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DOI: http://dx.doi.org/10.16933/sfle.2022.36.3.

227

팬데믹 전후 영어교육의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활용의 연구 동향 분석

김현정
(한국교원대학교)

김정렬*
(한국교원대학교)

Kim, Hyun-Jung, & Kim, Jeong-ryeol. (2022).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English education before and after
pandemic. Studi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36(3), 227-242.

This study is to analyze technology types and utilization tools on English


education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focusing on changes in
researche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To this end, 67 papers were selected
from Korea citation index (KCI) database ranging from 2019 to March 2022, and
they are classified for the publication year, types of AI technology, and
applicative domains of AI technology. Findings are that 15 papers were published
in both 2019 and 2020 respectively, but publications dramatically increased to 34
in 2021. Types of AI tools used were used in 6 types in 2019, 5 types in 2020,
and over 10 types in 2021, indicating that the tools in English education using AI
have diversified and increased interest in how to use them after the pandemic.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n using various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role of a teacher who can induce active learning of students
by utilizing it.

I. 서론

2020년 초반에 시작되었던 코로나19 팬데믹은 교육 현장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학생들은 학교에 등
교할 수 없었고, 수업은 원격수업인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기존 학교에서 제공해왔
던 교육적 기능이 감소 되었다. 팬데믹 전까지만 해도 4차 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하면서 AI가 교육 현장을
지배하며 교사들보다는 AI를 활용한 수업이 대세를 이룰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다. 하지만 실제 교육 현장
에서는 원격수업 장비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는 학교는 없었다. 교사들도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원격수업에
대한 관심조차 없었다. 교사들에게도 학교 현장에서도 온라인 수업은 모든 교사와 교육계가 맞닥뜨린 큰
도전이었고 극복해야 할 과제가 되었다(김은정, 2021).
또한 교실을 벗어난 학생들은 가정의 경제적 수준 등에 따라서 각각 다른 수업 환경을 가지고 차별화
된 수준의 교육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코로나의 확산 수준에 따라서 각 학교의 대면 수업 일수에

* 제1저자: 김현정, 교신저자: 김정렬


228 김현정 · 김정렬

차이가 나타나 학교 교육 환경의 불균형이 지역에 따라서도 차이도 생겼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 성취도 수준을 살펴본 결과,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보다 2020년 성취 수준의 기초
미달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팬데믹 기간에 측정 대상 및 평가과목 모두 기초학력 저하
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이은경, 오민아, 2022). 학력 격차의 문제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의 교사들도
감내하기 어려운 정신적 물리적 고통을 겪어야 했다. 학생들의 학업 격차는 경제적인 수준과 환경적인 요
인으로 더욱 벌어지게 되었고 학업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도 높아지게 되었으며, 이
는 다시 학습 격차의 차이로 이어져 공교육의 부재에 대한 문제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공교육의 부재와 학습의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에듀테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4차 산업
혁명시대의 도래와 함께 에듀테크에 대한 관심은 예상하지 못한 팬데믹 시대를 지나게 되면서 관심은 더
욱 증대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교육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움직임과 맞물리어 교육 현장에 에듀테크를
교육에 도입하려는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에듀테크의 핵심인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에 관심이 증대되기 시작하였다. 미래는 인간과 AI가 협력하는 사회
가 될 것이며(김현진 외, 2020) 미래 사회를 준비하기 위해서도 AI를 활용한 교육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고 볼 수 있다. 따라서 AI를 통한 교육은 교실이라는 인위적인 시공간을 초월 확장한 교육을 가능하게 해
주며, 인간 교사가 할 수 없는 여러 영역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에 있는 우리 영어교육 환경에 있어 실제적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는 측면에 많
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학습 격차를 줄이는 중요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영어학습
을 위해 사용한 AI 도구들을 통하여, 기술적 문해력과 데이터 문해력 같은 미래핵심 역량도 더불어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팬데믹(pandemic) 기간 동안 교육 현장에서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은 미
비하였으며, 팬데믹 시대를 지나고 있는 현재의 교육 현장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은 아직 기초적
인 실험 단계에 있고 아직은 AI를 활용한 영어교육 현장에의 활용과 시도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에듀테크 분야 중 인공지능을 활용한 국내 영어교육에 대한 문헌 연구가 가
장 활발히 진행된 2019년부터 최근 2022년 3월까지의 문헌들을 살펴보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현
재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과 수업에 활용방안을 살펴보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효율적인 영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팬데믹 전후 시대의 인공
지능의 영어교육 활용에 있어 테크놀로지의 활용과 그 변화 추세를 살펴보기 위해 팬데믹 전인 2019년과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과 2021년 논문을 중점으로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변화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보
고 팬데믹이 바꾸어 놓은 미래의 영어교실의 모습과 앞으로 변화되고 나아가야 할 교육의 방향과 활용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체계적 문헌 고찰을 살펴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
를 설정하고자 한다.

