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1.

2063 의제 이행 현황에 대한 첫 번째 대륙 보고서

(…전략…)
목표2: 과학, 기술, 혁신을 지원할 수 있는 충분한 자격을 갖추고 잘 양성된 시민들

이 목표의 전반적인 성과는 24%에 불과했지만, 아프리카는 기초교육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


다. 취학률 또한 2019년 목표인 90.7%보다 낮지만, 2013년 76.8%에서 2019년 80.8%로 상
승했다. 세이셸에서는 2019년 초등교육 등록률이 100%를 기록했고, 남아프리카와 토고는 각
각 2013년 88.1%와 83%에서 2019년 94.2%와 93%로 증가했다. 에티오피아에서는 85.7%에
서 97%로, 부르키나파소에서도 마찬가지로 2013년 63.2%에서 2019년 74.3%로 높아졌다. 많
은 국가에서 초등교육 평준화를 동반한 기초교육 취학률의 현저한 발전은 무상기초교육으로
부분적인 설명이 가능하다. 이는 또한 각 국가의 다양한 개입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
어, 부르키나파소에는 교실 건설과 학교 식당 설립을 위한 공공 예산 지급의 국가 프로그램이
있고, 코트디부아르에서는 의무교육정책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모든 6세 아이들이 16세까지
교육 시스템에 등록되고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유치원과 중등교육의 취학률 상승과 관련하여 아프리카 대륙의 전반적인 성과는 각각 9.5%와
8.2%로 미미했다. 유치원과 중등교육의 등록률은 각각 2013년 39%와 25.7%에서 2019년
43.4%와 29.4%로 소폭 증가했다. 세네갈에서는 2018년도에 각각 17.8%와 34%의 미미한 증
가를 기록했지만, 이 수치는 2019년도 목표치인 35%와 71%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경향
은 아프리카 내 다른 나라에서도 나타났는데, 부르키나파소의 경우 2019년도 예상 취학률은
7%였던 것에 반해 유치원 학생들의 실제 취학률은 4.3%로 증가했다. 중등교육 등록률도 마찬
가지로 2013년 22.1%에서 6.9% 상승하긴 했지만, 이는 2019년도 목표 대비 15%밖에 달성하
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트디부아르에서도 유치원 취학률이 6%에서 9.4%로 상승했지
만, 여전히 계획한 목표치인 13.2%보다는 낮다.

2. 부르키나파소의 학교 식당 : 불만족스러운 종합 평가

<교육 체계에 대한 특정한 자금할당국(DAMSSE)>은 2019년 2월 12일 화요일에 열린 기자회


견에서 학교 식당 종합 평가 및 운영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또한 DAMSSE는 <국립 교육, 문
맹 퇴치 및 지역언어향상부(MENAPLN)1)>가 담당하는 분야의 개선 전망에도 주목했다.
속이 빈 배는 귀가 없고, 교육을 이해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한다. 그것이 바로 DAMSSE
의 책임자인 Roger Ilboudo가 “부르키나파소와 같은 국가에서 학교 식당은 교육 목표를 달
성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함에도 엄청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고 평가하는 이유이다.

이러한 관찰을 바탕으로 DAMSSE는 언론인들 앞에서 학교 식당 기능의 어려움과 종합평가,


그리고 관련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했다. 정부는 MENAPLN을 통해 학교 식당

1) Ministère de L'Education Nationale, de l'Alphabétisation et de la Promotion des Langues


Nationales의 약어. Ministère de l’Education Nationale et de l’Alphabétisation(MENA)로 표기
하기도 함. 우리나라 교육부와 동일. 유치원부터 초중등 교육, 기술 및 직업 교육 및 훈련과 비정규
교육에 대한 정부 정책을 실행하고 모니터링 하는 기관.
을 세워 학습자에게 좋은 영양 상태를 보장함으로써 학교 성적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
고 있다. 2018년 부르키나파소 정부는 중·고등교육기관 식당에 16억 5천만 세파프랑(한화 약
33억 원)을 할당했다.

