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1.

헬라어 알파벳과 발음
대문자 소문자 명칭 발음

A a 알파 모음 아

B b 베타 ㅂ

G g 감마 ㄱ

D d 델타 ㄷ

E e 엡실론 모음 에(짧은)

Z z 제타 ㅈ

H h 에타 모음 에(긴)

Q q 테타 데 / 테(영어의 th)

I i 이오타 모음 이

K k 카파 ㅋ

L l 람(브)다 ㄹㄹ(영어의 l)

M m 뮈 ㅁ

N n 뉘 ㄴ

C c 크시 ㅋㅅ

O o 오-미크론(작은 오) 모음 오(짧은)

P p 피 ㅍ(영어의 p)

R r ㅎ로 ㅎㄹ(영어의 r)

S s, j 시그마(두 번째는 꼬리형) ㅅ

T t 타우 ㅌ

U u 윕실론 모음 우(짧은) / 위(긴)

F f ㅍ히(영어의 f) ㅍ(영어의 f)

X x ㅋ히 ㅋㅎ

1
Y y 프시 ㅍㅅ

W w 오-메가(큰 오) 모음 오(긴)

2. 주의할 발음들
1) 이중 모음
ai 아이 oi 오이
au 아우 ou 우
ei 에(길게) ui 위
eu 유(혹은 에우)
hu 유

2) 호흡
첫 단어가, r 혹은 모음으로 시작될 때, 호흡표시 강한호흡 [ (]과 부드러운 호흡 [ )]
이 있다. 즉 호흡표시로 ㅎ(h)발음을 낸다.

*호메로스 3Omhroj
*오뒷세우스 )Odusseu/j

[ / ] 표시는 악센 트표시다. 세 종류가 있지만, 부정대명사와 의문대명사 구분을 하


기 이전에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3) 받침 이응
감마는 감마, 카파, 키와 만나면 받침 이응이 된다.

*ἄγγελος는 악겔로스가 아니라 앙겔로스라고 읽는다.

3. 기초 문법 개념과 패러다임 익히기


2
*헬라어는 패러다임 변화가 기초 문법의 핵심이며, 또한 그 패러다임 변화는 세 가지 변화,
관사, 기본 동사, 3변화 명사 변화에 근거를 둔다.

1) 관사(관사의 모습에 따라 명사도 따라 변한다)


단수 복수
남성 여성 중성 남성 여성 중성
주격 o( h( to/ oi9 ai( ta/
속격 tou~ th~j tou~ tw~n tw~n tw~n
여격 tw~| th~| tw~| toi~j tai~j toi~j
대격 to/n th/n to/ tou~j ta~j ta/

2) 기본 동사 변화(직설법)
시상 접두어 어간 어미변화
현재 능동태 A 변화
현재 중간태/수동태 C 변화
미래 능동태 -s A 변화
미래 중간태 -s C 변화
미래 수동태 -qhs C 변화
미완료 과거 능동태 e- B 변화
미완료 과거 중간태/수동태 e- D 변화
아오리스트 과거 능동태 e- -sa B 변화
아오리스트 과거 중간태 e- -sa D 변화
아오리스트 과거 수동태 e- -qh B 변화
현재 완료 능동태 단어 첫 자음+e- -ka A 변화
현재 완료 중간태/수동태 단어 첫 자음+e- C 변화
과거 완료 능동태 단어 첫 자음+e- -k A 변화
과거 완료 중간태 단어 첫 자음+e- C 변화
제2 아오리스트 과거 능동태 단어 첫 자음+e- 불규칙어간+-sa B 변화
3
제2 아오리스트 과거 중간태 단어 첫 자음+e- 불규칙어간+-sa D 변화

*엡실론은 과거를 나타내는 시상접두어로, 동사 첫 단어가 모음일 경우 에타로 길어지며,


전치사와 합성동사(예를 들면 ἀπέρχομαι 는 a)po/와 e!rxomai의 합성동사)인 경우는
전치사 뒤에 붙는다.

