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2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석 사 학 위 논 문

비유클리드 기하학과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등거리 변환에 대한 고찰

신 한 결

부산대학교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2022년 2월
비유클리드 기하학과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등거리 변환에 대한 고찰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신 한 결

부산대학교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지 도 교 수 홍 성 관

신한결의 교육학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2021년 12월 27일

위원장 한 준 철 인

위 원 이 은 경 인

위 원 홍 성 관 인
차 례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가. 연구 내용 ·························································································································· 2
나. 연구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1. 구성주의 ·································································································································· 3
가. 구성주의 ···························································································································· 3
나. Piaget의 조작적 구성주의 ····························································································· 4
2. 형식불역의 원리 ···················································································································· 4
3.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생 ·································································································· 5
4. 쌍곡기하학 ······························································································································ 7
가. 쌍곡기하학의 정의 ·········································································································· 7
나. 쌍곡기하학의 무모순성 ·································································································· 7
다. 쌍곡기하학의 모형 ·········································································································· 8
Ⅲ.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등거리 변환 ·············································································· 13
1. 유클리드 기하학의 등거리 변환의 분류 ········································································ 13
가. 유클리드 기하학의 등거리 변환 ················································································ 13
나. 분류 ·································································································································· 13
다. 반사군으로서의 등거리 변환 ······················································································ 19
2.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등거리 변환의 적용 ·················································· 21
가. 유클리드 기하학의 반사 개념인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반전 ············ 21
나.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등거리 변환 ·························································· 24
다.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등거리 변환의 분류 ············································ 24
3.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의 교수·학습 단계 ··································································· 33
Ⅳ. 결론 및 제언 ······················································································································· 34
참고문헌
Abstract

- i -
비유클리드 기하학과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등거리 변환에 대한
고찰

신 한 결

부산대학교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요약

본 논문에서는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도입하는 학습 과정 중 등거리 변환에 관한 사항


을 수학 소프트웨어인 Geogebra의 사용자 도구를 이용하여 물리적 실험 과정을 보였
다. 수학학습은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주의에 입각하
여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등거리 변환의 실험적, 귀납적
분류는 비유클리드 기하의 의미 있는 수학적 내용이 유클리드 기하만큼 풍부하다는 사실
을 인식하게 할 수 있으며 기존 체계의 정의를 확장하고 일반화하는데 고려되는 형식불
역의 원리에 따라 유클리드 기하에서의 등거리 변환을 분류한 방법으로 비유클리드 기하
에서의 등거리 변환의 실험적 분류를 통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두 기하학을 비교, 분
석하여 지식을 구성하는 학습환경을 제시한다. 이는 유클리드 기하의 교육에 집중 되어
있는 현재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비유클리드 기하의 필요성과 의미를 인식하
게 하는 의미 있는 교수·학습 과정이 될 것이다.

주제어 : 푸앵카레 상반평면, 비유클리드 기하, 등거리 변환, geogebra

- ii -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현재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은 유클리드 기하학만을 다루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유클리드 기하는 절대적이고 가장 편리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많은 학생들
이 18세기 말에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이라는 기하학에서의 한 혁명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잘 모르고 있다. 틀림없이 공학과 건축분야와 같이 그렇게 크지 않은 거리에 대
한 통상적인 측정에 있어서 유클리드 기하학이 대단히 유용하다. 그러나 유클리드 기하
학이 일반공학에 대해서는 그럴지 모르지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아인슈타인에 의하면 공간과 시간은 불가분이고 시공의 기하학은 물질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광선은 반드시 중력에 의해서 휘어진다는 것이다. 기하학이 광선에
대한 것은 아니지만 광선의 행로가 무정의 용어 “직선”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물리적
해석이다. 평행한 광선이 만나는 것은 중력에 의한 것이라는 것이 아인슈타인의 아이디
어다. 이는 쌍곡기하학에서 평행한 두 직선이 만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아인슈타
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기하학의 이러한 해석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만약 내가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모르고 있었다면 나는 결코 상대성이론을 만들어 낼 수
없었을 것이다.” 또한 기하학이 정말로 참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푸앵카레의 유명한 대
답이 있다. 한 기하학이 또 다른 기하학보다 더 사실이 될 수는 없다. 그것은 단지 더
편리할 수 있을 뿐이다. 특히 루네버그는 우리의 눈을 통해서 뇌로 전달되는 시각적 공
간은 유클리드기하학보다 쌍곡기하학에 의해서 가장 편리하게 묘사될 수 있다고 주장했
다.

비유클리드 기하를 다루는 것 자체가 유클리드 기하를 다루는 것과 같이 동등한 가치


를 지니고 있으며 의미있는 수학적 내용이 유클리드 기하만큼 풍부하다. 학생들이 직관
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현재 교육과정의 지식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수학적 내용이
풍부한 기하학적 모형을 제시하여 두 기하학을 비교, 분석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좋은 수
업의 소재가 될 수 있다. 단순히 비유클리드 기하 모형에서 평행선 공리가 성립하지 않
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보다는 유클리드 기하의 본질은 반사(reflection)
에 의해 보존되는 성질의 탐구라고 보는 것이라는 F.Klein의 관점에서 비유클리드 기하
에서의 반사이라는 의미있는 수학적 내용을 다룰 것이다.

- 1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클리드 기하에서 유한 번 반사에 의한 등거리변환을 분류하고
기존 체계의 정의를 확장하고 일반화하는데 고려되는 형식불역의 원리에 따라 비유클리
드 기하로의 지식의 확장을 시도한다. 이에 비유클리드 모형으로 푸앵카레 상반평면을
채택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조작 가능한 지오지브라 환경을 제공하여 등거리 변환의 확장
을 실험적, 직관적으로 이해하며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비유클리드 기하 학습의 교수·
학습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가. 연구 내용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유클리드 기하에서 등거리 변환의 분류를 지오지브라를 이용한 실험적 진행

둘 째, 유클리드 기하의 반사개념에 대응하는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P-반사


에 대한 정의

셋 째, 유클리드 기하에서 등거리 변환의 분류를 일반화하여 푸앵카레 상반평면에서


P-반사의 유한 번 합성을 통한 등거리 변환의 분류를 지오지브라를 이용하여 실험적 진

이 연구의 결과로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교수·학습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비유클리드 기하 학습을 중, 고등학교 수준 정도의 수학 지식으로


학습하여 비유클리드 기하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는데 있다. 이에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쌍곡기하 모형으로 푸앵카레 상반평면을 채택하고 지오지브라(geogebra)에서
내려받은 Hyperbolic Half-Plane Geometry Environment1)를 실험도구로 사용할 것이
다.

이 파일은 기존의 지오지브라에서 사용 가능한 유클리드 기하 도구 이외에 쌍곡기하


도구로 쌍곡직선(hyperbolic line), 쌍곡반직선(hyperbolic ray), 쌍곡선분(hyperbolic

1) 이 Geogebra 파일은 Dr. Jack L. Jackson Ⅱ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https://www.geogebra.org/m/t23dd8aw 에서 내려받을 수 있는 공개파일이다.

