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

연구결과서

팀명 프리즈모
토양 내 미세플라스틱을 기층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을
연구주제
통한 용존 중금속 고정화 및 농업 적용
지도교사 지아영

학생 1. 오신형 2. 서영채
문제상황
1. 토양 내 다량의 미세플라스틱 존재 2. 개발도상국 농경지의 중금속 오염

농업용 멀칭필름 하수 슬러지, 중금속 포함 퇴비

3. 미세플라스틱과 중금속 복합 오염 토양

중금속 흡수량 증가 식물 생장 저해
아이디어

선행연구 1. 플라스틱의 미생물학적 분해 선행연구 2. 토양 입자의 바이오필름

플라스틱을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일부 균주 토양 입자에 토착 미생물이 바이오필름


형성하도록 함

플라스틱 표면에 바이오필름을 형성해 성장함 음이온을 띠는 반응기가 용존 중금속 흡착

<한계>
<한계>
-토양에 계속 탄소원을 공급해야 함
-빠른 시간 안에 분해하지 못함
-토양 공극을 감소시켜
-미미한 질량 감소 물빠짐이 중요한 농경지에는 적용 X
아이디어

토양 내의 미세플라스틱을 기층으로
바이오필름 형성시키자!

토양 공극 감소 X, 농경지 적용 가능

고초균이 분비하는 EPS


: 점성이 강해 기층을 토양 입자에 부착시킴
고초균 (Bacillus subtilis)

바이오필름을 잘 형성하며,
농작물의 중금속 흡수를 막음
플라스틱을 탄소원으로 이용함.
배경 이론 1 바이오필름과 EPS(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자유 유영(planktonic) 상태 미생물
고체 표면 부착

EPS와 함께 성장

EPS는 자유 유영 미생물을
기층에 부착시켜
중금속 이온의 이동도를 낮추고
고정시킴
배경 이론 2 용존 중금속 고정화와 B. subtilis의 특성

1. 용존 중금속 고정화 2. Bacillus subtilis

PE를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존 화학적 처리법
토양 세균
- 비쌈, 대부분산업 폐수 처리용
식물 뿌리에 부착돼도 병원체의 침입을 막아줌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처리법 필요
estructural, sorptive, surface-active, active
총 4가지 종류의 EPS 분비
미생물학적 흡착
이중 sorptive EPS (폴리감마글루탐산)
-점성이 강하고 음이온을 띠어 이온을
미생물 자유 유영 상태에서는 불가능, 흡착하는 역할을 함
고체 기층에 부착된 상태여야 함
연구 개요

예비 실험 - 중금속과 미세플라스틱 복합 오염 토양에서 식물 생장 확인

- LDPE 기층의 B. subtilis 바이오필름 형성 가능 여부 확인

- 바이오필름 EPS의 토양 입자에 대한 부착력 확인

본 실험 - 토양 내 미세플라스틱을 기층으로 하는 B. subtilis의 바이오필름 형성

- 바이오필름의 용존 중금속 흡착률 확인

- 애기장대 생장 저해 방지 효과 확인

적용 실험 - 상추와 강낭콩 생장 실험

- 동결건조 세균 분말의 토양 내 활성 확인
미세플라스틱 제조 Bacillus subtilis 배양
준비과정
애기장대 모종 키우기

5mm 이하, 파편형


MP-fr (fragment)

shaking incubator
30°C, 150RPM으로 24h 동안 배양
15일 기른 큰 모종
1mm 이하, 섬유형
MP-fi (fiber)

7일 기른 작은 모종 10μm 이하, 원형 1:100000 희석액을 기준으로 CFU/mL 계산


MP-sp (sphere)
다양한 생장 단계의 모종 사용
다양한 형태의 LDPE 사용
중금속과 미세플라스틱 복합 오염 토양에서의
예비실험 1 식물 생장 확인

확연한 생장 저해

MP Cd MP + Cd

뿌리 길이 감소
예비실험 2 LDPE를 기층으로 B. subtilis가 바이오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지 확인

DIW
MP-fr
B. subtilis colony 희석액

30℃로 16h 항온기 배양,

Crystal violet 염색 후 관찰 400배율 광학현미경

바이오필름 관찰됨

LDPE를 기층으로 바이오필름 형성할 수 있다!


