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3

최종보고서

2020년도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사업

2020. 12.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하

이 보고서를 년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사업의 최종


‘2020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20. 12.

환경부장관

연 구 기 간 : 2020. 5. 22. ~ 2020. 12. 10.

주관 수행기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 책임자 : 임현정
연구 수행자 : 조은애, 임현화, 홍은아, 이은정, 김선진

공동 수행기관 : ㈜리스컴
연구 책임자 : 김예신
연구 수행자 : 김명현, 박화성, 권경숙, 김정득, 유경수,
인광교, 정은상, 송훈호

공동 수행기관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 책임자 : 양지연
연구 수행자 : 유지현, 이민선, 임영욱, 홍지연, 이용진,
윤정인, 이선애
요 약 문

1. 과업 배경 및 목적

m 어린이는 성인보다 환경유해인자 노출 시 흡수율이 높고, 면역기능이 미발달하여


환경유해인자 유·위해성 관리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가

m 시중 유통되고 있는 어린이용품 함유성분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유·위해용품


시장유통 근절 및 환경유해인자 안전관리 방안 마련

2. 과업 범위

m 과업 범위

-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함유 실태조사(2,500개 용품)


-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자문위원단 구성·운영
-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상담센터 운영

< 사업 내용 및 주요 성과물 >

주요 내용 세부내용 성과물

▪ 실태조사 계획 수립 ▪실태조사 계획(안)


환경유해인자 ▪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사용제한물질 분석결과
실태조사 ▪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위해성평가 결과
▪ 실태조사 결과보고 및 후속조치 지원 ▪실태조사 결고보고

자문위원단 ▪ 어린이용품 자문위원단 구성 ▪어린이용품 전문가 인력풀


구성·운영 ▪ 어린이용품 자문위원단 운영 ▪자문 위원회 운영(3회 이상)

상담센터 ▪ 상담센터 기반 조성 및 운영 ▪콜 및 대면 상담채널 마련


운영 ▪ 어린이용품 안전관리제도 상담 ▪어린이용품 Q&A 사례집

3. 주요 사업결과

3.1.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함유 실태조사

m 어린이용품 실태조사 구매계획 수립(2,500개 용품)

- I -
- ‘19년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사업을 통하여 마련된 중장기 로드맵에
제시된 대상 제품군 및 물질의 시험분석 가능여부, 노출개연성, 독성정보 등을
파악하여 2,340개 용품 구매계획 수립
- 소비자 설문조사(교사 및 학부모, 600명, 패널조사) 등을 통하여, 반짝이풀, 샴푸캡,
촉감완구 등 14개 제품군 160개 이슈용품 구매계획 수립
m 실태조사 대상제품 구매 및 DB작성

- 어린이용 규격*, 어린이제품 가이드라인(국표원고시 제2015-195호) 등을 참고하여


’어린이용품‘으로 분류가 명확한 제품 구매
* 신발(210mm이하), 의류(160 이하), 수영복(80 이하) 등

- 코로나19 장기화로 11번가, G마켓, 교구몰 등 온라인을 통하여 90% 이상 구매


- 제품표시정보(제조자, 수입자, 연락처, 제조국 등), 구매정보(구매처, 영수증 등),
시험분석결과(함량, 전이량), 위해성평가 결과 등 DB화
< 실태조사 대상제품수 >
조사제품수
구분
총계 [중복]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계 2,500 [953] 1,260 2,193
문구·도서류 435 [241] 360 316
생활용품류 1,035 [110] 155 990
완구류 850 [582] 630 802
놀이기구 20 [20] 20 20
이슈용품 160 [0] 95 65

m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기준 및 표시규정 준수여부 조사

- 2,500개 용품 중 1,260개 용품 사용제한 기준 준수여부 확인결과, 모두 사용제한


기준 준수
<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결과 >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4종) 검출 현황 전이량


구매 조사
구 분 또는 함량
용품 용품 계 DNOP DINP TBT 노닐페놀 기준초과
계 2,500 1260 5 - 3 - 2 -
문구/도서류 435 360 2 - - - 2 -
완구류 850 630 2 - 2 - - -
놀이기구 20 20 - - - - - -
생활용품 1,035 155 1 - 1 - - -
이슈품목 160 95 - - - - - -

- 사용제한 기준은 준수하였으나, 사용제한물질이 검출된 5개 중 3개 용품이 표시


규정 위반(의심)

- II -
<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검출 제품 시험분석결과 >

연 사용제한 경피 표시기준
제품군 함량 경구전이량 비고
번 유해인자 전이량 기재여부
플라스틱 인형
1 열쇠고리 DINP 4.5 % ND ND 미기재
열쇠고리
2 퍼즐류 DINP 0.4 % ND ND 미기재 -
0.294
3 이슈용품 DINP 29.0% ND 미기재 비대상
μg/cm2/min
4 물감 NP 3.33mg/kg - - 기재 -
5 물감 NP 0.56mg/kg - - 미기재 -

m 2,500개 용품 중 2,193개 용품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실시

※ 953개 용품 사용제한 기준 및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중복조사

- 보존제, 가소제, 방염제 등 총 21종을 대상물질로 선정 및 평가대상 21종에 대한


CMR 등 독성정보 확인
< 평가대상물질에 대한 노출경로별 독성정보 확보 현황 >

독성정보 현황
No. 물질명 CAS No.
경구 경피 흡입
1 4-Methoxyaniline 000104-94-9 O  
2 Aniline 000062-53-3 O O
3 C.I. Basic Violet 003 000548-62-9 O  
4 C.I. Acid Violet 049 001694-09-3 O O
5 Beryllium 007440-41-7 O O
6 Cobalt 007440-48-4 O O
7 Chromium(VI) 018540-29-9 O O
8 Diisobutyl phthalate (DIBP) 000084-69-5 O  
9 Diethyl phthalate (DEP) 000084-66-2 O O  
10 Decabromodiphenyl oxide (DBDE) 001163-19-5 O  
009016-45-9
068412-54-4
11 Nonylphenol, ethoxylated (NPE) O O  
127087-87-0
026027-38-3
12 Dicyclohexyl phthalate (DCHP) 000084-61-7 O  
13 Glyoxal 000107-22-2 O O
14 C.I. Basic Red 009 000569-61-9 O
15 C.I. Disperse Blue 001 002475-45-8 O O
16 2-Octyl-3(2H)-isothiazolone (OIT) 026530-20-1 O O O
4,5-Dichloro-2-n-octyl-4-isothizaolin-3-o
17 064359-81-5 O O
ne (DCOIT)
18 1,2-Benzisothiazol-3(2H)-one (BIT) 002634-33-5 O O O
19 2-Methyl-4-isothiazolin-3-one (MIT) 002682-20-4 O O O
5-Chloro-2-methyl-4-isothiazolin-3-one
20 026172-55-4 O O O
(CMIT)
21 Tri(2-chloroethyl)phosphate (TCEP) 000115-96-8 O  

- 어린이 특성*을 고려하여 최종 독성값 및 평가계수 결정

- III -
* 성인 독성참고치 사용시 민감계수 ’3‘적용, 발암성물질의 경우 연령보정계수 적용 등

- 평가대상 용품의 용도 및 재질을 확인하여 노출 매트릭스 작성

< 평가대상 어린이용품 인체 노출 시나리오 >

사용대상 노출시나리오 노출평가 방법


재질 평가물질군 어린이용품(군)
(연령) 경구 경피 흡입 함량 전이량
완구류 6용품군 영·유아 고상형
금속 금속류 3종 제품빨기 - - √
(전체) (만 0-6세) 접촉
보존제류 5종,
문구/도서류 유아, 어린이 삼킴, 액상형 표면
잉크 염료류 6종, √ -
4용품군 (만 3-12세) 손 빨기 접촉 휘발
유화제류 1종
유아 삼킴+ 점착성
점토완구 - √ -
(만 3-6세) 제품빨기 접촉
실내바닥용매트,
영·유아 고상형
플라 야외용매트, - - √ √
가소제류 3종 (만 0-6세) 접촉
스틱 물놀이신발
영·유아,
제품빨기, 고상형
그 외 58용품군 어린이 - √ √
손 빨기 접촉
(만 0-12세)
염료류 6종,
영·유아,
방염제류 2종, 고상형 표면
섬유 31용품군(전체) 어린이 제품빨기 √ √
기타 1종 접촉 휘발
(만 0-12세)
(글리옥살)
유아 점착성
촉감완구(슬라임) 삼킴 - √ -
보존제류 2종, (만 3-6세) 접촉
기타
염료류 4종 유아 고상형 표면
타투스티커, 색종이 손 빨기 √ √
(만 3-6세) 접촉 휘발

- 노출량 산출식은 환경부예규 제585호 우선 적용하고, 휘발성 성분의 흡입노출은


’생활화학제품 위해성평가 대상 및 방법 등에 관한 규정(과학원고시 제2018-70호)‘
수식 활용
- 체중, 체표면적 등 생릭학적 노출계수는 ’한국 어린이의 노출계수 핸드북(과학원,
2019)‘ 활용하고, 품목별 노출계수는 환경부예규 제585호에 제시된 정보원에 따라
적용
- 함량 및 전이량 시험분석 결과, 평가대상 21종 중 MIT, CMIT 등 11종 검출되었
으며, 8개 용품 위해기준 초과
< 환경유해인자 검출(11종) 및 위해도 현황 >

조사 검출 검출 범위
구분 물질명 위해도 비고
제품수 제품수 (mg/kg)
함량 19 0.004~35%
DIBP - 전이량
프탈 전이량 0 -
불검출로
레이트 1,126
위해도
(2종) 함량 5 0.02~21%
DEP - 산출 ×
전이량 0 -

보존제
MIT 112 30 1~176 (HQ)0.008~5.1 3개 위해초과
(4종)

- IV -
조사 검출 검출 범위
구분 물질명 위해도 비고
제품수 제품수 (mg/kg)
CMIT 20 0.7~55 (HQ)0.003~0.8  
BIT 25 0.1~205 (HQ)0.00002~0.9  
OIT 18 0.08~315 (HQ)0.0002~2.6 2개 위해초과
4-Methoxy (HQ)0.0000002~0.00
2 11~31  
aniline 0004

염료류 Aniline 15 6~384 (ECR)4.6x10-8~3.2x10-5 2개 위해초과


C.I. Basic 90
(4종) 9~95,900 (HQ)0.000006~1.7 1개 위해초과
Violet 003 24
C.I. Basic Red
4 20~86 (ECR)1.0x10-9~4.4x10-9  
009
유화제
NPE 120 14 59~2,854 (HQ)0.001~0.3  
(1종)

※ 고형제품은 전이량 시험분석값, 액상제품은 함량 분석값 적용


※ 11개 이외 환경유해인자 불검출

3.2.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자문위원단 구성·운영


m 어린이용품 전문인력 및 당연직으로 구분하여 자문위원 풀 마련
- 전문인력(30): ’환경보건안전 분야 전문인력‘ 중 어린이용품 관련 전문인력 추출(17명)
및 그간 어린이용품 관련 자문 등에 참여한 전문가를 추가 모집(13명)
※ 전문인력 모집 시 개인정보활용동의서, 이력사항 등 제출

< 전문인력 구성 절차 >

어린이용품 전문인력 부족 어린이용품


환경보건안전 제품관련분야 관련전문인력
분야전문인력 ⇨ 전문인력추출 ⇨ 추출 ⇨ 분야 자문위원 ⇨ 환경안전
신규모집 자문위원단구성
(197명) (64명) (17명) (13명) (30명)
- 당연직(20): 환경부, 환경청 등 어린이용품 관계기관의 경우 당연직으로 기본정보
(이름, 소속, 연락처)에 한하여 목록화 관리

m 전문인력 30명 및 당연직(환경부, 환경청 등) 20명, 총 50명 구성


- 안건 등에 따라 전문인력 및 당연직 5명 내외 운영

<어린이용품 자문위원단 구성 현황 >

전문 분야
구분 계 위해성 화학물질· 이해 당연직
환경보건 정책·제도
평가 시험분석 관계자
인원(명) 50 7 6 5 7 5 20

- V -
m 자문내용 등에 따라 관련분야 전문인력 등을 활용하여 자문회의 총 8회 운영
< 자문위원단 운영 현황 >
연 전문인력 분야
날짜 회의명 주요 논의사항 비고
번 (참여 인원)
시험분석(1),
1 2020.6.09. 착수보고회 •사업추진계획의 타당성 및 적절성 정책제도(2), 대면
이해 관계자(1)
어린이제품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및 어린이제품
2 2020.6.19. 적용범위 가이드라인 상 어린이제품 해당여부 시험분석(3) 대면
검토회의 검토(58개 제품)
•어린이용품 조사 대상 제품 선정기준
진단 대상
및 범위 적절성
2020.7.22 제품군 및 시험분석(2),
3 •어린이용품 진단 재질별 진단 물질의 대면
. 물질 위해성평가(2)
적절성
검토회의
•어린이용품 안전관리 협업 방안 등
제1차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4 2020.11.09. 위해성평가 알고리즘 위해성평가(4) 대면
검토회의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적용계수
•실태조사사업 추진현황 공유 및 향후
비대면
5 2020.11.30. 중간보고회의 추진방향 논의 시험분석(3)
(화상)
•1차 위반제품 공유 및 특이사항 검토
어린이제품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상 어린이제품
2020.11.30. 안전특별법 비대면
6 대상여부 시험분석(3)
~12.02. 의심제품 (서면)
•해당제품의 검출물질 적용기준
검토회의
제2차 •위해초과대상 어린이용품 위해성평가
2020.12.2. 비대면
7 위해성평가 알고리즘 및 노출계수의 타당성 위해성평가(3)
~12.4. (서면)
검토회의 •위해초과물질의 독성값 신뢰도 검토
위해성평가(3),
2020.12.7. 비대면
8 최종보고 •연구 수행결과의 타당성 및 보완사항 등 정책제도(2),
~12.8. (서면)
이해관계자(1)

