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

프랑스 워킹홀리데이

워킹홀리데이 안내
================================

워킹홀리데이프로그램에 대하여
================================

워킹홀리데이프로그램은 국가간 협정체결을 통해 협정국 젊은이들에게 1 년간의


관광취업사증(비자)를 발급하여 입국을 허락하고 제한적으로 취업자격을 부여하는 제도로,
상대 국가의 문화와 관습 등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 국가 간 상호이해와
우호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임.
한때 노동력 보충과 외화획득에 의미를 두었던 워킹홀리데이가 최근에는 삶의 질과 인생의
가치관의 확장을 추구하는 젊은이들의 인식증대에 따른 해외문화체험으로 그 초점이
옮겨가며 전환점을 맞고 있음.
워킹홀리데이프로그램은 장래 나라를 이끌어 갈 청년들에게 스스로의 노력으로 최소한의
경비를 충당하며 넓은 세계를 자유롭게 느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세계화
시대에 걸맞은 열린 의식과 비젼을 함양시키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음.

※ 상세내용은 워킹홀리데이 인포센터 홈페이지(http://www.whic.kr/main/) 참조


1 필수 주의 사항

========================
가. 참가자의 기본 자세
========================

▣ 목적의식: 목표설정 및 책임감


ㅇ 명확한 목표설정 (언어, 취업, 여행 등의 '세 마리 토끼를 잡기는 힘들다')
▣ 워킹홀리데이 본연의 목적: 젊은이들의 외국문화 체험과 학습
▣ 일정 수준의 언어가 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음
▣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현지 언어 공부의 중요성

============================
나. 참가자의 세부 숙지사항
============================

▣ 워홀러 개개인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민간 외교관임을 인식


▣ 최근 불거지고 있는 취업사기에 유의 (특히 유학원 및 중개업체들의 과대과장 광고에
유의)
ㅇ 워킹홀리데이 인포센터(www.whic.kr)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가장 객관적이고 공정함.
▣ 국가별로 허용된 취업기간을 준수하고, 뚜렷한 목표 없이 워킹홀리데이에 참가하여 3D
직종에만 취업하는 경우를 지양할 것!
▣ 취업을 위한 경쟁력 확보
ㅇ 현지 언어 공부의 중요성 :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음
ㅇ 언어 공부를 열심히 해서 현지 기업 또는 글로벌기업에서 일하면서 자신의 능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잡을 것!!
ㅇ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이고 성실한 태도를 어필할 것!
▣ 참가국에 두 번 올 일은 없다는 인식으로 주재국 법령 위반을 안이하게 생각하는 것은
교민사회를 포함 우리나라 전체 이미지에 악영향
(ex 직장에서의 불성실, 불법행위를 하고 그대로 출국, 휴대전화 요금을 완납하지 않고
출국하는 행위 등)
▣ "참가국에 가면 참가국의 법을 따르라"
ㅇ 모든 사회의 법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사회적 약속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체류 기간 동안 참가국의 법을 존중할 것
(ex 관공서의 행정업무 처리속도, 사생활에 대한 질문 수위 등)
▣ 사전 준비의 중요성
ㅇ 충분한 준비에도 불구하고 현지상황은 또 다르다!
ㅇ 정보 + 언어실력 + 마음가짐
ㅇ 참가국의 언어를 전혀 모르고 체류할 경우, 사건사고에 쉽게 노출됨
▣ 여권 분실 주의
ㅇ 여권을 분실할 경우 불법행위에 악용될 수 있고, 상습적으로 잃어버릴 경우 불법행위
가담자로 의심받을 수 있음
▣ 비자 유효기간 주의
ㅇ 비자 유효기간을 잘 확인하지 못하고 기간을 넘어서 체류할 경우, 의도가 없었다
하더라도 불법체류자가 됨
▣ 구직의 어려움 인식
ㅇ 대부분의 협정체결국들은 글로벌 경제 위기의 영향을 받아 실업률이 높으므로 구직이
어렵다는 것을 인식해야 함
(외국인 차별이 없어도 현지 언어 구사능력이 없으면 취업 어려움)
▣ 고용계약서에 의한 계약
ㅇ 고용주가 잘 알고 있는 지인이라 하더라도 본인을 보호할 수 있는 고용계약서를 반드시
작성할 것

==================================
다. 프랑스 워킹홀리데이 주의사항
==================================

