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9

2020년도

2020년도 부처별 창업지원사업


목 차
Ⅰ. 2020년도 부처별 창업지원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사업화
1.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육성 1
2. K-Global DB-Stars 2
3. K-Global 액셀러레이터 육성 3
4. K-Global 스타트업 공모전(Hi-Tech Startup) 4
5.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5
6. 예술분야 창업 아이디어 발굴 6
7. 예술분야 초기기업 사업기반 구축지원 7
8. 예술분야 성장기업 사업도약 지원 8
9. 콘텐츠 스타트업 창업육성 프로그램 9
10. 스포츠산업 액셀러레이터 10
11. 스포츠산업 창업지원센터 11
12. 농식품 벤처육성 지원 12
13. 농식품 벤처창업 판로지원 13
14. 농식품 기술창업 액셀러레이터 육성 지원 14
15. 지역 클러스터-병원 연계 창업 인큐베이팅 지원 15
16. 사회적기업가 육성 16
17. 해양수산 창업투자지원센터 17
18. 해양신산업 인큐베이팅 18
19. 예비창업패키지 19
20. 초기창업패키지 20
21. 창업도약패키지 21
22.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22
23. 민관공동 창업자 발굴육성(TIPS) 23
24. 사내벤처육성 25
25. 재도전 성공패키지 26
26. 창업기업지원서비스 바우처 27
27. 창업성공패키지(청년창업사관학교) 28
28. 창업성공패키지(글로벌창업사관학교) 29
29. 로컬 크리에이터 바우처 지원 30
30. 장애인 창업사업화 지원 31
31. 장애인기업 시제품 제작 지원 32
32. 혁신분야 창업패키지(3대 신산업분야) 33
33. 혁신분야 창업패키지(소재·부품·장비) 34
34. 스타트업 특허바우처 35
35. 기상기후산업 청년창업 지원 36
목 차

◇ R&D
36. 민관협력기반 ICT 스타트업 육성 37
37. 연구개발특구육성 38
38. 스포츠 창업 촉진 기반기술개발 39
39. 농식품 기술 평가지원 40
40. 농식품 산업 기반 연구지원 41
41.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 42
42. 창업성장기술개발 43
43. 농업실용화기술 R&D 지원 45

◇ 창업교육
44. 대학 창업교육 체제 구축 46
45. 학생 창업유망팀 300 47
46.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 48
47. 창업이민인재양성프로그램 49
48. 실전창업교육 50
49. 메이커 문화 확산 51
50. 청소년비즈쿨 52
51. 대학기업가센터 53
52. 장애인 맞춤형 창업교육 54
53. 멘토링플랫폼 운영지원 55
54. 신사업창업사관학교 56
55. IP기반 차세대영재 기업인 육성 57

◇ 시설·공간·보육
56. K-Global 클라우드 기반 SW 개발환경 지원 58
57. K-Global 빅데이터 스타트업 기술지원 59
58. 출판지식 창업보육센터 운영 60
59. 캠퍼스 혁신파크 61
60. 1인 창조기업 활성화 지원 62
61. 창조경제혁신센터 63
62. 스타트업 파크 64
63. 중장년 기술창업센터 65
64. 판교밸리창업존 66
65.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 67
66. 창업보육센터 지원 68
67. 장애인기업 창업보육실 운영 69
68. 발달장애인 특화사업장 구축 70
목 차

69. 소셜벤처 육성 71
70. 광주 스타트업 캠프 72
71. 코리아 스타트업 센터(KSC) 73

◇ 멘토링·컨설팅
72. 청년 등 협동조합 창업지원 74
73. K-Global 시큐리티 스타트업 75
74. K-Global 창업멘토링(ICT 혁신기술 멘토링) 77
75. 농식품 벤처창업센터 운영 78
76. 농식품 벤처창업 인턴제 79
77.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활성화지원 80
78. 물산업 협력 스타트업 지원 81
79. 공간정보컨설팅 82
80. 공간정보 창업기업 전략캠프 83
81. 여성벤처창업케어프로그램 84
82. 생활혁신형 창업지원 85
83. IP 디딤돌 프로그램 86
84. IP 나래 프로그램 87

◇ 행사·네트워크
85. 농식품 창업 콘테스트 88
86. 2020 환경창업대전 89
87. 도전! K-스타트업 90
88. 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91
89. 장애인 창업아이템 경진대회 92
90. 여성창업경진대회 93

※ 통합공고 후 부처 추가 설명자료
○ 관광벤처사업 발굴 및 지원 94
Ⅰ . 2020년도 부처별 창업지원사업
사 업 화

01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육성 사업화

대학 인사·학사 제도 개편, 기술창업 전문인력 확보 및 R&D 자금 지원 등을 통해 실험실


창업에 특화된 창업선도대학 육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중기부에서 선정한 창업선도대학 중 대학 실험실이 보유·연구 중인 연구성과를


활용한 기술혁신형 창업을 활성화하고자 희망하는 대학
◦ 지원예산 및 규모 : (과기정통부) 12,500백만원, (교육부) 2,565백만원
‘18년 선정 5개 대학 계속 지원, 10개 대학 신규 지원
◦ 지원내용
- (과기부) 실험실 창업 적합 기술에 대한 후속 R&D 자금, 기술사업화 모델 개발 등 실험실
창업 준비 지원
- (교육부) 창업 친화적 인사ㆍ학사 제도, 창업 교육과정 개발. 학생 창업 수당 등 대학 내 실험실
창업 인프라 조성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1월 예정
◦ 신청방법 :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www.nrf.re.kr) 참조
◦ 제출서류 :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www.nrf.re.kr) 참조

사업절차

실험실 창업
사업공고 신청·접수 선정평가 및 협약 인프라 조성 및
▶ ▶ ▶
(1월) (1월) (2월) 후속R&D 지원
(’20.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성과일자리정책과 연락처 044-202-4722


문의
교육부 교육일자리총괄과 연락처 044-203-6435
한국연구재단 산학협력진흥팀 연락처 042-869-6402

- 1 -
02 K-Global DB-Stars 사업화

데이터에 핵심 가치를 둔 우수 비즈니스 모델(서비스)을 발굴ž육성하고, 해당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혁신 기업으로 성장토록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데이터 중심 비즈니스 모델을 보유한 창업 7년 미만의 개인/법인 사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1,250백만원, 20개 내외
◦ 지원내용
- (지원금) 팀당 30백만원 개발지원금 지원
- (데이터 특화 컨설팅) 보유한 데이터(DB)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실제 비즈니스 적용 및
성과 창출이 가능하도록 전문가 현장 방문 컨설팅 진행
- (비즈니스 멘토링) 유명 VC·액셀러레이터 등 민간기업 전문 멘토 멘토링
- (데이터 인프라) 클라우드 서버, 대용량 처리 솔루션 등 공공·민간 주요 인프라 지원
- (데이터 중개·교육 지원) 데이터 검색ž유통ž·중개 등 데이터 중심 부가가치 창출 지원
- (비즈니스 역량 강화 교육) 사업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실무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 (데이터 스타트업 데모데이) 후속 민간투자유치를 위한 투자자 중심 데모데이 지원
- (네트워킹) 유명 VC 및 스타트업 네트워킹 행사 상시 진행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3~4월 예정


◦ 신청방법 : DB-Stars 공식 홈페이지 www.dbstars.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자유 양식), 신청·제출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 프로그램 운영 ▶ 시상식 및


및 협약 및 사업화 지원 후속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빅데이터진흥과 연락처 044-202-6297


문의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산업지원실 연락처 02-3708-5372, 5375

- 2 -
03 K-Global 액셀러레이터 육성 사업화

AI, 빅데이터, AR/VR, IoT, 디지털헬스케어 등 4차 산업 분야 신서비스 모델에


부합하는 특화 전문 액셀러레이터 육성 및 유망 스타트업 보육·투자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한 국내 법인(액셀러레이터)* 및 액셀러레이터를


통해 모집·선발된 창업팀(스타트업)
* 대한민국 국적자가 액셀러레이터 (공동) 대표여야 함
◦ 지원예산 및 규모 : 2,000백만원 내외, 6개사 내외
◦ 지원내용
- 국내·외 교육, 멘토링, 네트워킹, 데모데이 등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운영지원
-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및 확장 등 액셀러레이터 자체 역량 강화지원
* 세부 일정 및 내용은 추후 세부공고 예정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액셀러레이터 선발) ’20년 3월 중
- (보육 스타트업 선발) 액셀러레이터 선발 후 액셀러레이터별 자체 선발
◦ 신청방법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사업관리시스템(smart.nipa.kr)을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 각종 증빙 등
  * 신청 기간, 지원 규모·내용 등은 일부 변경될 수 있음

사업절차

◦ 액셀러레이터 선발(정보통신산업진흥원)
액셀러레이팅
사업공고 ▶ 평가(서류·발표) ▶ 선정평가 및 협약 ▶
프로그램 운영지원
◦ 보육 스타트업 선발(액셀러레이터)
창업기업 선발평가 및 액셀러레이팅
▶ ▶ 창업기업 선정 ▶
모집 공고 중복수혜 검증 프로그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기반과 연락처 044-202-6243


문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창업지원팀 연락처 043-931-5553

- 3 -
04 K-Global 스타트업 공모전 사업화
(Hi-Tech Startup 프로그램)

ICT 분야(인공지능, AR/VR 등 미래형 신산업 분야 포함)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공모·발굴하여, 상품화·사업화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ICT 분야 창의·혁신적인 아이디어 및 우수 기술을 보유한 창업 초기 스타트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1,000백만원, 30개 내외
◦ 지원내용
-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 국내외 전문가 멘토링 및 교육, 네트워킹 등 지원
- (우수 스타트업 시상 및 상금 지급) 우수 스타트업 시상 및 상금 지급
* 세부 일정 및 내용은 추후 세부공고 예정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4월 중(예정)


◦ 신청방법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웹사이트를 통한 온라인/이메일 접수(공고시 공지)
◦ 제출서류 : 응모지원서, 사업계획서 등
* 신청 기간 및 신청 방법은 추후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홈페이지 공지사항(www.nipa.kr)을 통해
공고 예정
  * 신청기간, 지원 규모·내용 등은 일부 변경될 수 있음

사업절차

본 프로그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및 협약 ▶
및 후속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기반과 연락처 044-202-6243


문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창업지원팀 연락처 043-931-5557

- 4 -
05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사업화
- 창업투자생태계조성형 (2유형)
청년 고용 창출과 지역정착 유도를 위해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지역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으로 창업 지원(임대료, 컨설팅 등) 및 고용 친화적 생태계 조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사업개시일 기준 만 39세 이하


◦ 지원예산 및 규모 : 35,500백만원, 4,431명 지원
◦ 지원내용
- 인건비를 제외한 다양한 방식의 사업을 통해 지원금 등 제공
- 창업 지원(사업화, 컨설팅 등) 또는 고용 친화적 생태계 조성
- 공간·장비 임차료, 재료비, 컨설팅 등 간접비 (연 1,500만원, 2년) + 정주 여건 지원(지방비)

참가자 모집
* 지자체별 세부내용 상이

◦ 사업공고 : ‘20년 상반기


◦ 신청방법 :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한 온·오프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개인정보 수집 및 사용 동의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 및 지원 ▶ 성과관리

문의 행정안전부 지역일자리경제과
연락처 044-205-3912, 3914
지자체 일자리담당부서

- 5 -
06 예술분야 창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예술기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창업 아이디어 발굴 및 시장 검증 기회 제공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술 분야 창업 아이디어를 가진 만 39세 미만 예비창업자(팀)


◦ 지원예산 및 규모 : 800백만원, 10개 팀 내외
◦ 지원내용
- 경진대회 과정을 거쳐 최종 10개 팀 내외 선정
- 팀 당 지원금 최대 1천5백만원 내외 (자기부담금 10%)
- 창업을 위한 집중 교육 및 창업 전문 상담(멘토링) 지원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3월 (예정)


◦ 신청방법 :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홈페이지(www.gokams.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자등록 사실 여부 사실 증명서 1부 등

사업절차

◦ 사업화 자금 및 서비스 지원
지원금 및
경진대회 경진대회 최종 선정 팀
사업공고 ▶ ▶ ▶ ▶ 교육·멘토링
(1차 서류) (2차 발표) 발표
지원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정책과 연락처 044-203-2713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창업투자기반팀 연락처 02-708-2223

- 6 -
07 예술분야 초기기업 사업기반 구축지원 사업화

예술분야 초기기업의 창업에서 투자까지 체계적 지원으로 예술기업 육성 및 자생력 제고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술분야 기업 설립 후 3년 이하의 사업자 (면세사업자 제외)


◦ 지원예산 및 규모 : 480백만원, 10개 기업 내외
◦ 지원내용
- 사업모델 구축을 위한 자금 지원 (자기부담금 10%)
- 선정기업 대상 교육 및 컨설팅 등 지원
- 예술분야 투자유치대회 참가 지원 연계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3월 (예정)


◦ 신청방법 :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홈페이지(www.gokams.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자등록증, 법인등기부등본, 재무제표 및 기업 소개서 등

사업절차

◦ 사업화 자금 및 서비스 지원

자금 및
사업공고 ▶ 평가(서류·발표) ▶ ▶ 중간평가 및 점검
교육·컨설팅 지원

투자유치대회 자금, 2차 컨설팅


후속 지원 연계 ◀ 결과 보고 ◀ ◀
참가 및 네트워킹 지원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정책과 연락처 044-203-2713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창업투자기반팀 연락처 02-708-2223

- 7 -
08 예술분야 성장기업 사업도약 지원 사업화

예술분야 성장기업의 특화 사업모델 개발과 투자연계까지 체계적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술분야 법인설립 3년 초과 7년 이하의 법인사업자(개인사업자, 면세사업자 제외)


◦ 지원예산 및 규모 : 858백만원, 10개 기업 내외
◦ 지원내용
- 특화 사업모델 개발 및 확장을 위한 사업 자금 지원 (자기부담금 10%)
- 선정기업 대상 교육 및 컨설팅 등 지원
- 투자형 크라우드펀딩 유치 지원 연계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3월 (예정)


◦ 신청방법 :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홈페이지(www.gokams.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자등록증, 법인등기부등본, 재무제표 및 기업 소개서 등

사업절차

◦ 사업화 자금 및 서비스 지원
자금 및
사업공고 ▶ 평가(서류·발표) ▶ ▶ 중간평가 및 점검
교육·컨설팅 지원


자금, 2차 컨설팅 워크숍 및
후속 지원 연계 ◀ 결과 보고 ◀ ◀
및 네트워킹 지원 펀딩 오픈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정책과 연락처 044-203-2713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창업투자기반팀 연락처 02-708-2223

- 8 -
09 콘텐츠 스타트업 창업육성 프로그램 사업화

우수한 아이디어와 기술을 보유한 콘텐츠 스타트업이 쉽게 사업을 시작할 수 있고


문화벤처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육성지원(창업발전소)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콘텐츠 예비창업자(팀) 또는 창업 3년 이내의 스타트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3,000백만원, 60개(팀) 내외
◦ 지원내용
가. 창업발전소 콘텐츠 스타트업 육성지원
- 주요내용 : 콘텐츠 분야의 초기 콘텐츠 스타트업을 발굴. 창업자금, 맞춤형 프로그램 등
창업 초기에 필요한 지원 제공
- 지원대상 : 콘텐츠 관련 3년 이하의 스타트업 기업 및 예비창업자
· (창업자금) 60개 팀 내외 x 최대 50백만원
※ 예비창업자 및 기업에 따라 지원금액 상이할 수 있음
나. 창업발전소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 (멘토링) 스타트업별 수요에 따른 1:1 맞춤형, 단계별 멘토 선정 및 매칭, 멘토링 지원
- (마케팅) 스타트업 각 분야별 마케팅 전문가를 통한 마케팅 컨설팅, 강연 프로그램 진행
- (홍 보) 스타트업 이슈별 온/오프라인 홍보 지원(스타트업 매체 등 활용 예정)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3~4월


