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37 장 군집과 생태계

군집구조와 역동성 (37.1 ~ 37.13)


37.1 군집이란 특정 지역에 사는 모든 생물을 말한다

생물 군집 (community): 한 지역에 근접하여 살고 있어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는 모든 생물


개체군의 집합

군집 구조

군집의 특성

1. 종 다양성(종 풍부도): 종 수

2. 상대 수도 (relative abundance): 군집 내 각 종의 비율

3. 먹이 그물

37.2 종간 상호작용은 군집 구조의 기본요소이다

군집 내에서 개체 간의 상호관계는 돕거나(+), 해를 끼치거나(-), 상호간의 영향 없음(0)으로 분류할


수 있다

종간 상호작용 (표 37.2)

경쟁 -/-

상리공생 +/+

포식 +/-

초식섭식 +/-

기생과 병원균 -/+

37.3 공유하는 자원이 한정적일 때 경쟁이 일어날 수 있다 (-/-)

생태적 지위 (ecological niche): 각 종이 차지하는 자원 축의 범위의 총합

경쟁: 대부분 부족한 공동 자원에 대한 이용으로 나타나는 간접적인 (-) 상호작용

경쟁 배타 원리

가우스의 집신벌레 경쟁 실험 (단독 배양에서는 두 종이 모두 생존, 같이 배양하면 한 종

이 절멸)

동일 자원과 경쟁하는 두 종 중 한 종은 사라진다는 원리


37.4 상리공생은 두 종 모두에게 이롭다 (+/+)

상리공생: 두 종 모두 이익을 얻는 상호작용

예) 산호초: 산호 폴립 – 쌍편모조류의 상리공생 (그림 37.4)

산호동물: 서식지 제공, 배설물을 통한 질소 (암모니아) 제공

쌍편모조류: 광합성 산물인 당 제공

37.5 포식으로 먹이종의 다양한 적응이 생겨난다 (+/-)

포식: 먹이사슬의 기본이 되는 먹고 먹히는 관계

포식자-먹이: 밀접한 상호작용을 통한 공진화 (사냥과 방어 능력의 진화)

방어: (그림 37.5)

위장(camouflage)

물리적 방어

화학적 방어

경고색

37.6 식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초식동물에 적응한다 (+/-)

초식: 초식동물이 식물을 먹는 관계

고착성 식물의 방어

물리적 방어: 침, 가시

대부분 화학적 방어: 매우 다양한 2 차대사산물 생산

공동진화 (coevolution): 두 종이 연속해서 서로 진화적 적응을 하는 것

예: 초식동물 – 식물 (그림 37.6), 기생생물 – 숙주, 먹이 – 포식자 등

37.7 기생생물과 병원체는 군집의 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기생: 숙주로부터 기생생물이 영양을 빨아먹는 관계

기생생물

체내 기생생물: 촌충, 편충, 선충 등

외부기생생물: 벼룩, 이, 진드기, 모기 등

현미경적 기생생물: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원생생물 등

군집조성에 대한 기생의 영향

밤나무마름병 원인 원생생물의 기생으로 밤나무가 쇠퇴, 참나무, 히코리나무가 더 우세


급성참나무죽임병 원인 원생생물로 참나무, 레드우드, 더글라스전나무 등이 감염 고사

37.8 영양 구조는 군집의 역동성의 주된 요소이다

영양구조 (trophic structure):

생산자, 소비자 등 영양단계에 따른 에너지나 생물량 피라미드 구조

섭식관계: 먹고 먹히는 초식 및 포식 관계

먹이사슬: 연속적인 먹이관계

먹이그물: 먹이사슬이 그물처럼 연관됨 (개념의 시각화 37.9)

생산자(producer): 독립영양생물

1 차 소비자(consumer): 초식동물

2 차 소비자: 육식동물

3 차 소비자

4 차 소비자

쓰레기 처리자(scavenger): 포식자가 먹고 남거나, 차에 치어 죽은 사체 섭식

사체섭식자(detritivore): 부패가 진행중인 유기물 섭식 (지렁이, 노래기 등)

분해자(decomposer): 유기물을 분해하여 무기물로 전환시키는 분해(decomposition)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는 생물

37.10 종 다양성에는 종 풍부도와 상대적 풍부도가 포함된다

종 다양성의 2 가지 요소

1. 종 풍부도 (species richness): 군집 내 종 수

2. 상대적 풍부도 (relative abundance): 군집 내 각 종의 출현 비율

예: 숲 A 와 숲 B 의 비교 (그림 37.10, 표 37.10)

종 풍부도: 4 종

상대적 풍부도: 숲 B 는 4 종이 더 고른 비율로 분포

결론: 종 다양성은 숲 B 가 숲 A 보다 높다

단품종재배(monoculture): 대부분의 농경지는 단일종의 농작물과 나무 재배

 종다양성이 매우 낮아 병충해에 취약함


37.11 어떤 종들은 그 크기에 비해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페인의 실험(그림 37.11): 포식자인 불가사리 제거는 군집의 종 다양성을 급격하게 줄임

영향이 큰 종

핵심종 (keystone species): 풍부도나 생물량에 비해 군집에 훨씬 큰 영향을 주는 종

군집의 다양성을 유지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종

37.12 교란은 종다양성과 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교란 (disturbance): 태풍, 불, 홍수, 가뭄, 지나친 방목, 인간활동 등 생물 군집을 변화시키는 사건

생태적 천이 (ecological succession): 생물 군집의 조성이 시간에 따라 다른 군집으로 대치되는 현상

1 차 천이 (primary succession): 식물이 없는 곳에서 시작되는 천이

화산 지역, 빙하 퇴각 지역, 사구 등

용암 지역의 1 차천이 연구 (그림 37.12A)

