 / 2 단
= 7.500 kN
(여기서, W : Strut와 간격재등의 자중 및 작업하중으로 5 kN/m 로 가정)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1.250 x 1000000 / 1360000.0 = 8.272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229.655 x 1000 / 11980 = 19.170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7.500 x 1000 / 2700 = 2.778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x / Rx = 6000 / 131
45.802 ---> 20 < Lx/Rx ≤ 90 이므로
fcax = 1.50 x 0.9 x ( 160 - 1 x ( 45.802 - 20 ) )
= 181.168 MPa

Ly / Ry = 6000 / 75.1
79.893 ---> 20 < Ly/Ry ≤ 90 이므로
fcay = 1.50 x 0.9 x ( 160 - 1 x ( 79.893 - 20 ) )
= 135.144 MPa

∴ fca = Min.( fcax , fcay ) = 135.144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6000 / 300
= 20.000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20.000 - 4.5 ) )
= 175.54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45.802 )2


= 772.245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135.144 MPa > fc = 19.170 MPa ---> O.K
▶ 휨응력 , fba = 175.545 MPa > fb = 8.272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2.778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19.170 8.272
= +
135.144 175.545 x ( 1 - ( 19.170 / 772.245 ))

= 0.190 < 1.0 ---> O.K

바. 볼트갯수 산정 띠장

▶ 작용전단력 : Smax = Pmax x sin θ˚


= 229.655 x sin 45 ˚
= 162.4 kN τ

사보강 Strut

N
τ = N*sinθ
▶ 사용볼트 : F8T , M 22
▶ 허용전단응력 : τ a = 1.50 x 0.9 x 150 = 202.5 MPa
▶ 필요 볼트갯수 : nreq = Smax / ( τ a x π x d 2
/ 4 )
= 162390 / ( 202.5 x π x 22.0 x 22.0 / 4 )
= 2.11 ea
▶ 사용 볼트갯수 : nused = 8 ea > nreq = 2.11 ea ---> O.K
6.띠장 설계
6.1 strut-1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
A (mm2) 11980.0

300
4
Ix (mm ) 204000000.0
3
10
Zx (mm ) 1360000.0
Aw (mm2) 2700.0
Rx (mm) 131.0
300

(2) 띠장 계산지간 : 2.5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연속보 설계

2.500 2.500 2.500

Rmax = 13.479 kN/m ---> strut-1 (CS11 : 굴착 14.6 m)

P = 13.479 × 2.50 m / 1 ea = 33.698 kN

Rmax = 11 × Wmax × L / 10

∴ Wmax = 10 × Rmax / ( 11 × L )
= 10 × 33.698 / ( 11 × 2.500 )
= 12.254 kN/m

Mmax = Wmax × L2 / 10
2
= 12.254 × 2.500 / 10
= 7.659 kN·m

Smax = 6 × Wmax × L / 10
= 6 × 12.254 × 2.500 / 10
= 18.381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7.659 x 1000000 / 1360000.0 = 5.631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18.381 x 1000 / 2700 = 6.808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2500 / 300


= 8.333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8.333 - 4.5 ) )
= 205.995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5.995 MPa > fb = 5.631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6.808 MPa ---> O.K

6.2 strut-2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
A (mm2) 11980.0 300
Ix (mm4) 204000000.0
10
Zx (mm3) 1360000.0
Aw (mm2) 2700.0
Rx (mm) 131.0
300

(2) 띠장 계산지간 : 2.5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연속보 설계

2.500 2.500 2.500

Rmax = 16.624 kN/m ---> strut-2 (CS5 : 굴착 7.2 m)

P = 16.624 × 2.50 m / 1 ea = 41.561 kN

Rmax = 11 × Wmax × L / 10

∴ Wmax = 10 × Rmax / ( 11 × L )
= 10 × 41.561 / ( 11 × 2.500 )
= 15.113 kN/m

Mmax = Wmax × L2 / 10
2
= 15.113 × 2.500 / 10
= 9.446 kN·m
Smax = 6 × Wmax × L / 10
= 6 × 15.113 × 2.500 / 10
= 22.669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9.446 x 1000000 / 1360000.0 = 6.945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22.669 x 1000 / 2700 = 8.396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2500 / 300


= 8.333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8.333 - 4.5 ) )
= 205.995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5.995 MPa > fb = 6.945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8.396 MPa ---> O.K

6.3 strut-3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
A (mm2) 11980.0
300

4
Ix (mm ) 204000000.0
10
Zx (mm3) 1360000.0
Aw (mm2) 2700.0
Rx (mm) 131.0
300

(2) 띠장 계산지간 : 2.5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연속보 설계

2.500 2.500 2.500


Rmax = 22.158 kN/m ---> strut-3 (CS7 : 굴착 9.8 m)

P = 22.158 × 2.50 m / 1 ea = 55.395 kN

Rmax = 11 × Wmax × L / 10

∴ Wmax = 10 × Rmax / ( 11 × L )
= 10 × 55.395 / ( 11 × 2.500 )
= 20.144 kN/m

Mmax = Wmax × L2 / 10
2
= 20.144 × 2.500 / 10
= 12.590 kN·m

Smax = 6 × Wmax × L / 10
= 6 × 20.144 × 2.500 / 10
= 30.215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12.590 x 1000000 / 1360000.0 = 9.257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30.215 x 1000 / 2700 = 11.191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2500 / 300


= 8.333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8.333 - 4.5 ) )
= 205.995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5.995 MPa > fb = 9.257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11.191 MPa ---> O.K

6.4 strut-4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
A (mm2) 11980.0
300

4
Ix (mm ) 204000000.0
3
10
Zx (mm ) 1360000.0
Aw (mm2) 2700.0

300
300
10

Rx (mm) 131.0
300

(2) 띠장 계산지간 : 2.5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연속보 설계

2.500 2.500 2.500

Rmax = 103.013 kN/m ---> strut-4 (CS13 : 해체-2)

P = 103.013 × 2.50 m / 1 ea = 257.532 kN

Rmax = 11 × Wmax × L / 10

∴ Wmax = 10 × Rmax / ( 11 × L )
= 10 × 257.532 / ( 11 × 2.500 )
= 93.648 kN/m

Mmax = Wmax × L2 / 10
2
= 93.648 × 2.500 / 10
= 58.530 kN·m

Smax = 6 × Wmax × L / 10
= 6 × 93.648 × 2.500 / 10
= 140.472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58.530 x 1000000 / 1360000.0 = 43.037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140.472 x 1000 / 2700 = 52.027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2500 / 300


= 8.333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8.333 - 4.5 ) )
= 205.995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5.995 MPa > fb = 43.037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52.027 MPa ---> O.K

6.5 strut-5 띠장 설계
가. 설계제원
(1)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
A (mm2) 11980.0

300
4
Ix (mm ) 204000000.0
3
10
Zx (mm ) 1360000.0
Aw (mm2) 2700.0
Rx (mm) 131.0
300

(2) 띠장 계산지간 : 2.500 m

나. 단면력 산정
(1) 최대 축력 적용 : 연속보 설계

2.500 2.500 2.500

Rmax = 95.971 kN/m ---> strut-5 (CS12 : 해체-1)

P = 95.971 × 2.50 m / 1 ea = 239.928 kN

Rmax = 11 × Wmax × L / 10

∴ Wmax = 10 × Rmax / ( 11 × L )
= 10 × 239.928 / ( 11 × 2.500 )
= 87.246 kN/m

Mmax = Wmax × L2 / 10
2
= 87.246 × 2.500 / 10
= 54.529 kN·m

Smax = 6 × Wmax × L / 10
= 6 × 87.246 × 2.500 / 10
= 130.870 kN

다. 작용응력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54.529 x 1000000 / 1360000.0 = 40.095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130.870 x 1000 / 2700 = 48.470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L/B = 2500 / 300


= 8.333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8.333 - 4.5 ) )
= 205.995 MPa

▶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휨응력 , fba = 205.995 MPa > fb = 40.095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48.470 MPa ---> O.K
7.측면말뚝 설계
7.1 흙막이벽(우)
가. 설계제원
(1) 측면말뚝의 설치간격 : 1.600 m

(2) 사용강재 : H 300x300x10/15(SS275)

