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5

공통

1.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의 공공기관 분류에 대한 기업‧준정부기관을 감독할 수 있다.


내용으로 가장 맞지 않는 것은?
정 답 : D 난이도 : 중
A. 기재부장관은 공공기관을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공공
해 설 :
기관으로 구분하여 지정한다.
○ B : 법에서 그 내용과 범위를 구체적으로 명시한 경우
B. 공기업은 자체수입 비율이 50% 이상이며 직원정원이
에 한하여 감독할 수 있음(「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50명 이상인 기관 중에서 지정한다.
제51조 제1항)
C. 공기업은 세부적으로 시장형 공기업과 준시장형 공기업
A.「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3조(자율적 운영의 보
으로 구분하며, 자체수입비율이 50% 이상이고 자산규모
장)
가 2조원 이상인 공기업을 시장형 공기업으로 지정한다.
B.「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51조(공기업‧준정부기관
D. 기타공공기관은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을 제외한 공공기관
에 대한 감독) 제2항
이다.
C.「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51조(공기업‧준정부기관
정 답 : C 난이도 : 하 에 대한 감독) 제3항
해 설 : 출 처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3조, 제51조 제
시장형 공기업은 자체수입비율이 85% 이상이고 자산규모가 1,2,3항
2조원 이상인 공기업임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5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조 제3항, 같은 법 시행령 제7조)
구 분 요 건 3.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정
○ 자체수입비율 50% 이상, 정원 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공 기 업
50명 이상 A. 어떤 기관이 공공기관 지정요건을 충족할 경우, 기획재
• 자체수입비율 85% 이상, 자산 정부장관은 해당 기관을 공공기관으로 반드시 지정해야
➀ 시장형 공기업
2조원 이상 한다.
➁ 준시장형 공기업 • 시장형 공기업을 제외한 공기업 B. 기획재정부장관은 매 회계연도 개시 후 1개월 이내에
○ 직원이 50명 이상이며 공기업 공공기관을 지정하거나 해제 또는 변경한다.
준정부기관
이 아닌 공공기관 C. 기획재정부장관이 공공기관을 지정하거나 해제 또는 변
○ 공기업 ‧ 준정부기관이 아닌 공 경지정할 경우는 주무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공공기관운
기타공공기관
공기관
영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야 한다.
※ 우리회사는 시장형 공기업임 D. 기획재정부장관은 공공기관을 지정하거나 해제 또는 변
출 처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5조(공공기관의 경한 경우 이를 고시하여야 한다.
구분)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정 답 : A 난이도 : 중
해 설 :
2.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정부 관리감독에 ○ 공공기관 지정, 해제 및 변경은 기획재정부장관의 재량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행위로, 공공기관 지정요건이 충족된다 할지라도 반드시 공
A. 정부는 공공기관의 책임경영체제를 확립하기 위하여 공 공기관으로 지정해야 하는 것은 아님.
공기관의 자율적 운영을 보장해야 한다.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4조 ①기획재정부장관
B. 기획재정부장관은 공기업의 경영지침 이행에 관한 사항 은 국가ㆍ지방자치단체가 아닌 법인ㆍ단체 또는 기관(이하
을 감독한다. "기관"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C. 주무기관의 장은 공기업의 사업의 적정한 수행에 관한 기관을 공공기관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하 생략)
사항을 감독한다. B.「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공공기관 등의 지정 절
D. 법에서 그 내용과 범위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은 사 차) 제6조 제1항
안에 대해서도 공공기관운영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서 공 C.「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공공기관 등의 지정 절
차) 제6조 제2항

- 1 -
공통
D.「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공공기관 등의 지정 절 해 설 :
차) 제6조 제3항 A. 전기판매사업에서 전기자동차충전사업은 제외함. 전기자
출 처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공공기관 등의 동차 충전사업자는 ’18. 6월 법 개정으로 소규모전력중개사
지정 절차) 제4조, 제6조 업자와 함께 신설된 ‘전기신사업자’로, 전기사업자는 정부의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허가가 필요한데 비하여, 전기신사업자는 정부에 등록만으로
사업을 할 수 있으므로 기존 전기사업자와 구분하고 있음.
4. 「전기사업법」에 따른 전기사업자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전기사업법」 제2조(정의) 제9호)
않는 것은? C. 전력계통은 전기의 원활한 흐름과 품질유지를 위하여 전
A. ‘전기사업자’란 송전사업자‧배전사업자‧전기판매사업자를 기의 흐름을 통제ㆍ관리하는 체제이며, 보기의 설명은 송전
말하며 발전사업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설비에 대한 것임(「전기사업법」제2조(정의) 제14호)
B. 전기판매사업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정당한 사유가 D. 일반용전기설비에 대한 설명이며, 자가용전기설비는 전
없는 한 전기공급을 거부하여서는 안 된다. 기사업용전기설비 및 일반용전기설비 외의 전기설비를 말함
C. 전기사업자는 전기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적정한 요금 (「전기사업법」제2조(정의) 제18, 19호)
으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편적 공급 의무 출 처 : 「전기사업법」제2조
를 가진다.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D. ‘전기신사업자’란 전기자동차충전사업자 및 소규모전력중
개사업자를 말한다. 6. 「전기사업법」의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정 답 : A 난이도 : 중
A.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거나 변
해 설 :
경하고자 할 때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장과 협의하여야
A : "전기사업자"란 발전사업자ㆍ송전사업자ㆍ배전사업자ㆍ
하며 원칙적으로 공청회를 거쳐야 한다.
전기판매사업자 및 구역전기사업자를 말한다. (전기사업법 제
B. 전력수급 장기전망에 관한 사항은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2조 제2호)
포함되지 않고 에너지기본계획에 포함된다.
B. 「전기사업법」제14조(전기공급의 의무)
C.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송‧변전설비 및 발전설비계획, 전
C. 「전기사업법」제6조(보편적 공급) 제1항
력수요 관리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D. 「전기사업법」제2조(정의) 제9호
D.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기본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는
출 처 : 「전기사업법」 제2조, 제6조, 제14조
경우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정 답 : B 난이도 : 중
5. 다음 중「전기사업법」에 따른 용어의 정의로 올바른 것 해 설 :
은? ○ 전력수급장기전망은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되는 내용
A. ‘전기판매사업’이란 전기사용자에게 전기를 공급하는 것 임. (「전기사업법」제25조(전력수급기본계획의 수립) 제6항)
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서 전기자동차충전사업 ○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을 포함한다. 1. 전력수급의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B. ‘전력시장’이란 전력거래를 위하여 한국전력거래소가 개 2. 전력수급의 장기전망에 관한 사항
설하는 시장을 말한다. 3. 발전설비계획 및 주요 송전ㆍ변전설비계획에 관한 사항
C. ‘전력계통’이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송전하는 데 4. 전력수요의 관리에 관한 사항
필요한 전기설비를 말한다. 5. 직전 기본계획의 평가에 관한 사항
D. ‘자가용전기설비’란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소규모 6. 그 밖에 전력수급에 관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의 전기설비로서 한정된 구역에서 전기를 사용하기 위 출 처 : 「전기사업법」제25조
하여 설치하는 전기설비를 말한다.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정 답 : B 난이도 : 중

- 2 -
공통
7.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의 내용 중 공기업 임원 사전협의를 거쳐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의 임명 절차를 나열한 것이다. 맞지 않는 것은? A. 자회사의 설립
A. 기관장 임명 : 임원추천위원회 추천 → 공공기관운영위 B. 타 법인에 대한 출연ㆍ출자
원회 심의․의결 → 주무기관장 제청 → 대통령 임명 (단, C. 1천억원 이상의 신규 투자사업(출자‧출연 제외)
기관 규모가 대통령령으로 정한 기준 이하인 공기업은 D. 준비금 또는 적립금의 자본 전입
주무기관장이 임명)
정 답 : C 난이도 : 상
B. 상임감사위원 임명 : 임원추천위원회 추천 → 공공기관
해 설 :
운영위원회 심의․의결 → 기획재정부장관 제청 → 대통
총 사업비 1천억원 이상의 신규 투자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령 임명(단, 기관 규모가 대통령령으로 정한 기준 이하
대상 사업이며, 출자‧출연사업이 아니라면 사전협의 대상이
인 공기업은 기재부장관이 임명)
아님
C. 상임감사위원을 제외한 상임이사 임명 : 임원추천위원회
추천 → 기관장 임명 협의대상 협의절차
• 출연ㆍ출자기관의 설립
D. 비상임이사 임명 : 임원추천위원회 추천 → 공공기관운 이사회 의결 전에 기재부장관
• 타 법인에 대한 출연
영위원회 심의․의결 → 주무기관장 임명 및 주무부서 장관과 사전협의
ㆍ출자
• 준비금 또는 적립금의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거치기
정 답 : D 난이도 : 중
자본 전입 전에 기재부장관과 사전 협의
해 설 :
출 처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51조의2, 제43
비상임이사의 임명권자는 기획재정부장관임 (「공공기관의 운
조의2
영에 관한 법률」제25조 제3항)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구 분 임명 절차
임추위 추천 → 공운위 의결 → 주주총회 의결 9.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의 비위행위자 처벌에 대
→ 주무기관장 제청 → 대통령 임명
한 내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 단,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이하 규모의
사 장 A. 공공기관 임직원은 공무원 신분은 아니지만, 뇌물죄를
공기업은 주무기관장이 임명함 (총수입액
1천억원 미만이거나 정원이 500명 미만인 적용함에 있어서는 공무원으로 본다.
공기업) B. 기획재정부장관 또는 주무기관장은 공공기관 임원이 금
임추위 추천 → 공운위 의결 → 주주총회 품비위, 채용비위 등의 혐의가 있어 윤리경영을 저해한
의결→ 기재부장관 제청 → 대통령 임명 다고 판단시 수사 또는 감사를 의뢰하여야 한다.
상임감사위 * 단,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이하 규모의 C. 기획재정부장관 또는 주무기관장은 채용비위 근절을 위
원 공기업은 기재부장관이 임명함 (총수입액 하여 공공기관 인사운영의 적정 여부를 감사할 수 있다.
1천억원 미만이거나 정원이 500명 미만인
D. 공공기관 임원이 채용비위 유죄판결 확정시, 기획재정부
공기업)
장관 또는 주무기관장은 해당 비위로 합격‧승진된 사람
상임이사 주주총회 의결 → 기관장 임명
의 합격‧승진을 취소할 수 있다.
임추위 추천 → 공운위 의결 → 기재부장관
임명 정 답 : D 난이도 : 상
비상임이사 * 주주총회는 한전법 제10조에 따라
해 설 :
생략하지만, 감사위원회 비상임이사
공공기관 임원이 채용비위 유죄판결 확정시, 기획재정부장관
임명시에는 주주총회를 거침(상법)
또는 주무기관장은 공운위의 의결을 거쳐 공공기관장에게
※ 주무기관장은 우리회사의 경우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해당 비위로 합격‧승진된 사람의 합격‧승진 등의 취소나 인
출 처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25조(공기업 임
사상 불이익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할 수 있음 (「공공기관
원의 임면)
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52조의5(채용비위 관련자 합격취소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등) 제1항)
출 처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52조의3, 제52
8.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기업이 정부와

- 3 -
공통
조의5, 제52조의6, 제53조 있다.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D. 기획재정부장관은 공공기관이 경영공시 및 통합공시 의
무를 성실하게 이행하지 않거나 허위로 공시하였을 경우
10.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의 내용으로 맞지 않는 시정 명령을 할 수 있으며, 공공기관장에게 관련자에 대
것은? 한 인사상 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
A. 시장형 공기업은 감사에 갈음하여 감사위원회를 두어야
정 답 : C 난이도 : 상
하며, 자산규모 2조원 미만의 준시장형 공기업은 선택적
해 설 :
으로 감사위원회를 둘 수 있다.
○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비공개 사유
B. 이사회의 의장은 시장형 공기업은 선임비상임이사가 맡
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를 공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기
으며, 준시장형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은 기관장이 맡는
재부장관과 협의할 필요는 없음.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
다.
한 법률」제11조 제1항)
C. 기획재정부장관은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거쳐 조직‧정원‧
출 처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11조, 제12조
인사‧예산 등에 대한 경영지침을 정하며, 이 지침은 공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기업과 준정부기관에 적용한다.
D. 기획재정부장관은 공기업의 경영실적을 평가하고, 주무
12.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기업 임원 임
부서장은 준정부기관의 경영실적을 평가한다.
면에 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해당 공기업 총수입액
정 답 : D 난이도 : 상 이 1천억원 이상이며 직원 5백명 이상임을 가정)
해 설 : A. 공기업 사장과 상임감사위원의 임면권자는 대통령이다.
○ 기획재정부장관은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경영실적을 평 B. 상임감사위원을 제외한 상임이사는 공기업 사장이 임명
가함.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48조 제1항) 한다.
○ 이사회와 감사위원회에 대한 규정은 아래와 같음. C. 우리회사가 지분을 100% 소유하고 있는 공기업인 발전
공기업 준정부기 자회사의 경우, 우리회사가 상임이사 임명권을 행사할
구 분
시장형 준시장형 관 수 있다.
선임비상임 선임비상임이사 D. 상임감사위원을 제외한 상임이사를 임명할 때에는 공공
이사회 의장 기관장
이사 (2조원 미만 : 기관장) 기관운영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칠 필요가 없다.
감사위원회 2조원 이상 : 필수
필수 가능 정 답 : C 난이도 : 상
설치여부 2조원 미만 : 가능
경영평가 적용 해 설 :
○ 발전자회사는 우리회사의 자회사인 것은 맞으나, 공기업으
출 처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18조 제20조,
로서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동일하게
제48조, 제50조
받아 사장과 상임감사위원은 대통령이, 비상임이사는 기재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부장관이, 상임이사는 사장(자회사 사장)이 임명권자임
○ 우리회사는 대주주로서 자회사 주주총회에서 임원 임명
11.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경영공시에 관
안건을 의결할 뿐 임명권자는 아님
한 내용 중 맞지 않는 것은?
※ 공기업 임원 임명절차
A. 공공기관은 법률에서 규정한 공시 사항들을 인터넷 홈페
이지에 공시하여야 한다.
B. 통합공시는 기획재정부장관이 경영공시 사항 중 주요사
항을 표준화하고 통합하여 공시하는 것을 말한다.
C. 공시 항목이라 할지라도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비공개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기획재
정부장관과 협의한 후 해당부분을 공시하지 아니할 수

- 4 -
공통
구 분 임명 절차 원 칙 예 외
임추위 추천 → 공운위 의결 → 주주총회 의결 → • 전력계통이 연결되지 않은
• 발전사업자와
주무기관장(산업부장관) 제청 → 대통령 임명 도서지역
전기판매사업자는
사 장 * (시행령에 따라 총수입액이 1천억원 미만 or • 발전설비 용량 1MW
전력시장을 통하여 거래
직원 5백명 미만인 공기업은 주무기관장이 이하의 신재생발전사업자
(발전사 - 판매사
임명) (근거 : 시행령 제19조
직접거래 불가)
임추위 추천 → 공운위 의결 → 주주총회 의결→ 제1항)
기재부장관 제청 → 대통령 임명 • 태양광설비 자가생산, 소비
상임
* (시행령에 따라 총수입액이 1천억원 미만 or 후 잉여전력은 거래 가능
감사위원
직원 5백명 미만인 공기업은 기재부장관이 • 자가용전기설비 설치자는 • 태양광 이외 설비인 경우
임명) 생산전력을 전력시장에서 연간 자가생산 전력의
상임이사 거래 불가(자가소비 50% 미만 범위에서 거래
(상임감사 주주총회 의결 → 기관장 임명 원칙) 가능
위원 제외) (근거 : 시행령 제19조
임추위 추천 → 공운위 의결 → 기재부장관 임명 제2항)
비상임 * 주주총회는 한전법 제10조에 따라 • 전기사용자는 • 수전설비 용량이 3만kVA
이사 생략하지만, 감사위원회 비상임이사 전력시장에서 직구매 이상인 대용량 고객은
임명시에는 주주총회를 거침(상법) 금지(판매사업자를 직구매 가능
통해서 전기구매) (근거 : 시행령 제20조)
출 처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25조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출 처 : 「전기사업법」제31조(전력거래)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13. 다음 중「전기사업법」에 따른 전기사업자와 고객간의 전
력거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모두 몇 개인가? 14. 「전기사업법」의 기본공급약관에 관한 내용 중 맞지 않
는 것은?
① 발전사업자 및 전기판매사업자는 전력시장에서 전력거
래를 하여야 한다. 다만 도서지역 등 대통령령으로 정 A. 우리회사가 기본공급약관 중 전기요금에 대한 내용을 변경
하는 예외적인 경우는 제외한다. 하려면, 정관에 따라 이사회의 심의‧의결을 거쳐야 한다.
② 자가용전기설비를 설치한 자는 생산한 전력을 전력시장 B. 전기판매사업자가 기본공급약관을 변경하려면 산업통상
에서 거래할 수 없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자원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하며,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은 전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를 인가한다.
③ 전기사용자는 전력시장에서 전력을 직접 구매할 수 없
C. 선택공급약관은 전기판매사업자가 전기수요를 효율적으
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전기사용
로 관리하기 위하여 기본공급약관과는 다른 요금과 공
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전기판매사업자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가 생산하는 급조건을 내용으로 정하는 약관이다.
전기를 전력시장운영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우선적 D. 보완공급약관은 구역전기사업자가 작성하는 것으로, 구
으로 구매할 수 있다. 역전기사업자의 부족하거나 남는 전력을 전기판매사업자
A. 4개 와 거래하기 위한 약관이다.
B. 3개
정 답 : D 난이도 : 상
C. 2개
해 설 :
D. 1개
D : 보완공급약관은 구역전기사업자가 아닌 전기판매사업자
정 답 : A 난이도 : 상 가 작성하는 것으로, 구역전기사업자의 부족하거나 남는 전
해 설 : 력을 전기판매사업자와 거래하기 위한 약관임 (「전기사업법」
모두 올바른 내용임 (「전기사업법」제31조(전력거래) 제1항~ 제16조의3(구역전기사업자와 전기판매사업자의 전력거래
제4항) 등) 제3항)
참고로, 관련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음 출 처 : 「전기사업법」제16조(전기의 공급약관)

- 5 -
공통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나, 우리회사는 한국전력공사법으로 목적사업을 한정하고 있
으며 해당 조항의 내용은 아래와 같음
15.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대한 내용으로 맞지 ○ 한국전력공사법 제13조(사업)
않는 것은? 1. 전력자원 개발
A.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의 공기업은 해당 연도 포함 5회계 2. 발전, 송전, 변전, 배전 및 이와 관련되는 영업
연도 이상의 중장기재무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3. 위 사업에 관련되는 사업에 관한 연구 및 기술개발
B.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한 후 4. 위 사업에 관련되는 해외사업
6월 30일까지 기획재정부장관과 주무기관의 장에게 제 5. 위 사업에 관련되는 사업의 투자, 출연
출하여야 한다. 6. 위 사업에 딸린 사업 (1~5호까지의 사업에 부대사업 허용)
C. 공기업, 준정부기관과 기타공공기관은 매년 3월 20일까 7. 시행령 요건에 해당하는 보유부동산 활용사업
지 전년도의 경영실적을 기재한 보고서를 기획재정부장 출 처 : 「한국전력공사법」 제13조 제1항
관과 주무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D. 경영실적 평가 결과는 기획재정부장관이 공공기관 운영 이사회 규정
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 확정한다.
17. 「한국전력공사법」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정 답 : C 난이도 : 상
A. 공사의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는 정관으로 정하도록 하고
해 설 :
있다.
C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서는 공기업과 준정부
B. 공사의 이익과 사장의 이익이 상반되는 사항에 대하여는
기관만을 경영평가 대상으로 하고 있음.
사장이 아닌 감사위원회가 공사를 대표한다.
* (참고설명)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상의 공공기관
C. 공사에 대하여 「한국전력공사법」과 「공공기관의 운영에
규제 강도는 공기업 > 준정부기관 > 기타공공기관 순으
관한 법률」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법」의 주식회
로, 기타공공기관의 규제는 공기업에 비해서 느슨한데, 일
사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
례로 기타공공기관에 대해서는 임원 임면, 경영평가, 감사
D. 공사의 목적사업은 법률이 아닌 정관으로 정하도록 하고
원 감사, 정부 관리감독 등에 대한 법 규정이 없음
있다.
A.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39조의2(중장기재무관
리계획의 수립 등) 제1항 정 답 : D 난이도 : 중
B.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39조의2(중장기재무관 해 설 :
리계획의 수립 등) 제1항 민간기업의 경우 정관으로만 목적사업을 규정하고 있으나,
D.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48조(경영실적 평가) 우리회사의 경우 한국전력공사법으로 직접 목적사업을 정하
제7항 고 있으며, 정관에도 목적사업 조항이 있으나, 이 법률의 목
출 처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39조의2, 제48조 적사업 조항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음.
소분류 : 공운법 및 시행령, 전기사업법 출 처 : 「한국전력공사법」 제13조 제1항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16. 「한국전력공사법」에 규정된 공사의 사업과 가장 거리가 사회 규정
먼 것은?
A. 송전, 변전, 배전 및 영업에 관한 연구 및 기술개발 18. 우리회사 주주에 관한 「한국전력공사법」과 정관의 내용
B. 위 A의 사업에 대한 투자 또는 출연 중 올바른 것은?
C. 위 B의 사업에 딸린 사업 A. 정부가 소유하는 주식의 주주권은 기획재정부장관이 행
D. 위 C의 사업에 관련되는 해외사업 사하되, 주주권 행사시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 협의한다.
B. 다른 법률 적용에 있어 정부와 국민연금이 보유한 주식
정 답 : D 난이도 : 하
의 합이 공사 주식 총수의 50% 이상인 경우에는 정부
해 설 :
와 국민연금 지분을 모두 정부지분으로 본다.
○ 민간기업의 경우 정관 등으로 목적사업을 규정하고 있으