첫째,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 교육에 있어 2019년부터 2022년 3월까지의 연도별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 교육에 사용된 인공지능 테크놀로지의 유형은 어떠한가?
셋째,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 교육에 사용된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활용 도구의 유형은 어떠한가?
팬데믹 전후 영어교육의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활용의 연구 동향 분석 229

II. 이론적 배경

1. 에듀테크와 인공지능

에듀테크는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기술과의 결합을 통하여 교육의 문제점


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장한 말로 에듀테크는 기술과 교육이 결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육을 창출해
내는 것을 의미한다(홍정민, 2021). 즉, 에듀테크는 빅테이터, 가상현실, 클라우드, 블록체인, 인공지능
(AI) 등의 최신 정보통신(ICT)기술이 접목된 차세대 교육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윤승배 외, 2021).
현재 세계적인 스타트업 기업과 IT 기업들 또한 에듀테크의 기술력을 증진 시키기 위해 다방면의 연구
를 진행하고 있으며, 에듀테크를 도입을 위한 핵심 기술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글로벌 에듀테크
기업들 또한 이런 기술을 바탕으로 콘텐츠와 플랫폼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실제로 미국, 일본, 중국 등
세계의 여러 교육 현장에 이를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교육부는 2025년부터 적용되는 새 교육
과정에 AI 교육이 도입되어 AI 기초 프로그래밍과 AI 기초원리, AI 활용, AI 윤리 등이 신설될 예정이
다.
에듀테크 활용이 교육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학습자 중심 교육, 학습자의 수준별 교육,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한 교육, 학습자의 진로 탐색 및 설계를 위한 교육의 기초를 마련해 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자 개별 맞춤형 교육은 각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에 맞추어 학습이 이루어지고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
들을 측정하고 수집, 분석하여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김성희, 신정아, 2021).
에듀테크의 핵심은 인공지능이라고 볼 수 있는데, AI는 인간 생애 주기의 모든 학습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취약한 부분과 관심 분야와 학습 시간과 성취도까지 누적 관리하는 역할
을 하게 되므로 학습자의 강점과 약점을 찾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AI의 도움을 받는다면 사교육 없이는
학습이 힘든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학습의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의 적
성에 맞는 학습으로 이끌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즉 학습자 개개인의 특정한 관심과 계획에 맞는 커리큘럼
이 가능해진다. 또한 교사의 업무 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줄 것으로 기대되는데 AI가 교사를 보조하여 과
제와 평가를 대신해 주고 학습자의 학습 상황을 관리해 준다면 교사는 그로 인한 여유 시간의 확보로 학
생과의 정서적 교감이 가능해지라 본다. 아울러 기존의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도 줄어들 것이며, 누구나
배움이 가능하고 AI의 개별 학습 성향과 주기에 맞는 교육의 제공으로 평생학습이 가능해질 것이다(배도
연, 2021). 이런 AI를 활용한 교육을 교수학습의 측면에서 크게 방법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방법적 측면은 AI 기술을 구현한 테크놀로지를 교육 방법이나 교육 환경에 적용하는 경우를
말하며, 또한 AI 테크놀로지는 수업 내에서 도구로 넓게는 교수설계의 전반적인 과정에의 시스템으로 활
용 가능하다. 내용적 측면의 AI의 지식이나 기술 체계를 다른 교과의 지식과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AI 융합과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허미선 외, 2021).

2. 영어교육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EFL의 환경인 우리나라 영어교육에 있어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교육 방법의 시도가 가능하다.
특히 말하기에 있어 챗봇이나 인공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교육 방법이 도입된다면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영어학습 방법에 도움을 줄 것이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대표적인 기술로는 문헌에서
230 김현정 · 김정렬

도 가장 다수의 연구 대상이었던 AI 챗봇(AI Chatbot)이다. 챗봇이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문자 언어나


