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제주계통 신재생설비 주간 용량률(Capacity Factor) 수립에 대한 연구

윤영진*, 조성빈*
전력거래소*

Daytime Capacity Factor(CF) for renewable facilities in Jeju Power system

Yeong-Jin Yun*, Seong-Bin Cho*


Korea Power Exchange*

Abstract –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plants in 대표하는 평균 발전량이다. 용량크레딧의 피크기여도 방식은 피
Jeju power system is rapidly increasing. Using appropriate 크시간을 선정한 뒤 (제주피크시간: 19~21시) 해당 구간 설비이
generation values of renewable energy is getting more 용률의 평균값을 구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용량률(Capacity
important in daytime power system operation study. In this Factor)과 같은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paper, the representative of daytime utilization rate for solar
and wind power energy plants is calculated by using <표 1> 용량크레딧과 용량률의 비교
Capacity Factor and Exceedance Level method. The result 구분 Capacity Factor Capacity Credit
can give criteria for solar and wind power’s utilization rates 피크수요 시 전력계통이
during daytime power system operation study. 설비 Performance 계통신뢰도를 유지할 수
개념 측면을 강조 (설비의 있도록 발전설비가
1. 서 론
일정기간 평균 발전량) 기여하는 정도

9차수급계획 기준, 제주지역 신재생설비는 2034년 3.9GW를 넘  신재생 설비 발전량 · 피크기여도


계산 · 
· 초과수준
어설 전망이다 (`20.12월: 신재생설비용량 740MW) [1]. 신재생 

 신재생 설비 정격용량 · ELCC (확률론적 방법)
설비는 날씨 등 외부요인에 따른 발전량이 크게 변동하여 간헐 

성의 문제가 있다. 적용 · System Operation · System Planning


신재생설비 비중이 작은 과거에는, 피크수요 때 신재생설비가
어느 정도의 발전량을 신뢰성 있게 공급할 수 있는지가 주요 관 2.3 제주지역 주간 용량률(Capacity Factor) 산정방안
심사였다. 용량크레딧(Capacity Credit)은 피크시간 신재생설비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설비의 이용률이 높은 12-14시를 검토 시
의 이용률을 대표할 수 있는 값으로, 신재생의 현실적인 발전기 점으로 선정하고 표2의 방법으로 용량률을 계산한다. 용량신뢰
여도를 산출하여 계통의 적정성, 수급균형, 안정성을 검토하고 도(Capacity Credit) 초과수준방식(90/50/10%)도 추가로 검토하
전원계획 수립을 가능하게끔 해준다. 하지만 신재생설비의 비중 여 주간용량률의 결과값과 비교하고 적정값을 분석한다. 확률론
이 높아지면서 기존에 없었던 주간계통운영의 문제점들이 나타 적 방법인 ELCC는 본 논문의 검토방법에서 제외하였다.
나고 있다. 초과발전에 따른 풍력발전의 제약횟수가 늘어나면서
