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소방영어

P A R T 0 1

구문독해

7
참 쉬운 이솔 영어

Chapter

01 이것은 주어다

영어의 문장은 대부분 주어 + 동사로 시작된다. 모든 문장의 주어가 짧은 하나의 명사이면 좋겠지만
가끔씩 주어가 너무나도 길어져서 동사를 찾는데 혼란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주어자리에 올 수 있는
것들은 크게 명사에 해당하는 것들로 명사, 대명사, 명사구, 명사절이 있다. 주어가 길어지는 경우는 바
로 명사구와 명사절 때문인데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동사를 찾는 연습을 해보자.

1 명사
My dream is to become a politician.

2 대명사
He is not that smart.

3 부정사구 (~하는 것, ~하기)


To make a decision is difficult for me.

4 동명사구 (~하는 것)
Reading English is easier than speaking it.

5 의문사 to부정사

who(m) + to V 누가(누구를) V를 해야 하는지


when + to V 언제 V를 해야 하는지
where + to V 어디에서 V를 해야 하는지
which + to V 어느 것을 V 해야 하는지
what + to V 무엇을 V 해야 하는지
how + to V 어떻게 V 해야 하는지
whether + to V1 or V2 V1을 할지 V2를 할지

How to resolve this crisis is crucial.

6 that 절 (~것)
That he passed the exam is true.

8
소방영어

7 what 절 (~것)
What I want to do is to travel around the world.

8 whether절 (~인지 아닌지)


Whether it was an accident or not is not yet known.

9 의문사절 (의문사 + S + V)
When the picture was painted is still unknown.

10 복합관계 대명사절

whatever(무엇이든지 간에)
whichever(어느 것이든지 간에)
who(m)ever(누가 / 누구를 ~하든지 간에)

Whatever you have can be valuable things.

9
참 쉬운 이솔 영어

01 When to go is not a problem for us.

02 What happened is not so important now.

03 To have delicious meal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him.

04 Whether it is true or not is not yet known.

05 Whoever purchases this phone will get a chance to join our event.

10
소방영어

06 That the earth must be flat looked obvious until the 15th century.

07 Giving up old comforts and habits is very hard.

08 Whether the criminal who escaped from jail committed another crime is not known yet.

09 Getting rich information was very expensive, and the tools for analyzing it weren't even
available until the early 1990s.

10 How successful we are at forming good relationships and how valued we feel by other
people make a big difference in how good we feel about ourselves.

11
참 쉬운 이솔 영어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Around 1 or 2 p.m., Spanish people stop working completely to take a nap for a couple of
hours. To take a long break in the middle of the day is not only healthier than to continue
to work; it's apparently more natural. Sleep researchers have found that the Spanish sleeping
schedule may be tuned more closely to our biological clocks. Studies suggest that humans are
naturally inclined to break the day into two periods by sleeping in the middle. The drowsiness
you feel after lunch comes not from the food but from your preference for dividing the day
into two.

① 근무 집중도를 높이는 방법 ② 낮잠과 생체 리듬의 관계


③ 낮잠이 생체 리듬에 미치는 영향 ④ 스페인인들의 독특한 낮잠 습관

12
소방영어

| 해석연습 |
01 언제 갈지는 우리에게 문제가 아니다.
02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지금 중요하지 않다.
03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은 그에게 가장 중요하다.
04 사실인지 아닌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05 이 전화기를 사는 사람이면 누구든지 간에 이벤트에 참여할 기회를 얻을 것이다.
06 지구가 평평해야만 한다는 것은 15세기까지 명백해 보였다.
07 오래된 편안함과 습관들을 포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08 감옥을 탈출한 범죄자가 또 다른 범죄를 저지를지 아닐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09 풍부한 정보를 얻는 것은 매우 비싸고 이것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들은 1990년대까지 가능하지 않았다.
10 얼마나 성공적으로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다른 사람에 의해 우리가 어떤 평가를 받는지는 우리 자신 스스
로에 대해 어떻게 좋게 느끼는지에 대해 무척 큰 차이를 만든다.

