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중국어 어법/문법 기초》

1. (일반언어학 개론 중) 언어의 분류 P1 1.
1-1. 언어의 “계통적(系統的) 분류”(genetic classification) P3 1-1.
1-2. 언어의 “지리적(地理的) 분류”(areal classification) P6
1-3. 언어의 “유형적(類型的) 분류”(typological classification) -- 유형별 기준에 의한 언어 구성요소(linguistic unit)의 분류 P7
1-3-1. "소리" 기준에 의한 언어의 분류: 음성학과 음운론 P9
1-3-2. "형태" 기준에 의한 언어의 분류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P12
1-3-3. “어순" 기준에 의한 언어의 분류 (language classification by word order) P17
1-3-4. "의미" 기준에 의한 언어의 분류 P21
2. 현대 중국어 문법 기초
2-1. 형태론(形態論, 품사론[品詞論], morphology, 중국어 詞法学[형태론]/詞彙學[품사론]) -- 어휘(語彙), 품사 P22
2-1-1. 형태소(morpheme) P22
2-1-2. 단어(word)와 품사(part of speech/word class/word category) P26
2-1-2-1. 우리말의 5언 9품사 P28
2-1-2-2. 중국어의 2사 12품사 P32
2-1-2-3. 일본어의 10품사 P43
2-1-2-4. 영어의 8품사 (8 Parts of Speech) P44
2-1-2-5. 품사 비교: 우리말 9품사, 중국어 12품사, 일본어 10품사, 영어 8품사 P44
2-2. 통사론(統辭論, 구문론[構文論], syntax, 중국어: 句法(學)/語法(學)/文章結構論) -- 어법(語法), 문장조문, 문장의 종류(단문과 복문)
2-2-1. 어절, 구, 절, 문장, 문장부호 P45
2-2-2. 문장성분(句子成分), 중국어의 구/절(词组/短语), 중국어의 보어(补语)
2-2-2-1. 문장성분(句子成分)
2-2-2-1-1. 우리말의 문장성분 P51
2-2-2-1-2. 중국어의 문장성분(句子成分) P55
2-2-2-1-3. 일본어의 문장성분 P56
2-2-2-1-4. 영어의 문장성분 P56
2-2-2-1-5. 우리말, 중국어, 일본어, 영어의 문장성분 비교 P56
2-2-2-2. 중국어의 구/절(词组=词语=短语=断句, 우리말의 구와 절에 해당) P57
2-2-2-3. 중국어의 보어(补语)
2-2-2-3-1. 문장성분 중 우리말의 보어와 중국어의 보어 P58

1/4
2-2-2-3-2. 중국어의 보어에 대한 추가설명 및 예문 P59
2-2-3. 문장구조
2-2-3-1. 어순 (문장성분의 순서) P66
2-2-3-1-1. 정상 어순에 따른 문장 (정상문, 중국어 常式句) P68
2-2-3-1-2. 정상 어순에 따르지 않고 어순을 도치한 문장 (도치문, 중국어 变式句, 倒装句) P69
2-2-3-2. 단문의 유형 구분 (语气用途、结构模式) P70
2-2-3-2-1. 용어에 대한 설명 P71
2-2-3-2-2. 단문의 용도(用途)에 따른 분류와 구조(술어, 谓语)에 따른 분류 P73
(1)용도(用途) 및 어기(语气)에 따라 진술문/의문문/청유&명령문/감탄문(感叹句) P74
(2)술어(谓语)의 구조(구조유형, 구성방법, 结构模式)에 따라
(2-1)술어(谓语)를 담당하는 단어의 성질에 따라 P77
(2-2)술어(谓语)의 특성(특수한 범주)에 따라 (存现句/比较句/被动句) P80
(2-3)술어(谓语)를 구성하는 특수한 단어에 따라 (“把”字句/“是”字句/“有”字句/“P86
2-2-3-3. 복문의 유형 (앞뒤 분구(分句)간의 관계)
2-2-3-3-1. 단문(单句)인지 복문(复句)인지 판단하는 방법 P93
2-2-3-3-2. 복문을 구성하는 방법 -- 의합법(“意合法”)과 관련법(“关联法”) P98
2-2-3-3-3. 복문(复句)을 구성하는 앞뒤 분구(分句, 절) 간의 관계 (= 복문의 종류) P98
2-2-3-3-4. 다중복문 (多重复句) P121
2-2-3-3-5. 복문 간의 구별 (各类复句间的区别) P121
2-2-3-3-6. 혼돈하기 쉬운 관련사(关联词) P123
2-3. 중국어 학습 시 어음(발음), 어휘(단어), 어법(문법) 상의 유의 사항 (총정리)
2-3-1. 어휘(단어)와 어법(문법)
2-3-1-1. 어휘(단어) P124
2-3-1-2. 어법(문법) 중 품사 P124
2-3-1-3. 어법(문법) 중 구/절(词组, 短语), 문장성분(句子成分), 보어(补语) P127
2-3-1-4. 어법(문법) 중 문장구조 –- 단문(单句)과 복문(复句) P129
2-3-2. 어음(발음) P133
2-3-2-1. 과거에 사용했던 독약법(读若法), 직음법(直音法), 반절법(反切法)의 예 P134
2-3-2-2. 주음부호(注音符号)와 한어병음(汉语拼音) 대조표 P135
2-3-2-3. 성모(声母) P136
2-3-2-4. 운모(韵母) P139

2/4
=========================================================================================
(끝)

3/4
1-1-1.
1-1-1-1.
1-1-1-1-1.
(1)
(1-1)

①-①
(A)

4/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