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현대 중국어(中语) 및 현대 한어(汉语)

一. 현대 중국어(中语) 및 현대 한어(汉语)의 정의

중국의 인구는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2010 년 11 월 1 일 0 시기준 “인구센서스”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13 억 3 972 만 4,852 명이다. (홍콩/
마카오/대만 제외)

그런데 중국은 56 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족(汉族)과 55 개의 비한족(非


汉族)이 그것이다. (중국은 “少数民族”이라고 부르는데 본 강의는 비한족[非汉族]
또는 비한족민족[非汉族民族]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민족 구성은 “민족식별작업”(民族识别工作)을 통해 정리되었으며 “


민족식별작업”은 “인구센서스” 조사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지금까지 중국에서는
1953 년, 1964 년, 1982 년, 1990 년, 2000 년, 2010 년 총 6 번의 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990 년부터는 10 년단위로 “인구센서스”를 하고 있으므로 금년
(2020 년) 11 월 1 일 0 시에 7 차를 실시할 예정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이 1949 년 10 월 1 일 출범한 후에 “민족식별작업”을 하기 위해


자진신고를 받은 민족명칭의 수량은 500 여개였다(600 개에 가까움). 1953 년 1 차
인구센서스 때 자진신고 민족명칭이 400 여개에 달했으며(이중 운남성이 260 여개,
귀주성이 80 여개로 1 위와 2 위 차지) 1964 년 2 차 인구센서스 실시 전에 받은
자진신고 민족명칭이 183 개였다.
600 개 가까운 민족명칭에는 같은 민족인데 명칭을 달리 신고한 중복 건수가
매우 많이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해 조사, 연구, 분류 작업을 통해, 1954 년에 38 개
비한족(非汉族)을 확정하였고, 1964 년(?)에 16 개를 추가로 확정하고, 마지막으로
1979 년에 운남성 서쌍판납자치주(西双版纳自治州) 경홍시(景洪市) 기낙산(基诺山)
에 살고 있는 기낙족(基诺族)을 확정하여 55 개 비한족 분류작업이 마무리되었다.

한족(汉族)과 비한족(非汉族)의 구성비을 살펴보면, 13 억 3 972 만 4,852 명(


홍콩/마카오/대만 제외) 중, 한족(汉族)이 12 억 2,593 만 2,641 명으로 91.51%,
기타 민족(55 개)이 1 억 1,379 만 2,211 명으로 8.49%를 차지하고 있다.

“현대 중국어”란 이 13 억 4 천만명의 사용하는 언어이다. 즉 현재의 56 개


1/16
민족이 사용하는 언어를 “현대 중국어”라 한다면 여기에는 한족(汉族)의 말인 한어
(汉语)와 비한족(非汉族)의 말인 한어(汉语)가 아닌 다른 말들도 포함된다. 이를 “
넓은 의미의 중국어”라고 하자.

그리고 13 억 4 천만명의 중국 인구 중 절대 다수인 91.51%를 차지하는 한족(汉


族)이 사용하는 한어(汉语)를 중국어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를 “좁은 의미의
중국어”라고 하자.

즉 “현대 중국어”를 아래처럼 두가지 범주로 정의할 수 있겠다.


一) “넓은 의미의 “중국어”: 현재 56 개 민족이 사용하는 언어들
二) “좁은 의미의 “중국어”: 현재 한족(汉族)이 사용하는 한어(汉语)

二. 현대 한어(汉语)

현재 한족(汉族)이 사용하는 “현대 한어”(汉语)의 종류를 살펴보면 청말(清末)


에서 현재까지 (1)7 대 방언, (2)8 대 방언, (3)9 대 방언, (4)10 대 방언, (5)11 대
방언 등의 구분이 있다. 이중 본 강의에서는 “현대 한어(汉语) 10 대 방언”설을
취한다.
이를 시기별로 앞선 분류부터 살펴보자.