음성 상호 작용 중심의 대화를 수행하는 로봇을 말하며, 챗봇(chatbot)이란 동사 chatter의 chat과
robot의 bot이 합쳐져 만들어진 용어로(윤여범, 박미애, 2020). 채터봇(chatterbot), 토크봇(talkbot)이라
는 용어로도 불리어진다. 챗봇은 사용자가 챗봇과의 대화를 더 많이 나눌수록 그 데이터가 축적되어 사용
자의 음성이나 대화 내용을 잘 인지하게 된다(오유진, 백주현, 2022).
현재까지 개발된 챗봇은 외국어 학습의 관점에서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신동광, 2019). 첫 번
째 기준은 목적의 여부에 따라 목적형과 비목적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Cleverbot과 같은 챗봇은 사용자
가 챗봇과 자유로운 대화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므로 비목적형에 해당하며, Google Home 같은 스
피커형 챗봇의 경우 비서 역할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목적형 챗봇으로 볼 수 있다. 영어학습용
챗봇인 펭톡의 경우 외국어 학습용으로 개발되었으므로 목적형 챗봇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기준으로
자유 대화 가능 여부에 따라 단순응답형과 대화형으로 구분 되어지는데(이장호 외, 2019) KT의 기가지니
같은 인공지능 스피커는 단순응답형으로 볼 수 있으며(현주은, 임희주, 2019). 네이버의 영어 챗봇
Monica나 AI펭톡, Ellie 등은 간단한 대화가 가능하므로 대화형으로 볼 수 있다(김혜영, 2021). 현재 학
교에서 사용 되어지는 대부분의 챗봇은 주로 목적형과 단순응답형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
재 국내 영어학습용 챗봇들은, 단계별 말하기 연습 제공이 가능하며, 발음교정과 피드백 서비스를 제공하
며, 다양한 말하기 상황과 맥락을 통해 기본적인 자유 대화가 가능하다(오유진, 백주현, 2022).
챗봇 기술과 같은 음성인식 기술 중 하나에는 AI 스피커의 활용도 가능하다. AI 스피커는 음성인식
(Speech to Text; SST)과 합성(Text to Speech; TTS)을 종합적으로 구현하는 기술로 텍스트 기반의
문자 언어를 이해하고 인식하는 기술로 만들어진 ‘챗봇’에 음성합성 기술로 소리를 입혀 ‘말하는 챗봇’을
만들어 낸 것이라 할 수 있다(김혜영 외, 2019). AI 스피커를 활용한 영어교육의 장점은 영어교육을 받기
위해 특정한 장소와 일정한 시간이 필요했던 이전에 비해 시공간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점이
다. 스마트폰으로도 인공지능 기반 음성인식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영어학습 앱들이 출시되었고, TV로도
얼마든지 영어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이다(이동한, 2021). 또한 일반형 AI 스피커의 경우도 간단한 설치만
으로 가정에서 영어로 된 뉴스를 청취하고 다양한 질문 또한 가능하므로 AI 스피커를 잘 활용하면 쉽게
영어에 대한 노출의 확대가 가능해질 것이다. 이러한 AI 스피커의 활용은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에게 맞춤
형 학습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에 맞추어 학습 정보와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상대
적으로 수월해진다. 즉 학습자의 수준과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예측하여 현재 어는 부분이 부족한
지를 알려 줄 경우 좀 더 구체적인 맞춤형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I 스피커를 활용한 학습은 타
인의 의식에 자유로워져 이로 인해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정의적인 측면에서 긍정
적인 효과를 가져다 준다(황요한, 2021). 따라서 AI 스피커를 통한 영어학습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발화하
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영어학습에 대한 인식에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매개체들 중에서 원문을 다른 언어로 번역해주는 기계 번역 도구는 의
사소통 및 학습과 관련된 어휘나 문장과 문단의 내용 파악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번역기 중 파파
고는 네이버에서 2016년 8월에 출시되었다. 기계 번역기의 정확도가 높아지면서 일상생활이나 학습에서
번역기를 활용하는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번역기가 제공하는 다양하고 풍부한 어휘와 표현들을 제공
하는 번역기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 되고 있다(노유수, 2021).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번역
기 사용이 영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네이버 파파고의 사용이 영어 쓰기에서의 문장의 길
이 및 글 내용의 응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류미정, 2020).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번역기와 영어 사전을 이용한 작문 결과를 비교한 결과, 온라인 번역기를 사용한 작문이 보다 유의미한
팬데믹 전후 영어교육의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활용의 연구 동향 분석 231

향상을 보였으며, 자기 평가에서도 높은 만족감을 보여 주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이종은, 2020).

3. 선행 연구

전혜리 외(2021)에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영어교육에서의 AI 활용 연구에 대한 국내외


관련 문헌 중 24편을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주제와 대상, 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AI
도구의 유형과 AI 도구의 효과적 측면에서의 추가 분석 또한 이루어졌다. 검토된 연구는 주로 AI 도구
사용 후 학습자들의 실제 언어 학습 결과와 챗봇, 기계 번역, 문법 검수 도구의 효과 측면에서의 학생들
의 인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차수미 외(2021) 연구에서는 영어교육 관련 AI 챗봇 연구 논문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총 40편의
KCI 논문을 중심으로 챗봇 개발과 챗봇 분석, 챗봇 적용을 범주 기준으로 하여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였
으며 이 연구를 통해 앞으로 가속화될 AI 도구의 영어교육에서의 활용과 진행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현주(2020) 연구에서는 AI를 활용한 대학 교육을 중심으로 한 국내 영어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
찰이 이루어졌으며, 2000년부터 2020년 9월까지 발표된 국내 총 20편의 문헌들을 대상으로 분석이 이
루어졌으며 이 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의 인공지능 관련 연구가 챗봇의 활용과 더불어 휴머노이드, 인공지
능 기반 플랫폼 등 다양한 인공지능을 영어학습에 적용하고 학습적 효과를 탐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이외에도 영어교육 분야를 넘어서 허미선 외(2021) 국내 AI 활용 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2019년부터
2021년 7월까지 국내 논문 78편을 기준으로 발행 연도와 연구 대상, 연구방법, 교과목, AI 테크놀로지
유형과 교수학습 및 평가영역과 AI 활용 교육시스템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AI 활용 교육의 방향점과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

