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2024 수능특강 영어 - 9강

Unit
Unit 9 내용
내용 일치•불일치
일치•불일치

Gateway : William Buckland


William Buckland (1784-1856) was well known as one of the greatest geologists in his time.
~로 알려진 지질학자

William Buckland(1784~1856)는 그의 시대에 가장 위대한 지질학자 중 한 사람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His birthplace, Axminster in Britain], was rich with fossils,


출생지 ↳동격 화석

and as a child, he naturally became interested in fossils [while collecting them].


~ 때 자연스럽게 ~에 관심이 있다 ↳현재분사구문
↳while he was collecting~

그의 출생지인 영국의 Axminster에는 화석이 풍부했고,


어릴 때 그는 화석을 수집하면서 자연스럽게 화석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입학을 허가하다

In 1801, Buckland won a scholarship and was admitted to Corpus Christi College, Oxford.
동사① 장학금 동사② ↳과거분사(수동)

1801년에 Buckland는 장학금을 받고 Oxford의 Corpus Christi College에 입학하였다.

He developed his scientific knowledge there

[while attending John Kidd's lectures on mineralogy and chemistry].


↳현재분사구문 광물학
↳while he attended~

그는 거기서 John Kidd의 광물학과 화학 강의를 들으면서 자신의 과학 지식을 발전시켰다.

↱임명하다

After Kidd resigned his position, Buckland was appointed his successor at the college.
사임하다 ↳과거분사(수동) 후임자

Kidd가 자신의 직위에서 사임한 후에, Buckland가 대학에서 그의 후임자로 임명되었다.

Buckland used representative samples and large-scale geological maps in his lectures,
대표의

[which made his lectures more lively].


↳주격 관계대명사(계속적) 생생하게
↳선행사 : 앞 절

Buckland는 자신의 강의에서 대표 표본과 대축척 지질학 지도를 사용했는데,


그것이 그의 강의를 더 생생하게 만들었다.

In 1824, he announced the discovery of the bones of a giant creature,


발표하다

and he named it Megalosaurus, or 'great lizard'.


1824년에, 그는 거대 생물 뼈의 발견을 발표했으며, 그는 그것을 Megalosaurus,


즉 ‘거대한 도마뱀’이라고 이름 붙였다.

He won the prize from the Geological Society due to his achievements in geology.
~ 때문에

그는 지질학에서의 업적으로 지질학회로부터 상을 받았다.

- 1 - 카톡문의 :trainingeng
2024 수능특강 영어 - 9강

1 : 남방바다사자의 생태
Southern sea lions are seals with small, clearly visible external ears.
남방바다사자 보이는 외부의

남방바다사자는 작고 뚜렷하게 보이는 외부 귀를 가진 물개다.

They are much more mobile on land than true seals,


↳비교급 강조 비교급 기동성 있는 참물범
↳훨씬(=still, far, sven, a lot)
↱나아가게 하다

[being able to rotate their rear flippers sideways to propel their bodies forward].
↳현재분사구문 둥글게 움직이다 뒷지느러미발 ↳부사적(~하기 위해)
↳as they are able~

그것들은 참물범보다 육지에서 훨씬 더 기동성이 있는데,


몸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해 뒷지느러미발을 옆으로 둥글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Sea lions can move quite fast in this manner.

바다사자는 이런 식으로 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A fully grown southern sea lion bull is much larger and more impressive
수컷 ↳비교급 강조 비교급
↳훨씬(=still, far, a lot, even)

than [his northern cousin, the California sea lion].


↳동격

완전히 자란 남방바다사자 수컷은 그것의 북방 사촌인 캘리포니아바다사자보다 훨씬 더 크고 더 인상적이다.

This massive animal measures well over 2m long and weighs up to half a tonne.
육중한

이 육중한 동물은 길이가 2미터가 훨씬 넘고 무게가 0.5톤까지 나간다.

His enormous neck is decorated with a shaggy mane; hence the name 'sea lion',
거대한 ~로 장식되다 덥수룩한 갈기 그러므로 선행사
↱~와 관련이 있다

[which also refers to his roar].


↳주격 관계대명사(계속적 ) 포효

그것의 거대한 목은 텁수룩한 갈기로 장식되어 있어서 ‘바다사자’라는 이름이 붙었고,


또한 그 이름은 그것의 포효와도 관련이 있다.

↱=which

The elegant, nearly yellowish females [that make up his harem]


누르스름한 선행사 ↳주격 관계대명사 하렘(번식을 위해 한 마리의 수컷을 공유하는 암컷의 무리)

weigh roughly half the average weight of an adult male, but then they expend less energy.

