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6

HEAT TRANSFER

2015년 9월

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김태국 교수
-1-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HEAT TRANSFER

-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HEAT TRANSFER

1. Text Book :
1. Fundamentals of Heat & Mass Transfer,
Incropera, DeWitt, Bergmann, Lavine, 6th Ed. : Chapters 1 – 9.
2. Introduction to Thermodynamics and Heat Transfer,
Yunus A. Cengel, 2nd Ed. : Chapter 5.

2. Course descriptions and objectives


In this class three fundamental laws of the heat transfer, which are the conduction, the
convection and the radiation, are studied by deriving related basic equations and by solving
some examples. Steady and unsteady heat transfer problems are also studied for 1-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systems. This course is aimed for real field applications and also for
further studies in the graduate courses in the future.

3. Evaluation : subject to be changed


Attendance : 10
Home Works : 10
Mid Term Exam : 40
Final Exam : 50
Total Scores 110 points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3-


HEAT TRANSFER

 Chap. I. Essential Concepts


1.1. Concepts

Heat Transfer(열전달) : 온도 차이에 의하여 열이 전달되는 현상을 예측하는 학문으로서


열의 전달량 뿐만아니라 열의 시간당 전달율을 예측.

상태가 바뀌는 중간 과정(얼마나 빨리 바뀌는지 등)을 중요시 함.


Three different heat transfer modes :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tion

Thermodynamics(열역학) : 어떤 시스템을 초기의 평형상태에서 다른 평형상태로 바꾸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예측.

그러나, 얼마나 빨리 상태가 바뀌는지는 다루지 않는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4-


HEAT TRANSFER

1.2. Rate equations : 3 basic heat transfer modes

1.2.1. 전도(Conduction)
: heat transfer in the form of molecular vibrational energy
needs media for energy transfer.
heat transfer is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gradient .

q T  W  W 
 : 비례상수 k 를 도입  o  or 
A x m C   mK 
[W / m2 ] [o C / m] thermal conductivity

- Equations for Fourier's law of Conduction :


Heat transfer rate : q  kA T [W]
Heat flux : q ''  q / Ax k T [W/m2]
x
; for increased x , T decreases T : negative value (-)
x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5-


HEAT TRANSFER
 W 
• 열전도율(conductivity), k  o 
m C 
: 단위두께를 갖는 평판의 양면에 단위온도차가 주어졌을 때, 단위시간당 전달되는 열의 양으로 정의.

q T
 k
A x
qx  W 
T k 
 k A T1  T2   moC 
x
T T
 k 2 1
x
<평판에서의 1차원 열전도>
•즉, 열전도율 k는 단위면적당의 열전달율( q / A ) 및 x 만큼 떨어진 두 점에서의 온도차 T  T1  T2 를
각각 측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고체인 경우: T  T1  T2 가 큰 경우에도 오차가 작다.


•기체, 액체인 경우 : T 가 큰 경우 오차가 크다.
• → 대류열전달, 복사열전달 등이 동시에 작용하게 되므로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6-


HEAT TRANSFER

• Typical conductivity data (대표적인 열전도율( k )값)


표, 대표적인 열전도율( k )값, W / moC
Copper(구리) 385
금속 Aluminium 202
탄소강(1%C) 43
Quartz 41.6
비금속 유리 0.78
Glass wool(보온제) 0.038
수은 8.21
액체 물 0.556
Freon12 0.073
수소 0.175
공기 0.024
기체
수증기(포화) 0.0206
CO2 0.0146

• 일반적으로 어떤 물질의 열전도율( k )은 그 물질의 온도의 함수이다. 즉,


k  k T  : 온도의 함수
 k T  x, y, z   : 온도는 위치의 함수
 k  x, y , z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7-


HEAT TRANSFER

<여러 가지 고체의 열전도율( k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8-


HEAT TRANSFER

(a) 가스 (b) 포화액체

<여러 가지 가스 및 액체의 열전도율( k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9-


HEAT TRANSFER

1.2.2. 대류(Convection)
- 물질의 이동에 의하여 수반되는 열전달 현상.
- 물질 내에 온도차이가 존재할 때 열이 전달.
- 전달 매개체가 반드시 필요.

- 물체 주위의 뜨거워진 유체층 (열 경계층) 내의 유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열이 전달되는 현상.

<물체 주위의 열 경계층(Thermal boundary layer)>

기본방정식: q  hA Tw  T  : Newton's law of cooling


Tw : 물체 벽면의 온도
T : Free stream(물체의 존재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유동)의 온도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0-


HEAT TRANSFER

1) Tw  T 인 경우 : q  hA Tw  T  : Newton's law of cooling


h : 대류열전달 계수
→ 유체의 흐름에 노출된 평판과 유체 사이에 단위의 온도차이가 있을
때 평판의 단위 면적당 전달되는 열량으로 정의.
A : 열전달 방향과 수직인 벽면의 면적.
Tw  T : 벽면과 유체의 온도차.

<열경계층에서의 열이동( Tw  T )>

2) Tw  T 인 경우 : q  hA T  Tw 

<열경계층에서의 열이동( Tw  T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1-


HEAT TRANSFER

• 대류 열전달의 분류
 강제대류(forced convection): 외부의 fan 등에 의하여 유체가 유동하는 경우의 대류.
 자연대류(natural convection or free convection) : 유체의 유동이 유체 자체의 밀도 차이에 의하여 야기되
는 경우.

• 대표적인 대류열전달 계수 값
 자연대류 기체의 자연대류: h=2~25 W /  m K 
2

액체의 자연대류: h=50~1000 W /  m K 


2

 강제대류기체의 강제대류: h=25~250 W /  m2 K 


액체의 강제대류: h=50~20,000 W /  m K 
2

 상변화가 있는 경우: h=2500~100,000 W /  m2 K 


(boiling 또는 Condensation)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2-


HEAT TRANSFER

1.2.3. 복사(Radiation)
: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에 의한 열의 전달.
: 열전달에서 중요시하는 파장범위로는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등을 포함하는 0.1 ~ 100 m
범위의 전자파.

• 복사열전달의 특징 :
- 전달매개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전자파가 통과 가능한 매개체이어야 함.
- 전달 매개체가 없는 진공상태에서도 전달 가능하며, 이 경우 가장 많은 복사열이 전달.

• Stefan-Boltzmann law: 절대온도 T 인 흑체로부터 방출되는 복사


열유속(radiative heat flux) Eb 는 절대온도 T 의 4제곱에 비례한다. 즉,

Eb   T 4 : Stefan-Boltzmann law of radiation

여기서, 비례상수  는 Stefan-Boltzmann 상수라 하며


  5.6696 108 W /  m2 K 4 
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3-


HEAT TRANSFER

1) 무한히 큰 두 흑체 평판 사이의 유효복사 열전달량


q   A T14  T24 

<두개의 무한히 큰 흑체 평판>

2) 유한한 크기를 갖는 두 평판 사이의 유료 복사 열전달량


q   AFG T14  T24 

여기서, FG = shape factor( FG  1.0 ) : 벽1이 벽2를 볼 때의 차단율을 나타낸다.

<두개의 유한한 크기의 흑체 평판>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4-


HEAT TRANSFER

3) 만약 2) 의 경우 벽면이 흑체가 아닌 경우
q   AFG F T14  T24 

여기서 F  방사율 계수 (emissivity factor) ( F  1.0 )

4) 평판 사이에 복사 에너지를 흡수 및 방출하는 매체가 존재할 경우


복사강도 I W /  m2 sr  의 변화를 나타내는 수식.

I  x,   T  x  s
4

  I  x,         ,  'I  x,  ' d 
1
  : 복사열전달 방정식
x  4 1

 : 흡수계수  m1   s : 산란계수  m1   : 소멸계수  m 


1

 : 산란위상함수
  cos : 방향여현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5-


HEAT TRANSFER

1.3. 에너지 보존 방정식 : 열역학 제1법칙(에너지 보존 법칙)에 근거

<임의의 밀폐계>

dEst
Ein  Eg  Eout   Est
dt
Ein : system의 경계를 통하여 열적 또는 기계적 에너지의 입력되는 율
Eout : 기계적 에너지의 출력되는 율
Est : system에 저장된 에너지의 변화율
Eg : system 내부에서 생성되는 에너지 율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6-


HEAT TRANSFER

• 에너지 보존 법칙의 응용 방법

- 적절한 검사체적(control volume)의 설정 → system의 경계를 설정

- 단위시간당 system에 입출력되는 에너지량들을 확인

- 에너지의 입출력에 관련된 모든 과정들을 확인하여 그 전달 방향을 표시


(화살표를 이용)

- 에너지의 입출력 Balance를 고려하여 보존방정식을 유도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7-


HEAT TRANSFER

• 전도-대류-복사가 공존하는 복합열전달 문제

<벽면에서의 Energy balance>

qrad  F FG A Tw4  Ts4 


dT
qcond   kA qconv  hA Tw  T 
dy y 0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8-


HEAT TRANSFER

• Energy balance를 고려하면

→ (전도된 열량) = (대류에 의하여 뺏긴 열량) + (복사에 의하여 뺏긴 열량)

 hA Tw  T   F FG A Tw4  Ts4 


dT
→  kA
dy y 0

T : 유체의 온도 (free stream temperature).


Tw : 벽면의 온도.
Ts : 벽면과 복사열을 교환하는 주의의 벽 (또는 가상적인 벽)의 온도.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9-


HEAT TRANSFER

1.6. Units and dimensions(차원 및 단위)

차원 L : 길이 M : 질량 T : 온도 F:힘 t : 시간

• Newton의 제2법칙 : ( 힘 )  ( 운동량의 시간에 대한 변화율 )


d  mv 
F k
dt
m: 질량
v : 속도 mv : 운동량
t : 시간
k: 비례상수

• 만약 m= 상수 이면,

dv dv
F  km  a : 가속도
dt dt
 kma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0-


HEAT TRANSFER

• SI (System International) 단위계 : k  1


일량 : 1J  1N 1m
열량 : 1kcal  4182 J
동력 : 1W  1J / s
온도 : K  C  273.15 : Kelvin temperature
o

• 열전달에서 사용되는 양의 SI단위


힘 :  N  newton 질량 :  kg  kilogram mass
시간 :  s  second 길이 :  m  meter
온도 :  K  또는  o C  에너지 :  J  joule
동력 : W  watt

 W 
열전달계수  2o 
W
열전도율  o 
m C  m C 
 J 
비열  o  열유속(heat flux)  W2 
 kg C   m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1-


HEAT TRANSFER

H.W. #1 1.5, 1.11, 1.14, 1.18, 1.25, 1.29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2-


HEAT TRANSFER

 Chap. II 열전도 개요 (열전도 방정식의 유도)


1차원 열전도
Energy balance : q gen = qAdx
{Energy conducted in left face at x ( q x )
+ Heat generated within dx element ( qgen )}
= {Energy conducted out right face at x  dx ( qxdx )
+ Change in internal energy  dE / dt  } qx q x+dx
A
→ qx  qgen  qxdx  dE
dt
T
여기서, q   kA T=T(x,t)
x
x

T
qxdx   kA
x xdx : Taylor 전개

 T   T   -
  A k  k  dx  x dx
 x x  x  
: dx 2 이상이 곱해진 항들은 생략 .
dE T
  CA dx , qgen  qAdx
dt t
q : 단위 체적당 에너지 생성량 W / m3   : 물질의 밀도  kg / m3 
C : 물질의 비열  J / kg   C : 열용량(heat capacity)
→  C 가 작은 물질인 경우 온도를 높이는 데 작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함.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3-


HEAT TRANSFER

• 대입하여 정리하면
T  T   T   T
kA  qAdx   A  k  k  dx   CA dx
x  x x  x   t
  T  T
→ k   q   C : 1차원 열전도 방정식
x  x  t
Cons tan t heat generation : q

for Unsteady state : T  T  x, t 

Variable conductivity : k  k  x 
• 만약 k 가 상수이면
 2T q 1 T
 
 2 x k  t

여기서,  
k
: 물질의 열확산율 (thermal diffusivity) =
열전도량   m2 / s 
C 열축적량 
 가 큰 물질 : 열확산이 크다.
→ 열이 물질에 축적되는 것에 비하여 전도되는 양이 더 크다.
 가 작은 물질 : 열확산이 작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4-


HEAT TRANSFER

다차원(3차원 좌표계) 열전도 (열전도율 k 가 모든 좌표 방향으로 일정한 경우)


① x-y-z 좌표계 ( T  T  x, y, z, t  , k  k  x, y, z  )
여기서,
q z+dz  T T
 q   kA   kdydz
x x
x x
qx 

qxdx    k T    k T  dx  dydz
  x x x 
dz    
qy q y+dy  T
 q   kdxdz
y
y


q gen = q dxdydz q  T   T  
z   k  k  dy  dxdz
 y dy   y y  y  
q x+dx 
qz dx
 T
y
dy  zq   kdxdy
 z
x

qz dz    k T    k T  dz  dxdy
  z z 
  z  
qgen  qdxdydz
dE T
  CAdxdydz : 시간에 대한 내부에너지 변화율
dt 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5-


HEAT TRANSFER

• Energy balance :
dE
qx  q y  qz  qgen  qxdx  q y dy  qz dz 
dt
  T    T    T  T
→ k   k    k   q   C
x  x  y  y  z  z  t
: 3차원 x-y-z 좌표계에 대한 열전도 방정식
Cons tan t heat generation : q
for 
Unsteady state : T  T  x, y, z , t 

Variable conductivity : k  k  x, y, z 

• 만약 k  상수 이면
→  2
T  2
T  2
T q 1 T
   
x 2 y 2 z 2 k  t
T
• 만약 k  상수 및 q  0이고, steady state : T  T  x, y, z    0 이면
t
→  2T  2T  2T
  0
x 2 y 2 z 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6-


HEAT TRANSFER

Vector notations

① Rectangular x-y-z coordinate, T  T  x, y, z, t 


  ˆ  ˆ
  iˆ  j  k : “del” operator
x y z
T ˆ T ˆ T ˆ
→ T  i j k : temperature gradient
x y z
 T    T    T 
→    k T    k   k  k 
x  x  y  y  z  z 

그러므로, 3차원 열전도 방정식을 vector form으로 표시하면,


T
   kT   q   C 3차원 열전도 방정식
t

k  상수 이면,
q 1 T
 2T  
k  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7-


HEAT TRANSFER

② Cylinderical coordinate, T  T  r , , z, t 
 1  ˆ  ˆ
  iˆ  j  k 이므로
r r  z
1   T  1   T    T 
→    kT    kr   k 
r r  r  r 2     z  z 
k

③ Spherical coordinate, T  T  r , ,  
 1  ˆ 1  ˆ
  iˆ  j 2 2 k 이므로
r r  r sin  
1  T    T    T 
→    kT   2  kr 2
1 1
     
r  r 2 sin 2      r 2 sin 2   
k k sin
r r  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8-


HEAT TRANSFER

경계조건 및 초기조건
• 경계조건 : system의 경계에서 조건에 따른 열전달의 결과를 필요.
• 초기조건 : 비정상 상태 열전달의 경우에는 초기의 조건에 따라 열전달 결과가 다름.

< 경계조건 >


1) Dirichlet 조건 : 경계면에서 구하고자하는 온도값이 주어진 경우
2) Nuemann 조건 : 온도구배값(또는 heat flux)이 주어진 경계면
ex) 단열면 : q  0 이므로 → T  0
x
3) Convection 조건 : 경계면으로 전달된 열이 대류에 의하여 제거되는 경우
ex) q   k T  h T  T  L  
x xL
x
qx h

T
x=L
< 초기조건 >
: 시간 t  0 일 때 system의 온도 조건(온도 분포 등)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9-


HEAT TRANSFER

H.W. #2 2.6, 2.28, 2.31, 2.32, 2.43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30-


HEAT TRANSFER

 Chap. 3. 1차원 정상상태 열전달


(One-dimensional steady-state conduction)

▶ 1차원 열전달의 예

1. 무한히 큰 평판의 두께 방향으로만 온도 변화가 있는 경우 두께방향으로만 열전달


T  T ( x)

2. 온도 변화가 r 방향으로만 있는 무한히 긴 원통의 r 방향으로의 열전달 T  T (r )

3. 온도 변화가 r 방향으로만 있는 구(sphere)의 r 방향으로의 열전달 T  T (r )

.
.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31-


HEAT TRANSFER

▶ 평판(plane wall)

d dT
• 방정식 : (k )0
dx dx

<무한히 큰 평판을 통한 열전도>


① k = 상수인 경우
d 2T
방정식 : 2
0 적분 → T  c1 x  c2
dx
경계조건 : (T ) x0  Ts ,1  c2 ∴ c2  Ts ,1
(T ) xL  Ts ,2  c1L  c2 ∴ c1  (Ts ,2  c2 ) / L
 (Ts ,2  Ts ,1 ) / L
x
∴ T  (Ts ,2  Ts ,1 )  Ts ,1 : 평판을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의 온도분포
L
dT Ts ,2  Ts ,1
온도구배 →   상수
dx L
dT T T
열유속 → q / A  k  k s ,2 s ,1  상수
dx L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32-


HEAT TRANSFER

② k  k0 (1   T ) 인 경우 : 열전도율이 온도의 함수 (  = 상수)

• 열전도 방정식 :

d dT dT
[k0 (1   T ) ]  0 적분 → k0 (1   T )  c1
dx dx dx
→ k0 (1   T )dT  c1dx

→ k0 (T  T 2 )  c1 x  c2
2
• 경계조건 :
 
(T ) x0  Ts ,1 : k0 (Ts ,1  T 2 s ,1 )  c2   c2  k0 (Ts ,1  T 2 s ,1 )
2 2

(T ) xL  Ts ,2 : k0 (Ts ,2  T 2 s ,2 )  c1 L  c2
2 k0 
  c1  [(Ts ,2  Ts ,1 )  (T 2 s ,2  T 2 s ,1 )]
L 2
• 평판 내의 온도 분포 :
  x 
T T 2  [(Ts ,2  Ts ,1 )  (T 2 s ,2  T 2 s ,1 )]  (Ts ,1  T 2 s ,1 )
2 2 L 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33-


HEAT TRANSFER

• 온도 구배 :

dT dT 1 
 T  [(Ts ,2  Ts ,1 )  (T 2 s ,2  T 2 s ,1 )]
dx dx L 2

dT 1 
  [(Ts ,2  Ts ,1 )  (T 2 s ,2  T 2 s ,1 )]
dx L(1   T ) 2

• 열 유속 :

dT
q / A  k0 (1   T )
dx
k0 
 [(Ts ,2  Ts ,1 )  (T 2 s ,2  T 2 s ,1 )]
L 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34-


HEAT TRANSFER

▶ 열저항(Thermal resistance) 개념의 도입

• 열전도
Ts ,2  Ts ,1 Ts ,1  Ts ,2 Ts ,1  Ts ,2
q  kA  
L ( L / kA) Rt
여기서, Rt  L /(kA)[C / W ] : 전도 열저항(conduction Thermal resistance)

• 전기저항과의 비교 :

열전달 전기
열유전달량( q ) 전류( I )
온도차( T) 전압차( V )
열저항( Rt ) 저항( R )

< 열전도 및 상당 전기 회로 >


• 대류 열전달
Ts  T
q  hA(Ts  T ) 
(1/ hA)
여기서, Rt  1/(hA) [C / W ] : 대류열저항(convection thermal restistance)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35-


HEAT TRANSFER

• 대류–전도–대류 system

T ,1  T ,2 T,1  T,2
q 
R t Rt ,1  Rt  Rt ,2

1 T ,1  Ts ,1
Rt ,1  q
h1 A Rt ,1
<대류-전도-대류 시스템의 열저항>
1 Ts ,1  Ts ,2
Rt ,2  
h2 A Rt
T ,1  T ,2
1 Ts ,2  T ,2 → q
Rt   1

L

1
kA Rt ,2 h1 A kA h2 A
T T
  ,1  ,2
Rtot
1 L 1
여기서, Rtot   
h1 A kA h2 A
• : total thermal resistance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36-