- 2 -
segment), 쌍곡수직선(hyperbolic vertical line), 쌍곡수직이등분선(hyperbolic
perpendicular bisector), 쌍곡원을 작도할 수 있는 도구로 hyperbolic circle center
& point, hyperbolic circle center & radius, circle through 3 points, 쌍곡각 측정
(hyperbolic angle measure), 쌍곡각 이등분(hyperbolic angle bisector), 쌍곡거리
측정(hyperbolic distance), 쌍곡회전변환(hyperbolic rotation), 원에 대한 반전
(reflect about circle) 등의 사용자 도구들을 포함하고 있다. 쌍곡직선, 쌍곡원, 쌍곡각
측정, 쌍곡 거리 측정의 도구들은 각각 유클리드 기하에서 눈금 없는 자, 컴퍼스, 각도
기, 눈금 있는 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사용자 도구들을 수학적 실험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여 쌍곡공리 등을 실험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으며 학생들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조작의 도구
로 사용할 것이다.

II. 이론적 배경

수학적 지식의 구성 과정은 학습자가 지식을 외부로부터 수용하여 습득하는 것이 아


닌 구체적 행동에서 시작하여 반영적 추상화에 의해 점차적으로 다양한 수학적 지식을
구성해 가는 과정으로 ‘구성주의(constructivism)’, 정의를 확장하고 정리를 일반화하고
자 할 때 기본적으로 고려되는 ‘형식불역의 원리(principle of the permanence of
equivalent forms)’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비유클리드 기하
학의 역사적 발생, 그리고 본 논문에서 주로 다루는 쌍곡기하학에 대해 알아본다.

1. 구성주의(constructivism)

가. 구성주의

수학교육학계에서 설득력 있게 논의되어 온 주제 중 하나로 수학학습은 학습자가 스


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지 않으면 의미 있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것이
구성주의 교육철학이다. 구성주의자들은 모든 지식은 주체에 의하여 자주적으로 구성되
는 것이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거쳐 합의됨으로써 공적인 지식이 되는 것으로 보고 학습
자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사고활동, 토론과 의사교환, 안내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강
조한다. 본 논문에서는 Piaget의 조작적 구성주의를 소개한다.

- 3 -
나. Piaget2)의 조작적 구성주의

Piaget에 따르면 학습은 환경에의 적응과정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인지적 균형의 파


괴와 동화 조절에 의한 새로운 균형화가 반복되는 스킴의 끊임없는 재구성 과정이다. 여
기서 동화는 기존의 인지구조에 의한 대상의 해석이며, 조절은 동화를 위한 인지구조의
분화와 조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Piaget는 합리적 사고와 지식의 본질을 내면화된 가역
적 행동, 곧 조작(operation)으로 보고 있으며, 행동과 조작을 반복 가능하게 하고 일반
화할 수 있게 하는 인지구조를 스킴(schemes)이라고 불렀다.

Piaget의 조작적 구성주의는 행동이나 조작의 일반적 조정에 의한 추상화, 즉 반영적


추상화(reflective abstraction)에 의하여 구성된 조작과 그것을 바탕으로 구성된 고차원
적인 조작을 뜻한다. 즉 전체적인 것이 파악되지 않은 상태에서 행해지는 일련의 행동의
스킴은 상호 조정되어 반영적 추상화에 의하여 조작적 스킴으로 구성되고, 다시 그렇게
하여 구성되는 조작적 스킴은 다음 단계의 조작적 스킴의 출발점이 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조작적 스킴이 논리-수학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수학적 활동이란 스킴을
구성하고 적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반영적 추상화는 이전의 구성 결과인 조작을 단지 바꾸어 놓는 식으로 새로운 조작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의 구성을 특별한 경우로 통합하면서 그것을 뛰어넘는 재구
성을 하여 나아간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적 일반화 메커니즘을 갖고 있으므로 주
체의 지식체계는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발달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의미 있는 비유클리드 기하의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 학습자가 능동적


인 지식 구성 활동을 하도록 유도해야 하고, 학습자가 자신의 조작 활동을 사고 대상으
로 삼아 반영적 추상화를 이룰 수 있는 학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형식불역의 원리

현대대수학의 최초의 싹은 1830년에 출판된 영국의 G. Peacock의 저서 treatise on


Algebra에서 ‘산술대수(arithmetic algebra)’와 ‘기호대수(symbolic algebrea)’를 구분
한 데에서 찾아볼 수 있다. Peacock는 그 책에서 대수학에 <Euclid 원론>과 견줄 만한
논리체계를 갖추려 하였고, 자신의 책을 ‘대수학의 Euclid’라고 불렀다. 그는 자연수로
한정된 ‘산술대수’에서는 뺄셈  에서 반드시   이어야 하지만 ‘기호대수’에서는 그

2) 생물학적인 발생적 인식론자이면서 발달심리학자이다.

- 4 -
러한 제한은 제거되며, ‘기호대수’에서의 뺄셈은 항상 가능하다는 점에서 ‘산술대수’의
뺄셈과 구분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산술대수’의 ‘기호대수’로의 확장을 ‘형
식불역의 원리(principle of the permanence of equivalent forms)’라고 불렀다. 형식
불역의 원리는 수학에서 강력한 개념으로 간주되었으며, 초기의 복소수 체계의 발전과
자연수 지수로부터 보다 일반적인 지수로의 확장 등 수학의 발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
으며, 오늘날에도 정의를 확장하고 정리를 일반화하고자 할 때 기본적으로 고려되는 지
침이 되고 있다.

형식불역의 원리는 특히 수의 확장에서 매우 중요한 사고양식이 되어 왔다. 기존의



수 체계가 갖고 있던 연산법칙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리수  는    , 음의 정수  



은    , 무리수 
 은   ,   는    , 는   을 만족시키는 한 해를 도
입하면서 수의 체계가 확장된다. 이들 수는 기존의 산술체계에서 각 방정식을 만족하는
것으로 간주된 새로운 형식적인 대상인 로 도입하는 것이다. 기존의 수체계에서 인정된
성질이 유지되도록 수체계를 확장하고 연산과 관계를 확장하는 또 다른 예로는 자연수
지수를 가지는 지수법칙을 정수 지수로 확장하는 것이 있다.

본 논문에서 기존 체계의 정의를 확장하고 일반화하는데 고려되는 형식불역의 원리에


따라 유클리드 기하에서의 등거리 변환을 분류한 방법으로 비유클리드 기하에서의 등거
리 변환의 실험적 분류를 통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두 기하학을 비교, 분석하여 지식
을 구성하는 학습환경을 제시한다.

3.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생

유클리드는 그의 기하학을 공준이라고 불리는 다섯 개의 기본적인 가정 위에서 건설


했다.

공준.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점  ,  에 대하여  와  를 지나는 직선  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공준. 임의의 두 선분  ,  에 대하여  가  와  사이에 있고 선분  가 선분
 와 합동인 점 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공준.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점  ,  에 대하여 중심이  이고 반경이  인 원이 존
재한다.

