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Lesson

Lesson 02
02 영미권 문화 능률((김))
Meeting a Kiwi 뉴질랜드인과의 만남

중요하다 타당하게
Etiquette matters [ because we want to live / in reasonably 예절은 [우리가 타당하게 조화로운 사
조화로운 (지역)사회
회에서 살고 싶기 때문에] 중요하다. -
harmonious communities]. - Judith Martin Judith Martin

뉴질랜드인
1. This month / we have a special interview with a kiwi. 1. 이번 달에는 뉴질랜드인과 특별 대
담을 갖겠습니다.
~라는제목의
2. 이것은 “한국 내 영어 원어민들”이란
2. This is a part of our special series entitled “English Speakers 제목의 특집 시리즈의 일환이에요.
in Korea.”
3. 오늘 대담 상대는 남태평양 섬나라
인터뷰 대상자 에서 오신 분입니다.
3. Today’s interviewee comes from an island nation / in the
4. 이름을 추측해 볼 수 있겠어요?
남 태평양
South Pacific.
추측하다
4. Can you guess its name?

5. Sujin: Good morning, my name is Kim Sujin and I am a 5. 수진: 좋은 아침이에요, 나의 이름은
student reporter for Sejong Times of Sejong High School. 김수진이고, 세종고등학교 세종 타임
즈의 학생 기자입니다.
시간을 내다 ~로부터
6. 먼저, 바쁜 일정 속에서도 이번 대담
6. First of all, thank you for taking time out of your busy 을 위해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드려
~을위해
요.
schedule for this interview.
7. James: 괜찮습니다.
7. James: It’s no problem. 8. 수진: 우선, 자신에 대해서 말씀 좀
해 주실래요?
8. Sujin: To start with, could you tell us a little about yourself?
9. James: 그러죠. 내 이름은 James이
~에 (계속) 있었다 고, 한국에 거의 4년간 있었습니다.
9. James: Sure. My name is James and I have been in Korea /
거의
10. 나는 모든 연령대와 수준을 대상으
for almost 4 years. 로 영어를 가르쳤었고, // 현재는
수원에 있는 한 고등학교에서 가르
~에게
치고 있어요.
10. I have taught English / to all ages and levels // and I am 11. 나는 한국에서 사는 것이 즐거워요.
현재 ~에서
currently teaching at a high school in Suwon. 12. 만약 그렇지 않았다면 오래 전에
떠났을 거예요.
11. I enjoy living in Korea.
떠났을 것이다
12. I would have left a long time ago / if I didn’t.

명/품/수/학/영/어
- 1 -
Lesson
Lesson 02
02 영미권 문화 능률((김))
부르다 O O.C
13. Sujin: Why do people call / New Zealanders / kiwis? 13. 수진: 왜 사람들이 뉴질랜드인을 키
위라고 부르나요?
멸종위기에처한 ~에서만 볼수있는
14. James: 키위는 뉴질랜드에서만 볼
14. James: The kiwi is an endangered bird unique to New 수 있는 멸종 위기에 처한 새입니
Zealand. 다.

망토 깃털 15. 전통적인 마오리 사회에서, 키위 깃


15. In traditional Mãori society, cloaks made of kiwi feathers 털로 만든 망토는 대단한 권위를
추장 대단한 권위를 가진 = and it 갖춘 추장들만 착용했는데, 그것은
were only worn / by chiefs with great mana, which means 위신을 나타냅니다.
위신, 명성
16. 또한, 그건 국조이면서 우리나라의
prestige.
주요 상징이기도 합니다.
국조, 나라새 주요한 상징 17. 키위 과일은 뉴질랜드에서 재배되
16. It is also the national bird / and a major symbol of our 었고, 그 새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country. 지었죠.

기르다
18. 만약 나와 인사를 나누고 나에게
~을 따서 이름짓다
17. The kiwi fruit was bred in New Zealand / and named after 키위라고 불러도 나는 아무렇지 않
을 겁니다.
the bird.
19. 우리는 우리의 민족 주체성이 자랑
O O.C 깜짝놀라다 스럽습니다.
18. If you met me / and called me a kiwi, I wouldn’t bat an
eyelid.
민족(국가) 정체성
19. We are proud of our national identity.

what+주어+like? 주어는 어떤가요?


