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52

한국어 문법 연구

한국어 문법 연구
한국어 문법 연구

성기철
::머리말
::차 례

■ 머리말 _ 5

제 1 부 형태론

국어 접미사 편고 ····································································· 3
― 몇 개의 접미사 체계를 중심으로 ―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 63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 107

경험의 형태 { 었 }에 대하여 ············································ 135

경험과 추정 ·········································································· 173


― -겠-과 -을 것이- 를 중심으로 ―

어미 고와 어 에 대하여 ············································· 197

어미 기에 에 대하여 ························································ 217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 241

조사 는 에 대하여 ···························································· 269

주격조사 가 의 의미 ························································ 293

격조사 를 의 의미 ···························································· 321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 345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의 주제 문제 ·································································· 377

문 서술어 복합문 ·································································· 403

국어 어순 연구 ····································································· 421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 457

한글 ․ 문법 파동 ····································································· 509

발표 논문 목록_ 534
학술 회의 발표 논문․ 특별 강의 목록_ 536
학회 주요 활동 내용-학회장 재임시 개최 국제 회의 _ 539
제1부 형 태 론

국어 접미사 편고
― 몇 개의 접미사 체계를 중심으로 ―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경험과 추정
― -겠-과 -을 것이-를 중심으로 ―

어미 -고 와 -어 에 대하여
어미 -기에 에 대하여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조사 -는 에 대하여
주격조사 -가 의 의미
격조사 -를 의 의미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국어 접미사 편고
-몇 개의 접미사 체계를 중심으로-

1. 서
제 1 부 형태론

1.1. 모음표기

ɨ ɛ ə

ə ə

1.2. 자음표기

ɔ
국어 접미사 편고

2. ㄹ계 접미사

2.1. l형 접미사

2.1.1. 명사의 어간 형성

(1) 동사 파생 명사(deverbal noun)의 형성


제 1 부 형태론

ɨ ɨ

(2) 명사 파생 명사의 어간 형성

ɨ ɨ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ɛ ɛ ɛ

ɛ ɛ

ɨ ɨ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ɛ
제 1 부 형태론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ɨ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2.1.2. 동사의 어간 형성

(1) 동사 파생 동사의 어간 형성

ɨ ɨ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ɨ ɨ

ɨ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ɛ
국어 접미사 편고

ɨ ɨ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2) 명사 파생 동사의 어간 형성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2.1.3. 부사의 어간 형성

ɨ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ɨ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국어 접미사 편고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ɨ
ɛ

ɨ ɛ

ɛ
제 1 부 형태론

2.2. lv형 접미사

(1) la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ɨ ɨ
제 1 부 형태론

(2) lɛ

ɨ ɛ ɛ

ɨ
ɛ ɛ

ɛ ɛ

(3) le

ɨ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4) lə

ə ə
제 1 부 형태론

ə ə ə ə
ɨ ə ɨ ə
ə ə

ə ə

ə ɨ ə ə ɨ ə

(5) lo

ə ə
국어 접미사 편고

(6) li

ɨ ɨ
ə ə

2.3. cvl형 접미사

(1) kvl형(’kvl형, k’vl형 포함)

ə ə
ɨ ɨ

ɨ ɨ
ə ə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ɨ
ɛ ɛ

(2) tvl형(’tvl형, t’vl형 포함)

ɨ ɨ ɨ ɨ

ɨ ɨ

ɨ ɨ

(3) mvl형

ɨ ɨ
ɨ ɨ

(4) cvl형(’cvl, c’vl형, 포함)

ə ə
국어 접미사 편고

ə ə ə ə

(5) svl형

ə ə

ə ɨ ə ɨ

(6) pvl형(’pvl형, p’vl형 포함)