一) 장병린(章炳麟)의 “현대 한어(汉语) 9 대 방언”

1900 년에 장병린(章炳麟)이 제시한 9 가지 방언으로


(1) 황하 이동/이북(黄河以东以北),

(2) 섬서(陕西),

(3) 황하이남 및 화남(黄河以南及华南),

(4) 복건(福建),
(5) 광동(广东),

(6) 개봉이동(开封以东 0,

(7) 강남(江南),

2/16
(8) 휘주(徽州),
(9) 사천(四川) 등이다.

二) 조원임(赵元任)의 “현대 한어(汉语) 7 대 방언”

1934 년 조원임(赵元任)이 《언어구역도》(《语言区域图》)에서 “현대 한어(汉


语)”를 아래처럼 7 개로 구분하였다.

(1) 화북관화구(华北官话区),

(2) 화남관화구(华南官话区),

(3) 오방언(吴方言),

(4) 월방언(闽方言),

(5) 객가방언(客家方言),
(6) 월방언(粤方言),
(7) 해남방언(海南方言).

三) 조원임(赵元任)의 “현대 한어(汉语) 9 대 방언”

1939 년에 수정된 조원임(赵元任)의 《언어구역도》(《语言区域图》)내용이다.

(1) 북방관화(北方官话),

(2) 상강관화(上江官话 0,

(3) 하강관화(下江官话),

(4) 오방안(吴方言),

(5) 환방언(皖方言),
(6) 민방언(闽方言 0,

(7) 조산방언(潮汕方言),
(8) 객가방언(客家方言),
(9) 월방언(粤方言) 등 9 개이다.

3/16
四) 조원임(赵元任)의 “현대 한어(汉语) 11 대 방언”

《언어구역도》(《语言区域图》)를 1948 년에 다시 한번 수정한 것으로 11


개의 방언으로 나누었다.
(1) 북방관화(北方官话),

(2) 서남관화(西南官话),

(3) 하강관화(下江官话),

(4) 오어(吴语),

(5) 상어(湘语),

(6) 감어(赣语),

(7) 객가화(客家话),

(8) 월어(粤语),

(9) 민남어(闽南语),

(10) 민북어(闽北语),

(11) 휘주방언(徽州方言).

五) “현대 한어(汉语) 8 대 방언”

지난 50 년간의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1955 년에 현대 한어의 방언을 8 종류로


구분한 것으로, 아래에서 소개할 1987 년의 “10 대 방언” 자료가 나오기 전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것이다.
“11 대 방언”과 비교하면, 관화(官话)를 세분하지 않았으며 사용자가 많지 않은
휘어(徽语)를 오어(吴语)에 편입시킨 점이 다르다.

(1) 관화(官话),

(2) 오어(吴语),

(3) 상어(湘语),

(4) 감어(赣语),

(5) 객가어(客家话),

(6) 민북어(闽北话),

4/16
(7) 민남어(闽南话),

(8) 월어(粤语).

六) 《中国语言地图集》의 “현대 한어(汉语) 10 대 방언”

《중국언어지도집》(《中国语言地图集》)은 중국사회과학원(中国社会科学院)
과 호주인문과학원(澳大利亚人文科学院)이 공동 편찬하여 1987 년과 1990 년
두번으로 나누어 홍콩 랑문(원동)유한공사(朗文(远东)有限公司)에서 중문과 영문 2
가지 언어로 출판한 자료이다.
《중국언어지도집》은 한어(汉语) 방언을 구분하는 기본적인 “2 가지 표준”을
제시하였는데, 하나는 “옛 입성자(古入声字)의 변화”, 다른 하나는 “옛 유성음 성모
(古浊声母字)의 변화”이다.

첫번째 표준인 “옛 입성자(古入声字)의 변화”를 근거로는 관화(官话)방언과


비관화(非官话)방언을 구분하였는데,

(1)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관화(官话)방언은 받침에서 옛날의 입성 받침(_k,


_t, _p)이 없어지고 서성(舒声, 평성/상성/거성의 3 성)으로 발음하며 비관화(非官话)
방언에서는 옛날의 입성 받침(_k, _t, _p) 그대로 발음한다. (일부의 예외: (1)관화 -
- 강회관화(江淮官话) 전체와 기타 관화에서 극소수의 경우, (2) 비관화 -- 극소수의
경우)
(2) 또 “옛 무성음 성모 입성자(古清音声母入声字)의 변화”를 기준으로 관화(官
话)방언을 8 개로 나누었다.