20. Sujin: What do New Zealanders like? What do they do 20. 수진:뉴질랜드인들은 어떤가요?
한가한 시간에는 무엇을 하죠?
during their free time?
21. James: 뉴질랜드인들은 [영화, TV,
21. James: Kiwis like / much the same things as / people in 쇼핑, 외식, 음주, 등] 한국 사람들
외식 이 하는 것과 같은 것들을 좋아해
Korea do, / movies, TV, shopping, eating out, drinking, and 요.
등등
so on. 22. 하지만 뉴질랜드인들이 한국 사람
들보다 야외 활동을 조금 더 즐기
는 것 같아요.
야외활동 약간
22. However, I think [New Zealanders enjoy the outdoors slightly 23. 스포츠, 특히 단체 스포츠는 훨씬
more / than Koreans do]. 더 중요하고 거의 모든 사람들이
수영 하는 법을 알죠.
특히 훨씬 중요한, 저명한
23. Sports, especially team sports, are far more prominent / and 24.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주말과 방
거의
과 후에 또는 퇴근 후에 스포츠 리
nearly everybody knows how to swim. 그에서 경기를 해요.

25. 많은 사회적 상호 작용이 스포츠


모든 연령대
관람이나 운동, 그리고 야외활동과
24. People of all ages play in social sports leagues / on weekends 어우러지죠.
/ and after school or work.
~와 함께 어우러지다
25. A lot of social interactions / go together with / watching or
야외 활동
playing sports and outdoor activities.

명/품/수/학/영/어
- 2 -
Lesson
Lesson 02
02 영미권 문화 능률((김))
대화
26. Sujin: How can I start a conversation / when I meet kiwis? 26. 수진: 뉴질랜드인들을 만나면 어떻
게 대화를 시작해야 할까요?
대개, 주로 기꺼이(기쁘게)~하다
27. James: Kiwis are mainly friendly people who are happy to 27. James: 뉴질랜드인들은 대개 여러
분이 인사를 건네면 기꺼이 대화를
have a conversation / if you say hello. 나눌 친절한 사람들이에요.

느긋한 격식을차린 28. 우리는 또한 매우 느긋한 사회적


28. We also have very relaxed social rules, so being too formal is 규칙을 가지고 있어서 너무 격식을
차리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니에
not a good idea. 요.
~일지라도
29. 그 사람이 여러분보다 나이가 훨씬
29. Even if the person is much older than you, you can use their 더 많다고 해도, 여러분은 그들의
이름 이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irst name.
30. 그러나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대도시에서는 사람들이 작은 도시
30. However, like in other countries, people don’t talk to
나 시골만큼 자주 낯선 사람들에게
strangers / as often in big cities as / in smaller towns or the 말을 걸지는 않아요.
country.

~해야한다
31. Sujin: Is there anything I need to be careful about when 31. 수진: 대화를 나눌 때 내가 조심해
야 할 게 있나요?
having conversations?
32. James:
뉴질랜드인들은 개인적인
개인적인 공간
공간을 좋아하니까 // 너무 가까이
32. James: Kiwis like their personal space, so don’t stand too 서거나, 대화하는 동안 다른 사람
만지다
을 만지지 마세요.
close / or touch the other person / during conversations.
33. 피해야 할 주제는 종교와 & 개인
주제 피하다 ~을포함하다 종교 재산과 관련된 주제들이에요.
33. Subjects you should avoid include religion / and subjects
~와 관련된 개인 재산 34. 사람들은 [종교는 아주 개인적이고
to do with personal wealth. 사적인 것이라고] 생각하죠.

35. 또, [겸손은 뉴질랜드인들에게는 아


34. People think [religion is something that is very personal and 주 중요한 덕목이니까] 절대로 자
사적인 신의 값비싼 소유물을 자랑하거나
private]. 언급하지 마세요.

자랑하다 언급하다 소유물


35. Also, never show off or mention your expensive possessions /
겸손 덕목 ~에게
because modesty is a very important virtue to kiwis.

명/품/수/학/영/어
- 3 -
Lesson
Lesson 02
02 영미권 문화 능률((김))
방식에서
36. Sujin: I see. What is the biggest difference / in the way 36. 수진: 알겠어요. 한국에 오셨을 때
서로 알아차리다 [사람들이 서로 말하는 방식에서]
people talk to each other / you noticed / when you came to [당신이 알아차린] 가장 큰 차이점
은 뭔가요?
Korea?
37. James: 내가 분명하게 알아차린 한
분명하게 가지는 개인적 공간의 차이인데,
37. James: One thing I definitely noticed is the difference in 특히 말할 때의 신체 접촉입니다.
특히 신체 접촉
personal space, especially body contact when speaking. 38. 사실, 내가 처음 남대문시장에 갔
을 때, 지나가는데 어떤 가방 장사
가 자기 가게로 나의 관심을 끌려
38. In fact, when I first went to Namdaemun Market, a bag 고 팔을 움켜잡더군요.
움켜잡다 = when 걸어서 지나가다 끌다
seller grabbed my arm / as I walked past / trying to attract 39. 만약 그 사람의 친근한 표정이 아
관심 ~로 니었더라면, 나는 최대한 강하게
my attention to his store. 그를 밀쳐 버렸을 겁니다.

