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

서울시민과 국민의 안전을 위한

PSC 교량관리관련

문헌조사

2016. 3
목 차

별첨1 PSC 교량의 개념

별첨2 PT 텐던 해외사고 사례 조사

유럽

미국

아시아
Ⅰ. 문헌조사 관련 의견
○ 정릉천고가의 PC 파단과 관련, 이미 많은 나라에서 유사한 사례를 겪고 있고

특히 미국의 경우 문제의 대응과정에서 시행착오로 인해 사고가 재발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 문헌조사와 현지조사 등을 통해 다른 나라들이 대응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나

성과 등을 검토하여 이 문제에 대해 종합적인 안목을 갖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사료됨

 조사 필요사항
○ 점검 및 진단 기법

- 미국에서 PT 텐던과 사장교 케이블의 진단기법에 대해 ‘12년부터 연구


중으로 금년 3월말에 완료 예정이므로 자료 확보 (20쪽 참조)

○ 보수기법

- 그라우트의 재주입에 의한 사고 이후 미국의 일부 주에서 그라우트에 의한


보수를 중지조치(17쪽)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의 지속여부와 포스텍 등
(22쪽 참조) 새로운 보수 재료에 대한 성능 등 현지조사

○ 보수공사시 주의사항

- 관련 시방서, 국제기구·협회의 지침 등에 대한 문헌조사 및 보수현장 조사

○ 자동계측법

- 영국 등 일부에서 적용하고 있는 AE법에 의한 강선파단 계측 방법에 대한

성과와 문제점 등

 조사 방법
○ 학계를 통해 조사하되 시급성을 감안, 항목별로 팀을 구성해서

조사 및 보고서 작성 – 세미나를 통해 자료 공유 및 토론

- 3 -
별첨1. PSC 교량의 개념
기본 개념

○ PSC(prestressed concrete) 구조물은 강선이나 강봉을 이용

해서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미리 작용시켜 완공 이후 구조물 자체의

무게나 차량의 무게 등에 의해 구조물에 발생하는 인장응력(引張

應力)을 상쇄시키도록 만들어진 구조물

○ 1920년대에 프랑스 엔지니어 Freyssinet가 고안한 공법

○ 1950년대에 유럽에서 전후 복구 과정에서 적용한 이후 확산


- 강재가 부족한 시절 강재와 콘크리트 등 재료의 획기적 절감 가능

○ 미국은 1960년대에 장경간(長徑間; long-span) 교량에 적용1)

○ 1960년대 이후 전산구조해석이 활성화되고 자재, 장비, 가설공

법의 발전을 통해 관련건설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

○ 서울은 1981년에 원효대교와 1984년에 영동1교에 적용된 이후

내부순환도시고속도로 상의 두모교, 서호교, 정릉천고가교, 홍제천

고가교 및 서강대교, 행주대교 등에 적용2)

1) Effecf of Voides in Grouted, Post-tensioned Concrete Bridge Construction: Vol. 1, p.3, FHWA, 2009
2) PSC 박스거더교 유지관리방안 수립 용역 종합보고서, p.2, 서울시, 2015.12월

- 4 -
장 단 점

 장점
○ 경제적으로 장경간 교량 건설이 가능하고, 해협·협곡·도시지역 등

교각을 많이 세우기 어려운 여건에 유리

○ 구조물을 날렵하게 만들 수 있어 미적(美的)으로도 우수

○ PSC 강선의 부식방지 시 75년 내지 100년 이상 사용 가능3)

 단점
○ 세계적으로 PSC 강선의 부식으로 인한 문제 발생 사례 증가

3) Seok Been Im,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to Identify Voids in External Post-Tensioned 텐던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012, 16(3): 388-397
PSC 박스거더교 유지관리방안 수립 용역 종합보고서, p.2, 서울시, 2015.12월

- 5 -
공법 분류

 Pre-tension/Post-tension 공법
○ PSC 강선의 긴장(緊張)작업이 콘크리트가 굳기 이전·이후 여부에

따라 구분

○ 교량과 같이 대형구조물은 대부분 Post-tesion(이하 ‘PT’) 공법

으로 시공 ⇨ 본 보고서 검토는 PT 공법에 집중

(PT 공법의 용어 정의)

grout(그라우트)
PT wire(강선) - PT strand의 부식방
- 직경 5mm의 단일강선 지 등의 목적으로 덕
트 내에 주입

PT tendon (텐던)
PT strand(스트랜드)
- 다수의 스트랜드와
- 강선 7개를 꼬아 만든
그라우트, 덕트의 일체
강선다발
구조를 지칭