그것의 하렘을 구성하는 우아하고 거의 누르스름한 암컷들은


성체 수컷의 평균 체중의 대략 절반 정도 나가는데, 하기야 그래서 그것들은 에너지를 덜 소비한다.

From the time he comes ashore in December to when he leaves in March,


┗------------------------from A to B : AA부터 B까지-----------------------------┘

the bull sea lion neither eats nor sleeps for more than a few minutes at a time:
↳neither A nor B : A도 B도 아닌

guarding his harem is a full-time job.


↳동명사(주어) : 단수취급

12월에 뭍으로 올라올 때부터 3월에 떠날 때까지,


수컷 바다사자는 먹지도 않고 한 번에 몇 분 넘게는 잠을 자지도 않는데,
왜냐하면 자기 하렘을 지키는 일은 한순간도 쉬지 않고 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 2 - 카톡문의 :trainingeng
2024 수능특강 영어 - 9강

2 : Thomas Hopkins Gallaudet


Thomas Hopkins Gallaudet was born in Philadelphia on December 10, 1787.

Thomas Hopkins Gallaudet는 1787년 12월 10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다.

His family moved to Hartford, Connecticut, [where he attended the Hartford Grammar School].
선행사 ↳관계부사(계속적)

그의 가족은 코네티컷주에 있는 Hartford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그는 Hartford Grammar School에 다녔다.

He entered Yale College in 1802 and graduated the youngest in his class.

1802년 그는 Yale College에 입학하여 반에서 가장 어린 나이에 졸업했다.

Gallaudet became interested in the education of [deaf people after meeting Alice Cogswell,
↳전치사 + 동명사 ↳동격

the deaf daughter of a neighbor].

Gallaudet는 이웃 사람의 청각 장애인 딸 Alice Cogswell을 만난 후 청각 장애인 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With funding from Cogswell's father and others,


↳전치사 + 동명사

Gallaudet went to Europe in 1815 to learn how to teach deaf children.


↳부사적(~하기 위해) ↳의문사 + to동•원

Cogswell의 아버지와 다른 이들로부터의 자금 제공으로,


Gallaudet는 청각 장애 아동을 가르치는 법을 배우기 위해 1815년 유럽으로 갔다.

[Dissatisfied by [what he saw in British schools for deaf people]], Gallaudet visited a school in Paris.
↳과거분사구문 ↳명사절의 접속사(목적절)
↳as he was dissatisfied~ ↳선행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영국의 청각 장애인 학교에서 본 것에 만족하지 못해, Gallaudet는 파리의 한 학교를 방문했다.

There, he received training from deaf teachers Jean Massieu and Laurent Clerc.

그곳에서 그는 청각 장애인 교사 Jean Massieu와 Laurent Clerc로부터 교육을 받았다.

Gallaudet accompanied Laurent Clerc back to Hartford in 1816


동사①

and established the first school for the deaf in the United States in 1817,
동사②

now known as the American School for the Deaf.


동사③

Gallaudet는 1816년 Laurent Clerc와 함께 Hartford로 돌아왔고,


현재 American School for the Deaf로 알려진 미국 최초의 청각 장애인 학교를 1817년에 설립했다.

Gallaudet served as the institution's principal until 1830.


기관

Gallaudet는 1830년까지 그 기관의 교장으로 근무했다.

He married [one of his former students, Sofia Fowler], and had eight children.
↳one of + 복수명사 ↳동격

그는 자신의 이전 학생 중 한 명인 Sofia Fowler와 결혼했고, 여덟 명의 자녀를 두었다.

- 3 - 카톡문의 :trainingeng
2024 수능특강 영어 - 9강

3 : William Black
William Black was born in Glasgow, Scotland.

William Black은 스코틀랜드의 Glasgow에서 태어났다.

[His father, a successful merchant], sent him to the School of Art at Glasgow,
↳동격

but Black pursued journalism instead of painting.

성공한 상인이었던 그의 아버지는 그를 Glasgow에 있는 예술 학교에 보냈지만,


Black은 그림 대신 저널리즘을 추구했다.

As a teenager he began writing essays for the local Glasgow newspapers.


↳동명사(목적어)

십 대에 그는 Glasgow 지역 신문에 에세이를 쓰기 시작했다.

Some of Black's early articles were on well-known 19th-century English writers and thinkers

such as Thomas Carlyle and John Ruskin.

Black의 초기 기사들 중 일부는 Thomas Carlyle과 John Ruskin과 같은


유명한 19세기 영국 작가들과 사상가들에 관한 것이었다.

