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6

저작자표시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석사학위논문

한·
중 신체 관련 관용구에 나타난

다의어 비교 연구
- 한국어 ‘손’, ‘발’, ‘다리’와 중국어
‘手’,‘腳’,‘腿’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Polysemy related to


Body in Korean and Chinese
-focusing on word ‘hand’, ‘foot’, ‘leg’-

2010년 12월

배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전공

선단단
한·
중 신체 관련 관용구에 나타난

다의어 비교 연구

- 한국어 ‘손’, ‘발’, ‘다리’와 중국어


‘手’,‘腳’,‘腿’를 중심으로-

지도교수 조재윤

배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전공

선단단

2010년 12월
선단단의 석사학위논문을 제출함

선단단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심사위원

심사위원

2010년 12월

배재대학교 대학원
한·
중 신체 관련 관용구에 나타난

다의어 비교 연구
- 한국어 ‘손’, ‘발’, ‘다리’와 중국어
‘手’,‘腳’,‘腿’를 중심으로-

선단단

지도교수 조재윤

배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인간은 의사소통 수단으로 언어를 사용하는데, 언어학에서 주로 음운론, 형태


론, 통사론, 의미론으로 나누어 언어의 체계를 연구한다. 의미론은 의미를 대상으
로 하는 분야이다. 최근에 들어 언어의 내용으로서 의미연구야말로 언어학의 필
수적이고도 가장 흥미있는 영역의 하나로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하나의 단어가 단일 의미 범주에 속하는지, 또한 다의 범주에 속하는지의 문제
는 아주 미묘하고 그 한계가 불분명하지만 이론적으로 보면 다의 관계란 하나의
낱말에 유연성을 지닌 둘 이상의 복합적 의미관계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의미
만을 지닌 낱말을 단의어라고 하는 반면, 다의관계를 맺고 있는 낱말을 다의어라
고 한다.
다의어 유형중 하나인 신체어는 인간의 경험을 가장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
는 언어이다. 특히 기초 어휘 중에 신체어는 인간 모두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
는 신체 부위에 관한 명칭이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도 사용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물을 명명할 때도 활용도가 높다.
본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신체 관련 관용구에 나타난 다의어를 비교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다의어의 개념 및 분류를 확정하고, 다의어

- i -
와 동음어의 구별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양국의 언어에서 신체와 관
련된 다의어 예를 들면 ‘손’, ‘발’, ‘다리’ 등 각 항목에 관한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중 신체와 관련 다의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중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
다.

핵심어 : 다의어, 신체어, 관용구

- ii -
목 차

국문초록 ----------------------------------------------------ⅰ
목 차 ----------------------------------------------------ⅲ

Ⅰ.서 론 ---------------------------------------------------1
1.
1연구 목적----------------------------------------------------1

1.
2선행 연구 ---------------------------------------------------4
1.
3연구 방법 ---------------------------------------------------8

Ⅱ.신체 관련 다의어의 기본적 논의------------------------------11


2.
1다 의 어 --------------------------------------11
2.
2신체어 정의 및 분류-------------------------------------------1
3

Ⅲ .한 ·중 신 체 관 련 다 의 어 비 교 분 석 -----------------------16
3.
1‘손’
/‘手’
에 관 한 신 체 어 -----------------------------16

3.
1.
1표현방식과 의미가 동일한 유형-------------------------------20
3.
1.
2표현방식이 다르나,의미가 동일한 경우-------------------------25
3.
1.
3의미유형이 다르나,표현방식이 동일한 경우----------------------27

3.
1.
4중국어에만 있는 것-----------------------------------------2
9
3.
1.
5한국어에만 있는 것-----------------------------------------3
4

3.
2‘발’
/‘
腳’에 관한 신체어----------------------------------------37
3.
2.
1표현방식과 의미가 동일한 유형-------------------------------4
0
3.
2.
2표현방식이 다르나,의미가 동일한 경우------------------------43

3.
2.
3의미유형이 다르나,표현방식이 동일한 경우---------------------44
3.
2.
4중국어에만 있는 것-----------------------------------------4
6

- iii -
3.
2.
5한국어에만 있는 것-----------------------------------------5
0

3.
3‘다리’
/‘
腿’에 관한 신체어----------------------------------------54
3.
3.
1표현방식과 의미가 동일한 유형--------------------------------57
3.
3.
2표현방식이 다르나,의미가 동일한 경우--------------------------59

3.
3.
3의미유형이 다르나,표현방식이 동일한 경우----------------------60
3.
3.
4중국어에만 있는 것------------------------------------------6
0
3.
3.
5한국어에만 있는 것------------------------------------------6
2

3.
4대비 분석 결과----------------------------------------------66
3.1‘손’/ ‘手’에 관한 분석-------------------------- -66
4.

3.
4.
2‘발’/ ‘腳’에 관한 분석--------------------------- 68
3.
4.
3‘다리’/ ‘腿’ 에 관한 분석--------------------------69

Ⅳ.
결론-------------------------------------------------------- 7
1
참고문헌 -------------------------------------------------73
영문초록 ----------------------------------------------------77

- iv -
Ⅰ.서 론

1.연구 목적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신체어 ‘손’, ‘발’, ‘다리’와 관련된 다의어를, 그


에 상응하는 중국어 ‘手’,‘腳’,‘腿’ 와 비교분석을 통해서 각각이 지닌
특징과 공통점을 찾는 데 있다.
언어는 인간만 가지고 있는 의사소통의 수단이다. 언어는 인간의 사고
를 직접적으로 반영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모든 행동이나 생각을 판단한
다. 이로써 언어가 인간생활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
다. 사회 문화나 문명의 급속한 발달만큼 언어사용의 범위나 빈도수도 늘
어나는 것을 누구나 쉽게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 활동과 병존하는
언어는 때로 인간의 감정이나 새로운 지식 그리고 복잡한 자연현상을 다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어휘의 빈곤을 느낄 수 있다는 것
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이 기억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새
단어를 끊임없이 만들 수가 없고, 빈번하게 만든다면 어휘의 혼란이 발생
할 것이다. 이런 경우 어휘가 가진 원래의 기본 의미뿐만 아니라 확장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어휘도 생긴다. 이렇게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 어휘
들은 여러 상황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그래서 한 낱말이 한 가지
의미가 유지되지 못하고 한 단어가 여러 개의 뜻을 나타내는 언어 현상이
생기게 된다. 이를, 一語多意 또는 複意라고 한다.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형태나 표현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 것을 복합관계라
하는데 의미의 복합관계는 다의어, 동음어 및 이와 관련된 중의성이 주요
관심사가 된다.
지금까지 각 나라 학자들은 의미 복합관계에 관하여 다양한 논의를 펼

- 1 -
쳐왔다. 이는 언어현상의 복잡성과 인간의 지식 및 지혜가 반영되었기 때
문이라 생각된다. 본 논문은 의미의 복합관계를 이루는 다의어를 대상으
로 동음이의어와 구별하여 집중적으로 논의하겠다.
다의어란 기본 의미 이외의 확장된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예를 들어
‘꽃’의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장미꽃이 피었다. (꽃)


(2) 꽃같은 마음씨. (아름답다)
(3) 남자가 꽃을 보고 싫어하겠나? (여자)
(4) 그 집엔 요즘 웃음꽃이 핀다. (기쁘다)
(5) 꽃같은 시절 꽃같은 청춘. (귀한 시간)

(1)번 ‘꽃’은 기본의미이고, (2)번은 기본의미에서 ‘아름답다’라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3)번은 기본의미에서 ‘여자’라는 의미로, (4)번은 ‘기쁘다’라
는 의미로, (5)번은 ‘귀한 시간’이라는 의미로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꽃’이라는 단어는 문맥에 따라 기본의미 이외의 여러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꽃’은 다의어라 할 수 있다.
박영순(1967)1)에 의해서 다의어의 유형을 8가지로 나누었다. 즉, 신체어
(身體語), 동물어(動物語), 식물어(植物語), 자연어(自然語), 관직 신분어(官
職身分語), 추상적어(抽象的語), 감각어(感覺語), 기타어(其他語)이다. 2)

1) 박영순 「국어 어휘면에 나타난 경제성고」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67


2) 신체어는 신체의 각 기관을 표시하는 어휘이다. 신체어는 대부분이 다의적 현상을 가지고 있다.
동물어는 신체어와 마찬가지로 동물어도 다의현상을 나타낸다. 식물어가 다의어를 만드는 예문
은 그리 많지는 않지만 역시 몇 개의 식물어가 그 독특한 성격을 살려 뜻을 확대하거나 운용하
는 것을 볼 수 있다. 자연어는 여러 가지 자연적인 현상이 인간의 생활이나 운명에 운용되어 다
의현상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관직신분어는 古今을 통해서 관직이나 신분을 나타내던 말중에서
도 다의 현상을 띤 것이 많은데 다른 종류의 다의어보다도 가장 많이 사회적인 영향을 받은 어
휘라고 볼 수 있겠다. 추상어와 구체어는 원래 추상적인 어휘에 구체적인 뜻이 첨가되는 경우와
구체적인 어휘에 추상적인 뜻이 연합되는 경우를 말한다. 감각어는 시각어, 청각어, 촉각어, 미

- 2 -
다의어의 8가지 유형 중 하나인 신체어는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신체의 각 기관을 표시하는 단어는 대개 다의적이다. 이는 신체를 객관
적으로 나타나는 형태적, 기능적 특징에 유사심리가 생기고 연상작용이
일어나 신체어를 다른 사물의 명칭이나 설명하는 단어로 전이시키는 것이
다. 기초 어휘인 신체어는 인간의 모든 언어에 존재한다. 인간은 모두 눈
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를 맡고, 입으로 먹고, 손을 사용하며, 다
리로 걷는다. 그렇지만 서로 다른 언어권에서는 신체어의 의미가 달라진
다. 예를 들면 한국어 ‘머리’ 와 중국어 ‘頭’는 한국어와 중국어 사전에서
‘사물을 판단하고 생각하는 기관’, ‘위에 있는 사람’, ‘앞부분, 일의 시초’
등 의미항목은 같다. 이밖에 한국어 ‘머리’와 달리 중국어 ‘頭’는 수량사
로도 쓰인다.3)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서로 이웃하고 오래 전부터 무역, 외교, 문화
교류를 밀접하게 유지해 왔다. 역사적으로 보면 중국의 한자는 한국어와
일본어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래서 한국어와 중국어는 언어의 응용적
인 면에 있어서 어느 정도 공통적인 문화 흔적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언
어는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아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떤 어휘는 상실되
기도 하고 어떤 어휘는 필요에 의해서 생성되기도 한다. 두 언어가 특유
한 언어적 상황과 사회적 환경에 맞게 어휘를 사용함에 따라 그 의미와
용법은 어느 정도에 다른 모습으로 변모해 왔다. 한국어와 중국어 신체어
의 다의 현상은 바로 이러한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다의어 중에서 각 신체 기관을 표시하는 신체어를 선정하여
신체어 가운데 신체 말단부분인 ‘손’과 ‘발’ 그리고 ‘다리’로 한정하여 다
의적인 현상을 살펴보고자 한다.4) 중국어와 한국어의 신체 관련 다의어에

각어, 후각어로 나우어 진다. 기타어는 위에서 나열한 다의어 외에도 일반적인, 보통의 언어에도
마찬가지의 다의성을 볼 수 있다.
3) 예를 들어, ‘一頭牛’(소 한 마리)중에 ‘頭’는 수량사로 ‘마리’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兩頭蒜’(마늘
두 쪽)중에 ‘頭’는 ‘쪽’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 3 -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각각 지닌 특징을 찾아
볼 것이다. 또한, 이 비교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
으로 하는 어휘 교육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1.2 선행 연구 검토

한국어의 다의어에 관한 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이을환


(1960), 이승녕(1962), 이용주(1964), 박갑수(1965) , 박영순(1967)등에 의해
어휘의이론을 소개하고, 구조주의 이론에 입각한 성분 분석법을 소개하면
서 의미론적인 탐색이 시도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와서 천시권·김종택(1973)의『국어 의미론』이 출판되었
다. 천시권(1977)에서는 다의어의 의미분석의 기준이 되는 문제를 용법설,
기본적 의미설, 다의성설 등으로 다의어의 기본본질과 다의어의 기준설정
에 대한 문제를 중심으로 삼아 논의하였다.5) 60-70년대의 다의어 연구는
초기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의어에 대한 활발한 연구는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이 시기의 연
구는 다의어 본질에 대한 연구와, 다의어 개별 단어에 대한 분석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다의어의 본질에 대한 연구는 최창열(1981), 朴容洙(1984), 강기진(1985)
이기동(1984, 1986) 등에서 이루어졌다.
최창열(1981)6)은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관계를 살피면서 다의성을 의

4) 우리는 감정을 표현할 때, 많은 관용적인 동작의 의미를 생각이 떠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손


뼉을 치다’로 흥분하거나 환영하는 마음을 나타낸다. ‘발을 동동 구르다’로 화나는 마음을 나타
낸다. ‘손을 비비다’로 급하는 마음을 나타낸다. ‘다리를 흔들다’로 긴장하는 마음을 나타낸다.
이런 몸으로 나타난 행동은 사람의 감정이나 마음을 표현할 수 있고, 말을 안해도 표현하고 싶
은 의미를 잘 전달할 수 있다. 그래서 본문은 ‘손’, ‘발’, ‘다리’ 사람의 지체를 선정하여 진행하
겠다.