◦ 신청방법 : KOCCA 홈페이지(www.kocca.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프로그램 운영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및 선발 ▶
및 포상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산업정책과 연락처 044-203-2423


문의
한국콘텐츠진흥원 창업지원팀 연락처 02-6441-3638

- 9 -
10 스포츠산업 액셀러레이터 사업화

액셀러레이터 4개소를 통해 스포츠산업 분야 5년 미만 창업자를 대상으로 역량함양


교육, 멘토링, 사업화, 투자유치 지원 등 투자연계형 액셀러레이팅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5년 미만 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1,700백만원, 34개사
◦ 지원내용
- (액셀러레이팅) 6개월/역량함양교육, 멘토링, 네트워킹, 사업화, 초기투자, 후속투자 유치 등 지원
※ 시제품 제작, 마케팅, 지식재산권 수수료 등 기업 당 평균 35백만원 ±50%(최소 17.5백
만원∼52.5백만원) 사업화 지원금 지원(선정기업은 지원받는 지원금의 10% 부담)
※ 액셀러레이터별 선발 기업 중 최소 2개 기업 이상 초기투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4월 ~ 5월(변동 가능)


◦ 신청방법 : 각 액셀러레이터별 신청(https://spobiz.kspo.or.kr)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운영계획서 등

사업절차

운영기관 모집 지원기업
액셀러레이팅 결과 보고
사업공고 및 선정 ▶ 모집·선발 ▶ ▶
(6∼11월) (12월)
(2∼3월) (4∼5월)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연락처 044-203-3153


국민체육진흥공단 산업지원팀 연락처 02-410-1562

- 10 -
11 스포츠산업 창업지원센터 사업화

창업지원센터 7개소를 통해 스포츠산업 분야 예비창업자 및 3년 미만(후속 지원 7년 미만)


창업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창업교육과 창업보육(시제품 제작, 마케팅, 멘토링 등)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비창업자 및 3년 미만 기업(후속 지원 7년 미만)


※ 지역창업지원센터 및 사회적기업전담센터 예비창업자 및 3년 미만
※ 창업도약센터(후속 지원) 7년 미만
◦ 지원예산 및 규모 : 3,300백만원, 72개팀
※ 지역창업지원센터 4개소 42개 팀, 사회적기업전담센터 1개소 7개 팀, 창업도약센터(후속 지원)
2개소 23팀
◦ 지원내용
- (맞춤형지원) 8개월/이론, 멘토링, 워크숍, 등 교육 및 사업화지원금 지원
※ 사업화지원금은 시제품 제작, 지식재산권 수수료 등 기업 당 평균 30백만원 ±50%(최
소 15백만원∼45백만원) 지원(선정팀은 지원받는 지원금의 10% 부담)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3월 ~ 4월(변동 가능)


◦ 신청방법 : 각 창업지원센터별 신청(https://spobiz.kspo.or.kr)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운영계획서 등

사업절차

운영기관 모집 지원기업 결과보고 및


창업교육/보육
사업공고 및 선정 ▶ 모집·선발 ▶ ▶ 성과평가
(4∼11월)
(1∼2월) (3∼4월) (12월)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연락처 044-203-3153


국민체육진흥공단 산업지원팀 연락처 02-410-1562

- 11 -
12 농식품 벤처육성 지원 사업화

농식품 분야 예비창업자 및 창업초기기업을 대상으로 사업화자금, 기술·경영 컨설팅,


교육, 멘토링 등의 종합지원을 통해 벤처기업으로 창업·성장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비창업자 및 창업 5년 미만의 창업초기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6,650백만원, 예비창업자 50명 및 기창업기업 300개소 내외
◦ 지원내용
- 창업단계별 맞춤형 사업화자금 지원
· (기창업기업) 기업 당 최대 30백만원 지원(자부담 30% 포함)
· (예비창업자) 예비창업자당 최대 10백만원 지원(자부담 30% 포함)
- 보육업체 역량 강화 워크숍 및 네트워킹, 전문가 컨설팅, 창업 정보제공 등 역량 강화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1.20~2.19(예정)
◦ 신청방법 : 농식품 창업정보망 홈페이지(www.a-startups.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사업자 사실증명원, 사업자등록증 등
* 농식품 창업정보망 홈페이지 참조

사업절차

자격검토 후 프로그램 및
사업공고 ▶ 신청·접수 ▶ ▶
선정평가 및 협약 활동 지원

문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벤처창업지원팀 연락처 063-919-1411~20


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 연락처 044-201-2421~2

- 12 -
13 농식품 벤처창업 판로지원 사업화

창업 (시)제품의 시장성 검증을 포함한 온·오프라인 홍보 및 판로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농식품 (시)제품, 서비스 등 보유한 창업 7년 미만 농산업체


◦ 지원예산 : 864백만원
◦ 지원내용
- 온라인(소셜커머스, 오픈마켓)을 통한 판로지원
- 오프라인 매장(마켓 영농하게) 운영으로 (시)제품의 호응도 조사 및 판로지원
- 창업제품의 유통사 MD 상담회 및 품평회 등을 통한 판로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연중 상시
◦ 신청방법 : 농식품 창업정보망 홈페이지(www.a-startups.or.kr)를 통한 상시 공고·신청·접수
* 농업기술실용화재단 홈페이지(www.fact.or.kr) 동시 공고
◦ 제출서류 : 판로지원 프로그램별 상이함

사업절차

자격검토, 혹은 프로그램 참여
사업공고 ▶ 신청·접수 ▶ ▶
선정평가 활동 지원

문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벤처창업지원팀 연락처 044-201-2421~2


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 연락처 063-919-1411~20

- 13 -
14 농식품 기술창업 액셀러레이터 육성 지원 사업화

농식품 분야 기술기반 벤처·창업기업을 대상으로 보육·투자하는 액셀러레이터를 육성하여


민간 주도의 농식품 기술창업 생태계 활성화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농식품 분야 기술기반 벤처·창업 기업에 투자·보육하는 액셀러레이터(창업기획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850백만원, 액셀러레이터 2개 기관
◦ 지원내용
- 농식품 기술기반 창업기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 지원
* 홍보 및 선발,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멘토링, 네트워킹, 국내·외 컨퍼런스 참가, 데모데이 개최 등
- 액셀러레이터가 선발·투자한 팀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투자 위험을 낮추기 위해,
‘농식품 벤처육성 지원’, ‘농식품 창업콘테스트’ 사업과 연계한 추가 지원 예정

※ 액설레레이터 : 초기자금, 인프라, 멘토링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벤처육성기업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1분기~


◦ 신청방법 : 농식품 창업정보망 홈페이지(www.a-startups.or.kr)를 통한 공고·신청·접수 예정
◦ 제출서류 : 사업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액셀러레이터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및 협약 ▶
프로그램 운영

문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벤처창업지원팀 연락처 063-919-1411~20


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 연락처 044-201-2421~2

- 14 -
15 지역 클러스터 – 병원 연계 사업화
창업 인큐베이팅 지원

보건산업 분야의 지역 클러스터(연구장비 및 창업보육 공간)와 병원(임상)의 보유 자원을


연계하여, 지역 기술기반의 창업 기업을 육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창업 7년 이내 기업(중소기업창업지원법상 창업자)(공고일 기준)


◦ 지원예산 및 규모 : 2,400백만원(800백만원 × 3개 주관기관), 기관별 30개사 내외 지원
◦ 지원내용
- (창업기업 입주지원) 주관기관별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 프로그램을 통해 선정된 기업 대상
으로 클러스터에 마련된 창업보육 공간에 입주지원(사무실, 회의실, 시설·장비 사용 등)
- (주관기관별 창업프로그램 지원) 모집 공고를 통하여 시제품 제작, 제품개선, 마케팅,
임상, 시험·분석, 투자연계, 멘토링 지원 등 주관기관별 자율·특화프로그램 운영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1월~4월(주관기관별 창업기업 지원공고)


◦ 신청방법 : (‘20년 주관기관) 김해의생명센터, 대전테크노파크,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창업기업 선정) 주관기관별 기관 홈페이지 등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 주관기관별 창업프로그램 공고 진행

사업절차

◦ 주관기관 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주관기관별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 ▶ 사업지원

※ 주관기관별 또는 세부 프로그램별 절차 상이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과 연락처 042-202-290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연락처 02-2095-1700
문의
김해의생명센터 연락처 055-310-1468
대전테크노파크 연락처 042-930-4712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연락처 033-760-6135

- 15 -
16 사회적기업가 육성 사업화

사회적 목적 실현 및 창업의 전 과정을 지원하여 사회문제를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해


나가는 사회적기업가 발굴 및 육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비창업자, 창업 후 2년 미만 기업, 재도전 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31,590백만원, 900개 팀 내외
◦ 지원내용
- (창업자금) 최소 10백만원 ~ 최대 50백만원까지 차등지원(평균 30백만원 내외)
- (창업공간) 창업 활동에 필요한 사무 공간 및 기본 사무집기 제공
- (멘 토 링) 상시 상담을 제공하는 담임 멘토링과 경영 등 분야별 전문가의 전문 멘토링 제공
- (창업교육) 사회적기업가 정신 및 창업 과정에 필요한 교육 제공
- (사후관리) 지역사회 및 민간자원 연계, 교육, 컨설팅 등 후속 지원 프로그램 제공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19. 12월 ~ ’20. 1월


◦ 신청방법 :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우편‧방문) 신청
- (온라인접수처) 통합정보시스템(www.seis.or.kr)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화 계획서 등

사업절차

3단계 심사
선정 및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서류심사→심층면접(교육포함) ▶
사업화자금지원
→대면심사)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과 연락처 044-202-7430


문의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창업지원팀 연락처 031-697-7711~19

- 16 -
17 해양수산 창업투자지원센터 사업화

지역별 해양수산 창업투자지원센터를 지정·운영하여 해양수산분야 예비창업자 및 유망기업에


대한 성장단계별 맞춤형 창업투자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해양수산분야 예비창업자 및 유망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4,500백만원, 6개 센터(사업수행기관)
◦ 지원내용
- 해양수산분야 예비창업자 및 유망기업을 발굴하여 성장단계별 창업·기업 교육, 마케팅,
시제품 개발, 판로개척 등 맞춤형 사업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각 지역별 창업투자지원센터 일정에 따름


◦ 신청방법 : 각 지역별 창업투자지원센터에서 신청 접수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 · 접수 ▶ 평가 및 선정 ▶ 사업관리

창업투자지원센터 현황

구분 부산 제주 경북 강원 전남 충남
경북해양바이오 강릉과학산업 전남생물산업
수행기관 부산테크노파크 제주테크노파크 충남테크노파크
산업연구원 진흥원 진흥원
운영시작 ‘15~ ‘15~ ‘16~ ‘17~ ‘18~ ‘19~
연락처 051-720-8922 064-720-3002 054-780-3458 033-650-3354 061-550-1722 041-622-9471

해양수산부 수산정책과 연락처 044-200-5427~8


부산 창업투자지원센터 연락처 051-720-8922
제주 창업투자지원센터 연락처 064-720-3093
문의 경북 창업투자지원센터 연락처 054-780-3463
강원 창업투자지원센터 연락처 033-650-3354
전남 창업투자지원센터 연락처 061-550-1722
충남 창업투자지원센터 연락처 041-980-5458

- 17 -
18 해양신산업 인큐베이팅 사업화

해양수산 분야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 육성을 위해 사업화, 투자유치 지원 등 기업 성장


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사업개요

◦ 지원대상 : 해양수산 분야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1,710백만원, 60개사 내외
◦ 지원내용
- (사업화 지원) 시제품 제작, Test-Bed 활용, 국내외 홍보·마케팅, 판로개척 지원 등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
- (액셀러레이터 지원) 해양수산 전문 액셀러레이터의 지원을 통한 예비창업자 및 초기 창업
기업 발굴·육성
- (투자 유치) 해양수산 투자기관협의회 운영을 통해 기업의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하고,
해양수산 전문 투자심사역 양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1월(프로그램별로 신청 일정이 다를 수 있음)


◦ 신청방법 : 해양수산 창업투자 홈페이지(www.kimst.re.kr/startup) 참고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프로그램 운영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및 협약 ▶
및 활동 지원

해양수산부 해양수산과학기술정책과 연락처 044-200-6229


문의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창업투자팀 연락처 02-3460-4047

- 18 -
19 예비창업패키지 사업화

혁신적인 기술을 갖춘 예비창업자에게 사업화 자금과 창업교육 및 멘토링 등을 지원하는


예비창업단계 전용 프로그램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111,380백만원, 1,700명
◦ 지원내용
- 창업 사업화에 소요되는 사업화 자금
- 창업 교육 및 멘토링
- 네트워킹, 후속 지원 프로그램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1월(변동 가능)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 증빙서류 등

사업절차

모집공고 ▶ 신청 · 접수 ▶ 대상자 평가 및 선정

보고 및 점검 ▶ 협약체결 · 사업수행 ▶ 사전교육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과 연락처 042-481-4414, 4535


문의
창업진흥원 예비창업부 연락처 042-480-4487, 4379,
4352, 4389

- 19 -
20 초기창업패키지 사업화

창업인프라가 우수한 대학, 공공기관, 민간 등을 통해 창업 3년 이내 기업의 창업아이템을


사업화할 수 있는 자금지원 및 아이템 실증검증 등으로 구성된 특화프로그램을 지원하여
기업의 안정화와 성장을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창업 3년 이내 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107,500백만원, 1,030개사 내외
◦ 지원내용
- (사업화자금) 고급기술 및 유망 창업아이템을 보유한 초기창업기업의 시제품 제작, 마케팅
활동 등 사업화에 소요되는 자금 지원
* 일반기술(최대 1억원)과 특화(실험실/연구중심병원, 최대 1.5억원)로 트랙을 구분하여 지원 한도와 규모를 차등 지원

- (초기창업 특화프로그램) 사업화 자금을 지원받는 초기기업에 아이템 실증검증, 투자연계,


멘토링 등을 지원(주관기관별 상이)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1월(변동 가능)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 발표자료, 사업자등록증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및 협약 ▶ 사업화 지원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과
연락처 042-480-4354~8
창업진흥원 초기창업부

- 20 -
21 창업도약패키지 사업화

창업기업의 데스밸리(Death Valley) 극복 및 성과창출을 위해 사업화·성장촉진 등에


소요되는 자금 및 서비스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창업 3년 이상 7년 이내 기업(공고일 기준)


◦ 지원예산 및 규모 : 127,500백만원, 1,350개사 내외
◦ 지원내용
- (사업화지원) 창업기업의 사업화를 위한 사업모델 개선, 사업아이템 검증 및 보강 등을
위해 소요되는 사업화 자금 등 지원(최대 3억원)
- (성장지원 서비스) 창업도약기 창업기업의 성과창출 및 성장지원을 위해 유통, 수출, 제품
개선 등 서비스 지원(최대 1억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1월(변동 가능)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① 신청공고 및 ② 요건검토 및 ③ 지원대상 평가