ə ə

3. ㅁ계 접미사
제 1 부 형태론

3.1. 명사의 어간 형성에서

3.1.1. -m형 접미사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ə ɨ ə ɨ

ə ɨ ə ɨ

ɨ ɨ ɨ ɨ

ə ɨ ə ɨ

ɨ ɨ

ə ə
제 1 부 형태론

ə
ə ə

ə ə

ə ə
국어 접미사 편고

ə ə

ə ə

ə ə ə ə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3.1.2. 기타의 접미사

ɨ ɨ
ə ə

ə ə ə ə

ə ə
국어 접미사 편고

ə ɨ ə ɨ

ɛ ɛ

ɛ ɛ

ɛ ɛ

ɛ
제 1 부 형태론

3.2. 부사의 어간 형성에서

3.2.1. -m형 접미사

ə ɨ ə ɨ

ɨ ɨ ɨ ɨ ɨ ɨ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ə ɨ ə ɨ

ɨ ɨ

ɨ ɨ ɨ

ə ə ə ə
제 1 부 형태론

ə ə ə ə

ə ə ə ə

ə ə ə ə
국어 접미사 편고

ɨ ə ɨ ə ɨ ə ɨ ə

ɨ ɨ ɨ ɨ ɨ ɨ

ɨ ɨ ə ɨ ɨ ə ɨ ə ɨ ə

ɨ ɨ

ə ə ə ɨ

ɨ ə ɨ ə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ə ə

ə
국어 접미사 편고

ɨ ɨ

3.2.2. cvm형 접미사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ə ɨ ə ɨ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ɨ
ə ɨ ə ɨ
ɨ ɨ

ɨ ɨ
ɨ ɨ
ə ɨ ə ɨ
ɨ ɨ

4. ㄴ계 접미사
국어 접미사 편고

4.1. -n계 접미사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ə ɨ

ɨ ə ɨ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ɨ ɨ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ɨ ɨ ɨ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ɨ ɨ

ɨ ɨ

ɨ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4.2. nv형 접미사

ɛ ɛ
제 1 부 형태론

4.3. cvn형 접미사

4.3.1. kvn형(kvn형, kvn형 포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4.3.2. svn형
국어 접미사 편고

4.3.3. 기타

5. ㅅ계 접미사

5.1. -s형 접미사

ɨ ɨ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ə ə ə ə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ə ɨ
ɨ

ə ɨ ə ɨ ə ɨ ə ɨ

국어 접미사 편고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ɨ
국어 접미사 편고

5.2. sv형 접미사

5.3. cvs형 접미사

5.3.1. kvs형

ɨ ɨ

ɨ ɨ ɨ ɨ ɨ ɨ ɨ ɨ
ɛ ɨ ɛ ɨ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ɨ

5.3.2. tvs형

ɨ
ə ɨ

ɨ ɨ

5.3.3. pvs형

ə ə
ə ə

5.3.4. mvs형

5.3.5. cvs형
국어 접미사 편고

ə ɨ ə ɨ

ɨ ɨ

6. 결어

- 연포이하윤선생 화갑기념논문집, 1966. 5.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1. 서언
제 1 부 형태론

2. 명사의 직접 성분 분석

2.1. 분석의 개관 직접 성분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2.1.1. 의미의 관련성


제 1 부 형태론

2.1.2. 대치성

2.1.3. 양분성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2.1.4. 전 구조에 의한 지원도

2.1.5. 연속성

ɛ ɛ

ɛ ɛ
ɛ ɛ
제 1 부 형태론

2.1.6. 어두 자음군 기피

2.1.7. 합성 접사의 기피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2.1.8. 자립형태

2.2. 분석의 실제
제 1 부 형태론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제 1 부 형태론

막벌잇군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제 1 부 형태론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제 1 부 형태론

3. 형태론적 구조

3.1. 구조의 유형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제 1 부 형태론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3.2. 합성명사의 구조

3.2.1. 통사론적 sequence


제 1 부 형태론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제 1 부 형태론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제 1 부 형태론

3.2.2. 비통사론적 sequence

① - - - -
② -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3.3. 복합명사의 구조
제 1 부 형태론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 - - -

3.4. 직접성분 간의 관계

3.4.1. 한 IC와 전체와의 관계

(1) 동심구성
제 1 부 형태론

(2) 이심구조

3.4.2. IC와 IC 상호간의 관계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3.5. 형태론적 구조의 특징


제 1 부 형태론

(1) 음운론적 특징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2) 분포상의 특징
제 1 부 형태론

(3) 의미상의 특징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4. 형태론적 변동

ə
ɨ ɛ
제 1 부 형태론

4.1. 귀착

4.2. 동화(assimilation)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제 1 부 형태론