15
w (N/m) 922.243
A (mm2) 11980

300
Ix (mm4) 204000000
10
Zx (mm3) 1360000
Aw (mm2) 2700
Rx (mm) 131
300

나. 단면력 산정
가. 주형보 반력 = 0.000 kN
나. 주형 지지보의 자중 = 0.000 kN
다. 측면말뚝 자중 = 7.100 kN
라. 버팀보 자중 = 6.500 kN
마. 띠장 자중 = 3.800 kN
바. 지보재 수직분력 = 0.000 × 1.600 = 0.000 kN
사. 지장물 자중 = 50.000 kN
∑ Ps = 67.400 kN

최대모멘트, Mmax = 54.897 kN·m/m ---> 흙막이벽(우) (CS13 : 해체-2)


최대전단력, Smax = 67.318 kN/m ---> 흙막이벽(우) (CS12 : 해체-1)

▶ Pmax = 67.400 kN
▶ Mmax = 54.897 × 1.600 = 87.836 kN·m
▶ Smax = 67.318 × 1.600 = 107.708 kN

다. 작용응력 산정
▶ 휨응력 , fb = Mmax / Zx = 87.836 x 1000000 / 1360000.0 = 64.585 MPa
▶ 압축응력 , fc = Pmax / A = 67.400 x 1000 / 11980 = 5.626 MPa
▶ 전단응력 , τ = Smax / Aw = 107.708 x 1000 / 2700 = 39.892 MPa

라.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fcao = 1.50 x 0.9 x 160.000
= 216.000 MPa
L/R = 2600 / 131
19.847 ---> Lx/Rx ≤ 20 이므로
fca = 1.50 x 0.9 x 160
= 216.000 MPa

▶ 허용 휨압축응력
L/B = 2600 / 300
= 8.667 ---> 4.5 < L/B ≤ 30 이므로
fba = 1.50 x 0.9 x ( 160 - 1.93333 x ( 8.667 - 4.5 ) )
= 205.125 MPa

feax = 1.50 x 0.9 x 1200000 /( 19.847 )2


= 4112.547 MPa

▶ 허용전단응력
τ a = 1.50 x 0.9 x 90
= 121.500 MPa

마. 응력 검토
▶ 압축응력 , fca = 216.000 MPa > fc = 5.626 MPa ---> O.K
▶ 휨응력 , fba = 205.125 MPa > fb = 64.585 MPa ---> O.K
▶ 전단응력 , τ a = 121.500 MPa > τ = 39.892 MPa ---> O.K
▶ 합성응력 , fc fb
+
fca fba x ( 1 - ( fc / feax ))

5.626 64.585
= +
216.000 205.125 x ( 1 - ( 5.626 / 4112.547 ))

= 0.341 < 1.0 ---> O.K

바. 수평변위 검토
▶ 최대수평변위 = 8.4 mm ---> 흙막이벽(우) (CS13 : 해체-2)
▶ 허용수평변위 = 최종 굴착깊이의 0.3 %
= 14.600 x 1000 x 0.003 = 43.800 mm

∴ 최대 수평변위 < 허용 수평변위 ---> O.K

사. 허용지지력 검토
▶ 최대축방향력 , Pmax = 67.40 kN
▶ 안전율 , Fs = 2.0
▶ 극한지지력 , Qu = 40·N·Ap + 0.2·Ns·U·Ls + 0.5·Nc·U·Lc
여기서, N(선단의 N치) = 50
Ns(선단까지의 모래층 N치 평균값) = 50
Nc(선단까지의 점토층 N치 평균값) = 0
Ls(모래층 중의 길이) = 9.250 m
Lc(점토층 중의 길이) = 0.000 m
Ap(H-Pile 단면적) = 0.0900 m2
U(파일의 둘레길이) = 1.200 m

= 40 x 50 x 0.0900 + 0.2 x 50 x 1.200 x 9.250


+ 0.5 x 0 x 1.200 x 0.000
= 291.000 tonf
= 2853.74 kN

▶ 허용지지력 , Qua = 2853.74 / 2.0


= 1426.868 kN

∴ 최대축방향력 (Pmax) < 허용 지지력 (Qua) ---> O.K


8.중간말뚝 설계

8.1 설계제원
가. PILE 설치간격 : 5.00 m

측면말뚝 중간말뚝 측면말뚝

말뚝 비지지길이
(통상적으로 Strut의 최대 수직간격을 사용)

Strut

나. 사용강재 : H 298x201x9/14(SS275)

14
w (N/m) 641.7
A (mm2) 8336.0
298

4
Ix (mm ) 133000000.0
3
9
Zx (mm ) 893000.0
Rx (mm) 126.0
Ry (mm) 47.7
201

8.2 단면력 산정
가. 강재자중 및 축하중 산정
(1) 중간말뚝 자중 = 16.540 kN
(2) 버팀보 자중 = 94.000 kN
(3) ㄷ형강 자중 = 50.000 kN
∑ Ps = 160.540 kN

나. 단면력 산정
(1) 중간말뚝에 작용하는 총 반력
∑P = Ps = 160.540 kN

8.3 작용응력 및 허용응력 검토

가. 작용응력 산정
▶ 압축응력 , fc = ∑P / A = 80.270 x 1000 / 8336 = 9.629 MPa

나. 허용응력 산정
▶ 보정계수 : 가설 구조물 특성과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적용
구 분 보정계수 적용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0.9
가설 구조물 1.50 O 고려한 허용응력 저감계수
영구 구조물 1.25 ×
▶ 축방향 허용압축응력
Lx / Rx = 2700 / 126
21.429 ---> 20 < Lx/Rx ≤ 90 이므로
fcax = 1.50 x 0.9 x ( 160 - 1 x ( 21.429 - 20 ) )
= 214.071 MPa

Ly / Ry = 2700 / 47.7
56.604 ---> 20 < Ly/Ry ≤ 90 이므로
fcay = 1.50 x 0.9 x ( 160 - 1 x ( 56.604 - 20 ) )
= 166.585 MPa

∴ fca = Min.( fcax , fcay ) = 166.585 MPa

다. 응력검토
▶ 압축응력 , fca = 166.585 MPa > fc = 9.629 MPa ---> O.K

8.4 허용지지력 검토
▶ 최대축방향력 , Pmax = 80.27 kN (중간말뚝 간격 4.0M 이상시 반력의 1/2 적용)
▶ 안전율 , Fs = 2.0
▶ 극한지지력 , Qu = 40·N·Ap + 0.2·Ns·U·Ls + 0.5·Nc·U·Lc
여기서, N(선단의 N치) = 50
Ns(선단까지의 모래층 N치 평균값) = 50
Nc(선단까지의 점토층 N치 평균값) = 0
Ls(모래층 중의 길이) = 3.000 m
Lc(점토층 중의 길이) = 0.000 m
Ap(H-Pile 단면적) = 0.0915 m2
U(파일의 둘레길이) = 1.210 m

= 40 x 50 x 0.0915 + 0.2 x 50 x 1.210 x 3.000


+ 0.5 x 0 x 1.210 x 0.000
= 219.300 tonf
= 2150.60 kN

▶ 허용지지력 , Qua = 2150.60 / 2.0


= 1075.299 kN

∴ 최대축방향력 (Pmax) < 허용 지지력 (Qua) ---> O.K


9. 흙막이 벽체 설계
9.1 흙막이벽(우) 설계 (0.00m ~ 14.60m)
가. 목재의 허용응력 구조물기초설계기준
허용응력(MPa)
목재의 종류
휨 전단
침엽수 18.000 1.600
활엽수 22.000 2.400

나. 설계제원
높이 (H, mm) 150.0
두께 (t, mm) 100.0
H-Pile 100.0
1600.0
수평간격(mm)

H-Pile

150.0
300.0
폭(mm) 1375.0
목재의 종류 침엽수
목재의 허용
18.000
휨응력(MPa) 1600
목재의 허용
1.6
전단응력(MPa)

다. 설계지간
설계지간 (L) = 1600.0 - 3 x 300.0 / 4 = 1375.0 mm

라. 단면력 산정
pmax = 0.0601 MPa ---> (CS12 : 해체-1:최대토압)
Wmax = 토류판에 작용하는 등분포하중(토압) x 토류판 높이(H)
= 60.1 kN/m2 x 0.1500 m = 9.0 kN/m
W