▶ ▶ ▶ ④ 협약체결 ▶
접수 선정평가 및 선정공지

⑤자금 및 서비스 ⑥중간(수시)보고 ⑦ 최종보고 및 ⑧ 사후관리


▶ ▶ ▶ ▶
지원(사업수행) 및 점검 점검 (성과 및 이력관리)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과 연락처 042-481-3991, 4409


창업진흥원 창업도약부 연락처 042-480-4301, 4482

- 21 -
22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사업화

국내 창업기업의 글로벌 역량강화를 통한 해외진출 지원 프로그램

사업개요

◦ 지원대상 :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창업 7년 이내 창업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3,400백만원, 60개사 내외
◦ 지원내용
- 국내 창업기업의 해외진출 액셀러레이팅 (시장‧기술검증, 파트너사 발굴 등) 및 해외진출자금
20백만원 (보육비, 마케팅비, 인건비 등) 지원
* 지원국가 : 미국, 중국, 영국, 프랑스, 싱가포르, 베트남, 이스라엘
- 글로벌 역량강화 온‧오프라인 멘토링 (BM개발, 법인설립, IP전략 등), 해외 투자유치 IR
(실리콘밸리) 및 해외 피칭대회 참가지원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2월 中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사업신청·계획서 등 액셀러레이터별 요청서류

사업절차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업공고 신청·접수 선정평가 및 협약
▶ ▶ ▶ 및 활동 지원
(2월) (3월) (4월)
(4월~8월 中)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해외시장정책총괄과 연락처 042-481-4391


창업진흥원 글로벌사업부 연락처 02-3440-7327,7326

- 22 -
23 민관공동 창업자 발굴 육성(TIPS) 사업화

성공벤처인 등이 주도하는 액셀러레이터(팁스 운영사)가 유망한 기술창업팀을 엄선하여


투자·보육하면, 정부가 R&D, 창업사업화, 해외마케팅 등을 매칭 지원하는 민간주도의
기술창업 프로그램

사업개요

◦ 지원대상
- (Pre-TIPS)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2조에 따른 초기 창업기업으로 사업을 개시한
날로부터 3년이 지나지 않고, 2인 이상으로 구성된 초기 창업기업
* 접수마감일 기준 1년 이내 투자자(팁스 운영사, 액셀러레이터, 개인투자조합)로부터 총 1천만원 이상 투자유치

- (TIPS)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으로 사업을 개시한 날로부터 7년이


지나지 않고, 2인 이상으로 구성된 (예비*)창업팀
* 기관(대학・연구기관 등) 또는 기업에 소속된 상태로 창업을 희망하는 경우 법인등록을 하지 않은 상태로
사업신청 가능 (단, 최종 선정 후 반드시 법인 설립)

- (Post-TIPS) TIPS 최종평가 결과 “성공” 판정받은 기업 중 후속 민간투자 10억원 이상을


유치한 졸업기업
* 팁스 프로그램 성공판정 기준) ①사업화에 따른 연간 매출액 10억원 이상, ②연간수출액 50만달러 이상,
③상시근로자 20인 이상, ④후속투자 유치(최근 3년 벤처캐피탈 평균 투자금), ⑤M&A(10억 이상),
⑥코스닥(코넥스 포함) 등 IPO (6개 기준 중 1개 이상 달성시 “성공”판정)

◦ 지원예산 및 규모
- (Pre-TIPS) 3,000백만원, 30개팀 내외
- (TIPS) 총 예산 177,700백만원 300개팀 내외
* (R&D) 145,600백만원, (창업사업화, 해외마케팅 등 연계사업) 32,100백만원

- (Post-TIPS) 14,400백만원, 40개팀 내외

◦ 지원내용
- (Pre-TIPS) 엔젤투자를 유치한 초기 창업기업 대상 사업 아이템 구체화를 위한 사업화
자금을 1년간 최대 1억원 지원
* 전체 지원 규모의 60% 이상을 지방소재 창업기업으로 선발

- (TIPS) 운영사의 엔젤투자금 (1~2억원 내외)에 정부의 기술개발(R&D)자금 (최대 5억원)


을 매칭하여 지원하고, 창업사업화 자금 (최대 1억원), 해외마케팅 자금 (최대 1억원)을
연계지원하고, 엔젤투자매칭펀드 (최대 2억원, 지분투자)를 추가 지원 가능
* 운영사별로 지정된 인큐베이터에 입주하여 보육 및 멘토링 등 종합적인 밀착 지원

- (Post-TIPS) 제품·서비스의 상용화(사업화) 또는 국내외 마케팅(판로확대 등) 등 사업


고도화를 위한 자금을 2년간 최대 5억원 지원

- 23 -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상시접수

◦ 신청방법
- (TIPS) 상시접수 (팁스타운 홈페이지 www.jointips.or.kr 및 각 TIPS 운영사 홈페이지)
- (Pre-TIPS, Post-TIPS)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TIPS) 사업계획서(각 TIPS 운영사별 별도양식)
- (Pre-TIPS, Post-TIPS) 사업계획서, 투자계약서, 투자금 납입통장사본 등

사업절차

◦ (Pre-TIPS 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요건검토 ▶ 서면/발표평가

▶ 현장실사 ▶ 최종선정 ▶ 협약체결 ▶ 사업관리

◦ (TIPS 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투자심사 ▶ 창업팀추천

▶ 서면평가 ▶ 대면평가 ▶ 협약체결 ▶ 사업관리

◦ (Post-TIPS 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및 협약 ▶ 사업수행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과 연락처 042-481-4413, 8947


문의 창업진흥원 민관협력부 연락처 02-3440-7305
한국엔젤투자협회 TIPS사업본부 연락처 02-3440-7421

- 24 -
24 사내벤처육성 사업화

대기업 등의 혁신역량을 활용, 분사 창업기업(팀)의 사업화 및 성장지원을 통해 기술창업


활성화 및 개방형 혁신 창업생태계 조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기업 내부의 사내벤처팀 및 분사한 3년 이내 창업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20,000백만원, 150개사 내외(사업화 지원 100개, 사업화 실증 50개)
◦ 지원내용 : 운영기업이 발굴·추천한 사내벤처팀 또는 분사창업기업에게 사업화 자금 및
R&D 자금 등을 연계지원

Track-1 민간(1억)+정부(1억) R&D연계


▷ Spin off ▷
(사내벤처팀) (1년, 2억원 이내) (2년, 4억원 이내)
사업화 실증* 연계
\

(1년, 2억원 이내)
Track-2 사업화(1억)+R&D연계(4억)
(분사창업기업) (2년, 5억원 이내)

* 사업화 실증 : 부품·소재·장비 등 분야 전략과제 (TOP-DOWN) 최대 2억, 全분야 일반과제 (BOTTOM-UP) 최대 1억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2 ~ 3월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사업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내벤처 운영(예정) 운영기업 운영기업 운영기업 내부


▶ ▶ ▶
기업 모집공고 신청·접수 평가 및 선청 사내벤처팀 선발

우수 사내벤처팀 추천 사내벤처팀 아이템 사업화 및


▶ ▶ ▶ 협약체결 ▶
추천 평가 및 최종선정 분사창업 추진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과 연락처 042-481-4414, 4535


문의
창업진흥원 민관협력부 연락처 02-3440-7307, 7303,
7305, 7330

- 25 -
25 재도전 성공패키지 사업화

성실 실패경험을 보유한 (예비)재창업자를 발굴하여 실패원인 분석 등 재창업교육,


멘토링과 사업화 자금 등 재창업 전 과정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비)재창업자 또는 재창업 3년 이내인 기업의 대표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17,555백만원, 300개 과제 내외
◦ 지원내용
- 재창업교육, 멘토링, 시제품제작비·마케팅비 등 사업화 자금 패키지式 지원
구분 지원내용
재창업교육 실패원인 분석 등 재창업에 필요한 사업역량 강화 교육
멘토링 재창업자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정기, 수시 멘토링 지원
사업화 자금 시제품제작, 마케팅, 창업 준비활동 등에 소요되는 사업화 지원
입주지원 재창업자 전용 사무공간(R-Camp) 입주 지원
네트워킹 재창업자와 전문가 간 정기 네트워킹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2월 말 예정
* (예비)재창업자 모집공고(‘20.1월) 이후 신청·접수는 ’20.2월 말 가능
(신청·접수 등 세부 일정은 (예비)재창업자 모집공고 참조)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사업신청서, 사업계획서, 폐업증명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신청·접수 선정평가 협약체결 사업수행


▶ ▶ ▶ ▶
(1월~2월 말) (2월 말) (~4월 말) (5월) (5월~12월)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재기지원과 연락처 042-481-4475, 4474


창업진흥원 재도전창업부 연락처 042-480-4434~8

- 26 -
26 창업기업지원서비스 바우처 사업화

창업기업지원서비스 바우처를 제공하여 창업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사업 안정화를 도모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만 39세 이하 창업자 중 창업 3년 이내 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19,260백만원 / 18,000만개사 내외
◦ 지원내용
- ‘세무ㆍ회계’, ‘기술보호’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최대 1백만원 한도 지원
지원부문 지원내용
ㆍ기장대행수수료, 법인ㆍ개인사업자 결산 및 조정 수수료
세무ㆍ회계
ㆍ세무ㆍ회계 프로그램 구입비
기술보호 ㆍ기술자료 임치 및 갱신 수수료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2월(변동 가능)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 등 국세청에서 발급한 매출 증빙서류

사업절차

서비스 이용 및
사업공고 신청·접수 자격 검토 및 선정
▶ ▶ ▶ 비용 지급
(2월) (~3월) (~4월)
(12개월 내외)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촉진과 연락처 042-481-4553


창업진흥원 예비창업부 연락처 042-480-4481, 4476

- 27 -
27 창업성공패키지 (청년창업사관학교) 사업화

우수한 제조 창업 아이템 및 4차 산업분야 등 성장가능성이 높은 초기 창업자를 발굴하여,


창업 全 단계를 패키지방식으로 일괄 지원하여 성공창업기업으로 육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제조 융복합 업종(제조업 및 지식서비스업 등) 영위 창업기업,


만 39세 이하인 자로 창업 3년 이내 기업의 대표자
* 단, 신청과제와 관련된 기술경력 보유자는 만 49세 이하까지 지원 가능(정원의 10% 내외)
◦ 지원예산 및 규모 : 93,250백만원, 1,035개사
◦ 지원내용
- 사업화 지원
(인프라) 청년창업사관학교 내 창업 준비공간(개별·공동) 제공
(교육) 기업가정신, 기술사업화, 마케팅 등 창업기업 수준별 창업교육 지원
(코칭) 전담 전문코칭인력을 배치하여 진도관리 및 창업 사업화 전 과정 지원
(기술) 제품설계(CAE·역설계 등), 시제품제작 등 제품개발 관련 기술 및 장비 지원
(사업비) 1년간 최대 100백만원, 총 사업비의 70% 이내 지원(기술개발 및 시제품제작비,
기술정보활동비, 지재권 취득 및 인증비, 마케팅비 등 용도)
- 후속연계 지원 :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의 성장 촉진을 위한 후속연계지원
(정책자금, 판로지원(마케팅·수출), 투자유치, R&D연계, 보육·코칭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1월(변동 가능)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선정평가 창업사업화 후속
사업공고 신청·접수
▶ ▶ 및 협약(입교) ▶ 지원 ▶ 연계지원
(1월) (2월)
(3월) (4월~11월) (졸업 후 5년)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촉진과 연락처 042-481-4523


문의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창업지원처 연락처 055-751-9837, 9327

- 28 -
28 창업성공패키지 (글로벌창업사관학교) 사업화

4차 산업분야 등 글로벌 진출역량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창업 초기 글로벌화 단계부터


글로벌 혁신성장 단계까지 패키지형 지원을 통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 CEO 중 창업 7년 이내의 기업으로 4차 산업혁명 분야


등 글로벌 진출 가능성이 높은 스타트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10,870백만원, 50개사
◦ 지원내용
- 사업화 지원
(글로벌 진출 준비) 글로벌 역량진단을 통한 글로벌 수준 · 진출 단계(형태)별 맞춤형
전문기관(가)을 통해 글로벌 진출교육 및 글로벌 사업화 코칭
(글로벌 창업) 글로벌 창업전문기관을 활용한 액셀러레이팅 및 제품/서비스 현지화 지원
(글로벌 성장) KSC(Korea Startup Center)·글로벌 BI의 현지 인프라 지원 및 투자연계,
마케팅 지원 등 글로벌 협업 및 네트워크 구축지원
(사업비) 1년간 최대 200백만원, 총 사업비의 70% 이내 지원(글로벌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참여, 제품/서비스 현지화, 해외특허·인증취득, 현지법인설립 등)
- 후속연계 지원 : 글로벌 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의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지원을 위한 후속
연계지원(투·융자복합금융, 마케팅·수출, 투자연계, 인프라 제공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1월(변동 가능)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국문/영문), 사업계획서(국문/영문) 등

사업절차

선정평가 글로벌창업사업화 후속
사업공고 신청·접수
▶ ▶ 및 협약(입교) ▶ 지원 ▶ 연계지원
(1월) (2월)
(3월) (4월~11월) (졸업 후 5년)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촉진과 연락처 042-481-4523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창업지원처 연락처 055-751-9882, 9883

- 29 -
29 로컬 크리에이터 바우처 지원 사업화

지역의 유산과 특성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창업하는 로컬크리에이터를


발굴⋅육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로컬크리에이터*
* 전통적인 골목산업 뿐 아니라 디자인,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소셜벤처, 문화기획 스타트업 등 지역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하는 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4,400백만원, 140명


◦ 지원내용
- (로컬크리에이터 바우처 지원) 초기 로컬크리에이터의 성장단계에 따라 자금의 용도와
규모를 맞춤형으로 지원(BM, Branding, 디자인 등)
- (액셀러레이터 연계 성장 지원) scale-up단계, 플랫폼 등의 로컬크리에이터에 대해 액셀
러레이터가 선별하여 先투자(1,000~2,000만원)하는 경우에 사업화 자금을 일정비율(2~3배)로
매칭·지원 및 보육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4월
◦ 신청방법 : 창조경제혁신센터 및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신청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및 협약 ▶ 사업 수행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생태계조성과 연락처 042-481-1692


창업진흥원 생태계조성부 연락처 042-480-4410

- 30 -
30 장애인 창업사업화 지원 사업화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업종 전환희망자에게 창업초기 사업화 비용을 지원하여 창업 촉진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업종전환희망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1,315백만원, 65명
◦ 지원내용
- 최대 20백만원
- 매장 모델링, 초도 물품비, 기술개발 및 시제품 제작, 브랜드 개발, 홈페이지 제작,
마케팅 및 홍보비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3월, 7월 중


◦ 신청방법 :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www.debc.or.kr)에서 서식 다운로드 후
우편 및 방문 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
◦ 제출서류 : 신청서, 자기소개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및 협약 ▶ 사업화 지원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혁신과 연락처 042-481-4566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사업전략팀 연락처 02-2181-6534

- 31 -
31 장애인기업 시제품 제작지원 사업화

기술개발 제품디자인, 시제품 모형 및 금형제작 등 지원을 통해 기술개발제품 사업화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장애인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560백만원, 24개사 내외
◦ 지원내용
- 제품디자인 및 시제품제작비용*으로 최대 3,000만원 이내 지원
(기업 규모**에 따라 총사업비의 최대 70~90% 이내 지원)
* 제품디자인 및 시제품모형제작은 최대 10백만원, 시제품금형분야는 최대 30백만원 이내
** 자부담비율 : 중기업 30%, 소기업 20%, 예비창업자 10%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2월(변동 가능)


