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별지 제15호> 집합투자기구 분류 (개정 2011.12.5, 2013.8.29., 2014.2.20., 2015.6.11., 2016.1.26. 2016.03.11., 2016.5.17., 2017.3.13., 2017.5.22., 2018.3.13., 2020.9.23.

, 2021.10.21., 2022.7.26)
1차분류 2차분류 3차분류 5차분류 7차분류 9차분류 9차분류 (계속) 10차분류 11차분류 12차분류 13차분류
<집합투자기구> <집합투자기구종류> <공사모,국제투자> <종류형> <판매형태> <특성분류 > Ⅰ <특성분류 > Ⅰ <투자지역> <투자대상자산 등> <특성분류Ⅱ > <추종지수>
증권집합 <공모> 일반형 01 ETF(상장지수펀드) 44 대한민국 01 <주식고편입형>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 <추종지수>
투자신탁 1 운용 1 직접판매 1 개인연금형 02 11 비과세>
- 채권형 11 국내투자 1 장기주택마련 45 글로벌 02 일반
클래스A 2 2 세금우대형 03 12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 01 KOSPI 11
투자회사 2 국내위탁 (비과세장기주택마련저축) 아시아 03 가치주 KOSPI200 12
- 채권파생형 12 해외투자(60형) 2 04 성장주 13
투자유한회사 3 클래스B 3 혼합판매 3 근로자장기저축형 원금보존추구형 46 아시아(X-Japan) 04 KRX100 13
- 주식형 21 국내외혼합(30형) 3 재형저축 05 배당주 14 <주식규모> 배당지수 14
투자합자회사 4 클래스C 4 국외판매 4 가계장기저축형 ELS투자펀드 47 동남아시아 05
섹터 15 일반 11
06 지배구조지수 15
- 주식파생형 22
클래스D 5 국내외혼합 5 일반적립형 07
카드채 48 친디아 06 대형주 12 코스닥50 16
투자합자조합 5 <사모> 중소형주 13
- 혼합주식형 31 보장형 08 국공채 49 러시아 07 <주식저편입형> 스타지수 17
클래스E 6 미분류 19 섹터지수 18
투자익명조합 6 국내투자 4 원금보장형 09 엔터테인먼트 55 서유럽 08 일반 21
- 혼합주식파생형 32 클래스F 7 22
개별주가 19
투자유한 7 해외투자(60형) 5 8차분류 근로자우대 10 퇴직연금 60 동유럽 09 가치주 개별국가지수 20
- 혼합채권형 41 23 <목표듀레이션>
책임회사 클래스H 8 <환매부과> 목표달성형 11 SRI펀드 61 북미 10 성장주
국내외혼합(30형) 6 단기(1년미만) 21 세계지수 21
12 배당주 24 선진국지수 22
변액보험 V - 혼합채권파생형 42 클래스I 9 전환형 장기주식형대상펀드 65 중남미 11 중기(1년이상~3년미만) 22
환매수수료없음 0 공사채-주식연계형 13 섹터 25 신흥시장지수 23
- 투자계약증권 51 클래스P A 채권시장안정펀드(주간) 66 브릭스 12 중장기(3년이상~5년미만) 23 중남미시장지수
30일미만 1 특정업종선택형 14 공모주 26 24
채권시장안정펀드(개별) 67 중동 13 미분류 장기(5년미만) 24 ETF 25
- 투자계약증권파생 52 클래스W B (or 1개월) INDEX형 15 29
자유 25 기타지수
일반상품(농산물) 68 아프리카 14 26
클래스J
60일미만 2 특정회사투자형 16
- 재간접형 61 4차분류 C
일반상품(금속등) 69 호주(뉴질랜드) 15 <채권투자형>
(or 2개월) (자사주상품) <벤처기업투자신탁> 31 <미분류> ZZ
- 재간접파생형 62 클래스S D 70 일본 16 일반 31
<모/자신탁> 90일미만 3 대형주형 17 녹색인증대상투자 14차분류
클래스S-P 71 중국(홍콩) 17 국공채 32 <미분류>
E (or 3개월) 중소형주형 18 월지급식펀드 ZZ
<위험등급>
71 일 반 1 회사채 33 11차분류 (계속)
부동산
클래스S-T F 180일미만 4 공사채형중 19 일반 사모펀드 72 인도 18
하이일드 34 <특별자산투자형> <비헤지형>
부동산파생 72 모신탁 2 (or 6개월) 전환사채편입형 소득공제장기펀드 73 베트남 19
클린클래스 G CP 35 선박 61 매우높은위험 1
270일미만 5 전환사채형 20 정부․공공기금풀(주간) 74 말레이시아 20 ABS
특별자산 81 자신탁 3 36 인프라(SOC) 62 높은위험 2
클래스O H (or 9개월) System운용형 21
정부․공공기금풀(개별) 75 북유럽 21 MBS 37 엔터테인먼트 63 다소높은위험 3
특별자산파생 82 그 외 클래스 Y 365일미만 6 VentureCapital 22 보통위험 4
민간기금풀(주간) 76 글로벌(선진국) 22 CBO(후순위채 ) 38 아트 64
장외주식형 23 낮은위험 5
혼합자산 91 일반 Z (or 1년) 민간기금풀(개별) 77 글로벌(신흥국가) 23 탄소배출권 65 매우낮은위험 6
공모주혼합형 25
6차분류 18개월 미만 7
기타기금풀(주간) 78 유럽 24 <부동산투자형> 우주&항공 66
혼합자산파생 92
<추/단-개/폐> 24개월 미만 Umbrella형 26
8
기타기금풀(개별) 79 대중국 25
개발형 41 상품 67 <헤지형>
단기금융(MMF) EE 하이일드 27
1 24개월 이상 9 임대형 42 사업수익권 68 매우높은위험 A
추가개방 CBO(후순위채) 28 성과보수 80 (중국,홍콩,대만) B
변액보험 VV 환매불가 A PF(대출형 ) 43 미분류 69 높은위험
추가폐쇄 2 분리과세 29 자산배분 81 아시아퍼시픽 26 REITs형 다소높은위험 C
44
Wrap Account 30 사모투자재간접(공모) 82 아시아퍼시픽 27 미분류 49 <인덱스투자형> 71 보통위험 D
단위개방 3 낮은위험 E
연기금 34 부동산ㆍ특별자산투자재 83 (X-Japan)
단위폐쇄 4 매우낮은위험 F
연금저축 36
간접(공모) EMEA 28 <파생상품투자형> <MMF형>
차익거래형 37 장내파생상품 51 국공채형 81
경영참여 목적 일반 84
M&A 38 장외파생상품 52 일반형 82
기금풀(주간) 41 사모펀드
파생결합증권 53
기금풀(개별) 42 미분류 59
<기타-미분류> ZZ
공모주채권형 43
v집 합 투자 기 구분 류 (설명 )v

대원칙)

1. 부여기준 우선순위 : ①집합투자규약→ ②투자설명서→ ③운용계획서 상의 운용전략을 기준으로 분류


* 각 회사의 독자적인 정량적/정성적 기준을 존중함

2. 집합투자기구성격의 코드표 상 우선순위 : ①2차분류→ ②11차분류→ ③9차분류순으로 분류


① 법정분류 : 2차 분류
② 투자대상자산의 속성 : 11차 분류
③ 투자대상자산의 특성분류 : 9차 분류
예) 집합투자기구 자산총액의 100분의 10을 초과하여 파생상품에 투자할 수 있고, 상품관련 장내파생상품에 투자 집합투자기구인
경우
☞ ①2차분류(해당 기초자산에 따른 파생형) → ②11차분류(장내파생상품) → ③9차분류(상품)

3. 공/사모 모든 집합투자기구 대상(일임, 자문, 변액보험 제외)

4. 모자의 경우 모에 따라, 종류형(멀티클래스)의 경우 최상위 펀드에 따라 동일하게 분류

5. 복수모의 경우의 경우
모펀드 : 해당분류에 따름
자펀드 : 모펀드의 유가증권 편입비율×자펀드의 모펀드수익증권 편입비율
[10차]투자지역 구분
예) 모펀드A : 북미에의 투자 : 60%이상-90%이하
모펀드B : 일본에의 투자 : 10%이상-30%이하
자펀드A1 : 모펀드A에 50%이상투자, 모펀드B에 30%이하투자하는 경우
→ 모펀드A에 따라 60%×50%~90%×100% = 30%~90% 북미투자
→ 모펀드B에 따라 10%×0%~30%×30% = 0%~9% 일본투자
⇒ 해당지역에 30%이상 투자하는 경우에만 투자지역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이 펀드의 경우 ‘북미(10)’으로 분류함.
✍ 상기의 경우 투자지역에 대한 비중 추출이 어렵기 때문에 각 회사의 독자적인 정량적/정성적 기준을 존중함.