- 6 -
공통
C. 정부와 우리사주조합 이외에는 주식 총수의 3%를 초과 - 「한국전력공사법」에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하여 주식을 소유할 수 없다. 단,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에서 정한 주무부서장(산업부장관)의 사업에 대한 관리감독
받은 경우에는 그렇지 아니하다. 사항을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음
D. 공사가 가진 자기주식은 정관에 따라 3% 한도 내에서 출 처 : 「한국전력공사법」제18조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사회 규정
정 답 : C 난이도 : 중
해 설 :
20. 「한국전력공사법」과 정관에 규정된 우리회사 임원에 대
A. 정부가 소유하는 주식의 주주권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행사하되, 기획재정부장관과 협의하여 행사 (「한국전력공
A. 임원을 선임하려면 예외없이 주주총회의 의결을 거쳐야
사법」 제6조). 따라서 정부 주주권 행사의 주체는 사업
한다.
관리감독 주무부처 장관인 산업부장관임
B. 이사의 정수는 15인 이내이며, 사장과 상임감사위원을
B. 정부와 한국산업은행이 보유한 주식의 합이 공사 주식
포함한 상임이사의 정수는 이사정수의 50% 미만으로
총수의 50% 이상인 경우에는 정부와 한국산업은행 지
한다.
분을 모두 정부지분으로 봄(「한국전력공사법」제19조 제
C. 사장의 임기는 3년, 이사의 임기는 2년이며, 1년 단위로
1항)
연임하되 연임시에도 임원추천위원회의 추천을 거친다.
* 2019. 1분기 공시기준 정부지분 18.2% + 산업은행 지
D. 사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때에는 직
분 32.9% ➝ 따라서 총 51.1%를 정부지분으로 봄
제규정의 순서에 따라 비상임이사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
D. 우리회사가 가진 자기주식은 의결권이 없음(정관 제22조
제2항) 정 답 : B 난이도 : 중
출 처 : 「한국전력공사법」제6조, 제19조 / 정관 제12조, 해 설 :
제22조 A. 임원을 선임하려면 주주총회를 거치는데, 우리회사는 한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전법에 따라 비상임이사를 임명할 경우에는 주주총회를 생
사회 규정 략할 수 있음.(한전법 제10조) 다만, 비상임이사라도 감사위
원회의 감사위원을 임명할 경우에는 상법에 따라 주주총회
19. 다음 중 「한국전력공사법」에 규정된 산업통상자원부장 를 거쳐야 함.
관의 지도감독 대상이 아닌 것은? 임명시
A. 전기사업용 전기설비에 대한 중장기 투자에 관한 사항 구분 주총 근거
B. 목적사업의 적절한 수행에 관한 사항 여부
상임이사 ○ 정관, 한전법, 공운법
C. 기능조정 및 경영평가에 관한 사항
감사위원회
D. 전기의 보편적 공급에 관한 사항 비상임 ○ 상법
위원
이사
그 외의 이사 X 한전법
정 답 : C 난이도 : 중
B. 상임이사에는 사장과 상임감사위원이 포함되며, 상임이사
해 설 :
정수는 전체 이사 정수의 절반 미만으로, 비상임이사가
○ 기능조정과 경영평가는 기획재정부장관이 공공기관운영
50% 이상이어야 함. (정관 제26조) 이는 비단 우리회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시행함(「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
사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률」 제14조, 제48조)
법률」에 따라 공기업과 일정규모 이상의 준정부기관에
• 참고설명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임.
- 공공기관에 대한 정부의 관리감독 영역은 「공공기관의
C. 임원 연임시에는 임원추천위원회의 추천을 거치지 않음
운영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데, 정부 주무기관의 장
(정관 제27조)
(산업부장관)은 사업 수행을 감독하고 기재부장관은 경영에
D. 사장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대행자 순서 : 직제
대한 사항(예산, 정원, 경영지침 등)을 감독하도록 역할이
순에 따른 상임이사 ➝ (상임이사 전원 업무수행 불가
나누어져 있음

- 7 -
공통
시) 비상임이사 중 선임비상임이사 ➝ 선임자 ➝ 연장 23. 「한국전력공사법」과 정관에 대한 내용 중 맞지 않는 것
자 순(정관 제28조 제3항) 은?
출 처 : 「한국전력공사법」제10조, 정관 제26조, 제27조, A. 비상임이사의 선임은 주주총회를 거치지 않으며, 비상임
제28조 이사는 기획재정부장관이 임명한다.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B. 공사가 보유부동산 활용사업을 하려면 국토교통부장관의
사회 규정 승인을 받아야 한다.
C. 공사의 임직원은 직무 외의 영리업무를 종사하지 못하
21. 다음 중 우리회사 이사회 의결사항에 해당하는 것은? 며, 상임이사와 직원의 경우 사장의 허가를 받아 비영리
A. 주주총회의 소집과 이에 제출할 의안 업무를 겸할 수 있다.
B. 감사원 감사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 계획 및 실적 D. 공사의 자본은 주식으로 분할하며, 주식은 기명식으로
C. 단체협약 결과와 그에 따른 예산 한다.
D. 사업연도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용 실태
정 답 : B 난이도 : 상
정 답 : A 난이도 : 중 해 설 :
해 설 : B : 부동산 활용 사업을 하려면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승인
B, C, D는 모두 이사회 보고사항임. 을 받아야 함(한국전력공사법 제13조 제3항)
출 처 : 이사회규정 제4조 A. 한전법 제10조(임원), 정관 제26조의2(임원의 선임) 제3항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C. 정관 제32조(임직원의 겸직제한) * 「공공기관의 운영에
사회 규정 관한 법률」제37조에도 동일한 내용이 있음
D. 한전법 제5조(주식)
22. 우리회사 이사회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출 처 : 한전법 제10조, 제13조 / 정관 제26조의2, 제32조
A. 이사회는 사장을 포함한 상임이사와 비상임이사로 구성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하되 상임감사위원은 제외한다. 사회 규정
B. 이사회의 의장은 선임비상임이사가 맡는다.
C. 이사회의 회의는 이사회 의장 직권이나 재적이사 3분의 24. 우리회사 주주총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2 이상의 요구로 소집한다. A. 주주총회의 의장은 사장으로 하되, 사장 유고시에는 선
D. 이사회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으로 성립하고 출석이 임비상임이사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
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B. 주주의 의결권은 1주마다 1개로 하고, 주주는 그 의결
권을 대리인에게 위임할 수 없다.
정 답 : B 난이도 : 중
C. 주주총회의 결의는 법령에 다른 정함이 있는 경우 외에
해 설 :
는 출석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 총수의 4
A. 상임감사위원은 ‘감사위원회의 위원을 맡는 상임이사’로
분의1 이상의 수로써 하여야 한다.
상임이사에 포함되며, 이사회에서 상임감사위원을 제외하는
D. 주주총회의 개최 장소는 의장이 지정할 수 있다.
규정은 없음. (정관 제37조, 이사회규정 제2조)
C. 이사회의 회의는 의장 직권이나 재적이사 3분의 1 이상 정 답 : C 난이도 : 상
의 요구로 소집(정관 제40조, 이사회규정 제3조) 해 설 :
D. 이사회는 재적이사 과반수 출석으로 성립, 재적이사 과 A. 주주총회 의장인 사장이 유고시에는, 정관에 정해진 사
반수의 찬성으로 의결(정관 제41조, 이사회규정 제8조) 장 직무대행자가 의장 직무를 대행함. 따라서 직제순 상임
출 처 : 정관 제37조, 제40조 제41조 / 이사회규정 제2조, 이사 ➝ 비상임이사(선임비상임이사➝선임자➝연장자) 순으
제3조, 제8조 로 의장 직무를 대행함. (정관 제20조, 제28조)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B. 주주는 대리인에게 그 의결권을 위임할 수 있으며, 이
사회 규정 경우 대리인은 주주총회 개최 전에 위임장을 제출하여야 함
(정관 제23조)

- 8 -
공통
C. (정관 제24조) 해 설 :
D. 주주총회의 개최 장소는 본사 소재지임(정관 제18조) D : 공사는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사채를 발행할 수 있음
출 처 : 정관 제18, 20, 23, 24, 28조 (한전법 제16조 제1항)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A. 한전법 제9조(사장의 대표권 제한)의 설명
사회 규정 B. 한전법 제10조(임원)의 설명. 비상임이사의 경우에는 주
주총회 의결 불요.
25. 우리회사 감사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C. 한전법 제3조(사무소)의 설명.
A. 우리회사는 감사를 둘 수 있고, 그에 갈음하여 감사위원 출 처 : 한전법 제3조, 제9조, 제10조, 제16조
회를 둘 수도 있다.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B. 감사위원회는 3명의 이사로 구성하되, 그 중 2명 이상 사회 규정
은 비상임이사로 한다.
C. 감사위원회 구성시에는 위원 중 1명 이상을 회계 또는 27. 우리회사 정관에 관한 내용 중 올바른 것은 모두 몇
재무전문가로 한다. 개인가?
D. 감사위원회의 위원장은 비상임이사가 맡는다. ㉠ 공사가 정관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이사회와 주주총
회의 의결을 거쳐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정 답 : A 난이도 : 상
한다.
해 설 : ㉡ 정부와 우리사주조합 이외에는 누구든지 주식 총수의
A. 공사는 감사를 두지 않고, 감사에 갈음하여 이사회 내의 3%를 초과하여 주식을 소유할 수 없다. 다만 금융위
위원회인 감사위원회를 둠(정관 제41조의2). 원회의 승인을 받은 경우는 제외한다.
- 과거에는 감사를 임명하는 제도가 보편적이었으나, 감사 ㉢ 주주총회의 의장은 선임비상임이사로 한다.
㉣ 주주의 의결권은 1주마다 1개로 하며, 공사가 가진 자
업무의 독립성 등을 위하여 감사위원회 제도가 도입되
기주식은 의결권이 없다.
어 시장형 공기업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로
㉤ 공사에는 15인 이내의 이사를 두며, 상임이사 정수는
감사를 갈음하여 의무적으로 감사위원회를 설치하게 하 전체 이사 정수의 50% 미만으로 한다.
고 있으며 우리회사도 정관에서 같은 내용을 규정하고
A. 5개
있음
B. 4개
- 감사위원회는 비상임이사 2명, 상임이사 1명으로 구성
C. 3개
되는데 그 상임이사가 상임감사위원임
D. 2개
B, C, D. (정관 제41조의2)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서도 같은 내용을 규정하고 있음 정 답 : B 난이도 : 상
출 처 : 정관 제41조의2 해 설 :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잘못된 항목 : ㉢ → 주주총회의 의장은 사장(정관 제20조)
사회 규정 임. 반면 이사회의 의장은 선임비상임이사임
(출처)
26. 한국전력공사법에 대한 내용 중 맞지 않는 것은? ㉠ 정관 제4조(정관의 변경)
A. 공사의 이익과 사장의 이익이 상반되는 사항에 대하여는 ㉡ 정관 제12조(주식의 대량소유의 제한 등)
감사위원회가 공사를 대표한다. ㉣ 정관 제22조(주주의 의결권)
B. 상임이사를 선임하려면 주주총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 ㉤ 정관 제26조(임원의 수)
C. 공사의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는 정관으로 정하도록 하였다. 출 처 : 정관 제4, 12, 20, 22, 26조
D. 공사는 주주총회의 의결을 거쳐 사채를 발행할 수 있고,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매 사업연도의 결산 결과 이익이 생긴 경우 이사회의 사회 규정
의결을 거쳐 이월손실금을 보전할 수 있다.
28. 우리회사 이사회의 소집과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맞지
정 답 : D 난이도 : 상

- 9 -
공통
않는 것은? ㉠ 감사위원회의 위원이 되는 상임이사의 경우 기획재정
A. 이사회는 이사회 의장이나 재적이사 3분의 1이상의 요 부장관이 임명한다.
구로 소집하고, 이사회 의장이 그 회의를 주재한다. ㉡ 비상임이사는 임원추천위원회가 복수로 추천하여 공공
B. 이사회 의장은 선임비상임이사가 맡으며, 부득이한 사유 기관운영위원회의 심의‧의결과 주주총회를 거쳐 산업
통상자원부장관이 임명한다.
로 의장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비상임이사중에
㉢ 사장은 상임감사위원을 제외한 상임이사에 대하여 성
서 선임자, 연장자의 순으로 그 직무를 대행한다.
과계약을 체결하고 이행실적을 평가한 결과에 따라
C. 비상임이사 전원이 이사회 의장의 직무를 수행할 수 없 실적이 저조한 경우 상임이사를 해임할 수 있다.
는 경우에는 상임이사중에서 직제규정이 정하는 순서에 ㉣ 사장은 임원추천위원회가 복수로 추천하여 공공기관운
의하여 그 직무를 대행한다. 영위원회의 심의‧의결 및 주주총회 의결을 거쳐 대통
D.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구분하며, 정기이 령이 임명한다.
사회는 격월로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A. ㉠
B. ㉠, ㉢
정 답 : D 난이도 : 상
C. ㉢, ㉣
해 설 : D. ㉠, ㉣
D : 정기이사회는 매월 셋째 금요일에 개최하는 것을 윈칙
으로 하며, 임시이사회는 긴급 의안이 있을 때 소집함 (이사 정 답 : C 난이도 : 상
회규정 제5조 이사회 운영) 해 설 :
(출처) ㉠ 감사위원회의 위원이 되는 상임이사(상임감사위원)는 기
A. 이사회규정 제3조(소집권과 의장) 제1항 재부장관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함.(정관 제26조의2 제1
B. 이사회규정 제3조(소집권과 의장) 제2항 항, 공공기관운영법 제25, 26조). 참고로 우리회사의 임원
C. 이사회규정 제3조(소집권과 의장) 제3항 임명절차는 아래와 같음
출 처 : 이사회규정 제3조, 제5조 구 분 임명 절차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임추위 추천 → 공운위 의결 → 주주총회 의결
사회 규정 → 주무기관장(산업부장관) 제청 → 대통령
임명
사 장
29. 14. 다음 중 이사회 의결사항과 보고사항이 잘못 짝지 * (시행령에 따라 총수입액이 1천억원 미만
or 직원 5백명 미만인 공기업은
어진 것은?
주무기관장이 임명)
A. (의결사항) 다른 법인에 30억원 이상 출자
임추위 추천 → 공운위 의결 → 주주총회
B. (보고사항) 연봉 및 복리후생관리규정의 변경
의결→ 기재부장관 제청 → 대통령 임명
C. (의결사항) 전기요금 조정 상임
* (시행령에 따라 총수입액이 1천억원 미만
감사위원
D. (보고사항) 상반기 결산 or 직원 5백명 미만인 공기업은
기재부장관이 임명)
정 답 : B 난이도 : 상 상임
해 설 : 이사
이사회규정, 취업규칙, 연봉 및 복리후생관리규정을 개정하 (상임 주주총회 의결 → 기관장 임명
려면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야 함(이사회규정 제4조 제1항) 감사위원
출 처 : 이사회규정 제4조 제외)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임추위 추천 → 공운위 의결 → 기재부장관
임명
사회 규정
비상임 * 주주총회는 한전법 제10조에 따라
이사 생략하지만,
30. 우리회사 임원 선임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을 모두 감사위원회 비상임이사 임명시에는
고른 것은? 주주총회를 거침(상법)

- 10 -
공통
㉡ 잘못된 설명. 우리회사는 비상임이사 임명시 한전법 제 B. 감사실 직원의 보직 및 이동은 상임감사위원이 행한다.
10조에 따라 주주총회를 거치지 않으며, 비상임이사의 C. 특정 감사업무에 대한 고도의 전문지식 또는 실무경험이
임명권자는 기재부장관임. (정관 제26조의2(임원의 선임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내부 또는 외부 전문가를
등) 제3항, 공공기관운영법 제25조 제3항). 활용할 수 있다.
㉢ 올바른 설명. 정관 제28조의3(경영계약) 제5항 D. 상임감사위원은 연간 감사계획 수립 및 특정사안에 대한
㉣ 올바른 설명. 정관 제26조의2(임원의 선임 등) 제1항, 조사 시 감사대상부서나 사업소가 중복하여 감사를 받지
공공기관운영법 제25조 제1항 않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출 처 : 정관 제26조의2, 제28조의3
정 답 : C 난이도 : 상
소분류 : 한국전력공사법 및 시행령, 한국전력공사 정관, 이
해 설 :
사회 규정
A. 정당한 사유없이 감사를 거부하거나 허위자료 제출 또는
자료의 제출을 해태한 직원에 대하여 신분상 조치를 요구할
31. 다음 중 감사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수 있는 권한은 감사인이 아니라 상임감사위원에게 있다.
A. 특별감사는 특별한 업무․사업․자금 등에 대하여 문제점을
(감사규정 9조 4항)
파악하여 원인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고 개선대책을 마련
B. 감사실 직원의 보직 및 이동은 상임감사위원의 요구에
하기 위하여 비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감사를 말한다.
의하여 사장이 행한다.(감사규정 8조 1항)
B. 재무감사는 예산의 운영실태 및 회계처리의 적정성 여부
C. 상임감사위원은 특정 감사업무에 대한 고도의 전문지식
등에 대한 검토와 확인을 위주로 실시하는 감사이다
또는 실무경험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내부 또는
C. 종합감사는 감사대상을 특정하지 아니하고 업무전반에 대
외부 전문가를 활용할 수 있다.(감사규정 7조 4항)
하여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감사를 말한다.
D. 상임감사위원은 제11조의 규정에 따른 연간 감사계획
D. 성과감사는 특정한 정책․사업․조직․기능 등에 대한 경제
수립시 감사대상부서나 사업소가 중복하여 감사를 받지 않
성․능률성․효과성의 분석과 평가를 위주로 실시하는 감사
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다만, 특정사안에 대한 조사는 그러
를 말한다.
하지 아니하다. (감사규정 12조 1항)
정 답 : A 난이도 : 중 출 처 : 감사규정
해 설 : 소분류 : 감사관련 규정
특별감사는 특정업무분야에 대한 감사와 특정사안에 대한
조사로 구분된다. 보기 A에서 언급한 감사는 특정감사에 대 33.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숫자의 합을 구하시오
한 내용으로서 특별→특정으로 바뀌어야 맞는 표현임 ◉ 상임감사위원은 감사예정일 ( )일전까지 감사계획의 주
감사규정 제 10 조 (감사의 종류) 요내용을 감사대상부서 또는 사업소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② 특별감사는 특정업무분야에 대한 감사와 특정사안에 대 한다
한 조사로 구분하여 시행한다. ◉ 대외기관의 감사결과 조치요구에 대해 재심의를 신청하
고자 하는 감사대상 부서장 또는 신분상 조치 처분요구를
③ 제2항의 특정업무분야에 대한 감사는 다음 각호와 같다.
받은 직원은 그 조치를 요구받은 날로부터 ( )일 이내에
1. 특정감사 : 특정한 업무․사업․자금 등에 대하여 문제점을
감사실 담당부서장에게 신청하여야 한다
파악하여 원인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고 개선대책을 마련하
◉ 감사인은 감사종료 후 ( )개월 이내에 감사결과를 종합
기 위하여 부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감사 하여 보고함을 원칙으로 한다
출 처 : 감사규정 ◉ 일상감사결과 조치요구 사항에 대한 처리기간은 원칙적
소분류 : 감사관련 규정 으로 ( )일로 한다.
A. 29 B. 36 C. 37 D. 42
32. 다음 중 감사 및 감사인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A. 감사인은 정당한 사유없이 감사를 거부하거나 허위자료 정 답 : D 난이도 : 상

제출 또는 자료의 제출을 해태한 직원에 대하여 신분상 해 설 :

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 ◉ 상임감사위원은 감사예정일 7일전까지 감사계획의 주요