- 5 -
공준. 모든 직각은 합동이다.
공준. 한 직선  과  위에 있지 않은 한 점  가 주어질 때  를 지나서  과 평행인 직
선  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유클리드의 처음 네 개의 공준은 항상 수학자들에 의해서 쉽게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다섯 번째 평행선 공준3)은 19세기에 이르기까지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켜왔다. 유클리
드 기하학은 구부러지지 않은 평평한 면과 공간을 대상으로 하기때문에 평행선 공준은
아무런 문제점을 갖지 않지만, 관점을 달리하면 그렇지 않다. 즉, 구부러거나 휘어진 곡
면과 공간에서는 다른 4개의 공리 · 공준들은 모두 성립하지만 평행선 공준은 성립하지
않는다. 18세기 초 사케리가 이 공준을 유클리드의 다른 공준에서 얻으려는 시도를 시작
으로 19세기 초 로바체프스키(Lobaschewski, 1793~1856)와 볼리아이(Bolyai,
1802~1860)는 평행선 공준을 부정하여 새로운 기하학이 알려지게 되는데 이것이 비유클
리드 기하학이다.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다음과 같이 크게 타원기하학과 쌍곡기하학으로 나뉘게 된다.


타원기하학은 리만이 제시한 기하학으로 유클리드의 처음 4가지 공리와 평행선이 존재
하지 않는 기하학으로 대표적인 구면 기하학이다. 쌍곡기하학은 19세기 가우스, 로바체
프스키, 볼리아이에 의하여 제시된 기하학으로 유클리드의 처음 4가지 공리와 평행선이
두 개 이상 존재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기하학이다.

비유클리드 기하의 출현으로 현실적 공간에 대한 유일한 모순 없는 2000여 년 동안


서구의 사상계를 지배한 ‘원론’에 기초한 유클리드적인 고전적 공리론에 큰 변화가 일어
났다. Hilbert가 순서공리와 연속성 공리를 보완한 Hilbert 공리계에 의해 현대 추상수
학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수학은 지적인 자유에 의해 선택된 가설인
공리를 바탕으로 엄밀하게 전개된 상대적인 형식적인 구조로 간주 되었다. 또한 물리적
실제에 대해 우리의 경험적, 실험적 지식과 부합되는 유클리드 기하는 지구와 같은 거대
한 우주 공간을 설명할 때는 적합하지 않음이 드러났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
에서 공간의 기하는 리만 기하이고 빛은 측지선을 따라 움직이고 공간의 곡률에 따라
기하의 특성이 바뀐다. 비유클리드 기하는 상대성이론, 광학이론 등 물리적 세계의 응용
에는 매우 유용하다.

3) 유클리드 기하학을 또 다른 평행공리 위에서 세워진 다른 기하학과 구별시키기 때문에 유클리드 평행공
리라 부른다.

- 6 -
4. 쌍곡기하학(Hyperbolic geometry)

가. 쌍곡기하학의 정의

쌍곡기하학은 정의에 의하여 중립기하학의 모든 공리를 그대로 인정하고 다만 힐베르


트의 평행공리를 그의 부정으로 대체시킴으로써 얻어진 기하학이다. 이때 평행공리를 부
정한 공리를 흔히 “쌍곡공리(hyperbolic axiom)”라 한다.

[쌍곡공리] 쌍곡기하학에서 한 직선  위에 있지 않은 점  를 지나서  과 평행한 직선이


적어도 두 개 존재하는 어떤 직선  과 어떤 점  가 존재한다.

쌍곡기하학은 유클리드의 공리 중 단지 하나의 공리만을 바꾼 것인데 그것은 중, 고


등학교에서 배운 기하학처럼 쉽게 이해될 수 있다. 타원기하학은 유클리드식으로 쉽게
접근할 수 없지만, 쌍곡기하학은 유클리드적으로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 쌍
곡기하학을 다룬다. 쌍곡기하학의 모형 중 푸앵카레의 모형은 각이 유클리드식으로 측정
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고 벨트라미-클라인 모형은 직선이 유클리드 직선의 선분
에 의해 표현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나. 쌍곡기하학의 무모순성

쌍곡기하학은 무모순성은 오늘날 메타수학(metamathematics)4)에서의 문제로 흔히


언급한다. 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해서도 동일한 질문을 던진다면 유클리드 평행 공리를
증명하려면 2000년 동안의 노력은 무의로 끝났으며 이는 유클리드 기하학이 모순이 없
다는 것을 가정한다. 쌍곡기하학의 무모순성의 직접적인 증명은 유클리드 기하학의 무모
순성과 마찬가지로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상대적인 무모순성의 증명은 가능하다.

[초수학적 정리] 유클리드 기하학이 모순이 없다면 쌍곡기하학의 모순이 없다.

이 결과를 그대로 인정하면 다음 따름정리를 얻는다.

4) 힐베르트가 제창한 수학의 한 입장으로 초수학이라고도 한다. 증명론과 같이 수학적인 이론을 한 단계


높은 입장에서 고찰하는 경우 연구 대상으로서의 이론을 단순히 수학이라 부르고 수학 그 자체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는 이론을 메타수학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 7 -
[따름정리] 유클리드 기하학이 모순이 없다면 평행공리를 힐베르트의 나머지 공리들로부
터 증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평행공리는 다른 공리들과 독립이다.

평행공리의 증명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쌍곡공리가 그 증명된 결과에 모순


을 초래하기 때문에 쌍곡기하학이 모순이 된다. 초수학적 정리는 쌍곡기하학이 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해 상대적 무모순성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평행공리의 어떤 증명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귀류법으로 보여진다. 즉, 유클리드 기하학이 모순이 없다는 가정은 평행
공리에 대한 어떤 증명이나 반증도 존재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벨트라미(Eugenio Beltrami, 1835~1900)는 1868년 미분기하학을 사용하여 쌍곡기하


학의 무모순성을 증명하였으며 클라인은 사영기하학이 증명에 사용될 수 있음을 깨달았
다.

쌍곡기하학에서 “직선”은 평행선의 성질을 제외하곤 유클리드 직선의 개념과 유사한


추상개념을 묘사하는 무정의 용어5)이다. 쌍곡기하학을 “보이게 한다”는 문제는 쌍곡대상
들을 표현하는 유클리드 대상을 발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클리드 기하학의 모형 내
에 쌍곡기하학의 모형으로 벨트라미-클라인 모형, 푸앵카레 원판, 상반평면 모형들이 소
개되었으며 벨트라미가 1868년 미분기하학을 사용하여 쌍곡기하학에 대한 상대적 무모
순성이 증명함으로써 쌍곡기하학은 유클리드 기하학과 대등한 지위를 얻게 되었다.