HVDC 역송방안 및 신수요창출 등이 핵심과제로 떠오르고 있 <표 2> 주간용량률 산정방안
다. 또한 1선지락등 계통 고장에 따른 저전압 발생 시, 신재생설
비가 일제히 탈락하여 광역정전까지 이를 수 있는 위험도 증가 1. 신재생 설비용량 확인
하고 있다. 신재생발전 1) 연도·월별 신재생 설비용량 확인
주간계통 해석에 있어서 신재생설비의 중요성은 갈수록 증가할 2. 신재생 발전량 확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용량률 및 초과수준방식을 이용해서 신 Data 확보 1) KPX제주 계통운영정보 시스템 이용
재생설비 주간(12-14시) 대표 이용률을 분석하고 향후 주간계통 (17-19년)
운영방안 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3. 신재생설비 이용률 산출 ((2)÷(1))
1) 3년×365일×24시간 = 26,280 Data 확보
2. 본 론 ⇩
2.1 용량신뢰도 (Capacity Credit)의 개념 1. 용량률 방식
용량크레딧(Capacity Credit)은 피크수요 시점에서 신재생설비 용량률 1) 봄 12-14시 이용률 828개 data 평균
가 신뢰성 있게 공급할 수 있는 발전기여도로 정의된다. 적절한 (Capacity 2) 여름12-14시 이용률 828개 data 평균
용량크레딧 선정을 통해서 Adequacy, Balancing, Stability를 검
토하고 System Planning을 할 수 있다 [2]. 용량크레딧은 피크 Factor) 2. 초과수준 방식 (90%·50%·10%)
기여도, 초과수준, ELCC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3]. ELCC는 산출 1) 봄철 12-14시 이용률 산출
FOR 및 LOLE를 이용하는 확률론적 기법이다 [4]. 우리나라는 2) 여름철 12-14시 이용률 산출
9차수급계획에서 초과수준 90%(`16년-`18년 하계피크시간(14-18
시) 930개의 Data에 대한 이용률) 방식을 사용하여, 태양광 ⇩
(10.9%), 풍력(0.9%)의 용량크레딧이 적용되었다. 1. 봄철 용량률 결과값 비교
주간
2.2 용량률 (Capacity Factor)과 용량신뢰도의 비교 용량률 1) 용량률 vs 초과수준 (90/50/10%)
용량크레딧이 피크수요 때의 적정성 검토를 위한 신재생설비의 2. 여름철 용량률 결과값 비교
발전기여도를 산출한다면, 용량률(Capacity Factor)은 계통운영 기준값 1) 용량률 vs 초과수준 (90/50/10%)
(System Operation) 관점에서 특정 시점의 신재생설비 성능을 결정 3. 용량률 적정값 결정
2.4 제주지역 주간 용량률 검토결과 야간 여름철 계통운영방안 검토 시 기존과 동일하게 9차수급계
그림1과 같이 매시간의 신재생설비 발전량을 설비용량으로 나 획에서 계산된 태양광(10.9%), 풍력(0.9%)의 용량크레딧을 적용
눠서 이용률을 구한다. 계절별로 12-14시 3년치 828개 data의 한다. 신재생발전력이 크지 않은 관계로 계통신뢰도 유지기준의
이용률을 계산하고 결과값을 평균하여 용량률을 산출한다. 만족 여부는 HVDC 및 중앙급전 Must-run의 탈락에 의해 결정
되겠다.
주간 계통운영방안 검토 시에는 계절에 따른 표6의 용량률을
적용해서 신재생발전량을 산출한다. 가혹한 조건으로 주간 계통
검토 시에는 초과수준 10%를 반영하여 태양광(봄:79.64%, 여
름:69.6%), 풍력(봄: 58.54%, 여름: 40.8%)를 적용한다. 미래계통
에 대한 검토는 데이터의 불확실성 및 신속성을 고려하여 신재
생설비의 주간 이용률을 임의로 50%를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본 논문의 표3, 표4 결과값을 적용 기준 및 근거로 활용할 수
있겠다.
<표 6> 주요 신재생 (풍력·태양광) 주간 용량률

