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3 화음과 7 화음>

 3 화음
1. 3 화음의 정의
- 어떤 음으로 시작해 3 도 간격으로 연속하여 두 번 쌓아 만든 세 음의 결합체

2. 3 화음의 종류

3 화음의 종류 음정구성 화음기호


장 3 화음 장 3 도+단 3 도 M
단 3 화음 단 3 도+장 3 도 m
증 3 화음 장 3 도+장 3 도 +
감 3 화음 단 3 도+단 3 도 ◦

3. 장∙ 단조의 3 화음

 장조

 단조

4. 화음들의 기능상 이름
음악분석(III) Spring 2021

 화음표기에서 로마숫자 대문자(I)는 장 3 화음을, 소문자(i)는 단 3 화음, 작은 동그라미 (o)표시가 있으면


감 3 화음, +가 있으면 증 3 화음을 뜻한다.

5. 3 화음의 전위

 7 화음
1. 7 화음의 정의
- 3 화음에 3 도를 한번 더 쌓아 만든 다음, 네 음으로 구성된 화음을 뜻한다.
음악분석 III Spring 2021

2. 7 화음의 종류

7 화음 장 7 화음 단 7 화음 장단 7 화음 감 7 화음 반감 7 화음
종류
장 3 화음 단 3 화음 장 3 화음 감 3 화음 감 3 화음
화음 + + + + +
구성 장3도 단3도 단3도 단3도 장3도

음정 장 3+단 3+장 3 단 3+장 3+단 3 장 3+단 3+단 3 단 3+단 3+단 3 단 3+단 3+장 3
o o o
화음 M7 m7 7 7 7( 에 대각선)

3. 장∙ 단조의 7 화음
1) 장조에서의 7 화음

(o 에 대각선)

(o 에 대각선)

2) 장조에서의 온음계적 7 화음의 성질

장 7 화음 장단 7 화음 단 7 화음 감 7 화음 반감 7 화음

IM7, IVM7 V7 ii7, iii7, vi7 없음 viio7(o 에 대각선)


음악분석(III) Spring 2021

3) 단조에서의 7 화음

4) 단조에서의 온음계적 7 화음의 성질

장 7 화음 장단 7 화음 단 7 화음 감 7 화음 반감 7 화음

IIIM7, VIM7 V7 i7, iv7 viio7 iio7

4. 7 화음의 전위

기본위치 제 1 전위 제 2 전위 제 3 전위

종지(Cadence)

 종지(Cadence)의 종류

종지(Cadence)의 종류 화성진행
정격종지 V-I 나 V7-I
음악분석 III Spring 2021

(Authentic Cadence)
반종지 어떤화음-V
(Half Cadence)
변격종지 IV-I
(Plagal Cadence)
허위종지 V-vi
(Deceptive Cadence)

1. 정격종지(Authentic Cadence: AC)


- V-I 나 V7-I 의 화성진행을 뜻함
-
1) 완전 정격종지(Perfect Authentic Cadence: PAC)
- 종지를 형성하는 딸림화음과 으뜸화음이 모두 기본위치로 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으뜸화음의 최고 성부에 으뜸음인 근음이 위치할 경우

2) 불완전 정격종지(Imperfect Authentic Cadence: IAC)


① 종지를 형성하는 딸림화음과 으뜸화음 중 하나나 둘이 모두 전위되어 있을때
② 기본위치로 되어 있을지라도 으뜸화음의 최고 성부에 으뜸음이 아닌 3 음이나
5 음이 위치할 경우
③ 이끔음 종지: vii○6 화음이 으뜸화음 앞에 와서 종지를 형성 (vii○6 – I)
음악분석(III) Spring 2021

2. 반종지(Half Cadence: HC)


① 잠시 쉬어가는 ‘휴게소’ 와 같은 역할을 하는 종지
② 어떤화음→V 의 화성진행, 주로 I - V 나 ii - V, IV – V 의 진행

3. 변격종지(Plagal Cadence: PC)


① IV – I 의 진행이 종지를 형성하는 경우
② 이끈음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종지감이 매우 약함
③ 찬송가와 성가곡의 끝부분 ‘ 아멘”에 사용되는 종지
“아멘종지(Amen Cadence)”라고도 부름
음악분석 III Spring 2021

4. 허위종지(Deceptive Cadence: DC)


① 으뜸음을 포함하는 다른 화음이 으뜸화음 대신 사용되어 종지를 형성하는 경우
② V – vi 의 진행을 말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