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생명과학 및 실험 I 리포트 (4주)

이름(학번):

Title: 용액의 농도에 따른 동물세포 및 식물세포 형태 관찰 &삼투와 확산에 대해 조사

Introduction

확산: 분자는 끊임없이 운동하므로 열에너지를 갖고 있다. 이런 운동의 결과 확산이 일어나는데 확산이란
입자의 종류에 상관없이 입자가 이용 가능한 공간으로 퍼지려는 경향이다. 무작위로 운동하는 분자 들은
공기와 물을 통해 확산하며, 세포 안팎으로도 확산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분자는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
은 쪽으로 농도 기울기에 따른 순 이동을 한다. 다시 말해 분자들은 농도 기울기를 따라 확산을 하며, 최
종적으로 양쪽의 농도가 같아지게 된다. 역동적인 상태에서도 분자들은 양쪽을 왔다 갔다 이동하지만 농도
에는 변화가 없다. 용액의 분자의 종류와 관계없이 각각의 농도에 의해 확산된다. 물질이 확산에 의해 막
을 통과할 때는 에너지가 사용되지 않는다. 고등과정에서 배운 흥분의 전도 과정에서도 확산이 일어난다.
탈분극 상태와 재분극 상태에서 각각 Na와 Ka가 Na통로, Ka통로로 확산되는 것도 예시에 해당된다. 그리
고 호흡계에서도 폐에서 기체교환이 일어날 때도 해당되는데 혈액 속 이산화탄소는 폐포로 확산되어 체외
로 배출된다. 그리고 폐로 들어온 공기 중의 산소는 폐포에서 모세혈관으로 확산되어 공급된다. 확산의 종
류에는 인지질 2중층을 통해 세포막을 통과하는 단순 확산과 수송단백질을 통해 세포막을 통과하는 촉진
확산이 있다. 단순 확산은 산소나 이산화탄소 같이 크기가 작고 비극성 분자들은 막을 이루는 지질 2중층
에 용해되어 쉽게 확산가능하다. 촉진확산은 극성이나 전하를 띈 물질들이 소수성인 막을 통과하는 것이
다. 운반체단백질은 통과할 물질에 결합하고 모양을 변화시킨 후, 그 물질을 막의 다른 쪽에다 방출한다.
촉진확산으로 세포막을 이동하는 물질로는 당, 아미노산, 이온, 물이 있다. 수송단백질은 자신들이 운반하
는 용질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하므로 막의 선택적 투과가 가능하다. 확산속도는 분자의 무게가 가볍고 온도
가 높을수록 빠르다.
삼투: 삼투는 반투과성 막을 사이에 두고 농도가 다른 두 용액이 있을 때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
은 쪽으로 용매가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 이동할 때는 물질의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일어나지만 ATP합성 시에는 물질이 갖고 있는 전하의 차이로 인한 전위차로 일어나기도 한
다. 삼투의 사례로는 뿌리에서 나무의 잎으로 물이 상승하는 것은 삼투 때문이다. 나무 내부에서 이동하는
액체는 지하수보다 용질의 농도가 더 높아서 물을 빨아들이게 된다. 또한 손을 물에 오래 담그면 손가락과
물의 농도가 달라서 수분이 이동한다. 조사하면서 가장 신기했던 것은 바닷물을 마실 때 더 갈증이 나는
것이 삼투현상이라고 생각지 못했다. 바닷물은 무기염류농도가 우리 몸의 체내 무기 염류 농도의 세 배가
넘어서 삼투현상으로 탈수가 가속화된다고 한다.
삼투&확산의 중요성: 물의 이동과 관련하여 세포와 주위 환경과의 관계를 말할 때 ‘긴장성’이라는 단어
를 사용한다. 긴장성은 세포로 하여금 물을 얻거나 잃게 하는 세포 주변 용액의 능력을 말한다. 그림에 나
와 있는 등장액(isotonic), 저장액(hypotonic), 고장액(hypertonic)은 각각의 긴장성이 다르다. 등장액은
세포와 같은 농도이고 저장액은 세포보다 농도가 낮고 고장액은 세포보다 농도가 더 진하다. 세포와 농도
는 엄청난 연관을 가지고 있는데 세포 내 농도와 혈액이 같은 농도여야 세포가 온전한 형태로 물이 출입
할 수 있다. 만약 동물세포의 경우 농도가 낮은 저장액의 경우에는 물이 세포내로 빠르게 들어오면서 세포
가 터져버리게 되고 농도가 높은 고장액의 경우에는 농도차로 인해 물이 빠르게 빠져나가 쪼그라들게 된
다. 다만 식물, 원핵생물, 균류의 세포들은 세포벽이 있으므로 물의 평형문제가 동물세포와는 다르다. 식물
세포는 저장액의 경우 물이 들어와 팽창하지만 세포벽에 ‘팽압’이라고 하는 반대방향의 압력이 생겨 물을
과도 하게 흡수하지 못하도록 하여 세포가 터지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용액의 농도가 높
아질수록 물이 많이 들어오지 못하게 되면서 식물이 죽게 된다. 여기서 궁금해진 것이 식물이 시들 때 영
양제를 놓는 성분은 세포를 팽창시키기 위해 저장액을 사용하지 않을까? 라는 궁금증이 생겼다. 찾아보니
세포보다 낮은 농도라고 나와 있어 신기하였다.