[11차]투자대상자산 등
예) 모펀드A : 주식에의 투자 : 60%이상-100%이하
모펀드B : 채권에의 투자 : 60%이상-100%이하
자펀드A1 : 모펀드A에 50%이상투자, 모펀드B에 30%이하투자하는 경우
→ 모펀드A에 따라 60%×50%~100%×100% = 30%~100% 주식투자
→ 모펀드B에 따라 60%×0%~100%×30% = 0%~30% 채권투자
⇒ 주식高편입형의 경우 주식에 최저 60%이상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주식低편입형 중 분류

6. 코드추가원칙 :
① 10개 이상 회사 또는 전체 회사의 20% 중 큰 쪽의 요구가 있는 경우
② 법률 등 제도가 변경의 경우
③ 업계 공동상품 출시의 경우
④ 감독당국 요구의 경우
1차 분류 : 집합투자기구

o 근거 : 자본시장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9조 제18항에 따라 분류

î[1]투자신탁 : 집합투자업자인 위탁자가 신탁업자에게 신탁한 재산을 신탁업자로 하여금 그 집합


투자업자의 지시에 따라 투자․운용하게 하는 신탁 형태의 집합투자기구
î[2]투자회사 「상법」에 따른 주식회사 형태의 집합투자기구
:

î[3]투자유한회사 「상법」에 따른 유한회사 형태의 집합투자기구


:

î[4] 투자합자회사 「상법」에 따른 합자회사 형태의 집합투자기구


:

î[5] 투자합자조합 「상법」에 따른 합자조합 형태의 집합투자기구(2013.8.29개정)


:

î[6] 투자익명조합 「상법」에 따른 익명조합 형태의 집합투자기구


:

î[7] 투자유한책임회사 「상법」에 따른 유한책임회사 형태의 집합투자기구(2013.8.29개정)


:

î[V] 변액보험 「보험업법」제108조제1항제3호에 따른 투자신탁(특별계정)


:

※변액보험은 반드시 ‘V'를 사용하시기 바람.(2009.12.30.개정)

2차 분류 : 집합투자기구 종류

o 근거 : 법 제229조에 따라 대분류를 집합투자기구로 분류

♣ 표좌부터 집합투자기구→주식투자여부 등→집합투자기구의 유형→투자대상자산→위험회피여부


위험
집합투자규약+투자설명서+운용전략상 투자대상 결정
회피여부4)

1. ‘주식(또는 주식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의 최저편입비가 60%이상인 경우


2. ‘주식+주식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의 최저편입비가 60%이상인 경우 N 주식형
3. 운용전략상 ‘주식(또는 주식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의 연평균 편입비가

최저 60%이상으로 명시된 경우

4. 운용전략상 ‘주식+주식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의 연평균 편입비가 최저

60%이상으로 명시된 경우
※ 파생상품 투자비중은 ‘위험평가액’ 기준임. 이하 같음. Y 주식파생형
주 참고) 주식(50%)+채권관련파생상품(위험회피외 10%) 60% 이상 투자가능 한 경우 → 혼합주식파생형


투 혼

자 1. ‘주식(또는 주식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 최고로 투자할 수 있는 비율이 N 혼합주식형
1) 합
50%이상인 경우

2. ‘주식+주식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에 최고로 투자할 수 있는 비율이 50%이상인
식 Y 혼합주식파생형
경우


1. ‘주식(또는 주식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 최고로 투자할 수 있는 비율이 N 혼합채권형

50%이하(미만)인 경우

2. ‘주식+주식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에 최고로 투자할 수 있는 비율이 50%이하(미
권 Y 혼합채권파생형
만)인 경우

위험
집합투자규약+투자설명서+운용전략상 투자대상 결정
회피여부4)
1. ‘채권(또는 채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의 최저편입비가 60%이상인 경우
2. ‘채권+채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의 최저편입비가 60%이상인 경우
3. 운용전략상 ‘채권(또는 채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의 연평균 편입비가 N 채권형
최저 60%이상으로 명시된 경우
4. 운용전략상 ‘채권+채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의 연평균 편입비가 최저

60%이상으로 명시된 경우
비 권 참고) 채권(90%이하) 투자하며, 연평균 60%이상 채권에 투자하는 경우 → 채권형
주 형 참고) 채권(50%)+주식관련파생상품(위험회피외 10%) 60% 이상 투자가능 한 경우
식 → 혼합채권파생형
투 참고) 채권(10%이하)+채권관련파생상품(위험회피외 90%이하) 투자가능 한 경우 Y 채권파생형
자 → 연평균 60% 이상 채권 및 채권 관련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채권파생형
2) 참고) 채권(30%)+주식관련파생결합증권(20%)+채권관련파생결합증권(10%) 이상 투자 가능한 경우
→ 혼합채권파생형


1. ‘채권(또는 채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 최고로 투자할 수 있는 비율이 N 혼합채권형

60%이하(미만)인 경우(채권에 0% 투자하는 경우 포함)

2. ‘채권+채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에 최고로 투자할 수 있는 비율이 60%이하(미
권 Y 혼합채권파생형
만)인 경우


혼 ․
1. ‘기타자산+주식 채권관련 외 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에 최고로 투자할 수 있는 비율
N 혼합주식형
합 이 50%이상인 경우




․ 식 ※판단기준은 준법감시인, 리스크관리팀, 펀드매니저 등과 협의하여 분류 바람 Y 혼합주식파생형
권 형 참고) 주식(20%-90%이하) 투자하며, 연평균 60%이상 주식에 투자하는 경우 → 주식형





1. ‘기타자산+주식 채권관련 외 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에 최고로 투자할 수 있는 비율 N 혼합채권형
투 이 50%이하(*미만)인 경우


3) 권

※판단기준은 준법감시인, 리스크관리팀, 펀드매니저 등과 협의하여 분류 바람 Y 혼합채권파생형

1. ‘투자계약증권(또는 투자계약증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에 최저편입비가 60%이


상인 경우
투 N
투 2. ‘투자계약증권+투자계약증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의 최저편입비가 60% 투자계약증권형

자 이상인 경우

계 3. 운용전략상 ‘투자계약증권(또는 투자계약증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의

약 연평균 편입비가 최저 60%이상으로 명시된 경우

증 4. 운용전략상 ‘투자계약증권+투자계약증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의 연평균

권 편입비가 최저 60%이상으로 명시된 경우 Y
투자계약증권


형 ※‘투자계약증권+투자계약증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포함)’에 60%이하 투자 가능한 파생형
경우 준법감시인, 리스크관리팀, 펀드매니저 등과 협의하여 혼합주식형 또는 혼합채권형
중에서 분류.
재 1. ‘집합투자증권’에 최저편입비가 40%이상인 경우
재 N 재간접형
간 2. 운용전략상 ‘집합투자증권’에의 연평균 편입비가 최저 40%이상으로 명시된 경우

접 3. 제1호 또는 제2호의 경우이면서 파생상품에 10%를 초과할 수 있는 경우



※‘집합투자증권’에 40%이하(미만) 투자 가능 한 경우 준법감시인, 리스크관리팀, 펀드 Y 재간접파생형
자 매니저 등과 협의하여 혼합주식형 또는 혼합채권형 등 중에서 분류 바람
부 법 제229조제2호에 따른 부동산집합투자기구로서 집합투자재산의 100분의 50이상으로 N 부동산형
-
동 부동산(부동산 개발과 관련된 법인에 대한 대출,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부동산과
산 관련된 증권에 투하는 경우 포함)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 Y 부동산파생형
특 N 특별자산형
별 법 제229조제3호에 따른 특별자산집합투자기구로서 집합투자재산의 100분의 50이상으로
-
자 특별자산(증권 및 부동산을 제외한 투자대상자산을 말함)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 Y 특별자산파생형

혼 N 혼합자산형
합 법 제229조제4호에 따른 혼합자산집합투자기구로서 집합투자재산을 운용함에 있어서 증권,
-
자 부동산, 특별자산 집합투자기구의 규정의 제한을 받지 아니하는 집합투자기구 Y 혼합자산파생형