▣ 취업을 알선해 준다는 현지 유학원에 검증 없이 수수료를 먼저 지불하지 말 것


▣ 지나치게 높은 급여를 약속하는 일자리일 경우 주의할 것(성매매 등)
▣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보이스 피싱(전화사기)에 주의할 것.
▣ 소매치기와 날치기를 주의할 것
▣ 자동차 퍽치기 주의. (공항-파리간 고속도로 중 생드니 상시 정체구간에서 흔히 발생)
▣ 프랑스인들은 타인들을 도와주는 것은 서슴지 않지만 참견하는 것은 실례라고 생각함
▣ 가정에 식사초대를 받는 경우에는 약간 늦게 도착하는 것이 바람직
▣ 식사 도중 대화를 많이 하므로 침묵을 지키는 것은 오히려 실례가 될 수 있음.
▣ 프랑스는 한국과는 달리 경찰력이 상당히 강한 나라로 가벼운 사안의 경우에도 체포가
가능하며, 경찰에게 저항하는 행위 자체로도 별도의 범죄 즉, 공무집행 방해 등이 추가될 수
있음.
▣ 범죄에 연루 되었을 경우, 현지 경찰의 지시에 응하고 자신의 요구를 관철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대 흥분하지 말고 논리적으로 차분히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며 칠요시 대사관에
연락해 줄 것을 요구
▣ 지하철 무임승차 등 한국에서는 가볍게 여길 수 있는 사안도 범죄를 구성하고 체포될
수도 있는 만큼, 프랑스 현지 법령을 철저히 준수하는 자세가 중요.
▣ 프랑스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 영어가 통용되는 종합병원(hospital americain 등)
이용
▣ 약국에서 약품을 구입할 때에는 특정약을 제외하고, 처방전 없이 일반적 약품을 구입할
수 있다: 아스피린, 소화제, 신경안정제, 감기약 등을 비롯한 비타민, 종합비타민제 및 영양제
▣ 응급환자가 있는 경우, 긴급전화번호 15 번으로 전화하면, samu 가 출동함.
▣ 소방서(pompiers) 역시 화재 뿐 만 아니라 응급구조를 하므로 응급환자가 발생시에
전화번호 국번없이 18 번으로 연락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음.

2 프랑스 워킹홀리데이 비자

=========
가. 비자신청
=========
▣ 프랑스 워킹홀리데이 비자 발급 요건
ㅇ 과거에 프랑스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발급받지 아니한 자
ㅇ 사증 신청시 한국에 거주하는 자
ㅇ 나이 : 만 18 세-30 세
ㅇ 부양가족을 동반하지 아니하는 자
ㅇ 대한민국 여권과 왕복항공권 또는 항공권 구입에 충분한 자금을 보유한 자 : 상기 증명
서류 제출 요
ㅇ 초기체류기간 동안 생계 유지에 필요한 자금을 보유한 자
- 재정보증서 (2500 유로 이상의 초기 체류비) 제출 요
ㅇ 건강상태가 양호함을 증명해야 함 : 건강검진서 제출 요
ㅇ 범죄기록이 없는 자 : 무범죄경력증명서 제출 요
ㅇ 1 년 동안 프랑스에서 유효한 의료보험 증명서 제출 요
- 질병치료실비, 상해치료실비, 본국송환비용이 각각 3 만유로 이상 보장되어야 함
ㅇ 1 년 동안 프랑스에서 유효한 배상책임보험
- 1 만유로 이상 보장되어야 함

▣프랑스 워킹홀리데이 비자의 특징 및 유의사항


ㅇ 프랑스 입국 : 만 31 세 생일 전날까지 가능
ㅇ 수수료 없음
ㅇ 연간 정원 : 2000 명
ㅇ 체류지역 제한 : 유럽 외의 해외영토에서는 체류불가
ㅇ 복수비자이므로 체류기간동안 출입국이 자유로움
ㅇ 2009 년 9 월 22 일부터 생체인식비자 발급(사진과 지문 채취)
ㅇ 비자 : +1 TRANSIT SCHENGEN : 입국시 쉔겐지역을 통해 들어갈 수 있음
※ 1 년간 유효한 보험을 들 경우, 보험적용시작일이 곧 비자시작일이 되며,
비자시작일로부터 프랑스 입국이 가능함 (비자 시작일보다 늦게 입국할 경우, 비자
만료일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체류기간이 그만큼 줄어드는 것에 주의해야 함)
※ 프랑스 현지에서 여권 보관에 주의해야 함. 여권을 분실할 경우, 그 안에 있는
워킹홀리데이 비자는 재발급이 되지 않음
※ 워킹홀리데이 비자 소지자는 프랑스에서 여권을 분실했을 경우, 파리에 소재한
주프랑스한국대사관에서 여권을 재발급받고 경찰청(préfecture de police)에 가서 신고해야
함. 신고를 받은 프랑스 경찰청은 서울의 주한프랑스대사관에 연락하여 워킹홀
리데이 비자 발급 사실을 확인하고 남은 비자유효기간에 체류할 수 있도록 일종의 단기
체류증을 발급함. 동 단기체류증은 워킹홀리데이 비자와 마찬가지로 취업을 허가함 (프랑스
경찰청에 신고하지 않고 주한프랑스대사관에 비자 재발급을 요청하는 것은 아무 효력이
없음)

▣ 비자발급에 대한 정보 및 문의
ㅇ 주한 프랑스 대사관
- '관광취업비자' http://www.ambafrance-kr.org/IMG/pdf/vvt_kr-2.pdf
- 문의 : consulat@ambafrance-kr.org