5) 천시권, 「다의어의 의미분석」, 『국어교육연구』 7집, 경북대, 1977

- 4 -
미적 유연성으로 보아 유사성과 인접성이라는 두 개 원리를 설정하여 설
명하였다.
朴容洙(1984)7)는 다의어에 관하여 심도있는 고찰을 하였다. 특히 동음
이의어와의 구별 기준을 밝혔는데 형태부류(form-class)가 다르면 동음이의
어이고, 전이관계에 있는 의미는 다의어를 구성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동
음이의어, 다의어의 현상은 본질적으로 연속해 있기 때문에, 경계를 정하
는 것이 애당초 무리라고 결론지었다.
이기동(1984)8)에서는 다의어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서 기준속성 모형
과 원형 모형설의 범주화 모형을 제시하고, 영어의 예로 다의성을 기술하
였다.
강기진(1985)9)에서는 다의어의 의미구조를 파악하는데, 다의어 의미들
의 유연성을 밝히고 기본의미를 설정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다의어의 개별단어에 대한 분석은 이경자(1980), 양태식(1983), 홍사만
(1985)등에서 시도되었다.
이경자(1980)에서는 ‘머리’라는 단어의 의미변화 요인 등을 다루고 있
고10), 양태식(1983)에서는 신체어 ‘손’의 의미구조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
히 신체어휘에 의미소라는 구체적인 자질을 분석하였다.11) 홍사만(1985)에
서는 다의성이 큰 신체어 ‘손’과 ‘머리’에 대한 유연관계를 자세히 분석하
고 유연관계를 유사성과 인접성에 의한 전이로 분류하였다.12)

6) 최창열, 「동의성과 다의성의 한계」, 『교육론총』제1집, 전북대 ,1981


7) 朴容洙, 「다의어에 관한 고찰」,『논문집』4 , 총신대학교, 1984
8) 이기동, 「다의와 의미의 연관성 」,『인문과학』 52집, 연세대 ,1984
9) 강기진, 「국어 다의어의 의미구조」, 『한국문학연구』 8집 , 동국대, 1985

10) 이경자, 「신체어 머리의 합성」, 『논문집』11권 2호 인문과학연구소, 1980


11) 양태식, 「‘손’을 둘러싼 어휘소 무리의 의미구조」,『새국어교육』 37,38합집, 한국국어교육학
회, 1983
12) 홍사만,「신체어의 다의구조 분석 」,『어문논총』제21호, 경북어문학회, 1985

- 5 -
1990년대 이후에 들어와서 다의어 연구가 발전하였다. 특히 신체 관련
다의어를 다룬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이상도(1999), 김은주(2001)
배도용(2001)등이 이에 속한다.
이상도(1999)13)에서는 신체어 중 가장 생산성이 뛰어난 부분은 손, 머
리, 다리 등 신체 말단이라고 하였다. 신체어 ‘손’/ ‘手’ 의 관용구를 대상
으로 유사성과 인접성으로 유형을 나누어 다의어 의미구조를 대비하였다.
김은주 (2001)14)에서는 신체어 ‘손’과 ‘발’을 바탕으로 어휘가 생성되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의미 전이 현상을 유사 전이와 인접 전이로
나누어 살폈다. ‘손’과 ‘발’에 대한 다의를 살펴볼 때『우리말큰사전』,
『국어대사전,『표준국어대사전』의 세 사전의 의미를 비교하였는데 다의
어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을 밝혔다. 사전 편찬자나 어휘 사
용자 모두가 합성어의 기준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
다. 이를 통해 더 합리적이고 편리한 다의어의 판별 기준이 제시되어함을
역설하였다.
배도용(2001)15)는 현대 한국어 신체어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 어휘에서
나타나는 다의현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신체어의 어휘의미가
어떻게 확장되는지를 살폈다. 아울러 이를 통해 사전에서 다의어를 이루
는 여러 의미의 배열 원리를 제시하였다.
기존의 연구를 살펴본 결과, 한국어 다의어에 대한 연구는 다의어의 정
체를 명확하게 밝히고자 하는 노력과 더불어 가장 생산적인 다의 현상인
신체어를 집중적으로 조명한 점이 연구의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한편 중국어 다의어에 대한 연구는 1950년대에 출판한 『한어어휘』(孫
常敍, 1957)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먼저 다의어의 발생 원인을

13) 이상도,「신체어 다의구조에 대한 한·중 대비연구」,『중국연구』23, 1999


14) 김은주,「신체어 ‘손’ 과 ‘발’ 의 어휘연구」, 경남대 교육대학원, 2000
15) 배도용, 「우리말 신체어의 의미 확장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6 -
분석하여, 다의어의 본질이 인간 인식이 발전함에 따라 가져온 어의(語義)
변화라고 기술한다. 또한 다의어와 동음어의 구분에 대하여는 다의어의
의미 항목간의 역사적, 현실적인 관련성이 동음어와 구별되는 본질이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다의어의 공시적인 특성을 명확하게 지적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다의어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논의로서 중국어 다의어 연구의 초
석이 되었다.
周祖谟 (『한어어휘연설』, 1962)16)에서 다의어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탐구
를 시도하였다.『한어어휘연설』에서는 다의어 의미 간의 관계를 더욱 깊게

연구하였다. 이 시기의 다의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성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중국학계에서 다의어와 동음어의 명확한 구분을 제시하였다. 둘
째, 다의어는 언어 발전이나 의미 변화의 결과로 인식하게 되었고, 더 나
아가 의미항목 간에 형성된 맥락을 통하여 의미간의 관계를 연구하기 시
작하였다.
1980년대에는 어휘학에 대한 연구가 전면적인 발전하였다. 대표적인 연
구로는 符淮青『現代漢語詞彙』(『현대한어어휘』), 葛本仪『漢語詞彙研究
』(『한어어휘연구』)17), 贾彦德『漢語語義學』(『한어어희학』)18), 葛本仪
『現代漢語詞彙學』(『현대한어어휘학』)19), 曹炜『現代漢語詞義學』,『現
代漢語詞彙研究』(『현대한어어의학』과『현대한어어휘연구』)등이다20).
葛本仪(1985)에서는 다의어의 정의를 내린 다음에 다의어 형성 원인을
파생법, 비유법, 특별히 지칭하는 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다의어의 의

16) 周祖谟,『漢語詞彙講話』,人民教育出版社,1962
17) 葛本仪,『漢語詞彙研究』,山東教育出版社,1985
18) 贾彦德,『漢語語義學』, 天津南開大學中文系, 1995
19) 葛本仪,『現代漢語詞彙學』, 山東人民出版社,2001
20) 曹炜, 『現代漢語詞義學』 學林出版社,2001,《現代漢語詞彙研究》北京大學出版社,2003

- 7 -
미간 관계를 설명하였다.
曹炜(2001)에서는 다의어의 의미항목은 유연성과 어원적인 관계를 맺어
야 함을 역설하였다. 중국어는 성조가 변하기 전후에 나타난 의미들이 서
로 연관성이 있으므로 이를 다의어로 보인다. 예를 들면, 중국어 ‘钉’의
기본의미는 ‘못’이다. ‘釘’〔dīng〕은 1성으로 발음된다. ‘釘’의 파생의미는
‘못을 박다’이고 발음은〔dìng〕으로 성조가 4성으로 바뀐다. ‘釘’는 소리가
다르지만 의미항목이 관련을 가지고 있어서 중국어에서는 다의어라고 여
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중국어 학계에서도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다의현상
에 상당한 관심을 갖고 연구되었다 할 수 있다.

1.3 연구 방법

본고는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 다의어의 개념 및 분류, 다의어와 동음어


의 구별과 관련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한다. 2장에서는 다의어에 관한 기
본적인 논의를 살펴본 뒤 한국어와 중국어의 신체어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 본고의 연구 범위를 정할 것이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신
체어 관련 다의어의 표현 방식과 의미를 비교하여 분석 결과를 정리할 것
이다. 4장은 앞선 연구를 정리하고 다음 연구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신체어의 각 의미항목에 대하여 국내외에서 편찬된 사전에
서 발췌하였다. 한국어 신체어에 관련된 의미는 주로『관용어 사전』(박
영준, 1996),『국어대사전』(이희승)『연세 한국어 사전』 (연세대학교
1998)에서 찾아보았다. 중국어 신체어 의미는 주로『현대중국어사전』(中
國社會科學院語言研究所詞典編輯室, 2006),『현대중국어대사전』(漢語大詞
典出版社, 2000)『분류관용어사전』(溫端政, 2002),『통용관용어사전』(袁

- 8 -
貴仁, 2004), 『신관용어 사전』(王德春, 1996), 『중국어관용어사전』(施寶
義, 1985)등을 참고하였다.
비교 분석할 어휘 항목은 ‘손/手’, ‘발/腳’, ‘다리/腿’ 이고 이 어휘들
로 각 구성된 단일어, 합성어, 관용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손가락’,
‘무릎’ 등 구체적인 부위는 ‘손’, ‘다리’ 항목에 포함하여 비교 분석할 것
이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분류해 보면 신체어는 ① ‘손’에 대한 신체어
② ‘발’에 대한 신체어 ③ ‘다리’에 대한 신체어로 나누어 진다.
위의 세 가지 종류의 신체어를 토대로 중국어와 한국어에서 각각 어떠
한 유형에 속하는지 분석해 보겠다. 즉, 한·중 신체 관련 다의어는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① 표현방식과 의미가 동일한 유형
② 표현방식이 다르나, 의미가 동일한 경우
③ 의미유형이 다르나, 표현방식이 동일한 경우
④ 중국어에만 있는 것
⑤ 한국어에만 있는 것

본고는 가장 기본적인 신체부위의 명칭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


와 관련하여 신체어의 범위 문제에 관하여 보충하여 설명할 필요가 있다.
첫째, ‘말의 다리’(馬腳) ‘닭발’(雞爪) 등 주로 동물의 기관을 표시하는
어휘는 신체를 묘사하는 경우에 사용되므로 본고의 연구 범위에 포함한
다.
둘째, 중국어 ‘滿足’(만족), ‘手續’(수속) 등은 신체어와 다른 어휘로 구
성된 합성어로서 신체어의 기본적인 의미가 드러나지 않고 전혀 다른 의
미를 표현하므로 연구 범위에서 제외한다.
셋째, 한국어 ‘손’, ‘다리’ 등은 신체어와 상관없는 의미를 포함하는 경

- 9 -
우에는 연구범위에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손’과 ‘다리’가 ‘손님’과
‘교량’의 뜻으로 사용된 경우는 동음이의어로 간주하여 고찰 대상에서 제
외한다.
넷째, 중국어 ‘牆腳’ (담, 벽의 토대), ‘椅子腿’(의자 다리) 등과 같이 어
휘 속에서 신체어의 기본의미를 잃어버렸지만 신체기관을 표시하는 의미
에서 변하였기 때문에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본고는 신체어를 신체에서 차지한 위치에 따라 ‘손’, ‘발’, ‘다리’ 세 종
류로 분류하고 각 부위에 포함되는 신체부위 명칭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
다.21)

(1) 중국어
① 손: 손, 손목, 손바닥, 장중, 손등, 손가락
② 발: 발, 족, 발등, 발꿈치, 발가락
③ 다리: 다리, 무릎, 오금
(2) 한국어
① 손: 손, 손가락, 손바닥, 손등, 손목
② 발: 발, 발등, 발목, 발꿈치
③ 다리: 다리, 무릎, 오금

Ⅱ. 신체 관련 다의어의 기본적 논의

2.1 다의어

여기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학계에서 다의어에 대한 정의, 다의어와 구

21) 위의 분류는 논의의 편의를 위하여 간단하게 나눈 것으로 엄격한 과학적인 근거에 따른 분류는
아니다.

- 10 -
별이 어려운 동음어를 살펴보겠다.
하나의 단어가 단일 의미 범주에 속하는지, 또는 다의 범주에 속하는지
의 문제는 아주 미묘하여 그 한계가 불분명하지만 이론적으로 보면 다의
관계란 하나의 낱말에 유연성을 지닌 둘 이상의 복합적 의미관계이다. 일
반적으로 하나의 의미만을 지닌 단어를 단의어라고 하는 반면, 다의관계
를 맺고 있는 단어를 다의어라고 한다. 다의어는 기본의미와 파생의미의
많이 발생함을 이루고 있다. 기본의미란 한 어휘소가 지니고 있는 중심되
는 의미이며, 파생의미란 기본의미에서 번져나온 주변적인 의미를 말한다.
예컨대, ‘손’에서 ‘手’라는 의미가 중심적 의미이고, ‘손이 모자라다’, ‘손
을 끊다’, ‘손이 크다’, ‘손윗사람’ 등에서 쓰이는 ‘노동력’, ‘관계’, ‘씀씀
이’, ‘기준’이라는 각각의 의미가 바로 주변적인 의미가 된다.
『언어학사전』에서 나온 다의어 정의를 다음과 같이 논술하였다.
하나의 단어가 두 개 이상의 어의(語義)를 가지고 있는 것. 다의는 의미
해석의 중의성을 나타낼 때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문맥의 특정한 어의
를 결정한다. 실제 세계는 무한히 다양한데, 그것을 표현하는 언어형식은
유한한 이상, 언어의 다의현상을 피할 수 없다. 역으로 다의현상은 일종의
경제적인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동음이의와의 관계가 항상 문제시 된다.
다의는 해당 signifie 들이 어느 정도 공통된 의미자질은 보여 준다는 점에
서, 아무런 의미의 연관성을 볼 수 없는 동음이의어와는 구별된다. 간혹,
다의가 공통된 어원을 갖는다는 통시적 기준을 내세워 동음이의어의 차이
를 설명하기도 하는데, 공통어원에도 불구하고 공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동음이의로 간주되는 예가 나타난다.
이상을 보면 다의어는 공통된 어원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어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어의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葛本仪(1985)에 따른 다의어
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11 -
葛本仪(1985)는 ‘모든 단어가 바로 생길 때 대부분 단의어이다. 언어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어떤 단어의 의미는 단의에서부터 점차 다의로 변한
다. 그래서 한 단어가 오래되면 오래될수록 다의어가 되기 쉽다. 중국어는
역사가 오래되었기 때문에 다의어도 아주 풍부하다. 현대중국어에서도 다
의어가 끊임없이 생성되고 있다. 한 단어가 둘 또한 둘 이상의 서로 관계
있고 의미가 다른 단어를 다의어라 한다’. 다의어를 설명하기 위해서 ‘記
錄’(기록)을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記錄: ① 把聽到的話或發生的事寫下來.
듣는 것이나 발생한 일을 적어놓다.
② 當場記錄下來的材料:會議記錄.
즉석 기록한 내용: 회의기록.
③ 做記錄的人.
기록을 하는 사람.
④ 在一定時期,一定範圍以內記載下來的最高成績.
정해진 시간, 범위내에 성취한 최고성적. (운동경기의 경우)

‘記錄’이라는 단어는 모든 4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는 한 가지 동작행위


를 설명하였다. 두째는 이러한 동작행위로 인해 생긴 결과를 나타낸다. 세
째는 동작 행위를 집행한 사람을 말한다. 넷째는 동작행위로 인해 생긴
어떤 특정한 결과이다. 네 가지 의미항목은 어법적인 성질이 다르지만
‘어떤 말이나 일을 적어놓은 동작 행위’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록’은 다의어라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에 따르면 다의어란 한 단어가 의미적으로 어떤 관련을
가지는 두 개 이상의 의미가 결합되어 있는 단어를 말한다.
의미론에서 다의어와 같이 언급한 한 가지 언어현상이 바로 동음이의어
이다. 두 가지 언어현상이 다르지만 혼돈성을 가져올 수 있다.