◦ 신청방법 :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www.debc.or.kr)에서 서식 다운로드 후
우편 및 방문, 온라인 신청
◦ 제출서류 : 지원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디자인개발 및
사업공고 ▶ 심사 및 선정 ▶ 기술멘토링 ▶
시제품 제작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혁신과 연락처 042-481-4566


문의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사업지원팀 연락처 02-2181-6531

- 32 -
32 혁신분야 창업패키지 (3대 신산업분야) 사업화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신산업 분야 잠재력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전주


기 맞춤형 지원을 통한 4차 산업혁명의 기반 마련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분야 BIG 3 창업·벤처기업 등(7년이내)


◦ 지원예산 및 규모 : 40,000백만원
◦ 지원내용
- 3대 신산업 분야를 15개로 세분화*하고 분야별 전문가를 보유한 대학 및 출연연 등을
멘토기관으로 선정하여 기술·경영 등 밀착지원
* 시스템반도체(Soc, 아날로그, 센서, 인프라), 바이오헬스(의약, 의료기기, 바이오소재, 디지털헬스케어),
자율차(정보수집, V2X통신, 자율주행빅데이터, 인포테인먼트), 친환경차(성장지원, 수요다변, 업종전환)

- 신속하고 과감한 지원을 통해 성과 창출이 가능하도록 R&D, 투·융자 등 지원사업의 적극적 연계


* 기획·컨설팅·과제점검·지원사항 타당성 검토 등을 위한 분야별 멘토링 지원(대학, 연구소 등 전문성을 보유한 기관 지정)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2.~’20.4.
◦ 신청방법 : 전문기관(주관기관)에 신청
◦ 제출서류 : 신청서 등

사업절차

역량진단(1단계) 및 지원결정
사업공고 ▶ 신청·접수 ▶ ▶
심층평가(2단계) (미래기업지원위원)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미래산업전략팀 연락처 042-481-3920

- 33 -
33 혁신분야 창업패키지 (소재·부품·장비) 사업화

창조경제혁신센터-파트너대기업와의 협업을 통해 소재ㆍ부품ㆍ장비 관련 스타트업을


육성하여 관련 기술 경쟁력을 강화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비창업자 ~ 창업기업(7년 미만) * 소재·부품·장비 관련 스타트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5,000백만원, 100개사 내외
◦ 지원내용
- 창조경제혁신센터 및 파트너대기업 등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관련 경영ㆍ기술 교육과
멘토링, 자금지원, 인증 및 실증, 판로 확대 등 사업화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상반기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선정평가 선정 및 지원
모집공고 ▶ 신청·접수 ▶ ▶
(서류, 발표) (사업화, 판로확대 등)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생태계조성과 연락처 042-481-1692


창업진흥원 생태계조성부 연락처 042-480-4347, 4410

- 34 -
34 스타트업 특허바우처 사업화

스타트업이 필요한 시기에 원하는 IP서비스를 선택하여 지원받을 수 있는 바우처


제공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창업 7년 미만, 매출 100억 미만 스타트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1,476백만원, 135개社 내외
◦ 지원내용
- 소형바우처(5백만원 이내), 중형바우처A(10백만원 이내), 중형바우처B(17백만원 이내) 중 택1
※ 기업부담 : 소형 20%, 중형 30%)
(
- 이용가능 서비스 : 국내·해외 IP(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권리화, 특허조사·분석,
특허기술가치평가, 기술이전(라이센싱) 중계 등
* (이용불가) 일반 법률·회계 서비스, 바우처발급 전 이용 서비스, IP 출원·등록 수수료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3월中(변동 가능)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특허바우처사업관리시스템(biz.kista.re.kr/ipvoucher/main.do)을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사업자등록증 사본 등

사업절차

기업부담금 납부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
및 바우처 제공

문의 특허청 지역산업재산과 연락처 042-481-8660


한국특허전략개발원 정부협력팀 연락처 02-3476-1326

- 35 -
35 기상기후산업 청년창업 지원 사업화

사업아이템 발굴 및 초기 창업자금 지원을 통해 기상기후분야 창업 저변 확대 및 유망


창업기업 육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만 34세 이하의 1인 또는 팀 단위(2~5명) 기상기후분야 청년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시제품 개발 지원사업) 80백만원, 10개팀 이내
(창업자금 지원사업) 60백만원, 3개팀 이내
◦ 지원내용
- 시제품 개발 자금 지원, 심화전문상담(멘토링), 창업캠프·창업경연대회 참가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시제품 개발 지원사업) ‘20년 1~2월 / (창업자금 지원사업) ‘20년 4~5월


◦ 신청방법 : 이메일(promotion@kmiti.or.kr)을 통한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가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선정평가 및 협약 창업지원금 지급
사업공고 ▶ 신청·접수 ▶ ▶
(서류·발표) 및 활동 지원

문의 기상청 기상서비스정책과 연락처 02-2181-0846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성장지원실 연락처 070-5003-5225

- 36 -
R&D

36 민관협력기반 ICT 스타트업 육성 R&D

대기업과 정부가 ICT스타트업을 공동 발굴하고, 고성장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하여 성장 전주기를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ICT분야 창업 5년 이내 법인사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1,600백만원, 16개 과제
◦ 지원내용
- 혁신역량강화 기술개발 + 시장 및 수요최적화 기술개발
구분 지원내용
▸기술개발 자금 출연(총 5억원)
정부
- (1차년) 1억원/6개월 + (2차년) 2억원/12개월 + (3차년) 2억원/12개월
▸창업 프로그램 지원 및 컨설팅
대기업
- 기술 멘토링, 판로지원, 마케팅, 테스트베드 제공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3월
◦ 신청방법 :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사업관리시스템(https://ezone.iitp.kr) 전산신청
◦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 사업자등록증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및 접수 선정평가 협약 사업비지급


▶ ▶ ▶
(3월~) (4월~5월) (6월)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기반과 연락처 042-202-6245


문의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중소기업개발팀 연락처 042-612-8355

- 37 -
37 연구개발특구육성 (연구소기업 R&BD) R&D

연구소기업의 신제품·신사업 진출을 위한 R&BD(제품화․양산화) 과제 지원을 통한


공공 연구성과의 사업화 성과 창출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연구소기업 또는 연구소기업 등록 신청을 완료한 기업

연구소기업 :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특구(대덕, 광주, 대구,


부산, 전북) 안에 설립된 기업으로서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9조의3제2항에
따라 등록된 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16,525백만원, 70개 과제 (추후 세부계획 수립 후 확정)
◦ 지원내용
- 기술적 타당성 검증, 부품 및 시스템 등 시제품 제작 및 성능평가, 목업 제작, 검증 지원 등
- 시제품 성능 고도화·개선 및 실증 시제품 신뢰성 평가 및 인증 등 실용화 활동, 국내·외
시장진출 활동 지원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1월~2월


◦ 신청방법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각 특구본부별 방문 및 우편 접수
◦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 연구소기업 등록증(등록신청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및 협약 ▶ 과제 수행

문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과학기술진흥과 연락처 044-202-4748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사업총괄팀 연락처 042-865-8833

- 38 -
38 스포츠 창업 촉진 기반기술개발 R&D

스포츠 분야 혁신 창업 활성화를 위한 연구개발 자금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스포츠 분야 창업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380백만원(2개 기업, 기업당 1.9억원)
◦ 지원내용
- 스포츠 분야 용품, 서비스, 시설과 관련한 혁신 창업 기술개발 지원
※ 과제 수행 기간은 2년 이내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3월~4월


◦ 신청방법 : 온라인(spobiz.kspo.or.kr)을 통한 제안서 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연구개발계획서 등
* 신청 기간 및 제출처 변동 가능(개별 사업 공고 시 확인 필요)

사업절차

연구개발계획서 발표평가 지원과제


사업공고 ▶ ▶ ▶
접수 대상통보 확정통보

연구개발계획서
▶ 협약체결 ▶ 연구개발 수행 ▶ 진도점검
수정, 보완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연락처 044-203-3121


국민체육진흥공단 산업육성팀 연락처 02-410-1556

- 39 -
39 농식품 기술 평가지원 R&D

농식품 벤처‧창업기업이 보유한 우수기술 가지고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기술평가 수수료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농식품 분야 보유 우수 기술을 기반으로 자금 조달을 희망하는 벤처‧창업


기업 및 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 200백만원
◦ 지원내용
- 우수기술 보유 농식품 기업에 기술평가(①기술가치평가, ②기술력평가) 수수료 90% 지원
평가유형 ①기술가치평가 ②기술력평가
자금지원용(IP담보‧보증신청/현물출자)
평가용도 투자연계용(벤처캐피탈/크라우드펀딩) 투자연계용
(벤처투자사‧크라우드펀딩)
평가내용 기술성‧권리성‧시장성‧사업성
기술가치산정→ 가액으로 표기및 경영역량‧기술성‧시장성‧
사업성 평가→등급 산정
평가비용 1,000만원 또는 1,500만원 250만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1분기 공고 시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상시 신청


◦ 신청방법 : 농업기술실용화재단 홈페이지(www.fact.or.kr)를 통한 신청서 다운로드 작성 후
재단 기술평가팀 혹은 농식품벤처창업센터 방문 상담에 따른 수시접수
◦ 제출서류 : 홈페이지 신청서 다운로드 시 안내

사업절차

지원기업 선정 및
사업공고 ▶ ▶ 기술평가 수행 ▶ 평가서 발행
평가계약 체결

문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기술평가팀 연락처 063-919-1338


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 연락처 044-201-2421~2

- 40 -
40 농식품 산업 기반 연구지원 R&D

벤처·창업기업(창업 7년 이내) 연구인력의 재교육 및 전문가 컨설팅, 현장 애로


기술개발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벤처·창업기업(창업 후 7년 이내)


◦ 지원예산 및 규모 : 2,000백만원, 자유 응모 20개 과제 내외
◦ 지원내용
- 기업당 연간 최대 1억 원을 2년간 지원
· 기업의 연구역량 제고를 위해 연구비, 연구인력 재교육, 기술전문가 활용 등 가능

※ 연구인력 재교육 예시 : 관련 연구를 위한 기존 연구인력 해외파견, 석·박사 학위 과정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1.10 ~ 1.17


◦ 신청방법 : 농림식품 R&D 통합정보서비스(FRIS, http://www.fris.go.kr)에 접속하여 온라인 접수
◦ 제출서류 : 과제 제안요구서(RFP), 연구개발 계획서, 연구장비 예산심의 요청서 등

사업절차

협약체결 및 연구수행 및
사업공고 ▶ 평가 및 선정 ▶ ▶
연구비 지원 성과관리

문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생명사업실 연락처 061-338-9762


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 연락처 044-201-2421~2

- 41 -
41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 R&D

바이오헬스 분야 기술 기반 초기 창업기업에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투자하고, 국내


실험실·장비 등 우수한 인프라 연계를 통해 성공 잠재력이 있는 기술의 빠른 상용화 촉진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바이오헬스 분야 창업 7년 이하 벤처·중소기업(접수마감일 기준)


◦ 지원예산 및 규모 : 2,200백만원, 지원 분야 및 연구 단계별로 지원규모 상이
◦ 지원내용
- 창업기업의 성공 잠재력이 있는 기술의 빠른 상용화 촉진을 위해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자금 및 인프라 연계지원
- 선정시점 민간투자 여부에 따라, (Track 1) 민간투자기관의 투자를 받은 기업에게 정부가
공동지원 또는 (Track 2) 잠재력 보유 기업에게 정부가 선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20. 1월 말 ~ 4월 말
◦ 신청방법 : 보건의료 R&D포탈 홈페이지(www.htdream.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연구계획서, IR 확인서, 투자의향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투자연계·과제접수 선정평가 협약 및 연구개시


▶ ▶ ▶
(1월) (~4월) (~6월) (7월)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관리규정 및 평가지침 준용/추진절차는 변경될 수 있음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과 연락처 042-202-2907


문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연락처 02-2095-170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연락처 043-713-8445

- 42 -
42 창업성장기술개발 R&D

창업기업에 대한 전략적 R&D 지원을 통해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혁신성장 촉진 및 창업


강국으로의 도약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창업 7년 이하이며 직전년도 매출액 20억 원 미만 창업기업 중 과제별


자격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 (세부지원 요건은 내역사업별 확인 필요)

- 디딤돌 창업과제 : R&D 첫 수행 창업기업, 여성기업, 소셜벤처기업, 재창업 기업

- 전략형 창업과제 : 4차 산업혁명 분야 중 벤처·이노비즈, 기술신용평가 우수등급,


소재·부품·장비 및 미래 신산업 분야 창업기업

- TIPS 과제 : TIPS운영사(액셀러레이터 등)로부터 투자 및 추천받은 창업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47,800백만원, 약 3,388개 과제(신규 1,614, 계속·종료 1,774 예정)

◦ 지원내용 : 최대 2년, 5억 원 이내(출연금 비율 80% 이내)

- 디딤돌 창업과제(신규 64,100백만원) : 기술창업 아이템의 시장성·기술성 및 사업성


검증이 필요한 기술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조기 성장 촉진 (1년, 150백만원 이내)

- 전략형 창업과제(신규 71,500백만원) : 혁신역량이 우수한 기술창업기업에 대한


전략적 지원을 통해 고급기술 창업 확대 (2년, 400백만원 이내)
* 지원대상 및 지원조건은 사업별 공고문 참조(www.smtech.go.kr 공지사항)

- TIPS 과제(신규 45,900백만원) : 액셀러레이터 등 TIPS 운영사(기관)가 발굴·투자한


기술창업팀에게 보육·멘토링과 함께 기술개발 지원(2년, 500백만원 이내)

내역사업 내내역사업 개발기간 및 지원한도 정부출연금 비율 지원방식


디딤돌 창업과제 - 최대 1년, 1.5억 원 자유공모
일반 창업과제
품목(분야)
전략형 창업과제 소재·부품·장비 최대 2년, 4억 원
80% 이내 지정
BIG3*

TIPS 과제 - 최대 2년, 5억 원 자유공모

*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자동차

- 43 -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지원 개발 지원 출연금 사업 신청 평가
내역사업명
규모 기간 한도 비중 공고 접수 선정

디딤돌 창업과제 641 1년 1.5 80% 1월,4~5월 2월,5~6월 3~9월


전략형 창업과제 715 2년 4 80% 1월,5월 2월,6월 3~9월
TIPS 과제 459 2년 5 80% 1월 수시 수시

◦ 신청방법 : 세부과제별 공고안내 및 사업신청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www.smtech.go.kr)에서 확인 및 온라인 신청·접수(기술창업투자연계과제, www.jointips.or.kr)

◦ 제출서류 : 홈페이지의 별도 공고문 참고

사업절차

◦ 디딤돌·전략형 창업과제

사업공고 신청・접수 서면평가 대면평가

사후관리 최종점검·평가 선정·협약 현장조사

* 현장평가는 중기부 旣지원 여부 등에 따라 생략 가능 (사업별 세부 공고 참조)

◦ TIPS 과제
신청・접수 창업팀 추천
사업공고 서면·대면평가
(창업팀 → 운영사) (운영사→관리기관)
사업비 지급 /
사후관리 최종평가 선정·협약
사업수행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과
국번없이 1357
문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042-388-0114 (내선2)
통합콜센터 : 국번없이 1357

- 44 -
43 농업실용화기술 R&D 지원 R&D

국가 농식품 연구개발성과 및 농업현장 우수아이디어의 사업화 전주기 지원을 통한


실용화 촉진 및 농산업체 매출증대, 신규 일자리 창출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농업인, 농식품산업체