HEAT TRANSFER

• 열저항을 고려한 복사열전달


Ts  T
q  hr A(Ts  T ) 
Rt
1
여기서, Rt  [C / W ] : 복사열저항(radiation thermal resistance)
hr A
hr : 복사열전달계수 [W / m2  K ]

q   FG Fe A(Ts 4  T 4 )
  FG Fe A(Ts 2  T 2 )(Ts 2  T 2 )
  FG Fe A(Ts 2  T 2 )(Ts  T )(Ts  T )
 hr A(Ts  T )

 hr   FG Fe (Ts 2  T 2 )(Ts  T ) : 온도의 함수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37-


HEAT TRANSFER

• 여러 겹으로 된 평면벽

< 여러 겹으로 된 평판 및 열저항 >

T ,1  T ,4 T,1  T,4
q 
R t
1

LA

LB

LC

1
h1 A k A A k B A kC A h4 A

T ,1  Ts ,1 Ts ,1  T2 T2  T3 T3  Ts ,4 Ts ,4  T,4
또한, q    
1 LA LB LC 1
h1 A kA A kB A kC A h4 A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38-


HEAT TRANSFER

▶ 총괄 열전달계수(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U)의 정의

q  U  A  T : 열전달 량 여기서, U : 총괄 열전달계수 [W /(m2 C )]


예) 여러 겹으로 된 평판의 경우
q  U  A  T
T

Rtot
 U  A  (T,1  T,4 )
T ,1  T ,4

1 LA LB LC 1
   
h1 A k A A k B A kC A h4 A
1
 U : 총괄 열전달계수
1 LA LB LC 1
   
h1 k A k B kC h4
T 1
• 따라서, Rtot   Rt  
q UA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39-
HEAT TRANSFER

▶ 복합 벽면(Composite wall), AF  AG  A / 2

T1  T2 T1  T2
q  
 Rt  
LE  1  L
  H
k E A  1/ LG  1/
LG  kH A
 k ( A / 2) kG ( A / 2) 
 F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40-


HEAT TRANSFER

▶ Contact Resistance
: 복합구조로 된 물체를 통하여 열이 전달될 때 두 물체의 접촉면에서는 완전한 접촉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접촉 열저항이 발생
→ 열전도율( k )이 낮은 공기층이 존재하기 때문

TA  TB
q : (고체 접촉면을 통한 열전도) + 공기층을 통한 열전도(대류, 복사)
Rt ,c
여기서, Rt ,c : 접촉열저항(Thermal contact resistance)
: 접촉열저항은  접촉면의 roughness(조도)  등에 따라 다른 값을
 
 접촉면에 가해지는 압력 
 접촉부위의 공간 (gap) 
 
갖게 되므로 이론적인 해석보다는 해당 복합구조물에 대한 직접적
인 실험이 가장 정확하게 구할 수 있는 방법이다.
: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1.쉽게 변형되는 금속재를 두 물질 사이에 삽입  납, 은, 동


2.두 물질 사이에Thermal grease를 투입  실리콘계 thermal grease.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41-


HEAT TRANSFER

▶ 1차원 정상상태 열전도에 대한 다른 접근방법 : Integral approach


steady state

 No heat gereration
 No heat loss from the sides

⇒ 1차원 열전도 이므로

T  T ( x)
qx  qx  dx  constant : energy balance에 의하여
dT ( x)
• Fourier’s law : qx  k (T )  A( x)
dx
1
• 변수 분리 → qx  dx  k (T )dT ( x)
Ax ( x)
1 T1
qx  dx    k (T )dT
1
• 적 분 →
x  x0 A( x ) T T0

Ex) 만약, A  상수, k =상수 인 경우


qx k (T0  T1 ) q T
  x  k
A( x) x1  x0 A( x) x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42-
HEAT TRANSFER

<Ex> 원추형 시스템


 D2  a2 x2
• D  ax 인 경우  A  A( x)   k  상수
4 4

• ① 임의의 x 위치에서의 온도분포 T ( x)
T2 T1 x 1 T
qx  dx    kdT
x1 A( x ) T1

x 1
 qx  dx  k (T  T1 )
x1  a 2 x 2

4
4 x 2
 qx 2  x dx  k (T  T1 )
 a x1
4q x 1 1
 (  )  k (T  T1 )
a 2
x x1
4q x 1 1
T  T ( x)  T1  (  )
 a k x1 x
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43-


HEAT TRANSFER

② qx 값

x  x2 일때 : T ( x2 )  T2 이므로

4q x 1 1
T2  T1  (  )
 a k x1 x2
2

 a 2 k (T1  T2 )
qx 
4(1/ x1  1/ x2 )
1/ x  1/ x1
따라서, T  T ( x)  T1  (T1  T2 )
1/ x1  1/ x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44-


HEAT TRANSFER

< Cylinder에서의 1차원 열전도(반경방향으로의 열전달) >

1 d dT
> 열전도 방정식 : (k  r  )  0
• r dr dr
• 정리 d dT
(k  r  )  0
dr dr
• > 온도 분포 :
dT
• 적 분 → kr  C1
dr
C dr
• 변수분리 → dT  1
k r
적 분 ( k =상수인 경우 )

T C1 r dr
< 1차원 원통형 시스템>

0 dT  k 0 r  C2
C
  T  T (r )  1 ln r  C2
k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45-


HEAT TRANSFER

C1
> 경계조건 at r  r1 ; T  Ts ,1  ln r1  C2
k
C
at r  r2 ; T  Ts ,2  1 ln r2  C2
k
k (Ts ,1  Ts ,2 )
 C1 
ln(r1 / r2 )
k (Ts ,1  Ts ,2 )
C2  Ts ,2  ln r2
ln(r1 / r2 )
1 k (Ts ,1  Ts ,2 ) Ts ,1  Ts ,2
 T (r )  ln r  Ts ,2  ln r2
k ln(r1 / r2 ) ln(r1 / r2 )
Ts ,1  Ts ,2
 T (r )  ln(r / r2 )  Ts ,2
ln(r1 / r2 )
: Cylinder의 r 방향으로의 온도분포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46-


HEAT TRANSFER

> r 방향으로의 열전달량

dT
qr  상수=-kA A  2 rL : 길이 L인 Cylinder
dr
dT
 qr  2 kLr
dr
dT Ts ,1  Ts ,2 1
 
dr ln(r1 / r2 ) r
Ts ,1  Ts ,2 1
 qr  2 kLr 
ln(r1 / r2 ) r
Ts ,1  Ts ,2
=  2 kL 여기서, ln(r1 / r2 )   ln(r2 / r1 )
ln(r1 / r2 )

따라서,
Ts ,1  Ts ,2
 qr  2 kL
ln(r2 / r1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47-


HEAT TRANSFER

> 원통형 시스템의 열저항

Ts ,1  Ts ,2 ln(r2 / r1 )
 qr  여기서, Rt 
Rt 2 kL

• < 원통형 시스템에서의 1차원 열전도 및 상당 전기 회로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48-


HEAT TRANSFER

▶ 대류–전도–대류 System --- 원통좌표계


< 대류-전도-대류 system >

1 1 1 1 ln(ro / ri )
Rt ,i   Rt ,o   Rt 
Ai hi 2 ri Lhi Ao ho 2 ro Lho 2 kL

Ti  T Ti  T
 qr  
 Rt 1

ln(ro / ri )

1
2 ri Lhi 2 kL 2 ro Lho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49-


HEAT TRANSFER

▶ 복합 원통(Composite Cylinder)

< 복합 원통 >
T ,1  T ,4
 qr 
1 ln(r2 / r1 ) ln(r3 / r2 ) ln(r4 / r3 ) 1
   
2 r1 Lh1 2 k A L 2 k B L 2 kC L 2 r4 Lh4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50-
HEAT TRANSFER

• 또는, 총괄열전달계수 U를 도입하여,

T1  T 4
qr 
 Rt
=U1 A1 (T ,1  T ,4 )
=U 2 A2 (T ,1  T ,4 )
=U 3 A3 (T ,1  T ,4 )
=U 4 A4 (T ,1  T ,4 )

• 여기서,
1
U1 
1 r1 r r r r1
 ln(r2 / r1 )  1 ln(r3 / r2 )  1 ln(r4 / r3 ) 
h1 k A kB kC r4 h4

U 2 ,U 3 ,U 4 도 유사한 형태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51-


HEAT TRANSFER

• <Example> Optimum insulation thickness for tubes

Ti  T T T
 qr   i 
ln(r / ri ) 1 Rtot

2 kL 2 rLh

ln(r / ri ) 1
여기서, Rtot    f (r )
2 kL 2 rLh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52-


HEAT TRANSFER

> Rtot 의 최대 또는 최소값은 dRtot / dr  0 에서 존재

dRtot 1 ri 1
즉,  
dr 2 kri L r 2 Lhr 2
1 1 1 1
=  0
2 kL r 2 hL r 2

⇒ r  rc  k / h 에서 Rtot 는 최대 또는 최소값을 갖는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53-


HEAT TRANSFER
> r  k / h 에서 Rtot값이 최대인지 최소인지 확인하는 방법 ;

 d 2 Rtot 
곡률  2 
0 이면 Rtot 는 최소
 dr r  k
h
 d Rtot 
2
곡률  2 
0 이면 Rtot 는 최대
 dr r  k
h
2
d Rtot 1 1 1 1
즉,  
dr 2 2 kL r 2  hL r 3
 d 2 Rtot  1 h2 1 h3
 2 
 
 dr r  k 2 kL k 2
 hL k 3
h

h2
= 0
2 Lk 3

따라서, r  k / h 에서 Rtot 는 최소
→ qr 는 최대
→ Optimum 두께는 존재하지 않는다.
임계두께 : r at r  k / h ; q
c r : 최대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54-
HEAT TRANSFER

< 구 좌표계에서의 1차원 열전도> steady state



q  0
T  T (r )

> 방정식 :
1 d 2 dT d 2 dT
2
( kr )  0  ( kr )0
r dr dr dr dr
2 dT
적 분  kr  C1 k  상수인 경우
dr
변수분리  dT  1
C dr
적분  T  1 
C  1
   C2
k r 2
k  r
C1 k (Ts ,1  Ts ,2 )
> 경계조건 ; r  r1 : T  Ts ,1    C2 C1  
kr1 1/ r1  1/ r2
C1 r2Ts ,2  rT
r  r2 : T  Ts ,2    C2 C2   1 s ,1

kr2 r2  r1
Ts ,1  Ts ,2 r2Ts ,2  r 1Ts ,1
 T   : 온도분포
1 1 r2  r 1
r  
 r1 r2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55-
HEAT TRANSFER

> 열전달량(heat transfer rate)

q  kA
dT
, A  4 r 2 , dT Ts ,1  Ts ,2 1
  2
dr dr  1 1  r
r r 
 1 2
 dT 
q  qr r1  qr r2  k 4  r 2 
 dr 
 2 Ts ,1  Ts ,2 1 
=  4 k  r  2
 1/ r1  1/ r2 r r r1
Ts ,1  Ts ,2
=
1 1 1
  
4 k  r1 r2 
Ts ,1  Ts ,2
=
Rt
1 1 1
•  Rt     : 구(sphere)좌표 시스템의 전도 열저항
4 k  r1 r2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56-


HEAT TRANSFER

> 대류-전도-대류 System (구 좌표계)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57-


HEAT TRANSFER

T ,1  Ts ,1 1 1
q ; Rt ,1  
Rt ,1 h1 A1 4 r12 h1
Ts ,1  Ts ,2 1 1 1
= ; Rt    
Rt 4 k  r1 r2 
T ,2  T ,2 1 1
= ; Rt ,2  
Rt ,2 h2 A2 4 r2 2 h2

또는,
T ,i  T ,2
q
R t

T ,1  T ,2
 : 구 좌표계의 대류-전도-대류 시스템.
1 1 1 1 1
    
4 r12 h1 4 k  r1 r2  4 r2 2 h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58-


HEAT TRANSFER

< Heat generation이 있는 1차원 system >

• 저항 Re 인 도체에 전류 I 를 흐르게 할 때 발생되는 에너지 : Eg [W ]


Eg  I 2  Re

• 도체의 체적이 V [m3 ] 인 경우 :


Eg I 2  Re
q  [W / m3 ] : 단위 체적당 열 발생량
V V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59-


HEAT TRANSFER

[1] 평면 벽
> 열전도 방정식 ( k  상수 ) :

d 2T q
2
 0
dx k
q
> 적분하여 온도분포를 구하면 : T  T ( x)   x 2  C1 x  C2
k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60-


HEAT TRANSFER

> 경계조건 : qL2


x   L : T  Ts ,1    C1 L  C2
k
qL2
x  L : T  Ts ,2    C1 L  C2
k
Ts ,1  Ts ,2
C1 
2L
q 2 Ts ,1  Ts ,2
C2  L 
2k 2

q x 2 Ts ,1  Ts ,2 x Ts ,1  Ts ,2
T ( x )  (1  2 )    : 온도 분포
2k L 2 L 2

> 임의의 x 위치에서의 hear transfer , q [W ]


dT
q  kA  q( x) : x 의 함수
dx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61-


HEAT TRANSFER

> 최고 온도 값을 갖는 위치는

dT dT
0 인 x 위치 ( 즉, q  kA 0 이므로 단열면 )
dx dx
즉, dT qL2 Ts ,2  Ts ,1
  2 xmax  0
dx kL 2L
k (Ts ,2  Ts ,1 )
 xmax  : T  Tmax 인 위치
2L
> 만약, Ts  Ts,1  Ts ,2 인 경우
qL2 x2
T ( x)  (1  2 )  Ts
2k L

따라서, 최고 온도 값을 갖는 위치, xmax


dT qL2
  2 xmax  0   xmax  0 : 중간 위치
dx kL
T ( x)  Tmax  x 
2
qL2  
이 경우 최고 온도는 :  Tmax   Ts 무차원 온도 :
2k Ts  Tmax L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62-
HEAT TRANSFER

< 열 발생이 있는 평판의 표면 온도 Ts 를 구하는 방법 >


(1) x  L 인 위치에서의 에너지 Balance
: ( 전도 ) = ( 대류 )
dT
kA  hA(Ts  T )
dx x L
dT q dT qL
여기서,  x   
dx k dx xL k
qL qL
  k ( )  h(Ts  T )  Ts =T +
k h
: 양 표면의 온도가 Ts 인 경우 T 인 유체와의 대류열전달을 할 때의 벽면온도.

(2) 또 다른 방법
: (생성된 총 에너지량(빗금 친 한쪽부분)) = (대류에 의하여 빼앗긴 열량(빗금 친 한쪽부분)) 이므로

 q  A  L  hA(Ts  T )
qL
 Ts =T +
h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63-


HEAT TRANSFER

[2] 원통형 System :


 길이 L  인 원통
 
 반지름 ro

> 방정식 :

1 d  dT q
r  0
r dr  dr
 k
d  dT  q
 r    r
dr  dr  k
dT q
적분 r   r 2  C1
dr 2k
dT q C1
  r
dr 2k r
q 2
적분 T   r  C1 ln r  C2
4k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64-


HEAT TRANSFER

> 경계조건
q
r  r0 : T  Ts ; T  Ts   r0 2  C1 ln r0  C2
4k
dT
r  00 : 0
dr

> 중심선 :  dT q 2
r
 dr   r  C1
2k

(r ) r 0   dT    q  02  C1
  dr r 0 2k
 C1  0
q
 C2  Ts  r0 2
4k
q q 2
T (r )   r 2  r0  Ts
4k 4k
q 2 2
 T (r )  (r0  r )  Ts
4k
qr0 2 r2
또는, T (r )  (1  2 )  Ts
4k r0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65-
HEAT TRANSFER

> Normalization (무차원화)

q 2
r  0 : T (0)  T0  C2  r0  Ts : 중심선 온도
2
4k
T (r )  Ts r
 1  
T0  Ts  r0 
> Heat transfer rate :

dT
q  kA  q(r ) , A  2 rL
dr

> 열이 발생되는 원통의 표면 온도


: ( 원통내부에서 발생된 열량 , (q   r0 L) ) = (대류에 의하여 빼앗긴 열량, [h  2 r0 L  (Ts  T )] )
2

 (q   r0 2 L)  h  2 r0 L  (Ts  T )
qr0
 Ts  T  : 원통의 표면 온도
2h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66-


HEAT TRANSFER

< Extended surface로 부터의 열전달 > --- Finned surface


: 일반적으로 전도 열저항보다 대류 열저항이 더 큰 값을 갖기 때문에 대류 열전달 면적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고려.

<Bare surface> <Finned surface>

Ti  T
q 대류열전달계수h 가 작은 경우 :
1 x 1 x
 일반적으로,  이므로 Aconv 를 증가시키면
hAconv kAcond hAconv kAcond
대류 열저항이 작아져서 열전달이 촉진됨
Fin 부착으로 Aconv 를 증가시킬 수 있음.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67-


HEAT TRANSFER

< Fin의 종류 >

- 일정단면을 갖는 Straight Fin - 불균일 단면을 갖는 Straight Fin

- 환 형 Fin(Annular Fin) - Pin fin

 Fin volume 당 열전달 : 포물선형 fin > 삼각형 fin > 사각형 fin
 그러나, 제조경비를 감안할 때 삼각fin이 가장 유리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68-


HEAT TRANSFER

< Fin에서의 열전달해석(일반적인 Fin) > : 임의 단면을 갖는 fin

> Fin의 미소길이 dx에서의 energy balance :  q  q  dq


x xdx conv
dT
여기서, 전도 : qx  kAc
dx
dqx d 2 qx (dx)2
qxdx  qx  x 2
 ....... : Taylor Series 전개
dx dx 2
dx는 아주 작으므로 ( dx) 2 이상의 고차항은 무시
dT d  dT 
 qxdx  k[ Ac   Ac  dx]
dx dx  dx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69-
HEAT TRANSFER

표면에서의 대류 : dqconv  dAs  h(T ( x)  T )

> 따라서,
dT dT d  dT 
  kAc  k[ Ac   Ac  dx]  dAs  h  (T  T )
dx dx dx  dx 

d  dT  h dAs
  Ac  (T  T )  0 : 불균일 단면을 갖는 fin의 열전달 방정식
dx  dx  k dx

d 2T  1 dAc  dT  1 h dAs 
또는,
2
    (T  T )  0
dx  Ac dx  dx  Ac k dx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70-


HEAT TRANSFER

< 균일한 단면적을 갖는 fin >

> 방정식 :  Ac  const 이므로 d 2T hP


  (T  T )  0
 dx 2
kAc
dAs  dx  P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71-


HEAT TRANSFER
여기서, excess temperature   T  T 를 도입하자.