1375.0

Mmax = Wmax x L2 / 8 = 9.0 x 1.375 2


/ 8 = 2.1 kN·m
Smax = Wmax x L / 2 = 9.0 x 1.375 / 2 = 6.2 kN

마. 토류판에 작용하는 응력 산정
Z = H x t2 / 6
2
= 150.0 x 100.0 / 6
3
= 250000 mm

▶ 휨응력 , fb = Mmax / Z
= 2.1 x 1000000 / 250000
= 8.52 MPa < fba = 18.0 MPa ---> O.K
▶ 전단응력 , τ = Smax / ( H x t )
= 6.2 x 1000 / ( 150.0 x 100.0 )
= 0.41 MPa < τa = 1.6 MPa ---> O.K

바. 토류판 두께 산정
Treq = ( 6 x Mmax ) / ( H x fba )
= ( 6 x 2.1 x 1000000 )/( 150.0 x 18.0 )
= 68.80 mm < Tuse = 100.00 mm 사용 ---> O.K
10. 탄소성 입력 데이터

10.1 해석종류 : 탄소성보법

10.2 사용 단위계 : 힘 [F] = kN, 길이 [L] = m

10.3 모델형상 : 반단면 모델


배면폭 = 30 m, 굴착폭 = 10 m, 최대굴착깊이 = 14.6 m, 전모델높이 = 23 m

10.4 지층조건
지반탄성계 수평지반 반력
번 깊이 γt γsat C φ
이름 N값 수 계수
호 (m) (kN/m³) (kN/m³) (kN/m²) ([deg])
(kN/m²) (kN/m³)
1 풍화토 2.00 19.00 20.00 20.00 31.00 44 - 32100.00
2 풍화암 20.00 20.00 21.00 31.00 33.00 50 - 45000.00
3 되메우기 - 20.00 21.00 0.00 22.00 4 15000.00 15000.00

10.5 흙막이벽
번 하단깊이 수평간격
이름 형상 단면 재질
호 (m) (m)

1 흙막이벽(우) H-Pile H 300x300x10/15 SS275 17.6 1.6

10.6 지보재
번 설치깊이 수평간격 대칭점 길이
이름 단면 재질 초기작용력 개수
호 (m) (m) (m)

1 strut-1 H 300x300x10/15 SS275 1.5 2.5 6 0 2


2 strut-2 H 300x300x10/15 SS275 4.1 2.5 6 0 2
3 strut-3 H 300x300x10/15 SS275 6.7 2.5 6 0 2
4 strut-4 H 300x300x10/15 SS275 9.3 2.5 6 0 2
5 strut-5 H 300x300x10/15 SS275 11.9 2.5 6 0 2

10.7 띠장
번 설치깊이
이름 형상 단면 재질 설치개수
호 (m)

1 strut-1 H 형강 H 300x300x10/15 SS275 1.5 1


2 strut-2 H 형강 H 300x300x10/15 SS275 4.1 1
3 strut-3 H 형강 H 300x300x10/15 SS275 6.7 1
4 strut-4 H 형강 H 300x300x10/15 SS275 9.3 1
5 strut-5 H 형강 H 300x300x10/15 SS275 11.9 1

10.8 중간말뚝
번 비지지길이 중간말뚝 간격
이름 형상 단면 재질
호 (m) (m)

1 중간말뚝 H-Pile H 298x201x9/14 SS275 2.7 5

10.9 흙막이벽체
번 단면 설치깊이
이름 형식 재질 비고
호 높이(폭) 두께 (m)

1 흙막이벽(우) 토류판 0.15 0.1 목재 0 ~ 15


10.10 벽체와 슬래브

설치위치 상단깊이 하단깊이


번 두께
이름 (설치깊이) (시작위치) (끝위치) 재질 뒤채움
호 (m)
(m) (m) (m)

1 슬래브-1 0 0 9.15 C27 0.3 -


2 슬래브-2 5 0 9.15 C27 0.3 -
3 슬래브-3 10 0 9.15 C27 0.3 -
4 MAT 14.6 0 9.15 C27 1.2 -
5 WALL 9 0 14.6 C27 0.3 뒤채움

10.11 상재하중

이름 작용유형 작용위치 작용형식 작용하중 (kN)

1 차량하중 과재하중 배면(우측) 상시하중 w = 13

10.12 시공단계
단계별 해석방법 : 탄소성법
토압종류 : Rankine (벽 마찰각은 내부마찰각의 30 %)
지하수위 : 고려
지하수 단위중량 = 10 kN/m³, 초기 지하수위 = 12.5 m, 수위차 = 2 m
지보재 벽체 & 슬래브 임의하중
단 굴착깊이
설치깊이 토압변경 수압변경 토층변경
계 (m) 생성 해체 작용 해체
(m)
1 2.00 - - - - - - X X
2 - strut-1 - - - - X X
3 4.60 - - - - - - X X
4 - strut-2 - - - - X X
5 7.20 - - - - - - X X
6 - strut-3 - - - - X X
7 9.80 - - - - - - X X
8 - strut-4 - - - - X X
9 12.40 - - - - - - X X
10 - strut-5 - - - - X X
11 14.60 - - - - - 경험토압 X X
12 14.60 - - 13.6 - - - X X
13 14.60 strut-5 12.4 - - - X X
14 14.60 strut-4 9.8 - - - X X
15 14.60 strut-3 7.2 - - - X X
16 14.60 strut-2 4.6 - - - X X
17 14.60 strut-1 2 - - - X X
18 14.60 - - 0 - - - X X

*11단계에서 경험토압의 종류는 Peck 토압을 적용함.


Peck 토압 적용시 토질정수는 평균치, 토압계수 고려, 토압높이는 직접지정를 사용함.
토압분포는 H = 1m, a = 0.65, a1 = 0, a2 = 0 로 적용됨.

10.13 지하수위 조건
지하수 단위중량 = 10 kN/m³, 초기 지하수위 = 12.5 m, 수위차 = 2 m
번 굴착깊이 수압변경 (깊이(h), 수압(p))
수압종류 굴착수위 배면수위
호 (m) (kN, m)
번 굴착깊이 수압변경 (깊이(h), 수압(p))
수압종류 굴착수위 배면수위
호 (m) (kN, m)

1 2.00 정수압 12.5 12.5 -


2 - 정수압 12.5 12.5 -
3 4.60 정수압 12.5 12.5 -
4 - 정수압 12.5 12.5 -
5 7.20 정수압 12.5 12.5 -
6 - 정수압 12.5 12.5 -
7 9.80 정수압 12.5 12.5 -
8 - 정수압 12.5 12.5 -
9 12.40 정수압 12.5 12.5 -
10 - 정수압 12.5 12.5 -
11 14.60 정수압 14.6 12.6 -
12 14.60 정수압 14.6 12.6 -
13 14.60 정수압 14.6 12.6 -
14 14.60 정수압 14.6 12.6 -
15 14.60 정수압 14.6 12.6 -
16 14.60 정수압 14.6 12.6 -
17 14.60 정수압 14.6 12.6 -
18 14.60 정수압 14.6 12.6 -
11. 해석 결과
11.1 전산 해석결과 집계

11.1.1 흙막이벽체 부재력 집계

* 지보재 반력 및 부재력은 단위폭(m)에 대한 값임.