기 법 제229조제5호에 따른 단기금융집합투자기구로서, 자산을 주로 단기성자산(잔존만기가 단기금융
MMF -
금 짧은 채권, 콜론, CP, CD 등)으로 운용하는 상품 (MMF)

주1) 주식 및 주식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 포함)에 투자가능 한 경우
주2) 채권 및 채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 포함)에만 투자가능 한 경우
주3) 주1과 주2에 투자하지 않는 상품이지만, 증권집합투자기구인 경우
주4) 자산총액의 10%를 초과하여 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의 경우 자산총액의 50%이상)에 투자하는 경우 동 투자목적이 “위험회피 이외의
목적”인지 여부를 묻는 것으로서,
1. 위험회피목적이면 “N"
2. 위험회피 이외의 목적이면 "Y"
※위험회피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Y'인 것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해당되며, 이 경우 자산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 주식(30%이상)+주식관련 파생결합증권(30%이상)+채권관련 파생결합증권(30%이상) 투자 시 파생결합증권의 합이 50%를 초과
하기 때문에 주식파생형으로 분류

다음 각 호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파생형으로 분류한다. 다만, 금융소비자 보


호에 관한 감독규정 제11조제1항제1호* 단서의 집합투자기구(법에 따른 상장지수
집합투자기구가 목표로 하는 지수의 변화에 1배를 초과한 배율로 연동하거나 음의
배율로 연동하여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상장지수집합투자기구가 아닌 경우로
한정한다)의 경우 파생형으로 분류하지 아니한다.
1.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 적용펀드
- 간투법 제27조 제2호에 해당하는 집합투자기구
2. 자본시장법 적용펀드
- 법 제93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시행령 제96조 ; 집합투자기구 자산총액의 100분의
10)을 초과하여 파생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집합투자기구
3. 집합투자규약 상 파생결합증권을 50% 이상을 포함하는 집합투자기구
4. 파생형 모펀드(종류형운용포함)에 투자하는 자펀드로서 파생형 모펀드(종류형
운용포함)에 투자비율이 최고 50% 이상인 집합투자증권(2009.12.30.신설)
*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감독규정 제11조제1항제1호

제11조(적정성원칙) ① 영 제12조제1항라목에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금융상품"이란 다음


각 호의 금융상품을 말한다.
1.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3조제1항에 따른 집합투자기구의 같은 법에 따른 집합
투자증권(이하 "집합투자증권"이라 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사항에 모두 해당하는 집합투자기구의 집
합투자증권(같은 법에 따른 상장지수집합투자기구가 목표로 하는 지수의 변화에 1배를 초과한 배율로
연동하거나 음의 배율로 연동하여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상장지수집합투자기구의 집합투자증권
이 아닌 경우로 한정한다)은 제외한다.
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장외파생상품이나 같은 법에 따른 파생결합증권
(이하 "파생결합증권"이라 한다)에 투자하지 아니할 것
나. 기초자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조제10항에 따른 "기초자산"을 말한다. 이
하 같다)의 가격 또는 기초자산의 종류에 따라 다수 종목의 가격수준을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지수의
변화에 연동하여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
기구(이하 "집합투자기구"라 한다)일 것
다. 연동하고자 하는 기초자산의 가격 또는 지수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46조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출 것
라. 1좌당 또는 1주당 순자산가치의 변동율과 집합투자기구가 목표로 하는 지수의 변동율의 차이
가 100분의 10 이내로 한정될 것
시행령 제246조 각 호의 요건

1. 거래소, 외국 거래소 또는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종목의 가격


또는 다수 종목의 가격수준을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지수일 것
2. 제1호의 가격 또는 지수가 같은 호의 시장을 통하여 투자자에게 적절하게 공표될 수 있을 것
3. 기초자산의 가격의 요건, 지수의 구성종목 및 지수를 구성하는 종목별 비중, 가격 및 지수의 변화에
연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운용방법 등에 관하여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요건을 충족할 것
예시)
i)ii) 투자설명서
장내파생상품에 한하여 투자‘이 투자신탁은 투자신탁재산을 주식 및 주식관련 파생상품에
투자하되, 상에 투자목적이
주로 파생상품에
국내 주식에투자할투자하며 투자신탁재산의 100분의10을 초과하여 위험회피
外의 목적으로
및그 주가지수선물 등에 투자하여 수 있는
비교지수인 증권투자신탁으로
KOSPI200지수의 신탁재산의
수익률을 대부분을
추종하는 주식
것을
운용목적으로성과와의
iii) KOSPI주가지수 하고 있다.’ 명시 ng error)이 연 6%이하가 되도록 운용할 계획
추적오차(Tracki
(변경전) 주식파생형 | (변경후) 주식형
: 증권집합투자기구로서 집합투자규약 상 운용대상에 주식(주식관련파생상품
î[1]채권형(MMF제외)
(파생결합증권) 포함)이 편입되지 아니하고 자산총액의 100분의 60이상(또는 연평균 60%이상)을
채권* 및 채권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으로 운용하는 상품(2000년 6월 이전에 설정된 상품으로
종전 기준에 의해 공사채형으로 분류된 상품 포함) 다만,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80조제1항제6호에
따라 자산총액의 100분의 60이상을 채무증권에 투자할 수 있는 증권집합투자기구가 국채,
통안채로 구성되는 상장지수집합투자기구에 투자하는 경우 본문의 투자비율을 산정함에 있어
그 상장지수집합투자기구를 채권으로 본다.
* 법 제4조제2항제1호 채무증권(국채증권, 지방채증권, 특수채증권(법률에 의하여 직접 설립된 법인이
발행한 채권을 말한다), 사채권(ABS사채, MBS사채, 사모사채, 투기등급 사채권 포함하며, 주식관련사채는
제외), 기업어음증권(기업이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한 약속어음으로서 법 시행령
제4조의 요건을 갖춘 것)을 말함.(이하 ‘채권’이라 한다) (2009.12.30개정)

**법 시행령 제4조(기업어음증권 요건)의 요건**


법 제4조제3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건”이란 기업의 위탁에 따라 그 지급대행을 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내어준 것으로서 “기업어음증권”이라는 문자가 인쇄된 어음
용지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은행"이라 한다)
「 」
가. 은행법 에 따라 인가를 받아 설립된 은행(같은 법 제59조에 따라 은행으로 보는 자를
포함한다)
「 」
나. 수산업협동조합법 에 따른 수협은행
「 」
다. 농업협동조합법 에 따른 농협은행
「 」
2. 한국산업은행법 에 따른 한국산업은행
「 」
3. 중소기업은행법 에 따른 중소기업은행

î[2]주식형: 증권집합투자기구로서 집합투자규약 상 자산총액의 100분의 60이상(또는 연평균 60%


이상)을 주식* 및 주식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으로 운용하는 상품

* 법 제4조제2항제2호 지분증권(주권 또는 신주인수권이 표시된 것, 법률에 의하여 직접 설립된 법인이 발


행한 출자증권)을 말함(이하 ‘주식’이라 한다)

î[3]혼합주식형: 증권집합투자기구로서 집합투자규약 상 채권형과 주식형에 해당되지 아니하고,


자산총액 중 주식 및 주식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에 투자할 수 있는 최고편입한도가 50%
이상인 상품

î[4]혼합채권형 : 증권집합투자기구로서 집합투자규약 상 채권형(채권파생형)과 주식형(주식파생형)에


해당되지 아니하고, 자산총액 중 주식 및 주식관련파생상품(파생결합증권)에 투자할 수 있는 최고
편입한도가 50%이하인 상품

î[5]투자계약증권형 : 자산총액의 60% 이상을 투자계약증권(특정 투자자가 투자자와 타인간의 공


동사업에 금전 등을 투자하고 주로 타인이 수행한 공동사업의 결과에 따른 계약상의 권리)으로 운용
하는 상품
※투자계약증권에 60%미만 투자 시 혼합주식형 또는 혼합채권형으로 분류
î[6]재간접형 : 증권집합투자기구로서 집합투자규약 상 자산총액의 100분의 40이상(또는 연평균
40%이상)을 집합투자증권으로 운용하는 상품
î[7]부동산 : 법 제229조제2호에 따른 부동산집합투자기구로서 집합투자재산의 100분의 50이상
으로 부동산(부동산 개발과 관련된 법인에 대한 대출,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부동산과 관련된
증권에 투자하는 경우 포함)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