DAMSSE의 책임자인 Roger Ilboudo에 의하면 학교 식당은 국가, 가톨릭 구호 서비스(CRS)2)


라는 NGO단체 그리고 유엔세계식량계획(PAM)3) 세 개의 주요 파트너와 협업하고 있다. 참고
로 Roger Ilboudo는 식민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학교 식당은 내인성의 식당과 보조 식당의
형태로 존재했다고 했다. 1960년 8월 16일, 부르키나파소와 미국 NGO단체인 CRS 간의 식량
분배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CRS는 프로그램의 관리가 교육부로 이전한 1988년까지 아
무런 대가 없이 학교에게 식당 운영을 위한 식량을 공급했다.

이후 CRS는 프로그램에서 점차 물러나 원조 대상을 한정짓게 되었다. 오늘날 CRS는 Bam 주


와 Sanmatenga 주에 있는 학교 식당의 운영에만 개입하고 있다. PAM에 의하면, 첫 번째 국
가 프로그램(2000-2005) 이후 그들은 10개 지방의 학교 식당에 식량을 공급하고 있으며, 현
재는 Sahel 지방, 특히 Soum과 Séno 주의 식당 운영에만 개입하고 있다.

이렇듯 파트너가 서서히 철수함에 따라 정부는 이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국가 예산으로 학교


식당에게 보조금을 주면서 개입하기 시작했다. 2017년부터 유치원 및 초등교육기관 식당의 식
량을 위한 용도로 마련된 재정이 지방자치단체로 이전되었다. 국가와 그 파트너들이 지원하는
모든 학교 식당들은 DAMSSE가 운영한다. 학교 식당 개방을 위한 식량 혜택을 받으려면 모
든 기관은 서식에 맞춰 신청서를 작성하고 DAMSSE가 제시한 조건을 따르기로 약속해야한다.

식량주문과 배송을 관리하는 것은 지방자치단체의 관할인데, 그곳에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


다. Roger Ilboudo는 국가로부터 지급되는 자원이 충분하지 않은 뿐만 아니라, 학교 식당의
관리와 공급을 위해 지정된 공공 및 민간 서비스 부분의 관리가 형편없다고 지적했다.

DAMSSE의 책임자는 “한 지역은 쌀 10만 봉지를 주문할 수 있는데, 조사관이 도착해 확인해
보면 9만 개의 쌀 봉지만을 찾을 수 있다. 다른 만 봉지는 사라진 것이다.”라고 말하며
“MENAPLAN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찾고 있으며, 아직 보강이 필요하다.”고 덧붙
였다. 그에게 식량 문제는 극도로 예민한 문제이다. 왜냐하면 이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마련
된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우리가 이 문제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그 결과는 끔찍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품질과 수량을 모두 관리해 MENAPLN에게만 보고하는 전문 사무소를 채
용하는 이유이다.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은 현행 규정을 준수하지 않고 있으나, <국가감독원 및 부패방지고등관청


(ASCE-LC)4)>에 보낸 보고서에는 모든 것이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DAMSSE는 각 지방자치
단체가 그들의 행동에 책임을 질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 Roger Ilboudo는 노동조합과

2) Catholic Relief Services. 빈곤과 질병에 대응하여 구호 활동을 펼치는 미국의 NGO 단체.
3) 영문으로는 World Food Programme(WFP). 식량 원조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한 UN기구.
4) 영문으로는 the Higher State Supervision and Anti-Corruption Authority.
의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2019년에는 4개월, 2020년에는 6개월, 2021년에는 9개월 동안 학교
식당에 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3. 아동친화 고품질 학교 : Sahel 지방의 교육 시설 보급 및 학생 유지에 대한 접근

부르키나파소의 Sahel 지방은 대내적으로 취학률이 가장 낮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소


수의 아동은 광산에서 일을 하기 위해 등교를 하지 않거나, 시대에 뒤떨어진 사회문화관습의
희생자가 되기도 한다. 이 상황을 바꾸기 위해 3개의 UN기관과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가
힘을 합친다. 교육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4월 15일, Dori 시에서 약 20km정도 떨어진
Katchirga 학교에서 “아동친화 고품질 학교”(이하 EQAmE) 프로젝트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
다. 30억 세파프랑(한화 약 61억 원) 이상이 사용된 이 다자협력 프로젝트는 Sahel 지방의 4
개 지역을 포괄한다.