 : fin의 x 위치에서의 온도( T 주위유체의 온도( T )의 차이.
)와

d 2 hP  d
 d (T T )  dT 이므로 

   0 
dx2 kAc  dx dx dx 
d2
hP ⇒ 일반해 :   C1e  C2 e
mx  mx
 2
m  0
2
여기서, m 
2

dx kAc
> 경계조건 : 1. At x  0 : T  Tb   =Tb  T  b
2. At x  L : ① 전도된 열 = 대류에 의하여 제거된 열(Case A)

 dT   d 
kAc    hA c (T  T )
 xL   kAc   hAc ( L)
 dx  xL  dx  xL
② fin의 끝단이 단열인 경우(Case B)
 d 
  0
 dx  x L
③ fin 끝단의 온도가 주어진 경우(Case C)
 ( L)   L
④ 무한히 긴 fin(Case D)
T ( L)  T   ( L)  T ( L)  T  0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72-
HEAT TRANSFER

< 경계조건에 따른 해 >


① Case A ( fin 끝에서의 전도 = 대류 조건 )
At x  0 :  =C1  C2 (A)

 d  (B)
At x  L : h ( L)  k    h(C1e mL  C2e  mL )  km(C2e  mL  C1e mL )
 dx  x L
(A) 및 (B)식으로부터
C1 및 C2 를 구하여 해에 대입하면
 cosh[m( L  x)]  (h / mk )sinh[m( L  x)]
 
b cosh(mL)  (h / mk )sinh(mL)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73-


HEAT TRANSFER

> fin으로 전달되는 열량(fin에 의하여 base로부터 제거되는 열량) , qf

 dT 
q f  qb  kAc  
 dx  x0
 d 
=  kAc  
 dx  x0
h
sinh mL  cosh mL
 h  P  k  Ac  b  mk
h
cosh mL  sinh mL
mk
L
=  h[T ( x)  T ]dAs
0
L
  h dAs
0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74-


HEAT TRANSFER

② Case B(fin 끝단이 단열된 경우)


At x  0 :   b  C1  C2
 d   mL
At x  L :    0  C1e  C2e  0
mL

 dx  x L
 cosh m( L  x)
·온도분포 :  
b cosh mL
 d 
·열전달량 :  q f  kAc  
 dx  x0
= h  P  k  Ac  b  tanh mL

③ Case C(fin 끝단의 온도가 주어진 경우)


At x  0 :   b  C1  C2
At x  L :  = b  C1emL  C2e mL
 ( /  )sinh mx  sinh m( L  x)
·온도분포 :
  L b
b sinh mL L
cosh mL 
·열전달량 :
 d  b
 q f  kAc   = h  P  k  Ac  b 
 dx  x0 sinh mL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75-
HEAT TRANSFER

④ Case D(무한히 긴 fin)

At x  0 :   b  C1  C2 
 C2  b
At x  L   :   0  C1emL  C1  0 


·온도분포 :   e mx
b
 d 
·열전달량 :  q f  kAc  
 dx  x0
= h  P  k  Ac  b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76-


HEAT TRANSFER

< Fin의 성능 >

> Fin 효과 (fin effectiveness), f


fin이 설치된 경우의 열전달
f 
fin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의 열전달
qf qf
= =
hAc  (Tb  T ) hAc  b
* f 2 인 경우 fin을 설치하는 효과가 있다고 판단 (fin의 설치여부 판단에 이용)

> Fin 효율 (fin efficiency),  f (0   f  1.0)


실제 fin에서의 열전달(q f )
f 
fin의 전체표면온도가 Tb인 경우의 열전달(qmax )
qf qf
= =
Af  h  (Tb  T ) Af  h  b
여기서, Af : fin의 전체 표면적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77-


HEAT TRANSFER

> 끝단이 단열된 fin의 경우 (Case B)

hPkAc  b  tanh mL
f 
hPLb
tanh(mL)  L  0 :  f  1
= 
mL  L   :  f  0
: 이 결과는 끝단이 단열되지 않은 경우의 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다.

> 끝단부의 대류 열전달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fin의 길이 L을 다음과 같이 조절

Lc  L  t / 2
tanh mLc
 f  : 끝단이 단열되지 않은 fin의 효율
mLc
ht
:  Biot Number  0.0625 인 경우 위와 같은 계산에 의한
k 오차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임.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78-


HEAT TRANSFER

< Fin이 부착된 surface 에서의 열전달 >


> Fin의 효율  f : fin이 부착된 전열면의 열전달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fin이 부착된 전열면의
온도가 fin 기초부의 온도와 같을 때의 열전달( q f )과 fin이 부착된 후 실제 전달되는 열전달( qmax )의 비.

실제 전달되는 열량
f 
fin표면의 온도가 Base의 온도 Ts 와 같을 때의 열전달량
= q f /qmax
qf
=
hAf (To  T )

여기서, q f : fin 부착면으로 부터의 실제 열전달.


qmax : fin 전체의 표면 온도가 fin이 설치된 기준면의 온도와 같은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의 열전달량.
qmax  h  Af  b : fin 전체 표면의 온도가 Tb 인 경우의 열전달.
Af : fin의 표면적.
To : fin 기준면의 온도.
T : 주위 유체의 온도.
h : fin 표면의 대류열전달 계수.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79-


HEAT TRANSFER

> 유용한 fin 효율식 :


tanh(m  Lc ) hP
f  여기서, m
(m  Lc ) kAc

P : fin의 둘레 길리, P  2(b  t )

Ac : fin의 단면적 Ac  b  t

Lc : 수정된 fin의 길이 (corrected length)

i) fin의 끝단이 단열된 경우 : Lc  L


ii) fin의 끝단에서도 대류가 있을 경우
(i) 사각형 fin :
Lc  L  t / 2
(ii) 원주형 fin:
Lc  L  d / 4

< 평판에 부착된 사각 fin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80-


HEAT TRANSFER

< 평판에 부착된 fin의 효율 > < 원관에 부착된 fin의 효율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81-


HEAT TRANSFER

> 총괄 표면효율( total surface effectiveness), t

- Fin이 설치된 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총 열전달량 qtotal : 에너지 보존식

qtotal  q fin  qnofin

여기서,
qtotal  At t  h  (Ts  T )
q fin  Af  f  h  (Ts  T )
qnofin  ( At  Af )  h  (Ts  T )
또한,
At : total heat transfer area
t : total surface effectiveness
Af : fin surface area
At  Af  b  w
=2(b  t ) Lc  b  w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82-


HEAT TRANSFER

- 각각을 대입하면,

At t  h  (Ts  T )  Af  f  h  (Ts  T )  ( At  Af )  h  (Ts  T )

- 양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총괄 표면효율(total surface srrectiveness) t 를 얻게됨 :


Af
t  1  (1   f )
At
- 따라서 fin 이 부착된 면에서 대류열전달
qtotal  At t  h  (Ts  T )
Ts  T

 1 
 

 t t 
A   h
T T
 s 
( R )t
1
여기서, Rt  : fin 부착 표면의 총괄 열저항
At t  h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83-


HEAT TRANSFER

> Fin이 부착된 표면에 대한 총괄 열전달 계수 U


1) Fin 부착 복합평판 (Plane composite finned wall)
1
UA 
1 R ft l lj 1
  
t Ai hi Ao j 1 Aj k j to Ao ho
여기서, R ft : total fouling factor (안쪽, 바깥쪽의 영향 모두 고려)

• < 양변에 fin이 부착된 다중 평판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84-


HEAT TRANSFER

2) Fin 부착 복합원통 (Cylinderical composite finned wall)


1
UAref 
1 R ft l ln( j 1 /  j ) 1
  
t j Ai hi Ao j 1 2 k j l to Ao ho
여기서, Aref 는 U 를 산출할 때 기준이 되는 면의 전열 단면적

< 양면에 fin 이 부착된 다중 원관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85-


HEAT TRANSFER

H.W #3 3.4, 3.11, 3.13, 3.27, 3.46, 3.64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86-


HEAT TRANSFER

 Chap. 4. Steady State, multi-dimensional


Condition
* 2차원 열전도 : 온도의 분포가 두 개의 좌표를 따라 동시에 변하는 경우의 열전달.

예) · x-y 좌표계 : 아주 긴 사각 기둥의 각 표면들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때 중간


단면에서의 열전달 → Z 축 방향으로는 온도 변화가 없는 경우.

· r-z 좌표계 : 길이 L인 원통의 표면 온도가  방향으로는 일정한 경우의 열전도.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87-


HEAT TRANSFER

* Isotherms(등온선) : 2차원 System에서 온도가 일정한 위치를 연결하는 연속적인 선.


* Heat flow lines(열흐름선) : 등온선과 직각을 이루는 선으로서 열유속 벡터(Heat flux vector)가 지시하는
방향과 접선을 이루는 선.

q  iqx  jqy


  T
 xq   k
x

qy  k T
 y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88-


HEAT TRANSFER

* 2차원(또는 3차원) 열전도 (정상상태 또는 비정상상태) 문제의 해석 방법

- Analytical method : 수학적인 엄밀한 해석 → 변수 분리법 이용.

- Graphical method : 등온선 및 열유속 Vector를 이용하여 대략적인 해를 구하는 방법.

- Numerical method : 유한차분법(FDM)등과 같은 수치 해석적인 방법.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89-


HEAT TRANSFER

< 변수 분리법을 이용한 엄밀해 (Exact solution by the separation of variables) >
: 2차원 정상상태 열전도 문제

T  T ( x, y )

 steady state
q  0

지배 방정식 :  2T  2T
 2 0
x 2
y
경계조건 : T (0, y )  T1
T ( L, y )  T1
T ( x,0)  T1
T ( x, w)  T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90-
HEAT TRANSFER

T  T1  2 1  2T
* 변수 변환 :  로 두면,  
T2  T1 x 2
T2  T1 x 2
 2 1  2T
 2 
y T2  T1 y 2
 2  2 1   2T  2T 
  2   2  2 0
x 2
y T2  T1  x y 

 
2 2 0

지배 방정식 :  2 0
x 2
y
T1  T1
경계 조건 :
 (0, y )  0  (0, y )  0
T2  T1 
T T 
 ( L, y )  1 1  0  ( L, y )  0
T2  T1 
T T 
 ( x,0)  1 1  0  ( x,0)  0
T2  T1 
T T 
 ( x, w)  2 1  1  ( x, w)  1
T2  T1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91-
HEAT TRANSFER

* 변수 분리법
: 온도 분포  ( x, y ) 를 다음과 같이 x 만의 함수( X )및 y 만의 함수( Y )의 곱으로 표시할
수 있다고 가정

즉,  ( x, y)  X ( x)  Y ( y)
 2 d2X
 2  Y ( y) 2
x dx d2X d 2Y
 Y 2
X 2 0
 2 d 2Y dx dy
 X ( x) 2
y 2
dy
1 d 2 X 1 d 2Y  d2X 2
  왼쪽 항으로 부터: dx 2 + X =0

2
X dx Y dy 2
즉,  2
오른쪽 항으로 부터: d Y 2
- Y =0
x만의 함수 y만의 함수

양변은 각각 상수이다.  dy 2

( 2으로 표시)
 2 : 변수분리 상수.

: 1개의 2차 편미분 방정식 ⇒ 2개의 2차 상미분 방정식으로 변환되었음.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92-


HEAT TRANSFER

여기서,  2 의 가능성을 살펴보면;


 2  0 인 경우에만 주어진 경계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따라서,   0 인 경우만 고려하고 있다.
2

이 경우 각 방정식의 일반해는 ;

d2X 2
2
+ X =0  X  C1 cos  x  C2 sin  x : x 경계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좌우 대칭.
dx
d 2Y 2  x y
2
+ Y=0  Y  C3 e  C 4 e : y 경계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지수함수적 변화.
dy

따라서, 무차원 온도  ( x, y) 의 일반해는 ;

  ( x, y)  X  Y  (C1 cos  x  C2 sin  x)(C3e x  C4e y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93-


HEAT TRANSFER

미지계수 C1 , C2 , C3 , C4 및  를 구하기 위하여 경계 조건을 적용 ;

ㅡ.  (0, y)  C1 (C3e  x  C4e y )  0


 C1  0   C2 sin  x(C3e  x  C4e y )
ㅡ.
 ( x,0)  C2 sin  x(C3  C4 )  0 (C2는 0이 아니어야 함)
 C3  C4  0  C3  C4
  C2C4 sin  x(e x  e  y )

ㅡ.  ( L, y )  C2C4 sin  L(e x  e   y )  0


 C2C4  0 , e x  e   y  0 이므로
sin  L  0 이어야 함
n
  L  n   =
L
 n  0   =0 : 경계 조건을 만족할 수 없음 
    
 n 0 n 1 인 경우와 중복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94-


HEAT TRANSFER

n x n y / L  n y / L
  =C2C4 sin (e e )
L
n y / L
 n y  e  e n y / L
여기서, sin   이므로
 L  2
 n x   n y 
  ( x, y )=C2C4 sin   sinh  
 L   L 

또한,  ( x, y ) 는 n  1,2,3,.. 에 대하여, 임의의 상수 C2  C4  Cn 인 값을 갖을 수 있다.


이러한 모든 n 값에 대한  값을 합한 것이 일반해 이므로

 n x   n y 
 ( x, y)= Cn sin   sinh  
n=1  L   L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95-


HEAT TRANSFER

ㅡ. Cn 을 결정하기 위하여 나머지 경계 조건을 이용하면 ;


 n x 

 n W 
 ( x,W )=  Cn sin   sinh   1
n=1  L   L 

 n x   n W 
  An sin   1 여기서, An =Cn sinh  
n=1  L   L 
상수 An 을 구하기 위하여 직교함수(Orthogonal Functions) 의 특성을 이용하자.

> 직교함수 : 일련의 함수들 g1 ( x), g2 ( x),.., g n ( x),.. 에 대하여


b
a
g m ( x)  g n ( x)  0 mn

인 특성을 갖을때 이들 함수를 범위 a xb 에서 직교한다고 한다.

 n x   n x 
Ex) 삼각함수 sin   , cos   등은 각각 범위 axL 내에서 이러한
 L   L 
직교 특성을 갖는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96-


HEAT TRANSFER

임의의 함수 f ( x) 가 다음과 같이 직교함수 g n ( x) 의 무한 합으로 주어질 때



f ( x)   An g n ( x)
n=1

 f ( x)  g n ( x)  g n ( x) An g n ( x)
n=1

f ( x)  g n ( x)dx   [ g n ( x) An g n ( x)]
b b
 
a a
n=1
b [ A1 g n ( x) g1 ( x)  A2 g n ( x) g 2 ( x) 
=
a .......+An g n ( x) g n ( x)  ......]dx
b
=  An [ g n ( x)]2
a
b
=An  ( g n ( x)) 2
a
b

 An 
 a
f ( x)  g n ( x)dx
b
 a
( g n ( x)) 2

; f ( x)   An g n ( x) 으로 주어진 수식에서 g n ( x) 가 직교함수인 경우


n=1
상수 An 을 구하는 식.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97-
HEAT TRANSFER

 f ( x)  1

 n x    n x 
따라서, 1   An sin    n
g ( x )  sin  
n=1  L  a  0, b  L  L 

L  n x 
0 1  sin   dx 2 (1) n1  1
 L   
 An 
L
2 n  x 
2
 n
0 sin  L  dx
 n W 
=Cn  sinh  
 L 
2[(1) n1  1]
 Cn  , n  1,2,3,...
 n  W 
n sinh  
 L 
 n y 
sinh  
2  (1) n1  1  n x   L 
∴ 특정해 :  ( x, y )     sin  
 n1 n  L  sinh  n W 
 
 L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98-
HEAT TRANSFER

Solution 결과의 Plotting : < 등 온 선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99-


HEAT TRANSFER

< Graphical Method >

: System 내에서 일정한 온도를 나타내는 등온선(isothermal) 및 열이 통과하지 않는 단열선 등을


경계조건 및 system의 형태를 고려하여 그림으로 그리고 이들 선들로 구분되는 미소 영역들에
서 열전달량을 계산하는 근사적 방법. (여러 가지 경험적 추정이 필요)
--- 거의 사용되지 않는 방법.

T j
qi  kAi Ai  y  l
x
M
q   qi
i 1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00-


HEAT TRANSFER

< Conduction Shape Factor >

: 각각 등온으로 유지된 고온 표면과 저온 표면 사이의 2차원 열전도 문제를 1차원 열전도의 계


산과 같은 방법으로 표면

qi  ks (T )overall
k : 열전도율

 s : Conduction Shape Factor (Table 4  1 참조)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01-


HEAT TRANSFER

< 수치해석법 , Numerical Method>

: 전체의 영역을 미소크기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미소영역 내에서 열전달 방정식의 근사
적인 표현을 이용

- 유한차분법 ( Finite difference methpd, FDM )


: 미소구간 내에서 온도 분포를 선형적으로 가정
(control volume, 제어 체적)
: 전체의 영역을 미소영역으로 나눌 때 바둑판과 같이 나눈다.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등 간격 또는 크기가 다른 간격)
→ 최근에는 비직교 사각형 요소를 사용하여 복잡한 형태의 경계를 쉽게 다룰 수 있음.

-유한요소법 ( Finite element method, FEM )


: 미소구간 내에서의 온도분포를 선형 또는 고차함수로 가정
: 전체영역을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된 미소영역으로 나눈다.
(복잡한 형태의 경계를 나누는데 편리하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02-


HEAT TRANSFER

* Numerical solution by the finite difference method(유한차분법) (steady 2D


conduction problem) --- using uniform grid spaces
 2T  2T
 2 0 : 열전도방정식 -------- (a)
x 2
y

 2T  T
 ( )
x 방향 : x 2
x x
T T

x E x
 W

x
 2T  T
 ( )
y 방향 : y 2
y y
T T

y N y
 S

y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03-


HEAT TRANSFER

 T Tm1,n  Tm ,n 
  
 x E  x  
 2T Tm1,n  Tm1,n  2Tm ,n
    (b )
 T Tm ,n  Tm1,n  x 2
(x) 2
  
 x W  x 
 T Tm ,n1  Tm ,n 
  
 y N
 y  
 2T Tm ,n1  Tm ,n1  2Tm ,n
    (c)
 T Tm ,n  Tm ,n1  y 2
(y ) 2
  
 y y 
 S 
식 (b) 및 (c)를 (a)에 대입하면

Tm1,n  Tm1,n  2Tm,n Tm,n1  Tm,n1  2Tm,n


 0    (d )
(x) 2
(y) 2

: Finite differenced equation (차분화 식)


식 (d)에서 만약 x  y 이면
4Tm,n  Tm1,n  Tm1,n  Tm,n1  Tm,n1
Tm1,n  Tm1,n  Tm,n1  Tm,n1
 Tm,n  (if x  y)
4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04-
HEAT TRANSFER

* Heat source 가 있는 경우

 2T  2T q
 2  0 q  상수 k  상수
x 2
y k

- 차분화 식 ;

Tm1,n  Tm1,n  2Tm,n Tm,n1  Tm,n1  2Tm,n q


  0
(x)2 (y ) 2 k

- 만약 x  y 이면

q
Tm1,n  Tm1,n  Tm,n1  Tm,n1  4Tm,n   xy  0
k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05-


HEAT TRANSFER

< 응용예 > q  0 로 가정 → 경계에서의 온도는 주어져 있다.



x  y

T1  T2  T3  T4  100C
T  T  100C
 5 9
Given : 
T8  T12  100C
T13  T14  T15  T16  500C

→ 내부의 4개 위치에서의 온도를 구하라.