3.3.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상담센터 운영


m 운영 개요
- 운영 채널: 유선(☎ 1670-5280 내선 2번) 및 대면 상담 상구 마련(’20.9.~)
- 운영 시간: 평일 09:00 ~ 18:00
- 상 담 원: 기술원 어린이용품 업무 담당자 2인
- 상담 내용: 어린이용품 관련 제도, 위해성평가 등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제도 전반
- 운영 체계: 기술원-환경부-어린이용품 관련 전문가 등 어린이 환경보건 네트워크
구축 및 역할 정립*을 통해 신속·정확한 상담체계 구축
* 환경부(정책 결정), 기술원(상담센터 운영 및 상담), 전문가(기술 자문)

- VI -
< 상담센터 운영 체계 >

m 운영 결과
- 어린이용품 상담센터 이용의 경우 상담센터로 직접 유입되기보다는 타 기관 문의
등을 통하여 유입되는 편이 많으며, 이용률이 낮은 편
- 향후 어린이용품 사업자와 접점이 많은 시험분석기관을 통하여 상담센터 홍보물
배포 및 상담센터 안내를 통한 이용률 제고 필요

m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Q&A사례집 제작


- 어린이용품 사업자의 제도 인지도 및 이해도 제고를 위하여 이해하기 쉬운 질의
응답 형식으로 Q&A사례집 제작
- 어린이용품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기준 및 표시규정,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목록 및 위해성평가,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자가관리 지원 등 Q&A 수록

< Q&A 사례집 >

- VII -
- VIII -
목 차

제1장 서론 ······························································································································· 01

1. 과업배경 및 목적 ·············································································································· 03

2. 과업의 범위 ························································································································ 03

제2장 사업결과 ······················································································································· 05

1.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함유 실태조사 ···································································· 07

2.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자문위원단 구성·운영 ······························································· 39

3.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상담센터 운영 ···································································· 42

제3장 결론 및 제언 ··············································································································· 47

1. 결론 ······································································································································ 49

2. 제언 ······································································································································ 50

참고문헌 ····································································································································· 51
표 목 차

< 표 1> 사업 내용 및 주요 성과물··························································································· 4

< 표 2>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중장기 계획 ································


(2020~2024) 7

< 표 3>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중장기(2020~2024) 계획 중 ‘20 년 대상


검토 ···················································································································································· 8

< 표 4> 설문조사를 통한 일반국민 관심 어린이용품 ····························································· 9

< 표 5> 어린이용품 구매를 위한 전용 규격확인 ··································································· 11

< 표 6> 어린이용품 구매 우선순위 기준 안 ···········································································


( ) 11

< 표 7> 품목 분류 및 어린이용품 재질별 조사대상 규모 ··················································· 12

< 표 8> 어린이용품 실태조사 제품 구매 규모 상세 ·····························································


( ) 12

< 표 9> 어린이용품 실태조사 구매목록 DB 구성 ···································································· 16

< 표 10> 어린이용품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명칭 및 제한 내용 ····································· 17

< 표 11>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결과 ··································································· 18

< 표 12>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검출 제품 시험분석결과 ················································· 18

< 표 13> 위해성 평가대상 최종 선정물질 ··············································································· 20

< 표 14> 독성정보 수집 주요 자료원 ······················································································· 21

< 표 15> 평가대상물질에 대한 노출경로별 독성정보 확보 현황 ······································· 23

< 표 16> 위해성 평가에 사용된 Key data 선정 기준 ··························································· 25

< 표 17> 평가대상 어린이용품 품목별 인체 노출 시나리오 ··············································· 26

< 표 18> 노출 경로에 따른 시나리오별 노출량 산출수식 ··················································· 26

< 표 19> 어린이용품 위해성 평가 공통 노출계수 ····························································· 28

< 표 20> 어린이용품 품목별 노출계수 ····················································································· 28

< 표 21> 피부흡수율 추정식 ······································································································· 29

< 표 22> 표면에서 공기 중 방출비율 기본값 ········································································· 29

< 표 23> 환경유해인자 공정시험기준 전이량 분석법 ··························································· 30

< 표 24> 프탈레이트 가소제류의 함량 및 전이량 시험분석 결과 ····································· 31

< 표 25> 유화제류의 함량 시험분석 결과 ··············································································· 32

< 표 26> 보존제류의 함량 시험분석 결과 ··············································································· 32

< 표 27> 염료류의 함량 시험분석 결과 ··················································································· 33

- X -
< 표 28> 함량 검출된 어린이용품의 위해성 평가 결과 ····················································· 36

< 표 29> 위해도초과 진단물질의 노출경로별 노출량 및 위해도 확인 ························· 37

< 표 30> 환경유해인자 기준 위반제품 및 위해도 기준 초과 용품 현황 ························· 37

< 표 31> 전문분야 및 자격 요건 ······························································································· 39

< 표 32> 어린이용품 전문인력 구성 현황 ··············································································· 40

< 표 33> 어린이용품 자문위원회 운영 현황 ··········································································· 40

< 표 34>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현황 ······························································· 49

- XI -
그 림 목 차

< 그림 1>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검출사례 보도 현황 ····························································· 3

< 그림 2> 어린이용품 설문조사 현황 ························································································· 9

< 그림 3> 어린이용품 실태조사 보도자료 ··············································································· 10

< 그림 4> 과업지시서에 따른 어린이용품 품목 및 재질별 년 실태 조사규모 ·······


2020 11

< 그림 5> 어린이용품 구매를 위한 업무절차 ········································································· 16

< 그림 6> 년 어린이용품 실태조사 구매목록


2020 화면 예시 ·······································
DB ( ) 17

< 그림 7> 위해성 평가 대상물질 선정 절차 ······································································· 19

< 그림 8> 평가대상물질의 독성자료 확보 절차 ····································································· 20

< 그림 9> 독성정보 구축 방법 ···································································································22

< 그림 10> 평가대상물질 독성정보 구축예시 ········································································· 24

< 그림 11> 전이량시험 분석 대상 확인 ················································································· 30

< 그림 12> 환경유해인자 함유 어린이용품 위해성 평가 전체 절차 ····························· 34

< 그림 13> 성체 대비 유체
(adult animals) 의 발암 잠재력 차이 고찰
(juvenile animals) (EPA, 2005) ····· 35

< 그림 14> 대면 상담창구 모습 ································································································· 42

< 그림 15> 상담센터 운영체계 ···································································································43

< 그림 16>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상담센터 상담일지 샘플 ·················································


( ) 43

< 그림 17>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리플릿 및 안내문 ····················································· 44

< 그림 18>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사례집 ····························································


Q&A 45

- XII -
제 1장 서론
제1장

1. 과업 배경 및 목적
제2장
2. 과업의 범위

3. 연구 추진 절차 제3장

참고문헌
1. 과업 배경 및 목적
1.1 과업 배경
❍ 어린이는 성인보다 화학물질 노출 시 흡수율이 높고, 면역기능이 미발달하여 유해
화학물질 노출에 취약
- 어린이용품에서 유해물질이 지속적으로 검출됨에 따라 유·위해성 관리에 대한 사회적
요구 지속적으로 증가

<그림 1>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검출사례 보도 현황

❍ 환경부에서는 어린이의 화학물질 취약성 등을 고려하여 「환경보건법」제24조에


따라 환경유해인자(263종)를 지정·관리 중
-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를 통해 위험지수(HQ 또는 ECR) 기준을 초과할 경우 판매
중지나 회수 권고
- 환경유해인자 중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4종)*를 지정하고 안전기준 및 표시규정을
준수하도록 의무화
* DINP, DNOP, 노닐페놀, TBT

1.2 목 적
❍ 시중 유통되고 있는 어린이용품 내 함유되어 어린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유해인자의 함유여부를 확인하고 위해성평가 및 관련 기준 준수여부 확인을
통해 유해제품 시중 유통차단 및 어린이용품 안전성 확보
2. 과업 범위
2.1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함유 실태조사
❍ 조사대상*, 재질, 환경유해인자 검출 사례 등을 고려하여 실태조사 계획 수립
*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중장기 로드맵 및 일반 국민 의견 반영
❍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기준 준수여부 조사
- 플라스틱, 목재, 잉크 제품에 함유된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4종)* 전이량 또는 함량
분석 및 기준 준수여부 확인
* DINP, DNOP, TBT, 노닐페놀
-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함유 어린이용품의 표시규정* 준수여부 확인
*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표시방법과 내용 등에 관한 규정(환경부고시 제2017-232호, 2017.12.26.)

- 3 -
❍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실시
- 「환경보건법」제24조제1항에 따른 환경유해인자 263종 중 대상물질을 선정하여
함유량 분석 및 위해성평가* 실시
*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절차와 방법 등에 관한 지침(환경부예규 제585호, 2016.7.25.) 준수
※ 유해성, 관리 시급성, 규제 동향, 그간 추진현황 등을 고려하여 물질 선정

❍ 실태조사 결과보고 및 후속조치 지원


-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기준 위반제품 및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위해지수 초과
제품 등 실태조사 결과보고
- 기준 위반 및 위해지수 초과제품 후속조치 지원

2.2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자문위원단 구성·운영


❍ (구 성) 환경유해인자 시험분석, 위해성평가, 화학물질, 어린이용품 정책 등 과업
수행내용과 관련된 전문가 5명 내외
❍ (역 할) 과업수행 계획 및 결과의 신뢰성 및 적정성 등 검토
- 조사대상 어린이용품*의 적합여부
* 사용 연령, 사용 빈도, 표시사항, 용품 광고 등 고려
-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결과의 신뢰성 및 적합성 검토
-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결과의 특이사항 검토
❍ (운 영) 총 3회 이상 대면 운영

2.3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상담센터 운영


❍ (기반조성) 상담 인력 배치, 유선상담 회선 마련, 상담 일지 마련 등
❍ (상 담)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및 위해성평가,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표시
규정 등 어린이용품 관련 사업자 제도 상담
❍ (사례집 마련) 주요 문의사항 등을 중심으로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제도 Q&A
사례집 발간

<표 1> 사업 내용 및 주요 성과물

주요 내용 세부내용 성과물

▪ 실태조사 계획 수립 ▪실태조사 계획(안)


환경유해인자 ▪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사용제한물질 분석결과
실태조사 ▪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위해성평가 결과
▪ 실태조사 결과보고 및 후속조치 지원 ▪실태조사 결고보고

자문위원단 ▪ 어린이용품 자문위원단 구성 ▪어린이용품 전문가 인력풀


구성·운영 ▪ 어린이용품 자문위원단 운영 ▪자문 위원회 운영(3회 이상)

상담센터 ▪ 상담센터 기반 조성 및 운영 ▪콜 및 대면 상담채널 마련


운영 ▪ 어린이용품 안전관리제도 상담 ▪어린이용품 Q&A 사례집

- 4 -
제 2장 연구결과
제1장

1.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함유 실태조사


제2장
2.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자문위원단 구성·운영

3.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상담센터 운영 제3장

참고문헌
- 6 -
1.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함유 실태조사

1.1. 어린이용품 함유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계획 수립

1.1.1 어린이용품 실태조사 제품 구매계획 수립

1.1.1.1 어린이용품 중장기 실태조사 계획(안) 확인

❍ 어린이용품 함유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관리 개선을 위한 연구(Ⅱ)(국립환경과학원,


2019년)을 참고하여, 선행연구 (2019년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사업)에서
마련한 어린이용품 중장기 실태조사(2020~2024) 계획(안) 확인
<표 2>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중장기(2020~2024) 계획

