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1 교과서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231

고등학교

최미화

서인호

한문정

정대홍

김혜경

최길순
머│리│말

우리가 사는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또 다양한 물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고 싶나요?

화학은 물질의 구조와 성질 및

물질 사이의 상호 작용을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화학Ⅰ’ 교과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학생들이 다양한 활동을 통해 능동적으로 수
업에 참여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며,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교과서를 통해 물질의 구성 입자, 화학 결합, 화학 반응, 에너지 출입 등과 같은 화학의 기
초 개념을 유기적으로 학습함으로써 화학의 유용성과 학문의 매력을 경험할 수 있다.

‘화학의 첫걸음’ 단원에서는 일상생활의 문제 해결에 화학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고, 화학 반


응의 양적 관계와 관련된 몇 가지 기초적 개념을 다룬다.
‘원자의 세계’ 단원에서는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인 원자에 대해 다룬다. 원자의 구성 입
자, 현대 원자 모형, 전자 배치 규칙 등을 학습하며, 주기율표를 통해 원소들이 나타내는 여러
가지 주기적 성질을 알아본다.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단원에서는 여러 가지 화학 결합의 특징과 분자의 구조를 다룬다.
분자의 구조를 예측하기 위해 전자쌍 반발 이론을 학습하며, 더 나아가 분자의 극성 등 화학 결
합으로 인해 나타나는 물질의 특성을 살펴본다.
‘역동적인 화학 반응’ 단원에서는 동적 평형 개념을 바탕으로 물의 자동 이온화와 pH에 대
해 학습하고, 우리 주변에서 흔히 일어나는 화학 반응인 산 염기 반응과 산화 환원 반응을 다룬
다. 또 화학 반응에서 일어나는 열의 출입에 관해 알아본다.

이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은 자연 현상이나 우리 주변의 경험을 과학 개념과 관련지어 학습


하고, 화학이 인류 문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우리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학문임을 이해
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학생들이 화학적 지식의 바탕 위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을 함양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 해결력을 갖추게 되기를 기대한다.

지은이
이 책의 구성과 특징

우리 교과서에는 자연 현상 또는 일상의 경험과 관련 있는 다양한 소재가 들어 있어, 학생들


이 교과서를 통해 호기심과 흥미를 갖고 화학을 공부할 수 있다. 학생들은 교과서에 제시된 화
학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고 탐구 활동을 하면서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등 과학과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있다.

1 년 톰슨은 음극선에 전기장을 걸어 주었을 때 음극선의 경로가 휘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학습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의 종류와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유리관 안에 매우 적은 양의 기체를 음극선의 진로에 전기장을 음극선의 경로가 (+)극 쪽으
목표 넣고 높은 전압을 걸어 주면 (-)극에 걸어 준다. 로 휘어진다.
•원자를 원소 기호와 원자 번호로 나타낼 수 있다. 서 (+)극 쪽으로 음극선이 방출된다.
•동위 원소의 존재비를 이용하여 평균 원자량을 구할 수 있다. (-)

(+)극 슬릿
1 0 년 돌턴( . 1 1 )은 모든 물질이 더는 쪼 (_)극 톰슨(Thomson, J. J.
1856~1940)
갤 수 없는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하였다. 돌턴 이후 여러 과학
톰슨은 전자가 모든 원자에 공통으
자가 원자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노력한 결과, 원자가 더 작은 입자로 로 들어 있으며, 그 질량이 수소 원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에는 어떤 것 (+) 자보다 매우 작다는 사실을 발견하

! 였다. 톰슨의 발견은 원자가 더 작


들이 있을까? 그림 Ⅱ-2 톰슨의 음극선 실험 장치
은 물질로 나누어질 수 있다는 단서
자료 읽기 음극선의 진로에 전기장의 방향을 반대로 걸어 주었을 때, 음극선의 진로를 예측하여 를 제공하였다.

전자의 발견 그림 Ⅱ 2에 그려 보자.

진공관 안에 매우 적은 양의 기체를 넣고 양 끝에 전극을 연결하여 높은 전압을 걸 톰슨은 실험 결과를 통해 음극선이 일정한 질량을 가지며 ( )전하를 띠는 작은 입

I
어 주면 ( )극에서 ( )극 쪽으로 빛을 내는 선이 나오는데, 이를 음극선이라고 한다. +
자의 흐름이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톰슨이 발견한 이 입자를 과학자들은 전자라고 하 -
로 고
과학 역량
활동으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중 하나인 전자는 음극선의 정체를 알아내는 과정에서 발견하 였다.
단원 열기 빙고 놀이로 만나는 화학 1. 탐구 능력

용어
화학과 관련된 용어를 설명해 보자.

설명
그림 Ⅱ-1 음극선 였다. 다음 활동을 통해 음극선의 성질에 대해 알아보자. 이후 톰슨은 음극선을 이용하여 추가로 여러 가지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전
원소 자가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중 하나라고 결론지었다. 또 전자는 ( )전하를 띠지만 원
시범
화학은 지금까지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으며, 화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우리가 사는 세상에 원자
실험 해 보기 음극선의 성질 알아보기
는 큰 변화가 있었다. 화학과 관련된 용어와 화학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킨 화학자를 우리는 분자
사고력 탐구 능력
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 원자 내에 ( )전하를 띠는 부분이 존재할 것이라고 추론
얼마나 알고 있을까? 우리가 알고 있는 화학과 관련된 용어와 화학자의 이름을 이용하여 화 전자

산소
준비물 고전압 발생 장치, 음극선관 세트, 절연 장갑, 말굽 자석 하였다. 이에 따라 톰슨은 ( )전하가 고루 퍼져 있는 공 속에 ( )전하를 띤 전자가
학 빙고 놀이를 해 보자.

화학의 첫걸음 화학 빙고 놀이 안내
주기율표
수소

기체

퍼센트 농도
음극선관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자.

금속판이 설치된 음극선관에 전압을 걸 바람개비가 설치된 음극선관에 전압을 음극선관에 전압을 걸고, 자석을 가까이
박혀 있는 새로운 원자 모형을 제안하였다.

창의 융합 사고 톰슨의 실험 결과를 반영한 원자 모형을 그려 보고, 톰슨이 제안한 원자 모형을 찾 톰슨 원자 모형은 ‘Ⅱ 과학 마


1. 가로, 세로 개의 빈칸을 만들자. 용액
어 준다. 걸어 준다. 하여 본다.
2. 예시를 참고하여 모둠별로 화학과 관련된 용어 10 가지를 빙고 놀이판 임의의 위치에 써 아 비교해 보자. 당 원자 모형의 변천과 과학 이론
보자. 의 변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의사소통 능력 모둠에서 화학의 발전에 공헌한 대 화학자를 선정한 기준이 무엇이었는
예시 “자연은 모든 종류의 물질 합성과 분해가 이루어지는
지 발표해 거대한
보자. 화학 실험실이 ➜ 0 1쪽
원소, 원자, 분자, 전자, 산소, 수소, 기체, 주기율표, 퍼센트 농도, 용액
라고 생각한다.”
세상을 바꾸는 화학 화학과 관련된 용어라면 어떤 것이라도 된다. 라부아지에( , . ., 1 1 )
. 모둠별로 화학의 발전에 공헌한 대 화학자를 의논하여 정하고 나머지 빈칸에 써 보자.
. 모둠별로 돌아가면서 한 가지씩 제시된 화학과 관련된 용어를 설명하여 정답을 맞히면 해
탄소 화합물의 세계 당 용어에 를 표시해 보자.
식물의 광합성과 생물이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하고 호흡하는 등의 물질대사는 모두 화학 반응으로
5. 제시된 용어를 모두 확인한 다음에는 모둠별로 정한 대 화학자를 돌아가며 부르고 해당
화학자가 있을 때는 설명할
를 표시해 보자. 수 있다. 라부아지에의 말처럼 자연 속에서 생명이 살아 숨 쉬는 모든 곳에는 화학이 존재한다.
몰과 화학식량 . 가로, 세로, 대각선 중 개 줄을 먼저 완성한 모둠은 ‘빙고’를 외쳐 보자.
이 단원에서는 식량 문제, 의류 문제, 주거 문제 등 일상생활의 문제 해결에 화합물 및 화학 반응이
원소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 성분! 정리
화학 반응식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이해하고 화학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알아보자. 몰, 몰 농도 등 화학의 기
우리 모둠은 핵심 개념 확인하기
●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음극선의 성질을 정리해 보자.


빙고!
본 개념을 이해하고, 여러 가지 화학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어
핵심 개념 화학 반응에서의 양적 관계를
이어 보기 알고 있는 개념을 찾아보고, 이 단원에서 학습할 핵심 개념을 알아보자.
1 원자의 구성 입자 중 음극선 실험을 통해 발견되었으며 ( )전하를 띤 입자는 무엇인가?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몰 농도 표현해 보자. 선수 학습 개념 이 단원의 핵심 개념 후속 학습 개념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중학교 과학 •화학의 유용성 화학 II
>>

•화학 반응식 •탄소 화합물의 유용성


>>

•용액의 농도
2 전자가 ( )전하를 띠고 있다는 것은 무엇을 통해 알 수 있었는지 설명해 보자. 전자의 발견
•몰 •묽은 용액의 총괄성

58 59
•화학 반응식 •촉매
. 원자의 세계 1. 원자의 구조
•몰 농도 •효소

12 . 화학의 첫걸음 과학 역량 활동으로 단원 열기 13

단원 시작 학습 본문 학습-개념

I
수 있다.

구할 수 있다. 도입 __ 학생들은 실생활, 첨단 과학 기술, 예술 등


화학의 첫걸음 단원 소개 __ 학생들은 단원의 제목을 통해 단원의 )은 모든 물질이 더는 쪼
갤 수 없는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하였다. 돌턴 이후 여러 과학 다양한 소재를 담은 사진 및 그림을 통해 학습 내
세상을 바꾸는 화학

탄소 화합물의 세계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자가 원자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노력한 결과, 원자가 더 작은 입자로

용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에는 어떤 것
몰과 화학식량
!
화학 반응식

몰 농도

넣고 양 끝에 전극을 연결하여 높은 전압을 걸

1 년 톰슨은 음극선에 전기장을 걸어 주었을 때


발견하였다.

유리관 안에 매우 적은 양의 기체를 음극선의 진로에 전기장을


넣고 높은 전압을 걸어 주면 (-)극에 걸어 준다.
서 (+)극 쪽으로 음극선이 방출된다.
(-)

단원 도입 __ 학생들은 과학자의 명언과 단원 소개 (+)극 슬릿


본문 개념 __ 본문이 자세하고 친절한 설명으로 이
(_)극

를 통해 단원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 (+)


루어져 있어 학생들이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림 Ⅱ-2 톰슨의 음극선 실험 장치
“자연은 모든 종류의 물질 합성과 분해가 이루어지는 거대한 화학 실험실이
라고 생각한다.”
라부아지에( , . ., 1 1 ) 자료 읽기 음극선의 진로에 전기장의 방향을 반대로 걸어 주었을 때

식물의 광합성과 생물이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하고 호흡하는 등의 물질대사는 모두 화학 반응으로


그림 Ⅱ 2에 그려 보자.
설명할 수 있다. 라부아지에의 말처럼 자연 속에서 생명이 살아 숨 쉬는 모든 곳에는 화학이 존재한다.

하였다. 이에 따라 톰슨은 ( )전하가 고루 퍼져 있는


박혀 있는 새로운 원자 모형을 제안하였다.

과학 역량
활동으

단원 열기

빙고 놀이로 만나는
과학 역량 활동으로 단원 열기 __ 학생들은 다양한 창의 융합 사고 톰슨의 실험 결과를 반영한 원자 모형을 그려 보고
활동 __ 자료 읽기, 연습해 보기, 정리해 보기, 조사
아 비교해 보자.

생활 속 소재를 통해 단원에서 배워야 할 내용에 해 보기, 창의 융합 사고, 물음 등이 필요한 곳에


화학은 지금까지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으며, 화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우리가
는 큰 변화가 있었다. 화학과 관련된 용어와 화학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킨
얼마나 알고 있을까? 우리가 알고 있는 화학과 관련된 용어와 화학자의 이름을
학 빙고 놀이를 해 보자.

1. 가로, 세로
화학 빙고 놀이 안내
개의 빈칸을 만들자.
2. 예시를 참고하여 모둠별로 화학과 관련된 용어 10 가지를 빙고 놀이판
보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높이고, 과학과 핵심 역량을 제시되어 있어 학생들이 주어진 문제를 스스로 해
예시

키울 수 있다. 결할 수 있다.
원소, 원자, 분자, 전자, 산소, 수소, 기체, 주기율표, 퍼센트 농도,

화학과 관련된 용어라면 어떤 것이라도 된다.

. 모둠별로 화학의 발전에 공헌한 대 화학자를 의논하여 정하고 나머지


. 모둠별로 돌아가면서 한 가지씩 제시된 화학과 관련된 용어를 설명하여
핵심 개념 확인하기
당 용어에 를 표시해 보자.

2. 의사소통 능력 모둠에서 화학의 발전에 공헌한 대 화학자를 선정한 기준이 무엇이었는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지 발표해 보자.

그림 Ⅱ-1 음극선 였다. 다음 활동을 통해

핵심 개념 이어 보기 __ 학생들은 학습할 개념과 선 시범


실험 해 보기 음극선의 성질 알아보기
해 보기 __ 학생들은 간단한 실험이나 조사, 자료
준비물 고전압 발생 장치, 음극선관 세트, 절연 장갑, 말굽 자석

핵심 개념
이어 보기 알고 있는 개념을 찾아보고, 이 단원에서 학습할 핵심 개념을 알아보자.
수 학습 개념, 후속 학습 개념을 연계하여 파악할 음극선관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했을 때 일어나는

금속판이 설치된 음극선관에 전압을 걸 바람개비가 설치된


해석 등의 활동을 통해 학습 개념을 자연스럽게
선수 학습 개념 이 단원의 핵심 개념 후속 학습 개념 어 준다. 걸어 준다.

수 있다. 습득할 수 있다.


>> 중학교 과학 •화학의 유용성 >> 화학 II
•화학 반응식 •탄소 화합물의 유용성 •용액의 농도
•몰 •묽은 용액의 총괄성
•화학 반응식 •촉매
•몰 농도 •효소

과학 역량 활동으로 단원

핵심 개념 확인하기 __ 학생들은 간단한 문제 풀이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원자의 구성 입자 중 음극선 실험을 통해 발견되었으며 ( )전하를


와 핵심 개념을 되짚어보는 활동을 통해 차시별로
2 전자가 ( )전하를 띠고 있다는 것은 무엇을 통해 알 수 있었는지

배운 내용을 스스로 정리할 수 있다.


대단원 마무리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논술 | 과학 글쓰기
역할
탐구 활동 놀이 원자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 나타내기
사고력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1. 화학 결합의 전기적 성질 106 쪽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18 쪽
준비물 목표 역할 놀이 2 모둠 대항 양손 전자 배치 놀이
필기도구
02 그림은 염화 나트륨 용융액과 물의 전기 분해 장치이다. 05 그림은 와 로 이루어진 화합물 (가)와 와 로 이루 19 다음은 바이타민에 대한 설명이다.
오비탈 모형에 원자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역할 놀이를 통해 원자의 바
아래의 놀이 방법을 보고, 모둠 대항으로 전자 배치 놀이를 해 보자. NaCl 어진 화합물 (나)의 화학 결합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닥상태 전자 배치를 설명할 수 있다.
- 바이타민은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자로 많은 양이 필요하
용융 전원 장치 +
양손 전자 배치 표현 놀이 방법
NaCl 지는 않으나 체내에서 생성되기 어려워 반드시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
과정 (1) 5 명의 모둠원이 교실 앞으로 나와 그림과 같이 각각 1s, 2s, 2p®, 2pò, 2p½의 오비탈 역
(-) (+)
이다. 바이타민은 소량으로 신체 기능을 조절한다는 점에서 신체의 내분비 기관에
역할 놀이 1 엄지손가락 전자 배치 놀이 할을 맡는다.
서 형성되는 호르몬과 비슷하다. 바이타민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과는 달리 에
(2) 한 손을 들면 해당 오비탈에 전자가 한 개 배치된 것이고, 양손을 들면 해당 오비탈에 전 ( -)극 철 그물 ( +)극 물 + 수산화 나트륨 (가) (나) 너지는 생성하지 못하나 효소나 효소를 돕는 조효소의 구성 성분이 되어 다른 물
전자 배치 규칙을 적용하여 다음 원자 및 이온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화살표로 표시하
자가 두 개 배치된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질의 대사에 관여한다.
고 오비탈 기호로 나타내 보자. ( ) 다른 모둠에서 원자 번호 1 10 번의 원자나 이온의 이름을 외치면 모든 학생이 5 초를 평가하기
1 2 3 4 5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골라 보자. (단, 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1s 2s 2p 일반적으로 바이타민은 크게 수용성과 지용성으로 분류한다. 수용성 바이타민
세고, 모둠원들은 5 초 안에 해당 원자나 이온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에 맞춰 손을 든다.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옳게 나타 ① (가)의 ( )극에서 금속 나트륨이 생성된다. <보기> 은 물에 잘 녹는 바이타민으로 바이타민 , 등이 이에 해당한다.
냈는가?
1s 2s 2p ② (나)의 ( )극에서 가연성 기체가 생성된다. ㄱ. 원자 번호는 가 보다 크다.
모둠별로 점수를 기록해 보자. 지용성 바이타민은 지방이나 유기 용매에 잘 녹는 바이타민으로 바이타민 , ,
모둠원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
ㄴ. (가)는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다.
였는가? ③ (가)와 (나) 모두 ( )극에서 기체가 생성된다. , 등이 이에 해당한다. 수용성 바이타민보다 열에 강하여 조리 가공 중에 손실
1s 2s 2p 원소나 이온 한 가지당 1 점씩 부여하며, 정해진 시간(2 분)에 가장 많은 전자 배치를 표현한 모둠 ㄷ. 바닥상태인 원자의 홀전자 수는 모두 같다.
이 우승한다.
모둠원과 서로 협력하고 배려하 ④ (가)와 (나) 모두 ( )극에서 전자를 잃는 반응이 일 이 적고, 장 속에서 지방과 함께 흡수되므로 지방 흡수율이 떨어지면 이들의 흡수
1s 2s 2p 면서 역할놀이를 하였는가? 도 지장을 받게 된다.
어난다.
모둠 점수 모둠 점수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18 쪽 그림은 두 종류의 바이타민을 구조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⑤ 이 실험을 통해 원자 사이의 결합에 전자가 관여함
1 5 | 활동 후기 | 이 활동을 통해 어떤 06 금속 결합 물질의 성질로 옳지 않은 것은?
OH
2 것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을 알 수 있다.
아래의 놀이 방법을 보고, 과정 에서 나타낸 원자 또는 이온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CH£ CH£
①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이 형성된다. HO O O H£C CH£
표현해 보자. 2. 이온 결합 110 쪽 OH
② 고체와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다. H
03 그림은 임의의 원자 와 를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③ 광택이 나타나는 것은 자유 전자 때문이다. OH OH CH£
엄지손가락 전자 배치 놀이 방법
와 가 결합을 형성할 때 이루는 화학 결합의 종류와
④ 단단한 편이고 힘을 가해도 부서지지 않는다. (가) (나)
(1) 5 명의 모둠원이 그림과 같이 각각 1s, 2s, 2p®, 2pò, 2p½의 오비탈 역할을 맡는다. 생성되는 화합물의 화학식을 써 보자.
⑤ 전압을 가하면 금속 양이온은 ( )극으로 이동한다.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18 쪽 ⑴ (가)와 (나)의 구조를 보고 어느 것이 수용성 또는 지용성 바이타민일지 고르고 그렇게

11+ 16+ 07 표는 물질 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생각한 까닭을 분자 구조의 특성으로 설명해 보자.
2p®
2pò 전기 전도성
2s 물질 녹는점( ) 끓는점( )
고체 액체
A B
1s 2p½ 01 1 1 × ○
2. 이온 결합 110 쪽 11 . × ×
04 다음은 어떤 물질의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 2 ○ ○ ⑵ 바이타민 (가)와 (나) 중 과량으로 섭취할 경우 체내에 축적되어 부작
(2) 엄지손가락을 한 개 들면 해당 오비탈에 전자가 한 개 배치된 것이고, 엄지손가락을 두 개 1 0 2250 × × 용을 일으키는 것이 있다. 이 중 어떤 것인지 밝히고 그렇게 답한 까
들면 해당 오비탈에 전자가 두 개 배치된 것이다. •상온에서 고체 상태이다. 닭을 설명해 보자.
( ) 모둠원 중 한 명이 원자 번호 1 10 번의 원자나 이온의 이름을 외치고 5 초를 세면, 모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액체와 수용액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다.
든 모둠원은 해당 원자나 이온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에 맞춰 손가락을 든다. •단단하나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쉽게 부서진다. ① 는 공유 결합 물질이다.
② 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과정 에서 제시한 원자 외에 다른 원자 세 가지를 고르고,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손가 위와 같은 성질을 나타내는 물질은? ③ 에 힘을 가하면 쉽게 부스러진다. 바이타민 가 들어 있는
락으로 표현해 보자. ① ② ③ (흑연) ④ 는 승화성이 있다. 올리브유

④ ⑤ H ⑤ 상온에서 분자로 존재하는 것은 두 가지이다. 바이타민 가 들어 있는 레몬

논술 | 과학 글쓰기 151
78 . 원자의 세계 3. 전자 배치 규칙 79 148 .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과학과
본문 학습-탐구 대단원 마무리 학습 핵심 역량

탐구 활동 실험
0.1 M 수용액 만들기 대단원 마무리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대단원 마무리 __ 학생들은 핵심 개념 정리하기로
탐구 활동 __ [목표 - 예상(다가서기) - 과정 - 결과 -
목표
부피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0
1. 화학 결합의 전기적 성질 106 쪽 단원을 정리한 후, 핵심 개념 적용하기, 핵심 역량
수 있다. 정리 - 창의력+] 단계를 통해 학생들은 자기 주도 02 그림은 염화 나트륨 용융액과 물의 전기 분해 장치이다.

NaCl

키우기에 있는 다양한 형식의 문제로 학습 정도를


준비물

염화 칼륨 염화 나트륨 용융 전원 장치
준비

적으로 탐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포도당 설탕 NaCl

증류수 부피 플라스크 모둠별로 염화 칼륨, 염화


(-)

파악하며, 과학과 핵심 역량을 키울 수 있다.


전자저울 비커 물질 하나를 선택한다.
깔때기 씻기병 ( -)극 철 그물 ( +)극 물 + 수산화 나트륨
유리 막대 약숟가락 모둠에서 선택한 물질은 무엇인가?
(가) (나)
시약포지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논술 | 과학 글쓰기

탐구 활동 평가하기 __ 학생들은 탐구의 내용 이해


평가하기

0.1 M 수용액을 만드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선택한 물질의 0.1 M 수용액을 올바른 과정을 거쳐 만들었는가?
논술 | 과학 글쓰기 __ 과학 글쓰기 문제를 통해 학
실험 후 시약 처리 및 뒷정리를 잘하였는가?
도, 참여도, 학습 태도 등을 스스로 점검하여 활동 17 다음은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물질인 퀴닌과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말라리아는 학질이라고도 하며, 학질모기가
생들은 과학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전반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원충이 모기에서 사람의 간으로 옮겨 가 고열과
이르게 하는 질병이다. 말라리아는 20 세기 중반까지
다. 이러한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수많은 방법이
( p )
퀴닌은 안데스 산맥에 자생하는 키나 나무껍질에

실험 창의 융합 활동 러더퍼드 되어 보기 창의 융합 활동 __ 학생들은 생활 속 과학, 단원 통


준비물 목표
수수께끼 판
종이
구슬 모형 실험을 통해 러더퍼드가 합과 관련한 자료로부터 과제를 해결하여 과학과
연필 또는 색연필 과정

•50
수수께끼 판
50 크기의 판자
수수께끼 판의 내부 도형이

여러 방향에서 수수께끼
핵심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가운데에 두께가 약 2 인작 록하자.
은 도형이 붙어 있는 나무판이다.
구슬의 궤적들을 이용하여

직업 마당
문화재에
생명을 대단원
불어넣는
사람
문화재 보존
과학자
아름다움을
과학과 예술
창조하는
과학 마당 물질
이온 결합 미술품,
서적, 건축물
잃거나 자연재 , 유물 등의
드네」는 해 등에 문화재는
와 아리아 의해 오랜 시간이
)의 「바쿠스 일을 하는 훼손되기도 지나면서
? 15 파란색으로 전문가가 하므로 문화재 본래의 모습을
, ., 1 매우 선명한 고 빛에
필요하다.
유물들은 를 보존하
티치아노( 아직도 하늘이 는 것 같은 의해서도 공기 중의 고 복원하
다 되어 가지만 살아 움직이 쉽게 변할 수분이나 기 위한
500 년이 , 인물들이 사용했기 끗하게 제거하 수 있어 미량 화합물
그려진 지 않은 듯하고 라는 안료를 안료 이루어진
광 고, 화학 유물의 표면에 은 물론이
얼마 되지 울트라 마린이
것 결합으로 반응을 이용하 쌓인 먼지와
그려진 지 갈아 넣은 물질이 결합한 대부분 이온 분말 착색제 여 변한 같은 이물질
빛나 마치 을 등의 비금속 게 빻은 Q 문화재 보존 부분을 복원해
이것은 청금석 산소, 황 고 색이 선명 물을 미세하 을깨
느껴진다. 늄 금속과 결합이 유지되
과학자가 야 한다.
생동감이 , 칼슘, 알루미 지나도 이다. 문화재 보존 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나트륨 달리 시간이
청금석은 안료와는
과학자는
때문이다. 얻은 다른
되찾기 위해 유물이 만들어
나 동물에서 노력한다.
따라서 이들은
질 당시의
환경을
으로 식물이 네」
라고 할
수 있다. 확인하여
청금석 와 아리아드 이들은 유물을 문화재에 원래의 모습을
다. 가 그린 「바쿠스 새로운 생명을
하게 보존된 판에이 크( 티치아노 가치를 향상할 잘 보존할 불어넣는
유명한
작품으로 수 있는
재료 특성과
수 있는
처리 방법을 사람들이
뚜렷한 색상의 사용한 화가이 일도 한다.
기술을 연구한 연구하고,
투명한 질감과 기법을 최초로 유물의
)는 유화 성모의 다. 또 복원된
, ., 1
0 1 1 성모」에서 유물을 관리하
판데르 팔러의 Q 문화재 보존
헤오르흐 갈아 안료로
사용한 과학자는 는
참사회원

다양한 읽기 자료
어떤 능력이
다. 「대성당 하는 암석을 주성분으로
유물들은
는 진사라고 )이 화학 물질로 필요한가요?
드레스 수은(H 만들어져
풍성한 붉은 결합한 황화
화학 정보가
필요하고 있으므로,
황과 수은이 전시실의 보존을 위해서
것이다. 진사는 화학적으로 온도, 습도, 는 유물의
특징이다. 어떤 영향을 오염 물질, 성분에 대한
선명한 것이 안료를 주로 원하는 데에도 미칠 수 조명 등의
붉은색이 있는가를
1 0 )는 흰색 화학적인 파악해야만 조건이 유물에
1 」을 연 문적인 지식이 처리가 필요하 한다. 또
, . . M., 「흰색 교향곡 므로 문화재 손상된 유물을
휘슬러( 소녀를 그린 그림은
필수적이다.
보존 과학자 복
를 입은 청초한 휘슬러의 는 화학
사용하여
흰 드레스 가득 채운 방면의 전
로 캔버스를 사용했던

다. 흰색으 가 즐겨
작으로 발표했 파격적이었다
. 휘슬러

자료실, 생활 속 과학 원리, 최신 과학, 과학사, 과학


로는 매우 탄산 납 핵심 역량
당시 화풍으 결합한 펼치기
탄산 이온이 가 새로운 문화재 보존
안료는 납 이온과 연백의 납 성분 과학 기술 과학자
흰색 었는데 , 환경에 적응하
인 연백이 떤 노력을
)이 주성분 연백의 위 기울여야 기 위해
( 있다. 휘슬러는 하는지 알아보 어
독성을 가지고 투명하 자.
은 매우 강한 습기에 강하며
잘 마르고
험을 알고
고 생생한
력을 외면하
있었지만,
느낌을 주는
지 못했고
연백의 매
, 말년에
받았다.

진사

판에이크
가 그린
성모」
자, 예술, 진로와 관련된 자료 등 각 단원의 특성에
로 많은 고통을 판데르 팔러의
납 중독으 「대성당참사회원
헤오르흐

방법을 사용하
는지 알아보
자.
휘슬러가
그린
1 번」
194 . 역동적
인 화학 반응

맞는 다양한 읽을거리와, 이를 읽고 해결할 수 있는


펼치기 할때 어떤 「흰색 교향곡
핵심 역량 알아보려고
무엇인지
사용한 물질이 117
오래된 그림에 과학 마당

핵심 역량 문제가 함께 들어 있다.
과학과 핵심 역량 미리 보기

우리 교과서에는 과학과 핵심 역량을 구현하는 다양한 활동과 소재가 수록되었다. 과학과 핵심


역량이 적용된 부분은 그림 단추로 표시하거나 해당 항목을 명시하여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사고력

과학적 주장과 증거의 관계를 탐색하


는 과정에서 필요한 사고이다. 탐구 능력

실험, 조사, 토론 등의 다양한 방법으


로 증거를 수집, 해석, 평가하여
새로운 과학 지식을 얻고 의미를
구성해 가는 능력이다.
활동으로
과학 역량

단원 열기 동굴의 생성 1. 탐구 능력 멕시코 나이카 동굴과 아이슬란드 동굴 내부의 모습이 다른 까닭을 동굴을 이


루는 물질의 성질과 연관 지어 설명해 보자.

그림은 멕시코 나이카 광산 지하에서 발견된 동굴 내부 모습이다. 주성


분이 황산 칼슘( )인 석고 결정이 거대하게 자라 동굴 내부를
2. 문제 해결력 그림은 석회 동굴과 용암 동굴 내부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동굴이
기둥처럼 받치고 있는 신비로운 모습을 하고 있다. 동굴 내부의 온 어떻게 생성되는지 조사해 보고, 그 동굴을 이루는 물질의 특성을 알아보자.
도와 습도가 결정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되고, 사 실험
탐구 활동 식초 속의 아세트산 함량 구하기
람의 접근이 쉽지 않아 백만 년 이상 동안 결정이 이렇게 엄청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난 크기로 자랄 수 있었다. 목표 용액에 분홍색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조심스럽게
중화 적정을 이용하여 식초 속의 아세트산 농도를 구할 수 있다. 한 방울씩 넣으며 계속 흔들어 보자.

용액이 전체적으로 분홍색이 되어 삼각 플라스크를 흔들어도 용액의 색이


준비물 실험 1 0.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만들기
없어지지 않으면 뷰렛의 꼭지를 잠근 후 뷰렛의 눈금을 읽어 보자.
수산화 나트륨 식초
그림은 빙하와 화산으로 유명한 아이슬란드 스카프타펠에 있 과정
석회 동굴 증류수 용암 동굴
위 과정 을 한 번 더 반복해 보자.
는 얼음 동굴이다. 얼음 동굴은 빙하 아래에서 흐르는 물과 화산에 페놀프탈레인 용액 수산화 나트륨 을 전자저울로 정확히 측정하여 증류수 100 가 담긴 비커에 넣고
서 올라오는 지열에 의해 빙하 내부가 녹으면서 생성된다. 빙하는 매우 부피 플라스크 녹여 보자.
삼각 플라스크 페놀프탈레인 뷰렛
느린 속도이지만 끊임없이 움직 비커 피펫 녹인 용액을 1 부피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로 비커를 2 회 씻어 부피 플라스크에 용액 꼭지
이므로 빙하 동굴의 위치 피펫 필러 깔때기 넣어 보자.
뷰렛 뷰렛 집게
와 모양은 계속 변하
스포이트 스탠드 부피 플라스크의 표시선까지 증류수를 채워 보자.
고 동굴 붕괴 가능 전자저울 시약포지
약숟가락 점적병 부피 플라스크의 마개를 잘 막은 다음 흔들어 용액을 골 흰
성도 크다.
흰 종이 실험복 고루 섞어 보자. 종이

보안경
실험용 장갑

유의할 점
핵심 개념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을
이어 보기 결과
알고 있는 개념을 찾아보고, 이 단원에서
착용한다. 학습할 핵심 개념을 알아보자. 직업 마당
•산, 염기 용액이 이
손에 묻지핵심
않도 1. 실험에서 측정한 값을 표에 써 보자.
선수 학습 개념 단원의 개념 후속 학습 개념

>> 고등 과학
록 주의하고, 묻었을 경우 즉시
•이온 결합
흐르는 물에 손을 씻는다. •결합의 극성 >> 화학 II
실험 뷰렛의 처음 눈금 뷰렛의 나중 눈금 소모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피(m ) 톰슨과 러더퍼드의
•이온 결합, 공유 결합 •공유•결합 •전자점식정리
실험 후 사용한 시약은 폐수통에 •분자 간 상호 작용 1
후예들
버린다.
•금속 결합 ● 만들어진
•전자쌍 반발 이론 수산화 나트륨•액체의
수용액의 몰 농도는 얼마인가?

성질
>> 화학 Ⅰ
•전자 배치 •전기 음성도 •분자 구조 •고체의 결정 구조
입자 가속기
평가하기
1 2 3 4 5
•주기적 성질 •쌍극자 모멘트
몰 농도 용액 만들기는 ‘ . 화
학의 첫걸음 5. 용액의 농도’에서 확
2. 소모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부피의 평균값은 얼마인가? 연구원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
가? 2012 년 유럽 원자핵 공동 연구소( )는 거대 강입자 가속기( H )를 이용
인할 수 있다. ➜ 쪽
실험 2 중화 적정을 통해 식초 속의 아세트산 농도 구하기 모둠원과 서로 협력하고 배려하
하여 물질에 질량을 부여하는 입자인 ‘힉스 입자’를 발견하는 데 성공하였다. 자연
면서 실험하였는가?
104 .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과정
과학 역량 활동으로 단원 열기 105 속에서 관찰할 수 없었던 힉스 입자를 입자 가속기 실험을 통해 발견한 것이다. 이

시판되고 있는 식초 10 와 증류수 0 를 비커에 넣고 희석해 보자. 정리 실험을 통해 식초 속의 아세트산 처럼 입자 가속기 연구는 물질의 구조와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히는 데 큰 역할을
함량을 구할 수 있는가?
1. 아세트산 수용액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 보자. 하고 있다.
과정 의 용액 20 를 피펫으로 취한 후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문제 해결력
2 방울 떨어뜨려 용액의 색 변화를 관찰하자. 실험 후 시약 처리 및 뒷정리를
Q 입자 가속기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잘하였는가?
뷰렛에 실험 1에서 만든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넣고 뷰렛의 눈금을 읽어 보자. 2. 실험에 사용된 아세트산의 몰 농도를 구해 보자. 전자나 양성자와 같이 전하를 띤 입자가 전기장이나 자기장 속을 통과하면 힘을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
받아 가속되는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입자들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가까울 정
뷰렛 아래에 과정 의 삼각 플라스크를 놓고, 뷰렛의 꼭지를 열어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도로 증가한다. 이렇게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입자를 다른 입자에 충돌시키면
을 조금씩 떨어뜨리면서 삼각 플라스크를 천천히 흔들어 보자. 3. 창의력 실험에 사용한 식초 1 병에 함유된 아세트산의 양( )은 얼마인가?
더 작은 소립자로 부서지는데, 충돌로 생성된 소립자들의 물리량을 분석하면 입자
삼각 플라스크 아래에 흰 종이를 깔고 용액의 색 변화를 관찰하자.
를 구성하는 물질들을 알아낼 수 있다. 입자를 더 빠른 속도로 충돌시키면 높은 에
너지를 가진 소립자들이 생성되어 새로운 현상을 관찰할 수도 있다. 또 입자가 가
속되면서 방출하는 빛을 여러 가지 실험에 활용하기도 한다.
172 . 역동적인 화학 반응 4. 산 염기 중화 적정 173
Q 입자 가속기를 이용하여 어떤 일들을 하고 있나요?
빅뱅 직후의 시점을 재현하여 우주 탄생의 원리를 알아낼 수 있으며, 물질 내부
의 원자 배열 상태나 전기적 성질을 알아내어 물질의 구조를 확인한다. 또 원자 구
거대 강입자 가속기( )
사진에서 큰 원이 LH 의 위 조를 변화시켜 새로운 원소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한편, 실용 분야에서는 방사성
치를 표시한 것이다. LH 는 동위 원소의 생산,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분석 등에 입자 가속기를 활용하고 있다.
둘레 2 km의 거대한 시설
로, 세계 최대 규모의 원형 입
특히 중입자 가속기는 몸속에 있는 암세포를 정확하게 파괴할 수 있어서 의료용으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사고를 활용


자 가속기이다. 로 개발되고 있다.

핵심 역량 펼치기 우리나라에 있는 입자 가속기를 찾아보고, 그 특징을 조사해 보자.

우주선의
최신 과학 과학 마당 하여 개인적 혹은 공적 문제를
이산화 탄소를 제거하는
수산화 리튬(LiOH) 96 . 원자의 세계

우주선에서 호흡하기 위해서는 산소가 꼭 필요하다. 그러나 산소만 있


으면 되는 것은 아니다. 호흡의 결과로 나오는 이산화 탄소를 제거해 주어
야 한다. 지구에서는 광합성 등을 통해서 이산화 탄소가 적절히 제거되지만
밀폐된 공간인 우주선 내에서는 이산화 탄소가 저절로 없어지지 않으므로 인위적인
메일
박스
해결하는 능력이다.
방법으로 제거해 주지 않으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우주선에서 이산화 탄소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여과 장치의 필터에는 수산화 리튬이
들어 있다. 수산화 리튬이 이산화 탄소와 만나면 중화 반응이 일어나면서 물과 탄산 리튬이
생성되므로 이산화 탄소를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다.
대단원 마무리 I. 화학의 첫걸음
2 H 1Ú H
구조된 아폴로 13호와 규격이 다른 사령선의 필터를 장착하기 위해서 급하게 직접 제작한 메일 박스 착륙선의 예비
용 수산화 리튬은 착륙선 바깥에 탑재되어 있어 비행사가 선외 활동을 할 때 가져올 수 있다.

1. 세상을 바꾸는 화학 14 쪽 2. 탄소 화합물의 세계 20 쪽 3. 몰과 화학식량 28 쪽 [10~11] 다음은 자동차 에어백의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02 다음은 어떤 학문 분야에 대한 설명이다. 05 그림 (가) (다)는 대표적인 탄소 화합물의 구조를 모형 08 그림은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같은 부피 속에 들어 있는 실제로 달에 착륙하지 못하고 귀환했던 아폴로 1 호는 선내의 이산화 탄소 제거에 문제가
으로 나타낸 것이다. 수소(H ) 기체, 질소( ) 기체, 암모니아( H ) 기체를 에어백은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해 순간적으로 부피가 발생하여 귀환에 어려움을 겪었다. 착륙선에 있던 수산화 리튬의 양이 세 명의 우주 비행사
물질의 구조와 성질 및 물질의 변화를 탐구하는 자 분자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늘어나도록 만들어진 안전장치이다. 자동차가 충돌하면 가 귀환하는 데 필요한 양에 비해 부족하여 사령선에 있던 필터를 이용해야 했는데 사령선의
연 과학의 한 분야로, 1 세기 이후 이론적 체계가 만 에어백 내에서는 (가) 아자이드화 나트륨( £)이 나트
필터는 모양이 사각형이어서 착륙선의 둥근 필터 카트리지에 그대로 장착할 수 없었다.
들어지면서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물질 륨( )과 질소( )로 분해된다. 이때 생성된 질소 기체
을 분자와 원자 수준으로 다룰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 로 인해 에어백이 팽창하여 운전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
비상사태에 돌입한 미국 항공 우주국( )의 연구원들이 해결책을 밤낮없이 고심하여
면서 물질의 구조와 성질, 물질의 변화에 대한 이해가 (가) 메테인 (나) 에탄올 (다) 아세트산 한다. 찾은 결과, 선내에 남아 있던 골판지나 비닐봉지를 껌 테이프로 붙여 맞추어 사각 필터 카트
더욱 깊어졌다. 리지를 제작하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 우주 비행사들은 미국 항공 우주국( )에서 설명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H H 4. 화학 반응식 36 쪽
하는 대로 필터 카트리지를 완성했고 이렇게 완성한 임시 필터를 메일 박스라고 하였다.
이에 해당하는 학문 분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10 다음은 (가)를 화학 반응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보기> 다행히 메일 박스가 잘 작동해서 이산화 탄소를 제거하는 데 성공하였고 우주 비행사들은
① 수학 ② 물리학 ③ 화학 고른 것은? (단, H와 의 원자량은 각각 1, 1 이다.)
ㄱ. (가)는 액화 천연가스( )의 주요 성분이다. 천신만고 끝에 무사히 지구로 귀환하게 되었다. 이 과정은 영화를 통해 그대로 재현되었다.
<보기> ㉠ (s)
④ 생명 과학 ⑤ 지구 과학 ㄴ. (나)는 이산화 탄소와 함께 대표적인 온실 기체
ㄱ. 1 몰의 질량이 가장 작은 것은 H 이다.  1Ú ㉡ (s) ㉢ ( )
이다.
ㄴ. 1 몰의 부피가 가장 큰 것은 H 이다.
1. 세상을 바꾸는 화학 14 쪽 ㄷ. (나)와 (다)는 물에 잘 녹는다.
ㄷ. 같은 부피 속에 들어 있는 원자 수는 모두 같다. ㉠ ㉢에 들어갈 알맞은 숫자를 모두 합한 값은?
03 화학이 실생활의 문제 해결에 이바지한 사례 중 긍정적
① ②5 ③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⑤ 11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질소 비료의 합성을 통해 인류의 식량 문제 해결에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이바지하였다.
3. 몰과 화학식량 28 쪽
4. 화학 반응식 36 쪽
핵심 역량 펼치기
② 염료의 합성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의류를 생산할
06 원자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1 0 ¾, 1 기압에서 질소 . 2 를 얻는 데 필요한 아자 우주선에서 이산화 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수산화 리튬 대신 수산화 나트륨을 이용하면 어떻게
수 있게 되었다.
① 단위는 을 사용한다. 4. 화학 반응식 36 쪽 이드화 나트륨( )의 질량은 몇 인가? (단, 와 될지 생각해 보자.
③ 아스피린의 합성을 통해 천연 약물인 살리실산의
② 원자의 실제 질량 값이다. 09 그림은 와 의 반응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의 원자량은 각각 1 , 2 이다.)
부작용을 해결하였다.
③ 탄소의 평균 원자량은 12.00이다. 아폴로 1 호의 기계선
④ 플라스틱 제품이 널리 쓰이게 되면서 일회용품의
④ 현재 원자량의 기준은 산소 원자( )이다.
사용이 급격히 늘어났다. 174 . 역동적인 화학 반응
X
5. 몰 농도 44 쪽 과학 마당 175
⑤ 평균 원자량은 동위 원소의 존재비를 고려한 값
⑤ 우수한 철강 제품을 통해 안전하면서도 독특한 구 Y
12 다음은 바이타민 에 대한 설명이다.
이다.
조의 건물을 지을 수 있게 되었다. 반응 전 반응 후
바이타민 는 아스코르브산( H )이라고도 하
3. 몰과 화학식량 28 쪽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며, 우리 몸을 구성하는 콜라젠 합성에 필수적인 역할
2. 탄소 화합물의 세계 20 쪽
07 입자 수가 가장 많은 것은? (단, H, , 의 원자량은 각 고른 것은? (단, , 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을 한다. 바이타민 가 부족할 경우 피로, 식욕 부진
04 다음은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물건이다.
각 1, 12, 1 이다.) <보기>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할 때는 상처가 잘 낫
ㄱ. 화학 반응식은 1Ú 이다. 지 않거나 괴혈병에 걸릴 수 있다. 괴혈병은 바이타민
① 수소(H ) 에 들어 있는 수소 분자 수
ㄴ. 반응 후 분자 수는 반응 전보다 감소하였다. 의 섭취로 예방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성인의 1 일
② 흑연( ) 12 에 들어 있는 탄소 원자 수
ㄷ. 1 몰의 가 모두 반응하려면 2 몰의 가 필요 바이타민 권장량은 0 이다.
③ 물(H ) 에 들어 있는 물 분자 수 하다.
(가) 유리컵 (나) 빵 (다) 옷 (라) 페트병 ④ 포도당( H ) 1 0 에 들어 있는 산소 원자 수 바이타민 음료 100 에 52 의 바이타민 가 포
(가) (라) 중 탄소 화합물이 포함된 것을 있는 대로 골 ⑤0 , 1 기압에서 메테인( H ) 기체 22. 에들 ①ㄱ ②ㄴ ③ ㄱ, ㄷ 함되어 있다면, 음료에 포함된 아스코르브산의 몰 농도
라 보자. 어 있는 원자의 총수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는 얼마인가? (단, 아스코르브산의 분자량은 1 이다.)

50 . 화학의 첫걸음 대단원 마무리 51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 과정과 결과를


참여와 공동체 내에서 공유하고 발전시키기
평생 학습 능력 위해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고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며 조정하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합리적이고 책임 능력이다.
있게 행동하기 위해 과학 기술의 사
회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며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이다.
안전하게
실험하기

실험 시 유의할 점
실 손 안전
1 실험 전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는다.
험 위험한 화학 물질로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2 실험실에서는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을 착용한다. 안 실험용 장갑을 낀다.

3 실험에 사용하는 시약을 다룰 때는 주의 사항과 실험 기구 사용 방

법을 미리 알아둔다. 시 눈 안전
화학 물질이나 열, 깨진 유리 기구로부터 눈을
4 실험할 때 해로운 기체가 발생하거나, 독성이 있는 재료를 다루는 보호하기 위해 보안경을 쓴다.
실험은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 하거나 실험실이 환기되도록 한다.

5 실험실에서는 뛰어다니거나 장난을 치는 등의 실험과 관련 없는 행 피복 안전


동을 하지 않는다. 화학 물질이나 뜨거운 물질로부터 피부와 옷을
보호하기 위해 실험복을 입는다.
6 실험 후 시약이나 실험 기구를 제자리에 가져다 놓고 실험한 자리
를 정리한다. 시약 주의
독성 화학 물질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하고, 독
7 사용한 실험 기구를 깨끗이 씻는다.
성 기체를 흡입하지 않도록 한다. 독성 기체를
8 사용한 시약을 선생님의 지시에 따라 정해진 곳에 버린다. 흡입했을 경우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이동
하여 안정을 취하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다.

실험실에서의 사고와 응급 처치 유리 기구 주의
유리 기구는 깨지기 쉬우므로 이를 주의해서 다
1 화상을 입으면 화상 부위를 차갑고 깨끗한 물에 충분히 담근 후, 병 루고, 깨진 유리를 처리할 때는 선생님의 지시에
원에서 치료를 받는다. 따른다.

2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침착하게 대피하고, 인화성 물질을 먼 곳으


폐기물 처리 안전
로 옮긴 후, 소화기로 불을 끈다.
선생님의 지시에 따라 실험에 사용한 시약이나
3 시약이 눈에 들어가거나 피부에 묻으면 묻은 부위를 먼저 충분한 유리 조각을 처리한다.

물로 헹군 후, 즉각 응급 구조대의 도움을 요청한다.


열 안전
4 유리에 베이면 핀셋으로 유리 조각을 제거하고 상처 부위를 물로 씻
뜨거운 물질이나 뜨거운 유리 기구로 인해 손이
은 후 희석된 과산화 수소수로 소독한다. 나 팔에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오븐 장갑을
낀다.

도구 주의
살이 가위, 칼과 같은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거
보안경
나 베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깊이 베이면 지혈한
뒤, 의사의 치료를 받는다.

화재 주의
실험복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알코올램프나 히터를
사용할 때 주의한다.

부식 주의
부식성 화학 물질이 피부나 옷에 묻지 않도록 하
고, 이러한 물질이 피부에 묻었을 때는 다량의
흐르는 물에 이를 충분히 씻어 내고, 병원에서
실험용 장갑 치료를 받는다.
이 책의 차례

I 화학의 첫걸음 II 원자의 세계

과학 역량 활동으로 단원 열기 12 과학 역량 활동으로 단원 열기 56

1 세상을 바꾸는 화학 14 1 원자의 구조 58


탐구 활동 화학이 실생활의 문제 해결에 18
기여한 사례 조사하기 2 현대 원자 모형 68

3 전자 배치 규칙 76
2 탄소 화합물의 세계 20
탐구 활동 원자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 나타내기 78
탐구 활동 탄소 화합물의 활용 사례 조사하기 26
4 주기율표 82
3 몰과 화학식량 28
탐구 활동 주기율표의 발견 과정 알아보기 82
탐구 활동 고체, 액체, 기체 1 몰의 양 측정하기 34
탐구 활동 다양한 활동으로 주기율표 표현하기 86
4 화학 반응식 36
탐구 활동 화학 반응의 양적 관계를 알아보는 42
5 원소의 주기적 성질 88
탐구 활동 원소의 주기적 성질을 그래프로 표현하기 94
실험 설계 및 수행하기

대단원 마무리 97
5 몰 농도 44
탐구 활동 0.1 M 수용액 만들기 46 논술 | 과학 글쓰기 101

대단원 마무리 49

논술 | 과학 글쓰기 53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과학 역량 활동으로 단원 열기 104 과학 역량 활동으로 단원 열기 154

1 화학 결합의 전기적 성질 106 1 동적 평형 상태 156


탐구 활동 물의 전기 분해 실험하기 108
2 물의 자동 이온화와 pH 160
2 이온 결합 110
3 산 염기 반응 164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18
4 산 염기 중화 적정 170
4 결합의 극성 126 탐구 활동 식초 속의 아세트산 함량 구하기 172

5 루이스 전자점식 130 5 산화 환원 반응 176


탐구 활동 원자, 이온, 화합물, 분자를 루이스 131
전자점식으로 표현하기 6 화학 반응과 열의 출입 188
탐구 활동 화학 반응에서 열의 출입 측정하기 190
6 전자쌍 반발 이론과 분자의 구조 134 탐구 활동 화학 반응에서 열의 출입을 이용한 192
탐구 활동 분자의 구조를 모형으로 나타내기 138 장치나 제품 고안하기

7 분자의 극성 140 대단원 마무리 195


탐구 활동 물질의 극성 확인하기 142
논술 | 과학 글쓰기 199
대단원 마무리 147

논술 | 과학 글쓰기 151 부록 200


I 화학의 첫걸음

세상을 바꾸는 화학

탄소 화합물의 세계

몰과 화학식량

화학 반응식

몰 농도
“자연은 모든 종류의 물질 합성과 분해가 이루어지는 거대한 화학 실험실이
라고 생각한다.”
라부아지에( , . ., 1 1 )

식물의 광합성과 생물이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하고 호흡하는 등의 물질대사는 모두 화학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 라부아지에의 말처럼 자연 속에서 생명이 살아 숨 쉬는 모든 곳에는 화학이 존재한다.

이 단원에서는 식량 문제, 의류 문제, 주거 문제 등 일상생활의 문제 해결에 화합물 및 화학 반응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이해하고 화학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알아보자. 몰, 몰 농도 등 화학의 기

본 개념을 이해하고, 여러 가지 화학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어 화학 반응에서의 양적 관계를

표현해 보자.

량 활동으
과학 역

단원 열기 빙고 놀이로 만나는 화학
화학은 지금까지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으며, 화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우리가 사는 세상에
는 큰 변화가 있었다. 화학과 관련된 용어와 화학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킨 화학자를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우리가 알고 있는 화학과 관련된 용어와 화학자의 이름을 이용하여 화
학 빙고 놀이를 해 보자.

화학 빙고 놀이 안내
1. 가로, 세로 개의 빈칸을 만들자.
2. 예시를 참고하여 모둠별로 화학과 관련된 용어 10 가지를 빙고 놀이판 임의의 위치에 써
보자.

예시

원소, 원자, 분자, 전자, 산소, 수소, 기체, 주기율표, 퍼센트 농도, 용액

화학과 관련된 용어라면 어떤 것이라도 된다.

. 모둠별로 화학의 발전에 공헌한 대 화학자를 의논하여 정하고 나머지 빈칸에 써 보자.
. 모둠별로 돌아가면서 한 가지씩 제시된 화학과 관련된 용어를 설명하여 정답을 맞히면 해
당 용어에 를 표시해 보자.
5. 제시된 용어를 모두 확인한 다음에는 모둠별로 정한 대 화학자를 돌아가며 부르고 해당
화학자가 있을 때는 를 표시해 보자.
. 가로, 세로, 대각선 중 개 줄을 먼저 완성한 모둠은 ‘빙고’를 외쳐 보자.

원소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 성분!
우리 모둠은
빙고!

12 . 화학의 첫걸음
1. 사고력 화학과 관련된 용어를 설명해 보자.

용어 설명

원소

원자

분자

전자

산소

수소

기체

주기율표

퍼센트 농도

용액

2. 의사소통 능력 모둠에서 화학의 발전에 공헌한 대 화학자를 선정한 기준이 무엇이었는


지 발표해 보자.

핵심 개념
이어 보기 알고 있는 개념을 찾아보고, 이 단원에서 학습할 핵심 개념을 알아보자.

선수 학습 개념 이 단원의 핵심 개념 후속 학습 개념

>> 중학교 과학 •화학의 유용성 >> 화학 II


•화학 반응식 •탄소 화합물의 유용성 •용액의 농도
•몰 •묽은 용액의 총괄성
•화학 반응식 •촉매
•몰 농도 •효소

과학 역량 활동으로 단원 열기 13
학습 •화학이 식량 문제, 의류 문제, 주거 문제 해결에 기여한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목표

비료, 플라스틱, 의약품 등의 개발로 우리 생활은 어떻게 변했을


까? 이때 화학은 어떤 역할을 한 것일까?

인류는 불을 발견하면서 어떤 물질을 다른 물질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경험하였고,


그 경험은 화학의 시작이 되었다. 이후 불을 이용하여 철을 제련하면서 철기 문명을
일으켰고 중세 시대에는 연금술을 통해 다양한 화학 물질과 화학 반응을 발견했다.
1 세기 이후 화학은 이론적인 체계를 갖춘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1
세기 이후부터 물질을 분자와 원자 수준으로 다룰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면서 인류는
물질의 성질과 화학 반응에 대해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화학의 발달은
다양한 물질을 합성할 수 있게 하였고, 이로부터 인류의 삶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그림Ⅰ-1 화학과 우리 생활

14 . 화학의 첫걸음
1 세기 이후 화학을 통한 물질의 합성은 인류의 생활을 크게 변화시켰다. 질소 비료
의 생산은 식량 문제 해결에 크게 이바지했으며, 면, 비단 등의 천연 섬유를 대신하는
합성 섬유 개발과 천연염료를 대신하는 인공 염료의 합성은 의생활을 비롯한 사회 전
반에 변화를 가져왔다. 또 목재를 대신하여 철강, 시멘트 등을 사용하면서 주거 문화
도 달라지게 되었다. 최근에는 합성 의약품의 개발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신소재의 개발로 다양한 재질의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서 화학이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다.

1. 세상을 바꾸는 화학 15
화학이 우리 생활의
의식주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을까?

영희는 우리 주변의 다양한 화학 물질과 화학 반응이 의식주 문화를 어떻게 바꾸고


인류의 수명 연장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궁금하여 여러 가지 사례를 조사하였다.
다음은 영희가 조사한 몇 가지 사례이다.

화학과
식생활 화학과
의생활
하버(H , ., 1 1 )의 암모니아 합
성으로 화학 비료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져 농작물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
섬유가 발명되면
의 생산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하였다. 또 농약을 사 서 인류의 의생활이 크게 달라
졌다. 합성 섬유는
용하면서 잡초나 해충의 피해가 줄어들게 되었다. 천연 섬유보다 질기고 가벼우며
값이 싸서 천연 섬
유를 빠르게 대체했고,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성 옷
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비닐하우스나 밭을 덮는 비닐의 등장으로 계절


에 상관없이 작물 재배가 가능하게 되었고 농업 생
산성도 증대되었다. 천연염료는 구하기 어렵고 귀해
서 사람들이 입
는 옷의 색깔에 따라 신분이 구분
되던 시절이 있었
다. 그러나 합성염료의 개발로
누구나 원하는 색깔
의 옷을 입을 수 있게 되었다.

16 . 화학의 첫걸음
화학과
주생활 화학과
건강
화학
유리는 5000 년 전부터 쓰여 온 물질인데,
현재 인간의 수명은 과거보다
유리 현저하게 늘어났
과 기술이 꾸준히 발달하면서 1 세기부터는
으며, 이러한 변화에는 합성 의약
갖 품의 개발이 큰 역
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또 다양한 기능을
할을 했다. 호프만(H
을만 , ., 1
춘 유리가 만들어지면서 도시의 멋진 건축물 1 )
은 살리실산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아세틸살리
드는 데 쓰이고 있다.
실산을 합성했는데 이것이 최초
의 합성 의약품인
아스피린이다.


건물을 짓는 데 쓰이는 철강 제품이나 시멘트
기존
화학의 발달과 함께 점차 성능이 개량되었고,
플라
의 바닥재나 벽지, 단열재, 창틀의 재료는 점차
있다.
스틱이나 실리콘 등 새로운 소재로 변화하고 플레밍( , ., 1 1 1 55)은 푸
른곰팡이에서 최초의 항생제인
페니실린을 발견하
였는데, 페니실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상용화
에 성공하여 사용되기 시작하였
고 수많은 환자의
목숨을 구했다.

창의 융합 사고 화학이 식량 문제, 의류 문제, 주거 문제 등을 해결한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하버가 공기 중의 질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 )을/를 합성함으로써 질소 비료를 대량 생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산할 수 있게 되었다. 암모니아 합성은 인류의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화학의 유용성
2 ( )의 개발로 누구나 원하는 색깔의 옷을 입을 수 있게 되었다.

1. 세상을 바꾸는 화학 17
조사
탐구 활동 화학이 실생활의 문제 해결에 기여한 사례 조사하기

목표
화학이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한 사례를 설명할 수 있다.
준비물

스마트 기기 과정
참고 도서
인터넷이나 책을 이용하여 화학이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한 사례를 조사해
필기도구
그리기 도구 보자.

화학이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한 사례 검색

화학이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한 사례 검색


통조림
아기 기저귀
통조림
아기 기저귀
썬크림

선크림

● 어떤 사례들이 있었는가?

모둠별로 검색한 사례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그것이 나오게 된 배경, 그것에 쓰인 화학


적 원리나 화학 반응, 실생활에 기여한 점 등을 조사하여 정리해 보자.