T6 ,T7 ,T10 ,T11 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06-


HEAT TRANSFER

<해>
> 온도분포의 계산 :

T6에 대한 식 : T5  T7  T2  T10  4T6  0


T 에 대한 식 : T6  T8  T3  T11  4T7  0
 7

T10에 대한 식 : T9  T11  T6  T14  4T10  0
T11에 대한 식 : T10  T12  T7  T15  4T11  0

> 알고 있는 경계에서의 온도값을 대입하면

100  T7  100  T10  4T6  0


T  100  100  T  4T  0 4개의 미지수(T6, T7, T10, T11)
 6 11 7  
 4개의 식
100  T11  T6  500  4T10  0
T10  100  T7  500  4T11  0

T6  T7  150C
 < 해> 
T10  T11  250C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07-
HEAT TRANSFER

< 계산된 온도분포의 plotting 결과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08-


HEAT TRANSFER

> Heat flow 의 계산 :


 T 
q   k xi   : 수평벽
i  y i
 T 
q   k x j   : 수직벽
j  x  j
1) 500 ℃ 인 벽 (수평벽) x  y
x
q  k {(250  500)  (250  500)}  500k
y
2) 100 ℃ 인 벽들 (수직벽 및 수평 아래벽) x  y
x
q  k {(150  100)  (150  100)}  아래벽
y
x
 k {(250  100)  (150  100)}  좌측벽
y
x
 k {(250  100)  (150  100)}  우측벽
y
=-500k
 q  0 : energy balance를 만족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09-


HEAT TRANSFER

< 경계면에 접하는 제어체적에 대한 이산화 방정식 >

* Convection boundary condition

• 미소 제어체적에서의 energy balance

Tm,n  Tm1,n
k  y  : 좌측에서 빗금치 부분으로의 열전달
x
x T  T
k   m,n m,n1 : 위쪽에서 빗금치 부분으로의 열전달
2 y
x Tm,n  Tm,n1
k   : 아래쪽에서 빗금치 부분으로의 열전달
2 y

 h  y  (Tm,n  T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10-


HEAT TRANSFER

만약 x  y 인 경우

 h  y  h  x 1
Tm,n   2  T  (2Tm1,n  Tm,n1  Tm,n1 )  0
 k  k 2
: convection boundary point 에 대한 식
h  x
여기서, Bi  : Biot number ( 고체 내에서의 conduction에 대한
k convection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11-


HEAT TRANSFER

* Corner point with convection boundary

• 미소 제어체적에서의 energy blance

y Tm,n  Tm1,n
k  
2 x

x Tm,n  Tm,n1
k  
2 y
x y
 h  (Tm,n  T )  h   (Tm,n  T )
2 2

만약 x  y 이면
 h  y  h  x
2Tm,n   1  2 T  (Tm1,n  Tm,n1 )  0
 k  k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12-


HEAT TRANSFER

* Insulated wall

Tm,n1  Tm,n1  2Tm1,n  4Tm,n  0


1
 Tm,n  (Tm,n1  Tm,n1  Tm1,n )
4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13-


HEAT TRANSFER

* 다른 여러 경계 조건에 대하여는 Table 4-2 참조

* Solution Techniques

 Continuous temperature   Finite nodal 


   
FDM에 의한
근사적 표현 
 distribution   temperature 

각각이 node에서의 온도값에 대한 연립 방정식 :

 a11T1  a12T2  ...  a1nTn  C1 


 a T  a T  ...  a T  C 
 21... 1 22... 2 .. .. 2 
2.n n .
 (1)
 . . . . 
 a T  a T  ...  a T  C 
 n1 1 n 2 2 nn n n

여기서, T1 , T2 , ...., Tn ; Unknown nodal temperature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14-


HEAT TRANSFER

Matrix form  [ A][T ]  [C ]  (2)

 a11 a12 .... a1n  T1  C1 


 a21 a22 .... a2 n  T2  C2 
 . .. .. ..  , [T ]=  ..  , [C ]=  .. 
 ... .. .. ..   ..   .. 
     
 an1 an 2 .... ann  Tn  Cn 

Gauss-Seidel 법 : 가장 많이사용(4.5.2절 참고)



(1)식 또는 (2) 식은 일반적으로 Gauss-elimination
LU factorization

등과 같은 수치해석법을 이용하여 해인 [T ] 를 구한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15-


HEAT TRANSFER

H.W #4 4.2, 4.4, 4.37, 4.38, 4.45, 4.47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16-


HEAT TRANSFER

 Chap 5. Unsteady-State Conduction


• (과도 열전도 또는 비정상 상태의 열전도) – time-dependent conduction

: 뜨거운 물체가 차가운 물체와 접촉될 경우 두 물체가 평형상태의


온도에 도달하기 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

* 접촉 시점에서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중간에는 물체 내부의 온도가 시간의 함수이며


온도의 시간에 대한 변화율  T  는 영이 아니다 → Unsteady State.
 t 

* 평형상태에 도달한 후 물체 내부의 온도는 모든 위치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 Steady State.

* Unsteady - State conduction 문제의 해석 방법


- Lumped Capacity Method : 근사적 방법.
- 수학적인 방법으로 편미분 방정식의 엄밀해를 구하는 방법.
- Numerical Method.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17-


HEAT TRANSFER
< Lumped heat Capacity method > (근사법)
: 주어진 시간에 물체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다고 가정한 해석 방법
 T 
즉, 물체내의 온도구배가    0 인 경우의 해석 방법
 x 
→ 물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 이러한 가정으로 해석할 수가 있다.
→ 물체 내부에서의 열확산이 대류에 의하여 주위 유체로 빼앗기는 것에 비하여
빠를 때 이와 같은 가정을 할 수 있다.
ex) 뜨거운 물체를 온도 T 인 차가운 유체에 담갔을 때를 고려

물체에 대한 Energy Balance :


q  hAS (T  T ) : 외부로 대류에 의하여빼앗긴 열전달율
dT
 C    V : 내부 에너지의 변화율 ---- ⓐ
dt
여기서 AS : 물체의 표면적
V : 물체의 체적
h : 물체 표면에서의 대류 열전달 계수
C : 물체의 비열
 : 물체의 밀도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18-


HEAT TRANSFER

초기 조건 : at t 0 ; T  Ti
식 ⓐ의 해 :
d hAs
  T  T    0 at t  0 ;    i  Ti  T
dt  CV
 hAS 
  t
  CV 
 e
i
 hAS 
T  T  t
  CV 
 e
Ti  T
 CV : time constant [sec]
여기서 , t 
hAS
1 Rt : convection resistance
   CV  Rt  Ct
hAS Ct : lumped thermal capacitance
T  T
at t  t :  e1  0.367879
Ti  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19-


HEAT TRANSFER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20-


HEAT TRANSFER

* 시간 t 동안 유체로 전달된 열량 ( 물체가 빼앗김 열 ), Q


t
Q 
0
q dt
 dT  d dT
t
     CV dt   T  T  
0
 
dt  dt dt
d   i e hA / CV t
s

     CV 
t
dt
dt d   hAs  hAs / CV t
0

 i   e
 i hAs e  hA /  CV t dt
t
 
0
s
dt   CV 
 t 
   CV  i  e  1
t

   CV
t 
 
t

hAS
  CV  i 1  e  t 
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21-


HEAT TRANSFER

• Lumped Capacity Method의 적용 가능 범위


: (surface convection resistance) >> (internal conduction resistance)

h(V / AS )
 Bi   0.1 인경우 Lumped Capacity Method를
k 적용하여도 좋다.

여기서, V / As 는 물체의 표면적에 대한 체적의 비로써 특성치수 Lc 라 하면,


V
Lc 
As

hLc
  Bi  0.1 : Lumped Capacity Method is applicable
k (물체 내부에서의 온도구배가 아주 작은 것을 뜻함)

Bi : Biot number[무차원]
h : 표면의 대류 열전달 계수[W/m 2 C ]
k : 물체의 열전도율[W/m 2 C ]
LC : 특성치수[m]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22-


HEAT TRANSFER

hAs t ht hL kt k
즉,   c 여기서, = : thermal
VC  CLc k  CL2c C diffusivity
t t
 Bi  2
 Bi  F0 여기서, F0  2 : Fourier
Lc Lc Number


  exp( Bi  Fo )
i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23-


HEAT TRANSFER

< 엄밀한 수학적인 해 >


: 물체 내부에서의 온도 구배를 무시할 수 없을 경우 고려하여야 함
→ 물체 내부에서의 온도 분포를 구하는 방법

* 평면벽 에서의 1차원 비정상 상태 열전도 (수학적 엄밀해 유도)

: 두께가 2L 인 무한 평판. (T  T ( x, t )). t : 시간[sec]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24-


HEAT TRANSFER

지배방정식 :
 2T 1 T
 --------------------------------------------------- ➀
x 2  t
T ( x, t )  Ti at t  0 , 0  x  2L
: 초기조건 1개

T ( x, t )  T1 at t  0 , x  0 & x  2L
: 경계 조건 2개

새로운 종속변수 :   T  T1 을 도입하면, 식 ①은

 2 1 
 ---------------------------------------------------- ➁
x 2  t

새로운 초기조건 :   i  Ti  T1 at t  0, 0  x  2L --------- ➂


새로운 경계조건 :  0 at t  0 x0 --------- ➃

x  2L ---------- ➄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25-


HEAT TRANSFER

 ( x, t )  X ( x)  H (t )
로 가정하면
→ 변수 분리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2개의 상미분을 얻는다.

 2 d 2 X
 H
x 2
dx 2 1 d2X 1 dH
  2     2
 dH X dx  H dt
X
t dt
여기서, 2 은 경계조건을 만족하도록 2  0 으로 선택.

2 : Separation constant

상미분 방정식들의 일반해 :

d2X
 2
  2
X 0  X ( x)  C1 cos  x  C2 sin  x
dx
dH
  2 H  0  H (t )  Ce   t
2

d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26-


HEAT TRANSFER

따라서, 원래의 편미분 방정식의 일반해는;


  ( x, t )  X ( x)  H (t )
  2 t
 (C1 cos  x  C2 sin  x)e ------------------------------➅

경계조건 ④의 적용 ;
 ( x  0, t )  C1e   2 t
0  C1  0
0
경계조건 ⑤의 적용 ;
 ( x  2L, t )  C2 sin(2 L)  e  t  0
2

0 0
n
 sin(2 L)  0    , n  1, 2,3, 
2L
 n 
2

n x   t
  n ( x, t )  Cn sin e  2L 
2L
n  1, 2,3,  에 해당하는 모든해의 합이 일반해 이므로 :
2
 n 
   t
n x
 ( x, t )   Cn e
 2L
  sin
n 1 2L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27-
HEAT TRANSFER

Cn 을 구하기 위하여 초기조건 ③을 적용



n x
 ( x, t  0)   Cn sin  i : Fourier Sine Series
n 1 2L over interval 0 < x < 2L

즉,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28-


HEAT TRANSFER

1 2L n x
Cn   i sin dx
L 0 2L
 2 L n x
 i  sin dx
L 0 2L
i 2 L  n x 
2L

    cos
L n  2 L  0
2i
   cos n x  1
n
 cos n  1 for n  1,3,5, 
 cos n  1 for n  2, 4, 6,  : given trivial solution
4
 i for n  1,3,5, 
n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29-


HEAT TRANSFER

2
 n 
4i  t
n x
 

 ( x, t )  
 2L
 e  sin n  1,3,5, 
n 1 n 2L
2
 n 
  t
n x
 
4 1

 2L
  e  sin n  1,3,5, 
i  n 1 n 2L
: Final solution.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30-


HEAT TRANSFER

<반무한 고체에서의 과도 열전도> (Transient Conduction in a Semi-infinite Solid)

초기 조건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31-


HEAT TRANSFER

< 여러 가지 경계 조건에 대한 해 (최종 결과) >

1) 표면 온도의 갑작스런 변화. T (0, t )  T0  Ti for t  0


: constant surface temperature.

T ( x, t )  T0 x
온도장 :  erf
Ti  T0 2 t
T
열전달율 : q0  kA
x x 0

Ti  T0  x2 /4 t
 kA  e
 t x 0

kA(T0  Ti )

 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32-


HEAT TRANSFER

< Gaussian error function 의 기본 성질 >

2 w

 x2
erf w  e dx : Gaussian error function 의 정의
 0

1  erf w  erfc w : Complementary error function의 정의

d 2
(erf x)  e x
2
미분 :
dx 
d2 4  x2
( erf x )   xe
dx 2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33-


HEAT TRANSFER

2) 일정한 표면 열유속 (Constant surface heat flux)


: qs  q0 at x0

 t 
1/2

2q0  
    x 2  q0 x  x 
온도장 : T ( x, t )  Ti  exp  
 k erfc  
k  4 t   2  t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34-


HEAT TRANSFER

3) 표면에서 대류 열전달이 있을 때 (Surface convection) T :주위 유체의 온도

T
k  h T  T (0, t )
x x 0

T ( x, t )  Ti
온도장 :
T  Ti
 x   hx h 2 t   x h t 
 erfc    exp  k  k 2   erfc   
 2  t     2  t k 

hs
Biot number = Bi = : 고체내부의 전도에 대한 고체 표면에서의 대류의 비
k

t kt
Fourier number = F0 = = : 특정 치수에 대한 시간 t 에서의
s2  Cs 2 온도파 (Temperature wave)의
통과 깊이의 비교값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35-


HEAT TRANSFER

<Multi-dimensional Systems ……… 비정상상태 열전도(과도 열전도)>


; 1차원 비정상 상태의 해를 이용하여 다차원 system의 해를 구할 수 있다.

2차원 비정상상태 열전도 ( x , y 좌표계의 bar )

 2T  2T 1 T
  : Governing Eq. ---➀
x 2 z 2  t
T : 주위유체의 온도

두께 2L1 인 무한평판 의 교차에 의하여 형성된 Bar


두께 2L 2 인 무한평판

식 ➀의 해를 T ( x, z, t )  X ( x)  Z ( z)  (t ) 로 가정하면 ---➁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36-


HEAT TRANSFER

②를 ①에 대입하면

 T ( x, z , t )  T   T ( x, t )  T   T ( z , t )  T  ---➂
       
 Ti  T  bar  T i  T ( 무한평판
2 L1 Plate  T i  T (2무한평판
L2 Plate
) )
와 같은 결과를 얻게된다.
이 때 각각의 무한평판에 대한 해는 다음의 수식으로부터 구해진다.
 2T1 1 T1
  T1  T1 ( x, t )
x 2
 t
 T ( x, z, t )  T1 ( x, t )  T2 ( z, t ) --➃
 2T2 1 T2
  T2  T2 ( z , t )
z 2
 t
 2T  2T1
 T2 2
x 2
x
 2T  2T2 ---------------➄
 T1 2
z 2
z
T T2 T1  2T2  2T1
 T1  T2   T1 2   T2 2
t t t z x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37-


HEAT TRANSFER

식 ⑤를 식 ①에 각각 대입하면

 2T1  2T2 1   2T2  2T1 


T2 2  T1 2   T1 2  T2 2 
x z  z x 
; 즉, 가정된 온도분포 식 ④는 원래의 governing eq. ①을 만족한다는 것을 확인

⇒ 따라서, 2차원 비정상상태 열전도 문제는 두께가 각각 2L1 및 2L2 인 무한평판에


대한 해들의 곱으로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즉, 3차원 block의 경우에도 각각의 무한평판 3개에 대한 해를 구하여 곱하면 3차원 열


전도 문제의 해를 구할 수 있다.

T ( x, y, z, t )  T1 ( x, t )  T2 ( y, t )  T3 ( z, t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38-


HEAT TRANSFER

•유한한 길이의 Cylinder

* 반무한 원통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39-


HEAT TRANSFER

* Heat transfer in multidimensional system

2차원

Q Q Q  Q


        1    
 Q0 total  Q0 1  Q0 2   Q0 1 

첨자1 : body 1의 열전달량


첨자2 : body 2의 열전달량

3차원

Q  Q   Q    Q    Q    Q    Q  
        1        1     1    
 Q0 total  Q0 1  Q0 2   Q0 1   Q0 3   Q0 1    Q0  2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40-


HEAT TRANSFER

< Transient heat transfer의 solution method > … FDM의 적용


: 일반적인 방법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문제에 적용가능

  2T  2T  T
2차원 비정상 열전도 방정식 : k  2  2   C ---------------- ➀
 x y  t

1) Forward difference scheme (explicit formulation) : Table 5-3 참조

: 시간 t  t 에서의 온도값을 구하는 식을 주위 node의 시간 t 에서의 온도값으로


P 1
표시하는 방법. ( Tm,n 이 각 node에서 외형적으로 표현.)

 2T  2T
→ 공간좌표에 대한 미분항 x 2 및 y 2 을 각각 p번째 시간의 온도 T P 로 나타낸다.

→ 따라서, 미래시간에 대한 온도값을 각 node에서 직접 계산 가능


→ 그러나, 계산의 수렴성은 좋지 않음(발산할 수가 있음) : x 와 t 의 선택에 따라.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41-


HEAT TRANSFER

 2T Tm 1,n  Tm 1,n  2Tm ,n


P P P
공간에 대한 미분 항 : 
x  x 
2 2

 2T Tm,n 1  Tm,n 1  2Tm,n


P P P


y 2  y 
2

T TmP,n1  TmP,n
시간에 대한 미분 항 : 
t t
상첨자 p : p 번째의 시간 step에서의 값
상첨자 p+1 : p+1 번째의 시간 step에서의 값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42-


HEAT TRANSFER
 k 
따라서 식 ①은 다음과 같이 근사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  
  C 

P 1
TmP1,n  TmP1,n  2TmP,n TmP,n 1  TmP,n 1  2TmP,n 1 Tm,n  Tm,n
P

  ---➁
 x   y   t
2 2

t  0 에서 모든 node점에서의 온도값 (Tm,n , Tm1,n , ) 이


P P
식 ②를 이용하여 시간
주어져 있을 경우 시간 t  t 에서 모든 node점에서의 온도값 (TmP,n1 ) 을 계산할
수 있다.

식 ②에서 만약 x  y 이면 ;

t  4t  P
T P 1
 T P
TP
T P
T P
  1  2  Tm,n
 x    x  
m,n 2 m 1, n m 1, n m , n 1 m , n 1 --- ➂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43-


HEAT TRANSFER
 x 
2

식 ③에서 만약 x 와 t 를  4 가 되도록 선택하면


t
P 1 (T P
m 1, n T P
m 1, n T P
m , n 1 TP
m , n 1 )
T m,n  --- ➃
4
가 된다. (즉, 주위 node에서의 값들을 산술 평균한 값)

만약, 1차원 문제의 해석을 할 경우에는 식 ③은 다음과 같이 바뀐다.

P 1 t  2t  P
T  (TP
T P
)  1  T --- ➄
m
 x 
2 m 1 m 1
  x 2  m
 
 x 
2

여기서도, 만약  2 가 되도록 x 와 t 를 선정하면


t

T P
 T P
TmP 1  m1 m1 :산술평균값 --- ➅
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44-


HEAT TRANSFER

 x 
2
*비정상 상태 열전달 문제의 수치해석에 있어서 의 선택은 중요한 문제이다.
t
 x 
2

M 이라하면
t
M  4 : 2차원문제
등식으로 할 경우 상당히 간편해진다.
M  2 :1차원문제
→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x 및 t 가 선택된 경우 수렴되지 않는다.

주어진 M 값에 대하여 x가 결정되면 t는 자동 결정


t가 결정되면 x는 자동 결정

x 가 큰 경우 - 계산 시간이 감소
t - 정확도는 떨어진다. -> 작은 x 로써 정확도를 늘리고
큰 t 로써 계산 시간은 감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된다.
x
가 작은 경우 - 계산 시간은 감소
t - 정확도는 증가한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45-


HEAT TRANSFER

<경계조건>
① 2차원 문제 : 대류 조건을 갖는 경계면의 제어체적에 대한 온도값의 계산

Energy balance :
TmP1,n  TmP,n
k  y  :왼쪽으로부터 들어오는 열량
x
x Tm,n 1  Tm,n
P P

k  :윗쪽으로 부터의 열량


2 y
x Tm, n 1  Tm, n
P P

k   :아랫쪽으로 부터 유입되는 열량
2 y
 h  y  (T  TmP,n ) :대류에 의하여 들어오는 열량
P 1
x T TP

  C   y  m,n m,n

2 t :내부 에너지의 변화량.


만약 x  y 인 경우 ;
  t       P 
2
P 1 h  x x hx 
Tm,n  2 
2  T  2T P
 T P
 T P
   2  4  Tm,n 
 x   k
 m 1, n m , n 1 m , n 1
   t k  

여기서, x 및 t 는 Tm , n 의 계수가 영이 되도록 하면 계산이 간편해진다. 즉,
P

1  x 
2
 h  x 
  2  2 : 2차원 x  y인 경우 (F0 : Fourier number )
F0   t  k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46-


HEAT TRANSFER

② 1차원 문제

Energy balance :

TmP1  TmP x TmP 1  TmP


kA  hA(T  Tm )  C
P
A
x 2 t
t  hx      P
2
x hx 
 TmP 1  2 T  2Tm1  
P
2  2 Tm 
 x   t
2


k k   
 x 
2
 h  x 
여기서, = 2  1 인 경우 계산이 간편
  t  k 
수치해석의 수렴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각각 제한되어야 한다.

 x 
2
 h  x 
1) 1차원 :  2  1
  t  k 
Forward difference 인 경우
 x 
2
 h  x 
2) 2차원 :  2  2
  t  k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47-


HEAT TRANSFER

2) Backward difference scheme (Implicit formulation) : Table 5-3 참조


 2T  2T
: 공간좌표에 대한 미분항
x 2

y 2
을 각각 p+1번째 시간의 온도 T P 1 로
나타낸다.
→ 미래 시간에 대한 온도값을 직접 계산할 수는 없으며, 연립적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 그러나, x 및 t 의 선택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수렴성이 좋다.
→ 계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작은 x 와 큰 t 의 조합이 가능하다.
P 1 P 1 P 1 P 1 P 1 P 1
즉,  2T Tm1,n  Tm1,n  2Tm,n  2T Tm,n 1  Tm,n 1  2Tm,n
 ; 
x  x  y  y 
2 2 2 2

P 1
T Tm,n  Tm,n
P


t t
TmP1,1n  TmP1,1n  2TmP,n1 TmP,n11  TmP,n11  2TmP,n1 P 1
1 Tm,n  Tm,n
P

    
 x   y   t
2 2

P 1
이와 같은 backward difference equation 으로부터 각 node의 T 을 계산하기 위한
식은 T P 1 에 대하여 외형적으로 표현되지 않음. (Implicit formulation이라한다.)

