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채준호

[2021-1학기 대조언어학] 이름: ______________

< ___ 주차_학습 정리 겸 퀴즈>


# 주관식의 경우 모든 정답은 아무리 길어도 100자-150(약 5-8줄)자 내외로 쓰세요

1. 시제란 객관적이며, 인위적/가상적/개념적 범주이다? (○/×)

2. 한국어와 주요 언어 간에는 어떤 사건을 “현재/과거/미래”로 다르게 인식


하거나, 또한 그것을 다르게 표현하는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그로 인해
주요 모국어 한국어 학습자들의 오류와 그 원인은?
중국어에서는 과거 시제를 사용할 때 서술어를 번화하지 않고 글을 서술어에 붙이는 것입니다. 그
래서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시제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한국어는 시제의 구분이 0 분법이며, 절대시제가 아닌, 00시제이고,


00의 영향이 중요하지 않다.

삼, 상대, 주절

4. 보통 시제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문법 즉 어머/접사. 모음 변화/중첩 등의


어형 변화를 통해 실현하거나 시간명사와 어휘를 통해 나타내는 등 다양한
데 여러분의 모국어와 한국어의 차이는?

중국어는 영문법에 속하고 영문법 체계는 과서,현재,미래를 문법적으로 표현을 안 합니다. 단지


시간 부사 등이 어휘나 양태나 상의 범주를 통해 나타납니다

- 1 -
채준호
[2021-1학기 대조언어학] 이름: ______________

5. 한국어와 주요 언어(모국어)간의 시제 특징을 비교하며. 한국어 교육을 할


때 그 방법은?
한국어의 시제 특징은 삼분법 체계로서 선어말어미인 ‘문법표지’로 실현합니다. 관형절로 안긴 문장에서도
관형사형 전성어미로 시제를 표현합니다. 어떤 표현은 ‘겠’처럼 미래라기 보다는 예정,의지,추측,가능으로
보는 것이다. 교육할 때는 시제에 관련된 예시를 많이 보여주고 한국어 문장의 사고를 훈련시킵니다

6. 동사 자체의 상적인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자질을...00상이라고 한다.

어휘상
7. 특히 어휘상의 의미자질 가운데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인은 무엇인가?
지00, 종00 임

지속성, 종결성

8. 어휘상은"동작상과 행위의 양상"이라는 또 다른 명칭대로 동사 자체에 내


재적인 의미 차이가 있음을 말하며, 해당 논항들과 같이 구나 절을 구성하기
에 항상 그 유형이 고정적이다?(○/×)

.9 문법상은 상황의 흐름을 보는지에 따라 00상과 000상으로 분류됨.

완료상, 미완료상

10. 한국어는 00중심 언어이지만, 문법적 요소를 통해 실현되는 00상도 있


고. 이는 언어마다 차이가 크기에 유심히 살펴봐야 함
시제 ,문법상

11. 특히 한국어의 문법상은 "00용언"에 의해 나타난다는 것과 기본적으로


상의 의미적 범주가 "완료상/미완료상"으로 구분된다는 사실에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공감함

보조

- 2 -
채준호
[2021-1학기 대조언어학] 이름: ______________

12. 이러한 한국어상의 특징 등을 고려할 때 여러분의 모국어 한국어 학습자


에게특별히 교육해야 할 사항은? 그 이유는?

중국어는 상이 더 발달했으나 그 실현이 필수적이진 않아서 어느 유형에도 속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때에는 더욱더 많은 한국어 예시를 보여주고 차이를 설명해주고
한국어 사고를 훈련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