■사례

■배경

■화학적 원리나 화학 반응

■실생활에 기여한 점

18 . 화학의 첫걸음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참여・평생 학습
능력 능력
과정 의 결과로 발표 자료를 만들어 발표해 보자.

정리

1. 모둠별 발표를 듣고 각 사례를 표에 정리한 후 가장 잘한 모둠을 뽑아 보자.


다른 모둠의 발표를 들을 때는 조용히 경청한다. 발표가 끝난 후에는 참신하거나 잘된 부분은 칭찬하며
자신의 의견을 제시한다.

모둠 사례 실생활에 기여한 점 평가

통조림 음식물을 오래 보관할 수 있다.

2. 발표를 듣고 화학이 세상을 어떻게 바꾸어 왔는지 느낀 점을 써 보자.

평가하기 1 2 3 4 5

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모둠원과 서로 협력하고 배려하면서 조사 활동을 하였는가?
화학이 실생활의 문제 해결에 기여한 사례를 설명할 수 있는가?
발표 시 정확한 표현으로 말하고, 바른 자세로 경청하였는가?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1. 세상을 바꾸는 화학 19
2. 탄소 화합물의 세계

학습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탄소 화합물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


목표
•탄소 화합물이 일상생활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연간 사용되는 페트병은 25억 개 이상이라고 한


다. 음료수 페트병 개로 옷 한 벌을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 페
트병으로 어떻게 옷을 만들 수 있을까?

다양한 탄소 화합물
우리가 매일 먹는 밥이나 빵, 채소, 고기 등의 음식물을 포함하여 플라스틱으로 만든
컵, 그릇과 같은 생활용품 대부분에는 탄소가 포함되어 있다. 탄소 화합물이란 탄소가
기본이 되어 다른 원소들과 결합하여 만들어진 화합물이다.
탄소 화합물은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주위에 존재하고 있다.
우리 몸을 이루는 뼈와 근육에서부터 먹는 음식이나 입는 옷, 플
라스틱, 의약품에 이르기까지 탄소 화합물이 포함되지 않은 것이
거의 없다. 탄소 화합물은 우리가 생명을 유지하거나 생활하기 위
해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물질이다.

그림Ⅰ-2 탄소 화합물이 포함된 여러 가지 예

20 . 화학의 첫걸음
자료
해석 해 보기 탄소 화합물 목록 만들기 사고력 문제 해결력

그림은 마라톤 대회에서 경기를 완주하는 승유의 모습이다.

준비 운동 벌써
시작 ! 힘들다.

바나나?
우유?

사탕이나 초콜릿을
먹을까?

● 위 그림 속에는 어떤 탄소 화합물이 있는가? 그 목록을 만들어 보자.


밥이나 빵 등에 포함된 탄수화물, 면섬유나 양모를 구성하는 셀룰로스와 단백질은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탄소 화합물이다. 그물이나 텐트의 재료로 쓰이는 나
일론, 자전거 헬멧이나 타이어 등의 재료로 쓰이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등은
인공적으로 합성한 탄소 화합물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탄소 화합물은 수천만 종류에 이르며 지금도 새로운 탄소 화합물들
이 발견되거나 합성되고 있다.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탄소가 기본이 되어 다른 원소들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화합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다음에서 탄소 화합물이 포함된 것을 있는 대로 골라 보자.
탄소 화합물

물, 나무 의자, 자전거, 운동화, 스테인리스강 컵

2. 탄소 화합물의 세계 21
탄소 화합물의 구조와 특징
장난감 블록을 이용하면 적은 종류의 블록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모형을 만들 수
있듯이 원자 모형을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의 탄소 화합물 모형을 만들 수 있다.
다음 활동을 통해 탄소는 어떤 방식으로 다양한 탄소 화합물을 만드는지 알아보자.

그림 Ⅰ-3 몇 가지 모형으로 만든
만들기 해 보기 탄소 화합물 모형 만들기 대회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장난감 자동차
준비물 검은색 스타이로폼 공, 흰색 스타이로폼 공, 이쑤시개

검은색 스타이로폼 공은 탄소 원자 모형, 흰색 스타이로폼 공은 수소 원자 모형, 이쑤시개


는 결합 모형을 나타낸다.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탄소 화합물 모형을 만들어 보자.

규칙

탄소 원자 모형은 개의 결합을, 수소 원자 모형은 1 개의 결합을 할 수 있다.


탄소 원자 모형과 결합하는 각각의 원자 모형은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도록 배치한다.

연습 탄소 원자 모형 1 개, 수소 원자 모형 개, 이쑤시개 개를
이용하여 탄소 화합물 모형을 만들어 보자.

대회 모둠별로 탄소 원자 모형은 개, 수소 원자 모형은 최대


10 개까지 이용하여 구조가 다른 탄소 화합물 모형을 최대한 많
이 만들어 보자.

평가 기준
1. 제한 시간은 10 분이며, 만든 모형 1 개당 1 점씩 부
여한다.
2. 만든 모형이 규칙에 어긋나거나, 같은 구조를 중복
하여 만들면 감점한다.

정리

1. 모둠에서 만든 탄소 화합물 모형을 그리고, 각 탄소 화합물의 이름을 찾아 써 보자.

모형을 그리고 이름을


써 보자.

2. 모둠에서 만든 모형 중 평가 기준에 위반된 것이 있다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분석해


보자.

22 . 화학의 첫걸음
탄소 원자는 탄소를 포함하여 다른 원자들과 결합할 때 최대 개까지 결합할 수 있
다. 또 탄소는 탄소 원자뿐만 아니라 수소, 산소, 질소 등을 비롯하여 다른 여러 원소
들의 원자들과 결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탄소 화합물인 메테인, 에탄올, 아세트산의
성질과 구조적 특징을 알아보자.

메테인( ) 메테인은 탄소 원자 1 개와 수소 원자 개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간단한 탄소 화합물이다. 도시가스로 공급되는 액화 천연가스( )의 주요 성분으
로, 가정에서 난방과 취사에 사용하며 버스의 연료로도 사용한다.

그림Ⅰ-4 가정용 연료로 사용하는 액화 천연가스( )와 압축 천연가스( )를 연료로 사용하는 버스

메테인은 산소와 반응하여 이산화 탄소와 물을 생성하며 이 과정에서 다량의 에너지


를 방출한다.

+ +

메테인(CH¢) 산소(O™) 이산화 탄소(CO™) 물(H™O)

그림Ⅰ-5 메테인의 연소 반응 모형

메테인은 끓는점이 매우 낮아 상온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며, 물에 대한 용해도가 탄화수소


탄소와 수소만으로 이루어진 탄소
작아 물에 거의 녹지 않는다. 또 이산화 탄소와 함께 대표적인 온실 기체 중 하나이다. 화합물이다.
한편, 메테인에 수소 원자 대신 또 다른 탄소 원자가 결합하면 그림 Ⅰ 처럼 여러
가지 형태의 탄화수소를 만들 수 있다.

메테인 프로페인 뷰테인

그림Ⅰ-6 여러 가지 형태의 탄화수소 모형

2. 탄소 화합물의 세계 23
에탄올( ) 고대 이집트에서 포도주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
아 술은 오랜 세월 동안 인류 역사와 함께해 온 화합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술에는 에탄올이 들어 있는데, 에탄올은 효모를 이용하여 과일이나 곡물 속에 포함된
당을 발효해 만든다.
에탄올은 물에 잘 녹는 부분과 잘 녹지 않는 부분이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물과 기름
에 모두 잘 녹는다. 또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무색의 독특한 향기가 난다. 에
탄올은 음식을 조리하거나 살균할 때, 그리고 소독제를 만들 때 쓰인다.

아세트산( ) 아세트산이 포함된 식초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랜 옛날


부터 인류가 이용해 온 대표적인 발효 식품으로, 자연 상태에서 알코올이 발효되어 만
들어진다.
빙초산
1 ¾ 이하에서 아세트산은 고체 아세트산은 물에 잘 녹으며, 물에 녹아 이온화하여 수소 이온을 내놓으므로 산성을
가 되므로 빙초산이라고 불린다. 빙
띤다. 아세트산은 아스피린과 같은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되며, 2 아세트산
초산이 피부에 닿으면 심한 염증을
일으킨다. 수용액인 식초는 음식을 조리하는 데 쓰인다.

에탄올 모형 아세트산 모형

물에 잘 녹는
부분이다.

물에 잘 녹지 물에 녹아 이온화하면
않는 부분이다. 수소 이온(H±)을 내놓
는다.

물에 녹아 이온화하면
수소 이온(H±)을 내놓
는다.
그림Ⅰ-7 에탄올과 아세트산의 모형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탄소 원자 1 개가 다른 원자와 최대 몇 개까지 결합할 수 있는가?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다음 중 물에 잘 녹고, 연소 시 물과 이산화 탄소를 생성하는 탄소 화합물을 있는 대로 골라 보자.
메테인, 에탄올, 아세트산의
구조와 특징
메테인, 에탄올, 아세트산
탄소 화합물의 유용성

24 . 화학의 첫걸음
과학 마당 과학과 생활

플라스틱의
발견과 활용
나무나 돌을 깎아 당구공을 만들던 과거와 달리 1 세기 중반부터는
코끼리 상아를 이용하여 당구공을 만들기 시작하였는데, 당구를 즐기는 사
람들이 늘어나면서 코끼리 상아의 수요가 늘었고 이는 무분별한 코끼리 사냥으
로 이어졌다. 또 상아 당구공은 사용할수록 마모되고 형태가 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
였으므로, 이에 상아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재료를 찾는 것이 시급하였다. 당시 당구공
제작 회사가 1만 달러의 상금을 내걸었고 많은 사람이 앞다투어 연구를 시작하였는데, 하이
엇도 그중 한 명이었다. 하이엇은 나이트로셀룰로스를 이용하여 최초의 플라스틱인 셀룰로
이드를 개발하였다. 그렇게 탄생한 셀룰로이드는 깨지기 쉬워 당시 당구공의 재료로 적합하
지는 않았지만 대신 다양한 산업 재료로 사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정된 천연 물질을 대체
할 새로운 화합물을 합성하는 연구들이 시작되었다.
플라스틱은 탄소 원자를 포함한 수천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거대한 합성 고분자 물질이다.
하이엇( , J. .
현재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수많은 제품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의류, 각종
18 ~19 0)
용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플라스틱이 활용되고 있다. 높은 온도를 견디는 플라스틱 미국의 발명가인 하이엇은 인쇄공으

은 자동차 엔진을, 전기가 통하고 휘어지는 플라스틱은 텔레비전을 만드는 데 쓰인다. 최근 로 일하면서 발명에 종사하였다. 그
는 동생과 함께 상아 당구공 대용품
에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인공 장기를 만들거나 가볍고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을 만드는 과정에서 셀룰로이드를
총알을 막는 옷도 개발하였다. 개발하였다.

한편, 쉽게 쓰고 버리는 수많은 플라스틱 때문에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환경


을 보존하기 위해서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거나, 광분해가 가능한 플라스틱, 미생물에 의해 분
해되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친환경 플라스틱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핵심 역량 펼치기

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플라스틱과 연관 지어 토의해 보자.

인공 심장

휘어지는 플라스틱

과학 마당 25
조사
탐구 활동 탄소 화합물의 활용 사례 조사하기

준비물 목표
스마트 기기 우리 생활 주변에서 활용하고 있는 탄소 화합물의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필기도구
그리기 도구
다가서기

검색 그림은 우리 주변에서 활용하는 탄소 화합물의 종류이다. 빈칸에 들어갈 탄소 화합물의 종류


한국화학연구원을 찾아보자. 를 써 보자.
http://www.krict.re.kr

신소재

고무
라텍스,

의약품
페니실린,

합성 섬유
폴리에스터,

플라스틱
,

천연 섬유
셀룰로스,

연료
메테인,

식품
녹말,

탄소 화합물

26 . 화학의 첫걸음
사고력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과정 및 정리

1. 우리 생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탄소 화합물의 활용 사례를 인터넷이나 책, 신문 기사 등


을 이용하여 조사해 보자.

2. 모둠별로 탄소 화합물의 활용 사례를 한 가지 선택하여 보고서를 완성한 후 발표해 보자.

물질 이름

•물리적 성질

성질 •화학적 성질

분자 구조

활용

평가하기 1 2 3 4 5

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모둠원과 서로 협력하고 배려하면서 조사 활동을 하였는가?
우리 주변에서 활용하고 있는 여러 탄소 화합물의 사례를 설명할 수 있는가?
발표 시 정확한 표현으로 말하고, 바른 자세로 경청하였는가?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2. 탄소 화합물의 세계 27
학습 •아보가드로수와 몰의 의미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목표
•고체, 액체, 기체 1 몰을 측정하는 방법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다.

크기가 큰 수박은 한 통, 두 통 등으로 팔지만, 크기가 작은 딸


기는 한 바구니, 한 팩 등으로 판다. 그러면 원자나 분자처럼 크
기가 매우 작은 입자는 어떤 묶음 단위를 사용하면 편리할까?

아보가드로수와 몰
물건을 세는 단위는 그 종류에 따라 다르다. 우리는 배추 100 포기를 한 접, 오징어
20 마리를 한 축이라고 한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많은 수의 물건을 셀 때는 묶음 단
위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배추 한 접 오징어 한 축
그림Ⅰ-8 여러 가지 묶음 단위

원자나 분자 등은 아주 작은 입자이므로 물질 1 에 들어 있는 원자나 분자의 개수


는 매우 많다. 따라서 원자와 분자의 개수도 묶음 단위로 나타내는 것이 편리하다.
원자나 분자의 개수를 나타낼 때는 ‘몰’( )이라는 묶음 단위를 사용하며, 단위로
몰( )을 쓴다. 1 몰은 입자가 .02 10 개가 모인 것이며, 이 수를 아보가드로수
( ’ )라고 한다.

아보가드로수 .02 10

즉 모든 물질 1 몰에는 그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입자가 .02 10 개 들어 있으


며, 분자의 양( )을 알면 그 분자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양( )도 알 수 있다.
산소( ) 분자 1 몰에는 산소( ) 원자 2 몰이 들어 있으므로 산소 원자는 1.20 10
개가 들어 있고, 수소(H ) 분자 1 몰에는 수소(H) 원자 2 몰이 들어 있으므로 수소 원
자는 1.20 10 개가 들어 있다.

1. 물(H ) 1 몰에는 수소 원자와 산소 원자가 각각 몇 몰 들어 있는가?


2. 이산화 탄소( ) 2 몰에는 산소 원자가 몇 개 들어 있는가?

28 . 화학의 첫걸음
그렇다면 아보가드로수는 얼마나 큰 수일까?

실험 해 보기 백 원 동전 1 몰의 두께 가늠하기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준비물 백 원 동전, 자

백 원 동전 10 개를 쌓고 높이를 측정해 보자.

● 높이는 몇 인가?

.02 10 개
인가?

백 원 동전 1 개의 두께를 계산해 보자.

● 백 원 동전 1 개의 두께는 몇 인가?

정리

1. 백 원 동전 1 몰을 쌓았을 때 그 높이는 몇 일지 계산해 보자.

2.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는 1.5 10 이다. 백 원 동전 1 몰의 높이는 태양과


지구 사이 평균 거리의 몇 배인지 토의해 보자.

태양

지구

1.5^10° km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 인 모래 알갱이가 아보가드로수만큼 있다면 우리나


라의 전체 면적을 약 000 높이로 덮을 수 있다.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원자나 분자의 개수를 나타내는 묶음 단위를 ( )(이)라고 한다.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아보가드로수
2 ( )은/는 .02 10 개의 입자 집단이며, 이 수를 ( )(이)라고 한다. 몰

3. 몰과 화학식량 29
몰과 질량
아보가드로수는 원자, 분자의 실제 질량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원자는 크기와 질량
이 매우 작은 입자이다. 수소 원자 1 개의 질량은 1. 10 이고, 탄소 원자 1 개
의 질량은 1. 10 이며, 산소 원자 1 개의 질량은 2. 10 이다. 이와 같
은 원자의 실제 질량은 숫자가 매우 작고 복잡하여 그대로 사용하기 불편하다.

자료 읽기 그림은 탄소 원자, 수소 원자, 산소 원자의 질량을 비교한 것이다. 탄소 원자의 질량


을 12 로 정한다면, 이에 비례한 수소 원자의 질량은 이고, 산소 원자의 질량은
이다.

C 원자 1 개 H 원자 12 개 C 원자 4 개 O 원자 3 개

그림Ⅰ-9 탄소( )에 대한 수소( )와 산소(O)의 상대적인 질량비

평균 원자량 원자들의 질량을 나타낼 때는 한 원자의 질량을 기준으로 정하여 이와 비교한 상대


동위 원소의 존재비를 고려하여 계
적인 질량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현재는 질량수가 12인 탄소( ) 원자의 질량을
산한 값이다.

원소 평균
12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원자들의 상대적인 질량 값을 나타내며, 이를 원자량이
원소
기호 원자량 라고 한다.
수소 H 1.00
탄소 12.011 창의 융합 사고 원자량의 기준을 산소( ) 원자로 하고, 산소의 원자량을 2로 가정하면 수소 원자
산소 15.
와 탄소 원자의 원자량은 어떻게 변할지 생각해 보자.

평균 원자량은 ‘ . 원자의 세계
1. 원자의 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쪽

분자는 원자들이 모여 이루어진 것이므로, 분자를 이루는 원자들의 원자량을 합한


값을 분자량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물 분자는 수소 원자 2 개와 산소 원자 1 개로 이
루어졌으므로 분자량은 다음과 같다.

O = O + H H

H H

물(H )의 분자량 산소( )의 원자량 원자 수 수소(H)의 원자량 원자 수


1 .0 1 .0 1 1.0 2
그림Ⅰ-10 물 분자의 분자량

30 . 화학의 첫걸음
염화 나트륨( )이나 산화 마그네슘(M )처럼 분자로 존재하지 않는 물질은 화학식과 화학식량
물질을 원소 기호를 이용하여 표현
그 물질에 들어 있는 구성 입자의 비를 나타낸 화학식으로 나타내는데, 이때 화학식을 하는 것을 통틀어 화학식이라고 하
이루고 있는 각 원소의 원자량 합을 화학식량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염화 나트륨의 화 고, 화학식 중 분자를 나타내는 식
을 분자식이라고 한다. 분자량은 화
학식량은 다음과 같다. 학식량 중 하나이다.

l
Na±

Cl— 의 화학식량 Na 의Cl


원자량Na Cl 의 원자량
Na± Na±
5 .5 2 .0 5.5 Cl— Cl—

그림Ⅰ-11 염화 나트륨의 화학식량

다음 화합물의 화학식량을 구해 보자. (단, 원자량은 수소(H) 1, 탄소( ) 12, 산소( ) 1 , 마그네
슘(M ) 2 이다.)
(1) 에탄올( H H):
(2) 포도당( H ):

( ) 산화 마그네슘(M ):

실제로 화학 반응에서 양을 다룰 때는 원자량이나 분자량, 화학식량에 을 붙인 양 몰 질량( /mo )


물질 1 몰당 질량이다. 원자량이나
을 사용한다. 탄소 원자가 아보가드로수인 .02 10 개만큼 모이면 질량은 12.0 분자량, 화학식량에 몰 질량 단위인
이 된다. 즉 원자량이 12.0인 탄소( ) 원자 1 몰의 질량은 12.0 이고, 이산화 탄소 을 붙이면 몰 질량이 된다.

( )의 분자량은 .0이므로 이산화 탄소 1 몰의 질량은 .0 이다. 염화 나트륨


( )의 화학식량은 5 .5이므로 염화 나트륨 1 몰의 질량은 5 .5 이다.

연습해 보기 이산화 황( ) 1 몰의 질량을 구해 보자. (단, 원자량은 산소( ) 1 , 황( ) 2이다.)

이산화 황 1 몰의 질량은 이산화 황의 분자량에 을 붙인 양에 해당하므로, 먼저 이산화 황의 분


자량을 구한다.
분자량 황( )의 원자량 ( )
2 ( ) ( )
따라서 1 몰의 질량은 ( ) 이다.

몰과 질량 및 입자 수의 관계는 그림 Ⅰ 12와 같다.

질량 입자 수
화학식량에 g을 붙인 값 1몰 6.02^10€‹ 개의 입자

그림Ⅰ-12 물질 1 몰의 질량과 입자 수

3. 몰과 화학식량 31
몰과 기체의 부피
1 몰의 질량을 이용하면 물질에 포함된 입자 수를 쉽게 알 수 있다. 하지만 기체는
질량보다 부피를 측정하기가 더 쉽다. 그렇다면 기체의 부피로부터 기체 분자 수를 알
방법이 있을까?
아보가드로는 기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는 같은 부피 속에 같은
수의 기체 분자가 들어 있음을 알아냈다. 아보가드로 법칙에 따르면 0 ¾, 1 기압에서
아보가드로( o o, .
1 6~1856) 기체 1 몰의 부피는 기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항상 22. 로 일정하다.
이탈리아의 화학자인 아보가드로는
기체 반응 법칙을 기초로 하여 분자
식을 제시하고, 몰 개념의 근본이 되 0 , 1 기압에서 기체 분자 1 몰의 부피 22.
는 아보가드로 법칙을 발표하였다.

예를 들어 0 ¾, 1 기압에서 헬륨 기체 1 몰, 암모니아 기체 1 몰, 이산화 탄소 기체


압력의 단위 1 몰이 차지하는 부피는 모두 22. 이며, 그 안에는 각 기체 분자가 .02 10 개씩
1 101 25
들어 있다. 이때 기체 1 몰의 질량은 헬륨은 .0 , 암모니아는 1 .0 , 이산화 탄소는
1 1
.0 으로 모두 다르다.
부피의 단위
1 10
1 10 10
1

기체는 분자의 크기보다


분자 사이의 공간이 훨씬 크기
때문에 기체 분자의 크기가 서로
달라도 같은 부피에 같은 수의
기체 분자가 들어간다.
헬륨(H ) 1 몰 암모니아( H ) 1 몰 이산화 탄소( )1몰
22. 22. 22.
.02 10 개 .02 10 개 .02 10 개
.0 1 .0 .0

그림 Ⅰ-13 0 , 1 기압에서 기체 1 몰의 부피, 분자 수, 질량

한편, 0 ¾, 1 기압에서 모든 기체 1 몰의 부피는 22. 이므로, 기체의 부피를 측


정하면 기체 분자의 양( )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0 ¾, 1 기압에서 헬륨 기체
11.2 에는 헬륨 분자 0.5 몰이 있으며, 질량은 2.0 이다.

창의 융합 사고 25 ,1 기 기체의 부피( )
압에서 기체 22. 에는 기체
기체 분자의 양( ) (0 , 1 기압)
22. /
분자 1 몰이 들어 있을지 생각
해 보자.
0 ¾, 1 기압에서 다음 각 기체 분자의 양은 몇 몰인지 구해 보자.
(1) 산소 5. (2) 수소 2.2
( ) 질소 . ( ) 염화 수소 22

32 . 화학의 첫걸음
몰, 질량, 입자 수 및 기체의 부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면 그림 Ⅰ 1 와 같다.

물질 l)^
의양 (mo ol
(mo 의양 m
l)^
몰 질량 물질 ^10€‹/
(g/m 6.02
ol)

질 수
질량 몰 질 량(g) 몰 입자 ‹/mol
입자 수
량(g 0€
/m 1
ol) 6.02^

물질의 양(mol)^22.4 L/mol 부피(L)


22.4 L/mol

(0 #, 1 기압)
기체의 부피

그림Ⅰ-14 몰, 질량, 입자 수, 기체의 부피 관계

예제 0 ¾, 1 기압에서 이산화 탄소 기체 22 이 있다. (단, 이산화 탄소의 분자량은 이다.)


(1) 이산화 탄소 기체는 몇 몰인가? (2) 이산화 탄소의 분자 수는 몇 개인가?
( ) 이산화 탄소의 부피는 몇 인가?

질량( )
풀이 (1) 물질의 양( ) 을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의 양을 구한다.
몰 질량( / )
22
이산화 탄소의 양( ) 0.5

입자 수
(2) 물질의 양( ) 를 이용하여 분자 수를 구한다.
.02 10
이산화 탄소의 분자 수 이산화 탄소의 양( ) .02 10
0.5 .02 10 .01 10
부피( )
( ) 물질의 양( ) 를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의 부피를 구한다.
22.
이산화 탄소의 부피( ) 이산화 탄소의 양( ) 22.
0.5 22. 11.2
(1) 0.5 (2) .01 10 개 ( ) 11.2

유제 질량이 20 인 주사기에 메테인( H ) 기체를 넣고 질량을 측정했더니 20. 이었


다. 주사기에 넣은 메테인 기체는 몇 몰인가? 이때 메테인 기체는 0 , 1 기압에서
얼마만큼의 부피를 차지하는가? ( 단, 메테인의 분자량은 1 이다. )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원자의 질량을 기준 원자에 대한 상대적 질량으로 나타낸 값을 그 원자의 ( )(이)라고 한다.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0 , 1 기압에서 이산화 탄소 기체 1 몰과 수소 기체 1 몰이 같은 값을 갖는 것을 있는 대로 골라 보자.
원자량, 분자량, 화학식량
몰과 질량, 몰과 부피
질량, 분자 수, 원자 수, 부피

3. 몰과 화학식량 33
실험
탐구 활동 고체, 액체, 기체 1 몰의 양 측정하기

목표
고체, 액체, 기체 1 몰의 양을 체험하는 실험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다.
준비물

여러 가지 고체 물질 다가서기
물 종이컵
● 모둠별로 토의하여 물 1 몰을 종이컵에 어림하여 담아 보자.

전자저울 비커
페트리 접시 풍선 ● 종이컵에 담긴 물이 1 몰인지 알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

실험 1 고체 1 몰의 양 측정하기
유의할 점
1 몰의 양을 어림하고 측정하는 실 1. 실험실에 있는 고체(소금, 설탕, 구리 등) 물질 중 한 가지를 선택하자.
험이므로 될 수 있으면 인체에 유해
하지 않은 물질을 이용한다. 2. 실험실에 있는 기구를 이용하여 고체 1 몰의 측정 방법을 토의하고, 실험 방법을 정리해
보자.

3. 모둠에서 토의한 실험 방법대로 고체 1 몰을 측정하여 페트리 접시에 담아 보자.

4. 모둠별로 측정한 방법과 결과를 발표하고, 우리 모둠에서 개선할 점을 정리해 보자.

1 몰을 어떻게 질량을 측정해


측정하지? 볼까?

34 . 화학의 첫걸음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실험 2 액체 1 몰의 양 측정하기

1. 실험실에 있는 기구를 이용하여 물 1 몰의 측정 방법을 토의해 보자.

2. 어림하여 담아 본 물의 양을 토의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물 1 몰이 맞는지 알아보자.

3. 창의력 500 생수병에 들어 있는 물은 몇 몰일까?

실험 3 기체 1 몰의 양 측정하기 단위 환산 및 구의 부피 계산
•1 1
1. 모둠별로 풍선을 이용하여 기체 1 몰의 측정 방법을 토의해 보자. •1 1000 1000
● 풍선의 부피는 얼마가 되어야 할까? (단, 풍선 내부의 온도와 압력은 0 , 1 기압이라고

•구의 부피 ;3$;p

하자.) (p .1 , 구의 반지름)

● 기체 1 몰이 들어가는 풍선의 지름이 얼마가 되어야 할지 계산해 보자. ( 단, 풍선을 불면


공 모양의 구가 된다고 가정하자.) 기체 1 몰이


될 때까지 풍선을
불어 보자.

2. 계산 결과에 맞게 풍선을 불어 보자.

3. 창의력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 , 인 교실이 있다면, 0 , 1 기압에


서 이 교실에 있는 기체 분자는 몇 몰일지 계산해 보자.

평가하기 1 2 3 4 5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모둠원과 서로 협력하고 배려하면서 실험하였는가?
실험을 통해 고체, 액체, 기체 1 몰의 양과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가?
유해하지 않은 물질로 실험하고, 실험 후 뒷정리를 잘하였는가?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3. 몰과 화학식량 35
학습 •여러 가지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목표
•화학 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양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야구 전광판에 표시된 기호와 숫자의 의미를 알면 점수, 타구


판정 표시와 같은 여러 가지 정보를 알 수 있다. 화학 반응식에
사용된 기호와 숫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화학 반응식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 원자 간 결합이 끊어지고 새로운 결합이 형성되므로 다른 물
질이 생기고, 상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러한 화학 반응을 화학식과 숫자로 간단하게
나타낸 것을 화학 반응식이라고 한다.
물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는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 보자.

1단계 반응물과 생성물을 화학식으로 나타낸다.

물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는 반응에서 반응물은 물(H )이고, 생성물은 수소(H )


와 산소( )이다. 반응물은 왼쪽, 생성물은 오른쪽에 쓰며, 화학 반응은 반응물에서
생성물로 향하는 화살표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H 1Ú H

2단계 반응물과 생성물을 이루는 원소의 종류와 원자 수가 같아지도록 화학식의 계수를 맞춘다.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원소의 종류와 원자 수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반응물


과 생성물의 산소( ) 원자 수가 같아지도록 물(H )의 화학식 앞에 계수 2를 붙인다.

2H 1Ú H

이때 반응물의 수소(H) 원자가 총 개가 되므로, 생성물인 수소(H ) 분자의 화학


식 앞에 계수 2를 붙여 반응물과 생성물의 수소 원자 수를 같게 만든다.

2H 1Ú 2H

3단계 물질의 상태를 나타낼 때 고체는 (s), 액체는 ( ), 기체는 ( ), 수용액은 ( )와 같이 괄호 안에


물질의 상태 표시는
표시한다.
때에 따라
생략하기도 한다.
물이 분해되어 발생하는 수소(H )와 산소( )는 각각 기체 상태이므로 다음과 같이
물질의 상태를 나타낸다.

2H ( ) 1Ú 2H ( ) ( )

36 . 화학의 첫걸음
자료
해석 해 보기 화학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기 사고력

1. 질소와 수소가 반응하여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 보자.


● 반응물: 질소( ), 수소(H )

● 생성물: 암모니아( H )


● 화학 반응식: H 1Ú

2. 에탄올이 연소하여 이산화 탄소와 물이 생성되는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 보자.


● 반응물:

● 생성물:


● 화학 반응식:

정리
● 화학 반응식에서 화살표 양쪽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아지도록 화학식 앞에 계수를 붙이

는 까닭을 설명해 보자.

자료실 화학 반응식을 완성하는 다른 방법

여러 가지 원소가 포함된 화학 반응식은 방정식을 이용하여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


탄올( H H)이 연소하여 이산화 탄소( )와 물(H )이 생성되는 반응은 다음과 같다.

H H 1Ú H

반응물과 생성물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수는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탄소 원자 수: …① 수소 원자 수: 2 …②
산소 원자 수: 2 2 …③

1이라고 가정하면 다른 계수 ;2#;, 1, 2이다. 따라서 메탄올의 연소 반응


식에 계수 를 쓰면 다음과 같다.

H H ;2#; 1Ú 2H

화살표 양쪽에 2를 곱하여 계수를 가장 간단한 정수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H H 1Ú 2 H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다음 화학 반응식의 안에 들어갈 알맞은 계수를 써 보자.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M H 1Ú M H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화학 반응식
2 질산(H )과 수산화 칼슘( ( H) ) 수용액이 반응하여 물(H )과 질산 칼슘( ( ) )이 생
성되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을 써 보자.

4. 화학 반응식 37
화학 반응식을 통해 알 수 있는 정보
화학 반응식을 이용하면 화학 반응을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그렇다면 화학 반응
식으로부터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

토의 해 보기 화학 반응식으로 알 수 있는 정보 찾아보기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호흡 반응의 화학 반응식을 보고, 얻을 수 있는 정보에 대하여 토의해 보자.

H (s) ( ) 1Ú ( ) H ( )

1. 위 화학 반응식을 보고 알 수 있는 정보를 모두 써 보자.

2. 각자 알아낸 정보를 모둠별로 모은 후, 서로 비교하여 정리해 보자.

3. 모둠별로 정리한 내용을


발표해 보자.

화학 반응에 관여한 물질 사이의 계수비는 곧 몰비이므로, 이를 통해 반응물과 생성


물의 질량비를 계산할 수 있다. 또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계수비는 기체의 부피비
와 같다. 즉 화학 반응식을 통해 반응물과 생성물의 종류, 몰비, 질량비, 기체 부피비
등을 알 수 있다.

38 . 화학의 첫걸음
예를 들어 수소(Hª)와 산소(Oª)가 반응하여 수증기(HªO)를 생성하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알 수 있다.

표 Ⅰ-1 화학 반응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정보
자료 읽기
2Hª(g) + Oª(g) 12Ú 2HªO(g)
화학 반응식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 몰비,
계수비 Hª : Oª : HªO = : : 분자 수비, 기체 부피비, 질량
비를 각각 써 보자.
물질 수소 + 산소 12Ú 수증기

반응 모형 +

+
물질의 양
2 mol 1 mol 2 mol

몰비 Hª : Oª : HªO = : :

+
분자 수
2 ^ 6.02 ^ 10€‹ 6.02 ^ 10€‹ 2 ^ 6.02 ^ 10€‹

분자 수비 Hª : Oª : HªO = : :

+
기체의 부피
(0 ¾, 1 기압)
2 ^ 22.4 L = 44.8 L 22.4 L 2 ^ 22.4 L = 44.8 L

부피비 Hª : Oª : HªO = : :

질량 보존 법칙과 일정 성분비 법칙
화학 반응식을 보면 반응물 질량의
+ 총합과 생성물 질량의 총합이 같으
질량 므로 질량 보존 법칙이 성립함을 알
2g 2g 32 g 18 g 18 g
2^2 =4g 32 g 2 ^ 18 g = 36 g 수 있다. 또 반응하는 수소와 산소
의 질량비가 일정하므로 일정 성분
질량비 Hª : Oª : HªO = : :
비 법칙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다음 중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와 같지 않은 것을 있는 대로 골라 보자. (단, 온도와 압력은 일정하다.)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분자 수비, 몰비, 기체 부피비, 질량비 화학 반응식을 통해 알 수 있
는 정보

2 다음 화학 반응식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을 세 가지 이상 써 보자.


2CuO(s) + C(s) 1Ú 2Cu(s) + COª( g)

4. 화학 반응식 39
화학 반응에서의 양적 관계
화학 산업에서 원하는 물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반응물의 양을 계산하거나, 생성
물의 양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이때 화학 반응식이 유용하게 쓰인다. 예를
들어 어떤 공장에서 암모니아(NH£) 1 톤을 생산하려고 할 때 질소(Nª)는 얼마나 준비
해야 할까?
화학 반응식을
암모니아 1 톤을 이용해 봐!
생산해야 하는데….
질소가 얼마나
필요하지?

암모니아 합성 반응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ª( g) + 3Hª( g) 1Ú 2NH£( g)

화학 반응식에서 질소와 암모니아의 계수비가 1 : 2이므로, 질소 1 몰이 반응하면


암모니아 2 몰이 생성된다. 이때, 질소와 암모니아의 질량비를 고려하면 질소의 질량
을 구할 수 있다.

창의 융합 사고 반응물과 생성물의 질량비를 이용하여 암모니아(NH£) 1 톤을 생산할 때 필요한


질소(Nª)의 질량을 구해 보자. (단, Nª의 분자량은 28, NH£의 분자량은 17이다.)

기체가 관여하는 반응의 양적 관계 이처럼 화학 반응식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종류와 상태뿐만 아니라 반응에 관여한 물
계산
질의 양적 관계를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하여 반응물과 생성물의 양을 구할 수 있다.
A의 부피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는 반응에 관여한 물질의 몰비와 같으므로, 반응에 관여한 기
화학 반응식의
몰비(=부피비) 체의 부피 및 물질의 질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물질의 양을 몰로 먼저 환산하는 것이 편
이용
리하다. 또 기체가 관여하는 반응의 경우 반응하는 기체의 부피를 알면 다른 기체의

B의 부피 부피를 구할 수 있다.

A의 질량

_
A의 몰 질량

A의 양(mol)

화학 반응식의
몰비 이용

40 I. 화학의 첫걸음
B의 양(mol)

^
B의 몰 질량
연습해 보기 0 ¾, 1 기압에서 수소(Hª) 기체 4.48 L가 충분한 양의 산소(Oª) 기체와 모두 반응
하여 수증기(HªO)를 생성할 때, 반응한 산소 기체의 부피를 구해 보자.

1단계 화학 반응식을 완성한다.


( )

2단계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를 이용하여 Oª의 부피를 구한다. A의 부피


Hª와 Oª의 계수비 = 부피비 = ( ):( )
화학 반응식의
Hª의 부피 : Oª의 부피 = 4.48 L : x = ( ):( ) 몰비(=부피비)
이용
∴ x=( )L

B의 부피
실생활에서는 물질의 양을 질량으로 측정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반응물과 생성물 사 물질의 질량을 이용한 양적 관계
계산
이의 질량 관계를 알아내는 것도 중요하다. 반응물과 생성물 중 어느 한 물질의 질량
A의 질량
을 알면, 화학 반응식을 이용하여 다른 물질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_
A의 몰 질량
연습해 보기 메테인(CH¢) 32 g이 완전 연소할 때 생성되는 이산화 탄소(COª)의 질량을 구해 보
자. (단, CH¢의 분자량은 16, COª의 분자량은 44이다.)
A의 양(mol)

1단계 화학 반응식을 완성한다. 화학 반응식의


몰비 이용
( )

2단계 CH¢의 양(mol)을 구한다. B의 양(mol)


질량( g) 32 g
CH¢의 양(mol) = = = 2 mol ^
몰 질량( g/mol) 16 g/mol B의 몰 질량

3단계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를 이용하여 COª의 양(mol)을 구한다.


B의 질량
CH¢과 COª의 계수비 = 몰비 = ( ):( )
CH¢의 양(mol) : COª의 양(mol) = 2 mol : x = ( ):( )
∴ x=( ) mol

4단계 COª의 질량을 계산한다.


COª의 질량( g) = COª의 양(mol)_COª의 몰 질량( g/mol) 창의 융합 사고

=( ) mol_44 g/mol = ( )g 질소 0.7 톤, 수소 0.3 톤이 있


을 때 최대한 생산될 수 있는 암
모니아의 질량은 어느 정도 될
화학 반응에서 반응물 중 하나가 모두 소모되면 반응이 더 진행되지 않으므로, 화학 지 생각해 보자.

반응식을 이용해 주어진 양의 반응물로부터 최대한 만들어질 수 있는 생성물의 양을


구할 수 있다.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일산화 탄소(CO) 분자 3.01_10Û`Ü` 개를 모두 연소시키는 데 필요한 산소(Oª)의 최소 부피는 0 ¾,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1 기압에서 몇 L인가?
화학 반응에서의 양적 관계
2 0 ¾, 1 기압에서 프로페인(C£H¥) 기체 2.24 L를 완전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이산화 탄소(COª)의
질량은 몇 g인가? (단, COª의 분자량은 44이다.)

4. 화학 반응식 41
실험
탐구 활동 화학 반응의 양적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 설계 및 수행하기

목표
탄산 칼슘 1 g이 충분한 양의 염산과 반응할 때의 양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
고 수행할 수 있다.
준비물

묽은 염산 탄산 칼슘
증류수 계산기
탐구 계획
전자저울 약숟가락
시약포지 유리 막대 탄산 칼슘이 염산과 반응하면 어떻게 될지 예상하여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 보자.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

그 외에 필요한 탄산 칼슘 1 g이 모두 반응할 때 만들어지는 생성물의 양을 알아보려면, 생성물 중 어떤


준비물은 과정 에서
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 좋을지 토의해 보자.
골라 준비한다.

모둠별로 실험을 설계하여 그 과정을 쓰고, 필요한 준비물을 골라 실험 장치를 꾸며 보자.


실험을 설계할 때는 아래 사항을 고려한다.

유의할 점 •생성물의 양을 어떻게 측정할까?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을 •탄산 칼슘 1 g과 반응할 염산의 양을 어떻게 정할까?
착용한다.
•양적 관계를 구하기 위해 추가로 측정하거나 조사해야 할 정보가 있는가? 있다면 무엇
•실험에서 사용한 수용액에는 과
량의 염산이 남아 있으므로 탄산
인가?
수소 나트륨으로 중화한 후 폐수통
에 버린다. 아래에서 필요한 준비물을 골라 실험 장치를 꾸미고, 제시된 것 외에도 필요한 실험 기구를 추가할 수
있다.

시험관

탄산 칼슘
유리 막대
묽은 염산

삼각
플라스크
시약포지 계산기

눈금실린더
시험관대

약숟가락
전자저울

42 I. 화학의 첫걸음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실험 과정 그려 보자.
민 실험 장치를
우리 모둠에서 꾸
1.

2.

3.

탐구 수행 및 결과
설계한 장치와 실험 과정대로 실험한 후, 결과를 정리해 보자.

실험 결과 실험은 3 회 이상 반복하며, 결과는 표로 정리한다.

평가하기
1 2 3 4 5

실험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과정


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정리

1. 실험 결과를 토대로 탄산 칼슘과 생성물의 몰비를 구해 보자. 실험을 통해 반응물과 생성물 사


이의 양적 관계를 알 수 있었는가?

모둠원과 서로 협력하고 배려하


면서 실험하였는가?
2. 화학 반응식을 이용하여 탄산 칼슘과 생성물의 몰비를 구해 보자.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
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3. 정리 1과 2의 값이 서로 다르다면, 그 까닭이 무엇인지 토의해 보자.

4. 화학 반응식 43
학습 •용액의 농도를 몰 농도로 표현할 수 있다.
목표
•원하는 몰 농도의 수용액을 만들 수 있다.

음료수의 성분 표를 보았더니 칼슘 47.8 mg, 아연 2.2 mg이 들어


있었다. 음료수 한 병에 들어 있는 칼슘 이온과 아연 이온의 개수는 얼
마일까?

퍼센트 농도 우리 주변의 화학 반응은 물을 용매로 한 수용액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용액 100 g에 녹아 있는 용질의 질 물에 섞여 있는 용질의 양을 농도로 표현하면 편리하다.
량( g)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퍼센트 농도(%)= 일반적으로 농도는 일정량의 용액 속에 포함된 용질의 양을 의미하는데, 일상생활에
용질의 질량( g) 서는 질량을 기준으로 한 퍼센트 농도를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용액의 성질은 용질의
_100
용액의 질량( g)
질량보다 입자 수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용액의 퍼센트 농도가 같으면 같은 부피의
용액 속에 들어 있는 용질의 입자 수도 서로 같을까?

자료
해석 해 보기 용액에 포함된 용질의 입자 수 알아보기 사고력 탐구 능력

그림은 퍼센트 농도가 같은 포도당 수용액과 설탕 수용액을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용해
+

포도당 또는 설탕 10 g 물 90 g 포도당 또는 설탕 수용액 100 g

1. 위 과정에서 만든 포도당 수용액과 설탕 수용액의 퍼센트 농도(%)는 각각 얼마인가?


● 포도당:

● 설탕:

2. 두 수용액에 포함된 포도당과 설탕의 양은 각각 몇 몰인가? (단, 포도당의 분자량은 180,


설탕의 분자량은 342이다.)
● 포도당:

● 설탕:

44 I. 화학의 첫걸음
10 % 포도당 수용액과 10 % 설탕 수용액의 퍼센트 농도는 같지만, 두 수용액에
포함된 포도당 분자 수와 설탕 분자 수는 서로 다르다. 설탕의 분자량이 포도당 분자
량의 두 배 정도이므로, 포도당 수용액 속에는 설탕 수용액보다 두 배 정도 많은 분자
가 포함되어 있다.
화학 반응의 양적 관계는 각 물질의 입자 수와 관련이 있으므로, 수용액과 관련된
화학 반응의 양적 관계를 파악할 때는 질량을 기준으로 한 농도보다는 입자 수를 기준
으로 한 농도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 따라서 화학에서는 용액에 포함된 입자
수가 표현된 몰 농도를 주로 사용한다.
몰 농도는 용액 1 L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양(mol)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
낸다. 이때 단위는 M 또는 mol/L를 사용한다.

용질의 양 (mol)
몰 농도(M)=
용액의 부피 (L)

예제 물에 수산화 나트륨(NaOH) 10 g을 녹여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500 mL를 만들었


다. 이 용액의 몰 농도를 구해 보자. (단, NaOH의 화학식량은 40이다.)
풀이 1단계 NaOH의 양(mol)을 구한다.
질량( g) 10 g
NaOH의 양(mol)= = =0.25 mol
몰 질량( g/mol) 40 g/mol
2단계 수용액의 몰 농도를 구한다.
NaOH의 양(mol) 0.25 mol
몰 농도(M)= = =0.5 M
수용액의 부피(L) 0.5 L
0.5 M

유제 0.1 M 포도당 수용액 500 mL를 만드는 데 필요한 포도당의 질량은 몇 g인가?
(단, 포도당의 분자량은 180이다.)

창의 융합 사고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는 중화 반응의 알짜 이온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H±+OHÑ 1Ú HªO
1 %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100 g에 1 % 염산 100 g을 넣었을 때 완전히 중화될 수 있을지 생각해
보자. (단, 화학식량은 NaOH이 40, HCl가 36.5이다.)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몰 농도는 용액 1 L에 포함된 용질의 ( )을/를 나타낸 농도이다.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0.1 M 설탕 수용액 1 L를 만드는 데 필요한 설탕의 질량은 몇 g인가? (단, 설탕의 분자량은 342 몰 농도
이다.)

5. 몰 농도 45
실험
탐구 활동 0.1 M 수용액 만들기

목표
부피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0.1 M의 염화 칼륨, 염화 나트륨, 포도당, 설탕 수용액을 만들
수 있다.
준비물

염화 칼륨 염화 나트륨
준비
포도당 설탕
증류수 부피 플라스크 모둠별로 염화 칼륨, 염화 나트륨, 포도당, 설탕 중에서 0.1 M 수용액으로 만들고자 하는
전자저울 비커 물질 하나를 선택한다.
깔때기 씻기병
유리 막대 약숟가락 모둠에서 선택한 물질은 무엇인가? 선택한 물질의 화학식을 써 보자.
시약포지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

유의할 점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을 착
용한다. 0.1 M 용액 1 L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물
선택한 물질의 화학식량을 조사해 보자.
•실험 후 사용한 시약은 폐수통에 질의 질량은 얼마인가?
버린다.

과정
모둠별로 서로 다른
용액을 선택한다. 전자저울에 시약포지를 올려놓고 선택한 물질 0.1 몰만큼
의 질량을 정확히 측정하자.

비커에 증류수를 절반 정도 채우고 과정 에서 측정한


물질을 넣은 후 유리 막대로 잘 저어 녹이자.

깔때기를 이용하여 1000 mL 부피 플라스크에 과정


의 수용액을 넣자. 이때 증류수로 비커를 몇 번 헹구어 부
피 플라스크에 붓자.

46 I. 화학의 첫걸음
사고력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부피 플라스크의 마개를 닫고 여러 번 흔들면서 용액을 골고루 섞자.

부피 플라스크의 마개를 열고 표시선까지 증류수를 채우자. 표시선에 가까워지면 씻기병


을 이용해 표시선까지 정확하게 증류수를 넣자.

부피 플라스크의 마개를 닫고 여러 번 흔들면서 잘 섞자.

결과 및 정리

1. 0.1 M 수용액을 만드는 데 필요한 물질의 질량이 물질마다 다른 까닭은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2. 과정 에서 증류수로 비커를 몇 번 헹구어 부피 플라스크에 붓는 까닭은 무엇인지 설명


해 보자.

3. 창의력 0.1 M 수용액을 0.01 M로 만드는 방법을 토의해 보자.

평가하기 1 2 3 4 5

0.1 M 수용액을 만드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선택한 물질의 0.1 M 수용액을 올바른 과정을 거쳐 만들었는가?
실험 후 시약 처리 및 뒷정리를 잘하였는가?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5. 몰 농도 47
직업 마당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신약 개발
연구원
화학으로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사람 중에는 생명 연장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새
로운 약을 연구하는 신약 개발 연구원들이 있다. 여러 가지 화합물과 씨름해 가며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애쓰는 연구자들은 어떤 일을 하는지 살펴보자.

Q 신약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합성 신약 하나를 만들어 내려면 화합물 탐색 작업부터 시작한다. 보통 특정 질
병에 약효가 있는 천연물로부터 약효 성분을 추출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
법을 개발한다.
약효를 나타내는 화합물을 찾아낸 후에는 여러 가지 실험을 거듭하면서 찾아낸
물질이 어떤 치료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 부작용을 줄이는 방법을 연구한다. 이
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신약 개발을 위한 후보 물질을 만들어 내게 된다.
후보 물질은 쥐나 영장류 등의 동물에게 적용하는 전 임상 시험과 사람에게 적용
하는 임상 시험 단계를 반복적으로 거치며, 이 과정에서 후보 물질이 안전
하면서 약효가 있는 것이 확인되면 신약으로 개발된다.

Q 신약 개발의 어려움과 보람은 무엇일까요?


신약 하나가 상품화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신약 개발에는
막대한 비용과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어렵게 개발하더라도 곧바로 상품
화되지 못할 수도 있다. 상품화는 제약 회사들이 시장성을 따져 결정할 문
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약이 개발되면 수많은 사람의 건강과 생명을
지킬 수 있으므로 신약 개발은 과학으로 세상을 바꾸어 나가려는 사람들
이 꿀 수 있는 멋진 꿈이다.

핵심 역량 펼치기 우리 생활에서 쓰이는 약의 부작용을 조사하고, 부작용을 줄이는


방법을 찾아보자.

48 I. 화학의 첫걸음
대단원 마무리 I. 화학의 첫걸음

핵심 개념 정리하기

화학의 유용성 화학과 식생활, 화학과 의생활, 화학과 주생활, 화학과 건강

다양한 탄소 화합물
탄소 화합물
탄소 화합물의 구조와 특징

아보가드로수와 몰

화학의 첫걸음 몰과 화학식량


몰과 물질의 양 몰과 질량, 몰과 기체의 부피

화학 반응식
화학 반응식
화학 반응에서의 양적 관계

몰 농도 몰 농도 계산, 몰 농도 수용액 만들기

핵심 개념 적용하기

01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를 해 보자.

⑴ 탄소 화합물은 탄소로만 이루어진 물질이다. ( ○, ×)

⑵ 1 개의 탄소 원자는 다른 원자들과 결합할 때 최대 4 개의 결합이 가능하다. ( ○, ×)

⑶ 1 몰은 입자가 6.02_10Û`Ü` 개 모인 것을 의미한다. ( ○, ×)

⑷ 현재 원자량을 정하는 기준이 되는 원소는 수소이다. ( ○, ×)

⑸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헬륨 기체 1 L와 수소 기체 1 L에 들어 있는 기체 분자 수는 같다. ( ○, ×)

⑹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는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들의 질량비와 같다. ( ○, ×)

⑺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반응하는 기체의 몰비는 부피비와 같다. ( ○, ×)

⑻ 용질의 종류가 서로 다른 두 수용액의 퍼센트 농도가 같으면 몰 농도도 같다. ( ○, ×)

대단원 마무리 49
대단원 마무리 I. 화학의 첫걸음

1. 세상을 바꾸는 화학 14 쪽 2. 탄소 화합물의 세계 20 쪽

02 다음은 어떤 학문 분야에 대한 설명이다. 05 그림 (가)~(다)는 대표적인 탄소 화합물의 구조를 모형


으로 나타낸 것이다.
물질의 구조와 성질 및 물질의 변화를 탐구하는 자
연 과학의 한 분야로, 18 세기 이후 이론적 체계가 만
들어지면서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물질
을 분자와 원자 수준으로 다룰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
면서 물질의 구조와 성질, 물질의 변화에 대한 이해가 (가) 메테인 (나) 에탄올 (다) 아세트산
더욱 깊어졌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해당하는 학문 분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① 수학 ② 물리학 ③ 화학
ㄱ. (가)는 액화 천연가스(LNG)의 주요 성분이다.
④ 생명 과학 ⑤ 지구 과학 ㄴ. (나)는 이산화 탄소와 함께 대표적인 온실 기체
이다.

1. 세상을 바꾸는 화학 14 쪽 ㄷ. (나)와 (다)는 물에 잘 녹는다.

03 화학이 실생활의 문제 해결에 이바지한 사례 중 긍정적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질소 비료의 합성을 통해 인류의 식량 문제 해결에
이바지하였다.
3. 몰과 화학식량 28 쪽
② 염료의 합성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의류를 생산할
06 원자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수 있게 되었다.
① 단위는 g을 사용한다.
③ 아스피린의 합성을 통해 천연 약물인 살리실산의
② 원자의 실제 질량 값이다.
부작용을 해결하였다.
③ 탄소의 평균 원자량은 12.00이다.
④ 플라스틱 제품이 널리 쓰이게 되면서 일회용품의
④ 현재 원자량의 기준은 산소(O) 원자이다.
사용이 급격히 늘어났다.
⑤ 평균 원자량은 동위 원소의 존재비를 고려한 값
⑤ 우수한 철강 제품을 통해 안전하면서도 독특한 구
이다.
조의 건물을 지을 수 있게 되었다.

3. 몰과 화학식량 28 쪽
2. 탄소 화합물의 세계 20 쪽
07 입자 수가 가장 많은 것은? (단, H, C, O의 원자량은 각
04 다음은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물건이다.
각 1, 12, 16이다.)

① 수소(Hª) 8 g에 들어 있는 수소 분자 수
② 흑연(C) 12 g에 들어 있는 탄소 원자 수
③ 물(HªO) 36 g에 들어 있는 물 분자 수
(가) 유리컵 (나) 빵 (다) 옷 (라) 페트병 ④ 포도당(C¤HÁªO¤) 180 g에 들어 있는 산소 원자 수

(가)~(라) 중 탄소 화합물이 포함된 것을 있는 대로 골 ⑤ 0 ¾, 1 기압에서 메테인(CH¢) 기체 22.4 L에 들


라 보자. 어 있는 원자의 총수

50 I. 화학의 첫걸음
3. 몰과 화학식량 28 쪽 [10~11] 다음은 자동차 에어백의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08 그림은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같은 부피 속에 들어 있는
수소(Hª) 기체, 질소(Nª) 기체, 암모니아(NH£) 기체를 에어백은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해 순간적으로 부피가
분자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늘어나도록 만들어진 안전장치이다. 자동차가 충돌하면
에어백 내에서는 (가) 아자이드화 나트륨(NaN£)이 나트
륨(Na)과 질소(Nª)로 분해된다. 이때 생성된 질소 기체
로 인해 에어백이 팽창하여 운전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
한다.

Hª Nª NH£ 4. 화학 반응식 36 쪽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10 다음은 (가)를 화학 반응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고른 것은? (단, H와 N의 원자량은 각각 1, 14이다.)
<보기> ㉠ NaN£(s)
ㄱ. 1 몰의 질량이 가장 작은 것은 Hª이다.  1Ú ㉡ Na(s) + ㉢ Nª( g )
ㄴ. 1 몰의 부피가 가장 큰 것은 NH£이다.
ㄷ. 같은 부피 속에 들어 있는 원자 수는 모두 같다. ㉠~㉢에 들어갈 알맞은 숫자를 모두 합한 값은?

①3 ②5 ③7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9 ⑤ 11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 화학 반응식 36 쪽

11 0 ¾, 1 기압에서 질소 6.72 L를 얻는 데 필요한 아자


4. 화학 반응식 36 쪽 이드화 나트륨(NaN£)의 질량은 몇 g인가? (단, N와
09 그림은 Xª와 Yª의 반응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Na의 원자량은 각각 14, 23이다.)

5. 몰 농도 44 쪽
X

Y
12 다음은 바이타민 C에 대한 설명이다.

반응 전 반응 후
바이타민 C는 아스코르브산(C¤H¥O¤)이라고도 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며, 우리 몸을 구성하는 콜라젠 합성에 필수적인 역할
고른 것은? (단, X, Y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을 한다. 바이타민 C가 부족할 경우 피로, 식욕 부진
<보기>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할 때는 상처가 잘 낫
ㄱ. 화학 반응식은 Xª+Yª 1Ú XYª이다. 지 않거나 괴혈병에 걸릴 수 있다. 괴혈병은 바이타민
ㄴ. 반응 후 분자 수는 반응 전보다 감소하였다. C의 섭취로 예방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성인의 1 일
ㄷ. 1 몰의 Xª가 모두 반응하려면 2 몰의 Yª가 필요 바이타민 C 권장량은 70 mg이다.
하다.
바이타민 음료 100 mL에 528 mg의 바이타민 C가 포
①ㄱ ②ㄴ ③ ㄱ, ㄷ 함되어 있다면, 음료에 포함된 아스코르브산의 몰 농도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는 얼마인가? (단, 아스코르브산의 분자량은 176이다.)

대단원 마무리 51
대단원 마무리 I. 화학의 첫걸음

핵심 역량 키우기
1. 세상을 바꾸는 화학 14 쪽 4. 화학 반응식 36 쪽

13 문제 해결력 그림은 김홍도의 「서당」으로, 조선 시대 15 탐구 능력 다음은 탄산 칼슘(CaCO£)과 묽은 염산


서당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HCl(aq))의 반응을 이용하여 화학 반응에서의 양적 관
계를 알아보는 실험과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
Ca, C, O의 원자량은 각각 40, 12, 16이다.)

충분한 양의 묽은 염산이
탄산 칼슘
든 삼각 플라스크를 저울 위
에 올려놓고 질량을 측정한 묽은 염산
뒤, 삼각 플라스크에 탄산 칼
슘 1.0 g을 넣고 반응이 끝 전자
저울
나면 삼각 플라스크의 질량
과거 서당의 모습과 비교하여 화학이 현재의 교실 모습 을 다시 측정한다.

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설명해 보자. [결과]


(탄산 칼슘+염산+삼각 플라스크)의 질량( g) 220.88
(반응 후의 용액+삼각 플라스크)의 질량( g) w

⑴ 이 반응에서 탄산 칼슘이 모두 반응했다고 할 때 예


2. 탄소 화합물의 세계 20 쪽 상되는 w는 얼마 정도 될지 예측하여 써 보자.
14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다음 신문 기사를 읽고 폐플라스 ⑵ 실험 결과 w=220.30 g이었다. 이 값이 ⑴에서 예
틱으로부터 지구 환경을 지키기 위해 화학이 할 수 있는 측한 값과 다르다면 그 까닭이 무엇인지 실험 과정과
일을 설명해 보자. 장치를 참고하여 설명해 보자.