================================================
나. 프랑스 워킹홀리데이 비자 선택의 기준 및 비자 만료 후 진로
================================================
▣ 워킹홀리데이 비자 선택의 기준
ㅇ 프랑스 워킹홀리데이에 참가하는 한국 청년들은 대부분 다음 세 경우임
1. 현지에서 일하면서 불어를 배우고자 하는 경우
- 학생비자에 비해 의료보험, 집세보조수당 혜택이 없기 때문에 불리한 점이 많음 (학생비자
체류시, 주당 약 15 시간 수업을 들어야 하지만, 매년 체류증을 재발급 받을 수 있고, 만 28
세까지 '학생사회보장제도'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나이에 상관 없이 연간 800 시간(주당 19
시간 30 분)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집세보조수당의 혜택을 받음)
2. 학생비자 체류에 필요한 주당 15 시간의 어학연수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문화체험을
하고자 하는 경우
3. 불어에 능통하고 프랑스 고용주에게 채용될 수 있는 실력을 갖춘 경우
- 프랑스의 경우 외국인이 취업비자를 받아서 일하려면 행정절차가 매우 복잡하나,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소지할 경우, 고용 관련 행정절차가 간소함
※ 1 의 경우는 학생비자를 추천하며, 2 와 3 은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추천

▣ 워킹홀리데이 비자 만료 후 진로 선택
ㅇ 취업을 원할 경우 :
- 워킹홀리데이 비자만료 최소 3 개월 전에 신청할 수 있는 'Competences et Talents' 근로
체류증을 발급받는 경우 취업을 목적으로 프랑스에 체류 가능함. 이 체류증은 신청자의
학력, 직업경력, 한국과 프랑스의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젝트 수행능력에 대한
심사 후에 발급됨
ㅇ 학업을 원할 경우 :
-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프랑스에 머물다가 대학이나 직업학교에서 학업을 원하는 경우에는
우선 한국에 귀국하여야 함. 학생비자를 받기 위해서는 프랑스 교육진흥원인 'Campus
France'의 절차에 따라야 함
- 프랑스 교육진흥원 (www.korea.campusfrance.org )

3 초기정착

========
가. 숙박
========

▣ 숙소 찾기 (단기 숙소)
ㅇ 유스호스텔 (프랑스 전역에 소재)
- 현지 정착보다는 단기 여행에 적절 (www.fuaj.org)
ㅇ 민박
- 한국인이 운영하는 민박은 카페/홈페이지/한인잡지 등을 통해 예약
- 주의! 파리 지역에 한국인 민박집이 30 여 곳 존재하나, 대부분 무허가로 운영되고 있음.
정식등록 절차를 마친 민박집은 수 개에 불과

▣ 숙소 찾기 (장기 숙소)
ㅇ 집을 임대할 경우 필요한 서류
1. 신분증(여권 및 비자)
2. 학생인 경우 재학 증명서, 직장인인 경우, 재직증명서
3. 수입원 증명서류 : 집세지불능력 증빙서류
※ 집주인은 프랑스인 보증인이나 은행보증 혹은 6 개월치~1 년치 집세를 집주인 구좌에
입금할 것을 요구할 수 있음 (초기정착비가 상당히 들 수 있음에 유의할 것)
※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체류할 경우, 2,3 번 사항을 충족시키기 힘들며, 주택보조수당을
받을 수 없음
※ 이미 현지에 정착한 지인의 집에서 장기 체류할 경우나, 집세 쉐어(collocation)를 할 경우,
집주인의 허락을 받는 것이 안전

=============
나. 은행계좌개설
=============

▣ 은행 계좌 개설
ㅇ 은행 계좌 개설시 필요한 서류
1. 신분증(여권 및 비자)
2. 학생인 경우 재학 증명서, 직장인인 경우, 재직증명서
3. 거주지 관련 증명서 (Attestation domicile)
- 본인 명의로 집을 임대한 경우: 임대계약서 혹은 전기세/가스세 영수증
- 기숙사 거주 시: 기숙사 거주 증명서
- 지인 집에서 거주할 경우: 집주인이나 지인이 써주는 거주증명서, 집주인이나 지인의
신분증 사본, 지인의 임대계약서나 전기세/가스세 영수증
※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체류할 경우 집을 구하기 쉽지 않으므로 3 번 사항을 충족시키기
어려움
※ 가장 이상적인 대안 : 현지에 이미 정착한 지인의 집에서 거주하며 은행 계좌를 여는 것
- 워홀러들의 네트워킹 필요

=======
다. 교통
=======

▣ 교통
ㅇ METRO(지하철), RER(교외급행전철), 전차(TRAMWAY) 및 BUS(버스)
- 지하철, 교외급행전철, 전차, 버스를 함께 한 달간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이용료
ㆍ 1-2 존(파리) : 67,10 유로 (9 만 9 천원),
ㆍ 1-3 존 : 86.60 유로(12 만 7 천원)
ㅇ 택시 : 짐이 많을 때 유용할 수 있으나, 이용 요금이 비쌈
ㅇ 자전거 : 환경정책의 일환으로 자전거 이용을 장려하고 있음
- Velib : 파리 시내 자전거 대여 시스템
ㅇ 수도권 교통 관련 사이트 : www.ratp.com
ㅇ 프랑스 철도 관련 사이트 : www.sncf.com