 TmP1,1n , TmP1,1n ,  등을 연립적으로 구하여야 한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48-


HEAT TRANSFER

< Numerical Solution of Transient 2-D Conduction >


: implicit formulation 을 notation 별로 정리

uN
j+1
uW uP uE k
j
uS k
j-1
y

i-1 i i+1
h h
x

따라서, 식 ①은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49-


HEAT TRANSFER

식 ②로부터

또는 index i 및 j 를 이용하여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50-


HEAT TRANSFER

< Example > k  상수,   상수 인 경우의 문제.

EX)   0.2
1) Steady, 2) Unsteady ( t  0.01 , MTIME=20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51-


HEAT TRANSFER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PROGRAM CONDUCTION2D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C SOLUTION OF THE 2-D UNSTEADY STATE CONDUCTION PROBLEMS OF THE KIND.
C Uxx + Uyy = 1/alpa * Ut + f(x,y)
C-----------------------------------------------------------------
USE MSFLIB
PARAMETER (MX=15,MY=15,NXY=100)
INTEGER IBLK(NXY,NXY)
DIMENSION X(NXY,NXY),Y(NXY,NXY),U(NXY,NXY),UO(MX,MY),UP(MX,MY)
C-----------------------------------------------------------------
DATA MAXIT,MTIME,RELAX,EPS/500, 1, 1.2, 1.0E-6/
DATA DX, DY, DT, ALPA/0.5, 0.5,1.00E20, 0.2/
C-----------------------------------------------------------------
C RELAXATION FACTORS; Problem dependent.
C If RELAX value is between 0.0 and 1.0 : SUCCESSIVE UNDER-RELAXATION.
C If RELAX value is between 1.0 and 2.0 : SUCCESSIVE OVER-RELAXATION.
C-----------------------------------------------------------------
TIMES=0.0
OPEN(UNIT=3,FILE='COND2D.OUT')
C-----------------------------------------------------------------
CALL DBOUND(NXY,MX,MY,X,Y,DX,DY,U,UO,UP,IBLK)
C-----------------------------------------------------------------
DO 10000 ITIME=1,MTIME
TIMES=TIMES+DT
CALL PTITLE(ITIME,TIMES)
AE=1.0/DX**2
AW=AE
AN=1.0/DY**2
AS=AN
AT=1.0/(ALPA*DT)
AP=-(AE+AW+AN+AS)-AT
FIJ=0.0
DO 100 IT=1,MAXIT
DO 10 I=2,MX-1
DO 10 J=2,MY-1
UO(I,J)=U(I,J)
U(I,J)=(FIJ-(AE*U(I+1,J)+AW*U(I-1,J)
& +AN*U(I,J+1)+AS*U(I,J-1))-AT*UP(I,J))/AP
10 CONTINUE
C
C-----------------------------------------------------------------
CALL NBOUND(NXY,MX,MY,U)
C-----------------------------------------------------------------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52-


HEAT TRANSFER
C
C--- RELAXATION TECHNIQUE APPLIED.
DO 20 I=2,MX-1
DO 20 J=2,MY-1
U(I,J)=RELAX*U(I,J)+(1.0-RELAX)*UO(I,J)
20 CONTINUE
C
C--- CHECK CONVERGENCE.
RMAX=0.0
DO 30 I=2,MX-1
DO 30 J=2,MY-1
RRR=(U(I,J)-UO(I,J))/(U(I,J)+1.E-30)
RMAX=AMAX1(RMAX,ABS(RRR))
30 CONTINUE
IF(IT.EQ.1.OR.MOD(IT,10).EQ.0)
& CALL CONPLT(NXY,MX,MY,X,Y,U,IBLK,1,1.0,IT,ITIME)
IF(RMAX.LT.EPS) GO TO 200
CALL MESSAG(ITIME,IT,RMAX)
100 CONTINUE
C
C--- PRINT OUT RESULTS.
200 WRITE(3,*) ' '
WRITE(3,*) ' '
WRITE(3,*) ' '
WRITE(3,*) '===================================================='
WRITE(3,*) ' SOLUTION at TIME =',TIMES
WRITE(3,*) '===================================================='
WRITE(3,*) 'TOTAL ITERATION REQUIRED =',IT
WRITE(3,*) 'MAXIMUM ERROR =',RMAX
WRITE(3,*) ' '
WRITE(3,*) '------------------------------------------------'
WRITE(3,*) ' U(i,j,t)'
WRITE(3,*) '------------------------------------------------'
DO 40 J=MY,1,-1
IF(J.EQ.MY) WRITE(3,1010) (I,I=1,MX)
40 WRITE(3,2000) J,(U(I,J),I=1,MX)
C
DO 50 I=1,MX
DO 50 J=1,MY
50 UP(I,J)=U(I,J)
C
10000 CONTINUE
C--------
C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53-


HEAT TRANSFER
1000 FORMAT(' ITER=',I5,' RMAX=',E10.5)
1010 FORMAT(' J\I',20I8)
2000 FORMAT(I4,20F8.1)
C
C STOP
END
C
C************************************************************
SUBROUTINE DBOUND(NXY,MX,MY,X,Y,DX,DY,U,UO,UP,IBLK)
C************************************************************
INTEGER IBLK(NXY,NXY)
DIMENSION UP(MX,MY)
DIMENSION X(NXY,NXY),Y(NXY,NXY),U(NXY,NXY),UO(MX,MY)
C
C--- INITIALIZE.
DO 5 I=1,MX
DO 5 J=1,MY
C
IF(I.EQ.1) X(I,J)=0.0
IF(I.EQ.2) X(I,J)=DX/2.0
IF(I.GT.2.AND.I.LT.MX) X(I,J)=X(I-1,J)+DX
IF(I.EQ.MX) X(I,J)=X(I-1,J)+DX/2.0
C
IF(J.EQ.1) Y(I,J)=0.0
IF(J.EQ.2) Y(I,J)=DY/2.0
IF(J.GT.2.AND.J.LT.MY) Y(I,J)=Y(I,J-1)+DY
IF(J.EQ.MY) Y(I,J)=Y(I,J-1)+DY/2.0
C
IBLK(I,J)=0
C
U(I,J)=0.0
5 UO(I,J)=0.0
C
C--- DIRICHLET BOUNDARY CONDITIONS.
C- BOTTOM WALL;
DO 10 I=1,MX
U(I,1)=30.0
10 CONTINUE
C
C- LEFT WALL;
DO 20 J=1,MY
U(1,J)=100.0
20 CONTINUE
C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54-


HEAT TRANSFER
C--- INITIAL VALUES.
DO 30 I=1,MX
DO 30 J=1,MY
UO(I,J)=U(I,J)
30 UP(I,J)=U(I,J)
C
RETURN
END
C
C************************************************************
SUBROUTINE NBOUND(NXY,MX,MY,U)
C************************************************************
DIMENSION U(NXY,NXY)
C
C--- NEUMANN BOUNDARY CONDITIONS.
C- TOP WALL;
DO 10 I=1,MX
U(I,MY)=U(I,MY-1)
10 CONTINUE
C
C- RIGHT WALL;
DO 20 J=1,MY
U(MX,J)=U(MX-1,J)
20 CONTINUE
C
RETURN
END
C
C*************************************************************
SUBROUTINE CONPLT(NXY,NX,NY,X,Y,F,IBLK,IGRP,SFAC,IT,ITIME)
C*************************************************************
USE MSFLIB
CHARACTER*25 WINTIT
INTEGER IBLK(NXY,NXY)
DIMENSION X(NXY,NXY),Y(NXY,NXY),F(NXY,NXY),FUN(100)
C
C------ SEARCH THE RANGE OF DATA ------------------------------
TS=0.2
XH=11.0
YH=8.2
WINTIT='TEMPERATURE CONTOUR PLOT'
C CALL SCRNINIT(30,15,WINTIT,0.0,YH,XH,0.0)
RMAX=-100000.0
RMIN=100000.0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55-


HEAT TRANSFER
DO 100 I=1,NX
DO 100 J=1,NY
IF (F(I,J).GT.RMAX) RMAX=F(I,J)
IF (F(I,J).LT.RMIN) RMIN=F(I,J)
100 CONTINUE
C
NUM=11
DFUN=(RMAX-RMIN)/FLOAT(NUM-1)
FUN(1)=RMIN
DO 110 IL=2,NUM
FUN(IL)=FUN(IL-1)+DFUN
110 CONTINUE
C-----------
IF(IT.EQ.1.AND.ITIME.EQ.1)
& CALL RESIZE(NXY,NX,NY,XMN,YMN,XMX,YMX,X,Y,SFAC)
C-----------
ICOLOR=SETCOLOR(7)
STATUS=RECTANGLE_W($GFILLINTERIOR,TS,0.840*YH-TS,0.70*XH-TS,TS)
CALL ISOP2D(NXY,NX,NY,RMIN,RMAX,X,Y,F,IBLK,NUM,FUN,IGRP)
C-----------
RETURN
END
C
C***********************************************************************
SUBROUTINE ISOP2D(NXY,NI,NJ,RMIN,RMAX,X,Y,F,IBLOCK,
& NUM,FUN,IGRP)
C***********************************************************************
C-----------
C F ... VALUE ON A GRID POINT (I,J)
C NI ... NUMBERS OF I-GRID
C NJ ... NUMBERS OF J-GRID
C X ... X-COORDINATE AT (I,J)
C Y ... Y-COORDINATE AT (I,J)
C FUN... VALUES OF CONTOUR
C NUM... NUMBERS OF CONTOUR
C-----------
USE MSFLIB
TYPE (WXYCOORD) WXY
INTEGER *2 ICOLOR,STATUS
INTEGER *4 IBKCOLOR
PARAMETER (ID=100)
PARAMETER (JD=100)
PARAMETER (KD=200)
C-------------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56-


HEAT TRANSFER
CHARACTER*1,CHILEV
CHARACTER*7,CHFUN
CHARACTER*14,CHLABL
INTEGER IBLOCK(NXY,NXY)
DIMENSION X(NXY,NXY),Y(NXY,NXY),F(NXY,NXY)
DIMENSION FF(ID,ID)
DIMENSION S1(KD),S2(KD),FUN(100)
DIMENSION KEE(KD,JD),SSX(JD,JD),SSY(JD,JD)
DIMENSION SX(500),SY(500),CHILEV(26)
DIMENSION I0(3),J0(3),I1(3),J1(3),ILPL2(500)
DATA CHILEV/'A','B','C','D','E','F','G','H','I','J','K','L',
& 'M','N','O','P','Q','R','S','T','U','V','W','X',
& 'Y','Z'/
C------------
STATUS = SETFONT('t''Times New Roman''h14w5pvib')
I0(1)=-1
I0(2)= 0
I0(3)= 1
J0(1)= 0
J0(2)= 1
J0(3)= 0
I1(1)= 1
I1(2)= 2
I1(3)= 1
J1(1)= 1
J1(2)= 0
J1(3)= 0
XH=11.0
YH=8.2
YGF2=0.670*YH
DO 15 ILEV=1,NUM
15 ILPL2(ILEV)=1
C-----------
C --- CHECK PLOT SIZE.
SXMX=0.0
SYMX=0.0
FMAX=-1.0E20
SXMN=10000000.0
SYMN=10000000.0
FMIN=1.0E20
DO 13 I=1,NI
DO 13 J=1,NJ
SXMN=AMIN1(SXMN,X(I,J))
SYMN=AMIN1(SYMN,Y(I,J))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57-


HEAT TRANSFER
SXMX=AMAX1(SXMX,X(I,J))
SYMX=AMAX1(SYMX,Y(I,J))
13 CONTINUE
NMIN=0
NMAX=0
DO 14 N=1,NUM
FMIN=AMIN1(FMIN,FUN(N))
IF(FUN(N).GE.RMIN.AND.NMIN.EQ.0) THEN
NMIN=N
FMIN=FUN(NMIN)
ENDIF
IF(NMAX.GT.0) GO TO 14
FMAX=AMAX1(FMAX,FUN(N))
IF(FMAX.GT.RMAX) THEN
NMAX=N
FMAX=FUN(NMAX-1)
ENDIF
14 CONTINUE
DFUN=FUN(2)-FUN(1)
TICS=(SXMX-SXMN)/80.0
C
C --- PLOT BOUNDARY LINES.
ICOLOR = SETCOLOR (9)
CALL MOVETO_W (DBLE(X(1,1)), DBLE(Y(1,1)), WXY)
DO 70 I=2,NI
70 STATUS = LINETO_W (X(I,1), Y(I,1))
DO 80 J=2,NJ
80 STATUS = LINETO_W (X(NI,J), Y(NI,J))
DO 90 I=NI-1,1,-1
90 STATUS = LINETO_W (X(I,NJ), Y(I,NJ))
DO 95 J=NJ-1,1,-1
95 STATUS = LINETO_W (X(1,J), Y(1,J))
C
IF(IGRP.EQ.1) THEN
DO 96 I=1,NI
CALL MOVETO_W (DBLE(X(I,1)), DBLE(Y(I,1)), WXY)
DO 96 J=1,NJ
96 IF(J.GE.2) STATUS = LINETO_W (X(I,J), Y(I,J))
DO 97 J=1,NJ
CALL MOVETO_W (DBLE(X(1,J)), DBLE(Y(1,J)), WXY)
DO 97 I=1,NI
97 IF(I.GE.2) STATUS = LINETO_W (X(I,J), Y(I,J))
ENDIF
C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58-


HEAT TRANSFER
C --- (0,Y)-axis
CALL MOVETO_W (DBLE(SXMN),DBLE(SYMN),WXY)
STATUS = LINETO_W (SXMN-TICS,SYMN)
CALL MOVETO_W (DBLE(SXMN),DBLE(SYMN+(SYMX-SYMN)/4.0),WXY)
STATUS = LINETO_W (SXMN-TICS,SYMN+(SYMX-SYMN)/4.0)
CALL MOVETO_W (DBLE(SXMN),DBLE(SYMN+(SYMX-SYMN)/2.0),WXY)
STATUS = LINETO_W (SXMN-TICS,SYMN+(SYMX-SYMN)/2.0)
CALL MOVETO_W (DBLE(SXMN),DBLE(SYMN+3.0*(SYMX-SYMN)/4.0),WXY)
STATUS = LINETO_W (SXMN-TICS,SYMN+3.0*(SYMX-SYMN)/4.0)
CALL MOVETO_W (DBLE(SXMN),DBLE(SYMN+(SYMX-SYMN)),WXY)
STATUS = LINETO_W (SXMN-TICS,SYMN+(SYMX-SYMN))
C --- (X,0)-axis
CALL MOVETO_W (DBLE(SXMN),DBLE(SYMN),WXY)
STATUS = LINETO_W (SXMN,SYMN-TICS)
CALL MOVETO_W (DBLE(SXMN+(SXMX-SXMN)/4.0),DBLE(SYMN),WXY)
STATUS = LINETO_W (SXMN+(SXMX-SXMN)/4.0,SYMN-TICS)
CALL MOVETO_W (DBLE(SXMN+(SXMX-SXMN)/2.0),DBLE(SYMN),WXY)
STATUS = LINETO_W (SXMN+(SXMX-SXMN)/2.0,SYMN-TICS)
CALL MOVETO_W (DBLE(SXMN+3.0*(SXMX-SXMN)/4.0),DBLE(SYMN),WXY)
STATUS = LINETO_W (SXMN+3.0*(SXMX-SXMN)/4.0,SYMN-TICS)
CALL MOVETO_W (DBLE(SXMN+(SXMX-SXMN)),DBLE(SYMN),WXY)
STATUS = LINETO_W (SXMN+(SXMX-SXMN),SYMN-TICS)
C
C-----------
C FACTR
C-----------
C CORRECT THE VALUE ON A GRID
C WHEN THE CONTOUR VALUE EQUALS THE VALUE ON A GRID
C
C CORRECT A LITTLE LARGER : FACTR > 0
C CORRECT A LITTLE SMALLER : FACTR < 0
C-----------
DX=1.8
WX=(7.00+SXMX)/2.0
FACTR=0.00001
NJM1=NJ-1
NNI=NI*2-1
NNIM1=NNI-1
DO 100 I=1,NI
DO 100 J=1,NJ
FF(I,J)=F(I,J)
100 CONTINUE
3 FORMAT('LINETYPE SET DASHED2'/)
4 FORMAT('LINETYPE SET DOT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59-


HEAT TRANSFER
KLINE=0
DO 4000 ILEV=1,NUM
IF(ILEV.EQ.1) ICOR=1
IF(ILEV.EQ.2) ICOR=2
IF(ILEV.EQ.3) ICOR=3
IF(ILEV.EQ.4) ICOR=4
IF(ILEV.EQ.5) ICOR=5
IF(ILEV.EQ.6) ICOR=6
IF(ILEV.EQ.7) ICOR=8
IF(ILEV.EQ.8) ICOR=10
IF(ILEV.EQ.9) ICOR=11
IF(ILEV.EQ.10) ICOR=12
IF(ILEV.EQ.11) ICOR=13
IF(ILEV.EQ.12) ICOR=14
STATUS = SETCOLOR (ICOR)
IF(KLINE.EQ.0) THEN
KLINE=1
GO TO 5
ENDIF
IF(KLINE.EQ.1) THEN
KLINE=0
ENDIF
5 CL=FUN(ILEV)
DO 110 I=1,NNI
DO 110 J=1,NJ
KEE(I,J)=0
110 CONTINUE
DO 120 I=1,NI
DO 120 J=1,NJ
IF(F(I,J).NE.CL) GO TO 120
F(I,J)=F(I,J)*(1.0+FACTR)
120 CONTINUE
DO 130 J=1,NJ
DO 130 I=2,NNIM1,2
II=I/2
JJ=J
IF(IBLOCK(II,JJ).EQ.0.OR.IBLOCK(II,JJ).EQ.135.OR.
& IBLOCK(II,JJ).EQ.3.OR.IBLOCK(II,JJ).EQ.136.OR.
& IBLOCK(II,JJ).EQ.13.OR.IBLOCK(II,JJ).EQ.235.OR.
& IBLOCK(II,JJ).EQ.23.OR.IBLOCK(II,JJ).EQ.236) GO TO 129
GO TO 130
129 A=F(II,JJ)
B=F(II+1,JJ)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60-