2 차 천이 (secondary succession): 기존 군집이 교란되어 생긴 드러난 땅에서 시작되는

천이(그림 37.12B)

37.13 침입종이 군집을 파괴할 수 있다 (침해종은 거의 쓰이지 않는 용어로 침입종으로 대체함)

침입종 (invasive species):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어 적절한 서식처에서


우위를 점하는 종

- 보통 개체군 성장을 제어하는 경쟁, 포식, 초식 또는 기생과 같은 생물적 요인이 부재 


자원을 고갈시킬 때까지 성장

- 사례: 버마 비단구렁이 (그림 37.13A), 칡(그림 37.13B), 얼룩말홍합(그림 37.13C)

생태계 구조와 역동성 (37.14 ~ 37.23)


37.14 생태계 생태학은 에너지 흐름과 화학적 순환에 주목한다

생태계 (ecosystem):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와 같은 생물 군집과 비생물적 요소가 상호작용하면서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을 보이는 역동적인 시스템

생태계에서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 요약 (그림 37.14)

태양에너지는 생산자를 통해 생태계로 들어와 먹이그물을 통해 흐르고 열의 형태로


빠져나간다 (에너지 흐름)

물질은 생태계 내에서 순환된다 (화학적 순환)


37.15 1 차 생산이 생태계의 전체 에너지양을 결정한다

1 차 생산성 (primary productivity): 일정기간 동안 독립영양생물이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


유기화합물)로 바꾼 양

생태계 에너지 수지

총 1 차 생산성 (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1 차생산자가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꾼 총량

순 1 차 생산성 (net primary productivity, NPP): 총 1 차생산성에서 1 차 생산자의 호흡량 R 을 뺀 량

NPP = GPP - R

다양한 생태계에서 1 차순생산성

가장 생산성이 높은 지역: 열대우림, 강 하구, 산호초 등

해양: 생산성이 낮지만, 넓은 면적 때문에 전체 생산성에 대한 기여도는 상당히 높음

37.16 에너지 공급이 먹이사슬의 길이를 제한한다

식물이 먹힌 양 = 분변(동화되지 않은 양) + 세포호흡 + 생장(새로운 생물량) (그림 37.16A)

에너지 피라미드 (그림 37.16B): 각 영양단계에 유입된 에너지의 대략 10%가 상위 영양단계로 전달

 대부분의 먹이사슬이 3~5 단계의 영양 단계로 제한

에너지의 전달 효율은 일반적으로 약 10%

37.17 에너지 피라미드는 육식의 생태학적 비용에 대해 말해준다

초식하는 사람과 육식하는 사람의 에너지 피라미드 (그림 37.17): 초식은 육식에 비해 이용 가능한
에너지가 10 배 많음 (10% 에너지 전달 가정시)

37.18 화학물질은 유기물과 무기물 저장소 사이를 순환한다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biogeochemical cycles): 원소의 순환은 생물적 지질학적 및 화학적 과정을


거침 따라서 생물적, 지질학적 및 화학적 과정을 통한 원소의 순환을 말함

생태계 내 일반적인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그림 37.18)

1. 생산자는 무기물 저장소 (abiotic reservoir)의 무기물을 유기물로 합성

2. 소비자는 먹이그물을 통해 에너지를 얻어 생물량으로 전환

3. 생산자와 소비자는 노폐물을 분비


4. 생물의 사체 유기물은 분해자가 분해하여 무기물 저장소로 순환시킴

37.19 탄소 순환은 광합성과 호흡에 의존한다

탄소 순환 (그림 37.19):

중요 과정: 화석연료의 연소(인위적),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방출, 광합성에 의한 이산

화탄소 흡수

인간의 영향: 화석연료(석탄, 석유)의 연소를 통한 대기 중 CO2 농도 증가

37.20 인의 순환은 암석의 침식에 의존한다

인 순환 (그림 37.20)

중요 과정: 지질학적 융기에 의해 오랜 시간 후에 순환, 토양입자와 인산염이 결합

인간의 영향: 인산염 비료에 의한 수생태계의 부영양화

37.21 질소 순환은 박테리아에 의존한다

질소 순환 (그림 37.21)

중요 과정: 질소고정, 암모니아화, 질화, 탈질화

인간의 영향: 자동차와 화력발전이 생산한 산화질소(NOx)의 오존 생성(스모그)와 산성비

강하 및 지구온난화, 농업에 의한 질소비료, 가축 배설물의 수생태계 부영양화

37.22 지나친 영양의 유입이 수생생태계를 파괴한다

부영양화 (eutrophication): 수생태계로 유입되는 인과 질소의 양이 증가하여 1 차생산이 증가하는


현상

녹조 (그림 37.22A): 담수에서 남세균의 대발생

적조: 연안에서 쌍편모류의 대발생

죽음의 지역 (dead zone) (그림 37.22B): 조류 증식 (algal bloom)후 분해시 용존산소를 고갈시켜
무산소층 지역을 만들어 동물들이 폐사하는 지역

37.23 생태계는 사람들의 복지에 필수적이다

생태계가 제공하는 서비스 (생태계서비스)

물자 서비스 (그림 37.23A): 식량, 섬유, 목재, 의약품 등 제공

조절 서비스: 기후, 물, 대기의 질 유지 조절, 농작물의 수분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다음 세대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능력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
사람들의 수요에 맞출 수 있도록 지구 자원을 개발, 운영, 보전하는 것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