굴착 전단력 (kN) 모멘트 (kN·m)
시공단계 깊이 Max 깊이 Min 깊이 Max 깊이 Min 깊이
(m) (kN) (m) (kN) (m) (kN) (m) (kN) (m)
CS1 : 굴착 2 m 2.00 7.32 2.0 -4.57 4.6 1.01 0.0 -11.52 2.8
CS2 : 생성 strut-1 2.00 7.32 2.0 -4.57 4.6 1.01 0.0 -11.52 2.8
CS3 : 굴착 4.6 m 4.60 5.26 1.5 -7.95 1.5 1.20 3.3 -4.72 1.5
CS4 : 생성 strut-2 4.60 5.26 1.5 -7.95 1.5 1.20 3.3 -4.72 1.5
CS5 : 굴착 7.2 m 7.20 6.10 7.6 -10.96 4.1 4.71 6.7 -8.68 4.1
CS6 : 생성 strut-3 7.20 6.10 7.6 -10.96 4.1 4.71 6.7 -8.68 4.1
CS7 : 굴착 9.8 m 9.80 10.72 10.2 -15.81 6.7 10.76 8.9 -8.14 6.7
CS8 : 생성 strut-4 9.80 10.72 10.2 -15.81 6.7 10.76 8.9 -8.14 6.7
CS9 : 굴착 12.4 m 12.40 28.19 12.5 -46.01 9.3 27.46 11.5 -22.84 9.3
CS10 : 생성 strut-5 12.40 28.19 12.5 -46.01 9.3 27.46 11.5 -22.84 9.3
CS11 : 굴착 14.6 m 14.60 14.57 15.1 -11.96 9.3 18.08 13.6 -10.37 9.3
CS12 : 해체-1 14.60 28.65 11.9 -67.32 11.9 35.02 13.6 -20.96 11.9
CS13 : 해체-2 14.60 37.60 9.3 -65.41 9.3 43.09 11.9 -54.90 9.3
CS14 : 해체-3 14.60 26.67 15.1 -58.67 10.6 40.25 12.4 -31.19 10.2
CS15 : 해체-4 14.60 26.73 15.1 -60.60 10.6 40.00 12.4 -34.41 10.2
CS16 : 해체-5 14.60 26.73 15.1 -60.39 10.6 40.02 12.4 -34.06 10.2
CS17 : 해체-6 14.60 26.72 15.1 -60.11 10.6 40.06 12.4 -33.61 10.2
CS18 : 해체-7 14.60 26.72 15.1 -60.11 10.6 40.06 12.4 -33.60 10.2
TOTAL 37.60 9.3 -67.32 11.9 43.09 11.9 -54.90 9.3

11.1.2 지보재 반력 집계

* 지보재 반력 및 부재력은 단위폭(m)에 대한 값임.


* 경사 지보재의 반력은 경사를 고려한 값임.
* Final Pressure는 주동측 및 수동측 양측의 토압, 수압 기타 압력을 모두 고려한 합력이다.
* 흙막이 벽의 변위는 굴착측으로 작용할때 (-) 이다.
* 지보공의 반력은 배면측으로 밀때 (+) 이다.
굴착 strut-1 strut-2 strut-3 strut-4 strut-5
시공단계
깊이 1.5 (m) 4.1 (m) 6.7 (m) 9.3 (m) 11.9 (m)
CS1 : 굴착 2 m 2.00 - - - - -
CS2 : 생성 strut-1 2.00 0.00 - - - -
CS3 : 굴착 4.6 m 4.60 13.22 - - - -
CS4 : 생성 strut-2 4.60 13.22 0.00 - - -
CS5 : 굴착 7.2 m 7.20 9.91 16.62 - - -
CS6 : 생성 strut-3 7.20 9.91 16.62 0.00 - -
CS7 : 굴착 9.8 m 9.80 10.82 10.28 22.16 - -
CS8 : 생성 strut-4 9.80 10.82 10.28 22.16 0.00 -
CS9 : 굴착 12.4 m 12.40 10.47 12.83 9.44 65.13 -
CS10 : 생성 strut-5 12.40 10.47 12.83 9.44 65.13 0.00
CS11 : 굴착 14.6 m 14.60 13.48 8.16 2.49 18.25 3.09
CS12 : 해체-1 14.60 10.55 12.23 12.36 38.93 95.97
CS13 : 해체-2 14.60 10.17 15.00 -0.45 103.01 -
CS14 : 해체-3 14.60 10.96 9.57 15.39 - -
CS15 : 해체-4 14.60 8.99 16.39 - - -
CS16 : 해체-5 14.60 11.66 - - - -
CS17 : 해체-6 14.60 - - - - -
CS18 : 해체-7 14.60 - - - - -
TOTAL 13.48 16.62 22.16 103.01 95.97
11.2 시공단계별 단면력도
1) 시공 1 단계 [CS1 : 굴착 2 m]

2) 시공 2 단계 [CS2 : 생성 strut-1]
3) 시공 3 단계 [CS3 : 굴착 4.6 m]

4) 시공 4 단계 [CS4 : 생성 strut-2]
5) 시공 5 단계 [CS5 : 굴착 7.2 m]

6) 시공 6 단계 [CS6 : 생성 strut-3]
7) 시공 7 단계 [CS7 : 굴착 9.8 m]

8) 시공 8 단계 [CS8 : 생성 strut-4]
9) 시공 9 단계 [CS9 : 굴착 12.4 m]

10) 시공 10 단계 [CS10 : 생성 strut-5]


11) 시공 11 단계 [CS11 : 굴착 14.6 m]

12) 시공 12 단계 [CS12 : 해체-1]


13) 시공 13 단계 [CS13 : 해체-2]

14) 시공 14 단계 [CS14 : 해체-3]


15) 시공 15 단계 [CS15 : 해체-4]

16) 시공 16 단계 [CS16 : 해체-5]


17) 시공 17 단계 [CS17 : 해체-6]

18) 시공 18 단계 [CS18 : 해체-7]


11.3 근입장 검토

적용 주동토압 수동토압
균형깊이 근입부 적용
구분 근입깊이 모멘트 모멘트 판정
(m) 안전율 안전율
(m) (kN·m) (kN·m)

최종 굴착 단계 0.208 3.000 232.471 2540.152 10.927 1.200 OK


최종 굴착 전단계 0.449 5.200 841.385 7591.320 9.022 1.200 OK

11.3.1 최종 굴착 단계의 경우
1) 토압의 작용폭
- 주동측 : 굴착면 상부 = 1.6 m, 굴착면 하부 = 0.3 m
- 수동측 : 굴착면 하부 = 0.9 m
2) 최하단 버팀대에서 휨모멘트 계산 (EL -11.9 m)
- 주동토압에 의한 활동모멘트
굴착면 상부토압 (Pa1) = 44.667 kN 굴착면 상부토압 작용깊이 (Ya1) = 1.843 m
굴착면 하부토압 (Pa2) = 34.139 kN 굴착면 하부토압 작용깊이 (Ya2) = 4.399 m
Ma = (Pa1 x Ya1) + (Pa2 x Ya2)
Ma = (44.667 x 1.843) + (34.139 x 4.399) = 232.471 kN×m
- 수동토압에 의한 저항모멘트
굴착면 하부토압 (Pp) = 582.231 kN 굴착면 하부토압 작용깊이 (Yp) = 4.363 m
Mp = (Pp x Yp) = (582.231 x 4.363) = 2540.152 kN×m
* 계산된 토압 (Pa1, Pa2, Pp) 는 작용폭을 고려한 값임.
-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의한 저항모멘트
수평하중 (P) = 0 kN 수평하중 작용깊이 (Y) =0 m
Mpl = P x Y = 0 x 0 = 0 kN×m
모멘트하중(Mpm) = 0 kN×m
3) 근입부의 안전율
S.F. = (Mp + Mpl + Mpm) / Ma = 2540.152 / 232.471 = 10.927
S.F. = 10.927 > 1.2 ... OK

11.3.2. 최종 굴착 전단계의 경우
1) 토압의 작용폭
- 주동측 : 굴착면 상부 = 1.6 m, 굴착면 하부 = 0.3 m
- 수동측 : 굴착면 하부 = 0.9 m
2) 최하단 버팀대에서 휨모멘트 계산 (EL -9.3 m)
- 주동토압에 의한 활동모멘트
굴착면 상부토압 (Pa1) = 116.402 kN 굴착면 상부토압 작용깊이 (Ya1) = 1.753 m
굴착면 하부토압 (Pa2) = 103.618 kN 굴착면 하부토압 작용깊이 (Ya2) = 6.15 m
Ma = (Pa1 x Ya1) + (Pa2 x Ya2)
Ma = (116.402 x 1.753) + (103.618 x 6.15) = 841.385 kN×m
- 수동토압에 의한 저항모멘트
굴착면 하부토압 (Pp) = 1246.479 kN 굴착면 하부토압 작용깊이 (Yp) = 6.09 m
Mp = (Pp x Yp) = (1246.479 x 6.09) = 7591.32 kN×m
* 계산된 토압 (Pa1, Pa2, Pp) 는 작용폭을 고려한 값임.
-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의한 저항모멘트
수평하중 (P) = 0 kN 수평하중 작용깊이 (Y) =0 m
Mpl = P x Y = 0 x 0 = 0 kN×m
모멘트하중(Mpm) = 0 kN×m
3) 근입부의 안전율
S.F. = (Mp + Mpl + Mpm) / Ma = 7591.32 / 841.385 = 9.022
S.F. = 9.022 > 1.2 ... OK
11.4 굴착주변 침하량 검토 (최종 굴착단계)

