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강구조관련 기술개발 및 적용사례

CFT 구조기술 개발 및 적용사례


Performed Projects and Technology Development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최 성 모 / 정회원,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 최 영 환 / 정회원,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연구교수 정 경 수 / 정회원, 동경공업대 이공학연구과 박사수료
Choi, Sung-Mo / Professor, University of Seoul Choi, Young-Hwan / Research Professor, Chung, Kyung-Soo / Graduate Student,
smc@uos.ac.kr University of Seoul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choi4u@gmail.com chung@serc.titech.ac.jp

1. 서 론 표 1. 구조시스템별 특징 비교

구 분 RC조 SRC조 S조 CFT조

원형 혹은 각형강관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구조부재를 CFT


(Concrete Filled Steel Tube)구조라 부르며, 일반적으로 기둥으
형 상
로 많이 사용한다. 강관이 내부의 콘크리트를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강성, 내력, 변형성능, 내화, 시공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발
휘하는 구조시스템이다. CFT구조는 경제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며 공간의
△ ○ ◎ ◎
자유도
범용성도 높아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모든 구조시스템에 대응이 가 지진,태풍
◎ ◎ △ ○
능하며, 저층의 건축물에서 초고층 건축물, 주거용 건축물은 물론 시 흔들림

업무용 건축물, 대가구(大架構)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작은 기둥단면 내화성 ◎ ◎ △ ○


고층건축
으로 높은 층고 및 장스팬이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이 구조시스템 적용성
△ ○ ◎ ◎

의 내진성능의 우수함은 1995년 일본 고베에서 발생한 한신대지진 시공성 ○ △ ◎ ◎


에서 충분히 실증된 바 있다. 내구성 ○ ○ ○ ◎
◎:매우 우수 ○:우수 △:보통

의 자유도(유효공간), 고층건물에서의 적용성, 시공성, 내구성 부분


은 아주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2. 연구동향

그림 1. CFT의 구속효과(Confined Effect) 국내 건축분야에서 발표된 합성구조 관련 논문은 표 2 및 그림 3


과 같으며 합성구조와 관련된 연구는 1995년 이후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표 2에 나타난 것처럼 국내 건축분야에서 CFT와 관련하여
발표된 년도별 논문수는 합성구조 전체논문의 60%를 점유하며, 특
히 1990년대 중반 대기업을 중심으로 고층건물 구조시스템에 대한
관심증대과 건설계획 등의 수립으로 매우 활성화되었음을 알 수 있
그림 2. CFT 구조의 내화성능
다. 그러나, 그림 3을 참고하면, 발표된 CFT관련 논문의 주제별 분
각 구조시스템의 특징을 비교해보면 표 1과 같으며, CFT구조는 포가 대부분 기둥이나 접합부에 편중되고 아직 선진외국에 비해 양
다른 구조시스템보다 일반적으로 구조 성능이 뛰어나고, 특히 공간 적이 측면이나 다양성에서 다소 부족함을 보여주고 있다.

28 0612 建築
표 2. 국내 건축분야에서 발표된 합성구조 관련 논문
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계
이전
CFT 1 - 1 5 3 27 20 17 24 18 22 17 24 19 25 24 10 257
SRC - 1 2 - 2 2 - 3 - 2 4 - 2 1 - 4 3 26
합성보 10 - - 4 2 7 9 5 1 3 4 11 9 7 10 9 9 100
합성슬
- - - - 3 - 7 12 - 2 1 2 - 2 3 4 1 37
래브
기타 1 - - - - - - 3 - - - - 1 - 1 - - 6
계 12 1 3 9 10 36 36 40 25 25 31 30 36 29 39 41 23 426

119
120
98
100

80

60

40
18
20 14
8 타워펠리스Ⅲ 스포츠동 타워베르빌 R4 현대자동차 사옥
(9층, 2004년) (49층, 2005년) (42층, 2005년) (24층, 2006년)
0
기둥 접합부 내화 시공 기타
그림 4. 국내 CFT 구조 사례
그림 3. 국내 CFT관련논문의 주제별 분포