다. 쌍곡기하학의 모형

벨트라미-클라인 모형, 푸앵카레 원판 모형은 간단히 소개하며 본 논문에서 다루는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 대한 내용은 상세히 다룰 것이다. 이 주요 세 가지 쌍곡기하
학의 모델은 주어진 선형분수변환(linear fractional transformation)을 통하여 모두 동
형임이 알려져 있다.

5)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모든 기하학 용어를 정의하는데 기초로 사용하는 용어로 점(point), 직선(line), 위
에 있다(lie on), 사이(between), 합동(congruent) 다섯 개의 무정이 용어가 있다.

- 8 -
1) 벨트라미-클라인(Beltrami-Klein) 모형6)

유클리드 평면 안에 하나의 원 

          

을 쌍곡평면으로 하고 원  의 내부(interior)의 점들은 클라인 모형  7)에서의 점을


표현한다. 원  의 한 현은 원  위의 두 점  ,  를 연결하는 선분  이다. 끝점을
포함하지 않는 선분을 개현(open chord)이라 부르고 이는 클라인 모형에서의 직선을
표현한다. 두 개현이 원  의 내부에서 만나지 않으면 두 직선은 평행이라 정의한다.

다음 [그림 1]은  를 지나는 두 개현 과 은 개현  과 평행임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쌍곡공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 벨트라미-클라인 모형에서 나타낸 쌍곡공리

2) 푸앵카레 원판(Poincare disk) 모형

푸앵카레(Henri Poincare, 1854~1912)에 의하여 만들어진 원판모형  8)은 클라인


모형과 마찬가지로 원의 내부

          

을 쌍곡평면으로 하고 원  의 내부(interior)의 점들은 클라인 모형에서의 점을 표현


하지만 직선은 다르게 표현한다. 직선은 원  의 중심  를 지나는 모든 개현(open
diameters)과 원  와 직교하는 원의 개호(open arcs)에 의해 표현된다.

6) 간단히 클라인 모형이라고 부를 것이다.


7)  는 Beltrami-Klein 에서 K를 따서 사용한다.
8)  는 Poincare Disk 에서 D를 따서 사용한다.

- 9 -
다음 [그림 2]과 같이 원  의 개직경  이나 원  와 직교하는 개 원호  을 푸앵카레
직선이라고 부른다.

[그림 2] 푸앵카레 원판모형의 직선

다음 [그림 3] 직선  과 그 위에 있지 않은 한 점  가 있다고 하자. 점  를 지나고


직선  과 평행인 직선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는 원호  와  사이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극한평행직선이라 부른다. 두 극한평행직선 사이에 놓인 직선은
모두 점  를 지나고  에 평행인 직선이다.

[그림 3] 푸앵카레 원반평면 모형에서 나타낸 쌍곡공리

따라서 푸앵카레 원판모형의 평행선이 두 개 이상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임으로써 쌍


곡기하학의 모형이 됨을 알 수 있다.

- 10 -
3) 푸앵카레 상반평면(Poincare half plane) 모형

쌍곡기하학의 모형 중 푸앵카레에 의하여 만들어진 상반평면 모형에 대해 살펴보자.


우리의 목표인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등거리변환을 다루기 위해 학생들은 상반평면 모형
에서의 기하학적 도형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이해하고 지오지브라에서 제시된 작도도구
에 익숙해야 할 필요가 있다.

푸앵카레 상반평면   9)는 한 고정된 유클리드 직선에 의해 결정된 유클리드 두 반평


면 중 한 반평면 위의 점들에 의해 표현된다.

    ∈     

유클리드 평면의 도형들과 구분하기 위해 푸앵카레 상반평면의 기하학적 도형에 ‘P-’


라는 접두어10)를 붙여 ‘P-점’, ‘P-직선’, ‘P-각’, ‘P-삼각형’, ‘P-반사’ 등과 같이 사용한
다.

(1) P-점 : 점은 한 고정된 유클리드 직선에 의해 결정된 유클리드 상반부의 점들로


정한다.

(2) P-직선

① 축 위의 점으로부터 뻗어나가 축에 수직인 반직선

② 축 위의 한 점을 중심으로 갖는 상반평면에서의 반원

[그림 4] P-직선

9)  은 Hyperbolic plane의 앞 글자인 H 를 따서 사용한다.


10) 이 접두어는 Poincare half plan의 앞 글자인 P를 따서 사용한다.

- 11 -
(3) P-각 : 통상적인 유클리드 방식으로 각이 측정된다. 이를 등각적(conformal)이라
한다.

[그림 5] P-각

(4) P-길이 :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등거리변환(isometry)에 의해 불변인 기


하학적 양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P-직선  에 대한 등거리 변환의 불변량
이 되는 비례식이 존재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의 1]  ,  는 P-점,  ,  는  ,  를 지나는 P-직선과 푸앵카레 상반평면의 경계



 ⋅

선과의 교점이라고 하자. 
 를    로 표시하고 복비(cross-ratio)로 정의
 ⋅

한다.
이제 푸앵카레 길이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정의 2] P-점  ,  사이의 거리는


    log  
로 정의된다. 여기에서 로그는 상용로그를 의미한다.

P-점  ,  가 주어지면  ,  는 유일하게 결정되고 복비    는  ,  의 순서


와  ,  의 순서에 의존하나  는 순서와 무관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상반평면에서 정의된 P-도형을 사용하여 [그림 6]은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


에서 쌍곡공리를 표현한 것이다. 직선  과 평행하면서 점  를 지나는 평행선을 직관적
으로 찾을 수 있으며 두 개의 극한평행직선이 존재하는 평행선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
는 이 두 극한 평행직선 사이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이는 학생들에게 비유
클리드 기하학의 존재 가능성을 납득 시키는 실험의 예가 될 수 있다.

- 12 -
[그림 6]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 나타낸 쌍곡공리

III.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등거리 변환

연구의 결과로 유클리드 기하에서의 등거리 변환을 분류하고 같은 방법으로 비유클리


드 기하에서의 등거리 변환을 분류를 지오지브라를 이용한 능동적 학습환경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기존의 사고체계인 유클리드 기하의 세계에서 비유클리드 기하의 세계로 지식
체계로 확장하는 과정을 보이고자 한다. 먼저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등거리 변환을 분류
해보자.

1. 유클리드 기하학의 등거리 변환의 분류

가. 유클리드 기하학의 등거리 변환(An isometry of Euclidean plane)

유클리드 기하학의 등거리 변환은 거리 보존 사상이다. 임의의 두 점 ,  ∈ 에 대


하여,

   → 

는       을 만족시킨다. (단,  는 유클리드 거리이다.)

나. 분류(Classification)

유클리드 평면에서의 4가지 등거리변환에 대해 Geogebra를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살


펴본다.

- 13 -
(1) 반사(Reflection)

 의 임의의 점  를 직선  에 수선의 발을 내리고  에서 그 거리만큼  와 반대 방


향의 점 ′로 대응시킬 때의 점 ′은 점  를 직선  에 대한 반사점(reflection point)
라 부르고 직선  을 대칭선(line of symmetry) 또는 대칭축(axis of symmetry)이라 한
다. 이렇게 정의된 직선  에 대한 반사변환   은 등거리변환이고 전단사 함수이다.

