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매설배관 탐지를 위한

MFS 기술에 대한 소개

임종수

티피한 (TFYHNN)

zslkr@yahoo.com
기술의 개요

MFS (Magnetic Field Survey, 자기장 서베이) 기법

■ 매설 금속배관에 대한 위치 및 깊이 탐지 기술

O 지중 배관에 교류전기를 통전
Bio-Savart 법칙 배관 주위 자
 지상에 자기장 발생 기장 분포
 잡음에 강한 저주기 자기장 신호 활용 도선 전류에 의한 자기장 발생
O 전용 자기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자
기장을 스캔

O 지상에서의 자기장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배관


의 매설 위치 및 깊이를 분석

 배관의 수평 위치 : 자기장 곡선의 피크 점

 배관의 심도 : 사전에 구한 검정곡선

(calibration curve)을 이용하여 판정

O 통전 방식은 기존의 Loop 법과 유사하나 자기


장 취득 및 해석 방법에 차별화

자기센서모듈

전원 모듈 자기장 측정장치

매설배관 탐지장치

1.0
1.6m
2.25m
0.9 2.75m
3.22m
3.71m
0.8 4.23m
4.73m
5.19m
0.7
Bx normalized

5.73m
6.21m
6.73m
0.6 7.25m

0.5

0.4

0.3

0.2

자기장 측정용 센서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Position (mm)

모듈
검정곡선
다른 기술과의 비교

■ 전자유도탐사법 (Radiodetector)

O 전도체에 전류를 흘릴 경우 발생하는 자기장을 측정하여 배관


을 탐사
O 간접법, 직접법, 크램프법, 통선법 등의 다양한 방식이 있음

Radiodetector
■ 지중레이다탐사법 (GPR: Ground Penetrating Radar)

O 지중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사한 뒤 지중구조물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한 뒤 영상분석을 통해 배관탐사
O 플라스틱 배관 등에 유용하나 복잡한 환경 하에서 응용이 제
한적임
GPR (Ground
Penetrating Radar)
■ 기존 기술 대비 장단점

평가항목 GPR 전자유도법 본기술 (MFS)


애매함 심도 10 m 까지
고심도(3m이상) 불능
(5m 이상은 불능) 탐지 가능
고압선, 가드레일, 울타리, 잡목
불능 불능 탐지 가능
등의 간섭요소가 있는 구간
콘크리트 (철근 및 와이어매쉬
불능 불능 탐지 가능
부설) 도로
다중 지하시설물 인접 구간 해석이 곤란 분리탐지 곤란 분리탐지가능
노면 불균일 (인도와 차도간
가능하나 적용상
단차, 경사 농지 등이 있는) 불능 가능
난이도가 높음
구간
관경이 작을 경우 불리 가능 가능
맨홀간 지상
장거리 배관 저가로 널리
이용 편의성 전원선 포설이
탐지시 유리 이용됨
필요
* 탐지 가능성은 현장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 국토개발연구원, 지하 시설물 조사 및 탐사방법과 비용발생요인 연구 (건설교통부 1997)


기술의 검증 및 향후 계획

■ 본 기술의 적용사례

O P사의 공장 환경하에서 적용

- P사 내부 지중 매설 용수배관 매핑에 적용

70 km 이상에 대해 탐지율 95 % 이상

O K사의 테스트베드에서 검증
탄천 1교 인근 테스트
1) 불탐 지역에 대한 탐지 가능성 확인

2) GIS 정보가 기확보된 장소에서 정확도 비교


검증 결과 우수 판정

천안 풍세면 인근 테스트
■ 정확도 검증 결과

O 배관 포설시 확보한 데이터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 평탄한 농지 기준 심도 3m의 경우 위치오차 20cm 이내, 심도오차 40cm 이내를


확보함.

- 심도 오차 저감을 위해 현재 장비 업그레이드중임.

■ 향후계획

O 국가 지리정보 상 매설관 위치 정확도 향상 사업 참여

- 매설관에 대한 불탐 구간(광역상수도망의 경우 총 연장
의 10% 이상)의 저감으로 배관 관리의 스마트화에 일조

O 공장 내부 지하매설물 매핑 사업에 참여

O 해외 진출을 통해 지하시설물 매핑 사업 참여

복잡한 지하시설물의
3차원 지도 작성의 예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