내용을 감사대상부서 또는 사업소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

- 11 -
공통
다. (감사규정 11조 2항)
① 통보 : 비위사실이나 위법․부당하다고 인정되는 사실이
◉ 대외기관의 감사결과 조치요구에 대해 재심의를 신청하 있으나 다른 처분 요구를 하기에 부적합하여 감사대상부서
고자 하는 감사대상 부서장 또는 신분상 조치 처분요구를 등에서 자율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받은 직원은 그 조치를 요구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감 ② 개선 : 문제점이 인정되는 사실이 있어 그 대안을 제
사실 담당부서장에게 신청하여야 한다(감사규정 28조 2항) 시하고 감사대상기관의 장 등으로 하여금 개선방안을 마련
◉ 감사인은 감사종료 후 1개월 이내에 감사결과를 종합하 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경우
③ 변상 : 위법 또는 부당하다고 인정되는 사실이 있어
여 보고함을 원칙으로 한다 (감사규정 24조 1항)
추징․회수․환급․추급 또는 원상복구 등이 필요하다고 인정되
◉ 일상감사결과 조치요구 사항에 대한 처리기간은 원칙적
는 경우
으로 20일로 한다. (감사규정 30조 3항) ④ 징계 : 감사결과 적출된 사항이 형법 그 밖에 개별
7+14+1+20=42 (D가 정답) 법률의 범죄 구성요건에 해당되는 지 여부를 검토하여 범
출 처 : 감사규정 죄혐의사실이 확실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소분류 : 감사관련 규정 ⑤ 주의․경고 : 위법 또는 부당한 사실이 발견된 경우로
서 그 내용이 경미하여 징계사유에는 미치지 못하나 본인
에게 각성을 촉구할 필요가 있는 경우
34. 다음 중 자체감사기구의 임무가 아닌 것은?
A. 자체감사 계획 및 결과 상임감사위원 보고 A.①,⑤ B.②,④ C.③,④ D.①,②,⑤
B. 대외 및 감사실 감사결과 조치요구
정 답 : A 난이도 : 상
C. 사고 및 정보보고
해 설 :
D. 민원 및 신고업무처리
감사규정시행지침 12조
정 답 : B 난이도 : 중 ① 통보 : 비위사실이나 위법․부당하다고 인정되는 사실이
해 설 : 있으나 다른 처분 요구를 하기에 부적합하여 감사대상부서
감사규정 33조 1항에 따르면 자체감사기구의 임무는 아래 등에서 자율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와 같다. ⇒ 정답
1. 대외 및 감사실 감사 수감업무 총괄 ② 개선 : 문제점이 인정되는 사실이 있어 그 대안을 제시
2. 자체감사 계획 및 결과 상임감사위원 보고 및 사업소장 하고 감사대상기관의 장 등으로 하여금 개선방안을 마련하
에게 조치요구 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경우
3. 사업소 자체감사 계획수립 및 실시(일상감사 포함) ⇒ 권고
4. 대외 및 감사실 감사결과 조치요구사항 처리 ③ 변상 : 위법 또는 부당하다고 인정되는 사실이 있어 추
5. 제37조의 사고 및 정보보고 징․회수․환급․추급 또는 원상복구 등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6. 사무인계인수 및 입찰입회 경우
7. 민원 및 신고업무처리 ⇒ 시정
8. 그 밖에 상임감사위원 위임사항의 처리 <개정 ④ 징계 : 감사결과 적출된 사항이 형법 그 밖에 개별 법
2018.11.21.> 률의 범죄 구성요건에 해당되는 지 여부를 검토하여 범죄혐
따라서 B가 틀린 답임(대외 및 감사실 감사결과 조치요구가 의사실이 확실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아니라 ‘요구사항의 처리’가 맞는 표현) ⇒ 고소․고발․수사요청
출 처 : 감사규정 ⑤ 주의․경고 : 위법 또는 부당한 사실이 발견된 경우로서
소분류 : 감사관련 규정 그 내용이 경미하여 징계사유에는 미치지 못하나 본인에게
각성을 촉구할 필요가 있는 경우
35. 감사결과에 대한 처분(요구)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 정답
옳은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따라서 ①,⑤인 A가 정답
출 처 : 감사규정시행지침
소분류 : 감사관련 규정

- 12 -
공통
출 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36. 다음 중 직무관련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소분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및 지침
A. 회사업무와 관련하여 민원을 제기한 자(개인 또는 법인․
단체) 38.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숫자의 합을 구하시오
B. 정책․사업 등의 결정 또는 집행으로 직접 이익 또는 불
◉ 임직원은 외부강의등을 미리 신고하는 것이 곤란한 경
이익을 받는 개인 또는 법인․단체 우에는 그 외부강의등을 마친 날부터 ( )일 이내에 신고하
C. 퇴직 임직원으로서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임 여야 한다.
직원의 공정한 직무수행을 해칠 우려가 명백한자 ◉ 임직원은 외부강의등 신고를 할 때 상세 명세 또는 사
D. 회사와 계약을 체결하거나 체결하려는 것이 명백한 개인 례금 총액 등을 미리 알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사항을
또는 법인․단체 제외한 사항을 신고한 후 해당사항을 안 날부터 ( )일 이
내에 보완하여야 한다
정 답 : C 난이도 : 중 ◉ 임직원이 외부강의등을 할 때 월 ( )회 또는 월 ( )시
해 설 : 간으로 제한한다.
◉ 임직원은 소속부서의장이 정하는 금액을 초과하여 외부
임직원 행동강령 2조 3호 사목에 따르면 퇴직임직원에 대
강의등의 사례금(이하 “초과사례금”이라 한다)을 받은 경우
한 직무관련자 정의는 아래와 같다.
에는 초과사례금을 받은 사실을 안 날부터 ( )일 이내에
사. 퇴직 임직원으로서 퇴직 전 5년 이내에 같은 부서에 청탁방지담당관등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서 근무하였던 자로서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임
A.11 B.18 C.21 D.24
직원의 공정한 직무수행을 해칠 우려가 명백한자
출 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정 답 : B 난이도 : 상
소분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및 지침 해 설 :
임직원행동강령 24~25조
37. 다음 중 직무 관련자로부터 수수 금지되는 금품등에 해 ◉ 임직원은 외부강의등을 미리 신고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당하지 않는 것은? 에는 그 외부강의등을 마친 날부터 (2)일 이내에 신고하여
A. 음악회 초대권 야 한다.
B. 교통편 제공 ◉ 임직원은 외부강의등 신고를 할 때 상세 명세 또는 사
C. 배우자 취업제공 례금 총액 등을 미리 알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사항을 제
D. 부채 상환 외한 사항을 신고한 후 해당사항을 안 날부터 (5)일 이내에
보완하여야 한다
정 답 : D 난이도 : 하
◉ 임직원이 외부강의등을 할 때 월 (3)회 또는 월 (6)시간
해 설 :
으로 제한한다.
행동강령 2조 5호
◉ 임직원은 소속부서의장이 정하는 금액을 초과하여 외부
“금품등”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
강의등의 사례금(이하 “초과사례금”이라 한다)을 받은 경우
한다. (2016. 9.23 개정)
에는 초과사례금을 받은 사실을 안 날부터 (2)일 이내에 청
가. 금전, 유가증권, 부동산, 물품, 숙박권, 회원권, 입
탁방지담당관등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장권, 할인권, 초대권, 관람권, 부동산 등의 사용권 등 일체
따라서 2+5+3+6+2=18일, B가 정답
의 재산적 이익
출 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나. 음식물ㆍ주류ㆍ골프 등의 접대ㆍ향응 또는 교통ㆍ
소분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및 지침
숙박 등의 편의 제공
다. 채무 면제, 취업 제공, 이권(利權) 부여 등 그 밖의
39. 다음 중 경조사 관련으로 잘못 행동한 사람은?
유형ㆍ무형의 경제적 이익
A. 협력회사 사장인 삼촌에게 빙부상을 알렸다.
B. 5년 전 근무하였던 지사 직원들에게 자녀 결혼을 알렸다.
부채상환은 정당한 권원에 의한 금품으로 수수금지 금품등
C. 대외홈페이지를 통해 모친상을 알렸다.
에 해당하지 않음

- 13 -
공통
D. 부장 자녀 결혼식에 10만원짜리 화환을 보냈다. 1. 수수 금지 금품등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 금품
등을 인도한 자에게 반환
정 답 : C 난이도 : 중
2. 수수 금지 금품등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로서
해 설 :
추가적인 조사ㆍ감사ㆍ수사 또는 징계 등 후속조치를 위하
행동강령 제27조(건전한 경조사 문화의 정착)
여 필요한 경우 : 관계 기관에 증거자료로 제출하거나 후속
② 임직원은 직무관련자에게 경조사를 알려서는 아니 된다.
조치가 완료될 때까지 보관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경조사
3. 제1호 및 제2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멸실ㆍ부패ㆍ변
를 알릴 수 있다.(2016. 9.23 개정)
질 등으로 인하여 반환ㆍ제출ㆍ보관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1. 친족(「민법」 제767조에 따른 친족을 말한다)에게 알
경우 : 별지 제17호 서식에 따라 금품등을 인도한 자의 동
리는 경우
의를 받아 폐기처분
2. 현재 근무하고 있거나 과거에 근무하였던 단체의 소속
4. 그 밖의 경우에는 세입조치 또는 사회복지시설ㆍ공익
임직원에게 알리는 경우
단체 등에 기증하거나 청탁방지담당관등이 정하는 기준에
3. 신문, 방송 또는 제2호에 따른 임직원에게만 열람이
따라 처리
허용되는 내부통신망 등을 통하여 알리는 경우
폐기처분시에는 금품등의 제공자가 아니라 인도자의 동의를
4. 임직원 자신이 소속된 종교단체ㆍ친목단체 등의 회원
얻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C
에게 알리는 경우
출 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따라서 C는 내부 통신망이 아닌, 직무관련자가 볼 수 있는
소분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및 지침
홈페이지를 통해 경조사를 고지하였으므로 예외사항에 허용
되지 않음
41. 다음 중 임직원의 4촌 이내 친족이 직무관련자인 경우,
행동강령 별표 1 음식물 경조사비 선물 등의 가액 범위
해당 임직원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경우가
2. 경조사비 : 축의금·조의금은 5만원. 다만 축의금·조의금
아닌 것은?
을 대신하는 화환·조화는 10만원.
A. 공익 증진을 이유로 직무수행의 필요성이 더 큰 경우
출 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B. 공정한 직무수행에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고 판단하여 정
소분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및 지침
하는 단순 민원업무인 경우
C. 임직원이 사적 이해관계를 자발적으로 신고하고, 공정한
40. 다음 중 수수금지금품등을 인도받은 청탁방지담당관등
직무수행 서약서를 제출하는 경우
이 해당 물품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D. 직무를 수행하는 임직원을 대체하기 지극히 어려운 경우
A. 수수 금지 금품등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인도한 자
에게 반환한다. 정 답 : C 난이도 : 상
B. 사회복지시설이나 공익단체 등에 기증한다. 해 설 :
C. 멸실ㆍ부패ㆍ변질 등의 우려가 있는 경우 금품등 제공자 행동강령 제5조(사적 이해관계의 신고 등) (2018. 9.20 개
의 동의를 받아 폐기처분한다. 정)
D. 수수 금지 금품등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추가 ① 임직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조사등이 필요하면 후속조치가 완료될 때까지 보관한다. 에는 소속부서의 장에게 해당 사실을 별지 제3호 서식에 따
라 서면(전자문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으로 신고하여야
정 답 : C 난이도 : 중
한다. 다만 소속부서의 장이 공정한 직무수행에 영향을 받
해 설 :
지 아니한다고 판단하여 정하는 단순 민원업무의 경우에는
임직원행동강령 32조
그러하지 아니하다.
⑤ 청탁방지담당관등은 제4항에 따라 금품등을 인도받은
(중략)
경우에는 즉시 사진으로 촬영하거나 영상으로 녹화하고 별
⑤ 제4항에도 불구하고 소속부서의 장은 다음 각 호의
지 제16호 서식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다른 법령에 특별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임직원에게 그 직무를 수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처리한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속부서의 장은 행동강령책
다.

- 14 -
공통
임자에게 공정한 직무수행 여부를 확인ㆍ점검하도록 하여야 B. 3년 전에 퇴직한 본부장님(직무관련자)과 친선 골프를
한다. 치는 경우
1. 직무를 수행하는 임직원을 대체하기 지극히 어려 C. 2년 전에 퇴직한 부장님(직무관련자)과 산악회 산행을
운 경우 함께 하는 경우
2. 공익 증진을 이유로 직무수행의 필요성이 더 큰 D. 올해 퇴직한 처장님(직무관련자)과 지인 결혼식장에서
경우 만나 함께 식사를 하는 경우
출 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정 답 : A 난이도 : 상
소분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및 지침
해 설 :
행동강령 제10조(퇴직자와의 사적 접촉 신고) 임직원은 직
42. 다음 중 청렴교육 관련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관련자인 소속 기관의 퇴직자(퇴직한 날부터 2년이 지나
A. 임직원은 부패방지교육 및 청탁금지법 교육을 연2회, 2
지 아니한 사람만 해당한다)와 골프, 여행, 사행성 오락을
시간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같이 하는 행위 등 사적 접촉을 하는 경우 소속부서의 장에
B. 신입사원의 경우 반드시 대면교육을 하여야 한다.
게 별지 제9호 서식에 따라 서면으로 신고하여야 한다.
C. 사이버교육은 청렴교육 이수로 인정되지 않는다.
A. 퇴직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하였고, 유럽여행의 경
D. 청렴윤리교육을 주관하는 자는 청렴실천리더이다.
우 일상적인 여행이나 통상적인 생활범위 내에서의 여행으
정 답 : D 난이도 : 중 로 보기 어려우므로 사적접촉 신고대상 (정답)
해 설 : B. 퇴직한 날로부터 2년이 지남
행동지침 제18조(청렴서약 및 교육 이수) (2017. 8.18 신 C. 산악회 등산의 경우 공무와 무관한 사적 모임에서의 행
설) 사로 사회상규에 따라 허용 가능함
② 임직원은 부패방지교육 및 청탁금지법 교육을 연1회, 2 D. 퇴직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하였으나, 공무와 무관
시간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한 행사에서 부득이 접촉한 경우는 사회상규에 따라 허용
⇒ 연 1회 2시간 이상 이수조건 가능함
③ 제2항에 따른 교육은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하여 강의, 출 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한 교육 등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소분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및 지침
있다. 이 경우 교육대상자가 신규 임용자나 승진자인 경우
에는 대면(對面)에 의한 방법으로 하는 교육이 포함되어야 44. 다음 중 외부강의신고를 정확히 처리한 경우는?
한다. A. 모교에서 ‘전력산업의 미래’라는 주제로 무료 강의요청이
⇒ 사이버교육도 인정되며, 신입사원이라 하더라도 반드시 들어와 외부강의 신고 없이 출강하였다.
대면교육만 인정되는 것은 아님. 대면교육이 포함되면 됨 B. 산업부에서 에너지공기업 대상으로 회의 참석요청 공문
이 왔고(회의비 10만원 제공), 강의성격은 아니라서 외
제19조(청렴실천리더의 선발) (2017. 8.18 신설) (2019. 부강의 신고 없이 참석하였다.
3.15 개정) C. 문화센터에서 웃음치료 강의 요청이 와서 외부강의 신고
② 청렴실천리더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를 하고 여비불지급 출장으로 다녀왔다.
3. 청렴윤리 교육 주관 D. 홍길동 부장은 유관기관에서 주최한 토론회에 2시간 참
⇒ 청렴실천리더의 임무 중 하나가 청렴윤리 교육 주관임 석하여 40만원의 강의료를 받았다.
출 처 : 한전 임직원 행동 지침
정 답 : B 난이도 : 상
소분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및 지침
해 설 :
행동강령 제24조 (외부강의등의 사례금 수수 제한)
43. 다음 중 사적 접촉을 신고해야 하는 경우는?
A. 모교에서 ‘전력산업의 미래’라는 주제로 무료 강의요청이
A. 작년에 퇴직한 차장님(직무관련자)과 부부동반 유럽 여행
들어와 외부강의 신고 없이 출강하였다.
을 하는 경우
⇒ 외부강의 신고는 사례금 여부와 무관하게 외부강의등에

- 15 -
공통
해당하면 신고하여야 한다. ① 청탁금지법의 원활한 사무처리를 위하여 감사실장을 청
B. 산업부에서 에너지공기업 대상으로 회의 참석요청 공문 탁방지담당관으로 지정․임명 한다.
이 왔고(회의비 10만원 제공), 강의성격은 아니라서 외부강 출 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및 행동지침
의 신고 없이 참석하였다. 소분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및 지침
⇒ 회의라 하더라도 외부강의등에 해당하면 신고 대상이지
만 외부강의등을 요청한 자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인 경우 46. 전력시장운영규칙에 따른 용어의 정의 중 틀린 것의 개
에는 신고하지 않아도 된다. 수는?
C. 문화센터에서 웃음치료 강의 요청이 와서 외부강의 신고 ○ 중앙급전발전기라 함은 전력거래소의 급전지시에 따라
를 하고 다녀왔다. 운전하는 설비용량 100MW 초과 발전기를 말한다
⇒ 외부강의등은 자신의 직무와 관련성이 있어야 하며, 그 ○ 계통한계가격이라 함은 거래일자별로 적용되는 전력량
렇지 않은 경우는 외부강의등에 해당하지 않아 신고할 필요 에 대한 전력시장가격(원/MWh)를 말하며 육지 및 제
없고 근태도 출장으로 처리하면 안됨. 주지역으로 구분된다.
D. 홍길동 부장은 유관기관에서 주최한 토론회에 2시간 참 ○ 가격결정발전계획이라 함은 한계가격을 산출하기 위하
석하여 40만원의 강의료를 받았다. 여 열공급, 연료제약, 송전제약등의 각종 제약요소를
⇒ 사장 및 임원을 제외한 직원의 경우 시간당 20만원까지 고려하지 않고 수립되는 거래일의 발전계획을 말하며
받을 수 있으나 1시간을 초과하여 강의 등을 하는 경우에도 수요반응자원의 감축계획은 제외한다.
사례금 총액은 강의시간에 관계없이 1시간 상한액의 100분 ○ 전력계통이라 함은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전기사용
의 150에 해당하는 금액을 초과하지 못한다. 자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된 전기
출 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설비(발전설비, 송변전설비, 배전설비, 기타 부대설비
소분류 : 한전 임직원 행동강령 및 지침 등)를 말한다.
○ 예비력이라 함은 예측수요의 오차, 발전기 불시고장 등
45. 다음 중 맞는 것은? 으로 인하여 전력수급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를
A. 청렴실천리더는 본사 처(실) 및 1차 사업소별로 소속 직 대비하여 전력수요를 초과하여 보유하는 여유용량을 말
원의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선발한다. 하며, 공급예비력과 운영예비력으로 구분한다.
B. 1차 사업소의 행동강령책임자는 총무업무 담당 부서장이다. A. 0개 B. 1개 C. 2개 D. 3개
C. 우리 회사의 행동강령 총괄책임자는 감사실장이다.
정 답 : D 난이도 : 상
D. 우리 회사의 청탁방지담당관은 상임감사위원이다.
해 설 :
정 답 : C 난이도 : 상 [전력시장운영규칙 제 1장. 총칙 / 제 1.2.2.조(용어의 정의)]
해 설 : 1. “중앙급전발전기”라 함은 전력거래소의 급전지시에 따
행동지침 제19조(청렴실천리더의 선발) (2017. 8.18 신설) 라 운전하는 설비용량 20MW 초과 발전기를 말한다.
(2019. 3.15 개정) 1의2. “비중앙급전발전기”라 함은 중앙급전발전기가 아닌
① 부패행위 예방 및 청렴문화 조성을 위하여 본사 처(실) 발전기를 말한다.
및 1, 2차 사업소별로 소속 직원의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2. “공급가능용량”이라 함은 중앙급전발전기 및 중앙급전
청렴실천리더를 선발한다. 전기저장장치를 보유한 발전사업자가 입찰을 통해 거
행동강령 제34조(행동강령책임자의 지정) 래시간별로 공급 가능한 용량(MWh)을 말한다.
① 이 강령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본사의 처(실)의 총무 3. “계통한계가격”이라 함은 거래시간별로 적용되는 전력
업무 담당부서장, 1차사업소는 감사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 량에 대한 전력시장가격(원/kWh)을 말하며 육지 및
장, 2차사업소는 총무 업무를 수행하는 차장을 행동강령책 제주지역으로 구분된다.
임자로 하며, 감사실장을 회사의 행동강령 총괄책임자로 한 3의2. “정산상한가격”이라 함은 육지 중앙급전발전기의
다.(2012. 5.17 개정) 발전 전력량에 대해 적용하는 전력시장가격의 상한값
제35조(청탁방지담당관의 지정)(2016. 9.23 신설) (원/kWh)을 말한다.

