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36 장 개체군생태학과 개체의 분포

생태학 (ecology): 생물과 생물 및 생물과 환경 간 상호작용에 관한 과학적 연구

Oikos (집) + logos (연구)

생태학적 연구의 범위

-지구생태학: 생물권(biosphere)인 지구생태계(global ecosystem)와 관계

-경관생태학: 경관(landscape)는 생태계들이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자이크


-생태계생태학: 생물적 요인과 무생물적 구성 요소들 간의 에너지 흐름과 화학적
순환을 강조
-군집생태학: 한 군집(한 지역 내에서 여러 종들의 개체군들의 집단)내 종들의 전체
배열을 다룬다.

-개체군생태학: 개체군(population)은 한 지역에서 서식하는 동종의 개체 집단

-개체생태학

36.1 개체군 생태학이란 어떻게 그리고 왜 개체군이 변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개체군(population): 동일한 지역에 서식하는 단일 종의 개체들의 집합 (실제 교배로 인한 유전자


흐름 존재)

개체군 생태학: 시간에 따라 개체군을 조절하는 인자(factor)와 개체군 크기의 변화 연구

36.2 개체군 변이의 중요한 요소는 밀도와 분포 형태이다

개체군 밀도 (population density): 단위 면적 또는 단위 부피당 개체 수

분포형 (dispersion pattern): 개체들이 공간적으로 흩어져 있는 패턴

- 군생분포형 (clumped): 개체들 간의 (+) 상호작용 또는 자원의 불균등한 분포

- 균일분포형 (uniform): 개체 간의 (-) 상호작용 (경쟁, 세력권 등)

- 무작위분포형 (random): 상호작용 없음

36.3 생명표는 개체군의 생존을 추적한다

생명표 (life table) (표 36.3)

동시 출생 개체들의 집단(동령군, cohort)이 각 단계의 나이까지 생존할 확률인 생존도

(survivorship)을 측정

생존곡선 (survivorship curve): 대수 척도 (로그 스케일)


- I 형: 만사형. 대형 포유류

- II 형: 도마뱀, 일부 설치류 등

- III 형: 조사형. 다년생 식물, 해양 무척추동물 등

36.4 가상적 모델을 이용하여 개체군의 성장을 예측한다

개체당 증가율

기하급수적 성장 모델

G = rN (그림 36.4A)

r : 개체당 (개체군) 증가율 (일정함)

1. r 값은 개체군의 최대 증가율이며 종에 따라 다르다

2. 개체군의 증가는 N 이 커질수록 더 커지며 J 형 곡선을 보인다

3. 기하급수적 성장 모형은 개체군의 성장이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는 이상적 모델

한정요인과 로지스틱 성장 모델: 자원의 제약이 있는 경우 수용력에 개체군이 포화하는 모형

로지스틱 성장 모델

G = rN (K-N)/K (그림 36.4C)

한정요인 (limiting factor): 개체군의 성장을 제한하는 요인

수용력 (K): 특정 환경이 유지할 수 있는 개체군의 최대 크기

1. 로지스틱 성장 모델에서는 개체군 크기가 수용력의 중간 수준일 때 성장률이 가장 높다

2. 수용력(K)는 서식지의 자원 및 다른 생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3. 로지스틱 성장 모델은 자원은 유한하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36.5 다양한 요인으로 개체군의 성장이 제한된다

개체군 조절 인자 (그림 36.5)

밀도-의존성 (density independent) 인자: 개체군 밀도에 따라 출생률이나 사망률이 변화하게 하는


요인
- 개체간 경쟁, 공간의 제한, 생리적 요인 등

밀도 독립성 (density independent) 인자: 개체군 밀도에 상관 없이 작용하는 요인 (주로 물리적


요인)

- 기후, 화재, 태풍, 인간에 의한 서식지 파괴 등

36.6 일부 개체군은 급속히 증가했다 감소하기를 반복한다

약 100 년간의 캐나다의 눈신산토)와 스라소니 개체군 변동 (그림 36.6)

산토끼 개체군 변동 주기의 원인

1. 먹이 가설

2. 포식자 가설

연구결과는 주로 포식자 영향에 의해 산토끼의 주기적인 개체군 변동이 생겨난다는 결론!

36.7 진화가 생활사를 만든다

생활사 (life history): 태어나서 번식하고 죽는 일련의 단계

생활사 특성: 생활사에 영향을 주는 특징들

첫 번식 시기, 번식의 빈도, 자손의 수, 부모의 부양 노력

적응도 요인 중 생존과 번식 사이의 맞교환  각 생물의 생활사 전략이 달라짐

생존에 치중: K-선택 (수용력 근처의 높은 밀도에서 경쟁이 심한 환경에 적응)

번식에 치중: r-선택 (개체간 경쟁이 드물고 공간이 많은 저밀도 환경에 적응)

포식이 구피 생활사에 미치는 영향 (그림 36.7)

다른 포식자가 있는 환경으로 구피 이동후 11 년간 생활사 특징 조사

생활사 특징도 환경에 따라 자연선택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

36.8 개체군 생태학의 이론은 실질적으로 응용된다

지속가능한 자원의 경영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자원재생 대비 가장 높은 개체군 성장속도를 유지시키는 것

개체군 크기가 수용력의 절반일 때 개체군 성장률이 가장 높다 (로지스틱 성장 모델)

 수용력의 절반 이하로 수확해야 개체군이 줄지 않음!


 지나친 수확은 자원의 붕괴를 일으킴 (예: 대구 어장의 붕괴, 그림 참조)

해충 방제 (pest control)

통합적 해충 조절 (IPM, integrated pest management): 생물학, 화학, 경작 방법 등을 모두


통합하여 농업 해충을 방제

36.9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증가율은 느려지고 있다

인구증가 패턴 (그림 36.9A)

총인구의 지속적인 증가, 연간 증가 인구는 감소 중

인구통계적 전환 (그림 36.9B)

높은 출생률, 사망률  높은 출생률, 낮은 사망률  낮은. 출생률, 사망률

연령구조 (age structure): 각 연령별 인구수의 비율 (그림 36.9C)

생식률 (fertility rate) : 여성 1 명이 평생 놓는 평균 자녀 수

인구 모멘텀 (population momentum): 출생률과 인구증가율이 떨어져도 인구수의 증가는

한 동안 계속됨

36.10 연령구조로 사회적 경제적 경향을 알 수 있다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 경제적 영향 (그림 36.10)

36.11 생태학적 발자국은 자원 소비의 측도이다

생태학적 발자국 (ecological footprint): 한 개인이나 나라가 소비하는 식량, 연료, 물, 가옥, 폐기물
처리 등의 원자재 제공에 필요한 땅의 크기를 추정하는 것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생물학적 수용력(biocapacity) – 생태학적 발자국 > 0

= 현재 필요한 요구를 맞추기 위해 다음 세대가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지구


자원을 개발, 조절, 보전하는 것

현재 전 세계 생물학적 수용력 = 1 인당 1.7 gha (global ha, 지구헥타르)

2014 년 전세계 평균 생태학적 발자국 = 2.8 gha (전세계 생물학적 수용력의 1.6 배)

각 국가별 생태학적 발자국 = 생태학적 발자국 (1 인당) x 국가 인구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