구분 주간 (12시~14시)
봄·가을 여름·겨울
· 태양광 (53.6%) · 태양광 (46.1%)
· 풍력 (21.9%) · 풍력 (15.7%)
용량률
※ 가초과수준
혹한 조건에서는 ※ 가초과수준
혹한 조건에서는
<그림 1> 태양광 이용률 산정 예
10% 적용 10% 적용
표3과 같이 봄철 신재생설비의 주간 용량률은 태양광(53.6%), · 계통신뢰도 유지여부 · 계통신뢰도 유지여부
풍력(21.9%)이다. 해당 값은 초과수준 방식 50%와 비슷한 값을 계통 (key:신재생·HVDC역송) (key:신재생·HVDC역송)
나타내고 있다. 가혹한 조건으로 계통검토 시, 초과수준 10%의 검토 · 신재생 발전제약 · 신재생 발전제약
태양광(79.64%), 풍력(58.54%)까지 적용한다. (w/ HVDC 역송방안) · 송전선로 이용률
<표 3> 17~19년 봄철(3,4,5월) 12-14시 용량크레딧
용량률 초과수준 초과수준 초과수준 3. 결 론
구분
(12-14시) 90% 50% 10%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설비의 주간이용률을 대표할 수 있는 용
태양광 53.6% 16.71% 64.12% 79.64% 량률(Capacity Factor)을 제시하였다. 신재생설비 이용률이 높은
풍력 21.9% 1.68% 12.64% 58.54% 오후 12-14시를 주간구간으로 설정하고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봄철(3-5월) 및 여름철(6-8월)의 이용률 각 data 828개 평균값을
표4에서 여름 신재생설비의 주간 용량률은 태양광(46.1%), 풍 계산하여 계절에 따른 용량률을 제시하였다. 봄·가을철의 주간
력(15.7%)이다. 해당 값은 초과수준 50%의 값과 비슷한 수준을 신재생 용량률은 태양광(53.6%), 풍력(21.9%)이다. 여름·겨울철
나타내고 있다. 가혹한 조건으로 계통검토 시, 초과수준 10% 태 의 주간 신재생 용량률은 태양광(46.1%), 풍력(15.7%)이다. 추가
양광(69.6%), 풍력(40.8%)를 적용한다. 로 828개 data의 용량신뢰도 초과수준방식 90%, 50%, 10%도 분
석하여 용량률의 결과값과 비교 검토하였다. 초과수준 50%은
<표 4> 17~19년 여름철(6,7,8월) 12-14시 용량크레딧 용량률과 비슷한 결과값을 나타냈으며, 초과수준 10%는 가혹한
용량률 초과수준 초과수준 초과수준 조건으로 계통 검토 시 활용할 수 있겠다.
구분 용량신뢰도는 피크수요 때 신재생설비의 이용률에 대한 기준값
(12-14시) 90% 50% 10% 을 제시하고 전원계획(System Planning) 측면에서 활용되었다.
태양광 46.1% 16.2% 49.7% 69.6% 본 논문에서 제시한 용량률은 주간 시점의 신재생설비 이용률에
풍력 15.7% 1.0% 9.3% 40.8% 대한 기준값을 제시하고 계통운영(System Operation)측면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5 제주 계통운영방안 검토 시 활용방안
제주 계통운영의 이슈사항을 표5와 같이 정리해보았다. 과거에 [참 고 문 헌]
는 계통운영방안 수립 시 중앙급전 및 HVDC의 상정고장을 중
심으로 검토가 이루어졌다면, 미래에는 신재생설비용량 증가에 [1] 전력거래소, “9차전력수급계획”, 2019
따라 신재생발전량 탈락 및 HVDC(역송)고장에 대한 검토의 중 [2] Julia F.Chozas,“Variable renewable energies and long-term
요성도 높아질 것이다. system planning”, Capacity Credit of Wind, Wave and
Solar Photovoltaic Final Project, P19-26, 2015
<표 5> 제주 계통운영 이슈사항 [3] 조기선 외, “신재생에너지 발전전원의 용량가치 평가기법”,
구분 과거 현재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P1175-1176, 2006.7
야간 · 계통신뢰도 유지여부 [4] Arif S. Malik and Mohammed H. Albadi, A, “Tutorial for
(피크 · 송전선로 이용률 (좌동) Evaluating Capacity Credit of PV Plants Based on
수요) · 발전설비 예비력 Effective Load Carrying”, IEEE 5th International
· 신재생설비 탈락 시 Conference on Renewable Energies for developing
· 중앙급전 및 HVDC를 계통신뢰도 유지여부 Countries, P1-6, 2020
주간 중심으로 계통신뢰도 · 신재생설비 발전제약
유지여부 · HVDC 역송 방안
· 송전선로 과부하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