- 16 -
공통
4. “정산조정계수”라 함은 정부의 요금규제를 받는 전기 58. “공급예비력”이라 함은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운
판매사업자가 50%를 초과하는 지분을 소유한 발전 영예비력과 이를 초과하여 급전정지 중인 발전력을
사업자의 발전기와 중앙급전 석탄발전기의 전력거래 말한다.
정산금을 조정하기 위한 계수를 말한다. 59. “운영예비력”이라 함은 전력계통의 신뢰도 확보를 위
5. “용량가격”이라 함은 거래시간별 중앙급전발전기 및 하여 주파수조정 예비력과 한국전력거래소(이하“전력
중앙급전전기저장장치의 공급가능용량에 적용되는 전 거래소“라 한다)의 급전지시 후 120분 이내(동·하계
력시장가격(원/kWh)을 말한다. 전력수급대책 기간은 20분 이내)에 확보 및 이용이
13. “부가정산금(Uplift)”라 함은 제반 제약사항을 반영하 가능한 대기·대체예비력을 말한다.
지 않은 가격결정 발전계획을 토대로 한 예상정산금 60. “운전예비력”이라 함은 주파수조정예비력과 대기·대체
과 실제 계통운영 결과 발생한 실제 정산금과의 차 예비력 중 운전상태를 말한다.
이를 말한다. 61. “공급능력”이라 함은 발전단 용량의 총합으로 계획예
31. “가격결정발전계획”이라 함은 한계가격을 산출하기 방정비 및 출력감소전력 등을 제외한 용량을 말한다.
위하여 열공급, 연료제약, 송전제약 등의 각종 제약 62. “급전정지”라 함은 운영예비력을 초과하여 정지중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수립되는 거래일의 발전계획 발전력을 말한다.
을 말하며 수요반응자원의 감축계획을 포함한다. 출 처 : 전력시장운영규칙 제 1장. 총칙 / 제 1.2.2.조(용
43. “운영발전계획”이라 함은 전력계통에 영향을 주는 제 어의 정의)
약조건을 고려하여 실제 계통운전을 위해 수립되는 소분류 : 전력시장의 이해
거래일의 발전계획을 말하며 수요반응자원의 감축계
획 및 전기저장장치가 제공하는 주파수조정용량을 47. 다음은 전력시장의 발전입찰 및 전력수요예측에 관련된
포함한다. 내용이다. 옳은 것은?
44. “급전지시”라 함은 전력거래소에서 전력수급의 균형 A. 중앙급전발전기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는 각 발전기를 기
유지 및 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준으로 발전을 위한 입찰서 등과 발전단 공급가능용량을
중앙급전발전기 및 중앙급전전기저장장치를 운영하 거래일 전일 11시 까지 제출해야 한다.
는 발전사업자와 수요반응자원을 운영하는 수요관리 B. 공급가능용량에 대한 입찰서 제출시 제약운전에 따른 발
사업자 및 송전사업자용 전기저장장치를 운영하는 전계획량은 제외한다.
송전사업자에게 지시하는 행위를 말하며, 전력계통 C. 전력거래소는 전력거래가격의 결정, 운영발전계획의 수
비상상황 시에는 비중앙급전발전기 및 비중앙급전전 립, 실시간 계통운영, 장·단기 전력수급 분석 등을 위하
기저장장치 운영사업자에 대해서도 지시를 행할 수 여 전력수요를 예측하여야 한다.
있다. 다만, 수요관리사업자에 대한 급전지시는 “수 D. 입찰내용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거래시간의
요감축요청”이라 한다. 1시간 이전까지 그 변경된 입찰서를 한전에 제출해야
45. “전력계통”이라 함은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전기 한다.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
정 답 : C 난이도 : 중
된 전기설비(발전설비, 송변전설비, 배전설비, 기타
해 설 :
부대설비 등)를 말한다.
[전력시장운영규칙 제 2장. 발전입찰 및 가격결정 / 제 3절
46. “계통운영”이라 함은 원활한 전기의 흐름과 전기의
(발전입찰과 전력수요 예측)]
품질유지를 위하여 전력계통의 전기 흐름을 통제,
제2.3.1조(입찰서의 제출) ① 중앙급전발전기 또는 중앙급전
관리,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전기저장장치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는 각 발전기를 기준으
57. “예비력”이라 함은 예측수요의 오차, 발전기 불시고
로 발전을 위한 입찰서, 양수계획서(양수발전기를 보유한
장 등으로 인하여 전력수급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
발전사업자에 한한다.) 및 전기저장장치 충전계획서(전기
할 경우를 대비하여 전력수요를 초과하여 보유하는
저장장치를 보유한 발전사업자에 한한다)를 거래일 전일
여유용량을 말하며, 공급예비력과 운영예비력으로
오전 10시(이하 "마감시간"이라 한다)까지 전력거래소에
구분한다.

- 17 -
공통
제출하여야 하며, 발전단 공급가능용량은 11시까지 제출 B. 전력거래소는 공급과 수요를 기준으로 거래시간별 SMP
하여야 한다. 를 결정하며, 이를 거래일 전일 15시까지 공개 하여야
제2.3.2조(입찰서의 내용) ① 제2.3.1조의 규정에 의하여 한다.
제출하는 입찰서에는 거래시간별 발전기 및 전기저장장치 C. SMP는 연료비용 이외에도 발전량에 비례하지 않는 기
의 공급가능용량과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술적 특성 동비용, 무부하 비용이 포함되어 있다.
등을 기재하여야 한다. D. 한계가격의 결정시 수요반응자원을 포함한다.
1. 기동소요시간(단위 : 분)
정 답 : D 난이도 : 중
2. 최대발전용량(MGCi)
해 설 :
3. 최소발전용량(MGi)
[전력시장운영규칙 제 2장. 발전입찰 및 가격결정 / 제 4절
4. 출력 수준별 출력증가율(RURi)
(가격결정 발전계획 및 가격결정)]
5. 출력 수준별 출력감소율(RDRi)
제2.4.1조(가격결정발전계획) ① 전력거래소는 한계가격을
6. 최소운전시간(MUTi)
산출하기 위하여 제2.1.1.3조의 규정에 의하여 결정된 중
7. 최소정지시간(MDTi)
앙급전발전기 발전비용자료, 제2.3.1조 및 제14.2조의
8. 제약운전(열공급, 연료제약, 대기오염물질 저감 등)에
규정에 의하여 발전기 또는 전기저장장치를 보유한 발전
따른 발전계획량
사업자가 제출한 입찰 및 발전계획자료, 제12.4.2.2조의
9. 발전기 호기별 운전정보(복합, 수력 및 양수발전기)
규정에 따라 수요반응자원을 보유한 수요관리사업자가 제
10. 자동발전제어서비스 제공가능 여부
출한 입찰자료, 제2.3.5조의 규정에 의한 전력계통의 수
11. 주파수추종서비스 제공가능 여부
요예측, 제2.5.6조에 의한 발전기별 조정손실계수를 고려
12. 연료량(시간대별 사용연료배분에 의한 발전가능량,
하여 1일 단위로 가격결정발전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OFCAi,t)
제2.4.2조(한계가격의 결정)
13. 2차연료 사용여부(SFFi)
② 전력거래소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한계가격의 결정에
14. 자체기동서비스 가능 여부(BSFi,t)
있어서 기술적 특성에 의한 제약으로 2.4.1조의 규정에
제2.3.5조(전력수요예측) ① 전력거래소는 전력거래가격의
의한 가격결정발전계획에 포함된 발전기 및 수요반응 자
결정, 운영발전계획의 수립, 실시간 계통운영, 장․단기 전
원은 제외한다.
력수급 분석 등을 위하여 전력수요를 예측하여야 한다.
④ 전력거래소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한계가격을 거래일
제2.3.3조(마감시간 이후 입찰자료의 변경) ① 중앙급전발전
전일 15시까지 제8.2.3.7조의 규정에 따라 공개한다.
기 및 중앙급전전기저장장치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는 마감
출 처 : 전력시장운영규칙 제 2장. 발전입찰 및 가격결정
시간이 지난 경우에도 발전기의 공급가능용량 및 기술적
/ 제 4절(가격결정 발전계획 및 가격결정)
특성 등 입찰내용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거래
소분류 : 전력시장의 이해
시간의 1시간 이전까지 그 변경된 입찰서를 전력거래소
에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양수발전기 및 전기저장장치
49. 다음 전력시장 예비력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의 개수는?
의 공급가능용량은 마감시간 이후에는 마감시간에 제출한
○ 예비력은 예측수요의 오차, 발전기 불시고장 등으로 인
공급가능용량을 초과하여 변경할 수 없다. 또한, 기술적
하여 전력수급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특성을 변경할 경우에는 해당 사유를 변경된 입찰서에
전력수요를 초과하여 보유하는 여유용량을 말한다.
명기하여야 한다.
○ 공급예비력은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운영예비력과
출 처 : 전력시장운영규칙 제 2장. 발전입찰 및 가격결정
이를 초과하여 급전정지 중인 발전력을 말한다.
/ 제 3절(발전입찰과 전력수요 예측)
○ 운영예비력은 전력계통의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주파수
소분류 : 전력시장의 이해
조정 예비력과 한국전력거래소의 급전지시 후 120분 이
내(동·하계 전력수급 대책기간의 경우 20분)에 확보 및
48. 다음 전력시장 가격결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이용이 가능한 대기·대체예비력을 말한다.
A. 거래소의 수요예측 자료를 토대로 가격결정 발전계획과
○ 운전 예비력은 주파수조정예비력과 대기·대체예비력 중
가격을 결정한다.

- 18 -
공통
운전상태를 말한다. D. REC는 양방향 입찰방식을 통해서만 거래가 가능하다.
A. 0개 B. 1개 C. 2개 D. 4개
정 답 : C 난이도 : 중
정 답 : A 난이도 : 상 해 설 :
해 설 : [전력시장운영규칙 별표 25]
[전력시장운영규칙 제 1장. 총칙 / 제 1.2.2.조(용어의 정 3.0 책임
의)] 3.1 전력거래소이사장
57. “예비력”이라 함은 예측수요의 오차, 발전기 불시고 공급인증서 거래시장 운영, 의무이행비용 정산 및
장 등으로 인하여 전력수급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 결제 관련 업무 처리를 공정하고 정확히 처리되도
할 경우를 대비하여 전력수요를 초과하여 보유하는 록 총괄 관리한다.
여유용량을 말하며, 공급예비력과 운영예비력으로 5.3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
구분한다. 공급인증서의 발급 및 거래단위로서 공급인증서
58. “공급예비력”이라 함은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운 발급대상 설비에서 공급된 MWh기준의 신재생에
영예비력과 이를 초과하여 급전정지 중인 발전력을 너지 전력량에 대해 가중치를 곱하여 부여하는 단
말한다. 위를 말한다.
59. “운영예비력”이라 함은 전력계통의 신뢰도 확보를 위 6.0 공급인증서 거래시장의 운영
하여 주파수조정 예비력과 한국전력거래소(이하“전력 6.1 경매방식에 의한 거래
거래소“라 한다)의 급전지시 후 120분 이내(동·하계 6.2 양방향 입찰방식에 의한 거래
전력수급대책 기간은 20분 이내)에 확보 및 이용이 출 처 : 전력시장운영규칙 별표 25
가능한 대기·대체예비력을 말한다. 소분류 : 전력시장의 이해
60. “운전예비력”이라 함은 주파수조정예비력과 대기·대체
예비력 중 운전상태를 말한다. 51. 수요반응자원(Demand Response)에 대한 설명 중 틀
61. “공급능력”이라 함은 발전단 용량의 총합으로 계획예 린 것을 모두 고르시오.
방정비 및 출력감소전력 등을 제외한 용량을 말한다. ㉠ 수요반응자원이라 함은 전력시장운영규칙에 따라 다수의
62. “급전정지”라 함은 운영예비력을 초과하여 정지중인 수요반응참여고객을 통해 전력부하를 감축할 수 있는 자
발전력을 말한다. 원을 말한다.
출 처 : 전력시장운영규칙 제 1장. 총칙 / 제 1.2.2.조 ㉡ 의무감축용량은 수요반응 자원을 보유한 수요관리사업자
(용어의 정의) 가 입찰을 통해 가격결정발전계획에 포함되어 거래시간
소분류 : 전력시장의 이해 별로 별도의 수요감축요청 없이 전력부하를 감축할 수
있는 용량을 말한다.
50. 다음 신재생에너지공급 의무화 제도(RPS)에 대한 설명 ㉢ 수요자원은 공휴일, 토요일의 거래에 대해 입찰 할 수
중 옳은 것은? 있다.
A. 한전사장은 공급인증서 거래시장 운영, 의무이행비용 정 ㉣ 수요관리사업자에 대한 수요감축요청은 늦어도 2시간 전
산 및 결제 관련 업무 처리를 공정하고 정확히 처리되 에 이루어져야 한다.
도록 총괄관리한다. ㉤ 초기등록 수요반응자원의 전력거래기간은 12월 1일 ~
B. 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는 다음해 11월 30일 이다.
KWh 기준의 신재생에너지 전력량에 대해 가중치를 곱 A. ㉡, ㉢, ㉣ B. ㉡, ㉣
하여 부여하는 단위를 말한다. C. ㉢, ㉤ D. ㉣, ㉤, ㉥
C. RPS제도는 500MW이상 발전 사업자에게 발전량의 일
정 답 : A 난이도 : 상
부를 신재생 에너지로 의무 공급하도록 한 제도로 직접
해 설 :
신재생발전기를 건설하여 의무를 이행하거나 현물시장
[전력시장운영규칙 제 1장. 총칙 / 제 1.2.2.조(용어의 정의)]
등 외부에서 REC를 구매하여 이행 할 수 있다.
71. “수요반응자원”이라 함은 이 규칙에 따라 다수의 수

- 19 -
공통
요반응참여고객을 통해 전력부하를 감축할 수 있는 제12.4.1.1조(전력거래기간) 수요관리사업자는 아래 표에 따
자원을 말한다. 라 전력거래를 할 수 있다.
72. “수요반응참여고객”이라 함은 수요반응자원을 구성하 구분 전력거래기간
여 전력부하를 실제로 감축하는 최종 전기소비자를 초기 12월1일∼다음해 11월30일
말하며, 판매사업자 등과의 전기사용계약단위를 기 추가 6월1일∼11월30일
본 단위로 한다.
제12.4.2.1조(전력거래 요건) ① 수요반응자원의 전력부하감
73. “전력부하감축거래량”이라 함은 수요반응자원을 구성
축에 대해 입찰하고자 하는 수요관리사업자는 다음 각
하는 수요반응참여고객의 거래시간별 전력부하감축
호의 전력거래 요건을 준수하여야 한다.
량을 합한 것을 말하며 거래당일 별도의 수요감축요
1.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서 규정한 공휴일, 토
청 없이 가격결정발전계획에 따른 전력부하감축거래
요일을 제외한 평일의 거래일에 대해서 입찰할 수 있다.
량(이하 “계획감축량”)과 실시간 수요감축요청에 따
2. 수요관리사업자가 입찰할 수 있는 거래시간별 수요반
른 전력부하감축거래량(이하 “수요감축요청이행량”)
응자원의 감축가능용량은 1MW-h 이상이어야 한다.
으로 구분한다.
제12.4.3.1조(수요관리사업자에 대한 수요감축요청) ① 수요
[전력시장운영규칙 제 12장. 수요반응자원의 거래]
관리사업자에 대한 수요감축요청에는 다음 각 호의 내용
제12.1.1조(용어의 정의) 이 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
이 포함되어야 한다.
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수요반응자원별 수요감축요청량(의무감축용량을 한도
1. “고객기준부하”라 함은 수요반응참여고객이 전력부하를
로 한다)
감축하지 않았다면 사용했을 평상시 사용전력량을 예측한
2. 평일(「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의 “공휴일” 및
값을 말한다.
토요일 외의 날) 9시에서 20시 사이(12시에서 13시까
2. “의무감축용량”이라 함은 수요반응자원을 보유한 수요
지는 제외)의 감축시작시각 및 감축종료시각(매시 정각,
관리사업자가 전력거래소의 실시간 수요감축요청에 따라
15분, 30분, 45분에 발령 가능하며, 표준DR은 최소 1
전력부하를 감축할 수 있는 최대용량(MW)을 말한다.
시간, 최대 4시간, 중소형DR은 1시간)
3. “감축가능용량”이라 함은 수요반응자원을 보유한 수요
② 수요관리사업자에 대한 수요감축요청은 늦어도 감축시작
관리사업자가 입찰을 통해 가격결정발전계획에 포함되어
시각 1시간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거래시간별로 별도의 수요감축요청 없이 전력부하를 감축
③ 수요반응자원에 대한 수요감축요청은 수요반응자원별 1
할 수 있는 용량(MW-h)을 말한다.
일 2회를 한도로 하되, 중소형DR에 대한 수요감축요청은
4. “감축가격”이라 함은 수요반응자원을 보유한 수요관리
비연속적으로 시행한다.
사업자가 거래시간별로 감축가능용량에 대해 입찰하는 가
④ 수요반응자원별 전력거래기간 내 총 감축시간은 60시간
격을 말한다.
을 한도로 한다. 단, 추가 전력거래기간 내 총 감축시간은
5. “전력부하감축량”이라 함은 수요반응참여고객이 전력부
30시간으로 한다.
하를 감축한 거래시간별 고객기준부하와 실제 사용전력량
출 처 : 전력시장운영규칙 제 1장. 총칙 / 제 1.2.2.조(용
과의 차이를 말한다.
어의 정의), 전력시장운영규칙 제 12장. 수요반응
6. “수요반응자원 순편익가격”이라 함은 수요반응자원을
자원의 거래
보유한 수요관리사업자가 전력시장에 입찰할 수 있는 최
소분류 : 전력시장의 이해
소가격(원/kWh)을 말한다.
7. “감축계획량”이라 함은 가격결정발전계획에서 배분받은
52. 다음은 신재생에너지 전력거래 유형에 관한 설명이다.
거래시간별 수요반응자원의 전력부하감축계획량을 말한
옳지 않은 것은?
다.
A. 상계거래대상의 발전설비 용량 기준은 태양에너지 발전
8. “전력거래기간”이라 함은 전력거래소의 실시간 수요감
설비의 경우 1,000kW 이하, 이외의 발전설비의 경우
축요청에 따라 수요관리사업자가 등록한 수요반응자원의
10kW 이하이다.
의무감축용량만큼 의무적으로 전력부하감축을 시행해야하
B. 한전과 전력구입계약(PPA)을 체결하여 거래하는 경우
는 기간을 말한다.
SMP는 실시간 가격을 적용한다.

- 20 -
공통
C. 발전사업자는 전력거래소를 통한 시장거래와 한전과의 시장거래
구분
직접 계약거래 중 선택할 수 있으나, 설비용량 1MW 자가용설비 사업용설비
초과시 시장거래만 가능하다. 설비용량 10kW초과 1kW이상
D. 태양광 설비 외의 자가용 설비를 설치한 자는 연간 총 -태양광: 자기소비 후 잉
생산 전력량의 50퍼센트 미만의 범위에서 전력거래가 여전력판매
시설목적 발전사업
가능하다. -태양광外 : 총발 전
량의 50%미만
정 답 : B 난이도 : 상 SMP(RPS)
SMP
해 설 : 정산기준 기준가격(FIT)
[전기사업법] (SMP는 실시간 가격적용)
제31조(전력거래) ① 발전사업자 및 전기판매사업자는 제43 거래비용 거래수수료
조에 따른 전력시장운영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전력시 구입비지급 월6회
장에서 전력거래를 하여야 한다. 다만, 도서지역 등 대통령 검침방법 원격검침
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한전과 수급계약
② 자가용전기설비를 설치한 자는 그가 생산한 전력을 전력 구분
일반용설비* 자가용설비 사업용설비
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10kW초과∼ 1,000kW
설비용량 10kW이하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000kW이하 이하
[전기사업법 시행령] -태양광: 자기 소비
제19조(전력거래) ① 법 제31조제1항 단서에서 "도서지역 등 후 잉여전력판매
시설목적 자가소비 발전사업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경우를 말한다. -태양광外 : 총발
전량의 50%미만
1. 한국전력거래소가 운영하는 전력계통에 연결되어 있지
SMP(RPS)
아니한 도서지역에서 전력을 거래하는 경우 전기요금과 SMP
정산기준 기준가격(FIT)
2.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제2 1:1 상계
(SMP는 월가중평균적용)
조제5호에 따른 신ㆍ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가 1천킬로와트
거래비용 없음
이하의 발전설비용량을 이용하여 생산한 전력을 거래하는
구입비지급 월1회
경우
검침방법 방문검침
② 법 제31조제2항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란
* 태양에너지의 상계거래는 1,000kW 이하로 한다.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출 처 : 전기사업법, 전기사업법 시행령, 신재생 및 LNG
1. 태양광 설비를 설치한 자가 해당 설비를 통하여 생산한
발전 전력거래계약 업무처리지침 제3장 제1절
전력 중 자기가 사용하고 남은 전력을 거래하는 경우
소분류 : 전력시장의 이해
2. 태양광 설비 외의 설비(석탄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설비는 2017년 2월 28일까지 법 제62조제1항 전단 또는
53. 다음 신재생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업
같은 조 제2항 전단에 따른 설치공사ㆍ변경공사의 공사계획
무처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의 인가 신청 또는 신고를 한 경우로 한정한다)를 설치한
A. PPA 신청서 접수시 발전사업허가증을 필수로 제출하도
자가 해당 설비를 통하여 생산한 전력의 연간 총생산량의
록 한다.
50퍼센트 미만의 범위에서 전력을 거래하는 경우
B. 전력거래는 재화의 공급에 해당하므로 발전사업자가 요
[신재생 및 LNG 발전 전력거래계약 업무처리지침 제3장
금 청구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도록 안내한다.
제1절]
C. 한전의 접속방안 통보기간은 접수한날로부터 3개월 이내
나. 신재생에너지 전력거래 유형
이다.
D. PPA 계약의 효력은 상업운전개시일부터 발생하며, 상업
운전개시 7일전까지 사업자와 협의하여 개시일을 확정
한다.