- 12 -
전통적으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구별할 때, 하나의 어휘가 둘 이상
의 의미를 갖는 낱말을 다의어라 하고, 반면에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낱말
이 우연히 발음이 동일하면 동음이의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영어
‘mouth’는 ‘사람의 입’, ‘강의 어귀’라는 두 가지 의미를 나타내므로 다의
어이고, ‘bat’는 ‘박쥐’, ‘야구방망이’라는 의미로 우연히 발음이 같은 동음
이의어이다. 다시 말해서 다의어는 한 단어가 경우에 따라 다른 뜻으로
보는 경우이고 동음이의어는 두 개의 다른 단어이다.
본고에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구별에 대하여 임지룡(1992)에서 논의
된 다음과 같은 기준을 받아들인다.
첫째, 본 단어의 기본 의미에 기초해서 파생 의미가 있는가 없는가.
둘째, 형태, 기능, 모양, 성질, 위치, 소리 등에서 공통적이고 중심적인
의미가 있는가 없는가.
셋째, 비유적인 뜻이 있는가 없는가.
넷째, 한자 기원이 같은가 다른가.
위의 네 가지 측면에서 연관성이 있다면 다의어로 처리하고, 그렇지 않
다면 동음이의어로 처리하도록 하겠다.
이상은 다의어의 기본적인 논의를 살펴보았다. 서론에서 언급한 것 같
이, 다의어의 유형을 8가지로 나누었다. 그중 신체어는 가장 중요한 위치
를 차지하고 다의적인 현상도 풍부하다. 다음절에서 신체어 기본 논의를
살펴보면서 본고의 연구 범위를 정하겠다.

2.2 신체어의 정의 및 분류

신체어는 서론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신체의 각 기관을 표시하는 단어


로서, 다른 단어보다 일찍 습득되고 인간 모두가 가지고 있는 기초어휘이

- 13 -
다. 신체라는 단어를 국어사전에서 '사람의 몸'이라고 한다. 그래서 신체
어는 ‘사람 몸에 관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임지룡(1991)22)은 신체 어휘를 기관과 생리· 질병으로 나누어 제시하였
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관: 가락, 가슴, 간, 귀, 근육, 낯/얼굴, 눈, 다리, 등, 머리, 목, 몸,
무릎, 배, 볼, 뺨, 뼈, 살, 손, 시울, 심장, 어깨, 엉덩이, 위,
이, 이마, 입, 젖, 주먹, 창자, 코, 키, 턱, 팔, 허파, 피, 피부,
항문, 허리, 혀
생리 질병: 감기, 결핵, 고름, 기지개, 기침, 눈물, 땀, 때, 똥, 멀미,
멍, 방귀, 병, 상처, 수염, 소름, 숨, 오줌, 잠, 재채기, 졸
음, 침, 털, 트름, 하품, 혹
이경자(1996)는 사람의 신체 부위는 편의상 상체 부, 중체 부, 하체 부
로 구분하여 논할 수 있다. 상체부위에는 머리를 중심으로 눈, 귀, 코, 입
등이 위치하여 이를 중심으로 이름이 명명되어 있고, 중체 부위에는 몸통
을 중심으로 젖, 배꼽, 항문, 성기 등을 중심으로 한 이름이 명명되어 있
다. 그리고 하체 부위에는 손, 발, 팔, 다리들이 있다.
중국어 신체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단계이므로 연구 성과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신체어의 정의에 대한 논의가 그다지 많지 않다.
李玄玉(『중국어 인체어 연구』, 2003)에서 신체어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신체어란 사람의 신체부위를 가리킨 단어이다. 예컨대, 귀,
눈, 심장, 머리, 손, 발등이다.23)
신체를 표기하는 각각의 기관 어휘는 끊임없이 발전하고 변화해 왔다.
고대 중국어와 현대 중국어 신체어는 그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

22) 이보영, 「신체어를 통한 국어 어휘 교육 연구 방안」, 국민대학교 석사하위논문, 2002 재인용


23) 人體詞,指的就是表示人的身體部位的詞語,比如耳、目、心、頭、手、足等. 李玄玉『漢語人體詞
語研究』,中國工人出版社,2003

- 14 -
면, 고대 중국어 ‘발’을 ‘足’ 이라고 부르고, 현대에서는 ‘腳’라고 칭한다.
‘눈’도 ‘目’에서 ‘眼’로 바꾸었다. 고대 중국어에서 사용한 ‘耳(귀)、鼻(
비)、舌(혀)、眉(눈썹)、掌(손바닥)、膝(무릎)’ 등 단음절 단어가 현대 중국
어에서 ‘耳朵(귀)、鼻子(코)、舌头(혀)、眉毛(눈썹)、手掌(손바닥)、膝盖(무
릎)’ 등 쌍음절로 표현되는 변화를 겪었다.
중국어 신체어에 관하여 류은종(1986)은 신체기관은 신체의 외부적 기
관과 내부적 기관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신체의 외부적 기관에서는
머리(머리카락), 얼굴(낯), 눈(눈섭), 코(수염), 귀, 입, 이, 혀, 턱, 목(고개),
손, 발, 다리, 허리, 등, 몸, 배, 궁둥이, 가슴 등이 신체어에 주로 쓰이고,
신체의 내부적 기관에서는 주로 폐, 담, 간, 위, 골, 피, 뼈 등이 신체어에
주로 쓰인다. 신체어는 이와 같이 신체의 외부적 기관을 명명한 단어들과
신체의 내부적 기관을 명명한 단어들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신체어는 다의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의 신체를 가리킬
뿐만 아니라, 동물의 신체, 사물의 신체도 가리킨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본문에서는 신체어는 사람, 동물, 사물의 신체를 가리키는 어휘이라 한다.
신체어의 분류는 견해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문에서는 하
체 부위에 속해 있는 신체어 ‘손’, ‘발’, ‘다리’ 로 한정하여 살펴보겠다.

Ⅲ. 한·중 신체 관련 다의어 비교 분석

3.1 ‘손’/ ‘手’ 에 관한 신체어

한국어 자료들은『국어대사전』,『연세한국어사전』에서 인용하였으며,

- 15 -
중국어 자료들은 『現代漢語辭典』,『現代漢語大辭典』에서 인용하였다.
한국어 ‘손’은 중국어로 ‘手’에 대응된다. 먼저 사전에 나오는 뜻을 살
펴보기로 한다.

『 국어대사전』에 나타난 ‘손’의 의미항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의 팔목에 달린 손가락과 손바닥이 있는 부분. 예문) 손을 씻


어라
2. 손가락. 예문) 손 꼽아 기다리다.
3. 손바닥. 예문) 손에 땀을 쥐고 응원하다.
4. 사람의 손과 같이 활약한다는 뜻에서, 일할 수 있는 사람 또는
품. 예문) 손이 모자라다.
5. 기술. 예문) 그 사람 손이 가야 한다.
6. 교제(交际) 관계. 예문) 오랜친구와 손을 아주 끊을 수야 있나.
7. 수완. 예문) 그의 손에 녹아 나다.
8. 손버릇. 예문) 손이 거칠다.
9. 주선. 돌봐주는 일. 예문) 그 사람의 손을 빌었다.
10. 물건에 대한 아량. 예문) 손이 크다.
11. 마음씨. 예문) 손이 맑다.
12. 손을 놀리는 기준, 표준. 예문) 손을 넘기지 말고 잘 돌려라.
13. 기회 또는 시기. 예문) 손을 놓치지 말고 제때에 팔아 버려라.
14. 소유나 권력의 범위. 예문) 내 손에 들어올 때만 기다린다.
15. 힘, 역량. 예문) 국토 통일은 우리 손으로

이상을 살펴보면, ‘손’의 기본적인 의미는 ‘사람의 팔목 끝에 달린 손가

- 16 -
락과 손바닥이 있는 부분’이다. 파생의미를 살펴보면, ‘노동력 또는 품’,
‘소유’, ‘힘’, ‘노력’, ‘기술’, ‘영향력’, ‘지배세력’, ‘교제’, ‘수완’, ‘손버릇’,
‘도움’, ‘아량’, ‘마음씨’, ‘기준’, ‘기회’ 등이다. ‘손’은 기본의미에서 여러
가지 파생의미가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연세한국어사전』에서 ‘손’의
의미 항목은『 국어대사전』에서 포함해서 여기서 생략한다. 다음에 중국
어 ‘手’의 경우를 살펴본다.
중국어 사전 『現代漢語辭典』에 나오는 ‘手’의 의미 항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人使用工具的上肢前端 (인체의 상지 앞부분의 물건을 들 수 있는 부

분.)
2. 拿著:人手一冊 (들다: 사람 마다 책을 한권씩 가지고 있다. )
3. 親自動手:手稿、手迹、手令、手書 (직접 손으로.)
4. 技能、本領:手法 手段、留一手 (기능, 방법.)
5. 做某種事情或擅長某種技能的人:國手、扒手 (어느 기술을 가진 사
람.)
6.某些有代替人手作用的機械部分或感觸器: 扳手,把手 (손대신 쓰는
기계부분 혹은 감촉기기)
7. 小巧易拿的:手槍、手冊 (작고 들기 편한 것.)
8. 數量,同次、筆:做了幾手交易 (거래하는 수량사)
9. 手指分別爲大拇指、食指、中指、無名指、小拇指 (손가락)
10. 手中; 手裏. 指控制掌握的範圍 (수중, 제압할 수 있는 범위.)

한편,『現代漢語大辭典』에 나오는 ‘手’의 의미 항목은 다음과 같다.

1. 人體上肢前端: 手心,拍手 (인체의 상지 앞부분)

- 17 -
2. 某些有代替人手作用的機械部分或感觸器: 扳手 (손대신 쓰는 기계
부분)
3. 手的動作,拿著: 人手一冊 (손에서 나타난 동작)
4. 親手: 手治佳肴 (직접)
5. 手藝: 手巧 (솜씨)
6. 手段:心狠手辣 (수완)
7. 手中,手裏:誰也逃不了她們的手 (수중)
8. 邊,面: 到西手的南緣上用茶去了 (쪽, 방향)
9. 次序:第一手材料 (순서)
10.在某種技術或工作中有某種地位的人:國手,能手 (어느 기술을 가
진 사람)
11.从事某种行业活动或作出某种行动的人:水手,打手 (어떤 일을 종
사하는從事某種行業活動或作出某種行動的人:水手,打手 사람)
12.量詞,表示技能,技巧: 兩手太極拳 (기능이나 기술을 쓰는 수량
사)

『現代漢語辭典』와『現代漢語大辭典』에서 의미 항목을 살펴본 결과


‘手’의 기본적인 의미는 ‘인체의 상지 앞부분’이다. 이외의 파생의미는 ‘손
대신 쓰는 기계’, ‘손에서 나타낸 동작’, ‘솜씨’, ‘직접’, ‘어떤 기술을 가진
사람’, ‘수중’ 등이다. 『現代漢語辭典』에서는 ‘기능 방법’, ‘작고 들기 편
한것’, ‘거래의 양사’ 등의 의미항목이 따로 나오고, 『現代漢語大辭典』에
서는 ‘방향’, ‘순서’, ‘어떤 일을 종사하는 사람’, ‘기능의 양사’ 등의 의미
항목이 나열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 중국어에서는 ‘방향’, ‘기능 수량사’의
의미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手’의 의미 항목을 종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18 -
1. 인체의 상지 앞부분
2. 손대신 쓰는 기계부분
3. 손에서 나타낸 동작
4. 직접
5. 솜씨
6. 수완
7. 수중
8. 기능 방법
9. 순서
10. 어느 기술을 가진 사람
11. 어떤 일을 종사하는 사람
12. 작고 들기 편한것
13. 거래 세는 단위

이상의 의미항목을 보면 한국어 ‘손’은 기본의미가 ‘사람의 팔목에 달린


손가락과 손바닥이 있는 부분’이며. 이외에 ‘노동력’, ‘기술’, ‘교제’, ‘수
완’, ‘손버릇’, ‘주선’, ‘아량’, ‘마음씨’, ‘기회’, ‘소유’, ‘권력’ 등의 파생의
미를 가지고 있다. 중국어 ‘手’의 기본의미는 한국어 ‘손’과 유사한 의미
이며 이외에 ‘어떤 일을 종사하는 사람’, ‘직접’, ‘기능’, ‘기술’, ‘손잡이’,
‘수중’ 등 파생의미를 가진다. 다음절에서 ‘손’과 ‘手’에 대해 구체적인
비교분석을 진행하겠다.

3.1.1 표현방식과 의미가 동일한 유형

- 19 -
‘손’과 ‘手’중 표현방식이 같으면서 의미도 동일한 경우를 표로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NO. 한국어 중국어

1 손뼉을 치다 鼓掌
2 두 손을 들다 舉雙手
3 손을 내젓다 搖手
4 손이 비다 空手
5 손이 빠르다 手快
6 손을 털다 拍手
7 손이 잠기다 鎖住手
8 손을 멈추다 停手
9 손을 놓다 放手
10 손을 대다 著手
11 손이 놀다 歇手
12 손이 심심하다 手閑
13 손이 나다 脫手
14 손이 바쁘다 手忙
15 손이 필요하다 需要人手
16 손을 기다리다 等人手
17 손에 걸리다 掌握在手裏
18 손이 매끄럽다 手巧
19 손이 익다 熟手
20 손이 서투르다(설다) 手生
21 손이 능숙하다 熟手
22 손을 거칠다 手不幹淨
23 손에 땀을 쥐다 手裏捏著一把汗
24 손이 가렵다 手癢癢
25 손이 부족하다 人手不足
26 손이 모자라다 人手不足
27 손이 남다 剩下人手
28 손이 적다 人手少
29 손이 많다 人手多
30 손이 넉넉하다 人手多
31 국수 國手
32 상수 高手
33 하수 下手

- 20 -
34 선수 選手
35 투수 投手
36 조수 助手

(1) 손, 手가 기본의미인 경우

ㄱ. 손뼉을 치다/ 鼓掌
ㄴ. 두 손을 들다/ 舉雙手
ㄷ. 손을 내젓다/ 搖手

(1ㄱ)은 ‘찬성하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1ㄴ)은 ‘항복하다’의 의미를 나타낸


다. (1ㄷ)은 일상의 거절의 행동을 묘사한 것으로 ‘거절하다’ ‘부인하다’의 의
미를 나타낸다. 여기서 ‘손’은 사전에서 살펴본 기본의미와 대응된다.

