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16 자료 해석하기 20 생명체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화학 반응을 물질대사라고 한다.

물질대사가 원활하게 일어나는 것은 효소가 있기 때문이다.


용액 9에 용액 :에
넣었을 때 넣었을 때 21 자료 해석하기

세포막이 세포 물질대사의 구분
세포벽 팽창 큰 분자 큰 분자
으로부터
정상 상태 분리 (가) (나)
용액의 농도에 따른 세포의 부피 변화
•(가): 세포질의 부피가 감소하였다. 삼투에 의해 물이 세포 ㈎ ㉠ ㉠ ㈏
밖으로 나갔다. 용액 9의 농도가 세포 안보다 높다. 효소 효소
동화 이화
•(나): 세포의 부피가 증가하였다. 삼투에 의해 물이 세포 안 작용 작용
으로 들어왔다. 용액 :의 농도가 세포 안보다 낮다.
에너지 에너지
흡수 작은 분자 작은 분자 방출
① 용액 9에 넣었을 때에는 세포에서 물이 빠져나갔고, 용액 •(가) 작은 분자 → 큰 분자: 동화 작용 에너지 흡수(흡열 반응)
:에 넣었을 때에는 세포로 물이 들어왔다. 따라서 용액의 농 •(나) 큰 분자 → 작은 분자: 이화 작용 에너지 방출(발열 반응)
도는 9가 :보다 높다. •㉠ 효소: 물질대사에 관여하는 생체 촉매

② (가)에서는 세포에서 물이 빠져나가 세포질이 수축하면서


ㄴ. ㉠은 물질대사를 촉진하는 생체 촉매인 효소이다.
세포막이 세포벽으로부터 분리되었다(원형질 분리).
ㄷ. 작은 분자가 큰 분자로 되는 반응에서는 에너지가 흡수되
③ 세포 안의 농도는 물이 많이 빠져나간 (가)에서가 (나)에서보
므로 물질에 저장된 에너지양은 큰 분자가 작은 분자보다
다 높다.
많다.
④ 액포는 물을 저장하여 세포 안의 농도를 조절한다. (가)에서
바로 알기 ㄱ. (가)는 동화 작용이고, (나)는 이화 작용이다.
는 세포에서 물이 빠져나가 세포 안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액포에서 세포질로 물이 이동하여 액포의 크기가 줄어들고, 22 (나) 이화 작용의 예로는 녹말이 엿당으로 분해되는 소화, 포도
당이 이산화 탄소와 물로 분해되며 세포의 생명 활동에서 사용
(나)에서는 세포로 들어온 물의 일부가 액포에 저장되어 액포의
하는 형태의 에너지를 생산하는 세포 호흡 등이 있다.
크기가 커진다.
바로 알기 ㄷ. 아미노산의 결합으로 단백질이 합성되는 반응
바로 알기 ⑤ 세포를 용액 :에 넣었을 때 물이 용액 :에서
세포 안으로 들어와 세포의 부피가 증가하였다. 은 동화 작용이다.

17 화학 반응은 원자의 결합이 바뀌어 반응물과는 다른 생성물이 23 자료 해석하기


연소와 세포 호흡 비교
생기는 것으로, 활성화 에너지 이상의 에너지가 있을 때 반응이
[연소] [세포 호흡]
일어난다. 정촉매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반응이 빠르게 일 반응물(포도당) 반응물(포도당)

어나도록 하고, 부촉매는 활성화 에너지를 높여 반응이 느리게 에너지

일어나도록 한다. 에너지


에너지 에너지
바로 알기 ③ 반응열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에너지 차이이므로
에너지
촉매의 유무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에너지
생성물
+ + 생성물
18 활성화 에너지는 반응물이 반응을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가) (나)
에너지로, 반응물이 넘어야 할 에너지 언덕 "에 해당한다.
•고온에서 일어남 •체온 정도의 저온에서 일어남
19 ㄱ. 생성물의 에너지가 반응물의 에너지보다 크므로 반응이 일 •촉매 불필요 •촉매(효소) 필요

어날 때 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열 반응이다. •한 번에 반응 진행 •단계적으로 반응 진행


•에너지를 한꺼번에 다량 •에너지를 여러 단계에 걸쳐 소량씩
ㄴ. 촉매는 활성화 에너지의 크기에만 영향을 준다. 따라서 촉
방출(화학 에너지 → 빛, 방출(화학 에너지 → 화학 에너지,
매가 있더라도 반응열은 변하지 않는다. 열) 열)
ㄷ. 이 반응은 동화 작용이므로 단백질 합성은 이 반응의 예에
해당한다. (가)는 연소이고, (나)는 세포 호흡이다.

56
정답과 해설
바로 알기 ③ 반응물과 최종 생성물이 같으면 반응물과 생성 ㄱ. 시험관 "에서 과산화 수소 분해를 촉진하는 카탈레이스의
물의 에너지 차이인 반응열이 같다. 따라서 연소와 세포 호흡 작용이 가장 활발하므로 기포 발생량이 가장 많다.
결과 방출되는 에너지의 총량은 같다. 바로 알기 ㄴ. 카탈레이스의 주성분은 단백질이므로 간을 삶
으면 카탈레이스가 변성되어 시험관 #에서는 과산화 수소 분
24 자료 해석하기
해를 촉진하지 못한다.
효소의 작용
" % 생성물 ㄷ. 시험관 $의 증류수는 과산화 수소의 농도를 묽게 하지만,
반응물
과산화 수소의 분해를 방해하지는 않는다.
$
27 ㄱ. 반응물의 농도가 같을 때 초기 반응 속도는 "가 #보다 빠
# 효소 르므로 효소의 농도는 "#이다.
•"는 반응 후 %로 분해되므로 "는 반응물, %는 생성물이다. ㄴ. 초기 반응 속도는 효소와 반응물이 결합한 ㉠의 생성 빈도
•#는 반응 전후에 변하지 않으므로 생체 촉매인 효소이다.
에 비례한다. 따라서 41에서 ㉠의 양은 "#이다.
•$는 효소와 반응물이 결합한 상태로, 결합 결과 활성화 에너지
가 낮아진다.
ㄷ. 41에서 효소의 농도가 #일 때에는 초기 반응 속도가 최대
에 이르렀으므로 효소가 모두 반응물과 결합하여 포화 상태에
반응물인 "가 분해되어 생성물 %로 되는 반응이며, 효소 #의 이르렀다. 그러나 효소의 농도가 "일 때는 초기 반응 속도가
주성분은 단백질이다. 효소는 반응물과 결합한 $ 상태에서 활 아직 최대에 이르지 않았으므로 효소 중에는 반응물과 결합하
성화 에너지를 낮춘다. 반응물과 결합한 효소의 수
지 않은 것이 있다. 따라서 의 값은
전체 효소의 수
25 ① "는 생성물이고, #는 반응물이다. "#이다.
③ #가 더 작은 분자로 분해되므로 이 효소는 이화 작용에 관
28 ㄷ. "Ř$에서 같은 효소를 이용한 반응이므로, 반응물의 농도
여한다.
에 관계없이 효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크기는 같다.
④ 이 반응은 반응물의 에너지가 생성물의 에너지보다 커서 반
바로 알기 ㄱ. " 상태일 때 반응물과 결합하지 않은 효소가
응이 진행되면 반응열(㉠)만큼의 에너지가 방출되는 발열 반응
있으므로 반응물을 첨가하면 반응 속도가 증가한다.
이다.
ㄴ. # 상태일 때 모든 효소가 반응물과 결합한 상태이므로 반
⑤ 효소는 반응물과 결합하여 반응을 촉진하므로 $의 효소와
응물 농도가 높아지더라도 반응 속도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반응물이 결합한 생성 빈도가 높을수록 반응 속도가 빠르다.
일정하게 유지된다.
바로 알기 ② ㉠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에너지 차이인 반응열
이다. 효소의 유무에 관계없이 반응열의 크기는 변하지 않 29 (가)는 키위에 들어 있는 단백질 분해 효소를 이용한 것이다.
는다. (나)의 요 검사지에는 포도당 산화 효소가 있어 혈액 속의 포도
당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26 자료 해석하기 (다)의 효소 세제에는 때의 주성분인 단백질과 지방의 분해 효
카탈레이스의 작용 소가 들어 있어 세제의 세척력을 높인다.
따라서 (가)Ř(다) 모두 효소가 관여하는 반응이다.

과산화 과산화 과산화


바로 알기 ㄴ. 요 검사지를 이용하면 오줌 속에 포도당이 있는
수소수 수소수 수소수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생간 삶은 간 증류수

" # $ 30 ㄷ. 생물이 가진 %/"의 유전 정보에 따라 단백질이 합성되고


생간의 카탈레이스 간을 삶으면 카탈레이 과산화 수소 분해가 이 단백질이 고유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형질이 발현된다.
에 의해 과산화 수 스가 기능을 잃게 된다. 매우 느리게 일어나 산
소 분해가 촉진되 효소의 작용이 없으 소 기포가 거의 발생 바로 알기 ㄱ. ㉠은 %/"로부터 전사되어 만들어지는 3/"
어 산소 기포가 활 므로 과산화 수소 분해 하지 않는다.
발히 발생한다. 가 매우 느리게 일어나
이다.
산소 기포가 거의 발생 ㄴ. (가) 과정은 번역이다. 전사는 %/"가 있는 핵에서 일어나
하지 않는다.
고, 번역은 세포질에 있는 리보솜에서 일어난다.

57
정답과 해설
31 자료 해석하기 35 자료 해석하기
유전 정보의 흐름 전사 과정 %/" 3/"
유전자  유전자  •사슬 ㉠에는 타이민(5)이 있다. 사슬 ㉠ 사슬 ㉡
유전자 
%/"
%/" "
•사슬 ㉡에는 유라실(6)이 있다. (
5
3/" 6
효소  효소  효소 
•%/"의 유전 정보가 3/"로 전 $
달되는 전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물질 " 물질 # 물질 $ 아르지닌
이때 %/"의 염기에 상보적인 염
•유전자에는 효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기를 가진 폴리뉴클레오타이드가 결합하여 3/"를 생성하므
•효소 은 물질 "가 물질 #로 전환되는 반응을 촉매하고, 효소 로, 합성된 3/"는 %/"에 상보적인 염기 서열을 가진다.
는 물질 #가 물질 $로 전환되는 반응을 촉매한다.
•유전자 은 전사와 번역 과정을 거쳐 효소 의 합성에 관여한
사슬 ㉠은 염기 타이민(5)을 가지므로 %/"의 한쪽 가닥이
다. 유전자 에는 효소 의 주성분인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
고, 사슬 ㉡이 염기 유라실(6)을 가지므로 3/"이다. 그림은
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유전자 에 이상이 생기면 효소 이 정상적으로 합성되지 않아 %/"로부터 3/"가 합성되는 전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물질 $가 아르지닌으로 전환되지 못한다. ㄱ. 동물 세포에서 %/"는 핵 속에 있으므로 전사는 핵 속에
서 일어난다.
바로 알기 ④ 유전자 에 이상이 생기면 정상적인 효소 가
ㄴ. %/" 한쪽 가닥을 주형으로 하여 3/"가 합성되므로 사
생성되지 않는다. 그 결과 물질 #가 물질 $로 전환되지 못하
슬 ㉠으로부터 사슬 ㉡이 합성되고 있는 중이다.
므로 물질 #가 축적된다.
바로 알기 ㄷ. 합성된 3/"(사슬 ㉡)는 %/"로부터 떨어져
32 ㄴ. 눈동자 색 유전자는 멜라닌 합성 효소의 양에 대한 정보를
나와 세포질로 이동한다.
저장하고 있고, 이 효소가 기능을 함으로써 서로 다른 양의 멜
36 ㄱ. 번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코돈과 번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라닌 합성 효소가 생성되어 눈동자 색이 달라진다. 따라서 유
코돈은 666로 같다.
전자의 유전 정보는 단백질 합성을 통해 형질로 나타난다.
ㄴ. ㉠ 부분의 %/" 염기가 "으로 바뀌면 두 번째 코돈이
ㄷ. 유전자는 염기 서열의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6$로 바뀌고, 이것은 다섯 번째 코돈과 같으므로 번 아미
갈색 눈동자 유전자와 파란색 눈동자 유전자는 염기 서열이 서
노산이 번 아미노산과 같은 종류로 바뀐다.
로 다르다.
바로 알기 ㄷ. 전사된 3/"의 염기 서열은 666 (($
바로 알기 ㄱ. 눈동자 색 유전자가 다르면 멜라닌 합성 효소의
$(6 666 (6$이다. 그런데 ㉠ 부분의 염기가 없어지면
생성량이 다르고 그에 따라 합성되는 색소의 양이 달라서 눈동
3/"도 이 부분에 염기 개가 빠지므로 앞에서부터 개씩 차
자 색이 다르게 보인다. 즉, 눈동자 색 유전자가 달라도 합성되
례대로 묶으면 코돈은 666 ($$ (66 66(가 된다. 따
는 색소의 종류는 같지만 색소의 생성량이 달라 눈동자 색이 달
라서 두 번째 아미노산 이후의 모든 아미노산의 배열 순서가
라지는 것이다.
바뀔 수 있다.
33 (가)의 염기 서열은 %/"의 5(5에 상보적인 염기 서열인
"$"이다. 37 유전자 이상에 의한 유전 질환이 나타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염기 서열(㉠)이 변하면 바뀐 정보가 그대로 3/"(㉡)
34 ①, ② ㉠은 %/"로부터 전사되어 만들어진 3/"이다.
③ 3/"에서 연속된 개의 염기가 한 조가 되어 하나의 아미 로 전사되고, 그에 따라 3/"의 코돈이 바뀌어 아미노산(㉢)

노산을 지정하는 코돈이 된다. 따라서 아미노산 을 지정하는 의 배열 순서가 바뀐다. 아미노산 배열 순서에 의해 단백질 입

코돈은 "6(이다. 체 구조가 결정되므로 정상 단백질과는 다른 입체 구조를 가진

⑤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의 염기 서열에 의해 결정 비정상 단백질이 생성될 수 있다. 그런데 단백질은 고유한 입체

된다.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능을 수행하므로 비정상 단백질 정상적

바로 알기 ④ 아미노산 을 지정하는 코돈은 66(이고, 이


인 기능을 하지 못하여 유전 질환이 나타나게 된다.

를 전사한 %/"의 염기 조합은 이에 상보적인 염기 서열인


""$이다.