◦ 지원예산 및 규모 : 11,660백만원, 122개사 내외
◦ 지원내용
- (R&BD기획지원) 지식재산권 출원・등록, 사업모델(BM)개발
- (연구개발성과 사업화지원) 국유특허 이전기술 등 활용 시제품개발 비용 지원
- (효과검증지원) 농업인 등이 개발한 농업기술 및 농자재 등의 효과검증을 지원
- (시장진입 경쟁력 강화지원) 제품 및 공정개선을 위한 연구・설비 지원
- (판로개척・마케팅지원) 상품력 개선 및 디자인개발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19. 12. ~ ’20. 1


◦ 신청방법 : 농촌진흥청 종합관리시스템(http://atis.rda.go.kr)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 서면평가 ▶ 대면평가 ▶ 현장평가


협약체결
사후관리 ◀ 최종평가 ◀ ◀ 심의 선정
진도관리

문의 농촌진흥청 연구성과관리과 연락처 063-238-0798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사업지원팀 연락처 063-919-1350

- 45 -
창업교육

44 대학 창업교육 체제 구축 창업교육

전국 대학이 창업 친화적인 제도 및 교육과정을 구축‧운영함으로써 창업을 희망하는


학내 구성원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우수대학(권역별 거점대학)의 교육자원
및 전문성을 공유‧확산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수행대학) 창업교육을 위한 제도‧인프라 및 교육운영 실적 등이 우수한 대학


(수혜대상) 전국대학 및 권역 내 초‧중등학교 등
◦ 지원예산 및 규모 : 622백만원, 2개 권역 각 1개 대학을 수행대학으로 선정
◦ 지원내용 - 수행대학 추진과제
- 대학 컨설팅 : 창업교육 후발대학의 역량을 진단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컨설팅 제공
- 교‧직원 지도역량 강화 연수 : 대학 창업강좌 전담교수, 창업지원조직의 직원 및 초‧중등
담당교사 등을 대상으로 교수법‧코칭기법 등 지도역량 강화 연수 실시
- 창업교육 콘텐츠 개발 : 타 대학 교수 또는 학생 등이 수업 및 학점인정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콘텐츠 및 커리큘럼(K-MOOC 등) 개발‧확산

수행대학 모집

◦ 사업공고 : ’20.1 ~ 2월
◦ 신청방법 :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www.nrf.re.kr)의 사업 공고문 참조
◦ 제출서류 : 참가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창업교육 거점대학
사업공고 신청·접수 선정평가 및 협약
▶ ▶ ▶ 과제수행 개시
(1~2월) (2월) (3월)
(4월~)

문의 교육부 교육일자리총괄과 연락처 044-203-6845


한국연구재단 산학협력지원팀 연락처 042-869-6411

- 46 -
45 학생 창업유망팀 300 창업교육

잠재력이 높은 전국의 학생 창업팀 300개를 선발하여, 성숙도에 따른 체계적


교육‧멘토링을 통해 스타트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전국의 초‧중‧고등학생, 대학(원)생(휴학생 포함) 및 학교 밖 청소년 등


(※ 단, 원격대학 소속 재학생의 경우 참여를 제한함)
◦ 지원예산 및 규모 : 1,600백만원, 학생 창업팀 300개
◦ 지원내용
- (인재발굴) 경진대회를 통해 혁신적 창업 아이디어를 가진 학생창업팀(3~7인) 발굴
⇒ ’20년부터 험과 지식이 부족하여 창업에 도전하기 어려웠던 학생 개인을 선발하여
팀빌딩부터 사업계획 작성까지 지원하는 ‘오디션형’ 선발방식 신규 추진
- (단계별 교육‧멘토링) 경진대회 심사(서면→대면→현장) 과정과 연계하여 참가팀의 창업
마인드 성숙도 개발 단계에 따라 교육‧멘토링(기초→기본→집중→실전) 실시
- (이력관리) 역대(’16~) 창업유망팀 추적조사를 통해 진로경로, 창업유지 여부 등 정보를
수집하여, 후배 멘토링을 위한 인력 풀(pool) 조성 및 진로 컨설팅 등에 활용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2 ~ 3월
◦ 신청방법 :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www.changgo.or.kr)을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가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대면심사
공고 및 기본교육 창업유망팀 집중교육 및
오디션형 선발(3월)
신청‧접수 ▶ ▶ 및 심사진행 ▶ 300 선정 ▶ 후속지원*
서면심사
(1~2월) (5월~) (8월) (9월~)
일반형 선발(4월)
* 유망팀 중 우수팀(30팀 내외)에 한해 범부처 창업경진대회(도전! K-스타트업) 진출 지원

문의 교육부 교육일자리총괄과 연락처 044-203-6845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기업가정신교육팀 연락처 02-2156-2283

- 47 -
46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 창업교육

대학 및 출연(연)의 연구실에서 나온 기초·원천 연구성과가 빠른 시간 내에 시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Lab-to-Market’ 실험실 창업 교육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대학, 출연(연) 등 실험실이 보유·연구 중인 연구성과를 활용하여 창업을 하고자


하는 대학(원)생, 연구원, Post-Doc 등으로 구성된 예비 실험실창업탐색팀
◦ 지원예산 및 규모 : 10,212백만원, 98개팀
◦ 지원내용
- 美 과학재단 창업교육 프로그램(I-Corps) 활용한 국내·외 시장탐색 중심 실전형 창업교육
- 권역별 및 여성특화형 실험실창업혁신단*을 통한 창업컨설팅, 멘토링, 시제품 제작지원 등 맞춤
형 창업 보육
* 권역별(수도권-고려대, 성균관대 / 서부권-KAIST / 동부권-POSTECH), 여성특화형(숙명여대)
- 투자자·VC 등 대상 사업설명회(IR) 및 데모데이 기회 제공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1월(변동 가능)


◦ 신청방법
- [신규 실험실창업혁신단] 한국연구재단(www.nrf.re.kr)을 통한 온라인 접수
- [신규 실험실창업탐색팀] 권역별 및 여성특화형 실험실창업혁신단을 통한 온·오프라인
접수
◦ 제출서류 : 지원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국내·외 창업교육
사업공고 신청·접수 선정평가 및 협약 및 맞춤형 창업
▶ ▶ ▶
(1월) (2월) (3월) 보육 지원
(5월~)

문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성과일자리정책과 연락처 044-202-4722


한국연구재단 산학협력진흥팀 연락처 042-869-6402

- 48 -
47 창업이민인재양성프로그램 창업교육

법무부장관 및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공동으로 지정하는 ‘글로벌창업이민센터’에서


운영하는 9가지(지식재산권 소양교육, 창업코칭 및 맨토링, 창업공간 제공, 사업화 자금
지원 등)의 표준화된 교육 프로그램

사업개요

◦ 지원대상 : 국내 기술창업을 희망하는 외국인 창업 예정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835백만원, 신규법인 20개
◦ 지원내용
- (창업교육) 기술창업에 필요한 지식재산권 교육, 창업소양교육(출입국관리법령 포함)
- (멘토링·컨설팅) 외국인 예비창업자에게 1;1 멘토링 및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제공
- (사업화지원) 특허출원, 시제품제작, 법인설립 지원 등
- (시설공간 제공) 초기창업에 필요한 창업공간 제공
- (행사, 네트워크) 외국인 발명·창업대전 및 네트워킹 행사 운영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2 ~ ’20. 11.


◦ 신청방법 : 글로벌창업이민센터 홈페이지(http://www.OasisVisa.com)를 통한 온라인 신청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교육 및 멘토링 ▶ 사업화지원

문의 법무부 체류관리과 연락처 02-2110-4064


글로벌창업이민센터 연락처 070-7726-1352

- 49 -
48 실전창업교육 창업교육

유망한 비즈니스모델을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실습교육과 MVP제작,


비즈니스모델 검증 등을 지원하여 준비된 창업자를 양성하는 사업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아이디어 또는 비즈니스모델을 보유한 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4,805백만원, 교육생 2,700명 내외, 시장검증 270명 내외
◦ 지원내용
- 창업실습교육
▪ 블렌디드러닝(Blended Learning) : 온·오프라인 혼합형 교육을 통해 예비업자가 비즈니스
모델 설계에 필요한 교육, 멘토링 등을 제공
▪ Build-up 프로그램 :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를 위한 오프라인 프로그램 운영

- 시장검증
▪ 고객반응조사, 비즈니스모델 검증 및 최소요건제품(MVP)제작 비용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2월 ~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없음(단, 시장검증 단계에서는 신청서 및 시장검증 계획서 등 필요)

사업절차

사업공고 ▶ 창업실습교육 ▶ 시장검증 ▶ 최종보고 등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촉진과 연락처 042-481-4553


문의
창업진흥원 교육문화부 연락처 042-480-4445, 4394

- 50 -
49 메이커 문화 확산 창업교육

창의적 아이디어 구현을 위한 창작활동과 동아리, 행사 등 다양한 메이커 활동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메이커 창작활동에 관심 있는 개인 또는 단체 등


◦ 지원예산 및 규모 : 4,444백만원, 300여개 과제
◦ 지원내용
- 메이커 인력 양성, 메이커 창작활동, 연구조사 및 성과확산 등 지원
* 동아리 지원 : 청소년 등 메이커 동아리 활동 지원
* 메이커 전문교육 : 스페이스 운영자⋅교원 등 대상 메이커 전문교육 제공
* 메이커 창작활동 : 문제 해결을 위한 자기 주도적 메이커 창작⋅복합 프로젝트 지원
* 이동형 교육 : 소외계층․지역 대상 찾아가는 메이커 교육,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지원
* 메이커 행사 : 메이커톤, 공모전 등 다양한 메이커 문화행사 개최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2월
◦ 신청방법 : k-star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사업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업공고 신청·접수 선정평가
▶ ▶ ▶ 및 활동 지원
(2월) (3월) (4월)
(5월)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생태계조성과 연락처 042-481-4580


창업진흥원 창업저변확대부 연락처 042-480-4397

- 51 -
50 청소년비즈쿨 창업교육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모의 창업교육을 통해 꿈, 끼, 도전정신, 진취성 등 기업가정신을


갖춘 ‘융합형 창의인재’ 양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 「영재교육진흥법」


제6조에 따른 영재학교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제12조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 지원예산 및 규모 : 6,668백만원, 495개교(’19~20년 연속사업)
◦ 지원내용
- 기업가정신 및 창업·경제교육, 창업동아리 및 전문가 특강 지원 등
- 체험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 창업실무지식 습득을 위한 비즈쿨 캠프 운영
- 비즈쿨 페스티벌, 교재・콘텐츠 개발・보급, 담당교사 직무연수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3월 접수 예정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접수
- ’19년 기 선정된 비즈쿨 운영학교의 운영기간은 2년으로 비즈쿨 운영학교의 자진 포기,
평가에 의한 탈락 등 잔여 T.O를 확인하여 추가 모집 예정
- 비즈쿨 운영학교 잔여 TO에 따라 ’20년은 비즈쿨 운영학교를 모집하지 않을 수 있음
◦ 제출서류 : 참가신청서, 운영계획서 등

사업절차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및 협약 ▶
및 활동 지원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벤처혁신기반과 연락처 042-481-1651, 8953


창업진흥원 창업저변확대부 연락처 042-480-4302, 461~2

- 52 -
51 대학기업가센터 창업교육

대학의 풍부한 자원 극대화를 통해 교육, 네트워킹, 연구개발을 통한 창업모델 도입· 확산

사업개요

◦ 지원대상 : 3개 대학(서강대, 영남대, 이화여대) 기업가센터 대학생, 교수 및 교원


◦ 지원예산 및 규모 : 600백만원, 3개 대학(’15~20년 연속사업)
◦ 지원내용
- (창업전담조직 기능 강화) 창업관련 교육계획 수립·운영 등 총괄기능 강화 지원
- (콘텐츠 개발 및 연구) 교재, 모듈 등 교육 콘텐츠 개발·보급
- (창업강좌 및 교육) Cash class 등 최신 창업트렌드를 반영한 창업 전공강좌 운영지원
- (네트워크) 동문기업, 성공창업가, VC 등 전문가와의 네트워크 구축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각 대학별 학사일정에 따름


◦ 신청방법 : 각 대학별 별도 모집
◦ 제출서류 : 각 대학별 별도 공지

사업절차

◦ 창업강좌 교육

전공생 모집 ▶ 신청·접수 ▶ 서류, 면접평가 ▶ 전공생 선정

◦ 콘텐츠 개발 및 연구
콘텐츠 개발 및
대학별 공지 ▶ 신청·접수 ▶ 선정 ▶
연구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벤처혁신기반과 042-481-1651, 8953


창업진흥원 창업저변확대부 042-480-4462

- 53 -
52 장애인 맞춤형 창업교육 창업교육

창업에 필요한 종합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창업 인식 개선 및 창업저변 확대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업종전환희망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974백만원, 1,500명
◦ 지원내용
- (온라인교육) 장애인 온라인 교육지원시스템(창업넷)을 이용하여 기초/역량/재기교육 실시
- (특화교육) 장애인 창업에 필요한 기초교육, 기술교육, 특화 멘토링 실시
- (창업멘토링) 창업교육 수료자 대상 코칭·상담·컨설팅 실시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수시
◦ 신청방법 : 장애인 온라인 교육지원시스템(start.debc.or.kr)내 신청

사업절차

◦ 온라인교육

회원가입 ▶ 기초/역량/재기교육 중 택1 ▶ 수료증 발급

◦ 특화교육

교육신청 ▶ 기초+기술교육 ▶ 멘토링실시 ▶ 수료증 발급

◦ 창업멘토링

멘토링신청 ▶ 멘토링 수행 ▶ 수료증 발급 ▶ 창업지원사업 신청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혁신과 연락처 042-481-4566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사업전략팀 연락처 02-2181-6521

- 54 -
53 멘토링플랫폼 운영지원 창업교육

대학과 출연연 등 전문성 있는 기관을 ‘기업혁신멘토단’으로 구성하고, 지원기업 선정


부터 컨설팅, 과제발굴, 성과관리까지 전문가의 식견을 적극 활용하여 혁신성을
보유한 창업·벤처기업을 밀착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4차 산업혁명 3대 신산업 분야(시스템반도체, 바이오, 미래차) 창업·벤처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4,630백만원
◦ 지원내용
- 3대 신산업 분야를 15개로 세분화*하고 분야별 전문가를 보유한 대학 및 출연연 등을
멘토기관으로 선정하여 기술·경영 등 밀착지원
* 시스템반도체(Soc, 아날로그, 센서, 인프라), 바이오헬스(의약, 의료기기, 바이오소재, 디지털헬스케어),
자율차(정보수집, V2X통신, 자율주행빅데이터, 인포테인먼트), 친환경차(성장지원, 수요다변, 업종전환)

- 신속하고 과감한 지원을 통해 성과 창출이 가능하도록 R&D, 투·융자 등 지원사업의 적극적 연계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2.~’20.4.
◦ 신청방법 : 멘토 운영 전문기관(주관기관)에 신청
◦ 제출서류 : 신청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멘토-멘티 매칭 ▶ 멘토링 지원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미래산업전략팀 연락처 042-481-3919

- 55 -
54 신사업창업사관학교 창업교육

성장가능성이 높은 신사업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예비창업자를 선발하여 창업교육,