-0.0004

-0.0014

-0.0024
-0.0034
지반침하

-0.0044 기준선

-0.0054 Caspe(1966)

-0.0064
-0.0074

-0.0084
0 1 2 3 4 5 6 7 8 9 10 12 14 16 18
흙막이벽체로부터의거리

11.4.1 Caspe(1966)방법에 의한 침하량 검토


1) 전체 수평변위로 인한 체적변화 (Vs)
Vs = -0.036 m³/m
2) 굴착폭(B) 및 굴착심도 (Hw)
B = 20 m, Hw = 14.6 m
3) 굴착영향 거리 (Ht)
평균 내부 마찰각 (φ) = 32.034 [deg]
Hp = 0.5 x B x tan(45 + φ/2)
Hp = 0.5 x 20 x tan(45 + 32.034/2) = 18.053 m
Ht = Hp + Hw = 18.053 + 14.6 = 32.653 m
4) 침하영향 거리 (D)
D = Ht x tan(45-φ/2)
D = 32.653 x tan(45-32.034/2) = 18.087 m
5) 흙막이벽 주변 최대 침하량 (Sw)
Sw = 4 x Vs / D = 4 x -0.036 / 18.087 = -0.008 m
6) 거리별 침하량 (Si)
Si = Sw x ((D - Xi) / D)^2 = -0.008 x ((18.087 - Xi) / 18.087)^2

거리 (벽면기준) 지반 침하량 절점간 침하량 각변위


(m) (mm) (mm) (x0.001)

0.00 -7.987 -0.435 -0.871


0.50 -7.551 -0.423 -0.847
1.00 -7.128 -0.411 -0.822
1.50 -6.717 -0.399 -0.798
2.00 -6.318 -0.387 -0.773
2.50 -5.931 -0.374 -0.749
3.00 -5.557 -0.362 -0.724
3.50 -5.195 -0.350 -0.700
4.00 -4.845 -0.338 -0.676
4.50 -4.507 -0.326 -0.651
5.00 -4.181 -0.313 -0.627
5.50 -3.868 -0.301 -0.602
6.00 -3.567 -0.289 -0.578
6.50 -3.278 -0.277 -0.554
7.00 -3.001 -0.265 -0.529
7.50 -2.736 -0.252 -0.505
8.00 -2.484 -0.240 -0.480
8.50 -2.244 -0.228 -0.456
9.00 -2.016 -0.216 -0.431
9.50 -1.800 -0.204 -0.407
10.00 -1.597 -0.191 -0.383
10.50 -1.405 -0.179 -0.358
11.00 -1.226 -0.167 -0.334
11.50 -1.059 -0.155 -0.309
12.00 -0.905 -0.143 -0.285
12.50 -0.762 -0.130 -0.261
13.00 -0.632 -0.118 -0.236
13.50 -0.514 -0.106 -0.212
14.00 -0.408 -0.094 -0.187
14.50 -0.314 -0.081 -0.163
15.00 -0.233 -0.069 -0.139
15.50 -0.163 -0.057 -0.114
16.00 -0.106 -0.045 -0.090
16.50 -0.062 -0.033 -0.065
17.00 -0.029 -0.020 -0.041
17.50 -0.008 -0.008 -0.016
18.00 0.000 0.000 -0.002
18.09 0.000 0.000 0.000
Max -7.987 -0.435 -0.871
11.5 보일링 검토 (최종 굴착단계)

Terzaghi 해석법 한계동수구배 검토법 적용


구분 과잉수압 흙의중량 판정
안전율 동수 구배 한계 구배 안전율 안전율
(kN/m) (kN/m)
최종 굴착 단계 15.000 49.500 3.300 0.250 1.100 4.400 2.000 OK

11.5.1 Terzaghi에 의한 보일링 검토


보일링(파이핑)을 일으키려 하는 힘은 과잉수압 U 이며, 저항하는 힘은 흙의 중량 W 이다,
안전율을 Fs 로 하면 균형식은 W = Fs U 가 된다.
Terzaghi에 의하면 보일링이 일어나는 폭은 d2 /2 이다.

1) 검토조건
d2 (굴착저면에서 흙막이벽 근입길이) : 3 m
γw (물의 단위중량) : 10 kN/m3
γ' (수중 단위중량) (풍화암) : 11 kN/m3
Ha (평균 과잉수두) : 1 m
Fs (적용 허용안전율) : 2

2) 보일링을 일으키려고 하는 힘 과잉간극수압 U (kN)


d2 3
U = γw x Ha x = 10 x 1 x = 15 kN
2 2
3) 보일링에 저항하려는 흙의 중량 W (kN)
d22 4 2
W = γ' x = 12 x = 96 kN
2 2
4) 근입부의 안전율
W 96
Fs = = = 6.4
U 15
안전율 Fs = 6.4 > 허용안전율 2 ---> O.K

11.5.2 한계동수구배를 생각한 보일링의 검토


보일링이 발생되는 조건은 흙의 유효응력이 없어진 상태이므로 이때의 동수구배보다
작은 동수구배를 유지하면 보일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p̅ = z • γ' - i • z • γw
i = H/L
여기서, p̅ : ab 면 상의 유효응력
z : 모래의 표면에서 ab 면 까지의 깊이
유효응력 p̅ = 0 인 때의 동수구배를 한계동수구배 ic 로 하면, ic = γ' / γw 가 된다.
i = ic 에서 보일링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i < ic 가 되어야 한다.

1) 검토조건
H (수위차) : 2 m
L (모래층의 두께) : 8 kN/m3
γw (물의 단위중량) : 10 kN/m3
γ' (수중 단위중량) : 11 kN/m3
Fs (적용 허용안전율) : 2
2) 동수구배 ( i )
H 2
i = = = 0.250
L 8
3) 한계동수구배 ( ic )
γ' 11
ic = = = 1.100
γw 10
4) 근입부의 안전율
i 1.100
Fs = = = 4.400
ic 0.250
안전율 Fs = 4.4 > 허용안전율 2 ---> O.K
[3] 침투류 해석과 유선망에 대한 파이핑 검토

굴착깊이 = 14.6 지하수위 = 12.6


파이핑상세도
GWL 12.6

Fs =22.34

H= 0.0 굴착깊이=14.6
0

W
벽체깊이=17.6
H1=0.8 H2=0.6

i=0.23

(1) 계산방법
유한요소법에 의하여 침투류를 해석하면 지반내 지점들에 대한 전수두, 간극수압,
동수구배, 유속, 유출량 등을 계산할 수 있으며, 흙막이벽 근입장 D 인 지점과
그 지점으로 부터 D/2 떨어진 지점에 대한 전 수두로 부터 상향력을 계산하여
토괴의 하향력과 비교하여 안전을 판단한다.