58
정답과 해설
고농도의 용액에 넣으면 삼투에 의해 물이 세포 밖으로 이동하
차이를 만드는 통합 사고력 문제 1권 274~277쪽
여 세포질이 수축하여 세포막이 세포벽으로부터 분리되는 현
상이 나타난다.
01 ⑴ 세포막의 주성분은 인지질과 단백질이다. 세포
막은 인지질 중층에 단백질이 군데군데 박혀 있는 구조로 되 03 #, 활성화 에너지는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반응물
어 있다. 이 넘어야 할 에너지 언덕에 해당되므로 "와 #가 활성화 에너

⑵ 산소와 이산화 탄소 같은 기체 분자는 세포막의 인지질 중 지인데, 카탈레이스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반응을 촉진하

층을 직접 통과하여 확산한다. 이온과 같이 전하를 띤 물질이 는 생체 촉매인 효소이기 때문에 #가 카탈레이스가 있을 때의

나 포도당과 같이 비교적 분자 크기가 큰 물질은 세포막의 단 활성화 에너지이다.

백질을 통해 확산한다. 채점 기준 배점()

채점 기준 배점(%) 카탈레이스가 있을 때의 활성화 에너지의 기호와 그렇게


100
생각한 근거를 옳게 서술한 경우
세포막의 성분과 구조를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50
카탈레이스가 있을 때의 활성화 에너지의 기호만 옳게 쓴
⑴ 세포막의 성분은 옳게 썼지만 구조에 대한 설명이 30
30 경우
정확하지 않은 경우

세포막을 통해 산소, 포도당, 이산화 탄소가 이동하 "는 효소가 없을 때의 활성화 에너지이고, #는 효소가
50
⑵ 는 경로와 원리를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있을 때의 활성화 에너지이다. 그렇게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물질이 확산한다고만 쓴 경우 20 효소는 생체 촉매로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반응을 촉진하
기 때문이다.
⑴ 인지질은 친수성 머리 부분과 소수성 꼬리 부분으로
되어 있어 물이 풍부한 환경에서 소수성 꼬리 부분끼리 마주 04 ⑴ 효소는 종류마다 고유한 입체 구조를 갖고 있어
보며 인지질 중층을 이룬다. 세포 안팎은 물이 풍부하므로  입체 구조에 들어맞는 특정 반응물하고만 결합하여 반응을 촉
중층에서 인지질의 소수성 꼬리 부분은 안쪽을 향하고 친수성 매하기 때문이다.
머리 부분이 바깥쪽을 향하여 세포 안팎의 물이 풍부한 환 ⑵ 효소는 생체 촉매로서 반응 전후에 변하지 않고 남아 있으
경과 접하고 있다. 므로 다시 새로운 반응물과 결합하여 반응을 촉매할 수 있기
⑵ 기체와 같이 분자 크기가 매우 작은 물질은 인지질 중층을 때문이다.
직접 통과하여 확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온과 같이 전하를 띤 채점 기준 배점(%)
물질, 포도당과 아미노산 같이 비교적 분자 크기가 큰 물질은 효소의 입체 구조와 관련지어 옳게 설명한 경우 50
세포막의 단백질을 통해 확산한다. ⑴ 한 가지 효소는 한 가지 반응물에만 작용하기 때문
25
이라고만 쓴 경우

02 용액 9가 양파 표피 세포 안보다 농도가 높아서 삼 효소가 반응 전후에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포함하


50
투에 의해 물이 세포 안에서 밖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세포질 ⑵ 여 옳게 설명한 경우

이 수축하여 (나)와 같이 세포막이 세포벽으로부터 분리되는 효소는 생체 촉매이기 때문이라고만 쓴 경우 25

현상이 나타난다.
⑴ 효소는 주성분이 단백질이며, 단백질은 고유한 입체
채점 기준 배점() 구조를 가지고 특정 기능을 담당한다. 효소는 입체 구조에 들
용액 9의 상대적 농도와 삼투에 의한 물의 이동을 포함 어맞는 반응물하고만 결합하여 반응을 촉매하므로, 한 가지 효
100
하여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소는 한 가지 반응물에만 작용하는 특이성이 있다.
삼투에 의해 물이 세포 밖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라고만 쓴
30 ⑵ 촉매는 반응 전후에 변하지 않고 남아 있다. 효소는 생체 촉
경우
매로서 반응이 끝난 후 변하지 않고 반응 전 상태로 남아 있다.
세포막을 통한 물의 이동은 삼투에 의해 일어난다. 삼투 반응이 끝난 과산화 수소수에 간 속의 카탈레이스가 남아 있으
는 물질의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물이 확산하는 현 므로 반응물인 과산화 수소수를 첨가하면 반응이 다시 일어
상이다. 식물 세포는 세포막 바깥에 세포벽이 있어서 세포를 난다.

59
정답과 해설
05 핵 속에 있는 %/"의 인슐린 유전자에 저장된 유 07 사람을 비롯한 거의 모든 생명체는 동일한 유전 암
전 정보가 3/"로 전사된 후 3/"가 세포질로 나온다. 호 체계를 사용하므로 대장균에 삽입된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
3/"의 유전 정보에 따라 리보솜에서 아미노산이 차례대로 의 유전 정보는 대장균 내에서 전사되고 동일하게 번역되어 사
결합하여 단백질이 합성되는 번역이 일어난다. 합성된 단백질 람의 인슐린 단백질이 합성될 수 있다.
은 소포체를 통해 운반되고, 골지체로 이동하여 골지체에서 적 채점 기준 배점()
절하게 변형되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슐린 단백질 거의 모든 생명체가 동일한 암호 체계를 사용한다는 것을
100
이 된다. 인슐린 단백질은 막으로 싸여 운반되어 세포막을 통 포함하여 그 원리를 옳게 설명한 경우
해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 거의 모든 생명체가 동일한 암호 체계를 사용하기 때문이
70
라고만 설명한 경우
채점 기준 배점()
전사와 번역, 단백질의 합성과 이동에 관여하는 세포 소 사람과 대장균은 유전 암호 체계가 동일하다. 따라서 사
100
기관을 순서에 맞게 모두 언급하며 옳게 설명한 경우
람과 대장균에서 코돈이 지정하는 아미노산의 종류는 같다. 예
전사와 번역 과정만 옳게 설명한 경우 50 를 들면 사람의 세포에서 코돈 666는 아미노산 중 페닐알라
단백질의 합성과 이동에 관여하는 세포 소기관을 모두 옳 닌을 지정하는데, 이 코돈은 대장균에서도 동일하게 페닐알라
50
게 설명한 경우
닌을 지정한다. 단백질의 입체 구조와 기능은 아미노산 서열에
단백질의 합성과 이동에 관여하는 세포 소기관의 일부만
30 의해 결정되므로, 대장균에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를 넣어 주면
옳게 설명한 경우
대장균의 단백질 합성 기구를 이용하여 사람의 인슐린 단백질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 순서에 대한 정보는 핵 속의 을 합성할 수 있다.
%/"의 염기 서열에 저장되어 있다. %/"는 직접 단백질 합
08 유전자 이상은 유전자의 %/" 염기 서열에 변화
성에 관여하지 않고 3/"로 정보를 전사하고, 3/"가 세포
가 생긴 것이다. %/"의 염기 서열 변화는 3/"로 전사되므
질에 있는 리보솜으로 가서 단백질 합성에 관여한다. 단백질은
로 코돈이 변하고, 그에 따라 아미노산 서열이 달라진다. 단백
소포체와 골지체를 거쳐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
질은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고유한 입체 구조를 가지고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아미노산 서열이 바뀐 비정상 단백질
이 만들어져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유전 질환
06 단백질의 입체 구조와 특성은 아미노산 서열에 의
이 나타난다.
해 결정된다. %/"의 염기 서열에는 특정 단백질의 아미노산
채점 기준 배점()
서열이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데, 이때 연속된 염기 개로
유전자 이상의 의미와 유전 질환이 나타나는 과정을 옳게
이루어진 염기 조합이 하나의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암호가 100
설명한 경우
된다.
유전 질환이 나타나는 과정을 다소 부정확하게 설명한
70
채점 기준 배점() 경우
%/"의 염기 서열, 아미노산 서열 암호화, 염기 조합을 유전자 이상을 %/" 염기 서열의 변화라고만 설명한
모두 포함하여 %/"의 유전 정보 저장 방식을 옳게 설 100 50
경우
명한 경우

염기 조합의 형태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정보가 저장


유전자 이상은 유전자를 구성하는 %/" 염기 서열의
70
되어 있다고 설명한 경우 변화를 의미한다. %/"의 염기 서열이 일부 바뀌면 그에 따라
%/"의 염기 서열에 단백질에 대한 유전 정보가 저장되 전사, 번역이 일어나 지정하는 아미노산이 바뀌고 정상 단백질
30
어 있다고만 설명한 경우 과는 다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비정상 단백질이 만들어져 유
전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단백질의 기능은 입체 구조에 의해 결정되며, 입체 구조
는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의 염기 서열
에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데, 연속된 염기 개
가 하나의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암호로 작용한다.

60
정답과 해설
순간부터 "까지 이동하는 시간 동안 낙하한 거리와 지면에 도
High Top을 완성하는 수능형 문제 1권 278~288쪽
달하는 시간 동안 낙하한 거리의 비 (II):I:이다.
1② 2④ 3⑤ 4① 5② 6③ I
따라서 Ռ ᙨ이다.
ր
7⑤ 8③ 9④ 10 ④ 11 ① 12 ② I

13 ③ 14 ③ 15 ④ 16 ③ 17 ⑤ 18 ① 3 자료 해석하기

19 ④ 20 ④ 21 ② 22 ⑤ 수평 방향으로 던진 물체의 연직 방향 운동
수평 방향으로 던진 물체는 연직 방향으로 자유 낙하 운동을 하
I
1 자료 해석하기 րgU2에서 U5 g 이다.
며, 낙하 거리 Iᙦ
Պ
자유 낙하 운동과 속력시간 그래프 W
"
자유 낙하 운동을 하는 물체의 속력 WgU이므로 속력시간 그
=(I)
래프의 기울기는 중력 가속도와 같다, UA5
g
g W
#
I
속력

I I
기울기gN/T2 5 UB5
g g I
W2U2 Wm 지면
T
W1U1 W„

T는 "와 #가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 거

리의 합이므로 TWUA 2 WUBW5gI W5gIW5 I


0 U„ Um 시간(T)
g 이다.

ㄷ. #는  N 높이만큼 자유 낙하 하여 지면에 도달하므로, #


4 ㄱ. "와 #의 질량이 같고, 벽과 충돌 직전 ", #의 속력이 각
가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은 "가  N만큼 자유 낙
각  N/T,  N/T이므로 충돌 직전 ", #의 운동량 비
하 하는 데 걸린 시간과 같은 U1이다. 한편 #는 "가  N만큼
QA:QB:이다. 또한, ", #가 정지하면 운동량이 이 되
낙하한 순간인 U1일 때부터 자유 낙하를 시작하므로, #가 지면
므로 ", #가 정지할 때까지 운동량 변화량의 크기, 즉 충격량
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 U3U1 U1   (초)이다.
2
의 크기 비 *A:*B:이다.

바로 알기 ㄴ. 힘시간 그래프 아랫부분의 넓이는 물체가 받
바로 알기 ㄱ. 속력시간 그래프 아랫부분의 넓이는 물체가
은 충격량의 크기와 같은데, 4142이므로 41은 #의 충격량
낙하한 거리를 의미한다. "가 낙하한 거리는 U1일 때  N, U2일
을, 42는 "의 충격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41:42:에서
때  N이므로 Պ 
ր ᙦU1(U1)(N)에서 U15 (초),
ᙦU1W1Պ
ր 4142이다.

 ㄷ. 평균 힘의 크기는 충격량을 충돌 시간으로 나눈 값과 같다.
Պ
ր ᙦU2(U2)(N)에서 U25 (초)이다. 따라서
ᙦU2W2Պ
ր
 *A *B  
따라서 'A:'B :  : :이다.
U22  U1이다. DUA DUB U0 U0
ㄴ. 자유 낙하 운동을 하는 물체의 속력은 시간에 비례한다. 따
5 (가)에서 "와 #가 실로 연결되어 함께 운동하므로 질량이
라서 W1:W2U1:U2:2 에서 W22  W1이다.
N NN인 하나의 물체로 볼 수 있다. 이 물체에 '의
2 수평 방향으로 던진 물체는 수평 방향으로 등속 직선 운동을 힘이 초 동안 작용하여 가한 충격량은 질량 N인 물체의 운
한다. "는 물체가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 수평 방향으로 이동 동량이 되므로, N=W'=에서 초일 때 ", #의 속력

한 거리가 ᙦ
Պ이 되는 지점이므로 물체를 던진 순간으로부터 "
ր '
 이다. 이 순간 실이 끊어진다.
N
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과 "에서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 걸 (나)에서 관성 법칙에 의해 작용하는 알짜힘이 인 "의 속력은
린 시간이 같다. '
로 일정하다. 한편 #에는 '의 힘이 계속 작용한다. 따라
한편 수평 방향으로 던진 물체는 연직 방향으로 자유 낙하 운동 N
서 초 후 #의 운동량은 가한 충격량의 크기만큼 증가한
ᙦgU2이므로 낙하 시
을 한다. 시간 U 동안 물체의 낙하 거리Պ
ր
' ' '
N= '= 이므로 이때의 속력은 이다.
간 비가 :이면 낙하 거리 비는 :이다. 즉, 물체를 던진 N  N

61
정답과 해설
' ' ㄷ. #는 식물에 의한 광합성에 해당한다. 삼림 면적이 증가하
따라서 WA:WB : :이다.
N N
여 나무가 많아지면 광합성에 의한 탄소 이동이 증가한다.
6 자료 해석하기 바로 알기 ㄱ. 기권에서 탄소의 유입량은 수권으로부터 
충격량과 힘시간 그래프 생물권으로부터  지권으로부터 .. 단위이고,
공에 가한 충격량만큼 공의 운동량이 변하며, 이는 힘시간 그
유출량은 수권으로의 용해  광합성(#)  단위이
래프 아랫부분의 넓이와 같다.
공의 운동량NW1 다. 따라서 유입량이 유출량보다 많다.


