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선거제도1

김민전

후마니타스 칼리지
선거제도의 구성요소

1. 선거구의 크기
- 한 선거구에서 몇 명의 대표자를 선출하는가

2. 입후보방식
- 어떻게 출마하는가? 후보의 이름 혹은 정당의 이름?

3. 투표방식
- 유권자는 몇 표를 투표할 수 있는가? 투표방법은?

4. 선출방식
- 당선자를 결정하는 방법
선거구의 크기

1. 1인 선거구
- 한 선거구에서 1명을 선출

2. 다인 선거구
- 한 선거구에서 여러 명을 선출
- 소선거구 : 2-5명 선출
- 중선거구 : 6-10명 선출
- 대선거구: 11명 이상

• 우리 언론과 정치권은
- 소선거구를 1인선거구와 동일하게
- 중선거구를 2-4인 선거구와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음ㅂ
선거구의 크기와 선거결과

A정당 B정당 C 정당
선거구
(45% 득표) (35% 득표) (20% 득표)
1인 1석(100%)

2인 1석(50%) 1석(50%)

15인 7석(46.6%) 5석(33.3%) 3석(20%)

32인 15석(46.8%) 11석(34.4%) 6석(15%)

• 선거구의 크기가 클수록 득표와 의석수간의 비례성이 높다


• 선거구의 크기가 작을수록 통치가능성과 책임성이 크다
입후보 방식

1. 개별 입후보방식
- 후보자 이름으로 후보가 됨. Ex) 대통령 후보,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
- 후보의 자질이 당락에 중요 -> 의원의 자율성이 비교적 강함

2. 정당명부식
- 정당의 이름으로 후보가 됨. Ex) 비례대표 후보
- 폐쇄형 정당명부식: 정당이 후보의 순위를 결정함
- 개방형 정당명부식: 유권자가 투표로 순위를 결정함
- 폐쇄형의 경우 정당이 매긴 순위가 당락에 매우 중요한 영향
-> 정당에 대한 충성심이 비교적 높음.
투표방식

1. 1표제
- 유권자가 한 표만 행사할 수 있음

2. 다수표제
- 유권자가 여러 표를 행사할 수 있음
① 집중투표제: 유권자가 가진 모든 표를 한 후보나 정당에 줄
수 있음
② 연기투표제: 유권자가 가진 표수만큼의 후보자수에게. Ex)
유권자가 3표를 가지고 있다면 3명의 후보에게 1표씩 주
는 것임.
③ 선호투표제: 가장 좋은 후보는 1, 두번째 좋은 후보 2와 같
이 선호를 표시해서 가장 낮은 점수를 다음 후보에게 넘겨
주는 것임
④ 명부교차투표제: 정당의 다른 정당 명부내에 있는 후보에
게도 표를 줄 수 있는 것임.
선출방법

1. 다수제
- 많은 표를 얻은 후보가 당선
① 절대다수제 : 50%+1표를 얻어야 당선. 1차에서 당선자가
없는 경우에는 보통 1,2위를 두고 결선투표를 함
② 상대다수제: 득표율이 얼마이든간에 1등만하면 당선된 것으

2. 비례제
- 얻은 득표수에 비례해서 의석수를 배분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