3. 접합부 개발 동향
국내에서 CFT구조를 최초로 적용한 건물은 1996년에 건설된 삼
성건설 기술연구소이며, 이후 중저층 건축물에서 초고층 건축물에 1) 국내에 적합한 CFT 접합부 개발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유로 아래에 소개된 건축물들이 완공되었다. 국내의 접합부 상세를 살펴보면 대부분 미국이나 일본의 접합상
예를 들어, 세일철강 공장들의 경우 사용강재량 절감 및 내화피복량 세를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의 AISC Seismic Provision
감소를 목적으로 CFT가 채용되었으며, 대우조선 종합기술센터(식 은 상하 일치형으로써 기둥 관통형 보 접합 상세를 권장하고 있다.
당동 3층)의 경우 설계조건상 기둥의 단면크기가 제한되어 있어 이때, 기둥 관통형 보 접합상세가 아닌 경우에는 접합부의 파괴를
CFT의 적용이 불가피했던 경우이다. 또한, 구미의 삼성전자 주차 고려하여 접합부를 통해 보플랜지의 하중이 기둥으로 전달될 수 있
장 건물의 경우, 무내화피복을 목적으로 현재 인증 추진중에 있으 도록 하기 위해 접합부 제한 요구조건들을 충족시키도록 규정하고
며, 이를 적용하고자 CFT를 채용하였다. 이 밖에도 주거용 건축물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합상세를 적용한 합성보-철골(합성)기둥 골
의 경우 기둥단면 축소, 강성증대 외에 시공성 향상 및 공기단축 등 조는 실제로 비대칭적인 거동을 보이게 된다.
의 경제적 효과를 거둘 목적으로 CFT를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며, 국내에 적합한 접합부 개발 및 설계를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최근 국내 건설시장에서 CFT구조의 적용이 일본과 같이 활발하지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는 않지만 시공성과 경제성으로 인해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① 국내 대부분의 고층구조물의 횡력저항시스템은 건물 내부에
① 삼성 Tower Palace Sport Club (서울, 지하2층/지상7층, 있는 RC 코어와 외부의 모멘트 프레임과 중력기둥으로 구성
연면적 5,400평) 된다. 즉, 외부 기둥-보 접합부에서의 횡력저항력의 분담은
② 우신하우스텔 (부산, 지하6층/지상40층, 2개동 연면적 25,800평) 극히 적어지게 된다.
③ 대우조선 종합기술센터 (거제, 지상9층) ② 국내 건물설계시 지진하중과 연직하중을 고려한 내진해석 결
④ 삼성 메디컬센터 (김포, 지상8층) 과 보-기둥 접합부의 하부 보플랜지에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
⑤ 세일철강 공장 (서울, 지상1층, 연면적 1,500평/향후 30,000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부접합부에서 압축저항력의 확
평 예정) 보만으로 충분한가 또한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
⑥ 부산타워베르빌, 수영만 오피스텔 최근 들어 국내에서는 CFT의 우수한 구조성능에 의해 고층건물
⑦ 삼성 R4 (수원 DM 연구소, 지하 4층/지상 37층) 및 중저층 건물에 CFT구조의 사용이 확산되고 있으나 그 접합상세
⑧ 현대자동차 사옥(2006) 를 살펴보면 그림 5의 일본의 내다이아프램 형식을 그대로 적용하
⑨ 구미 삼성전자 주차장(2006년 시공중) 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접합상세는 강진지역이라는 일본의 지역