" N ㈎
" 10 ㄴ. 암석이 마그마로 되기 위해서는 지하에서 지구 내부 에너지
NW2 에 의해 발생하는 높은 열과 큰 압력을 받아야 한다.
4
Wm ㈏
#
ㄷ. 석회암은 바다에서 생물체의 유해가 퇴적되거나 바다에 용
N
# 4 해되어 있던 탄산염이 화학적 침전을 일으켜 생성된다. 따라서
공의 운동량NW2 0 U U 시간 석회암의 생성은 생물권에서 지권으로의 작용(#)이나 수권에
(가) NW1 (나)
서 지권으로의 작용($)에 해당한다.
ㄱ. 공을 발로 찬 후 운동량은 공에 가한 충격량과 같으며, 이 바로 알기 ㄱ. 암석은 주로 대기와 물에 의해 풍화・침식 작용
는 힘시간 그래프 아랫부분의 넓이와 같다. 따라서 공을 발 을 받아 퇴적물이 된다. 생물권도 암석의 풍화나 침식 작용에
로 찬 후 운동량은 "에서는 4로, #에서의 4보다 크다.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대기와 물보다는 풍화에 미치는 영향
충격량 4 로, 에서의 4 이 적다.
ㄴ. 평균 힘 이므로 "에서는 #
시간 U U
4
 의 배이다. 11 자료 해석하기
U 판 경계 종류와 지각 변동
바로 알기 ㄷ.  N W1: N W2 4: 4이므로  N W14
" # % &
NW24이다. 따라서 W1W2이다. $

7 ㄴ. 육상 생물권은 오존층이 형성되어 자외선이 차단된 이후에


형성되었다. 따라서 (나)에서 육상 생물권 형성과 관련 있는 층
은 성층권인 C층이다.
구분 지형 지진의 종류 화산 활동
ㄷ. (나)의 B층은 대류권으로 기상 현상이 나타나며, 바람이나
" 호상 열도 천발, 중발, 심발 ◯
강수 등의 기상 현상에 의해 지각(")의 지표 변화가 일어난다.
# 변환 단층 천발 ×
바로 알기 ㄱ. 지구 자기장은 액체 상태인 외핵($)의 대류에
$ 해령 천발 ◯
의해 형성된다.
% 해구 천발, 중발, 심발 ◯

8 ㄱ. "는 지구에 있는 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해수이고, #는 & 열곡대 천발 ◯

육수의 약  를 차지하는 빙하($)를 제외한 지표수와 지하


수이다. 따라서 물의 밀도는 염류가 포함된 해수(")가 염류가 ㄱ. "는 판이 섭입하면서 발생한 마그마가 분출하여 해구와
거의 없는 육수(#)보다 크다. 나란하게 형성된 호상 열도이다.
ㄷ. 지구 온난화가 심해지면 대륙 빙하가 녹아 바다로 유입되 ㄷ. 해령($)에서 생성된 새로운 해양 지각은 맨틀 대류를 따라
므로, 해수(")의 양이 증가한다. 이동하여 해구(%)에서 소멸된다.
바로 알기 ㄴ. 물의 순환은 증발과 응결이 활발할수록 잘 일 바로 알기 ㄴ. #는 해령과 해령 사이에 판이 서로 반대 방향
어난다. 따라서 주로 극지방에 분포하는 빙하($)보다 지표수를 으로 이동하면서 발달한 변환 단층이다. 변환 단층에서는 천발
포함한 #가 더 활발하게 순환한다. 지진이 활발하게 일어나지만 화산 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
9 ㄴ. 기체의 용해도는 수온이 높을수록 낮다. 따라서 해수의 표 는다.
층 수온이 상승하면 해수에 용해되어 있던 이산화 탄소가 대기 ㄹ. &는 대륙판이 양쪽으로 갈라지면서 형성된 열곡대이다. 열
로 방출(")되는 양이 증가한다. 곡대는 발산형 경계에 해당하므로 천발 지진이 발생한다.

62
정답과 해설
12 자료 해석하기 ㄱ. 핵(")에서 %/"의 유전 정보가 3/"로 전달되는 ㉠ 전
판 경계와 지각 변동 사가 일어나고, 리보솜(%)에서 3/"의 유전 정보에 따라 단
질문 변환 단층 해구 열곡대 백질이 합성되는 ㉡ 번역이 일어난다.
판이 생성 또는 소멸하는가? × (보존) ◯ (소멸) ◯ (생성) ㄴ. 미토콘드리아(#)에서는 세포 호흡이 일어나 생명 활동에
심발 지진이 일어나는가? × ◯ ×
필요한 형태의 에너지를 생성한다. 이때 산소가 소모되고 이산
화산 활동이 일어나는가? × ◯ ◯
화 탄소가 생성된다.
바로 알기 ㄷ. 골지체($)에서는 단백질을 변형시키고 막으로
변환 단층은 보존형 경계이므로 판이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
싸서 분비한다. 펩타이드 결합은 단백질 합성 장소인 리보솜에
고, 해구에서는 판이 소멸되며, 열곡대에서는 판이 생성된다.
서 아미노산이 연결될 때 일어난다.
따라서 "에 들어갈 질문으로 적절한 것은 ‘판이 생성 또는 소
멸하는가?’이다.
열곡대는 발산형 경계이므로 심발 지진이 일어나지 않지만, 해 16 자료 해석하기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확산
구에서는 판이 섭입하면서 심발 지진이 일어난다. 따라서 #에

이동 속도

이동 속도
들어갈 질문으로 적절한 것은 ‘심발 지진이 일어나는가?’이다. 세포 밖
#
13 ㄱ. " 지역은 해구 쪽으로 이동하여 해구에서 북아메리카판 아 "
래로 섭입된다. 따라서 " 근처의 해령과 해구 사이의 거리는
세포 안 0 농도 차 0 농도 차
시간이 갈수록 좁아진다. (가) (나)
ㄴ.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확장되므 •물질 ": 세포막의 단백질을 통해 확산한다.
로, 해령에서 멀수록 해양 지각의 나이가 많다. 따라서 #는 $ •물질 #: 인지질 중층을 통해 확산한다.
•(가): 세포 안팎의 농도 차에 비례하여 이동 속도가 계속 증가한
보다 나이가 많은 지각이 존재할 것이다.
다. 따라서 인지질 중층으로 확산하는 물질 #의 이동 속도
바로 알기 ㄷ. %는 변환 단층이므로 화산 활동이 거의 일어나 이다.
지 않는다. •(나): 세포 안팎의 농도 차가 클수록 이동 속도가 증가하다가 농
도 차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더 이상 이동 속도가 증가하지
14 ㄱ. (가)는 화산 폭발에 의해 발생한 기온 변화이므로 기권에 영 않는다. 이것은 세포막의 단백질이 모두 포화되었기 때문이므
향을 준 예이고, (나)는 화산 폭발에 의해 수권에 영향을 준 예 로 (나)는 물질 "의 이동 속도이다.
이며, (다)는 인간을 비롯한 생물권에 영향을 준 예이다. 따라서
화산 폭발은 기권, 수권, 생물권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ㄱ. 물질 "와 #는 세포막을 경계로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알 수 있다. 쪽으로 이동하므로 확산에 의해 이동한다.
ㄷ. 지구 시스템의 각 권이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어느 한 곳에 ㄷ. 물질의 종류에 따라 통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다르다. 즉
서 발생한 화산 폭발의 영향은 전 지구적으로 나타난다. 세포막의 단백질은 특정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며, 단
바로 알기 ㄴ. 화산 쇄설물 중 화산재는 대기 상층에 한동안 백질의 수가 많을수록 해당 물질의 이동 속도가 빠르다.
머물면서 햇빛의 반사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로 알기 ㄴ. (가)는 물질 #의 이동 속도이고, (나)는 물질 "
의 이동 속도이다.
15 자료 해석하기
세포 내 유전 정보의 흐름

복제 17 ⑤ %에 넣은 양파 조각의 질량이 감소하였으므로 삼투에 의해


%
㉠ ㉡ " 물이 양파 세포 밖으로 빠져나간 것이다. 이런 경우 세포질이
%/" 3/" 단백질
# $ 수축하여 세포막이 세포벽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
•": 핵, #: 미토콘드리아, $: 골지체, %: 리보솜 난다.
•㉠ 전사: %/"가 있는 핵 속에서 일어난다. 바로 알기 ① 양파 조각을 고농도의 용액에 넣으면 물이 세포
•㉡ 번역: 3/"의 정보에 따라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으로
밖으로 빠져나가 질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나중 질량이 가장
연결되어 단백질이 합성된다. 단백질 합성 장소는 리보솜이다.
많이 줄어든 %의 설탕 농도가 가장 높다.

63
정답과 해설
② #에 넣은 양파 조각은 나중 질량이 증가하였으므로 물이 양 20 ① 포도당은 세포막의 단백질을 통해 이동한다.
파 세포 안으로 이동하였다. 설탕은 분자 크기가 커서 세포막 ② (나)는 세포 호흡이며, 세포 밖에서 일어나는 연소와는 달리
을 그대로는 통과하지 못한다. 체온 정도의 저온( $)과 대기압에서 단계적으로 반응이 진
③, ④ $는 양파 조각의 처음 질량과 나중 질량의 차가 가장 행되고, 에너지도 소량씩 방출된다. 또, 세포 호흡의 각 단계마
적으므로 양파 세포 안과 용액의 농도 차가 가장 작다. 그러나 다 다른 종류의 효소가 관여하므로, 세포 호흡에는 여러 종류
처음 질량보다 나중 질량이 약간 줄었으므로 세포의 부피는 의 효소가 관여한다.
감소하였다. ③ (나) 세포 호흡은 이화 작용이고, (다) 단백질 합성과 (마)
3/" 합성은 동화 작용이다.
18 ㄱ. 삶은 간을 넣은 시험관 #에서는 기포가 거의 발생하지 않 ⑤ 전사가 일어날 때에는 %/"에 상보적인 염기 서열을 갖는
았다. 이것은 간 속의 효소가 고온에서 기능을 잃어 과산화 수 3/"가 만들어진다. 즉, %/"의 아데닌(")은 유라실(6),
소의 분해를 촉진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타이민(5)은 아데닌("), 구아닌(()은 사이토신($), 사이토신
바로 알기 ㄴ. (다)에서 반응이 끝난 시험관 "에 과산화 수소 ($)은 구아닌(()으로 전사된다.
수를 첨가한 결과 다시 반응이 진행되어 기포가 발생하였다. 바로 알기 ④ (라)의 기체 교환은 확산에 의해 일어나며, 확산
그러므로 시험관 "에서 반응이 멈춘 것은 반응물이 모두 생성 은 분자가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스스로 운동하여
물로 바뀌었기 때문이며, 간 속의 효소는 그대로 남아 있다는 일어나므로 물질이 이동할 때 세포에서 별도의 에너지가 소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효소는 반응 전후에 소모되거나 변하지 되지 않는다.
않아 재사용될 수 있다.
21 ㄱ, ㄴ. %/" 염기 서열에 염기 개나 개를 첨가하면 그 이후
ㄷ. 과산화 수소는 촉매가 없어도 분해가 되지만 촉매가 있을
의 아미노산 서열이 모두 바뀌지만, 염기 개로 구성된 코돈 
때 더 빠르게 분해된다.
개가 아미노산 개를 지정하므로 염기 개를 첨가하면 개의
아미노산만 추가되고 나머지 아미노산 서열은 바뀌지 않는다.
19 자료 해석하기
이를 통해 연속된 염기 개가 하나의 아미노산을 지정하며, 염
효소의 작용 원리
초기 반응 속도

기는 중복이나 누락 없이 연속적으로 번역된다는 것을 알 수


W 있다.
W
 바로 알기 ㄷ. 3/"에 염기 개가 추가되면 이후의 모든 코
" # $ 0 4„ 4m 반응물의 농도 돈이 바뀌므로 아미노산 서열이 크게 바뀔 수 있다.
(가) (나)
22 ㄱ. 두 번째 코돈이 "($이므로 이 코돈이 지정하는 두 번째
•(가): "는 반응물, #는 효소, $는 효소와 반응물이 결합한 상태
(효소 ・ 기질 복합체)이다.
아미노산은 세린이다.
•(나): 초기 반응 속도는 효소와 반응물이 결합한 $의 생성량에 ㄴ. 세 번째 코돈 6"6의 첫 번째 염기 6이 "으로 바뀌면 세
비례한다. 반응물의 농도가 42가 될 때까지는 반응물의 농도에 번째 코돈은 ""6가 된다. 코돈표에서 ""6가 지정하는 아
비례하여 초기 반응 속도가 증가한다. 42보다 반응물의 농도가
미노산은 아스파라진이다.
높으면 모든 효소가 반응물과 결합한 상태로 포화되어 있으므
로 더 이상 반응 속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ㄷ. 네 번째 코돈과 다섯 번째 코돈 사이에 6이 삽입되면 다섯
번째 코돈은 6""가 된다. 코돈표에서 6""는 종결 코돈이
ㄱ. 반응 결과 "가 더 작은 분자로 쪼개졌고 #는 반응 전후에 므로 번역이 끝나게 된다. 따라서 정상보다 아미노산 개가 적
변하지 않았으므로 #는 큰 분자를 작은 분자로 분해하는 이화 어 길이가 짧은 폴리펩타이드가 만들어진다.
작용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ㄴ. 효소가 반응물과 결합하였을 때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므로
$의 생성량이 많으면 반응 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의 생성
량은 반응물의 농도가 42일 때가 41일 때보다 많다.
바로 알기 ㄷ. 반응물의 농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효소가 관여
할 때에는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가 같다.

64
정답과 해설
산화 구리(Ⅱ)가 구리로 환원된다.

III 변화와 다양성 ⑶ 알코올은 $, ), 0로 이루어진 물질이므로 완전 연소하면


이산화 탄소와 물이 생성되고, (나)에서는 구리와 이산화 탄소
가 생성된다. 따라서 공통으로 생성되는 물질은 이산화 탄소
이다.