- 21 -
공통
[전력거래계약서]
정 답 : A 난이도 : 중
제25조(계약의 유효기간) 본 계약의 유효기간은 ○○발전
해 설 :
소의 상업운전개시일로부터 기산하여 1년으로 하며,
[신재생 및 LNG 발전 전력거래계약 업무처리지침 제3장
쌍방간에 이의가 없을 경우에는 1년 단위로 연장된다.
제2절]
단, 전력거래소의 시장거래에서 한전 직접 거래로 변경
나. 신청접수
한 사업자는 최초 한전 직접 거래 개시일로부터 기산
(1) 접수원칙 : 전력거래계약의 신청서는 신청시 필수제출
하여 1년으로 한다.
서류의 누락 등 특별한 결격사유가 없는 한 접수를 거
출 처 : 신재생 및 LNG 발전 전력거래계약 업무처리지침
절, 보류하여서는 아니되며, 접수순으로 처리하되 기재
제3장 제2절, 전력거래계약서
사항에 일부 누락이 있는 경우는 추가작성을 안내하며
소분류 : 전력시장의 이해
접수서류에 일부 미비사항이 있을 경우 우선 접수 후
추후 보완서류를 제출하도록 요청한다.
54. 전기차 충전사업과 관련된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 신청시 필수제출서류 : PPA 신청서, 발전사업허가증(자가용
㉠ 국가기술표준원은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방식을 차데모방
PPA는 제외), 내선설계도면, 사업자등록증 사본
식으로 통일하기 위해 ’17.12월 한국산업규격(KS)를 개
정 고시했다.
다. 접수시 유의사항 및 신청자 안내사항
㉡ 우리회사 도심생활형 충전기를 신용카드 현장결제로 이
(1) 전력거래계약 신청서는 발전설비 신청 시 제출하도록 한다.
용 시 충전요금은 173.8원/kWh(VAT별도) 이다.
(2) 한전의 접속방안 통보기간은 접수한날로부터 3개월 이내임을
㉢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안내한다.
의거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은 충전시설을 설치해야
(3) 상업운전개시 희망일은 전력거래계약 신청서 접수시 확인하여
한다.
신청서에 기재하도록 하고 상업운전개시 7일전까지 사업자와
㉣ 지능형전력망의 구축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
협의하여 확정한다.
전기차충전서비스제공사업자로 등록하려는 자는 등록신
(4) 전기사업법 제63조에 의거 발전설비 설치자는 전기안전공사의
청서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사용전검사를 받아야 하므로 계통병입 이전에 사용전검사를 완
㉤ 정기점검은 월 1회 시행을 원칙으로 하며, 상대적으로
료하도록 사전에 안내한다.
충전빈도수가 높은 충전소 충전기의 경우 상기 기준보다
(5) 발전기 병렬운전조작합의서는 상업운전개시 7일전까지는 체결
강화하여 운영할 수 있다.
하여야 하며 최초 병렬운전시에는 관련부서 입회하에 운전을
A. 0개
개시하도록 안내한다.
B. 2개
(6) 신청서 접수시 발전설비 준공후 한전에 통보하도록 안내하여
C. 3개
향후 업무처리에 착오가 없도록 한다.
D. 5개
(7) 전력거래는 재화의 공급에 해당하여 요금 청구시 세금계산서를
첨부하여야 하므로 사업자는 신청 전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등 정 답 : B 난이도 : 상
록을 하고 신청시 사업자등록증을 제출하여야 한다. 해 설 :
(8) 계좌이체거래 약정서를 작성·제출하도록 안내한다. ㉠ 국가기술표준원은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방식을 콤보1방
(9) 신청서 접수시 신청자에게 표준전력거래계약서(안) 1부를 교부 식으로 통일하기 위해 ’17.12월 한국산업규격(KS)를 개정
하고 계약서 내용을 상세히 조문별로 설명한다. 고시했다.(산업부 보도자료, ’17.12.21)
(10) 신청이 취소되거나 무효가 될 수 있는 사유를 안내하고 접속 국제표준(IEC)에는 5가지 급속 충전방식*을 규정하고 있
공사비 납부 후 취소되었을 경우 환불절차 등을 안내한다. 으며, 국내에서는 전기자동차 제조사별로 3가지 충전방식(차
(11) 4촌 이내의 친족 및 그 배우자중에 한전에 근무하는 임직원 데모, AC3상, 콤보1)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다.
이 있는 신청자는 자율적으로 해당사항(한전근무직원 유무, * ① 美(콤보1), ② EU(콤보2), ③ 日(차데모), ④ 中
성명, 관계, 근무부서)을 신청서에 작성하고 이에 대한 정보 (GB/T), ⑤ AC3상
제공에 동의하도록 안내한다. ㉡ 우리 회사 도심생활형 충전기를 신용카드 현장결제로 이

- 22 -
공통
용 시 충전요금은 173.8원/kWh(VAT포함) 이다. (EVC 현 4만원과 설치지원금(1회성) 750만원, 기타 지원으로 구
장교육 실무교재 3장1. 충전기 이용방법) 성되어있다.
가. 도심생활형 충전기 충전요금 ㉤ 에너지신산업 펀드는 에너지신산업 프로젝트 및 벤처·중
- 173.8원/kWh(VAT포함) 소·중견기업을 투자대상으로 하며, 한전이 투자한 금액은
- 단, 충전사업자 고객은 충전사업자가 정한 요금을 부과 3천억원이다.
나. 아파트형 충전기 충전요금 A. 1개
- 간편결제 등록한 회원카드로 충전기 이용 가능 B. 2개
(신용카드 현장결제 불가) C. 3개
- 충전요금 (원/kWh, 부가세 별도) D. 4개
구 분 여름철 봄·가을철 겨울철
정 답 : D 난이도 : 상
경부하시간대 83.6원 84.1원 95.5원
해 설 :
중간부하시간대 129.0원 90.3원 120.2원
㉠ P2G 기반 KEPCO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실증사업은 태
최대부하시간대 174.3원 92.8원 152.6원
양광 발전의 여유 전력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생산
※ 토요일 : 최대부하시간대→중부하시간대 요금 적용
된 수소를 수소차 연료로 사용하거나 연료전지를 통해 주변
/ 일요일 및 공휴일 : 전구간 → 경부하시간대 요금 적용
빌딩, 아파트 등에 전기, 열 형태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프로
㉢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젝트이다.
의거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은 충전시설을 설치해야한다.
㉡주파수 조정용 ESS 사업은 2014년∼2016년 3년간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
376MW를 구축하였다.
령 제18조의4 2.가)
㉢ 60MW 급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는 '19년 준공 예
㉣ 지능형전력망의 구축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정이며, 100MW 급 제주 한림 해상풍력 사업은 '23년을
전기차충전서비스제공사업자로 등록하려는 자는 등록신청서
준공을 목표로 건설 준비 중에 있다.
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지능형전력망
㉣ 학교 태양광 사업의 학교혜택으로는 kW당 연간 임대료
의 구축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8조①)
4만원과 설치지원금(1회성) 750만원, 기타 지원으로 구성되
㉤ 정기점검은 2주 1회 시행을 원칙으로 한다. 상대적으로
어있다.
충전 빈도수가 높은 충전소 충전기의 경우에는 상기 충전설
㉤ 에너지신산업 펀드는 에너지신산업 프로젝트 및 벤처·중
비 점검기준보다 강화하여 운영할 수 있다.
소·중견기업을 투자대상으로 하며, 한전이 투자한 금액은 5
출 처 : 산업부 보도자료, EVC 현장교육 실무교재, 관련법률
천억원이다.
소분류 :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신사업 현황
출 처 : 전기계기업무기준, K-BEMS 구축운영 매뉴얼, 2
019년 업무보고 자료 등
55. 다음은 우리 회사에서 에너지전환관련 추진하고 있는
소분류 :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신사업 현황
사업현황이다. 맞는 것의 개수는?
㉠ P2G 기반 KEPCO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실증사업은 태
56. 신재생발전 및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
양광 발전의 여유 전력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생
린 것은?
산된 수소를 수소차 연료로 사용하거나 연료전지를 통해
A. 2030년 국가 재생에너지 목표 발전량 비중은 20%이다.
주변 빌딩, 아파트 등에 전기, 열 형태로 에너지를 공급
B. 2030년 국가 신재생 목표 설비 비중은 33.7% 이다.
하는 프로젝트이다.
C. 17.12월 기준 국내 수력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공급비
㉡ 주파수 조정용 ESS 사업은 2014년∼2016년 3년간
중은 설비용량 기준으로 9.39%, 발전량 기준 4.75%
376MW를 구축하였다.
이다
㉢ 60MW 급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는 '19년 준공 예
D. 배출권거래제도에서 KOC(Korean Offset Unit)는 상쇄
정이며, 100MW 급 제주 한림 해상풍력 사업은 '23년
배출권을 말한다.
을 준공을 목표로 건설 준비 중에 있다.
㉣ 학교 태양광 사업의 학교혜택으로는 kW당 연간 임대료 정 답 : D 난이도 : 상

- 23 -
공통
해 설 : 출 처 : 기술혁신본부 경영현황
A. 2030년 국가 재생에너지 목표 발전량 비중은 20%이다. 소분류 :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신사업 현황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17.12월)
B. 2030년 국가 신재생 목표 설비 비중은 33.7% 이다.(제 58. 다음 우리회사 디지털변환과 관련된 내용 중 틀린 것은?
8차 전력수급계획 ’17.12월) A. Digital Twin은 마이크로소프트社가 주창한 개념으로,
C. 2017.12월 기준 국내 수력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공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
급비중은 설비용량 기준으로 9.39%, 발전량 기준 4.75% 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결
이다. (’17.4분기 전력통계 / 설비용량, 발전량, 에너지원별 과를 미리 예측하는 기술이다
현황) B. 우리 회사는 전력데이터의 안전한 대외공개를 위한 ‘데이
D. 배출권 거래는 할당배출권(KAU), 상쇄배출권(KCU), 외 터 공유센터’를 서울 등 3개 거점지역에 구축할 계획이다.
부감축실적(KOC)의 장내ㆍ외 거래의 합계이며, 거래가격 C. 에너지 마켓플레이스(EN:TER)는 에너지분야 거래 활성
(‘18.12월 기준)은 아래와 같다. 화를 위한 B2B,B2C 비즈니스 매칭 플랫폼이다.
KAU KCU KOC D. 우리 회사는 계량데이터 및 계량데이터 기반 서비스 유
구분
(할당배출권) (상쇄배출권) (외부사업 인증실적) 통을 위한 플랫폼으로 전력데이터 서비스마켓을 구축중
가격 22,900원 21,800원 24,500원
에 있다.
출 처 :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17.4분기 전력통계,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기술혁신본부 정 답 : A 난이도 : 중
현황자료 해 설 :
소분류 :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신사업 현황 A. Digital Twin은 제너럴일렉트릭(GE)가 주창한 개념으로,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
57. 한전에서 지분 투자한 특수목적법인과 주요사업의 연결 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결과를
이 맞지 않는 것은? 미리 예측하는 기술이다
A. KAPES(주)-HVDC 사업 출 처 : 2019년 기술혁신본부 업무보고
B. 희망빛발전(주)-밀양 태양광발전사업 소분류 :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신사업 현황
C. 켑코에너지솔루션-벤처육성, R&D등 투자
D.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주)-전기차 충전서비스 59. 다음은 우리 회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신사업 현
황이다. 맞는 것의 개수는?
정 답 : C 난이도 : 중 ㉠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는 단방향
해 설 :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력사용량, 시간대별 요금정보 등의
에너지신사업 분야 특수목적법인 전기사용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회 사 명 주 요 사 업 ㉡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사업은 22년까지 3천기(공용급
(주)KEPCO-UHDE 석탄가스화 엔지니어링 속)를 구축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해상풍력㈜ 서남해 해상풍력개발 ㉢ K-SEM은 한전 자체 개발 전기차용 충전시스템이다.
KAPES(주) HVDC 사업 ㉣ 스마트시티는 도시에 ICT・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
희망빛발전(주) 밀양 태양광발전사업 하여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특수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주) 전기차 충전서비스 있는 도시모델이다.
목적 울릉에너피아(주)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구축 A. 1개
법인 햇빛새싹발전소 학교태양광 발전사업 B. 2개
켑코에너지솔루션 ESCO 사업 C. 3개
에너지인프라자산운용 벤처육성, R&D등 투자
D. 4개
대구청정에너지(주) 청정에너지 공급
제주한림해상풍력 해상풍력발전소 운영 정 답 : B 난이도 : 중
해 설 :

- 24 -
공통
㉠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는 양방향 D. 경영지원계약(Management Service Agreement) : 현지법인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력사용량, 시간대별 요금정보 등의 전 의 경영을 위한 주주간 계약서
기사용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정 답 : D 난이도 : 중
㉡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사업은 22년까지 3천기(공용급
해 설 :
속)를 구축 목표로 하고 있다.
㉢ K-SEM은 한전 자체 개발 종합에너지관리시스템으로 에 계약서 내 용 당사자
너지효율화 솔루션을 제공한다. 전력판매 계약 사업기간 동안
현지법인,
㉣ 스마트시티는 도시에 ICT・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 (Power Purchase 전력판매 및 구매와
전력구매처
하여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Agreement) 관련한 사항 규정
도시모델이다. 발전소 설계, 구매 및 현지법인,
EPC 계약
출 처 : 19년 기술혁신본부 현황자료, 19년 업무보고 자 건설 계약 EPC 업체
료, 전기계기업무기준
사업기간 동안의 현지법인,
소분류 :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신사업 현황 O&M 계약
발전소 운전, 보수 계약 O&M 업체

부지사용 계약 현지법인,
60. 다음 중 우리회사 해외사업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 (Land Lease
사업기간 동안
부지제공처
부지사용 보장
은? Agreement) (부지소유자)
A. 우리회사는 중국 내몽고 요녕성, 감숙성에서 2017년 말
주주간 계약서
기준 총 22개 발전단지, 1,017MW에 이르는 풍력발전 현지법인의 경영을
(Shareholders 현지법인 주주
위한 주주간 계약서
프로젝트를 공동운영하고 있으며, 2017년 12월 말부터 요녕 Agreement
성 객좌 태양광발전소(7MW)의 운영을 개시하였다.
경영지원계약 현지법인 운영인력
B. 우리회사는 2017년 2월, 요르단 푸제이즈 풍력발전사업 현지법인,
(Management 파견을 통한 경영지원
KEPCO
(89.1MW)을 착공하였다. Service Agreement) 관련 내용 규정
C. 우리회사는 2017년 10월,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치토세시(千
출 처 : (2019년 문제은행)해외화력발전사업 업무절차서
歲市)에서 28MW급 풍력 발전소를 준공하였다.
소분류 : 해외사업 현황
D. 우리회사는 2017년 11월, 베트남 정부 및 베트남 전력공
사와 베트남 응이손Ⅱ 석탄 화력 건설 · 운영 사업
62. 우리회사의 해외사업투자 의사결정시 고려하는 수익성분
(1,200MW 주요사업계약(BOT계약 및 전력판매계약 등)
석 지표 중 바르지 않은 설명은?
을 체결하였다.
A. 매출액순이익률 : 매출액과 순이익과의 관계를 표시해주
정 답 : C 난이도 : 중 는 비율로서 기업활동의 총체적인 능률을 판단하는 지표
해 설 : 이며 기업의 최종수익성을 판단하는 비율이다.
일본 치토세사업은 28MW급 태양광 발전사업이다. B. 내부수익률(IRR) : 어떤 투자계획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출 처 : 2018 한전 애뉴얼 리포트(KEPCO Annual Rep 편익의 흐름이 있을 때, 해당 투자계획의 미래 가치를
ort 2018) '0'으로 만들어주는 할인률을 'IRR'이라고 한다.
소분류 : 해외사업 현황 C. 자기자본순이익률(ROE) :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
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61. 해외화력발전사업 수행시 통상적으로 체결하는 사업계약 D. 회수기간법(Payback period method) : 투자를 하였을
에 대한 다음설명 중 가장거리가 먼 것은? 때, 그로인해 발생하는 현금흐름으로부터 투자자금을 모
A. 전력판매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 사업기간동안 두 회수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투자안의 가치를 평가
전력판매 및 구매와 관련한 사항규정 하는 기법이다.
B. EPC 계약 : 발전소 설계, 구매 및 건설계약
정 답 : D 난이도 : 중
C. O&M 계약 : 사업기간 동안의 발전소 운전, 보수계약
해 설 :

- 25 -
공통
B. 내부수익률(IRR) : 어떤 투자계획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들이 출자하여 만든 특수목적법인(SPC, Special Project
편익의 흐름이 있을 때, 해당 투자계획의 현재 가치를 '0'으 Company)을 말한다.
로 만들어주는 할인률을 'IRR'이라고 한다.
정 답 : C 난이도 : 상
출 처 : (2019년 문제은행)해외현지법인 수익실적 및 전망
해 설 :
정기분석절차서, 해외화력발전사업 업무절차서
“해외사업선정위원회”는 사업개발 담당부서에서 사업타당성 기
소분류 : 해외사업 현황
초분석을 실시한 사업에 대하여 사업내용, 예상 리스크 및 수
익률, 수행인력 확보방안, 사업추진계획, 소요예산 등을 면밀
63. 우리회사의 일반적인 해외입찰사업 단계별 주요업무절
히 심의하여 사업선정여부를 결정하는 위원회를 말한다.
차에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외사업리스크심의위원회”는 주요 리스크 및 대응방안, 수익
A. ①해외사업선정위원회→②입찰서제출→③해외사업리스크
성 등 투자타당성 을 종합 검토하여 사업참여 여부를 의사결
심의위원회→④이사회심의→⑤제반사업계약체결
정하며, 해외사업에 대한 전문적 식견을 가진 사내외 전문가
B. ①해외사업선정위원회→②해외사업리스크심의위원회→
Pool로 구성된 위원회를 말한다.
③입찰서제출→④이사회심의→⑤제반사업계약체결
출 처 : 해외화력발전사업 업무절차서, 해외발전사업 운영
C. ①해외사업선정위원회→②해외사업리스크심의위원회→
관리 절차서
③이사회심의→④입찰서제출→⑤제반사업계약체결
소분류 : 해외사업 현황
D. ①해외사업리스크심의위원회→②해외사업선정위원회→
③입찰서제출→④이사회심의→⑤제반사업계약체결
65. 다음은 해외사업 재원조달을 위한 PF(Project Finance)
정 답 : B 난이도 : 상 관련 내용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해 설 : A. 프로젝트 현금흐름 및 자산을 담보로 한다.
해외입찰사업 단계별 주요업무절차 : 해외사업선정위 B. 자원개발, SOC, 인프라사업 등에 적용가능하다.
원회→해외사업리스크심의위원회→입찰서제출→이사 C. 모기업에 대한 소구권 행사가 제한된다.
회심의→제반사업계약체결 D. 계약관계가 간단하고 시간과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금융
출 처 : (2019년 문제은행)해외화력발전사업 업무절차서 방식이므로 대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소분류 : 해외사업 현황
정 답 : D 난이도 : 상
해 설 :
64. 다음중 해외사업 용어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PF(Project Fiance)는 사업주와 금융기관을 비롯하여 사업
A. 입찰사업 : 발전소의 설계, 건설, 운영 및 보수 등에 관한
소재국 정부, 건설업체, 원재료공급자, 구매자, 보험회사 등
발주처의 입찰 안내서에 따라 입찰자가 서면으로 가격을
이해당사자가 많다. 이들은 프로젝트에 대해 일정한 권리도
제시하고, 사업을 수주할 경우 현지법인 설립, 전기판매계
가지고 있지만 프로젝트 위험을 분담하여 그 의무를 분담하
약 등 제반 계약을 체결하고 수행하는 일련의 절차를 말
므로 그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이해
한다.
당사자의 권리와 의무, 이해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그
B. 기준수익률검증위원회 : 법률, 금융, 세무, 환율, 사업개발,
내용이 관련 계약서에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장기간의
기술 등 분야별 전문성을 보유한 본사 실무자로 구성하여, 사
협상과정이 필요하며 계약관계가 복잡해진다. PF는 소규모
업리스크 체크리스트에 의거 사업개발 담당부서의 기준수익률
프로젝트에는 부적합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금융
산출 내역을 검증하는 위원회를 말한다.
방식이다.
C. 해외사업리스크심의위원회 : 사업개발 담당부서에서 사
출 처 : 2018년 3직급 승진시험 기출문제
업타당성 기초분석을 실시한 사업에 대하여 사업내용,
소분류 : 해외사업 현황
예상 리스크 및 수익률, 수행인력 확보방안, 사업추진계
획, 소요예산 등을 면밀히 심의하여 사업선정여부를 결
66. 전력설비 전자파의 특성에 관한 다음 보기 중 옳은 것은?
정하는 위원회를 말한다.
A. 전계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며 나무와 건물과 같은 물체들
D. 현지법인 : 발전소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각 사업주
에 의해 쉽게 차폐된다.

