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

2022-09-10

기초공학

8.1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피어기초)

▪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 지반에 구멍을 파고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하여


지중에서 양생 제작하는 직경 75cm 이상의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 말뚝과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피어)의 차이
▷ 말뚝은 피어보다 직경이 작음
▷ 말뚝은 타입, 피어는 75cm 이상 굴착에 설치
▪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종류

1
2022-09-10

8.2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피어기초)

▪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장점
▷ 말뚝의 지지력보다 커서 소요 개수 적음
▷ 큰 수평하중과 휨모멘트 받을 수 있음
▷ 조밀한 모래나 자갈층에 말뚝 타입보다 유리
▷ 항타로 인한 소음, 지반진동, 지반융기 및 인접말뚝 변형 없음
▷ 단면, 길이, 품질 등 작업 중 변경 가능
▷ 선단부 확장 가능, 인발력 저항 큼
▷ 인력 검사 가능

▪ 단점
▷ 다른 기초보다 상세 지반조사 필요
▷ 시공 후 품질조사 어려우며, 콘크리트 작업시 세심한 감독 필요
▷ 날씨가 나쁜 경우 작업 연기
▷ 깊은 굴착은 지반침하와 인접 구조물 피해 유발할 수 있음

2
2022-09-10

8.3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시공방법

▪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 지반에 구멍을 뚫고 콘크리트를 채워서 만들며, 유각말뚝(Cased pile)과
무각말뚝(uncased pile)으로 구분됨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특징

▪ 특징
- 지반에 구멍을 뚫어 구멍 속에 콘크리트 채워서 제작
- 종류 : 유각말뚝(cased pile), 무각말뚝(uncased pile)
- 바닥에 확대 선단부(pedestal)을 만들기도 함
- 확대 선단부 :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해머 낙하 형성
▪ 시공방법
- 인력굴착공법(심초공법)
- 어스드릴 공법
- 베노토공법(올케이싱공법)
- RCD공법(리버스공법) 등

3
2022-09-10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분류

▪ 유각말뚝(Cased Pile)
- 흙 속에 강재 케이싱을 타입한 후 콘트리트 채움
- 비용이 적고, 콘크리트 타설 전 검사 가능
- 길이 연장 용이
- 콘크리트 타설 후 이음이 곤란하며, 얇은 케이싱 타입 손상 우려
▪ 무각말뚝(Uncased Pile)
- 케이싱을 필요 깊이 타입 후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채우며 케이싱을 단계적으로
제거
- 초기 비용이 적고, 임의 깊이에서도 설치 가능
- 콘크리트를 급하게 타설하면 공극 발생
- 연약지반에서는 구멍 함몰 우려

8.3.1 인력굴착공법 (심초공법)

▪ 시카고공법
▷ 인력으로 직경 1.1m 이상의 원형 구멍을 0.6~1.8m 깊이 굴착
▷ 굴착 측면에 연직 토류판을 대고 두 개의 원형 강재링으로 고정
▷ 링 설치 후 0.6~1.8m 깊이 굴착 상기 작업 반복
▷ 소요 깊이까지 굴착 후 선단부 확대 굴착, 구멍을 콘크리트 채움

4
2022-09-10

▪ Gow 공법
▷ 구멍의 직경이 1.2m 이상
▷ 구멍 측면이 보강을 위해 중첩식 강재케이싱(telescopic steel casing)
▷ 바로 위 케이싱보다 50mm 정도 작음
▷ 콘크리트 타설 시 한 번에 한 단면씩 위로 올림

8.3.2 어스드릴공법(earth drill method)

▪ 특징
▷ 절삭날이나 절삭 톱니가 부착된 나선형 오거를 회전 굴착
▷ Kelly 오거를 흙속에 관입하고 회전하며, 날개에 흙이 차면 배토
▷ 굴착도중 암반이 나오면 텅스턴 톱니가 부착된 core barrel를 회전하여
굴착하거나, 무거운 chisel을 낙하시켜 굴착(PRD공법, percussion rotary drill)
▷ 선단확공기(underreamber)를 이용 선단 확장 : 직경 3배까지 가능
▷ 버켓형 드릴(bucket type drill) : 버켓으로 굴착 및 배토, 벤토나이트 안정액
이용 및 표층부에 2~4m casing 삽입 – 다른 어스드릴공법