주 연차별 (5개년) 추진계획


물 요
질 고
대상제품군 세부제품군
집 려 ‘20 ‘21 ‘22 ‘23 ‘24
단 재 년 년 년 년 년

섬유제품,
섬 가죽제품, 공예용품, 놀이완구,
어린이용 장신구,
유, 물놀이용품, 미술공예 완구, 봉제인형,
유아용품, 문구류,
수유용품, 스포츠/여가용품, 아동용
Gr 완구류, 도서류,
가 섬유제품, 야영완구 등 섬유·가죽이 주
ou 물놀이기구,
죽 재질인 어린이용품
p 생활용품
1 놀이기구, 문구류, 물놀이용품, 수유용품, 스포츠/여가용품,
고 물놀이기구, 승용완구, 어린이보호 및 보조용품,
무 생활용품, 완구류, 운동완구, 유아완구 등 고무가 주 재질인
유아용품 어린이용품
공예용품, 미술공예완구, 악세사리,
어린이용 장신구,
학용품 등 금속·전자제품이 주 재질인
문구류, 완구류
금 어린이용품
속,
응원용품, 학습관련 완구 등
전 생활용품, 완구류
금속·전자제품이 주 재질인 어린이용품

제 도서류, 문구류, 가구류, 공예용품, 기타완구, 눈보호용품,
품 물놀이기구, 승용완구, 악기완구, 우산 및 양산,
생활용품, 놀이기구, 운동완구, 자석완구 등 금속·전자제품이
Gr
목재제품, 완구류 주 재질인 어린이용품
ou
문구류, 섬유제품, 공예용품, 놀이완구, 미술공예완구, 봉제인형,
p
어린이용 장신구, 수유용품, 아동용 섬유제품, 악세사리, 야영완구
2
완구류, 유아용품 등 플라스틱이 주 재질인 어린이용품
물놀이용품, 유아용 캐리어, 응원용품, 자동차용
플 물놀이기구,
어린이 보호장치, 파티완구, 학습완구 등
라 생활용품, 완구류
플라스틱이 주 재질인 어린이용품

놀이기구, 도서류,
틱 가구류, 공예용품, 기능성완구, 눈
목재제품, 문구류,
보호용품, 물놀이욕조, 물놀이용품,
물놀이기구,
미술공예완구, 수유용품, 스포츠/여가용품
생활용품, 완구류,
등 플라스틱이 주 재질인 어린이용품
유아용품

- 7 -
주 연차별 (5개년) 추진계획
물 요
질 고
집 려 대상제품군 세부제품군
‘20 ‘21 ‘22 ‘23 ‘24
단 재 년 년 년 년 년


공예용품, 미술공예완구, 학용품,

문구류, 완구류 기타완구 등 화학물질이 주 재질인

어린이용품

Gr
도서류, 문구류, 공예용품, 수유용품, 응원용품, 일회용
ou 종
생활용품, 완구류, 기저귀, 장식용품, 학습지 및 도서류,
p 이
유아용품 학용품 등 종이가 주 재질인 어린이용품
3
가구류, 공예용품, 미술공예완구,
놀이기구,
나 승용완구, 악기완구, 응원용품, 장식용품,
목재제품, 문구류,
무 조종완구 등 나무가 주 재질인
생활용품, 완구류
어린이용품

❍ 이중,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중장기(2020~2024) 계획서를 확인하여


2020년 실태조사를 위한 재질 및 대상제품군 검토

<표 3>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중장기(2020~2024) 계획 중 ‘20년 대상 검토

주요
물질
고려 대상제품군 세부제품군 ‘20년
집단
재질
Gro 섬유 섬유제품, 어린이용 장신구, 가죽제품, 공예용품, 놀이완구, 물놀이용품, 미술공예 완구,
up , 유아용품, 문구류, 완구류, 봉제인형, 수유용품, 스포츠/여가용품, 아동용 섬유제품,
1 가죽 도서류, 물놀이기구, 생활용품 야영완구 등 섬유·가죽이 주 재질인 어린이용품
금속
, 어린이용 장신구, 공예용품, 미술공예완구, 악세사리, 학용품 등
Gro 전자 문구류, 완구류 금속·전자제품이 주 재질인 어린이용품
up 제품
2 문구류, 섬유제품, 공예용품, 놀이완구, 미술공예완구, 봉제인형, 수유용품,
플라
어린이용 장신구, 아동용 섬유제품, 악세사리, 야영완구 등 플라스틱이
스틱
완구류, 유아용품 주 재질인 어린이용품
Gro
화학 공예용품, 미술공예완구, 학용품, 기타완구 등
up 문구류, 완구류
물질 화학물질이 주 재질인 어린이용품
3

1.1.1.2 일반국민의견 반영을 위한 설문조사 실시


❍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교사 및 어린이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2020년 실태조사 제품 외에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생각되는 제품 확인을
위한 설문 실시
- (조사방법) 패널을 이용한 온라인 조사
- (조사대상) 전국 어린이집·유치원·초등학교 교사(200명) 및 0~9세의 자녀를 둔
학부모 300명
- (조사규모) 총 600명 (원샘플 500명+오버샘플 100명)

- 8 -
<그림 2> 어린이용품 설문조사 현황

❍ 설문조사 결과 현재 실태조사 대상인 제품 및 타법 관리제품(어린이 샴푸, 화장품 등)을


제외한 14개의 제품군이 도출되어 실태조사 대상에 포함
<표 4> 설문조사를 통한 일반국민 관심 어린이용품

NO 용품명 제품예시 NO 용품명 제품예시

1 반짝이풀 8 샴푸캡

2 촉감완구 9 샤워퍼프

3 낙서펜 10 모서리보호대

4 타투스티커 11 목보호쿠션

5 색깔풀 12 실리콘 턱받이

6 색종이 13 무릎보호대

7 파스텔 14 손끼임방지

- 9 -
1.1.1.3 선행보고서 및 보도자료의 이슈제품 확인

❍ 2016년 이후 수행된 어린이용품 함유 유해인자 실태조사 선행연구 및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검출사례 관련 보도자료 조사를 통해 환경유해인자 함유로 위해가능성이
있는 어린이용품 추가 선정
- 2018년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사업(환경부, 2018)
- 2017년 어린이용품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준수실태 조사(환경부, 2018)
- 2017년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실태조사 사업(환경부, 2017)
- 2016년 어린이용품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준수실태 조사(환경부, 2017)
- 2016년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실태조사 사업(환경부, 2016)
- 어린이용품 사용제한 준수실태 조사 사업(환경부, 2016)

<그림 3> 어린이용품 실태조사 보도자료

1.1.2.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대상 제품 구매

❍ 유해물질에 따라 사용제한물질 함유 가능 제품군, 환경유해인자 함유 가능 제품군


으로 구분하여 제품 구매 실시

❍ 어린이용품 선정을 위한 기준은 어린이용품 가이드라인(국가기술표준원고시 제2015-195)


및 2019년 어린이용품 실태조사자료를 참고하여 작성 후 전문가 의견수렴
- 어린이용품 구매를 위해 판매되고 있는 시중 어린이용품 규격 확인

- 10 -
<표 5> 어린이용품 구매를 위한 전용 규격확인

구분 규격

신발 55~210mm
일반의류 유아복 50~160, 아동복 3~15호
양말류 1~6호, XS,S,M,L호
내의류 45, 55
의류
수영복 50~80 (어린이 평균체형 가슴둘레기준으로 제작됨)
모자 44, 48, 50, 54
장갑 어린이용, 아동용 기재
야구글러브 영·유아 9인치, 유소년 10.5-11인치
핸드볼 주니어용 2호, 축구공 주니어용 4호 이하, 농구공

주니어용 5호 이하

- 어린이용품 가이드라인(국가기술표준원고시 제2015-195) 및 2019년 어린이용품 실태


조사자료를 참고한 어린이용품 구매 우선순위 기준(안) 마련

<표 6> 어린이용품 구매 우선순위 기준(안)

구분 규격
1순위 어린이용품으로 인증 받거나, 어린이전용 용품 규격 또는 해당 연령 사용표시 용품
2순위 만 13세 이하 어린이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포장, 진열, 홍보, 광고 할  경우
일반적인 어린이용품으로 분류되지 않더라도, 다음의 사유에 해당될 경우, 어린이
용품으로 분류함
3순위 -어린이의 보호와 안전, 학습 등의 이유로 사용되는 용품
-용품의 크기가 어린이가 사용할 수 있도록 작은 용품
-어린이 선호 캐릭터 반영 용품
어린이가 좋아하는 캐릭터를 반영한 용품이라도 어린이가 직접사용하는 것이 아닌
구매 제외
장식품으로 사용되어 전시를 위한 목적이 있는 경우 (피규어 등)

❍ 로드맵에 반영된 제품 2,340개 어린이용품과 설문조사 및 이슈용품 160개 어린이


용품, 총 2,500개 어린이용품 구매

<그림 4> 과업지시서에 따른 어린이용품 품목 및 재질별 2020년 실태 조사규모

- 11 -
❍ 어린이용품은 크게 문구/도서류, 완구류, 놀이기구, 생활용품으로 분류하여, 20년
대상 재질인 금속, 목재, 섬유, 잉크(화학물질),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조사를 실시
하였음

<표 7> 품목 분류 및 어린이용품 재질별 조사대상 규모

조사대상규모
분류 제품군수 조사대상 재질
수량 비율
스탬프, 자수공예, 필통(섬유), 크레파스, 크레용,
문구/ 필통, 색종이, 파스텔, 색깔풀, 낙서펜, 색연필류, 목재, 섬유, 잉크,
20 450 36.8%
도서류 스티커북, 물감, 볼펜, 사인펜, 지우개, 샤프·연필, 플라스틱, 기타
목재연필, 지우게, 반짝이풀,
영유아용 책, 머리 장식품, 어린이용시계, 열쇠
고리, 오뚝이, 블록류, 기타 장신구, 퍼즐류, 물총,
만들기완구, 플라스틱 운동완구, 손톱장식, 점토
완구, 손선풍기, 풍선, 목욕완구, 타투스티커,
금속, 목재, 섬유,
완구류 기타악기류, 귀고리,반지 등, 기타장신구(금속), 30 919 18.0%
플라스틱
탬버린, 봉제인형, 기타악기류(금속), 열쇠고리
(금속), 머리장식품, 모형완구, 플라스틱인형,
치아발육기, 자석완구, 만들기 완구, 기타장신구,
촉감완구, 플라스틱운동완구
놀이기구 실내놀이용바닥매트 1 플라스틱 20 44.4%
글러브, 가방류, 공, 귀마개, 기저귀 카바, 기타
섬유제품, 머리띠, 모서리보호대, 모자, 목도리,
목보호쿠션, 무릎보호대, 물놀이 전용 신발,
비치용 가운류, 비치용가방, 샤워퍼프, 샴푸캡,
속싸보, 속옷내의류 포함, 손끼임방지, 손발싸개,
생활용품 39 플라스틱, 섬유 1111 0.8%
손수건,, 수영복, 식기류케이스, 신발, 실리콘턱
받이, 아동외의류, 아동중의류, 야외용 매트,
양말류, 영유아의류,우비, 유아용 노리개 젖꼭지
걸이, 장갑, 줄넘기, 천기저귀, 침구류, 타올류,
턱받이
총계   94 100% 2,500 100%

- 2020년 어린이용품 실태조사는 금속 재질 160개 용품, 목재 재질 110개 용품, 잉크


재질 120개 용품, 플라스틱 재질 1063개 용품, 섬유 재질 1025개 용품, 기타 재질
22개 용품을 구매하여 진행하였음
<표 8> 어린이용품 실태조사 제품 구매 규모(상세)

재질 대분류 중분류 제품군 수량 비고


교육용완구 자석완구 40
기타완구 열쇠고리 20
기타 악기류 20
금속 완구류 미디어완구
탬버린 20
귀고리, 반지 등 40
액세서리
기타 장신구 20

- 12 -
재질 대분류 중분류 제품군 수량 비고
문구/도서류 문구용품 샤프·연필 30 사용제한물질검토
교육용 완구 퍼즐류 30 사용제한물질검토
목재
완구류 기타 완구 만들기 완구 20 사용제한물질검토
놀이용 장난감 블럭류 30 사용제한물질검토
볼펜 30 사용제한물질검토
색깔풀 6 염료분석
문구용품
낙서펜 4 염료분석
잉크&플라스틱 문구/도서류 사인펜 30 사용제한물질검토
스탬프 30 사용제한물질검토
회화용품 30 사용제한물질검토
물감
6 방부제 분석
실내놀이용
놀이기구 놀이방매트 20 사용제한물질검토
바닥매트
도서류 스티커북 30 사용제한물질검토
낙서펜 1
반짝이풀 5
샤프연필 30 사용제한물질검토
문구용품 1 사용제한물질검토
지우개
문구/도서류 30
31
필통
6 사용제한물질검토
색연필류 30 사용제한물질검토
회화용품 크레용 30
크레파스 30 사용제한물질검토
실리콘턱받이 11
수유용품 유아용 노리개
15 사용제한물질검토
젖꼭지 걸이
공 31 사용제한물질검토
스포츠/여가용
플라스틱 야외용 매트 20