(2) 계산조건
수위차 Hw = 2.0 m (주동측 수동측 지하수위 차이)
근입깊이 D = 3.0 m
근입하단의 토층명 = 풍화암층
수중단위중량 rsub = 10.0 kN/㎥ (검토하는 토괴의 평군)
점착력 c = 31.5 kN/㎡ (검토하는 토괴의 평군)

(3) 하향력 W, Fc의 계산


W = rsub x D x D/2
= 10.0 x 3.0 x 1.5
= 45.0 kN
Fc = 2 x c x D (검토하는 토괴의 양측면에 작용하는 점착저항)
= 2 x 31.5 x 3.0
= 189.0 kN

(4) 상향력 U의 계산
상향 수두 H1 = 0.76 m
H2 = 0.64 m
평균 Have = 0.70 m
U = rw x Have x D/2
= 10.0 x 0.70 x 1.50
= 10.5 kN
(참고 평균동수구배 i = Have / D = 0.70 / 3.0 = 0.23)

(5) 안전율의 계산
점착력 고려여부 : 고려함
안전율 Fs = (하향력 W + 점착저항 Fc) / (상향력 U)
= (45.0 + 189.0) / 10.5
= 22.3 > 허용안전율 1.50 따라서 O.K

세가지 방법의 비교
본 현장조건은 근입부분에 점착력이 있으므로 제1방법과 제3방법중에서 작은 안전율로 판단한다.
제1방법일 때 최소 안전율이다.
Fsmin = 15.60 > 허용안전율 1.5 따라서 O.K

▶ 보일링 계산상의 일반적인 주의사항


(1) 점착력을 고려 할 때는 제1방법과 제3방법을 적용한다.
(2) 연속벽 형의 흙막이 벽이 아닌 H-파일과 같이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에서 보일링계산은 의미가 없다.
흙막이 벽면과 굴착면하부에서 물과 토립자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유한요소 해석 모델 및 등유선망도 ]

GWL 12.6
1 kx = 1.4E-05 m/sec 풍화토층
2 kx = 3.0E-07 m/sec 풍화암층

14.6

q = 3.47E-06

전수두=0.0
전수두=0.0

21.4

53.0 6.0

GWL 12.6
14.6

1
12. 단계별 변위 결과
12.1 시공단계별 변위 결과
최종 굴착 시공단계 : CS11 : 굴착 14.6 m
최종 굴착깊이 : 14.6 m
최대 허용변위량 : 굴착깊이의 0.0030 H (굴착깊이) = 43.8 mm

발생/허용
번 굴착깊이 발생 변위량 허용 변위량
시공단계 변위량 안정성 평가
호 (m) (mm) (mm)
(%)

1 CS1 : 굴착 2 m 2.00 3.93 43.80 8.96 O.K


2 CS2 : 생성 strut-1 0.00 3.93 43.80 8.96 O.K
3 CS3 : 굴착 4.6 m 4.60 2.88 43.80 6.57 O.K
4 CS4 : 생성 strut-2 0.00 2.88 43.80 6.57 O.K
5 CS5 : 굴착 7.2 m 7.20 3.04 43.80 6.94 O.K
6 CS6 : 생성 strut-3 0.00 3.04 43.80 6.94 O.K
7 CS7 : 굴착 9.8 m 9.80 3.00 43.80 6.84 O.K
8 CS8 : 생성 strut-4 0.00 3.00 43.80 6.84 O.K
9 CS9 : 굴착 12.4 m 12.40 3.78 43.80 8.63 O.K
10 CS10 : 생성 strut-5 0.00 3.78 43.80 8.63 O.K
11 CS11 : 굴착 14.6 m 14.60 3.89 43.80 8.88 O.K
12 CS12 : 해체-1 14.60 5.44 43.80 12.42 O.K
13 CS13 : 해체-2 14.60 8.36 43.80 19.08 O.K
14 CS14 : 해체-3 14.60 7.98 43.80 18.21 O.K
15 CS15 : 해체-4 14.60 7.94 43.80 18.12 O.K
16 CS16 : 해체-5 14.60 7.94 43.80 18.13 O.K
17 CS17 : 해체-6 14.60 7.95 43.80 18.14 O.K
18 CS18 : 해체-7 14.60 7.95 43.80 18.14 O.K
19 Total 8.36 43.80 19.08 O.K
12.2 시공단계별 깊이-변위 그래프
13. 단계별 결과
13.1 지보재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strut-1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CS2 : 생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성 strut-1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3 : 굴 압축응력 MPa 6.387 135.144 4.73% O.K
착 4.6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5 1.000 9.4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4 : 생 압축응력 MPa 6.387 135.144 4.73% O.K
성 strut-2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5 1.000 9.4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5 : 굴 압축응력 MPa 6.043 135.144 4.47% O.K
착 7.2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2 1.000 9.2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6 : 생 압축응력 MPa 6.043 135.144 4.47% O.K
성 strut-3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2 1.000 9.2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7 : 굴 압축응력 MPa 6.137 135.144 4.54% O.K
착 9.8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3 1.000 9.2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8 : 생 압축응력 MPa 6.137 135.144 4.54%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3 1.000 9.2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9 : 굴 압축응력 MPa 6.101 135.144 4.51%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3 1.000 9.2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0 : 생 압축응력 MPa 6.101 135.144 4.51%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3 1.000 9.26%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1 : 굴 압축응력 MPa 6.415 135.144 4.75%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5 1.000 9.50%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2 : 해 압축응력 MPa 6.109 135.144 4.52% O.K
체-1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3 1.000 9.2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3 : 해
체-2
CS13 : 해 압축응력 MPa 6.069 135.144 4.49% O.K
체-2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2 1.000 9.24%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4 : 해 압축응력 MPa 6.152 135.144 4.55% O.K
체-3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3 1.000 9.30%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5 : 해 압축응력 MPa 5.946 135.144 4.40% O.K
체-4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1 1.000 9.1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6 : 해 압축응력 MPa 6.225 135.144 4.61% O.K
체-5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4 1.000 9.36% O.K
strut-2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CS4 : 생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성 strut-2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5 : 굴 압축응력 MPa 6.743 135.144 4.99% O.K
착 7.2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7 1.000 9.74%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6 : 생 압축응력 MPa 6.743 135.144 4.99% O.K
성 strut-3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7 1.000 9.74%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7 : 굴 압축응력 MPa 6.081 135.144 4.50% O.K
착 9.8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2 1.000 9.2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8 : 생 압축응력 MPa 6.081 135.144 4.50%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2 1.000 9.2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9 : 굴 압축응력 MPa 6.347 135.144 4.70%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4 1.000 9.4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0 : 생 압축응력 MPa 6.347 135.144 4.70%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4 1.000 9.4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1 : 굴 압축응력 MPa 5.860 135.144 4.34%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1 1.000 9.0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2 : 해 압축응력 MPa 6.284 135.144 4.65% O.K
체-1
CS12 : 해
체-1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4 1.000 9.40%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3 : 해 압축응력 MPa 6.573 135.144 4.86% O.K
체-2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6 1.000 9.6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4 : 해 압축응력 MPa 6.007 135.144 4.44% O.K
체-3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2 1.000 9.1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5 : 해 압축응력 MPa 6.719 135.144 4.97% O.K
체-4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7 1.000 9.73% O.K
strut-3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CS6 : 생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성 strut-3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7 : 굴 압축응력 MPa 7.320 135.144 5.42% O.K
착 9.8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2 1.000 10.1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8 : 생 압축응력 MPa 7.320 135.144 5.42%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02 1.000 10.1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9 : 굴 압축응력 MPa 5.994 135.144 4.43%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2 1.000 9.1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0 : 생 압축응력 MPa 5.994 135.144 4.43%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2 1.000 9.1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1 : 굴 압축응력 MPa 5.268 135.144 3.90%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6 1.000 8.64%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2 : 해 압축응력 MPa 6.298 135.144 4.66% O.K
체-1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4 1.000 9.41%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3 : 해 압축응력 MPa 5.055 135.144 3.74% O.K
체-2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5 1.000 8.4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4 : 해 압축응력 MPa 6.614 135.144 4.89% O.K
체-3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CS14 : 해
체-3
합성응력 안전율 0.096 1.000 9.65% O.K
strut-4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CS8 : 생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9 : 굴 압축응력 MPa 11.804 135.144 8.73%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35 1.000 13.5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0 : 생 압축응력 MPa 11.804 135.144 8.73%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35 1.000 13.52%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1 : 굴 압축응력 MPa 6.913 135.144 5.11%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99 1.000 9.87%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2 : 해 압축응력 MPa 9.071 135.144 6.71% O.K
체-1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15 1.000 11.48%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3 : 해 압축응력 MPa 15.757 135.144 11.66% O.K
체-2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65 1.000 16.47% O.K
strut-5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2H 300x300x10/15 CS10 : 생 압축응력 MPa 5.008 135.144 3.71%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4 1.000 8.45%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1 : 굴 압축응력 MPa 5.330 135.144 3.94%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087 1.000 8.69% O.K
휨응력 MPa 8.272 175.545 4.71% O.K
CS12 : 해 압축응력 MPa 15.022 135.144 11.12% O.K
체-1 전단응력 MPa 2.778 121.500 2.29% O.K
합성응력 안전율 0.159 1.000 15.92% O.K

