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채준호

[2021-1학기 대조언어학] 이름: ______________

< ___ 주차_학습 정리 겸 퀴즈>


# 주관식의 경우 모든 정답은 아무리 길어도 100자-150(약 5-8줄)자 내외로 쓰세요

1. 일본어/영어/중국어권학습자의 단어 사용에 나타난 오류를 통해 예


상되는 한국어 영어 간의 단어 형성의 차이점은?
한국어 명사에 파생접미사 ‘-하다’를 붙여 동사를 만드는 파생법의 과잉일반화의 오류이다. 또
한 파생접미사 ‘-기’ 에 대한 과잉일반화의 오류와 ‘다음날’과 같은 합성어에 대한 오류이다

2.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의 특징은 모든 체언과 용언의 어간에 결합


가능하면서 문법/의존/굴절형태소이다?(○/×)
굴절
굴절형태소

3. 단어 형성법에 있어서 중요한 형태소는 굴절 형태소이다?(○/×)

4. 어근에 가까운 형태소는 굴절 형태소이다? (○/×)

5. (함의 관계에 따라~)보통 접두사가 일반적이다? (○/×)

6. 한국어의 어간은 어근에 접사가 붙어 이루듯이 접미사가 중요한 언


어이다?여러분 모국어는 ?

광동어에서는 접두사가 중요한다

- 1 -
채준호
[2021-1학기 대조언어학] 이름: ______________

7. 단어는 그 형성 구조에 따라 단일어와 복합어로 분류되며. 특히 복


합어는 00어, 00어로 구분됨
( 합성어 , 파생어 )

8. 한국어의 파생 가운데 품사가 변하게 하는 00적 접사는 생산성이 높


고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 통사 )

9. 한/영/일본어 단어형성 현상에서의 우측핵규칙이란? 그럼 다른 나


라 언어(중국어,러시아, 베트남어 등…)는 어떠한가?

우측핵규칙은 오른쪽 단어의 품사에 의해 합성어의 단어를 결정된다. 다른 나라 언어도 유사하다

10. 한국어의 합성 동사는 “명사+동사”구조(하나의 동작을 의미)나 연


결어미로 연결된 ‘’용언+용언(돌아가다)의 통사적 합성이 일반적인데
여러분의 모국어는?

광동어에서도 통사적 합성이 일반적이다. 광동어도 ‘용언+용언’의 방식으로 합성을 이루어진다

- 2 -
채준호
[2021-1학기 대조언어학] 이름: ______________

11. 한국어는 여러 형태소들이 접사화되어결합되는 통합어인데주요 다


른 나라 언어는 어떠한가?

광동어는 통합의 정도가 중국어와 똑같은 매우 고립적이다.

12. 특히 한국어의 경우 접사화되어있는 요소들 간의 경계가 쉽게 나


뉘는 교착적인 통합어인데, 이 점이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이 있다면?

한국어 학습자는 통합어에서 나타나는 문법형태소의 의미를 모두 알아야 통합어의 정확한


뜻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한국어 학습자는 아직 배우지 않은 문법형태소가 포함되는 통합
어가 나타나면 한국어 학습자가 그 문법형태소를 배울 때까지 그 뜻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이 것은 한국어 학습자가 학습할 때에 영향을 끼친다

- 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