(2) 손, 手가 ‘일’, ‘작업’인 경우

ㄱ. 손이 비다/ 空手
ㄴ. 손이 빠르다/ 手快
ㄷ. 손을 털다/ 拍手
ㄹ. 손이 잠기다/ 鎖住手
ㅁ. 손을 멈추다/ 停手
ㅂ. 손을 놓다/ 放手
ㅅ. 손을 대다/ 著手
ㅇ. 손이 놀다/ 歇手
ㅈ. 손이 심심하다/ 手閑
ㅊ. 손이 나다/ 脱手
ㅋ. 손이 바쁘다/ 手忙

- 21 -
(2ㄱ)은 ‘가지고 있는 것이 없다’의 의미를 가진다. (2ㄴ)은 ‘일 처리가 빠르
다’의 뜻을 나타낸다. (2ㄷ)은 ‘부정적인 일이나 찜찜한 일에 대하여 관계를
청산하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2ㄹ)은 ‘어떤 일에 매여 벗어날 수 없게 되다’
의 의미를 가진다. (2ㅁ,ㅂ)은 ‘하던 일을 그만두거나 잠시 멈추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2ㅅ)은 ‘일을 시작하다’의 의미를 (2ㅇ)은 ‘일거리가 없어 쉬는
상태에 있다’의 의미를, (2ㅈ)은 ‘하는 일이 없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의 의
미를 나타낸다. (2ㅊ)은 ‘어떤 일에서 조금 쉬거나 다른 것을 할 틈이 생기다’
의 뜻을 나타내고 (2ㅋ)은 '바쁘게 일하다'의 뜻을 나타낸다.

(3) 손, 手가 ‘기술’, ‘솜씨’인 경우

ㄱ. 손이 필요하다/ 需要人手
ㄴ. 손을 기다리다/等人手
ㄷ. 손에 걸리다/掌握在手裏
ㅁ. 손에 잡히다/掌握在手裏
ㅂ. 손이 매끄럽다/手巧
ㅅ. 손에 익다/熟手
ㅇ. 손이 서투르다(설다)/手生
ㅈ. 손이 능숙하다/熟手

(3)에서 나타나는 ‘손’과 ‘手’의 뜻은 ‘기술’ 또는 ‘솜씨’이다.

(4) 손, 手 ‘손버릇’인 경우

ㄱ. 손이 거칠다/ 手不幹淨

- 22 -
(4ㄱ)은 ‘도둑질 같은 나쁜 손버릇이 있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에
서는 ‘손이 깨끗하지 않다’라고 표현한다.

(5) 손, 手 ‘마음’인 경우

ㄱ. 손에 땀을 쥐다/ 手裏捏著一把汗
ㄴ. 손이 가렵다/ 手癢癢

(5ㄱ)은 ‘아슬아슬하여 마음이 조마조마하도록 몹시 애달다’의 뜻을 나

타낸다.’ 마음이 긴장해서 손에 땀이 나는 상황을 묘사하는 것이다. (5ㄴ)은


‘어떤 일을 하고 싶은 욕망이 꿈틀거리다’의 뜻을 나타낸다.

(6) 손, 手 ‘노동력’인 경우

ㄱ. 손을 빌리다/ 借人手
ㄴ. 손이 부족하다/ 人手不足
ㄷ. 손이 모자라다/人手不足
ㅁ. 손이 남다/ 剩下人手
ㅂ. 손이 적다/人手少
ㅅ. 손이 많다/人手多
ㅇ. 손이 넉넉하다/人手多

(6)의 경우 모두 ‘노동력’을 의미한다.

(7) 손, 手 ‘사람’을 뜻하는 경우

- 23 -
ㄱ. 국수/ 國手
ㄴ. 상수/ 高手
ㄷ. 하수/ 下手
ㅁ. 선수/ 選手
ㅂ. 투수/ 投手
ㅅ. 조수/ 助手

(7ㄱ)은 ‘장기, 바둑 따위에서 실력이 한 나라에서 으뜸가는 사람’이라는 뜻


이며 (7ㄴ)은 ‘솜씨를 가진 사람’이라는 뜻이고 (7ㄷ)은 (7ㄴ)의 반대말이고
(7ㅁ)은 ‘운동 경기나 기술 따위에서 기량이 뛰어나 많은 사람 가운데에서 대
표로 뽑힌 사람’이라는 뜻이고 (7ㅂ)은 ‘야구선수’이고 (7ㅅ)은 ‘어떤 책임자
밑에서 지도를 받으면서 그 일을 도와주는 사람’이다.

3.1.2 표현방식이 다르나, 의미가 동일한 경우

‘손’과 ‘手’중 표현방식이 다르나, 의미는 동일한 경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O. 한국어 중국어

1 손이 맑다 摳門兒
2 손이 크다 大手大腳
3 빈손이 되다 兩手空空
4 손에 넣다 一手掌握
5 손에 들어오다 到手
6 손발이 맞다 合拍

- 24 -
7 손발이 되다 成爲左膀右臂
8 한 손으로 박수 치 수 없다 一個巴掌拍不響
9 선수를 쓰다 先下手爲強
10 뒤손을 쓰다 留後手
11 목수 木匠
12 운전수 司機

(1) 손, 手 ‘씀씀이’인 경우

ㄱ. 손이 맑다/ 摳門兒
ㄴ. 손이 크다/ 大手大腳

‘손이 맑다’는 ‘인색하여 남에게 물건을 주는 품이 후하지 못하다’의 의


미를 나타낸다.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는 ‘手清’인데 현재 이 표현은 사용
되지 않고 ‘摳門兒’ 쓰인다. (1ㄴ)은 ‘씀씀이가 후하고 크다’의 의미를 나타
낸다. 중국어는 ‘손발이 크다’라는 표현을 한다.

(2) 손, 手 ‘소유’인 경우

ㄱ. 빈손이 되다 / 兩手空空
ㄴ. 손에 넣다/ 一手掌握
ㄷ. 손에 들어오다/ 到手

(2ㄱ)은 ‘헛일 되어 아무런 소득이 없다’라는 뜻을 나타내는데 중국어는


‘두 손이 텅 비다’라고 표현한다. (2ㄴ)은 ‘소유하다’라는 뜻을 나타내는데
중국어는 ‘한 손으로 파악하다’라고 표현한다. (2ㄷ)은 ‘소유하게 되다’라

- 25 -
는 뜻을 중국어로는 ‘손에 도착하다’라고 한다.

(3) 손, 手 ‘관계’인 경우

ㄱ. 손발이 맞다/ 合拍
ㄴ. 손발이 되다/ 成爲左膀右臂
ㄷ. 한 손으로 박수 칠 수 없다/ 一個巴掌拍不響

(3ㄱ)은 ‘함께 일할 때 생각이나 방법 등이 서로 잘 맞다’라는 뜻으로


이에 해당되는 중국어는 ‘박자가 맞다’라고 표현한다. (3ㄴ)은 ‘조수’의 의
미를 나타내는데 중국어는 ‘좌우 팔이 되다’로 표현한다. (3ㄷ)은 ‘상대가
없이 혼자서는 싸움이 되지 아니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로는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로 표현한다.

(4) 손, 手 ‘수완’인 경우

ㄱ. 선수를 쓰다/ 先下手爲強


ㄴ. 뒤손을 쓰다/ 留後手

(4ㄱ)은 ‘먼저 손을 대어 시작하다’라는 뜻이다. 중국어는 ‘선수를 치는


자가 이긴다’라고 표현한다. (4ㄴ)은 ‘은밀히 대책을 강구하거나 뒷수습을
하다.’라는 뜻을 나타내고 중국어로는 ‘한 수를 남겨 두다’라고 표현한다.

(5) 손, 手 ‘종사자’ ‘전문가’인 경우

- 26 -
ㄱ. 목수/ 木匠
ㄴ. 운전수/ 司機

(5ㄱ)은 ‘나무를 다루어 집을 짓거나 만드는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을


뜻한다. 중국어는 ‘목장인’이라고 한다. (5ㄴ)은 ‘기사’라는 의미를 나타내
고 중국어는 이를 거꾸로 ‘사기’라고 표현하는 차이점을 보인다.

3.1.3 의미유형이 다르나, 표현방식이 동일한 경우

‘손’과 ‘手’중 의미유형이 다르지만 표현방식이 동일한 경우를 표로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NO. 한국어 중국어

1 손이 맵다、손끝이 맵다 手辣
2 손을 드러내다 露一手
3 한 수 남겨두다 留一手

(1) 손이 맵다、손끝이 맵다/ 手辣

한국어로 ‘손이 맵다’는 ‘일하는 것이 빈틈없고 매우 야무지다’라는 뜻


을 나타낸다. 여기서 ‘손’은 ‘능력’을 의미한다. 그러나 대응하는 중국어
‘手辣’는 ‘수단이 잔인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手’는 ‘수단’을 의미한

- 27 -
다.

(2) 손을 드러내다/ 露一手

한국어로 ‘손 을드러내다’는 ‘손이 노출 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손’은 ‘어떤 모습’을 의미한다. 대응하는 중국어 ‘露一手’는 ‘솜씨를 한번
보여 준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3) 한 수 남겨두다/ 留一手

한국어로 ‘한 수 남겨두다’는 ‘여유를 남겨두다’라는 뜻이고 대응하는


중국어 ‘留一手’는 ‘제일 중요한 것을 안 가르쳐 준다’라는 뜻이다. ‘손’은
‘여유’를 의미하는데 ‘手’는 ‘방법’을 의미한다.

3.1.4 중국어에만 있는 것

‘손’과 ‘手’중 중국어에만 있는 표현이나 뜻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NO. 중국어 뜻풀이

1 缩手 수수방관하다
2 接手 일을 인계받다
3 毛手毛腳 일을 대충대충 하다
4 手黑 수법이 고약하다

- 28 -
5 有一手 수완이 있다
6 使手腳 간계를 꾸미다
7 殺手锏 비장의 무기
8 手軟 차마 손을 대재 못하다
9 手輕 손동작이 부드럽다. 살살하다
10 手重 손동작이 강하다.
11 手槍 권총
12 手冊 작은 책
13 手爐 주머니 난로
14 手鋸 작은 톱
15 手抄 직접 손으로 베껴 쓰다
16 手筆 직접 손으로 적다
17 手稿 직접 손으로 쓰는 문장
18 手把手 기예 등을 몸소 지도하며 전수하다
19 手創 몸소 창립하다
20 手遞 직접 전하다
21 手訂 손수 제정하다
22 手勤 부지런하다
23 住手 그만하다
24 手里 수중
25 三只手 소매치기
26 二傳手 배구의 세터
27 獵手 사냥꾼
28 凶手 살인자
29 打手 경호원
30 水手 수원
31 好手 정통한 사람
32 老手 숙련된 사람
33 能手 재주꾼
34 一手交錢,一手交貨 사고 파는 쌍방은 마주봐서 거래한다
35 搶手貨 잘 필린 물건
36 第一手材料 제1차 재료
37 二手汽車 중고차

(1) ‘手’는 ‘일’ ‘작업’인 경우

ㄱ. 缩手 수수방관하다
ㄴ. 接手 일을 인계받다

- 29 -
ㄷ. 毛手毛脚 일을 대충대충 하다

(1)에서 ‘手’는 ‘일’, ‘작업’의 의미인데 세 가지 표현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他做事情毛手毛腳的’(그사람은 일할 때 대충대충 한다.) 한국

어 ‘손’은 이러한 표현을 찾을 수 없다.

(2) ‘手’는 ‘수완’인 경우

ㄱ. 手黑 수법이 고약하다
ㄴ. 有一手 수완이 있다
ㄷ. 使手脚 간계를 꾸미다
ㅂ. 殺手锏 비장의 무기

(2)에서는 ‘手’는 ‘수완’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每個技師都


有自己的殺手锏’ (기술사마다 자기의 특기가 있다.) 한국어 ‘손’은 이러한

표현을 찾을 수 없다.

(3) ‘手’는 ‘구타’ ‘손매’인 경우

ㄱ. 手軟 차마 손을 대지 못하다
ㄴ. 手輕 손동작이 부드럽다. 살살하다
ㄷ. 手重 손힘이 세다.

(3)에서 ‘手’는 ‘구타’ 혹은 ‘손매’라는 뜻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對待


敵人決不能手軟’(적에게 차마 손을 대지 못하면 안 된다.)

- 30 -
(4) ‘手’는 ‘작고 들기 편한 것’인 경우

ㄱ. 手槍 권총
ㄴ. 手冊 작은 책
ㄷ. 手爐 주머니 난로
ㅁ. 手鋸 작은 톱

(4)에서는 ‘手’는 명사로 ‘작고 들기 편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他举起手槍’ (그는 권총을 들었다.)

(5) ‘手’는 ‘직접’인 경우

ㄱ. 手抄 직접 손으로 베껴 쓰다.
ㄴ. 手筆 직접 손으로 적다.
ㄷ. 手稿 직접 손으로 쓰는 문장.
ㅁ. 手把手 기예 등을 몸소 지도하며 전수하다
ㅂ. 手創 몸소 창립하다
ㅅ. 手遞 직접 전하다
ㅇ. 手訂 손수 제정하다

(5)에서 ‘手’는 ‘직접’을 뜻한다. 예를 들면 ①‘這是我們知道的他唯一的


一篇手稿’(이것은 그사람은 유일한 직접 쓰는 문장이다.) ②‘老師手把手地
教我寫字’(선생님이 나에게 직접 글을 가르친다.)

- 31 -
(6) ‘手’는 ‘동작, 행동’인 경우

ㄱ. 手勤 부지런하다.
ㄴ. 住手 그만하다

(6)에서 ‘手’는 ‘동작’, ‘행동’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他可手勤哩,不管

髒活累活,拿起來就做’ (그사람은 진짜 부지런해, 더러운 일이든지 힘든


일이든지 다 할 수 있다.)