建築 0612 29
강구조관련 기술개발 및 적용사례

(a) 하부 무보강
그림 5. 일본의 내다이아프램 접합상세

다이아프램 다이아프램

그림 6. 보 춤의 차이에 따른 다이아프램 상세 (b) 하부 보강


그림 8. 상하 이형 다이아프램 접합 성능비교

적 특성에 의해 설정된 것이므로 국내에 적용하기에는 과다설계가


하부를 보강하지 않은 실험체와의 성능비교 그림 8을 통해 하부
되어 비경제적이다. 또한, 근래 건물의 다양화 및 내부 상세의 복잡
수직 플레이트의 보강만으로 상부 내력의 30~40%의 내력을 하부에
화 추세로 인해 기둥에 연결된 각 보에 작용하는 하중이 다르게 되
서 확보하였으며, 하부를 보강하지 않은 실험체 또한 상부의 10%
어 보 춤이 달라진다. 현재의 CFT 기둥-보 접합부의 보강방법으로
이상의 내력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0.01rad 이상의 내진성
상하부를 동일하게 처리할 경우, 하부 플랜지 높이에 차이가 생겨
능을 발휘하므로 C-IMF(합성보통모멘트연성골조)로써 일정한 내진
그림 5와 같이 내부 다이아프램이 여러 겹으로 겹치게 되거나 다이
성능이 확보되어 국내에 적합한 성능을 발휘함을 확인하였다.
아프램이 경사지게 된다. 이것은 접합부 시공이 복잡해지고 콘크리
이와 같이 개발한 접합 상세는 충분한 구조성능의 검증을 통해
트 충전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현재 삼성 타워펠리스Ⅲ 스포츠동과 R4건물에 현재 적용되었다.
하기 위한 각 연결부재의 접합부 상세가 필요한 실정이나 아직 이에
대한 상세 제안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부는 하중의 비대칭성
2) 적용사례
을 고려한 강축과 약축을 고려하고 하부 접합디테일을 단순화시킨
(1) Tower Palace Sports Club
접합상세를 제안하였다.
ㆍ규 모 : 연면적 5,400평(지하 2층, 지상 7층)
그림 7과 같이 상부는 골조에 작용하는 하중의 비대칭성을 고려
ㆍ구조형식 : RC 코어+CFT(Rigid Frame)
하여 강축은 관통형 다이아프램을 약축에는 내다이아프램 형식을 적
ㆍ기본모듈 : 8.4m × 10.2m(최대 스팬 16.2m)
용한 복합십자형 다이아프램 형식을 제안하였으며, 하부는 국내의
ㆍ기둥크기 : CFT-700×700, Thk = 20.25mm
실정에 맞추어 현장에서의 시공성 및 콘크리트 충전성을 고려하여
ㆍ보 크 기 : H-900×500×25×40
앵커가 부착된 수직 플레이트를 제안하였다.
ㆍ특 징 : 복합 십자다이어프램 개발, 적용

(a)상부 플랜지 접합 (b)하부 플랜지 접합 (c)상하 이형 다이아프램 접합


그림 7. 제안 접합 상세

30 0612 建築
(2) 삼성전자 수원 DM 연구소(R4)
ㆍ규 모 : 연면적 65,000평(지하 5층, 지상 37층)
ㆍ구조형식 : RC 코어+CFT 구조
ㆍ기본모듈 : 8.4m×14.75m(고층부 기준층)
ㆍ기둥크기 : CFT-900×600, Thk = 15.35mm (a) 1시간 (b) 2시간 (c) 3시간

ㆍ보 크 기 : H-588×300×12×20 H-900×300×15×28 그림 11. 사양설계시 내화피복두께 (단위:mm)

ㆍ기술개발 : Pin 접합부 보강 Detail 개발


연구는 유럽에서 1970년대 전반부터 1980년대에 걸쳐 합성구조 연
보 및 슬래브와의 접합 Detail 개발
구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 일본을 비롯한 미국, 유럽등지에
복합십자형 다이어프램 개선
서 상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내화구조로서 현장적용이 이루
어지고 있지 않다. 올 초까지 현행 국내의 내화구조 인증체제에서
CFT구조와 같은 신기술, 신공법은 재화구조로서 인정되지 못하였
다. 즉, CFT관련 내화규정은 화재시 강재온도를 538℃이하로 억제
하도록 규정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내화피복 (그림
11)이 필요하였다. 이에 최근(2006년 6월 29일) 건설교통부에서는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칭 제3조 다항에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인정한 성능설계에 따라 내화구조의 성능
을 검증한 구조로 된 것”을 추가 제정함으로서 기존 내화관련 인증
제도에서 수용할 수 없었던 구조에 대한 내화성능 확보방안을 제시
하였다. 이는 CFT구조의 내화성능 기술개발의 적기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장에서는 각 국의 CFT 내화성능설계 현황을 살펴보고 국
내 연구추진현황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RC CORE 1) 국외의 내화성능 설계식


(1) AISC(미국) (AISC, 2003)
충전강관기둥에 대한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Lie and Chabot 1992; Lie and Kodur 1996)의 광범위한 실
험 및 해석 연구에 의해 식(1)의 내화설계식이 개발되었다(Y. C.
Wang, 2002).