Materials & Methods


실험목적: 세포가 고장액, 등장액, 저장액에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 관찰하고, 결과를 토대로 확산과
삼투가 어떠한 방식으로 일어났는지 예측할 수 있다.
실험재료: 광학현미경, 슬라이드 글라스, 커버글라스, 양파, 칼, 핀셋, 란셋, 채혈기, 알콜스왑, 스포이드,
저장액, 고장액, 등장액, 증류수

실험방법 1.동물세포
① 란셋을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한다.
② 채취한 혈액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한 방울 떨어뜨린 후 저장액, 등장액, 고장액을 각 한 방울 섞는다.
③ 커버글라스를 이용하여 각각의 혈액 샘플을 한 방향으로 밀어주며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덮어준다.
④ 5분간 기다린 후 현미경으로 결과를 관찰한다.

2. 식물세포
① 양파 껍질을 사각형 모양으로 칼집을 내고, 핀셋을 이용하여 표피를 벗겨내어 슬라이드 글라스에 겹치
지 않게 잘 펴준다.
② 슬라이드 글라스에 몰려둔 표피 위에 저장액, 등장액, 고장액을 각각 2~3방울 떨어뜨린다.
③ 커버글라스를 덮고 5분간 기다린 후 현미경으로 결과를 관찰한다.

Results
1.
2. (!) 동물세포
저장액 속 동물세포는 터져있다. 저장액은 세포 내보다 더 낮은 농도이므로 물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면서
부풀다가 터지게 되었다. 등장액 속 동물세포는 정상 모양이다. 등장액이 세포 내와 같은 농도이므로 물이
안으로 들어오고 밖으로 나가는 속도가 일정하여 모양의 변화가 없다. 고장액 속 동물세포는 쭈그러든 상
태이다. 고장액은 세포 내 보다 더 높은 농도이므로 물이 밖으로 빠져나가 모양의 변화를 일으켰다.
(2) 식물세포
저장액 속 식물세포는 정상인 상태이다. 저장액이 세포 내 보다 낮은 농도여서 물이 세포 내로 들어와 세
포가 팽창되기는 하지만 팽창하는 반대방향으로 팽압이라고 하는 압력이 생겨서 물을 과도하게 흡수하는
것을 방해하므로 터지지 않는다. 등장액 속 식물세포는 세포 안쪽으로 물의 순이 동이 없으므로 세포가 시
들게 된다. 고장액속 식물세포는 고장액속 동물세포와 마찬가지로 세포 밖으로 물을 빼앗기게 되어 쭈그러
들고 원형질막이 세포벽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모양 변화가 생기는 이유는 세포 안과 밖의 농도차로 인한 삼투현상으로 인한 것


이다. 또한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모양변화가 다른 이유는 식물에는 세포벽이 있어서 팽압이 발생하기 때
문이다.

Discussion & conclusion


용액의 농도로 세포의 생존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너무 신기하였다. 특히 교재에서는 진한
소금 용액으로 육류와 식품을 오래 보존할 수 있는데, 이는 식품 부패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나 곰팡이 세
포들이 원형질 분리되어 죽게 되어 장기 보관이 가능하다는 게 생활과 밀접하게 닿아 있어 주제에 관해
조사를 할 때 흥미를 갖고 할 수 있던 것 같다. 평소에는 삼투와 확산에 대해 ‘물질의 이동’이라고 너무
포괄적으로 생각하다가 막상 조사를 하다 보니 삼투와 확산에 대한 정의가 유사한 것 같아서 무엇이 다르
고 어떻게 다른지 이번기회에 확실히 알게 되어 학습활동에 도움이 될 것 같다. 실험영상을 보면서 각각의
용액 속 세포들이 왜 일부의 세포들만 모양이 변하는지 궁금하였다. 동물세포의 경우 같은 저장액이라고
하더라도 어떤 세포는 터져있고 어떤 세포는 멀쩡해 보였기 때문이다. 용액의 양 때문인지 용액 투여 후의
시간 때문인지 어떤 요인에 의해 결과가 발생되었는지 궁금하다.

References

https://namu.wiki/w/%EC%82%BC%ED%88%AC
일반화학 제8판 화학교재연구회옮김 (자유아카데미 출판)
캠벨 생명과학 제 10판 ㈜라이프사이언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7077&cid=62861&categoryId=62861—팽압관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