B. subtilis가 플라스틱을 기층으로 형성한 바이오필름의
예비실험 3 EPS의 토양 입자에 대한 부착력 확인

생각보다 미미한 EPS의


아무 처리도 바이오필름 토양 입자 부착력
하지 않은 형성시킨
MP-fr 5개 + MP-fr 5개 + 바이오필름의 기층인
배양토 배양토 미세플라스틱의 완전한 고정화는
아직 어려움

점성이 높은 sorptive EPS인


Poly γ-glutamic acid 생성률이
높은 B. subtilis 아종을 이용하여
5시간 후 일정한 세기로 흐르는 증류수로 세척
추가 연구
잔여 토양 입자 확인 위해 MP 표면 현미경 관찰
토양 내 미세플라스틱을 기층으로 B. subtilis의
본 실험 1 바이오필름 형성시키기 DIW 50mL/day 공급
멸균 O 가 나 다
멸균 X A B C

배양토 배양토
배양토 MP MP
MP B. Subtilis B. subtilis
LB 배지
대조군

라 마
D E
배양토
MP 배양토
B. Subtilis MP
LB 배지 B. subtilis

추후 Cd(NO3)2 수용액 주입할 용도


실험 결과 1 주입수 공급과 유출수 계산

투과율 높음

LB 배지 없이 세균만 처리 토양 내 물의 흐름 저해 X

즉 토양 공극 감소 X 실제 농경지에 적용 가능
실험 결과 2 바이오필름 형성 여부 확인
A B C
다 (멸균O) C (멸균X)

가 나 다

현미경 관찰 바이오필름의 정량적 분석 바이오필름 형성 균주의 정성적 분석

세균 처리한 모든 실험군에서 바이오필름 형성


토착 미생물 있는 농경지에서 적용 가능
멸균 여부는 큰 차이 X
별도 물질 첨가 없이 처리해도 O
세균+배지 함께 처리했을 때 형성도 미미하게 높음
본 실험 2-1 바이오필름의 용존 중금속 흡착률 확인

Cd(NO3)2 수용액 주입 후
유출수의 저항값 측정

저항값 바이오필름 O 토양 통과 후
4
전기전도도와 반비례하는
저항값 증가
3.5
저항값(MΩ )

3 음전하를 띠는 반응기를
2.5 가진 바이오필름이 양이온을
2
띠는 카드뮴 이온을 흡착함
cd 수용액 X가 라 마 X
A D E

바이오필름 X 토양 투과한 바이오필름 O 토양 투과한


Cd(NO3)2수용액 저항값 Cd(NO3)2 수용액 저항값
본 실험 2-2 애기장대 심은 후 생장 확인

가 라

+Cd +Cd

바이오필름 형성시키지 않은 화분이 가장


애기장대 뿌리 길이가 짧음
바이오필름 형성되지 않은
(가) 애기장대가 (라)보다 > 식물의 중금속 흡수 방지 효과 확인
잎이 노랗고 작은 것을 확인
실제 농작물에 적용한 상추와 강낭콩 생장 실험과
적용 실험 동결건조 세균 분말의 토양 내 활성 확인

우리가 먹는 농작물에 적용
실험군 1 실험군 2
MP MP
동결건조 세균 분말 희석액 동결건조 세균 분말 희석액
Cd(NO3)2 수용액

농업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고려하여 실험군 1, 2 모두
상온에서 수돗물 바이오필름 형성
상추 강낭콩 공급

본실험과 동일한 결과
결론 및 제언

1. 농경지에서 다른 영양물질의 공급 없이
동결건조 고초균 분말을 처리하는 것만으로 균주의 활성이 가능

2. 활성된 균주는 토양 공극을 감소시켜 물의 흐름을 저해시키지 않고


미세플라스틱(LDPE)을 기층으로 바이오필름을 형성, 중금속을 흡착함

3. 이는 식물의 중금속 흡수를 줄이고 생장 저해를 방지함

4. 점성이 높은 sorptive EPS인 Poly γ-glutamic acid 생성률이


높은 B. subtilis 아종을 이용하여 추가 연구하면 토양 입자 부착력이
높은 바이오필름을 형성시킬 수 있음
전망 및 활용성

생산자 소비자

편리하게 중금속 없는 안전한 농작물 섭취


농작물 생장 저해 방지 가능

B. Subtilis를
동결건조 분말 형태로 공급 건강한 농작물

저렴한 비용으로
농경지의 중금속 오염이 심한
개발도상국에서의 실현 가능성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