5
2022-09-10

▪ 시공순서
1) 켈리축을 피어 중심에 맞추고 기계 고정
2) 버켓이 부착된 켈리 축을 회전하여 굴착
3) 표층부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casing 삽입
4) 벤토나이트 안정액을 공급하면서 일정 깊이까지 굴착
5) 구멍 바닥에 가라앉은 Slime을 버켓으로 제거 : 1차 처리
6) 지상에서 조립한 철근(cage) 삽입
7) tremi관을 설치하고, 슬라임을 air lift나 suction pump로 제거 : 2차 처리
8) 트레미관을 콘크리트 속에 항상 2m 이상 삽입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
9) 콘크리트 타설 완료
10) 케이싱을 뽑고, 안정액이나 토사의 혼합 등으로 불량해진 최상부 콘크리트를
50~80cm 정도 제거

▪ 시공순서도

6
2022-09-10

굴착기 개요도 및 버킷형상

8.3.3 All casing method (Benoto 공법)

▪ 특징
- 프랑스 Benoto사가 개발한 Benoto 굴착기를 사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법
- 구멍 붕괴 방지를 위해 casing 요동 삽입
- hammer grab로 토사 굴착 후 콘크리트 타설
▪ 시공순서
1) 피어 중심 위치에 casing 설치하고 casing 안쪽의 흙을 굴착
2) 절삭날이 부착된 길이 6m 정도의 casing을 요동(15° 정도의 회전의 반복)하여
마찰력을 저감시키면서 압입
3) casing 안에서 해머그래브를 낙하시켜 흙 속에 관입시켜 굴착을 하고,
끌어 올려서 흙을 배출
4) 작업을 반복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하고, slime 제거
5) 지상에서 조립한 철근 삽입
6) tremi관을 설치

7
2022-09-10

7) 트레미관을 콘크리트 속에 항상 2m 이상 삽입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


8) 콘크리트 타설 완료
9) Casing을 뽑아내고, 안정액이나 토사의 혼합 등으로 불량해진 최상부의 콘크리트를
50~80cm 정도 제거

- 특징
토질조건과 무관하게 시공 가능
케이싱 사용으로 여굴 방지
진동과 소음 적어 시가지 공사에 적당
대형기계로 운반 및 작업장소 등 제한

Benoto 굴착기 개요도 및 그래브 재원

8
2022-09-10

Benoto 공법의 공상현상

▪ 공상현상의 원인
- 말뚝이 휘어져 굴착되거나, 철근이 휘어져 설치되는 경우
- 간격재 사용 잘못
- Boiling 현상에 의해 모래가 철근 주위에 잔재
- 콘크리트 수중 재료 분리
▷ 대책
- 말뚝은 수직 굴착하며, 철근의 설치시 연직도 유지에 주의
- 간격재 바른 설치
- slim 제거 철저
- 철근의 비틀림 좌굴 방지
- 재료 분리 대책(경화 지연제, 슬럼프 18±1.5cm 유지)

어스드릴공법과 베노토공법의 차이

▪ Benoto굴착기와의 차이

9
2022-09-10

8.3.4 RCD공법(reverse circulation method)

▪ 공법의 개요
- 정수압으로 공벽을 유지하면서 물의 순환을 이용 흙을 비트 회전으로 굴착하고,
드릴파이프로 물과 함께 배출한 후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

8.3.4 RCD공법(reverse circulation method)

▪ 시공방법
1) 진동해머, 유압잭을 이용하여 케이싱을 지반에 삽입하면서 해머 그래브로 케이싱내의
흙을 굴착, 케이싱 직경은 구멍보다 20cm 정도 큰 것을 사용
2) 비트를 회전시켜 흙을 굴착하고, 굴착 파이프를 통해 물과 함께 흙을 배출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
3) 초음파를 이용하여 공벽을 측정
4) 지상에서 조립한 철근 삽입
5) 트레미관을 설치
6) 슬라임을 에어리프트나 흡입펌프로 제거
7) 트레미 관을 콘트리트 속에 항상 2m 이상 삽입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
8) 콘크리트 타설 완료
9) 케이싱을 뽑아내고, 안정액이나 토사의 혼합 등으로 불량해진 최상부의 콘크리트를
50~80cm 정도 제거

