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크래독과 신설교학운동

2021년도 1학기 강의계획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과 목 명: 크래독과 신설교학운동 월 4-6교시
담당교수: 황 병 준 교수
대 상: 대학원 박사과정
강 의 실: 종합정보관 407호
교수연구실: 종합정보관 901호.
연락처: (041) 560-8106. Email: vandy26@hanmail.ne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강의개요 (Course Descriptions)


본 수업의 목적은 설교의 성서적, 역사적, 신학적 배경을 연구하며, 더 나아가 설교신학흐름 연구를 통하여
현대설교의 변천을 탐구하며, 설교와 청중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다양한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방안을
학습하는데 있다. 더불어 예배 안에 설교의 예전적인 의미, 기능적 역할, 설교의 주제와 형태 등 다양한 주
제를 토론, 학습한다.

2. 수업방법 (Class Format)


본 강의는 강의, 발제, 토론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3. 연구과제 및 성적평가기준 (Assignment & Grading)


중간발제 (30%) 발 제 – 1인1회/본 수업주제 중 한 주제를 선택하여 수업진행 및 토론인도
기말고사 (30%) 소논문 (A4 15장)/개별적 설교주제선정 - 마감일: 기말고사기간
과제(20%) 수업발표자료
출결석/수업참여도(20%) * 무단으로 2회 이상 결석할 경우 수업참여도 (20%)는 부여되지 않습니다.
* 결강원은 한 학기 1회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1회까지 수용)

4. 주별 강의 내용

1주 오리엔테이션/수업개요
1부

2주 크래독(Fred. B. Craddock)의 귀납적 설교이해 (김외식, 신학과실천, 2002)_____


현대설교의 한 흐름: 장르가 살아있는 설교 (권호, 설교한국, 2013 봄)_____
설교사역의 정의 목적 (이성민, 기독교언어문화논집, 2005).________________

3주 새로운 설교학 운동의 이해와 한국적 수용 (정인교, 논문발표집, 2003)_____


Eugene Lowry의 설교신학과 평가 (류응렬, 복음과실천신학, 2009)_____
후기 새로운 설교학의 등장에 관한 연구 (최진봉, 신학과실천, 2010).________________

4주 포스트모던 상황에서의 설교를 위한 대화적, 협력적 소통을 통한 메시지

- 1 - 호서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창안(Invention)이론에 대한 연구 (나광현, 한국실천신학회발표자료짐, 2014)._____
포스트모던 청중을 위한 적용이 살아있는 강해적 교리설교 (박현신/복음과실천신학,
2014)._____
포스트모더니즘과 설교 (박창훈, 복음과실천신학, 2007).________________

2부

5주 21세기를 호흡하는 살아있는 설교 (미디어시대의 새로운 설교학 1장)_____


설교의 내용과 관심사 (미디어시대의 새로운 설교학 2장)_____
연결과 확신(미디어시대의 새로운 설교학 3장).________________

6주 구조와 구성 (미디어시대의 새로운 설교학 4장)._______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시대의 새로운 설교학 5장),_______
구체화와 변혁 (미디어시대의 새로운 설교학 6장)________________

7주 강해설교의 청중주해에 관한 연구 (박현신, 복음과실천신학, 2015)._______________


청중에 대한 설교학적 이해 (이승진, 발표논문집, 2003).
설교에 있어서 본문과 상황의 이분법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 (이광희/복음과실천/ 2014)

3부

8주 희망의 언어로서의 예언적 설교 (박상일, 21세기 설교학 1장, 2014)_______


포스트모던시대에서의 설교 (김운용, 21세기 설교학 2장)_______
이머징교회와 설교 (황병준, 21세기 설교학 3장)________________

9주 왜곡된 세상을 흔드는 설교 (Jane Childers, 21세기 설교학 4장)_______


설교 장르와 신학적 설교의 갱신 (톰, 21세기 설교학 5장)_______
설교해석학 관점의 설교이해 (최진봉, 21세기 설교학 7장)________________

10주 수사학적 관점에서 본 설교이해 (전창희, 21세기 설교학 8장)_______


예수 만나기 - 성육신 행위로서의 설교 (21세기 설교학 9장)_______
성례전과 설교 (김순환, 21세기 설교학 10장)________________

4부

11주 John Calvin의 목회적설교에 나타난 적용패러다임에관한고찰(박현신/복음과실천/2013).


존 웨슬리와 설교 (김홍규, 기독교언어문화논집, 2005)_______
위대한 설교자 존 웨슬리 (정인교, 복음과실천, 2005, 가을)________________

12주 조나단 에드워즈의 설교 연구 (이승진, 복음과실천, 2005, 가을)


칼 바르트의 설교이해에 대한 설교학적 평가 (정인교, 복음과실천, 2005, 봄)

- 2 - 호서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루돌프 불트만의 ‘실존주의적 상황설교’에 관한 연구 (김윤규, 신학과실천, 2010)

13주 디트리히 본회퍼의 설교학에 관한 연구 (김윤규, 신학과실천, 2012)


포스딕(Harry Fosdick)의 설교방법론 (박은규, 신학과실천, 2000)
Lloyd-Jones의 설교와 신학의 관계성 고찰. (박영호, 복음과실천신학, 2011).

14주 설교의 형성과 작성에 관한 신학적 연구 (위형윤, 신학과실천, 2006).


설교자와 성경주석: 성경주석서의 선택과 활용 (박성환, 설교한국, 2011 봄)
성서정과와 강해설교의 접목 가능성과 실제 (김순환, 복음과실천, 2006).

15주 기말고사 – 소논문발표

케리그마 설교의 현대적 적용과 해석학적 과제 (문상기, 신학과실천, 2004).


설교 작성을 위한 비유 이해와 사용 (박성환, 복음과실천신학, 2015)
청지기적 삶을 위한 헌금설교의 바람직한 방향성 연구 (문병하, 신학과실천, 2009).
강해설교에 대한 오해와 이해 (전창희, 신학과실천, 2013).
주제설교의 한계극복을 위한 제언 (오현철, 복음과실천신학, 2010).
설교학과 성서해석학 (전창희, 신학과실천, 2013).
구약성서 설교를 위한 풍유적 해석과 (이성민, 기독교언어문화논집, 2006).
설교에 있어서 청중이해의 중요성 고찰 (황인찬, 국제신학, 2011).
설교와 청중: Bill Hybels 목사의 주중설교와 주말성교 비교연구 (황빈, 2014).
Timothy Keller 의 설교를 위한 그리스도 중심적, 상중적 관점의 해석학 연구 (김대혁,
복음과실천신학, 2015).
설교의 적절성과 적용 (이승진, 설교한국, 2012 가을)

5. 기본교재
박상일. 황병준. 21세기 설교학, 서울: 올리브나무, 2014.
랜돌프 데이비드, 황병준, 박상일 역, 미디어시대의 새로운 설교학, 서울: 올리브나무, 2015.
학술논문집 모음 파일

6. 참고
로버트 웨버. 예배학. 생명의 말씀사, 2005.
로이드 존스. 목사와 설교.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정일웅. 기독교 예배학 개론. 범지 출판사, 2000.
토마스 트로거. 멀티미디어 시대의 설교전략 10가지,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1998.
해돈 W. 로빈슨. 강해설교.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후레드 크래독. 설교: 열린 체계로서의 귀납적 설교방식. 컨콜디아사, 2003.

- 3 - 호서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