- 26 -
공통
B. 자계는 전압에 의해 발생하며 대부분의 물체에 의해 쉽 국내기준은 국제비전리방사선보호위원회(ICNIRP)에서 1998
게 차폐되지 않는다. 년에 발표한 가이드라인을 준용하여 기준을 도입하였다. 반면,
C. 발생원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세기가 급속하게 ICNIRP에서는 2010년도에 개정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여 기
줄어든다. 존의 83.3µT에서 200µT로 상향 조정하였다.
D. 자계의 세기는 가우스(G)나 테슬라(T)로 측정되며 1mG = 구분 전계(kV/m) 자계(µT)
10µT 이다. 1998년 4.17 83.3
2010년 4.17 200
정 답 : C 난이도 : 중
따라서 국내 기준은 국제 가이드라인보다 더 강화된 기준을
해 설 :
전자파는 주파수에 따라 분류되는데 전력설비가 포함된 적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출 처 : 전력설비 전자파 이해
300Hz 이하의 극저주파, 방송·통신용 전파, 적외선, 가시광
소분류 : 전력설비 전자파의 이해
선, 자외선, X선, 감마선 등으로 분류된다.
송전선로, 배전선로, 변전소 등에서 발생되는 60Hz의 전자
68. 전력설비 전자파의 세계 각국의 기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파를 전력설비 전자파(또는 극저주파 전자계)라고 한다. 전자
않은 것은? (단, 일반인 기준)
계는 전계와 자계로 구성된 파동이다. 각각에 대한 특성은
아래와 같다. A. ICNIRP(2010) : 200µT
B. 미국 : 83.3µT
구분 전계 자계
C. 일본 : 200µT
발생원 전압에 의해 발생 전류에 의해 발생
D. 한국 : 83.3µT
가우스(G) 또는 테슬라(T)
측정단위 V/m 또는 kV/m
1mG = 0.1µT 정 답 : B 난이도 : 상
나무와 금속류와 같은 대부분의 물체에 의해
차폐 해 설 :
물체들에 의해 쉽게 차폐 쉽게 차폐되지 않는다.
자계기준을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1998년도
발생원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세기가 급
특성 ICNIRP의 권고치를 따라 기준을 정하고 있다. 유럽 일부
속하게 줄어든다.
국가에서 신설 설비의 경우 장기노출영향을 고려하여 ICNIRP
출 처 : 전력설비 전자파 이해
권고치보다 낮은 임의의 기준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세
소분류 : 전력설비 전자파의 이해
계보건기구에서도 장기노출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불명
확하기 때문에 자의적으로 낮은 노출 제한치를 적용하는 것은
67. 전력설비 전자파의 국내기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정당하지 않다고 밝혔다.(WHO Fact Sheet No.322
것은?
`07.06)
A.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전기설비기술기준 17조에 반영되어
구분 일반인 기준, 자계(µT) 비 고
있다
83.3 1998년 기준 (60Hz)
B. ICNIRP에서 1998년에 발표한 가이드라인을 준용하여 ICNIRP
200 2010년 개정 (60Hz)
도입하였다
미국(연방) 기준없음
C. 전계 기준은 3.5kV/m 이다
일본 200 ICNIRP준용 (`10년)
D. 자계 기준은 833µT 이다
한국 83.3 ICNIRP준용 (`98년)
정 답 : D 난이도 : 상 출 처 : 전력설비 전자파의 이해
해 설 : 소분류 : 전력설비 전자파의 이해
전력설비 전자파의 국내기준은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전기설비
기술기준 제17조에 반영되어 있다. 69. 전력설비 전자파에 대한 세계보건기구(WHO)의 연구결
전계(kV/m) 자계(µT) 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5 83.3 A. 54개국, 8개 국제기구가 1996년부터 2007년까지 공동
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 27 -
공통
B. 연구결과를 공식보고서(WHO Fact Sheet No.322)를 통 기 등이 포함된다.
해 발표하였다
정 답 : C 난이도 : 중
C. 국가별로 가능하면 낮은 노출 제한치를 적용해야 한다고 권
해 설 :
장하였다
[`19. 3월 기준]
D. 연구결과 낮은 수준의 극저주파 자계의 노출이 암으로 진
전된다는 생체 물리적 작용은 밝혀진바 없고, 소아백혈 그룹 사람에 대한 발암성 요인 (Agent)
병간의 인과관계 근거가 미약하다고 발표하였다 “사람에게 발암성이 있는
그룹”
1 (120종)
정 답 : C 난이도 : 상 “Carcinogenic to
등 술, 담배연기, 가공육,
해 설 : humans“
급 석면, 비소, 벤젠 등
(사람에 발암성 증거가
세계보건기구(WHO)는 1996년부터 2007년까지 전력설비 전
불충분한 경우)
자파(극저주파 전자계) 노출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일치된 기준
“사람에게 발암성을 추정
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는 8개 국제
가능한 그룹”
기구, 54개국이 참여하였으며, 우리나라는 1998년부터 연 (82종)
“Probably carcinogenic
구에 참여하였다. 붉은육, 튀김연기, 뜨거
A to humans”
운 음료(65℃ ), 아크
2007년 전자계와 인체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마무 (사람에 대한 발암성 증거가
릴, 석유 등
리하며 Fact Sheet N0.322를 발표하였다. 이 공식 보고서 제한적이나 동물 실험에서
(Fact Sheet)는 WHO 연구그룹의 연구결과에 기초한 것이 2 충분한 증거가 있는 경우)
며, 2002년에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와 2003년 등 “사람에게 발암성이 있을지도
급 모르는 그룹”
에 국제비전리방사선보호위원회(ICNIRP)에 의해 발간된 극저 (311종)
“Possibly carcinogenic to
주파 전자계의 인체 영향에 관한 검토내용을 반영하였다. 절임채소, 고사리, 디
humans”
연구결과 낮은 수준의 극저주파 자계의 노출이 암으로 진전된 B 젤연료
(사람에 대한 발암성 근거가
극저주파 자계, RF 전
다는 생체 물리적 작용은 밝혀진바 없고, 소아백혈병간의 인 제한적이고,
자파
과관계 근거가 미약하다고 발표하였다. 동물실험에서도 충분치
또한 “새로운 설비를 건설하고 가전제품을 포함한 새로운 않은 경우)
장비를 설계할 때, 저비용으로 노출 저감법의 적용을 고려 “사람에 대한 발암물질로 분류할
할 수 있다. 적합한 노출 저감 대책들은 국가마다 다를 수 수 없는 그룹”
(500종)
3 “Not classifiable as to its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자의적인 낮은 노출 제한치를 적용한 커피, 아크릴산, 염소
등 carcinogenicity to humans”
정책은 정당한 것이 아니다”라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처리 음용수, 형광, 극
급 (사람에 대한 발암성 근거가
출 처 : 전력설비 전자파의 이해 저주파 전계 등
불충분하고 동물실험에서도
소분류 : 전력설비 전자파의 이해 불충분·제한적인 경우)
□ “발암등급 2B“는 발암물질이 아니라, 사람에게 발암성
70. 국제암연구소(IARC)의 발암등급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 이 있을지도 모르는 물질로서, 절임채소(김치, 피클), 고
A. 극저주파 자계(ELF Magnetic Field)는 2B 등급으로 분 사리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물질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류되어 있다 □ 2018년 중앙암등록본부에서 발표한 `2016년 국가암등록통
B. 2B 등급은 사람에 대한 발암성 근거가 제한적이고, 동물실 계‘에 따르면 기대수명까지 생존 시 암 발생 확률은 남자
험 자료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로써 절임채소, 고사리, 38.3%, 여자 33.3% 이다
RF(Radio Frequency) 전자파 등이 포함된다. 출 처 : 전력설비 전자파의 이해
C. 극저주파 전계(ELF Electric Field)는 2A 등급으로 분류 소분류 : 전력설비 전자파의 이해
되어 있다
D. 2A 등급은 사람에 대한 발암성 근거가 제한적이나, 동물 71. 다음은 우리회사의 재무제표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실험에서 충분한 증거가 있는 경우로써 붉은육, 튀김연 A. 우리회사의 주 재무제표는 별도재무제표이다. 별도재무제

- 28 -
공통
표란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이 법적으로는 별개의 실체라 통폐합할 수 있다.
하더라도 경제적으로는 단일 실체로 보고, 지배기업의 출 처 : 공기업·준정부기관 회계기준 제2조(재무제표 등의
재무제표와 종속기업의 재무제표를 하나로 합친 재무제 작성원칙)
표를 말한다. 소분류 : 재무제표의 이해
B.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
변동표로 구성된다. 73. 다음은 재무제표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C.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계이고, 부채비율은 자본/부채 A. 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하며, 유동자산에
이다. 는 정상영업주기 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하는 자산이
D. 재무상태표는 일정시점의 재무상태를 나타내고, 포괄손 포함된다.
익계산서는 일정기간의 경영성과를 나타낸다. B. 현금흐름표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손익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으로 구분하
정 답 : D 난이도 : 상
여 표시한다.
해 설 :
C. 자본변동표는 납입자본, 이익잉여금(또는 결손금) 및 기
A. 우리회사의 주 재무제표는 연결재무제표이다. 연결재무제
타자본구성요소 등의 각 항목별로 기초잔액, 변동사항,
표란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이 법적으로는 별개의 실체라 하
기말잔액을 표시한다.
더라도 경제적으로는 단일 실체로 보고, 지배기업의 재무제
D.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이익잉여금의 처분사항을 명확
표와 종속기업의 재무제표를 하나로 합친 연결실체의 재무
히 보고하기 위하여 이월이익잉여금의 총변동사항을 주
제표를 말한다. 별도재무제표란 투자회사가 피투자회사(종속
석으로 공시하여야 한다.
회사 또는 관계회사)에 대한 투자지분을 원가법(또는 공정가
치법)으로 회계처리한 재무제표를 말한다. 정 답 : B 난이도 : 중
B.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 해 설 :
변동표 및 주석으로 구성된다. A. 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하며, 유동자산은
C.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계이고, 부채비율은 부채/자본 공기업·준정부기관이 정상영업주기 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
이다. 하거나 정상영업주기 내에 판매하거나 소비할 의도가 있는
출 처 : 2018년 결산서, 재무회계반 1권 1장 자산, 주로 단기매매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 보고기간 종료
소분류 : 재무제표의 이해 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하는 자산 및 현금
이나 현금성자산으로서 사용에 대한 제한 기간이 보고기간
72. 다음은 회계관련 규정 중 (연결)재무제표에 관한 설명이 종료일로부터 1년 이상이 아닌 자산을 말한다. 다만, 유동
다. 틀린 것은? 자산으로 분류한 금액 중 1년 이내에 실현되지 않을 금액은
A. 재무제표 또는 연결재무제표는 당해 회계연도 분과 직전 회계 주석으로 기재한다. (제41조 자산의 분류)
연도분을 비교하는 형식으로 작성한다. B. 현금흐름표 등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투자활동
B. 비교식으로 작성되는 양 회계연도의 재무제표 또는 연결재 으로 인한 현금흐름,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으로 구분
무제표는 계속성의 원칙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하여 표시하고, 이에 외화로 표시된 현금의 환율변동 효과
C. 계정과목은 중요성의 원칙에 따라 설정하고 명료성, 계속성, 와 기초의 현금을 가산하여 기말의 현금을 산출하는 형식으
비교가능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변경 로 표시한다. (제52조 현금흐름표 등의 구분표시)
할 수 없다. C. 공기업·준정부기관의 자본변동표 등은 납입자본, 이익잉
D. 재무제표 또는 연결재무제표의 과목은 별도의 과목으로 표 여금(또는 결손금) 및 기타자본구성요소 등의 각 항목별로
시하여야 하고 다른 과목과 신설, 통폐합할 수 없다. 기초잔액, 변동사항, 기말잔액을 표시한다. (제54조 자본변
동표 등의 구분)
정 답 : D 난이도 : 중
D.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이익잉여금의 처분사항을 명확
해 설 :
히 보고하기 위하여 이월이익잉여금의 총변동사항을 주석으
D. 재무제표 또는 연결재무제표의 과목은 해당항목의 중요
로 공시하여야 한다. 결손금처리계산서는 결손금의 처리사항
성에 따라 별도의 과목으로 표시하거나 다른 과목과 신설,

- 29 -
공통
을 명확히 보고하기 위하여 이월결손금의 총변동사항을 주 매출액 XXX
석으로 공시하여야 한다. (제57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의 매출원가 (XXX)
주석) 매출총이익 XXX
출 처 : 공기업·준정부기관 회계기준 판매비와관리비 (XXX)
소분류 : 재무제표의 이해 영업이익 XXX
74. 다음은 손익계산서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기타수익 XXX
A. 매출액은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제품, 상품, 기타비용 (XXX)
용역 등의 총매출액에서 매출할인, 매출환입, 매출에누리 기타이익(손실) XXX
등을 차감한 금액이며, 해외사업수익과 공사부담금수익 금융수익 XXX
은 매출액에 포함된다. 금융원가 (XXX)
B. 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산출한다. 종속기업,관계기업및공동기업투자지분
XXX
C. 영업이익은 매출총이익에서 판매비와관리비를 차감하여 산 관련손익
출하므로, 영업비용에는 매출원가와 판매비와관리비가 포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XXX
함된다. 법인세비용 (XXX)
D. 총포괄이익은 당기순이익과 기타포괄이익을 합산한 후 법 당기순이익 XXX
인세비용을 차감하여 산출한다. 기타포괄이익 XXX
총포괄이익 XXX
정 답 : D 난이도 : 상 주당이익 XXX
해 설 : ①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A. 매출액은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제품, 상품, ② 영업이익
용역 등의 총매출액에서 매출할인, 매출환입, 매출에누리 등을 =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관리비
차감한 금액이다. 차감 대상 금액이 중요한 경우에는 총매출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비와관리비)
액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하거나 주석으로 기재한다. = 매출액 - 영업비용
- 전기판매수익 ③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기타전기매출(송배전망수익, 공급잡익) = 영업이익 + 기타수익 – 기타비용 + 기타이익(손실)
- 해외사업수익 + 금융수익 – 금융원가 + 종속기업,관계기업및공동기
- 공사부담금수익 업투자지분 관련손익
B. C. D. ④ 당기순이익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법인세비용
○ (별도)손익계산서 체계 ⑤ 총포괄이익 = 당기순이익 + 기타포괄이익

→ 총포괄이익은 당기순이익과 기타포괄이익을 합산하여


산출한다.
출 처 : 2018년 결산서, 재무회계반 1권 1장
소분류 : 재무제표의 이해

75. 다음은 재무제표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A. 자산이란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고, 미
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을 말한다.
B. 부채란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현재 기업실체가
부담하고 그 이행에 자원의 유입이 예상되는 권리를 말
한다.

- 30 -
공통
C. 자본이란 기업의 경영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채
권자들이 제공하는 자금으로서, 기업의 자산에서 부채를 제1장 총칙
차감한 잔여지분(순자산)을 의미한다. 제1조(목적) 이 규정은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D. 자본은 납입자본, 이익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로 구성 및「전기사업법」에 따른 전기설비의 공사․유지 및
된다. 운용에 관한 안전관리업무와 「산업안전보건법(이
하 “법”이라 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이
정 답 : D 난이도 : 상
하 “영”이라 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해 설 :
(이하 “규칙”이라 한다)」등 관련 법령에 따라 안
A. 자산이란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고, 미
전보건관리업무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산업재해
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을
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근
말한다.
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증진함을 목적으로 한
B. 부채란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현재 기업실체가
다. <개정 2012.4.5, 2018.2.20>
부담하고 그 이행에 자원의 유출이 예상되는 의무를 말하
제2조(정의) 이 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
며, 미래에 특정 실체가 다른 실체에게 자산을 이전하거나
음과 같다.
용역을 제공해야 할 현재의 의무로부터 발생하는 미래의 경
1. 전기설비 <개정 2012.4.5>
제적 효익의 희생이다.
「전기사업법」제2조제16호의 규정에 따른 전기
C. D. 자본이란 기업의 경영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설비 중 송전․변전․배전 또는 전기사용을 위하여
소유자들이 제공하는 자금으로서, 기업의 자산에서 부채를
설치하는 설비와 이에 관련된 모든 설비를 말한
차감한 잔여지분(순자산)을 의미한다. 자본은 납입자본, 이익
다.
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로 구성된다.
2. 설비안전
- 납입자본 :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등
전기설비의 공사․유지 및 운용에 대한 안전성을
- 이익잉여금 : 이익준비금, 임의적립금, 미처분이익잉여
확보․유지․증진하기 위한 각종 활동 및 일련의 행
금 등
위로 설비를 안전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
- 기타자본구성요소 : 기타자본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
다.
계액, 기타자본 등
3. 안전점검
출 처 : 2018년 결산서, 재무회계반 1권 1장
경험과 기술을 갖춘 자가 육안 또는 점검기구 등
소분류 : 재무제표의 이해
에 의하여 전기설비의 성능이나 기능에 대한 안
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기설비 또는 주위환경
76. 전기안전보건관리규정에 대한 내용 중 맞는 것은?
에 대한 위험요인을 조사하는 행위를 말한다.
A. 안전관리자는 전기설비의 공사․유지 및 운용에 관한 안
4. 안전진단
전관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기사업법」제73조에
관련법령에 의한 진단기관으로 등록된 기관의 전
따라 선임된 자를 말한다.
문인력이 계측기, 장비 등을 이용하여 전기설비
B. 공사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사장이며, 처(실) 및 사업소
의 안전성 및 결함의 원인 등을 조사․측정․평가하
의 경우 처(실)장 또는 사업소장이다.
고 보수․보강 등의 방법을 제시 하는 것을 말한
C. 안전사고는 인명손상의 정도에 따라 사망, 중상(14일 이
다.
상 휴업 또는 입원을 요하는 부상), 경상(1일 이상 13일
5. 안전관리부서 <개정 2012.4.5, 2014.4.11,
이내의 휴업 또는 입원을 요하는 부상)으로 분류한다.
2016.8.26, 2018.2.20>
D. 언로보도 등을 통하여 사회적 물의를 일의킬 우려가 있
본사 또는 사업소에서 산업안전관리 및 재난관리
는 사고의 경우 본사 안전관리부서에서 사장에게 보고를
업무를 총괄하는 부서로서 직제규정에 따라 안전
한다.
관리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를 말한다.

정 답 : C 난이도 : 중 6. 설비주관부서 <신설 2012.4.5>


해 설 : 본사 또는 사업소에서 송배전 설비 등 전력설비 및

- 31 -
공통
부대설비 등의 건설 또는 운영을 담당하는 부서를 2인 이상 발생한 재해
말한다. 다. 부상자 및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인 이
7. 전기안전관리자․전기안전관리보조원 <개정 상 발생한 재해
2018.4.5> 15. 안전사고 <개정 2016.8.26>
전기설비의 공사․유지 및 운용에 관한 안전관리 제13호의 업무상 재해(질병으로 인한 사망 또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기사업법」제73조 질병에 이환되는 경우 제외)와 공사에서 발주한
에 따라 선임된 자를 말한다. 공사의 수행 중 그 업무로 인하여 발생한 도급공
8. 근로자 사자의 부상 및 사망사고, 또는 공사의 각종 설
「근로기준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임직원, 별 비 및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발생한 외부인의 부
정직 및 기타 직원을 말한다. 상 및 사망사고를 말한다.
9. 관리감독자 <개정 2012.4.5> 16. 안전관리자 <신설 2018.2.20>
직제규정에 따라 당해 업무와 소속직원을 직접 법 제15조에 따라 사업장내 안전에 관한 기술적
지휘․감독하는 부서의 장이나 그 직위를 담당하 인 사항에 관하여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
는 자로서, 영 제10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안전․ 고 관리감독자에게 조언·지도하는 업무를 수행하
보건점검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자를 말한다. 는 자를 말하며, 영 제14조에 따라 전기안전관리
10. 재난 자가 그 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태풍ㆍ홍수ㆍ호우ㆍ강풍ㆍ풍랑․해일ㆍ대설ㆍ가뭄 제3장 산업안전보건분야
ㆍ지진ㆍ황사ㆍ적조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자연현 제1절 안전보건관리체계
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나 화재․붕괴․폭발․화 제25조(안전보건관리책임자) ①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생방․환경오염사고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 는 다음 각호와 같다.
해를 줄 수 있는 사고로서 회사 내부적으로 수습 1. 공사안전보건관리책임자 : 안전보건관리담당 본
이 불가능한 것을 말한다. 부장
11. 설비고장 2. 처(실) 및 사업소 안전보건관리책임자 : 처(실)
전기설비중 주설비나 부속설비의 이상 상태로 주 장 또는 사업소장
설비 기능이 정지된 것을 말하며, 설비사고로 확 ②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다음 각호의 업무를 총
산되지 아니한 것을 포함한다. 괄 관리한다.
12. 설비사고 1. 법 제13조제1항 각호에 정한 업무 <개정
전기설비의 화재, 폭발, 붕괴, 가스․유류의 유출 2012.4.5>
및 분출 등으로 전력공급에 지장을 주는 재산상 2. 안전보건관리직 종사자의 지휘․감독
의 손상 또는 인명피해가 발생되거나, 타설비의 3. 기타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
손상을 유발시킨 사고로 회사 내부적으로 수습이 제3절 안전사고 보고 및 조사 <개정 2012.4.5>
가능한 것을 말한다. 제44조(안전사고의 분류) ① 안전사고는 그 발생유
13. 업무상 재해 형에 따라 감전사고(전기아크로 인한 화상재해 포
근로자가 업무수행상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 함), 비감전사고 및 교통사고로 분류한다.
료․전기․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기타 ② 안전사고는 인명손상의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이 분류한다.
이환되는 것을 말한다. 1. 사망
14. 중대재해 <개정 2012.4.5> 2. 중상 : 14일 이상 휴업 또는 입원을 요하는 부
업무상재해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 상
는 것을 말한다. 3. 경상 : 1일 이상 13일 이내의 휴업 또는 입원
가. 사망자가 1인 이상 발생한 재해 을 요하는 부상
나. 3월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가 동시에 4. 삭제 <2012.4.5>

- 32 -
공통
③ 안전사고는 그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산업부
해당 지방고용
국민안전 해당 본부장 필요 사장 필요
한다. 처 시 시
본부장 노동관서

1. 재해자 과실
2. 제3자 과실 설비주관부
안전관리부서

(본 사)
3. 전기설비 불량 (본 사)
4. 천재지변
(전력설비로 인한 사
5. 기타 고)
제45조(안전사고의 보고) ① 안전사고는 안전사고 (직원
1차사업소장
즉보와 안전사고 상보로 구분하여 보고하여야 한 중대재해)