화학 변화
개념 확인해서 High로!
01 산화 환원 반응 2권 22~23쪽

01 ⑴ ㉠ $02, ㉡ $02, ㉢ 02, ㉣ $02 ⑵ ㉠ $)4, ㉡ 02,


탐구 확인 문제 2권 19쪽
㉢ )20, ㉣ $02 02 ⑴ 검은색 가루가 붉은색으로 변한다.
01 ③, ④, ⑦ 02 ⑴ (가)에서는 증가하고, (나)에서는 감소한다.
⑵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진다. ⑶ 산화되는 물질: 탄소($),
⑵ (가) 산소(02) (나) 산화 구리(Ⅱ)($V0) ⑶ 이산화 탄소($02)
환원되는 물질: 산화 구리(Ⅱ)($V0) 03 ㄱ, ㄴ 04 ⑴ 수
소()2) 기체 ⑵ 산화되는 물질: 아연(;O), 환원되는 물질: 수
01 ① 과정 ❶에서 구리가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 구리(Ⅱ)로 되며,
소 이온()+) 또는 염산()$M) ⑶ 감소한다. 05 ⑴ 산화되
이때 구리와 결합한 산소의 질량만큼 질량이 증가한다.
는 물질: 마그네슘(.H), 환원되는 물질: 이산화 탄소($02)
② 과정 ❶에서 생성된 산화 구리(Ⅱ)는 이온 결합 물질로 생성
⑵ 마그네슘(.H)은 산소(02)와 결합하기 때문에 질량이 증
과정을 다음과 같이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구
가한다. ⑶ 흰색 가루: 산화 마그네슘(.H0), 검은색 가루:
리는 전자를 잃고 구리 이온으로 산화되고, 산소는 구리가 잃
은 전자를 얻어 환원된다. 탄소($) 06 $, )2 07 구리 이온($V2+): $, 철 이온

산화 ('F2+): #, 황산 이온(4042-): " 08 (가) 09 ": $02,


$V 02 @@A $V0($V2+ 02-) #: $02 10 물,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한다. 11 02
환원

⑤ 과정 ❷에서 산화 구리(Ⅱ)는 구리로 환원되고, 탄소는 이산


01 ⑴ ㉠은 코크스($)가 산화되어 생성된 $02이고, ㉡은 $)4의
화 탄소로 산화된다.
$가 산화되어 생성된 $02이다. ㉢은 광합성의 결과 생성된 물
⑥ 석회수는 수산화 칼슘이 충분히 녹아 있는 수용액으로, 이
질 중 하나인 산소(02)이고, ㉣은 $6)1206의 $가 산화되어 생
산화 탄소와 반응하여 탄산 칼슘 앙금을 생성하므로 이산화 탄
성된 $02이다.
소 검출에 쓰인다.
⑵ (가)Ř(라)의 화학 반응식에 각각 산화, 환원되는 물질을 나
바로 알기 ③ 과정 ❶에서 구리가 산화될 때 공기 중의 산소는
타내면 다음과 같다.
환원된다.
(가) 환원
④ 산화 구리(Ⅱ)와 탄소가 반응하여 생성된 이산화 탄소가 시 'F203 $ @@A 'F $02
산화 철(Ⅲ) 탄소 철 이산화 탄소
험관 밖으로 빠져나가므로 질량은 감소한다.
산화
⑦ 석회수는 수산화 칼슘이 녹아 있으므로 염기성 물질이고,
(나) 산화
이산화 탄소는 물에 녹아 산성을 띠므로 석회수와 이산화 탄소 $)4 02 @@A $02 )20
메테인 산소 이산화 탄소 물
의 반응은 중화 반응이다.
환원

02 (가)에서는 $V 02 @@A $V0의 반응이 일어나며, (나) (다) 산화

$02 )20 @@A $6)1206 02


에서는 $V0 $0 @@A $V $02의 반응이 일어난다. 이산화 탄소 물 포도당 산소
⑴ (가)에서는 구리가 산소와 결합하므로 구리판의 질량이 증 환원

가하지만, (나)에서는 산화 구리(Ⅱ)가 산소를 잃으므로 구리판 (라) 산화

의 질량이 감소한다. $6)1206 02 @@A $02 )20


포도당 산소 이산화 탄소 물
⑵ (가)에서는 구리와 반응하는 산소가 환원되며, (나)에서는 환원

65
정답과 해설
02 ⑴ 검은색의 산화 구리(Ⅱ) 가루와 탄소 가루의 혼합물을 시험 산화(전자 잃음)

관에 넣고 가열하면 시험관 속에 붉은색 물질이 생성된다. 이 ;O )+ @@A ;O2+ )2


환원(전자 얻음)
는 산화 구리(Ⅱ)가 산소를 잃고 붉은색의 구리로 환원되었기
⑵ 산화되는 물질은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는 ;O이고, 환원
때문이다. 또, 탄소가 산소를 얻어 이산화 탄소로 산화되고, 생
되는 물질은 전자를 얻는 )+(또는 )$M)이다.
성된 이산화 탄소에 의해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진다.
⑶ ;O은 ;O2+이 되어 용액 속으로 녹아 들어가므로 ;O 조각
⑵ 석회수는 수산화 칼슘($B(0))2) 수용액으로, 이산화 탄소
전체의 질량은 감소한다.
($02)와 반응하여 물에 녹지 않는 탄산 칼슘($B$03)을 생성
하기 때문에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진다.
05 마그네슘(.H)이 드라이아이스의 승화로 생성된 이산화 탄소
⑶ 산화 구리(Ⅱ)와 탄소가 다음과 같이 반응하므로 산화되는
($02)로부터 산소를 빼앗아 밝은 빛을 내며 연소하여 흰색의
물질은 산소와 결합하는 탄소($)이고, 환원되는 물질은 산화
산화 마그네슘(.H0)을 생성한다. 이때 이산화 탄소는 산소를
구리(Ⅱ)($V0)이다.
잃어 검은색 탄소($) 가루로 남는다.
산화
⑴ .H $02 @@A .H0 $의 반응이 일어나므로
$V0 $ @@A $V $02
산화 구리(Ⅱ) 탄소 구리 이산화 탄소 산소와 결합한 .H은 산화되고, 산소를 잃은 $02는 환원된다.
환원
⑵ .H은 산소와 결합하므로 결합한 산소의 양만큼 질량이 증

03 (가) 겉불꽃에는 산소가 충분하므로 겉불꽃에 구리판을 넣으면 가한다.


구리가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 구리(Ⅱ)를 생성하는 반응이 일 ⑶ .H과 $02의 반응 후 남은 흰색 가루는 .H0이고, 검은
어난다. 이때 구리는 구리 이온으로 산화되고, 산소는 산화 이 색 가루는 $이다.
온으로 환원된다.
06 •$ 02@@A$02에서는 $가 산소와 결합하므로 산화된다.
산화(전자 잃음)

02 @@A $V0($V2+ 02-) •"H/03 /B$M@@A"H$M£ /B/03에서 "H/03


$V
구리 산소 산화 구리(Ⅱ) 과 /B$M은 각각 "H+과 /03-, /B+과 $M-으로 이루어져 있
환원(전자 얻음)
고, 생성된 "H$M과 /B/03은 각각 "H+과 $M-, /B+과
(나) 속불꽃에서는 알코올이 불완전 연소되어 생성되는 일산화
/03-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반응 전후 전자를 잃거나 얻는
탄소와 산화 구리(Ⅱ)가 반응하며, 산화 구리(Ⅱ)가 산소를 잃고
물질이 없으므로 산화 환원 반응이 아니다.
환원되어 구리가 되므로 붉은색으로 변한다.
•$V0 )2@@A$V )20에서는 )2가 산소와 결합하
산화
므로 산화되는 물질이다.
$V0 $0 @@A $V $02
산화 구리(Ⅱ) 일산화 탄소 구리 이산화 탄소
환원 07 황산 구리(Ⅱ)($V404) 수용액에 철('F) 조각을 넣으면 다음과
ㄱ. (가)에서는 구리가 산화 구리(Ⅱ)를 이루는 구리 이온으로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되면서 전자를 잃고, 산소는 이 전자를 얻어 산화 구리(Ⅱ)를 이 'F $V2+@@A'F2+ $V

루는 산화 이온으로 된다. 따라서 'F은 반응이 일어나면서 전자를 잃고 'F2+이 되어 용

ㄴ. (가)에서는 구리에 결합한 산소의 질량만큼 구리판의 전체 액 속으로 녹아 들어가므로 'F2+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반

질량이 증가한다. 대로 $V2+은 환원되어 금속으로 석출되므로 $V2+의 수는 감

바로 알기 ㄷ. 겉불꽃은 산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겉불꽃에 산 소한다($). 한편 4042-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이온 수

화 구리(Ⅱ)를 넣어도 산화 구리(Ⅱ)가 구리로 환원되는 반응은 는 변하지 않는다(").

일어나지 않는다.
08 (가)는 메테인의 연소 반응으로 열과 빛이 발생한다. (나)는 용
04 ⑴ 아연(;O) 조각을 묽은 염산()$M)에 넣으면 아연은 전자를 광로에서 일어나는 철의 제련 반응으로 용광로와 같이 높은 열
잃고 아연 이온(;O2+)으로 산화되어 용액 속으로 녹아 들어가 을 가해 주어야 일어나는 반응이다. (다)는 광합성 반응으로 빛
고, 용액 속에 녹아 있던 수소 이온()+)은 전자를 얻어 수소 에너지를 흡수하여 일어나는 반응이므로 열이 발생하지 않
()2)로 환원되어 기체가 발생한다. 는다. 따라서 열을 방출하는 반응은 (가)이다.

66
정답과 해설
09 광합성은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 탄소로부터 포도 바로 알기 ② 과정 ❸에서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묽은
당과 산소를 생성하는 산화 환원 반응이다. 세포 호흡은 광합 염산과 아세트산 수용액의 색 변화가 같은 것은 이들이 산성
성과는 반대로 산소를 이용하여 포도당을 연소시켜 에너지를 용액이기 때문으로, 산성을 나타내는 것은 수용액에 산의 양이
얻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포도당은 산화되고 산소는 환원된 온인 수소 이온()+)이 공통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 따라서 ", #는 모두 $02이다. ④ 과정 ❹에서 산의 수용액(묽은 염산, 아세트산 수용액)에 마
산화 그네슘을 넣으면 다음과 같이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나서 수소
광합성: $02 )20 @@A $6)1206 02 기체가 발생한다.
이산화 탄소 물 포도당 산소
환원 산화

산화
.H )+ @@A .H2+ )2
환원
세포 호흡: $6)1206 02 @@A $02 )20
포도당 산소 이산화 탄소 물 과정 ❺에서 산의 수용액(묽은 염산, 아세트산 수용액)에 달걀
환원
껍데기(주성분: 탄산 칼슘)를 넣으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
10 도금은 철과 같은 금속의 표면에 다른 금속으로 얇은 피막을 나서 이산화 탄소가 발생하며, 이는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에
형성하는 것이다. 도금은 기름칠, 페인트칠과 같이 철이 부식 속한다.
되는 원인 물질인 물,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부식을 방지 $B$03 )+ @@A $B2+ )20 $02
하는 방법이다. ⑤ 과정 ❹에서 발생하는 기체는 수소이고, 과정 ❺에서 발생하
11 과일을 깎은 후에 공기 중에 두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은 산소 는 기체는 이산화 탄소이다.
와 반응하기 때문이다. 손난로는 포장을 뜯으면 철이 들어 있 02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를 붉은색으로 변화시키는 식초, 레몬즙
는 내부로 공기 중의 산소가 들어가 철이 산화되는 반응이 일 은 산성 용액이고, 붉은색 리트머스 종이를 푸른색으로 변화시
어나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한 제품이다. 폭죽은 폭죽 안에 키는 비눗물, 하수구 세척제는 염기성 용액이다.
있는 물질이 급격히 연소하면서 일어나는 반응을 이용한 것이 ⑴ 산성 용액에는 공통으로 수소 이온()+)이 들어 있고, 염기
고, 철로 만든 제품이 녹스는 것은 수분의 존재 하에 철이 산소 성 용액에는 공통으로 수산화 이온(0)-)이 들어 있다.
와 반응하여 산화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네 가지 현상에는 모 ⑵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붉은색으로 변하는 물
두 산소(02)가 관여한다. 질은 용액의 액성이 염기성인 비눗물, 하수구 세척제이다.

탐구 확인 문제 2권 30쪽

01 ⑤, ⑥ 02 ⑴ " ⑵ ( )극: ", ()극: #, $

02 산과 염기 01 과정 ❶, ❷에서 양이온은 ()극 쪽으로, 음이온은 ( )극 쪽으


로 이동한다.
탐구 확인 문제 2권 29쪽 ① 과정 ❶에서 ()극 쪽의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가 붉게 변하
01 ①, ③ 02 ⑴ 수소 이온()+) ⑵ 비눗물, 하수구 세척제 는 것은 수소 이온()+) 때문이다.
② 과정 ❶의 결과는 수소 이온()+)의 이동 때문에 나타나는
01 ① 과정 ❷에서 묽은 염산, 아세트산 수용액, 수산화 나트륨 수 것으로, 염산 대신 다른 종류의 산의 수용액으로 실험해도 같
용액, 암모니아수에 전류가 흐르는 것은 수용액에 전하를 띠는 은 결과가 나타난다.
이온들이 있기 때문이다. ③ 과정 ❷에서 ( )극 쪽의 붉은색 리트머스 종이가 푸르게 변
③ 과정 ❸에서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수산화 나트륨 수 하는 것은 수산화 이온(0)-) 때문이다.
용액과 암모니아수의 색 변화가 같은 것은 이들이 염기성 용액 ④ 과정 ❷의 결과는 수산화 이온(0)-)의 이동 때문에 나타나
이기 때문으로, 염기성을 나타내는 것은 수용액에 염기의 음이 는 것으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대신 다른 종류의 염기 수용
온인 수산화 이온(0)-)이 공통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액으로 실험해도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67
정답과 해설
바로 알기 ⑤ 과정 ❶, ❷에서 전류가 흐르기 전에는 실 주변 ㅁ. 마그네슘(.H)은 산의 수소 이온과 반응하여 수소 기체를
만 리트머스 종이의 색이 변한다. 그러나 전류가 흐르면 색이 발생하고, 마그네슘 이온(.H2+)으로 된다.
변하는 부분이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H )+@@A.H2+ )2↑
⑥ 과정 ❶, ❷에서 수소 이온()+), 수산화 이온(0)-) 외의 다 ㅂ. 산은 탄산 칼슘($B$03)과 반응하여 이산화 탄소($02) 기
른 이온들도 각각 반대 전하를 띤 극으로 이동한다. 즉, 과정 ❶ 체를 발생한다.
에서 ,+, )+은 ()극 쪽으로, /03-, $M-은 ( )극 쪽으로 $B$03 )+@@A$B2+ )20 $02
이동한다. 과정 ❷에서 /B+, ,+은 ()극 쪽으로, 0)-, 바로 알기 ㄴ. 물에 녹아 수산화 이온(0)-)을 내놓는 것은

/03-은 ( )극 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수소 이온()+), 수산 염기로, 염기의 공통적인 성질(염기성)은 수산화 이온(0)-)
화 이온(0)-)만 리트머스 종이의 색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 때문이다.
온의 이동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ㄷ, ㄹ. 붉은색 리트머스 종이를 푸른색으로 변화시키고, 페놀

02 (가)와 (나)는 모두 염기성 용액으로, (가)와 (나)에 공통으로 들 프탈레인 용액을 떨어뜨리면 붉은색으로 변하는 것은 염기이다.

어 있는 이온인 "는 수산화 이온(0)-)이다. 따라서 #와 $는 ⑵ )$M, )/03, $)3$00)은 산으로, 물에 녹아 공통으로

양이온이다. 수소 이온()+)을 내놓기 때문에 공통적인 성질, 즉 산성을 나

⑴ 염기성 용액인 (가)와 (나)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이온인 " 타낸다.