~가 아니었다면 표정 40. 뉴질랜드에선, 낯선 사람에 의한


39. Had it not been for his friendly expression, I would have 누군가의 개인적 공간 침범은 아
(그를)밀쳐내다 주 공격적인 행위입니다.
pushed him away / as hard as I could.
침범, 침략
40. In New Zealand, the invasion of someone’s personal space /

~에의한 공격적인
by a stranger / is a very aggressive act.

약간, 조금
41. Sujin: I have seen photos / and read a little / about the 41. 수진: 나는 교과서에서 마오리족에
교과서 대한 사진들도 봤고 글도 좀 읽었
Mãori people / in my textbooks. Do they really walk round 어요. 그 사람들은 정말 얼굴에 온
통 문신을 하고 스커트를 입은 채
the street / in skirts / with tattoos all over their faces? 거리를 돌아다니나요?

42. James: No, of course not. Koreans don’t walk around in their 42. James: 아뇨, 당연히 그렇지 않아
항상 ~도 그렇지 않다 요. 한국 사람들이 항상 전통 의상
traditional clothes all the time, and neither do Mãori. 을 입고 돌아다니지 않잖아요, 마
오리족도 그렇지 않아요.
평상복
43. Mãori wear ordinary clothes / like all kiwis. 43. 마오리족도 뉴질랜드인들처럼 평상
복을 입어요.
얼굴의 아주
44. 문신은 moko라고 하는데, 얼굴에
44. The tattoos are called moko / and facial moko are fairly 한 moko는 요즘엔 아주 특이한
uncommon / these days. 거예요.

45. 마오리족도 여러분이 알아야 할 몇


45. Mãori also have some cultural rules that you should be 몇 문화적 규범이 있어요.
~을 알고있다
aware of. 46. 첫째, 절대로 탁자 위에 앉지 마세
요.
46. First, never sit on tables. 47. 탁자는 음식을 위한 것이므로, 그
위에 앉는 건 매우 무례하게 보여
= because ~을위한 = table
47. As tables are for food, sitting on one is seen as very 요.
무례한
48. 둘째, 사람들의 머리는 금기시 하
disrespectful. 는 것으로 간주되어서 만져서는 안
됩니다; 이것은 어린이들도 마찬가
~로 여기다 금기
지로 적용돼요.
48. Second, people’s heads are regarded as taboo, and should not
만지다 연장(확장)되다 역시, 또한
be touched; this extends to children as well.

명/품/수/학/영/어
- 4 -
Lesson
Lesson 02
02 영미권 문화 능률((김))
49. Sujin: Interesting! Is there anything else I need to know / 49. 수진: 흥미롭네요! 제가 뉴질랜드를
when I visit New Zealand? 방문할 때 알아야 할 그밖에 어떤
것이 있나요?

50. James: In cities, be careful ❶to look over your shoulder ❷and 50. James: 도시에서는, [❶어깨너머로
hold the door / if there are people behind you. 보고, ❷만약 뒤에 사람이 있다면
문을 잡아주도록] 신경을 쓰세요.
다소 내성적인 ~을 좋지않게 생각하다
51. Kiwis are rather reserved / and don’t approve of emotional 51. 뉴질랜드인들은 내성적이어서, 감정
표출을 좋지 않게 생각해요.
표출
outbursts. 52. 이 때문에, 공공장소에서 이야기할
때는 [모든 사람들이 여러분을 쳐
52. Because of this, when talking in public / you should speak 다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조용
다소 피하다 ~을 쳐다보다 히 말해야 해요.
rather quietly / to avoid everybody staring at you.
53. 식당에선 팁을 줄 필요가 없어요.
팁을주다
54. 커피숍과 식당의 계산대 옆에 팁
53. You don’t need to tip in restaurants. 통이 있을 수도 있지만, 그건 완전
히 선택 사항이에요.
통 계산대
54. There may be a tip jar / next to the cash register / in coffee 55. 환경보호주의는 뉴질랜드 문화의
완전히 선택적인 강력한 주제이고, // 뉴질랜드인들
shops and restaurants // but they are completely optional. 은 “깔끔한 뉴질랜드인들”이라는
점을 자랑스러워해요.
환경보호주의 주제
55. Environmentalism is a strong theme of New Zealand culture / 56. 이는 [여러분이 길거리에서 쓰레기
자랑스러워하다 ~에대해 깔끔한 를 버리거나, 필요 이상의 물을 사
and New Zealanders pride themselves on being “tidy Kiwis.” 용하지 말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쓰레기를버리다
57. 하지만 이 점들에 너무 얽매이지
56. This means [that you should neither litter in the streets nor 말고, 그냥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
면 괜찮으실 겁니다.
use more water than you need].
얽매이다 유지하다 편안한
57. But don’t obsess over these points, just keep a relaxed
자세, 태도 그러면
attitude / and you’ll be fine.