HEAT TRANSFER
IF((CL-A)*(CL-B).GE.0.0) GO TO 130
FRAC=(CL-A)/(B-A)
KEE(I,J)=1
XA=X(II,JJ)
YA=Y(II,JJ)
XB=X(II+1,JJ)
YB=Y(II+1,JJ)
SSX(I,J)=XA+(XB-XA)*FRAC
SSY(I,J)=YA+(YB-YA)*FRAC
130 CONTINUE
DO 140 I=1,NNI,2
DO 140 J=1,NJM1
II=(I+1)/2
JJ=J
IF(IBLOCK(II,JJ).EQ.0.OR.IBLOCK(II,JJ).EQ.135.OR.
& IBLOCK(II,JJ).EQ.1.OR.IBLOCK(II,JJ).EQ.145.OR.
& IBLOCK(II,JJ).EQ.13.OR.IBLOCK(II,JJ).EQ.136.OR.
& IBLOCK(II,JJ).EQ.14.OR.IBLOCK(II,JJ).EQ.146) GO TO 139
GO TO 140
139 A=F(II,JJ)
B=F(II,JJ+1)
IF((CL-A)*(CL-B).GE.0.0) GO TO 140
FRAC=(CL-A)/(B-A)
KEE(I,J)=1
XA=X(II,JJ)
YA=Y(II,JJ)
XB=X(II,JJ+1)
YB=Y(II,JJ+1)
SSX(I,J)=XA+(XB-XA)*FRAC
SSY(I,J)=YA+(YB-YA)*FRAC
140 CONTINUE
IKK=0
JKK=0
KBC=0
9999 CONTINUE
DO 150 I=1,NNI
DO 150 J=1,NJ
IF(I.LE.IKK.AND.J.LE.JKK) GO TO 150
IF(MOD(I,2).EQ.1.AND.J.EQ.NJ) GO TO 150
IF(KEE(I,J).EQ.1) GO TO 3000
150 CONTINUE
GO TO 4001
3000 IC=I
JC=J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61-


HEAT TRANSFER
IINIT=IC
JINIT=JC
IS=1
KING=1
SX(IS)=SSX(IC,JC)
SY(IS)=SSY(IC,JC)
KOAL=0
IF(KING.EQ.1.AND.IC.EQ.NNI) GO TO 6666
IF(KING.EQ.1.AND.JC.EQ.NJ) GO TO 6666
8888 CONTINUE
IF(IS.NE.2) GO TO 8889
KBC=KBC+1
S1(KBC)=SX(2)
S2(KBC)=SY(2)
8889 CONTINUE
IF(MOD(IC,2).EQ.1) GO TO 5000
KOUNT=0
DO 160 KA=1,3
IA=I0(KA)*KING
JA=J0(KA)
IF(KING.EQ.-1) JA=-1
II=IC+IA
JJ=JC+JA
IF(KEE(II,JJ).EQ.1) KOUNT=KOUNT+1
160 CONTINUE
IF(KOUNT.EQ.0.AND.IS.EQ.1) KOAL=KOAL+1
IF(KOUNT.EQ.0.AND.IS.EQ.1) GO TO 6666
KEE(IC,JC)=0
IF(KOUNT.EQ.0.AND.IS.NE.1) GO TO 7777
IF(KOUNT.GT.1) KEE(IC,JC)=1
DO 170 KA=1,3
IA=I0(KA)*KING
JA=J0(KA)
IF(KING.EQ.-1) JA=-1
II=IC+IA
JJ=JC+JA
IF(KEE(II,JJ).NE.1) GO TO 170
KK=KA
IC=II
JC=JJ
IS=IS+1
SX(IS)=SSX(IC,JC)
SY(IS)=SSY(IC,JC)
IF(IS.EQ.3) KEE(IINIT,JINIT)=1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62-


HEAT TRANSFER
GO TO 180
170 CONTINUE
180 KING=KING
IF(KK.EQ.1) KING=-KING
GO TO 8888
5000 KOUNT=0
DO 190 KA=1,3
IA=I1(KA)*KING
JA=J1(KA)
JB=0
IF(KA.EQ.3) JB=1
IF(KING.EQ.-1) JA=JB
II=IC+IA
JJ=JC+JA
IF(KEE(II,JJ).EQ.1) KOUNT=KOUNT+1
190 CONTINUE
IF(KOUNT.EQ.0.AND.IS.EQ.1) KOAL=KOAL+1
IF(KOUNT.EQ.0.AND.IS.EQ.1) GO TO 6666
KEE(IC,JC)=0
IF(KOUNT.EQ.0.AND.IS.NE.1) GO TO 7777
IF(KOUNT.GT.1) KEE(IC,JC)=1
DO 200 KA=1,3
IA=I1(KA)*KING
JA=J1(KA)
JB=0
IF(KA.EQ.3) JB=1
IF(KING.EQ.-1) JA=JB
II=IC+IA
JJ=JC+JA
IF(KEE(II,JJ).NE.1) GO TO 200
KK=KA
IC=II
JC=JJ
IS=IS+1
SX(IS)=SSX(IC,JC)
SY(IS)=SSY(IC,JC)
IF(IS.EQ.3) KEE(IINIT,JINIT)=1
GO TO 210
200 CONTINUE
210 KING=KING
IF(KK.EQ.3) KING=-KING
GO TO 8888
7777 CONTINUE
KEE(IINIT,JINIT)=1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63-


HEAT TRANSFER
KEE(IC,JC)=1
IF(KBC.EQ.1) GO TO 220
TEMP1=ABS(S1(KBC)-S1(KBC-1))
TEMP2=ABS(S2(KBC)-S2(KBC-1))
IF((TEMP1+TEMP2).LE.1.E-5) KEE(IINIT,JINIT)=0
220 CONTINUE
IF(IS.EQ.2) KEE(IINIT,JINIT)=1
IF(IS.EQ.2) KEE(IC,JC)=0
C-------
WRITE(CHFUN,'(F7.2)') FUN(ILEV)
CHLABL=CHILEV(ILEV)//' : '//CHFUN
C------ PLOT CONTOUR LINES.
STATUS = SETFONT('t''Times New Roman''h14w5pvib')
CALL MOVETO_W (DBLE(SX(1)), DBLE(SY(1)), WXY)
DO 275 IPL=1,IS
IF(IPL.EQ.IS/2) THEN
STATUS = LINETO_W (SX(IPL), SY(IPL))
CALL MOVETO_W (DBLE(SX(IPL)+0.02), DBLE(SY(IPL)+0.02), WXY)
CALL OUTGTEXT(CHILEV(ILEV))
IF(ILPL2(ILEV).EQ.1) THEN
YGF2=YGF2-0.25
YGF=0.70*YGF2
CALL MOVETO_W(DBLE(WX),DBLE(YGF),WXY)
CALL OUTGTEXT(CHLABL)
ILPL2(ILEV)=0
ENDIF
CALL MOVETO_W (DBLE(SX(IPL)), DBLE(SY(IPL)), WXY)
ENDIF
STATUS = LINETO_W (SX(IPL), SY(IPL))
275 CONTINUE
C-----
IKK=0
JKK=0
GO TO 9999
6666 IF(KOAL.GT.1) GO TO 6667
KING=-KING
IF(KING.EQ.-1.AND.JC.EQ.1.AND.MOD(IC,2).NE.1) GO TO 6667
IF(KING.EQ.1.AND.IC.EQ.NNI) GO TO 6667
IF(KING.EQ.1.AND.JC.EQ.NJ.AND.MOD(IC,2).NE.1) GO TO 6667
GO TO 8888
6667 KEE(IC,JC)=0
GO TO 9999
4001 DO 280 I=1,NI
DO 280 J=1,NJ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64-


HEAT TRANSFER
F(I,J)=FF(I,J)
280 CONTINUE
4000 CONTINUE
STATUS = SETFONT('t''Times New Roman''h16w6pvib')
C**
RETURN
END
C
C*********************************************************************
SUBROUTINE RESIZE(NXY,NX,NY,XMN,YMN,XMX,YMX,X,Y,SFAC)
C*********************************************************************
USE MSFLIB
DIMENSION X(NXY,NXY),Y(NXY,NXY)
C-----------
CALL RANGE(NXY,NX,NY,XMN,YMN,XMX,YMX,X,Y)
C-----------
XLO=0.5
XHI=10.5
YLO=0.5
YHI=7.0
C
IF((XMX-XMN).GT.(XHI-XLO)*(YMX-YMN)/(YHI-YLO)) THEN
SCAL=(XHI-XLO)/(XMX-XMN)
ENDIF
C
IF((XMX-XMN).LE.(XHI-XLO)*(YMX-YMN)/(YHI-YLO)) THEN
SCAL=(YHI-YLO)/(YMX-YMN)
ENDIF
C
XHI=SCAL*(XMX-XMN)
YHI=SCAL*(YMX-YMN)
C
IF(XHI.GT.YHI) THEN
YHI=SFAC*YHI
IF(YHI.GE.7.5) YHI=7.5
ENDIF
IF(XHI.LE.YHI) THEN
XHI=SFAC*XHI
IF(XHI.GE.10.5) XHI=10.5
ENDIF
C-----------
CALL SCALE(NXY,NX,NY,XLO,YLO,XHI,YHI,XMN,YMN,XMX,YMX,X,Y)
C-----------
RETURN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65-


HEAT TRANSFER
END
C
C*********************************************************************
SUBROUTINE RANGE(NXY,NI,NJ,XMN,YMN,XMX,YMX,X,Y)
C*********************************************************************
USE MSFLIB
DIMENSION X(NXY,NXY),Y(NXY,NXY)
C**
XMN=1000.
XMX=0.0
YMN=1000.
YMX=0.0
DO 10 I=1,NI
DO 10 J=1,NJ
XMX=AMAX1(XMX,X(I,J))
YMX=AMAX1(YMX,Y(I,J))
XMN=AMIN1(XMN,X(I,J))
YMN=AMIN1(YMN,Y(I,J))
10 CONTINUE
C**
RETURN
END
C**
C*********************************************************************
SUBROUTINE SCALE(NXY,NI,NJ,XLO,YLO,XHI,YHI,XMN,YMN,XMX,YMX,X,Y)
C*********************************************************************
USE MSFLIB
DIMENSION X(NXY,NXY),Y(NXY,NXY)
C**
XDIF=XHI-2.0*XLO
YDIF=YHI-2.0*YLO
DO 10 I=1,NI
DO 10 J=1,NJ
X(I,J)=1.5*XLO+XDIF*(X(I,J)-XMN)/(XMX-XMN)
Y(I,J)=1.5*YLO+YDIF*(Y(I,J)-YMN)/(YMX-YMN)
10 CONTINUE
C**
RETURN
END
C
C**********************************************************************
SUBROUTINE MESSAG(ITIME,IT,RERR)
C**********************************************************************
USE MSFLIB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66-


HEAT TRANSFER
TYPE (WXYCOORD) WXY
INTEGER *2 ICOLOR,STATUS
CHARACTER*5, CI,BLNK
CHARACTER*8, CTIME
CHARACTER*12, CX
CHARACTER*22, CHR1,CHR2,CHR3,CHR4
COMMON/TIMEI/TIME1
C------------
ISTATUS=FOCUSQQ(20+ITIME)
XL=11.0D0
YH=8.2D0
IF(IT.EQ.0) THEN
CHR1=' '
CHR2=' '
CHR3=' '
CHR4=' '
ENDIF
C
CHR1=CHR2
CHR2=CHR3
CHR3=CHR4
WRITE(CI,'(I5)') IT
WRITE(CX,'(F12.4)') RERR
BLNK=' '
CHR4=CI//BLNK//CX
ICOLOR = SETCOLOR(7)
STATUS=RECTANGLE_W($GFILLINTERIOR,.65D0*XL,.965D0*YH,
& .83D0*XL,.885D0*YH)
ICOLOR = SETCOLOR(3)
CALL MOVETO_W (DBLE(0.67D0*XL),DBLE(0.97D0*YH), WXY)
CALL OUTGTEXT (CHR1)
CALL MOVETO_W (DBLE(0.67D0*XL),DBLE(0.95D0*YH), WXY)
CALL OUTGTEXT (CHR2)
CALL MOVETO_W (DBLE(0.67D0*XL),DBLE(0.93D0*YH), WXY)
CALL OUTGTEXT (CHR3)
CALL MOVETO_W (DBLE(0.67D0*XL),DBLE(0.91D0*YH), WXY)
CALL OUTGTEXT (CHR4)
CALL CPU_TIME (TIME2)
ET = (TIME2-TIME1)/60.0D0
WRITE(CTIME,'(F8.2)') ET
ICOLOR = SETCOLOR(7)
TS=0.5
STATUS = RECTANGLE_W($GFILLINTERIOR,.755D0*XL+TS,.831D0*YH,
& .85D0*XL+TS,.799*YH)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67-


HEAT TRANSFER
ICOLOR = SETCOLOR(3)
CALL MOVETO_W (DBLE(0.765D0*XL+TS),DBLE(0.83D0*YH), WXY)
CALL OUTGTEXT (CTIME)
C------------
RETURN
END
C
C***********************************************************************
SUBROUTINE PTITLE(ITIME,TIMES)
C***********************************************************************
USE MSFLIB
INTEGER *2 STATUS,ICOLOR
INTEGER *4 IWSIZE
TYPE (WXYCOORD) WXY
CHARACTER CHR2*2,CHRS*11,CTIME*9,CITIME*3,TIMEL*25
CHARACTER*50 PRNAME
CHARACTER*25 WINTIT
COMMON/TIMEI/TIME1
C
IF(ITIME.EQ.1) CALL CPU_TIME (TIME1)
PRNAME='UNSTEADY CONDUCTION IN 2D SYSTEM'
C --- PLOT BOUNDARY LINES.
TL=0.08
TS=0.04
C---OUTLINES
XH=11.0
YH=8.2
WRITE(CITIME,'(I3)') ITIME
WINTIT='WINDOW'//' (ITIME='//CITIME//')'
CALL SCRNINIT(10+ITIME,15,WINTIT,0.0,YH,XH,0.0)
ICOLOR = SETCOLOR(4)
WX=0.0
WY=0.0
CALL MOVETO_W (DBLE(WX), DBLE(WY), WXY)
STATUS = LINETO_W (XH, 0.0)
STATUS = LINETO_W (XH, YH)
STATUS = LINETO_W (0.0,YH)
STATUS = LINETO_W (0.0,0.0)
C
STS=TS/3.0
WX=STS
WY=STS
CALL MOVETO_W (DBLE(WX), DBLE(WY), WXY)
STATUS = LINETO_W (XH-STS,STS)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68-


HEAT TRANSFER
STATUS = LINETO_W (XH-STS,YH-STS)
STATUS = LINETO_W (STS, YH-STS)
STATUS = LINETO_W (STS, STS)
C
C---MESSAGES.
ICOLOR = SETCOLOR(12)
STATUS = SETFONT('t''Times New Roman''h40w12ib')
CALL MOVETO_W (DBLE(0.03*XH),DBLE(0.96*YH), WXY)
CALL OUTGTEXT('COND')
ICOLOR = SETCOLOR(10)
STATUS = SETFONT('t''Times New Roman''h20w7ib')
CALL MOVETO_W (DBLE(0.13*XH),DBLE(0.967*YH), WXY)
CALL OUTGTEXT('2D')
C
ICOLOR = SETCOLOR(3)
STATUS = SETFONT('t''Times New Roman''h15w5pb')
CALL MOVETO_W (DBLE(0.85*XH),DBLE(0.99*YH), WXY)
CALL OUTGTEXT('For Questions, Contact :')
CALL MOVETO_W (DBLE(0.85*XH),DBLE(0.97*YH), WXY)
CALL OUTGTEXT('Energy System Lab.')
CALL MOVETO_W (DBLE(0.85*XH),DBLE(0.95*YH), WXY)
CALL OUTGTEXT('Chung Ang University')
CALL MOVETO_W (DBLE(0.85*XH),DBLE(0.93*YH), WXY)
CALL OUTGTEXT('Dept. of M.E.')
CALL MOVETO_W (DBLE(0.85*XH),DBLE(0.91*YH), WXY)
CALL OUTGTEXT('Prof. TAE-KUK KIM')
CALL MOVETO_W (DBLE(0.85*XH),DBLE(0.89*YH), WXY)
CALL OUTGTEXT('T(02)820-5282')
CALL MOVETO_W (DBLE(0.85*XH),DBLE(0.87*YH), WXY)
CALL OUTGTEXT('e-mail)kimtk@cau.ac.kr')
C
STATUS = SETFONT('t''Times New Roman''h40w10ib')
ICOLOR = SETCOLOR(12)
CALL MOVETO_W (DBLE(0.70*XH),DBLE(0.70*YH), WXY)
CALL OUTGTEXT('Energy System Lab.')
ICOLOR = SETCOLOR(2)
CALL MOVETO_W (DBLE(0.70*XH),DBLE(0.65*YH), WXY)
CALL OUTGTEXT('Chung Ang Univ.')
IWSIZE=LOADIMAGE_W('CAUIMG.BMP',DBLE(0.75*XH),DBLE(0.45*YH))
C
C---MESSAGES
ICOLOR = SETCOLOR(9)
STATUS = SETFONT('t''Times New Roman''h18w8pvib')
CALL MOVETO_W (DBLE(0.20*XH),DBLE(0.95*YH), WXY)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69-


HEAT TRANSFER
CALL OUTGTEXT('PROBLEM NAME : ')
ICOLOR = SETCOLOR(4)
STATUS = SETFONT('t''Times New Roman''h16w6pvib')
CALL MOVETO_W (DBLE(0.25*XH),DBLE(0.91*YH), WXY)
CALL OUTGTEXT(PRNAME)
C
C---FRAMES
ICOLOR=SETCOLOR(2)
STATUS=RECTANGLE_W($GFILLINTERIOR,TS,0.840*YH,XH-TS,0.830*YH)
ICOLOR=SETCOLOR(3)
C VERTICAL LINES;
CALL MOVETO_W (DBLE(0.18*XH), DBLE(YH-TS/2.), WXY)
STATUS = LINETO_W (0.18*XH,0.830*YH)
CALL MOVETO_W (DBLE(0.62*XH), DBLE(YH-TS/2.), WXY)
STATUS = LINETO_W (0.62*XH,0.830*YH)
C
C---ITERATION AND ELAPSED TIME ; INTERMEDIATE MESSAGES
ICOLOR = SETCOLOR(9)
TS=0.5
CALL MOVETO_W (DBLE(0.65*XH),DBLE(0.99*YH), WXY)
CALL OUTGTEXT (' ITER # Max. Error')
CALL MOVETO_W (DBLE(0.65*XH+TS),DBLE(0.83*YH), WXY)
CALL OUTGTEXT ('Elapsed time : ')
CALL MOVETO_W (DBLE(0.85*XH+TS),DBLE(0.83*YH), WXY)
CALL OUTGTEXT (' min')
C
ICOLOR = SETCOLOR(9)
STATUS = SETFONT('t''Times New Roman''h24w7pvib')
CALL MOVETO_W (DBLE(0.65*XH+TS),DBLE(0.78*YH), WXY)
WRITE(CTIME,'(1PE9.3)') TIMES
TIMEL='Time Step : '//CTIME//' sec'
CALL OUTGTEXT (TIMEL)
C
STATUS = SETFONT('t''Times New Roman''h16w6pvib')
RETURN
END
C
C**********************************************************************
SUBROUTINE SCRNINIT(NSCRN,NBKCOLOR,STITLE,XW0,YWS,XWS,YW0)
C**********************************************************************
USE MSFLIB
INTEGER *2 ISTATUS,ICOLOR
INTEGER *4 IWSIZE
CHARACTER *25, STITLE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70-


HEAT TRANSFER
TYPE (qwinfo) winfo
C
OPEN(UNIT=NSCRN,FILE='USER',TITLE=STITLE)
ISTATUS=FOCUSQQ(NSCRN)
winfo.TYPE = QWIN$MAX
IWSIZE = SETWSIZEQQ(QWIN$FRAMEWINDOW,WINFO)
IWSIZE = SETWSIZEQQ(NSCRN,winfo)
ISTATUS = INITIALIZEFONTS()
ISTATUS = SETFONT('t''Arial''h18w10pvib')
ISTATUS = SETWINDOW(.TRUE.,XW0,YWS,XWS,YW0)
ICOLOR=SETBKCOLOR(NBKCOLOR)
CALL CLEARSCREEN($GCLEARSCREEN)
RETURN
END
C
CCCCCCCCCCCCCCCCCCCCCCCCCCCC END PROGRAM CCCCCCCCCCCCCCCCCCCCCCCCCCCC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71-


HEAT TRANSFER

< H.W. # 5 >

1) Text 지정 문제

Problems : 5.5, 5.20

2) 수식 유도 문제 : Table 5.3 의 내용을(Explicit 및 Implicit form 모두 유도)

① x  y 에 대하여 유도하라
k  k ( x, y )
q  상수
② x  y 인 경우 Table 5.3 의 결과가 되는 것을 확인

k  상수
q0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72-


HEAT TRANSFER

Chap. 6 대류 열전달(Convection)

q  h(Ts  T ) : 단위 면적당 대류 열전달 [W / m2OC ]


여기서, h : 국부 대류 열전달 계수
( Local convection coefficient)
→ h는 표면위의 위치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73-


HEAT TRANSFER

전체 표면에서의 총 열전달량 , q
q   qdAs
As

  h(Ts  T )dAs
As

만약, Ts = 상수인 경우

q  (Ts  T )  hdAs
As

여기서 평균 대류 열전달 계수를 h 라 하면

1
h 
As  hdA
As

 q  h  As  (Ts  T )
 대류 열전달 문제는 대류 열전달계수 h 또는 h 를 구하는 문제이다.
 h 는 유체의 물성값, 물체표면의 기하학적 형상, 유동 특성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74-


HEAT TRANSFER

< 대류 경계층(Convection boundary layers) >


uoo

Free Stream

Velocity
uoo u (x) boundary
layer

x
경계층(boundary layer) : 일정한 유속으로 흐르는 유동 속에 물체가 존재할 때, 그 물
체의 표면 근처에서는 유체와 표면사이에 마찰 전단력이 발생하여 유체의 속도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 층이 발생 … 이것을 경계층이라 함.