다음 [그림 7]은 삼각형  를 직선  에 대해 반사변환하여 얻은 삼각형 ′ ′ ′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7] 삼각형 ABC를 직선  에 대한 반사

(2) 평행이동(Translation)

다음 [그림 8]은 삼각형  를 벡터  만큼 평행이동하여 얻은 삼각형 ′ ′ ′를 나


타낸 것이다.

[그림 8] 삼각형 ABC를 벡터  만큼 평행이동

- 14 -
 
평행이동은 벡터  와 수직이면서 벡터  의 길이의  ,  지점을 지나는 두 직선  ,
 
 의 반사변환의 합성11)으로 보여질 수 있으므로 평행이동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정의 3]  이 임의의 직선이고  과  이  에 수직이라 하자. 등거리변환   을  에

따른 평행이동(translation along  )이라 한다.

[그림 9] 평행한 두 직선의 반사로 정의한 평행이동

[정리 1] 평행이동에 대한 삼반사 정리 (Three reflection theorem of translation)


세 직선 , ,  가 직선  에 수직일 때,      를 만족하는 직선 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정리 1]은 다음 [그림 10]을 통해 실험적으로 증명될 수 있다. 점  의 직선 에 대


한 반사점을 ′, 점 ′의 직선 에 대한 반사점을 ″, 점 ″의 직선  에 대한 반사점
을 ″′라 할 때, 점 ″′는 점  를 선분 ″′의 중점을 지나면서 직선  에 수직한 직선
 에 의한 반사점으로 나타낼 수 있다.

11) 본 논문의 등거리 변환(반사, 회전, 평행이동, 미끄러짐 반사)들에 대한 군의 연산은 두 변환 사이의 합
성(composition)이다.

- 15 -
[그림 10] 평행이동에 대한 삼반사 정리

다음 [정리 2]는 직선  에 수직인 두 직선을 반사 축으로 연속하여 반사한 결과(즉,


직선 에 따른 평행이동)와 직선  에 수직이고 앞에서 주어진 두 직선과도 각각 서로 다
른 두 직선이 존재하여  을 따라 평행이동한 결과가 일치한다는 내용이다.

[정리 2] 평행이동에 대한 표현정리 (Representation of translations)


직선  에 수직인 임의의 두 반사 ,  의 곱이     로 표현되는 평행이동  와

두 직선 , 에 대하여    ′   ′ 을 만족하는 직선 ′, ′이 유일하게 결정된


다.
(증명) 세 직선 , ,  에 대하여 평행이동에 대한 삼반사 정리를 적용하면
    ′ 을 만족하는 직선 ′ 가 유일하게 결정된다. 양변에  을 작용시키면
       ′

이다.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이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   ′

도 성립한다.

- 16 -
(3) 회전(Rotation)

다음 [그림 11]은 삼각형 ABC를 점  를 중심으로 각  만큼 회전변환한 것을 표현


한 것이다.

[그림 11] 삼각형 ABC를 점  를 중심으로 각  만큼 회전변환


점  를 중심으로 각  만큼 회전변환은 점  를 지나면서 이루는 각의 크기가  인

두 직선 ,  의 반사변환의 합성으로 보여질 수 있으며 회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정의 4]  과  이 한 점  를 지나는 두 직선 일 때 등거리변환   을 점  에 대한


회전(rotation)이라 한다.
특히,    인 경우 항등변환이며 ⊥ 일 때,   을 반회전(half-turn)이라 한다.


[그림 12] 사이각이  인 두 직선의 반사로 정의한 회전이동

- 17 -
다음 두 정리는 평행이동에 대한 삼반사 정리와 평행이동에 대한 표현정리에서 성립
한 내용들이 회전에 대해서도 성립한다는 내용이다.

[정리 3] 회전에 대한 삼반사 정리 (Three reflection theorem of rotation)


세 직선 , ,  에 대하여      를 만족하는 직선 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정리 4] 회전에 대한 표현정리 (Representation of rotation)


주어진 두 직선 ,  와 임의의 직선  에 대하여 ,  의 곱이     로 표현되는

회전변환  은
     ′ 
을 만족하는 직선 , ′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4) 미끄러짐 반사(Glide reflection)

다음 [그림 13]은 삼각형  를 직선  에 따른 평행이동 후 직선  에 반사한 미끄


러짐 반사를 표현한 것이다.

[그림 13] 삼각형 ABC를 벡터  만큼 평행이동 후 직선  에 반사

미끄러짐 반사는 평행이동과 반사의 합성으로 두 개의 평행한 직선에 의한 2번의 반


사와 평행한 두 직선의 수직선에 의한 1번의 반사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총 3번의 반사
의 합성으로 미끄러짐 반사를 표현할 수 있다. 위의 그림에서 직선  을 미끄러짐 반사의
축이라 한다.

- 18 -
[그림 14] 평행한 두 직선과 그 직선에 수직선의 반사로 표현한 미끄러짐 반사

다. 반사군으로서의 등거리 변환(Isometries as reflection group)

반사의 유한 번 합성으로 모든 등거리변환을 만들 수 있으며 이는 반사군의 예가 된


다. 앞에서 2번의 반사로 평행이동, 회전변환을 3번의 반사의 합성으로 미끄러짐 반사를
표현하였다. 그렇다면 그 이상의 반사로 새로운 등거리 변환을 얻어낼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결론은 평행이동, 회전에 대한 삼반사 정리와 3번 이상의 반사는 재배열
을 통해서 반사가 소거될 수 있기 때문에 3번 이상의 반사의 합성으로 새로운 등거리
변환 사상이 추가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정리를 통해 살펴보자.

[정리 5] 직선 , ,  는 평행하지 않은 서로 다른 직선이라 하자. 그러면    은


미끄러짐 반사이다.
(증명)
ⅰ) 두 직선 ,  가 만나는 경우

두 직선 ,  의 교점을  라 하자. 그리고 점  를 지나면서 직선  와 수직인 직선


을  이라 하자. 직선  과 직선  의 교점을  라 하자. 회전에 대한 표현정리에 의해
     이고        를 만족시키는 점  를 지나는 직선 이 존재한
다.

점  를 지나면서 직선  에 수직인 직선을 이라 하자. 그리고 점  를 지나면서 직

- 19 -
선 에 수직인 직선을 ′라 하자.

   ′    (  : 점  의 회전변환)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은 직선 에 따른 평행이동이다.  는 직선  위에 있지 않기 때

문에 ′,  은 서로 다른 직선이다. 따라서    는 미끄러짐 반사이다.

ⅱ) 두 직선 ,  가 만나지 않고  는  와는 만나는 경우

 를 벡터  만큼 평행이동이라 하자. 그러면       임 얻어낼 수 있으므로


   미끄러짐 반사이다.

[정리 6]  를 직선  을 미끄러짐 반사의 축으로 가지는 미끄러짐 반사,   를 직선 

에 의한 반사라 하자. 그러면    는 평행이동 또는 회전이다.