두번째 표준인 “옛 유성음 성모(古浊声母字)의 변화”로는 비관화(非官话)방언을


9 개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구분한 《중국언어지도집》이 이왕의 연구와 다른 5 가지의


특징이 5 가지가 있으니 아래와 같다.
1. 진어(晋语)(산서성 한어 방언)를 관화(官话) 방언에서 분리하였다.

2. 휘어(徽语)(안휘성 한어 방언)를 오어(吴语)(강소성,절강성 위주)와


분리하였다.
3. 감어(赣语)(강서성 한어 방언)와 객가어(客家话)를 분리하였다.

4. 평화(平话)(광서성 한어 방언)를 독립된 방언으로 구분하였다.

5/16
5. 관화(官话) 방언을 다시 8 개로 나누었다.

이러한 《중국언어지도집》의 “현대 한어(汉语) 10 대 방언”은 아래와 같다.

(1) 관화(官话),

(2) 진어(晋语) (산서성 한어 방언),

(3) 오어(吴语) (강소성, 절강성 위주),

(4) 휘어(徽语) (안휘성 한어 방언),

(5) 상어(湘语) (호남성 한어 방언),

(6) 객가어(客家话),

(7) 감어(赣语) (강서성 한어 방언),

(8) 민어(闽语) (복건성 한어 방언),

(9) 월어(粤语) (광동성 한어 방언),

(10) 평화(平话) (광서성 한어 방언).

관화(官话)를 8 개로 세분하면

(1) 북경관화(北京官话) (北京、河北北部、内蒙古中部),

(2) 동북관화(东北官话) (黑龙江和吉林的绝大部、辽宁部分地区、内蒙古东部和河北


东北部),

(3) 기로관화(冀鲁官话) (河北大部、天津、山东北部和西北部,以及北京市平谷区,山西


广灵县,内蒙古宁城县),

(4) 교료관화(胶辽官话),

(5) 중원관화(中原官话),

(6) 난은관화(兰银官话),

(7) 강회관화(江淮官话),

(8) 서남관화(西南官话) 등이다.

민어(闽语) (복건성 한어 방언)는 아래처럼 7 개로 세분한다.

(1) 민남(闽南) 민어(闽语),

6/16
(2) 보선(莆仙) 민어(闽语),

(3) 민동(闽东 0 민어(闽语),

(4) 민북(闽北) 민어(闽语),

(5) 민중(闽中) 민어(闽语),

(6) 소장(邵将) 민어(闽语),

(7)경문(琼文) 민어(闽语).

사용자 수를 보면,
관화(官话) 한어의 사용자는 한족 인구(12 억 2,593 만 2,641 명) 중 67.7%를
점하고 있으며, 비관화(非官话) 한어의 사용자는 32.3%를 점하고 있다.

관화(官话) 한어 중에서는 서남관화(20.5%), 중원관화(17.3%), 기로관화


(8.6%), 동북관화(8.4%), 강회관화(6.9%), 교료관화(3.0%) 순이다.
비관화(官话) 한어 중에서는 오어(7.1%), 민어(5.6%), 진어(4.7%), 월어(4.1%),
객가어(3.4%), 감어(3.2%), 상어(3.2%) 순이다.

이상을 간단하게 비교하면 아래 표와 같다.

汉语方言(十个) 官话方言(八个) 占比
1 官话 1-1 北京官话
1-2 东北官话 8.4%
1-3 冀鲁官话 8.6%
1-4 胶辽官话 3.0%
67.7%
1-5 中原官话 17.3%
1-6 兰银官话
1-7 江淮官话 6.9%
1-8 西南官话 20.5%
2 晋语 4.7%
3 吴语 7.1%
4 徽语
5 湘语 3.2% 32.3%
6 客家语 3.4%
7 赣语 3.2%
8 闽语 5.6%

7/16
9 粤语 4.1%
10 平话
100.0
合计 96.0%
%

《中国语言地图集》의 “현대 한어(汉语) 10 대 방언”에 대한 지도를 아래에


첨부한다.