Voids(공극)
HDPE 덕트 관
- 그라우트의 빈 공간
- External 방식에 적용
- 텐던 부식 초래

Sheath 덕트 관 정착구(정착구)
- Internal 방식에 적용 - PT 텐던의 고정장치

- 6 -
 내부/외부(Internal/External) 공법
○ PT 텐던의 위치에 따라 구분

-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매입· 치되어 PT 텐던이 보이지 않으면 internal 공법,
콘크리트 구조물 밖에 설치되어 눈에 보일 경우 external 공법으로 분류

T1, T2, T3 internal


T4, T5, T6, T7 external

(Internal 공법)

(external 공법)

 부착/비부착(Bonded/Unbonded) 공법
○ PT 텐던이 주변 콘크리트와 부착(附着)되어서 부착면을 따라 응력을

전달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

- 예를 들어, 양쪽 정착구에서만 구조물에 압축력을 전달하는 External 방식은


비부착공법에 해당되고, 그라우트가 충실하게 시공된 경우 Internal 방식은
부착공법으로 분류4)

4) Effecf of Voides in Grouted, Post-tensioned Concrete Bridge Construction: Vol. 1, p.4, FHWA, 2009

- 7 -
별첨 2. PT 텐던 해외사고 사례 조사
유 럽

영 국
○ ‘67년 Bickton Meadows 보도교 붕괴5)

- internal PT 텐던의 부식이 원인

○ ‘70년대 후 반 Braidley R oad 교 부식으로 강선 전면 교체

- ‘64년 건설된 교량

○ ‘77년 external 방식의 PT 공법 교량에 적용 금 지 조치6)

- PT 텐던의 부식 방지와 교체가능성에 대한 재검토 촉발

○ ‘85년 Y nys-y- G was 교 붕괴

- ‘53년 완공 이후 붕괴 6개월 전의 점검을 포함 총 10회의 점검과정에서


PT 텐던이 부식된 징후가 외부로 나타나거나 손상 등 사전 징후 전무7)

5) Effecf of Voides in Grouted, Post-tensioned Concrete Bridge Construction: Vol. 1, p.3, FHWA, 2009
6) “Durable post-tensioned concrete bridges”, 2002, Technical Report No. 47, Concrete Society
7) “Nondestructive Methods for Condition Evaluation of Prestressing Steel Strands in Concrete Bridges,
1999, NCHRP Web Document 23, Final Report, Phase ⅠTechnology Review, p. 5,

- 8 -
○ ‘85년 Ta f Fawr 교 철거 후 재축 결 정8)

- precast 단면의 열화부분으로 침투된 물과 제설재로 인해 PT 텐던의 부식

○ ‘88년 Folly N ew Bridge PT 텐던 부식 발 견


○ ‘90년 M1 Black urn b R oad Bridge PT 텐던 부식 발 견
○ ‘92년 Botley R v
oad Flyo er PT 텐던 부식 발 견
○ ‘92년 벨 기에의 Melle Bridge 붕괴

-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점검 불가한 PT 텐던의 부식이 원인

○ ‘92년 internal 방식의 PT 공법 교량에 적용 금 지 조치

- 물과 제설재의 침투로 인한 PT 텐던의 부식에 대한 우려가 원인

○ ‘93년 “교량 특 별점검 5년 프로그 램” 시행9)

- 영국 전역에서 1100개의 PT 공법 교량을 5년간에 걸쳐 집중 점검


- Highways Agency에서 ‘점검 우선순위 (BD 54/93)’, ‘점검의 계획과 실행
(BA 50/93)’ 등 기준과 지침 시달
- 교량별로 3단계 조사 실시: 서류조사 ⇨ 현장예비조사 ⇨ 정밀현장조사
- 그라우트 미충진 30%, 덕트내 수분함유 13%, 심각한 부식 10%, 정착구
부식 25% 등 결함 발견

○ f
‘94년 Cli ton교 대대적 보수

- 교면방수의 기능상실로 상판 상부에 위치한 PT 텐던의 부식이 원인

8) P. Idris, “Monitoring of a post-tensioned Bridge during Demolition”, IABSE report, 1987


9) R.J.M. Cairns, st. al, “The management of post-tensioned bridges –the client’s perspective”, 2005, Bridge
Managemet 5, p.409-415