**시그마는 어간 뒤에 붙는 시상접미어이나, 만약 어간 끝자음이 람(브)다, 뮈, 뉘, ㅎ로 를


만나면 사라지며, 대신에 악센트가 바뀐다.( / 에서 ~ 로) 이를 유음동사라고 한다. (예를
들면, me/nw)

***어미 변화를 겪는 동사 중, 어간 끝자음이 모음인 경우가 있다. 이때는 모음끼리 만나 단


축되며 길어진다. 이를 단축동사라고 한다. (예를 들면 a)gapa/w) 한편 단축동사는 시상
접미사 시그마, 테타 등을 만나면 길어진다.
e+e, ei -> ei e+ o, ou-> ou a+ei -> a| a+a-> a a+w, o -> w
o+ei -> oi o+e, o, ou->ou

****수동태의 특징이 qh이다. q는 자음접변을 일으킨다.


b, p -> f
g, k -> x
d, t, q -> s

1S w 1S on
2S eij 2S ej
A 변화 B 변화
3S ei 3S e(n)
현재 능동태
미완료 능동태
미래 능동태
현재완료 능동태
1P omen 아오리스트 능동태 1P omhn
아오리스트 수동태
과거완료 능동태
2P ete 2P ete
3P ousi(n) 3P on
1S omai 1S omhn
C 변화 2S h| 2S ou
D 변화
미래 중간태 3S etai 3S eto
미래 수동태 미완료
현재 완료 1P omeqa 중간/수동태 1P omeqa
중간/수동태 아오리스트 중간태
과거완료 2P esqe 2P esqe
중간/수동태
3P ontai 3P onto

4
3) 3변화 명사
*명사에는 1변화, 2변화 3변화가 있다. 1변화, 2변화는 관사의 변화를 따르거나 유사하지만 3변
화 명사는 다르다. 그런데, 이 3변화 명사 변화가 분사 변화, 의문대명사, 부정대명사에 적용된다.

**에이미 동사 현재분사 형태가 다른 동사의 현재 분사 어간을 만들고 3변화 명사 어미 변화를 따


른다.

남성/여성 중성
단수 주격 -j, - -
단수 속격 oj, ouj, wj oj, ouj, wj
단수 여격 i i
단수 대격 a -
복수 주격 ej, eij a
복수 속격 wn wn
복수 여격 si si
복수 대격 aj, eij a

4) 기타 기초 문법 사항들
A) 가정법은 반드시 가정법 부사를 동반한다.
B) 부정사는 관사와 함께 사용될 경우 관용어가 되며(전치사+관사+부정사; 예를 들면 meta\ to\
lu=sai는 ‘풀린 후에’), 부정사는 종속절에서 목적격을 주어로 취한다.
C) 분사는 문맥에 따라서, 명사를 꾸며주는 ‘~인’, ‘~하는’으로 번역할 수도 있고(관형적), 종속절
로 ‘~하는 동안’ 혹은 ‘~한 후에’로 번역될 수 있으며(서술적/ 전자는 현재분사, 후자는 과거분
사), 관사와 분사만을 갖추어 주어 역할을 위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 ; 표시는 물음표다.
E) 형용사도 분사처럼 관형적 용법, 서술적 용법, 독립적 용법으로 사용가능하며, 비교급과 최상
급은 변화는 다음과 같다.
A) 비교급: -teroj, a, on / -iwn, -iwn, -ion
B) 최상급: -tatoj, a, on / -istoj, h, on
F) 비교급에서 ‘~보다’(than)에 해당하는 단어는 h!이다.
G) w3ste + 목적격 부정사는 결과를 나타낸다.(so, thus로 번역)
H) e3wj a1n + 가정법은 ~때까지, e3wj + 직설법은 ~동안에로 번역
I) 부정어는 ou)와 mh/ 둘이 있으며, 전자는 직설법에, 후자는 나머지(가정법, 명령법 등)에 사용
된다.
5
J) 속격은 주로 관계를 나타내며, 혹 시간을 나타내거나, 부정사와 함께 목적을 나타내기도 한다.
K) 속격 독립분사구문: 주절과 상관없이 자체적으로 종속절을 이루는 구문
L) 여격은 관점의 여격으로 ‘~에 있어서’를 나타내기도 한다.(예를 들면, ‘심령이 가난한 자’의 ‘심
령이’는 여격)
M) 부정적인 대답을 기대하면 mh/로 묻고, 긍정적인 대답을 기대하면 ou)로 묻는다.
N) -mi로 끝나는 동사의 패러다임은 표를 참조하라.

*위의 내용이 코이네 헬라어 전체 문법 정리는 아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숙지할 내용들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