(7) ‘手’는 ‘수중’인 경우

手里 수중

(7) 예를 들면 誰也逃不了她們的手 (누구나 그의 제압을 벗어날 수 없

다.) ‘手’는 ‘제압’이라는 비유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8) ‘手’는 ‘사람’을 의미하는 경우

ㄱ. 三只手: 소매치기
ㄴ. 二傳手: 배구의 세터
ㄷ. 獵手 : 사냥꾼
ㅁ. 凶手 : 살인자
ㅂ. 打手 : 경호원
ㅅ. 水手: 수원

- 32 -
ㅇ. 好手: 정통한 사람
ㅈ. 老手: 숙련된 사람
ㅊ. 能手: 재주꾼

(8)에서 ‘手’는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한국어 ‘손’이 ‘사람’


을 의미하는 경우를 찾기 어렵다.

(9) ‘手’는 ‘거래하는 횟수’인 경우

ㄱ. 一手交錢,一手交貨: 사고 파는 쌍방은 마주봐서 거래한다.


ㄴ. 搶手貨: 잘 필리는 물건

(9)에서 ‘手’는 ‘거래하는 횟수’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一手交

钱,一手交货,一律不挂帳 (돈과 물건을 직접 맞교환 해야지, 예외없이


외상은 하지 않는다.)

(10) ‘手’는 ‘순서’인 경우

ㄱ. 第一手材料: 제1차 재료
ㄴ. 二手汽車: 중고차

(10)에서 ‘순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這批新出土的文物是研究夏商曆


史的第一手材料 (이번에 새로이 출토된 문물은 하상의 역사를 연구하는 1
차 자료가 된다.)

- 33 -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을 보면 중국어 ‘手’는 ‘구타’, ‘손매’, ‘작고 들기
편한 것’, ‘직접’, ‘해동’, ‘수중’, ‘사람’, ‘거래 세는 단위’, ‘순서’를 의미하
는 경우가 있다. 한국어 ‘손’은 이러한 의미를 찾기 힘들다. 이것은 한국
어 ‘손’에 비하여 중국어 ‘手’가 갖는 의미자질의 폭이 넓음을 알 수 있
다.

3.1.5 한국어에만 있는 것

‘손’에 관한 표현이나 뜻을 한국어에만 나타난 것은 다음과 같다.

(1) ‘손’은 기본의미와 같은 경우

ㄱ. 손을 비비다
ㄴ. 손을 치다

(1ㄱ)은 ‘용서를 구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내고 (1ㄴ)은 ‘오라는 표시로


손짓을 하다’를 의미한다. 여기서 ‘손’은 기본의미와 대응한다.

(2) ‘손’은 ‘시기’인 경우

ㄱ. 손을 놓치다
ㄴ. 손을 넘기다

(2)에서는 ‘제 시기를 놓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여기서 ‘손’은 ‘시

- 34 -
기’를 의미한다.

(3) ‘손’은 ‘기능’인 경우

ㄱ. 게의 손
ㄴ. 가재의 손
ㄷ. 덩굴손

(3)의 예들은 한국어 ‘손’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의 손의 기능 가


운데 붙잡고, 가리키는 ‘기능’의 유사성이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4) ‘손’은 ‘힘’ ‘능력’인 경우

ㄱ. 손이 닿다
ㄴ. 손에 겹다
ㄷ. 손에 벅차다
ㅁ. 손이 미치다

(4)에서는 ‘힘’ ‘능력’을 의미한다.

(5) ‘손’은 ‘수단’인 경우

ㄱ. 손이 작다
ㄴ. 손이 크가

- 35 -
(5ㄱ)은 ‘수단이 적다’라는 뜻을 나타내고 (5ㄴ)은 ‘수단이 좋고 많다’라
는 뜻을 나타낸다. 여기서 ‘손’은 ‘수단’을 의미한다. 이밖에 (5ㄱ)와 (5ㄴ)
은 ‘씀씀이’라는 의미도 나타낸다.

(6) ‘손’은 ‘손버릇’인 경우

ㄱ. 손을 적시다
ㄴ. 손을 잠그다
ㅁ. 손을 타다

(6)에서 ‘손’은 어떤 물건을 ‘잡는다’에서 ‘훔치다’로 전이되어 획득하게


된 의미이다. ‘손’은 ‘손버릇’을 의미하여 부정적인 의미인 ‘홈치다’가 포
함되어 있다.

(7) ‘손’은 ‘마음’인 경우

손이 부끄럽다

‘손이 부끄럽다’ 는 ‘무엇을 주거나 받으려고 손을 내밀었다가 허탕이


되어 무안하고 부끄럽다’이다. ‘손’은 ‘마음’을 의미한다.

(8) ‘손’은 ‘씀씀이’인 경우

ㄱ. 손톱 들어가지 않다
ㄴ. 손이 걸다

- 36 -
(8)에서는 ‘인색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손’은 ‘씀씀이’를 의미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을 보면 한국어 ‘손’은 ‘시기’, ‘기능’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지만 중국어 ‘手’는 이러한 의미가 없다. 그밖에 ‘손’은 ‘힘’, ‘수
단’, ‘손버릇’, ‘마음’, ‘씀씀이’에서 나타난 관용구를 중국어 ‘手’에서 찾을
수 없다.

3.2 ‘발’ / ‘腳’ 에 관한 신체어

한국어 ‘발’은 중국어로 ‘腳’로 대응된다. 먼저 사전에 나오는 뜻으로 살


펴보기로 한다.

『국어대사전』에서 ‘발’의 의미 항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끝에 달려서 땅을 디디게 된 부분.

2. 물건의 다리. 책상 다리. 걸상 다리 등.


3. 한시에서, 시구끝에 나는 운자. 예문) 발을 달다.
4. 걸음의 빠르기. 예문) 발이 느리다.
5. 걸음의 수를 세는 단위. 예문) 한 발 두 발 다가왔다.

『연세한국어사전』에서 ‘발’의 의미 항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이나 동물들이 걷거나 뛸 때 땅을 딛고 다니는 발목 아래 부


- 37 -
2. 가구 따위의 밑을 받쳐 균형을 잡고 있는, 짧게 도드라진 부분.
3. 걸음, 또는 발걸음.

『현대한어사전』에서 ‘腳’의 의미 항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人和某些動物身體最下部接觸地面的部分:~心,~掌,~背,~跟. (사
람이나 동물 몸에 맨 아래 바닥을 접촉한 부분: 족심, 발바닥, 발
등, 발꿈치)
2. 最下部:~注、山~、牆~.(맨 아래 부분: 산각, 담의 구석)
3. 剩下的廢料、渣滓:下~料. (남은 폐기물, 소용이 없는 재료: 자투
리)
4. 表演戲劇或拍攝影視所依據的底本:(~本)(연극하거나 촬영할 때의
거한 원본: 각본)
5. 舊時指與體力搬運有關的:~夫.~行(háng). (옛날에 체력, 운반과
관련 일이나 사람: 짐꾼)

『현대한어대사전』에서 ‘腳’의 의미 항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人與動物腿的下端 (사람및 동물의 다리의 하단 부분.)


2. 擔任傳遞,運輸的人及牲口,或搬運費: 腳錢 (운송을 담당하는 사
람이나 가축. 또 운송비: 짐삯)
3. 東西的下端或器具的支撐部分: 山腳,桌子腳 (물건의 하단이나 구
를받치는 부분: 산각, 책상다리)
4. 物象的底部或尾部: 雨腳 (사물의 밑에 있는 부분.)

- 38 -
5. 殘渣,剩尾: 邊腳 (남은 찌꺼기.)
6. 量词: 踢了兩腳 (발로 차는 단위.)

『국어대사전』와『연세한국어사전』사전에서 ‘발’의 기본의미는 ‘사람이


나 동물들이 걷거나 뛸 때 땅을 딛고 다니는 발목 아래 부분’으로 볼 수
있다. 파생의미로는 ‘물건의 다리’, ‘걸음을 세는 양사’라는 의미를 동일한
다. 『국어대사전』에서 ‘한시에서, 시구끝에 나는 운자’, ‘걸음의 빠르기’
의 의미는 한국어에서만 쓰이는 의미이다.
중국어 ‘脚’ 와 한국어 ‘발’의 기본의미는 모두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끝에 달려서 땅을 디디게 된 부분’이다. 그러나 두 언어가 ‘발’의 파생의
미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절에 구체적인 비교분석을 진행하겠
다.

3.2.1 표현방식과 의미가 동일한 유형

‘발’과 ‘脚’ 중 표현방식과 의미가 동일한 경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O. 한국어 중국어

1 장롱의 발 衣櫃腿
2 삼발이 三腳架
3 침대의 발 床腳
4 솥발 鍋腳
5 새발 鳥爪
6 닭발 雞爪
7 오리발 鴨爪

- 39 -
8 오징어 발 鱿魚爪
9 발이 빠르다 手腳快
10 발을 멈추다 停腳
11 첫발을 내딛다 邁出第一步
12 발이 묶이다 束手腳
13 발이 닳다 磨破腳
14 발이 떨어지지 않다 邁不開腳
15 발을 구르다 跺腳
16 발이 무겁다 腳重
17 발이 가볍다 腳轻
18 발을 들여 놓다 涉足

(1)발, 腳 ‘사물의 발’인 경우

ㄱ. 장롱의 발/ 衣櫃腿
ㄴ. 삼발이/三腳架
ㄷ. 침대의 발/床腳
ㅁ. 솥발/锅腳

(1)에서 ‘발’은 ‘사물의 발’을 의미한다. (1ㄱ)은 중국어에서 ‘장롱의 다


리’(衣櫃腿)로 많이 쓰인다.

(2) 발, 腳 ‘동물의 발’인 경우

ㄱ. 새발/ 鳥爪
ㄴ. 닭발/ 雞爪
ㄷ. 오리발/ 鴨爪
ㅁ. 오징어 발/鱿魚爪

- 40 -
(2)에서 ‘발’은 ‘동물의 발’을 의미한다. 중국어에서 동물의 발은 ‘腳’를
쓰지 않고 ‘爪’를 쓴다.

(3) 발, 腳 ‘걸음’인 경우

ㄱ. 발이 빠르다/ 手腳快
ㄴ. 발을 멈추다/ 停腳
ㄷ. 첫발을 내딛다/邁出第一步

(3)에서 ‘발’은 ‘걸음’을 의미한다. 한국어에서 ‘발’은 ‘걸음’의 의미를 갖


는 것과 수사 뒤에 쓰여 ‘걸음을 세는 단위’로도 사용된다. 이와 달리 중
국어에서는 ‘步’로 ‘걸음’을 의미한다.

(4) 발, 腳 ‘움직임’인 경우

ㄱ. 발이 묶이다/ 束手腳
ㄴ. 발이 닳다/ 磨破腳
ㄷ. 발이 떨어지지 않다/ 邁不開腳

(4ㄱ)은 ‘몸을 움직일 수 없거나 활동할 수 없는 형편이 되다’라는 뜻


이고 (4ㄴ)은 ‘매우 분주하게 많이 다니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4ㄷ)은
‘떠날 수가 없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여기서 ‘발’은 ‘움직임’을 의미한다.

(5) 발, 腳 ‘마음’인 경우

- 41 -
ㄱ. 발을 구르다/ 跺腳
ㄴ. 발이 무겁다/ 腳重
ㄷ. 발이 가볍다/ 腳轻

(5ㄱ)은 ‘매우 안타까워하거나 다급해지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5ㄴ)은


‘마음이 부담이 있다’이고, (5ㄷ)은 ‘마음이 혼가분하다’라는 뜻을 나타낸
다. 여기서 ‘발’은 ‘마음’을 의미한다.

(6) 발, 腳 ‘관계’인 경우

발을 들여 놓다 / 涉足

(6)은 ‘일에 관여하다’라는 뜻을 나타난다. 중국어에서는 ‘涉足’로 표현


하는데 여기서 ‘발’은 ‘관계’를 의미한다.

3.2.2 표현방식이 다르나, 의미가 동일한 경우

‘발’과 ‘脚’ 중 표현방식이 다르나 의미 유형이 동일한 경우를 표로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NO. 한국어 중국어

1 발 벗고 나서다 赤膊上陣
2 발을 뻗다 伸腿
3 발길이 무겁다 步履沈重
4 발바닥을 핥다 捧臭腳

- 42 -
5 발을 붙일 곳이 없다 連插腳的地兒都沒
6 발등에 불이 떨어지다 火燒眉毛

(1) 발, 腳 ‘마음’인 경우

ㄱ. 발 벗고 나서다/ 赤膊上陣
ㄴ. 발을 뻗다/伸腿
ㄷ. 발길이 무겁다 / 步履沈重

(1ㄱ)은‘적극적으로 나서다’. 대응하는 중국어로는 ‘赤膊上陣’(앞뒤 안


가리고 일하다.)이 더 타당한다. (1ㄴ)은 ‘걱정되거나 애쓰던 일이 끝나
마음을 놓다’라는 뜻을 나타내는데 중국어로 ‘伸腿’ (발을 펴다)를 표현한
다. (1ㄷ)은 ‘마음에 내키지 아니하거나 서먹서먹하여 선뜻 행동에 옮겨
지지 아니하다’라고 의미를 나타내는데 중국어로 ‘步履沈重’ (걸음이 무겁
다)를 표현한다.

(2)발바닥을 핥다 / 捧臭脚

‘발바닥을 핥다’는 ‘재력이나 권세가 있는 사람에게 빌붙어 너절하고 더


러운 짓을 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데 중국어로 ‘捧臭脚’(구린내 나는
발을 치켜세우다)를 표현한다. 여기서 ‘腳’는 ‘아첨하다’의 비유적인 뜻을
나타낸다.

(3)발을 붙일 곳이 없다 / 連插腳的地兒都沒
‘정착할 곳이 없다’는 뜻이다. 중국어로는 ‘連插腳的地兒都沒’(발을 끼

- 43 -
울 곳까지도 없다)를 표현한다. 여기서 ‘脚’는 ‘공간’을 의미하다.

(4)발등에 불이 떨어지다 / 火燒眉毛


‘일이 몹시 절박하게 닥치다’라고 의미이다. 중국어로‘火燒眉毛’(불이 눈
썹을 태우다)를 표현한다.