His early novel James Merle (1864) made little impression.

그의 초기 소설 James Merle(1864년)은 별다른 인상을 주지 못했다.

Black eventually left Glasgow for London, [where he began to write for another paper, the Morning Star].
결국 ↳관계부사(계속적) ↳동명사(목적어)

Black은 결국 Glasgow를 떠나 런던으로 향했고,


그곳에서 그는 또 다른 신문인 Morning Star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

In 1865, he married Augusta Wenzel, [who died in childbirth the following year].
선행사 ↳주격 관계대명사(계속적)

1865년에 그는 Augusta Wenzel과 결혼했고, 그녀는 이듬해 출산 중 사망했다.

Black then went to Europe as a foreign correspondent to cover [the so-called Seven Weeks' War,
~로 특파원 ↳부사적(~하기 위해) 소위 ↳동격

a conflict between Austria and Prussia].


↳between A and B : A와 B 사이에

그 후 Black은 오스트리아와 프러시아 사이의 분쟁인


소위 Seven Weeks’ War를 취재하기 위해 해외 특파원으로 유럽에 갔다.

After returning to London, he continued to work as a journalist


↳전치사 + 동명사 ↳명사적(목적어)

but also began to have success as a novelist.


↳명사적(목적어)

런던으로 돌아온 후, 그는 저널리스트로서 계속 일했지만, 소설가로서도 성공을 거두기 시작했다.

- 4 - 카톡문의 :trainingeng
2024 수능특강 영어 - 9강

Black set his novels in the Scottish countryside

and used a great deal of local color, traditions, and dialect,


방언

[often setting up a dramatic tension between his rural and his city-bred characters].
↳현재분사구문 ↳between A and B : A와 B 사이에
↳as he often set~

Black은 자신의 소설 배경을 스코틀랜드의 시골로 정하고, 많은 지방색, 전통, 그리고 방언을 사용했는데,
이는 자주 그의 시골과 도시에서 자란 캐릭터들 간의 극적인 긴장을 조성했다.

- 5 - 카톡문의 :trainingeng
2024 수능특강 영어 - 9강

4 : 파이의 날의 유래 ( Origins of Pi Day )


Pi Day has been celebrated annually on 14 March since 1988.
↳현재완료(계속) ↳과거분사(수동) 해마다

‘파이의 날’은 1988년부터 해마다 3월 14일에 기념되어 왔다.

The brainchild of [Larry Shaw, a physicist at the San Francisco Exploratorium],


아이디어 ↳동격 물리학자

the date 14 March was chosen


↳과거분사(수동)

because the American pattern of writing dates is to put the month before the day,
↳명사적(보어)

so that 14 March is writt[


en as 3/14,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first three digits of π, 3.14 (three point one four)].
↳현재분사구문 숫자
↳as it corresponds~

San Francisco Exploratorium의 물리학자였던 Larry Shaw의 아이디어로 3월 14일이라는 날짜가 선택되었는데,
월일을 표기하는 미국 방식이 월을 일 앞에 놓는 것이어서,
3월 14일이 3/14로 표기되어 π값의 처음 세 자리 숫자의 양식, 즉 3.14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 생략


↱which/that was 생략

In 2009,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passed a resolution [recognising 14 March as National Pi Day].
미국 하원 결의안/선행사 ↳현재분사(능동)

2009년에 미국 하원이 3월 14일을 ‘전국 파이의 날’로 인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The date has attracted increasing worldwide publicity and is celebrated


동사①↳현재완료(계속) 점점 더 많은 매스컴 동사②↳과거분사(수동)

in a vast variety of ways, particularly in schools and colleges,

and involves the inevitable consumption of all kinds of pies


동사③ 필연적인 섭취
↱암기하다 ↱암송하다

as well as competitions to memorise and recite as many of the digits of π as possible.


~뿐만 아니라 명사 ↳형용사적(명사수식)

그 날짜는 점점 더 많은 전 세계적인 매스컴의 관심을 끌어왔고,


특히 학교와 대학에서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기념되고 있으며,
π값의 자리 숫자를 가능한 한 많이 암기해서 암송하는 대회뿐만 아니라
온갖 종류의 파이의 필연적인 섭취도 또한 수반한다.

Pi Day in 2015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의미가 있는

because the date corresponded to the first five digits of π, 3.1415.

2015년의 ‘파이의 날’은 특히 그 날짜가 π값의 처음 다섯 자리 숫자인 3.1415 와 일치했기 때문에


의미가 있었다.

- 6 - 카톡문의 :trainingeng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