III.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및 범위

본 연구는 AI를 활용한 영어교육에 대한 논문 중 2019년부터 2022년 3월까지 발표된 국내 문헌들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으며,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를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살펴보
기 위해 문헌 고찰을 연구의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국내 연구 대상 문헌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한국학술정보(KISS), 누리미디어(DBpia), 교보스콜라, 학지사 뉴논문과 국회도서관에 게재된 문헌들을 검
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KCI에 등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검색하였다.
‘인공지능’과 ‘영어교육’이라는 검색어 입력 시 KISS에서는 223편, RISS에서는 249편, DBpia에서는
393편, 교보스콜라에서는 59편, 학지사 뉴논문에서는 26편, 국회도서관에서는 62편의 문헌이 검색되었으
며, 전체 1012편의 논문 중에서 2019년 전의 논문과 동일한 논문이 검색된 경우, 영어교육의 주제와 벗
어난 논문을 제외한 후 총 67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영어교육의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논문은 본격적으로 2001년부터 연구에 등장하기 시작하였고(김정렬,
2001) 2004년에도 1편이 등장한다(김정렬, 2004). 2017년(박종학, 신나민, 2017)의 연구와 2018년(이일
석, 2018) 각각 1편의 문헌만이 나타났으므로 연구 동향의 보다 효율적인 분석을 위하여 10편 이상의 논
232 김현정 · 김정렬

문이 등장하는 2019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앞서 언급한 것처럼 팬데믹 시대가 본격화된 2020년을
기준으로 비교 가능한 2019년의 논문을 비교 대상 및 기준으로 하였으며, 검색한 논문 중 영어 교육과
관련되고 KCI에 등재된 논문을 그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이러한 기준에 의해 선정된 논문은 총 67편이
다.

2. 분석 도구

본 연구에서는 AI 테크놀로지 유형 동향의 분석 준거를 홍선주 외(2021) 한국교육평가원의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례분류와 허미선 외(2021) 연구를 참조하여 인공지능 테크놀로지의 유형을 챗봇,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범용 AI 교육적 플랫폼, 교수학습 지원 플랫폼과 실감형 콘텐츠와 기타 활용 도구를 특정
할 수 없는 경우 기타의 유형으로 포함 시켜 총 6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표 1. 테크놀로지 유형 분석 기준
테크놀로지 유형 적용 분야
챗봇 챗봇의 개발 및 활용
대화형 에이전트, Application 활용, 토익프로그램,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디지털교과서, 쓰기 도구 등
범용 AI 교육적 플랫폼 말하기와 수행
교수학습 지원 플랫폼 자동쓰기평가(AWE: Automed Writing Evaluation)
VR(가상현실: Virtual Reality)
실감형 콘텐츠
AR(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기 타 활용 도구 특정 불가

챗봇의 개발과 활용에 대해 다룬 연구는 챗봇으로 분류하였으며,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은 대화형 에이
전트, APP 활용, 토익프로그램, 디지털교과서, 쓰기 도구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들이 활용 되어 진
테크놀로지 유형이다. 범용 AI 교육적 플랫폼은 AI 스피커, 음성인식 서비스를 활용한 분야이며, 교수들
의 학습을 지원하는 교수학습 지원 플랫폼에는 자동쓰기평가(AWE) 등의 도구가 활용되었다. VR 및 AR
의 도구를 활용한 분야는 실감형 콘텐츠로 분류하였으며, 활용 도구를 특정하기 어려운 도구의 활용은 기
타에 포함시켜 분석 도구를 분류하였다.

3. 자료의 수집 및 처리

본 연구를 위한 자료분석절차는 문헌검색 시점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교육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중심으로 발행 연도, AI 테크놀로지의 유형과 AI 테크놀로지의 도구의 활용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였
다. 이런 과정에서 내용의 타당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내용분석법에 따라 문헌에 대한 연구주제와 연구내
용, 연구 결과 등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추출된 논문들의 지속적인 검토를 통해 분석 기
준을 확립하였고, 코딩 작업과 액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표와 그래프로 활용하여 시각화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세부 분석 기준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팬데믹 전후 영어교육에 활용 되어진 테크놀로지 유형과 도구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
로 분석 준거는 발행 연도, AI 테크놀로지의 유형과 AI 테크놀로지 도구로 설정하였다.
팬데믹 전후 영어교육의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활용의 연구 동향 분석 233

표 2. 분석준거
분석준거 분류내용
발행연도 2019 년 ∼ 2022 년 3 월
챗봇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범용 AI 교육적 플랫폼
AI 테크놀로지의 유형
교수학습 지원 플랫폼
실감형 콘텐츠
기타
AI 테크놀로지의 상호대화, 말하기, 대화형 에이전트, APP 활용, 토익프로그램,
적용 분야 디지털교과서, 쓰기 도구, VR, AR

표 2에서 보는 것처럼, 우선 논문의 발행 연도를 2019년부터 2022년 3월까지의 연구를 기준으로 분


석하였으며 이들 연구에 사용 되어 진 AI 테크놀로지 유형은 그에 사용 되어 진 도구를 기준으로 하여
크게 챗봇,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범용 AI 교육적 플랫폼, 교수학습 지원 플랫폼, 실감형 콘텐츠와 활용
도구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를 기타로 분류하여 크게 6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AI 테크놀로지
도구에는 챗봇, AI 스피커, 대화형 에이전트, APP 활용, 토익프로그램, 디지털교과서, 쓰기 도구, VR,
AR, AWE 등 11가지 이상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IV. 연구 결과

1. 인공지능 영어교육 활용의 동향

1) 발행 연도 동향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2년 3월까지의 AI의 영어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들에 대해 국내에서 발행된
학술연구논문을 분석하였으며, 2019년에는 15편, 2020년에는 15편, 2021년은 34편, 2022년 3월까지의
연구는 3편으로 나타났다.