3.2.3 의미유형이 다르나, 표현방식이 동일한 경우

‘발’과 ‘腳’ 중 표현방식이 같으나 의미유형이 다른 경우를 표로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NO. 한국어 중국어

1 발에 걸리다 絆住腳
2 발이 길다 腳長
3 발이 뜸하다 稀有涉足

(1) 발에 걸리다/絆住腳

(1)에서 한국어 뜻은 ‘방해가 되다’ 라는 의미이며, 중국어 ‘絆住腳’은


‘벗어나기가 어렵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발’은 ‘방해하다’라는 비유적인
의미를 나타내는데 ‘腳’는 ‘어떤 일을 벗어나다’라는 비유적인 의미를 나
타낸다.

- 44 -
(2) 발이 길다/ 腳長

(2)에서 한국어 뜻은 ‘음식 먹는 자리에 우연히 가게 되어 먹을 복이


있다’라는 의미이며, 중국어에서는 ‘빠르다’의 의미로 사용된다. 여기서 한
국어 ‘발’은 ‘먹을 복’에 비유하고 있으나 중국어 ‘발’은 ‘민첩하다’에 비유
하고 있어 의미 차이가 분명하다.

(3) 발이 뜸하다/稀有涉足

(3)에서 한국어 뜻은 ‘자주 다니던 곳에 한동안 가지 않다’라고 하고


중국어는 ‘거의 모르는 것’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어 중 ‘발’은
‘관계’를 비유하다.

3.2.4 중국어에만 있는 것

중국어 ‘腳’에 관한 표현을 나타낸 의미들을 기본의미에서 번져나서 새


로운 비유적인 의미가 많이 있다.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O. 중국어 뜻풀이

1 頭是頭,腳是腳 예쁘게 생겼다


2 頭是頭,腳是腳 말이나 일하는 것이 조리가 있다
3 挖牆腳 남을 궁지에 빠뜨리다
4 獨腳戲 혼자가 고립되어 있다
5 高一腳,低一腳 도로가 평탄하지 않다
6 腳不著地 아주 빠르게 뛰다

- 45 -
비교적 튼튼한 기초나 세력 밤위가 있
7 站穩腳跟

한 사람 막 떠나는 감에 다른 한 사람
8 前腳走,後腳到
온다
9 站不住腳 확고하지 않다
10 小腳女人 관념이 보수적인 사람
11 下腳料 쓸 수 없는 경박한 사람
12 絆腳石 방해한 사람
13 墊腳石 이용할수 있는 사람
14 急腳鬼 성격이 급한 사람
15 落腳點 입각점, 행위의 목적 혹은 결과

1. 頭是頭,腳是腳

‘頭是頭,腳是腳’는 사전의미가 ‘머리는 머리이고 발은 발이다’이다. 여


기서는 관용구로 ‘예쁘게 생겼다’ 또 ‘말이나 일하는 것이 조리가 있다’라
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看他長得頭是頭腳是腳,做起事情來卻毛手毛腳’ (그는 얼굴
이 잘 생겼지만 일할때는 대충대충 한다.)

2. 挖牆腳

‘挖牆腳’는 사전의미가 ‘벽의 밑을 파다’이다. 여기서는 관용구로 ‘남을


궁지에 빠뜨리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你所謂的引進人才其實就是挖別人的牆角’ (네가 말하는 인재

스카우트는 사실 남의 기반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3. 獨腳戲

- 46 -
‘獨腳戲’는 원래의미는 ‘혼자 연극하다’이다, 여가서는 관용구로 ‘혼자가
고립되어 있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他做事情總是唱獨腳戲’ (그는 항상 혼자가 고립되어 일한

다.)

4. 高一腳低一腳

‘高一腳低一腳’는 사전의미는 ‘걸을 때는 발 한쪽이 높고 한쪽이 낮다’


이다, 여기서 관용구로 ‘도로가 평탄하지 않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黑暗中走路高一腳低一腳狠不方便’ (어두운 밤에서 걸으면 편
하지 않다.)

5. 腳不著地

‘腳不著地’는 사전의미가 ‘발이 바닥을 붙이지 않다’이다, 여기서 관용구


로 ‘아주 빠르게 뛰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他可以腳不著地地奔跑’ (그는 아주 빠르게 뛸 수 있다)

6. 站穩腳跟

‘站穩腳跟’는 사전의미가 ‘발꿈치가 똑바로 서다’이다, 여기서는 관용구


로 ‘비교적 튼튼한 기초나 세력 범위가 있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他在這個部門裏還算能站穩腳跟’ (그는 이부분에서 기반을

잡을 수 있는 편이다.)

- 47 -
7. 前腳走,後腳到

‘前腳走,後腳到’는 사전의미가 ‘앞발이 가자마자 뒤발이 도착하다’이다,


여기서는 관용구로 ‘한 사람 막 떠나는 김에 다른 한 사람 온다’라는 의미
를 지닌다.
예를 들면 ‘她前腳走,你後腳到’(그녀는 가자마자 너가 왔다.)

8. 站不住腳

‘站不住腳’는 사전의미가 ‘발이 똑바로 서지 못하다’이다. 여기서는 관용


구로 ‘확고하지 않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這個觀點狠快就站不住腳了’(이 관점은 금방 세울 수가 없을

거야.)

9. 小腳女人

‘小腳女人’는 사전의미가 ‘발이 작은 여가’이다, 여기서는 관용구로 ‘관


념이 보수적인 사람’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10. 下腳料

‘下腳料’는 사전의미가 ‘원재료의 가공과 제품의 제작 후에 남은 자투


리’이다, 여기서는 관용구로 ‘쓸 수 없는 경박한 사람’이라는 의미를 지닌
다.

- 48 -
11. 绊腳石

‘绊腳石’는 사전의미가‘걸림돌’이다, 여기서는 관용구로 ‘일을 방해한 사


람’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12. 垫腳石

‘垫腳石’는 사전의미가 ‘디딤돌’이다, 여기서는 ‘이용할수 있는 사람’이라


는 의미를 지닌다.

13. 急腳鬼

‘急腳鬼’는 ‘성격이 급한 사람’을 비유한다.

14. 落腳點

‘落腳點’는 사전의미가 ‘발판’이다, 여기서 ‘입각점, 행위의 목적 혹은 결


과’라는 의미를 비유한다.
예를 들면 ‘以經濟建設爲中心是我們開展一切事物的出發點和落腳點’ (경
제 건설을 중심으로 하는 것은 우리가 모든 업무를 전개하는 데 있어서의
출발점과 지향점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것을 보면 중국어 ‘脚’ 는 사전에서 나오는 뜻 이외에
비유적인 의미도 많이 쓰인다. ‘腳’는 ‘세력’, ‘사람’등 의미를 볼 수 있다.

- 49 -
3.2.5 한국어에만 있는 것

한국어에만 있는 ‘발’에 대한 표현을 발, 발등, 발목으로 나누어진다. 표


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O. 한국어 뜻풀이

1 발을 뻗고 자다 마음 놓고 편히 자다
지은 죄가 있어 마음이 조마조마하거나 편안
2 발이 저리다
치 아니하다
마음에 내커지 아니하거나 서먹서먹하여 선뜻
3 발길이 내키지 않다
행동에 옮겨지지 아니하다
애착, 미련, 근심, 걱정 따위로 마음이 놓이지
4 발이 떨어지지 않다
아니하여 선뜻 떠날 수가 없다
5 발등을 찍히다 남에게 배신을 당하다
6 발등을 찍다 남의 일을 그르치거나 해를 주다
7 발을 디디다 단체에 들어가거나 일의 계통에 참여하다
8 발목을 잡다 어떤 일에 꽉 잡혀서 벗어나지 못하다
9 발뺌하다 자기가 관계된 일에 책임을 지지 않고 빠지다
10 발을 타다 강아지 따위가 걸음을 걷기 시작하다
11 발등을 디디다 남이 하려는 일을 앞질러서 먼저 하다
12 발이 뜨다 가끔 다니다
13 발이 잦다 자주 다니다
14 발에 채다 여기저기 흔하게 널려 있다
15 발등에 떨어지다 일이 몹시 절박하게 닥치다
음식 먹는 자리에 우연히 가게 되어 먹을 복
16 발이 길다
이 있다
17 발이 짧다 먹을 복이 없다
사귀어 아는 사람이 많아 활동하는 범위가 넓
18 발이 넓다

19 발이 익다 여러 번 다니어서 길에 익숙하다
20 마당발 인간관계가 넓어서 폭넓게 활동하는 사람
21 발을 끊다 오가지 않거나 관계를 끊다
여러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같은 방향으로 일
22 발이 맞다
치하다

- 50 -
23 발길이 멀어지다 서로 찾아오거나 찾아가는 것이 뜸해지다

1. 발을 뻗고 자다
‘마음 놓고 편히 자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睡安穩覺’라고
한다.

2. 발이 저리다
‘지은 죄가 있어 마음이 조마조마하거나 편안치 아니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問心有愧’라고 한다.

3. 발길이 내키지 않다
‘마음에 내키지 아니하거나 서먹서먹하여 선뜻 행동에 옮겨지 아니하
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邁不開步’라고 한다.

4. 발이 떨어지지 않다
‘애착, 미련, 근심, 걱정 따위로 마음이 놓이지 아니하여 선뜻 떠날 수
가 없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해당하는 중국어표현이 없다.

5. 발등을 찍히다
‘남에게 배신을 당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6. 발등을 찍다
‘남의 일을 그르치거나 해를 주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搬
起石頭砸自己的腳’라고 한다.

- 51 -
7. 발을 디디다
‘단체에 들어가거나 일의 계통에 참여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
는 ‘投足’ 라고 한다.

8. 발목을 잡다
‘어떤 일에 꽉 잡혀서 벗어나지 못하다’ 또 ‘남의 어떤 약점을 잡다’라
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抓小辮子’ 라고 한다.

9. 발뺌하다
‘자기가 관계된 일에 책임을 지지 않고 빠지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狡辯抵賴’ 라고 한다.

10. 발을 타다
‘강아지 따위가 걸음을 걷기 시작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學步’라고 한다.

11. 발등을 디디다


‘남이 하려는 일을 앞질러서 먼저 하다’라고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해당하는 표현이 없다.

12. 발이 뜨다
‘가끔 다니다’ 라는고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不常走動’ 라고 한다.

13. 발이 잦다
‘자주 다니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常來常往’ 라고 한다.

- 52 -
14. 발에 채다
‘여기저기 흔하게 널려 있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俯拾即是’
라고 한다.

15. 발등에 떨어지다


‘일이 몹시 절박하게 닥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迫在眉睫’
라고 한다.

16. 발이 길다
‘음식 먹는 자리에 우연히 가게 되어 먹을 복이 있다’라고 의미를 나타
낸다. 중국어는 ‘有口福’ 라고 한다.

17. 발이 짧다
‘먹을 복이 없다’라고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没口福’라고 한다.

18. 발이 넓다
‘사귀어 아는 사람이 많아 활동하는 범위가 넓다’라고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交際廣’ 라고 한다.

19. 발이 익다
‘여러 번 다니어서 길에 익숙하다’라고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輕
車熟路’라고 한다.

20. 마당발

- 53 -
‘인간관계가 넓어서 폭넓게 활동하는 사람’이라고 의미를 나타낸다. 중
국어는 ‘交際花’ 라고 한다.

21. 발을 끊다
‘오가지 않거나 관계를 끊다’라고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斷絕來往
’라고 한다.

22. 발이 맞다
‘여러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같은 방향으로 일치하다’라고 의미를 나타
낸다. 중국어는 ‘步調一致’ 라고 한다.

23. 발길이 멀어지다


‘서로 찾아오거나 찾아가는 것이 뜸해지다’라고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
어는 ‘疏遠’ 라고 한다.

이상에서 언급하나 내용을 보면 ‘발’에 나타난 표현을 중국어 ‘腳’보다


훨씬 많다. ‘발’은 ‘마음’, ‘행동’, ‘변명’, ‘먹을 복’등 비유적인 의미를 나타
내는 것을 볼 수 있다.

3.3 ‘腿’/ ‘다리’에 관한 신체어

『국어대사전』에서 ‘다리’ ‘무릎’ ‘오금’에 대한 의미항목은 다음과 같


다.
1. 다리¹:
1) 동물의 하체에 붙어서 딛고 서거나, 걸어다니는 일을 맡은 부분. 해

- 54 -
부학적으로는 하지 중에서 하지대 와 발을 제외한 부분. (다라가 굵다)
2) 물건 아래에 붙어서 물건이 직접 땅에 아니하게 하거나, 높게 하기
위하여 버티어 놓은 부분. (책상 다리)
3) 안경의 테와 연결되어 귀에 걸게 된 길다란 부분. (다리가 부러진 안
경)

다리²:
1) 물을 건너거나 또는 한편의 높은 곳에서 다른 편의 높은 곳으로 건너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시설물.
2) 두 사물이나 사람 사이를 이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
3) 중간에 거쳐야 할 단계나 과정.

다리³: 예전에, 여자들의 머리숱이 많이 보이라고 덧넣었던 딴 머리.

2. 무릎:
넙다리와 정강이의 사이에 앞족으로 둥글게 튀어나온 부분.
3. 오금:
무릎의 구부러지는 오목한 안쪽 부분.

『연세한국어사전』나온 ‘다리’ ‘무릎’ ‘오금’ 의미항목을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1. 다리
1) 동물의 몸통 아래 붙어 있는 신체의 부분. 서고 걷고 일 따위를 맡
아 한다. ~가 굵다

- 55 -
2) 물체의 아래쪽에 붙어서 그 물체를 받치거나 직접 땅에 닿지 아니하
게 하거나 높이 있도록 버티어 놓은 부분. 책상~
3) 오징어나 문어 따위의 동물의 머리에 여러 개 달려 있어, 헤엄을 치
거나 먹이를 잡거나 촉각을 가지는 기관.
4) 안경의 테에 붙어서 귀에 걸게 된 부분. ~가 부러진 안경.

2. 무릎:
넙적다리와 정강이의 사이에 앞족으로 둥글게 튀어나온 부분.
3. 오금:
무릎의 구부러지는 오목한 안쪽 부분.

