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기획특집

마이크로그리드(MG) 기술

김 응 상 책임연구원 /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배전연구센터


eskim@keri.re.kr

1. 서 론 중요하다.

과거에 전력공급은 주로 원자력발전, 화력발전, 수력 국제적인 표준 및 기술기준 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발전 및 기타 발전으로 전력을 공급해 왔으며, 이러한 태양광 분야는 국제적인 전기에너지위원회 IEC TC
발전시스템의 대부분은 회전기를 이용한 교류발전 형 82, 풍력은 IEC TC 88 및 연료전지는 IEC TC 102의
태이었다. 하지만 국제적인 에너지 환경 문제가 대두되 각 워킹 그룹에서 전력변환장치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면서 그린에너지 전원의 개발 및 보급이 확대되기 시작 전력저장시스템은 2012년 일본의 제안으로 IEC TC 120
하였고, 선진국을 비롯한 우리나라 역시 1990년대부터 이 구성되었으며, 각 워킹 그룹(WG : Working Group)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및 전력저장시스템 등 분산형 에서 표준 및 기술기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전원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독립형 및 연계형으로 마 국내에서는 1990년대는 국가기술표준원 주관 하에 에
이크로그리드 형태로 전원공급이 변화되고 있다. 또한, 너지관리공단(현 한국에너지공단)이 주도적으로 추진
기존의 회전기 형태가 아닌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 하여 왔고, 최근에는 스마트그리드가 대두되면서 한국
력공급 형태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여 스마트그리드협회 산하 표준포럼에서 분산전원 도메인
러 개의 분산형 전원이 복합 연계되어 연계형 또는 독 위원회 위주로 상기 업무를 주관하여 왔으며, 전력저장
립형 마이크로그리드 형태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시스템의 전지 분야는 전지협회를 중심으로 전지에 대
는 각자의 다른 특성을 가진 전원들이 하나로 복합 연 한 표준작업을 수행해 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태양
계되어 부하로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복합제어 기술 광, 풍력, 연료전지 및 전력저장시스템 등 분산형 전원
이 우선 중요하며, 이러한 복합제어 기술은 국내외로 에 대한 전력변환장치의 국내외 표준화 작업 및 기술기
표준 및 기술기준화하여 공동 대응하는 것 또한 대단히 준의 진행 상태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102 계장기술
마이크로그리드(MG) 기술

2. 마이크로그리드(MG : Microgrid) 적으로 관리, 제어하기 위한 연계사단으로 게이트웨이


를 사용하고 있다. 보호계전기 및 정지형 스위치는 마
(1) MG 개요 이크로그리드의 계통연계점에 설치하여 전력계통 및
풍력, 태양광 등 고갈되지 않는 분산형 전원을 효율 마이크로그리드 내부를 보호하는 계전기의 기능과 이
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 MG) 상 검출 시 마이크로그리드를 전력계통으로부터 빠르
가 주목받고 있다. 마이크로그리드는 여러 개의 분산형 게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정지형 스위치가 결합된 기기
전원을 이용하여 독립 또는 연계형으로 전기와 열 등의 로 계통사고 시나 전력품질 저하 시 이를 검출하여 마
에너지를 공급하는 새로운 개념의 에너지 네트워크 [1] 이크로그리드를 계통에 재동기(Re-synchronization)
이다. 이는 기존 전력시스템과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 한다. 마이크로그리드 에너지관리시스템은 마이크로그
지고 있다. 리드의 운전 목적에 따라 에너지원, 저장장치들을 제어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성 요소로는 전력변환장치인 PCS 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부하까지도 제어함으로서
(Power conditioning system), 보호계전기 및 정지형 운전하게 된다. 운전의 목적은 에너지 비용의 최소화,
스위치인 STS/IED(Static transfer switch / Intelligent 전력구입량의 일정화, 피크 컷, 무정전화 등이 될 수 있으
electric device), 게이트웨이(Gateway), 마이크로그리드 며, 제약조건들을 고려하여 발전 계획을 세우고, 이를
에너지관리시스템(Microgrid management system,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다.
MMS) 등이 있다.
PCS는 분산형 전원들의 전력공급을 위하여 사용하 (2) MG 제어 기술
는 경우가 많으며, 범용의 분산형 전원 기기들을 통합 마이크로그리드에 접속되는 전원은 전력변환 컨버터

Many new things to manage!


