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교과서 2단원 문학의 여러 빛깔 (1)별 헤는 밤(윤동주) page58

별 헤는 밤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세상)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가을의 이미지 : 쓸쓸함, 조락
따라서 화자에게 닥친 현실이 앞날을 예측할 수 없는 불안한 시대임을 암시(시적 화자가 처한 암담한 현실:일제강점기)

나는 아무 걱정 없이 티 없이 순수한 마음으로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헤일 듯합니다.
시대적 어려움 속에서도 별들을 헤아리며, 순수와 이상을 지키며, 살고 싶어하는 화자의 태도가 드러남.

가슴속에 하나 둘 새겨지는 별을 별 : 잃어버린 아주 소중하고 중요한 가치나 삶, 이상과 관련된 것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요,
별을 헤기에는 화자에게 시간이 너무 짧고=> 소중하고 아름다운 것, 화자가 찾고자 하는 꿈이나 이상, 순수함이 너무 많다.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요,
아직 나의 청춘이 다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내일이 남아 있고, 또 청춘이 다하지 않았기에 또 셀 수 있다는 희망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 청춘이 다하는 날까지 순수함이나 이상을 추구하겠다는 의지. -는 까닭입니다. 가 일정하게 반복 : 운율감을 형성한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어머니 : 다음 연과 시상이 이어지면서 시적 화자의 감정이 점점 고조되게 하는 시어
별을 통해, 추억, 사랑, 동경, 쓸쓸함, 어머니 등을 떠올리게 됨.
따라서 별은 화자의 유년시절의 평화로웠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매개체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 마디씩 불러 봅니다. 소학교 때 책상을 같이했던 아이들의


이름과, 패(佩), 경(鏡), 옥(玉)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 벌써 애기 어머니 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잠’, ‘라이너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 봅니다. 나열된 시어의 이미지 : 작고, 귀여운 것, 연약하고 부드러운 것들
4연까지의 운문형식과 달리 산문 형식을 취함-> 어조(문체)와 리듬의 변화를 통해 그리움의 정서를 고조시킴.(더 구체적으
로 그리게 되고, 산문이기 때문에 호흡이 빨라짐으로 그리움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습니다. 그리운 것들과 현실의 거리감(상실감, 외로움, 그리움
별이 아슬히 멀 듯이 아스라이 : 까마득할 정도로 멀리

어머님,
그리고 당신은 멀리 북간도에 계십니다. 여기까지의 시적 화자의 주된 정서 : 그리움
여기까지 이러저러한 일의 원인을 뭘까?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위에서 말한 것은 물론, 시적 화자가 추구하는 가치나 이상적인 삶


이 많은 별빛이 내린 언덕 위에
내 이름자를 써 보고, 이름을 쓰는 행위 : 존재에 대한 인식
흙으로 덮어 버리었습니다. 암울한 현실에 무력하게 대응하는 자신의 모습을 부끄럽게 여기는 태도

딴은(그럴 듯도 하기는) 밤을 새워 우는 벌레는(벌레 : 시적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객관적상관물)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암담한 현실 속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무기력한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이 나타남.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겨울: 일제 강점하의 암담한 현실, 봄 : 조국광복이나 희망찬 미래)
(시상의 전환이 이루어짐) 일제강점기하의 조국을 상징함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위에도
죽음을 암시, 속죄양모티프(scape-goat-motif)희생을 통한 이상을 성취하겠다는 의지가 드러남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게외다.
잃었던 소중한 것들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과 의지가 드러남.(생명력 회복)

윤동주(1917~1945)
시인. 독립운동을 했다는 죄목으로 후쿠오카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옥사하였다. 그의 작품은 식민지
지식인의 고뇌와 진실한ㄴ 자기 성찰이 담겨 있다고 평가된다. 사후에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출간되었다. 주요 작품으로 「서시」, 「자화상」, 「또 다른 고향」, 「쉽게 쓰여진 시」등이 있다.
● 주제 : 아름다움과 순수함에 대한 동경, 고향에 대한 동경과 자아 성찰.
● 특징 :
1. 산문적 리듬을 사용하여 운율의 변화를 줌
2. 과거(그리움)- 현재(반성)-미래(희망)이라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이 전개됨.
3. 자연물에 화자의 정서를 이입하여 내면의 정서를 드러냄.
1~7연 : 그리움
8연 : 성찰
9연 : 미래에 대한 희망과 의지 ->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이 전개됨

You might also like