=============
라. 휴대전화 이용
=============
▣ 휴대전화
ㅇ 학교 등록 및 구직에 개인 연락처가 필요함
ㅇ 현지 휴대전화 이용은 1~2 년 약정으로 요금제로 계약하는 경우가 많으나, 워홀러는
체류기간이 최장 1 년이므로 약정 없이 재충전할 수 있는 카드를 구입하는 것이 적절
ㅇ 휴대폰 기기 및 이동통신사 선택 - 신중히 확인하고 구입
ㅇ 프랑스 이동통신 : Orange, SFR, Bouygues 등

4 워홀러등록 및 재외국민 등록

==============================================
가. 워홀러등록
==============================================

▣ 워홀러등록
ㅇ 워홀러등록은 워킹홀리데이에 참가하고 있는 사람은 물론 워킹홀리데이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등록할 수 있음.
ㅇ 등록 방법은 워킹홀리데이인포센터 홈페이지 www.whic.kr 또는 whic.kr 에 접속하여 이름,
이메일주소, 관심 있거나 활동하고 있는 워킹홀리데이 국가 등 간단한 사항만 등록하면
완료.
ㅇ 워홀러등록을 한 사람은 워킹홀리데이인포센터와 수시로 쌍방향 의사소통을 하면서
보다 성공적인 워홀 생활을 할 수 있으며, 워홀서포터즈로도 활동하면서 우리나라
워킹홀리데이 제도 발전을 위해 봉사할 수도 있음.

▣ 워홀서포터즈
ㅇ 워킹홀리데이인포센터 홈페이지 www.whic.kr 또는 whic.kr 에 워홀러등록만 하면
본인희망에 따라 워홀서포터즈로 활동 가능
ㅇ 활동하고 싶은 기간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며, 우수 활동자에게는 외교통상부 관계자
명의의 감사장 및 부상 수상 기회도 주어짐
ㅇ 워홀러등록신청서에 등록한 자신의 개인 블로그 혹은 SNS(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등)
에서, 우리 국민들을 대상으로 워킹홀리데이 홍보, 외국인에게 한국 워킹홀리데이 홍보,
자신이 경험했거나 알고 있는 생생한 워홀 정보 소개 등의 활동을 수행할 수 있음
- 워킹홀리데이인포센터는 워홀서포터즈의 이러한 활동내용중 우수내용을 선별하여
인포센터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등 적극 홍보할 계획임

=============
나. 재외국민등록
=============

▣ 재외국민등록
ㅇ 외국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는 우리국민을 관할 재외공관에 등록
하도록 하여 재외국민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재외국민의 국내
외 활동의 편익증진, 행정사무의 적정한 처리, 기타 재외국민보
호 정책의 수립에 이바지하기 위한 제도로서 그 등록은 법적
의무 사항임.
ㅇ 재외국민등록의 대상은 '외국의 일정한 지역에 계속하여 90 일
이상 거주 또는 체류할 의사를 가지고 해당 지역에 체류하는
대한민국 국민' (외국 시민권자는 제외)임
ㅇ 재외국민등록은 거주지의 관할 공관(대사관, 총영사관, 영사관,
분관 또는 출장소)에 신청서의 직접방문제출, 우편송부, 모사
전송 (Fax) 또는 인터넷 온라인의 방법으로 할 수 있음
- 외교통상부
http://www.mofat.go.kr/consul/registration/index.jsp
- 주프랑스한국대사관
http://fra.mofat.go.kr

5 프랑스에서 일하기

=============
가. 개요
=============

▣ 취업
ㅇ 워킹홀리데이비자소지자는 프랑스 입국시 노동허가증 신청이 면제됨
- 입국즉시 합법적인 취업이 가능함 : 워킹홀리데이 비자의 가장 큰 장점
ㅇ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고용될 경우 고용주가 프랑스 행정당국에 고용 신고를 해야 하므로
프랑스 노동법의 적용 대상이 됨
ㅇ 최저임금(SMIC: 시간당 9,53 유로 - 2014 년 기준)을 받을 수 있음
ㅇ 고용주가 가입한 사회보장제도(의료보험, 산재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음. 단,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고용되어도 실업수당, 퇴직수당, 연금 및 기타사회원조(가족수당,
주택보조수당 등) 대상은 아님
※ 유용한 사이트 : 파리 시청 운영 사이버고용센터
- http://www.cyber-emploi-centre.com/

▣ 세금
ㅇ 프랑스에서 일하여 소득이 있는 경우, 신고해야 함
ㅇ 소득에 따라 세금을 내야 하며, 소득이 적을수록 세금이 적거나 없음
ㅇ 소득 신고 : 매년 5 월
ㅇ 소득신고센터
- 프랑스체류시 : 거주지역 (www.impots.gouv.fr)
- 한국에 귀국할 경우 : Centre des impôts des non-résidents
ㆍ주소 : TSA 10010 - 10 rue du Centre - 93465 Noisy le
Grand
ㆍ FAX : 01 57 33 83 00 / TEL : 01 57 33 83 50
ㆍ E-mail : nonresidents@dgi.finances.gouv.fr
※ 소득을 신고하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당할 수 있음

==============================
나. 프랑스어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