(…중략…)
그래서 이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해, UN의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계획(WFP), 유엔아동
기금(UNICEF)은 EQAmE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가 지
원하는 학교경영관리위원회 지원 프로젝트(PACOGES5))와 협력해 시행될 것이다. 프로젝트 시
행기관 대표인 UNICEF의 부대표 Sylvana Nzirorera는 EQAmE의 교육 접근법은 학교에 대
한 아이들의 태도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부르키나파소의 모든 아이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는 것은 시급한 문제라고 말했다.

EQAmE, 학생들의 성공을 위한 일련의 조치

EQAmE는 UNICEF가 정부와 함께 추진한 혁신이다. 이 프로젝트는 교육, 사회화, 그리고 학


생들의 이익을 위한 기술 기반 개발과 같은 모든 교육 구조의 중요한 과제를 수행해야한다는
점에서 변화의 중심지라고 정의된다.

이와 같은 주도적 행동의 목표는 “빈곤 지역을 대상으로 교육 및 고급 인재 양성 분야의 보편


적 접근을 위해 공교육의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인적 자본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교육부 장관에 따르면, 정부는 Sahel 지방에서 이러한 접근이 시작된 것에 만족하고 있다.
Samadou Coulibaly 장관은 “3년 간 중북부와 중앙 고원 지역에서 이 접근 방식을 시행한
결과는 이를 보편화하겠다는 MENA의 결정에 힘을 실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EQAmE가
학업 성과, 교육-학업 프로세스의 품질, 그리고 전반적인 아이들의 발달을 크게 향상시킨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면, 2014년에는 CEP6)에 합격해 6학년에 진학할 때 EQAmE를 다닌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의 점수 차이가 16점에 달했다.

그리고 프로젝트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장관은 지역 사회, 지역 공동체, 교육 시민단체, 그

5)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의 기술과 재정적 지원을 받아 시행되는 프로젝트. 교육 환경이 열악한 곳을


대상으로 경영관리위원회를 설립해 학교 시스템과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
6) 초등학교 6학년으로 진학하기 위해 봐야하는 시험.
리고 Sahel 지방의 지도자들에게 각자의 역할을 다하면서 프로젝트에 완전히 뛰어들어달라고
간청했다.

교실, 식당, 그리고 학교 정원…

Seno, Soum, le Yagha, Oudalan 주의 EQAmE는 아래 사항을 목표로 삼는다.


- 4개 지역에 있는 130개의 초등교육시설을 EQAmE로 변경
- 20개의 시범 학교를 EQAmE로 변경
- Sahel 지방, 더 정확히는 Soum 주 Béléhédé의 모든 품질 기준을 준수하며, 유치원, 초등
교육시설, 중등교육시설, 그리고 비정규 교육으로 이루어진 세 개의 예시 복합시설 건설

이 기반 시설을 구축하는 데 드는 실제 비용은 30억 세파프랑 이상일 것이다. 이 투자는 다음


과 같은 일을 가능케 한다.
- 급식 외에도 여학생들이 집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식사를 제공해주고 요구르트 프로젝트7)
를 진행하는 학교 식당을 통해 아이들의 영양 상태 개선
- 지역의 27개 학교 중 23개에 정원 제작
- JICA가 지원하는 PACOGES 프로젝트의 협력으로 150개 학교의 수입 창출 활동 지원
- 야간학습을 위한 태양전구 보급
- 학교 관리 위원회(COGES) 설립
- 정원 가꾸기, 체육, 도서관 관리 등을 고려하면서 구체적인 모듈에 접근하는 교사 양성

따라서 EQAmE는 부르키나파소 Sahel 지방에서 학생들의 교육을 방해하는 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다자협력 프로젝트이다. Cissé Oumarou는 학생들을 대표해서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
들을 무지의 손아귀와 학생들의 미래를 위협하는 문제로부터 “구해내줄 파트너들”에게 감사를
표했고, Katchirga 학교의 학생들은 대표 학생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이 받는 지원에 걸맞도
록 공부하겠다고 약속했다.