- 9 -
○ ‘96년 영국 콘크리트 학 회 PT 교량 내구성 대 책 표 발

- 덕트 내 완전 충진 의무화, non-bleed & non-shrink 그라우트 사용


- 다중 부식보호 대책 시행: 방수, 피복, 정착구 Cap, Plastic 덕트, Vent의
밀봉 등

○ ‘96년 PT 공법의 교량 적용 금 지 조치 해제

- 단, internal 방식의 precast segmental bridge10)는 사용금지 유지

영국 규정 BA 57/01
4.8 internal 방식의 precast concrete segment의 현장시공이음부분은 수분과 제설재의 침투에
아주 취약한 곳으로, PT 스트랜드에 심각한 부식을 국부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 비록 시공
이음부분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고 보호공법들이 개선
되었다고는 하지만, internal 방식으로 그라우트된 텐던을 사용한 건설방식은 한동안 금지
한다. 다만, external 방식은 허용한다.
4.9 segmental 공법과 관련해서 설계자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또 하나의 문제는 segment간
접착재의 큰 탄성수축과 creep11)변형과 균열의 봉합으로 인해 prestress의 손실이 추가로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 결과 segment 공법의 최종 prestress는 보통의 공법에 비해 상당히
적어질 수도 있다.

Internal 방식의 Segment 공법에 대한 미국와 영국의 인식 차이


○ 미국은 과거의 영국과 달리 segment의 접착재로 에폭시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PT 텐던의
부식 위험이 현저히 줄어들었고, 조사결과 미국의 경우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어
사용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
○ 영국은 미국이 문제가 없다고 하는 것은 단순히 육안조사 결과에 근거한 것으로 불수용12)

10) 내부순환 홍제천고가 구간에 적용된 공법


11) 어떤 물질이 힘을 받으면 장기간에 걸쳐서 수축·인장되는 현상으로 즉시 수축·인장되는 탄성변형과 구분
12) D. Collings, “The Durability of Precast Precast Segmental Bridges”, p. 303-307, 2000, Bridge Management 4

- 10 -
○ ’10년 런 던의 Hammersmith Flyo er에 v A E 계측장치 설치13)

- ‘60년대초에 건설된 런던의 A4 간선도로상의 고가도로


- 연장 622m의 segmental PT 교량
- 파취조사 결과 극심한 부식상태 확인

- ‘10년 PT 텐던의 파단시 탐지 가능한 AE14) sensor 300개 및 경사계,


응력계, 온도계, 변위계 등의 센서를 설치
· 센서를 통해 텐던의 파단 위치를 50cm이내의 오차범위에서 탐지

강선 파단 햄머 드릴

13) G.T. Web, “Analysis of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Data from Hmmersmith Flyover, 2014, ASCE
14) Acoustic Emission: PT 텐던이 끊어질 때 방출되는 소리를 탐지해내는 기법

- 11 -
 기타 유럽국가
○ 스위스

- ‘98년 107개의 교량을 조사한 결과 13%의 그라우팅 결함 발견15)

○오 스트리아

- ‘00년 10개의 교량을 조사, 약 24%의 그라우팅 결함 발견

○ 프랑스
- ‘99년 163개의 교량을 조사한 결과 12%의 그라우트 결함 발견
- ‘00년 시멘트 그라우트재의 시험을 통해 일반적 블리딩(bleeding)16)과 strand의
심지효과17)에 의한 블리딩 현상 등 그라우팅의 결함 발생 메커니즘 규명

- ‘01년 다수의 PT 텐던 파단 사고 이후 external PT 텐던에 시멘트 그라우


트재 대신 왁스계열의 flexible filler 사용을 의무화18)

COST Action 534


“New materials and systems for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 유럽의 17개 국가가 2002년부터 2007년까지 PSC 구조물의 내구성에 관해 합동 연구 시행

15) “Durable post-tensioned concrete bridges”, 2002, Technical Report No. 47, Concrete Society
16) 시멘트 성분의 침강 또는 분리에 의해 혼합수의 일부가 유리(遊離)되어 상승하는 현상
17) PT 강선들 사이의 틈이 혼합수가 빠져나오는 통로 역할을 하여 혼합수가 상승하는 현상
18) Florida DOT, “Post-Tensioning Corrosion and Grouting”, 2014, ppt

- 12 -
미 국

○ ‘99년 N iles Channel교 external PT 텐던 파 단 (FD O


T19))

- 플로리다주의 해안고속도로의 일부
- ‘83년 완공된 연장 11km의 precast segmental 교량
- 234개의 external 방식의 텐던
- ‘99년 교량 신축이음 근처의 정착구(정착구)에서 텐던 1개소 파단
- 정착구내의 공극으로 염화물을 함유한 물이 침투하여 부식 발생

○ ‘00년 Mid Bay교 external PT 텐던 파 단 (FD O T)