▣ Avant-propos 들어가는 말
ㅇ Il faut absolument utiliser les principes de base du marketing à votre candidature: Ne
mettez en avant que vos forces, que le bon côté des choses, que les avantages / Pensez
que vous êtes un produit que vous devez vendre à un client.
구직을 위해서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자신의 장점을 최대한 부각해야 한다. 자신을
좋은 ‘상품’으로 취업 시장에 내놓을 수 있어야 한다.
ㅇ Le recruteur n'est pas votre psychologue ou votre curé. Vous n'êtes pas tenu de lui
confesser la réalité. Ne pas dire toute la réalité n'est pas un mensonge.
구인자(리쿠르터)는 구직자의 속내 이야기를 들어주는 상담가가 아니다. 구직자는 자기의
문제를 다 이야기할 필요도 없고 거짓말을 해서도 안된다.
ㅇ Le recruteur n'est pas non plus le génie de la lampe: Il n'est pas là pour réaliser vos
rêves mais pour gagner de l'argent grâce à vous.
구인자는 구직자의 꿈을 실현해주는 램프의 요정이 아니다. 구인자는 수익을 내기 위하여
구직자를 선별 채용한다.
ㅇ Soyez au courant de votre avantage compétitif par rapport à des français, ce que vous
pouvez apporter à l'entreprise.
프랑스인과는 다른 한국인만의 장점을 부가시키고 한국인으로서 회사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를 표현해야 한다.
ㅇ 프랑스 기업의 입장에서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 기대하는 것
- Corée = Asie = Technologie
한국은 곧 아시아를 의미하며, 아시아는 기술력을 상징한다.
- Coréen = Asiatique = passerelle pour l'Asie (Chine, Japon, Corée)
한국인은 아시아인이며, 아시아(중국, 일본, 한국)에 진출하기 위해 필요한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다.
- Coréen = étranger = passerelle pour l'étranger (si vous parlez
anglais)
영어를 할 수 있는 한국인은 세계 시장 진출에 도움을 준다.
ㅇ Vous avez beaucoup plus de chance de trouver un emploi en passant par les agences
d'intérim : Manpower, Adecco, Crit Interim, Adia... (liste complète sur Cyber Emploi
Centre)
단기취업센터(agences d'intérim)의 문을 두드리는 것이 외국인으로서 취업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단기 취업 센터의 목록은 http://www.cyber-emploi-centre.com/를 참조.

