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초4-1 사회 교과서 용어 정리

<지역의 위치와 특성> 1. 지도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넓은 땅의 모습과 특징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위에서 내려다본
땅의 실제 모습을 일정한 형식으로 줄여서 나타
낸 그림을 지도라고 합니다.

옛날 사람들은 사냥을 하고 돌아올 때 길을 잃지 2. 표시


않으려고, 또 먹을거리가 많은 곳이나 식량을
저장한 곳을 표시하려고 지도를 그리기 시작했습
니다. 이때는 땅, 나무, 돌 등 주변에 있는 것에
다 지도를 그렸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만든 지도는 시간이 지나면 지워
지거나 썩어서 알아볼 수 없었고, 무거워서 가지
고 다니기도 불편했습니다.

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지도로 알려진 것은 고대 3. 점토판 지도


메소포타미아의 점토판 지도입니다. 이것은 진흙
으로 만든 점토판에 나뭇가지로 지도를 그린 후
햇볕에 말려서 단단하게 굳혀, 시간이 오래 흘러
도 지도의 내용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이 밖에도 옛날 사람들은 나무줄기에 조개껍데기
와 산호 조각을 붙이거나, 동물의 가죽에 나뭇조
각을 붙여 지도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방향의 위치를 방위라고 합니다. 방위에는 동서 4. 방위와 방위표


남북이 있고 방위표로 나타냅니다. 방위표를 이
용하면 사람이나 건물이 향한 방향에 관계없이
위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지도에 방위표가
없으면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 아래쪽이
남쪽, 위쪽이 북쪽이라고 약속합니다.

5. 기호
지역의 실제 모습을 그림으로 그리거나, 모든
정보를 글자로만 표시하면 지도를 알아보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땅이나 건물의 모습을 지도에
나타낼 때 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합니다.
기호는 학교, 우체국, 병원 등을 지도에 간단히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범례는 지도에 쓰인
6. 범례
기호와 그 뜻을 나타냅니다. 범례를 활용해
지도를 보면 지도에서 나타내는 정보를 좀 더
쉽고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지도에는 땅의 실제 모습을 줄여서 나타냅니다. 7. 축척
지도에서 실제 거리를 줄인 정도를 축척이라고
합니다. 축척에 따라 지도의 자세한 정도가 달라
집니다.

죽척 막대자를 사용하면 지도에 표시된 두 지점 8. 축적 막대자


사이의 실제 거리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지도에
서 두 지점 사이의 실제 거리를 구해 봅시다. 그
외의 여러 지점 사이의 거리도 구해봅시다.

지도에서 높이가 같은 곳을 연결하여 땅의 높낮 9. 등고선


이를 나타낸 선을 등고선이라고 합니다. 지도에서
는 땅의 높낮이를 등고선과 색깔로 나타내는데,
땅의 높이가 높을수록 색이 진해집니다. 순서를
참고해 등고선 모형을 만들어 봅시다.

10. 약도

우리는 생활하면서 다양한 지도를 활용합니다. 우


리가 주로 사용하는 지도에는 중요한 것만 간략
하게 나타낸 약도, 길을 찾을 때 활용하는 도로
교통 지도, 알리고자 하는 내용을 자세히 표시한
11. 도로 교통 지도
안내도 등이 있습니다.

12. 안내도

고장에는 군청이나 구청, 시장, 버스 터미널 등 13. 고장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 있습니다. 이러한 곳
을 고장의 중심지라고 합니다.

14. 중심지
산업의 중심지 15. 산업

물건을 만드는 회사나 공장에서 일하려고 사람들


이 모입니다.
행정의 중심지 16. 행정
지역의 사람들이 행정 업무를 처리하려고 모입니
다.
상업의 중심지 17. 상업
지역의 사람들이 필요한 물건을 사러 모입니다.
관광의 중심지
지역의 문화유산을 직접 보려는 사람들이 찾아옵 18. 관광
니다.