그림 1. 발행 연도 동향
234 김현정 · 김정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테크놀로지 기술의 발전과 관심의 증가에 따라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교육
에 대한 연구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2019년에는 15편, 2020년에 15편이던 연구 논문이 팬데
믹 시대를 지나며, 2021년에는 34편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팬데믹 시대의 공교육의 부재와 학습 격차에
대한 불안감 등의 문제로 인공지능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킨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2) AI 테크놀로지 유형 동향

인공지능을 활용한 테크놀로지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챗봇에 대한 연구 문헌이 33편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음성 인식 서비스와 대화형 에이전트 등의 연구를 포함한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연구가 16편으로 나타났으며, 인공지능 스피커와 번역기를 활용한 범용 AI 교육적 플랫폼
에 대한 연구는 6편이다. 이외에도 인공지능 전반과 ICT에 대한 연구가 10편, 교수학습 지원 플랫폼에
대한 연구는 1편, 실감형 콘텐츠 연구는 1편으로 나타났다.

그림 2. AI 테크놀로지 유형 동향

우리나라의 EFL 환경에서 학생들에게 충분한 언어적 인풋(input)을 제공하기 어렵고 충분한 아웃풋
(output)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이러한 환경적인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영어교육에서는 AI
도구들 중 챗봇을 활용한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차수미 외, 2021).

2. AI 테크놀로지의 활용 도구의 연도별 분석

1) 2019년 AI 테크놀로지 활용 도구 동향

2019년의 테크놀로지 도구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총 15편의 연구 문헌 중 챗봇에 대한 연구가 8편


으로 가장 많았으며, 음성인식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2편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스피커가 1편, 음성인
식을 기반으로 한 VR 연구가 1편, 인공지능 기반을 활용한 학습 플랫폼에 대한 연구와 인공지능 전반에
대한 연구가 2편, 웹기반 카툰메이커를 활용한 연구가 1편으로 총 6가지의 활용 도구가 사용되었다.
팬데믹 전후 영어교육의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활용의 연구 동향 분석 235

그림 3. 2019년 AI 테크놀로지 활용 도구 동향

특이할 만한 연구로 천은영(2019)은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영어 회화 시스템’이라는 연구를 실행


하였는데 이 연구에서는 가상 체험과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유형의 영어 회화 시스템에 대해
제안하였으며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Google Cardboard와 Google Speech API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환경 제공과 대화를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2) 2020년 AI 테크놀로지 활용 도구 동향

2020년의 문헌을 살펴보면, 총 15편의 문헌 중 챗봇에 대한 연구가 9편으로 가장 많았고, 인공지능


전반과 모바일 채팅앱과 대화형 영어학습 앱을 활용한 연구가 2편, 번역기를 활용한 연구도 2편으로 나
타났다. 음성인식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1편으로 나타났다. 2020년과 2019년의 문헌 수는 15편으로 동
일하며 테크놀로지 유형은 5종류로 나타났다.

그림 4. 2020년 AI 테크놀로지 활용 도구 동향

김성우와 이삭(2020)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술 활용 대화형 영어학습 앱을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에


236 김현정 · 김정렬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학습자의 몰입 양상을 분석하고 수업에 참여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
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시대의 영어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바를 제시해 주었다.

3) 2021년 AI 테크놀로지 활용 도구 동향

2021년의 경우 AI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연구는 34편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활용 도구에 대한 연구 분


야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챗봇에 대한 연구는 15편, 번역기를 활용한 연구가 2편, Grammarly와 AWE
등 쓰기 도구를 활용한 연구는 2편, 음성비서 모바일 앱이나 채팅앱 등 앱을 활용한 연구가 3편, 인공지
능 스피커에 대한 연구와 인공지능 전반을 활용한 연구가 각각 3편씩 이루어졌다.

그림 5. 2021년 AI 테크놀로지 도구 동향

한규정과 안형준(2021)은 ‘초등학교에서의 엔트리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사례’의 연구를 진행하였는


데,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엔트리의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영어과 미술과의 융합 교육 사례이다.
교과는 영어이나 그림을 그리는 미술과의 융합 활동과 엔트리의 인공지능 모델 중 이미지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다양한 쓰기 도구 활용에 관한 연구가 2편 진행되었는데, 김혜경, 한
수미(2021)는 ‘AI 기반 영작문 학습 도구에 대한 대학생 학습자 인식’이라는 연구에서는 Google
translate, Papago, Grammarly라는 쓰기 학습 도구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9년과 2020년
의 연구가 대부분 음성 발화와 관련된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2021년에는 쓰기 도구와 번역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영역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온 것을 볼 수 있다.