▣ Le Curriculum Vitae 이력서


ㅇ 1 page ciblée pour une entreprise, CV complet pour une agence
d'interim. 기업에 구직할 경우엔 한 페이지 이력서를, 단기취업센터에 구직할 경우엔 가능한
한 상세한 이력서를 써야 한다.
- Le Design doit être clair et uniforme.
이력서 형식은 분명하고 일관적이어야 한다.
- Simple, pas trop d'écriture. Si trop d'information, utilisation du gras et différentes tailles
de police.
내용을 간결하게 기재해야 하며, 글자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글자의 굵기와 크기로 중요한
것을 부각해야 한다.
- Pas de couleurs.
색은 넣지 않는 게 좋다.
- Attention aux polices utilisées. (compatibilités avec la France)
프랑스에서도 사용하는 글자체로 이력서를 써야 한다.
- Format Word ou PDF (Mais pas Hangeul!)
Word 나 PDF 를 사용할 수 있으나 ‘한글’ 은 사용해서는 안된다.
- Attention aux fautes !
맞춤법에 유의해서 작성해야 한다.
- Il faut « balancer » le CV entre formation et experiences universitaires. En général 2/5,
1/5 pour le reste. Mais la priorité est l'expérience professionnelle.
이력서 내용은 학력과 직업경력을 잘 배분해서 써야 한다. 이력서에는 직업경력이 가장
중요하다.
- Indiquez vos travails à temps partiels surtout les travails de serveurs, hôtesses (en
particulier pour les agences d'interim).
단기취업센터를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서빙, 안내원 등의 아르바이트 경력을 상세하게 쓰라.
- Vous pouvez également indiquer vos expériences associatives si vous aviez un rôle
significatif.
동호회 등의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면 내용을 기재하라.
ㅇ En-tête (윗부분)
- Le prénom puis le nom doit être le même que sur le passeport.
여권에 기재되어 있는 성명을 맨 위에 쓴다.
- On peut ajouter un prénom facile à prononcer.
불어로 발음하기 쉬운 이름을 추가 기재할 수 있다.
- Adresse : Nom de la résidence, étage, numéro de porte, Numéro du building (bis,
tier…), rue (avenue,…) Code postal, Ville
주소는 프랑스식으로 기재해야 한다. 즉 건물이름, 층, 방번호, 번지, 길 이름, 우편번호, 도시
이름 순으로 적는다.
- Téléphone portable + téléphone fixe
휴대전화 번호와 집전화 번호를 기재한다.
- Email (qui fonctionne)
프랑스에서 받을 수 있는 이메일 주소를 적는다. ( hanmail 등은 프랑스에서 기능하지 않을
수 있음)
- Nationalité, âge, marié / célibataire
국적, 나이, 결혼 여부를 적는다.
- Permis de conduire
운전면허 종류를 프랑스식으로 기재한다.
- Type de visa
소지하고 있는 비자 종류를 적는다.
- Si vous cherchez un travail spécifique, vous pouvez l'indiquer entre la photo et l'en-
tête.
특정분야의 직업을 구한다면 직업명을 표제로 기재한다.
ㅇ Photo 사진
- Une photo en couleur est mieux.
컬러사진이 흑백사진보다 선호된다.
- La photo doit pouvoir être imprimé en noir et blanc.
흑백으로 인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라.
- Sourire si possible
(한국과는 다르게) 웃는 얼굴이 선호된다.
- Une photo où vous semblez beau (belle) (Photoshop)
포토샵등을 사용하여 좋은 인상의 사진을 만들라.
- Le but est de donner envie de vous rencontrer.
사진을 부착하는 목적은 만나고자 하는 의욕을 불러일으키는데 있다.
ㅇ Formation : Diplôme 학력 : 학위를 기재해야 함
- Les années : date d'obtention du diplôme ou période scolaire
연도를 기재한다. ( 학위취득연도 혹은 학업 기간)
ㅇ Formation : Langues, informatique 외국어 및 컴퓨터 활용 능력
- Indiquez toutes les langues que vous connaissez spécialement les
langues asiatiques.
활용가능한 모든 외국어, 특히 아시아 국가의 언어를 기재하라
- Indiquez votre niveau en Français.
불어 구사 능력의 등급을 표기하라
- Qualifiez votre niveau de connaissance : basique, intermédiaire, avancé, courant,
bilingue.
등급은 초급, 중급, 고급, 불어로 일할 수 있음, 모국어 수준 등으로 분류된다.
- Mentionnez vos diplômes de langues.
불어 및 다른 외국어 자격증이 있으면 기재한다.
- Indiquez les logiciels que vous maîtrisez.
컴퓨터로 활용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재한다.
- N'oubliez pas PowerPoint, Excel, Word !
특히, PowerPoint, Excel, Word 등이 중요하다.
- Si vous êtes dans l'informatique, décrivez votre niveau de
connaissance des logiciels.
IT 분야에서 일할 생각이라면, 가능한 상세하게 기재하라.
ㅇ Expériences professionnelles 직업 경력
- Indiquez les périodes
취업기간을 명시하라.
- Vos majeurs tâches dans l'entreprise, les plus importantes.
회사에서 수행한 가장 중요한 업무를 기재하라.
- Si vous avez des chiffres à indiquer, indiquez-les (augmentation des ventes,
augmentation des marges, des profits, des parts de marché …)
실적을 수치화해서 기재하라. (매상, 수익, 시장점유율 증가 등)
- Décrivez l'activité de l'entreprise.
회사의 주요 활동을 기재한다.
ㅇ Divers 기타
- Cette partie sert surtout à combler le vide dans le CV.
이력서의 빈 공간을 잘 활용해야 한다.
- Indiquez des choses diverses qui ne rentrent pas dans les parties précédentes.
학력이나 경력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내용을 기재한다.
- Ou des choses intéressantes sur vous.
취미 등 개인적인 취향에 대해 적을 수 있다.
- En général : blog, musique, voyage...
일반적인 예 : 블로그, 음악, 여행 등
▣ La Lettre de Motivation 구직동기서
ㅇ Attention aux fautes !
전체적으로 맞춤법에 유의하라
ㅇ 윗부분
- En haut à gauche, votre identité + Adresse
왼쪽 위에는 본인 성명과 주소를 적는다.
- En haut à droite, identité du locuteur + Adresse
오른쪽 위에는 구인자의 성명과 회사 주소를 적는다.
- En dessous, A « la ville », le « la date »
그 아래에는 구직동기서를 작성한 도시와 날짜를 기재한다.
- En dessous, référence de l'offre à laquelle vous postulez si il y a
그 아래에는 구인광고의 참조 번호를 기입한다.
ㅇ La lettre 구직동기서 내용
- Monsieur, Madame + nom
그 아래 왼쪽에 구인자의 성을 Monsieur 혹은 Madame 와 함께 쓴다. (※주의 : 프랑스
이름은 종종 남녀를 구별할 수 없으므로 잘 확인하여 Monsieur, Madame 를 써야 함)
- 크게 도입부, 전개부, 결론부로 나뉜다.
1/ Introduction 도입부
Décrire l'offre à laquelle on postuler
채용되고자 하는 일자리에 대해 쓴다.
Où a-t-on trouver l'offre
구인광고를 어디서 발견했는지 쓴다.
2/ Développement 전개부
L'entreprise
회사에 대해 쓴다.
L'entreprise et vous (point commun)
구직자와 회사의 공유점에 대해 쓴다.
Intérêt pour l'entreprise
회사에 대한 관심을 적는다.
Vous et ce que vous pouvez apporter à l'entreprise
회사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 적는다.
3/ Conclusion 결론부
Politesse pour expliquer qu'on attend une réponse positive
긍정적인 답변을 기다린다는 내용을 적는다.
Salutations cordiales
격식을 갖춘 인사말을 적는다.
Nom, prénom
성명을 기재하고, 서명한다.