ə
ɛ

4.3. 탈락(loss)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제 1 부 형태론

ɨ
ɨ ɨ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ɨ
ɨ
제 1 부 형태론

4.4. 음운의 첨가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ɨ
제 1 부 형태론

ɛ ɛ

ə ɛ ə ɛ

4.5. 경음화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제 1 부 형태론

4.6. 기타 /l/ /t/

5. 결어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

- 국어교육 1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69. 12.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1. 서언
제 1 부 형태론

2. 성분 분석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제 1 부 형태론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제 1 부 형태론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3. 어간 구조

3.1. 파생 어간

3.1.1. Px+Vst
제 1 부 형태론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제 1 부 형태론

3.1.2. V+Sx

3.1.3. N+Sx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3.1.4. Ad+Sx
제 1 부 형태론

3.1.5. D+Sx

3.1.6. Stx+Sx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3.2. 합성 어간

3.2.1. N+V
제 1 부 형태론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3.2.2. V1+V2
제 1 부 형태론

3.2.3. Ad+V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3.2.4. N+C (C=지정사 /-이-/)


제 1 부 형태론

4. 접사

4.1. 접두사

4.1.1. 접두사의 분포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4.1.2. 접두사의 분류

λε λέ τπ
제 1 부 형태론

4.1.3. 접두사의 특징

4.2. 접미사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4.2.1. 접미사의 분포
제 1 부 형태론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4.2.2. 접미사의 배합 순위
제 1 부 형태론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4.2.3. Sx의 분류
제 1 부 형태론
동사류어의 어간 구조와 접사

4.2.4. 접미사의 특징
제 1 부 형태론

5. 결어

-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1971. 11.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1. 서언
제 1 부 형태론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2. 자료의 고찰 {-었1-}과 {-었2-}


제 1 부 형태론

2.1. 동사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2.2. 형용사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3. 학설의 개념과 검토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3.1. 의미

3.1.1. 대과거
제 1 부 형태론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3.1.2. 과거완료(또는 지난적끝남)


제 1 부 형태론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3.1.3. 완료의 완료(1)

3.1.4. 완료의 완료(2)(또는 대완료)


제 1 부 형태론

3.1.5. 과거분사

3.1.6. 단속상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3.2. 형용사와 었었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3.3. 형태소 분석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4. -었었- 의 의미와 형태 분석

4.1. 었었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4.1.1. 동사와 -었었-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4.1.2. 형용사와 -었었-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4.2. 형태소의 확인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4.3. 었 의 문법 범주
제 1 부 형태론

5. 결어
경험의 형태 {-었-}에 대하여

- 문법연구 1, 문법연구회, 1974. 5.


경험과 추정

1
제 1 부 형태론

2
경험과 추정
제 1 부 형태론
경험과 추정

3
제 1 부 형태론
경험과 추정
제 1 부 형태론
경험과 추정
제 1 부 형태론
경험과 추정

4
제 1 부 형태론
경험과 추정
제 1 부 형태론
경험과 추정
제 1 부 형태론
경험과 추정
제 1 부 형태론
경험과 추정
제 1 부 형태론
경험과 추정
제 1 부 형태론

5
경험과 추정
제 1 부 형태론

참고 문헌

- 문법연구 4, 문법연구회, 1979. 6.


어미 -고 와 -어 에 대하여

1. 서
제 1 부 형태론

2. 형태소의 확인

2.1. { 고1}과 { 어1}


어미 -고 와 -어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어미 -고 와 -어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2.2. { 고2} { 어2}


어미 -고 와 -어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어미 -고 와 -어 에 대하여

3. 통사론적 고찰

3.1. 문장의 구조적 분류


제 1 부 형태론
어미 -고 와 -어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3.2. { 고1}, { 고2}에 의한 구문


어미 -고 와 -어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어미 -고 와 -어 에 대하여

3.3. { 어1}, { 어2}에 의한 구문


제 1 부 형태론
어미 -고 와 -어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어미 -고 와 -어 에 대하여

4. 결어
제 1 부 형태론

- 국어교육 18~20 합병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72. 12.