î[8]특별자산: 법 제229조제3호에 따른 특별자산집합투자기구로서 집합투자재산의 100분의 50


이상으로 특별자산(증권 및 부동산을 제외한 투자대상자산을 말하며, 시행령 제80조제1항제1
호카목의 정의에 따른 ‘사업수익권’ 을 포함한다.)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
※ 「 」
사업수익권 : 상법 에 따른 합자회사ㆍ유한책임회사ㆍ합자조합ㆍ익명조합의 출자지분, 민 「

법 에 따른 조합의 출자지분, 그 밖에 특정사업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는 계
약상의 출자지분 또는 권리 (2013.8.29 개정)

î[9]혼합자산 : 법 제229조제4호에 따른 혼합자산집합투자기구로서 집합투자재산을 운용함에


있어서 증권, 부동산, 특별자산 집합투자기구의 규정의 제한을 받지 아니하는 집합투자기구

î[E]단기금융(MMF) : 법 제229조제5호에 따른 단기금융집합투자기구로서, 자산을 주로 단기성자산


(잔존만기가 짧은 채권, 콜론, CP, CD 등)으로 운용하는 상품
※변액보험은 반드시 ‘VV'를 사용하시기 바람.(2009.12.30개정)

3차 분류 : 공모/사모, 국제투자

o 근거 : 법 제9조 제7항부터제9항까지에 규정에 따라 공모/사모 분류

- 공모 : 법 제9조 제7항 또는 제9항에 의한 모집과 매출에 해당되는 상품이며, 법 제9조제19항


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집합투자기구
․모집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출한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새로 발행되는 증권의 취득의 청약을 권유하는 것
․매출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출한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이미 발행된 증권의 매도의 청약을 하거나
매수의 청약을 권유하는 것

- 사모 : 법 제9조 제8항에 의한 사모에 해당하는 상품으로서 법 제9조제19항에 해당하는 사모집


합투자기구
․사모 : 새로 발행되는 증권의 취득의 청약을 권유하는 것으로서 모집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

o 근거 : 협회 금융투자회사의 영업 및 업무에 관한 규정(안)(이하 “업무규정”이라 한다)에 따라 투자지역 분류

- 국내투자 : 업무규정 제 4-58조 제4항에 따른 상품


․집합투자규약 또는 투자설명서상 해외자산으로의 투자 비중이 해외투자형과 국내외혼합투자형에 해당되지 않는 상품

- 해외투자(60형) : 업무규정 제 4-58조 제2호에 따른 상품


․집합투자규약 또는 투자설명서 상 최저 60%이상 해외자산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를 말하며, 자집합투자기구와
종류형집합투자기구, 집합투자증권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의 경우 해당 집합투자기구가 편입하는 상위 집합투자
기구가 해외자산에 투자하는 비중이 최저 60%이상인 집합투자기구를 말한다. 다만, 집합투자규약 또는 투자설명서
상 구분이 곤란한 경우 운용전략상 연평균 60%이상 해외자산에 투자하는 상품
- 국내외혼합투자(30형) : 업무규정 제 4-58조 제3호에 따른 상품
․집합투자규약 또는 투자설명서상 최저 30%이상~60%이내 해외자산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를 말하며, 자집합투
자기구와 종류형집합투자기구, 집합투자증권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의 경우 해당 집합투자기구가 편입하는 상위
집합투자기구가 해외자산에 투자하는 비중이 최저 30%이상~60%이내인 집합투자기구를 말한다. 다만, 집합투자규약
또는 투자설명서 상 구분이 곤란한 경우 운용전략상 연평균 최저 30%이상~60%이내 해외자산에 투자하는 상품

4차 분류 : 일반/모신탁/자신탁

o 근거 : 법 제233조의 규정의 형태로 설정 ․ 설립된 경우 그에 따라 모신탁, 자신탁으로 구분하


고, 그 외에는 일반으로 분류

- 모자형집합투자기구 : 집합투자업자등은 다른 집합투자기구(이하 이 조에서 "모집합투자기구"라 한다)가 발행하는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는 구조의 집합투자기구(이하 이 조에서 "자집합투자기구"라 한다)를 설정·설립하는 경우

5차 분류 : 종류형

o 근거 : 법 제231조의 규정의 형태로 설정 ․ 설립된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구분


- 종류형집합투자기구 : ① 같은 집합투자기구에서 법 제76조제4항에 따른 판매보수의 차이로 인하여 기준가격이 다
르거나 판매수수료가 다른 여러 종류의 집합투자증권을 발행하는 집합투자기구
- 판매수수료 부과 여부를 우선적으로 적용하며, 판매수수료 부과와 관련이 없는 복수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경우 중요
성에 따라 분류하시기 바랍니다.(개정 2015.6.11.)

î[1]운용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상위(운용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함.


î[2]클래스A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선취판매수
수료를 징구하는 경우에 해당(A1, A2 등 연번부기 포함)
î[3]클래스B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후취판매수
수료를 징구하는 경우에 해당(B1, B2 등 연번부기 포함)
î[4]클래스C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선 ․후취판매수
수료를 징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해당(C1, C2 등 연번부기 포함)
î[5]클래스D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선 ․후취판매수
수료를 모두 징구하는 경우에 해당(D1, D2 등 연번부기 포함)
î[6]클래스E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온라인전용
으로 판매하는 경우에 해당(개정 2015.6.11.)
î[7]클래스F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펀드 및 기관투자자*용에
해당되는 경우

**기관투자자 구분 기준**
가. 법에 의한 집합투자기구(외국법령에 의한 것으로서 집합투자기구의 성질을 가진 것 포함)
나. 법 시행령 제10조제2항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에서 정하는 기관투자자(2009.12.30개정) 또는
국가재정법에 따른 기금(외국의 법령상 이에 준하는 자를 포함)
다. 100억원 이상 매입한 개인이거나 500억원 이상 매입한 법인
î[8]클래스H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장기주택마련저축* 용에
해당하는 경우
* 조세특례제한법 제87조제1항에 따른 장기주택마련저축
î[9]클래스I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회사가 정하는
방침에 따른 고액거래자용에 해당하는 경우(예. 최초 납입금액이 20억원 이상인 자)(2009.12.30개정)
î[A]클래스P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근로자퇴직
급여보장법에 근거 설정 ․설립된 경우(단,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상의 사전지정운용제도(디
폴트옵션) 전용으로 설정·설립된 경우는 제외)
î[B]클래스W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Wrap
Account용(판매회사의 일임형 종합자산관리계좌를 보유한 자) 또는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
의18제3항에 따른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용에 해당하는 경우
î[C]클래스J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집합투자업자
(자산운용사)가 직접판매하는 펀드에 해당하는 경우
î[D]클래스S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집합투자증권에
한정하여 투자중개업 인가를 받은 회사(겸영금융투자업자는 제외)가 개설한 온라인 판매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투자자 전용으로서 후취판매수수료를 징구하는 경우에 해당 (신설 2014.2.20.)
î[E]클래스S-P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집합투자증권에
한정하여 투자중개업인가를 받은 회사(겸영금융투자업자는 제외)가 개설한 온라인 판매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투자자 전용이며, 소득세법 제20조의3 및 소득세법 시행령 제40조의2에 따른
연금저축계좌를 통하여 가입할 수 있으며 판매수수료를 징구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신설
2014.2.20.)