| 실전문제 |

오후 1시 또는 2시경, 스페인 사람들은 두세 시간 정도 낮잠을 자기 위해 일을 완전히 놓는다. 하루의
중간에 긴 휴식을 취하는 것은 일을 계속하는 것보다 몸에 더 좋을 뿐 아니라 분명히 더 자연스러운
일이기도 하다. 수면 연구가들은 어쩌면 스페인 사람들의 수면 스케쥴이 우리의 생체 시계에 더 가깝
게 맞추어져 있는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런 연구 결과들은 사람이 본래 중간에 잠을 자서
낮을 이분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점심식사 후 당신이 졸린 것은 음식 때문이 아니라 낮을
둘로 나누고 싶어하는데서 비롯된 것이다.

13
소방영어

P A R T 0 2

유형별
독해

77
참 쉬운 이솔 영어

Chapter

01 Skimming 1 요지, 목적, 주장

| 유형 분석 & 전략 |
다음 글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첫 문장으로 소재를 파악한다.


2 반복 되는 표현은 곧 주제이다.
3 주제문은 처음 보다는 지문의 중간이나 마지막에 더 잘 나온다.
4 필자의 주장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표현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한다.
① ‘~ 할 것이다, 해야 한다’의 뜻을 가진 조동사 (will, should, must, have to, ought to)
② 명령문 (R, Don't R, Never R으로 시작하는 문장)
③ 역접, 양보의 연결어 (But, However, Yet, Though, Although)
④ 목적을 나타내는 단어들 - aim, goal, object
⑤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들 - glad, sorry, sad, happy
⑥ 의견을 나타내는 표현들 - In my opinion, I think, I believe

78
소방영어

01
다음 중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18 소방 1차 변형]

No says the entertainment industry, yes says almost all of the research.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have all funded studies that linked
violence on the screen with violence in real life. According to researcher L.Rowell
Huesmann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letting children watch lots of television is like
smoking. Both increase the potential for disaster. As Huesmann puts it, "Just as every
cigarette increases the chance that someday you will get lung cancer, every exposure to
violence increases the chances that some day a child will behave more violently than he or
she otherwise would.

① Television violence contribute to real world violence.


② Smoking scenes should be removed on TV.
③ We should let children watch TV.
④ Violence affects cancer.


violence 폭력 disaster 재앙 lung 폐 exposure 노출
아이들에게 텔레비전을 보게 놔두는 것은 해롭다는 언급이 나와있고 폭력에 대한 노출은 폭력적으로 행
동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고 했으므로 ①번이 정답이다.
엔터테이먼트 사업은 아니라고 말하지만, 거의 모든 연구는 맞다고 말한다. 미국 의학 협회, 미국 심리학
협회, 미국 소아학 협회, 전국 정신 건강 협회는 모두 화면상의 폭력과 실제 폭력에 연관을 둔 연구에 자
금을 투자해왔다. 미시간 대학의 연구자 L.Rowell Huesmann에 따르면 아이들이 텔레비전의 많은 것을
보게 놔두는 것은 담배를 피는 것과 같다. 둘 다 끔찍한 재앙의 잠재력을 증가시킨다. Huesmann은 다음
과 같이 말했다. “단지 모든 담배가 어느 날 네가 폐암에 걸릴 것이라는 가능성을 증가시키듯, 폭력에 대
한 모든 노출은 어느 날 아이가 더 폭력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폭력에 대한 노출이 없었을
때 그런 것보다.”
① 텔레비전 폭력은 현실세계의 폭력에 기여한다.
② 흡연 장면은 텔레비전에서 없어져야한다.
③ 우리는 아이들이 텔레비전을 보게 놔둬야 한다.
④ 폭력은 암에 영향을 미친다.

7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