는 수산화 이온이다.
02 마그네슘(.H)이 묽은 염산()$M)과 반응하면 수소()2) 기체가
⑵ 전류를 흐르게 하면 음이온인 "(수산화 이온)는 ( )극 쪽
발생한다.
으로 이동하고, 양이온인 #와 $는 ()극 쪽으로 이동한다.
.H )$M@@A.H$M2 )2↑
ㄴ. .H$M2은 수용액에서 이온 상태(.H2+, $M-)로 존재하므
로 아연과 묽은 염산이 반응하면 마그네슘 이온(.H2+)의 수는
증가하고, 수소 이온()+)의 수는 감소한다.
개념 확인해서 High로! 2권 34~35쪽
바로 알기 ㄱ. 마그네슘과 묽은 염산의 반응에서 반응 전후 변

01 ⑴ ㄱ, ㅁ, ㅂ ⑵ 물에 녹아 공통으로 수소 이온()+)을 내 화 없는 염화 이온을 빼고 화학 반응식을 쓰면 다음과 같다.


놓기 때문이다. 02 ㄴ 03 ⑴ ) + $ M- ⑵ )+ 산화(전자 잃음)

.H )+ @@A .H2+ )2


4 0 4 2- ⑶ ) + $ )3$ 0 0- ⑷ / B+ 0 )- ⑸
환원(전자 얻음)
$B2+ 0)- ⑹ /)4+ 0)- 04 ⑴ 푸른색 리트머스
따라서 마그네슘과 묽은 염산의 반응은 산화 환원 반응이며,
종이의 붉게 변한 부분이 ()극 쪽으로 이동한다. ⑵ 질산 이
마그네슘은 전자를 잃고 산화되고, 수소 이온은 전자를 얻어
온(/03-), 염화 이온($M-) ⑶ 칼륨 이온(,+), 수소 이온()+)
수소 기체로 환원된다.
05 ⑴ $02 ⑵ 산은 탄산 칼슘($B$03)과 반응하여 이산화 ㄷ. 수소 기체가 발생하여 빠져나가므로 반응 용기 전체의 질
탄소($02) 기체를 발생하기 때문이다. 06 해설 참조 07 량은 감소한다.
⑴ (가), (나), (다) ⑵ (가) ⑶ (다) 08 ㄴ, ㄹ 09 ⑴ ": 묽
은 염산, #: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⑵ (가) 붉은색 (나) 노란
03 산과 염기는 각각 다음과 같이 물에 녹아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나누어진다.
색 (다) 수소 기체 발생 (라) 이산화 탄소 기체 발생 (마) 변화
⑴ )$M @@A)+ $M-
없음 (바) 삶은 달걀이 녹음 ⑶ 아세트산 수용액: ", 암모니
⑵ )2404 @@A)+ 4042-
아수: # 10 (나)Ę(가)Ę(다) 11 ⑴ 두 가지 ⑵ (가)
⑶ $)3$00) @@A)+ $)3$00-
⑷ /B0) @@A/B+ 0)-
01 ⑴ )$M, )/03, $)3$00)은 모두 물에 녹아 공통으로 수 ⑸ $B(0))2 @@A$B2+ 0)-
소 이온()+)을 내놓는 산이다.
⑹ /)3 )20 @@A/)4+ 0)-
ㄱ. 산은 물에 녹아 수소 이온()+)과 음이온으로 나누어지므로
수용액에 전류가 흐른다. 04 ⑴ 질산 칼륨 수용액에 적신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 위에 묽은

68
정답과 해설
염산에 적신 실을 올려놓으면 실 주변만 붉은색으로 변한다. ⑴ (가)Ř(다) 모두 수용액에 이온이 존재하므로 전류가 흐른다.
이때 전원을 연결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면 푸른색 리트머스 종 ⑵ 마그네슘은 수소 이온()+)과 반응하므로 마그네슘과 반응
이의 붉게 변한 부분이 ()극 쪽으로 이동한다. 이는 수소 이 하는 것은 (가)이다.
온()+)이 ()극 쪽으로 이동하면서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의 ⑶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떨어뜨리면 붉게 변하는 것은 염기이
색을 붉은색으로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므로 수산화 이온(0)-)이 있는 (다)이다.
⑵ ( )극 쪽으로 이동하는 이온은 음이온으로, 질산 칼륨 수용
08 (가)는 산성 물질이고, (나)는 염기성 물질이다.
액의 질산 이온(/03-), 묽은 염산의 염화 이온($M-)이다. 이 ㄴ. 단백질을 녹이는 성질이 있는 것은 염기성 물질이다.
이온들은 리트머스 종이의 색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ㄹ. 산성 물질은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를 붉게 변화시키고, 염
⑶ ()극 쪽으로 이동하는 이온은 양이온으로, 질산 칼륨 수용 기성 물질은 붉은색 리트머스 종이를 푸르게 변화시킨다.
액의 칼륨 이온(,+), 묽은 염산의 수소 이온()+)이다. 칼륨 이 바로 알기 ㄱ. 수용액에 전류가 흐르는 것은 산과 염기 모두의
온은 리트머스 종이의 색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공통적인 성질이다.
05 ⑴ 달걀 껍데기의 주성분은 탄산 칼슘($B$03)으로 산과 반응 ㄷ. 수용액에서 이온화하는 정도는 산이나 염기의 종류에 따라
하면 이산화 탄소($02) 기체를 발생한다. 따라서 묽은 염산에 다르다.
달걀을 넣으면 이산화 탄소를 발생하며 달걀 껍데기가 녹는 것
09 ⑴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중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을 볼 수 있다.
떨어뜨렸을 때 무색인 것은 묽은 염산이고, #5# 용액을 떨어
$B$03 )$M @@A$B$M2 )20 $02↑ 뜨렸을 때 파란색인 것은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이다. 따라서 "
⑵ 탄산 칼슘은 산의 수소 이온과 반응하여 이산화 탄소($02)
는 묽은 염산, #는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이다.
기체를 발생하므로 묽은 염산 대신 식초에 달걀을 넣어도 식초
⑵ "는 묽은 염산이고, #는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이므로 각각
속 수소 이온과 반응하여 이산화 탄소 기체가 발생한다.
의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06 수산화 칼슘($B(0))2)을 물에 녹이면 칼슘 이온($B2+)과 수
#(수산화 나트륨
산화 이온(0)-)으로 나누어진다. 구분 "(묽은 염산)
수용액)
$B(0))2 @@A$B2+ 0)-
페놀프탈레인 용액의 색 변화 무색 (가) 붉은색
따라서 수산화 칼슘($B(0))2) 입자 개가 물에 녹으면 칼슘
#5# 용액의 색 변화 (나) 노란색 파란색
이온($B2+)은 개, 수산화 이온(0)-)은 개 존재한다. 따라
서 수산화 칼슘 입자 개를 녹인 수용액에는 칼슘 이온은 개, 마그네슘 조각을 넣었을 때 (다) 수소 기체 발생 변화 없음

수산화 이온은 개 있어야 한다. (라) 이산화 탄소


달걀 껍데기를 넣었을 때 (마) 변화 없음
기체 발생

삶은 달걀을 넣었을 때 변화 없음 (바) 달걀이 녹음

⑶ 아세트산 수용액의 액성은 산성이므로 묽은 염산(")과 결


과가 같고, 암모니아수의 액성은 염기성이므로 수산화 나트륨

채점 기준 배점() 수용액(#)과 결과가 같다.


칼슘 이온을 나타낸 입자 모형을 개, 수산화 이온을 나
100 10 #5# 용액은 산성에서는 노란색, 중성에서는 초록색, 염기성
타낸 입자 모형을 개 그린 경우
에서는 파란색이므로 (가)는 중성, (나)는 염기성, (다)는 산성이
다. Q)가 작을수록 산성이 강해지고, Q)가 클수록 염기성이
07 (가)는 수소 이온()+)과 음이온("-)이  : 의 개수비로 존재
강해지므로 Q)를 비교하면 (나)Ę(가)Ę(다)이다.
하는 수용액이므로 산 )"의 수용액을 나타낸 것이다. (나)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 의 개수비로 존재하는 전해 11 Q)가 이면 중성이고, Q)가 보다 작으면 산성, Q)가 보
질 "#의 수용액을 나타낸 것이다. (다)는 양이온(#+)과 수산 다 크면 염기성이다. 따라서 Q)가 보다 작은 레몬, 식초, 토
화 이온(0)-)이  : 의 개수비로 존재하는 수용액이므로 염 마토, 커피는 산성 물질이고, Q)가 보다 큰 제산제, 표백제는
기 #0)의 수용액을 나타낸 것이다. 염기성 물질이다.

69
정답과 해설
⑴ 붉은색 리트머스 종이를 푸르게 변화시키는 것은 염기성 물 )$M 속 /B0) 속 혼합 용액 속

질인 제산제, 표백제이다. 이온 수(개) 이온 수(개) 이온 수(개)

⑵ #5# 용액은 산성에서는 노란색, 중성에서는 초록색, 염기 /B+ , $M- , /B+ ,
" )+ , $M- 
성에서는 파란색이므로 #5# 용액을 떨어뜨리면 (가) 노란색 0)-  0)- 

으로 변하는 물질은 레몬, 식초, 토마토, 커피이고, (나) 파란색 $M- , /B+ ,
# )+ , $M-  /B+ , 0)- 
0)- 
으로 변하는 물질은 제산제, 표백제이다.
$ )+ , $M-  /B+ , 0)-  $M- , /B+ 

$M- , /B+ ,
% )+ , $M-  /B+ , 0)- 
)+ 

$M- , /B+ ,


& )+ , $M-  /B+ , 0)- 
)+ 

④ 염화 이온($M-)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반응 전후 그

03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 수가 변하지 않는다. 처음에 가한 묽은 염산의 부피가 "Ř&에


서 모두 다르므로 혼합 용액에 들어 있는 염화 이온($M-)의 수
탐구 확인 문제 2권 41쪽 는 모두 다르다.
01 ②, ⑤ 02 ⑴ (가) 산성 (나) 중성 (다) 염기성 ⑵ (나) ⑥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이 반응할 때 온도가 높
아지는 것은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0)-)이 반응하여
01 농도가 같은 묽은 염산()$M)과 수산화 나트륨(/B0)) 수용 물()20)을 생성하면서 열(중화열)을 발생하기 때문이다.
액은 :의 부피비로 반응하므로 "Ř&에서 실제로 반응한 ⑦ %, &는 산성 용액이므로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떨어뜨리면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은 다음 표와 같다. 색 변화가 없다.

반응한 반응한 혼합 용액의 02 (가) 묽은 염산은 산성 용액이므로 #5# 용액을 떨어뜨리면 노



)$M(N-) /B0)(N-) 액성 란색을 띤다. 여기에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조금씩 가하면
"   염기성 중화 반응이 일어나며, (나) 중화점에 이르면 용액의 색이 초록

#   염기성 색으로 변한다. (다) 중화점 이후에는 가한 수산화 나트륨 수용


액에 의해 용액이 염기성이 되므로 파란색을 띤다.
$   중성
⑴ #5# 용액은 산성에서는 노란색, 중성에서는 초록색, 염기
%   산성
성에서는 파란색이므로 (가)는 산성, (나)는 중성, (다)는 염기성
&   산성
이다.

② 생성된 물의 양이 가장 많은 것은 중화 반응이 가장 많이 일 ⑵ 묽은 염산에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중화시키면 중

어난 $이다. 화점에서 온도가 가장 높고, 중화점 이후에는 가한 수산화 나

⑤ 묽은 염산 대신 아세트산 수용액을 사용해도 중화 반응이 트륨 수용액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중화점인 (나)의

일어나므로 중화열이 발생한다. 온도가 가장 높다.

바로 알기 ① 수용액의 염기성이 클수록 Q)가 크므로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이 반응하고 남은 수산화 이온이
가장 많은 "의 Q)가 가장 크다.
③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0)-)은  : 의 개수비로
반응하므로,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N-에 각
입자가 개씩 녹아 있다고 가정하면 각 용액에 있는 이온의 수
는 다음 표와 같다. 따라서 혼합 용액 속에 있는 전체 이온 수
는 "&Ę#%Ę$이다.

