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38 장 보전생물학

38.1 생물다양성의 소실은 생태계, 종, 유전자 소실로 나타난다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생태계의 다양성, 종다양성, 유전자 다양성을 포함하는 생물의 모든


수준에서의 다양성

생물다양성의 감소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1. 생명애 (biophilia) – 사람은 자연과 다른 생명들과의 본능적인 연대감이 있음

2. 생태계 서비스 Ecosystem service

자연생태계와 그 속의 생물들이 인간의 삶에 주는 혜택

1. 물자 공급 (식량, 천연물, 의약품, ..)

2. 문화 제공 (지식체계, 문화적 다양성 제공)

3. 생물들 부양

4. 환경 조절 (수질/대기 정화, 식물 수분, 기후 조절 등)

생물다양성의 세 단계

생태계 다양성: 세계의 다양한 자연생태계가 사라지고 농경지나 마을로 전환됨

 생태계 서비스도 감소

종 다양성:

Extinction = 지역적인 절멸 vs 전세계적인 멸종

핵심종의 멸종은 종다양성을 심각하게 저하시킴

유전적 다양성: 소진화와 환경에 대한 적응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

38.2 서식지 소실, 침입종, 지나친 포획, 오염, 기후 변화가 생물다양성의 주된 위협이다

생물다양성 감소의 주요 원인

1. 서식지 소실 : 농업, 도시개발, 임업, 광산, 환경 오염 등에 의한 서식지의 파괴와 조각화

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원인

2. 침입종

일부 침입종은 고유종/자생종과 경쟁하여 배제함으로써 군집을 변화시키고 생물다양성을

저하시킴

3. 지나친 포획 overharvesting (43.8, 43.9)

사람들이 야생 동식물을 너무 많이 사냥/채집하여 수를 줄임

4. 오염
오존층 파괴

생물적 증폭 (biological magnification): 먹이사슬을 통한 오염물질 체내 농축 (PCB, 그림


38.2D)

5. 지구의 기후 변화

38.3 급격한 지구온난화는 지구의 기후를 바꾸고 있다

온실가스와 지구온난화

온실효과 greenhouse effect: 이산화탄소, 수증기, 메탄 등 온실가스는 지구의 평균 기온을 유지시킴


(온실효과는 자연적인 현상) 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는 온실효과의 강화를 가져와 지구온난화에
기여

1. 온도 상승 (그림 38.3)

2. 해수면 상승

3. 극심한 날씨

4. 계절 변화

38.4 온실가스 농도의 증가는 사람의 활동에서 비롯된다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 (그림 38.4A): 산업혁명 이전 280 ppm  409 ppm(2008)

지구온난화의 원인: 인간의 활동 (화석연료의 연소)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땅 속 화석연료(석탄, 석유)는 생물 사체 (탄소, C) + 연소 (산화, O2)  CO2 의 대기중 방출

탄소순환과 이산화탄소 (그림 38.4B)

38.5 지구의 기후변화는 생물권, 생태계, 군집, 개체군에 영향을 미친다

기후변화의 영향

1. 육상 생물군계의 변화: 툰드라 축소, 사막 확장, 열대우림의 사바나화

2. 생태계 변화: 눈이 빨리 녹으며 건기가 일찍 옴  산불 위험 증가

3. 생물계절의 변화: 상호작용의 교란, 이주성 조류의 먹이 부족

4. 해양 온도 상승: 산호초의 백화(bleaching)로 인한 생물다양성 감소

5. 개체군 분포 범위가 극지대 또는 고산지대로 이동, 극지방이나 고산지대 생물 절멸

6. 열대 기생생물 (모기 등) 증가

38.6 기후 변화도 자연선택의 원동력이다

표현형의 유연성(phenotype plasticity): 지역적 환경에 반응할 수 있는 개체의 생리적 구조적 능력


 기후 변화 환경에서 유연성이 높은 개체가 적응도가 높아짐!

예) 박새와 붉은다람쥐에서 표현형 유연성이 높은 개체가 선택됨!

38.7 멸종위기 집단을 보호하는 것은 보전생물학의 목표 중 하나이다

보전생물학(conservation biology):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는) 생물학.


행동생태학, 생태학, 진화생물학, 분자생물학, 유전학, 생리학 등 생물학의 여러 분야가 총 동원됨.