==============
다. 일자리 구하기
==============

▣ Entretiens 면접
ㅇ 유의사항
- Bien se rappeler de l'offre d'emploi
면접에 임할 시, 구인광고 내용을 잘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 Être en accord / bien se rappeler de la lettre de motivation envoyée.
이미 보낸 구직동기서 내용과 일관된 답변을 준비해야 한다.
- Bien se renseigner sur l'entreprise (visiter le site, utiliser également source tierce pour
se renseigner (wikipedia…) et vérifier l'actualité de l'entreprise (Google / Yahoo
actualités…)
회사의 현황을 조사해 잘 알아두어야 한다. (회사의 인터넷 사이트, Wikipedia, Google,
Yahoo 등을 이용해서 조사)
- Préparez les réponses aux questions typiques.
전형적인 면접 질문에 대비해 답변을 준비한다.
- Faites attention à l'attitude (tic et toc).
면접관을 성가시게 하는 말버릇이나 머리만지는 버릇등을 삼가야 한다.
ㅇ Questions typiques 전형적인 질문과 적절한 답변
1/ Quelles sont vos qualités? Comment vos collègues vous décrivent?
본인의 장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동료들의 평가는 어떠한가?
- Les « qualités » à posséder sont souvent indiquées dans l'offre
d'emploi.
이미 구인광고에 기재되어 있는 성품들을 참고한다.
- 3 qualités est un bon chiffre.
세 가지 성품을 언급하는 것이 좋다.
- Les illustrer à l'aide d'exemple de votre expérience professionnel / scolaire plutôt que
personnel.
주로 학업이나 업무의 성취에서 얻은 장점을 언급하라. 개인적인 사생활과는 연관짓지 않는
것이 좋다.
- Exemple de qualité appréciée : autonome, flexible, dynamique...
예 : 자율적이다,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있다, 적극적이다 등
2/ Quels sont vos défauts?
본인의 단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 Vos 3 défauts doivent être des qualités ou le mauvais côté de vos qualités.
단점으로 언급할 세가지 성품들은 장점들로도 해석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Illustrer à l'aide d'un exemple que vous avez pu retourner à votre avantage (pas de
défaite).
어떻게 하면 단점들이 장점들로 작용되었는지 예를 들어 설명하라.
=> A éviter 피해야 할 답변 :
« Je n'ai pas de défaut », « Je suis timide », « Je n'aime pas travailler en équipe », « Je ne
suis pas ponctuel »
“단점이 없습니다”, “저는 소극적입니다”. “ 팀으로 일하는 것을 싫어합니다”, “시간을 지키지
않습니다”
3/ Pourquoi voulez-vous travailler pour nous? / En quoi votre formation et expérience
sont en adéquation avec ce poste? Pourquoi dois-je vous recruter? 왜 이 회사에서 일하고
싶은가? 본인의 학업과 경력이 지원하는 업무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나?
왜 우리 회사가 본인을 선택해야 한다고 생각하나? ··
- Il faut être très ordonné dans la réponse et préparer une réponse
bien « apprise ».
잘 정리된 답변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
- Chaque point développé doit être en relation avec l'entreprise et/ou l'offre d'emploi.
회사 및 지원하는 업무와 잘 관련지어 답변해야 한다.
=> À éviter 피해야 할 답변 : « J'ai toujours rêvé de... » mais plutôt « J'ai toujours été
passionné par... », « Ce poste est une suite logique à mon profil» “제가 항상 꿈꾸어 온
것은······”이라고 말하기보다는 “제가 항상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이라고 답변하라. “제
지금까지의 경력으로 이 업무를 하는 것은 당연한 논리입니다”라는 식의 답변은 피하라.
4/ Préférez-vous travailler seul ou en équipe?
독립적으로 일하는 것을 선호하는가 혹은 팀으로 일하는 것을 선호하는가?
- Il faut éviter de choisir car les 2 vont ensemble.
한 가지 답변을 선택하는 것을 피하라. 면접관은 두 가지를 다 원하기 때문이다.
- Le recruteur veut savoir si vous vous intégrez facilement, si vous êtes sociable mais
également si vous êtes autonome.
면접관은 구직자가 독립적으로도 팀으로도 일을 잘 할 수 있는지를 알고 싶어한다.
=> A éviter 피해야 할 답변: « On ne m'a pas intégré dans l'équipe »“지난 번 팀에서는
저를 따돌렸습니다.”
5/ Pourquoi avez-vous quitté votre poste précédent? Qu'est ce que vous aimiez le moins
dans votre précédent poste?
지난 번 직장을 그만 둔 이유는 무엇인가? 그 직장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무엇이었나?
- Le but est de savoir si vous aviez eu des problèmes dans votre entreprise précédente
qui pourrait revenir.
이 질문의 의도는 같은 문제가 반복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 Nuancez et restez positif
완곡한 어조로 긍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라.
- Exemple : « Les fonctions de mon poste ne faisaient pas assez appel à mes
compétences », « Manque de challenge», « Je voulais m'orienter vers un secteur plus
proche de mes compétences » 예: “제 역량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었습니다.”,“도전할 만한
것이 부족했습니다”,“제 역량을 좀 더 펼칠 수 있는 일자리를 찾고 있었습니다.”
=> A éviter 피해야 할 답변: Critiquer votre ancien employeur sèchement 과거의 고용주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J'ai été viré », « Je ne m'entendais avec personne »
“해고당했습니다.”,“동료들과의 관계가 좋지 않았습니다.”등의
답변은 피해야 한다.
6/ Quels sont vos objectifs à court / moyen / long terme ? Où vous voyez-vous dans 2 /
5 / 10 ans?
중장단기적 목표는 무엇인가? 2,5,10 년 안에 무엇을 성취하고 싶은가?
- Il faut être honnête sur vos envies (si elles ne sont pas en contradiction avec le poste)
mais surtout rester flexible et vague.
지원하는 업무와 모순되는 내용이 아니라면 솔직하게 얘기하되 유연하면서 완곡한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 L'employeur veut savoir si vous avez l'intention de rester dans l'entreprise
면접관은 구직자가 회사에 충실할 것인지를 알고 싶어한다.
- Exemple : « Mon but est de trouver un emploi où je puisse utiliser toutes mes
capacités. Mon objectif à plus long terme dépendra de la direction que prendra
l'entreprise...»
예 : “저의 목표는 제 역량을 모두 발휘할 일자리를 찾는 것입니다. 앞으로의 향후 계획은
회사의 장기 비젼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답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A éviter 피해야 할 답변: Être trop précis (« je veux devenir manager dans 2 ans,
directeur de projet dans 5 et le nouveau CEO dans 10 ans... ») 지나치게 구체적인 답변(“2
년안에는 과장이 되고, 5 년안에는 부장이 되고, 10 년안에는 사장이 되겠습니다······")은
피해야 한다.
※ Pour toutes questions / informations supplémentaires
lawren00@hotmail.com
http://france-coree.net
http://www.cyber-emploi-centre.com/