10
2022-09-10

▪ 시공 순서도

▪ 특징
1) 독일에서 개발된 공법임
2) 굴착 구멍 붕괴 방지를 위해 구멍 내의 지하수위를 주위 지반의 지하수보다 2m
정도 높게 유지하여 0.2~0.3kg/cm² 정수압이 공벽에 작용하여야 함
3) 굴착토 세립분이 함유된 구멍 내의 물이 주변 지반으로 유출되면서 공벽에 침전해
이막(mud film)을 형성하여 공벽 붕괴 방지(물 대신 벤토나이트 용객 사용도 함)
4) 굴착로드와 공벽 사이로 물을 보내고 굴착로드 내부를 통해 흙과 물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다른 공법과는 반대의 순환방식 임
5) 표층부에 케이싱을 삽입하며, 이는 공벽의 붕괴를 방지하고, 구멍 내의 수위
확보하기 위해서도 필요함

11
2022-09-10

8.3.5 건조도 평가

▪ 결함조사 방법
- 검측공 시험법 : 말뚝 내부에 미리 검측공 설치하여 결함조사
초음파기법(cross-hole sonic logging method, CSL기법) : 말뚝 내부에 여러 개의
강관을 밀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두 개의 강관 사이의 초음파의
전파속도를 분석하여 균질성 평가, 말뚝 길이 방향 결함을 정밀하게 조사
가능하고 신뢰성 높아 가장 많이 사용
감마선법(gamma testing) : 검측공으로 강관 대신 PVC관을 사용하여 초음파
감마선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밀도 측정
- 비검측공 시험법 ; 말뚝머리에 간단한 시험기구 이용하여 결함조사
충격반향기법(impact-echo method) : 말뚝머리에 충격을 가하여 발생된 체적파가
불연속면에서 반사되어 온 특성을 검토하여 결함을 조사
충격응답기법(impulse response method) : 해머를 말뚝을 타격한 후 발생하는
충격력과 응답을 감지기로 측정하는 방법, 타격력 측정점이 충격반향법과 다름

8.4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연직지지력


8.4.1 개요

▪ 특징
- 지반을 굴착한 연직 구멍 속에 콘크리트를 타성하여 만든 기초이므로 주변
지반과 선단지반이 이완되어 지지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음
- 지지력은 재료의 허용압축력 이하이며, 시험시공 및 재하시험을 실시하여
결정
- 공사 규모가 작은 경우 말뚝기초의 정역학적 지지력공식이나 표준관입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지지력 산정 가능
- 지하수나 공벽 안정용 슬러리 속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콘크리트
압축강도 1/5을 허용압축응력으로
- 지하수나 슬러리가 없는 상태에서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¼를
허용압축응력으로

12
2022-09-10

8.4.2 정역학적 지지력 공식에 의한 지지력 산정

극한지지력 Qu  Qp  Qs  qpAp  f p L1 (8.1)


선단지지력 Qp  qpAp (8.2)
*
qp  cN c  q N' * (8.3)
단위면적당 선단지지력 q

 D 2b
피어 선단의 단면적 Ap  (8.4)
4
피어 선단의 직경 Db

마찰지지력 Qs  f p L1 (8.5)
'
단위면적당 마찰지지력 f  K  v tan  : 사질토지반 (8.6)
f   cu : 점토지반 (8.7)
피어의 주면면적 As  pL1 (8.8)
피어의 둘레길이 p D (8.9)
피어 직선부의 길이 L1

피어 직선부의 직경 D

13
2022-09-10

▪ 적용방법
- 지지력계수, N*q는 동일한 지반조건인 경우 타입말뚝의 지지력계수보다
작은 값
- Vesic이 제안한 N*q : 그림 8-8
- 점토지반(φ=0)에서의 지지력계수 N*c의 값으로 L/Db가 4 이상이면 9를 적용
4이하인 경우 그림 7-6 이용
- 토압계수는 Ko=1-sin φ를 사용하며, 식 (8.7)의 α는 0.4 사용

[예제 8.1]
Given : 점토지반에 설치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Find : 극한지지력

14
2022-09-10

Sol :

8.4.3 암반에 설치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지지력 산정

▪ 암반에 설치된 현장타설 말뚝의 지지력


q p  qu ( N  1) (6.39)

여기서 qu : 암석의 일축압축강도


 : 배수 마찰각
 
N  tan 2  45  
 2
qu
q 'u  (6.40)
5
Q p  q p Ap  qu' ( N  1) Ap (6.41)