- 플로리다주 촉타와치만(Choctawhatchee Bay에 위치
- ‘92년 완공된 연장 5.8km의 precast segmental 교량
- 정착구부근의 공극으로 인해 텐던이 부식되어 1개 텐던의 완전 파단과 1개
텐던의 부분 파단 발생, 700개소에 이르는 공극 발견
- 전체 846개의 텐던중에 11개의 텐던을 교체

(a) 정착구 주변의 텐던부식 (b) 정착구의 텐던부식


(c) bleeding 수의 통로 (d) PT 덕트의 균열

19)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플로리다주 교통국

- 13 -
- FDOT의 조사 결과
· 정착구 주변의 텐던에서 심한 부식 발견
· 정착구 주변과 경간 중앙부분에서 많은 수의 그라우트내 공극 발견
· 덕트내의 스트랜드 주변에 그라우트 두께가 0~3.8cm까지 변화
· 공극부분의 그라우트의 탄산화가 6mm 깊이까지 진행되어 pH가 8~9에
불과하고, 그라우트 표면의 색이 백색에서 암회색으로 변화하였으며, 그
라우트 팽창재로 사용된 알루미늄 분말이 퇴적

· HDPE 덕트의 균열

○ ‘00년 Sunshine Sky교 교각 수직 external PT 텐던 파 O


단(FD T)

- ‘54년 건설 이후 ’80년 화물선의 충돌로 피해를 입어 ‘87년 재건설

- 플로리다주 템파베이에 위치한 연장 8.8km의 사장교 형식 segmental 교량

- 신설 교각에 설치된 연직 텐던의 상하단 정착구 주변에서 심각한 부식발생

- 14 -
- FDOT의 조사 결과
· 조잡한 그라우트 재질과 그라우팅 시공
· Bleeding 수(水)의 증발로 인해 형성된 정착구 주변의 공극의 존재
· HDPE 덕트의 균열
· 조잡하게 시공된 세그먼트의 접착이음부와 정착구의 틈새, 덕트의 균열
부분을 통해 해수와 교면(橋面)의 물이 침투
· 노출된 스트랜드 근처의 습기와 염화물에 의해 오염된 환경

○ ‘01년 prepackaged20) 고성능 그라우트(HP ) G최 초 개발 (VD T)21)O


- Smart Road 교에 최초 적용

- 그라우트 품질관리와 bleeding으로 인한 공극발생 방지 목적22)

○ ‘02년 U S460도로상 segmental 교량 시공을 위한 모형 실험 O (VD T)

- 승인된 HPG를 사용한 텐던 내에 공극, 재료분리, soft그라우트 발생

20) 또는 pre-bagged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함. 재료에 대해 사전에 승인을 받은 그라우트를 포장하여 판매하는 제품
21) VDOT, 2013, “Guide Specification for Bonded Tendons”, ppt
22) P. Amir,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 Strutures, 2016, p. 49, Woodhead Publishing

- 15 -
○ ‘07년 Varina-Enon교의 external PT 텐던 파 단 (VD O T)

- 버지니아주 리치몬드 근처의 제임스강에 위치


- 1990년에 개통된 사장교 형식의 segmental 교량
- ‘01년 텐던내 결함 조사를 통해 공극 발견
- ‘03~’04년 공극내 그라우트 재주입

- ‘07년에 그라우트 결함을 보수한 부분에서 1개의 텐던 파단


· 자속탐상법 등을 이용한 추가조사를 통해 20개소의 부식된 텐던을 교체
· 조사결과 기존의 그라우트와 신규 그라우트의 경계지점에서 파단 발생
⇨ 신규그라우트와 기존그라우트 사이에서 전위차(電位差)가 발생하여
갈바닉 부식 전지가 형성되어 부식 촉진
⇨ PT 텐던의 새로운 부식 메커니즘으로 판명되어 관심 집중
⇨ VDOT와 TxDOT PT 교량 보수 중지(moratorium) 시행23)

- ‘12년 동 교량에서 3개의 강선 파단 추가 발생24)

○ ‘08년 플 로리다 대학 PT 텐던 비 파 괴검사법 개발25)

-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학에 의한 방법

- 기존에 공극이나 강재의 단면손실을 탐지하기 위한 비파괴검사기법26)은 정확


하지도 않고 자료의 해석이 어려운 반면, 동 기법은 적용이 용이하다고 주장

23) TxDOT, “Effect of Voids in Grouted Post-Tensioned Concrete Bridge Construction”, 2009, Executive
Summary
24) S. Michael, “Post-tensioned Grout Update(Design, Specifications, Material & Construction), 2013, VDOT
25) Univ. of Florida, “Sensor to Detect Corrosion in Post-Tensioned Bridges and Buildings”
26) magnetic flux, ground-penetrating radar, impact echo, ultrasonic soundwaves, and gamma-ray spectroscop