쓰레기로 몸살을 앓는 섬, 틸라푸시

인도양의 몰디브 내 산호초 섬인 틸라푸시는 하루 5. 몰 농도 44 쪽


330 톤이 넘는 쓰레기가 유입되면서 섬의 면적이 매 16 탐구 능력 다음은 민수가 0.1 M 포도당 수용액을 만
일 1 mÛ`씩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이 쓰레기 중 상당 들기 위해 수행한 실험 과정이다.
수가 일회용 폐플라스틱이다. … (중략) …
사람들이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버리는 많은 플라
(가) 전자저울로 포도당 18 g을 정확하게 측정한 다음
스틱으로 인해 지구 환경이 점점 병들어 가고 있다.
증류수 200 mL가 들어 있는 비커에 넣고 모두
녹였다.
(나) (가)의 수용액을 1 L 부피 플라스크에 옮겨 담고
비커를 증류수로 몇 번 씻어 부피 플라스크에 부
었다.
(다) (나)의 부피 플라스크에 증류수 1 L를 넣었다.
(라) 마개를 닫고 잘 흔들어 주었다.

과정 (가)~(라) 중 옳지 않은 것을 찾아 옳게 고쳐 보자.
(단, 포도당의 분자량은 180이다.)

52 I. 화학의 첫걸음
CH2=C
H
논술 | 과학 글쓰기
H
HO H
CH3O N
17 다음은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물질인 퀴닌과 DDT에 관한 글이다. H
말라리아는 학질이라고도 하며, 학질모기가 여러 사람의 피를 빨 때 말라리아
N
원충이 모기에서 사람의 간으로 옮겨 가 고열과 황달을 일으키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하는 질병이다. 말라리아는 20 세기 중반까지 끊임없이 인류를 괴롭혀 왔
다. 이러한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수많은 방법이 시도되었는데, 그 중심에 퀴닌과
DDT(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라는 두 가지 물질이 있다.
퀴닌은 안데스 산맥에 자생하는 키나 나무껍질에 있는 말라리아 치료제 성분이
다. 유럽인들은 남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하면서 그 지역 주민들이 해열제로 사용하
는 나무껍질이 있다는 것을 알고, 이 나무를 채취하여 다른 식민지에 옮겨 심거나
치료제 성분을 인공적으로 합성하고자 노력했다. 말라리아 치료제가 개발되자 유
럽인들은 아프리카, 아시아로의 식민지 확대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었다. 퀴닌을
합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 2001 년에야 천연 퀴닌을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데 성
공했지만, 그 과정에서 수없이 많은 연구가 시도되었고 자주색 염료인 모브를 만드
는 등 유기 화학 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한편, DDT는 말라리아의 원인인 모기를 없애는 화학 물질이다. DDT는 곤충
에게만 있는 신경 제어 과정에 장애를 일으켜 살충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다른 동
물이나 인체에는 영향이 없다고 알려져 1950 년대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DDT가 사용된 지 10여 년 후에 유럽은 말라리아 없는 지역으로 선포될 정도로
그 효과가 엄청났다. 하지만 DDT가 오랜 시간 동안 생물체에 농축되면 각종 장
애가 발생하고, DDT에 내성이 있는 모기가 나타나는 등 DDT가 생태계 균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지면서 1970 년대 이후부터는 많은 국가에서 DDT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자료 출처: 페니 르 쿠터 외, 『역사를 바꾼 17 가지 화학 이야기 2』)

⑴ 퀴닌과 DDT가 개발되지 않았다면 인류의 삶과 역사는 어떻게 바뀌었을지 써 보자.

⑵ DDT처럼 우리 삶을 개선하고자 개발한 물질이 예기치 않게 인류에게 피해를 주었던


사례를 알아보고,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과학적 측면, 사회 제도적 측면에서
생각하여 써 보자.

논술 | 과학 글쓰기 53
원자의 세계

원자의 구조

현대 원자 모형

전자 배치 규칙

주기율표

원소의 주기적 성질
“인류가 얻은 과학 지식 중 단 하나의 글만 후세에 남긴다면
‘모든 것은 원자로 되어 있다.’가 될 것이다.”
- 파인만(Feynman, R., 1918~1988) -

19 세기 이후 과학자들은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구조를 밝혀냈고, 원소들의 화학적 성질이 규칙


성을 갖는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이후 원자의 세계에 대한 지식은 인류의 생활을 획기적으로 변화시

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 단원에서는 원자의 구성 입자와 원자의 현대적 모형 등을 통해 원자의 구조를 이해하고, 원소

의 주기적 성질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자.



량 활동으
과학 역

단원 열기 시로 만나는 원자의 세계
핵(核)

눈에 보이는 것보다 부드럽고도 예리하고


보이지 않는 것의 위대함 작지만 강한
모래알보다 미세한 너 죽음마저 무릎 꿇리며
치료와 부활의 손길을 내미는 너
우주의 모든 신비를 담은
생명의 원천 때로는 나눔으로
알면 알수록 매력적인 너 때로는 뭉침으로
온 누리를 뒤덮을 만큼
바람처럼 부드러운 알파선처럼 크고 청정한 에너지를 잉태한 너
칼처럼 예리한 베타선처럼
바윗돌처럼 강한 감마선처럼 아직
다재다능한 모습을 지닌 너 끝나지 않은
너의 이야기를 듣고 싶다.
(자료 출처: 대한화학회)

56 II. 원자의 세계
1. 사고력 화자가 이야기하는 ‘때로는 나눔으로 때로는 뭉침으로’가 의미하는 것은 각각 무
엇인지 설명해 보자.

2. 의사소통 능력 다음 시제 중 한 가지를 골라 시화를 만들어 보자.

•원자 •원소 •주기율표

핵심 개념
이어 보기 알고 있는 개념을 찾아보고, 이 단원에서 학습할 핵심 개념을 알아보자.

선수 학습 개념 이 단원의 핵심 개념 후속 학습 개념

>> 중학교 과학 •양성자 •오비탈 >> 화학 I


•원소 •원자와 분자 •중성자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이온 •전자 •주기율표 •전기 음성도

>> 통합과학 •양자수 •주기적 성질 •분자 구조


•주기율표

과학 역량 활동으로 단원 열기 57
학습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의 종류와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목표
•원자를 원소 기호와 원자 번호로 나타낼 수 있다.
•동위 원소의 존재비를 이용하여 평균 원자량을 구할 수 있다.

1803 년 돌턴(Dalton, J., 1766~1844)은 모든 물질이 더는 쪼


갤 수 없는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하였다. 돌턴 이후 여러 과학
자가 원자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노력한 결과, 원자가 더 작은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에는 어떤 것
내가
들이 있을까? 쪼개지다니!

전자의 발견
진공관 안에 매우 적은 양의 기체를 넣고 양 끝에 전극을 연결하여 높은 전압을 걸
어 주면 (-)극에서 (+)극 쪽으로 빛을 내는 선이 나오는데, 이를 음극선이라고 한다.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중 하나인 전자는 음극선의 정체를 알아내는 과정에서 발견하
그림 Ⅱ-1 음극선 였다. 다음 활동을 통해 음극선의 성질에 대해 알아보자.

시범
실험 해 보기 음극선의 성질 알아보기 사고력 탐구 능력

준비물 고전압 발생 장치, 음극선관 세트, 절연 장갑, 말굽 자석

음극선관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자.

금속판이 설치된 음극선관에 전압을 걸 바람개비가 설치된 음극선관에 전압을 음극선관에 전압을 걸고, 자석을 가까이
어 준다. 걸어 준다. 하여 본다.

정리
●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음극선의 성질을 정리해 보자.

58 II. 원자의 세계
1897 년 톰슨은 음극선에 전기장을 걸어 주었을 때 음극선의 경로가 휘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유리관 안에 매우 적은 양의 기체를 음극선의 진로에 전기장을 음극선의 경로가 (+)극 쪽으


넣고 높은 전압을 걸어 주면 (-)극에 걸어 준다. 로 휘어진다.
서 (+)극 쪽으로 음극선이 방출된다.
(-)

(+)극 슬릿
(_)극 톰슨(Thomson, J. J.,
1856~1940)
톰슨은 전자가 모든 원자에 공통으
로 들어 있으며, 그 질량이 수소 원
(+) 자보다 매우 작다는 사실을 발견하
였다. 톰슨의 발견은 원자가 더 작
그림 Ⅱ-2 톰슨의 음극선 실험 장치
은 물질로 나누어질 수 있다는 단서
자료 읽기 음극선의 진로에 전기장의 방향을 반대로 걸어 주었을 때, 음극선의 진로를 예측하여 를 제공하였다.

그림 Ⅱ-2에 그려 보자.

톰슨은 실험 결과를 통해 음극선이 일정한 질량을 가지며 (-)전하를 띠는 작은 입 일반적으로


양전하를 (+)전하
자의 흐름이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톰슨이 발견한 이 입자를 과학자들은 전자라고 하 음전하를 (-)전하
라고 쓴다.
였다.
이후 톰슨은 음극선을 이용하여 추가로 여러 가지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전
자가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중 하나라고 결론지었다. 또 전자는 (-)전하를 띠지만 원
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 원자 내에 (+)전하를 띠는 부분이 존재할 것이라고 추론
하였다. 이에 따라 톰슨은 (+)전하가 고루 퍼져 있는 공 속에 (-)전하를 띤 전자가
박혀 있는 새로운 원자 모형을 제안하였다.

창의 융합 사고 톰슨의 실험 결과를 반영한 원자 모형을 그려 보고, 톰슨이 제안한 원자 모형을 찾 톰슨 원자 모형은 ‘Ⅱ-과학 마

아 비교해 보자. 당-원자 모형의 변천과 과학 이론


의 변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 80~81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원자의 구성 입자 중 음극선 실험을 통해 발견되었으며 (-)전하를 띤 입자는 무엇인가?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전자가 (-)전하를 띠고 있다는 것은 무엇을 통해 알 수 있었는지 설명해 보자. 전자의 발견

1. 원자의 구조 59
원자핵의 발견
알파 입자 1911 년 러더퍼드는 알파(a) 입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새로운 원자 구조를 제안
헬륨 원자핵(HeÛ`±)으로, 라듐 등 방
하였다.
사성 원소에서 방출된다.
러더퍼드는 매우 얇은 금박에 빠른 속력으로 알파 입
자를 충돌시킬 때 알파 입자의 경로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하였다. 톰슨이 제안한 원자 모형에서 원자는 (+)
알파
전하가 고르게 분포된 공 속에 전자가 군데군데 박혀 있 입자

는 구조이다. 러더퍼드는 톰슨의 원자 모형이 옳다면


전자보다 질량이 훨씬 큰 알파 입자를 빠른 속력으로 원 금 원자

자에 충돌시킬 때 그림 Ⅱ-3과 같이 알파 입자의 경로 그림 Ⅱ-3 톰슨의 원자 모형에 따른


알파 입자 실험 결과의 예측
가 거의 휘지 않고 원자를 통과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실제 실험 결과는 러더퍼드의 예측과 다르게 나타났다. 그림 Ⅱ-4는 러더퍼
드의 알파 입자 산란 실험 장치와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산란된 알파 입자

이럴 수가!
이건 마치 휴지에 대포를
쏘았는데 튕겨 나온
것이나 다름없잖아?

금박

알파 입자
금 원자
알파 입자
방사성 물질 형광 스크린

그림 Ⅱ-4 알파 입자 산란 실험
러더퍼드(Rutherford, E.,
1871~1937)
알파 입자 산란 실험 결과
러더퍼드는 알파 입자가 당연히 얇
은 금박을 통과할 것이라고 생각했 대부분의 알파 입자들은 휘지 않고 금박을 통과한다.
지만, 큰 각도로 튕겨 나오는 알파
적은 수의 알파 입자가 경로에서 약간 휘어져 통과한다.
입자가 있다는 것은 예상을 크게
벗어난 결과였다. 이를 두고 러더퍼 매우 적은 수의 알파 입자가 큰 각도로 튕겨 나온다.
드는 “휴지 조각에 대포를 쏘았는
데 튕겨 나왔다.”라고 표현하였다.
그는 알파 입자를 이용한 실험을
반복한 끝에 원자핵이 포함된 원자
자료 읽기 1. 대부분의 알파 입자들이 휘지 않고 금박을 통과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2. 매우 적은 수의 알파 입자가 경로에서 크게 벗어난 방향으로 튕겨 나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60 II. 원자의 세계
러더퍼드는 알파 입자 산란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원자 중심에 부피가 매우 작고 원 러더퍼드 원자 모형은 ‘Ⅱ. 원
자의 세계 과학 마당-원자 모형의
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하를 띠는 부분인 원자핵이 존재한다고 주장하였 변천과 과학 이론의 변화’에서 확인
다. 그리고 (+)전하를 띠는 원자핵 주위에서 (-)전하를 띠는 전자가 매우 빠른 속도 할 수 있다. ➜ 80~81 쪽
로 운동하는 원자 모형을 제안하였다.

창의 융합 사고 알파 입자 산란 실험 결과를 반영한 원자 모형을 그려 보고, 러더퍼드가 제안한 원


자 모형을 찾아 비교해 보자.

자료실 양성자와 중성자의 발견

1886 년 골트슈타인(Goldstein, E., 1850~1930)은 수소 방전관에 전압을 가했을 때


(+)극에서 (-)극 쪽으로 향하는 흐름을 관찰하고, 이것을 양극선이라고 불렀다. 이후 과학
자들은 수소의 양극선이 원자핵에서 (+)전하를 띠는 입자인 양성자의 흐름임을 밝혀냈다.
한편, 러더퍼드는 헬륨 원자핵의 전하가 양성자의 2 배이지만 질량은 4 배라는 사실을
통해 원자핵 속에 질량이 크고 전기적으로 중성인 입자가 존재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후
채드윅(Chadwick, J., 1891~1974)은 베릴륨(Be) 원자핵에 알파 입자를 충돌시키는
실험에서 전하를 띠지 않는 중성자가 방출되는 것을 발견하여 러더퍼드의 예측을 입증하
였다.

양극선 음극선

양성자 수소
+ -
+ + - (+)극
+ - -
+ + + -
+ - 전자

(-)극 진공 펌프

그림 Ⅱ-5 양극선 실험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러더퍼드는 알파 입자 산란 실험으로 ( )을/를 발견하였다.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원자핵은 ( (+)전하, (-)전하 )를 띤다.
원자핵의 발견
3 러더퍼드 원자 모형에서 ( )은/는 원자핵 주위를 빠른 속도로 운동한다.

1. 원자의 구조 61
실험 창의 융합 활동 러더퍼드 되어 보기
사고력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준비물 목표
수수께끼 판 구슬 모형 실험을 통해 러더퍼드가 원자핵을 발견한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종이
연필 또는 색연필 과정
수수께끼 판의 내부 도형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책상 위에 놓고, 판 위에 종이를 올려놓자.
수수께끼 판
•50 cm_ 50 cm 크기의 판자 여러 방향에서 수수께끼 판 안쪽을 향해 구슬을 굴려 보면서 구슬의 궤적을 종이 위에 기
가운데에 두께가 약 2 cm인 작 록하자.
은 도형이 붙어 있는 나무판이다.
구슬의 궤적들을 이용하여 수수께끼 판 속 도형의 모양을 예측해 보자.

각각의 판마다 다른 모둠과 수수께끼 판을 바꾸어 과정 ~ 을 반복하자.


도형의 모양이
서로 다르다.
•모둠별로 한 번에 1 개의 수수께
끼 판을 사용하여 활동을 진행
한다.

이런 모양일까?

정리

1. 구슬의 궤적을 토대로 예측한 수수께끼 판 내부 도형의 모양을 그려 보고, 실제 모양과 비


교해 보자.

2. 구슬이 수수께끼 판을 그대로 통과하거나 그 경로가 휘어지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


명해 보자.

3. 수수께끼 판 실험 장치를 알파 입자 산란 실험 장치에 비유한다면 수수께끼 판, 구슬, 내


부 도형은 각각 무엇에 해당하는지 써 보자.

62 II. 원자의 세계
원자의 구조
원자의 중심에는 (+)전하를 띠고 있는 원자핵이 위치하며, 그 주위에서 (-)전하를
띠는 전자가 매우 빠른 속도로 운동하고 있다. 원자핵은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
하를 띠지 않는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다.

중성자

전자 +

+ + +

+ +

양성자
원자핵

그림 Ⅱ-6 원자의 구성 입자

1
원자핵의 지름은 원자 지름의 정도인데, 이는 원자 지름을 100 m로 늘였
100000
다고 가정했을 때 원자핵의 지름이 불과 1 mm의 크기라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전자
의 질량은 원자핵보다 매우 작으므로 원자 질량의 대부분은 원자핵이 차지한다.
원자를 구성하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는 어떤 특징을 가질까?
그림 Ⅱ- 7 야구장과 개미 원자
의 크기를 커다란 야구장에 비유한

자료 다면, 원자핵의 크기는 개미 한 마


해석 해 보기 양성자, 중성자, 전자의 성질 알아보기 사고력 리의 크기라고 볼 수 있다.

표는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의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구성 입자 질량(g) 상대적 질량 전하량(C) 상대적 전하

양성자 1.673_10ÑÛ`Ý +1.602_10ÑÚ`á +1


원자핵
중성자 1.675_10ÑÛ`Ý 1 0
1
전자 9.109_10ÑÛ`¡ -1.602_10ÑÚ`á
1837
(자료 출처: 『CRC handbook of chemistry & physics』, 2014.)

정리

1. 표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값을 써 보자.

2. 원자의 질량을 나타낼 때, 원자핵의 질량을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까닭을 설명해 보자.

3. 원자가 전기적으로 중성인 까닭을 설명해 보자.

1. 원자의 구조 63
원소의 표시
그림 Ⅱ-8은 탄소, 질소, 산소 원자를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원자들은 모두
양성자, 중성자, 전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의 종류는 같지
만 원소의 성질이 각각 다른 까닭은 무엇일까?

양성자
+ +
+ + +
+ +
원자핵 + +
+ + + + +
+ +
+
+ + + +

중성자

탄소 질소 산소

그림 Ⅱ-8 탄소, 질소, 산소의 원자 모형

자료 읽기 그림 Ⅱ-8의 원자 모형에서 탄소, 질소, 산소의 양성자, 중성자, 전자 수를 각각 써 보자.

원자 탄소 질소 산소
양성자수
중성자수
전자 수

화학 반응은 전자가 관여하여 일어나므로, 원소의 화학적 성질은 그 원자가 가진 전


자 수로 결정된다. 그런데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 원자를 구성하는 전자 수는
양성자수와 같다. 따라서 원소의 성질은 양성자수로 결정된다.
양성자수는 원소의 종류마다 다르며, 화학 반응이 일어나도 변하지 않으므로 이를
원자 번호로 정하여 원자를 구분하는 고유의 번호로 사용한다.

원자 번호=양성자수=원자의 전자 수

그림 Ⅱ-8을 참고하여 탄소, 질소, 산소의 원자 번호를 써 보자.

전자의 질량은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원자의 질량은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으로 결정된다.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은 거의 비슷하므로 원자의 질량을
나타낼 때 양성자수와 중성자수를 합한 값을 이용하는데, 이 값을 질량수라고 한다.

질량수=양성자수+중성자수

중성자가 6 개인 탄소와 7 개인 탄소의 질량수는 각각 얼마인가?

64 II. 원자의 세계
같은 종류의 원자끼리는 양성자수, 즉 원자 번 질량수=양성자수+중성자수
호가 같지만, 중성자수가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A

따라서 원소를 표시하면서 질량수에 대한 정보를


함께 나타내기도 한다. 원소를 표시할 때는 원소
X
Z
원소 기호

원자 번호=양성자수
기호의 왼쪽 아래에 원자 번호를, 왼쪽 위에 질량
수를 쓴다.

원소 기호, 질량수, 원자 번호를 이용하여 다음 원소를 나타내 보자.


(1) 원자 번호가 1, 질량수가 2인 수소 (2) 양성자수가 6, 중성자수가 7인 탄소
(3) 원자 번호가 17, 질량수가 35인 염소 (4) 양성자수가 9, 중성자수가 10인 플루오린

자료실 (+)전하가 모여 있는 원자핵은 어떻게 유지될까?

수소 원자핵은 양성자 1 개로 이루어져 있지만, 헬륨 원자핵에는


+
양성자가 2 개 존재한다. 같은 전하를 띤 입자들 사이에는 반발력이
작용하는데, 원자핵은 어떻게 안정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을까? +
원자핵 지름 정도 크기의 매우 짧은 거리에서는 강한 힘이 작용
하여 핵을 구성하는 입자들을 함께 붙들어 놓는데, 이 힘을 강한 핵 10—⁄fi m

력이라고 한다. 강한 핵력은 10ÑÚ`ÞÀ m 이하의 거리에서 전기적 반발 그림 Ⅱ-9 헬륨 원자핵

력보다 약 100 배 강하지만, 그보다 먼 거리에서는 작용하지 못한다.


양성자 사이의 전기적 반발력은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양성자끼리는 강
한 핵력이 작용할 수 있는 거리만큼 가까이 다가갈 수 없다. 그러나 안정한 원자핵에서는
양성자와 전기적 반발력이 없는 중성자 사이에 강한 핵력이 작용하고, 양성자와 양성자, 중
성자와 중성자 사이에도 강한 핵력이 작용하므로 핵을 구성하는 입자들이 서로 단단히 결
합할 수 있다.

그림 Ⅱ-10 원자핵에서 중성자의 역할 중성자는 전기적 반발력이 작용하지 않으면서 양성자와 강한 핵력


으로 결합한다.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원자는 (+)전하를 띠는 ( )과/와 (-)전하를 띠는 ( )(으)로 이루어져 있고, 원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자핵은 (+)전하를 띠는 ( )과/와 전하를 띠지 않는 ( )(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양성자 중성자
2 자연계에 존재하는 원소들의 성질이 다른 까닭은 무엇인가? 전자 원자 번호

3 `Ü
ÛÁÁNa 원자의 양성자수, 중성자수, 전자 수는 각각 얼마인가? 질량수

1. 원자의 구조 65
동위 원소
그림 Ⅱ-11은 수소, 중수소, 삼중수소의 원자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은 양성자
수가 같지만, 중성자수가 모두 다르다. 이처럼 원자의 양성자수는 같으나 중성자수가
다른 원소를 동위 원소라고 한다.

중성자

전자 양성자

수소 중수소 삼중수소

양성자 1 개 양성자 1 개 양성자 1 개


중성자 개 중성자 개 중성자 개

그림 Ⅱ-11 수소의 동위 원소

자료 읽기 수소, 중수소, 삼중수소 원자의 중성자수를 각각 써 보자.

자연계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원소는 동위 원소를 가지고 있다. 같은 원소의 동위 원


소는 양성자수와 전자 수가 같으므로 화학적 성질이 같지만, 질량수가 다르므로 물리
적 성질에는 약간 차이가 있다. 다음 활동을 통해 동위 원소의 특징을 알아보자.

만들기 해 보기 동위 원소 원자 모형 만들기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준비물 앵두 과자, 튀밥, 이쑤시개


유의할 점
•이쑤시개에 손을 다치지 않도록 앵두 과자와 튀밥을 사용하여 수소의 동위 원소 Ú`H, Û`H, Ü`H의 원자 모형과 탄소의 동위
주의한다.
원소 Ú`Û`C, Ú`Ü`C의 원자 모형을 만들어 보자.
•각 과자의 크기 비율은 실제 양성
자, 중성자, 전자의 크기 비율과 빨간색과 노란색 앵두 과자를 각각 양성자와 중성자로 하고, 앵두 과자를 이쑤시개로 연
다르다.
결하여 원자핵 모형을 만들자.

튀밥을 전자로 하고, 과정 에서 만든 원자핵 모형에 이쑤시개로 튀밥을 연결하여 원자


모형을 완성하자.

정리
● Ú`Û`C와 Ú`Ü`C 원자 모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해 보자.

66 II. 원자의 세계
평균 원자량
우리가 사용하는 원자량은 동위 원소의 존재비를 고려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평균
원자량이다. 예를 들어 자연에서 탄소(C)는 질량수가 12 인 탄소(Ú` ` Û``C)와 질량수가 주기율표에 표시된
원자량은
13인 탄소(Ú``Ü``C)가 안정한 동위 원소로 존재하며, 이들의 존재비는 Ú``Û``C(원자량 12)가 평균 원자량이다.
98.93 %, Ú``Ü``C(원자량 13.00)가 1.07 %이다. 따라서 탄소의 평균 원자량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12_98.93+13.00_1.07
=12.01
100
자연에 존재하는 Ú`Û`C의 비율이 Ú`Ü`C보다 훨씬 많으므로 탄소의 평균 원자량은 12에
가까운 값을 갖는다.

연습해 보기 자연에서 염소(Cl)의 안정한 동위 원소는 원자량이 34.97인 Ü`Þ`Cl가 75.76 %, 원자


량이 36.97인 Ü`à`Cl가 24.24 % 존재한다. 염소의 평균 원자량을 구해 보자.

염소의 평균 원자량

=Ü`Þ`Cl의 원자량_존재비(%)+Ü`à`Cl의 원자량_존재비(%)


34.97_( )+36.97_( )
=
100
=( )

동위 원소의 존재비를 고려한 분자량은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들의 평균 원자량을 더


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테인(CH¢)의 분자량은 탄소의 평균 원자량(12.01)
과 수소의 평균 원자량(1.01)을 합한 값으로 나타낸다.

(12.01_1)+(1.01_4)=16.05

ÚÁH, ÛÁH, Ú`¥ß O가 결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물(HªO) 분자의 가능한 분자량을 모두 구해 보자.

창의 융합 사고 과학자들은 오래된 화석이나 유물의 연대를 측정하기 위해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검색
법을 개발하였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이 무엇인지 조사해 보고, 우리 주변에서 동위 원소를 활용
방사성 동위 원소가 무엇인지 찾아
하는 다른 사례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찾아보자.
보고, 탄소의 방사성 동위 원소인
Ú`Ý`C에 관해 알아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동위 원소는 ( 양성자, 중성자 )수가 같고, ( 양성자, 중성자 )수가 다른 원소이다.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자연에서 브로민(Br)의 안정한 동위 원소는 à`á`Br과 ¡`Ú`Br의 두 가지이다. 자연에서 분자량이 다른 브
동위 원소
로민(Brª) 분자는 모두 몇 가지가 존재할까? 평균 원자량

1. 원자의 구조 67
학습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해석할 수 있다.
목표
•양자수와 오비탈을 이용하여 현대적 원자 모형을 설명할 수 있다.

네온사인은 네온 기체를 넣은 방전관에 높은 전압을 걸어 주었


을 때 방출되는 빛을 이용한 것이다. 이 빛과 원자의 구조 사이에
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
알파 입자 산란 실험을 통해 원자핵을 발견한 러더퍼드는 원자 내에 있는 전자들이
무작위로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에는 여러
가지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그중 하나는 수소 기체 방전관에서 발생하는 불연속적인
선 스펙트럼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다음 활동을 통해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이 갖는 특징을 알아보자.

실험 해 보기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 관찰하기 사고력 탐구 능력

준비물 간이 분광기, 수소 방전관, 색연필


유의할 점
•수소 방전관을 전원에 연결할 때 수소 방전관을 전원에 연결한 후 주변을 어둡게 하자.
전압을 확인한다.
•다른 빛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주 방전관의 스위치를 켜고 0.5 m~1 m 정도의 거리에서 간이 분광기를 이용하여 수소 방
변을 어둡게 하고 관찰한다. 전관에서 나오는 빛을 관찰하자.

관찰한 수소 스펙트럼의 위치와 색깔을 표시해 보자.

400 500 600 700


파장(nm)

정리
● 수소 스펙트럼의 특징에 관해 토의해 보자.

68 II. 원자의 세계
20 세기 초 과학자들은 빛에너지가 연속적인 값을 갖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정수배
만큼의 불연속적인 값만 가질 수 있다는 ‘양자화’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에너지가 그림
Ⅱ-12의 계단과 같이 불연속적인 몇 가지의 상태만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원자 내부의 전자가 갖는 에너지가 양자화되어 있다면, 전자가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로 이동할 때 방출하는 에너지도 특정한 값만 가질 수 있다.

그림 Ⅱ-12 연속적 에너지와 불연속적 에너지 경사면에서의 위치 에너지는 연속적으로 변하지만, 계단에서
의 위치 에너지는 계단의 높이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변한다.

자료 읽기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은 경사면과 계단 중 어느 것에 비유할 수 있는가?

이러한 양자 이론은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설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수소 기체 방전관에 높은 전압을 가하면 수소 원자는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되었다가 다
시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오면서 빛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때 방출된 빛의 선 스펙트
럼은 수소 원자 내부에 있는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에너지가 불연속적이라는 것을 의미
한다.
1913 년 보어는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을 설명하기 위해 러더퍼드 원자 모형과 양자
이론을 조합하여 원자 내부에서 전자의 에너지가 양자화되어 있다고 제안하였다. 즉
원자 내부의 전자들은 원자핵 주위를 무작위로 돌고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에너지
준위를 가진 궤도에만 있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창의 융합 사고 보어는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설명하기 위해 원자핵 주위의 전자가 특정 에너 보어 원자 모형은 ‘Ⅱ. 원자의

지를 가진 원 궤도를 돌고 있다고 제안하였다. 보어가 제안한 원자 모형을 그려 보고, 실제 보어 원자 세계 과학 마당-원자 모형의 변천


과 과학 이론의 변화’에서 확인할 수
모형을 찾아서 비교해 보자.
있다. ➜ 80~81 쪽

2. 현대 원자 모형 69
보어 원자 모형
보어는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원자 모형을 제안하였
다. 이에 따르면 원자핵 주위의 전자는 특정한 에너지를 가진 원 궤도를 따라
운동하는데, 이 궤도를 전자 껍질이라고 한다.
전자 껍질은 원자핵에서 가장 가까운 것부터 K, L, M, N… 으로 표시하며,
각 전자 껍질이 갖는 에너지 준위(EÇ)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1312
EÇ=- `(kJ/mol)
보어(Bohr, N. H. D., nÛ`
1885~1962)
위 식에서 n은 자연수로, 전자 껍질의 에너지 준위를 결정한다.
보어는 전자 껍질 개념을 도입하여
러더퍼드 모형의 불안정성을 해결
하고,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M(n=3) 에
설명하였다. 보어 원자 모형은 양자 L(n=2) 너
지 E£
역학의 출발점이 되었다. K(n=1) 원자핵 M
E™
L

전자

K
전자 이 부분은 전자가
존재할 수 없다.

그림 Ⅱ-13 보어 원자 모형

보어 원자 모형에 따르면, 전자가 같은 전자 껍질에서 운동할 때는 에너지를 흡수하


거나 방출하지 않지만, 에너지 준위가 다른 전자 껍질로 이동할 때는 두 전자 껍질의
에너지 차이만큼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한다.
원자가 가장 낮은 에너지를 갖는 상태를 바닥상태라고 한다. 그림 Ⅱ-14와 같이 원
자에 에너지를 가하면 낮은 에너지 준위의 전자 껍질에 있던 전자가 에너지를 흡수하
여 높은 에너지 준위의 전자 껍질로 들뜨게 된다. 이처럼 원자가 높은 에너지를 갖는
상태를 들뜬상태라고 한다.

전자 전이 들뜬상태의 원자는 불안정하므로 높은 에너지 준위에 있던 전자는 낮은 에너지 준위


전자가 낮은 에너지 준위에서 높은 로 되돌아가면서 두 전자 껍질의 에너지 차이만큼 빛에너지를 방출한다.
에너지 준위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
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에너지
에너지
방출
흡수

그림 Ⅱ-14 전자 전이와 에너지 출입

70 II. 원자의 세계
자료실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과 보어 모형

그림 Ⅱ-15는 들뜬상태의 수소 원자에서 전자가 낮은 에너지 준위로 전이할 때의 전자


전이와 이때 방출하는 빛의 선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라이먼 계열 발머 계열 파셴 계열

91 122 365 656 820 1875


파장(nm)

n=•

º
n=6
파셴 계열 n=5
410 434 486 (적외선 n=4
656 영역) 파장(nm)
n=3
발머 계열
n=2
(가시광선 영역)

n=1
라이먼 계열
핵 (자외선 영역)
ºN M L K
전자 껍질 에너지 준위

그림 Ⅱ-15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과 전자 전이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은 파장에 따라 라이먼 계열(자외선 영역), 발머 계열(가시광선


영역), 파셴 계열(적외선 영역)이라고 부른다. 이 중 우리가 분광기를 통해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선 스펙트럼은 가시광선 영역인 발머 계열이다. 발머 계열의 스펙트럼은 L 껍질보
다 높은 에너지를 갖는 전자 껍질에서 L 껍질로 전자가 이동할 때 방출되는 빛의 선 스펙
트럼이다. 발머 계열파장에 반비례하므로 전자가
라이먼 계열 빛에너지는 파셴 계열
이동하는 전자 껍질 사이의 에너지 차
이가 작을수록 전자 전이에 해당하는 스펙트럼선의 파장이 길다.
91 122 365 656 820 1875
그림은 발머 계열 선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각 스펙트럼선에 해당하는 전자 전이를
파장(nm)
써 보자.

410 434 486 656 파장(nm)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수소 원자에서 선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까닭은 수소 원자의 전자가 갖는 에너지가 ( 연속적, 불연속적 )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이기 때문이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전자 껍질 바닥상태
2 전자가 N 껍질에서 L 껍질로 이동할 때 에너지를 ( 흡수, 방출 )한다. 들뜬상태

2. 현대 원자 모형 71
현대 원자 모형 - 오비탈
보어의 원자 모형은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설명할 수 있었지만, 헬
륨 등 다전자 원자의 스펙트럼은 설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원
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을 도입하였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에 따르면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은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고, 특정한 위치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만을 알 수 있
다. 이를 토대로 제안된 현대 원자 모형은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확률 분포를 나
타낸 것이다.
하이젠베르크(Heisenberg,
W. K., 1901~1976) 원자핵 주위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을 나타낸 함수를 오비탈, 또는 궤도 함수라
하이젠베르크는 전자의 위치를 정
고 한다. 그림 Ⅱ-16과 같이 전자를 발견할 확률 분포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면 마치
확히 측정하려고 하면 운동량의 오
차(Dp)가 커지고, 반대로 운동량을 구름처럼 보이므로, 현대 원자 모형을 전자 구름 모형이라고도 한다.
정확히 측정하려고 하면 위치의 오
차(Dx)가 커져서 두 물리량을 동시
에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
을 알아내고, 이를 불확정성 원리라
고 하였다.

(가) 전자가 발견될 확률 분포를 점의 밀도로 나타 (나) 전자가 발견될 확률이 90 %가 되는


내었다. 점이 빽빽할수록 전자 발견 확률이 높다. 공간의 경계면을 나타내었다.

그림 Ⅱ-16 오비탈의 시각적 표현

현대 원자 모형에서는 원자 내에 있는 전자의 상태를 주 양자수(n), 부 양자수(l),


자기 양자수(mÂ), 스핀 자기 양자수(m§)의 네 가지 양자수로 나타낸다.

전자의 에너지 준위와 주 양자수


보어는 전자가 원자핵 주위의 특정한 에너지를 가진 전자 껍질에서 빠르게 원운동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보어 원자 모형에서 전자 껍질(K, L, M… )의 에너지 준위
를 결정하는 자연수(n=1, 2, 3… )는 현대 원자 모형에서 주 양자수(n)에 해당한다.
주 양자수는 오비탈의 크기 및 에너지와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주 양자수가 클수
록 오비탈의 크기가 크고, 전자가 원자핵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서 에너지 준위가
높다.
표 Ⅱ-1 주 양자수와 전자 껍질

주 양자수(n) 1 2 3 4
전자 껍질 K L M N

72 II. 원자의 세계
오비탈의 모양과 부 양자수
다전자 원자인 수은과 네온의 스펙트럼은 그림 Ⅱ-17과 같이 수소보다 선의 수가
많고, 좁게 갈라진 선들이 복잡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같은 주 양자수를 갖는 전자라
도 오비탈의 모양이 달라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때 오비탈의 모양을 나타내는 양자
수를 부 양자수(l) 또는 방위 양자수(l)라고 한다.
(자료 출처: 『옥스토비의 일반화학』, 2014.)

수소

수은

네온

400 500 600 700


파장(nm)
그림 Ⅱ-17 수소, 수은, 네온 원자의 선 스펙트럼

주 양자수가 n이면 부 양자수로 0, 1, 2…, n-1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


어 주 양자수가 1일 때는(n=1) 0을 부 양자수 값으로 갖고, 주 양자수가 2일 때는
(n=2) 0과 1을 부 양자수 값으로 가질 수 있다. 부 양자수가 0이라면 전자는 그림 Ⅱ-18
의 (가)와 같이 공 모양의 오비탈에 존재하고, 부 양자수가 1이라면 전자는 그림 Ⅱ-18
의 (나)와 같이 아령 모양의 오비탈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 부 양자수(l)가 0인 경우(s 오비탈) (나) 부 양자수(l)가 1인 경우(p 오비탈)


오비탈 기호의 기원
그림 Ⅱ-18 부 양자수와 오비탈의 모양
s, p, d, f 등의 오비탈 기호는 양자
역학이 발전하기 이전에 스펙트럼
오비탈의 모양은 s, p, d, f 등의 기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그림 Ⅱ-18의 (가)는 의 특징을 묘사하기 위해 쓰였던 단
s 오비탈, (나)는 p 오비탈이다. 일반적으로 오비탈을 표시할 때는 주 양자수 n과 오 어인 sharp, principal, diffuse,
fundamental의 머리글자에서 따
비탈의 모양을 나타내는 기호인 s, p, d, f … 를 함께 써서 1s, 2s, 2p… 로 나타낸다. 온 것이다. `f 이후의 기호는 알파벳
순서이다.
표의 빈칸에 알맞은 오비탈의 종류를 써 보자.

주 양자수(n) 1 2 3
부 양자수에 대한 오비탈 기호
부 양자수(l) 0 0 1 0 1 2
오비탈의 종류 1s 3d 부 양자수 (l) 기호
0 s
1 p
창의 융합 사고 1s 오비탈과 2s 오비탈의 모양을 찾아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해 보자. 2 d
3 f

2. 현대 원자 모형 73
오비탈의 방향과 자기 양자수
같은 모양의 오비탈이라도 공간상에서 다른 방향으로 존재할 수 있는데, 이때 오비
탈의 방향을 결정하는 양자수를 자기 양자수(mÂ)라고 한다. 자기 양자수는 0을 포함
하여 -l부터 l까지의 정숫값을 가질 수 있다. 즉 l이 0인 경우 자기 양자수는 0 한
가지만 가능하므로 1 개의 오비탈이 존재하고, l이 1인 경우 자기 양자수는 -1, 0, 1
의 세 가지가 가능하므로 3 개의 오비탈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Ⅱ-19와 같이 공 모양인 s 오비탈(l=0)은 한 가지 자기 양자수만
가능하므로 방향성이 없다. 따라서 s 오비탈 내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은 방향과 관
계없이 원자핵과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p 오비탈(l=1)은 세 가지의 자기
양자수를 가질 수 있으므로 원자핵 주위에 세 가지 방향으로 분포할 수 있다. 따라서
p 오비탈 내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은 방향과 거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z z z z

y y y y

x x x x

s 오비탈 p≈ 오비탈 p¥ 오비탈 pz 오비탈

그림 Ⅱ-19 오비탈의 방향 공 모양인 s 오비탈은 방향성이 없고, 아령 모양의 p 오비탈은 방향에 따라 p®, pò, p½ 오비탈로 존재한다.

오비탈의 전자 수와 스핀 자기 양자수
오비탈 내 전자의 스핀을 구분하는 양자수를 스핀 자기 양자수(m§)라고 한다. 전자

스핀은 두 가지 방향이 있으며, 각 방향을 +;2!;, -;2!;로 나타낸다.

한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들은 같은 스핀 방향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하나의 오


비탈에는 전자가 최대 2 개까지만 들어갈 수 있다. 표 Ⅱ-2는 주 양자수(n)에 따른 오
비탈의 종류와 수를 정리한 것이다.

표 Ⅱ-2 주 양자수에 따른 오비탈의 종류와 수

주 양자수(n) 오비탈의 종류 오비탈 수(nÛ` )` 최대 수용 전자 수(2nÛ` )

1 1s 1 1 2
2s 1
2 4 8
2p 3
3s 1
3 3p 3 9 18
3d 5

74 II. 원자의 세계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
수소 원자는 전자가 1 개뿐이므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가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인 전자

력에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소 원자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주 양자수에 의해서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
만 결정된다. 주 양자수가 같은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모두 같고, 주 양자수가 커지 1+ 2
원자핵
면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평균 거리가 멀어지므로 오비탈의 에너지도 증가한다. 이에
따라 수소 원자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다음과 같다.
수소 원자
수소 원자
1s<2s=2p<3s=3p=3d<4s=4p=4d=4f<y 전자 사이의
반발력
전자

원자핵과 전자
다전자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뿐만 아니라 전자 사이의 반발력도원자핵과
존재하 전자
사이의 인력 사이의 인력
1+ 2+
므로, 주 양자수뿐만 아니라 오비탈의 모양도 에너지 준위에 영향을 준다. 주 양자수가
원자핵

같을 때 에너지 준위는 s 오비탈보다 p 오비탈이 더 높고, p 오비탈보다 d 오비탈이 더


높다. 이에 따라 다전자 원자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다음과 같다.
헬륨 원자

다전자 원자 그림 Ⅱ-20 원자핵과 전자들 사이

1s<2s<2p<3s<3p<4s<3d<4p y 에 작용하는 힘

그림 Ⅱ-21은 수소 원자와 다전자 원자의 오비탈 에너지 준위를 각각 비교한 것이다.

에 에 4p
너 4s 4p 4d 너 3d
지 지 4s
n=4 n=4
3p
3s 3p 3d
3s
n=3 n=3

2p
2s 2p
2s
n=2 n=2

1s 1s
n=1 n=1

수소 원자의 오비탈 에너지 준위 다전자 원자의 오비탈 에너지 준위


그림 Ⅱ-21 오비탈 에너지 준위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일반적으로 주 양자수가 클수록 오비탈의 크기가 ( 크고, 작고 ) 에너지 준위가 ( 높다, 낮다 ).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오비탈의 방향을 결정하는 양자수는 무엇인가?
오비탈
3 수소 원자에서 1s, 2s, 2p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를 >, =, <를 사용하여 비교해 보자. 양자수

2. 현대 원자 모형 75
학습 •전자 배치 규칙에 따라 원자의 전자를 오비탈에 배치할 수 있다.
목표
•원자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설명할 수 있다.

공연장의 객석은 관객들이 공연을 쾌적하게 관람할 수 있도


록 간격이나 높이를 조절하여 배치된다. 원자에 전자가 배치될
때도 규칙이 있을까?

쌓음 원리
현대 원자 모형에서 원자의 전자 배치는 어


떤 규칙을 따르는지 알아보자. 지 6s
5p
4d
바닥상태 원자에서는 에너지 준위가 가장 5s
4p
3d
낮은 오비탈부터 에너지가 높아지는 순서대로 4s
3p
전자가 채워진다. 이것을 쌓음 원리라고 한다. 3s
2p
2s
자료 읽기 그림 Ⅱ-22를 참고하여 다전자 원자에
1s
서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지는 순서를 써 보자.

그림 Ⅱ-22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지는 순서

파울리 배타 원리
전자의 스핀 자기 양자수는 전자는 한 오비탈에 최대 2 개까지 들어갈 수 있으며, 한 오비탈에 들어간 두 전자의
‘Ⅱ. 원자의 세계 2. 현대 원자 모형’
스핀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이것을 파울리 배타 원리라고 한다. 따라서 s 오비탈에는
에서 학습한다. ➜ 74 쪽
전자가 최대 2 개까지 채워질 수 있고, p 오비탈에는 전자가 최대 6 개까지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Li)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살펴보자. 3 개의 전자 중 2 개는 에너
지 준위가 가장 낮은 1s 오비탈에 채워지고, 나머지 1 개는 그다음으로 에너지 준위가
낮은 2s 오비탈에 채워진다. 이때 한 오비탈 속에 들어 있는 2 개의 전자는 스핀 방향
이 서로 반대이므로 전자를 다음과 같이 화살표나 오비탈 기호로 나타낸다.
오비탈 기호를 이용한 전자 배치 표
1s 2s
시법 1s 2s
오비탈 종류 채워진 £Li 1sÛ` 2sÚ`
전자 수
3p®Û` °B의1s바닥상태2s전자 배치를 화살표로
1s 2s
2p
2p
표시하고 오비탈 기호로 나타내 보자.

주 양자수 오비탈의 °B
공간 방향 1s 2s 2p
1s 2s 2p

76 II. 원자의 세계
1s 2s 2p
1s 2s 2p
1s 2s 1s 2s 2p

훈트 1s규칙 2s 2p 1s 2s 2p

바닥상태 탄소( ¤C) 원자에서 2p 오비탈의 전자 배치는 (가)와 (나) 중 어느 것일까? 오개념 바로잡기
1s 2s 2p 1s 2s 2p 주 양자수가 같은 p®, pò, p½ 오비탈
(가) (나) 의 에너지 준위는 같으므로 탄소 원
자의 전자 배치 중 다음은 모두 바
1s 2s 2p 1s 2s 2p 닥상태 전자 배치이다.
(가)와 같이 2p 오비탈의 전자 2 개가 하나의 오비탈에 모두 들어가면 전자 사이에
1s 2s 2p
반발력이 작용하여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나)와 같이 2 개의 전자가 각각 다른 오비탈
1s 2s 2p 1s 2s 2p 3s 1s 3p 2s 2p
에 들어간 전자 배치가 더 안정하다. 이처럼 바닥상태 전자 배치에서 같은 에너지 준
위의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질 때, 전자들은 쌍을 이루지 않고 가능한 한 많은 오비탈에 1s 2s 2p
1s 2s 2p 3s 3p
채워진다. 이것을 훈트 규칙이라고 한다.
에너지가 가장 낮은 전자 배치, 즉 원자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쌓음 원리와 파울
리 배타 원리를
1s 따르면서
2s 훈트 규칙을 만족하는 전자1s배치이다.
2s

다음 원자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화살표로 표시해 보자.


1s 2s 2p 1s 2s 2p

(1) ¦N 1s 2s (2) ¥O

1s 2s 2p 1s 2s 2p
원자의 바닥상태
1s 2s전자 배치에서
2p 가장 바깥 전자 껍질에 있는 전자를 원자가 전자라

고 한다. 원자가 전자는 원소의 화학적 성질을 결정하며, 원자가 양이온이 되거나 음이
1s 2s 2p 1s 2s 2p
온이 될 때1s잃거나2s얻는 전자의2p
수와도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원자가 전자가 1 개인 나트륨(Na)은 3s 오비탈의 전자 1 개를 잃고 양이
1s 2s 2p 1s 2s 2p
온인 Na±이
1s 되기 2s 2p 전자가 7 개인 염소(Cl)는 3p 오비탈에 전자 1 개를
쉽다. 또 원자가
얻어 음이온인 ClÑ이 되기 쉽다.
1s 2s 2p 3s 1s 3p 2s 2p 3s 3p
1s 2s 2p

ÁÁNa± 1sÛ` 2sÛ` 2pß`


1s 2s 2p 3s 3p

Á¦ClÑ 1sÛ` 2sÛ` 2pß` 3sÛ` 3pß`

다음 이온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오비탈 기호로 나타내 보자.


(1) Á£AlÜ`± (2) »FÑ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다음에서 설명하는 전자 배치 규칙은 무엇인가?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에너지 준위가 같은 오비탈이 여러 개일 때 전자들은 서로 다른 오비탈을 차지하려고 한다. 전자 배치 규칙
바닥상태 전자 배치
원자가 전자
2 바닥상태의 Á¢Si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와 원자가 전자 수는 각각 몇 개인가?

3. 전자 배치 규칙 77
역할
탐구 활동 놀이 원자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 나타내기

준비물 목표
필기도구 오비탈 모형에 원자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역할 놀이를 통해 원자의 바
닥상태 전자 배치를 설명할 수 있다.

과정
역할 놀이 1 엄지손가락 전자 배치 놀이
1s 2s
전자 배치 규칙을 적용하여 다음 원자 및 이온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화살표로 표시하
고 오비탈1s기호로2s나타내 보자.
1s 2s 2p

Li 1s 2s
1s 2s 2p
1s 2s 2p
C 1s 2s
1s 2s 2p
1s 2s 2p
N 1s 2s 2p
1s 2s 2p
1s 2s 2p
OÛ`Ñ 1s 2s 2p
1s 2s 2p
1s 2s 2p
아래의 놀이 방법을 보고, 과정 에서 나타낸 원자 또는 이온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1s 2s 2p
1s
표현해 보자. 2s 2p
1s 2s 2p 3s 3p
1s 2s 2p
엄지손가락 1s
전자 배치2s놀이 방법 2p
1s 2s 2p 3s 3p
(1) 5 명의 모둠원이 그림과 같이 각각 1s, 2s, 2p®, 2pò, 2p½의 오비탈 역할을 맡는다.
1s 2s 2p
1s 2s 2p 3s 3p

1s 2s 2p 3s 3p

2p®
2pò
2s

1s 2p½

(2) 엄지손가락을 한 개 들면 해당 오비탈에 전자가 한 개 배치된 것이고, 엄지손가락을 두 개


들면 해당 오비탈에 전자가 두 개 배치된 것이다.
(3) 모둠원 중 한 명이 원자 번호 1~10 번의 원자나 이온의 이름을 외치고 5 초를 세면, 모
든 모둠원은 해당 원자나 이온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에 맞춰 손가락을 든다.

과정 에서 제시한 원자 외에 다른 원자 세 가지를 고르고,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손가


락으로 표현해 보자.

78 II. 원자의 세계
사고력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역할 놀이 2 모둠 대항 양손 전자 배치 놀이

아래의 놀이 방법을 보고, 모둠 대항으로 전자 배치 놀이를 해 보자.

양손 전자 배치 표현 놀이 방법
(1) 5 명의 모둠원이 교실 앞으로 나와 그림과 같이 각각 1s, 2s, 2p®, 2pò, 2p½의 오비탈 역
할을 맡는다.
(2) 한 손을 들면 해당 오비탈에 전자가 한 개 배치된 것이고, 양손을 들면 해당 오비탈에 전
자가 두 개 배치된 것이다.
(3) 다른 모둠에서 원자 번호 1~10 번의 원자나 이온의 이름을 외치면 모든 학생이 5 초를 평가하기
1 2 3 4 5

세고, 모둠원들은 5 초 안에 해당 원자나 이온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에 맞춰 손을 든다.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옳게 나타


냈는가?
모둠별로 점수를 기록해 보자. 모둠원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
였는가?
원소나 이온 한 가지당 1 점씩 부여하며, 정해진 시간(2~3 분)에 가장 많은 전자 배치를 표현한 모둠
모둠원과 서로 협력하고 배려하
이 우승한다.
면서 역할놀이를 하였는가?
모둠 점수 모둠 점수

1 5 | 활동 후기 | 이 활동을 통해 어떤
2 6 것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3 7
4 8

3. 전자 배치 규칙 79
원자 모형의
변천과
과학 이론의 변화 원자(atom)는 ‘더 쪼갤 수 없다.’는 뜻의 그리스어 ‘atmos’에서 유래하였
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데모크리토스(Democritos, B.C. 460?~B.C.
370?)는 ‘물질을 나누다 보면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입자인 ‘원자’에 도달한다.’라
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당시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은 주목받지 못하고 잊혀 버렸다.
원자 개념이 다시 등장하게 된 것은 2천여 년이 지난 후 돌턴에 의해서였다. 돌턴은 질량
보존 법칙, 일정 성분비 법칙 등의 자연 법칙을 근거로 ‘물질은 더는 쪼갤 수 없는 공 모양의
딱딱한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라는 원자설을 제안하였다. 그 후 약 100 년 동안 물질을 이
루는 가장 작은 입자는 원자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톰슨의 음극선 실험으로 전자가 발견되면서 원자가 더 작은 입자로 나누어질 수 있
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후 원자핵, 양성자, 중성자가 발견되고 원자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과학 이론이 탄생하기 시작했다.

+
+

+ +
+
돌턴
원자
모형
+

돌턴은 원자가 더는 쪼갤 수 없는 톰슨
원자
모형
딱딱한 공과 같다고 주장하였다.

러더퍼드
원자 모형
톰슨은 전자를 발견한 후 (+)전하가 고르게
분포된 공 속에 전자가 박혀 있는 원자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모형으로는 원자에 알
러더퍼드는 알파 입자 실험을 통해 원자핵을 발
파 입자를 쏘았을 때 튕겨 나오는 현상을 설명
견한 후,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모형을
할 수 없었다.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모형으로는 원자가 안정적
으로 존재하는 까닭을 설명할 수 없었으며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 또한 설명할 수 없었다.

80 II. 원자의 세계
과학사 과학 마당

원자의 구조와 관련된 과학 이론이 바뀌어 온 것처럼 과학 이론은 변화를 거듭하며 발전해
왔다. 과학 철학자 포퍼(Popper, K. R., 1902~1994)는 과학 이론이 합리적인 비판에
의한 ‘반증’을 통해 변화한다고 하였다. ‘반증’이란 경험적 증거로 이론이 틀렸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러더퍼드가 알파 입자 산란 실험의 결과를 톰슨의 원자 모형으로 설
명할 수 없음을 밝혀내고 새로운 원자 모형을 만든 것처럼, 반증 과정을 통해 과학 이론이 변
한다는 것이다.
쿤(Kuhn, T. S., 1922~1996)은 하나의 과학 이론의 틀 안에서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
는 일련의 과정을 ‘정상 과학’이라고 하고, 정상 과학의 틀 안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현상들이
누적될 때 새로운 이론이 등장하여 문제를 해결한다고 하였다. 쿤은 이 과정을 ‘과학 혁명’이
라고 하였다. 예를 들어 보어가 양자 이론을 도입하여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설명하면
서 새로운 원자 모형을 제시한 것을 과학 혁명이라고 볼 수 있다.

핵심 역량 펼치기

보어 원자 모형이 현대 원자 모형으로 바뀌는 역사적 과정을 조사해 보고, 어떤 경우에 기존의


과학 이론이 새로운 과학 이론으로 교체되는지 설명해 보자.

모형
현대 원자

보어 원자 모형
현대 원자 모형에서는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
을 동시에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사실을 바탕으
보어는 전자가 원자핵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로 특정 위치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 분포를
떨어져 있는 안정한 원 궤도를 돌고 있는 모형
전자 구름으로 나타낸다.
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모형으로는 다전자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설명할 수 없었다.

과학 마당 81
학습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기율표가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목표
•주기율표의 특징을 알고 다양한 활동으로 주기율표를 표현할 수 있다.

도서관에서 분류 기호를 따라가면 원하는 책을 쉽게 찾을 수 있


다. 이는 도서관의 책들이 도서 분류법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원소들은 어떤 체계로 분류할 수 있을까?

조사
탐구 활동 주기율표의 발견 과정 알아보기
사고력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준비물 목표
스마트 기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기율표가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참고 도서
필기도구 자료
그리기 도구
다음은 여러 과학자가 원소의 주기적 성질에 관해 연구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W., 1780~18
49)
J.
(Döbereiner, 뉴랜즈
되베라이너 (Newlands, J. A. R., 1837~1898)

는 원소가 개씩 한 3
비슷한 성질을 나타내 원소를 원자량 순으로 나열하면 여덟 번째마
알아내었다.
묶음을 이룬다는 사실을 다 비슷한 성질의 원소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내고, 이를 옥타브 규칙이라고 하였다.

)
deleev, D. I., 1834~1907
멘델레예프 (Men

모즐리 (Moseley
, H. G. J., 1887
~1915)
• •

• •

82 II. 원자의 세계
과정 검색

멘델레예프와 모즐리가 발표한 주기율표의 특징을 조사하여 기록을 완성해 보자. 기록에 주기율표의 역사적 배경을 검색해
보고, 멘델레예프와 모즐리의 업적
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을 찾아보자.

• 원소 분류의 목적, 분류 방법, 의미와 제한점


• 주기율표 발표 시기와 당시의 과학적 배경
• 주기율표를 연구한 계기

과정 에서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모둠별로 과학자들의 가상 대화를 꾸미고 발표 가상 대화 작성 시 관련된


다른 과학자들을 포함해도 좋다.
해 보자.


사랑 정리
화학 로
순으 성질

자량
원 비슷

즈 를 마다
뉴랜 원소 째
.... 덟 번 ?
오오 까 여 데
니 오는 하는
하 가 나 정리
원소 순으로
너 벳
라이 알파 데?
되 베 게 른
.그 다
글쎄 뭐가
거랑

즈 다.
뉴랜 셨습니 프
ㅜㅜ 장하 레예
퇴 멘델
즈 님이 원소
뉴랜 대로 여!
순서 이 보
량 성
원자 주기
... 까
그런데 보니
어, 해
정리

리 ...
모즐 에는
생각

평가하기
1 2 3 4 5

조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


였는가?
모둠원과 서로 협력하여 가상 대
화를 작성하고 발표하였는가?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

정리 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 화학에서 주기율표가 갖는 의미를 한 줄로 평가해 보자.


4. 주기율표 83
현대 주기율표의 구조
현대의 주기율표는 원소를 원자 번호 순서대로 나열하면서 화학적 성질이 비슷한 원
소가 같은 세로줄에 오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 세로줄을 족이라고 하며 1족부터 18족
까지 있다. 주기율표에서 같은 족에 속하는 원소를 동족 원소라고 하는데, 동족 원소
는 원자가 전자의 수가 같아서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다.
한편, 주기율표의 가로줄은 주기라고 하며 1주기부터 7주기까지 있다. 같은 주기에
속하는 원소는 바닥상태 원자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껍질 수가 같다.
주기율표의 원소들은 금속 원소, 비금속 원소, 준금속 원소로 분류할 수 있다. 금속
원소는 전자를 잃어 양이온이 되기 쉽고, 전기 전도성이 좋다. 금속 원소는 수은(Hg)
을 제외하고는 상온에서 고체로 존재한다.

