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Time for Contemplation 3

202230375 우타마

인샙션 비디오 :

비디오를 보고 Internal Muzak 으로 생각하다 보면 A 는 덤 컵 (디카프리오) 역할하고 B 는


사이토(켄 와타나배) 역할이다. A 는 B 한테 X 를 설명했다. X 는 “아이디어”를 뜻한다.
처음에는 “아이디어”라는 말이 그저 B 의 머리속에 있었지만 지금은 머리속에 있는
“아이디어”를 전달하고 있다

아이디어 아이디어

아이디어 아이디어?? 아이디어 아이디어 아이디어

B 는 A 의 설명하는 걸 듣고 X 에 대해 머리속에서 경험, 지식와 가치로 과정했다. 그 후에


“아이디어”가 머리속에서 남았다.

중동구매 에피소드 :

인샙션 I.M 를 보고 충동구매 상황으로 생각하다 보면 이렇게 쉽게 말할 수 있지만 사실


라면 구매 행동까지는 복잡한 과정으로 정리된다.
라면 구매
라면 구매

라면 구매 라면 구매?? 라면 구매 라면 구매 라면 구매

빨간 BOX 와 오렌지 BOX 으로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첫번째로 A 는 어떤


메시지(M)를 어떻게 전달했는지 보고자 한다. A 는 B 가만든 광고에서 라면이 끓는
소리를 들으며 맛있게 먹고있는 사람을 보고, 맛있는 냄새를 맡고있는 사람을 봤다.
그래서 A 의 머리속에는 여러 소리(A1-A4)가 연상된다(Ch= 광고).

A1: 와 그 사람은 맛있는 음식을 먹었다. (Sender = 광고 만든 사람, Receiver = 나 )


M= “라면 구매”를 전달하기 위해 Sender 는 광고를 만들 때 5 개 인간의 감각 중 3 가지
감각(청각, 후각, 미각)을 사용했다. 그래서 Receiver 는 집에서 광고를 보고 공감할 수
있지만 맛과 냄새를 궁금해 하게된다.

A2= 그 맛은 어떤 맛일까? 가격은 얼마일까? (F= 끓는 물 소리, 냄새를 맡는 후의 표정과


맛있게 먹는 모습. 그것을 본 결과 맛있는 음식이 연상된다는 말이다. N= 사람마다
입맛의 수준과 물건의 값은 다르다.)

A3= 집에 라면이 2 개 남았어.. 값이 더 200 원 더 싸고… (C= 값이 더 싸고 집에 남은


라면이 별로 없어서 새로운 라면을 구매하고싶다.)

A4= ㅇㅇ씨가 이 라면이 매워서 맛있대.. (N = 본인 입맛에 매운 음식은 싫다)

결국 E 는 “라면을 구매했다.” 이런 충동구매 행동은 A1-A4 원인으로 말 할 수 있지만,


사실 A1-A4 만 원인으로만 말 할 수는 없다. Time Frame 이 필요하다. 이 예시는 광고를
5 번 쯤 본 이후다. 그래서 충동구매 더 깊게 생각하다 보면 충동구매란 정보를
과장하고 Impulsive(짧게 생각하고 바로 하는 것) 행동한다는 말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