4) 2022년 3월까지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도구 동향

2022년 3월까지는 총 3편의 연구가 있으며, 인공지능 전반에 관련된 연구가 1편, 대화형 에이전트의
오류를 분석한 연구가 1편, 챗봇에 관련된 연구가 1편 존재한다.
팬데믹 전후 영어교육의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활용의 연구 동향 분석 237

그림 6. 2022년 3월까지 AI 테크놀로지 동향

이승준 외(2022) ‘최신 대화형 에이전트 기반 상용화 교육 플랫폼 오류 분석’의 연구에서는 Cake와
Andy의 대화형 플랫폼에 대한 동향 분석을 진행하였다. 동향 분석을 통하여 현재 상용화된 교육용 플랫
폼의 대화형 에이전트의 문제점 분석을 통해 사전 학습된 최신 대용량 대화 모델과의 비교 실험을 진행
하였고 실험 방법으로 휴면 평가를 진행하여, 실험 내용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개선 방안으로
대용량 피라미드로 학습된 대화 모델과 교육 데이터, 정보 검색 기능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3. 팬데믹 전후의 AI 테크놀로지의 활용 비교

팬데믹 전인 2019년의 경우 챗봇에 대한 연구와 인공지능 스피커나 음성인식 서비스와 같은 발화 영역


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었으나, 팬데믹을 전후한 2020년도의 연구부터는 발화 영역뿐만 아니라 번
역기나 APP을 활용한 영역에 대한 연구로 그 범위가 확대 된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2021년을 기점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교육에 있어서의 연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테크놀로지 도구의 범위 또한
더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2021년도의 경우는 디지털교과서, 쓰기 도구, 번역기를 활용한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대한 연구가 등장
하였고, 이는 발화와 관련된 연구 분야에 치중되었던 것이 팬데믹 시대를 지나며 읽기, 쓰기 영역 등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테크놀로지에 대한 관심의 범위가 다양해졌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챗봇을 활
용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연구가 동년에 이루어졌다. 하지만 디지털 영어 교과서만으로는 입력 중심의
활동 제공으로 학습자의 상호작용적인 학습의 측면에서는 보완적인 대책이 필요하며(김소연, 김정렬,
2021) 앞으로 디지털교과서의 효율적인 활용과 교실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도입을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더불어 AWE나 Grammarly와 같은 쓰기 도구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AWE는 언어적, 구조적 측면의 피드백 수준이 아직 발달 단계에 있다. EFL 학습자에게 이러한 긍정적 영
향과 효과를 고려할 때 AWE의 발전 필요성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주미란, 2021)하고 있다. 다양한 쓰
기 도구의 개발은 앞으로도 더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이며, 학교 수업의 활용에 있어 쓰기 영역에 있어 학
습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더불어 APP을 활용한 연구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채
팅앱이나 음성비서 모바일 앱과 같은 다양한 앱의 활용을 통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특히 모바일 기술의
발전에 따라 편리함과 간편함을 가진 이 점에 다양한 영역에 대한 모바일 앱의 발전과 이를 교육 현장에
238 김현정 · 김정렬

도입하고 활용하는 테크놀로지의 도입과 발전 또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7. AI 테크놀로지 도구의 연도별 분포 비교

2019년과 2022년 3월까지 인공지능의 테크놀로지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중 가장 많은 연구 비중


을 차지하는 것은 역시 챗봇이다. 현재 우리나라 영어학습에 있어 가장 필요한 영역이 발화이므로 이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어 왔고, 말하기 학습의 경우 현장 교육에서의 어려움이 크므로 챗봇이나 다양한 음성
서비스의 개발과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꾸준한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분야이다.
팬데믹으로 인한 영어 공교육에 대한 현실적인 어려움은 인공지능에 더 많은 관심으로 이어지게 되었
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교육 테크놀로지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V. 결론과 제언

본 연구에서는 2019년부터 2022년 3월까지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 4차 산업혁


명 시대의 흐름에 맞게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를 통
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현장의 실제적 적용에 대한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교육에 사용된 인공지능 테크놀로지의 유형과 다양한 도구들의 유형들을 살펴봄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가장 유용하고 효과적인 학습 도구의 개발 및 활용과 앞으로 더 나은 테크놀로지 유형의 개발
필요성 또한 생각해 볼 기회가 되었다.
기존의 AI 활용 영어교육 분석 연구들은 전혜리 외(2021)와 같이 분석 대상 논문의 수가 24편으로 그
연구 대상의 수가 적었으며, 차수미 외(2021)와 같이 AI 챗봇 연구 논문의 동향 분석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현주(2020)의 연구는 대학 교육을 중심으로 한 특정 대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아쉬움이 있었
다. 이들 연구는 팬데믹 전후의 인공지능 기술의 변화에 따른 언급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여 2019년부터 2022년 3월까지의 최근 국내에서 진행된 67편의 AI를 활용한 영어교육 연구의 전
팬데믹 전후 영어교육의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활용의 연구 동향 분석 239