그림 Ⅱ-23 현대 주기율표


1
주기
1 1 원자 번호 금속 원소
1 H H 원소 기호
비금속 원소
수소 2 수소 원소 이름
준금속 원소
알칼리 금속 (1족, 수소 제외) 3 4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기 쉬우며, 2 Li Be 2016 년에 추가된 원소

비금속과 반응하여 이온 결합 화합 리튬 베릴륨

물을 만든다. 11 12
3 Na Mg
나트륨 마그네슘 3 4 5 6 7 8 9
19 20 21 22 23 24 25 26 27
4 K Ca Sc Ti V Cr Mn Fe Co
칼륨 칼슘 스칸듐 타이타늄 바나듐 크로뮴 망가니즈 철 코발트

37 38 39 40 41 42 43 44 45
5 Rb Sr Y Zr Nb Mo Tc Ru Rh
루비듐 스트론튬 이트륨 지르코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테크네튬 루테늄 로듐

55 56 57~71 72 73 74 75 76 77
6 Cs Ba 란타넘족 Hf Ta W Re Os Ir
세슘 바륨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레늄 오스뮴 이리듐

87 88 89~103 104 105 106 107 108 109


7 Fr Ra 악티늄족 Rf Db Sg Bh Hs Mt
프랑슘 라듐 러더포듐 더브늄 시보꾅 보륨 하슘 마이트너륨

알칼리 토금속 (2족)


57 58 59 60 61 62 63
알칼리 금속과 성질이 유사하나 지 란타넘족 La Ce Pr Nd Pm Sm Eu
각에 많이 존재하여 토금속이라고 란타넘 세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프로메튬 사마륨 유로퓸
불린다.
89 90 91 92 93 94 95
악티늄족 Ac Th Pa U Np Pu Am
악티늄 토륨 프로트악티늄 우라늄 넵투늄 플루토늄 아메리슘

84 II. 원자의 세계
비금속 원소는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되기 쉽고, 전기 전도성이 좋지 않다. 비금속 IUPAC(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
원소는 상온에서 대부분 기체와 고체로 존재하며, 브로민(Brª)처럼 액체로 존재하는 원자량이나 화합물의 명명법 등 화
것도 있다. 준금속 원소는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 성질을 가지고 있는 원소로, 반도체 학 연구의 중요한 문제들을 토의하
고 결정하는 국제기관이다.
에 사용하는 규소(Si), 저마늄(Ge) 등이 대표적인 준금속 원소이다.
2016 년 IUPAC에서는 그동안 빈칸으로 남아 있던 원자 번호 113, 115, 117,
118 번 원소가 추가된 주기율표를 발표하였다. 이처럼 현대의 주기율표는 완성된 형태
가 아니라 계속해서 변할 수 있다.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금속 원소는 전자를 잃어 ( )이온이 되기 쉽고, 비금속 원소는 전자를 얻어 ( )이온이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되기 쉽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주기율표
2 주기율표의 같은 세로줄에 있는 원소들의 공통점을 설명해 보자.

(자료 출처: 대한화학회)


18 주기
2
He 1
13 14 15 16 17 헬륨
비활성 기체 (18족)
5 6 7 8 9 10
화학 반응성이 거의 없는 원소이다.
B C N O F Ne 2
붕소 탄소 질소 산소 플루오린 네온

13 14 15 16 17 18
Al Si P S Cl Ar 3
10 11 12 알루미늄 규소 인 황 염소 아르곤

28 29 30 31 32 33 34 35 36
Ni Cu Zn Ga Ge As Se Br Kr 4
니켈 구리 아연 갈륨 저마늄 비소 셀레늄 브로민 크립톤

46 47 48 49 50 51 52 53 54
Pd Ag Cd In Sn Sb Te I Xe 5
팔라듐 은 카드뮴 인듐 주석 안티모니 텔루륨 아이오딘 제논

78 79 80 81 82 83 84 85 86
Pt Au Hg Tl Pb Bi Po At Rn 6
백금 금 수은 탈륨 납 비스무트 폴로늄 아스타틴 라돈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Ds Rg Cn Nh Fl Mc Lv Ts Og 7
다름슈타튬 뢴트게늄 코페르니슘 니호늄 플레로븀 모스코븀 리버모륨 테네신 오가네손
할로젠 원소 (17족)
64 65 66 67 68 69 70 71 금속과 반응하여 이온 결합 화합물
Gd Tb Dy Ho Er Tm Yb Lu 을 만든다. 할로젠이라는 명칭은
가돌리늄 터븀 디스프로슘 홀뮴 어븀 툴륨 이터븀 루테튬 ‘halos genes(소금을 만든다)’는
96 97 98 99 100 101 102 103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다.
Cm Bk Cf Es Fm Md No Lr
퀴륨 버클륨 캘리포늄 아인슈타이늄 페르뮴 멘델레븀 노벨륨 로렌슘

4. 주기율표 85
만들기
탐구 활동 다양한 활동으로 주기율표 표현하기

준비물 목표
스마트 기기 다양한 활동으로 주기율표를 만들면서 주기율표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필기도구

과정 및 결과
주기율표를 어떤 활동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모둠별로 토의해 보자.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효과적인 재
료와 방법을 찾아볼 수 있다.

기율표
입체 주기율표 주기율표 액세 그림 카드 주 먹을 수 있는 주기율표
서리

원소의 특징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어때?
먹을 수 있는
주기율표를 언제든지 주기율표를 만들면
가지고 다니면서 재미있을 것 같아.
주기율표를 꼭
평면으로만 보고 싶어.
그려야 할까?

86 II. 원자의 세계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과정 에서 토의한 활동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모둠별로 주기율표를 만들어 보자.

•준비물에는 주기율표 제작에 필요


한 도구와 재료를 모두 기록한다.
•주기율표 제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모둠원들끼리 적절하게 역할을 나
누어 작업하면 효율적으로 주기율
표를 제작할 수 있다.

평가하기
1 2 3 4 5

주기율표 표현을 위한 토의에서


한 가지 이상의 의견을 제시하였
는가?
모둠원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
였는가?
완성된 주기율표를 친구들에게 소개해 보자.
주기율표 제작 과정에 적극적으
로 참여하였는가?
정리

1. 우리 모둠의 주기율표는 주기율표의 어떤 특성에 중점을 두고 표현하였는지 발표해 보자.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
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2. 우리 모둠에서 만든 주기율표의 장점은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4. 주기율표 87
학습 •주기율표에서 유효 핵전하, 원자 반지름, 이온화 에너지의 주기적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목표
•2주기, 3주기 원소의 유효 핵전하, 원자 반지름, 이온화 에너지를 그래프에 표시하고 그 경향을 설명할 수 있다.

달력의 세로 줄인 ‘요일’과 가로 줄인 ‘주’는 숫자


7과 관련이 있다. 주기율표에 배치된 원소 사이에
는 어떤 비밀이 숨어 있을까?

주기율표의 족과 주기에 따라 원자의 전자 배치를 전자 껍질 모형으로 나타내면 그


림 Ⅱ-24와 같다. 이를 살펴보면 족과 주기에 따라 전자 배치에 일정한 경향이 나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원자 내 전자 배치는 원소의 화학적 성질을 결정하므로, 전자 배치의 주기적 변화는
원소의 성질 역시 주기적으로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료 읽기 1.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에 따라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변하는 것: 변하지 않는 것:

2. 같은 족에서 원자 번호에 따라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변하는 것: 변하지 않는 것:

1족 2족 13족 14족 15족 16족 17족 18족

1+ 2+
1주기
H He

3+ 4+ 5+ 6+ 7+ 8+ 9+ 10+
2주기

Li Be B C N O F Ne

11+ 12+ 13+ 14+ 15+ 16+ 17+ 18+


3주기

Na Mg Al Si P S Cl Ar

19+ 20+
4주기

K Ca

그림 Ⅱ-24 전자 껍질 모형에 따른 원자 번호 1~20 번 원소의 전자 배치

88 II. 원자의 세계
유효 핵전하
원자 번호가 증가하면 양성자수가 1씩 증가하면서 원자핵의 전하가 +1씩 증가한
다. 그렇다면 전자에 실제로 작용하는 핵전하도 같은 크기만큼 증가할까?
그림 Ⅱ-25에서 수소 원자는 양성자 1 개와 전자 1 개를 가지고 있으므로 전자에
작용하는 핵전하가 +1이다. 반면 탄소 원자는 양성자 6 개와 전자 6 개를 가지고 있지
만, 원자 내에 있는 전자들이 서로 핵전하를 가리기 때문에 전자가 실제로 느끼는 핵전
하는 +6보다 작다. 이처럼 전자에 실제로 작용하는 핵전하를 유효 핵전하라고 한다.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증가하면 양성자수가 증가하여 핵전하가 증가하므로 원
자가 전자에 작용하는 유효 핵전하도 증가한다.

핵전하를 가리는 안쪽 전자 껍질의 전자


1+ 6+
전자가 없으므로 2 개와 같은 전자 껍질의
유효 핵전하는 전자 3 개가 핵전하를 가
+1이다. 리므로 유효 핵전하가
+6보다 작다.

수소 탄소

그림 Ⅱ-25 수소, 탄소 원자의 유효 핵전하

유효 핵전하가 증가하면 원자핵과 전자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의 크기는 어떻게 되는가?

원자 반지름
원자 반지름은 원소의 특성에 따라 측정하는 방식이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같은 종류의 원자가 결합하고 있을 때 두 원자핵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나타낸다. 예

를 들어 수소(H) 원자의 반지름은 수소(Hª) 분자를 이루는 원자핵 사이 거리의 ;2!; 로

나타낸다. 금속 나트륨(Na)의 원자 반지름은 나트륨 결정에서 인접한 두 원자핵 사이

거리의 ;2!;로 나타낸다.

수소 분자 금속 나트륨
18족 원소는 결합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다른
방법으로 원자 반지름을
정한다.
74 pm 372 pm

37 pm 186 pm

원자 반지름 원자 반지름

그림 Ⅱ-26 수소 원자와 나트륨 원자의 반지름

5. 원소의 주기적 성질 89
주기율표에서 원소들의 원자 반지름은 비교적 규칙적으로 변한다. 다음 활동을 통해
원자 반지름의 주기적 성질을 알아보자.

실험 해 보기 원자의 상대적 크기 비교하기 사고력 탐구 능력

부록 209 쪽, 211 쪽의 원자 반지름 모형을 오리자.


준비물

원자 반지름 모형 원자 반지름 모형을 족과 주기별로 나열하여 원


가위
자의 상대적 크기를 비교해 보자.

표에 제시된 상대적 크기를 원자 번호 원소 원자 반지름(pm) 원자 번호 원소 원자 반지름(pm)


이용하여 직접 모형을 만들어 보는
3 Li 152 11 Na 186
것도 좋다.
4 Be 112 12 Mg 160
5 B 85 13 Al 143
6 C 77 14 Si 118
7 N 75 15 P 110
8 O 73 16 S 103
9 F 72 17 Cl 100
(자료 출처: 『Silberberg & Amateis Chemistry』, 2015.)

정리

1. 같은 족에서 원자 번호가 증가할 때 원자 반지름은 어떻게 변하는지 쓰고, 그 까닭을 설명


해 보자.

2.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증가할 때 원자 반지름은 어떻게 변하는지 쓰고, 그 까닭을 설


명해 보자.

90 II. 원자의 세계
같은 족에서는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전자 껍질 수가 증가하여 원
3+ 4+

자 반지름이 커진다. 예를 들어 같은 1족 원소인 리튬과 나트륨을 비


핵전하
교해 보면, 전자 껍질이 3 개인 나트륨이 전자 껍질이 2 개인 리튬보 +3 → +4
리튬 베릴륨
다 원자 반지름이 크다. 전자 껍질
2→3
한편, 같은 2주기 원소인 리튬과 베릴륨은 전자 껍질 수가 같지만,
11+
원자 반지름은 베릴륨이 리튬보다 작다. 이는 원자 번호가 큰 베릴륨
이 리튬보다 유효 핵전하가 커서 전자들을 원자핵 쪽으로 더 강하게
끌어당기기 때문이다. 이처럼 같은 주기에서는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
나트륨
록 유효 핵전하가 증가하여 원자 반지름이 작아진다. 그림 Ⅱ-27 같은 족과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의 변화

자료실 이온 반지름

원자가 전자를 잃거나 얻어 이온이 되면 이온 반지름은 원자 반지름과 달라진다. 먼저


나트륨과 같이 금속 원자가 원자가 전자를 모두 잃어 양이온이 될 때는 전자 껍질 수가 감
소한다. 따라서 양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반지름보다 작아진다.
반면, 염소와 같은 비금속 원소가 가장 바깥 전자 껍질에 전자를 받아들여 음이온이 되
면 핵전하는 같지만 전자 수가 증가하므로 전자 사이의 반발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음이온
의 반지름은 원자 반지름보다 커진다.

11+ 11+ 11+ 11+ 17+ 17+ 17+ 17+

Na Na Na± Na± Cl— Cl— Cl— Cl—

그림 Ⅱ-28 나트륨(Na) 원자와 염소(Cl) 원자가 이온이 될 때의 전자 배치

창의 융합 사고 OÛ`Ñ, FÑ`, Na±, MgÛ`±의 반지름 크기를 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하고, 그렇


게 나열한 까닭을 설명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다전자 원자에서 전자에 작용하는 실제 핵전하를 ( )(이)라고 한다.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다음 원소 중 원자 반지름이 더 큰 것을 고르고, 그 까닭을 설명해 보자. 유효 핵전하의 주기성
(1) Mg, Ca (2) N, F 원자 반지름의 주기성

5. 원소의 주기적 성질 91
이온화 에너지
기체 상태의 원자로부터 전자 1 개를 떼어 내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이온화
에너지라고 한다. 그림 Ⅱ-29와 같이 나트륨(Na) 원자에 에너지(E)를 가하면 가장
바깥 전자 껍질의 전자가 원자핵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면서 나트륨 이온(Na±)이 만들
어진다.

Na( g) + E 11Ú Na±( g) + eÑ


E

11+ 11+ +

Na(g) Na±(g)

그림 Ⅱ-29 나트륨(Na) 원자의 이온화 에너지

이온화 에너지의 크기는 원자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원자핵과 전자 사이에 작용하


는 인력이 강할수록 전자를 떼어 내기 어려우므로 이온화 에너지도 커진다. 같은 주기
에서는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이온화 에너지가 대체로 증가하는데, 이는 양성자수가
증가하면서 유효 핵전하가 커지기 때문이다. 같은 족에서는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이온화 에너지가 감소하는데, 이는 전자 껍질 수가 증가하면서 가장 바깥 전자 껍질의
전자가 원자핵으로부터 멀어져서 전자와 원자핵 사이의 인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 He

화 Ne
에 2000

지 Ar
N
( kJ/mol )

F
C O P
H Cl
1000 Be
Mg
S
Ca
B Si
Li Na Al
K

0 5 10 15 20
원자 번호

그림 Ⅱ-30 원자 번호 1~20 번 원자의 이온화 에너지 (자료 출처: 『Silberberg & Amateis Chemistry』 , 2015.)

자료 읽기 1. 같은 주기에서 족의 이온화 에너지가 가장 작고, 족의 이온


화 에너지가 가장 크다.

2. 이온화 에너지가 ( 크면, 작으면 ) 전자를 잃기 쉬우므로 양이온이 되기 쉽다.

92 II. 원자의 세계
2 개 이상의 전자를 갖는 원자에서 전자를 1 개 이상 떼어 내는 경우, 첫 번째 전자
를 떼어 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일 이온화 에너지(EÁ)라고 한다. 그리고 두 번째
전자를 떼어 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이 이온화 에너지(Eª), 세 번째 전자를 떼어
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삼 이온화 에너지(E£)라고 한다. 이러한 EÁ, Eª, E£… 을
순차 이온화 에너지라고 한다.

Mg( g)+EÁ 1Ú Mg±( g)+eÑ Mg±( g)+Eª 1Ú MgÛ`±( g)+eÑ MgÛ`±( g)+E£ 1ÚMgÜ`±( g)+eÑ
그림 Ⅱ-31 마그네슘(Mg) 원자의 순차 이온화 에너지

실험 해 보기 순차 이온화 에너지의 3차원 모형 만들기 사고력

표는 나트륨(Na),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원자의 순차 이온화 에너지(EÁ~E¢)를 나 준비물


96홈판
타낸 것이다. 색 빨대를 사용하여 각 원자의 순차 이온화 에너지 크기를 96홈판에 나타내 보자.
색 빨대(4 종)
가위
순차 이온화 에너지 (kJ/mol)
원소
EÁ Eª E£ E¢

Na 496 4562 6910 9546


Mg 738 1451 7733 10542
Al 578 1817 2745 11578
(자료 출처: 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

정리

1. 각 원자의 순차 이온화 에너지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은 몇 번째인가?

2. 정리 1과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까닭을 설명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이온화 에너지는 원자핵과 전자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이 강할수록 ( 크다, 작다 ).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다음 원자의 이온화 에너지 크기를 비교하여 >, =, <로 나타내 보자.
이온화 에너지의 주기성
(1) He, Ne, Ar (2) B, C, N

5. 원소의 주기적 성질 93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200
원 2주기 원소
자 Na
180 3주기 원소


름 160
Li Mg
(

pm
)

140

120
Be
100

80

0
1 2 13 14 15 16 17 족

2800
이 2주기 원소

화 2400 3주기 원소

너 2000

( kJ/mol)

1600

1200
Be
800
Li
Mg
400 Na

0
1 2 13 14 15 16 17 족

정리

1. 모둠별로 2주기, 3주기 원소의 주기적 성질을 정리한 후, 발표해 보자. 평가하기
1 2 3 4 5

● 유효 핵전하

주기적 성질을 그래프에 바르게


나타냈는가?
모둠원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
● 원자 반지름

였는가?
그래프를 통해 원소의 주기적 성
질을 알아낼 수 있었는가?
● 이온화 에너지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

2주기 원소 중 B는 Be보다, O는 N보다 이온화 에너지의 크기가 작다. 이는 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2. 창의력

3주기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데, 그 까닭은 무엇인지 조사해 보자.

5. 원소의 주기적 성질 95
직업 마당

톰슨과 러더퍼드의
후예들
입자 가속기
연구원
2012 년 유럽 원자핵 공동 연구소(CERN)는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를 이용
하여 물질에 질량을 부여하는 입자인 ‘힉스 입자’를 발견하는 데 성공하였다. 자연
속에서 관찰할 수 없었던 힉스 입자를 입자 가속기 실험을 통해 발견한 것이다. 이
처럼 입자 가속기 연구는 물질의 구조와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히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Q 입자 가속기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전자나 양성자와 같이 전하를 띤 입자가 전기장이나 자기장 속을 통과하면 힘을
받아 가속되는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입자들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가까울 정
도로 증가한다. 이렇게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입자를 다른 입자에 충돌시키면
더 작은 소립자로 부서지는데, 충돌로 생성된 소립자들의 물리량을 분석하면 입자
를 구성하는 물질들을 알아낼 수 있다. 입자를 더 빠른 속도로 충돌시키면 높은 에
너지를 가진 소립자들이 생성되어 새로운 현상을 관찰할 수도 있다. 또 입자가 가
속되면서 방출하는 빛을 여러 가지 실험에 활용하기도 한다.

Q 입자 가속기를 이용하여 어떤 일들을 하고 있나요?


빅뱅 직후의 시점을 재현하여 우주 탄생의 원리를 알아낼 수 있으며, 물질 내부
의 원자 배열 상태나 전기적 성질을 알아내어 물질의 구조를 확인한다. 또 원자 구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
사진에서 큰 원이 LHC의 위 조를 변화시켜 새로운 원소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한편, 실용 분야에서는 방사성
치를 표시한 것이다. LHC는 동위 원소의 생산,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분석 등에 입자 가속기를 활용하고 있다.
둘레 27 km 의 거대한 시설
로, 세계 최대 규모의 원형 입
특히 중입자 가속기는 몸속에 있는 암세포를 정확하게 파괴할 수 있어서 의료용으
자 가속기이다. 로 개발되고 있다.

핵심 역량 펼치기 우리나라에 있는 입자 가속기를 찾아보고, 그 특징을 조사해 보자.

96 II. 원자의 세계
대단원 마무리 II. 원자의 세계

핵심 개념 정리하기

원자의
원자의구성
구성입자
입자 양성자, 중성자, 전자

원자의 구조

원소의
원소의표시
표시 원자 번호, 질량수, 동위 원소, 평균 원자량

현대 원자 모형 전자 껍질, 바닥상태, 들뜬상태, 오비탈, 양자수


원자의
세계
전자 배치 원리 쌓음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 훈트 규칙 바닥상태 전자 배치

주기율표 주기율표의 변천, 현대 주기율표

원소의 주기적 성질

주기적 성질 유효 핵전하, 원자 반지름, 이온화 에너지

핵심 개념 적용하기

01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를 해 보자.

⑴ 전자는 톰슨의 음극선 실험을 통해 발견되었다. ( ○, ×)

⑵ 동위 원소는 원자 번호가 같지만 양성자수가 달라서 질량수가 다른 원소이다. ( ○, ×)

⑶ 현대 원자 모형에서 부 양자수는 전자 스핀을 나타낸다. ( ○, ×)

⑷ 훈트 규칙에 따르면 에너지 준위가 같은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질 때 전자들은 가능한 한


쌍을 이루지 않는다. ( ○, ×)

⑸ 현대 주기율표의 가로줄은 주기, 세로줄은 족이라고 한다. ( ○, ×)

⑹ 같은 족에서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원자 반지름이 감소한다. ( ○, ×)

⑺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이 강할수록 이온화 에너지가 감소한다. ( ○, ×)

대단원 마무리 97
대단원 마무리 II. 원자의 세계

1. 원자의 구조 58 쪽 2. 현대 원자 모형 68 쪽

02 그림은 원자 A~C의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05 현대 원자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채드윅이 제안하였다.
② 전자가 (+)전하를 띤 공 속에 박혀 있다.
③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알 수 있다.
④ 알파 입자 산란 실험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A B C
⑤ 네 가지 양자수를 이용하여 원자 내에 있는 전자의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 , 상태를 나타낸다.
는 각각 양성자, 중성자, 전자이고, A~C는 임의의 원
소 기호이다.)
2. 현대 원자 모형 68 쪽
① A는 1족 원소이다.
06 그림은 몇 가지 오비탈을 나타낸 것이다.
② B의 원자 번호는 3이다. z z z z
y y y y
③ A와 B는 동위 원소이다.
④ B와 C의 질량수는 같다. x x x x

⑤ C에 원자 번호와 질량수를 표시하면 ¢Ü`C이다.


s 오비탈 p≈ 오비탈 p¥ 오비탈 pz 오비탈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1. 원자의 구조 58 쪽 고른 것은?
03 다음 원소의 질량수를 각각 구해 보자. <보기>
ㄱ. s 오비탈은 방향성이 없다.
원소 양성자수 중성자수 전자 수
ㄴ. 오비탈은 원자핵 주위에서 전자가 존재할 확률을
Be 4 5 4
나타낸 것이다.
O 8 7 8
ㄷ. p 오비탈이 세 가지 방향으로 나뉘는 것은 자기 양
Ca 20 24 20
자수로 설명할 수 있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2. 현대 원자 모형 68 쪽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4 보어 원자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자가 일정한 궤도를 돌고 있다.


② 전자가 원자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에너지가 감소 3. 전자 배치 규칙 76 쪽

한다. 07 탄소( ¤C) 원자의 전자 배치로 가능하지 않은 것은?

③ 전자가 낮은 에너지 준위로 전이할 때 에너지를 방 1s 2s 2p

출한다. ①

④ 같은 궤도를 돌고 있는 전자는 에너지를 흡수하거 ②

나 방출하지 않는다. ③

⑤ 보어 원자 모형으로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설 ④

명할 수 있다. ⑤

98 II. 원자의 세계
3. 전자 배치 규칙 76 쪽 5. 원소의 주기적 성질 88 쪽

08 이온 A±과 BÑ은 그림과 같이 동일한 전자 배치를 갖 10 그림은 2~3주기 원소의 이온화 에너지를 족에 따라 나
는다. 타낸 것이다. 같은 선으로 연결한 원소는 같은 주기에
1s 2s 2p 속한다.

이 2500

바닥상태의 원자 A와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화 2000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와 B는 임의의 너 1500 B

원소 기호이다.) A E

( kJ/mol )
1000
D
<보기> 500 C

ㄱ. A의 원자 번호는 11이다. 0
1 2 13 14 15 16 17 18
ㄴ. A와 B는 같은 주기 원소이다. 족

ㄷ. B는 A보다 원자가 전자가 6 개 더 많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A~E는 임의의 원
소 기호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 A는 3주기 원소이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② E는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되기 쉽다.
③ 원자 반지름은 B가 D보다 크다.
④ 원자가 전자의 유효 핵전하는 C가 E보다 크다.
⑤ A와 D로 구성된 안정한 화합물의 화학식은 ADª
이다.
5. 원소의 주기적 성질 88 쪽

11 표는 3주기 원소 A, B의 순차 이온화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4. 주기율표 82 쪽

09 다음은 주기율표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순차 이온화 에너지(kJ/mol)


원소
EÁ Eª E£ E¢
족 1 2 13 14 15 16 17 18
주기 A 578 1817 2745 11578
1 A
B 738 1451 7733 10542
2 B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3 C D E
고른 것은? (단, A와 B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A~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A~E는 <보기>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ㄱ. A의 안정한 이온은 AÜ`±이다.


ㄴ. 원자가 전자 수는 A가 B보다 적다.
① A와 C는 금속 원소이다.
ㄷ. 기체 상태의 B 원자가 BÛ`±이 되는 데 필요한 에너
② B는 비활성 기체이다. 지는 1451 kJ/mol이다.
③ 원자가 전자 수는 C가 D보다 적다.
④ 원자 반지름은 D가 E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⑤ E는 안정한 이온이 될 때 전자를 얻는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대단원 마무리 99
대단원 마무리 II. 원자의 세계

핵심 역량 키우기
1. 원자의 구조 58 쪽 4. 주기율표 82 쪽

12 탐구 능력 그림은 알파 입자 산란 실험을 나타낸 것이다. 15 문제 해결력 그림은 주기율표의 일부분을 간단히 나타

산란된 알파 입자
낸 것이다.
알파 입자
(가)

(마) (바)
형광 스크린
(나)
(라)
(다)

얇은 금박 대부분의 알파 입자는
산란되지 않는다.
⑴ (가)~(바) 중 원자가 전자가 s 오비탈에만 존재하
알파 입자 산란 실험의 결과에 근거하여 러더퍼드가 제
는 원소가 속하는 영역을 모두 골라 보자.
안한 원자의 구조를 설명해 보자.
⑵ 전구를 충전하는 기체로 적절한 원소는 (가)~(바)
중 어느 영역에서 찾을 수 있는지 쓰고, 그 까닭을
설명해 보자.
2. 현대 원자 모형 68 쪽

13 사고력 그림은 보어 원자 모형과 현대 원자 모형을 나


타낸 것이다.

보어 원자 모형 현대 원자 모형
5. 원소의 주기적 성질 88 쪽
두 원자 모형의 특징을 설명하고, 보어 원자 모형이 현
16 사고력 그림에서 (가)와 (나)는 몇 가지 원소의 원자
대 원자 모형으로 바뀐 까닭을 설명해 보자.
반지름과 원자가 전자의 유효 핵전하 중 하나를 각각 나
타낸 것이다.

200 8
반 유
지 효
3. 전자 배치 규칙 76 쪽 름
(가) 핵
14
(

의사소통 능력 바닥상태 원자에서 오비탈에 전자가 채 pm 전



)

100 (나) 4
(

워질 때는 다음 세 가지 규칙을 따른다. 상


)

•쌓음 원리
0 0
•파울리 배타 원리 N O F Na Mg Al

•훈트 규칙
⑴ (가)와 (나)는 각각 무엇에 해당하는지 써 보자.
위 규칙 중 하나를 골라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⑵ 각 원자가 Ne의 전자 배치를 갖는 이온이 되었을 때
적절한 비유를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의 이온 반지름을 예상하여 위 그림에 나타내 보자.

100 II. 원자의 세계


논술 | 과학 글쓰기

17 다음은 미국의 공장에서 라듐을 이용하여 시계 야광 판에 색을 칠하던 중 피폭당한


여성 노동자들의 이야기이다.

라듐이 발견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1900 년대 초반, 유럽과 미국에서는 라듐의


인기가 매우 높았다. 사람들은 라듐의 발광 특성 때문에 라듐을 귀한 금속이라고
생각했고, 심지어 만병통치약이라고 여겨 섭취하기까지 했다. 이 시기에 ‘유에스
라듐사’는 라듐 페인트를 이용한 야광 시계를 제조하여 군대에 납품하였다. 이 공
장에서 일하던 여성 노동자들은 라듐 페인트를 시계의 숫자 판에 정확하게 칠하기
위해 입술로 붓끝을 뾰족하게 만들어 가며 하루에 250 개가량의 숫자 판을 칠했다.
그러던 어느 날, 이 여성들에게 이가 빠지고 턱이 썩으며 빈혈이 계속되는 증상
이 나타났고, 1924 년에는 9 명이 사망하기에 이르렀다. 회사는 이들의 죽음이 작
업과 관계있다는 과학자들의 조사 결과를 받지만 발표를 거부하였다. 1925 년 그
레이스 프라이어와 4 명의 여성 노동자들은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였고, 이
들은 ‘라듐 아씨들(radium girls)’로 세상에 알려졌다. 그러나 회사의 방해로 첫
공판 날짜를 잡는 데만 3 년이 걸렸고, 그 사이 13 명이 추가로 사망하였다. 결국,
건강이 악화한 여성 노동자들은 1928 년 6 월 공판을 앞두고 회사가 제안한 적은
보상금에 합의했다.
한편, 또 다른 야광 시계 제조사인 ‘라듐 다이얼’은 1925 년과 1928 년에 직원
들의 방사능 수치를 조사하였는데, 이를 은폐하다가 1938 년 직원이었던 캐서린
도나휴의 고소로 10 년 만에 조사 결과를 공개하였다. 그러나 법정에 늘 실려 들
어가야만 했던 그녀는 보상도 받지 못하고 같은 해에 사망하였다.

(자료 출처 : EBS 지식 채널 e, 지식 e inside / 김정규, 역사로 보는 환경 )

⑴ 자신이 ‘유에스 라듐사’의 중간 관리자라고 생각하고, 여성 노동자들의 죽음이 작업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제보하기 위한 글을 써 보자.

⑵ 자신이 변호사라고 가정하고, 자본가와 노동자 중 한쪽을 선택하여 변호하는 글을


써 보자.

논술 | 과학 글쓰기 101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화학 결합의 전기적 성질 루이스 전자점식

이온 결합 전자쌍 반발 이론과 분자의 구조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분자의 극성

결합의 극성
“나는 인류의 목표가 지구상에서 고통받는 사람의 수를 줄이는 것이라고 믿
는다.”
- 폴링(Pauling, L. C., 1901~1994) -

세상의 모든 물질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 이것은 화학의 바탕이 되는 중요한 질문이다. 폴링

은 전기 음성도 개념을 도입하고, 수소 결합과 금속 결합에 대한 이론 등 화학 결합에 대한 폭넓은 연

구로 1954 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특히 폴링은 핵무기 등의 과학 기술이 인류를 살상하는 데 쓰

이는 것을 반대하는 등 세계 평화를 위한 여러 활동에도 앞장서 1962 년 노벨 평화상도 수상하였다.

이 단원에서는 여러 가지 화학 결합의 형성을 전기적 성질로 설명하고, 화학 결합의 종류와 특징

을 알아보자. 또 원소들의 전기 음성도 차이와 쌍극자 모멘트로 결합의 극성을 설명하고, 전자쌍 반

발 이론에 근거하여 분자 구조를 예측해 보자.



량 활동으
과학 역

단원 열기 동굴의 생성

그림은 멕시코 나이카 광산 지하에서 발견된 동굴 내부 모습이다. 주성


분이 황산 칼슘(CaSO¢)인 석고 결정이 거대하게 자라 동굴 내부를
기둥처럼 받치고 있는 신비로운 모습을 하고 있다. 동굴 내부의 온
도와 습도가 결정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되고, 사
람의 접근이 쉽지 않아 백만 년 이상 동안 결정이 이렇게 엄청
난 크기로 자랄 수 있었다.

그림은 빙하와 화산으로 유명한 아이슬란드 스카프타펠에 있


는 얼음 동굴이다. 얼음 동굴은 빙하 아래에서 흐르는 물과 화산에
서 올라오는 지열에 의해 빙하 내부가 녹으면서 생성된다. 빙하는 매우
느린 속도이지만 끊임없이 움직
이므로 빙하 동굴의 위치
와 모양은 계속 변하
고 동굴 붕괴 가능
성도 크다.

104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1. 탐구 능력 멕시코 나이카 동굴과 아이슬란드 동굴 내부의 모습이 다른 까닭을 동굴을 이
루는 물질의 성질과 연관 지어 설명해 보자.

2. 문제 해결력 그림은 석회 동굴과 용암 동굴 내부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동굴이


어떻게 생성되는지 조사해 보고, 그 동굴을 이루는 물질의 특성을 알아보자.

석회 동굴 용암 동굴

핵심 개념
이어 보기 알고 있는 개념을 찾아보고, 이 단원에서 학습할 핵심 개념을 알아보자.

선수 학습 개념 이 단원의 핵심 개념 후속 학습 개념

>> 통합과학 •이온 결합 •결합의 극성 >> 화학 II


•이온 결합, 공유 결합 •공유 결합 •전자점식 •분자 간 상호 작용

>> 화학 Ⅰ •금속 결합 •전자쌍 반발 이론 •액체의 성질


•전자 배치 •전기 음성도 •분자 구조 •고체의 결정 구조
•주기적 성질 •쌍극자 모멘트

과학 역량 활동으로 단원 열기 105
1. 화학 결합의 전기적 성질

학습 •실험을 통해 화학 결합의 전기적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목표
•이온 결합과 공유 결합의 형성에 전자가 관여하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우리는 평생 수많은 사람을 만나며 살아간다. 주기율표의 원자


들도 같은 원자끼리, 또는 서로 다른 원자들과 결합을 형성하여 다
양한 물질을 이룬다. 이러한 화학 결합의 형성에 관여하는 것은 무
엇일까?

화학 결합
화학 결합에는 원소들이 전자를 주고받아 형성된 이온 사이에 이루어지는 이온 결합
과 원자들 사이에 전자를 공유하여 이루어지는 공유 결합 등이 있다. 화학 결합의 형
성에 전자가 관여하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자료
해석 해 보기 염화 나트륨 용융액의 전기 분해 사고력 탐구 능력

검색 다음은 민수가 염화 나트륨 용융액의 전기 분해 실험에 관해 조사하고 쓴 보고서의 일부


염화 나트륨 용융액의 전기 분해 실 이다. 보고서를 완성해 보자.
험 동영상을 찾아보자.

고체 염화 나트륨이 들어 있는 도가니에
실험 전극을 넣고 전원 장치와 전구를 연결한
과정 및 다음 가열했다 식히면서 변화를 관찰한다. 염화 나트륨
용융액
장치

전기 분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화합물을
1. 염화 나트륨이 녹으면 전구의 불이 켜지고, 식어서 굳으면 전구의 불이 꺼진다.
성분 원소로 분해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까닭은 .
2. (+)극 주변에서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황록색 기체가 발생하고, (-)극 주변
정리 에 은색 물질이 액체 상태로 떠 있다.
나트륨 이온과 염화 이온으로 이루어진 염화 나트륨 용융액을 전기 분해할 때
(+)극에서 이/가, (-)극에서 이/가 생성되는 까닭
은 전류를 흘려주면 .

106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염화 나트륨은 고체 상태에서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서로 단단하게 결합하여 자유롭
게 움직일 수 없으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하지만 염화 나트륨을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만들면 결합이 약해져 이온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전류가 흐른다.
이처럼 용융된 염화 나트륨에서 전류가 흐르는 것을 통해 염화 나트륨이 전하를 띤 입
자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a± Cl—

+ +

고체 상태 액체 상태 +

그림 Ⅲ-1 고체 및 액체 상태에서 염화 나트륨의 전기 전도성

용융액
한편, 염화 나트륨 용융액에 전류를 흘려주 (-)극 (+)극 녹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고체가 융
면 전극 주변에서 염화 이온과 나트륨 이온이 e— 해되어 액체가 된 상태이다.
e—
각각 전자를 잃거나 얻어서 염소 기체와 나트 Cl Cl
륨이 된다.
Na± Cl—
이처럼 전류가 흐르면서 나트륨과 염소가 Na Cl—
Na
Na± Cl—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나트륨과 염소가 결합 Cl—
Na± Na±
Na± Cl—
하여 염화 나트륨을 형성하는 과정에 전자가
관여함을 알 수 있다. 그림 Ⅲ-2 염화 나트륨 용융액의 전기 분해

창의 융합 사고 염화 나트륨 용융액의 전기 분해 실험에서 생성된 은색 물질이 나트륨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중 염화 나트륨이나 염화 마그네슘이 형성될 때 관여하는 입자는 ( )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이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화학 결합의 전기적 성질
2 염화 나트륨은 고체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나 액체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른다. 그 까닭은 무 전자
엇인지 써 보자.

1. 화학 결합의 전기적 성질 107


실험
탐구 활동 물의 전기 분해 실험하기

1785 년 라부아지에는 과학자 30여 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가열한 철관에


물을 통과시켜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데 성공하였다. 라부아지에는 이
를 통해 물은 원소가 아니며 산소와 수소가 결합한 물질임을 증명하였다.
물 분자는 산소 원자 1 개와 수소 원자 2 개가 전자쌍을 공유하여 형성되는
공유 결합 화합물이다.

준비물

황산 나트륨 증류수
24홈판 빨대 2 개
침핀 집게 달린 전선
비커 9 V 건전지
플라스틱병 스포이트
목표
실리콘 마개
실리콘 빨대 뚜껑 물의 전기 분해 실험을 통하여 물 분자를 이루는 결합에 전자가 관여함을 설명할 수 있다.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

다가서기
유의할 점
1. 물의 분해 반응식을 써 보자.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을
착용한다.
•두 전극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물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기체의 부피비(수소 : 산소)를 써 보자.
•실험 후 사용한 시약은 폐수통에
버린다.

과정
비커에 증류수 50 mL를 넣고 황산 나트륨을 소량 녹이자.
증류수에 황산 나트륨을 녹이는 까닭은 무엇인가?

빨대 2 개에 각각 실리콘 빨대 뚜껑과 마개를 씌우고 과정 의 수용액을 가득 채우자.


황산 나트륨
수용액 홈판의 한 홈에 플라스틱병을 끼우고, 과정 의 용액을 병에 절반 정도 채우자.

플라스틱병에 과정 의 빨대를 뒤집어 세운 뒤, 빨대의 아래쪽에 침 핀을 꽂아 건전지에


(+)극 (-)극
연결하고 전기 분해가 일어나게 하자.

침 핀은 될 수 있는 대로 빨대 아래쪽에 꽂아 전기 분해가 충분히 일어나게 한다.

각 전극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고, 생성된 기체의 부피비를 확인해 보자.

108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결과
● (+)극과 (-)극에서 발생하는 기체의 부피비를 쓰고, 이를 통해 물에 대해 알 수 있는 사

실을 써 보자.

정리

1. 전류를 흘려주었을 때 물이 분해되는 과정을 전자를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2. 물의 전기 분해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을 물 분자를 이루는 결합의 전기적 성질과


연관 지어 설명해 보자.

3. 창의력 (+)극과 (-)극에서 생성되는 기체의 성질을 조사하여 기체를 확인하는 방법


을 설계해 보자.

평가하기 1 2 3 4 5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실험을 통해 물이 전기 에너지에 의해 쉽게 분해됨을 확인하였는가?
모둠원과 서로 협력하고 배려하면서 실험하였는가?
실험 후 시약 처리 및 뒷정리를 잘하였는가?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이온 결합 화합물인 염화 나트륨의 용융액


과 공유 결합 화합물인 물에 전류가 흐를 때
원소가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원자들 사이
에 화학 결합이 형성될 때 전자가 관여한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1. 화학 결합의 전기적 성질 109


2. 이온 결합

학습 •비활성 기체의 전자 배치를 이용하여 옥텟 규칙을 설명할 수 있다.


목표
•이온의 형성과 이온 결합의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이온 결합의 특성과 이온 결합 화합물의 성질을 설명하고 예를 찾을 수 있다.

염소 기체에 나트륨을 넣으면 가열하지 않아도 매우 환한 빛을 내 소금이


생겨.
며 격렬하게 반응하여 소금이 생성된다. 나트륨과 염소가 만나면 이 정말?
렇게 격렬하게 반응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온의 형성
비활성 기체 헬륨을 제외한 모든 비활성 기체는 가장 바깥 전자 껍질에 전자 8 개가 채워져 있
주기율표의 18족 원소로, 반응성이
매우 작아 화학적으로 안정한 기체 다. 18족 원소 이외의 대부분 원소는 이처럼 가장 바깥 전자 껍질에 전자 8 개를 채워
이다. 헬륨(He), 네온(Ne), 아르곤 안정한 전자 배치를 이루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을 옥텟 규칙이라고 한다. 18족 원
(Ar), 크립톤(Kr), 제논(Xe), 라돈
(Rn) 등이 있다. 소 이외의 원소들이 안정한 전자 배치를 이루는 방법을 알아보자.

자료
해석 해 보기 이온의 형성 원리 알아보기 사고력

그림은 몇 가지 원소의 전자 배치를 원자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11+ 12+ 13+ 8+ 17+

Na Mg Al O Cl

1. 주기율표를 참고하여 표의 빈칸을 채워 보자.


원소 Na Mg Al O Cl
구분

원자가 전자 수

2. Na, Mg, Al이 비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 배치를 가지는 방법을 써 보자.

3. O, Cl가 비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 배치를 가지는 방법을 써 보자.

110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지만 전자를 잃거나 얻으면 전하를 띠는 이온이 된다.
일반적으로 금속 원자는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어 비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 배치
를 가지려고 한다. 예를 들면 나트륨(Na) 원자는 전자 1 개를 잃고 양이온인 나트륨
이온(Na±)이 된다. 이때 나트륨 이온은 10 개의 전자를 가지므로 비활성 기체인 네온
(Ne)과 전자 배치가 같아진다.

11+ 11+ 10+

Na Na± Ne

그림 Ⅲ-3 나트륨 원자와 나트륨 이온의 전자 배치

일반적으로 비금속 원자는 전자를 얻고 음이온이 되어 비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 배


치를 가지려고 한다. 예를 들면 염소(Cl) 원자는 전자 1 개를 얻어 음이온인 염화 이
온(ClÑ)이 된다. 이때 염화 이온은 18 개의 전자를 가지므로 비활성 기체인 아르곤
(Ar)과 전자 배치가 같아진다.

17+ 17+ 18+

Cl Cl— Ar
그림 Ⅲ-4 염소 원자와 염화 이온의 전자 배치

이처럼 원자가 전자를 잃거나 얻어 이온을 형성하면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안정한


전자 배치를 이룬다.

창의 융합 사고 14족이나 15족 원소들은 대부분 이온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 까닭을 생각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다음 원자가 안정한 이온으로 되기 위해서는 각각 전자를 몇 개 얻거나 잃어야 하는지 써 보자.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1) O (2) N (3) Mg (4) K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비활성 기체
2 나트륨이 전자 ( ) 개를 ( 잃어, 얻어 ) 나트륨 이온이 되면 비활성 기체인 ( ) 옥텟 규칙
과/와 전자 배치가 같아진다.

2. 이온 결합 111
이온 결합의 형성
전자를 잃기 쉬운 금속 원자와 전자를 얻기 쉬운 비금속 원자가 만나면 각각 전자를
잃거나 얻어 양이온과 음이온이 형성된다. 이들 두 이온 사이에는 정전기적 인력이 작
용하여 결합이 형성되는데, 이때 형성되는 화학 결합을 이온 결합이라고 한다.
금속 나트륨과 황록색의 염소 기체가 반응하여 흰색의 염화 나트륨이 생성되는 과정
이온 결합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에 정전기적 을 통해 이온 결합의 형성 과정을 알아보자.
인력이 작용하여 형성되는 화학 결
합이다.

자료
해석 해 보기 이온 결합의 형성 과정 알아보기 사고력 탐구 능력

Na Cl

Na± Cl—

Cl—
Na±

1. 빈칸에 Na±과 ClÑ의 전자 배치를 그려 보자.

2. 금속 나트륨과 염소 기체를 반응시킬 때 나트륨 이온과 염화 이온이 생성되는 과정을 전


자의 이동으로 설명해 보자.

3. 다음 글을 읽고 틀린 내용을 모두 찾아 옳게 고쳐 보자.

나트륨 이온과 염화 이온이 가까이 접근하면 정전기적 반발력이 작용하여 염화 나


트륨이 생성된다. 염화 나트륨은 나트륨 이온 1 개와 염화 이온 1 개가 결합한 이원
자 분자로 염소 기체나 나트륨과는 성질이 전혀 다른 물질이다.

112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양이온과 음이온이 결합할 때 물질의 에너지는 어떻게 변할까?
그림 Ⅲ-5는 이온 결합이 형성될 때 이온 사이의 거리에 따른 에너지 변화를 나타
낸 것이다. 멀리 떨어져 있던 양이온과 음이온이 서로 가까워지면 이온 사이에는 정전
기적 인력이 크게 작용하므로 에너지가 점점 낮아진다. 그러나 너무 가까운 거리에서
는 이온 표면의 전자끼리 반발하고 핵과 핵 사이의 반발력이 증가하므로 오히려 불안
정한 상태가 된다. 양이온과 음이온은 인력과 반발력이 균형을 이루어 에너지가 가장
낮은 거리에서 이온 결합을 형성한다.

에 자료 읽기
너 반발력에 의한 에너지 변화 A: 인력이 우세하게 작용한다.
지 이온 결합이 형성되는 지점은
B : 인력과 반발력이 균형을 이룬다.
C Na± Cl— 이다.
C : 반발력이 우세하게 작용한다.

0
A

Na± Cl—
전체
에너지 변화

B
Na± Cl— 인력에 의한 에너지 변화

이온 사이의 거리

그림 Ⅲ-5 이온 결합의 형성과 에너지 변화

이온 결합 화합물의 표현
이온 결합으로 화합물이 생성될 때 금속 원자가 내놓은 전자를 비금속 원자가 받으
å ∫
므로 양이온이 잃은 전자의 수와 음이온이 얻은 전자의 수는 같다. 따라서 이온 결합 A ± B —
화합물은 전체 (+)전하의 양과 (-)전하의 양이 같으므로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A∫Bå
마그네슘 이온(MgÛ` ±)과 염화 이온(ClÑ)이 결합한 염화 마그네슘이 전기적으로 중
(양이온의 전하_양이온의 수)
성이 되려면 MgÛÛ` ±과 ClÑ이 1``:`2의 개수비로 결합해야 하므로 화학식은 MgClª이다. +(음이온의 전하_음이온의 수)=0
(단, a나 b가 1이면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나트륨 이온(Na±)과 산화 이온(OÛÛ` Ñ)이 결합하여 생성되는 산화 나트륨의
화학식은 NaªO가 되어야 한다. 이처럼 이온 결합 화합물은 구성하는 이온의 종류에
따라 결합하는 이온의 개수비가 달라진다.

알루미늄 이온(AlÜ`±)과 산화 이온(OÛ`Ñ)이 결합하여 생성되는 이온 결합 화합물의 화학식을 써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에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하여 이루어지는 결합을 ( ) 결합이라고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이온 결합
2 어떤 금속 M이 공기 중에서 산화하면 이온 결합 화합물 MªO£를 형성한다. 금속 M과 염소가 결합 이온 결합의 형성 과정
한 화합물의 화학식을 써 보자.

2. 이온 결합 113
이온 결합 화합물의 성질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의 인력은 모든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온 결합 화합물
은 서로 다른 전하를 띤 이온 사이의 인력은 최대화하고, 서로 같은 전하를 띤 이온 사
이의 반발력은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규칙적인 결정 구조를 이루므로 여러 가
지 특성을 나타낸다.
Cl—

Na±
염화 나트륨(NaCl)의
Na±과 ClÑ은
1:1의 개수비로
결합한다.

그림 Ⅲ-6 염화 나트륨의 결정 구조

창의 융합 사고 이온 결합 화합물이 양이온과 음이온의 이온 쌍으로 존재하는 것보다 수없이 많은


이온이 배열하여 결정 구조로 존재하는 것이 더 유리한 까닭을 생각해 보자.

실험 해 보기 이온 결합 화합물의 성질 알아보기 사고력 탐구 능력

준비물 염화 나트륨 결정(또는 굵은 소금), 망치, 페트리 접시, 비커, 증류수, 전기 전도도 측정 장치

유의할 점
•망치 사용 시 손을 다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을
착용한다.
•사용한 시약은 폐수통에 버린다.
염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수용액

염화 나트륨 결정을 준비하여 염화 나트륨 결정과 염화 나트륨 수용액에 전류가 흐르는지 알아


망치로 두드려 보자. 보자.

정리

1. 염화 나트륨 결정을 망치로 두드리면 어떻게 되는가?

2. 고체 상태와 수용액 상태에서 염화 나트륨의 전기 전도성을 비교해 보자.

114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대부분의 이온 결합 화합물은 각 이온이 다른 전하를 띠는 여러 개의 이온과 결합하
므로 매우 단단하다. 하지만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쉽게 쪼개지거나 부서지는데, 이것
은 힘을 가하면 이온의 위치에 변화가 생겨 같은 전하를 띠는 이온끼리 강하게 반발하
기 때문이다.

+ - + - + - + -
반발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Ⅲ-7 이온 결합 화합물에 힘을 가할 때의 변화

이온 결합 화합물은 고체 상태에서는 이온 오개념 바로잡기


Na±
이온 결정은 그 자체가 양이온과
들이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므로 전기 전도
음이온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으
성이 없다. 그러나 이온 결합 화합물을 물에 Cl—
로, 물에 녹이면 해리되어 이온들이
자유롭게 이동한다. 물에 녹일 때
녹이면 결정 표면으로부터 양이온과 음이온이
+ - + - 이온이 생성되는 것이 아니다.
떨어져 나오고, 이들 이온은 물 분자로 둘러싸 - + - + -
+ - + - +
여 물속으로 흩어져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
- + - + - +
지므로 수용액 상태에서는 전기 전도성을 나
그림 Ⅲ-8 염화 나트륨의 용해
타낸다.
또 이온 결합 화합물을 구성하는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에는 강한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하므로 이들 결합을 끊으려면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온 결합 화합물
은 녹는점과 끓는점이 매우 높아 상온에서 대부분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표 Ⅲ-1은 몇 가지 이온 결합 화합물의 이온 사이의 거리와 녹는점을 나타낸 것이다.

표 Ⅲ-1 이온 결합 화합물의 이온 사이의 거리와 녹는점 (자료 출처: 『Shriver & Atkins Inorganic Chemistry』, 2010.)

이온 결합 이온 사이의 이온 결합 이온 사이의
녹는점 (¾) 녹는점 (¾)
화합물 거리 (pm) 화합물 거리 (pm)

NaF 231 996 MgO 210 2825


KF 269 846 CaO 240 2572
RbF 284 775 SrO 253 2431

자료 읽기 이온의 전하가 같은 경우 이온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녹는점이 .


또 이온 사이의 거리가 비슷한 경우 이온의 전하가 클수록 녹는점이 .
이온 결합의 세기
이온 결합 화합물은 이온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이온의 전하량이 클수록 정전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인력의 크기는 두 이온 사
기적 인력이 커지며, 정전기적 인력이 클수록 양이온과 음이온을 떼어 내기 어려워지
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두
므로 녹는점이 높아진다. 이온의 전하량의 곱에 비례한다.

2. 이온 결합 115
우리 주변의 이온 결합 화합물
다원자 이온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이온 결합 화합물이 있다. 그중 가장 흔히 사용하는 것 중 하
둘 이상의 원자가 공유 결합 하여 마
나가 탄산 칼슘(CaCO£)이다. 탄산 칼슘이 주성분인 대리석은 주로 건물을 짓는 데 사
치 하나의 이온처럼 행동하는 이온
NO£Ñ(질산 이온), CO£Û ` Ñ(탄산 용하며,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이다. 또 치약이나 흰색 페인트에도 사용한다.
이온), HCO£Ñ(탄산수소 이온),
이 밖에도 다양한 이온 결합 화합물이 우리 생활에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물질이
SO¢Û` Ñ(황산 이온) 등
소금으로 쓰이는 염화 나트륨(NaCl)이며, 습기 제거제나 제설제로 사용하는 염화 칼
생활 탄산수소 나트륨의 활용 슘(CaClª), 베이킹파우더 성분인 탄산수소 나트륨(NaHCO£), 석고의 성분인 황산 칼
•기름기와 반응하면 비누와 비슷한
슘(CaSO¢) 등도 모두 이온 결합 화합물이다. 이외에도 두부를 만들 때 넣는 간수에는
성분을 만들므로 식기나 가스레인
지 주변의 찌든 때를 제거할 때 사 염화 마그네슘( MgClª)이, 링거액에는 염화 칼륨( KCl) 등의 이온 결합 화합물이 들어
용한다.
있다.
•배수구에 직접 뿌리고 뜨거운 물
을 부으면 냄새가 제거되고, 세균 그림 Ⅲ-9의 ( ) 안에 각 물질 속에 들어 있는 대표적인 이온 결합 화합물의 화학식을 써 보자.
번식을 막을 수 있다.
•사과처럼 껍질이 단단한 과일을
씻을 때 사용한다. 이온 음료 ( ) 링거액 ( )
습기 제거제 ( ) 분필 ( )
치약 ( ) 빵 ( )
두부 ( ) 소금 ( )

그림 Ⅲ-9 이온 결합 화합물의 이용

염화 칼슘을 습기 제거제로, 탄산수소 나트륨을 빵 반죽을 부풀리는 데 사용하는 까닭을 조사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이온 결합 화합물이 공통으로 가지는 특성을 세 가지 이상 써 보자.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다음 물질의 녹는점을 예상하여 >, =, <로 비교해 보자.
이온 결합 화합물의 성질
(1) NaªO, KªO (2) NaF, MgO (3) KCl, CaO 이온 결합 화합물의 녹는점

116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과학 마당 과학과 예술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티치아노(Tiziano, V., 1488?~1576)의 「바쿠스와 아리아드네」는
이온 결합 물질
그려진 지 500 년이 다 되어 가지만 아직도 하늘이 매우 선명한 파란색으로
빛나 마치 그려진 지 얼마 되지 않은 듯하고, 인물들이 살아 움직이는 것 같은
생동감이 느껴진다. 이것은 청금석을 갈아 넣은 울트라 마린이라는 안료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청금석은 나트륨, 칼슘, 알루미늄 금속과 산소, 황 등의 비금속 물질이 결합한 것 안료
대부분 이온 결합으로 이루어진 광
으로 식물이나 동물에서 얻은 다른 안료와는 달리 시간이 지나도 결합이 유지되고 색이 선명
물을 미세하게 빻은 분말 착색제
하게 보존된다. 이다.

투명한 질감과 뚜렷한 색상의 작품으로 유명한 판 에이크(Van


청금석
Eyck, J., 1390?~1441)는 유화 기법을 최초로 사용한 화가이
티치아노가 그린 「바쿠스와 아리아드네」
다. 「대성당 참사회원 헤오르흐 판데르 팔러의 성모」에서 성모의
풍성한 붉은 드레스는 진사라고 하는 암석을 갈아 안료로 사용한
것이다. 진사는 황과 수은이 결합한 황화 수은(HgS)이 주성분으로
붉은색이 선명한 것이 특징이다.

휘슬러(Whistler, J. A. M., 1834~1903)는 흰색 안료를 주로


사용하여 흰 드레스를 입은 청초한 소녀를 그린 「흰색 교향곡」을 연
작으로 발표했다. 흰색으로 캔버스를 가득 채운 휘슬러의 그림은
당시 화풍으로는 매우 파격적이었다. 휘슬러가 즐겨 사용했던 이
흰색 안료는 납 이온과 탄산 이온이 결합한 탄산 납
(PbCO£)이 주성분인 연백이었는데, 연백의 납 성분
은 매우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다. 휘슬러는 연백의 위
험을 알고 있었지만, 잘 마르고 습기에 강하며 투명하
고 생생한 느낌을 주는 연백의 매 진사
력을 외면하지 못했고, 말년에는
납 중독으로 많은 고통을 받았다.

판 에이크가 그린
「대성당 참사회원 헤오르흐 판데르 팔러의 성모」

핵심 역량 펼치기

오래된 그림에 사용한 물질이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할 때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휘슬러가 그린
「흰색 교향곡 1 번」

과학 마당 117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학습 •공유 결합의 형성 과정과 공유 결합 물질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목표
•금속 결합의 특성과 금속 결합 물질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여러 가지 물질의 성질을 결합의 종류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드라이아이스를 망치로 두드리면 쉽게 깨지지만, 알루미늄 캔


은 찌그러질 뿐이다. 이것은 두 물질을 이루는 원자의 결합 방식
차이 때문이다. 이처럼 물질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다른 성질을 나타
내는 까닭은 무엇일까?

공유 결합
전자를 얻으려는 성질이 큰 비금속 원소끼리 만나면 두 원자가 각각 전자를 내놓아
만든 전자쌍을 공유함으로써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안정한 전자 배치를 이룬다. 이처럼
2 개 이상의 원자들이 전자쌍을 공유하면서 형성하는 결합을 공유 결합이라고 한다.

1+ + 1+ 1+ 1+

H H H™

그림 Ⅲ-10 공유 결합에 의한 수소(Hª) 분자의 형성 2 개의 수소(H) 원자는 각각 전자 1 개씩을


내놓아 만든 전자쌍을 공유함으로써 헬륨과 같은 안정한 전자 배치를 이룬다.

공유 결합의 형성 1, 2주기의 비금속 원소인 수소(H), 탄소(C), 질소(N), 산소


(O), 플루오린(F)이 어떻게 공유 결합을 형성하는지 알아보자.
원자가 전자가 1 개인 수소 원자와 원자가 전자가 7 개인 17족의 플루오린 원자는
다른 원자와 전자 1 개를 공유하면 비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 배치를 하여 안정해진다.
따라서 이들 원자는 각각 전자 1 개씩을 내놓아 전자쌍 1 개를 공유하는 결합을 한다.
수소(Hª), 플루오린(Fª), 플루오린화 수소(HF) 분자는 모두 두 원자 사이에 전자쌍
1 개를 공유하는데, 이러한 결합을 단일 결합이라고 한다.

1+ + 9+ 1+ 9+

염소(Clª) 분자가 생성될 때


염소 원자 사이에 어떤 결합이 형 H F HF

성되는지 모형으로 나타내 보자. 그림 Ⅲ-11 플루오린화 수소(HF)의 단일 결합

118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원자가 전자가 6 개인 16족의 산소 원자는 다른 원자와 전자 2 개를 공유하면 옥텟
규칙을 만족하여 안정해진다. 따라서 2 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하여 산소 분자를 형성
할 때는 전자쌍 2 개를 공유한다. 이처럼 전자쌍 2 개를 공유하여 이루어지는 결합을
2중 결합이라고 한다.

8+ + 8+ 8+ 8+

O O O™

그림 Ⅲ-12 산소(Oª)의 2중 결합

연습해 보기 물(HªO) 분자의 모형을 그려 보자.

창의 융합 사고
1. 산소 원자의 원자가 전자는 ( )개
물(HªO)과 산화 나트륨(NaªO)
1+
이므로 다른 원자와 전자 ( )개
은 화학식으로 나타내면 비슷하
H
를 공유하면 비활성 기체인 ( )의
+ 8+ 지만, 화합물을 이루는 화학 결합
전자 배치를 이루어 안정해진다. H 의 종류와 존재하는 형태가 다르
2. 산소 원자는 수소 원자 ( ) 개와 1+ 다. 그 까닭을 설명해 보자.
O
각각 공유 결합 하여 물 분자를 이룬다.