다. <개정 2010.9.6, 2016.8.26>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 1차 사업소장은 안전사
고 인지 즉시 사장 및 본사 안전관리부서장에게 (일과시간후 또는 휴일)
지방고
보고하여야 한다.(제46조 별도시행) <개정
산업부 해당 해당 용
필요 사장 필요
2010.9.6, 2016.8.26> 국민안전처 본부장 본부장 노동관
시 시

1. 직원의 사고로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경우
<개정 2017.4.10> 당직(상황) 확인 안전관리부 설비주관부
실 서 서
가. 사망 또는 감전·추락에 의한 중상사고 (본 사) (본 사) (본 사)
나. 후유장해를 수반하는 중상사고
(전력설비로 인
2. 도급자 또는 일반인의 중대재해 <개정 한
2010.9.6, 2017.4.10> 안전사고)
당직(상황) 확인 (직원
3. 언론보도 등을 통하여 사회적 물의를 일의킬 실 중대재해
1차사업소장
(1차사업소 )
우려가 있는 사고 <신설 2017.4.10> )
② 전력설비로 인한 안전사고는 본사 안전관리부
○ 기타사고 <개정 2017.4.10>
서장 및 설비주관부서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일과시간중)
<신설 2010.9.6, 2016.8.26>
③ 일과시간후 또는 휴일에 발생한 사고는 당직계 해당 본부장 해당 본부장
통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신설 2016.8.26> ↑ 필요시 ↑ 필요시
④ 안전사고 보고체계는 별표 8에 따른다.<신설 안전관리부서 설비주관부서

2012.4.5> (본 사) (본 사)
[별표 8] <신설 2012.4.5, 2014.4.11, 2016.8.26,
↑(전력설
개정 2017.4.10> ↑
비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시 보고체계 (제45조제4항 관
사고)
련) 안전관리부서 설비주관부서

(1차사업소) (1차사업소)
○ 제45조 ①의 1∼3호에 의한 사고 <개정 (일과시간후 또는 휴일)
2017.4.10>
(일과시간중)

- 33 -
공통
○ 기계ㆍ기구의 위험성 및 안전작업방법에 관
해당 본부장 해당 본부장
한사항

필요시 필요시 ○ 근로자 건강증진 및 산업보건에 관한 사항


○ 물질안전보건 자료에 관한 사항
안전관리부서 확인 당직(상황)실 설비주관부서
(본 사)
확인
(본 사)
○ 기타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본 사) (전력설비로
인한 사고)
6.1.2 근로자 정기교육
당직(상황)실 가. 대 상 : 전 직원
(1차사업소)
나. 시 기 : 매월 안전 점검의 날 시행 원칙
출 처 : 전기안전보건관리규정 제1장, 제3장, [별표 다. 강 사 : 안전관리자, 관리감독자, 기타 사업
8] 소장이 지명하는 자
소분류 : 전기안전보건관리규정 라. 시 간 : 매분기 6시간 이상(사무직은 매분
기 3시간 이상)
77.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마. 내 용
A. 안전관리자 또는 관리감독자는 신규채용시 8시간 ○ 산업안전보건법령에 관한 사항
(일용근로자 1시간), 작업변경시 2시간(일용근로 ○ 작업공정의 유해ㆍ위험에 관한 사항
자 1시간)의 교육을 시행하여야 한다. ○ 표준안전작업 방법에 관한 사항
B. 근로자 정기교육은 매분기 6시간 이상(사무직은 ○ 보호구 및 안전장구 취급과 사용에 관한 사
매분기 3시간 이상) 안전관리자, 관리감독자, 기 항
타 사업소장이 지명하는 자가 시행한다. ○ 안전사고 사례 및 산업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C. 관리감독자의 경우 연간 16시간 이상 교육을 이수 사항
하여야 한다. ○ 근로자건강증진 및 산업보건에 관한 사항
D.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경우 신규교육 시 6시간이상 ○ 제품 및 원재료의 취급방법에 관한 사항
교육을 받아야 하며, 선임된 후 1개월 이내에 이수 ○ 안전보건표지에 관한 사항
하여야 한다. ○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 기타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정 답 : D 난이도 : 상
6.1.3 관리감독자 교육
해 설 :
가. 대 상 : 관리감독자
6. 절 차
나. 시 기 : 매월 정기 실시 또는 전문교육기관
6.1 기본교육
위탁 교육
6.1.1 채용시 및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
다. 강 사 : 안전관리자, 교육기관
가. 대 상 : 신입사원, 파견직원, 협력업체, 일용근
라. 시 간 : 연간 16시간 이상
로자
마. 내용
나. 시 기 : 최초작업 배치전, 작업내용 변경시
○ 산업안전보건법령에 관한 사항
다. 강 사 : 안전관리자, 관리감독자
○ 작업안전지도요령에 관한 사항
라. 시 간
○ 기계ㆍ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보건점검에 관
구 분 직 원 일용근로자 한 사항
신규채용시 8Hr 이상 1Hr 이상 ○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 사항
작업변경시 2Hr 이상 1Hr 이상 ○ 근로자의 건강증진 및 산업보건에 관한 사
마. 내 용 항
○ 산업안전보건법령에 관한 사항 ○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 당해설비ㆍ기계 및 기구의 안전점검에 관한 ○ 기타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사항 6.1.4 특별 안전보건교육

- 34 -
공통
가. 대 상 : 유해위험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나. 내부심사원 양성교육
(부록 7.1 특별 안전보건교육 대상작업별 교육내용 ○ 대 상 : 안전담당(차장 또는 직원) / 가용
참조) 예산 범위내 선별
나. 시 기 : 작업배치전 ○ 강 사 : 전문 교육기관 강사
다. 강 사 : 관리감독자 ○ 시 간 : 교육기관 배정시간
라. 교육대상별 교육시간 ○ 내 용 : 교육기관 지정내용
교육대상 교육시간 ※ 단, 인증심사원 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전문
부록 7.1 특별 안전보건교 교육기관의 시간 및 내용을 참조 자체교육
육 대상작업에 종사하는 2시간 이상 가능
일용근로자 6.3.2 안전관리 전문가 과정
- 16시간 이상(최초 작업 가. 안전관리 부장반 : 안전보건경영 주관부서
에 종사하기 전 4시간 이 의 교육계획에 의거 인재개발원 교육과정
부록 7.1 특별 안전보건교 상 실시하고 12시간은 3
편성
육 대상작업에 종사하는 개월 이내에서 분할하여
○ 대 상 : 안전담당 부서장(부장급 이상)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 실시가능)
자 - 단기간 작업 또는 간헐 ○ 강 사 : 사내 전문가
적 작업인 경우에는 2시 나. 안전관리 담당반 : 안전보건경영 주관부서
간 이상 의 교육계획에 의거 인재개발원 교육과정
마. 내 용 : 당해작업과 관련된 위험요인 및 대 편성
처요령 ○ 대 상 : 안전담당자(차장 또는 직원)
6.2 안전보건관련 선임자에 대한 교육 ○ 강 사 : 사내 전문가
6.2.1 대상자 :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 6.4 현장교육
건관리자 등 6.4.1 대 상 : 분야별 현장작업자
6.2.2 대상자 별 교육시간 6.4.2 시 기 : 현장 작업 시작 전
6.4.3 강 사 : 작업책임자 또는 시공관리책임자
교육시간
교육 대상 6.4.4 시 간 : 5분 이상
신규교육 보수교육
6.4.5 내 용 : 당해작업 개요 및 절차, 작업관련 위험
가. 안전보건관리책임자 6시간 이상 6시간 이상
나. 안전관리자 34시간 이상 24시간 이상 요인 및 대처요령 등
다. 보건관리자 34시간 이상 24시간 이상 6.5 교안의 활용

6.2.3 교육시기 6.5.1 교육교재의 활용


가. 신규교육 : 선임된 후 3개월 이내 교육교재의 과정별 교육내용을 참조하여 필요한
나. 보수교육 : 선임된 다음연도부터 매 2년째 내용을 교안으로 활용한다

되는 해마다 6.5.2 전산프로그램 활용


6.2.4 교육장소 : 고용노동부가 인정하는 전문교육기 사내 전산망 또는 안전전문기관의 안전관리 과정
관 별 안전교육 자료를 다운받아 필요한 내용을 편집하여

6.3 전문가 양성교육 활용한다.


6.3.1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영 과정 출 처 : 전기안전보건관리규정 제55조, 안전보건경
가. 인증심사원 양성교육 영절차서 제5장 안전보건 교육훈련

○ 대 상 : 안전담당(차장 또는 직원) / 가용 소분류 : 전기안전보건관리규정


예산 범위내 선별
○ 강 사 : 전문 교육기관 강사 78. 산업안전보건윈원회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 시 간 : 교육기관 배정시간 A. 사용자위원은 사업소장,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를


○ 내 용 : 교육기관 지정내용 포함한 10인 이내의 부서장으로 구성하여 사업소

- 35 -
공통
장이 지명한 자로 한다. 7.2 위원회
B.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노사협의회와 시행 시 갈음 7.2.1 위원회 구성
할 수 있다 가. 위원장 :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위원장은 위
C. 위원회는 매 분기마다 정기회의를 개최하고 회의 원 중에서 호선(互選)하며, 근로자 위원과 사
개최 7일 전까지 각 위원에게 통보하며 필요하다 용자 위원 중에서 위원장을 선출할 수 있다.
고 인정될 때에는 임시회의를 개최할 수 있다. 나. 위 원
D. 위원장은 위원회에서 심의․의결․결정된 사항을 사 ○ 사용자위원 : 사업소장, 안전관리자, 보건관리
내방송․사내보․게시․조회․유인물 등의 방법으로 전 자를 포함한 10인 이내의 부서장으로 구성 하
체근로자에게 신속히 알려야 한다. 여 사업소장이 지명한 자로 한다.
○ 근로자위원 : 노조위원장을 포함한 10인 이
정 답 : B 난이도 : 상
내의 위원으로 구성하며 노조 위원장이 지명
해 설 :
한 자로 한다.
【 부록 6.1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편람
다. 간 사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편람
○ 위원장은 위원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근
1. 목 적
로자 위원 및 사용자 위원 중 각 1명의 간사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에 대한 절차를 보다 명확
를 지명할 수 있다.
히 하여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라.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노사협의회와 별도로
체계를 정립하고 그 효과성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설치·운영한다
2. 적 용
7.3 위원회 운영
본사 및 사업소의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에 대하
7.3.1 회의
여 적용한다.
가. 위원회는 매 분기마다 정기회의를 개최하고
3. 지 침
회의개최 7일 전까지 각 위원에게 통보하며
3.1 위원회는 노․사 동수로 각 10인 이내로 구성한다.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임시회의를 개최할
3.2 위원회 운영은 분기 1회 시행함을 원칙으로 한다.
수 있다.
4. 책임 및 권한
나. “가”항의 규정에 의한 임시회의 개최 사유는
4.1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위원회에서 따로 정할 수 있다.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소집 및 회의주관
7.3.2 심의사항
4.2 본사안전보건경영주관부서장, 사업소 안전보건
가. 산업재해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대책수립에 관
경영담당부서장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소집 통보 및 회
한 사항
의준비 및 간사역할 수행
나. 안전․보건에 관련되는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
5. 용어의 정의
입 시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5.1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다. 공정안전보고서 작성에 관한 사항
안전보건관리책임자(사업소장)의 안전보건관리업
라. 안전보건개선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무를 심의 또는 의결하기 위하여 노․사 동수로 구성
마. 기타 근로자의 유해․위험예방조치에 관한 사
된 위원회

6. 참고자료
7.3.3 의결사항
6.1 산업안전보건법
가. 산업재해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7.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기준
나. 전기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그 변경에 관
7.1 신의성실의 의무
한 사항
노․사는 상호 신의를 바탕으로 성실하게 위원회 운
다.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영에 참여하여야 하며, 위원회에서 심의․의결․결정
라.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된 사항에 대하여는 상호 성실히 이행하여야 한다.
관한 사항

- 36 -
공통
마.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다.
바. 중대재해의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대책의 수 다. 위원회의 회의참석을 확인하기 위하여 참석
립에 관한 사항 위원은 반드시 회의록에 서명날인 하여야 한
사. 산업재해통계의 기록․유지에 관한 사항 다.
아. 안전관리자․보건관리자의 수, 자격, 직무, 권 7.3.8 위원 호칭
한 등에 관한 사항 위원회 회의개최 시 근로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7.3.4 결정사항 상호 ○○○위원으로 호칭하여 인격을 존중함으
위원회는 당해 사업장의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로써 위원회의 원만한 운영에 적극 협조하여야
유지․증진시키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 한다.
우에는 당해 사업장의 안전․보건에 관한 사항을 7.3.9 의안토의 등
정할 수 있다. 가. 위원장은 모든 위원이 의안을 완전히 이해할
7.3.5 의안수집 등 수 있도록 설명하고 충분한 토의를 거친 후에
가. 위원회 위원은 근로자들에게 의안제출을 적 심의․의결 또는 결정토록 회의진행을 하여야
극 권장하고, 평소 적극적인 의안수집 활동 한다.
등을 전개함으로써 전체 근로자의 의사를 집 나. 위원회의 심의․의결․결정사항은 법, 단체협약,
약․토의하도록 하여야 한다. 취업규칙 및 사업장전기안전보건관리규정에
나. 위원회 위원은 근로자들이 평소 용이하게 식 반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별할 수 있도록 위원임을 알 수 있는 표지가 다. 당연직 사용자위원인 안전관리자, 보건관리
부착된 안전모 등을 착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자는 위원회에 참석하여 다음 각호의 사업장
7.3.6 회의소집 안전․보건에 관한 사항과 의견을 진술하여야
가. 회의는 위원장이 소집하며, 회의개최 7일전에 한다.
개최일시, 장소 및 의제 등을 각 위원이 알 ○ 산업재해발생의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를 위
수 있도록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긴급한 경 한 기술적인 지도․조언
우의 임시회의 소집은 그러하지 아니한다. ○ 직업병 또는 직업병 유소견자 발생 시 원인조
나. 위원장은 “가”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근로자 사 및 대책수립
대표가 회의의 목적사항을 문서로 명시 하여 ○ 위험기계․기구에 대한 자체검사 결과 등에 대
회의의 소집을 요구한 때에는 이에 응하여야 한 의견
한다. ○ 건강진단결과 발견된 질병자의 요양지도 및 관
다. 위원이 “가”항 규정에 의한 의제를 추가하고 리방법
자 할 때에는 회의개최 2일전까지 위원장에 ○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또는 비치사항
게 문서로 제출하여야 한다. ○ 전기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 중 안전․
7.3.7 회의불참 방지 보건에 관한 사항을 위반한 근로자에 대한 조
가. 각 위원은 위원회에 불참하는 사례가 없도록 치 건의
최선의 노력을 하여야 하며 사업주, 근로자 ○ 기타 사업장 안전․보건에 관한 사항
대표,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가 회의에 출석 7.3.10 회의결과 등의 주지 및 이행여부 확인
하지 못할 경우에는 당해 사업장 소속의 그 가. 위원장은 위원회에서 심의․의결․결정된 사항
직위에 상응하는 자에게 위원의 임무를 서면 을 사내방송․사내보․게시․조회, 유인물 등의
으로 위임하여 위원으로서의 직무를 대리하게 방법으로 전체근로자에게 신속히 알려야 한
할 수 있다. 다.
나. 위원회 회의 개최시 불참위원이 있을 경우 위 나. 위원장은 심의․의결․결정사항 이행여부 등 추
원장은 그 불참 사유를 각 위원들에게 명확히 진상황을 반드시 차기회의에 보고토록 하여
설명하고, 불참방지를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 야 하며, 그 내용을 회의록에 기록하여 이행

- 37 -
공통
상태를 계속 확인 점검하여야 한다. 가한다.
7.3.11 성립 및 의결 8.4.2 편람에 대한 유효성 평가결과 제․개정 필요시 담
회의는 사용자위원과 근로자위원 각 과반수의 당자를 지정하여 제․개정을 추진한다.
출석으로 성립하며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8.4.3 담당자는 편람의 제․개정(안)을 작성하여 산업안
의결한다. 전보건위원회 안건으로 상정한다.
7.3.12 회의록 작성 및 보존 9. 부 록
가. 위원회의 간사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기록한 9.1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절차도
회의록을 작성하여야 한다. 출 처 : 전기안전보건관리규정 제29조, 안전보건경
○ 개최일시 및 장소 영절차서[부록 6.1]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
○ 출석위원 영 편람
○ 심의․의결․결정사항 소분류 : 전기안전보건관리규정
○ 기타 토의사항
나. 회의록은 출석위원 전원이 서명 날인하여야 79. 위험성 평가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하며, 작성일로부터 3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A. 모든 활동에 대한 위험성평가 업무는 안전관리부
7.4 보 칙 서에서 시행함을 원칙으로 하며, 주요 작업공정에
7.4.1 위원의 직무향상 대한 정기 위험성평가는 본사 안전보건관리부서에
사업소장은 사업장 안전․보건에 관한 전문성을 제 서 주관하여 시행할 수 있다.
고하고 위원회 운영의 활성화를 위하여 근로자위 B. 위험성이란 유해․위험요인이 부상 또는 질병으로
원 및 사용자 위원에 대하여 한국산업안전보건공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단에서 실시하는 직무교육을 이수하도록 지도․권 조합한 것
고하여야 한다. C. 위험성평가란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
7.4.2 보 칙 해․위험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가능성
이 편람에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산업안전보건 (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추정․결정하고 감소대책
법, 동법 시행령 및 동법 시행규칙이 정하는 바에 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
따른다. D. 지속적 개선은 안전보건경영활동 성과를 분석․평
8. 절 차 가하고 그 평가결과를 차기 안전보건경영활동에
8.1 위원회 소집통보 반영하여 성과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반복과
8.1.1 안전전보건경영주관(담당) 부서장은 위원회 정(Plan→Do→Check→Action)
상정안건, 개최일자, 장소 등을 위원들과 협의
정 답 : A 난이도 : 중
한다.
해 설 :
8.1.2 사용자 위원과 근로자 위원에게 위원회 개최
제3장. 위험성 파악 및 평가
를 통보한다.
1. 1. 목 적
8.2 위원회 개최
조직이 적용 및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안전보건
8.2.1 안전보건경영주관(담당)부서장은 노․사 양측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소(활동, 제품 및 서
위원에게 안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스)에 대한 사전파악 및 평가실시로 관리기준을 결
8.2.2 안건에 대하여 심의 및 의결을 주문한다.
정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위험수준 감소 및 위험
8.3 심의 및 의결
성이 사고로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함을 목
8.3.1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위원은 상정된 안건에 대
적으로 한다.
하여 심의 및 의결한다.
2. 2. 적용범위
8.4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편람의 제․개정
조직의 전 부문에 대한 안전․보건 위험요소 파악
8.4.1 안전보건경영주관부서장은 산업안전보건위원
및 평가에 관한 책임과 권한, 절차에 대하여 적용한
회 운영 편람에 대한 유효성을 주기적으로 평

- 38 -
공통
다. 유해·위험요인이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3. 지 침 있는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조합한 것
3.1 위험성평가 업무는 이 절차서에 따라 수행하여야 5.5 위험성평가 (Risk Assessment)
한다.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위험요인에 의
3.2 모든 활동에 대한 위험성평가 업무는 부서별로 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가능성(빈도)과 중대성
시행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주요 작업공정에 (강도)을 추정·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실행
대한 정기 위험성평가는 본사 안전보건관리부서 하는 일련의 과정
에서 주관하여 시행할 수 있다. 5.6 허용 가능한 위험성 (Acceptable Risk)
4. 책임과 권한 법적 의무와 안전보건방침을 고려하여 허용할 수
4.1 본사 안전보건관리부서 있는 수준의 위험성.
4.1.1 위험성평가 관련 법규 및 요구사항 파악·관리 5.7 주요 작업공정
4.1.2 위험성평가 절차서 제·개정 작업절차도, 위험요인 및 핵심체크 포인트를 위
4.1.3 주요 작업공정에 대한 정기 위험성평가 주관 험성 Check List로 사전에 정의하여 관리하는
(계획수립 및 평가 등) 공정
4.1.4 주요 작업공정 위험성평가 결과 중대한 위험공 5.8 중대재해
정 판단 및 개선계획 수립 사망자 1인 이상, 3개월 이상 부상자 동시 2인
4.1.5 중대재해 발생 공정에 대한 위험성평가, 개선대 이상 발생,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
책 수립 및 시행 에 10인 이상 발생한 재해
4.2 사업소 안전보건관리부서 5.9 4M 위험성평가
4.2.1 주요 작업공정에 대한 정기 위험성평가, 개선대 공정(작업) 내 잠재하고 있는 위험요인을
책 수립 및 시행 Machine(기계적), Media(물질ㆍ환경적), Man(인
4.2.2 재해발생 공정에 대한 수시 위험성평가, 개선대 적), Management(관리적) 등 4가지 분야로 위험
책 수립 및 시행 성을 파악하여 위험제거 대책을 제시하는 방법을
4.3 본사 및 사업소 기타 부서 말한다.
4.3.1 주요 작업공정에 대한 작업전 위험성평가 5.10 지속적 개선 (Continual Improvement)
4.3.2 주요 작업공정 외 기타사항에 대한 정기 위험 안전보건경영활동 성과를 분석․평가하고 그 평가
성평가 및 대책 실행 결과를 차기 안전보건경영활동에 반영하여 성과
4.3.3 신공법(기술) 등 기타 사항의 도입 및 변경 발 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반복과정(Plan→Do→
생시 수시 위험성평가 Check→Action)
5. 용어의 정의 6. 위험성평가 방법
5.1 위험 (Danger) 6.1 위험성평가 실시 시기
위험요인(Hazards)에 노출되어 부상, 건강상 장 6.1.1 위험성평가는 정기 위험성평가, 수시 위험성평
애 등을 발생시킬 잠재력이 있는 상황, 요인 또 가로 구분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는 행동 6.1.2 정기 위험성평가는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5.2 위험요소 (Hazards) 이 경우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인적피해, 물적 손실을 일으키는 근원적인 잠재요 가. 기계・기구, 설비 등의 기간 경과에 의한 성능
인(요소) 또는 이들 요인(요소)이 혼재된 상태 저하
5.3 위험파악 (Hazard identification) 나. 근로자의 교체 등에 수반하는 안전・보건과
인적피해 및 재산손실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요 관련되는 지식 또는 경험의 변화
인을 가진 물리․화학적 제 요인을 확인(도출, 파 다. 안전・보건과 관련되는 새로운 지식의 습득
악)하는 것 라 현재 수립되어 있는 위험성 감소대책의 유효
5.4 위험성 (Risk) 성 등