- 16 -
○ ‘11년 R ingling교27)의 2개의 external PT 텐던 파 단 발 견 28)(FD O T)

- 요변성29) 그라우트로 시공된 segmental 교량으로 ‘03년 완공

- 텐던 파단 사고 추가 발생

- 광범위한 조사를 통해 17개의 텐던 교체 및 500개 이상의 공극 보수

- 그라우트내 공극, 재료분리, 텐던 부식, 덕트 밀봉상태 불량, 그라우트


상태 불량

요변성 그라우트의 시공 상태 유형 – Type 1, 2, 3 결함30)


· Type 1: 재료분리가 되어 점토처럼 젖은 상태의 그라우트 (soft grout)
· Type 2: 재료분리가 되고 검은 띠 층을 보이는 그라우트
· Type 3: 재료분리가 되어 백묵같이 마른 흰색의 그라우트(chalky grout)
· Type 4: 경화된 회색의 마른 그라우트(hard grout)

그라우트 공극 없음
4는 하부에 위치(중력작용)
1,3의 결함 으로 부식 발생
1,2,3형 태 결함
의 으로
부식 발생

개봉된 정착구 개봉된 정착구


3의 결함 으로 부식 발생 1,3의 결함 으로 부식 발생

27) 이후에도 플로리다주에서는 Wonderwood교, I-4/Crosstown Connector, I-95/I-295 인터체인지 등에서 PT 텐던의
부식문제 지속적으로 발생
28) P. Jeff, “FDOT Grouted PT Inspection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 2014, FDOT
29) 요변성(搖變性, thixotropic); 단순히 젓든지 흔들어 줌으로써 겔(Gel)이 유동성 졸(Sol)로 변하고 이것을 방치하면 다시
겔로 되돌아가는 성질, 요변성 그라우트는 pre-bagged 그라우트재로 ‘90년대 미국에서 PT 텐던과 정착구의 부식방
지를 위해 시멘트 그라우트재의 대안으로 선정되어 시공
30) FHWA, “Guidelinesfor Sampling, Assessing, and Restoring Defective Grout in Prestressed Concrete
Bridge Post-Tensioned 덕트s”, 2013

- 17 -
○ ‘11년 S R 116교 결함 견발 (FD O
T)

- 2003년 완공, internal 방식의 PT 텐던

- 16개소의 덕트 부식, 14개소의 soft31) grout, 15개소의 경미한 strand 부식

○ PT 텐던의 그라우 팅 문제가 국가적 이 슈로 부각

- 특히, 『Sika 300PT』 등 요변성 그라우트 제품의 불량이 문제

· 염화물의 과다 함유(Sika 300PT)


· 기준보다 무게 미달 (10%) (Sika 300PT)
· 나무조각 등 이물질 포함 (다수의 제품)

- 다른 주에서도 유사한 그라우트 품질의 문제와 함께 PT 텐던 부식 발견

○ b
Pre- agged 요 변성 그라우트로 시공된 모든 교량 조사 (FD O T)

- 69개의 segmental 교량, 거더(girder)교, PT 텐던을 설치한 하부구조 등

- 대부분의 교량은 부식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상태

- 경사진 deviated 텐던에서만 부식 발견

- 수평으로 설치된 텐던의 경우 부식 전무

교량조사 과정에서 노출된 문제점


- 현재의 비파괴검사기법은 모두 그라우트 된 PT 텐던의 점검에 부적합

- 파괴검사기법은 internal 텐던 전체 연장의 1% 미만에 불과

- 현재 사용되는 조사방법은 너무 늦고 많은 비용 소요

- 텐던의 손상 시 엄청난 보수비용 소요

○ PT 강선에 대한 대안 검토 (FDOT)

- 에폭시코팅 strand, 스테인레스·탄소섬유 strand, 그리스(grease) 주입


strand 등을 사용하는 방안을 연구

- 매우 고가(高價)이고, 공사시 손상 또는 누출되거나 적합한 정착장치가


없어 사용에 부적합한 것으로 결론

31) 제대로 경화되지 않은 그라우트

- 18 -
○ ‘12년 미 네소타 주 PT 교량의 점검 실 무지 침 개발 (MD O T)32)