어미 -기에 에 대하여

1. 머리말
제 1 부 형태론

2. 형태 분석
어미 -기에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어미 -기에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3. -기에의 통사, 형태적 특성


어미 -기에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어미 -기에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어미 -기에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어미 -기에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4. -기에 의 의미 특성
어미 -기에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어미 -기에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어미 -기에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어미 -기에 에 대하여

5. 맺음
제 1 부 형태론
어미 -기에 에 대하여

참고 문헌

- 청하성기조선생 회갑기념논문집, 1993. 6.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1
제 1 부 형태론

2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제 1 부 형태론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제 1 부 형태론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제 1 부 형태론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제 1 부 형태론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3
제 1 부 형태론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제 1 부 형태론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제 1 부 형태론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4
제 1 부 형태론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제 1 부 형태론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제 1 부 형태론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제 1 부 형태론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제 1 부 형태론

5
어미 -어서 와 -니까 의 변별적 특성
제 1 부 형태론

참고 문헌

- 주시경학보 11집, 주시경연구소, 1993. 7.


조사 -는 에 대하여

1. 서론
제 1 부 형태론

2. 연구 성과의 개관
조사 -는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조사 -는 에 대하여

ɨ
ɨ

ɨ
제 1 부 형태론
조사 -는 에 대하여

ɨ
제 1 부 형태론
조사 -는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조사 -는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조사 -는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3. -는 과 주제
조사 -는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조사 -는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조사 -는 에 대하여
제 1 부 형태론
조사 -는 에 대하여

4. 결어
제 1 부 형태론
조사 -는 에 대하여

참고 문헌

- 논문집 17, 서울시립대학교, 1984. 2.


주격조사 -가 의 의미

1
제 1 부 형태론

2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3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4
주격조사 -가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참고 문헌

- 선청어문 22, 서울대 사범대 국어교육과, 1994. 9.


격조사 -를 의 의미

1
제 1 부 형태론
격조사 -를 의 의미

2
제 1 부 형태론
격조사 -를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격조사 -를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격조사 -를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3
격조사 -를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격조사 -를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격조사 -를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격조사 -를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격조사 -를 의 의미
제 1 부 형태론
격조사 -를 의 의미

4
제 1 부 형태론
격조사 -를 의 의미

참고 문헌

- 한국말교육 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94. 12.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1
제 1 부 형태론

2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3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4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5
보조조사 -까지, -조차, -마저 의 의미 특성
제 1 부 형태론

참고 문헌

- 한국어교육 제8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97. 12.


제2부 문 법 일 반

국어의 주제 문제

문 서술어 복합문

국어 어순 연구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한글 ․ 문법 파동
국어의 주제 문제

1. 머리말
제 2 부 문법 일반

2. 주제의 일반적 특성

2.1. 주제와 담화
국어의 주제 문제

2.2. 주제와 대하여성


제 2 부 문법 일반

2.3. 주제와 어순
국어의 주제 문제

2.4. 주제와 기존 정보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의 주제 문제

2.5. 주제와 한정성

3. 국어의 주제 문제

3.1. 담화적 관점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의 주제 문제

3.2. 문법적 관점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의 주제 문제

3.3. 주제와 한정성의 문제


제 2 부 문법 일반

3.4. 는과 주제
국어의 주제 문제

3.4.1. -는 과 대조성

3.4.2. -는 과 총칭성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의 주제 문제

3.4.3. -는 과 비대조․ 비총칭성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의 주제 문제

3.4.4. -는 과 한정성
제 2 부 문법 일반

3.4.5. -는 과 주제의 관련성


국어의 주제 문제

4. 국어의 주제

4.1. 국어 주제의 기본 성격
제 2 부 문법 일반

4.2. 주제 결정의 제일 원리
국어의 주제 문제
제 2 부 문법 일반

4.3. 주제 결정의 보조 원리
국어의 주제 문제

5. 맺음말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의 주제 문제

참고 문헌

˘
제 2 부 문법 일반

- 한글 188, 한글학회, 1985년 여름치


문 서술어 복합문

1
제 2 부 문법 일반
문 서술어 복합문

2
제 2 부 문법 일반
문 서술어 복합문
제 2 부 문법 일반
문 서술어 복합문
제 2 부 문법 일반

3
문 서술어 복합문
제 2 부 문법 일반
문 서술어 복합문
제 2 부 문법 일반
문 서술어 복합문

4
제 2 부 문법 일반
문 서술어 복합문
제 2 부 문법 일반

5
문 서술어 복합문
제 2 부 문법 일반

참고 문헌

- 국어학 16, 국어학회, 1987. 12.