13.2 띠장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strut-1 CS2 : 생 휨응력 MPa 0.000 205.995 0.00% O.K
H 300x300x10/15 성 strut-1 전단응력 MPa 0.000 121.500 0.00% O.K
CS3 : 굴 휨응력 MPa 5.521 205.995 2.68% O.K
착 4.6 m 전단응력 MPa 6.674 121.500 5.49% O.K
CS4 : 생 휨응력 MPa 5.521 205.995 2.68% O.K
성 strut-2 전단응력 MPa 6.674 121.500 5.49% O.K
CS5 : 굴 휨응력 MPa 4.142 205.995 2.01% O.K
착 7.2 m 전단응력 MPa 5.007 121.500 4.12% O.K
CS6 : 생 휨응력 MPa 4.142 205.995 2.01% O.K
성 strut-3 전단응력 MPa 5.007 121.500 4.12% O.K
CS7 : 굴 휨응력 MPa 4.519 205.995 2.19% O.K
착 9.8 m 전단응력 MPa 5.462 121.500 4.50% O.K
CS8 : 생 휨응력 MPa 4.519 205.995 2.19%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5.462 121.500 4.50% O.K
CS9 : 굴 휨응력 MPa 4.374 205.995 2.12%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5.287 121.500 4.35% O.K
CS10 : 생 휨응력 MPa 4.374 205.995 2.12%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5.287 121.500 4.35% O.K
CS11 : 굴 휨응력 MPa 5.631 205.995 2.73%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6.808 121.500 5.60% O.K
CS12 : 해 휨응력 MPa 4.408 205.995 2.14% O.K
체-1 전단응력 MPa 5.329 121.500 4.39% O.K
CS13 : 해 휨응력 MPa 4.248 205.995 2.06% O.K
체-2 전단응력 MPa 5.135 121.500 4.23% O.K
CS14 : 해 휨응력 MPa 4.579 205.995 2.22% O.K
체-3 전단응력 MPa 5.536 121.500 4.56% O.K
CS15 : 해 휨응력 MPa 3.756 205.995 1.82% O.K
체-4 전단응력 MPa 4.541 121.500 3.74% O.K
CS16 : 해 휨응력 MPa 4.870 205.995 2.36% O.K
체-5 전단응력 MPa 5.887 121.500 4.85% O.K
strut-2 CS4 : 생 휨응력 MPa 0.000 205.995 0.00% O.K
H 300x300x10/15 성 strut-2 전단응력 MPa 0.000 121.500 0.00% O.K
CS5 : 굴 휨응력 MPa 6.945 205.995 3.37% O.K
착 7.2 m 전단응력 MPa 8.396 121.500 6.91% O.K
CS6 : 생 휨응력 MPa 6.945 205.995 3.37% O.K
성 strut-3 전단응력 MPa 8.396 121.500 6.91% O.K
CS7 : 굴 휨응력 MPa 4.295 205.995 2.09% O.K
착 9.8 m 전단응력 MPa 5.193 121.500 4.27% O.K
CS8 : 생 휨응력 MPa 4.295 205.995 2.09%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5.193 121.500 4.27% O.K
CS9 : 굴 휨응력 MPa 5.360 205.995 2.60%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6.479 121.500 5.33% O.K
CS10 : 생 휨응력 MPa 5.360 205.995 2.60%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6.479 121.500 5.33% O.K
CS11 : 굴 휨응력 MPa 3.410 205.995 1.66%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4.123 121.500 3.39% O.K
CS12 : 해 휨응력 MPa 5.108 205.995 2.48% O.K
체-1 전단응력 MPa 6.175 121.500 5.08% O.K
CS13 : 해 휨응력 MPa 6.266 205.995 3.04% O.K
체-2 전단응력 MPa 7.574 121.500 6.23% O.K
CS14 : 해 휨응력 MPa 3.998 205.995 1.94% O.K
체-3 전단응력 MPa 4.833 121.500 3.98% O.K
CS15 : 해 휨응력 MPa 6.848 205.995 3.32% O.K
체-4 전단응력 MPa 8.278 121.500 6.81% O.K
strut-3 CS6 : 생 휨응력 MPa 0.000 205.995 0.00% O.K
H 300x300x10/15 성 strut-3 전단응력 MPa 0.000 121.500 0.00% O.K
CS7 : 굴 휨응력 MPa 9.257 205.995 4.49% O.K
착 9.8 m
CS7 : 굴
착 9.8 m 전단응력 MPa 11.191 121.500 9.21% O.K
CS8 : 생 휨응력 MPa 9.257 205.995 4.49% O.K
성 strut-4 전단응력 MPa 11.191 121.500 9.21% O.K
CS9 : 굴 휨응력 MPa 3.945 205.995 1.92%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4.769 121.500 3.93% O.K
CS10 : 생 휨응력 MPa 3.945 205.995 1.92%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4.769 121.500 3.93% O.K
CS11 : 굴 휨응력 MPa 1.041 205.995 0.51%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1.259 121.500 1.04% O.K
CS12 : 해 휨응력 MPa 5.163 205.995 2.51% O.K
체-1 전단응력 MPa 6.242 121.500 5.14% O.K
CS13 : 해 휨응력 MPa 0.186 205.995 0.09% O.K
체-2 전단응력 MPa 0.225 121.500 0.19% O.K
CS14 : 해 휨응력 MPa 6.430 205.995 3.12% O.K
체-3 전단응력 MPa 7.773 121.500 6.40% O.K
strut-4 CS8 : 생 휨응력 MPa 0.000 205.995 0.00% O.K
H 300x300x10/15 성 strut-4 전단응력 MPa 0.000 121.500 0.00% O.K
CS9 : 굴 휨응력 MPa 27.211 205.995 13.21% O.K
착 12.4 m 전단응력 MPa 32.895 121.500 27.07% O.K
CS10 : 생 휨응력 MPa 27.211 205.995 13.21% O.K
성 strut-5 전단응력 MPa 32.895 121.500 27.07% O.K
CS11 : 굴 휨응력 MPa 7.625 205.995 3.70%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9.217 121.500 7.59% O.K
CS12 : 해 휨응력 MPa 16.265 205.995 7.90% O.K
체-1 전단응력 MPa 19.663 121.500 16.18% O.K
CS13 : 해 휨응력 MPa 43.037 205.995 20.89% O.K
체-2 전단응력 MPa 52.027 121.500 42.82% O.K
strut-5 CS10 : 생 휨응력 MPa 0.000 205.995 0.00% O.K
H 300x300x10/15 성 strut-5 전단응력 MPa 0.000 121.500 0.00% O.K
CS11 : 굴 휨응력 MPa 1.290 205.995 0.63% O.K
착 14.6 m 전단응력 MPa 1.559 121.500 1.28% O.K
CS12 : 해 휨응력 MPa 40.095 205.995 19.46% O.K
체-1 전단응력 MPa 48.470 121.500 39.89% O.K