(증명) 직선  을 미끄러짐 반사  의 축이라 하자. 다음 두 가지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


ⅰ) 직선  와 직선  이 평행하지 않는 경우

직선  와 직선  의 교점을  라 하자. 직선  가 점  를 지나고 직선  에 수직으로


만나는 두 직선 ,  에 대하여 미끄러짐 반사  는        로 표현되므로

       .

이다.

직선 , , 이 모두 점  를 지나므로 점  를 지나는 적당한 직선  이 존재하여

    

이다.

따라서     는 평행이동 또는 회전이다.

ⅱ) 직선  와 직선  이 평행한 경우

           

⊥, ⊥인 것에 주목하면    와     는 서로 다른 회전이다.

따라서    는 평행이동이다.

- 20 -
[정리 5], [정리 6]에 의하여 4개 이상의 연속된 반사의 합성은 인접한 4개의 반사를
2번의 반사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유한 번 반사의 합성으로 얻어낼 수 있는 변환은 평

행이동, 회전, 미끄러짐 반사뿐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클리드 평면(   )의 모든 등거


리변환은 반사, 평행이동, 회전, 미끄러짐 반사뿐이다.

2.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등거리 변환의 적용

의미 있는 수학적 내용이 유클리드 기하만큼 풍부하다는 것은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


형에서의 합동이 어떻게 합리적으로 정해지는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푸앵카레 상반
평면에서의 합동은 유클리드 식의 포갠다는 물리적 실험이 불가능하므로 P-합동을 P-반
사의 유한 번의 합성으로 두 P-도형이 포개지는 상태로 정의해주어야 한다. 즉, 푸앵카
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합동을 정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우리는 등거리 변환에 대한 정
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유클리드 기하에서의 등거리 변환의 분류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기 위해 먼저 유클리


드 기하에서의 반사 개념에 대응되는 P-반사의 개념을 정의한 후 P-반사의 유한 번 합
성으로 비유클리드 기하의 등거리 변환을 분류하는 학습과정을 진행한다.

가. 유클리드 기하학의 반사(reflection) 개념인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반전(inverse)

유클리드 기하의 반사(reflection)의 개념과 동일한 길이와 각의 크기를 보존하는 상


반평면 모형에서의 등거리 변환의 개념을 만들어내야 한다.  에서 임의의 점  의 직선
 에 대한 반사점 ′에 대하여 선분 ′ 는 직선  에 의하여 수직이등분되는 성질을 그

대로 만족하도록   에서 P-반사의 개념을 정의하자.

- 21 -
P-직선  와 P-점  가 주어져 있다고 하자.

case1)  가 -축에 수직인 반직선인 경우

[그림 15]  가 -축에 수직인 반직선인 경우의 P-반사

[그림 15]에서 유클리드의 반사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 의  에 대한 대칭점을  ′라


하면 P-선분  ′은 P-직선  에 의해 수직이등분된다. 중심을  으로 하고 반지름이
P-선분  의 길이로 가지는 P-원 위에  ′가 있으므로 P-선분  과 P-선분  ′ 은
길이는 같음을 확인할 수 있다.

case2)  가 -축에 중심을 유클리드 반원인 경우

[그림 16]  가 -축에 중심을 가지는 유클리드 반원인 경우

[그림 16]에서 유클리드의 반사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 의  에 대한 대칭점을  ′라


하면 P-선분  ′은 P-직선  에 의해 수직이등분된다. 중심을  으로 하고 반지름이
P-선분  의 길이로 가지는 P-원 위에  ′가 있으므로 P-선분  과 P-선분  ′ 은
길이는 같음을 확인할 수 있다.

- 22 -
이렇게 작도된 P-점  ′ 은 유클리드 기하에서의 반전의 개념과 동일함을 살펴보자.

[그림 17]  가 -축에 중심을 가지는 유클리드 반원인 경우



[그림 17]과 같이 두 P-직선  와  가  에서 수직으로 만날 때 
  
 ⋅
 ′ 이
다.
 
역으로 
  
 ⋅
 ′ 일 때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므로 삼각형  는 직각삼각형이다. 즉, ∠ 는 직각이고 두 P-직선  와  는 수직
으로 만난다.

[정의 5]  를 중심이 , 반지름이  인 원이라 하자. 반직선 


 위의 점  ′가

 ⋅
 ′  을 만족할 때 점  ′를 원  에 대한  의 반전(inverse)라 한다.

푸앵카레 상반평면에서 유클리드 반원인 P-직선에 대한 반전은 유클리드 기하에서


반사(reflection)와 같은 역할을 하는 개념임을 알 수 있다. 정진희(2013)에 의하면 반전
에 의한 P-거리, P-각의 길이가 보존됨을 알 수 있으며 유클리드 평면에서의 원의 반전
이 푸앵카레 상반평면에서의 등거리 변환인 P-반사과 동일한 개념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푸앵카레 상반평면에서의 P-반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정의 6] 어떤 P-직선  에 대한 P-반사(reflection)


ⅰ)  가 -축에 수직인 반직선일 경우  에 대한 유클리드 반사

ⅱ)  가 중심이 -축에 있는 반원인 경우  에 대한 반전

- 23 -
나.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등거리 변환(An isometry of Poincare half
plane)

유클리드 기하에서와 마찬가지로 쌍곡평면에서의 등거리 변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임의의 두 점 , ∈   에 대하여,

   → 

는       을 만족시킨다. (단,  는 P-거리이다.)

다.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등거리 변환의 분류(Classification)

이제 유클리드 기하에서 유한 번의 반사의 합성을 통하여 등거리 변환을 분류한 것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푸앵카레 상반평면에서 P-반사의 유한 번 합성으로 P-회전, P-이동,
P-미끄러짐 반사를 정의하고 이를 Geogebra를 통하여 실험적인 방법으로 표현해보자.

유클리드 기하의 성질을 유지하면서 비유클리드 기하로 개념을 확장해 나갈 때 우리


는 평행선공준이 성립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특히, 두 평행선의 반사로 정의한 평
행이동에 대해서 상반평면에서는 두 직선의 위치관계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을 것
이다. 비유클리드 기하에서 두 직선의 위치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단순히 비유클리드 기하에서 평행선 공준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사실 그 이상으로 유클리
드 기하와 비유클리드 기하를 심도 있게 비교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1) 두 직선의 위치관계

유클리드 평면의 평행이동에 대응하는 쌍곡평면에서의 등거리변환을 정의하기 위해서


는 평행선에 대한 분류가 우선되어야 한다.