상품화 지원, 점포경영체험, 사업화를 패키지로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소상공인 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16,655백만원, 450명
◦ 지원내용
- 창업 이론교육 : 창업을 위한 일반과정 및 업종전문교육 제공(약 4주)
- 점포경영체험교육 : 사업모델 및 시제품 검증 등을 위한 점포체험 교육(약 16주)
- 상품화 지원 :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수준의 제품·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창업단계
시부터 상품개발을 지원(MD등 연계, 시제품 제작시설 활용, 재료비 등)
- 창업자금 : 수료생 대상 정책자금 연계(교육수료 후 1년 이내), 사업화 보조금 일부
지원(심사를 통해 선발, 총 사업비의 50%이상 자부담 조건)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상반기 하반기 연 2기수 모집 : 11기(2020.1월중), 12기(2020. 5월중)


◦ 신청방법 : 신사업창업사관학교 홈페이지(http://newbiz.sbiz.or.kr)를 통한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화지원
사업공고 신청·접수 이론교육 및 점포체험
▶ ▶ ▶ (8~12월,
(1월, 5월) (2월, 6월) (4~7월, 9~12월)
‘21.1~4월)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지원과 연락처 042-481-4528


문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교육지원실 연락처 042-363-7841

- 56 -
55 IP기반 차세대영재 기업인 육성 창업교육

창의성이 뛰어난 소수 정예의 발명영재(중학생)을 선발하여 미래 신성장 산업을 창출할


지식재산기반 영재기업인으로 육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중학교 1 ~ 3학년 또는 그에 준하는 연령(만 13 ~ 15세)의 영재 선발


◦ 지원예산 및 규모 : 1,500백만원, 2개(KAIST, POSTECH) IP 영재기업인교육원 운영, 매년
160여명 선발
◦ 지원내용
- 교육과정 : 기초과정(2년, 700시간) 및 전문과정(기초과정 수료 후 모듈형 선택과정)
- 교육방법 : 온라인 학습 및 오프라인 캠프
- 교육내용 : 지식재산, 기업가정신, 미래기술, 인문학 등 기업인이 갖추어야 할 기초
소양 교육, 협업을 통한 비즈니스 아이디어 창출, 전문가 멘토링 지원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9월
◦ 신청방법 : 각 교육원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및 접수
- POSTECH 영재기업인교육원 : http://ceo.postech.ac.kr
- KAIST IP 영재기업인교육원 : http://ipceo.kaist.ac.kr
◦ 제출서류 :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학교장추천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학생선발 교육
▶ ▶
(학생선발공고) (2단계 전형) (기초 및 전문과정)

문의 특허청 산업재산인력과 연락처 042-481-3572


한국발명진흥회 창의발명교육연구실 연락처 02-3459-2927

- 57 -
시설‧공간‧보육

56 K-Global 클라우드 기반 SW 개발환경 지원 시설공간

예비창업자, 스타트업 등 창업 3년 이내 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환경(PaaS/IaaS, 부가서비스 등)을 제공, 제품기획 및 사업화를 위한 자문, 투자
및 민간 지원프로그램 연계 등 추진

사업개요

◦ 지원대상 : 클라우드 기반의 SW 개발환경을 제공하여 창업‧성장 지원


◦ 지원예산 및 규모 : 916백만원, 30개
◦ 지원내용
- (개발환경) 클라우드 기반의 기술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개발환경(PaaS) 및 인프라
(IaaS)를 제공하며, 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언어, 프레임워크 및 DBMS 등 포함
- (부가서비스) 바우처 방식으로 일정금액 범위 내에서 개발환경을 포함하여 GPU, AI,
이미지 처리 등 부가서비스 제공
- (활용 교육) 개발환경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활용교육 지원(분기별 1회)
※ (개인 개발자 지원) 클라우드 기반 SW개발환경을 가볍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인개발자를
대상으로도 경량의 SW개발환경 지원(800명)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19. 12월


◦ 신청방법 : K-ICT클라우드혁신센터 홈페이지(www.cloud.or.kr)를 통해 접수
공고는 NIPA 홈페이지(www.nipa.kr),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 병행
◦ 제출서류 : SW개발환경 지원 신청서, 사업계획서, 사업자등록증(기업의 경우)

사업절차

지원대상 기업 SW개발환경 지원 지원대상 기업 SW개발환경 등


▶ ▶ ▶
선발 공고 신청·접수 선정평가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진흥과 연락처 044-202-6361


문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클라우드혁신센터 연락처 031-606-1523
1670-5005

- 58 -
57 K-Global 빅데이터 스타트업 기술지원 시설공간

K-ICT 빅데이터센터의 대용량 분석 인프라와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작업공간 및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분석환경 제공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빅데이터 기반 예비창업자 및 신규 비즈니스를 개발하는 스타트업 등


◦ 지원예산 및 규모 : 867백만원, 작업공간 15석 및 분석 인프라 130개사 지원 등
◦ 지원내용
- (작업공간) K-ICT 빅데이터센터 오픈랩을 활용하여 작업공간 지원(15석 이내, 6개월)
- (인프라) 대용량 데이터 분석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 제공(분석, 교육, 개발자 등)
-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반의 R·Python 분석환경 제공
- (기술교육) 빅데이터센터 인프라 기반 데이터 분석 교육 및 개인정보 비식별 전문교육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3월 중 예정
◦ 신청방법 : K-ICT 빅데이터센터 홈페이지(kbig.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지원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및 협약 ▶ 사업화 기술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빅데이터진흥과 연락처 044-202-6295


문의
한국정보화진흥원 지능데이터사업팀 연락처 053-230-1278

- 59 -
58 출판지식 창업보육센터 운영 시설공간

출판 관련 창업 기업 또는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사업화 공간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경영 및 성장을 지원함으로써 출판 일자리 창출 및 출판산업 분야의 확산에 기여하고자
출판지식창업보육센터를 설립·운영

사업개요

◦ 위치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400 문화콘텐츠센터(서울산업진흥원 건물)


◦ 입주자격 : 출판 관련 예비창업자 및 창업 3년 미만인 출판 창업 초기 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200백만원, 24개실
◦ 지원내용
- (관리·운영) 입주기업 임대료 지원, 도서 제작 및 마케팅비 일부 지원
- (컨설팅 지원) 출판 산업 6개 분야 온·오프라인 컨설팅

시설현황

◦ 보육실 현황
12.7㎡ 13.2㎡ 15.4㎡ 18.3㎡ 20.2㎡
구분 합계 비고
(3.8평) (4평) (4.3평) (5.5평) (6.1평)
실수 4 8 8 3 1 24 실 평수
◦ 지원시설 현황
구분 행정실 촬영실 다목적실 POD실 합계
17.7㎡ 9.2㎡ 15.9㎡ 6.8㎡ 148.4㎡
면적
(5.3평) (2.7평) (4.8평) (2평) (45평)
실수 1 1 1 1 4

참가자 모집
◦ 모집기간 : 수시(입주기업 공실 발생시)
◦ 신청방법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홈페이지(www.kpipa.or.kr) 공고를 통한 전자메일 접수
(kpipabi@naver.com)
◦ 제출서류 : 출판지식창업보육센터 입주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사업자등록증(개인),
등기부등본(법인), 주민등록등본(예비창업자)

모집절차

서류심사(1차) 입주기업
모집공고 ▶ 신청 및 접수 ▶ ▶
면접심사(2차) 관리·운영 지원

문화체육관광부 출판인쇄독서진흥과 연락처 044-203-3243


문의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출판산업지원센터 연락처 02-3153-2900

- 60 -
59 캠퍼스 혁신파크 시설공간

대학에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산학협력 및 창업·기업지원 프로그램을 집중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창업기업 및 창업 후 성장기업(post-BI)


◦ 지원예산 및 규모 : 47,620백만원, 3개소(’20년 2,200백만원)
◦ 지원내용
- 저렴한 업무공간(가칭 「산학연 혁신허브」) 제공
- 성장단계별로 임대료 차등 적용(시세의 20∼80%)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22년 이후 입주
◦ 신청방법 : 미정
◦ 제출서류 : 미정

사업절차
※ 본 사업은 단지 및 건축물 조성사업이며, 기업입주는 ‘22년에 가능

산학협력
산업단지계획승인 착공 준공 및 입주
▶ ▶ ▶ 창업 및 기업지원
(‘20.하) (‘20.하) (‘22)
(이후)

중소벤처기업부 벤처혁신기반과 연락처 042-481-4549


문의
국토교통부 산업입지정책과 연락처 044-201-3663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 연락처 044-203-6944

- 61 -
60 1인 창조기업 활성화 지원 시설공간

1인 창조기업에 사무공간 및 교육, 전문가 자문 등의 경영지원 등을 통해, 1인 창조기업


육성 및 창업 활성화 제고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비) 1인 창조기업 (관련근거 : 1인 창조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 지원예산 및 규모 : 7,971백만원, 50개 센터 내외
◦ 지원내용
분 야 내 용 지원규모
사무공간 사무(공간)공간, 회의실, 휴게실 등 창업공간 지원
경영지원 세무·회계·법률 등 전문가 애로상담 지원 전국 50개 센터
창업교육 경영, 마케팅 등 센터별 일반, 특화분야 창업교육 지원 내외
네트워크 창업기업 및 투자기관 등 네트워크 활동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연중 수시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센터별 모집일정에 따라 모집기간이 상이함(K-startup 홈페이지 – 사업공고) 참조
◦ 제출서류 : 입주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신청·접수 선정평가(서류, 발표) 입주공간 등 지원


▶ ▶ ▶
(k-Startup) (k-Startup) (센터 ↔ 기업) (센터 ↔ 기업)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촉진과 연락처 042-481-1688, 4524


창업진흥원 교육문화부 연락처 042-480-4363, 4432

- 62 -
61 창조경제혁신센터 시설공간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지역 인재의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 및 창업 등


지역 창업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비창업자, 창업 후 3년 미만 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39,812백만원,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센센터
◦ 지원내용
- 창업지원 : 멘토링, 창업교육, 투자유치 IR, 창업경진대회, 지역 창업자・기업 간 네트워킹,
마케팅・판로 개척, 글로벌 진출 등 지원
- 원스톱서비스 지원 : 창업 관련 법률․특허․금융․경영 등 원스톱 컨설팅(상담)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연중 수시
◦ 신청방법 :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직접 방문 또는 홈페이지(https://ccei.creativekorea.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운영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멘토링 등
▶ 신청·접수 ▶ 선정평가 ▶
(수시) 창업활동 지원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생태계조성과 연락처 042-481-1693


창업진흥원 생태계조성부 연락처 042-480-4410~11

- 63 -
62 스타트업 파크 시설공간

창업자가 투자자, 대기업, 대학·연구기관 등과 열린 공간에서 자유롭게 소통·교류하며 성장


할 수 있는 혁신창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민간(광역자치단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한 민간기관)


◦ 지원예산 및 규모 : 1,000백만원, 2개소
◦ 지원내용
- 광역자치단체(시·도 단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하여, 선정지역의 스타트업 파크 조성을
위한 설계용역비 지원
* ‘19년 지원현황 : 인천광역시가 선정되어 스타트업 파크 조성비 120.77억원(국비)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미정
◦ 신청방법 : 별도 공고 예정
◦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 계획
사업공모 ▶ ▶ 지역선정 ▶ 조성
수립·제출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정책총괄과 연락처 042-481-1685


창업진흥원 생태계조성부 연락처 042-480-4423

- 64 -
63 중장년 기술창업센터 시설공간

경력・네트워크・전문성을 보유한 중장년(만 40세 이상) (예비)창업자의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창업교육 및 거점을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만 40세 이상 (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4,460백만원, 전국 27개 중장년 기술창업센터
◦ 지원내용 : 숙련된 경험과 네트워크를 보유한 역량있는 중장년을 발굴하여 One-stop
형태의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 대기업·공공기관 등 (예비)퇴직자 대상 교육실시로 역량있는 창업자 발굴
- 사업아이디어 검증과 사업계획서 구체화를 위한 실전창업 교육
- 입주 및 코워킹, 네트워킹 공간 제공
- 네트워킹행사, 멘토링, 경영·마케팅, 사업화 연계 등 창업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연중 수시
◦ 신청방법 : 전국 27개 중장년 기술창업센터 직접 방문 또는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운영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창업교육,
▶ 신청·접수 ▶ 선정평가 ▶
(수시) 입주공간 등 지원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생태계조성과 연락처 042-481-1693


창업진흥원 생태계조성부 연락처 042-480-4423, 4417

- 65 -
64 판교밸리창업존 시설공간

유망 (예비)창업기업을 발굴하여 입주공간 및 맞춤형 보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창업기업의 성장을 집중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 7년 이내 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6,164백만원
◦ 지원내용
- 창업기업 입주공간 및 회의실 등 공용공간 제공
- 교육, 전문가멘토링, 투자유치, 네트워킹, 글로벌 진출 등 사업화 지원
- 통·번역센터, 3D제작보육실, 글로벌테스트베드 등 인프라 활용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1월 중 공고 예정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개인정보 이용 동의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서류⋅발표 평가 ▶ 공간배정⋅입주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생태계조성과 연락처 042-481-4580


창업진흥원 창업존운영팀 연락처 031-5182-9102

- 66 -
65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 시설공간

국민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창의적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도록 메이커


스페이스를 전국적으로 조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민간‧공공 기관 및 단체
◦ 지원예산 및 규모 : 33,180백만원, 전국 64개 메이커 스페이스
- ’18~’19년 선정된 메이커 스페이스(128개) 지원예산 포함
◦ 지원내용
- 지원기능에 따라 일반형, 전문형으로 구분하여 시설 구축, 장비 구입, 프로그램 운영 등
소요비용을 지원
구 분 전문랩 일반랩
유 형 창업 연계형 전문창작 공간 생활밀착형 창작활동공간
지원규모 최대 15억원 최대 1.5억원
총 사업비의 30% 이상 대응투자 총 사업비의 20% 이상 대응투자
지원조건
전용공간 1,000m2 내외 전용공간 100m2 내외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1월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사업신청서, 사업계획서 및 각종 첨부서류

사업절차

스페이스 구축 및
사업공고 신청·접수 선정평가
▶ ▶ ▶ 운영
(1월) (1월) (2~3월)
(4월~)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생태계조성과 연락처 042-481-4580


창업진흥원 창업저변확대부 연락처 042-480-4400

- 67 -
66 창업보육센터 지원 시설공간

예비창업자 및 3년 미만 창업자에게 사무공간, 기술․경영 컨설팅 등 제공으로


안정적인 경영활동 및 지속적인 성장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창업보육센터, 3년 미만 (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12,720백만원, 260개 BI('19.12월)
◦ 지원내용
- (초기(예비)창업자) 창업 사업공간 제공 및 기술․경영 컨설팅 등 보육 지원
-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운영에 소요되는 매니저 인건비 및 리모델링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초기(예비)창업자 : 연중 수시(창업보육센터별 상이)
- 창업보육센터 : 2020.1월 ~ 2월
◦ 신청방법 창업보육센터네트워크시스템(www.bi.go.kr) 및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을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 계획서 등

사업절차

입주 및
사업공고 ▶ 신청·접수 ▶ 평가 및 선정 ▶
보육프로그램 참여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생태계조성과 연락처 042-481-1691, 3968


한국창업보육협회 사업팀 연락처 042-346-9621, 9607

- 68 -
67 장애인기업 창업보육실 운영 시설공간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창업초기 장애인기업의 성장기반 마련을 위한 보육공간 및