▣ 생활 및 취업 관련 사이트 소개
ㅇ 파리 시청 운영 사이버고용센터
- http://www.cyber-emploi-centre.com/
ㅇ 국립학생복지센터(CNOUS)
- http://www.cnous.fr
ㅇ 청소년정보교류센터(CIDJ)
- http://www.cidj.com
ㅇ 프랑스 교육진흥원 (Campus France)
- www.korea.campusfrance.org (한국어/불어)
ㅇ 프랑스 한인정보지 사이트 홈페이지
- 한위클리 http://www.francezone.com
- 파리지성 http://www.parisjisung.com
- 오니바 http://www.oniva82.com
- 유로꼬레 http://www.euro-coree.net
ㅇ 한국 거주 프랑스인 커뮤니티 (운영자 : Laurent Pawlowski)
- http://www.france-coree.net

6 어학연수

=============
가. 불어 연수
=============

▣ 불어 연수
ㅇ 불어 실력의 중요성
ㅇ 프랑스에서 워홀러들이 일하기 위해서는 불어 구사능력이 필수적이며, 언어능력이
뛰어날수록 취업의 기회가 확대됨
ㅇ 워킹홀리데이 체류기간 중 어학연수는 기간제한 없이 가능함
ㅇ 프랑스의 어학연수기관 정보
- http://www.qualitefle.fr
※ 어학연수기관에서 제공하는 수업의 내용(시험 준비반 혹은 문화관련 수업 등등)과
수업료를 비교해 보고 선택하되 워킹홀리데이비자로 등록할 수 없는 기관이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 요

▣ 파리 지역 연수 기관 소개
ㅇ Cours de Civilisation Française de la Sorbonne
- 학기제 운영
- 문법 위주의 수업
ㅇ Alliances Française
- 회화 위주 수업
- 2 주 단위로 입학 가능
ㅇ Institut de Langue et de Culture Françaises
- 학기제 운영
- 회화 및 쓰기 훈련
ㅇ 구청에서 제공하는 수업
- 수업료가 매우 저렴함
- 9 월에 등록하여 1 년제로 운영

7 www.0404.go.kr 소개

ㅇ 해외여행자 인터넷 등록제 [동행]


- 해외여행자 인터넷 등록제 '동행'에 가입 시, 자동으로 국가의 통합안전정보가 이메일로
전달되며 위기상황 발생시 신속․정확한 영사서비스 지원이 가능해짐.
- 국가의 통합안전정보를 여행 전 숙지하여 안전한 해외여행을 할 것.

ㅇ 여행에 대한 마음자세
- 국가의 안전정보는 권고사항에 불과, 무엇보다 여행자 스스로 위기의식을 갖고 ‘나의
안전은 내가 책임진다.’ 는 마음가짐으로 여행을 준비하는 것이 해외안전여행의 지름길임.

ㅇ 해외안전지킴이 영사콜센터
- 24 시간 연중무휴
- [국내] 02-3210-0404
- [해외] 무료: 현지국가코드 +800-2100-0404
유료: 현지국가코드 +822-2100-0404

• 출처: 외교통상부 해외안전여행사이트 / www.0404.go.kr


• 외교통상부 국가별 정보 DB / www.mofat.g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