사례 1. 검은발담비 (그림 38.7A): 프레리독만 섭식하는 종. 브레리독의 절멸로 검은발담비도


멸종위기에 빠짐  가두어 기르는 프로그램  야생 방사

사례 2. 은검초 (그림 38.7B): 가두어 기르는 프로그램 후 자생지에 재도입

보전생물학 방향:

1. 군집 전체를 보전하는데 도움이 되는 핵심종을 발굴하고 보호

2. 개별적인 종보다 생태계 보전을 추구

38.8 생태계와 경관의 유지는 보전에 있어서 최우선적인 것이다

서식지 소실/파괴: 개체군이 단절화되어 조각나고 고립됨

경관 (landscape): 상호작용하는 생태계들이 지역적으로 모여 있는 것

경관생태학(landscape ecology): 생태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경관 수준의 구조와 역동성을 연구

경계지역의 패턴 (그림 38.8A)

경계지역에는 고유한 생물 군집이 존재

이러한 종들은 두 인접지역의 자원을 모두 필요로 함

생태이동통로(movement corridor, wildlife corridor): 두 단절된 서식지를 연결하는 좁은 띠 모양의


통로 (그림 38.8C)

동물교통사고 (roadkill) 감소

개체군 분산 촉진 (특히 계절성 이동 종 (개구리, 두꺼비 등))

근친교배 억제

질병도 확산 가능

38.9 생물다양성 감소를 늦추기 위해 보호지역이 설정되었다


보호지역의 지정

생물다양성 집중지점 biodiversity hot spot (그림 38.9A): 생물다양성이 높고 서식지 파괴가 많이
일어나 생물다양성 보전에 매우 우선적인 노력이 필요한 곳, 고유종(endemic species)가 많다

지구 육지 표면의 1.5%에 불과 , 동식물 다양성의 1/3 포함

정의: 고유 식물종 1500 종 이상이며 서식지 파괴 70% 이상인 곳 (그림 43.18)

열대, 마다가스카르, 지중해 등에 집중

개발제한지역 (zoned reserve)

핵심지역(국립공원) 주변에 완충지역을 둠

완충지역에서는 원주민들의 농업과 관광등 인간활동을 지원 (과도한 개발과 변경은 규제)

사례: 코스타리카의 보호구역 (그림 38.10A)

생태관광 (ecotourism): 자연 생태계 보전은 새로운 수입원이 됨

38.11 옐로스톤-유콘 보전사업은 보호지역을 연결하여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려는 시도이다

보호지역의 면적

대부분의 보호지역은 상위 영양단계의 멸종위기종 (예: 늑대) 보전에 필요한 면적보다 좁다

옐로스톤-유콘 보전계획(Yellowstone to Yukon Conservation Initiative, Y2Y): 옐로스톤국립공원에서


캐나다 유콘반도에 이르는 700 개 이상의 국립, 주립, 지역 보호구역을 연결하여 야생생물들의
서식과 이동을 보장하는 계획 (그림 38.11B)

회색늑대: 20 세기 초반 미국에서 절멸  엘크 개체군 급증  과다한 초식으로 생태계 황폐화

1995/6 년 옐로스톤에 30 마리의 늑대를 캐나다에서 들여와 방사

엘크 개체군 감소, 코요테 개체군 감소

버드나무 키 증가 (그림 38.11D)

버드나무에 의존하는 비버 개체군 회복

관목과 나무 회복

독수리, 흑곰 등 죽은 사체 섭식동물 증가

38.12 망가진 서식지의 복원방법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과학 분야이다

복원생태학 (restoration ecology): 파괴된 생태계의 복원이 목적 (그림 42.15)

군집이 교란으로부터 회복하는 속도에 가정 큰 영향을 주는 과정을 찾고 이 과정을 극복


생물정화 (bioremediation): 오염된 생태계의 정화를 위해 생물 이용

사례: 박테리아로 기름 제거, 폐광산 정화, 쓰레기처리장에서 유독물질 제거

식물을 이용한 중금속 제거

하천 복원

사례: 키시미강 복원사업: 댐,저수지, 수로의 변경과 같은 구조물 제거하고 운하를 메우는 사업 (그림
38.12B)

38.13 궁극적인 목표는 지속가능한 개발이다

지속가능한 개발 (sustainable development): 지구상의 자원을 최적으로 관리하여 다음 세대들에게.


적절한 자연자원, 경제자원, 안정된 환경을 물려주는 것

1. 생명과학과 사회과학, 경제학, 인문학 사이의 연계가 필요

2. 지구 자원의 개발, 유지, 보전 (지속가능)

3.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복원 (지속가능)

4. 인류의 삶의 조건을 향상 (개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