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Ⅱ.

자연환경과 인간 주제2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

※ 자연재해

1) 구분

- 기상(기후적) : 태풍, 해일, 가뭄(旱害), 한파(寒害), 냉해(冷害),


홍수(豪雨), 대설(雪害), 서리(霜害) 등
- 지변(지형적) : 지진, 화산, 쓰나미(지진해일), 산사태 등

2) 특징 : 지리적(특정 지역), 반복적 발생


Ⅱ. 자연환경과 인간 주제2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

※ 우리나라의 자연 재해 피해

1) 태풍(typhoon) - 7월∼9월(특히 9월)→열대 이동성 저기압, 필리핀


동부해상 발생, 17m/sec 이상
- 피해: 풍수해, 해일, 산사태 등
- 전남 > 경남 > 경북
- 장점: 지구 열 수지 균형, 적조 현상 완화
2) 호우 – 장마철, 한여름철 집중
- 침수, 범람, 산사태 등
- 강원 > 경기 > 경남 등
3) 대설 – 북서 계절풍, 이동성 저기압, 북동기류(영동)
- 교통 장애, 비닐하우스·축사·가옥 붕괴, 고립 등
- 강원 > 전북 > 전남
주제2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

※ 우리나라의 자연 재해 피해
4) 지진
① 발생 지역: 지각판의 경계 → 신기조산대 및 해령부근
② 피해: 짧은 시간 동안에 막대한 피해 발생
→ 붕괴․파손, 화재, 지진 해일(쓰나미), 산사태, 눈사태, 지반 액상화 등
③ 대책: 내진 설계, 정밀한 예보 체계 구축, 주민 대피 훈련과 복구 체계 마련
④ 우리나라: 경주·포항 일대
5) 화산
① 발생 지역: 지각판의 경계 → 해령 및 신기조산대 부근
② 피해 - 용암・화산재 등 분출 → 건물과 농경지 파괴・매몰, 삼림 및 생태계
파괴
- 화산재 분출 → 일사량 감소 → 농산물 생산량 감소, 기후변화
- 화산이류, 화쇄류, 화산 가스, 쓰나미, 산사태, 항공 대란 등
③ 대책: 정확한 예보 체계 구축, 신속한 대피, 사방댐 축조 등
주제2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

※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를 통한 인간의 존엄성 보장

1) 환경 관련 헌법 조항
- 헌법 제34조 안전권
- 헌법 제35조 환경권(의무+권리)
2) 국가의 노력
- 재해 예방 대책 수립 및 재난 관리 시스템 구축
재난 정보 통합 시스템
- 피해 보상 및 복구 지원
3) 시민의 노력 : 위기 대응 능력 향상, 재난 대피 훈련 적극
참여, 성숙한 시민 의식으로 공동체 회복 활동 참여
주제2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

※ 갯벌(연안습지)의 공익적 기능
1. 생태계의 보고
2. 수질 정화 자연의 콩팥
3. 어로 생산, 양식, 천일제염
4. 홍수 조절
5. 심미적 기능(천연 관광자원)
6. 태풍, 해일 피해 완충
7. 생태 및 체험 학습장
8. 철새 중간 휴식처
주제2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

※ 갯벌 간척사업의 긍정적(효과) 측면과 부정적 측면(피해)


(1) 긍정적 측면(효과)
1. 간척지(농경지, 공업용지, 배후도시 등) 조성
2. 재해(염해, 가뭄) 방지
3. 용수 공급
4. 교통로(시간거리 단축) 연결
5. 관광지 조성
(2) 부정적 측면(피해)
1. 생태계 파괴
2. 수질 오염 심화
3. 천연 관광자원(갯벌)의 훼손 및 파괴
4. 어로 및 양식업의 부진 및 쇠퇴
5. 이상 기후(냉해, 혹한 등) 발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