- ‘03년 이전에 건설된 40개의 PT 교량의 공극 및 부식 여부 조사


· 교량형식을 대표하는 10개의 교량에 대해 육안 조사
· 3개의 교량은 파취 및 내시경 검사 시행
- 점검 결과
· 1개 교량 – 공극이나 부식이 없이 양호
· 1개 교량 – 그라우트 양호, 부식 발생
· 1개 교량 – 그라우트 불량, 부식 발생
- 향후 계획:모든 PT 교량에 대해 전면 정밀검사 수행

보고서내 참 할고 만한 내용

- ‘03년 이전에 건설된 교량의 스트랜드 주변에는 일반적으로 공극이 존재하지만,


기후, 시공방법과 구조물 형식에 따라 손상의 정도가 광범위하게 변화
- PT 스트랜드의 손상은 외관상 징후가 거의 없고, 기존의 비파괴방식으로는
이러한 형태의 교량에서는 신뢰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음
- 공극탐지 및 보수방법

· GPR에 의한 텐던 위치 파악
· 파취 및 내시경으로 텐던내 공극 여부 조사
· 점검 후 에폭시로 밀봉
· 습기, 균열, 녹 등이 발견되면 스트랜드와 그라우트 상태에 대한
정밀조사를 위해 덕트와 그라우트 제거 및 염화물 시험

○ ‘12년 PT 교량 및 사장교 비 파 괴검사기법 연 구 착수 (T R B)33)

- ‘16. 3. 31 연구 완료 예정

- 육안점검이 어려운 PT 텐던과 사장교케이블의 부식, 단면손실, 파단, 그라


우트 상태, 공극, 물의 유입, 정착구에서의 텐던의 열화와 격벽, deviator,
cable saddle 등에 대한 점검을 위해 적절한 비파괴검사기법이나 조합을
선정할 수 있도록 지원
32) MDOT, “Devleopment of Best Practices for Inspection of PT Bridges in Minnesota”, 2012
33) NCHRP 14-28, “Condition Assessment of Bridge Post-Tensioning and Stay Cable Systems Using NDE
Mehtod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 19 -
○ ‘13년 접착식 PT 텐던에 대한 가이드 시방서 제정 (VD OT)

- 재료상의 문제

· ‘95년 이전의 그라우트는 bleeding과 재료분리 발생

· bleeding 수의 증발로 인해 공극 발생

· 공극으로 인해 그라우트에 의한 스트랜드 부식 방지 기능 상실

· 물시멘트비가 0.42이하로 적절하게 관리된 경우 bleeding 비율 약 4%

· 45m 길이의 변곡(變曲, draped) 텐던의 경우 정착구의 고점(高点)에서


약 1.8m 길이의 공극 발생

- 설계상의 문제

· 변곡 텐던의 경우 상단의 스트랜드를 그라우트로 보호하는 것이 불가능

⇨ 적절한 그라우트재가 확인될 때까지 현장에서는 모형시험을 통해


사용하는 그라우트의 성능 확인 권장

- 20 -
○ ‘13년 PSC 교량 그라우트 결함 조사· 평 가·보수 지 침 제정(FH WA)

- bleeding으로 인해 공극이 발생하는 기존 그라우트재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pre-bagged 형태의 요변성 그라우트를 사용하도록 규정하였지만

- 재료분리 등 결함과 텐던 안에서 물·염화물·황산염이 발견되는 등 많은 문


제가 있어 이에 대한 관리지침을 마련

○ ‘14년 그라우트 대 신왁 스제 품 사용 정 책 표 발 (FD O


T)

- ‘01년부터 왁스를 사용 중인 프랑스 현지 조사 시행

- 일부 internal 방식을 제외하고 wax filler 사용을 의무화34)

Wax Filler 주입 결과

장 점 단 점

- 점검 용이: 캡, 덕드 등 Open 가능 - 고가의 재료비로 공사비 증가 (약 1%)


- 필요시 PT 텐던의 교체 용이 - 고온(약 104°C)에서 시공
- 장기간 안정적인 재료 - 비부착공법으로 효율성 다소 저하
- 방수 및 방식 기능 탁월 - 공급업체 제한적
- 그라우트와 유사한 시스템 사용 - 정착구 보호를 위한 상세설계 미흡
- 핵(核)산업분야에서 40년 동안 문제없이
사용 중

34) FDOT bulletin April 30, 2014, “Revisions to Policy for Post-Tensioning 텐던s”

- 21 -
○ PT 텐던의 부식방지재인 Post-Tech Cl 개발35)(FD O
T)

- 플로리다 DOT 연구소에서 개발 및 현장 시험


- 점성이 낮은 고분자 수지(樹脂)를 정착구 위치나 중간위치에서 주입
· 한 개소에서 75m 이격지점까지 주입 가능
- internal 및 external 방식의 PT 텐던 내 공극의 충진 및 강선 보호 기능 확인