Rootlop PV Solar

Utility-scale Energy Slorage Switches &


Electronics
Microturbine

Energy Slorage

Ground PV Solar Array


Distributed Generation
PHEVs Home Energy System

그림 1.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성도

2015. 9 103
전기 및 발전설비 안전관리를 위한 새로운 방안(2)

Utility Microgrids Industrial / Commercial Microgrids 고립 혹은 특수


마이크로그리드
도시형 전원형 Feeder 레벨 Lateral 레벨 (Remote and Special
(Urban) (Rural) (Multi-facility) (Single-facility) Microgrids)

산업단지, 대학캠퍼스, 도서계통 또는 함정,


대상 도심지 관광지, 농어촌 등 빌딩, 아파트 등
대형쇼핑센터 등 우주선 등
신재생에너지, 열병합
정전 방지, 정전 방지, 다품질 전력제어,
또는 특수목적(전략적
신재생에너지 이용, 신재생에너지 이용, 전기품질 및 다품질 전력제어,
목표 전력수요 관리, 부분
조류병목현상 완화, 장거리 송전 손실 신뢰도 개선, 손실 저감, 열병합, 수요관리
계통 파손 시 전력계통
보조 서비스 저감, 송전설비 절약 열병합, 수요관리
복구 등)

모드계통연계제어, 단독운전모드, 고립운전 계통연계제어, 단독운전모드, 고립운전모드


운영 모드 제어전력계통 사고, 유지보수를 위한 전력계통 사고, 전기품질 관련, 에너지 비용 고려, 고립운전모드
계획된 단독운전 수요관리 유지보수를 위한 계획된 단독운전

표 1. 마이크로그리드의 적용대상에 따른 제어요구조건[1]

(Converter) 혹은 인버터(Inverter)를 이용하여 연결되 되지 않는다.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부하와 발전량의 차


며,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이는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받음으로써 전체 계통이 안
빠르고 정밀하게 제어된다.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성하 정된다. 반면, 마이크로그리드가 단독으로 운전될 경우
는 중요한 장치들로는 인버터와 함께 에너지저장장치 에는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각 분산전원이 부하변동을
와 계통연계 스위치(Solid-state Inter-tie Breaker) 감지하여 각자 출력을 변동시켜야 한다.
등이 있다.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계되는 전원들은 회전 마이크로그리드의 제어시스템은 다양한 계통 상황
기의 경우 관성이 작거나, 일반적으로 출력을 증감하는 및 운영 모드에서 다양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안
데 시간 지연이 있어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전원과 전력 정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어시스템은 기
변환기 사이에 에너지 버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 본적으로 각각의 분산전원에 설치되며, 별도의 통신 매
다. 한편, 배터리를 사용하여 평소에 에너지를 배터리 체를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의 운전 상황 및 다른 분산
에 저장하였다가 피크부하 시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 전원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전력시스템의 특
식도 있다. 성상 수요와 공급이 실시간으로 일치하지 못할 경우에
마이크로그리드는 전원의 구성 방식, 전력계통과의 연 는 안정도에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실시간으
계 방식, 그리고 전원과 부하의 종류에 따라 세부적인 로 부하를 추종하기 위해서는 드룹(Droop)제어가 가장
제어 목표에 차이가 있으며, 이는 표 2에서 확인할 수 현실적인 대안이다.
있다. 드룹제어는 동기발전기의 제어에 사용되던 것을 인
마이크로그리드는 평상시에는 전력계통에 연계되어 버터에 적용한 것으로 많은 테스트와 검증을 거친 제어
운전하며, 전력계통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계 방식이다. 드룹제어의 원리는 부하가 증가할 때 각 분
통연계 스위치를 차단하고 단독으로 운전하여 신뢰도 산전원의 출력전압의 주파수를 일정 비율로 낮추면서
와 전기 품질을 개선시킨다. 마이크로그리드가 전력계 출력전력을 증가하는 것이다. 반면 부하의 소비전력은
통과 연계 운전할 때에는 부하의 변동은 크게 문제가 주파수에 대한 함수로 표현되는데, 일반적으로 주파수

104 계장기술
마이크로그리드(MG) 기술

Sensors
△f1
DG #1 DG #2 DG #n
State- State- State- Inverter Inverter
space space space Controller Control Hardware
model model model #1 Circuit I.e.) Valves,
Filters etc
△lDG1 △VBUS1 △lDG2 △VBUS2 △lDGn △VBUSn

Supervisory Controller
Sensors Microgrid
Network
State-space Model Inverter Inverter
Network
Controller Control
#2 Hardware
Circuit +
△VBUS1 △VILOAD1 △VBUS2 △VILOAD2 △VBUSm △VILOADm
Loads
Load #1 Load #2 Load #m Sensors
State- State- State-
space space space
model model model Inverter Inverter
Controller Control
#N Circuit Hardware