î[F]클래스S-T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집합투자


증권에 한정하여 투자중개업 인가를 받은 회사(겸영금융투자업자는 제외)가 개설한 온라인
판매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투자자 전용으로서 판매수수료를 징구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개정 2015.6.11.)
î[G]클린클래스: 투자자가 투자자문업자로부터 투자자문을 받고 그 결과에 따라 펀드 매수를
요청하는 등 금융기관등으로부터 별도의 투자권유 없이 펀드를 매수하는 경우 일반 창구
판매 수수료·보수 보다 낮은 판매 수수료·보수가 적용되는 펀드클래스
î[H]클래스O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근로자퇴
직급여보장법상의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 전용으로 설정․설립된 경우
î[Y]클래스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의 하위(클래스펀드에 해당하는) 펀드를 말하며, 특정클래스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î[Z]일반 : 종류형집합투자기구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예시) 모(모신탁) - 자(자신탁이면서 종류형상위(운용)펀드) - 손(종류형하위 :클래스A)의 3단계 구조의 경우
① ② ③
① 4차 분류(2), 5차 분류(Z)
② 4차 분류(3), 5차 분류(1)
③ 4차 분류(3), 5차 분류(2)

6차 분류 : 추가형/단위형, 개방형/폐쇄형

o 추가설정 가능 여부에 따라

- 추가설정 가능 한 경우 : 추가형
- 추가설정 불가능 한 경우 : 단위형

o 근거 : 법 제230조의 환매금지형집합투자기구 여부에 따라

- 환매금지형집합투자기구인 경우 : 폐쇄형
- 환매금지형집합투자기구가 아닌 경우 : 개방형

7차 분류 : 판매형태

o 판매방법에 따른 분류

î[1]직접판매 : 자기회사 발행의 자기회사 판매 상품


î[2]국내위탁 : 자기회사 발행의 판매회사 위탁 판매(no-load펀드 국내위탁으로 분류)
î[3]혼합판매 : 자기회사 발행의 직접 및 위탁 판매 상품
î[4]국외판매 : 국내발행 국외판매
î[5]국내외혼합 : 국내외 발행 국내외 판매

8차 분류 : 환매수수료부과기간

o 환매수수료 부과기간(최대기일기준 : 예. 3월 XX%, 6월 X%까지 부과되는 경우 6월을 말함.)에


따라 분류

예1) 6개월(180일)미만일 때 환매수수료 부과되는 경우 : ‘4’으로 분류


☑ 환매불가 : 일정 기간 또는 전 기간 환매가 제한(금지)되는 상품
☑ 모신탁 또는 종류형운용펀드 등 운용역할을 하는 펀드는 ‘환매수수료없음’으로 분류바람.
9차 분류 : 특성분류 Ⅰ
o 상품의 성격에 따른 분류로 중복되는 경우에는 주된 목적에 따라

î[02]개인연금형 : 2001년 이후 신규가입이 불가하지만, 신규 펀드 설정 가능(기존 고객 이관시)


10년 이상 불입하고 만55세 이후 5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 소득세 비과세 및 소득공제(당해
년도 불입금의 40%) 혜택을 주는 상품(2013.1.1. 법률 제11614호로 삭제되기 전의 조특법 86) §
î[03]세금우대형 : 이익금에 대하여 세금감면혜택을 주는 상품(조특법 89) §
î[04]근로자장기저축형 : 근로자의 재산형성을 위하여 3년이상 저축시 세금우대 혜택을 주는 상품
î[08]보장형 : 소유하고 있는 수익증권 또는 회사형 주권의 가격등락에는 관계없이 원본과 이자를
보장해주는 상품
î[09]원금보장형 : 위탁회사에서 투자원금의 손실을 보전하는 형태의 상품
î[11]목표달성형 : 약관 또는 정관에서 규정하는 일정요건이 되었을 때 해지되는 상품
î[12]전환형 : 약관 또는 정관에서 규정하는 일정요건이 되었을 때 운용대상을 다르게 하는 상품
î[13]공사채-주식연계형 : 고객의 입장에서 2개의 상품간에 수수료 없이 전환이 가능한 상품
î[14]특정업종선택형 : 특정유가증권에 투자를 한정 또는 집중하는 상품
î[15]INDEX형 : 특정한 시장지수 또는 다수의 지수와 연계하여 운용함을 목적으로 하는 상품
î[16]특정회사투자형(자사주상품) : 약관 또는 정관에 주로 수익자인 법인이 발행한 주식을 취
득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는 상품
î[17]대형주형 : 자본금이 750억원 이상인 종목에 투자하는 상품
î[18]중소형주형 : 자본금이 750억원 미만인 종목에 투자하는 상품
î[20]전환사채형 : 전환사채에 주로 투자하는 상품
î[21]System운용형 : 운용전략 상의 시스템을 주로 이용하는 상품
î[22]VentureCapital : 중소ㆍ벤처기업에 직접금융을 통해 자금을 지원하는 상품으로 우수 중소
기업 및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상품
î[23]장외주식형 : 비상장, 비등록주식 주식에 투자하는 상품
î[24]구조조정기금 : 증권투자회사법 78조에 의해 설정된 상품 (폐지 2020.9.23)
î[25]공모주혼합형 : 공모주 및 일반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하는 상품([43]공모주채권과 비교 참조)
î[26]Umbrella형 : MMF, 공사채형, 주식형 상품 등 3개이상 자유전환이 가능한 상품
î[28]CBO(후순위채) : 후순위채에 투자하는 상품
î[29]분리과세 : 2003년 이후 신규가입 불가하며 신탁기간 5년이상이고 매결산일(해지일) 현재
신탁재산의 50%이상 공사채에 투자, 1년 이상 가입시 가입자가 분리과세(소득의 33%)를 선택
할 경우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한 상품(소득세법 129) §
î[30]Wrap Account : 자산관리(Wealth management)상품의 하나로서, 매매수수료(commission) 대
신 고객의 예탁자산금액에 근거하여 일정률의 일괄보수(fee)를 받는 상품
î[31]비과세 : 2000. 12말까지 한시적 판매한 세제혜택 상품 (폐지 2020.9.23)
î[32]비과세고수익 : 2000. 12말까지 한시적 판매한 세제혜택 상품
(CBO에 의한 후순위채 등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 (폐지 2020.9.23)
î[33]퇴직신탁 : 사업주가 제정한 퇴직금지급에 관한 규정에 따라 회사에 퇴직투자신탁 적립금을 사업
주가 납입하고, 회사는 사업주로부터 받은 적립금으로 퇴직투자신탁 수익증권을 매입하여 보관,
관리, 처분함으로써 사업주의 퇴직금 지급업무를 대행하는 상품. 즉, 근로자들의 안정된 노후생활
보장을 위한 개념의 퇴직금 사외적립 제도 (폐지 2020.9.23)
î[35]비과세근로자(근로자우대) : 2002년 이후 신규가입 불가, 연간 총급여 3천만원 근로자가 분기별
150만원이내 불입, 계약기간이 3년 이상 5년 이하인 경우 소득세 비과세혜택을 주는 상품(조특법 88) § (폐지
2020.9.23)
î[36]연금저축 : 2001. 1. 1부터 가입하며, 10년 이상 불입하고 만55세 이후 5년 이상 연금으로 수
령, 소득공제(당해연도 저축불입액과 300만원 중 적은 금액 )혜택을 주는 상품 (2013.1.1. 법률
제 11614호로 삭제되기 전의 조특법 86)
î[37]차익거래형 : 차익거래를 주로 하는 상품
차익거래펀드란 현물과 선물에 동시에 투자하는 차익거래를 통하여 무위험수익을 추구하는 상품
î[38]M&A: 다른 회사를 계열회사로 편입하는 것을 목적하는 증권투자회사
î[39]비과세고수익고위험 : 2002. 12월까지 한시판매하며 저축원금 3000만원이내(개인)이고, 소득세
및 농특세가 비과세 됨. 1년이상 투자시 최장 3년까지 비과세 혜택 있음 (폐지 2020.9.23)
î[40]장기증권투자신탁 : 2002. 3. 31일까지의 가입분 및 불입분까지 한시적으로 적용하며 가입한도는
투원금기준 5000만원이내이고, 세제지원은 근로소득 또는 종합소득 세액공제로서 1년 투자시
투자금액의 5%, 2년이상 투자시 투자금액의 7%를 세액공제하는 상품. 1년이상 투자시 이자
및 배당소득에 대하여 최장 3년간 비과세 (폐지 2020.9.23)
î[41]기금풀(주간) : 국가재정법 제81조 및 법 시행령 제37조에 따른 연기금투자풀 중 주간운용
사의 상품
î[42]기금풀(개별) : 국가재정법 제81조 및 법 시행령 제37조에 따른 연기금투자풀 중 개별운용
사의 상품
î[43]공모주채권형 : 주식에의 투자는 공모주에만 한정하고 주로 채권, 유동자산 등에 투자하는 상품
î[44]ETF(상장지수펀드) : 특정주가지수와 연동되는 수익률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
형펀드(Index Fund)로서 현물 주식으로 설정․해지되며,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되는 상품
î[45]장기주택마련(비과세장기주택마련저축) : 2009.12.31까지 가입가능하며, 만18세 이상의 무주택자이
거나 전용면적 85m2(약25.7)이하의 1주택 소유자인 세대주에 한하여 관련법령에서 정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세제상 우대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
가입한도는 분기당 300만원, 가입기간 7년 이상, 소득세 비과세 및 근로소득공제(당해년도 불
입금액의 40%) (조특법 87) §
î[46]원금보존추구형 : 신탁재산 대부분을 채권 및 유동성자산에 투자하고 이자수익 부분을 주
식 또는 파생상품 등에 투자하여 투자원금 손실을 최소화하는 상품. 또는 구조적으로 투자원
금이 보존되도록 설계한 상품.
î[47]ELS투자펀드 : 주가연계증권(ELS)에 주로 투자하는 상품
î[48]카드채 : 카드채에 투자하는 상품
î[49]국공채 : 국공채에 투자하는 상품
î[50]장기주식형 : 2004. 12월까지 한시 판매하며, 투자신탁 설정일로부터 매 1년 동안 주식등에
투자비율이 평균 60%이상이고, 1인당 저축원금 8000만원 내에서 1년 이상 투자시 소득세 완전
비과세(주민세, 농특세 포함)되는 상품(비과세적용기간 : 2005. 12월까지) (폐지 2020.9.23)
î[51]간접투자신탁(국내) : 국내 발행 수익증권 또는 뮤추얼펀드에 투자하는 상품
î[52]간접투자신탁(국외) : 해외 발행 수익증권 또는 뮤추얼펀드에 투자하는 상품
î[53]간접투자신탁(혼합) : 국내외 혼합 발행 수익증권 또는 뮤추얼펀드에 투자하는 상품
※간투법체제에서 51~53의 간접투자신탁은 모두 성격에 맞는 코드로 재부여 바람(2009. 2. 4 개정)
î[54]KELF(코리아 ELF) : 2003. 12. 3일까지 한시 판매하며, 주식 ・ 주식관련파생상품 ・ ETF투자의 80~
90% 이상을 주식 및 ETF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주식형의 경우 조세특례제한법시행령 제 8조의 4에 의
하여 비과세 적용 (폐지 2020.9.23)
î[55]엔터테인먼트 : 영화, 공연, 음반 그밖의 전시 등 특정사업에 투자하는 펀드
î[56, 57]종류형펀드 : 판매보수율 및/또는 판매수수료의 차이로 인하여 기준가격이 달라지
는 여러종류의 수익증권(주권)을 발행하는 펀드(2009. 2. 3 폐지)
※간투법체제에서 56~57의 종류형펀드는 모두 성격에 맞는 코드로 재부여 바람(2009. 2. 4 개정)
î[58, 59]퇴직연금종류형펀드 : 금융기관을 통해 근로자의 퇴직금을 운용하는 펀드이며, 판매보
수율 및/또는 판매수수료의 차이로 인하여 기준가격이 달라지는 여러종류의 수익증권(주권)을 발행
하는 펀드(2009. 2. 3 폐지)
î[60]퇴직연금 : 금융기관을 통해 근로자의 퇴직금을 운용하는 펀드
※간투법체제에서 58, 59의 퇴직연금은 모두 60으로 통합하여 재부여 바람(2009. 2. 4 개정)
î[61]SRI(사회책임투자)펀드 : 기업지배구조개선, 친환경적인 경영하는 기업 등에 투자하는 펀드
î[62]SOC(사회간접자본)펀드 : 도로, 항만 , 철도 등 사회기반시설에 투자하는 펀드(2009. 2. 3 폐지)
î[63]분리과세고수익고위험 : 고수익고위험 채권 등에 10%이상 투자하는 상품. 2009년 12월말
까지 한시 판매되며 투자원금 기준 1억원 이내(비거주자는 한도 없음) 1년 이상 투자시 최장
3년까지 분리과세 (소득세 5%) 혜택 있음. (폐지 2020.9.23)
î[64]장기회사채형 : 2009.12월까지 한시 판매하며, 펀드자산의 60%이상을 국내 회사채․CP(국
고채, 금융채 등은 제외)에 투자하는 회사채형펀드이고, 1인당 가입한도는 5,000만원 이내에서
3년 이상 거치식형태로 투자시 3년간 배당소득과 농특세가 비과세되는 상품(2008.10.20 신설)
(폐지 2020.9.23)
î[65]장기주식형대상펀드 2009.12월까지 한시 판매하며, 펀드자산의 60%이상을 국내주식에
:

투자하는 주식형펀드이고, 1인당 가입한도는 분기별 300만원 이내(연 1,200만원), 3년 이상 적


립식형태로 투자시 3년간 배당소득과 농특세가 비과세되는 상품(2008.10.20 신설)
î[66]채권시장안정펀드(주간) : 채권시장의 안정을 위해 조성된 상품(2008. 12.17 신설)
î[67]채권시장안정펀드(개별) : 채권시장의 안정을 위해 조성된 상품(2008. 12.17 신설)
î[68]일반상품(농산물) : 상품(자본시장법 제4조제10항제3호에 따른 일반상품 중 농산물 축산물 · ·
·
수산물 임산물)에 투자하는 상품(2009. 2. 4 신설)
î[69]일반상품(금속등) : 원자재(자본시장법 제4조제10항제3호에 따른 일반상품 중 광산물 에너 ·
지)에 투자하는 상품(2009. 2. 4 신설)
î[70]녹색인증대상투자 : 집합투자기구재산의 60% 이상을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32조에 「 」
의거하여 녹색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녹색전문기업의 경우, 확인) 받은 투자대상(녹색전문기업,
녹색사업 또는 녹색기술)에 투자하는 펀드(2010. 5. 31신설)
î[71]월지급식펀드 : 매 1 개월단위 월분배를 목적으로 설정된 펀드(2011.10. 4신설)
î[72]일반 사모펀드 : 자본시장법 제9조제19항제2호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경영참여 목적으
로 운용하지 아니하는 펀드에 한함)(개정 2020.9.23., 2021.10.21.)
î[73]소득공제장기펀드 40% 이상을 국내주식을 투자하는 펀드로서 연 총급여
: 펀드재산의
5,000만원 이하인 근로자가 연 600만원 범위 내에서 납입하는 경우 최장 10년간 불입액의
40%를 소득공제혜택을 주는 상품으로 2015.12.31까지 한시적으로 판매되는 상품(신설 2014.2.20.)

î[74]정부 공공기금풀(주간) : (국가재정법 제81조 및 법 시행령 제37조에 따른 연기금투자풀
제외) 투자풀 형태로 운용되는 국가(지방자치단체 포함) 공공기관 기금 중 주간운용사의 상품 ․
(개정 2015.6.11.)
î[75]정부 ․공공기금풀 개별 ( ) : ( 국가재정법 제81조 및 법 시행령 제37조에 따른 연기금투자풀
제외) 투자풀 형태로 운용되는 국가(지방자치단체 포함) 공공기관 중 개별운용사의 상품(개정 ․
2015.6.11.)
î[76]민간기금풀(주간) : ( 국가재정법 제81조 및 법 시행령 제37조에 따른 연기금투자풀 제외)
투자풀 형태로 운용되는 공제회, 대학 등 민간기금 중 주간운용사의 상품(개정 2015.6.11.)
î[77]민간기금풀(개별) : ( 국가재정법 제81조 및 법 시행령 제37조에 따른 연기금투자풀 제외)
투자풀 형태로 운용되는 공제회, 대학 등 민간기금 중 개별운용사의 상품(개정 2015.6.11.)
î[78]기타기금풀(주간) : ( 국가재정법 제81조 및 법 시행령 제37조에 따른 연기금투자풀 제외)
투자풀 형태로 운용되는 기타 기금 중 주간운용사의 상품(개정 2015.6.11.)
î[79]기타기금풀(개별) : ( 국가재정법 제81조 및 법 시행령 제37조에 따른 연기금투자풀 제외)
투자풀 형태로 운용되는 기타 기금 중 개별운용사의 상품(개정 2015.6.11.)
î[80]성과보수 : 운용실적에 연동하여 미리 정해진 산정방식, 지급시기 등에 따른 보수를 받는
펀드(2017.5.22. 신설)
î[81]자산배분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80조제1항제5의4호에 따라 상이한 투자대상자산ㆍ투자방침과
투자전략을 가진 복수의 펀드에 투자하고, 주기적으로 대상펀드 비율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펀드(2017.5.22. 신설)
î[82]사모투자재간접(공모)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80조제1항5의2호에 따른 사모투자재간접펀드로서
펀드재산의 50%를 초과하여 일반 사모펀드(경영참여목적으로 운용하지 아니하는 펀드에 한함)
에 투자하는 재간접펀드(2017.5.22. 신설, 2021.10.21. 개정)
î[83]부동산ㆍ특별자산투자재간접(공모)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80조제1항제5의3호에 따른 부동산ㆍ
특별자산투자재간접펀드로서 펀드재산의 80%를 초과하여 공모 부동산펀드, 공모 특별자산펀드,
부동산 또는 특별자산에 펀드재산의 50%를 초과하여 투자하는 일반 사모펀드(경영참여 목적
으로 운용하지 아니하는 펀드에 한함) 중 어느 하나에 투자하는 재간접펀드(2017.5.22. 신설,
2021.10.21. 개정)
î[84]경영참여목적 일반 사모펀드 : 자본시장법 제249조의7제5항 각 호의 방법으로 운용하는 일반
사모펀드 (2021.10.21. 신설)