줄넘기 10
식품용기 식기류케이스 1
모서리보호대 5
무릎보호대 10
생활용품 안전용품 샤워퍼프 9
샴푸캡 10
손끼임방지 10
가방류 2
모자 1
물놀이 전용
의류/가방류 31 사용제한물질검토
신발
비치용가방 23
우비 32
교육용완구 퍼즐류 40 사용제한물질검토
완구류 만들기완구 40 사용제한물질검토
기타완구
손선풍기 20 사용제한물질검토

- 13 -
재질 대분류 중분류 제품군 수량 비고

열쇠고리 20 사용제한물질검토

15 방부제류 검토
기타완구 촉감완구
11

풍선 31 사용제한물질검토

모형완구 30 사용제한물질검토

블럭류 30 사용제한물질검토

1 방부제류 검토

점토완구 20 사용제한물질검토
놀이용장난감
20

플라스틱 20 사용제한물질검토
운동완구
1

플라스틱 완구류 플라스틱인형 21 사용제한물질검토

목욕완구 30 사용제한물질검토
물놀이 용품
물총 30 사용제한물질검토

미디어완구 기타악기류 30 사용제한물질검토

타투스티커 8 염료류 검토

기타 장신구 30 사용제한물질검토

머리 장식품 20 사용제한물질검토
액세사리

손톱장식 30 사용제한물질검토

어린이용시계 21 사용제한물질검토

오뚝이 30 사용제한물질검토
유아용장난감
치아발육기 40

- 14 -
재질 대분류 중분류 제품군 수량 비고
공예용품 자수공예 15
문구/도서류
문구용품 필통(섬유) 30  
스포츠/여가용
글러브 20  

식품용기 식기류케이스 20  
안전용품 목보호쿠션 10 방염제류 검토
기저귀 카바 20  
속싸보 30  
손발싸개 40  
위생용품 손수건 20  
천기저귀 20  
타올류 40  
턱받이 40  
기타 섬유제품 40  
가방류 60  
섬유
생활용품 귀마개 30  
머리띠 30  
모자 30  
목도리 30  
비치용 가운류 30  
속옷내의류 포함 50  
의류/가방류
수영복 30  
신발 30  
아동외의류 50  
아동중의류 50  
양말류 60  
영유아의류 40  
장갑 30  
침구류 40  
완구류 놀이용장난감 봉제인형 40  
액세서리 머리장식품 20  
섬유 완구류
학습완구 영유아용 책 30  
문구용품 색종이 14 염료류 검토
기타 문구/도서류
회화용품 파스텔 1 염료류 검토

- 15 -
❍ 어린이용품 실태조사는 코로나 등 사회적 상황으로 비대면 온라인 쇼핑몰 위주로
진행
- 어린이용품 온라인 판매처에 기재 된 제품의 재질 및 제품 사용연령, KC인증 등을
확인하여 제품 구매 실시

<그림 5> 어린이용품 구매를 위한 업무절차

1.1.2.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구매목록 DB 작성

❍ 2020년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대상 제품 2,500건에 대하여 구매한 제품의 정보를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하였음

❍ 사용제한물질조사 대상 제품의 중 프탈레이트 함량이 검출된 경우는 전이량 분석


을 실시하여 해당 정보를 기재함

<표 9> 어린이용품 실태조사 구매목록DB 구성

사용제한 표시기준
공통정보(2500개 용품)
대상용품(1260건)
제품군 정보 분석의뢰정보 분석결과1 표시 및 구매 정보 분석결과2 표시기준
•구매번호 •용품그룹 •분석부분 •수입사 •DINP 전이량 •기재 여부
•용품번호 •진단재질 •분석부위사진 •제조사 (경피/경구 )
•대분류 •진단물질 •TBT •판매사 •DNOP전이량
•중분류 •분석기관 •프탈레이트함량5종* •유통사 •(경피/경구 )
•용품이군 •유화제2종(NP, NPE) •제조국
•용품사진 •보존제 5종* •제조년월
•용품명 •염료류6종* •KC인증번호
•글리옥살 •바코드
• 방 염 제 ( T C E P ,   •용품구매링크
DBDE) •용품구매처
•금속 3종(Be, Co, Cr) •사용연령
* 프탈레이트 함량 5종 : DINP, DNOP, DIBP, DEP, DCHP
보존제 5종 : CMIT, MIT, OIT BIT, DCOIT
염료류 6종 : 4-Methoxyaniline, Aniline, C.I. Basic Violet 003, C.I. Basic Red 009, C.I. Disperse Blue
001, C.I. Acid Violet 049

- 16 -
<그림 6> 2020년 어린이용품 실태조사 구매목록 DB화면(예시)

1.2.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기준 준수여부 조사

1.2.1. 플라스틱, 목재, 잉크 함유 용품에 대한 사용제한 환경유해자 기준준수 여부 확인

❍ 사용제한유해인자인 TBT, 노닐페놀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플라스틱, 목재, 화학


물질(잉크) 재질의 제품 1,260건에 대하여,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표시방법과
내용 등에 관한 규정(환경부고시 제2017-232호, 2017.12.26.)’에 의거하여 표시기준
준수여부 확인 실시

<표 10> 어린이용품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명칭 및 제한 내용

환경유해인자 명칭
제한내용 용도
(영문명, CAS 번호)
다이이소노닐프탈레이트
경구노출에 따른 전이량 4.01×10-1 ㎍/cm2/min 어린이용 플라스틱
(Diiosononyl phthalate;
경피노출에 따른 전이량 2.20×10-2 ㎍/cm2/min 제품
DINP, 028553-12-0)
다이-n-옥틸프탈레이트
경구노출에 따른 전이량 9.90×10-1 ㎍/cm2/min, 어린이용 플라스틱
(Di-n-octyl phthalate;
경피노출에 따른 전이량 5.50×10-2 ㎍/cm2/min 제품
DNOP, 000117-84-0)
트라이뷰틸 주석
트라이뷰틸 주석 및 이를 0.1% 이상 함유한
(Tributyltin compounds, 어린이용 목재제품
혼합물질 사용 금지
688-73-3)
노닐페놀
노닐페놀 및 이를 0.1% 이상 함유한 혼합물질
(Nonylphenol, 어린이용 잉크제품
사용 금지
025154-52-3)

❍ 전체 1,260개 제품 중 DINP가 검출 된 제품이 3건, 노닐페놀이 검출된 제품이 2건으로


총 5개 제품에서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가 검출되었으나, 기준을 초과하는 제품은
없는 것으로 확인됨

- 17 -
<표 11>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결과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4종) 검출 현황 전이량


구매 조사
구 분 또는 함량
용품 용품 계 DNOP DINP TBT 노닐페놀 기준초과
계 2,500 1260 5 - 3 - 2 -

문구/도서류 435 360 2 - - - 2 -

완구류 850 630 2 - 2 - - -

놀이기구 20 20 - - - - - -

생활용품 1,035 155 1 - 1 - - -

이슈품목 160 95 - - - - - -

❍ 이중,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가 검출 된 제품 중 3건의 제품 표시기준 규정 위반으로


의심
<표 12>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검출 제품 시험분석결과

연 사용제한 표시기준
제품군 함량 경구전이량 경피전이량 비고
번 유해인자 기재여부
플라스틱 인형
1 열쇠고리 DINP 4.5 % ND ND 미기재
열쇠고리
2 퍼즐류 DINP 0.4 % ND ND 미기재 -

3 이슈용품 DINP 29.0% 0.294μg/cm2/min ND 미기재 비대상

4 물감 NP 3.33mg/kg - - 기재 -

5 물감 NP 0.56mg/kg - - 미기재 -

1.3.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실시

1.3.1. 대상물질 선정

❍ 조사품목에 함유된 평가대상 물질군의 범위는 환경보건법 제24조제1항에 따른 환경


유해인자 263종(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4종 포함) 중 ‘2020년 어린이용품 환경유해
인자 중장기 로드맵’에 명시되어 있는 조사대상 품목의 재질을 고려하여 함유 물
질군 우선 선정
- 총 176종 : Alcohol (21종), Aldehyde (1종), Amine (14종), Azo compounds (1종),
Benzoic acid (1종), Carboxylic acid (15종), Heterocyclic compounds (12종),
Hydrocarbon (64종), Inorganic compounds (14종), Metal (3종), Nitrile (6종), Nitroso
compounds (1종), Organophosphorous compounds (3종), Phthalate (5종), Quinone
(1종), Sulfur compounds (3종), Unclassified (11종)

- 18 -
❍ 어린이용품 함유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 평가를 위하여 함유량 분석이 가능하고 정량적
독성정보 확보 필요
- 2020년 조사대상 품목 함유 물질(176종) 중 국가공인시험법과 정량적 독성정보 존재
여부를 고려하여 평가대상 후보물질로 선별
「환경보건법」 등에 따른 환경유해인자 시험방법 적용 및 준용,
- 국가공인시험법: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준용 등
❍ 국가공인시험법 및 독성정보가 모두 확보된 환경유해인자 85종 중 노출 시 어린이
건강에 막대한 위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유해성 추정물질(발암성, 생식세포변이
원성 물질, 생식독성, 표적장기독성(반복노출))을 평가대상 후보물질로 선정(45종)

❍ 국내·외 이슈물질까지 고려하여 조사대상 어린이용품 함유 및 노출 개연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질 21종을 평가대상물질로 최종 선정
- 국내·외 관심 물질(7종): 잉크 및 섬유, 플라스틱 재질 어린이용품에서 함량기준
초과 사례가 있는 기평가 물질(군)과 미국 우선평가대상 물질 포함

§ 보존제류(5종): MIT, CMIT, BIT, OIT, DCOIT

§ 가소제류(1종): DEP

§ 방염제류(1종): DBDE
- 국내·외 신규 관심 물질(2종): 환경유해인자 263종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어린이
용품에서 함량기준 초과 사례가 있는 물질과 미국 소비자 제품 안전위원회(CPSC) 아동용
제품 관리 물질 포함

§ 유화제류(1종):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

§ 가소제류(1종): DCHP

<그림 7> 위해성 평가 대상물질 선정 절차

- 19 -
<표 13> 위해성 평가대상 최종 선정물질

평가대상 물질군 제품군


가소제류(3종) DIBP, DEP, DCHP*
유화제류(1종)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
보존제류(5종) MIT, CMIT, OIT, BIT, DCOIT
4-Methoxyaniline, Aniline, C.I. Basic Violet 003, C.I. Basic Red 009,
염료류(6종)
C.I. Disperse Blue 001, C.I. Acid Violet 049
방염제류(2종) TCEP, DBDE
금속류(3종) Be, Co, Cr(VI)
기타(1종) 글리옥살
* 환경유해인자 263종 이외 국제적 관심 물질 2종 포함

1.3.2. 환경유해인자 독성정보 구축

1.3.2.1. 환경유해인자 독성정보 확보 절차

❍ 2020년 조사대상 어린이용품 함유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 평가를 위해 함유량 조사


대상물질에 대한 독성정보 구축 및 어린이 특이적 참고치 도출은 다음과 같이 진행

❍ 평가대상 21종에 대해 CMR 등 유해성 분류 확인


- 국내·외 가용한 독성정보를 수집할 때, 다양한 국가기관에서의 독성 시험자료 수집
§ 다양한 독성 영향(급성독성, 반복투여독성, 발암성, 돌연변이원성, 생식독성, 발달
독성)에 대한 자료 수집
§ 다양한 국가 기관에서 독성 참고치를 제시한 경우 해당 자료도 같이 수집
- 각각의 독성영향별, 노출경로별 NO(A)EL(C)값을 확인하고, 특히 어린이 관련 독성
영향 자료를 중점적으로 검토
- 검토된 자료를 바탕으로 어린이 특이적 독성 참고치 도출

<그림 8> 평가대상물질의 독성자료 확보 절차

- 20 -
1.3.2.2. 독성정보 수집 자료원

❍ 독성정보 수집 시 위해성 평가 관련 지침1)을 통해 마련된 인체 영향·독성정보 검색


자료원을 중심으로 자료 수집

❍ 국내·외 정부기관 발간보고서와 국내·외 정부기관 및 국제기구 DB 정보 등 다양한


독성정보 자료원을 검토하여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독성정보 확인

<표 14> 독성정보 수집 주요 자료원

구분 자료원

·US EPA RED(Reregistration Eligibility Decision)