『現代漢語辭典』와『現代漢語大辭典』에서 나온 ‘腿’ ‘膝蓋’ ‘腘窩’에


대한 의미 항목이 비슷한다.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1. 腿 다리
1) 人和動物用來支持身體和行走的部分:大~、前~、後~(사람이나 동
물은 몸아래 붙어 있는 신체의 부분. )
2) 器物下部像腿一樣支撐作用的部分:桌子~、椅子~. (물체의 아래쪽
에 붙어서 다리 처럼 그 물체를 받치는 부분)
3) 指火腿:雲~. (돼지다리를 절여 햇볕에 말려서 만듦. 햄)

2. 膝蓋 (무릎)
3. 腘窩 (오금)

중국어‘腿’와 한국어‘다리’는 기본의미가 ‘사람이나 동물은 몸 아래 붙

- 56 -
어 있는 신체의 부분’이다. 중국어 ‘腿’와 한국어 ‘다리’의 파생의미가 조
금씩 다르게 볼 수있다. 중국어 ‘腿’는 ‘햄’이라는 뜻이 있고 한국어 ‘다
리’는 ‘오징어나 문어 따위의 동물의 머리에 여러 개 달려 있는 기관’이라
는 뜻도 나타낸다. 그리고 한국어 ‘다리’가 다의어이기도 하고 동음이의어
도 된다. ‘다리¹’에서 나온 의미들을 본문 연구한 범위이고 ‘다리²’ ‘다리³’
에서 나온 의미들은 기본의미와 관련성이 없어서 동음이의어로 간주한다.
다음절에서는 ‘다리’ ‘무릎’ ‘오금’ 와 대응하는 중국어 ‘腿’ ‘膝盖’ ‘腘
窝’에 대한 비교를 시도하고자 한다.

3.3.1 표현방식과 의미가 동일한 유형

NO. 한국어 중국어

1 책상 다리 桌子腿
2 의자 다리 椅子腿
3 안경 다리 眼镜腿
4 닭 다리 鸡腿
5 한 다리 끼다 插一腿
6 무릎을 꿇다 屈膝
7 무릎을 마주하다 促膝而談
8 뒤다리를 잡다 抓後腿

(1) 腿, 다리 ‘사물의 다리’이니 경우

ㄱ. 책상 다리/ 桌子腿
ㄴ. 의자 다리/ 椅子腿
ㄷ. 안경 다리/ 眼镜腿

- 57 -
(1)에서 ‘다리’는 ‘사물의 다리’를 의미한다. 한국어에서는 사물의 몸체
를 받히는 부분이 짧으면 ‘발’이라하고, 예를 들면, ‘장롱의 발’. 사물의
몸체를 받히는 부분이 긴 경우는 ‘다리’라 한다, 예를 들면 ‘책상 다리’
‘의자 다리’. 중국어의 경우 사물의 몸체를 받히는 부분에 대하여 발의 의
미를 갖는 ‘脚’와 다리의 의미를 갖는 ‘腿’가 구분하지 않게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 ‘桌子脚=桌子腿’

(2) 腿, 다리 ‘동물의 다리’인 경우

닭 다리/ 鸡腿

(3) 한 다리 끼다 / 插一腿:

(3)에서 ‘일의 한몫을 담당하다’ 또 ‘한편으로 관계를 가지다’라는 의미


를 나타낸다.

(4) 무릎을 꿇다 / 屈膝

(4)에서 ‘무릎’을 ‘항복하다’라는 뜻을 비유한다. 중국어에서 ‘屈膝’라고


한다.

(5) 무릎을 마주하다 / 促膝而談

(5)에서는 ‘서로 가까이 마주 앉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 58 -
(6) 뒤다리를 잡다 / 抓後腿

(6)에서는 ‘상대편의 약점을 잡아 벗어나지 못하게 하다’라는 의미를 나


타낸다. 여기서 ‘다리’는 ‘약점’을 의미한다.

3.3.2 표현방식이 다르나, 의미가 동일한 경우

NO. 한국어 중국어


1 다리품을 팔다 跑腿兒
2 다리야 날 살려라 只恨爹娘少生兩條腿

(1) 다리품을 팔다 / 跑腿兒

(1)에서 한국어는 ‘길을 많이 걷다’ 또 ‘남에게 품삯을 받고 먼 길을 걸


어서 다녀오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중국어 ‘跑腿兒’ (심부름을 하다)는 두
번째 의미를 나타낸다.

(2) 다리야 날 살려라 / 只恨爹娘少生兩條腿

(2)에서 ‘있는 힘을 다하여 매우 다급하게 도망침을 이르는 말’을 나타


낸다.

- 59 -
3.3.3 의미유형이 다르나, 표현방식이 동일한 경우

뒷다리를 잡아당기다 / 拖后腿


한국어에서 ‘상대편에게 약점이 잡혀 벗어나지 못하게 되다’라는 의미
를 나타나지만 중국어 대응하는 ‘拖后腿’는 ‘방해하다’의 뜻이 있다.

3.3.4 중국어에만 있는 것

중국어 ‘腿’에 나타난 표현이 사전에서 나온 뜻이 이외에 비유적인 의


미도 찾을 수 있다.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O. 중국어 뜻풀이

1 白跑腿 헛걸음하다
2 跑斷腿 어떤 일을 성공하기 위해 분주히 싸다니다
3 抱粗腿 재산이나 권세가 있는 사람에게 아첨하다
4 伸到一條褲腿裏 두 사람 사이가 아주 조화롭다
5 飛毛腿 걸음이 매우 빠른 사람
6 狗腿子 앞잡이, 주구
7 泥腿子 농민에 대한 비칭

1. 白跑腿
‘白跑腿’는 ‘헛걸음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只要手续全不会让你白跑腿的’ (수속을 다 준비하면 헛걸음
안하게 한다. )

- 60 -
2. 跑斷腿
‘跑斷腿’는 사전의미가 ‘하도 걸어서 다리가 곧 부러질 것 같다’이다, 여
기서는 관용구로 ‘어떤 일을 위해 열심히 뛰어다니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为了他的事,我都快跑斷腿了’(그의 일을 위해 나는 다리가

부러지도록 뛰어다녔다.)

1 ~ 2 에서 ‘腿’는 ‘어떤 행동을 하는 의미’를 나타낸다.

3. 抱粗腿
‘抱粗腿’는 사전의미가 ‘굵은 다리를 포옹하다’이다, 여기서 ‘재산이나
권세가 있는 사람에게 아첨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防止抱粗腿’ (아첨한 행동을 방제한다.)

4. 伸到一條褲腿裏
‘伸到一條褲腿裏’는 사전의미가 ‘같은 바짓가랑을 입다’이다, 여기서 ‘두
사람 사이가 아주 조화롭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他们俩好得可以伸到一條褲腿裏’(그들 사이가 아주 조화롭

다.)

3 ~ 4 은 ‘腿’는 ‘관계’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5. 飛毛腿
‘飛毛腿’는 ‘걸음이 매우 빠른 사람’ 또 ‘매우 빨리 달리는 사람’을 비유
한다.

- 61 -
6. 狗腿子
‘狗腿子’는 사전의미가 ‘개 다리’이다, 여기서는 ‘앞잡이, 주구’라는 의미
를 지닌다.

7. 泥腿子
‘泥腿子’는 사전의미가 ‘흙으로 바른 다리’이다, 여기서는 ‘농민’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5 ~ 7 에서 ‘腿’는 ‘사람’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을 보면 중국어 ‘腿’ 는 ‘어떤 행동’, ‘관계’, ‘사


람’이라는 비유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3.3.5 한국어에만 있는 것

서론에서 다리를 다리, 무릎, 오금으로 분류하였다. 한국어에 나타난


‘다리’, ‘무릎’, ‘오금’에 대한 표현을 모두 찾을 수 있다.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O. 한국어 뜻풀이

1 다리를 뻗고 자다 마음 놓고 편히 자다'라고 의미를 나타낸다


당사자가 아닌 사람이 곁에서 참견하여 말하
2 곁다리를 끼다

3 다리를 들리다 미리 손쓸 기회를 빼앗기다
기껏 한 일이 결국 남 좋은 일이 됨을 비유
4 남의 다리 긁는다
적으로 이르는 말
5 다리가 짧다 먹는 자리에 남들이 다 먹은 뒤에 나타나 먹

- 62 -
을 복이 없다
6 다릿골이 빠지다 길을 많이 걸어서 다리가 몹시 피로해지다
7 무릎맞춤 두 사람의 말이 서로 어긋나다
8 무릎을 치다 갑자기 어떤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된다
9 오금을 펴다 마음을 놓고 여유 있게 지내다
저지른 잘못이 들통이 나거나 그 때문에 나
10 오금이 저리다
쁜 결과가 있지 않을까 마음을 졸이다
다른 사람에게 함부로 말이나 행동을 하지
11 오금을 박다
못하게 단단히 이르다
12 오금에서 불이 나게 다리를 너무 자주 놀려 마치 불이날 것 같다
13 오금이 얼어붙다 팔다리가 잘 움직이지 아니하다
침착하게 한곳에 오래 있지 못하고 들떠서
14 오금이 뜨다
함부로 덤비다
해내야 하는 일 때문에 너무 바빠서 꼼짝 못
15 오금을 묶다
하게 되다
16 오금을 못 쓰다 몹시 마음이 끌리거나 두려워 꼼짝 못하다

1. 다리를 뻗고 자다
‘마음 놓고 편히 자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에서 ‘高枕無憂’라
고 표현한다. 여기서 ‘다리’가 ‘마음’을 의미한다.

2. 곁다리를 끼다
‘당사자가 아닌 사람이 곁에서 참견하여 말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에서 ‘插一脚’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다리’가 ‘간섭’이라는 비유적
의미를 나타낸다.

3. 다리를 들리다
‘미리 손쓸 기회를 빼앗기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에서 ‘被搶先
一步’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다리’가 ‘기회’라는 비유적 의미를 나타낸다.

- 63 -
4. 남의 다리 긁는다
‘기껏 한 일이 결국 남 좋은 일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또 ‘자
기가 해야 할 일을 모른 채 엉뚱하게 다른 일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5. 다리가 짧다
‘먹는 자리에 남들이 다 먹은 뒤에 나타나 먹을 복이 없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중국어에서 ‘没有口福’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다리’가 ‘먹을 복’
이라는 비유적 의미를 나타낸다.

6. 다릿골이 빠지다
‘길을 많이 걸어서 다리가 몹시 피로해지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
어에서 ‘筋疲力盡’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다리’가 사전에서 나온 기본의
미와 같다.

7. 무릎맞춤
‘두 사람의 말이 서로 어긋날 때, 제삼자를 앞에 두고 전에 한 말을 되
풀이하여 옳고 그름을 따짐’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중국어에서‘對質’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무릎’이 ‘말’ 또는 ‘생각’을 의미한다.

8. 무릎을 치다.
‘갑자기 어떤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거나 희미한 기억이 되살아날
때, 또는 몹시 기쁠 때 무릎을 탁 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에서
‘突然想起某件事’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무릎’이 사전에서 나온 기본의

- 64 -
미와 같다.

9. 오금을 펴다
‘마음을 놓고 여유 있게 지내다’라는는 의미를 나타낸다. 여기서 ‘오금’
이 ‘마음’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10. 오금이 저리다


‘저지른 잘못이 들통이 나거나 그 때문에 나쁜 결과가 있지 않을까 마
음을 졸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에서 ‘提心吊膽’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오금’이 ‘마음’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11. 오금을 박다
‘다른 사람에게 함부로 말이나 행동을 하지 못하게 단단히 이르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에서 ‘反唇相譏’라고 한다. 여기서 ‘오금’이 관용
구로 ‘말을 막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12. 오금에서 불이 나게
‘다리를 너무 자주 놀려 마치 불이날 것 같다’는 뜻으로, ‘무엇인가를
찾거나 구하려고 무척 바쁘게 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중
국어에서 ‘三步並作兩步’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오금’이 ‘행동’이라는 의
미를 지닌다.

13. 오금이 얼어붙다


‘팔다리가 잘 움직이지 아니하다’라는 의미이다. 중국어에서 ‘動彈不得’
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오금’이 ‘행동’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 65 -
14. 오금이 뜨다
‘침착하게 한곳에 오래 있지 못하고 들떠서 함부로 덤비다’ 또 ‘마음이
방탕하여 놀아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에서 ‘做事心浮氣躁’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오금’이 ‘마음’을 의미한다.

15. 오금을 묶다
‘해내야 하는 일 때문에 너무 바빠서 꼼짝 못하게 되다’라는 의미를 나
타낸다. 중국어에서 ‘脱不开身’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오금’이 ‘일’을 의미
한다.

16. 오금을 못 쓰다
‘몹시 마음이 끌리거나 두려워 꼼짝 못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
어에서 ‘手足无措’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오금’이 ‘마음’을 의미한다.

이상을 보면 한국어 ‘오금’에 나타난 표현이 많다. ‘오금’은 ‘마음’, ‘행


동’, ‘일’ 등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에는 ‘오금’이라는 표현을 자주 쓰이
지 않다. 한국어 ‘다리’는 ‘마음’ ‘간섭’ ‘먹을 복’ 등 비유한 의미를 볼 수
있다. 중국어 ‘다리’는 특히 ‘사람’을 의미하는 표현이 많다.

3.
4대비 분석 결과

3.4.1 ‘손’/ ‘手’ 에 관한 분석

- 66 -
한국어 ‘손’과 중국어 ‘手’에 나타난 공통된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일’, ‘작업’을 표현하는 ‘손이 비다’, ‘손이 빠르다’, ‘손을 털다’, ‘손이
잠기다’.
손을 멈추다, 손을 놓다, 손을 대다, 손이 놀다, 손이 심심하다, 손이 나
다, 손이 바쁘다.
‘기술’ ‘솜씨’를 표현하는 ‘손이 필요하다’, ‘손을 기다리다’, ‘손에 달리
다’, ‘손에 걸리다’, ‘손에 잡히다’, ‘손이 매끄럽다’, ‘손이 익다’, ‘손이 서
투르다’, ‘손이 능숙하다’.
‘손버릇’을 표현하는 ‘손이 검다’, ‘손을 거칠다’.
‘마음’을 표현하는 ‘손에 땀을 쥐다’, ‘손이 가렵다’.
‘일꾼’, ‘노동력’을 표현하는 ‘손을 빌리다’, ‘손이 부족하다’, ‘손이 모자
라가’등.
‘전문가’를 표현하는 ‘선수’등.
‘씀씀이’를 표현하는 ‘손이 맑다’등.

중국어에만 나타난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직접’을 표현하는 ‘手書, 手抄, 手筆’ 등.


‘작고 들기 편하다’를 표현하는 ‘手槍, 手冊, 手爐’ 등.
‘수완’을 표현하는 ‘有一手’, ‘使手脚’, ‘殺手锏’ 등.
‘구타’ ‘손매’를 표현하는 ‘手软’ ‘手重’ 등.
‘동작’을 표현하는 ‘手勤’ ‘住手’ 등.
‘수중의’를 표현하는 ‘手里’.
‘사람’을 표현하는 ‘三只手, 二傳手, 獵手’등.