70
정답과 해설
#5# 용액을 떨어뜨리면 (가)는 노란색, (나)는 파란색, (다)는
개념 확인해서 High로! 2권 44~45쪽
초록색이다.
01 ⑴ ㉠ $B$M2, ㉡ )20 ⑵ 중화 반응, )+ 0)-@@A
)20 02 ⑴ 해설 참조 ⑵ (가) 노란색 (나) 파란색 (다) 초록 03 ⑴ 농도가 같은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은 :의
부피비로 반응하므로 반응한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
색 03 ⑴ (다) ⑵ (가), (나) 04 ⑴ 개 ⑵ 나트륨 이온
액의 부피는 각각 (가)  N-씩, (나)  N-씩, (다)  N-
(/B+) 개, 수산화 이온(0)-) 개, 염화 이온($M-) 개
씩, (라)  N-씩, (마)  N-씩이다. 따라서 중화 반응이 가
05 ⑴ (가) 수산화 이온(0)-) (나) 염화 이온($M-) ⑵ 해설
장 많이 일어난 (다)의 온도가 가장 높다.
참조 06 해설 참조 07 ⑴ (가) 산성 (나) 산성 (다) 중성
⑵ 농도가 같은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은 :의
(라) 염기성 ⑵ (다) 08 ⑴ ": 염화 이온($M-), #: 칼륨 이
부피비로 반응하므로 중화 반응할 수 있는 것보다 (가)는 수산
온(,+), $: 수산화 이온(0)-), %: 수소 이온()+) ⑵ (가)
화 나트륨 수용액이  N-, (나)는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이
염기성 (나) 중성 ⑶  :  09 ㄱ, ㄷ 10 ㄱ, ㄷ 11 ⑴  N -, (라)는 묽은 염산이 N -, (마)는 묽은 염산이
)+ 0)-@@A )20 ⑵ (가), (나), (다) ⑶ (나)  N- 더 많다. 따라서 (가), (나)는 염기성이고, (다)는 중성,
(라), (마)는 산성이다. 페놀프탈레인 용액은 산성과 중성에서는
01 ⑴ (가), (나)의 화학 반응식을 완성하면 다음과 같다. 무색이고, 염기성에서는 붉은색이다. (가)Ř(마) 중 염기성 용액
(가) )$M $B(0))2@@A)20 $B$M2 은 (가)와 (나)이다.
(나) )/03 ,0)@@A)20 ,/03
따라서 ㉠은 $B$M2, ㉡은 )20이다. 04 수산화 나트륨(/B0)) 입자 개를 물에 녹인 수용액에는 나
트륨 이온(/B+) 개, 수산화 이온(0)-) 개가 있고, 염화
⑵ (가)에서 산은 ) $ M, 염기는 $ B(0 ))2, (나)에서 산은
수소()$M) 입자 개를 물에 녹인 수용액에는 수소 이온()+)
)/03, 염기는 ,0)으로, 공통으로 산의 수소 이온()+)과
염기의 수산화 이온(0)-)이 반응하여 물()20)을 생성하는 중 개와 염화 이온($M-) 개가 있다.
⑴ 수산화 이온(0)-) 개와 수소 이온()+) 개가 반응하
화 반응이 일어난다. 중화 반응의 알짜 이온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면 물()20) 분자가 개 생성되고, 수산화 이온(0)-) 개
)+ 0)-@@A)20
가 남는다.
02 ⑴ 묽은 염산에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가하면 수소 이온()+) ⑵ 구경꾼 이온인 나트륨 이온(/B+), 염화 이온($M-)의 수는
과 수산화 이온(0)-)이 반응하여 물()20)을 생성하는 중화 반응 전후 변화가 없으므로 반응 후 혼합 용액에는 나트륨 이
반응이 일어난다. 이때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0)-)이 온(/B+) 개, 수산화 이온(0)-) 개, 염화 이온($M-) 
:의 개수비로 반응하므로 (가)의 수소 이온()+) 개와 (나) 개가 남아 있다.
의 수산화 이온(0)-) 개가 반응하여 물()20) 분자 개를
05 ⑴ 묽은 염산()$M)에 같은 농도의 수산화 나트륨(/B0)) 수
생성하며, 구경꾼 이온인 염화 이온($M-)과 나트륨 이온(/B+)
용액을 가하여 중화시키면 수소 이온() +)은 수산화 이온
의 수는 변하지 않는다.
(0)-)과 반응하므로 점점 감소하다가 없어지고, 수산화 이온
(0)-)은 수소 이온()+)과 반응하므로 처음에는 존재하지 않
다가 수소 이온()+)이 모두 없어지면 증가한다. 구경꾼 이온인
/Bt $M‘ 염화 이온($M-)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처음에 들어 있는
)m0 )m0
/Bt $M‘ 수가 변하지 않고, 나트륨 이온(/B+)은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을 넣어 주는 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가)는 수산화 이온(0)-),
채점 기준 배점()
(나)는 염화 이온($M-)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나트륨 이온 모형을 개, 염화 이온 모형을 개, 물 분자
100 ⑵ 일정량의 묽은 염산()$M)에 수산화 나트륨(/B0)) 수용
모형을 개 그린 경우
액을 가할 때 중화 반응으로 생성된 물 분자 수는 중화점에서
⑵ (가) 묽은 염산은 산성, (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은 염기 최대가 되며, 중화점 이후에는 더 이상 중화 반응이 일어나지
성, (다) 혼합 용액은 중성이므로 (가)Ř(다)의 비커에 각각 않으므로 생성된 물 분자 수는 변하지 않는다.

71
정답과 해설
물 분자 수
(0)-)이 모두 없으므로 중성이다. 따라서 (나)는 중화점이다.
⑶ 혼합 용액에 수소 이온()+)이나 수산화 이온(0)-)이 모두
없는 (나)가 중화점이고, 이때 수산화 칼륨(,0)) 수용액 
N-와 반응한 묽은 염산()$M)은  N-이므로 반응한 두 수
0 /B0) 수용액의 부피 용액의 농도는 같음을 알 수 있다.

채점 기준 배점() 09 ㄱ. 중화 반응이 일어날 때 중화열이 발생하므로 혼합 용액의


증가하다가 일정해지는 모양으로 옳게 그린 경우 100 온도가 가장 높은 지점이 중화 반응이 완결된 지점이다.
ㄷ. #5# 용액은 중성일 때 초록색을 띠므로 용액이 초록색으
06 묽은 염산()$M)에 수산화 나트륨(/B0)) 수용액을 가하면 로 변하는 지점이 중화 반응이 완결된 지점이다.
중화 반응이 일어나서 중화열이 발생하므로 혼합 용액의 온도 바로 알기 ㄴ. 묽은 염산과 수산화 칼륨 수용액의 반응에서는
가 높아진다. 완전히 중화된 지점(중화점) 이후에는 중화 반응 앙금이 생성되지 않는다.
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고, 처음과 같은 온도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이 가해지므로 혼합 용액의 온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혼 10 ㄱ, ㄷ. 산성화된 토양(산)에 석회 가루(염기)를 뿌리는 것, 비누
(염기)로 머리를 감은 후 식초(산)를 넣은 물에 헹구는 것은 모
합 용액의 온도가 가장 높은 $ 가 중화점이고, 묽은 염산
두 중화 반응을 이용하는 예이다.
 N-와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N-가 반응하여 완전히
바로 알기 ㄴ. 막힌 하수구에 하수구 세척제를 가하는 것은
중화되었으므로 두 수용액의 농도가 같음을 알 수 있다.
강한 염기성 물질인 하수구 세척제가 단백질을 녹이는 성질을
$, 혼합 용액의 온도가 가장 높으므로 중화 반응이
이용한 것이다.
완결되었다.
ㄹ. 수돗물에 질산 은("H/03) 수용액을 가하면 은 이온
채점 기준 배점()
("H+)이 수돗물의 염화 이온($M-)과 반응하여 염화 은("H$M)
$를 쓰고, 그 이유를 중화 반응으로 옳게 설명한 경우 100
의 앙금이 생성된다. 이는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이 아니다.
$만 쓴 경우 30
11 (가)Ř(다)는 모두 중화 반응의 예로 각각의 경우 산성 물질과
07 ⑴ (가), (나)에는 수소 이온()+)이 있으므로 산성, (다)에는 수 염기성 물질은 다음 표와 같다.
소 이온()+)이나 수산화 이온(0)-)이 없으므로 중성, (라)에 구분 산성 물질 염기성 물질
는 수산화 이온(0)-)이 있으므로 염기성이다. (가) 폼산(개미산) 암모니아수
⑵ 묽은 염산()$M)에 온도가 같은 수산화 나트륨(/B0)) 수
(나) 식초, 레몬즙 생선 비린내
용액을 가하면서 혼합 용액의 최고 온도를 측정하면 중화 반응
(다) 위산 제산제
이 가장 많이 일어난 지점, 즉 중화점에서 온도가 가장 높으므
로 (다)의 온도가 가장 높다. ⑴ (가)Ř(다)에서는 중화 반응이 공통으로 일어나며, 중화 반
응의 알짜 이온 반응식은 )+ 0)-@@A)20이다.
08 ⑴ 수산화 칼륨(,0)) 수용액에 묽은 염산()$M)을 가하면 수
⑵ 중화 반응이 일어날 때 중화열이 발생하므로 (가)Ř(다) 모
산화 이온(0)-)은 수소 이온()+)과 반응하므로 점점 감소하
두 열이 발생하는 반응이다.
다가 없어지고, 수소 이온()+)은 수산화 이온(0)-)과 반응하
⑶ 중화 반응의 결과 반응 전보다 Q)가 낮아지는 것은 염기성
므로 처음에는 존재하지 않다가 수산화 이온(0)-)이 모두 없
물질을 산성 물질로 중화시키는 경우인 (나)이다.
어지면 증가한다. 구경꾼 이온인 칼륨 이온(,+)은 반응에 참여
하지 않으므로 처음에 들어 있는 수가 변하지 않고, 염화 이온
($M-)은 묽은 염산을 넣어 주는 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는 염
화 이온($M-), #는 칼륨 이온(,+), $는 수산화 이온(0)-), %
는 수소 이온()+)이다.
⑵ (가)에는 수소 이온()+)은 없고 수산화 이온(0)-)만 있으
므로 염기성이고, (나)에는 수소 이온()+)이나 수산화 이온

72
정답과 해설
2권 46~47쪽 ② (가)에서는 코크스($)가 산화되어, (나)에서는 메테인($)4)
중단원 개념 모아
정리하기 이 산화되어, (다)에서는 포도당($6)1206)이 산화되어 이산화

① 산화 ② 환원 ③ 산화 탄소($02)가 생성된다.
③, ④ (가)에서 환원되는 물질은 산화 철(Ⅲ)('F203)이고, (나)
④ 환원 ⑤ 산화 ⑥ 환원
와 (다)에서 환원되는 물질은 산소(02)이다.
⑦ 산화 ⑧ 환원 ⑨ 광합성
바로 알기 ⑤ (가)는 고온의 용광로에서 일어나는 반응으로,
⑩ 수소 이온()+) ⑪ 수산화 이온(0)-)
열에너지를 가해야 일어나는 반응이다.
⑫ 수소 이온()+) ⑬ 수산화 이온(0)-)
⑭ ()극 ⑮ 수산화 이온(0)-) 03 (가)와 (나)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다음과 같다.
산화
⑯ 노란색 ⑰ 붉은색 ⑱ 중화 반응
(가) $V 02@?A$V0
⑲ 중화열 ⑳ 중화점 환원
산화
(나) $V0 $0@?A$V $02
환원

ㄱ. (가)에서 붉은색 구리($V)는 산소를 얻어 검은색 산화 구리

실력 높여 Top으로! 2권 48~54쪽 (Ⅱ)($V0)로 산화된다.


바로 알기 ㄴ. (나)에서 이온 결합 물질인 산화 구리(Ⅱ)를 이
01 ① 02 ⑤ 03 ① 04 ⑤ 05 ① 06 ⑤
루는 구리 이온($V2+)은 전자를 얻어 구리로 환원된다.
07 ⑤ 08 ③ 09 ② 10 ⑤ 11 ⑤ 12 ④
ㄷ. (가)에서는 구리가 산소와 결합하므로 구리판의 질량이 증
13 ③ 14 ③, ⑤ 15 ③ 16 ④ 17 ⑤ 18 ②
가하지만, (나)에서는 산화 구리(Ⅱ)가 산소를 잃고 구리로 되므
19 ② 20 ⑤ 21 ① 22 ② 23 ⑤ 24 ② 로 구리판의 질량이 감소한다.
25 ③, ④ 26 ⑤ 27 ⑤ 28 ③ 29 ③ 30 ③
04 ①, ② (가)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V 02@?A $V0이
다. 이때 구리는 산소와 결합하므로 결합한 산소의 질량만큼
01 ㄱ. ㉠은 철이다. 철을 제련하는 과정('F203 $ @?A
구리 가루의 질량은 증가한다.
'F $02)에서 발생하는 이산화 탄소는 온실 기체 중 하
③, ④ (나)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V0 $ @?A $V
나이다.
$02이다. 이때 탄소는 산소와 결합하므로 산화되며, 시험
바로 알기 ㄴ. ㉡은 광합성으로, 광합성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관 안에 있던 물질인 산화 구리(Ⅱ)와 탄소가 반응하여 생성된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포도당의 형태로 저장시키는 역할을
이산화 탄소가 시험관 밖으로 빠져나가므로 질량이 감소한다.
한다.
바로 알기 ⑤ 석회수는 수산화 칼슘이 녹아 있는 수용액이다.
ㄷ. ㉢은 석탄, 석유, 메테인과 같은 화석 연료로, 주성분은 탄
이산화 탄소가 석회수와 반응하여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지는
소($), 수소())이다.
것은 다음과 같이 중화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02 자료 해석하기 $B(0))2 $02@?A$B$03 )20
철의 제련, 메테인의 연소, 세포 호흡에서 일어나는 산화 환원
산화 05 자료 해석하기
(가) 'F203 $@?A'F ( ㉠ $02 ) 금속과 산의 반응과 금속과 금속 이온의 반응
환원
)+이 )2로 환원되어 $V2+이 $V로 환원되어
산화 빠져나간다. 석출된다.
아연
(나) $)4 02@?A( ㉡ $02 ) )20 )m
환원 $V 

산화 $M‘ 
;O™ t
)t )t $V™ t
묽은 염산 황산
(다) $6)1206 02@?A( ㉢ $02 ) )20 $M‘
 
구리(Ⅱ)
;O™ t 40e™ ‘
환원 아연 수용액
;O이 ;O2+으로 산화되어 ;O이 ;O2+으로 산화되어
용액 속으로 녹아 들어간다. 용액 속으로 녹아 들어간다.
① (가)Ř(다)에서 ㉠Ř㉢은 모두 이산화 탄소($02)이다.

73
정답과 해설
(가)에서 ;O은 ;O2+이 되면서 전자 개를 잃고, )+은 전자  생하는 기체 "는 수소이다.
개를 얻으므로 ;O과 )+은 :의 개수비로 반응한다. 즉, ③ (나)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V0 )2@?A$V )20
;O 개가 ;O2+으로 될 때 )+ 개가 )2로 되므로 이온 수가 이다. 이때 기체 "()2)는 산소와 결합하므로 산화된다.
감소한다. ④ 염화 칼슘($B$M2)은 물()20)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산화 바로 알기 ⑤ (나)에서 감소한 산화 구리(Ⅱ)의 질량은 구리로
;O )+@?A;O2+ )2
환원
환원되면서 잃은 산소의 질량과 같다. 염화 칼슘은 물을 흡수
(나)에서 ;O이 전자 개를 잃을 때 $V2+은 전자 개를 얻으므 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증가한 염화 칼슘관의 질량은 반응에
로 ;O과 $V2+이 :의 개수비로 반응한다. 서 생성된 물의 질량이다. 따라서 증가한 염화 칼슘관의 질량
산화 이 감소한 산화 구리(Ⅱ)의 질량보다 더 크다.
;O $V2+@?A;O2+ $V
환원
07 알루미늄 판을 염화 구리(Ⅱ) 수용액에 넣으면 다음과 같은 반
ㄱ. (가)와 (나)에서는 모두 ;O이 전자를 잃고 ;O2+으로 산화
응이 일어난다.
된다. 산화
바로 알기 ㄴ. (가)에서는 ;O이 산화되어 용액 속으로 녹아 "M $V2+@?A"M3+ $V
환원
들어가므로 ;O 조각 전체의 질량이 감소한다. (나)에서는 ;O
①, ② 알루미늄("M)은 전자를 잃고 알루미늄 이온("M3+)으로
이 산화되어 용액 속으로 녹아 들어갈 때 $V2+이 $V로 환원
되므로 산화된다. 이 전자를 받아 구리 이온($V2+)은 구리
되어 아연 조각 표면에 석출되기 때문에 주어진 자료만으로는
($V)로 환원되므로 전자는 알루미늄에서 구리 이온으로 이동
아연 조각 전체의 질량 변화를 판단할 수 없다.
한다.
ㄷ. (가)에서는 ;O2+ 개가 생성될 때 )+ 개가 수소 기체로
③ 염화 구리(Ⅱ) 수용액이 푸른색을 띠는 것은 구리 이온
되어 공기 중으로 날아가므로 이온 수가 감소하지만, (나)에서
($V2+) 때문인데, 반응이 일어나면 구리 이온($V2+)이 감소하
는 ;O2+ 개가 생성될 때 $V2+ 개가 $V로 석출되므로 이온
므로 수용액의 색이 옅어진다.
수에는 변화가 없다.
④ 접착용 필름을 붙인 부분에서는 알루미늄과 구리 이온이 반
응할 수 없으므로 접착용 필름을 붙이지 않은 부분에서만 반응
06 자료 해석하기
이 일어난다.
산화 환원 반응 산화 구리(Ⅱ)와 수소가 반응하여 물이 생성된다.
$V0 )2@?A$V )20 바로 알기 ⑤ 알루미늄 판을 꺼내어 흐르는 물에 씻으면 석출
발생한 수소 기체가 산화 구리(Ⅱ)
빠져나간다. 기체 "
된 구리가 제거된다. 그리고 필름을 떼어내면 필름을 붙인 부
분의 알루미늄은 반응하지 않았으므로 필름을 붙였던 부분만
석영관
볼록하게 남아 있게 된다.
묽은
염산
염화
마그네슘 칼슘 08 각각의 화학 반응식에서 산화와 환원을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플라스크 안에서는 마그네슘과 묽은 염산 염화 칼슘은 물을 흡수하므로 산화
이 반응하여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질량이 증가한다. ① )2 02@?A)20
.H )$M@?A.H$M2 )2 환원
산화
(가), (나)에서 일어나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② ;O $V2+@?A;O2+ $V
(가) 산화
환원
.H )+@?A.H2+ )2 산화
환원
③ $V0 $@?A$V $02
(나) 환원 환원
$V0 )2@?A$V )20 산화