국내·외 ·ECHA Assessment Report (Biocidal Active Substance)
정부기관 ·국립환경과학원
발간보고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식품의약품안전처

·US CDC(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TSDR(Agency for


Toxic Substances & Disease Registry)
·US EPA IRIS
·US EPA HAPs
·US California EPA
국내·외
·ECHA Registered substance
정부기관 및
·OECD SIDS(Screening Information Data Set)
국제기구 DB
·일본안전성평가보고서
정보
·EU RAR(Risk Assessment Report)
·IPCS EHC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Monographs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식품의약품안전처 독성정보시스템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

1) 위해성 평가 관련 지침
- 환경부 예규 제585호(2016).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절차와 방법 등에 관한 지침. [별표
14] 유해성 확인 관련 자료원
-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20-1호(2020).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 [별표 2]
유해성자료를 이용한 화학물질의 유해성 확인

- 21 -
1.3.2.3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독성정보 확보

❍ 독성정보 수집 주요 자료원에서 평가대상물질에 대한 독성정보 유무 확인

❍ 노출경로별(경구, 경피, 흡입)로 다양한 독성 영향에 대한 자료 수집

❍ 자료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가능한 신뢰도가 확인되고, GLP 또는 구체적인 시험법이


제시된 자료를 우선적으로 검토

❍ 선정기준에 따라 평가에 사용될 Key data를 선정하여 어린이용품 위해성 평가에


활용할 독성정보 확보

<그림 9> 독성정보 구축 방법

❍ 독성정보 구축은 물질 기본정보, 시험정보, 주요영향, 독성값, 자료특성 등 다양한


정보 구축
- 기본정보: CAS No., 물질명
- 시험정보: 실험생물종, 성별, 개체수, 노출경로(경구, 경피, 흡입), 노출기간, 순도,
투여농도, 시험법, 신뢰도, GLP 여부
- 주요영향: 급성독성, 자극성/부식성, 과민성, 유전독성, 반복독성, 발암성, 생식독성,
발달독성, 최기형성 등 주요 종말점에 대한 독성 영향 정보
- 독성값: 용량 기술자 (NOAEL, NOEL, LOAEL, NOAEC, NOEC, LOEC 등), 독성값
및 단위

- 22 -
- 자료특성: Key data 여부, Read across data 여부
- 기타: 불확실성 상수 및 근거, 참고치 (RfD, RfC 등)
- 각각의 독성영향별, 노출경로별 NO(A)EL(C)값을 확인하고, 특히 어린이 관련 독성
- 참고문헌: 해당 정보 제공 자료원 및 년도

<표 15> 평가대상물질에 대한 노출경로별 독성정보 확보 현황

독성정보 현황
No. 물질명 CAS No.
경구 경피 흡입
1 4-Methoxyaniline 000104-94-9 O  
2 Aniline 000062-53-3 O O
3 C.I. Basic Violet 003 000548-62-9 O  
4 C.I. Acid Violet 049 001694-09-3 O O
5 Beryllium 007440-41-7 O O
6 Cobalt 007440-48-4 O O
7 Chromium(VI) 018540-29-9 O O
8 Diisobutyl phthalate (DIBP) 000084-69-5 O  
9 Diethyl phthalate (DEP) 000084-66-2 O O  
10 Decabromodiphenyl oxide (DBDE) 001163-19-5 O  

009016-45-9
068412-54-4
11 Nonylphenol, ethoxylated (NPE) O O  
127087-87-0
026027-38-3

12 Dicyclohexyl phthalate (DCHP) 000084-61-7 O  


13 Glyoxal 000107-22-2 O O
14 C.I. Basic Red 009 000569-61-9 O
15 C.I. Disperse Blue 001 002475-45-8 O O
16 2-Octyl-3(2H)-isothiazolone (OIT) 026530-20-1 O O O
4,5-Dichloro-2-n-octyl-4-isothizaolin-3-one
17 064359-81-5 O O
(DCOIT)
18 1,2-Benzisothiazol-3(2H)-one (BIT) 002634-33-5 O O O
19 2-Methyl-4-isothiazolin-3-one (MIT) 002682-20-4 O O O
5-Chloro-2-methyl-4-isothiazolin-3-one
20 026172-55-4 O O O
(CMIT)
21 Tri(2-chloroethyl)phosphate (TCEP) 000115-96-8 O  

- 23 -
<그림 10> 평가대상물질 독성정보 구축예시

1.3.2.4. 위해성 평가에 사용되는 최종 독성값 및 평가계수 결정

❍ 어린이 특이적 최종 독성값 결정을 위해 국내·외 위해성 평가 관련 지침을 우선적


으로 적용
-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절차와 방법 등에 관한 지침(환경부예규 제585호)
-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20-1호)
- ECHA 위해성 평가 가이드라인: ECHA (2012) Guidance on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chemical safety assessment Chapter R.8: Characterization of dose-response
for human health
- 실험종간의 민감도 차이(종간 다양성) 및 사람간의 민감도 차이(종내 다양성)를 고려
- 종간 다양성 : 전신영향 평가 시 Rat 4, Mouse 7, Hamster 5, Guinea pig 3, Rabbit
2.4, Monkey 2, Dog 1.4 적용, 국소영향 평가 시 실험종과 관계없이 1 적용, 그 외
종간 차이를 고려 2.5를 추가로 적용, 역학 자료인 경우 전체 1을 적용
- 종내 다양성 : 일반인 10

- 24 -
❍ 어린이(영유아) 평가시 종내 안전력 확보를 위해 추가 안전계수 고려하여 ‘어린이
특이적 민감계수’결정
- 성인에 대한 독성참고치를 사용할 경우 추가로 ‘3’을 고려
- 발암성물질의 경우 연령보정계수(ADAF, Age Dependent Adjustments Factors)을 적용 :
2세 이전 노출(10배 보정), 2~16세 노출(3배 보정)

<표 16> 위해성 평가에 사용된 Key data 선정 기준

No. 구분 Key data 선정 기준

·신뢰도가 확인되는 자료 중심으로(Reliability code 1 또는 2) 구축


1 신뢰도
·GLP 여부, 실험 방법 및 조건 등에 대한 구체적 정보 검토

·노출경로가 일치하는 자료를 우선 적용.


2 노출 경로 ·단, EPA RED 또는 ECHA 바이오사이드 평가보고서에서 경로 외삽 적용한
경우에는 해당 자료를 인정하여 평가에 적용함

3 노출기간 ·노출 기간이 만성에 가까운 자료 우선

·모든 조건이 동일한 경우 가능한 역학 자료를 우선적으로 적용, 이후 사람과


4 실험생물종
종간 다양성이 적은 실험자료 채택

5 용량 기술자 ·NO(A)EL값을 우선 채택

6 시험물질 ·시험물질과 일치하는 자료를 우선적으로 선정(Read-across 등의 여부 확인)

7 보수성 ·낮은 독성값을 채택

·채택된 흡입독성자료에 대해, 동물실험시 노출조건(일일 노출시간, 노출


8 시작점 보정
빈도 등)을 고려하여 시작점 보정

- 위의 방법에 따라 평가대상물질 21종에 대한 노출경로별 최종 독성값 및 평가계수를


결정

1.3.3. 노출평가

1.3.3.1. 노출 시나리오

❍ 평가대상 어린이용품의 용도와 재질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인체 노출 가능 매트릭스


작성
- 사용대상 연령은 영아(만2세 미만), 유아(만 2~7세 미만), 어린이(만 7~13세 미만)으로
나누어 평가
- 인체 노출 가능 경로는 경구(직접섭취, 손빨기, 제품빨기), 흡입, 피부접촉(직·간접)로
구분하여 정립

- 25 -
<표 17> 평가대상 어린이용품 품목별 인체 노출 시나리오
사용대상 노출시나리오 노출평가 방법
재질 평가물질군 어린이용품(군)
(연령) 경구 경피 흡입 함량 전이량
완구류 6용품군 영·유아 고상형
금속 금속류 3종 제품빨기 - - √
(전체) (만 0-6세) 접촉
보존제류 5종,
문구/도서류 유아, 어린이 삼킴, 액상형
잉크 염료류 6종, 표면휘발 √ -
4용품군 (만 3-12세) 손 빨기 접촉
유화제류 1종
유아 삼킴+ 점착성
점토완구 - √ -
(만 3-6세) 제품빨기 접촉
실내바닥용매트,
영·유아 고상형
플라 야외용매트, - - √ √
가소제류 3종 (만 0-6세) 접촉
스틱 물놀이신발
영·유아,
제품빨기, 고상형
그 외 58용품군 어린이 - √ √
손 빨기 접촉
(만 0-12세)
염료류 6종,
영·유아,
방염제류 2종, 고상형
섬유 31용품군(전체) 어린이 제품빨기 표면휘발 √ √
기타 1종 접촉
(만 0-12세)
(글리옥살)
유아 점착성
촉감완구(슬라임) 삼킴 - √ -
보존제류 2종, (만 3-6세) 접촉
기타
염료류 4종 유아 고상형
타투스티커, 색종이 손 빨기 표면휘발 √ √
(만 3-6세) 접촉

1.3.3.2. 노출량 산출수식 및 노출계수 확립

❍ 노출량 산출수식은 환경부예규 제585호‘어린이용품 특성을 고려한 노출알고리즘


(제22조제2항 관련, 별표 18)’ 우선 적용

❍ 제품 함유 휘발성 성분의 흡입 노출은 적합한 수식이 없어 “생활화학제품 위해성


평가의 대상 및 방법 등에 관한 규정(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18-70호)” 중 흡입
(표면휘발) 수식 활용
<표 18> 노출 경로에 따른 시나리오별 노출량 산출수식

경로 시나리오 제품의 특성 노출알고리즘


 ×  × 
  

시나리오 빨거나 씹을 수   일일 섭취량
I: 빨거나 있는 제품 또는   유해물질의 인체 전이율 min 
씹음 부품   접촉 시간min
  접촉 면적  
경구   어린이의 체중
 × 
  
시나리오 액상 제품, 크기가 
II: 작은 제품, 코팅된   일일 섭취량
  제품 내 함유된 유해물질의 농도
삼킴 제품 등
  일일 섭취하는 제품의 양
  어린이의 체중

- 26 -
경로 시나리오 제품의 특성 노출알고리즘
 ×  ×  ×     
일반적으로 손으로   
시나리오 
만질 수 있는
III:   일일 섭취량
제품(목재, 플라스틱   유해물질의 인체 전이율min 
손을
등의 고형 제품,   접촉 시간min
입으로
표면 코팅 제품,   접촉면적  
가져감    피부흡수율 
섬유제품 등)
  어린이의 체중
 ×  ×  ×  ×     
  
시나리오 
  일일 섭취량
III(계속) : 피부에 흡착되는   제품내 함유된 유해물질의 농도
손을 제품(점토, 크레파스   접촉 시간 min
입으로 등)   단위 시간당 손에 묻은 제품의 양min 
가져감   접촉면적  
   피부흡수율
  어린이의체중
  ×  × 
 

 ×  × 
시나리오   

IV, V: 휘발물질 또는   공기중 유해물질의 농도  
흡입 휘발성물 먼지를 방출하는   제품 사용량
질 흡입, 제품   제품 중 성분비
  공기 중 방출비율
먼지흡입   일일 섭취량
  어린이의 호흡률 
  노출공간에서 활동시간
  어린이의 체중
 ×  ×  ×  
  
일반적인 피부 접촉 
가능 제품   일일 섭취량
(목재, 플라스틱   유해물질의 인체 전이율min 
등의 고형제품, 표면   접촉면적  
  접촉 시간min
코팅제품 등)    피부 흡수율
  어린이의 체중
 ×  ×  ×  ×  
  

시나리오   일일 섭취량
피부에 흡착되는   제품내 함유된 유해물질의 농도
경피 VI: 제품의 제품(점토, 크레파스   접촉 시간min
피부 접촉 등)   단위시간당 피부에 묻은 제품의 양min  
  접촉면적  
   피부 흡수율 
  어린이의 체중
 ×  ×  ×  
  

  일일 섭취량
유체 제품   제품내 함유된 화학물질의 농도
(화장품, 물감 등)   제품의 사용량회
  제품의 사용빈도회
   피부 흡수율 
  어린이의 체중
자료출처: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절차와 방법 등에 관한 지침(환경부예규 제585호, 별표18),
생활화학제품 위해성평가의 대상 및 방법 등에 관한 규정(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18-70호, 별표5, 공기
중 유해물질의 농도 수식(흡입,) 일부 적용)