정책정보 제공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창업 3년 미만의 장애인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650백만원, 전국 16개 지역센터 132개 보육실 운영
◦ 지원내용
- 창업공간 및 사무편의 기자재, 회의실, IT환경 등 제공
-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 컨설팅 및 판로지원 등 각종 정보제공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연중 수시(공실 발생 시)
◦ 신청방법 :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www.debc.or.kr)에서 서식 다운로드 후
우편 및 방문, 온라인 신청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입주공고 서류 및 계약 및
▶ 신청·접수 ▶ ▶ 입주기업선정 ▶
(연중 수시) 면접평가 입주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과 연락처 042-481-4566


문의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지역육성팀 연락처 02-2181-6535

- 69 -
68 발달장애인 특화사업장 구축 시설공간

발달장애인과 가족에게 안정적인 일자리와 경제적 자립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


생산 및 경영체험, 창업공간 제공 등 실전창업 지원을 위한 특화사업장 구축·운영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발달장애인과 발달장애인의 가족 구성원(보호자)으로 구성된 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2,500백만원, 2개소
- ‘20년 신규 구축지원(1 사업장 당 20팀(40명 : 발달장애인 20명, 가족 20명)
◦ 지원내용
- (특화사업장 구축) 설비 구입, 시설 구축 및 리모델링 소요비용
- (특화사업장 운영) 교육훈련, 창업공간 및 시설제공 등 최대 3년 간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1월 예정
◦ 신청방법 :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www.debc.or.kr)에서 서식 다운로드 후
우편 및 방문, 온라인 신청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설치지역 선정 ▶ 업무협약 체결 ▶ 설비구축 ▶ 대상자모집

입주대상자
창업교육 ▶ ▶ 보육공간 입주 ▶ 창업 및 보육
모집·선발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혁신과 연락처 042-481-4566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사업전략팀 연락처 02-2181-6520

- 70 -
69 소셜벤처 육성 시설공간

지속적으로 성장가능한 소셜벤처 육성을 위해 민간 주도의 소셜벤처 역량강화


프로그램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소셜벤처 육성을 희망하는 민간전문기관 및 창조경제혁신센터, 소셜벤처


◦ 지원예산 및 규모 : 1,700백만원
◦ 지원내용
- (수도권) 민간전문기관*을 통해 소셜벤처 BM재설계, 액셀러레이팅, 네트워킹, 투자유치
연계, 멘토링 및 교육 지원(민간전문기관 3개 이내 선정)
* 민간 임팩트투자사 및 액셀러레이팅 전문기관
- (지방) 창조경제혁신센터을 통해 소셜벤처의 창업공간 제공, 네트워킹 및 투자유치
연계, 한국형 TED 등 지역 특화 프로그램 지원(창조경제혁신센터 4개 내외 선정)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상반기


◦ 신청방법 : 별도 공고 예정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별도 공고시 안내)

사업절차

◦ 수도권 소셜벤처 육성

민간전문기관 수도권
사업공고 ▶ 신청·접수 ▶ ▶
선정·평가 및 협약 소셜벤처 육성
◦ 지방 소셜벤처 육성
창조경제혁신센터 지방
사업공고 ▶ 신청·접수 ▶ ▶
선정·평가 및 협약 소셜벤처 육성

중소벤처기업부 벤처혁신정책과 연락처 042-481-4423


문의
기술보증기금 소셜벤처가치평가센터 연락처 02-3407-2900

- 71 -
70 광주 스타트업 캠프 시설공간

광주지방중기청 이전에 따라 발생하는 구청사 유휴공간을 지역의 혁신창업가를 육성하는


창업·벤처 공간으로 리모델링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비창업자, 7년미만 창업기업 등


◦ 지원예산 및 규모 : 3,550백만원
◦ 지원내용
- 광주전남청 구청사를 창업·벤처 공간으로 리모델링하고, 민간 AC·VC가 주도적으로 운영
하여 지역 창업·벤처 기업을 육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미정
◦ 신청방법 : 별도 공고 예정
◦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계획 수립 ▶ 조성 및 운영기관 선정 ▶ 개소 및 운영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정책총괄과 연락처 042-481-1685


문의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창업벤처과 연락처 062-360-9141,9132

- 72 -
71 코리아 스타트업 센터(KSC) 시설공간

유망 스타트업의 글로벌 창업 및 해외진출·안착을 지원하는 거점으로서 북유럽 등 해외


전략지역에 조성
* (’20년 신규) 스웨덴, 핀란드 / (‘20년 개편) 싱가포르(BI 운영중)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비창업자, 7년미만 창업기업 등


◦ 지원예산 및 규모 : 8,014백만원 (기업당 최대 2억원)
◦ 지원내용
- 해외진출준비 지원
- 해외 업무공간, 멘토링, 엑셀러레이팅, IR, 창업경진대회 참가, 현지 네트워킹, 마케팅
·판로 개척 등 지원
- 투자유치 연계, 현지 법인설립 등 후속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3월 예정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시장검증
사업공고 ▶ 신청·접수 ▶ 1차 선정평가 ▶
(1주, 3배수)

2차 선정평가 및 정규 프로그램
▶ ▶ ▶ 3차 선정평가 ▶ 현지 정착지원
협약체결 지원(10주)

중소벤처기업부 해외시장총괄과 연락처 042-481-4473


문의
창업진흥원 글로벌사업부 연락처 02-3440-7308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글로벌사업처 연락처 055-751-9674

- 73 -
멘토링․컨설팅

72 청년 등 협동조합 창업지원 멘토링

(사회적)협동조합을 창업하고자 하는 청년 등을 대상으로 “협동조합형” 창업을


지원하고, 운영 중인 협동조합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모델의 고도화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청년 등 일반인으로 구성된 예비창업팀 및 기설립된 협동조합


- 각 부처 정책과 연계가 가능하고, 중점 육성이 필요한 특화 분야 선정 예정
* (특화분야 예시) 프리랜서, 사업자연합, 사회서비스(발달장애인 돌봄, 협동유치원), 기타 규모화‧확산에 적합한
협동조합형 사업모델 등
◦ 지원예산 및 규모 : 1,515백만원, 70팀 내외
◦ 지원내용
- (멘토링) 선배 협동조합이 팀 창업 방식으로 협동조합 설립 및 초기사업화 지원
- (컨설팅) 생애주기 및 특성에 적합한 협동조합 맞춤형 컨설팅
- (활동비용) 시장조사, 시제품 개발 등 창업프로그램 참여 중 소요되는 활동자금
※ 설립분야는 창업팀당 최대 6.5백만원 지원, 고도화분야는 지원규모 미정
* 상기 지원의 세부 내용은 추후 확정된 공고를 통해 상세 안내 예정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3월 ~ 5월 예정
◦ 신청방법 : 사회적기업진흥원 홈페이지(www.socialenterprise.or.kr) 및 협동조합 포털홈페이지
(www.coop.go.kr)를 통해 세부절차 안내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사업계획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제3자 제공동의서 등

사업절차

협동조합형 창업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및 협약 ▶
및 고도화 지원

문의 기획재정부 협동조합과 연락처 044-215-5932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협동조합본부 설립지원팀 연락처 031-697-7731

- 74 -
73 K-Global 시큐리티 스타트업 멘토링

정보보호 분야 우수 아이디어 및 제품을 보유한 유망 스타트업을 선발하여 멘토링,


네트워킹, 정보보호 및 기업 역량 강화 교육 등 성장 지원을 통해 우수 정보보호
스타트업으로 육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창업 후 3년 이내 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100백만원, 5개
◦ 지원내용
- (멘토링) 정보보호, ICT, R&D, 투자, 글로벌 전문가를 통한 멘토링
- (네트워킹) VC 심사역, 대기업 등 대상 모의피칭 · 데모데이 및 네트워킹
- (교육) 정보보호 제품 CC인증, 정보보호 최신트렌드 정보, 지적재산권 취득, 기업 IR
구성 · 피칭 교육 등 기업 역량 강화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20년 3월 중
◦ 신청방법 :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www.kisa.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응모지원서, 제품·솔루션 소개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신청·접수 선정평가(서류·발표) 지원 프로그램 운영


▶ ▶ ▶
(2월) (3월) (4월) (5~12월)

문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산업과 연락처 044-202-6455


한국인터넷진흥원 보안산업진흥팀 연락처 061-820-1218

- 75 -
74 K-Global 창업멘토링 (ICT 혁신기술 멘토링) 멘토링

ICT 분야의 유망 창업·벤처기업의 창업성공과 기업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선배


벤처기업인들의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기술·경영 애로사항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창업멘토링 프로그램

사업개요

◦ 지원대상 : ICT(정보통신기술), 4차 산업혁명 및 과학기술 분야의 창업초기/성장단계기업


- (창업초기기업) 창업 후 3년 이내 기업인
- (성장단계기업) 창업 후 3~7년 이내 기업인

◦ 지원예산 및 규모 : 1,990백만원, 240개사 내외(예정)


- (상반기) 창업초기기업/성장단계기업 : 120개사 내외
- (하반기) 창업초기기업/성장단계기업 : 120개사 내외

◦ 지원내용
- (전담멘토링) 성공‧실패 경험을 가진 벤처창업가를 멘토로 지정하여 기술‧경영 애로 등을 진단하고
해결방안 제시
- (ICT 법률 및 전문기술 멘토링) ICT 법률 전문가(변호사)와 ICT 및 4차산업혁명 관련 전문기술 전문가
로 구성하여 법률·기술 애로사항 해결방안 제시
- (맞춤형 실전창업교육) 기업가정신 함양과 실전창업 준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기술창
업자 과정PTS, 성장단계 과정PSS, 디지털마케팅 등)
- (성장지원 프로그램) ICT 및 4차산업혁명 분야 선도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기술제휴, 공동개
발, 투자유치, 생산판로 등 비즈니스 미팅 제공
- (멘티 투자역량 강화) 스타트업 투자아카데미 정기교육, 투자자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하여 멘
티 투자역량 강화 및 성공사례 창출
- (창업희망콘서트) 멘티들의 사업아이템 홍보 및 투자자들의 투자의향 및 투자 상담과
지역 협업 멘토링과 투자자와의 정기적인 네트워킹 제공
-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우수멘티 중 해외 진출이 필요한 기업을 선발하여 해외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프로그램 수혜 기회 제공
- (사후관리) 선‧후배 멘티들의 네트워킹, 엔젤투자자 및 VC 등 투자기관과의 네트워킹 지원,
K-Global 300연계지원, 엔젤투자 등 민간 투자자 후속 연계지원 등
* 세부 일정 및 내용은 추후 세부공고 예정

- 76 -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상반기(‘20. 2월 中), 하반기(‘20. 7월 中)


◦ 신청방법 : 홈페이지 공고문 참조
* K-ICT창업멘토링센터 홈페이지(www.gomentoring.or.kr),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www.koef.or.kr), K-startup(www.k-startup.go.kr) 홈페이지 등에 동시 공고 예정
◦ 제출서류 : 제공된 양식에 따라 작성하고 각 서류는 날인 필수

창업초기/성장단계 기업(창업 후 7년 이내)

① 창업초기/성장단계 기업 멘티 등록신청서 1부
② 멘티 사업계획서 1부
③ 개인정보 제공·이용 동의서 1부
④ 법인 or 개인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필수제출
⑤ 기업 로고 사진파일(JPG) 1부

※ 신청기간, 지원규모·내용 등은 일부 변경될 수 있음


◦ 가점사항

구 분 내 용
① K-Global 300 K-Global 프로젝트 각 지원사업 중 ‘K-Global 300’에 선정된 기업
② 여성 창업초기/성장단계기업 여성 대표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1차 서류심사 ▶ 2차 심층면접

최종선발 멘토‧멘티 출범식


▶ ▶ ▶ 멘토링 개시
전담멘티 발표 (OT)

문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기반과 연락처 044-202-6243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K-ICT창업멘토링센터 연락처 031-778-7454

- 77 -
75 농식품 벤처창업센터 운영 멘토링

주요 권역에 설치(7개소)된 센터를 통해 창업상담, 연계지원, 보육업체 관리 등


원스톱 창업서비스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농식품 분야 예비창업자 또는 벤처·창업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3,320백만원, 전국 7개소 운영
- 서울, 부산, 세종, 경기(수원), 강원(춘천), 전남(여수), 경북(대구)
◦ 지원내용
- 농식품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지원
- 농식품 벤처·창업 기업의 성공 견인을 위한 단계적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위치 및 연락처

문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벤처창업지원팀 연락처 063-919-1411~20


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 연락처 044-201-2421~2

- 78 -
76 농식품 벤처창업 인턴제 멘토링

농식품 벤처·창업기업의 실습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창업자의 경영, 마케팅 등 현장


실무지식 습득을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멘토) 상시근로자 3인 이상 및 매출액 1억 이상의 벤처·창업기업
- (멘티) 농식품 분야 벤처·창업 아이템을 보유하거나, 아이템을 발굴하고자 하는 창업
의지를 가진 만 39세 이하의 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 310백만원
◦ 지원내용
- (인턴십 운영) 농식품 벤처창업기업 현장실습 지원
- (교육 및 멘토링) 창업 실무·기업경영 관련 실무교육, 인턴·선배 창업자와의 네트워크
구축, 우수인턴 선지지 견학, 멘토링 프로그램 등 제공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1분기~


◦ 신청방법 : 벤처기업협회 홈페이지(www.venture.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창업인턴 신청서, 참여기업 신청서

사업절차

인턴 및 채용기업 인턴-기업 간 인턴 선정평가 및 완료평가 및


▶ ▶ ▶
모집 공고 사전매칭 인턴십 진행 후속지원

문의 벤처기업협회 마케팅지원본부 연락처 02-6331-7082, 7094


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 연락처 044-201-2421~2

- 79 -
77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활성화지원 멘토링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농식품 기업이 창업 초기에 필요한 자금을 적기에 마련할 수


있도록 전용 플랫폼 구축, 교육·컨설팅, 수수료 등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증권형)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에 따른 온라인 소액투자중개업자로
금융위원회에 등록된 업체(공고일 기준)
- (후원형) 후원형 크라우드펀딩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
◦ 지원예산 및 규모 : 600백만원
◦ 지원내용
-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현장코칭) 크라우드펀딩 참여 희망업체 대상 컨설팅 비용 지원
- (맞춤형 컨설팅) 크라우드펀딩 참여업체 컨설팅 비용 지원
- (등록·성공 수수료) 크라우드펀딩에 등록하거나 성공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의 일정부분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1분기~


◦ 신청방법 : 우편접수(농업정책보험금융원 투자기획부)
◦ 제출서류 : 제안서, 입찰서류 등

사업절차

◦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입찰등록 및 협상대상자
입찰공고 ▶ ▶ 제안서 심사 ▶
제안서 제출 선정 및 통보

◦ 연계지원 프로그램(현장코칭, 맞춤형 컨설팅)

농식품기업 컨설팅 접수 현장코칭 펀딩 상담 맞춤형 컨설팅


▶ ▶ ▶ ▶
(크라우드펀딩희망) (농금원) (컨설팅기관) (플랫폼社) (컨설팅기관)

문의 농업정책보험금융원 투자기획부 연락처 02-3775-6775


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 연락처 044-201-2421~2

- 80 -
78 물산업 협력 스타트업 지원 멘토링

물관련 혁신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K-water 내부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물산업 핵심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물관련 혁신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400백만원, 연간 50개사 내외
◦ 지원내용
- (핵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제공, 관련 부서 협업과제 수행
- (사업화 및 R&D 고도화) 해당 기술분야 전문가멘토링, 정부R&BD사업 연계 지원
- (국내외 판로개척) 해외전시회·포럼참여, 시범구매, 벤처나라, 해외 현지화 시범사업 등 동반진출
- (자금지원) 데모데이 등 IR지원, 물산업 조건부 벤처투자펀드(상생협력펀드) 우선 추천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연 4회 모집(분기별 1회)