4. “Beoog-Biiga 2” 프로젝트 : 중북부 지역에서 만족스러운 결과

(…전략…)
“The Léona M. and Harry B. Helmsley Charitable Trust” 재단이 후원한 만족스러운 첫
번째 단계 이후 여전히 많은 다른 학교의 요구를 고려하여 같은 재단이 프로젝트의 두 번째
단계에도 자금을 지원했다. 2017년 3월 15일부터 2020년 3월 14일까지 시작된 두 번째 단계
의 검토 결과, Beoog-Biiga(“내일의 아이들”이라는 뜻의 무어어) 프로젝트는 Bam과
Sanmatenga 주에서 2억 세파프랑(한화 약 4억 1천만 원) 이상의 투자와 함께 약 4만 7,578
명 아이들의 건강과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교육부 장관 Adama Bologo는 여학생들이 학교에서 월경이 왔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화장실 공간을 배치하기 위해 대체 장소를 마련함으로써 이 프로젝트의 혁신을 맞을 기회를

7) projet laitier(낙농 프로젝트-학교 식당과 낙농장의 협력 프로젝트)와 연관. 학생들은 매일 현지에서


생산된 요구르트를 받음으로써 영양실조에서 벗어날 수 있음.
잡았다. 또한, 월경 중 위생 관리에 대한 정기 회의도 개최되었다. 그것은 학교에서 물과 소
독, 그리고 위생과 관련하여 구축된 인프라의 알맞은 관리와 적절한 수준 유지를 부탁하기 위
함이었다. 장관은 이어 Beoog-Biiga 프로젝트의 세 번째 단계가 있기를 희망했다.

CRS의 주재원 대표로서 Carla Brown N’Diaye는 교육부 장관과 MEA8) 장관에게 인정과 감
사를 전했다. 그녀에 따르면 “Kom-yilma9)” 프로젝트가 미국 정부에서 후원하는 Beog-Biiga
프로그램의 활동을 보완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Carla Brown N’Diaye는 부르키나파소 정
부와 CSR 사이의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확장했으며, 이 프로젝트의 3단계가 많은 학교에 영향
을 미칠 것이라고 시사했다.

(…중략…)
Beeog-Biiga 2 프로젝트의 성과

교육 측면
학교에 등록된 학생의 수는 4년 동안 15만 명에서 21만 2천 명으로 증가했다.

Ø 학교 식당
• 여학생을 우선하여 9,524명의 학생들에게 2,050톤의 건조식품 배급
• 26만 5414명의 학생들에게 3785만 545끼니 이상의 점심 제공

Ø 교사 및 교육 감독 양성
• 새로운 읽기 및 쓰기 기법에 대해 교사 4,882명 교육
• 교육 후속조치 기술, 교사 코칭 및 유치원 감독에 대해 교육 감독 202명 교육
• 읽기와 쓰기에 대해 두 개의 표준 평가 도구 도입 (EGRA10)와 ASER11))
Ø 도서관
•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을 위해 20곳의 공공 도서관을 개방함
Ø 장비
• 학교와 유치원에 15만 7,039개의 교재와 교구를 제공함
• 60곳의 유치원에 식기와 식품 저장소를 갖추게 함

Ø 인식 캠페인
• 66만 1,849명 이상의 지역 주민이 멀티미디어 캠페인에 영향을 받음
• 1만 9,822명의 여학생이 멘토링 프로그램 혜택을 받음
Ø 저축·대출 공동체 (SILC12))

8) 국민의 식수 공급을 담당하며, 수리시설을 설계, 운영 및 관리하는 기관.