원자가 전자가 5 개인 15족의 질소 원자는 다른 원자와 전자 3 개를 공유하면 옥텟


규칙을 만족하여 안정해진다. 따라서 2 개의 질소 원자가 결합하여 질소 분자를 형성
할 때는 전자쌍 3 개를 공유한다. 이처럼 전자쌍 3 개를 공유하여 이루어지는 결합을
3중 결합이라고 한다.

7+ + 7+ 7+ 7+

N N N™

그림 Ⅲ-13 질소(Nª)의 3중 결합

연습해 보기 암모니아(NH£) 분자의 모형을 그려 보자.

1. 질소 원자의 원자가 전자는 ( )개


1+
이므로 다른 원자와 전자 ( )개
를 공유하면 비활성 기체인 ( ) H
1+ + 7+
의 전자 배치를 이루어 안정해진다.
2. 질소 원자는 수소 원자 ( ) 개와 H
1+
각각 공유 결합 하여 암모니아 분자를 N
이룬다. H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19
원자가 전자가 4 개인 14족의 탄소 원자는 다른 원자와 전자 4 개를 공유하면 옥텟
규칙을 만족하여 안정해진다. 따라서 탄소 원자가 수소 원자와 결합하여 메테인(CH¢)
분자를 형성할 때 탄소 원자는 4 개의 수소 원자와 각각 전자쌍을 공유하여 결합한다.
또 탄소 원자가 산소 원자와 결합하여 이산화 탄소(COª) 분자를 형성할 때 탄소 원자
는 2 개의 산소 원자와 각각 전자쌍 2 개씩을 공유하여 결합한다.

1+ H

H H

1+ 6+ 1+ 8+ 6+ 8+

H 1+ O C O

CH¢ CO™

그림 Ⅲ-14 메테인(CH¢)의 단일 결합과 이산화 탄소(COª)의 2중 결합

탄소가 불완전 연소 하면 일산화 탄소(CO)가 생성된다. 일산화 탄소 분자에서 탄소 원자는 산소


원자와 어떤 결합을 이루고 있는지 알아보자.

공유 결합의 형성과 에너지 2 개의 수소 원자가 멀리 떨어져 있으면 서로 영향


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두 수소 원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인력이 작용하여
수소 분자 내에서 작용하는 인력과
에너지가 낮아지며, 에너지가 최소가 될 때 안정한 수소(Hª) 분자를 형성한다. 수소
반발력
분자의 형성 과정에서 두 수소 원자의 핵간 거리에 따른 에너지 변화는 그림 Ⅲ-15와
같다.


너 반발력이 우세하게 작용한다.
인력

반발력 D HH
(kJ/mol)

두 원자의 원자핵과 공유된 전자 사 상호작용이 없다.


이에는 인력이 작용하며, 핵과 핵, H H
B
전자 구름과 전자 구름 사이에는 반 0
A
H H
발력이 작용한다.
상호작용이
생기기 시작한다.

HH
C 에너지가
최소가 된다.
74
핵 간 거리 (pm)

그림 Ⅲ-15 두 수소 원자의 핵간 거리에 따른 에너지 변화

자료 읽기 2 개의 수소 원자가 결합하여 안정한 수소 분자를 형성하는 곳은 이다.

120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그림 Ⅲ-15에서 두 수소 원자핵 사이의 거리가 74 pm가 되면 안정한 수소 분자를
형성하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E)를 방출한다.

H( g)+H( g) 1Ú Hª( g)+E

이때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할수록 결합이 강하고 안정하다. 즉, 결합이 안정할수


록 결합을 끊고 원자 상태로 만드는 데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공유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분자에서 두 원자핵 사이의 거리를 결합 길이라고 하며,
수소 분자에서 결합 길이는 74 pm이다.

공유 결합 물질의 성질 공유 결합 물질은 일반적으로 고체나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없다. 또 이온 결합 물질과는 달리 대부분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원자 사이의
결합은 강하지만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은 약한 편이므로 녹는점과 끓는점이 낮아
상온에서 대부분 기체나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공유 결합 물질 중에서 분자들이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규칙적으로 배
열되어 결정을 이룬 것을 분자 결정이라 하며, 얼음(HªO), 드라이아이스(COª), 아이
오딘(Iª), 나프탈렌(CÁ¼H¥) 등이 이에 해당한다. 분자 결정 중에는 승화성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한편, 공유 결합 물질 중에는 원자들이 공유 결합으로 그물처럼 연결되어 결정을 이
룬 것도 있는데, 이를 공유 결정이라고 한다. 다이아몬드(C)나 흑연(C) 등이 이에 해
당한다. 공유 결정은 녹는점이 매우 높고 단단하다.

CO™ I™

드라이아이스(CO™)
드라이아이스(CO™)
드라이아이스(CO™)
드라이아이스(CO™)아이오딘(I™)
아이오딘(I™)
아이오딘(I™)
아이오딘(I™) 흑연(C)
흑연(C)
흑연(C) 흑연(C)다이아몬드(C)
다이아몬드(C)
다이아몬드(C)
다이아몬드(C)

그림 Ⅲ-16 분자 결정(드라이아이스, 아이오딘)과 공유 결정(흑연, 다이아몬드)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비금속 원자들이 각각 원자가 전자를 내놓아 전자쌍을 공유하여 이루어지는 결합을 ( )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이)라고 한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공유 결합의 형성
2 물질 X가 탄소 원자 1개와 수소 원자 및 염소 원자로 이루어졌다고 할 때, 물질 X로 가능한 물질을 단일 결합, 2중 결합, 3중 결합
모두 써 보자. 공유 결합의 형성과 에너지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21
금속 결합
금속은 현재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는,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재료이다. 다음은 금속을 이용한 몇 가지 제품을 나타낸 것이다.

장신구

알루미늄박 구리 전선

그림 Ⅲ-17 금속을 이용한 제품

자료 읽기 위의 금속 제품은 금속의 어떤 특징을 이용하고 있는지 써 보자.

소금과 같은 이온 결합 화합물은 힘을 가하면 쉽게 부서지지만, 금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은 두드릴수록 얇게 펴진다. 또 금속은 고체 상태에서도 전기 전도성을 나타
내므로 전선 등에 이용된다.
금속 결정은 어떤 결합을 하고 있어 이런 특성을 나타낼까? 금속 원자들은 이온화
에너지가 작아서 쉽게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된다. 금속에서 떨어져 나온 전자는 한
원자에 구속되는 것이 아니라 금속 양이온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 전자
를 자유 전자라고 하며, 수많은 자유 전자가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것을 바다에 비유하
여 전자 바다라고 한다.
금속 결정에서는 자유 전자가 주위의 금속 양이온에 끌려 안정화되는데, 이처럼 금
속 양이온과 자유 전자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결합을 금속 결합이라고 한다.

금속 양이온 자유 전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Ⅲ-18 금속 결정 모형 금속
- - - - - 결정 모형은 전자 바닷속에서 금속 양
+ + + + + + 이온이 규칙적인 배열을 하고 있어 전
- - - - - 자 바다 모형이라고도 한다.

금속의 여러 가지 특성은 자유 전자에 의해 나타난다. 금속이 특유의 광택을 나타내


는 것은 자유 전자가 빛을 흡수하였다가 다시 방출하기 때문이다.

122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또 금속이 높은 열 전도성과 전기 전도성을 나타내는 것은 금속 결정 내에서 자유
전자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극 (-)극

- - - - -
- - -
+ + + + + + + + + +
- - -
- 전압을 가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Ⅲ-19 금속 결정의 전기 전도성

자료 읽기 금속 결정에 전압을 가했을 때와 가하지 않았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해 보자.

금속은 일반적으로 가늘게 실처럼 뽑을 수 있는 연성과 종이처럼 넓게 펼 수 있는 전


성이 뛰어나다. 이것은 외부에서 힘을 받아 금속 양이온의 배열이 달라져도 자유 전자들
이 이동하여 금속 양이온과 자유 전자 사이의 결합을 유지해 주기 때문이다.

-
+ +
- - - 금속 양이온 - -
+ + + + + - + + +
- 자유 전자
- - 변형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Ⅲ-20 금속 결정에 힘을 가할 때의 변화

이온 결정에 힘을 가할 때와 금속 결정에 힘을 가할 때의 차이점을 설명해 보자.

창의 융합 사고 금속이 녹슬면 광택이 사라지고 잘 부서지는 까닭을 설명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금속 결합은 금속 양이온과 ( )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결합이다.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금속 결정의 여러 가지 성질은 ( )에 의해 나타난다.
금속 결합
3 금속 결정에 전압을 가하면 자유 전자가 ( )극 쪽으로 이동하므로 전기 전도성을 나타 자유 전자
낸다. 연성, 전성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23
결합의 종류와 물질의 성질
염소(Clª)는 상온에서 기체이고, 나트륨(Na)은 고체이며 전류가 잘 흐른다. 염소와
나트륨이 결합하여 형성된 염화 나트륨(NaCl)은 상온에서 고체이나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물질을 이루는 화학 결합의 종류와 물질의 성질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자료
해석 해 보기 결합의 종류에 따른 물질의 성질 알아보기 사고력 탐구 능력

표는 몇 가지 물질의 녹는점, 물에 대한 용해성, 고체와 수용액의 전기 전도성을 조사하여


정리한 것이다.

녹는점 물에 대한 전기 전도성 화학
물질
(¾) 용해성 고체 수용액 결합의 종류

염화 전류가 흐르지 않
801 잘 녹는다. 전류가 흐른다.
나트륨 는다.

전류가 흐르지 않 전류가 흐르지 않


설탕 185 잘 녹는다.
는다. 는다.

전류가 흐르지 않
다이아몬드 3550 녹지 않는다. -
는다.

구리 1083 녹지 않는다. 전류가 흐른다. -

(자료 출처: 『CRC handbook of chemistry & physics』, 2014.)

1. 각 물질이 이루는 화학 결합의 종류를 표에 써 보자.


● 이처럼 화학 결합을 구분한 까닭을 설명해 보자.

2. 염화 나트륨, 다이아몬드, 구리의 녹는점을 참고하여 각 물질을 이루는 결합의 세기를 비


교해 보자.

3. 설탕과 다이아몬드의 녹는점 차이가 큰 까닭을 물질의 구조와 관련지어 설명해 보자.

설탕과 염화 나트륨은 모두 물에 잘 용해되지만, 설탕 수


용액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염화 나트륨 수용액에는 전류
가 흐른다. 이 현상을 화학 결합과 관련지어 설명해 보자.

124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결정은 그것을 구성하는 입자와 화학 결합의 종류에 따라 이온 결정, 분자 결정, 공유
결정, 금속 결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결정의 종류에 따른 특성은 그림 Ⅲ-21과 같다.

예 아니요
오개념 바로잡기
고체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는가? 흑연, 그래핀 등은 공유 결정이나
예외적으로 고체 상태에서 전류가
흐른다.

예 아니요
액체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는가?

녹는점이
높은가?
예 아니요

금속 결정 이온 결정 공유 결정 분자 결정
빈칸에 각 결정의 예를 써
보자.

그림 Ⅲ-21 결정의 특성에 따른 분류

창의 융합 사고 흰색이고 단단한 두 가지 고체 물질이 있다. 두 물질의 화학 결합의


종류를 알아낼 방법을 설명해 보자.
쇠숟가락

염화 나트륨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다음 물질은 원자 사이에 어떤 화학 결합을 하고 있는지 써 보자.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1) 염화 수소(HCl) (2) 산화 마그네슘(MgO) (3) 철(Fe)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결합의 종류와 물질의 성질
2 다음 문장에서 옳지 않은 부분을 찾아 옳게 고쳐 써 보자.
(1) 소금은 공유 결합 물질로, 수용액에서 전기 전도성을 나타낸다.
(2) 이온 결합 물질은 비금속 원소로만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25
4. 결합의 극성

학습 •전기 음성도의 주기적 변화를 이해하고, 전기 음성도 차이에 따라 화학 결합이 달라짐을 설명할 수 있다.
목표
•결합한 원소들의 전기 음성도 차이와 쌍극자 모멘트를 이용하여 결합의 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우리도
줄다리기 시합에서는 줄을 당기는 힘이 큰 쪽으로 줄이 해 볼까?
끌려간다. 분자에서도 원자 사이에 전자쌍을 끌어당기는
줄다리기가 진행되는데, 이때 결합하는 원자의 종류에 따
라 줄다리기는 어떻게 될까?

전기 음성도
서로 다른 두 원자 사이의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에서 두 원자의 원자핵은
공유 전자쌍을 끌어당기는 정도가 다르므로 전자쌍은 어느 한 원자 쪽으로 치우친
다. 이때 각 원자가 공유 전자쌍을 끌어당기는 정도를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낸 것을
전기 음성도라고 한다. 주기율표의 각 주기와 족에서 전기 음성도는 어떤 경향성을
나타낼까?

실험 해 보기 전기 음성도의 경향성 알아보기 사고력 탐구 능력

준비물 수수깡, 칼, 풀, 우드록, 침 핀, 장갑, 전기 음성도가 표시된 주기율표


유의할 점
수수깡을 칼로 자를 때 손을 다치지
부록 213 쪽에 있는 전기 음성도가 표시된 주기율표를 오린 후 우드록에 붙이자.
않도록 주의한다.
주기율표의 각 원소에 대해 수수깡의 높이가 전기 음성도에 비례하도록 자르자. (이때 수
수깡의 높이는 전기 음성도의 5 배가 되게 하고, 전기 음성도 2 . 1 이상은 노란색,
1.5~2.0은 초록색, 1.4 이하는 파란색 수수깡을 이용하자.)
과정 의 주기율표에 수수깡을 침 핀으로 고정하여 전기 음성도 입체 모형을 완성하자.

정리

1. 같은 족에서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전기 음성도는 어떻게 변


하는가?

2.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전기 음성도는 어떻게


변하는가?

126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폴링은 공유 전자쌍을 끌어당기는 정도가 가장 큰 플루오린(F)의 전기 음성도를
4.0으로 정하고 이 값을 기준으로 다른 원자들의 전기 음성도를 상대적으로 나타
냈다. 원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원자핵의 전하량이 클수록 공유 전자쌍을 끌어당기
는 정도가 커지므로 전기 음성도가 커진다.
따라서 같은 주기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원자 반지름이 작아지고 유효 핵
전하가 증가하므로 전기 음성도가 대체로 증가한다. 같은 족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
폴링(Pauling, L. C.,
질수록 대체로 원자 반지름이 커지므로 전기 음성도가 감소한다. 1901~1994)
미국의 화학자인 폴링은 전기 음성
도 개념을 창안하여 이온 결합과 공
전기 음성도가 커진다.
유 결합의 관계를 설명하고, 방향족
전 4.0 탄화수소의 구조를 밝혔다. 또 분자

음 3.0 F 구조에 관한 지식을 생체 조직을 이
성 O 4.0
도 2.0 루는 복잡한 분자에 적용하여, 단백
H N 3.5
2.1 3.0
C 질 내에서의 수소 결합의 중요성을
1.0 B 2.5 Cl
Be 2.0 S 3.0 밝히는 등 생화학 분야에도 많은 업
0.0 Li 1.5 P 2.5
Si 2.1 Br 적을 남겼다.
1.0 Al Se 2.8
1.8
Mg Fe Co Ni Cu 1.5 As 2.4
Na 1.2 Cr Mn 1.9 Zn Ga Ge
전 0.9 Ti V 1.8 1.9 1.9 2.0 I
Sc 1.5 1.6 1.6 1.5 Ru Rh Pd Ag 1.6 1.6 1.8
Tc 2.2 2.2 2.2 1.9 Cd In Sn Sb Te
기 2.5
K Ca 1.0
1.3
Nb Mo 2.1
음 0.8 Zr 1.6 1.8 1.9 Au 1.7 1.7 1.8 1.9
성 Y Os Ir Pt 2.4 At
Rb Sr 1.2
1.4
W Re 2.2 2.2 2.2 Hg Tl Pb Bi Po 2.2
도 0.8
1.0 Ta 1.9 1.9 1.8 1.9 1.9 2.0
가 La Hf 1.5 1.7 0.7~1.4
작 Cs Ba 1.1 1.3
0.9
아 0.7
Ac 1.5~1.9
진 Fr Ra 1.1
다. 0.7 0.9 2.0~2.7
2.8~4.0

그림 Ⅲ-22 전기 음성도 전기 음성도 2.5 이상은 주기율표 오른쪽 위의 비금속 원소이고, 전기 음성도 1.3 이
하는 주기율표 왼쪽 아래의 금속 원소이다. (자료 출처: 『Chemistry』, 2014.)

전기 음성도와 이온화 에너지의 경향성을 비교해 보고 둘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지 생각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다음 원자의 전기 음성도를 찾아 쓰고, 전기 음성도가 큰 순서대로 나열해 보자.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전기 음성도
Na F Cl C H O K
전기 음성도의 경향성

2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1) 같은 주기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원자 반지름이 ( 작아, 커 )지고, 유효 핵전하가 ( 증가, 감소 )
하므로 전기 음성도가 ( 증가, 감소 )한다.
(2) 같은 족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대체로 원자 반지름이 ( 작아, 커 )지므로 전기 음성도가
( 증가, 감소 )한다.

4. 결합의 극성 127
쌍극자 모멘트에 의한 결합의 극성
공유 결합으로 형성된 분자에서 공유 전자쌍이 치우치는 정도가 결합하는 원자의 전
기 음성도 차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자.

자료
해석 해 보기 분자에서 전하의 분포 알아보기 사고력 탐구 능력

그림은 Hª, HF, HCl 분자의 전자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1+ 1+ 1+ 9+ 1+ 17+

2.1 H-H 2.1 H-F H-Cl

1. 안에 각 분자를 이루는 원자의 전기 음성도를 쓰고, 전기 음성도 1을 화살표 0.5 cm


로 하여 Hª와 같이 원자의 전기 음성도를 서로 반대 방향 화살표로 나타내 보자.

2. 화살표의 크기가 공유 전자쌍을 끌어당기는 정도를 나타낸다고 할 때 각 분자에서 공유


전자쌍은 어느 원자 쪽으로 치우치겠는가?

3. 두 원자의 전기 음성도 차가 클수록 공유 전자쌍이 치우치는 정도는 어떻게 되겠는가?

쌍극자 모멘트(l) 수소 분자(Hª)와 같이 같은 종류의 원자가 공유 결합을 할 때는 공유 전자쌍이 어느


두 전하 +q와 -q가 r만큼 떨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동등하게 공유된다. 이와 같은 결합을 무극성 공유 결합이라
져 있을 때 전하량(q)과 두 전하 사
이의 거리(r)를 곱한 벡터양을 의미 고 한다.
하며, 쌍극자 모멘트의 크기가 클수 염화 수소 분자(HCl)와 같이 서로 다른 원자가 공유 결합을 할 때는 공유 전자쌍이
록 극성이 크다. 쌍극자 모멘트는
양전하의 중심에서 음전하의 중심 전기 음성도가 더 큰 원자 쪽으로 치우친다. 이와 같은 결합을 극성 공유 결합이라고
을 향하는 화살표로 나타낸다. 한다. 이때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는 부분적인 음전하(dÑ)를 띠고, 전기 음성도가 작은
+q -q 원자는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띤다. 이처럼 하나의 분자에 서로 다른 부분 전하가 있

r 으면 이를 쌍극자라고 하고, 그 크기를 쌍극자 모멘트로 나타낸다.


m=q . r
그림에서 빨간색은
d± d— 전자가 많은 곳이고,
H Cl
파란색은 전자가
H Cl
적은 곳이다.

H H

그림 Ⅲ-23 무극성 공유 결합 그림 Ⅲ-24 극성 공유 결합 d± d—

128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물(HªO), 암모니아(NH£), 이산화 탄소(COª)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원자들이 결합
한 것으로 모두 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이다.

N
O H
O C O
H
H H
H

HªO NH£ COª

그림 Ⅲ-25 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

화학 결합이 형성될 때 결합에 참여하는 두 원자의 전기 음성도 차이로부터 생성된 공유 결합의 이온성
서로 다른 두 원자가 어떤 형태의
물질의 결합 형태를 예상할 수 있다. 전기 음성도가 같은 원자들은 무극성 공유 결합 결합을 하는지는 두 원자의 전기 음
을 이루고, 전기 음성도가 다른 원자들은 극성 공유 결합을 이룬다. 이때 두 원자의 전 성도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두 원
자의 전기 음성도 차이가 클수록 결
기 음성도 차이가 클수록 결합의 극성이 커지며, 전기 음성도 차이가 매우 크면 전기 합의 이온성이 커지나 화학 결합을
음성도가 작은 원자에서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로 전자가 완전히 이동하여 이온 결합 구분하는 전기 음성도 차이값을 명
확하게 규정할 수는 없다.
이 형성된다.

전기 음성도
0 0.7 1.9 3.1
차이

d± d—
d± d— (+) (-)

H™ HBr HF NaF

결합 형태 무극성 공유 결합 극성 공유 결합 이온 결합

공유 결합성이 커진다. 이온 결합성이 커진다.

그림 Ⅲ-26 전기 음성도 차이에 따른 화학 결합의 구분

염화 수소(HCl)는 공유 결합 화합물이고, 염화 나트륨(NaCl)은 이온 결합 화합물이다. 두 화합


물의 결합 차이를 전기 음성도 차이와 연관 지어 써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다음 분자를 이루는 원자들 사이의 결합을 무극성 공유 결합과 극성 공유 결합으로 구분해 보자.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1) 질소(Nª) (2) 이산화 탄소(COª) (3) 브로민화 수소(HBr)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무극성 공유 결합
2 다음 원자들 사이의 결합을 극성의 세기가 큰 순서대로 나열해 보자. 극성 공유 결합

Cl-Cl H-O H-F N-H C-H

4. 결합의 극성 129
학습 •루이스 전자점식을 그리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목표
•원자, 이온, 화합물, 분자를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림은 COª 분자를 이루는 원자 사이의 공유 결합을 표현한 것이다. 원자 사이의 결합은 가장 바
깥 전자 껍질에 있는 전자 간에 일어나고, 안쪽 전자 껍질의 전자는 결합에 참여하지 않는다. 화학 결
합에 참여하는 전자만으로 원자 사이의 결합을 나타낼 수 있을지 그려 보자.

8+ 6+ 8+

O C O

루이스 전자점식
원자가 전자는 원자의 가장 바깥 전자 껍질에 있는 전자로 화학 결합에 관여하는
전자이다. 따라서 공유 결합을 원소 기호 주위에 원자가 전자만 점으로 찍
어 나타낼 수 있는데, 이처럼 원자가 전자를 점으로 표시하여 나타낸 식을
루이스 전자점식이라고 한다.
루이스 전자점식을 나타낼 때는 원소 기호 상하좌우에 먼저 1 개씩의
점을 찍은 다음, 다섯 번째 전자부터 쌍을 이루도록 그린다. 이때 각 원자에
포함된 원자가 전자 중에서 쌍을 이루지 않은 전자를 홀전자라고 한다.

루이스(Lewis, G. N.,
홀전자
1875~1946)
미국의 화학자인 루이스는 1916 년
9+
F 13+
Al
「원자와 분자의 화학 결합」이라는
논문에서 옥텟 규칙, 공유 결합의 F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하였다. 또 열 Al

역학, 산 염기 이론의 확장, 중수소 그림 Ⅲ-27 원자의 루이스 전자점식


의 연구로 화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
였다. 비금속 원자들이 결합을 형성할 때는 홀전자를 공유하여 전자쌍을 형성하는데, 이를
공유 전자쌍이라 하고, 결합에 참여하지 않은 전자쌍을 비공유 전자쌍이라고 한다.

공유 전자쌍 H
H + O + H H O 비공유 전자쌍

그림 Ⅲ-28 물 분자의 공유 결합

130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그리기
탐구 활동 원자, 이온, 화합물, 분자를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표현하기

목표 준비물

원자, 이온, 화합물, 분자를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필기도구


주기율표

그리기 원자를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표현하기


주어진 예시를 참고하여 원자 번호 1~20 번까지 원자를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표현한 주기
율표를 완성해 보자.

1족 2족 13족 14족 15족 16족 17족 18족

1주기
H He

2주기 Li Be B C N O F Ne

3주기
Na Mg Al Si P S Cl Ar

4주기
K Ca

정리
주기율표의 같은 족 원소의 루이스 전자점식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설명해 보자.

5. 루이스 전자점식 131


그리기
탐구 활동 원자, 이온, 화합물, 분자를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표현하기

그리기 이온을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표현하기


다음 예시를 참고하여 여러 가지 이온을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표현해 보자.

나트륨 이온 염화 이온 칼슘 이온(CaÛ`±)

알루미늄 이온(AlÜ`±) 산화 이온(OÛ`Ñ) 플루오린화 이온(FÑ)

정리
● 양이온과 음이온의 루이스 전자점식은 각각 어떤 공통점을 나타내는지 써 보자.

그리기 이온 결합 화합물을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표현하기


다음 예시를 참고하여 여러 가지 이온 결합 화합물을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표현해 보자.

염화 나트륨(NaCl) 염화 칼슘(CaClª) 산화 나트륨(NaªO)

플루오린화 나트륨
산화 마그네슘(MgO) 염화 알루미늄(AlCl£)
(NaF)

정리
● 양이온 A 와 음이온 B 가 결합하여 생성되는 이온 결합 화합물을 루이스 전자점식으

로 표현해 보자.

132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사고력 탐구 능력

그리기 분자를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표현하기


다음 예시를 참고하여 여러 가지 분자를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표현해 보자.

산소(Oª) 질소(Nª) 염소(Clª)

물(HªO) 암모니아(NH£) 이산화 탄소(COª)

정리
공유 전자쌍 1 개당 1 개의
1. 표의 빈칸을 채워 보자. 선(-)을 그어 표시한 것을
구조식이라고 한다.
물질 구조식 공유 전자쌍 수 비공유 전자쌍 수

Clª

HªO

NH£

COª

2. 창의력 삼염화 붕소(BCl£)의 루이스 전자점식을 그리고, BCl£가 암모니아(NH£)와


결합을 형성할 때 붕소(B)가 가지는 전자쌍의 변화를 설명해 보자.

평가하기 1 2 3 4 5

원자, 이온, 화합물, 분자를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옳게 표현하였는가?


루이스 전자점식을 보고 원자 사이의 결합을 설명할 수 있는가?
분자의 루이스 전자점식을 보고 공유 전자쌍, 비공유 전자쌍 수를 말할 수 있는가?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5. 루이스 전자점식 133


6. 전자쌍 반발 이론과 분자의 구조

학습 •전자쌍 반발 이론에 근거하여 분자의 구조를 모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목표
•중심 원자의 전자쌍 분포를 보고 분자의 구조를 예측하여 말할 수 있다.
왜 이런 모양으로
만들었을까?

방파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네 개의 축을 가진 콘크리트
덩어리를 테트라포드라고 한다. 이 구조물은 그 구조가 안정
적이고 무거워서 파도의 힘을 약화하는 역할을 한다. 분자 중
에 테트라포드의 구조와 비슷한 것이 있을까?

전자쌍 반발 이론
분자의 구조는 물질의 화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분자를 이루
는 원자의 3차원적 배열을 파악하는 것은 물질의 성질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중심 원자가 가지는 전자쌍의 수에 따라 분자의 구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자.

실험 해 보기 전자쌍의 수에 따른 분자의 구조 알아보기 사고력 탐구 능력

준비물 풍선, 실

풍선 2 개를 같은 크기로 불어 매듭을 짓고, 매듭을 실로 묶어 연결하자.


풍선 3 개와 4 개를 각각 같은 크기로 불어 매듭을 짓고, 매듭을 실로 묶어 연결하자.

정리

1. 풍선을 공유 전자쌍이라고 할 때 풍선 사이에는 어떤 힘이 작용하겠는가? 그렇게 생각한


까닭은 무엇인가?

2. 풍선의 수에 따라 풍선의 배열이 왜 그렇게 되는지 설명해 보자.

134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공유 결합으로 형성된 분자에서 중심 원자를 둘러싼 전자쌍들은 그들 사이의 전기적 반 결합각
분자에서 중심 원자의 핵과 중심 원
발력을 최소로 하기 위해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배치되려 하는데, 이를 전자쌍 반발 이론 자와 결합한 두 원자의 핵을 연결한
이라고 한다. 선이 이루는 각이다.

그림은 중심 원자 주위에 공유 전자쌍만 있는 경우 전자쌍 반발 이론에 따른 전자쌍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2쌍 3쌍 4쌍
결합각

직선형 평면 삼각형 정사면체

그림 Ⅲ-29 전자쌍 반발 이론에 따른 전자쌍의 배치

플루오린화 베릴륨(BeFª)은 중심 원자 주위에 2 개의 공유 전자쌍이 있으므로 이들


2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사이의 반발이 최소가 되려면 서로 반대편에 배열되어야 한다. 따라서 결합각이 180ù인 분자는 항상 직선형
구조를 가진다.
직선형 구조가 된다. 삼염화 붕소(BCl£)는 중심 원자 주위에 3 개의 공유 전자쌍이 있
으므로 결합각이 120ù인 평면 삼각형 구조가 되며, 메테인(CH¢)은 중심 원자 주위에
4 개의 공유 전자쌍이 있으므로 결합각이 109.5ù인 정사면체 구조가 된다.
연습해 보기 BeFª과 같이 BCl£, CH¢ 분자에서 각 원자의 공간 배치를 그리고, 분자의 구조를 써 보자.

BeF™ BCl£ CH¢

F Be F B C

직선형 ( ) ( )

메테인(CH¢)의 수소(H) 원자 하나가 염소(Cl) 원자로 치환된 클로로메테인(CH£Cl)의 구조를


써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중심 원자가 가지는 전자쌍의 수가 공유 전자쌍만 3 개이면 분자는 ( ) 구조이고, 4 개이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면( ) 구조이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전자쌍 반발 이론
2 전자쌍 반발 원리를 적용하여 다음 분자의 구조를 써 보자. 결합각
(1) CF¢ (2) HCl (3) SiH¢

6. 전자쌍 반발 이론과 분자의 구조 135


중심 원자에 비공유 전자쌍이 있는 분자의 구조

전자쌍 사이의 반발력의 크기 비교 중심 원자에 비공유 전자쌍이 있는 경우 분자의 구조는 어떻게 될까?
비공유 전자쌍은 공유 전자쌍에 비 암모니아(NH£)에서 중심 원자인 질소(N) 원자 주위에는 3 개의 공유 전자쌍과 1 개
해 중심 원자 주위의 공간을 더 많
이 차지하므로 공유 전자쌍보다 다 의 비공유 전자쌍이 존재하므로 메테인(CH¢)처럼 중심 원자 주위에 4 개의 전자쌍을
른 전자쌍들과 더 크게 반발한다. 갖는다. 따라서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들은 사면체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3 개
비공유 비공유
전자쌍 전자쌍 의 수소 원자는 사면체의 세 꼭짓점에만 위치하므로 삼각뿔 구조가 된다. 또 공유 전
비공유 공유
전자쌍 전자쌍 자쌍과 비공유 전자쌍 사이의 반발력은 공유 전자쌍 사이의 반발력보다 크기 때문에
공유 공유
전자쌍 전자쌍 결합각은 109.5ù보다 작은 107ù 정도이다.
반발력의 크기

비공유
전자쌍

N
H
H
107$

그림 Ⅲ-30 암모니아 분자의 구조

트라이플루오린화 질소(NF£)의 루이스 전자점식을 그리고, 분자의 구조를 예측해 보자.

물(HªO)에서 중심 원자인 산소(O) 원자 주위에는 2 개의 공유 전자쌍과 2 개의 비


공유 전자쌍이 존재하므로 전자쌍들은 사면체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2 개의 수소
원자는 사면체의 두 꼭짓점에만 위치하므로 굽은 형 구조가 된다. 또 비공유 전자쌍
사이의 반발력은 공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쌍 사이의 반발력보다 크기 때문에 결합각
은 104.5ù로 더 작아진다.

비공유
전자쌍

H
104.5$

그림 Ⅲ-31 물 분자의 구조

플루오린화 산소(OFª)의 루이스 전자점식을 그리고, 분자의 구조를 예측해 보자.

136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전자쌍 반발 이론으로 분자의 구조를 결정할 때 다중 결합은 하나의 결합으로 취급 폼알데하이드(HCHO)의 구조
HCHO는 단일 결합 2 개와 2 중
한다. 이산화 탄소(COª)에서 중심 원자인 탄소(C) 원자 주위에는 4 개의 공유 전자쌍 결합 1 개가 서로 반발하므로 삼염
이 있지만, 탄소와 산소 사이에 각각 2중 결합을 하므로, 이산화 탄소는 플루오린화 화 붕소(BCl£)와 같은 평면 삼각형
구조이다. 그러나 단일 결합과 2중
베릴륨(BeFª)과 같이 직선형 구조이다. 결합의 전자 밀도가 다르므로 평면
180$ 정삼각형 구조는 아니다.

O
O=C=O O C O
122$
그림 Ⅲ-32 이산화 탄소 분자의 구조 C
H 116$ H
이산화 탄소(COª)와 물(HªO)은 모두 중심 원자에 원자 2 개가 결합한 분자이나 이산화 탄소는
직선형, 물은 굽은 형 구조이다. 이렇게 구조가 다른 까닭이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자료실 중심 원자가 2 개 이상인 분자의 구조

중심 원자가 2 개 이상인 분자에서도 전자쌍 반발 이론을 적용하 H


여 분자의 구조를 예측할 수 있다. 메탄올(CH£OH)의 루이스 구조 H C O H
식은 그림 Ⅲ-33과 같다.
H
메탄올의 분자 구조는 탄소와 산소 원자 주위의 전자쌍 배치로부
그림 Ⅲ- 33 메탄올의
터 예측할 수 있다. 그림 Ⅲ-34의 (가)와 같이 탄소 원자 주위에는
루이스 구조식
4 개의 전자쌍이 있으므로 사면체 방향으로 배치된다. 산소 원자도
4 개의 전자쌍을 가지므로 (나)와 같이 사면체 방향으로 배치되나 비공유 전자쌍 2 개를 가
지므로 사면체가 변형되어 전체적인 구조가 (다)와 같이 된다.

H H

C
H H
C O C
H
H O
O
H
H

(가) (나) (다)

그림 Ⅲ-34 메탄올의 분자 구조

메탄올의 구조식에서 결합각 ∠HCH와 ∠COH의 크기를 비교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2] 다음은 몇 가지 분자의 분자식을 나타낸 것이다.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암모니아의 구조
HªO BCl£ CH¢ NH£
물의 구조

1 모든 원자가 동일 평면에 존재하는 것을 있는 대로 골라 보자.

2 중심 원자의 결합각이 가장 큰 것부터 차례로 나열해 보자.

6. 전자쌍 반발 이론과 분자의 구조 137


만들기
탐구 활동 분자의 구조를 모형으로 나타내기

준비물 목표
분자 모형 세트
다양한 방법으로 분자 모형을 만들고, 전자쌍의 배치에 따른 분자 구조를 말할 수 있다.
앵두 과자
고구마 막대 과자

과정
다음 분자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각에 유의하여 모형으로 나타내고, 분자 구조를 설명해
보자.

BeFª, BCl£, CH¢, NH£, HªO

만들기 1 분자 모형 세트를 이용하여 위의 분자를 모형으로 나타내고, 표를 완성해 보자.

CH¢

NH3

화합물 BeFª BCl£ CH¢ NH£ HªO

분자 모양 F - Be - F

비공유 전자쌍 수

공유 전자쌍 수

중심 원자의 총
전자쌍 수

결합각

분자 구조

138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사고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정리

1. BeFª, HªO은 모두 중심 원자에 원자 2 개가 결합한 분자인데, 분자 구조가 다른 까닭은


무엇인지 써 보자.

2. NH£와 BCl£는 모두 중심 원자에 원자 3 개가 결합한 분자인데, 분자 구조가 다른 까닭


은 무엇인지 써 보자.

3. 분자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은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만들기 2 고구마 막대 과자와 앵두 과자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분자를 모형으로 나타내 보자.

결합각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창의력 모둠별로 실험실에 있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분자 모형을


나타내고, 우리 모둠이 만든 분자 모형의 특징과 장점을 발표해 보자.

평가하기 1 2 3 4 5

여러 가지 분자 모형을 결합각에 맞게 표현하였는가?


전자쌍 반발 이론을 적용하며 창의적인 방법으로 분자를 표현하였는가?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6. 전자쌍 반발 이론과 분자의 구조 139


7. 분자의 극성

학습 •분자 구조에 따라 분자의 극성이 달라지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목표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분자 구조와 관계가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고추에서 매운맛을 내는 성분은 캡사이신이다. 매운 음식을 먹고


입안이 얼얼할 때 매운맛을 없애려면 물보다 우유를 마시는 것이 좋
다고 한다. 그 까닭은 무엇일까?

극성 분자와 무극성 분자
원자들이 전자쌍을 공유하여 분자를 이룰 때, 서로 다른 두 원자 사이의 공유 전자
쌍은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 쪽으로 치우친다. 이와 같은 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
진 분자는 모두 극성을 나타낼까?

자료
해석 해 보기 분자의 극성 알아보기 사고력 탐구 능력

그림은 몇 가지 분자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Cl

H H F Be F O
B
H H
Cl Cl
H™
BeF™ BCl£ H™O

1. 극성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분자를 모두 써 보자.

2. BeFª, BCl£, HªO 분자에서 Be-F, B-Cl, H-O 결합이 나타내는 쌍극자 모멘트의
크기를 모눈종이에 화살표로 나타내 보자. 이때 Be-F, B-Cl, H-O 사이의 쌍극자
모멘트의 크기는 임의의 같은 크기로 나타낸다.

BeF™ BCl£ H™O


Cl
O
F Be F
B H H
Cl Cl

3. 쌍극자 모멘트의 합이 0이 되는 것을 고르고, 그렇게 생각한 까닭을 설명해 보자.

140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분자 내에 전하가 고르게 분포하여 쌍극자 모멘트의 합이 0이면 무극성 분자이고, 전
하가 한쪽으로 치우쳐 있어 쌍극자 모멘트를 가지면 극성 분자이다.
2 개의 원자가 결합한 이원자 분자의 경우, 같은 원자끼리 결합하면 무극성 공유 결
합을 하므로 무극성 분자이고, 전기 음성도가 다른 두 원자가 결합하면 극성 공유 결합
을 하므로 극성 분자이다.
3 개 이상의 원자가 결합한 경우에는 분자의 구조에 의해 분자의 극성이 결정된다.
물 분자(HªO)는 굽은 형 구조로, 2 개의 H-O 결합에 존재하는 쌍극자 모멘트가
합해져 쌍극자 모멘트의 합이 0이 아니므로 극성 분자이다. 암모니아 분자(NH£)는 삼
각뿔 구조로, 3 개의 N-H 결합에 존재하는 쌍극자 모멘트가 한 방향으로 합해져 쌍
극자 모멘트의 합이 0이 아니므로 역시 극성 분자이다.

O N
H
H H H

H™O NH£

그림 Ⅲ-35 극성 공유 결합으로 생성된 극성 분자 극성 공유 결합을 이룬


분자라도 쌍극자 모멘트의
이와 달리 원자 사이에 극성 공유 결합을 하더라도 쌍극자 모멘트가 서로 상쇄되어 합이 0이면 무극성 분자이다.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의 합이 0이면 무극성 분자이다. 플루오린화 베릴륨(BeFª)에서
Be-F 결합은 극성 공유 결합이나, 직선형 구조로 극성이 서로 상쇄되어 쌍극자 모
멘트의 합이 0 이므로 BeFª은 무극성 분자이다. 평면 삼각형 구조인 삼염화 붕소
(BCl£), 정사면체 구조인 메테인(CH¢)도 쌍극자 모멘트의 합이 0인 무극성 분자이다.

Cl H

F Be F
C O C O
B H
H
Cl Cl H
BeF™ BCl£ CH¢ CO™

그림 Ⅲ-36 극성 공유 결합으로 생성된 무극성 분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2] 다음은 몇 가지 분자의 분자식을 나타낸 것이다.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무극성 분자
Oª HF HªS NF£ CCl¢
극성 분자
쌍극자 모멘트의 합
1 극성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분자를 있는 대로 골라 보자.

2 극성 분자를 있는 대로 골라 보자.

7. 분자의 극성 141
실험
탐구 활동 물질의 극성 확인하기

목표
극성 분자와 무극성 분자의 성질을 확인하고, 미지 물질의 극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준비물
실험 1 극성 분자의 전기적 성질
비커 뷰렛
고무풍선 털가죽 과정 및 결과
물 헥세인
뷰렛에 물(HªO)을 넣고 꼭지를 조절하여 가늘게 흘러나오도록 한다.
염화 구리(Ⅱ)
아이오딘 작은 유리병 털가죽에 문지른 풍선을 물줄기에 가까이 대어 본다.
약숟가락 스포이트
● 물줄기의 흐름은 어떻게 되는가?

마스크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

유의할 점
•반드시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실험한다.
•액체에 풍선을 너무 가까이하면 액
체에 닿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실험복, 마스크, 보안경, 실험용
장갑을 착용한다.
•실험 후 사용한 시약은 폐수통에
버린다.

정리

1. 뷰렛에서 흘러내린 물줄기의 흐름이 바뀐다면 그 까닭이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털가죽에 고무풍선을 2. 물줄기에 풍선과 반대 전하를 띤 털가죽을 가까이 대면 흐름이 어떻게 달라질지 예상해
문지르면 털가죽은 (+)로,
고무풍선은 (-)로 대전된다. 보자.

3. 창의력 그림은 헥세인과 에탄올의 분자 구조이다. 헥세인과 에탄올을 각각 뷰렛에 넣


어 위와 같은 실험을 하면 액체 줄기의 흐름이 어떻게 될지 생각해 보자.

헥세인(C¤HÁ¢) 에탄올(CªH°OH)

142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실험 2 분자의 극성과 용해성

과정 및 결과
작은 유리병 하나에 헥세인과 물을 5 mL씩 넣고 흔든 후
가만히 놓아두자.

● 어떤 현상이 관찰되는가?

과정 의 유리병에 염화 구리(Ⅱ)(CuClª)를 약간 넣은
다음 뚜껑을 닫고 유리병을 위아래로 흔든 후 가만히 놓아
두자.

● 어떤 현상이 관찰되는가?

과정 의 유리병에 아이오딘(Iª)을 약간 넣고 같은 방법으


로 섞은 후 가만히 놓아두자.

● 어떤 현상이 관찰되는가?

정리

1. ~ 에서 관찰한 현상을 그림에 단계적으로 나타내고, 이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을 정


리해 보자.

평가하기
1 2 3 4 5
1. 물은 ( 극성, 무극성 ) 물질, 헥세인은 ( 극성, 무극성 ) 물질이며, 물과 헥세인은 서로
실험에 사용한 물질을 안전한 방
섞이지 않고 두 층으로 나뉜다. ● 알 수 있는 사실:

법으로 처리하였는가?

2. 염화 구리(Ⅱ)는 ( 이온 결합, 공유 결합 ) 물질, 아이오딘은 ( 극성, 무극성 ) 물질이


물질의 극성과 물질의 성질을 옳
며, 물에는 ( )이 녹고, 헥세인에는 ( )이 녹는다.
게 설명하였는가?
● 알 수 있는 사실: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
성분을 모르는 액체가 극성인지 무극성인지 판단할 수 있는 간단한 실험 방법 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2. 창의력

을 제시해 보자.

7. 분자의 극성 143
극성 분자와 무극성 분자의 성질
극성 분자는 전하 분포가 치우쳐 있으므로 전기적 성질에서 무극성 분자와는 다른
성질을 나타낸다. 극성을 띠는 기체 분자를 평행 판 사이의 전기장 속에 넣으면 그림
Ⅲ-37과 같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하나, 무극성 분자는 그림 Ⅲ-38과 같이 방향성
을 나타내지 않는다.

(-)극 (+)극 (-)극 (+)극

d± d—

그림 Ⅲ-37 전기장 안에서 극성 분자의 배향 그림 Ⅲ-38 전기장 안에서 무극성 분자의 배향

또 극성을 띠는 액체 물질을 뷰렛에 넣어 천천히 흐르게 한 후 액체 줄기에 대전체


를 가까이 대어 보면 액체 줄기가 대전체 쪽으로 끌린다.

d— d—
(d±H O Hd±( (d±H O Hd±(

+
-
+
- +
-

그림 Ⅲ-39 극성 분자의 전기적 성질 물 분자에 (-)대전체를 가까이 대면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띤 수소 부분이,


(+)대전체를 가까이 대면 부분적인 음전하(dÑ)를 띤 산소 부분이 대전체를 향하므로 대전체에 끌린다.

생활 물질의 용해성 이용 물질의 용해도도 분자의 극성에 따라 달라진다. 이온 결합 물질이나 극성 분자는 극


사인펜 자국을 없앨 때 물파스를 바 성 용매에 잘 용해되고, 무극성 분자는 무극성 용매에 잘 용해된다.
르거나, 매니큐어를 지울 때 아세톤
을 사용하는 것 등은 비슷한 성질을 에탄올은 극성 물질이므로 물과 잘 섞이나 헥세인은 무극성 물질이므로 물과 섞이지
가진 물질끼리 서로 섞이는 성질을 않는다. 극성 분자끼리는 서로 반대 전하를 띤 부분 사이에 강한 인력이 작용하므로
활용한 것이다.
쉽게 섞일 수 있지만 극성 분자와 무극성 분자가 섞이면 극성 분자끼리만 강한 인력이
작용하므로 무극성 분자는 그 사이로 섞여 들어가지 못하고 층을 이룬다.

창의 융합 사고 오리털 점퍼를 드라이클리닝 하면 오히려 옷


감이 상할 수 있다고 한다. 그 까닭이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144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창의 융합 활동하기

준비물 유리병, 헥세인, 물, 펀치, 명함 두께 정도의 종이, 연필, 마스크, 보안경, 실험복, 실험용 장갑 흑연은 탄소로만
이루어진 무극성 물질이고,
종이 원반 뒤집기 종이를 이루는 셀룰로스는
극성 물질이다.
1. 유리병에 물과 헥세인을 15 mL씩 넣자.
2. 명함 정도 두께의 종이 한 면을 연필로 꼼꼼하게 색칠하고, 펀치로 뚫어
작은 종이 원반을 여러 개 만들자.

3. 종이 원반을 유리병에 넣고 마개를 닫은 다음 잘 흔든 후 가만히 세워 헥세인


두자.

종이 원반의 색칠한 면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그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까닭을 설명해 보자.

오른쪽 그림은 물과 헥세인, 물과 사염화 탄소를 시험


헥세인 물
관에 넣고 흔든 다음 가만히 두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
이다. 물, 헥세인, 사염화 탄소의 밀도를 비교하고, 헥세인
물 사염화 탄소
과 사염화 탄소를 섞었을 때의 결과를 예측해 보자.

분자량이 비슷한 분자의 경우 분자의 극성이 클수록 녹는점과 끓는점이 높아진다.


극성 분자는 전하 분포가 치우쳐 있어 다른 분자의 반대 전하를 띤 부분과 전기적 인력
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메테인(CH¢)의 분자량은 16, 암모니아(NH£)의 분자량은 17
로 거의 비슷하지만, 무극성 분자인 메테인의 끓는점은 -161 ¾, 극성 분자인 암모
니아의 끓는점은 -33 ¾로 차이가 매우 크다.

창의 융합 사고 물 분자의 구조가 직선형이라면 지구 환경은 지금과 어떤 차이가 있을지 생각하여


써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골라 보자.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1) 분자량이 비슷한 경우 극성 분자의 끓는점은 무극성 분자보다 ( 높, 낮 )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극성 분자의 전기적 성질
(2) ( 극성, 무극성 ) 분자는 극성 용매에 잘 용해되고, ( 극성, 무극성 ) 분자는 무극성 용매에 잘 용
극성 분자의 용해성
해된다.

2 다음에서 물에 잘 녹는 물질을 있는 대로 골라 보자.

에탄올(CªH°OH) 사염화 탄소(CCl¢) 벤젠(C¤H¤) 아세트산(CH£COOH)

7. 분자의 극성 145
직업 마당

기술 혁신을
뒷받침하는
재료 공학자

현대 사회는 정밀 기계, 전기 전자, 우주 항공, 에너 자 재료(섬유, 탄소 섬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지 공학, 환경 공학 등의 산업 발달과 더불어 급격하 연구들로 고효율 연료 전지, 배터리 등을 개발하여서
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번 충전으로 한 달 쓰는 휴대 전화, 화석 연료가
하는 재료 공학자에 대해 알아보자. 필요 없는 난방 기구, 태양열로 서울과 부산을 왕복
하는 자동차 등을 실현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또 이산화 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인공 광합성 과
Q 재료 공학이란 무엇인가요?
정에 필요한 신소재 개발을 비롯한 새로운 플라스틱
인류는 지금껏 수많은 천연자원을 필요한 형태로
재료의 개발,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건축,
만들어 이를 통해 문명을 이루었다. 돌이나 구리를
항공기, 반도체, 환경, 바이오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하던 시대를 지나 산화 철을 제련하여 얻은 철로
서 재료 공학자의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나노 기술
도구를 발달시키고 산업 발전을 이루었다. 또 철에
(NT)의 발전으로 기존 재료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
크로뮴을 섞어 녹슬지 않고 강도가 높은 스테인리스
운 성질들이 발견되고 있어 새로운 재료의 개발 및 산
강을 만들고, 흙을 빚어 만든 세라믹에 유기물을 섞
업의 발달이 예상된다.
어 깨지지 않고 가벼운 유기 세라믹스를 만들어 엔진
부품이나 인체 내부 보형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
는 가장 가벼운 금속인 리튬을 전지에 사용하면서 휴 핵심 역량 펼치기 내가 재료 공학을 연구하는 연구
대가 간편하고 한 번 충전으로 오래 쓸 수 있는 소형 원이 된다면 어떤 특성을 가진 물질을 만들어 활용할지

전자 기기가 발달하여 정보화 시대를 앞당길 수 있었 생각해 보자.

다. 이처럼 재료 공학은 인류가 풍요로움을 누릴 수


있도록 필요한 물질을 개발하는 분야이다.

Q 재료 공학자가 주로 다루는 분야는 무엇인가요?


재료 공학자가 연구 대상으로 삼는 기본 분야는 금
속 재료(제철), 무기 재료(반도체, 세라믹스), 고분

146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대단원 마무리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핵심 개념 정리하기

화학 결합의 종류 이온 결합, 공유 결합, 금속 결합 루이스 전자점식

극성 공유 결합,
화학 결합 결합의 극성 전기 음성도 쌍극자 모멘트
무극성 공유 결합

극성 분자,
분자의 구조 전자쌍 반발 이론 분자의 극성
무극성 분자

핵심 개념 적용하기

01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를 해 보자.

⑴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중 전자가 화학 결합에 관여한다. ( ○, ×)

⑵ 이온 결합은 비금속 원소끼리 전자쌍을 공유하여 형성되는 결합이다. ( ○, ×)

⑶ 이온 결합 물질은 액체 상태에서 전류가 흐른다. ( ○, ×)

⑷ 금속 결정의 특성은 자유 전자에 의해 나타난다. ( ○, ×)

⑸ 극성 공유 결합에서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는 부분적인 양전하를 띤다. ( ○, ×)

⑹ 극성 공유 결합으로 형성된 분자는 쌍극자 모멘트의 합이 항상 0보다 크다. ( ○, ×)

⑺ 비공유 전자쌍은 공유 전자쌍보다 다른 전자쌍과 더 크게 반발한다. ( ○, ×)

⑻ 중심 원자에 존재하는 전자쌍의 수가 같으면 분자의 구조가 같다. ( ○, ×)

⑼ NH£나 BCl£와 같이 중심 원자와 결합한 원자가 3 개이면 분자는 삼각뿔 구조를 이룬다. ( ○, ×)

⑽ 분자량이 비슷할 때 극성 물질의 끓는점은 무극성 물질보다 높다. ( ○, ×)

대단원 마무리 147


대단원 마무리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1. 화학 결합의 전기적 성질 106 쪽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18 쪽

02 그림은 염화 나트륨 용융액과 물의 전기 분해 장치이다. 05 그림은 A와 C로 이루어진 화합물 (가)와 B와 C로 이루

NaCl 어진 화합물 (나)의 화학 결합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
용융 전원 장치 +
NaCl

(-) (+)

( -)극 철 그물 ( +)극 물 + 수산화 나트륨 (가) (나)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골라 보자. (단, A~C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① (가)의 (-)극에서 금속 나트륨이 생성된다. <보기>

② (나)의 (-)극에서 가연성 기체가 생성된다. ㄱ. 원자 번호는 A가 B보다 크다.


ㄴ. (가)는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다.
③ (가)와 (나) 모두 (+)극에서 기체가 생성된다.
ㄷ. 바닥상태인 원자의 홀전자 수는 A~C 모두 같다.
④ (가)와 (나) 모두 (-)극에서 전자를 잃는 반응이 일
어난다.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18 쪽
⑤ 이 실험을 통해 원자 사이의 결합에 전자가 관여함
06 금속 결합 물질의 성질로 옳지 않은 것은?
을 알 수 있다.
①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이 형성된다.
2. 이온 결합 110 쪽
② 고체와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다.
03 그림은 임의의 원자 A와 B를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③ 광택이 나타나는 것은 자유 전자 때문이다.
A와 B가 결합을 형성할 때 이루는 화학 결합의 종류와
④ 단단한 편이고 힘을 가해도 부서지지 않는다.
생성되는 화합물의 화학식을 써 보자.
⑤ 전압을 가하면 금속 양이온은 (-)극으로 이동한다.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18 쪽

11+ 16+ 07 표는 물질 A~D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전도성
물질 녹는점(¾) 끓는점(¾)
고체 액체
A B
A 801 1413 × ○
2. 이온 결합 110 쪽 B -114 78.8 × ×
04 다음은 어떤 물질의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C 97.8 882 ○ ○
D 1670 2250 × ×

•상온에서 고체 상태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액체와 수용액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다.
•단단하나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쉽게 부서진다. ① A는 공유 결합 물질이다.
② B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위와 같은 성질을 나타내는 물질은? ③ C에 힘을 가하면 쉽게 부스러진다.
① Nª ② Cu ③ C(흑연) ④ D는 승화성이 있다.
④ KCl ⑤ CH¢ ⑤ 상온에서 분자로 존재하는 것은 두 가지이다.

148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4. 결합의 극성 126 쪽 6. 전자쌍 반발 이론과 분자의 구조 134 쪽

08 다음은 몇 가지 분자의 분자식을 나타낸 것이다. 11 그림은 2주기 원소 X, Y, Z의 수소 화합물 (가)~(다)


의 루이스 구조식이다.
Fª, HCl, COª, HªO
H
Y Z
X H H
⑴ 무극성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물질을 있는 대로 골라 H H
H H H
보자. H
XH¢
(가) YH£
(나) ZH™
(다)
⑵ 극성 공유 결합을 포함하나 무극성인 물질을 있는
대로 골라 보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보기>
ㄱ. 중심 원자가 가지는 전자쌍의 총수는 같다.
5. 루이스 전자점식 130 쪽
ㄴ. 중심 원자의 결합각의 크기는 (가)>(나)>(다) 순
09 표의 빈칸을 완성해 보자.
이다.
물질 HCN CªH¢ CªFª ㄷ. 모두 입체 구조이다.

루이스
전자점식 ①ㄱ ②ㄴ ③ㄷ

분자에 ④ ㄱ, ㄴ ⑤ ㄱ, ㄴ, ㄷ
존재하는
공유
전자쌍 수
분자에 7. 분자의 극성 140 쪽

존재하는 12 다음은 어떤 물질 A를 이용한 실험 결과이다.


비공유
전자쌍 수
•헥세인과 액체 A를 유리병에 각각 5 mL씩 넣은 후
흔들었더니 두 개의 층으로 나누어졌다.
•액체 A의 가는 줄기에 (-)전하로 대전한 고무풍선

6. 전자쌍 반발 이론과 분자의 구조 134 쪽 을 가까이 했더니 액체 줄기가 풍선 쪽으로 끌려왔다.

10 다음은 2주기 원소가 중심 원자인 여러 가지 분자를 나


타낸 것이다. 물질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BCl£, CH¢, NH£, COª, HªO, HCHO <보기>
ㄱ. 액체 A는 물과 잘 섞인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ㄴ. 기체 A 분자를 전기장 안에 넣으면 일정한 방향으


로 배열한다.
① BCl£와 CH¢은 입체 구조이다.
ㄷ. 액체 A의 가는 줄기에 (+)대전체를 가까이 대면
② 결합각은 HªO이 COª보다 작다. 액체 줄기가 밀려날 것이다.
③ 전자쌍의 총수는 CH¢이 NH£보다 많다.
④ HCHO는 평면 구조이고, 무극성 분자이다. ①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⑤ COª는 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극성 분자이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대단원 마무리 149


대단원 마무리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핵심 역량 키우기
1. 화학 결합의 전기적 성질 106 쪽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18 쪽

13 탐구 능력 그림은 염화 나트륨 용융액과 금속 나트 16 사고력 다이아몬드(C), 흑연(C), 드라이아이스


륨에 각각 전류를 흘려주었을 때 입자들의 이동을 모 (COª), 나프탈렌(CÁ¼H¥), 아이오딘(Iª)은 모두 공유
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결합 물질이다. 그러나 드라이아이스, 나프탈렌, 아
이오딘은 승화성이 있고, 다이아몬드와 흑연은 녹는
(+)극 (-)극
점이 매우 높다. 같은 공유 결합 물질인데도 이처럼
C C C 성질이 다른 까닭을 설명해 보자.
A D D D

B (+)극 C C C (-)극
D D D

염화 나트륨 용융액 금속 나트륨 6. 전자쌍 반발 이론과 분자의 구조 134 쪽

(가) (나) 17 탐구 능력 다음은 임의의 원소 X, Y, Z의 바닥상태

⑴ 입자 A~D의 화학식과 이름을 써 보자. 전자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⑵ 금속 나트륨에 전류를 흘려주지 않았을 때 입자


•X: 1sÚ` •Y: 1sÛ` 2sÛ` 2pÛ` •Z: 1sÛ` 2sÛ` 2pÞ`
들의 모습을 (나)와 같은 모형으로 그려 보자.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18 쪽
⑴ X와 Y, Y와 Z로 이루어진 물질의 루이스 전자점

14 사고력 그림은 수소 분자가 형성될 때 수소 원자의 핵 식을 그려 보자.


간 거리에 따른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⑵ Y와 Z로 이루어진 분자에서 결합각을 예상하여
쓰고, 분자에 존재하는 공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

너 C 쌍 수를 써 보자.