반적인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팬데믹 시대를 전후하여 나타난 AI 테크놀로지 도구들의 변화를 통
하여 앞으로의 영어교육에 있어 활용 될 AI의 활용 방향과 시사점에 대해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서 살펴본 것처럼 팬데믹으로 인해 에듀테크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였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교육에서
도 다양한 테크놀로지의 도입과 활용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이 정
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발행 연도의 분석에 의하면 2019년에는 총 15편, 2020년에도 15편, 2021년에는 총 34편,
2022년 3월까지는 총 3편의 연구가 진행된 것을 볼 수 있다. 팬데믹 시대를 지난 2021년을 기점으로 이
는 공교육에 대한 현실적인 어려움과 더불어 기존 학교 교육 현장의 부재에 대한 어려움과 학습 격차의
문제 해결의 필요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인공지능을 활용한 테크놀로지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챗봇에 대한 연구 문헌이 33편
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음성인식 서비스와 대화형 에이전트 등의 연구를 포함한 콘텐츠서비
스 플랫폼에 대한 연구가 15편, 인공지능 스피커와 번역기를 활용한 범용 AI 교육적 플랫폼에 대한 연구
는 6편이었다. 이외에도 인공지능 전반에 대한 연구가 10편으로 나타났고 교수학습지원 플랫폼에 대한
연구는 1편, 실감형 콘텐츠 연구는 1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영어 교육의 가장 큰 문제였던 EFL 환
경의 영어교육 환경에서의 보다 실질적인 발화에 대한 학습 요구, 쓰기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효율적인
학습 방법이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더욱 필요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문제는 인간 교사가 아닌 다양한 AI
도구들을 통해 보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셋째, AI 활용 도구의 활용 동향을 살펴본 결과, 2019년에는 6종류, 2020년도 5종류로 파악되었으나
2021년에는 10종류 이상의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한 연구가 진행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챗봇과 같이 발
화에 치우쳤던 영어교육의 활용 분야가 팬데믹 시대를 지나며 쓰기나 번역기, 인공지능 스피커 등의 많은
활용 도구로 확대, 사용되었으며 발화 영역을 넘어 쓰기, 읽기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테크놀로지 도구의
활용이 이루어졌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살펴본 것처럼 팬데믹 기간 동안의 비대면 수업의 실시에
따른 학교 교육의 부재와 인간 교사의 한계로 인한 문제점들을 다양한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기술을 이용
하여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도구 중 가장 많은 연구를 차지한 것은 챗봇으로 특히 초등학교와 대학교를 중심
으로 챗봇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입시 위주의 우리 영어 교육시스템
의 특성상 보여지는 특징이다. 하지만 언어 학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발화와 실질적인 활용으로 이
어지는 학습이 되어야 하므로, 중고등학교 영어 수업에서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과 다양한 테크놀로지 도
구의 도입과 더불어 학교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활용과 입시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AI를 활용한 다양한 테크놀로지의 도입은 영어 수업에 있어 다양하게 활용되어 학습자의 영어학습에
있어 흥미와 학습의 효율성을 가져다 줄 것이며, 특히 EFL 환경에서 부족하기 쉬운 말하기와 관련된 학
습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교사의 수업 활용에 있어서 다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
는 수업 준비와 진행의 어려움과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학습 격차 극복에도 많은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훌륭한 AI 활용 도구라도 단지 보조적인 학습 수단에 불과하다. 이
러한 AI 테크놀로지의 활용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주도적인 학습에 대한 의지이므로
AI 도구들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동기 부여하며 다양한 도구들
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지혜롭게 활용할 수 있는 교사들의 노력과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240 김현정 · 김정렬

참고문헌

김성우, 이삭. (2020). 인공지능 기술 활용 대화형 영어 학습앱을 적용한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 분석. 초
등교육연구, 26(3), 177-202.
김소연, 김정렬. (2021). AI 챗봇을 도입한 초등학교 영어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의 정의적 효과.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0), 37-49.
김성희, 신정아. (2021).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외국어교육연구,
35(1), 131-146.
김은정. (2021). 코비드-19 팬데믹 시대의 중등영어교육 현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언어과학연구,
99, 351-368.
김혜경, 한수미. (2021). AI기반 영작문 학습 도구에 대한 대학생 학습자 인식: Google Translate,
Naver Papago, 그리고 Grammarly를 중심으로. 현대영어교육, 22(4), 90-100.
김현진, 박정호, 홍선주, 박연정, 김유라, 이항섭, 이인숙. (2020). AI시대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운영
지원 방안 연구. 교육부.
김혜영, 신동광, 양혜진, 이장호. (2019). 영어 교과 보조 도구로서의 AI챗봇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9(1), 89-110.
김혜영. (2021). 포스트 코로나 영어교육을 위한 방향과 과제. 한국영어교육학회, 76(0), 87-105.
노유수. (2021). 번역기를 사용한 학습이 한국대학생의 영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언어과학연구, 99,
125-143.
류미정. (2020). 번역기 사용 활동이 중학교 영어 쓰기 및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제주대학교, 제주.
배도연. (2021). 음악교육에서의 에듀테크의 활용 방안. 미출간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서울.
박종학, 신나연. (2017). 인공지능기술과 인공지능교사에 대한 분석: 초중고등학생 관점에서. 한국교원연
구, 34(2), 169-192.
신동광. (2019). 영어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AI 챗봇 활용 방안 탐색. 교원교육, 35(1), 41-55.
이동한. (2021). 유튜브와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과업 중심 초등영어 수업 모형 개발. 영상영어교육,
22(1), 179-201.
이승준, 박찬준, 서재형, 임희석. (2022). 최신 대화형 에이전트 기반 상용화 교육 플랫폼 오류 분석. 한
국융합회논문지, 13(3), 11-22.
이은경, 오민아. (2022).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한 중고등학생 학업 성취도 변화와 영향 요인 분
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4), 531-545.
이종은. (2020). 온라인 번역기 사용이 대학생의 영작능력과 영작능력 향상에 대한 자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31-49.
이장호, 김혜영, 신동광, 양혜진. (2019). 외국어 학습을 위한 대화형 챗봇의 담화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2(1), 132-153.
이현주. (2020). 인공지능(AI)를 활용한 국내 영어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대학 교육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1(6), 2027-2042.
윤승배, 양승혁, 박현수. (2021). LMS 기반 에듀테크 교수학습 플랫폼 모형 설계 연구. 디지털융합복합연
구, 19(10), 29-38.
팬데믹 전후 영어교육의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활용의 연구 동향 분석 241