15
2022-09-10

▪ 암반에 관입된 현장타설 말뚝 지지력


선단지지력, q p : 3qu ~ 5qu
마찰지지력, f : 0.15qu ~ 3qu 또는 2 qu ~ 5 qu

8.5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인발저항력, 수평지지력, 침하

▪ 인발저항력, 수평지지력, 침하
- 말뚝기초 방법과 동일하게 산정

16
2022-09-10

8.6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설계

▪ 설계요령
- 선단지지력에 의존하므로 견고한 지반 속 1m 이상 관입
- 장경비가 커서 하중 중심과 현장타설콘크리트 말뚝 중심이 어긋나면 표면에
인장력 발생하므로 길이가 20배 넘으면 단면적의 0.4% 이상 면적의 주철근을
6개 이상 길이 방향으로 배근
- 이때 띠철근이나 나선철근을 철근콘크리트 시방서 규정에 적합하게 배근
- 주철근의 피복두께는 7.5cm 이상

8.7 케이슨 기초
▪ 케이슨 : 수상이나 육상에서 제작한 속이 빈 콘크리트 구조물을 자중이나 적재하중에
의하여 지지층까지 침하 시킨 후 모래, 자갈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속채움을
하는 기초

▪ 케이슨의 종류 : 오픈 케이슨, 박스케이슨, 공기케이슨


▪ 케이슨 기초의 적합성
- 상부구조가 장대교량 등으로 강성이 크고 지진에 대한 안정성이 요구되는 경우
- 말뚝기초로는 수평지지력이 부족한 경우
- 중간층에 자갈층 등이 존재하여 말뚝기초의 시공이 곤란한 경우
- 수심 25m 이하의 수중에 기초를 시공할 경우

17
2022-09-10

8.8 오픈케이슨
8.8.1 개요

▪ 오픈케이슨(우물통기초)

- 형태 :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등


- 일반적으로 높이 2~3m(1 lot) 또는 리프트(lift) 로 제작하여 하부에 케이슨
지중관입을 위해 cutting edge가 있으며, 강재슈(curve shoe)가 부착되어 있음

▪ 오픈케이슨(우물통기초)
- 지상에서 상하단이 개방된 철근콘크리트 우물통(지름 1~1.5m)을 만들어
굴착·침하시킨 후, Con’c를 타설하여 기초기둥(pier)을 구축하는 공법
- 침하깊이에 제한이 없으며 기계설비가 비교적 간단하며 경제적인 공법

18
2022-09-10

▪ 시공방법

(1) 육상공법
1. 지표면을 평활하게 하고, 지내력이 부족한 경우 모래 등을 깔아 지반을 개량
2. 케이슨 슈와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로트 제작
3. 케이슨 내 흙을 grab bucket, clamshell, sand pump 등으로 굴착하여 침하시키고
다음 로트 제작
4. 로트의 제작과 굴착을 반복하여 케이슨 전체를 지지층까지 침하
5. 케이슨 하부에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을 막음. 저면 슬래그가 양생되면
케이슨 내의 물을 펌프로 퍼내고, 모래, 자갈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속채움
6.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부구조물을 시공한 후 임벽 등 철거

오픈케이슨 시공순서 오픈케이슨 굴착

19
2022-09-10

(2) 수중공법
1. 축도법 : 흙 가마니나 강 널말뚝으로 물을 막고 모래나 자갈을 채워서 모래섬을
만들고, 그 위에 케이슨을 놓은 후 모래를 굴착하여 지지층까지 침하시키는 방법
2. 예항법 : 강재로 만든 부동 케이슨(floating caisson)을 침설현장까지 예인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소정의 위치에 침하시키는 공법으로 부동법이라고도 함
3. 조하법 : 케이슨을 가라 앉혔을 때 수면 위로 50cm 이상 나올 정도의 높이로
가설발판 위에서 만든 후, 일단 달아 올려서 가설물을 빼고 서서히 끌어내리는
공법

수중공법

20
2022-09-10

8.8.3 특징

▪ 특징
▷ 시공 깊이에 제한이 없음
▷ 공사장비가 비교적 간단하며 경제적
▷ 그러나 분사현상 및 융기현상으로 주변 지반이 교란되기 쉬움
▷ 시공 깊이가 커짐에 따라 케이슨 기울어질 우려 있음
▷ 케이슨 바닥을 확인하거나 깨끗이 청소할 수 없고, 저면 콘크리트 품질 관리가
어려움
▷ 점토, 실트, 모래 및 자갈층 등 어느 지반에서나 사용 가능하나, 큰 돌들이 섞인
지층에서는 부적당
▷ 지지암반이 경사져 있거나 불규칙한 경우 케이슨이 암반에 도달한 후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 PC웰(precast concrete well) :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어가면 케이슨을 구축하고
블록 사이는 강봉으로 긴장시켜 일체화시키는 공법