이러한 경계층의 두께를 δ로 표시할 경우.

y   에서 ; u  0.99u
→  는 속도값으로 구분되는 경계층이므로 속도 경계층(Velocity boundary layer)
이라고도 한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75-


HEAT TRANSFER

uoo

s
uoo

경계층 내부에서의 유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 s


Free stream의 운동 에너지 :  u / 2
2

 이들은 서로 비례하며, 비례상수 C f 를


Friction coefficient라 한다.
s
즉, Cf  2
 u / 2
여기서, Newtonian fluid(뉴턴 유체)인 경우
u u
s  => s    : 비례상수(동점성 계수)
y y 0
y y 0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76-


HEAT TRANSFER

< 열 경계층(Thermal boundary layer) > : 벽 근처의 온도가 급격히 변하는 층

y  t Ts  T
에서 ;  0.99
Ts  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77-


HEAT TRANSFER

Local heat flux , qs


T
qs  k f
y y 0

k f : Fluid conductivity
벽면에 접하고 있는 유체는 정지하고 있으며 이 때의 열전달은 전도에 의함  h(Ts  T )
T
k f
y y 0
 h  h( x ) 
Ts  T
T
즉 h는 및 Ts 를 알 때 이 식으로부터 계산가능.
y y 0

< 경계층의 중요성> :  및 t 는 각각 속도 분포 및 온도 분포를 특성 짓는 인자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78-


HEAT TRANSFER

< Leading edge 부근에서의 유동 : 층류 및 난류 유동 >

Transition Turbulent
Laminar region region region
(층류 영역) (천이 영역) (난류 영역) uoo

난류 영역

u(y) Buffer layer


uoo
y
} (완충 영역)
Laminar
Sublayer
(층류 저층)

* 경계층은 Leading edge(x=0인 point)로부터 가까운 x 범위에서는 층류이다.


: 유동이 smooth한 유선(stream line)을 따라 유동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79-


HEAT TRANSFER

* Leading edge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는 : 층류 → 난류로의 천이가 발생되는 천이 영역.


* 더욱더 큰 x 위치에서는 : 유동 형태가 복잡한 불규칙 와류(vortex flow)가 발생 → 난류 영역.

* 층류로부터 난류로의 천이가 발생하는 x 위치는 Reynolds 수를 Rex  u x / v 로 정의할 때


u x u x
Re x    5 105 에서 부터 발생한다 → Critical Reynolds No.(임계 Reynolds 수)
v 
u : Free stream velocity (물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속도)
v   /  : Kinematic viscocity
x : : Leading edge로 부터 측정된 x 축 방향의 거리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80-


HEAT TRANSFER

◆ Inviscid flow (비점성 유동)


: 평판위의 점성 유동의 경우 경계층 바깥의 흐름은 비점성 유동으로 생각할 수 있다.
… 유동방향으로의 속도구배는 매우 작음 → small viscous-shear forces.

- 비압축성 유체(Incompressible fluid) 인 경우 : 유선을 따라 Bernoulli 방정식을 적용하면

P V2 P /  : Potential Energy
  const
 2 V 2 / 2 : Kinetic Energy
- 압축성 유체(Compressible fluid) 인 경우 : 1차원 steady flow
V12 V22
i1   Q  i2   Wk : Energy Equation
2 2
여기서, i  e  Pv : enthalpy
e : 내부 에너지
P : 압력
v : 유체의 비체적
Q : heat added to the system
Wk : net work done by the system

- Ideal gas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81-


HEAT TRANSFER

< 대류 열전달 방정식의 유도 > --- 2차원 x-y 좌표계를 고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82-


HEAT TRANSFER

1. Mass balance

: 제어 체적에 들어오는 총질량 유량 = 제어 체적으로부터 나가는 총질량 유량

v + (v)dy
y

u dy u + (u)dx
x
dx

v

     
( u)dy  (  v)dx   u  ( u)dx  dy    v  (  v)dy  dx
 x   y 
 
 (  u )  (  v)  0
x y
: mass balance eq. 또는 Continuity eq.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83-


HEAT TRANSFER

2. Momentum balance : Newton's second law of motion

① Surface forces P+ P dy
y
yy + (yy)dy
y
yx + (yx)dy
y
P xy + (xy)dx
x
xx dy xx + (xx)dx
xy dx
x
P + P dx
yx x

P yy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84-


HEAT TRANSFER

: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미소체적 dx  dy 에 작용하는 응력

x 방향으로 작용하는 유효 힘 ; Fx  Fs , x  X
  P  yx 
Fx   ( xx )    dxdy  X - (1a)
 x x y 
X : x 방향의 body force
y 방향으로 작용하는 유효 힘; Fy  Fs , y  Y

  xy  yy P 
Fy      dxdy  Y - (1b)
 x y y 
Y : y 방향의 body force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85-


HEAT TRANSFER

② Momentum의 유효 변화율. …… x 방향

v)u + (uv)dy
y

uu uu + (uu)dx


x
dx

v)u

(  v)u ; dx면을 통하여 제어 체적에 유입되는 x방향의 momentum


d (mV ) x
( x 방향 momentum의 유효 변화율) =
dt
 
 (  uu )dxdy  ( uv)dxdy -(2a)
x y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86-


HEAT TRANSFER

같은 방법으로
vv + (vv)dy
y

u)v + (uv)dx
x
u)v

vv
; dy 면을 통하여 제어 체적에 유입되는 x 방향의 momentum
d (mV ) y
( y 방향 momentum의 유효 변화율) =
dt

 
 (  vv)dxdy  (  uv)dxdy -(2b)
y x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87-


HEAT TRANSFER

◆ x-Momentum 방정식 : 식(1a) = 식(2a)

   xx P  yx
 (  uu )  (  uv)    X
x y x x y
◆ y-Momentum 방정식 : 식(1b) = 식(2b)

   yy P  xy
 (  uv)  (  vv)    Y
x y y y x
여기서,

   ( u) u   (  v) u 
(  uu )  (  uv)  u    u   u   v 
x y  x x   y y 

u u ( u )  (  v)
 u  v : u u  0 Continuity Eq.에 의거
x y x y
x-momentum Eq
u u   yx
u   v  ( xx  P)  X
x y x y
따라서, =>
y-momentum Eq
v v   xy
u   v  ( yy  P)  Y
x y y x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88-
HEAT TRANSFER

◆ Newtonian fluid :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유체에 작용하는 응력 은 유체의


속도 구배에 비례하는 관계에 있는 유체.
u 2  u v 
 xx  2    
x 3  x y 
즉, u 2  u v  ; 유도는 생략
 yy  2    
y 3  x y 
 u v 
 xy   yx     
 y x 

이러한 관계를 momentum 방정식들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 x-momentum Eq
 u u  P    u 2  u v       u v  
  u  v      2             X
 x y  x x   x 3  x y    y   y x  

* y-momentum Eq
 v v  P    v 2  u v       u v  
 u v      2             Y
 x y  y y   y 3  x y    x   y x 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89-


HEAT TRANSFER

3. Energy balance

.
Econd,y+dy
.
Too . Eadv,y+dy
W

. .
Econd,x . Econd,x+dx
. Eg dy .
Eadv,x Eadv,x+dx
dx
t
dy .
dx Eadv,y
y
.
x Econd,y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90-


HEAT TRANSFER
- Conducted Energy (in) ; Econd , x  kdy
T
(x- 방향) x
 T   T  
(out) ; Econd , x dx  k   k  dx  dy
 x x  x  
 V2 
- Advected Energy (in) ; Eadv , x   u  e   dy ( V 2  u 2  v2: 합성 성분 )
(x- 방향)  2 
e : internal Evergy
V 2 : Kinetic Energy
2
  V 2     V 2   
(out) ; Eadv , x dx    u  e      u  e    dx  dy
  2  x   2   
- Work done by the surface force & body forces (x-방향) :
 
Wnet , x  ( X  u )dxdy  [( xx  P)  u]dxdy  ( yx  u)dxdy
x y
( X  u)dxdy : body force에 의한 일

[( xx  P)  u ]dxdy : normal stress에 의한 일
x

( yx  u )dxdy : shear stress에 의한 일
y

- Heat generation : Eg  qdxdy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91-


HEAT TRANSFER

y 방향에 대하여도 유사한 성분들을 고려하여 Energy balance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Energy balance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   V 2     V 2 
  u  e     v  e  
x   2  y   2 
  T    T 
  k   k   ( X  u  Y  v)
x  x  y  y 
 
 (P  u)  ( P  v)
x y
 
 ( xx u   xy v)  ( yy v   yx u )
x y
; Mechanical & Thermal Energy Balance Eq.

x-momentum Eq.
  u u    yx 
u     u  v   ( xx  P)  X
  x y  x y 

y-momentum Eq.
  v v    xy 
v     u  v   ( yy  P)  Y 
  x y  y x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92-


HEAT TRANSFER

식 Ⓐ, Ⓑ, Ⓒ 로부터

e e   T    T   u v 
u  v  k  k   P       q
x y x  x  y  y   x y 

: Thermal energy Eq. ( 열전달 계산에 편리 )



 u v 
2
 u 2  v 2  2  u v 2 

여기서,        2           
y x   x   y   3  x y  

 
: Viscous shear stress : Viscous normal stress
: viscous dissipation.
( 유체 내부의 점성에 의하여 기계적 Energy 가 열적 Energy로 변환될
때의 비가역성을 나타냄 )

또한, 내부 에너지 e는 enthalpy 와 인 관계를 갖으므로

i i   T    T   P P 
 v  k  k   u v     q
x y x  x  y  y   x y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93-


HEAT TRANSFER

 T T    T    T   P P 
C p  u v   k  k 
  u  v     q
 x y  x  x  y  y   x y 

 T T    T    T 
C p  u v   k  k     q
 x y  x  x  y  y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94-


HEAT TRANSFER

< 근사적 표현 > … Boundary layer equations


: 경계층 내부에서의 조건을 고려한 방정식들의 근사적 표현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95-


HEAT TRANSFER

◆ 경계층 내부에서의 Order of magnitude analysis 결과

u v
 0 : Continuity eq.
x y
u v 1 P  2u
u v   v 2 : x-momentum eq.
x y  x y
P
0 : y-momentum eq.
y
( 표면에서 수직 방향으로는 압력이 일정 )

P  P( x)
=> P dP

x dx
2
T T  2T v  u 
u v a 2    : Energy eq.
x y y C p  y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96-


HEAT TRANSFER
2
◆ Dimensionless form :  u  인 경우
  0
x y  y 
x*  , y * 
L L
u v * P
u *  , v*  , P  2
V V V
T  Ts
T* 
T  Ts

u * v*
 0
x* y*
=> u * * v dP* v  2u *
*
VL
u*
v  *  , Re L 
x* y* dx VL y *2 v
T * * T
*
  2T *   1 v
u*
v  , Pr 
x* y* VL y *2 VL Re L  Pr 
dp*
u  f ( x , y , Re L , * )
* * *

dx
dp*
T  f ( x , y , Re L , Pr, * )
* * *

dx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97-


HEAT TRANSFER

u  V  u
* s 2 u*
s     * ; Cf  
y y 0  L  y y*  0
V 2 / 2 Re L y* y*  0

*
dP
여기서, u
* *
 f ( x *
, Re ,
dP
) & *
 f ( x* ) P P( x ) in Boundary Layer
y y 0 dx
* L *
* dx 2
  Cf  f ( x* , Re L )
Re L
T *
k f T
h  k f 
y y 0
L y* y*  0

hL T *
Nu    f ( x* , Re L , Pr)  Nu  f ( x* , Re L , Pr)
kf y* y*  0

Average Nusselt number , Nu


1 L ->  Nu  f (Re L , Pr)
h
L 0
hdx

>> 무차원 group에 대하여 : Table 6.2 참조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98-


HEAT TRANSFER

* 열전달과 유체 유동 사이의 상사 법칙

유체유동 열전달
*
dp dp*
u  f ( x , y , Re L , * )
* * *
T  f ( x , y , Re L , Pr, * )
* * *

dx dx
2 u *
T *
Cf  Nu 
Re L y* y* 0 y* y* 0
2  f ( x*, Re L , Pr)
 f ( x* , Re L )
Re L
Re L
 C f   Nu 와 같은 상관성을 얻는다( Pr  1.0 )인 경우
2
h Nu
여기서, St   Stanton 수 를 도입하여 나타내면;
VC p Re Pr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199-


HEAT TRANSFER

< Turbulence effect >


: 인 경우 유체의 유동은 난류 상태 (Critical Reynolds 수 : )

∘ Vector 변수 (속도) : ∘ Scalar 변수(압력, 온도 등) :

u P
u' P'

u P

t t

1 t0
여기서, u 
t0 
0
ud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00-


HEAT TRANSFER

∘ 시간 평균된 (속도, 압력, 온도, 밀도) 등에 대하여 방정식들을 유도하면

 u u  P   u 
Momentum :   u v         u v  
 x y  x y  y 
 T T    T 
Energy : C p  u v    k   C v T 
   
P
 x y  y  y 
u
여기서,  total     uv : (  uv : turbulent Reynolds shear stress )
y
 T 
    k
qtotal   C p vT  : (  C p vT : turbulent heat dissipation)
 y 

∘ Reynolds Stress,  uv


u u
  uv     M  로 표현하자. (   와 유사한 형태로 표현)
y y
여기서,  M : momentum 전달에 대한 eddy diffusivity.
u
  total   (v   M )
y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01-


HEAT TRANSFER

∘ Turbulentheat dissipation ,  C p vT


T T
vT    H  로 표현 ( q  k 와 유사한 형태)
y y
여기서 H : 열 전달에 대한 eddy diffusivity.

T
    C p (   H )
 qtotal
y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02-


HEAT TRANSFER

H.W. # 6 : 6.3, 6.5, 6.8, 6.9, 6.34, 6.6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03-


HEAT TRANSFER

Chap. 7 External forced flow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접근 방법.
-. 실험적 또는 경험적 방법 (experimental or empirical)
: 실험실에서 정해진 조건하에서 실험 : 그 결과를 무차원 수들의 관계식으로 표시.
→ 직접적인 방법으로서 신뢰도가 높으나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
→ 다양한 geometry에 대한 실험을 하기가 쉽지 않음.
-. 이론적 방법 (Theoretical approach)
: 유도된 지배 방정식(governing equation)들의 해석에 의하여
값을 결정
→ 다양한 geometry 에 대한 해석이 용이하며 비용이 작게든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04-


HEAT TRANSFER

< Empirical Method >


ex)
u
uoo Too
L
Ts , As

R 단열

I
E

전기 저항에서 발생된 열량 ; q  E  I  I 2R
대류에 의하여 표면적 As에서 빼앗긴 열량 ; q  hL  As (Ts  T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05-


HEAT TRANSFER

I 2R
 hL 
AS (Ts  T )
hL  L I2 RL
또는 NuL    C  RemL  Pr n
k k  As  (Ts  T )

Pr 3 Nu L
Nu L
Pr 2 Pr
Pr 1
Grouping

Re L Re L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06-


HEAT TRANSFER

∘ 평판위의 유동 … Similarity Solution [method of Blausius]

- 경계층의 지배 방정식 :
u v
 0 : Continuity eq.
x y
u u  2u
u v v 2 : momentum eq.
x y y
T T  2T
u v a 2 : Energy eq.
x y y
- Stream function ,

u
y

v 와 같이 정의
x
 Continuity eq.를 자동적으로 만족하도록 정의
따라서, Continuity eq.는 더 이상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07-


HEAT TRANSFER

•Blasius의 Similarity Solution : x 의 증가에 따라 경계층의 두께는 증가하게 되지만 속도


분포 는 모든 x 위치에서 기하학적으로 같은 모양(similar form)을 갖는다.

u
즉,  ( y /  )
u
u
여기서,   (vx / u )
1/2
이므로   ( )
u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08-


HEAT TRANSFER
  
u  
y  y
 df
 u vx / u
 d

 u / vx
y
df df
 u  u vx / u u / vx  u
d d

u  df  df 
 u ( )  u ( )
x x d  d x
d2 f 
 u y ( u / vx )
d 2 x
 u d2 f
 
2x d 2
u d2 f
 u u / vx
y d 2
 2u u 2 d 3 f

y 2 vx d 3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09-


HEAT TRANSFER
   f 
v    fu ( vx / u  u vx / u 
x  x x 
 u v vx f 
  f  u 
 2 ux u x 

f df d

x d dx
 df

2 x d
1 vu  df 
v     f 
2 x  d 

d3 f d2 f
2  f 0
d 3 d 2
: 경계층에서의 momentum eq.(Similarity eq.)
-> 비선형 3차 상미분 방정식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10-


HEAT TRANSFER

경계조건

식 ⓐ의 해를 해석적인 방법으로 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Series expansion 등에 의한 해가 가능.
Numerical solution

<해> Table 7-1 의 일부


f
0 0 0 0.332
0.8 0.106 0.265 0.327
2.0 0.650 0.630 0.267
4.0 2.306 0.956 0.064
4.8 3.085 0.988 0.022
5.2 3.482 0.994 0.011

   y u /(v  x)  5.0 일 때 df / d  u / u  0.99 인 결과


5.0 5.0 x u
yu 99%      :  0.99 를 나타내는 경계층 두께
u Re x u
v x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11-
HEAT TRANSFER
u
 s,x  
y y 0

u d 2 f
   u   2
v  x d  0

d2 f
 0.332 : 표 7-1 참조
d 2  0

    u
 s , x  0.332u 
x
 s,x
 C f , x  2
u / 2

 0.664
  u  x
  u  x
 0.664 Re x 1/2 Re x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12-


HEAT TRANSFER

* 속도 경계층의 해를 이용하여, 온도 경계층에 대한 에너지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다.