(f C +20) D
FR = f 1 D 2
(1)
( L e - 1000) C

그림 9. 복합십자형 다이아프램 그림 10. 수직 플랫바


FR = 화재 저항시간(min);
f c = 콘크리트 강도(N/㎟);

4. 내화설계 연구 동향 L e
= 기둥 유효길이(㎜);
D = 강관직경(㎜);
CFT 기둥은 강관 내에 채워진 콘크리트의 축열 효과로 인하여 C = 기둥 축력(kN);
기둥자체만으로 우수한 내화성능을 갖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미 f 1
= 충전콘크리트종류에 대한 상수(0.06~0.08)
국 및 유럽, 일본에서는 CFT 기둥의 내화성능에 대한 연구가 많이 식(1)의 제한사항은 다음과 같다(Kodur, 1998).
진행되어 왔으며, 부재의 성능에 따라 내화피복두께를 조절하거나 ① 내화시간 (R) ≤ 180 min.
무피복 상태로 설계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CFT 기둥의 내화성능 ② 기둥 축력(C) ≤ 1.1Fck

建築 0612 31
강구조관련 기술개발 및 적용사례

tf : 60분 → 0.48
120분 → 0.38
180분 → 0.32

2) 내화설계와 내화성능 인증
CFT구조의 내화성능에 대한 연구는 1999년 일부 연구가 진행
되었으나 국내 법규의 제약으로 인하여 실용화가 이루어지지 못
하였다. 올해 규칙의 추가 제정으로 실용화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이에 현재 구미 삼성전자 주차장 건물에 1시간 무내화 피복 CFT
기둥을 적용하고자 개별 인증을 추진 중에 있다. 이를 계기로
그림 12. 내화성능설계가 적용된 사례 (미국, San Francisco Office, 2002)
CFT 기둥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③ Fck = 20~55MPa 즉, 개별인증이 아닌 일반 인증을 실현하여 CFT의 내화성능을
④ 기둥의 유효길이 (KL) : 2,000~4,500mm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CFT구조의 성능적 내화설계에 대한 세
⑤ 강관 직경 (D) : 141.3~404.6mm 부 code, 지침서 등을 통해 CFT구조가 적용되는 건축물의 조건
⑥ 폭두께비(D/t)의 제한 (CAN/CSA-S16.1-M9) 및 특성, 구조부재의 화재시 거동 특성 등을 실증적 내화실험 및
계산ㆍ예측을 통해 합리적인 내화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
(2) AIJ(일본) (일본건축학회, 1997) 는 기술적 토대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재하가열실험으로 크게 기둥의 중심압축실험과 강제적으로 부재
각을 준 기둥의 휨압축실험을 행하여, 신도시하우징협회에서는 이러 (1) 무내화 피복 CFT 기둥 적용사례(구미 삼성전자 주차장)
한 실험데이터를 통계적으로 정리하여, 실험데이터를 바탕으로 설계 ㆍ건축면적 : 17,000㎡(5,000평)
식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무내화피복 CFT기둥을 이용한 다수의 ㆍ연 면 적 : 65,000㎡(20,000평)
건물은 신도시하우징협회의 지침에 기초로 설계되고 있다. 한편, 일 ㆍ층 수 : 지하2층, 지상2층
본건축학회의 콘크리트충전 강관구조설계시공지침에서는 CFT기둥 ㆍ주차대수 : 3,000대
의 내화성능에 대해서, 정산으로 하는 방법과 간단한 모델에 의한 ㆍ구 조 : RC(지하)+CFT(지상)
계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① 화재시 내력(각형단면일 경우)


1 0.367
(2)
a N tf = 2.177 ․ cA ․ F c ․ ( )
tf

② 일정내화시간을 기대할 수 있는 축력비(각형단면)