윤여범, 박미애. (2020). 인공지능과 초등영어교육: 챗봇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31(특별호), 77-90.
오유진, 백주현. (2022). 인공지능 챗봇 ‘AI펭톡’이 초등영어 수업에 미치는 효과 및 활용방안: 말하기 지
도 중심으로. 현대영미어문학, 40(1), 207-235.
주미란. (2021). 영어자동쓰기평가(AWE) 사용만족도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PLS-SEM 모델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9(9), 1-8.
전혜리, 이상민, 박일미. (2021). 영어교육에서 AI 활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멀티미디어언
어교육학회, 24(1), 87-103.
차수미, 김정렬, 남승우. (2021). 영어교육 관련 AI 챗봇 연구 논문의 동향 분석. 영어교과교육, 20(1),
203-225.
천은영. (2019).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영어회화 시스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11), 55-61.
한규정, 안형준. (2021). 초등학교에서의 엔트리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교육 사례. 창의정보문화연구,
7(4), 197-206.
허미선, 배현주, 석희진, 이정민. (2021). 국내 AI 활용 교육 연구 동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5(6),
973-985.
홍선주, 김현진, 박연정. (2021). 학교 교육에서의 AI활용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3), 875-898.
황요한. (2021). 영어교육을 위한 인공지능(AI) 스피커의 활용과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영어영문학연
구, 47(1), 225-251.
홍정민. (2021). 에듀테크의 미래. 책밥.
현주은, 임희주. (2019). 영어학습도구로서 인공지능 스피커의 분석 및 시사점. 영어영문학, 24(1),
201-219.
Kim, J.-R. (2001). Toward an interface betwee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foreign
languages learning. English Language Teaching, 13(1), 45-78.
Kim, J.-R. (2004). Machine translation, does it have anything to do with foreign language
education? Mutimedia-Assisted Language Learing, 7(1), 37-54.
Lee, I.-S. (2018). Mobile English reading and application convergence creativity.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19(12), 2305-2314.
242 김현정 · 김정렬

<Korean Abstract>

김현정, 김정렬. (2022). 팬데믹 전후 영어교육의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활용의 연구 동향 분석. 외국어교육연구, 36(3),
227-242.

본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전후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테크놀로지 유형과 활용 도구를 중심으로 영어교육에 관한 논
문을 분석하여, 팬데믹 전후의 인공지능 테크놀로지의 변화를 살펴보고 앞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효율
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 절차는 문헌검색 시점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
어교육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중심으로 발행 연도, AI 테크놀로지의 유형과 AI 테크놀로지의 도구의 활용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2년 3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최종 67편의 논문이 게재돼 검토
를 통한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9년과 2020년에는 15편이었으나 2021년에는 34편으로 늘었
다. 활용 도구의 종류도 2019년에 6종류, 2020년에 5종류, 2021년 10종류 이상으로 활용되어 팬데믹 이후 인공
지능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도구가 다양해지고 활용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인공지능
을 활용한 영어교육은 더욱더 다양해지고 발전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테크놀로지의
도입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주도적인 학습을 유도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이를 활용하여 학습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사의 역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Key words: AI, Edu-tech, English Education, Pandemic / 인공지능, 에듀테크, 영어교육, 팬데믹

Examples in: English


Applicable Languages: English
Applicable Levels: Elementary

Kim, Hyun-Jung
Doctoral Student
Dept. of English,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50 Taesung Tapyeon-ro, Gangnae-myeon, Heungdeok-gu, Cheongju-si, Chungbuk, 28173
TEL: (043) 230-3114
E-MAIL: kj9789@hanmail.net

Kim, Jeong-ryeol
Professor
Dept. of English,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50 Taesung Tapyeon-ro, Gangnae-myeon, Heungdeok-gu, Cheongju-si, Chungbuk, 28173
TEL: (043) 230-3114
E-MAIL: jrkim@knue.ac.kr

Received in June 28, 2022


Revised version received in August 02, 2022
Revised version accepted in August 04, 202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