( kJ/mol )

⑶ X 2 개, Y 1 개, Z 2 개로 이루어진 분자는 극성
0
A 분자인지, 무극성 분자인지 쓰고, 그렇게 생각한

B 까닭을 써 보자.
74 핵 간 거리(pm)

수소 분자가 형성되는 지점을 고르고, B Ú C로 될 때


7. 분자의 극성 140 쪽
에너지가 증가하는 까닭을 설명해 보자.
18 사고력 그림은 분자량이 비슷한 기체 분자 AH£와
BH¢를 전기장 속에 각각 넣었을 때 분자 배열을 나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18 쪽
타낸 것이다. (단, A와 B는 임의의 2주기 원소이다.)
15 탐구 능력 다음은 염화 나트륨과 설탕의 성질을 알
(-)극 (+)극 (-)극 (+)극
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실험>
(가) 가열 장치의 쇠그물 위에 구리판을 올려놓는다.
(나) 구리판 위에 설탕과 염화 나트륨을 올려놓고 고
르게 가열한다.
(가) AH£ (나) BH¢

과정 (나)에서 먼저 녹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는 물질 AH£와 BH¢의 끓는점을 비교하고, 그렇게 생각한 까닭
을 고르고, 그렇게 생각한 까닭을 설명해 보자. 을 설명해 보자. (단, 분자는 같은 모양으로 나타냈다.)

150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논술 | 과학 글쓰기

19 다음은 바이타민에 대한 설명이다.

바이타민은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자로 많은 양이 필요하


지는 않으나 체내에서 생성되기 어려워 반드시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
이다. 바이타민은 소량으로 신체 기능을 조절한다는 점에서 신체의 내분비 기관에
서 형성되는 호르몬과 비슷하다. 바이타민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과는 달리 에
너지는 생성하지 못하나 효소나 효소를 돕는 조효소의 구성 성분이 되어 다른 물
질의 대사에 관여한다.
일반적으로 바이타민은 크게 수용성과 지용성으로 분류한다. 수용성 바이타민
은 물에 잘 녹는 바이타민으로 바이타민 B, C 등이 이에 해당한다.
지용성 바이타민은 지방이나 유기 용매에 잘 녹는 바이타민으로 바이타민 A, D,
E, K 등이 이에 해당한다. 수용성 바이타민보다 열에 강하여 조리 가공 중에 손실
이 적고, 장 속에서 지방과 함께 흡수되므로 지방 흡수율이 떨어지면 이들의 흡수
도 지장을 받게 된다.
그림은 두 종류의 바이타민을 구조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OH
CH£ CH£
HO O O H£C CH£

H OH

OH OH CH£

(가) (나)

⑴ (가)와 (나)의 구조를 보고 어느 것이 수용성 또는 지용성 바이타민일지 고르고 그렇게


생각한 까닭을 분자 구조의 특성으로 설명해 보자.

⑵ 바이타민 (가)와 (나) 중 과량으로 섭취할 경우 체내에 축적되어 부작


용을 일으키는 것이 있다. 이 중 어떤 것인지 밝히고 그렇게 답한 까
닭을 설명해 보자.

바이타민 E가 들어 있는
올리브유

바이타민 C가 들어 있는 레몬

논술 | 과학 글쓰기 151
역동적인
화학 반응

동적 평형 상태 산화 환원 반응

물의 자동 이온화와 pH 화학 반응과 열의 출입

산 염기 반응

산 염기 중화 적정
“우리의 몸 안에서도 살아 있는 생물의 연소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것은
양초의 연소와 조금도 다를 바가 없다.”
- 패러데이(Faraday, M., 1791~1867) -

패러데이는 생물이 태어나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하는 호흡과 양초의 연소가 모두 산소가 관여하

는 산화 환원 반응임을 설명하면서 사람들에게 양초처럼 아름다운 삶을 살아주기를 당부하였다.

이 단원에서는 여러 가지 화학 반응을 이해하여 물질의 변화 과정과 관련지어 알아보자. 가역 반

응에서 동적 평형 상태를 이해하고, pH 개념과 산 염기 반응, 산화 환원 반응 등에서 일어나는 변화

를 관찰하여 그 원리를 탐구해 보자. 또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에서의 에너지 출입을 알아보자.

량 활동으
과학 역

단원 열기

과학 수사 속 화학
과학 수사를 다룬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과학 지식 및 기술, 기구
등을 이용하여 증거와 단서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범인을 찾아내거나
사건을 해결한다. 특히 사건 현장에 남아 있는 범죄 증거를 확보하기 위
해 혈흔이나 지문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다양한 화학 반응이 이용된다.
어떤 화학 반응이 이용되는지 살펴보자.

154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1. 탐구 능력 다음 세 가지 검사는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각각의 반응이 어떻
게 일어나는지 원리를 조사해 보자.

페놀프탈레인을 이용
한 혈흔 검사
루미놀을 이용한 혈흔 검사 혈흔이 묻어 있을 것으
로 의심되는 곳에
혈흔이 묻은 물건에 루미놀 용액을 뿌리 페놀프탈레인이 포함
된 KM 시약을 떨
면 파란색 발광이 나타난다. 어뜨리면 선명한 분홍
색이 나타난다.

페놀프탈린을 이용한
페놀프탈린을 이용한 혈흔 검사 혈흔 검사
한 지문 검사 혈흔 이 묻어 있을 것으로 의심
드린을 이용
혈흔이 묻어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곳에 닌하이 되는 곳에
린 용액을 뿌 페놀프탈레인
곳에 닌하이드 을 뿌리자 선명한 분홍
페놀프탈레인을 뿌리자 선명한 분홍색 지문이 묻은 색
나타난다. 이 나타났다.
이 나타났다. 리면 지문이

검사
이용한 혈흔
페놀프탈린을 심되는 곳에
으로 의
있을 것
혈흔이 묻어 명한 분홍색
을 뿌리자 선
페놀프탈레인
.
이 나타났다

2. 문제 해결력 위 세 가지 검사는 어떤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되며 어떤 제한점을 가지고


있을지 조사해 보자.

핵심 개념
이어 보기 알고 있는 개념을 찾아보고, 이 단원에서 학습할 핵심 개념을 알아보자.

선수 학습 개념 이 단원의 핵심 개념 후속 학습 개념

>> 통합과학 •가역 반응 •산화 >> 화학 II


•산화와 환원 •동적 평형 •환원 •화학 반응에서 에너지
•산성과 염기성 •pH •산화수 출입
•공통 이온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발열 반응 •가역 반응
•중화 반응 •흡열 반응 •산과 염기의 세기
•염

과학 역량 활동으로 단원 열기 155
1. 동적 평형 상태

학습 •상평형과 용해 평형에서 동적 평형 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


목표
•가역 반응에서 동적 평형 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

농구 경기 중 선수를 교체하면 한 선수가 나가고 다른 선수가


들어가므로 결국 경기를 뛰는 선수의 수는 변하지 않는다. 이처럼
화학 반응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만, 겉으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을까?

상평형과 용해 평형
밀폐되지 않은 병 속의 물은 시간이 지나면 증발하여 양이 줄어들지만 밀폐된 병 속
의 물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양이 줄어들지 않는다. 그림 Ⅳ-1과 같이 플라스크 속에
액체를 넣고 밀폐하면 증발한 분자들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플라스크 속에서
서로 충돌하거나 플라스크 벽면 및 액체의 표면과 충돌하게 된다. 이때 액체 표면과 충
증기 돌한 증기 분자가 액체로 되는 것을 응축이라고 한다.
액체가 증발하거나 고체가 승화하
여 생긴 기체를 증기라고 한다.
처음에는 증발하는 분자 수가 응축하는 분자 수보다 많지만, 시간이 지나면 응축하
는 분자 수와 증발하는 분자 수가 같아지게 된다. 이때 액체의 양은 줄지 않고 일정하
게 유지된다.

응축

증발

그림 Ⅳ-1 상평형 처음에는 증발하는 분자 수가 더 많지만,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증발하는 분자 수와 응축하는
분자 수가 같아지므로 액체의 양이 변하지 않는다.

이처럼 액체의 증발 속도와 증기의 응축 속도가 같아서 겉으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서로 다른 상이 공존하는 상태를 상평형이라고 한다. 상평형은 액체와 기체뿐만
아니라 고체와 기체, 고체와 액체 사이에서도 나타난다.

156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상평형과 같이 계속 변화가 일어나지만, 겉으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
이는 현상은 용질이 용매에 용해되는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예를 들어 설탕을 물에 계속 넣으면 처음에는 설탕이 물에 녹아 보이지 않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녹지 않고 가라앉는다. 이때 물에 녹은 설탕 입자는 계속 설탕물 속에 녹
아 있고, 가라앉은 설탕 입자는 계속 고체로 남아 있는 것일까?
그림 Ⅳ-2와 같이 설탕을 물에 계속 넣으면 처음에는 용해되는 입자 수가 석출되는
입자 수보다 많으므로 설탕이 계속 용해되지만, 어느 순간 용해되는 입자 수와 석출되
는 입자 수가 같아지면 설탕은 용해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설탕물
설탕물
석출 용해
설탕
설탕

그림 Ⅳ-2 용해 평형 처음에는 용해되는 입자 수가 더 많지만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용해되는 입자 수와 석출되는


입자 수가 같아지므로, 설탕이 용해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용해되는 속도와 석출되는 속도가 같아서 겉으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


처럼 보이는 상태를 용해 평형이라고 한다.
상평형이나 용해 평형과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일어나는 변화의 속도가 같아서
겉으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를 동적 평형 상태라고 한다.

창의 융합 사고 흰색 설탕의 포화 수용액에 황색 설탕을 넣으면 어떻게 될지 설명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물의 증발 속도와 수증기의 응축 속도가 같아서 겉으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동적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평형 상태를 ( )(이)라고 한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상평형
2 설탕을 물에 녹일 때 용해되는 속도와 석출되는 속도가 같아서 겉으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처 용해 평형
럼 보이는 동적 평형 상태를 ( )(이)라고 한다. 동적 평형 상태

1. 동적 평형 상태 157
가역 반응과 동적 평형 상태
상평형이나 용해 평형처럼 화학 반응에서도 반응은 계속 일어나지만, 겉으로는 변화
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을까?

시범
실험 해 보기 염화 코발트 종이의 색 변화 관찰하기 사고력 탐구 능력

염화 코발트 종이 준비물 염화 코발트 종이, 스포이트, 헤어드라이어, 비커, 물


염화 코발트 종이는 연소 반응 결과
생성된 물을 확인할 때 주로 사용한다. 1. 파란색 염화 코발트 종이에 물을 떨어뜨리면 염화 코발트 종이의 색은 어떻게 변하는가?

2. 과정 1의 염화 코발트 종이를 헤어드라이어로 가열하면 염화 코발트 종이의 색은 어떻게


변하는가?

파란색 염화 코발트(CoClª) 종이에 물을 떨어뜨리면 염화 코발트가 물과 결합하면


서 분홍색 염화 코발트 수화물(CoClª´6HªO)로 변한다.

CoClª + 6HªO 1Ú CoClª´6HªO


파란색 분홍색

분홍색 염화 코발트 종이를 가열하면 염화 코발트 수화물에서 물이 떨어져 나가면서


다시 파란색 염화 코발트로 변한다.

CoClª´6HªO 1Ú CoClª + 6HªO


분홍색 파란색

가역 반응에서 화살표의 의미 이때 반응물이 생성물로 되는 반응을 정반응이라 하고, 생성물이 반응물로 되는 반


화학 반응식에서 정반응은 3Ú, 역
응을 역반응이라고 한다. 염화 코발트 종이의 색 변화와 같이 반응 조건에 따라 정반응
반응은 Û3로 나타내며, 가역 반응
은 ^j&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과 역반응이 모두 일어날 수 있는 반응을 가역 반응이라 하고, 다음과 같이 하나의 화
학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CoClª + 6HªO ^jj& CoClª´6HªO


파란색 분홍색

158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석회 동굴과 종유석, 석순 등이 만들어지는 과정도 가역 반응이다. 석회 동굴은 탄산
칼슘(CaCO£)이 주성분인 석회암 지대에서 생긴다. 석회암이 이산화 탄소(COª)를 포
함한 물과 반응하여 탄산수소 칼슘(Ca(HCO£)ª)을 생성하므로 석회 동굴이 만들어진
다. 반대로 탄산수소 칼슘 수용액에서 물이 증발하고 이산화 탄소가 빠져나가면서 탄
산 칼슘이 석출되면 석회 동굴 천장에 종유석이 만들어지고, 석회 동굴 바닥에 석순이
만들어진다.

CaCO£(s)+HªO(l)+COª( g ) ^jj& Ca(HCO£)ª(aq)

한편, 한 방향으로만 일어나는 반응을 비가역 반응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화학 반응


은 가역 반응이지만 연소 반응이나 산과 금속이 반응하여 기체를 생성하는 반응, 앙금
이 생성되는 반응 등은 비가역 반응이다.
가역 반응에서는 항상 정반응과 역반응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반응물과 생성물이
같이 존재한다. 그리고 반응 조건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정반응이 일어나는 속도와 역반
응이 일어나는 속도가 같아져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변하지 않는 동적 평형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반응 조건에 따라 정반응과 역반응이 모두 일어날 수 있는 반응을 ( )(이)라 하고, 한 방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향으로만 일어나는 반응을 ( )(이)라고 한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가역 반응
2 가역 반응에서 반응 조건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변하지 않는 비가역 반응
( )을/를 이루게 된다.

그림 Ⅳ-3 석회 동굴의 생성

1. 동적 평형 상태 159
2. 물의 자동 이온화와 pH

학습 •물의 자동 이온화와 물의 이온화 상수를 설명할 수 있다.


목표
•수소 이온 농도를 pH로 표현할 수 있다. pH?
산성비?

신문 기사에서 ‘pH가 5.6 미만인 비를 산성비라고 하며, 산성비가 내


리면 흙이나 호수 등이 산성화된다.’ 라는 표현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때 pH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물의 자동 이온화
순수한 물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매우 정밀한 장치로 전기
전도도를 측정해 보면 아주 적은 양의 전류가 흐른다. 이것은 매우 적은 양이지만 물
분자들끼리 수소 이온(H±)을 주고받아 이온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반응
H£O±은 하이드로늄
이온이라고 하며, 을 물의 자동 이온화라고 한다.
H£O±을 편의상
H±으로 쓰기도 한다.
+ -

O + O
H
O
H
+ O
H H H H H
H

HªO + HªO ^jj& H£O± + OHÑ

그림 Ⅳ-4 물의 자동 이온화

물의 자동 이온화 반응은 가역 반응이므로 정반응이 일어나는 속도와 역반응이 일어


나는 속도가 같아지면서 동적 평형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동적 평형이 이루어지면 반응
물과 생성물의 농도는 변하지 않으며, 하이드로늄 이온의 농도와 수산화 이온의 농도
의 곱 또한 일정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이때 [ ]는 몰 농도를 의미한다.

[`H£O±] [OHÑ]=일정=K·

이 식에서 K·를 물의 이온화 상수라고 한다. K·는 온도가 일정할 때 항상 같은 값


을 나타내며, 25 ¾에서의 K·는 1.0×10ÑÚ`Ý`이다.

160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물의 이온화 상수를 이용하면 수용액에서 하이드로늄 이온의 농도와 수산화 이온의 이온화 상수
이온화 상수(K)는 반응물의 농도
농도를 구할 수 있으며, 이들 농도를 비교하여 수용액의 액성을 구별할 수 있다. 곱에 대한 생성물의 농도 곱의 비로
나타낸다. 물의 이온화 반응에서 물
연습해 보기 25 ¾, 0.01 M 염산에서 [H£O±]와 [OHÑ]를 구해 보자.
의 농도는 거의 일정하므로, 물의
이온화 상수(K·)는 다음과 같이 나
1단계 25 ¾에서 물의 이온화 상수(K·)는 다음과 같다. 타낼 수 있으며 단위는 생략한다.
K·=[`H£O±] [OHÑ]=1.0_10ÑÚ`Ý` [H£O±][OHÑ]
K=
[HªO]Û`
2단계 염산은 대부분 이온화하므로 [`H£O±]=( )이다.
K·=[H£O±][OHÑ]
3단계 이를 대입하면 1.0_10ÑÚ`Ý`=( )_[OHÑ]이므로,
[OHÑ]는 ( )이다.

순수한 물에서 [`H£O±`]=[OHÑ]이므로 25 ¾ 물에서 [H£O±`]=[OHÑ]=1.0×10Ñà` M


이다.
순수한 물과 같이 [`H£O±`]=[OHÑ]인 용액을 중성 용액이라 하고, [H£O±`]>[OHÑ]
인 용액은 산성 용액이라 하며, [H£O±`]<[OHÑ]인 용액은 염기성 용액이라고 한다.

농도(M) 1.0^10—⁄› 1.0^10—‡ 1.0^10‚

산성
용액 [H£O±]
[H£O±]>[OH—]
[OH—]

중성
용액 [H£O±]
[H£O±]=[OH—]
[OH—]

염기성
용액 [H£O±]
[H£O±]<[OH—]
[OH—]

그림 Ⅳ-5 산성, 중성, 염기성 용액에서의 하이드로늄 이온 농도와 수산화 이온 농도(25 ¾)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물 분자가 스스로 이온화하여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을 생성하는 반응을 ( )(이)라고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물의 자동 이온화
2 물의 자동 이온화 반응은 순수한 물에서 매우 적은 양이 일어나며, 온도가 일정하면 [H£O±]와 물의 이온화 상수
[OHÑ]의 곱은 일정하다. 이 값을 ( )(이)라고 한다.

3 25 ¾에서 물의 이온화 상수(K·)는 ( )이다.

2. 물의 자동 이온화와 pH 161
pH
수용액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는 수소 이온의 농도나 수산화 이온의 농도로 알 수
있지만 그 값이 너무 작아서 사용하기 불편하다.
글쎄? 값이 너무
작고 복잡해. 간단히
[H±]가 2.0_10ÑÝ` M인 용액은 나타낼 수 없을까?
[H±]가 2.0_10ÑÚ`Ú` M인 용액
보다 농도가 몇 배나 클까?

수용액에서 수소 이온 농도를 나타낼 때는 수소 이온 농도의 역수의 상용로그 값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것을 수소 이온 농도 지수라고 부르며 pH라는 기호를 사
용하여 나타낸다.

pH=log``
1 =-log`[H±]
[H±]

즉 pH는 수소 이온 농도를 간단한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수용액에서 0~14 사이


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25 ¾ 중성 용액에서 수소 이온의 농도는 1.0×10Ñà` M이
므로 pH는 다음과 같다.

중성 용액의 pH = -log [H±]=-log(1.0×10Ñà``) = 7

산성 용액에서는 수소 이온 농도가 1.0×10Ñà M보다 크므로 pH가 7보다 작고,


염기성 용액에서는 수소 이온 농도가 1.0×10Ñà M보다 작으므로 pH가 7보다 크다.

수용액의 산성 중성 염기성
액성

[H±](M) 1 10—⁄ 10—€ 10—‹ 10—› 10—fi 10—fl 10—‡ 10—° 10—· 10—⁄‚ 10—⁄⁄ 10—⁄€ 10—⁄‹ 10—⁄›

pH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그림 Ⅳ-6 수용액의 액성과 pH의 관계(25 ¾) pH 값이 1씩 작아질수록 수소 이온 농도는 10 배 커진다. 예를 들


어 pH 5인 수용액은 pH 6인 수용액보다 pH 값이 1만큼 작지만 수소 이온 농도는 10 배 크다.

1. 수용액 내 수소 이온 농도가 0.001 M이라면 pH는 얼마인가?


2. pH 4인 수용액은 pH 6인 수용액보다 수소 이온 농도가 몇 배 더 큰가?

162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용액의 pH는 pH 시험지나 pH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pH 시험지는 여러 가지 지시약들
을 섞어 만든 만능 지시약을 종이에 적셔 만든 것으
로, 용액의 pH에 따라 색깔이 다르게 변하기 때문
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pH 미터는 수소 이온
농도에 따른 전기 전도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만든 pH 미터 pH 시험지

기계로, 정밀하게 pH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림 Ⅳ-7 pH값을 측정하는 방법

실험 해 보기 pH를 예상하고 측정하기 사고력 탐구 능력

예상

1. 0.1 M 염산과 0.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pH는 각각 얼마인가? (단,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은 수용액에서 완전히 이온화한다.)

2. 두 용액을 각각 10 배로 묽히면 pH는 각각 얼마인가?

과정 및 결과

1. pH 미터로 0.1 M 염산과 0.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pH를 측정하고, 위에서 예상
한 pH와 비교해 보자.

2. 두 용액을 각각 10 배로 묽힌 후 pH를 측정하고, 위에서 예상한 pH와 비교해 보자.

침샘
pH 6.4~7.0

pH는 사람의 몸에서 일어나는 소화 과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소화가 잘 일어



나려면 효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소화 기관의 pH는 각 소화 효소가 잘 작용할 수 pH 0.9~2.0
쓸개
pH 7.4~8.0
있는 조건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다. 이자
pH 8.0~8.9

소장
창의 융합 사고 우리 생활에서 pH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예를 조사해 보자. pH 8.0~8.9

그림 Ⅳ-8 소화 기관의 pH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 )은/는 수소 이온 농도를 간단한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0~14 사이의 값을 갖는다.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수용액의 액성은 pH가 7보다 작으면 ( )이고, pH가 7보다 크면 ( )이다.
pH

2. 물의 자동 이온화와 pH 163
학습 •브뢴스테드・로리 산과 염기를 설명할 수 있다.
목표 아직도
•산 염기 반응을 설명할 수 있다.
보존되다니!
•중화 반응에서의 양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한지는 일반 종이와 달리 중성지로 만들어져 천 년을 견딜 만큼 보존성


이 뛰어나다. 한지의 제작 과정을 산과 염기의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브뢴스테드 ・ 로리 산과 염기
아레니우스는 물에 녹았을 때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을 산으로, 수산화 이온
아레니우스 산과
염기로 설명할 수 (OHÑ)을 내놓는 물질을 염기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아레니우스의 정의는 수용액에서
없는 반응이 있어!
만 적용되며, 물이 아닌 다른 용매에서는 산과 염기를 설명할 수가 없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브뢴스테드와 로리는 각각 산과 염기의 일반적인 정의를 제안하였는
데, 산은 수소 이온(양성자)을 내놓는 물질이고, 염기는 수소 이온(양성자)을 받는 물질
이라고 정의하였다. 예를 들어 염화 수소(HCl)가 물(HªO)에 녹는 반응을 살펴보자.
..
브뢴스테드(Bronsted, J. N.,
H± +
1879~1947)(좌)
로리(Lowry, T. M., 1874~ Cl H + O
H
O
H
+ Cl—
1936)(우) H H
덴마크 화학자 브뢴스테드는 1923 H

년에 아레니우스의 산 염기 개념을 HCl HªO H£O± ClÑ


확장한 새로운 산 염기 이론을 발표 그림 Ⅳ-9 염화 수소와 물의 반응
하였다. 영국 화학자 로리도 같은
시기에 같은 이론을 내놓았기 때문 염화 수소는 수소 이온을 내놓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산으로 작용하고, 물은 수소
에 이 이론을 브뢴스테드・로리 산
염기 이론이라고 한다.
이온을 받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염기로 작용한다.
암모니아(NH£)가 물에 녹는 반응에서 산과 염기로 작용한 물질은 무엇일까?

H± + -
H
H H
N
O + H H
H
N
H
+ H O
H
H

HªO NH£ NH¢± OHÑ


그림 Ⅳ-10 암모니아와 물의 반응

자료 읽기 물은 수소 이온을 내놓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으)로 작용하고, 암모니아


는 수소 이온을 받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으)로 작용한다.

164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다른 예로 염화 수소(HCl)와 암모니아(NH£)의 반응을 살펴보자. 이 반응은 물과
관계없이 일어나는 반응이다.

H± +
H

Cl H + H
N
H N + Cl—
H H
H
H

HCl NH£ NH¢± ClÑ


그림 Ⅳ-11 염화 수소와 암모니아의 반응

염화 수소는 수소 이온을 내놓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산으로 작용하고, 암모니아


는 수소 이온을 받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염기로 작용한다.
이처럼 브뢴스테드・로리 산과 염기 정의는 수용액에서 일어나는 반응뿐만 아니라
수용액에서 일어나지 않는 반응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연습해 보기 탄산수소 이온과 물의 반응에서 브뢴스테드・로리 산과 염기로 작용한 물질을 구분해


보자.

1단계 화학 반응식을 쓰고, H±의 이동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한다.

H± 이동
HCO£Ñ(aq) + HªO(l) 1Ú HªCO£(aq) + OHÑ(aq)

2단계 H±을 내놓는 물질을 산, H±을 받는 물질을 염기로 구분한다.


HªO은 H±을 내놓으므로 ( )(으)로 작용한다.
HCO£Ñ은 H±을 받으므로 ( )(으)로 작용한다.

물은 염산과 같은 산 수용액에서는 염기로 작용하고, 암모니아수와 같은 염기 수용


액에서는 산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산으로도 작용할 수 있고, 염기로도 작용할 수 있
는 물질을 양쪽성 물질이라고 한다.

탄산수소 이온이 산으로 작용하는 예를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고, 브뢴스테드・로리 산과 염기로


설명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브뢴스테드・로리는 수소 이온(양성자)을 내놓는 물질을 ( )(이)라 하고, 수소 이온(양성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자)을 받는 물질을 ( )(이)라고 정의하였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브뢴스테드・로리 산
2 염화 수소가 물에 녹는 반응에서 물은 ( )(으)로 작용하고, 암모니아가 물에 녹는 반응에 브뢴스테드・로리 염기
서 물은 ( )(으)로 작용한다. 물과 같이 산이나 염기로 모두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양쪽성 물질
( )(이)라고 한다.

3. 산 염기 반응 165
산 염기 반응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이 반응할 때 용액 속에 존재하던 이온 사이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다음 활동을 통해 알아보자.

자료
해석 해 보기 산과 염기의 반응 모형 해석하기 사고력 탐구 능력

그림은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에 염산을 넣을 때 용액 속 이온 수의 변화를 모형으로 나타


낸 것이다.


H± Cl—
Cl—

200

Na±
Cl—
H O — Na± H O —
O
Na± H O — Na± H H

(가) (나) (다)

정리

1. 용액 (다)에 들어 있는 물질을 모형으로 나타내 보자.

2. 용액 (가)~(다)에 들어 있는 이온의 종류와 수를 표에 써 보자.

구분

(가)

(나)

(다)

3. 용액 (가)~(다)는 산성, 중성, 염기성 중 어떤 용액인가?

4. 위 반응에서 실제로 반응에 참여한 이온과 반응하지 않고 용액 중에 그대로 남아 있는 이


온은 무엇인가?

5. 위 반응의 알짜 이온 반응식을 써 보자.

6. 용액 (다)에서 물을 모두 증발시킨 후에 남아 있는 물질은 무엇인가? 이 물질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해 보자.

166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반응에서처럼 산의 수소 이온(H±)과 염기의 수산화
이온(OHÑ)이 만나 물이 생성되는 반응을 중화 반응이라고 한다.
이때 나트륨 이온(Na±)과 염화 이온(ClÑ)처럼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수용액 중에
그대로 남아 있는 이온을 구경꾼 이온이라 하고, 수소 이온(H±)이나 수산화 이온
(OHÑ)처럼 반응에 직접 참여한 이온을 알짜 이온이라고 한다.

알짜 이온 반응식: H±(aq) + OHÑ(aq) 1Ú HªO(l)

산과 염기의 반응에서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은 같은 양(mol)만큼 반응한다. 따


라서 혼합하는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의 양(mol)이 같으면 중화 반응이 완전히 일
어나 용액은 중성이 된다. 그러나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 중 어느 한쪽의 양(mol)이
더 많으면 중화 반응이 일어난 후에도 용액은 산성이나 염기성을 나타낸다.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이 완전히 중화된 후 용액을 가열하면 물은 증발하고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반
응 결과 생성된 염화 나트륨
흰색의 육면체 결정인 염화 나트륨이 남게 된다. 이를 통해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
액의 중화 반응이 일어나면 물과 염화 나트륨이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염화 나트
륨처럼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양이온이 결합한 물질을 염이라고 한다.

산 + 염기 1Ú 물 + 염

제산제는 수산화 마그네슘(Mg(OH)ª), 수산화 알루미늄(Al(OH)£ ), 탄산수소 나트


륨(NaHCO£)과 같은 염기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속이 쓰릴 때 제산제를 먹으면 위
에서 분비되는 위액을 중화시키므로 속이 쓰린 증상이 사라진다. 생선 비린내를 없애
기 위해 생선에 레몬즙을 뿌리는 것과 벌레에 물렸을 때 염기성 물질을 바르는 것도 중
화 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이처럼 중화 반응은 우리 생활에서 유용하게 이용된다.

창의 융합 사고 석회수는 염기성인 수산화 칼슘(Ca(OH)ª)의 포화 용액이다. 이산화 탄소와 석회


수가 만나서 뿌옇게 되는 현상을 중화 반응으로 설명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산의 수소 이온(H±)과 염기의 수산화 이온(OHÑ)이 만나 물(HªO)이 생성되는 반응을 ( )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이)라고 한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중화 반응
2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양이온이 결합한 물질을 ( )(이)라고 한다.

3. 산 염기 반응 167
중화 반응에서의 양적 관계
중화 반응이 일어날 때 수소 이온(H±)과 수산화 이온(OHÑ)은 항상 1`:`1로 반응하
므로, 반응하는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의 양(mol)은 항상 같다.

+ Na±
Cl—

H± Na± — O
Cl— H O
H H

염산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염화 나트륨 수용액

그림 Ⅳ-12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중화 반응 모형

물질의 양(mol)은 염산 1 몰과 수산화 나트륨 1 몰이 중화 반응할 때 각각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을


몰 농도(M)와 용액의
부피(L)를 곱한 내놓으므로, 이때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의 양(mol)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값과 같다.
성립한다.

산의 몰 농도_산의 부피=염기의 몰 농도_염기의 부피

0.1 M 염산(HCl(aq)) 100 mL를 완전히 중화하는 데 필요한 0.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NaOH(aq))의 부피를 구해 보자.

그러면 황산 수용액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반응에도 이 관계가 성립할까?

Na±

+ Na±
H
O
H

H± Na± —
SO¢€— Na± H O O SO¢€—
H± — H H
H O

황산 수용액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황산 나트륨 수용액

그림 Ⅳ-13 황산 수용액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중화 반응 모형

황산 1 몰은 이온화하면 수소 이온을 2 몰 내놓는다. 따라서 1 몰의 황산은 2 몰


의 수산화 나트륨과 반응하여 완전히 중화된다. 중화 반응을 완결하려면 산과 염기
의 농도가 같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의 양(mol)이 같아야 하
므로 이때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2_산의 몰 농도_산의 부피=1_염기의 몰 농도_염기의 부피

168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산 1 몰이 내놓는 수소 이온(H±)의 양(mol)을 n, 염기 1 몰이 내놓는 수산화 이온 가수
산 1 몰이 내놓는 수소 이온의 몰수
(OHÑ)의 양(mol)을 n'이라 하고, 몰 농도가 M인 산 V L와 몰 농도가 M'인 염기 와 염기 1 몰이 내놓는 수산화 이온
V' L가 반응하여 완전히 중화된다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의 몰수를 가수라고 한다.
① 산의 가수
•1가 산: HCl, CH£COOH
•2가 산: HªSO¢, HªCO£
•3가 산: H£PO¢
② 염기의 가수
•1가 염기: NaOH, KOH
•2가 염기: Ca(OH)ª, Ba(OH)ª
•3가 염기: Al(OH)£

산의 양(mol) 염기의 양(mol)


MV M'V'

산이 내놓는 H±의 양(mol) 염기가 내놓는 OH—의 양(mol)


nMV n'M'V'

완전히 중화된다.

nMV = n'M'V'

그림 Ⅳ-14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연습해 보기 0.2 M 질산 수용액(HNO£(aq)) 0.02 L가 완전히 중화하는 데 필요한 0.02 M 수


산화 칼슘 수용액(Ca(OH)ª(aq))의 부피를 구해 보자.

1단계 HNO£ 1 몰은 H±을 ( ) 몰 내놓고,


Ca(OH)ª 1 몰은 OHÑ을 ( ) 몰 내놓는다.

2단계 nMV=n'M'V' 식에 따라 Ca(OH)ª 수용액의 부피(V')를 구하면


1×0.2 M×0.02 L=( )_( ) M_V' L
V'=( ) L이다.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산과 염기가 완전히 중화되기 위해서는 산의 ( )과/와 염기의 ( )이/가 같아야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2 다음 산 수용액을 완전히 중화하는데 필요한 염기 수용액의 부피를 구해 보자.
(1) 0.5 M 염산(HCl(aq)) 10 mL가 완전히 중화될 때 필요한 0.05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NaOH(aq))의 부피
(2) 0.5 M 황산 수용액(HªSO¢(aq)) 10 mL가 완전히 중화될 때 필요한 0.05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NaOH(aq))의 부피

3. 산 염기 반응 169
학습 •산 염기 중화 적정 실험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다.
목표
•산 염기 중화 적정을 통해 농도를 모르는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2배
식초인가?

식초에는 신맛을 내는 아세트산이 들어 있는데, 식초 중에는 신맛의


정도에 따라 2 배, 3 배 식초 등이 있다. 그렇다면 이들 식초 속의 아세
트산의 농도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표준 용액과 중화 적정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를 이용하면 실험으로 농도를 모르는 산이나 염기 수용액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농도를 모르는 염산과 0.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지시약이 있을 때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를 이용하여 염산의 농도를 알아내고자 한다. 다음 활동을 통해 실험에 필요
한 기구와 실험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조사
토의 해 보기 염산의 농도를 알아내는 실험 장치 꾸미기 사고력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1. 다음은 중화 반응 실험에 쓰이는 몇 가지 실험 기구이다. 실험 기구의 이름과 용도를 모둠


별로 조사해 보자.

170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2. 과정 1의 실험 기구를 활용하여 염산의 농도를 알아내는 실험 장치를 꾸미고 실험 방법을 지시약
중화 적정에서는 산과 염기의 종류
써 보자.
에 따라 알맞은 지시약을 선정해야
한다. 지시약의 색이 변하는 pH 범
•실험 장치 위를 변색 범위라고 하는데, 지시약
의 종류에 따라 변색 범위가 다르다.
페놀프탈레인 용액, 메틸 오렌지
용액, BTB 용액 등
설계한 장치를
그리거나 사진을
찍어 붙여 보세요.

•실험 방법

3. 모둠별로 실험 장치와 실험 방법을 비교하고, 자신의 모둠에서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


지 토의해 보자.

농도를 모르는 일정량의 염산에 농도를 알고 있는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조금씩 중화점과 종말점
산과 염기가 서로 완전히 중화되는
가하여 용액이 완전히 중화되는 데 필요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피를 측정하면 지점을 중화점이라 하고, 중화 적정

염산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이때 농도를 정확히 알고 있는 용액을 표준 용액이라고 실험에서 중화점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여 표준 용액의 첨가를 중지
하며,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농도를 모르는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알아내는 방법 하는 지점을 종말점이라고 한다.

을 중화 적정이라고 한다.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정확하게 알아내기 위해 용액의 부피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피펫, 부피 플라스크, 뷰렛 등의 실험 도구를 이용한다.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중화 적정에 사용되는 농도를 알고 있는 산 또는 염기 용액을 ( )(이)라고 한다.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2 표준 용액을 이용하여 농도를 모르는 산 또는 염기의 농도를 알아내는 방법을 ( )(이)라
표준 용액
고 한다. 중화 적정

4. 산 염기 중화 적정 171
실험
탐구 활동 식초 속의 아세트산 함량 구하기

목표
중화 적정을 이용하여 식초 속의 아세트산 농도를 구할 수 있다.

준비물 실험 1 0.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만들기


수산화 나트륨 식초
과정
증류수
페놀프탈레인 용액 수산화 나트륨 4 g을 전자저울로 정확히 측정하여 증류수 100 mL가 담긴 비커에 넣고
부피 플라스크 녹여 보자.
삼각 플라스크
비커 피펫 녹인 용액을 1 L 부피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로 비커를 2~3 회 씻어 부피 플라스크에
피펫 필러 깔때기 넣어 보자.
뷰렛 뷰렛 집게
스포이트 스탠드 부피 플라스크의 표시선까지 증류수를 채워 보자.
전자저울 시약포지
약숟가락 점적병 부피 플라스크의 마개를 잘 막은 다음 흔들어 용액을 골
흰 종이 실험복 고루 섞어 보자.
보안경
실험용 장갑

유의할 점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을
착용한다.
•산, 염기 용액이 손에 묻지 않도
록 주의하고, 묻었을 경우 즉시
흐르는 물에 손을 씻는다.
•실험 후 사용한 시약은 폐수통에 정리
버린다. ● 만들어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몰 농도는 얼마인가?

몰 농도 용액 만들기는 ‘I. 화
학의 첫걸음 5. 용액의 농도’에서 확
인할 수 있다. ➜ 46 쪽 실험 2 중화 적정을 통해 식초 속의 아세트산 농도 구하기

과정
시판되고 있는 식초 10 mL와 증류수 90 mL를 비커에 넣고 희석해 보자.

과정 의 용액 20 mL를 피펫으로 취한 후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2~3 방울 떨어뜨려 용액의 색 변화를 관찰하자.
뷰렛에 실험 1에서 만든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넣고 뷰렛의 눈금을 읽어 보자.

뷰렛 아래에 과정 의 삼각 플라스크를 놓고, 뷰렛의 꼭지를 열어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을 조금씩 떨어뜨리면서 삼각 플라스크를 천천히 흔들어 보자.

삼각 플라스크 아래에 흰 종이를 깔고 용액의 색 변화를 관찰하자.

172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용액에 분홍색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조심스럽게 한 방울씩 넣으며
계속 흔들어 보자.

용액이 전체적으로 분홍색이 되어 삼각 플라스크를 흔들어도 용액의 색이 없어지지 않으면


뷰렛의 꼭지를 잠근 후 뷰렛의 눈금을 읽어 보자.

위 과정 ~ 을 한 번 더 반복해 보자.

페놀프탈레인 뷰렛
용액 꼭지


종이

결과

1. 실험에서 측정한 값을 표에 써 보자.

실험 뷰렛의 처음 눈금 뷰렛의 나중 눈금 소모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피(mL)

1
2
평가하기
1 2 3 4 5
2. 소모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부피의 평균값은 얼마인가?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
가?
모둠원과 서로 협력하고 배려하
면서 실험하였는가?

정리 실험을 통해 식초 속의 아세트산
함량을 구할 수 있는가?
1. 아세트산 수용액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 보자.
실험 후 시약 처리 및 뒷정리를
잘하였는가?
2. 실험에 사용된 아세트산의 몰 농도를 구해 보자.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
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3. 창의력 실험에 사용한 식초 1 병에 함유된 아세트산의 양(mol)은 얼마인가?

4. 산 염기 중화 적정 173
우주선의
이산화 탄소를 제거하는
수산화 리튬(LiOH) 우주선에서 호흡하기 위해서는 산소가 꼭 필요하다. 그러나 산소만 있
으면 되는 것은 아니다. 호흡의 결과로 나오는 이산화 탄소를 제거해 주어
야 한다. 지구에서는 광합성 등을 통해서 이산화 탄소가 적절히 제거되지만
밀폐된 공간인 우주선 내에서는 이산화 탄소가 저절로 없어지지 않으므로 인위적인
방법으로 제거해 주지 않으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우주선에서 이산화 탄소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여과 장치의 필터에는 수산화 리튬이
들어 있다. 수산화 리튬이 이산화 탄소와 만나면 중화 반응이 일어나면서 물과 탄산 리튬이
생성되므로 이산화 탄소를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다.

COª + 2LiOH 1Ú HªO + LiªCO£

아폴로 13호의 기계선

174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최신 과학 과학 마당

메일
박스

구조된 아폴로 13호와 규격이 다른 사령선의 필터를 장착하기 위해서 급하게 직접 제작한 메일 박스 착륙선의 예비
용 수산화 리튬은 착륙선 바깥에 탑재되어 있어 비행사가 선외 활동을 할 때 가져올 수 있다.

실제로 달에 착륙하지 못하고 귀환했던 아폴로 13호는 선내의 이산화 탄소 제거에 문제가
발생하여 귀환에 어려움을 겪었다. 착륙선에 있던 수산화 리튬의 양이 세 명의 우주 비행사
가 귀환하는 데 필요한 양에 비해 부족하여 사령선에 있던 필터를 이용해야 했는데 사령선의
필터는 모양이 사각형이어서 착륙선의 둥근 필터 카트리지에 그대로 장착할 수 없었다.
비상사태에 돌입한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연구원들이 해결책을 밤낮없이 고심하여
찾은 결과, 선내에 남아 있던 골판지나 비닐봉지를 껌 테이프로 붙여 맞추어 사각 필터 카트
리지를 제작하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 우주 비행사들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에서 설명
하는 대로 필터 카트리지를 완성했고 이렇게 완성한 임시 필터를 메일 박스라고 하였다.
다행히 메일 박스가 잘 작동해서 이산화 탄소를 제거하는 데 성공하였고 우주 비행사들은
천신만고 끝에 무사히 지구로 귀환하게 되었다. 이 과정은 영화를 통해 그대로 재현되었다.

핵심 역량 펼치기

우주선에서 이산화 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수산화 리튬 대신 수산화 나트륨을 이용하면 어떻게


될지 생각해 보자.

과학 마당 175
학습 •산화 환원 반응을 전자의 이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목표
•산화 환원 반응을 산화수의 변화로 설명할 수 있다.
•산화수를 이용하여 산화 환원 반응식을 완성할 수 있다.

철광석으로부터 철을 얻는 과정과 철로 된 나사가 녹스는


과정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전자의 이동에 의한 산화 환원 반응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산소를 얻는 반응을 산화 반응이라 하고 산소를 잃는 반응을
환원 반응이라고 한다. 산소의 이동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 산화 환원 반응을 설명할
수는 없을까? 마그네슘의 연소 반응을 예로 들어 알아보자.

시범
실험 해 보기 마그네슘 연소 반응에서 산화되는 물질과 환원되는 물질 찾기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준비물 마그네슘 리본, 점화 장치, 핀셋, 가위,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 면장갑
유의할 점 화재에 주의해야 하며, 손을 데지 않도록 한다.

마그네슘 리본을 10 cm~12 cm 정도의 길이로 잘라 리본 위쪽 끝을 핀셋으로 잡고 아


래쪽 끝부분에 불을 붙인 후 변화를 관찰하자.

●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정리

1. 마그네슘의 연소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쓰고, 모형을 이용하여 나타내 보자.

2. 마그네슘 연소 반응에서 산화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3. 마그네슘 연소 반응에서 환원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그렇게 생각한 까닭을 토의해 보자.

176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산화 마그네슘(MgO)이 생성되는 과정을 보면 마그네슘(Mg)은 전자를 잃어 마그네
슘 이온(MgÛ`±)이 되고 산소(Oª) 기체는 전자를 얻어 산화 이온(OÛ`Ñ)이 된 후 이온 결합
에 의해 산화 마그네슘의 흰색 가루가 만들어진다. 이때 전자를 잃는 반응을 산화 반응
이라 하고 전자를 얻는 반응을 환원 반응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산화 반응: 2Mg 1Ú 2MgÛ`± + 4eÑ


환원 반응: Oª + 4eÑ 1Ú 2OÛ`ÀÑ

산화

2Mg + Oª 1Ú 2MgÛ`± + 2OÛ`Ñ


환원

강철 솜이 연소하면 산화 철(Ⅲ)(FeªO£)이 생성된다. 이 반응을 전자의 이동에 의한 산화 환원 반


응으로 나타내 보자.

그렇다면 물질이 산화되는 데에는 반드시 산소가 필요한 것일까?


염소(Clª) 기체와 나트륨(Na)을 반응시키면 나트륨은 전자를 잃고 나트륨 이온(Na±)
으로 산화되고, 염소 기체는 전자를 얻어 염화 이온(ClÑ)으로 환원된다. 이때 산화 환
원 반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산화

2Na + Clª 1Ú 2Na± + 2ClÑ


환원

이처럼 화학 반응을 전자의 이동과 관련시키면 산소가 관여하지 않는 반응도 산화


환원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철(Fe)을 염산(HCl(aq))에 넣으면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이 반응을 전자의 이동에 의한 산화


환원 반응으로 나타내 보자.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산소의 이동과 전자의 이동에 의한 산화 반응과 환원 반응을 정리하려고 한다. 표의 빈칸을 완성해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보자.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산화 반응
구분 산화 반응 환원 반응
환원 반응
산소의 이동
전자의 이동

2 다음 반응에서 산화되는 물질과 환원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Fe + CuÛ`± 1Ú FeÛ`± + Cu

5. 산화 환원 반응 177
산화수
산화 환원 반응은 산소의 이동이나 전자의 이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공유
결합 물질과 같이 전자의 이동이 뚜렷하지 않은 물질을 포함할 때는 산화 환원 반응을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이처럼 전자의 이동이 뚜렷하지 않은 반응에서 산화 환원 반응
을 설명하기 위해 산화수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산화수란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자
전기 음성도는 ‘III. 화학 결합 중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가 공유 전자쌍을 모두 가진다고 가정할 때 각 원자가 가지는
과 분자의 세계 4. 결합의 극성’에서
전하수이다. 예를 들어 염화 수소(HCl) 분자에서 염소(Cl) 원자는 수소(H) 원자보다
확인할 수 있다. ➜ 126 쪽
전기 음성도가 크므로 염소 원자가 공유 전자쌍을 모두 가진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염
산화수의 부호
산화수는 원자 사이에 주고받는 전 소 원자는 수소 원자로부터 전자 1 개를 얻은 것이므로 산화수는 -1이고, 수소 원자
자의 수로 나타내므로, 전자를 잃은
는 전자 1 개를 잃은 것이므로 산화수는 +1이다.
상태를 +로, 전자를 얻은 상태를
-로 표시한다.
±⁄ —⁄
H Cl H Cl HCl
HCl
공유 전자쌍을 Cl가
모두 가진다고 가정한다.

그림 Ⅳ-15 염화 수소를 구성하는 각 원자의 산화수

연습해 보기 암모니아(NH£)를 구성하는 각 원자의 산화수를 구해 보자.

암모니아(NH£) 분자에서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는 ( )이다.


따라서 ( )이/가 공유 전자쌍을 모두 가진다고 가정하면,
질소(N) 원자는 전자 ( ) 개를 ( ) 것이므로 산화수는 ( )이다.
수소(H) 원자 3 개는 각각 전자 ( ) 개를 ( ) 것이므로 산화수는 ( )이다.

H N H N
H
—‹ ±⁄
NH£
H
H H
공유 전자쌍을 N가
모두 가진다고 가정한다. NH£

같은 원자라도 결합하는 원자와의 전기 음성도 차이에 따라 전자를 잃거나 얻을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산화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 탄소(COª)에서 탄소(C)
원자의 산화수는 +4이고, 메테인(CH¢)에서 탄소 원자의 산화수는 -4이다.

H
원자의 산화수 주기성
원자의 산화수는 그 원자의 전자 배
±› —€ —› ±⁄
치와 관련이 있어 주기성을 나타낸
다. 1족, 2족 및 13족 원자들은 각
O C O
CO™ C CH¢
H
CO™ H
각 +1, +2, +3의 산화수를 가지
며, F을 제외한 15족, 16족, 17족 H

원자들은 다양한 산화수를 가질 수 CH¢

있다. 그림 Ⅳ-16 이산화 탄소와 메테인을 구성하는 각 원자의 산화수

178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일반적으로 원자나 이온의 산화수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정해진다.

산화수를 정하는 규칙

1 대부분 화합물에서 수소(H)의 산화수는 +1이고, 금속 수소화물에서는 -1이다.


HªO에서 H의 산화수는 +1이고, CaHª에서 H의 산화수는 -1이다.

2 대부분 화합물에서 산소(O)의 산화수는 -2이고, 플루오린 화합물에서는 +1


또는 +2이며, 과산화물에서는 -1이다.
NOª에서 O의 산화수는 -2이고, OFª에서 O의 산화수는 +2이며,
HªOª에서 O의 산화수는 -1이다.

3 홑원소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산화수는 0으로 한다.


Hª( g), Na(s)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는 0이다.

4 일원자 이온의 산화수는 그 이온의 전하수와 같다.


창의 융합 사고
CuÛ`±에서 Cu의 산화수는 +2, ClÑ에서 Cl의 산화수는 -1이다.
17족 할로젠 원소인 염소(Cl)는
5 화합물을 구성하는 각 원자의 산화수의 총합은 0이다. 다양한 산화수를 가지지만 같은

CaCO£에서 산화수는 (+2)_1+(+4)_1+(-2)_3=0이다. 족인 플루오린(F)은 화합물에서


Ca C O 항상 산화수가 -1 이다. 그 까
닭을 토의해 보자.
6 다원자 이온을 구성하는 각 원자의 산화수의 총합은 그 이온의 전하수와 같다.
HªPO¢Ñ에서 산화수는 (+1)_2+(+5)_1+(-2)_4=-1이다.
H P O

연습해 보기 다음 화합물에서 밑줄 친 원자의 산화수를 구해 보자.

(1) SOª 황(S)은 산소(O)보다 전기 음성도가 작다. 2번 규칙에 따라 산소(O)는 산화수가


( )이므로, 황(S)의 산화수를 x라고 하면 5번 규칙에 따라
x_1+(-2)_2=0이다. 따라서 황(S)의 산화수는 ( )이다.

(2) CH£OH 수소(H)의 산화수는 ( ), 산소(O)의 산화수는 ( )이므로,


탄소(C)의 산화수를 x라고 하면 5번 규칙에 따라
x_1+(+1)_3+(-2)_1+(+1)_1=0이다. 따라서 탄소(C)의 산화수는
( )이다.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자 중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가 공유 전자쌍을 모두 가진다고 가정할 때 각 원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자가 가지는 전하수를 ( )(이)라고 한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산화수
2 다음 화합물에서 밑줄 친 원자의 산화수를 구해 보자.
(1) Oª (2) MgÛ`± (3) NaH (4) H£PO¢
(5) KªSO¢ (6) KMnO¢ (7) NO£Ñ (8) CO£Û`Ñ

5. 산화 환원 반응 179
산화수 변화와 산화 환원 반응
황산 구리(II) 수용액에 아연을 넣으면 아연의 표면에 구리가 석출되고 아연은 아연
이온이 되어 용액으로 녹아 들어간다. 이 반응을 산화수 변화에 의한 산화 환원으로
설명해 보자.
아연(Zn)이 전자를 잃고 아연 이온(ZnÛ`±)으로 산화될 때 Zn의 산화수는 0에서 +2
로 증가한다.

산화수 증가

그림 Ⅳ-17 황산 구리(II) 0 +2
Zn(s) 1Ú ZnÛ`±(aq) + 2eÑ 산화
수용액과 아연의 반응

구리 이온(CuÛ`±)이 전자를 얻어 구리(Cu)로 환원될 때 Cu의 산화수는 +2에서 0


으로 감소한다.
+2 0
CuÛ`±(aq) + 2eÑ 1Ú Cu(s) 환원
산화수 감소

이처럼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어떤 원자의 산화수가 증가하면 산화된 것이고, 산화


수가 감소하면 환원된 것이다. 그러므로 원자의 산화수 변화로 산화와 환원을 알 수
있다.
산화 철(Ⅲ)과 일산화 탄소의 반응을 산화수의 변화로 알아보자.
산화 철(Ⅲ)(FeªO£)은 일산화 탄소(CO)와 반응하여 철(Fe)과 이산화 탄소(COª)를
생성한다. 이 반응에서 철(Fe)의 산화수는 +3에서 0으로 감소하였고, 탄소(C)의 산
화수는 +2에서 +4로 증가하였으며, 산소(O)의 산화수는 -2로 변하지 않았다.

산화수 증가
산화
+3 +2 0 +4

FeªO£(s) + 3CO( g) 1Ú 2Fe(s) + 3COª( g)


산화수 감소
환원

즉 탄소 원자의 산화수가 증가하였으므로 일산화 탄소(CO)는 산화되었고, 철 원자


의 산화수가 감소하였으므로 산화 철(Ⅲ)(FeªO£)은 환원되었다.

그림 Ⅳ-18 용광로 용광로에 산화 철(Ⅲ)이 주성분인 철광석과


함께 코크스, 석회석을 넣고, 가열한 공기를 불어 넣으면 코크스가
연소하면서 일산화 탄소가 생성된다. 이 일산화 탄소가 산화 철(Ⅲ)
을 환원시켜 철이 얻어진다.

180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한 반응에서 산화수가 증가한 물질이 있으면 반드시 산화수가 감소한 물질이 있으므
로, 산화와 환원은 항상 동시에 일어난다.

연습해 보기 1. 다음 광합성 반응에서 산화되는 물질과 환원되는 물질을 구분해 보자.

1단계 각 원자의 산화수를 써 보고, 반응 전후 산화수가 변화된 원자를 찾는다.

6COª( g) + 12HªO( g) 1Ú C¤HÁªO¤(s) + 6HªO( g) + 6Oª( g)

2단계 반응 전후 산화수가 증가한 원자가 포함된 물질은 산화, 산화수가 감소한 원자가 포함
된 물질은 환원으로 구분한다.
① 산소(O) 원자의 산화수는 ( )하였으므로 ( )은/는 산화되었고,
② 탄소(C) 원자의 산화수는 ( )하였으므로 ( )은/는 환원되었다.

2. 메테인의 연소 반응식을 써 보고, 산화되는 물질과 환원되는 물질을 구분해 보자.

산소 및 전자의 이동이 있는 모든 반응은 산화수의 증가와 감소로 산화와 환원 반응


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화학 반응 중에는 산과 염기의 반응과 같이 산화수의 변화가 없는 반응도 있
는데, 이러한 반응은 산화 환원 반응이 아니다.
+1 -1 +1 -2 +1 +1 -2 +1 -1
HCl(aq) + NaOH(aq) 1Ú HªO(l) + NaCl(aq)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산화 환원 반응에서 어떤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산화수가 ( )하고, 전자를 얻으면 산화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수가 ( )한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산화수 증가와 산화
2 산화 환원 반응에서 어떤 원자의 산화수가 증가하면 ( )된 것이고, 산화수가 감소하면 산화수 감소와 환원
( )된 것이다.

5. 산화 환원 반응 181
산화제와 환원제
마그네슘과 황이 반응하면 마그네슘은 황에게 전자를 주어 황을 환원시키고, 황은
마그네슘의 전자를 받아 마그네슘을 산화시킨다. 황과 같이 자신은 환원되고 다른 물
질을 산화시키는 물질을 산화제라 하고, 마그네슘과 같이 자신은 산화되고 다른 물질
을 환원시키는 물질을 환원제라고 한다.
산화

0 0 +2 -2

Mg(s) + S(s) 1Ú MgS(s)


환원제 산화제
환원

산화 환원 반응은 동시에 일어나므로 산화제와 환원제는 항상 함께 존재한다.

다음 화학 반응식에서 산화제와 환원제로 작용한 물질을 구분해 보자.


(1) 4HCl(aq) + MnOª(s) 1Ú 2HªO(l) + Clª( g) + MnClª(s)
(2) CuO(s) + Hª( g) 1Ú Cu(s) + HªO( g)
(3) PbO(s) + CO( g) 1Ú Pb(s) + COª( g)

산화 환원 반응에서 전자를 주려는 경향이나 전자를 받으려는 경향은 상대적이므로,


산화제와 환원제의 세기도 상대적이다.
그렇다면 한 반응에서 산화제로 작용하는 물질은 다른 반응에서도 산화제로 작용할
까? 다음 이산화 황(SOª)의 여러 가지 반응으로 알아보자.

자료
해석 해 보기 산화제와 환원제 구분하기 사고력 탐구 능력

다음은 이산화 황이 물, 염소와 반응할 때와 황화 수소와 반응할 때의 화학 반응식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가) SOª( g) + 2HªO(l) + Clª( g) 1Ú HªSO¢(aq) + 2HCl(aq)


(나) SOª( g) + 2HªS( g) 1Ú 2HªO(l) + 3S(s)

정리
고양이는 상대에 따라 쫓거나 쫓기
기도 한다.
1. 산화수 변화를 이용하여 (가), (나) 반응에서 산화되는 물질과 환원되는 물질을 구분해 보자.

2. (가), (나) 반응에서 이산화 황은 산화제로 쓰였는가? 환원제로 쓰였는가?

182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같은 물질이라도 반응에 따라 산화제로 작용하기도 하고 환원제로 작용하기도 한다. 생활 표백과 표백제

이산화 황(SOª)은 흔히 환원제로 작용한다. 이산화 황(SOª)이 물(HªO), 염소(Clª) 유색인 물질을 무색인 물질로 변화
시키는 것을 표백이라고 한다.
와 반응할 때는 이산화 황 자신은 산화되면서 염소를 환원시키는 환원제로 작용한다. 표백을 위해 쓰이는 표백제는 강력
한 산화제로서 색소를 산화시켜 무
산화
색으로 만든다. 세탁이나 청소에 흔
+4 0 +6 -1
히 쓰이는 표백제는 산과 반응하면
SOª( g) + 2HªO(l) + Clª( g) 1Ú HªSO¢(aq) + 2HCl(aq)
환원제 유독한 물질이 발생하므로 주의해
환원 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이산화 황이 더 강한 환원제와 반응하면 산화제로 작용한다. 이산화 황이 황


화 수소(HªS)와 반응할 때는 이산화 황 자신은 환원되고 황화 수소를 산화시키는 산
화제로 작용한다.

산화

+4 -2 0
SOª( g) + 2HªS( g) 1Ú 2HªO(l) + 3S(s)
산화제

환원

이처럼 화학 반응에서 반응물이 산화제로 작용하는가 혹은 환원제로 작용하는가는


반응물이 전자를 내어놓으려는 경향의 상대적인 세기에 따라 결정된다.

창의 융합 사고 다음은 과산화 수소의 분해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산화제와 환원제로 작용한 물질


은 무엇인가?
2HªOª(aq) 1Ú 2HªO(l) + Oª( g)

한편, 우리 주변에는 여러 가지 산화제와 환원제가 사용되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산화제로는 과망가니즈산 칼륨, 질산, 할로젠 원소 등이 있고 환원제로
는 수소, 알칼리 금속, 염화 주석(Ⅱ)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우주용 로켓의 연소나 하수
종말 처리장에서 산소가 산화제로 쓰인다.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날 때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물질을 ( )(이)라 하고, 다른 물질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을 환원시키는 물질을 ( )(이)라고 한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산화제
2 용광로에서 산화 철(Ⅲ)(FeªO£)이 주성분인 철광석과 함께 코크스(C)를 넣고 가열하면 코크스(C)는 환원제
불완전 연소하여 일산화 탄소(CO)로 ( )되고, 일산화 탄소(CO)는 ( )(으)로
작용하여 산화 철(Ⅲ)을 철로 환원시킨다.