관화(官话) 분포도(1)

8/16
출처:
https://baike.baidu.com/item/%E5%AE%98%E8%AF%9D/5367393?fr=aladdin

관화(官话) 분포도(2)

9/16
출처: 위와 같음

관화(官话) 분포도(3)

10/16
출처: 위와 같음

관화(官话)방언 및 비관화(非官话)방언 분포도

11/16
출처:
https://baike.baidu.com/item/%E4%B8%AD%E5%9B%BD
%E6%96%B9%E8%A8%80/11013054?fr=aladdin#6

三. 55 개의 비한족(非汉族)의 언어와 문자

一) 55 개의 비한족(非汉族)의 언어

55 개의 비한족(非汉族)의 언어는 아래의 3 가지 경우가 있다.

1. 하나의 민족이 하나의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많은 경우가 이에 해당)


2. 원래는 언어가 있었으나 잃어버린 경우.
3. 하나의 민족이 두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12/16
55 개의 비한족(非汉族) 중 자기의 언어를 잃어버린 민족이 두개가 있으니 회족
(回族)과 만족(만주족, 满族)이다. 이 두 민족도 원래는 자기의 언어가 있었으나
현재는 없어졌고 그래서 한어(汉语)를 사용하고 있다.

3 번의 경우처럼 하나의 민족이 두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를 보면


요족(瑶族)이 3 개의 언어(勉语, 布努语, 拉珈语)를,

고산족(高山族)이 13 개의 언어(泰耶尔语, 赛德语, 邹语, 沙阿鲁阿语, 卡那卡那


布语, 排湾语, 阿眉斯语, 布农语, 鲁凯语, 卑南语, 邵语, 萨斯特语, 耶眉语)를,

경파족(景颇族)이 2 개의 언어(景颇语, 载瓦语)를,

노족(怒族)이 3 개의 언어(怒苏语, 阿侬语, 柔若语)를,

유고족(裕固族)이 2 개의 언어(东部裕固语, 西部裕固语)를

문파족(门巴族)이 2 개의 언어(门巴语, 仓拉语)를 사용하고 있어,

이를 모두 합치면 현재 55 개의 비한족(非汉族)이 사용하는 언어는 총 72 개이다.

이처럼 두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


내의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어(汉语) 또는 쌍방이 모두 알아듣는 언어를
사용한다.

二) 55 개의 비한족(非汉族)의 문자

비한족(非汉族)의 문자는 대부분 표음문자(拼音文字)이다.

55 개의 비한족(非汉族) 중 문자가 없는 민족이 20 개가 있으니 문자를 사용하고


있는 민족은 35 개가 있다.
자기의 언어와 일치하는 문자를 가지고 있는 민족은 29 개 민족인데, 어떤
민족은 2 개 이상의 문자를 사용하고 있어(예: 태족[傣族] 4 개의 문자 사용, 경파족
[景颇族] 2 개의 문자 사용) 29 개 민족이 사용하는 문자의 종류는 54 개에 달한다.

언어만 있고 문자가 없는 민족을 위해 중국 정부가 문자 방안(文字方案)을


만들어 주었는데,
주로 지난 20 세기 50 년대에 10 개 민족에게 14 개의 라틴문자 형식의 문자
13/16
방안을 만들어 주었고(10 개 민족: 壮族, 布依族, 彝族, 苗族, 哈尼族, 傈僳族, 纳西族,
侗族, 佤族, 黎族) (苗族에게 4 개의 문자, 哈尼族에게 2 개의 문자 방안을 만들어 줌)

그후 2 개 민족에게 2 개의 라틴문자 형식의 문자 방안을 만들어 주었다. (2 개의


민족: 景颇, 族土族)

80 년대에는 비한족(非汉族)들의 요구에 의해서 5 개 민족에게 표음문자 방안을


설계해 주었다. (5 개 민족: 白族, 独龙族, 土家族, 羌族, 基诺族)

三) 55 개의 비한족(非汉族)의 언어와 문자 비교표

위에서 설명한 비한족(非汉族)의 언어와 문자 내용에 대해서 참고용으로 (한글


표현 없이 중문으로 된) 비교표를 만들어 아래에 첨부한다.