- 67 -
‘거래하는 수량사’를 표현하는 ‘一手交錢,一手交貨’ 등.

한국어에만 나타낸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시기’를 표현하는 ‘손을 놓치다’, ‘손을 넘기다’ 등.


‘교제 관계’를 표현하는 ‘손을 꼽다, 손을 끊다, 손을 빼다’ 등.
‘기능’을 표현하는 ‘게의 손, 가재의 손’ 등.
‘힘, 능력’을 표현하는 ‘손이 닿다, 손에 겹다, 손에 벅차다’ 등.
‘수단’을 표현하는 ‘손이 작다’, ‘손이 크다’ 등.
‘손버릇’을 표현하는 ‘손을 적시다’, 손을 잠그다’ 등.
‘마음’을 표현하는 ‘손이 깨끗하다’, ‘손이 더럽다’ 등.

이상의 비교 결과를 보면 한·중 ‘손’/ ‘手’에 모두 나타난 의미는 ‘일’.


‘기술’, ‘손버릇’, ‘마음’, ‘노동력’, ‘전문가’ ‘씀씀이’등이다. 중국어에만 나
타난 의미는 ‘직접’, ‘작고 들기 편하다’ ‘수완’, ‘구타’, ‘동작’, ‘수중의’
‘거래하는 수량사’등이다. 한국어에만 나타난 의미는 ‘시기’, ‘교제 관계’,
‘기능’, ‘힘’, ‘수단’등이다.

3.4.2 ‘발’/ ‘腳’에 관한 분석

한국어‘발’과 중국어‘腳’에서 모두 나온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물의 발을’ 표현하는 ‘장롱의 발’, ‘삼발이’, ‘침대의 발’ 등.


‘동물의 발을’ 표현하는 ‘새발’, ‘닭발’ 등.
‘걸음’을 표현하는 ‘발이 빠르다’, ‘발을 멈추다’ 등.

- 68 -
‘움직임’을 표현하는 ‘발이 묶이다’, ‘발이 닳다’ 등.
‘마음’을 표현하는 ‘발을 구르다’, ‘발이 무겁다’ 등.
‘관계’를 표현하는 ‘발을 들여 놓다’.
‘아첨하다’를 표현하는 ‘발바닥을 핥다’.
‘공간’을 표현하는 ‘발을 붙일 곳이 없다’.

중국어에서 ‘발’이 쓰인 관용구가 많다. ‘발’은 특히 비유적인 의미를


지닌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小腳女人’, ‘绊腳石’, ‘急腳鬼’ 등 사람을 지
칭하는 표현이 있고 ‘挖墙腳’등 어떤 행동을 특정하게 지칭하는 표현도
있다.
한국어에서만 나타난 ‘발’에 관한 관용구도 많다. 예를 들면, ‘발’이 ‘마
음’을 의미한 것으로 ‘발을 뻗고 자다’, ‘발이 저리다’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계’를 표현하는 관용구로는 ‘발이 넓다’, ‘마당발’, ‘발을 끊다’ 등
이다.

3.4.3 ‘다리’/‘腿’에 관한 분석

한국어 ‘다리’와 중국어 ‘腿’이 관용구에서 공통적으로 나온 의미를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물의 다리’를 표현하는 ‘책상 다리’ ‘의자 다리’ 등.
‘동물의 다리’를 표현하는 ‘닭 다리’.
‘관계’를 표현하는 ‘한 다리 끼다’.
‘항복하다’라는 비유적인 의미를 표현하는 ‘무릎을 꿇다’.
‘약점’이라는 비유적인 의미를 표현하는 ‘뒤다리를 잡다’.
‘방해하다’라는 비유적인 의미를 표현하는 ‘뒷다리를 잡아당기다’.

- 69 -
중국어 관용구에서만 나타난 ‘다리’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어떤 행동’
이라는 의미를 나타낸 ‘白跑腿’, ‘跑断腿’ 등 있고, ‘관계’라는 의미를 나타
낸 ‘抱粗腿’등, ‘사람’을 나타낸 ‘狗腿子’, ‘飛毛腿’등 이다.
한국어 관용구에서만 나타난 ‘다리’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마음’을 표
현하는 ‘다리를 뻗고 자다’, ‘오금을 펴다’ 등 이다. ‘반박하다’ 라는 비유
적인 의미를 표현하는 ‘오금을 박다’, ‘무릎맞춤’ 등이다. ‘먹을 복’ 이라는
의미를 표현하는 ‘다리가 짧다’ 등이다.

- 70 -
Ⅳ.
결론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주로 관용구에 나타난 신체 관련 다의어를


분석하여, 양국의 신체어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어휘 분석에 앞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우선 다의어
의 개념을 살펴본 뒤에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와를 구분한 것을 살벼보았
다. 한국어학계와 중국어학계에서 다의어 정의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일
치하였다. 즉, 한 단어가 둘 이상의 어원적으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의
미를 다의어로 간주하였다. 단, 한국어와 중국어의 언어체계가 다르기 때
문에 다의어에 대한 규정이 약간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중국어는 성조가
있기 때문에 단어의 성조가 변하기 전후에 그 나타난 의미들이 서로 연관
성을 가지면 다의어로 인정한다. 다의어의 유형 중 하나인 신체어는 인간
활동을 가장 직접적으로 표현함과 동시에 의미 확장이 잘 발생된다. 그래
서 신체어를 중심으로 기본 논의를 살펴보면서 본고의 연구 범위를 정하
였다. 본고에서는 사람이 갖고 있는 신체 기관을 연구할 뿐만 아니라 동
물, 사물을 포함해서 연구한다. 이는 신체어의 다의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이다. 신체어중 신체 말단 부위, 사용빈도가 비교적 높은 ‘손’, ‘발’, ‘다
리’ 를 선정하여 비교분석하기로 하였다.
제3장에서는 선정한 신체어가 사전에 나온 의미 항목이 아니라 관용구
에서 사용하는 의미도 알아보기 위해 중국어와 한국어 단일어, 복합어, 관
용구를 비교하였다. 한· 중 단일어, 복합어, 관용구에서 나타난 신체어의
다의 현상은 다음과 같이 분류해 볼 수 있다.

1. 표현방식과 의미가 동일한 유형

- 71 -
2. 표현방식이 다르나, 의미가 동일한 유형
3. 의미유형이 다르나, 표현방식이 동일한 경우
4. 중국어에만 있는 것
5. 한국어에만 있는 것

한국어와 중국어 신체어의 표현방식과 의미가 동일한 유형과 표현방식


이 다르나, 의미가 동일한 유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많았다. 이것은 양국
언어에서 신체어를 인식하고 사용하는 언어적 습관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양국 언어는 특유한 언어적 상황과 사회적 환경에 따라
언어를 사용함에 따라 어느 정도에 다른 의미를 지니기도 하였다. 한국어
관용구중에서 ‘다리’의 의미는 중국어 관용구에서 쓰인 의미에 비하여 많
지 않다. 아마 한국어중에 대부분 하지에 대한 말이 다 ‘발’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한국어 ‘오금’을 평상시에 자주 안 쓰지만 관용구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중국어 ‘오금’은 자주 쓰이지 않다. 이외에 중국어 관용구에서 신체
어와 관련된 특별한 사람을 지시한 경우도 많았다. 한국어에서는 이러한
의미로 쓰인 예가 거의 없었다. ‘마당발’ 찾을 수밖에 없다.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신체 관련 다의어의 특징과 유형을 살펴보았
다. 여기서 찾아낸 결과가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학생과 그밖에 외국인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72 -
참고문헌

1. 학술지 논문 단행본

강기진,「국어 다의어의 의미구조」, 『한국문학연구』8, 1985


곽병휴,「다의어와 이의어의 다의성」, 『경성대학교 논문집』9, 1988
김명옥,「다의어의 의미구조와 확장에 관한 연구」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3
김민영,「우리말 신체어의 의미 확장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김보미, 「한·중 인체어휘의 의미 확장 비교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7
김은주,「신체어 ‘손’ 과 ‘발’ 의 어휘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남경완,「다의분석을 통한 국어 어휘의 의미관계 연구」,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00
나익주,「다의어의 원형이론적 접근」,한국영어영문학회 광주 전
남지회, 1993
남성우,『국어의미론』, 영언문화사, 1985
문금현,『국어의 관용표현 연구』, 태학사, 2002
박영순,「국어 어휘면에 나타난 경제성 고 -다의어와 복합어를 중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하위논문, 1967
박용수,「다의어에 관한 고찰」,『논문집』4, 총신대학교, 1984
배도용,「우리말 신체어의 의미 확장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73 -
2001
박혜영,「중국어 신체어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성기준,「명사의 다의성 분석 -말, 일, 사람, 집을 중심으로-」, 단국대학
교 석사하위논문, 2009
양태식,「‘손’을 둘러싼 어휘소 무리의 의미구조」,『새국어교육』37,38합
집, 새국어교육학회, 1983
이경자,「신체어 머리의 합성」,『논문집』11권 2호, 충남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1980
이경자,「신체어 ‘손’의 의미 고찰」,『언어』제 2호, 충남대학교 어학연
구소, 1981
이경자, 「신체어 ‘귀’의 의미 고찰」,『언어』제 16호, 충남대학교 어휘연
구소, 1995
이경자,「인체어의 구조」,『어문연구』26, 1995
이경자,「신체어 ‘다리’의 의미 고찰」, 『언어』제 17호, 충남대학교 어
학연구소, 1996
이경자,「신체어 ‘발’, ‘팔’의 의미 고찰」,『언어』제18호, 충남대학교 어
학연구소, 1997
이기동, 「다의어와 의미의 연관성」,『인문과학』52집, 연세대학교, 1984
이기동,「다의 구분과 순서의 문제」,『새국어생활』2, 1992
이보영,「신체어를 통한 국어 어휘 교육 연구 방안」, 국민대학교 석사하
위논문, 2002
이상도,「신체어 다의구조에 대한 한·중 대비연구」,『중국연구』23, 1999
이정민,『언어학 사전』, 박영사. 1987
이영식,「신체 관련 다의어의 의미 확장에 관한 연구 -얼굴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74 -
우형식,「신체어의 의미론 -어휘의미론적 분석시도-」,『연세어문학』21,
1988
임지룡,『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1992
임지룡,「다의어와 인지적 의미 특성」, 언어학 한국언어학회, 1996
임지룡,『인지 의미론』, 탑출판사, 1997
천시권·김종택,『국어의미론』, 형설출판사, 1971
천시권, 「다의어의 의미분석」, 『국어교육연구』7, 경북대학교, 1977
최창열,「동의성과 다의성의 한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
홍사만,「신체어의 다의구조 분석」,『어문논총』제21호, 경북어문학회,
1985
葛本儀,『漢語詞彙研究』,山東教育出版社,1985
韓兆元,『從漢語人體部位特征的隱喻說開去』,科技信息,2009年第25期
胡純,「人體詞的認知研究」,湖南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2004
李玄玉,『漢語人體詞語研究』, 中國工人出版社,2008
劉新穎,「漢語與日語中與人體相關的慣用句之比較」,對外經濟貿易大學
碩士學位論文,2005
呂冀平·戴昭銘·張家驟, 「慣用語的劃界和釋義問題」『 中國語文』,1987
年第6期
錢理,「現代漢語慣用語研究」,蘇州大學碩士學位論文,2005
孫常敘,『漢語詞彙』,吉林人民出版社,1957
周祖谟,『漢語詞彙講話』,人民教育出版社,1962
程淑貞,「從漢語人體部位特征的隱喻說開去」, 『修辭學習』,2002年第3期
王德春,『詞彙學研究』,山東教育出版社,1983
王迎春,「試論漢語中表人體部位詞的隱喻現象」, 語文學刊 , 2005第9期
溫端政·周薦, 『二十世紀的漢語俗語研究』,書海出版社,1999

- 75 -
武占坤·王勤,『現代漢語詞彙概要』,內蒙古人民出版社,1983

2. 사전류

中國社會科學院語言研究所詞典編輯室『現代漢語詞典』,商務印書館,2006
王德春, 『新慣用語詞典』,上海辭書出版社,1996
施 寶義 ·姜林 森·潘 玉江 ,『 漢語 慣用 語詞 典』 ,外 語教 育與 研究 出版 社,
1985
溫端政,『分類慣用語詞典』, 上海辭書出版社, 2002
袁貴仁,『通用慣用語詞典』, 語文出版社, 2004
夏征農等,『辭海』,上海辭書出版社,1979
박영준 <관용어 사전>, 태학사, 1996
이희승, <국어대사전>
연세대학교, <연세 한국어 사전>, 1998

3. 인터넷 사이트

http://www. yahoo.co.kr
http://www. naver.com
http://alldic. daum.net
http://baidu.com

- 76 -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f Polysemy related to


Body in Korean and Chinese

-focusing on word ‘hand’, ‘foot’, ‘leg’-

DAN-DAN.SHAD

Depar
tmentofKor
ean Language and
Li
ter
atur
e,Gr
aduat
e SchoolofPai
Chai
Uni
ver
sit
y
Daej
eon,Kor
ea
(
Super
vised by Pr
ofessorCho Jae Yoo )

The word is used to identify the body, such as head, hands, arms, legs,
feet and other body parts vocabulary. After long-term development, Chinese
and Korean words in the human body produces a large number of related or
unrelated with the original meaning of the extended meaning items, the
so-called human word polysemy. These words and their body extended

- 77 -
meanings of very rich, its usage and meaning is also very flexible, very
lively, as the two languages in a unique landscape, the study of comparative
linguistics is a promising direction.
This article is selected in the human body in Chinese and Korean word
for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human
words, and then mainly to horizontal comparison method, two languages
‘hand’, ‘foot’, ‘leg’ and other words of the various meanings of the body
were compared one by one, and finally on this basis, summari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human words, and
analyzes the causes of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y reflect th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ways of thinking.
Through this research, one can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wo
languages, two cultures, two ways of thinking and even the knowledge of
the two peoples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the
other hand, Chinese and Korean is also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will
also provide a great help. In addition, this study on the Chinese and Korean,
Korean and Chinese translation and Chinese and Korean, Korean and Chinese
dictionary also has a great work of reference.

- 7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