◦ 신청방법 : 온라인 물산업플랫폼시스템 홈페이지(www.kwater.or.kr/wis)를 통한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2차 선정평가 및
▶ 신청·접수 ▶ 1차 선정평가 ▶ ▶
(분기별 1회) 협약

교육프로그램 운영
▶ 진도평가 ▶ 과제종료
및 활동 지원

환경부 물산업협력과 연락처 044-201-7632


문의
K-water 물산업플랫폼센터 창업도약지원팀 연락처 042-629-2512, 2517

- 81 -
79 공간정보컨설팅 멘토링

공간정보 기반 스타트업 기업의 조속한 초기 안정과 성공률 제고를 위해 애로사항


해결방안에 대한 컨설팅 실시

사업개요

◦ 지원대상 : 공간정보 기반 예비 또는 초기 창업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35백만원, 16개 내외
◦ 지원내용
- 분야별(경영·세무·특허·마케팅·판로·법률 등) 기초 교육 및 기업별 애로사항 컨설팅
- 비즈니스 모델 개선, 고도화 및 투자사와 연계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1 ~ `20. 2


◦ 신청방법 : 공간정보산업진흥원 홈페이지(http://www.spacen.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가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프로그램 운영 ▶ 사후 관리

문의 국토교통부 공간정보진흥과 연락처 044-201-3472


공간정보산업진흥원 산업조사단 연락처 031-606-2552

- 82 -
80 공간정보 창업기업 전략캠프 멘토링

공간정보 기반 창업기업의 시장진출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선발, 성공적 시장


진출을 위해 현 단계를 진단하고 개선된 비즈니스모델 및 투자 전략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LX공간드림센터 내 입주기업 및 공간정보산업진흥원 추천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30백만원, 10개 내외
◦ 지원내용
- (투자 전략 강의) 최근 투자 트렌드와 스타트업 투자 실제사례, 지분 투자사례 등
- (분야별 컨설팅) ①투자 :비즈니스 스케일업 방안, 자금 조달 및 회수 전략 ②비즈니스모
델 : 참가지업의 서비스 출시 등을 포함한 향후 일정, 단계별 성과 목표(KPI) 및 현
Business Model 진단 등
③IR피칭 : 원활한 투자확보를 위한 제품‧서비스의 스토리 구성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
상 교육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9 ~ `20. 9


◦ 신청방법 : 공간정보산업진흥원 홈페이지(http://www.spacen.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가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프로그램 운영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 ▶
및 활동 지원

문의 국토교통부 공간정보진흥과 연락처 044-201-3472


공간정보산업진흥원 산업조사단 연락처 031-606-2552

- 83 -
81 여성벤처창업케어프로그램 멘토링

여성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지원을 통해 창업촉진 및 여성벤처기업 혁신역량 강화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창업아이템을 보유한 여성 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540백만원, 60명 내외
◦ 지원내용
- 비즈플랜 캠프 개최, 선배CEO 매칭을 통해 밀착 멘토링 개최
- 사업아이디어를 실제창업으로 이어질수록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2~3월


◦ 신청방법 : ’20. 2월 별도공고 참조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지원프로그램 운영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선정평가(서류·발표) ▶
및 활동 지원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벤처혁신정책과 042-481-1639, 1635


한국여성벤처협회 정책사업팀 02-3440-7471

- 84 -
82 생활혁신형 창업지원 멘토링

생활분야 틈새시장의 생활혁신형 창업을 촉진하여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생계형


업종의 과밀화를 방지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소상공인 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640백만원(보조 640백만원, 성공불융자 15,000백만원), 연 1,000명
◦ 지원내용
- 생활혁신형 창업자를 발굴‧멘토링하고, 성공불 융자(최대 2천만원) 지원 후, 성실실패시 상환
면제로 실패부담 최소화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2월 ~ 예산소진시까지


◦ 신청방법 : 생활혁신형 아이디어 톡톡(idea.sbiz.or.kr)을 통해 온라인 신청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신청·접수 멘토링 사업화 지원


▶ ▶ ▶
(2월) (매월) (매월) (매월)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지원과 연락처 042-481-4490


문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교육지원실 연락처 042-363-7847

- 85 -
83 IP 디딤돌 프로그램 멘토링

예비창업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지식재산 기반 사업아이템으로 고도화하고,


창업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통한 혁신형 창업 유도 프로그램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및 규모 : 3,668백만원, 930건 내외
◦ 주요내용
- 아이디어 기초상담 : 아이디어의 IP권리화 및 창업을 위한 기초상담
- IP기반 창업교육 : 사업아이템 연구, 사업계획서 작성, 선행기술조사 실습 등 교육
- 아이디어 고도화 : 선정된 아이디어의 특허기술 분석을 통한 아이디어 구체화 및 고도화
- 아이디어 권리화 : 사업아이템의 특허명세서 작성, 특허출원 및 등록
- 3D프린팅 모형설계 : 아이디어 형상화 컨설팅, 사업아이템 모형 제작 등
- 창업 컨설팅 : 창업자금 확보, 보육센터 입주 등을 위한 연계 컨설팅, 기창업자 네트워크
및 외부전문가 멘토링 지원
- IP후속지원 : IP디딤돌 수혜자 중 우수 창업자 선정 지원 (사업아이템의 PCT 해외출원, 신규
브랜드 개발, 제품 디자인 개발, 특허기술 홍보영상 제작 등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연중 수시접수(1~11월)
◦ 신청방법 : 지역지식재산센터(☎ 1661-1900)를 통한 상담 및 신청
◦ 제출서류 : 아이디어 신청서(기초상담 후 신청서 작성 안내)

사업절차

문의 특허청 지역산업재산과 연락처 042-481-8622


한국발명진흥회 지역지식재산실 연락처 02-3459-2838, 2860

- 86 -
84 IP 나래 프로그램 멘토링

창업기업 및 전환창업 기업의 지식재산(IP) 역량 강화를 통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성장 가능한 기업이 되도록 지식재산 전문 컨설팅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으로 업력이 7년 이내이거나 전환창업 후 5년 이내인 경우


(전환창업의 경우 전환창업 시점이 문서상 증빙이 되어야 함)
◦ 지원예산 및 규모 : 8,556백만원, 643개社
◦ 주요내용
- (IP기술전략) 보유기술에 따라 유망기술 도출, IP 분쟁예방 전략 제시, 강한 특허권 확보,
특허 포트폴리오 전략 제시 등 맞춤형 기술 컨설팅 제공
- (IP경영전략) 기업 Needs와 세부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IP 경영에 부족한 부분에 대해 IP 자산
구축, IP 사업화 전략 제시, IP 브랜드/디자인 경영전략 제시 등 맞춤형 경영 컨설팅 제공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연 2회 접수(2월, 6월)


◦ 신청방법 : 지원대상 소재 지역별 지식재산센터 홈페이지(biz.ripc.org) 통해 사업지원 신청
◦ 제출서류 : 참여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문의 특허청 지역산업재산과 연락처 042-481-8622


한국발명진흥회 지역지식재산실 연락처 02-3459-2833

- 87 -
행사‧네트워크

85 농식품 창업 콘테스트 행사·네트워크

농산식품 분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창업자를 발굴하고, 집중지원을 통한


투자유치 기회와 매출증대 기반 조성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창의적 아이디어 또는 우수기술을 가진 농식품 기술기반 (예비)창업자


◦ 지원예산 : 1,200백만원
◦ 지원내용
-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및 멘토링 지원
- 입상자 정부시상 및 상금 수여
- ‘농식품 벤처육성 지원’ 지원 시 가점부여 등 입상자 대상 후속지원 추진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년 1분기~


◦ 신청방법 : 콘테스트 전용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예정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콘테스트 진행 ▶ 시상 및 후속지원

문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벤처창업지원팀 연락처 063-919-1411~20


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 연락처 044-201-2421~2

- 88 -
86 2020 환경창업대전 행사·네트워크

환경분야 현안사항에 대해 창의적이고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 발굴 및 유망 환경사업


아이템을 보유한 기업을 발굴하여 환경분야 혁신성장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전국민 및 창업 5년 이내 창업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200백만원, 15팀 내외
◦ 지원내용
- (환경 아이디어 공모) 전국민 대상 환경난제 해결 방안 모색 및 공공의 이익을 위한 창업
아이디어 공모(3개 내외 선발)
- (환경창업동아리 모집) 환경분야 우수 아이템을 보유한 창업동아리를 발굴하고 사업화
활동을 지원하여 기업가정신 제고 및 청년창업 활성화 도모(7개팀 내외 선발)
- (환경창업 스타기업 선발) 업력 7년 미만의 기술성‧사업성이 우수한 유망 벤처기업을 발굴
하여 투자 연계 지원 등 스타벤처기업으로 육성(5개팀 내외 선발)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5월 ~ 6월 예정
◦ 신청방법 : 환경창업대전 홈페이지(www.ecostartup.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신청·접수 멘토링 및 교육 선정평가 및 선정


▶ ▶ ▶
(4~5월) (5월) (7월~9월) (10월)

문의 환경부 환경산업경제과 연락처 044-201-6710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단지기획팀 연락처 032-540-2133

- 89 -
87 도전! K-스타트업 행사·네트워크

유망한 창업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경연을 통해 창업 능력을


배양하고 우수 아이템에 대한 포상 및 사업화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국내‧외 예비창업자 (팀) 및 창업 후 7년 이내인 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2,350백만원
◦ 지원내용
- 경진대회 왕중왕전 수상자 대상 상금‧상장 수여(총 상금 13.5억원)
- 통합본선 진출팀 대상 창업지원사업 연계 등 후속 지원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3월 ~ 5월 예정(신청기간은 진행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여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및 예선 및
왕중왕전
신청·접수 ▶ 통합본선‧결선 ▶ ▶ 후속 연계지원
(11월)
(3월) (5월 ~ 10월)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촉진과 연락처 042-481-1688, 4524


창업진흥원 교육문화부 연락처 042-480-4399, 4470

- 90 -
88 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행사·네트워크

건강하고 활기찬 한국의 창업생태계를 세계에 소개하고 해외 창업생태계와 교류하며


협력을 강화하는 기회의 장 마련
* “ComeUp” : ‘움트다, 떠오르다’라는 의미로 기존 국내위주의 행사를 민간주도의 글로벌 페스티벌로 브랜드

사업개요

◦ 지원대상 : 국내외 스타트업, VC·엑셀러레이터, 대기업, 주요 스타트업 협단체 등


◦ 지원예산 및 규모 : 2,550백만원
◦ 지원내용
- (세션 운영) 세션별 강연, 패널토크, 스타트업 피칭*을 특색에 맞춰 150분 동안 운영
* 피칭 최종우승기업은 해외 스타트업 선진지 견학 등 특전 부여
- (스타트업 쇼케이스) 세션 별 본선 진출 기업의 스탠딩형 전시 및 관련 단체(VC/AC,
대기업 등)의 특별관 운영
- (부대행사) “그랜드 팁스”, “도전K-스타트업” 등 다양한 창업지원 기관/단체의 행사를
본 행사와 연계 운영하여 다채로운 스타트업 참여 프로그램 제공
◦ 행사일정 : ’19.11월 셋째 주 개최(동대문 DDP)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세션별 피칭 기업 모집 및 선정 : ’20. 8월 ~ 10월 예정
- 참관객 사전등록 : ’20 11월 중

◦ 신청방법 :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 및 ComeUp 행사 홈페이지


(www.kcomeup.com)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사업절차

피칭희망기업 최종 피칭기업 ComeUp2020


▶ 신청·접수 ▶ ▶
모집공고 선정 개최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정책총괄과 연락처 042-481-4426, 8920


문의
창업진흥원 해외협력부 연락처 042-480-4316, 4317

- 91 -
89 장애인 창업아이템 경진대회 행사·네트워크

우수한 창업아이템 및 유망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발굴·시상하여


장애인의 창업 촉진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창업 3년 미만의 장애인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55백만원, 11개 아이템 발굴 및 시상
◦ 지원내용
-입상자 시상(총 상금 32백만원) 및 포상(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총 계
상금 1,000만 원 500만 원 300만 원 100만 원 3,200만 원
소계 2건 2건 6건 11건
5건
예비창업자 1건 1건 3건
편수 1건 (대 상 제 외 )
5건
기창업자 1건 1건 3건
(대 상 제 외 )
- 수상자 특전 : 장애인 창업지원사업 및 장애인 기업지원사업 지원 시 우대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2월 예정
◦ 신청방법 :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www.debc.or.kr)에서 서식 다운로드 후
우편 및 방문, 온라인신청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사업공고 ▶ 신청/접수 ▶ 1~3차 선정평가 ▶ 시상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혁신과 연락처 042-481-4566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사업전략팀 연락처 02-2181-6537

- 92 -
90 여성창업경진대회 행사·네트워크

(예비)여성 창업자들의 창의적이고 우수한 창업아이템을 조기에 발굴, 육성하고


여성의 창업분위기를 조성하여 적극적인 창업을 지원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여성 예비창업자 및 창업 후 5년 미만의 여성기업


◦ 지원예산 및 규모 : 90백만원, 32팀
◦ 지원내용
- 시상 및 포상(1인 최대 상금 10백만원 이내 및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
- (재)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창업보육실 입주 우대
- 투자유치 연계, 교육·네트워킹, 판로·마케팅 지원 등

참가자 모집

◦ 사업공고 : ‘20. 1월 ~ 4월(예정)


◦ 신청방법 : 여성기업 종합정보포털(www.wbiz.or.kr)을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가신청서, 사업계획서,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참가자 지식재산권
서약서 각 1부

사업절차

결과보고 및
사업공고 ▶ 신청·접수 ▶ 수상자 선정·지원 ▶
사후관리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정책총괄과 연락처 042-481-4376


(재)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창업보육팀 연락처 02-369-0943

- 93 -
사업화
관광벤처사업 발굴 및 지원

산업 간 융·복합, IT 기술 접목 등 창의적·혁신적인 관광사업 아이디어 발굴 및 지원을


통해 관광산업의 외연 확대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

사업개요

◦ 지원대상 : 관광분야 예비창업자, 창업초기기업, 중소기업 등


◦ 지원예산 및 규모 : 85억원, 약 150개(예정)
◦ 지원내용 : 창업초기기업, 관광벤처기업 등 단계별로 구분하여 맞춤형 육성 지원
※ (대상구분) 예비관광벤처사업 : 예비창업 / 초기관광벤처사업 : 창업 3년 미만
성장관광벤처사업 : 창업 7년 미만 / 재도전관광벤처사업 : 재창업자(공고일 기준)
※ (지원사항) 관광 서비스·상품 개발비, 관광특화 교육프로그램 제공 및 관광벤처 아카데미
운영, 관광시장 국내·외 홍보·판로개척, 관광기업 지원센터 입주기회 제공 및
기업 간 다양한 네트워킹 프로그램 등 지원

참가자 모집

◦ 신청기간 : ’20. 3월 ~ 4월
◦ 신청방법 : 관광벤처 공모전 홈페이지 (www.tourventure.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제출서류 : 참가신청서, 사업계획서 등

사업절차

창업프로그램 운영
사업공고 신청·접수 선정평가 및 협약
▶ ▶ ▶ 및 활동 지원
(3월) (3~4월) (5~6월)
(6월~)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산업정책과 연락처 044-203-2865


한국관광공사 관광창업지원팀 연락처 02-729-9455. 9492

- 9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