10차 분류 : 투자지역

o 해외자산 투자분이 주로 투자되는 지역을 기준으로 하며, 우선 순위를


국가 ⇒ 대륙 ⇒ 글로벌 순서로 분류

**분류 기본 원칙(근거 : 업무규정 제4-58조)**


가. 단, 해당 지역에 30%이상 투자하는 경우에만 해당 투자지역으로 분류하고, 특정 국가나 대륙
에 속하지 않으나 해외자산에 30%이상 투자하는 경우 ‘글로벌’로 분류, 그 외 30%미만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경우 ‘대한민국’으로 분류
나. 복수 지역에 투자할 경우 특정국가와 특정대륙에 동일 비율을 동시 투자할 경우 ‘글로벌’로 분류
예시) 중국(30%)과 서유럽(30%)에 투자

î[02]글로벌 : 특정국가에 편중 투자하지 않으면서 선진국이나 신흥국가 등 특정 부류에 속하지 않는 경우


î[05]아시아(신흥국가) : 동남아시아(ASEAN) 등 아시아 신흥국가에 주로 투자하는 경우
î[22]글로벌(선진국) : 특정국가에 편중 투자하지 않으면서 북미, 서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 주로
투자하는 경우
î[23]글로벌(신흥국가) : 특정국가에 편중 투자하지 않으면서 동유럽,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등
전세계 신흥국가에 주로 투자하는 경우
î[24]유럽 : 유럽국가 중 특정 방위에 편중하지 않고 유럽 전역에 투자하는 경우
î[25]대중국(중국, 홍콩, 대만) : 중국, 홍콩, 대만에 주로 투자하는 경우
î[26]아시아퍼시픽 :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 투자하는 경우
î[27]아시아퍼시픽(X-Japan) :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투자하는 경우(일본 제외)
î[28]EMEA(Emerging Europe, Middle East, Africa) : 동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 아시아를 제외한
전세계 신흥국가에 주로 투자하는 경우

예시)
(한국과) 중국에 투자할 경우 투자지역을 중국으로,
(한국과) 중국․인도에 투자할 경우 친디아로,
(한국과) 중국․인도․필리핀․체코․남아공 등에 투자할 경우 글로벌로 분류

11차 분류 : 투자대상자산 등

o 펀드의 법적 유형분류와 관계없이 투자대상자산의 속성에 따라 분류

〈주식高편입형〉
♣ 주식에 펀드자산의 최소 60%이상(연평균 60%이상 주식에 투자하는 경우 포함(2009.12.30개정))을 투자하는 펀드

î[11]일반 : 투자대상 종목의 스타일을 특정하지 않은 펀드 또는 특정 스타일을 유지하지 않고 시장


상황에 따라 스타일을 옮겨 가면서 투자하는 펀드
☑ 아래 12~15에 속하지 않는 경우 일반으로 분류
î[12]가치주 : 약관이나 투자설명서에서 가치주에 관한 기준을 나름대로 정의하여 가치주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
* 가치주의 정의는 각 회사의 독자적인 정량적/정성적 기준을 존중함
î[13]성장주 : 약관이나 투자설명서에서 성장주의 기준을 나름대로 정의하여 성장주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
* 성장주의 정의는 각 회사의 독자적인 정량적/정성적 기준을 존중함
î[14]배당주 : 약관이나 투자설명서에 따라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에 주로 투자 하는 펀드
* 배당주의 정의는 각 회사의 절대적 기준/상대적 기준 모두 가능함
î[15]섹터 : 특정 업종이나 테마(물, 지주회사, oo그룹, 인프라, 헬스케어, 럭셔리, 에너지, SRI, 농산물,
컨슈머, 코스닥 등) 관련 주식(주식형펀드 포함)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

〈주식低편입형〉
♣ 주식 등에 투자할 수 있는 펀드로 주식고편입형에 속하지 않는 펀드(2009.12.30개정)

î[21]일반 : 투자대상 종목의 스타일을 특정하지 않은 펀드 또는 특정 스타일을 유지하지 않고 시장


상황에 따라 스타일을 옮겨 가면서 투자하는 펀드
☑ 아래 22~29에 속하지 않는 경우 일반으로 분류
î[22]가치주 : 약관이나 투자설명서에서 가치주에 관한 기준을 나름대로 정의하여 가치주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
* 가치주의 정의는 각 회사의 독자적인 정량적/정성적 기준을 존중함
î[23]성장주 : 약관이나 투자설명서에서 성장주의 기준을 나름대로 정의하여 성장주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
* 성장주의 정의는 각 회사의 독자적인 정량적/정성적 기준을 존중함
î[24]배당주 : 약관이나 투자설명서에 따라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에 주로 투자 하는 펀드
* 배당주의 정의는 각 회사의 절대적 기준/상대적 기준 모두 가능함
î[25]섹터 : 특정 업종이나 테마(물, 지주회사, oo그룹, 인프라, 헬스케어, 럭셔리, 에너지, SRI, 농산물,
컨슈머, 코스닥 등) 관련 주식(주식형펀드 포함)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
î[26]공모주 : 공모주에 투자하는 펀드
î[29]미분류 : 전환사채에 주로 투자하거나 또는 주식에 투자하지 않지만, 채권의 투자비율이
60%이하인 경우(2009.12.30신설)

〈채권투자형〉
♣ 주식에 투자하지 않으며 채권(연평균 60%이상 채권에 투자하는 경우 포함(2009.12.30개정))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

î[31]일반 : 투자대상 채권유형이 특정하지 않으면서 채권에 60%이상 투자하는 펀드(2009.12.30개정)


☑ 아래 32~38에 속하지 않는 경우 일반으로 분류, 기존 [39]미분류는 일반으로 변경
î[32]국공채 : 국 공 채 에 자 산 의 60% 이 상 을 집 중 투 자 하 는 펀 드
î[33]회사채 : 회 사 채 에 자 산 의 60% 이 상 을 집 중 투 자 하 는 펀 드
î[34]하이일드 : 투 기 등 급 채 권 에 일 정 부 분 투 자 하 는 펀 드
î[35]CP : CP에 자산의 60%이상을 집중 투 자 하 는 펀 드 (2009.12.30신 설 )
î[36]ABS : ABS에 자산의 60%이상을 집중 투 자 하 는 펀 드 (2009.12.30신 설 )
î[37]MBS : MBS에 자산의 60%이상을 집중 투 자 하 는 펀 드 (2009.12.30신 설 )
î[38]CBO(후순위채) : CBO(후순위채)에 자산의 60%이상을 집중 투자하는 펀드 (2009.12.30신 설 )
☑ MMF 는 미분류(ZZ)로 분류
☑ 동일한 비율로 편입하는 경우 리스크가 큰 자산으로 분류(2009.12.30신 설 )
예시) 회사채 40%, ABS 40% 편입할 경우 11차 분류는 ABS로 분류(2009.12.30신 설 )

〈부동산투자형〉
♣ 부동산에 투자

î[41]개발형 : 펀드=시행사로 부동산 개발사업을 진행


î[42]임대형 : 사무실, 빌딩 등 실물부동산 매입 후 임대사업으로 운용
î[43]PF(대출형) : 시행사에 자금대여 후 분양대금 등으로 자금을 회수
î[44]REITs형 : 부동산투자회사(Reits) 등에 투자