산화 ④ "H+ $V@?A"H $V2+


환원
산화
①, ② (가)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H )+ @?A .H2+ ⑤ 'F304 $@?A'F $02
)2이다. 이때 .H은 전자를 잃고 .H2+으로 산화되고, 발 환원

74
정답과 해설
바로 알기 ③ $V0 $ @?A $V $02에서 $V0는 11 (가)Ř(다)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모두 산화 환원 반응으로, 산
산소를 잃고 $V로 환원되었다. 화되는 물질과 환원되는 물질을 각각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산화
(가) /B 02@?A/B20
09 (가)는 식물의 엽록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을 나타낸 것이고, 환원
(나)는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세포 호흡을 나타 산화
(나) /B $M2@?A/B$M
낸 것이다.
환원
산화
산화
(가) $02 )20@?A$6)1206 02 (다) /B )20@?A/B0) )2
환원 환원
산화
(나) $6)1206 02@?A$02 )20 ① (가)의 반응이 일어날 때 나트륨은 산화되고, 산소는 환원된다.
환원 ② (나)의 반응이 일어날 때 열과 빛을 발생하므로 에너지를 방
① (가)는 광합성이고, (나)는 세포 호흡이다. 출하는 반응이다.
③ (가)는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포도당의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 ③ (가)와 (나)에서 산화된 물질은 모두 나트륨이고, (다)에서 산
하는 과정이고, (나)는 포도당을 반응시켜 에너지를 방출하는 화된 물질도 나트륨이다.
과정이다. ④ (가)의 생성물인 산화 나트륨(/B20)과 (나)의 생성물인 염
④ (가)의 반응물은 (나)의 생성물과 같고, (가)의 생성물은 (나) 화 나트륨(/B$M)은 모두 금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가 결합한
의 반응물과 같다. 이온 결합 물질이다.
⑤ (가)에서 물과 반응하는 "는 $02이고, (나)에서 세포 호흡 바로 알기 ⑤ (가), (나), (다)는 모두 산화 환원 반응이다.
으로 물과 함께 생성된 물질 "는 $02이다.
12 (가)로 분류한 )$M, )2404, $)3$00)은 모두 산이고, (나)
바로 알기 ② (가) 광합성에서 산화되는 것은 물이고, 환원되
로 분류한 /B0), $B(0))2, /)3는 모두 염기이다.
는 것은 "($02)이다.
① #5# 용액은 산성에서는 노란색, 중성에서는 초록색, 염기
성에서는 파란색이므로 산인 (가)의 수용액에 #5# 용액을 넣
10 자료 해석하기
으면 노란색으로 변한다.
철의 제련 과정에서 일어나는 산화 환원
② 산인 (가)의 수용액에는 수소 이온()+)이 있으므로 탄산 칼
코크스($) + 0m ㉠ $0 ㉡ $02
슘을 넣으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나며 이산화 탄소 기체가
산화 철(Ⅲ) 철 발생한다.
(가)
)+ $B$03@?A$B2+ )20 $02
•코크스가 불완전 연소하면 다음과 같이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
③ 염기인 (나)의 수용액에는 수산화 이온(0)-)이 들어 있다.
나 일산화 탄소가 생성된다.
산화 ⑤ 산이나 염기 모두 물에 녹아 이온으로 나누어지는 물질이므
$ 02@?A$0 로 수용액은 전류가 흐른다.
환원
바로 알기 ④ 염기인 (나)의 수용액은 마그네슘과 반응하지 않
•산화 철(Ⅲ)과 일산화 탄소가 반응하면 다음과 같이 산화 환원
는다. 산인 (가)의 수용액에 마그네슘을 넣으면 다음과 같은 반
반응이 일어난다.
산화
응이 일어나며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F203 $0@?A'F $02 .H )+@?A.H2+ )2↑
환원

13 산의 수용액에 마그네슘 리본을 넣으면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ㄱ. ㉠은 $0로, 코크스($)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생성된다. 완 .H )+@?A.H2+ )2↑
전 연소가 일어나면 $02가 생성된다. ㄱ. #5# 용액은 산성에서는 노란색이므로 산인 "의 수용액
ㄴ. ㉡은 $02로 물과 함께 광합성 반응의 반응물이다. 에 #5# 용액을 넣으면 노란색으로 변한다.
ㄷ. 과정 (가)는 'F203 $0@?A 'F $02로 산화 ㄷ. 마그네슘 리본 대신 탄산 칼슘을 넣으면 이산화 탄소 기체가
철(Ⅲ)은 산소를 잃고 철로 환원된다. 발생하여 풍선에 모이므로 마찬가지로 풍선이 부풀어오른다.

75
정답과 해설
바로 알기 ㄴ. 풍선에 모인 기체는 수소로, 석회수에 통과시켜 " 수용액은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붉은색이고,
도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파란색이므로 염기성 용액이다.
# 수용액은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초록색이고, 페놀프
14 ③, ⑤ .H은 .H2+이 되면서 전자 개를 잃고 )+은 전자  탈레인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무색이므로 중성 용액이다. $ 수
개를 얻으므로 .H과 )+은 :의 개수비로 반응한다. 또, 용액은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노란색이므로 산성 용액
산과 마그네슘이 반응할 때 음이온은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다. 이다.
따라서 수소 이온 수와 전체 이온 수는 감소한다. ① # 수용액은 중성 용액이므로 메틸 오렌지 용액을 떨어뜨리
바로 알기 ① Q)는 수용액에 있는 수소 이온()+)의 농도를
면 노란색을 띤다. 따라서 ㉠은 노란색이다.
수치로 나타낸 값으로, )+의 농도가 클수록 Q)가 작다. .H ② $ 수용액은 산성 용액이므로 메틸 오렌지 용액을 떨어뜨리
과 )+이 반응하면 )+이 감소하므로 Q)는 증가한다. 면 빨간색을 띤다. 따라서 ㉡은 빨간색이다.
② 음이온은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 구경꾼 이온이므로 음이온 ③ " 수용액은 염기성 용액이므로 Q)가 보다 크다.
수는 변하지 않는다. ⑤ $ 수용액은 산성 용액이므로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를 붉은
④ .H은 .H2+으로 되므로 .H2+의 수는 증가한다. 색으로 변화시킨다.
바로 알기 ④ 중성 용액인 # 수용액에는 수소 이온()+)이나
15 ③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를 붉은색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수소
수산화 이온(0)-)이 없으나, 염기성 용액인 " 수용액에는 수
이온()+)으로, 수소 이온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장치이다.
산화 이온(0)-)이 있다.
바로 알기 ①, ④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를 붉은색으로 변화시
키는 것은 수소 이온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면 ()극 쪽으로 17 ① (가) 수용액에 있는 이온 수의 비가 " 이온:)+:이
이동하므로 " 는 ()극이고, # 는 ( )극이다. 질산 이온 므로 " 이온의 전하는 이다.
(/03-)은 리트머스 종이의 색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② (나) 수용액에 있는 이온 수의 비가 # 이온:0)-:
② #는 ( )극으로, 음이온인 염화 이온($ M-), 질산 이온 이므로 # 이온의 전하는 이다.
(/03-)이 ( )극 쪽으로 이동한다. 다만 이들 이온은 리트머 ③ 마그네슘(.H)과 반응하여 수소()2) 기체를 발생하는 것은
스 종이의 색을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눈으로 이동을 확인할 수 산의 공통적인 성질이므로 )+이 있는 (가)이다.
없을 뿐이다. ④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붉은색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염기의
⑤ 전극을 바꾸면 이온의 이동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푸른색 공통적인 성질이므로 0)-이 있는 (나)이다.
리트머스 종이의 색이 변하는 방향도 반대로 바뀐다. 바로 알기 ⑤ 달걀 껍데기의 주성분인 탄산 칼슘($B$03)과
반응하여 이산화 탄소($02) 기체를 발생하는 것은 )+이 있는
16 자료 해석하기 (가)이다.
지시약의 색 변화
18 자료 해석하기
구분 " 수용액 # 수용액 $ 수용액
염기성 산과 금속의 반응
페놀프탈레인
붉은색 무색 무색
용액 )t
#5# 용액 파란색 초록색 노란색 산성
아연 )m
메틸 오렌지 ;O™ t
노란색 ㉠ 노란색 ㉡ 빨간색
용액 중성 묽은 황산

•" 수용액은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붉은색으로


변하고,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파란색으로 변하므로 염 •황산()2404)은 물에 녹아 다음과 같이 이온화하므로 묽은 황
기성 용액이다. 산에는 수소 이온()+)과 황산 이온(4042-)이 있다.
•# 수용액은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초록색으로 변하고, )2404@?A)+ 4042-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무색이므로 # 수용액은 •아연을 묽은 황산에 넣으면 다음과 같이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
중성 용액이다. 난다.
산화
•$ 수용액은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노란색으로 변하므로 ;O )+@?A;O2+ )2
산성 용액이다. 환원

76
정답과 해설
묽은 황산에 아연을 넣으면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21 자료 해석하기
;O )+@?A;O2+ )2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중화 반응
ㄷ. )+ 개가 반응할 때 ;O2+ 개가 생성되므로 반응이 진행 수산화
/Bt
나트륨 /Bt /Bt
될수록 수용액 속 양이온의 수는 감소한다. 음이온인 4042-은 수용액
0)‘ 0)‘ 0)‘

구경꾼 이온이므로 반응이 진행되어도 그 수가 변하지 않는다.


바로 알기 ㄱ. 아연은 아연 이온으로 산화되어 수용액에 녹아 )m0 /Bt /Bt
)m0 /Bt /Bt

)t $M‘
묽은 $M‘ )t $M‘ /Bt )m0

들어가므로 아연판의 질량은 감소한다. $M‘ )t


염산 /Bt
)m0
$M‘ $M‘ )m0 $M‘ $M‘ 0)‘

ㄴ. 아연판 주위에서 수소 이온은 전자를 얻어 수소 기체로 환 (가) (나) (다) (라)

원된다. (가)Ř(라)에서 각 이온 수의 변화, 생성된 물()20) 분자 수, 용액


의 액성은 다음 표와 같다.

19 )$M, /B0), )/03, $B(0))2 중 )$M, )/03은 산이고, 용액 (가) (나) (다) (라)

/B0), $B(0))2은 염기이다.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붉은색 )+ 수    


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염기인 /B0), $B(0))2의 수용액이 $M- 수    
다. 이 중 이산화 탄소를 가하면 앙금을 생성하는 것은 /B+ 수    

$ B(0 ))2 수용액(석회수)이므로 (가)는 $ B(0 ))2, (나)는 0)- 수    

/B0)이다. 페놀프탈레인 용액의 색을 변화시키지 않는 것은 총 이온 수    


산인 )$M, )/03의 수용액이고, 이 중 질산 은 수용액과 반 )20 수    

응하여 앙금을 생성하는 것은 )$M 수용액이다. 따라서 (다)는 액성 산성 산성 중성 염기성

)$M, (라)는 )/03이다.


묽은 염산에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중화시키는 것을
20 중화 반응이 일어나면 )+과 0)-은 :의 개수비로 반응하 나타낸 모형에서 (가), (나)에는 )+이 있으므로 산성 용액이고,
여 물()20)을 생성하는데, (가)의 수용액에는 )+이 개, (나) (다)에는 )+이나 0)-이 없으므로 중성 용액이고, (라)에는
의 수용액에는 0)-이 개 있으므로 (가)와 (나)를 혼합하면 0)-이 있으므로 염기성 용액이다.
)20 개가 생성된다. 그리고 구경꾼 이온인 /B+, $M-의 수 ㄱ. (다)는 묽은 염산의 )+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0)-이
는 변하지 않는다. 모두 반응한 중화점으로, (다)의 온도가 가장 높으며 (다)에 수
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도 중화 반응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으므로 (라)의 온도는 (다)보다 낮다.
$M‘ /Bt 바로 알기 ㄴ. 구경꾼 이온인 $M-의 수는 변하지 않으므로
)m0
$M‘ 0)‘ /Bt
)t
$M‘ )t 0)‘ )m0 $M‘ $M-의 수는 (가)(나)(다)(라)이다.
/Bt /Bt
ㄷ.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붉은색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0)-이
(가) (나) (다)
들어 있어 염기성을 띠는 (라)이다. (가)와 (나)는 산성 용액이므
① (가)와 (나)를 혼합하면 중화열이 발생하므로 (다)의 온도는
로 페놀프탈레인 용액의 색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나)보다 높다.
② (가)는 산성, (나)는 염기성, (다)는 중성이므로 Q ) 는 22 ㉠ 0)-은 )+과 반응하므로 처음에는 존재하지 않다가 )+이
(나)(다)(가)이다. 모두 없어지면 증가한다. 따라서 이를 옳게 나타낸 그래프는
③ (가), (나), (다) 수용액에는 모두 이온이 존재하므로 전류가 ㄱ이다.
흐른다. ㉡ 일정량의 묽은 염산()$M)에 수산화 나트륨(/B0)) 수용
④ 중화 반응의 알짜 이온 반응식은 )+ 0)- @?A )20 액을 가할 때 중화 반응으로 생성된 물 분자 수는 중화점에서
이다. 최대가 되며, 중화점 이후에는 중화 반응이 더 이상 일어나지
바로 알기 ⑤ (다)에는 0)-이 없으므로 묽은 염산을 더 넣어 않으므로 생성된 물 분자 수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옳
주어도 더 이상 중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게 나타낸 그래프는 ㄹ이다.