정착단에서의 주입 중간지점에서의 주입

정착단에서의 주입 75m 이격지점의 Post-Tech 주입재

○희 양 생 극법에 의한 텐던 부식 방지36)

- 전기방식(cathodic protection)은 PC 강재에 수소취화(水素脆化, hydrogen


embrittlement) 초래하므로 희생양극법에 의해 부식 방지

35) Post-Tech PTI Impregnation System, Panphlet


36) H.Liao, “Post-Tensioning Corrosion Evaluation and Mitigation”, 2013, pamphlet

- 22 -
H.Liao 논문 중 참 할 고 만한 내용

○ PT 텐던의 부식 원인

1. 스트랜드간또는 강선간의 공극과 습기

2. 그라우트의 bleeding

3. 그라우트의 재료분리

4. 정착구를 통한 물의 유입

5. 홍수 등에 의한 물의 유입

6. 염화물을 함유한 그라우트

7. soft 그라우트와 높은 농도의 부식 이온

8. 텐던 내 서로 다른 그라우트재의 존재

○ 대부분의 부식이 정착구 주변에서 발생

○ internal tendon 조사방법

1. 그라우트와 강선의 상태 확인을 위해 일부 콘크리트 파취

2. 습도에 따른 부식위험 평가

- 습도 0.7% 이상의 습윤상태의 텐던 부식위험

- 습도 0.3% 이하의 건조상태의 텐던 안전

3. 자속법(Remnant magnetism)을 사용하여 강선이나 스트랜트의 파단 조사

○ internal tendon 보수방법

1. 텐던과 그라우트의 습기 제거 – 건조한 공기 주입

2. 그라우트 주입

3. 희생양극법에 의한 텐던의 부식 방지

- 23 -
아 시 아

 일본
○ 1950년대에 PSC 교량 처음 도입37)

○ ‘90년대 PSC교량의 PT 텐던의 그라우트 결함 사례 보고

- 일본 내 상당수의 교량에서 그라우트 결함 발견

- 도로관리공단38)은 internal grouting 형식의 신규 PSC 구조물의 건설 금지39) 및


15)
external 형식 채택토록 조치

- PSC 교량의 내구성 증진을 위해 투명 쉬스관을 사용한 external cable과


non-bleeding 그라우트재와 pre-grouted 텐던의 사용을 권고

37) H. Mutsuyoshi, “Recent technology of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in Japan”, 2010, IABSE_JSCE Joint
Conference on Advances in Brdige Engineering Ⅱ
38) ‘03년 현재 NEXCO(일본고속도로주식회사)로 민영화
39) H. Mutsuyoshi, “Present Situation Of Durability Of Post-Tensioned Pc Bridges In Japan”, 2001,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Structural Concrete

- 24 -
○ ‘94년 도로설계 요령 등에 전면교면방수 명 시

○ ‘96년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 개정

- ‘96년 고성능 AE감수제40)를 사용한 non-bleeding 그라우트재 사용 권고

- ‘02년 non-bleeding 그라우트재 사용 의무화

○ ‘02년 external 텐던용 투명 보호관 미국 특허 획득


- 미·일 합작회사인 Anderson Technology Corp.

- 투명 쉬스관, pre-grouted strand등을 개발

40) Air entraining and water reducing agent: 미세한 공기거품을 넣어 물을 줄이고 작업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학 혼합제의 일종

- 25 -
○ ‘07년 PSC 도로교 건전도 평 가의 고도화에 관한 공동 연 구 시행

- ‘07~’08년 국토교통성 국토기술정책종합연구소와 PC 건설협회

프리스트레스량의 비파괴 검사 공동연구보고서

○ 13년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 개정41)

- Prestressed concrete 구조물의 유지관리 원칙 새롭게 도입

- 균열형상에 따른 점검 사례 등 추가(10.3.2 초기점검 해설 표 10.3.2)

41) “PC技術の最近の動向”, 2013,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건설업협회, PC교등의 유지관리에 관한 연수회 PPT