9) 부르키나파소의 학교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물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주요 수자원 인프라에 투
자하는 사업.
10) Early Grade Reading Assessment. 저학년의 문해력을 판단하기 위해 듣기와 읽기 등의 가장 기
본적인 능력을 구두로 평가하는 시험.
11) Annual Status of Education Report. 어린이의 기본 읽기 및 수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12) Saving and Internal Lending Communities. 구성원들이 정기적으로 돈을 기부하면(모으면), 돈이
• 4년 동안 SILC 그룹 구성원들의 자녀 교육에 대한 재정적 기여가 48%에서 83%로 증가

건강 측면
• 20만 4,615명의 학생들에게 구충약과 철분, 비타민 A 제공
• 1만 3,219명 이상의 지역 주민들이 건강과 영양에 대한 교육을 받음

5. 부르키나파소의 중등교육기관 지원을 위한 교육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준비 보고서

(…전략…)
챕터 2. 사업 내용
2-1 프로젝트 요약
2-1-1 일반 목표와 특수 목표

(1) 일반 목표
이 프로젝트 전반의 목표는 부르키나파소의 중등교육의 접근성과 질을 개선하는 것이다.
• 부르키나파소 정부는 인적 자본의 개발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 국가 개발 계획인
“2011-2015 고속성장 및 지속가능한 개발 전략(SCADD)”과 “2016-2020 국가 경제 및 사회
개발 계획(PNDES)”을 수립했다. 이는 빠르게 성장하는 청년들에게 초등교육, 기술교육, 직업
교육 뿐 아니라 중등교육과 고등교육도 제공하여 그들이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산업 분야의
인적 자본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 현행 교육 분야 계획인 “2012-2021 기본 교육 전략 개발 계획(PDSEB)”은 중등교육의 총
취학률 향상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계획의 목표는 2021년까지 총 취학률13) 70.8%를 달성
하는 것이다.
• 가장 최근 부르키나파소의 취학률은 2014/15년 기준 44.9%이다. 이는 목표 취학률인
70.8%에 비해 많이 부족한 수치다. 부르키나파소 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 중등교육기관의 교실을 1만 8,309개 건설함으로써 중등교육의 정원을
늘리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따르는 여러 제약들 중 특히 예산의 제약 때문에 이 목
표는 달성하기 어려워 보인다.

(2) 특수 목표
이 프로젝트의 대상 지역에서 중등교육의 제공은 증가하고 있고, 학습 프레임워크는 개선되고
있다.

2-1-2 프로젝트 요약
이 프로젝트는 앞서 언급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부르키나파소의 중앙지역 (Kadiogo 주), 중
서부 지역 (Boulkiemdé 주와 Sanguié 주) 그리고 중남부 지역 (Bazéga 주와 Zoundweogo
주), 즉 3개의 지역 5개 주의 일반교육기관14)에서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고 교재를 공급하는

필요할 때 이 공동체를 통해 돈을 대출받을 수 있음.


13) le Taux Brut de Scolarisation(TBS). 총 취학률.
14) post-primaire는 CEG, CET, CFPT로 나뉨. 그 중 CEG는 les Collèges d’Enseignement Général
의 약어로, 한국어로 직역하면 ‘일반종합교육대학’이지만 한국의 ‘대학교’에 해당하는 교육 과정 및
기관은 따로 있기 때문에 편의를 위해 ‘일반 교육 기관’으로 번역.
것에 중점을 둔다.

(…중략…)
2-2 일본 협력 대상 프로젝트 요약
2-2-1 설계 원리
2-2-1-1 기본 원칙

(1) 현지 기업을 활용한 인프라 및 장비 공급의 새로운 방법 구현


이 프로젝트는 현지 기업이 이용하는 유형인 “인프라 및 장비 공급 방법(이하 새로운 공급 방
법)”에 따라 추진될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부르키나파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축 재료
와 방법을 사용하면서 비용 절감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며, 부르키나파소 정부의 합의 하에
표준 계획을 기반으로 설계될 것이다.