T  Ts d 2T * Pr dT *
무차원온도 T 
*
 T * ( )   f 0
T  Ts d 2 2 d
T * (0)  0 : 무차원 에너지 방정식
경계조건 :
T * ( )  1
⇒ 수치해석에 의한 결과 :

dT *
 0.332 Pr1/3 : 0.6  Pr  50
d  0
qs T  Ts T * k
u dT *

 hx   k 
Ts  T Ts  T y v  x d  0
y 0

u
k  0.332  Pr1/3
vx
hx  x
 Nux   0.332  Re1/2
x  Pr
1/3
: 0.6  Pr  50
k
 :
또한,  Pr1/3
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13-


HEAT TRANSFER

* 층류 경계층 영역에서의 평균값 ( )

x
xc

 s, x 1 1 x
 u2 / 2  u2 / 2 x 0 s , x
-. C f ,x     dx

 1.382 Rex1/2
-. 1 x k u x dx
hx   hx dx  0.332( )  Pr1/3  (  )1/2  1/2
x 0 x v 0 x

 2  hx

hx  x
 Nu x   0.664 Re1/2
x  Pr
1/3
: 0.6  Pr  50
k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14-


HEAT TRANSFER
* For liquid metals, Pr ≤ 0.05 (small Prandtl #)   t 

* 모든 Pr # 에 대한 단일식 (laminar flow)


x  Pr
0.3387 Re1/2 1/3
Nux  1/4 Pex  100
1  (0.0468 / Pr)2/3 
<평판 위의 난류유동에 대한 실험식>
C f , x  0.0592 Rex1/5 5 105  Re x  107
  0.37 x  Rex1/5  f ( x4/5 ) : 층류에 비하여 더 급속한 경계층의 성장 ( 층류 :   f ( x1/2 ) )

Nux  St  Re x  Pr 0.6  Pr  60
 0.0296 Re4/x 5  Pr1/ 3 5 105  Re x  107
⇒ 난류유동에서의 는 층류 유동에서보다 훨씬 크다.

<평판위의 층류-난류 혼합유동>


1  xc L

L  0 xc
hL  h dx  h dx
lar turb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15-


HEAT TRANSFER

< Cylinder 주위의 직교류 >

-. 유동 형태
uoo (x)
경계층

V, P oo
x D wake

전면 정체점
(stagnation point) 박리점
(Seperation poin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16-


HEAT TRANSFER

-. 자세한 그림 P
=0
x P
>0
uoo (x) x

P uoo (x)
<0
x

seperation
point wake
정체점 reveral
(Pmax) flow

-. 전면 정체점 : 유체는 전면 정체점에서 정지(최고 압력)


V2 P :정압
Pmax  P  
2 V 2 / 2 :동압
du  P 
이 점에서부터 가 증가함에 따라  0   0
dx  x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17-


HEAT TRANSFER

-. 박리점(Separation point) : 인 위치로부터 가 더 증가하면 가 되어

→ 벽면으로부터 유체의 흐름이 박리.


u
→ 박리점에서는  0가 된다.
y y 0
P
 0 ( u 가 최대)
* 이와 같은 x 가 발생하는 위치는 VD VD
u Reynolds수에 따라 달라진다.
Re  
 0 (박리점)
D
 v
y y 0

박리

박리

V V
s
s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18-


HEAT TRANSFER

FD
CD 
Af ( V 2 / 2)

FD : drag force
A f : Frontal area (원통의 경우 D.L)
CD : 무차원 drag coefficient [Fig. 7.8 참조]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19-


HEAT TRANSFER

< 원통 주위의 열전달 계수 > Nu 600


* 원통 주위의 국부 대류 열전달 계수 : 실험 결과 500 Re D = 2.19 10
5

400
300
5
200 Re D = 1.01 10
100

* 원통 주위 평균 대류 열전달 계수 (원주 방향 평균값) 


40 80 120 160
hD
NuD   C  Rem  Pr1/3 ------ Hilpert 식
k
-Table 7.2 (원형 실린더)

0.4~4 0.989 0.330


4~40 0.911 0.385
40~4000 0.683 0.466
4000~40000 0.193 0.618
40000~400000 0.027 0.805

-Table 7.3 Noncircular cylinder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20-


HEAT TRANSFER

N D  C RemD Pr n ( Pr / Prs )1/4 ---- Zhukauskas 식

4/5
0.62 Re Pr1/2 1/3   Re 
5/8

NuD  0.3  D
1   D
 
[1  (0.4 / Pr) 2/3 ]1/4   282,000  
---- Churchill & Bernstein 식
에 적용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21-


HEAT TRANSFER

< 구 주위의 열전달 계수 >

* Whitaker : 1/4
0.4   
NuD  2  (0.4 Re1/2  0.06 Re 2/3
) Pr  
 s 
D D

* Ranz and Marshell :

NuD  2  0.6 Re1/2


D Pr1/3

   
x
0.7

→ 수정식 : NuD  2  0.6 Re D Pr  25    


1/2 1/3

  D  
: 낙하하는 구의 움직임을 고려한 것

여기서, : 정지 위치에서 낙하된 거리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22-


HEAT TRANSFER

< Tube bank(관군)를 가로지르는 흐름에 대한 열전달 계수>

D NT SL SD
SL

...
3
ST A1 A1
2 A2
ST
V, Too V, Too A2

1 2 3 . . . NL
사각 배열 어긋난 배열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23-


HEAT TRANSFER

< 관군의 관외부의 평균 열전달 계수 >

Grimmson ; NuD  1.13C1 RemD,max  Pr1/3

여기서, 등은 및 관의 배열 방식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며 Table 7.5에 주어져 있다.

Vmax D
Re D ,max  → : 관들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최대유속

* 인 경우 : NuD  1.13C1C2 Rem D,max Pr1/3

: 관 열수에 대한 correction factor (Table 7.6 참조)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24-


HEAT TRANSFER
Pr 1/4
Zhukauskas : NuD  C RemD ,max Pr 0.36 ( )
Prs


여기서, 은 , 관배열 방식,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다.
(Table 7.7 참조)

Pr 1/4
* 인 경우 : NuD  C  C2 RemD,max  Pr 0.36 ( )
Prs
C2 : 관열수에 대한 correction factor (Table 7.8참조)

< 관군에서의 압력 강하 > ……Zhukauskas 식

 V 
P  N L  x   max  f
 2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25-


HEAT TRANSFER

HW #7 7.1, 7.6, 7.41, 7.42, 7.46, 7.66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26-


HEAT TRANSFER

 Chap. 8. Internal forced Flow : 고체면과 고체면 사이를 흐르는 유동


<Flow condition for internal flow> --- Pipe Flow

로 정의;

 um D
- Re D 

Re D  2300 : Critical Reynolds Number

: 난류 Re D  2300
: 층류 Re  2300
D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27-


HEAT TRANSFER

- Hydrodynamic entry length, X fd ,h


 X fd ,h 
층류 :    0.05Re D
 D laminar
 X fd ,h 
난류 : 10     60
 D  turbulence

( x / D  10 인 경우 fully developed flow로 가정)

- Mean velocity, um


Ac
 udAc   udAc

Ac
um u  u( x, r )

Ac
 dAc  Ac
2 ro

ro 
0
u ( x, r )rdr : 원관의 경우 (   상수일 때)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28-


HEAT TRANSFER

- Fully developed region에서의 velocity profile, u  u (r )

v  0

  u
 x  0

: 미소 환 요소 (infinitesimal annular elemen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29-


HEAT TRANSFER

- 미소 크기의 환 요소에 대한 Force balance :


 d 
 r  2 rdx   r  2 rdx   r  2 rdx   dr 
 dr 
 d 
 p  2 rdr   p  2 rdr   p  2 rdr  dx   0
 dx 
d dP
   r r   r
dr dx
du
여기서,  r  
dr
 d  du  dP
 r   : 원관 내의 fully developed laminar flow에 대한
r dr  dr  dx momentum equation
dP
- 압력구배 는 r 과 무관한 항이므로
dx
1  dP  r 2 u  r0  : 벽면
적분  u  r      C1 ln r  C2 경계조건 :
  dx  4
u
: 중심점
r r  0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30-
HEAT TRANSFER

1  dP  2   r  
2

 u r      ro 1    
4  dx    ro  
 
: parabolic velocity profile
2 ro
um 
ro 
0
u (r )dr

ro 2 dP

8 dx
u (r )   r 2 
  2 1    
um   ro  

- Friction factor · · · · · fully developed region


  dP 
    D
 f   2 
dx : friction factor
  um / 2 (Fig.8.3, Moody diagram)  Cf 
f
 s 4
C f  : friction coefficient
  um 2 / 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31-


HEAT TRANSFER

< Thermal Consideration > · · · 원관 내부의 fully developed flow

 X fd ,t 
   0.05Re D  Pr : X fd ,t : 층류에 의한 thermal entry length
 D larminar

Pr  1 인 경우 : X fd ,h  X fd ,t → 속도 경계층이 온도 경계층보다 더 빨리 발달하게 됨

 X fd ,t 
   10
 D  turbulen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32-


HEAT TRANSFER

- 평균 온도

질량 유속 (  u )로 흐르는 유체가 갖는 energy량    uCvTdAc


Ac

 mCvTm

Tm 
 Ac
 uC TdA v c
( uCv : heat capacity(열용량) )
 uC dA
Ac v c


  uC dA
Ac v c

mCv
2 ro

um ro 2 
0
uTrdr : 원관의 경우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33-


HEAT TRANSFER

- Thermally fully developed condition


   Ts ( x)  T (r , x) 
   0

  s
x T ( x )  Tm ( x )  fd ,t
 T
 0
 x

 Tm  0
 x
T  T ( x, r )

- Uniform heat flux인 경우


① qs  h(Ts  Tm )  상수 일때

qs  T T 
 0  h s  m 
x  x x  fd ,t
dTs Tm
  ── ①
dx fd ,t x fd ,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34-


HEAT TRANSFER

②   Ts ( x)  T (r , x) 
 
x  Ts ( x)  Tm ( x)  fd ,t

 Ts Tm   Ts Tm 


  
 s m
T  T   (T  T )   
x x  x x 
s
  
Ts  Tm 
2

fd ,t

0
T dTs Ts  T dTs Ts  T dTm
    ── ②
x fd ,t dx fd ,t Ts  Tm dx fd ,t Ts  Tm dx fd ,t

식 ① 및 ②로 부터
T dTm
 ; qs  constant 인 경우
x fd ,t x fd ,t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35-


HEAT TRANSFER

< 관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대한 Energy Balance >

1
여기서 v  : 비체적

mCvTm : 유체에 의한 에너지 전달률



mPv : 유체에 의한 일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36-


HEAT TRANSFER

- Energy Balance :
 d (CvTm  Pv) 
dqconv  m  CvTm  Pv    m  CvTm  Pv   m dx   0
 dx 
d (CvTm  Pv)
 dqconv  m dx
dx
여기서, 이상기체인 경우 Pv  RTm 이므로
d
dqconv  m Tm  Cv  R  dx
dx 
여기서,  Cv  R  C p 

 dqconv  mC p dTm
 mC p (Tm,o  Tm,i )

- dqconv  qsPdx  h Ts  Tm  Pdx


 mC p dTm
dTm qsP Ph
   Ts  Tm 
dx mC p mC p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37-


HEAT TRANSFER

(1) Constant surface heat flux · · · · · · CaseⅠ

qs  상수

dTm P
 qs
dx mC p
Pqs
 Tm  Tm,i  x
mC p

< qs  constant 인 경우의 온도 profile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38-


HEAT TRANSFER

(2) Constant surface temperature ( Ts  상수) · · · · · · CaseⅡ


dTm Ph
 Ts  Tm  여기서, Ts  상수
dx mC p
dTm d (T )
T  Ts  Tm  
dx dx
dTm d (T ) Ph
   T
dx dx mC p

To d  T  P L
적분 ; Ti T

mC p 
0
hdx

To PL  1 L  1 L
 ln
Ti
 
mC p  L 0
hdx  여기서,
L 0
hdx  hL

To Ts  Tm,o  PL 
   exp  hL 
Ti Ts  Tm ,i  mC p 
Ts  Tm ( x)  PL 
또는  exp  hL 
Ts  Tm,i  mC p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39-


HEAT TRANSFER

< Fully developed laminar flow > · · · · · · Thermal analysis


T T    T 
원관 내부 흐름에 대한 energy 방정식 : u v  r 
x r r r  r 
(1) Constant heat flux, qs  상수
 u
 v  0 ; 0
x

   r 2 
Fully developed region : u (r )  um  2 1     · · · · · · 식 (8.15)
   ro  

 T  dTm , qs  상수인 경우 · · · · · · 식 (8.33)
 x dx
1 d  dT  2um dTm   r  
2

 r  1     ; qs  상수인 경우
r dr  dr   dx   ro  
 
2um  dTm   r 2 r4 
 T (r )    C ln r  C2
  dx   4 16ro2  1
경계조건 : ① r  0 일 때의 온도는 유한 크기를 갖는다 : C1  0
2um dTm  3ro2 
② r  ro 일 때 T (ro )  Ts  C2  Ts   
 dx  16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40-


HEAT TRANSFER
2um ro2  dTm   3 1  r  1  r  
4 2

 T (r )  Ts         
  dx  16 16  ro  4  ro  
 
여기서,
  uTdA P   D
c 11  um ro2   dTm  
  Ts  
Ac
Tm   ;   D2
 udA c
48     dx   m   um
Ac
 4

 11 um ro2  dTm 
Tm  Ts    
 48   dx  11 qsD 11 hD

qs  h Ts  Tm 
 Tm  T s     Ts  Tm 
48 k 48 k
 dT  qs D 4qs
 m  qs P   
hD 48
  4.36  NuD
 dx mC p D 2
 um C p D k 11
  um Cp
4
 2
T  2
T
(2) Constant Surface Temperature, Ts  상수 ; 2
x 2
r
1 r  dT  2um  dTm    r   T T
2

r    1     s
r dr  dr    dx    ro   Ts  Tm

hD
 NuD   3.66 ; Ts  상수
k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41-
HEAT TRANSFER

< 관내 흐름에 대한 경험식 >


(1) Entry region (층류) ; Ts  상수
0.0668  D / L   Re D  Pr
NuD  3.66  ; Hansen 식
1  0.04  D / L   Re D  Pr  0.48  Pr  16, 700
2/3


0.14 범위 0.0044    9.75
 Re  Pr    
1/3
 s
NuD  1.86  D 
   ; Sieder & Tate 식
 L / D   s 

(2) Fully developed region (난류)


n  0.4 : Ts  Tm
NuD  0.023Re D Pr
4/5 n

n  0.3 : Ts  Tm ; Dittus – Boelter 식
0.7  Pr  160

범위 Re D  10, 000
 L / D  10

NuD 
f / 8  Re D  Pr
; Petukhov 식, 여기서
1.07  12.7  f / 8
1/2
 Pr 2/3
 1
f  1.82log10 Re D  1.64 
2

0.5  Pr  2, 000
범위  4
10  Re D  5 10
6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42-


HEAT TRANSFER

< Circular Tube의 경우 > : 실험식 요약

: Table 8.4 참조.

< Non-Circular Tube의 경우 >


4 Ac
수력지름, Dh  Ac : 유로단면적
P
P : 접수길이

; 원관에 대한 수식을 그대로 적용하게 되며, 다만 이 때 지름 D 대신에

수력지름 Dh 를 대입하여 원형이 아닌 관에 대한 대류열전달계수를 구함.

< 열전달 촉진 (Heat Transfer Enhancement) 방법 >

: 제 8.7 절 참조.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43-


HEAT TRANSFER

H.W. # 8 : 8.1, 8.38, 8.53, 8.76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44-


HEAT TRANSFER

 Chap. 9. Natural Convection


유체가 부분적으로 더 많이 가열되는 경우 : 유체 내부에는 밀도차이가 발생하게 됨.
→ 이러한 밀도차이에 의하여 야기되는 유동현상을 자연대류(free or natural convection)라 함.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45-


HEAT TRANSFER

< 보존 방정식 >

continuity :
u v
 0
x y
momentum :
 u u  P   2u  2u 
x :  u  v     2  2 
 x y  x  x y 
 v v  P   2v  2v 
y :  u  v       2  2   g
 x y  y  x y 
energy :
T T   2T  2T  k
u v   2  2  여기서,  
x y  x y  C p

y 방향 momentum eq. 에서   g 는 부력에 의한 체적력(body force)을 나타낸다.


이 값은 공간 내부 유체의 밀도  의 변화에 따라 작용하는 힘이다.
즉,    ( x, y)   ( P, T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46-


HEAT TRANSFER

<  의 결정 방법 >

① 이상기체인 경우
P
   ( P, T )
RT
R : 특정기체상수  R  Ru / M  ; Ru  8.3144  kJ / kmol  K ; M : 분자량  kg / kmol 
T : 절대온도  K  ; P : 절대압력 [ Pa] or [kg / m  s 2 ] or [ N / m2 ];  : 밀도 [kg / m3 ]
② Boussinessq 근사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47-


HEAT TRANSFER

y momentum eq.
 v v  P   2v  2v 
(a)  u  v       2  2   g
 x y  y  x y 
P
여기서 수직벽(고온벽)을 따라 발생되는 압력 강하 는 유체의 평균 밀도    를 고려한
y
위치에너지(P.E)의 변화율과 같다고 가정할 수 있다. (Boussinessq 근사)
P.E   gy
 P.E의 y 에 대한 변화율 :  (P.E)    g
P  y 
즉,    g
y
그러므로, 식 (a) 는
 v v    2v  2v 
  u  v     2  2        g
 x y   x y 
여기서, 밀도    (T , P)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48-


HEAT TRANSFER

밀도  를 온도 T 및 압력 P 의 변화에 대한 Taylor 전개 :
     
     T  T      P  P0   
 T  P  P T
; 대부분의 자연대류 system 내부에서 압력 P 는 거의 일정
  
따라서,   0
 P T
여기서 유체의 체적 팽창 계수 (volumetric expansion coeff.)  를 고려하면
1   
   
  T  P
      T  T 
      T  T 
따라서, y Momentum eq. 은
 v v    2v  2v 
  u  v     2  2    g  T  T 
 x y   x y 
v v   2v  2v 
 u  v    2  2   g  T  T 
x y  x y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49-


HEAT TRANSFER

따라서, 보존 방정식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 u v
 x  y  0

 u u 1 P   2v  2v 
u  v    2  2 
 x y  x  x y 
(b) 
u v  v v     v   v   g  T  T   1 P
2 2

 x  2 2  
y  x y   y

 T T   2T  2T 
u x  v y    x 2  y 2 
  

식 (b)를 무차원화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무차원 변수들을 고려,


 * x y
 x  y *

L L

u *  u v *

v
  /L  /L

 
 P*  P /  2 / L2

 T  To
  To  Th  Tc  / 2
 T h  Tc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50-


HEAT TRANSFER

따라서, 식 (b)의 무차원 형태는 다음과 같다.

 u * v*
 x*  y*  0

 * u * * u * P*   2u *  2u * 
u v   *   *2  *2 
  x *
 y *
x  x y 
(c) 
u * v  v* v   P    v   v   Gr
* * * 2 * 2 *

 x*  
y* y*  x*2 y*2 

 *  *   2  2
u v  *2  *2
 x *
y *
x y

g  Th  Tc  L3
여기서, Grashoff 수 : Gr 
2
Ra  109 : laminar
Rayleigh 수 : Ra  Gr  Pr 
Ra  10 : turbulent
9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51-


HEAT TRANSFER

< 식 (c)의 해석 결과 예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52-


HEAT TRANSFER
< Natural convection · · · empirical correlation >

1) Flow on a horizontal cylinder


a) Laminar
0.518Ra D1/4
Nu D  0.36  4/9
106  Ra D  109
1   0.559 / Pr 9/16 
 
: Churchill & Chu
여기서, Ra D  GrD  Pr
g  Th  Tc  D3
GrD 
2
b) Turbulent
2
   
1/6

  Ra D  
Nu D  0.60  0.387    Ra D  109
9/16 16/9
  1   0.559 / Pr 
   
     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53-


HEAT TRANSFER

2) Flow on a vertical wall

a) laminar
Nu L  0.68  0.670  Ra L  
1/4

Ra L  109
b) turbulent

Nu L  0.68  0.670  Ra L   1  1.6 10 RaL 


1/4 8 1/12

109  Ra L  1012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54-


HEAT TRANSFER

H.W. # 9 : 9.11, 9.29, 9.58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55-


HEAT TRANSFER

[1] Chapters 10 및 11 은 생략함.

[2] Chapters 12 및 13에 해당하는


자료는 첨부된 자료로 대체.

에너지시스템 및 복사특성연구실 -25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