<지역의 역사>
우리나라의 우수한 문화유산을 세계에 알리고 19. 문화유산
우리의 문화유산을 보존하려고 노력하는 유네스
코 한국 위원회입니다. 여러분이 살고 있는 지역
의 문화유산 중에서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에
게 알릴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을 추천해 주십
시오. 그중에서 특별히 가치가 있는 문화 유산 20. 가치
을 골라 유네스코(UNESCO)에 세계 유산으로
지정해 달라고 요청하겠습니다.
여러분 지역의 문화유산이 유네스코 유산으로 지
정되면 그 문화유산의 가치와 우수성이 세계에
알려질 것입니다. 21. 우수성

경호는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의 이야기를 읽


고 있었습니다. 책을 읽는 경호에게 아버지께서는
우리가 살고있는 전라북도 전주시의 어진 박물관
에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가 있다고 말씀하셨습니
다.
“어진 박물관은 조선 시대 임금의 초상화인 어진
22. 유물
과 그에 관련된 유물을 전시하는 곳이란다.”

23. 유형 문화재
우리 지역의 문화유산에는 석탑, 건축물, 책처럼
형태가 있는 유형 문화재와 예술 활동이나 기술
처럼 형태가 없는 무형 문화재가 있습니다.
24. 무형 문화재

우리 지역의 역사적 인물을 조사하는 계획을 세


25. 역사적 인물
워봅시다.
<지역의 공공 기관과 주민 참여> 26. 공공 기관
지역에는 개인의 이익이 아닌 주민 전체의 이익
과 생활의 편의를 위해 국가가 세우거나 관리하
는 공공 기관이 있습니다. 서현이와 준서네 지역
에 있는 여러 장소 중에서 공공 기관인 것과 공
공 기관이 아닌 것을 구분해 봅시다.

27. 지역 문제

이와 같이 지역 주민의 삶을 불편하게 하거나


지역 주민들 사이에 갈등을 일으키는 문제를 지
역 문제라고 합니다.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
양한 문제를 살펴봅시다.

28. 원인 파악
지역 문제를 확인한 뒤에는 왜 그러한 문제가 생
겼는지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합니
다.
다양한 자료를 수집해 정리하고 나면, 자료에서
29. 해석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찾고 그 의미를 해석
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해결 방안이 제시되면 각 해결 방안의 장


30. 선택
단점과 필요한 비용 등을 비교해 가장 적절한 방
안을 선택합니다.
지역 문제를 해결하려면 여러 가지 의견을 모으
31. 타협
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을 두
고 대화와 타협으로 의견을 조정해야 합니다.

32. 다수결
다양한 의견을 하나로 모을 때는 투표를 하기도
합니다. 많은 사람이 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다
수결의 원칙에 따르되, 소수의 의견도 존중해야
합니다.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역 주민이 중


심이 되어 참여하는 것을 주민 참여라고 합니다. 33. 주민 참여
지역 주민들이 지역의 다양한 일에 자신의 의견
을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봅시다.
시민 단체는 시민들이 스스로 모여 사회 전체의 34. 시민단체
이익을 위해 활동하는 단체입니다.
환경 분야에서 활동하는 시민 단체는 지역의 환
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환경 보호 활동을 합니
다. 경제 분야에서 활동하는 시민 단체는 지역의
경제 정책을 살피고 문제점이 있으면 해결 방안
을 마련합니다. 교육 분야에서 활동하는 시민 단
체는 지역의 교육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교육 문
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합니다. 지역의 어려운 사람
들을 돕고 봉사 활동을 하는 자원봉사 시민 단
체도 있습니다. 이 밖에도 정치, 문화, 청소년 관
련 분야에서 활동하는 시민 단체가 있습니다.

주민 투표로 지역의 일에 참여한 사례도 있었습 35. 주민 투표


니다.
주민 투표는 지역의 일을 결정하기 전에 주민의
의견을 알아보려고 실시하는 투표입니다.

OO구에서는 주민 참여 예산제를 도입하고 주민


36. 주민 참여 예산제
참여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주민 참여 예
산제는 지방 자치 단체 예산 편성에 주민이 직
접 참여하는 것이다.
이 지역에서는 주민 참여 예산제를 운영하여 주
민들이 구청의 예산을 심의하고 불필요한 예산을
줄여 6년 동안 약 270억 원을 아꼈다.
OO구 주민 참여 예산제의 가장 큰 특징은 주민
들이 직접 의논할 문제를 제시하고 투표로 37. 투표

결정한 의견을 반영한다는 점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