13.3 측면말뚝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휨응력 MPa 13.555 205.125 6.61% O.K
H 300x300x10/15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 : 굴
전단응력 MPa 4.341 121.500 3.57% O.K
착2m
합성응력 안전율 0.092 1.000 9.22% O.K
수평변위 mm 3.926 43.800 8.96% O.K
휨응력 MPa 13.555 205.125 6.61%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2 : 생
전단응력 MPa 4.341 121.500 3.57% O.K
성 strut-1
합성응력 안전율 0.092 1.000 9.22% O.K
수평변위 mm 3.926 43.800 8.96% O.K
휨응력 MPa 5.554 205.125 2.71%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3 : 굴
착 4.6 m
CS3 : 굴
전단응력 MPa 4.714 121.500 3.88% O.K
착 4.6 m
합성응력 안전율 0.053 1.000 5.32% O.K
수평변위 mm 2.876 43.800 6.57% O.K
휨응력 MPa 5.554 205.125 2.71%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4 : 생
전단응력 MPa 4.714 121.500 3.88% O.K
성 strut-2
합성응력 안전율 0.053 1.000 5.32% O.K
수평변위 mm 2.876 43.800 6.57% O.K
휨응력 MPa 10.210 205.125 4.98%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5 : 굴
전단응력 MPa 6.492 121.500 5.34% O.K
착 7.2 m
합성응력 안전율 0.076 1.000 7.59% O.K
수평변위 mm 3.038 43.800 6.94% O.K
휨응력 MPa 10.210 205.125 4.98%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6 : 생
전단응력 MPa 6.492 121.500 5.34% O.K
성 strut-3
합성응력 안전율 0.076 1.000 7.59% O.K
수평변위 mm 3.038 43.800 6.94% O.K
휨응력 MPa 12.660 205.125 6.17%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7 : 굴
전단응력 MPa 9.368 121.500 7.71% O.K
착 9.8 m
합성응력 안전율 0.088 1.000 8.79% O.K
수평변위 mm 2.997 43.800 6.84% O.K
휨응력 MPa 12.660 205.125 6.17%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8 : 생
전단응력 MPa 9.368 121.500 7.71% O.K
성 strut-4
합성응력 안전율 0.088 1.000 8.79% O.K
수평변위 mm 2.997 43.800 6.84% O.K
휨응력 MPa 32.300 205.125 15.75%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9 : 굴
전단응력 MPa 27.267 121.500 22.44% O.K
착 12.4 m
합성응력 안전율 0.184 1.000 18.37% O.K
수평변위 mm 3.779 43.800 8.63% O.K
휨응력 MPa 32.300 205.125 15.75%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0 : 생
전단응력 MPa 27.267 121.500 22.44% O.K
성 strut-5
합성응력 안전율 0.184 1.000 18.37% O.K
수평변위 mm 3.779 43.800 8.63% O.K
휨응력 MPa 21.275 205.125 10.37%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1 : 굴
전단응력 MPa 8.634 121.500 7.11% O.K
착 14.6 m
합성응력 안전율 0.130 1.000 12.99% O.K
수평변위 mm 3.891 43.800 8.88% O.K
휨응력 MPa 41.195 205.125 20.08%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2 : 해
전단응력 MPa 39.892 121.500 32.83% O.K
체-1
합성응력 안전율 0.227 1.000 22.72% O.K
수평변위 mm 5.441 43.800 12.42% O.K
휨응력 MPa 64.585 205.125 31.49% O.K

CS13 : 해
체-2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3 : 해
전단응력 MPa 38.761 121.500 31.90% O.K
체-2
합성응력 안전율 0.341 1.000 34.13% O.K
수평변위 mm 8.359 43.800 19.09% O.K
휨응력 MPa 47.348 205.125 23.08%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4 : 해
전단응력 MPa 34.766 121.500 28.61% O.K
체-3
합성응력 안전율 0.257 1.000 25.72% O.K
수평변위 mm 7.978 43.800 18.22% O.K
휨응력 MPa 47.058 205.125 22.94%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5 : 해
전단응력 MPa 35.913 121.500 29.56% O.K
체-4
합성응력 안전율 0.256 1.000 25.58% O.K
수평변위 mm 7.935 43.800 18.12% O.K
휨응력 MPa 47.087 205.125 22.96%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6 : 해
전단응력 MPa 35.786 121.500 29.45% O.K
체-5
합성응력 안전율 0.256 1.000 25.59% O.K
수평변위 mm 7.940 43.800 18.13% O.K
휨응력 MPa 47.124 205.125 22.97%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7 : 해
전단응력 MPa 35.623 121.500 29.32% O.K
체-6
합성응력 안전율 0.256 1.000 25.61% O.K
수평변위 mm 7.946 43.800 18.14% O.K
휨응력 MPa 47.125 205.125 22.97% O.K
압축응력 MPa 5.626 216.000 2.60% O.K
CS18 : 해
전단응력 MPa 35.620 121.500 29.32% O.K
체-7
합성응력 안전율 0.256 1.000 25.61% O.K
수평변위 mm 7.946 43.800 18.14% O.K

13.4 흙막이벽체설계
단면검토
부재 시공단계 구분 단위 판정
발생(필요)량 허용(적용)량 발생/허용량
흙막이벽(우) 휨응력 MPa 0.617 18.000 3.43% O.K
CS1 : 굴
0.0~14.6 전단응력 MPa 0.030 1.600 1.87% O.K
착2m
두께검토 mm 18.515 100.000 18.51% O.K
휨응력 MPa 0.617 18.000 3.43% O.K
CS2 : 생
전단응력 MPa 0.030 1.600 1.87% O.K
성 strut-1
두께검토 mm 18.515 100.000 18.51% O.K
휨응력 MPa 0.611 18.000 3.40% O.K
CS3 : 굴
전단응력 MPa 0.030 1.600 1.85% O.K
착 4.6 m
두께검토 mm 18.431 100.000 18.43% O.K
휨응력 MPa 0.611 18.000 3.40% O.K
CS4 : 생
전단응력 MPa 0.030 1.600 1.85% O.K
성 strut-2
두께검토 mm 18.431 100.000 18.43% O.K
휨응력 MPa 2.386 18.000 13.26% O.K
CS5 : 굴
전단응력 MPa 0.116 1.600 7.23% O.K
착 7.2 m
두께검토 mm 36.408 100.000 36.41% O.K
휨응력 MPa 2.386 18.000 13.26% O.K
CS6 : 생
성 strut-3
CS6 : 생
전단응력 MPa 0.116 1.600 7.23% O.K
성 strut-3
두께검토 mm 36.408 100.000 36.41% O.K
휨응력 MPa 2.444 18.000 13.58% O.K
CS7 : 굴
전단응력 MPa 0.118 1.600 7.40% O.K
착 9.8 m
두께검토 mm 36.845 100.000 36.85% O.K
휨응력 MPa 2.444 18.000 13.58% O.K
CS8 : 생
전단응력 MPa 0.118 1.600 7.40% O.K
성 strut-4
두께검토 mm 36.845 100.000 36.85% O.K
휨응력 MPa 4.611 18.000 25.62% O.K
CS9 : 굴
전단응력 MPa 0.224 1.600 13.97% O.K
착 12.4 m
두께검토 mm 50.615 100.000 50.61% O.K
휨응력 MPa 4.611 18.000 25.62% O.K
CS10 : 생
전단응력 MPa 0.224 1.600 13.97% O.K
성 strut-5
두께검토 mm 50.615 100.000 50.61% O.K
휨응력 MPa 3.212 18.000 17.85% O.K
CS11 : 굴
전단응력 MPa 0.156 1.600 9.73% O.K
착 14.6 m
두께검토 mm 42.245 100.000 42.24% O.K
휨응력 MPa 8.521 18.000 47.34% O.K
CS12 : 해
전단응력 MPa 0.413 1.600 25.82% O.K
체-1
두께검토 mm 68.801 100.000 68.80% O.K
휨응력 MPa 8.506 18.000 47.26% O.K
CS13 : 해
전단응력 MPa 0.412 1.600 25.78% O.K
체-2
두께검토 mm 68.743 100.000 68.74% O.K
휨응력 MPa 8.507 18.000 47.26% O.K
CS14 : 해
전단응력 MPa 0.412 1.600 25.78% O.K
체-3
두께검토 mm 68.748 100.000 68.75% O.K
휨응력 MPa 8.507 18.000 47.26% O.K
CS15 : 해
전단응력 MPa 0.412 1.600 25.78% O.K
체-4
두께검토 mm 68.748 100.000 68.75% O.K
휨응력 MPa 8.507 18.000 47.26% O.K
CS16 : 해
전단응력 MPa 0.412 1.600 25.78% O.K
체-5
두께검토 mm 68.748 100.000 68.75% O.K
휨응력 MPa 8.507 18.000 47.26% O.K
CS17 : 해
전단응력 MPa 0.412 1.600 25.78% O.K
체-6
두께검토 mm 68.748 100.000 68.75% O.K
휨응력 MPa 8.507 18.000 47.26% O.K
CS18 : 해
전단응력 MPa 0.412 1.600 25.78% O.K
체-7
두께검토 mm 68.748 100.000 68.75% O.K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