[그림 18] 삼각형 ABC를 벡터  만큼 평행이동

- 24 -
왜냐하면 [그림 18]과 같이 유클리드 기하에서 평행이동의 경우 점  를 벡터  만큼
평행이동 할 때, 유클리드 5공준에 의하여 직선 ′와 평행하면서 점  와 점  를 지

나는 직선은 유일하게 결정되고    


′ 
 ′ 
 ′ 이다. 하지만 쌍곡평면에서는 쌍
곡공리에 의하여 P-직선 ′와 평행하면서 점  또는 점  를 지나는 P-직선은 유일
하게 결정되지 않는다. 실제로 푸앵카레 상반평면에서의 평행선은 평행한 직선과 초평행
한 직선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Patrick J(1986)에 따르면 쌍곡평면의 벨트라미-클라인모형  에서 두 직선  ,  의


위치관계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12)

ⅰ)  과  이 만나는 직선(intersecting lines)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 과 이  에


서 만나는 것이다. ( [그림 19] 참고 )

ⅱ)  과  이 평행선(parallel lines)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 과 이  의 경계에서


만나는 것이다. ( [그림 20] 참고 )

ⅲ)  과  이 초평행선(ultraparallel lines)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 과 이  의 외


부에서 만나는 것이다. ( [그림 21] 참고 )

[그림 19] 만나는 직선들 [그림 20] 평행한 직선들 [그림 21] 초평행한 직선들

[정리 7]   에서 두 직선  과  이 초평행(ultra parallel)하면  ,  에 모두 수직인 직


선  이   에서 유일하게 존재한다. 역으로 두 직선이 공통수선을 가지면 이 두 직선은
초평행한다.

12) Patrick J(1986) p162-163 참조

- 25 -
[정리 8]
(1)  과  이   의 직교(perpendicular)하는 직선이라면,  과  은 만난다.
(2)  가   의 한 점이고,  을   의 어떤 직선이라 하자. 그러면  를 지나고  에 수직
인 직선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유클리드 평면에서는 평행한 두 직선에 대하여 공통수선은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 하


지만 쌍곡평면에서는 평행한 두 직선에 대하여 공통수선을 가지지 않으며 초평행한 두
직선에 대해서는 공통수선이 유일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지오지브라를 통해
실험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유클리드 기하와 비유클리드 기하의 차이를 인
식하게 하는 좋은 주제가 된다.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 두 직선의 위치관계에 대하
여 실험적으로 알아보자.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의 두 직선의 위치관계를 [정리 7], [정리 8]를 이용하여
다음 그림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ⅰ)  과  이 만나는 직선(intersecting lines)인 경우

[그림 22] 만나는 직선들

ⅱ)  과  이 평행선(parallel lines)인 경우

-  ,  에 모두 수직인 직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림 23] 평행한 직선

- 26 -
ⅲ)  과  이 초평행선(ultraparallel lines)인 경우

-  ,  에 모두 수직인 직선  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그림 24] 초평행한 직선들

유클리드 평면에서 도형을 평행이동은 평행한 두 직선의 반사의 합성으로 정의하였


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쌍곡평면에서의 등거리변환은 평행한 두 직선에 의한 반사와
초평행한 두 직선에 의한 반사로 구분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유클리드 평면에서의 등거리변환의 정의에 따라 푸앵카레 상반평면에서 등거


리변환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 ,  을 P-직선이라고 하자. 과 이
점  에서 교차하면   을 점  에 대한 회전(rotation)이라고 한다. 또한 과 이

평행(parallel)할 때,   을 이동(parallel displacement)이라고 한다. 더 나아가 과

이 초평행(ultra parallel)하고, 두 직선에 대해 공통수선  이 있을 때   를  에 대

한 평행이동(translation along  )라고 한다.   에서의 미끄러짐 반사(glide reflection)


란 어떤 직선  에 따른 반사에  을 따른 평행이동(tranlation)을 합성한     이다.

이 직선  을 미끄러짐 반사의 축(axis)라 부른다.

- 27 -
이제 지오지브라를 이용하여 상반평면에서 삼각형 ABC에 대한 등거리변환을 실행하
고 실제로 거리와 각이 보존되고 있는지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확인해보자.

(2) P-회전(rotation)

P-직선 , 에 대하여 과 이 점  에서 교차할 때,   을 점  에 대한 회전


(rotation)이라고 한다.


[그림 25] 사이각이  인 두 P-직선의 반사로 표현한 P-회전

유클리드 기하에서 도형를 점  를 중심으로 각  만큼 회전하기 위해 점  에서 교



차하는 사이각이  인 두 직선의 2번의 반사의 합성으로 보여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그림 25]과 같이 P-삼각형  를 점  에 대하여 만큼 회전한

P-삼각형 ′ ′ ′는 점  에서 교차하는 사이각이  인 두 P-직선의 2번의 P-반사를

합성하여 작도한다.

- 28 -
[그림 26] P-회전

실제로 점  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P-선분  의 길이인 P-원을 따라 점  가 점 


를 중심으로 만큼 회전 되었음을 geogebra의 사용자도구인 Hyperbolic rotation 도구
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Hyperbolic distance, Hyperbolic angle measure도
구를 사용하여 삼각형을 이루는 P-선분의 길이와 P-각의 크기가 보존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참고로 유클리드 평면에서 언급한 회전에 대한 삼반사 정리와 표현정리는 쌍곡평면에


서도 성립한다.

- 29 -
(3) P-이동(parallel displacement)

P-직선 ,  에 대하여 과  이 평행(parallel)할 때,   을 이동(parallel


displacement)이라고 한다.

[그림 27]과 같이 P-삼각형  를 P-이동한 P-삼각형 ′ ′ ′는 평행한 두 P-직선


,  (, 은 평행한 직선)에 대한 2번의 P-반사를 합성하여 작도한다.

[그림 27] 평행한 두 P-직선 , 의 P-반사로 표현한 P-이동

(4) P-평행이동(translation)

P-직선 ,  에 대하여  과  이 초평행(ultra parallel)하고, 두 직선에 대해 공통


수선  일 때,   를  에 대한 평행이동(translation along  )이라고 한다.

[그림 28]과 같이 P-삼각형  를 점  를 지나는 P-직선  에 따라 평행이동한 P-


삼각형 ′ ′ ′는 P-직선  을 공통수선으로 가지는 두 P-직선 ,  (,  은 초평행한
직선)에 대한 2번의 P-반사를 합성하여 작도한다.

- 30 -
[그림 28] P-직선  을 공통수선으로 가지는 두 P-직선 , 에 대한 P-반사
로 표현한 P-직선  에 따른 P-평행이동

다음 [그림 29]은 점  를 지나는 P-직선  을 따라 P-삼각형  를 P-평행이동한


결과이다. Hyperbolic distance, Hyperbolic angle measure 도구를 사용하여 삼각형
을 이루는 P-선분의 길이와 P-각의 크기가 보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9] P-직선  에 따른 P-이동으로 보존되는 P-길이와 P-각

참고로 유클리드 평면에서 언급한 평행이동에 대한 삼반사 정리와 표현정리는 쌍곡평


면에서도 성립한다.

- 31 -
(5) P-미끄러짐 반사(glide reflection)

유클리드 평면에서 미끄러짐 반사는 평행이동과 반사의 합성으로 두 개의 평행한 직


선에 의한 2번의 반사와 평행한 직선에 수직선에 의한 1번의 반사로 보여질 수 있으므
로 총 3번의 반사로 미끄러짐 반사를 표현할 수 있다.