(a) Block diagram for Microgrid complete small-signal (b) Block diagram for Microgrid controller design
state-space model

그림 2. 마이크로그리드 해석 모델 및 제어 모델 개발을 위한 개념도[1]

가 떨어지면 소비전력도 감소하게 된다. 즉, 분산전원 반적으로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분리할 수 있는 dq축
들은 주파수를 낮추면서 출력을 증가하며, 주파수가 낮 에서 제어되므로 소신호 모델도 dq축으로 나타내는 것
아짐에 따라 부하가 감소하기 때문에 새로운 수요-공 이 유리하다. 각 버스에서 분산전원 및 부하의 dq축 모
급의 균형점으로 수렴하게 된다. [1]
델을 구한 후에 각 버스의 위상 차이를 고려하여 글로
벌 DQ축으로 변환하면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을 수 있
(3) MG 해석 기술 고, 선형화된 A행렬을 구할 수 있다. A행렬은 계통의
마이크로그리드 전체의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작점 특성 및 제어게인 등의 함수로 나타내기 때문에
대신호모델(Large-signal model)과 소신호모델(Small- 특정 동작점에서 제어게인에 따른 민감도를 해석할 수
signal model)같은 시스템 모델이 필요하다. 대신호모 있다.
델은 시스템의 동특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소신호모델 그림 2의 (b)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시스템 레벨 제어
은 안정도 및 각 변수들의 민감도를 해석할 수 있다. 기 설계를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마이크로그리드
그리고 소신호모델은 시스템을 선형화하기 때문에 선 는 운전 모드와 동작점이 크게 변하며 매우 복잡한 비
형시스템 원리를 쉽게 적용할 수 있으나 모델이 동작점 선형 시스템이기 때문에 제어기 설계 및 튜닝이 매우
(Operating point) 가까운 곳에서만 의미가 있으며, 운 번거롭다. 동작점 변화가 큰 비선형 시스템 제어를 위
전모드 및 동작점이 심하기 때문에 소신호모델을 사용 해 고안된 적응제어(Adaptive control) 등을 적용할 수
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있겠으나, 마이크로그리드의 차수가 부담스럽게 크기
그림 2의 (a)는 마이크로그리드 전체의 소신호모델 때문에 선형화하기에도 비선형제어를 하기 어려운 문
을 개발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분산전원은 일 제점이 있다.[1]

2015. 9 105
전기 및 발전설비 안전관리를 위한 새로운 방안(2)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포럼

운영위원회

조정위원회

기술위원회 상임위원회

용어 프레임워크 로드맵

송전 배전 사이버 보안

발전 분산자원 국제협력

운송 시험 인증

소비자

시장 운영 사업자

그림 3.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포럼 조직도

3. 국내 MG 표준 및 기술기준 도메인 위원회 위원장


신규 제안(NP)
(4주)

(1) 국내 MG용 표준
국내에서의 ESS용 전력변환장치 관련 단체 표준은 도메인 위원회 산하
작업 초안(WD) 프로젝트팀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포럼(SGSF, Smart Grid Standard (28주)

Forum)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협회


상임 WG(7주)
의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포럼을 중심으로 국내 표준을
위원회안(CD)
만들어 표준협회에 인준을 거친 뒤 국내 표준을 만든 도메인 위원회(7주)
다.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포럼 조직도[2]는 그림 3과 같
다. 그 중 분산자원(DER, Distributed Energy Resource) 운영위원회
최종표준안(FDFS)
(4주)
도메인위원회에서는 신재생 발전원을 포함하는 분산자
원에 대한 독립형 및 기존 전력망과의 안정적인 연계
및 운용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표준화를 진행한다.
포럼표준(SGSF)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포럼의 표준문서 제 개정 절
차[2]는 그림 4와 같다. 새로운 표준문서 및 기술보고서 그림 4. SGSF 표준문서 제 개정절차