반드시~하다 따르다
58. Sujin: Okay, I’ll be sure to follow your advice / when I go to 58. 수진: 알겠어요, 언젠가 뉴질랜드에
언젠가 ~에대해 가면 꼭 당신의 충고를 따를게요.
New Zealand someday. Thank you very much / for your time 시간을 내주신 것과 뉴질랜드
소중한 견해 에 대한 당신의 소중한 견해에 크
/ and your valuable perspective of New Zealand. 게 감사드려요.

59. James: 별말씀을요. 방문하시면 정


별말씀을요. 천만에요
말 즐거운 시간이 되실 겁니다.
59. James: It was my pleasure. I think [you’re really going to
enjoy your visit].

명/품/수/학/영/어
- 5 -
Lesson
Lesson 02
02 영미권 문화 능률((김))
READ MORE CULTURE

~로간주하다 무례한
Gestures Regarded as Rude in Canada 캐나다에서 무례하게 여겨지는 제스처
~와 대조적으로
1. In contrast to some other parts of the world, Canada is not a 1. 세계의 다른 일부 지역과 달리, 캐나
터무니없는 공격적인 다는 [많은 터무니없거나 공격적인
nation / with a lot of outrageous or offensive gestures. 제스처를 가진] 나라가 아니다.

2.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무례한 손이나


일반적으로 미묘한
몸놀림은 미묘하지 않으며, 결과적으
2. In general, most rude hand or body gestures / are not subtle,
로 쉽게 피할 수 있다.
피하다
and can be easily avoided / as a result. 3. 덜 알려진 "나쁜" 제스처에는 다음
이 포함된다.
3. Some of the lesser known “bad” gestures include:

걸터앉다
4. Elbows perched on the table while eating ― It is generally
~라고 여기다 격식을차린
4. 식사 중 식탁에 올려진 팔꿈치 ―
considered rude in formal settings, though common in more 일반적으로 더 캐주얼한 상황에서는
흔히 볼 수 있지만, 격식을 차린 환
casual situations. 경에서는 무례한 것으로 간주된다.

5. Eating with an open mouth / or talking with a full mouth /


5. 입을 벌린 채 먹거나, 입안 가득(음
사과(변명)하지않는 트름
식물을 넣은채로) 말하기, 트름하고
and unapologetic public belching ― They are all considered 사과 안하기 ― 이런것들은 모두 극
도로 역겹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보
극도로 역겨운, 혐오감을주는
extremely disgusting / and are usually expected / to be 통 "실례합니다"라고 사과하는 말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가 뒤따르다 사과의, 변명의 말, 언어
followed by / an apologetic verbal, “Excuse me.”

재채기 이상하게 의식화하다


6. Sneezing is weirdly ritualized. People say, “Excuse me,” 6. 재채기는 이상하게 의식화되어 있다.
인접한 가까운곳
사람들은 재채기를 한 뒤에 "실례합
following a sneeze, while anyone (in the immediate vicinity) 니다" 라고 말하는 반면, 바로 근처
동정
에 있는 사람들은 동정의 표시로
says, “Bless you,” as a sign of sympathy. “저런, 몸조심하세요” 라고 말한다.

7. Not making eye contact with the person one is speaking to / 7. 말하는 사람과 눈을 마주치지 않는
수줍음 주의산만 것은 수줍음이나 지루함의 무례한
is considered / a rude form of shyness or bored distraction. 형태로 여겨진다.

논쟁 ~에관한
8. There is a debate / in Canadian society / regarding “public 8. 캐나다 사회에서는 공공장소에서 껴
표시, 보여줌 애정 껴안다 안거나 열정적으로 키스하는 등의
displays of affection” or “PDAs,” such as cuddling or “애정의 공개적 표시"나 "PDA"에 관
열정적으로 ~하는 경향이 있따
한 논쟁이 있다.. 어떤 사람들은 그
passionately kissing in public places. Some may be inclined to 들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무시하다 O 꽤 O.C 버릇없는
다른 사람들은 [그들을] [꽤 버릇없
ignore them, while others consider / them / quite indecent and 고 불쾌하다고] 생각한다.
불쾌한
offensive.

명/품/수/학/영/어
- 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