5. 산화 환원 반응 183
산화 환원 반응식의 완성
산화 환원 반응은 복잡한 반응이 많아 일반적인 방법으로 화학 반응식의 계수를 맞
추기가 쉽지 않다. 이때는 증가한 산화수와 감소한 산화수가 같아지도록 계수를 맞추
어 산화 환원 반응식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산화수법이라고 한다.

자료
해석 해 보기 산화수법을 이용하여 화학 반응식 완성하기 사고력

다음은 산화수 변화를 이용하여 산화 환원 반응식의 계수를 맞추는 방법이다.

1단계 각 원자의 산화수를 구하여 반응 전후의 차이를 계산한다.

산화수 2 증가

+7 -2 +1 +2 +2 +1 -2 +4
MnO¢Ñ(aq)+H±(aq)+SnÛ`±(aq) 1Ú MnÛ`±(aq)+HªO(l)+SnÝ`±(aq)
Mn의 산화수 변화와
Sn의 산화수 변화가 산화수 5 감소
5 : 2이므로 Mn과 Sn의
몰비는 2 : 5가 된다.
2단계 증가한 총 산화수와 감소한 총 산화수가 같아지도록 반응물과 생성물의 계수를 조정한다.

Mn 앞에 2를 쓰고, Sn 앞에 를 쓰면 다음과 같다.

2MnO¢Ñ(aq)+H±(aq)+ SnÛ`±(aq) 1Ú 2MnÛ`±(aq)+HªO(l)+ SnÝ`±(aq)

3단계 반응 전후 O의 수가 같아지도록 계수를 맞춘다.

2MnO¢Ñ(aq)+H±(aq)+ SnÛ`±(aq) 1Ú 2MnÛ`±(aq)+ HªO(l)+ SnÝ`±(aq)

4단계 반응 전후 H의 수가 같아지도록 계수를 맞춘다.

2MnO¢Ñ(aq)+ H±(aq)+ SnÛ`±(aq) 1Ú 2MnÛ`±(aq)+ HªO(l)+ SnÝ`±(aq)

1. 안에 들어갈 알맞은 수를 써 보자.


2. 산화수법을 이용하여 다음 화학 반응식의 계수를 맞춰 보자.

ClÑ(aq) + CrªO¦Û`Ñ(aq) + H±(aq) 1Ú Clª( g) + CrÜ`±(aq) + HªO(l)

184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산화제와 환원제가 서로 반응할 때는 산화제의 감소한 산화수와 환원제의 증가한 산
화수가 항상 같아야 한다. 이를 이용하여 산화 환원 반응식을 완성하면 실제 반응에서
산화제와 환원제가 얼마나 필요한지 그 양을 계산할 수 있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예제 다음은 계수가 완성되지 않은 산화 환원 반응이다. 1 몰의 CrªO¦Û`Ñ은 몇 몰의 FeÛ`±과


반응할지 계산해 보자.

( )FeÛ`±(aq) + CrªO¦Û`Ñ(aq) + 14H±(aq)


1Ú ( )FeÜ`±(aq) + 2CrÜ`±(aq) + 7HªO(l)

풀이 1단계 산화수의 변화를 조사한다.


FeÛ`±의 산화수는 +2에서 +3으로 1이 증가하였으며,
CrªO¦Û`Ñ이 2CrÜ`±으로 되면서 Cr의 총 산화수는
(+6)_2에서 (+3)_2로 6이 감소하였다.

2단계 증가한 총 산화수와 감소한 총 산화수가 같아지도록 계수를 조정한다.


FeÛ`±의 증가한 총 산화수가 Cr의 감소한 총 산화수와 같도록 하려면
FeÛ`±과 FeÜ`±의 계수는 6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위 반응에서 1 몰의 CrªO¦Û`Ñ은 6 몰의 FeÛ`±과 반응한다.
6몰

유제 다음은 계수가 완성되지 않은 산화 환원 반응이다. 1 몰의 SnÛ`±은 몇 몰의 MnO¢Ñ과


반응할지 계산해 보자.

SnÛ`±(aq)+MnO¢Ñ(aq)+H±(aq) 1Ú SnÝ`±(aq)+Mn`Û ±(aq)+HªO(l)

완성된 산화 환원 반응식에서
반응 전후 원소의 종류와 원자의
개수 그리고 산화수의 총합이
항상 같아야 해.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산화수법이란 ( )한 산화수와 ( )한 산화수가 같아지도록 반응물과 생성물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의 계수를 조정한 후, 반응 전후 O, H의 수가 같아지도록 계수를 맞추는 방법이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산화 환원 반응식
2 산화수법을 이용하여 다음 반응의 계수를 맞춰 보자. 산화수법
(1) Cu(s)+Ag±(aq) 1Ú CuÛ`±(aq)+Ag(s)
(2) HªOª(aq)+CrªO¦Û`Ñ(aq)+H±(aq) 1Ú 2CrÜ`±(aq)+Oª( g)+HªO(l)

5. 산화 환원 반응 185
자료실 산화 환원 반응식을 만드는 방법(이온 - 전자법)

화학 반응식에서 반응물과 생성물 사이의 원소의 종류, 원자의 개수, 전하수 등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반쪽 반응을 이용하여 계수를 맞추기도 한다. 반쪽 반응은 전자
의 이동을 알기 쉽도록 나타내기 위하여 산화 환원 반응을 산화 반응과 환원 반응으로 분리
하여 각각 나타낸 반응이다.

다음은 과망가니즈산 칼륨(KMnO¢)과 황산 철(Ⅱ)(FeSO¢) 수용액의 산화 환원 반응의


계수를 맞추는 방법이다.

FeÛ`± + MnO¢Ñ + H± 1Ú FeÜ`± + MnÛ`± + HªO

1단계 산화 환원 반응을 산화 반응과 환원 반응으로 나눈다.


각 반쪽 반응에서 산화 반응 FeÛ`± 1Ú FeÜ`±
화살표 양쪽의 전하가 같도록
맞춘 후 총 전하수가 같도록 환원 반응 MnO¢Ñ + H± 1Ú MnÛ`± + HªO
맞춰야 한다.
2단계 각 반쪽 반응의 원자 수가 같도록 계수를 맞춘다.

산화 반응 FeÛ`± 1Ú FeÜ`±
환원 반응 MnO¢Ñ + 8H± 1Ú MnÛ`± + 4HªO

3단계 각 반쪽 반응에서 화살표 양쪽의 전하량이 같도록 맞춘다.

산화 반응 FeÛ`± 1Ú FeÜ`± + eÑ
환원 반응 MnO¢Ñ + 8H± + 5eÑ 1Ú MnÛ`± + 4HªO

4단계 산화 반응의 잃은 전자 수와 환원 반응의 얻은 전자 수가 같도록 계수를 맞춘다.

산화 반응 5FeÛ`± 1Ú 5FeÜ`± + 5eÑ


환원 반응 MnO¢Ñ + 8H± + 5eÑ 1Ú MnÛ`± + 4HªO

5단계 두 반쪽 반응을 더하여 하나의 반응식으로 만든다.

산화 반응 5FeÛ`± 1Ú 5FeÜ`± + 5eÑ


환원 반응 MnO¢Ñ + 8H± + 5eÑ 1Ú MnÛ`± + 4HªO

전체 반응 5FeÛ`± + MnO¢Ñ + 8H± 1Ú 5FeÜ`± + MnÛ`± + 4HªO

이 반응에서 철(Ⅱ) 이온(FeÛ`±) 1 몰이 철(Ⅲ) 이온(FeÜ`±)으로 산화될 때에는 전자 1 몰을


내놓고, 과망가니즈산 이온(MnO¢Ñ) 1 몰이 망가니즈 이온(MnÛ`±)으로 환원될 때에는
5 몰의 전자를 필요로 하므로 이 반응은 철(Ⅱ) 이온(FeÛ`±) 5 몰과 과망가니즈산 이온(MnO¢Ñ)
1 몰의 비율로 반응한다. 그러므로 철(Ⅱ) 이온(FeÛ`±) 1 몰을 산화시키기 위해서는 산화제로
과망가니즈산 이온(MnO¢Ñ) 0.2 몰이 필요하며, 반대로 과망가니즈산 이온(MnO¢Ñ) 1 몰을
환원시키기 위해서는 환원제로 철(Ⅱ) 이온(FeÛ`±) 5 몰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186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과학 마당 과학과 예술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한
금속 판화
미술에서 금속 공예나 판화에 널리 쓰이는 에칭 기법은 산화 환원 반
응을 이용한 것이다. 에칭이란 금속 일부분을 부식시키는 방법으로, 이를
이용하면 필요한 부분만 반응하도록 약품에 노출하여 원하는 모양의 작품을 만
들 수 있다. 에칭을 이용한 작품을 만든 대표적인 작가로는 렘브란트(Rembrandt
H. v. R., 1606~1669)를 들 수 있다.
그는 다양한 에칭 기법을 창안하여 섬세하고 독특한 여러 작품을 만들어 냈다.

「베일 뒤에서」 「헝클어진 머리의 렘브란트」

우리도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간단한 금속 판화 작품을 만들어 보자.

창의 융합 활동하기

금속 판화 작품 만들기
준비물 알루미늄판, 시트지, 염화 구리(Ⅱ) 수용액, 핀셋, 페트리 접시,
비커, 칫솔,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

1. 시트지에 원하는 모양을 그린 다음 가위로 오린 후 알루미늄판에


붙이자.
시트지를 붙이지 않은 부분이 반응하고, 붙인 부분은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모양을 구상한다.

2. 알루미늄판을 염화 구리(Ⅱ) 수용액에 완전히 담그고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자. 유의할 점

3.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면 알루미늄판을 꺼내어 시트지를 제거한 후 물로 씻고, 칫솔로 석출된 금속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을

을 닦아 내자. 착용한다.
•실험 후 사용한 시약은 폐수통에
이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써 보고, 산화되는 것과 환원되는 것을 구분해 보자. 버린다.

과학 마당 187
학습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이 출입함을 설명할 수 있다.
목표
•화학 반응에서 열의 출입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시원해?

손목이나 발목이 부으면 열이 발생한다. 이때 응급 처치용으로 휴


대용 냉각 팩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휴대용 냉각 팩은 어떤 원리를 이
용하는 것일까?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온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등 온도 변화가 나타나
므로, 열을 방출하거나 흡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열을 방출하는 반응과 흡수하는 반
응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자.

시범
실험 해 보기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의 출입 알아보기 사고력 탐구 능력

그림 (가)와 같이 비커에 묽은 염산을 넣은 후 아연 조각을 넣어 용액의 온도 변화를 관찰


준비물

묽은 염산 아연 하자. 용액 온도는 어떻게 변하는가?


수산화 바륨 염화 암모늄
그림 (나)와 같이 수산화 바륨 20 g과 염화 암모늄 20 g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유리 막
비커 삼각 플라스크
유리 막대 온도계 대로 잘 섞은 후 온도 변화를 관찰하자. 온도는 어떻게 변하는가?
전자저울 약숟가락
시약포지 핀셋 온도는 온도는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

유의할 점
수산화 바륨과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을 아연 염화 암모늄
조각 묽은
착용한다.
염산
•실험 후 사용한 시약은 폐수통에
버린다. (가) (나)

정리
● (가), (나) 중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을 방출하는 반응과 열을 흡수하는 반응은 각각 어떤 것

인가? 그렇게 생각한 까닭은 무엇인가?

188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을 방출하는 반응을 발열 반응이라 하고, 열을 흡수하는
반응을 흡열 반응이라고 한다.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경험하는 화학 반응은 대부분 열을 방출하지만 열을 흡수하
는 때도 많이 있다. 대표적인 발열 반응에는 연소 반응,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
금속과 산의 반응 등이 있고, 흡열 반응에는 광합성, 탄산수소 나트륨의 분해
반응, 질산 암모늄이 물에 녹는 반응 등이 있다.

메테인의 연소 반응 금속과 산의 반응 철이 녹스는 반응


그림 Ⅳ-19 발열 반응의 예

광합성 질산 암모늄이 물에 녹는 반응
그림 Ⅳ-20 흡열 반응의 예

창의 융합 사고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의 예를 찾아보자.

사진이나
그림을 붙여
보세요.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을 방출하는 반응을 ( )이라 하고, 열을 흡수하는 반응을 ● 다음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

( )이라고 한다. 한 내용을 설명해 보자.


발열 반응
2 아연이 염산과 반응할 때 열을 ( )하므로 온도가 ( ). 흡열 반응

3 질산 암모늄이 물에 녹을 때 열을 ( )하므로 온도가 ( ).

6. 화학 반응과 열의 출입 189
실험
탐구 활동 화학 반응에서 열의 출입 측정하기

목표
과자를 연소시키는 화학 반응에서 발생한 열을 측정할 수 있다.

준비물 과정
전자저울 시약포지
모둠별로 여러 가지 과자 중 한 종류를 선택하자.
과자 점화기
둥근바닥 플라스크 전자저울 위에 시약포지를 올려놓고 영점을 조절한 후 과정 에서 선택한 과자의 질량
고무마개 증발 접시
(wÁ)을 측정한 후 증발 접시에 담아 보자.
온도계 눈금실린더
스탠드 클램프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물 100 mL를 넣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스탠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
드에 고정한 후 물의 온도(tÁ)를 측정하자.
면장갑
과자에 불을 붙인 후 둥근바닥 플라스크의 물을 가열하자.

유의할 점 과자를 연소시킨 후 둥근바닥 플라스크 속 물의 온도(tª)를 측정하자.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이나
전자저울 위에 시약포지를 올려놓고 영점을 조절한 후 타고 남은 과자의 질량(wª)을 측정
면장갑을 착용한다.
•과자에 불을 붙일 때는 화재에 주 하자.
의해야 하며, 손을 데지 않도록
한다. 기름에 튀긴
•과자는 될 수 있으면 적게 사용하 과자가 잘 연소한다.
여 실험한다.
•스탠드와 클램프, 클램프와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단단히 고정한다.

가열하는 동안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조금씩 움직여
결과
주는 것이 좋다. 단, 반드시
1. 모둠에서 선택한 과자는 무엇인가? 면장갑을 착용한다.

2. 실험에서 측정한 과자의 질량 변화와 물의 온도 변화를 표에 써 보자.


과자의 과자의 태운 물의 물의 물의
처음 질량 나중 질량 과자의 질량 처음 온도 나중 온도 온도 변화
(wÁ) (wª) (wÁ-wª) (tÁ) (tª) (tª-tÁ)

190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정리
물질이 연소할 때 방출하는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가정: 물질이 연소할 때 방출한 열량 = 물이 얻은 열량


•계산: 물이 얻은 열량 = 물의 비열_물의 질량_물의 온도 변화
Q = c_m_Dt
( c는 물의 비열(4.2 J/( g´¾)), m은 물의 질량( g), Dt는 물의 온도 변화(¾)이다.)
평가하기
1 2 3 4 5

1. 실험에서 물이 얻은 열량은 몇 J인가? 안전한 실험을 위해 조심하고, 보


호 장비를 착용하였는가?

모둠원과 서로 협력하고 배려하


2. 과자가 연소할 때 방출한 열이 모두 물의 온도를 높이는 데 사용되었다고 가정하고, 과자 면서 실험하였는가?

1 g이 연소할 때 발생한 열량을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해 보자.


실험으로 화학 반응에서 발생한
열을 측정하고 열량을 계산할 수
과자 1 g이 연소할 때 발생한 열량 = 물이 얻은 열량Ö연소한 과자의 총 질량
있는가?
실험 후 뒷정리를 잘하였는가?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
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3. 과자 1 g이 연소할 때 발생한 열량을 과자 봉지에 표시된 열량표와 비교해 보고, 값이 차
이가 난다면 그 까닭을 토론해 보자.

통열량계

젓개 점화선
온도계
반응이 일어날 때 출입하는 열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단열이 잘되도록 만들어
진 통열량계를 사용해야 한다.
통열량계에서는 열량계와 외부 사이에 열의 출입이 거의 없으므로 화학 반응에서 발생 0 5

0 4

단열 용기
하는 열을 모두 통열량계와 물이 흡수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발생한 열량은 다음과 같
강철 용기
이 구할 수 있다.

강철통
발생한 열량 =물이 흡수한 열량 +통열량계가 흡수한 열량
시료 접시

통열량계

6. 화학 반응과 열의 출입 191
조사
탐구 활동 고안 화학 반응에서 열의 출입을 이용한 장치나 제품 고안하기

준비물 목표
스마트 기기
일상생활에서 열의 출입을 이용한 장치의 원리를 알아보고, 화학 반응에서 열의 출입을 이용
참고 도서
필기도구 한 장치를 고안할 수 있다.
그리기 도구

조사 열의 출입을 이용한 장치나 제품의 원리 알아보기

야외 활동복 제조 회사인 A사에서 열의 출입을 이용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려고 한다.

1. 상품 개발팀 팀원이 되어 일상생활에 쓰이는 열의 출입을 이용한 장치나 제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해 보자.

손난로나
발열 점퍼나 아이스팩 등은
전투 식량은 열의 출입을 어떨까?
이용한 제품일까?

2. 조사한 장치나 제품을 살펴보고 평가한 후 한 가지를 정하여 그것의 특징, 작동 원리 등을


정리해 보자.

열의 출입을 이용한 장치나 제품


■장치나 제품 이름
■특징

■작동 원리

192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고안 열의 출입을 이용한 장치나 제품 고안하기

1. 조사한 장치나 제품을 참조하여 팀별로 아이디어를 모아 열의 출입을 이용한 새로운 상품


을 고안하고 상품 개발 기획서를 작성해 보자.

상품 개발 기획서

1. 개발 목적

2. 상품 개요
(1) 적용 대상(소비자)

(2) 상품 특징(설계도 및 설명)

(3) 과학적 원리

3. 기대 효과

2. 발표를 통해 팀별 아이디어를 공유한 후, 가장 실현 가능성이 크고 창의적인 제품을 선정


해 보자.

평가하기 1 2 3 4 5

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모둠원과 서로 협력하고 배려하면서 조사 활동을 하였는가?
화학 반응에서 열의 출입을 이용한 장치나 제품을 고안하고 설명할 수 있는가?

| 활동 후기 | 이 활동에서 어떤 것을 배웠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6. 화학 반응과 열의 출입 193

직업 마당

문화재에 생명을
불어넣는 사람
문화재 보존
과학자
미술품, 서적, 건축물, 유물 등의 문화재는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본래의 모습을
잃거나 자연재해 등에 의해 훼손되기도 하므로 문화재를 보존하고 복원하기 위한
일을 하는 전문가가 필요하다. 유물들은 공기 중의 수분이나 미량 화합물은 물론이
고 빛에 의해서도 쉽게 변할 수 있어 유물의 표면에 쌓인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깨
끗하게 제거하고,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변한 부분을 복원해야 한다.

Q 문화재 보존 과학자가 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문화재 보존 과학자는 유물이 만들어질 당시의 환경을 확인하여 원래의 모습을
되찾기 위해 노력한다. 따라서 이들은 문화재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사람들이
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유물을 잘 보존할 수 있는 처리 방법을 연구하고, 유물의
가치를 향상할 수 있는 재료 특성과 기술을 연구한다. 또 복원된 유물을 관리하는
일도 한다.

Q 문화재 보존 과학자는 어떤 능력이 필요한가요?


유물들은 화학 물질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보존을 위해서는 유물의 성분에 대한
화학 정보가 필요하고 전시실의 온도, 습도, 오염 물질, 조명 등의 조건이 유물에
화학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파악해야만 한다. 또 손상된 유물을 복
원하는 데에도 화학적인 처리가 필요하므로 문화재 보존 과학자는 화학 방면의 전
문적인 지식이 필수적이다.

핵심 역량 펼치기 문화재 보존 과학자


가 새로운 과학 기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어
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알아보자.

194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대단원 마무리

대단원 마무리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핵심 개념 정리하기

동적 평형 상평형, 용해 평형, 가역 반응

물의 자동 이온화, pH, 브뢴스테드・로리 산과 염기

산과 염기의 반응

중화 반응,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중화 적정


역동적인
화학 반응
전자의 이동에 의한 산화 환원 반응, 산화수 변화와 산화 환원 반응

산화 환원 반응

산화제와 환원제, 산화 환원 반응식

화학 반응과 열의 출입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 열의 측정

핵심 개념 적용하기

01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_표를 해 보자.

⑴ 동적 평형 상태에서는 정반응이 일어나는 속도와 역반응이 일어나는 속도가 같다. ( ,_)

⑵ 물의 이온화 상수는 온도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다. ( ,_)

⑶ pH<7인 용액에서 pH 값이 1씩 작아질수록 수소 이온의 농도는 10 배 커진다. ( ,_)

⑷ 브뢴스테드・로리는 수소 이온(양성자)을 받는 물질을 산, 수소 이온(양성자)을 내놓는 물질을


염기라고 정의하였다. ( ,_)

⑸ 어떤 원자의 산화수가 증가하면 산화, 산화수가 감소하면 환원된 것이다. ( ,_)

⑹ 철광석(FeªO£)과 코크스(C)를 용광로에 넣고 가열하여 순수한 철을 얻는 반응에서 코크


스는 산화제로 작용한다. ( ,_)

⑺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항상 열을 방출한다. ( ,_)

대단원 마무리 195


대단원 마무리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1. 동적 평형 상태 156 쪽 3. 산 염기 반응 164 쪽

02 동적 평형 상태와 가역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05 오른쪽 그림은 농도가 같은


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 Na± Cl—
<보기> 액을 반응시킨 혼합 용액에 H±
ㄱ. 정반응은 생성물이 반응물로 되는 반응이다. 존재하는 이온을 모형으로 Cl—
ㄴ. 가역 반응에서는 정반응과 역반응이 모두 일어난다. Cl—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 Na±
ㄷ. 액체의 증발 속도와 증기의 응축 속도가 같아 겉으
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를
상평형이라고 한다. ① 혼합 용액의 액성은 산성이다.
② Na±과 ClÑ은 구경꾼 이온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③ 알짜 이온 반응식은 H± + OHÑ 1Ú HªO이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생성된 HªO의 양(mol)이 반응한 H±의 양(mol)보
다 크다.
⑤ 혼합 전 HCl의 양(mol)이 NaOH의 양(mol)보다
2. 물의 자동 이온화와 pH 160 쪽
크다.
03 물의 자동 이온화와 pH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pH가 커질수록 산성이 세다.


4. 산 염기 중화 적정 170 쪽
② 수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가 클수록 pH는 작다.
06 식초 15 mL에 0.5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NaOH(aq))
③ 물의 이온화 상수(K·)는 25 ¾에서 1.0×10ÑÚ``Ý 이다.
30 mL를 가하였더니 완전히 중화되었다. 이 실험에서
④ 수용액 속 수소 이온의 농도가 수산화 이온의 농도
사용한 식초 속 아세트산의 몰 농도는 얼마인가?
보다 크면 수용액의 액성은 산성이다.
① 0.01 M ② 0.1 M ③ 1.0 M
⑤ 순수한 물속에서 수소 이온의 농도와 수산화 이온
④ 1.5 M ⑤ 2.5 M
의 농도의 곱을 물의 이온화 상수(K·)라고 한다.

4. 산 염기 중화 적정 170 쪽

3. 산 염기 반응 164 쪽
07 다음 (가)~(라)는 중화 적정 실험에 사용하는 몇 가지
실험 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04 그림은 암모니아(NH£)를 물에 녹였을 때의 변화를 모형
으로 나타낸 것이다.
(가) (나) (다) (라)
H + -

O + H N H H
N
H
+ H O
H H H H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HªO은 아레니우스 염기로 작용한다.


② NH£는 아레니우스 산으로 작용한다. (1) 가해지는 표준 용액의 부피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③ NH£는 브뢴스테드・로리 염기로 작용한다. 때 사용하는 실험 기구는?
④ NH¢±의 이름은 하이드로늄 이온이다. (2) 액체의 부피를 정확히 취해 액체를 옮기는 데 사
⑤ HªO은 수소 이온을 받으므로 산으로 작용한다. 용하는 실험 기구는?

196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대단원 마무리

5. 산화 환원 반응 176 쪽 5. 산화 환원 반응 176 쪽

08 산화수를 정하는 규칙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다음은 산화수법을 이용하여 산화 환원 반응식을 완성


① 나트륨(Na)의 산화수는 0이다. 하는 과정을 크게 세 단계로 나타낸 것이다. 2단계에서

② 수소(H)의 산화수는 항상 +1이다. a~d에 들어갈 값을 옳게 짝 지은 것은?

③ 과산화 수소(HªOª)에서 산소(O)의 산화수는 -1


MnO¢Ñ + HªS + H± 1Ú MnÛ`± + S+ HªO
이다.
•1단계: 각 원자의 산화수를 계산한다.
④ 화합물을 구성하는 각 원자의 산화수의 총합은 0
•2단계: 산화수의 변화를 조사하여 산화수 증가량과
이다. 산화수 감소량이 같아지도록 계수를 정한다.
⑤ 다원자 이온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의 총합은 그 이 a MnO¢Ñ + b HªS + H`±
온의 전하수와 같다. 1Ú c MnÛ`± + d S + HªO
•3단계: 나머지 원자들의 개수가 같아지도록 계수를
조정하여 산화 환원 반응식을 완성한다.

5. 산화 환원 반응 176 쪽

09 주황색을 띠는 화합물인 다이크로뮴산 칼륨(KªCrªO¦)과 a b c d a b c d


녹색을 띠는 화합물인 산화 크로뮴(Ⅲ)(CrªO£)에서 크로 ①2 5 2 5 ②2 5 5 2
뮴(Cr)의 산화수를 각각 구해 보자. ③5 2 2 5 ④7 3 7 3
⑤7 7 3 3

5. 산화 환원 반응 176 쪽
5. 산화 환원 반응 176 쪽
10 그림과 같이 황산 구리(II) 수용액이 들어 있는 시험관에
12 다음 각 반응에서 산화제로 작용한 물질을 써 보자.
아연 줄을 넣었더니 아연 줄 표면에 구리가 석출되었다.
(1) 2NO( g) + Fª( g) 1Ú 2NOF( g)
아연 줄
(2) 2NO( g) + 2Hª( g) 1Ú Nª( g) + 2HªO( l)
(3) 2Na( s) + Hª( g) 1Ú 2NaH( s)

6. 화학 반응과 열의 출입 188 쪽
황산 구리(Ⅱ)
수용액
13 오른쪽 그림은 과자를 태울
온도계
때 나오는 열량을 측정하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실험 장치를 나타낸 것이 물
고른 것은? 다. 과자 1 g이 연소할 때 깡통
<보기> 과자
방출하는 열량을 구하기 위
공기 구멍
ㄱ. 아연은 산화수가 증가한다.
해 꼭 필요한 정보에 해당
ㄴ. 아연은 환원제로 작용한다.
하지 않는 것은?
ㄷ. 용액 속의 전체 이온 개수는 변하지 않는다.
① 물의 비열 ② 물의 밀도
①ㄱ ②ㄷ ③ ㄱ, ㄴ ③ 물의 질량 ④ 물의 온도 변화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⑤ 연소한 과자의 질량

대단원 마무리 197


대단원 마무리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핵심 역량 키우기
1. 동적 평형 상태 156 쪽 5. 산화 환원 반응 176 쪽

14 사고력 오른쪽 그림과 같이 뚜껑이 17 사고력 다음 반응이 산화 환원 반응인지, 아닌지를 판


닫힌 용기 속에 에탄올을 넣고 오랫동 단하고 그 까닭을 설명해 보자.
안 놓아두었더니 동적 평형 상태에 도
달하였다. 시간에 따른 액체 에탄올의 2Al(s) + 3Clª(g) 1Ú 2AlCl£(s)
증발 속도와 에탄올 증기의 응축 속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 보자. (단, 온
도는 일정하다.)

5. 산화 환원 반응 176 쪽

18 문제 해결력 과망가니즈산 칼륨(KMnO¢)은 흰색 섬

3. 산 염기 반응 164 쪽 유에 생긴 얼룩을 제거하는 데 주로 사용하며, 이때 생긴

15 사고력 그림은 일정량의 묽은 염산에 수산화 나트륨 과망가니즈산 칼륨의 얼룩은 옥살산(HªCªO¢)으로 제거
수용액을 가할 때 생성된 물 분자 수를 나타낸 것이다. 할 수 있다.

(1) 다음 산화 환원 반응식을 완성해 보자.



B C

자 HªCªO¢(aq) + MnO¢Ñ(aq) + H±(aq)
수 A
1Ú MnÛ`±(aq) + HªO(l) + 2COª( g )
(




)

0 가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피(mL) (2) 위 반응에서 산화제와 환원제로 작용한 물질을 써
보자.
A~C 지점의 용액에 각각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떨어
(3) 과망가니즈산 칼륨 1 몰이 소모되었을 때 이산화
뜨렸을 때 혼합 용액의 색을 쓰고, 그 까닭을 설명해 보자.
탄소는 몇 몰이 생성되는지 계산해 보자.

4. 산 염기 중화 적정 170 쪽

16 사고력 수산화 나트륨(NaOH) 1 g을 물에 녹여 250 mL


6. 화학 반응과 열의 출입 188 쪽
수용액을 만들었다. 이 수용액으로 농도를 모르는 황산 수
19 탐구 능력 25 ¾ 물 300 g을 넣은 통열량계의 연소
용액(HªSO¢(aq)) 10 mL를 완전 중화하는 데 30 mL
실(시료 접시)에 에탄올 1 g을 넣고 뚜껑을 잘 닫은 후
가 사용되었다. (단, 수산화 나트륨의 화학식량은 40이다.)
충분한 산소로 연소시켰더니 물의 온도가 35 ¾가 되
(1) 이 실험에 사용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몰 농 었다. 에탄올 1 몰이 연소할 때 방출하는 열량은 몇
도를 구해 보자. kJ/mol인지 구해 보자. ( 단, 물의 비열은 4.2 J/(g・¾)
(2) 이 실험에 사용된 황산 수용액의 몰 농도를 구해 이고, 통열량계의 열용량은 1.74 J/¾, 에탄올의 분자량
보자. 은 46이다. )

198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논술 | 과학 글쓰기

논술 | 과학 글쓰기

20 다음은 드라이아이스 속에서 일어나는 마그네슘의 연소 실험과 이산화 탄소 소화기


에 관한 설명이다.

실험 드라이아이스 속의 마그네슘 연소 실험
[실험 과정]
1. 드라이아이스 조각에 동그랗게 구멍을 파고, 마그네슘 가루를 넣은 후 마그네
슘 리본을 가운데 꽂아 불을 붙인다.
2. 다른 드라이아이스 조각으로 과정 1의 드라이아이스 조각 위를 덮는다.
3. 반응이 끝나면 위를 덮고 있던 드라이아이스 조각을 떼어 내고 생성된 물질을
관찰한다.
[실험 결과]
•마그네슘은 드라이아이스 속에서 환한 빛을 내며 격렬하게 연소한다.
•반응이 끝난 후에는 하얀색 재와 검은색 가루 물질이 남는다.
마그네슘
리본

드라이아이스

자료 이산화 탄소 소화기
불을 끄는 소화기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중 많이 사용하는 소화기는 이산화
탄소 소화기이다. 이산화 탄소 소화기는 높은 압력 아래에서 이산화 탄소를 액상
으로 만들어 소화 용기에 담아놓은 것이다. 그러나 마그네슘에 불이 붙었을 때는
이산화 탄소 소화기를 사용할 수 없다.

⑴ 위 드라이아이스 속의 마그네슘 연소 실험의 결과를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고, 이를 산


화 환원 반응으로 설명해 보자.

⑵ 마그네슘으로 인한 화재에 이산화 탄소 소화기를 사용할 수 없는 까닭을 위 드라이아이


스 속의 마그네슘 연소 실험과 관련지어 설명해 보자.

논술 | 과학 글쓰기 199
부록

학습 자료실
•단위와 기본 상수
•화합물 명명법
•여러 가지 실험 기구
•실험 기구 사용 방법
•주기율표
•탐구 보고서 작성하기
•탐구 활동지

정답 및 해설

찾아보기

자료 출처
힋학습 자료실

단위와
단위와기본
기본상수
상수

➊ 기본 단위

기본량 명칭 기호 기본량 명칭 기호
길이 미터 m 열역학적 온도 켈빈 K

질량 킬로그램 kg 물질량 몰 mol

시간 초 광도 칸델라 cd

전류 암페어 A

➋ 특별한 명칭과 기호를 가진 일관성 있는 유도 단위

물리량 명칭 기호 기본 단위로 표시 다른 단위로 표시


힘 뉴턴 N m´kg´ ÑÛ`

압력 파스칼 Pa mÑÚ`´kg´ ÑÛ` N/mÛ`

에너지 줄 J mÛ`´kg´ ÑÛ` N´m

일률 와트 mÛ`´kg´ ÑÜ` J/

전하량 쿨롬 C ´A

전위차, 기전력 볼트 V mÛ`´kg´ ÑÜ`´AÑÚ` /A

전기 저항 옴 mÛ`´kg´ ÑÜ`´AÑÛ` V/A

섭씨온도 섭씨도* K
* 섭씨도와 켈빈은 그 크기가 같으므로, 온도차 또는 온도 간격의 수치는 섭씨도 또는 켈빈으로 표시할 경우 같은 값을 가지게 된다.

➌비 단위와 단위의 관계

물리량 관계 물리량 관계
1 min=60
길이 1 A=10ÑÚ`` m 시간
1 =60 min=3600
넓이 1 a=10Û` mÛ`, 1 a=10Ý` mÛ` 힘 1 kg (킬로그램힘)=9.8 N
1 atm=101325` Pa
부피 1 L=1 dmÜ`=10Ü` cmÜ`=10ÑÜ` mÜ` 압력
1 mmHg=1 Torr=133.322 Pa
질량 1 t=10Ü` kg 에너지 1 cal=4.184 J

➍ 기본 상수

물리량 기호 정의
아보가드로수 6.02214076_10Û`Ü` molÑÚ`
0.082058 atm´L´molÑÚ`´KÑÚ`
기체 상수 8.314472(15) J´molÑÚ`´KÑÚ`
8.3145 kPa´L´molÑÚ`´KÑÚ`

학습 자료실 201
화합물 명명법

➊ 기본 원칙

(1) 이미 우리말로 정착된 원소 이름은 그대로 사용하고, 그 외에는 I PAC 이름을 사용한다.
나트륨( odium)과 칼륨(pota ium)은 지금까지 사용해 오던 이름을 당분간 그대로
사용하나 I PAC 이름인 ‘소듐’과 ‘포타슘’으로 부를 수 있다.
(2) 화합물의 이름은 I PAC 명명법의 띄어쓰기 원칙을 따른다.
COª: 이산화 탄소, NaCl: 염화 나트륨

➋ 이온의 명명

(1) 양이온의 명명
① 금속 양이온의 가수가 한 가지인 양이온: 원소 이름 뒤에 ‘~이온’을 붙인다.

H±: 수소 이온 Na±: 나트륨 이온 MgÛ`±: 마그네슘 이온

② 금속 양이온의 가수가 한 가지 이상인 양이온: 금속 이름 뒤에 이온의 가수를 소괄호 속에


넣어 로마 숫자로 나타낸다.

FeÛ`±: 철(Ⅱ) 이온 FeÜ`±: 철(Ⅲ) 이온


Cu±: 구리(Ⅰ) 이온 CuÛ`±: 구리(Ⅱ) 이온

(2) 음이온의 명명
① 단원자 음이온: 원소 이름 뒤에 ‘~화 이온’을 붙인다. (단, 산소와 염소의 경우 ‘소’를 생략
한다.)

FÑ: 플루오린화 이온 OÛ`Ñ: 산화 이온 SÛ`Ñ: 황화 이온


BrÑ: 브로민화 이온 ClÑ: 염화 이온 IÑ: 아이오딘화 이온

② 다원자 음이온
•다양성자 산에서 양성자(H±)가 일부만 제거된 음이온은 산의 이름 뒤에 ‘~수소’, ‘~이수소’
등을 붙여 표시한다.

HSO¢Ñ: 황산수소 이온 HCO£Ñ: 탄산수소 이온


HªPO¢`Ñ: 인산이수소 이온 HPO¢Û`Ñ: 인산수소 이온

•산소를 포함하는 다원자 음이온을 산소산이라고 하며 ‘~산 이온’이라고 명명한다. 기준이


되는 산소산보다 산소를 많이 포함하는 것은 ‘과~산 이온’, 기준이 되는 산소산보다 산소를
적게 포함하는 것은 ‘아~산 이온’, ‘하이포~산 이온’으로 표기한다.

SO¢Û`Ñ: 황산 이온 SO£Û`Ñ: 아황산 이온


ClO¢Ñ: 과염소산 이온 ClOªÑ: 아염소산 이온 ClOÑ: 하이포염소산 이온

202 학습 자료실
➌ 화합물의 명명

(1) 이온 결합 화합물: 음이온의 이름을 먼저 명명한 다음 양이온을 명명한다.

NaCl: 염화 나트륨 NaH: 수소화 나트륨 NH¢Cl : 염화 암모늄


NaªSO¢: 황산 나트륨 KCN: 사이안화 칼륨 NaHCO£: 탄산수소 나트륨

(2) 비금속 이원소 화합물: 음성 성분을 먼저 명명하고 양성 성분을 나중에 명명한다. 화합물
에 포함된 원자나 원자단의 수는 접두사를 붙여 표시한다. 원자나 원자단의 이름이 우리
말일 경우 ‘일~’, ‘이~’, ‘삼~’, ‘사~’를 붙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모노~’, ‘다이’, ‘트
라이~’, ‘테트라~’를 붙인다. (단, 혼돈의 우려가 없으면 수 접두사는 생략한다.)

HF: 플루오린화 수소 HªS: 황화 수소 NH¢Cl: 염화 암모늄


CO: 일산화 탄소 COª: 이산화 탄소 NªO¢: 사산화 이질소
CCl¢: 사염화 탄소 SF¢: 테트라플루오린화 황

(3) 여러 가지 산화 상태가 가능한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 원소의 수를 접두사로 나타내는


대신 산화 상태를 나타내는 로마 숫자를 소괄호에 넣어 표시하기도 한다.

NªO: 산화 이질소 또는 산화 질소(Ⅰ) NOª: 이산화 질소 또는 산화 질소(Ⅳ)


FeO: 일산화 철 또는 산화 철(Ⅱ) FeªO£: 삼산화 이철 또는 산화 철(Ⅲ)

(4) 오래전에 발견된 화합물은 관용명을 허용한다.

NH£: 암모니아 PH£: 포스핀 NHªNHª: 하이드라진


HªOª: 과산화 수소 CaCª: 칼슘 카바이드 KMnO¢: 과망가니즈산 칼륨

(5) 산소를 포함하는 산소산: 산소산 음이온과 같이 명명한다.

HNO£: 질산 HNOª: 아질산 HNO: 하이포질산


HªSO¢: 황산 HSO£: 아황산
HClO¢: 과염소산 HClOª: 아염소산 HClO: 하이포염소산

(6) 산소산의 산소가 다른 산소나 황으로 치환된 화합물: ‘과산화~’와 ‘싸이오~’로 표기하는
관용명을 허용한다.

HªSªO£: 싸이오황산 HSCN: 싸이오사이안산


H£PO : 과산화인산 HNO¢: 과산화질산

(7) 기타 관용명

석회수: Ca(OH)ª 포화 용액 생석회: CaO 소석회: Ca(OH)ª


실리카: SiOª 알루미나: AlªO£ 제빵 소다: NaHCO£

학습 자료실 203
여러 가지 실험 기구

페트리 접시 둥근바닥 플라스크 온도계 전자저울

스포이트 눈금실린더 시험관 집게 비커

삼각 플라스크 시험관 / 시험관대 부피 플라스크 유리 막대

핀셋 피펫 뷰렛 홈판

204 학습 자료실
실험 기구 사용 방법

시험관 사용법 스포이트 사용법

시험관을 잡을 때는 시험관 윗 시험관을 가열할 때는 시험관 집 스포이트는 엄지손가락과 집게손 고무 꼭지를 눌러 스포이트 끝을
부분을 세 손가락으로 가볍게 잡 게로 시험관을 잡고, 약간 기울 가락으로 고무 꼭지를 잡고, 나머 액체에 넣은 후, 고무 꼭지를 천
는다. 인다. 지 손가락으로 감싸듯이 잡는다. 천히 놓으면 액체가 올라온다.

뷰렛 사용법

꼭지를 밀면서
돌린다.
꼭지를 꼭지를
연 모습 닫은 모습 눈높이와
색 변화를 수평
관찰할 경
우 흰 종이
를 댄다.

뷰렛의 꼭지를 닫은 후 깔때기를 뷰렛의 꼭지를 닫고, 필요한 용액의 뷰렛 아래에 삼각 플라스크를 놓은 반응이 끝났거나 종말점에 도달하
사용하여 용액을 넣고 뷰렛 아래에 부피보다 용액을 조금 더 넣는다. 후 뷰렛의 꼭지를 열어 용액을 조 면 뷰렛의 꼭지를 닫은 후 뷰렛 속
빈 용기를 댄 다음 꼭지를 완전히 꼭지를 열어 용액의 눈금을 맞춘 금씩 흘려준다. 이때 오른손으로 삼 용액의 오목한 부분과 같은 눈높이
열어 용액을 버린다. 이 과정을 2~3 후 꼭지를 닫는다. 뷰렛 아래에 맺 각 플라스크를 부드럽게 돌려 준다. 에서 수평으로 눈금을 읽는다.
회 반복한다. 세척 과정 힌 방울은 여과지를 대어 제거한다.

전자저울 사용법

전원 영점 조정
단추 단추

수평 조절기

수평이 아니면 수평 조 평평한 곳에 전자저울을 놓고 빈 용기를 올려놓고 영점 조정 물질을 용기에 넣고 전자저울에


절기로 수평을 맞춘다. 수평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한 후 단추를 눌러 영점을 맞춘다. 나타나는 숫자를 읽는다.
전원을 켠다.

학습 자료실 205
주기율표

1족
1

1 주기
H
수소 원자 번호 20
[1.007; 1.009]
2족 원소 기호 Ca
원소 이름 칼슘 금속 원소 비금속 원소
3 4

2 주기
Li Be 원자량 40.08 준금속 원소 2016 년에 추가된 원소
리튬 베릴륨
[6.938; 6.997] 9.012

11 12

3 주기
Na Mg
나트륨 마그네슘
22.99 24.31 3족 4족 5족 6족 7족 8족 9족
19 20 21 22 23 24 25 26 27

4 주기
K Ca Sc Ti V Cr Mn Fe Co
칼륨 칼슘 스칸듐 타이타늄 바나듐 크로뮴 망가니즈 철 코발트
39.10 40.08 44.96 47.87 50.94 52.00 54.94 55.85 58.93

37 38 39 40 41 42 43 44 45

5 주기
Rb Sr Y Zr Nb Mo Tc Ru Rh
루비듐 스트론튬 이트륨 지르코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테크네튬 루테늄 로듐
85.47 87.62 88.91 91.22 92.91 95.96(2) 101.1 102.9

55 56 72 73 74 75 76 77

6 주기
Cs Ba 란타넘족
Hf Ta W Re Os Ir
세슘 바륨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레늄 오스뮴 이리듐
132.9 137.3 178.5 180.9 183.8 186.2 190.2 192.2

87 88 104 105 106 107 108 109

7 주기
Fr Ra Rf Db Sg Bh Hs Mt
악티늄족
프랑슘 라듐 러더포듐 더브늄 시보꾅 보륨 하슘 마이트너륨

57 58 59 60 61 62
La Ce Pr Nd Pm Sm
란타넘 세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프로메튬 사마륨
138.9 140.1 140.9 144.2 150.4

89 90 91 92 93 94
Ac Th Pa U Np Pu
악티늄 토륨 프로트악티늄 우라늄 넵투늄 플루토늄
232.0 231.0 238.0

206 학습 자료실
18 족
2
He
헬륨
4.003
13 족 14 족 15 족 16 족 17 족
5 6 7 8 9 10
B C N O F Ne
붕소 탄소 질소 산소 플루오린 네온
[10.80; 10.83] [12.00; 12.02] [14.00; 14.01] [15.99; 16.00] 19.00 20.18

13 14 15 16 17 18
Al Si P S Cl Ar
알루미늄 규소 인 황 염소 아르곤
10족 11족 12족 26.98 [28.08; 28.09] 30.97 [32.05; 32.08] [35.44; 35.46] 39.95

28 29 30 31 32 33 34 35 36
Ni Cu Zn Ga Ge As Se Br Kr
니켈 구리 아연 갈륨 저마늄 비소 셀레늄 브로민 크립톤
58.69 63.55 65.38(2) 69.72 72.63 74.92 78.96(3) 79.90 83.80

46 47 48 49 50 51 52 53 54
Pd Ag Cd In Sn Sb Te I Xe
팔라듐 은 카드뮴 인듐 주석 안티모니 텔루륨 아이오딘 제논
106.4 107.9 112.4 114.8 118.7 121.8 127.6 126.9 131.3

78 79 80 81 82 83 84 85 86
Pt Au Hg Tl Pb Bi Po At Rn
백금 금 수은 탈륨 납 비스무트 폴로늄 아스타틴 라돈
195.1 197.0 200.6 [204.3; 204.4] 207.2 209.0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Ds Rg Cn Nh Fl Mc Lv Ts Og
다름슈타튬 뢴트게늄 코페르니슘 니호늄 플레로븀 모스코븀 리버모륨 테네신 오가네손

63 64 65 66 67 68 69 70 71
Eu Gd Tb Dy Ho Er Tm Yb Lu
유로퓸 가돌리늄 터븀 디스프로슘 홀뮴 어븀 툴륨 이터븀 루테튬
152.0 157.3 158.9 162.5 164.9 167.3 168.9 173.1 175.0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Am Cm Bk Cf Es Fm Md No Lr
아메리슘 퀴륨 버클륨 캘리포늄 아인슈타이늄 페르뮴 멘델레븀 노벨륨 로렌슘

검은색 원소 기호: (상온) 고체 상태, 파란색 원소 기호: (상온) 액체 상태, 빨간색 원소 기호: (상온) 기체 상태

학습 자료실 207
탐구 보고서 작성하기

일상생활에서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라는 의문을 가지게 될 때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


은 과학의 눈으로 접근하면 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과학적인 문제 해결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탐구 주제 선정하기 탐구 계획 수립하기 탐구 수행하기 탐구 결과 정리하기 탐구 결과 발표하기

탐구를 통해 타당한 결론을 얻었다면 그래프, 그림, 도표 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실험


결과를 정리하고 탐구 보고서를 작성한다. 이때 구체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탐구 보고서를 작
성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참고 자료를 더 조사한다. 탐구 보고서를 쓸 때 다음과 같은 점을 점
검해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예시
탐구 보고서

탐구 제목 이름 학년 반 번 이름 날짜 년 월 일 교시
탐구 내용
탐구의 주제와 목표가 냄비의 종류에 따라
물이 끓는위한
탄산 칼슘 1 g 이 염산과 반응할 때의 양적 관계를 알아보기 데실험을
걸리설계하고
제목
는 수행하기 시간이 어떻게 다른지
확실하게 드러나도록 보려고 한다. 알아
짧은 글로 써 주세요. 묽은 염산, 탄산 칼슘, 증류수, 삼각 플라스크, 솜, 계산기, 전자저울, 약숟가락, 시약포지, 유리 막대,
준비물 1. 냄비의 종류에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 따 라 물이 끓는 데 걸리
는 시간이 서로 다른
무엇일까? 까닭은
1 . 탄산 칼슘(CaCO £) 가루 1 . 0 g 을 측정한다.
▶냄비마다 탄산 칼슘
2 . 묽은 염산(HCl (aq )) 25 mL를 재질삼각 이 서로 다르
플라스크에 넣고 기
솜으로
때문일 것이다. 냄비 +묽은 염산
탐구 과정 플라스크 입구를 막은 법랑 , 스테측정한다.
후 질량을 인레스 스틸, 코닝, 뚝배 의 재질에는 양은,
기, 돌솥 등이 있다.
탐구를 실행하기에 가 2. 물이탄산
3 . 과정 1에서 측정한 칼슘을 과정
끓는 데 걸리는 시간 2의 삼각 플라스크에
탐구 과정
넣고 솜으로 입구를 막은 후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도록 에 한다.
영향을 주는 변인에는
장 적절한 방법을 생각 것이 있을까? 냄비의 재질 외에 어떤
해서 써 주세요. 4 . 반응이 완전히 끝나면 용액이 들어 있는 삼각 플라스크의 질량을
▶넣는 물의 양,
측정한다. 불꽃의 세기 , 온도 측정이 온도계의
5 . 과정 1 ~4를 2 회 반복한다.
위치 등이 있을 것이다.

질량 차이( )
구분 반응 전 질량( ) 반응 후 질량( )
(생성된 Oª 질량)

1회 132.20 131.72 0.48


2회 132.30 131.80 0.50
3회 132.20 130.61 0.49 탐구 결과 및 정리
탐구 결과
평균 132.23 131.37 0.49
탐구 결과를 정리하고,
및 정리 탐구 결과
재질이 서로 다른
1.0 g 냄비에 일정한 양의물을 탐구를 통해 알게 된 점
•탄산 칼슘의 양(mol)
유지한 =상태 =0.01 mol 넣고, 불꽃의 세기를 동일 을 써 보세요.
100에g/mol
서각 냄비마다 물이 끓는 하게
데 걸린 시간을 측정
•이산화 탄소의한다 . = 0.49 g 하여 비교
양(mol) =0.011 mol
44 g/mol
•탄산 칼슘 : 이산화 탄소=0.01 : 0.011=1 : 1.1

예상보다 이산화 탄소의 양(mol)이 더 많이 나왔다.


실험 과정에서 용기 내부의 온도가 많이 올라가서 수증기가 바깥으로 많이 나오는 것을 관찰할
토의
수 있었다. 따라서 이산화 탄소와 함께 수증기가 빠져나갔으므로 이산화 탄소의 질량이
결론 도출
예상보다 크게 측정된 것이다.
탐구 결과로부터 결론을 남긴 말
화학 반응식의 스스로 평가하기
도출하고, 그때 얻어진 결 결론 도출 물일계수비가
끓는 데반응에 참여한 물질의 몰비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걸린 시간을 추정한
후, 그 물이 식는 데 탐구 과정을 되돌아보고,
론이 탐구의 목표와 일치 비교하면 의미 있는 걸린 시간을 추정한
스스로 결과가 나올 것 같다 후에도 측정하여 서로
. 개선해야 할 점을 쓰면서
하는지 생각해 보세요. 평가하기
탐구 자세가 향상될 수 있
도록 노력하세요.

208 학습 자료실
Al
143 pm

원자 반지름 모형 (본문 90 쪽)
탐구 활동지

N B Cl
75 pm 85 pm
Be
Na
Li 100 pm
112 pm
186 pm

152 pm

O F N
N B 75 pm
Be
73 pm 72 pm
75 pm 85 pm
112 pm

Mg
N NB 160 pm
BBe
S C 75 pm P
85 pm O
103 pm
AlO
77 pm
75 pm
110 pmF
85 pm
112 pm
73 pm
143 pm 72 pm
73 pm

O F F Mg
O 72 pm 160 pm
Al
73 pm
73 pm 72 pm

Al 143 pm

143 pm NaMg
Li 186 pm
Mg
160 pm
152 pm 160 pm
학습 자료실 209
Al Al
탐구 활동지 원자 반지름 모형 (본문 90 쪽)

210 학습 자료실
원자 반지름 모형 (본문 90 쪽)
탐구 활동지
Si
118 pm

N B 1

75 pm 85 pm
Be
112 pm
N B Si
Na
75 pm 85 pm 118 pm Be
112 pm
186 pm

O F
73 pm 72 pm

O F Cl
Si
73 pm 72 pm
Mg 100 pm

118 pm 160 pm

Al Mg
Cl
160 pm
143 pm
100 pm

Al
143 pm

P
ClS C
S
Na
Li
103 pm
100 pm 77 pm 186 pm C
110 pm

152 pm 103 pm
Na
77 pm

Li
S 152 pm C
186 pm
P
110 pm
103 pm 77 pm
학습 자료실 211
탐구 활동지 원자 반지름 모형 (본문 90 쪽)

212 학습 자료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주기
탐구 활동지

1
1
H
2.1

2
3 4 5 6 7 8 9
Li Be B C N O F
1.0 1.5 2.0 2.5 3.0 3.5 4.0

3
11 12 13 14 15 16 17
Na Mg Al Si P S Cl
0.9 1.2 1.5 1.8 2.1 2.5 3.0

4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K Ca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Ge As Se Br
0.8 1.0 1.3 1.5 1.6 1.6 1.5 1.8 1.9 1.9 1.9 1.6 1.6 1.8 2.0 2.4 2.8

학습 자료실
213
➋ 전기 음성도의 주기성 알아보기 (본문 126 쪽)
탐구 활동지 ➋ 전기 음성도의 주기성 알아보기 (본문 126 쪽)

214 학습 자료실
정답 및 해설

32 쪽 | 창의 융합 사고 예시 답안 | 0 ¾, 1 기압에서 기체 1
I 화학의 첫걸음 몰의 부피가 22.4 L이므로 25 ¾, 1 기압에서 기체 1 몰의
부피는 22.4 L보다 크다. 따라서 이 조건의 기체 22.4 L에는
1 세상을 바꾸는 화학
1 몰보다 적은 양의 기체 분자가 들어 있다.
17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암모니아 2 합성염료 33 쪽 | 유제 0.05 mol, 1.12 L | 메테인 기체의 질량


0.8 g
은 0.8 g이므로 메테인의 양(mol)은 =0.05 mol
16 g/mol
2 탄소 화합물의 세계 이다. 0 ¾, 1 기압에서 기체 1 몰의 부피는 22.4 L이므로
21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메테인의 부피는 1.12 L이다.
1 탄소 화합물 2 나무 의자, 자전거, 운동화
33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24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원자량
1 4개 2 에탄올, 아세트산
2 분자 수, 부피 | 기체 1 몰의 분자 수는 아보가드로수이고, 같
은 온도, 같은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종류와 관계없
이 같다. 하지만 1 몰의 질량은 이산화 탄소는 44.0 g, 수소는
3 몰과 화학식량
2.0 g으로 분자마다 다르다. 1 몰에 들어 있는 원자 수는 이
28 쪽
산화 탄소와 수소가 각각 3 몰, 2 몰로 서로 다르다.
1 수소 원자 2 몰, 산소 원자 1 몰
2 2.408_10Û`Ý` 개 | 이산화 탄소(COª) 2 몰에는 산소 원자(O)
4 몰이 들어 있으므로 산소 원자의 개수는 4 _6 .02_10Û`Ü`
4 화학 반응식
개이다.
37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29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Mg + 2HCl 1Ú MgClª + Hª


1 몰 2 1 몰, 아보가드로수 2 2HNO£(aq) + Ca(OH)ª(aq) 1Ú 2HªO(l) + Ca(NO£)ª(aq)

30 쪽 | 자료 읽기 1, 16 39 쪽 | 자료 읽기

계수비 2 : 1 : 2, 몰비 2 : 1 : 2, 분자 수비 2 : 1 : 2,
30 쪽 | 창의 융합 사고 예시 답안 | 수소의 원자량은 2가 되 부피비 2 : 1 : 2, 질량비 1 : 8 : 9
고, 탄소의 원자량은 24가 된다.
39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31 쪽
1 질량비
⑴ 46 | 에탄올(CªH OH)의 화학식량(분자량)
2 예시 답안 | 반응물은 CuO와 C, 생성물은 Cu와 COª이다.
=C 원자량_2+H 원자량_6+O 원자량
반응에 관여한 물질의 몰비는
=12_2+6+16=46
CuO : C : Cu : COª=2 : 1 : 2 : 1이다.
⑵ 180 | 포도당(C¤HÁªO¤)의 화학식량(분자량)
반응에 관여한 물질 중 CuO, C, Cu는 고체 상태이고, COª
=C 원자량_6+H 원자량_12+O 원자량_6
는 기체 상태이다.
=12_6+12+16_6=180
⑶ 40 | 산화 마그네슘(MgO)의 화학식량
40 쪽 | 창의 융합 사고
=Mg 원자량+O 원자량=24+16=40
예시 답안 | 약 0.8 톤
암모니아 1 t=1000 kg=10` g이고, 암모니아 1 t을 몰로
31 쪽 | 연습해 보기 산소(O)의 원자량_2, 32, 64, 64
10` g
환산하면 58823.5 mol이다.
32 쪽 ⑴ 0.25 몰 ⑵ 0.1 몰 ⑶ 2 몰 ⑷ 0.01 몰 1 g/mol

정답 및 해설 215
질소 1 몰당 암모니아 2 몰이 생성되므로 필요한 질소의 양(mol) 45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58823.5 mol
=29411.8 mol이고, 질소 1 몰의 질량은
1 양(mol)
2 34.2 g | 0.1 M 설탕 수용액 1 L 속에는 설탕 분자 0.1 몰이
28 g이므로 필요한 질소의 질량은 들어 있으므로, 필요한 설탕의 질량은 0.1 mol_342 g/mol
29411.8 mol_28 g/mol=823529.4 g=823.5 kg=0.8 t =34.2 g이다.
이다.

대단원 마무리 49~53 쪽


41 쪽 | 연습해 보기
핵심 개념 적용하기
1단계: 2Hª + Oª Ú 2HªO
01 ⑴ _ ⑵ ◯ ⑶ ◯ ⑷ _ ⑸ ◯ ⑹ _ ⑺ ◯ ⑻ _ 02 ③
2단계: 2, 1, 2, 1, 2.24
03 ④ 04 (나), (다), (라) 05 ③ 06 ⑤ 07 ④ 08 ①
09 ④ 10 ③ 11 13 g 12 0.03 M
41 쪽 | 연습해 보기 핵심 역량 키우기
1단계: CH¢ + 2Oª 1Ú COª + 2HªO 13 해설 참조 14 해설 참조 15 해설 참조 16 해설 참조
3단계: 1, 1, 1, 1, 2 논술 | 과학 글쓰기 17 해설 참조
4단계: 2, 88
02 화학은 물질의 구조와 성질 및 물질의 변화를 탐구하는 학
41 쪽 | 창의 융합 사고 예시 답안 | 0.85 톤 문이다.
화학 반응식은 Nª + 3Hª 1Ú 2NH£이므로 반응에 참여하
는 질소, 수소, 암모니아의 몰비는 1 : 3 : 2이고, 질량비는 03 일회용품의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여러 가지 환경 문제가 발
14 : 3 : 17이다. 따라서 질소 0.7 톤, 수소 0.3 톤을 반응시 생하였으므로 긍정적인 사례로 보기 어렵다.