- 27 -
❍ 어린이 노출행태 기반의 노출계수 값 결정
- 생리학적 특성(체중, 호흡률, 체표면적) 등 공통 노출계수는 ‘한국 어린이의 노출
계수 핸드북(국립환경과학원, 2019)’ 및 국립환경과학원 고시의 노출계수 값 활용
<표 19> 어린이용품 위해성 평가 공통 노출계수

노출계수 시험방법
출처
분류 항목 영아(만 0-2세) 유아(만 3-6세) 어린이(만 7-12세)
7.9(만 0-1세),
체중(kg) 18.8 36.9
8.7(만 0-2세)
생리 한국 어린이의
4,582(만 0-1세),
학적 체표면적(cm2) 8,336 12,675 노출계수 핸드북
5,372(만 0-2세)
특성 (국립환경과학원, 2019)
9.2(만 0-1세),
호흡률(m3/day) 10.4 11.8
9.5(만 0-2세)
생활화학용품
위해성평가의 대상 및
공간 거실: 33.3, 방(침실): 30.3,
실내체적(m3) 방법 등에 관한 규정
특성 공간 별도 지정되지 않을 때: 20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18-70호)

- 어린이용품 품목별 노출계수는 환경부예규 제585호‘어린이용품 중 환경 유해인자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노출계수(제22조제3항 관련, 별표 19)’에 제시된 정보원에 따
라 국내·외 유관부처의 노출계수 값 활용

<표 20> 어린이용품 품목별 노출계수

노출계수
평가대상 어린이용품군 출처
분류 항목 값
20 물감 잉크량
Children's Toys Fact
노출경로(흡입) 사용량(g/day) 4 스탬프 & 사인펜 잉크량
Sheet (RIVM, 2002)
0.3 볼펜 잉크량

Children's Toys Fact


0.3 사인펜
노출경로(삼킴) 경구 접촉량(g/day) Sheet (RIVM, 2002)

0.4 슬라임(이슈용품) DEPA (2020)


3 물감
경구 전이율 Children's Toys Fact
노출경로(손 빨기)
(ug/cm2/min) 0.6 스탬프, 색종이(이슈용품) Sheet (RIVM, 2002)

0.7 물감
Children's Toys Fact
노출경로 Sheet (RIVM, 2002)
경피 접촉량(g/회) 0.125 볼펜, 사인펜, 스탬프
(피부접촉, 유체제품)
2 슬라임(이슈용품) DEPA (2020)

- 28 -
- 물질별 피부흡수율: 피부흡수율은 피부에 접촉된 제품의 성분이 수용액 또는 땀에
녹아 피부로 흡수되는 비율을 의미, 물질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

§ 제품 접촉면적 및 시간, 피부점착량, 물질의 피부투과속도(Kp)를 이용해 피부 흡수율


추정
<표 21> 피부흡수율 추정식

경로 피부흡수율

피부흡수율  × 
추정식 피부흡수율      exp  ×  

Kp: 피부투과속도[cm/h]
피부 S: 접촉면적[cm2]
V: 피부에 점착된 부피[cm3]
설명
(고형완제품의 경우, 땀에 의해 피부에 도포된다고 가정,
S/V: 10 mg/cm2의 양이 땀에 의해서 체표면적당 흡수된다고 가정)
t: 사용시간[min]
(자료출처: RIVM, 2005, ConsExpo 4.0 Consumer Exposure and Uptake Models Program Manual)

- 표면에서 공기 중 방출비율(F): 제품 함유 휘발성 성분에 의한 흡입 노출 고려 시


공기 중 방출비율(F)은 물질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 “생활화학제품 위해성 평가의
대상 및 방법 등에 관한 규정(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18-70호, 별표 6)”에 따라
물질별로 산출하여 적용
<표 22> 표면에서 공기 중 방출비율 기본값

물질의 증기압 공기 중 방출비율 비고

10 Pa 이상 1
1~10 Pa 0.1 표면에서 휘발되는 시나리오 등에 적용
0.1~1 Pa 0.01 (단, 非스프레이 제품의 노출에 적용)
0.1 Pa 미만 0.001
(자료출처: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18-70호, 별표 6)

1.3.3.3. 함량 및 전이량 시험

❍ 최종 선정된 21종 물질의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가 지정 시험인증기관에


함량 분석 의뢰

❍ 직접 노출이 되지 않은 (고형)완제품의 경우, 함량이 검출된 제품 중 함량 적용한


위해성 평가 시 위해도를 초과한 제품(HQ>1 혹은 ECR>10-6)에 한하여 노출경로
(경구, 경피, 흡입)에 따른 전이량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
- 국내 어린이용품 함유 유해물질(군)의 전이량 분석은 환경유해인자 공정시험기준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18-55호)을 우선적으로 적용함

- 29 -
- 금속 재질 어린이용품은 함량 분석 없이 전이량 분석 바로 실시

<그림 11> 전이량시험 분석 대상 확인

- 경구 노출의 경우, 대상제품을 입으로 빠는 행위(Mouthing)에 의해 전이되는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입으로 빠는 행위에 의한 전이는 대상물질을 와류진탕
추출기(Head over heel rotator)를 이용하여 인공침으로 시료 추출
- 경피 노출의 경우, 제품의 피부접촉(Dermal Contact)에 의해 전이되는 농도를 측정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피부접촉에 의한 전이는 항온 건조기를 이용하여 인공땀
용액으로 시료 추출
- 흡입 노출의 경우, 대상제품 내 유해물질이 호흡을 통해 인체에 노출될 수 있는
최대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헤드스페이스(HS, head space)를 이용하여 고체 시료
로부터 물질 직접 추출
<표 23> 환경유해인자 공정시험기준 전이량 분석법

진단물질 시험방법
프탈레이트류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경구·경피 노출)
비스페놀 A 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법 (경구·경피 노출)
스티렌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경구·경피 노출)
아크릴아마이드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경구·경피 노출)
금속류 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방출분광법 (경구·경피 노출)
휘발성
헤드스페이스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경구·흡입 노출)
유기화합물류
아조염료류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경구·경피 노출)
착색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경구·경피 노출)
다환방향족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경구·경피 노출)
탄화수소류
(자료출처: 환경유해인자 공정시험기준,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18-55호)

- 30 -
1.3.3.4. 물질군별 함량 및 전이량 시험분석 결과

❍ 가소제류(3종)
- 플라스틱 재질 어린이용품(1,126개) 함량 분석 결과, 프탈레이트 가소제류 물질 중
2종 물질(DIBP, DEP), 24개 용품 검출
- 함량 적용 위해도를 초과한 전이량 분석 대상 플라스틱 재질 어린이용품(DIBP 함유
12개 용품)에서 DIBP의 전이량 모두 불검출

<표 24> 프탈레이트 가소제류의 함량 및 전이량 시험분석 결과

구분 물질명 검출 용품 완구류 생활용품 문구/도서류 놀이기구 이슈용품 비고


함량적용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위해초과
19 (0.004~ 4 15 0 0 0
(0.01~1) (0.004~35) N.D. N.D. N.D. 12개 용품
DIBP 35)
전이량 분석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12개 용품
0 0 0 - - -
프탈 N.D. N.D. N.D. (-) (-) (-) 전이량 불검출
레이트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가소제 5 (0.02~ 3 1 1 0 0 -
(0.05~0.09) (0.02) (21) N.D. N.D.
(개[중복], DEP 21)
%)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0 0 0 0 - - -
N.D. N.D. N.D. N.D. (-) (-)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0 0 0 0 0 0 -
N.D. N.D. N.D. N.D. N.D. N.D.
DCHP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 - - - - - -
(-) (-) (-) (-) (-) (-)
함량적용
함량
24 7 함량 16 함량 1 함량 0 함량 0 함량 위해초과
(0.004~
[0] [0] (0.01~1) [0] (0.004~35) [0] (21) [-] N.D. [-] N.D. 12개 용품
총 계 35)
전이량 분석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전이량 12개 용품
0 0 0 0 - -
N.D. N.D. N.D. (-) (-) (-) 전이량 불검출
*N.D.: Not Detected
물질별 검출한계(함량) 0.01% (전이량) 0.02mg/cm2/min

❍ 유화제류(1종)
- 잉크 재질 어린이용품(120개) 함량 분석 결과, 14개 용품에서 NPE 검출
- 검출된 NPE의 함량농도는 59~2,854 mg/kg으로 확인
- 산업통상자원부의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2017년 1월 31일 기준 유아용 섬유 제품
대상 NP와 NPE의 총 함량 100 mg/kg 기준 이하로 관리하고 있음, 섬유제품 이외의
제품에서도 NP와 NPE를 함께 모니터링하여 사용제한 물질로의 관리범위 확대에
대한 검토도 추후 필요

- 31 -
<표 25> 유화제류의 함량 시험분석 결과

구분 물질명 검출 용품 완구류 생활용품 문구/도서류 놀이기구 이슈용품 비고


유화제
NPE 14 (59~2,854) 0 N.D. 0 N.D. 14 (59~2,854) 0 N.D. 0 N.D. 함량검출
(개, mg/kg)
*N.D.: Not Detected
물질별 검출한계: 20mg/g

❍ 보존제류(5종)
- 잉크 및 기타 재질 어린이용품(볼펜, 사인펜, 물감, 점토완구, 촉감완구 포함 112개
용품)에서 보존제류 물질 중 4종 물질(MIT,CMIT, BIT, OIT), 62개 용품 검출
<표 26> 보존제류의 함량 시험분석 결과

구분 물질명 검출 용품 완구류 생활용품 문구/도서류 놀이기구 이슈용품 비고

MIT 30 (1~176) 0 N.D. 0 N.D. 18 (1~34) 0 N.D. 12 (4~176) 함량검출

CMIT 20 (0.7~55) 0 N.D. 0 N.D. 13 (0.7~55) 0 N.D. 7 (0.8~4.8) 함량검출


보존제
(개[중복], BIT 25 (0.1~205) 0 N.D. 0 N.D. 25 (0.1~205) 0 N.D. 0 N.D. 함량검출
mg/kg)
OIT 18 (0.08~315) 0 N.D. 0 N.D. 18 (0.08~315) 0 N.D. 0 N.D. 함량검출

DCOIT 0 N.D. 0 N.D. 0 N.D. 0 N.D. 0 N.D. 0 N.D. -

62 함량 0 0 50 함량 0 함량 12 함량
총 계 N.D. N.D. -
[31] (0.08~315) [-] [-] [24] (0.08~315) [-] N.D. [7] (0.8~176)
*N.D.: Not Detected;
물질별 검출한계 MIT: <1mg/kg, CMIT: <0.5 mg/kg, BIT: <0.05 mg/kg, OIT: <0.05 mg/kg, DCOIT: <0.05 mg/kg

❍ 염료류(6종)

- 잉크 재질 어린이용품(볼펜, 사인펜, 물감, 스탬프 포함 90개 용품) 함량 분석 결


과, 염료류 물질 중 5종 물질(4-Methoxyaniline, Aniline, C.I. Basic Violet 003, C.I.
Basic Red 009, C.I. Disperse Blue 001, C.I. Acid Violet 049), 41개 용품 검출

- 스탬프는 염료류 물질 6종 모두 함량 불검출

- 32 -
<표 27> 염료류의 함량 시험분석 결과

구분 물질명 검출 용품 완구류 생활용품 문구/도서류 놀이기구 이슈용품 비고


4-Methoxyaniline 2 (11~31) 0 N.D. 2 (11~31) 0 N.D. 0 N.D. 0 N.D. 함량검출

Aniline 15 (6~384) 1 (41) 8 (6~114) 6 (10~384) 0 N.D. 0 N.D. 함량검출


C.I. Basic Violet (9~ (9~
24 0 N.D. 0 N.D. 21 0 N.D. 3 (17~127) 함량검출
염료류 003 95,900) 95,900)
(개[중복], C.I. Basic Red
4 (20~86) 0 N.D. 0 N.D. 4 (20~86) 0 N.D. 0 N.D. 함량검출
mg/kg) 009
C.I. Disperse
0 N.D. 0 N.D. 0 N.D. 0 N.D. 0 N.D. 0 N.D. -
Blue 001
C.I. Acid Violet
0 N.D. 0 N.D. 0 N.D. 0 N.D. 0 N.D. 0 N.D. -
049
41 (6~ 1 10 27 (9~ 0 3
총 계 (41) (6~114) N.D. (17~127) -
[4] 95,900) [0] [0] [4] 95,900) [-] [0]
*N.D.: Not Detected
물질별 검출한계 4-Methoxyaniline, Aniline : 각 6mg/kg
C.I. Basic Violet 003, C.I. Basic Red 009, C.I. Disperse Blue 001, C.I. Acid Violet 049 : 각 9mg/kg