8.9 공기케이슨
8.9.1 개요

▪ 오픈케이슨을 사용하면 굴착된 흙보다 밀려 들어오는 흙이 더 많아서 굴착이


곤란한 곳에 사용, 약 15~40m 깊이에 사용

21
2022-09-10

▪ 주위점
▷ 하부에 2~3m 정도 작업실이 있으며, 작업실에서 인부가 흙을 굴착함
▷ 압축공기로 물과 흙의 유입 방지
- 공기압력이 10t/m2 정도는 작업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음
- 그 이상 압력이면 인부가 작업실을 떠날 때는 압력강하 적응시간이 필요
- 대기압보다 약 30t/m2 정도 높은 압력이면 작업실에 1½~2시간 정도 이상은
불가능 함
- 인부는 입관(steel shaft)내 사다리를 통해 작업실에 출입, 굴착된 흙의 제거나
콘크리트 타설도 가능
- 대규모 케이슨 건설에서는 여러 개의 입관이 필요하며, 각각의 입관의 상단에
기갑(air lock)을 설치하여 공기압력을 조절

8.9.2 시공방법

▪ 시공방법
1. 지표면을 평활하게 하고, 케이슨 슈를 설치하고 작업실의 구축을 위하여 동바리와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제1로드를 제작
2. 기갑과 입관 등을 작업실 천장에 설치
3. 압축공기를 주입하고 인력으로 굴착
4. 로드의 제작과 굴착을 반복하여 케이슨을 지지층까지 침하시킨 후, 지지력 시험을
실시
5. 작업실을 콘크리트로 채움
6. 케이슨내의 물을 펌프로 퍼내고, 모래, 자갈이나 콘크리트 등으로 속채움
7.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부 구조물을 시공한 후 임시벽등을
철거

22
2022-09-10

8.9.3 특징

▪ 특징
▷지하수를 완전히 배제하고 작업을 하므로 장해물 제거나 경사 수정이 쉬움
▷ 저면 슬래브가 수중 콘크리트가 아니므로 품질을 신뢰
▷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시공하므로 기계설비가 복잡하고, 소음과 진동이 큼
▷ 노동조건이 제약을 받으며 수면 아래 40m 이상 굴착은 불가능
▪ 공기케이슨 이용이 필요한 경우
1. 기초의 편심이나 경사를 억제하여 시공 정밀도를 확보하는 경우
2. 기존 구조물에 인접하여 더 깊은 기초를 시공하는 경우
3. 전석층, 호박돌층, 두꺼운 풍화암층, 피압지하수층 등을 관통하는 경우
4. 기초 암반이 경사졌거나 불규칙한 경우
5. 공사기간이 비교적 짧은 경우
6. 지지층에 대한 지지력 시험이 필요한 경우

23
2022-09-10

8.10 박스케이슨
8.10.1 개요

▪ 개요
- 하부가 닫혀 있거나 열려 있는 케이슨으로 수상시공에 적합
- 시공 비용이 적게 들지만, 지지층이 수평(수평이 아니면 미리 굴착하여 수평 시공),
수심이 깊은 경우 사석을 쌓고 시공

8.10.2 시공방법

▪ 시공방법
1. 해저를 그래브 준설선 등을 이용하여 수평하게 굴착
2. 강재 또는 철근 콘크리트 케이슨을 육상에서 제작
3. 케이슨을 시공 장소까지 운반, 단일벽 케이슨은 크레인선으로 달아 운반, 이중벽
케이슨은 물에 띄워 예항
4. 케이슨 내부에 모래, 자갈, 물 또는 콘크리트를 채워 점차 침하
5. 케이슨 주변을 사석이나 수중 콘크리트로 밑 다짐

24
2022-09-10

8.11 케이슨의 침설
▪ 침하도구 : 토사굴착, 케이슨 자중, 적재하중 등
▷ 인력굴착 : 버켓
▷ 기계굴착 : 크람셀 버켓, 컷트멜, 모래펌프 등
▪ 침하조건

Wc  Ws  Qp  Qs  B  U (8.10)

