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Sortie’s Physics: Classical Mechanics (blog.naver.

com/sortie0228)

Chapter 2. 일차원 상의 운동
물리학에서 배우는 첫 번째 학습내용은 운동학(kinematics)으로, 변화하는 세계에 움직이는 물체를 표현하고, 이 물체
가 앞으로 어떻게 움직일 지를 예측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된다. 운동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운동의 원인에 관계없
이, 먼저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활용해 운동을 기술하는 법을 익힐 것이다.

“Kinematics is a branch of classical mechanics that describes the motion of points, bodies, and systems
of bodies(groups of objects) without considering the forces that caused the motion” (Edmund Taylor
Whittaker 1904, A Treatise on the Analytical Dynamics of Particles and Rigid Bodies)

고전역학의 세부분야
1. 운동학(kinematics): 물체(입자나 물체 혹은 다수의 물체가 모여 이루어진 계)의 운동을 기술하는 고전역학의 세부
분야
2. 동역학(dynamics): 물체의 운동을 야기하는 힘의 요소를 다루는 고전역학의 세부 분야
▶동역학은 다시 물체에 따라 강체동역학(rigid body dynamics), 연체동역학(soft body dynamics), 유체동
역학(fluid dynamics)로 분류된다.

“Dynamics is the branch of classical mechanics concerned with the study of forces and their effects on
motion”

“Newton’s second law of motion governs dynamics in physics” (source: Wikipedia)

입자모형(particle model): (점)입자(point particle)란, 점과 같이 더 이상 물리적인 변형을 가할 수 없다고 가정한 물


체로 질량만 존재할 뿐 크기(size)와 부피(volume)가 존재하지 않는다.

위치, 속력, 그리고 속도


입자의 위치(position) 는 좌표계에서 원점이라 생각해 선택한 기준점에 대한 입자의 위치이다.
▶시간에 따른 입자의 공간 위치를 알면 입자의 운동을 기술할 수 있다.

변위(displacement)

 ≡     

▶정의: 입자의 위치 변화
▶단위: m
▶물리량
▷ (델타, delta)는 변화량을 표시한다. ⇒ 물리량 앞에 델타기호는 그 물리량의 종류와 상관없이
‘최종(final, terminal, end) 값’에 대해 ‘초기(initial, start) 값’을 빼라는 의미를 가진다.
▷  : 입자의 초기위치
▷  : 입자의 최종위치

변위와 이동거리
[출처: Wikipedia]
Sortie’s Physics: Classical Mechanics (blog.naver.com/sortie0228)

변위의 특징
1. 변위는 방향을 고려해야 하는 벡터양(벡터량, vector quantity)이다.
2. 벡터량으로서 변위의 부호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일반적으로)오른쪽으로 움직이는 물체는   이다. ⇒ 양수 부호
▶같은 논리로 왼쪽으로 움직이는 물체는   이다. ⇒ 음수 부호

변위
[University Physics Volume 1, OpenStax, 2016, p.20]

이동거리(distance travelled, ): 이동방향과 상관없이 입자가 이동한 총 경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동거리는 크기(magnitude)만 가진 스칼라량(scalar quantity)이다.
▶입자가 이동한 총 이동거리로 값의 크기는 변위보다 크거나 같다.

 ≥ : 이동거리와 변위의 크기 비교

평균속도(average velocity)

   
  avg ≡   
    

▶정의: 변위를 변위가 일어난 시간 간격으로 나눈 값으로 벡터양으로 분류된다.


▶단위: m/s

평균속도의 특징
▶(일반적으로)입자가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  avg 이다. ⇒ 가 양수이면서 크기가 증가하고 있거나, 음수이
면서 절댓값이 줄어들고 있을 때 입자는    ( 축)로 운동하고,   avg 는 양수이다.
▶같은 논리로 입자가 왼쪽으로 움직이면 -   avg 이다. ⇒ 가 양수이면서 크기가 감소하고 있거나, 음수이면
서 절댓값이 늘어나고 있을 때 입자는    로 운동하고,   avg 는 음수이다.

위치-시간 그래프(   graph)에서의 평균속도는 높이 이고 밑변 인 직각삼각형의 빗변(직선기울기(slope)의


비)으로 표현된다.

평균속력(average speed)

travel
 avg ≡ 

Sortie’s Physics: Classical Mechanics (blog.naver.com/sortie0228)

▶정의: 전체 이동거리(travel ) 나누기 이동하는 데 총 걸린 시간


▶단위: m/s
▶평균속력은 평균속도의 스칼라량이다.

평균속도의 기하학적 표현
[University Physics Volume 1, OpenStax, 2016, p.123]

순간속력과 순간속도
순간속도   는 시간간격이 0으로 한없이 접근(근접; approach to →)할 때 평균속도의 극한 값이다.

순간속도(instantaneous velocity)

 
 ≡ lim 



→ 

일반적으로 속도는 순간속도를 의미한다.

순간속력(instantaneous speed)


≡ lim 

(∵는 입자의 총 이동거리)
→ 

▶순간속력은 순간속도의 스칼라량이다.