77
정답과 해설
23 ㄱ. 혼합 용액 속에 있는 이온 중에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속 25 같은 농도의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은 :의 부
에 들어 있던 /B+과 0)-을 제외하면 )+과 4042-이 남게 피비로 반응한다. 따라서 혼합 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
된다. 이로부터 9는 황산()2404)임을 알 수 있다. 피가 더 많은 (가)와 (나)의 혼합 용액의 액성은 염기성이고, 혼
ㄴ. 혼합 용액 속에 )+이 있으므로 용액의 액성은 산성이며, 합 전 묽은 염산의 부피가 더 많은 (라)와 (마)의 혼합 용액의 액
산성 용액의 Q)는 보다 작다. 성은 산성이고, 혼합 전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ㄷ. 혼합 용액 속에 )+이 있으므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더 부피가 같은 (다)의 혼합 용액의 액성은 중성이다.
넣어 주면 중화 반응이 더 일어난다. ① (라)(묽은 염산  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N-)에
서 반응한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피는 각각

24 자료 해석하기  N-이고, (마)(묽은 염산  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중화 반응  N-)에서 반응한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
피는 각각  N-이다. 반응하는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의
수가 많을수록 중화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마)에서 혼합 용액
/Bt /Bt 의 최고 온도는  $보다 낮다.
$M‘ /Bt $M‘ 0)‘
)t $M‘ /Bt /Bt $M‘ $M‘
② 혼합 용액에 남아 있는 수산화 이온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은
$M‘ /Bt
혼합 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피가 가장 많고, 묽은 염산
(가) (나) (다)
의 부피가 가장 적은 (가)이다.
•(가)에는 /B+이 개 있으므로 0)- 개가 반응하여 )20 개
⑤ (마)(묽은 염산  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N-)에
를 생성하였다. 또, $M-이 개 있고 )+은 개 있으므로 이로부
터도 )+ 개가 반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응한 )+ 개, 서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은 각각  N-가 반응
0)- 개 하고, 반응하지 않은 수소 이온이 남아 있다. 따라서 (마)에 마
•(나)에는 /B+이 개 있고, $M-이 개 있으므로 )+ 개와 그네슘 조각을 넣으면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0)- 개가 반응하였다. 반응한 )+ 개, 0)- 개
바로 알기 ③ (나)의 혼합 용액의 액성은 염기성이고, (라)의
•(다)에는 /B+이 개 있고, 0)-이 개 있으므로 반응한 0)-
은 개이다. 또, $M-이 개 있으므로 )+ 개가 반응하였다. 혼합 용액의 액성은 산성이므로 Q)를 비교하면 (나)(라)이다.
반응한 )+ 개, 0)- 개 ④ #5# 용액을 떨어뜨리면 파란색으로 변하는 것은 혼합 용
액의 액성이 염기성인 (가)와 (나)이다.
ㄷ. 구경꾼 이온인 /B+, $M-의 수는 반응 전후 변하지 않고,
반응 전 )+의 수는 $M-의 수와 같고 0)-의 수는 /B+의 수 26 같은 농도의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은 :의 부
와 같으므로 반응 전 (가)Ř(다)의 각 이온 수와 반응한 이온 피비로 반응한다. 따라서 혼합 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

수, 생성된 물 분자 수는 다음 표와 같다. 따라서 중화 반응에 피가 더 많은 "와 #의 혼합 용액의 액성은 염기성이고, 혼합

의해 생성된 물의 양은 (나)와 (다)가 같다. 전 묽은 염산의 부피가 더 많은 %와 &의 혼합 용액의 액성은


산성이고, 혼합 전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피
용액 (가) (나) (다)
가 같은 $의 혼합 용액의 액성은 중성이다.
반응 전 /B+:, 0)-:, /B+:, 0)-:, /B+:, 0)-:, ① 0)-이 있는 것은 혼합 용액의 액성이 염기성인 "와 #이다.
이온 수 )+:, $M-: )+:, $M-: )+:, $M-:
②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떨어뜨리면 붉은색으로 변하는 것은
반응한
)+:, 0)-: )+:, 0)-: )+:, 0)-: 혼합 용액의 액성이 염기성인 "와 #이다.
이온 수
③ #5# 용액을 떨어뜨리면 초록색으로 변하는 것은 혼합 용
생성된
   액의 액성이 중성인 $이다.
)20 수
④ 혼합 전 묽은 염산의 부피가 더 많은 %와 &의 혼합 용액의
바로 알기 ㄱ. 혼합 용액의 Q)가 가장 큰 것은 0)-이 들어 액성은 산성이다.
있어 염기성을 띠는 (다)이다. 바로 알기 ⑤ 반응한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
ㄴ.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파란색으로 변하는 것은 피가 가장 많은 $의 혼합 용액의 온도가 가장 높으며, 생성된
0)-이 들어 있어 염기성을 띠는 (다)이다. 물 분자 수도 가장 많다.

78
정답과 해설
27 일정량의 묽은 염산에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가할 때 중화 •", #, (가), (나), (다)에서 반응한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
용액의 부피는 다음 표와 같다.
반응으로 생성된 물 분자의 수는 중화점에서 최대가 되며, 그
이후에는 중화 반응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으므로 생성된 물 용액 " # (가) (나) (다)

분자 수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는 중화점 이전이고, (나) 반응한 )$M(N-)     

는 중화점, (다)는 중화점 이후이다. 반응한 /B0)(N-)     

① (가)는 산성 용액이므로 마그네슘을 넣어 주면 수소 기체가 액성 염기성 염기성 염기성 중성 산성

발생한다.
② (나)는 중화점이므로 용액의 온도는 (나)가 (다)보다 높다. 혼합 용액의 총 부피는 모두 같고, 묽은 염산  N-와 수산화
③ (가)는 산성 용액, (나)는 중성 용액, (다)는 염기성 용액이므 나트륨 수용액  N-를 혼합한 용액과 묽은 염산  N-와
로 용액의 Q)를 비교하면 (가)<(나)<(다)이다.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N-를 혼합한 용액의 온도가 같고,
④ #5# 용액을 떨어뜨리면 파란색으로 변하는 것은 염기성 (나)에서 혼합 용액의 최고 온도가 가장 높으므로 (나)는 완전
용액인 (다)이다. 히 중화되었다. 따라서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은
바로 알기 ⑤ /B+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넣어 준 수산 :의 부피비로 반응함을 알 수 있다.
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피가 클수록 많으므로 /B+의 수는 (가) ③ (가)에서는 묽은 염산  N-와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나)<(다)이다. N-가 반응하고, 반응하지 않은 수산화 이온이 남아 있으므로
(가)의 액성은 염기성이다. (다)에서는 묽은 염산  N-와 수
28 (가)는 )+이 존재하고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노란색이
므로 산성 용액이고, (나)는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파란 산화 나트륨 수용액  N-가 반응하고, 수소 이온이 남아 있

색이므로 염기성 용액이다. (다)는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으므로 (다)의 액성은 산성이다. 따라서 (가)와 (다)를 혼합하면

초록색이므로 중성 용액이다. 중화 반응이 일어나므로 물이 생성된다.


바로 알기 ①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은 :의
ㄱ. (가)는 산성, (나)는 염기성, (다)는 중성 용액이므로 Q)를
비교하면 (나)(다)(가)이다. 즉, (나)의 Q)가 가장 크다. 부피비로 반응하므로 (가)에는 반응하지 않은 수산화 이온이

ㄴ. (가)는 산성 용액, (나)는 염기성 용액이므로 (가)와 (나)를 남아 있다. 따라서 (가)의 액성은 염기성이고, Q)는 보다 크다.

혼합하면 중화 반응이 일어난다. 따라서 혼합 용액의 온도는 ② (나)의 액성은 중성이므로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떨어뜨려도

높아진다. 색이 변하지 않는다.

바로 알기 ㄷ. (나)는 #5#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파란색이므


④ (가)에서 반응한 묽은 염산은  N-, 수산화 나트륨 수용

로 0)-이 존재하는 염기성 용액임을 알 수 있다. 주어진 자료 액은  N-이고, (다)에서 반응한 묽은 염산은  N-, 수산

만으로는 (다)의 용액에 존재하는 음이온의 종류는 알 수 없으 화 나트륨 수용액은  N-이다. 반응한 물질의 양은 (가)가

나 염기성 용액이 아니므로 0)-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의 .배이므로 생성된 물 분자 수도 .배이다.
⑤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은 :의 부피비로 반
29 자료 해석하기
응하므로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비는 :
농도가 다른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중화 반응
#와 (다)의 온도가 같으므로
이다. 따라서 같은 부피 속에 들어 있는 이온 수는 묽은 염산이
중화 반응이 완결된 지점
:의 부피비로 반응한다.
온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ᙦ


ր이다.
Պ
(나)

(

 (가) 30 ㄱ, ㄴ. 벌레에 물려 가려운 곳에 암모니아수를 바르는 것은 중


)


# 화 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산성화된 토양에 석회 가루를 뿌리
 (다)
" 거나, 위산 과다로 속이 쓰릴 때 제산제를 먹는 것은 중화 반응


)$M

    (N-)
을 이용하는 예이다.
/B0)     (N-) 바로 알기 ㄷ. 깎아 놓은 사과가 갈변되는 것은 산소와 반응

•#와 (다)의 온도가 같고, (나)의 온도가 가장 높으므로 묽은 염 하기 때문이므로 소금물에 담가 산소의 접촉을 막는다.
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은  : 의 부피비로 반응한다.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농도가 묽은 염산의 배이다.

79
정답과 해설
⑴ 질산 은 수용액에 구리를 넣으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차이를 만드는 통합 사고력 문제 2권 55~59쪽
일어난다. $V "H+@?A$V2+ "H
이때 $V는 전자를 잃고 $V2+으로 산화되며, "H+은 전자를
01 ⑴ 광합성은 대기 중 산소의 농도를 증가시켰고, 산
얻어 "H으로 환원된다.
소는 오존층을 만들어 태양으로부터 오는 유해한 자외선 등을
⑵ $V2+이 용액 속으로 녹아 들어갈 때 "H+은 용액 밖으로
차단하여 육상 생물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석출되어 나가는데, "H+의 질량이 $V2+보다 클 뿐만 아니라
⑵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에너지는 광합성에 의해 포도당에 화
$V2+ 개가 녹아 들어갈 때 "H+ 개가 "H으로 석출되므로
학 에너지로 저장되고, 생물들은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용액의 질량이 작아져 밀도가 감소한다.
세포 호흡에 의해 포도당에 저장된 에너지로부터 얻는다.

채점 기준 배점(%)
03 ⑴ 공기보다 무거운 이산화 탄소가 불이 붙은 부분
산소, 오존층, 자외선을 포함시켜 옳게 설명한 경우 50
을 덮어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여 불을 끈다.
⑴ 산소, 오존층, 자외선 중 한 가지를 누락하고 설명
30 ⑵ 마그네슘과 드라이아이스(이산화 탄소)가 반응하면
한 경우
.H $02 @?A .H0 $의 반응이 일어난다. 이산
태양의 빛에너지, 광합성과 세포 호흡에서의 에너지
50 화 탄소는 마그네슘의 연소(산화)에 필요한 산소를 제공하는
⑵ 출입 관계를 포함하여 옳게 설명한 경우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마그네슘으로 인한 화재는 이산화 탄소 소
세 가지 중 한 가지가 누락되거나 잘못 설명한 경우 30
화기로 불을 끌 수 없다.
⑴ 광합성은 태양의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 채점 기준 배점(%)
와 물로부터 포도당과 산소를 만드는 화학 반응으로, 광합성을 이산화 탄소가 공기보다 무겁다, 산소의 공급을 차
50
하는 생물이 출현하면서 대기 중의 산소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 단한다는 의미를 포함하여 옳게 설명한 경우

었으며, 대기 중 산소의 일부는 오존층을 형성하게 되었다. 오 이산화 탄소가 공기보다 무겁다는 의미의 표현이
30
존층은 태양이나 우주로부터 오는 유해한 자외선이나 방사선 누락된 경우

등을 차단해 주었기 때문에 수중에만 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 화학 반응식과 이산화 탄소의 역할로 이유를 옳게
50
에서 육상에서도 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뀌었다. ⑵ 설명한 경우

⑵ 광합성의 생성물은 세포 호흡의 반응물로 쓰인다. 광합성에 화학 반응식을 쓰지 못한 경우 20

서는 빛에너지가 화학 에너지로 전환되어 포도당에 저장되고,


⑴ 이산화 탄소는 공기보다 무거워 아래로 가라앉기 때
포도당에 저장된 에너지는 세포 호흡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에
문에 연소가 일어나고 있는 장소 주위의 공기를 밀어내고 불
너지로 전환되어 생명 활동에 이용되며, 세포 호흡 과정에서 생
위를 덮게 되므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산소)의 공급이 차단되
성된 이산화 탄소와 물은 다시 광합성의 원료로 이용되어 끊임
어 불이 꺼지게 된다. 이는 불을 끌 때 담요를 덮어 불을 끄는
없이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것과 유사한 원리이다.
02 ⑴ 산화된 물질은 구리($V)이고, 환원된 물질은 은 ⑵ 드라이아이스 속에서 마그네슘을 연소시킬 때 일어나는 반
이온("H+)(또는 질산 은)이다. 응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⑵ 밀도는 감소한다. 용액 속으로 녹아 들어가는 $V2+의 질량 .H $02@?A.H0 $
보다 석출되는 "H의 질량이 크기 때문이다. 마그네슘의 연소에는 산소가 필요한데 이산화 탄소가 산소를
채점 기준 배점(%)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여 연소가 일어날 수 있다.
산화, 환원되는 물질을 모두 옳게 쓴 경우 30

산화, 환원되는 물질 중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15 04 ⑴ 구리($V), 구리($V)는 전자를 잃고 구리 이온
용액의 밀도 감소를 용액에 출입하는 물질의 질량 ($V2+)으로 산화되기 때문이다.
70
관계를 포함하여 옳게 설명한 경우 ⑵ Q)는 증가한다. 질산의 산성을 나타내는 수소 이온()+)이

용액에 출입하는 물질의 종류와 질량 관계가 명확 반응하여 물로 변하므로 용액 속의 수소 이온의 농도가 감소하
30
하게 표현되지 않은 경우 기 때문이다.

80
정답과 해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