▪ 침하촉진 공법
▷ 적재하중공법 : 레일, 철괴, 콘크리트 블록, 흙가마니 등과 같은 적재하중으로 침하
▷ 분사공법 : 케이슨 하부의 날끝 부근에서 공기, 물 또는 혼합물을 분사시켜 주면
마찰력 저항을 감소시키는 공법, 일반적으로 점성토에서는 물, 사질토에서는
물과 공기 혼합물 사용
▷ 물하중공법 : 케이슨 하부에 수밀한 공간을 설치하고 물을 침하하중으로 사용
▷ 수위저하공법 : 케이슨 내부의 수위를 내려서 부력을 감소시켜 자중 증가
▷ 발파공법 : 케이슨 저부의 아래쪽에 화약을 설치하고 발파시켜서, 케이슨에
진동과 충격을 가하여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공법
▷ 감압공법 : 공기케이슨 작업실내의 압축공기의 압력을 일시적으로 낮추어서
양압력을 감소시키는 공법

25
2022-09-10

8.12 케이슨의 연직지지력


▪ 침하를 위한 굴착으로 지반이 이완되므로 주면마찰력은 무시, 선단지지력만 고려
▪ 본체가 커서 재하시험 곤란하므로 정역학적 지지력공식이나 평판재하시험결과 이용
▪ 허용지지력(안전율 : 일반적 – 3, 지진시 -2)
1
qa  (qu   Df )   Df (8.11)
3
- 내부마찰각의 경우 오픈케이슨에서는 최대 30°, 공기케이슨에서는 최대 35°로 제한
- 지반의 허용지지력을 100t/m2으로 제한 설계하는 경우도 타당할 수 있음
▪ 평판재하시험 결과 이용(공기케이슨) : 기초 폭에 대한 크기 효과 고려하지 않으며,
관입깊이에 대한 보정만 고려
1 (8.12)
qa  [ qt   Df ( Nq  1)]   Df
3
여기서, qt : 평판재하시험으로 구한 극한지지력

8.13 케이슨 기초의 설계


▪ 수평허용지지력 : 수평토압을 극한수평지지력으로 안전율(평상시 1.5, 지진시 1.1)로
나눈 값
▪ 허용전단응력 : 케이슨 저면과 지반 사이에 작용하는 전단저항력을 안전율
(평상시 1.5, 지진시 1.1)로 나눈 값
▪ 전단저항력

Hu  cA'  V tan  (8.13)

여기서, c : 케이슨 저면과 지반 사이의 부착력


: 케이슨 저면의 유효재하면적
A'
: 케이슨 저면에 작용하는 연직력(부력을 뺀 값)
V
: 케이슨 저면과 지반 사이의 마찰각

26
2022-09-10

8.14 케이슨의 형상과 크기


8.14.1 케이슨 형상

▪ 원형단면
- 표면적의 비가 최소로 침하작업 중 마찰저항 작아 외압에 의한 휨 응력 작음
- 사각형단면과 비교 상부의 편심량이 크고, 거푸집 제작 및 조립 곤란
- 부등침하 우려가 없는 지반에서는 교량의 교각기초에는 원형 케이슨 2개을 병렬로
설치
▪ 직사각형 단면
- 장단변의 길이가 크면 침하시 불안정, 편심 우려, 적정 장단변 - 3:1
- 교량의 교대기초에 적합
▪ 타원형 단면
- 유수중 설치에 유리 : 유수저항 작음

8.14.2 케이슨의 크기

▪ 케이슨의 크기
- 내부치수 : 굴착을 고려 2.5m 이상
- 길이 : 시공의 확실성, 용이성, 안정성 등을 고려 16m 이내
- 16m 이상이면 벽체에 휨응력 및 비틀림 응력 발생하므로 5~6m 간격의 격벽 설치
- 케이슨 측벽 및 격벽의 두께는 50~100cm로 하여 철근 조립과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하도록 함
- 공기케이슨 : 작업실 내부 높이는 슈 하단으로부터 1.8m가 표준

27
2022-09-10

8.14.3 저면콘크리트의 두께

▪ 저면 콘크리트의 두께
1. 배수 직후 콘크리트 속채움을 하기 전에, 케이슨 하부로부터 작용하는 상향의
정수압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지 않아야 함
2. 저면 콘크리트와 케이슨의 접촉면에서의 전단력에 대해 안전
3. 배수 직후의 케이슨에 작용하는 부력이 저항력(케이슨과 저면 콘크리트 무게 및
케이슨 주면에서의 마찰력)보다 작아야 함

▪ 오픈케이슨의 저면콘크리트 두께, t(탄성론)


- 원형케이슨

q
t  0 .59 Di (8.14)
 ca
- 직사각형 케이슨

q
t  0 .866 Bi
Li
 ca (1  1 .61 )
Bi

(8.15)

2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