키면 질소 0.7 톤과 수소 0.15 톤이 반응하여 암모니아 0.85


04 유리는 이산화 규소(SiOª)로 만들어진 물질이다.
톤이 생성되고 수소 0.15 톤이 남는다.
05 대표적인 온실 기체로는 메테인, 이산화 탄소 등이 있다. 에
41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탄올은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한다.
1 5.6 L | 화학 반응식은 2CO + Oª 1Ú 2COª이다. 일산
화 탄소 분자 3.01_10Û`Ü` 개는 0.5 몰이므로 필요한 산소는 06 ① 원자량은 상대적인 값이므로 g을 붙이지 않는다.
0.25 몰이고, 0 ¾, 1 기압에서 기체 1 몰의 부피는 22.4 L ② 원자량은 상대적인 질량비로, 실제 원자의 질량이 아니다.
이므로 산소의 부피는 5.6 L이다. ③ 탄소의 평균 원자량은 동위 원소의 질량을 고려하므로

2 13.2 g | 화학 반응식은 C£H + 5Oª 1Ú 3COª + 4HªO 12.00이 아니다.


이다. 프로페인 2.24 L는 0.1 몰이므로 발생하는 이산화 탄 ④ 현재 원자량의 기준은 원자량이 12인 탄소(12C) 원자이다.
소는 0.3 몰이고, 이산화 탄소의 질량은 (몰 질량_양(mol))
07 ① 수소(Hª) 8 g에 들어 있는 수소 분자 수는 4 몰이다.
이므로 44 g/mol_0.3 mol=13.2 g이다.
② 흑연(C) 12 g에 들어 있는 탄소 원자 수는 1 몰이다.
③ 물(HªO) 36 g은 2 몰이고, 이에 포함된 산소 원자 수는 2
몰이다.
5 몰 농도
④ 포도당(C¤HÁªO¤) 180 g은 1 몰이고, 이에 포함된 산소
45 쪽 | 유제 9 g | 0.1 M 포도당 수용액 500 mL
원자 수는 6 몰이다.
에는 포도당 0.05 몰이 들어 있으므로 필요한 질량은
⑤ 0 ¾, 1 기압에서 메테인(CH¢) 22.4 L는 1 몰이고, 이에
0.05 mol_180 g/mol=9 g이다.
포함된 원자의 총수는 5 몰이다.

45 쪽 | 창의 융합 사고 예시 답안 | 완전 중화될 수 없다. 1
08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같은 부피 속에 들어 있는 기체 분자 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100 g에는 0.025 몰만큼의 수산화 이
는 모두 같지만, 원자 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온이 있고, 1 염산 100 g에는 0.027 몰만큼의 수소 이온
이 있다. 즉 H±이 OHÑ보다 더 많으므로 혼합 수용액의 액성 09 화학 반응식은 ª + 2 ª 1Ú 2 ª이므로 1 몰의 ª가
은 산성이다. 모두 반응하려면 ª 2 몰이 필요하다.

216 정답 및 해설
10 화학 반응식은 2NaN£ 1Ú 2Na + 3Nª 이므로 외선 유입량을 증가시키는 피해를 가져와 1990 년대 이후
㉠+㉡+㉢ = 7이다. 사용이 금지되었다. 새로운 물질을 개발할 때는 장기적으로
그 물질을 사용할 때 생물 및 환경에 끼치는 영향에 관해 과
11 질소 6.72 L는 0.3 몰이므로 반응에 필요한 NaN£은 0.2
학적으로 충분히 고찰해야 한다. 또한, 그 물질의 안전성에
몰이다. NaN£의 화학식량은 65 이므로 0 .2 몰의 질량은
대해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국가적 시스템이 필요하며, 물질
13 g이다.
로 인한 피해가 생겼을 경우 피해 보상을 위한 제도 마련과
12 음료에 포함된 아스코르브산의 양(mol)=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야 한다.
0.528 g
=0.003 mol
176 g/mol
아스코르브산의 몰 농도(M)=
0.003 mol
=0.03 M II 원자의 세계
0.1 L

13 예시 답안 | 과거의 학생들은 무명이나 비단옷 등 천연 섬 1 원자의 구조


유로 만든 옷을 입었지만, 현재의 학생들은 천연 섬유와 합 59 쪽 | 자료 읽기

성 섬유를 기능에 따라 혼용한 옷을 입는다. 또 먹, 붓, 종이 (+)

를 사용했던 과거와 달리 현재에는 필통, 샤프 연필, 볼펜 등 (+)극


(_)극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학용품을 사용한다. 이처럼 슬릿
화학은 합성 섬유, 플라스틱, 금속 등 여러 가지 물질을 생활 (_)

속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하여 교실의 모습을 바꾸었다.


59 쪽 | 창의 융합 사고
14 예시 답안 |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개발하여 플라스틱이
예시 답안 | 톰슨 원자 모형
자연에서 분해될 수 있도록 한다.
+ 전자
15 ⑴ 220.44 g | 탄산 칼슘 1 g은 0.01 몰이므로 이산화 탄소
+
도 0.01 몰, 즉 0.44 g이 생성되어 삼각 플라스크 밖으로 빠 +

져나가므로 예상되는 질량은 220.44 g이다. + +

⑵ 예시 답안 | 삼각 플라스크 입구를 막는 장치를 하지 +


않았으므로 이산화 탄소와 함께 물(수증기)도 빠져나가 예
상보다 질량이 더 적게 측정되었다.
59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6 예시 답안 | (다), 증류수를 부피 플라스크의 표시선까지 1 전자
넣어 준다. 2 음극선 실험 장치에서 전기장을 걸었을 때 음극선이 (+)극 방
(가), (나)의 과정을 통해 부피 플라스크 속에 200 mL 이상 향으로 휘었으므로 전자는 (-)전하를 띤다.
의 수용액이 이미 들어 있다. 따라서 증류수 1 L를 더 넣으
면 용액의 농도는 1 M보다 작아진다. 60 쪽 | 자료 읽기

1 원자 내부의 공간이 거의 비어 있다.


논술 | 과학 글쓰기 2 원자 내부에 밀도가 매우 크고, (+)전하를 띠는 입자가 존재
17 ⑴ 예시 답안 | 퀴닌과 T가 없었다면 유럽인들이 말 한다.
라리아 때문에 아프리카나 아시아 일대로 진출하기 어려웠
61 쪽 | 창의 융합 사고
을 것이므로 유럽인의 식민지 확대가 어려웠을 것이다. 한
예시 답안 | 러더퍼드 원자 모형
편, 퀴닌을 얻기 위해 노력한 화학의 역사 역시 없어지므로,
현재와 같은 화학 기술과 산업 발전을 이루기 어려웠을 것
전자
이다.
⑵ 예시 답안 | 냉장고나 에어로졸에 사용한 프레온 가스
원자핵
는 반응성이 없고, 증발과 액화가 쉬워 냉매로 널리 사용되
었다. 하지만 성층권에서 오존층을 파괴하여 남극 주변의 자

정답 및 해설 217
61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2 현대 원자 모형
1 원자핵 2 (+)전하 69 쪽 | 자료 읽기
3 전자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은 계단에 비유할 수 있다.

64 쪽 | 자료 읽기
69 쪽 | 창의 융합 사고
원자 탄소 질소 산소 예시 답안 | 보어 원자 모형
양성자수 6 7 8
전자
중성자수 6 7 8
전자 수 6 7 8

64 쪽 탄소: 6, 질소: 7, 산소: 8 원자핵

중성자가 6 개인 탄소: 12, 중성자가 7 개인 탄소: 13

65 쪽 ⑴ ÛÁ`H ⑵ Ú`¤Ü `C ⑶ Á¦
Ü``Cl ⑷ `Ú `F
71 쪽 410 nm : P Ú L, 434 nm : O Ú L,
65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486 nm : N Ú L, 656 nm : M Ú L
스펙트럼선의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 차이가 큰 전자 전이
1 원자핵, 전자, 양성자, 중성자
에 해당한다.
2 양성자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3 양성자수: 11, 중성자수: 12, 전자 수: 11 71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66 쪽 | 자료 읽기 1 불연속적 2 방출
수소: 중성자 0 개, 중수소: 중성자 1 개, 삼중수소: 중성자 2 개
73 쪽 2s, 2 , 3s, 3

67 쪽 | 연습해 보기 75.76, 24.24, 35.45


73 쪽 | 창의 융합 사고

예시 답안 | 두 오비탈 모두 부 양자수(l)가 0이며, 공 모양


67 쪽 18, 19, 20
ÚÁH 2 개와 Ú` O가 결합하면 분자량 18, ÚÁH, ÛÁH, Ú` O가 결합하 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은 2s 오비탈이 1s 오비탈보다

면 분자량 19, ÛÁH 2 개와 Ú` O가 결합하면 분자량 20의 물 분 크기가 크고, 2s 오비탈에는 전자 발견 확률이 0인 지점인 마

자(HªO)가 만들어진다. 디가 1 개 있다는 것이다.

67 쪽 | 창의 융합 사고 75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예시 답안 | `Ú `Ý C는 매우 드물게 존재하는 방사성 원소로서, 1 크고, 높다 2 자기 양자수


반감기는 5700 년이다. 동물이나 식물은 살아 있는 동안 물 3 1s<2s=2
질 대사를 통하여 탄소를 흡수하거나 방출하므로, 체내의 `Ú `Ý C
양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동식물이 죽으면 체내
의 `Ú `Ý C 양이 방사성 붕괴로 인해 줄어든다. 그러므로 죽은 동 3 전자 배치 규칙
물이나 식물의 조직 안에 남아 있는 `Ú `Ý C의 양을 측정하면 죽은 76 쪽 1s 2s 2p `
동식물이 살던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1sÛ` sÛ Ú
법 외에도 우리 주위에서는 질병 치료, 산업 현장 등에서 동위
원소를 사용하고 있다. 77 쪽
1s 2s 2p
67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⑴
1 양성자, 중성자 1s 2s 2p
2 세 가지 | à``Br 2 개가 결합한 분자량 158, à``Br과 `Ú`Br이 결 ⑵
합한 분자량 160, `Ú`Br 2 개가 결합한 분자량 162의 세 가지
브로민(Brª) 분자가 있다. 77 쪽 ⑴ 1sÛ` 2sÛ` 2 ` ⑵ 1sÛ` 2sÛ` 2 `

218 정답 및 해설
77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대단원 마무리 97~101 쪽
1 훈트 규칙 핵심 개념 적용하기
2 오비탈 수 8, 원자가 전자 수 4 01 ⑴ ◯ ⑵ _ ⑶ _ ⑷ ◯ ⑸ ◯ ⑹ _ ⑺ _ 02 ⑤ 03
바닥상태의 Á¢Si에서 전자 배치는 1sÛ` 2sÛ` 2 ` 3sÛ` 3 Û`이므 Be: 9, O: 15, Ca: 44 04 ② 05 ⑤ 06 ⑤ 07 ① 08 ③

로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는 8이고, 원자가 전자 수는 09 ① 10 ② 11 ①


핵심 역량 키우기
4이다.
12 해설 참조 13 해설 참조 14 해설 참조 15 ⑴ (가), (나)
⑵ 해설 참조 16 ⑴ (가) 원자 반지름 (나) 유효 핵전하 ⑵ 해설
참조 논술 | 과학 글쓰기 17 해설 참조

02 C에 원자 번호와 질량수를 표시하면 à¢C이다.


4 주기율표 03 질량수는 양성자수와 중성자수를 더한 값이다.
85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04 전자가 원자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에너지가 증가한다.
1 양, 음
05 현대 원자 모형에서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은 동시에 알 수
2 원자가 전자 수가 같아서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다.
없고, 특정 위치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만 알 수 있다.

06 ㄱ. s 오비탈은 공 모양으로, 방향성이 없다.


ㄴ. 오비탈은 원자핵 주위에 전자가 분포하는 확률을 나타낸
함수이다.

원소의 주기적 성질 ㄷ. 오비탈에 해당하는 자기 양자수는 -1, 0, 1의 세 가지


5
이며 이에 따라 x, , 축 방향의 세 가지 오비탈이 존재한다.
88 쪽 | 자료 읽기

1 변하는 것: 양성자수, 원자가 전자 수 07 ①은 2 오비탈에 있는 두 전자의 스핀 방향이 서로 반대여


변하지 않는 것: 전자 껍질 수 야 한다.
2 변하는 것: 양성자수, 전자 껍질 수 ②, ③은 바닥상태 전자 배치이고, ④, ⑤는 들뜬상태 전자
변하지 않는 것: 원자가 전자 수 배치이다.

08 A는 3주기 1족 원소이고, B는 2주기 17족 원소이다.


89 쪽 인력의 크기는 증가한다.
09 A는 수소(H), B는 네온(Ne), C는 나트륨(Na), 는 규소
(Si), 는 염소(Cl)이다.
91 쪽 | 창의 융합 사고

예시 답안 | 반지름은 OÛ`Ñ>FÑ>Na±>MgÛ`±이다. 각 이온 10 ① A는 2주기 원소이다.


의 전자 수는 모두 10으로 같지만, OÛ`Ñ, FÑ, Na±, MgÛ`±의 핵전 ③ 원자 반지름은 B가 보다 작다.
하량이 각각 +8, +9, +11, +12이므로 유효 핵전하의 크기 ④ 원자가 전자의 유효 핵전하는 C가 보다 작다.
도 같은 순서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므로 13족 원소인 알루미늄이고, B는
11 ㄱ. A는 £
ª £이므로 2족 원소인 마그네슘이다. A의 원자가 전자
91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수는 3이므로 전자 3 개를 잃고 AÜ`±이 된다.
1 유효 핵전하 ㄴ. 원자가 전자 수는 A가 B보다 많다.
2 ⑴ Ca, 같은 족 원소로 Ca의 전자 껍질 수가 더 많기 때문이다. ㄷ. 기체 상태의 B 원자가 BÛ`±이 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⑵ N, 같은 주기 원소로 F의 유효 핵전하가 더 크기 때문이다.
(738+1451) kJ/mol이다.

92 쪽 | 자료 읽기 12 예시 답안 | 실험 결과 대부분의 알파 입자는 금박을 그대

1 1, 18 2 작으면 로 통과했으나, 일부 알파 입자는 경로가 휘거나 큰 각도로


튕겨 나왔다. 이는 원자 내부가 거의 비어 있음을 의미하며,
93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전하를 띠는 입자가
1 크다 2 ⑴ He>Ne>Ar ⑵ B<C<N 원자 내부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및 해설 219
13 예시 답안 | 보어 원자 모형은 전자 껍질이라고 부르는 궤 ⑵ 자본가를 변호하는 견해에서는 경제성의 원리와 노동 환
도 위에서 전자들이 운동하는 것이고, 현대 원자 모형은 원 경의 개선 등을 중심으로 변론하고, 노동자를 변호하는 견해
자 내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을 나타낸 것이다. 보어 모형 에서는 노동자의 권리와 생명의 중요성 등을 중심으로 하여
은 다전자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설명할 수 없었고, 양자 역 변론한다.
학이 더욱 발달하면서 전자의 운동량과 위치를 정확하게 정
의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이를 확률 분포로 나타 .
낸 현대 원자 모형으로 대체되었다.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14 예시 답안 | •쌓음 원리: 벽돌을 쌓을 때 아랫돌부터 쌓 1 화학 결합의 전기적 성질


는 것과 유사하다. 107 쪽 | 창의 융합 사고

•파울리 배타 원리: 놀이 동산에 있는 롤러코스터에 나란히 예시 답안 | (-)극에서 생성된 물질을 물에 넣어 반응하는


앉을 수 있는 사람 수는 최대 두 명이다. 지 관찰한다. 알칼리 금속인 나트륨은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
•훈트 규칙: 서로 모르는 사람들끼리 좌석 버스에 타면 최 여 수소 기체를 발생한다.
대한 짝을 짓지 않고 앉으려고 한다.
107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5 ⑴ (가), (나) 영역에 속하는 원자는 원자가 전자가 s 오비탈에 1 전자


만 존재한다. 2 액체 상태에서는 이온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전류
⑵ 예시 답안 | (바), 전구를 충전하는 기체는 다른 물질과 가 흐른다.
잘 반응하지 않아야 하므로 비활성 기체를 사용한다.
2 이온 결합
16 ⑴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클수록 유효 핵전하가 증가
111 쪽 | 창의 융합 사고
하고, 원자 반지름이 감소한다.
예시 답안 | 14족과 15족 원소는 각각 원자가 전자가 4 개,
⑵ 예시 답안 |
5 개이므로 옥텟 규칙을 만족하려면 각각 전자 4 개나 3 개를
200 8
반 유 얻거나, 4 개나 5 개를 잃어야 한다. 이처럼 얻거나 잃어야 하
지 (가) 효
름 핵 는 전자의 수가 많아지면 에너지 면에서 유리하지 않으므로
(

pm (나) 전
100 4 하 대부분 이온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



이온 반지름 값 111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

0 0 1 ⑴ O: 전자 2 개를 얻는다.
N O F Na Mg Al
⑵ N: 전자 3 개를 얻는다.
Ne의 전자 배치를 갖는 각 원자의 이온은 NÜ`Ñ, OÛ`Ñ, FÑ, ⑶ Mg: 전자 2 개를 잃는다.
Na±, MgÛ`±, AlÜ`±이다. 전자 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을 비 ⑷ K: 전자 1 개를 잃는다.
교하면,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이온의 핵전하가 증가하 2 1, 잃어, 네온(Ne)
므로 반지름이 감소한다. 또 원자가 양이온이 되면 반지름
이 감소하고, 음이온이 되면 반지름이 증가하므로 NÜ`Ñ, OÛ`Ñ, 113 쪽 | 자료 읽기 B
FÑ의 반지름은 각각 N, O, F보다 커야 하고, Na±, MgÛ`±,
113 쪽 AlªO£
AlÜ`±의 반지름은 각각 Na, Mg, Al보다 작아야 한다.

113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논술 | 과학 글쓰기
1 이온 2 MCl£
17 답안 작성 안내 | ⑴ 중간 관리자는 과학자들의 조사 결과
를 통해 라듐의 위험성을 이미 알고 있었으므로 라듐의 위 114 쪽 | 창의 융합 사고

험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활용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 예시 답안 | (+)전하를 띤 양이온에 (-)전하를 띤 음이온


할 수 있도록 글을 쓰는 것이 좋다. 특히, 제보를 위한 글이 이 최대한 결합하면 그만큼 정전기적 인력이 커지고 안정적
므로 정확한 날짜, 자료, 관련된 인물 등이 포함되면 좋다. 인 화학 결합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20 정답 및 해설
115 쪽 | 자료 읽기 낮다, 높다 120 쪽 탄소 원자는 산소 원자와 전자쌍 3 개를 공유하여 3중
결합을 이룬다.
116 쪽 NaCl KCl CaClª CaSO¢ NaF
NaHCO£ MgClª NaCl
6+ 8+
116 쪽 염화 칼슘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스스로 녹는
성질이 있다. 탄산수소 나트륨은 열분해 되어 이산화 탄소를 발
C O
생하는데, 이때 이산화 탄소가 반죽에서 빠져나가면서 빵 반죽
을 부풀게 한다. 120 쪽 | 자료 읽기 C

116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21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힘을 가하면 잘 부서진다. 수용액에서 전류가 흐른다. 녹는점이 1 공유 결합 2 CHCl£, CHªClª, CH£Cl


높다.
122 쪽 | 자료 읽기
2 ⑴ NaªO>KªO ⑵ NaF<MgO ⑶ KCl<CaO
힘을 가하면 가늘게 뽑히고, 얇게 펴진다. 또 전기 전도도가
크다.
3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123 쪽 | 자료 읽기 전압을 가했을 때는 자유 전자가 (+)
118 쪽
극 쪽으로 일정하게 움직이고, 전압을 가하지 않았을 때는 자
17+ 17+ 유 전자가 방향성 없이 움직인다.

123 쪽 이온 결정에 힘을 가하면 잘 부서지지만 금속 결정에


힘을 가하면 쉽게 부서지지 않고 모양만 변형된다.
119 쪽 | 연습해 보기

1 6, 2, 네온(Ne) 123 쪽 | 창의 융합 사고

22 예시 답안 | 금속이 녹스는 것은 금속 원자가 산소와 결합


1+
하여 전자를 잃는 것이므로 자유 전자 때문에 생기는 금속의
8+ 특성을 잃는다.
1+
123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자유 전자 2 자유 전자 3 (+)
119 쪽 | 연습해 보기

1 5, 3, 네온(Ne) 124 쪽 공유 결합 물질인 설탕은 물에 녹아도 이온이 형성되지


23 않지만, 이온 결합 물질인 염화 나트륨은 물에 녹으면 양이온과
1+ 음이온이 자유롭게 이동하므로 전류가 흐른다.

125 쪽 예시 답안 | 금속 결정: 구리, 철 등


1+ 7+
이온 결정: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등
공유 결정: 흑연, 다이아몬드, 석영 등
1+ 분자 결정: 드라이아이스, 아이오딘, 얼음 등

125 쪽 | 창의 융합 사고
119 쪽 | 창의 융합 사고
예시 답안 | 물에 녹여 수용액을 만들고, 수용액에 전류가
예시 답안 | 물은 공유 결합 물질로 산소 원자 1 개에 수소
흐르는지 알아본다.
원자 2 개가 결합하여 분자를 이룬다. 산화 나트륨은 이온 결
합 물질로 산화 이온과 나트륨 이온이 1 : 2의 개수비로 결합 125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하여 생성되며 분자를 이루지 않는다. 1 ⑴ 공유 결합 ⑵ 이온 결합 ⑶ 금속 결합

정답 및 해설 221
2 ⑴ 공유 결합 물질 Ú 이온 결합 물질 137 쪽 이산화 탄소의 중심 원자인 탄소에는 비공유 전자쌍이
⑵ 비금속 원소로만 Ú 금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로 없고 공유 전자쌍이 양쪽에 존재하므로 직선형이지만, 물의 중
심 원자인 산소에는 공유 전자쌍 2 개와 비공유 전자쌍 2 개가
4 결합의 극성 존재하므로 굽은 형이 된다.
127 쪽 이온화 에너지와 전기 음성도의 경향성이 비슷하다. 이
137 쪽 ∠HCH는 109.5 에 가깝고, ∠COH는 104.5 에 가
온화 에너지가 클수록 전자를 떼어 내기 어렵고, 그만큼 원자핵
깝다.
이 전자를 끌어당기는 정도가 큰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이온화
에너지가 클수록 전기 음성도가 크다. 137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HªO, BCl£ 2 BCl£ CH¢ NH£ HªO


127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Na 0.9, F 4.0, Cl 3.0, C 2.5, H 2.1, O 3.5, K 0.8


전기 음성도 크기: F O Cl C H Na K 7 분자의 극성
2 ⑴ 작아, 증가, 증가 ⑵ 커, 감소 141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HF, HªS, NF£, CCl¢ 2 HF, HªS, NF£


129 쪽 염화 수소에서 두 원소의 전기 음성도 차이는 (3.0-
2.1)=0.9이고, 염화 나트륨에서 두 원소의 전기 음성도 차이 144 쪽 | 창의 융합 사고

는 (3.0-0.9)=2.1이다. 전기 음성도 차이가 매우 큰 염화 나 예시 답안 | 오리털 점퍼에는 동물 단백질과 지방 성분이 많


트륨은 이온 결합을 하고, 전기 음성도 차이가 비교적 작은 염 은 털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무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드라
화 수소는 극성 공유 결합을 한다. 이클리닝 하면 섬유 표면이 일부 녹아 손상될 수 있다.

129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45 쪽 밀도는 사염화 탄소>물>헥세인 순이고, 헥세인과 사염

1 ⑴ 무극성 공유 결합 ⑵ 극성 공유 결합 ⑶ 극성 공유 결합 화 탄소는 모두 무극성 물질로 서로 섞이므로 층을 이루지 않는다.

2 H-F>H-O>N-H>C-H>Cl-Cl
145 쪽 | 창의 융합 사고

예시 답안 | 물 분자의 구조가 직선형이면 얼음이 되었을 때


6 전자쌍 반발 이론과 분자의 구조
물 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해도 공간이 생기지 않아 고체인 얼
135 쪽 | 연습해 보기
음의 밀도가 액체인 물보다 클 것이다. 따라서 겨울에 호수가
BCl£ CH¢
얼 때 바닥부터 얼게 되고 수중 생태계는 유지되기 어렵다.
H
Cl
145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B Cl C
Cl H H 1 ⑴ 높 ⑵ 극성, 무극성
H 2 에탄올(CªH OH), 아세트산(CH£COOH)
(평면 삼각형) (정사면체)

대단원 마무리 147~151 쪽


135 쪽 사면체
핵심 개념 적용하기
01 ⑴ ◯ ⑵ _ ⑶ ◯ ⑷ ◯ ⑸ _ ⑹ _ ⑺ ◯ ⑻ _ ⑼ _
135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⑽ ◯ 02 ④ 03 이온 결합, AªB 04 ④ 05 ㄱ, ㄴ, ㄷ 06
1 평면 삼각형, 정사면체 ⑤ 07 ② 08 ⑴ Fª ⑵ COª 09 해설 참조 10 ② 11
2 ⑴ 정사면체 ⑵ 직선형 ⑶ 정사면체 ④ 12 ②
핵심 역량 키우기
136 쪽 FN F 13 ⑴ A: Na±, 나트륨 이온, B: ClÑ, 염화 이온, C: Na±, 나트륨 이
삼각뿔형 온, : 자유 전자 ⑵ 해설 참조 14 해설 참조 15 해설 참조
F
16 해설 참조 17 ⑴ 해설 참조 ⑵ 109.5 , 공유 전자쌍: 4, 비공
유 전자쌍: 12 ⑶ 해설 참조 18 해설 참조
136 쪽 O F
굽은 형 논술 | 과학 글쓰기 19 해설 참조
F

222 정답 및 해설
02 ④ (-)극에서는 물질이 전자를 얻는 반응이 일어난다. 15 예시 답안 | 설탕이 먼저 녹는다. 설탕은 공유 결합을 하는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온 결합을 하는 소금보다 녹는
03 A는 금속 원자, B는 비금속 원자이므로 A와 B는 이온 결
점이 낮아 먼저 녹을 것이다.
합을 형성한다.
16 예시 답안 | 다이아몬드나 흑연은 분자를 이루지 않고 원
04 이온 결합 물질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자 사이의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녹으려면 모든 공

05 (가)와 (나)에서 공통된 원소 C는 Á¦Cl이고, A는 £Li, B는 유 결합이 끊어져야 한다. 따라서 녹기 어렵고 녹는점은 매
ÁH이다. 바닥상태 전자 배치에서 A~C의 홀전자 수는 모 우 높다.
두 1 개이다.
17 ⑴ X Z
06 ⑤ 금속 결합 물질에 전류가 흐를 때 자유 전자는 (+)극 쪽 X Y X Z Y Z
X Z
으로 이동하지만, 금속 양이온은 이동하지 않는다.
YX¢ YZ¢

07 A는 이온 결정, B는 분자 결정, C는 금속 결정, 는 공유


⑶ 예시 답안 | 극성 분자, 사면체 구조로 쌍극자 모멘트의
결정이다. B는 녹는점이 상온보다 낮고, 끓는점이 상온보다
합이 0이 아니므로 극성 분자이다.
높으므로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한다. 상온에서 분자로 존재
하는 것은 B 한 가지이다. 18 예시 답안 | AH£의 끓는점이 더 높다. AH£는 극성 분자
이므로 분자량이 비슷한 무극성 분자인 BH¢보다 끓는점이
08 COª에서 C와 O는 극성 공유 결합을 하지만, 쌍극자 모멘트 더 높다.
의 합이 0이므로 COª는 무극성 분자이다.
논술 | 과학 글쓰기
09
19 예시 답안 | ⑴ (가)에는 -OH가 결합된 부분이 많아 극
물질 H N ªH ª ª
성이 크고, 물에 잘 녹는다. (나)에는 상대적으로 탄소와 수
루이스 HHH HHH 소로만 이루어진 부분이 더 많아 (가)에 비해 극성이 작다.
HHHCCC NNN CCC CCC FFFCCC CCCFFF
전자점식 HHH HHH 따라서 물에 더 잘 녹는 (가)가 수용성 바이타민이다.

공유 ⑵ 체내에 축적되어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은 (나)이다. (가)


4 6 5
전자쌍 수 와 같은 수용성 바이타민은 물에 녹아 소변으로 빠져나오므
비공유 로 많이 섭취해도 몸에 축적되지 않지만, (나)와 같은 지용성
1 0 6
전자쌍 수
바이타민은 물에 녹지 않아 과다하게 섭취하면 몸에 축적되
어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킨다.
10 무극성 분자는 BCl£, CH¢, COª이고, 평면 구조인 것은
BCl£, COª, HªO, HCHO이다.

11 ㄷ. 굽은 형 구조는 분자를 이루는 원소가 모두 한 평면에 있


으므로 입체 구조가 아니다.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12 A는 극성 물질이므로 물과 잘 섞이고, (+)전하를 띤 대전 1 동적 평형 상태
체를 가까이 대면 액체 분자의 부분적인 음전하를 띤 부분 157 쪽 | 창의 융합 사고

이 대전체에 끌린다. 예시 답안 | 황색 설탕이 용해되면서 수용액의 색깔이 황색


으로 변한다. 새로운 평형에 도달하면 황색의 진한 정도가 변
13 ⑵ 예시 답안 | D
C C D C 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D
D
C D C C 157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D
1 상평형 2 용해 평형

14 예시 답안 | B, 핵과 핵 사이, 전자와 전자 사이의 반발력 159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1 가역 반응, 비가역 반응 2 동적 평형 상태

정답 및 해설 223
2 물의 자동 이온화와 pH 169 쪽 | 연습해 보기

161 쪽 | 연습해 보기 1단계: 1, 2

2단계: 1.0_10ÑÛ` M 2단계: 2, 0.02, 0.1

3단계: 1.0_10ÑÛ` M, 1.0_10ÑÚ`Û` M


169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61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수소 이온(H±)의 양(mol), 수산화 이온(OHÑ)의 양(mol)


1 물의 자동 이온화 2 물의 이온화 상수 10 mL = _ . M_x
2 ⑴ 1_0.5 M_ 1 0 05
1000 mL/L
3 1.0_10ÑÚ`Ý`
x=0.1 L=100 mL
162 쪽 ⑵ 2_0.5 M_
10 mL
=1_0.05 M_
1000 mL/L
1 3 2 100 배
=0.2 L=200 mL
163 쪽 | 창의 융합 사고

예시 답안 | 하천의 수질 검사를 할 때 강물의 pH를 측정


4 산 염기 중화 적정
한다. 산성비가 내리는지 알아볼 때 빗물의 pH를 측정한다.
171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63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표준 용액 2 중화 적정
1 pH 2 산성, 염기성

5 산화 환원 반응
177 쪽 산화 반응: 4Fe 1Ú 4FeÜ`± + 12eÑ
3 산 염기 반응
환원 반응: 3Oª + 12eÑ 1Ú 6OÛ`Ñ
164 쪽 | 자료 읽기 산, 염기
산화
4Fe + 3Oª 1Ú 4FeÜ`± + 6OÛ`Ñ
165 쪽 | 연습해 보기 산, 염기 환원

177 쪽 산화 반응: Fe 1Ú FeÛ`± + 2eÑ


165 쪽 HCO£Ñ(aq) + HªO(l) 1Ú CO£Û`Ñ(aq) + H£O±(aq)
환원 반응: 2H± + 2eÑ 1Ú Hª
HCO£Ñ(aq)은 H±을 내놓으므로 산으로 작용하고, HªO(l)은
산화
H±을 받으므로 염기로 작용한다. Fe + 2H± 1Ú FeÛ`± + Hª
환원
165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산, 염기 2 염기, 산, 양쪽성 물질 177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 구분 산화 반응 환원 반응
167 쪽 | 창의 융합 사고
산소의 이동 산소를 얻음. 산소를 잃음.
예시 답안 | 수산화 칼슘 수용액과 이산화 탄소의 반응도
전자의 이동 전자를 잃음. 전자를 얻음.
산과 염기의 반응으로 볼 수 있다. 반응 결과 물과 함께 탄산
칼슘이 생성되는데, 탄산 칼슘은 물에 녹지 않는 흰색 앙금이 2 산화되는 물질: Fe, 환원되는 물질: CuÛ`±
므로 용액이 뿌옇게 된다.
178 쪽 | 연습해 보기
Ca(OH)ª(aq) + COª( g) 1Ú CaCO£(s) + HªO(l)
N, N, 3, 얻은, -3, 1, 잃은, +1
167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79 쪽 | 창의 융합 사고
1 중화 반응 2염
예시 답안 | 플루오린(F)은 모든 원소 중에서 전기 음성도
168 쪽 가 가장 큰 원소로, 모든 플루오린 화합물에서 전자쌍은 F
100 mL 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F의 산화수는 항상 -1이다.
1_0.1 M_ =1_0.1 M_x
1000 mL/L
x=0.1 L=100 mL 179 쪽 | 연습해 보기 ⑴ -2, +4 ⑵ +1, -2, -2

224 정답 및 해설
179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예시 답안 | 과산화 수소가 산소로 될 때는 산화되었고, 과
1 산화수 산화 수소가 물이 될 때는 환원되었다. 그러므로 과산화 수소
2 ⑴ 0 ⑵ +2 ⑶ +1 ⑷ +5 ⑸ +6 ⑹ +7 ⑺ +5 는 산화제이자 환원제라고 할 수 있다.
⑻ +4
183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181 쪽 | 연습해 보기
1 산화제, 환원제
1 1단계: ① 산소(O) 원자: 산화수 증가
2 산화, 환원제
② 탄소(C) 원자: 산화수 감소
2단계: 증가, HªO, 감소, COª 185 쪽 | 유제
2 산화수 증가 산화수 증가
산화 산화
-4+1 0 +4-2 +1 -2 +2 +7
CH¢( g) + 2Oª( g) 1Ú COª( g) + 2HªO(l) SnÛ`±(aq)+MnO¢Ñ(aq)+H±(aq)
산화수 감소 +4 +2
환원 1Ú SnÝ`±(aq)+MnÛ`±(aq)+HªO(l)
산화수 감소
탄소(C) 원자의 산화수가 증가하였으므로 메테인(CH¢)은
환원
산화되었고, 산소(O) 원자의 산화수가 감소하였으므로 산소
1단계: Sn은 산화수가 +2에서 +4로 2가 증가하였고, Mn
(Oª)는 환원되었다.
는 산화수가 +7에서 +2로 5가 감소하였다.
181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2단계: Sn 앞에 5를 쓰고 Mn 앞에 2를 써서 계수를 조정한
1 증가, 감소 2 산화, 환원 다. 즉 5 몰의 SnÛ`±이 2 몰의 MnO¢Ñ과 반응하므로 1 몰의
SnÛ`±은 0.4 몰의 MnO¢Ñ과 반응한다.
182 쪽
⑴ 산화제: MnOª, 환원제: HCl
185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산화수 증가
산화
1 증가, 감소(또는 감소, 증가)
-1 +4 0 +2 -1 2 예시 답안 | ⑴ 각 원자의 산화수를 쓰면 다음과 같다.
4HCl(aq + MnOª(s) 1Ú 2HªO(l) + Clª( g ) + MnClª(s) 0 +1 +2 0
환원제 산화제 Cu(s) + Ag±(aq) 1Ú CuÛ`±(aq) + Ag(s)
산화수 감소
환원 Cu의 산화수는 0에서 +2로 2가 증가하였고, Ag의 산화수는
⑵ 산화제: CuO, 환원제: Hª +1에서 0으로 -1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Ag 앞에 계수 2를
산화수 증가
써서 반응 전후 원소의 종류와 원자의 개수가 같도록 맞춘다.
산화
+2 0 0 +1 Cu(s) + 2Ag±(aq) 1Ú CuÛ`±(aq) + 2Ag(s)
CuO(s) + Hª( g) 1Ú Cu(s) + HªO( g)
산화제 환원제 ⑵ 1단계: 각 원자의 산화수를 구하여 반응 전후의 차이를 계
산화수 감소 산한다.
환원 -1 +6
⑶ 산화제: PbO, 환원제: CO HªOª(aq) + CrªO¦Û`Ñ(aq) + H±(aq)
+3 0
산화수 증가 1Ú 2CrÜ`±(aq) + Oª( g) + HªO(l)
산화 2단계: 증가한 총 산화수와 감소한 총 산화수가 같아지도록
+2 +2 0 +4
PbO(s) + CO( g ) 1Ú Pb(s) + COª( g ) 반응물과 생성물의 계수를 조정한다.
산화제 환원제
Oª의 산화수는 (-1)_2에서 0으로 2가 증가하였고 Crª의
산화수 감소
환원 산화수는 (+6)_2에서 (+3)_2로 6이 감소하였으므로 Oª
앞에 3을 쓴다.
183 쪽 | 창의 융합 사고
3HªOª(aq) + CrªO¦Û`Ñ(aq) + H±(aq)
산화수 증가
1Ú 2CrÜ`±(aq) + 3Oª( g) + HªO(l)
산화
+1-1 +1-2 0 3단계: 반응 전후 O의 수가 같아지도록 계수를 맞춘다.
2HªOª(aq) 1Ú 2HªO(l) + Oª( g )
산화수 감소
3HªOª(aq) + CrªO¦Û`Ñ(aq) + H±(aq)
환원 1Ú 2CrÜ`±(aq) + 3Oª( g) + 7HªO(l)

정답 및 해설 225
4단계: 반응 전후 H의 수가 같아지도록 계수를 맞춘다. ⑴ 가해지는 표준 용액의 부피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때는
3HªOª(aq) + CrªO¦Û`Ñ(aq) + 8H±(aq) 뷰렛을 사용한다.
1Ú 2CrÜ`±(aq) + 3Oª( g) + 7HªO(l) ⑵ 중화 적정 실험에서 액체의 부피를 정확히 취해 옮길 때
는 피펫을 사용한다.

화학 반응과 열의 출입 08 ② 대부분 화합물에서 수소(H)의 산화수는 +1이고, 금속


6
수소화물에서는 -1이다.
189 쪽 | 창의 융합 사고
③ 과산화 수소(HªOª)에서 수소(H)의 산화수는 +1이므로
•발열 반응: 주머니 난로, 휘발유의 연소
산소(O)의 산화수는 -1이다.
•흡열 반응: 냉각 팩
09 다이크로뮴산 칼륨에서 크로뮴의 산화수를 x로 놓으면,
189 쪽 핵심 개념 확인하기
2+2x+(-2)_7=0이므로, x=+6이다.
1 발열 반응, 흡열 반응 산화 크로뮴(Ⅲ)에서 크로뮴의 산화수를 x로 놓으면,
2 방출, 올라간다 2x+(-2)_3=0이므로, x=+3이다.
3 흡수, 내려간다
10 이 반응에서 아연 자신은 산화되어 아연 이온이 되면서 구
리 이온을 환원시키므로 환원제로 작용한다.
대단원 마무리 195~199 쪽 산화 반응: Zn 1Ú ZnÛ`± + 2eÑ
핵심 개념 적용하기 환원 반응: CuÛ`± + 2eÑ 1Ú Cu
01 ⑴ ◯ ⑵ _ ⑶ ◯ ⑷ _ ⑸ ◯ ⑹ _ ⑺ _ 이때 아연 이온 1 개가 생성될 때 구리 이온 1 개가 환원되
02 ④ 03 ① 04 ③ 05 ④ 06 ③ 07 ⑴ (다) ⑵ (라) 므로 전체 이온의 개수는 변하지 않는다.
08 ② 09 다이크로뮴산 칼륨에서 크로뮴의 산화수는 +6, 산화
크로뮴(Ⅲ)에서 크로뮴의 산화수는 +3이다. 10 ⑤ 11 ① 11 각 원자의 산화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12 ⑴ Fª ⑵ NO ⑶ Hª 13 ② +7 -2 +2 0
MnO¢Ñ + HªS + H± 1Ú MnÛ`± + S + HªO
핵심 역량 키우기
Mn의 산화수는 +7에서 +2로 되므로 5가 감소하였고, S
14 해설 참조 15 해설 참조 16 해설 참조 17 해설 참조
18 해설 참조 19 해설 참조 의 산화수는 -2에서 0으로 2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Mn
논술 | 과학 글쓰기 20 해설 참조 앞에 2를 쓰고 S 앞에 5를 쓰면 된다.

12 ⑴ Fª은 환원되면서 NO를 산화시키므로 산화제로 작용한다.


02 정반응은 반응물이 생성물로 되는 반응이다. 산화수 증가
03 pH=-log[H±]이므로 수소 이온 농도가 클수록 pH는 작 산화
+2 0 +3 -1
아진다. 2NO( g) + Fª( g) 1Ú 2NOF( g)
환원제 산화제
04 이 반응에서 암모니아(NH£)는 수소 이온을 받으므로 브뢴 산화수 감소
스테드・로리 염기로 작용하고, 물(HªO)은 수소 이온을 내놓 환원

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산으로 작용한다. ⑵ NO은 환원되면서 Hª를 산화시키므로 산화제로 작용한다.
산화수 증가
05 혼합 용액 중에 수소 이온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혼합 용 산화
액의 액성은 산성이며, 혼합 전 HCl의 양(mol)이 NaOH의 +2 0 0 +1
2NO( g) + 2Hª( g) 1Ú Nª( g) + 2HªO(l)
양(mol)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화 반응 시 수소 이 산화제 환원제
온과 수산화 이온이 1 : 1의 몰비로 반응하여 같은 양(mol) 산화수 감소
환원
의 물을 생성한다.
⑶ Hª는 환원되면서 Na을 산화시키므로 산화제로 작용한다.
30 mL 15 mL 산화수 증가
06 1_0.5 M_ =1_x_ 이므로
1000 mL/L 1000 mL/L 산화
x는 1.0 M이다. 0 0 +1 -1
2Na(s) + Hª( g) 1Ú 2NaH(s)
환원제 산화제
07 (가)는 삼각 플라스크, (나)는 부피 플라스크, (다)는 뷰렛, 산화수 감소
(라)는 피펫이다. 환원

226 정답 및 해설
13 물이 얻은 열량=물의 비열_물의 질량_물의 온도 변화 1단계: 각 원자의 산화수를 구하여 반응 전후의 차이를 계산
이므로 물의 비열, 질량, 온도 변화를 알아야 한다. 또 과자 한다.
1 g이 연소할 때 방출하는 열량을 구하려면 물이 얻은 열량 산화수 증가
산화
을 과자의 질량으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물의 질량을 안다 +3_2 +7 +2 +4_2
면 물의 밀도는 필요하지 않다. HªCªO¢ + MnO¢Ñ + H± 1Ú MnÛ`±+ HªO + 2COª
산화수 감소
환원
14 예시 답안 |
2단계: 증가한 산화수와 감소한 산화수가 같아지도록 반응

속 증발 속도 물과 생성물의 계수를 조정한다.



5HªCªO¢ + 2MnO¢Ñ + H±
1Ú 2MnÛ`± + HªO+ 10COª
응축 속도
3단계: 반응 전후에 O의 수가 같아지도록 계수를 맞춘다.
0 시간
5HªCªO¢ + 2MnO¢Ñ + H±
1Ú 2MnÛ`± + 8HªO + 10COª
4단계: 반응 전후에 H의 수가 같아지도록 계수를 맞춘다.
15 예시 답안 | 일정량의 염산에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가 5HªCªO¢ + 2MnO¢Ñ + 6H±
할 때 중화 반응으로 물이 생성된다. A 지점은 염산이 과량 1Ú 2MnÛ`± + 8HªO + 10COª
으로 존재하고, B 지점은 중화점, C 지점은 수산화 나트륨 ⑵ MnO¢Ñ는 산화제, HªCªO¢는 환원제로 작용하였다.
수용액이 과량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A 지점은 산성으로 혼 ⑶ 과망가니즈산 칼륨 2 몰이 반응하면 이산화 탄소 10 몰
합 용액의 색은 무색, B 지점은 중성으로 혼합 용액의 색은 이 생성되므로 과망가니즈산 칼륨 1 몰이 반응하면 이산화
무색, C 지점은 염기성으로 혼합 용액의 색은 붉은색을 띤다. 탄소 5 몰이 생성된다.

19 예시 답안 | 에탄올 1 g이 연소할 때 방출하는 열량


16 예시 답안 | ⑴ 수용액을 만드는 데 쓰인 수산화 나트
= 물이 흡수한 열량 + 통열량계가 흡수한 열량
1g
륨의 양(mol)은 =0.025 mol이다. 그러므로 물이 흡수한 열량은 300 g_4.2 J/(g´¾)_10 ¾=12600 J,
40 g/mol
통열량계가 흡수한 열량은 1.74 J/¾_10 ¾=17.4 J이므
0.025 mol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몰 농도는 =0.1 M이다.
0.25 L 로 에탄올 1 g이 연소할 때 방출하는 열량은 12617.4 J이다.
⑵ 황산 수용액의 농도를 x라고 하면, 그러므로 에탄올 1 몰이 연소할 때 방출하는 열량은
30 mL 10 mL 12617.4`J/g
1_0.1 M_ =2_x_ 이므로 46 g/mol_ =580.4 kJ/mol이다.
1000 mL/L 1000 mL/L 1000`J/kJ
x는 0.15 M이다. 논술 | 과학 글쓰기

20 예시 답안
17 예시 답안 | 이 반응은 산화 환원 반응이다. ⑴ 드라이아이스 속에서 일어나는 마그네슘의 연소 반응은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산화수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다.
산화수 증가 산화수 증가
산화 산화
0 0 +3 -1 0 +4 +2 0
2Al(s) + 3Clª( g) 1Ú 2AlCl£(s) 2Mg(s) + COª( g) 1Ú 2MgO(s) + C(s)
산화수 감소 산화수 감소
환원 환원
알루미늄의 산화수는 증가하였으므로 산화되었고 염소의 Mg의 산화수는 0에서 +2로 2가 증가하였고, C의 산화수
산화수는 감소하였으므로 환원되었다. 는 +4에서 0으로 4가 감소하였으므로, Mg은 산화되었고
COª는 환원되었다.
18 예시 답안 ⑵ 마그네슘이 이산화 탄소에 있는 산소와 결합하여 연소
⑴ 5HªCªO¢(aq)+2MnO¢Ñ(aq)+6H±(aq) 반응하므로 마그네슘으로 인한 화재에는 이산화 탄소 소화
1Ú 2MnÛ`±(aq)+8HªO(l)+10COª( g) 기를 사용할 수 없다.

정답 및 해설 227
찾아보기

・ㄱ・ 로리 164 산성 161


가수 169 루이스 130 산의 가수 169
가시광선 영역 71 루이스 전자점식 130 산화 반응 177, 180
가역 반응 158 산화수 178
강한 핵력 65 ・ㅁ・ 산화수법 184
결합각 135 메테인 23 산화제 182
결합 길이 121 멘델레예프 82 살리실산 17
골트슈타인 61 모즐리 82 삼각뿔 구조 136
공유 결정 121 몰 28 3중 결합 119
공유 결합 118 몰 농도 45 상평형 156
공유 전자쌍 130 무극성 공유 결합 128 선 스펙트럼 68
구경꾼 이온 167 무극성 분자 141 수산화 리튬 174
굽은 형 구조 136 물의 이온화 상수 160 수소 이온 농도 지수 162
궤도 함수 72 물의 자동 이온화 160 수수께끼 판 62
극성 공유 결합 128 순차 이온화 에너지 93
극성 분자 141 ・ㅂ・ 스핀 자기 양자수 74
금속 결정 122 바닥상태 70 쌍극자 128
금속 결합 122 발머 계열 71 쌍극자 모멘트 128
금속 원소 84 발열 반응 189 쌓음 원리 76
보어 69, 70
부 양자수 73
・ㄴ・
부피 플라스크 171 ・ㅇ・
나일론 16
분자 결정 121 아레니우스 164
뉴랜즈 82
분자량 30 아보가드로 32
분자의 구조 134 아보가드로수 28
・ㄷ・ 뷰렛 142, 171 아세트산 24
단일 결합 118
브뢴스테드 164 아세틸살리실산 17
데모크리토스 80
브뢴스테드・로리 산 164 아스피린 17, 24
돌턴 58, 80
브뢴스테드・로리 염기 164 I PAC 85
동위 원소 30, 66
비가역 반응 159 알짜 이온 167
동적 평형 상태 157
비공유 전자쌍 130 알칼리 금속 84
되베라이너 82
비금속 원소 85 알칼리 토금속 84
들뜬상태 70
비활성 기체 85, 110 알파 입자 산란 실험 60
빙초산 24 압축 천연가스(CN ) 23

・ㄹ・ 액화 천연가스(LN ) 23
라이먼 계열 71 ・ㅅ・ 양성자 61
러더퍼드 60 산 164 양자수 72

228 찾아보기
양자화 69 ・ㅈ・ ・ㅌ・
양쪽성 물질 165 자기 양자수 74 탄산수소 나트륨 116

에탄올 24 자외선 영역 71 탄산 칼슘 116

역반응 158 자유 전자 122 탄소 화합물 20

연금술 14 적외선 영역 71 탄화수소 23

열량계 191 전기 음성도 126 톰슨 59

염 167 전자 59 통열량계 191

염기 164 전자 구름 모형 72

염기성 161
전자 껍질 70 ・ㅍ・
전자 바다 122 파셴 계열 71
염기의 가수 169
전자쌍 반발 이론 135 파울리 배타 원리 76
염화 마그네슘 116
정반응 158 퍼센트 농도 44
염화 칼륨 116
정사면체 구조 135 평균 원자량 30, 67
염화 칼슘 116
족 84 평면 삼각형 구조 135
오비탈 72
종말점 171 폴링 127
옥타브 규칙 82
주기 84 폼알데하이드 137
옥텟 규칙 110
주기율표 84 표백 183
용광로 180
주 양자수 72 표백제 183
용융액 107
준금속 원소 85 표준 용액 171
용해 평형 157
중성 161 플라스틱 25
원자 58, 80
중성자 61 pH 162
원자가 전자 77
중화 반응 167 pH 미터 163
원자량 30
중화 반응 모형 168 pH 시험지 163
원자 반지름 89
중화 적정 171 피펫 171
원자 번호 64
중화점 171
원자설 80
지시약 171 ・ㅎ・
원자핵 61 하이젠베르크 72
직선형 구조 135
유효 핵전하 89 할로젠 원소 85
질량 보존 법칙 39
음극선 58 합성 섬유 15
질량수 64
응축 156 합성 의약품 17
이온 결합 112 헥세인 142
이온 결합 화합물 114 홀전자 130
・ㅊ・
이온 반지름 91 채드윅 61 화학 반응식 36
이온 - 전자법 186 철광석 180 화학식량 31
이온화 에너지 92 환원 반응 177, 180
2중 결합 119 환원제 182

인공 염료 15 ・ㅋ・ 훈트 규칙 77

일정 성분비 법칙 39 쿤 81 흡열 반응 189

찾아보기 229
자료 출처

▶ 63 쪽(해 보기 표): 『CRC andbook o c emi try & p y ic 』,


I 화학의 첫걸음
CRC Pre , 2014.
▶ 10~11 쪽(배경 이미지): 토픽이미지스
▶ 68 쪽(네온사인): 게티이미지코리아
▶ 12~13 쪽(배경 이미지): 토픽이미지스
▶ 73 쪽(그림 Ⅱ-17): 옥스토비 외, 화학교재연구회 옮김 『옥스토비의 일
▶ 12~13 쪽(병, 현미경): 셔터스톡
반화학』, 사이플러스, 2014.
▶ 16 쪽(밭과 비닐): 토픽이미지스
▶ 76 쪽(객석): 셔터스톡
▶ 16 쪽(농작물, 실과 바늘): 게티이미지코리아
▶ 82 쪽(도서관): 게티이미지코리아
▶ 17 쪽(유리 건물, 의약품, 강이 보이는 집): 토픽이미지스
▶ 83 쪽(휴대 전화): 셔터스톡
▶ 20 쪽(남자 아이, 약): 토픽이미지스
▶ 84~85 쪽(주기율표): 대한화학회
▶ 20 쪽(플라스틱, 음식물): 셔터스톡
▶ 90 쪽(해 보기 표): Silberberg 외, 『Silberberg & Amatei
▶ 22 쪽(블록으로 만든 자동차 모형): 이미지클릭
C emi try』, Mc ra Hill ducation, 2015.
▶ 23 쪽(액화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가스레인지): 게티이미지코리아
▶ 92 쪽(그림 Ⅱ-31 ): Silberberg 외, 『Silberberg & Amatei
▶ 24 쪽(부엌, 식초 병): 셔터스톡
C emi try』, Mc ra Hill ducation, 2015.
▶ 24 쪽(병): 토픽이미지스
▶ 93 쪽(해 보기 표): 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
▶ 25 쪽(휘어지는 플라스틱):
ttp://p y ic .ni t.gov/P y Re ata/AS /ion nergy.
ttp:// . emi p erede tination .com/tec nology/
tml, 2016.
animation-di play / le ible-pla tic-di play
▶ 94 쪽(유효 핵전하): S river 외, 『S river & Atkin Inorganic
▶ 25 쪽(인공 심장): 게티이미지코리아
C emi try』, . H. Freeman and Company, 2010.
▶ 27 쪽(주유소): 셔터스톡
▶ 96 쪽(ATLAS 입자 검출기, 거대 강입자 가속기 전경): 유럽 원자핵
▶ 28 쪽(딸기, 수박): 셔터스톡
공동 연구소
▶ 29 쪽(태양, 지구): 셔터스톡
▶ 101 쪽(논술 지문 참고 자료): BS 지식 채널 e, 『지식 e in ide』, 북
▶ 36 쪽(야구 전광판): 뉴스뱅크/이매진스
하우스, 2014., 324~335 쪽 / 김정규, 『역사로 보는 환경』, 고려대학교
▶ 37 쪽(노트와 연필): 셔터스톡
출판부, 2009., 165~174 쪽
▶ 40 쪽(공장): 셔터스톡
▶ 101 쪽(라듐 시계): 이미지클릭
▶ 48 쪽(약, 신약 개발, 실험 기구): 셔터스톡
▶ 101 쪽(방사능 표시): 셔터스톡
▶ 50 쪽(유리컵, 빵, 옷, 페트병): 셔터스톡

▶ 52 쪽(김홍도 「서당」): 국립중앙박물관

▶ 52 쪽(틸라푸시 섬): 셔터스톡 III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 53 쪽(논술 지문 참고 자료): 페니 르 쿠터 외, 『역사를 바꾼 17 가지 화 ▶ 102~103 쪽(석류, 바이타민 C 분자 모형): 셔터스톡

학 이야기 2』, 사이언스북스, 2007., 219~253 쪽 ▶ 104 쪽(동굴 입구, 얼음 동굴): 셔터스톡

▶ 53 쪽(모기): 셔터스톡 ▶ 104 쪽(나이카 동굴): 게티이미지코리아

▶ 105 쪽(동굴 입구, 용암 동굴): 셔터스톡

II 원자의 세계 ▶ 105 쪽(석회 동굴): 게티이미지코리아

▶ 54~55 쪽(아토미움): Alamy/이매진스 ▶ 106 쪽(주기율표): 셔터스톡

▶ 56~57 쪽(배경 이미지): 셔터스톡 ▶ 107 쪽(염화 나트륨의 전기 전도성): Silberberg 외, 『Silberberg &

▶ 56 쪽(핵, 우리들은 전자다): 대한화학회(화학 시화 대회 수상작) Amatei C emi try』, Mc ra Hill ducation, 2015.

▶ 63 쪽(야구장): 토픽이미지스 ▶ 110 쪽(염화 나트륨 생성): Science P oto Library/이매진스

▶ 63쪽(개미): 셔터스톡 ▶ 112 쪽(해 보기 이미지): 셔터스톡

230 자료 출처
▶ 115 쪽(표 Ⅲ-1): S river 외, 『S river & Atkin Inorganic ▶ 189 쪽(메테인의 연소 반응): 셔터스톡

C emi try』, . H. Freeman and Company, 2010. ▶ 189 쪽(철이 녹스는 반응, 광합성): 토픽이미지스

▶ 117 쪽(「대성당 참사회원 헤오르흐 판데르 팔러의 성모 ): 게티이미지 ▶ 193 쪽(계산기와 이미지): 셔터스톡

코리아 ▶ 194 쪽(복원하는 사람, 복원하는 사람과 도자기): 연합뉴스

▶ 117 쪽(「바쿠스와 아리아드네 , 「흰색 교향곡 , 청금석, 진사): 토픽이 ▶ 199 쪽(소화기): 셔터스톡

미지스

▶ 118 쪽(알루미늄 캔): 셔터스톡

▶ 121 쪽(다이아몬드): 셔터스톡 부록


▶ 122 쪽(장신구, 구리 전선): 셔터스톡
▶ 표지(이미지): 셔터스톡
▶ 123 쪽(녹슨 철): 셔터스톡
▶ 2 쪽(이미지): 셔터스톡
▶ 124 쪽(전기스탠드): 셔터스톡
▶ 200 쪽(플라스크): 토픽이미지스
▶ 127 쪽(전기 음성도): Z umda l 외, 『C emi try』, Book /cole,
▶ 202 쪽(이미지): 셔터스톡
2014.
▶ 134 쪽(테트라포드): 셔터스톡

▶ 136 쪽(각도기): 셔터스톡

▶ 140 쪽(떡볶이): 셔터스톡

▶ 146 쪽(이미지, 태양 전지, 세라믹스, 헬멧): 셔터스톡

▶ 151 쪽(레몬, 올리브유): 셔터스톡

IV 역동적인 화학 반응
▶ 152~153 쪽(양초와 대나무): 포트폴리오

▶ 154 쪽(과학 수사): 게티이미지코리아

▶ 155 쪽(페놀프탈레인을 이용한 혈흔 검사):

ttp:// . irc ie.com/back-to- c ool/p enolp t alein-

di c ap -trade- et-o -6. tml#. CkJck3mCm

▶ 159 쪽(석회 동굴): 셔터스톡

▶ 160~161 쪽(물): 셔터스톡

▶ 164 쪽(고서): 셔터스톡

▶ 174 쪽(아폴로 13호의 기계선): 미국 항공 우주국(NASA)

▶ 175 쪽(구조된 아폴로 13호, 메일 박스, 아폴로 13호): 미국 항공 우주

국(NASA)

▶ 176 쪽(철광석): 셔터스톡

▶ 176 쪽(녹슨 나사): 토픽이미지스

▶ 180 쪽(용광로): 토픽이미지스


※ 집필진의 직접 집필인 경우 출처를 밝히지 않았음.
▶ 183 쪽(하수 처리장): 셔터스톡
※ 출처 표시를 안 한 사진 및 삽화 등은 저작자 및 발행사에서 저작권
▶ 187 쪽(렘브란트 「베일 뒤에서」, 「헝클어진 머리의 렘브란트」): 게티이
을 가지고 있는 경우임.
미지코리아

자료 출처 23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