民族名称 使用语言的名称 使用文字的名称
文字
1 朝鲜族 朝鲜语 朝鲜文
2 蒙古族 蒙古语 蒙古文

3 回族 经堂语 小儿经

4 藏族 藏语 藏文
维吾尔文:维吾尔老文字、维吾尔
5 维吾尔族 维吾尔语
新文字
老苗文、黔东苗文、湘西苗文、川
6 苗族 苗语 黔滇苗文、滇东北苗文(后 4 种为
新创)
7 彝族 彝语 老彝文、规范彝文(新创)

8 壮族 壮语 方块壮字、壮文(新创)
9 布依族 布依语 布依文(新创)

10 满族 满语(已消亡)、汉语 满文、中文
11 侗族 侗语 侗文(新创)

12 瑶族 勉语、布努语、拉珈语 门方言文字、勉方言文字
13 白族 白语 老白文、白文(新创)
14 土家族 土家语 土家文(新创)

14/16
15 哈尼族 哈尼语 哈雅文、碧卡文(均为新创)
哈萨克文:哈萨克老文字、哈萨克
16 哈萨克族 哈萨克语
新文字
老傣仂文、新傣仂文、老傣那文、
17 傣族 傣语
新傣那文、傣绷文、金平、傣文
18 黎族 黎语 黎文(新创)
老傈僳文(大写拉丁字母的拼音文
19 傈僳族 傈僳语 字、格框式拼音文字、表音的音节
文字)、新傈僳文
20 佤族 佤语 撒拉语、佤文(新创)
21 畲族 畲语 X
22 拉祜族 拉祜语 拉祜文
23 水族 水语 水书

24 东乡族 东乡语 X
东巴文、哥巴文、玛丽萨文、纳西
25 纳西族 纳西语
文(新创)
26 景颇族 景颇语、载瓦语 景颇文、载瓦文(新创)
27 柯尔克孜族 柯尔克孜语 柯尔克孜文
28 土族 土族语 土文(新创)
29 达斡尔族 达斡尔语 达呼尔文、达斡尔文(新创)

30 仫佬族 仫佬语 X
31 羌族 羌语 古羌文、羌文(新创)
32 布朗族 布朗语 X
33 撒拉族 撒拉语 撒拉文

34 毛南族 毛南语 X
35 仡佬族 仡佬语 X
36 锡伯族 锡伯语 锡伯文
37 阿昌族 阿昌语 X
38 普米族 普米语 X
39 塔吉克族 塔吉克语 X
怒苏语、阿侬语、柔若
40 怒族 X

15/16
41 乌孜别克族 乌孜别克语 X
42 俄罗斯族 俄罗斯语 俄文
43 鄂温克族 鄂温克语 X
44 德昂族 德昂语 X
45 保安族 保安语 X
东部裕固语、西部裕固
46 裕固族 X

47 京族 京语 越南文

48 塔塔尔族 塔塔尔语 塔塔尔文

49 独龙族 独龙语 独龙文(新创)


50 鄂伦春族 鄂伦春语 X
51 赫哲族 赫哲语 X
52 门巴族 门巴语、仓拉语 X
53 珞巴族 珞巴语 X
54 基诺族 基诺语 基诺文(新创)

泰耶尔语、赛德语、邹
语、沙阿鲁阿语、卡那
布语、排湾语、阿眉斯
55 高山族 X
语、布农语、鲁凯语、
卑南语、邵语、萨斯特
语、耶眉语
============================================================
(끝)

16/1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