〈파생상품투자형〉
♣ 장내․외 파생상품에 투자
☑ 집합투자기구종류(2차분류)가 파생형인 경우 모두 파생상품투자형으로 분류(2009.12.30개정)
î[51]장내파생상품 : 장내파생상품(전세계 시장에 상장되어서 거래되는 금, 원유 등 원자재 선물 등 포함)을
편입하는 운용전략
î[52]장외파생상품 : 파생결합증권을 제외한 장외파생상품
· · ·
î[53]파생결합증권 : 기초자산의 가격 이자율 지표 단위 또는 이를 기초로 하는 지수 등의 변동과
연계하여 미리 정하여진 방법에 따라 지급금액 또는 회수금액이 결정되는 권리가 표시된 것

〈특별자산투자형〉
♣ 특별자산에 투자

î[61]선박 : 일반투자자 공모자금과 금융기관 차입자금 등으로 선박을 건조하거나 매입하여 선박운
항회사(선사)에 빌려주고 용선료에서 차입금과 제비용을 공제한 나머지를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펀드
î[62]인프라(SOC) : 사회간접시설 개발사업에 투자

* 다만, 인프라관련 기업 주식에 투자하는 경우는 주식고 저편입형의 섹터펀드로 분류
î[63]엔터테인먼트 : 각종 공연(영화, 드라마, 음반, 뮤지컬 등)제작 등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수익을 분
배받을 수 있는 계약상의 출자지분 또는 권리에 투자
î[64]아트 : 아트관련 수익권에 투자
î[65]탄소(배출권) : 유엔이 정한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투자하고 이를 통해 확보한 `배출권`을 팔아 얻은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분하는 펀드
î[66]우주&항공 : 우주&항공 산업 관련 수익권에 투자
î[67]상품 : 농산물·축산물·수산물·임산물, 광산물·에너지 등 상품 투자(2009.12.30신 설 )
☑ 실물에 직접 투자하는 경우(예. 와인펀드)
î[68]사업수익권 : 시행령 제80조제1항제1호카목의 정의에 따른 ‘사업수익권’
[ 상법 에 따른 「 」
합자회사ㆍ유한책임회사ㆍ합자조합ㆍ익명조합의 출자지분, 「 」
민법 에 따른 조합의 출자지분,
그 밖에 특정사업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는 계약상의 출자지분 또는 권리]에
투자(2013.8.29신 설 )

〈인덱스투자형〉
♣ 인덱스 투자

î[71] 주가지수 등의 추종을 목적으로 하는 펀드(2009.12.30.신 설 )

〈MMF형〉
♣ MMF의 특성에 따라 분류

î[81]국공채형 : 일반기업이 발행한 회사채, CP, 단기사채를 편입하지 않은 MMF (신설 2020.9.23)
î[82]일반형 : 국공채형에 해당되지 않는 MMF (신설 2020.9.23)

〈기타-미분류〉
♣ 하이닉스, 새한 등 출자전환 주식만 존재하는 경우, 부도채 등의 편입으로 현재 구분이 어려운
경우 ‘미분류(ZZ)'로 분류
12차 분류 : 특성분류 Ⅱ

o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 여부를 우선적으로 적용하며,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가 아닌 경우 이하 특


성에 따라 분류하시기 바랍니다.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 비과세〉
î[01]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 : 해외상장주식에 자산총액의 60% 이상을 2017. 12. 13.까지 투자하는 등
§
조특법 91의17상의 요건을 갖춘 경우, 가입일로부터 10년간 1인당 저축원금 3천만원 내에서 해외
·
상장주식의 매매 평가차익(환차익 포함)에 대하여 비과세혜택을 주는 펀드

〈주식투자대상〉
♣ 주식에 직접 투자시 시가총액순위 등에 따라 구분

î[11]일반 : 특별히 투자대상 종목의 규모를 한정하지 않음


☑ 아래 12~13에 속하지 않는 경우 일반으로 분류
î[12]대형주 : 업종대표주 등 시가비중이 높은 종목에 주로 투자
* 전액을 대형주에 투자하는 순수대형주 펀드뿐만 아니라 대형주에 주로 투자하는 대형주 Focus펀드 포함
예시) 시가총액순위 200위 이상, 상위 10% 이상 종목에 투자
î[13]중소형주 : 대형주에 속하지 않는 종목에 주로 투자
* 전액을 중소형주에 투자하는 순수중소형주 펀드뿐만 아니라 중소형주에 주로 투자하는 중소
형주 Focus펀드 포함
예시) 시가총액순위 200위 미만, 하위 90% 종목에 투자

〈목표듀레이션〉
♣ 채권형과 채권혼합형(주식에 투자하지 않으면서 채권을 주로(60%이상) 편입하는 경우)에 있
어 투자설명서에 기재된 운용전략상 목표로 하는 듀레이션에 따라 분류

☑ 채권혼합형은 주식에 투자하지 않으면서 채권을 주로(60%이상) 편입하는 경우에만 목표듀레이션을 구분


☑ 해당 기간을 약간 초과 또는 미달하는 경우 구분 방법 명시 필요.
예시) 목표듀레이션이 366일인 경우 단기(1년미만)으로 분류

〈벤처기업투자신탁〉
「 」
î[31]벤처기업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14조에 따른(개정 2018.2.13) 벤처기업투자신탁
〈기타〉
♣ MMF 모두 ‘미분류(ZZ)'로 분류
♣ 하이닉스, 새한 등 출자전환 주식만 존재하는 경우, 부도채 등의 편입으로 현재 구분이 어려운
경우 ‘미분류(ZZ)'로 분류

13차 분류 : 추종지수

♣ 주로 주식형에 있어 투자설명서에 기재된 운용전략상 목표로 하는 Index에 따라 분류

- 인덱스펀드의 경우 추종지수, 인덱스펀드가 아닌 경우 BM에 따라 분류

î[14]배당지수 : KODI(Korea Dividend Stock Price Index) 등 배당실적이 우수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경우
î[15]지배구조지수 : KOGI(Korea Corporate Governance Stock Price Index) 등 기업지배구조를
지수화한 주식투자지표를 추종하는 경우
î[18]섹터지수 : 특정산업 또는 시장의 테마를 고려한 상품지수를 추종하는 경우
î[19]개별주가지수 : 개별종목의 지수를 지수화하여 추종하는 경우
î[20]개별국가지수 : 개별국가의 지수를 지수화하여 추종하는 경우
î[21]세계지수 : MSCI W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World Index) 또는
FTSE(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S&P World Index 등을 추종하는 경우
î[22]선진국지수 : MSCI EAFE(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Europe, Australasia, and
Far East) 등을 추종하는 경우
î[23]신흥시장지수 : MSCI EM(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Emerging Market) 등을 추종
하는 경우
î[24]중남미시장지수 : IFC Latin America 등을 추종하는 경우
î[25]ETF : ETF에 투자하는 경우

〈기타〉
♣ MMF 모두 ‘미분류(ZZ)'로 분류
♣ 하이닉스, 새한 등 출자전환 주식만 존재하는 경우, 부도채 등의 편입으로 현재 구분이 어려운
경우 ‘미분류(ZZ)'로 분류

14차 분류 : 투자위험도 분류

♣ 자산운용사(집합투자업자)가 투자설명서에 기재하는 위험등급에 따라 분류

☑ 투자설명서에 위험등급을 기재하지 않는 펀드에도 위험등급 기재 바람.


- 비헤지형 : (2009.12.30., 2016.05.17개정)
î[1]매우 높은 위험
î[2]높은 위험
î[3]다소 높은 위험
î[4]보통 위험
î[5]낮은 위험
î[6]매우 낮은 위험

- 헤지형 : 환율변동에 따른 risk에 대해 헤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우


(2009.12.30.신설, 2016.05.17.개정) ※ 일정비율 헤지하는 경우에도 헤지형으로 분류
î[A]매우 높은 위험
î[B]높은 위험
î[C]다소 높은 위험
î[D]보통 위험
î[E]낮은 위험
î[F]매우 낮은 위험

☑ 상위 운용펀드에서 헤지하는 경우 하위펀드도 헤지형으로 구분


예시) 모-자-손 구조에서 자1은 헤지, 자2는 비헤지하는 경우
종류형클래스1는 모두 헤지로 구분하고, 종류형클래스2는 모두 비헤지로 구분


/ \
자1 자2
/ \
종류형클래스1 종류형클래스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