❍ 방염제류(2종)
- 섬유 재질 어린이용품(아동용 중의류, 침구류, 봉제인형 포함 130개 용품) 함량 분석
결과, 평가대상물질(TCEP, DBDE)은 모두 불검출

❍ 금속류(3종)

- 금속 재질 어린이용품(160개 용품)의 전이량 분석 결과, 평가대상물질(Be, Co,


Cr(VI))은 모두 불검출

❍ 기타(1종)

- 섬유 재질 어린이용품(아동용외의류, 아동용중의류 포함 100개 용품)의 함량 결과,


평가대상물질(글리옥살)은 모두 불검출

1.3.4. 위해성 평가

❍ 어린이용품의 위해성 평가 전체 절차는 다음과 같음


- 평가대상물질의 분석함량 혹은 전이량을 적용하여 각 노출 시나리오에 따른 노출량
산출
- 환경부예규 제585호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절차와 방법 등에 관한
지침’의 위해도 산출수식에 따라 위해도 산출
- 위해도 산출은 위험지수(HQ, Hazard Quotient)로 산출, 또는 발암물질의 경우, 어린이
용품별 이용대상에 대한 연령보정계수 (ADAF, Age Dependent Adjust- ments
Factors)를 반영하여 초과발암위해도 (ECR, Excess Cancer Risk) 산출

- 33 -
- 연령보정계수는 환경부예규 제585호 ‘어린이 발암력 산출을 위한 연령보정계수
(제21조제4항 관련, 별표 17)’ 적용

일일평균노출량  
비발암유해지수    
독성참고치

초과발암위해도    평생일일평균노출량   × 발암잠재력

평가절차 수행방법 주요 업무

노출시나리오 작성
노출량 산출 수식 확립
제형·용도·노출경로 고려
(품목별×제형별×용도별×노출경로별)
노출량 산정수식 확립
노출계수 산정
용품별, 제형별 사용량 및 사용빈도,
노출평가 일반공통노출계수
사용시간 등 노출계수 선정
용품별 노출계수
시판 중인 용품 내 물질의
어린이용품 사용에 따른 인체노출량 산출
함량/전이량 분석
개별 용품 내 물질에 대한 인체
노출량 산출

용품별 사용행태에 따른 위해평가
위해도 위해성 평가 결과 검토 및 타당성
물질별 독성 대비 인체노출량의 비를 통해
산출 검증
위해도 산정

위해수준초
과 여부 HQ, ECR 초과 여부 확인 위해초과 어린이용품 보고
확인

<그림 12> 환경유해인자 함유 어린이용품 위해성 평가 전체 절차

❍ 해당 어린이용품 함유 성분의 위해도가 환경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1]에 제시된 위해성


기준(초과발암위해도 10-6, 위험지수 1)을 초과하는 경우, 위해우려가 있는 제품으로
선정
- 초과발암위해도의 위해성 판정 기준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과소평가의 불
확실성이 존재하는바, 위해 평가의 기본 원칙인 RME(Reasonable Maximum
-6
Estimation; 합리적 최대값 추정)에 따라 가장 보수적인 1×10 을 적용하였음

§ 초과발암위해도는 평생 노출(70년) 대비 노출기간을 보정하여 평가하도록 되어 있으


므로, 어린이용품의 경우, 성인(70년) 대비 상대적으로 10년 이하의 단기 노출기간
적용하여 평가할 수 밖에 없음으로 인한 불확실성 존재

- 34 -
§ 어린이는 성인 대비 높은 흡수율과 낮은 대사기능 등의 생리적 차이로 인해 성인과
동일한 양의 유해물질에 노출이 되어도 체내 농도는 다를 수 있음(생리적, 면역적
으로 불완전한 시기의 노출 특성 존재)

§ 초과발암위해도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한 발암잠재력은 면역체계가 완성된 성인기


노출-반응 자료를 활용함으로 인한 불확실성 존재

§ 특히, 유전독성이 있는 발암 물질의 경우, 성인기 노출로 인한 발암 유발 가능성에


비해 영유아 등 생애주기 초기 노출로 인한 발암 유발 가능성이 평균적으로 약
10배 이상 증가된다는 연구 자료 보고됨(US EPA, 2005)
- WHO, 미국, EU 등 선진기관에서도 평가 수용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차등적인 허용
위해기준을 적용한 바 있으며, 어린이의 위해 관리를 위해서는 가장 보수적인 조건
들을 적용하고 있었음

§ WHO 등 해외기관에서의 초과발암위해도의 허용가능한 위해 기준 적용은 노출


인구 특성에 따라 근로자는 1×10-4, 일반 성인은 1×10-5을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음(WHO, 2006)

§ 미국, EU 등의 선진국에서는 유전독성이 있는 발 물질 또는 먹는 물 등 영유아 등


전 연령의 노출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1×10-6을 허용위해수준으로 적용하고
있음(US EPA, 1998; EU ECHA, 2012)

<그림 13> 성체(adult animals) 대비 유체(juvenile animals)의 발암 잠재력 차이 고찰(EPA, 2005)

- 35 -
❍ 환경유해인자 함유 어린이용품의 위해성 평가 결과는 다음 표와 같음
- 함량 분석 시 위해초과(HQ>1)한 가소제류(1종, DIBP) 함유 어린이용품 12개에 대하여
전이량 분석을 수행하였으나, 불검출로 허용 위해 수준 안전성 확인
- 함량 분석 대상 어린이용품의 위해도 산출 결과, 염료류(6종) 중 2종(Aniline, C.I.
Basic Violet 003) 함유 어린이용품(물감, 사인펜) 3개와 보존제류(5종) 중 2종(MIT,
OIT) 함유 용품(물감) 5개에서 허용 위해 수준 초과

<표 28> 함량 검출된 어린이용품의 위해성 평가 결과


검출용품수 함량(혹은 전이량) 적용 위해도 산출
구분 물질명 /함량범위 [검출용품수/위해도산출값(HQ 혹은 ECR)] 비고
(mg/kg) 완구류 생활용품 문구 /도서류 놀이기구 이슈용품
(59~ (HQ
유화제 NPE 14 0 (-) 0 (-) 14 0 (-) 0 (-) -
2,854) 0.001~0.3)

(HQ (HQ 3개 용품
MIT 30 (1~176) 0 (-) 0 (-) 18 0 (-) 12
0.008~0.7) 0.06~5.1) 위해초과

(HQ (HQ
CMIT 20 (0.7~55) 0 (-) 0 (-) 13 0 (-) 7 -
보존제 0.003~0.8) 0.01~0.07)
(0.1~ (HQ
BIT 25 0 (-) 0 (-) 25 0 (-) 0 (-) -
205) 0.00002~0.9)
(0.08~ (HQ 2개 용품
OIT 18 0 (-) 0 (-) 18 0 (-) 0 (-)
315) 0.0002~3) 위해초과
4- (HQ
Methoxy 2 (11~31) 0 (-) 2 0.0000002 0 (-) 0 (-) 0 (-) -
aniline ~0.000004)
(ECR (ECR 4.6x10-8 (ECR 4x10-7 2개 용품
Aniline 15 (6~384) 1 8 6 0 (-) 0 (-)
6.0x10-7) -7
~6.8x10 ) ~3x10-5) 위해초과
C.I.
염료류 Basic (9~ (HQ (HQ 0.007 1개 용품
24 0 (-) 0 (-) 21 0 (-) 3
Violet 95,900) 0.000006~2) ~0.05) 위해초과
003
C.I.
Basic (ECR 1x10-9
4 (20~86) 0 (-) 0 (-) 4 0 (-) 0 (-) -
Red ~4x10-9)
009

- 36 -
<표 29> 위해도초과 진단물질의 노출경로별 노출량 및 위해도 확인

함량 검출농도 노출경로별 노출량(mg/kg/day)


No 진단물질 어린이용품군 위해도
(mg/kg) 경구 경피 흡입
1 Aniline 잉크 물감 10 6.2x10-4 3.7x10-4 1.7x10-4 (ECR) 2x10-6

2 Aniline 잉크 물감 157 9.8x10-3 5.9x10-3 2.7x10-3 (ECR) 3x10-5


C.I. Basic
3 잉크 사인펜 3,513 5.6x10-2 2.3x10-2 1.2x10-5 (HQ) 2
Violet 003
4 MIT 잉크 물감 65 4.7x10-3 3.5x10-4 1.1x10-4 (HQ) 2
-3 -4 -4
5 MIT 잉크 물감 105 7.5x10 5.5x10 1.8x10 (HQ) 3

6 MIT 잉크 물감 176 1.3x10-2 9.3x10-4 3.0x10-4 (HQ) 5

7 OIT 잉크 물감 140 1.0x10-2 5.2x10-3 2.4x10-6 (HQ) 1.1

8 OIT 잉크 물감 315 2.3x10-2 1.2x10-2 5.4x10-6 (HQ) 3

1.4. 실태조사 결과보고 및 후속조치 지원


❍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기준 위반제품 및 환경유해인자 위해성 평가 위해기준 (위험
지수(HQ=1) 초과제품에 대하여 실태조사 결과보고
-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전이량 또는 함량 분석결과, 총 13개 용품 검출, 이중 기준
초과 용품 없음

-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표시규정 위반(의심) 3개 용품 확인

- 어린이용품 위해 기준 (HQ>1 혹은 ECR>10-6) 초과 8개 용품(환경유해인자 4종


(아닐린, OIT, MIT, C.I. Basic Violet 003)) 확인

<표 30> 환경유해인자 기준 위반제품 및 위해도 기준 초과 용품 현황


(단위: 개)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4종) 위해성평가 (21종)
구매용품수 전이량 또는
구분 위해도
(중복) 조사대상 검출 함량 기준 조사대상 검출
기준초과
초과
계 2,500(953) 1,260 5 0 2,193 151 8

문구/도서류 435(241) 360 2 0 316 76 5

완구류 850(582) 630 2 0 802 10 1


놀이기구 20(20) 20 - 0 20 0 0
생활용품 1,035(110) 155 - 0 990 26 0
이슈용품* 160(0) 95 1 0 65 39 2
*반짝이풀, 샴푸캡 등 위해우려가 높은 제품군(학부모 및 교사 대상 설문조사 600명, ‘20.9.11~16.) 등

- 37 -
❍ 어린이용품 DB, 시험분석성적서, 위해성 평가 DB 등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
조사 관련 자료 별도 제출

❍ 환경유해인자 사용제한 물질 및 표시기준 위반사항과 위해 기준 초과 제품의 후속


조치를 위해 주요 결과 요약 등 지원 정보 제공

- 38 -
2.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자문위원단 구성·운영

2.1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자문위원단 구성

2.1.1 구성 개요

❍ (목 적) 어린이용품 관련분야 전문인력 풀 마련을 통한 사업수행의 효율 극대화 및


전문성 강화

❍ (구성) 관련 분야 전문인력 및 당연직(환경부, 환경청, 국표원 등)

❍ (활용 범위)
- 어린이용품 관련 사업의 자문·심의·평가 등
- 어린이용품 관련 사업 연구과제 수행
- 어린이용품 관련 문제해결을 위한 기술지원 등

❍ (전문 분야 및 자격) 위해성평가, 환경보건 등 총 5개 분야로 구분하여 모집·구성

<표 31> 전문분야 및 자격 요건

전문분야 자격 요건

위해성평가 위해성평가 업무 5년 이상 종사자 또는 해당 분야 박사 학위 소지자

화학물질·
시험분석기관 5년 이상 종사자 또는 화학물질 관련 업무 5년 이상 종사자
시험분석

환경보건 환경보건 분야 5년 이상 종사자 또는 해당분야 박사 학위 소지자

정책·제도 정부, 공공기관, 법정기관 등 종사자 중 제품 관리업무 수행자

이해관계자 어린이용품 관련 업무 5년 이상 종사자(산업계, 소비자단체 등 포함)

2.1.2 구성 방법

2.1.2.1 환경보건안전 분야 전문인력 활용

❍ 기술원 보건안전처에서 구성한 환경보건안전 분야 전문인력(197명) 중 제품 관련분야


전문인력 17명을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전문인력‘으로 추출
※ 환경보건안전분야 전문인력 등록 시 개인정보활용동의서, 이력사항 등 제출

❍ 환경보건안전 분야는 환경보건, 환경안전, 화학제도, 위해성, 시험분석, 법률, 의료 등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제품 관련 분야는 5개로 전문인력은 64명*으로 확인

❍ 64명 중 기존 제품 관련 연구수행자, 자문위원 활동경력 등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자문위원‘으로 적합한 인원은 17명으로 확인