(2) 프로젝트 대상 지역 및 시설
부르키나파소 정부는 2015년 6월, 처음으로 6개 지역(중서부, 중남부, 중앙, 중북부, 북부, 중
부 고원 지역)에 있는 100개의 학교 시설을 프로젝트 대상으로 요청했다. 이 100개의 학교
시설은 이전 프로젝트인 “중등교육시설 건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선정된 중부 고원 지역과
중북부 지역을 제외하여, 현장조사 1단계에 있는 3개 지역(중서부, 중남부, 중앙 지역)의 43개
시설로 축소되었다. 조사단은 43개의 모든 현장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했고, 일본의 데이터 분
석을 기반으로 32개 시설을 선정했다.

(3) 프로젝트 내용
이 프로젝트 계획에 따라 건설될 일반 교육 기관들은 부르키나파소 정부의 기본 교육 시스템
에 따라 설계될 것이다. 구축될 인프라는 교육 설비, 행정 설비 그리고 화장실 설비로 구성될
것이며, 관련 장비, 즉 교실 및 행정실 가구들도 공급될 것이다. 또한, 전원 공급 장치가 가능
한 구역에서는 행정 및 교육 설비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기 설비도 설치될 것이다.

(4) 프로젝트 대상 교육기관의 규모


• 각 중등교육기관마다 학년별로 1개의 교실씩, 총 4개의 교실을 증축하거나, 학년별로 2개의
교실씩, 총 8개의 교식을 증축할 것이다.
• 협력의 규모는 필요성 조사 결과15)를 바탕으로 정해질 것이다. 각 대학 내에 지어질 교실의
수는 인프라 구축 후 평가 연도(2021/2022년)의 예상 학생 수를 기준으로 산정될 것이다.
• 학교 설비 내역은 유사 기관의 것을 기준으로 정해질 것이다.

(…중략…)
3-4 프로젝트의 평가
3-4-2 효율성
(1) 양적 효과 (기대효과)
이 프로젝트는 실행 후 아래와 같은 양적 효과가 기대된다.

15) 교육기관에 필요한 교실, 재화 등을 산출해 책정한다.


기준값 목표값
지침
(2016년 기준) (프로젝트 완료 3년 후)
각 중등교육기관의 목표
0 180개의 교실
교실의 수
각 목표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수업을 받는 0 8,640명의 학생
학생의 수

(2) 질적 효과 (기대효과)
• 교실 신축 및 학생 수와 체격에 맞는 학교 가구 공급을 통해 바람직한 학교 환경을 조성하
여 중등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한다.
• 교실 수의 증가와 학교 환경의 개선을 통해 취학률, 유급률 및 중퇴율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 성별로 분리된 화장실을 설치함으로써 여학생들이 안전하고 편안한 학교 환경을 구현한다.
• 휠체어의 접근이 용이한 화장실과 경사로를 설치함으로써 이동성이 떨어지는 학생들을 위한
편안하고 안전한 학교 환경을 구현한다.

위의 평가에 비추어 볼 때, 이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것은 매우 적합하고 효과적이다.


<번역 자료 URL>

1. PREMIER RAPPORT CONTINENTAL SUR L’ÉTAT DE LA MISE EN ŒUVRE DE


L’AGENDA 2063
(https://au.int/fr/documents/20200208/premier-rapport-continental-sur-letat-de-laꠓ
mise-en-oeuvre-de-lagenda-2063)

2. Cantines scolaires au Burkina : un bilan peu satisfaisant


(http://lefaso.net/spip.php?article87991)

3. Ecole de Qualité Amie des enfants : Une approche pour scolariser et maintenir
les élèves dans les écoles du sahel
(https://lefaso.net/spip.php?article64351)

4. Projet « Beoog-Biiga 2 » : Des résultats satisfaisant dans la région du


Centre-Nord
(https://burkinainfo.com/2021/02/02/projet-beoog-biiga-2-des-resultats-satisfaisant
-dans-la-region-du-centre-nord-2/)

5. RAPPORT D’ETUDE PREPARATOIRE POUR LE PROJET DE CONSTRUCTION


D’INFRASTRUCTURES EDUCATIVES EN APPUI AU POST PRIMAIRE PHASE II AU
BURKINA FASO
(https://openjicareport.jica.go.jp/pdf/12287116.pdf)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