P-직선 , ,  에 대하여 어떤 직선  에 따른 반사에  을 따른 평행이동(tranlation)


을 합성한     을 P-미끄러짐 반사(glide reflection)라 하고 이 직선  을 미끄러짐

반사의 축(axis)라 부른다.

[그림 30]과 같이 직선  에 따른 P-삼각형  를 P-미끄러짐 반사는 점  를 지나


는 P-직선  을 공통수선으로 가지는 초평행한 두 P-직선 , 에 대한 2번의 P-반사
합성 후 P-직선  에 반사로 P-삼각형 ′ ′ ′를 작도할 수 있다.

[그림 30] 초평행한 두 P-직선 , 과 그 직선에 P-수직선  의 반사로 표현한


P-미끄러짐 반사

- 32 -
3.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의 교수·학습 단계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푸앵카레 상반평면의 교수·학습이 이루어


질 것을 제안한다.

차시
주제 지도내용 비고
(총 6차시)

- 유클리드 5공준 소개
1 · 비유클리드 기하학
-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생
-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에서
의 P-도형의 정의
2 ·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형 지오지브라
- 지오지브라의 상반평면 모형
의 P-도구에 익숙해지기
- P-직선, P-선분, P-원, P-삼
· 상반평면 모형에서 P-도 각형 등 P-도형의 작도 및
3 지오지브라
형 작도 수직이등분선, 평행선 작도하

- 반전의 개념을 학습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클리드 기하의
4 · P-반사 개념 정의 지오지브라
반사에 대응하는 P-반사를
정의하기
- 상반평면에서의 두 직선의 위
치 관계
- 상변평면에서의 등거리 변환
· 상반평면에서의 등거리 의 정의
5~6 지오지브라
변환의 분류 - P-반사의 유한 번 합성으로
P-삼각형의 P-반사, P-회전,
P-이동, P-평행이동, P-미끄
러짐 빈사 도형 작도하기

- 33 -
IV. 결론 및 제언

현재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은 유클리드 기하학만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많은 학


생들에게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이상한 기하학 또는 기하학의 비주류라는 오해를 불러일
으키기 쉽다. 하지만 NCTM의 『학교수학의 교육과정과 평가의 표준(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1989, p160)에서는 다음과 같이 권
고하고 있다. “대학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은 Euclid 기하를 많은 공리체계의 하나로서
이해해야한다. 이러한 목적은 학생들이 다른 기하의 성질을 탐구하여 어떻게 기본적인
공리와 정의가 완전히 다른 결과에 이르는가를 알아보도록 지도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
다. 또한 학생들은 Euclid의 유명한 제 5공준을 증명하려는 시도와 관련된 역사를 수학
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에서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기존 체계의 정의를 확장하고 일반화하는데 고려되는 형식불역의 원리에


따라 유클리드 기하에서의 등거리 변환을 분류한 방법으로 비유클리드 기하에서의 등거
리 변환의 실험적으로 분류하는 교수·학습과정을 제시하였다. 수학 소프트웨어인
Gegebra를 사용하여 푸앵카레 상반평면의 내용을 전문적인 지식 없이 고등학교 수준의
수학 지식만으로 유클리드 기하의 등거리 변환과 비유클리드 기하의 등거리 변환과 비
교, 분석하는 과정에서 등거리 변환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알수 있으며 비유클리드 기하
모형에서 평행선 공리가 성립하지 않음을 확인하는 것 이상으로 두 기하학은 동등한 가
치를 지니고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하지만 학습의 과정에서 학생들은 기존의 사고 체계인 유클리드 기하의 세계에서 비


유클리드 기하학을 도입할 때 강력한 불균형을 느끼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Piaget의 인
지발달 이론에 따르면 반영적 추상화도 균형화의 한 메커니즘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
면 탐구활동에의 동기를 유발하는 요인은 이 불균형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불균형
은 갈등을 초래하고 갈등은 주체를 자극하여 현재의 상태를 뛰어넘어 새로운 해결을 모
색하려고 하는 몸부림으로 반영적 추상화를 통한 재구성의 원천이 된다.

비유클리드 기하를 학습자의 능동적인 조작활동과 실험적인 방법을 통해 새로운 기


하학을 만들어가는 과정은 기존의 지식체계를 확장하며 새로운 수학을 발견할 수 있기에
이러한 교수·학습과정은 의미가 있다.

비유클리드 기하의 본질을 더 알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등거리 변환이라는


주제 이외에 유클리드 기하와 비유클리드 기하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의 평면기하 영역에 평행선의 성질, 도형

- 34 -
의 합동, 피타고라스 정리 등을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 포함하지 않고
있는 비유클리드 피타고라스 정리, 비유클리드 합동, 비유클리드 면적과 관련된 연구가
좋은 수업의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35 -
참고문헌

[1] 이우영(2007). 유클리드 기하학과 비유클리드 기하학. 경문사


[2] 김선부(2018). (유클리드 공간과 민코프스키 공간의) 비유클리드 모델 제2판, 경문

[3] 박승안(2019). 현대대수학 9판. 경문사
[4] 우정호(2011).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 우정호(201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6] Greenberg, Marvin J. (2008). Euclidean and non-Euclidean geometries. New York:
W.H. Freeman.
[7] Patrick J(1986). Ryan. Euclidean and Non-Euclidean Geometry_ An Analytic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ibgen.lc
[8] 홍성관(2010). Geometer's Sketchpad를 이용한 비유클리드 상반평면 학습 프로그
램의 개발과 교수-학습 과정 제안. 교사교육연구 제49권 제3호, p305-328
[9] 홍성관(2013). GSP를 사용한 비유클리드 원판모델 학습에서 나타난 중학교 수학
영재들의 평행선에 관한 인식 및 언어 표현 방식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
교육학연구 제23권 제1호, p53-74
[10] 정진희(2013). 비유클리드 상반평면에서 삼각형의 합동에 대한 GSP를 이용한 교
수 학습 과정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36 -
A Study on Isometry in Euclidean and Non-Euclidean Geometries

Shin, Han kyul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In this paper, the physical experiment process was shown using the user tool of
Geogebra, a mathematical software, for the isometry among the learning process
to introduce non-Euclidean geometry. Mathematics learning is based on
constructivism that guides learners to construct knowledge on their own.
Experimental and inductive classification of isometries in the Poincare half plane
model of Non-Euclidean geometry is as rich in meaningful mathematical content
as Euclidean geometr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permanence of
equivalent forms, which is considered to expand and generalize the definition of
existing systems, the experimental classification of isometries in Euclidean geometry
and Non-Euclidean geometry allows learners to actively compare and analyze two
geometries. This provides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onstitutes knowledge. This
will be a meaningful teaching/learning process that will allow us to recognize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Non-Euclidean geometry in the current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is focused on Euclidean geometry.

- 3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