   
    (3)
⋅   

(a)요코하마 Sogo 저장소(1989) (b)IPSX EAST


그림 13. 내화성능설계가 적용된 사례(일본)

32 0612 建築
5. 향후 과제 및 전망 3. 한국강구조학회, “CFT 기둥-보 접합부 개선 및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Tower
Palace Ⅲ Sports Club-”, 2002. 12
4. 한국강구조학회, “CFT 과거ㆍ현재 그리고 미래”, 2002. 1
CFT구조는 강성, 내력, 변형 등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내화, 시공 5. 정경수, 최성모, 김동규(1997),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의 내화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
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7권, 제2호, pp1179-1186.
등에서 우수한 장점을 가지지만, 강관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특별한 6. 정경수, 최성모, 김동규(1999), “화재시 중심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의 구
조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5권, 제6호, pp.13-20.
제작설비를 갖춘 대형 공장에서 특수 용접 과정을 통하여 생산되어 7. 한국강구조학회, “충전강관기둥의 내화성능평가 및 설계법에 관한 연구”, 1999. 6
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과다하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 CFT구 8. 한국강구조학회, “추계 산,학 포럼 및 강구조 기술발표대회”, 2006. 12
9. 日本建築學會, “コンクリ-ト充塡鋼管構造設計施工指針”, 1997
조는 구조적인 안정성, 시공성 등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강관 10. 日本建築學會, “鐵筋コンクリ-ト柱․鐵骨梁混合構造の設計と施工”, 2001
11.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Inc, “Steel Design Guide 19 -
제작, 공급의 비효율화 등의 특수 상황 등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제 Fire Resistance of Structural Steel Framing”, 2003
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12. ASCE, “V.K.R. Kodur, Member, “Design Equations For Evaluation Fire
Resistance of SFRC-Filled HSS Columns”, Journal of Structural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CFT 구조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철판 Engineering, pp.671-677, 1998. 6
13. 新都市ハウジング協会, “CFT造耐火設計指針”, 2004. 4
을 절곡하는 형식으로 강관을 제작하여 실제 기둥재로 사용하는 방 14. 日本建築学会,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構造設計施工指針”, 1997
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런 연구를 통해, 얇은 철판을 절
곡한 단위부재를 이용함으로 종래의 폐쇄형 철골부재에 비하여 경제
적인 제작이 가능해지고, 단위부재 상호간의 접합을 위해 형성된 절
곡부의 구성 때문에 얇은 단면을 가지는 철판으로 제작되면서도 큰
좌굴내력을 발휘하는 조립식 폐쇄형 철골부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
으로 예상된다. 특히, 조립식 폐쇄형 철골부재는 그 자체로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되므로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함으로써 CFT로서의
구조적인 이점을 살릴 수 있게 되며, 이때 절곡부가 폐쇄형 철골부
재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 콘크리트의 구속력을 증대에 효과
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조립식 폐쇄형 철골부재를 사용하여 상호
간 연결 설치하거나 다른 부재와 접합 설치하는 경우 접합부 및 연
결부의 보강을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국내의 CFT구조는 1990년 중반 이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구조적인 장점(내진성, 내력, 시공성 등)과 공기를 포함한 경제성
등에 힘입어 2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선진국의 설계법을 도입하여 적용할 뿐, 우리나
라 특성에 맞는 설계법 연구는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CFT 구조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내진성, 내
화성능 등) 적용되는 건축물의 조건 및 특성에 적합한 기술 개발,
실계에 대한 세부 Code, 설계법 개발, 화재시의 거동 특성 및 성능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CFT구조의 적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 실정 및 특성을 고려한 실험 및 해석
을 통해 국내의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합리적인 설계
와 전체적인 구조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술적인 토대 마련이 필
요하다.

참고문헌

1. 최성모, 이성희, “합성구조의 내진설계”, 대한 건축학회지, 2004. 8


2. 서울시립대 도시과학연구원, “CFT 구조 기둥-보 접합부 개발 및 성능검증에 관한 연
구 -R4 Project-”, 2004. 7

建築 0612 3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