- 39 -
공통
6.1.3 수시 위험성평가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부의 결정→위험성 감소대책의 수립 및 실행→위
해당하는 계획이 있는 경우에는 각 호의 계획 험성평가 실시내용 및 결과에 관한 기록 순으로
을 대상으로 해당 계획의 실행을 착수하기 전 진행된다.
에 실시하고, 계획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는 해 B. 유해․위험요인 파악방법은 사업장 순회점검에 의한
당 작업을 대상으로 작업을 개시하기 전에 실 방법, 청취조사에 의한 방법, 안전보건 자료에 의
시하여야 한다. 한 방법, 안전보건 체크리스트에 의한 방법, 그 밖
다만, 작업을 재개하기 전에 실시하여야 한다. 에 사업장의 특성에 적합한 방법이 있다.
가. 사업장 건설물의 설치・이전・변경 또는 해체 C. 위험성 추정 및 평가는 발생빈도(가능성) 등급 단
나. 기계・기구, 설비, 원재료 등의 신규 도입 또는 계 5단계, 피해강도(중대성)단계 4단계로 평가하
변경 며, 발생빈도와 피해강도 평가 결과를 기준으로
다. 건설물, 기계・기구, 설비 등의 정비 또는 보 위험성(위험도) 수준을 평가한다.
수 D. 위험성(위험도) 수준이 18단계인 경우 E등급으로
라. 작업방법 또는 작업절차의 신규 도입 또는 분류되며, 중대한 위험에 해당되어 즉시 작업을
변경 중단(작업을 지속하려면 즉시 개선을 실행해야 하
마. 산업재해 발생시 는 위험)해야 한다.
바. 그 밖에 사업주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정 답 : D 난이도 : 상
6.2 위험성평가 주체
해 설 :
6.2.1 주요 작업공정에 대한 정기 위험성평가는 본사
7. 위험성평가 절차
안전보건관리부서에서 주관하여 시행한 후 위
7.1 위험성평가는 다음의 체계도에 따라 실시한다.
험성평가 결과를 사업소에 배부하면 사업소 안
전보건관리 부서는 사업소 자체 여건을 반영하
여 정기 위험성평가를 시행한다.
6.2.2 재해발생 공정에 대한 수시 위험성평가는 사업
소 안전보건관리부서에서 시행한다. 단, 중대재
해의 경우는 본사 안전관리부서와 공동으로 시
행할 수 있다.
6.2.3 다음의 경우는 본사 및 기타 부서에서 시행한
다.
가. 주요작업 공정에 대한 작업전 위험성평가
나. 주요 작업공정 외 기타사항에 대한 위험성 7.1.1 평가대상의 선정 등 사전준비
평가 7.1.2 근로자의 작업과 관계되는 유해・위험요인의 파
다. 신공법(기술) 등 기타 사항의 도입 및 변경 악
발생시 수시 위험성평가 7.1.3 파악된 유해・위험요인별 위험성의 추정 및 평
출 처 : 안전보건경영절차서 제3장. 위험성 파악 및 가
평가 7.1.4 추정한 위험성이 허용 가능한 위험성인지 여부의
소분류 : 전기안전보건관리규정 결정
7.1.5 위험성 감소대책의 수립 및 실행
80. 위험성 평가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7.1.6 위험성평가 실시내용 및 결과에 관한 기록
A. 위험성평가 절차는 평가대상의 선정 등 사전준비 7.2 사전준비
→근로자의 작업과 관계되는 유해․위험요인의 파 7.2.1 평가계획 수립
악→파악된 유해․위험요인별 위험성의 추정 및 평 위험성평가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다음
가→추정한 위험성이 허용 가능한 위험성인지 여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실시계획서를 작성하여

- 40 -
공통
야 한다. 마. 재해사례, 재해통계 등에 관한 정보
가. 목적 및 방법 바. 작업환경 측정결과, 근로자 건강진단 결과에
나. 담당자 및 책임자의 역할 관한 정보
다. 연간계획 및 시기 사. 그 밖에 위험성평가에 참고가 되는 평가팀
라. 교육방법 이 요구하는 자료 등
마. 유의사항 7.3 유해・위험요인 파악
7.2.2 위험성평가팀 구성 및 교육훈련 7.3.1 유해ㆍ위험요인 파악방법
가. 주요 작업공정은 위험성평가팀을 구성하여 업종, 규모 등 사업장 실정에 따라 다음 각 호
시행하여야한다. 의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나. 위험성평가 팀원은 작업내용에 대한 충분한 야 한다.
지식을 갖추고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 가. 사업장 순회점검에 의한 방법
음 각 호의 직원으로 구성한다. 나. 청취조사에 의한 방법
○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 다. 안전보건 자료에 의한 방법
○ 관리감독자(부서장, 현장감독자) 라. 안전보건 체크리스트에 의한 방법
○ 대상 작업의 근로자 마. 그 밖에 사업장의 특성에 적합한 방법
○ 기계・기구, 설비 등에 관한 전문 지식을 갖 7.3.2 위험요인 파악은 위험성평가표(9.1양식)를 기
춘 사람 등 준으로 피해를 가져올 수 있는 작업조건, 4M
다. 필요시 외부 전문가의 자문을 구할 수 있다. 항목별 위험요인, 위험요소, 사고유형 등을 조
라. 위험성평가 주관부서는 평가자에 대해 위험 사한다.
성평가 기법 등에 관한 교육을 실시 한다. 가. 작업조건
7.2.3 세부 평가계획 수립 및 통보 운영상태 작 업 조 건
가. 평가자에 대한 교육이 완료되면 평가일정, 정상운영조건
▸기 설계 또는 계획된 요구 조건과 일
필요 정보, 역할 분담, 대상 부서의 협조 (Normal
치된 운영 또는 작업조건 하에서의 일
요청사항, 평가범위, 평가대상의 작업 여건 Operation
상적 활동
(작업일정, 설비보수 일정 등) 등을 논의하 Condition)
기 위한 예비회의를 실시한다. ▸계획된 비 일상적 활동
비 정상 ▸기 설계 또는 계획된 정상운영/작업조
나. 평가계획이 수립되면 관련 부서에 통보한다.
운영조건 건으로부터 의도적으로 이탈한 상태
7.2.4 평가 자료의 준비
(Abnormal 하의 운영 및 작업 조건
해당부서는 평가계획서에 준하여 평가팀에서 요 Operation ex) 작업/가동 중단 및 시작, 설비보
청하는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준비하여 제공한 Condition) 수, Overhaul, 계획된 전원의
다. On/Off, 작업자 근무교대 등
7.2.5 평가에 필요한 자료와 정보는 다음과 같다. ▸계획되지 않은 비일상적 상태
가. 작업표준, 작업절차 등에 관한 정보 비상사태 ▸생산, 활동, 서비스 시 예측하지 못한
나. 기계・기구, 설비 등의 규격서, 물질안전보건 (Emergency 상태로서 안전보건상 인적·물적 피해
Operation 가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는 상태
자료(MSDS) 등의 유해ㆍ위험요인에 관한
Condition) ex) 정전, 화재, 폭발, 다량의 누출, 홍
정보
수, 지진, 붕괴 등
다. 기계・기구, 설비 등의 공정 흐름과 작업 주
나. 4M의 항목별 위험요인 분류
변의 환경에 관한 정보
라. 동일한 장소에서 사업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도급을 주어 행하는 작업이 있는 경우 혼재
작업의 위험성 및 작업 상황 등에 관한 정

- 41 -
공통
항 목 위험요인 구 분 설 명
∙기계·설비 구조상의 결함 협 착 물건에 끼워진 상태, 말려든 경우
∙위험 방호장치의 불량 충 돌 사람/물건이 정지물에 부딪친 경우
∙위험기계의 본질안전 설계의 부족 추 락 사람이 떨어지는 경우
Machine
∙비상시 또는 비정상 작업시 안전연동장치 및
(기계적) 낙 하 물건이 수직으로 떨어지는 경우
경고장치의 결함
전 도 사람/사물이 넘어지는 경우
∙사용 유틸티(전기, 압축공기 및 물)의 결함
비 래 물건이 수평으로 날아오는 경우
∙설비를 이용한 운반수단의 결함 등
감 전 전기접촉에 의해 사람이 충격을 받는 경우
∙작업공간(작업장 상태 및 구조)의 부족
Media ∙가스, 증기, 분진, 흄 및 미스트 발생 화 재 불에 의해 사람/물건에 발화되는 경우
(물질· ∙산소결핍, 병원체, 방사선, 유해광선, 고온, 부자연스러운 자세/동작으로 상해를 입는
근 골
환경적) 저온, 초음파, 소음, 진동, 이상기압 등 경우
∙취급 화학물질에 대한 중독 등 기 타 기타 사고유형
∙근로자 특성(장애자,여성,고령자,외국인,비 7.3.3 잠재적 위험요인을 발굴하기 위하여 필요시 해
정규직,미숙련자 등)에 의한 불안전 행동 당 작업자에 대하여 인터뷰를 실시한다.
∙작업자에 대한 안전보건 정보의 부적절
Man 7.4 위험성 추정 및 평가
∙작업 자세, 작업 동작의 결함
(인적) 7.4.1 유해ㆍ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사업장 특성에 따
∙작업 방법의 부적절 등
∙휴먼에러(Human error) 라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
∙개인 보호구 미 착용 및 중대성의 크기를 추정하고 가능성과 중대성
∙관리 조직의 결함 을 곱하는 방법으로 위험성을 추정한다. 단, 현
∙규정, 매뉴얼의 미 작성 장에서 작업전 시행하는 위험성 평가에 한하여
∙안전관리계획의 미흡 양식 9.1.4에 의거 시행할 수 있다.
Manage
∙교육 훈련의 부족 7.4.2 위험성을 추정할 경우에는 다음에서 정하는 사
ment
∙부하에 대한 감독·지도의 결여
(관리적) 항을 유의하여야 한다.
∙안전수칙 및 각종 표지판 미 게시
가. 예상되는 부상 또는 질병의 대상자 및 내용
∙건강검진 및 사후관리 미흡
∙고혈압 예방 등 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 을 명확하게 예측할 것
나. 최악의 상황에서 가장 큰 부상 또는 질병의
다. 위험요소(기인물)
중대성을 추정할 것
구 분 설 명
다. 부상 또는 질병의 중대성은 부상이나 질병
크레인, 지게차, 로봇, 프레스 등 위험기계기구
설 비 등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의 척도를 사용
에 의한 위험요인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본적으로 부상 또
각종 공구, 치구, 지그(용접 포지셔너 포함)
치공구 는 질병에 의한 요양기간 또는 근로손실 일
에 의한 위험요인
작업장, 작업대, 작업용 계단/발판 등에 의한 수 등을 척도로 사용할 것
작업대
위험요인 라. 유해성이 입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일
중량물 중량물(제품, 부품)에 의한 위험요인 정한 근거가 있는 경우에는 그 근거를 기초
표준작 로 하여 유해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할
부적절한 작업방법에 의한 위험요인
업 것
보호구 보호구 미착용에 의한 위험요인 마. 기계・기구, 설비, 작업 등의 특성과 부상 또
정리/정돈/청소/청결/습관화에 의한 위험요 는 질병의 유형을 고려할 것
5S
인 7.4.3 위험성평가는 위험성평가표(9.1양식)에 의하여 실
기 타 기타 위험 요인 시한다.
라. 사고유형 7.4.4 상기 7.3 항에서 조사된 위험요인을 기준으로
피해의 발생빈도와 피해강도를 평가 한다. 단,

- 42 -
공통
현장에서 작업전 시행하는 위험성 평가에 한하 위 작업환경 측정자료
여 양식 9.1.4에 의거 시행할 수 있다. 험
가. 발생빈도 평가 강
내 용 유해화학물
평가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3년간 작업시 발 도 소 음
질·분진 등

생한 사고종류(피해형태)를 분석하여 본사

안전관리부서와 본사 및 사업소 기타부서
중대재해 또는 90db(A) 노출기준
를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적용한다. 4
손실일수 350일 이상 이상 이상
○ 본사 안전관리부서
휴업재해(3일 이상 85∼89db( 노출기준
3
발생빈도 등급 손실일수 발생) A) 50∼99%
내 용
단계 3일 미만 휴업재해 80∼84db( 노출기준
2
- 최근 3년간 재해 6건 이상 발생 또는 불 휴업재해 A) 10∼49%
5
- 연간 아차사고 8건 이상 발생 구급처치 상해 80db(A)미 노출기준의
1
- 최근 3년간 재해 4~5건 발생 또는 무상해 사고 만 10% 미만
4
- 연간 아차사고 7건 발생
※ 동일공종의 경우 가장 큰 위험강도를 적용
- 최근 3년간 재해 2~3건 발생
3 ○ 본사 및 사업소 기타부서
- 연간 아차사고 5∼6건 발생
- 최근 3년간 재해 1건 발생 위 작업환경 측정자료
2 험
- 연간 아차사고 3∼4건 발생

1 - 연간 아차사고 1∼2건 발생 내 용 유해화학물
도 소 음
질·분진 등
○ 본사 및 사업소 기타부서 단
발생빈도 등급 계
내 용 90db(A) 노출기준
단계 4 사망사고 위험
5 - 위험성의 장시간 / 상시 존재 이상 이상
4 - 위험성이 단시간 / 상시 존재 노출기준
3 부상 위험 85∼89db(A)
50∼99%
3 - 위험성이 간헐적으로 존재
노출기준
2 - 위험성 발생빈도가 낮음 2 구급처치 상해 위험 80∼84db(A)
10∼49%
1 - 위험성 발생빈도가 매우 낮음
상해위험 노출기준의
나. 피해 강도 평가 1 80db(A)미만
없음(무상해) 10% 미만
피해강도 평가는 작업 여건에 따른 인명피해
※ 동일공종의 경우 가장 큰 위험강도를 적용
의 정도를 고려하여 본사 안전관리부서와 본
7.4.5 위험성 수준(Risk Level) 평가
사 및 사업소 기타부서를 구분하여 아래와
상기 7.4.4에서 실시한 발생빈도와 피해강도 평
같이 적용한다.
가 결과를 기준으로 아래와 같은 위험성 수준을
○ 본사 안전관리부서
평가한다.
강도
1 2 3 4
빈도
1 1 2 3 4
2 2 4 6 8
3 3 6 9 12
4 4 8 12 16
5 5 10 15 20
7.4.6 평가 등급별 기록 내용은 아래와 같으며, 그 값

- 43 -
공통
에 대해 등급별 영문으로 기록한다 라. 위험성이 ‘F’등급인 경우에는 사업소장(안전
평가등급(값 영문기록 평가등급(값 영문 기록 보건관리책임자)에게 보고하고 위험성이 감
) 내용 ) 내용 소될 때까지 작업을 중지한다.
1∼5 A등급 13∼15 D등급 7.6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6∼8 B등급 16∼19 E등급 7.6.1 위험성을 결정한 결과 허용 가능한 위험성이
9∼12 C등급 20 F등급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위험성의 크기, 영
7.5 위험성 결정 향을 받는 근로자 수 및 다음 각 호의 순서를
7.5.1 유해ㆍ위험요인별 위험성의 추정 결과와 기 설 고려하여 평가팀과 해당 부서간에 상호 충분한
정한 허용 가능한 위험성의 기준을 비교하여 의견과 정보를 교환하여 위험성 감소를 위한
해당 유해ㆍ위험요인별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여야 한다.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가. 위험한 작업의 폐지・변경 또는 설계나 계획
7.5.2 허용 가능한 위험성의 기준은 위험성 결정을 단계에서 위험성을 제거
하기 전에 설정해 두어야 한다. 나. 유해・위험물질 대체 또는 저감하는 조치
7.5.3 위험등급 나. 기술적 또는 공학적 대책
가. 상기 7.4.5항의 위험성 수준 평가 결과를 기 다. 작업절차서 정비 등의 관리적 대책
준으로 위험성 수용 정도를 검토한다. 라. 개인용 보호구의 사용
나. 위험성 수용기준 7.6.2 위험성 감소대책을 실행한 후 해당 공정 또는
작업의 위험성의 크기가 사전에 자체 설정한
위험도 관리
구분 비 고 허용 가능한 위험성의 범위인지를 확인하여야
수준 기준
무시할 한다.
1∼5
수 7.6.3 위험성의 범위 확인 결과, 위험성이 자체 설정
(A등급 현재의 안전대책 유지
있는 한 허용 가능한 위험성 수준으로 내려오지 않
)
부서 위험 는 경우에는 허용 가능한 위험성 수준이 될 때
자체 6∼8 안전정보 및 주기적 표준작 까지 추가의 감소대책을 수립・실행하여야 한다.
미비한
개선 (B등급 업 안전 교육의 제공이 필요
위험 7.6.4 중대재해 또는 심각한 질병이 발생할 우려가
관리 ) 한 위험
있는 위험성으로서 위험성 감소대책의 실행에
9∼12 위험의 표지부착, 작업절차
경미한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즉시 잠정적인
(C등급 서 표기 등 관리적 대책이 필
위험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 요한 위험
13∼15 7.6.5 위험성평가를 종료한 후 남아 있는 유해ㆍ위험
상당한 계획된 정비·보수 기간에 안
(D등급 요인에 대해서는 게시, 교육 등의 방법으로 근
중대 위험 전대책을 세워야 하는 위험
) 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위험
긴급 임시안전대책을 세운 7.6.6 위험성평가 결과의 활용
등록 16∼19
중대한 후 작업을 하되 계획 된 정비· 가. 위험성을 평가한 후 평가팀은 위험성 체크
관리 (E등급
위험 보수 기간에 안전대책을 세 리스트의 작성 또는 보완이 필요한 경우 본
)
워야 하는 위험
사 안전보건관리 주관부서로 통보한다.
수용 20 허용불 즉시 작업 중단(작업을 지속
나. 본사 안전보건관리 주관부서는 위험성 평가
불가 (F등급 가 하려면 즉시 개선을 실행해
결과를 반영하여 위험성 체크리스트(위험성
위험 ) 위험 야 하는 위험)
체크리스트 운영편람 붙임 8.3)를 작성 또는
다. 위험성 수용 수준이 ‘F’등급(허용 할 수 없
보완하여야 한다.
는 위험)일 경우는 위험성을 감소시키거나
다. 위험성체크리스트는 전력공급 및 부대설비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강구,
의 건설 및 운영 관련 작업현장에서 작업자
시행한 이후에 작업하도록 한다.
및 관련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사용하여

- 44 -
공통
야 한다.
라. 전력공급 및 부대설비의 건설 및 운영 관련
작업시 위험성 체크리스트가 있는 공종은
반드시 위험성체크리스트를 작성 활용하도
록 한다.
마. 위험성체크리스트의 운영과 관계되는 세부
사항은 위험성체크리스트 운영편람에 따른
다.
8. 기록
8.1 위험성평가를 실시한 경우에는 실시내용 및 결과 【 양식 9.1.3 】 감소대책 실행계획서
를 기록하여야 한다. 이 경우 기록에 포함될 구
체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위험성평가를 위해 사전조사 한 안전보건정보
나. 평가대상 공정의 명칭 또는 구체적인 작업내

다. 유해ㆍ위험요인의 파악
라. 위험성 추정 및 결정
마. 위험성 감소대책 및 실행
바. 위험성 감소대책의 실행계획 및 일정 등
출 처 : 안전보건경영절차서 제3장. 위험성 파악 및
사. 그 밖에 사업장에서 필요하다고 정한 사항
평가
8.2 위험성평가 기록물은 3년 이상 보존한다.
소분류 : 전기안전보건관리규정
9. 양식 및 부록
9.1 양식
9.1.1 공정흐름도 및 안전보건상 위험정보
9.1.2 위험성평가표
9.1.3 감소대책 실행계획서
9.1.4 작업전 안전회의 및 현장 위험성 평가표
9.2 부록
9.2.1 위험성체크리스트 운영편람
【 양식 9.1.1 】 공정흐름도 및 안전보건상 위험정

【 양식 9.1.2 】 위험성 평가표

- 4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