국어 어순 연구

1. 서론
제 2 부 문법 일반

2. 국어 어순의 기본 원리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3. 관형어의 어순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4. 부사어의 어순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5. 결론
국어 어순 연구
제 2 부 문법 일반

참고 문헌

- 한글 218, 한글학회, 1992. 12.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1. 서론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2. 전기 방송 언어 연구상의 문제점

2.1. 방송 언어사의 구분과 문법의 변천 문제


제 2 부 문법 일반

θ ə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2.2. 전기 방송 언어 자료의 한계성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3. 문법 형태의 변천

3.1. 개관
제 2 부 문법 일반

3.2. 선어말어미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3.3. 어말어미

∙-이
제 2 부 문법 일반

∙-습넨다

∙-노라

∙-디어다

∙-더이다

∙-나니라

∙-나뇨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3.4. 기타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4. 통사 구조의 변천

4.1. 개관

4.2. 주어와 목적어의 관형어화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4.3. 문의 접속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4.4. 뉴스문의 통사적 특성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5. 대우법의 변천

5.1. 개관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5.2. 청자대우와 화계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아주높임

∙예사높임

∙예사낮춤

∙아주낮춤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5.3. 화계와 격식성


제 2 부 문법 일반

6. 문체의 변천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6.1. 문어체와 구어체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6.2. 격식체와 비격식체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7. 결어
제 2 부 문법 일반
방송 언어의 문법 변천
제 2 부 문법 일반

참고 문헌

- 방송언어 변천사, KBS 한국어연구회, 1987. 2.


한글 문법 파동

1. 머리말
제 2 부 문법 일반

2. 조선어학회와 조선어학연구회
한글 문법 파동
제 2 부 문법 일반
한글 문법 파동
제 2 부 문법 일반
한글 문법 파동
제 2 부 문법 일반
한글 문법 파동

3. 한글 파동
제 2 부 문법 일반
한글 문법 파동
제 2 부 문법 일반
한글 문법 파동

4. 학교 문법 파동
제 2 부 문법 일반
한글 문법 파동
제 2 부 문법 일반
한글 문법 파동
제 2 부 문법 일반
한글 문법 파동
제 2 부 문법 일반
한글 문법 파동
제 2 부 문법 일반

5. 맺음말
한글 문법 파동
제 2 부 문법 일반
한글 문법 파동

참고 문헌

- 난대이응백박사 고희기념논문집, 1992. 4.


한국어 문법 연구

발표 논문 목록

발표 연도 제목 발표 기관지
부록
한국어 문법 연구

학술 회의 발표 논문 ․ 특별 강의 목록

학술 회의 발표 논문
부록
한국어 문법 연구

특별 강의
부록

학회 주요 활동 내용-학회장 재임시 개최 국제 회의

국제한국어교육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AKLE)


― 재임 기간(제6대 회장):1995. 8.-1997. 9.

(1) 1996. 5. 3.

(2)

(3) 1996. 6. 25-26.

(4) 1997, 8. 1.-5.

(5) 1997. 9. 6-7.

(6) 1997. 9. 8- 9.
한국어 문법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International Network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NK)


― 재임 기간:2001. 7-2005. 7.

2001년 1월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저 l자 l소 l개
성기철(成耆徹, Kychul Sung)
아호:이당(耳堂), 석당(石堂)
전자메일:sungchul03@yahoo.co.kr
1938년 충남 아산 출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문학박사
충북대,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역임(현 서울시립대 명예교수)
런던대학교, 토론토대학교,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 객원교수 역임
대련외국어대학(중국), 연변대학교(중국) 객좌교수 역임
국제한국어교육학회장 역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장 역임
저서: 국어학신강 (공저)
현대국어대우법연구
한국어 대우법과 한국어 교육

한국어 문법 연구
초판 인쇄 2007년 12월 20일
초판 발행 2007년 12월 31일
저 자 성기철
펴낸이 최종숙
편 집 권분옥 이태곤 이소희 양지숙 김지향
펴낸곳 글누림출판사
주소 서울 서초구 반포4동 577-25 문창빌딩 2층
전화 02-3409-2055
팩스 02-3409-2059
등록 2005년 10월 5일 제303-2005-000038호
홈페이지 http://geulnurim.co.kr
값 28,000원
ISBN 978-89-91990-91-3 93710

*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