106 계장기술
마이크로그리드(MG) 기술

제정을 위해서는 NP(New Work Item Proposal)를 제 (2) 국내 MG 기술기준


안하여야 한다. 이는 PT(Project Team)를 통하여 표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도하고 산하에 전문위원회에서
문서 및 기술보고서(WD, Working Draft)로 작성되고, Task Fost 팀을 만들어 작업을 수행 후 초안을 만들어
도메인위원회에서 투표를 거쳐 CD(Committee Draft) 공청회를 통해 국가 기술기준을 작성한다. 기술표준원
라는 표준문서 및 기술보고서가 제정된다. 최종적으로 의 KS 표준 제정 방법[3]은 그림 5와 같다. 학회, 협회,
운영위원회를 대상으로 투표를 거쳐 FDFS(Final Draft 연구소 등 전문가 또는 자체 조사 연구를 통하여 초안
Forum Standard)의 최종 표준문서 및 기술보고서가 작성을 한 뒤 관련 행정기관의 소관사항과 표준의 적용
작성되며, 이를 포럼표준(SGSF)로 제정한다. 또 SGSF 및 사용에 지장이 없는지를 검토한 후, 공청회를 개회
표준을 작성한 후 표준협회에 단체표준의 절차를 거쳐 한다. 이후 산업표준심의회를 통하여 심의를 거쳐야 하
야 한다. 는데, 전문 기술 분야 등 전문위원회의 검토가 필요할
경우는 전문위원회로 이송시켜 검토하며, 전문위원회
심의는 전문분야별로 구성된 전문위원회가 기술심의회

① 초안작성의뢰(용역 등) ⑤ 심의의뢰 산업표준심의회


학회, 협회, 연구소 등 전문가
또는 자제 조사 연구 ② 초안작성제출 ⑥ 심의완료통보
표준회의
이해 관련인의 신청 국가기술표준원
기술심의회
③ 의견조회
제정 예고(60일) 이해 관계인의
의견 청취(관보에 고시)
④ 의견회신 전문위원회

공청회 개최

⑦ 제정
KS 한국표준협회
⑧ 고시
관보 또는 국가표준 홈페이지
(www.standard.go.kr) ⑨ 출판(책자, CD-Rom)하여 보급

⑩ 보급(KS 영문판)

해외 연구기관 교육기관 생산업체 정부기관 소비자

그림 5. 국가기술표준원 KS 표준제정 방법

2015. 9 107
전기 및 발전설비 안전관리를 위한 새로운 방안(2)

로부터 이송된 표준안에 대하여 심의하고, 심의결과를 이상에서와 같이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전력변환장


기술심의회에 통보한다. 정해진 절차를 완료하고, 표 치로 특별히 표준이나 기술기준을 정한 바는 아직 없으
준안이 확정되면 국가기술표준원장은 한국산업표준으 며, 국가기술표준원 지원 에너지관리공단(현 한국에너
로 제 개정, 확인 또는 폐지 고시하고, 관보 및 국가기 지공단) 주도로 2005년 분산형 전원의 계통연계기술기
술표준원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함으로써 KS 표준이 준이 고시되어 운영 중에 있다. 전력저장시스템용으로
확정된다. 는 국가기술표준원 산하에 전력저장시스템 전문위원회
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중심으로
단체표준이 일부 제정되어 운영 중에 있고, 더 필요한
4. 결 론 사항은 추가적으로 작성 중에 있다. 또한, 전지협회 중
심으로 에너지저장장치용 전지에 대한 단체표준이 일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에너지의 효 부 제정되어 운영 중에 있으나 기술기준은 아직 제정되
율성이 각광받고 있으며, 전력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지 않아 진행 중에 있으며, 국가 기술표준원 산하 전문
도 광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에서는 국제적인 에너 위원회 중심으로 국제 표준 및 기술기준 작업에 적극적
지환경 문제 대두로 인해 기존의 회전기형 전력공급 형 으로 대응하고 있다.
태에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공급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태양광, 풍력 및 연료전지 등 마이크로
그리드의 핵심 기술 동향 및 전망을 정리하였다. <참고문헌>
[1] 정일엽, 마이크로그리드의 제어 및 에너지관리 기술
그리고 마이크로그리드용 전력변환장치와 에너지저 동향, 전기의 세계, 제57권 제10호, pp.35-42,
2008
장장치용 전력변환장치의 국내외 표준 및 기술기준의
[2] 스마트그리드표준화포럼 홈페이지,
진행 현황을 요약 정리하였다. 국내적으로는 기존의 에 www.sgstandard.org
너지관리공단에서 추진해왔던 표준 및 기술기준 현황 [3] 국가기술표준원 홈페이지, www.kats.go.kr
을 정리하였고, 최근 마이크로그리드가 대두되면서 한
국스마트그리드협회의 표준화 포럼 중심으로 추진해온
표준 현황, 전지협회 중심으로 추진해온 현황과 국제
전기위원회의 주도로 추진하고 있는 표준 및 기술기준
에 대한 현황을 정리하였다.

108 계장기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