- 26 -
일본『PC공학회』 회장 宮川豊章 京都大 교수 인터뷰 요약
- 2010년경 “도로구조물 저널 NET”과 인터뷰

○ 그라우트가 PSC구조물의 수 명 결을 정

- 건설 당시 그라우트에 대한 의식 및 기술수준이 미흡하여 등한시


- 제설제 등의 염해가 열화 촉진

○ 그라우트 충 결함
진 의 원인

1) 기술자 의식의 문제
2) 그라우트의 bleeding
3) 하향 경사구간의 잔류공기 효과 – 그림 참조

○ 90년대 말 터
부 사용한 Non-Bleeding 그라우트재의 효과는 분 명
- 제설재의 사용유무, 상판방수공의 설치유무에도 영향

○ 국부적으로 공극 율 이 40 % 에 달하는 곳 존 도 재

○ 그라우트 충 진도 조사방법 검토·정리 중

1) 방사선투과법(X선) 2) 타음진동법 3) 광역대초음파법 4) 충격탄성파법


(Impact-echo 법) 5) 삭공(削孔)조사법 등
2) 비용절감을 위해 건설시기, 형식, 손상도 등에 따라 점검방법 확립 필요
3) 파단된 강재의 확인 및 잔류 prestress 측정 기법 개발
· 파단된 강재는 S-N극이 새로 발생되는 원리 이용 등

○ 보수는 그라우트 재주입, 보강은 external PT 텐던 추 필요


- JR은 다소의 경사에도 고속철이 탈선할 가능성이 있어 보강에 집중.


도로교는 보수로도 충분할 것으로 기대

- 27 -
○ 타
기 교량 관리 신기술 개발 – 일본고속도로관리주식회 사 사례

- 위치인식기술을 이용한 점검위치 등 입력 지원

· GPS와 다기능 센서를 이용하여 점검자의 위치정보 및 구조물 정보 등을


자동으로 취득하여, 점검시에 입력한 점검 데이터를 점검관리시스템에
반영하는 시스템을 개발

- 대용량 화상해석기술을 이용한 변상(變狀) 평가 지원


· 점검시 취득한 테이터에 대해 과거의 유사한 변상 데이터를 제시하고,
변상의 판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
· 숙련자의 판정정보를 자동적으로 축적하여 판정의 노하우를 시각화함으로써
판정자의 효율적인 육성 지원 가능

- 28 -
 홍콩
○ 콩 홍 의 콘크리트 고가도로의 30 % 이상이 Post-Tensioned 형 태 42)

○ 콩 홍 교량구조물의 위 험요 인

- 교량 대부분이 해안가에 위치 염해(鹽害) 우려


- 여름의 극심한 폭우에 노출/습도가 높은 기후환경
- 대부분의 교량에 교면방수 미시공
- 누수에 취약한 신축이음부 구조
- 점검 및 관리가 어려운 반턱이음(half-joint)구조로 시공된 고가도로 다수
- 시공이음부가 취약한 segment 교량
- 조잡한 시공 및 저급한 감독시스템 아래 대다수 구조물 건설

○ 그라우트 결함 실태

‘60년대 ‘70년대 ‘80년대 ‘01년

- 그라우트재의 과도한 수화열(水和熱)과 조기 경화(硬化)로 인해 그라우트재의


연속적인 주입이 방해를 받는 것는 것도 원인으로 지목

42) F. Dick, “Effective Inspection and Monitoring of Post-Tensioned Structures and a Review of
Preventative Maintenance Issues”, 2005, Amey Infrastructure Services, ppt

- 29 -
○ 그라우트 결함 발생 취 약 개 소
- segment 공법의 이음부
- 시공이음부
- PT 텐던의 고점(高点)과 저점(低点)
- 정착구(정착구)

○ 영국의 규 정에 따라 점검

- 교령(橋齡), 구조형식, 취약개소 여부, 교통량, 노선의 중요도 등을 고려


1~5까지 우선순위 등급 구분
- 1단계(서류검토), 2단계(예비현장조사), 3단계(정밀현장조사)로 단계별 점검

텐던 탐지기 텐던탐지(레이더) 내시경 공극조사

전위 측정 저항 측정 염화물 측정 강도측정

○ 보수·보강

- 그라우트 결함부 재주입


- external 텐던/탄소섬유·유리섬유 plate의 추가
- 낙교 방지를 위한 가설벤트 시공 (단, 낙교 발생시에만 작용하도록 설치)

external 텐던 추가 탄소섬유 보강

- 30 -
○ 존
기 교량의 내구성 증진을 위한 조치

- 교량 상판에 교면 방수 시공

교면 방수 기준 강화

- 포장 하부 배수공 시설 의무화
- 방수막 두께 2.5mm 이하로 제한
- 포장 두께 10cm이상으로 강화 등

- 누수 발생 신축이음 교체
- 반턱이음 등 불합리한 구조 개선
- 영구 부식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 구스아스팔트의 사용 등

교면 방수의 시공단면

포장하부 배수공의 개념

- 3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