- 39 -
2.1.2.2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자문위원 모집

❍ 자체적으로 그간 어린이용품 관련 자문 등에 참여한 전문가를 ‘어린이용품 환경


안전 자문위원’으로 모집한 결과,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전문인력’으로 13명 등록
※ 등록 시 개인정보활용동의서, 이력사항 등 제출

2.1.2.3 당연직 목록화

❍ 환경부, 환경청, 국가기술표준원 등 어린이용품 관계기관의 경우 당연직으로, 기본


정보(이름, 소속, 연락처)에 한하여 목록화

2.1.3 구성 결과

❍ 전문인력 및 당연직 등 총 50명으로 구성


- 참여 특성에 따라 전문인력 30명 및 당연직 20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전문분야는
위해성평가, 화학물질·시험분석, 환경보건 등 5개 분야로 분류

<표 32> 어린이용품 전문인력 구성 현황

전문분야(30명)
당연직
구분 계 위해성 화학물질· 이해
환경보건 정책·제도 (20명)
평가 시험분석 관계자

인원(명) 50 7 6 5 7 5 20

2.2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자문위원단 운영


❍ 보고회, 위해성평가, 대상여부 등 어린이용품 자문회의 총 8회 운영
<표 33> 어린이용품 자문위원회 운영 현황

연번 날짜 회의명 주요 논의사항 비고

1 2020.6.09. 착수보고회 •사업추진계획의 타당성 및 적절성 대면


어린이제품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및 어린이제품 가이드
2 2020.6.19. 적용범위 대면
라인 상 어린이제품 해당여부 검토(58개 제품)
검토회의
•어린이용품 조사 대상 제품 선정기준 및 범위
진단 대상 제품군 적절성
3 2020.7.22. 및 대면
•어린이용품 진단 재질별 진단 물질의 적절성
물질 검토회의
•어린이용품 안전관리 협업 방안 등

2020.11.09 제1차 위해성평가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알고리즘


4 대면
. 검토회의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적용계수

2020.11.30 •실태조사사업 추진현황 공유 및 향후 추진방 비대면


5 중간보고회의
. 향 논의 (화상)

- 40 -
연번 날짜 회의명 주요 논의사항 비고

•1차 위반제품 공유 및 특이사항 검토

어린이제품안전특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상 어린이제품 대상여부


2020.11.30 비대면
6 별법 의심제품
.~12.02. •해당제품의 검출물질 적용기준 (서면)
검토회의
•위해초과대상 어린이용품 위해성평가 알고리
2020.12.2. 제2차 위해성평가 즘 및 노출계수의 타당성 비대면
7
~12.4. 검토회의 (서면)
•위해초과물질의 독성값 신뢰도 검토
2020.12.7. 비대면
8 최종보고 •연구 수행결과의 타당성 및 보완사항 등
~12.8. (서면)

- 41 -
3.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상담센터 운영

3.1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상담센터 운영

3.1.1 운영 배경 및 목적

❍ (운영 배경) 기술원은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관련 사업을 지속 수행 중


- 사업 추진 과정에서 소비자 및 사업자의 어린이용품 제도 관련 문의사항 등이 발생
하고 있어 신속·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공식적인 상담채널 마련 필요
- ‘13년 ~ ‘14년 어린이용품 상담 콜센터를 운영한 사례는 있으나, 용역사업 행태로 수행
되어 지속 운영 및 활성화는 미비하였던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올해 상담센터의 시
범적 운영을 통하여 향후 지속 운영을 위한 기반조성 등 필요

❍ (운영 목적) 어린이용품 안전관리제도와 관련하여 사업자·소비자의 문의사항 및


애로사항에 대한 신속 대응체계 구축 및 이해관계자 만족도 제고

3.1.2 운영 개요

❍ (대 상) 어린이용품 관련 사업자 및 소비자

❍ (운영 시간) 월~금(주 5일), 09:00 ~ 18:00(공휴일 제외)

❍ (운영 채널) 유선 및 대면 상당창구 마련


- 유 선: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심인증 콜센터 번호((1670-5280) 활용
※ 내선 ’1’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심인증, 내선 ’2’ 어린이용품

- 대 면: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미팅룸, 상담공간 활용


※ 이용률이 증가할 경우 어린이 전용 대면 상담공간 확보

<그림 14> 대면 상담창구 모습

❍ (상 담 원 ) 기 술 원 어 린 이 용 품 담 당 직 원 2인 직 접 상 담

❍ (상담 내용)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표시규정, 사용제한 기준 등 어


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제도 전반

- 42 -
❍ (운영 방법) 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자문위원단 등 어린
이 환경보건 네트워크 활용 및 역할 정립*을 통해 신속·정확한 상담 수행
* 환경부(정책 결정), 기술원(상담센터 운영 및 제도 상담), 전문가(기술 자문)

- 제도 문의 등은 기술원에서 직접 응대하고, 유권해석이 필요한 사항은 환경부와 논의


하여 상담 진행
- 기술지원 등 분야별 전문지식이 필요한 부분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상담 진행

<그림 15> 상담센터 운영체계

- 상담내용, 상담자, 상담 유형 등 상담일지 작성·관리를 통해 고객별 상담 이력 관리

<그림 16>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상담센터 상담일지(샘플)

3.1.3 운영 자료 마련

❍ 상담 시 제도를 쉽게 알려줄 수 있도록 제도 전반을 소개할 수 있는 리플릿 및 사


업자가 제도를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문 제작

- 43 -
어린이
용품
환경안전
관리
리플릿

사업자
필수
이행
사항
안내문

<그림 17>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리플릿 및 안내문

3.1.4 운영 한계 및 개선 방안(안)

❍ (운영 한계)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상담센터에 대한 홍보 부족 및 인지도가 낮은 편으


로 어린이용품 사업자 및 소비자의 이용률 저조한 편

- 44 -
❍ (개선 방안) 상담센터에 대한 인지도 제고를 위하여 상담센터 홍보를 통한 이용 활
성화 추진
- 어린이용품 사업자와 접점이 많은 시험분석기관 및 일반소비자 등이 주로 제도 관
련 민원 등을 제기하는 국민신문고*를 활용하여 상담센터 홍보
* 국민신문고 답변 시 상담센터 정보를 노출하여 인지도 제고

- 어린이용품 관련 홍보물(리플릿, 동영상, Q&A사례집 등) 제작 시 상담센터 정보를 노출


하여 이용률 제고
- 환경보전협회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어린이 환경안전 전시회, 어린이용품 관련 박람
회 등에 상담센터 정보 노출

3.2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Q&A 사례집 제작·발간


❍ (목 적) 이해하기 쉬운 질의응답 형식으로 환경안전관리 제도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
로써 어린이용품 관련 사업자의 제도 인지도 및 이해도 제고

❍ (대 상) 어린이용품 제조·수입·판매자

❍ (주요 내용)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안전관리 전반


-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등
- 어린이용품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기준 및 이행 방법 등
-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표시제도 대상 및 표시방법 등
-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자가관리 지원 방법 및 근거 등

❍ (활 용) 어린이용품 자가관리 지원사업 참여기업, 시험분석기관 접수처 비치, 어린


이용품 환경안전 상담센터 이용자 등

<그림 18>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Q&A 사례집

- 45 -
- 46 -
제 3장 결론 및 제언
제1장

1. 사업결과
제2장
2. 제언
제3장

참고문헌
- 48 -
1. 사업 결과
❍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함유 실태조사
-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기준초과 용품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표시규정
위반의심 용품 3개 확인
-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결과, 환경유해인자 4종(MIT, OIT, 아닐린, C.I.
Basic Violet 003)에서 위해기준 초과 용품 8개 확인
<표 34>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현황

구매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4종) 환경유해인자 위해성 평가 (21종)


용품 조사 전이량 또는 표시 규정 위해성
[중복] 검출 조사 대상 검출
대상 함량 기준 초과 위 반 기준 초과
2,500[953] 1,260 5 0 3 2,193 151 8

- 이슈용품 조사결과,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위반의심 23개 제품 확인

❍ 어린이용품 자문위원단 구성·운영


- 자문위원 모집을 통하여 분야별 전문인력(30명) 및 당연직(20명) 총 50명 인력
Pool 마련
- 위해성평가, 보고회의, 진단 대상 및 물질 선정 등 총 8회 자문회의 운영
* 코로나19로 비대면 회의(화상, 서면) 증가

❍ 어린이용품 상담센터 운영
- 어린이용품 콜 및 대면 상담센터 채널 마련
* 기술원 직원이 직접 상담 진행

- 어린이용품 제도안내 및 상담내용 설명을 위한 기초자료(사업자 및 소비자


대상) 마련
* 사업자 대상 제도이행 시 필요사항을 전달하는 10문10답 및 제도 전반에 대한 리플릿 마련

- 상담내용 등을 바탕으로 Q&A 사례집 제작·발간

- 49 -
2. 제언
❍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 결과 공유 및 지원방안 마련 필요
- 환경유해인자 위해기준 초과 시 「환경보건법」 제24조제6항에 따라 판매중지
및 회수를 권고하고 있으나, 어린이용품 사업자의 경우 상기 조항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편
- 또한, 위해성평가는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로 어린이용품 사업자가 스스로 위해성
평가 실시하고 환경유해인자 위해관리를 실시하는 것은 어려운 편
- 위해성평가 결과에 대한 정보공유를 통하여 어린이용품 관련 사업자가 환경
유해인자를 사전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위해성평가 지원Tool 마련·보급 필요
- 더불어 어린이용품 자가관리 지원사업을 통하여 환경유해인자 위해관리를 희망
하는 기업 등을 대상으로 위해성평가 지원 필요

❍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제도 홍보 필요
- 어린이용품 사업자의 경우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표시규정, 위해성평가 등
환경유해인자 안전관리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편으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및 제도 인지도 제고 필요
- 어린이용품 시장감시단 활동의 일환으로 제도 홍보를 추진하여 관련 사업자
등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채널 확대 필요

- 50 -
참고문헌
제1장

1. 참고문헌 (국내)
제2장
2. 참고문헌 (국외)
제3장

참고문헌
- 52 -
1. 참고문헌 (국내)

- 국립환경과학원 (2019) 한국형 어린이노출계수 핸드북

-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20-1호(2020).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 [별표 2] 유해성자료를 이용한 화학물질의 유해성 확인

-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사용제한 등에 관한 규정(환경부 고시 제2016-199호,


2016.10.12) [별표]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 명칭 및 제한 내용

- 환경부 (2018) 2017년도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실태조사사업 최종보고서

- 환경부 (2019) 2018년도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사업

- 환경부 예규 제585호(2016).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절차와 방법 등에


관한 지침. [별표 14] 유해성 확인 관련 자료원

2. 참고문헌 (국외)

- DEPA (2014) Survey and health assessment of preservatives in toys

- ECHA (2012) Guidance on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chemical safety


assessment Chapter R.8

- EPA (2005) Supplemental Guidance for Assessing Susceptibility from Early-Life


Exposure to Carcinogens

- RIVM (2002) Children's Toys Fact Sheet

- USA (1998) Federal Register, 63(157)

- WHO (2006)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 53 -
- 54 -
- 55 -
<제목 차례>
< 그림 1>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검출사례 보도 현황 ···················································· 3

< 그림 2> 어린이용품 설문조사 현황 ················································································ 9

< 그림 3> 어린이용품 실태조사 보도자료 ······································································ 10

< 그림 4> 과업지시서에 따른 어린이용품 품목 및 재질별 2020 년 실태 조사규모 11


< 그림 5> 어린이용품 구매를 위한 업무절차 ································································ 16

< 그림 6> 년 어린이용품 실태조사 구매목록


2020 화면 예시 ······························
DB ( ) 17

< 그림 7> 위해성 평가 대상물질 선정 절차 ······························································ 19

< 그림 8> 평가대상물질의 독성자료 확보 절차 ···························································· 20

< 그림 9> 독성정보 구축 방법 ·························································································· 22

< 그림 10> 평가대상물질 독성정보 구축예시 ································································ 24

< 그림 11> 전이량시험 분석 대상 확인 ········································································ 30

< 그림 12> 환경유해인자 함유 어린이용품 위해성 평가 전체 절차 ···················· 34

< 그림 13> 성체(adult animals) 대비 유체(juvenile animals) 의 발암 잠재력 차이


고찰(EPA, ·················································································································
2005) 35

< 그림 14> 대면 상담창구 모습 ························································································ 42

< 그림 15> 상담센터 운영체계 ·························································································· 43

< 그림 16> 어린이용품 환경안전 상담센터 상담일지 샘플 ······································· ( ) 43

< 그림 17>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리플릿 및 안내문 ············································ 44

< 그림 18> 어린이용품 환경안전관리 Q&A 사례집 ··················································· 45

- 56 -
- 5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