일정한 속도에서의 운동
등속(constant velocity)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위치

         (∵   )

PROOF. 등속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위치


  
      a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반적으로 처음 위치에 놓인 물체에 주어진 시간  은 0s(second, 초)로 취급한다.


입자의 속도가 일정하면, 시간 내의 어떠한 순간에서의 순간속도는 이 구간에서의 평균속도와 같다.

가속도
입자의 ‘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할 때, 입자는 가속(accelerated)되고 있다고 표현한다. ⇒ 속도변화의 양상은 크게
‘속도 크기의 변화’와 ‘속도 방향의 변화’로 구분된다.
Sortie’s Physics: Classical Mechanics (blog.naver.com/sortie0228)

1. 속력 가속: 직선상에서 속력이 변하는 물체의 운동으로 방향은 고정되어 있다. e.g. 직선 등가속도 운동
2. 방향 가속: 궤도상에서 방향이 변하는 물체의 운동으로 속력은 고정되어 있다. e.g. 등속 원운동
3. 속력ž방향 가속: 속력과 방향이 모두 변하는 물체의 가속 운동이다. e.g. 지구 자기장에 진입한 태양풍 입자((+)전
기를 가진 입자)의 나선운동

로렌츠 힘에 의해 나선운동을 하는 전자
[출처: Physics Stack Exchange]
Solar wind
[출처: Wikipedia]

평균가속도(average acceleration)

         
 avg ≡   
 

▶정의: 속도의 변화를 변화가 일어나는 동안의 시간간격으로 나눈 값이다.


▶단위: m  s 

순간가속도(instantaneous acceleration)

   
 ≡ lim 



→ 

▶정의: 시간간격이 0으로 접근할 때 평균가속도의 극한 값

일반적으로 가속도는 순간가속도를 의미한다.

속도-시간 그래프(   graph)


입자의 (순간)가속도는 속도-시간 그래프 상의 한 점의 (접선)기울기와 같다.
▶시간에 대한 속도의 도함수는 속도의 시간변화율과 같다.

속도-시간 그래프
[University Physics Volume 1, OpenStax, 2016, p.132]
Sortie’s Physics: Classical Mechanics (blog.naver.com/sortie0228)

직선상에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


1. 물체의 속도와 가속도가 같은 방향이면 물체의 속력은 증가한다.
2. 물체의 속도와 가속도가 서로 반대방향이면 물체의 속력은 감소한다.

     
이계도함수로 표현한 가속도:      
   

일정한 가속도에서의 운동
입자의 가속도가 일정한 경우(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입자), 입자의 속도는 입자가 운동하는 전 구간에 걸쳐 같은 비율
로 변한다. ⇒ 입자의 가속도가 일정하면 시간간격을 임의로 설정해도 평균가속도는 항상 순간가속도와 일치한다.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속도

          

PROOF.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속도

        
  
   

  이라두면 위의 식을 다음과 같이 변환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등가속도 운동하는 물체를 대상으로, 속도-시간 그래프의 기울기는 항상 일정하다.


▶양의 기울기는 양의 가속도를, 음의 기울기는 음의 가속도를 나타낸다.
▶가속도가 일정하다면, 시간에 대한 가속도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0인 직선으로 나타난다.

속도-시간 그래프에서 가속도의 기하학적


표현
운동그래프
[출처: Wikipedia]
[출처: Wikimedia]

운동그래프

기울기 넓이
   그래프 속도
   그래프 가속도 변위
   그래프 속도의 변화량
Sortie’s Physics: Classical Mechanics (blog.naver.com/sortie0228)

등가속도 운동에서 속도는 시간에 따라 선형(linearly)으로 변하기 때문에 평균속도는 처음속도와 나중 속도의 산술평
균(arithmetic mean; 주어진 수의 합을 그 수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산술평균으로 나타낸 평균속도

      
   avg  

식을 등속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위치와 연립해보자.


               avg               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위치


                

위 식에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속도 식을 대입해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위치 – 두 번째 표현


            

▶의미: 입자의 처음속도와 등가속도 크기를 알 때, 시간 에서 입자의 나중위치를 구할 수 있는 식으로 등가


속도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위치를 종합한 공식이다.

PROOF. 토리첼리 공식(Torricelli’s equation)


       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속도 식은    로 다시 변환할 수 있다.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식의 는    와 같다.
 
       
2. 그러므로    식을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위치 – 두 번째 표현에 대입하면 아래의 식이 유

도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토리첼리 공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토리첼리(Evangelista Torricelli, 1608~1647)가 직접 유도한 공식으로, 시간의 정


보 없이 등가속도로 운동하는 물체의 최종 속력을 구하기 위해 고안했다. (to find the final velocity of an object
moving with a constant acceleration along an axis without having a known time interval)
Sortie’s Physics: Classical Mechanics (blog.naver.com/sortie0228)

여러 가지 공식들 중에서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속도,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입자의 최종 위치 – 두 번


째 표현, 토리첼리 공식을 합쳐 운동학 식이라 한다.

운동학 식(kinematics equations)

1.           

2.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 

Evangelista Torricelli, 1608~164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